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3759A -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3759A
KR20130103759A KR1020137013159A KR20137013159A KR20130103759A KR 20130103759 A KR20130103759 A KR 20130103759A KR 1020137013159 A KR1020137013159 A KR 1020137013159A KR 20137013159 A KR20137013159 A KR 20137013159A KR 20130103759 A KR20130103759 A KR 20130103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wire
terminal
wire
connection structure
cri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3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9596B1 (ko
Inventor
신야 타나카
히사시 하나자키
히로노리 키타가와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03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3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9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9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70Insulation of connections
    • H01R4/72Insulation of connections using a heat shrinking insulating slee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 H01R4/185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combined with a U-shaped insulation-receiving por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2Connections between conductors of different materials; Connections between or with aluminium or steel-core aluminium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70Insulation of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05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king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onnection, coupling, or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8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wire processing before connecting to contact memb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R43/02 - H01R43/2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aterial, e.g. gels or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01R43/05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with wire-insulation stripp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74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 Y10T29/49181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by deforming
    • Y10T29/49185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by deforming of terminal
    • Y10T29/49192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by deforming of terminal with insulation remov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1)는 도체부(12b)를 절연재료(11a)로 피복하는 절연 피복부(11), 및 전선(10) 단부의 절연재료(11a)가 제거된 도체 노출부(12)를 가지는 전선(10)과, 절연 피복부(11)에 압착되는 제1압착부(31) 및 도체 노출부(12)에 압착되는 제2압착부(32)를 가지는 단자(20)를 포함하고, 접속구조(1)는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로 제조되는 밀봉부(60)를 포함하고, 밀봉부(60)는, 전선(10)의 연장방향에서, 제1압착부(31)와 제1압착부로부터 전선(10)의 단부로 향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연장하는 측의 절연 피복부(11)를 포함하는 표면과, 제2압착부(32)의 표면을 덮으며, 전선(10)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으로 볼 때 전선의 외주는 밀봉부에 의해 이음매 없이 덮인다.

Description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 및 그 제조방법{CONNECTION STRUCTURE OF ELECTRIC WIRE AND TERMIN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심선(芯線)과 심선의 재료와는 다른 금속으로 제조된 단자를 가진 전선의 접속구조, 및 그 접속구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 가전제품 등에 있어서, 동재료로 제조된 심선을 가진 전선이 동재료로 제조된 단자에 접속되는 신호선 또는 전력선이 사용되어 왔다.
한편, 자동차 산업은 환경이라는 관점에서 차량을 경량화하여 연비를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동에 비하여 가벼운 알루미늄을 심선의 재료로 이용한 전선이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알루미늄은 수분과 동 이온의 존재하에서는 부식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심선과 동으로 제조된 단자 간의 접속부분에 물이 침입하면 부식이 발생하기 쉬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심선과 동으로 제조된 단자 간의 접속부분을 수지로 피복하여 방수를 하고, 부식을 방지하는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는 단자와, 도체부 및 절연 피복부가 압착되어 단자에 접속되고 단자의 금속과는 다른 금속의 도체와, 적어도 단자의 일부를 밀봉하여 덮도록 도포된 수지층, 및 단자로부터 노출된 도체부를 포함한다.
일본 특허출원공개 제2010-108829호
그러나, 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에 있어서는, 국부적으로 수지를 형성하기 때문에, 외력이 부여된 경우, 수지와 단자 간의 접착부분이 박리하는 경향이 있고 물이 박리부분에 침투하여 결과적으로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에 대한 내부식성이 악화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문제를 해소하고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양태에 따른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는 도체부를 절연재료로 피복하는 절연 피복부, 및 전선 단부의 절연재료가 제거된 도체 노출부를 가지는 전선과, 상기 절연 피복부에 압착되는 제1압착부 및 상기 도체 노출부에 압착되는 제2압착부를 가지는 단자와,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로 제조되는 밀봉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부는, 상기 전선의 연장방향에서, 상기 제1압착부와 상기 제1압착부로부터 상기 전선 단부로 향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연장하는 측의 상기 절연 피복부를 포함하는 표면과, 상기 제2압착부의 표면을, 덮으며, 상기 전선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으로 볼 때 상기 전선의 외주는 상기 밀봉부에 의해 이음매 없이 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명한 본 발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2양태에 따른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는 상기 단자는 상자형이고 또한 상기 단자는 노치부를 가지며, 상기 제1압착부와 상기 제2압착부의 사이에서 상기 노치부의 상부에는 노치(notch)가 형성되고, 상기 전선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으로 볼 때 상기 노치부에서의 상기 전선의 외주는 이음매 없이 상기 밀봉부로 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명한 본 발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3양태에 따른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는 상기 단자가 상자형이고, 상기 밀봉부가 덮인 측벽에 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명한 본 발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4양태에 따른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는 상기 제1압착부로부터 상기 전선의 단부로 향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연장하는 측의 상기 절연 피복부의 표면은 러프 처리(roughening treatment)에 의해 불균일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명한 본 발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5양태에 따른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는 단자에서, 그리고 상기 제1압착부로부터 상기 전선의 단부로 향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연장하는 측의 상기 절연 피복부에서, 그 표면에는 프라이머 제(primer agent)를 도포하여 접착성을 향상시킨 기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명한 본 발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6양태에 따른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는 상기 제1압착부에 의해 둘러싸인 전선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적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제1압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명한 본 발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7양태에 따른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는 상기 전선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의 외형이 상기 제1압착부에서 직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명한 본 발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8양태에 따른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는 상기 도체부가 알루미늄으로 제조되고, 상기 단자는 상기 도체부의 금속과는 다른 금속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문제를 해소하고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9양태에 따른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의 제조방법은, 도체부를 절연재료로 피복한 절연 피복부, 및 전선 단부의 절연재료가 제거된 도체 노출부를 가지는 전선과, 상기 절연 피복부에 압착되는 제1압착부, 및 상기 도체 노출부에 압착되는 제2압착부를 가지는 단자를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전선의 연장방향에서, 상기 제1압착부의 표면, 상기 제1압착부로부터 상기 전선 단부로 향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연장하는 측의 상기 절연 피복부를 포함하는 표면, 및 상기 제2압착부의 표면을 덮는 밀봉부를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로 금형에 의해 형성하고, 상기 전선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서 볼 때 전선의 외주를 이음매 없이 덮는 밀봉부 형성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부 형성단계에서, 상기 금형의 게이트를 상기 밀봉부의 단부의 형성위치로부터 상기 전선의 연장방향을 향하여 분리시켜 배치하고, 상기 밀봉부를 상기 금형 내에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명한 본 발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10양태에 따른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의 제조방법은 상기 밀봉부 형성단계에서, 상기 게이트를 상기 전선의 단부로 연장한 표면에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문제를 해소하고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1양태에 따른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접속구조는 도체부를 절연재료로 피복한 절연 피복부, 및 전선 단부의 절연재료가 제거된 도체 노출부를 가지는 전선과, 상기 절연 피복부에 압착되는 제1압착부, 상기 도체 노출부에 압착되는 제2압착부, 및 상기 제1압착부와 상기 제2압착부 사이에서 상부에 노치가 형성된 노치부를 가진 상자형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조방법은 압착수단의 압착면을 가압하여 상기 제1압착부 또는 상기 제2압착부를 압착할 경우, 상기 압착수단의 압착면으로 상기 제1압착부 또는 상기 제2압착부와 함께 상기 노치부를 덮으면서 상기 제1압착부 또는 제2압착부를 압착하는 압착단계와, 상기 전선의 연장방향에서, 상기 제1압착부의 표면, 상기 제1압착부로부터 상기 전선의 단부로 향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연장하는 측의 상기 절연 피복부를 포함하는 표면, 상기 제2압착부의 표면, 및 상기 노치부의 표면을 밀봉부를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로 금형에 의해 형성하고, 상기 전선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으로 볼 때 상기 전선의 외주를 이음매 없이 덮는 밀봉부 형성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양태에 따른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는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로 제조된 밀봉부를 가지며, 상기 밀봉부는 상기 전선의 연장방향에서, 상기 제1압착부와 상기 제1압착부로부터 상기 전선의 단부로 향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연장하는 측의 상기 절연 피복부를 포함하는 표면과, 상기 제2압착부의 표면을, 덮으며, 상기 전선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으로 볼 때 상기 전선의 외주는 상기 밀봉부에 의해 이음매 없이 덮인다. 따라서, 외력에 의한 밀봉부의 박리를 방지하여 방수성을 높일 수 있고 결과적으로 내부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양태에 따른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는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로 제조된 밀봉부를 가지며, 상기 밀봉부는 상기 전선의 연장방향에서, 상기 제1압착부와 상기 제2압착부로부터 상기 전선의 단부로 향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연장하는 측의 상기 절연 피복부를 포함하는 표면과, 상기 제2압착부 및 노치부의 표면을, 덮으며, 상기 전선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으로 볼 때 상기 전선의 외주는 상기 밀봉부에 의해 이음매 없이 덮인다. 따라서, 외력에 의한 밀봉부의 박리를 방지하여 방수성을 높일 수 있고 결과적으로 내부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양태에 따른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양태와 유사한 효과를 가지는 한편, 단자 측벽의 내측과 외측의 밀봉부가 개구부에 충전된 밀봉부를 통해 결합된다. 따라서, 밀봉부가 외력에 대하여 밀봉부의 유지부로서 기능하고, 밀봉부의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양태에 따른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양태와 유사한 효과를 가지는 한편, 밀봉부로 덮인 절연부의 표면은 분균일한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절연부와 밀봉부 사이의 접착면의 표면적이 증대하고, 또한 절연부의 표면의 요부 속에 밀봉부가 진입하는 원인으로 발생하는 정박효과(anchor effect)에 의해 절연부와 밀봉부 사이의 접착강도가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5양태에 따른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양태와 유사한 효과를 가지는 한편, 밀봉부로 덮인 절연 피복부의 표면에 기초부를 형성하여 절연 피복부와 밀봉부 사이의 접착강도, 그리고 단자부와 밀봉부 사이의 접착강도를 향상시킨다. 그 결과, 밀봉부의 박리를 방지하여 방수성을 높일 수 있고 결과적으로 내부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양태에 따른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양태와 유사한 효과를 가지는 한편, 제1압착부에 의해 둘러싸인 전선의 연장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단면적을 증가시키도록 제1압착부가 형성되며, 이에 따라서, 제1압착부를 압착하는 부분의 근방에서 절연부가 팽창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 팽창부에서 절연부의 두께가 얇아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 결과, 방수성을 높일 수 있고 결과적으로 내부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양태에 따른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양태와 유사한 효과를 가지는 한편, 제1압착부에 의해 둘러싸인 전선의 연장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단면적을 증가시키도록 접속구조가 구성되며, 이에 따라서, 제1압착부를 압착하는 부분의 근방에서 절연부가 팽창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 팽창부에서 절연부의 두께가 얇아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 결과, 방수성을 높일 수 있고 결과적으로 내부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양태에 따른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양태와 유사한 효과를 가지는 한편, 또한, 도체부에 알루미늄을 사용하는 경우에, 밀봉부의 박리를 방지하여 방수성을 높일 수 있고 결과적으로 내부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9양태에 따른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의 제조방법은 상기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양태와 유사한 효과를 가지는 한편, 금형에 의해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로 제조된 밀봉부를 형성하며, 상기 밀봉부는 상기 전선의 연장방향에서, 제1압착부와 제1압착부로부터 전선의 단부로 향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연장하는 측의 상기 절연 피복부를 포함하는 표면과, 상기 제2압착부의 표면을 덮으며, 상기 전선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으로 볼 때 상기 전선의 외주는 상기 밀봉부에 의해 이음매 없이 덮인다. 따라서, 금형의 게이트 부근에서 밀봉부의 박리를 방지하여 방수성을 높일 수 있고 결과적으로 내부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0양태에 따른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설명한 본 발명의 제9양태와 유사한 효과를 가지는 한편, 전선 단부의 단차 효과에 의해 열가소성 탄성중합체가 용이하게 흐르게 되어 충전 특성이 감소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11양태에 따른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의 제조방법은 상기 설명한 본 발명의 제2양태와 유사한 효과를 가지는 한편, 금형에 의해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로 제조된 밀봉부를 형성하며, 상기 밀봉부는 상기 전선의 연장방향에서, 제1압착부와 제1압착부로부터 전선의 단부로 향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연장하는 측의 상기 절연 피복부를 포함하는 표면과, 상기 제2압착부의 표면, 및 노치부의 표면을 덮으며, 상기 전선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으로 볼 때 상기 전선의 외주는 상기 밀봉부에 의해 이음매 없이 덮인다. 제1압착부가 압착되는 한편, 제1압착부의 폭을 증가시켜, 제1압착부의 압착면으로 노치부를 덮으며, 이에 따라서 노치부가 팽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밀봉부 두께가 얇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방수성을 높일 수 있고 결과적으로 내부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서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의 (a) 및 (b)는 분자 크기와 분자간 힘 사이의 관계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4는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와 금형을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요부 단면도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6의 (a) 및 도 (b)는 금형의 게이트 위치를 밀봉부의 단부 근방에 배치하는 경우, 게이트의 분리에 따른 밀봉부의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서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를 위한 제조방법에 이용되는 게이트 위치를 변위시킨 금형과,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게이트의 변위된 위치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서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를 도시한 B-B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라서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절연 피복부와 밀봉부 사이의 접착부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라서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라서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라서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한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를 도시한 C-C 선 단면도이다.
도 17은 절연 배럴의 근방에서 절연 피복부가 팽창한 상태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한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를 도시한 D-D선 단면도이다.
도 19는 절연 배럴의 압착에 이용되는 앤빌(anvil)과 크림퍼(crimper)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라서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라서 단자를 압착하기 이전의 단자, 절연 크림퍼, 및 전선 크림퍼를 도시한 요부 측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라서 단자를 압착하기 이전의 단자, 절연 크림퍼, 및 전선 크림퍼를 도시한 요부 측면도이다.
도 23은 단자를 압착하기 이전의 단자, 절연 크림퍼, 및 전선 크림퍼를 도시한 요부 측면도이다.
도 24는 노치부가 팽창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5는 단자의 정상적 압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 및 접속구조의 제조방법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서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1)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1)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1)는 전선(10), 단자(20), 및 밀봉부(60)를 가진다.
전선(10)은 절연 피복부(11) 및 도체 노출부(12)를 가진다.
절연 피복부(11)는 알루미늄 재료로 제조된 복수의 심선(12a)을 다발로 만들어 생성된 도체부(12b)를 폴리프로필렌(PP)과 같은 절연재료로 제조된 절연부(11a)로 피복한 부분이다. 또한, 절연부(11a)는 폴리프로필렌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타 다른 절연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체 노출부(12)는 전선(10) 단부의 절연부(11a)가 제거되고 도체부(12b)가 노출된 부분이다.
단자(20)는 동으로 제조된 상자형상을 가진다. 이 단자(20)는 예를 들면, 동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된다. 단자(20)는 전선 접속부(30), 또 다른 단자 접속부(40), 및 노치부(50)를 가진다.
전선 접속부(30)는 제1압착부로서의 절연 배럴(barrel)(31), 및 제2압착부로서의 와이어 배럴(32)을 가진다.
절연 배럴(31)은 예를 들면, 크림퍼 및 앤빌(anvil)에 의해 전선(10)의 절연 피복부(12)에 압착된 부분이다.
와이어 배럴(32)은 예를 들면 크림퍼 및 앤빌에 의해 도선부(11)에 압착된 부분이며, 도선부(11)는 전선(10)의 절연 피복부(12)를 제거하여 노출된 부분이다.
타(상대측) 단자 접속부(40)는 상자형상을 가지며, 접속 타측(상대측)으로서 사용되는 메일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부분이다.
노치부(50)는 상자 형상을 가지며, 노치가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 노치부(50)는 제1노치부(51)와 제2노치부(52)를 가진다. 제1노치부(51)는 절연 배럴(31)과 와이어 배럴(32) 간에 형성된 노치부이다. 제2노치부(52)는 와이어 배럴(32)과 타(상대측) 단자 접속부(40) 간에 형성된 노치부이다.
밀봉부(60)는 그 재질이 열가소성 탄성중합체이고 금형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전선(10)의 연장방향에서, 이 밀봉부(60)는 절연 배럴(31)과 절연 배럴(31)로부터 전선(10)의 단부로 향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연장하는 측의 절연 피복부(11)를 포함하는 표면과, 와이어 배럴(32)의 표면과, 제1노치부(51) 및 제2노치부(52)의 표면을 덮도록 형성된다. 또한, 전선(10)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으로 볼 때, 전선(10)의 외주는 밀봉부(60)로 덮여 있다. 즉, 전선(10)의 연장방향으로 직교하는 단면에서 볼 때, 전선(10)의 외주에는 밀봉부(60)가 이음매 없이 덮여있다.
또한, 전선(10)의 연장방향에서, 밀봉부(60)는 절연 배럴(31)과 이 절연 배럴(31)로부터 전선(10)의 단부로 향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연장하는 측의 절연 피복부(11)를 포함하는 표면과, 와이어 배럴(32)의 표면과, 제1노치부(51) 및 제2노치부(52)의 표면의 이음매를 갖지 않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절연 피복부(11)에 사용되는 재료에 대해 높은 분자간 힘을 가진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를 밀봉부(60)로서 사용한다.
여기서, 절연 피복부(11)의 절연부(11a)를 형성하는 절연재료의 분자와 열가소성 탄성중합체의 탄성중합체 분자 사이의 분자간 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분자의 크기와 분자간 힘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1)에 있어서, 전선(10)의 반복적인 굴곡을 견디기 위해, 절연부(11a)와 밀봉부(60) 사이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열가소성 탄성중합체의 종류는 전선(10)과 단자(20)의 내굴곡성등의 요구 품질(또는 품질 요건)에 따라서 선택된다. 즉, 열가소성 탄성중합체의 종류를 선정하는 것에 의해 밀봉부(60)와 단자(20)의 접착강도, 또는 밀봉부(60)와 절연부(11a)의 접착강도를 설정한다. 예를 들면, 굴곡의 요구 품질이 높은 경우, 밀봉부(60)와 절연부(11a) 사이의 접착강도를 높게 할 필요가 있으므로, 절연부(11a)에 대해 강한 분자간 힘이 작용하는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를 선택한다.
또한, 절연부(11a)를 형성하는 재료의 분자(M1)와, 열가소성 탄성중합체의 탄성중합체 분자(M2) 사이의 분자간 힘에 있어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쪽 분자의 크기가 상이 한[도 3의 (a)]의 경우의 간극보다도, 동일한 크기인[도 3의(b)] 경우의 간극이 분자간 힘이 작기 때문에 보다 강한 분자간 힘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 및 도 5를 참조로, 금형(70)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밀봉부(6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금형(70), 그리고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1)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요부 단면도의 A-A선 단면도이다.
금형(70)은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금형으로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금형(71) 및 하금형(72)를 가진다. 상금형(71)은 게이트(71a) 및 플래쉬(flash) 절결부(71b)를 가진다. 하금형(72)은 가압핀(72a)과 플래쉬 절결부(72b)를 가진다.
밀봉부(60)의 단부에 있어서의 열가소성 탄성중합체의 충전성을 강화하기 위해 게이트(71a)의 위치는 밀봉부(60)의 단부근방에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선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으로 볼 때, 전선과 단자 사이의 접속부의 외주를 이음매 없이 덮도록 밀봉부(60)인 열가소성 탄성중합체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1)는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로 이루어진 밀봉부(60)를 가지며, 이 밀봉부(60)는 전선(10)의 연장방향에서, 절연배럴(31)과 절연 배럴(31)로부터 전선(10) 단부로 향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연장하는 측의 절연 피복부(11)를 포함하는 표면을 덮는다. 또한, 밀봉부(60)는 전선(10)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으로 볼 때, 전선(10)의 외주를 이음매 없이 덮게 되므로 외력에 의한 밀봉부(60)의 박리를 방지하고, 방수성을 높일 수 있어 결과적으로 내부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1)에 있어서는, 절연 배럴(31)로부터 전선(10) 단부로 향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연장하는 측의 절연 피복부(11)의 표면을 밀봉부(60)로 덮기 때문에, 굴곡되는 경향이 있는 부분의 방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밀봉부(60)로서 탄성이 있는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를 이용하기 때문에,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는 굴곡을 추종하기에 용이하므로 밀봉부(60)의 박리를 방지하여 방수 특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내부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실시예)
다음에, 도 6의 (a)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1)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의 (a) 및 (b)는 금형(70)의 게이트(71a) 위치가 밀봉부(60)의 단부 근방에 배치되는 경우에 게이트(71a)의 분리에 의한 밀봉부(60)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1)의 제조방법에 이용되는 게이트(71a)의 위치를 변위시킨 금형(70)과,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1)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게이트(71a)의 변위된 위치에 관한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6의 (a) 및 (b)에서, 우측에 배치된 도면은 좌측에 배치된 도면의 요부 단면도이다.
또한, 상기한 제1실시예와 동일 구성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병기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는, 금형(70)을 이용한 밀봉부(60)를 형성할 때, 금형(70)의 게이트(71a)가 밀봉부(60)의 단부 근방에 배치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이 경우 도 6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71a)의 분리에 의하여 밀봉부(60)의 단부(60a)가 인장되는 경향이 있다. 그 결과, 단자(20)가 밀봉부(60)에 의해 이음매 없이 덮이는 경우에도, 도 6의 (b)의 우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71a)의 근방에 밀봉부(60)의 박리(60b)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2실시예에 따른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1)의 제조방법에서는, 금형(70)의 게이트(71a)를 밀봉부(60)의 단부 형성 위치로부터 전선(10)의 연장방향쪽으로 분리하여 배치하고 밀봉부(60)를 금형(70) 내에 충전하게 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1)의 제조방법에 이용되는 금형(80)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71a)가 밀봉부(60) 단부(60a)의 형성위치로부터 전선(10)의 연장방향을 향하여 분리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그 결과, 밀봉부(60)의 단부(60a) 근방에서 밀봉부(60)에 인접하는 상금형(81)의 표면이 가압용 가압부(81a)로서 기능하고, 밀봉부(60)의 단부(60a)가 게이트(71a)의 분리에 의해 인장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71a)는 전선(10)의 단부(10a) 쪽으로 연장되는 표면에 배열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게이트(71a)를 배열하면, 단부(10a)에 의한 단차의 효과로 의해 플래쉬 절결부(71a)의 위치까지 열가소성 탄성중합체가 흐르기 쉬어지므로, 충전성을 저하시키지 않는다.
제2실시예에서 도시한 금형(80)을 이용하여 제조된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1)에 있어서는, 제1실시예에 따른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1)와 같은 효과를 달성하는 한편, 금형(80)의 게이트(71a) 근방에서 밀봉부(60)의 박리 발생을 방지하고, 방수성을 높일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내부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3실시예)
다음에, 도 9 및 도 10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2)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2)를 도시한 B-B선 단면도이다.
또한, 상기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동일한 구성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병기한다.
제3실시예에 따른 전선(10)과 단자(21)의 접속구조(2)는, 상기 제2실시예에서 설명한 게이트(71a)의 근방에서 그 박리의 발생을 방지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선(10)과 단자(21)의 접속구조(2)에서, 단자(21)에는 직각형 개구부(21a)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21a)는 밀봉부(60)에 의하여 덮이는 측벽(21b, 21b)에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금형(70)에 단자(21)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금형(71)의 아래쪽 근방에 위치하는 단자(21)의 양측벽(21b, 21b)에 개구부(21a)가 형성된다. 이 개구부(21a)에는 밀봉부(60)의 열가소성 탄성중합체가 충전되기 때문에 개구부(21a)는 게이트(71a)의 분리에 의해 밀봉부(60)가 인장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3실시예에 따른 전선(10)과 단자(21)의 접속구조(2)에 의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1)와 유사한 효과를 가지는 동시에, 금형(70)의 게이트(71a) 근방에서의 밀봉부(60)의 박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3실시예에 따른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2)에 있어서는, 개구부(21a)가 게이트부(71a)의 근방에 형성되는 실예를 예시하였지만, 이 실예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즉, 개구부(21a)는 밀봉부(60)가 형성되는 단자(21)의 측벽, 즉, 밀봉부(60)에 의해 덮이는 측벽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개구부(21a)에 충전되는 밀봉부(60)를 통해서 단자(21)의 측벽 내측과 외측의 밀봉부(60)가 결합된다. 이 개구부(21a)에 충전된 밀봉부(60)가 외력에 대하여 밀봉부(60)의 유지부로서 기능한다. 그 결과, 제3실시예에 따른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2)는 밀봉부(60)의 박리를 방지하고, 방수성을 높일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내부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3실시예에 있어서는, 개구부(21a)가 직각형인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이것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개구부(21a)를 원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제4실시예)
다음에, 도 11 및 도 1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3)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절연 피복부(11)와 밀봉부(60) 사이의 접착부(E)의 확대 단면도이다.
또한, 상기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와 동일한 구성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병기한다.
제4실시예의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3)에 있어서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 배럴(31)로부터 전선(13)의 단부로 향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연장하는 측의 절연 피복부(11)는 그 표면이 러프 처리(roughening treatment)에 의해 불균일한 형상(요철형상)이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밀봉부(60)로 덮인 절연부(11a)의 표면에 표면 러프 처리를 시행하는 것에 의해 러프형 표면(11b)을 형성하고 있다. 이 표면 러프 처리로서는 블라스트 처리(blast treatment), 플라즈마 처리 등이 있다.
표면 러프 처리는 절연부(11a)의 압착(crimping) 이후, 또는 압착 시, 또는 박리 시에 수행한다. 절연부(1a)를 박리할 시에 표면 러프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 예를 들면, 전선(13)을 클램프하는 크림퍼의 클램프부의 표면을 불균일형상(요철형상)으로 형성하고, 절연부(11a)의 전선(13)과의 접촉면을 클램프시키는 것에 의해 공정을 추가하는 것 없이 표면 러프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제4실시예에 따른 전선(13)과 단자(20)의 접속구조(3)에 있어서는, 밀봉부(60)에 덮이는 절연부(11a)의 표면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불균일 형상이기 때문에, 절연부(11a)과 밀봉부(60) 사이의 접착면의 표면적이 확대되고, 또한, 절연부(11a)의 표면의 요부들 속으로 밀봉부(60)가 진입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정박 효과(anchor effect)에 의해 절연부(11a)와 밀봉부(60) 사이의 접착의 강도가 향상된다. 즉, 제4실시예에 따른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3)는 밀봉부(60)의 박리를 방지하고, 방수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며, 결과적으로 내부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5실시예)
다음에, 도 1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4)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 구성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병기한다.
제5실시예에 따른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4)에 있어서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 배럴(31)로부터 전선(14)의 단부로 향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연장하는 측의 절연 피복부(11)의 표면에는 기초부(11c)가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밀봉부(60)로 덮인 절연 피복부(11)의 표면에는 프라이머(primer)와 같은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에 의해 기초부(11c)가 형성된다.
제5실시예에 따른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4)에 있어서는, 밀봉부(60)에 의해 덮인 절연 피복부(11)의 표면에 기초부(11c)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절연 피복부(11)와 밀봉부(60) 사이의 접착강도를 향상시킨다. 그 결과, 밀봉부(60)의 박리를 방지하고, 방수성을 높일 수 있고, 결과적으로 내부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기초부(11c)을 형성할 경우, 전처리(前處理)로서 절연 피복부(11)의 표면에, ITRO(등록상표) 처리를 수행할 때, 표면의 습성(wettability)이 향상되고, 절연 피복부(11)와 밀봉부(60) 사이의 접착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절연 피복부(11)와 같이, 단자(20)의 표면에 추가로 전처리(前處理)를 수행하여 단자(20)와 밀봉부(60)의 접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6실시예)
다음에, 도 15 내지 도 20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5)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한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5)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17은 절연 배럴(31)의 근방에 절연 피복부(11)가 팽창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한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19는 절연 배럴(31)의 압착에 이용되는 앤빌(anvil)(91)과 크림퍼(crimper)(92)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상기 제1실시예 내지 제5실시예와 동일 구성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병기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선(10)과 단자(20)의 접속구조(1)에 있어서는,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 배럴(31)을 압착한 부분의 근방에서 절연부(11a)가 팽창한다. 그 결과, 절연부(11a)의 팽창부분(P)이 밀봉부(60)의 형성을 억제하고, 팽창부분(P)에서 그 밀봉부의 두께가 얇아지고, 결과적으로 방수성이 저하하게 된다.
따라서, 제6실시예에 따른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5)에 있어서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선(10)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의 외형이 직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절연 배럴(33)에 있어서, 전선(10)의 연장방향으로 직교하는 단면의 외형이 직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절연 배럴(33)에 의하여 둘러싸인 전선(10)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적이 증가한다. 따라서, 절연 배럴(33)을 형성할 때에, 예를 들면, 도 19에 도시한 앤빌(91) 및 크림퍼(92)를 이용하여 절연 배럴을 압착한다.
제6실시예에 따른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5)에 있어서는, 절연 배럴(33)에 의하여 둘러싸인 전선(10)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적이 증대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절연 배럴(33)을 압착한 부분의 근방으로 절연부(11a)가 팽창하는 것을 방지하고, 밀봉부(60)의 두께가 얇아지는 것을 방지하므로 방수성을 높일 수 있고, 결과적으로 내부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6실시예에 따른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5)에 있어서는, 전선(10)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의 외형이 직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실예를 예시하였지만, 이 실예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절연 배럴(31)을 절연 배럴(31)에 의해 둘러싸인 전선(10)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적이 증대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 배럴(33)이 전선(10)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의 외형이 원형상이 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7실시예)
다음에, 도 21 내지 도 25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라서 단자를 압착하기 이전의 단자(20), 절연 크림퍼(94), 및 와이어 크림퍼(95)를 도시한 요부 측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라서 단자를 압착하기 이전의 단자(20), 절연 크림퍼(98), 및 와이어 크림퍼(97)를 도시한 요부 측면도이다. 도 23은 단자를 압착하기 이전의 단자(20), 절연 크림퍼(96), 및 와이어 크림퍼(95)를 도시한 요부 측면도이다. 도 24는 노치부(51)가 팽창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5는 단자(20)의 정상적 압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상기 제1실시예 내지 제6실시예와 동일 구성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병기한다.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절연 배럴(31)을 압착한 이후의 폭(C/W)은 와이어 배럴(32) 보다 넓게 설정된다. 그 이유는 절연 배럴(31)이 절연부(11a)에 피복된 절연 피복부(11)에 압착되고, 와이어 배럴(32)이 절연부(11a)를 제거한 도체 노출부(12)에 압착되기 때문이다. 또한,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크림퍼(95, 96)은 절연 배럴(31), 와이어 배럴(32)의 표면 내에서 가압되도록 구성된다.
그 결과, 와이어 배럴(32)과 절연 배럴(31)이 와이어 크림퍼(95), 절연 크림퍼(96) 각각에 의하여 압착되어 동일폭(C/W)로 된 경우, 또는 절연 배럴(31)이 와이어 배럴(32) 보다 좁은 폭(C/W)으로 된 경우,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 배럴(31)은 가압 없이 노치부(51)로 도피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노치부(51)의 측벽(51a, 51a)이 팽창한다.
이와 같이, 노치부(51)의 측벽(51a, 51a)이 팽창하면, 그 팽창부분의 밀봉부(60)의 필름 두께가 얇게 형성되고, 결과적으로 방수성이 저하하게 된다.
따라서, 제7실시예에 따른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1)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착수단으로서의 절연 크림퍼(94)의 폭을 증대시키고, 압착할 경우 노치부(51)를 덮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절연 배럴(31)에 절연 크림퍼(94)의 압착면을 가압하여 압착할 경우, 절연 크림퍼(94)의 압착면이 노치부(51)를 덮는 상태에서 절연 배럴(31)이 압착된다.
제7실시예에 따른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1)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절연 크림퍼(94)의 폭을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 절연 크림퍼(94)의 압착면으로 노치부(51)를 덮으면서 절연 배럴(31)을 압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노치부(51)가 팽창하는 것을 방지하고, 결과적으로 밀봉부(60)의 두께가 얇아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 결과, 제7실시예에 따른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1)는 방수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내부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7실시예에 따른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1)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절연 배럴(94)의 폭을 증가시켜 노치부(51)를 덮는 실예를 예시하고 있지만, 이러한 실예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즉,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 배럴(97)의 폭을 증가시키고 와이어 크림퍼(97)의 압착 표면으로 노치부(51)를 덮으면서 와이어 배럴(32)을 압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7실시예에 있어서는, 단자(20, 21,22)가 동(copper)인 실예를 예시하고 있지만, 이러한 실예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동과 니켈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단자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7실시예에 있어서는,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1, 2, 3, 4, 5)가 제1노치부(51) 및 제2노치부(52)를 가진 것을 실예로 예시하고 있지만, 이러한 실예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즉, 노치부(50)를 설치하지 않은 단자구조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7실시예에 있어서는, 밀봉부(60)가 전선(10)의 연장방향에서, 절연 배럴(31)과 절연 배럴로부터 전선(10)의 단부로 향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연장하는 측의 절연 피복부(11)를 포함하는 표면과, 와이어 배럴(32)의 표면과, 제1노치부(51) 및 제2노치부(52)의 표면을 그 이음매 없이 형성하는 것을 실예로 하였지만, 이러한 실예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즉, 밀봉부(60)가 전선(10)의 연장방향으로 분리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은 2010. 11. 26.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10-263601호 및 2011. 01. 20.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11-009438호를 기초로 한 것으로서, 그 전체 내용을 여기 참조로 포함한다.
1, 2, 3, 4, 5.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
10, 13, 14. 전선
10a. 단부
11. 절연 피복부
11a. 절연부
11b. 러프형 표면
11c. 접착성을 향상시킨 기초부
12. 도체 노출부
12a. 심선
12b. 도체부
20, 21, 22. 단자
21a. 개구부
30. 전선 접속부
31, 33. 절연 배럴
32. 와이어 배럴
40. 타(상대) 단자 접속부
50, 51, 52. 노치부
60. 밀봉부
60a. 단부
70, 80. 금형
71, 81. 하금형
71a. 게이트
71b, 72b. 플래쉬(flash) 절결부
72, 82. 하금형
72a. 가압 핀
81a. 프레스부
91. 앤빌(anvil)
92. 그림퍼
94, 96, 98. 절연 크림퍼
95, 97. 와이어 크림퍼

Claims (11)

  1.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로서, 상기 접속구조는:
    도체부를 절연재료로 피복하는 절연 피복부, 및 전선 단부의 절연재료가 제거된 도체 노출부를 가지는 전선과;
    상기 절연 피복부에 압착되는 제1압착부, 및 상기 도체 노출부에 압착되는 제2압착부를 가지는 단자와;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로 제조되는 밀봉부;
    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부는, 상기 전선의 연장방향에서, 상기 제1압착부와 상기 제1압착부로부터 상기 전선의 단부로 향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연장하는 측의 상기 절연 피복부를 포함하는 표면과, 상기 제2압착부의 표면을, 덮으며, 상기 전선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으로 볼 때 상기 전선의 외주는 상기 밀봉부에 의해 이음매 없이 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상자형이고 또한 상기 단자는 노치부를 가지며, 상기 제1압착부와 상기 제2압착부의 사이에서 상기 노치부의 상부에는 노치(notch)가 형성되고, 상기 전선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으로 볼 때 상기 노치부에서의 상기 전선의 외주는 이음매 없이 상기 밀봉부로 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상자형이고, 상기 밀봉부가 덮인 측벽에 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압착부로부터 상기 전선의 단부로 향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연장하는 측의 상기 절연 피복부의 표면은 러프 처리(roughening treatment)에 의해 불균일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단자에서, 그리고 상기 제1압착부로부터 상기 전선의 단부로 향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연장하는 측의 상기 절연 피복부에서, 그 표면에는 프라이머 제(primer agent)를 도포하여 접착성을 향상시킨 기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압착부에 의해 둘러싸인 전선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적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제1압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의 외형은 상기 제1압착부에서 직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과 단자의 압착구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부는 알루미늄으로 제조되고, 상기 단자는 상기 도체부의 금속과는 다른 금속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과 단자의 압착구조.
  9.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접속구조는:
    도체부를 절연재료로 피복한 절연 피복부, 및 전선 단부의 절연재료가 제거된 도체 노출부를 가지는 전선과;
    상기 절연 피복부에 압착되는 제1압착부, 및 상기 도체 노출부에 압착되는 제2압착부를 가지는 단자를;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전선의 연장방향에서, 상기 제1압착부의 표면, 상기 제1압착부로부터 상기 전선 단부로 향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연장하는 측의 상기 절연 피복부를 포함하는 표면, 및 상기 제2압착부의 표면을 덮는 밀봉부를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로 금형에 의해 형성하여, 상기 전선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으로 볼 때 상기 전선의 외주를 이음매 없이 덮는 밀봉부 형성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부 형성단계에서, 상기 금형의 게이트를 상기 밀봉부의 단부의 형성위치로부터 상기 전선의 연장방향을 향하여 분리시켜 배치하고, 상기 밀봉부를 상기 금형 내에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 형성단계에는, 상기 게이트를 상기 전선의 단부로 연장하는 표면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의 제조방법.
  11.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접속구조는:
    도체부를 절연재료로 피복한 절연 피복부, 및 전선 단부의 절연재료가 제거된 도체 노출부를 가지는 전선과;
    상기 절연 피복부에 압착되는 제1압착부, 상기 도체 노출부에 압착되는 제2압착부, 및 상기 제1압착부와 상기 제2압착부 사이에서 상부에 노치가 형성된 노치부를 가진 상자형 단자;
    를 포함하고,
    상기 제조방법은,
    압착수단의 압착면을 가압하여 상기 제1압착부 또는 상기 제2압착부를 압착하는 경우, 상기 압착수단의 압착면으로 상기 제1압착부 또는 상기 제2압착부와 함께 상기 노치부를 덮으면서 상기 제1압착부 또는 제2압착부를 압착하는 압착단계와;
    상기 전선의 연장방향에서, 상기 제1압착부의 표면, 상기 제1압착부로부터 상기 전선의 단부로 향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연장하는 측의 상기 절연 피복부를 포함하는 표면, 상기 제2압착부의 표면, 및 상기 노치부의 표면을 덮는 밀봉부를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로 금형에 의해 형성하여, 상기 전선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으로 볼 때 상기 전선의 외주를 이음매 없이 덮는 밀봉부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의 제조방법.
KR1020137013159A 2010-11-26 2011-11-25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1015695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63601 2010-11-26
JPJP-P-2010-263601 2010-11-26
JPJP-P-2011-009438 2011-01-20
JP2011009438A JP5684583B2 (ja) 2010-11-26 2011-01-20 電線と端子の接続構造およびその製造方法
PCT/JP2011/077871 WO2012070691A1 (en) 2010-11-26 2011-11-25 Connection structure of electric wire and termin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3759A true KR20130103759A (ko) 2013-09-24
KR101569596B1 KR101569596B1 (ko) 2015-11-16

Family

ID=45420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3159A KR101569596B1 (ko) 2010-11-26 2011-11-25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9325085B2 (ko)
EP (1) EP2643889B1 (ko)
JP (1) JP5684583B2 (ko)
KR (1) KR101569596B1 (ko)
CN (1) CN103229359B (ko)
WO (1) WO201207069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772B1 (ko) * 2010-10-18 2014-12-08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와이어를 종단하기 위한 전기 단자
KR102038115B1 (ko) 2018-06-19 2019-10-29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단자 접속 구조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08532B2 (ja) * 2012-03-08 2015-04-3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付電線
JP5965751B2 (ja) 2012-07-03 2016-08-10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端子及びコネクタ端子の止水方法
JP5869978B2 (ja) * 2012-07-25 2016-02-24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付き電線
JP5869979B2 (ja) * 2012-07-25 2016-02-24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付き電線
JP5869977B2 (ja) * 2012-07-25 2016-02-24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付き電線及びそれを用いたワイヤーハーネス
JP5899593B2 (ja) 2012-07-31 2016-04-06 矢崎総業株式会社 圧着端子付きアルミ電線
JP2014182958A (ja) * 2013-03-19 2014-09-29 Yazaki Corp 端子金具及び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
JP5543638B1 (ja) 2013-05-31 2014-07-09 株式会社フジクラ 被覆電線の端末構造
JP5741737B2 (ja) * 2013-10-25 2015-07-01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防食剤、端子付き被覆電線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
JP2015090843A (ja) 2013-11-07 2015-05-1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止水構造
JP6749039B2 (ja) * 2013-11-13 2020-09-02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付き電線
JP6601995B2 (ja) * 2013-11-19 2019-11-06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付き電線
JP6255250B2 (ja) * 2014-01-20 2017-12-27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圧着構造及び端子圧着方法
JP2015162373A (ja) * 2014-02-27 2015-09-07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付配索材
JP6147232B2 (ja) * 2014-08-25 2017-06-14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
JP6302390B2 (ja) * 2014-10-03 2018-03-28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付電線
DE112015004916T5 (de) * 2014-10-31 2017-07-13 Yazaki Corporation Elektrisches Kabel mit Anschluss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sselben
JP2016091673A (ja) * 2014-10-31 2016-05-23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付き電線
JP6508527B2 (ja) * 2015-10-12 2019-05-0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付き電線
JP6767292B2 (ja) * 2016-03-24 2020-10-14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線材及び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線材接続構造体
JP2017195137A (ja) * 2016-04-22 2017-10-26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付き被覆電線およびワイヤーハーネス
JP6321760B1 (ja) * 2016-11-16 2018-05-09 ファナック株式会社 接続部材およびそれを具備するモータ駆動装置
US10574014B2 (en) * 2017-03-27 2020-02-25 Aptiv Technologies Limited Method for sealing electric terminal assembly
JP6543304B2 (ja) * 2017-07-21 2019-07-10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付き電線、端子圧着装置及び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
JP7052489B2 (ja) * 2018-03-30 2022-04-1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付き電線およびワイヤーハーネス
US11677203B2 (en) * 2018-04-09 2023-06-13 Hubbell Incorporated Decagon compression die
JP6807353B2 (ja) * 2018-07-12 2021-01-06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付き端子の圧着方法及び端子圧着装置
JP7200027B2 (ja) * 2019-03-29 2023-01-06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付き電線の製造装置および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
JP6957551B2 (ja) * 2019-04-16 2021-11-02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付き電線製造装置
JP6976989B2 (ja) 2019-05-21 2021-12-08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付き電線、塗布装置、および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
JP7116112B2 (ja) * 2020-03-18 2022-08-09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付き電線
JP2021150235A (ja) * 2020-03-23 2021-09-27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付き電線および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
DE102021105878A1 (de) 2021-03-11 2022-09-15 Sontec Sensorbau Gmbh Dichtungsmanschette sowie Stecker-Kabel-Verbindung
JP7408592B2 (ja) * 2021-03-23 2024-01-05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付き電線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24441A (en) * 1964-12-08 1967-06-06 Springfield Wire Hermetically sealed electrical connections
US4314737A (en) * 1979-06-14 1982-02-09 Virginia Patent Development Corp. Cable assembly having shielded conducto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123864A (en) * 1991-04-05 1992-06-23 Amp Incorporated Coaxial contact with sleeve
JPH07335282A (ja) * 1994-06-14 1995-12-22 Sumitomo Wiring Syst Ltd 電線の圧着端子接続構造及びゴム栓装着構造
JPH0982395A (ja) * 1995-09-13 1997-03-28 Yazaki Corp コネクタ
DE29721752U1 (de) * 1997-12-09 1998-02-12 Siemens AG, 80333 München Crimpkontakt für Stecksysteme
DE19845098A1 (de) * 1998-09-30 2000-04-06 Grote & Hartmann Elektrisches Kontaktelement mit einem Leiterdraht
JP3532428B2 (ja) * 1998-11-27 2004-05-31 住友電装株式会社 端 子
JP2000285983A (ja) * 1999-03-31 2000-10-13 Sumitomo Wiring Syst Ltd 自動車用アース端子の防水構造
JP3718394B2 (ja) * 1999-12-09 2005-11-24 矢崎総業株式会社 被覆電線の端末接続部およびその防水処理方法と装置
JP2001167640A (ja) * 1999-12-09 2001-06-22 Yazaki Corp 被覆電線の端末接続部およびその防水処理装置
JP2002252050A (ja) * 2001-02-26 2002-09-06 Yazaki Corp コネクタ
JP2002343493A (ja) * 2001-05-18 2002-11-29 Yazaki Corp 端子一体型シール部材
JP3868234B2 (ja) * 2001-07-13 2007-01-17 矢崎総業株式会社 圧着端子
JP2005005201A (ja) * 2003-06-13 2005-01-06 Sumitomo Wiring Syst Ltd アース用端子金具の防水構造、アース用端子金具の防水処理方法、及びアース用端子金具の防水処理装置
EP1503454B1 (en) * 2003-07-30 2015-08-05 Furukawa Electric Co. Ltd. Terminal crimping structure for aluminium wire and producing method
US7044813B2 (en) * 2004-01-23 2006-05-16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rotation prevention
JP2006302850A (ja) * 2005-04-25 2006-11-02 Yazaki Corp 防水パッキンとそれを用いた防水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WO2007013589A1 (ja) * 2005-07-29 2009-02-12 矢崎総業株式会社 アース用電線の止水方法およびアース用電線
DE502005003861D1 (de) * 2005-12-09 2008-06-05 Delphi Tech Inc Kabelschuh
JP4499114B2 (ja) * 2007-01-25 2010-07-07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端子圧着方法、端子圧着装置、端子圧着構造及び電気コネクタ
JP5264081B2 (ja) 2007-01-29 2013-08-14 矢崎総業株式会社 線間止水方法および線間止水装置
US7695331B2 (en) * 2007-05-01 2010-04-13 Tri-Star Technology Electrical contact assembly including a sleeve member
JP5329100B2 (ja) * 2008-01-23 2013-10-30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付きコネクタ端子が挿入されたコネクタ
JP5056648B2 (ja) * 2008-06-23 2012-10-24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配線体,接続構造および電子機器
JP2010108829A (ja) 2008-10-31 2010-05-13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導体と端子の接続部および接続方法
JP5499318B2 (ja) * 2009-04-03 2014-05-21 日立金属株式会社 ケーブル被覆用モールド材料及びこれを用いたケーブル端末
JP5598696B2 (ja) 2009-04-09 2014-10-01 日本電気株式会社 光受信装置および光受信装置の信号光変換方法
JP2011009438A (ja) 2009-06-25 2011-01-13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3次元立体回路基板およびこれを用いた回路モジュール
US8360803B2 (en) * 2009-09-18 2013-01-29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terminal connection with molded seal
JP5495203B2 (ja) * 2009-09-24 2014-05-21 矢崎総業株式会社 圧着部の防水処理方法
JP5375687B2 (ja) * 2010-03-15 2013-12-25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金具、及び端子金具付き電線
JP5434847B2 (ja) * 2010-08-17 2014-03-05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JP5622314B2 (ja) 2010-10-12 2014-11-1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端子の電線接続構造
JP5710996B2 (ja) 2011-02-04 2015-04-30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と端子の接続構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792494B2 (ja) 2011-03-31 2015-10-14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と端子の接続構造
JP5687955B2 (ja) 2011-05-20 2015-03-25 矢崎総業株式会社 アルミ電線と金属端子の圧着接続部の構造及びその製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772B1 (ko) * 2010-10-18 2014-12-08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와이어를 종단하기 위한 전기 단자
KR102038115B1 (ko) 2018-06-19 2019-10-29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단자 접속 구조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640879B2 (en) 2017-05-02
US20160156113A1 (en) 2016-06-02
EP2643889B1 (en) 2019-02-13
JP2012129178A (ja) 2012-07-05
WO2012070691A1 (en) 2012-05-31
CN103229359B (zh) 2016-10-26
EP2643889A1 (en) 2013-10-02
US9325085B2 (en) 2016-04-26
JP5684583B2 (ja) 2015-03-11
CN103229359A (zh) 2013-07-31
KR101569596B1 (ko) 2015-11-16
US20130252459A1 (en) 2013-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03759A (ko)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101488651B1 (ko) 압착 단자, 단자 부착 전선 및 와이어 하니스 구조체
JP5480087B2 (ja) 圧着端子、接続構造体及びコネクタ
KR101505793B1 (ko) 전선 접속 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전선 접속 구조체
WO2013175902A1 (ja) 端子付き電線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治具
KR20150027290A (ko) 압착 단자가 마련된 알루미늄 케이블
JP5882643B2 (ja) コネクタ端子
KR20150027821A (ko) 단자 부착 알루미늄 전선
WO2010110160A1 (ja) 端子金具付き電線の製造方法
WO2014129092A1 (ja) 接続構造体、端子圧着部材、ワイヤハーネス、コネクタ、接続構造体の圧着方法及びその圧着する圧着装置
JP2012084472A (ja) 防水型圧着端子とその圧着方法
CN102844940A (zh) 电线连接方法及线束
KR20140133907A (ko) 단자를 전선에 압착하기 위한 방법 및 압착 단자
WO2015025695A1 (ja) 導電路及び電線
CN103081260B (zh) 电线端部接合方法
JP4731396B2 (ja) 端子及び端子付きアルミ電線
JP2011090804A (ja) 端子金具付き電線および端子金具付き電線の製造方法
US10395801B2 (en) Mechanical assembly by means of autogenous riveting
WO2023157512A1 (ja) 端子付き電線
JP5720955B2 (ja) 端子の製造方法および連鎖端子
JP5579344B1 (ja) 接続構造体の圧着方法、接続構造体の圧着装置、接続構造体、端子圧着部材、コネクタ、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6301660B2 (ja) 圧着端子、圧着端子付き電線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CN103891051A (zh) 多极电缆连接件以及多极电缆连接件的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