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1920B1 - 화상담지부재 보호용 셔터 메커니즘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담지부재 보호용 셔터 메커니즘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1920B1
KR100331920B1 KR1019990010207A KR19990010207A KR100331920B1 KR 100331920 B1 KR100331920 B1 KR 100331920B1 KR 1019990010207 A KR1019990010207 A KR 1019990010207A KR 19990010207 A KR19990010207 A KR 19990010207A KR 100331920 B1 KR100331920 B1 KR 100331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image forming
bearing member
image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0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8239A (ko
Inventor
수다다케오
요시나가히로시
Original Assignee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이토가 미찌야
Publication of KR19990078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8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1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19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8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directed to paper handling or jam treat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20Humidity or temperature control also ozone evacuation; Internal apparatus environment contro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0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photosensitive element
    • G03G2221/1609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photosensitive element protective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ama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45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ducting air through the machine, e.g. cool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 G03G2221/1687Frame structures using opening shell type machines, e.g. pivoting assembl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 G03G2221/169Structural door desig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는 토너화상을 형성하기위한 화상담지부재(畵像擔持部材), 상기 화상담지부재상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화상형성장치의 저측 부분으로부터 이송된 기록매체의 표면상으로 전사하도록 상기 화상담지부재에 근접하여 위치된 전사기구, 상기 토너화상이 기록매체상에 전사되어진 후에 상기 화상담지부재의 표면상에 잔류하는 토너를 제거함에 의해 상기 화상담지부재의 표면을 소제하기 위한 소제기구, 상기 기록매체가 통과할 때 기록매체의 표면상으로 전사된 토너화상을 정착시키도록 화상형성장치의 상부측에 제공된 정착기구, 전사기구와 정착기구 사이의 기록매체이송경로를 개방 및 폐쇄하도록 화상형성장치의 주몸체에 의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 개/폐부재, 및 상기 개/폐부재가 개방될 때 화상형성장치의 외측과 대면하는 화상담지부재의 표면 일부를 덮기 위한 보호위치와 상기 개/폐부재가 폐쇄될 때 화상담지부재의 표면 일부를 개방시키기 위한 후퇴위치를 이동할 수 있게 이동가능하도록 지지된 셔터를 포함하고, 상기 셔터의 후퇴위치는 화상담지부재와 정착기구 사이의 공간에 설정되며, 상기 셔터가 보호위치와 후퇴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동안에 화상담지부재와 대면하는 보호위치에서 유지될 때 화상담지부재의 표면 일부와 대면하는 그 셔터의 면과 함께 이동하도록 상기 셔터는 화상형성장치의 주몸체에 의하여 이동가능하도록 지지된다.

Description

화상담지부재 보호용 셔터 메커니즘을 갖는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SHUTTER MECHANISM FOR PROTECTING IMAGE BEARING MEMBER}
본 발명은 전사기구와 정착기구 사이에서 기록매체이송경로를 개방 및 폐쇄하도록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개/폐부재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개/폐부재가 개방되었을 때 화상담지부재(畵像擔持部材)(image bearing member)의 표면을 덮도록 셔터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개/폐부재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으로, 복사기, 팩시밀리, 프린터, 이러한 물품들이 갖는 최소한 2가지 기능을 포함하는 다기능 기계와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토너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담지부재, 화상담지부재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화상형성장치의 저부측 부분으로부터 이송되어진, 기록매체의 표면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화상담지부재에 근접하여 위치된 전사기구, 토너화상이 기록매체상으로 전사되어진 후에 화상담지부재의 표면상에 잔류하는 토너를 제거함에 의해 화상담지부애의 표면을 소제하도록 된 소제기구, 기록매체가 정착기구를 통과할 때 화상담지부재의 표면으로부터 전사된 토너화상을 기록매체의 표면으로 정착시키도록 화상형성장치의 상부측 부분에 갖추어진 정착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전사기구와 정착기구 사이의 기록매체이송경로를 개방 및 폐쇄하도록 화상형성장치의 주몸체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그 기록매체이송경로에 걸린 기록매체를 제거하기 위한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가 개방되어질 때 화상형성장치의 주몸체 외측으로 노출되어진 화상담지부재의 표면을 보호하도록 된 셔터메커니즘을 더 포함한다.
도1은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단면도이다. 이 화상형성장치는 도1에 도시한 바와같이 기록매체가 화상형성장치의 저측부분으로부터 상측부분으로 대략 직선이송경로를 통해 이송되어지기 때문에 장치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작게 할 수 있는 잇점을 가지며, 따라서 전체 기록매체이송경로는 상대적으로 짧다.
따라서 상기 기록매체가 전체 이송경로를 통해 이송되어질 시간간격이 매우 짧아질 수 있다.
나아가, 전술한 것처럼 개/폐부재를 개방함에 의해 상기 전사기구와 정착기구 사이의 기록매체이송경로가 화상형성장치의 주몸체 외부로 노출되어지기 때문에, 상기 전사기구와 정착기구 사이의 기록매체이송경로에서 걸린 기록매체가 쉽게 제거될 수 있다.
전술한 도1의 화상형성장치에서, 상기 개/폐부재가 개방되어질 때, 상기 개/폐부재와 대면하는 화상담지부재의 표면측 부분이 화상형성장치의 외부로 노출되어지고 화상형성장치의 외부로부터 도착한 빛을 수용한다. 따라서, 상기 개/폐부재는 장시간동안 개방된 상태로 유지될 때, 상기 화상담지부재가 그 빛을 수용함에 의해 열화된다.
게다가, 상기 전사기구와 정착기구 사이의 기록매체이송경로에 걸린 기록매체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개/폐부재가 사용자에 의해 개방되어질 때, 화상담지부재의 표면 노출부가 손에 접촉되거나 걸린 기록매체와 접촉되면, 상기 화상담지부재의 표면이 오염되거나 손상될 수 있다. 만약 화상이 오염되거나 손상된 상기 화상담지부재의 표면상에 형성되면, 화상의 질이 저하된다.
일본국 공개특허 제6-186798호는 상기 개/폐부재가 개방될 때 노출되어진 화상담지부재의 표면을 보호하도록 셔터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의 일례를 개시한다.
도6은 상기 전사기구와 정착기구 사이의 기록매체이송경로를 개방 및 폐쇄하도록 장치의 주몸체에 의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에서 상기 개/폐부재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단면도이고, 여기에서 화상담지부재의 표면을 덮기 위한 셔터가 개방되어 있으며, 도7은 도6의 화상형성장치에서 상기 개/폐부재의 개방상태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상기 셔터 132는 한쌍의 피봇 131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상기 셔터 132는 도6에 도시된 바와같이 일점쇄선 TA의 부분원으로 나타낸 방향에서 한쌍의 피봇 131 주변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개/폐부재 23이 개방될 때, 화상담지부재를 덮도록 상기 셔터 132가 보호위치로 이동하고, 전사기구 11이 도7에 도시한 바와같이 화상담지부재로부터 분리되어지며, 상기 개/폐부재 23이 폐쇄될 때, 상기 셔터 132이 후퇴위치로 후퇴하고, 도6에 도시한 바와같이 화상담지부재의 표면에 있는 토너화상이 전사기구 11에 의해 기록매체 Pa의 표면상으로 전사되도록 상기 전사기구 11은 상기 화상담지부재와 대면하는 위치로 회전한다.
상기한 종래기술의 셔터 132가 회전이동을 위하여 상대적으로 큰 공간을 요구하기 때문에, 화상형성장치가 매우 커진다. 만약, 상기한 셔터 132를 갖춘 화상형성장치의 주몸체가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지면, 상기 화상담지부재근처에 배치된 전사기구 11 및 정착기구 14등과 같은 기구들이 상기 셔터 132 근처의 상대적으로 좁은 공간내에 배치되어져야만 하고, 상기 셔터 132이 회전될 때 상기 기구들이 그 셔터와 간섭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셔터 132 주변에 기구들을 배치하는데 있어서의 유연성이 감소될 것이다.
나아가, 상기 전사기구 11과 정착기구 14 사이의 기록매체이송경로에 걸린 기록매체 Pa를 제거하도록 상기 개/폐부재 23이 개방되고 상기 화상담지부재를 덮도록 상기 셔터 132가 후퇴위치로부터 보호위치로 회전할 때, 상기 걸린 기록매체 Pa는 도7에 도시한 바와같이 회전셔터 132와 화상담지부재 사이에서 끼워지게 될 것이다. 따라서, 만약 상기 기록매체 Pa가 사이에서 끼워지면, 사용자가 사용자의 손으로 셔터 132를 개방시킴에 의해 걸린 기록매체 Pa를 제거하여야만 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손으로 화상담지부재의 표면을 건드릴 가능성이 증가하고 걸린 기록매체 Pa의 제거작업이 보다 복잡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에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들 문제점을 처리하고 해결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도1은 화상형성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단면도;
도2는 도1의 화상형성장치에서 개/폐부재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
도3은 도1의 화상형성장치의 부분확대도;
도4는 화상형성장치의 주몸체, 화상형성유니트, 셔터, 개/폐부재 및 아암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5는 개/폐부재의 개/폐동작에 연계하는 셔터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6은 종래기술의 수직이송방법을 채택하는 전형적인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도7은 도6의 화상형성장치에서 개/폐부재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화상담지부재(畵像擔持部材)
11 ... 전사기구
12 ... 소제기구
14 ... 정착기구
23 ... 개/폐부재
33 ... 팬
34,34A ... 아암
P ... 전사용지
Pa ... 기록매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새로운 화상형성장치는 토너화상을 형성하도록 된 화상담지부재, 상기 화상담지부재의 표면에 형성된 상기 토너화상을 저부측으로부터 이송되어진 기록매체의 표면에 전사하도록 상기 화상담지부재에 근접하여 위치된 전사기구, 상기 토너화상이 기록매체상으로 전사되어진 후에 상기 화상담지부재의 표면에 잔류하는 토너를 제거함에 의해 상기 화상담지부재의 표면을 소제하도록 된 소제기구, 상기 기록매체가 통과될 때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상으로 전사된 상기 토너화상을 정착시키도록 상측 부분에 제공된 정착기구, 상기 전사기구와 상기 정착기구 사이의 기록매체 이송경로를 개방 및 폐쇄하도록 주몸체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 개/폐부재, 및 상기 개/폐부재가 개방되어질 때 외부와 대면하는 상기 화상담지부재의 표면 일부를 덮도록 된 보호위치와, 상기 개/폐부재가 폐쇄되어질 때 상기 화상담지부재의 상기 표면 일부를 개방하도록 된 후퇴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셔터를 포함하고, 상기 셔터의 후퇴위치는 상기 화상담지부재와 정착기구 사이의 공간에 설정되며, 상기 셔터가 보호위치와 후퇴위치 사이를 이동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화상담지부재와 대면하고 있는 보호위치에 머무르고 있을 때, 화상담지부재의 표면 일부와 마주하는 셔터의 면과 함께 이동하도록 주몸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상기 새로운 화상형성장치는 주몸체의 측부에 지지되는 정착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새로운 화상형성장치는 주몸체 내부의 공기를 주몸체로부터 바깥쪽으로 배출시키도록 주몸체 내부에 제공되는 하나의 팬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정착기구는 토너화상을 가열함에 의하여 상기 기록매체상으로 전송된 토너화상을 정착시키도록 형성되며, 상기 팬의 위치는 그 팬에 의해 형성된 공기흐름이 상기 후퇴위치에서 셔터를 통과하게 형성된다.
상기 소제기구는 상기 화상담지부재에 대한 상측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셔터의 후퇴위치는, 그 셔터가 상기 후퇴위치에 있을 때 셔터가 상기 소제기구와 정착기구사이의 공간에 위치되며 그 셔터가 보호위치에 있을 때 화상담지부재와 대면하는 상기 셔터의 면이 상기 소제기구의 상측표면에 대면하여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셔터가 후퇴위치에 있을 때, 상기 셔터는 공기흐름이 셔터와 소제기구 사이에 형성된 공기틈새를 통과하도록 소제기구의 상측 표면으로부터 분리하여 위치된다.
또한, 상기 새로운 화상형성장치에서, 한쌍의 아암에 대한 단부들이 몸체에서의 길이방향 단부에서 각각 상기 셔터에 연결되고 상기 한쌍의 아암에 대한 다른 단부들이 주몸체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며, 상기 셔터가 후퇴위치에 있을 때, 상기 아암들의 연결된 단부들은 공기가 상기 한쌍의 아암사이의 공기틈새를 통과하여 흐르도록 상기 소제기구의 상측표면보다 상부측에 위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기재되어지며, 여기에서 여러 도면들을 통해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들은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도1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 1은 레이저 프린터를 형성한다. 화상담지부재 2의 일례인 드럼형 광전도성 요소 2가 화상형성장치 1의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광전도성 요소 2는 화상형성운전이 수행될 때 도1에 도시된 것처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광전도성 요소 2의 표면은 대전스테이션에서 대전기구의 일례인 대전롤러 3에 의해 미리 결정된 극성을 가지는 균일한 전기전하가 부여된다. 미리 결정된 극성을 가지는 전압이 (미도시된)전원팩(power pack)에 의해 대전롤러 3에 가해지고, 상기 대전롤러 3이 광전도성 요소 2의 표면과 같이 동일한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광전도성 요소의 표면과 접촉하게 된다. 또한 대전블레이드 또는 코로나 대전기구가 대전롤러 3 대신에 대전기구로서 사용되어질 수 있다.
광로출기구로서 갖추어진 레이저광 시스템 4로부터 방사되고 광학변조된 레이저광 L이 광전도성 요소 2와 대면하여 위치된 노출스테이션에서 광전도성 요소 2의 대전 표면에 조사되어진다. 상기한 노출은 광전도성 요소 2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정전잠상은 상기 광전도성 요소 2와 대면하는 곳에 위치된 현상스테이션에서 현상장치 5에 갖추어진 현상재 담지부재인 현상롤러 6에 의해 이송된 토너와 담체를 포함하는 분말형 현상혼합제 DA의 사용에 의해 가시적인 토너화상으로 현상된다. 따라서, 상기 토너화상은 광전도성 요소 2의 표면에 형성된다.
용지이송기구 7이 상기 화상형성장치 1의 주몸체의 저부측 부분에 배치되고, 용지급송카세트 8에 저장된 기록매체인 전송용지 P가 용지이송롤러 9의 회전에 의해 거기에서 각각 이송된다. 상기 이송된 전사용지 P는 전사스테이션 TR을 향하여 상부로 이송되고, 상기 전사스테이션 TR은 상기 광전도성 요소 2의 표면상에 형성된 토너화상의 선단가장자리와 함께 전사용지 P의 선단가장자리를 등록하는 그때에 한쌍의 등록롤러 10에 의해 전사기구인 전사롤러 11과 광전도성 요소 2 사이에서 형성된다.
상기 전사용지 P가 전사스테이션 TR을 통과할 때, 광전도성 요소 2상에 형성된 토너화상은 전사용지 P의 표면상에 전사된다. 상기 전사롤러 11은 전사용지 P를 통해 상기 광전도성 요소 2와 접촉하여 회전하고, 광전도성 요소 2상에 토너화상을 형성하는 토너의 전기전하의 극성과 반대극성을 가지는 전압이 상기 전사롤러 11에 가해진다.
상기 광전도성 요소 2의 표면상에 형성된 토너화상은 상기한 동작에 의하여 전사용지 P의 표면상으로 전사되어진다. 전사블레이드, 전사브러쉬, 코로나 대전기등이 전사기구로써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사기구는 상기 토너화상을 광전도성 요소 2로 이루어진 화상담지부재 2의 표면으로부터 전사스테이션 TR에서 용지이송기구 7로부터 이송되어진 전사용지 P의 표면상으로 전사한다.
상기 전사용지 P상으로 전사되어지지 않고 상기 광전도성 요소 2의 표면상에 고착된 잔류토너 T는 그 광전도성 요소 2의 표면을 제거하도록 갖추어진 소제기구 12의 소제부재 13에 의해 제거되어진다.
상기 전사용지 P는 방전침 28을 포함하는 분리기구의 방전효과에 의하여 상기 광전도성요소 2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전사스테이션 TR을 통과한 전사용지 P는 도1에 화살표 A로 나타낸 것처럼 상부로 이송되고 정착기구 14를 통과한다. 도1에 도시된 정착기구 14는 정착롤러 16과 압력롤러 17 모두를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정착케이스 15를 포함하고, 상기 정착롤러 16은 (미도시된)히터를 가진다.
상기 정착롤러 16과 압력롤러 17은 화살표 E와 F로 나타낸 방향으로 상기 정착롤러 16과 압력에 의해 서로 접촉하는 도1에 도시된 압력롤러 17 주위를 회전하고, 상기 전사용지 P는 그 사이를 통과한다. 상기 정착롤러 16은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되어지고 상기 전사용지 P의 표면상에서 형성된 토너화상이 상기 정착롤러 16의 열과 상기 정착롤러 16과 압력롤러 17 사이의 압력에 의하여 정착된다. 따라서, 상기 정착기구 14는 적어도 열에 의하여 토너를 상기 광전도성 요소 2로부터 전사용지 P인 기록매체상으로 정착시키는 가열정착기구를 이룬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도록 제공된 정착기구 14는 상기 화상담지부재 2에 대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 1의 상부측으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정착기구 14를 통과하는 전사용지 P가 한쌍의 배출롤러 19를 회전시킴에 의해 하부측으로 대면하는 화상을 나르는 표면을 가지고 용지배출트레이 20으로 배출된다. 상기 화상형성장치 1은 외측 커버 21과 주몸체 프레임 18을 포함하고,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20은 상기 외측 커버 21의 상측 부분에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같이 화상형성장치 1에서, 상기 전사용지 P는 상기 광전도성요소 2보다 낮은 위치로부터 전사스테이션 TR로 이송된다. 상기 전사스테이션 TR을 통과한 전사용지 P는 상기 광전도성 요소 2에 대하여 상부위치로 이송되고 상기 정착기구 14를 통과한 후에 용지배출트레이 20으로 배출된다. 도1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사용지가 저부측 부분으로부터 장치의 상부측 부분으로 수직하게 이송되어지는 전사용지 이송방법은 일반적으로 수직이송방법으로 불리워진다. 상기 용지이송기구 7로부터 용지배출트레이 20으로 이송되어질 전사용지 P에 대한 전체 이송경로는 수직이송방법을 채택함에 의해 짧아질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화상형성장치 1이 작은 크기로 구성될 수 있고 연속된 화상형성동작시에 첫 번째 전사용지 P에 대한 화상형성시간간격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광전도성 요소 2, 대전롤러 3, 현상장치 5, 및 소제기구 12가 단일화된 화상형성유니트 22를 형성하도록 조합된다. 상기 단일화된 화상형성유니트 22는 화상형성유니트 22를 덮도록 된 유니트케이스 25를 포함한다. 상기 유니트케이스 25의 일부분이 상기 현상제혼합제 DA를 포함하는 현상제컨테이너 26의 부분으로 제공된다. 상기 현상제컨테이너 26의 일부분이 현상장치 5의 대다수의 부분으로 제공된다. 또한, 상기 유니트케이스 25의 일부분이 소제케이스 27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상기 소제부재 13에 의해 광전도성 요소 2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된 잔류토너 T가 내부에 포함된다. 상기 화상형성유니트 22는 화상형성장치 1의 주몸체에 제거가능하도록 부착된다.
상기 화상형성부재 2가 유니트케이스 25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미도시된)구동기구에 의해 구동된다.
도1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예에서, 화상형성유니트 22는 화상담지부재 2와같은 화상형성요소들, 대전롤러 3, 현상장치 5, 소제기구 12 및 화상형성요소들을 덮기위한 유니트케이스 25를 포함한다. 그러나, 변형예로서, 상기 화상형성유니트 22는 화상담지부재 2와 적어도 하나의 화상형성요소를 조합함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화상형성유니트 22에서, 전사롤러 11과 같은 전사기구와 대면할 수 있도록 광전도성 요소 2의 일부분이 화상형성유니트 22의 유니트케이스 25에 대한 일부분에서 형성된 개구 29를 통해 유니트케이스 25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다른 변형예로서, 광전도성 요소 2와 다른 화상형성요소가 화상형성유니트 22를 형성하지 않고 화상형성장치 1의 주몸체에 의해 직접 지지되어도 좋다.
일반적으로, 사용자(운전자)는 도1의 우측에 서서 화상형성장치 1을 동작시키고 따라서 도1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 1의 우측이 화상형성장치 1의 전방측으로 표시된다. 도1에 대한 화상형성장치 1의 우측에서, 개/폐부재 23이 화상형성장치 1의 주몸체에 의해 회전 및 선회가능하도록 지지되고, 그 회전은 화상형성장치 1의 주몸체 저부측 부분에 위치된 한쌍의 피봇 주변을 중심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개/폐부재 23은 도1에 도시한 바와같이 화상형성장치 1의 전사스테이션 TR과 정착기구 14 사이의 이송경로를 덮는 폐쇄위치에서 유지한다. 상기 한쌍의 피봇 24는 주몸체 18의 좌우측 플레이트 30과 30A에 각각 장착된다(도4 참조).
사용자가 상기 개/폐부재의 상측 부분을 잡고 밀 때, 상기 개/폐부재 23은 한쌍의 피봇 24 주변에서 회전하고, 도2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사스테이션 TR과 정착기구 14 사이의 이송경로가 개방된다. 상기 전사롤러 11과 방전침 28이 상기 개/폐부재 23에 지지되고, 따라서 상기 개/폐부재 23이 개방될 때, 상기 전사롤러 11과 방전침 28이 도2에 도시한 바와같이 화상형성장치 1의 주몸체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전사스테이션 TR과 정착기구 14 사이의 이송경로가 상기한 것처럼 개방되기 때문에, 거기에 끼워진 전사용지 P가 쉽게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사스테이션 TR과 정착기구 14 사이의 이송경로가 개방되도록 상기 개/폐부재 23이 화상형성장치 1의 주몸체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나아가, 상기 화상형성유니트 22가 교체를 위하여 화상형성장치 1의 전방측에서 제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화상형성유니트 22의 부가에 더하여, 전사용지들 P를 가지는 용지이송기구 7에 갖추어진 용지이송카세트 8의 보충을 위하여 용지이송기구 7이 화상형성장치 1의 전방측(도1의 우측)으로부터 끌어당겨질 수 있다. 전사용지 P를 보충한 후에 상기 용지이송기구 7이 화상형성장치 1의 후방측(도1의 좌측)으로 밀려 넣어지고, 도1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사용지 P의 이송위치에 놓여진다.
전술한 바와같이 상기 개/폐부재 23이 회전위치로 회전될 때, 상기 전사스테이션 TR과 정착기구 14 사이의 이송경로가 화상형성장치 1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상기 광전도성 요소 2의 일부분이 개구 29를 통해 유니트케이스 25의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손으로 상기 광전도성 요소 2의 표면을 건드려 그 광전도성 요소 2의 표면을 손상시키거나, 만약 상기 광전도성 요소 2가 장시간동안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면 상기 광전도성 요소 2의 표면이 화상형성장치 1의 외부로부터 들어온 열을 받음에 의해 열화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상기 화상형성장치 1은 광전도성 요소 2를 보호하기 위한 셔터유니트를 가지도록 제공된다. 상기 개/폐부재 23이 도2에 도시된 것처럼 개방될 때 개구 29를 통해 노출된 광전도성 요소 2를 덮기 위한 보호위치와, 상기 개/폐부재 23이 도1에 도시된 것처럼 폐쇄될 때 화상담지부재 2의 표면 일부를 개방시키기 위한 후퇴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상기 셔터유니트가 유니트케이스 25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다음에, 상기 셔터유니트의 지지메커니즘을 설명한다. 도4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셔터유니트는 셔터 31과, 상기 셔터 31의 단부에 각각 연결된 아암 34와 34A를 형성한다. 장착구멍 35와 35A가 상기 아암 34와 34A의 베이스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유니트케이스 25의 측부 플레이트로부터 돌출하는 피봇 36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끼워진다(도4는 일측 플레이트만을 도시한다). 상기 아암 34와 34A는 서로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셔터 31의 평활면이 피봇 36에 대한 아암 34와 34A의 회전이동의 반경방향에 대해 사각형상을 가지도록 상기 아암 34와 34A가 상기 셔터 31에 연결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상기 아암 34와 34A에 연결된 셔터 31은, 상기 피봇 36에 대한 아암 34와 34A의 회전이동에 의하여, 도2에 도시된 보호위치와, 도1에 도시된 후퇴위치 사이를 이동한다.
상기 셔터유니트는 본 실시예에서 화상형성장치의 주몸체에 분해가능하도록 부착된 유니트케이스 25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지만, 상기 셔터유니트는 화상형성장치 1의 주몸체에 의해 직접 지지되어져도 좋다.
상기 개/폐부재 23이 개방될 때, 상기 셔터 31은 유니트케이스 25의 개구 29를 덮도록 보호위치에서 유지하고, 따라서 도2에 도시한 바와같이 광전도성 요소 2는 화상형성장치 1의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빛에 직접 노출되는 것과 사용자의 손에 의해 직접 접촉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개/폐부재가 도1에 도시된 것처럼 폐쇄될 때, 상기 셔터 31은 광전도성 요소 2와 정착기구 14 사이의 공간 S에서 유지하고 상기 개구 29를 덮기 위한 위치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상기 광전도성 요소 2는 상기 개구 29를 통해 유니트케이스 25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광전도성 요소 2가 전사스테이션 TR을 형성하는 위치로 복귀된 전사롤러 11과 대면한다. 따라서, 상기 전사용지 P는 셔터 31에 의하여 차단되지 않고 전사스테이션 TR을 통해 이송될 수 있도록 하고, 화상전사운전이 부드럽게 수행될 수 있다.
도3은 후퇴위치에서 머무르고 있는 셔터 31의 상태를 설명하는, 도1의 화상형성장치의 부분확대도이다. 상기 개/폐부재 23이 개방될 때, 상기 셔터 31이 후퇴위치로부터 상기 개/폐부재 23이 폐쇄될 때 그 개/폐부재 23의 이동과 연관하는 화상담지부재 2에 대한 보호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하도록 셔터유니트가 형성되고, 상기 셔터 31이 후술하는 것처럼 상기 개/폐부재 23의 이동과 관련된 보호위치로부터 후퇴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한다.
상기 개/폐부재 23이 개방동작에 의해 개방될 때, 도2에 도시된 것처럼 개방된 화상형성장치 1의 주몸체에 대한 개방부 1A에 대면하는 광전도성 요소 2A의 표면에 대한 일부와 대면하고 있는 상기 셔터 31의 면 31A와 함께 상기 셔터유니트가 보호위치로 회전한다. 상기 셔터 31가 보호위치와 후퇴위치 사이를 이동하거나 도1 내지 도3에 도시한 바와같이 보호위치나 후퇴위치에서 유지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셔터 31의 면 31A가 항상 광전도성 요소 2와 대면하도록 상기 셔터유니트가 회전된다. 상기 셔터 31의 면 31A가 화상담지부재 2의 노출부분과 상기 화상담지부재 2를 덮고 있는 유니트케이스 25의 외측 표면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상기 셔터유니트가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셔터유니트의 회전이동에 의해 점령된 공간이 감소될 수 있고 화상형성장치 1의 주몸체의 크기가 줄어들 수 있다.
도6과 7은 셔터 132를 포함하는 종래의 화상형성장치 1을 설명하는 부분단면도이다. 도1 내지 3에서 보여지는 것과 부합하는 요소들은 동일한 부호를 나타낸다. 도6은 개/폐부재 23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고 여기에서 상기 셔터 132는 후퇴위치에서 머무른다. 도7은 상기 개/폐부재 23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며 여기에서 상기 셔터 132는 광전도성 요소 2에 대한 보호위치에서 유지된다. 상기 셔터 132는 한쌍의 피봇 131에 대한 일측 단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한쌍의 피봇 131은 도6에 도시한 것처럼 화상형성유니트 22의 유니트케이스 25상에 상기 화상담지부재 2(광점도성 부재 2)보다 상대적으로 상부측 위치에서 제공된다. 상기 셔터 132는 도6과 7에 도시된 것처럼 셔터 132 자체로써 동일 평면상에 회전축을 가지는 대략 평활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셔터 132가 보호위치와 후퇴위치 사이에서 한쌍의 피봇 131 주위를 중심으로 회전할 때, 상기 셔터 132는 그 자체의 자유단으로 상대적으로 큰 부분원을 그리면서 도6에 일점쇄선 TA로 나타낸 부분원과 같이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셔터 132이 회전하기에는 상대적으로 큰 공간이 요구되고, 화상형성장치 1의 주몸체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크게 될 수 있다.
나아가, 화상형성장치 1이 도6과 7에 도시된 것처럼 수직이송방법을 제공할 때, 이송경로를 통해 이송되어지고 있는 전사용지 Pa가 진동하고 전사스테이션 TR과 정착기구 14 사이의 이송경로를 통해 수직하게 이송되어지고 있을 때 특별히 중력의 힘에 기인하여 안정성이 없기 때문에, 상기 셔터 132가 이송경로를 통과할려는 전사용지 Pa를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셔터 132는 전사스테이션 TR과 정착기구 14 사이의 이송경로로부터 먼 위치로 후퇴되어야 할 것이 요구된다. 수직이송방법을 채택하는 종래의 화상형성장치 1의 셔터 132가 도6에 도시된 장소에서 위치된 한쌍의 피봇 131 주위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셔터 132는 전술한 것처럼 회전을 위한 큰 공간을 필요로 한다.
비록 상기 전사용지 Pa가 진동하고 전사스테이션 TR과 정착기구 14 사이의 이송경로를 통하여 수직하게 이송되어지고 있을 때 특별히 중력의 힘에 기인하여 안정된 상태가 아닐지라도, 도1 내지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1의 셔터 31은 전사스테이션 TR과 정착기구 14 사이의 이송경로로부터 그렇게 먼 위치로 후퇴할 필요가 없으며, 이는 전술한 바와같이 셔터유니트가 그 셔터 31의 면 31A를 광전도성 요소 2와 항상 대면하여 유지하도록 회전하고 셔터유니트의 회전이동을 위하여 요구되는 공간이 적기 때문이다.
나아가, 도6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사용지 Pa가 전사스테이션 TR과 정착기구 14 사이의 이송경로에서 걸릴 때, 사용자는 도7에 도시한 것처럼 걸린 전사용지 Pa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개/폐부재 23을 개방시킨다. 종래의 화상형성장치 1에서, 셔터 132가 상기 개/폐부재 23의 개방동작과 맞물려 도6에 도시된 후퇴위치로부터 도7에 도시된 보호위치로 회전하기 때문에, 상기 개/폐부재 23이 개방되고 따라서 상기 셔터 132가 보호위치로 회전할 때, 상기 셔터 132는 전사스테이션 TR과 정착기구 14 사이의 이송경로에 걸린 전사용지 Pa와 접촉하게 되며 계속하여 그 전사용지 Pa를 굽힐 것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셔터 132는 도7에 도시한 것처럼 광전도성 요소 2와 셔터 132 사이에 전사용지 Pa를 끼울 것이다. 상기 전사용기 P가 끼워질 때, 전사용지 P의 제거작업은 복잡하게 되고 사용자가 손으로 광전도성 요소 2를 건드릴 가능성이 크게 된다.
반대로,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 1에서, 사용자가 도3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사스테이션 TR과 정착기구 14 사이의 이송경로에 걸린 전사용지 Pa를 제거하기 위해 개/폐부재 23을 개방시킬 때, 셔터 31은 개/폐부재 23의 이동과 맞물려 도3에서 파선 K로 나타낸 방향을 따라 후퇴위치로부터 보호위치로 이동한다. 상기 셔터 31은 전사용지 Pa와 전사용지 Pa와 광전도성 요소 2 사이의 보호위치에 위치되어질 유니트케이스 25 사이의 간극 M을 통과한다. 따라서, 상기 전사용지 Pa는 셔터 31과 광전도성 요소 2 사이에 끼워지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으로 광전도성 요소 2의 표면을 건드리지 않으면서 걸린 전사용지 Pa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나아가, 종래의 화상형성장치 1에서, 도6과 7에 도시된 셔터 132가 전술한 것처럼 상대적으로 큰 부분원을 그리면서 회전하기 때문에, 상기 셔터 132는 전사롤러 11과 같이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요소, 또는 화상형성장치 1의 정착기구 14와 간섭하고, 따라서 상기 요소들을 배치하기 위한 유연성이 상당히 제한된다. 예를들어, 상기 정착기구 14가 도6과 7에 도시한 것처럼 화상형성장치 1의 주몸체내의 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개/폐부재 23이 개방되고 셔터 132가 개/폐부재 23의 개방위치를 따라 후퇴위치로부터 보호위치로 회전할 때, 상기 회전셔터 132는 정착기구14와 간섭한다. 만약, 도6 및 7에서 셔터와 간섭하는 것을 피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정착기구 14가 상기 전사스테이션 TR로부터 더 분리된 위치에서 화상형성장치 1의 더 상측 부분에 위치되면, 화상형성장치 1의 화상크기는 상대적으로 크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화상형성장치 1에서의 정착기구 14는 개/폐부재 23이 개방될 때, 정착기구 14가 주몸체로부터 셔터 132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로 분리되어지도록 화상형성장치 1의 주몸체에 지지되지 않고 개/폐부재 23에 지지된다. 그러나, 상기한 것처럼 정착기구 14가 개/폐부재 23에 지지될 때, 광전도성 요소 2가 화상형성장치 1의 주몸체에 지지되는 동안에, 정착기구 14와 광전도성 요소 2 사이의 평행을 포함하는 상대적인 위치정밀도가 확보되기 어렵다.
따라서, 상기 정착기구 14에 포함된 상기 정착롤러 16과 압력롤러 17의 회전축 각각은 광전도성 요소 2와 정확하게 평행한 상태에 위치되지 않고 전사용지 Pa에 주름을 초래하여 상기 정착기구 14에서 용지걸림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대적인 위치정밀도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개/폐부재 23은 높은 제조단가를 초래하는 강체구조물을 가지도록 요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 1에서, 정착기구 14는 상기 개/폐부재 23에 의하여 지지되지 않고 화상형성장치 1의 주몸체상에 지지된다. 게다가, 상기 전사스테이션 TR과 정착기구 14 사이의 거리는 상대적으로 짧다. 그러나, 셔터 31이 유니트케이스 25의 외측표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셔터유니트가 회전하기 때문에, 셔터 31과 정착기구 14 사이에서 간섭될 가능성이 없다. 게다가, 상기 정착 기구 14와 광전도성 요소 2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정밀도는 상기정착기구 14가 화상형성장치 1의 주몸체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쉽게 유지될 수 있다.
도6에 도시된 종래의 화상형성장치 1에서, 화상형성운전이 화상형성장치 1에 의해 수행될 때, 만약 많은 양의 열이 정착기구 14로부터 방사되고 그 열이 광전도성 요소 2와 다른 화상형성요소들에 전달되면, 상기 광전도성 요소 2와 다른 화상형성요소들이 열화될 것이다. 게다가, 현상장치 5의 현상제컨테이너에 채워진 토너파우더가 열을 받을 때, 토너파우더의 수지성분이 그 열에 의해 용융되고, 토너블로킹의 원인이 될 수 있도록 모이게 되며, 따라서 토너화상의 질이 현저하게 열화되며, 모여진 토너가 소제기구 27의 입구측으로 부드럽게 들어가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 소제케이스 27이 미리 결정된 잔류토너 T의 양을 포함할 수 없게 된다.
도1 내지 도3에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화상형성운전이 후퇴위치에서 유지하는 상기 셔터 31을 갖추어 수행될 때, 상기 셔터 31이 전술한 것처럼 광전도성요소 2와 정착기구 14 사이의 공간 S에서 위치되기 때문에, 정착기구 14로부터 방사된 열이 셔터 31에 의하여 차단되어진다. 따라서, 많은 양의 열이 광전도성요소 2, 소제기구 12 및 현상장치 5와 같은 화상형성요소들 각각에 도달하지 않고, 따라서 화상형성요소들 각각의 열화와 토너블로킹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그러나, 화상형성운전이 장시간동안 수행될 때, 상기 셔터 31이 정착기구 14에 의해 방사된 열에 의해 상대적으로 고온으로 가열되기 때문에, 열이 광전도성 요소 2와, 소제기구 12와 같은 다른 화상형성요소들 및 현상장치 5에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도1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나의 팬 33이 공기를 화상형성장치 1의 주몸체에 형성된 배출구 32를 통해 화상형성장치 1의 주몸체에서 외부로 배출하도록 제공된다. 공기가 후퇴위치에서 유지하는 셔터 31을 지나서 통과하도록 공기의 흐름이 팬 33의 동작에 의해 형성된다. 특별히, 후퇴위치에서 유지하는 셔터 31 주위의 공기가 도3에 화살표 B로 나타낸 방향으로 흐르도록 화상형성장치 1에 대한 주몸체 내부의 공기가 팬 33의 동작에 의해 순환된다. 따라서, 상기 셔터 31은 상기 공기흐름에 의해 냉각되고 상대적으로 고온으로 가열되는 것이 방지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에서, 상기 소제기구 12가 화상담지부재 2에 비하여 더 높은 상측 부분에서 화상형성장치 1에 위치된다. 도3에 도시된 바와같이, 셔터 31이 후퇴위치에서 유지될 때, 상기 셔터 31은 소제기구 12와 정착기구 14 사이의 공간 S에 위치된다. 상기 셔터 31의 면 31A는 소제기구 12의 상부면과 대면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소제기구 12의 상부면과 대략 평행하게 위치된다. 게다가, 공기의 흐름이 셔터 31과 소제기구 12 사이의 공기틈새를 통해 흐를수 있도록, 셔터 31이 후퇴위치에서 유지할 때 상기 셔터 31은 소제기구 12의 상부표면으로부터 분리상태로 위치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공기는 셔터 31의 상하부에 형성된 공기틈새를 통과하여 부드럽게 유동하고, 여기에서 공기의 대부분이 일방향으로 유동하며, 따라서 상기 셔터 31은 효과적으로 냉각된다. 상기 정착기구 14로부터 화상형성유니트 22로의 열전달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셔터 31이 열 차단을 위한 중공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셔터 31의 단열효과를 증가시키도록 단열재가 상기 중공부에 장착되어도 좋다. 그러나, 상기한 것처럼 후퇴위치에서 유지하는 상기 셔터 31이 팬 33에 의해 기인된 공기흐름의 경로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때, 비록 셔터 31이 중공형으로 형성되지 않거나 단열재가 중공형 셔터 31의 내부에 장착되지 않더라도, 정착기구 14로부터 화상형성유니트 22로의 열전달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셔터유니트의 제조단가가 감소되고 그 셔터유니트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적게 형성될 수 있다.
도1 내지 4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셔터 31의 면 31A에 대한 반대측 외부 표면상에 복수개의 리브 44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셔터 31이 도1과 도3에 도시된 후퇴위치에서 유지될 때, 상기 셔터 31의 외부 표면을 따라 흐르는 공기흐름이 상기 리브 44에 의하여 팬 33측으로 안내되어진다. 상기 리브 44에 의해, 공기는 상기 셔터 31의 표면을 따라 팬 33측으로 보다 부드럽게 유동하고 상기 셔터 31이 더 효과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도1에서 도시된 예에서, 배출구 32가 주몸체 프레임 18의 일측 플레이트 30A에 형성되고 상기 팬 33은 배출구 32의 일부분에 장착되어진다. 도4에서, 장치의 전방측에서 볼 때 팬 33이 주몸체의 우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공기가 팬 33측으로 부드럽게 안내되도록, 상기 리브 44가 팬 33측, 즉 도4의 전방우측 방향으로 기울어진다. 상기 리브 44는 공기를 팬 33측으로 안내하도록 하는 공기안내기구에 대한 일례이다.
나아가, 도1, 3 및 4로부터 명백하듯이, 상기 셔터 31이 후퇴위치에서 유지될 때, 도4에 도시된 아암 34와 34A 사이의 공기틈새(도 3의 G 참조)을 통하여 공기가 흐르도록, 상기 아암 34와 34A의 연결단부들이 소제기구 12의 상부표면보다 더 상측 부분의 화상형성장치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셔터 31이 후퇴위치에서 유지될 때, 공기가 셔터 31과 소제기구 12 사이의 공기틈새를 통하여 확실하게 유동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셔터유니트가 회전가능하고 상기 아암 34와 34A를 통해 화상형성유니트 2의 유니트케이스 25상에 직접 지지되어지기 때문에, 상기 셔터 31이 상기 개구 29를 확실하게 폐쇄 또는 개방시키며, 즉, 만약 상기 셔터 31이 유니트케이스 25가 아닌 다른 위치에서 지지되어지면, 상기 셔터 31과 개구 29 사이의 위치정밀도가 그 셔터 31과 유니트케이스 25 사이의 위치관계에 대한 요동에 기인하여 오락가락하게 될 것이며, 게다가, 상기 셔터유니트는 다른 유니트에 더 형성될 화상형성유니트 22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화상형성유니트 22와 셔터 31은 화상형성유니트 22에 대한 유지, 상기 유니트 22에 대한 부품들의 교체등이 수행될 때 쉽게 조작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 1에서, 전술한 것처럼 후퇴위치의 셔터 31이 정착기구 14와 유니트케이스 25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정착유니트 14로부터 화상형성유니트 22로의 열전달은 유니트케이스 25의 외표면상에 절연재를 장착하지 않고도 효과적으로 방지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정착기구 14로부터 화상형성유니트 22에로의 열전달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화상형성유니트 22의 제조단가는 유니트케이스 25에 대한 절연제를 제거함에 의하여 감소된다.
상기 현상장치 5의 토너가 고갈될 때, 상기 화상형성유니트 22는 교체를 위해 제거되는 교체가능한 구성요소이고, 상기 소제기구 12는 광전도성요소 2의 표면으로부터 회수된 잔류토너 T로 채워지며, 또는 상기 광전도성요소 2는 열화된다. 만약, 상기 화상형성유니트 22의 제조단가가 증가되면, 사용자는 화상형성유니트 22의 교체를 위하여 상대적으로 큰 경제적인 부담을 받는다. 그러나,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 1에서, 상기 화상형성유니트 22는 절연재를 장착하지 않으며,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은 해소된다.
나아가, 화상형성장치 1에서, 상기 개/폐부재 23이 개방위치에서 폐쇄위치로 이동할 때, 동시에 상기 셔터 31이 보호위치로부터 상기 후퇴위치 및 반대위치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셔터 31이 개/폐부재 23의 이동과 연동하도록 하는 연동기구가 제공된다. 즉, 상기 셔터 31은 개/폐부재 23의 개/폐운전에 따라 상기 개/폐위치와 보호위치 사이에서 자동적으로 동작된다. 상기 연동기구의 예는 후술한다.
도4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나의 피봇 37이 상기 개/폐부재 23 상에 돌출되고, 상기 길게 연장된 아암 38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보스 39가 피봇 37 위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다. 길게 연장된 안내슬롯 40이 상기 주몸체 프레임 18의 측면 플레이트 30상에 형성되고 상기 길게 연장된 아암 38의 다른 측단부상에 돌출된 실린더형 안내핀 41이 상기 안내슬롯 40쪽으로 미끄럼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도1 및 2에서, 상기 길게 연장된 아암 38과 안내슬롯 40의 위치는 일점쇄선으로 도시된다.
한편으로, 상기 돌출부 42는 셔터유니트에 대한 아암 34의 연결단부와 기초단부 사이의 대략의 중앙부에서 형성된다.
도5는 상기 개/폐부재 23의 개/폐동작과 상기 개/폐부재 23의 개/폐동작에 연동하여 동작될 셔터유니트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상기 개/폐부재 23이 도5에 실선으로 나타낸 개방위치에서 유지할 때, 길게 연장된 아암 38은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에서 유지한다. 동시에, 상기 길게 연장된 아암 38상에 돌출된 상기 안내핀 41은 상기 개/폐부재 23 근처의 측부에서 상기 안내슬롯 40의 일측 단부에 접촉한다. 상기한 상태에서, 상기 셔터 31은 상기 광전도성요소 2를 덮도록 도5에 실선으로 도시된 보호위치에서 유지한다. 상기 셔터 31은 유니트케이스 25의 측면플레이트로부터 돌출하는 한쌍의 피봇 36의 적어도 하나의 주위를 중심으로 하여 감져진 비틀림 코일스프링과 같은 (미도시된)편향기구에 의하여 광전도성 요소 2를 덮도록 보호위치를 통해 상기 아암 34 및/또는 34A를 통해 복원력을 받는다.
상기 개/폐부재 23이 폐쇄되기 시작하고 그 개/폐부재 23의 저측부분에 제공된 한쌍의 피봇 24 주위를 중심으로 회전될 때, 상기 길게 연장된 아암 38은 언급된 것처럼 상기 개/폐부재 23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고, 상기 안내핀 41은 도5에 도시된 바와같이, 미끄럼방법으로 상기 안내슬롯 40에 의해 안내되어 화살표 C로 나타낸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개/폐부재 23이 도5에서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위치로 회전할 때, 상기 길게 연장된 아암 38도 역시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위치로 동시에 이동하고 상기 길게 연장된 아암 38상에 돌출된 안내핀 41은 셔터유니트의 아암 34상의 돌출부 42와 접촉한다. 상기 개/폐부재 23이 연속적으로 폐쇄되도록 회전할 때, 상기 안내핀 41은 상기 돌출부 42를 밀기 시작한다. 상기한 동작에 따라, 상기 셔터 31은 상기 후퇴위치쪽으로 이동한다.
상기 개/폐부재 23이 도5에 파선으로 도시된 폐쇄위치에 도달할 때, 길게 연장된 아암 38도 역시 도5에 파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도달하고 상기 셔터 31은 도5에 파선으로 나타낸 후퇴위치에 도달한다. 상기 셔터 31이 후퇴위치에 있을 때, 상기 안내핀 41이 셔터유니트의 아암 34상의 돌출부 42를 가압하는 상태에서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상기 개/폐부재 23이 상기한 편향기구의 반발작용에 대응하여 폐쇄위치에서 유지된다. 상기 돌출위치는 상기 돌출부 42의 평활부 42A가 안내슬롯 40의 연장방향과 평행하게, 즉, 셔터 31이 후퇴위치에 있을 때 도5에 일점쇄선의 화살표 D 방향과 평행하게 있도록 셔터유니트의 아암 34에 제공된다. 안내핀 41의 장착위치가 길게 연장된 아암 38상에서 도5에서 화살표 C로 나타낸 방향에서 파동을 칠 때 조차도, 상기 셔터 31은 항상 동일한 후퇴위치에서 유지된다. 상기 돌출부 42의 평면부 42A가 안내슬롯 40의 연장방향과 평행한 위치에 도달한 후에, 상기 안내핀 41이 상기 아암 34의 회전방향은 아닌 일점쇄선 D의 방향에서 이동하는한, 상기 안내핀 41은 셔터 31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아암 34에 회전토오크를 주지는 않는다. 따라서, 상기 개/폐부재 23상에서의 피봇 37의 위치가 변화하고 어떤 부정확한 곳에 위치되는 때에도, 상기 셔터 31은 정확한 후퇴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셔터 31은 전사스테이션 TR과 정착기구 14 사이의 급송경로내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방지되고 전사용지 Pa는 셔터 31에 의해 방해되지 않도록 방지된다.
나아가, 상기 안내슬롯 40은 그 안내슬롯 40의 다른 단부 43A와 안내핀 41이 상기 개/폐부재 23이 폐쇄위치에 도달하는때에도 서로 분리되도록 상대적으로 길게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피봇 37의 위치가 상기 개/폐부재 23의 그것과 관련하여 정확하게 위치되지 않을지라도 상기 개/폐부재 23은 확실하게 폐쇄위치로 회전되고 상기 셔터 31은 정확하게 후퇴위치에서 유지된다.
상기 개/폐부재 23이 폐쇄될 때, 상기 개/폐부재 23은 잠금기구(미도시)에 의해서 폐쇄위치에서 유지된다. 상기 잠금기구가 개/폐부재 23을 개방시키기 위해 해제될 때, 상기 셔터 31은 전술한 것처럼 편향기구의 복귀바이어스에 의해 보호위치로 이동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 1에서, 연동기구는 보스 39가 개/폐부재 23상의 피봇 37 상부에 장착되도록 형성되는 일측 단부상에 길게 연장된 아암 38, 안내핀 41이 장착된 주몸체 프레임 18의 측면플레이트 30에 형성된 안내슬롯 40, 셔터유니트의 연결단부와 베이스단부 사이의 대략의 중앙부에 제공된 돌출부 42, 및 셔터유니트가 보호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편향기구와 같은 요소들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사진 복사기, 팩시밀리, 다기능 기계 및 도1에 도시된 것과 다른 다양한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토너화상이 광전도성 요소로부터 전사되어지는 중간전사벨트를 형성하는 화상담지부재 2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한 많은 변형예가 상기 기술에 의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의 관점에서 본 발명이 이해되어져야 하며, 여기에서 상세하게 기술한 것과 다른 많은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용지걸림시 화상담지부재의 오염 및 손상을 방지한 상태로 용지를 외부로 제거함이 용이하다.

Claims (6)

  1. 토너화상을 형성하도록 된 화상담지부재;
    상기 화상담지부재의 표면에 형성된 상기 토너화상을 저부측으로부터 이송되어진 기록매체의 표면에 전사하도록 상기 화상담지부재에 근접하여 위치된 전사기구;
    상기 토너화상이 기록매체상으로 전사되어진 후에 상기 화상담지부재의 표면에 잔류하는 토너를 제거함에 의해 상기 화상담지부재의 표면을 소제하도록 된 소제기구;
    상기 기록매체가 통과될 때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상으로 전사된 상기 토너화상을 정착시키도록 상측 부분에 제공된 정착기구;
    상기 전사기구와 상기 정착기구 사이의 기록매체 이송경로를 개방 및 폐쇄하도록 주몸체에 회동가능하도록 지지된 개/폐부재; 및,
    상기 개/폐부재가 개방되어질 때 외부와 대면하는 상기 화상담지부재의 표면 일부를 덮도록 된 보호위치와, 상기 개/폐부재가 폐쇄되어질 때 상기 화상담지부재의 상기 표면 일부를 개방하도록 된 후퇴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셔터;를 포함하고,
    상기 셔터의 후퇴위치는 상기 화상담지부재와 정착기구 사이의 공간내에 설정되며, 상기 셔터가 보호위치와 후퇴위치 사이에서 이동하고 있는 동안 상기 화상담지부재와 대면하고 있는 보호위치에 머무르고 있을 때, 상기 화상담지부재의 표면 일부와 마주하는 셔터의 면과 함께 셔터가 이동하도록 상기 셔터는 상기 주몸체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기구는 주몸체의 측부에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하나의 팬이 주몸체 내부의 공기를 주몸체로부터 바깥쪽으로 배출시키도록 주몸체 내부에 제공되고 상기 정착기구는 토너화상을 가열함에 의하여 상기 기록매체상으로 전송된 토너화상을 정착시키도록 형성되며, 상기 팬의 위치는 그 팬에 의해 형성된 공기흐름이 상기 후퇴위치에서 셔터를 통과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제기구는 상기 화상담지부재에 대한 상측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셔터의 후퇴위치는, 그 셔터가 상기 후퇴위치에 있을 때 셔터가 상기 소제기구와 정착기구사이의 공간에 위치되며 그 셔터가 보호위치에 있을 때 화상담지부재와 대면하는 상기 셔터의 면이 상기 소제기구의 상측표면에 대면하여 위치되도록,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가 후퇴위치에 있을 때, 상기 셔터는 공기흐름이 셔터와 소제기구 사이에 형성된 공기틈새를 통과하도록 소제기구의 상측 표면으로부터 분리하여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한쌍의 아암에 대한 단부들이 몸체에서의 길이방향 단부에서 각각 상기 셔터에 연결되고 상기 한쌍의 아암에 대한 다른 단부들이 주몸체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며, 상기 셔터가 후퇴위치에 있을 때, 상기 아암들의 연결된 단부들은 공기가 상기 한쌍의 아암사이의 공기틈새를 통과하여 흐르도록 상기 소제기구의 상측표면보다 상부측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19990010207A 1998-03-25 1999-03-25 화상담지부재 보호용 셔터 메커니즘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KR1003319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71798 1998-03-25
JP10-96717 1998-03-25
JP10-331986 1998-11-06
JP10331986A JPH11338212A (ja) 1998-03-25 1998-11-06 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8239A KR19990078239A (ko) 1999-10-25
KR100331920B1 true KR100331920B1 (ko) 2002-04-10

Family

ID=26437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0207A KR100331920B1 (ko) 1998-03-25 1999-03-25 화상담지부재 보호용 셔터 메커니즘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101351A (ko)
JP (1) JPH11338212A (ko)
KR (1) KR100331920B1 (ko)
CN (1) CN116902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47686B2 (ja) * 1999-04-02 2002-11-20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押込み機構
JP3825600B2 (ja) 2000-01-13 2006-09-27 株式会社リコー 帯電装置、画像形成装置、像担持体ユニット及び荷電ローラ
JP3844658B2 (ja) * 2000-02-08 2006-11-15 株式会社リコー 荷電ローラ、帯電装置、像担持体ユニット、画像形成装置及び荷電ローラへのフィルム材巻付方法
JP3795770B2 (ja) 2000-06-30 2006-07-12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2091123A (ja) 2000-07-14 2002-03-27 Ricoh Co Ltd カラー画像形成装置およびトナー補給装置
EP1739499B1 (en) 2000-09-27 2011-11-02 Ricoh Company, Ltd. Apparatuses for color image formation, tandem color image formation and image formation
JP3957968B2 (ja) 2000-11-24 2007-08-15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及びこれ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JP2002182445A (ja) * 2000-12-11 2002-06-26 Ricoh Co Ltd 転写材搬送機構及び画像形成装置
JP3695696B2 (ja) 2001-01-25 2005-09-14 株式会社リコー クリーニング装置、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US6795669B2 (en) * 2001-02-02 2004-09-21 Sharp Kabushiki Kaisha Image device with control members for rollers
JP2003076189A (ja) 2001-06-22 2003-03-14 Ricoh Co Ltd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6889023B2 (en) * 2001-08-24 2005-05-03 Ricoh Company, Ltd. Charg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device
JP2003162085A (ja) * 2001-11-28 2003-06-06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US6807390B2 (en) * 2002-04-12 2004-10-19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US7010246B2 (en) * 2002-06-10 2006-03-07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drum unit, image forming module, and method of insertion and removal of a damper into and from an image carrier drum
EP1452931A1 (en) * 2003-02-28 2004-09-01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installable process cartridge
CN100349073C (zh) * 2003-03-05 2007-11-14 株式会社理光 图像形成装置及处理卡盒
JP3948420B2 (ja) * 2003-03-07 2007-07-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100388135C (zh) * 2003-06-06 2008-05-14 株式会社理光 图像形成装置及处理卡盒
JP2005024665A (ja) 2003-06-30 2005-01-27 Ricoh Co Ltd 粉体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トナー収容部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5070276A (ja) 2003-08-22 2005-03-17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らに用いるトナー
JP2005099729A (ja) * 2003-08-29 2005-04-14 Ricoh Co Ltd 潤滑材塗布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596455B2 (ja) * 2004-06-18 2010-12-08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657682B2 (ja) * 2004-11-08 2011-03-23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771690B2 (ja) * 2004-12-27 2011-09-14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7121752A (ja) * 2005-10-28 2007-05-17 Kyocera Mita Corp 定着装置
JP2007127779A (ja) * 2005-11-02 2007-05-24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JP4796396B2 (ja) * 2006-01-27 2011-10-19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828247B2 (ja) * 2006-02-07 2011-11-30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379388B2 (ja) * 2007-03-23 2013-12-2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552732B2 (ja) * 2008-03-31 2014-07-16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238555B2 (ja) * 2009-03-09 2013-07-1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520925B2 (ja) 2011-12-28 2014-06-1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420095B2 (ja) * 2013-04-11 2014-02-1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883832B2 (ja) * 2013-07-30 2016-03-1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141779B2 (ja) * 2013-09-20 2017-06-0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シート給送装置
JP6154774B2 (ja) * 2014-04-10 2017-06-2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387706B2 (ja) 2014-07-01 2018-09-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468236B2 (ja) * 2016-04-13 2019-02-13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108303864B (zh) * 2017-01-13 2019-09-27 柯尼卡美能达办公系统研发(无锡)有限公司 图像形成装置
EP3888467A1 (de) * 2017-07-03 2021-10-06 Weber Maschinenbau GmbH Breidenbach Bereitstellen von bahnförmigem zwischenblattmaterial an einem schneidbereich
JP6961471B2 (ja) * 2017-11-24 2021-11-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12013652B2 (en) 2022-03-17 2024-06-18 Ricoh Company, Ltd. Heating device,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rotator holder and reflecto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201B2 (ja) * 1985-09-30 1994-02-2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H07120136B2 (ja) * 1988-11-22 1995-12-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KR950001428Y1 (ko) * 1990-09-29 1995-03-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사진장치의 감광드럼 보호커버 개폐장치
US5266999A (en) * 1991-04-01 1993-11-30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for use with the same
JPH04323664A (ja) * 1991-04-23 1992-11-12 Brother Ind Ltd プロセスユニット及びそのプロセスユニットを使用する画像記録装置
JPH05346694A (ja) * 1992-06-15 1993-12-27 Ricoh Co Ltd 電子写真装置
JPH06186798A (ja) * 1992-12-17 1994-07-0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6186795A (ja) * 1992-12-18 1994-07-0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5678125A (en) * 1995-05-17 1997-10-14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9028C (zh) 2004-09-29
KR19990078239A (ko) 1999-10-25
US6101351A (en) 2000-08-08
JPH11338212A (ja) 1999-12-10
CN1236119A (zh) 1999-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1920B1 (ko) 화상담지부재 보호용 셔터 메커니즘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KR950014873B1 (ko) 프로세스카트리지 및 이 프로세스카트리지를 장착가능한 화상형성장치
US5991570A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protection unit to protect a sensitive image forming element which is exposed when an open/close member is open
US8620181B2 (e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746386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4614227B2 (ja) 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それを採用した画像形成装置
US5291256A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opening mechanism for jam clearance
US844720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H0798402B2 (ja) レーザプリンタ
JP2016057477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19101165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に装着可能なカートリッジ
US7734216B2 (en)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discharge electrode detachably attached to a frame
US20120243906A1 (en) Image holding member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4066611A (ja) 像担持体カートリッジ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US4827308A (en) Process unit for an imaging apparatus
US4786938A (en) Process unit for an imaging apparatus
JP2003195723A (ja) 画像形成装置
JP3581558B2 (ja) 画像形成装置
JP7215203B2 (ja) 画像形成装置
JP3592938B2 (ja) 画像形成装置
JP4092061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3177652A (ja) 画像形成装置
KR100601675B1 (ko)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2005284321A (ja) 画像形成装置
JP2000347549A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