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7556B1 - 이동 단말기의 푸시 클라이언트 및 이를 이용한 프로바이더 변경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의 푸시 클라이언트 및 이를 이용한 프로바이더 변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7556B1
KR101287556B1 KR1020110099320A KR20110099320A KR101287556B1 KR 101287556 B1 KR101287556 B1 KR 101287556B1 KR 1020110099320 A KR1020110099320 A KR 1020110099320A KR 20110099320 A KR20110099320 A KR 20110099320A KR 101287556 B1 KR101287556 B1 KR 101287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provider
user
mobile terminal
impor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9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5068A (ko
Inventor
이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to KR1020110099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7556B1/ko
Priority to US13/336,057 priority patent/US20130086207A1/en
Publication of KR20130035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5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7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7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5Push-based network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04L67/63Routing a service request depending on the request content or con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04L67/61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taking into account QoS or priority requi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Abstract

본 출원은 이동 단말기의 푸시 클라이언트 및 이를 이용한 프로바이더 변경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의된 우선 순위, 네트워크 상태 및 푸시 서버와의 세션까지 고려하여 최선의 수신이 가능하도록 프로바이더를 능동적으로 변경 및 선택함을 이용하여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푸시 클라이언트 및 이를 이용한 프로바이더 변경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 기술적 구성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바이더를 통해 푸시 서버와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푸시 클라이언트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망의 네트워크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푸시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푸시 메세지의 수신 가능성을 결정하는 자료를 제공하도록 구비된 감시부; 상기 수신 가능 상태가 양호하지 못한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중요도를 기반으로 상기 프로바이더 중 활성화된 프로바이더를 능동적으로 선택하여 상기 푸시 메세지를 수신할 수 있도록 구비된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의 푸시 클라이언트 및 이를 이용한 프로바이더 변경방법{PUSH CLIENT OF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HANGING PROVIDER USING THEREOF}
본 출원은 이동 단말기의 푸시 클라이언트 및 이를 이용한 프로바이더 변경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의된 우선 순위, 네트워크 상태 및 푸시 서버와의 세션까지 고려하여 최선의 수신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의 푸시 클라이언트 및 이를 이용한 프로바이더 변경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푸시 기술(Push Technology)은 인터넷 상에서 어떤 전송 요청이 중앙 서버에서 정보 전달 방식이며, 이는 전송 요청이 클라이언트에서 시작되는 풀(Pull) 기법과는 대비되는 것으로, 서버 푸시(Server Push)라고도 한다.
푸시 기술은 풀 기법으로 명명된 웹 브라우저와 비교할 수 있는데, 풀 기법은 현재 인터넷에서 사용되고 있는 웹 브라우저는 사용할 때에 사용자가 항상 자신이 갖고자 하는 정보를 소유한 서버에게 정보를 요청하며, 웹 브라우저의 사용과 목적지에 대한 최종 결정 역시 사용자가 결정할 수 있다.
반면, 푸시 기술은 사용자가 일일이 요청하지 않아도 사용자에게 자동으로 뉴스나 사용자가 원하는 특별한 정보, 예를 들면 증권시장의 주기적인 정보 같은 것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두 가지 기법의 차이점은 정보의 흐름을 누가 통제하느냐 하는 점에 있다고 할 수 있는데, 풀 기법 하에서는 사용자, 즉 소비자들이 정보 취득 및 정보의 접촉을 마음대로 통제할 수 있으나, 푸시 기법 하에서는 정보를 전달하는 쪽에서, 즉 광고주 등과 같은 주체가 정보의 흐름을 직접 통제할 수 있게 된다.
푸시 기술의 대표적인 것은 메일링 리스트를 들 수 있는데, 메일링 리스트를 제공하는 홈페이지에 가입하고 메일링 리스트를 신청하기만 하면 푸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푸시 서비스는 전자 메일에서 벗어나 다른 부분으로 계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는데, 현재까지 등장한 푸시 서비스를 본다면, 넷 캐스트, 뉴스 서비스 및 멀티미디어 콘텐츠 등이 있다.
이에 반해, 뉴스나 정보 서비스는 넷 캐스트와는 상당히 다른 형태로 발달된 푸시 서비스로서, 넷 캐스트와는 달리 사용자를 위해 뉴스 내용을 수집하고 만들어내는 기능까지 함으로써 단순하게 전달만 하는 넷 캐스트보다는 한 차원 위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급이 증가함에 따라,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다양한 응용 서비스가 활성화되는 추세이며, 대표적으로는 이메일 및 사용자 간 대화와 같은 실시간성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달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식이 활용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방식으로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푸시가 있으며,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 간의 주기적인 통신상에 푸시 데이터를 탑재하여 전달한다.
3G 데이터 통신이 활성화되고, Wi-Fi(Wireless Lan)가 확산됨으로 하여, 클라이언트에서 TCP/IP 세션을 서버와 맺은 후, 서버에서 전달할 데이터가 발생한 경우, TCP/IP 세션을 통해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서버-클라이언트 구조에서는, 푸시 모드 서비스와 풀 모드 서비스를 함께 제공하기 위한 프로토콜이 클라이언트를 서버의 서비스 대상자로 등록하고 서비스를 시작하는 기능, 클라이언트에 의해 제어되는 풀 모드 기능, 서버에 의해 제어되는 푸시 모드 기능, 서버에 의한 원격 제어 및 종료 기능을 포함한다.
그러나, 풀 모드 서비스 및 푸시 모드 서비스 간 전환에 대한 제어가 결여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풀 모드로 작업중인 경우라도 서버의 푸시 모드 서비스가 시작되면 풀 모드 서비스가 강제 종료되는 등 사용자 불편이 초래되고 있으며, 응용 시스템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제어가 시급한 실정이었다.
이에 따라, 등록번호 10-0739721호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푸시 및 풀 모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우선 순위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가 선택적으로 푸시 모드 서비스 또는 풀 모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방법이 게재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푸시 모드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우선 순위를 요청하고(S301), 클라이언트는 응답 메세지를 푸시 서버로 보내며(S302), 우선 순위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은 풀 모드 또는 푸시 모드 뿐인데, 클라이언트의 우선 순위를 판단하여(S303), 풀 모드가 우선이면 풀 모드로 전환하고(S304), 푸시 모드가 우선이면 푸시 모드로 전환하며(S305), 사용자 선택이 우선이면(S306), 사용자 선택으로(S307), 풀 모드(S308) 또는 푸시 모드(S309)가 진행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푸시 모드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우선 순위를 요청하고(S501, S502), 원격 제어 진행 여부를 결정하며(S503), 풀 모드 우선이면 원격 제어를 종료하고(S504), 그렇지 않으면 원격 제어 명령을 전달하며(S505, S507), 풀 모드 우선이면 원격 제어는 하지 않고, 푸시 모드 우선이면 원격 제어 결과를 서버에 보고하며(S506), S508 내지 S510은 S306 내지 S309와 동일하다.
그러나, 이동 단말기는 고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음영 지역으로 이동, WIFI, 3G, 4G 등의 통신망과의 접속 불능과 같은 네트워크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활성화된 네트워크를 찾을 때까지는 푸시를 위한 TCP/IP 세션이 끊어져 어플리케이션 메세지를 받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였으며, 데이터 정액제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과금을 피하기 위해 WIFI를 이용하면서 이동하는 경우 WIFI가 끊겨 활성화된 WIFI를 찾을 때까지 정작 중요한 메세지는 즉각적으로 전달받지 못하는 상황이 빈번하였고, 어플리케이션의 중요도를 사용자가 설정하지 못하여 절대 수신 또는 절대 수신 거부 등의 상황에서도 수신받지 못하거나 또는 수신받거나 하는 상황이 발생하여 사용자게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거부감을 가지게 하였으며, 수신받고 싶지 않은 상황, 즉 해외 로밍시 어플리케이션 메세지를 수신받는 것만으로도 요금이 과금됨에도 불구하고, 로밍상태에서 3G 또는 4G 망으로 연결되어 엄청난 요금이 부과되어 사용자에게 메세지를 전달한 어플리케이션 뿐만 아니라, 자동 로밍시킨 이동 단말기까지 폐기하고자 하는 극단적인 선택까지 하게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출원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이동 단말기의 특성을 고려하여 네트워크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WIFI와 3G, 4G의 프로바이더를 능동적으로 변경함으로써, 네트워크 상태에 종속적이지 않고 네트워크 상태가 악화되는 경우에도, 어플리케이션 메세지를 수신가능하도록 프로바이더를 변경시키는 이동 단말기의 푸시 클라이언트 및 이를 이용한 프로바이더 변경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은 WIFI를 이용하면서 이동하여 WIFI가 끊기는 상황일지라도, 즉각적으로 중요한 메세지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프로바이더를 능동적으로 변경하는 것뿐만 아니라, 네트워크가 연결되었더라도 푸시 서버와의 세션까지도 확인하여 메세지를 전달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심층적으로 체크하여 메세지가 정확하게 전달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이동 단말기의 푸시 클라이언트 및 이를 이용한 프로바이더 변경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은 푸시 서버와의 세션을 형성하는 데 소모되는 전력 소모량을 고려하여, 세션 연결이 가용 상태인지의 여부 및 최종 푸시 메세지 전송 후 일정 시간이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고려하여 푸시 서버와의 세션을 형성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푸시 클라이언트 및 이를 이용한 프로바이더 변경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은 어플리케이션 개발자 및 사용자의 중요도를 입력받아, 설정된 중요도에 따라 프로바이더 연결을 실시하되, 사용자의 중요도가 입력된 경우에는 개발자의 중요도는 작용하지 않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권한을 강화시켜 사용자의 중요도를 우선시하고,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의 수신을 설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이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푸시 클라이언트 및 이를 이용한 프로바이더 변경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은 사용자의 중요도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어플리케이션 개발자의 설정 레벨에 따라 주기적으로 메세지를 수신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및 세션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 프로바이더를 변경하고, 사용자의 중요도 설정도 물론 사용자의 설정 레벨에 따라 주기적으로 메세지를 수신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이동 단말기의 푸시 클라이언트 및 이를 이용한 프로바이더 변경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은 사용자가 수신 거부를 한 경우에는, 어플리케이션 개발자의 설정에 관계없이, 사용자를 존중하여 모든 어플리케이션 메세지를 수신하지 않을 수 있도록 설정가능함으로써,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거부감을 없앨 수 있고, 이를 채용한 이동 단말기의 사용을 활성화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푸시 클라이언트 및 이를 이용한 프로바이더 변경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출원은 실시예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바이더를 통해 푸시 서버와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푸시 클라이언트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망의 네트워크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푸시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푸시 메세지의 수신 가능성을 결정하는 자료를 제공하도록 구비된 감시부; 상기 수신 가능 상태가 양호하지 못한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중요도를 기반으로 상기 프로바이더 중 활성화된 프로바이더를 능동적으로 선택하여 상기 푸시 메세지를 수신할 수 있도록 구비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푸시 클라이언트를 이용하여 과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실시예들 중에서, 푸시 클라이언트 내 어플리케이션이 로딩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ID 및 개발자의 설정이 저장부에 저장되는 단계(a); 사용자의 설정이 있는 경우, 제어부에서 가용 프로바이더를 검색하는 단계(b); 상기 가용 프로바이더가 있지만 푸시 서버에 접속 불가하면, 상기 제어부는 다른 가용 프로바이더 목록을 추출하고, 상기 다른 가용 프로바이더 중 활성화된 프로바이더로 연결하는 단계(c);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푸시 클라이언트를 이용한 프로바이더 변경방법을 이용하여 과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출원의 개시된 기술은 본 출원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① 이동 단말기의 특성을 고려하여 네트워크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WIFI와 3G, 4G의 프로바이더를 능동적으로 변경함으로써, 네트워크 상태에 종속적이지 않고, 네트워크 상태가 악화되는 경우에도 어플리케이션 메세지를 수신가능하도록 프로바이더를 변경시킬 수 있으며, ② WIFI를 이용하면서 이동하여 WIFI가 끊기는 상황일지라도, 즉각적으로 중요한 메세지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프로바이더를 능동적으로 변경하는 것뿐만 아니라, 네트워크가 연결되었더라도 푸시 서버와의 세션까지도 확인하여 메세지를 전달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심층적으로 체크하여 메세지가 정확하게 전달가능하며, ③ 푸시 서버와의 세션을 형성하는 데 소모되는 전력 소모량을 고려하여, 세션 연결이 가용 상태인지의 여부 및 최종 푸시 메세지 전송 후 일정 시간이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고려하여 푸시 서버와의 세션을 형성할 수 있으며, ④ 어플리케이션 개발자 및 사용자의 중요도를 입력받아, 설정된 중요도에 따라 프로바이더 연결을 실시하되, 사용자의 중요도가 입력된 경우에는 개발자의 중요도는 작용하지 않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권한을 강화시켜 사용자의 중요도를 우선시하고,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의 수신을 설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이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⑤ 사용자의 중요도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어플리케이션 개발자의 설정 레벨에 따라 주기적으로 메세지를 수신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및 세션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 프로바이더를 변경하고, 사용자의 중요도 설정도 물론 사용자의 설정 레벨에 따라 주기적으로 메세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⑥ 사용자가 수신 거부를 한 경우에는, 어플리케이션 개발자의 설정에 관계없이, 사용자를 존중하여 모든 어플리케이션 메세지를 수신하지 않을 수 있도록 설정가능함으로써,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거부감을 없앨 수 있고, 이를 채용한 이동 단말기의 사용을 활성화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푸시 모드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푸시 모드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푸시 클라이언트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푸시 클라이언트를 이용한 프로바이더 변경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푸시 클라이언트를 이용한 프로바이더 변경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푸시 클라이언트를 이용한 프로바이더 변경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4에서 사용자가 중요도를 설정하는 화면의 일 실시예이다.
도 8은 도 5에서 사용자가 중요도를 설정하는 화면의 일 실시예이다.
도 9는 도 8에서 사용자가 중요도 레벨을 설정하는 화면의 일 실시예이다.
도 10은 도 6에서 사용자가 수신 거부를 설정하는 화면의 일 실시예이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개시된 기술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본 출원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푸시 클라이언트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의 푸시 클라이언트(1)는 이동 단말기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감시부(10), 제어부(30), 저장부(50), 프로바이더(70)를 포함한다.
감시부(10)는 이동 단말기의 네트워크 접속 상태 및 푸시 서버와의 접속 상태를 감시하며, 네트워크의 가용 상태, 접속 상태, 푸시 서버와의 연결 가능 상태를 추출하여 제어부(30)로 전달한다.
즉, 감시부(10)는 이동 단말기의 네트워크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구성 요소로서, 네트워크 프로바이더(70)의 변경과, 네트워크 프로바이더(70)에 발생되는 이벤트를 모니터링하여, 제어부(10)의 결정부(31)로 전달한다.
제어부(30)는 결정부(31), 푸시 메세지 처리부(33)를 포함하고, 결정부(31)는 감시부(10)의 감시 결과와 저장부(5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들의 아이디(AppID), 각 어플리케이션이 등록되는 시점에서 어플리케이션에서 요구하는 푸시 중요도 등을 이용하여 접속 네트워크를 변경할지의 여부를 선택하며, 결정부(31)의 결정 결과에 따라 제어부(30)는 프로바이더(70)를 변경한다.
즉, 결정부(31)는 저장부(50)에 저장된, 즉 개발자가 설정한 중요도 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중요도와, 감시부(10)에서 모니터링한 프로바이더(70)의 네트워크 이벤트를 취합하여 네트워크의 변경, 즉 프로바이더(70)의 변경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푸시 메세지 처리부(33)는 이동 단말기가 푸시 메세지를 수신하면, 수신된 메세지를 분석하여 메세지 상의 어플리케이션 아이디(AppID)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고, 일치하는 경우, 해당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메세지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어부(30)는 그 외에도,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하고 구동시키도록 명령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각 구성 요소의 통로임과 동시에 각 구성 요소를 구동시키는 주체적인 구성 요소라고 정의한다.
저장부(50)는 푸시 서비스를 받는 각 어플리케이션이 등록되는 시점에 어플리케이션에서 요구하는 푸시의 중요도를 받아 저장하고, 어플리케이션 아이디(AppID)와 함께 연계시켜 저장한다.
프로바이더(70, Provider)는 3G, 4G와 같은 이동 통신망과, WIFI와 같은 무선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이동 단말기 내에 내장된 것으로, 결정부(31)의 결정에 따라 제어부(30)가 프로바이더(70)를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3G 프로바이더(71), WIFI 프로바이더(73), 4G 프로바이더(75)를 포함한다.
사용자에 의해 이동 단말기 내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으며,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은 푸시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메세지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부분이고, 처음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때 제어부(30)로 어플리케이션 아이디(AppID)를 전달하며, 이동 단말기가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인식하는 수단으로 작용하며, 제어부(30)에서는 어플리케이션 아이디(AppID)와 사용자에게 설정받거나 또는 개발자가 설정한 중요도를 저장부(50)에 저장시킨다.
푸시 서버는 이동 단말기로 메세지를 전달하기 위하여 어플리케이션 아이디(AppID)와 이동 단말기의 아이디(ID)를 포함하여 해당하는 이동 단말기로 메세지를 전달하도록 구비되고, 이동 단말기와 TCP/IP 연결을 유지하며, 이 연결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메세지를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동 단말기의 푸시 클라이언트(1)는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푸시 서버로 연결을 시도하고, 이 연결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푸시 서버로부터 즉시 푸시 메세지가 들어올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며, 수신된 메세지를 분석하여 어플리케이션 아이디(AppID)에 따라 해당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즉각적으로 메세지가 전달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동 단말기는 이동 통신망에 연결되어 있는 단말기로서, 이동 단말기의 푸시 클라이언트(1) 및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있으며, 푸시 메세지를 처리할 수 있는 상태로 존재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구성으로 그 동작을 이하의 도면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푸시 클라이언트를 이용한 프로바이더 변경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이 이동 단말기에 설치되면, 제어부에서는 이를 감지하여 저장부로 전달하되, 어플리케이션의 아이디(AppID)와 개발자 설정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중요도 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중요도를 저장한다(S10).
만약, 사용자의 설정이 있다면 개발자가 중요도를 설정했다고 하더라도 사용자의 권한을 강화하기 위해, 사용자의 설정으로 개발자의 설정을 덮어쓰게 되므로, 사용자의 설정이 있는지부터 체크한다(S11).
그리고, 사용자 설정이 있다면, 사용자의 설정을 적용하고(S13), 사용자가 아무런 설정을 하지 않은 채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고자 한다면, 차선책으로 개발자가 설정한 중요도를 적용하게 된다(S15).
즉, 어플리케이션 개발자는 자신의 어플리케이션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여, 중요도를 설정할 것이고, 사용자는 설정을 자신의 편의에 따라 설정 여부를 결정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설정 여부에 관계없이 어플리케이션은 언제나 중요도가 설정된 상태가 되는 것이며, 하기의 표 1과 같다.
사용자 개발자 실시 동작

설정
여부
o o 사용자 설정대로 동작
o x 사용자 설정대로 동작
x o 개발자 설정대로 동작
x x 기본 동작
실시 동작
설정 한 경우(o) 푸시 서버와의 연결 모니터링 및 프로바이더 변경
설정 안한 경우(x) 디폴트로 설정된 기본 동작
표 2에서와 같이, 설정을 한 경우에는, 푸시 서버와의 연결을 지속적으로 감시부에서 모니터링하여, 연결이 되지 않은 경우에도 최선의 연결을 위한 네트워크 프로바이더 변경을 시도하고, 설정을 하지 않은 경우에는 푸시 서버와의 연결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지 않으며, 연결이 안된 경우에도 별도의 작업을 수행하지 않는 기본 동작 모드로 들어 간다.
또한, 사용자가 정의한 중요도가 다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라도 있는 경우에는, 설정한 중요도를 우선적으로 적용하여 설정을 한 경우와 같은 동작을 실시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다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에 중요도가 설정되었다고 하더라도, 중요하다고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을 기준으로 그 이하의 단계를 진행하게 된다.
즉, 중요도가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은 실시간으로 메세지를 전달받을 수 있어야 하므로, 예를 들어, 사용자가 커피숍에 앉아서 WIFI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고 있는데, 커피숍을 떠나면서 WIFI를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경우, 3G로 전환이 되지만 실제적으로 메세지가 수신될 수 있는 통신이 되는지의 여부가 불명확하여 실제적으로 통신이 되기까지의 지연 시간이 발생하고, 실제적인 통신이 될 때까지는 어플리케이션에 수신될 메세지가 스택(Stack)처럼 쌓이고만 있다가, 푸시 서버와의 연결이 실제적으로 이루어지면 한꺼번에 수신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은 이를 방지하고자, 프로바이더를 바꾸는 것뿐만 아니라, 실제적인 통신이 가능하도록 푸시 서버와의 세션을 능동적으로 이동 단말기에서 생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감시부에서는 프로바이더의 연결을 실시간으로 지속적으로(Continually) 모니터링하게 되고(S20), 연결된 프로바이더가 가용 가능한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데(S30), 가용 가능 여부의 판단 기준은 신호의 강도, 이동 단말기 가입자의 가입 상태 또는 WIFI의 경우 WEP, WPA 등의 인증 상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S30)에서 네트워크에 연결된 프로바이더의 사용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감시부에서 모니터링한 정보를 바탕으로 결정부에서는 가용 프로바이더 목록을 추출하여(S60), 가용 프로바이더 중 활성화된 프로바이더로 연결되도록 선택하면(S70), 제어부에서는 상기 활성화된 프로바이더로 연결을 시키게 된다.
여기서, 선택 가능한 다른 프로바이더가 없는 경우에는, 지속적으로 감시부에서 활성화된 프로바이더를 찾을 때까지 상기 단계(S20)로 진행하여 감시부에서 프로바이더를 모니터링하는 네트워크 모니터링을 계속적으로 진행한다(미도시).
네트워크 프로바이더에 대한 선택이 완료되었으면(S30), 다음 단계로서 푸시 서버로 접속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체크하기 위해, 푸시 서버 세션의 생성이 필요한지 여부를 묻고(S40), 세션을 생성하거나 또는 연결이 이미 끊어진 기존 세션을 삭제 후 재생성을 진행하며(S51), 푸시 서버로 접속이 가능한지를 묻는다(S53).
본 출원은 기존의 기술과는 달리, 푸시 서버의 접속 가능 여부를 자체적으로 파악하는 것뿐만 아니라, 실제적인 통신이 가능케하는 푸시 서버에 접속이 불가능한 경우, 프로바이더를 능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네트워크가 연결이 된 상태라도, 메세지가 도달하지 않는 경우가 허다하고, 네트워크가 연결만 된 상태이지 실제적으로 통신이 되지 않는 상태까지 체크하여 프로바이더를 변경하는 기술이 없었으므로, 본 출원에서는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TCP/IP 수준의 연결이 유지될지라도, 푸시 서버와의 세션이 형성되었는지를 심층적으로 체크함으로써 네트워크가 연결만 되고 작동은 되지 않는 상태를 없애고 보다 정확한 푸시 메세지 전달이 가능케 되는 것이다.
그리고, 푸시 서버에 접속이 가능한 경우(S53), 푸시 서버로부터 푸시 클라이언트로 푸시 메세지를 전달받고(S80), 네트워크 연결은 되었지만 푸시 서버와 접속이 되지는 않은 상태라면, 가용 프로바이더 목록을 추출하여(S60), 활성화된 프로바이더로 연결하여(S70), 연결된 프로바이더가 가용 가능한지를 다시 확인하게끔 한다.
상기 단계(S53)의 접속 가능 여부의 기준은, 대역폭 부족으로 인한 네트워크 지연, DNS(Domain Name Server) 오류로 인한 푸시 서버 IP 추출 불가, 네트워크 프로바이더 방화벽으로 인한 패킷 필터링, 네트워크의 전달 과정에서의 일시적인 연결 불가 또는 푸시 서버의 과부하 및 오류로 인한 연결 불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접속이 불가능한 경우, 가용 가능한 네트워크 프로바이더를 추출하고, 새로운 네트워크 프로바이더가 활성화되면, 이를 이용하여 새로운 세션을 생성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네트워크 프로바이더 말고도 푸시 서버까지 접속이 가능하여, 완전히 통신이 가능케 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면 푸시 서버로부터 푸시 클라이언트로 푸시 메시지를 전달받고(S80), 전원이 오프되기 전까지(S90) 단계(S20)로 돌아가 중요도가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의 푸시 메세지가 끊김없이 전달되도록 한다(S90).
도 5는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푸시 클라이언트를 이용한 프로바이더 변경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이 이동 단말기에 설치되면, 제어부에서는 이를 감지하여 저장부로 전달하되, 어플리케이션의 아이디(AppID)와 개발자 설정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중요도 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중요도를 저장한다(S10).
만약, 사용자의 설정이 있다면 개발자가 중요도를 설정했다고 하더라도 사용자의 권한을 강화하기 위해, 사용자의 설정으로 개발자의 설정을 덮어쓰게 되므로, 사용자의 설정이 있는지부터 체크한다(S11).
그리고, 사용자 설정이 있다면, 사용자의 설정을 적용하고(S13), 사용자가 아무런 설정을 하지 않은 채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고자 한다면, 차선책으로 개발자가 설정한 중요도를 적용하게 된다(S15).
즉, 어플리케이션 개발자는 자신의 어플리케이션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여, 중요도를 설정할 것이고, 사용자는 설정을 자신의 편의에 따라 설정 여부를 결정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설정 여부에 관계없이 어플리케이션은 언제나 중요도가 설정된 상태가 되는 것이며, 하기의 표 3과 같다.
사용자 개발자 실시 동작

설정
여부
o o 사용자 설정대로 동작
o x 사용자 설정대로 동작
x o 개발자 설정대로 동작
x x 기본 동작
또한, 사용자가 정의한 중요도가 다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라도 있는 경우에는, 설정한 중요도를 우선적으로 적용하여 설정을 한 경우와 같은 동작을 실시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다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에 중요도가 설정되었다고 하더라도, 중요하다고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을 기준으로 그 이하의 단계를 진행하게 된다.
즉, 중요도가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은 실시간으로 메세지를 전달받을 수 있어야 하므로, 예를 들어, 사용자가 커피숍에 앉아서 WIFI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고 있는데, 커피숍을 떠나면서 WIFI를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경우, 3G로 전환이 되지만 실제적으로 메세지가 수신될 수 있는 통신이 되는지의 여부가 불명확하여 실제적으로 통신이 되기까지의 지연 시간이 발생하고, 실제적인 통신이 될 때까지는 어플리케이션에 수신될 메세지가 스택(Stack)처럼 쌓이고만 있다가, 푸시 서버와의 연결이 실제적으로 이루어지면 한꺼번에 수신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은 이를 방지하고자, 프로바이더를 바꾸는 것뿐만 아니라, 실제적인 통신이 가능하도록 푸시 서버와의 세션을 능동적으로 이동 단말기에서 생성하는 것이다.
실시 동작
설정 한 경우(o) 푸시 서버와의 연결 모니터링 및 프로바이더 변경
설정 안한 경우(x) 디폴트로 설정된 기본 동작
수신 금지로 설정한 경우 동작 하지 않음
표 4에서와 같이, 설정을 한 경우에는, 푸시 서버와의 연결을 지속적으로 감시부에서 모니터링하여, 연결이 되지 않은 경우에도 최선의 연결을 위한 네트워크 프로바이더 변경을 시도하고, 설정을 하지 않은 경우에는 푸시 서버와의 연결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지 않으며, 연결이 안된 경우에도 별도의 작업을 수행하지 않는 기본 동작 모드로 들어가며, 수신 금지로 설정한 경우에는 네트워크가 활성화되더라도 어떠한 동작도 하지 않는다.
사용자 개발자 실시 동작
수신 안함 o o,x 수신 안함
레벨 1 o o,x 6시간 주기 수신
레벨 2 o o,x 3시간 주기 수신
레벨 3 o o,x 1시간 주기 수신
레벨 4 o o,x 30분 주기 수신
레벨 5 o o,x 5분 주기 수신
본 출원에 따른 방법에서는 푸시 세션 생성에 따른 자원 소모를 줄이기 위해, 최종의 푸시 메세지 전송시간이 일정 시간 내인지의 여부를 체크하여, 일정 시간 이내라면 푸시 세션 생성을 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이동 단말기의 특성상 세션 생성에 따른 배터리 소모가 발생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설정한 레벨에 따라 일정 시간이 결정되며, 레벨 1은 매우 안중요한 메세지로 6 시간마다 체크해도 관계없을 경우이고, 레벨 2는 안 중요한 메세지로 3 시간마다 체크해도 관계없을 경우이며, 레벨 3는 보통인 메세지로 1 시간 주기로 메세지로 1 시간마다 체크해도 관계없는 경우이고, 레벨 4는 중요한 메세지로 30 분마다 체크해야 하는 경우이며, 레벨 5는 매우 중요한 메세지로 5 분마다 체크해야 하는 경우이다.
상기 시간의 시작과 끝의 설정은 각 기기 및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에 맞게 변경가능하며, 각 레벨의 설정도 상기 단계적인 레벨의 설정이 아니라, 선형적으로(Linear)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를 위하여, 감시부에서는 프로바이더의 연결을 실시간으로 지속적으로(Continually) 모니터링하게 되고(S20), 연결된 프로바이더가 가용 가능한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데(S30), 가용 가능 여부의 판단 기준은 신호의 강도, 이동 단말기 가입자의 가입 상태 또는 WIFI의 경우 WEP, WPA 등의 인증 상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S30)에서 네트워크에 연결된 프로바이더의 사용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감시부에서 모니터링한 정보를 바탕으로 결정부에서는 가용 프로바이더 목록을 추출하여(S60), 가용 프로바이더 중 활성화된 프로바이더로 연결되도록 선택하면(S70), 제어부에서는 상기 활성화된 프로바이더로 연결을 시키게 된다.
여기서, 선택 가능한 다른 프로바이더가 없는 경우에는, 지속적으로 감시부에서 활성화된 프로바이더를 찾을 때까지 상기 단계(S20)로 진행하여 감시부에서 프로바이더를 모니터링하는 네트워크 모니터링을 계속적으로 진행한다(미도시).
네트워크 프로바이더에 대한 선택이 완료되었으면(S30), 푸시 서버와 푸시 클라이언트 간의 세션 생성에 따른 자원 소모를 줄이기 위해, 최종 푸시 메세지를 전송시간이 일정 시간 이내인지(S41) 묻고, 일정 시간이 되지 않았다면 일정 시간이 될 때까지 루프를 돌며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기다리며, 상기 일정 시간은 상기 표 5에서 정의된 레벨에 따를 수도 있고, 또는 선형적으로 설정된 시간에 따를 수도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설정하거나 또는 개발자가 설정한 디폴트 값에 따르되, 사용자가 설정한 경우에는 개발자의 설정은 사용자의 설정으로 덮어쓴다.
그리고 나서, 세션 연결이 가용 상태인지, 즉 현재 푸시 서버와 푸시 클라이언트의 세션이 연결 상태인지를 체크하여(S43), 다음 단계로서 푸시 서버로 접속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체크하기 위해, 연결되지 않았거나 기존 세션이 가용 가능하지 않은 경우에는, 세션을 생성하거나 또는 연결이 이미 끊어진 기존 세션을 삭제 후 재생성을 진행하며(S51), 연결된 경우에는 푸시 서버로 접속이 가능한지를 묻는다(S53).
본 출원은 기존의 기술과는 달리, 푸시 서버의 접속 가능 여부를 자체적으로 파악하는 것뿐만 아니라, 실제적인 통신이 가능케하는 푸시 서버에 접속이 불가능한 경우, 프로바이더를 능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네트워크가 연결이 된 상태라도, 메세지가 도달하지 않는 경우가 허다하고, 네트워크가 연결만 된 상태이지 실제적으로 통신이 되지 않는 상태까지 체크하여 프로바이더를 변경하는 기술이 없었으므로, 본 출원에서는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TCP/IP 수준의 연결이 유지될지라도, 푸시 서버와의 세션이 형성되었는지를 심층적으로 체크함으로써 네트워크가 연결만 되고 작동은 되지 않는 상태를 없애고 보다 정확한 푸시 메세지 전달이 가능케 되는 것이다.
그리고, 푸시 서버에 접속이 가능한 경우(S53), 푸시 서버로부터 푸시 클라이언트로 푸시 메세지를 전달받고(S80), 네트워크 연결은 되었지만 푸시 서버와 접속이 되지는 않은 상태라면, 가용 프로바이더 목록을 추출하여(S60), 활성화된 프로바이더로 연결하여(S70), 연결된 프로바이더가 가용 가능한지를 다시 확인하게끔 한다.
상기 단계(S53)의 접속 가능 여부의 기준은, 대역폭 부족으로 인한 네트워크 지연, DNS(Domain Name Server) 오류로 인한 푸시 서버 IP 추출 불가, 네트워크 프로바이더 방화벽으로 인한 패킷 필터링, 네트워크의 전달 과정에서의 일시적인 연결 불가 또는 푸시 서버의 과부하 및 오류로 인한 연결 불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접속이 불가능한 경우, 가용 가능한 네트워크 프로바이더를 추출하고, 새로운 네트워크 프로바이더가 활성화되면, 이를 이용하여 새로운 세션을 생성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네트워크 프로바이더 말고도 푸시 서버까지 접속이 가능하여, 완전히 통신이 가능케 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면 푸시 서버로부터 푸시 클라이언트로 푸시 메시지를 전달받고(S80), 전원이 오프되기 전까지(S90) 단계(S20)로 돌아가 중요도가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의 푸시 메세지가 끊김없이 전달되도록 한다(S90).
도 6은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푸시 클라이언트를 이용한 프로바이더 변경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해외로 도착했을 때에는 이동 단말기는 자동 로밍 서비스를 제공하며, 사용자가 설정하지 않아도 해외의 국가에 도착하여 이동 단말기를 온(ON)시키면, 온(ON)과 동시에 자동 로밍이 사용자의 의지와 관계없이 진행되어 버리는데, 이러한 경우 시계가 없어 시간만을 보기 위해 이동 단말기를 온(ON) 시킨다 하더라도, 푸시 어플리케이션의 푸시 데이터는 계속적으로 사용자의 의지와는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므로, 이러한 경우를 방지하고자 해외 로밍이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묻는다.
그리고 나서, 해외 로밍이 발생하지 않았으면, 국내에 체류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정상적인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 단계(S11)로 진행하면 되고, 해외 로밍이 발생한 경우라면, 사용자에게 설정 화면을 띄워 수신 거부할 것인지의 여부를 묻게 된다.
상기 단계에서 사용자 설정이 수신 거부인 경우에는 레벨이 높게 설정된 사용자의 입력이든, 개발자의 레벨 설정이든, 어떤 설정도 모두 무시하고 메세지를 수신하지 않도록 설정되며, 무료인 무선 WIFI 망에 접속될 때까지는 어떠한 메세지도 수신하지 않도록 하여, 푸시 메세지 수신만으로도 요금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과금되는 해외 로밍 상태에서의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킨다.
여기서, 사용자 설정이 수신 거부가 아니라면, 사용자가 푸시 메세지를 받고자 하는 것이므로, 정상적으로 수신하는 단계(S11)로 진행한다.
도 7은 도 4에서 사용자가 중요도를 설정하는 화면의 일 실시예이다. 도 7은 사용자의 설정 유무로 본 출원의 방법이 실시되기 위해, 사용자에게 입력을 받는 화면이다.
도면과 같이, 어플리케이션(이하, 어플 이라 칭함)이 깔릴 때 중요 어플로 지정하는지의 여부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도 있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X 표시가 있어 사용자의 설정을 받지 않을 수도 있으며, 중요 어플이 아닌, 즉 중요도가 보통인 어플은 아니오를 선택하여 중요 어플이 아니라는 사용자의 입력을 받을 수도 있다.
상기 화면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은 다르게 변경 가능함은 자명한 사항이며, 본 출원에 개시된 방법을 이용하기 위해, 사용자의 설정을 받는 화면은 다양할 수 있다.
만약, 중요 어플로 지정된 경우에는, 중요 어플로 지정되었다는 메세지가 사용자에게 도시되게 된다.
도 8은 도 5에서 사용자가 중요도를 설정하는 화면의 일 실시예이다. 사용자의 설정 유무와 더불어 사용자의 중요도 레벨을 설정받는 본 출원의 방법이 실시되기 위해, 사용자에게 입력을 받는 화면이다.
도면과 같이, 어플이 깔릴 때 중요 어플로 지정하는지의 여부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도 있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X 표시가 있어 사용자의 설정을 받지 않을 수도 있으며, 중요 어플이 아닌, 즉 중요도가 보통인 어플은 아니오를 선택하여 중요 어플이 아니라는 사용자의 입력을 받을 수도 있다.
상기 화면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은 다르게 변경 가능함은 자명한 사항이며, 본 출원에 개시된 방법을 이용하기 위해, 사용자의 설정을 받는 화면은 다양할 수 있다.
만약, 중요 어플로 지정된 경우에는, 사용자로부터 중요도를 선택받게 하며, 그 내부가 빈 별 형상이 도시되어, 별의 개수로 중요도를 선택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별을 누른 경우에는 누른 별의 개수만큼 그 내부가 채워져 도시되며, 그 개수만큼의 중요도로 설정되었다는 메세지를 띄울 수 있다.
또는, 별의 개수가 아니라, 구간을 다수개로 분할하여 선형적으로 별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즉, 별의 개수가 아니라 사용자가 드래그한 만큼의 길이 만큼의 중요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면 5 개의 별 구간이 있고, 이 구간은 5CM 이며, 사용자가 1.2 CM만큼을 드래그한 경우, 별 1 개가 레벨 1의 6 시간이고, 별 2 개가 레벨 2의 3 시간이라면, 3시간 36분 정도로 설정할 수 있게 선형적인 입력을 받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는 도 8에서 사용자가 중요도 레벨을 설정하는 화면의 일 실시예이다. 사용자의 설정 유무와 더불어 사용자의 중요도 레벨을 설정받는 본 출원의 방법이 실시되기 위해, 사용자에게 입력을 받는 화면이다.
상기 화면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은 다르게 변경 가능함은 자명한 사항이며, 본 출원에 개시된 방법을 이용하기 위해, 사용자의 설정을 받는 화면은 다양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로부터 중요도를 선택받게 하는데, 그 내부가 빈 별 형상이 도시되어, 별의 개수로 중요도를 선택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별을 누른 경우에는 누른 별의 개수만큼 그 내부가 채워져 도시되며, 그 개수만큼의 중요도로 설정되었다는 메세지를 띄울 수 있다.
더불어, 표 5에서 설정한 레벨과 같이 단계적인 레벨에 따라 (a) 별 1 개를 누르면 6 시간이라고 말 풍선이 뜨게 되어, 안 중요한 메세지는 6 시간마다 알려준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도시하며, (b) 별 3 개를 누르는 경우 1 시간이라고 말 풍선이 뜨게 되어, 보통인 메세지는 1 시간 마다 알려준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도시하고, (c) 별 5 개를 누르는 경우 5 분이라고 말 풍선이 뜨게 되어, 매우 중요한 메세지는 5 분 마다 알려준다는 것을 도시하는 것이다.
상기 시간은 설명을 위해 큰 단위로 설정한 임의적인 것이며, 레벨 1을 5분, 레벨 5를 10ms로 설정할 수도 있고, 다양하게 변경가능함은 자명하다.
도 10은 도 6에서 사용자가 수신 거부를 설정하는 화면의 일 실시예이다.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해외 로밍 화면이 뜨면, 해외 로밍 화면이 뜸과 동시에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푸시 메세지를 수신할지의 여부를 결정받게 되는데, 해외에서 3G 또는 4G 망으로 푸시 메세지를 받는 경우, 엄청난 데이터 사용료가 과금될 수 있으므로, 수신 거부 동작 모드로 설정하는 경우를 가정하고, 아니오를 누르게 되면 로밍 상태에서는 수신 거부 모드로 동작한다고 알려준다.
이러한 수신 거부 모드에서는 어떠한 설정도 모두 무시하고 수신을 거부하게 되며, 무료인 WIFI에 접속하여 이러한 거부 상태를 사용자가 풀 때까지 지속되게 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해외에 나가더라도 어플에서 수시로 업데이트되는 소식들을 접하고 싶지 않은데도 불구하고 푸시 메세지가 업데이트되는 경우, 수신하는 것만으로도 데이터 통화료가 과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어플에 대한 거부감을 줄이고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의 특성으로 인한 배터리의 한계, 네트워크 자원에 대한 과금 등에 따라 푸시 서버에 항상 접속 상태를 유지시키지 않고, 푸시 서비스의 중요도와 네트워크 상태를 활용하여 푸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네트워크 프로바이더의 가용성 및 푸시 서버와의 실제 접속을 위한 조건을 모두 설정 및 파악함으로써, 네트워크가 연결되었는데도 실제 푸시 서버로 접속되지 않는 상태를 없애고, 실제적인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는 통신 상태로 능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푸시 메세지 수신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출원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이동 단말기의 푸시 클라이언트
10: 감시부 30: 제어부
31: 결정부 33: 푸시 메세지 처리부
50: 저장부 70: 프로바이더
71: 3G 프로바이더 73: WIFI 프로바이더
75: 4G 프로바이더

Claims (19)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바이더를 통해 푸시 서버와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푸시 클라이언트에 있어서,
    이동 통신망의 네트워크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푸시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푸시 메세지의 수신 가능성을 결정하는 자료를 제공하도록 구비된 감시부;
    상기 감시부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기초로 상기 푸시 메세지의 수신을 위한 이동 통신망의 연결이 안된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중요도를 기반으로 상기 프로바이더 중 활성화된 프로바이더를 능동적으로 선택하여 상기 푸시 메세지를 수신할 수 있도록 구비된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푸시 클라이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푸시 서버로부터 푸시 메세지가 수신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푸시 메세지를 전달하는 푸시 메세지 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푸시 클라이언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푸시 클라이언트는
    상기 감시부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제거 또는 갱신을 감시하면, 상기 제어부로부터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자와 중요도를 전달받아 저장하도록 구비된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푸시 클라이언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중요도는
    개발자가 설정한 중요도 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중요도 중 어느 하나이며, 사용자가 설정한 중요도가 우선하여 선택되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푸시 클라이언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요도에 대한 사용자 또는 개발자의 설정이 있는 경우에는 설정에 따른 상기 감시부 및 제어부의 구동을 실시하여 활성 프로바이더를 검색하고, 상기 설정이 없는 경우 별도의 프로바이더 검색없이 디폴트로 설정되어 있는 기본 동작 모드를 실시하며, 상기 사용자가 수신 거부로 설정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푸시 메세지를 수신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푸시 클라이언트.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발자의 중요도 및 사용자의 중요도는 푸시 메세지 수신 주기로 설정가능하며, 상기 푸시 메세지 수신 주기는 단계적 또는 선형적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푸시 클라이언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요도가 높을수록 상기 푸시 메세지 수신 주기가 짧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푸시 클라이언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가능 상태는
    상기 프로바이더의 대역폭 부족, DNS(Domain Name Server) 오류 또는 방화벽 오류, 패킷 필터링, 네트워크 연결상태, 상기 푸시 서버의 과부하나 오류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제어부에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푸시 클라이언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네트워크 신호의 강도, 이동 단말 가입자의 가입 상태 또는 인증 상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기준으로 상기 활성화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푸시 클라이언트.
  10. (a) 푸시 클라이언트 내 어플리케이션이 로딩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ID 및 개발자의 설정이 저장부에 저장되는 단계;
    (b) 사용자의 설정이 있는 경우, 제어부에서 가용 프로바이더를 검색하는 단계;
    (c) 상기 가용 프로바이더가 있지만 푸시 서버에 접속 불가하면, 상기 제어부는 다른 가용 프로바이더 목록을 추출하고, 상기 다른 가용 프로바이더 중 활성화된 프로바이더로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푸시 클라이언트를 이용한 프로바이더 변경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는
    상기 사용자의 설정이 없는 경우, 상기 개발자의 설정으로 가용 프로바이더를 검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푸시 클라이언트를 이용한 프로바이더 변경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는
    푸시 서버와 상기 푸시 클라이언트와의 세션 생성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묻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푸시 클라이언트를 이용한 프로바이더 변경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는
    최종 푸시 메세지 전송 후 일정 시간이 경과했는지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푸시 서버와 상기 푸시 클라이언트와의 세션 연결이 가용인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푸시 클라이언트를 이용한 프로바이더 변경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는
    상기 세션 생성이 필요하거나 또는 상기 세션 연결이 불가하다면, 상기 세션을 생성하거나 또는 기존에 생성된 세션을 삭제 후 재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푸시 클라이언트를 이용한 프로바이더 변경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시간은
    상기 사용자의 설정 또는 상기 개발자의 설정으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푸시 클라이언트를 이용한 프로바이더 변경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설정 또는 상기 개발자의 설정은
    상기 개발자 및 사용자는 중요도를 설정가능하며, 상기 개발자의 중요도 및 사용자의 중요도는 푸시 메세지 수신 주기로 설정되고, 상기 푸시 메세지 수신 주기는 단계적 또는 선형적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푸시 클라이언트를 이용한 프로바이더 변경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설정 또는 개발자의 설정이 없는 경우, 디폴트로 설정된 기본 동작인 푸시 서버와의 연결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지 않으며, 상기 연결이 끊어진 경우에도 별도의 작업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푸시 클라이언트를 이용한 프로바이더 변경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는
    해외 로밍이 발생하면 상기 사용자에게 수신 여부를 입력받고, 수신 거부인 경우 모든 푸시 메세지를 수신받지 않고 종료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푸시 클라이언트를 이용한 프로바이더 변경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는
    입력된 상기 수신 여부가 수신 거부가 아닌 경우, 상기 단계(b)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푸시 클라이언트를 이용한 프로바이더 변경방법.
KR1020110099320A 2011-09-29 2011-09-29 이동 단말기의 푸시 클라이언트 및 이를 이용한 프로바이더 변경방법 KR101287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9320A KR101287556B1 (ko) 2011-09-29 2011-09-29 이동 단말기의 푸시 클라이언트 및 이를 이용한 프로바이더 변경방법
US13/336,057 US20130086207A1 (en) 2011-09-29 2011-12-23 Push client of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hanging provider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9320A KR101287556B1 (ko) 2011-09-29 2011-09-29 이동 단말기의 푸시 클라이언트 및 이를 이용한 프로바이더 변경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5068A KR20130035068A (ko) 2013-04-08
KR101287556B1 true KR101287556B1 (ko) 2013-07-23

Family

ID=47993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9320A KR101287556B1 (ko) 2011-09-29 2011-09-29 이동 단말기의 푸시 클라이언트 및 이를 이용한 프로바이더 변경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30086207A1 (ko)
KR (1) KR1012875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59037B2 (ja) * 2012-03-02 2017-01-1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クライアント装置、サーバ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2911343B1 (en) * 2012-10-17 2019-04-10 Nec Corporation Terminal, message distribution system, message distribution method, and message reception program
KR102141854B1 (ko) 2014-02-21 2020-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푸시 메시지 전송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4954408B (zh) * 2014-03-31 2018-09-25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基于移动终端状态进行信息推送的方法和系统
KR20170065575A (ko) * 2014-09-24 2017-06-13 브이5 시스템즈, 인크. 동적 데이터 관리
WO2018118029A1 (en) * 2016-12-20 2018-06-2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uthenticate a first device based on a push message to a second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7588A (ko) * 2006-05-02 2007-11-07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동적 신디케이트된 컨텐츠 전달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96493A (ko) * 2006-05-02 2008-10-30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동적 모바일 컨텐츠의 전달을 위한 푸시 프레임워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38622A1 (en) * 2001-03-21 2002-09-26 Motorola, Inc.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long lived addresses in a private network for push messaging to mobile devices
US20040260784A1 (en) * 2003-06-19 2004-12-23 Lee Anne Yin-Fee Method for indicating availability of a predetermined item
KR100697416B1 (ko) * 2003-09-30 2007-03-20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모바일 통신 단말기, 정보 제공 시스템 및 프로그램을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US20090082019A1 (en) * 2007-09-24 2009-03-26 Marsico Peter J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providing dynamic roaming arbitrage ser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7588A (ko) * 2006-05-02 2007-11-07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동적 신디케이트된 컨텐츠 전달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96493A (ko) * 2006-05-02 2008-10-30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동적 모바일 컨텐츠의 전달을 위한 푸시 프레임워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86207A1 (en) 2013-04-04
KR20130035068A (ko) 2013-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7556B1 (ko) 이동 단말기의 푸시 클라이언트 및 이를 이용한 프로바이더 변경방법
JP6274211B2 (ja) 無線通信端末、通信方法、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配信サーバ
CN101558623B (zh) 用于处理客户数据订阅的方法和装置
CN101600240B (zh) 一种多网络切换的方法、即时通讯客户端、管理服务器及系统
CN101635916B (zh) 一种基于多模移动终端的资源下载方法和系统
CN101854598B (zh) 即时通信业务在客户端之间切换的方法和系统
US20110280239A1 (en) Communication session hand-off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WO2013096032A4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group event notifications and providing group policy in a communication system
WO2015008712A1 (ja) 制御装置、基地局および通信端末
JP4684908B2 (ja) リソース配置マネージャ、通信制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
US20140179305A1 (en) Method and system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user equipment and external network
KR101561152B1 (ko) Lte/epc 네트워크들 내에서 pdn 연결들을 관리하기 위한 메커니즘
CN101631224B (zh) 一种预约并发起无线视频会议的方法及系统
JP3996107B2 (ja) 帯域設定方法及び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
US8331903B2 (en) Charging method and system for push-to-talk over cellular system
KR101544439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확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12070158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
KR101666687B1 (ko)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시스템 제어방법과 그 시스템에 속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4697594B2 (ja) Pdpコンテキスト制御システム、方法、プログラム及び携帯端末
JP6530284B2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30023971A (ko) 트래픽 제어 게이트웨이 및 이를 이용한 트래픽 제어 방법
JP4918443B2 (ja) 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探索システム、無線端末、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探索方法、及び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切り換え方法
CN102082948A (zh) 视频信息获取系统、方法及设备
EP3163844B1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establishing an http-ota session between a secure element and an http-ota platform
KR20140071861A (ko) 호 처리 제어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