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4874B1 - 프로세스카트리지 및 이 프로세스카트리지를 장착가능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프로세스카트리지 및 이 프로세스카트리지를 장착가능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50014874B1 KR950014874B1 KR1019950032548A KR19950032548A KR950014874B1 KR 950014874 B1 KR950014874 B1 KR 950014874B1 KR 1019950032548 A KR1019950032548 A KR 1019950032548A KR 19950032548 A KR19950032548 A KR 19950032548A KR 950014874 B1 KR950014874 B1 KR 95001487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ocess cartridge
- image forming
- forming apparatus
- protective cover
- photosensitive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Manufacturing or assembling, recycling, reuse, transportation, packaging or storage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20—Humidity or temperature control also ozone evacuation; Internal apparatus environment control
- G03G21/206—Conducting air through the machine, e.g. for cooling, filtering, removing gases like oz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적용한 레이저빔 프린터의 단면입면도.
제2a도는 규제부재의 평면도.
제2b도는 제2a도의 규제부재의 단면도.
제3a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적용한 프로세스카트리지와 레이저빔프린터의 규제부재와의 관계를 도시한 것으로서 드럼보호부재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의 사시도.
제3b도는 제3a도에 도시한 프로세스카트리지와 레이저빔프린터의 규제부재와의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
제4a도는 드럼보호부재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4b도는 드럼부호부재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적용한 레이저빔프린터의 단면입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적용한 레이저빔프린터의 단면입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감광체 14 : 정착기
15 : 방열팬 22 : 대전기
23 : 현상기 25,32,33 : 안내부
28 : 클리닝장치 300 : 레이저빔프린터
302 : 프로세스카트리지 302a : 하우징
308 : 위치규제부재 308b : 정류판
308b1: 정류부 308b2: 부착부
309 : 보호부재 309a : 커버
309b,309c : 가동링크 309g∼309i : 힌지
310 : 돌출부 312 : 판
본 발명은 프로세스카트리지와 이러한 프로세스카트리지를 내부에 장착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로서는 전자사진복사기, 레이저빔프린터(LBP), 팩시밀리장치, 워드프로세서 등이 있다.
종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는, 화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소정의 프로세스 수단을 포함하고, 프로세스카트리지의 수명만료 등에 의한 카트리지의 교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착탈가능한 프로세스카트리지를 구비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미합중국 특허 제3, 985, 436호 참조). 또, 컬러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상이한 색의 현상제를 지닌 복수개의 프로세스카트리지를 사용할 수 있어, 교환빈도가 높고, 또, 프로세스카트리지만이 화상형성장치밖으로 방치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상태하에서는, 감광체에의 오염물의 부착이나 손상을 방지하고 또한 감광체가 광에 노출되어서 열화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때문에, 프로세스카트리지에는 감광체를 보호하는 동시에 카트리지내부에의 차광을 행하기 위한 커버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자 등은 이 기술분야에서 특히 유효한 기술을 발명하여 이들을 이미 미합중국 특허 제4,470,689호 및 제4,462,677호와 일본국 특공평 2-11158호 (1990년 3월 13일자)공보에 이미 개시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발명을 더욱 발전시킨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품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세스카트리지 및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에 의한 약영향을 방지하여 열방출을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화상담지체를 광 및 (또는) 오염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부재가 유체통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프로세스카트리지 및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에 의한 화상담지체의 특성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프로세스카트리지 및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프로세스카트리지가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때에, 프로세스카트리지비장착시에 프로세스카트리지의 개구부를 덮기 위한 보호부재가 프로세스카트리지의 개구부로부터 완전히 퇴피하여, 프로세스카트리지의 프레임으로부터 떨어져서 위치하는 프로세스카트리지 및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보호부재가 개방된 위치에서 보호부재를 위치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부재를 설치함으로써 보호부재의 부주의에 의한 폐쇄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기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팬과, 상기 팬에 의해서 발생한 공기류를 가이드하기 위한, 이동가능한 가이드부재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가능한 프로세스카트리지에 있어서 ; 전자사진감광체와 ; 상기 전자사진감광체에 작용하는 프로세스수단과 ; 프레임과 ; 상기 전자사진감광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프로세스카트리지가 화상형성장치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전자사진감광체에 형성된 토너상을 기록매체에 전사하기 위한 영역인 상기 전자사진감광체의 전사영역을 덮는 보호커버와 ; 상기 보호커버가 상기 전자사진감광체의 전사영역을 덮는 보호위치와 상기 보호위치로부터 퇴피하기 위한 퇴피위치와의 사이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보호커버를 상기 프레임에 부착하기 위한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 상기 프로세스카트리지가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보호커버가 상기 퇴피위치에 존재한 상태에서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가이드부재와 접촉해서, 상기 가이드부재와 협동하여 상기 팬에 의해서 발생하는 공기류를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화상형성장치로서 레이저빔프린터(300)를 예로들어 설명한다.
제1도는 레이저빔프린터의 단면입면도, 제2a도는 프로세스카트리지의 보호부재를 개방위치로 유지시키는 규제부재의 길이방향의 부분평면도, 제2b도는 규제부재의 단면도, 제3a도 및 제4a도는 카트리지보호부재의 개/폐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제3b도 및 제4b도는 이러한 기구의 단면도, 제5도 및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적용한 레이저빔프린터의 단면입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지닌 부재에는 같은 부호를 부기하고, 그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제1도는 프로세스카트리지(302)가 레이저빔프린터(300)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동도에 있어서, 주사유닛(102)의 레이저유닛(도시생략)으로부터 사출된 레이저빔(LB)은 다각형거울(121)에 의해 편향된 후, 곁상렌즈(122), (123)를 통해서 화상표방향으로 회전하는 드럼형상의 전자사진감광체(5)상에 도달하고, 이와 같이 도달된 레이저빔(LB)에 의해서, 대전기(22)에 의해 미리 대전되어 있던 상기 감광체(5)상에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또 상기 잠상은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되는 현상슬리브(28a)를 구비한 현상기(23)에 의해 가시화, 즉 현상된다.
한편, 시트공급카세트(104)내의 전사시트(기록매체)(P)는 시트급송롤러(141)에 의해 공급되어 안내부(32)를 거쳐 한쌍의 레지스트롤러(29)에 의해 상기 현상기(23)에 의해 현상된 화상과 동기를 취하여 감강체(5)에 도달한다. 상기 감광체(5)상에 현상된 화상은 전자롤러(135)의 바이어스전압에 의해 상기 전사시트(P)상에 전사된다. 화상이 전사된 전사시트(P)는 안내부(25)에 의해 안내되어서 정착기(14)(가열롤러(14a) 및 가압롤러(14b)를 포함)를 통과함으로써, 상기 화상이 영구적으로 정착된다. 그후, 전사시트(P)는 배출 트레이(27)상으로 배출되고, 또한 감광체(5)상에 남아있는 잔류토너는 클리닝볼테이드(28a)를 지닌 클리닝장치(28)에 의해 제거된다.
또한, 상기 감광체(5), 대전기(22), 현상기(23) 및 클리닝장치(28)(이들 부재(22), (23), (28)는 감광체(5)에 작용하는 프로세스수단으로서 기능한다)는 일체로 상기 프로세스카트리지(302)내에 설치되어 있다.
또, (33)은 안내부, (15)는 방열팬, (309)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보호부재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레이저빔프린터(300)의 측벽상부에 공기흡입구(300a)가 형성되어 있어, 냉기를 주로 프린터의 상부 또는 하부위치로부터 도입할 수 있으므로, 프로세스카트리지의 냉각효과를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제1도 내지 제4도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구성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레이저빔프린터(300)에 프로세스카트리지(302)를 삽입하면(화살표 V방향), 프로세스카트리지(302)의 감광체(5)를 광, 외력, 오염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부재(309)가 제1도에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전사 영역을 덮는 보호위치(폐쇄위치)로부터 동도의 실선으로 표시한 퇴피위치(개방위치)로 이동한다. 또, 부호부재(309)의 개/폐기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 경우, 프로세스카트리지(302)는 카트리지의 상부에 설치된 위치규제부재(308)에 카트리지의 상부면(302b)이 접촉하여, 카트리지의 상향위치가 규제되기 때문에, 소정 위치에 정확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 이 경우, 보호부재(309)의 후단부(309d)가 상기 위치규제부재(308)상에 프린터와 가로방향을 따라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정류판(309b)에 접촉하여 이 정류판을 약간 아래쪽으로 경사진 위치로 유지한다.
또한, 이 정류판(308b)은 수지 등의 가요성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부착부(308b2)와 이 부착부(308b2)에 대해서 회동가능한 정류부(308b1)를 가지고 있다. 또, 이 정류부(308b1)는 부착부(308b2)에 대해서 경사져서 형성되어 있고, 노치부(308b3)에 의해서 회동하기 쉽게 되어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복사버튼(도시생략)이 ON상태로 되면, 팬(15)이 회전을 개시하여 프린터(300)의 측벽의 상부에 형성된 공기흡입구(300a) 및 시트급송부로부터 공기가 흡입되어서, 프로세스카트리지(302) 주위를 흐르는 공기류 W1∼W9를 발생하여 팬(15)방향으로 향한다. 여기에서, 프로세스카트리지(302)의 상부면을 따라 흐르는 공기류 W3는, 위치규제부재(308)의 벽(308a)에 충돌하여 흐름이 차단되어서, 이 공기류는 프로세스카트리지(302)의 하우징(302a)과 보호부재(309)의 내면사이의 틈새를 통과하게 된다(공기류 W4). 이 공기류 W4는 시트반송면(안내부(25))에 충돌하여, 이 반송면(25)과 보호부재(309) 사이에서 그 흐름방향을 상향으로 변경한 후(공기류 W6), 팬(15)을 향해 흘러서(공기류 W7,W8), 프린터밖으로 배출된다(공기류 W9).
다음에, 제3a도, 제3b도, 제4a도 및 제4b도를 참조하여 프로세스카트리지(302)를 프린터(300)내에 장착할때의 보호부재(309)와 위치규제부재(308)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3a도 및 제3b도는 프로세스카트리지(302)가 프린터(300)내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기 시작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 상태로부터, 화살표 V방향으로 프로세스카트리지(302)의 하우징(302a)을 삽입하면, 먼저, 보호부재(309)의 커버(309a)를 개방시키는 커버가동링크(309b)가 프린터의 돌출부(310)에 접촉한다.
프로세스카트리지의 하우징(302a)을 더욱 삽입하면, 이 커버가동링크(309b)가 피벗핀(309b1)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링크(309b)의 (피벗핀(309b1)에 대해서 돌출부(310)와 접촉하는 단부의 반대쪽인) 타단부상에 위치된 피벗핀(309b2)에 부착된 보호부재의 커버(302a)는, 가동링크(309c)에 의해 안내되면서 점차로 개방된다. 프로세스카트리지(302)의 하우징(302a)이 완전히 삽입된때, 보호부재의 커버(309a)는, 상기한 바와 같이 위치규제부재(308)의 정류판(308b)에 접촉하여, 정류판의 피벗부(두께가 감소된 부분) (308b4)를 중심으로 정류부(308b1)를 회동시킨다.
프로세스카트리지(302)의 하우징(302a)이 프린터(300)내에 완전히 장착된 상태에서(제1도, 제4a도 및 제4b도), 공기는 공기류 W1-W9와 같이 프리터(300)내를 흐른다. 특히, 공기류 W4로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카트리지(302)의 하우징(302a)과 프린터(300)의 판(312)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302)의 위치규제부재(308)의 벽(308a) (부착부(308b2))에 충돌한다.
그래서, 이 기류는 하우징(302a)과 정류판(308b) 사이를 통과하고 또 하우징(302a)과 보호부재의 커버(309a) 사이를 통과한다. 이것에 의해서, 프로세스카트리지(302)의 하우징(302a)은 정착기(14)로부터의 열을 받기가 어렵게 되어, 카트리지(302)내의 온도상승이 억제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302a)과 보호부재의 커버(309a) 사이의 틈새가 약 5㎜∼10㎜ 정도로 되었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제5도에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호부재(309)가 힌지(309g), (309h) 및 (309i)로 모두 접합되어 있는 수개의 분할편으로 분할되어 있다. 부호부재가 개방되면, 힌지(309h)부분에서 2개로 접혀져 그들의 내면(감광체의 면)이 서로 마주보는 모양으로 된다. 그래서, 팬(15)이 회전되면, 공기흡입구(300a)로부터 흡입된 공기류(W1)는 프로세스카트리지(302) 주위를 흘러(공기류 W3), 보호부재(309)로 도달하여 팬(15)을 향해 흐른다(공기류 W4).
이 경우, 프로세스카트리지의 단부면을 따라 흐르는 공기류 W6는 보호부재(309)에 의해 제한되어 그들의 힘을 잃는다. 그래서 이들 공기류는, 정착기(14)로부터의 열에 대류에 의해 화살표 W6로 도시한 바와 같은 자연대류의 일부로 되어, 화살표 W7, W8로 도시한 바와 같이 프린터밖으로 팬(15)에 의해서 배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정착기(14)에 의해 발생된 열이 카트리지장착방향을 향하여 흐르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시트급송부로부터 도입된 공기류 W2는 감광체(5)의 근방을 통과해서, 이 공기류의 일부는 하우징(302a)과 보호부재(309) 사이를 통과하여 팬(15)에 의해 흡인된다(공기류 W9).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가 제6도에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팬(15)의 회전에 의해서 공기흡입구(300a)로부터 흡입된 의거는, 프로세스카트리지(302) 주위를 통과하여 팬(15)으로 흡입된다(공기류 W1,W3,W4,W5,W7 및 W8).
본 실시예에 의하면, 프로세스카트리지의 상부면(302b)을 따라 흐르는 공기는, 화살표 W4로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부재(309)로 향한 후 프린터의 밖으로 배출된다. 한편, 프로세스카트리지(302)의 단부면을 따라 통과한 공기류 W6은 보호부재(309)에 의해 차단되어 보호부재(309) 아래쪽으로는 들어가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시트공급카세트(104)쪽으로 도입된 의거 W2는, 감광체(5) 근방을 통과하여 하우징(302a)과 보호부재(309)사이를 주로 통과한 후 정착기(14)쪽으로는 진행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보호부재(309)에 의해서 차단되어서 팬(15)의 영향력이 생기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기류에 의해서 (정착되기 전에) 시트(P)상에 형성된 화상의 왜곡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정착기로서 열정착기를 사용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압력정착기를 사용해도 된다.
또, 열정착기 이외에, 모터, 노광램프 등도 화상형성장치내에서 열을 발생하는 경우, 이러한 소자로부터의 열의 발생에 대해서도 본 발명을 유효하다.
또, 프로세스카트리지의 하우징과 커버사이의 틈새(거리)는 프로세스카트리지 및 화상형성장치의 설계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으나, 이 틈새는 약 2㎜∼5㎜, 바람직하게는 3㎜∼40㎜, 가장 바람직하게는 5㎜∼20㎜ 정도이면 된다.
틈새가 약 2㎜ 보다 작으면, 충분한 냉각효과가 얻어질 수 없는 경우가 있으며 (그러나, 틈새가 약 1㎜인 경우에도, 틈새가 없는 경우에 비해서 약간의 냉각효과는 있다), 반면, 틈새가 약 50㎜ 보다 크면, 화상형성장치가 대형화하는 경향이 있다.
또, 상기 프로세스카트리지는 내부에 화상담지체(예를들면, 전자사진 감광체 등)와, 프로세스수단으로서 대전수단, 현상수단 및 클리닝수단중의 하나를 일체적으로 내장하여 화상형성장치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프로세스카트리지는 대전수단, 현상수단 또는 클리닝수단과 전자사진 감광체를 일체적으로 내장하여 화상형성장치(예를들면, 복사기, 레이저빔프린터 등)내에 탈착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거나 ; 또는 대전수단, 현상수단 및 클리닝수단중의 적어도 한개와, 전자사진감광체를 일체적으로 내장하여 화상형성장치(예를들면, 복사기, 레이저빔프린터 등)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거나 ; 또는, 적어도 현상수단과 전자사진감광체를 일체적으로 내장하여 화상형성장치(예를들면, 복사기, 레이저빔프린터 등)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류에 의한 프로세스카트리지의 냉각효과를 현저하게 향상할 수 있는 프로세스카트리지 및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4)
- 공기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팬과, 상기 팬에 의해서 발생한 공기류를 가이드하기 위한, 이동가능한 가이드부재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본체에 착탈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전자사진감광체와, 상기 전자사진감광체에 작용하는 프로세스수단과, 프레임과, 상기 전자사진감광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프로세스카트리지가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전자사진감광체에 형성된 토너상을 기록매체에 전사하기 위한 영역인 상기 전자사진감광체의 전사영역을 덮는 보호커버와, 상기 보호커버가 상기 전자사진감광체의 전사영역을 덮는 보호위치와 상기 보호위치로부터 퇴피하기 위한 퇴피위치와의 사이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보호커버를 상기 프레임에 부착하기 위한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프로세스카트리지가 화상형성장치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보호커버가 상기 퇴피위치에 존재한 상태에서, 상기 보호커저는 상기 가이드부재와 접촉해서, 상기 가이드부재와 협동하여 상기 팬에 의해서 발생하는 공기류를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카트리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카트리지가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장착될때에, 상기 보호커버는 위쪽으로 퇴피해서 상기 프로세스카트리지의 장착위치의 위쪽에 배치된 상기 가이드부재와 접촉해서 정지하며, 상기 팬의 회전에 의해서 생기는 공기류는, 상기 카트리지의 프레임, 상기 보호커버 및 상기 가이드부재에 의해서 구성되는 공간을 위쪽으로부터 아래쪽으로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카트리지.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프레임의 상기 프로세스수단으로서의 클리닝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쪽으로 퇴피해서, 상기 프레임의 외벽과의 사이에 공간을 구성하며, 상기 클리닝수단은 상기 전자사진감광체에 잔류하는 토너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카트리지.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카트리지는, 상기 클리닝수단이 설치된 쪽을 전방으로 하고, 상기 프로세스수단으로서의 현상수단이 설치된 쪽을 후방으로 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본체에 장착되고, 그리고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프로세스카트리지의 장착방향으로 퇴피해서, 상기 프레임의 외벽과의 사이에 공간을 구성하여 상기 현상수단을 토너를 이용해서 상기 전자사진감광체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카트리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일단부를 상기 보호커버의 길이방향단부에, 타단부를 상기 프레임의 일단부에 부착한 제1아암과, 제2아암과, 일단부를 상기 보호커버의 길이방향타단부에, 타단부를 상기 프레임의 타단부에 부착한 제3아암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카트리지.
-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퇴피위치에 위치한 보호커버와 상기 프레임과의 간격은, 약 2㎜∼50㎜, 바람직하게는 약 3㎜∼40㎜ 정도,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5㎜∼20㎜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카트리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카트리지는, 상기 프로세스수단으로서의 대전수단, 현상수단 또는 클리닝수단과 상기 전자사진감광체를 일체적으로 카트리지화해서 화상형성장치본체에 대해서 착탈가능하게 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카트리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카트리지는 상기 프로세스수단으로서의 대전수단, 현상수단 및 클리닝 수단중 적어도 1개와 상기 전자사진감광체를 일체적으로 카트리지화해서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대해서 착탈가능하게 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카트리지는, 적어도 상기 프로세스수단으로서의 현상수단과 상기 전자사진감광체를 일체적으로 카트리지화해서 화상형성장치본체에 대해서 착탈가능하게 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카트리지.
- 프로세스카트리지를 착탈가능하고, 기록매체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a. 공기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팬과 ;b. 상기 팬에 의해서 발생한 공기류를 가이드하기 위한, 이동가능한 가이드 부재와 ;c. 전자사진감광체와, 상기 전자사진감광체에 작용하는 프로세스수단과, 프레임과, 상기 전자사진감광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프로세스카트리지가 화상형성 장치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전자사진감광체에 형성된 토너상을 기록 매체에 전사하기 위한 영역인 상기 전자사진감광체의 전사영역을 덮는 보호커버와, 상기 보호커버가 상기 전자사진감광체의 전사영역을 덮는 보호위치와 상기 보호위치로부터 퇴피하기 위한 퇴피위치와의 사이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보호커버를 상기 프레임에 부착하기 위한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프로세스카트리지가 화상형성장치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보호커버가 상기 퇴피위치에 존재한 상태에서,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가이드부재와 접촉해서, 상기 가이드부재와 협동하여 상기 팬에 의해서 발생하는 공기류를 가이드하는 프로세스카트리지를 착탈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장착수단과 ;d. 상기 기록매체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부착부와, 상기 부착부에 대해서 회동가능한 정류부를 지니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수지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전자사진복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레이저빔프린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33859791 | 1991-12-20 | ||
JP91-338597 | 1991-12-30 | ||
JP92-53695 | 1992-03-12 | ||
JP4053695A JPH05224476A (ja) | 1991-12-20 | 1992-03-12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前記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を装着可能な画像形成装置 |
KR1019920005346A KR950014873B1 (ko) | 1991-12-20 | 1992-03-31 | 프로세스카트리지 및 이 프로세스카트리지를 장착가능한 화상형성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20005346A Division KR950014873B1 (ko) | 1991-12-20 | 1992-03-31 | 프로세스카트리지 및 이 프로세스카트리지를 장착가능한 화상형성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50014874B1 true KR950014874B1 (ko) | 1995-12-16 |
Family
ID=27295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50032548A KR950014874B1 (ko) | 1991-12-20 | 1995-09-29 | 프로세스카트리지 및 이 프로세스카트리지를 장착가능한 화상형성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50014874B1 (ko) |
-
1995
- 1995-09-29 KR KR1019950032548A patent/KR95001487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50014873B1 (ko) | 프로세스카트리지 및 이 프로세스카트리지를 장착가능한 화상형성장치 | |
US5991570A (en) |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protection unit to protect a sensitive image forming element which is exposed when an open/close member is open | |
KR100331920B1 (ko) | 화상담지부재 보호용 셔터 메커니즘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 |
US6922537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heat mitigation devices | |
EP1538001B1 (en) | Preventing scattered toner and powder dust from entering the optical writing device | |
JP2002258565A (ja) | 画像形成装置 | |
US6236822B1 (en) | Shutter and process cartridge | |
KR950014874B1 (ko) | 프로세스카트리지 및 이 프로세스카트리지를 장착가능한 화상형성장치 | |
JP3200139B2 (ja)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前記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を装着可能な画像形成装置 | |
JP3262538B2 (ja)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 |
EP0272093B1 (en) | Process unit for an imaging apparatus | |
JP3200415B2 (ja)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前記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を装着可能な画像形成装置 | |
JPS63163863A (ja) | 像形成装置用処理ユニット | |
JPH10133550A (ja) |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 |
JP3609680B2 (ja) | シャッタ装置 | |
JP3592938B2 (ja) | 画像形成装置 | |
KR20000000962A (ko) | 프로세스카트리지 및 이 프로세스카트리지를 장착하는화상형성장치 | |
JP2004101672A (ja) |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 |
US10310443B1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JPH04247468A (ja) | 画像形成装置 | |
JP4364758B2 (ja) | 画像形成装置 | |
JP4098953B2 (ja) | 画像形成装置 | |
JPH0784500A (ja) | 電子写真記録装置 | |
JP2005284321A (ja) | 画像形成装置 | |
KR20050101439A (ko) |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51208 Year of fee payment: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