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4873B1 - 프로세스카트리지 및 이 프로세스카트리지를 장착가능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프로세스카트리지 및 이 프로세스카트리지를 장착가능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4873B1
KR950014873B1 KR1019920005346A KR920005346A KR950014873B1 KR 950014873 B1 KR950014873 B1 KR 950014873B1 KR 1019920005346 A KR1019920005346 A KR 1019920005346A KR 920005346 A KR920005346 A KR 920005346A KR 950014873 B1 KR950014873 B1 KR 950014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 cartridge
protective cover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photosensitiv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5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3887A (ko
Inventor
카즈시 와따나베
타다유끼 쯔다
히로유끼 시라이
테루오 코마쯔
이꾸오 이께모리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기가이샤
야마지 게이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기가이샤, 야마지 게이조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30013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3887A/ko
Priority to KR1019950032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48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4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48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28Prevention of damage or soiling, e.g. mechanical abrasion
    • G03G21/1832Shielding members, shutter, e.g. light, heat shielding, prevention of toner scatter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photosensitive ele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20Humidity or temperature control also ozone evacuation; Internal apparatus environment control
    • G03G21/206Conducting air through the machine, e.g. for cooling, filtering, removing gases like ozon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0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photosensitive element
    • G03G2221/1609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photosensitive element protective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ama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0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photosensitive element
    • G03G2221/1609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photosensitive element protective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amage
    • G03G2221/161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photosensitive element protective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amage plural shutters for openings of process cartrid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cleaning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39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fixing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45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ducting air through the machine, e.g. cool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54Locks and means for positioning or align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 G03G2221/1684Frame structures using extractable subframes, e.g. on rails or hing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Studio Device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Image Input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프로세스카트리지 및 이 프로세스카트리지를 장착가능한 화상형성장치
제1도 내지 제4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적용한 전자사진복사기의 단면입면도.
제5도는 프로세스카트리지의 커버와 복사기와의 관계를 도시한 입면도.
제6a 및 b도는 프로세스카트리지의 커버와 복사기와의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제7도는 프로세스카트리지의 커버의 배치관계를 도시한 입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적용한 전자사진복사기의 단면입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적용한 전자사진복사기의 단면입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적용한 프로세스카트리지의 사시도.
제11도는 제10도의 프로세스카트리지의 단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적용한 레이저빔프린터의 단면입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적용한 프로세스카트리지의 단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적용한 프로세스카트리지의 사시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적용한 프로세스카트리지의 단면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적용한 프로세스카트리지의 사시도.
제1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적용한 레이저빔프린터의 주요부의 단면입면도.
제18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적용한 레이저빔프린터의 주요부의 단면입면도.
제19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적용한 레이저빔프린터의 주요부의 단면입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0 : 화상형상장치(전자사진복사기 또는 레이저빔프린터)
2,103,203 : 프로세스카트리지 5,131 : 전자사진감광체(감광드럼)
8 : 커버 8a : 캠
8b : 아암부 8c : 돌기부
8d,8k : 피벗핀 8i : 자유단부
8p : 커버부 12 : 비틀림코일스프링
15,110 : 팬 16 : 돌출부
22 : 대전기 23,134 : 현상기
28 : 클리닝장치 28a,136 : 클리닝블레이드
31,103a : 프레임 31a : 전사영역
113 : 레버 137 : 클리너부재
138 : 드럼셔터기구 138-1,138-2,138-3 : 핀
138-4 : 오목부 138-5 : 틈새
138-9 : 리브
본 발명은 프로세스카트리지와 이러한 프로세스카트리지를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로서는 전자사진복사기, 레이저빔프린터(LBP), 팩시밀리장치, 워드프로세서 등이 있다.
종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는, 화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소정의 프로세스수단을 포함하고, 프로세스카트리지의 수명만료 등에 의한 카트리지의 교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착탈가능한 프로세스카트리지를 구비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미합중국 특허 제3,985,436호 참조). 또, 컬러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상이한 색의 현상제를 지닌 복수개의 프로세스카트리지를 사용할 수 있어, 교환빈도가 높고, 또, 프로세스카트리지 만이 화상형성장치밖으로 방치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상태하에서는, 감광체에의 오염물의 부착이나 손상을 방지하고 또한 감광체가 광에 노출되어서 열화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프로세스카트리지에는 감광체를 보호하는 동시에 카트리지내부에의 차광을 행하기 위한 커버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자 등은 이 기술분야에서 특히 유효한 기술을 발명하여 이들을 이미 미합중국 특허 제4,470,689호 및 제4,462,677호 일본국 특공평 2-11158호(1990년 3월 13일자) 공보에 이미 개시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발명을 더욱 발전시킨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품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세스카트리지 및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에 의한 악영향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프로세스카트리지 및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열방출을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한 프로세스카트리지 및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화상담지체(전자사진 감광체)를 광 및(또는) 오염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부재가 유체통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프로세스카트리지 및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에 의한 화상담지체의 특성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프로세스카트리지 및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프로세스카트리지가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 때에 프로세스카트리지장착시에 프로세스카트리지의 개구부를 덮기 위한 보호부재가 프로세스카트리지의 개구부로부터 완전히 퇴피하여, 프로세스카트리지의 프레임으로부터 떨어져서 위치하는 프로세스카트리지 및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기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팬을 갖춘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가능한 프로세스에 있어서, 전자사진 감광체와 ; 상기 전자사진 감광체에 작용하는 프로세스수단과 ; 프레임과 ; 상기 전자사진 감광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전자사진 감광체의 전사영역(여기에서 상기 전사영역은 상기 프로세스가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소정의 위치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전자사진 감광체에 형성된 토너상을 기록매체에 전사하기 위한 영역이다)을 덮는 보호커버와 ; 상기 보호커버가 상기 전자사진 감광체의 전사영역을 덮는 보호위치와 상기 보호위치로부터 퇴피한 퇴피 위치사이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보호커버를 상기 프레임에 부착하기 위한 (a) 일단부를 상기 보호커버의 길이방향 일단부에 걸어맞춤하고 타단부를 걸어맞춤하고 타단부를 상기 프레임의 일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한 제1아암과, (b) 일단부를 상기 보호커버의 길이방향 타단부에 걸어맞춤하고 타단부를 상기 프레임의 타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한 제2아암과 ; 상기 보호커버에 항상 보호위치방향으로의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 상기 프로세스카트리지가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소정의 위치에 장착되어서, 상기 보호커버가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대항해서 상기 퇴피위치로 퇴피한 상태에서,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프레임과 이간하여, 상기 보호커버, 프레임, 제1아암 및 제2아암으로 둘러싸인 공간을 상기 팬에 의해서 발생하는 공기류가 통과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다음에 설명하는 실시예에서는, 화상형성장치로서 전자사진 복사기를 예로들어 설명한다.
제1도는 프로세스카트리지(2)가 전자사진 복사기(1)에 장착된 장치사용(동작)상태를 도시한 단면입면도이다. 제2도는 전자사진 복사기(1)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입면도이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복사기는, 상부프레임(9)이 핀(9c)을 경유해서 복사기(1)의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프로세스카트리지(2)를 복사기(1)내에 장착하고자 할때에는, 후술하는 원고지지유리판(20) 및 원고커버(21)를 수동조작에 의해 좌측으로 퇴피시킨 후, 상부프레임(9)을 개방하고, 프로세스카트리지(2)를 상부프레임(9)의 안내부(9a),(9b)에 걸어서 상부프레임(9)에 장착한다. 그후, 상부프레임(9)을 폐쇄하고 원고지지유리판(20) 및 원고커버(21)를 소정의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또, 복사기(1)의 본체에는 판스프링(34)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부프레임(9)을 폐쇄할 때 이 판스프링(34)에 의해 상부프레임(9)을 고정한다. 또한, 상부프레임(9)은, 원고노광용 광학부재로서, 원고면을 조사하기 위한 램프(L) 및 원고면으로부터 반사된 광화상을 전자사진 감광체(5)로 인도하는 렌즈(4)를 가지고 있다.
이하, 본 실시예를 적용한 전자사진 복사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20)은 원고를 얹어 놓을 수 있는 상기한 원고지지유리판으로서, 화살표 A방향으로 왕복이동가능하다. (21)은 원고커버이다. 원고지지유리판(20)위에 놓인 원고는 램프(1)에 의해서 조사되어서, 원고면으로부터 반사된 광화상은 렌즈(4)에 의해서 전자사진 감광체(5)에 도달한다. 이 광화상이 대전기(22)에 의해서 미리 대전되어 있는 전자사진 감광체(5)상에 조사되면, 이 감광체(5)상에 잠상이 형성된다. 그래서, 이 잠상은, 감광체(5)에 토너를 반송해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슬리브(23a)를 구비한 현상기(23)에 의해서 현상된다. 그후 이 형상된 화상은 수동식 시트급송판(24)으로부터 시트급송롤러(13)에 의해서 공급되어, 한쌍의 레지스트롤러(29)에 의해서 현상된 화상과 동기를 취해서 감광체(5)에 도달하는 기록지 등의 기록매체(P)상에 전사대전기(18)에 의해서 전사된다. 또, 압압패드(13a)는 시트급송롤러(13)와 협동해서 기록매체(P)를 1매씩 분리한다. 그후, 기록매체(P)는 안내부(17), (25), (33)에 의해 안내되어서 정착기(14)(가열롤러(14a) 및 가압롤러(14b)를 포함)에 도달하여, 상기 현상된 화상이 정착된다. 이 정착동작 후, 기록매체는 배출롤러(26)에 의해서 트레이(27)에 배출된다. 한편, 현상된 화상을 전사한 후의 감광체(5)의 표면은, 감광체(감광드럼)(5)로부터 잔류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닝블레이드(28a)를 구비한 클리닝장치(28)에 의해서 소제된다. 또한, (15)는 공기류 a∼g를 발생하는 팬(예를 들면, 크로스플로팬)이고, (30)은 반송롤러이며, (35)는 공기배출구이다.
다음에, 본 발명을 적용한 프로세스카트리지의 일실시예에 대해서 제1도 내지 제6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또, 제3도는 복사기의 본체에 대해서 상부프레임(9)을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입면도, 제4도는 복사기 본체에 대해서 상부프레임(9)을 폐쇄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입면도, 제5도는 프로세스카트리지(2)의 커버(8)의 측면도, 제6도는 상기 커버의 사시도이다. 프로세스카트리지(2)의 커버(8) 및 프레임(31)은 폴리스티렌수지재중 고충격형인 HIPS(하이임팩트 폴리스티롤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단, 이 프로세스카트리지의 재료는 상기 수지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폴리페닐렌옥사이드(PPO)등으로 해도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카트리지는, 그 내부에 감광드럼(5), 현상기(23), 클리닝장치(28) 및 대전기(22) (이들 부재(23), (28), (22)는 감광드럼(5)에 작용하는 프로세스수단으로서 기능한다)를 일체로 지지하는 프레임(31)을 지니고 있다. 이 카트리지의 프레임(31)은, 복사기(1)의 상부프레임(9)상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래서, 이 프레임(31)은, 감광드럼(5)의 전사영역(31a) 및 화상노광영역(31b)이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영역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8), (7)가 각각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노광영역(31b)용 커버(7)의 개폐기구에 대해서는 공지기구중의 어떠한 것으로 해도 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감광드럼(5)의 전사영역(31a) 보호용 커버(8)에 개폐기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커버(8)는 커버부(8p) 및 이 커버부(8p)로부터 120∼130°정도의 θ각도(제6도)로 설치되는 동시에 이 커버(8p)와 일체로 형성된 아암부(8b)를 지닌다. 이 커버부(8p)는, 폐쇄시, 감광드럼(5)의 주위면과 일치되도록 만곡형상이다. 또, 이 아암부(8b)는 카트리지(2)의 프레임(31)의 측벽(31c)상에 형성된 핀(8d), (8k)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핀(8d)에는 커버부(8p)를 폐쇄방향으로 부세하도록 비틀림코일스프링(12)에 설치되어 있다. 이 비틀림코일스트링(12)의 일단부(12a)는 카트리지의 프레임(31)에 고정되고, 타단부(12b)는 아암부(8b)상에 형성된 돌기부(8c)에 걸어맞춤되어 있다. 또, 상기 핀(8d)의 일단부에는 캠(8a)이 고정설치되어, 이 캠(8a)과 아암부(8b)는 일체로 회동한다.
이하, 커버(8)의 개폐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프로세스카트리지(2)가 복사기(1) 본체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상태인 경우, 커버(8)는 비틀림코일스프링(12)에 의해서, 그 커버부(8p)가 감광드럼(5)의 표면을 덮도록 위치결정되어 있다.
그러나, 카트리지(2)가 복사기(1)의 상부프레임(9)의 안내부(9a), (9b)에 장착되어 제2도 및 제3도), 이 상부프레임(9)이 폐쇄되어 있는 경우, 상부프레임이 폐쇄과정에서, 캠(8a)의 하부면이 복사기(1)상에 고정형성된 돌기부(10)에 접촉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 결과, 아암부(8b)도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커버는 개방되어 감광드럼(5)의 전사영역(31a)을 노출시킨다. 커버부(8p)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는, 커버부(8p)가 전사영역(31a)으로부터 퇴피해서 카트리지(2)의 프레임(31)의 단부(31a')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이동하여, 프레임(31)으로부터 이간된다(제1, 4, 5 및 6도). 그래서, 커버부(8p) 자유단부(8i)는, 복사기(1)상에 고정형성된 돌기부(16)에 접촉해서 위치결정된다. 따라서, 커버(8)가 부주의에 의해 폐쇄방향으로 이동하여 기록매체의 반송통로를 차단하는 것이 방지된다.
제7도는 프로세스카트리지(2)의 커버(8)의 치수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아암부(8b)의 피벗핀(8d), (8k)과 이들 피벗핀과 가장 가까운 커버부(8p)의 단부 사이의 거리(L1)가 피벗핀(8d), (8k)과 카트리지의 단부면사이의 거리(L2)보다 길다(L1>L2). 따라서, 커버부(8p)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커버부(8p)를 카트리지의 프레임(31)으로부터 이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아암부(8b)의 피벗핀(8d), (8k)은 드럼(5)의 중심(5a)과 카트리지의 단부면 사이의 거리(ℓ)를 2등분한(ℓ/2) 중점으로부터 카트리지의 단부면을 향해 치우쳐있다((ℓ-L2)>ℓ/2). 이것에 의해서, 카트리지를 더욱 얇게(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 커버부(8p)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카트리지의 프레임(31)으로부터 커버부(8p)를 이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커버(8)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카트리지(2)에는 감광체(5)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8)가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상부프레임(9)을 복사기(1)의 본체에 대해서 개방한 때에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카트리지(2)의 프레임(31)상에 핀(8d), (8k)을 통해서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커버(8)는 일단부(12a)를 프로세스카트리지(2)의 일부에 고정하고 타단부(12b)를 커버(8)의 아암부(8b)의 돌기부(8c)에 걸어맞춘 비틀림코일스프링(12)에 의해서 반시계방향으로 부세되어 감광체(5)를 덮는다. 상부프레임(9)를 복사기(1) 본체에 대해서 폐쇄한 때에는, 제4도 내지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8)의 아암부(8b)용 핀(8d)에 고정된 캠(8a)이 복사기(1)에 고정된 돌기부(10)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커버(8)가 그의 개방위치로 회전되어, 프로세스카트리지(2)는 감광체(5)가 노출된 상태에서 복사기(1)에 장착되어서, 복사기는 동작상태로 된다. 이때, 커버(8)는 프로세스카트리지(2)의 하부로부터 완전히 퇴피되고, 프로세스카트리지(2)로부터 이간되어 프로세스카트리지(2)와 정착기(14) 사이에서 카트리지의 일단면 근방에 위치결정된다. 또한, 커버(8)는 클리닝장치(28)의 하우징과 대향한다. 또, 커버부(8p)의 자유단부(8i)는 시트반송로(와 직교하는)의 양 바깥측면상에 복사기(1)본체의 바닥부로부터 수직으로 돌출한 돌출부(16)에 접촉하여 적절하게 위치결정된다(제6a도). 또한, 제6a도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접촉한 돌출부(16)가 커버부(8p)의 자유단부(8i)를 지지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6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16)에 의해 아암부(8b)를 지지하도록 해도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시 실시예에 있어서는, 프로세스카트리지(2)를 화상형성장치의 개방된 상부프레임(9)에 장착하고, 이 상부프레임(9)을 화상형성장치에 대해서 폐쇄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내에 프로세스카트리지의 장착을 수행하였으나, 복사기(1)의 상부개구부를 개폐하는 광학프레임(9D)이 광학계(램프(L) 및 렌즈(4))만을 구비하고 (안내부(9a), (9b)는 설치되어 있지 않음), 광학프레임(9d)이 개방된 후 복사기(1)의 하부프레임(1a)상에 프로세스카트리지(2)를 장착하는 구성(제8도 및 제9도 참조)에 있어서도 이들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프로세스카트리지(2)가 복사기에 장착된 때, 커버부(8p)가 프로세스카트리지(2)의 개구부로부터 퇴피하여, 프로세스카트리지(2)와 정착기(14) 사이에서, 프로세스카트리지(2)로부터 이간되어 위치될 수 있다(또한, 프로세스카트리지의 프레임과 커버부재사이의 간격은 이들 실시예에서는 약 20㎜∼50㎜이면 된다). 또한, 커버부(8p)가 개방된 상태에서, 커버부(8p)의 일부를 복사기(1)에 위치결정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방열팬(15)에 의해 발생된 공기류(a∼g)가 커버부(8p)와 프로세스카트리지(2) 사이에도 발생되어 프로세스카트리지(2)와 커버부(8p)의 냉각효과를 현저하게 향상시켜, 각종 부재의 열변형이나 프로세스카트리지내의 토너의 용융 등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카트리지가 복사기에 장착된 후, 커버부(8p)가 개방위치에서 유지되고 있으므로, 시트반송로가 커버에 의해서 제한되거나 차단되지 않아, 기록매체(P)와 커버부(8p)간의 접촉에 의한 기록매체(p)의 반송불량이나, 기록매체상의 토너화상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화상형성장치의 소형화 및 방열팬의 용량감축화가 가능하다.
이하, 공기류통로에 대해서 상술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사기(1)내의 수동식 시트급송판(24)이 배치되어 있는 위치와 반대쪽에 상부에 팬(15)이 설치되어 있다. 이 팬(15)은 예를 들면, 복사버튼(도시 생략)을 누른 때에 구동이 개시되어, 공기류를 발생한다. 주된 공기류가 화살표(a-g)로 표시되어 있다. 팬(15)이 회전되면, 바깥공기는 주로 수동식 시트 급송판(24)용의 수동식 시트급송개구부(24a)를 통해서 복사기(1)안으로 도입된다(화살표 a). 이 공기류(a)는 시트급송롤러(13)를 통과해서 안내부(32)를 따라 장착된 카트리지(2)를 향해 진행된다(화살표 b). 이 공기류 b의 일부는 카트리지(2)의 프레임(31)(특히 현상기(23)의 하우징)에 충돌해서, 이것을 냉각시킨다. 또 공기류 b의 일부는 감광체(5)와 전사대전기(18) 사이의 공간으로 침입하여 클리닝장치(28)에 도달함으로써(화살표 c), 감광체(5)와 클리닝장치(28)를 냉각한다.
한편 공기류의 일부는 감광체(5)의 주위를 따라 카트리지(2)안으로 침입하여 카트리지안의 클리닝블레이드(28a)등을 냉각한다. 전사영역(31a)을 통과한 기류의 일부는 프레임(31)을 따라 상승하여 프레임(31)의 단부면(31a')과 커버(8) 사이를 통과해서, 팬(15)에서 도달한다(화살표 d). 이와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특히, 공기류가 프레임(31)의 단부면(31a')과 커버(8) 사이를 통과할 수 있으므로, 카트리지(2) 근방에서 공기류가 정제되지 않아, 상기 부재의 냉각효과를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전사영역(31a)을 통과한 공기류의 일부는 직진해서 정착기(14)에 충돌하여, 정착기(14)근방의 공기류(화살표 f)와 함께 팬(15)에 도달한다(화살표 e,f). 팬(15)에 흡입된 공기류는, 공기배출구(35)로부터 복사기(1)의 바깥쪽으로 배출된다(화살표 g).
이와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복사기(1)내부의 온도상승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본 실시예에 의하면, 프레임(31)과 커버(8) 사이를 공기류가 통과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카트리지(2)의 내부 및 그 주변의 온도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에서는, 화상형성장치로서 레이저빔프린터(100)를 사용한다.
우선, 본 발명을 적용한 프로세스카트리지(103)에 대해서 제10도 및 제11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11도는 본 발명을 적용한 프로세스카트리지의 단면도, 제10도는 이러한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서는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또, 제11도에서, 공기류는 화살표로 표시하였으나, 이들 공기류는 레이저빔프린터에 카트리지가 장착된 후 발생된 것임에 유의해야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프로세스카트리지(103)상에 설치된 드럼셔터(138)에는, 감광드럼(131) 및 클리너부재(137)에 차가운 공기가 도입되도록 통풍용의 안내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카트리지(103)(특히 감광드럼(131) 및 클리너부재(137))의 온도상승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스카트리지(103)에 대해서 제10도 및 제11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0도 및 제11도에 있어서, (131)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가능한 감광드럼이다. (132)는 드럼상의 감광체(131a)을 균일하게 대전하는 대전롤러이다. 이 대전롤러(132)는 스프링(132a)에 의해서 감광드럼(131)을 압압하고 있다. (137)은 감광체(131a)에 대해서 압압된 탄성클리닝블레이드(136)를 구비하여, 전사후 감광체(131a)상에 남아있는 잔류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너부재이다. (134)는 토너저장부(134a)내에 저장되어 있는 토너를 감광체의 주위면에 반송하는 현상슬리브(134b) 및 이 현상슬리브(134b) 주위면상에 형성된 토너층의 두께를 규제하는 독터블레이드(134c)를 구비한 현상기이다. (138)은, 감광드럼(131)상부에 배치된 핀(138-1)을 중심으로 해서 방향 B1 및 B2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드럼셔터이다. 드럼셔터가 방향 B1으로 회전되면, 감광체(131a)를 노출시켜 화상의 전사를 가능하게 한다. 한편, 드럼셔터가 방향 B2로 회전되면, 감광체(131a)를 드럼셔터로 덮어, 감광체(131a)를 보호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카트리지(103)는, 상기 감광드럼(131), 대전롤러(132), 현상기(134), 토너저장부(134a), 클리너부재(137) 및 드럼셔터(138)를 지지하는 프레임(103a)을 가지고 있다. 이 카트리지의 프레임(103a)은 화상형성장치(100)에 장착될 수 있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드럼셔터(138)를 폴리카보네이트로 형성하고 프레임(103a)을 고충격스티롤로 형성하여 내충격성, 견고성, 및 내열성을 향상하고 있다.
이하, 드럼셔터(138)의 운동에 대해서 제10도 및 제11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드럼셔터(138)는 그의 양단부가 핀(138-1), (138-2)을 통해서 카트리지의 프레임(103a)상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프린터(100)에 설치된 앞쪽유닛(112)(제12도)의 개폐운동에 응해서(화살표 B1, B2) 방향으로 요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히, 프린터(100)(제12도)에는 드럼셔터(138)의 핀(138-3)에 의해서 끼워맞춤되어 있으며, 앞쪽유닛(112)의 개폐운동에 응해서 이동되는 레버(113)가 설치되어 있다. 앞쪽유닛(112)을 개방하면, 레버(113)가 하강하여, 드럼셔터는 스프링(도시생략)등의 부세력에 의해 폐쇄된다. 감광드럼(131)이 노출되는 경우(즉, 카트리지(103)가 프린터(100)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경우 또는 앞쪽유닛(112)이 개방되어 있는 경우), 드럼셔터(138)는 자동적으로 폐쇄되어 감광드럼(131)을 덮고 있으므로, 감광드럼(131)이 외부광에 의해 노출되거나 조작자의 손에 의해 부주의하게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조작자가 앞쪽유닛(112)을 폐쇄하면, 레버(113)에 의해 상기 핀(138-3)이 상승되어 드럼셔터(138)을 개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럼셔터(138)가 개방될때, 드럼셔터(138)의 안쪽면(감광드럼(131)과 대향하는 면)의 중앙부가 프로세스카트리지(103)의 하우징(139)가 셔터사이의 공간 또는 틈새(S)를 형성하도록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즉, 드럼셔터(138)의 내면에는 오목하게 내민 길이방향의 오목부(138-4)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부(138-4)와 하우징(139) 사이에 틈새(138-5)(본 실시예에서는 약 2∼5㎜)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드럼셔터(138)를 폐쇄한 때에는 상기 오목부가 카트리지(103)의 하우징(139) 근방에 위치되거나 또는 접촉하고 있으므로, 감광드럼(131)이 외부광에 노출되는 것이 더욱 방지된다. 또, (138-7)은 감광드럼용의 회전지지축이다.
다음에, 상기 프로세스카트리지(103)를 장착해서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레이저빔프린터(100)에 대해서 제11도 및 제12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적용하는 레이저빔프린터는, 전사부 바로 위쪽에 정착부를 배치하고, 각종 전자사진 프로세스를 내장한 프로세스카트리지를 사용함으로써, 프린터의 소형화 및 프로세스카트리지의 온도상승저감을 실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1도 및 제12도에 있어서, 주사유닛(102)의 레이저유닛(도시생략)으로부터 사출된 레이저빔(LB)은 다각형 거울(121)에 의해 편향된 후, 결상렌즈(122), (123)를 통해서(화상표방향으로 회전하는) 감광드럼(131)상에 결상된다.
또, 레이저빔(LB)의 노광위치의 상류쪽에는 감광체(31a)를 균일하게 대전하는 대전롤러(132)가 배치되어 있다. 레이저빔(LB)에 의해 감광드럼(131)상에 형성된 정전잠상은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되는 현상슬리브(134b)를 지닌 현상기(134)에 의해 가시화된다.
한편, 시트공급카세트(104)내의 전사시트(P)는 시트급송롤러(141)에 의해 공급되어 감광드럼(131)과 전사롤러(135) 사이로 반송된다. 감광드럼(131)상의 가시화된 화상은 전사롤러(135)의 바이어스전압에 의해 전사시트(P)상으로 전사된다. 화상이 전사된 전사시트(P)는 정착기(105)의 히터(151)를 지닌 정착롤러(152)와 가압롤러(153) 사이를 통과함으로써, 가시화된 화상이 전사시트에 영구적으로 정착된다. 그후, 전사시트(P)는 배출트레이(111)상으로 배출되고, 또한 감광드럼(131)상에 남아있는 전류토너는 클리닝블레이드(136)를 지닌 클리너부재(137)에 의해 제거된다.
또한, 상기 감광드럼(131), 대전롤러(132), 현상기(134) 및 클리너부재(137)는 상기 프로세스카트리지(103)내에 설치되어 있다. 또, (125)는 폰트(125a)가 장착되어 있는 폰트장착부이다.
이와 같이, 위쪽으로 전사시트를 반송함으로써, 각 프로세스기기를 긴밀하게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여 프린터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상기 프로세스카트리지(103)를 장착한 레이저빔프린터(100)에 의해 화상을 형성할 때 발생되는 공기류에 대해서 제11도 및 제12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팬(110)이 시트(P)를 배출하는 배출구(106)의 하부에서 프린터(100)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팬(예를 들면, 이 실시예에서는 측류(axial flow)팬)(110)이 회전되면, 앞쪽유닛(112), 시트급송롤러(141)등의 틈새를 통해 프린터안으로 외부의 차가운 공기가 도입된다(화살표 W1, W2). 이 공기류 W1, W2는 전사롤러(135) 근방을 통과하여(화살표 W3), 카트리지(103)에 도달한다. 이 공기류의 일부는 정착기(105)의 측면을 통과한 후(화살표 W4) 개구부(114-1)를 통해 프린터로부터 배출된다(화살표 W6). 또, 상기 공기류의 일부는 감광드럼(131) 근방 및 카트리지(103)의 하우징(139)(특히 클리너부재(137)의 자유단부(137-1) 근방에 위치된 하우징부)과 드럼셔터(138) 사이의 공간(S)을 통과한 후(화살표 W5), 개구부(115-1)을 통해서 프린터로부터 배출된다(화살표 W7).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배기용 팬(110)은 공기류통로(114), (115)의 단부에 위치되어 있고, 카트리지(103)내의 공기는 주로 공기류통로(114), (115)용 칸막이벽(116)에 형성된 개구부(114-1), (115-1)를 통해서 프린터안으로 흡인된 후 프린터(100)로부터 배출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제13도 내지 제15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3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적용한 프로세스 카트리지(103)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드럼셔터(138)의 피벗핀(138-1), (138-2)에 대해서 편심되어 있는 1개 또는 수개의 캠 형상 리브(138-15)가 셔터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드럼셔터(138)가 회동되면, 리브(138-15)가 카트리지의 하우징(139)에 접촉하여, 드럼셔터(138)는 셔터(138)와 카트리지의 하우징(139) 사이의 틈새(S)를 형성하도록 휘어져 있다.
제14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스 카트리지(103)의 사시도로서, 드럼셔터(138)의 중앙부(138-17)에는 길이방향의 절결부 또는 노치부(138-6)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이 노치부(138-6)에 의해서, 드럼셔터(138)와 카트리지하우징(139) 사이에 틈새(S)가 형성된다.
제15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실시예는, 상기 각 실시예와 같이 드럼셔터(138)가 회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지않고, 드럼셔터(138)가 감광드럼(131)의 표면근방에서 링크기구 등의 접동기구(도시생략)에 의해서 접동해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드럼셔터(138)의 앞쪽 중앙부에 돌출부를 설치하거나, 셔터의 뒤쪽중앙부에 노치부(138-6)를 형성하여 틈새를 형성하며, 선행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를 제16도 내지 제19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는 ① 상기 드럼셔터에 소정 영역안으로의 공기류의 침입을 방지하는 차폐부재를 설치한 예 및 ② 드럼셔터와 협동해서 소정영역안으로의 공기류의 침입을 방지하는 차폐부재를 화상형성장치쪽에 설치한 예이다. 또, 다음에 설명하는 실시예는, 제12도에 도시한 레이저빔프린터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들어 설명한다.
제16도는 상기 예 ①에 관한 프로세스 카트리지(203)의 사시도, 제17도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03)를 장착한 레이저빔프린터(100)를 사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의 공기흐름(공기류)을 도시한 부분단면입면도, 제18도 및 제19도는 상기 예 ②를 도시한 부분단면입면도이다.
제16도 및 제17도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드럼셔터(138)의 배면(셔터폐쇄시 감광드럼(131)과 반대쪽 면)에, 길이방향의 리크(138-9)(드럼셔터의 표면으로 부터의 돌출량이 5㎜)가 형성되어 있다. 카트리지(203)가 프린터(100)에 장착되어서 드럼셔터(138)가 개방되면, 리브(138-9)는 프린터(100)의 배기구(114-1)에 접촉 또는 대략 접촉하도록 위치된다. 즉, 리브(138-9)는 리브의 자유단부가 배기구(114-1)의 하부칸막이벽(116)에 근접하도록 위치된다. 따라서, 정착기(105)의 근방 또는 정착기의 내부를 통과한 고온의 공기를 포함한 공기류(W4)는 리브(138-9)에 의해서 차단된다(이 상태는 화살표 W8로 표시되어있다).
그러므로, 고온의 공기류는 카트리지(203)의 하우징의 상부표면(203-1) 방향으로 흐르지 않고 배기구(114-1)를 통해 프린터밖으로 배출된다(공기류 W6).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은 공기통로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카트리지(203)의 구성요소(예를 들면 감광드럼(131), 토너 등)는 고온의 공기에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 항상 냉기가 카트리지(203)의 근방 및 내부를 통과하므로, 이들 구성요소의 온도상승을 더욱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제18도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프린터의 배기구(114-1)용의 하부칸막이벽(116)에 드럼셔터(138)와 접촉하는 칸막이부재(117)가 고정되어 있다. 이 칸막이부재(117)는 드럼셔터(138)와 거의 같은 정도의 폭을 가지고 있으며, 드럼셔터(138)를 향하여 약간 구부러져 있어 드럼셔터(138)와 접촉하기 용이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드럼셔터(138)가 회동하여 개방위치에 도달하면, 이 칸막이부재(117)와 드럼셔터는 접촉하여, 확실하게 공기류 W4를 배기구(114-1)로 향하도록 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칸막이부재(117)를 플라스틱재료로 성형하여 탄력성을 부여하고 있다.
이 경우, 칸막이부재(117)는 탄성변형가능한 재료(예를 들면, 수지, 고무, 발포제 등)로 성형되거나, 탄력성 또는 가요성을 가지도록 형성하면,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서, 드럼셔터(138)의 회동동작을 원활하게 수행하여 소정의 공기류통로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제19도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드럼셔터(138)가 회동하는 것이 아니라, 감광드럼(131)의 표면근방을 슬라이드해서 개폐하는 것의 예이다. 이 경우도, 드럼셔터(138)의 배면에 리브(138-9)를 형성하여, 이 리브가 배기구(114-1)의 칸막이벽(116)에 접촉하거나 칸막이벽 근방에 위치되도록 하면, 상기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이와 같이, 제17도 내지 제19도에 도시한 실시예에 의하면, 고온의 공기를 포함한 공기류가 카트리지 근방으로 향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으므로, 카트리지의 온도 상승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또, 제16도 및 제17도에 도시한 실시예에 의하면, 드럼셔터(138)를 폐쇄한때 돌출부(138-4)가 카트리지 하우징(139)과 근접 또는 접촉하여 위치되므로, 감광드럼(131)이 외부광에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고 또한 이물질이나 조작자의 손에 의해서 손상을 받기가 거의 어렵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정착기로서 열정착기를 사용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압력정착기를 사용해도 된다. 또, 열정착기이외에, 모터, 노광램프 등고 화상형성장치내에서 열을 발생하는 경우, 이러한 소자로부터의 열의 발생에 대해서도 본 발명은 유효하다.
또,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하우징과 커버사이의 틈새(거리)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형성장치의 설계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으나, 이 틈새는 약 2㎜∼5㎜ 바람직하게는 3㎜∼40㎜, 가장 바람직하게는 5㎜∼20㎜ 정도이면 된다. 틈새가 약 2㎜보다 작으면, 충분한 냉각효과가 얻어질 수 없는 경우가 있으며(그러나, 틈새가 약 1㎜인 경우에도, 틈새가 없는 경우에 비해서 약간의 냉각효과는 있다), 반면, 틈새가 약 50㎜ 보다 크면, 화상형성장치가 대형화하는 경향이 있다.
또,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내부에 화상담지체(예를 들면, 전자사진 감광체 등)와, 프로세스수단으로서 대전수단, 현상수단 및 클리닝수단중의 하나를 입체적으로 내장하여 화상형성장치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대전수단, 현상수단 또는 클리닝수단과 전자사진 감광체를 일체적으로 내장하여 화상형성장치(예를 들면, 복사기, 레이저빔프린터 등) 내에 탈착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거나 ; 또는 대전수단, 현상수단 및 클리닝수단중의 적어도 한개와, 전자사진 감광체를 일체적으로 내장하여 화상형성장치(예를 들면, 복사기, 레이저빔프린터 등(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거나 ; 또는, 적어도 현상수단과 전자사진 감광체를 일체적으로 내장하여 화상형성장치(예를 들면, 복사기, 레이저빔프린터 등)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할 수 이도록 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류에 의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냉각효과를 현저하게 향상할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28)

  1. 공기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팬을 갖춘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전자사진 감광체와 ; 상기 전자사진 감광체에 작용하는 프로세스수단과 ; 프레임과 ; 상기 전자사진 감광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소정의 위치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전자사진 감광체에 형성된 토너상을 기록매체에 전사하기 위한 영역인 상기 전자사진 감광체의 전사영역을 덮는 보호커버와 ; 상기 보호커버가 상기 전자사진 감광체의 전사영역을 덮는 보호위치와 상기 보호위치로부터 퇴피한 퇴피위치와의 사이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보호커버를 상기 프레임에 부착하기 위한(a) 일단부를 상기 보호커버의 길이방향 일단부에 걸어맞춤하고 타단부를 상기 프레임의 일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한 제1아암과, (b) 일단부를 상기 보호커버의 길이방향 타단부에 걸어맞춤하고 타단부를 상기 프레임의 타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한 제2아암과 ; 상기 보호커버에 항상 보호위치방향으로의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소정의 위치에 장착되어서, 상기 보호커버가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대항해서 상기 퇴피위치로 퇴피한 상태에서,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프레임과 이간하여, 상기 보호커버, 프레임, 제1아암 및 제2아암으로 둘러싸인 공간을 상기 팬에 의해서 발생하는 공기류가 통과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사진 감광체는 드럼형상이고,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보호위치에 존재할 때에 상기 드럼형상을 따르도록 만곡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상기 프로세스수단으로서 대전수단, 현상수단 또는 클리닝수단과, 상기 전자사진 감광체를 일체적으로 카트리지화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대해서 착탈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상기 프로세스수단으로서 대전수단, 현상수단 및 클리닝수단중 적어도 1개와, 상기 전자사진 감광체를 일체적으로 카트리지화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대해서 착탈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적어도 상기 프로세스수단으로서 현상수단과, 상기 전자사진 감광체를 일체적으로 카트리지화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대해서 착탈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6.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착탈가능하고, 기록매체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a. 공기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팬과 ; b. 전자사진 감광체와, 상기 전자사진 감광체에 작용하는 프로세스수단과, 프레임과, 상기 전자사진 감광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소정의 위치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전자사진 감광체에 형성된 토너상을 기록매체에 전사하기 위한 영역인 상기 전자사진 감광체의 전사영역을 덮는 보호커버와 ; 상기 보호커버가 상기 전자사진 감광체의 전사영역을 덮는 보호위치와 상기 보호위치로부터 퇴피한 퇴피위치와의 사이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보호커버를 상기 프레임에 부착하기 위한(a) 일단부를 상기 보호커버의 길이방향 일단부에 걸어맞춤하고 타단부를 상기 프레임의 일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한 제1아암과, (b) 일단부를 상기 보호커버의 길이방향 타단부에 걸어맞춤하고 타단부를 상기 프레임의 타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한 제2아암과 ; 상기 보호커버에 항상 보호위치방향에의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소정의 위치에 장착되어서, 상기 보호커버가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대항해서 상기 퇴피위치로 퇴피한 상태에서,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프레임과 이간하여, 상기 보호커버, 프레임, 제1아암 및 제2아암으로 둘러싸인 공간을 상기 팬에 의해서 발생하는 공기류가 통과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착탈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장착수단과 ; c. 상기 기록매체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전자사진 복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레이저빔프린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공기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팬을 갖춘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전자사진 감광체와 ; 상기 전자사진 감광체에 작용하는 프로세스수단과 ; 프레임과 ; 상기 전자사진 감광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소정의 위치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전자사진 감광체에 형성된 토너상을 기록매체에 전사하기 위한 영역인 상기 전자사진 감광체의 전자영역을 덮는 보호커버와 ; 상기 보호커버가 상기 전자사진 감광체의 전사영역을 덮는 보호위치와, 상기 보호위치로부터 퇴피한 퇴피위치와의 사이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보호커버를 상기 프레임에 부착하기 위한 상기 보호커버의 길이방향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축과 ; 상기 보호커버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상기 측축에서 상기 보호커버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설치된, 상기 보호커버의 안쪽에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를 구비하고 ;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보호커버가 상기 퇴피위치에 퇴피한 상태에서, 상기 보호커버의 상기 오목부와 상기 프레임과의 공간을 상기 팬에 의해서 발생하는 공기류가 통과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0.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착탈가능하고, 기록매체를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a. 공기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팬과 ; b. 전자사진 감광체와, 상기 전자사진 감광체에 작용하는 프로세스수단과, 프레임과, 상기 전자사진 감광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소정의 위치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전자사진 감광체에 형성된 토너상을 기록매체에 전사하기 위한 영역인 상기 전자사진 감광체의 전사영역을 덮는 보호커버와 ; 상기 보호커버가 상기 전자사진 감광체의 전사영역을 덮는 보호위치와 상기 보호위치로부터 퇴피한 퇴피위치와의 사이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보호커버를 상기 프레임에 부착하기 위한, 상기 보호커버의 길이방향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축과, 상기 보호커버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상기 측측에서 상기 보호커버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설치된, 상기 보호커버의 안쪽에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보호커버가 상기 퇴피위치에 퇴피한 상태에서, 상기 보호커버의 상기 오목부와 상기 프레임과의 공간을 상기팬에 의해서 발생하는 공기류가 통과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착탈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장착수단과 ; c. 상기 기록매체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상기 프로세스수단으로서 대전수단, 현상수단 또는 클리닝수단과, 상기 전자사진 감광체를 일체적으로 카트리지화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대해서 착탈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상기 프로세스수단으로서 대전수단, 현상수단 또는 클리닝수단과중 적어도 1개와, 상기 전자사진 감광체를 일체적으로 카트리지화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대해서 착탈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적어도 상기 프로세스수단으로서 현상수단과 상기 전자사진 감광체를 일체적으로 카트리지화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대해서 착탈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와 상기 제1아암과 제2아암은 플라스틱제로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비틀림코일스프링이고, 이 비틀림코일스프링의 일단부는 상기 프레임에, 또, 타단부는 상기 제1아암에 맞닿아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 보호커버에 항상 보호위치방향으로의 탄성력을 부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는, 해당 보호커버에 설치되어 있는 캠이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설치된 맞닿기부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탄성력에 대항해서 상기 퇴피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화상형성장치 본체가 지닌 상부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상부본체가 아래쪽으로 눌려 내려감에 따라서, 화상형성장치 본체가 지닌 하부본체에 설치된 상기 맞닿기부와 상기 캠이 맞닿음으로써,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탄성력에 대항해서 상기 퇴피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8. 제1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퇴피위치에 위치할 때에, 화상형성장치 본체가 지닌 하부본체에 설치된 고정부재에 그 선단이 지지되어, 사이 퇴피위치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9. 제1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퇴피위치에 위치할 때에, 화상형성장치 본체가 지닌 하부본체에 설치된 고정부재에 상기 제1아암과 제2아암이 지지되어, 상기 퇴피위치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0. 제1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프로세스수단으로서, 상기 전자사진 감광체에 잔류하는 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프레임측으로 퇴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퇴피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약 2㎜∼50㎜ 정도, 바람직하게는 약 3㎜∼40㎜ 정도,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5㎜∼20㎜ 정도 이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사진 감광체는 드럼형상이고,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보호위치에 존재할 때에 상기 드럼형상을 따르도록 만곡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3. 제9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와 상기 프레임은 플라스틱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4. 제9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보호커버에 설치되어 있는 핀이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설치된 개구부재의 개폐에 연동해서 이동하는 레버에 의해서, 상기 퇴피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축을 중심으로 위쪽으로 퇴피해서, 상기 보호커버의 선단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위쪽에 위치하는 프레임보다도 위쪽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퇴피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과 상기 오목부와의 사이에 약 2㎜∼5㎜ 정도의 공간을 형성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전자사진 복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레이저빔프린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19920005346A 1991-12-20 1992-03-31 프로세스카트리지 및 이 프로세스카트리지를 장착가능한 화상형성장치 KR950014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2548A KR950014874B1 (ko) 1991-12-20 1995-09-29 프로세스카트리지 및 이 프로세스카트리지를 장착가능한 화상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3859791 1991-12-20
JP91-338597 1991-12-20
JP90-338597 1991-12-20
JP4053695A JPH05224476A (ja) 1991-12-20 1992-03-12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前記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を装着可能な画像形成装置
JP92-53695 1992-03-12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2548A Division KR950014874B1 (ko) 1991-12-20 1995-09-29 프로세스카트리지 및 이 프로세스카트리지를 장착가능한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3887A KR930013887A (ko) 1993-07-22
KR950014873B1 true KR950014873B1 (ko) 1995-12-16

Family

ID=26394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5346A KR950014873B1 (ko) 1991-12-20 1992-03-31 프로세스카트리지 및 이 프로세스카트리지를 장착가능한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3) US5878304A (ko)
EP (2) EP0764893B1 (ko)
JP (1) JPH05224476A (ko)
KR (1) KR950014873B1 (ko)
CN (1) CN1050430C (ko)
AT (1) ATE154449T1 (ko)
DE (2) DE69220347T2 (ko)
HK (1) HK10117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85417B2 (ja) * 1993-04-28 2002-05-2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H0815940A (ja) * 1994-04-28 1996-01-19 Canon Inc 現像フレーム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768632B2 (ja) * 1996-02-27 2006-04-19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466888B2 (ja) * 1997-10-01 2003-11-1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472108B2 (ja) * 1997-10-01 2003-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673655B2 (ja) * 1997-10-22 2005-07-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420486B2 (ja) * 1997-11-07 2003-06-2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1231758A (ja) * 1997-11-17 1999-08-27 Canon Inc シャッター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336273B2 (ja) * 1998-06-30 2002-10-21 コピア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563970B2 (ja) * 1998-07-27 2004-09-08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0131945A (ja) 1998-10-26 2000-05-12 Canon Inc 現像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KR100343178B1 (ko) * 1998-12-28 2002-09-18 삼성전자 주식회사 습식전자사진방식인쇄기의드라이유니트용백플레이트결합장치
KR100341807B1 (ko) * 1998-12-30 2002-10-31 삼성전자 주식회사 프린터의정착부열차단구조
JP2001034055A (ja) 1999-02-18 2001-02-09 Canon Inc 現像剤収納容器及びカートリッジ
JP3320399B2 (ja) 1999-05-20 2002-09-0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み立て方法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748506B2 (ja) 1999-05-20 2006-02-2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方法
JP3320398B2 (ja) 1999-05-20 2002-09-0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293818B2 (ja) 1999-05-20 2002-06-1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363873B2 (ja) 1999-07-13 2003-01-0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量逐次表示方法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1051490A (ja) 1999-08-06 2001-02-23 Canon Inc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943772B2 (ja) 1999-08-06 2007-07-1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1092335A (ja) 1999-09-17 2001-04-06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剤量検出部材
US6415118B1 (en) * 1999-09-28 2002-07-02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inclined guide for sheet material
JP2001255786A (ja) 2000-01-07 2001-09-21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745231B2 (ja) 2000-01-13 2006-02-1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1290355A (ja) 2000-04-06 2001-10-19 Canon Inc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1290359A (ja) 2000-04-07 2001-10-19 Canon Inc 現像剤容器、現像剤量検知システム、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1237416C (zh) 2000-06-09 2006-01-18 佳能株式会社 显影装置、处理盒、显影框架与显影剂框架之间的连接方法和柔性密封件
US6697578B2 (en) 2000-08-25 2004-02-24 Canon Kabushiki Kaisha Memory member, unit,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4672837B2 (ja) * 2000-08-28 2011-04-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2196647A (ja) 2000-12-22 2002-07-12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2258720A (ja) 2001-03-05 2002-09-11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2268513A (ja) 2001-03-09 2002-09-20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819232B2 (ja) 2001-03-09 2011-11-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161366B2 (ja) * 2002-09-17 2008-10-0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907496B2 (ja) 2002-02-27 2007-04-1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ならびに現像剤収納容器とその組立て方法
KR100462617B1 (ko) * 2002-08-09 2004-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폐현상제 용기를 구비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0465216B1 (ko) * 2002-08-26 2005-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장치
DE60319329T2 (de) * 2002-09-24 2009-03-12 Ricoh Co., Ltd. Schutzverschluss für Bildträgereinheit, und diese Bildträgereinheit verwendende Prozesseinheit und Bildformungsapparat
JP3548564B2 (ja) * 2002-11-08 2004-07-2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ローラー組立方法
JP4487232B2 (ja) * 2002-12-24 2010-06-2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320777B2 (ja) 2003-05-19 2009-08-2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6973277B2 (en) * 2003-11-25 2005-12-06 Eastman Kodak Company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with improved control of airflow
EP1686429B1 (en) 2005-01-28 2016-08-0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guide members for guiding a recording medium towards the image carrying member
US7539447B2 (en) 2005-01-28 2009-05-26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forming device for absorbing vibration of guide plate
US7539448B2 (en) 2005-01-28 2009-05-26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forming device for suppressing vibration of guide plate and jams of recording sheet
US7542709B2 (en) 2005-01-28 2009-06-02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forming device for suppressing recording sheet from flapping when transferring toner images thereon
EP1770451A3 (en) * 2005-09-29 2009-05-13 Oki Data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7214676A (ja) * 2006-02-07 2007-08-23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4949862B2 (ja) * 2007-01-10 2012-06-1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4663802B2 (ja) * 2008-09-01 2011-04-06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バー部材及びカートリッジ
JP5238434B2 (ja) * 2008-09-30 2013-07-1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5150522B2 (ja) * 2009-01-22 2013-02-2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用紙搬送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1191427A (ja) * 2010-03-12 2011-09-29 Fuji Xerox Co Ltd 画像成形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637449B2 (ja) * 2010-03-17 2014-12-10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5636844B2 (ja) * 2010-09-24 2014-12-1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754101B2 (ja) * 2010-09-27 2015-07-2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685904B2 (ja) * 2010-11-29 2015-03-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825062B2 (ja) * 2011-02-28 2015-12-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8634742B2 (en) * 2011-10-21 2014-01-21 Eastman Kodak Company Airflow management system for corona charger
US8655217B2 (en) * 2011-10-21 2014-02-18 Eastman Kodak Company Airflow management method for corona charger
JP5919766B2 (ja) * 2011-11-30 2016-05-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5678017B2 (ja) * 2012-08-31 2015-02-2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095376B2 (ja) * 2013-01-18 2017-03-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238780B2 (ja) * 2014-02-17 2017-11-2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407036B2 (ja) * 2015-01-15 2018-10-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589494B2 (ja) * 2015-09-17 2019-10-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定着器、および、定着器の端部昇温抑制方法
KR102250501B1 (ko) 2016-08-26 2021-05-10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드럼 유닛, 카트리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및 커플링 부재
JP2018136448A (ja) * 2017-02-22 2018-08-3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10444665B2 (en) * 2017-10-03 2019-10-1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CN107984909B (zh) * 2017-11-26 2019-05-03 永吉纸品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智能打印机及其打印控制方法
CN107861346B (zh) * 2017-11-26 2018-09-28 中山市铭博打印机耗材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智能打印机
JP7262983B2 (ja) 2018-11-30 2023-04-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7305417B2 (ja) 2019-04-25 2023-07-1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5436A (en) 1974-06-25 1976-10-12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copying apparatus
DE3220538A1 (de) * 1981-06-02 1982-12-23 Canon K.K., Tokyo Bilderzeugungsgeraet
US4470689A (en) 1981-06-02 1984-09-1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unit
US4462677A (en) 1981-06-22 1984-07-3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ation apparatus using a process unit with a protective cover
JPS5958446A (ja) * 1982-09-29 1984-04-0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S5961865A (ja) * 1982-09-30 1984-04-09 Canon Inc プロセスキ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GB2132942B (en) * 1982-09-30 1987-07-29 Canon Kk Detachable parts of image-forming apparatus
JPS59165072A (ja) * 1983-03-10 1984-09-1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4540268A (en) * 1983-04-25 1985-09-10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k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such kit
JPS60114872A (ja) * 1983-11-25 1985-06-2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4875077A (en) * 1986-05-28 1989-10-17 Mita Industrial Co., Ltd Image-forming machine
US4829334A (en) * 1986-05-28 1989-05-09 Mita Industrial Co., Ltd. Image-forming machine having a cover member for covering part of an image bearing member
JPH01152349U (ko) * 1987-12-24 1989-10-20
DE3810262A1 (de) 1988-03-25 1989-10-12 Henning Berlin Gmbh Vorrichtung zur dosierten verabreichung eines fluessigen arzneimittels
JPH0693141B2 (ja) * 1988-03-25 1994-11-16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3101751A (ja) * 1989-09-16 1991-04-26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H066377Y2 (ja) * 1989-10-25 1994-02-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感光体カートリッジ
DE69127392T2 (de) * 1990-04-27 1997-12-18 Canon Kk Von einem Bilderzeugungsgerät abnehmbare Arbeitseinheit
KR950001428Y1 (ko) * 1990-09-29 1995-03-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사진장치의 감광드럼 보호커버 개폐장치
US5266999A (en) * 1991-04-01 1993-11-30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for use with the same
JP3200139B2 (ja) * 1991-04-01 2001-08-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前記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を装着可能な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229683D1 (de) 1999-09-02
DE69229683T2 (de) 1999-12-09
KR930013887A (ko) 1993-07-22
DE69220347T2 (de) 1997-11-06
CN1073534A (zh) 1993-06-23
US6097911A (en) 2000-08-01
ATE154449T1 (de) 1997-06-15
EP0764893A1 (en) 1997-03-26
EP0764893B1 (en) 1999-07-28
DE69220347D1 (de) 1997-07-17
US6075956A (en) 2000-06-13
US5878304A (en) 1999-03-02
EP0549089A1 (en) 1993-06-30
JPH05224476A (ja) 1993-09-03
HK1011737A1 (en) 1999-07-16
EP0549089B1 (en) 1997-06-11
CN1050430C (zh) 2000-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4873B1 (ko) 프로세스카트리지 및 이 프로세스카트리지를 장착가능한 화상형성장치
KR100331920B1 (ko) 화상담지부재 보호용 셔터 메커니즘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US6895199B2 (en) Process cartridge including a protruding member engaging a regulating guide of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to which the process cartridge is attachable and from which the cartridge is detachable and such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3809402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144821A (en) Shutter member and process cartridge
US5528345A (en) Fixing device having heat roller and pressure roller for use in image recording apparatus
US844720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7120374B2 (e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forming apparatus
US6236822B1 (en) Shutter and process cartridge
JP3262538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200415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前記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を装着可能な画像形成装置
EP0272093B1 (en) Process unit for an imaging apparatus
US4786938A (en) Process unit for an imaging apparatus
KR950014874B1 (ko) 프로세스카트리지 및 이 프로세스카트리지를 장착가능한 화상형성장치
JP3581558B2 (ja) 画像形成装置
JP3592938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6349936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10310443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3976215B2 (ja) 画像形成装置
JP3599674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前記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を着脱可能な画像形成装置
JP2024050397A (ja) 画像形成装置
JP2005284321A (ja) 画像形成装置
JP2000330456A (ja) シャッタ部材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05346694A (ja) 電子写真装置
KR20050101439A (ko)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0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