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1941A - 모바일 통신 단말기, 정보 제공 시스템 및 프로그램을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모바일 통신 단말기, 정보 제공 시스템 및 프로그램을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1941A
KR20050031941A KR1020040076805A KR20040076805A KR20050031941A KR 20050031941 A KR20050031941 A KR 20050031941A KR 1020040076805 A KR1020040076805 A KR 1020040076805A KR 20040076805 A KR20040076805 A KR 20040076805A KR 20050031941 A KR20050031941 A KR 20050031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messag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no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6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7416B1 (ko
Inventor
사타케마사오미
후쿠시마마사루
엔도다카시
누마가미야스히코
노자키후미히로
야마네다케시
츠키지히로시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342375A external-priority patent/JP417342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342376A external-priority patent/JP440172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342040A external-priority patent/JP425241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342377A external-priority patent/JP408365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342043A external-priority patent/JP447658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34237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110029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34204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109998A/ja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31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1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7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74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59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adapted to provide push services, e.g. data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8Message adapt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4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s or networks with limited capabilitie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 port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289Intermediate processing functionally located close to the data consumer application, e.g. in same machine, in same home or in same sub-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5Push-based network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8Storing data temporarily at an intermediate stage, e.g. caching
    • H04L67/5681Pre-fetching or pre-delivering data based on network characteri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28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with meter at substation or with calculation of charges at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62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based on trigger spec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8Provision for limiting connection, or expend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18Commands or executable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 H04L51/224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providing notification on incoming messages, e.g. pushed notifications of received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4Enhancement of application control based on intercepted application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15/00Metering arrangements; Time controlling arrangements; Time indicating arrangements
    • H04M2215/01Details of billing arrangements
    • H04M2215/0116Provision for limiting expenditure, e.g. limit on call expenses or accou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시간 경과로 인해 더 이상 유효하지 않는 정보는 사용자에게 제공되지 않는다. 주가 정보 서버(1)가 증권 네트워크(2)로부터 갱신된 주가 정보를 획득할 때, 사전 결정된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도록 지시하며 그리고 유효 기간이 부착된 메시지가 SMS 서버(6)를 거쳐 페이징 채널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7)로 송신된다. 사용자 단말기(7)가 그 메시지를 수신하면, 그 메시지가 유효 기간 내의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만약 그 메시지가 유효 기간 내의 것으로 결정되면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애플리케이션들 중의 지시된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한다. 주가 정보 서버(1)는 다음에 기동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요청되는 주가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7)에 송신한다.

Description

모바일 통신 단말기, 정보 제공 시스템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본 발명은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모바일 텔레폰과 같은 모바일 통신 단말기와, 이러한 모바일 통신 단말기 및 이러한 모바일 통신 단말기가 보유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을 명령하는 서버를 탑재하고 있는 정보 제공 시스템과, 이러한 모바일 통신 단말기에 의해 사용되는 프로그램과, 이 프로그램이 기록될 수 있으며 컴퓨터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메시지와 같은 푸시 타입 메시지(PUSH type message)를 수신하며 그 메시지 내에 포함되는 애플리케이션 기동 커맨드를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는 기능, 게임을 재생하는 기능, 메일을 생성하는 기능, 또는 키 조작을 통해 문자열을 입력하는 기능을 갖는 모바일 통신 단말기와, 정보 제공 시스템과, 프로그램과,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우선권 주장은 2003년 9월 30일에 출원한 일본 특허 출원 제 2003-342040호, 제 2003-342041호, 제 2003-342043호, 제 2003-342375호, 제 2003-342376호, 제 2003-342377호 및 제 2003-342378호에 기초를 두고 있으며, 이들 내용들은 참조용으로 본원 명세서에 인용되고 있다.
인터넷을 통해 수행되는 e-메일로 알려진 시스템은 퍼스널 컴퓨터(PC) 또는 모바일 텔레폰 등을 사용하여 메일로서 널리 사용된다. e-메일에서, 송신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메일은 메일 서버에 임시 저장되며, 수신 단말기는 이 메일 서버에 액세스하여 자신의 주소로 신규하게 도달한 메일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질의한다. 만약 신규 메일이 존재하면, 수신 단말기는 그 메일을 자신에게 전송할 것을 요청한다. 따라서, 신규 도달 메일이 존재하는지의 여부에 상관없이, 수신 단말기는 메일 서버에 질의를 위해 소정량의 통신을 수행할 필요가 있으며, 그에 따라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비해, 모바일 텔레폰에서 제어 채널을 통해 송신되는 푸시 타입 메시지(이하 푸시 메시지 혹은 메시지로 지칭됨)는 신규 도달 e-메일의 통지로서 사용된다. 서비스명은 회사에 따라 달라진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SMS로 알려진다. SMS는 단문 메시지를 송신하고 수신하기 위한 시스템이며, 메일과 같은 메시지는 페이징 채널로서 알려진 제어 채널을 통해 SMS 서버로부터 모바일 텔레폰과 같은 수신 단말기로 송신된다. 가령, 모바일 텔레폰용 CDMA 시스템의 경우, SMS는 모바일 스테이션 등의 제어에 사용되는 페이징 채널을 통해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를 사용하여 송신된다. 이 SMS는 신규 도달 e-메일의 통지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경우, 수신 단말기는 통신 서비스의 범위 내에 존재하며, 수신 가능한 상태(즉, 서비스가 작동가능한 상태)에 있게 되며, e-메일이 e-메일 서버를 통해 SMS 서버에 도달하게 되면 이 수신의 통지가 푸시 메시지로서 수신 단말기에 즉시 송신되며, 수신 단말기는 이 통지를 수신할 수 있게 되며 신규 도달 e-메일을 자동으로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e-메일이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단말기에 주기적으로 액세스할 필요는 없으며, e-메일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질의를 위한 불필요한 통신은 수행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제어 채널이 적은 송신 능력을 가지기 때문에, 메시지는 대략 100바이트의 단문 메시지로 제한된다.
주목할 것은 SMS가 일본 미심사청구 특허출원의 공개 제 2002-320025호에 개시되고 있다는 것이다.
일본에서, SMS는 신규 도달 e-메일의 통지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사용된다. 그러나, 그것은 아래에 기술되는 애플리케이션 자동 기동 시스템에서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한 애플리케이션 자동 기동 시스템의 예는 이러한 SMS 메시지를 사용하여 모바일 텔레폰이나 PC와 같은 다른 단말기로부터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기동시키기 위해 모바일 텔레폰과 같은 모바일 통신 단말기가 보유하는 카메라 혹은 플레이어 등의 기능을 작동시키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시스템을 포함한다.
게다가, 데이터를 서버를 사용하여 모바일 텔레폰과 같은 모바일 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시스템에서, 모바일 텔레폰으로 전송되는 데이터와 관련한 메시지는 상기 서버로 송신된다. 이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텔레폰은 그 메시지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킨다. 기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이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상기 서버에 요청한 결과, 모바일 텔레폰이 보유하는 데이터는 갱신되고, 그 모바일 텔레폰은 적당한 기회에 최신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타입의 애플리케이션 자동 기동 시스템의 예는 다양한 정보(즉, 컨텐츠), 가령 주가 정보, 뉴스 및 기상 예보 정보와 같은 시시각각 변화하는 정보를 모바일 통신 단말기로 푸시 메시지를 사용하여 제공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의 모바일 통신 단말기(이하, 사용자 단말기로 지칭됨)는 전술한 다양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개의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있다. 서버가 사용자를 위한 주가 정보와 같은 신규 정보를 획득할 때, 이 주가 정보가 갱신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주기적으로 푸시 전달하기 위해서는 서버는, 주가 정보를 수신하고 SMS를 사용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푸시 메시지를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기가 보유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들 중에서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될 것을 지시하는 푸시 메시지를 생성한다. 사용자 단말기가 푸시 메시지를 수신할 경우, 그 단말기는, 수신된 메시지에 의해 지시되는, 월드 와이드 웹(WWW) 브라우저 또는 뉴스스프레더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기동시키고 그 주가 정보 등을 위해 서버에 요청을 행한다. 그 서버는 다음에 주가 정보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에 송신한다. 사용자 단말기가 이러한 방식으로 갱신된 정보를 획득하게 되면, 사용자는 주가, 뉴스, 기상 예보 등을 그 정보가 갱신될 때마다 볼 수가 있게 된다.
이러한 타입의 애플리케이션 기동에 기반한 정보 제공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는 서버로부터 원하는 정보를 자동으로 수신하고 그 정보를 임의의 조작을 수행하지 않고도 디스플레이할 수가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자동 기동 시스템으로서 지리 정보 제공 시스템이 제안된다. 이 지리 정보 제공 시스템은 모바일 텔레폰이 푸시 타입 SMS를 수신하여 지리 정보를 다운로드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도 37 및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푸시 데이터 전송 시스템이 존재한다.
도 37은 푸시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시스템 구조도이며 방범 시스템에서 그의 사용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7에서, 호출 서버(1021)가 전송될 데이터의 갱신을 확인할 경우, 그 서버는 전송되는 데이터의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모바일 통신 단말기(1022)에 송신한다. 모바일 통신 단말기(1022)는 호출 서버(1021)로부터의 호출에 응답하여 데이터가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는 상태를 스위칭시키는 응답 장치와, 데이터의 타입을 검출하는 데이터 타입 검출 장치와, 데이터의 타입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는 애플리케이션 기동 장치를 구비한다. 도 38은 모바일 통신 단말기(1022)의 개념적인 구조도이다.
카메라 장치(1023)가 비정상을 검출할 경우 그 장치는 호출 서버(1021)에 비정상 상태가 발생했음을 통지하고 또한 비정상 상태가 발생할 때마다 이미지 정보를 제공한다. 호출 서버(1021)는 인터넷(1024)을 통해 이미지 정보를 웹 서버(1025)에 업로드하고, 동시에 모바일 통신 단말기(1022)에 이미지 정보가 갱신되었다는 것을 통지하는 메시지를 송신한다. 모바일 통신 단말기(1022)는 수신된 메시지를 해석하고,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고, 웹 서버(1025)에 액세스하고, 비정상 상태가 발생할 때마다 웹 서버(1025)에 업로드되었던 이미지 정보를 다운로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모바일 통신 단말기(1022)의 사용자는 모바일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의 사용에 의한 전용 단말기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없이도 비정상 상태가 발생한 상황을 확인할 수가 있다.
푸시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사용하는 서비스는 e-메일의 자동 수신과, 재고 관리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데이터베이스의 자동 갱신을 포함한다. 전술의 시스템의 경우, 모바일 통신 단말기에 데이터 타입 검출 장치와 애플리케이션 기동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다수의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동시에 수신할 수가 있다.
종래, 모바일 텔레폰은 게임 기능과 메일 생성 기능을 포함하는 것으로 개발되었다. 이러한 타입의 모바일 텔레폰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연장된 시간 동안 조작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입력 신호의 도달을 대기하는 동안에도 게임이나 메일 텍스트를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모바일 폰을 조작하고 있는 동안 입력 신호가 도달한다면, 그 때까지 수행되던 조작으로부터의 이미지 디스플레이는 갑자기 인터럽트되고 스크린 디스플레이는 입력 호출의 통지를 제공하는 스크린 디스플레이로 변경된다. 입력 신호는 단문 메시지와 e-메일뿐 아니라 텔레폰 호출과 관련한 신호를 포함하며, 스크린 디스플레이는 동일 방식으로 스위칭된다.
특히, 전술의 SMS가, 단문 메시지 내에 저장된 식별 정보에 관련한 모바일 폰이 보유한 애플리케이션을 지정하여 그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기동시키는 서비스라면, 몇몇 경우에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은 입력 신호의 통지가 아니라 입력 신호에 의해 기동되는 애플리케이션과 관련한 통지이다. 가령,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은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었다는 통지,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되었다는 통지, 애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오류가 발생했다는 통지, 또는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요청하는 통지일 수 있다.
게임이나 메일 텍스트 메시지의 생성이 부주의하게 발생하는 입력 신호 등의 도달의 통지에 의해 인터럽트될 때 느껴지는 성가심을 방지하기 위해서 일부의 종래 모바일 텔레폰(가령, 일본 미심사청구의 특허출원 공개 제 2002-223271호 참조)에는 게임 동안 입력 신호의 도달이 생성되지 않도록 입력 신호의 도달의 대기 동작을 중단시키는 모드가 제공되어 있다.
도 39에서, 대기 동안, 음악 재생은 처리 단계 S1101에서 사용자에게 지시를 받아 개시된다. 다음에, 입력 호출 신호가 처리 단계 S1102에서 수신되면, 결정 처리 단계 S1103에서 플래그 F가 설정(set)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이러한 플래그 F는 모바일 텔레폰이 대기 동작 중단 모드에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만약 플래그 F가 설정되어 있다면(즉, F=1이라면), 입력 신호의 도달 통지 동작은 처리 단계 S1104에 의해 금지된다. 다음, 처리 단계 S1105에서, 음악 재생의 종료가 대기된다. 음악이 종료하면, 처리 단계 S1106에서 입력 신호가 도달했다는 사실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통지가 행해지며 루틴은 종료된다.
결정 처리 단계 S1103에서, 만약 플래그 F가 리셋(즉, F=0)이라면, 처리 단계 S1107이 수행된다. 처리 단계 S1107에서, 통상의 입력 신호의 도달의 경우와 동일한 방식으로 스트린상에 통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거나 또는 입력 신호의 도달을 나타내는 멜로디를 재생함으로써 통지가 수행될 수 있거나, 또는 진동기를 구동시킴으로써 통지가 수행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만약 사용자가 오프 훅(off-hook) 동작을 수행한다면, 처리 단계 S1108에서 대화 처리가 수행되고, 온 후크(on-hook) 동작은 처리 단계 S1109에서 대기된다. 온 후크 동작이 검출될 경우, 처리 단계 S1110에서, 모바일 텔레폰은 음악이 재생될 수 있는 상태로 복구되며 루틴은 종료된다.
또한, 종래, 게임이 실행되고 있는 동안 입력 신호의 도달이 검출되면, 입력 신호의 도달의 통지가 제공되지 않는 방법과, 게임 데이터가 메모리에 저장되고 입력 신호의 도달의 통지가 제공되고 다음에 게임이 개시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종래, e-메일의 텍스트를 생성하는 것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용 일본어 입력 기능을 갖는 모바일 텔레폰이 널리 사용된다. 모바일 텔레폰에는 숫자 키 0 내지 9뿐만 아니라 두개의 # 및 * 키가 제공된다. 그러나, 이러한 키를 사용하여 일본어를 입력하기란 어려우며, 다수의 조작 키가 필요하다. 일본어를 입력하는 것이 원래 난해한 것이지만, 보다 적은 문자 타입을 갖는 영어 문자열을 입력하는 것도 또한 난해하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입력될 문자열에 대한 다수의 후보자를 키 조작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입력될 문자열을 설정 조작을 수행하여 그 다수의 후보자로부터 선택하는 기능은 영어를 포함한 세계 각국의 언어용 모바일 텔레폰에서 요청된다. 일본어가 입력될 경우, 다수의 동음 이의어가 존재한다. 따라서, 퍼스널 컴퓨터에서, 입력될 문자열에 대한 다수의 후보자를 디스플레이하고 그 후보자로부터 입력될 문자열을 설정 조작을 수행하여 설정하는 기능이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원래, 이러한 기능은 모바일 텔레폰의 일본어 입력 기능에도 요청되기도 한다.
이러한 타입의 일본어 입력 기능을 갖는 모바일 텔레폰의 일예는 다음과 같다(일본 미심사청구 특허 출원의 공개 번호 H06-152711참조).
다음에, 일본어 입력 기능을 갖는 종래의 모바일 텔레폰의 일예를 사용하여 설명이 행해질 것이다.
이러한 타입의 장치에는 도 40에서 도시된 방식으로 배열되는 키들이 제공된다. "A I U E O"에 대한 5개의 가타카나 알파벳 심볼(즉, 일본어 알파벳의 정방형 형태)이 번호 1의 키(901)에 할당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KA KI KU KE KO"에 대한 가타카나 알파벳 심볼이 번호 2의 키에 할당되며, "SA SI SU SE SO"에 대한 가타카나 알파벳 심볼이 번호 5의 키에 할당되며, "HA HI HU HE HO"에 대한 가타카나 알파벳 심볼이 번호 6의 키에 할당되며, "MA MI MU ME MO"에 대한 가타카나 알파벳 심볼이 번호 7의 키에 할당되며, "YA YU YO"에 대한 가타카나 알파벳 심볼이 번호 8의 키에 할당되며, "RA RI RU RE RO"에 대한 가타카나 알파벳 심볼이 번호 9의 키에 할당되며, "WA WO N"에 대한 가타카나 알파벳 심볼이 번호 0의 키에 할당된다. 이에 부가하여, 변환 키 902 및 설정 키 903이 제공된다.
가령, 일본어 간지 문자(즉, 일본어를 쓰는데 사용되는 중국어 문자)로 "Tokyo"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TOUKIYOU"에 대한 가타카나 알파벳 심볼이 지정된다. "TO"에 대한 가타카나 알파벳 심볼은 번호 4의 키에 대응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U"에 대한 가타카나 알파벳 심볼은 번호 1의 키 901에 대응하며, "KI"에 대한 가타카나 알파벳 심볼은 번호 2의 키에 대응하며, "YO"에 대한 가타카나 알파벳 심볼은 번호 8의 키에 대응하며, "U"에 대한 가타카나 알파벳 심볼은 번호 1의 키 901에 대응한다. 따라서, 만약 "41281"이 입력되고 변환키 902가 눌러지면, 후보자 "TOUTIYOU"가 가타카나 알파벳 심볼로 디스플레이된다. 만약 변환키 902가 다시 눌러지면, "Tokyo"가 일본어 간지 문자로 디스플레이된다. 만약 설정 키 903이 눌러지면, 일본어 간지 문자로 기술되는 단어 "Tokyo"가 설정된다.
도 41에서, 스크린 상의 문자열의 디스플레이의 전이가 전술한 동작의 결과로서 910 내지 918 상태로 도시된다.
도 41에서, 일본어 간지 문자로 기록되는 "tomorrow"의 문자열의 입력이 설정되는 상태 910으로부터 숫자 키들이 순서적으로 눌러진 바로 직후, 스크린 상의 문자 입력 영역에 숫자들이 디스플레이된다(상태 911 내지 915). 만약 변환키 902가 눌러지면, 이 숫자들은 가타카나 알파벳 문자로 변환된다(상태 916). "TOUKIYOU"에 대한 가타카나 알파벳 문자에 부가하여 다른 일본어 단어가 숫자열 "41281"에 대응한다. 가령, "durability"에 대한 간지 심볼은 "TAIKIYUU"에 대한 가타카나 알파벳 심볼에 대응하며, "ninth" 및 "compensatory holiday"에 대한 간지 심볼은 "DAIKIYUU"에 대한 가타카나 알파벳 심볼에 대응하며, "prenatal care of an unborn child"에 대한 간지 심볼은 "TAIKIYOU"에 대한 가타카나 알파벳 심볼에 대응하며, "worst luck" 및 (회사의 명칭인)"DAIKYO"에 대한 간지 심볼은 "DAIKIYOU"에 대한 가타카나 알파벳 심볼에 대응하며, "work strike" 및 "large undertaking"에 대한 간지 심볼은 "DAIGIYOU"에 대한 가타카나 알파벳 심볼에 대응하며, "search","pursuit" 및 "investigation"에 대한 간지 심볼은 "TUIKIYUU"에 대한 가타카나 알파벳 심볼에 대응하며, "low-class", "regular holiday" 및 "tennis"에 대한 간지 심볼은 "TEIKIYUU"에 대한 가타카나 알파벳 심볼에 대응하며, "supply" 및 "imperial capital"에 대한 간지 심볼은 "TEIKIYOU"에 대한 가타카나 알파벳 심볼에 대응하며, (백화점 명칭인)"TOKYU" 및 "throw a ball"에 대한 간지 심볼은 "TOUKIYUU"에 대한 가타카나 알파벳 심볼에 대응하며, "same grade"에 대한 간지 심볼은 "DOUKIYUU"에 대한 가타카나 알파벳 심볼에 대응하며, "bullfighting"에 대한 간지 심볼은 "TOUGIYUU"에 대한 가타카나 알파벳 심볼에 대응하며, "the same province","Taosim" 및 "copper mirror"에 대한 간지 심볼은 "DOUKIYOU"에 대한 가타카나 알파벳 심볼에 대응하며, "same profession"에 대한 간지 심볼은 "DOUGIYOU"에 대한 가타카나 알파벳 심볼에 대응한다. 주목할 것은 "DA"에 대한 가타카나 알파벳 심볼이 "TA"에 대한 가타카나 심볼 + 음성 일치를 나타내는 음성 사운드 심볼의 조합이기 때문에, "DA"에 대한 가타카나 대신에 "TA"에 대한 가타카나가 입력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DO"에 대한 가타카나 알파벳 심볼이 "TO"에 대한 가타카나 심볼 + 음성 일치를 나타내는 음성 사운드 심볼의 조합이기 때문에, "DO"에 대한 가타카나 대신에 "TO"에 대한 가타카나가 입력된다. 변환키 902를 반복적으로 누름으로써, 이들은 스크린상에 연속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마지막으로, 설정 키 903을 누름으로써, "Tokyo"에 대한 간지 심볼이 설정된다(상태 918).
전술한 애플리케이션의 자동 기동 시스템에서는 다음의 문제가 존재한다. 가령, 사용자 단말기가 통신 서비스에 의해 커버되는 범위를 벗어나게 되거나 혹은 전력이 턴오프되는 경우, 즉 사용자 단말기가 수신불가능한 상태에 존재하는 경우, 비록 서버가 새로운 정보를 획득하고 SMS 메시지를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을 사용자 단말기에 지시하더라도, 그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기가 SMS 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으므로 기동될 수 없다. 그 후, 사용자 단말기가 다시 통신 서비스의 범위 내로 이동하게 되거나 혹은 전력이 턴온될 때, 즉 사용자 단말기가 수신가능한 상태로 될 경우, SMS 메시지가 수신되며,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며, 정보가 획득 및 디스플레이된다. 이러한 경우, 서버에 의해 요청되는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가 수신불가능한 상태에 존재하는 시간 동안 가치가 감소하거나 가치가 없을 가능성이 있다. 가령, 주가 정보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갱신되기 때문에, 비록 사용자 단말기가 일단 다시 수신가능하게 되어 SMS 메시지를 수신하고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더라도, 가장 최근 갱신 이전의 구 주가 정보만이 획득된다.
사용자 단말기가 지연된 SMS 메시지 수신에 기반하여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 유효 기간을 갖는 정보를 획득할 때 다음의 문제가 존재하게 된다.
(a) 사용자 단말기의 리소스들은 더이상 유효하지 않는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불필요하게 소모된다.
(b) 네트워크의 리소스들은 더이상 유효하지 않는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불필요하게 소모된다.
(c) 서버의 리소스들은 더이상 유효하지 않는 정보를 획득하거나 오류 처리를 위해 불필요하게 소모된다.
또한, 전술한 종래 기술에 기반한 애플리케이션 자동 기동 시스템에서 다음의 문제가 존재하게 된다.
메시지가 수신되고 모바일 텔레폰의 애플리케이션이 그 메시지에 포함되는 애플리케이션 기동 커맨드를 사용하여 기동될 때, 만약 상기 메시지가 모바일 텔레폰에 인스톨되지 않은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할려고 한다면, 그 기동은 달성되지 않고 실패로 된다. 그러나, 그 메시지 컨텐츠는 여러 번 재송될 필요가 있으며 서비스에 따라 대량의 데이터가 송신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모바일 텔레폰에서의 부하가 거대하여 사용자에게 커다란 불편을 야기한다.
애플리케이션이 세어웨어 애플리케이션과 같이 유효 기간을 첨부하고 있고, 이 유효 기간이 만료하게 되면, 그 애플리케이션은 메시지가 송신된다 할지라도 기동될 수 없다.
메시지를 송신하고 있는 사용자 혹은 서비스 제공자가 그 서비스를 중단하지 않는 한, 모바일 텔레폰에 인스톨되지 않은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할려는 메시지는 지속적으로 송신될 것이다.
게다가, 모바일 텔레폰에 인스톨되지 않은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를 중단하기 위해, 사용자는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제공된 서비스의 삭제 설정 스크린의 웹 페이지를 방문하기 위해 웹을 트레이싱하거나, 서비스 제공자의 전화 번호를 탐색하여 그에 전화하는 것과 같은 성가신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또한, 모바일 텔레폰에 인스톨되지 않은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려는 시도가 있는 경우,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서비스 제공자의 다운로드 스크린을 나타내는 웹 페이지를 방문하기 위해 웹 페이지를 트레이싱할 필요가 있다.
또한, 만약 유효 기간이 만료한 애플리케이션의 지속적인 사용이 요청된다면,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서비스 제공자의 다운로드 스크린을 나타내는 웹 페이지를 방문하기 위해 웹 페이지를 트레이싱할 필요가 있다.
또한, 팝업 윈도우를 사용하여 스크린 상에 워닝(warning)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 텔레폰의 경우, 가령 모바일 텔레폰이 서비스 영역 외부에서 서비스 영역 내로 복귀하는 경우, 만약 그 시점이 될 때까지 서버에 축적된 다수의 SMS 메시지가 수신되고 그 SMS 메시지에 대응하는 다수의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될 수 없다면, 모바일 텔레폰의 특성으로 인해 워닝을 나타내는 다수의 팝업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하며, 사용자가 팝업 윈도우를 닫는다면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의 실패를 조언하는 정보는 나중에 확인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전술한 종래의 기술의 애플리케이션 자동 기동 시스템에서, 만약 SMS 통지가 수신되면, 모바일 통신 단말기의 기능이 매너 모드(즉, 모바일 텔레폰이 다른 방식, 가령 링 톤이 제공되지는 않고 대신에 진동기에 의해 진동이 발생되는 모드로 사용되도록 설정되는 모드) 및 드라이브 모드(즉, 사용자가 현재 자동차를 운전하고 있다는 사실로 인해 텔레폰에 응답을 하지 못하다는 것을 언급하는 전화를 하는 사용자에 대해 통지가 행해지며, 그리고 링 톤이 제공되지 않고 대화가 종료되지 않고도 입력 신호의 도달이 입력 신호의 도달 이력 내에 기록되는 모드)와 같이 제한되는 상태에서도 애플리케이션이 임의의 제한없이 기동되어, 링 톤이 제공되는 것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도 42a 및 도 42b는 SMS 통지가 매너 모드로 실행될 때 종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만약 SMS 통지가 도 42a에 도시한 바와 같은 대기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동안 발생한다면, 종래에는, 모바일 텔레폰이 매너 모드에 있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애플리케이션은 아무 제한없이 기동된다. 그 결과, 도 42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애플리케이션 기동 디스플레이가 도시된다.
게다가, SMS에서, 단일 메시지 내에는 단지 소량의 데이터만이 포함될 수 있기 때문에, 단지 정보의 개요만이 전달되며, 그 정보의 세부사항은 나중에 그 정보의 논리적 위치(가령, 유니폼 리소스 로케이터(URL)에서 단말기를 사용하여 획득된다. 그러나, 그 정보가 획득될 때 일련의 동작, 즉 1: SMS 푸시 메시지 수신, 2: 애플리케이션 기동, 3: 정보 획득(즉, 네트워크 액세스)의 동작이 자동으로 처리된다. 볼륨 의존 과금 시스템(volume dependent charging system)과 같은 레이트 스케줄(rate schedule)하에서 이러한 것이 발생할 경우, 통신 요금은 사용자가 알지 못하더라도 갱신의 빈도 혹은 정보의 양만큼 지속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많은 요금이 사용자에게 부과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를 사용하는 장래의 데이터 통신 서비스에서, 교환될 데이터의 양은 데이터 통신 레이트가 증가할 수록 증가할 것이며, 그에 따라 사용자에게 부과될 재정적인 부담은 증가하게 될 것이다.
또한, 모바일 폰과 같은 모바일 통신 단말기의 성능 및 기능은 최근 몇년 동안 개선되었기 때문에, 장래에 방범 시스템의 통지 서비스(도 37 및 도 38 참조) 및 e-메일 자동 수신 서비스 등에 부가하여 다양한 푸시 데이터 전달 서비스가 제공될 것이라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서비스들이 지속적으로 다각화되고, 사용자가 단일 모바일 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다수의 전달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다면, 다수의 기동 메시지가 동시에 수신될 가능성이 있다.
특히, 만약 모바일 통신 단말기의 전력 공급이 턴오프되거나 혹은 그 모바일 통신 단말기가 통신 서비스 범위를 벗어나 있는 동안 다수의 전달 서버가 전술한 기동 메시지를 모바일 통신 단말기로 송신한다면(혹은 기동 메시지가 다수의 서비스를 위해 단일의 서버로부터 송신된다면), 모바일 통신 단말기의 전력 공급이 다시 턴온되거나 그 단말기가 서비스 범위의 외부에서 내부로 복귀할 때, 다수의 메시지가 단 시간 내에 거의 동시에 수신되는 상황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만약 모바일 통신 단말기가 그 메시지를 수신 순서로 처리한다면, 방범 시스템으로부터의 통지와 같은 매우 긴급한 정도의 통지 메시지의 처리가 나중으로 연기된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전술한 게임 기능과 메일 텍스트 생성 기능 등이 인스톨된 종래의 모바일 텔레폰에는 모바일 텔레폰의 동작시에 무선부와 게임 모드의 동작을 중단시키는 모드를 포함하는 조작 모드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타입의 모드는 만약 입력 신호의 도달이 완전히 부정된다면 이해가 쉽지만, 실제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는 입력 신호를 대기하면서 게임을 하고자 할 것이다. 게다가, 입력 신호의 도달을 부정하는 모드에서 메일의 텍스트의 생성을 수행하는 동작을 이해하는 것은 어려우며, 모바일 텔레폰의 무선부 기능은 메일이 전송될 때에만 사용가능하게 만들어지며, 이러한 동작은 사용자를 혼동시킬 가능성이 있다.
모바일 텔레폰 소프트웨어에는 데스크탑 컴퓨터에 사용되는 것과 매우 유사한 멀티프로세싱 실행 환경이 제공된다. 이러한 타입의 소프트웨어 환경에서, 모바일 텔레폰이 애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이므로 게임 모드로 설정되어야 한다고 명백한 구별을 지을 수도 없고 그렇게 할 필요도 없다. 다시 말해서, 게임이나 애플리케이션을 인터럽트한 태스크가 처리되는 동안 현재 실행중인 게임이나 애플리케이션이 동작이 배경 내에 감춰지고, 그 태스크가 종료하게 되면 인터럽트된 게임이나 애플리케이션이 재개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이러한 방식에서, 만약 입력 신호의 도달이 대기되는 동안 게임이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이라면, 종래의 기술은 스크린상에 예기치 못한 입력 신호의 도달의 통지가 나타나 동작의 오류나 사용자에게 성가심이나 놀라운 느낌을 발생시키는 문제를 야기한다.
또한, 일본어 입력 기능을 갖는 종래의 모바일 텔레폰은 문자 입력 동안 순차적으로 입력되며 아직 설정되지 않은 문자열을 디스플레이한다. 만약 텔레폰의 입력 신호가 다수의 후보자 중에서 문자열을 선택하는 동작 중간에 도달하게 된다면, 디스플레이가 입력 신호의 도달의 통지를 위한 스크린으로 스위칭하며, 문자열의 선택 동작에 집중된 사용자의 생각은 중단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만약 그 선택이 대량의 후보자로부터 행해지는 것이라면, 그 후보자들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원하는 문자열을 탐색할 필요가 있으므로, 입력 신호가 그 탐색 중에 도달하고 그 탐색이 중단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또한, 입력 신호의 도달이나 텔레폰 대화가 종료하게 되면, 디스플레이는 원래의 문자 입력 스크린으로 복구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모바일 텔레폰은 후보자가 디스플레이되는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거나 설정되지 않은 열들은 상실된다. 비록 후보자가 디스플레이되었을지라도, 사용자가 중단된 동작을 재호출하여 지속하기란 어려울 것이라는 문제가 존재하며, 만약 설정되지 않은 문자열이 상실되었다면, 사용자는 키 조작 및 후보자 선택을 처음부터 반복해야 하는 곤란한 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아래와 같이 설명되는 목표, 즉
(a) 시간의 경과로 인해 더 이상 유효하지 않는 정보가 사용자에게 공급되지 않는다는 목표,
(b) 만약 SMS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시도된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에 오류가 발생하면 사용자에게 경보를 제공한다는 목표,
(c) 비록 SMS 통지(SMS 메시지)가 모바일 통신 단말기의 기능이 제한되는 상태에서 수신될 지라도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예기치않게 기동되지 않는다는 목표,
(d) 사용자에게 알리지 않고 축적된 통신 요금을 높은 값으로 산정하는 것을 차단한다는 목표,
(e) 대량의 미처리된 기동 메시지가 제공되면, 이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는 이들을 중요도의 순서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목표,
(f) 모바일 통신 단말기가 입력 신호의 도달을 대기하면서 게임이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안 입력 신호의 도달과 관련한 통지가 디스플레이될 때 발생하는 조작의 오류 혹은 성가신 느낌을 감소시키고 사용자 우호성을 개선한다는 목표,
(g) 문자 입력 조작 동안 설정되지 않은 문자열이 디스플레이된다면, 사용자가 설정 동작을 수행할 때까지 입력 신호의 도달의 통지를 중단하지 않는 목표를 수행하는 모바일 통신 단말기, 정보 제공 시스템,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의 모바일 통신 단말기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서버에게 사전결정된 정보를 요청하여 그 정보를 수신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수신부가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도록 지시하는 메시지를 수신할 때 그 메시지에 유효 기간이 부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그 유효 기간에 기초하여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지시된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는 판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의 정보 제공 시스템은, 모바일 통신 단말기에 유효 기간이 부착되며 사전결정된 애플리케이션이 모바일 통신 단말기에서 기동되도록 지시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부 및 상기 모바일 통신 단말기에 상기 기동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요청된 사전결정된 정보를 송신하는 정보 송신부가 제공된 서버와, 상기 서버에 의해 송신되는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도록 지시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서버에게 사전결정된 정보를 요청하고 그 정보를 수신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저장부, 유효 기간이 상기 메시지에 부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그 유효 기간에 기초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들 중에서 지시된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는 제어부가 제공된 모바일 통신 단말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는 컴퓨터 상에서,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 처리와, 사전결정된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도록 지시하는 메시지가 상기 수신 처리에 의해 수신될 때, 유효 기간이 그 메시지에 부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처리와, 상기 유효 기간에 기초하여, 저장되어 있는 지시된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는 애플리케이션 기동 처리를 실행한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의하면, 더 이상 유효하지 않는 정보가 모바일 통신 단말기로는 획득되지 않기 때문에, 모바일 단말기, 네트워크 또는 서버의 리소스들은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으며 효율적인 정보 제공 서비스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의 모바일 통신 단말기는,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도록 지시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기반하여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는 기동부와, 상기 기동부가 상기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할 수 없을 경우 그 사실을 메시지 데이터로서 알리는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는 컴퓨터 상에서,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도록 지시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 처리와, 상기 수신 처리에 의해 수신된 상기 메시지에 기초하여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는 기동 처리와, 상기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기동 처리에서 기동될 수 없을 경우 그 사실을 메시지 데이터로서 알리는 정보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 처리를 실행한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의하면, 만약 SMS 메시지와 같은 메시지가 수신되고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에 오류가 존재한다면, 그 사실을 나타내는 정보가 메시지 데이터로서 생성된다. 그 결과, 간단한 방법을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경보를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측면의 모바일 통신 단말기는, 다수의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기동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메시지와 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저장된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저장하고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기동 인스트럭션에 의해 기동가능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수신부가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도록 지시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상기 저장부 내의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와 대조함으로써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그리고 상기 판정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3 측면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는 컴퓨터 상에서,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기동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메시지와 그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처리와, 그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도록 지시하는 메시지가 수신 처리에 의해 수신될 때, 그 메시지 내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 정보와 저장부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이 기동 인스트럭션에 의해 기동가능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대조함으로써 그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이 가능한지를 판정하는 판정 처리와, 판정 처리의 판정의 결과에 기초하여 그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을 제어하는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의하면, 비록 기동을 위한 SMS 메시지와 같은 통지가 사용자가 모바일 통신 단말기의 사용을 제한하는 매너 모드와 같은 상태에서 수신되더라 할지라도 특정의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지 않도록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측면의 모바일 통신 단말기는, 애플리케이션이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때 부과되는 액세스 부과량과 축적된 통신 요금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도록 지시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축적된 통신 요금이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저장부 내의 축적된 통신 요금, 및 저장부 내의 액세스 부과량에 기초하여 축적된 통신 요금에 대한 상한을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4 측면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는 컴퓨터 상에서,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도록 지시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 처리와, 축적된 통신 요금이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저장되어 있는 상기 축적된 통신 요금, 및 애플리케이션이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때 부과되는 부과량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축적된 통신 요금에 대한 상한을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처리를 실행한다.
본 발명의 제 4 측면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알리지 않고 높은 비용의 축적 통신 요금을 부과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애플리케이션이 축적된 통신 요금에 기초하여 기동되지 않을 때를 통지함으로써, 사용자는 축적된 통신 요금이 상한에 도달한 것을 알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 5 측면의 모바일 통신 단말기는, 특정의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도록 지시하는 수신된 메시지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다수의 미처리된 메시지가 저장부에 저장될 때, 제각기의 메시지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생성하는 리스트 생성부와, 그 생성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리스트에 디스플레이되는 애플리케이션들 중에서 선택되는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는 애플리케이션 기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5 측면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는 컴퓨터 상에서, 특정의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도록 지시하는 수신된 메시지를 저장하는 저장 처리와, 다수의 미처리된 메시지가 저장될 때, 제각기의 메시지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생성하는 리스트 생성 처리와, 그 생성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처리와, 리스트에 디스플레이되는 애플리케이션들 중에서 선택되는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는 애플리케이션 기동 처리를 실행한다.
본 발명의 제 5 측면에 의하면, 다수의 기동 메시지가 거의 동시에 수신되고 그리고 다수의 미처리된 기동 메시지가 존재한다면, 미처리된 기동 메시지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들의 리스트가 생성되어 디스플레이되고, 그에 따라 사용자는 기동될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할당한 메시지로부터 처리를 개시할 수 있고, 그에 의해 매우 편리한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 측면의 모바일 통신 단말기는, 입력 신호의 도달의 통지 혹은 입력 신호의 도달의 결과로서 생성되는 통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에 의한 키의 해제 이후의 경과 시간을 측정하며, 입력 신호의 도달이 완료했을 때, 측정된 경과 시간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 상에 통지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6 측면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는 컴퓨터 상에서, 입력 신호의 도달의 통지 혹은 입력 신호의 도달의 결과로서 생성되는 통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처리와, 사용자에 의한 키의 해제 이후의 경과 시간을 측정하는 키 모니터링 처리와, 입력 신호의 도달이 완료했을 때, 키 모니터링 처리에 의해 측정된 경과 시간에 기초하여 통지의 디스플레이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본 발명의 제 6 측면에 의하면, 입력 신호의 도달을 대기하면서 게임이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을 때 입력 신호의 도달과 관련한 통지가 갑자기 디스플레이될 때 발생하는 성가심과 놀라움의 느낌을 감소시키며 그에 따른 조작 오류의 발생을 차단시킬 수 있다. 또한, 모바일 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특정 모드 및 특정 애플리케이션으로 제한할 필요없이 모바일 통신 단말기의 동작의 모든 측면에서 본 발명의 효과를 획득할 수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해하고 사용하기 용이한 모바일 통신 단말기를 제공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 7 측면의 모바일 통신 단말기는, 입력 신호의 도달의 통지 혹은 입력 신호의 도달의 결과로 생성되는 통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문자 입력 조작 동안 디스플레이부 상에 설정되지 않은 문자들이 디스플레이중인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디스플레이부 상에 통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있을 때, 디스플레이부 상에 설정되지 않은 문자들이 디스플레이중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판정의 결과에 기초하여 통지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7 측면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는 컴퓨터 상에서, 입력 신호의 도달의 통지 혹은 입력 신호의 도달의 결과로 생성되는 통지를 디스플레이하는 통지 디스플레이 처리와, 문자 입력 조작 동안 디스플레이부 상에 설정되지 않은 문자들이 디스플레이중인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처리와, 통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있을 때, 디스플레이부 상에 설정되지 않은 문자들이 디스플레이중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판정의 결과에 기초하여 통지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본 발명의 제 7 측면에 의하면, 설정되지 않은 문자들이 문자 입력 조작 동안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 중이라면, 입력 신호의 도달의 통지가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설정 동작을 수행할 때까지 입력 신호의 도달의 통지에 의한 인터럽트가 발생하지 않는 효과를 획득한다. 그 결과, 텔레폰 대화가 종료한 후, 그리고 스크린이 원래의 문자 입력 스크린으로 복귀한 후에, 다음의 문자 입력부터 다시 시작할 수 있으며, 입력 조작을 통한 일부분의 처리가 완료한 작업은 낭비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의 집중이 중단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성가심의 느낌을 야기하지 않고도 사용이 편리한 모바일 통신 단말기를 제공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는 전술한 측면의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있다.
(제 1 실시예)
본 발명에서, 애플리케이션 기동 인스트럭션이 서버에서 모바일 통신 단말기로 제공될 때 유효 기간이 설정되며, 모바일 통신 단말기는 유효 기간이 만료한 기동 인스트럭션을 준수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애플리케이션 기동에 기반한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본 발명은 서버가 사용자에게 주가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시스템에 적용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시스템은 주가 정보 서버(1)와, 상기 주가 정보 서버(1)로부터 사용자에게 SMS 메시지를 송신하는 SMS 서버(6)와, 사용자에게 속하는 모바일 통신 단말기로서 기능하는 사용자 단말기(7)와, 상기 주가 정보 서버(1), 상기 SMS 서버(6)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7)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모바일 교환 시스템(8)에 의해 형성된다. 모바일 교환 시스템(8) 및 사용자 단말기(7)는 2개의 송신 경로, 즉 데이터 통신용으로 사용되는 트래픽 채널과 SMS(즉, 푸시 메시지) 통신용으로 사용되는 페이징 채널에 의해 접속된다.
주가 정보 서버(1)는 증권 거래소 및 증권 회사로 형성되는 증권 네트워크에 접속된다. 주가 정보 서버(1)는 로컬 주가 데이터베이스(DB)(3) 및 사용자 데이터베이스(DB)(4)를 갖는다. 거래중인 주가에 관한 정보는 로컬 주가 데이터베이스(3)에 기록되며, 그 주가 정보는 실시간으로 갱신된다. 주가 정보 제공 서비스를 수신하고 있는 사용자가 보유하는 주식종목의 명칭, 보유 주식의 수, 사용자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구입가 등은 미리 사용자 데이터베이스(4)에 기록된다. 도 2는 로컬 주가 데이터베이스(3)에 기록된 컨텐츠의 예를 도시하며, 도 3은 사용자 데이터베이스(4)에 기록된 컨텐츠의 예를 도시한다.
주가 정보 서버(1)가 증권 네트워크(2)로부터 주가에 관한 갱신 정보를 수신할 경우, 갱신된 주식이 사용자 데이터베이스(4)에 기록된 주식인지의 여부에 관한 판정이 행해진다. 만약 그 갱신 주식들이 사용자 데이터베이스(4)에 기록된 주식이라면, 갱신 기동 처리가 행해진다. 이 갱신 기동 처리에서,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를 위한 주가 갱신 정보가 로컬 주가 데이터베이스(3) 및 사용자 데이터베이스(4)에 저장된 정보로부터 생성되며, 임시 저장부(5)에 공간이 획득되며 이 공간에 정보가 저장된다.
다음, 주가 정보 서버(1)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4)에 저장된 사용자의 SMS 어드레스로의 데이터를 갱신하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애플리케이션 기동 메일을 전송한다. 이러한 기동 메일의 컨텐츠 내에는 이 메일이 특수 메시지라는 것(즉,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을 지시하는 메시지라는 것)을 나타내는 2바이트의 바이너리 코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코드, 애플리케이션 기동 메시지 및 이 메일의 유효 기간의 일시가 기록된다.
사용자 단말기(7)가 SMS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에 있는 경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SMS 메시지는 SMS 서버(6)와 모바일 교환 시스템(8)을 거쳐 페이징 채널을 통해 수신된다.
사용자 단말기(7)가 SMS 메시지를 수신할 때의 처리의 플로우챠트가 도 7에 도시된다.
사용자 단말기(7)가 전술한 SMS 메시지를 수신할 때, 먼저 SMS 메시지의 텍스트의 최초의 2개 바이트가 인식되고, 그들이 그 메시지가 특수 메제지라는 것을 나타내는 바이너리 코드인지에 대한 판정이 행해진다(단계 S1). 만약 그 메시지가 특수 메시지가 아니라면, 통상의 SMS 메시지 수신 처리가 수행된다(단계 S2). 만약 그 메시지가 특수 메시지라는 것을 바이너리 코드가 나타내면, 기동될 애플리케이션 코드가 판독되고, 애플리케이션 코드가 애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될 때에 등록된 도 8에 도시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상에 기록되어 있는지에 관한 판정이 행해진다(단계 S3). 만약 기동될 애플리케이션 코드가 그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상에 기록되어 있지 않다면, 그 애플리케이션은 기동되지 않으며, 기동되지 않는 이유가 로그(log)에 기록된다(단계 S6). 다음, 유효 기간이 그 기동 메시지에 부착되는지에 관한 판정과, 그 기동 메시지가 유효 기간 내에 수신되는지에 관한 판정이 행해진다(단계 S4). 만약 기동 메시지가 유효 기간 내에 수신된다면, 그 애플리케이션 리스트에 기록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된다(단계 S5). 만약 기동 메시지가 유효 기간 내에 수신되지 않는다면, 그 애플리케이션은 기동되지 않으며, 기동되지 않는 이유가 로그에 기록된다(단계 S6).
기동 메시지가 유효 기간 내에 수신되는지에 관한 판정(단계 S4)은 도 9에 도시된 절차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먼저, 유효 기간의 시각이 절대 시각(가령, 2003년 9월 11일 9:48 AM 0초)으로서 그 메시지 내에 기록되어 있는지에 관한 체크가 행해진다(단계 S11). 절대 시각은 UNTL 헤더(도 5 참조)와 함께 기록된다. 따라서, UNTL 헤더가 메시지 내에 기록되어 있는지에 관한 판정이 행해지고, 만약 기록되어 있다면 그의 절대 시각은 유효 기간의 시각으로서 간주된다(단계 S12). 만약 UNTL 헤더가 기록되어 있지 않다면, 유효 기간이 그 메시지 내에 기록되어 있는지가 체크된다(단계 S13). 유효 기간이 WHLE 헤더(도시안됨)와 함께 기록된다. 만약 WHLE 헤더가 메시지 내에 기록되어 있다면, 이 유효 기간과 SMS 메시지의 헤더 내에 기록되어 있는 주가 정보 서버(1)로의 메시지의 저장 시각을 가산함으로써 획득된 값은 유효 기간의 시각으로서 계산된다(단계 S14). 일반적으로, 정보 제공 서버(여기서는 주가 정보 서버(1))로부터 SMS 서버(6)로의 메일의 전송은 즉시 수행되며, 메시지 저장 시각과 정보 제공 서버가 그 메시지를 송신할 때의 시각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으로서 간주될 수 있다.
UNTL 헤더나 WHLE 헤더 어느 것도 기록되어 있지 않다면, 도 10에 도시된 애플리케이션 타입의 리스트가 체크된다(단계 S15). 애플리케이션 타입 리스트에서, 유효 기간은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타입에 대해 기록된다. 애플리케이션의 타입은, 가령 주가 서비스, 기상 예보 서비스, 뉴스 서비스, 알람 서비스, 게임 등을 포함한다. 유효 기간이 기록된다면, 이 유효 기간과 SMS 메시지의 헤더에 기록된 서버로의 메시지의 저장 시각을 가산함으로써 획득되는 값은 유효 기간의 시각으로서 계산된다(단계 S16). 만약 유효 기간이 기록되어 있지 않다면, 가령 2099년 12월 31일과 같이 유효 기간이 없거나 비실용적인 유효 기간이 설정된다(단계 S17)
사용자 단말기(7)는 메일에 첨부된 파라미터를 갖는 애플리케이션 strenew를 기동시킨다. 애플리케이션 strenew는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주가 정보 서버(1)로부터 갱시된 정보를 획득한다. 필요하다면, 사용자 단말기(7)는 인터넷에 자동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만약 갱신을 위한 액세스가 애플리케이션 strenew로부터 행해진다면, 주가 정보 서버(1)는 상기 임시 저장부(5)를 검색하여 사용자 코드와 일치하는 모든 갱신된 정보를 모바일 교환 시스템(8)을 거쳐 트래픽 채널을 통해 송신한다. 데이터 송신이 종료하게 되면, 갱신 정보는 임시 저장부(5)로부터 삭제된다. 사용자 단말기(7)가 갱신된 정보를 획득하게 되면, 이 단말기는 주가가 변경되었다는 사실을 디스플레이하며 도 11에 도시된 갱신된 통지 스크린을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한편, 주가 정보 서버(1)는 다운로딩이 종료된 사용자용 주가 갱신 정보를 삭제하고 그 주가 갱신 정보용으로 획득되었던 저장 공간을 해제한다. 그 날에 대한 거래가 종료할 때, 그 날을 요약하는 갱신 정보가 생성되며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갱신이 행해진다.
전술한 것은 본 발명이 사용자에게 주가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서버 시스템에 적용될 경우를 설명하고 있으며, 그리고 주가 정보 서버(1)가 e-메일 서버(즉, 정보 제공 서버)로서 사용되는 일예를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른 타입의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적용될 수도 있다. 가령, 본 발명은 주가 정보 서비스, 기상 예보 서비스, 뉴스 서비스, 알람 서비스 및 게임과 같이 도 10에 기술된 다양한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에 적용될 수도 있다. 기상 예보 서버, 뉴스 서버, 알람 서버, 게임 서버 등은 제각기 각각의 경우의 서버로서 사용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사용자 단말기(7)로서 기능하는 모바일 통신 단말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에서, CPU(10)는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며, 또한 주가 정보 서버(1)와 같은 서버로부터의 SMS 메시지에 유효 기간이 첨부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CPU(10)는 그 메시지의 유효 기간을 결정하고, SMS 메시지에 포함된 인스트럭션에 기반하여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을 제어한다. 통신부(11)는 서버와의 SMS 메시지 및 e-메일 통신을 수행하며, 통상의 모바일 폰과 같은 모바일 통신 단말기의 통신 기능을 갖는다. 애플리케이션 저장부(12)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다수의 서비스에 해당하는 다수의 타입의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및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유효 기간 등은 애플리케이션 저장부(12)에 기록된다. 키 및 디스플레이부(13)는 조작 키를 구비하여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주가 정보와 같은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ROM(14)은 CPU(10)의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RAM(15)은 태스크를 작업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 2 실시예)
본 발명에서, SMS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시도되는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시에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와, 그 사실을 나타내는 기동 오류 메시지가 생성 및 디스플레이되는 경우를 기술하고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와 관련한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3에서, 컨텐츠 서버(101)에 의해 모바일 텔레폰(102)으로 향해 전달되는 정보는 패킷 네트워크(103)를 거쳐 SMS 서버(104)에 의해 수신된다. 만약 모바일 텔레폰(102)이 CDMA 타입의 텔레폰이라면, SMS 서버(104)는 페이징 채널을 통해 푸시 메시지르 송신하며, 송신된 푸시 메시지는 모바일 텔레폰(102)에 의해 수신된다. 이러한 경우, 모바일 텔레폰(102)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거나 푸시 메시지의 송신과 동시에 트래픽 채널을 통해 텔레폰 통화를 수행할 지라도, 메시지 수신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모바일 텔레폰(102)이 푸시 메시지를 수신할 경우, 그 텔레폰은 이 푸시 메시지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며, 트래픽 채널을 통한 데이터 통신을 위해, 패킷 제공 데이터 노드(PSDN)(105)를 거쳐 컨텐츠 서버(101)과 통신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SMS는 메시지의 송신 및 수신을 위해 사용되지만, SMS 대신에 e-메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모바일 통신 단말기로서 기능하는 모바일 텔레폰(102)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제어부(123)가 안테나(121) 및 무선부(122)를 통해 푸시 메시지를 수신할 경우, 그 제어부는 SMS 론처(124)를 기동시킨다. 제어부(123)는 음성 처리부(125), 조작부(126), 디스플레이부(127), SMS 론처(124), 메일러(128), 및 애플리케이션부(129)의 통합 제어를 수행한다. 다수의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부(129)에 저장된다.
SMS 론처(124)에는, 푸시 메시지에 포함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해석하는 유닛과, 상기 해석의 결과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는 유닛과,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킬 수 없을 경우 오류 메시지를 생성하고 그리고 그 오류 메시지와 푸시 메시지의 정보를 포함하는 SMS 메시지(이후에 기동 오류 SMS 메시지로 지칭됨)를 생성하는 생성 유닛과, 기동 오류 SMS 메시지를 상기 메일러(128)에게 송신하는 송신 유닛이 제공된다. 메일러(128)는 푸시 메시지 및 e-메일을 수신 및 저장하고, 조작부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부(127)에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15는 SMS 론처(124)의 동작 시퀀스를 나타낸다.
모바일 텔레폰(102)이 SMS 메시지를 수신할 경우(단계 S101), SMS 메시지는 SMS 론처(124)로 송신된다. SMS 론처(124)는 SMS 메시지가 애플리케이션 기동 메시지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단계 S102). 만약 SMS 메시지가 애플리케이션 기동 메시지가 아니라면, SMS 메시지가 단지 단문 메시지이기 때문에 있는 그대로 메일러(128)로 송신된다.
만약 SMS 메시지가 애플리케이션 기동 메시지라면, SMS 메시지는 해석된다(단계 S103). 애플리케이션 명칭 혹은 푸시 메시지 서비스 명칭, (텔레폰 번호 및 e-메일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자의 세부 연락처, 혹은 (본 실시예의 경우, 서비스 삭제 설정 URL이 사용되는) 서비스를 위한 설정 URL, 및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될 경우에 요청되는 파라미터는 애플리케이션 기동 메시지로부터 추출된다.
애플리케이션부(129) 내의 해당 애플리케이션은 다음에 애플리케이션 기동 메시지의 해석의 결과에 기초하여 기동된다(단계 S104). 만약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될 수 없다면(즉, 단계 S105에서의 판정의 결과가 아니오라면), 애플리케이션 명칭 혹은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푸시 메시지 서비스 명칭, 서비스 삭제 설정 URL 어드레스,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될 수 없는 이유를 포함하고 있는 오류 메시지, 및 푸시 메시지가 수신된 시각이 텍스트 데이터 기동 오류 SMS 메시지로서 생성된다(이러한 것은 SMS 메시지에 국한되지 않으며 e-메일과 같은 메시지 데이터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단계 S106). 다음에 이러한 메시지는 메일러(128)에게 송신된다(단계 S107).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될 수 없는 이유는 애플리케이션이 모바일 텔레폰 상에 인스톨되지 않았다는 사실과, 애플리케이션의 유효 기간이 만료했다는 사실과, 혹은 SMS 메시지에 포함된 SMS 메시지의 유효 기간을 초과한 사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은 SMS 메시지의 데이터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통상의 SMS 메시지는 단문 텍스트 메시지이지만, 애플리케이션 기동을 위한 SMS 메시지는 바이너리 데이터이다.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기 위한 SMS 메시지는 주로 서비스 제공자에 관한 정보 및 애플리케이션 제공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그 SMS 메시지는 가령, 서비스의 명칭, 서비스 제공자의 명칭, 애플리케이션 제공자의 명칭, 애플리케이션의 명칭, 서비스 제공자의 텔레폰 번호, 서비스 제공자의 URL, 서비스 제공자의 e-메일 어드레스, 애플리케이션 제공자의 텔레폰 번호, 애플리케이션 제공자의 URL, 및 애플리케이션 제공자의 e-메일 어드레스를 포함한다.
도 16에 도시된 데이터 구조의 예에는 SMS 메시지가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기 위한 SMS 메시지인지 혹은 통상의 텍스트 SMS 데이터인지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헤더와, 푸시 메시지의 서비스의 명칭 혹은 애플리케이션의 명칭, 서비스 삭제 설정 URL 어드레스, 및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킬 때 요청되는 파라미터가 포함된다. 주목할 것은 서비스 삭제 설정 URL 어드레스 대신에, 서비스 지속 설정 URL 혹은 서비스 가입자 설정 URL이 사용될 수도 있거나 혹은 이러한 모든 것 외의 것이 포함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도 17은 기동 오류 SMS 메시지의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주가 정보 서버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제공되지 않을 경우의 예이다.
메일러(128)는 사용자가 원할 경우 혹은 SMS 메시지가 수신될 경우에 기동된다. 만약 메일러(128)가 기동 오류 SMS 메시지를 수신한다면, 그 메일러는 그 메시지를 저장하고 그것을 판독되지 않은 SMS 메시지 혹은 e-메일로서 디스플레이한다. 송신기 및 타이틀이 기동 오류 SMS 메시지에 포함되므로, 기동 오류 SMS 메시지의 컨텐츠들이 도 17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스트로서 디스플레이된다면 그 컨텐츠들을 즉시 조사할 수가 있다. 만약 사용자가 기동 오류 SMS 메시지를 선택한다면, 그것은 도 17의 우측에 도시되며, 기동 오류가 발생한 애플리케이션 혹은 서비스의 명칭, 및 서비스 삭제 설정이 행해질 수 있는 URL이 디스플레이된다.
만약 사용자가 주가 정보 서비스의 종료를 원한다면, 간단히 도 17에 도시된 삭제 설정의 URL을 선택함으로써 브라우저는 기동되며, 일단 사전결정된 설정이 행해지면 그 서비스는 삭제될 수 있다. 또한, 비록 도면에서는 생략되었지만, 만약 텔레폰 번호가 서비스 삭제 설정 대신에 SMS 메시지 내에 포함되고 이 텔레폰 번호가 선택된다면, 서비스 제공자로의 텔레폰 호출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기동 오류 메시지의 데이터가 사용자가 그 기동 오류 SMS 메시지를 삭제하지 않는한 SMS 메시지로서 보유하고 있으므로, 만약 사용자가 기동 오류 SMS 메시지를 관찰하여 서비스 제공자에 액세스한다면, 사용자는 언제든지 애플리케이션 기동 서비스의 오류를 삭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의 효과, 즉 (a) 만약 SMS 메시지가 수신되고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시에 오류가 존재한다면, 그의 정보를 메시지 데이터로 변환하고 그것을 메시지 데이털서 저장하며 그것을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경보(워닝)를 제공할 수 있으며, (b) SMS 메시지가 수신되고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에 오류가 존재하고, 서비스 제공자 정보가 텍스트 메시지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되고, 그 메시지가 선택된다면, (브라우저를 기동시키기 위한 URL을 선택하는 것과 같이) 연관된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는 그 서비스를 쉽게 종료할 수 있거나, 그 서비스를 지속할 수 있거나, 혹은 그 서비스에 가입할 수 있고, (c) 대량의 SMS 메시지가 동시에 수신되고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시에 오류가 존재할지라도, 그 SMS 메시지가 메시지 데이터로서 저장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팝업 윈도우 상에 기동 오류 SMS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한번에 팝업 윈도우를 닫는 것 같은 복잡한 동작을 수행할 필요없이, 원할 경우 언제든지 오류에 대한 이유를 메시지 데이터로서 관찰할 수가 있으며, (d) 메시지 데이터 내에 송신기 정보 및 타이틀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는 SMS 리스트를 관찰할 경우 SMS 메시지의 컨텐츠를 즉시 조사할 수가 있다는 효과를 얻는다.
주목할 것은, 기동 오류 메시지를 저장하고 그것을 스크린상에 텍스트 혹은 팝업으로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그의 컨텐츠에 관해 통지하는 것 이외에, 통상의 메시지를 신규 도달 메시지로서 디스플레이하거나, LED 등의 턴온이나 점멸이나, 진동기 들을 사용한 진동이나, 스피커 등을 사용한 사운드 출력에 의해 통상의 메시지가 수신될 경우와 동일한 방식으로 통지가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제 3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이 SMS 통지(즉, 메시지) 내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 정보와 모바일 통신 단말기의 상태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모바일 통신 단말기의 상태로 인해 기동이 제한되는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는 시도는 행해지지 않는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자동 기동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18은 다른 모바일 단말기(202) 혹은 PC(203)로부터 cdma2000 1x와 1xEVDO를 조합함으로써 형성되는 하이브리드 모바일 단말기와 같은 모바일 단말기(201)에 대해 애플리케이션 기동을 위한 푸시 타입의 SMS 통지가 행해질 경우의 네트워크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모바일 단말기(202)로부터 통지가 행해질 경우, 그것은 cdma2000 1x 베이스 스테이션(204), 교환 스테이션(205), 인터넷과 같은 전화선 네트워크(206), 교환 스테이션(207), 및 cdma 2000 1x 베이스 스테이션(208)을 거쳐 전달된다. PC(203)로부터 통지가 행해질 경우, 그것은 인터넷 네트워크(IP 네트워크)(209), 게이트웨이(G.W.)(210), 교환 스테이션(207), 및 cdma2000 1x 베이스 스테이션(208)을 거쳐 전달된다. 모바일 단말기(201) 및 PC(203) 간의 고속 패킷 통신은 IP 네트워크(209), 교환 스테이션(211), 및 1xEVDO 베이스 스테이션(212)을 거쳐 수행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모바일 통신 단말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9에서, ROM부(219)에 저장된 SMS 론처(391)에는 모바일 단말기(202) 혹은 PC(203)로부터 SMS 통지 내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해석하고 매너 모드에 있을 때 애플리케이션 기동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유닛이 제공된다.
다수의 애플리케이션은 RAM부(220) 내의 애플리케이션부(402) 내에 저장된다. 애플리케이션 정보 및 자동 기동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는 전술한 판정에 필요하며, RAM부(220) 내의 데이터베이스(401) 내의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저장된다.
이에 부가하여, 모바일 통신 단말기에는 통상의 모바일 텔레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음성 처리부(214), 송신부(215), 수신부(216), 디스플레이부(217), 조작부(218), 안테나(221), 무선부(222) 등이 제공된다. 또한 제어부(213) 내의 CPU용 프로그램이 ROM부(219) 내에 저장된다.
도 20은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해석하고 판정을 수행하기 위해 SMS 론처(391) 내의 판정 유닛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베이스(401)의 구조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0에서, A열은 모바일 단말기(201) 내에 인스톨된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번호를 도시하며, B열은 그의 애플리케이션의 명칭을 도시한다. C열은 통상 운영을 위한 자동 기동 설정의 ON/OFF 분류를 도시하며, D열은 매너 모드를 위한 자동 기동 설정의 ON/OFF 분류를 도시한다. 이 ON/OFF는 애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기동되는지 혹은 자동으로 기동되지 않는지를 나타낸다. 이러한 데이터 항목은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저장된다(여기서 00 내지 10).
가령, 애플리케이션 번호 01에 대해 기록된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은 통상의 동작 동안 자동 기동 설정이 ON일 경우 기동되지만, 매너 모드에서 자동 기동 설정이 OFF일 경우 기동되지 않는다. 이러한 것은 사용자가 매너 모드에서 자동 기동 제한을 적용하고자 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효과적이다. 애플리케이션 번호 10에 대해 기록된 GPS 애플리케이션은 자동 기동 설정이 ON일 경우 통상 모드에서 기동된다. 또한, 그것은 자동 기동 설정이 ON일 경우 매너 모드에서 기동된다. 이러한 것은 사용자가 매너 모드에서 자동 기동 설정 제한을 적용하고자 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효과적이다.
전술한 구조에 기반한 동작은 도 21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제어부(213)가 안테나(221) 및 무선부(222)를 거쳐 SMS 통지를 수신할 경우, 제어부는 SMS 론처(391)를 기동시켜 SMS 통지 내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해석한다(단계 S201). 즉, 제어부는 SMS 통지 내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 정보와 데이터베이스(401) 내의 각각의 정보를 대조하며, 데이터베이스(401) 내의 정보와 정합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에 대해, 도 20의 D열에 기반한 매너 모드에서 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ON/OFF 설정을 결정한다(단계 S202). 또한, 제어부(213)는 모바일 통신 단말기가 현재 매너 모드에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며, 만약 자동 기동이 매너 모드에서 ON인 경우라면 기동 처리(S203)를 수행한다. 만약 자동 기동이 매너 모드에서 OFF라면, 기동 무효 처리가 수행되며 이러한 것은 디스플레이부(217)에 디스플레이된다(단계 S204).
도 22a 및 도 22b는 SMS 통지가 매너 모드에서 제공될 경우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a에 도시한 대기 디스플레이 동안 SMS 통지가 도달하고 모바일 통신 단말기가 매너 모드에 놓여지고, 애플리케이션이 판정 결과에 따라 기동될 수 없을 경우에, 타임스탬프 및 이유를 포함하는 SMS 통지에 기반하여 애플리케이션 자동 기동 결과는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팝업 윈도우 혹은 풀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의해 도시되고 그에 따라 사용자는 이러한 사실을 알 수 있게 된다. 동시에, 사용자는 또한 이러한 사실을 입력 신호의 도달 램프의 플래싱 패턴에 의해 알 수가 있게 된다.
판정 결과가 기동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면, 사전결정된 시간 이후에 또다른 판정이 행해질 수 있으며, 만약 매너 모드가 삭제되었다면 기동이 가능하거나 혹은, 매너 모드가 사전결정된 기간 내에 삭제된다면 기동이 가능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이 매너 모드에서 가능한지에 관한 판정의 설명이 행해진다. 그러나, 위의 설명은 모바일 통신 단말기의 일부 기능 혹은 다른 기능이 매너 모드 이외의 모드, 가령 인접 사람들에 방해를 가하지 않도록 사운드 혹은 광을 제공하는 모드, 즉 드라이브 모드, 에너지 보존 모드(디스플레이를 흐리게 함으로써 에너지 소비를 감소시키는 모드), 무음 모드(즉, 링 톤이나 진동을 작동시키지 않는 모드)로 제한되는 모드에서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이 가능한지에 관한 판정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전술한 모드에서 자동 기동 설정은 ON 혹은 OFF 만의 설정일 것이다. 만약 자동 기동 설정이 단지 OFF이고, 설정이 행해지지 않으면, 자동 기동은 이 모드로 행해진다. 만약 자동 기동 설정이 ON 이고 설정이 행해지지 않으면, 자동 기동은 이 모드로 행해지지 않는다.
(제 4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 푸시 메시지가 수신될 때마다, 기동될 애플리케이션과 그의 코스트가 체크되며, 그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 네트워크에 액세스함으로써 생성되는 요금에 부가되는 축적된 통신 요금의 합이 축적된 통신 요금에 대한 상한 설정치를 초과할 것인지에 관한 체크가 행해진다. 그 애플리케이션은 상한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만 기동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SMS 시스템의 구조도는 제 2 실시예를 언급하는 도 13의 구조도와 동일하며, 그의 전체 동작은 제 2 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도 13에서, 컨텐츠 서버(101)는 모바일 단말기(102)의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을 위한 정보를 패킷 네트워크(103)를 통해 전송한다. SMS 서버(104)는 이 정보를 수신하고, 이 정보를 푸시 메시지로서 통상의 페이징 채널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102)로 전송한다. 모바일 단말기(102)는 푸시 메시지를 페이징 채널을 통해 수신하며, 그 결과 페이징 채널과 나란한 트래픽 채널을 통해 데이터 통신 및 대화를 수행할 수가 있다.
모바일 단말기(102)가 푸시 메시지를 수신할 경우, 그 푸시 메시지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한다. 이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트래픽 채널을 통한 PSDN(105)을 통해 컨텐츠 서버(101)를 사용함으로써 통신이 개시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모바일 통신 단말기로서 기능하는 모바일 단말기(102)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4a 및 도 24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제 4 실시예의 구조 및 동작은 도 23, 도 24a 및 도 24b를 사용하여 기술될 것이다.
먼저, 푸시 메시지 수신부(521)는 SMS 서버(104)로부터 푸시 메시지를 수신한다(도 24a의 단계 S501). 수신된 푸시 메시지의 컨텐츠는 푸시 메시지 해석부(522)에 의해 해석되며(S502), 어떤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될지가 결정된다. 그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ID는 푸시 메시지 내에 포함되며, 이 ID 및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보유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 정보는 사전에 모바일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 정보 축적부(523) 내에 저장되어 있다. 다수의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부(529) 내에 저장된다.
애플리케이션 정보 구조의 일예는 도 25에 도시된다.
이 애플리케이션 정보는 푸시 메시지가 수신될 경우 푸시 메시지와 관련한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기동시킬 것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와, 도 23에 도시된 네트워크 액세스부(524)를 사용하여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그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요금이 생성될 것이지의 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도 23에서, 애플리케이션 기동부(525)는 기동이 결정된 애플리케이션이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기동될 것이지의 여부를 체크하고(S503), 만약 자동 기동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 애플리케이션은 기동되지 않는다. 이 때, 만약 애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기동되지 않았다는 사실과 관련한 통지를 행하기 위한 설정이 행해졌다면, 통지부(526)는 사용자에게 이 사실을 통지한다. 한편, 만약 자동 기동이 설정되었다면,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사용하여 컨텐츠의 사용에 요금이 부과될 것인지에 관한 체크가 행해진다(S504). 만약 요금이 부과되지 않는다면,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된다(S505). 만약 통지 설정이 행해졌다면, 애프리케이션이 기동되었다는 통지가 사용자에게 행해진다. 만약 컨텐츠의 사용으로 요금이 부과된다면, 요금이 체크된다.
만약 컨텐츠의 사용으로 요금이 부과되면, 애플리케이션 기동부(525)는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고 네트워크에 액세스함으로써 발생되는 요금에 현재의 축적된 통신 요금의 합이 사용자를 위해 사전에 설정되어 있던 축적된 통신 요금의 상한값을 초과하는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506). 만약 이 합이 상한값을 초과하지 않는다면,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된다(S505). 만약 합이 상한값을 초과한다면, 애플리케이션은 기동되지 않는다. 이 때, 자동 기동이 발생하지 않았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설정이 행해졌거나 혹은 자동 기동이 발생하지 않았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설정이 행해지지 않았거나에 상관없이, 통지부(526)에 의해 사용자에게 통지가 행해진다(S507). 그 결과, 사용자는 축적된 통신 요금이 설정되어 있는 축적된 통신 요금의 상한값에 도달하였다는 것을 알게 되며, 필요하다면, 사용자는 상한값을 높이는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 유닛(도시안됨)을 사용할 수가 있다.
통지부(526)는 스피커, LED, LCD, 및 진동기 등을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사운드, 광, 스크린 디스플레이, 진동 등으로 통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 24b는 애플리케이션 기동에서 행해진 사용자에 대한 통지와 관련한 플로우챠트이다.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될 경우(S511), 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통지가 설정되었는지의 여부에 관한 체크가 행해진다.(S512). 만약 통지가 설정되었다면, 애프리케이션이 기동되었다는 통지가 사용자에게 행해진다(S513).
도 26은 사용자에 대한 통지에 대한 조건과 애플리케이션 기동 조건들 간의 관계 매트릭스를 도시하고 있다.
요금이 부과되는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고 데이터 통신이 수행되거나 서비스가 수신될 경우, 요금은 통신 요금 계산부(527)에 의해 계산되며, 통신 요금 정보는 통신 요금 정보 축적부(528)에 축적된다. 또한, 축적된 통신 요금은 갱신된다. 만약 통신 요금이 매월 통신 요금으로서 계산된다면, 각각의 월의 말에 축적된 요금을 리셋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일부의 경우, 축적된 통신 요금의 상한값에 도달하게 되더라도,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사용자는 요금에 신경을 쓰지 않으며 정보를 계속하여 획득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 대처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의 정보의 속성값으로서 아래에 기술하는 바와 같은 설정을 부가할 수가 있다. 가령,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자동 기동과 네트워크 액세스가 허용되는 설정이나, 사용자의 기호 및 수신 간격에 따라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우선순위가 설정되는 설정이 이러한 것에 기반하여 제어된다. 대안적으로,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축적된 통신 요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여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상한값을 설정할 수가 있다. 도 27은 애플리케이션 정보의 확장된 예이다.
만약 축적된 통신 요금의 상한값에 도달하게 되고 자동 기동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에 SMS 서버(104)에 의해 후속의 푸시 메시지가 송신되지 않는 설정을 만들 수가 있다. 특히, SMS 서버(104)로 송신 중단 요청이 송신되며, 사용자가 축적된 통신 요금의 상한값을 높이거나 축적된 통신 요금을 재설정하는 것 중의 하나를 수행할 경우, 송신을 재개하는 요청이 SMS 서버(104)로 송신되고 SMS 서버(104)는 송신을 재개하도록 허용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애플리케이션 기동과 관련한 통지가 행해지지 않도록 설정이 행해졌다하더라도, 통신 요금의 상한값에 도달하게 되고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지 않는다면, 사용자에게 이 사실을 통지함으로써, 이러한 사실과, 자동 기동이 존재하는 통상의 동작 간의 구별을 행할 수 있고, 사용자는 통신 요금의 상한값에 도달하였음을 알 수가 있다. 사용자의 축적된 통신 요금의 상한값으로 인해 애플리케이션이 푸시 메시지의 수신에 의해서는 기동되지 않도록 설정을 행함으로써, 비록 레이트 스케쥴이 볼륨 의존 과금 시스템일지라도, 사용자는 통신 비용을 고정된 양 미만으로 유지할 수가 있다. 자동 기동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리소스 소비를 제어하여 배터리의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 5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 다수의 미처리된 기동 메시지가 존재할 경우, 그 미처리된 기동 메시지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가 생성 및 디스플레이되며, 사용자는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리스트에 기초하여 기동하고자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가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모바일 통신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8에서, 무선부(601)는 무선 링크를 거쳐 서버와의 데이터 송신 및 수신을 수행한다.
메시지 송신 및 수신부(602)는 무선부(601)를 거쳐 서버 및 다른 단말기와 SMS 메시지 데이터를 교환한다.
메시지 해석부(603)는 수신된 SMS 메시지를 해석하며 수신된 SMS 메시지가 통상의 SMS 메시지인지 푸시 데이터 전달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기동 메시지인지를 판정한다.
기동 메시지 저장부(604)는 애플리케이션 기동 메시지를 임시로 저장한다.
애플리케이션 기동부(605)는 애플리케이션 기동 메시지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킨다.
애플리케이션 A, B, C로 도시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606)은 푸시 데이터 전달 서비스를 위한 프로그램이다.
SMS 메시지 애플리케이션(607)은 통상의 SMS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을 송신 및 수신한다. 또한, SMS 메시지 애플리케이션(607)은 메일을 생성하고 메일을 판독하는데 사용된다.
디스플레이부(608)는 가령, 메시지 및 다양한 타입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며, 다수의 미처리된 기동 메시지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한다.
이에 부가하여, 도면에서는 생략되었지만, 통상의 모바일 텔레폰 기능을 구성하는 부분, 가령 키패드와 같은 조작부, 전체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메모리 등이 본 구조에 포함된다.
다음에, SMS 메시지가 수신될 때의 동작의 설명이 도 29의 플로우챠트를 통해 기술될 것이다.
메시지들은 크게 두개의 타입, 즉 SMS용 통상의 메시지와 푸시 전달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 기동 메시지이다. 메시지들간의 구별은 헤더에 포함된 식별자를 사용하거나 메시지 데이터의 프런트 부분에 애플리케이션 기동 메시지를 나타내는 코드를 내장하고 다음에 이 코드를 사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후자의 포맷을 갖는 애플리케이션 기동 메시지를 사용한 설명이 행해진다. 특히, 애플리케이션 기동 메시지를 나타내는 코드가 메시지 데이터의 프런트 부분에 다수의 바이트(여기서는 N바이트로 취해짐)로 하우징되며, 이에 후속하여, 기동될 애플리케이션과 기동할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요청되는 파라미터 데이터를 결정하는 코드가 존재한다.
서버로부터 송신되는 메시지는 무선 링크를 통해 모바일 통신 단말기로 송신된다. 무선부(601)는 이 메시지를 수신하며, 그 메시지가 SMS 메시지라면, 그것을 메시지 송신 및 수신부(602)로 송신한다(단계 S601). 만약 수신된 데이터가 통상의 데이터라면, 그 메시지 송신 및 수신부(602)는 메시지 해석부(603)에 그 수신된 데이터를 해석할 것을 지시한다(S602). 메시지 해석부(603)는 메시지 데이터의 프런트 N바이트로부터 그 메시지가 애플리케이션 기동 메시지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며(S603), 만약 그것이 애플리케이션 기동 메시지라면, 그 메시지 데이터를 기동 메시지 저장부(604)에 임시로 저장한다(S604). 애플리케이션 기동부(605)는 다음에 메시지 데이터가 저장되었음을 통지받는다(S605). 주목할 것은 기동 메시지 저장부(604)가 FIFO 구조를 갖는 것으로 가정된다는 것이다. 만약 S603에서 판정이 메시지가 애플리케이션 기동 메시지가 아니라는 것이라면, 그 메시지 데이터는 SMS 메시지 애플리케이션(607)으로 전송되며 그 애플리케이션은 기동된다(S606).
다음에 수신 처리가 종료된다(S607).
다음에, 저장된 기동 메시지에 기반하여 도 30에 도시된 플로우챠트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는 동작을 설명할 것이다.
애플리케이션 기동부(605)가 메시지 해석부(603)로부터 메시지가 저장되었다는 통지를 수신하게 되는 경우(S611), 애플리케이션 기동부는 기동 메시지 저장부(604)를 판독하게 된다(S612). 다음에, 그것은 미처리된 애플리케이션 메시지가 존재하는지를 체크하며(S613), 만약 그러한 메시지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그 처리는 종료된다. 만약 미처리된 애플리케이션 기동 메시지가 존재한다면, 존재하는 다수의 메시지가 체크된다(S614). 만약 그러한 하나의 메시지가 존재한다면,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을 확인하도록 하는 설정이 존재하는지에 관한 체크가 행해진다(S615).
푸시 데이터 전달 서비스 내에 기록된 애플리케이션은 자동 기동에 관한 설정을 갖는다. 자동 기동 허용 설정은 애플리케이션 기동 메시지가 수신될 때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고 그리고 사용자가 기동 확인을 수행할 필요없이도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설정이다. 자동 기동 허용 설정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며 애플리케이션 기동부(605)에 의해 제어 및 참조된다. 애플리케이션 기동부(605)는 자동 기동 허용 설정을 참조하며, 만약 자동 기동 허용 설정이 ON이라면 사용자로부터 기동 확인을 대기하지 않고도 애플리케이션 A, B, C 중에서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618).
그러나, 만약 자동 기동 허용 설정이 OFF이라면, 그 애플리케이션 기동부(605)는 디스플레이부(608) 상에 애플리케이션 기동 확인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며(S616), 사용자로부터 기동 확인을 대기한다(S617). 만약 "기동"이 선택된다면, 애플리케이션 기동부(605)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618). 서버와의 데이터 통신 처리는 다음에 그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된다(S619). 이러한 통신이 종료할 경우, 루틴은 처리 단계 S613으로 복귀하며, 애플리케이션 기동 메시지가 기동 메시지 저장부(604) 내에 존재하는지의 여부가 확인된다. 주목할 것은 통신이 종료하고 통신 리소스가 해제될 경우, 애플리케이션 기동부(605)는 기동 메시지 저장부(604)로부터 처리된 애플리케이션 기동 메시지를 삭제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만약 "삭제" 가 S617에서 선택된다면, 삭제된 애플리케이션 기동 메시지는 삭제되며(S620), 루틴은 처리 단계 S613으로 복귀한다.
전술한 S614에서, 다수의 미처리된 애플리케이션 기동 메시지가 존재한다면, 애플리케이션 기동부(605)는 그의 리스트를 생성 및 디스플레이한다(S621). 이 때, 미처리된 모든 애플리케이션 기동 메시지에 해당하는 서비스 명칭과 애플리케이션 명칭은 애플리케이션 기동 확인 스크린 상의 리스트에 디스플레이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의 결과, 사용자는 기동 메시지가 수신중에 있다는 것을 첫눈에 말할 수 있다.
도 31은 디스플레이부(608)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기동 확인 스크린 상의 리스트의 일예를 도시한다.
수신 시각 및 서비스 명칭 혹은 애플리케이션 명칭은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기동 메시지에 대해 디스플레이되며, 가장 이른 접수 시각으로부터 순서적으로 배열된다. 만약 모든 메시지들이 단일 스크린상에 포함될 수 없다면, 모든 메시지들은 스크롤링 등에 의해 관측될 수 있다. 소프트 키에 해당하는 커맨드들은 스크린 아래에 디스플레이되며, 해당 소프트 키를 누름으로써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다음에, 사용자가 도 31에 도시된 기동 확인 스크린으로부터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경우(S622), 애플리케이션 기동 확인 스크린이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로부터의 기동 확인은 대기된다(S623). 만약 "기동"이 선택된다면,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S618). 만약 "삭제"가 선택된다면, 그 선택된 애플리케이션 기동 메시지는 삭제되며(S620), 루틴은 처리 단계 S613으로 복귀한다.
일단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기동 메시지가 처리되었다면, 미처리된 애플리케이션 기동 메시지가 기동 메시지 저장부(604)에 존재하는지의 여부에 관한 확인이 행해진다(S613). 만약 미처리된 메시지가 존재한다면, 전술한 처리는 반복된다. 만약 미처리된 메시지들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그 애플리케이션 기동부(605)는 그 처리를 종료하며 다음 메시지 수신을 위한 준비를 행한다.
본 실시예의 모바일 통신 단말기에 의하면, 만약 다수의 애플리케이션 기동 메시지가 동시에 혹은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신된다면, 리스트내에 수신중에 있는 메시지들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들이 기동될 순서를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할당한 메시지로부터 처리를 개시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푸시 데이터 전달 서비스는 사용자에게 가장 편리하게 제공될 수 있다.
주목할 것은 자동 기동 허용 설정에 부가하여 푸시 데이터 전달 서비스에 기록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우선순위의 정도가 설정될 수 있는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우선순위의 정도는 하이 혹은 통상과 같은 두개의 스테이지이거나, 하이, 미디엄, 로우와 같은 3개의 스테이지일 수 있다.
이 경우, 애플리케이션 기동부(605)는 기동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생성할 때 우선순위 정도의 정보를 참조하고 리스트의 상부에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애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동작한다.
이러한 이유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가령, 만약 대량의 애플리케이션 기동 메시지가 동시에 혹은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신되어 기동 확인 스크린의 하나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없다면, 사용자를 위한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통지, 가령 방범 시스템의 오기능 통지와 같이 보안 측면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통지가 다른 통지 내에 매립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는 통지될 수 없다.
전술한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비록 다수의 애플리케이션 기동 메시지가 동시 혹은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신되더라도, 사용자는 높은 우선순위를 할당한 정보에 고속으로 액세스할 수 있어 사용자를 위한 편의성을 더욱 증가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주목할 것은 디스플레이되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에 관해 사용자로부터 기동 인스트럭션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자동으로 기동하도록 허용된 애플리케이션들은 그 리스트 상의 순서에 따라 처리된다는 것이다. 또한, 우선순위의 정도는 자동 기동을 위한 순서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제 6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 게임을 하거나 e-메일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키를 반복적으로 누르고 해제할 경우에 키가 눌러지고 해제될 때까지의 경과 시간이 측정된다. 입력 신호가 도달되었다는 통지가 행해질 경우, 만약 입력 신호의 도달 바로 직전에 경과 시간이 임계값 미만이라면, 게임이 실행중이거나 e-메일이 생성중이며, 입력 신호의 도달에 관한 통지가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의 모바일 통신 단말기의 예로서 기능하는 모바일 텔레폰의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2에서, 무선 장치(701)는 모바일 텔레폰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한 장치이며, 모듈 내에 형성된다. OS(703)는 무선 장치 드라이버(702)를 통해 무선 장치(701)와 정보를 교환한다. 또한, OS(703)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707) 및 키 드라이버(710)에 링크되며 액정 디스플레이와 같은 디스플레이부(708)와 키 장치(709)를 제어한다. OS(703)는 또한 인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706)를 구비하며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디스플레이부(708) 상의 정보 디스플레이를 제어한다.
만약 애플리케이션이 스크린의 최전면(foreground)에 위치한다면, 애플리케이션은 OS(703)로부터 키 이벤트의 통지를 수신하며, 사용자가 키 장치(709)상의 조작 키를 작동시켰다는 통지를 수신한다. 입력 신호가 도달할 경우, 제 1 애플리케이션(705)이 스크린상에 나타나며, 사용자에게 그 도달을 통지한다. 이 때, 만약 호출자 번호가 통지되었다면, 그 호출자 번호는 디스플레이되고 링 톤이 울린다. 제 2 애플리케이션(712)은 사용자에 의해 기동되는 게임이다.
여기서, 가정되는 것은 제 2 애플리케이션(712)이 사용자가 입력 신호의 도달을 대기하면서 게임을 실행하도록 하기 위해 기동되었다는 것이다. 사용자는 키 장치(709)상의 조작 키를 반복적으로 빠르게 누른다. 이 키 이벤트는 키 드라이버(710), 키 모니터링부(711), 및 OS(703)를 거쳐 제 2 애플리케이션(712)에 통지된다. 키 모니터링부(711)는 시간을 측정하고 사전 결정된 주파수를 갖는 클럭을 사용하여 카운터를 구동시키는 카운터를 포함한다.
도 33은 키 모니터링부(711)의 처리 단계를 도시한다.
초기화 후(단계 S721), 키 드라이버(710)가 조작 키가 눌러졌음을 통지할 경우(S722), 카운터의 카운팅은 중단되며 그 카운터는 제로로 리셋된다(S723). 키 드라이버(710)가 또한 조작 키가 해제되었음을 통지할 경우(S724), 카운터가 개시된다(S725).
조작 키가 반복적으로 눌러지고 해제되는 동안, 만약 조작 키의 해제 이후 경과 시간과 관련한 질의가 OS(703)에 의해 수신되면, 카운터의 값이 판독되고 통지된다. 따라서, 조작 키가 눌러지는 동안, 카운터의 값은 항상 제로이다.
다음에, 가정될 것은 입력 신호가 제 2 애플리케이션(712)이 실행중인 동안 도달한다는 것이다. 무선 장치(701)는 입력 신호의 도달을 검출하여 인터럽션을 생성한다. 무선 장치 드라이버(702)는 이러한 인터럽션을 검출하며, OS(703)는 입력 신호 도달 응답 처리 모듈(704)의 동작을 개시한다. 입력 신호 도달 응답 처리 모듈(704)은 도달된 입력 신호가 텔레폰 통화인지, 단문 메시지인지 혹은 e-메일인지를 판정하고, 모바일 텔레폰이 현재 매너 모드에 있는지의 여부, 혹은 입력 신호의 도달을 거절하기 위한 설정이 행해졌는지의 여부와 같은 다양한 다른 조건들을 판정하고, 적당한 제 1 애플리케이션(705)을 기동시킨다.
제 1 애플리케이션(705)은 인출 API(706)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부(708)상의 인출을 위한 권한을 획득하기 위한 시도를 행한다. OS(703)는 입력 신호의 도달의 결과로서 권한 인출을 위한 요청이 행해졌음을 검출하고, 조작 키의 해제로부터의 경과 시간에 관한 질의를 키 모니터링부(711)에 행한다. 응답으로서, 키 모니터링부(711)는 카운터의 값을 OS(703)에 전송한다. 경과 시간이 사전 결정된 임계값, 가령 1초와 같거나 그 이상이라면, OS(703)는 즉시 제 1 애플리케이션(705)으로부터 요청을 수신한다. 그 결과, 입력 신호의 도달을 통지하는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부(708)의 스크린상에서 인출된다.
그러나, 만약 그 카운터 값이 사전 결정된 임계값보다 작다면, 사용자는 권한을 인출하기 위한 요청에 대한 응답을 송신할 필요없이 게임을 실행하고 있는 것으로 판정되며, 입력 신호 도달 통지를 임시적으로 디스플레이하지 않도록 결정된다. 이 때, OS(703)는 그 경과 시간이 임계값보다 작은 만큼의 시간 부분 동안 타이머를 기동시키고, 시간 종료 이벤트시에, 조작 키의 해제 이후의 경과 시간에 관한 새로운 질의를 키 모니터링부(711)에 행한다. 이러한 동작은 반복된다. 그 결과, 사용자가 게임을 지속하여 실행하고 조작 키를 반복적으로 누르는 시간 동안, 조작 키의 해제 이후 경과 시간이 임계값이상으로 가지 않는 시간 기간 동안 입력 신호의 도달의 통지를 지연시킬 수 있다. 만약 사용자에 의한 조작 키의 동작이 중단되면, 입력 신호의 도달 통지는 인터럽션을 야기하며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된다. 그러나, 이 때, 조작을 지속하기 위한 사용자의 바람은 이미 종료되었기 때문에, 사용자에 의한 오류 동작은 없다. 또한, 수행되는 사용자의 조작 바람과는 대조적인 조작을 수행할 때 발생하는 성가심이나 놀라움의 느낌의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애플리케이션(705)은 입력 신호의 도달을 통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이지만, 이는 다른 타입의 처리를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즉, 만약 단문 메시지가 도달하면, 입력 신호 도달 응답 처리 모듈(704)은 그 단문 메시지 내에 포함되어 있는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 1 애플리케이션(705)으로서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타입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의 예는, 센터에서 SMS에 의해 e-메일의 도달이 통지되고, SMS 메시지의 도달에 응답하여 메일 애플리케이션이 개시되며, 이 메일 애플리케이션이 센터로부터 그 메일을 수신하도록 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한다. 다른 예들은, 특정 컨텐츠 제공자와 계약을 체결하도록 하며, SMS 메시지에 의해 새로운 컨텐츠 서비스의 개시에 대해 사용자에게 통지함으로써 사용자가 그 서비스를 즉시 기동하도록 허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도 34는 SMS 메시지의 도달에 의해 애플리케이션 기동이 지시될 때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SNS 메시지가 도달할 경우(S731), 그 메시지 내에 포함된 식별자가 해석되고(S732), 그 식별자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며(S733), 그 애플리케이션은 인출 API(706)를 호출한다. 이 때, 카운터 값이 임계값 이상인지의 여부에 관한 체크가 행해지며(S735), 만약 카운터 값이 임계값 이상이라면, 인출 처리가 수행된다(S736). 만약 카운터 값이 임계값 미만이라면, 카운터 값이 임계값에 도달한 이후에 인출이 수행된다(S737).
제 1 애플리케이션(705)의 예는 디스플레이부(708)에 대한 권한 인출을 요청하는 애플리케이션과 배경에서의 처리를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애플리케이션이 권한 인출을 요청한다면 애플리케이션의 타입에 무관하게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OS(703)가 권한 인출을 위한 요청을 지연시키기 때문에, OS(703) 그 자체에 대해 사용자에 대한 통지를 디스플레이할 필요가 있을 때, 제 1 애플리케이션(705)과 동일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가령, 만약 제 1 애플리케이션(705)을 기동시킬려는 시도가 행해진다면, 그것은 메모리와 같은 불충분한 리소스로 인해 기동불가능하며, 입력 신호 도달 응답 처리 모듈(704)은 오류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것이다.
(제 7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 모니터링부는 문자 입력 동작 동안 설정되지 않은 문자들이 디스플레이되는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입력 신호의 도달에 관한 통지가 디스플레이될 때, 설정되지 않은 문자들이 디스플레이 중인지의 여부에 관한 질의가 모니터링부에 대해 행해진다. 만약 이 질의에 대한 응답이 그 문자들이 디스플레이중이라는 것이라면, 그 통지의 디스플레이는 금지된다.
도 35는 본 발명의 모바일 통신 단말기의 제 7 실시예의 모바일 텔레폰의 예를 사용하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주목할 것은 도 35에 도시한 키 장치(809)가 도 40에 도시한 키 레이아웃을 가지며 도 41에 도시된 스크린 천이를 준수하는 절차에 따라 문자열 입력 동작이 수행된다는 것이다.
도 35에서, 무선 장치(801)는 모바일 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구현하는 장치이며, 모듈로 구성된다. OS(803)는 무선 장치 드라이버(802)를 거쳐 무선 장치(801)와 정보를 교환한다. 또한, OS(803)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807) 및 키 드라이버(810)에 링크되며, 액정 디스플레이와 같은 디스플레이부(808)와 키 장치(809)를 제어한다. OS(803)는 인출 API(806)를 포함하며, 제 1 애플리케이션(805) 및 제 2 애플리케이션(812)에 의해 액정 디스플레이와 같은 디스플레이부(808)상의 정보 디스플레이를 제어한다.
애플리케이션이 스크린의 최전면에 위치하면, 그 애플리케이션은 OS(803)로부터 키 이벤트의 통지를 수신하며, 사용자가 키 장치(809)를 조작하였다는 통지를 수신한다. 입력 신호가 도달하는 경우, 제 1 애플리케이션(805)은 스크린상에 나타나며 사용자에게 그 도달을 통지한다. 이 때, 호출자 번호가 통지되었다면, 이 호출자 번호가 디스플레이되고 입력 신호 도달 톤이 울린다. 제 2 애플리케이션(812)은 사용자에 의해 기동되는 문자 입력 애플리케이션이다.
여기서, 가정되는 것은 제 2 애플리케이션(812)이 입력 신호의 도달을 대기하면서 사용자가 텍스트를 입력할 목적으로 기동되었다는 것이다. 제 2 애플리케이션(812)이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될 경우, 편집 박스(813)가 그 스크린 내에 디스플레이된다. 이 편집 박스(813)는 OS(803)에 속하는 공통 컴포넌트이며, 사용자로부터 문자 입력을 수신한다. 사용자가 편집 박스(813)를 선택하게 될 경우, 키 이벤트는 편집 박스(813)로 전달된다. 이 편집 박스(813)는 또한 키 이벤트에 기초하여 후보자 문자열을 탐색하는 입력 지원부(814)에 링크되며, 그 문자열을 편집 박스(813)로 제공한다. 그 후, 본 실시예에서 일예로서 문자를 사용하는 설명이 행해질 것이다.
가령, 사용자가 키를 사용하여 "41281"을 입력한다면, 편집 박스(813)는 스크린 상에 "41281"을 디스플레이한다. 이어서, 사용자가 변환키(902)를 누르는 경우, 편집 박스(813)는 이 키 이벤트에 대해 입력 지원부(814)에 통지한다. 입력 지원부(814)는 후보자를 탐색하고, "TOUKIYOU"에 대한 가타카나 알파벳 문자열을 선택하며 이를 편집 박스(813)에 제공한다. 편집 박스(813)는 인출 API(806)를 사용하여 스크린 상에 "YOUKIYOU"에 대한 가타카나 알파벳 문자열을 디스플레이한다. 이 때, 편집 박스(813)는 모니터링부(815) 내에, 편집 박스(813) 그 자체가 전면부에 위치하여 설정되지 않은 문자열을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중이라는 사실을 등록한다.
사용자가 설정키(903)를 누를 경우, 이 키 이벤트는 편집 박스(813)로 전달되며, 또한 입력 지원부(814)에 통지된다. 입력 지원부(814)는 다음에 편집 박스(813)에 문자열이 설정되었다는 것을 통지한다. 편집 박스(813)는 다음에 설정된 문자열을 저장하고 또한 문자열 후보자가 디스플레이중이라는 사실에 관한 등록 사항을 모니터링부(815)에서 삭제한다. 또한, 키 포커스가 편집 박스(813) 외부로 이동하게 될 경우, 설정되지 않은 문자열은 강제로 설정되며, 삭제의 통지가 모니터링부(815)에 전달된다. 또한, 키 포커스가 편집 박스(813)의 외부로 이동하기 때문에 만약 제 2 애플리케이션(812)이 배경에서 나타난다면, 동일한 타입의 삭제 통지가 모니터링부(815)로 전달된다.
그 결과, 비록 문자 입력을 수행하는 다수의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고 편집 박스(813)와 입력 지원부(814)의 다수의 인스턴스들이 존재한다할 지라도, 모니터링부(815) 내에는 정보가 수집되기 때문에, 문자열 후보자들이 현재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 중인지의 여부를 정확히 판정할 수가 있다.
가정될 것은, 제 2 애플리케이션(812)의 편집 박스(813)가 여전히 설정되지 않은 문자열을 디스플레이부(808)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동안에 입력 신호가 도달한다는 것이다. 무선 장치(801)는 입력 신호의 도달을 검출하고 인터럽션을 생성한다. 무선 장치 드라이버(802)는 이러한 인터럽션을 검출하고, OS(803)는 입력 신호 도달 응답 처리부(804)가 입력 신호 도달 응답 처리를 실행하도록 한다. 입력 신호 도달 응답 처리부(804)는 도달된 입력 신호가 텔레폰 통화인지, 단문 메시지인지 혹은 e-메일인지를 식별하고, 모바일 텔레폰이 현재 매너 모드에 있는지의 여부, 혹은 입력 신호의 도달을 거절하기 위한 설정이 행해졌는지의 여부와 같은 다양한 다른 조건들을 판정하고, 입력 신호의 도달의 통지를 제공하기 위해 적당한 제 1 애플리케이션(805)을 기동시킨다.
제 1 애플리케이션(805)은 인출 API(806)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부(808)상의 인출을 위한 권한을 획득하기 위한 시도를 행한다. OS(803)는 입력 신호의 도달의 결과로서 권한 인출을 위한 요청이 행해졌음을 검출하고, 설정되지 않은 문자열이 디스플레이중인지를 판정하도록 모니터링부(815)에 지시한다. 만약 모니터링부(815)가 설정되지 않은 문자열이 디스플레이중이 아니라는 응답을 하게 되면, OS(803)는 즉시 제 1 애플리케이션(805)으로부터의 요청을 수신하고, 입력 신호의 도달을 통지하는 디스플레이가 디스플레이부(808)의 스크린상에 인출된다.
그러나, 만약 모니터링부(815)가 권한 인출을 위한 요청에 대한 응답을 전송할 필요없이, 설정되지 않은 문자열이 현재 디스플레이중이라는 것을 응답하게 되면, 입력 신호 도달 통지를 임시로 디스플레이하지 않도록 결정된다. 이 때, 사용자에게 입력 신호가 도달되었다는 것을 통지하기 위해, LED를 점멸시키거나 사전결정된 통지 멜로디를 울리거나 진동기를 기동시키는 것과 같이 통지 장치를 사용하여 통지 동작을 실행할 수가 있다.
사용자가 문자열이 설정되도록 지시하는 설정키(903)를 누를 경우, 모니터링부(815)는 OS(803)로부터의 질의에 대해 설정되지 않은 문자열이 디스플레이중이 아니라는 것을 응답한다. 그 결과, OS(803)는 사전결정된 시간 간격에서 타이머를 기동시키며, 모니터링부(815)의 폴링((polling)을 개시한다. 모니터링부(815)가 설정되지 않은 문자열이 디스플레이중이 아니라는 것을 응답하게 될 경우, 제 1 애플리케이션(805)의 요청에 대해 리소스들이 할당되며 디스플레이부(808)상에서의 인출을 위한 권한이 부여된다.
대안적으로, 입력 신호 도달 통지의 디스플레이 금지로부터 사전결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통지가 디스플레이될 수가 있다.
(제 8 실시예)
제 7 실시예에서, 제 1 애플리케이션(805)은 입력 신호의 도달을 통지한다. 이에 비해,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은 특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수개의 애플리케이션이 될 것이다. 즉,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을 지시하는 단문 메시지가 도달할 경우, 입력 신호 도달 응답 처리부(804)는 단문 메시지 내에 포함된 식별자를 결정하고, 이 식별자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며, 이 애플리케이션을 제 1 애플리케이션(805)으로서 기동시킨다.
이러한 타입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의 예는, 센터에서 e-메일의 도달이 SMS 메시지에 의해 통지되며, SMS 메시지의 도달에 응답하여 메일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며, 이 메일 애플리케이션은 센터로부터 그 메일을 수신하도록 만들어진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대안의 예는, 특정의 컨텐츠 제공자와의 계약을 성립시키며, 사용자에게 SMS 메시지에 의해 새로운 컨텐츠 서비스의 개시에 관해 통지함으로써 사용자가 그 서비스를 즉시 개시하도록 허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제 1 애플리케이션(805)의 예는 디스플레이부(808)에 대해 권한 인출을 요청하는 애플리케이션과 배경에서 처리를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애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부(808)상에서 디스플레이를 가능하게 한다면 애플리케이션의 타입에 무관하게 달성될 수 있다.
도 36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SMS 메시지 서비스가 도달할 경우(단계 S831), 그 메시지 내에 포함된 식별자가 해석된다(S832). 그 후, 그 식별자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선택되고 제 1 애플리케이션(805)으로서 기동된다(S833). 이 제 1 애플리케이션(805)은 다음에 인출 API(806)를 호출한다(S834). 이 때, 설정되지 않은 문자열이 이미 디스플레이부(808)상에 디스플레이중인지의 여부에 관한 질의가 모니터링부(815)에 행해진다(S835). 만약 디스플레이중이 아니라면, 인출 처리가 수행된다(S836). 만약 설정되지 않은 문자열이 사전에 디스플레이중이라면, 인출 처리는 금지되고(S837), 사전결정된 시간 후(대안으로서, 문자열이 설정된 이후), 그 통지에 관한 인출이 행해진다(S838).
제 7 및 제 8 실시예에서 주목할 것은, OS(803)가 권한 인출을 위한 요청을 지연시키기 때문에, 제 1 애플리케이션(805)과 동일한 방식으로 본 실시예의 효과는 사용자에게 통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OS(803) 그 자체에 대한 요청이 발생할 때에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가령, 만약 제 1 애플리케이션(805)을 기동시킬려는 시도가 행해지지만, 메모리와 같은 리소스의 불충분성으로 인해 기동이 불가능하다면, 입력 신호 도달 응답 처리부(804)는 오류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설정되지 않은 문자열(가령, 도 41의 상태 911 내지 917의 임의의 상태에 도시된 문자열)이 문자열 입력 동작 동안 디스플레이부(808) 상에 디스플레이 중인 경우에 입력 신호 도달의 통지가 디스플레이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설정 동작을 수행할 때까지 입력 신호의 도달 통지가 인터럽트되지 않고 디스플레이되는 효과를 얻는다. 그 결과, 텔레폰 대화가 종료하고, 스크린이 원래의 문자 입력 스크린으로 복귀한 후에, 그 다음의 문자 입력과 문자열 입력 동작을 통해 일부가 소비되지 않을 때까지 수행된 작업을 다시 개시할 수가 있다. 또한, 입력 조작의 집중이 중단되는 경우에 발생할 수도 있는 임의의 성가심의 느낌을 야기시키지도 않고 사용자에게 편리한 모바일 텔레폰을 제공할 수가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각각의 실시예의 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가 기술될 것이다.
컴퓨터 시스템의 CPU가 본 발명의 각각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와 본 발명의 각각의 실시예의 플로우챠트에 따른 처리에 기반하는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프로그램이다.
이러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이다. 이러한 사용될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는 자기 광학 디스크, 광학 디스크, 반도체 메모리, 자기 기록 매체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것들은 ROM, RAM, CD-ROM, 플렉시블 디스크, 메모리 카드 등의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기록 매체들 중에는 프로그램이 전화선과 같은 통신 라인 혹은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될 때 서버 및 클라이언트로서 기능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 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와 같이 고정된 시간 동안 프로그램을 유지하는 매체도 포함된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저장 장치 등에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다른 컴퓨터 시스템으로 송신 매체를 거치거나 혹은 송신 매체 내의 송신파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송신 매체는 전화선과 같은 통신 라인 혹은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와 같이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 매체로서 지칭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전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프로그램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대안으로서, 이 프로그램은 전술한 기능들의 일부로 간주될 수도 있다. 또한, 이 프로그램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과 함께 조합함으로써 전술한 기능들을 달성할 수 있는 차분 파일(differential file)(즉, 차분 프로그램)로서 알려진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각각의 실시예에서 기술한 기능들 및 효과들과 동일한 기능 및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반한 시스템 혹은 장치와는 상이한 시스템 혹은 장치에서 전술한 프로그램과 기록 매체를 사용함으로써, 그리고 그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본 발명의 문제를 해결할 수가 있다.
주목할 것은 모바일 통신 단말기가 모바일 텔레폰, 통신부를 포함하고 있는 모바일 정보 장치, 및 통신 카드가 부착될 수 있는 모바일 정보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전술의 실시예에서 기술된 판정, 기동, 모니터링, 측정, 계산 및 해석은 제어부(가령, 중앙 처리 장치), 전자 회로 등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전술한 것은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이들은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아니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이나 범주 내에서 추가, 생략, 대체 및 다른 수정이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의 설명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되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될 뿐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시간의 경과로 인해 더 이상 유효하지 않는 정보가 사용자에게 공급되지 않는다는 것과, 만약 SMS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시도된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에 오류가 발생하면 사용자에게 경보를 제공한다는 것과, 비록 SMS 통지(SMS 메시지)가 모바일 통신 단말기의 기능이 제한되는 상태에서 수신될 지라도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예기치않게 기동되지 않는다는 것과, 사용자에게 알리지 않고 축적된 통신 요금을 높은 값으로 산정하는 것을 차단한다는 것과, 대량의 미처리된 기동 메시지가 제공되면, 이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는 이들을 중요도의 순서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모바일 통신 단말기가 입력 신호의 도달을 대기하면서 게임이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안 입력 신호의 도달과 관련한 통지가 디스플레이될 때 발생하는 조작의 오류 혹은 성가신 느낌을 감소시키고 사용자 우호성을 개선한다는 것과, 문자 입력 조작 동안 설정되지 않은 문자열이 디스플레이된다면, 사용자가 설정 동작을 수행할 때까지 입력 신호의 도달의 통지를 중단하지 않는 목표를 수행하는 모바일 통신 단말기, 정보 제공 시스템,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기동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조도.
도 2는 로컬 주가 데이터베이스 내에 기록된 컨텐츠의 예를 나타내는 구조도.
도 3은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내에 기록된 컨텐츠의 예를 나타내는 구조도.
도 4는 사용자용 주가 갱신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구조도.
도 5는 애플리케이션 기동 메일의 예를 나타내는 구조도.
도 6은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수신되는 SMS의 예를 나타내는 구조도.
도 7은 SMS 메시지 수신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8은 애플리케이션 리스트의 예를 나타내는 구조도.
도 9는 기동 유효 시각의 계산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10은 애플리케이션 타입 리스트의 예를 나타내는 구조도.
도 11은 갱신 통지 스크린을 나타내는 구조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통신 단말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조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통신 단말기로서 기능하는 모바일 텔레폰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5는 SMS 론처(launcher)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16은 SMS 메시지의 데이터 구조의 예를 나타내는 구조도.
도 17은 SMS 메시지 디스플레이의 예를 나타내는 구조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자동 기동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조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통신 단말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0은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의 예를 나타내는 구조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22a 및 도 22b는 SMS 통지가 매너 모드로 행해질 때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예를 나타내는 구조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통신 단말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4a 및 도 24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25는 애플리케이션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구조도.
도 26은 통지 조건 매트릭스를 나타내는 구조도.
도 27은 확장된 애플리케이션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구조도.
도 2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통신 단말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9는 단문 메시지 수신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30은 애플리케이션 기동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31은 기동 확인 스크린을 나타내는 도면.
도 32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텔레폰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3은 키 모니터링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34는 SMS 메시지 도달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 기동에 관한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35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텔레폰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36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텔레폰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37은 방범 시스템에서 종래의 푸시 데이터 시스템이 사용될 때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8은 종래의 모바일 통신 단말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39는 종래의 모바일 텔레폰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40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모바일 텔레폰의 키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구조도.
도 4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문자열 입력 동작에 기초하여 스크린 천이를 나타내는 구조도.
도 42a 및 도 42b는 SMS 통지가 매너 모드로 행해질 때 종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예를 나타내는 구조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가 정보 서버 2 : 증권 네트워크
3 : 로컬 주가 데이터베이스 4 :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5 : 임시 저장부 6 : SMS 서버
7 : 사용자 단말기 8 : 모바일 교환 시스템

Claims (44)

  1. 모바일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사전결정된 정보에 대해 서버에 요청하고 그 정보를 수신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수신부가 사전결정된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도록 지시하는 메시지를 수신할 때, 유효 기간이 그 메시지에 부착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그 유효 기간에 기초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지시받은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기간은 절대적 시간에 의해 표현되는 모바일 통신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결정된 정보가 상기 서버에 저장된 저장 시각과 실효 기간이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부착되며, 상기 실효 기간과 상기 저장 시각을 가산하여 획득된 절대적 시간은 상기 유효 기간으로서 결정되는 모바일 통신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실효 기간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에 부착되며, 상기 지시받은 애플리케이션에 부착된 상기 실효 기간과 상기 사전결정된 정보가 상기 서버에 저장된 시각을 가산하여 획득되는 절대적 시간은 상기 유효 기간으로서 결정되는 모바일 통신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싱기 기동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전결정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통신 단말기.
  6.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유효 기간이 부착되며 모바일 통신 단말기에서 사전결정된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도록 지시하는 메시지를 모바일 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부, 및 상기 모바일 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기동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요청되는 사전결정된 정보를 상기 모바일 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정보 송신부가 구비되어 있는 서버와,
    상기 서버에 의해 송신되는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도록 지시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사전결정된 정보에 대해 상기 서버에게 요청하며 그 정보를 수신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수신부가 상기 메시지를 수신할 때, 유효 기간이 상기 메시지에 부착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그 유효 기간에 기초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들 중에서 상기 지시받은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는 제어부가 구비되어 있는 모바일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기간은 절대적 시간으로서 표현되는 정보 제공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결정된 정보가 상기 서버에 저장된 저장 시각과 실효 기간이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부착되며, 상기 실효 기간과 상기 저장 시각을 가산하여 획득된 절대적 시간은 상기 유효 기간으로서 결정되는
    정보 제공 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
    실효 기간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에 부착되며, 상기 지시받은 애플리케이션에 부착된 상기 실효 기간과 상기 사전결정된 정보가 상기 서버에 저장된 시각을 가산하여 획득되는 절대적 시간은 상기 유효 기간으로서 결정되는
    정보 제공 시스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되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사전결정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모바일 통신 단말기 내에 제공되는
    정보 제공 시스템.
  11.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 처리와,
    사전결정된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도록 지시하는 메시지가 상기 수신 처리에 의해 수신될 때, 유효 기간이 상기 메시지에 부착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처리와,
    상기 유효 기간에 기초하여, 저장되어 있는 상기 지시받은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는 애플리케이션 기동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12. 모바일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도록 지시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기초하여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는 기동부와,
    상기 기동부가 상기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킬 수 없을 경우, 그 사실을 메시지 데이터로서 알리는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통신 단말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메시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가 상기 메시지를 저장할 때 그 사실을 통지하는 통지부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통신 단말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기동을 지시받은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되는 제공기에 관한 정보는 상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메시지 데이터 내에 포함되는
    모바일 통신 단말기.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메시지 데이터는 수신되는 메시지 데이터로서 처리되는 모바일 통신 단말기.
  16.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도록 지시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 처리와,
    상기 수신 처리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메시지에 기초하여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는 기동 처리와,
    상기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기동 처리에서 기동될 수 없을 경우, 그 사실을 메시지 데이터로서 알리는 정보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17. 모바일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다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기동 인스트럭션과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저장된 애플리케이션들의 각각에 대해 그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저장하며, 또한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기동 인스트럭션에 의해 기동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수신부가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도록 지시하는 상기 메시지를 수신할 경우,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와 상기 저장부 내의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대조하여 그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그 판정의 결과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통신 단말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모바일 통신 단말기의 상태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이 기동가능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통신 단말기의 상태와 상기 저장부 내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이 기동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모바일 통신 단말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통신 단말기의 상태는 매너 모드, 드라이브 모드, 저에너지 소비 모드 및 무음 모드 중의 어느 하나의 모드인
    모바일 통신 단말기.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판정하였음을 통지하는 통지부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통신 단말기.
  21.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특정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기동 인스트럭션과 그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 처리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도록 지시하는 상기 메시지가 상기 수신 처리에 의해 수신될 경우, 상기 메시지에 포함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와 저장부에 저장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기동 인스트럭션에 의해 기동가능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대조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처리와,
    상기 판정 처리의 판정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을 제어하는 제어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22. 모바일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이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경우에 부과되는 액세스 요금과 축적된 통신 요금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도록 지시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축적된 통신 요금이 상기 수신된 메시지 내에 포함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상기 저장부 내의 상기 축적된 통신 요금 및 상기 저장부 내의 액세스 요금에 기초하여 상기 축적된 통신 요금에 대한 상한값을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통신 단말기.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만약 상기 축적된 통신 요금이 상기 축적된 통신 요금에 대한 상한값을 초과하지 않는다고 판정한다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는
    모바일 통신 단말기.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지 않는다는 것을 통지하는 통지부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통신 단말기.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는 애플리케이션 기동에 관한 통지를 행하는지의 여부를 선택할 수 있으며, 만약 상기 축적된 통신 요금이 상기 축적된 통신 요금에 대한 상한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인해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지 않는다면, 상기 통지부는 상기 선택에 상관없이 상기 통지를 행하는
    모바일 통신 단말기.
  26. 제 22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축적된 통신 요금에 대한 상한값을 설정하도록 하는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통신 단말기.
  27.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도록 지시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 처리와,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저장된 축적된 통신 요금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경우에 부과되는 요금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축적된 통신 요금이 상기 축적된 통신 요금에 대한 상한값을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28. 모바일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도록 지시하는 수신된 메시지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다수의 미처리된 메시지들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제각기의 메시지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들의 리스트를 생성하는 리스트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리스트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애플리케이션들 중에서 선택되는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는 애플리케이션 기동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통신 단말기.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는 순서와 관련되는 우선순위의 정도를 설정하는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통신 단말기.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디스플레이중일 경우, 그 리스트는 우선순위의 정도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되는
    모바일 통신 단말기.
  31.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푸시 메시지인
    모바일 통신 단말기.
  32.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특정의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도록 지시하는 수신된 메시지를 저장하는 저장 처리와,
    다수의 미처리된 메시지들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제각기의 메시지들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들의 리스트를 생성하는 리스트 생성 처리와,
    상기 생성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처리와,
    상기 리스트 내의 디스플레이중인 애플리케이션들 중에서 선택되는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는 애플리케이션 기동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처리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는 순서와 관련되는 우선순위의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34. 모바일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입력 신호의 도달의 통지 혹은 입력 신호의 도달의 결과로서 생성되는 통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에 의한 키의 해제 이후의 경과 시간을 측정하며, 상기 입력 신호의 도달이 발생한 경우, 상기 측정된 경과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상기 통지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통신 단말기.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의 도달은 메시지의 도달이며, 상기 입력 신호의 도달의 결과로서 발생하는 통지는 상기 메시지 내의 정보에 따라 기동되는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통지인
    모바일 통신 단말기.
  36.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경과 시간이 사전결정된 임계값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사용하여 상기 통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 통신 단말기.
  37.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입력 신호의 도달의 통지 혹은 입력 신호의 도달의 결과로서 발생하는 통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처리와,
    사용자에 의한 키의 해제 이후의 경과 시간을 측정하는 키 모니터링 처리와,
    상기 입력 신호의 도달이 발생할 경우, 상기 키 모니터링 처리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경과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통지의 디스플레이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의 도달은 메시지의 도달이며, 상기 입력 신호의 도달의 결과로서 발생하는 통지는 상기 메시지 내의 정보에 따라 기동되는 애플리케이션과 관련한 통지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39.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키 모니터링 처리에 의해 측정된 상기 경과 시간이 사전결정된 임계값에 도달할 경우, 상기 제어 처리는 상기 통지의 디스플레이 처리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40. 모바일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입력 신호의 도달의 통지 혹은 입력 신호의 도달의 결과로서 발생하는 통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문자 입력 동작 동안 미설정된 문자들이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디스플레이중에 있는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상기 통지를 디스플레이할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상기 미설정된 문자들이 디스플레이중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판정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통지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통신 단말기.
  41. 제 40 항에 있어서,
    입력 신호의 도달의 결과로서 발생하는 통지는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도록 지시하는 통지인
    모바일 통신 단말기.
  42. 제 40 항에 있어서,
    만약 상기 제어부가 상기 통지의 디스플레이를 금지한다면, 상기 통지는 사전결정된 시간 이후에 디스플레이되는
    모바일 통신 단말기.
  43. 제 40 항에 있어서,
    만약 상기 제어부가 상기 통지의 디스플레이를 금지한다면, 상기 통지는 상기 미설정된 문자들이 설정되었다는 것이 결정된 이후에 디스플레이되는
    모바일 통신 단말기.
  44.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입력 신호의 도달 혹은 입력 신호의 도달의 결과로서 발생하는 통지를 디스플레이하는 통지 디스플레이 처리와,
    문자 입력 동작 동안 미설정된 문자들이 디스플레이 중인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처리와,
    상기 통지를 디스플레이할 경우, 상기 미설정된 문자들이 디스플레이부 상에 디스플레이중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판정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통지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40076805A 2003-09-30 2004-09-24 모바일 통신 단말기, 정보 제공 시스템 및 프로그램을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06974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42041 2003-09-30
JPJP-P-2003-00342378 2003-09-30
JPJP-P-2003-00342043 2003-09-30
JP2003342375A JP4173423B2 (ja) 2003-09-30 2003-09-30 携帯通信装置、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3342376A JP4401729B2 (ja) 2003-09-30 2003-09-30 携帯通信端末
JP2003342040A JP4252416B2 (ja) 2003-09-30 2003-09-30 携帯通信端末、情報提供システム
JPJP-P-2003-00342377 2003-09-30
JPJP-P-2003-00342040 2003-09-30
JP2003342377A JP4083658B2 (ja) 2003-09-30 2003-09-30 携帯通信装置、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3342043A JP4476589B2 (ja) 2003-09-30 2003-09-30 移動通信端末
JP2003342378A JP2005110029A (ja) 2003-09-30 2003-09-30 携帯通信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JP-P-2003-00342376 2003-09-30
JPJP-P-2003-00342375 2003-09-30
JP2003342041A JP2005109998A (ja) 2003-09-30 2003-09-30 携帯通信端末、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1941A true KR20050031941A (ko) 2005-04-06
KR100697416B1 KR100697416B1 (ko) 2007-03-20

Family

ID=34382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6805A KR100697416B1 (ko) 2003-09-30 2004-09-24 모바일 통신 단말기, 정보 제공 시스템 및 프로그램을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5) US8798612B2 (ko)
KR (1) KR100697416B1 (ko)
CN (2) CN100548007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075B1 (ko) * 2006-01-16 2007-06-1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요금 별납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KR101258529B1 (ko) * 2006-01-17 2013-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카드 시스템, 메모리 카드, 그리고 메모리 카드의응용프로그램 수행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86282B2 (en) * 1996-03-25 2020-03-10 Cfph, Llc System and method for trading based on tournament-style events
US20060173761A1 (en) * 1996-03-25 2006-08-03 Cfph, Llc System and Method for Market Research Based on Financial Exchange
US6505174B1 (en) * 1996-03-25 2003-01-07 Hsx, Inc. Computer-implemented securities trading system with a virtual specialist function
US20050267836A1 (en) * 1996-03-25 2005-12-01 Cfph, Llc Method and system for transacting with a trading application
US9418381B2 (en) * 2000-04-14 2016-08-16 Citigroup Credit Services, Inc. (USA) Method and system for notifying customers of transaction opportunities
US8725632B2 (en) 2000-01-13 2014-05-13 Citicorp Development Center,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ducting financial and non-financial transactions using a wireless device
US8346677B1 (en) 2000-12-29 2013-01-01 Citicorp Development Center,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ducting commerce over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8032453B2 (en) * 2000-04-14 2011-10-04 Citicorp Development Center, Inc. Method and system for notifying customers of transaction opportunities
US20040186910A1 (en) * 2003-03-19 2004-09-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Network of data processor controlled display stations sharing network connected resources with immediate messaging on the station's display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message intrusion when running selected computer programs
US8353763B2 (en) 2003-03-31 2013-01-15 Cantor Index, Llc System and method for betting on a participant in a group of events
WO2004090678A2 (en) * 2003-04-11 2004-10-21 Cantor Index Llc Lottery and auction based tournament entry exchange platform
US20110208633A1 (en) * 2010-02-19 2011-08-25 Asher Joseph M System and method for trading a futures contract based on a financial instrument indexed to entertainment dividends
US7698198B2 (en) * 2004-01-16 2010-04-13 Bgc Partners, Inc. System and method for purchasing a financial instrument indexed to entertainment revenue
US7567931B2 (en) 2004-01-16 2009-07-28 Bgc Partners, Inc. System and method for forming a financial instrument indexed to entertainment revenue
JP4502777B2 (ja) * 2004-10-20 2010-07-14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KR100684918B1 (ko) * 2005-04-01 2007-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악 파일을 재생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JP4130453B2 (ja) * 2005-07-28 2008-08-06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
GB0525244D0 (en) * 2005-12-12 2006-01-18 Nokia Corp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 sessions
US8340698B2 (en) * 2005-12-13 2012-12-2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short messages on do and 1x networks
US20070155367A1 (en) * 2005-12-30 2007-07-05 Telenav, Inc Communication system with remote applications
JP2009530954A (ja) 2006-03-24 2009-08-27 ケーティーフリーテル・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待機画面サービスの提供方法及び待機画面サービスシステム
JP4972980B2 (ja) * 2006-04-14 2012-07-11 富士通株式会社 データ通信プログラム、データ通信方法および携帯端末装置
US20070260480A1 (en) * 2006-05-04 2007-11-08 Johan Cederlund Managing health related variables in a remote data collection system
US8743709B1 (en) * 2006-06-12 2014-06-03 Apple Inc. Providing a signaling interface between a circuit-switched domain and a packet-switched domain to enable provision of services to a multi-mode mobile station
US20070300183A1 (en) * 2006-06-21 2007-12-27 Nokia Corporation Pop-up notification for an incoming message
US11195163B2 (en) 2006-09-01 2021-12-07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over the air (OTA) provisioning of soft cards on devices with wireless communications capabilities
US20080086599A1 (en) * 2006-10-10 2008-04-10 Maron William A Method to retain critical data in a cache in order to increase application performance
US20080086598A1 (en) * 2006-10-10 2008-04-10 Maron William A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cache priority for critical data structures of an application
JP4889435B2 (ja) * 2006-10-11 2012-03-0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パケット通信方法及び移動局
KR101141616B1 (ko) * 2006-11-20 2012-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미들릿 실행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80053684A (ko) * 2006-12-11 2008-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397147B1 (ko) * 2007-04-11 2014-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웹 알람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US9218720B2 (en) 2007-04-16 2015-12-22 Cfph, Llc Box office game
EP2215607A1 (de) * 2007-11-07 2010-08-11 Elegate GmbH Authentifizierungsverfahren und anordnung zur durchführung eines solchen authentifizierungsverfahrens sowie ein entsprechendes computerprogramm und ein entsprechendes computerlesbares speichermedium
US20140343937A1 (en) * 2013-05-16 2014-11-20 Voxer Ip Llc Interrupt mode for communication applications
JP5147115B2 (ja) * 2008-03-27 2013-02-20 シャープ株式会社 システム及び端末装置
US8555201B2 (en) * 2008-06-05 2013-10-08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having deterministic control of foreground access of the user interface
JP2010068060A (ja) * 2008-09-08 2010-03-25 Kyocera Corp 通信機器、通信履歴表示方法および履歴表示プログラム
JP2010088008A (ja) * 2008-10-02 2010-04-15 Panasonic Corp 端末装置および接続切り替え管理方法
KR20110104480A (ko) * 2008-10-06 2011-09-22 비보텍, 인코포레이티드 모바일 장치 사이에서 결제 및 비결제 가상 카드 전송을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KR20100057734A (ko) * 2008-11-20 2010-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
US8170589B2 (en) * 2008-12-01 2012-05-0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Mobile station and application server for providing a service to the mobile station and operation methods for the same
US8577000B1 (en) * 2009-04-06 2013-11-05 Wendell Brow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nt presentation in association with a telephone call
US8213971B2 (en) * 2009-04-27 2012-07-03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activating computer applications with SMS messaging
CN101651748B (zh) * 2009-09-02 2011-11-16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实现来电保护的方法、装置及终端
US20110093320A1 (en) * 2009-10-15 2011-04-21 Conexus, Ll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ing to a Wireless User Device
US8811942B2 (en) 2009-11-15 2014-08-19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activation of services
US8977984B2 (en) * 2010-07-28 2015-03-10 Kyocera Corporation Mobile electronic device, screen control method and additional display program
CN102004579A (zh) * 2010-11-09 2011-04-06 华映视讯(吴江)有限公司 无线触控显示系统及其方法
CN102566855A (zh) * 2010-12-09 2012-07-11 三竹资讯股份有限公司 移动装置金融看盘软件的信息更新标记装置及方法
JP6023054B2 (ja) * 2011-06-30 2016-11-09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通信システム、ユーザ端末並びに通信装置
DE102011081479A1 (de) * 2011-08-24 2013-02-28 Siemens Aktiengesellschaft Bedieneinrichtung
KR101287556B1 (ko) * 2011-09-29 2013-07-23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이동 단말기의 푸시 클라이언트 및 이를 이용한 프로바이더 변경방법
KR101402506B1 (ko) * 2011-12-01 2014-06-03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대화형 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9094534B2 (en) * 2011-12-29 2015-07-28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nfiguring and implementing restricted interactions with a user interface
US8812994B2 (en) 2011-12-29 2014-08-19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nfiguring restricted interaction with a user interface
US9292195B2 (en) 2011-12-29 2016-03-22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nfiguring and implementing restricted interactions for applications
US20130173698A1 (en) * 2011-12-30 2013-07-04 Ramandeep Sethi Dynamic Content Adaptation
US9213822B2 (en) 2012-01-20 2015-12-15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ccessing an application in a locked device
CN103313224B (zh) 2012-03-15 2018-08-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指示触发消息有效时间的方法和系统
US9110752B2 (en) * 2012-07-11 2015-08-18 Sap Portals Israel Ltd Enterprise portal mobile applications installs
JP5853890B2 (ja) * 2012-07-25 2016-02-0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ソフトウェア実行制御装置、実行制御方法、及び実行制御プログラム
US20140040773A1 (en) 2012-07-31 2014-02-06 Apple Inc. Transient Panel Enabling Message Correction Capabilities Prior to Data Submission
CN103279271A (zh) * 2013-06-17 2013-09-04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推送信息的方法和设备、接收信息的方法和设备
US9467403B2 (en) * 2013-11-28 2016-10-11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speech communication
WO2015097553A2 (en) * 2013-12-23 2015-07-02 Orange Method to push toll-free applications to a user device
WO2015157984A1 (zh) 2014-04-18 2015-10-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提醒的方法、装置及电子终端
WO2015167649A1 (en) 2014-05-02 2015-11-05 Commscope Technologies Llc Link-fault tolerance in a distributed antenna system
JP2016091383A (ja) * 2014-11-06 2016-05-23 富士通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画面制御方法及び画面制御プログラム
US10028117B1 (en) * 2017-03-01 2018-07-17 Digital Turbin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installation of content items on mobile devices
CN107145363A (zh) * 2017-03-21 2017-09-08 捷开通讯(深圳)有限公司 一种终端开机过程的驱动程序加载方法及终端设备
CN107071067B (zh) * 2017-06-13 2020-02-07 广发证券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Cgo的高性能证券行情接入系统和方法
US11312297B2 (en) 2018-09-07 2022-04-26 Honda Motor Co., Ltd. Haptic communication for removing interruptions
CN109814887A (zh) * 2019-01-23 2019-05-28 广州奇艺果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可远程扩展兼容安卓游戏的街机系统
CN114428684A (zh) * 2020-10-29 2022-05-03 中移互联网有限公司 一种基于分布式的消息推送方法、装置和系统
US11960615B2 (en) 2021-06-06 2024-04-16 Apple Inc. Methods and user interfaces for voice-based user profile management

Family Cites Families (9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8956B2 (ja) 1992-10-29 2001-03-26 京セラ株式会社 電話機
JPH07226798A (ja) 1994-02-15 1995-08-22 Hitachi Ltd 通話時間制限サービス方式
US6587700B1 (en) * 1994-06-23 2003-07-01 At&T Wireless Services, Inc. Personal communicator with flip element display
US5577100A (en) 1995-01-30 1996-11-19 Telemac Cellular Corporation Mobile phone with internal accounting
JPH08228220A (ja) 1995-02-20 1996-09-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H0983681A (ja) 1995-09-07 1997-03-28 Kokusai Denshin Denwa Co Ltd <Kdd> 着信払い通話の利用額管理装置
JPH10164248A (ja) 1996-12-02 1998-06-19 Casio Comput Co Ltd 通信制御装置及び記憶媒体
US6178338B1 (en) 1997-04-28 2001-01-23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options using a dial shuttle
US6195543B1 (en) 1997-06-20 2001-02-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dvice of charge parameters for mobile radio telephone calls
KR100251716B1 (ko) 1997-09-19 2000-10-02 윤종용 통화별과금정보관리기능을가지는디지털휴대용무선전화기및그관리방법
JPH11212894A (ja) 1998-01-28 1999-08-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型情報端末装置
JPH11296425A (ja) 1998-04-06 1999-10-29 Yamatake Corp 情報閲覧システム
JP3861959B2 (ja) 1998-05-27 2006-12-27 オムロン株式会社 プログラム作成支援装置
WO1999066679A1 (en) * 1998-06-19 1999-12-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ata transmitting/receiving method and device, and program recorded medium
JP2000020465A (ja) 1998-07-02 2000-01-21 Casio Comput Co Ltd データ処理装置及び記憶媒体
JP2000022788A (ja) 1998-07-06 2000-01-21 Japan Radio Co Ltd 携帯電話機
JP3142821B2 (ja) 1998-08-27 2001-03-0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情報通信ネットワークの課金方法
JP3142820B2 (ja) 1998-08-27 2001-03-0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プッシュ型情報配信方法およびその中継装置
BR9914557A (pt) 1998-10-13 2003-01-07 Gen Instrument Corp Ciclo de vida de aplicação de software e gerenciamento para aplicações de transmissão
US6393269B1 (en) 1998-10-14 2002-05-21 Openwave Systems Inc. Signaling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based pre-paid wireless telephone service
JP2000278312A (ja) 1999-03-25 2000-10-06 Nec Corp 電子メール変換方法及びシステム
JP3840831B2 (ja) 1999-03-25 2006-11-0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US7340057B2 (en) 2001-07-11 2008-03-04 Openwave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authorization to provision mobile devices on a wireless network
JP3675221B2 (ja) 1999-04-16 2005-07-27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機器管理装置、及び機器管理システム
KR100668640B1 (ko) * 1999-04-29 2007-01-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주문형 정보서비스를 위한 전송메시지 최소화 방법
JP2001051820A (ja) 1999-08-09 2001-02-23 Ricoh Co Ltd 画像処理装置
US7505941B2 (en) * 1999-08-31 2009-03-17 American Express Travel Related Services Company,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ducting electronic transactions using biometrics
JP2001078078A (ja) 1999-09-02 2001-03-23 Canon Inc 撮影装置及び撮影装置の制御方法
JP4340938B2 (ja) 1999-09-30 2009-10-0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格納媒体
JP2001167012A (ja) 1999-12-08 2001-06-22 Sharp Corp 重要メッセージ表示制御機能を有する電子メールシステム
JP2001198350A (ja) * 2000-01-20 2001-07-24 Square Co Ltd オンラインでビデオゲームの攻略情報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実現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ならびに、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システムに適用されるサーバ装置およびゲームシステムに適用されるゲーム端末
KR20000036999A (ko) * 2000-04-04 2000-07-05 안영경 인터넷을 이용한 광고 방법 및 장치
JP2001309074A (ja) 2000-04-21 2001-11-02 Cybird Co Ltd 携帯電話機
US7171654B2 (en) 2000-05-25 2007-01-3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System specification language for resource management architecture and corresponding programs therefore
US20010051884A1 (en) * 2000-06-12 2001-12-13 Gidon Wallis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warranty-related data and services
JP4330255B2 (ja) 2000-07-18 2009-09-16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携帯端末
JP2002032216A (ja) 2000-07-19 2002-01-31 Fujitsu Ltd アプリケーションのホスティング装置
US7337145B2 (en) 2000-08-03 2008-02-26 Fujitsu Limited E-money managing method and system, e-money managing/holding medium,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e-money managing program is recorded, e-value managing/holding medium, and e-value managing method
JP2002077438A (ja) 2000-08-30 2002-03-15 Sony Corp 携帯通信端末装置
GB0023570D0 (en) * 2000-09-26 2000-11-08 Volantis Systems Ltd Web server
KR100491606B1 (ko) 2000-09-29 2005-05-27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폴더식 통신단말장치 및 폴더식 통신단말장치에 있어서의표시제어방법
JP2002125221A (ja) 2000-10-13 2002-04-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転送機能付き宅内監視装置
JP2002145281A (ja) 2000-11-07 2002-05-22 Toppan Printing Co Ltd ディスプレイ効果を有する包装袋
US6681114B2 (en) 2000-12-06 2004-01-20 At&T Corp. On demand multicast messaging system
AU2002248227C1 (en) * 2000-12-19 2012-07-19 Paltronics, Inc. Video table game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use
JP2002190847A (ja) 2000-12-20 2002-07-05 Ntt Docomo Inc アプリケーション起動制御方法及び通信端末装置
US20020124049A1 (en) * 2000-12-29 2002-09-05 Leonld Gorodetsky Method and apparatus for asynchronously pushing pages to browsers
JP5008797B2 (ja) 2001-01-25 2012-08-22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話装置
US7577904B1 (en) * 2001-03-28 2009-08-18 Vianeta Communication Definition and distribution of business rules while enforcing syntactic and semantic validation
JP4526729B2 (ja) 2001-04-24 2010-08-18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
JP2002344529A (ja) 2001-05-21 2002-11-29 Sharp Corp プッシュ型サービスシステム
US7117447B2 (en) * 2001-06-08 2006-10-03 Mci, Llc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based call application system
JP2003008738A (ja) 2001-06-21 2003-01-10 Nec Access Technica Ltd 移動体端末
US8452242B2 (en) * 2002-06-29 2013-05-28 Cell Lotto, Inc. Functional identifiers on wireless devices for gaming/wagering/lottery applications and methods of using same
US20030011645A1 (en) 2001-07-16 2003-01-16 Spencer Carroll Alexis Functional identifiers on wireless devices
JP2003046601A (ja) 2001-08-02 2003-02-14 Sharp Corp 通信装置
WO2003024136A1 (en) 2001-09-12 2003-03-20 Aircross Co., Ltd. Push advertisement in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and mobile terminal suitable for the same
EP1298908A1 (en) * 2001-09-26 2003-04-0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for the distribution of tariff information
JP2003114852A (ja) 2001-10-03 2003-04-18 Actis:Kk 電子メールシステム
JP2003134566A (ja) 2001-10-24 2003-05-09 Aicon:Kk プッシュ型データ配信システムとそれに用いる移動通信端末、呼出サーバー装置
JP2003132079A (ja) 2001-10-24 2003-05-09 Fuji Xerox Co Ltd ドキュメント管理システム
JP2003140788A (ja) 2001-10-29 2003-05-16 Olympus Optical Co Ltd アプリケーションソフト起動プログラム
JP2003143332A (ja) 2001-11-06 2003-05-16 Sony Corp 通信装置および回線制御方法
US7337229B2 (en) 2001-11-08 2008-02-26 Telefon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authorizing internet transactions using the 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JP3746704B2 (ja) 2001-11-09 2006-02-15 セコム株式会社 位置探索システム
US6744423B2 (en) 2001-11-19 2004-06-01 Nokia Corpo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redictive character editor application
KR100451180B1 (ko) 2001-11-28 2004-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태그를 이용한 단문 메시지 전송방법
US7190949B2 (en) 2001-12-07 2007-03-13 Ntt Docomo, Inc.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 software initiating apparatus, application software initiating system, application software initiating method, and application software initiating program
JP3834231B2 (ja) 2001-12-14 2006-10-1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端末及び移動通信端末の制御方法
CN100382554C (zh) 2001-12-26 2008-04-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增强移动通信的短消息业务的方法及其移动终端设备
CA3006804C (en) * 2001-12-26 2021-05-18 Blackberry Limited Security interface for a mobile device
JP2003198716A (ja) 2001-12-26 2003-07-11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携帯電話機
CA2742282C (en) 2001-12-26 2014-12-16 Research In Motion Limited User interface and method of viewing unified communications events on a mobile device
US7853495B2 (en) 2001-12-28 2010-12-14 Access Co., Ltd. Usage period management system for applications
JP4332344B2 (ja) 2001-12-28 2009-09-16 株式会社Access 利用期限管理方法、利用期限管理システム、および管理サーバ
KR100452343B1 (ko) * 2001-12-28 2004-10-12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기계어 코드 실행영역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파일을 기록하는 저장매체 및 그를 이용한 파일 실행방법
JP2003204384A (ja) 2002-01-07 2003-07-18 Sony Corp 携帯通信端末
KR100462846B1 (ko) * 2002-01-15 2004-12-20 주식회사 버츄얼웨어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브라우저
JP2003244653A (ja) 2002-02-18 2003-08-29 Phase Out Inc 可搬性記録媒体、プログラム、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のモニタ装置にフルスクリーン表示でビデオ画像を再生させる方法
JP3785640B2 (ja) * 2002-02-25 2006-06-14 ソニー株式会社 サービス提供装置及びサービス提供方法
JP2003263251A (ja) 2002-03-11 2003-09-19 Sharp Corp 無線通信機能を備えた情報処理装置
JP4222774B2 (ja) * 2002-05-20 2009-02-12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携帯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の起動方法
CA2387328C (en) 2002-05-24 2012-01-03 Diversinet Corp. Mobile terminal system
JP4376181B2 (ja) * 2002-06-18 2009-12-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プログラム実行処理端末装置
US7019646B1 (en) 2002-10-08 2006-03-28 Noel Woodard Combination smoke alarm and wireless location device
US7657223B2 (en) * 2003-02-04 2010-02-02 Nokia Siemens Networks Oy Provision of content to mobile users
US7788588B2 (en) 2003-02-07 2010-08-31 Microsoft Corporation Realizing users' preferences
US7437685B2 (en) 2003-03-10 2008-10-14 Microsoft Corporation Logical, safe, and more personal user interface for accessing data and launching programs or applications
US7076616B2 (en) 2003-03-24 2006-07-11 Sony Corporation Application pre-launch to reduce user interface latency
US7711106B2 (en) 2003-06-30 2010-05-04 Comverse, Ltd. Telephone based method and system for adding contacts to a personal network address book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075B1 (ko) * 2006-01-16 2007-06-1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요금 별납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KR101258529B1 (ko) * 2006-01-17 2013-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카드 시스템, 메모리 카드, 그리고 메모리 카드의응용프로그램 수행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26986A1 (en) 2008-05-29
US8326271B2 (en) 2012-12-04
CN101715025A (zh) 2010-05-26
US20050070251A1 (en) 2005-03-31
CN100548007C (zh) 2009-10-07
US20080032667A1 (en) 2008-02-07
US9203634B2 (en) 2015-12-01
US8798612B2 (en) 2014-08-05
US9008627B2 (en) 2015-04-14
US20070123206A1 (en) 2007-05-31
KR100697416B1 (ko) 2007-03-20
US8995953B2 (en) 2015-03-31
US20090054041A1 (en) 2009-02-26
CN1604594A (zh) 2005-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7416B1 (ko) 모바일 통신 단말기, 정보 제공 시스템 및 프로그램을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1073770B1 (ko) 모바일 메시징용 멀티모달 인터페이스
US8897823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providing enhanced contact list information for mobile stations including mobile telephones
US6721402B2 (en) Apparatus, method, and record medium for automatically categorizing received mail messages
JP4624407B2 (ja) 待機モード用コンテンツを移動端末機へ提供する方法、および、サービス管理サーバー
KR10137318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처리 방법
KR100617756B1 (ko) 휴대단말기의 상태 정보 표시방법
CN101026833B (zh) 移动通信终端、信息提供系统、程序和记录介质
KR100597809B1 (ko) 이동 단말기의 대기 모드 상태에서 메시지를 출력하는방법 및 장치
JP4083658B2 (ja) 携帯通信装置、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0434647B1 (ko) 네트워크 상에서의 연락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30020530A (ko) 이동단말기의 데이터 저장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597808B1 (ko) 스팸 단문 메시지 차단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61615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대기 모드 시 배경 화면 메시지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JP6698893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5000696B2 (ja) 情報端末、メッセージ通知システム、およびメッセージ通知方法
KR101564577B1 (ko) 단말장치 및 스마트카드 및 수신 메시지 처리 방법
KR20090023853A (ko) 메시지 관리 방법 및 장치
JP2008305146A (ja) 出力情報提供システム、出力情報提供サーバ、携帯電話機、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2077459A (ja) 移動通信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