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1861A - 호 처리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호 처리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1861A
KR20140071861A KR1020130063893A KR20130063893A KR20140071861A KR 20140071861 A KR20140071861 A KR 20140071861A KR 1020130063893 A KR1020130063893 A KR 1020130063893A KR 20130063893 A KR20130063893 A KR 20130063893A KR 20140071861 A KR20140071861 A KR 20140071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gw
sgw
call processing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3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세현
Original Assignee
에릭슨 엘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릭슨 엘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릭슨 엘지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071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18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69Session establishment or de-establish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게이트웨이(gateway)의 상태에 따라서 호 처리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호 처리 제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SGW(serving gateway) 및 적어도 하나의 PGW(packet data network gateway)의 이동 통신 서비스 제공 가능 여부를 관리하며, 적어도 하나의 SGW 또는 적어도 하나의 PGW의 이동 통신 서비스 제공 가능 여부에 따라서 호 처리 제어 메시지를 전송할 SGW 또는 PGW를 선택한다.

Description

호 처리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F CALL PROCESSING}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게이트웨이(gateway)의 상태에 따라서 호 처리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EPC(Evolved Packet Core) 망에서의 호 처리 시스템을 보이는 예시도이다.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호 처리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UE: User Equipment)(10),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20),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30), HSS(Home Subscriber Server)(40), SGW(Serving Gateway)(50), PGW(Packet Data Network Gateway)(60), PCRF(Policy & Charging Rule Function)(70) 등을 포함한다.
도 2는 EPC 망에서 사용자 단말(10)에 대한 패킷 서비스 및 음성 서비스 지원을 위한 호 처리 과정을 보이는 예시도이다. 사용자 단말(10)이 패킷 서비스 및 음성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먼저 호 처리 요청 메시지(Attach Request)를 송신한다(S110). 기지국(eNB)(12)은 수신한 호 처리 요청 메시지를 MME(30)에게 전달(Forwarding)한다(S120). MME(30)에서는 수신한 호 처리 요청 메시지를 처리하기 위해, HSS(Home Subscriber Server)로부터 사용자 단말(10)과의 호 설정 준비를 위한 정보들을 요청하고 전송받는다. 전송받은 정보를 통해 다수의 SGW(50)/PGW(60) 중 하나를 선택하여 베어러 설정 요청 메시지(Create Session Request)를 전송한다(S130). PGW(60)는 베이러 설정이 완료되면 SGW(50)를 통하여 MME(40)로 베어러 설정 완료 응답 메시지(Create Session Response)를 전송하고(S140), 사용자 단말(10)은 기지국(12)을 통하여 호 처리 설정 응답 메시지(Attach Accept)를 수신한다(S150). 이후 사용자 단말(10)은 설정된 베어러를 통하여 패킷 서비스 및 음성 서비스가 가능하다.
EPC 망에서 서비스 제공을 위해 기지국(12) <-> MME(30), MME(30) <-> SGW(50) 및 SGW(50) <-> PGW(60) 간 유기적으로 동작을 수행하며 음성 및 데이터 처리를 위한 호 처리를 수행한다. EPC 망에서는 해당 호 설정 및 해제와 같은 제어 메시지를 단지 IP(Internet Protocol) 패킷으로 인식하고 PGW(60)로 전달하거나 혹은 PGW(60)로부터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10)로 전달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거쳐 음성 및 데이터 패킷을 처리해 줄 수 있는 세션이 설정되는데, PGW(60)의 장애로 호 처리 제어메시지를 정상적으로 처리할 수 없는 경우가 있지만, MME(30)에서는 PGW(60)의 현재 상태를 인지하지 못하고 있기에 장애 상태라도 SGW(50)를 통해 지속적으로 패킷을 전송하고 이에 따라 서비스 불능 상태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72236호 (2010.06.30. 공개)
본 발명은 게이트웨이(gateway)의 상태에 따라서 호 처리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호 처리 제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SGW(serving gateway) 및 적어도 하나의 PGW(packet data network gateway)의 이동 통신 서비스 제공 가능 여부를 관리하는 게이트웨이 관리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SGW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PGW의 이동 통신 서비스 제공 가능 여부에 따라서 호 처리 제어 메시지를 전송할 SGW 또는 PGW를 선택하는 게이트웨이 설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호 처리 제어 방법은, 호 처리 요청에 따라서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SGW(serving gateway) 또는 PGW(packet data network gateway)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SGW 또는 PGW의 이동 통신 서비스 제공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SGW 또는 PGW가 이동 통신 서비스 제공이 불가능한 상태일 경우 이동 통신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SGW 또는 PGW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SGW 또는 PGW가 이동 통신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상태일 경우 APN(Access Point Name) 값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SGW 또는 PGW의 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를 인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인출된 IP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호 처리 요청의 목적지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통신 서비스를 위해서 앵커링(anchoring)하는 PDN(packet data network) 게이트웨이(gateway)를 선택 시, PDN 게이트웨이 장애에 따른 서비스의 급작스런 단절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보다 질 높은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PDN 게이트웨이의 장애 상태를 관리하기 위하여 PDN 게이트웨이의 정보를 관리하고, PDN 게이트웨이의 상태 정보를 추가적으로 관리하여 호 처리 진행시, 상태 정보에 따라 PDN 게이트웨이를 선택함으로써 이동 통신 서비스의 갑작스런 서비스 단절 및 MME의 부하를 방지하고 안정적인 서비스 지원을 통해 가입자에게 보다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EPC 망에서의 호 처리 시스템을 보이는 예시도.
도 2는 EPC 망에서 사용자 단말에 대한 서비스 지원을 위한 호 처리 과정을 보이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 처리 제어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가능한 게이트웨이를 선택하기 위한 절차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EPC(Evolved Packet Core) 망에서 특정 이동 통신 가입자가 서비스를 요청할 경우 PDN 게이트웨이(PGW: packet data network gateway)의 서비스 가능 여부에 따라 상태를 관리하여 서비스 호 처리 불능에 빠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이다.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이동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UE: user equipment)(100),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200),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300), SGW(Serving Gateway)(400), PGW(Packet Data Network Gateway)(500) 및 PDN(60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EPC 베어러(Bearer; E-UTRAN(200) / SGW(400) / PGW(500) 에 의해 제공)를 통해 PDN(600)과 이동 통신 서비스 제공을 위한 호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E-UTRAN(200)은 사용자 단말(100)에게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하며 이를 위해 무선자원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MME(300)는 사용자 단말(100) 및 기지국(미도시)의 이동성을 관리하며 베어러 설정/해제와 같은 호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미도시)의 호 처리 제어 신호는 MME(300)를 통해서 SGW(400)에 전달되고, 호 처리 제어 신호에 따라서 호 처리에 필요한 작업 요청을 위한 메시지(message)를 PGW(500)로 전송할 수 있다. MME(300)와 SGW(400)는 직접 연결된 노드이기 때문에 서로의 상태를 에코(echo) 메시지를 이용하여 인지 가능한데 반해, MME(300)와 PGW(500)는 직접 연결된 노드가 아니므로 에코 메시지를 이용하여 서로의 상태를 알 수가 없다. 에코 메시지는 상대 노드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전송하는 메시지로서, 상대 노드의 응답을 수신하면 상대 노드가 서비스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대방 노드의 응답을 수신하지 못하면 서비스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MME(300)는 SGW(400) 및 PGW(500)를 통해서 IP(Internet Protocol) 망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MME(300)의 호 처리 제어 장치(310)는 게이트웨이(400, 500)의 현재 서비스 상태에 따라서 호 처리 제어 신호를 서비스 가능한 게이트웨이로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호 처리 제어 장치(310)가 MME(300) 내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호 처리 제어 장치(310)는 MME(300)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호 처리 제어 장치(310)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SGW(400)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와 E-UTRAN(200)간의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하며, 기지국(eNodeB)-기지국간 핸드오버 및 3GPP 네트워크-3GPP 네트워크간 사용자 단말(100)의 이동성 제공을 위한 이동성 앵커(Mobility Anchor)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SGW(400)는 MME(300)로부터 에코 메시지를 수신하여 이동 통신 서비스 제공 가능 상태일 경우 서비스 가능 응답 에코 메시지를 MME(300)로 송신하고, 이동 통신 서비스 제공 불가능 상태일 경우 서비스 불가능 응답 에코 메시지를 MME(300)로 송신할 수 있다. 아울러, SGW(400)는 연결된 PGW(500)의 서비스 제공 가능 여부를 파악하여 PGW(500)의 상태에 따라서 Active(서비스 가능) 또는 Inactive(서비스 불가능)로 서비스 상태 확인 정보를 MME(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SGW(400)는 MME(300)로부터 전달받은 호 처리 제어 메시지를 PGW(500)로 전송하고, PGW(500)로부터 호 처리 제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해당 PGW(500)의 서비스 제공 가능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SGW(400)는 호 처리 제어 메시지를 PGW(500)로 전송하고 타이머를 구동시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PGW(500)로부터 호 처리 제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경우에는 Active(서비스 가능) 로 서비스 상태 확인 정보를 MME(300)로 전송할 수 있고,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PGW(500)로부터 호 처리 제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할 경우에는 Inactive(서비스 불가능)로 서비스 상태 확인 정보를 MME(300)로 전송할 수 있다.
PGW(500)는 PDN(600)으로의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하여금 인터넷 또는 인터넷과 같은 데이터 망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PDN(600)은 패킷 교환 방식에 의한 데이터 망을 나타낸다.
아울러,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동 통신 시스템은 가입자에 대한 가입정보, 위치 정보 및 인증 정보를 관리하는 HSS(Home Subscriber Server), 정책(Policy) 및 과금(Charging)에 대한 규칙(Rule)을 관리하고 PGW(500) 및 SGW(400)가 사용자 단말(10)에게 적절한 QoS(Quality of Service) 제공 및 이용된 베어러에 대한 과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PCRF(Policy & Charging Rule Function)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 처리 제어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이다.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호 처리 제어 장치(310)는 PGW 관리부(312), SGW 관리부(314) 및 게이트웨이 설정부(316)를 포함할 수 있다.
PGW 관리부(312)에서는 호 처리 제어 메시지를 이용하여 PGW(500)의 이동 통신 서비스 제공 가능 여부를 관리할 수 있다. 즉, PGW 관리부(312)는 SGW(400)로부터 전달받은 호 처리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서비스 상태 확인 정보에 따라서 Active(서비스 가능)와 Inactive(서비스 불가능)로 PGW(500)의 이동 통신 서비스 제공 가능 상태를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PGW 관리부(312)는 호 처리 제어 요청 메시지인 Create Session Request에 대한 PGW(500)의 호 처리 제어 응답 메시지인 Create Session Reponse에 PGW(500)의 이동 통신 서비스 제공 불능 상태로 인한 Inactive Cause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해당 PGW(500)의 상태를 이동 통신 서비스 제공 불가능 상태로 관리하고, Active Cause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해당 PGW(500)의 상태를 이동 통신 서비스 제공 가능 상태로 관리할 수 있다. 한편, PGW 관리부(312)는 이동 통신 서비스 제공 불가능 상태의 PGW(500)에 대해서는 미리 설정된 임계 시간이 경과하면, 해당 PGW(500)의 상태를 이동 통신 서비스 제공 가능 상태로 변경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SGW 관리부(314)에서는 SGW(400)로 주기적으로 에코(echo) 메시지를 전송하여 SGW(400)의 이동 통신 서비스 제공 가능 여부를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SGW(400) 관리부는 관리하는 SGW(400)로 에코 메시지를 전송하고, 응답 에코 메시지의 상태에 따라서 서비스 가능 응답 에코 메시지를 수신하면 해당 SGW(400)를 이동 통신 서비스 제공 가능 상태로 설정하고, 서비스 불가능 응답 에코 메시지를 수신하면 해당 SGW(400)를 이동 통신 서비스 제공 불가능 상태로 설정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한 PGW 관리부(312) 및 SGW 관리부(314)의 기능은 하나의 게이트웨이 관리부(미도시)에서 수행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 설정부(316)는 호 처리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SGW(400) 또는 PGW(50)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게이트웨이 설정부(316)는 PGW 관리부(312) 및 SGW 관리부(314)에서 관리하는 SGW(400) 및 PGW(500)의 상태 정보에 따라서 이동 통신 서비스 제공 가능 상태의 SGW(400) 및 PGW(500)를 선택하여 호 처리 제어 요청 메시지(Create Session Request)를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가능한 게이트웨이를 선택하기 위한 절차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이 E-UTRAN(200)을 통하여 MME(300)로 호 처리를 요청하면, MME(3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송신 정보 및 HSS에서 수신한 가입자 정보의 APN(access point name) 값에 따라 SGW(400) 또는 PGW(500)를 선택할 수 있다(S510). APN은 휴대용 단말을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경우 필요한 대상을 지정하는 이름을 나타낸다. 즉, 휴대용 단말이 어디에 접속할지를 APN을 통해 설정하고, APN에 해당하는 SGW(400) 또는 PGW(500)의 IP 주소를 찾아서 접속할 목적지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 설정부(316)는 선택된 SGW(400) 또는 PGW(500)의 이동 통신 서비스 제공 가능 여부를 확인한다(S520). 게이트웨이 설정부(316)는 선택된 SGW(400) 또는 PGW(500)가 이동 통신 서비스 제공이 불가능한 상태일 경우 이동 통신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SGW(400) 또는 PGW(500)를 선택하는 절차를 수행하고, 선택된 SGW(400) 또는 PGW(500)가 이동 통신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상태일 경우 APN 값을 이용하여 선택된 SGW(400) 또는 PGW(500)의 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를 인출하여(S530), 호 처리 요청 메시지의 목적지를 설정할 수 있다(S540). MME(300)는 게이트웨이 설정부(316)에서 설정된 SGW(400) 또는 PGW(500)의 IP 주소로 호 처리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550).
상기 방법은 특정 실시예들을 통하여 설명되었지만, 상기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이 일부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0,100: 사용자 단말 20,200: E-UTRAN
30,300: MME 40: HSS
50,400: SGW 60,500: PGW
70: PCRF 12: eNB
310: 호 처리 제어 장치 312: PGW 관리부
314: SGW 관리부 316: 게이트웨이 설정부
600: PDN

Claims (11)

  1. 호 처리 제어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SGW(serving gateway) 및 적어도 하나의 PGW(packet data network gateway)의 이동 통신 서비스 제공 가능 여부를 관리하는 게이트웨이 관리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SGW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PGW의 이동 통신 서비스 제공 가능 여부에 따라서 호 처리 제어 메시지를 전송할 SGW 또는 PGW를 선택하는 게이트웨이설정부를 포함하는, 호 처리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 관리부는,
    상기 호 처리 제어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PGW의 서비스 가능 여부를 관리하는 PGW 관리부; 및
    주기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SGW로 에코(echo)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SGW의 이동 통신 서비스 제공 가능 여부를 관리하는 SGW 관리부를 포함하는, 호 처리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PGW 관리부는,
    호 처리 제어 요청 메시지(Create Session Request)에 대한 PGW의 호 처리 제어 응답 메시지(Create Session Reponse)에 상기 PGW의 이동 통신 서비스 제공 불능 상태로 인한 인액티브 원인(Inactive Cause)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상기 PGW의 상태를 이동 통신 서비스 제공 불가능 상태로 관리하고, 상기 호 처리 제어 응답 메시지에 액티브 원인(Active Cause)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상기 PGW의 상태를 이동 통신 서비스 제공 가능 상태로 관리하는, 호 처리 제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PGW 관리부는,
    이동 통신 서비스 제공 불가능 상태로 관리되는 PGW에 대해서 임계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이동 통신 서비스 제공 불가능 상태로 관리되는 PGW의 상태를 이동 통신 서비스 제공 가능 상태로 변경하는, 호 처리 제어 장치.
  5. 호 처리 제어 방법으로서,
    호 처리 요청에 따라서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SGW(serving gateway) 또는 PGW(packet data network gateway)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SGW 또는 PGW의 이동 통신 서비스 제공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SGW 또는 PGW가 이동 통신 서비스 제공이 불가능한 상태일 경우 이동 통신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SGW 또는 PGW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SGW 또는 PGW가 이동 통신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상태일 경우 APN(Access Point Name) 값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SGW 또는 PGW의 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를 인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인출된 IP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호 처리 요청의 목적지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호 처리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SGW 또는 PGW의 이동 통신 서비스 제공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에서, 상기 선택된 SGW로부터 상기 선택된 SGW에 연결된 PGW의 서비스 제공 가능 여부를 확인하여 전송된 서비스 상태 확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SGW 또는 PGW의 이동 통신 서비스 제공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호 처리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상태 확인 정보는,
    상기 MME에서 상기 선택된 SGW로 전송한 호 처리 제어 메시지를 상기 선택된 SGW에 연결된 PGW로 전송하고, 상기 PGW로부터 호 처리 제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PGW의 서비스 제공 가능 여부를 파악하여 형성되는, 호 처리 제어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상태 확인 정보는,
    상기 선택된 SGW에서 호 처리 제어 메시지를 상기 선택된 SGW에 연결된 PGW로 전송하고 타이머를 구동시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PGW로부터 호 처리 제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경우에는 액티브(서비스 가능)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PGW로부터 상기 호 처리 제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할 경우에는 인액티브(서비스 불가능) 정보를 포함하는, 호 처리 제어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SGW 또는 PGW의 이동 통신 서비스 제공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에서, 주기적으로 SGW들에 대해 에코(echo)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SGW들의 이동 통신 서비스 제공 가능 여부를 에코 응답 메시지로 전송받는, 호 처리 제어 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SGW 또는 PGW의 이동 통신 서비스 제공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서비스 불가능 상태로 관리되는 PGW에 대해서 임계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서비스 불가능 상태로 관리되는 PGW의 상태를 서비스 가능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호 처리 제어 방법.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호 처리 요청의 목적지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된 SGW 또는 PGW의 IP 주소로 호 처리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호처리 제어 방법.



KR1020130063893A 2012-12-04 2013-06-04 호 처리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400718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649 2012-12-04
KR20120139649 2012-12-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1861A true KR20140071861A (ko) 2014-06-12

Family

ID=51126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3893A KR20140071861A (ko) 2012-12-04 2013-06-04 호 처리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186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5322A (ko) * 2017-09-26 2019-04-0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Apn 기반의 통신경로 설정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5322A (ko) * 2017-09-26 2019-04-0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Apn 기반의 통신경로 설정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63658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mobility management entity, and mobile terminal
EP2428001B1 (en) Method for supporting pdn gw selection
US9635531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media preference information with respect to emergency cal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965515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otifying connection attributes for local internet protocol (IP) access
EP2237610A1 (en) A method and device for selecting network by the user equipment
JP2016195422A (ja) サービスレイヤデタッチコマンドおよびアタッチ通知を処理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EP2259657B1 (en) Method for indicating the bearer management of a serving gateway
US9241364B2 (en) Method for revocable deletion of PDN connection
KR20120024875A (ko) 로컬 인터넷 프로토콜 액세스에 의한 홈 네트워크 기지국으로부터의 외향 핸드오버 동안의 서비스 지속성
KR20060049510A (ko) 3gpp 시스템과 상호작용하는 무선 근거리 통신망 내의사용자 장비의 상태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WO2011095100A1 (zh) 一种对本地ip连接的建立进行控制的方法和系统
US20190116501A1 (en) Coverage enhancement ce function implementation method and device
KR20180121585A (ko) 데이터 서비스 제어 방법 및 관련 장치
EP3419378A1 (en) Method of location tracking and related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944647B1 (ko) 데이터 처리 방법, 장치, 단말기, 이동성 관리 엔티티 및 시스템
KR20150045396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게이트웨이 변경을 지원하기 위한 네트워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12041131A1 (zh) 一种用户参与本地访问连接建立的方法及系统
KR20140071861A (ko) 호 처리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30023971A (ko) 트래픽 제어 게이트웨이 및 이를 이용한 트래픽 제어 방법
KR20150027356A (ko) 데이터 세션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30023970A (ko) 트래픽 제어 게이트웨이 및 이를 이용한 트래픽 제어 방법
KR20190045596A (ko) 데이터 송수신장치 및 데이터 송수신장치의 동작 방법
KR200394320Y1 (ko) 3gpp 시스템과 상호작용하는 무선 근거리 통신망 내의사용자 장비의 상태를 제공하는 장치 및 시스템
JP5882821B2 (ja) 発見情報の配信装置、モビリティ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AU2019316896A1 (en) Indication information send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