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4263B1 - 창문 청소장치 - Google Patents

창문 청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4263B1
KR102064263B1 KR1020180143585A KR20180143585A KR102064263B1 KR 102064263 B1 KR102064263 B1 KR 102064263B1 KR 1020180143585 A KR1020180143585 A KR 1020180143585A KR 20180143585 A KR20180143585 A KR 20180143585A KR 102064263 B1 KR102064263 B1 KR 102064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cleaning
handle
dust removal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3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현
김은총
Original Assignee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43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42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4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4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00Cleaning windows
    • A47L1/06Hand implements
    • A47L1/15Cloths, sponges, pads, or the like, e.g. containing cleaning agent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창문 청소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창문의 먼지를 제거하도록 청소솔이 구비된 먼지제거부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먼지제거부의 상측에서 소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된 제1손잡이부와 상기 먼지제거부와 상기 제1손잡이부의 단부가 연결되도록 상기 먼지제거부에서 상기 제1손잡이부까지 연장 형성된 다수 개의 프레임부재와, 상기 창문에 부착된 오물을 긁어내도록 상기 제1손잡이부의 일단에 돌출 형성된 스크래퍼 및, 상기 창문을 물로 세척하도록 상기 손잡이부의 타단에서부터 상기 프레임부재를 따라 연장 형성된 물청소부를 포함하되, 상기 물청소부는 물 또는 세척액을 창문에 공급하는 스폰지와, 물 또는 세척액을 창문에서 제거하는 스퀴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창문 청소시 다양한 도구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어 청소 작업자들의 편의를 높이고, 구조적으로 간단하여 제작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청소부재를 탈, 부착할 수 있어 다양한 형태의 창문 및 창문의 틈새를 청소할 수 있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창문 청소장치{Window cleaning device}
본 발명은 창문 청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리창 세척 및 창틀 틈새를 청소할 수 있는 창문 청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아파트, 공동주택, 일반주택, 빌딩 등과 같은 곳에서는 방음효과, 세련된 디자인 등과 같은 목적으로 내측에 유리가 장착되는 슬라이드형태의 창문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창문은 창문틀의 구조에 맞게 슬라이드 형태의 한 쌍으로 구성되어 양측으로 각각 슬라이딩 되게 구성되며, 상기 창문틀의 구조에 따라 방충망이 포함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방음 효과 및 세련된 디자인을 추구하기 위해 설치되긴 하지만 창문의 특성상 쉽게 더러워지며 미세먼지, 오물 등이 표면으로 붙어 건강을 해칠 수 있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에 따라, 새로운 창문 청소 장치에 대하여 다양한 방법들이 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창문 청소 장치에 대한 기술로는 "유리창 세척용 세척부재(한국 등록특허 제10-1725398호)" 및 "창틀 청소용구(한국 등록특허 제10-1400518호)" 등에서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은 유리창 세척용 세척부재에 관한 것으로, 창문틀의 프레임 일측에 프레임이 끼워지는 수용부가 형성되되 양끝단에는 상기 프레임의 양측을 감싸며 맞닿아지는 돌출턱이 각각 형성되는 지지부와, 탄성을 가지며 상기 수용부가 형성된 지지부의 타측에 선택적으로 탈, 부착되는 세척부로 구성되어, 세척부재가 상기 프레임과 유리 사이에 끼워질 시 지지부와 세척부는 프레임과 유리 외측에 완전히 밀착되게 구성되는 유리창 세척용 세척부재를 제공한다. 이 경우, 창문의 유리 부분 및 유리를 감싸는 외측의 프레임부분만 청소되고, 창틀 및 틈새의 청소가 불가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2는 창틀 청소용구에 관한 것으로, 탄력이 있고 수분을 잘 흡수하여 세척용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스펀지를 이용하여 청소하기 곤란한 창틀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는 창틀 청소용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하부가 개방된 직사각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장착되어 창틀의 먼지를 제거해주는 스펀지와 몸체의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손잡이를 제공한다. 이 경우, 창틀 및 창틀의 틈새만 청소되고, 창문의 유리 부분 및 유리를 감싸는 외측의 프레임부분의 청소가 불가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725398호(2016. 10. 21) 한국 등록특허 제10-1400518호(2013. 02. 07)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청소솔이 구비된 먼지제거부, 손잡이부, 프레임부재, 스크래퍼 및 물청소부를 하나의 장치로 구성한 창문 청소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창문 청소장치는, 창문의 먼지를 제거하도록 청소솔이 구비된 먼지제거부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먼지제거부의 상측에서 소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된 제1손잡이부와 상기 먼지제거부와 상기 제1손잡이부의 단부가 연결되도록 상기 먼지제거부에서 상기 제1손잡이부까지 연장 형성된 다수 개의 프레임부재와, 상기 창문에 부착된 오물을 긁어내도록 상기 제1손잡이부의 일단에 돌출 형성된 스크래퍼 및, 상기 창문을 물로 세척하도록 상기 손잡이부의 타단에서부터 상기 프레임부재를 따라 연장 형성된 물청소부를 포함하되, 상기 물청소부는 물 또는 세척액을 창문에 공급하는 스폰지와, 물 또는 세척액을 창문에서 제거하는 스퀴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먼지제거부와 상기 제1손잡이부 사이의 공간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제2손잡이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2손잡이부와 상기 먼지제거부, 상기 제1손잡이부 또는 상기 프레임부재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재의 외측변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관통공간 외측에는 청소부재가 더 구비되되, 상기 청소부재의 일측은 인접한 상기 프레임부재의 결합홈에 인입되도록 돌출되게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청소부재의 타측은 상기 창문의 레일을 청소하도록 상기 결합돌기가 형성된 반대방향으로 개구된 "ㄷ"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개구된 "ㄷ"자 형상의 내측에 레일을 청소하도록 레일솔이 구비된 레일청소부재와, 상기 창문의 틈새를 청소하도록 상기 결합돌기가 형성된 반대방향으로 "ㄱ"자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ㄱ"자 형상의 모서리부분의 내측에 틈새를 청소하도록 틈새솔이 구비된 틈새청소부재와, 상기 창문의 상기 청소솔, 레일청소부재, 틈새청소부재가 닿지 않는 부분을 청소하도록 상기 결합돌기가 형성된 반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단부에 청소를 위한 연장솔이 구비된 연장청소부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창문 청소시 다양한 도구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어 청소 작업자들의 편의를 높이고, 구조적으로 간단하여 제작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청소부재를 탈, 부착할 수 있어 다양한 형태의 창문 및 창문의 틈새를 청소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창문청소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창문청소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창문청소장치의 일부분을 분리하여 도시한 부분분리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 청소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대하여,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창문 청소장치(1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창문 청소장치(10)는 먼지제거부(100)와, 제1손잡이부(200)와, 프레임부재(300)와, 스크래퍼(400) 및 물청소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먼지제거부(100)는 창문의 먼지를 제거하도록 하단에 청소솔(110)이 구비된다.
상기 제1손잡이부(20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먼지제거부(100)의 상측에서 소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부재(300)는 상기 먼지제거부(100)와 상기 제1손잡이부(200)의 단부가 연결되도록 상기 먼지제거부(100)에서 상기 제1손잡이부(200)까지 다수 개가 연장 형성된다.
상기 스크래퍼(400)는 상기 창문에 부착된 오물을 긁어내도록 상기 제1손잡이부(200)의 일단에 돌출 형성된다.
상기 물청소부(500)는 상기 창문을 물로 세척하도록 상기 손잡이부의 타단에서부터 상기 프레임부재(300)를 따라 연장 형성된다. 상기 물청소부(500)는 스폰지(510) 및 스퀴지(520)를 포함한다.
상기 스폰지(510)는 상기 물청소부(500)는 물 또는 세척액을 창문에 공급한다.
상기 스퀴지(520)는 물 또는 세척액을 창문에서 제거하도록 구비되며, 고무판 등을 이용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창문 청소장치(20)를 도시한 도면이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 2를 살펴보면, 상기 창문 청소장치(20)에는 제2손잡이부(600) 및 리브(7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손잡이부(600)는 상기 먼지제거부(100)와 상기 제1손잡이부(200) 사이의 공간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리브(700)는 상기 제2손잡이부(600)와 상기 먼지제거부(100), 상기 제1손잡이부(200) 또는 상기 프레임부재(300)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에 연결되도록 다수 개가 구비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창문 청소장치(30)를 도시한 도면이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 3을 살펴보면, 상기 창문 청소장치(30)의 상기 프레임부재(300) 외측변에는 결합홈(315)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부재(300)의 외측에는 청소부재(31)가 더 구비되되, 상기 청소부재(31)의 일측은 인접한 상기 프레임부재(300)의 결합홈(315)에 인입되도록 돌출되게 결합돌기(32a, 33a, 34a)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315)에 상기 결합돌기(32a, 33a, 34a)가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되어 상기 창문 청소장치(30)는 청소부재(31)가 탈, 부착 될 수 있다.
상기 청소부재(31)는 레일청소부재(32), 틈새청소부재(33) 및 연장청소부재(34)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레일청소부재(32)는 상기 창문의 레일을 청소하도록 상기 결합돌기(32a)가 형성된 반대방향으로 개구된 "ㄷ"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개구된 "ㄷ"자 형상의 내측에 레일을 청소하도록 레일솔(32b)이 구비된다.
상기 틈새청소부재(33)는 상기 창문의 틈새를 청소하도록 상기 결합돌기(33a)가 형성된 반대방향으로 "ㄱ"자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ㄱ"자 형상의 모서리부분의 내측에 틈새를 청소하도록 틈새솔(33b)이 구비된다.
상기 연장청소부재(34)는 상기 창문의 상기 청소솔(110), 레일청소부재(32, 틈새청소부재(33)가 닿지 않는 부분을 청소하도록 상기 결합돌기(34b)가 형성된 반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단부에 청소를 위한 연장솔(34b)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창문 청소시 다양한 도구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어 청소 작업자들의 편의를 높이고, 구조적으로 간단하여 제작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청소부재를 탈, 부착할 수 있어 다양한 형태의 창문 및 창문의 틈새를 청소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창문 청소장치
100 : 먼지제거부
110 : 청소솔
200 : 제1손잡이부
300 : 프레임부재
310 : 제1프레임부재
315 : 결합홈
320 : 제2프레임부재
400 : 스크래퍼
500 : 물청소부
510 : 스폰지
520 : 스퀴지
20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창문 청소장치
600 : 제2손잡이부
700 : 리브
710 : 상측리브
720 : 하측리브
30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창문 청소장치
31 : 청소부재
32 : 레일청소부재
32a : 레일청소부재 결합돌기
32b : 레일솔
33 : 틈새청소부재
33a : 틈새청소부재 결합돌기
33b : 틈새솔
34 : 연장청소부재
34a : 연장청소부재 결합돌기
34b : 연장솔

Claims (3)

  1. 창문의 먼지를 제거하도록 하단에 청소솔이 구비된 먼지제거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먼지제거부의 상측에서 소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된 제1손잡이부;
    상기 먼지제거부와 상기 제1손잡이부의 단부가 연결되도록 상기 먼지제거부에서 상기 제1손잡이부까지 연장 형성된 다수 개의 프레임부재;
    상기 창문에 부착된 오물을 긁어내도록 상기 제1손잡이부의 일단에 돌출 형성된 스크래퍼; 및,
    상기 창문을 물로 세척하도록 상기 제1손잡이부의 타단에서부터 상기 프레임부재를 따라 연장 형성된 물청소부;를 포함하되,
    상기 물청소부는 물 또는 세척액을 창문에 공급하는 스폰지와,
    물 또는 세척액을 창문에서 제거하는 스퀴지가 구비되고,
    상기 먼지제거부와 상기 제1손잡이부 사이의 공간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제2손잡이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2손잡이부와 상기 먼지제거부, 상기 제1손잡이부 또는 상기 프레임부재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에 연결되는 다수 개의 리브를 포함하되,
    상기 리브는 상기 제2손잡이부의 단부에서 상기 먼지제거부까지 소정 각도로 연장 형성된 다수 개의 하측리브와,
    상기 제2손잡이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1손잡이부까지 소정 각도로 연장 형성된 다수 개의 상측리브가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부재의 외측변에는 결합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부재의 외측에는 청소부재가 더 구비되되,
    상기 청소부재의 일측은 인접한 상기 프레임부재의 결합홈에 인입되도록 돌출되게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청소부재의 타측은,
    상기 창문의 레일을 청소하도록 상기 결합돌기가 형성된 반대방향으로 개구된 "ㄷ"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개구된 "ㄷ"자 형상의 내측에 레일을 청소하도록 레일솔이 구비된 레일청소부재와,
    상기 창문의 틈새를 청소하도록 상기 결합돌기가 형성된 반대방향으로 "ㄱ"자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ㄱ"자 형상의 모서리부분의 내측에 틈새를 청소하도록 틈새솔이 구비된 틈새청소부재와,
    상기 창문의 상기 청소솔, 레일청소부재, 틈새청소부재가 닿지 않는 부분을 청소하도록 상기 결합돌기가 형성된 반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단부에 청소를 위한 연장솔이 구비된 연장청소부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청소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80143585A 2018-11-20 2018-11-20 창문 청소장치 KR102064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585A KR102064263B1 (ko) 2018-11-20 2018-11-20 창문 청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585A KR102064263B1 (ko) 2018-11-20 2018-11-20 창문 청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4263B1 true KR102064263B1 (ko) 2020-01-09

Family

ID=69154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3585A KR102064263B1 (ko) 2018-11-20 2018-11-20 창문 청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426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948258U (zh) * 2011-01-13 2011-08-31 刘沛 墙角刷
CN205214587U (zh) * 2015-11-06 2016-05-11 常惠恒 家用便利清洁刷
KR101903933B1 (ko) * 2018-02-05 2018-10-02 주식회사 쿠친 유리청소용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948258U (zh) * 2011-01-13 2011-08-31 刘沛 墙角刷
CN205214587U (zh) * 2015-11-06 2016-05-11 常惠恒 家用便利清洁刷
KR101903933B1 (ko) * 2018-02-05 2018-10-02 주식회사 쿠친 유리청소용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4263B1 (ko) 창문 청소장치
KR200478286Y1 (ko) 미닫이 문의 문틀 홈 청소기
KR200478289Y1 (ko) 미닫이 문의 문틀 홈 청소기
KR101400518B1 (ko) 창틀 청소용구
KR20160088189A (ko) 솔을 부착한 창문이 창문틀을 자동으로 청소해주는 장치
KR200466368Y1 (ko) 창틀 청소용 솔
KR100804219B1 (ko) 청소용 도구
KR200474749Y1 (ko) 유리창 닦이
KR200261101Y1 (ko) 빗자루
KR20130042684A (ko) 아파트 베란다 유리창 양면 청소구 및 그를 이용한 청소방법
TWM563854U (zh) 清掃用具之刮屑器結構
CN205831724U (zh) 双面清洗装置
KR200447357Y1 (ko) 유리세척용구
CN207461830U (zh) 一种便于保持内壁清洁的新型玻璃展柜
JP2014223240A (ja) 洗車用具
CN204410738U (zh) 多功能拖地刷
KR20200142411A (ko) 거울 닦이가 부착된 거울
CN217659540U (zh) 一种窗户清洁用具
KR20170140861A (ko) 반으로 접는 봉걸레
KR200213098Y1 (ko) 유리창닦기 기구
US1416817A (en) Window washer and cleaner
TWM559696U (zh) 用於清潔拖把的刮水結構
KR200456687Y1 (ko) 빗자루
CN217610761U (zh) 一种便携式窗户玻璃擦洗设备
KR200466440Y1 (ko) 되감기형 걸레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