KR100862126B1 - 휴대 통신 단말 - Google Patents

휴대 통신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2126B1
KR100862126B1 KR1020020027509A KR20020027509A KR100862126B1 KR 100862126 B1 KR100862126 B1 KR 100862126B1 KR 1020020027509 A KR1020020027509 A KR 1020020027509A KR 20020027509 A KR20020027509 A KR 20020027509A KR 100862126 B1 KR100862126 B1 KR 100862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one
voice
music
ster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7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8403A (ko
Inventor
야마키기요시
Original Assignee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148857A external-priority patent/JP362046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156640A external-priority patent/JP3675361B2/ja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88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8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2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212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휴대 통신 단말은 시스템 CPU(1)와, 시스템 RAM(3)과, 통신부(6)와, 표시부(4)와, 조작부(5)와, 마이크(9, 10)와, 이 마이크(9, 1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음성 파형 데이터로서 샘플링하는 음성 처리부(8)와, 샘플링된 음성 파형 데이터를 기억하는 파형 메모리 방식의 WT 음원(43)을 구비하고, 또 기억된 음성 파형 데이터에 기초하여 악음을 생성하는 악곡 재생부(12)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휴대 통신 단말{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휴대 통신 단말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도 1의 휴대 통신 단말에서의 음성 처리부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도 1의 휴대 통신 단말에서의 악곡 재생부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4a는 단순 시퀀스 파일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4b는 음색 데이터 부가 시퀀스 파일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4c는 스트림 파일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도 4a의 단순 시퀀스 파일의 재생의 모양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음색 데이터 부가 시퀀스 파일의 재생의 모양을 설명하는 도면,
도 7a는 스트림 파일의 재생의 모양을 도시하는 도면,
도 7b는 롱 스트림 데이터의 재생을 행하는 모양을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샘플링한 음성 데이터를 사용하는 악곡 파일의 작성 처리의 플로우챠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시스템 CPU 2 : 시스템 ROM
3 : 시스템 RAM 8 : 음성 처리부(음성 CODEC)
9, 10 : 마이크 11, 13 : 스피커
12 : 악곡 재생부 14 : 헤드폰
21, 22 : A/D 변환기 23, 24, 25, 29, 30 : 버퍼
28 : D/A 변환기 42 : FM 음원
43 : 파형 메모리 음원(WT 음원) 44 : 음색 ROM
45 : 음색 RAM 46 : L-Ch 믹서
47, 49 : D/A 변환기 48 : R-Ch 믹서
51 : 위상 발생기 52 : 어드레스 발생기
53 : 메모리 인터페이스 회로 54 : 엔빌로프 발생기
55 : 승산기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 등의 휴대 통신 단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노럴 샘플링 기능 또는 스테레오 샘플링 기능 및 모노럴 또는 스테레오의 악곡 재생 기능을 가지는 휴대 통신 단말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휴대 전화기나 PHS 등의 휴대 통신 단말에서, 미리 해당 휴대 통신 단말에 프리셋된 악곡 파일이나 유저가 작성한 악곡 파일 혹은 배신(配信) 센터 등의 서버로부터 취득한 악곡 파일(SMF(Standard MIDI File), SMAF(Synthetic music Mobile Application Format) 또는 MFi 등의 시퀀스 데이터 파일)에 기초하여 음원을 구동하여 착신 멜로디를 발생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 미리 녹음되어 등록된 음성(이하, 「음성」이라 함. 이 음성은 사람의 음성에 한하지 않음.)을 재생하여 착신 멜로디를 발생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특개평 2-78349호 공보, 특개평 10-178679호 공보, 특개평 10-313351호 공보, 특개평 11-88211호 공보 등).
발생하는 착신 멜로디 등의 악곡 파일은 최신의 히트 챠트로부터 선곡되는 경우가 많고, 선곡되는 악곡 파일의 인기에 치우쳐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발생하는 착신 멜로디 등의 악곡 파일은 개성이 없어, 휴대 통신 단말 소유자가 많이 모이는 장소에서는 발생하는 착신 멜로디 등에 따라 자신의 착신인지의 여부를 식별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 녹음(샘플링)한 음성을 재생하여 착신 멜로디를 발생하는 타입의 것은, 샘플링한 음성을 단순히 그대로 재생하는 것만의 것이 대부분이고, 샘플링한 음성에 대해 엔빌로프의 부여, 피치의 변경 등의 처리를 행할 수 없어, 샘플링한 음성을 음색 데이터로서 사용할 수도 없었다.
또한, 스테레오 샘플링한 확산감을 가지는 악곡을 재생하는 기능을 가지는 휴대 통신 단말은 알려져 있지 않다.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샘플링한 음성을 음색 데이터의 소재로서 사용하여, 독자의 음색의 착신 멜로디를 발생할 수 있는 휴대 통신 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스테레오 샘플링한 음성을 음색 데이터의 소재로서 사용하여, 독자의 음색을 가지는 동시에 확산감이 있는 악곡을 재생할 수 있는 휴대 통신 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의하면, 마이크와, 이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음성 파형 데이터로서 샘플링하는 음성 처리부와, 상기 샘플링된 음성 파형 데이터를 기억하는 상기 파형 메모리 방식의 음원을 구비하고, 또 상기 기억된 음성 파형 데이터에 기초하여 악음을 생성하는 악곡 재생부를 구비하는 휴대 통신 단말이 제공된다.
본 제1 형태에 의하면, 상기 악곡 재생부는 상기 샘플링한 음성 파형 데이터를 소재로 하는 파형 데이터를 상기 파형 메모리에 순차 공급하여 롱 스트림의 파형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제1 형태에 의하면, 상기 악곡 재생부는 상기 샘플링한 음성 파형 데이터를 소재로 하여 음색 데이터를 작성하고, 이 작성한 음색 데이터를 사용하여 악곡을 재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제1 형태에 의하면, 상기 악곡 재생부는 상기 작성한 음색 데이터를 사용하도록 상기 악곡의 시퀀스 데이터를 편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제1 형태에 의하면, 상기 악곡 재생부는 상기 작성한 음색 데이터와 상기 악곡의 시퀀스 데이터를 포함하는 악곡 파일을 작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의하면, 두 개의 마 이크와, 상기 두 개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음성 파형 데이터로서 스테레오 샘플링하는 음성 처리부와, 상기 스테레오 샘플링된 음성 파형 데이터를 기억하는 파형 메모리 방식의 음원을 구비하고, 또 상기 스테레오 샘플링한 음성 파형 데이터에 기초하여 스테레오의 악음을 생성하는 악곡 재생부를 구비하는 휴대 통신 단말이 제공된다,
본 제2 형태에 의하면, 상기 두 개의 마이크 중 적어도 한 개는 송화 마이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제2 형태에 의하면, 상기 악곡 재생부는 상기 스테레오 샘플링한 음성 파형 데이터를 소재로 하는 파형 데이터를 상기 파형 메모리에 순차 공급하여 롱 스트림의 스테레오의 파형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제2 형태에 의하면, 상기 악곡 재생부는, 상기 스테레오 샘플링한 음성 파형 데이터를 소재로 하여 스테레오의 음색 데이터를 작성하고, 이 작성한 스테레오의 음색 데이터를 사용하여 악곡을 재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제1 형태에 의하면, 시퀀스 데이터 파일에 기초하여 착신 멜로디의 발생과 샘플링한 음성에 기초하여 착신 멜로디의 발생의 양쪽을 하드웨어의 공용에 의해 저비용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 샘플링한 음성을 가공하여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샘플링한 음성을 시퀀스 데이터로부터 지정 가능한 음색 소재로서 이용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시퀀스 데이터를 사용한 경우에서도, 오리지널의 음색으로 변경하여 재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파형 메모리 음원의 복수 채널 동 시 발음 기구와 조합하여 이용하는 경우에는, 장소 ·시간을 변경하여 샘플링한 복수의 음성을 중합하여 재생할 수 있어, 예컨대 동물 대합창과 같은 개성적인 악곡의 재생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파형 메모리 음원의 복수 채널 동시 발음 기구와 조합하여 이용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샘플링 음성을 사용하여 화음을 발생할 수 있어, 예컨대 가스펠 코러스적인 재생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본 제1 형태에 의하면, 다양한 콘텐츠를 작성할 수 있어, 개성이 풍부하여 다른 사람과의 식별성이 높은 착신 멜로디를 재생 가능한 휴대 통신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제2 형태에 의하면, 스테레오 샘플링한 음성을 가공하여 재생할 수 있게 되어, 확산감이 있는 동시에, 개성적인 악음을 재생할 수 있다. 또, 시퀀스 데이터 파일에 기초하여 착신 멜로디의 발생과 스테레오 샘플링한 음성에 기초하여 착신 멜로디의 발생의 양쪽을 하드웨어의 공용에 의해 저비용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스테레오 샘플링한 음성을 시퀀스 데이터로부터 지정 가능한 음색 소재로서 이용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시퀀스 데이터를 사용한 경우에서도 오리지널의 음색으로 변경하여 재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파형 메모리 음원의 복수 채널 동시 발음 기구와 조합하여 이용하는 경우에는 장소 ·시간을 변경하여 스테레오 샘플링한 복수의 음성을 중합하여 재생할 수 있어, 예컨대 동물 대합창과 같은 개성적인 악곡의 재생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파형 메모리 음원의 복수 채널 동시 발음 기구와 조합하여 이용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스테레오 샘플링 음성을 사용하여 화음을 발생할 수 있어, 예컨대 가스펠 코러스적인 재생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본 제2 형태에 의하면, 다양한 콘텐츠를 작성할 수 있어, 개성이 풍부하고 다른 사람과의 식별성이 높은 착신 멜로디를 재생 가능한 휴대 통신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휴대 전화나 PHS 등의 휴대 통신 단말에 한하지 않고, 고정 전화기 등에도 적용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휴대 전화나 PHS 등의 휴대 통신 단말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휴대 통신 단말의 전체 구성의 일례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서, 1은 이 휴대 통신 단말 전체의 제어를 행하는 중앙처리장치(시스템 CPU), 2는 각종 통신 제어 프로그램이나 악곡 재생을 위한 프로그램 등의 제어 프로그램 및 프리셋되어 있는 악곡 파일이나 각종 정수 데이터 등을 격납하고 있는 시스템 ROM, 3은 워크 영역으로서 사용되는 동시에 악곡 파일이나 음색 데이터 등 각종의 데이터를 기억하는 시스템 RAM, 4는 액정표시장치(LCD) 등으로 이루어지는 표시부, 5는 복수의 조작 버튼 등을 가지는 조작부, 6은 변복조부 등으로 이루어지며, 안테나(7)에 접속되는 통신부이다. 여기에서, 시스템 RAM(3)에서의 악곡 파일 기억 영역 및 음색 데이터 기억 영역은 플래시 메모리의 사용 또는 배터리 백업 등에 의해 불휘발성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8은, 송화 마이크(9), 마이크(10) 및 수화 스피커(11)에 접속되어, 통화를 위한 음성 신호의 부호화 및 복호를 행하는 동시에 송화 마이크(9) 및 마이크(10)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를 샘플링하여 취입하는 기능을 가지는 음성 처 리부(음성 CODEC), 12는 음원을 가지고, 시스템 RAM(3) 등에 기억된 악곡 파일에 기초하여 악곡을 재생하는 악곡 재생부, 13은 착신 통지 등에 이용되는 스피커, 14는 헤드폰, 15는 외부의 퍼스널 컴퓨터나 다른 휴대 통신 단말 등의 외부 기기와의 사이에서 각종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외부 인터페이스 회로, 16은 각 구성 요소 1∼6, 8, 12, 15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행하기 위한 버스이다.
도 2는 음성 처리부(8)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에서, 21은 송화 마이크(9)로부터의 입력 음성을 소정 주파수의 샘플링 클록에 의해 샘플링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A/D 변환기, 22는 마이크(1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소정 주파수의 샘플링 클록에서 샘플링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A/D 변환기, 23, 24, 25는 버퍼, 26은 A/D 변환기(21)가 변환한 음성 데이터를 예컨대 CELP, VSELP, ADPCM 방식 등의 시스템에 의해 정해진 음성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하여 통신부(6)에 출력하는 음성 부호화부이다.
또, 27은 통신부(6)에 의해 복조되어 베이스 밴드 신호로 된 음성 데이터를 복호하는 음성 복호부, 28은 음성 복호부(27)가 복호한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기, 29, 30은 버퍼, 31은 버퍼(29)를 통해 공급되는 D/A 변환기(28)가 변환한 출력 음성 신호와 버퍼(30)를 통해 입력되는 악곡 재생부(12)로부터의 악곡 신호와의 각각에 가중치를 부가하여 가산하고, 해당 가중치를 부가하여 가산된 출력 음성 신호 및 악곡 신호를 수화 스피커(11)에 출력하는 가산기이다.
통화시에 송화 마이크(9)로부터 입력된 송화 음성은 A/D 변환기(21)에서 샘 플링되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되어, 버퍼(23)를 통해 음성 부호화부(26)에서 소정의 음성 부호화 방식(예컨대, CELP 방식)으로 부호화되어 통신부(6)에 출력된다. 또, 통신부(6)로부터의 음성 데이터는 음성 복호부(27)에 입력되고, 여기서 복호된 후, D/A 변환기(28)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버퍼(29) 및 가산기(31)를 통해 수화 스피커(11)로부터 출력된다. 이 때, 가산기(31)에서의 가중치는 예컨대 버퍼(29)측이 1, 버퍼(30)측이 0이 된다. 또, 보류음을 재생할 때에는, 가산기(31)의 가중치는 버퍼(29)측, 버퍼(30)측이 모두 0.5가 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테레오로 착신 멜로디를 재생할 때에는, 버퍼(29)측이 0, 버퍼(30)측이 1이 된다.
또, 본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휴대 통신 단말에서는 송화 마이크(9) 및 마이크(10)로부터 입력 음성이 샘플링에 의해 취입된다. 이 때, 예컨대, 스테레오의 좌 채널(이하, 「L-ch」이라 함)에 대응하는 송화 마이크(9)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를 A/D 변환기(21)에서 소정의 샘플링 주기에 의해 샘플링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또, 동시에 우 채널(이하, 「R-ch」이라 함)에 대응하는 마이크(10)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를 A/D 변환기(22)에서 소정의 샘플링 주기에 의해 샘플링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A/D 변환기(21 및 22)로부터의 각 디지털 데이터는 각각 대응하는 버퍼(24 또는 25)를 통해 시스템 RAM(3)의 소정의 기억 영역에 스테레오의 음성 파형 데이터에서의 R-ch, L-ch의 데이터로서 기억된다. 또, 이 때의 A/D 변환기(21) 및 A/D 변환기(22)의 샘플링 클록의 주파수는 통화시에서의 샘플링 주파수와 다른 주파수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여 취입된 음성 파형 데이터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신규인 음성 데이터를 작성하기 위한 소재로서, 혹은 필요에 따라 가공된 후 롱 스트림의 파형 데이터로서 사용된다.
도 3은 악곡 재생부(12)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 악곡 재생부(12)를 이용하여 악곡 파일을 스테레오나 모노럴로 재생하여, 착신 멜로디나 보류음을 발생할 수 있다. 또, 비통화시 등에 악곡 파일을 스테레오나 모노럴로 재생하고, 착신 멜로디를 발생하여 악곡의 감상을 할 수도 있다.
도 3에서, 41은 버스(16)에 접속된 인터페이스부, 42는 복수 채널의 악음을 생성할 수 있는 FM 방식의 FM 음원(폴리포닉 FM 음원), 43은 복수 채널의 악음을 생성할 수 있는 파형 메모리 방식의 WT 음원(폴리포닉 WT 음원), 44는 본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휴대 통신 단말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프리셋 음색의 음색 데이터를 기억한 음색 ROM, 45는 프리셋 음색 이외의 음색의 음색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는 음색 RAM이다. 여기서, WT 음원(43)으로서는 PCM 방식 혹은 ADPCM 방식의 어느 것이어도 좋다. 또, 음색 ROM(44)에는 프리셋 음색의 음색 데이터로서, 예컨대 GM128 음색의 음색 데이터와 드럼셋의 음색 데이터가 격납되어 있다.
FM 음원(42) 및 WT 음원(43)은, 음색 ROM 혹는 음색 RAM(45)에 격납되어 있는 음색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발음 채널에서 지정된 음색의 악음 파형 데이터를 생성한다.
음색 ROM(44) 혹은 음색 RAM(45)에 격납되어 있는 음색 데이터는, 각 음색마다에 특유한 것이 있고, 파형 파라미터와 그 외의 데이터로 이루어진다. 파형 파 라미터는 악음 파형을 지시하는 것으로, FM 음원의 경우에는 FM 연산의 알고리즘을 지시하는 파라미터, WT 음원의 경우에는 음색 파형 데이터, 이 음색 파형 데이터의 스타트 어드레스, 루프 스타트 어드레스 및 엔드 어드레스 등이다. 또, 그 외의 데이터로서는, 어택 레이트, 디케이 레이트, 서스테인 레벨(sustain level), 및 릴리스 레이트 등을 지정하는 엔빌로프 파라미터, 비부라토나 트레몰로의 깊이나 속도를 지정하는 변조 파라미터, 리버브(reverb), 코러스, 바리에이션(variation) 등의 이펙트를 지정하는 이펙트 파라미터 및 이 음색이 스테레오 음색인지 모노럴 음색인지, 이 음색이 스테레오 음색일 때는 스테레오 음색의 R 채널인지, L 채널인지를 나타내는 식별자 등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46은 FM 음원(42) 혹은 WT 음원(43)에 의해 생성된 악음 파형 데이터 중의 L-ch의 악음 파형 데이터를 믹싱하는 L 채널 믹서이고, 이 L 채널 믹서(46)의 출력은 D/A 변환기(47)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후, 헤드폰(14)에 L-ch의 출력으로서 공급되는 동시에, 음성 처리부(8)에 입력됨으로써 가산기(31)에 공급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수화 스피커(11)로부터 방음된다.
48은 FM 음원(42) 혹은 WT 음원(43)에 의해 생성된 악음 파형 데이터 중의 R-ch의 악음 파형 데이터를 믹싱하는 R 채널 믹서이고, 이 R 채널 믹서(48)의 출력은 D/A 변환기(49)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후, 헤드폰(14)에 R-ch의 출력으로서 공급되는 동시에, 스피커(13)로부터 방음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휴대 통신 단말은 헤드폰(14) 또는 수화 스피커(12) 및 스피커(13)를 이용하여 스테레오로 악곡을 재생할 수 있도록 구 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송화 마이크(9)와 마이크(10)의 두 개의 마이크를 이용하여, 입력 음성을 스테레오 샘플링하고 있다. 이와 같이 스테레오 샘플링된 파형 데이터를 WT 음원(43)의 음색 파형 데이터로 사용함으로써, 정위감이나 확산감을 자연스럽게 가지는 악음 파형을 재생 혹은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동시에 녹음된 R-ch와 L-ch의 파형 데이터를 소재로 하여 작성된 음색 데이터에, 동일한 음색명(음색 번호)와 해당 음색 데이터가 R-ch인지 L-ch인지를 식별하는 식별자(R, L)가 부가되어 스테레오 음색 데이터가 생성된다. 악곡을 재생할 때에, 이 스테레오 음색 데이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음색명을 가지는 R-ch와 L-ch의 음색 파형 데이터를 사용하고, 음원의 두 개의 발음 채널을 사용하여 악음이 생성되게 된다.
또, 이상의 설명에서는 송화 마이크(9) 및 수화 스피커(11)를 스테레오의 1채널(L-ch)의 입력 및 출력을 위해 대응시키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마이크 또는 스피커를 L-ch의 입력 및 출력을 위해 겸용해도 좋고, 이에 따라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휴대 통신 단말에서 재생할 수 있는 악곡 데이터의 파일 포맷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휴대 통신 단말에서는, 도 4a의 단순 시퀀스 파일, 도 4b의 음색 데이터 부가 시퀀스 파일, 및 도 4c의 스트림 파일의 3 가지의 악곡 파일에 대응한 악곡의 재생을 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들 악곡 파일은 미리 프리셋 멜로디로서 시스템 ROM(2) 중에 격납되어 있거나, 혹은, 시스템 RAM(3) 중의 악곡 파일 기억 영역에 기억되어 있다. 예컨대, 배신 서버 등으로부터 다운로드한 악곡 파일, 외부 인터페이스 회로(15)를 통해 외부 기기로부터 판독한 악곡 파일, 조작부(6)를 이용하여 작성한 신규의 악곡 파일, 혹은 기존의 악곡 파일을 조작부(6)를 이용하여 변경, 편집한 악곡 파일 등을 시스템 RAM(3) 중의 악곡 파일 기억 영역에 기억할 수 있다.
도 4a의 단순 시퀀스 파일은, 헤더부와 시퀀스 데이터부로 이루어진다. 헤더부에는 이 악곡 파일에 포함되는 트랙 수나 이 악곡의 재생시의 타임 베이스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시퀀스 데이터부에는 이벤트 정보(MIDI 이벤트)와 각 이벤트 사이의 시간 간격을 나타내는 정보(듀레이션 데이터, 델타 타임)의 쌍이 이벤트의 발생순으로 포함되어 있다. 또, 단순 시퀀스 파일은 이 악곡의 곡명이나 코멘트 정보, 악기명, 가사 정보 등도 포함할 수 있다. 이 단순 시퀀스 파일로서는 예컨대 SMF 형식의 악곡 파일이 있다.
도 4b의 음색 데이터 부가 시퀀스 파일은, 헤더부, 음색 데이터부 및 시퀀스 데이터부로 이루어진다. 음색 데이터부에는 이 악곡 파일에 대응한 악곡의 재생에 사용하는 음색의 음색 데이터와, 각 파트에 할당하는 음색을 지정하는 음색 할당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시퀀스 데이터부는 도 4a의 단순 시퀀스 파일의 경우와 동일하다. 이 음색 데이터 부가 시퀀스 파일로서는, 예컨대, SMAF 형식의 악곡 파일이 있다.
도 4c의 롱 스트림 데이터는 헤더부와 롱 스트림 데이터부와 시퀀스 데이터 부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롱 스트림 데이터는 장시간에 걸쳐 샘플링한 파형 데이터로, 큰 사이즈이다. 또, 시퀀스 데이터부는, 재생의 개시, 종료, 피치 시프트, 이펙트 등에 관한 이벤트와 듀레이션 데이터의 쌍이 포함될 뿐으로, 도 4a나 도 4b의 경우와 비교하여 매우 단순한 데이터가 된다. 이 롱 스트림 파일의 예로서는 SMAF 형식의 악곡 파일이 있다.
이하, 이들 3 개의 악곡 파일에 대응한 악곡의 재생의 모양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휴대 통신 단말에서, 시스템 CPU(1)가 시퀀서로서 동작하여 연주해야 할 악곡 파일에 포함되는 시퀀스 데이터를 해석하고, FM 음원(42) 혹은 WT 음원(43)에 해석된 시퀀스 데이터에 의해 규정된 타이밍에서 음원 제어 데이터를 공급하는 시퀀스 기능을 가지는데, 이 시퀀스 기능은 악곡 재생부(12)가 가지고 있어도 되고, 시스템 CPU(1)와 악곡 재생부(12)가 협조하여 실현하도록 해도 좋다. 또, 본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휴대 통신 단말의 특징적인 부분인 샘플링한 파형 데이터를 사용하는 재생은, WT 음원(43)을 이용하여 행해진다. 이하, 해당 재생이 WT 음원(43)을 이용하여 행해지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도 4a의 단순 시퀀스 파일의 재생의 모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경우는, 통상, 프리셋 음색을 사용한 재생이 행해진다.
도 5에서, 재생해야 할 것으로 선택된 단순 시퀀스 파일(예컨대, SMF 데이터)의 시퀀스 데이터가 시스템 RAM(3)으로부터 시퀀서 기능을 가지는 시스템 CPU(1)에 의해 순차로 판독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시퀀스 데이터 중에는 각 이벤트 사이의 시간 간격을 나타내는 듀레이션 데이터와 이벤트 데이터의 쌍이 포함 되어 있고, 시스템 CPU(1)는 듀레이션 데이터로 지정된 타이밍에서 각 이벤트에 대응하는 음원 제어 데이터를 WT 음원(43)에 출력한다.
예컨대, 판독한 이벤트가 프로그램 체인지 메시지일 때는 이 메시지에 포함되는 MIDI 채널 번호와 프로그램 번호(음색 번호)에 기초하여, MIDI 채널과 그 채널에 할당된 음색의 음색 데이터의 음색 ROM(44)(혹은 음색 RAM(45))에서의 어드레스와의 대응 관계를 기억하는 음색 테이블에 그 MIDI 채널에 대응하는 음색 데이터의 어드레스를 설정한다. 또, 판독한 이벤트가 음의 발생에 관한 MIDI 채널 메시지인 노트 온 메시지인 경우에는 이 메시지에 포함되는 MIDI 채널 번호의 MIDI 채널에 대해 WT 음원(43)의 발음 채널을 할당하고, 상기 음색 테이블을 참조하여 음색 ROM(44)(혹은 음색 RAM(45))으로부터 대응하는 음색 데이터를 판독하여, 그 음색 파형 데이터의 스타트 어드레스를 어드레스 발생기(52)에, 엔드 어드레스와 루프 스타트 어드레스를 위상 발생기(51)에, 엔빌로프 데이터를 엔빌로프 발생기(54)에, 이펙트 데이터를 도시하지 않은 이펙터에 각각 설정한다(악음 발생의 전 준비). 그리고, 메모리 인터페이스 회로(53)를 통해 어드레스 발생기(52)로부터 출력되는 판독 어드레스에서 음색 ROM(44)(혹은 음색 RAM(45)으로부터 음색 파형 데이터를 판독한다. 이 판독 어드레스는 위상 발생기(51)의 출력에 의해 노트 온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MIDI 키보드의 각 건반에 할당되어 음의 높이를 구분하는 노트 넘버로부터 변환된 위상 증분값(F 넘버)에 의해 갱신되며, 상기 엔드 어드레스에 도달한 후는 상기 루프 스타트 어드레스를 초기값으로 설정하도록 제어된다.
이에 따라, 노트 넘버에 대응한 음고의 악음 파형 샘플을 판독할 수 있고, 판독된 악음 파형 샘플 데이터는 승산기(55)에서, 엔빌로프 발생기(54)로부터의 엔 빌로프 데이터와 승산되고, 또한, 필요에 따라 도시하지 않은 이펙터에서 이펙트가 부여되어, 도 3의 L-Ch 믹서(46) 혹은 R-Ch 믹서(48)에 입력된다.
다음에, 도 4b의 음색 데이터 부가 시퀀스 파일의 재생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음색 데이터 부가 시퀀스 파일의 재생의 모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음색 데이터 부가 시퀀스 파일 중에는 음색 데이터와 파트에 할당하는 음색을 지정하는 음색 할당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시스템 CPU(1)는 먼저 이 음색 데이터를 파형 메모리 음원(43)의 메모리 인터페이스 회로(53)를 통해 음색 RAM(45)에 기입한다. 시퀀스 파일에 복수의 음색의 음색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을 때에는 음색 RAM(45)에 이 복수의 음색 데이터를 기입한다. 또, 상기 음색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음색 테이블에 파트와 그것에 대응하는 음색 데이터의 음색 RAM(45)에서의 어드레스를 설정한다.
그리고, 이 시퀀스 파일에 포함되어 있는 시퀀스 데이터의 재생을 행한다. 이 처리는 도 4a의 단순 시퀀스 파일의 재생 처리와 동일하게 행해진다. 즉, 노트 온 메시지에 기초하여 WT 음원(43)의 발음 채널을 할당한 후, 그 파트에 대응하는 음색 데이터를 판독하고, 음원의 각부에 설정하여, 음색 파형 데이터의 판독을 개시한다. 또, 프로그램 체인지 메시지의 때에는 상기 음색 테이블을 고쳐 쓴다.
다음에, 도 4c의 스트림 파일의 재생에 대해서,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a는 스트림 파일의 재생의 모양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b는 음색 RAM(45)을 이용하여 롱 스트림 데이터의 재생을 행하는 모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4c의 스트림 파일은, 사이즈가 큰 롱 스트림 데이터와, 이 롱 스트림 데이터의 재생의 개시, 종료, 피치 시프트, 이펙트 등을 지시하는 이벤트를 포함하는 시퀀스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
시스템 CPU(1)는 스트림 파일의 재생에 앞서, 먼저 상기 롱 스트림 데이터의 선두 부분을 음색 RAM(45)에서의 해당 롱 스트림 데이터의 발음을 위해 할당된 영역(이 영역의 스타트 어드레스를 As, 엔드 어드레스를 Ae로 함)에 메모리 인터페이스 회로(53)를 통해 기입한다.
그리고, 상기 시퀀스 데이터에 따라, 각각의 메시지에 대응하는 처리를 행한다. 예컨대, 피치의 변화를 지시하는 피치 밴드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을 때에는 이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파라미터를 위상 발생기(51)에 공급한다. 또, 노트 온 메시지가 판독되었을 때에는, 이 음색 RAM(45)으로부터 상기 롱 스트림 데이터의 판독을 개시한다. 즉, 어드레스 발생기(52)의 판독 포인터(Pr)를 스타트 어드레스(As)에 설정하고, 위상 발생기(51)로부터의 위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 판독 포인터를 갱신하면서 롱 스트림 데이터의 판독을 개시한다. 판독된 롱 스트림의 파형 데이터는 메모리 인터페이스 회로(53) 및 승산기(55)를 통해 출력된다.
음색 RAM(45)으로부터의 롱 스트림 데이터의 판독이 진행하여, 음색 RAM(45)의 판독 포인터(Pr)의 값이 이 롱 스트림 데이터의 발음을 위해 할당된 영역의 중앙 위치(이하, 「중앙 어드레스(Ac)」라 함)를 넘을 때(Pr>Ac), 이것을 어드레스 발생기(52)가 검출하여, 예컨대 인터럽트를 발생하는 등으로 하여 시스템 CPU(1)에 통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어드레스 발생기(52)는 파형 메모리의 판독 어드레스가 엔드 어드레스에 도달했을 때에 이것을 검출하여 루프 어드레스로부터 판독을 행하는 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이 기구를 이용하여 Pr>Ac을 검출할 수 있다.
시스템 CPU(1)는 발생한 인터럽트에 따라, 스타트 어드레스(As)에서 후속하는 롱 스트림 데이터의 기입을 개시한다. 즉, 기입 포인터(Pw)를 스타트 어드레스(As)로서, 중앙 어드레스(Ac)까지의 영역(버퍼 영역(1))에 후속하는 롱 스트림 데이터를 기입한다. 또, 이 기입은 상기 롱 스트림 데이터의 판독과 병행하여 행해진다.
또한, 롱 스트림 데이터의 판독이 진행하여, 판독 포인터(Pr)의 값이 엔드 어드레스(Ae)에 도달했을 때, 어드레스 발생기(52)는 판독 포인터(Pr)의 값을 스타트 어드레스(As)에 설정하여, 후속하는 스트림 데이터를 판독한다. 또, 이 때에 어드레스 발생기(52)는 판독 어드레스가 엔드 어드레스에 도달한 것을 전술한 경우와 같이 시스템 CPU(1)에 통지한다. 이에 따라, 시스템 CPU(1)는 후속하는 데이터를 어드레스(Ac)∼엔드 어드레스(Ae)의 버퍼 영역(2)에 기입한다.
이하, 동일하게 하여 음색 RAM(45)의 영역을 2분할하여 교대로 롱 스트림 데이터를 기입하는 동시에, 순차 판독을 행함으로써, 음색 RAM(45)을 이용하여 롱 스트림 데이터의 재생을 행할 수 있다. 또, 여기에서는 인터럽트 포인터로서 음색 데이터를 기억하는 영역의 중앙 위치의 어드레스를 설정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재생된 샘플수를 계산하여, 소정량의 샘플이 재생되었을 때에 후속하는 샘플의 전송을 행하기 위한 인터럽트를 개시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휴대 통신 단말에서, 음성 처리부(8)를 이용하여 샘플링한 파형 데이터를 사용하여 악곡을 재생하기 위한 처리에 대해서, 도 8의 플로우챠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즉, 본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휴대 통신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악곡 파일은 전술한 3 가지의 것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음성 처리부(8)에서 샘플링한 음성 파형 데이터를 재생에 사용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처리를 행한다.
먼저, 음성 처리부(8)를 이용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음성 데이터를 샘플링한다(단계 S1). 또, 이 때에 송화 마이크(9)와 마이크(10)의 양자를 이용하여 스테레오 샘플링하거나, 혹은 어느 한 쪽의 마이크를 이용하여 모노럴에서 샘플링하는지를 선택할 수 있다. 본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휴대 통신 단말은 샘플링한 음성 데이터를 전술한 바와 같이 시스템 RAM(3)에 기억하여 샘플링된 파형 데이터를 소재로 하여 음색 데이터를 작성하고, 그 후, 이 음색 데이터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2).
단계 S2의 판별의 결과, 샘플링된 파형 데이터를 소재로 하여 음색 데이터를 작성하고, 이 음색 데이터를 사용할 때는(단계 S2에서 예), 단계 S3으로 진행하고, 샘플링된 파형 데이터를 소재로 하여 음색 데이터를 작성하고, 이 음색 데이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단계 S2에서 아니오), 장시간에 걸쳐 샘플링한 파형 데이터를 재생하는 롱 스트림 재생을 행하기 위해, 단계 S8로 진행한다.
먼저, 샘플링된 파형 데이터를 소재로 하여 작성된 음색 데이터를 악곡 파일의 재생에 사용할 때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때는, 단계 S3에서, 이 샘플링한 음 성 데이터를 소재로 하여 음색 파형 데이터를 작성하는 처리를 행하고, 이 작성한 음색 파형 데이터에 그 음색을 식별하는 식별 번호 등을 부여하여, 음색 데이터로서 등록한다. 즉, 음성 처리부(8)에 의해 샘플링한 음성 데이터의 엔빌로프나 피치의 변동을 표시부(4)에 표시하고, 이 표시되어 있는 음성 데이터 중의 음색 파형 데이터로서 사용하는 부분의 잘라내기 처리, 길게 발음하는 경우에서의 루프의 개시 및 종료 위치인 루프 스타트 포인트 및 엔드 포인트의 설정 처리, 및 소망의 엔빌로프를 부여하는 처리 등을 행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처리를 경과하여 잘라낸 음성 데이터에 음색 번호를 부여하여 음색 데이터로서 시스템 RAM(3) 중의 음색 데이터 기억 영역에 기억한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스테레오로 샘플링한 경우에는 음색 데이터 중에 스테레오/모노럴 중 어느 하나의 음색인지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부여한다.
다음에, 단계 S4로 진행하여, 단계 S3에서 샘플링하여 등록한 음색 데이터를 사용하여 재생하는 악곡의 시퀀스 데이터를 입수한다. 이 시퀀스 데이터는 전술한 도 4a의 단순 시퀀스 파일 혹은 도 4b의 음색 데이터 부가 시퀀스 파일에 포함되는 시퀀스 데이터이며, 시스템 RAM(3)의 악곡 파일의 기억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악곡 파일 중에서 선택함으로써, 혹은 외부의 배신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거나, 외부 기기로부터 인터페이스 회로(15)를 통해 입력함으로써 입수할 수 있다.
이어서, 본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휴대 통신 단말은 입수된 시퀀스 데이터가 단순 시퀀스 파일에 포함되는 시퀀스 데이터(예컨대, SMF 파일)인지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5).
단계 S5의 판별의 결과, 입수된 시퀀스 데이터가 단순 시퀀스 파일에 포함되는 시퀀스 데이터일 때는(단계 S5에서 예), 단계 S6으로 진행하여 그 단순 시퀀스 파일에 포함되는 시퀀스 데이터를 단계 S1에서 샘플링하여 새로이 등록한 음색 데이터를 사용하도록 변경한다. 즉, 그 시퀀스 데이터에 포함되는 프로그램 체인지 메시지를 상기 새롭게 등록한 음색 데이터의 음색 번호를 지정하도록 변경하여, 새로운 단순 시퀀스 파일을 작성하여, 시스템 RAM(3) 중의 악곡 파일 기억 영역에 기억한다. 이 단순 시퀀스 파일을 전술한 바와 같이 재생함으로써, 샘플링하여 새로이 등록한 음색 데이터를 사용한 악곡의 재생을 행할 수 있다.
단계 S5의 판별의 결과, 입수된 시퀀스 데이터가 단순 시퀀스 파일에 포함되는 시퀀스 데이터가 아닐 때는(단계 S5에서 아니오), 입수된 시퀀스 데이터는 음색 데이터 부가 시퀀스 파일에 포함되는 시퀀스 데이터이며, 그 후 단계 S7로 진행한다. 여기에서는, 입수한 음색 데이터 부가 시퀀스 파일의 음색 데이터를 상기 새로이 등록한 음색 데이터로 변경하고, 새로운 음색 데이터 부가 시퀀스 데이터를 작성하여 시스템 RAM(3) 중에 기억한다. 즉, 입수한 음색 데이터 부가 시퀀스 파일의 음색 데이터부를 단계 S3에서 작성하여 등록한 음색 데이터로 치환하여, 음색 할당 정보를 그 음색 데이터 번호를 사용하도록 편집하여 새로운 음색 데이터 부가 시퀀스 데이터를 작성하고, 시스템 RAM(3) 중의 악곡 파일 기억 영역에 기억한다. 이 음색 데이터 부가 시퀀스 데이터를 전술한 바와 같이 재생함으로써, 샘플링하여 새롭게 등록한 음색 데이터를 사용한 악곡의 재생을 행할 수 있다.
또, 스트림 파일의 작성을 할 때는(단계 S2에서 아니오), 단계 S8로 진행하 여 도 4c의 스트림 파일을 작성한다. 즉, 단계 S1에서 샘플링한 음성 데이터에 대해, 롱 스트림 데이터로 하는 부분을 잘라내거나, 혹은 엔빌로프의 부가나 레벨의 조정 등의 처리를 행하여, 롱 스트림 데이터를 작성한다. 그리고, 그 재생의 개시 및 종료, 피치 시프트, 혹은 이펙트 등을 부가하는 메시지와 그 시간 간격을 표시하는 정보를 작성하여 시퀀스 데이터를 작성한다. 다음에, 작성한 롱 스트림 데이터와 시퀀스 데이터를 결합하고, 헤더를 부가하여 스트림 파일을 작성하여, 시스템 RAM(3)에 기억한다. 이 스트림 파일을 전술한 바와 같이 재생함으로써, 이 휴대 통신 단말에서 샘플링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재생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제1 형태의 휴대 통신 단말에 의하면, 샘플링한 음성 파형 데이터를 WT 음원의 파형 메모리로 사용함으로써, 개성이 풍부한 착신 멜로디나 보류 음을 재생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샘플링한 음성 파형 데이터를 소재로 하여 작성한 음색 데이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발음 채널에 그 음색 데이터를 할당함으로써, 동시에 복수 재생 가능하게 되어, 다른 동물의 울음 소리에 의한 합창이나, 한 사람의 음성에 의한 가스펠 코러스 등 다양한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휴대 통신 단말을 설명한다.
본 제2 실시 형태는 그 구성 및 작용이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된 구성, 작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에 다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만 설명을 행한다.
본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휴대 통신 단말에서는, 송화 마이크(9) 및 마이크(10)의 두 개의 마이크로부터의 입력 음성을 스테레오 샘플링하여 취입한다.
본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휴대 통신 단말의 특징적인 부분은 스테레오 샘플링한 파형 데이터를 이용하는 악곡의 재생에 있다.
도 4a의 단순 시퀀스 파일의 재생에서는, MIDI 채널과 그 채널에 할당된 음색의 음색 데이터의 음색 ROM(44)(혹은 음색 RAM(45))에서의 어드레스와의 대응 관계를 기억하는 음색 테이블에, 그 MIDI 채널에 대응하는 음색 데이터의 어드레스를 설정할 때나, 노트 온 메시지에 포함되는 MIDI 채널 번호의 MIDI 채널에 대하여 WT 음원(43)의 발음 채널을 할당할 때에 있어서, 그 MIDI 채널에 대응하는 음색이 스테레오 음색일 때에는, 그 R 채널의 음색과 L 채널의 음색에 다른 발음 채널이 할당된다.
도 4b의 음색 데이터 부가 시퀀스 파일의 재생에서는, 시스템 CPU(1)가 시퀀스 파일 중의 음색 데이터를 파형 메모리 음원(43)의 메모리 인터페이스 회로(53)를 통해 음색 RAM(45)에 기입할 때에, 스테레오 음색의 경우에는 그 R 채널의 음색 데이터와 L 채널의 음색 데이터를 각각 음색 RAM(45)에 기입하고, 상기 음색 테이블에 파트와 그것에 대응하는 음색 데이터의 음색 RAM(45)에서의 어드레스를 설정할 때에, 스테레오 음색의 경우에는, R 채널, L 채널 각각의 음색 파형 데이터의 어드레스를 설정한다.
그리고, 시퀀스 파일에 포함되어 있는 시퀀스 데이터의 재생을 행할 때에, 스테레오 음색의 경우에는, R 채널과 L 채널의 음색 파형 데이터가 각각 판독되어, R 채널의 악음 파형 데이터에 대해서는 R-ch 믹서(48)에, L 채널의 악음 파형 데이 터에 대해서는 L-ch 믹서(46)에 입력되게 된다.
도 4c의 스트림 파일의 재생에서는 시스템 CPU(1)가 스트림 파일의 재생에 앞서 상기 롱 스트림 데이터의 선두 부분을, 음색 RAM(45)에서의 해당 롱 스트림 데이터의 발음을 위해 할당된 영역에 메모리 인터페이스 회로(53)를 통해 기입할 때에 있어서, 스테레오로 샘플링된 롱 스트림의 데이터의 경우에는, R 채널과 L 채널에서 각각 다른 영역이 할당되고, 동기하여 판독되게 된다.
스테레오 샘플링된 파형 데이터를 소재로 하여 작성된 음색 데이터를 악곡 파일의 재생에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본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휴대 통신 단말의 도 8의 악곡 파일을 작성 혹은 변환하는 처리와의 차이를 설명한다.
즉, 음성 처리부(8)에 의해 스테레오 샘플링한 음성 데이터의 엔빌로프나 피치의 변동을 표시부(4)에 표시하는 처리 등을 행할 때에, 스테레오로 샘플링한 좌우 양 채널의 파형 데이터를 동시에 표시부(4)에 표시하고, 잘라내기 처리, 루프 스타트 포인트 및 엔드 포인트의 설정 처리는 좌우 양 채널의 파형 데이터에 대해서 공통으로 행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처리를 경과하여 잘라낸 음성 데이터에 음색 번호를 부가하여 음색 데이터로서 시스템 RAM(3) 중의 음색 데이터 기억 영역에 기억할 때에, 스테레오의 좌우 어느 쪽의 음색인가를 나타내는 식별자(R, L)를 부가한다.
이상과 같이, 본 제2 형태의 휴대 통신 단말에 의하면, 스테레오 샘플링한 음성 파형 데이터를 WT 음원의 파형 메모리로 사용함으로써, 확산감이 있고, 또 개성이 풍부한 착신 멜로디나 보류음을 재생할 수 있게 된다. 예컨데, 스테레오 샘 플링한 음성 파형 데이터를 소재로 하여 작성한 음색 데이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발음 채널에 그 음색 데이터를 할당함으로써, 동시에 복수 재생 가능하게 되어, 다른 동물의 울음 소리에 의한 합창이나, 한 사람의 음성에 의한 가스펠 코러스 등, 다양한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에서는 휴대 통신 단말에서, 샘플링 또는 스테레오 샘플링한 음성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악곡 파일을 작성했지만, 휴대 통신 단말 이외에서 샘플링 또는 스테레오 샘플링한 음성 데이터를 사용하는 악곡 파일을 작성하도록 해도 좋다.
예컨대, 휴대 통신 단말에서 샘플링 또는 스테레오 샘플링한 음성 데이터를, 네트워크상에 설치된 서버로 송신하고, 이 서버상에서 도 8의 악곡 파일을 작성 혹은 변환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이 새로운 악곡 파일을 휴대 통신 단말로 반송하도록 해도 좋다. 혹은, 휴대 통신 단말의 외부 인터페이스 회로(15)를 통해 접속된 퍼스널 컴퓨터 등의 외부 기기에 샘플링 또는 스테레오 샘플링한 음성 데이터를 송신하고, 이 외부 기기에서 도 8의 악곡 파일의 변환 또는 작성 처리를 행하여, 변환 혹은 작성된 악곡 파일을 휴대 통신 단말로 반송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에서는, 휴대 통신 단말을 예로 설명했지만, 고정형의 휴대 통신 단말 등의 경우에도 완전히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테레오 샘플링한 음성을 가공하여 재생할 수 있게 되어, 확산감이 있는 동시에, 개성적인 악음을 재생할 수 있다. 또, 시퀀스 데이터 파일에 기초하여 착신 멜로디의 발생과 스테레오 샘플링한 음성에 기초하여 착신 멜로디의 발생의 양쪽을 하드웨어의 공용에 의해 저비용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스테레오 샘플링한 음성을 시퀀스 데이터로부터 지정 가능한 음색 소재로서 이용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시퀀스 데이터를 사용한 경우에서도 오리지널의 음색으로 변경하여 재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파형 메모리 음원의 복수 채널 동시 발음 기구와 조합하여 이용하는 경우에는 장소 ·시간을 변경하여 스테레오 샘플링한 복수의 음성을 중합하여 재생할 수 있어, 예컨대 동물 대합창과 같은 개성적인 악곡의 재생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파형 메모리 음원의 복수 채널 동시 발음 기구와 조합하여 이용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스테레오 샘플링 음성을 사용하여 화음을 발생할 수 있어, 예컨대 가스펠 코러스적인 재생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콘텐츠를 작성할 수 있어, 개성이 풍부하고 다른 사람과의 식별성이 높은 착신 멜로디를 재생 가능한 휴대 통신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휴대 통신 단말에 있어서,
    마이크;
    이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음성 파형 데이터로서 샘플링하는 음성 처리부;
    상기 샘플링된 음성 파형 데이터를 기억하는 상기 파형 메모리 방식의 음원을 구비하고, 또 상기 기억된 음성 파형 데이터에 기초하여 악음을 생성하는 악곡 재생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악곡 재생부는 상기 샘플링한 음성 파형 데이터를 소재로 하여 음색 데이터를 작성하고, 이 작성한 음색 데이터를 사용하여 악곡을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악곡 재생부는 상기 샘플링한 음성 파형 데이터를 소재로 하는 파형 데이터를 상기 파형 메모리에 순차 공급하여 롱 스트림의 파형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단말.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악곡 재생부는 상기 작성한 음색 데이터를 사용하도록 상기 악곡의 시퀀스 데이터를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단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악곡 재생부는 상기 작성한 음색 데이터와 상기 악곡의 시퀀스 데이터를 포함하는 악곡 파일을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단말.
  6. 휴대 통신 단말에 있어서,
    두 개의 마이크;
    상기 두 개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음성 파형 데이터로서 스테레오 샘플링하는 음성 처리부;
    상기 스테레오 샘플링된 음성 파형 데이터를 기억하는 파형 메모리 방식의 음원을 구비하고, 또 상기 스테레오 샘플링한 음성 파형 데이터에 기초하여 스테레오의 악음을 생성하는 악곡 재생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악곡 재생부는 상기 스테레오 샘플링한 음성 파형 데이터를 소재로 하여 스테레오의 음색 데이터를 작성하고, 이 작성한 스테레오의 음색 데이터를 사용하여 악곡을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단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마이크 중 적어도 하나는 송화 마이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단말.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악곡 재생부는 상기 스테레오 샘플링한 음성 파형 데이터를 소재로 하는 파형 데이터를 상기 파형 메모리에 순차 공급하여 롱 스트림의 스테레오의 파형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단말.
  9. 삭제
KR1020020027509A 2001-05-18 2002-05-17 휴대 통신 단말 KR1008621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48857 2001-05-18
JP2001148857A JP3620467B2 (ja) 2001-05-18 2001-05-18 通信端末
JPJP-P-2001-00156640 2001-05-25
JP2001156640A JP3675361B2 (ja) 2001-05-25 2001-05-25 通信端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8403A KR20020088403A (ko) 2002-11-27
KR100862126B1 true KR100862126B1 (ko) 2008-10-09

Family

ID=34553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7509A KR100862126B1 (ko) 2001-05-18 2002-05-17 휴대 통신 단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62126B1 (ko)
TW (1) TWI22353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72123B2 (ja) 2005-02-28 2010-10-27 日本電気株式会社 音源供給装置及び音源供給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1623A (ja) * 1993-10-12 1995-04-25 Casio Comput Co Ltd テレビ受信装置
JPH1013499A (ja) * 1996-06-19 1998-01-16 Nec Corp オリジナル呼出音装置
JPH1185161A (ja) * 1997-09-12 1999-03-30 Casio Comput Co Ltd 楽音発生装置
JP2000163071A (ja) * 1998-11-25 2000-06-16 Yamaha Corp ロングストリーム再生機能を有する再生装置
JP2000299717A (ja) * 1999-02-10 2000-10-24 Jintetsuku:Kk 携帯電話機、据置型電話機およびコードレス電話機用子機
JP2000349862A (ja) * 1999-06-02 2000-12-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話装置及び方法
KR20000021396U (ko) * 1999-05-27 2000-12-26 김병기 이어폰형 음성변조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1623A (ja) * 1993-10-12 1995-04-25 Casio Comput Co Ltd テレビ受信装置
JPH1013499A (ja) * 1996-06-19 1998-01-16 Nec Corp オリジナル呼出音装置
JPH1185161A (ja) * 1997-09-12 1999-03-30 Casio Comput Co Ltd 楽音発生装置
JP2000163071A (ja) * 1998-11-25 2000-06-16 Yamaha Corp ロングストリーム再生機能を有する再生装置
JP2000299717A (ja) * 1999-02-10 2000-10-24 Jintetsuku:Kk 携帯電話機、据置型電話機およびコードレス電話機用子機
KR20000021396U (ko) * 1999-05-27 2000-12-26 김병기 이어폰형 음성변조장치
JP2000349862A (ja) * 1999-06-02 2000-12-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話装置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23536B (en) 2004-11-01
KR20020088403A (ko) 2002-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2958B1 (ko) 휴대용 단말장치
JP3975639B2 (ja) 電話端末装置
US7069058B2 (en) Musical composition reproducing apparatus portable terminal musical composition reproduc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0578588B1 (ko) 악곡 재생장치
JP4012682B2 (ja) 音源システム
TW529018B (en) Terminal apparatus, guide voice reproduc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3666366B2 (ja) 携帯用端末装置
KR20050078425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악 및 음성 합성 장치와 방법
KR100862126B1 (ko) 휴대 통신 단말
JP3620467B2 (ja) 通信端末
KR100731232B1 (ko) 악곡 데이터 편집 재생 장치 및 휴대 정보 단말기
JP3788280B2 (ja) 携帯通信端末
JP3675361B2 (ja) 通信端末
KR100555092B1 (ko) 휴대 통신 단말
JP3975698B2 (ja) 携帯通信端末
JP3637196B2 (ja) 音楽再生装置
JP3641999B2 (ja) 楽曲データ配信装置および端末装置
TW200427297A (en) Speech and music reproduction apparatus
JP2004166290A (ja) 携帯用端末装置
JP2009145382A (ja) 携帯端末機及びプログラム
JPH1078787A (ja) カラオ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