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0772B1 - 와이어를 종단하기 위한 전기 단자 - Google Patents

와이어를 종단하기 위한 전기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0772B1
KR101470772B1 KR1020137009800A KR20137009800A KR101470772B1 KR 101470772 B1 KR101470772 B1 KR 101470772B1 KR 1020137009800 A KR1020137009800 A KR 1020137009800A KR 20137009800 A KR20137009800 A KR 20137009800A KR 101470772 B1 KR101470772 B1 KR 101470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rimp barrel
sidewalls
base
seg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9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6346A (ko
Inventor
네드 유진 코만
우베 블럼멜
헬게 슈미트
찰스 더들리 쿠퍼
레이몬드 디. 보이어
데이비드 비. 웨버
존 웨슬리 홀
존 마크 메이어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30056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6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0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0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 H01R4/185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combined with a U-shaped insulation-receiving por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9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 H01R13/5221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having cable seal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aterial, e.g. gels or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05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king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onnection, coupling, or casing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전기 단자(10)는 전기 컨택트(18), 및 와이어의 단부 주위로 크림프되도록 구성된 크림프 배럴(20)을 구비한다. 크림프 배럴(20)은 베이스(22), 및 크림프 배럴(20)의 개구부(25)를 형성하는 대향 측벽들(24)을 포함한다. 측벽들(24)은 베이스(22)로부터 단부들(50)로 외측으로 연장되며, 베이스 세그먼트들(52)과 단부 세그먼트들(54)을 포함한다. 밀봉 와이어(56)는 측벽들(24) 중 적어도 하나의 측벽의 단부로부터 연장된다. 측벽들(24)은, 측벽들(24) 중 적어도 하나의 측벽의 단부 세그먼트(54)와 베이스 세그먼트(52) 사이에 갭이 형성되도록 크림프되는 경우 와이어 위로 접히도록 구성된다. 밀봉 와이어(56)는, 측벽들(24)이 와이어의 단부 위로 크림프되면 단부 세그먼트(54)와 베이스 세그먼트(52) 사이의 갭 내에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와이어를 종단하기 위한 전기 단자{ELECTRICAL TERMINAL FOR TERMINATING A WIRE}
본 명세서에서 설명 및/또는 예시하는 주제는 일반적으로 와이어를 종단하는 전기 단자에 관한 것이다.
전기 단자들은 와이어의 단부를 종단하는 데 흔히 사용된다. 이러한 전기 단자들은 통상적으로 전기 컨택트 및 크림프 배럴(crimp barrel)을 포함한다. 크림프 배럴은 와이어의 단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개구부를 포함한다. 크림프 배럴은, 와이어 단부 상에 전기 단자를 기계적으로 유지하도록 또한 와이어의 하나 이상의 컨덕터와 단자 간에 전기적 접속을 이루도록 와이어의 단부 주위로 크림프된다. 크림프 배럴은, 와이어 단부 위로 크림프되면, 와이어의 컨덕터(들)와 전기 컨택트 간에 전기적 접속을 이룬다.
와이어의 컨덕터들은 흔히 구리로 제조된다. 그러나, 구리의 비용이 상승함에 따라, 알루미늄이 대체 컨덕터 재료로 고려되고 있다. 그러나, 알루미늄에도 단점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을 컨덕터 재료로서 사용하는 한 가지 단점은, 컨덕터의 외면 상에 산화물층이 형성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산화물층은 비교적 불량한 전기 전도성을 갖는다. 이에 따라, 산화물층을 베이스 재료까지 관통시켜 컨덕터와 전기 단자 간에 신뢰성 있는 전기적 접속을 이루어야 한다.
알루미늄의 다른 단점은 전기화학적 부식에 있다. 많은 전기 단자들은 단자와 이에 크림프된 와이어를 습기에 노출시킬 수 있는 환경에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전기 단자들은 자동차 및 염수(salt-aqueous) 환경에서 동작하는 기타 차량 내에서 흔히 사용된다. 컨덕터가 습기에 노출됨으로 인해 컨덕터가 부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덕터와 크림프 배럴 사이의 크림프 면을 침투하는 습기로 인해, 컨덕터가 전기화학적 부식을 겪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용해될 수 있다. 또한, 많은 컨덕터들의 단부는, 예를 들어, 크림프 배럴의 단부 내의 개구부를 통해 및/또는 컨덕터의 단부가 크림프 배럴의 단부를 지나 연장되기 때문에 전기 단자의 크림프 배럴의 단부에 노출된다. 이렇게 노출된 컨덕터의 단부들은 전기 단자의 동작 환경 내에서 습기에 노출됨에 따라 부식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알루미늄을 컨덕터 재료로서 사용하는 경우 부식이 문제로 된다. 또한, 선택 사항으로, 전기 단자는 구리계 합금 재료들로부터 제조된다. 전기화학 서열에서, 구리와 알루미늄은 전기화학적 전위의 큰 차를 갖고, 이는 빠른 부식 속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알루미늄 컨덕터를 구리계 전기 단자에 종단하는 경우 부식이 특히 문제로 될 수 있다.
전기화학적 부식을 방지하고자, 컨덕터가 습기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저감하는 방안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실리콘 가스켓을 사용하여 크림프 배럴들의 단부들을 밀봉하려 하였다. 그러나, 알루미늄은 구리에 비해 전기 전도성의 양이 적기 때문에, 알루미늄 컨덕터는 소정의 전류 반송 용량에 대하여 구리 컨덕터보다 큰 단면적을 가질 필요가 있다. 구리 컨덕터를 알루미늄 컨덕터로 대체하면, 실리콘 가스켓이 차지하는 공간은, 더욱 큰 알루미늄 컨덕터가 기존의 전기 단자와 함께 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더욱 큰 크림프 배럴과 실리콘 가스켓을 제조하여 더욱 큰 알루미늄 컨덕터를 수용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전기 단자와 와이어의 조립체의 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전기화학적 부식을 방지하도록, 컨덕터와 크림프 배럴 사이의 전기화학적 전위를 감소시키는 방안도 있다. 전기화학적 전위를 감소시키는 것은, 컨덕터와 유사하거나 컨덕터와 대략 동일한 재료로 크림프 배럴 또는 그 표면을 제조함으로써 달성된다. 알루미늄 컨덕터에 대해서는, 크림프 배럴의 재료로서, 니켈 도금, 알루미늄 도금, 및/또는 크림프 배럴을 위한 알루미늄계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들에도 단점들이 있다. 예를 들어, 니켈 도금은 갈바닉 도금(galvanic plating)을 사용해야 할 수 있고, 이는 비교적 고가일 수 있다. 또한, 비교적 단단한 니켈 표면층은, 크림프 배럴을 와이어 주위로 크림프하는 데 사용되는 툴에 유해할 수 있다. 또한, 크림프 동안 니켈 표면층에 균열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부식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알루미늄 도금은 일반적인 도금 프로세스로 현재 가능하지 않으며, 따라서, 물리적 기상 증착(PVD) 등의 새로운 도금 기술을 구현해야 할 수 있으며, 이는 고가일 수 있다. 또한, PVD 등의 새로운 도금 기술에서도, 도금층의 에지들이 여전히 노출될 수 있으며, 이는 부식 문제를 전기 단자 상의 다른 위치에 발생하게 할 수 있다.
알루미늄 재료로부터 크림프 배럴의 베이스 재료를 제조하는 경우에도 단점이 있을 수 있다. 일부 전기 단자들은 스프링 빔인 전기 컨택트를 포함한다. 그러나, 알루미늄은 비교적 불량한 스프링 특성을 갖고, 이에 따라 알루미늄으로부터 스프링 빔을 형성할 가능성은 없다. 이에 따라, 알루미늄 재료로부터 크림프 배럴을 제조하는 것은 스프링 빔을 포함하지 않는 전기 단자에서의 사용으로 제한되며, 또는 다른 재료들을 크림프 배럴과 전기 컨택트의 베이스 재료들로서 사용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고가이고, 시간 소모적이고, 및/또는 제조가 어려울 수 있다.
해결책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와이어를 종단하기 위한 전기 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기 단자는 전기 컨택트 및 전기 컨택트로부터 연장되는 크림프 배럴을 구비한다. 크림프 배럴은 와이어의 단부 주위로 크림프되도록 구성된다. 크림프 배럴은, 베이스, 및 베이스로부터 연장되는 대향 측벽들을 포함한다. 베이스 및 측벽들은, 와이어의 단부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 크림프 배럴의 개구부를 형성한다. 측벽들은 베이스로부터 단부들로 외측으로 연장된다. 측벽들은, 베이스로부터 연장되는 베이스 세그먼트들, 및 베이스 세그먼트들로부터 연장되며 단부들을 포함하는 단부 세그먼트들을 포함한다. 밀봉 와이어는 측벽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로부터 연장된다. 측벽들은, 측벽들 중 적어도 하나의 측벽의 베이스 세그먼트와 단부 세그먼트 사이에 갭이 형성되도록 와이어의 단부 위로 크림프되는 경우 접히도록 구성된다. 밀봉 와이어는, 측벽들이 와이어의 단부 위로 크림프되면 단부 세그먼트와 대응 측벽의 베이스 세그먼트 사이의 갭 내에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기 단자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2-2 선을 따라 절취한 도 1에 도시한 전기 단자의 크림프 배럴의 단면도.
도 3은 크림프 배럴이 와이어의 단부 주위로 크림프 된 후의 전기 단자를 예시하는 도 1에 도시한 전기 단자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4-4 선을 따라 절취한 크림프 배럴의 단면도.
도 5는 도 3의 5-5 선을 따라 절취한 크림프 배럴의 다른 단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한 전기 단자의 일부의 길이 방향 단면도.
도 7은 크림프 배럴의 세레이션(serrationsterdsfsdf)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 1에 도시한 전기 단자의 크림프 배럴의 일부의 단면도.
도 8은 전기 단자의 예시적인 대체 실시예의 사시도.
도 9는 전기 단자의 크림프 배럴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가 와이어 단부 주위로 크림프된 후 도 8에 도시한 전기 단자의 단면도.
도 10은 전기 단자의 다른 예시적인 대체 실시예의 사시도.
도 1은 전기 단자(10)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전기 단자(electrical terminal; 10)는, 전기 컨택트 세그먼트(electrical contact segment; 12), 및 전기 컨택트 세그먼트(12)의 단부(16)로부터 연장되는 크림프 세그먼트(14)를 포함한다. 전기 컨택트 세그먼트(12)는 전기 컨택트(18)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기 컨택트(18)는, 정합 컨택트(mating contact; 도시하지 않음)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 리셉터클(receptacle)이다. 그러나, 전기 컨택트(18)는 여기서는 단지 예시적으로 도시된 것이다. 전기 단자(10)는 본 명세서에서 도시한 전기 컨택트(18)로 한정되지 않으며, 전기 단자(10)는, 크림프 배럴, 스프링 컨택트(spring contact), 빔 컨택트(beam contact), 탭(tap), 스레드형(threaded type) 또는 다른 유형의 기계적 파스너(fastener)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를 갖는 구조 등의 전기 컨택트(18)의 임의의 유형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러한 예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크림프 세그먼트(crimp segment; 14)는 크림프 배럴(20)을 포함한다. 크림프 배럴(20)은 베이스(22) 및 베이스(22)로부터 연장되는 대향 측벽들(24)을 포함한다. 베이스(22)와 측벽들(24)은, 하나 이상의 컨덕터(30)(도 5와 6)를 포함하는 와이어(28)(도 3, 5, 6)의 단부(26)(도 6)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크림프 배럴(20)의 개구부(25)를 형성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와이어(28)는 복수의 컨덕터(30)를 포함하지만, 와이어(28)는 대안으로 하나의 컨덕터(30)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와이어(28)가 복수의 컨덕터(30)를 포함하는 실시예들에서, 와이어(28)의 복수의 컨덕터(30)는 임의의 개수의 컨덕터(30)를 포함할 수도 있다.
크림프 배럴(20)은, 와이어(28)의 단부(26) 주위로 크림프되어 와이어(28)를 전기 단자(10)에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된다. 컨덕터(30)는 임의의 유형의 컨덕터일 수 있다. 선택 사항으로, 컨덕터(30)는 알루미늄으로 제조된다(예를 들어, 알루미늄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또는 대안으로, 컨덕터(30)는 구리 등의 다른 임의의 전기 전도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지만,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선택 사항으로, 와이어(28)는 컨덕터(30)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컨덕터(30) 주위로 연장되는 전기 절연층(31)(도 3, 5, 6)을 포함한다. 선택 사항으로, 전기 절연층(31)은 컨덕터 단부를 노출시키도록 컨덕터(30)의 단부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제거된다. 일부 대체 실시예들에서, 전기 컨택트(18)는, 다른 와이어(도시하지 않음)의 단부 주위로 크림프되어 그 다른 와이어를 전기 단자(10)에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된 다른 크림프 배럴(20)이다. 이에 따라, 일부 대체 실시예들에서, 전기 단자(10)는 와이어(28)를 다른 와이어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하면, 일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전기 단자(10)를 사용하여 와이어(28)를 다른 와이어에 이을 수도 있다.
크림프 배럴(20)은 컨택트 단부(32)로부터 와이어 단부(34)로 길이를 연장한다. 컨택트 단부(32)는 전기 컨택트(18)로부터 연장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컨택트 단부(32)는 전기 컨택트 세그먼트(12)의 단부(16)로부터 연장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선택 사항으로, 와이어 단부(34)는 (전기 절연층이 제공된 경우) 전기 절연층(31)과 맞물린다. 크림프 배럴(20)은, 정면 밀봉 크림프 서브-세그먼트(front seal crimp sub-segment; 36), 전기 단자 크림프 서브-세그먼트(electrical termination crimp sub-segment; 38), 압축 전이 서브-세그먼트(compression transition sub-segment; 40), 및 후면 밀봉 서브-세그먼트(rear seal subsegment; 42)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정면 밀봉 크림프 서브-세그먼트(36)는 크림프 배럴(20)의 컨택트 단부(32)에서 밀봉을 제공하는 한편, 전기 단자 크림프 서브-세그먼트(38)는 컨덕터(30)와 맞물려 크림프 배럴(20)을 컨덕터(30)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후면 밀봉 서브-세그먼트(42)는 크림프 배럴(20)의 와이어 단부(34)에서 밀봉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베이스(22)와 측벽들(24)은 크림프 배럴(20)의 길이 전체를 따라 연장되며 이 길이 전체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베이스(22)와 측벽들(24)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서브-세그먼트들(36, 38, 40, 42)을 포함한다. 베이스(22)는 내면(44)을 포함하고, 측벽들(24)의 각각은 내면(46)을 포함한다. 내면들(44, 46)은 크림프 배럴(20)의 개구부(25)의 경계들을 형성한다. 선택 사항으로, 내면들(44, 46)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세레이션(48)을 포함한다.
크림프되기 전에, 측벽들(24)은 베이스(22)로부터 대응하는 단부들(50)로 외측으로 연장된다. 더 구체적으로, 측벽들(24)은, 베이스(22)로부터 연장되는 베이스 세그먼트들(52), 및 베이스 세그먼트들(52)로부터 연장되며 단부들(50)을 포함하는 단부 세그먼트들(54)을 포함한다. 전면 밀봉 크림프 서브-세그먼트(36)에서, 밀봉 윙들(56)은 측벽들(24)의 단부들(50)로부터 연장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밀봉 윙들(56)은, 측벽들(24)이 와이어(28)의 단부(26) 위로 크림프되면 대응하는 측벽(24)의 베이스 세그먼트(52)와 단부 세그먼트(54) 사이의 갭(58)(도 4) 내에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도 2는 크림프 배럴(20)이 와이어 단부(26)(도 6) 주위로 크림프되기 전에 정면 밀봉 크림프 서브-세그먼트(36)를 통해 절취한 크림프 배럴(20)의 단면도이다. 선택 사항으로, 밀봉 윙들(56) 중 하나 이상은, 측벽들(24)이 와이어(28)(도 3, 5, 6)의 단부(26) 위로 크림프되기 전에 대응하는 측벽(24)의 단부(50)로부터 연장되는 베이스 세그먼트(49)를 포함한다. 선택 사항으로, 밀봉 윙들(56) 중 하나 이상은 대응하는 베이스 세그먼트(49)로부터 연장되는 벤드 세그먼트(bend segment; 51)를 포함하고, 선택 사항으로, 벤드 세그먼트(51)는 일반적으로 U 형상이며, 측벽들(24)이 와이어 단부(26) 위로 크림프되기 전에 크림프 배럴(20)의 개구부(25) 내로 및/또는 크림프 배럴(20)의 개구부(25)를 대략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밀봉 윙들(56)은 대응하는 벤드 세그먼트(51)로부터 연장되는 선택 사항인 단부 세그먼트(53)를 포함한다. 선택 사항으로, 밀봉 윙들(56) 중 하나 이상의 단부 세그먼트들(53)은 측벽들(24)이 와이어 단부(26) 위로 크림프되기 전에 대응하는 측벽(24)에 대략 평행하게 연장된다. 또한, 측벽들(24)이 와이어 단부(26) 위로 크림프되기 전에, 단부 세그먼트들(53) 중 하나 이상은, 선택 사항으로 크림프 배럴(20)의 베이스(22)를 대략 향하는 방향으로 대응하는 벤드 세그먼트(51)로부터 연장되고, 선택 사항으로 대응하는 벤드 세그먼트(51)로부터 크림프 배럴(20)의 개구부(25) 내로 연장되고, 및/또는 선택 사항으로 크림프 배럴(20)의 개구부(25)를 대략 향하는 방향으로 대응하는 벤드 세그먼트(51)로부터 연장된다. 선택 사항인 포켓(60)은, 측벽들(24)이 와이어 단부(26) 위로 크림프되기 전에 밀봉 윙들(56) 중 하나 이상과 대응하는 측벽(24) 사이에 형성된다. 밀봉 윙은 두 개로 도시되어 있지만, 크림프 배럴(20)은 임의의 개수의 밀봉 윙(56)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임의의 개수의 밀봉 윙(56)이 각 측벽(24)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각 밀봉 윙(56)은, 밀봉 윙(56)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 및/또는 예시하는 바와 같이 기능할 수 있게 하는 임의의 크기, 형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다시 참조해 보면, 선택 사항으로, 밀봉제(62)는 크림프 배럴(20)이 와이어 단부(26)(도 6) 주위로 크림프되기 전에 크림프 배럴(20)의 개구부(25) 내에 제공된다. 예를 들어, 밀봉제(62)는 (도 1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베이스(22)의 내면(44) 상에 및/또는 측벽들(24) 중 하나 이상의 내면(46)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밀봉제(62)에 더하여 또는 이를 대체하여, 크림프 배럴(20)이 와이어 단부(26) 주위로 크림프되기 전에 포켓들(60)(도 2) 중 하나 이상 내에 밀봉제(도시하지 않음)를 선택 사항으로 제공한다. 개구부(25) 내에 제공된 밀봉제(62) 및/또는 포켓(60) 내에 제공된 밀봉제는 임의의 유형의 밀봉제일 수 있지만, 그리스, 래커, 젤, 패트(fat)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은 크림프 배럴(20)이 와이어(28)의 단부(26)(도 6) 주위로 크림프된 후 전기 단자(10)를 도시하는 전기 단자(10)의 사시도이다.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측벽들(24)은, 측벽들(24)이 접히도록 와이어 단부(26) 위로 크림프되어 있다. 크림프 배럴(20)은, 더욱 상세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크림프되면 크림프 배럴(20)의 길이를 따라 밀봉이 형성되도록 서브-세그먼트들(36, 38, 40, 42)을 따라 크림프된다.
도 4는 크림프 배럴(20)이 와이어 단부(26)(도 6) 주위로 크림프된 후 정면 밀봉 크림프 서브-세그먼트(36)를 통해 절취한 크림프 배럴(20)의 단면도이다. 접히게 되면, 각 측벽(24)의 베이스 세그먼트(52)와 단부 세그먼트(54) 사이에 갭(58)이 형성된다. 측벽들(24)이 와이어 단부(26) 위로 크림프되면, 밀봉 윙들(56)은 대응하는 갭(58) 내에서 연장된다. 이에 따라, 밀봉 윙들(56)은 갭(58)을 용이하 게 밀봉하여, 크림프 배럴(20)이 와이어 단부(26) 위로 크림프된 후 컨택트 단부(32)를 통해 크림프 배럴(20)의 개구부(25)로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선택 사항으로, 밀봉 윙들(56) 중 하나 이상은 측벽들(24)이 와이어 단부(26) 위로 크림프된 후 크림프 배럴(20)의 베이스(22)로부터 대략 멀어지는 방향으로 대응하는 측벽(24)으로부터 연장된다. 선택 사항으로, 밀봉 윙들(56)은 측벽들(24)이 와이어 단부(26) 위로 크림프되면 대응하는 측벽(24)의 단부 세그먼트(54) 및/또는 베이스 세그먼트(52)의 내면(46)과 맞물린다.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벽들(24)이 접히도록 측벽들(24)이 와이어 단부(26) 위로 크림프되면, 측벽들(24)의 단부 세그먼트들(54)이 서로 맞물린다.
선택 사항으로, 밀봉제는 갭들(58)을 용이하게 밀봉하도록 측벽들(24)이 와이어 단부(26) 위로 크림프된 후 갭들(58) 중 하나 이상 내에서 연장된다. 예를 들어, 포켓(들)(60)(도 2) 내에 제공된 밀봉제(62)(도 1) 및/또는 밀봉제(도시하지 않음)는, 측벽들(24)이 와이어 단부(26) 위로 크림프된 후 갭들(58) 중 하나 이상 내에서 연장될 수 있다.
밀봉 윙들(56) 및/또는 밀봉 윙들(56)과 밀봉제(밀봉제(62) 및/또는 포켓들(60) 내에 제공된 밀봉제)의 조합은, 크림프 배럴(20)의 컨택트 단부(2)를 용이하게 밀봉할 수 있게 하며, 이에 따라 습기가 개구부(25)에 침투하고 크림프 배럴(20)의 내면들(44 및/또는 46) 및/또는 컨덕터(30)와 접촉하고 크림프 배럴(20)의 내면들(44 및/또는 46)과 컨덕터들(30) 사이의 계면에 침투하는 것 등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와이어(28)의 컨덕터들(30) 중 어떠한 부분도 크림프 배럴(20)이 와이어 단부(26) 주위로 크림프된 경우 크림프 배럴(20)의 컨택트 단부(32)를 통해 노출되지 않는다.
다시 도 3을 참조해 보면, 선택 사항으로, 크림프 배럴(20)이 와이어 단부(26)(도 6) 주위로 크림프된 후 컨덕터(들)(30) 중 어떠한 부분도 크림프 배럴(20)의 컨택트 단부(32)를 지나 연장되지 않는다. 밀봉 윙들(56) 및/또는 밀봉제(밀봉제(62))(도 1) 및/또는 소켓들(60)(도 2) 내에 제공된 밀봉제에 의해 제공되는 밀봉에 의해, 컨덕터 단부가 크림프 배럴의 컨택트 단부를 지나 튀어나오는 단자들 및/또는 크림프 배럴의 컨택트 단부 내의 개구부를 통해 컨덕터가 노출되는 단자들에 비해 습기가 컨덕터(들)(30)와 접촉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크림프 배럴(20)이 와이어(28)의 단부(26)(도 6) 주위로 크림프된 후 후면 밀봉 크림프 서브-세그먼트(42)를 통해 절취한 크림프 배럴(20)의 단면도이다. 크림프 배럴(20)이 와이어(28)의 단부(26) 주위로 크림프되면, 측벽들(24)의 단부들(50)과 크림프 배럴(20)의 내면들(44, 46)은, 컨덕터(들)(30)를 둘러싸는 전기 절연층(31)과 (직접적으로 또는 후술하는 밀봉제에 의해 간접적으로) 맞물린다. 크림프 배럴(20)과 전기 절연층(31) 간의 맞물림에 의해 후면 밀봉 크림프 서브-세그먼트(42)를 밀봉하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크림프 배럴(20)의 와이어 단부(34)를 와이어(28)의 전기 절연층(31)에 대하여 밀봉한다. 이에 따라, 후면 밀봉 크림프 서브-세그먼트(42)는, 크림프 배럴(20)이 와이어 단부(26) 위로 크림프된 후 습기가 와이어 단부(34)를 통해 크림프 배럴(20)의 개구부(25)에 침투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선택 사항으로, 밀봉제는, 와이어 단부(34)를 용이하게 밀봉하도록 크림프 배럴(20)이 와이어 단부(26) 주위로 크림프된 후 크림프 배럴(20)과 전기 절연층(31) 사이에서 연장된다. 예를 들어, 밀봉제(62)(도 1)는, 크림프 배럴(20)이 와이어 단부(26) 주위로 크림프된 후 크림프 배럴(20)과 전기 절연층(31)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후면 밀봉 크림프 서브-세그먼트(42) 및/또는 후면 밀봉 크림프 서브-세그먼트(42)와 밀봉제의 조합은 크림프 배럴(20)의 와이어 단부(34)를 용이하게 밀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습기가 개구부(25)에 침투하고 크림프 배럴(20)의 내면들(44, 46) 및/또는 컨덕터(들)(30)와 접촉하고 크림프 배럴(20)의 내면들(44 및/또는 46)과 컨덕터(들)(30) 사이의 계면에 침투하는 것 등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크림프 배럴(20)이 와이어 단부(26) 주위로 크림프된 후 전기 단자(10)의 길이를 통해 절취한 전기 단자(10)의 일부의 길이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크림프 배럴(20)이 와이어(28)의 단부(26) 주위로 크림프되면, 크림프 배럴(20)의 전기 종단 크림프 서브-세그먼트(38)가 컨덕터들(30)과 맞물려 컨덕터들(30)을 크림프 배럴(20)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선택 사항으로, 크림프 배럴(20)은, 컨덕터들(30) 상에 형성된 산화물층(도시하지 않음)을 관통할 수 있는 세레이션(48)을 포함한다. 선택 사항으로, 압축 전이 서브-세그먼트(40)가 후면 밀봉 크림프 서브-세그먼트(42)를 향하여 연장됨에 따라 압축 전이 서브-세그먼트(40)가 외측으로 테이퍼링(taper)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그리고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선택 사항으로, 압축 전이 서브-세그먼트(40)는 크림프 배럴(20)의 중심 길이 방향 축에 대하여 방사상 외측으로 테이퍼링된다. 압축 전이 서브-세그먼트(40)의 선택적인 테이퍼링에 의해, 와이어 단부(26)의 미압축 상태로부터 완전 압축 상태로의 매끄러운 전이가 가능할 수 있으며, 및/또는 전기 절연층(31)에서 더욱 큰 직경의 와이어(28)를 수용할 수도 있다.
이제 도 3을 참조해 보면, 크림프 배럴(20)이 와이어 단부(26)(도 6) 주위로 크림프된 경우, 크림프 배럴(20)의 베이스(22)와 측벽들(24)은, 전기 절연층(31)(도 6)으로부터 컨덕터들(30)(도 5, 6)을 지나 와이어(28)의 단부(26)의 원주 주위로 완전하게 연장되는 연속 인클로저(enclosure)를 형성한다. 다시 말하면, 크림프 배럴(20)의 베이스(22)와 측벽들(24)은, 컨택트 단부(32)로부터 크림프 배럴(20)의 와이어 단부(34)로 와이어 단부(26)의 원 주위로 완전하게 연장되는 연속 인클로저를 형성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크림프 배럴(20)의 베이스(22)와 측벽들(24)은 크림프 배럴(20)의 와이어 단부(34)의 컨택트 단부(32)로부터 연속적 으로 연장되어 연속 인클로저를 형성한다. 측벽들(24) 사이의 계면(68)(도 4에도 도시되어 있음)은, 컨택트 단부(32)로부터 와이어 단부(34)로 크림프 배럴(20)의 길이의 전체를 따라 서로 맞물려 있는 측벽들(24)의 단부 세그먼트들(54) 사이의 맞물림에 의해 밀봉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크림프 배럴(20)이 와이어(28)의 단부(26) 주위로 크림프된 경우 와이어(28)의 컨덕터들(30) 중 어떠한 부분도 크림프 배럴(20)의 와이어 단부(34)와 컨택트 단부(32) 사이에 노출되지 않는다. 연속 인클로저에 의해 크림프 배럴(20)을 용이하게 밀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습기가 개구부(25)에 침투하고 크림프 배럴(20)의 내면들(44 및/또는 46) 및/또는 컨덕터들(30)과 접촉하고 크림프 배럴(20)의 내면들(44 및/또는 46) 및 컨덕터(들)(30) 사이의 계면에 침투하는 것 등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세레이션(48)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전기 단자(10)의 크림프 배럴(20)의 일부의 단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크림프 배럴(20)의 내면들(44 및/또는 46)은 선택 사항으로 하나 이상의 세레이션(48)을 포함한다. 크림프 배럴(20)을 와이어 단부(26)(도 6) 주위로 크림프하는 동안 세레이션(48)을 사용하여 컨덕터들(30)(도 5, 6) 상의 산화물층을 관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레이션(48)은 크림프 배럴(20)과 컨덕터들(30) 간의 신뢰성 있는 전기적 접속을 용이하게 한다. 도 7에서 알 수 있듯이, 각 세레이션(48)의 절단 에지(66)는 일반적으로 크림프 배럴(20)의 컨택트 단부(32)에 대면하거나 이러한 컨택트 단부를 가리킨다. 다시 말하면, 절단 에지(66)는 일반적으로 크림프 배럴(20)의 와이어 단부(34)에 대면하거나 이러한 와이어 단부로부터 멀어진다. 절단 에지를 크림프 배럴(20)의 컨택트 단부(32)를 향하게 하는 것에 더하여 또는 이를 대체하여, 크림프 배럴(20)의 컨택트 단부(32)에 더욱 가깝게 있는 세레이션(48)의 절단 에지(66)는 크림프 배럴(20)의 와이어 단부(34)에 더욱 가깝게 있는 세레이션(48) 중 일부 또는 전체의 절단 에지(66)보다 날카로울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택트 단부(32)에 가장 가깝게 연장되며 와이어 단부(34)를 향하여 이동하는 세레이션(48)부터 시작해서, 후속하는 각 세레이션(48)은, 선택 사항으로, 이전의 세레이션(48)의 절단 에지(66) 보다 덜 날카로운 절단 에지(66)를 포함한다. 절단 에지(66)는, 다른 상황에서는 알려져 있는 적어도 일부 세레이션(도시하지 않음)의 절단 에지로부터의 절단으로 인해 야기되는 컨덕터(들)(30)의 기계적 요란을 용이하게 피할 수 있다. 크림프 배럴(20)은 임의의 개수의 세레이션(48)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해 보면, 전기 단자(10)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크림프 배럴(20)은 두 개의 밀봉 윙(56)을 포함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크림프 배럴(20)은 임의의 개수의 밀봉 윙(56)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8은 단일 밀봉 윙(156)을 포함하는 크림프 배럴(120)을 도시하는 전기 단자(110)의 예시적인 대체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전기 단자(110)는 전기 컨택트 세그먼트(112) 및 전기 컨택트 세그먼트(112)로부터 연장되는 크림프 세그먼트(114)를 포함한다. 전기 컨택트 세그먼트(112)는 전기 컨택트(118)를 포함한다.
크림프 세그먼트(114)는, 와이어(28)를 전기 단자(110)에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접속하도록 와이어(28)(도 3, 5, 6)의 단부(26)(도 6) 주위로 크림프되도록 구성된 크림프 배럴(120)을 포함한다. 크림프 배럴(120)은 베이스(122) 및 베이스(122)로부터 연장되는 대향 측벽들(124)을 포함한다. 크림프 배럴(120)의 개구부(125)는 베이스(122)와 측벽들(124) 사이에 형성된다. 크림프 배럴(120)은 컨택트 단부(132)로부터 와이어 단부(134)로 길이를 연장하고, 정면 밀봉 크림프 서브-세그먼트(136)를 포함한다. 크림프되기 전에, 측벽들(124)은 베이스(122)로부터 대응하는 단부들(150)로 외측으로 연장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측벽들(124)은, 베이스(122)로부터 연장되는 베이스 세그먼트들(152), 및 베이스 세그먼트들(152)로부터 연장되며 단부들(150)을 포함하는 단부 세그먼트들(154)을 포함한다.
정면 밀봉 크림프 서브-세그먼트(136)에서, 밀봉 윙(156)은 측벽들(124a) 중 하나의 단부(150)로부터 연장된다. 선택 사항으로, 밀봉 윙(156)은 측벽(124a)의 단부(150)로부터 연장되는 베이스 세그먼트(157)를 포함한다. 선택 사항으로, 밀봉 월(156)의 베이스 세그먼트(157)는, 대략 U 형상이며 크림프 배럴(20)의 개구부(125) 내로 연장되며 및/또는 측벽들(124)이 와이어 단부(26) 위로 크림프되기 전에 개구부(125)를 대략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벤드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밀봉 윙(156)은 베이스 세그먼트(157)의 벤드 세그먼트로부터 연장되는 선택 사항인 단부 세그먼트(155)를 포함한다. 선택 사항으로, 밀봉 윙(156)의 단부 세그먼트(155)는, 측벽들(124)이 와이어(28)의 단부(26) 위로 크림프되기 전에 크림프 배럴(120)의 베이스(122)를 대략 향하는 방향으로 베이스 세그먼트(157)로부터 연장된다. 선택 사항으로, 측벽들(124)이 와이어 단부(26) 위로 크림프되기 전에, 밀봉 윙(156)의 단부 세그먼트(155)는 베이스 세그먼트(157)로부터 크림프 배럴(120)의 개구부(125) 내로 및/또는 대략 크림프 배럴(20)의 개구부(125)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선택 사항으로, 밀봉 윙(156)의 단부 세그먼트(155)의 적어도 일부는, 측벽들(124)이 와이어 단부(26) 위로 크림프되기 전에 측벽들(124a)에 대략 평행하게 연장된다. 측벽들(124)이 와이어 단부(26) 위로 크림프되기 전에 측벽(124a)과 밀봉 윙(156) 사이에 선택 사항인 포켓(160)이 형성된다.
도 9는 크림프 배럴(120)이 와이어 단부(26) 주위로 크림프된 후 정면 밀봉 크림프 서브-세그먼트(136)를 통해 절취한 크림프 배럴(120)의 단면도이다. 측벽들(124)은, 측벽들(124)이 접히도록 와이어 단부(26)(도 6) 위로 크림프되었다. 접히게 되면, 측벽(124b)의 단부 세그먼트(154)는 측벽(124b)의 베이스 세그먼트(152)와 맞물리게 된다. 그러나, 측벽(124b)의 베이스 세그먼트(152)와 단부 세그먼트(154) 사이에 갭(158)이 형성된다. 측벽들(124)이 와이어 단부(26) 위로 크림프된 경우, 밀봉 윙(156)은 갭(158) 내에서 연장된다. 도 9에서 알 수 있듯이, 밀봉 윙(156)은 갭(158) 내에서 접힌다. 선택 사항으로, 밀봉 윙(156)의 단부 세그먼트(155)는 밀봉 윙(156)의 베이스 세그먼트(157)와 맞물린다. 이에 따라, 밀봉 윙(156)은 갭(158)을 용이하게 밀봉하여, 크림프 배럴(120)이 와이어 단부(26) 위로 크림프된 후 습기가 크림프 배럴(120)의 개구부(125)에 침투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측벽(124b)의 베이스 세그먼트(152)외 단부 세그먼트(154) 간의 맞물림에 의해, 크림프 배럴(120)이 와이어 단부(26) 위로 크림프된 후 습기가 컨택트 단부(132)를 통해 크림프 배럴(120)의 개구부(125)에 침투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한다. 선택 사항으로, 밀봉 윙(156)의 세그먼트(157)는, 측벽들(124)이 와이어 단부(26) 위로 크림프된 후 크림프 배럴(120)의 베이스(122)로부터 대략 멀어지는 방향으로 측벽(124a)으로부터 연장된다. 선택 사항으로, 밀봉 윙(156)은, 측벽들(124)이 와이어 단부(26) 위로 크림프되면 측벽(124a)의 단부 세그먼트(154) 및/또는 베이스 세그먼트(152)의 내면(146)과 맞물린다. 도 9에서 알 수 있듯이,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벽들(124a, 124b)이 접히도록 측벽들(124a, 124b)이 와이어 단부(26) 위로 크림프되면, 측벽들(124a, 124b)의 단부 세그먼트들(154)이 서로 맞물린다.
밀봉 윙(156) 및/또는 밀봉 윙(156)과 밀봉제의 조합에 의해, 크림프 배럴(120)의 컨택트 단부(132)를 용이하게 밀봉하며, 이에 따라 습기가 개구부(125)로부터 침투하고 크림프 배럴(120)의 내면들(144 및/또는 146) 및/또는 컨덕터들(30)과 접촉하고 크림프 배럴(120)의 내면들(144 및/또는 146)과 컨덕터들(30) 사이의 계면에 침투하는 것 등을 용이하게 방지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크림프 배럴(120)이 와이어 단부(26) 주위로 크림프된 경우 와이어(28)의 컨덕터들(30)의 어떠한 부분도 크림프 배럴(120)의 컨택트 단부(132)를 통해 노출되지 않는다. 밀봉 윙(156)이 측벽(124a)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길이는, 밀봉 윙(156)이 크림프 배럴(120)의 컨택트 단부(132)에서 미리 정해진 양의 공간을 차지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리고 도면에서 명백하듯이, 밀봉 윙(156)의 길이는, 복수의 밀봉 윙(56) 대신에 단일 밀봉 윙(156)을 사용하여 공간을 채우는 데 있어서 밀봉 월(56)의 길이보다 길다.
선택 사항으로, 크림프 배럴(120)이 와이어 단부(26) 주위로 크림프된 후 컨덕터(들)(30)의 어떠한 부분도 크림프 배럴(120)의 컨택트 단부(132)를 지나 연장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밀봉 윙(156) 및/또는 임의의 밀봉제에 의해 제공되는 밀봉은, 컨덕터 단부가 크림프 배럴의 컨택트 단부를 지나 튀어나오는 단자들 및/또는 컨덕터가 크림프 배럴의 컨택트 단부 내의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는 단자들에 비해 습기가 컨덕터(들)(30)와 접촉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한다.
도 10은 크림프 배럴(220)의 컨택트 단부(232)를 용이하게 밀봉하도록 임보스먼트(embossment; 256)를 포함하는 크림프 배럴(220)을 도시하는 전기 단자(210)의 예시적인 대체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단자(210)는, 전기 컨택트 세그먼트(212) 및 전기 컨택트 세그먼트(212)로부터 연장되는 크림프 세그먼트(214)를 포함한다. 크림프 세그먼트(214)는, 와이어(28)(도 3, 5, 6)의 단부(26)(도 6) 주위로 크림프되어 와이어(28)를 전기 단자(210)에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된 크림프 배럴(220)을 포함한다. 크림프 배럴(220)은 베이스(222) 및 베이스(222)로부터 연장되는 대향 측벽들(224)을 포함한다. 크림프 배럴(220)의 개구부(225)는 베이스(222)와 측벽들(224) 사이에 형성된다. 크림프 배럴(220)은, 컨택트 단부(232)로부터 와이어 단부(234)로 길이를 연장하고, 정면 밀봉 크림프 서브-세그먼트(236)를 포함한다. 측벽들(224)은, 베이스(222)로부터 연장되는 베이스 세그먼트들(252), 및 베이스 세그먼트들(252)로부터 연장되며 측벽들(124)의 단부들(250)을 포함하는 단부 세그먼트들(254)을 포함한다. 임보스먼트(256)는 본 명세서에서 "밀봉 윙"이라고 칭할 수도 있다.
정면 밀봉 크림프 서브-세그먼트(236)는, 각각 베이스(222)와 측벽들(224)의 내면들(244, 246)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임보스먼트(256)를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임보스먼트(256)는 내면들(244, 246)로부터 외측으로 그리고 단자(210)의 중심 길이 방향 축(241)에 대하여 방사상 내측으로 연장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임보스먼트(256)는, 측벽들(224) 중 하나의 단부(250)로부터 나머지 측벽들(224)의 단부(250)로 내면들(244, 246)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대안으로, 임보스먼트(256)는, 임보스먼트가 상호 접속되지 않는 적어도 두 개의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실시예들을 비롯하여, 단부들(250) 사이의 내면들(244, 246)을 따라 부분적으로만 연장된다.
크림프 배럴(220)이 와이어 단부(26) 주위로 크림프된 후, 측벽들(224)은 측벽들(224)이 접히도록 와이어 단부(26) 위로 크림프되었다. 측벽들(224)이 접히면, 측벽(224a)의 단부 세그먼트(254)를 따라 연장되는 임보스먼트(256)의 세그먼트는, 측벽(224a)의 베이스 세그먼트(252)를 따라 연장되는 임보스먼트(256)의 세그먼트와 맞물린다. 마찬가지로, 측벽(224b)의 단부 세그먼트(254)를 따라 연장되는 임보스먼트(256)의 세그먼트는 측벽(224b)의 베이스 세그먼트(252)를 따라 연장되는 임보스먼트(256)의 세그먼트와 맞물린다. 측벽들(224a, 224b)이 접히면, 측벽들(224a, 224b)의 단부 세그먼트들(254)이 서로 맞물린다. 선택 사항으로, 측벽들(224a, 224b)의 단부들(250)은 베이스(222)의 내면(244)과 맞물린다.
임보스먼트(256) 및/또는 임보스먼트(256)와 밀봉제의 조합에 의해, 크림프 배럴(220)의 컨택트 단부(232)를 용이하게 밀봉하며, 이에 따라, 습기가 개구부(225)에 침투하고 크림프 배럴(220)의 내면들(244 및/또는 246) 및/또는 컨덕터들(30)과 접촉하고 크림프 배럴(220)의 내면들(244 및/또는 246)과 컨덕터들(30) 사이의 계면에 침투하는 것 등을 용이하게 방지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크림프 배럴(220)이 와이어 단부(26) 주위로 크림프된 경우 와이어(28)의 컨덕터들(30)의 어떠한 부분도 크림프 배럴(220)의 컨택트 단부(232)를 통해 노출되지 않는다. 임보스먼트(256)가 내면들(244, 246)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길이는, 임보스먼트(256)가 크림프 배럴(220)의 컨택트 단부(232)에서 미리 정해진 양의 공간을 차지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선택 사항으로, 크림프 배럴(220)이 와이어 단부(26) 주위로 크림프된 후 컨덕터(들)(30)의 어떠한 부분도 크림프 배럴(220)의 컨택트 단부(232)를 지나 연장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임보스먼트(256) 및/또는 임의의 밀봉제에 의해 제공되는 밀봉에 의해, 컨덕터 단부가 크림프 배럴의 컨택트 단부를 지나 튀어나오는 단자들 및/또는 컨덕터가 크림프 배럴의 컨택트 단부 내의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는 단자들에 비해 습기가 컨덕터(들)(30)와 접촉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 및/또는 예시한 실시예들은, 전기 단자에 의해 종단되는 와이어의 하나 이상의 컨덕터에서, 전기 단자의 내면에서, 전기 단자의 내면들과 와이어의 컨덕터(들) 사이의 계면 등에서 전기화학적 부식을 덜 겪을 수 있는 전기 단자를 제공한다.
전술한 설명은 예시적이며 제한적이 아니라는 점을 이해하기 바란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들(및/또는 이들의 양태들)은 서로 조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교시에 적응하도록 특정 상황이나 재료에 대하여 많은 수정을 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치수, 재료들의 유형, 다양한 부품들의 배향, 및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개수와 위치는 일부 실시예들의 파라미터들을 정의하려는 것이며, 제한적인 의미가 아니며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들이다. 청구범위의 범주와 사상 내에서의 다른 많은 실시예들과 수정예들은 전술한 설명을 읽는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범위를 이러한 청구범위에 대한 균등론의 전체 범위와 함께 참조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청구범위에서, "포함"(including)과 "에서"(in which)라는 용어들은 각각 용어들인 "포함"(comprising)과 "여기서"(wherein)의 평이한 영어로 된 균등 용어들로서 사용된다. 또한,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들은 라벨로서 사용된 것일 뿐이며, 해당 대상물에 수치 요건을 부가하려는 것이 아니다. 또한, 다음에 따르는 청구범위의 한정 사항은, 추가 구조 없이 기능 표현이 기재되는 "~을 위한 수단"이라는 구를 이러한 청구범위의 한정 사항에서 명백하게 사용하지 않는 한, 수단 플러스 기능의 형식으로 기재되지 않았으며 특허법(35 U.S.C. § 112, sixth paragraph)에 기초하여 해석되려는 것이 아니다.

Claims (10)

  1. 와이어(28)를 종단하기 위한 전기 단자(10, 110, 210)로서,
    전기 컨택트(18, 118)와,
    상기 전기 컨택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와이어의 단부(26) 주위로 크림프되도록 구성되고, 베이스(22, 122, 222) 및 상기 베이스로부터 연장되는 대향 측벽들(24, 124, 224)을 포함하는, 크림프 배럴(crimp barrel; 20, 120, 220)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와 측벽들은 상기 와이어의 단부를 내부로 수용하도록 구성된 상기 크림프 배럴의 개구부(25, 125, 225)를 형성하고,
    상기 측벽들은 상기 베이스로부터 단부들(50, 150)로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측벽들은, 상기 베이스로부터 연장되는 베이스 세그먼트들(52, 152, 252), 및 상기 베이스 세그먼트들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단부들을 포함하는 단부 세그먼트들(54, 154, 254)을 포함하고,
    밀봉 윙(sealing wing; 56, 156)이 상기 측벽들 중 적어도 하나의 측벽의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측벽들은, 상기 측벽들 중 적어도 하나의 측벽의 상기 베이스 세그먼트와 상기 단부 세그먼트 사이에 갭(58, 158)이 형성되도록 상기 와이어의 단부 위로 크림프되면 접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밀봉 윙은, 상기 측벽들이 상기 와이어의 단부 위로 크림프되면 대응하는 측벽의 상기 베이스 세그먼트와 상기 단부 세그먼트 사이의 상기 갭 내에서 연장되도록 구성된, 전기 단자(10, 110, 2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림프 배럴(20, 120, 220)은 상기 전기 컨택트(18, 118)로부터 연장되는 컨택트 단부(32, 132, 232)로부터 와이어 단부(34, 134, 234)로 길이를 연장하고,
    상기 크림프 배럴이 상기 와이어(28)의 단부(26) 주위로 크림프된 경우, 상기 크림프 배럴의 상기 측벽들(24, 124, 224)과 상기 베이스(22, 122, 222)는, 상기 컨택트 단부로부터 상기 크림프 배럴의 와이어 단부로 상기 와이어 단부의 둘레로 완전하게 연장되는 연속 인클로저(continuous enclosure)를 형성하는, 전기 단자(10, 110, 21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림프 배럴(20, 120, 220)은, 상기 전기 컨택트(18, 118)로부터 연장되는 컨택트 단부(32, 132, 232)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 윙(56, 156)은 상기 측벽들(24, 124, 224)이 상기 와이어(28)의 단부(26) 위로 크림프되면 상기 크림프 배럴의 컨택트 단부를 밀봉하도록 구성된, 전기 단자(10, 110, 210).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윙(56, 156)은, 상기 측벽들이 상기 와이어(28)의 단부(26) 위로 크림프되기 전에, 대응하는 측벽(24, 124, 224)으로부터 상기 크림프 배럴(20, 120, 220)의 베이스(22, 122, 222)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기 단자(10, 110, 210).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28)는 적어도 하나의 컨덕터(30)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들(24, 124, 224)은, 상기 측벽들이 상기 와이어 위로 크림프되는 경우 상기 와이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덕터 중 적어도 하나와 맞물리는 내면들(46, 146, 246)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들이 상기 와이어 위로 크림프되는 경우, 상기 밀봉 윙(56, 156)은 상기 대응하는 측벽의 상기 베이스 세그먼트(52, 152, 252)와 상기 단부 세그먼트(54, 154, 254) 중 적어도 하나의 내면과 맞물리는, 전기 단자(10, 110, 210).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28)는 적어도 하나의 컨덕터(30) 및 전기 절연층(31)을 포함하고, 상기 크림프 배럴(20, 120, 220)은 상기 전기 컨택트(18, 118)로부터 연장되는 컨택트 단부(32, 132, 232)로부터 상기 와이어의 전기 절연층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와이어 단부(34, 134, 234)로 길이를 연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덕터의 어떠한 부분도, 상기 크림프 배럴이 상기 와이어의 단부(26) 주위로 크림프된 후 상기 크림프 배럴의 컨택트 단부를 지나 연장되지 않는, 전기 단자(10, 110, 210).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들(24, 124, 224)이 상기 와이어(28)의 단부(26) 위로 크림프되면 상기 밀봉 윙(56, 156)은 상기 갭(58, 158) 내에서 접히도록 구성된, 전기 단자(10, 110, 210).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들이 상기 와이어(28)의 단부(26) 위로 크림프되기 전에 상기 밀봉 윙(56, 156)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대응하는 측벽(24, 124, 224)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전기 단자(10, 110, 210).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단자는, 상기 측벽들이 상기 와이어(28)의 단부(26) 위로 크림프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벽(24, 124, 224)의 단부 세그먼트(54, 154, 254)와 베이스 세그먼트(52, 152, 252) 사이에 형성된 상기 갭(58, 158) 내에서 연장되는 밀봉제(sealant; 62)를 더 포함하는, 전기 단자(10, 110, 210).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들이 상기 와이어(28)의 단부(26) 위로 크림프되기 전에 상기 밀봉 윙(56, 156)과 대응하는 측벽(24, 124, 224) 사이에 포켓(60, 160)이 형성되고, 상기 포켓은 내부에 유지되는 밀봉제를 포함하는, 전기 단자(10, 110, 210).
KR1020137009800A 2010-10-18 2011-10-14 와이어를 종단하기 위한 전기 단자 KR1014707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9426010P 2010-10-18 2010-10-18
US61/394,260 2010-10-18
US12/976,707 US8210884B2 (en) 2010-10-18 2010-12-22 Electrical terminal for terminating a wire
US12/976,707 2010-12-22
PCT/US2011/001754 WO2012054072A1 (en) 2010-10-18 2011-10-14 Electrical terminal for terminating a wi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6346A KR20130056346A (ko) 2013-05-29
KR101470772B1 true KR101470772B1 (ko) 2014-12-08

Family

ID=45934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9800A KR101470772B1 (ko) 2010-10-18 2011-10-14 와이어를 종단하기 위한 전기 단자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210884B2 (ko)
EP (1) EP2630694B1 (ko)
JP (1) JP5988390B2 (ko)
KR (1) KR101470772B1 (ko)
CN (1) CN103168393B (ko)
BR (1) BR112013008591B1 (ko)
CA (1) CA2814091C (ko)
MX (1) MX2013004335A (ko)
PL (1) PL2630694T3 (ko)
WO (1) WO20120540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16253A (ja) * 2010-03-31 2011-10-27 Yazaki Corp 圧着端子および圧着端子の電線に対する接続構造
JP5675205B2 (ja) * 2010-08-05 2015-02-25 矢崎総業株式会社 圧着端子
JP5909345B2 (ja) * 2011-11-11 2016-04-2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端子
JP5864280B2 (ja) * 2012-01-18 2016-02-17 矢崎総業株式会社 フラット回路体と端子金具との接続方法
DE102013201167A1 (de) * 2013-01-24 2014-08-07 Elringklinger A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elektrisch leitenden Verbindung zwischen einer elektrischen Leitung und einem elektrisch leitenden Bauteil und nach dem Verfahren hergestellte Baugruppe
CN104170167B (zh) * 2013-02-22 2016-01-27 古河电气工业株式会社 压接端子、压接连接结构体及压接连接结构体的制造方法
WO2014129606A1 (ja) * 2013-02-23 2014-08-28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圧着端子、圧着端子の製造方法、電線接続構造体、及び電線接続構造体の製造方法
JP6060015B2 (ja) * 2013-03-19 2017-01-11 矢崎総業株式会社 圧着端子の電線に対する圧着構造
US9331446B2 (en) * 2013-09-19 2016-05-03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Crimp tooling for a terminal crimping machine
DE102013222143A1 (de) * 2013-10-30 2015-04-30 Tyco Electronics Amp Gmbh Kontaktelement für einen Steckverbinder und Anordnung umfassend ein Kontaktelement
JP6020436B2 (ja) * 2013-12-16 2016-11-02 住友電装株式会社 電線接続用の端子および該端子の電線接続構造
EP2919332B1 (en) 2014-03-10 2019-07-10 Tyco Electronics France SAS Electrical terminal and method for preparing a connector comprising such terminal
DE102014204358A1 (de) * 2014-03-10 2015-09-10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Kontaktelement und Kontaktanordnung mit Frontschutz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EP3134943B8 (en) * 2014-04-24 2022-05-25 Molex, LLC Terminal fitting
JP6527633B2 (ja) 2015-07-23 2019-06-05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端子金具
DE102015224219A1 (de) * 2015-12-03 2017-06-08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Crimpkontakt mit verbesserter Kontaktierung und Crimpverbindung
US9853368B2 (en) * 2016-05-03 2017-12-26 Te Connectivity Corporation Electrical crimp terminal
US9905953B1 (en) 2016-09-30 2018-02-27 Slobodan Pavlovic High power spring-actuated electrical connector
JP6434950B2 (ja) * 2016-10-13 2018-12-05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圧着装置
JP2018106995A (ja) * 2016-12-27 2018-07-05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付き電線および端子製造方法
JP6904147B2 (ja) * 2017-08-01 2021-07-1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付き電線
US11101577B2 (en) * 2018-02-02 2021-08-24 Optimal Ventures LLC Method for connecting a crimp terminal to an electric wire
MX2020008873A (es) 2018-02-26 2021-01-08 Royal Prec Products Llc Conector electrico accionado por resorte para aplicaciones con potencia alta.
CN112956084B (zh) 2018-06-07 2023-10-03 皇家精密制品有限责任公司 具有内部弹簧部件的电连接器组件
US10581181B1 (en) 2018-08-21 2020-03-03 Lear Corporation Terminal assembly and method
US10574015B1 (en) * 2018-08-21 2020-02-25 Lear Corporation Terminal assembly and method
US10693246B2 (en) 2018-08-21 2020-06-23 Lear Corporation Terminal assembly for use with conductors of different sizes and method of assembling
WO2020154330A1 (en) 2019-01-21 2020-07-30 Royal Precision Products, Llc Power distribution assembly with boltless busbar system
DE102019109460A1 (de) * 2019-04-10 2020-10-15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Crimpkontakt
EP3757195A1 (en) 2019-06-27 2020-12-30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Dispensable grease sealants, method for producing same, crimp connection,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use of the dispensable grease sealants
DE112020003846T5 (de) 2019-09-09 2022-05-12 Royal Precision Products Llc Verbinderaufzeichnungssystem mit lesbaren und aufzeichenbarenkennzeichnungen
US11721942B2 (en) 2019-09-09 2023-08-08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Connector system for a component in a power management system in a motor vehicle
JP7116112B2 (ja) * 2020-03-18 2022-08-09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付き電線
DE112021003303T5 (de) 2020-07-29 2023-05-25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Elektrisches verbindungssystem mit zylindrischem klemmenkörp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1198A (ko) * 2008-08-04 2011-03-24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소켓 컨택트
KR20130103759A (ko) * 2010-11-26 2013-09-24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5044A (en) 1970-12-03 1976-05-04 Amp Incorporated Corrosion proof terminal for aluminum wire
US3878318A (en) 1973-01-02 1975-04-15 Amp Inc Aluminum electrical connection
US4142771A (en) 1974-10-16 1979-03-06 Amp Incorporated Crimp-type terminal
JPS5910695Y2 (ja) * 1978-06-28 1984-04-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気接続用タ−ミナル
JPS5613685A (en) * 1979-07-11 1981-02-10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Method of mounting terminal of aluminum wire
US4932906A (en) * 1988-12-16 1990-06-12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tact terminal
US5532433A (en) * 1991-11-13 1996-07-02 Yazaki Corporation Waterproof-type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US5561267A (en) 1993-11-30 1996-10-01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rimp terminal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DE19812093C1 (de) 1998-03-19 1999-10-07 Framatome Connectors Int Crimpverbindung
EP2472675B1 (en) * 2003-07-30 2020-09-30 The Furukawa Electric Co., Ltd. Terminal crimping structure and terminal crimping method onto aluminum electric-wire
FR2865579A1 (fr) 2004-01-27 2005-07-29 Framatome Connectors Int Contact electrique serti a fut ferme, procede de sertissage d'un tel contact, et outil de sertissage correspondant.
DE102004034038A1 (de) 2004-07-13 2006-02-09 Yazaki Europe Ltd., Hemel Hempstead Verbindung zwischen einem Kabelendstück und einem Kabelende
JP4920745B2 (ja) * 2007-03-29 2012-04-1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端子及び該コネクタ端子を備えたコネクタ
JP4922897B2 (ja) * 2007-11-02 2012-04-25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圧着端子、端子付電線及びその製造方法
JP5107693B2 (ja) 2007-12-21 2012-12-26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圧着構造及び圧着方法
JP5098890B2 (ja) 2008-08-21 2012-12-12 住友電装株式会社 電線と端子金具との接続構造
JP5629430B2 (ja) 2008-12-09 2014-11-19 矢崎総業株式会社 アルミ電線への端子圧着構造
JP5241529B2 (ja) * 2009-01-14 2013-07-1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連鎖端子、端子金具、及び端子金具の製造方法
JP5237154B2 (ja) * 2009-03-04 2013-07-1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圧着端子および端子付き電線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1198A (ko) * 2008-08-04 2011-03-24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소켓 컨택트
KR20130103759A (ko) * 2010-11-26 2013-09-24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814091C (en) 2015-12-08
EP2630694B1 (en) 2018-08-15
BR112013008591B1 (pt) 2021-04-20
JP2013543233A (ja) 2013-11-28
PL2630694T3 (pl) 2019-01-31
US8210884B2 (en) 2012-07-03
BR112013008591A2 (pt) 2016-07-12
US20120094551A1 (en) 2012-04-19
CN103168393B (zh) 2016-12-21
CN103168393A (zh) 2013-06-19
WO2012054072A1 (en) 2012-04-26
MX2013004335A (es) 2013-05-20
CA2814091A1 (en) 2012-04-26
JP5988390B2 (ja) 2016-09-07
EP2630694A1 (en) 2013-08-28
KR20130056346A (ko) 2013-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0772B1 (ko) 와이어를 종단하기 위한 전기 단자
US9397410B2 (en) Electrical terminal for terminating a wire
WO2013016151A1 (en) Electrical terminal for terminating a wire
JP6265804B2 (ja) 圧着端子と電線の接続構造
JP6426907B2 (ja) 圧着端子と電線の接続構造
US9287655B2 (en) Crimped terminal attached aluminum electric wire
US8485853B2 (en) Electrical contact having knurl pattern with recessed rhombic elements that each have an axial minor distance
KR101495487B1 (ko) 마름모꼴 널 패턴을 갖는 전기 접점
JP5741344B2 (ja) コネクタ
KR101629125B1 (ko) 단자 피팅
JP2009087848A (ja) アルミニウム電線用の圧着端子およびアルミニウム電線の端子圧着方法
JP5741343B2 (ja) コネクタ
EP2151894A1 (en) A terminal fitting, a wire connected with a terminal fitting and a connecting method therefor
CN103891050A (zh) 电线端子连接结构和用于电线端子连接结构的中间帽
EP2159880A1 (en) A terminal fitting and a wire connected with a terminal fitting
US10886686B2 (en) Method for crimping an electrical contact to a cable and tool for implementing said method
JP2011192586A (ja) 端子金具付き電線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170996A (ja) 防水機能付き端子金具及び防水コネクタ
JP5450117B2 (ja) ゴム栓及び防水コネクタ
JP2010092626A (ja) ゴム栓及び防水コネクタ
JP5787918B2 (ja) 圧着端子および圧着端子を用いたワイヤハーネス
JP6605970B2 (ja) 端子付き電線、ワイヤハーネス
JP6391541B2 (ja) 端子、端子付き電線、ワイヤハーネス、被覆導線と端子との接続方法
JP7028736B2 (ja) 端子付き電線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9160569A (ja) 端子付電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