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9028B1 - 청소구 - Google Patents

청소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9028B1
KR101369028B1 KR1020127022907A KR20127022907A KR101369028B1 KR 101369028 B1 KR101369028 B1 KR 101369028B1 KR 1020127022907 A KR1020127022907 A KR 1020127022907A KR 20127022907 A KR20127022907 A KR 20127022907A KR 101369028 B1 KR101369028 B1 KR 101369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handle
cleaning head
slit
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2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8492A (ko
Inventor
마코토 카토우
스스무 후지나미
기미에 산노미야
유키오 노다
도모히사 히라타
유타카 하마노
다쿠아키 하라다
Original Assignee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222784A external-priority patent/JP563114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222551A external-priority patent/JP563113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022673A external-priority patent/JP529528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022672A external-priority patent/JP5492111B2/ja
Application filed by 카오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18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8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9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90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47L13/256Plate frames for mops made of clo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1/00Handle constructions
    • B25G1/04Handle constructions telescopic; extensible; sectional

Abstract

베이스체 (15) 의 하면은, 청소구 본체 (11) 에 의해 청소를 실시하는 소정 방향 (X) 과, 평면에서 보아 수직인 방향 (Y) 에서의 단면이 산부 (17) 와 계곡부 (18) 가 교대로 연속 배치된 파형 단면 형상으로 되어 있는 파형 요철면부 (19) 를 구비한다. 파형 요철면부 (19) 의 계곡부 (18) 는, 베이스체 (15) 의 소정 방향 (X) 과 대향하는 변부 (15a) 에 단부가 개구되어 있음과 함께, 소정 방향 (X) 에 대해 비스듬하게 연장되고, 청소 시트 (13) 에 대한 먼지 등의 부착물을 피청소면의 불식에 수반하여 경사 방향으로 유도하는 경사 계곡부 (18a) 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청소구 {CLEANING DEVICE}
본 발명은, 청소면을 덮어 청소 시트가 장착된 청소구 본체에 의해 피청소면의 먼지나 오염을 제거하는 청소구에 관한 것이다.
청소면을 덮어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지는 청소 시트가 장착된 청소구 본체에 의해 플로어면 등의 피청소면의 먼지나 오염을 제거하는 청소구는, 청소구 본체에 장착된 핸들부를 손으로 잡고 피청소면을 불식 (拂拭) 함으로써 청소 시트에 먼지나 오염을 부착시켜, 간편하게 청소를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청소구에 의하면, 청소면이 되는 청소구 본체의 하면이 단지 평탄한 면이면, 청소면의 주연 (周緣) 부분에 먼지나 오염이 부착되기 쉬워져, 청소면의 전체로 피청소면을 불식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점에서, 청소구 본체의 청소면의 형상을 연구함으로써 청소 효율을 향상시킨 청소구가 여러 가지 개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참조).
또, 플로어면의 청소를 실시하는 청소구로서 자루걸레나 청소 시트 등이 장착되는 청소 헤드와, 청소 헤드의 상면에 조인트부를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손잡이로 이루어지는 청소구가 여러 가지 알려져 있다. 이들 청소구는, 청소 헤드에 대해 손잡이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킬 뿐만 아니라, 조인트부를 중심으로 하는 둘레 방향으로도 손잡이를 360 도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로써 청소 헤드의 청소면을 임의의 방향으로 향하면서, 플로어면 등의 청소를 효율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3 참조).
또, 이와 같은 청소구의 손잡이로서, 일방의 원통상 파이프의 수 (雄) 측 단부를 타방의 원통상 파이프의 암 (雌) 측 단부에 삽입하고, 수측 돌기 삽입공과 암측 돌기 삽입공을 합치시켜 외측으로부터 걸어맞춤 돌기를 걸음과 함께, 수측 단부와 암측 단부의 이음매부를 외측으로부터 덮어 슬리브상 부재를 장착하여 구성되는 파이프의 연결 구조에 의해, 복수의 원통상 파이프를 축방향으로 연결 일체화한 것이 개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4 참조).
또, 이와 같은 상하 방향 및 둘레 방향으로도 손잡이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조인트부의 구조로서는, 예를 들어 청소 헤드의 상면 중앙 부분에 설치된 두 갈래상의 헤드측 요크부와, 손잡이의 하단부에 설치된 두 갈래상의 손잡이측 요크부를, 중심축이 직교하는 제 1 회전 운동 축심부와 제 2 회전 운동 축심부를 구비하는 연결 부재를 통하여 연결된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3 참조).
또, 플로어면을 불식하여 먼지나 오염을 제거하는 청소구로서, 자루걸레 등에 의한 청소구 본체에, 선 채로 청소 작업을 실시하는데 적합한 예를 들어 100 ∼ 150 ㎝ 정도 길이의 손잡이를 연결한 청소구가 다용되고 있다.
또, 사용하지 않을 때에 벽면 등에 설치한 훅 부재로부터 매달아, 청소구 본체가 손상되지 않게 하거나, 청소구를 안정적인 상태로 수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손잡이의 단부에 합성 수지제의 엔드캡을 장착하여, 매달기를 용이하게 한 청소구도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5 참조).
또, 플로어면의 청소를 실시하는 청소 용구로서, 일회용의 청소 시트가 착탈 교환 가능하게 장착되는 청소 헤드와, 청소 헤드의 상면부에 조인트부를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손잡이로 이루어지는 청소 용구가 여러 가지 알려져 있다. 이들 청소 용구는, 청소 헤드의 상면부에, 계착용 슬릿이 형성된 유연한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청소 시트 장착구가, 예를 들어 직사각형 형상의 청소 헤드의 각 코너 부분에 근접하여 4 개 지점에 설치되어 있고, 청소 헤드의 저면부를 하방으로부터 덮도록 하여, 청소 시트를 청소 헤드에 감은 후에, 청소 시트의 단가장자리부를, 청소 헤드 상면부의 시트 장착구의 슬릿에 밀어넣어 계착함으로써, 청소 시트를 청소 헤드에 착탈 교환 가능하게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7 참조).
또, 시트 장착구에 밀어넣어 계착된 청소 시트의 계착성을 향상시켜, 청소시에 청소 시트가 청소 헤드로부터 잘 빠지지 않도록 한 청소 용구도 개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8 참조). 특허문헌 8 의 청소 용구에서는, 유연한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청소 시트 장착구에 설치된 계착용 슬릿을, 청소 시트에 작용하는 인장력의 방향에 대해 직각인 방향으로 연장시켜 톱니 형상으로 형성한 유지용 슬릿과, 그 유지용 슬릿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연속하여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개방용 슬릿에 의해 구성하고, 톱니 형상의 유지용 슬릿에 청소 시트의 단가장자리부를 계착시켜, 장착 후에 청소 시트를 청소 헤드에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SG63841 (A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54337호 일본 실용신안공보 평6-21421호 US2005040644 (A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180896호 US2006230567 (A1)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49-68263호 일본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507300호
본 발명은, 청소 헤드와 그 청소 헤드의 하면을 덮어 장착된 베이스체로 이루어지는 청소구 본체와, 상기 청소 헤드의 하면과 반대측면에 장착된 핸들부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체의 하면에 의한 청소면을 덮어 청소 시트가 장착되고, 그 청소 시트에 의해 피청소면을 불식하는 청소구이다. 상기 베이스체의 하면은, 상기 청소구 본체에 의해 청소를 실시하는 소정 방향과 평면에서 보아 수직인 방향에서의 단면이 산부와 계곡부가 교대로 연속 배치된 파형 단면 형상으로 되어 있는 파형 요철면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 파형 요철면부의 상기 계곡부는, 상기 베이스체의 상기 소정 방향과 대향하는 변부에 단부가 개구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소정 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연장되어 있는 경사 계곡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핸들부는 손잡이로, 그 손잡이는, 1 쌍의 원통상 파이프를 축방향으로 연결 일체화하는 파이프의 연결 구조에 의해 복수의 원통상 파이프를 연결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파이프의 연결 구조는, 일방의 원통상 파이프의 수측 단부를 타방의 원통상 파이프의 암측 단부에 삽입하고, 수측 돌기 삽입공과 암측 돌기 삽입공을 합치시켜 외측으로부터 걸어맞춤 돌기가 걸려짐과 함께, 상기 수측 단부와 상기 암측 단부의 이음매부를 외측으로부터 덮어 슬리브상 부재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암측 단부에는, 상기 암측 돌기 삽입공으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이간된 부분에 있어서, 상기 암측 단부의 내주면보다 내측에 돌출하는 위치 결정 안내 리브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측 단부에는, 상기 수측 돌기 삽입공으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이간된 부분에 있어서, 당해 수측 단부의 선단가장자리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위치 결정 안내 리브와 대응하는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암측 단부의 상기 위치 결정 안내 리브를 상기 수측 단부의 안내홈에 걸어 안내시키면서, 상기 수측 돌기 삽입공이 상기 암측 돌기 삽입공에 합치될 때까지 상기 수측 단부가 상기 암측 단부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핸들부는 손잡이로, 그 손잡이는, 1 쌍의 원통상 파이프를 축방향으로 연결 일체화하는 파이프의 연결 구조에 의해 복수의 원통상 파이프를 연결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파이프의 연결 구조는, 일방의 원통상 파이프의 수측 단부를 타방의 원통상 파이프의 암측 단부에 삽입하고, 수측 돌기 삽입공과 암측 돌기 삽입공을 합치시켜 외측으로부터 걸어맞춤 돌기가 걸려짐과 함께, 상기 수측 단부와 상기 암측 단부의 이음매부를 외측으로부터 덮어 슬리브상 부재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리브상 부재에는, 상기 이음매부를 덮는 부분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고, 상기 암측 단부의 단면이 후방으로부터 맞닿는 맞닿음 리브가, 둘레 방향으로 연속 또는 단속하여 형성되어 있고, 그 맞닿음 리브에는, 상기 슬리브상 부재의 선단측을 향하여 직경 방향 외방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삽입 가이드 경사부가, 둘레 방향으로 연속 또는 단속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면을 상기 맞닿음 리브의 맞닿음면에 맞닿게 하여 상기 타방의 원통상 파이프의 상기 암측 단부에 슬리브상 부재를 장착한 상태로, 상기 일방의 원통상 파이프의 상기 수측 단부가, 상기 삽입 가이드 경사부에 안내되어 암측 단부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핸들부는 손잡이로, 그 손잡이의 상단부에 엔드캡이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엔드캡은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장착공을 통하여 상기 손잡이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있고, 또한 상기 손잡이의 단면부를 덮어 배치되는 피복 단면이, 상기 손잡이의 중심축 방향과 수직인 면에 대해 경사면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엔드캡의 테이퍼상의 선단가장자리 부분은, 상기 손잡이의 중심축 방향을 중심으로 하는 직경 방향의 내방 및 외방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쿠션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핸들부는 손잡이로, 그 손잡이를 상기 청소 헤드와 대략 평행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를 조인트부를 중심으로 하는 둘레 방향으로 360 도 회전 가능하게 하는 청소 헤드의 조인트 구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청소 헤드의 조인트 구조는, 상기 청소 헤드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설치된 두 갈래상의 헤드측 요크부와, 상기 손잡이의 하단부에 설치된 두 갈래상의 손잡이측 요크부를, 중심축이 직교하는 제 1 회전 운동 축심부와 제 2 회전 운동 축심부를 구비하는 연결 부재를 통하여 연결함으로써, 상하 방향 및 둘레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상기 조인트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헤드측 요크부를 구성하는 1 쌍의 요크 돌기부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각 대향면은, 정상부의 양측에 경사부를 구비하는 대칭인 산형상의 외주연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손잡이측 요크부를 구성하는 1 쌍의 요크편은, 상기 1 쌍의 요크 돌기부의 상기 대향면간의 간격폭과 대략 동일한 가로폭을 가지고 있고, 상기 손잡이를 상기 청소 헤드와 대략 평행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어느 일방의 상기 요크편의 측가장자리부는, 어느 일방의 상기 요크 돌기부의 상기 대향면의 외주연부와 맞닿음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의 상기 청소 헤드와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의 둘레 방향으로의 회전에 수반하여, 어느 일방의 상기 요크편의 측가장자리부가, 어느 일방의 상기 요크 돌기부의 상기 대향면의 외주연부를 따라 올라타도록 하거나, 또는 활강하도록 하여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소 시트를 착탈 교환 가능하게 장착시키는 청소 시트 장착구가 상기 청소 헤드의 상면부에 설치되고, 청소 헤드의 저면부를 덮어 감은 청소용 시트의 단가장자리부를 청소 시트 장착구에 계착시켜, 청소 헤드에 청소용 시트를 장착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청소 시트 장착구는, 장착 부재에 유지용 슬릿 및 개방용 슬릿을 형성함으로써 구성되고, 상기 유지용 슬릿은, 상기 청소 시트에 작용하는 인장력의 방향에 대해 직각 또는 대략 직각인 방향으로 연장되어 톱니 형상 또는 파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방용 슬릿은, 상기 유지용 슬릿의 중앙 부분에서 상기 유지용 슬릿에 연속되는, 상기 유지용 슬릿을 사이에 끼운 일방측에 2 라인 연장되는 2 라인 슬릿과, 타방측에 상기 유지용 슬릿의 연장 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경사 슬릿으로 이루어지며, 또한 상기 경사 슬릿은, 상기 유지용 슬릿과 근접하는 기단부와, 그 기단부로부터 선단측의 그 기단부보다 슬릿폭이 넓은 광폭부 (廣幅部) 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청소구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a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청소구의 주요부를 설명하는 청소구 본체의 정면도 및 A 부 확대도이다.
도 2b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청소구의 주요부를 설명하는 청소구 본체의 저면도이다.
도 3 은, 청소구 본체의 구성을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는, 청소구 본체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 3 의 A-A 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5 는, 청소구 본체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 3 의 B-B 를 따른 모식 단면도이다.
도 6 은, 핸들부의 파지부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은, 핸들부의 로드부의 연결부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a 는, 핸들부의 로드부를 구성하는 파이프 부재를 연결하는 상황을 설명하는 파단 사시도이다.
도 8b 는, 핸들부의 로드부를 구성하는 파이프 부재를 연결하는 상황을 설명하는 파단 사시도이다.
도 8c 는, 핸들부의 로드부를 구성하는 파이프 부재를 연결하는 상황을 설명하는 파단 사시도이다.
도 9a 는, 파이프의 연결 구조를 구성하는 수측 단부 및 암측 단부를 갖는 원통상 파이프 부재의 종방향의 종단면도이다.
도 9b 는, 파이프의 연결 구조를 구성하는 수측 단부 및 암측 단부를 갖는 원통상 파이프 부재의 도 9a 의 A-A 를 따른 횡방향의 종단면도이다.
도 9c 는, 파이프의 연결 구조를 구성하는 수측 단부 및 암측 단부를 갖는 원통상 파이프 부재의 도 9a 를 B 방향에서 본 하면도이다.
도 10a 는, 암측 단부에 슬리브상 부재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종방향의 종단면도이다.
도 10b 는, 암측 단부에 슬리브상 부재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 10a 의 A-A 를 따른 하방에서 본 횡방향의 종단면도이다.
도 11 은, 삽입 가이드 경사부의 다른 형태를 설명하는, 슬리브상 부재의 내측을 선단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2 는, 핸들부의 로드부를 구성하는 파이프 부재의 연결을 해제하는 상황을 설명하는 파단 사시도이다.
도 13a 는, 다른 파이프의 연결 구조의 구성을 설명하는 암측 단부의 사시도이다.
도 13b 는, 다른 파이프의 연결 구조의 구성을 설명하는 종방향의 종단면도이다.
도 14 는, 엔드캡이 부착된 손잡이의 주요부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a 는, 엔드캡이 부착된 손잡이의 주요부를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도 15b 는, 엔드캡이 부착된 손잡이의 주요부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15c 는, 엔드캡이 부착된 손잡이의 주요부를 설명하는 배면도이다.
도 15d 는, 엔드캡이 부착된 손잡이의 주요부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6a 는, 엔드캡이 부착된 손잡이를 구비하는 청소구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6b 는, 엔드캡이 부착된 손잡이를 구비하는 청소구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7 은, 청소 헤드의 조인트 구조의 구성을 설명하는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18 은, 청소 헤드의 조인트 구조의 구성을 설명하는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 는, 청소 헤드의 조인트 구조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 17 의 A 방향에서 본 주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20 은, 청소 헤드의 조인트 구조의 구성을 설명하는 부분 단면도 및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21a 는, 청소 헤드에 대해 손잡이를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황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1b 는, 청소 헤드에 대해 손잡이를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황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1c 는, 청소 헤드에 대해 손잡이를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황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2a 는, 청소 헤드에 대해 손잡이를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황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2b 는, 청소 헤드에 대해 손잡이를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황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2c 는, 청소 헤드에 대해 손잡이를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황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2d 는, 청소 헤드에 대해 손잡이를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황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2e 는, 청소 헤드에 대해 손잡이를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황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2f 는, 청소 헤드에 대해 손잡이를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황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2g 는, 청소 헤드에 대해 손잡이를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황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3 은, 청소 시트를 장착하기 전 상태의 청소 헤드의 사시도이다.
도 24 는, 청소 헤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5 는, 청소 시트 장착구가 형성된 장착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26a 는, 청소 시트 장착구가 형성된 장착 부재의 이면도이다.
도 26b 는, 도 26a 의 A 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27a 는, 파형 요철면부의 다른 형태를 예시하는 청소구 본체의 저면도이다.
도 27b 는, 파형 요철면부의 다른 형태를 예시하는 청소구 본체의 저면도이다.
도 27c 는, 파형 요철면부의 다른 형태를 예시하는 청소구 본체의 저면도이다.
도 27d 는, 파형 요철면부의 다른 형태를 예시하는 청소구 본체의 저면도이다.
도 27e 는, 파형 요철면부의 다른 형태를 예시하는 청소구 본체의 저면도이다.
도 27f 는, 파형 요철면부의 다른 형태를 예시하는 청소구 본체의 저면도이다.
도 28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청소구를 이용하여 청소 작업을 실시한 후의 먼지 등의 부착부의 부착 상황을 설명하는 부착부가 부착된 청소 시트이다.
특허문헌 1 의 청소구나 특허문헌 2 의 청소 용구는, 탄성 쿠션재에 의한 청소구 본체의 하면의 청소면을 만곡한 형상으로 하여, 먼지나 오염을 청소면의 주연 부분으로부터 내측으로 수용하기 쉽게 하거나, 청소면에 다수의 요철이나 파형 돌조를 형성하여, 평탄하지 않은 피청소면을 청소하기 쉽게 하거나, 피청소면의 오염을 긁어내기 쉽게 할 수 있다. 이들 청소구나 청소 용구에서는, 상기 서술한 기능이 효과적으로 발휘되는데, 그 한편, 특히 먼지나 머리카락이나 쓰레기 등의 고형물이 청소면 내측의 일부 영역에 체류되기 쉽다. 따라서, 청소면을 덮어 장착된 청소 시트의 광범위한 영역에 먼지나 머리카락이나 쓰레기 등의 고형물을 부착시키면서, 피청소면의 청소를 효율적으로 실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기술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특허문헌 4 의 파이프의 연결 구조에 의하면, 청소구에 의한 청소시에 연결부에 굽힘 응력이 가해져도, 당해 연결부에 느슨해짐이나 파손이 생기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간단한 구성에 의해 각 1 쌍의 원통상 파이프를 축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용이하게 연결 일체화할 수 있는데, 이들 원통상 파이프의 연결 조작을 더욱 순조롭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거나, 사용시에 걸린 걸어맞춤 돌기가 수측 돌기 삽입공으로부터 잘 빠지지 않게 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청소 헤드에 설치된 헤드측 요크부와, 손잡이의 하단부에 설치된 손잡이측 요크부를, 제 1 회전 운동 축심부와 제 2 회전 운동 축심부를 구비하는 연결 부재를 통하여 연결한 종래의 조인트 구조에 의하면, 청소 헤드에 대해 손잡이가 수직으로 세워 설치되는 상태로부터, 상당한 크기의 각도 범위에 걸쳐 손잡이를 경도시킨 상태에서도, 청소 헤드를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플로어면 등의 청소를 효율적으로 실시해가는 것이 가능하지만, 손잡이를 더욱 경도시켜, 예를 들어 손잡이를 청소 헤드와 대략 평행하게 배치한 상태에서는, 헤드측 요크부와 손잡이측 요크부가 서로 간섭하거나, 손잡이로부터의 회전력을 조인트부에 전달하기 어려워져, 청소 헤드를 둘레 방향으로 순조롭게 회전시키는 것이 곤란해진다.
따라서, 예를 들어 침대 밑 등의 높이가 낮은 공간에 있어서는, 청소 헤드를 질러넣으면 손잡이가 청소 헤드와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는 점에서, 예를 들어 침대 다리 주위의 플로어면을, 청소 헤드를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청소하는 것이 곤란해지므로, 이와 같은 높이가 낮은 공간에 청소 헤드를 질러넣은 경우에도, 청소 헤드를 둘레 방향으로 순조롭게 회전시키도록 하는 새로운 기술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한편, 최근, 예를 들어 직사각형 평판 형상의 청소구 본체의 청소면이 되는 하면을 덮어,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지는 청소 시트를 청소구 본체에 착탈 교환 가능하게 장착하고, 청소 시트에 먼지나 오염을 부착시켜, 청소 시트만을 폐기할 수 있도록 한 청소구가 여러 가지 개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6 참조). 이와 같은 청소구에서는, 청소구 본체의 하면이 플로어면 등에 대한 안정적인 재치면으로 되어 있는 점에서, 청소구 본체를 플로어면 등에 재치한 채로, 손잡이를 벽면 등에 기대어 세워놓은 상태로, 청소구를 수납하거나 임시 배치하거나 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엔드캡이 장착된 손잡이에서는, 벽면 등에 설치한 훅 부재 등으로부터의 매달기를 용이하게 하는 한편, 벽면 등에 기대어 세워놓았을 때의 안정성은 고려되어 있지 않은 점에서, 손잡이를 기대어 세워놓았을 때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특히, 최근의 청소구는, 예를 들어 회전 조인트부를 통하여 청소구 본체의 상면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또한 좌우 방향으로도 360 도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손잡이를 기대어 세워놓았을 때에 불안정한 상태가 되기 쉬운 점에서, 기대어 세워놓은 손잡이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의 개발이 한층 요망되고 있다.
특허문헌 8 의 청소 용구에서는, 톱니 형상의 유지용 슬릿에 청소 시트의 단가장자리부를 계착시켜, 청소 헤드에 장착된 청소 시트를 잘 빠지지 않게 할 수 있는데, 청소 시트를 장착시킬 때의 작업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새로운 기술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청소구 본체의 청소면을 덮어 장착된 청소 시트의 광범위한 영역에 먼지나 머리카락이나 쓰레기 등의 고형물을 부착시키면서, 피청소면의 청소를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청소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손잡이를 구성하는 각 1 쌍의 원통상 파이프를 더욱 순조롭게 연결할 수 있거나, 걸어맞춤 돌기가 수측 돌기 삽입공에 확실하게 걸리도록 하거나, 그리고, 사용시에 걸어맞춤 돌기가 수측 돌기 삽입공으로부터 잘 빠지지 않게 할 수 있는 파이프의 연결 구조를 구비하는 청소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청소구의 손잡이를 벽면 등에 기대어 세워놓았을 때의 안정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청소구용 엔드캡이 부착된 손잡이를 구비하는 청소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손잡이를 청소 헤드와 대략 평행하게 배치한 상태에서도, 조인트부를 중심으로 하는 둘레 방향으로 손잡이를 순조롭게 회전 가능하게 하여, 높이가 낮거나 폭이 좁은 공간에서도, 손잡이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청소 헤드를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효율적으로 청소시킬 수 있는 청소 헤드의 조인트 구조를 구비하는 청소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청소 헤드에 장착된 청소 시트를 잘 빠지지 않게 할 수 있음과 함께, 청소 시트를 장착할 때의 작업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청소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청소 헤드와, 그 청소 헤드의 하면을 덮어 장착된 베이스체로 이루어지는 청소구 본체와, 상기 청소 헤드의 하면과 반대측면에 장착된 핸들부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체의 하면에 의한 청소면을 덮어 청소 시트가 장착되고, 그 청소 시트에 의해 피청소면을 불식하는 청소구이다. 상기 베이스체의 하면은, 상기 청소구 본체에 의해 청소를 실시하는 소정 방향과 평면에서 보아 수직인 방향에서의 단면이 산부와 계곡부가 교대로 연속 배치된 파형 단면 형상으로 되어 있는 파형 요철면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 파형 요철면부의 상기 계곡부는, 상기 베이스체의 상기 소정 방향과 대향하는 변부에 단부가 개구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소정 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연장되어 있는 경사 계곡부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전후 좌우 상하의 방향을 규정하고 있는데, 이것은 본 발명의 구성 요소의 상대 관계를 간단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편의적으로 규정한 것으로,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의 제조시나 사용시의 방향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핸들부는 손잡이로, 그 손잡이는, 1 쌍의 원통상 파이프를 축방향으로 연결 일체화하는 파이프의 연결 구조에 의해 복수의 원통상 파이프를 연결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파이프의 연결 구조는, 일방의 원통상 파이프의 수측 단부를 타방의 원통상 파이프의 암측 단부에 삽입하고, 수측 돌기 삽입공과 암측 돌기 삽입공을 합치시켜 외측으로부터 걸어맞춤 돌기가 걸려짐과 함께, 상기 수측 단부와 상기 암측 단부의 이음매부를 외측으로부터 덮어 슬리브상 부재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암측 단부에는, 상기 암측 돌기 삽입공으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이간된 부분에 있어서, 상기 암측 단부의 내주면보다 내측으로 돌출하는 위치 결정 안내 리브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측 단부에는, 상기 수측 돌기 삽입공으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이간된 부분에 있어서, 당해 수측 단부의 선단 가장자리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위치 결정 안내 리브와 대응하는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암측 단부의 상기 위치 결정 안내 리브를 상기 수측 단부의 안내홈에 걸어 안내시키면서, 상기 수측 돌기 삽입공이 상기 암측 돌기 삽입공에 합치될 때까지 상기 수측 단부가 상기 암측 단부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핸들부는 손잡이로, 그 손잡이는, 1 쌍의 원통상 파이프를 축방향으로 연결 일체화하는 파이프의 연결 구조에 의해 복수의 원통상 파이프를 연결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파이프의 연결 구조는, 일방의 원통상 파이프의 수측 단부를 타방의 원통상 파이프의 암측 단부에 삽입하고, 수측 돌기 삽입공과 암측 돌기 삽입공을 합치시켜 외측으로부터 걸어맞춤 돌기가 걸려짐과 함께, 상기 수측 단부와 상기 암측 단부의 이음매부를 외측으로부터 덮어 슬리브상 부재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리브상 부재에는, 상기 이음매부를 덮는 부분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암측 단부의 단면이 후방으로부터 맞닿는 맞닿음 리브가, 둘레 방향으로 연속 또는 단속하여 설치되어 있고, 그 맞닿음 리브에는, 상기 슬리브상 부재의 선단측을 향하여 직경 방향 외방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삽입 가이드 경사부가, 둘레 방향으로 연속 또는 단속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면을 상기 맞닿음 리브의 맞닿음면에 맞닿게 하여 상기 타방의 원통상 파이프의 상기 암측 단부에 슬리브상 부재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일방의 원통상 파이프의 상기 수측 단부가, 상기 삽입 가이드 경사부로 안내되어 암측 단부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핸들부는 손잡이로, 그 손잡이의 상단부에 엔드캡이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엔드캡은,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장착공을 통하여 상기 손잡이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있고, 또한 상기 손잡이의 단면부를 덮어 배치되는 피복 단면이, 상기 손잡이의 중심축 방향과 수직인 면에 대해 경사면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엔드캡의 테이퍼상의 선단 가장자리 부분은, 상기 손잡이의 중심축 방향을 중심으로 하는 직경 방향의 내방 및 외방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쿠션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핸들부는 손잡이로, 그 손잡이를 상기 청소 헤드와 대략 평행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를 조인트부를 중심으로 하는 둘레 방향으로 360 도 회전 가능하게 하는 청소 헤드의 조인트 구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청소 헤드의 조인트 구조는, 상기 청소 헤드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된 두 갈래상의 헤드측 요크부와, 상기 손잡이의 하단부에 설치된 두 갈래상의 손잡이측 요크부를, 중심축이 직교하는 제 1 회전 운동 축심부와 제 2 회전 운동 축심부를 구비하는 연결 부재를 통하여 연결함으로써, 상하 방향 및 둘레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상기 조인트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헤드측 요크부를 구성하는 1 쌍의 요크 돌기부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각 대향면은, 정상부의 양측에 경사부를 구비하는 대칭인 산형상의 외주연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손잡이측 요크부를 구성하는 1 쌍의 요크편은, 상기 1 쌍의 요크 돌기부의 상기 대향면간의 간격 폭과 대략 동일한 가로폭을 가지고 있고, 상기 손잡이를 상기 청소 헤드와 대략 평행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어느 일방의 상기 요크편의 측가장자리부는, 어느 일방의 상기 요크 돌기부의 상기 대향면의 외주연부와 맞닿음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의 상기 청소 헤드와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의 둘레 방향으로의 회전에 수반하여, 어느 일방의 상기 요크편의 측가장자리부가, 어느 일방의 상기 요크 돌기부의 상기 대향면의 외주연부를 따라 올라타도록 하거나, 또는 활강하도록 하여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를 상기 청소 헤드와 대략 평행하게 배치한 상태는, 상기 청소 헤드의 청소면에 대해 상기 손잡이가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이며, 또 대략 평행하게는, 상기 청소 헤드의 청소면에 대해 상기 손잡이가 평행하게 연장되는 상태 외에, 예를 들어 상기 청소 헤드의 청소면에 대해 상기 손잡이가 10 ∼ 20 도 정도의 완만한 경사 각도로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상태도 포함된다.
청소 시트를 착탈 교환 가능하게 장착시키는 청소 시트 장착구가 상기 청소 헤드의 상면부에 설치되고, 청소 헤드의 저면부를 덮어 감은 청소용 시트의 단가장자리부를 청소 시트 장착구에 계착시켜, 청소 헤드에 청소용 시트를 장착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청소 시트 장착구는, 장착 부재에 유지용 슬릿 및 개방용 슬릿을 형성함으로써 구성되고, 상기 유지용 슬릿은, 상기 청소 시트에 작용하는 인장력의 방향에 대해 직각 또는 대략 직각인 방향으로 연장되어 톱니 형상 또는 파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방용 슬릿은, 상기 유지용 슬릿의 중앙 부분에서 상기 유지용 슬릿에 연속되는, 상기 유지용 슬릿을 사이에 끼운 일방측에 2 라인 연장되는 2 라인 슬릿과, 타방측에 상기 유지용 슬릿의 연장 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경사 슬릿으로 이루어지며, 또한 상기 경사 슬릿은, 상기 유지용 슬릿과 근접하는 기단부와, 그 기단부로부터 선단측의 그 기단부보다 슬릿폭이 넓은 광폭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에 나타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청소구 (10) 는, 청소구 본체 (11) 의 청소면 (12) 을 덮어 착탈 교환 가능하게 일회용의 청소 시트 (13) 를 장착하여, 예를 들어 플로어면을 피청소면으로서 청소 작업을 실시할 때에 사용된다. 본 실시형태의 청소구 (10) 는, 청소구 본체 (11) 에 의해 피청소면을 불식할 때에, 특히 먼지나 머리카락이나 쓰레기 등의 고형물을, 청소구 본체 (11) 의 청소면 (12) 을 덮는 청소 시트 (13) 의 광범위한 영역에 부착시키면서, 피청소면의 청소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청소구 (10) 는, 청소 헤드 (14) 와, 이 청소 헤드 (14) 의 하면을 덮어 장착된 탄성 변형 가능한 베이스체 (15) 로 이루어지는 청소구 본체 (11) 와, 청소 헤드 (14) 의 하면과 반대측면에 장착된 핸들부 (16) 를 구비하고, 베이스체 (15) 의 하면 (청소면 (12)) 을 덮어 청소 시트 (13) 가 장착되고, 이 청소 시트 (13) 에 의해 피청소면을 불식한다. 청소 시트 (13) 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도 2a, 도 2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체 (15) 의 하면은, 청소구 본체 (11) 에 의해 청소를 실시하는 소정 방향 (X) 과 베이스체 (15) 의 하면을 평면에서 보아 수직인 방향 (직각 방향) (Y) 에서의 연직 방향의 단면이 산부 (17) 와 계곡부 (18) 가 교대로 연속 배치된 파형 단면 형상으로 되어 있는 파형 요철면부 (19) 를 구비하고 있다. 이 파형 요철면부 (19) 의 계곡부 (18) 는, 베이스체 (15) 의 소정 방향 (X) 과 대향하는 변부 (15a) 에 단부가 개구되어 있음과 함께, 소정 방향 (X) 에 대해 비스듬하게 연장되고, 청소 시트 (13) 에 대한 부착물 (솜먼지 등의 먼지나 머리카락이나 쓰레기 등의 고형물) 을 피청소면의 불식에 수반하여 청소 시트 (13) 에 부착시키면서 경사 방향으로 청소 시트 (13) 의 표면을 따라 유도할 수 있는 경사 유도부 (경사 계곡부) (18a) 를 가지고 있다. 또 파형 요철면부 (19) 의 산부 (17) 에는, 적어도 계곡부 (18) 의 경사 유도부 (경사 계곡부) (18a) 를 따른 부분에, 당해 산부 (17) 의 정상부 (17a) 로부터 돌출하는 돌출 리브 (20) 가 정상부 (17a) 의 연장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청소구 본체 (11) 에 의해 청소를 실시하는 소정 방향 (X) 은, 청소구 본체 (11) 에 의해 효율적으로 청소하는 것이 가능한 방향 (청소 방향) 으로, 청소구 (10) 의 사용자가, 청소하는 장소의 상황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방향이다.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에서는, 직사각형 평면 형상을 갖는 베이스체 (15) 의 장변부 (15a) 와 직교하는 방향 (X) 을 청소 방향으로서 설명하지만, 협폭부 (狹幅部) 를 청소하는 경우에는, 베이스체 (15) 의 단변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Y) 을 청소 방향으로 할 수도 있다.
또 본원에서 경사 유도부 (18a) 란, 베이스체 (15) 의 중앙 방향을 향하여 전체적으로 청소 시트 (13) 에 대한 부착물을 피청소면의 불식에 수반하여 경사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는 파형 요철면부 (19) 의 계곡부 (18) 를 가리키며, 경사 계곡부, 경사 홈부이기도 하다.
또, 본 실시형태의 청소구 (10) 에서는, 베이스체 (15) 의 하면의 파형 요철면부 (19) 는, 베이스체 (15) 의 전체면에 파문상으로 확장되는 요철면의 일부로서 형성되어 있고, 이 파문상으로 확장되는 요철면은, 베이스체 (15) 의 전체면에 원형상으로 확장되는 요철면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청소구 본체 (11) 를 구성하는 청소 헤드 (14) 는, 도 3 및 도 4 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장변이 200 ∼ 300 ㎜ 정도, 단변이 50 ∼ 150 ㎜ 정도 크기의 직사각형 평면 형상을 갖는 플라스틱제의 평판상 부재이다. 청소 헤드 (14) 의 천장면부 (14a) 의 주연부는 하방으로 구부러져 둘레벽부 (14b) 를 형성하고 있다. 이들 사방의 둘레벽부 (14b) 에 의해 둘러싸인 청소 헤드 (14) 의 하면측의 편평한 중공부에는, 당해 중공부를 종횡으로 횡단하여, 복수의 보강 리브 (21) 가 천장면부 (14a) 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청소 헤드 (14) 의 개구면이 된 하면과는 반대측면인, 청소 헤드 (14) 의 천장면부 (14a) 에 의한 상면에는, 이것의 중앙 부분을 융기시켜, 핸들 지지 조인트부 (22) 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핸들 지지 조인트부 (22) 에, 핸들부 (16) 의 하단부에 설치된 회전 조인트부 (23) 를 회전 가능하게 접합함으로써, 당해 핸들부 (16) 를 청소구 본체 (11) 에 대해 상하 방향뿐만 아니라 좌우 방향으로도 회전 운동시키면서, 청소구 (10) 에 의한 청소 작업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청소 헤드 (14) 의 천장면부 (14a) 에는, 계착 슬릿 (24a) 이 형성된 유연한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공지된 시트 유지부 (24) 또는, 후술하는 시트 유지부 (24) 로서의 청소 시트 장착구 (24) 가 설치되어 있다. 청소 헤드 (14) 의 하면측에 일체적으로 장착된 베이스체 (15) 의 하면 (청소면 (12)) 을 하방으로부터 덮도록 하고, 청소 시트 (13) 를 청소 헤드 (14) 에 감은 후에, 청소 시트 (13) 의 단부를, 천장면부 (14a) 에 설치된 시트 유지부 (24) 의 계착 슬릿 (24a) 에 밀어넣어 계착함으로써, 청소 시트 (13) 를 청소구 본체 (11) 에 착탈 교환 가능하게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도 1 참조).
청소 헤드 (14) 와 함께 청소구 본체 (11) 를 구성하는 베이스체 (15) 는, 탄성 변형 가능한 합성 수지 재료로서, 예를 들어 우레탄이나 EVA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물)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다. 베이스체 (15) 는, 청소 헤드 (14) 보다 한층 큰 직사각형 평면 형상을 구비한다. 베이스체 (15) 는 저면부 (15c) 와, 저면부 (15c) 의 주연부에 형성된 둘레벽부 (15d) 로 이루어진다. 저면부 (15c) 는, 예를 들어 0.5 ∼ 3 ㎜ 정도의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둘레벽부 (15d) 는 대략 삼각형의 단면 형상을 구비한다. 사방의 둘레벽부 (15d) 에 의해 둘러싸인 베이스체 (15) 의 상면측에는, 청소 헤드 (14) 가 끼워넣어지는 오목한 끼움부 (15e) 가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5 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청소 헤드 (14) 의 하면과 베이스체 (15) 의 저면부 (15c) 사이에 쿠션재 (25) 를 개재시켜, 오목한 끼움부 (15e) 에 청소 헤드 (14) 를 끼워넣고, 청소 헤드 (14) 와 베이스체 (15) 를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접착함으로써, 이들이 일체가 된 청소구 본체 (11) 가 형성된다.
청소 헤드 (14) 의 하면과 베이스체 (15) 사이에 개재시키는 쿠션재 (25) 는, 베이스체 (15) 보다 부드러운 쿠션 재료로서, 예를 들어 스펀지 (재질은 예를 들어 우레탄폼 등) 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쿠션재 (25) 는, 베이스체 (15) 의 오목한 끼움부 (15e) 와 대략 동일한 크기의 직사각형 평면 형상을 갖는 상측 스펀지재 (25a) 와, 이것보다 한층 작은 직사각형 평면 형상을 갖는 하측 스펀지재 (25b) 로 이루어진다. 쿠션재 (25) 는, 이들 스펀지재 (25a, 25b) 를 중첩시킨 상태로, 청소 헤드 (14) 의 하면측에 설치된 복수의 보강 리브 (21) 와, 베이스체 (15) 의 저면부 (15c) 사이의 간극을 충전하도록 하여, 청소 헤드 (14) 하면의 대략 전체 영역에 걸쳐 장착된다.
청소 헤드 (14) 의 하면과 베이스체 (15) 의 저면부 (15c) 사이에 쿠션재 (25) 를 개재시켜 청소구 본체 (11) 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쿠션재 (25) 에 의해 베이스체 (15) 의 저면부 (15c) 를, 이것의 배면측으로부터 면상으로 지지한 상태로 밀어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청소면 (12) 이 되는 저면부 (15c) 의 하면을, 쿠션재 (25) 에 의한 부드러운 탄성력을 통하여 완만하게 만곡하는 만곡 형상으로 하방에 돌출시킨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5 참조). 이들에 의해, 예를 들어 핸들부 (16) 로부터 청소구 본체 (11) 에 약간의 가압력 밖에 가해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만곡하는 청소면 (12) 을 피청소면 (50) 에 피트시킨 소프트한 감촉으로 청소 작업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짐과 함께, 먼지나 머리카락이나 쓰레기 등의 고형물을 청소 시트 (13) 의 중심부 부근까지 수용할 수 있다. 또, 청소면 (12) 을 피청소면 (50) 에 가압하여 청소 작업을 실시하기 때문에 핸들부 (16) 로부터 청소구 본체 (11) 에 상당한 가압력을 가한 상태에서는, 쿠션재 (25) 는 전체에 걸쳐 균형있게 용이하게 찌부러져, 소프트한 쿠션감을 수반하면서, 청소 시트 (13) 에 의해 덮인 베이스체 (15) 의 하면을, 광범위에 걸쳐 피청소면 (50) 에 피트되는 평탄한 면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청소 헤드 (14) 의 하면과 베이스체 (15) 의 저면부 (15c) 사이에 개재시키는 쿠션재 (25) 로서는, 베이스체 (15) 보다 부드러운 쿠션 재료로서 스펀지 외에, 예를 들어 공기나 액체가 봉입된 편평한 자루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베이스체 (15) 의 주연부를 구성하는 둘레벽부 (15d) 는, 대략 삼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음으로써, 베이스체 (15) 의 외주 부분이 베이스체 (15) 의 하면에 대해 예각인 테이퍼면이 된다. 이로써, 예를 들어 벽면과 플로어면의 코너 부분의 플로어면이나, 벽면의 내측 코너 부분의 플로어면에 대해서도, 베이스체 (15) 의 외주연부를 벽면에 맞닿게 하면서, 효과적으로 청소 작업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청소면 (12) 을 덮어 청소구 본체 (11) 에 장착되어, 먼지나 오염 등을 부착시키는 청소 시트 (13) 로서는, 예를 들어 올레핀계 극세 섬유 부직포 등의 공지된 각종 청소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청소구 (10) 에서는, 도 2a, 도 2b 및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체 (15) 의 저면부 (15c) 의 하면에, 청소구 본체 (11) 에 의해 청소를 실시하는 소정 방향 (X) 과, 베이스체 (15) 의 하면을 평면에서 보아 수직인 방향 (직각 방향) (Y) 에서의 연직 방향의 단면이 산부 (17) 와 계곡부 (18) 가 교대로 연속 배치된 파형 단면 형상으로 되어 있는 파형 요철면부 (19) 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베이스체 (15) 는 직사각형 평면 형상을 가지고 있고, 청소구 본체 (11) 에 의해 효율적으로 청소하는 것이 가능한 소정 방향 (X) 은, 베이스체 (15) (청소구 본체 (11)) 의 단변부 (15b) 를 따른 방향으로 되어 있고, 청소구 본체 (11) 에 의한 소정 방향 (X) 과 베이스체 (15) 의 하면을 평면에서 보아 수직인 방향 (Y) 은, 베이스체 (15) (청소구 본체 (11)) 의 장변부 (15a) 를 따른 방향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파형 요철면부 (19) 는, 베이스체 (15) 의 중심 부분으로부터 원형상으로 확장되는 파문상의 요철면의 일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베이스체 (15) 의 하면 중, 4 개 지점의 코너 부분을 제외한 대략 전체 영역에 파문상의 요철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파문상의 요철면에 있어서의 중심 부분으로부터 6 번째의 계곡부 (18) 와 10 번째의 계곡부 (18) 에 의해 사이에 끼워지는 영역이, 이들 계곡부 (18) 의 단부가 베이스체 (15) 의 장변부 (15a) 에 개구되어 있음으로써, 파형 요철면부 (19) 로 되어 있다 (도 2a, 도 2b 참조). 파형 요철면부 (19) 는, 베이스체 (15) 의 중심 부분을 사이에 둔 장변부 (15a) 방향의 양측에 배치되어 1 쌍 형성된다.
또, 파형 요철면부 (19) 에 있어서의 각 계곡부 (18) 는, 베이스체 (15) 의 장변부 (15a) 에 개구되는 단부로부터, 베이스체 (15) 의 짧은 방향 중심선 (C) 를 향하여, 원호상으로 만곡하면서 청소구 본체 (11) 에 의해 청소를 실시하는 소정 방향 (X) 에 대해 비스듬하게 연장되고, 그 대략 전체 길이가, 청소 시트 (13) 에 대한 부착물 (먼지나 머리카락이나 쓰레기 등의 고형물) 을 피청소면의 불식에 수반하여 청소 시트 (13) 의 표면을 따라 경사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는 경사 유도부 (경사 계곡부) (18a) 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파형 요철면부 (19) 의 계곡부 (18) 는, 예를 들어 2 ∼ 10 ㎜ 정도의 폭을 가짐과 함께, 산부 (17) 의 정상부 (17a) 로부터 예를 들어 0.5 ∼ 3 ㎜ 정도의 깊이를 갖는 대략 원호 단면 형상의 홈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파형 요철면부 (19) 의 계곡부 (18) 는, 베이스체 (15) 의 중심 부분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상으로 배치되어, 당해 중심 부분을 사이에 둔 장변부 (15a) 방향의 양측에 각 5 개, 합계 10 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파형 요철면부 (19) 의 계곡부 (18) 는, 경사 유도부 (경사 계곡부) (18a) 의 소정 방향 (X) 에 대한 벌어진 각도 (θ1) (도 2b 참조) 가, 0 도보다 크고 90 도보다 작게 형성되고, 10 도 이상 80 도 이하가 바람직하고, 15 도 이상 75 도 이하로 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벌어진 각도 (θ1) 는, 계곡부 (18) 가 원호상인 경우에는, 계곡부 (18) 에 접하는 접선과 청소 방향 (X) 의 각도이다. 경사 유도부 (경사 계곡부) (18a) 의 벌어진 각도가 이러한 각도로 되어 있음으로써, 부착물이 청소시에 경사 유도부 (경사 계곡부) (18a) 를 따라 청소 시트 (13) 의 표면에 부착되면서 확산되기 쉬워져, 청소 시트 (13) 의 전체를 사용한 효율적인 청소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벌어진 각도 (θ1) 가 0 도인 경우 (즉, 계곡부 (18) 가 베이스체 (15) 의 짧은 방향을 따르고 있는 경우) 와 벌어진 각도 (θ1) 가 90 도인 경우 (즉, 계곡부 (18) 가 베이스체 (15) 의 길이 방향을 따르고 있는 경우) 에는, 청소 시트 (13) 표면의 광범위한 영역에 대한 부착물이 확산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파형 요철면부 (19) 의 산부 (17) 나 계곡부 (18) 는, 베이스체 (15) 의 짧은 방향 중심선 (C) 를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예를 들어 소정 방향 (X) 의 전방측으로 청소구 본체 (11) 를 이동시키면서 피청소면을 불식할 때뿐만 아니라, 소정 방향 (청소 방향) (X) 의 후방측으로 청소구 본체 (11) 를 이동시키면서 피청소면을 불식할 때에도, 혹은 소정 방향 (X) 의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면서 피청소면을 불식할 때에도, 청소 시트 (13) 표면의 광범위한 영역에 먼지 등의 고형물을 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베이스체 (15) 를 핸들부 (16) 에 대해 180 도 회전시킴으로써 전후를 적절히 교체하여, 더욱 효율적으로 먼지 등의 고형물을 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베이스체 (15) 의 하면에는, 양측의 파형 요철면부 (19) 에 끼워지는 중앙 부분에, 동심상으로 배치된 원고리 링형상의 복수의 산부 (17") 및 계곡부 (18") 로 이루어지는 중앙 파형 요철면부 (19") 가, 파문상의 요철면의 일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중앙 파형 요철면부 (19") 의 각 계곡부 (18") 는, 베이스체 (15) 의 장변부 (15a) 에 단부가 개구되는 일없이, 폐색된 원고리 링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계곡부 (18, 18") 에 있어서의, 베이스체 (15) 의 대략 삼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둘레벽부 (15d) 와 겹치는 부분에는, 후술하는 보조 파형 요철면부 (19') 의 계곡부 (18') 의 둘레벽부 (15b) 와 겹치는 부분을 포함하여, 계곡부 (18, 18', 18") 의 저부를 더욱 깊게 절입 (切入) 하여 형성된 깊은 홈부 (26) 가 형성되어 있다. 둘레벽부 (15d) 와 겹치는 부분의 계곡부 (18, 18', 18") 에 깊은 홈부 (26) 를 형성함으로써, 두께가 큰 둘레벽부 (15d) 의 두께가 부분적으로 얇아져, 둘레벽부 (15d) 의 예각인 외주 부분의 선단을 하방으로 휘기 쉽게 한다. 이로써, 예를 들어 베이스체 (15) 의 외주연부를 플로어면과의 코너 부분의 벽면에 맞닿게 했을 때에, 외주연부가 상방으로 젖혀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당해 깊은 홈부 (26) 는, 두께가 큰 둘레벽부 (15b) 의 두께를 부분적으로 얇게 함으로써, 베이스체 (15) 를 성형으로 제조하는 경우에, 성형 공정에서의 냉각시에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파형 요철면부 (19) 에 있어서의 각 인접하는 계곡부 (18) 에 의해 끼워지는 부분은 산부 (17) 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원호상으로 만곡하여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계곡부 (18) 는, 그 대략 전체 길이가 경사 유도부 (경사 계곡부) (18a) 로 되어 있는 점에서, 각 산부 (17) 의 적어도 계곡부 (18) 의 경사 유도부 (경사 계곡부) (18a) 를 따른 부분으로서, 당해 산부 (17) 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 복수의 돌출 리브 (20) 가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돌출 리브 (20) 는, 각 산부 (17) 의 정상부 (17a) 로부터 돌출하여, 정상부 (17a) 의 연장 방향으로 예를 들어 2 ∼ 10 ㎜ 정도의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출 리브 (20) 는 바람직하게는 계곡부 (18) 의 경사 유도부 (경사 계곡부) (18a) 의 연장 방향과, 베이스체의 하면을 평면에서 보아 수직 (직각) 인, 산부 (17) 의 폭방향으로 설치된 선상 리브편 (20a) 으로 되어 있다. 돌출 리브 (20) 가 산부 (17) 의 폭방향으로 설치된 선상 리브편 (20a) 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피청소면의 불식에 수반하여, 청소 시트 (13) 의 표면의 산부 (17) 와 접촉하는 부분과 피청소면에 끼워진 부착물 혹은, 청소 시트 (13) 의 표면의 돌출 리브 (20) 와 접촉하는 부분의 주변에 있는 부착물을 인접하는 계곡부 (18) 방향으로 확산시킴과 함께, 계곡부 (18) 의 경사 유도부 (경사 계곡부) (18a) 에 의해 유도되는 청소 시트 (13) 의 표면의 부착물을, 돌출 리브 (20) 간의 간극을 통하여 인접하는 계곡부 (18) 방향으로 청소 시트 (13) 의 표면을 따라 내보내는 기능을 더욱 효과적으로 발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돌출 리브 (20) 는 긁어내는 효과에 의해, 피청소면 상의 오염이나 먼지 등을 청소 시트 (13) 에 더욱 부착시키기 쉽게 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청소구 (10) 는, 상기 소정 방향 (X) 에 대해 비스듬하게 설치되어 있는 선상 리브편 (20a) 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선상 리브편 (20a) 을 가지고 있으면, 피청소면의 불식에 수반하여, 먼지 등의 부착물이 청소 시트 (13) 의 표면 전체에 확산되기 쉬워짐과 함께, 피청소면 상의 오염이나 먼지 등을 청소 시트 (13) 에 더욱 부착시키기 쉬워진다.
또, 먼지 등의 이동의 용이함과 베이스체 (15) 제조의 용이함의 관점에서, 돌출 리브 (20) 의 높이 (산부 (17) 의 정상부로부터 돌출 리브 (20) 의 정상부까지의 거리) 는 피청소면 상의 먼지 등을 제거할 수 있고, 먼지 등을 청소 시트 (13) 에 부착시키면서 광범위하게 확산시킬 수 있는 관점에서, 0.3 ∼ 1 ㎜ 가 바람직하고 0.4 ∼ 0.7 ㎜ 가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계곡부 (18) 의 깊이 (산부 (17) 정상부에서 계곡부 (18) 의 최심부까지의 거리) 는 0.7 ∼ 3 ㎜ 가 바람직하고, 0.8 ∼ 2 ㎜ 가 바람직하다. 돌출 리브 (20) 의 높이는 계곡부 (18) 의 깊이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앙 파형 요철면부 (19") 의 복수의 원고리 링형상의 산부 (17") 에도, 복수의 돌출 리브 (20") 가 산부 (17") 의 폭방향으로 설치된 선상 리브편으로서, 각 산부 (17") 의 정상부 (17a") 로부터 돌출하여 정상부 (17a") 의 연장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어 있다. 중앙 파형 요철면부 (19") 의 산부 (17") 에도 돌출 리브 (20") 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피청소면의 불식에 수반하여, 파형 요철면부 (19) 의 계곡부 (18) 에 의해 유도되는 부착물을, 돌출 리브 (20")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중앙 파형 요철면부 (19") 의 계곡부 (18") 방향으로 청소 시트 (13) 의 표면을 따라 내보냄으로써, 더욱 넓은 영역에 부착물을 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베이스체 (15) 의 중심 부분으로부터 원형의 파문상으로 확장되는 요철면에 의해 구성되는, 파형 요철면부 (19) 및 중앙 파형 요철면부 (19") 의 산부 (17, 17") 는, 그 정상부 (17a, 17a") 의 폭이, 예를 들어 외측의 원호면에 의한 정상부로부터, 중앙측의 산부 (17, 17") 가 될수록 단계적으로 또는 서서히 넓어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청소 헤드 (14) 에 핸들부 (16) 가 연결되는 적어도 중심 부분의 산부 (17") 의 정상부 (17a") 는, 상당한 폭을 갖는 평면상의 정상부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핸들부 (16) 가 연결되는 중심 부분의 산부 (17") 의 정상부 (17a") 가 평면상의 정상부로 되어 있음으로써, 청소면 (12) 을 피청소면에 가압하여 청소 작업을 실시하기 때문에 핸들부 (16) 로부터 청소구 본체 (11) 에 가압력이 가해졌을 때에, 큰 가압 하중이 부하되는 핸들부 (16) 근방의 중심 부분에 있어서, 평면상의 정상부 (17a") 에 의한 넓은 면적으로 가압 하중을 안정적인 상태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로써, 중앙 부분의 계곡부 (18") 가 뭉개지기 쉬워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중심 부분의 산부 (17") 의 정상부 (17a") 가 평면상의 정상부를 가지며, 그 이외의 정상부 (17a) 가 곡면상의 정상부를 가지고 있으면, 핸들부 (16) 로부터 청소구 본체 (11) 에 가압력이 가해졌을 때에, 베이스체 (15) 의 하면 전체를 평탄한 면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청소구 (10) 에서는, 베이스체 (15) 의 하면의 4 개 지점의 코너 부분에, 청소구 본체 (11) 에 의해 청소를 실시하는 소정 방향 (X) 에서의 연직 방향의 단면이 산부 (17') 와 계곡부 (18') 가 교대로 연속 배치된 파형 단면 형상으로 되어 있는 보조 파형 요철면부 (19') 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보조 파형 요철면부 (19') 에는, 4 반원 형상으로 연장되는 계곡부 (18') 가 각 코너부를 중심으로 하는 동심상으로 배치되어 4 개 형성되어 있다. 각 계곡부 (18') 는, 각각 베이스체 (15) 의 직사각형 평면 형상의 단변부 (15b) 에 일단부가 개구되어 있음과 함께, 타단부가 베이스체 (15) 의 직사각형 평면 형상의 장변부 (15a) 에 개구되어 있다. 각 계곡부 (18') 는, 4 반원 형상으로 연장되므로, 그 대략 전체 길이가 만곡한 상태로 단변부 (15b) 에 대해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보조 경사 유도부 (보조 경사 계곡부) (18a') 로 되어 있다.
보조 파형 요철면부 (19') 에 있어서의 각 인접하는 계곡부 (18') 에 의해 끼워지는 부분은 산부 (17') 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계곡부 (18') 의 대략 전체 길이가 보조 경사 유도부 (보조 경사 계곡부) (18a') 로 되어 있는 점에서, 각 산부 (17') 의 적어도 계곡부 (18') 의 보조 경사 유도부 (보조 경사 계곡부) (18a') 를 따른 부분으로서, 당해 산부 (17') 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서, 복수의 돌출 리브 (20') 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돌출 리브 (20') 는 각각 바람직하게는 계곡부 (18') 의 연장 방향과, 베이스체 (15) 의 하면을 평면에서 보아 수직 (직각) 인, 산부 (17') 의 폭방향으로 설치된 선상 리브편으로 되어 있다. 복수의 돌출 리브 (20') 는, 각 산부 (17') 의 정상부 (17a') 로부터 돌출하여, 정상부 (17a') 의 연장 방향으로 예를 들어 2 ∼ 10 ㎜ 정도의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체 (15) 의 하면에, 단변부 (15b) 에 단부가 개구됨과 함께 단변부 (15b) 에 대해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계곡부 (18') 를 가지며, 정상부 (17a') 에 복수의 돌출 리브 (20') 를 구비하는 산부 (17') 를 갖는 보조 파형 요철면부 (19') 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청소구 본체 (11) 에 의한 소정 방향 (X) 과 베이스체 (15) 의 하면을 평면에서 보아 수직인 방향 (Y) 을 청소 방향으로 하여, 예를 들어 플로어면과 벽면의 코너 부분을 따라 청소 작업을 실시할 때에도, 먼지 등의 고형물에 의한 부착물을, 계곡부 (18') 및 산부 (17') 의 돌출 리브 (20') 에 의해 유도하여, 청소면 (12) 을 덮는 청소 시트 (13) 의 광범위한 영역에 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조 파형 요철면부 (19') 의 계곡부 (18') 는, 타단부가 베이스체 (15) 의 장변부 (15a) 에 개구되어 있으므로, 청소구 본체 (11) 에 의해 소정 방향 (X) 으로 청소 작업을 실시할 때에도, 먼지 등의 고형물에 의한 부착물을, 파형 요철면부 (19) 의 계곡부 (18) 및 산부 (17) 의 돌출 리브 (20) 와 함께, 계곡부 (18') 및 산부 (17') 의 돌출 리브 (20') 에 의해 유도하여, 청소면 (12) 을 덮는 청소 시트 (13) 의 한층 더 광범위한 영역에 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청소구 (10) 에서는, 도 1 및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청소 헤드 (14) 의 천장면부 (14a) 에 장착된 핸들부로서 손잡이 (16) 를 구비하고 있다. 핸들부로서의 손잡이 (16) 는, 상단 부분의 파지부 (27) 와 청소 헤드 (14) 와 파지부 (27) 사이에 개재되는 손잡이 본체 (28) 로 이루어진다. 손잡이 본체 (28) 는, 복수의 원통상 파이프 (29) 를 후술하는 연결 구조 (30) 에 의한 연결부를 통하여 축방향으로 연결함으로써, 파지부 (27) 를 포함한 핸들부 (16) 의 전체가, 청소 작업을 실시하는데 적합한 예를 들어 100 ∼ 150 ㎝ 정도의 길이가 되도록 조립된다. 손잡이 본체 (28) 의 하단부에는 회전 조인트부 (23) 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이 회전 조인트부 (23) 를, 청소 헤드 (14) 의 천장면부 (14a) 에 설치된 핸들 지지 조인트부 (22) 에 회전 가능하게 접합함으로써, 손잡이부 (16) 를 청소구 본체 (11) 에 대해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회전 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손잡이 본체 (28) 의 상단부에는, 후술하는 원통상 파이프의 연결 구조 (30) 와 대략 동일한 구성을 갖는 조인트부 (31) 를 통하여, 파지부 (27) 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파지부 (27) 는, 예를 들어 ABS (아크릴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로 이루어지는 성형품으로서, 도 6 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손으로 파지하기 쉬운 굵기 및 외형인 대략 원주 형상을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파지부 (27) 의 상단부에는, 부드러운 소재로서 예를 들어 EVA (에틸렌아세트산비닐) 수지로 이루어지는 미끄럼 방지단 부재 (32) 가 엔드캡으로서 일체적으로 장착된다. 파지부 (27) 의 상단부에 엔드캡 (32) 이 장착되어 있음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청소구 (10) 를 벽면에 기대어 세워놓았을 때에, 벽면에 맞닿는 파지부 (27) 의 상단부의 당해 벽면에 대한 마찰력을 향상시켜, 청소구 (10) 를 잘 쓰러지지 않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엔드캡 (32) 의 단면을 비스듬하게 커트, 성형하거나 하여,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 테이퍼면 (32a) 으로 해 둠으로써, 파지부 (27) 의 상단부를 벽면에 안정적인 상태로 맞닿게 하여, 마찰력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파지부 (27) 의 하단부에는, 손잡이 본체 (28) 를 연결하기 위한 조인트부 (31) 가 설치되어 있다. 조인트부 (31) 는, 손잡이 본체 (28) 를 구성하는 최상부의 원통상 파이프 (29) 가 삽입되는 단부 슬리브부 (33), 파지부 (27) 의 하단부 외주면을 절결하여 형성되는 원고리 띠홈 (34), 내주면에 걸어맞춤 돌기 (36) 를 갖는 절결링 부재 (35), 절결링 부재 (35) 의 절결부 (35a) 에 장착되는 버튼 부재 (37) 등으로 이루어진다. 조인트부 (31) 는, 후술하는 파이프의 연결 구조 (30) 와 대략 동일한 착탈 구조에 의해, 손잡이 본체 (28) 의 원통상 파이프 (29) 의 직경 축소된 수측 단부 (29a) 를 단부 슬리브부 (33) 에 삽입시킨 상태로, 손잡이 본체 (28) 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손잡이 (16) 의 손잡이 본체 (28) 는, 1 쌍의 원통상 파이프 (29) 를 축방향으로 연결 일체화하는 파이프의 연결 구조 (30) 에 의해 복수의 원통상 파이프 (29) 를 연결함으로써 형성된다. 즉, 청소구 (10) 는, 운반이나 판매의 편의상 청소 헤드 (14) 나 원통상 파이프 (29) 등의 부품으로 각각으로 분해되어, 이들 부품을 1 세트로 한 상태로 제품화되어 있고, 사용시에는 이들을 조립하여 사용한다. 본 실시형태의 파이프의 연결 구조 (30) 는, 복수의 원통상 파이프 (29) 를 축방향으로 연결 일체화하여 손잡이 (16) 의 손잡이 본체 (28) 를 형성할 때에, 각 1 쌍의 원통상 파이프 (29) 의 연결 조작을 순조롭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또, 파이프의 연결 구조 (30) 는, 각 1 쌍의 원통상 파이프 (29) 를 연결 일체화하기 위해서 합치시킨 수측 돌기 삽입공 (43c) 및 암측 돌기 삽입공 (43b) 에 외측으로부터 삽입 및 걸린 걸어맞춤 돌기 (36) (도 8c 참조) 가, 청소구 (10) 의 사용시에 수측 돌기 삽입공 (43c) 으로부터 잘 빠지지 않게 하여, 한층 더 안정적인 상태로 청소 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파이프의 연결 구조 (30) 는, 도 8a ∼ 도 8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1 쌍의 원통상 파이프 (29) 중 일방의 원통상 파이프 (29) 의 수측 단부 (29a) 를 타방의 원통상 파이프 (29) 의 암측 단부 (29b) 에 삽입할 때에, 이들 중심축이 위치 어긋난 채로 수측 단부 (29a) 가 암측 단부 (29b) 에 삽입되는 경우에서도, 이와 같은 중심축의 위치 어긋남을 수정함으로써, 수측 단부 (29a) 의 단면이 암측 단부 (29b) 의 단면과 간섭하여 연결되기 어려워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다.
그리고, 파이프의 연결 구조 (30) 는, 도 8a ∼ 도 8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방의 원통상 파이프 (29) 의 수측 단부 (29a) 를 타방의 원통상 파이프 (29) 의 암측 단부 (29b) 에 삽입하고, 수측 돌기 삽입공 (43c) 과 암측 돌기 삽입공 (43b) 을 합치시켜 외측으로부터 걸어맞춤 돌기 (36) 가 걸려짐과 함께, 수측 단부 (29a) 와 암측 단부 (29b) 의 이음매부 (50) 를 외측으로부터 덮어 슬리브상 부재 (39) 가 장착되는 연결부의 구조로서, 도 9a ∼ 도 9c 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암측 단부 (29b) 에는, 암측 돌기 삽입공 (43b) 으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이간된 부분에 있어서, 암측 단부 (29b) 의 내주면보다 내측으로 돌출하는 위치 결정 안내 리브 (42) 가 설치되어 있고, 수측 단부 (29a) 에는, 위치 결정 안내 리브 (42) 와 대응하는 수측 돌기 삽입공 (43c) 으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이간된 부분에 있어서, 당해 수측 단부 (29a) 의 선단 가장자리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홈 (45) 이 형성되어 있다. 암측 단부 (29b) 의 위치 결정 안내 리브 (42) 를 수측 단부 (29a) 의 안내홈 (45) 에 걸어 안내시키면서, 수측 돌기 삽입공 (43c) 이 암측 돌기 삽입공 (43b) 에 합치될 때까지 수측 단부 (29a) 가 암측 단부 (29b) 에 삽입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위치 결정 안내 리브 (42) 는, 암측 돌기 삽입공 (43b) 으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이간되어, 당해 암측 돌기 삽입공 (43b) 과 직경 방향 반대측 부분에 설치되어 있고, 안내홈 (45) 은, 수측 돌기 삽입공 (43c) 으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이간되어, 당해 수측 돌기 삽입공 (43c) 과 직경 방향 반대측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수측 단부 (29a) 는, 일방의 원통상 파이프 (29) 의 직경 축소된 단부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위치 결정 안내 리브 (42) 는, 슬리브상 부재 (39) 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슬리브상 부재 (39) 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슬리브상 부재 (39) 가 암측 단부 (29b) 에 장착됨으로써, 암측 단부 (29b) 에 형성된 위치 결정 걸림공 (44) 에 삽입 및 걸려서, 암측 단부 (29b) 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 파이프의 연결 구조 (10) 는, 도 8a ∼ 도 8c, 도 10a, 도 10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리브상 부재 (39) 에는, 이음매부 (50) 를 덮는 부분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여, 암측 단부 (29b) 의 단면이 후방으로부터 맞닿는 고리상의 맞닿음 리브 (51) 가, 둘레 방향으로 연속 또는 단속하여 설치되어 있고 (도 8a 등에서는,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고 또한 둘레 방향의 일부가 절결된 고리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맞닿음 리브 (51) 에는, 암측 단부 (29b) 와의 맞닿음면 (51a) (도 10a, 도 10b 참조) 과는 슬리브상 부재 (39) 의 축방향 반대측의, 슬리브상 부재 (39) 의 선단측을 향하여 직경 방향 외방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삽입 가이드 경사부 (52) 가, 둘레 방향으로 연속 또는 단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8a 등에서는,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a, 도 10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암측 단부 (29b) 의 단면을 맞닿음 리브 (51) 의 맞닿음면 (51a) 에 맞닿게 하여 타방의 원통상 파이프 (29) 의 암측 단부 (29b) 에 슬리브상 부재 (39) 를 장착한 상태로, 일방의 원통상 파이프 (29) 의 수측 단부 (29a) 가, 도 8a ∼ 도 8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 가이드 경사부 (52) 에 안내되어 암측 단부 (29b) 에 삽입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측 단부 (29a) 는 일방의 원통상 파이프 (29) 의 직경 축소된 단부로 되어 있다.
손잡이 본체 (28) 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이나 ABS (아크릴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원통상 파이프 (29) 를, 파이프의 연결 구조 (30) 를 통하여 축방향으로 연결함으로써, 파지부 (27) 를 포함하는 손잡이 (16) 의 전체가, 청소 작업을 실시하는데 적합한 예를 들어 100 ∼ 150 ㎝ 정도의 길이가 되도록 조립된다. 손잡이 본체 (28) 의 하단부는, 회전 조인트부 (23) 를 통하여 청소 헤드 (14) 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 참조).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손잡이 본체 (28) 를 구성하는 복수의 원통상 파이프 (29) 의 각 1 쌍의 원통상 파이프 (29, 29) 는, 파이프의 연결 구조 (30) 를 구비하는 연결부를 통하여, 각각 축방향으로 연결 일체화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결부는 도 8a ∼ 도 8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방의 원통상 파이프 (29) 의 직경 축소된 수측 단부 (29a) 를 타방의 원통상 파이프 (29) 의 암측 단부 (29b) 의 파이프 삽입 개구 (38) 에 삽입하고, 수측 돌기 삽입공 (43c) 과 암측 돌기 삽입공 (43b) 을 합치시켜 외측으로부터 걸어맞춤 돌기 (36) 를 삽입, 걸림과 함께, 수측 단부 (29a) 와 암측 단부 (29b) 의 이음매부 (50) 를 외측으로부터 덮어 슬리브상 부재 (39) 를 장착함으로써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리브상 부재 (39) 는, 도 7 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슬리브 본체 (39a) 와 절결링 부재 (35) 와 버튼 부재 (37) 로 이루어진다. 슬리브상 부재 (39) 는, 도 9a ∼ 도 9c 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상 파이프 (29) 의 외경과 대략 동일한 내경을 갖는 중공 원통상의 부재로서, 양단의 개구부 사이의 축방향 중간 부분이 개구부의 근방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축방향 중간 부분이 매끄럽게 부풀어 오른 외주면 형상을 구비한다. 이 슬리브상 부재 (39) 의 부풀어 오른 축방향 중간 부분에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고리 띠홈 (40) 이 외주면을 띠홈상으로 절결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원고리 띠홈 (40) 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절결링 부재 (35) 및 버튼 부재 (37) 가 장착된다.
또, 슬리브 본체 (39a) 의 원고리 띠홈 (40) 에는, 슬리브 돌기 삽입공 (43a) 이 개구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리브 돌기 삽입공 (43a) 에는, 절결링 부재 (35) 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걸어맞춤 돌기 (36) 가 삽입, 장착된다. 슬리브 본체 (39a) 에는, 슬리브 돌기 삽입공 (43a) 의 중앙 부분을 횡단하도록 하여, 슬리브상 부재 (39) 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절입 (53) 이 형성되어 있다. 절입 (53) 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슬리브 본체 (39a) 를 직경 확대 가능하게 탄성 변형시킬 수 있고, 당해 슬리브 본체 (39a) 를 원통상 파이프 부재 (29) 의 암측 단부 (29b) 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리브 본체 (39a) 에 있어서의, 일방의 원통상 파이프 (29) 의 수측 단부 (29a) 와 타방의 원통상 파이프 (29) 의 암측 단부 (29b) 의 이음매부 (50) 를 덮는 부분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여, 고리상의 맞닿음 리브 (51) 가, 슬리브 본체 (39a) 에 일체 형성되어 설치되어 있다. 맞닿음 리브 (51) 는, 바람직하게는 타방의 원통상 파이프 (29) 의 암측 단부 (29b) 의 단면의 두께와 동일한 높이로 약간 내측 (내경측) 으로 돌출되어 있다. 맞닿음 리브 (51) 의 슬리브 본체 (39a) 의 후단측의 평탄하게 형성된 맞닿음면 (51a) 에, 암측 단부 (29b) 의 단면을 맞닿게 하여, 슬리브상 부재 (39) 가 암측 단부 (29b) 에 장착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맞닿음 리브 (51) 에는, 암측 단부 (29b) 와의 맞닿음면 (51a) 과는 축방향 반대측의 부분으로부터 슬리브상 부재 (39) 의 선단측을 향하여 직경 방향 외방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삽입 가이드 경사부 (52) 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삽입 가이드 경사부 (52) 는, 그 경사면 (52a) 을 슬리브상 부재 (39) 의 축방향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10 ∼ 30 도의 경사 각도로 직경 방향 외방으로 직선상으로 경사지게 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리브 본체 (39a) 의 내주면에는, 슬리브 돌기 삽입공 (43a) 과는 직경 방향 반대측의 위치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여, 위치 결정 안내 리브 (42) 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도 8a ∼ 도 8c, 도 10a 참조). 본 실시형태에서는, 위치 결정 안내 리브 (42) 는, 슬리브 본체 (39a) 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판상의 리브로 되어 있고, 슬리브 본체 (39a) 를 타방의 원통상 파이프 (29) 의 암측 단부 (29b) 에 장착했을 때에, 암측 단부 (29b) 에 형성된 위치 결정 걸림공 (44) 에 삽입 및 걸려서, 암측 단부 (29b) 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타방의 원통상 파이프 (29) 의 암측 단부 (29b) 에 슬리브 본체 (39a) 를 장착한 후에, 슬리브 본체 (39a) 의 원고리 띠홈 (40) 에 절결링 부재 (35) 및 버튼 부재 (37) 가 장착되어, 슬리브상 부재 (39) 가 형성된다. 슬리브 본체 (39a) 는, 절입 (53) 을 넓혀서 직경 확대되도록 탄성 변형시킴으로써, 암측 단부 (29b) 에 형성된 위치 결정 걸림공 (44) 에 위치 결정 안내 리브 (42) 를 삽입 및 걸어서, 암측 단부 (29b) 에 장착된다. 또, 이로써 슬리브 돌기 삽입공 (43a) 은, 암측 단부 (29b) 의 암측 돌기 삽입공 (43b) 에 합치하도록 배치된다.
절결링 부재 (35) 는,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원을 넘는 원호 형상이 되도록 만곡 형성된, 슬리브 본체 (39a) 의 원고리 띠홈 (40) 과 동일한 폭을 갖는 띠판 대략 링 형상의 부재로서, 절결부 (35a) 와 대향하는 중앙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여, 걸어맞춤 돌기 (36)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절결링 부재 (35) 의 절결부 (35a) 와 연속되는 부분의 내측면에는, 절결부 (35a) 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다리부 걸림홈 (35b) 이 절결 형성되어 있다. 절결링 부재 (35) 는, 절결부 (35a) 를 확대하여 탄성 변형시키면서, 합치된 슬리브 본체 (39a) 의 슬리브 돌기 삽입공 (43a) 과 암측 단부 (29b) 의 암측 돌기 삽입공 (43b) 에 걸어맞춤 돌기 (36) 를 외측으로부터 삽입 걸어맞춤시킨 상태로, 슬리브 본체 (39a) 의 원고리 띠홈 (40) 에 외측으로부터 끼워넣도록 장착된다. 이로써, 걸어맞춤 돌기 (36) 의 선단 부분은, 당해 선단 부분에 형성된 테이퍼면 (36a) 을 암측 단부 (29b) 의 파이프 삽입 개구 (38) 측을 향한 상태에서, 타방의 원통상 파이프 (29) 의 암측 단부 (29b) 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여 배치된다 (도 8a, 도 9a 참조).
또, 절결링 부재 (35) 는, 버튼 부재 (37) 로부터의 가압 조작에 의해, 직경 방향 외방으로 변형하여 직경 방향 내방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로서 기능하게 되어, 이것과 일체로 된 걸어맞춤 돌기 (36) 를 외측으로부터 가압한 상태로 하여, 당해 걸어맞춤 돌기 (36) 를 슬리브상 부재 (39) 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시킨다.
버튼 부재 (37) 는, 예를 들어 외주면이 완만한 볼록상의 만곡면이 된 타원 평면 형상을 갖는 플라스틱제의 성형품으로서 (도 9c 참조), 양측의 측가장자리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1 쌍의 압출 다리부 (37a) 를 구비한다 (도 7 참조). 버튼 부재 (37) 는, 절결링 부재 (35) 의 절결부 (35a) 를 사이에 둔 양측의 다리부 걸림홈 (35b) 에 압출 다리부 (37a) 를 각각 걸고, 절결부 (35a) 의 영역의 원고리 띠홈 (40) 을 덮도록 하여, 원고리 띠홈 (40) 과의 사이에 간극 (47) 을 유지한 상태로 장착된다 (도 8a ∼ 도 8c, 도 9a 참조).
이들에 의해, 암측 단부 (29b) 의 단면을 고리상의 맞닿음 리브 (51) 의 맞닿음면 (51a) 에 맞닿게 한 상태로, 타방의 원통상 파이프 (29) 의 암측 단부 (29b) 에, 슬리브 본체 (39a) 와 절결링 부재 (35) 와 버튼 부재 (37) 로 이루어지는 슬리브상 부재 (39) 가 장착됨과 함께, 위치 결정 안내 리브 (42) 가 암측 단부 (29b) 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여 설치된다.
타방의 원통상 파이프 (29) 의 암측 단부 (29b) 에 연결되는, 일방의 파이프 부재 (29) 의 수측 단부 (29a) 는 도 7, 도 8a ∼ 도 8c, 도 9a ∼ 도 9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암측 단부 (29b) 의 파이프 삽입 개구 (38) 에 삽입 가능한 외경을 갖도록 직경 축소된 상태로 형성된다. 수측 단부 (29a) 에는, 암측 단부 (29b) 의 암측 돌기 삽입공 (43b) 및 슬리브 본체 (39a) 의 슬리브 돌기 삽입공 (43a) 과 합치 가능한 수측 돌기 삽입공 (43c) 이 개구 형성되어 있다. 또, 수측 돌기 삽입공 (43c) 과 축방향에 인접하는 부분의 수측 단부 (29a) 의 선단 가장자리부에는, 걸어맞춤 돌기 (36) 의 테이퍼면 (36a) 이 수측 돌기 삽입공 (43c) 을 향하여 수측 단부 (29a) 의 외주면에 올라탈 때의 올라타기 개시부가 되는 가이드 오목부 (54) 가, 당해 선단 가장자리부를 오목상으로 함몰시켜, 수측 돌기 삽입공 (43c) 에 도달하지 않고 형성된다.
또한, 수측 단부 (29a) 에는, 수측 돌기 삽입공 (43c) 과는 직경 방향 반대측에 배치되어, 수측 단부 (29a) 의 선단 가장자리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안내홈 (45) 이 수측 단부 (29a) 에 절입을 형성하거나, 외주면을 홈상으로 함몰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안내홈 (45) 은, 암측 단부 (29b) 의 위치 결정 안내 리브 (42) 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면서 안내할 수 있도록, 위치 결정 안내 리브 (42) 보다 약간 넓은 폭을 가짐과 함께, 수측 단부 (29a) 의 선단 가장자리부로부터, 직경 축소된 수측 단부 (29a) 의 기단부 (46) 에 도달하지 않고 형성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슬리브 본체 (39a) 의 내주면에는, 수측 단부 (29a) 와 암측 단부 (29b) 의 이음매부 (50) 를 덮는 부분으로서, 양단의 개구부 사이의 축방향 중간 부분에 있어서의 선단측에 치우친 위치에, 맞닿음 리브 (51) 가 내측으로 돌출하여 고리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맞닿음 리브 (51) 는, 바람직하게는 타방의 원통상 파이프 (29) 의 암측 단부 (29b) 의 단면 두께와 대략 동일한 높이로, 슬리브 본체 (39a) 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맞닿음 리브 (51) 의 슬리브 본체 (39a) 의 후단측의 평탄하게 형성된 맞닿음면 (51a) (도 10a, 도 10b 참조) 에, 암측 단부 (29b) 의 단면을 맞닿게 한다. 또한, 맞닿음 리브 (51) 는, 슬리브 본체 (39a) 의 내주면의 전체 둘레에 걸쳐 둘레 방향으로 반드시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둘레 방향의 일부가 절결되어 있거나, 둘레 방향으로 단속하여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맞닿음 리브 (51) 는 합성 수지에 의한 슬리브 본체 (39a) 의 성형의 용이함 등을 고려하여, 둘레 방향의 일부가 절결된 고리상으로 설치된다 (도 8a, 도 7 참조).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맞닿음 리브 (51) 에는 슬리브상 부재 (39) 의 선단측을 향하여 직경 방향 외방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삽입 가이드 경사부 (52) 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삽입 가이드 경사부 (52) 는, 그 경사면 (52a) 을 슬리브상 부재 (39) 의 축방향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10 ∼ 30 도의 경사 각도 (θ2) (도 10a 참조) 로 직경 방향 외방으로 직선상으로 경사지게 하여, 일부가 절결된 맞닿음 리브 (51) 의 둘레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삽입 가이드 경사부 (52) 는, 맞닿음 리브 (51) 의 전체 길이에 걸쳐 반드시 연속하여 형성할 필요는 없고, 둘레 방향으로 단속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 가이드 경사부 (52) 는, 둘레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테이퍼면을 갖는 복수의 테이퍼 리브 (55) 에 의해 구성할 수도 있다. 삽입 가이드 경사부 (52) 는, 슬리브상 부재 (39) 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방사 방향의 적어도 3 개 지점을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삽입 가이드 경사부 (52) 의 직경 방향 외방으로의 경사면 (52a) 은, 반드시 직선상으로 경사지게 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어 만곡하여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1 쌍의 원통상 파이프 (29, 29) 를 연결하려면, 도 8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리브상 부재 (39) 가 장착된 타방의 원통상 파이프 (29) 의 암측 단부 (29b) 의 파이프 삽입 개구 (38) 를 향하여, 일방의 원통상 파이프 (29) 의 수측 단부 (29a) 를 삽입한다. 이러한 삽입 조작은, 도 8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암측 단부 (29b) 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위치 결정 안내 리브 (42) 에, 수측 단부 (29a) 에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안내홈 (45) 을 걸어서 안내시킴으로써, 위치 결정하면서 안정적인 상태로 순조롭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9a, 도 9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리브상 부재 (39) 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내주면의 위치 결정 안내 리브 (42) 와 둘레 방향에 대응하는 위치에, 당해 위치 결정 안내 리브 (42) 가 돌출하는 위치를 표시하는 마킹부 (56) 가 설치되어 있다. 이 마킹부 (56) 에 안내홈 (45) 을 위치 맞춤하면서, 수측 단부 (29a) 를 암측 단부 (29b) 에 삽입해 감으로써, 위치 결정 안내 리브 (42) 에 안내홈 (45) 을 용이하게 거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이로써, 수측 돌기 삽입공 (43c) 이 암측 돌기 삽입공 (43b) 및 슬리브 돌기 삽입공 (43a) 과 합치될 때까지의 삽입 조작을 보다 순조롭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수측 단부 (29a) 의 선단 가장자리부가, 암측 단부 (29b) 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걸어맞춤 돌기 (36) 의 테이퍼면 (36a) 에 맞닿을 때까지 수측 단부 (29a) 가 암측 단부 (29b) 에 삽입되면 (도 8b 참조), 수측 단부 (29a) 를 더욱 삽입한다. 이로써, 걸어맞춤 돌기 (36) 의 테이퍼면 (36a) 이, 수측 단부 (29a) 의 선단 가장자리부의 가이드 오목부 (54) 를 통하여 수측 단부 (29a) 의 외주면에 올라탐으로써, 절결링 부재 (35) 가 직경 확대됨과 함께, 걸어맞춤 돌기 (36) 가 밀어 올려진다.
도 8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측 단부 (29a) 의 수측 돌기 삽입공 (43c) 이, 암측 단부 (29b) 의 암측 돌기 삽입공 (43b) 및 슬리브 본체 (39a) 의 슬리브 돌기 삽입공 (43a) 과 합치될 때까지 수측 단부 (29a) 가 삽입되면, 직경 확대된 상태의 절결링 부재 (35) 의 내측에 대한 탄성력에 의해, 걸어맞춤 돌기 (36) 가 밀려 내려간다. 걸어맞춤 돌기 (36) 가 밀려 내려감으로써, 합치된 수측 단부 (29a) 의 수측 돌기 삽입공 (43c) 과, 암측 단부 (29b) 의 암측 돌기 삽입공 (43b) 과, 슬리브 본체 (39a) 의 슬리브 돌기 삽입공 (43a) 에 걸친 상태로, 걸어맞춤 돌기 (36) 가 이들 돌기 삽입공 (43a, 43b, 43c) 에 동시에 걸어맞추어져, 걸린다. 이로써, 중첩된 수측 단부 (29a) 와 암측 단부 (29b) 에 의한, 1 쌍의 원통상 파이프 (29, 29) 의 연결부가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8c 에 나타낸 걸어맞춤 돌기 (36) 가 각 돌기 삽입공 (43a, 43b, 43c) 에 동시에 걸어맞추어진 상태에서는, 이음매부 (50) 에 있어서, 암측 단부 (29b) 의 파이프 삽입 개구 (38) 의 개구 주연부에, 직경 축소된 수측 단부 (29a) 의 기단부 (46) 가 충돌한 상태가 되므로, 암측 단부 (29b) 의 파이프 삽입 개구 (38) 의 개구 주연부를 기단부 (46) 에 의해 지지함으로써, 한층 더 안정적인 상태로 1 쌍의 원통상 파이프 (29, 29) 를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파이프의 연결 구조 (30) 에 의한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1 쌍의 원통상 파이프 (29, 29) 의 연결 상태를 해제하려면, 도 1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고리 띠홈 (40) 과의 사이의 간극 (47) (도 8a ∼ 도 8c 참조) 을 메우도록 하여 버튼 부재 (37) 를 가압한다. 버튼 부재 (37) 를 가압함으로써, 절결링 부재 (35) 는, 다리부 걸림홈 (35b) (도 6 참조) 에 걸린 압출 다리부 (37a) 를 통한 압출력에 의해, 절결부 (35a) 를 개구 확장하면서 원고리 띠홈 (40) 의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밀려나온다. 절결링 부재 (35) 가 외측으로 밀려나옴으로써, 걸어맞춤 돌기 (36) 는, 적어도 수측 단부 (29a) 의 수측 돌기 삽입공 (43c) 으로부터 빠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암측 단부 (29b) 로부터 수측 단부 (29a) 를 빼내어, 1 쌍의 원통상 파이프 (29, 29) 의 연결 상태를 용이하게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술한 구성을 구비하는 본 실시형태의 청소구 (10) 에 의하면, 청소구 본체 (11) 의 청소면 (12) 을 덮어 장착된 청소 시트 (13) 의 광범위한 영역에 먼지나 머리카락이나 쓰레기 등의 고형물을 부착시키면서, 피청소면의 청소를 효율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청소구 본체 (11) 를 구성하는 베이스체 (15) 의 하면은, 산부 (17) 와 계곡부 (18) 가 연속 배치된 파형 요철면부 (19) 를 구비하고 있고, 파형 요철면부 (19) 의 계곡부 (18) 는, 청소구 본체 (11) 에 의해 청소를 실시하는 소정 방향 (X) 과 대향하는 장변부 (15a) 에 단부가 개구되어 있음과 함께, 소정 방향 (X) 에 대해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경사 유도부 (경사 계곡부) (18a) 를 가지고 있고, 바람직하게는, 파형 요철면부 (19) 의 산부 (17) 에는, 정상부 (17a) 로부터 돌출하는 돌출 리브 (20) 가 정상부 (17a) 의 연장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청소면 (12) 을 덮어 청소 시트 (13) 를 장착하고, 핸들부 (16) 로부터 가압력을 가하면서, 청소구 본체 (11) 를 소정 방향 (X) 으로 이동시키면서 플로어면 등의 피청소면을 불식하면, 피청소면에 존재하는 먼지나 머리카락이나 쓰레기 등의 고형물은, 장변부 (15a) 에 개구되는 계곡부 (18) 의 단부에 접하고 있는 청소 시트 (13) 부분으로부터 청소면 (12) 의 하방에 수용된다. 수용된 먼지 등의 고형물은, 경사 유도부 (경사 계곡부) (18a) 에 의해 청소 시트 (13) 의 표면을 따라 유도 가능해짐과 함께, 비스듬하게 유도된 먼지 등의 고형물의 일부는 경사 유도부 (경사 계곡부) (18a) 에 접하는 청소 시트 (13) 부분으로부터 벗어나, 산부 (17) 방향으로도 이동하고, 산부 (17) 의 정상부 (17a) 에 설치된 돌출 리브 (20) 사이의 간극에 접하는 청소 시트 (13) 부분을 통하여, 혹은 돌출 리브 (20) 에 접하는 청소 시트 (13) 부분에 충돌하여, 인접하는 계곡부 (18) 의 방향으로 청소 시트 (13) 의 표면을 따라 내보내져 청소 시트 (13) 의 전체로 확산되게 된다. 또, 돌출 리브 (20) 가 피청소면에 밀착된 머리카락이나 고형물을 긁어냄으로써 청소 시트 (13) 에 포집, 부착되게 된다. 이들에 의해, 먼지나 머리카락이나 쓰레기 등의 고형물은, 부착물로서 청소 시트 (13) 의 광범위한 영역에 효율적으로 부착되게 된다.
또, 본 실시형태의 청소구 (10) 에 의하면, 상기 서술한 파이프의 연결 구조 (30) 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핸들부인 손잡이 (16) 를 구성하는 각 1 쌍의 원통상 파이프 (29, 29) 를 한층 더 순조롭게 연결할 수 있음과 함께, 청소구 (10) 의 사용시에 걸어맞춤 돌기 (36) 가 수측 돌기 삽입공 (43c) 으로부터 잘 빠지지 않게 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암측 단부 (29b) 의 내주면보다 내측에 돌출하는 위치 결정 안내 리브 (42) 와, 수측 단부 (29a) 의 선단 가장자리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홈 (45) 을 포함하여 파이프의 연결 구조 (30) 가 구성되어 있으므로, 암측 단부 (29b) 의 위치 결정 안내 리브 (42) 를 수측 단부 (29a) 의 안내홈 (45) 에 걸어 안내시키면서, 수측 돌기 삽입공 (43c) 이 암측 돌기 삽입공 (43b) 에 합치될 때까지 수측 단부 (29a) 를 암측 단부 (29b) 에 삽입해 감으로써, 각 1 쌍의 원통상 파이프 (29, 29) 를 한층 더 안정적인 상태로 순조롭게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슬리브 본체 (39a) 에 위치 결정 안내 리브 (42) 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버튼 부재 (37) 를 가압하면서 각 1 쌍의 원통상 파이프 (29, 29) 를 연결하는 경우이어도, 위치 결정 안내 리브 (42) 가 암측 단부 (29b) 의 내주면보다 내측으로 돌출된 채로 되어 있으므로, 위치 결정 안내 리브 (42) 를 수측 단부 (29a) 의 안내홈 (45) 이외의 부분에 잘못 걸어맞추어, 걸 수는 없다. 따라서, 암측 단부 (29b) 의 위치 결정 안내 리브 (42) 를 수측 단부 (29a) 의 안내홈 (45) 에 걸어 안내시키면서, 수측 돌기 삽입공 (43c) 이 암측 돌기 삽입공 (43b) 에 합치될 때까지 수측 단부 (29a) 를 암측 단부 (29b) 에 삽입할 수 있고, 걸어맞춤 돌기 (36) 를 각 돌기 삽입공 (43a, 43b, 43c) 에 확실하게 걸어맞추어 걸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걸어맞춤 돌기 (36) 를 수측 돌기 삽입공 (43c) 등에 걸어맞춤, 걸림되어 있지 않은 불완전한 연결 구조인 채로 사용자가 청소구를 사용했을 때에, 각 파이프가 빠지게 되는 트러블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암측 단부 (29b) 에 대한 수측 단부 (29a) 의 삽입을 안내하는 위치 결정 안내 리브 (42) 나 안내홈 (45) 이, 각 돌기 삽입공 (43a, 43b, 43c) 과 둘레 방향으로 이간되어, 이들과 직경 방향 반대측 부분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수측 단부 (29a) 의 수측 돌기 삽입공 (43c) 의 개구 주연부에는, 종래의 연결 구조와 같이, 당해 개구 주연부에 연속되는 돌기 안내용의 홈 등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종래의 연결 구조와 같이, 수측 돌기 삽입공과 연속되는 돌기 안내용의 홈에 의해, 수측 돌기 삽입공의 개구 주연부에 당해 돌기 안내용의 홈과 연속시키기 위한 절결에 의한 단차 부분이 형성되어, 걸어맞춤 돌기와 수측 돌기 삽입공의 걸어맞춤 높이가 적어져 있는 것과 비교하여, 수측 돌기 삽입공 (43c) 의 개구 주연부에 절결에 의한 단차 부분이 존재하지 않게 되므로, 이와 같은 단차 부분을 통하여 걸어맞춤 돌기 (36) 가 수측 돌기 삽입공 (43c) 으로부터 빠지기 쉬워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위치 결정 안내 리브 (42) 를 돌기 안내용 홈에 안내하여, 잘못된 연결 구조로 되는 트러블도 방지할 수 있다.
도 13a, 도 13b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파이프의 연결 구조 (30') 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a, 도 13b 에 나타낸 파이프의 연결 구조 (30') 는, 상기 실시형태의 파이프의 연결 구조 (30) 와 대략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는 것 외에, 암측 단부 (29b) 의 내주면보다 내측에 돌출하는 위치 결정 안내 리브 (42') 는, 암측 단부 (29b) 에 형성된 위치 결정 걸림공 (44) 에 삽입 및 걸려지는 것이 아니라, 암측 단부 (29b) 의 파이프 삽입 개구 (38) 의 개구 주연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슬리브상 부재 (39) 의 내주면으로부터 일체로 돌출하는 부분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도 13a, 도 13b 에 나타낸 파이프의 연결 구조 (30') 에 의해서도, 암측 단부 (29b) 의 위치 결정 안내 리브 (42') 를 수측 단부 (29a) 의 안내홈 (45')에 걸어 안내시키면서, 수측 돌기 삽입공 (43c) 이 암측 돌기 삽입공 (43b) 에 합치될 때까지 수측 단부 (29a) 를 암측 단부 (29b) 에 삽입해 감으로써, 상기 실시형태의 파이프의 연결 구조 (30) 와 동일한 작용 효과가 발휘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파이프의 연결 구조 (30) 를 구성하는 슬리브상 부재 (39) 에는, 수측 단부 (29a) 와 암측 단부 (29b) 의 이음매부 (50) 를 덮는 부분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여, 맞닿음 리브 (51) 가 설치되어 있고, 맞닿음 리브 (51) 에는, 슬리브상 부재 (39) 의 선단측을 향하여 직경 방향 외방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삽입 가이드 경사부 (52) 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슬리브상 부재 (39) 가 장착된 타방의 원통상 파이프 (29) 의 암측 단부 (29b) 에 일방의 원통상 파이프 (29) 의 수측 단부 (29a) 를 삽입해 갈 때에, 이들 중심축이 위치 어긋난 채로 수측 단부 (29a) 가 암측 단부 (29b) 에 삽입되는 경우에도, 이와 같은 중심축의 위치 어긋남을 삽입 가이드 경사부 (52) 에 의해 수정함으로써, 수측 단부 (29a) 의 단면이 암측 단부 (29b) 의 단면과 간섭하여 연결되기 어려워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이로써 각 1 쌍의 원통상 파이프 (29, 29) 를 한층 더 순조롭게 연결해가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슬리브상 부재 (39) 는 이것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는 맞닿음 리브 (51) 의 맞닿음면 (51a) 에 단면을 맞닿게 한 상태로 타방의 원통상 파이프 (29) 의 암측 단부 (29b) 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일방의 원통상 파이프 (29) 의 수측 단부 (29a) 가 삽입되어 연결되기 전에, 예를 들어 타방의 원통상 파이프 (29) 를 바닥에 떨어뜨렸을 때에, 원통상 파이프 (29) 의 어느 단면이 바닥과 충돌함으로써, 슬리브상 부재 (39) 에 충격력이 부하된 경우이어도, 이와 같은 충격력을 맞닿음면 (51a) 에 의해 지지하여, 암측 단부 (29b) 의 암측 돌기 삽입공 (43b) 에 삽입, 장착된 슬리브상 부재 (39) 의 걸어맞춤 돌기 (36) 나, 암측 단부 (29b) 의 내주면보다 내측으로 돌출하는 위치 결정 안내 리브 (42) 가 구부러지거나 파손되거나 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위치 결정 안내 리브 (42) 나 안내홈 (45) 은, 암측 돌기 삽입공 (43b) 이나 수측 돌기 삽입공 (43c) 과 둘레 방향으로 이간된 위치이면, 이들과 직경 방향 반대측 부분에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 수측 단부는 반드시 원통상 파이프의 직경 축소된 단부일 필요는 없고, 슬리브상 부재는 반드시 슬리브 본체와 절결링 부재와 버튼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일 필요는 없다. 또, 수측 단부 (29a) 의 선단 가장자리부의 가이드 오목부 (54) 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또한, 위치 결정 안내 리브는 반드시 슬리브상 부재의 내측면에 일체로 설치된 것일 필요는 없고, 암측 단부의 내측면에 일체로 설치된 것이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손잡이 (16) 의 상단부 (16b) 에 미끄럼 방지단 부 재로서 엔드캡 (32) 이 장착되어 있다. 엔드캡 (32) 은, 바람직하게는 고무 경도가 40 ∼ 80 인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도 14 및 도 15a ∼ 도 15d 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공 (57) 에 손잡이 (16) 의 상단부 (16b) 를 끼워넣음으로써 당해 손잡이 (16) 의 상단부 (16b) 에 장착된다. 또, 엔드캡 (32) 은, 손잡이 (16) 의 단면부 (16c) 를 덮어 배치되는 피복 단면 (32a) 이, 손잡이 (16) 의 중심축 방향 (X1) 과 수직인 면에 대해 비스듬하게 커트, 성형 등이 되어 경사면이 되어 있음으로써, 엔드캡 (32) 의 테이퍼상의 선단 가장자리 부분 (32b) 은, 손잡이 (16) 의 중심축 방향 (X1) 을 중심으로 하는 직경 방향 (R1) 의 내방 및 외방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쿠션부 (59) 를 형성하고 있다. 손잡이 (16) 의 단면부 (16c) 의 선단은, 엔드캡 (32) 의 선단 가장자리 부분 (32b) 까지 도달하고 있지 않고, 또 쿠션부 (59) 가 손잡이 (16) 의 상단부 (16b) 보다 더욱 선단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쪽이, 탄성 변형의 용이함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도 15b 참조).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엔드캡의 장착이란, 사람 손이나 기계로 손잡이에 엔드캡을 일체화하는 것 외에, 손잡이와 엔드캡을 인서트 성형으로 일체화하는 것도 의미한다.
또한, 고무 경도는 JIS K 6253 으로 규정하는 듀로미터 타입 A (쇼어 A) 로 측정한 값이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엔드캡 (32) 이 부착된 손잡이 (16) 는, 좁다란 로드상의 손잡이 본체 (28) 와, 손잡이 본체 (28) 의 상부에 일체로 연결 고정되는 파지부 (27) 로 이루어진다. 손잡이 (16) 는, 손잡이 본체 (28) 의 하단부를 당해 손잡이 (16) 의 하단부 (16a) (도 16a 참조) 로 하여 청소구 본체 (11) 에 연결됨과 함께, 파지부 (27) 의 상단부를 당해 손잡이 (16) 의 상단부 (16b) 로 하여 엔드캡 (32) 이 장착된다.
파지부 (27) 는, 도 1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탄성 변형되지 않는, 예를 들어 ABS (아크릴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나 PP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이루어지는 성형품으로서, 손으로 파지하기 쉬운 굵기 및 외형인 대략 원주 형상을 구비한다. 파지부 (27) (손잡이 (16)) 의 상단부 (16b) 는, 손잡이 (16) 의 중심축 방향 (X1) 과 수직인 면에 대해 비스듬하게 모따기된 고리상 단차부 (60) 를 개재시켜, 파지부 (27) 보다 직경 축소된 단면 형상을 구비한다. 이 직경 축소된 상단부 (16b) 를 덮어 엔드캡 (32) 이 장착됨으로써, 엔드캡 (32) 의 둘레벽부 (32c) 의 외주면은 파지부 (27) 의 외주면과 연속되는 면이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파지부 (27) (손잡이 (16)) 의 상단부 (16b) 의 단면부 (16c) 는, 손잡이 (16) 의 중심축 방향 (X1) 과 수직인 면에 대한 엔드캡 (32) 의 피복 단면 (32a) 의 경사 각도 (θ3) 보다 완만한 각도로, 비스듬하게 커트, 성형 등이 되어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도 15b 참조). 또한, 파지부 (27) (손잡이 (16)) 의 직경 축소된 상단부 (16b) 에는, 단면부 (16c) 로부터 손잡이 (16) 의 하단부 (16a) 측으로 절입되어, 계착 절입 (61) 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계착 절입 (61) 에는, 엔드캡 (32) 이 장착될 때에, 엔드캡 (32) 의 장착공 (57) 의 내부에 설치된 계착편 (62) 이 삽입되도록 하여 계착된다 (또는, 파지부 (27) 를 축방향으로 2 분할한 구조로 하여, 계착편 (62) 을 2 분할된 파지부 (27) 로 끼워넣어 엔드캡 (32) 을 장착해도 된다). 또한, 파지부 (27) (손잡이 (16)) 의 단면부 (16c) 의 선단 가장자리부에는, 엔드캡 (32) 이 장착되었을 때에 엔드캡 (32) 에 형성된 매다는 구멍 (63) 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원호상 절결 (64) 이 형성되어 있다 (도 15a, 도 15c 참조).
파지부 (27) (손잡이 (16)) 의 상단부 (16b) 에 장착되는 엔드캡 (32) 은, 도 15a ∼ (d) 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고무 경도가 40 ∼ 80 인 비교적 부드러운 탄성 재료로서 바람직하게는,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등의 엘라스토머, 에틸렌아세트산비닐 (EVA) 수지, 천연 고무, 합성 고무 등의 여러 가지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한 탄성 부재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에틸렌아세트산비닐 (EVA) 수지를 사용하고 있다. 엔드캡 (32) 은, 예를 들어 양 단면이 비스듬하게 커트된 대략 원통 형상을 구비하고 있고, 일방의 단면은 개구면으로 되어 있어 장착공 (57) 이 개구됨과 함께, 타방의 단면은 파지부 (27) (손잡이 (16)) 의 상단부 (16b) 의 단면부 (16c) 를 덮는 피복 단면 (32a) 으로 되어 있다.
또, 엔드캡 (32) 의 장착공 (57) 의 중공 내부에는, 단면 중앙 부분을 직경 방향으로 횡단하여, 계착편 (62) 이 설치되어 있다. 계착편 (62) 은 엔드캡 (32) 이 장착될 때에, 파지부 (27) (손잡이 (16)) 의 직경 축소된 상단부 (16b) 에 형성된 계착 절입 (61) 에 삽입된다. 이로써, 엔드캡 (32) 의 장착 상태를 한층 더 강고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엔드캡 (32) 의 피복 단면 (32a) 의 테이퍼상의 선단 가장자리 부분 (32b) 에는, 당해 선단 가장자리 부분 (32b) 을 관통하여 매다는 구멍 (63) 이 형성되어 있다. 매다는 구멍 (63) 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예를 들어 벽면 (65) 등에 장착한 훅 부재로부터 매달린 상태로, 청소구 (10) 를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엔드캡 (32) 의 선단 가장자리 부분 (32b) 에는 매다는 구멍 (63) 이 형성됨과 함께, 파지부 (27) (손잡이 (16)) 의 단면부 (16c) 의 선단 가장자리부에는 원호상 절결 (64) 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엔드캡 (32) 의 피복 단면 (32a) 의 테이퍼상의 선단 가장자리 부분 (32b) 의, 직경 방향 (R1) 의 내방 및 외방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쿠션부 (59) 로서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엔드캡 (32) 의 장착공 (57) 의 비스듬하게 커트되거나 한 개구 주연부 (57a) 는, 파지부 (27) (손잡이 (16)) 의 상단부 (16b) 의 비스듬하게 모따기된 고리상 단차부 (60) 의 형상을 따른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로써, 파지부 (27) (손잡이 (16))의 상단부 (16b) 에, 엔드캡 (32) 을 간극없이 연속되도록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엔드캡 (32) 의 피복 단면 (32a) 의 예를 들어 비스듬하게 커트된 커트면에 의한 경사면의 경사 각도 (θ3) 는, 손잡이 (16) 의 중심축 방향 (X1) 과 수직인 면에 대해 30 ∼ 60 도의 각도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복 단면 (32a) 의 경사면의 중심축 방향 (X1) 과 수직인 면에 대한 경사 각도 (θ3) 가 30 ∼ 60 도로 되어 있음으로써, 엔드캡 (32) 을 불필요하게 길게 하지 않고, 쿠션부 (59) 로서의 기능을 발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청소구 (10) 에 의한 청소 작업을 실시할 때에, 엔드캡 (32) 을 손바닥에 밀착시키기 쉬워져, 청소구 (10) 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한, 엔드캡 (32) 의 피복 단면 (32a) 의 예를 들어 비스듬하게 커트된 커트면에 의한 경사면은, 오목상으로 만곡하는 만곡면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복 단면 (32a) 의 커트면 (경사면) 이 오목상으로 만곡하는 만곡면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청소구 (10) 에 의한 청소 작업을 실시할 때에, 엔드캡 (32) 을 손바닥에 더욱 밀착시키기 쉬워져, 청소구 (10) 의 조작성을 현격히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엔드캡 (32) 이 부착된 손잡이 (16) 는, 상기 서술한 손잡이 (16) (파지부 (27)) 의 상단부 (16b) 에, 상기 서술한 엔드캡 (32) 을, 계착편 (62) 을 계착 절입 (61) 에 삽입하도록 하면서, 장착공 (57) 에 손잡이 (16) (파지부 (27)) 의 상단부 (16b) 를 끼워넣어 장착함으로써, 엔드캡 (32) 을 손잡이 (16) 에 일체로 접합하여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술한 엔드캡이 부착된 손잡이 (16) 에 의하면, 청소구 (10) 의 손잡이 (16) 를 벽면 (65) 에 기대어 세워놓았을 때의 안정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손잡이 (16) 의 상단부 (16b) 에 장착된 엔드캡 (32) 은, 바람직하게는 고무 경도가 40 ∼ 80 인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또 손잡이 (16) 의 단면부 (16c) 를 덮어 배치되는 피복 단면 (32a) 은, 손잡이 (16) 의 중심축 방향 (X1) 과 수직인 면에 대해 비스듬하게 커트되거나 하여 경사면으로 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도 16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복 단면 (32a) 을 벽면 (65) 에 대향시켜 기대어 세워놓은 경우나, 도 16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복 단면 (32a) 을 벽면 (65) 에 배향시켜 기대어 세워놓은 경우에, 손잡이 (16) (파지부 (27)) 의 상단부 (16b) 보다 더욱 선단측으로 돌출하여 쿠션부 (59) 를 형성하는 엔드캡 (32) 의 테이퍼상의 선단 가장자리 부분 (32b) 이, 직경 방향 (R1) 으로 적당히 탄성 변형하면서 벽면 (65) 에 맞닿음으로써, 벽면 (65) 사이에 적당한 마찰력이 생기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이로써 기대어 세워놓은 손잡이 (16) 를 잘 쓰러지지 않게 하여, 안정감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실질적으로 탄성 변형되지 않는 손잡이 (16) 와 그 상단부 (16b) 에 장착되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엔드캡 (32) 을 조합시킨 것도, 손잡이 (16) 를 기대어 세워놓았을 때의 안정감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는 한 요인이 된다.
또, 손잡이 (16) 의 상단부 (16b) 에 장착된 엔드캡 (32) 은, 적당한 탄성을 가짐과 함께, 비스듬하게 커트되거나 하여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 피복 단면 (32a) 을 구비하므로, 손잡이 (16) 의 상단부 (16b) 를 파지하는 손바닥에 피트되기 쉬워진다. 이로써, 손잡이 (16) 를 강하게 잡지 않고, 엔드캡 (32) 을 가볍게 잡은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손잡이 (16) 의 밀고 당기기가 가능해지므로, 청소구 본체 (11) 를 플로어면 (66) 을 따라 슬라이드시키는 것에 의한 청소구 (10) 의 조작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엔드캡 (32) 이 장착되는 손잡이는, 손잡이 본체와 파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이거나, 이들이 반드시 분해 조립 가능한 것일 필요는 없고, 손잡이 본체와 파지부가 일체로 된 손잡이나, 파지부를 특별히 구비하지 않은 손잡이이어도 된다. 또, 손잡이가 연결되는 청소구 본체는, 청소 시트를 착탈 교환 가능하게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 외에, 자루걸레나 브러쉬 등 그 밖의 여러 가지 형태의 청소구 본체이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청소구 (10) 에서는, 핸들부인 손잡이 (16) 를 청소 헤드 (14) 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조인트 구조 (70) 를 구비하고 있다. 청소 헤드 (14) 의 조인트 구조 (70) 는, 청소 헤드 (14) 와 손잡이 (16) 를 포함하는 청소구 (10) 에 있어서, 도 1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잡이 (16) 를 청소 헤드 (14) 와 대략 평행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손잡이 (16) 를 조인트부 (71) 를 중심으로 하는 둘레 방향으로 360 도 회전 가능하게 하는 조인트 구조로서, 도 18 및 도 19 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청소 헤드 (14) 의 상면 (14a) 으로부터 돌출하여 설치된 핸들 지지 조인트부 (22) 로서의 두 갈래상의 헤드측 요크부 (헤드측 베어링부) (72) 와, 손잡이 (16) 의 하단부에 설치된 회전 조인트부 (23) 로서의 두 갈래상의 손잡이측 요크부 (손잡이측 베어링부) (73) 를, 중심축 (X2, Y2) 이 직교하는 제 1 회전 운동 축심부 (74a) 와 제 2 회전 운동 축심부 (74b) 를 구비하는 연결 부재 (74) 를 통하여 연결함으로써, 상하 방향 및 둘레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조인트부 (71) 가 형성되어 있고, 헤드측 요크부 (72) 를 구성하는 1 쌍의 요크 돌기부 (베어링 돌기부) (72a) 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각 대향면 (72b) 은, 정상부 (75a) 의 양측 (본 실시형태에서는 직사각형 평면 형상을 갖는 청소 헤드 (14) 의 양 장변측) 에 경사부 (75b) 를 구비하는 대칭인 산형상의 외주연부 (75) 를 가지고 있고, 손잡이측 요크부 (73) 를 구성하는 1 쌍의 요크편 (베어링 부재) (73a) 은, 1 쌍의 요크 돌기부 (72a) 의 대향면 (72b) 간의 간격폭 (s) 과 대략 동일한 가로폭 (b) 을 가지고 있다 (도 19 참조). 손잡이 (16) 를 청소 헤드 (14) 와 대략 평행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도 17 참조), 어느 일방의 요크편 (73a) 의 측가장자리부 (76) 는, 어느 일방의 요크 돌기부 (72a) 의 대향면 (72b) 의 외주연부 (75) 와 맞닿음 가능하게 되어 있고, 손잡이 (16) 의 청소 헤드 (14) 와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의 둘레 방향 (R) 으로의 회전에 수반하여, 어느 일방의 요크편 (73a) 의 측가장자리부 (76) 를, 어느 일방의 요크 돌기부 (72a) 대향면 (72b) 의 외주연부 (75) 의 경사부 (75b) 및 정상부 (75a) 를 따라, 맞닿음 상태를 유지하면서 슬라이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도 21a ∼ 도 21c, 도 22a ∼ 도 22g 참조).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요크 돌기부 (72a) 대향면 (72b) 의 외주연부 (75) 의 경사부 (75b) 는, 오목상으로 만곡하는 만곡 경사부로 되어 있고, 연결 부재 (74) 의 제 1 회전 운동 축심부 (74a) 및 제 2 회전 운동 축심부 (74b) 는, 이들 중심축 (X2, Y2) 이 입체 교차상으로 직교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18, 도 19 참조).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헤드측 요크부 (72) 의 한 쌍의 요크 돌기부 (72a) 는, 청소 헤드 (14) 의 상면 중앙 부분으로부터 융기되는 융기부 (77) 로서 형성되어 있고, 대향면 (72b) 은 청소 헤드의 저면과 대략 수직인 면을 따라 깍아지른 가파른 면 (77a) 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청소구 (10) 를 구성하는 청소 헤드 (14) 는, 장변이 200 ∼ 300 ㎜ 정도, 단변이 50 ∼ 150 ㎜ 정도 크기의 직사각형 평면 형상을 가지고 있고, 예를 들어 플라스틱제의 평판상 부재인 헤드 본체 (14b) 의 하면을 덮어, 탄성 변형 가능한 베이스체 (15) 를 장착함으로써, 청소구 본체 (11) 가 구성된다. 탄성 변형 가능한 베이스체 (15) 의 하면을 청소면 (12) 으로 하여, 당해 청소면 (12) 을 덮어 청소 시트 (13) 가 장착된다. 또, 청소 헤드 (14) 의 헤드 본체 (14b) 에 의한 상면 (14a) 에는, 네 코너 부분에 계착 슬릿이 형성된 유연한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공지된 시트 유지부 (24) 또는, 후술하는 시트 유지부 (24) 로서의 청소 시트 장착구 (24) 가 설치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청소 헤드 (14) 의 하면측에 일체로 장착된 베이스체 (15) 의 하면 (청소면) (12) 을 하방으로부터 덮도록 하여, 청소 시트 (13) 를 청소 헤드 (14) (청소구 본체 (11)) 에 감은 후에, 청소 시트 (13) 의 단부를, 청소 헤드 (14) 상면 (14a) 의 시트 유지부 (24) 의 계착 슬릿 (24a) 에 밀어넣어 계착함으로써, 청소 시트 (13) 를 청소 헤드 (14) (청소구 본체 (11)) 에 착탈 교환 가능하게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도 17 ∼ 도 1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청소 헤드 (14) 의 헤드 본체 (14b) 의 상면 (14a) 에는 이것의 중앙 부분을 융기시켜, 1 쌍의 요크 돌기부 (72a) 에 의한 헤드측 요크부 (72) 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 헤드측 요크부 (72) 를 포함하는 조인트부 (71) 에 의해, 손잡이 (16) 가 청소 헤드 (14) 에 대해 상하 방향 (V) 뿐만 아니라 둘레 방향 (R) 으로도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청소면 (12) 을 덮어 청소 헤드 (14) 에 장착되어 먼지나 오염 등을 부착시키는 청소 시트 (13) 로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올레핀계 극세 섬유 부직포 등의 공지된 각종 청소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또, 청소 헤드 (14) 와 함께 청소구 (10) 를 구성하는 손잡이 (16)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좁다란 로드상의 손잡이 본체 (28) 와 손잡이 본체 (28) 의 상부에 일체로 연결 고정되는 파지부 (27) 로 이루어진다.
손잡이 본체 (28)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이나 ABS (아크릴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원통상 파이프를, 상기 서술한 파이프의 연결 구조 (30) 에 의한 연결부를 통하여 축방향으로 연결함으로써, 파지부 (27) 를 포함하는 손잡이 (16) 전체가, 청소 작업을 실시하는데 적합한 예를 들어 100 ∼ 150 ㎝ 정도의 길이가 되도록 조립된다. 손잡이 본체 (28) (손잡이 (16)) 의 하단부에는, 1 쌍의 요크편 (73a) 에 의한 손잡이측 요크부 (73) 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청소 헤드의 조인트 구조 (70) 는, 청소 헤드 (14) 의 상면 (14a) 에 설치된 두 갈래상의 헤드측 요크부 (72) 와, 손잡이 (16) 의 하단부에 설치된 두 갈래상의 손잡이측 요크부 (73) 와, 이들 요크부 (72, 73) 사이에 개재되어 설치된 연결 부재 (74) 로 이루어진다.
헤드측 요크부 (72) 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7 ∼ 도 1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청소 헤드 (14) 의 상면 (14a) 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야구의 마운드상으로 융기하여 형성된, 저변 부분이 확장된 가로로 긴 융기부 (77) 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를, 예를 들어 10 ∼ 30 ㎜ 정도의 절결폭으로 절결된 형상을 갖는다. 이로써 헤드측 요크부 (72) 는, 청소 헤드 (14) (청소구 본체 (11)) 의 청소면 (12) 과 대략 수직인 가파른 면 (77a) 을 대향면 (72b) 으로 하여, 절결폭에 상당하는 간격폭 (s) 을 두고 배치된, 1 쌍의 대칭 형상의 요크 돌기부 (72a) 를 구비한다.
헤드측 요크부 (72) 의 한 쌍의 대칭 형상의 요크 돌기부 (72a) 가, 저변 부분이 확장된 융기부 (77) 의 일부로서 설치됨으로써, 조인트부 (71) 를 통하여 손잡이 (16) 로부터 청소 헤드 (14) 에 부하되는 청소시의 하중을, 청소 헤드 (14) 에 의해 안정적인 상태로 지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간격폭 (s) 을 두고 배치된 1 쌍의 요크 돌기부 (72a) 의 대향면 (72b) 의 간격 부분에 가설되어, 제 1 회전핀 부재 (78) 가, 각 대향면 (72b) 의 상부 중앙 부분에 양 단부를 각각 일체 접합하여 설치되어 있다. 제 1 회전핀 부재 (78) 에는, 연결 부재 (74) 의 제 1 회전 운동 축심부 (74a) 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걸린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1 쌍의 요크 돌기부 (72a) 의 대향면 (72b) 의 외주연부 (75) 는, 원호 형상으로 모따기된 정상부 (75a) 로부터, 완만한 오목상으로 만곡하는 양측의 만곡 경사부 (75b) 를 통하여, 그 저변부가 청소 헤드 (14) 의 상면 (14a) 에 매끄럽게 접합되는 대칭인 산형 형상을 가지고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손잡이 (16) 를 청소 헤드 (14) 와 대략 평행하게 배치한 상태로 둘레 방향 (R) 으로 회전시켰을 때에, 요크 돌기부 (72a) 의 산형상의 외주연부 (75) 를 따라 올라타도록 하거나, 또는 활강하도록 하여, 손잡이측 요크부 (73) 의 요크편 (73a) 의 측가장자리부 (76) 가, 당해 외주연부 (75) 와의 맞닿음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손잡이측 요크부 (73) 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손잡이 (16) 의 하단부에 있어서, 손잡이 (16) 의 단면측으로부터 축방향을 향하여 상당하는 폭의 관통홈 (79) 을 형성함으로써, 두 갈래상의 손잡이측 요크부 (73) 를 형성하고, 그 선단 가장자리부가 원호상으로 모따기됨과 함께 외주면이 완만한 만곡 볼록면이 된 1 쌍의 띠판 형상의 요크편 (73a) 을 관통홈 (79) 을 사이에 둔 양측에 구비한다.
관통홈 (79) 의 상부에는, 상기 요크 돌기부 (72a) 의 정상부 부분의 외형과 대략 동 형상의 오목부 (79a) 가 형성되어 있고, 손잡이 (16) 를 청소 헤드 (14) 에 대략 평행하게 넘어뜨렸을 때에, 그 오목부 (79a) 에 요크 돌기부 (72a) 의 정상부 부분이 끼워넣어져, 높이가 낮은 공간에서도 청소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1 쌍의 요크편 (73a) 사이의 관통홈 (79) 중에 가설되어, 제 2 회전핀 부재 (80) 가 각 요크편 (73a) 의 내측면에 양 단부를 각각 일체 접합하여 설치되어 있다. 제 2 회전핀 부재 (80) 에는, 연결 부재 (74) 의 제 2 회전 운동 축심부 (74b) 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걸린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1 쌍의 요크편 (73a) 은 각각 헤드측 요크부 (72) 의 한 쌍의 요크 돌기부 (72a) 의 대향면 (72b) 간의 간격폭 (s) 과, 대략 동일하며 이것보다 약간 작은 가로폭 (b) 을 가지고 있다 (도 19 참조). 이로써, 요크편 (73a) 의 측가장자리부 (76) 는, 손잡이 (16) 가 청소 헤드 (14) 와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었을 때에, 요크 돌기부 (72a) 의 산형상의 외주연부 (75) 와 근접하여 배치되게 된다. 또 이 상태로부터, 손잡이 (16) 를 청소 헤드 (14) 에 대해 상대적으로 둘레 방향 (R) 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요크편 (73a) 의 측가장자리부 (76) 는, 요크 돌기부 (72a) 의 산형상의 외주연부 (75) 를 따라, 당해 외주연부 (75) 와의 맞닿음 상태를 유지하면서 예를 들어 올라타도록 하면서 이동한다 (도 21a ∼ 도 21c 참조).
헤드측 요크부 (72) 와 손잡이측 요크부 (73) 사이에 개재하여 설치되는 연결 부재 (74) 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제의 성형품으로서, 도 1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심축 (X2, Y2) 이 입체 교차상으로 직교하는 제 1 회전 운동 축심부 (74a) 와 제 2 회전 운동 축심부 (74b) 를 구비한다. 도 19 및 도 20 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회전 운동 축심부 (74a) 는 제 2 회전 운동 축심부 (74b) 가 접합되는 부분과는 제 1 회전핀 부재 (78) 를 사이에 끼고 반대측 부분이 장착구 (81) 로서 띠형상으로 절결된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고 있고, 대략 원통 형상의 중공 내부의 중심축이, 제 1 회전 운동 축심부 (74a) 의 중심축 (X2) 으로 되어 있다.
연결 부재 (74) 의 제 2 회전 운동 축심부 (74b) 는, 제 1 회전 운동 축심부 (74a) 의 장착구 (81) 가 형성된 부분과는 반대측의 외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두꺼운 판상의 부분이다. 제 2 회전 운동 축심부 (74b) 는, 제 1 회전 운동 축심부 (74a) 와의 접합부와는 반대측 부분의 주연부로부터 오목상으로 절결된 장착 오목부 (82) 를 가지고 있다. 이 장착 오목부 (82) 의 중심축이 제 2 회전 운동 축심부 (74b) 의 중심축 (Y2) 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연결 부재 (74) 에 있어서의 제 1 회전 운동 축심부 (74a) 의 중심축 (X2) 과 제 2 회전 운동 축심부 (74b) 의 중심축 (Y2) 이 입체 교차하는 위치에서의, 중심축 (X2) 과 중심축 (Y2) 의 이간 길이는 7 ∼ 15 ㎜ 정도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체 교차하는 위치에서의 중심축 (X2) 과 중심축 (Y2) 의 이간 길이를 7 ∼ 15 ㎜ 정도로 함으로써, 요크편 (73a) 의 측가장자리부를 요크 돌기부 (72a) 의 대향면 (72b) 의 외주연부 (75) 를 따르게 할 수 있는 조작성이 우수한 컴팩트한 청소 헤드의 조인트 구조 (70) 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연결 부재 (74) 의 제 2 회전 운동 축심부 (74b) 의 장착 오목부 (82) 를, 손잡이측 요크부 (73) 의 한 쌍의 요크편 (73a) 사이의 제 2 회전핀 부재 (80) 에 억지로 밀면서 밀어넣어, 제 2 회전 운동 축심부 (74b) 를 제 2 회전핀 부재 (80) 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연결 부재 (74) 를 손잡이 (16) 의 하단부에 장착한다. 그런 후에, 연결 부재 (74) 의 제 1 회전 운동 축심부 (74a) 의 장착구 (81) 를, 헤드측 요크부 (72) 의 한 쌍의 요크 돌기부 (72a) 의 대향면 (72b) 사이의 제 1 회전핀 부재 (78) 에 억지로 밀면서 밀어넣어, 제 1 회전 운동 축심부 (74a) 를 제 1 회전핀 부재 (78) 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조인트부 (71) (조인트 구조 (70)) 가 형성되고, 손잡이 (16) 의 하단부가 청소 헤드 (14) 의 상면 (14a) 의 중앙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로써, 청소 헤드 (14) 에 대해 손잡이 (16) 가 수직으로 세워 설치되는 상태로부터, 상당한 크기의 각도 범위에 걸쳐 손잡이 (16) 를 경도시킨 상태에서도, 청소 헤드 (14) 를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플로어면 등의 청소를 효율적으로 실시해가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서술한 구성을 구비하는 청소 헤드의 조인트 구조 (70) 에 의하면, 손잡이 (16) 를 청소 헤드 (14) 와 대략 평행하게 배치한 상태에서도, 조인트부 (71) 를 중심으로 하는 둘레 방향으로 손잡이 (16) 를 순조롭게 회전 가능하게 하여, 높이가 낮거나 폭이 좁은 공간에서도, 손잡이 (16) 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청소 헤드 (14) 를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효율적으로 청소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헤드측 요크부 (72) 를 구성하는 1 쌍의 요크 돌기부 (72a) 의 각 대향면 (72b) 은, 정상부 (75a) 의 양측에 경사부 (75b) 를 갖는 대칭인 산형상의 외주연부 (75) 를 가지고 있고, 손잡이측 요크부 (73) 를 구성하는 1 쌍의 요크편 (73a) 은, 1 쌍의 요크 돌기부 (72a) 의 대향면 (72b) 간의 간격폭 (s) 과 대략 동일한 가로폭 (b) 을 가지고 있고, 손잡이 (16) 를 청소 헤드 (14) 와 대략 평행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어느 일방의 요크편 (73a) 의 측가장자리부 (76) 는, 어느 일방의 요크 돌기부 (72a) 의 대향면 (72b) 의 외주연부 (75) 와 맞닿음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로써, 예를 들어 도 17 에 나타낸 바와 같은, 손잡이 (16) 를 청소 헤드 (14) (청소구 본체 (11)) 의 청소면 (12) 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함과 함께, 청소 헤드 (14) 의 장변과 직각인 방향으로 연장시킨 상태로부터, 손잡이 (16) 를 청소 헤드 (14) 에 대해 상대적으로 둘레 방향 (R) 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도 21a ∼ 도 21c 및 도 22a ∼ 도 22g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회전에 수반하여, 일방의 요크편 (73a) 의 측가장자리부 (76) 는, 일방의 요크 돌기부 (72a) 의 대향면 (72b) 의 산형상의 외주연부 (75) 에 있어서의 저변부와 가까운 부분에 맞닿은 후에, 손잡이 (16) 를 비틀도록 하여 회전시키면서, 당해 외주연부 (75) 의 만곡 경사부 (75b) 를 따라, 당해 외주연부 (75) 와의 맞닿음부 (83) (도 21a, 도 21b 참조) 에서의 맞닿음 상태를 유지한 채로, 정상부 (75a) 를 향해 올라타도록 하면서 순조롭게 이동해가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21a ∼ 도 21c 참조).
또, 요크편 (73a) 의 측가장자리부 (76) 가 요크 돌기부 (72a) 의 외주연부 (75) 를 따라 올라타고, 손잡이측 요크부 (73) 가 산형상의 외주연부 (75) 의 정상부 (75a) 에 도달한 상태에서는, 손잡이 (16) 는 도 17 에 나타낸 청소 헤드 (14) 의 장변과 직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로부터, 도 22g 에 나타낸 바와 같이, 90° 비틀어짐과 함께, 청소 헤드 (14) 의 장변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로부터, 손잡이 (16) 를 더욱 비틀도록 하면서, 청소 헤드 (14) 에 대해 손잡이 (16) 를 상대적으로 둘레 방향 (R) 으로 더욱 회전시킴으로써, 손잡이측 요크부 (73) 의 타방의 요크편 (73a) 의 측가장자리부 (76) 가, 일방의 요크 돌기부 (72a) 의 대향면 (72b) 의 산형상의 외주연부 (75) 에서의 정상부 (75a) 와 가까운 부분에 맞닿은 후에, 당해 외주연부 (75) 의 만곡 경사부 (75b) 를 따라, 당해 외주연부 (75) 와의 맞닿음부 (83) 에서의 맞닿음 상태를 유지한 채로, 저변부를 향해 활강하도록 하면서 순조롭게 이동해가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편의상, 손잡이 (16) 를 청소 헤드 (14) 에 대해 둘레 방향 (R) 으로 회전시키는 설명을 했는데, 상기와 같이 손잡이 (16) 의 회전은 청소 헤드 (14) 에 대한 상대적인 것이며, 실제의 청소시의 조작에서는, 손잡이 (16) 에 대해 청소 헤드 (14) 가 둘레 방향 (R) 으로 회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손잡이 (16) 를 청소 헤드 (14) 의 청소면 (12) 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한 상태에서도, 청소 헤드 (14) 에 대해 손잡이 (16) 를 상대적으로 둘레 방향 (R) 으로 180°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음과 함께, 반전시킨 동일한 조작으로 또한 360°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침대 밑 등의 높이가 낮은 공간에 청소 헤드 (14) (청소구 본체 (11)) 를 질러넣은 경우에서도, 비틀림 동작을 가한 손잡이 (16) 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청소 헤드 (14) 를 둘레 방향 (R) 으로 회전시키면서, 청소구 (10) 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플로어면 등의 청소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청소 헤드 (14) 의 조인트 구조 (70) 는,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요크 돌기부 대향면의 외주연부의 경사부는, 반드시 오목상으로 만곡하는 만곡 경사부로 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정상부는 반드시 원호 형상으로 모따기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요크 돌기부의 대향면의 외주연부는, 요크편의 측가장자리부를 맞닿게 하여 순조롭게 이동시키는 형상이면 되고, 경사부는 직선상의 경사부 등이어도 된다. 또, 헤드측 요크부의 한 쌍의 요크 돌기부는, 반드시 융기부로서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돌출 리브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청소 용구 (10) 에서는, 청소 시트 (13) 를 착탈 교환 가능하게 장착시키는 청소 시트 장착구 (24) 가 시트 유지부로서 청소 헤드 (14) 의 상면부 (14a) 에 설치되고, 청소 헤드 (14) (청소구 본체 (11)) 의 저면부 (청소면) (12) 를 덮어 감은 청소용 시트 (13) 의 단가장자리부를 청소 시트 장착구 (24) 에 계착시켜, 청소 헤드 (14) 에 청소용 시트 (13) 를 장착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3 ∼ 도 2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유지부 (24) 로서의 청소 시트 장착구 (24) 는, 유연한 탄성 재료로 형성된 장착 부재 (90) 에 유지용 슬릿 (91) 및 개방용 슬릿 (92) 을 계착 슬릿 (24a) 으로서 형성함으로써 구성된다. 유지용 슬릿 (91) 은, 청소 시트 (13) 에 작용하는 인장력의 방향 (F) (본 실시형태에서는, 직사각형 평면 형상을 갖는 청소 헤드 (14) 의 단변 방향에 대해 평행 또는 대략 평행한 방향) 에 대해 직각 또는 대략 직각인 방향으로 연장되어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개방용 슬릿 (92) 은, 유지용 슬릿 (91) 의 중앙 부분에서 유지용 슬릿 (91) 에 연속되는, 유지용 슬릿 (91) 을 사이에 둔 일방측에 2 라인 연장되는 2 라인 슬릿 (93) 과 타방측에 유지용 슬릿 (91) 의 연장 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본 실시형태에서는 45 ∼ 75 도) 연장되는 경사 슬릿 (94) 으로 이루어지며, 또한 경사 슬릿 (94) 은, 유지용 슬릿 (91) 과 근접하는 기단부 (94a) (슬릿폭 (b1)) 와, 그 기단부 (94a) 로부터 선단측의 그 기단부 (94a) 보다 슬릿폭이 넓은 광폭부 (94b) (슬릿폭 (b2)) 로 이루어진다 (도 25 참조). 본 실시형태에서는, 광폭부 (94b) 는, 경사 슬릿 (94) 의 선단으로부터 적어도 경사 슬릿 (94) 의 연장 방향의 중앙에 이르는 영역에 형성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개방용 슬릿 (92) 의 2 라인 슬릿 (93) 은, 유지용 슬릿 (91) 을 사이에 둔 청소 헤드 (14) 의 측가장자리부측에 형성되고, 경사 슬릿 (94) 은 청소 헤드 (14) 의 중앙부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지용 슬릿 (91) 및 개방용 슬릿 (92) 이 형성되는 장착 부재 (90) 는 원호 형상 또한 띠판 형상을 가지고 있고, 직사각형 평면 형상을 갖는 청소 헤드 (14) 의 장변 방향의 양측 부분을 단변 방향으로 횡단하여, 청소 헤드 (14) 의 상면부 (14a) 에 일체로 되어 1 쌍 장착되어 있다. 청소 시트 장착구 (24) 는, 이들 원호 형상 또한 띠판 형상의 장착 부재 (90) 의 양단 부분에 배치되어 각 2 개 지점에 설치됨으로써, 청소 헤드 (14) 의 상면부 (14a) 의 코너 부분에 근접하여 합계 4 개 지점에 설치되어 있고, 개방용 슬릿 (92) 의 경사 슬릿 (94) 은, 각각 장착 부재 (90) 의 원호 형상의 접선 방향과 평행 또는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청소 헤드 (14) 의 상면부 (14a) 의 장변 방향의 양측 부분에는, 장착 부재 (90) 를 끼워 붙이기 위한 끼워 붙임 개구 (95) 가, 장착 부재 (90) 의 평면 형상과 대응하는 원호 형상 또한 띠판 형상으로 절결 형성됨과 함께, 원호 형상의 오목부측을 대향시킨 대칭인 위치에 배열 형성되어, 1 쌍 형성되어 있다 (도 24 참조). 이들 끼워 붙임 개구 (95) 에는, 장착 부재 (90) 가 각각 끼워 넣어짐으로써, 청소 시트 장착구 (24) 가 양 단부에 설치된 1 쌍의 장착 부재 (90) 가 청소 헤드 (14) 의 상면부 (14a) 에 각각 일체로 끼워 붙여 고정된다 (도 23 참조).
장착 부재 (90) 의 양 단부에 각각 설치된 청소 시트 장착구 (24)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장착 부재 (90) 에 유지용 슬릿 (91) 및 개방용 슬릿 (92) 을 형성함으로써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지용 슬릿 (91) 은 도 2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린 각 (θ4) 이 60 ∼ 120°정도 (본 실시형태에서는 90°) 의 톱니 형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톱니가 연속되는 방향이 청소 시트 (13) 에 작용하는 주된 인장력의 방향 (F) 인, 청소 헤드 (14) 의 단변 방향에 대해 평행 또는 대략 평행한 방향에 대해, 직각 또는 대략 직각인 방향이 되도록 연장되어 형성된다. 열린 각 (θ4) 이 60 ∼ 120 °정도이면, 청소 시트 (13) 를 장착하기 쉽고, 또한, 청소 시트 (13) 에 작용하는 인장력에 대항하여 청소 시트 (13) 가 부주의하게 유지용 슬릿으로부터 잘 빠지지 않게 된다. 유지용 슬릿 (91) 은 0.3 ∼ 0.7 ㎜ 정도의 슬릿폭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장착 부재 (90) 의 상면측으로부터 이면측으로 향해 슬릿폭을 점차 확대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지용 슬릿 (91) 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연속하여, 개방용 슬릿 (92) 이 형성된다.
개방용 슬릿 (92) 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지용 슬릿 (91) 을 사이에 둔 청소 헤드 (14) 의 장변 부분을 따른 측가장자리부측에 설치되는 2 라인 슬릿 (93) 과, 유지용 슬릿 (91) 을 사이에 둔 청소 헤드 (14) 의 장변 부분을 따른 측가장자리부와는 반대의, 청소 헤드 (14) 의 중앙부측에 설치되는 경사 슬릿 (94) 으로 이루어진다. 2 라인 슬릿 (93) 은, 유지용 슬릿 (91) 의 중앙부의 톱니 슬릿과 연속하여, 유지용 슬릿 (91) 의 열린 각 (θ4) 과 동일한 60 ∼ 120°정도의 열린 각 (θ5) 으로, 장변 부분을 따른 측가장자리부측을 향하여 슬릿간의 간격을 넓히도록 하여 V 자 형상의 V 자 슬릿으로서 형성된다. 2 라인 슬릿 (93) 은 0.3 ∼ 0.7 ㎜ 정도의 슬릿폭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장착 부재 (90) 의 상면측으로부터 이면측으로 향하여 슬릿폭을 점차 확대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 슬릿 (94) 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2 라인 슬릿 (93) 이 연속되는 유지용 슬릿 (91) 의 중앙부의 톱니의 정상부로부터, 2 라인 슬릿 (93) 과는 유지용 슬릿 (91) 을 사이에 둔 반대측에 연속하여 형성된다. 또, 경사 슬릿 (94) 은, 청소 시트 (13) 에 작용하는 인장력의 방향 (F) (본 실시형태에서는, 직사각형 평면 형상을 갖는 청소 헤드 (14) 의 단변 방향에 대해 평행 또는 대략 평행한 방향) 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서 장착 부재 (90) 의 원호 형상의 접선 방향과 평행 또는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경사 슬릿 (94) 은, 유지용 슬릿 (91) 과 근접하는 기단부 (94a) 의 슬릿폭 (b1) 이 0.3 ∼ 0.7 ㎜ 정도, 당해 기단부 (94a) 로부터 선단측 부분의 광폭부 (94b) 의 슬릿폭 (b2) 이 0.7 ∼ 1.3 ㎜ 정도로 되어 있어, 기단부 (94a) 의 슬릿폭 (b1) 보다, 광폭부 (94b) 의 슬릿폭 (b2) 이 넓어져 있다. 경사 슬릿 (94) 은, 장착 부재 (90) 의 상면측으로부터 이면측으로 향하여 슬릿폭을 점차 확대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6a, 도 26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방용 슬릿 (92) 의 2 라인 슬릿 (93) 및 경사 슬릿 (94) 의 선단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 이들 슬릿 (93, 94) 의 적어도 선단 부분의 개구 가장자리부를 따라, 보강 리브 (96) 가 장착 부재 (90) 의 이면측에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2 라인 슬릿 (93) 이나 경사 슬릿 (94) 의 선단 부분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보강 리브 (96) 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청소 시트 장착구 (24) 에 대한 청소 시트 (13) 의 착탈 조작이 반복하여 실시되어도, 2 라인 슬릿 (93) 및 경사 슬릿 (94) 의 선단이 찢어져 파단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장착 부재 (90) 는 유연한 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데, 재질로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LLDPE) 등의 폴리올레핀이나 각종 엘라스토머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구성을 구비하는 본 실시형태의 청소구 (10) 에서는, 청소 시트 (13) 를 청소 헤드 (14) 에 장착하려면, 청소 시트 (13) 를 청소 헤드 (14) (청소구 본체 (11)) 의 청소면이 되는 저면부 (12) 에 감아 청소 시트 (13) 의 양측 가장자리부를 상면부 (14a) 상에 위치시킨다. 그런 후에, 청소 시트 (13) 의 측가장자리부를 손가락으로 청소 시트 장착구 (24) 로 향하여 밀어넣어, 청소 시트 장착구 (24) 를 변형시킨다. 이 상태에서 손가락을 떼면 청소 시트 장착구 (24) 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하여, 청소 시트 (13) 의 측가장자리부가 청소 시트 장착구 (24) 의 유지용 슬릿 (91) 에 물려들어감으로써 계착 유지된다. 이로써 청소 시트 (13) 가 청소 헤드 (14) (청소구 본체 (11)) 에 장착된다 (도 1 참조).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청소구 (10) 에 의하면, 청소 헤드 (14) 에 장착된 청소 시트 (13) 를 잘 빠지지 않게 할 수 있음과 함께, 청소 시트 (13) 를 장착할 때의 작업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청소 시트 장착구 (24) 의 유지용 슬릿 (91) 은, 청소 시트 (13) 에 작용하는 인장력의 방향 (F) 에 대해 직각 또는 대략 직각인 방향으로 연장되어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청소 시트 장착구 (24) 에 밀어넣어진 청소 시트 (13) 의 측가장자리부를 강고하게 계착하여, 청소 시트 (13) 를 청소시에 잘 빠지지 않게 할 수 있다. 또 유지용 슬릿 (91) 의 중앙 부분에서 연속되는 개방용 슬릿 (92) 의 2 라인 슬릿 (93) 이, 일정 각도의 열린 각 (θ5) 으로, 청소 헤드 (14) 의 장변 부분을 따른 측가장자리부측을 향하여 슬릿간의 간격을 넓히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청소 시트 (13) 에 작용하는 인장력에 대해 청소 시트 (13) 를 보다 강고하게 계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개방용 슬릿 (92) 의 경사 슬릿 (94) 은, 유지용 슬릿 (91) 의 연장 방향에 대해 일정 각도로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있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원호 형상 또한 띠판 형상의 장착 부재 (90) 의 접선 방향과 평행 또는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또 유지용 슬릿 (91) 과 근접하는 기단부 (94a) 의 슬릿폭 (b1) 보다, 당해 기단부 (94a) 로부터 선단측 부분의 광폭부 (94b) 의 슬릿폭 (b2) 이 넓어져 있으므로, 청소 시트 (13) 의 측가장자리부를 손가락으로 청소 시트 장착구 (24) 로 향하여 밀어넣을 때에 밀어넣기 쉬워지고 따라서, 청소 시트 (13) 를 계착하기 쉬워져, 청소 시트 (13) 를 장착할 때의 작업성을 한층 더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장착 부재 (90) 는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장착 부재는, 반드시 원호 형상 또한 띠판 형상을 구비하고 있을 필요는 없고, 경사 슬릿은, 반드시 장착 부재의 원호 형상의 접선 방향과 평행 또는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필요는 없다. 또, 2 라인 슬릿 및 경사 슬릿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반드시 보강 리브를 설치할 필요는 없다.
또, 유지용 슬릿은 톱니 형상 외에 파형 형상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소구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베이스체의 하면의 파형 요철면부는, 반드시 원형상의 파문상으로 확장되는 요철면의 일부로서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도 27a, 도 27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름모꼴 형상으로 파문상으로 확장되는 요철면의 일부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파문상으로 확장되는 요철면은, 베이스체의 중심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파문상으로 확장되는 요철면 외에, 중심 부분으로부터 어긋난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파문상으로 확장되는 요철면이어도 된다. 또, 중심 부분이 복수개 있어도 된다. 또한, 파형 요철면부는 도 27c ∼ 도 27f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문상 이외의 그 밖의 형상의 것이어도 된다. 또한, 도 27c ∼ 도 27f 는 계곡부를 모식적으로 그린 도면이다.
또, 돌출 리브는, 반드시 산부의 폭방향으로 설치된 선상 리브편일 필요는 없고, 점상의 돌출 리브이어도 된다. 청소구 본체는, 직사각형 평면 형상 이외의 타원형, 장원형 등, 그 밖의 여러 가지 평면 형상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반드시 보조 파형 요철면부나 중앙 파형 요철면부를 형성할 필요는 없다. 경사 유도부 (경사 계곡부) 는, 직선상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도 27c ∼ 도 27f 참조).
또, 계곡부의 저부나 산부의 정상부는 평면이거나 곡면이어도 된다. 청소 헤드의 하면과 베이스체 사이에 개재시키는 쿠션재는 1 매이거나 3 매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베이스체는 주형 (注型) 성형이나 사출 성형 등의 일반적인 제조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상기 실시형태의 청소구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는 청소구 (도 2a, 도 2b, 도 3 참조) 를 이용하여, 하기의 청소 방법에 의해 피청소면의 청소 작업을 실시하고, 청소구 본체 (11) 의 청소면 (12) 을 덮어 장착된 청소 시트 (13) 에 대한 먼지나 머리카락이나 쓰레기 등의 고형물의 부착 상황을 관찰했다. 시험 결과를 도 28 에 나타낸다.
〔청소 방법〕
청소 장소 : 일반 가정 (부부, 초·중학생 자녀 2 명인 4 인 가족) 실내견 1 마리
청소 범위 : 플로어링 다다미 약 25 장, 복도, 계단
청소 시트 (상품명) : 퀴클 와이퍼·드라이 시트 (카오 주식회사 제조)
베이스체 : 재질 우레탄 수지
치수 255 ㎜ × 100 ㎜
제조 방법 주형 성형
돌출 리브의 높이 0.5 ㎜
돌출 리브의 길이 3 ㎜
돌출 리브의 폭 0.5 ㎜
계곡부의 깊이 1 ㎜
파형 요철면부의 산부의 정상부 간격 10 ㎜
쿠션재 : 발포 우레탄 스펀지
상측 스펀지재
치수 245 ㎜ × 90 ㎜ × 3 ㎜
하측 스펀지재
치수 210 ㎜ × 65 ㎜ × 3 ㎜
통상적인 청소를 실시하고, 그대로 통상적인 생활. 다음날에 본원의 청소구를 사용하여 상기 청소 범위를 청소했다.
도 28 에 나타낸 시험 결과에 의하면, 본 발명의 청소구를 사용함으로써, 청소구 본체의 청소면을 덮어 장착된 청소 시트의 광범위한 영역에 먼지나 머리카락이나 쓰레기 등의 고형물을 부착시켜, 피청소면의 청소를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청소구에 의하면, 청소구 본체의 청소면을 덮어 장착된 청소 시트의 광범위한 영역에 먼지나 머리카락이나 쓰레기 등의 고형물을 부착시키면서, 피청소면에 먼지 등이 불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어도 청소 시트 전체에 먼지 등을 분산시킬 수 있어 피청소면의 청소를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파이프의 연결 구조를 구비하고 있으면, 손잡이를 구성하는 각 1 쌍의 원통상 파이프를 한층 더 순조롭게 연결할 수 있고, 또는 사용시에 걸어맞춤 돌기가 수측 돌기 삽입공으로부터 잘 빠지지 않게 할 수 있고, 혹은 원통상 파이프를 바닥에 떨어뜨린 경우에, 슬리브상 부재의 걸어맞춤 돌기 등이 구부러지거나 파손되거나 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손잡이에 상기 서술한 엔드캡을 설치하면, 청소구의 손잡이를 벽면 등에 기대어 세워놓았을 때의 안정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청소구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서술한 청소 헤드의 조인트 구조를 구비하고 있으면, 손잡이를 청소 헤드와 대략 평행하게 배치한 상태에서도, 조인트부를 중심으로 하는 둘레 방향으로 손잡이를 순조롭게 회전 가능하게 하여, 높이가 낮거나 폭이 좁은 공간에서도, 손잡이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청소 헤드를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효율적으로 청소시킬 수 있다.
상기 서술한 청소 시트 장착구를 구비하고 있으면, 청소 헤드에 장착된 청소 시트를 잘 빠지지 않게 할 수 있음과 함께, 청소 시트를 장착할 때의 작업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5)

  1. 청소 헤드와, 그 청소 헤드의 하면을 덮어 장착된 베이스체로 이루어지는 청소구 본체와, 상기 청소 헤드의 하면과 반대측면에 장착된 핸들부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체의 하면에 의한 청소면을 덮어 청소 시트가 장착되고, 그 청소 시트에 의해 피청소면을 불식하는 청소구로서,
    상기 베이스체의 하면은, 상기 청소구 본체에 의해 청소를 실시하는 소정 방향과, 평면에서 보아 수직인 방향에서의 단면이 산부와 계곡부가 교대로 연속 배치된 파형 단면 형상으로 되어 있는 파형 요철면부를 구비하고 있고,
    그 파형 요철면부의 상기 계곡부는, 상기 베이스체의 상기 소정 방향과 대향하는 변부에 단부가 개구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소정 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연장되어 있는 경사 계곡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파형 요철면부는, 상기 베이스체의 전체면에 파문상으로 확장되는 요철면의 일부로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파문상으로 확장되는 요철면은, 상기 베이스체의 전체면에 원형상 또는 마름모꼴 형상으로 확장되는 요철면인 청소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 요철면부의 상기 산부에는, 적어도 상기 계곡부의 경사 계곡부를 따른 부분에, 당해 산부의 정상부로부터 돌출하는 돌출 리브가 상기 정상부의 연장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어 있는 청소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리브는, 상기 산부의 폭방향으로 설치된 선상 리브편으로 되어 있는 청소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선상 리브편은, 상기 소정 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설치되어 있는 청소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구 본체는, 직사각형 평면 형상을 가지고 있고, 상기 베이스체의 상기 소정 방향과 대향하는 변부는, 상기 직사각형 평면 형상의 장변부인 청소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체의 하면은, 상기 소정 방향에서의 단면이 산부와 계곡부가 교대로 연속 배치된 파형 단면 형상으로 되어 있는 보조 파형 요철면부를 구비하고 있고,
    그 보조 파형 요철면부의 상기 계곡부는, 상기 베이스체의 상기 직사각형 평면 형상의 단변부에 단부가 개구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단변부에 대해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보조 경사 계곡부를 가지고 있는 청소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파형 요철면부의 상기 산부에는, 적어도 상기 계곡부의 보조 경사 계곡부를 따른 부분에, 당해 산부의 정상부로부터 돌출하는 돌출 리브가 상기 정상부의 연장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어 있는 청소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헤드의 하면과 상기 베이스체 사이에 개재시켜, 쿠션재가 상기 청소 헤드의 하면의 대략 전체 영역에 걸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쿠션재에 의해 상기 베이스체를 압출하여 상기 베이스체의 하면을 만곡 형상으로 돌출시킨 상태로부터, 상기 핸들부에 의한 상기 청소구 본체에 대한 가압력에 의해 상기 쿠션재가 찌부러져, 상기 청소 시트에 의해 덮인 상기 베이스체의 하면을 평탄한 면으로 하는 청소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손잡이로, 그 손잡이는, 1 쌍의 원통상 파이프를 축방향으로 연결 일체화하는 파이프의 연결 구조에 의해 복수의 원통상 파이프를 연결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그 파이프의 연결 구조는, 일방의 원통상 파이프의 수측 단부를 타방의 원통상 파이프의 암측 단부에 삽입하고, 수측 돌기 삽입공과 암측 돌기 삽입공을 합치시켜 외측으로부터 걸어맞춤 돌기가 걸려짐과 함께, 상기 수측 단부와 상기 암측 단부의 이음매부를 외측으로부터 덮어 슬리브상 부재가 장착됨으로써 구성되어 있고,
    상기 암측 단부에는, 상기 암측 돌기 삽입공으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이간된 부분에 있어서, 상기 암측 단부의 내주면보다 내측에 돌출하는 위치 결정 안내 리브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측 단부에는, 상기 수측 돌기 삽입공으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이간된 부분에 있어서, 당해 수측 단부의 선단 가장자리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위치 결정 안내 리브와 대응하는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암측 단부의 상기 위치 결정 안내 리브를 상기 수측 단부의 안내홈에 걸어 안내시키면서, 상기 수측 돌기 삽입공이 상기 암측 돌기 삽입공에 합치될 때까지 상기 수측 단부가 상기 암측 단부에 삽입되는 청소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손잡이로, 그 손잡이는, 1 쌍의 원통상 파이프를 축방향으로 연결 일체화하는 파이프의 연결 구조에 의해 복수의 원통상 파이프를 연결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그 파이프의 연결 구조는, 일방의 원통상 파이프의 수측 단부를 타방의 원통상 파이프의 암측 단부에 삽입하고, 수측 돌기 삽입공과 암측 돌기 삽입공을 합치시켜 외측으로부터 걸어맞춤 돌기가 걸려짐과 함께, 상기 수측 단부와 상기 암측 단부의 이음매부를 외측으로부터 덮어 슬리브상 부재가 장착됨으로써 구성되어 있고,
    상기 슬리브상 부재에는, 상기 이음매부를 덮는 부분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고, 상기 암측 단부의 단면이 후방으로부터 맞닿는 맞닿음 리브가, 둘레 방향으로 연속 또는 단속하여 형성되어 있고, 그 맞닿음 리브에는, 상기 슬리브상 부재의 선단측을 향하여 직경 방향 외방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삽입 가이드 경사부가, 둘레 방향으로 연속 또는 단속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면을 상기 맞닿음 리브의 맞닿음면에 맞닿게 하여 상기 타방의 원통상 파이프의 상기 암측 단부에 슬리브상 부재를 장착한 상태로, 상기 일방의 원통상 파이프의 상기 수측 단부가, 상기 삽입 가이드 경사부에 안내되어 암측 단부에 삽입되는 청소구.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손잡이로, 그 손잡이의 상단부에 엔드캡이 장착되어 있고, 그 엔드캡은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장착공을 통하여 상기 손잡이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있고, 또한 상기 손잡이의 단면부를 덮어 배치되는 피복 단면이, 상기 손잡이의 중심축 방향과 수직인 면에 대해 경사면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엔드캡의 테이퍼상의 선단 가장자리 부분은, 상기 손잡이의 중심축 방향을 중심으로 하는 직경 방향의 내방 및 외방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쿠션부를 형성하고 있는 청소구.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손잡이로, 그 손잡이를 상기 청소 헤드와 대략 평행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를 조인트부를 중심으로 하는 둘레 방향으로 360 도 회전 가능하게 하는 청소 헤드의 조인트 구조를 구비하고 있고, 그 청소 헤드의 조인트 구조는, 상기 청소 헤드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설치된 두 갈래상의 헤드측 요크부와, 상기 손잡이의 하단부에 설치된 두 갈래상의 손잡이측 요크부를, 중심축이 직교하는 제 1 회전 운동 축심부와 제 2 회전 운동 축심부를 구비하는 연결 부재를 통하여 연결함으로써, 상하 방향 및 둘레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상기 조인트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헤드측 요크부를 구성하는 1 쌍의 요크 돌기부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각 대향면은, 정상부의 양측에 경사부를 구비하는 대칭인 산형상의 외주연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손잡이측 요크부를 구성하는 1 쌍의 요크편은, 상기 1 쌍의 요크 돌기부의 상기 대향면간의 간격폭과 대략 동일한 가로폭을 가지고 있고,
    상기 손잡이를 상기 청소 헤드와 대략 평행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어느 일방의 상기 요크편의 측가장자리부는, 어느 일방의 상기 요크 돌기부의 상기 대향면의 외주연부와 맞닿음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의 상기 청소 헤드와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의 둘레 방향으로의 회전에 수반하여, 어느 일방의 상기 요크편의 측가장자리부를, 어느 일방의 상기 요크 돌기부의 상기 대향면의 외주연부를 따라 올라타도록 하거나, 또는 활강하도록 하여 이동 가능하게 한 청소구.
  13. 제 1 항에 있어서,
    청소 시트를 착탈 교환 가능하게 장착시키는 청소 시트 장착구가 상기 청소 헤드의 상면부에 설치되고, 청소 헤드의 저면부를 덮어 감은 청소용 시트의 단가장자리부를 청소 시트 장착구에 계착시켜, 상기 청소 헤드에 청소용 시트를 장착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청소 시트 장착구는, 장착 부재에 유지용 슬릿 및 개방용 슬릿을 형성함으로써 구성되고, 상기 유지용 슬릿은, 상기 청소 시트에 작용하는 인장력의 방향에 대해 직각 또는 대략 직각인 방향으로 연장되어 톱니 형상 또는 파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방용 슬릿은, 상기 유지용 슬릿의 중앙 부분에서 상기 유지용 슬릿에 연속되는, 상기 유지용 슬릿을 사이에 끼운 일방측에 2 라인 연장되는 2 라인 슬릿과, 타방측에 상기 유지용 슬릿의 연장 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경사 슬릿으로 이루어지며,
    또한 상기 경사 슬릿은, 상기 유지용 슬릿과 근접하는 기단부와, 그 기단부로부터 선단측의 그 기단부보다 슬릿폭이 넓은 광폭부로 이루어지는 청소구.
  14. 삭제
  15. 삭제
KR1020127022907A 2010-02-12 2011-02-10 청소구 KR1013690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29087 2010-02-12
JPJP-P-2010-029087 2010-02-12
JP2010222784A JP5631140B2 (ja) 2010-09-30 2010-09-30 清掃用具
JPJP-P-2010-222545 2010-09-30
JPJP-P-2010-222551 2010-09-30
JP2010222545 2010-09-30
JP2010222551A JP5631139B2 (ja) 2010-09-30 2010-09-30 清掃ヘッドのジョイント構造
JPJP-P-2010-222784 2010-09-30
JPJP-P-2011-022672 2011-02-04
JP2011022673A JP5295282B2 (ja) 2011-02-04 2011-02-04 パイプの連結構造
JP2011022672A JP5492111B2 (ja) 2011-02-04 2011-02-04 パイプの連結構造
JPJP-P-2011-022673 2011-02-04
PCT/JP2011/052867 WO2011099561A1 (ja) 2010-02-12 2011-02-10 清掃具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2596A Division KR101369133B1 (ko) 2010-02-12 2011-02-10 파이프의 연결 구조 및 청소구
KR1020127032597A Division KR101369025B1 (ko) 2010-02-12 2011-02-10 파이프의 연결 구조 및 청소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8492A KR20120118492A (ko) 2012-10-26
KR101369028B1 true KR101369028B1 (ko) 2014-02-28

Family

ID=4436783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2596A KR101369133B1 (ko) 2010-02-12 2011-02-10 파이프의 연결 구조 및 청소구
KR1020127022907A KR101369028B1 (ko) 2010-02-12 2011-02-10 청소구
KR1020127032597A KR101369025B1 (ko) 2010-02-12 2011-02-10 파이프의 연결 구조 및 청소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2596A KR101369133B1 (ko) 2010-02-12 2011-02-10 파이프의 연결 구조 및 청소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2597A KR101369025B1 (ko) 2010-02-12 2011-02-10 파이프의 연결 구조 및 청소구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793831B2 (ko)
EP (1) EP2534994B1 (ko)
KR (3) KR101369133B1 (ko)
CN (3) CN105476574B (ko)
AU (1) AU2011215221B2 (ko)
MY (3) MY174805A (ko)
RU (1) RU2532159C2 (ko)
SG (3) SG192549A1 (ko)
TW (4) TWI645825B (ko)
WO (1) WO20110995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13531A1 (en) * 2012-07-10 2014-01-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loor cleaning tool
CN102727148B (zh) * 2012-07-16 2014-08-13 王永东 拖把软胶底板
USD719712S1 (en) * 2012-09-07 2014-12-16 Diversey, Inc. Floor maintenance tool
FI126215B (fi) * 2014-03-05 2016-08-31 Sinituote Oy Moppirunko
JP6407650B2 (ja) * 2014-09-30 2018-10-17 株式会社エルメックス 拭き取り検査キット
KR101711484B1 (ko) 2015-02-05 2017-03-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파이프 청소장치
WO2017131912A1 (en) 2016-01-29 2017-08-03 Unger Marketing International, Llc Hard surface cleaning devices for use with cleaning fabrics
EP3275599B1 (de) * 2016-07-25 2019-01-09 Andreas Stihl AG & Co. KG Anordnung aus gehäuse und führungsrohr und handgeführtes arbeitsgerät mit einer anordnung aus gehäuse und führungsrohr
JP6219475B1 (ja) * 2016-09-30 2017-10-25 大王製紙株式会社 清掃用ヘッド及び清掃具
KR101774174B1 (ko) * 2016-11-23 2017-09-01 서상일 유리창 및 바닥 세척장치
DE102018106942B4 (de) * 2017-04-10 2020-09-10 Vorwerk & Co. Interholding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Wischtuch
JP6491695B2 (ja) 2017-06-14 2019-03-27 大王製紙株式会社 掃除具
JP6635983B2 (ja) * 2017-06-19 2020-01-29 大王製紙株式会社 掃除具
JP2020075059A (ja) * 2018-11-09 2020-05-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具用の清掃ヘッド、上記清掃ヘッドを備える清掃具、清掃シートの、上記清掃具への使用、及び上記清掃具用の清掃シート
JP7018867B2 (ja) * 2018-11-09 2022-02-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具用の清掃ヘッド、上記清掃ヘッドを備える清掃具、清掃シートの、上記清掃具への使用、及び上記清掃具用の清掃シート
USD903211S1 (en) * 2020-07-23 2020-11-24 Hongtao Gao Dog pooper scooper rod
DE102021104030A1 (de) * 2021-02-19 2022-09-08 Pfennig Reinigungstechnik Gmbh Halter für einen Wischbezug, Wischbezug und Reinigungsvorrichtung
USD1018228S1 (en) * 2023-10-24 2024-03-19 Ruihong Lin Connector for a pole saw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5799A (ja) * 1995-11-13 1997-05-27 Dainippon Jochugiku Co Ltd 拭き掃除具
JP2003184835A (ja) 2001-10-09 2003-07-03 Togo Seisakusho Corp 接続具及びその接続具を備えた柄部材
JP2007054337A (ja) 2005-08-25 2007-03-08 Yamazaki Corp 清掃用ヘッド及び清掃用具
JP2008511409A (ja) 2004-09-01 2008-04-17 アンガー・マーケティング・インターナショナル・エルエルシー 塵埃集め用突起を有する床拭きモップ

Family Cites Families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68263U (ko) 1972-09-22 1974-06-14
JPS6021421Y2 (ja) 1980-09-12 1985-06-26 津田駒工業株式会社 流体噴射式織機の緯糸検知装置
JPS63150663U (ko) 1987-03-23 1988-10-04
JPH0318118A (ja) 1989-06-15 1991-01-25 Hitachi Ltd Mosfetのドライブ回路
JPH0318118U (ko) * 1989-07-05 1991-02-22
JPH04114620A (ja) 1990-09-01 1992-04-15 Hookii:Kk 拭き掃除具
JP3018118B2 (ja) * 1991-06-18 2000-03-13 株式会社竹中工務店 大口径の開口のある梁の製造法
JPH0621421U (ja) 1992-06-30 1994-03-22 クロスター産業株式会社 手提付きバック
JPH0662960A (ja) 1992-08-18 1994-03-08 Iseki Eng Kk 穀類処理方法
JP2607207B2 (ja) 1992-09-04 1997-05-07 株式会社ホーキイ 拭き掃除具
JP2507300Y2 (ja) 1993-02-10 1996-08-14 花王株式会社 清掃用具
JP2981110B2 (ja) 1993-03-01 1999-11-22 花王株式会社 清掃用具
JP3018118U (ja) * 1995-05-16 1995-11-14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グリップエンド
JP3625931B2 (ja) 1995-11-27 2005-03-02 花王株式会社 掃除具
JP3170442B2 (ja) * 1995-12-28 2001-05-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掃除用具
JPH09206205A (ja) 1996-01-31 1997-08-12 Nippon Chiyouriki Kk 炊飯装置および炊飯システム
JP3626273B2 (ja) 1996-02-26 2005-03-02 株式会社ホーキイ 拭き掃除具
JP3432109B2 (ja) 1996-05-02 2003-08-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掃除用具
JPH09327428A (ja) * 1996-06-12 1997-12-22 Duskin Co Ltd 清掃用部材の保持具
JP3367338B2 (ja) 1996-06-20 2003-01-1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ドアパーティションサッシュのエンドキャップ取付構造
JPH1033445A (ja) * 1996-07-22 1998-02-10 Dainippon Jochugiku Co Ltd 清掃具
JP3033999U (ja) * 1996-07-25 1997-02-07 大日本除虫菊株式会社 清拭具
JP3027345B2 (ja) 1997-05-15 2000-04-04 花王株式会社 掃除具
JPH11206662A (ja) 1998-01-23 1999-08-03 Minnesota Mining & Mfg Co <3M> 清掃用具
US20020050016A1 (en) 2000-02-24 2002-05-02 Willman Kenneth William Cleaning sheets comprising a polymeric additive to improve particulate pick-up and minimize residue left on surfaces and cleaning implements for use with cleaning sheets
TR200101720T2 (tr) * 1998-12-16 2002-01-21 Uni-Charm Corporation Temizlik ürünü ve buna mahsus üretim yöntemi.
US6317917B1 (en) * 1999-12-10 2001-11-20 Hsing-Yuan Hsu Structure paper mop board facing
JP4067257B2 (ja) * 1999-12-21 2008-03-26 花王株式会社 パイプの連結構造
WO2001045546A1 (en) 1999-12-21 2001-06-28 Kao Corporation Pipe connecting structure and cleaning tool
JP2002147421A (ja) 2000-11-10 2002-05-22 Kao Corp パイプの連結構造
JP2001238839A (ja) * 2000-02-29 2001-09-04 Tokai:Kk 払拭具
JP3625045B2 (ja) * 2000-04-19 2005-03-02 花王株式会社 清掃具
JP4412816B2 (ja) 2000-06-15 2010-02-10 花王株式会社 パイプの連結構造
DE10153801B4 (de) * 2001-11-05 2008-08-28 Carl Freudenberg Kg Wischerplatte für ein Reinigungsgerät
JP2004180896A (ja) 2002-12-03 2004-07-02 Fuse Kagaku Kogyo:Kk 柄付き清掃具類の吊り下げ用キャップ
JP2005103196A (ja) 2003-10-02 2005-04-21 Kaoru Nakatani モップ基台
JP2005168972A (ja) * 2003-12-15 2005-06-30 Sanpack:Kk モップヘッド
GB2411578A (en) * 2004-03-04 2005-09-07 Reckitt Benckiser Inc Cleaning implement
GB0413341D0 (en) 2004-06-15 2004-07-21 Cavendish Kinetics B V Arrange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micromechanical element
WO2006113252A2 (en) * 2005-04-13 2006-10-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implement
JP4698279B2 (ja) 2005-05-02 2011-06-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具
JP2007082723A (ja) * 2005-09-21 2007-04-05 Kao Corp パイプの連結構造
JP4721980B2 (ja) 2006-08-04 2011-07-13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4646949B2 (ja) * 2007-05-08 2011-03-09 花王株式会社 パイプの連結構造
JP5124304B2 (ja) 2008-02-12 2013-01-23 花王株式会社 清掃具
AU333196S (en) 2010-02-10 2010-10-13 Kao Corp Floor wiper
USD660536S1 (en) * 2010-10-26 2012-05-22 Quickie Manufacturing Corporation Clean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5799A (ja) * 1995-11-13 1997-05-27 Dainippon Jochugiku Co Ltd 拭き掃除具
JP2003184835A (ja) 2001-10-09 2003-07-03 Togo Seisakusho Corp 接続具及びその接続具を備えた柄部材
JP2008511409A (ja) 2004-09-01 2008-04-17 アンガー・マーケティング・インターナショナル・エルエルシー 塵埃集め用突起を有する床拭きモップ
JP2007054337A (ja) 2005-08-25 2007-03-08 Yamazaki Corp 清掃用ヘッド及び清掃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60705B (zh) 2019-06-01
US20130000064A1 (en) 2013-01-03
MY175012A (en) 2020-06-02
TW201134447A (en) 2011-10-16
KR101369025B1 (ko) 2014-02-28
TW201611769A (en) 2016-04-01
CN102753076A (zh) 2012-10-24
CN105476574A (zh) 2016-04-13
TW201611771A (en) 2016-04-01
CN105476574B (zh) 2018-06-26
TWI660706B (zh) 2019-06-01
SG192549A1 (en) 2013-08-30
KR20120118492A (ko) 2012-10-26
AU2011215221B2 (en) 2014-03-13
EP2534994A4 (en) 2017-08-09
SG193147A1 (en) 2013-09-30
RU2012139016A (ru) 2014-03-20
KR20130014601A (ko) 2013-02-07
AU2011215221A1 (en) 2012-09-20
TW201611770A (en) 2016-04-01
US8793831B2 (en) 2014-08-05
SG183182A1 (en) 2012-09-27
CN105476568B (zh) 2018-07-13
KR20130014600A (ko) 2013-02-07
EP2534994A1 (en) 2012-12-19
CN102753076B (zh) 2016-01-20
TWI645824B (zh) 2019-01-01
TWI645825B (zh) 2019-01-01
RU2532159C2 (ru) 2014-10-27
EP2534994B1 (en) 2021-03-31
MY174805A (en) 2020-05-15
WO2011099561A1 (ja) 2011-08-18
KR101369133B1 (ko) 2014-03-04
CN105476568A (zh) 2016-04-13
MY165926A (en) 2018-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9028B1 (ko) 청소구
EP0968677B1 (en) Cleaning cloth and cleaning apparatus
JP5681239B2 (ja) 清掃具
JP5314711B2 (ja) 清掃具用エンドキャップ付き柄
TW200538079A (en) Cleaning tool and holding member used for the same
JP3224680U6 (ja) 洗浄拭き取り具
JPS6033944Y2 (ja) 歯磨き具
JP7085091B2 (ja) 掃除補助具及び掃除機
JP6524168B2 (ja) 掃除具
KR200467837Y1 (ko) 빗자루
JP4024518B2 (ja) 清掃具
JP5631140B2 (ja) 清掃用具
AU755363B2 (en) Cleaning cloth and cleaning apparatus
KR20110119905A (ko) 브러쉬를 교체할 수 있는 작업공구
JPH10137154A (ja) 指先洗浄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