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6743B1 - 휘산성 약제 함유 구조체 - Google Patents

휘산성 약제 함유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6743B1
KR101896743B1 KR1020147016203A KR20147016203A KR101896743B1 KR 101896743 B1 KR101896743 B1 KR 101896743B1 KR 1020147016203 A KR1020147016203 A KR 1020147016203A KR 20147016203 A KR20147016203 A KR 20147016203A KR 101896743 B1 KR101896743 B1 KR 101896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vaporizable
medicament
structure according
ins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6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8132A (ko
Inventor
세이이치 가시마
도모히로 가키노키
유미 가와지리
고지 나카야마
마스오 마츠모토
Original Assignee
다이니혼 죠츄기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혼 죠츄기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혼 죠츄기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98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8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6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6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4Shaped forms, e.g. sheets, not provided for in any other sub-group of this main group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01M1/2022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 A01M1/2027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without heating
    • A01M1/2055Holders or dispensers for solid, gelified or impregnated insecticide, e.g. volatile blocks or impregnated pa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odoriferous substances, e.g. aromas, pheromones or chemic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8Vapour or smoke emitting compositions with delayed or sustained releas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Bird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휘산성(揮散性) 약제를 함유하는 구조체 전체의 크기를 작게 하더라도, 표면적을 확보하여 휘산성 약제의 휘산량 저하를 억제하며, 또한, 구조체 전체의 표면적 중 용기의 내벽에 접촉할 수 있는 부분을 가능한 한 적게 하여, 휘산성 약제의 휘산이 방해되는 것을 피함과 동시에 용기의 오염을 방지한다.
막대 형상체를 물결 형상으로 형성하여 물결 형상체로 하고, 복수개의 물결 형상체를, 그 정상부끼리 교차시켜 접합시킴으로써 구성한 입체 구조체로서, 입체 구조체는, 휘산성을 갖는 휘산성 약제를 함유시킨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고, 혼련된 휘산성 약제는, 입체 구조체의 표면에 블리드되어 그 표면으로부터 휘산하는 것이 가능한 휘산성 약제 함유 구조체를 이용한다.

Description

휘산성 약제 함유 구조체{STRUCTURE CONTAINING VOLATILE MEDICINAL AGENT}
본 발명은, 휘산성(揮散性) 약제를 함유하는 수지를 소정의 입체 구조로 형성한 휘산성 약제 함유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주택에서, 창이나 현관 등은, 해충의 침입구가 된다. 이에 대한 침입구로부터의 해충의 침입을 억제하는 방법으로서, 이들 장소에 방충 기구를 배치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방충 기구의 예로는, 네트에 휘산성의 방충제를 보유시키고, 이것을, 개방창을 갖는 용기에 수납한 방충 기구나, 휘산성 약제를 보유한 네트를 프레임 부재에 끼워넣은 방충 기구(특허문헌 1 참조)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이 방충 기구는, 폴리올레핀 등의 수지에 휘산성의 방충 성분을 함유시킨 수지 성형체로 이루어지고, 시간 경과와 함께 방충 성분을 휘산시켜 상기 제품 혹은 그 주위에 해충이 침입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제품으로는, 모기장이나 방충망 등의 해충 대책을 위한 제품뿐만 아니라, 튜브나 케이블 등의 외장이나, 수지 섬유 제품 전반이 대상이 된다.
예컨대 특허문헌 2에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퍼메트린이나 벤플루트린(트랜스플루트린) 등의 해충 방제제와, 비결정 실리카 등의 비정질 무기 담체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의 마스터 배치를 만든다는 취지(0033∼0035), 그것에 별도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베이스 수지로 하여 혼련한 것을, 압출 성형이나 사출 성형 등에 의해 각종 성형체로 한다는 취지(0036) 등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해충 방제용 수지 성형체의 방충 성분으로서, 메토플루트린[문헌 중 화학식 1(하기 식(1))에 있어서 R1이 H, R2가 -CH=CHCH3, R3이 메톡시메틸기], 프로플루트린[상기 화학식 1(하기 식(1))에 있어서, R1과 R2가 메토플루트린과 동일하고 R3이 메틸기] 등의 피레트로이드 화합물을 이용한 예가 개시되어 있다.
Figure 112014055416594-pct00001

또한, 특허문헌 4에는, 방충용 수지 조성물의 휘산성 개선을 위해, 증산성 가소제 및 블리드 촉진제를 함유시킨 수지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4 및 5에서는, 살충 활성 화합물로서, 트랜스플루트린(트랜스플루스린)이 예시되어 있다(특허문헌 3의 [0011]).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6-314284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제2008-106232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 특허 공개 제2007-77069호 공보 특허문헌 4 : 일본 특허 제3858929호 공보 특허문헌 5 :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92309호 공보
그런데, 특허문헌 1의 방충 기구는, 창이나 현관 등에 매달려 사용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방충 기구를 거추장스럽게 느끼거나, 눈에 거슬리게 느끼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해서는, 방충 기구 전체의 크기를 작게 하거나, 두께를 얇게 하거나 함으로써, 방충 기구의 존재감을 줄이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방충 기구 전체의 크기를 작게 하거나, 두께를 얇게 하거나 하기 위해서는, 방충 기구 내의 방충제를 보유한 네트를 작게 할 필요가 있고, 그 결과, 방충제의 휘산량의 감소를 수반하여 방충 효과가 저하되게 된다.
또한, 휘산성 약제를 보유한 네트를 용기에 수납하여 사용하는 경우, 네트의 표면으로부터 휘산성 약제가 휘산하지만, 네트의 전표면적 중 용기의 내벽에 접촉하는 부분이 많으면, 휘산성 약제의 휘산이 방해되어 휘산량이 저하되거나, 내벽에 부착된 휘산성 약제가 용기의 오염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그런데, 이 문제는, 방충제 이외에, 기피제, 방향제, 항균제 등 휘산성 약제를 이용한 경우에도, 휘산량의 저하나 오염 등의 동일한 문제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또한, 방충 성분으로서 트랜스플루트린이나 메토플루트린 등을 이용하고, 특허문헌 2와 같이 미분말 담체와 혼합하여 수지와 혼련한 펠릿을 제조함에 있어서, 이들 방충 성분을 고농도로 하고자 하면, 펠릿으로부터의 블리드(배어나옴)가 많아, 달라붙어서 성형에 이용하기 어려워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휘산성 약제를 함유하는 구조체 전체의 크기를 작게 하더라도, 표면적을 확보하여 휘산성 약제의 휘산량 저하를 억제하며, 또한, 구조체 전체의 표면적 중 용기의 내벽에 접촉할 수 있는 부분을 가능한 한 적게 하여, 휘산성 약제의 휘산이 방해되는 것을 피함과 동시에 용기의 오염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또한, 수지 성형체의 제조에 제공되는 트랜스플루트린이나 메토플루트린 등을 이용한 수지 펠릿에 관해, 블리드를 적절히 조정하여, 성형하기 쉽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막대 형상체를 물결 형상으로 형성하여 물결 형상체로 하고, 복수개의 물결 형상체를, 그 정상부끼리 교차시켜 접합시킴으로써 구성한 입체 구조체로서, 상기 입체 구조체는, 휘산성을 갖는 휘산성 약제를 함유시킨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고, 혼련된 상기 휘산성 약제는 상기 입체 구조체의 표면에 블리드되어 그 표면으로부터 휘산하는 것이 가능한 휘산성 약제 함유 구조체를 이용함으로써,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휘산성 약제 함유 구조체를 제조함에 있어서, 휘산성 약제로서 방충 성분인 트랜스플루트린, 메토플루트린 및 프로플루트린의 적어도 1종을 이용하고, 이것과 미분말 담체와 함께 혼련하는 수지로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이용하고, 필요하다면 주로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더욱 배합하며, 또한 트랜스플루트린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결정 석출 방지 성분도 함유시키고, 이들을 적절량으로 혼합하여 방충 성분 함유 수지 펠릿을 제조한다. 통상 이것에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첨가한 것을 혼련하여 수지 조성물로 하고, 이것을 휘산성 약제 함유 구조체로 성형함으로써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또, 메토플루트린 또는 프로플루트린은 결정 석출 방지 성분으로서 작용하는 경우에도, 배합비의 계산에 있어서는 방충 성분으로서 계산된다.
우선,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휘산성 약제 수지 펠릿(방충 성분 함유 수지 펠릿)에 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5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의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와 혼합시킴으로써, 얻어지는 펠릿의 블리드를 적절한 범위로 억제할 수 있다. 상온에서 액상인 메토플루트린이나 프로플루트린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블리드의 조정은 필요하지만, 상온에서 결정성인 트랜스플루트린에 관해서는, 수지 중의 농도를 높게 하고자 하면 본 발명의 목표하에서는 블리드에 수반하여 펠릿의 표면에 결정이 석출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작용 효과는 특히 트랜스플루트린을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보다 유용한 것이 된다. 블리드가 전혀 발생하지 않으면 방충 성분의 휘산도 생기지 않기 때문에, 블리드를 완전히 억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지만, 블리드 조정 수지가 되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상기 범위에서 함유함으로써, 펠릿 형태시의 블리드가 컨트롤된다. 그리고, 그 펠릿을 마스터 배치로서 이용하여, 압출 성형이나 사출 성형 등에 의해 얻어진 성형체에 관해서도, 휘산에 필요한 블리드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상기 범위로 한 후에, 그 밖의 수지를 이용하여 수지 첨가량의 조정을 도모할 수도 있고, 그와 같은 수지로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와의 친화성이 높은 LDPE가 적합하다.
10 질량% 이상 30 질량% 이하의 범위에서 함유시키는 미분말 담체로는, 화이트 카본과 같은 미결정 실리카 등, 트랜스플루트린이나 메토플루트린 등과 반응을 일으키지 않고, 표면적이 넓은 미분말을 이용할 수 있다. 이 미분말 담체는 방충 성분을 담지하여 끈적임을 억제하고, 그 결과, 수지와 함께 혼련하여 얻어지는 펠릿도, 전체가 잘 끈적이지 않게 되어 마스터 배치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이 된다.
한편, 방충 성분에 트랜스플루트린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1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의 범위에서 결정 석출 방지 성분을 함유시키면 된다. 이 결정 석출 방지 성분이란, 상온에서 결정성인 트랜스플루트린이 표면에 석출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 성분이다. 이 결정 석출 방지 성분으로서 이용 가능한 화합물은, 상온에서 액상인, 이염기산 에스테르 화합물, 방향족 에스테르 화합물,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화합물, 트랜스플루트린 이외의 피레트로이드 화합물, 피레트로이드용 공력제 등이고, 이들을 1종류 또는 복수 종류를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디부틸숙시네이트 등의 이염기산 에스테르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것과 더불어, 피레트로이드 화합물로서의 페노트린을 이용하거나, 피레트로이드용 공력제로서의 N-(2-에틸헥실)-비시클로[2,2,1]-헵타-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를 이용하여, 결정 석출 방지 효과를 보다 높일 수도 있다. 또한, 메토플루트린을 이용한 경우에는, 결정 석출 방지 성분으로서뿐만 아니라 방충 작용을 보강할 수 있다는 메리트를 갖는다.
이들의 조합에 의해 펠릿에 함유시킬 수 있는 방충 성분의 함유량은, 예컨대, 트랜스플루트린 또는 프로플루트린의 경우에는 20 질량% 이상 60 질량% 이하, 메토플루트린의 경우에는 10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가 된다. 이 함유율로 얻어지는 방충 성분 함유 수지 펠릿을 마스터 배치로서 15 질량% 이상 80 질량% 이하 포함하고, 나머지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은, 압출 성형이나 사출 성형 그 밖의 수지 성형에 의해, 방충 성분을 적절히 휘산시켜 방충 효과가 우수한 휘산성 약제 함유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휘산성 약제 함유 구조체는, 물결 형상체를 이용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거의 평면적인 네트의 경우에 비해, 일정 범위 내에서의 표면적이 증대된다. 이 때문에, 전체의 크기를 작게 하더라도, 휘산성 약제를 휘산할 수 있는 표면적을 확보할 수 있어, 휘산성 약제의 휘산량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입체 구조가 되기 때문에, 용기와 접하는 휘산성 약제 함유 구조체의 부분을 줄일 수 있어, 용기의 내벽과 접촉함으로써 발생하는 휘산성 약제의 휘산량 저하나 용기의 오염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펠릿은, 방충 성분인 트랜스플루트린, 메토플루트린 또는 프로플루트린의 과도한 블리드를 억제하고, 또한 트랜스플루트린의 경우에는 결정의 석출도 억제하기 때문에, 수지 성형체를 제조할 때에 마스터 배치로서 달라붙지 않고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 마스터 배치가 되는 펠릿은 20∼30 질량% 이상의 고농도로 방충 성분인 트랜스플루트린, 메토플루트린 또는 프로플루트린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이 펠릿을 이용한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휘산성 약제 함유 구조체의 방충 성분 농도도 높게 할 수 있어, 방충 효과의 지속 시간이 긴 수지 성형체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의 (a)는 물결 형상체의 예를 도시한 정면도, (b)는 물결 형상체의 다른 예를 도시한 정면도, (c)는 물결 형상체의 다른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의 (a)는 입체 구조체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 (b)는 입체 구조체의 다른 예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 (c)는 입체 구조체의 다른 예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의 (a)는 입체 구조체의 예를 도시한 정면도, (b)는 (a)의 측면도, (c)는 (a)의 c-c 단면도, (d)는 (a)의 d-d 단면도, (e)는 (a)의 단부면도, (f)는 (a)의 f-f 단면도, (g)는 (a)의 g-g 단면도이다.
도 4의 (a)는 도 3의 (a)의 사시도, (b)는 (a)의 정면도, (c)는 (b)의 c-c 단면도, (d)는 (a)에서 도시된 입체 구조체의 다른 예로서, 제1 정상부를 포함하는 정상부 함유면 및 제2 정상부를 포함하는 정상부 함유면에 보강재를 설치한 경우의 입체 구조체의 (c)에 상당하는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5의 (a)는 입체 구조체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b)는 입체 구조체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입체 구조체의 정상부 형상의 변경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의 (a)는 입체 구조체의 다른 예를 도시한 정면측으로부터의 사시도, (b)는 (a)의 배면측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8의 (a)는 입체 구조체의 다른 예를 도시한 정면측으로부터의 사시도, (b)는 (a)의 배면측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9의 (a)는 입체 구조체의 다른 예를 도시한 정면측으로부터의 사시도, (b)는 (a)의 배면측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휘산성 약제 함유 구조체는, 막대 형상체를 물결 형상으로 형성하여 물결 형상체로 한 것을 조합시킨 구조체로 이루어진다.
이 물결 형상체로는, 도 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직사각형 물결로 이루어지는 물결 형상체(11)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사인 커브 등의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물결 형상체(12)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직사각형 물결로 이루어지는 물결 형상체로는, 도 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굴절부가 직각 부근인 직사각형 물결로 이루어지는 물결 형상체(11)에 한정되지 않고, (c)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굴절부의 각도가 예각인 직사각형 물결로 이루어지는 물결 형상체(13)나, 도시하지 않았지만, 굴절부의 각도가 둔각인 직사각형 물결로 이루어지는 물결 형상체여도 좋다.
이들 물결 형상체를 이용함으로써, 직선형의 막대 형상체를 이용하는 것에 비해, 소정의 체적 내에 존재하는 막대 형상체의 표면적을 많이 취할 수 있어, 휘산성 약제의 휘산량을 보다 많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들 중에서도, 직사각형 물결로 이루어지는 물결 형상체를 이용하면, 휘산성 약제 함유 구조체로 했을 때, 소정의 체적 내에서, 전체의 표면적을 보다 크게 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이게 된다.
상기한 물결 형상체는, 그 복수개를, 그 정상부끼리 교차시켜 접합시킴으로써, 입체 구조체를 구성한다. 그런데, 상기한 정상부란, 상기 물결 형상체를 길이 방향으로 진행시켰을 때, 그 변화량이 플러스에서 마이너스, 및 마이너스에서 플러스로 변화되는 곳, 즉, 상기 물결 형상체의 각 물결의 진폭 방향에서의 최대 진폭을 나타내는 장소를 말한다. 그리고, 상기 변화량이 플러스에서 마이너스로 변화되는 정상부를 제1 정상부, 상기 변화량이 마이너스에서 플러스로 변화되는 정상부를 제2 정상부라고 한다.
상기한 구조체는, 구체적으로는, 하나의 물결 형상체의 한쪽의 진폭 방향의 정점 부분인 제1 정상부(도 1의 (a)의 11a, 도 1의 (b)의 12a)와 다른 물결 형상체의 제1 정상부(11a, 12a)를 접합시켜 교차시키고, 또한, 상기 한쪽의 정상부와 반대 방향으로 진폭을 갖는 다른쪽 정상부인 제2 정상부(도 1의 (a)의 11b, 도 1의 (b)의 12b)와 다른 물결 형상체의 제2 정상부(11b, 12b)를 접합시켜 교차시킴으로써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입체 구조체의 구체예로는, 도 2의 (a)에 도시한 입체 구조체를 들 수 있다. 이것은, 물결 형상체로서 도 1의 (a)에 도시한 물결 형상체를 이용하고, 정상부에 있어서 2개의 물결 형상체를 거의 직각으로 교차하도록 한 것이다. 또, 주연부는, 입체 구조체의 강도, 형상, 외부 용기 등과의 관계에서 적절히 결정된다.
도 1의 (b)의 물결 형상체를 이용하고, 정상부에 있어서 2개의 물결 형상체를 거의 직각으로 교차하도록 하여 접합한 입체 구조체의 구체예로는, 도 2의 (b)에 도시한 부분을 갖는 입체 구조체를 들 수 있다.
정상부에 있어서 교차하는 물결 형상체의 수는, 2개여도 좋지만, 3개나 4개여도 좋고, 5개 이상이어도 좋다. 교차하는 물결 형상체의 수가 3개인 예로는, 도 2의 (c)에 도시한 부분을 갖는 입체 구조체를 들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입체 구조체로는, 더욱 보강재를 배치하여 접합한 입체 구조체를 들 수 있다. 이 보강재에 휘산성 약제가 함유되어 있는 경우에는, 소정의 체적 내에 존재하는 막대 형상체의 표면적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으며, 또한, 입체 구조체의 강도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나의 정상부 함유면에 포함되는 적어도 2개의 정상부끼리를 직선형의 막대 형상체로 이루어지는 보강재로 보강한 입체 구조체 등을 들 수 있다. 이 정상부 함유면이란, 상기 입체 구조체를 구성하는 면으로서, 정상부가 배치되는 면을 말한다.
이 입체 구조체의 예로는, 도 2의 (a)에 도시한 입체 구조체에, 직선형의 막대 형상체로 이루어지는 보강재(14)를 배치한 도 3의 (a)∼(g)나 도 4의 (a)∼(c)에 도시한 입체 구조체를 들 수 있다. 이 입체 구조체는, 양단 가장자리 및 양측 가장자리의 제1 정상부(11a) 이외의 모든 제1 정상부(11a)에서, 상기 제1 정상부(11a)로부터, 이것에 근접한 4개의 제1 정상부(11a)를 향해, 상기 보강 부재(14)를 배치하여 접합한 것이다.
도 3의 (a)는, 그 입체 구조체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3의 (b)는 측면도, 도 3의 (c)는 c-c 단면도, 도 3의 (d)는 d-d 단면도를 도시한다. 또한, 도 3의 (e)는 단부면도를 도시하고, 도 3의 (f)는 f-f 단면도, 도 3의 (g)는 g-g 단면도를 도시한다.
또한, 도 4의 (a)는, 그 입체 구조체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4의 (b)는 (a)의 정면도, 즉 도 3의 (a)와 동일한 면을 도시한다. 그리고, 도 4의 (c)는 c-c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의 (a)∼(g)나 도 4의 (a)∼(c)에 도시한 입체 구조체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정상부(11a)를 포함하는 정상부 함유면에만 보강재(14)가 배치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 4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1 정상부(11a)를 포함하는 정상부 함유면 및 제2 정상부(11b)를 포함하는 정상부 함유면의 양쪽에 보강재(14)를 배치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보강재(14)가 배치되는 장소는, 상기한 양단 가장자리 및 양측 가장자리의 정상부(제1 정상부나 제2 정상부) 이외의 모든 정상부(제1 정상부나 제2 정상부) 사이가 아니어도 좋고, 상기 휘산성 약제의 휘산량이나 강도에 따라, 일부의 정상부(제1 정상부나 제2 정상부) 사이여도 좋다.
그런데, 물결 형상체를 구성하는 막대 형상체의 굵기나, 물결 형상체의 물결의 주기, 진폭의 폭, 보강재(14)의 배치의 정도 등은, 얻어지는 입체 구조체의 사용 장소, 사용 목적, 휘산량 등에 맞춰, 임의로 설정하면 된다. 예컨대, 도 4의 (a)에 도시된 입체 구조체에 있어서, 보다 좁은 장소에 배치하는 경우에는,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체 구조체의 폭을 좁히고, 그 대신에 두께를 두껍게 한 것으로 해도 좋고, 또한, 망 창문 등에 첩부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께를 얇게 하며, 또한, 주연부에 보강 부재를 배치한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1의 (a)에 도시한 입체 구조체의 제1 정상부(11a)나 제2 정상부(11b)의 형상을 변경한 것, 예컨대, 도 6에 도시한 十자형을 口자형으로 변경한 것이어도 좋다. 十자형을 口자형으로 변경해도, 상기한 복수의 물결 형상체의 교차부의 형상을 변경한 것에 불과하다. 또, 이 변경은,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 口자형으로의 변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형상의 변경, 특히 제1 정상부(11a)나 제2 정상부(11b)의 형상을 十자형으로부터 口자형으로 변경함으로써, 본 발명에 관련된 휘산성 약제 함유 구조체를 중첩시켰을 때, 이 휘산성 약제 함유 구조체가 갖는 탄성의 관계로부터, 인접하는 휘산성 약제 함유 구조체가 서로 끼워맞춰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양자를 분리한다는 수고를 생략하고, 생산 효율의 향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러한 口자형의 정상부를 갖는 휘산성 약제 함유 구조체의 예로서, 제1 정상부(11a)에 口자형의 정상부를 형성한, 도 7의 (a), (b)에 도시한 휘산성 약제 함유 구조체, 제2 정상부(11b)에 口자형의 정상부를 형성한, 도 8의 (a), (b)에 도시한 휘산성 약제 함유 구조체, 제1 정상부(11a) 및 제2 정상부(11b)의 양쪽에 口자형의 정상부를 형성한, 도 9의 (a), (b)에 도시한 휘산성 약제 함유 구조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한 입체 구조체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은, 방충 성분을 포함하는 휘산성 약제를 수지에 함유시킨 조성물이며, 또한, 함유하는 상기 휘산성 약제를 휘산하는 것이 가능한 조성물인데, 통상, 휘산성 약제 함유 수지 펠릿을 이용하여 제조된다. 다음으로, 이 펠릿에 관해 상세히 서술한다.
구체적으로는, 휘산성 약제로서 방충 성분을 미분말 담체에 담지시키고, 이것을 수지와 함께 혼련시킨 방충 성분 함유 수지 펠릿이고, 또한, 방충 성분이 트랜스플루트린인 경우에는 결정 석출 방지 성분을 함유시킨 것이다. 이 펠릿은 마스터 배치로서 이용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이것에 또한 추가의 수지를 혼합·혼련한 것은 수지 조성물로서 여러가지 수지 성형체를 제조할 때의 재료가 된다. 본 발명에 관련된 방충 성분 함유 수지 펠릿은, 그 형태로 수송, 보존을 행할 수 있고, 그 동안에 블리드, 결정 석출 등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다.
상기 수지로는, 그대로, 또는 후술하는 담체를 사용했을 때, 함유시킨 상기 휘산성 약제를 서서히 표면으로부터 휘산시키는 것이 가능하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분기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등의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나, 혹은, 이들과 카르복실산에스테르(초산비닐,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에틸 등)와의 폴리올레핀계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카르복실산에스테르는, 수지 표면으로부터의 휘산성 약제의 휘산을 컨트롤하는 데 효과적이고, 일반적으로 카르복실산에스테르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대한 배합 비율이 높아질수록 휘산성 약제의 블리드 속도를 늦추는 경향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는, 카르복실산에스테르가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대하여 1∼35 중량% 배합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나 에틸렌-메타크릴산메틸 공중합체(EMMA) 등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또한, 폴리올레핀계 공중합체와 올레핀의 단독 중합체와의 함유 비율을 조정하여 혼합한 폴리머 블렌드를 이용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등의 다른 고분자 화합물을 함유시킬 수도 있다.
또, 상기 카르복실산에스테르란, 불포화 카르복실산에스테르 또는 카르복실산비닐에스테르를 의미한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에틸렌-초산비닐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는, 단순히 펠릿을 구성하는 수지 성분으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트랜스플루트린, 메토플루트린 및 프로플루트린에 대하여, 블리드 조정제로서 작용한다. 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배합량은, 상기 방충 성분이 트랜스플루트린이나 프로플루트린인 경우, 펠릿 전체에 대하여 5 질량% 이상 함유하면 되고, 10 질량% 이상 함유하면 바람직하고, 15 질량% 이상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5 질량% 미만에서는, 펠릿 상태에서 블리드를 억제하는 효과가 불충분해진다. 한편, 상한은 50 질량% 이하이면 바람직하고, 45 질량%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지나치게 많으면, 펠릿을 마스터 배치로 하고 다른 수지와 혼합하여 얻은 수지 성형체에 있어서도 블리드를 지나치게 억제하여, 원래의 목적인 상기 방충 성분의 휘산에 의한 방충 효과가 지나치게 저감되어 버릴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 상기 방충 성분이 메토플루트린인 경우에는, 동일한 이유로 5 질량% 이상 35 질량% 이하가 적당하다. 또한, 상기 방충 성분이 메토플루트린을 주체로 하고 다른 화합물과의 혼합인 경우에는, 10 질량% 이상 35 질량% 이하가 적합해진다.
또한, 공중합체 중의 에틸렌 단위와 비닐아세테이트 단위의 수의 비는, 90:10 ∼ 70:30이면 바람직하다. 비닐아세테이트 단위가 지나치게 적으면, 폴리에틸렌과 거의 물성이 달라지지 않게 되어,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블리드 조정 효과를 거의 기대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한편, 비닐아세테이트 단위가 지나치게 많으면 펠릿형으로 성형하기 어려워진다.
상기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멜트 매스 플로우 레이트(MFR)는, 5 g/10 min 이상, 50 g/10 min 이하이면 바람직하다. MFR이 지나치게 작으면 블리드 조정제로서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게 되고, MFR이 지나치게 크면 펠릿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무시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펠릿의 중량 조정이나 물성의 조정을 위해, 상기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외에, 상기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고,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와의 친화성의 면에서, 폴리에틸렌이 바람직하고, 성형성의 면에서 특히 저밀도 폴리에틸렌, 구체적으로는 분기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쇄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정 석출 방지 성분은, 트랜스플루트린의 결정이 펠릿 표면에 석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성분으로, 구체적으로는, 상온에서 액상인 이염기산 에스테르 화합물, 방향족 에스테르 화합물,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화합물, 트랜스플루트린 그 자체 이외의 피레트로이드 화합물, 피레트로이드용 공력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지만, 복수 종류를 병용해도 좋다.
상기 결정 석출 방지 성분 중에서는, 이염기산 에스테르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특히, 비점이 200℃∼330℃인 이염기산 에스테르 화합물은 결정 석출 방지 효과가 높고, 예컨대, 디부틸숙시네이트, 디부틸글루코네이트, 디에틸아디페이트, 디에틸프탈레이트 등을 예시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피레트로이드 화합물로는, 예컨대, 페노트린 혹은 메토플루트린, 또는 그 양쪽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은 상기한 이염기산 에스테르 화합물과 병용하면, 결정 석출 방지 효과가 더욱 높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피레트로이드용 공력제란, 피레트로이드와 병용되었을 때에 피레트로이드의 살충 효력을 증강시킬 수 있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N-(2-에틸헥실)-비시클로[2,2,1]-헵타-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나 피페로닐부톡사이드 등이 대표적이다. 이들 상기 피레트로이드용 공력제도, 상기 이염기산 에스테르 화합물과 병용 함으로써 결정 석출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상기 결정 석출 방지 성분은, 펠릿 전체에 대하여 1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염기산 에스테르 화합물이 특히 효과적이기 때문에, 이것을 주체로 적절히 다른 결정 석출 방지 성분을 조합하여 이용하면 된다.
상기 방충 성분을 포함하는 휘산성 약제 함유 수지 펠릿에는, 이들 성분 외에, 상기 방충 성분을 포함하는 휘산성 약제의 효과를 잃게 하지 않으며, 또한, 상기 수지나 결정 석출 방지 성분에 의한 블리드나 결정 석출의 억제 효과를 잃게 하지 않는 범위에서, 그 밖의 첨가물, 예컨대, 수지 안정제나 착색제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한 구성 및 혼합비로 휘산성 약제 함유 수지 펠릿을 제조할 때의 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우선 상기 방충 성분과 상기 미분말 담체를 혼합한 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와 필요하다면 다른 폴리올레핀계 수지 등을 첨가하고, 상기 결정 석출 방지 성분과 함께 혼련하는 순서를 들 수 있다.
상기 방충 성분을 포함하는 휘산성 약제는, 상온에서 유효 성분이 휘산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방충제, 기피제, 방향제, 소취제, 방미제, 항균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방충 성분으로는, 트랜스플루트린, 메토플루트린, 엠펜트린, 프로플루트린, 알레트린, 푸라메트린, 프랄레트린, 레스메트린, 프탈트린, 페노트린, 천연 피레트린 등의 피레트로이드계 살충 성분, 디클로르보스, 페니트로티온, 마라손 등의 유기 인계 살충 성분, 메토프렌, 하이드로프렌 등의 곤충 성장 제어제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트랜스플루트린, 메토플루트린, 엠펜트린, 프로플루트린으로부터 선택되는 피레트로이드계 살충 성분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화합물 중에는, 부제 탄소나 불포화 결합에 기초한 광학 이성체 또는 기하 이성체가 존재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들의 각각 단독 혹은 임의의 혼합물도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한 메토플루트린 및 프로플루트린은 상온에서 액상이고, 한편, 트랜스플루트린은 결정성이 있다. 트랜스플루트린은 결정성을 갖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결정 석출 방지 성분과의 병용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피제로는, N,N-디에틸톨루아미드(디트), 디메틸프탈레이트, 디부틸프탈레이트, 2-에틸-헥산디올, 디부틸숙시네이트, p-멘탄-3,8-디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방향제로는, 시트로넬라유, 오렌지유, 레몬유, 라임유, 유자유, 라벤더유, 페퍼민트유, 유칼리유, 재스민유, 노송나무유, 녹차 정유, 리모넨, α-피넨, 리날놀, 게라니올, 페닐에틸알콜, 아밀신나믹알데히드, 벤질아세테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소취제로는, 휘발성의 것으로는 나한백유, 히노키 오일, 대나무 엑기스, 쑥 엑기스, 동유나 피루브산에틸, 피루브산페닐에틸 등의 피루브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방미제로는, 2-n-옥틸-4-이소티아졸린-3-온,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오르토페닐페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항균제로는, 히노키티올, 테트라히드로리날롤, 오이게놀, 시트로넬랄, 알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휘산성 약제 함유 수지 펠릿에는, 필요에 따라, 탈크, 알루미나, 실리카, 화이트 카본이라고 불리는 미결정 실리카나 미분말 규산, 규조토, 제올라이트류, 점도 광물, 목분 등의 미분말 담체를 병용해도 좋고, 또한 착색제, 안정제, 대전 방지제 등을 적절히 배합해도 상관없다. 미분말 담체를 사용하면, 펠릿 내에 상기 방충 성분 등의 휘산성 약제를 담지할 수 있고, 또한, 제1 단계에서 수지에 휘산성 약제를 고농도로 함유시킨 마스터 배치를 조제하고, 제2 단계에서 또한 수지를 이용하여 소정 농도로 희석하여 얻어지는 수지 조성물의 제조 공정을 채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수지 조성물 내부로부터 표면부에 걸친 연통 기포를 발생하여, 내부의 휘발성 약제가 표면에 블리드되기 쉬워지는 경우도 있다.
펠릿 중의 방충 성분 함유량으로는, 메토플루트린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펠릿 전체의 10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의 범위에서 함유시킬 수 있고, 특히, 15 질량% 이상 35 질량% 이하의 범위가 보다 적합하다. 또한, 트랜스플루트린이나 프로플루트린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펠릿 전체의 20 질량% 이상 60 질량% 이하의 범위에서 함유시킬 수 있고, 특히, 30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의 범위가 보다 적합하다. 방충 성분이 어느 경우라도, 지나치게 적으면 마스터 배치로서 이용할 때에 그만큼 다량으로 준비하지 않으면 안되어, 제조상 비효율적이게 된다. 한편, 지나치게 많으면 본 발명을 구성하는 다른 성분에 의해서도, 블리드 및 결정 석출을 완전히 억제하지 못하여, 펠릿이 달라붙어서 보존이나 수송, 성형시에 지장이 생길 우려가 있다. 또, 방충 성분으로서 복수 종류의 화합물을 병용하는 경우, 이들을 합한 함유율이 60 질량% 이하이면 바람직하다.
상기 미분말 담체를 사용하는 경우, 그 사용량은, 펠릿 전체량에 대하여 10 질량% 이상이 좋고, 상한은 30 질량%까지가 좋다. 10 질량%보다 적으면, 휘산성 약제를 보유하는 성능이 뒤떨어져 마스터 배치에 의한 제조가 곤란해진다. 또한, 담체로서 지나치게 적어 상기 방충 성분을 완전히 담지하지 못하여, 상기 방충 성분의 블리드가 과대해질 우려가 있다. 한편, 30 질량%보다 많으면, 입체 구조체의 강도나 휘산성 약제의 블리드성에 영향을 미치거나, 후술하는 수지와의 배합비상, 펠릿으로서의 형태를 유지하는 것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펠릿을 이용한 성형품에도 함유되게 되기 때문에, 지나치게 많으면 방충 제품의 물성에 영향을 미칠 우려도 있다.
또한, 상기한 미분말 담체의 크기는, 수 평균 입자경이 1 ㎛ 이상 30 ㎛ 이하이면 바람직하고, 5 ㎛ 이상 20 ㎛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수 평균 입자경이 30 ㎛를 초과하면, 상기 범위의 함유율로 존재하고 있었다 하더라도 표면적이 부족하기 때문에, 담체로서 상기 방충 성분을 담지하기 어려워지고, 얻어지는 펠릿이 달라붙기 쉬워진다. 한편, 1 ㎛ 미만의 미립자는 현실적으로는 어렵고, 물성이 크게 변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관련된 휘산성 약제 함유 구조체는, 상기 휘산성 약제 함유 펠릿을 마스터 배치로 하고, 이것에 통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첨가하여 얻어지는 수지 조성물을 사출 성형 등을 함으로써,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사출 성형 조건은, 사용하는 수지의 종류, 각 성분의 배합 비율 등을 감안하여, 주지된 조건에서 행할 수 있다.
여기서 이용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는, 예컨대 저밀도 폴리에틸렌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상기 휘산성 약제 함유 수지 펠릿에 포함되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와의 친화성이 좋은 데다가, 용해 온도가 낮기 때문에, 성형시, 온도에 의한 방충 성분의 휘산, 분해 손실을 최소한으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이 성형시에는, 상기 방충 성분을 변질시키지 않으며, 또한, 휘산을 필요 이상으로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그 밖의 첨가물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 수지 조성물 중에서의 휘산성 약제의 함유량은, 사용하는 휘산성 약제의 종류, 수지의 종류, 사용 환경, 사용 기간 등에 의해 적절히 결정된다. 사용 기간이 길어질수록 휘산성 약제의 함유량을 높게 할 필요가 있지만, 1∼20 질량%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적당하다. 1 질량% 미만이면 효과를 나타내는 데 필요한 약의 양을 확보하기 어렵고, 한편, 20 질량%를 초과하면, 휘산성 약제를 혼련한 후의 성형이 곤란해지고, 또한 수지 표면에 휘산성 약제가 지나치게 블리드되어 달라붙기 쉽다는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성형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압출 성형, 사출 성형, 프레스 성형, 진공 성형 등에 이용할 수 있지만, 특히 압출 성형이나 사출 성형에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등의 추가의 수지와의 혼합 비율로는, 휘산성 약제 함유 수지 펠릿이 15 질량% 이상 80 질량% 이하이고,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20 질량% 이상 85 질량% 이하이면, 얻어지는 수지 성형체에 적당한 양의 상기 방충 성분이 포함되어 적절한 휘산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상기 휘산성 약제가 휘산성 약제 함유 구조체의 표면에 블리드되어, 그 표면으로부터 휘산되어 가기 때문에, 이 휘산성 약제 함유 구조체에 손이 닿으면 휘산성 약제가 손에 부착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관련된 휘산성 약제 함유 구조체는, 용기에 수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용기는, 내부의 휘산성 약제 함유 구조체에 손이 잘 닿지 않으며, 또한, 휘산성 약제가 휘산하기 쉬운 정도의 구멍(개방창)이 뚫려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 용기는, 사용 용도에 따라, 매달거나, 망 창문 등에 첩부 가능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휘산성 약제 함유 구조체는, 네트 형상과 비교하여 강고하고, 제조 공정에 있어서 용기에 대한 수납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는 메리트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휘산성 약제 함유 구조체는, 상기 용기에 수납하여, 매달거나, 망 창문 등에 첩부하거나, 정치시키거나 함으로써, 사용한 휘산성 약제에 따라, 방충제, 살충제, 방향제, 소취제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충 성분 함유 수지 펠릿을 이용한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휘산성 약제 함유 구조체는, 많은 곤충류를 비롯한 절지 동물, 구체적으로는, 빨간집모기, 지하집모기, 흰줄숲모기 등의 모기류, 파리매, 모기붙이류, 파리류, 나방파리류, 옷좀나방류 등에 대하여 살충 효과 또는 기피 효과에 기초한 우수한 방충 효과를 발휘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이용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또, 본 발명은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구조체 검토로서, 본 발명의 휘산성 약제 함유 구조체에 관해 검토한다.
(구조체 검토 실시예 1)
도 4의 (a)에 도시한 입체 구조체로부터 형성되는 휘산성 약제 함유 구조체를 이용하여 실험을 행했다.
우선, 휘산성 약제로서 트랜스플루트린(스미토모 화학(주) 제조) 50 중량부, 화이트 카본(EVONIK사 제조 : 카프렉스 #80, 평균 입자경 : 15 ㎛) 18 중량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도소(주) 제조 : 울트라센 710, 공중합체 중의 비닐아세테이트의 함유율 : 28%) 20 중량부, 및 LDPE(아사히 카세이(주) 제조 : 산테크 LDM6520) 12 중량부를 120℃∼140℃에서 혼련하여, 펠릿형 마스터 배치를 제조했다.
계속해서, 얻어진 펠릿 100 중량부와 상기 LDPE 300 중량부를 120∼140℃에서 혼련한 후,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사출 성형하여, 도 4의 (a)에 도시한 입체 구조체로 이루어지는 휘산성 약제 함유 구조체(10 g)를 얻었다.
이 입체 구조체를 구성하는 막대 형상체 및 보강재(14)의 단면은, 약 1.3 mm×1.3 mm의 정방형이고, 이 입체 구조체를 구성하는 물결 형상체의 제1 정상부(11a)와 제2 정상부(11b) 사이의 거리는 10 mm, 제1 정상부(11a) 및 제2 정상부(11b)의 길이는, 모두 8 mm로 했다. 또한, 휘산성 약제 함유 구조체 전체의 크기를, 95 mm×160 mm×12 mm로 했다. 이 휘산성 약제 함유 구조체의 표면적은 29900 mm2였다.
얻어진 휘산성 약제 함유 구조체를 실내에 매달고, 25℃, 풍속 0.5 m의 조건하에서, 휘산성 약제의 휘산량 및 휘산 시간을 측정했다. 휘산량 및 휘산 시간의 측정 방법은, 휘산성 약제 함유 구조체의 중량을 시간 경과적으로 측정함으로써 행했다.
그 결과, 휘산 시간은 대략 200일이고, 전기간을 통한 평균 휘산량은 5.8 mg/일이었다.
(구조체 검토 비교예 1)
구조체 검토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사출 성형하여, 통 형상이고 메시가 마름모 형상인 네트(4.8 g)를 얻었다. 이 네트는, 외경 0.7 mm의 굵기를 갖고, 메시가 4 mm×4 mm이고, 통 형상을 평평하게 눌렀을 때의 전체 크기는 80 mm×150 mm(절단하여, 한 면으로 펼쳤을 때의 넓이는, 160 mm×150 mm에 상당)로, 실시예 1의 크기의 약 2배였다. 이 휘산성 약제 함유 구조체의 표면적은 20400 mm2였다.
얻어진 네트를,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휘산성 약제의 휘산량 및 휘산 시간을 측정했다.
그 결과, 휘산 시간은 대략 200일이었지만, 전기간을 통한 평균 휘산량은 2.9 mg/일로, 본 발명의 휘산성 약제 함유 구조체와 동등한 휘산량을 얻기 위해서는, 상당한 정도로 네트를 크게 하거나, 혹은 중량을 무겁게 하거나 할 필요가 있어, 제품 설계상 곤란을 수반할 것이 예상되었다.
(결과)
상기한 바와 같이, 구조체 검토 실시예 1의 휘산성 약제 함유 구조체의 휘산량은, 구조체 검토 비교예 1의 휘산량에 비해 약 2배로, 그 휘산량의 증대는 표면적의 대비로부터 예상되는 이상으로 현저한 것, 또한, 용기와 접하는 구조체 부분을 줄임으로써, 용기의 내벽과 접촉함으로써 발생하는 휘산성 약제의 휘산량 저하나 용기의 오염도 억제할 수 있는 것이 명확해졌다.
다음으로, 성분 검토로서, 본 발명의 방충 성분 함유 수지 펠릿의 성분에 관해 검토한다. 또, 이하에 있어서는 실시예가 11, 비교예가 3가지 있으므로, 이하에 있어서는, 「성분 검토 실시예」나 「성분 검토 비교예」라고 하지 않고, 간단히 「실시예」, 「비교예」라고 한다.
우선, 사용한 약제에 관해 설명한다.
·트랜스플루트린(스미토모 화학(주) 제조 : 바이오스린)
·메토플루트린(스미토모 화학(주) 제조 : 에미넨스)
·미결정 실리카(EVONIK사 제조 : 카프렉스 #80, 화이트 카본, 평균 입자경 : 15 ㎛)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도소(주) 제조 : 울트라센 710, 에틸렌 : 초산비닐 단위비 = 72:28, 이후 「EVA-A」라고 기재함)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도소(주) 제조: 울트라센 541, 에틸렌 : 초산비닐 단위비 = 90:10, 이후 「EVA-B」라고 기재함)
·저밀도 폴리에틸렌(아사히 카세이(주) 제조 : 산테크 LDM6520, 이후 「LDPE-A」라고 기재함)
·저밀도 폴리에틸렌(니혼 폴리에틸렌(주) 제조 : 노바테크 LDLJ802, 이후 「LDPE-B」라고 기재함)
·디부틸숙시네이트(시오노 피네스(주) 제조)
·페노트린(스미토모 화학(주) 제조 : 스미스린)
<펠릿의 제조방법>
하기에 기재된 혼합비로, 방충 성분, 미립자 담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트랜스플루트린의 경우에는 결정 석출 방지 성분, 및 그 밖의 수지를 혼합했다. 혼합할 때의 순서로는, 우선, 방충 성분·트랜스플루트린 36 중량부를 화이트 카본 16 중량부에 담지시킨 후, 이것에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A) 40 중량부, 결정 석출 방지 성분·디부틸숙시네이트 3.2 중량부, 및 LDPE(LDPE-A) 4.8 중량부를, (주)테크노벨 제조 : 2축 압출 성형기를 이용하여, 120℃∼140℃에서 혼련·압출 성형하여, 직경 3 mm, 길이 5 mm의 방충 성분 함유 수지 펠릿을 제조했다. 이 펠릿에 관해, 블리드 및 결정 석출의 유무를 측정했다.
<블리드 측정 방법>
펠릿 약 10 g을 직경 7 cm의 유리 샬레에 넣고, 빈틈없이 펼친 후 뚜껑을 덮어 밀봉했다. 40℃에서 7일간 보존 후, 펠릿의 표면으로 배어나온 오일 부유의 상황을 눈으로 관찰하여, 하기 기준으로 평가했다.
오일 부유 없음 ; ○, 표면이 번질거리는 정도 ; △, 확실한 오일 부유 ; ×
<결정 석출 측정 방법>
상기 블리드 측정 방법에 이용한 시료에 관해, 25℃에서 7일간 보존 후, 결정 석출의 상황을 눈으로 관찰하여, 하기 기준으로 평가했다.
결정 석출에 의한 백화 없음 ; ○, 약간 백화 ; △, 바늘형 결정이 석출 ; ×
<성형체의 제조>
상기 방충 성분 함유 수지 펠릿 100 중량부와 LDPE(LDPE-B) 300 중량부(착색제 펠릿 10 중량부를 포함함)를 120℃∼140℃에서 혼련한 후, 인젝션 성형기에 투입하여, 도 4의 (a)∼(c)에 도시한 입체 구조체로 이루어지는 휘산성 약제 함유 구조체(10 g)를 얻었다.
이 입체 구조체를 구성하는 직사각형의 물결 형상체 1(1a, 1b) 및 보강재 2의 단면은, 약 1.3 mm×1.3 mm의 정방형이고, 이 입체 구조체를 구성하는 직사각형의 물결 형상체 1의 제1 정상부(1a)와 제2 정상부(1b) 사이의 거리는 10 mm, 제1 정상부(1a) 및 제2 정상부(1b)의 길이는, 모두 8 mm로 했다. 또한, 휘산성 약제 함유 구조체 전체의 크기를, 95 mm×160 mm×12 mm로 했다.
얻어진 휘산성 약제 함유 구조체를 실내에 매달고, 25℃, 풍속 0.5 m의 조건하에서, 휘산성 약제의 휘산량 및 휘산 시간을 측정했다. 휘산량 및 휘산 시간의 측정 방법은, 휘산성 약제 함유 구조체의 중량을 시간 경과적으로 측정함으로써 행했다.
그 결과, 휘산 시간은 대략 130일이고, 전기간을 통한 평균 휘산량은 5.8 mg/일이었다.
상기 <펠릿의 제조방법>에 준하여 표 1에 나타내는 조성의 방충 성분 함유 수지 펠릿을 제조하고, 이들 펠릿에 관해, 블리드 및 결정 석출의 유무를 측정했다. 결과를 더불어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14055416594-pct00002
시험 결과, 트랜스플루트린, 메토플루트린 및 프로플루트린의 적어도 1종으로 이루어지는 방충 성분과, 미분말 담체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방충 성분 함유 수지 펠릿은, 과도한 블리드가 보이지 않고, 또한 트랜스플루트린 펠릿에 관해서는 결정 석출에 의한 백화 현상도 지장이 될 정도에 이르지 않아, 양호한 상태를 나타냈다. 또, 결정 석출 방지 성분으로는, 디부틸숙시네이트와 같은 이염기산 에스테르 화합물이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화합물)보다 결정 석출 방지 효과가 우수한 경향이 확인되었다.
한편, 비교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방충 성분, 미분말 담체,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중 어느 것을 결여시켜도 블리드 및 결정 석출의 면에서 문제를 발생시켰다.
상기 <성형체의 제조>에 준하여, 표 2에 나타내는 수지 조성물을 압출 성형하고, 통 형상이고 메시가 마름모 형상인 방충망(4.8 g)을 조제했다. 이 망은, 외경 0.7 mm의 굵기를 갖고, 메시가 4 mm×4 mm이고, 통 형상을 평평하게 눌렀을 때의 전체 크기는 80 mm×150 mm였다.
방충망 2개를 실내에 매달고, 25℃, 풍속 0.5 m의 조건하에서, 방충 성분의 휘산량 및 휘산 시간을 측정했다. 휘산량 및 휘산 시간의 측정 방법은, 방충망의 중량을 시간 경과적으로 측정함으로써 행했다. 결과를 더불어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14055416594-pct00003
방충망 a 및 방충망 e는 목표대로의 평균 휘산량 및 휘산 시간을 나타냈다. 한편, 실시예 3 및 실시예 6의 펠릿은 블리드 및 결정 석출의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았지만, 이들을 이용하여 제조한 방충망 b 및 방충망 d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혹은 미분말 담체의 배합량이 다소 많기 때문에 휘산량이 약간 저감되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반대로, 방충망 c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배합량이 낮은 것에서 기인하여 블리드되기 쉬워지고 휘산량은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11, 12, 13 : 물결 형상체
11a, 12a : 제1 정상부
11b, 12b : 제2 정상부
14 : 보강재

Claims (21)

  1. 막대 형상체를 물결 형상으로 형성하여 물결 형상체로 하고,
    복수개의 물결 형상체를, 그 정상부끼리 교차시켜 접합시킴으로써 구성한 입체 구조체로서,
    상기 입체 구조체는, 휘산성(揮散性)을 갖는 휘산성 약제를 함유시킨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고, 혼련된 상기 휘산성 약제는, 상기 입체 구조체의 표면에 블리드되어 그 표면으로부터 휘산하는 것이 가능한 휘산성 약제 함유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결 형상체는, 직사각형 물결로 이루어지는 물결 형상체인 휘산성 약제 함유 구조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구조체를 구성하는 면이고, 상기 정상부가 배치되는 면인 정상부 함유면에 있어서,
    이 1개의 정상부 함유면에 포함되는 적어도 2개의 정상부끼리가 직선형의 막대 형상체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산성 약제 함유 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이, 휘산성 약제 함유 수지 펠릿에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첨가한 것인 휘산성 약제 함유 구조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휘산성 약제 함유 수지 펠릿이, 트랜스플루트린, 메토플루트린 및 프로플루트린의 적어도 1종으로 이루어지는 방충 성분과, 미분말 담체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방충 성분 함유 수지인 휘산성 약제 함유 구조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충 성분이 트랜스플루트린이고, 결정 석출 방지 성분을 포함하는 휘산성 약제 함유 구조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휘산성 약제 함유 수지 펠릿이,
    20 질량% 이상 60 질량% 이하의 트랜스플루트린과,
    10 질량% 이상 30 질량% 이하의 상기 미분말 담체와,
    10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의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와,
    1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의 상기 결정 석출 방지 성분을 함유하는 휘산성 약제 함유 구조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석출 방지 성분이, 상온에서 액상인, 방향족 에스테르 화합물,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화합물, 이염기산 에스테르 화합물, 트랜스플루트린 이외의 피레트로이드 화합물, 및 피레트로이드용 공력제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산성 약제 함유 구조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석출 방지 성분으로서, 비점이 200℃∼330℃인 이염기산 에스테르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산성 약제 함유 구조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비점이 200℃∼330℃인 이염기산 에스테르 화합물이, 디부틸숙시네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산성 약제 함유 구조체.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석출 방지 성분인 피레트로이드 화합물로서, 메토플루트린, 페노트린의 적어도 한쪽을 함유하는 휘산성 약제 함유 구조체.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휘산성 약제 함유 수지 펠릿이,
    상기 방충 성분으로서 10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의 메토플루트린을 포함하고,
    10 질량% 이상 30 질량% 이하의 미분말 담체와,
    5 질량% 이상 35 질량% 이하의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휘산성 약제 함유 구조체.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휘산성 약제 함유 구조체를 포함하는 방충 제품.
  14. 제3항에 기재된 휘산성 약제 함유 구조체를 포함하는 방충 제품.
  15. 제4항에 기재된 휘산성 약제 함유 구조체를 포함하는 방충 제품.
  16. 제5항에 기재된 휘산성 약제 함유 구조체를 포함하는 방충 제품.
  17. 제6항 또는 제7항에 기재된 휘산성 약제 함유 구조체를 포함하는 방충 제품.
  18. 제8항에 기재된 휘산성 약제 함유 구조체를 포함하는 방충 제품.
  19. 제9항 또는 제10항에 기재된 휘산성 약제 함유 구조체를 포함하는 방충 제품.
  20. 제11항에 기재된 휘산성 약제 함유 구조체를 포함하는 방충 제품.
  21. 제12항에 기재된 휘산성 약제 함유 구조체를 포함하는 방충 제품.
KR1020147016203A 2011-11-16 2012-11-14 휘산성 약제 함유 구조체 KR1018967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50480 2011-11-16
JPJP-P-2011-250480 2011-11-16
JPJP-P-2011-285408 2011-12-27
JP2011285408 2011-12-27
PCT/JP2012/079503 WO2013073571A1 (ja) 2011-11-16 2012-11-14 揮散性薬剤含有構造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8132A KR20140098132A (ko) 2014-08-07
KR101896743B1 true KR101896743B1 (ko) 2018-09-07

Family

ID=48429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6203A KR101896743B1 (ko) 2011-11-16 2012-11-14 휘산성 약제 함유 구조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2781154B1 (ko)
JP (3) JP5547350B2 (ko)
KR (1) KR101896743B1 (ko)
CN (2) CN103781351B (ko)
AU (1) AU2012337864B2 (ko)
HK (1) HK1196924A1 (ko)
IN (1) IN2014CN04439A (ko)
WO (1) WO20130735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6743B1 (ko) * 2011-11-16 2018-09-07 다이니혼 죠츄기쿠 가부시키가이샤 휘산성 약제 함유 구조체
CN103756101A (zh) * 2014-01-23 2014-04-30 上海宇泽贸易有限公司 有生物杀灭功效的高分子复合材料及制备工艺
JP2016123390A (ja) * 2015-01-08 2016-07-11 大日本除蟲菊株式会社 揮散性薬剤含有立体構造体
JP2016123389A (ja) * 2015-01-08 2016-07-11 大日本除蟲菊株式会社 揮散性薬剤含有立体構造体
JP6514597B2 (ja) * 2015-07-27 2019-05-15 大日本除蟲菊株式会社 立体型薬剤揮散体
WO2017110455A1 (ja) * 2015-12-24 2017-06-29 アース製薬株式会社 害虫防除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害虫防除方法
JP2017186275A (ja) * 2016-04-06 2017-10-12 株式会社ニッピ 防虫フィルム、及び防虫フィルムの製造方法
US10349647B2 (en) * 2016-10-24 2019-07-16 Dainihon Jochugiku Co., Ltd. Three-dimensional structure containing volatile chemical
KR102016420B1 (ko) * 2018-05-17 2019-09-05 송성달 항충 마스터 배치 칩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항충 제품
JP2019071904A (ja) * 2019-02-06 2019-05-16 大日本除蟲菊株式会社 揮散性薬剤含有立体構造体
JP7228234B2 (ja) * 2019-02-13 2023-02-24 住化エンバイロメンタルサイエンス株式会社 害虫防除用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
JP7297287B2 (ja) * 2019-02-13 2023-06-26 住化エンバイロメンタルサイエンス株式会社 害虫防除用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
JP6790161B2 (ja) * 2019-03-25 2020-11-25 大日本除蟲菊株式会社 立体型薬剤揮散体
JP7295531B2 (ja) * 2019-08-20 2023-06-21 クラレトレーディング株式会社 抗ウイルス性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成形体
JP7113064B2 (ja) * 2020-12-25 2022-08-04 株式会社ニッピ 防虫フィルム、及び防虫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WO2022163236A1 (ko) * 2021-01-26 2022-08-04
CN114573905A (zh) * 2022-03-11 2022-06-03 福建菲克斯达纺织有限公司 具有长效驱防虫功效的塑料母粒配方、加工工艺及使用方法
CN116369300A (zh) * 2022-12-19 2023-07-04 佛山欧神诺陶瓷有限公司 一种可长效缓释的防蟑轻质陶瓷板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26692A (ja) 2010-12-17 2012-07-05 Shin-Etsu Chemical Co Ltd フェロモン物質としてカルボン酸を有する害虫用徐放性フェロモン製剤
JP2014158501A (ja) 2011-11-16 2014-09-04 Dainippon Jochugiku Co Ltd 揮散性薬剤含有構造体及びこれからなる防虫製品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01804U (ja) * 1981-12-29 1983-07-11 ア−ス製薬株式会社 防虫材
JPS61137804A (ja) * 1984-12-11 1986-06-25 Nippon Ekishiyou Kk 防殺虫効果を有する植物育成用具の製造方法
JPS61202643A (ja) * 1985-03-07 1986-09-08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揮発性物質徐放性製剤
JPS6189004A (ja) * 1985-08-14 1986-05-07 ア−ス製薬株式会社 収納家具又は収納箱
JPH06336405A (ja) * 1993-03-30 1994-12-06 Sumitomo Chem Co Ltd 薬剤徐放体
JPH07187910A (ja) * 1993-12-27 1995-07-25 Sumitomo Chem Co Ltd 薬剤徐放多層体
JP3858929B2 (ja) 1995-07-10 2006-12-20 住友化学株式会社 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体
JP3907813B2 (ja) * 1997-01-24 2007-04-18 フマキラー株式会社 常温蒸散式製剤の薬剤保持体及び薬剤蒸散方法
JPH1192303A (ja) * 1997-09-25 1999-04-06 Earth Chem Corp Ltd 薬剤保持用担体、薬剤保持材及び薬剤の揮散方法
JP3955151B2 (ja) * 1998-05-06 2007-08-08 フマキラー株式会社 常温蒸散性薬剤の薬剤保持体並びにそれを用いた薬剤蒸散方法及び装置
JP2001192309A (ja) 2000-01-12 2001-07-17 Earth Chem Corp Ltd 害虫防除液
JP2004203787A (ja) * 2002-12-25 2004-07-22 Sumitomo Chem Co Ltd 常温揮散性薬剤放散体
JP2004242668A (ja) * 2003-01-20 2004-09-02 Dainippon Jochugiku Co Ltd 薬剤揮散具及びこれを用いた害虫防除方法
JP2005210987A (ja) * 2004-01-30 2005-08-11 Sumitomo Chemical Co Ltd 揮散成分保持用担体及び揮散成分保持材
JP2005224336A (ja) * 2004-02-12 2005-08-25 Toppan Printing Co Ltd 繊維状構造物
JP3911506B2 (ja) * 2004-07-14 2007-05-09 大日本除蟲菊株式会社 薬剤揮散装置
JP2006036658A (ja) * 2004-07-23 2006-02-09 Sumitomo Chemical Co Ltd 嫌食性ペットハウス用殺虫材
CN2720633Y (zh) * 2004-08-13 2005-08-24 英业达股份有限公司 一种散热装置
JP2006314284A (ja) 2005-05-13 2006-11-24 Sumitomo Chemical Co Ltd 防虫具
JP2007031401A (ja) * 2005-07-29 2007-02-08 Sumitomo Chemical Co Ltd 衣料害虫の防除方法
JP4841910B2 (ja) 2005-09-14 2011-12-21 住友化学株式会社 害虫防除用成形体
JP5019735B2 (ja) * 2005-10-07 2012-09-05 コーア株式会社 薬剤揮散素子を使用した薬剤の加熱揮散方法
JP2008013508A (ja) * 2006-07-07 2008-01-24 Sumitomo Chemical Co Ltd 害虫防除材
JP5163011B2 (ja) 2006-09-29 2013-03-13 住友化学株式会社 重合体組成物、繊維の製造方法および繊維
JP4725599B2 (ja) * 2008-06-04 2011-07-13 昭三 遠藤 揮散性物質放出器
WO2010058817A1 (ja) * 2008-11-19 2010-05-27 アース製薬株式会社 蒸散材
JP2010285385A (ja) * 2009-06-12 2010-12-24 Sumitomo Chemical Co Ltd 害虫防除器具及び害虫の防除方法
JP5797399B2 (ja) * 2009-12-25 2015-10-21 住友化学株式会社 害虫防除用樹脂組成物
EP2377395A1 (de) * 2010-04-15 2011-10-19 Bayer CropScience AG Insektizidhaltiges Flächengebild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26692A (ja) 2010-12-17 2012-07-05 Shin-Etsu Chemical Co Ltd フェロモン物質としてカルボン酸を有する害虫用徐放性フェロモン製剤
JP2014158501A (ja) 2011-11-16 2014-09-04 Dainippon Jochugiku Co Ltd 揮散性薬剤含有構造体及びこれからなる防虫製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781351B (zh) 2015-07-22
KR20140098132A (ko) 2014-08-07
JP6071940B2 (ja) 2017-02-01
HK1196924A1 (en) 2014-12-24
CN103781351A (zh) 2014-05-07
EP2781154A1 (en) 2014-09-24
IN2014CN04439A (ko) 2015-09-04
WO2013073571A1 (ja) 2013-05-23
AU2012337864A1 (en) 2014-07-03
EP2781154A4 (en) 2015-09-23
JPWO2013073571A1 (ja) 2015-04-02
JP5933626B2 (ja) 2016-06-15
JP2014177475A (ja) 2014-09-25
AU2012337864B2 (en) 2015-12-10
CN105010331B (zh) 2017-08-22
EP2781154B1 (en) 2019-08-14
JP5547350B2 (ja) 2014-07-09
CN105010331A (zh) 2015-11-04
JP2014158501A (ja) 2014-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6743B1 (ko) 휘산성 약제 함유 구조체
AU2013335918B2 (en) Chemical volatilization body
JP5937933B2 (ja) 薬剤揮散体
JP2010193817A (ja) 薬剤揮散体および薬剤揮散体を用いた害虫の防虫方法
JPH08302080A (ja) 持続性を有するオレフィン系防虫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体
JP2006256997A (ja) 害虫防除体および蚊防除体
JP6514597B2 (ja) 立体型薬剤揮散体
JP6790161B2 (ja) 立体型薬剤揮散体
JP2010090048A (ja) 薬剤揮散体
JP6427366B2 (ja) 薬剤揮散装置
JP2016123390A (ja) 揮散性薬剤含有立体構造体
US10349647B2 (en) Three-dimensional structure containing volatile chemical
WO1985002977A1 (en) Pest-repellent
TWI563915B (zh) 含有揮發性藥劑之結構體
ES2364859T3 (es) Composición pesticida que comprende carboxilatos de tetrafluorobencil ciclopropano.
JP2016123389A (ja) 揮散性薬剤含有立体構造体
JP6644516B2 (ja) ファン式揮散性薬剤揮散装置
JP2019071904A (ja) 揮散性薬剤含有立体構造体
JP2736433B2 (ja) 徐放性害虫忌避材
JP5553503B2 (ja) 薬剤揮散体および薬剤揮散体を用いた防虫方法
JP6594216B2 (ja) 立体型薬剤揮散体
JPH09308426A (ja) 害虫忌避フィルム
JPS61284210A (ja) 害虫防除用カ−テン
JPH06336405A (ja) 薬剤徐放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