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4174B1 - 유리창 및 바닥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유리창 및 바닥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4174B1
KR101774174B1 KR1020160156695A KR20160156695A KR101774174B1 KR 101774174 B1 KR101774174 B1 KR 101774174B1 KR 1020160156695 A KR1020160156695 A KR 1020160156695A KR 20160156695 A KR20160156695 A KR 20160156695A KR 101774174 B1 KR101774174 B1 KR 101774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glass
cleaning
support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6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상일
Original Assignee
서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상일 filed Critical 서상일
Priority to KR1020160156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4174B1/ko
Priority to PCT/KR2016/013574 priority patent/WO2018097349A1/ko
Priority to CN201680086198.7A priority patent/CN109310249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4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4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00Cleaning windows
    • A47L1/06Hand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창 및 바닥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슬라이딩 창문에서, 외측 창문(20)의 프레임(22)과 내측 창문(10)의 유리(14) 사이 또는 외측 창문(20) 외부에 설치되는 방충망의 프레임(30)과 외측 창문(20)의 유리(24) 사이 중 어느 하나에 삽입 수용되어 유리를 세척할 수 있는 유리창 및 바닥세척 장치에 있어서, 외측 창문(20)의 프레임(22) 및 방충망의 프레임(30)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이 수용되는 수용부를 일측에 포함하는 지지부(100); 및 상기 지지부(100)의 타측에 착탈되도록 연결되는 세척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부(200)가 연결된 지지부(100)는 프레임(22, 30)과 유리(14,24) 사이에 삽입 수용될 시 상기 프레임(22, 30)과 상기 유리(14,24) 외측에 밀착되며, 상기 지지부(100) 폭의 단면 형상은 굴곡을 이루는 파형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유리창 및 바닥 세척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한쌍의 슬라이드 창문의 한측 프레임과 나머지 한측 유리창에 본 발명의 세척부가 포함된 지지부를 삽입하여 창문의 슬라이딩만으로 외측 창문의 세척을 간편하게 할 수 있어 종래 비용문제, 노동력과 시간의 과다소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둘째, 통상적인 대걸레에 사용되는 지지부와 유사 또는 동일한 크기의 세척장치로 간편하게 유리창의 세척을 도모할 수 있어 보급화가 용이할 수 있다.
셋째, 슬라이드 창문의 프레임과 유리사이에 끼움 방식으로 착탈이 가능하므로 착탈의 간편하고, 착탈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흔적없이 착탈이 가능하여, 종래 외측 창 청소장치에서 지적되는 탈거시간의 장시간 소요와 탈거시 부착 흔적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 지지부의 후면부는 가로방향으로 일정한 곡률을 형성하여 세척작업의 경우 중앙부에 연결된 지지대에 의해 전달되는 압력에 의해 바닥과 수평이 되면서 지지부 전체에 균일하게 압력을 전달할 수 있어 지지부와 연결된 걸레가 균일하게 세척작업에 이용될 수 있다.
다섯째, W형 구조(단면 형상)를 형성함으로써 바닥과 접촉되는 전면과 후면에서 이물질을 흡착할 수 있어 종전보다 걸레를 전체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청소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리창 및 바닥 세척장치{A FLOOR AND WINDOW CLEANING FACILITY}
본 발명은 유리창 및 바닥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마대로 사용하여 바닥 세척 및 창문의 여닫이 운동을 통해 창문 외측유리의 세척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및 바닥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외부 유리창 청소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통상적으로 아파트, 공동주택, 일반주택, 빌딩 등과 같은 곳에서는 방음효과, 세련된 디자인 등과 같은 목적으로 내측에 유리가 장착되는 슬라이드형태의 유리 창문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유리창문은 창문틀의 구조에 맞게 슬라이드 형태의 한 쌍으로 구성되어 양측으로 각각 슬라이드 되게 구성되며, 상기 창문틀의 구조에 따라 방충망이 포함되어 구성되기 마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방음효과 및 세련된 디자인을 추구하기 위해 설치되긴 하지만 유리의 특성상 쉽게 더러워지며 미세먼지 등이 표면으로 붙어 건강을 해칠 수 있는 문제점을 갖고 있어 건물의 내측에 위치되는 유리는 이미 대중화된 세정액과 유리청소도구를 이용하여 청소하거나, 걸레를 이용하여 청소를 하고 있다.
또한, 바닥 청소의 경우, 걸레를 이용하여 엎드리거나 앉아서 청소를 수행하거나, 대걸레(마대)를 이용하여 걸레와 걸레를 막대를 연결하여 연결된 막대를 서서 밀거나 당겨 바닥청소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대걸레의 구성은 통상적으로 걸레와 걸레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형상의 지지부 및 지지부와 연결되는 막대형상의 지지대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다.
상술한 유리창과 바닥 청소에 관련된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실용신안등록 제20-0242244호(실) 유리문틀 부착 유리 세척장치와,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8929호(실)의 외부 유리창 청소장치와, 특허등록 제10-1108211호(특),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97860호 유리창 청소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의 배경기술에 의한 유리창 및 바닥 세척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창문의 내측은 손쉽게 청소가 가능한 반면에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외측 유리의 경우 빌딩과 같은 고층에 설치될 시 전문적인 청소 업체를 고용하여 청소를 위탁하여야 하지만 별도의 비용이 발생하게 되고, 창문을 문틀에서 분리하여 청소가 가능하지만 이 또한 많은 노동력이 필요로 할뿐만 아니라, 창문의 규모가 클 경우에는 사실상 청소가 외측유리의 청소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대체적으로 유리문틀에 부착 또는 결합시켜 유리를 세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실질적인 구성의 명확하게 나타나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특허등록 제10-1108211호(특)를 보면 별도의 장치를 프레임의 전면 또는 후면에 설치하여 유리를 세척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이러한 구성은 내측유리에는 가능하지만 외측유리는 세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비교적 부피가 크다 보니 보급화 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셋째, 부착형태의 구성을 보면 지속적인 사용 후 탈거할 시에는 부착부위의 흔적이 남아있기 때문에 시각적으로 미려하지 못하고, 재차 그 부위에 청소도구(청소부재)를 부착하기 위해서는 잔여물을 완전히 탈거해야 하기 때문에 탈거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넷째, 바닥 청소나 창문 청소에 대걸레를 이용하는 경우, 막대모양을 하는 지지대가 지지부를 압박하여 걸레가 바닥이나 유리를 세척하게 되는데, 이때 지지대와 지지부가 연결된 지점에서(통상적으로 중앙부에서 연결됨) 상기 지지대로 부터 전해지는 압력이 가장 강하고 그와 멀어지는 양단부는 압력이 약해 전체적으로 골고루 청소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다섯째, 대걸레를 밀어서 청소하는 경우, 통상의 대걸레 지지부는 평판형상이어서 대걸레의 지지부에 연결된 걸레 전면부에 흡착되는 이물이 집중되어 걸레를 다시 세척하여 사용해야 하는 빈도가 높아 청소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42244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8929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108211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97860호.
본 발명인 유리창 및 바닥 세척장치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래 외측 유리의 경우 빌딩과 같은 고층에 설치될 시 전문적인 청소 업체를 이용하여야는 비용의 문제점, 분리하여 청소하는 경우의 노동력과 시간의 과다 소요의 문제점, 창문의 규모가 클 경우에는 사실상 청소가 외측유리의 청소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는바, 이를 해결하고자 한다.
둘째, 종래 기술의 외측 창 청소장치의 경우 큰 부피로 인해 보급화 되기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셋째, 종래 외측 창 청소장치의 경우 사용 후 탈거시 부착부위의 흔적으로 인한 시각적으로 미려하지 못한 점, 재차 그 부위에 청소도구(청소부재)를 부착하기 위해서는 잔여물을 완전히 제거해야 하므로 탈거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는바 이를 해결하고자 한다.
넷째, 바닥 청소나 창문 청소에 대걸레를 이용하는 경우, 지지대로부터 전달되는 압력이 지지부 부위마다 달라, 지지부에 연결된 걸레 전체부위가 균일하게 청소에 사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다섯째, 대걸레 지지부의 형상이 평판형상을 띰으로 인해, 지지부에 연결된 걸레의 전면부에만 집중적으로 이물질이 흡착되어 자주 걸레를 세척해야 하고, 이로써 청소 효율성이 낮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유리창 및 바닥 세척장치는, 슬라이딩 창문과 상기 창문의 외부에 설치되는 방충망을 가지는 형태에서, 외측 창문의 프레임과 내측 창문의 유리 사이 또는 외측 창문 외부에 설치되는 방충망의 프레임과 외측 창문의 유리 사이 중 어느 하나에 삽입 수용되어 유리를 세척할 수 있는 유리창 및 바닥세척 장치에 있어서, 외측 창문의 프레임 및 방충망의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이 수용되는 수용부를 일측에 포함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타측에 착탈되도록 연결되는 세척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부가 연결된 지지부는 프레임과 유리 사이에 삽입 수용될 시 상기 프레임과 상기 유리 외측에 밀착되며, 상기 지지부 폭의 단면 형상은 굴곡을 이루는 파형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 폭 형상인 상기 굴곡을 이루는 파형 형상의 전방부는 후방부보다 높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부 길이방향의 양단부 및 중앙부에 폭의 전방부 끝단에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상부로 경사지도록 돌출되면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턱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의 후방부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상기 지지부를 관통하도록 나비너트가 삽입되는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후방부는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두부가 양측으로 돌출되어 나비형상을 하는 나비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턱의 상면에는, 상부로 개방되고 상기 돌출턱의 내부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홈; 상기 홈의 하부 내면에 하부가 연결되는 용수철; 및 상기 용수철의 상부에 하부가 연결되며, 후방으로 갈수록 상방향의 경사를 가지며 상기 돌출턱 상부의 경사보다 급한 경사를 이루는 상부를 형성하는 돌출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홈의 하부면은 상기 홈이 위치하는 부분의 상기 지지부의 하부면과 동일한 경사를 가지며, 상기 돌출돌기의 하부면은 상기 홈의 하부면과 동일한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부는, 양단부에 상기 지지부의 폭방향과 수평이 되어 관통하는 구멍을 형성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조임부재; 상기 조임부재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 관통하며 양단에 각각 전방측 두부 및 후방측 두부가 형성된 조임샤프트; 및 상기 조임샤프트의 전방측 두부와 상기 조임부재 사이의 조임샤프트에 끼워지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조임샤프트의 전방측 두부는 상기 스프링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상기 전방측 두부 전방에는 고무부재 및 롤러 중 어느 하나가 연결되고, 상기 조임샤프트의 후방측 두부는 상기 조임부재에 형성된 구멍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방부는 길이방향으로 양단부가 하방향으로 휘어지도록 곡선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방부의 말단부에 물기제거블레이드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홀 및 상기 조임부재에 형성된 구멍 중 어느 하나에 일단을 연결하고, 타단은 부착수단을 연결하는 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의 중앙부에서 작업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가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지지부의 상기 굴곡을 이루는 파형 형상의 볼록한 부분의 길이방향의 중앙부에서 접촉되어 상기 나비너트로 조임 고정되는 고정대; 및 상기 고정대와 연결되는 막대형상의 손잡이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유리창 및 바닥 세척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한쌍의 슬라이드 창문의 한측 프레임과 나머지 한측 유리창에 본 발명의 세척부가 포함된 지지부를 삽입하여 창문의 슬라이딩만으로 외측 창문의 세척을 간편하게 할 수 있어 종래 비용문제, 노동력과 시간의 과다소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둘째, 통상적인 대걸레에 사용되는 지지부와 유사 또는 동일한 크기의 세척장치로 간편하게 유리창의 세척을 도모할 수 있어 보급화가 용이할 수 있다.
셋째, 슬라이드 창문의 프레임과 유리사이에 끼움 방식으로 착탈이 가능하므로 착탈이 간편하고, 착탈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흔적없이 착탈이 가능하여, 종래 외측 창 청소장치에서 지적되는 탈거시간의 장시간 소요와 탈거시 부착 흔적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 지지부의 후면부는 가로방향으로 일정한 곡률을 형성하여 세척작업의 경우 중앙부에 연결된 지지대에 의해 전달되는 압력에 의해 바닥과 수평이 되면서 지지부 전체에 균일하게 압력을 전달할 수 있어 지지부와 연결된 걸레가 균일하게 세척작업에 이용될 수 있다.
다섯째, 굴곡을 이루는 파형 형상형 구조(단면 형상)를 형성함으로써 바닥과 접촉되는 전면과 후면에서 이물질을 흡착할 수 있어 종전보다 걸레를 전체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청소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으며, 유리창 세척의 경우 굴곡부의 돌출되는 부분(예컨데 W형상의 중앙부)을 눌러주면 양쪽의 돌출부(예컨데 W형상의 양단부)가 더 감싸지는 구조가 되어 창문 프레임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여 세척의 효율성을 도모한다.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외부 유리창 청소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및 바닥세척장치를 이용하여 유리를 세척하는 방법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및 바닥세척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및 바닥세척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및 바닥세척장치에 있어서 손잡이부와 지지부의 연결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및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및 바닥세척장치에 있어서 손잡이부와 지지부의 연결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및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및 바닥세척장치에 있어서 손잡이부의 신축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및 바닥세척장치에 있어서 지지부 파형 형상과, 후방부의 곡선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및 바닥세척장치에 있어서 파형 형상을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및 바닥세척장치에 있어서 돌출돌기를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및 바닥세척장치에 있어서 지지부의 돌출턱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및 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및 바닥세척장치에 있어서 지지부의 돌출턱과 나비너트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및 바닥세척장치에 있어서 지지부의 돌출턱과 조임부재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및 바닥세척장치에 있어서 조임샤프트의 후방측 두부가 연결된 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및 바닥세척장치에 있어서 나비너트와 조임부재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1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및 바닥세척장치의 유리 세척방법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종래 유리창 및 바닥 세척장치는, 창문의 내측은 손쉽게 청소가 가능한 반면에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외측 유리의 경우 빌딩과 같은 고층에 설치될 시 전문적인 청소 업체를 고용하여 청소를 위탁하여야 하지만 별도의 비용이 발생하게 되고, 창문을 문틀에서 분리하여 청소가 가능하지만 이 또한 많은 노동력이 필요로 할뿐만 아니라, 창문의 규모가 클 경우에는 사실상 청소가 외측유리의 청소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고, 종래의 기술은 대체적으로 유리문틀에 부착 또는 결합시켜 유리를 세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실질적인 구성의 명확하게 나타나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특허등록 제10-1108211호(특)를 보면 별도의 장치를 프레임의 전면 또는 후면에 설치하여 유리를 세척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이러한 구성은 내측유리에는 가능하지만 외측유리는 세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비교적 부피가 크다 보니 보급화 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갖고 있었으며, 부착형태의 구성을 보면 지속적인 사용 후 탈거할 시에는 부착부위의 흔적이 남아있기 때문에 시각적으로 미려하지 못하고, 재차 그 부위에 청소도구(청소부재)를 부착하기 위해서는 잔여물을 완전히 탈거해야 하기 때문에 탈거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또한, 바닥 청소나 창문 청소에 대걸레를 이용하는 경우, 막대모양을 하는 지지대가 지지부를 압박하여 걸레가 바닥이나 유리를 세척하게 되는데, 이때 지지대와 지지부가 연결된 지점에서(통상적으로 중앙부에서 연결됨) 상기 지지대로 부터 전해지는 압력이 가장 강하고 그와 멀어지는 양단부는 압력이 약해 전체적으로 골고루 청소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대걸레를 밀어서 청소하는 경우, 통상의 대걸레 지지부는 평판형상이어서 대걸레의 지지부에 연결된 걸레 전면부에 흡착되는 이물이 집중되어 걸레를 다시 세척하여 사용해야 하는 빈도가 높아 청소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는 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이 제시하는 바를 이하에서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외부 유리창 청소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및 바닥세척장치를 이용하여 유리를 세척하는 방법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및 바닥세척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및 바닥세척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및 바닥세척장치에 있어서 손잡이부와 지지부의 연결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및 확대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및 바닥세척장치에 있어서 손잡이부와 지지부의 연결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및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및 바닥세척장치에 있어서 손잡이부의 신축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및 바닥세척장치에 있어서 지지부 파형 형상과, 후방부의 곡선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및 바닥세척장치에 있어서 파형 형상을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및 바닥세척장치에 있어서 돌출돌기를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및 바닥세척장치에 있어서 지지부의 돌출턱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및 확대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및 바닥세척장치에 있어서 지지부의 돌출턱과 나비너트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및 바닥세척장치에 있어서 지지부의 돌출턱과 조임부재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및 바닥세척장치에 있어서 조임샤프트의 후방측 두부가 연결된 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및 바닥세척장치에 있어서 나비너트와 조임부재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및 바닥세척장치의 유리 세척방법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및 바닥 세척장치는, 슬라이딩 창문에서, 외측 창문(20)의 프레임(22)과 내측 창문(10)의 유리(14) 사이 또는 외측 창문(20) 외부에 설치되는 방충망의 프레임(30)과 외측 창문(20)의 유리(24) 사이 중 어느 하나에 삽입 수용되어 유리를 세척할 수 있는 유리창 및 바닥세척 장치에 있어서, 외측 창문(20)의 프레임(22) 및 방충망의 프레임(30)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이 수용되는 수용부를 일측에 포함하는 지지부(100); 및 상기 지지부(100)의 타측에 착탈되도록 연결되는 세척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부(200)가 연결된 지지부(100)는 프레임(22, 30)과 유리(14,24) 사이에 삽입 수용될 시 상기 프레임(22, 30)과 상기 유리(14,24) 외측에 밀착되며, 상기 지지부(100) 폭의 단면 형상은 굴곡을 이루는 파형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리창과 바닥을 세척할 수 있는 장치로서, 상기 지지부(100)와 상기 세척부(200)를 연결하여 유리창을 세척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손잡이부(300)를 상기 지지부(100)에 연결함으로서 작업자가 손잡이부(300)를 잡고 대걸레와 같이 사용하여 바닥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유리창의 세척시 종래 기술과 달리 고정식이 아닌 창문 프레임과의 착탈식이어서 이동하면서 유리의 세척이 가능하다. 즉 유리창 상부에 세척을 하고나면 다시 중앙부, 하부로 차례로 이동하면서 세척을 할 수 있게 되며, 일 유리창의 세척이 종료된 후에는 이를 프레임에서 분리하여 다시 다른 유리창의 세척작업에 동원될 수 있다. 또한, 유리와 유리 사이의 끼임 방식이 아닌 창문 프레임 중 일 프레임에 고정하여 마주보는 유리창을 세척하는 것이어서 보다 안정적이며 깨끗한 세척이 가능하다.
또한, 통상적으로 창문(10,20)은 내측에 유리(14,24)가 구성된 한 쌍의 프레임(12,22)으로 구성되어 창문틀에 슬라이딩 가능토록 설치되어 구성되는데, 여기서, 여름과 같은 더운 날씨에는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입될 수있기 위하면서도 저녁에 각종 곤충이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충망(30)이 슬라이드 가능토록 더 포함되어 설치된다.
상기 방충망(30)이 설치될 경우에는 프레임(22)과 유리(14)외측 사이 및 방충망(30)의 내부 일측과 유리(24) 외측 사이에 각각 끼움 구성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즉, 세척장치를 두 개로 각각 구성하여 내측 창문 프레임(12)에 구성되는 유리(14)의 외측과, 외측 창문 프레임(22)에 구성되는 유리(24)의 외측을 각각 세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것은 한 쌍의 창문과 방충망을 예정한 것이나, 여기서 한 쌍은 창문 두 개가 한 쌍을 이루는 것뿐만 아니라 창문 세 개가 한 쌍을 이루는 것도 포함한다. 즉 세 개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본 발명은 각각 내측 유리와 중간층 프레임 사이, 중간층 유리와 외측 프레임 사이, 외측 유리와 방충망 사이에 끼워져 각각 유리 외측의 세척이 가능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창문 프레임 혹은 방충망 프레임에 끼워 창문을 열고 닫는 것만으로 외부 유리창을 세척할 수 있고, 청소하고자 하는 외부 유리창면과 창문 프레임 사이에 고탄성 스펀지를 압축시켜 끼워 넣으면 창문 프레임과 유리창 사이에서 흘러내리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때 창문을 당겨서 닫으면 지지체의 돌출턱에 걸리고, 창문을 밀면서 열면 지지부 후방부의 나비너트에 걸려 더 이상 들어가지 않게 되어 창문 프레임 혹은 방충망 프레임 내에서 고정되게 되어 창문을 열고 닫으면서 청소가 가능하다.
또한, 지지부는 물결모양(파형 형상, 곡면을 이루는 W 형상)의 단면 구조를 가짐으로서 돌출된 중앙부를 눌러주면 양쪽의 돌출부가 더 감싸지는 구조로 종래 단순한 곡면을 가지는 C형보다 창틀에서 빠지지 않고 청소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형 대비 구조적으로 더욱 튼튼하며, 안정적인 이점이 있다.
또한, C형의 경우 일면이 유리창과 맞닿는 반면 본 발명의 파형 형상은 2면 이상이 유리창과 맞닿아서 청소효과가 더욱 좋고 안정적이다. 본 발명의 파형형상은 창틀에서 탈착할 때 나비너트가 있는 후방부를 손으로 잡고, 중앙부를 세척부 방향으로 눌러주면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전방부의 돌출턱이 쉽게 들어 올려져 창문 프레임에서 탈착이 쉽게 된다. 또한, 후방부를 외측으로 잡아 당기면 돌출된 중앙부가 지렛대의 원리에서 작용점의 역할을 하게되어 전방부가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돌출턱이 창문 프레임에서 분리될 수 있게 하여 탈착이 쉽게 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의 전체를 길이방향으로 양단부가 하방으로 휘어지도록 곡면을 가지도록 할 수도 있고, 지지부의 후방부만 휘어지도록 하고 전방부는 직선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지지부의 중앙부에 힘이 가해질 때 휘어진 지지부가 펴지면서 길이방향 전체가 유리창에 균일한 압력을 전달할 수 있게 되어 세척이 고르게 될 수 있다.
지지부와 세척부의 연결은 벨크로 테이프로 연결될 수 있으며, 세척부는 벨크로가 붙는 망사스펀지 세척부로 할 수 있다. 망사 스펀지는 유리창과 마찰력이 낮아 망사면이 부드럽게 청소하고 내부의 스펀지 혹은 극세사천이 오염물질과 얼룩을 제거한다. 세척한 후에 지지부에서 쉽게 탈착하여 세척부가 세척 후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창틀에 끼워지기 위해서는 유리창 사이의 간격과 창문 프레임의 폭에 일치되어야 하는데, 창문 프레임 폭은 창문 프레임 폭은 150mm 이내로 창문 프레임 폭과의 고정 및 조임은 나비너트를 고정하는 위치와 나비너트의 방향에 따라서 조절이 가능하다.
유리창 사이의 거리는 일반적으로 2겹 복층유리의 경우 10~20mm 이내 이므로 지지부의 두께 5mm, 세척부 두께가 6~16mm 정도인 세척부를 사용하면 창틀에 끼워넣고 열고 닫으면서 쉽게 청소할 수 있다.
또한, 얇은 세척부 2개는 양면이 까칠한 벨크로 테이프를 이용하여 양면 망사패드에 붙여서 사용할 수 있어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를 연결하면 밀대청소기로 사용가능하다. 파형 형상과 길이방향 휘어짐으로 인해 바닥면에 전체적으로 힘이 가해질 수 있도록 구성하였고, 지지부 하부에 볼트를 끼워넣고 손잡이대가 연결된 고정대를 나비너트로 고정할 수 있다.
지지부가 평판 청소기인 통상의 경우, 대부분 먼지가 가장자리 부분에 먼지가 걸리는데 비해 본 발명의 파형 형상의 지지부 형상은 패드의 내부에서도 먼지가 걸리게 되어서 먼지/이물 흡착력이 우수하다.
또한, 지지부의 일측면 혹은 벨크로 테이프 면에 스퀴즈(물기제거블레이드)를 장착할 수 있는 구조로서 외부창 뿐만아니라 내부창 청소시 바닥청소까지 할 수 있는 다기능 청소용품으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유리창의 세척을 위한 구성요소로, 지지부(100) 및 세척부(200)를 먼저 살펴본다.
상기 지지부(100)는, 세척부(200)인 걸레 등을 펴서 잡아주는 지지역할을 수행하는 부재로서, 통상적으로 대걸레의 경우 평평한 플레이트 형상을 하는 부재이다. 본 발명의 상기 지지부(100)는, 외측 창문(20)의 프레임(22) 및 방충망의 프레임(30)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이 수용되는 수용부를 일측에 포함하고, 타측에는 세척부(200)가 탈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세척부(200)가 연결된 지지부(100)는 프레임(22, 30)과 유리(14,24) 사이에 삽입 수용될 시 상기 프레임(22, 30)과 상기 유리(14,24) 외측에 밀착되며, 상기 지지부(100) 폭의 단면 형상은 굴곡을 이루는 파형 형상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창문 내측의 경우 실내에서 세척이 용이하나, 창문 외측의 경우 외부로 나가서 세척을 하여야 하는 등 종래에는 전문 청소용역 등을 통하거나, 창틀에서 분리하여 세척하는 등의 불편함을 초래하였는 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슬라이딩 창문에서, 외측 창문(20)의 프레임(22)과 내측 창문(10)의 유리 사이 또는 외측 창문(20) 외부에 설치되는 방충망의 프레임(30)과 외측 창문(20)의 유리 사이 중 어느 하나에 삽입 수용되어 유리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세척부(200)인 걸레 등을 연결한 지지부(100)를 상기 외측 창문(20)의 프레임(22) 및 방충망의 프레임(30)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과 그 프레임의 안쪽 유리 사이에 삽입하여 프레임에 고정시키고, 어느 하나의 창문 프레임(12,22)을 슬라이딩 함으로서 상기 세척부(200)와 맞닿은 유리가 세척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유리를 세척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기 지지부(100) 폭의 단면 형상은 굴곡을 이루는 파형 형상을 가지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굴곡을 이루는 파형 형상을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종래 평판 형상을 하는 경우, 세척부(200)가 이동되는 전방부(110) 측만이 이물질의 흡착 정도가 높고 나머지는 세척에 큰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이는 단순히 일률적인 곡률을 가지도록 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이 경우 중앙부측 좌우측만 이물질의 흡착정도가 높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굴곡을 이루는 파형형상으로 하는 경우, 하방으로 볼록한 부분이 두 개 형성되어 그 접촉 면적을 넓힘으로서, 볼록한 부분을 하나만 가지는 일률적인 곡률을 가진 경우나 전방부(110) 측에 집중되는 평판 형상보다 세척부(200)의 균일한 사용이 될 것이다.
또 다른 이유는, 창문 프레임(12,22)의 너비가 일정치 않아 좁은 프레임과 넓은 프레임에 모두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지지부(100) 폭을 넓게 하여 넓은 프레임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되, 좁은 프레임의 경우 창문 프레임(12,22)과 유리 사이에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부(100)의 단면 파형형상의 돌출되는 부위로 좁은 프레임(22, 30)과 유리(14,24)가 밀착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더하여 창문프레임과 유리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유리 세척을 종료한 후 본 발명을 유리와 창문 프레임 사이에서 분리하기 쉽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지지부 후방부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 파형형상의 돌출되는 부분(중앙부)를 세척부 방향으로 눌러주면 지지부의 전방부의 돌출턱 또는 돌출돌기가 세척부 방향으로 밀려가 상기 돌출턱 또는 돌출돌기와 밀착 고정된 창문 프레임 일측과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지렛대의 원리에서, 지지부 후방부를 힘점이라 두면, 눌러주는 지지부 파형형상의 돌출되는 부분(중앙부)을 받침점, 돌출턱 또는 돌출돌기 부분은 작용점이라 할 수 있다. 다만, 힘점을 고정하고 받침점에 해당하는 부분에 힘을 가하는 방식일 뿐이다. 또한 후방부를 외측으로 잡아 당기면 돌출된 중앙부가 지렛대의 원리에서 작용점의 역할을 하게되어 전방부가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돌출턱이 창문 프레임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는 지렛대의 원리 그대로 이용한 것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한 방법으로 돌출턱 또는 돌출돌기가 있더라도 착탈은 용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100)가 창문 프레임(12,22)에 고정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는데 이에는 두가지 방법이 있다.
첫째, 상기 지지부(100) 폭 형상인 상기 굴곡을 이루는 파형 형상의 전방부(110)는 후방부(120)보다 높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부(110) 길이방향의 양단부 및 중앙부에 폭의 전방부(110) 끝단에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상부로 경사지도록 돌출되면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턱(112)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100)의 후방부(120)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상기 지지부(100)를 관통하도록 볼트가 삽입되는 고정홀(122)이 형성되며, 상기 후방부(120)는 상기 고정홀(122)에 삽입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두부가 양측으로 돌출되어 나비형상을 하는 나비너트(124)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고정홀(122)에 삽입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나비너트는 볼트의 두부가 하부에 있고 상부에서 나비너트가 체결되는 방식으로 상기 지지부에 연결된다.
즉 상기 지지부(100) 전방부(110)에 형성되는 돌출턱(112)에 창문 프레임(12,22) 일측이 걸리도록 하고, 상기 후방부(120)에 포함되는 나비너트(124)를 이용하여 창문 프레임(12,22) 타측에 나비너트(124)의 날개부분이 맞닿도록 하여, 상기 지지부(100)와 창문 프레임(12,22)간을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출턱(112)의 상면에는, 상부로 개방되고 상기 돌출턱(112)의 내부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홈(116); 상기 홈(116)의 하부 내면에 하부가 연결되는 용수철(117); 및 상기 용수철(117)의 상부에 하부가 연결되며, 후방으로 갈수록 상방향의 경사를 가지며 상기 돌출턱 상부의 경사보다 급한 경사를 이루는 상부를 형성하는 돌출돌기(118);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홈(116)의 하부면은 상기 홈(116)이 위치하는 부분의 상기 지지부(100)의 하부면과 동일한 경사를 가지며, 상기 돌출돌기(118)의 하부면은 상기 홈(116)의 하부면과 동일한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돌출턱(112)의 상부로 더 돌출되도록 돌출돌기(118)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전방부에 형성되는 돌출턱(112)과 더불어 창문프레임의 일측에 걸리는 것이 보다 견고하게 된다.
상기 홈(116)은, 상기 돌출턱(112)에 형성되어 상기 돌출돌기(118)가 삽입되는 바디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홈(116)의 상부는 상기 돌출돌기(118)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며, 상기 홈(116)의 하부는 상기 돌출돌기(118)가 더 깊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홈(116)이 위치하는 부분의 상기 지지부의 하부면과 동일한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후방으로 갈수록 하방향으로 경사가 지게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수철(117)은, 유리(14,24) 세척을 위해 본 발명을 창문 프레임(22,30)과 유리(14,24) 사이에 밀어넣을 때 압축되면서 상기 돌출돌기(118)가 상기 돌출턱(112)의 홈(116)에 삽입되고, 상기 지지부의 전방부가 창문 프레임(22,30)을 통과하여 창문 프레임(22,30)의 일측과 맞닿으면서 고정할 때 상기 용수철(117)의 압축이 해제되면서 탄성력에 의해 상기 돌출턱(112)의 홈(116)에 삽입된 돌출돌기(118)가 상부로 인출된다. 이때 창문 프레임(22,30)의 일측과 상기 돌출돌기(118)가 맞닿으면서 상기 창문 프레임(22,30)을 고정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돌출돌기(118)는 창문 프레임(22,30)이 돌출돌기(118)에 가하는 측방향 힘을 견딜 수 있어야 하므로 상기 돌출돌기(118)의 하부는 상기 홈(116)에 일정한 깊이로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돌출돌기(118)의 인출이 완료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돌출돌기(118)는, 상기 돌출턱(112)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즉 돌출턱(112)의 창물 프레임 일측의 고정 기능을 보조하기 위한 보조턱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돌출돌기(118)는 상기 돌출턱(112)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면은 유리(14,24)와 창문 프레임(22,30)에 본 발명을 삽입할 때 삽입이 용이하도록 후방으로 갈수록 상방향의 경사를 가지도록 하며, 또한, 후방으로 갈수록 상방향의 경사로 창문 프레임(22,30) 일측과 맞닿는 후방부분이 가장 높은 높이를 가지도록 하여 돌출턱(112)에 의해 고정되지 않는 경우를 대비하여 그 보다 높이를 높은 돌출돌기(118)에 창문 프레임(22,30)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보조고정수단으로서의 돌출돌기(118)는 상기 돌출턱(112) 상부의 경사보다 급한 경사를 이루도록 하여 창문 프레임(22,30) 일측과 맞닿는 후방부분이 상기 돌출턱(112)의 후방부분보다 더 높은 높이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돌기(118)는 하부면이 상기 홈(116)의 하부면과 동일한 경사를 가지도록 하여 홈(116)에 더 깊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깊이를 깊게 형성하게 하는 이유는 상술한 바와 같이 측방향의 힘에 대응되는 돌출돌기(118)의 홈(116)에 삽입되는 깊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돌출턱 또는 돌출돌기에의해 창문 프레임의 일측을 고정하고 타측은 상기 나비너트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나비너트(124)의 양측 돌출부분의 길이를 이용하여 상기 창문 프레임(12,22)이 좁을 때, 나비너트(124)의 일측 돌출부분이 창문 프레임(12,22)으로 향하게 하여 창문 프레임(12,22)과 나비너트(124) 돌출부분 단부가 맞닿도록 하여 창문 프레임(12,22)의 너비와 본 발명의 지지부(100)의 폭과의 차이를 메꿀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둘째, 상기 후방부(120)는, 양단부에 상기 지지부(100)의 폭방향과 수평이 되어 관통하는 구멍을 형성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조임부재(126); 상기 조임부재(126)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 관통하며 양단에 각각 전방측 두부 및 후방측 두부가 형성된 조임샤프트(127); 및 상기 조임샤프트(127)의 전방측 두부와 상기 조임부재(126) 사이의 조임샤프트(127)에 끼워지는 스프링(130):을 포함하고,상기 조임샤프트(127)의 전방측 두부는 상기 스프링(130)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상기 전방측 두부 전방에는 고무부재 및 롤러 중 어느 하나가 연결되고, 상기 조임샤프트(127)의 후방측 두부는 상기 조임부재(126)에 형성된 구멍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지지부(100)의 전방부(110)에 형성되는 돌출턱(112)에 창문 프레임(12,22)의 일측이 걸리도록 하는 것은 상술한 첫 번째 방법과 동일하며, 후방부(120)에서 창문 프레임(12,22)을 조임하는 방법이 첫 번째 방법과 상이하다. 즉 후방부(120)에는 상기 지지부(100)의 폭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샤프트를 삽입하여 샤프트가 창문 프레임(12,22)의 타측을 밀면서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을 이용하기 위해 조임부재(126), 상기 조임부재(126)를 관통하는 조임샤프트(127), 조임샤프트(127)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스프링(130), 스프링(130)이 샤프트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조임샤프트(127) 전방측 두부, 상기 조임부재(126)에 조임샤프트(127)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후방측 두부를 제공하고 있다. 즉 조임샤프트(127)를 후방측으로 잡아 당긴 상태에서 창문 프레임(12,22)의 일측과 지지부(100) 전방부(110) 돌출부에 걸림 결합하고, 조임샤프트(127)의 잡아 당긴 상태를 해제하면 상기 조임샤프트(127)의 전방측 두부가 창문 프레임(12,22)의 타측과 접촉하면서 창문 프레임(12,22)과 본 발명의 지지부(100)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후방부에서 창문 프레임을 조임하는 방법으로 상술한 두 가지 모두를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상기 고정홀 및 나비너트와 조임부재, 조임샤프트 및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요소 모두를 함께 설치하여 조임을 더욱 공고히 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고정홀과 나비너트는 상술한 첫번째 방법과 동일하며, 상기 조임부재는 상기 지지부 후방부의 양단부측에서 내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조임부재에 연결되는 조임샤프트와 스프링은 상술한 바와 같다. 즉 상기 조임부재의 연결위치에 변화를 주어 상술한 두 가지 방법 모두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세척부(200)는, 저밀도 스펀지 또는 고밀도 스펀지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유리(14,24)외측의 먼지제거를 효율적으로 하도록 요철부가 형성되게 되어 유리(14,24) 표면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되며 세척부(200)의 오염이 심한 경우에는 저밀도 고강도 타입의 스펀지로 구성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밀도 및 고밀도 스펀지의 경우 통상적으로 공지된 기술의 구성임으로써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세척부(200)는 스펀지로 구성되지만 프레임과 유리창 사이에 끼워넣기 쉽도록 고압축 고탄성 재질의 스펀지를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수분 흡수성이 좋은 스펀지를 선택하여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세척장치에는 세척부(200)의 표면에 구성되는 세척보조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세척보조부의 경우 세척장치를 구성할 시 세척보조부를 구성하지 않을 시에는 유리창과 스펀지사이의 마찰력이 증가하여 세척부재가 변형되고 유리창을 열고 닫는데 힘이 증가하게 된다. 접촉부보다 마찰력이 더 커지면 프레임과 유리창틀에 단단히 고정되지 못하고 탈착되어 청소를 할 수 없다. 세척보조부는 창문을 미끄러지듯이 슬라이딩하면서 청소하도록 유리창과 마찰력이 낮은 재료를 선정하여 해야 한다. 외부 유리창을 1차 청소시 세척부의 구조는 스펀지와 그물망이 조합된 구조가 바람직하다. 많은 수분과 유리와 마찰력이 낮은 그물망이 유리 표면의 오염물질을 미끄러지듯이 청소를 할 수 있다.
상기 세척보조부는 스펀지, 흡수천, 그물망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개 이상 적층시켜 결합되도록 하여 사용에 따라 다양하게 가변시켜 사용할 수가 있다.
세척장치를 창문(200)의 프레임(220)과 유리(14,24) 사이에 위치시켜 각각 표면에 맞닿게 한 후, 유리(14,24)의 외측을 세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세척부(200)에는 별도의 세제 또는 물이 포함되도록 하여 세척하게 되며 1차 세척 후 유리(14,24) 외측에 남은 얼룩을 제거하기 위해 2차 세척시 스펀지/흡수천/그물망구조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세척보조부의 흡수천은 통상의 흡수성이 좋은 무진천이나 면 재질로 구성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극세사 천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하로 이동하면서 청소가 가능한데,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방법은 나비너트의 조임상태 또는 풀림상태에서 상부에서 하부로 밀어 세척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는 상기 지지부는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고정된다 하더라도 이러한 상하의 움직임은 가능할 수 있으며, 지지부의 단면 형상이 굴곡을 이루는 파형형상이므로 이러한 탄성을 더할 수 있다.
두 번째 방법의 경우에 잡아 당겼다 이를 해제하는 것으로 이동 및 고정(조임)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보다 간편하게 하기 위해 상기 조임샤프트(127)의 후방측 두부간을 서로 연결하여 연결한 부분만으로 잡아 당김 및 해제를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양단에 연결된 조임샤프트(127) 두 개를 동시에 작동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두 손을 이용하여 수행하여야 하는 것보다 한손으로 상술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이 간편하고 용이할 것이다.
또한, 세척을 세척부(200)가 연결된 지지부(100) 전체가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으로, 상기 후방부(120)는 길이방향으로 양단부가 하방향으로 휘어지도록 곡선을 이루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지지부 전체를 길이방향으로 양단부가 하방향으로 휘도록 곡선을 이루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경우 전방부 양단에서 돌출턱만으로 창문 프레임과의 고정에 애로점이 있을 수 있으나, 돌출턱의 상부로 돌출돌기를 형성하여 이러한 고정의 애로점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길이방향의 곡선형상을 하는 이유를 설명하면, 길이방향으로 일정하게 힘이 가해지는 경우가 아니라 일부에만 힘이 가해져 바닥이나 유리의 세척작업을 하는 경우(특히 바닥 세척)에 대비하기 위한 이유가 크다. 예컨대 지지부(100)의 중앙부에 힘이 가해져 세척작업을 하는 경우(즉 바닥 세척작업의 경우 대걸레를 이용하는 경우 지지부(100)의 중앙부에 봉이 연결되어 봉을 작업자가 잡고 청소하게 되므로 지지부(100)의 중앙부에 힘이 집중된다), 평판 형상의 통상의 지지부(100)에 해당하는 부재는 중앙부에 비해 양단부측에는 힘의 전달이 약하게 되고, 이러한 경우 양단부측의 세척부(200)에 의한 세척작업은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즉 미세하게 살펴보면, 중앙부와 바닥의 밀착정도와 양단부와 바닥의 밀착정도는 차이가 있게 된다. 이러한 차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양단부측을 하방향으로 굴곡시킬 수 있다. 즉 중앙부에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 하방향으로 굴곡진 양단부측과 바닥이 중앙부보다 바닥에 먼저 밀착되면서 그 반작용으로 양단부측에 바닥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지지부(100)의 후방부(120)는 수평으로 펴지게 되면서 중앙부측도 바닥과 밀착되게 된다. 또한, 일정한 곡률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중앙부에 힘이 가해지는 경우 들뜸없이 균등하게 힘이 전달될 수 있을 것이므로 바람직하다.
후방부(120)만 곡선을 이루도록 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까닭은 전방부(110)와 후방부(120)를 곡률을 달리하여(전방부(110)는 직선을 이룸) 전방부(110)에서 집중적으로 세척되는 부분과 후방부(120)에서 집중적으로 세척되는 부분을 달리함으로써 최종적으로는 지지부(100) 길이방향으로 전체적인 균등한 세척작업을 행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물을 이용하는 유리 세척작업의 경우, 물기를 제거할 수 있는 블레이드(고무 패드 등을 이용할 수 있다)를 이용하면 작업의 속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인바, 본 발명의 상기 전방부(110)의 말단부에 물기제거블레이드(114)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창문 프레임(12,22)과 유리 사이에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손잡이부(300)를 연결한 상태에서 전방부(110) 블레이드를 창문의 유리에 대고 당기면서 물기를 제거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창문 프레임(12,22)과 유리 사이에 끼워 유리 세척작업을 하는 경우, 창문 프레임(12,22)과 지지부(100)를 고정 또는 조임 하기는 하나, 세척작업 도중 창문 프레임(12,22)과 지지부(100)가 분리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저층의 경우에는 어렵지 않게 다시 주워서 작업에 사용할 수 있으나, 고층에서의 세척 작업시 상술한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면 다시 주워 오는데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고정홀(122) 및 상기 조임부재(126)에 형성된 구멍 중 어느 하나에 일단을 연결하고, 타단은 부착수단을 연결하는 줄을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줄의 타단에 연결되는 부착수단은 집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집게는 고정될 수 있는 프레임이나 다른 물건 등으로 본 발명이 창문 프레임(12,22) 등에서 이탈되는 경우 본 발명의 중량과 충격량을 견딜수 있는 물건 등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건 관계없다. 또한 상기 줄의 길이는 유리를 세척하는 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는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길이는 유리 세척시 상하로 이동하면서 세척하므로 이러한 이동 길이와 또한 상기 집게로 고정할 수 있는 물건과의 거리 등을 참고하여 적정한 길이로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손잡이부(300)를 설명하면, 상기 손잡이부(300)는 창문 유리나 바닥을 청소할 때 허리를 구부리지 않고 세척하기 위한 도구 또는 손이 닿지 않는 부분을 세척하기 위한 보조 도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손잡이부(300)의 구성을 살펴본다.
상기 지지부(100)의 중앙부에서 작업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300)가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부(300)는, 상기 지지부(100)의 상기 굴곡을 이루는 파형 형상의 볼록한 부분의 길이방향의 중앙부에서 접촉되어 상기 나비너트(124)로 조임 고정되는 고정대(310); 및 상기 고정대(310)와 연결되는 막대형상의 손잡이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100)와 상기 고정대(310)가 연결되고, 상기 고정대(310)에서 상기 손잡이대(320)(봉 형상)가 연결되어 작업자가 손잡이대(320)를 잡고 세척작업을 보다 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손잡이대(320)는 상기 고정대(310)와 연결에서 전후방향으로 회동하고, 좌우방향으로도 회동하도록 연결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대(320)는 길이방향으로도 신축이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통해 세척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300)에 의해 상기 지지부(100)로 압력이 전달되면서 상기 지지부(100)에 부착된 상기 세척부(200)가 바닥 혹은 유리에 밀착되면서 이물질을 흡착하여 바닥 혹은 유리를 세척하게 된다. 이때 지지부(100)의 W 형상 과 W 형상의 후방부(120)의 길이방향의 곡선처리부분으로 세척부(200)의 균일한 세척작업에 사용되도록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리세척의 경우를 설명한다.
먼저, 내측 유리의 경우, 세척부(200)가 연결된 지지부(100)에 손잡이부(300)를 연결한 상태에서 유리의 세척을 위한 물과 세제등을 이용하여 세척하고(이때 세척부(200)를 유리면과 접촉시켜 이동하면서 유리면의 세척작업을 할 수도 있음), 상기 지지부(100)의 전방부(110)에 연결된 물기제거블레이드(114)를 유리에 접촉한 후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손잡이부(300)를 잡아당겨 유리에 묻은 물기를 제거할 수 있다. 이후 남은 물기는 세척부(200) 등을 이용하여 상술한 물기제거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닦아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통상의 봉이 달린 걸레의 사용방법과 비슷하다.
다음으로 외측 유리의 경우, 본 발명은 아주 효과적이고 간편하게 사용될 수 있다. 즉 슬라이딩 창문에서, 외측 창문(20)의 프레임(22)과 내측 창문(10)의 유리 사이 또는 외측 창문(20) 외부에 설치되는 방충망의 프레임(30)과 외측 창문(20)의 유리 사이 중 어느 하나에 삽입 수용되도록 하고, 창문의 프레임(12,22)을 슬라이딩함으로서 외측 유리를 세척할 수 있게 된다. 이때에는 상기 손잡이부(300)를 분리하여 상기 세척부(200)가 연결된 상기 지지부(100)만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100)는 상기 창문의 프레임(12,22)에 고정 또는 조임되고, 상기 지지부(100)에 연결된 상기 세척부(200)는 유리에 접촉되어 상기 창문의 프레임(12,22) 또는 유리가 이동하면 유리가 세척되게 된다.
둘째로, 바닥 청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바닥 청소를 하려면 종래에는 걸레를 이용하는 경우 앉거나 엎드려서 걸레질을 하거나, 아니면 대걸레를 이용하여 서서 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 러한 두가지 경우를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300)를 상기 세척부(200)가 연결된 지지부(100)에 탈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손잡이부(300)를 연결한 상태에서는 대걸레와 같은 방식으로 서서 밀거나 당기면서 또한 길이 조절과 방향조절을 자유로이 하면서 청소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또한 손잡이부(300)를 제거하면 앉거나 엎드려 통상의 걸레질과 같은 형태의 청소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100)을 길이방향으로 두 개를 연결하여 연결된 중앙부에 상기 고정대(310)를 연결하고(고정대의 나비너트로 양 지지부의 일측과 연결), 고정대(310)와 손잡이대(320)를 연결하여 바닥 청소 작업을 하는데 있어 한번에 넓은 면을 청소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고정대(310) 하부에 양측이 아래방향으로 휘어지도록 곡률을 가지며 통상 하나의 지지부(100)와 고정대(310)를 연결시 나비너트(124)가 체결되는 부위에 보조고정대를 연결고정하고 상기 보조고정대 상부에 고정대(310)를 연결할 수도 있다. 이는 보조고정대의 길이를 상기 고정대(310)의 길이보다 길게하여 상기 지지부(100)의 중앙부측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손잡이대(320)에서 전달되는 압력을 상기 지지부(100)에 보다 전달이 잘 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지지부(100)간의 연결이 청소 작업중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지지부(100)간 서로 맞닿는 측면에 요철을 구성하여 상기 지지부(100)의 측면간 끼임구성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및 바닥 세척장치는, 한쌍의 슬라이드 창문의 한측 프레임과 나머지 한측 유리창에 본 발명의 세척부가 포함된 지지부를 삽입하여 창문의 슬라이딩만으로 외측 창문의 세척을 간편하게 할 수 있어 종래 비용문제, 노동력과 시간의 과다소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통상적인 대걸레에 사용되는 지지부와 유사 또는 동일한 크기의 세척장치로 간편하게 유리창의 세척을 도모할 수 있어 보급화가 용이할 수 있으며, 슬라이드 창문의 프레임과 유리사이에 끼움 방식으로 착탈이 가능하므로 착탈의 간편하고, 착탈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흔적없이 착탈이 가능하여, 종래 외측 창 청소장치에서 지적되는 탈거시간의 장시간 소요와 탈거시 부착 흔적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지지부의 후면부는 가로방향으로 일정한 곡률을 형성하여 세척작업의 경우 중앙부에 연결된 지지대에 의해 전달되는 압력에 의해 바닥과 수평이 되면서 지지부 전체에 균일하게 압력을 전달할 수 있어 지지부와 연결된 걸레가 균일하게 세척작업에 이용될 수 있고, W형 구조(단면 형상)를 형성함으로써 바닥과 접촉되는 전면과 후면에서 이물질을 흡착할 수 있어 종전보다 걸레를 전체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청소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내측 창문 12: 내측 창문 프레임
14: 내측 창문 유리 20: 외측 창문
22:외측 창문 프레임 24: 외측 창문 유리
30: 방충망 프레임 100: 지지부
110: 전방부 112:돌출턱
114: 물기제거블레이드 120: 후방부
122: 고정홀 124: 나비너트
126: 조임부재 127: 조임샤프트
130: 스프링
200: 세척부 300: 손잡이부
310: 고정대 320: 손잡이대
1000: 본 발명인 유리창 및 바닥 세척장치

Claims (8)

  1. 삭제
  2. 슬라이딩 창문과 상기 창문의 외부에 설치되는 방충망을 가지는 형태에서, 외측 창문(20)의 프레임(22)과 내측 창문(10)의 유리(14) 사이 또는 외측 창문(20) 외부에 설치되는 방충망의 프레임(30)과 외측 창문(20)의 유리(24) 사이 중 어느 하나에 삽입 수용되어 유리(14, 24)를 세척할 수 있는 유리창 및 바닥세척 장치에 있어서,
    외측 창문(20)의 프레임(22) 및 방충망의 프레임(30)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이 수용되는 수용부를 일측에 포함하는 지지부(100); 및
    상기 지지부(100)의 타측에 착탈되도록 연결되는 세척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부(200)가 연결된 지지부(100)는 프레임(22, 30)과 유리(14,24) 사이에 삽입 수용될 시 상기 프레임(22, 30)과 상기 유리(14,24) 외측에 밀착되며,
    상기 지지부(100) 폭의 단면 형상은 굴곡을 이루는 파형 형상이고,
    상기 지지부(100) 폭 형상인 상기 굴곡을 이루는 파형 형상의 전방부(110)는 후방부(120)보다 높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부(110) 길이방향의 양단부 및 중앙부에 폭의 전방부(110) 끝단에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상부로 경사지도록 돌출되면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턱(112)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100)의 후방부(120)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상기 지지부(100)를 관통하도록 나비너트(124)가 삽입되는 고정홀(122)이 형성되며,
    상기 후방부(120)는 상기 고정홀(122)에 삽입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두부가 양측으로 돌출되어 나비형상을 하는 나비너트(1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및 바닥 세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턱(112)의 상면에는, 상부로 개방되고 상기 돌출턱(112)의 내부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홈(116);
    상기 홈(116)의 하부 내면에 하부가 연결되는 용수철(117); 및
    상기 용수철(117)의 상부에 하부가 연결되며, 후방으로 갈수록 상방향의 경사를 가지며 상기 돌출턱 상부의 경사보다 급한 경사를 이루는 상부를 형성하는 돌출돌기(118);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홈(116)의 하부면은 상기 홈(116)이 위치하는 부분의 상기 지지부(100)의 하부면과 동일한 경사를 가지며, 상기 돌출돌기(118)의 하부면은 상기 홈(116)의 하부면과 동일한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및 바닥 세척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부(120)는,
    양단부에 상기 지지부(100)의 폭방향과 수평이되어 관통하는 구멍을 형성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조임부재(126);
    상기 조임부재(126)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 관통하며 양단에 각각 전방측 두부와 후방측 두부가 형성된 조임샤프트(127); 및
    상기 조임샤프트(127)의 전방측 두부와 상기 조임부재(126) 사이의 조임샤프트(127)에 끼워지는 스프링(130):을 포함하고,
    상기 조임샤프트(127)의 전방측 두부는 상기 스프링(130)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상기 전방측 두부 전방에는 고무부재 및 롤러 중 어느 하나가 연결되고,
    상기 조임샤프트(127)의 후방측 두부는 상기 조임부재(126)에 형성된 구멍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및 바닥 세척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부(120)는 길이방향으로 양단부가 하방향으로 휘어지도록 곡선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및 바닥 세척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부(110)의 말단부에 물기제거블레이드(114)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및 바닥 세척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122) 및 상기 조임부재(126)에 형성된 구멍 중 어느 하나에 일단을 연결하고, 타단은 부착수단을 연결하는 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및 바닥 세척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00)의 중앙부에서 작업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300)가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부(300)는,
    상기 지지부(100)의 상기 굴곡을 이루는 파형 형상의 볼록한 부분의 길이방향의 중앙부에서 접촉되어 상기 나비너트(124)로 조임 고정되는 고정대(310); 및
    상기 고정대(310)와 연결되는 막대형상의 손잡이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및 바닥 세척장치.
KR1020160156695A 2016-11-23 2016-11-23 유리창 및 바닥 세척장치 KR101774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695A KR101774174B1 (ko) 2016-11-23 2016-11-23 유리창 및 바닥 세척장치
PCT/KR2016/013574 WO2018097349A1 (ko) 2016-11-23 2016-11-24 유리창 및 바닥 세척장치
CN201680086198.7A CN109310249B (zh) 2016-11-23 2016-11-24 玻璃窗及地板清洗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695A KR101774174B1 (ko) 2016-11-23 2016-11-23 유리창 및 바닥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4174B1 true KR101774174B1 (ko) 2017-09-01

Family

ID=59923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6695A KR101774174B1 (ko) 2016-11-23 2016-11-23 유리창 및 바닥 세척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774174B1 (ko)
CN (1) CN109310249B (ko)
WO (1) WO2018097349A1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181B1 (ko) * 2008-01-24 2010-03-23 울산과학대학 산학협력단 무동력 셀프 클리닝 창문
US20090241280A1 (en) * 2008-03-27 2009-10-01 Rubbermaid Commercial Products, Llc Flexible cleaning tool
KR101369025B1 (ko) * 2010-02-12 2014-02-28 카오카부시키가이샤 파이프의 연결 구조 및 청소구
KR200460448Y1 (ko) * 2012-01-10 2012-05-25 최일범 창틀 청소가 용이한 밀대
CN202960411U (zh) * 2012-12-05 2013-06-05 岳团元 一种拖把头及用其所制成的拖把
KR101437670B1 (ko) * 2013-04-23 2014-09-04 김수남 창 구조물
US20150136174A1 (en) * 2013-11-21 2015-05-21 Jacob Paro Combination cleaning tool with flexible head
KR101427215B1 (ko) * 2014-04-16 2014-08-13 (주) 신동아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세척장치를 구비한 공동주택용 창호
KR101679505B1 (ko) * 2014-09-25 2016-11-24 서상일 유리창 세척용 세척부재
KR101591948B1 (ko) * 2015-09-30 2016-02-04 황재순 창문닦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310249B (zh) 2022-08-12
CN109310249A (zh) 2019-02-05
WO2018097349A1 (ko) 2018-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41795B2 (en) Mop
US8079112B2 (en) Disposable liquid absorbing cleaning pad for a hand held cleaning implement having an elongated handle
US20070074362A1 (en) Disposable liquid absorbing cleaning pad for a hand held cleaning implement having an elongated handle
CN214330364U (zh) 一种建筑装饰用的窗体结构
KR101774174B1 (ko) 유리창 및 바닥 세척장치
US5165138A (en) Cleaning device
CN209772815U (zh) 一种网络设备用计算机屏幕清洗工具
KR101786203B1 (ko) 휴대용 바퀴 청소 모듈
CA2693231A1 (en) Tool for a steam cleaning device and method of cleaning
KR100660976B1 (ko) 유리창 청소장치
KR20160125338A (ko) 유리창 세척용 세척부재
US20100313369A1 (en) Cleaning apparatus with easily replaceable cleaning head
KR20120045368A (ko) 폐와이퍼와 테이프크리너를 이용한 바닥청소도구
KR200474749Y1 (ko) 유리창 닦이
KR101679505B1 (ko) 유리창 세척용 세척부재
KR200261228Y1 (ko) 유리창 닦이구
CN218899357U (zh) 一种旋转卡紧的清洁工具
CN218899358U (zh) 一种下拉挤水的清洁工具
KR200413206Y1 (ko) 스펀지 방충망 청소기
CN217310078U (zh) 刮擦装置及刮擦组件
KR200375994Y1 (ko) 스펀지 방충망 청소기
CN217659540U (zh) 一种窗户清洁用具
CN215993869U (zh) 一种清洗用地毯固定装置
CN213309514U (zh) 拖把
KR102064263B1 (ko) 창문 청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