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8901A - 냉장고, 카메라 장치, 냉장고용 도어 포켓, 통신단말, 가전 네트워크 시스템, 고내 화상 표시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냉장고, 카메라 장치, 냉장고용 도어 포켓, 통신단말, 가전 네트워크 시스템, 고내 화상 표시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8901A
KR20150128901A KR1020157028150A KR20157028150A KR20150128901A KR 20150128901 A KR20150128901 A KR 20150128901A KR 1020157028150 A KR1020157028150 A KR 1020157028150A KR 20157028150 A KR20157028150 A KR 20157028150A KR 20150128901 A KR20150128901 A KR 20150128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ing
door
refrigerator
image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8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우키 마루타니
가즈히로 후루타
히로카즈 이자와
고타 와타나베
료 가와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50128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89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F25D27/005Lighting arrangements combined with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95Systems or arrangements for the transmission of the picture sign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D2500/06Stock mana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2Sensors detecting door op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8Sensors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냉장고(1)는 촬상 카메라(18)(촬상 수단); 및 상기 촬상 카메라(18)로 촬상한 화상을 외부 장치로 송신하기 위한 통신부(52)(통신 수단);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냉장고, 카메라 장치, 냉장고용 도어 포켓, 통신단말, 가전 네트워크 시스템, 고내 화상 표시 프로그램{REFRIGERATOR, CAMERA DEVICE, REFRIGERATOR DOOR POCKET, COMMUNICATION TERMINAL, HOME APPLIANCE NETWORK SYSTEM, AND INTERIOR IMAGE DISPLAY PROGRAM}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냉장고, 카메라 장치, 냉장고용 도어 포켓, 냉장고용 홀더, 통신단말, 가전 네트워크 시스템, 고내(庫內) 화상 표시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고내를 촬상하여 식재료를 인식함으로써 식재료를 관리하는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용이하게 냉장고의 고내를 확인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존재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226748호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용이하게 고내 등을 확인할 수 있는 냉장고, 카메라 장치, 냉장고용 도어 포켓, 냉장고용 홀더, 통신단말, 가전 네트워크 시스템, 고내 화상 표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형태에 따른 냉장고는 촬상 수단; 및 촬상 수단으로 촬상하여 화상정보를 외부 장치로 송신하기 위한 통신 수단;을 구비한다.
실시형태에 따른 카메라 장치는 냉장고의 고내를 촬상하기 위한 촬상 수단; 및 외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카메라측 통신 수단;을 구비한다.
실시형태에 따른 냉장고용 도어 포켓은 냉장고의 고내를 촬상하기 위한 촬상 수단을 부착하기 위한 피(被)부착부를 구비한다.
실시형태에 따른 냉장고용 홀더는 고내를 촬상하기 위한 촬상 수단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를 구비한다.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단말은 저장고의 고내를 촬상하기 위한 촬상 수단이 설치된 냉장고에 통신 회선을 통해 통신 가능하며, 통신 회선을 통해 취득한 냉장고의 고내 화상정보를 표시한다.
실시형태에 따른 가전 네트워크 시스템은 물품을 저장하는 저장고의 고내를 촬상하기 위한 촬상 수단; 촬상 수단에 통신 회선을 통해 통신 가능하며 상기 저장고의 고내 화상정보를 취득하는 통신 수단, 및 통신 수단으로 취득한 화상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가진 서버; 및, 서버에 통신 회선을 통해 통신 가능하며, 상기 서버에 기억되어 있는 고내의 화상정보를 취득하여 표시하는 단말측 표시 수단을 가진 통신단말;을 구비한다.
실시형태에 따른 고내 화상 표시 프로그램은 물품을 저장하는 저장고의 고내를 촬상하기 위한 촬상 수단에 통신 회선을 통해 통신 가능한 통신단말을 제어하는 단말측 제어 수단에, 촬상 수단으로 촬상한 저장고의 고내 화상정보를 취득하는 화상 취득 처리; 및, 화상 취득 처리로 취득한 화상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처리;를 실행시킨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냉장고를 채용한 가전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제1 실시형태의 냉장고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제1 실시형태의 촬상 카메라의 부착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제1 실시형태의 냉장고의 전기적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제1 실시형태의 냉장고의 고내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제1 실시형태의 냉장고에 의한 촬상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제1 실시형태의 촬상 카메라로 촬상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제1 실시형태의 촬상 카메라의 결로 상태 변화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9는 제1 실시형태의 촬상 카메라에 의한 촬상 시퀀스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제1 실시형태의 통신단말에 의한 단말측 처리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제1 실시형태의 통신단말에서 화상 표시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그 1.
도 12는 제1 실시형태의 통신단말에서 화상 표시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그 2.
도 13은 제2 실시형태의 냉장고용 도어 포켓에 카메라 장치를 부착한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4는 제2 실시형태의 냉장고용 도어 포켓을 냉장고에 부착한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5는 제2 실시형태의 카메라 장치의 외관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6은 제2 실시형태의 카메라 장치의 외관 및 내부의 부품 배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7은 제2 실시형태의 카메라 장치를 냉장고용 도어 포켓에 부착한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8은 제2 실시형태의 냉장고용 홀더를 부착하는 위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9는 제2 실시형태의 냉장고용 홀더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0은 제2 실시형태의 냉장고용 홀더를 부착한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1은 제2 실시형태의 카메라 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2는 제2 실시형태의 카메라 장치의 검지부의 검지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3은 제2 실시형태의 카메라 장치의 촬상 타이밍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4는 제2 실시형태의 카메라 장치로 촬상한 고내의 화상예를 나타낸 도면.
도 25는 제2 실시형태의 가전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6은 기타 실시형태의 촬상 카메라의 부착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7은 기타 실시형태의 냉장고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8은 기타 실시형태의 통신단말에서 화상 표시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29는 기타 실시형태의 부착부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30은 제3 실시형태의 냉장고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럭도.
도 31은 제3 실시형태에서 문을 개방하는 과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그 1.
도 32는 제3 실시형태에서 문을 개방하는 과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그 2.
도 33은 제3 실시형태에서 문을 개방하는 과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그 3.
도 34는 제3 실시형태에서 수납량 추정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그 1.
도 35는 제3 실시형태에서 수납량 추정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그 2.
도 36은 제4 실시형태에서 문을 개방하는 과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7은 제4 실시형태에서 촬상 수단 설치위치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38은 제4 실시형태에서 냉장고 구성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그 1.
도 39는 제4 실시형태에서 냉장고 구성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그 2.
도 40은 제5 실시형태에서 냉장고 구성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1은 제5 실시형태에서 촬상 수단 설치위치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그 1.
도 42는 제5 실시형태에서 촬상 수단 설치위치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그 2.
도 43은 제5 실시형태에서 촬상 수단 설치위치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그 3.
도 44는 제6 실시형태의 냉장고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5는 제6 실시형태의 카메라 유닛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6은 제6 실시형태의 렌즈 유닛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7은 제6 실시형태의 구체예 1의 부착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그 1.
도 48은 제6 실시형태의 구체예 2의 부착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그 2.
도 49는 제6 실시형태의 구체예 3의 부착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그 3.
도 50은 제6 실시형태의 촬상 결과 및 표시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1은 제6 실시형태의 구체예 4의 세로 칸막이의 회전(回動)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2은 제6 실시형태의 구체예 4의 부착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그 1.
도 53은 제6 실시형태의 구체예 4의 부착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그 2.
도 54는 제6 실시형태의 구체예 5의 부착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5는 제6 실시형태의 구체예 6의 카메라 유닛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6은 제7 실시형태의 냉장고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7은 제7 실시형태의 냉장고 및 카메라 모듈의 전기적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8은 제7 실시형태의 구체예 1의 카메라 유닛의 부착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그 1.
도 59는 제7 실시형태의 구체예 1의 카메라 유닛의 부착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그 2.
도 60은 제7 실시형태의 구체예 1의 카메라 유닛의 부착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그 3.
도 61은 제7 실시형태의 구체예 2의 카메라 유닛의 부착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그 1.
도 62는 제7 실시형태의 구체예 3의 카메라 유닛의 부착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3은 제7 실시형태의 구체예 4의 카메라 유닛의 부착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4는 제7 실시형태의 구체예 5의 카메라 유닛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이하, 복수의 실시형태에 의해 냉장고, 카메라 장치, 냉장고용 도어 포켓, 통신 단말, 가전 네트워크 시스템, 고내 화상 표시 프로그램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각 실시형태에서 실질적으로 공통되는 부위는 공통되는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실시형태)
이하, 제1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1)를 채용한 가전 네트워크 시스템(100)에서는 냉장고(1)는 라우터(101)를 통하여 외부의 통신회선(102)에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이 라우터(101)는 소위 무선 액세스 포인트이며, 무선 통신 방식에서 냉장고(1)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이 냉장고(1)는 통신 회선(102)에 접속되어 있는 통신 단말(103) 및 서버(104)(모두 외부 장치에 상당함) 사이에서 각종 정보를 교환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가전 네트워크 시스템(100)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냉장고(1)의 고내를 촬상한 화상 정보는 서버(104)에서 기억되고, 통신 단말(103)은 서버(104)로부터 고내의 화상을 취득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화상 정보란 고내의 화상을 나타내는 정보(데이터)이고, 예를 들면 비트 맵 형식이나 JPEG 형식 또는 MPEG 형식 등의 주지의 포맷의 화상 데이터(정지화상, 동화상), 화상 데이터를 압축이나 암호화 또는 제2 실시형태와 같이 화상 처리함으로써 변환한 데이터 등, 통신수단을 통한 송신이 가능하고 최종적으로 고내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형식의 데이터이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신 단말(103)로서 주택(105)의 외부에 휴대 가능한 이른바 스마트폰(고기능 휴대 전화)이나 태블릿형 퍼스널컴퓨터, 가전 네트워크 시스템(100)에 접속되어 있는 텔레비전 등을 상정하고 있다.
냉장고(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2)의 상부부터 차례로, 식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고인 냉장실(3), 야채실(4), 제빙실(5), 상부 냉동실(6) 및 하부 냉동실(7)이 설치되어 있다. 냉장실(3) 및 야채실(4)과, 제빙실(5) 및 상부 냉동실(6) 사이에는, 도시하지 않은 단열 칸막이벽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냉장실(3)은 소위 좌우 여닫이식의 좌측 문(3a) 및 우측 문(3b)에 의해 개폐되고 야채실(4), 제빙실(5), 상부 냉동실(6) 및 하부 냉동실(7)은 인출식의 문(4a), 문(5a), 문(6a)및 문(7a)에 의해서 각각 개폐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각 문에는 그 개폐 상태를 검지하기 위한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도 4 참조. 단지, 도 4에서는 좌측 문(3a)용 좌측 도어 센서(34), 우측 문(3b)용 우측 도어 센서(35)만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냉장고(1)의 구성은 하나의 예이며, 각 저장고의 배치 순서가 다르거나, 예를 들면 상부 냉동실(6)이 냉장 및 냉동을 전환 가능한 전환실인 바와 같은 구성이어도 좋다.
냉장실(3)의 좌측 문(3a)에는 상단부터 차례로 도어 포켓(8a), 도어 포켓(9a), 도어 포켓(10a)이 설치되어 있고, 우측 문(3b)에는 상단부터 차례로 도어 포켓(8b), 도어 포켓(9b), 도어 포켓(10b)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냉장실(3)내에는 예를 들면 유리 등의 투명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선반판(11)이 설치되어 있고, 또한 최하단에는 예를 들면 달걀실이나 칠드실과 같은 특정 목적실(12)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냉장실(3)의 상부에는 조명 수단으로서의 천정 조명(1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냉장실(3) 내에는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측면 조명(36)(도 4참조)도 설치되어 있다. 이 중, 천정 조명(13)은 고내의 상부측, 측면 조명(36)은 고내의 중앙부나 하부 등, 고내의 특정 위치를 비추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냉장실(3)의 좌측 문(3a) 및 우측 문(3b)은 그 전방면이 절연성(絶緣性) 유리 재료로 형성된 유리판(3b1)으로 덮여 있고 그 내부에는 단열재인 우레탄이 충전제로서 충전되어 있으며, 그 내측에 대해서는 주지하는 것처럼, 비금속의 수지제의 내판(14) 및 세로판(15)을 구비하고 있다. 즉, 좌측 문(3a) 및 우측 문(3b)의 전방면측은 전파를 투과시키는 비금속제 재료인 유리판(3b1)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도어 포켓(8~10)은 이 내판(14)에 설치되어 있다. 세로판(15)에는 상하 방향에서의 중앙 부근이며 좌우 방향에서의 우측 문(3b)의 개방단부측(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촬상 카메라(18)가 설치되어 있는 부근)에 오목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16)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촬상 카메라(18)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좌측 문(3a)에는 우측 문(3b)과의 간극을 메우기 위한 회전식의 세로 칸막이(1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야채실(4)의 문(4) 등도 우측 문(3b)과 동일하게 그 전방면이 유리판으로 덮여 있고, 내부에는 우레탄이 단열재로서 충전되어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우측 문(3b)의 내판(14)(세로 칸막이를 갖고 있지 않은 문)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 카메라(18) 및 촬상 조명(19)이 설치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내판(14)이 피부착부에 상당한다. 촬상 카메라(18)는 CCD 또는 CMOS등의 촬상 소자를 갖고 있고, 고내의 화상을 문측에서 촬상한다. 이 촬상 카메라(18)는 대체로 120도 정도의 시야각을 갖는 광각 렌즈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촬상 카메라(18)는 중간단의 도어 포켓(9b)에 인접한 위치이며, 도어 포켓(9b)보다 좌측 문(3a)측이 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즉, 촬상 카메라(18)는 냉장실(3)의 상하 방향의 중앙 부근, 또한 냉장실(3)의 좌우 방향의 중앙 부근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우측 문(3b)이 폐쇄된 상태에서 촬상 카메라(18)는 그 시야가, 후술하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실(3)의 고내의 거의 전역, 또한 도어 포켓(8~10)의 적어도 일부를 촬상 가능해져 있다. 또한, 비교예로서 일반적인 Web 카메라의 경우, 그 시야각은 대체로 55도 정도이다.
촬상 카메라(18)에 인접하는 도어 포켓(9b)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 카메라(18)측이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다. 즉, 일반적으로는 수용부가 사각형(장방형)으로 형성되는 도어 포켓(9b)에는, 광각 렌즈를 채용하고 있는 촬상 카메라(18)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서, 절개부(9b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 등은 촬상 카메라(18)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것이고, 촬상 카메라(18)의 실제 크기나 형상과는 다르다. 또한, 촬상 카메라(18)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냉장고(1)에 부착된 구조로 되어 있지만, 후술하는 제2 실시형태와 같이 냉장고(1)로부터 착탈 가능(예를 들어, 냉장고(1)의 구입 후, 옵션 장치로서 부착하는 등)하게 해도 좋다.
촬상 조명(19)은 예를 들면 촬상 카메라(18)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있다. 즉, 촬상 조명(19)은 그 조사 방향이 촬상 카메라(18)의 시야와 동일한 방향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조사되는 광이 촬상 카메라(18)에 직접 들어가지 않는 위치(대향 위치 밖의 위치), 즉 촬상 카메라(18)에 있어 역광이 되기 힘든 위치 또는 역광이 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촬상 카메라(18)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촬상 수단을 구성하고, 촬상 조명(19)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한 조명 수단을 구성한다.
이 냉장고(1)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제어부(30)에 의해 제어되어 있다. 주제어부(30)는 CPU(30a), ROM(30b) 및 RAM(30c) 등을 갖는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ROM(30b)등에 기억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냉장고(1) 전체를 제어한다.
주제어부(30)는 주지의 냉동 사이클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냉장용 냉각 기구(31)와 냉동용 냉각 기구(32), 냉장고(1)에 대한 설정 조작 등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 패널(33), 좌측 도어 센서(34), 우측 도어 센서(35), 천정 조명(13) 및 측면 조명 등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냉장고(1)는 냉장실(3)이나 하부 냉동실(7) 등의 온도를 검출하는 도시하지 않은 고내 센서 등도 구비하고 있다.
조작 패널(33)은 표시기(33a), 스위치류(33b) 및 고외 센서(33c)를 갖고 있다. 표시기(33a)는 냉장고(1)의 운전 상태 등의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스위치류(33b)는 냉장고(1)에 대한 사용자의 설정 조작 등이 입력된다. 이 스위치류(33b)에는 사용자가 외출할 때 냉장고(1)의 운전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외출 스위치도 포함되어 있다. 이 외출 스위치는 예를 들어, 「절전」,「외출」 등이 설정되어 있고, 어느 것인가 선택되면 해당하는 전력 절감 모드로 이행한다. 즉, 사용자가 외출하면 냉장고(1)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냉장고(1)는 전력 절감 모드로 이행하여 소비 전력을 삭감한다.
예를 들면,「절전」이 선택되면 냉장고(1)는 식재료의 저장 환경에 영향이 나타나지 않는 범위에서 고내온도를 조절하고, 또한 결로 방지용 히터의 운전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통상시보다 약 10% 정도의 소비 전력을 삭감하는 모드로 이행한다. 또는,「외출」이 선택되면 냉장고(1)는 자동 제빙의 횟수를 삭감하고, 통상시에 비하여 소비전력을 삭감하는 전력 절감 모드로 이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냉장고(1)는 자동 제빙의 횟수를 예를 들면 8시간에 1회로 함으로써, 통상 운전시에 비하여 약 20%정도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냉장고(1)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절전」이나 「외출」용 스위치를 외출 스위치로서 겸용하고 있지만, 외출하는 취지를 설정하기 위한 전용의 스위치를 설치해도 좋다.
고외 센서(33c)는 온도 센서와 습도 센서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고외의 환경을 취득한다. 고외 센서(33c)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한 고외 환경 취득 수단을 구성한다.
주제어부(30)는 고내 센서에서 취득한 고내의 환경 및 고외 센서(33c)에서 취득한 고외의 환경에 기초하여, 또한 조작 패널(33)로부터의 설정에 기초하여, 냉장고(1)의 운전 상태를 제어한다. 또한, 주제어부(30)는 좌측 도어 센서(34)나 우측 도어 센서(35)로부터 문의 개폐 상태를 취득한다. 이 주제어부(30)는 제어부(50)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문의 개폐 상태를 제어부(50)에 송신하거나 천정 조명(13)이나 측면 조명(36)의 점등 지시를 제어부(5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CPU(50a), ROM(50b), RAM(50c) 및 시각을 취득하기 위한 실시간 클럭(이하, RTC(50d)라고 함)을 갖는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제어부(50)는 촬상 카메라(18), 촬상 조명(19), 렌즈 히터(51) 및 통신부(52)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50)는 예를 들면 ROM(50b) 등에 기억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촬상 카메라(18)에 의해 고내를 촬상하는 타이밍 및 촬상 카메라(18)에서 고내를 촬상하기 위한 촬상 환경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주제어부(30)로부터 수신한 문의 개폐 상태 등에 기초하여 촬상하는 타이밍을 제어하고, 또한 촬상 환경 즉 촬상을 위해 필요한 광원인 천정 조명(13)이나 촬상 조명(19)등의 점등 상태를 제어한다. 제어부(50)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제어 수단을 구성한다.
여기서 촬상하는 타이밍에 대해서 설명한다.
고내를 촬상하는 경우 촬상 카메라(18)를 구동하고, 또한 촬상 조명(19)등을 점등할 필요가 있다. 즉, 고내를 촬상하기 위해서는 전력을 소비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항상 촬상 가능한 상태가 되어 있으면, 불필요한 전력을 소비하게 된다. 그래서, 냉장고(1)에서는 고내를 촬상하는 타이밍을 제어함으로써, 또한 그 타이밍에 맞추어 필요할 때에만 촬상 환경(즉, 촬상 조명(19)등의 점등)을 제어함으로써 소비 전력의 삭감을 도모하고 있다.
고내를 촬상하는 타이밍은 예를 들면 이하의 촬상 조건 1~5와 같은 조건이 미리 설정되어 있고, 제어부(50)는 어느 촬상 조건이 충족되면 고내를 촬상할 타이밍이 되었다고 판정한다.
- 촬상 조건 1: 냉장실(3)의 어느 문이 일단 개방된 후에 폐쇄된 타이밍. 즉, 고내의 식재료의 저장 상황이 변화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타이밍.
- 촬상 조건 2: 냉장실(3)의 어느 문이 개방된 타이밍. 즉, 고내 식재료의 저장 상황이 변화될 가능성이 있는 타이밍.
- 촬상 조건 3: 통신 단말 등의 외부 장치로부터 지령을 접수한 타이밍.
- 촬상 조건 4: 외출 스위치가 조작된 경우. 외출 스위치가 조작된 타이밍에서 촬상해도 좋고 외출 스위치가 조작되고 나서 소정의 대기 시간이 경과된 타이밍에서 촬상해도 좋다. 또한, 어느 타이밍을 채용할지는 미리 설정해 두면 좋다.
- 촬상 조건 5: 일단 개방된 문이 폐쇄된 후이며, 소정 기간이 경과된 타이밍(본 실시형태에서는 촬상 카메라(18)의 광각 렌즈의 결로가 제거될 때까지 요하는 것으로 상정되는 지연 촬상 시간이 경과한 타이밍을 채용하고 있다). 즉, 광각 렌즈의 결로가 제거된 타이밍. 또한, 지연 촬상 시간은 미리 고정값을 설정해도 좋고 고외 센서(33c)에서 취득한 고외의 습도나 온도에 기초하여 그때마다 설정해도 좋다.
- 촬상 조건 6: 일단 개방된 문이 폐쇄된 후이며, 촬상 카메라(18)의 광각 렌즈의 결로가 렌즈 히터(51)에 의해 제거된 타이밍. 즉, 광각 렌즈의 결로가 제거된 타이밍.
또한, 촬상 조건으로서는 상기한 것 중 어느 것인가를 채용해도 좋고, 상반되지 않는 조건이면 복수를 조합하여 채용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판정 조건 1, 판정 조건 3, 판정 조건 4, 판정 조건 5를 채용하고 있다.
통신부(52)는 소위 무선 LAN이나 Bluetooth(등록 상표) 등의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라우터(101)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통신부(52)는, 촬상된 고내의 화상을 라우터(101) 및 통신 회선(102)을 통하여 서버(104)에 업로드된다. 또한, 통신부(52)는 유선 통신 방식이어도 좋다.
렌즈 히터(51)는 촬상 카메라(18)의 광각 렌즈를 가열함으로써 후술하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면의 결로의 제거를 실시한다(제거 수단에 상당한다). 이 렌즈 히터(51)는 전열선 등의 통전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 부재에 의해 구성해도 좋고, 제어부(50)를 구성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의 발열 또는 그 발열을 전하는 전열부재에 의해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 마이크로 컴퓨터의 발열을 이용하기 위해, 마이크로 컴퓨터를 전력 절감 모드로부터 복귀시키면 좋다. 또한, 제거 수단으로서 팬 등을 채용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팬을 구동하여 렌즈면에 냉기를 송풍하고, 결로가 제거될 것으로 예상되는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촬상하면 좋다. 어쨌든, 렌즈면의 결로를 제거할 수 있으면 어떠한 구성이어도 좋다.
통신 단말(103)는 서버(104)에 액세스함으로써 서버(104)에 기억되어 있는 고내의 화상을 취득하여 표시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신 단말(103)은 냉장고(1)로부터 직접 화상을 취득하는 것이 아니라, 일단 서버(104)에 기억된 화상을 취득한다.
서버(104)는 이른바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고, 업로드된 화상을 시계열, 또한 복수매 기억한다. 또한, 서버(104)는 통신 단말과 냉장고(1)를 대응지어 둠으로써, 화상을 취득하는 통신 단말에 대해서 해당하는 냉장고(1)의 화상을 제공한다.
다음에 상기한 구성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처리는 주제어부(30) 및 제어부(50)가 협동하여 실시하고 있는 처리이지만,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냉장고(1)를 주체로 하여 설명한다.
냉장고(1)의 냉장실(3)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종의 식재료가 저장되어 있다. 냉장고(1)는 도 6에 도시한 촬상 처리를 실행하고 있고, 촬상 카메라(18)에서 고내를 촬상하기 위한 촬상 조건이 충족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있으며(A1), 상술한 판정 조건 중 하나가 충족됐다고 판정하면(A1:예), 즉 촬상할 타이밍이 되었다고 판정하면 조명(촬상 조명(19))을 점등하고(A2), 고내를 촬상한다(A3). 이에 의해, 도 7과 같은 고내의 화상이 촬상된다.
이 도 7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광각 렌즈에서 고내를 촬상하고 있는 점에서, 냉장실(3) 내의 거의 전체가 촬상되고 있다. 즉, 각각의 선반판(11)에 얹혀 있는 각종 식재료와, 도어 포켓에 수납되어 있는 각종 식재료가 시인 가능하게 촬상되고 있다. 또한, 선반판(11)이 투명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예를 들면 최상단의 선반판(11)에 얹혀 있는 식재료(S1)에 대해서도 선반판(11)을 투과하여 시인 가능하게 촬상되고 있다.
또한, 촬상 조명(19)을 점등함으로써 촬상하고 있는 점에서, 역광이 되지 않고, 이곳의 식재료가 시인 가능하게 촬상되고 있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비교예로서 천정 조명(13)을 점등한 상태에서 고내를 촬상한 경우, 천정 조명(13)으로부터의 빛이 역광이 되어, 식재료(S1)나 2단째의 선반판(11)에 얹혀 있는 식재료는 시인이 곤란한 상태로 촬상된다. 즉, 냉장고(1)는 촬상 카메라(18)에 대해서 역광이 되지 않는 촬상 조명(19)을 점등함으로써 고내를 시인 가능하게 촬상하기 위한 촬상 환경을 정비하고 있다.
그리고 냉장고(1)는, 촬상한 화상 정보를 서버(104)로 송신한다(A4). 이때, 촬상한 시각도 동시에 서버(104)에 송신된다. 이에 의해, 서버(104)에는 고내의 화상이 시계열로, 또한 복수매 기억(축적)된다.
그런데, 냉장실(3)의 문을 개방한 경우, 우측 문(3b)의 내판(14)에 설치되어 있는 촬상 카메라(18)는 광각 렌즈째 고외의 환경에 노출된다. 이는 우측 문(3b)이 개방된 경우 뿐만 아니라, 좌측 문(3a)이 개방된 경우도 동일하다. 이 때문에, 문이 폐쇄된 직후에서는 고외의 환경에도 따르지만,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면이 결로되어 흐려질 가능성이 있다. 또한, 도 8에서는 렌즈면에 생긴 결로를 해칭으로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고, 도 8(a)는 결로된 상태(문을 폐쇄한 직후)를 나타내며, 도 8(b)은 서서히 결로가 제거된 상태(문을 폐쇄한 후, 얼마동안 시간이 경과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8(c)는 결로가 제거된 상태(지연 촬상 시간이 경과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문을 폐쇄한 직후에 고내를 촬상하면, 결로에 의해 시인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그래서, 냉장고(1)는 상술한 판정 조건 5를 채용하고, 일단 개방된 문이 폐쇄된 후에 지연 촬상 시간이 경과한 타이밍에서 더욱 고내를 촬상한다. 즉, 판정 조건 5가 성립한 경우(A1:예), 조명을 점등하고(A2), 고내를 촬상하여(A3), 촬상한 화상 정보를 서버(104)에 송신한다(A4).
보다 상세하게는 도 9와 같이, 문이 폐쇄되어 있고 시각 t1에서 문이 개방되어 시각 t2에서 폐쇄되었고 하면, 시각 t2에서 우선 화상을 촬상하고 그 후 지연 촬상 시간이 경과한 시각 t3에서 다시 화상을 촬상한다. 이 경우 시간 t4에서 문이 폐쇄되고 촬상한 후, 지연 촬상 시간이 경과하기 전의 시각 t5에서 다시 문이 개방된 경우에는, 문이 폐쇄된 시각 t6에서 일단 촬상한 후, 지연 촬상 시간이 경과한 시각 t7에서 다시 촬상된다. 이에 의해, 광각 렌즈의 결로가 제거된 상태, 즉 고내를 시인 가능한 화상을 촬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서버(104)에 화상 정보를 송신하면 제어부(50)는 대기 상태가 된다. 이 대기 상태에서는 제어부(50)를 소위 슬립 모드 등의 전력 절감 모드(예를 들어 제빙 동작을 정지하는 등)로 이행해도 좋고, 촬상 카메라(18) 등도 포함하는 제어부(50)측으로의 통전을 차단하여 소비 전력을 제로로 해도 좋다. 그리고, 예를 들면 도어 센서에 의해 문의 개방 등을 검지했을 때에 주제어부(30)로부터 제어부(50)에 대해서 통상 모드로 이행하는 지령을 출력하거나 통전을 개시하면 좋다. 이에 의해, 냉장고(1)의 총소비 전력을 삭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서버(104)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은, 통신 단말(103)에서 표시할 수 있다. 통신 단말(103)은 화상을 취득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기동되면 도 10에 도시한 단말측 처리(고내 화상 표시 프로그램에 상당함)를 실행하여, 서버(104)로부터 최신 화상(또는 화상 정보)을 취득한다(B1). 이에 의해, 통신 단말(103)의 화면에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고내의 화상이 촬상 시각과 함께 표시된다. 또한, 통신 단말(103)에는 화면에 대응한 터치 패널이 설치되어 있다.
이 화면에는 현재의 화상을 취득하기 위한 버튼 M1,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기 위한 버튼 M2, 표시 중의 화상보다도 과거의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버튼 M3, 표시 중의 화상보다 새로운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버튼 M4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통신 단말은 원하는 영역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고, 도 11에 도시한 영역 R을 확대하여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함으로써, 예를 들어 달걀이 몇 개 남아 있는지를 사용자가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단말(103)은 사용자가 버튼 M1을 터치 조작하면, 즉, 최신의 화상을 취득하기 위한 조작이 입력되면(B2: 예), 냉장고(1)에 대해서 고내를 촬상하기 위한 지령을 송신하고(B3), 서버(104)로부터 화상을 취득하고(B4), 취득한 화상을 표시한다(B5). 또한, 단계 B3 후 냉장고(1)측에서는 도 6에서 촬상 조건 3이 성립한 점에서 고내를 촬상하고, 촬상한 화상 정보가 서버(104)로 송신되고 있다.
이와 같이, 가전 네트워크 시스템(100)에서는 냉장고(1)가 고내를 촬상한 화상 정보를 서버(104)에 송신하고, 서버(104)가 그 화상을 기억하며, 통신 단말(103)가 서버(104)로부터 화상을 취득하여 표시함으로써, 고내의 모습을 외출지 등 원격지에서 확인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냉장고(1)는 식품을 저장하는 냉장실(3) 등의 저장고의 고내를 촬상하는 촬상 카메라(18)와, 촬상 카메라(18)에서 촬상한 고내의 화상 정보를 외부 장치에 송신하기 위한 통신부(52)을 갖고 있으므로, 예를 들면 통신 단말(103)과 같은 외부 장치에서 고내의 화상을 취득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외출지 등 원격지에서 쉽게 냉장고 고내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내의 화상을 일단 서버(104)에 기억시키고 있으므로. 냉장고(1)측에는 화상을 기억하기 위한 기억 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제조 비용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1)에 기억부를 설치하여 냉장고(1)측에서 화상을 기억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제어부(50)는 서버(104)에 화상 정보를 송신한 후에는 대기 상태가 된다. 즉, 촬상시 이외에는 제어부(50)측(촬상 카메라(18)등도 포함)의 소비 전력은 삭감된 상태 또는 제로가 된다. 이에 의해, 냉장고(1)의 총소비 전력을 삭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어부(50)는 촬상 카메라(18)에 의해 고내를 촬상하는 타이밍을 제어하고, 또한 그 타이밍에 맞추어 고내를 촬상하기 위한 조명의 점등 등의 촬상 환경을 제어한다. 고내를 촬상하기 위해서는 광원이 필요하고, 항상 촬상 가능한 상태가 되고 있으면 불필요한 전력을 소비하게 되지만, 고내를 촬상하는 타이밍에 맞추어 촬상할 때만 촬상 조명(19) 등을 점등하도록 촬상 환경을 제어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광원이 없는 상태에서도 촬상 가능한 암시 카메라(예를 들어 적외선 카메라) 등을 채용하여 조명이 점등하지 않은 상태에서 촬상해도 좋다. 또한, 조명을 상시 점등시켜 두어도 좋다.
냉장고(1)는 냉장실(3)의 문이 폐쇄된 후의 타이밍에서 촬상 카메라(18)에 의해 고내를 촬상한다. 냉장고의 저장 상황이 바뀌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촬상하면, 불필요한 화상이 축적될 뿐만 아니라, 전력 소비 증가도 초래하게 된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냉장고는 문이 일단 개방되고 그 문이 폐쇄된 후의 타이밍에서 고내를 촬상한다. 이에 의해, 고내 식재료의 저장 상태가 변화될 가능성이 있는 상태(문이 일단 개방된 상태)에서 저장 상태가 확정된 상태(문이 폐쇄된 후의 상태)에서 고내를 촬상함으로써, 불필요한 촬상을 억제하고 전력 소비가 증가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1)는 문이 폐쇄된 후이며, 촬상 카메라(18)의 광각 렌즈의 결로가 제거될 때까지 요하는 지연 촬상 시간이 경과한 타이밍에서 고내를 촬상한다. 예를 들면, 여름처럼 기온이 높은 경우나 습도가 높은 경우, 문이 개방되어 고외의 환경에 노출된 촬상 카메라는, 문이 폐쇄되면 냉장실(3)내의 온도가 낮기 때문에 렌즈면에 결로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그 결로가 제거된다고 상정되는 지연 촬상 시간이 경과한 타이밍에서 다시 고내를 촬상함으로써, 렌즈면에 흐려짐이 없는 명료한 화상을 촬상할 수 있다. 따라서, 고내의 모습을 보다 확실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연 촬상 시간은 고외 센서(33c)에 의해 취득한 온도나 습도 등의 고외의 환경에 기초하여 설정해도 좋다. 이에 의해, 온도나 습도가 낮은 경우 등에는 결로가 생기지 않는다(또는 적다)고 상정되므로, 지연 촬상 시간을 짧게 할 수 있어 소비 전력을 삭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지연 촬상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제어부(50)가 대기하는 구성의 경우, 대기 시간이 짧아짐으로써 그만큼의 소비 전력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촬상 카메라(18)의 광각 렌즈의 결로를 제거하는 경우, 렌즈 히터(51)와 같은 제거수단을 사용해도 좋다. 이 경우 냉장고(1)는 렌즈 히터(51)에 의해 렌즈면의 결로를 제거한 후의 타이밍에서 고내를 촬상하게 된다. 이 렌즈 히터(51)를 이용함으로써, 지연 촬상 시간을 더 짧게 할 수 있으므로, 소비 전력을 삭감할 수 있다. 이 경우, 렌즈 히터(51)를 제어부(50)의 자기 발열을 전하는 전열부재로 구성하면, 전력을 가외로 소비하지 않고 렌즈면의 결로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거 수단으로서 팬을 채용한 경우도 지연 촬상 시간이 짧아짐으로써 소비 전력을 삭감할 수 있다.
냉장고(1)는 예를 들면 통신 단말(103)로부터 고내를 촬상하기 위한 지령을 접수한 타이밍에서 고내를 촬상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외출 중이고 그 부재중에 가족이 냉장고(1)에서 식재료를 꺼내는 등에 의해 저장 상황이 변화될 가능성이 있지만, 사용자의 지령에 의해 그 시점에서의 화상을 촬상함으로써, 최신 즉 현 시점에서의 냉장고(1)의 고내의 모습을 파악할 수 있다.
냉장고(1)는 외출 스위치가 조작된 경우에 고내를 촬상하므로, 외출 후에 냉장고(1) 내의 모습을 확인하고 싶은 상황에 대응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혼자사는 사용자가 외출할 경우, 냉장고(1)의 저장 상황은 사용자가 외출한 시점부터 변화되지 않는다고 생각되므로, 외출 스위치가 조작된 경우에 촬상한 화상을 최신의 고내의 화상으로서 취급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채용하지 않았지만, 촬상 조건 2를 채용하여 고내 식재료의 저장 상황이 변화될 가능성이 있는 타이밍에서 촬상함으로써, 최신에 가까운 고내의 화상을 취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우측 문(3b)의 개방 중에는 촬상 카메라(18)의 시야가 흔들릴 가능성이 있기는 하지만, 예를 들면 우측 문(3b)이 개방되는 순간에 촬상함으로써 그 흔들림을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문이 개방되면 고내 조명이 점등하므로, 조도를 확보할 수 있다.
냉장고(1)는 촬상 카메라(18)에서 고내를 촬상할 때 고내를 비추기 위한 촬상 조명(19)을 점등하고 촬상 환경을 제어(정비)한다. 이에 의해, 문이 폐쇄된 상태이어도 광원을 확보할 수 있어, 고내를 시인 가능하게 촬상할 수 있다.
냉장고(1)는 천정 조명(13)이나 촬상 조명(19) 또는 측면 조명(36)과 같이 고내에 복수 설치되어 있는 조명 수단 중 특정 위치(이 경우는 특히 촬상 위치)를 비추기 위한 촬상 조명(19)을 점등한다. 촬상 카메라(18)에서 촬상하는 경우 고내에 설치되어 있는 조명 수단과의 위치 관계에 따라서는 조명이 직접 시야에 들어가역광이 될 가능성이 있지만, 조명 수단의 전체를 점등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촬상 조명(19)처럼 촬상할 때 역광이 되지 않는 위치 등의 특정 위치를 비추기 위한 조명 수단을 점등함으로써 화상을 보다 선명하게 촬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촬상 카메라(18)와 대향하는 배면측에 조명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는 적어도 가장 역광이 되는 조명 수단을 소등하고 다른 조명 수단(천정 조명(13)등)등을 이용하는 것 등이 생각된다.
촬상 조명(19)은 촬상 카메라(18)의 대향 위치 밖이며, 또한 촬상 카메라(18)의 시야와 동일한 방향을 비추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촬상 조명(19)으로부터의 광이 역광이 되지 않고 고내의 모습을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다.
고내를 촬상할 때는 촬상 카메라(18)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서 어느 정도의 거리가 필요해지지만, 촬상 카메라(18)를 냉장실(3)의 문에 설치하고 있으므로, 촬상 카메라(18)와, 선반판(11) 등에 수납되어 있는 식재료와의 거리를 확보할 수 있어 시야를 크게 할 수 있다.
촬상 카메라(18)를 우측 문(3b)의 내판(14)에 설치하고 있으므로, 문이 폐쇄된 상태이어도 고내를 촬상할 수 있다.
이 경우, 촬상 카메라(18)를 냉장실(3)의 상하 방향의 중앙 부근, 또한 냉장실(3)의 좌우 방향의 중앙 부근에 설치하고, 또한 광각 렌즈를 채용하고 있으므로, 촬상 카메라(18)는 냉장실(3)의 고내의 거의 전역을 고내의 중앙부 부근으로부터 화상(즉, 사용자가 통상 냉장고(1)내를 보고 있는 상태와 근사 상태에서의 화상)으로서 촬상할 수 있다. 이때 선반판(11)을 투명성 재료로 형성하는 점에서, 예를 들면 최상단의 선반판(11)에 얹힌 식재료에 대해서도 선반판(11)을 투과하여 시인 가능하게 촬상할 수 있다.
촬상 카메라(18)에 인접하는 도어 포켓(9b)은 촬상 카메라(18)측의 부위가 촬상 카메라(18)를 피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광각 렌즈를 채용하고 있는 촬상 카메라(18)의 좌우 방향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어 포켓(9b)에 인접한 위치에 촬상 카메라(18)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상하 방향의 시야가 도어 포켓(9b)에 의해 가려지는 일도 없다.
촬상 카메라(18)를 도어 포켓(8~10)의 적어도 일부를 촬상하는 것이 가능한 위치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도어 포켓(8~10)에 수납되어 있는 식재료도 촬상 가능해지고, 고내에 저장되어 있는 식재료를 보다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촬상 카메라(18)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는 본 실시형태의 도어 포켓(9b)에 대해서는 시야 밖이어도(촬상할 수 없어도) 좋다. 또한, 촬상 카메라(18)를 도어 포켓의 사이에 설치해도 좋다. 이러한 촬상 카메라(18)의 설치 위치는 후술하는 제2 실시형태에서 설명하는 착탈 가능한 카메라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통신 단말(103)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갖고, 상기한 냉장고(1)에서 촬상된 고내의 화상을 서버(104)로부터 취득하고 표시부에 표시하므로, 외출지 등 원격지에서 고내의 모습을 파악할 수 있다.
상기한 냉장고(1)와, 상기한 통신 단말(103)와, 냉장고(1)에서 촬상된 고내의 화상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갖는 서버(104)에 의해 가전 네트워크 시스템(100)에 따르면, 통신 단말(103)이 통신 회선(102)을 통하여 서버(104)에 접속되고 해당 서버(104)에 기억되어 있는 고내의 화상을 취득하여 표시하므로, 외출지 등의 원격지에서 고내의 모습을 파악할 수 있다. 이 경우, 화상의 기억을 서버(104)에서 실시하고 있으므로, 냉장고(1)측에는 대용량의 기억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냉장고(1)의 비용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단말(103)은 서버(104)로부터 화상을 취득하므로, 냉장고(1)의 제어부(50)를 통신 가능하도록 대기시켜 둘 필요가 없고 냉장고(1)측의 소비 전력이 증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촬상 카메라(18)에서 촬상한 저장고의 고내의 화상 정보를 취득하는 화상 취득 처리(도 10의 단계 B1, B4)와, 화상 획득 처리에서 취득한 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처리(도 10의 단계 B5)와, 고내를 촬상시키기 위한 지령을 출력하고 촬상 수단으로 고내를 촬상시키는 촬상 처리(단계 B2, B3)를 실행시키는 고내 화상 표시 프로그램을 통신 단말(103)에서 실행함으로써, 원격지 등으로부터 고내를 확인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이하, 제2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3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냉장고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와 거의 공통이므로, 도 2 등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3(A) 및 (B)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도어 포켓(200)(냉장고용 도어 포켓에 상당함)은 물품을 수납하는 수납부(201)와, 카메라 장치(300)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202)를 구비하고 있다. 즉, 이 도어 포켓(200)은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냉장고용 도어 포켓과 냉장고용 홀더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유지부(202)는 촬상 수단을 부착하기 위한 피부착부에 상당한다고도 할 수 있다. 또한, 수납부(201)에 주목한 경우, 도어 포켓(200)은 유지부(202)에 유지된 카메라 장치(300)(즉, 촬상 수단)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다고도 할 수 있다.
수납부(201)는 유지부(202)측의 벽부(203)가 유지부(202)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다. 즉, 도어 포켓(200)은 유지부(202)에서 카메라 장치(300)를 유지한(부착한) 경우, 그 카메라 장치(300)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시야의 외연(外緣)을 따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유지부(202)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부측(도 3(A)의 도시 상방측)이 개구한 대체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측의 개구로부터 카메라 장치(300)가 출입(착탈)된다. 또한, 유지부(202)의 전방면측(즉, 고내를 향하는 측)의 벽부(204)는 카메라 장치(300)를 유지한 상태에서 렌즈(301) 및 촬상 램프(302)(도 15 등 참조. 카메라측 조명 수단, 조명 수단에 상당함)에 대응하는 위치에 절개부(205)가 형성되어 있고, 카메라 장치(300)의 시야를 방해하거나 조명이 반사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또한, 유지부(202)에는 자석(206)이 설치되어 있다. 이 자석(206)은 카메라 장치(300)의 배면측에 대향하는 측이 N극 또는 S극 중 어느 것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자석(206)의 극성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카메라 장치(300)의 구성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도어 포켓(200)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문(3b)의 내판(14)에 부착된다. 이 때문에, 우측 문(3b)이 폐쇄된 상태에서는 카메라 장치(300)는 그 시야가 고내(냉장실(3))에 대향하는 배치가 된다. 이 때, 유지부(202)에 유지되는 카메라 장치(300)는 그 렌즈(301)의 중심이 냉장실(3)의 좌우 방향의 중심선(CL1)과, 냉장실(3)의 상하 방향의 중심선(CL2)이 교차하는 위치에 대응하여 유지된다. 즉, 이 상태에서의 카메라 장치(300)는 냉장실(3)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한 시야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어 포켓(200)의 경우, 도어 포켓(200)의 부착 위치와 카메라 장치(300)의 형상에 기초하여 수납부(201)의 저부(低部)보다 유지부(202)의 저부쪽이 약간 하방에 위치하는 형상으로 함으로써, 중심 위치가 최적이 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카메라 장치(300)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체로 직방체의 형상으로 형성된 케이스(303)의 표면에 렌즈(301) 및 촬상램프(302)가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렌즈(301) 및 촬상램프(302)가 직접 노출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그 표면을 커버 등으로 덮고 있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도 렌즈(301)는 광각 렌즈를 채용하고 있다.
이하, 렌즈(301) 및 촬상램프(302)가 설치되어 있는 측(도 16의 경우, 도시 우측)을 카메라 장치(300)의 정면으로 하고, 반대측을 배면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301)와 촬상램프(302)가 냉장고(1)의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방향을 세로방향이라고 하고, 후술하는 도 20과 같이 렌즈(301)와 촬상램프(302)가 냉장고(1)의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방향을 가로방향이라고 부른다.
이 카메라 장치(300)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303)내에 제어 기판(304), 전지(305), 통신 모듈(306), 검지부(307)가 수용되어 있다. 제어 기판(304)에는 렌즈(301)나 도시하지 않은 촬상 소자를 갖는 촬상부(308)(도 21 참조), 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촬상램프(302) 및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309)(도 21 참조) 등이 설치되어 있다. 촬상 소자는 CCD나 CMOS등의 주지의 촬상 소자이며, 그 형상이 장방형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촬상 소자의 길이 방향이 상하 방향(즉, 케이스의 세로 방향)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세로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냉장실(3)을 촬상할 때는 카메라 장치(300)를 세로로 놓음으로써, 촬상 소자를 세로로 긴 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다. 한편,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로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야채실(4)을 촬상할 때는 카메라 장치(300)를 가로로 놓음으로써, 촬상 소자를 가로로 긴 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촬상램프(302)로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LED를 채용하고 있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카메라 장치(300)에는 전원 스위치도 설치되어 있다.
전지(305)는 리튬 전지로 구성되어 있고, 제어부(309)나 통신 모듈(306) 또는 검지부(307) 등에 전력을 공급한다. 이 전지(305)는 케이스(303)의 최하부측이고, 케이스의 전후 방향(도시 좌우 방향)의 대체로 전역을 점유하는 배치로 되어 있다. 케이스(303)에 수납되어 있는 각 부재 중 비교적 중량이 큰 전지(305)를 그러한 배치로 함으로써, 카메라 장치(300)를 설치했을 때의 밸런스가 어느 정도 확보되어 있다. 또한, 중심을 카메라 장치(300)의 하부(세로 배치의 경우)로 함으로써, 카메라 장치(300)를 우측 문(3b)의 도어 포켓(200)에 배치한 경우에서, 문 개폐시의 원심력이나 진동 등에 의해 카메라 장치(300)가 도어 포켓(200)으로부터 떨어져 나오는 것 등이 방지된다. 또한, 리튬 전지를 사용함으로써 냉장고(1)내와 같이 비교적 저온의 장소이어도 뛰어난 방전 특성을 나타내게 된다.
또한,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가전 네트워크 시스템(500)에서는 냉장고(1)측에 카메라 장치(300)의 통신 모듈(306)과는 다른 별도의 통신 장치(501)가 설치되어 있고, 이 통신 장치(501)에 의해, 냉장고(1)는 외부 장치로부터의 촬상 지령을 수신한다. 또한, 이 통신 장치(501)는 냉장고(1)에 부착되어 있고, 카메라 장치(300)는 냉장실(3)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통신 장치(501)는 고내를 촬상하기 위한 지령(이하, 촬상 지령이라고도 함)을 외부의 장치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고(庫)측 통신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신 장치(501)는 무선 통신용의 어댑터로서 형성되어 있고, 냉장고(1)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냉장고(1)를 구입한 사용자가 구입 후에 옵션으로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해져 있다. 이 통신 장치(501)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1)의 주제어부(30)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 방식이나 유선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냉장고(1)는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지만, 촬상 지령을 수신하면, 카메라 장치(300)에 대해서 촬상 지시(도 23 참조. 본 실시형태에서는 광의 점멸신호)를 알린다.
카메라 장치(300)의 통신 모듈(306)은 라우터(101)와의 사이에서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통신 단말(103)이나 서버(104)에 화상 정보를 송신한다. 이 통신 모듈(306)은 카메라 장치(300)에서 촬상한 고내의 화상 정보를 통신 단말(103)이나 서버(104)(도 1 참조)등의 외부 장치에 송신하기 위한 카메라측 통신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이 통신 모듈(306)은 카메라 장치(300)의 케이스(303)의 배면측(최외연측)의 벽부를 따라서 설치되어 있다. 즉, 통신 모듈(306)은 내장하는 도시하지 않은 안테나와 케이스(303)와의 사이에 다른 부품 등이 존재하지 않는 내부 배치로 함으로써 안테나에 의한 전파의 송수신이 저해되는 것(통신 장애가 발생하는 것)이 억제되어 있다. 또한, 통신 모듈(306)은 전지(305)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안테나와 전지(305)가 대향하지 않는 배치로 되어 있다.
그리고, 냉장고(1)의 우측 문(3b)의 전방면은 상기한 바와 같이 유리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고내에 배치된 카메라 장치(300)로부터 발해지는 무선 통신용 전파는 금속판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문을 투과하기 쉬워지고 있다. 또한, 카메라 장치(300)는 도어 포켓(200)의 유지부(202)(즉, 우측 문(3b)의 개방단부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특히 본 실시형태와 같이 좌우 여닫이형인 경우에는 각 문 틈으로부터 전파를 고외로 내보낼 수 있다. 또한, 유지부(202)에 배치함으로써, 예를 들어 문의 전방면이 금속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등이어도, 카메라 장치(300)로부터의 전파가 고외로 나오기 쉬워진다. 또한, 문의 내부는 우레탄으로 충전되어 있으므로, 전파를 차단할 가능성이 적다.
그런데, 냉장고(1)에는 단열재로서 우레탄 대신, 또는 우레탄과 함께 진공단열재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이 진공단열재는 금속제의 박(箔) 부재(예를 들어, 알루미늄박)와 예를 들면 합성 수지제의 필름 부재를 접합시킨(라미네이트 가공한)필름으로 유리 섬유 등의 심재를 감쌈으로써, 예를 들면 장방형의 박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단열재가 된다. 이 진공단열재는 냉장고(1)의 케이스나 문의 내부 부재로서 사용되지만, 예를 들면 카메라 장치(300)를 도어 포켓(200)에 배치하는 경우에는 유지부(202)에 대응하는 위치를 피하여 진공단열재를 설치하는 등에 의해, 전파를 밖으로 내보내기 쉽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우측 문(3b)에 대해서는 카메라 장치(300)의 투영면(특히 통신 모듈(306)의 부위)을 피하도록 진공단열재를 배치하거나, 좌측 문(3a)이나 하부 냉동실(7)의 문(7a) 등, 카메라 장치(300)가 배치되지 않은 문에 대해서는 그 전면(全面)에 진공단열재를 배치하기 등에 의해, 냉장고(1)의 단열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전파를 밖으로 나오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유리판(3b1)을 보강하는 것이나 후술하는 도 29와 같이 자석으로 카메라 장치(300)를 부착하기 위한 금속 부재를 문에 설치하는 것도 생각되는데, 그 경우도 진공단열재의 경우와 동일하게 배치를 연구함으로써 전파를 나오기 쉽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내로부터 전파를 나오기 쉽게 하는 구조는 본 실시형태와 같이 카메라 장치(300)에 통신 모듈(306)을 설치하고, 그 카메라 장치(300)를 냉장고(1)의 고내에 배치하며, 촬상한 화상 정보를 카메라 장치(300)로부터 직접적으로 외부 장치에 전달하는 구성(즉, 냉장고(1)의 통신 장치(501)를 통하지 않고 카메라 장치(300)가 화상 정보를 송신하는 구성)에서 특히 유의해진다.
여기에서 상술한 자석(206)의 극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자석(206)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지부(202)에서 카메라 장치(300)의 배면 즉 검지부(307)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카메라 장치(300)가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검지부(307)가 자석(206)과 대향한 상태, 또한 자석(206)과 접근한 상태가 된다. 이 경우, 자석(206)은 카메라 장치(300)와 대향하는 측이 N극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검지부(307)는 N극으로부터의 자계의 강도를 검지하는 것이 된다.
그런데, 자석(206)의 극성을 이와 같은 배치로 하는 이유는, 카메라 장치(300)를 냉장실(3) 이외의 예를 들면 야채실(4) 등에 설치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기 때문이다. 야채실(4)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4a)에 레일 부재(4b)가 부착되어 있고, 그 레일 부재(4b)에 야채실 박스(4c)가 부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야채실(4)을 카메라 장치(300)로 촬상하기 위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9에 도시한 냉장고용 홀더(400)를 채용하고 있다. 이 냉장고용 홀더(400)는 카메라 장치(300)를 유지하는 유지부(401)와, 유지부(401)를 야채실 박스(4c)에 부착하기 위한 걸림고정부(40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유지부(401)는 카메라 장치(300)를 가로배치로 유지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전방면측의 전방벽(403)은 렌즈(301)의 시야를 가리지 않는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지부(401)의 후방벽(404)에는 카메라 장치(300)의 배면측의 위치에 자석(405)이 설치되어 있다. 이 자석(405)은 카메라 장치(300)측이 S극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용 홀더(400)를 야채실(4)에 부착하고, 카메라 장치(300)를 유지부(401)에 유지한 상태에서는, 카메라 장치(300)는 가로 배치의 상태로 유지되고, 또한 검지부(307)가 도 17과 동일하게 자석(405)에 대향한다. 그리고, 검지부(307)는 S극으로부터의 자계의 강도를 검지한다.
이와 같이, 자석(206) 및 자석(405)은 카메라 장치(300)에 대향하는 측의 극성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카메라 장치(300)는 냉장실(3)에 설치된 경우와 야채실(4)에 설치된 경우에서, 다른 자계의 강도를 검지부(307)에서 검지한다. 다시 말하면, 카메라 장치(300)는 자신이 어느 저장실에 설치되었는지를 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카메라 장치(300)는 자기(磁氣)를 검지함으로써, 설치된 냉장고(1)가 자신의 동작 대상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즉, 자석(206) 및 자석(405)은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피검지수단으로서도 기능한다.
다음에, 이 카메라 장치(300)의 전기적 구성 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 장치(300)는 제어부(309)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어부(309)는 CPU(309a), ROM(309b), RAM(309c) 및 RTC(309d) 등을 갖는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되어 있고, 카메라 장치(300) 전체를 제어하는 카메라측 제어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309)는 렌즈(301)나 촬상 소자를 갖는 촬상부(308)에 의한 촬상 타이밍을 제어, 촬상램프(302)에 의한 촬상할 때의 촬상 환경을 정리하는 제어(점등 제어), 통신 모듈(306)에 의한 화상 정보의 송신 및 후술하는 지령의 수신 등을 위한 제어, 검지부(307)에 의한 설치 상태를 판단·식별하기 위한 제어를 실시한다. 또한, 제어부(309)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촬상한 화상의 보정 등을 실시하는 화상 처리도 실시하고 있다.
우선, 검지부(307)에 의한 설치 상태의 판단·식별의 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검지부(307)는 온도 센서(310), 자기 센서(311), 가속도 센서(312) 및 조도 센서(313)를 갖고 있다. 제어부(309)는 온도 센서(310)에 의해 외부의 온도를 검지함으로써, 카메라 장치(300)가 모두 저장고에 설치되어 있는지의 설치 장소를 판단한다. 이하, 구체적인 판단에 대해서 설명한다.
온도 센서(310)는 카메라 장치(300)가 설치된 장소의 온도를 검지한다. 이 온도 센서(310)는 도 2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도에 비례하여 출력이 커진다. 그리고, 일반적으로는 냉장실(3)의 온도와 하부 냉동실(7)의 온도는 십여 ℃ 정도의 차이가 있는 점에서, 기준이 되는 기준 온도를 설정해 두고, 그 기준 온도보다 높으면 냉장실(3)에 설치되어 있다고 판단하는 한편, 기준 온도보다 낮으면 하부 냉동실(7)에 설치되어 있다고 판단한다. 이 경우, 하부 냉동실(7)에 설치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 고장 등의 우려가 염려되므로, 촬상 램프(302)를 점등시키거나 부저 등의 음성 출력 수단을 설치해 두고 음성으로 설치 장소가 상정(想定) 밖인 것을 알리거나 통신 모듈(306)을 통하여 냉장고(1)측에 그 취지를 송신하여 냉장고(1)의 조작 패널(33) 등에서 사용자에게 알린다. 이와 같이, 카메라 장치(300)는 온도 센서(310)에서 검지한 온도에 기초하여 설치 장소를 판단한다.
자기 센서(311)는 상기한 바와 같이 자석(206)이나 자석(405)으로부터의 자계를 검지 한다. 이 자기 센서(311)는 도 2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N극 또는 S극 중 어느 것으로부터의 자계인지에 따라 출력이 정측(N극인 경우)과 부측(S극인 경우)으로 변화하므로, 그 정부(正負)에 의해서 설치 장소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자기 센서(311)의 출력이 정측(0이 아님)인 경우에는 본 실시형태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냉장실(3)의 도어 포켓(200)에 설치되어 있는 자석(206)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것, 즉 카메라 장치(300)가 냉장실(3)에 설치된 것을 검지할 수 있다.
또한, 냉장실(3)과 야채실(4)에 온도차가 있는 경우에는, 이 온도 센서(310)의 출력에 기초하여 냉장실(3)에 설치되었는지 야채실(4)에 설치되었는지를 판단하도록 해도 좋다. 어쨌든, 온도 센서(310)의 출력에 기초하여 카메라 장치(300)가 저장실 내에 설치된 것을 검지할 수 있다.
한편, 자기 센서(311)의 출력이 부측(0이 아니라)인 경우에는, 상기한 자석(405)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것, 즉 카메라 장치(300)가 야채실(4)에 설치된 것을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장치(300)를 예를 들면 선반판(11) 등에 설치하는 경우(도 24(B)참조)를 고려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측 기준치를 넘은 경우에는 냉장실(3)이라고 판정하고, 부측 기준치를 하회한 경우에 야채실(4)이라고 판단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0부근의 출력의 경우에는 자석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선반판(11) 등이라고 판단한다. 또한, 상술한 온도 센서(310)와 조합하여, 저장실 내임을 판단 조건에 추가해도 좋다.
가속도 센서(312)는 카메라 장치(300)에 가해지는 가속도(중력 가속도)를 검지한다. 이 가속도 센서(312)는 이른바 3축 센서로서 X방향, Y방향 및 Z방향(도 15, 도 16 참조)의 3축 방향의 가속도를 검지한다. 이 때문에, 도 2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로 배치한 경우와, 세로 배치(상하 역방향)한 경우와, 가로 배치한 경우와, 가로 배치(좌우 역방향)한 경우에서, 그 출력이 변화된다. 이에 의해, 카메라 장치(300)가 설치된 방향을 검지할 수 있다. 검지한 카메라 장치(300)의 방향은 후술하는 화상 처리에 이용된다. 또한, 설치 장소의 판단에 사용해도 좋다.
다음에, 촬상 타이밍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촬상의 흐름은 제1 실시형태의 도 6과 거의 공통이므로, 도 6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카메라 장치(300)는 미리 정해져 있는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및 외부 장치로부터의 지령을 수신한 경우 중 어느 것을 판정하고 있다. 즉, 촬상 조건이 충족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있다(A1). 이 경우 카메라 장치(300)는 RTC(309d)에 의해 계시(計時)를 실시함으로써, 소정 기간이 경과했는지를 판정하고 또한 지령을 수신했는지 여부를 조도 센서(313)에서 검지한 조도에 기초하여 판정한다.
검지부(307)를 구성하는 조도 센서(313)는 카메라 장치(300)가 설치된 장소의 조도를 검지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조도 센서(313)는 고내 조명이 점등된 정도의 조도가 되면, 그 취지를 제어부(309)에 통지한다. 또한, 카메라 장치(300)가 설치된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1)는 외부의 장치로부터 촬상하기 위한 지령을 수신하면, 예를 들면 천정 조명(13)과 같은 고내 조명을 소정의 점멸 패턴으로 점멸시킨다. 또한, 촬상 지령은, 예를 들면 통신 단말(103)의 경우에는 제1 실시형태의 도 10의 단말측 처리의 단계(B2~B4)와 동일하게 실시된다.
이 점멸 패턴은 냉장고(1)로부터 착탈 가능한 카메라 장치(300)에 대해서 촬상 타이밍을 알리기 위해 미리 설정되어 있다. 즉, 냉장고(1)는 고내 조명을 점멸시킴으로써 카메라 장치(300)에 대해서 촬상 지시를 알리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냉장고(1)가 동작 대상인지(즉, 고내 조명의 점멸이 가능한 냉장고인지)를 판단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나, 카메라 장치(300)에 동작 대상임을 식별시키기 위한 구성을 설치함으로써 실현되어 있다. 즉, 고내 조명을 점멸 가능한 것이, 카메라 장치(300)의 동작 대상인 냉장고(1)임을 나타내고 있다.
카메라 장치(300)는 도 23의 기간 T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은 소위 슬립 모드 등의 전력 절감 상태가 되어 있는 한편, 조도 센서는 작동하고 있다. 냉장고(1)는 외부의 장치로부터 지령을 수신하면, 상기한 것처럼 소정의 점멸 패턴으로 고내 조명을 점멸시킨다. 이때, 고내 조명이 점등된 점에서 조도 센서(313)로부터 제어부(309)에 대해서 통지(예를 들면, 인터럽트 신호의 입력 등)이 실시되고, 제어부(309)가 동작 상태가 된다. 즉, 고내 조명이 소정의 점멸 패턴으로 점멸한 경우, 촬상 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판단한다. 점멸 패턴은 예를 들면 점등과 소등의 주기, 그 반복 횟수 등,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촬상 조건이 충족됐다고 판단하면(A1:예), 카메라 장치(300)는 촬상램프(302)를 점등시키고(A2), 고내를 촬상하고(A3), 그 화상 정보를 서버(104) 등으로 송신한다(A4).
그런데, 냉장고(1)는 지령을 받은 경우 이외에도 고내 조명이 점등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도 23의 기간 T2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문이 개방된 경우에는, 점멸 패턴이 아닌 형태(이 경우 연속 점등)으로 고내 조명이 점등된다. 이 경우 카메라 장치(300)는 고내 조명이 점등한 점에서 일단은 동작 상태가 되지만, 소정의 점멸 패턴은 아니므로, 즉 촬상 조건이 충족되어 있지 않으므로 다시 대기 상태가 된다.
또한, 카메라 장치(300)는 도 23의 기간 T3처럼, 전회(기간 T1)의 촬상으로부터 미리 설정되어 있는 촬상 간격 설정 기간이 경과하는 등, 소정 기간이 경과하면, 촬상 조건이 충족됐다고 판정하고(A1: YES), 동작 상태가 되어, 촬상램프(302)를 점등시키고(A2), 그 시점에서의 고내의 화상을 촬상하고(A3), 화상 정보를 송신한다(A4).
이와 같이, 카메라 장치(300)는 소정 기간이 경과했는지 및 외부 장치로부터의 지령(사용자의 의사)이 있었는지에 기초하여 고내를 촬상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도 24(A)~(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메라 장치(300)를 설치한 장소에 따라, 고내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장치(300)를 냉장실(3)과 야채실(4)의 쌍방에 설치하는 등, 복수의 카메라 장치(300)를 설치해도 좋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의 경우 카메라 장치(300)는 단순히 고내를 촬상할 뿐만 아니라, 화상의 변환 등의 화상 처리도 실시하고 있다.
카메라 장치(3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세로배치 또는 가로배치할 수 있지만, 이 경우, 화상은 90도(또는 270도) 회전한 상태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카메라 장치(300)는 서버(104)에 송신하기 전에 화상의 변환을 실시하고 있다. 이에 의해, 도 24(A)와 (B) 또는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 장치(300)의 방향이 다른 경우에도, 상하 방향이 통일된 화상, 즉 사용자가 냉장고(1)를 직접 확인할 때 와 동일한 상태의 화상을 통신단말(103)에서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렌즈(301)가 광각 렌즈이므로, 촬상한 화상은 제1 실시형태의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 부근이 왜곡된 화상이 된다. 그 때문에 카메라 장치(300)는 그 왜곡을 보정하는 화상 처리를 함으로써, 구체적으로는 중앙 부근과 상하의 단부와의 비율을 일치시키는 화상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도 2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왜곡이 적은 화상을 표시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화상과 카메라 장치(300)의 방향을 맞추어 화상 정보로서 송신하고, 서버(104) 또는 통신 단말(103)에서 화상 처리를 실시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화상 처리를 외부의 장치측에서 실시함으로써 카메라 장치(300)의 소비 전력을 삭감할 수 있다. 이는 본 실시형태와 같이 외부로부터의 급전수단을 갖지 않는 카메라 장치(300)에 있어 유의하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실시형태에서 얻어지는 효과에 추가하여(또는 대신),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외출지 등의 원격지에서 냉장고(1)의 고내를 확인하고 싶다고 생각하는 사용자가 존재하지만, 고내를 촬상하기 위한 촬상부(308)(촬상 수단)와, 촬상부(308)에서 촬상한 고내의 화상 정보를 서버(104) 등의 외부 장치에 송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306)(통신수단)과 냉장고(1)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외출지 등에서, 통신 단말(103)에 의해 고내의 화상을 취득할 수 있고 고내를 확인할 수 있다.
고내의 화상을 촬상할 때 함부로 촬상을 반복하면 전력 소비가 증가하여 전지 방전을 일으키거나 서버(104)에 불필요한(동일한) 화상이 몇 장이나 축적될 우려가 있지만, 카메라 장치(300)의 제어부(309)에 의해 고내를 촬상하는 타이밍을 제어함으로써 그러한 우려를 감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시형태와 같이, 소정 기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예를 들면 가족 등이 냉장고(1)로부터 식재료를 꺼내는 등의 행위를 실시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소정 기간을 경과한 타이밍, 즉 저장상황이 변화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타이밍에서 고내를 촬상함으로써, 불필요하게 촬상이 반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의 지령을 수신한 타이밍에서 고내를 촬상함으로써 최신의 저장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한 소정 기간이 경과한 타이밍에서 촬상하지 않으면, 다시 말하면, 사용자의 의사 표시가 되었을 때에만 촬상하도록 하면, 불필요한 촬상이 실시되지 않게 되므로, 더욱 소비 전력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도 설명했지만, 제1 실시형태의 각 촬상 조건과 조합함으로써 저장 상황이 변화했을 때의 화상을 취득하도록 해도 좋다.
냉장고(1)의 고내를 확인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는 사용자도 존재하는 것이 예상되지만, 카메라 장치(300)는 고내를 촬상하기 위한 촬상부(308)와, 촬상부(308)에서 촬상한 고내의 화상 정보를 서버(104) 등의 외부 장치에 송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306)을 구비하고, 냉장고(1)에 착탈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확인이 불필요한 사용자는 카메라 장치(300)를 떼어낼 수 있다. 또한, 구입시에는 불필요하다고 생각했지만 구입후에 확인하고 싶다고 생각하는 사용자도 카메라 장치(300)를 추가함으로써 고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통신 장치(501)도 착탈 가능한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카메라 장치(300)의 경우와 동일하게, 고내의 확인이 필요 없는 사용자는 분리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나중에 추가로 달고자 하는 사용자에 대해서도 대응할 수 있다.
촬상하기 위해서는 광원이 필요하지만, 고내를 비추기 위한 촬상램프(302)(카메라측 조명 수단)를 카메라 장치(300)에 설치하고 있으므로, 카메라 장치(300) 단체(單體)로 고내를 촬상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1)와 연계하여 고내 조명을 점등하는 구성이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카메라 장치(300)를 설치하는 경우, 설치 위치에 따라서는 시야가 가려지는 등에 의해 고내를 잘 촬상하지 못할 가능성도 있지만, 촬상하는 데 유리한 장소도 있다. 그래서, 냉장고(1)에 카메라 장치(300)를 부착하기 위한 피부착부(실시형태에서는 도어 포켓(200)의 유지부(202)나, 냉장고용 홀더(400)의 유지부(401)등)을 설치함으로써, 예를 들면 냉장실(3) 전역을 촬상 가능한 장소에 카메라 장치(300)를 설치할 수 있다.
카메라 장치(300)의, 상술한 바와 같은 고내 조명을 점멸시킬 수 없으면 외부의 장치로부터의 촬상지령을 실행할 수 없을 우려가 있지만, 자석(206)이나 자석(405)을 설치하여 그 자기를 검지부(307)에서 검지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즉 그 냉장고(1)가 카메라 장치(300)에 의한 촬상이 가능한(촬상이 허용된) 동작 대상인 것을 검지시키기 위한 피검지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그와 같은 우려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통신 모듈(306)에서 냉장고(1)측과 통신함으로써, 즉 통신 모듈(306)을 검지수단(이 경우, 통신 장치(501)가 피검지 수단이 된다)으로서 사용해도 좋다. 또한, 통신 모듈(306)을 카메라 장치(300)가 상기 냉장고(1)용으로 설계된 것(예를 들면, 고내 조명을 점멸시킴으로써 촬상을 할 수 있는 것)인지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수단으로서 사용해도 좋다.
카메라 장치(300)는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전지(305)에 의해 구동되는(즉, 냉장고(1)에 설치되어 있을 때에는 외부로부터의 전원 공급이 없는 상태에서 구동되는)것으로부터, 가능한 한 전력 소비를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통신 모듈(306)은 통신 장치(501)와 통신하도록 함으로써, 통신 모듈(306)에서 외부의 장치와 무선 통신을 실시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무선 통신에 의한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로부터 지령을 받는 경우, 통신수단이 항상 동작하여 지령을 대기할 필요가 있지만, 실시형태처럼 통신 장치(501)에서 지령을 수신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통신 모듈(306)을 상시 동작시켜 둘 필요가 없어지고, 전지가 방전될 때까지의 기간을 보다 길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 장치(501)에는 예를 들면 USB 등의 유선 방식에 의해 냉장고(1)측으로부터 급전 가능한 구성으로 해 두면, 통신 장치(501)가 없는 경우에는 불필요한 급전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통신 장치(501)가 있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상시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카메라 장치(300)를 착탈 가능하게 하는 경우, 무선 통신을 채용한 편이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통신 장치(501)에서 지령을 수신하는 경우, 그것을 어떤 방법으로 카메라 장치(300)에 전달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카메라 장치(300)에 조도 센서(313)를 설치하고, 고내 조명을 점멸시킴으로써, 촬상 지령을 간접적으로 카메라 장치(300)에 전달하는 구성함으로써, 무선 통신을 채용한 카메라 장치(300)에, 촬상 타이밍을 통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 장치(300)측은 조도 센서(313)를 동작 상태로 해 두면 좋으므로, 통신 모듈(306)을 동작시키는 경우에 비하여 전력 소비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장치(300)가 설치되는 우측 문(3b)의 전방면은 비금속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우측 문(3b)에 의해 밀폐된 냉장실(3)내에 카메라 장치(300)를 통신 모듈(306)마다 배치하는 경우이어도, 전파를 고외로 내보내기 쉽게 할 수 있다. 야채실(4)에 카메라 장치(300)를 배치하는 경우도 동일하다.
예를 들면 냉장실(3)은 일반적으로는 세로로 긴 형상이며 야채실(4)은 일반적으로는 가로로 긴 형상임을 고려하면 복수의 저장실이 존재하는 경우, 저장실에 따라서 카메라 장치(300)의 시야를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화상이 가로방향이 되면 사용자가 위화감을 느낄 가능성이 있으므로, 사용자가 냉장고(1)를 본 경우의 상태, 즉 냉장고의 상하 방향이 통일된 화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상술한 자석(206)이나 자석(405)을 설치함으로써, 또한 카메라 장치(300)에 대향하는 측의 극성이 다른 것과 같은 배치로 함으로써 어떤 위치(이 경우, 제조 업체 등이 미리 설정한 부착 위치. 유지부(202) 또는 유지부(401)에 대응함)에 설치되어 있는지를 파악함으로써, 그 위치에서의 카메라 장치(300)의 방향을 판단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냉장실(3)의 경우에는 본 실시형태에서 세로 배치, 야채실의 경우에는 가로배치가 되도록 유지부(202)나 유지부(401)가 미리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저장실에 대응한 방향으로 카메라 장치(300)가 설치되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저장실에 따라서 적절하게 시야를 확보할 수 있고, 또한 화상 처리를 실시할 때 어느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좋을지 등을 판별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가속도 센서(312)에서 검출한 가속도의 방향으로부터 카메라 장치(300)의 방향을 판단할 수도 있고, 온도 센서(310)에서 검출한 온도에 기초하여 설치 장소를 판단할 수도 있다.
카메라 장치(300)가 예를 들면 냉동실에 잘못 설치되면, 동작 불량 등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지만, 온도 센서(310)에서 온도를 검지함으로써, 또한 실시형태와 같이 알림 가능하게 함으로써, 동작 불량 등을 일으킬 우려를 감소시킬 수 있다.
카메라 장치(300)에서 고내를 촬상하기 위해서는 고내에 대해서 정면으로부터, 또한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어느 정도의 거리를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냉장고(1)의 경우 그 정면측의 부착 위치는 문에 의해 제한된다. 그래서, 적어도 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문의 내판(14)에 부착하는 것이 생각되지만, 그 경우 도어 포켓이 시야에 걸릴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실시형태의 도어 포켓(200)은 그 벽부(203)가 유지부(202)(피부착부)를 피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카메라 장치(300)의 시야를 가리는 일이 없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고내를 촬상하는 데에 유리한 장소가 존재하므로, 그 장소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도어 포켓(200)과 같이, 카메라 장치(300)를 유지하는 유지부(202)(부착하기 위한 피부착부)를 설치함으로서, 설치 장소를 명시할 수 있다. 또한, 유지부(202)에 유지된 상태에서는, 카메라 장치(300)의 시야가 냉장실의 중심에 오도록 유지부(20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내의 거의 전역을 촬상할 수 있다. 또한, 유지부(202)에 설치함으로써 그 중심 위치가 규정되므로 화상의 왜곡을 보정하는 화상 처리에서, 보정할 때의 중심 위치와 화상의 중심 위치가 일치하고, 그 중심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균등하게 왜곡 보정을 실시하면 되므로, 화상 처리의 연산 부하의 감소를 도모할 수도 있다.
또한, 이 도어 포켓(200)에는 자기 센서(311)의 검지 대상이 되는 자석(206)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설치장소를 카메라 장치(300)에 식별시킬 수 있다.
냉장고(1)의 경우, 야채실(4) 등도 설치되어 있지만, 야채실(4)에는 소위 도어 포켓이 설치되어 있지 않고, 또한 상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단순히 카메라 장치(300)를 설치하면, 수납되는 야채 등으로 덮일 우려가 있다. 그래서, 냉장고용 홀더(400)와 같이, 카메라 장치(300)를 유지하고 유지부(401)를 갖는 냉장고용 홀더(400)를 사용하여 카메라 장치(300)를 야채실(4)에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지부(401)를 야채실 박스(4c)의 가장자리 등에 걸어 고정하는 걸림 고정부(402)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야채실(4)의 상부측 또한 문(4a)측에 설치할 수 있어, 채소 등에 덮이지 않고 야채실을 촬상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걸림 고정부(402)에서 걸려 고정되어 있으므로, 불필요한 경우에는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이 냉장고용 홀더(400)에도 자석(405)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카메라 장치(300)는 자신의 설치 장소를 상기한 바와 같이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가전 네트워크 시스템(500), 고내 화상 표시 프로그램이 나타내는 효과는 제1 실시형태와 공통이다.
(제3 실시형태)
이하, 제3 실시형태에 대해 도 30~도 3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한편, 상기한 제1 실시형태나 제2 실시형태와 실질적으로 공통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먼저, 도 30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700)가 구비한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냉장고(700)는 제어 블럭(701)(제어 수단), 촬상 블럭(702)(촬상 수단), 조명 블럭(703)(조명 수단), 개방 검지 블럭(704)(문 개방 검지 수단), 개방도 검지 블럭(705)(개방도 검지 수단), 조도 검지 블럭(706)(조도 검지 수단), 통신 블럭(707)(통신 수단, 통지 수단)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각 블럭을 기능명으로 표시한 것은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그 구체적인 실현방법으로서 다양한 조합을 상정할 수 있는 점이나 단일 구성요소를 복수의 기능 블럭에 적용할 수 있는 점 등 때문이다.
제어 블럭(701)은 CPU(701a), ROM(701b), RAM(701c) 등을 가진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 블럭(701)은 CPU에서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수납량 추정부(708)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실현하고 있다. 수납량 추정부(708)는 각 블럭에서 검지한 정보를 바탕으로 고내에 저장된 수납물의 수납량(식재료의 저장량. 물품의 전체적인 양뿐만 아니라 전용 케이스에 수납되어 있는 달걀의 수나 페트병의 잔량 등도 포함)을 추정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블럭(701)으로서 냉장고(700)의 주제어부(30)(도 4 참조)를 상정하였으나, 카메라 장치(18)측의 제어부(50)를 채용해도 되고, 쌍방에서 처리를 분담해서 작동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촬상 블럭(702)은 저장고의 고내 등을 촬상하는 것이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의 카메라 장치(18)(도 4 참조)와 마찬가지로 냉장고(700)의 문에 고정적으로 설치된 것을 상정하였다. 이 경우, 카메라 장치(18)와 동일한 구성으로 해도 되고, 카메라 장치(18)측의 제어부(50)를 생략하고 주 제어부(30)에 의해 촬상 제어를 직접적으로 실행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한편, 제2 실시형태의 카메라 장치(300)(도 15 참조)를 채용하여, 촬상 블럭(702)을 냉장고(700)로부터 착탈식의 구성으로 해도 좋다.
조명 블럭(703)은 고내를 비추는 것으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내 조명인 천정 조명(13)(도 4 참조) 및 촬상 전용인 촬상 조명(19)(도 4 참조)과 동등한 것을 상정하였다. 한편, 측면 조명(36)(도 4 참조) 등의 다른 고내 조명을 구비해도 된다.
개방 검지 블럭(704)은 문의 개방을 검지하는 것으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문에 의해 눌려짐으로써 이동하는 가동편(可動片); 및 그 가동편과 연동하여 작동하는 접점;을 가진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다. 이 개방 검지 블럭(704)은 문이 완전히 닫힌 상태 및 문이 약간 개방된 상태(문의 개방량이 소정량 미만일 때)에는 오프(off)로 되고, 문이 소정량 이상으로 개방되면 온(on)이 된다. 개방 검지 블럭(704)의 온/오프 상태는 고내 조명을 점등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도 되며, 개방 검지 블럭(704)이 온이면 고내 조명이 점등되고, 개방 검지 블럭(704)이 오프이면 고내 조명이 소등된다. 한편, 온/오프는 문의 개폐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반드시 접점 상태인 것은 아니다.
개방도 검지 블럭(705)은 문의 개방도를 검지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냉장실(3)의 문(3a)처럼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문일 경우, 그 회전각도(폐쇄상태를 0도로 함)를 검지한다. 또한 야채실(4)의 서랍식 문(4a) 등의 경우에는 그 인출량을 검지한다. 회전각도는 각도 검출기(예를 들면 로터리 인코더 등)로 검출하면 되고, 인출량은 거리 검출기(예를 들면 레이저 거리계 등)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실험을 통해 미리 계측 및 기록한 고내의 조도 변화를 이용한 조도 블럭에 의해 개방도를 검지해도 된다. 한편, 개방도 검지 블럭(705)은 촬상 블럭(702)을 설치하는 대상이 되는 저장고에 대해 설치하면 된다.
통신 블럭(707)은 촬상한 화상정보를 외부에 송신하는 것으로, 제1 실시형태의 통신부(52)(도 4 참조), 제2 실시형태의 통신 모듈(306)이나 통신장치(501)(도 21 참조) 등, 촬상 블럭(702)의 구성에 따라 적절히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촬상 블럭(702)을 냉장고(700)의 주 제어부(30)가 직접적으로 제어할 경우, 통신 모듈(306)을 채용하면 된다.
다음으로, 우선 외문식(회전식) 문으로 개폐되는 저장고(709)(예를 들면 냉장실)을 촬상하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3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장고(709)는 문(710)을 통해 개폐되며, 그 문(710)의 고내측에 촬상 블럭(702)이 설치되어 있다. 이 촬상 블럭(702)은 저장고(709)의 문(710)의 개방단측(힌지와 반대측의 단부측)에 위치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문(710)이 폐쇄상태에 있을 때 저장고(709)의 거의 정면에 위치해 있다. 또한 저장고(709) 내에는 조명 블럭(703)(예를 들면 천정 조명(13)), 개방 검지 블럭(704) 및 조도 검지 블럭(706) 등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폐쇄상태에 있는 문(710)이 개방될 때, 촬상 블럭(702)에 의해 촬상한다. 이로 인해, 냉장고(700)는 문(710)이 개방될 때, 즉 수납량이 변화될 가능성이 있을 때의 고내를 촬상할 수 있다. 한편, 촬상 블럭(702)은 문(710)이 개방된 상태(문(710)이 정지된 상태)뿐만 아니라, 개방중(문(710)이 움직이고 있는 상태)에도 촬상 가능하다. 즉, 촬상 블럭(702)은 문(710)이 폐쇄상태에서 개방되고(개방되기 직전의 폐쇄상태도 포함), 그 후 다시 폐쇄상태로 될 때까지(폐쇄상태가 된 직후도 포함), 임의의 타이밍에 촬상할 수 있다. 한편 「저장물의 수납량이 변화」된 것에는 「새로 저장물이 추가」된 것도 포함된다.
개방 검지 블럭(704)은 문(710)의 개방도(이 경우, 회전각도)가 소정량 미만일 경우에는 오프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도 3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710)이 약간 열린 상태에서는 개방 검지 블럭(704)이 오프로 되어 있다. 단, 그 상태에서도 개방도 검지 블럭(705)을 통해 문(710)의 회전각도를 검지하고 있으므로, 개방도 검지 블럭(705)에서는 문(710)의 회전각도가 0도는 아니게 되어, 실제로는 약간 열려 있음을 검지하고 있다. 즉, 개방도 검지 블럭(705)의 판정 결과에서는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700)의 촬상 타이밍이 되었다고 판정된다.
그 경우 고내 조명이 아직 점등되지 않는 점, 또 문(710)의 개방도가 낮은 점 때문에 외부의 빛도 그다지 들어오지 않아 고내가 어두울(조도가 낮을) 것으로 상정된다. 그리고 조도가 낮을 경우, 촬상한 화상도 어두워지므로 고내의 모습을 파악할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냉장고(700)는 문(710)이 개방될 때 그 개방도가 소정량(도 31의 회전각도 θ1) 미만일 경우에는 조명 블럭(703)을 점등시켜서 광량을 확보한다. 이로 인해, 촬상한 화상으로부터 고내의 모습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점등되는 조명 블럭은 촬상 조명(19)를 상정하였으나, 촬상 조명(19)에 추가하거나, 또는 촬상 조명(19) 대신에(촬상 조명(19)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등) 고내 조명을 점등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개방 검지 블럭(704)은 도 3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710)의 개방도가 소정량(회전각도 θ1) 이상이 되면 온으로 되고, 그에 따라 고내 조명이 점등된다. 즉, 고내가 밝아진다.
그러므로 냉장고(700)는 문(710)이 개방될 때, 그 개방도가 소정량 이상이 되면 촬상한다. 이에 따라, 고내를 밝게 촬상할 수 있다.
한편, 냉장고(700)가 에너지 절감 모드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고내 조명을 점등시킬 때의 광량을 통상적인 점등시보다 적게 해도 된다. 이 경우, 개방 검지 블럭(704)이 온 되는 것은 문(710)이 어느 정도 개방된 상태이기 때문에, 그 상태라면 외부의 빛이 어느 정도 고내에 들어가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개방 검지 블럭(704)이 온 상태에서 촬상함으로써 외부의 빛도 이용해서 촬상할 수 있고, 에너지 절감 모드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도 선명한 화상을 촬상할 수 있다.
그런데, 고내를 촬상하는 목적은 고내의 모습을 파악하는 것이고, 고내의 모습을 파악할 수 없는 흐릿한 화상을 촬상하는 것(및 그것을 사용자에게 송신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므로 조도 검지 블럭(706)에 의해 고내의 조도를 검지하여, 조도가 소정 기준치를 넘으면 촬상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소정 기준치를 고내의 모습을 파악할 수 있을 정도의 조도로 설정함으로써, 촬상한 화상이 불선명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도 검지 블럭(706)의 검지 결과와, 상기한 개방 검지 블럭(704)이나 개방도 검지 블럭(705)의 검지 결과를 조합해도 된다. 예를 들어, 개방도가 충분하더라도 고내의 조도가 부족할 가능성을 고려하여, 문(710)이 개방된 것 및 조도가 충분한 것을 조건으로 하여 촬상해도 된다. 또한, 개방 검지 블럭(704)이 오프 상태(단, 개방도 검지 블럭(705)에서는 개방으로 판단되는 상태)에서 조도가 충분하다면 조명 블럭을 점등하지 않고 촬상해도 된다.
문(710)이 더 개방되었을 경우, 예를 들어 도 31(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710)의 개방도가 90도 미만인 상태에서는 촬상 블럭의 시야의 절반 정도는 고내가 찍히고 있다고 생각된다. 한편, 도 31(E)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710)의 개방도가 90도가 되면, 촬상 블럭의 시야 대부분에는 고외(庫外)가 찍히고 있을 것으로 상정된다. 그 경우 고내의 모습을 파악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불필요한 정보가 많은 화상이 촬상되게 된다.
그러므로 냉장고(700)는 문(710)의 개방도가 90도 미만일 때 촬상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로써 고내의 정보가 많이 포함된 화상을 촬상할 수 있다. 단, 예를 들어 광각 렌즈로 촬상하는 경우나, 촬상 블럭(702)이 힌지(회전 중심)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등, 문(710)의 개방도가 90도를 넘어도 고내를 촬상할 수 있는 경우에는 문(710)의 개방도가 고내를 촬상할 수 있는 범위일 때 촬상하도록 해도 된다.
또는, 문(710)은 사용자에 의해 개폐되는 것이므로, 도 31(F)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710)의 개방도가 90도 부근(또는 90도를 넘어선 상태)에서는 촬상 블럭(702)의 시야에 사용자가 찍히고 있을 것으로 상정된다. 그렇기 때문에, 문(710)이 90도를 넘는 상태에서도 굳이 촬상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사용자의 모습(안색 등)이나 부재중일 때의 아이의 모습 등을 파악할 수 있게 되어, 원격으로부터의 모니터링 시스템 등에도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촬상 수단으로서는 고내뿐만 아니라 고외(냉장고(700) 주변)의 모습을 촬상할 수 있어도 된다. 한편, 90도를 넘어서 촬상할지 여부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면 되고, 소정 각도는 90도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조도 검지 블럭은 예를 들어 문의 고외측에 설치하여, 외부의 빛을 검지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고외의 모습을 촬상할 경우에 방안의 조명이 꺼져 있지 않은지 조도 센서로 검지하여, 꺼져 있을 경우에는 조명 블럭을 점등하면 된다. 특히 문의 전방면이 유리제일 경우, 문의 단부를 구성하는 프레임에 구멍을 설치하여, 문 내부에 배치한 조도 검지 블럭에 빛이 입사되도록 구성하면 된다.
<촬상 블럭의 배치예 1>
도 3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간 문(710)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한 것처럼 개방도 검지 블럭(705)으로 개방도를 검지하는 구성이면 고내 조명이나 촬상 조명를 점등시키는 등의 대책이 가능하지만, 개방도 검지 블럭(705)을 구비하지 않은 경우 등에는 고내 조명이 점등되지 않으므로 고내의 밝기가 촬상하기에는 부족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촬상 블럭(702)을, 상기한 문(710)의 중앙 부근이 아니라 문(710)의 개방단측, 즉 외부의 빛이 더 빨리 들어가는 쪽에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 외부의 빛이 더 빨리 들어가는 쪽은 문 중앙보다는 개방단측, 보다 바람직하게는 문의 좌우방향에 있어 개방단으로부터 1/3 길이의 범위 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개방단으로부터 1/4 길이의 범위 내에 해당한다. 이로써, 촬상 블럭의 시야에 외부의 빛이 빠르게 들어갈 수 있어 광량을 확보하기 쉬워진다. 또한 촬상 블럭(702)은 문(710)에서 고내를 향하는 시야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문(710) 틈으로 들어오는 빛은 촬상 블럭(702)의 후방측에서 고내로 들어간다. 그러므로 역광이 될 우려가 적어 고내를 선명하게 촬상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3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710)의 개방각도가 90도에 가까워지면 화상에는 고외의 정보가 많이 포함되기 때문에 고내를 촬상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면 문의 개방각도가 90도 미만일 때 촬상하도록 하면 되고, 상기한 모니터링 시스템 등에 적용하는 것을 고려한다면 90도를 넘어서 개방된 경우에도 촬상해도 좋다.
한편, 고외를 촬상하기 위한 전용 카메라를 설치해도 된다. 그 경우 문 전방면이 유리판인 경우, 유리 뒷면의 색이 입혀진 도료의 일부를 투명하게 하고, 문 내부에 설치한 카메라로 그 투명부를 통해서 외부를 촬상할 수 있게 하면 좋다.
<촬상 블럭의 배치예 2>
촬상 블럭(702)은 도 3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710)의 힌지측에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 도 33(B),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710)의 개방에 따라 촬상 블럭(702)의 시야가 고내를 횡단해 나가면서 거의 고내 전역을 촬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문(710)이 개방될 때 촬상하는 위치를 미리 설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3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 블럭(702)의 시야가 냉장고(700)의 거의 중앙 부근이 되는 각도까지 문(710)이 개방되었을 때 촬상하도록 해도 된다. 즉, 촬상 블럭(702)을 힌지측에 설치한 경우에는 고내를 촬상할 수 있는 범위(예를 들면 화상 중에 고내의 정보량이 고외의 정보량보다 많아지는 범위)가 넓어져, 촬상 타이밍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문(710) 개방중에 복수회, 화상을 촬상하도록 해도 된다. 즉, 시야가 다른 화상을 촬상해도 된다. 이 경우, 개방도 검지 블럭(705)으로 회전각도를 검지하여, 회전각도가 소정값이 된 시점에 촬상해도 좋고, 문(710)의 개방을 검지하고 나서 회전각도가 변화하는 동안에는 소정 시간마다 촬상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촬상 블럭(702)으로서 동화상 촬상이 가능한 것을 채용하여, 문(710) 개방중에 동화상을 촬상하고, 그 동화상 중에서 복수의 화상(정지화상)을 추출해도 된다. 이처럼 복수의 화상을 촬상함으로써, 즉 고내를 서로 다른 복수의 시야에서 촬상함으로써 앞의 물품에 가려져 있는 식재료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화상을 촬상함으로써 1개의 화상에서는 찍히지 않는 범위를 다른 화상으로 보완할 수 있게 되며, 그들을 합성하여 한 장의 전체 화상을 합성함으로써 고내의 모습을 보다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시야가 다른 화상을 촬상함으로써 입체 화상을 합성할 수도 있다.
물론, 배치예 1에서 제시한 개방단측과 배치예 2에서 제시한 힌지측 쌍방에 촬상 블럭(702)을 설치하여, 서로 시야를 보완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그 경우, 개방단측의 촬상 블럭(702)은 회전각도가 커지면 고외를 촬상하게 되기 때문에, 개방단측의 촬상 블럭(702)과 힌지측의 촬상 블럭(702)으로 촬상하는 각도 범위를 다르게 해도 된다. 문(710) 개방중에 2개의 촬상 블럭(702)으로 각각 1회씩 촬상하는 것도 복수회 촬상하는 것에 포함된다.
<수납량을 추정하는 예>
다음으로 수납물의 수납량을 추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어 고내를 정면측에서 촬상한 1개의 화상에 대해 수납량 추정부(708)로 화상 처리 등(예를 들면 색상 인식이나 휘도차 추출 등의 방법)을 함으로써 고내 전체에서 차지하는 수납물의 비율 등, 수납량을 추정할 수 있다.
이 때, 복수개의 화상에 기초해서 수납량을 추정함으로써 수납량(이하의 예에서는 잔량)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일례로, 저장고(709) 내의 용기(예를 들면 페트병(720) 등) 속 음료 등의 잔량을 추정할 경우, 도 3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 블럭(702)의 거의 정면에 페트병(720)이 위치해 있으면, 정면(화살표 Y1로 표시하는 방향)에서 촬상한 화상에는 도 3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페트병(720) 속에 음료(해칭으로 모식적으로 표시)가 많이 찍히고 있어 잔량이 많다고 추정하게 된다. 단, 화살표 Y2로 표시한 방향에서 본 도 34(C)와 같이 실제로는 잔량이 적으나, 페트병(720)이 다른 물품(721) 위에 올려져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정면 화상에서는 잔량이 많다고 잘못 추정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도 3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710)이 개방되었을 때 다른 시야(화살표 Y3로 표시하는 방향)에서도 촬상하여 그 화상을 화상 처리함으로써 도 34(E)와 같은 측면 화상을 얻을 수 있어, 그 화상에 기초해서 잔량을 추정하면 실제로는 잔량이 적음을 파악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3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달걀 케이스(722)를 거의 정면에서 촬상했을 경우, 달걀 케이스(722)에는 달걀(723)이 정렬되어 수납되어 있으므로, 맨 앞줄의 달걀(723)에 가려져서 뒷줄에 달걀(723)이 남아 있는지를 판단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도 35(B)와 같이 비스듬한 방향 등 다른 시야에서 촬상된 화상을 이용함으로써, 뒷줄의 상태, 즉 실제 달걀(723)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복수의 화상을 촬상함으로써 전체적인 수납량뿐만 아니라 개별적인 잔량도 추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른 각도에서 촬상함으로써 사용자가 육안으로 잔량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다른 각도에서 촬상함으로써 정면에서는 볼 수 없는 부위도 촬상할 수 있어, 다른 물품에 가려진 위치 등 사용자가 정면에서 고내를 보았을 때는 바로 알 수 없는 위치의 상태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달걀 케이스(722)처럼 그 위치가 기본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경우, 촬상 블럭(702)이 달걀 케이스(722)를 뒷줄쪽이 찍히는 비스듬한 방향에서 촬상할 수 있는 회전각도가 되었을 때에 촬상하도록 촬상 타이밍을 제어해도 좋고, 그 회전각도에 대응하는 화상을 동화상에서 추출해도 된다.
또한 문(710) 폐쇄시에도 촬상하도록 해도 된다. 이로 인해, 식재료의 수납량이 변화될 가능성이 있는 문(710)의 개방시에 먼저 촬상하고, 문(710)이 폐쇄된 시점에 또 촬상하여 이 화상들을 비교함으로써 수납량 변화를 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수납량이 변화된 것을 정밀하게 검지할 수 있다.
이 때, 문(710)에 대한 진동을 검지한 시점이나 개방도 검지 블럭(705)에서 개방도가 변화되기 시작한 시점 등, 문(710)이 개방되는 그 때에 촬상하는 구성으로 해도 되며, 기본적으로는 문(710)이 개폐되지 않으면 수납량이 변화될 가능성도 없기 때문에 문(710) 폐쇄중에 예를 들어 정기적으로 고내를 촬상해 두었다가, 문(710)이 개방되기 전의 최신 화상과, 개방된 문(710)이 그 후 폐쇄되었을 때 촬상한 화상을 비교함으로써 수납량 변화를 검지하거나 수납량을 추정해도 된다.
또한 수납량이 변화되었음을 통신 블럭(707)을 통해 사용자에게 통지해도 된다. 이 경우, 송신할 화상정보와 함께 수납량이 변화되었음을 나타내는 부대정보를 첨부해서 송부하는 것 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통지처는 사용자의 이른바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 사용자 자택의 TV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좌우방향 또는 상하방향의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개의 촬상 블럭(702)을 설치해도 된다. 나아가서는 고내에 설치된, 예를 들면 카메라 장치(300)와 연계해서 촬상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그리고 다른 각도에서 촬상하여 수납물의 잔량 등을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다른 벽(예를 들면 문과 측벽)에 복수개의 카메라(촬상 블럭)를 배치하고 각각에서 촬상하여, 전체에서 복수회 촬상하는 방법으로도 가능하다.
(제4 실시형태)
이하, 제4 실시형태에 대해 도 36~도 3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4 실시형태에서는 1개의 저장고를 2개의 문으로 개폐하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기능 블럭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기한 제3 실시형태와 공통된다.
<복수 문의 예 1>
도 3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800)는 좌우에 이웃해서 배치된 좌측 문(801)과 우측 문(802)에 의해 1개의 저장고(803)(예를 들면 냉장실)가 개폐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들 좌측 문(801) 및 우측 문(802)에는 각각 개방단측에 촬상 블럭(70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우측 문(802)의 촬상 블럭(702)은 개방단측이자 냉장고(800)의 좌우방향의 중앙 부근에 설치되어 있다. 각 문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도어 포켓(804)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먼저, 어느 한쪽 문에 촬상 블럭(702)을 설치한 것에 따른 효과는 제3 실시형태와 공통된다. 그러므로 이하에서는 주로 각각의 문에 촬상 블럭(702)을 설치함으로써 얻어지는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3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문에 촬상 블럭(702)을 설치함으로써, 한쪽 촬상 블럭(702)의 시야 밖을 다른 쪽 촬상 블럭(702)으로 보완할 수 있게 된다. 그로 인해, 한쪽 시야에는 들어오지 않거나 한쪽 시야에서는 수납물에 가려져서 찍히지 않는 장소를 촬상할 수 있어, 보다 상세하게 고내의 모습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좌측 문(801)을 개방할 때 촬상함으로써, 폐쇄상태에서는 시야 밖이었던 우측 문(802)의 도어 포켓(804)에 수납되어 있는 수납물을 촬상할 수 있다. 이 경우, 우측 문(802)의 세로판(도 2의 세로판(15) 참조)에 제1 실시형태와 같은 오목부(도 2의 오목부(16) 참조)를 설치함으로써, 우측 문(802)의 도어 포켓(804)을 보다 넓게 촬상할 수 있다. 물론, 좌측 문(801)의 세로판에 오목부를 설치하면, 우측 문(802)의 촬상 블럭(702)으로 촬상하는 것보다 넓게 촬상할 수 있다.
또한 좌측 문(801)의 촬상 블럭(702)으로 촬상할 때 우측 문(802)의 촬상 블럭(702)에서도 같은 타이밍에 촬상하도록 구성하면, 제3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정면으로부터의 화상과 측면(또는 비스듬한 방향)으로부터의 화상 등, 시야가 다른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촬상 블럭(702)의 설치위치가 원래 떨어져 있으므로, 단일 촬상 블럭(702)으로 촬상하는 경우보다 그 보이는 방식의 차이가 커져, 상기한 도 34, 35 등에서 도시한 수납량의 검지를 보다 정확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도 3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쪽 문이 개방된 상태에서 촬상함으로써 고내의 거의 전역을 촬상할 수 있다.
이 때, 도 3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쪽 문이 거의 90도 개방되었을 때 촬상함으로써 서로의 도어 포켓(804)을 정면에서 각각 촬상할 수 있다. 그리고 고내의 화상과 도어 포켓(804)을 촬상한 화상을 이용함으로써, 후술하는 도 28에 도시한 것과 같은 냉장고(800)를 정면에서 본 상태, 즉 사용자가 일반적으로 보고 있는 상태의 화상을 합성할 수 있다.
이처럼 저장고를 개폐하는 각 문에 촬상 블럭(702)을 설치함으로써, 한쪽 촬상 블럭(702)으로는 촬상할 수 없는 범위를 다른 쪽 촬상 블럭(702)으로 보완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촬상 블럭(702)으로 촬상하기 때문에, 각각의 촬상 블럭(702)은 반드시 광각 렌즈계를 채용할 필요는 없으며, 화상의 왜곡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화상의 왜곡이 작아지면 왜곡 보정이나 화상 합성 또는 수납량 추정 등의 처리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특히 화상 처리를 제2 실시형태와 같은 카메라 장치(300)로 실행하는 경우, 전지 소모 등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도 3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촬상 블럭(702)을 힌지부측에서부터의 거리(L1)(냉장고(800)의 측면에서부터의 거리)가 동일하게 배치해도 된다. 즉, 문이 개방될 때, 개방각도가 동일하면 각 촬상 블럭(702)의 시야 중심이 냉장고(800)의 중앙에 오도록 배치해도 된다. 이로 인해, 각각의 촬상 블럭(702)에서 같은 회전각도로 촬상된 화상을 합성하면, 합성 화상의 중심위치와 냉장고(800)의 중앙이 일치하므로 냉장고(800)의 정면에서 본 상태의 입체시(立體視) 화상(즉, 사용자가 이해하기 쉬운 화상)을 합성할 수 있다. 또한 도 3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예를 들면 좌측 문(801)) 촬상 블럭(702)은 개방단측에 설치하고, 다른 쪽(예를 들면 우측 문(802)) 촬상 블럭(702)은 힌지측에 설치해도 된다. 나아가서는, 도 3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 블럭(702)의 시야가 문에 대해 기울어지도록 배치해도 된다.
<복수 문의 예 2>
이 예 2에서는 도 3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810)는 이웃해서 배치된 좌측 문(811)과 우측 문(812)에 의해, 칸막이판(813)으로 구획된 독립된 저장고(814A~814D)를 각각 개폐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각 문은 복수의 독립된 저장고(814A, B)와 저장고(814C, D)를 각각 개폐한다. 그리고 각각의 문에는 도 38(B)에도 도시했듯이, 각각의 독립된 저장고(814)를 촬상하기 위한 촬상 블럭(70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저장고(814C)는 그 내부에 선반판(815)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선반판(815)의 위아래를 촬상하기 위해, 저장고(814C)를 개폐하는 우측 문(812)에는 대응하는 위치에 2개의 촬상 블럭(702)이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고내를 각각 촬상할 수 있다. 또한 고내를 촬상함으로써 얻어지는 효과는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되며, 문 개방시에 촬상함으로써 얻어지는 효과는 제3 실시형태와 공통된다.
또한 도 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좌측 문(811)이 복수의 독립된 저장고(814A, B)를 개폐하고, 우측 문(812)이 1개의 독립된 저장고(814E)를 개폐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저장고(814E) 내에 수납 용기(816)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도 39(B)에도 도시했듯이 각각의 수납 용기(816)를 촬상할 수 있도록 대응된 개수의 촬상 블럭(702)을 설치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의 냉장고(810)에서도 고내를 촬상함으로써 상기한 예 1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냉장고(810)에서도 촬상 블럭(702)을 힌지측에 설치하거나 개방단측에 설치하는 등, 제3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제5 실시형태)
이하, 제5 실시형태에 대해 도 40~도 4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5 실시형태에서는 서랍식 문으로 개폐되는 저장고의 예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기능 블럭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기한 제3 실시형태와 공통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냉장고(1)에는 야채실(4)과 같은 서랍식 문(4a)으로 개폐되는 저장고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야채실(4) 등은 고내 조명이 설치되지 않은 것도 있어, 촬상할 때의 광량이 선명한 화상을 촬상하기에는 부족한 경우가 생각된다. 그러므로 문이 개방될 때 촬상함으로써 수납량이 변화될 가능성이 있는 타이밍에 촬상할 수 있으며, 문이 인출됨으로써 외부의 빛을 이용해서 촬상할 수 있다.
<촬상 블럭의 설치예 1>
도 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900)의 저장고(901)에는 서랍식 문(902), 그 문(902)과 일체로 인출되는 수납 용기(903), 기본적으로는 위치가 고정된 선반판(903a), 촬상 블럭(702), 조명 블럭(703) 및 촬상 블럭(702)과 일체로 구성된 조도 검지 블럭(706)(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촬상 블럭(702)은 그 시야의 중심이 문(902)의 인출방향으로부터 기울어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조명 블럭(703)은 촬상 전용인 것을 상정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 도 4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902)이 인출되면 외부의 빛이 들어가 고내의 조도가 높아진다. 그렇기 때문에 빛이 입사되었음을 조도 검지 블럭(706)에서 검지하고, 그 타이밍에 촬상함으로써 고내를 파악할 수 있는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40(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902)이 많이 인출된 상태에서는 수납 용기(903) 거의 전체가 외부의 빛으로 비춰지기 때문에 보다 선명한 화상을 촬상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조도 검지 블럭(706)에서 검지한 조도가 소정 기준치를 넘었을 때 촬상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조도가 기준치를 넘지 않았을 경우에는 조명 블럭(703)을 점등해도 된다.
또한 촬상 블럭(702)의 시야가 선반판(903a)에 대해서 변화되기 때문에, 상기한 것과 같은 다른 시야에서 수납물을 촬상할 수도 있다. 한편, 선반판(903a)은 수납 용기(903)가 맨 앞줄까지 인출되었을 경우에 그 위치가 이동하는 타입이어도 된다. 또한 선반판(903a)은 하부 용기의 위에 위치해 있으며, 하부 용기의 좌우 측벽부의 상단부를 슬라이딩해서 이동하는 상부용기여도 된다.
또한 문(902)의 개방도(본 실시형태에서는 인출량)를 검지하는 개방도 검지 블럭(705)을 설치하고, 개방도에 기초해서 문(902)의 개방도가 소정량을 넘어섰을 때 촬상하도록 해도 된다. 한편, 야간 등에 전기를 켜지 않은 채로 문(902)이 개방되는 경우도 상정할 수 있으므로, 개방도 검지 블럭(705)의 검지 결과와 조도 검지 블럭(706)의 검지 결과를 채용해도 된다. 또 수납량의 변화를 검지하기 위해 문(902) 폐쇄상태에서 촬상하는 경우에는 조명 블럭(703)을 점등하면 된다.
이처럼 서랍식 문(902)으로 저장고(901)를 개폐하는 경우에도 상술한 제3 실시형태 등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조명 블럭은 촬상 전용이 아니어도 좋고, 고내등(庫內燈)으로서 겸용해도 된다.
<촬상 블럭(702)의 설치예 2>
설치예 1에서는 촬상 블럭(702)을 서랍식 문(902)에 설치했지만, 도 4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랍식 문(902)의 위쪽에 위치한 문(910)의 하방면측이자, 도 4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출된 수납 용기(903) 내부를 촬상할 수 있는 위치에 촬상 블럭(702)을 설치해도 된다. 이로 인해, 문(902)이 인출되었을 때에는 외부에서 빛이 들어가 수납 용기(903) 내부를 비추기 때문에 촬상 가능한 상태가 됨과 아울러, 빛이 촬상 블럭(702)의 후방으로부터 들어가기 때문에 역광이 되는 일도 없다.
또한 일반적으로는 서랍식 저장고(901)에 식재료 등을 수납 또는 반출할 경우, 수납 용기(903)를 목적으로 하는 위치까지 인출하는 것이 상정된다. 바꿔 말하면, 수납 용기(903)의 위쪽에 위치한 문(910)에 설치되어 있는 촬상 블럭(702)의 바로 아래 부근이 식재료 등을 수납 또는 반출하는 위치가 되어, 그 위치에서 저장량이 변화된다고 생각된다. 그러므로 위쪽 문(910)에 촬상 블럭(702)을 설치함으로써 수납량의 변화를 보다 검지하기 쉬워진다.
한편, 도 41에서 최하단이 되는 서랍식 저장고(904)에 대해서는, 표 4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장고(901)와 저장고(904)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칸막이판(905) 등에 촬상 블럭(702)을 아래방향으로 설치해도 된다. 이 때, 저장고(904)의 인출구측(즉, 문(906)측)에 촬상 블럭(702)을 설치하면 도 41에 도시한 저장고(901)용 촬상 블럭(702)과 마찬가지로 광량을 확보할 수 있으며 수납량의 변화를 검지하기 쉬워진다.
또한 저장고(901)의 문(902)의 경우, 문(902)이 인출되면 문(902) 자체는 냉장고(900) 본체에서 이격된 상태가 되므로, 촬상 블럭(702)을 유선 접속하기가 어려워진다. 그러므로 칸막이판(905)에 촬상 블럭(702)을 설치하면, 냉장고(900) 본체에서 이격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촬상 블럭(702)을 유선 접속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회전식 문(910)의 경우에는 힌지부를 이용해서 조작 패널 등에 대한 배선이 이루어지는 것도 있기 때문에 촬상 블럭(702)을 유선 접속하기가 비교적 용이하다.
또한 도 4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리 기능을 가진 저장고(930)(이하, 편의상 조리실이라 함)에 촬상 수단을 설치해도 된다. 이 조리실은 예를 들면 마그네트론(magnetron)(931)과 같은 가열 수단(조리 수단)을 가지며, 이른바 전자 레인지 등과 같은 조리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조리실은 예를 들면 서랍식 문이나 회전식 문(932)에 의해 수납 용기나 선반판(도시 생략)마다 개폐된다. 그렇기 때문에 그 상부의 칸막이판(933)에 촬상 블럭(702)을 설치함으로써 문(932)을 열 때, 고내(수납 용기나 선반판에 놓인 조리품도 포함)를 촬상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고(930)의 경우, 조리 기능을 사용하고 있을 때의 노이즈 방사 등을 억제하기 위해 철판 등으로 덮인 구조로 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촬상 블럭이 무선 통신에 의해 화상정보를 송신한다면, 조리중(마그네트론 구동중)에는 무선 통신을 하지 않거나, 노이즈에 의한 에러를 고려하여 복수회 송신하거나, 촬상했을 경우에는 조리 후에 송신하는 등의 제어를 하면 된다. 한편, 마그네트론 구동중에는 문(932)을 여는 일은 없지만, 조리상황을 관찰하기 위해 조리중에 촬상하거나 완성도 등을 기록해 두기 위해 조리 후에 문(932)을 개방할 때에 촬상하는 등의 경우가 생각된다.
또한 저장고 내부와는 별도의 위치에 있는 카메라의 화상, 냉장고의 문 개폐 횟수나 에러 정보 등을 외부에 송신하는 무선 수단(예를 들면 Bluetooth(등록상표)와 WiFi) 등에서는 마이크로파와 간섭하여 송신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마그네트론 정지중에 무선으로 송신하면 된다. 또한 마그네트론 구동중에 카메라에 촬상 지시가 있을 경우에도 마그네트론 정지후에 재수신하거나 재송신하면 된다. 또한 무선 수단은 철판 등으로 둘러싸인 마그네트론의 마이크로파가 조사되는 저장고(상기한 조리실)의 외측에 배치함으로써 화상정보 등을 외부로 용이하게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중량 센서의 검지 결과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외부나 냉장고의 제어부에 송신하는 것도 가능한데 그 때도 마찬가지이다.
(제6 실시형태)
이하, 제6 실시형태에 대해 도 44~도 5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한편,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된 부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촬상 타이밍에 대해서는 상기한 각 실시형태에서 예시한 것을 적절히 채용하면 된다.
도 4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1)는 촬상 수단으로서의 카메라 유닛(1000)을 구비하고 있다. 이 냉장고(1)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가전 네트워크 시스템(100)(도 1참조)에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 냉장고(1)는 제1 실시형태와 같이 무선 통신 방식으로 가전 네트워크 시스템(100)에 접속해도 좋고 유선 통신 방식으로 가전 네트워크 시스템(100)에 접속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선 통신 방식으로서 냉장고(1)로의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을 이용하여 통신을 실시하는 전력선 통신(PLC:Power Line Communication)을 채용하고 있다. 이하, 카메라 유닛(1000)의 부착 위치에 대해서 몇 가지의 구체예와 함께 설명한다.
<구체예 1>
구체예 1의 카메라 유닛(1000)은 냉장고(1)의 문에 설치되어 있다. 이 카메라 유닛(1000)은 예를 들면 냉장실(3)의 고내의 중앙을 촬상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구체적으로는 촬상 대상이 되는 냉장실(3)(저장고)을 개폐하는 우측 문(3b)에서, 해당 냉장실(3)의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에서의 거의 중앙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카메라 유닛(1000)은 도 45(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외형이 대체로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카메라 케이스(1001)(보호 케이스에 상당함)와 저판(1002)으로 둘러 쌓인 공간에 카메라 모듈(1003)(촬상 모듈에 상당함)이 수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카메라 유닛(1000)에는 냉장고(1)측과의 사이를 접속하는 케이블(1004) 및 카메라 유닛(1000)을 고정하기 위한 플랜지부(1005)가 설치되어 있다. 케이블(1004)은 냉장고(1)측으로부터 전원 공급, 카메라 유닛(1000)에 대한 촬상 지시의 전달, 및 촬상된 화상 데이터 취득에 사용된다. 이 카메라 유닛(1000)은 플랜지부(1005)에 의해서 문(3b)의 고내측에 부착되어 있다. 그 때문에 구체예 1 및 후술하는 구체예 2~4의 경우 접속 케이블(1004)은 문(3b)의 내부에 배선되고 문의 힌지부를 경유하여 냉장고(1)의 주제어부(30)(도 4참조)에 접속되어 있다.
카메라 모듈(1003)은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 CCD센서나 CMOS센서 등을 촬상 소자(1010) 및 그 주변 회로를 구성하는 회로 부품(1011)등이 탑재된 기판(1012)과, 그 기판(1012)에 설치되어 있는 렌즈 유닛(1013)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촬상 소자(1010)는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길이 방향이 카메라 유닛(1000)의 길이 방향(도 45의 도시 상하 방향)과 일치한다. 이 기판(1012)에는, 촬상 소자(1010)에 대응한 위치에 렌즈 홀더(1014)가 설치되어 있고, 그 렌즈 홀더(1014)의 내주면은 암나사로 되어 있다. 한편, 렌즈 유닛(1013)은 기판(1012)측의 단부가 수나사로 되어 있고, 렌즈 홀더(1014)에 나사 삽입됨으로써, 촬상 소자(1010)까지의 거리가 조정된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이 렌즈 유닛(1013)는 복수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3매의 렌즈(1015)를 구비하고 있고, 각 렌즈(1015)는 예를 들면 수지 재료 등으로 형성된 본체부내에 유지되어 있다. 카메라 유닛(1000)은 이들 3매의 렌즈(1015)에 의해 약 120도의 시야각이 확보되어 있고 고내를 광각으로 촬상하는 것이 가능해져 있다. 또한, 렌즈 유닛(1013)에는 적외 컷 필터(1016)가 설치되어 있고, 촬상 소자(1010)에서 검출하는 광을 대략 가시광의 범위로 한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카메라 유닛(1000)은 고내를 컬러로 촬상할 때 선명한 색채로 촬상할 수 있다. 렌즈(1015)의 매수 등은 일례이며, 필요한 시야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또한, 카메라 유닛(1000)은 도 54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 케이스(1001)내가 예를 들면 우레탄 수지나 에폭시 수지 등의 포팅재(1017)에 의해서 카메라 모듈(1003)마다 포팅되어 있다. 또한,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유닛(1013)에는 그 외주측에 O링(1018)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O링(1018)에 의해서 렌즈 유닛(1013)과 카메라 케이스(1001)의 내면과의 사이가 밀봉되어 있다. 또한, 도 46에서는 포팅재(1017)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이 때문에, 렌즈 유닛(1013)의 전방면측으로부터 물이나 습기가 카메라 케이스(1001)내에 침투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또한, 카메라 케이스(1001)의 저판 (1002)측도 접속 케이블(1004)이 관통하고 있는 부위를 포함하여 밀봉된 상태로 되어 있다. 즉, 카메라 유닛(1000)은 전체적으로 방수 구조 또는 방적(防滴) 구조로 되어 있고, 또한 내부의 카메라 모듈(1003)도 결로 등으로부터 보호되고 있다.
이 카메라 유닛(1000)은 도 4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문(3b)의 내판(14)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카메라 유닛(1000)은 문(3b)이 폐쇄된 상태에서의 시야가 고내측이 되도록 부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카메라 유닛(1000)은 우측문(3b)이 폐쇄된 상태에서는 냉장실(3)을 정면으로부터, 또한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의 거의 중앙으로부터 촬상하는 것이 가능해져 있다. 즉, 카메라 유닛(1000)은 사용자가 냉장고(1)를 사용할 때와 동일한 시야에서 고내를 촬상할 수 있다. 이 때, 카메라 유닛(1000)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도어 포켓(9b)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절개부(9b1)가 설치되어 있고, 카메라 유닛(1000)의 시야를 크게 가리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카메라 유닛(1000)은 도 47(B)와 같이 길이 방향이 상하가 되도록 세로방향으로 부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카메라 유닛(1000)내의 촬상 소자(1010)도, 그 길이 방향이 세로방향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에서 그 크기가 다른 대략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세로로 긴 공간이 되어 있는 냉장실(3)을, 세로로 길게 촬상할 수 있다. 즉, 세로로 길게 배치된 촬상 소자(1010)의 촬상 범위를 유효하게 활용하면서 고내를 촬상할 수 있다.
<구체예 2>
구체예 2의 경우, 카메라 유닛(1000)은 도 4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문(3b)의 내판(14)측에 설치되어 있는 오목부(1020)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구체예 2에서도, 카메라 유닛(1000)은 세로방향으로 부착되어 있다. 이 오목부(1020)는 카메라 유닛(1000) 전체를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고, 그 오목부(1020)에 수용되어 있는 카메라 유닛(1000)은 내판(14)보다 고내 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우측 문(3b)의 최하단의 도어 포켓(10b)(도 44 참조)에 페트병 등을 출입할 때, 카메라 유닛(1000)에 접촉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카메라 유닛(1000) 전체가 오목부(1020)에 수용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손을 접촉할 가능성이 작아지고, 렌즈(1015)가 오염될 우려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유닛(1000)은, 그 위치가 상기한 구체예 1 보다 고외측, 즉 냉장고(1)의 전방측으로 어긋나 있다. 이 때문에, 냉장실(3)내를 보다 큰 시야에서 촬상할 수 있다.
이 경우, 오목부(1020)의 개구측에, 예를 들면 내판(14)과 하나의 면이 되는 위치에, 예를 들면 아크릴 등의 투명한 커버 부재 등을 설치해도 좋다. 이에 의해, 렌즈(1015) 등에 오염물질이 부착되는 것이나, 오목부(1020)에 먼지 등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예 3>
구체예 3의 경우 카메라 유닛(1000)은 도 4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문(3b)의 내판(14)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구체예 3도 카메라 유닛(1000)은 세로방향으로 부착되어 있다. 이 경우, 카메라 유닛(1000)은 그 렌즈면만이 냉장실(3)측에 노출된 상태가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구체예 2와 동일하게 도어 포켓(10b)에 페트병 등을 출입할 때 카메라 유닛(1000)이 방해가 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들 구체예 1~3과 같이 카메라 유닛(1000)을 부착함으로써, 도 5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냉장고(1)를 사용할 때의 시점(視點)과 동일하게 냉장고(1)의 정면측에서 고내를 촬상할 수 있고, 가전 네트워크 시스템(100)을 통하여 통신 단말(103) 등에서 촬상한 화상을 표시함으로써, 원격지로부터 고내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예 4>
구체예 4의 경우, 카메라 유닛(1000)은 좌측 문(3a)에 설치되어 있는 칸막이 (17)(도 44 참조)에 부착되어 있다. 이 세로 칸막이는 도 51(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문(3a)의 힌지부(3d)와 반대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고, 회전 기구(17a)에 의해서 도 5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3a)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와 도 51(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문(3a)이 폐쇄되어 있는 상태로 그 방향이 변화된다. 이 세로 칸막이는 좌우 여닫이식 문(이른바 프렌치 도어)의 좌우 방향의 거의 중앙, 즉 냉장실(3)의 거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좌측 문(3a)과 우측 문(3b)이 폐쇄된 상태에서는 도 5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스킷(1030)에 의해서 고내와 고외가 밀봉되어 있다.
카메라 유닛(1000)은 도 52(A),(B)와 같이, 단열재(1031)가 충전되어 있는 세로 칸막이(17)의 내부에서 부착판(1032)에 세로방향으로 부착되어 있다. 이 카메라 유닛(1000)은 세로 칸막이(17)의 상하 방향의 거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구체예 4에서도 카메라 유닛(1000)는 냉장실(3)의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의 거의 중앙으로부터 고내를 촬상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세로 칸막이(17)가 회전하므로, 좌측 문(3a)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도 51(A)와 같이 카메라 유닛(1000)이 좌측 문(3a)과 평행이 되도록, 또한 개방된 측과 반대측이 된다. 이에 의해, 좌측 문(3a)이 개방됐을 때 사용자가 카메라 유닛(1000)의 렌즈면에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그리고, 좌측 문(3a)이 폐쇄된 상태에서는 도 51(B)와 같이 카메라 유닛(1000)이 고내 측을 향하므로, 도 5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측 또한 거의 중앙 부근으로부터 고내를 촬상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 포켓(9a)이 카메라 유닛(1000)의 시야를 가릴 듯하면, 도어 포켓(9b)과 동일한 절개부를 도어포켓(9a)에 설치해도 좋다.
이러한 구체예 4의 경우에도 상기한 구체예 1~3과 동일하게 도 5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내를 촬상할 수 있다.
<구체예 5>
구체예 5의 경우, 도 5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 유닛(1000)은 냉장실(3)의 측벽(3c)에 설치되어 있는 오목부(1040)에 부착되어 있다. 구체예 5의 경우 카메라 유닛(1000)은 좌우의 측벽(3c)에 각각 부착되어 있다. 또한, 한쪽의 측면(3c)에만 카메라 유닛(1000)을 부착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오목부(1040)는 측벽(3c)에서 전방측 즉 문측에 설치되어 있고, 카메라 유닛(1000)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면(1041)이, 측벽(3c)에 대해서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예 5의 경우, 오목부(1040)는 단면으로 보았을 때 대략 삼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카메라 유닛(1000)을 부착했을 때, 그 시야가 냉장실(3)의 거의 중앙을 향하게 된다.
그리고, 구체예 5에서는 좌우의 2방향으로부터 고내를 촬상하기 위해, 한쪽의 카메라 유닛(1000)에서는 식재료 등으로 가려진 부분을, 다른쪽의 카메라 유닛(1000)으로부터 촬상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식재료 등에 방해받지 않고 고내 전체를 촬상할 수 있게 되어, 고내를 보다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2방향으로부터 촬상한 화상을 합성하여 입체 화상을 생성함으로써, 고내를 입체적으로 표시시킬 수도 있다.
또한, 측벽(3c)에 카메라 유닛(1000)을 부착하고 있으므로, 유선식 카메라 유닛(1000)에서 측벽(3c)을 이용하여 접속 케이블(1004)을 배선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예를 들면 냉장고(1)의 배면측에 설치되어 있는 주제어부(30)(도 4참조)까지 용이하게 배선 처리할 수 있다.
<구체예 6>
구체예 6에서는 도 55(A)와 같이 카메라 유닛(1000)에 조명 수단으로서의 LED조명(105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카메라 유닛(1000)은 전방면측이 적어도 LED조명(1050)에 대응하는 위치가 투명해진 된 보호 커버(1051)에 의해서 덮여져 있다. 또한, 카메라 유닛(1000)은 구체예 1~5의 카메라 유닛(1000)과 동일하게 카메라 케이스(1001)내가 포팅재(1017)에 의해 포팅되어 있다.
이 카메라 유닛(1000)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 전방면에 설치되어 있는 보호 커버(1051)와 부착면(1060)과 하나의 면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부착면(1060)은 예를 들면 문의 내판(14), 세로 칸막이(17), 측벽(3c) 등에 상당한다. 이 상태에서 렌즈 유닛(1013)의 최전면은 부착면(1060)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LED조명(1050)은 도 5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 케이스(1001)내에서 촬상 소자(1010)(도 55참조)와는 전후 방향으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LED조명(1050)은 촬상 소자(1010)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기판(1012)에 촬상 소자(1010)를 실장하고, 그보다 전방에 배치된 LED기판(1052)에 LED조명(1050)을 실행함으로써 그 위치를 다르게 하고 있다.
이 LED조명(1050)은 카메라 유닛(1000)의 전방면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LED조명(1050)으로부터 조사된 광이 카메라 케이스(1001) 내에서 렌즈 유닛(1013)이나 촬상 소자(1010)에 직접적으로 입사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또한, LED조명(1050)은 전방을 향하여 확대된 개구벽(1053)에 둘러싸여 있고, 렌즈 유닛(1030)의 전방면 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렌즈유닛(1013)의 최전면이 부착면(1060)보다 전방에 위치되어 있는 점에서, LED의 전방면을 보호하고 있는 보호 커버(1051)에 빛이 반사되었다고 해도 그 빛이 렌즈 유닛(1013)에 직접적으로 입사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은 구성의 카메라 유닛(1000)은 구체예 1~5에 예시한 위치에 부착함으로써, 고내 조명(13) 등을 점등하지 않아도 LED조명(1050)을 점등시킴으로써 고내를 촬상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유닛(1000)은 보호 커버(1051)가 부착면(1060)보다 내측(후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그 경우, 렌즈 유닛(1013)의 최전방면이 부착면(1060)과 하나의 면이 되도록 배치해도 좋고, 부착면(1060)보다 내측에 위치하도록 배치해도 좋다. 또한, 렌즈 유닛(1013)의 최전방면이 보호 커버(1051)와 하나의 면이 되도록, 카메라 유닛(1000)내에서의 렌즈 유닛(1013)의 위치를 조정해도 좋다. 즉, 렌즈 유닛(1013)의 본체부의 선단이 보호 커버(1051)와 하나의 면이 되도록 해도 좋다. 그와 같은 배치로 하면, 카메라 유닛(1000)을 예를 들면 냉장실(3)의 측벽(3c)이나 문의 내판(14) 등에 부착할 때, 고내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식자재 출입의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그 경우에는, 부착면(1060)에 카메라 케이스(1001)와 동일한 크기의 개구를 설치해도 좋고, 렌즈 유닛(1013)과 LED조명(1050)에 대응한 둥근 구멍의 개구를 설치해도 좋다, 또한, 카메라 케이스(1001)를 부착면(1060)보다 돌출시키고, 결로에 의해서 물방울 등이 부착면(1060)에서 맺혀 떨어졌을 때, 그 물이 렌즈면에 흐르지 않도록 해도 좋다.
(제7 실시형태)
이하, 제7 실시형태에 대해 도 56~도 6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7 실시형태에서 촬상 수단은 냉동 온도대의 고내를 촬상한다. 한편,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된 부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도 5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1)의 기본적인 구성은 제1 실시형태와 실질적으로 공통되며, 냉장고(1)의 배면측에 설치된 주 제어부(30)에 의해 제어되고 있다. 이 주 제어부(30)는 도 57에 간략화해서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실 온도 센서(1100), 냉동실 온도 센서(1101), 냉장실 문 스위치(1102), 냉동실 문 스위치(1103), 주위 온도 센서(1104) 및 외부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1105)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도 57에는 센서 및 스위치를 1개씩 도시했으나, 냉장실(3), 야채실(4), 제빙실(5), 상부 냉동실(6) 및 하부 냉동실(7)에 각각 센서 및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 주 제어부(3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방식으로, 촬상 수단으로서의 카메라 유닛(1110)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후술하는 구체예 1~3에서는 유선 통신 방식, 구체예 4에서는 무선 통신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카메라 유닛(1110)은 카메라 제어부(1111) 및 카메라 제어부(1111)에 접속되어 있는 촬상부(1112), 카메라 온도 센서(1113) 및 LED 조명(1114)를 구비하고 있다. 촬상부(1112)는 CCD 센서나 CMOS 센서 등의 촬상 소자나 렌즈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카메라 제어부(1111)의 지시에 기초해서 고내를 촬상한다. 이 때, 카메라 유닛(1110)은 LED 조명(1114)를 점등함으로써 촬상시의 광량을 확보한다. 카메라 온도 센서(1113)는 카메라 유닛(1110)의 온도를 검지한다. 또한, 이 카메라 유닛(1110)도 제6 실시형태의 카메라 유닛(1000)과 마찬가지로, 방수 구조 또는 방적(防滴) 구조로 되어 있으며, 광각으로 촬상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제6 실시형태의 구체예 6에 제시한 카메라 유닛(1000)과 같은 것을 채용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의 냉장고(1)는 통신부(1105)에 의해, 카메라 유닛(1110)으로 촬영한 화상을 외부 서버(104) 등에 송신한다. 이 때, 외부에서 통신단말(103) 등을 이용해서 서버(104)에 액세스함으로써 외출지 등 원격지에서 냉장고(1) 내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냉장고(1) 본체에 디스플레이를 설치하여, 문을 열지 않고 냉동 온도대의 저장고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카메라 유닛(1110)은 아래에 설명된 각 구체예와 같이 냉동 온도대의 고내를 촬상 가능한 위치에 부착되어 있다.
<구체예 1>
구체예 1의 경우, 카메라 유닛(1110)은 도 56에 도시한 부착위치(A)에 부착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5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 유닛(1110)은 냉동 온도대의 저장고를 구획하는 칸막이판(1120)의 전방면에서 돌출된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한편, 도 58에서는 문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이 카메라 유닛(1110)은 그 시야가 다소 아래방향이 되도록 칸막이판(1120)에 부착되어 있다. 또 카메라 유닛(1110)은 상부 냉동실(6)의 문(6a)과 하부 냉동실(7)의 문(7a) 사이에 위치하도록, 또한 제빙실(5)과 상부 냉동실(6)을 구획하는 수직 칸막이판(1121)의 아래쪽에 부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카메라 유닛(1110)이 돌출되어 있어도 문(5a), 문(6a) 또는 문(7a)에 설치되어 있는 개스킷(도시 생략)과 접촉되는 일이 없다.
칸막이판(1120)에는 도 5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열 파이프(1122)가 미리 내장되어 있다. 이 방열 파이프(1122)는 칸막이판(1120)의 결로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으며 통전(通電)에 의해 방열한다. 그리고 카메라 유닛(1110)은 이 방열 파이프(1122)에 끼인 상태에서 칸막이판(1120)의 전방면에 부착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방열 파이프(1122)의 방열에 의해 카메라 유닛(1110)의 근방, 보다 구체적으로는 렌즈면 근방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즉, 방열 파이프(1122)는 촬상 수단을 가열하는 가열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이로 인해, 냉동 온도대 근방에 부착됨으로써 성에가 끼거나 결로될 가능성이 있는 카메라 유닛(1110)에 대해, 렌즈 근방의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성에나 결로를 방지하고, 발생한 성에나 결로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방열 파이프(1122) 대신에 통전에 의해 발열하는 히터를 렌즈 근방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그 때, 렌즈 근방에 카메라 온도 센서(1113)를 배치함으로써, 온도를 감시하면서 필요에 따라 히터를 통전하여 성에를 제거하고 나서 촬상하도록 해도 된다. 물론, 카메라 온도 센서(1113)로 검지한 온도에 기초해서 방열 파이프(1122)의 동작 상태를 변경하여 성에를 제거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일들을 통해 선명한 화상을 촬상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카메라 유닛(1110)은 하부 냉동실(7)의 문(7a)이 개방된 것이 냉동실 문 센서를 통해 검지되었을 때, 주 제어부(30)의 지시에 따라서 고내를 촬영한다. 즉, 카메라 유닛(1110)은 문이 개폐되어 식재료 등의 출입이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있을 때 촬상한다. 이 때, 카메라 유닛(1110)은 약간 아래쪽을 향해 부착되어 있으므로 도 6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냉동실(7)의 문(7a)이 개방되었을 때 수납 케이스(7b) 내부를 촬상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복수회 촬상함으로써 수납 케이스(7b)가 인출됨에 따라 인출되는 슬라이드 케이스(7c) 내부를 촬상할 수도 있다.
또한 칸막이판(1120)의 전방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므로, 가령 수직 칸막이판(1121)이 결로되었더라도 물방울이 카메라 유닛(1110)의 렌즈면에 부착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이러한 카메라 유닛(1110)에 의해 냉동 온도대의 저장고 내부를 촬상할 수 있다.
<구체예 2>
구체예 2의 경우, 카메라 유닛(1110)은 도 61(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칸막이판(1120)의 전방면측에 설치되어 있는 오목부(1130)에 수용된 상태에서 칸막이판(1120)의 전방면에서 돌출하지 않도록 부착되어 있다. 이로 인해, 렌즈면의 바로 근방에 방열 파이프(1122)가 배치된 상태가 되어, 렌즈면을 보다 용이하게 가열할 수 있으며, 성에나 결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가령 결로되었다고 해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유닛(1110)은 수직 칸막이판(1121)과는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령 결로되었을 때 물방울이 세로 칸막이를 따라 떨어졌다고 해도 그 물방울이 렌즈면에 부착되지는 않는다.
<구체예 3>
구체예 3에서 카메라 유닛(1110)은 도 56에 도시한 부착위치(B)에 부착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 유닛(1110)은 도 6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칸막이판(1120)의 하방면측에 부착되어 있다. 즉, 카메라 유닛(1110)은 저장고 내에 설치되어 있다. 또 카메라 유닛(1110)은 도 6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칸막이판(1120)의 내부에 부착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문(7a)을 인출하거나 식재료 등을 출입할 때 카메라 유닛(1110)이 방해가 되는 일이 없다. 또한, 칸막이판(1120)의 내부가 아니라 칸막이판(1120)에 오목부(1130)를 설치하여, 그 오목부(1130)에 카메라 유닛(1110)을 수용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카메라 유닛(1110) 주위에는 히터(1115)가 배치되어 있으며, 렌즈면 근방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어 성에를 제거한 뒤 촬영할 수 있다.
또한 구체예 3에서도 카메라 유닛(1110)은 광각으로의 촬상이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문이 닫힌 상태에서는 슬라이드 케이스(7c)를 촬상할 수 있고, 문이 열린 상태에서는 수납 케이스(7b) 내 및 슬라이드 케이스(7c)를 촬상할 수 있다. 또 수납 케이스(7b) 내 및 슬라이드 케이스(7c)를 촬상할 수 있다. 즉, 구체예 3의 부착위치라면 문(7a)이 개방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고내를 촬상할 수 있고, 또한 상기한 제1 실시형태 등에서 제시한 통신단말(103)측의 지시에 따라서도 고내를 촬상할 수 있다. 또한, LED 조명(1114)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문이 닫혔을 때에도 촬상할 수 있다.
또한 문 개방시 및 문 폐쇄시 모두 수납 케이스(7b)와 슬라이드 케이스(7c) 양쪽을 촬상할 수 있으므로, 식재료의 저장상태 변화를 검지할 수 있는 등, 단순히 고내 확인하기 위해서만이 아니라 식재료 관리 등에도 응용할 수 있다.
또 광각의 렌즈계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비교적 가까운 위치에서도 수납 케이스(7b)나 슬라이드 케이스(7c) 전체를 촬상할 수 있다.
<구체예 4>
구체예 4에서 카메라 유닛(1110)은 도 56에 도시한 부착위치(C)에 부착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 유닛(1110)은 도 6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 온도대의 저장고와 냉동 온도대의 저장고 사이, 즉, 냉장실(3)과 상부 냉동실(6) 사이를 구획하는 단열 칸막이판(1140)의 하방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카메라 유닛(1110)은 냉동 온도대의 저장고의 천정면에, 아래방향, 즉 고내를 촬상 가능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 카메라 유닛(1110)은 광각으로 촬상함으로써 고내의 거의 중앙을 촬상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이 카메라 유닛(1110)은 LED 조명(1114)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문 폐쇄시에도 촬상할 수 있지만, 구체예 3과 마찬가지로 상부 냉동실(6)의 문(6a)이 개방된 것이 냉동실 문 스위치(1103)에 의해 검지되었을 때 고내를 촬상할 수도 있다. 또, 렌즈 근방에 카메라 온도 센서(1113) 및 히터를 배치함으로써, 렌즈 근방의 온도를 상승시켜서 성에를 제거한 후에 촬상할 수 있다.
<구체예 5>
구체예 5의 카메라 유닛(1200)은 도 6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 유닛(1200) 내에 통신부(1201) 및 배터리(1202)를 내장하였다. 이 통신부(1201)는 냉장고(1) 또는 라우터(101)(도 1 참조) 등과 무선 통신을 함으로써 촬상한 화상을 외부에 송신한다. 또 카메라 유닛(1200)은 LED 조명(1203), 전원 버튼(1204), 설정 버튼(1205)이 설치되어 있으며, 단체(單體)로 고내를 촬상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배선 케이블 등을 하지 않고 설치 장소를 사용자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또 카메라 유닛(1200)에는 도시가 생략되어 있지만, 렌즈 근방에 온도 센서 및 히터가 설치되어 있어, 렌즈 근방의 온도를 상승시켜 성에를 제거한 뒤에 촬영할 수 있다.
한편, 이 카메라 유닛(1200)에 의해 고내를 촬상하는 타이밍은 냉장고(1)와 통신을 함으로써 냉장고(1)측으로부터 촬상 지시를 받아도 좋고, 상술한 제1 실시형태처럼 카메라 유닛(1200) 내에 조도 센서를 설치하여, 고내 조명을 점등한 것이나 문이 개방되어 외부의 빛을 검지했을 때 등에 촬상하도록 해도 된다.
(기타 실시형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서 예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왜곡 또는 확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서 예시한 것 및 이하에 제시하는 왜곡예 및 확장예에서 예시하는 것은 그 일부 또는 전부를 임의로 조합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우측 문(3b)에 촬상 카메라를 설치한 구성을 예시했지만,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문(3a)에 설치되어 있는 세로 칸막이(17)에 촬상 카메라(18)를 설치해도 좋다. 이 세로 칸막이(17)는 좌측 문(3a)의 개폐 상태에 따라서 회전하기 때문에, 도 2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문(3a)이 폐쇄된 상태에서는 촬상 카메라(18)가 고내를 향하고 고내의 화상을 촬상할 수 있다. 한편, 도 2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문(3a)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촬상 카메라(18)가 내판측을 향하므로, 사용자가 촬상 카메라(18)에 접촉되지 않아 렌즈면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촬상 카메라(18) 및 촬상 조명(19)을 1개 설치한 구성을 예시했지만,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촬상 수단(상부 촬상 카메라(60), 하부 촬상 카메라(62), 도어 촬상 카메라(64)나, 복수의 조명 수단(상부 촬상 조명(61), 하부 촬상 조명(63))을 설치해도 좋다. 이 경우 상부 촬상 카메라(60)에서 고내의 상부측을 촬상하고, 하부 촬상 카메라(62)에서 고내 하부측을 촬상해도 좋다. 즉, 고내의 특정 위치를 촬상하는 촬상 수단을 복수 설치해도 좋다. 이 경우 각각의 화상을 합성하면,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한 1장의 고내의 화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고내의 상부측과 하부측 등의 특정 위치를 촬상할 수 있으면 되므로, 광각 렌즈를 채용하지 않아도 고내 전역을 촬상할 수 있다. 또한, 1개의 촬상 카메라(18)로 광각으로 촬상하는 경우에 비하면 상부 촬상 카메라(60)나 하부 촬상 카메라(62)의 시야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다시 말하면 제1 실시형태처럼 도어 포켓(9b)에 절개부(9b1)를 설치하지 않아도 시야가 가려질 가능성이 작아지므로, 도어 포켓의 수납량을 유지한 채 고내를 촬상할 수도 있다.
또한, 상부 촬상 카메라(60)로 촬상하는 경우에는 상부 촬상 조명(61)을 점등하고, 하부 촬상 카메라(62)에서 촬상하는 경우에는 하부 촬상 조명(63)을 점등하는 등, 촬상하는 위치에 따라서 적절한 조명 수단을 점등함으로써, 촬상 환경을 제어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부측과 하부측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선반판(11)마다 촬상수단을 설치해도 좋다.
또한, 예를 들어 고내의 상부측을 촬상할 때에는 천정 조명(13)의 조도를 낮게, 고내의 하부측을 촬상할 때에는 천정 조명(13)의 조도를 통상의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고, 복수의 화상을 합성하여 1매의 고내 화상을 생성해도 좋다. 즉, 촬상 조명(19) 등은 반드시 촬상 전용의 것을 설치할 필요는 없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촬상 조명(19)을 점등함으로써 촬상 환경을 제어했지만, 예를 들면 천정 조명(13)이나 측면 조명(36)의 조도를 낮게 하는 등으로 촬상 카메라(18)에 대한 역광이 약해지도록 촬상 환경을 제어해도 좋다.
또한, 도어 촬상 카메라(64)에 의해 도어 포켓측을 촬상하고, 고내 화상과 함께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1)의 문을 개방한 모습을 나타내는 합성 화상을 생성하고, 통신 단말(103)에서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고내에 도어 촬상 카메라(64)를 설치하고 도어 포켓측을 촬상하도록 해도 좋고, 문 내판(14)에 각각 도어 촬상 카메라(64)를 설치하고, 문이 개방된 후의 타이밍에서 다른 문의 도어 포켓을 각각 촬상하고, 문이 폐쇄된 후의 타이밍에서 화상을 촬상하고, 복수의 화상을 합성하여 1매의 고내 화상을 생성하도록 해도 좋다.
각 실시형태에서는 촬상한 화상을 서버(104)에 기억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통신 단말(103)에 직접 송신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각 실시형태에서 촬상한 화상을 그대로 서버(104)에 송신했지만, 광각 렌즈를 이용함으로써 생기는 화상의 왜곡을 보정한 화상을 서버(104)에 송신해도 좋다. 이 경우 서버(104)에서 화상의 왜곡을 보정하도록 해도 좋다.
각 실시형태에서는 통신 단말(103)로부터 고내를 촬상하기 위한 지령을 접수한 타이밍에서 고내를 촬상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지연 촬상 시간이 경과한 후의 화상을 최신 화상으로서 촬상하고 있으면, 지령을 접수한 경우에도 고내를 촬상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즉, 지연 촬상 시간이 경과한 후의 화상은 냉장고(1)의 문이 폐쇄된 후의 최신 화상인 점에서, 지연 촬상 시간이 경과한 후의 화상이 촬상되어 있는 상태는, 촬상시 이후에 문이 개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저장 상태가 변화되어 있지 않은 상태)라고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지연 촬상 시간이 경과한 후의 화상이 최신 화상이면, 촬상하지 않음으로써 쓸데없는 전력 소비를 막을 수 있다. 이 경우, 통신 단말(103)이 서버(104)로부터 화상을 취득할 때, 최신 화상인 취지를 통지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주제어부(30)와는 별도로 제어부(50)를 설치하고 있지만, 주제어부(30)에서 촬상 카메라(18)의 제어 등을 실시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에 의해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 경우 실시형태와 같이 화상을 그대로 서버(104)에 송신하는 구성으로 하면, 화상 처리와 같은 부하가 걸리는 처리가 불필요해지므로, 주제어부(30)만으로도 대응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촬상 카메라(18)측에 통신수단을 설치했지만, 제2 실시형태와 같이 냉장고(1)측에 통신수단을 설치하고, 촬상 카메라(18)측은 냉장고(1)측의 통신수단과의 사이에서 통신을 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냉장고(1)측에 설치하는 통신수단은 냉장고(1)의 주제어부(30)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지만, 제2 실시형태의 도 25에 도시한 통신 장치(501)와 같이 착탈 가능(옵션품)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저장고로서 냉장실(3)을 예시했지만, 제2 실시형태와 같이 예를 들면 야채실(4) 등의 다른 저장고를 촬상하도록 해도 좋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촬상 카메라(18)를 미리 냉장고(1)에 설치한 구성을 나타냈지만, 촬상 카메라(18)는 냉장고(1)로부터 착탈 가능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냉장고(1)를 구입한 사용자가, 구입후에 촬상 카메라(18)를 부착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즉, 제2 실시형태의 카메라 장치(300)와 같이, 촬상 카메라(18)를 착탈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촬상 카메라(18)와 촬상 조명(19)을 일체로 유닛 케이스에 수납하고 냉장고(1)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해도 좋다. 또한, 제어부(50)나 통신부(52)를 카메라 장치에 일체로 설치해도 좋고, 또한 렌즈 히터(51)도 일체로 설치해도 좋다. 또는, 제어부(50)나 통신부(52)는 냉장고(1)에 미리 설치해 두고, 제어부(50)나 통신부(52) 등과 통신하기 위한 다른 통신수단을 카메라 장치 측에 설치해도 좋다. 즉, 카메라 장치는 적어도 촬상 카메라(18)를 구비하고 있으면, 어떠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카메라 장치와 냉장고(1)의 사이는 유선 방식으로 접속하도록 해도 좋고, 무선 방식으로 접속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카메라 장치에 대한 전원도 무선 급전 방식으로 해도 좋다.
또한, 카메라 장치를 착탈 가능한 구성으로 하는 경우, 냉장고(1)의 도어 포켓(8~10), 내판(14), 세로 칸막이(17) 또는 선반판 등에 피부착부를 설치하고, 피부착부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를 카메라 장치에 설치함으로써, 착탈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부착부와 피부착부가 걸어 맞추어지는 구성으로 해도 좋고, 카메라 장치에 클립을 설치하고, 다른 두께의 도어 포켓을 끼워 넣는 구성(즉, 임의의 위치에 촬상 수단을 부착 가능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무선 방식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냉장고(1)의 문 내판(14)에, 카메라 장치(300)를 부착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가 되는 우묵한 부분(600)을 설치하고, 카메라 장치(300)측에 부착용 자석(601)을 설치해도 좋다. 예를 들면, 우측 문(3b)등의 문은 그 내부에 금속제의 철판(602)이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자력에 의해 카메라 장치(300)를 부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우묵한 부분(600)에는 자력 이외의 부착 구조(예를 들면 유지 구조나 걸어 맞춤 구조)를 설치해도 좋다. 또한, 제2 실시형태의 자석(206)과 같은 검지용 자석(603)을 설치해도 좋다. 이 경우, 또한 문측에 자석을 설치하고, 카메라 장치(300)측에 금속부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임의의 위치에 카메라 장치를 부착 가능한 경우에는 선반판이나 도어 포켓 등에 의해서 시야가 가려질 가능성이 작은 부위 등, 고내를 적절하게 촬상할 수 있는 위치에 부착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를 설치해도 좋다. 또한, 카메라 장치를 부착하는 위치가 미리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도, 부착시에 사용자가 헤매지 않도록 표시를 설치해 두어도 좋다.
또한, 도어 포켓에 카메라 장치를 수납하기 위한 전용의 부위를 형성해 두고 그 부위에 카메라 장치를 수납하도록 해도 좋다.
냉장고(1)의 고내의 특정 장소에 카메라 장치의 유무를 검출하는 IC칩 등의 검지수단을 설치하고, 카메라 장치의 유무에 따라서 예를 들어 통신부(52)의 동작을 허가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특정 장소는 적어도 냉장고(1)의 고내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조작패널(33)로부터 카메라 장치를 부착한 것을 입력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냉장고(1)에 카메라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수단을 설치하고, 특정의 카메라 장치라고 인식한 경우만 카메라 장치의 동작(통신부(52)등의 동작도 포함)을 허가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에 의해, 신뢰성이 있는 카메라 장치(예를 들면 제조업체 순정품이나 동작 확인을 마친 카메라 장치)만을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형태와 같이 기존의 고내 조명을 촬상 타이밍의 통지 수단으로서 사용할 수 있고, 추가 부품 등이 불필요해져, 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도 있다.
또한, 카메라 장치측에 그 냉장고(1)가 동작 대상인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을 설치하고, 냉장고(1)측에 검지 수단에 검지시키기 위한 피검지 수단을 설치하면 좋다. 이들 검지 수단 및 피검지 수단은, 예를 들어 커넥터의 형상이 적합한 등의 물리적인 수법으로 구성해도 좋고, 식별 정보를 교환하는 등의 수법으로 구성해도 좋다.
또한, 예를 들어 카메라 장치(300)와 통신을 함으로써, 그 카메라 장치(300)가 냉장고(1)용의 것인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냉장고(1)의 통신 장치(501)가 식별 수단으로서 기능하고, 통신 모듈(306)이 카메라 장치(300)가 냉장고(1)용의 것임을 상기 냉장고(1)에 식별시키기 위한 피식별 수단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또한, 식별 수단이나 피식별 수단을, 상기한 검지 수단이나 피검지 수단과 겸용해도 좋다. 즉, 예를 들면 카메라 장치(300)가 유지부(202)에 수납 가능하면, 그 카메라 장치(300)는 해당 냉장고(1)용의 것이라고 식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카메라 장치(300)에서 유지부(202)에 설치되어 있는 자석(206)의 극성을 검출하고, 그 결과를 냉장고(1)측에 통보함으로써 카메라 장치(300)가 유지부(202)에 수용되었는지를 판정하거나, 냉장고(1)측에서 고내 조명을 점멸시키고, 그에 대해서 카메라 장치(300)측으로부터 어떤 응답을 보내도록 해 두는 것 등에 의해,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냉장고(1)의 내판(14)에 도어 포켓을 부착하는 포켓 부착부를 설치하고, 도어 포켓(9b)(제2 실시형태의 도어 포켓(200)도 동일) 그 자체를 착탈 가능하게 해도 좋다. 즉, 카메라 장치를 착탈 가능하게 하는 경우 카메라 장치를 이용하지 않는 사용자는 도어 포켓(8)과 같은 폭넓은 도어 포켓을 부착하여 수납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카메라 장치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폭이 좁아지지만 도어 포켓(9b)(또는 도어 포켓(200))을 부착함으로써, 카메라 장치의 시야를 가리지 않고 고내를 촬상시킬 수 있다.
또한, 포켓 부착 부분에 도 3에서 촬상 카메라(18)가 부착되어 있는 부위를 덮는 폭이 넓은(즉, 우측 문(3b)의 폭과 거의 동일한) 도어 포켓(또는, 도어 포켓(9b)의 절개부(9b1)를 보완하는 형상의 도어 포켓)을 부착 가능하게 하며, 카메라 장치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카메라 장치의 부착부가 도어 포켓으로 덮이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사용자가 잘못하여 부착부에 접촉되는 것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의 제어부(309)에 의한 촬상 타이밍의 제어는 냉장고(1)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실시하고 문의 개폐 상태를 취득함으로써,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촬상 조건 1~4 등을 판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조도 센서(313)에 의한 타이밍의 검출과 촬상 조건 1~4와의 쌍방을 채용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고, 어느 한쪽을 채용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제2 실시형태에서는 사용자가 문을 개방한 경우에는 촬상하지 않는 구성으로 했지만, 고내 조명이 연속 점등한 시점을 문이 개방된 시점으로 판정하고, 그 후 고내 조명이 소등한 시점을 문이 폐쇄된 시점으로 판정하여, 고내 조명이 소등한 시점에서 촬상함으로써, 촬상 조건 1을 판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통신 모듈(306)을 이용하여, 냉장고(1)의 주제어부(30)로부터 통신에 의해 문의 개폐 상태를 취득하는 구성으로 하면, 촬상 조건 1~4를 채용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의 카메라 장치(300)에, 결로를 제거하기 위한 제거 수단을 설치해도 좋다.
제2 실시형태의 소정 기간을, 온도나 습도에 기초하여 결로가 제거되는 기간(또는 적어도 그 이상의 기간)으로 설정해도 좋다. 물론, 예를 들면 2시간 등의 고정 기간을 설정해도 좋다.
제2 실시형태의 카메라 장치(300)에는 촬상램프(302)를 설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면, 냉장실(3)이면 천정 조명(13)등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그 고내 조명을 이용하여 촬상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통신 모듈을 통하여 냉장고(1)측에 점등 명령을 송신하는 것 등이 생각된다. 또한, 촬상시에 촬상램프(302)와 고내 조명을 이용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각 실시형태에서는 고내를 촬상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예를 들면 고내에 설치되어 있는 폐쇄 공간부(예를 들어, 덮개나 서랍 구조로 폐쇄 또는 덮여 있는 달걀실이나 칠드실의 특정 목적실(12), 밀폐된 상태가 되는 저기압 보존실 등이 생각된다)의 구조의 일부에 투명부재를 사용하여 창부를 형성하고, 그 창부로부터 폐쇄 공간부의 내부를 촬상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카메라 장치(300)에 대해서 냉장고(1)측으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한 급전을 실시해도 좋다. 이에 의해 전지 방전 등이 없어져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냉장고(1)는 기본적으로 상시 급전되어 있어 카메라 장치(300)에 급전하기 위한 급전 회로 등을 설치해도, 냉장고(1)의 운전에 이상이 초래되는 일은 없다고 생각된다. 이 경우, 카메라 장치(300)와 같이 냉장고(1)로부터의 착탈이 가능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공급이 실시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2군데의 유지부에서 각각 카메라 장치(300)에 대향하는 측의 극성이 다르도록 자석을 배치했으나, 검지부(307)에 대한 상대적 위치 관계가 변화되도록 자석을 배치해도 좋다. 이 경우, 자석과 가까우면 자기 센서의 출력이 커지는 한편, 자석으로부터 멀면 출력이 작아지므로(단, 자계의 정부(正負)는 변하지 않게 되므로) 3 이상의 유지부를 설치하는 구성에도 대응할 수 있다.
온도 센서(310), 자기 센서(311), 가속도 센서(312), 조도 센서(313)는 필요한 것을 설치하면 좋고, 반드시 모든 센서를 설치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자기 센서(311)에서 카메라의 방향을 검지하는 구성으로 하면, 가속도 센서(312)는 반드시 필수는 아니다.
제3 실시형태에서는 문이 개방될 때 촬상하는 예를 제시하였으나, 물론 제1, 제2 실시형태처럼 문 폐쇄중에 촬상하는 것과 조합해도 된다.
개방도 검지 블럭은 제3 실시형태에서 예시한 것 외에, 조도 검지 블럭으로 검지한 고내의 조도에 기초해서 개방도를 추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촬상 블럭으로 촬상한 화상을 이용해, 예를 들어 고내 조명 등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목표물이 화상의 어느 위치에 찍히는지에 기초해서 개방도를 추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문의 진동을 검지하는 진동 검지 수단을 설치하여, 진동을 검지했을 때 문이 개방되었다고 판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되고, 제2 실시형태의 카메라 장치(300)와 같은 가속도 센서(312)로 회전 상태나 직선 이동 상태가 검지되면 문이 개방되었다고 판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조도 검지 블럭은 개방도 검지 블럭으로 검지한 개방도에 기초해서 조도를 추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촬상 블럭으로 촬상한 화상의 휘도로부터 조 도를 검지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제3 실시형태에서는 조명 수단으로서 고내 조명을 예시했으나, 전용 촬상 조명(19)를 설치해도 된다. 또 문을 개방했을 때 외부의 빛(냉장고가 설치되어 있는 실내 조명이나 태양광)도 조명 수단에 포함된다. 나아가서는 촬상 블럭을 문이 아니라 고내에 설치하여 문이 개방되었을 때 촬상하도록 해도 된다.
문이 개방되면 차가워져 있던 렌즈가 따뜻한 외기에 닿아 흐려지거나 결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고내를 촬상할 수 있는 상태를, 문의 회전각도 대신에 렌즈가 결로되지 않을 정도의 시간 등으로 설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고내 온도와 외기온을 가미함으로써 그 시간을 추측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결로를 제거하기 위한 제거 수단을 설치해도 된다. 예를 들면, 수납량 추정 수단에 의해 추정된 수납물의 수납량이 소정 기준 수납량을 넘어섰을 때, 저장고 내의 수분이 증가되어 있다고 예상되므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 팬을 통상시보다 순환량이 높아지는 상태에서 구동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촬상 수단의 근방에 열을 방출하는 발열 수단을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 발열 수단은 히터 등이어도 좋고, 마이크로 컴퓨터 등의 발열 부품이어도 좋다.
제3 실시형태에서는 고내 조명을 조명 블럭으로 채용했지만 전용 촬상 조명를 설치하여, 도 31(B)와 같이 광량이 적을 것으로 상정되는 경우나, 에너지 절약 모드에 있는 경우 등에는 광량을 보충하기 위해 촬상 조명를 점등시켜도 된다.
제3 실시형태에서는 개방도가 소정량 미만일 때 고내 조명을 점등하는 구성으로 했으나 그렇게 하지 않아도 된다. 그 경우, 문 개방도가 소정량 미만일 경우에는 촬상하지 않는 선택지도 있다.
제4 실시형태에서 예시한 오목부를 제3 실시형태에 적용해도 된다.
「문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는 문이 폐쇄될 때도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몇 가지 실시형태를 설명했으나, 이 실시형태들은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는 없다. 이 신규 실시형태들은 기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생략, 치환, 변경이 가능하다. 이 실시형태들이나 그 왜곡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됨과 아울러,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
1: 냉장고 3: 냉장실(저장고)
3a: 좌측 문(문) 3b: 우측 문(문)
3d: 측벽 4: 야채실(저장고)
4a~7a: 문 5: 제빙실(저장고)
6: 상부 냉동실(저장고) 7: 하부 냉동실(저장고)
8~10: 도어 포켓 9b1: 절개부
13: 천정 조명(조명 수단) 14: 내부판(피부착부)
17: 세로 칸막이 18: 촬상 카메라(촬상 수단)
19: 촬상 조명(조명 수단) 30: 제어부(제어 수단)
33b: 스위치류(외출 스위치) 33c: 고외 센서(고외 환경 취득 수단)
36: 측면 조명(조명 수단) 50: 제어부(제어 수단)
51: 렌즈 히터(제거 수단) 52: 통신부(통신 수단)
60: 상부 촬상 카메라(촬상 수단) 61: 상부 촬상 조명(조명 수단)
62: 하부 촬상 카메라(촬상 수단) 63: 하부 촬상 조명(조명 수단)
64: 도어 촬상 카메라(촬상 수단) 100: 가전 네트워크 시스템
102: 통신 회선 103: 통신단말(외부 장치)
104: 서버(외부 장치)
200: 도어 포켓(냉장고용 도어 포켓, 냉장고용 홀더)
202: 유지부(피부착부) 206: 자석(피검지 수단)
300: 카메라 장치(촬상 수단)
302: 촬상 램프(조명 수단, 카메라측 조명 수단)
306: 통신 모듈(통신 수단, 카메라측 통신 수단, 피식별 수단)
307: 검지부(검지 수단) 308: 촬상부(촬상 수단)
310: 온도 센서 311: 자기 센서
312: 가속도 센서 313: 조도 센서
400: 냉장고용 홀더 401: 유지부
405: 자석(피검지 수단) 500: 가전 네트워크 시스템
501: 통신장치(통신 수단, 고측 통신 수단, 식별 수단)
700: 냉장고 701: 제어 블럭(제어 수단)
702: 촬상 블럭(촬상 수단) 703: 조명 블럭(조명 수단)
704: 개방 검지 블럭(문 개방 검지 수단)
705: 개방도 검지 블럭(개방도 검지 수단)
706: 조도 검지 블럭(조도 검지 수단)
707: 통신 블럭(통신 수단)
708: 수납량 추정부(수납량 추정 수단)
710: 문(회전식 문)
720: 페트병(수납물) 723: 달걀(수납물)
800: 냉장고 801: 좌측 문(회전식 문)
802: 우측 문(회전식 문) 810: 냉장고
811: 좌측 문(회전식 문) 812: 우측 문(회전식 문)
814A~E: 저장고(독립된 저장고)
815: 선반
816: 수납 용기 900: 냉장고
902: 문(서랍식 문) 904: 저장고(서랍식 저장고)
905: 칸막이판 906: 문(서랍식 문)
910: 문 930: 저장고
932: 문 933: 칸막이판
1000: 카메라 유닛(촬상 수단) 1001: 카메라 케이스(보호 케이스)
1003: 카메라 모듈(촬상 모듈) 1010: 촬상 소자
1011: 회로 부품 1012: 기판
1013: 렌즈 유닛 1017: 포팅재
1018: O링 1050: LED 조명(조명 수단)
1105: 통신부(통신 수단) 1110: 카메라 유닛(촬상 수단)
1113: 카메라 온도 센서(온도 검지 수단)
1114: LED 조명(조명 수단) 1115: 히터(가열 수단, 제거 수단)
1120: 칸막이판
1122: 방열 파이프(가열 수단, 제거 수단)
1140: 단열 칸막이판(칸막이판) 1200: 카메라 유닛(촬상 수단)
1201: 통신부(통신 수단) 1203: LED 조명(조명 수단)

Claims (93)

  1. 고내를 촬상하기 위한 촬상 수단; 및
    상기 촬상 수단으로 촬상한 고내의 화상정보를 외부 장치에 송신하기 위한 통신 수단;
    을 구비한,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을 부착하기 위한 피부착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통신 수단은 상기 피부착부에 부착된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된 고내의 화상정보를 외부 장치에 송신하는, 냉장고.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을 설치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가 설치되어 있는, 냉장고.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에 대해, 상기 냉장고가,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한 화상을 외부 장치에 송신할 수 있는 통신 수단을 가진 동작 대상임을 검지시키기 위한 피(被)검지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이 상기 냉장고용인지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냉장고.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고내를 촬상할 타이밍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냉장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문이 폐쇄된 후의 타이밍에 상기 촬상 수단으로 고내를 촬상하는, 냉장고.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문이 폐쇄된 후에 소정 기간이 경과된 타이밍에, 상기 촬상 수단으로 고내를 촬상하는, 냉장고.
  9. 제8항에 있어서,
    고외의 환경을 취득하는 고외 환경 취득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고외 환경 취득 수단으로 취득한 고외 환경에 기초해서 상기 소정 기간을 설정하는, 냉장고.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의 렌즈면의 결로를 제거하기 위한 제거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거 수단에 의해 렌즈면의 결로를 제거한 뒤의 타이밍에, 상기 촬상 수단으로 고내를 촬상하는, 냉장고.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문이 폐쇄된 후의 타이밍, 및 문이 개방된 후의 타이밍에 상기 촬상 수단으로 고내의 화상을 각각 촬상하고, 촬상된 복수의 화상을 합성하여 고내의 화상을 생성하는, 냉장고.
  12. 제6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수단은 고내를 촬상하기 위한 지령을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 가능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외부 장치로부터의 상기 지령에 기초한 타이밍에 고내를 촬상하는, 냉장고.
  13.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은 상기 냉장고에 탈부착 가능한 카메라 장치이고,
    상기 통신 수단은 상기 냉장고에 설치되어 고내를 촬상하기 위한 지령을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고측 통신 수단, 및 상기 카메라 장치에 설치되어 화상정보를 외부 장치에 송신하기 위한 카메라측 통신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카메라 장치는 고내를 촬상하기 위한 지령을 수신한 상기 냉장고측으로부터 촬상 지시가 통지되면 고내를 촬상하여, 촬상한 화상정보를 카메라측 통신 수단으로부터 외부 장치에 대해 송신하는, 냉장고.
  14. 제6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외출시에 냉장고의 운전상태를 전력 절감 모드로 이행하기 위한 외출 스위치가 조작되었을 경우에 상기 촬상 수단으로 고내를 촬상하는, 냉장고.
  15. 제6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고내를 촬상하는 타이밍에 맞춰, 고내를 촬상하기 위한 촬상 환경을 정비하기 위한 제어를 추가로 실시하는, 냉장고.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촬상 수단으로 고내를 촬상할 때, 조명 수단을 점등함으로써 상기 촬상 환경을 정비하는, 냉장고.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수단은 고내에 복수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어 수단은 복수의 상기 조명 수단 중 고내의 특정 위치를 비추기 위한 상기 조명 수단을 점등함으로써 상기 촬상 환경을 정비하는, 냉장고.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촬상 수단으로 고내를 촬상할 때, 상기 촬상 수단에 대해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조명 수단의 조도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촬상 환경을 정비하는, 냉장고.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복수의 상기 조명 수단 중 상기 촬상 수단의 대향위치 밖이고, 또한 상기 촬상 수단의 시야와 같은 방향을 비추도록 설치되어 있는 상기 조명 수단을 점등함으로써 상기 촬상 환경을 정비하는, 냉장고.
  20. 제16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고내의 특정 위치를 비추기 위한 상기 조명 수단을 점등할 때마다 상기 촬상 수단으로 고내를 촬상하고, 촬상한 복수의 화상을 합성하여 고내 화상을 생성하는, 냉장고.
  21. 제5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은 복수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어 수단은 복수의 상기 촬상 수단으로 촬상된 화상을 합성하여 고내 화상을 생성하는, 냉장고.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착부는 문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촬상 수단은 문에 부착되는, 냉장고.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은 문에 설치되어 있는 세로 칸막이에 설치되어 있는, 냉장고.
  24.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은 문의 내부판에 설치되어 있는, 냉장고.
  25.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은 문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 포켓에 인접해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촬상 수단에 인접한 도어 포켓은 고내를 촬상하기 위한 상기 촬상 수단의 시야 바깥가장자리를 따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촬상 수단의 시야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냉장고.
  26.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은 문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 포켓의 적어도 일부를 촬상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냉장고.
  27. 제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은 광각 렌즈를 이용해서 고내를 촬상하는, 냉장고.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수단은 광각 렌즈를 이용함으로써 발생하는 화상의 왜곡을 보정한 화상정보를 외부 장치에 송신하는, 냉장고.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왜곡의 보정은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 실행되는 것이고,
    상기 통신 수단은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 보정된 후의 화상정보를 송신하는, 냉장고.
  30. 제1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문의 전방면은 비금속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냉장고.
  31. 냉장고의 고내를 촬상하기 위한 카메라 장치로서,
    상기 냉장고의 고내를 촬상하기 위한 촬상 수단; 및
    외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카메라측 통신 수단;
    을 구비한, 카메라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의 고내를 비추기 위한 카메라측 조명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촬상 수단으로 고내를 촬상할 때, 상기 카메라측 조명 수단을 점등하는, 카메라 장치.
  33.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에 상기 촬상 수단을 부착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는 피부착부에, 상기 촬상 수단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카메라 장치.
  34. 제31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이 설치된 상기 냉장고가,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한 촬상이 허가된 동작 대상인지 여부를 검지하기 위한 검지 수단을 더 구비하는, 카메라 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에는 외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카메라측 통신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해 고내의 화상정보를 외부 장치에 송신하는 것이며,
    상기 검지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과 통신함으로써 상기 냉장고가 상기 촬상 수단의 동작 대상인지 여부를 검지하는, 카메라 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수단은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냉장고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통신 수단과 통신하는, 카메라 장치.
  37. 제34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에는 상기 촬상 수단을 설치하는 부위에 대응하여 자석이 미리 설치되어 있고,
    자기를 검출하기 위한 자기 센서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검지 수단은 상기 냉장고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자석으로부터의 자기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냉장고가 동작 대상인지를 검지하는, 카메라 장치.
  38. 제34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착부는 상기 냉장고에 복수개 설치되어 있고,
    복수의 상기 피부착부에는 상기 자석이, 상기 촬상 수단에 대향하는 측의 극성이 다른 상태, 또는 상기 촬상 수단이 부착되었을 때에 상기 촬상 수단과 상기 자석과의 위치관계가 상기 부착부에 따라서 다른 상태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검지 수단은 상기 자석의 극성 또는 위치관계에 기초해서, 상기 촬상 수단이 설치된 설치위치 및/또는 설치된 방향을 추가로 검지하는, 카메라 장치.
  39. 제34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에 가해지는 가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검지 수단은 상기 가속도 센서로 검출한 가속도에 기초해서, 상기 촬상 수단이 설치된 방향을 검지하는, 카메라 장치.
  40. 제34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이 설치된 환경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 센서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검지 수단은 상기 온도 센서로 검출한 온도에 기초해서, 상기 촬상 수단이 상기 냉장고의 고내에 설치되어 있는 것, 및/또는 어느 저장고에 설치되어 있는지를 검지하는, 카메라 장치.
  41. 제34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이 설치된 환경의 조도를 검출하기 위한 조도 센서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조도 센서로 검출한 조도에 기초해서,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한 촬상 타이밍을 제어하는, 카메라 장치.
  42. 제31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치가 상기 냉장고용인 것을 상기 냉장고에 식별시키기 위한 피(被)식별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카메라 장치.
  43. 냉장고의 문에 설치되는 냉장고용 도어 포켓으로서,
    상기 냉장고의 고내를 촬상하기 위한 촬상 수단을 부착하기 위한 피부착부를 구비하는, 냉장고용 도어 포켓.
  44. 냉장고의 문에 설치되는 냉장고용 도어 포켓으로서,
    상기 냉장고의 고내를 촬상하기 위한 촬상 수단을 부착하기 위한 피부착부를 피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냉장고용 도어 포켓.
  45. 냉장고의 문에 설치되는 냉장고용 도어 포켓으로서,
    상기 냉장고의 고내를 촬상하기 위한 촬상 수단의 시야를 가리는 부위에 절개부가 설치되어 있는, 냉장고용 도어 포켓.
  46. 제43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은 자기를 검출하기 위한 자기 센서; 및 상기 자기 센서로 검출한 자기에 기초해서 자신의 설치위치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을 구비한 것이며,
    상기 피부착부에는 상기 자기 센서로 검출하는 자기를 발생시키는 피검지 수단으로서의 자석이 설치되어 있는, 냉장고용 도어 포켓.
  47. 냉장고의 고내에 설치되며, 고내를 촬상하기 위한 촬상 수단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를 구비하는, 냉장고용 홀더.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은 자기를 검출하기 위한 자기 센서; 및 상기 자기 센서로 검출한 자기에 기초해서 자신의 설치위치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며,
    상기 유지부에는 상기 자기 센서로 검출하는 자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피검지 수단으로서 자석이 설치되어 있는, 냉장고용 홀더.
  49. 제47항 또는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 냉장고의 문에 설치되는 냉장고용 도어 포켓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냉장고용 홀더.
  50. 고내를 촬상하기 위한 촬상 수단이 설치된 냉장고에 통신 회선을 통해 통신 가능하고, 상기 통신 회선을 통해 취득한 상기 냉장고의 고내 화상정보를 표시하는, 통신단말.
  51. 물품을 저장하는 저장고의 고내를 촬상하기 위한 촬상 수단;
    상기 촬상 수단에 통신 회선을 통해 통신 가능하며, 상기 저장고의 고내 화상정보를 취득하는 통신 수단, 및 상기 통신 수단으로 취득한 화상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가진 서버; 및
    상기 서버에 통신 회선을 통해 통신 가능하며, 상기 서버에 기억되어 있는 고내 화상정보를 취득하여 표시하는 단말측 표시 수단을 가진 통신단말;
    을 구비한, 가전 네트워크 시스템.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고는 냉장고인, 가전 네트워크 시스템.
  53. 물품을 저장하는 저장고의 고내를 촬상하기 위한 촬상 수단에 통신 회선을 통해 통신 가능한 통신단말을 제어하는 단말측 제어 수단에,
    상기 촬상 수단으로 촬상한 상기 저장고의 고내 화상정보를 취득하는 화상 취득 처리;
    상기 화상 취득 처리로 취득한 화상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처리; 및
    고내를 촬상하기 위한 지령을 출력하여 상기 촬상 수단에 고내를 촬상시키는 촬상 처리;
    를 실행시키는, 고내 화상 표시 프로그램.
  54. 제1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문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촬상하는, 냉장고.
  55. 제54항에 있어서,
    문의 개방을 검지하는 문 개방 검지 수단을 추라고 구비하고,
    상기 문 개방 검지 수단에 의해 문의 개방이 검지되면 촬상하는, 냉장고.
  56. 제54항 또는 제55항에 있어서,
    문 개방중에 촬상할 때, 상기 냉장고의 내부를 비추기 위한 조명 수단을 점등하는, 냉장고.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문 개방 검지 수단은 문이 소정량 이상으로 개방되면 온(on) 되는 스위치를 가지고 있고,
    상기 스위치가 온 되면 촬상하는, 냉장고.
  58.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문 개방 검지 수단은 문이 소정량 이상으로 개방되면 온 되는 스위치를 가지고 있고,
    상기 스위치가 온 되기 전에는 상기 냉장고의 내부를 비추기 위한 조명 수단을 점등하여 촬상하는, 냉장고.
  59. 제54항 내지 제5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내의 조도를 검지하는 조도 검지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조도 검지 수단에 의해 조도가 소정 기준치를 넘으면 촬상하는, 냉장고.
  60. 제54항 내지 제5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은 적어도 문의 개방측 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냉장고.
  61. 제54항 내지 제6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문이 폐쇄될 때 추가로 촬상하는, 냉장고.
  62. 제54항 내지 제6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은 적어도 문의 힌지측 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냉장고.
  63. 제54항 내지 제6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문이 개방될 때 복수회 촬상하는, 냉장고.
  64. 제54항 내지 제6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된 화상에 기초해서, 고내에 수납되는 수납물의 수납량을 추정하는 수납량 추정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냉장고.
  65. 제54항 내지 제6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량 추정 수단에 의해 추정된 수납물의 수납량 및 수납량이 변화된 것 중 적어도 한쪽을 알리는 알림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냉장고.
  66. 제54항 내지 제6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량 추정 수단에 의해 추정된 수납물의 수납량이 소정 기준 수납량을 넘었을 때, 저장고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 팬을 통상시보다 순환량이 높아지는 상태로 구동하는, 냉장고.
  67. 제54항 내지 제6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의 근방에,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 수단을 설치한, 냉장고.
  68. 제54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문의 개방도를 검지하는 개방도 검지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개방도 검지 수단은 회전식 문의 개방각도를 검지하는 것이며,
    상기 개방각도 검지 수단으로 검지한 문의 개방각도가 90도 미만일 때 촬상하는, 냉장고.
  69. 제54항 내지 제6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문의 개방도를 검지하는 개방도 검지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개방도 검지 수단으로 검지한 개방도가 고내를 촬상할 수 있는 범위일 때 촬상하는, 냉장고.
  70. 제54항 내지 제6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는 이웃해서 배치된 복수의 문에 의해 1개의 저장고를 개폐하는, 냉장고.
  71. 제54항 내지 제7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은 적어도 한쪽 문에 배치되며, 상기 촬상 수단이 설치된 문이 개방될 때, 다른 쪽 문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 포켓이 촬상 시야 내에 있을 때 촬상하는, 냉장고.
  72. 제54항 내지 제7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는 이웃해서 배치된 복수의 문에 의해, 독립된 저장고를 각각 개폐하는, 냉장고.
  73. 제72항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문은 복수의 독립된 저장고를 개폐하는 것이고,
    상기 복수의 독립된 저장고를 각각 촬상하는, 냉장고.
  74. 제72항 또는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독립된 저장고에는 그 내부를 구획하기 위한 선반 및/또는 수납 용기가 설치되어 있고,
    선반 및/또는 수납 용기 내부를 각각 촬상하는 상기 촬상 수단을 구비하는, 냉장고.
  75. 제54항 내지 제7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는 서랍식 저장고를 가진 것이고, 상기 서랍식 저장고가 개방될 때 촬상하는, 냉장고.
  76. 제75항에 있어서,
    문의 개방도를 검지하는 개방도 검지 수단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개방도 검지 수단은 서랍식 문의 인출량을 검지하는 것이며,
    상기 서랍식 저장고의 개방도가 소정 기준치를 넘으면 촬상하는, 냉장고.
  77. 제75항 또는 제76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은 상기 서랍식 저장고의 인출방향에 대해 기울어져서 설치되어 있는, 냉장고.
  78. 제75항 내지 제7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식 저장고의 위쪽에는 다른 저장고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서랍식 저장고를 촬상하기 위한 상기 촬상 수단을, 위쪽에 배치된 다른 저장고의 문에 설치한, 냉장고.
  79. 제75항 내지 제7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식 저장고의 위쪽에는 다른 저장고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서랍식 저장고를 촬상하기 위한 상기 촬상 수단을, 상기 서랍식 저장고와 위쪽에 배치된 다른 저장고와의 사이를 구획하는 칸막이판에 설치한, 냉장고.
  80. 제1항 내지 제30항 및 제54항 내지 제7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은 고내의 중앙을 촬상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냉장고.
  81. 제80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은 촬상 대상이 되는 저장고를 개폐하는 문에, 상기 저장고의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에서의 대략 중앙 위치에 대응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냉장고.
  82. 제80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은 촬상 대상이 되는 저장고를 개폐하는 문에 설치되어 있는 세로 칸막이의 내부에, 그 상하방향의 대략 중앙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냉장고.
  83. 제80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은 촬상 대상이 되는 저장고 내에 설치되어 있는, 냉장고.
  84. 제83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은 촬상 대상이 되는 저장고의 측벽에 설치되어 있는, 냉장고.
  85. 제84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은 촬상 대상이 되는 저장고의 좌우 측벽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냉장고.
  86. 제80항 내지 제8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촬상 대상이 되는 저장고는 상하방향과 좌우방향에서 그 크기가 다른 대략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촬상 수단은 장방형의 촬상 소자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촬상 소자의 길이방향과 저장고의 길이방향이 일치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냉장고.
  87. 제80항 내지 제8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은 방적(防滴) 처리 또는 방수 처리가 되어 있는, 냉장고.
  88. 제80항 내지 제8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은 회로 부품을 탑재한 기판에 렌즈 유닛이 부착된 촬상 모듈이 보호 케이스 내에 수용된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렌즈 유닛과 상기 보호 케이스 사이가 O링에 의해 밀봉되어 있는, 냉장고.
  89. 제80항 내지 제8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은 회로 부품을 탑재한 기판에 렌즈 유닛이 부착된 촬상 모듈이 보호 케이스 내에 수용된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보호 케이스 내부가 포팅재로 포팅되어 있는, 냉장고.
  90. 제1항 내지 제30항 및 제54항 내지 제8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은 냉동 온도대의 고내를 촬상하는, 냉장고.
  91. 제90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 근방에 가열 수단을 설치한, 냉장고.
  92. 제9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은 저장고 사이를 구획하는 칸막이판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열 수단은 상기 칸막이판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방열 파이프인, 냉장고.
  93. 제90항 내지 제9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의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 검지 수단을 구비하는, 냉장고.
KR1020157028150A 2013-03-12 2014-03-11 냉장고, 카메라 장치, 냉장고용 도어 포켓, 통신단말, 가전 네트워크 시스템, 고내 화상 표시 프로그램 KR201501289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49073 2013-03-12
JP2013049073 2013-03-12
JPJP-P-2013-147562 2013-07-16
JP2013147562 2013-07-16
JP2013225437 2013-10-30
JPJP-P-2013-225437 2013-10-30
JPJP-P-2014-038461 2014-02-28
JP2014038461A JP6391943B2 (ja) 2013-03-12 2014-02-28 冷蔵庫、カメラ装置、庫内画像表示プログラム
PCT/JP2014/056327 WO2014142120A1 (ja) 2013-03-12 2014-03-11 冷蔵庫、カメラ装置、冷蔵庫用ドアポケット、通信端末、家電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庫内画像表示プログラム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1992A Division KR20170052705A (ko) 2013-03-12 2014-03-11 냉장고, 카메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8901A true KR20150128901A (ko) 2015-11-18

Family

ID=5153677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1992A KR20170052705A (ko) 2013-03-12 2014-03-11 냉장고, 카메라 장치
KR1020157028150A KR20150128901A (ko) 2013-03-12 2014-03-11 냉장고, 카메라 장치, 냉장고용 도어 포켓, 통신단말, 가전 네트워크 시스템, 고내 화상 표시 프로그램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1992A KR20170052705A (ko) 2013-03-12 2014-03-11 냉장고, 카메라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951863B2 (ko)
EP (1) EP2975342B1 (ko)
JP (1) JP6391943B2 (ko)
KR (2) KR20170052705A (ko)
CN (6) CN110118466B (ko)
TW (3) TWI710739B (ko)
WO (1) WO201414212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4417A1 (ko) * 2016-05-25 2017-11-30 나정환 스마트 저장고
WO2018021863A1 (ko) * 2016-07-28 201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WO2019172680A1 (ko) * 2018-03-09 2019-09-1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74816A (ja) * 2013-03-11 2014-09-22 Toshiba Corp 家電機器
JP6391943B2 (ja) * 2013-03-12 2018-09-19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カメラ装置、庫内画像表示プログラム
JP6485678B2 (ja) * 2013-03-29 2019-03-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冷蔵庫及び冷蔵庫システム
JP6322803B2 (ja) * 2013-03-29 2018-05-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冷蔵庫及び冷蔵庫システム
JP6167329B2 (ja) * 2013-03-29 2017-07-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冷蔵庫
JP6167330B2 (ja) * 2013-03-29 2017-07-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冷蔵庫及び冷蔵庫システム
JP6402353B2 (ja) * 2013-03-29 2018-10-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冷蔵庫及び冷蔵庫システム
JP6167328B2 (ja) * 2013-03-29 2017-07-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冷蔵庫
JP6361014B2 (ja) * 2013-03-29 2018-07-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冷蔵庫及び冷蔵庫システム
JP6114916B2 (ja) * 2013-03-29 2017-04-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冷蔵庫
JP6167331B2 (ja) * 2013-03-29 2017-07-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冷蔵庫及び冷蔵庫システム
JP6080655B2 (ja) * 2013-04-03 2017-02-15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
WO2014175643A1 (en) 2013-04-23 2014-10-30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DE102013211097A1 (de) * 2013-06-14 2014-12-1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einem Kameramodul
JP6334186B2 (ja) * 2014-02-05 2018-05-30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WO2016034488A1 (en) * 2014-09-03 2016-03-10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Method for data communication with a domestic appliance by a mobile computer device, mobile computer device and domestic appliance
KR20160089725A (ko) * 2015-01-20 2016-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JP6242537B2 (ja) * 2015-03-25 2017-12-06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
JP6359179B2 (ja) * 2015-04-07 2018-07-18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
JP6571407B2 (ja) * 2015-06-23 2019-09-04 シャープ株式会社 庫内撮影装置
JP6641109B2 (ja) * 2015-07-09 2020-02-05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
WO2017010804A1 (en) * 2015-07-15 2017-01-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Object recognition for a storage structure
US10474987B2 (en) * 2015-08-05 2019-11-12 Whirlpool Corporation Object recognition system for an appliance and method for managing household inventory of consumables
US11156970B2 (en) 2015-08-05 2021-10-26 Whirlpool Corporation Foodstuff sensing appliance
US10027866B2 (en) 2015-08-05 2018-07-17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s having internal content camera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JP6655908B2 (ja) * 2015-08-19 2020-03-04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70027246A (ko) 2015-09-01 2017-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FR3044793A1 (fr) * 2015-12-03 2017-06-09 Agece Dispositif d'assistance au stockage de produits dans un refrigerateur
JP6818407B2 (ja) * 2015-12-10 2021-01-20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冷蔵庫内画像管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7155269A1 (ko) 2016-03-07 2017-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JP2017161210A (ja) * 2016-03-07 2017-09-14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冷蔵庫
WO2017168572A1 (ja) * 2016-03-29 2017-10-05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
US10474137B2 (en) * 2016-05-20 2019-11-12 Cedalo AG Configuring or controlling a device via serialized event data
CN105972908B (zh) * 2016-05-26 2019-10-18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具有摄像装置的双开门冰箱
CN106196850B (zh) * 2016-07-18 2019-04-09 信利光电股份有限公司 摄像头盖板的除雾设备、除雾方法及冷藏设备
JP6799958B2 (ja) * 2016-07-20 2020-12-16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
JPWO2018016053A1 (ja) * 2016-07-21 2018-09-06 三菱電機株式会社 通信デバイスと通信可能な冷蔵庫
WO2018033956A1 (ja) * 2016-08-16 2018-02-22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
US20180053140A1 (en) * 2016-08-18 2018-02-22 Intel Corporation Food storage method and apparatus with sensors
US11016634B2 (en) * 2016-09-01 2021-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storage system having a display
JP2018050251A (ja) * 2016-09-23 2018-03-29 シャープ株式会社 監視システム
DE102017000058A1 (de) * 2016-10-07 2018-04-12 Liebherr-Hausgeräte Ochsenhausen GmbH Kühl- und/oder Gefriergerät
WO2018069986A1 (ja) * 2016-10-12 2018-04-19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
JP6673498B2 (ja) * 2016-11-21 2020-03-25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システム
JP6739547B2 (ja) * 2016-12-21 2020-08-12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
US10705703B2 (en) * 2017-01-11 2020-07-07 Universal Entertainment Corporation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s by operating head mounted display
TWI616648B (zh) * 2017-01-24 2018-03-01 達辰智慧科技有限公司 具有智慧型溫溼度感測裝置的密閉槽體
GB201701593D0 (en) * 2017-01-31 2017-03-15 Smarter Applications Ltd Imaging apparatus
JP2017106715A (ja) * 2017-02-16 2017-06-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冷蔵庫
CN110337574A (zh) * 2017-03-03 2019-10-15 夏普株式会社 冰箱及冰箱门的制造方法
JP6500251B2 (ja) * 2017-04-18 2019-04-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冷蔵庫
US10684065B2 (en) * 2017-06-26 2020-06-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CN107449201A (zh) * 2017-07-31 2017-12-08 合肥美的智能科技有限公司 冰箱
DE102017213425A1 (de) * 2017-08-02 2019-02-07 BSH Hausgeräte GmbH Sensorvorrichtung für ein Haushaltskühlgerät
JP7012263B2 (ja) * 2017-10-06 2022-01-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冷蔵庫
JP7012262B2 (ja) * 2017-10-06 2022-01-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冷蔵庫
US9995528B1 (en) 2017-10-12 2018-06-12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having a camera selectively enclosed by a rotating mullion assembly
CN109688296A (zh) * 2017-10-18 2019-04-26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摄像机构及具有该摄像机构的冰箱
CN109683435A (zh) * 2017-10-18 2019-04-26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摄像头防雾装置及具有该摄像头防雾装置的冰箱
WO2019102616A1 (ja) * 2017-11-27 2019-05-31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及び冷蔵庫システム
CN108076274B (zh) * 2017-12-28 2020-12-08 浙江大华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摄像机抗冰雪沉积或除雾方法及一种摄像机
KR102217024B1 (ko) * 2018-03-13 2021-02-1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그 제어 방법 및 시스템
JP2019184167A (ja) 2018-04-11 2019-10-24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家電機器、冷蔵庫
JP6671002B2 (ja) * 2018-04-16 2020-03-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冷蔵庫
US11500574B2 (en) 2018-05-30 2022-11-15 Yungu (Gu'an) Technology Co., Ltd. Storage detection method, storage detection device, and smart storage device
CN108803413A (zh) * 2018-05-30 2018-11-13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智能收纳装置、智能收纳系统
JP7191561B2 (ja) * 2018-06-29 2022-12-19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
JP7292019B2 (ja) * 2018-08-01 2023-06-16 三菱電機株式会社 制御装置、庫内撮影システム、物品保管庫、庫内撮影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481797B2 (ja) * 2018-08-24 2024-05-13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冷蔵庫設定システム
KR102663888B1 (ko) * 2018-09-18 2024-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551358B1 (ko) * 2018-09-21 2023-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내 객체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11109705B2 (en) * 2018-09-26 2021-09-07 Securum Capsa, Inc. Medication receiver
US20200118078A1 (en) * 2018-10-10 2020-04-16 Adroit Worldwide Media, Inc. Systems,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ed and Intelligent Inventory Stocking
JP7220058B2 (ja) * 2018-11-15 2023-02-09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の音声対話装置、および冷蔵庫
KR20200068832A (ko) 2018-12-06 2020-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0907892B2 (en) 2019-02-27 2021-02-02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with magnetic bin system
JP6664020B2 (ja) * 2019-03-18 2020-03-13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JP7175382B2 (ja) * 2019-03-20 2022-11-18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
KR20210137592A (ko) 2019-04-10 2021-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물품 관리 방법
JP2020180739A (ja) * 2019-04-25 2020-11-05 シャープ株式会社 物品トレイ、冷蔵庫、及び物品トレイシステム
JP7297563B2 (ja) * 2019-07-03 2023-06-26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
US11335010B2 (en) * 2019-08-15 2022-05-17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Methods for viewing and tracking stored items
DE102019128366A1 (de) * 2019-08-16 2021-02-18 Liebherr-Hausgeräte Ochsenhausen GmbH Kühl- und/oder Gefriergerät
US11098949B2 (en) * 2019-08-22 2021-08-24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Refrigerator appliance having USB features
US11656025B2 (en) 2019-12-30 2023-05-23 Whirlpool Corporation Resilient housing
CN113063261B (zh) * 2020-01-02 2022-12-13 佛山市云米电器科技有限公司 冰箱控制方法、冰箱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20094801A (ja) * 2020-02-28 2020-06-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冷蔵庫
JP7014983B1 (ja) 2020-07-14 2022-02-1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撮像ユニット及び空気処理ユニット
DE102020210278A1 (de) * 2020-08-13 2022-02-17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mit einer Kamera und einem damit verbundenen Hinterlegteil, sowie Verfahren
KR20220023599A (ko) * 2020-08-21 2022-03-02 주식회사 위니아전자 냉장고용 카메라 이슬맺힘 제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4087823B (zh) 2020-08-24 2022-08-23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冷藏冷冻装置
JP7178575B2 (ja) * 2020-09-03 2022-11-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使用状況通知装置
JP7142226B2 (ja) * 2020-09-03 2022-09-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食品管理システム
JP7182139B2 (ja) 2020-09-03 2022-12-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食品検出装置、及び食品管理システム
CN113824864A (zh) * 2021-09-13 2021-12-21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食材存储设备及图像处理方法
US11985448B2 (en) 2021-12-14 2024-05-14 Dell Products L.P. Camera with magnet attachment to display panel

Family Cites Families (1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2801A (en) 1975-11-17 1976-09-28 General Motors Corporation Power-operating vertically adjustable cantilever shelves for appliance cabinets
JPH0244327A (ja) 1989-03-14 1990-02-14 Minolta Camera Co Ltd スチルビデオカメラ
US6498620B2 (en) * 1993-02-26 2002-12-24 Donnelly Corporation Vision system for a vehicle including an image capture device and a display system having a long focal length
JP3450907B2 (ja) 1994-08-08 2003-09-29 幸次 楠野 内部状態表示装置付冷蔵庫
GB9425031D0 (en) 1994-12-09 1995-02-08 Alpha Metals Ltd Printed circuit board manufacture
ATE279490T1 (de) 1995-03-20 2004-10-15 Toto Ltd Verwendung einer photokatalytisch superhydrophil gemachten oberfläche mit beschlaghindernder wirkung
CN1209153A (zh) 1995-12-22 1999-02-24 东陶机器株式会社 使表面亲水性的光催化方法以及具有光催化亲水性表面的复合材料
JP3282159B2 (ja) * 1996-02-16 2002-05-13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光部品
TW313630B (en) 1996-03-21 1997-08-21 Toto Ltd The surface substrate with light catalyst and hydrophilicity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5913584A (en) 1997-09-23 1999-06-22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Adjustable refrigerator shelf
JPH11177858A (ja) 1997-12-08 1999-07-02 Canon Inc 電子カメラ
JP4329131B2 (ja) 1998-05-21 2009-09-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冷蔵庫の使い方比較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0397053B1 (ko) 1998-07-25 2004-03-3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평블록의 높이 레벨 조정장치
JP2000131747A (ja) 1998-10-26 2000-05-12 Ricoh Co Ltd カメラハウジング
JP2000171874A (ja) * 1998-12-08 2000-06-23 Asahi Optical Co Ltd 結露検知機能付きカメラ
JP2001133119A (ja) 1999-10-29 2001-05-18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
KR100351819B1 (ko) * 2000-03-30 2002-09-11 엘지전자주식회사 냉장고용 영상표시기기 장착구조
JP2001317858A (ja) 2000-05-09 2001-11-16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
SE522000C2 (sv) 2000-08-18 2004-01-07 Rutger Roseen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att hålla reda på lagringstiden för i ett utrymme förvarade varor
JP2002081818A (ja) * 2000-09-05 2002-03-22 Hitachi Ltd 冷蔵庫
JP2002156181A (ja) 2000-11-16 2002-05-31 Yozan Inc 冷蔵庫
JP2002243335A (ja) * 2001-02-21 2002-08-28 Toshiba Corp 食品保存庫、ホームネットワーク装置、携帯情報端末、食品情報提供サーバ、献立情報提供サーバ及び保存庫内収納情報提供サーバ
JP2002267337A (ja) * 2001-03-12 2002-09-18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の食材管理装置
CN1178037C (zh) * 2001-03-16 2004-12-01 Lg电子株式会社 因特网电冰箱及其操作方法
JP2002295962A (ja) 2001-03-29 2002-10-09 Sanyo Electric Co Ltd 冷蔵庫
CN2478043Y (zh) * 2001-04-23 2002-02-20 青岛市家用电器研究所 一种智能网络冰箱
JP2002340471A (ja) 2001-05-18 2002-11-27 Fujitsu General Ltd 冷蔵庫内部表示システム
JP2002359761A (ja) * 2001-05-31 2002-12-13 Asahi Optical Co Ltd デジタルカメラ用クレードル
JP2003004366A (ja) 2001-06-20 2003-01-08 Hitachi Ltd 内部状態転送装置付冷蔵庫
JP2003042626A (ja) 2001-07-26 2003-02-13 Toshiba Corp 冷蔵庫
JP3819745B2 (ja) 2001-07-27 2006-09-13 三洋電機株式会社 冷蔵庫
JP2003207258A (ja) * 2002-01-16 2003-07-25 Toshiba Corp 冷蔵庫
JP2004183987A (ja) * 2002-12-04 2004-07-02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冷蔵庫
KR20040083784A (ko) 2003-03-25 2004-10-06 최철웅 냉장고의 보관물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2619441Y (zh) * 2003-04-11 2004-06-02 智基科技开发股份有限公司 移动电话用摄像头
JP2005030607A (ja) 2003-07-07 2005-02-03 Hitachi Ltd 充電器及び充電器を備えた冷蔵庫
ES2222812B1 (es) 2003-07-23 2006-03-16 Jose Ramon Conde Hinojosa Procedimiento y dispositivo de enfriamiento rapido de bebidas envasadas.
EP1652157A1 (en) 2003-07-29 2006-05-03 Minibar AG Computerised-sensing system for a mini bar
JP4179146B2 (ja) 2003-11-28 2008-11-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冷蔵庫の扉装置
JP4200317B2 (ja) 2004-03-17 2008-12-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冷蔵庫
CN100417897C (zh) * 2004-04-12 2008-09-10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用于内置于冰箱中的可分离式终端的充电装置
JP2005315479A (ja) 2004-04-28 2005-11-10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冷蔵庫
JP2006046771A (ja) 2004-08-04 2006-02-16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冷蔵庫
JP4196914B2 (ja) 2004-09-16 2008-12-17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
US20060096303A1 (en) 2004-11-10 2006-05-11 Kavounas Gregory T Home refrigerator systems imaging their interior and methods
TWI265263B (en) 2004-11-19 2006-11-01 Chuen-Liang Shiu Intelligent refrigerator and the recognition and monitoring method thereof
US20060174641A1 (en) * 2004-12-13 2006-08-10 Liu Chi W Refrigerator with a display module
US20070152076A1 (en) 2004-12-13 2007-07-05 Chiang Kuo C Monitoring system with a wireless transmitting/receiving module
KR100697076B1 (ko) 2005-02-28 2007-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개스킷 밀착용 필러 가이드 장치
KR100677269B1 (ko) 2005-03-15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가 구비된 냉장고
CN2811883Y (zh) 2005-04-01 2006-08-30 张鑫峰 智能型保鲜柜
US20060237427A1 (en) * 2005-04-07 2006-10-26 Logan James D Smart cabinets
JP2007046833A (ja) * 2005-08-09 2007-02-22 Funai Electric Co Ltd 物品保存庫、物品保存庫監視システム及び冷蔵庫監視システム
JP2007046834A (ja) * 2005-08-09 2007-02-22 Funai Electric Co Ltd 物品保存庫、物品保存庫監視システム及び冷蔵庫監視システム
TWM287928U (en) * 2005-08-31 2006-02-21 Kinik Co Refrigerator with photography function
JP4936504B2 (ja) * 2005-09-26 2012-05-23 キヤノン株式会社 クレードル装置と操作端末とのそのプログラム、及びカメラシステム
JP2007113818A (ja) * 2005-10-19 2007-05-10 Funai Electric Co Ltd 物品保存庫及び冷蔵庫
EP1949009B8 (en) 2005-10-27 2020-06-03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8813516B2 (en) 2005-10-27 2014-08-26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ith visible light radiation
JP4498261B2 (ja) 2005-11-08 2010-07-07 株式会社東芝 冷蔵庫
US7853142B2 (en) 2005-11-14 2010-12-14 System Planning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n imaging system for a container security system
JP4268170B2 (ja) * 2006-01-31 2009-05-27 富士通株式会社 記憶媒体収容装置外付けユニット
JP4890880B2 (ja) * 2006-02-16 2012-03-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送信装置,画像送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JP2007295166A (ja) * 2006-04-24 2007-11-08 Fujifilm Corp デジタルカメラ
CN101074816A (zh) * 2006-05-17 2007-11-21 海尔集团公司 设有显示屏的冰箱
AU2006345796B2 (en) * 2006-07-04 2010-12-09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ith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WO2008007790A1 (fr) 2006-07-14 2008-01-17 Tomey Co., Ltd. Agent liquide pour lentilles de contact et procédé pour hydrophiliser des lentilles de contact utilisant ledit agent
JP2008075925A (ja) * 2006-09-20 2008-04-03 Sharp Corp 冷蔵庫
JP2008104077A (ja) * 2006-10-20 2008-05-01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テレビカメラ装置
US7870753B2 (en) * 2007-01-04 2011-01-18 Whirlpool Corporation Appliance door with a service interface
DE112008002168B4 (de) 2007-04-26 2014-02-13 Panasonic Corporation Kühlschrank und elektrische Vorrichtung
NZ584547A (en) 2007-10-09 2012-01-12 Panasonic Corp Refrigerator with atmoization unit producing a mist containing radicals where the temperature of the atomization tip is adjusted to be at or below the dew point
JP5241220B2 (ja) * 2007-12-14 2013-07-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制御装置、画像表示制御方法、および画像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2009250602A (ja) 2008-04-11 2009-10-29 Toshiba Corp 冷蔵庫
MX2011000584A (es) * 2008-07-14 2011-06-20 Holicom Film Ltd Método y sistema de filmación.
US9041508B2 (en) * 2008-08-08 2015-05-26 Snap-On Incorporated Image-based inventory control system and method
US20100170289A1 (en) * 2009-01-06 2010-07-08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amless Imaging of Appliance Interiors
KR101517083B1 (ko) 2009-05-11 2015-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를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JP2011021865A (ja) 2009-07-13 2011-02-03 Masato Shiraishi 冷蔵庫用リモコンと冷蔵庫
JP5460207B2 (ja) 2009-08-12 2014-04-02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KR101100146B1 (ko) 2009-08-12 2011-12-29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냉장고
CN102003864A (zh) 2009-08-31 2011-04-06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冰箱
JP5585029B2 (ja) 2009-08-31 2014-09-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冷蔵庫
CN102032740B (zh) 2009-09-29 2013-06-05 爱国者电子科技有限公司 冰箱
CN102043241B (zh) * 2009-12-31 2012-07-25 中国检验检疫科学研究院 微结构显微成像增强方法
US20110233289A1 (en) 2010-03-24 2011-09-29 Whirlpool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ultrasound-based atomizer for humidity control in refrigerators
JP5609457B2 (ja) 2010-03-29 2014-10-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冷蔵庫
TWI481803B (zh) 2010-05-27 2015-04-21 Toshiba Kk 冰箱
JP5523968B2 (ja) 2010-07-28 2014-06-18 株式会社東芝 冷蔵庫
US8756942B2 (en) 2010-07-29 2014-06-2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201772873U (zh) * 2010-09-07 2011-03-23 珠海天峰光电有限公司 一种采用背光翻转lcd数显装置的激光测距仪
TW201217731A (en) * 2010-10-19 2012-05-01 Cheng-Tzong Lee Intellectual refrigerator combining with portable electric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JP5714303B2 (ja) 2010-11-15 2015-05-07 株式会社東芝 冷蔵庫
KR101813030B1 (ko) 2010-12-29 2017-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EP2489967B1 (en) 2011-02-18 2019-08-28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Refrigerating appliance
JP2012193873A (ja) 2011-03-15 2012-10-11 Nikon Corp 収納装置
CN102183120A (zh) 2011-03-31 2011-09-14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基于视频技术的远程食品查询冰箱及其工作方法
KR20120116207A (ko) * 2011-04-12 2012-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JP2012220942A (ja) 2011-04-14 2012-11-12 Sharp Corp 3次元カメラモジュール、それを備えた携帯端末及び携帯電話機
KR101774054B1 (ko) 2011-04-15 2017-09-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5440644B2 (ja) 2011-05-09 2014-03-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冷蔵庫
JP2012251722A (ja) 2011-06-03 2012-12-20 Panasonic Corp 冷蔵庫
JP2012251724A (ja) * 2011-06-03 2012-12-20 Panasonic Corp 冷蔵庫
JP5637951B2 (ja) 2011-07-25 2014-12-10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JP6139837B2 (ja) 2012-09-25 2017-05-31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JP6099921B2 (ja) 2012-09-27 2017-03-22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JP6121802B2 (ja) 2012-10-12 2017-04-26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TW201421987A (zh) 2012-11-19 2014-06-01 Hon Hai Prec Ind Co Ltd 影像感測器模組及取像模組
US20140137587A1 (en) 2012-11-20 2014-05-22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for storing food items within a refrigerator appliance
US20140192182A1 (en) * 2013-01-10 2014-07-10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for viewing virtual objects within an appliance
US9412086B2 (en) 2013-03-07 2016-08-09 Bradd A. Morse Apparatus and method for customized product data management
JP6391943B2 (ja) * 2013-03-12 2018-09-19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カメラ装置、庫内画像表示プログラム
JP6411753B2 (ja) 2013-03-12 2018-10-24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及びカメラ装置
KR102000448B1 (ko) 2013-03-27 2019-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JP6402353B2 (ja) 2013-03-29 2018-10-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冷蔵庫及び冷蔵庫システム
JP6322803B2 (ja) 2013-03-29 2018-05-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冷蔵庫及び冷蔵庫システム
KR102026730B1 (ko) 2013-04-08 2019-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024595B1 (ko) * 2013-04-25 2019-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US20150059374A1 (en) 2013-09-04 2015-03-05 Logan Hebel System for Monitoring the Contents of a Refrigerator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4417A1 (ko) * 2016-05-25 2017-11-30 나정환 스마트 저장고
KR20170133004A (ko) * 2016-05-25 2017-12-05 나정환 스마트 저장고
WO2018021863A1 (ko) * 2016-07-28 201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80013190A (ko) * 2016-07-28 2018-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11009287B2 (en) 2016-07-28 2021-05-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WO2019172680A1 (ko) * 2018-03-09 2019-09-1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190106430A (ko) * 2018-03-09 2019-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700932A (zh) 2017-01-01
TWI630362B (zh) 2018-07-21
JP2015111026A (ja) 2015-06-18
EP2975342A1 (en) 2016-01-20
US20160057394A1 (en) 2016-02-25
TWI553280B (zh) 2016-10-11
JP6391943B2 (ja) 2018-09-19
EP2975342B1 (en) 2021-04-21
US10951863B2 (en) 2021-03-16
CN110118466B (zh) 2021-09-21
CN105074365A (zh) 2015-11-18
CN110081661B (zh) 2021-08-13
CN110118466A (zh) 2019-08-13
CN110081660B (zh) 2021-08-27
TWI710739B (zh) 2020-11-21
KR20170052705A (ko) 2017-05-12
CN110081661A (zh) 2019-08-02
CN110081660A (zh) 2019-08-02
TW201447204A (zh) 2014-12-16
CN110081662A (zh) 2019-08-02
WO2014142120A1 (ja) 2014-09-18
CN110081663A (zh) 2019-08-02
EP2975342A4 (en) 2016-12-07
TW201833494A (zh) 2018-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28901A (ko) 냉장고, 카메라 장치, 냉장고용 도어 포켓, 통신단말, 가전 네트워크 시스템, 고내 화상 표시 프로그램
KR101851914B1 (ko) 냉장고 및 카메라 장치
JP7223054B2 (ja) 冷蔵庫
JP6701281B2 (ja) 冷蔵庫、カメラ装置、冷蔵庫用ドアポケット、通信端末、家電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庫内画像表示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