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5480B1 - 자동차 차체의 후방부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차체의 후방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5480B1
KR101145480B1 KR1020110020881A KR20110020881A KR101145480B1 KR 101145480 B1 KR101145480 B1 KR 101145480B1 KR 1020110020881 A KR1020110020881 A KR 1020110020881A KR 20110020881 A KR20110020881 A KR 20110020881A KR 101145480 B1 KR101145480 B1 KR 101145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vehicle body
center member
cross
wea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0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3827A (ko
Inventor
마사까즈 야마다
다까요시 노무라
Original Assignee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33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3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5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5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7Lugg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Motor Or Generator Cooling System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Manufacturing Of Steel Electrode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프셋 충돌 시에도 차량 후방부로부터의 입력 하중에 의해 리어 사이드 멤버가 내측으로 쓰러지는 일이 없고, 또한 그 충격 에너지를 충분히 흡수할 수 있는 자동차 차체의 후방부 구조를 제공한다.
제1 리어 사이드 멤버(1) 및 제2 리어 사이드 멤버(2)와, 이들을 차폭 방향으로 연결시키는 리어 크로스 멤버(4)와, 제1 리어 사이드 멤버(1)와 제2 리어 사이드 멤버(2) 사이이며 이들 리어 사이드 멤버와 대략 평행하게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4)에 대하여 결합된 리어 센터 멤버(5)에 의해 자동차 차체의 후방부 구조를 구성한다. 그리고, 이 리어 센터 멤버(5)에는 차량 후방으로부터의 입력 하중에 의해 변형되는 취약부를 형성한다. 취약부는, 2개소의 비드부(14, 15)와, 제2 리어 크로스 멤버(4)의 결합부에 근접함에 따라 그 단면이 감소되는 단면 감소부(16)로 구성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차체의 후방부 구조 {REAR STRUCTURE OF VEHICLE BODY}
본 발명은 자동차 차체의 후방부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후방부 충격 흡수 기술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1에는 차량 후방으로 연장되어 좌우로 배치된 리어 사이드 멤버에 복수개의 비드부를 형성하고, 차량 후방부로부터의 충격 하중이 리어 사이드 멤버의 후단부에 입력되었을 때에, 이들 비드부를 압축 파괴시켜 리어 사이드 멤버를 좌굴시킴으로써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도록 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1 : 실용신안 공표 평7-7265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차량 후방부에 대하여 차폭 방향의 어느 한 쪽으로 어긋나 충격 하중이 입력된, 소위 오프셋 충돌 시에 한 쪽의 리어 사이드 멤버만으로 충격 하중을 받는다. 그 때문에, 특허 문헌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리어 사이드 멤버가 좌굴되지 않고 내측 혹은 외측으로 쓰러져 버려, 충격 에너지를 충분히 흡수할 수 없다. 특히, 차량의 캐빈 후방부로부터 리어 사이드 멤버 후단부까지의 길이가 짧은, 소위 쇼트 오버행형의 차량의 경우, 후방부 충격 에너지를 충분히 흡수하는 것은 곤란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오프셋 충돌 시에도 차량 후방부로부터의 입력 하중에 의해 리어 사이드 멤버가 내측 혹은 외측으로 쓰러지는 일이 없고, 또한 그 충격 에너지를 충분히 흡수할 수 있는 자동차 차체의 후방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동차 차체의 후방부 구조에서는, 좌우로 배치되는 제1 리어 사이드 멤버와 제2 리어 사이드 멤버를 차폭 방향으로 연결시키는 리어 크로스 멤버를 차량 후방에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제1 리어 사이드 멤버와 제2 리어 사이드 멤버 사이이며 이들 리어 사이드 멤버와 대략 평행하게 리어 센터 멤버를,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에 연결시켜, 그 리어 센터 멤버에 취약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자동차 차체의 후방부 구조에 따르면, 제1 리어 사이드 멤버와 제2 리어 사이드 멤버 사이에 리어 센터 멤버를 이들 리어 사이드 멤버와 대략 평행하게 설치하고, 그 리어 센터 멤버를, 리어 크로스 멤버에 연결시킨 구조로 하고 있기 때문에, 오프셋 충돌 시에도 어느 한 쪽의 리어 사이드 멤버와 리어 센터 멤버에 입력 하중이 가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리어 센터 멤버에 입력 하중에 의해 변형되는 취약부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이 취약부를 기점으로 하여 리어 센터 멤버가 변형됨으로써 차량 후방부에 입력된 충격 에너지를 충분히 흡수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자동차 차체의 후방부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후방부 구조의 저면도.
도 3은 도 1의 후방부 구조의 측면도.
도 4는 차량 후방부에 입력 하중이 작용했을 때의 도면.
도 5는 리어 센터 멤버의 사시도.
도 6은 리어 센터 멤버의 측면도.
도 7은 도 6 각 선 위치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적용한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자동차 차체의 후방부 구조의 구조 설명」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자동차 차체의 후방부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후방부 구조의 저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후방부 구조의 측면도이고, 도 4는 차량 후방부에 입력 하중이 작용했을 때의 도면이고, 도 5는 리어 센터 멤버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리어 센터 멤버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각 선 위치의 단면도이다.
도 2에 있어서, 축 X는 차량 전후 방향을 나타내고, 축 Y는 차폭 방향을 나타내고, 화살표 FR은 차량 전방을 나타내고, 화살표 RR은 차량 후방을 나타낸다. 도 3에 있어서, 축 Z는 차량 높이 방향을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의 자동차 차체의 후방부 구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리어 사이드 멤버(1) 및 제2 리어 사이드 멤버(2)와, 제1 리어 크로스 멤버(3)와, 본 발명의 리어 크로스 멤버에 상당하는 제2 리어 크로스 멤버(4)와, 리어 센터 멤버(5)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리어 사이드 멤버(1) 및 제2 리어 사이드 멤버(2)는 차량 후방부의 주골격을 구성하고, 차량 후방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동시에 차폭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좌우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제1 리어 사이드 멤버(1) 및 제2 리어 사이드 멤버(2)의 차량 후단부에는 입력 하중을 받으면 변형되어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는 익스텐션 멤버(6, 7)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제1 리어 크로스 멤버(3)는 차체 후방부의 강성을 높이기 위하여, 제1 리어 사이드 멤버(1)와 제2 리어 사이드 멤버(2) 사이에 그 길이 방향을 차폭 방향을 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제1 리어 크로스 멤버(3)의 그 길이 방향의 각 단부를 제1 리어 사이드 멤버(1)와 제2 리어 사이드 멤버(2)에 연결시킴으로써 차체 후방부의 강성이 높아진다.
제2 리어 크로스 멤버(4)는 제1 리어 크로스 멤버(3)의 차량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리어 크로스 멤버(3)와 마찬가지로 제1 리어 사이드 멤버(1)와 제2 리어 사이드 멤버(2)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제2 리어 크로스 멤버(4)가 본 발명의 리어 크로스 멤버에 상당한다. 이 제2 리어 크로스 멤버(4)는 제1 리어 크로스 멤버(3)와 평행하게 배치됨으로써, 차체 후방부를 평면에서 보아 대략 井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제2 리어 크로스 멤버(4)의 하면(4a)에는, 스페어 타이어(8)를 유지하기 위한 스페어 타이어 유지 부재(9)가 설치되어 있다. 스페어 타이어(8)는 이 스페어 타이어 유지 부재(9)와, 스페어 타이어 행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상하로부터 유지된다.
리어 센터 멤버(5)는 제1 리어 사이드 멤버(1)와 제2 리어 사이드 멤버(2) 사이이며, 이들 멤버(1, 2)와 대략 평행하게 상기 제2 리어 크로스 멤버(4)의 후방에 결합되어 있다. 리어 센터 멤버(5)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멤버 부재(10)와 제2 멤버 부재(11)로 구성되고, 이들이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그 일부에 갖는 폐단면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리어 센터 멤버(5)에는 차량 후방으로부터의 입력 하중에 의해 변형되는 취약부(제1 취약부와 제2 취약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멤버 부재(10)는, 예를 들어 평판 금속을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차량 하방으로 움푹 들어가게 하여 형성한 오목 형상으로 된 돌출부(12)와, 이 돌출부(12)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플랜지부(13)를 갖고 있다. 이 돌출부(12)에는 저면(12a)으로부터 차량 상방을 향하여 볼록하게 되는 비드부(14)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비드부(14)는 차량 후방으로부터의 입력 하중에 의해 변형되는 계기가 되는(기점이 되는) 제1 취약부로서 기능하며, 그 볼록 형상을 차폭 방향을 향하여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12)의 내측 벽면(12b)에는, 동일하게 제1 취약부로서 기능하는 비드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이 비드부(15)는 상기 저면(12a)에 형성된 비드부(14)가 형성되는 위치보다도 더 차량 전방 위치에 형성되고, 플랜지부(13)의 일부에 걸쳐 저면(12a)을 향하는 종방향으로 긴 V 형상의 비드부(15)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비드부(15)는 차폭 방향 양측의 내측 벽면(12b) 각각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제1 멤버 부재(10)에는 제2 리어 크로스 멤버(4)와의 결합 부분에 제2 취약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취약부는 차량 후방으로부터 제2 리어 크로스 멤버(4)와의 결합부에 근접함에 따라 그 단면이 감소되는 단면 감소부(16)로서 형성되어 있다. 단면 감소부(16)는 차량 후방으로부터 상기 결합 부분을 향하여 차량 상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부로 되어 있다. 도 6의 선A-A 위치의 단면을 도 7의 (A)에 도시하고, 동일하게 선B-B 위치의 단면을 도 7의 (B)에 도시하고, 선C-C 위치의 단면을 도 7의 (C)에 도시한다. 이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멤버 부재(10)의 선단부측은 제2 리어 크로스 멤버(4)와의 결합 부분을 향하여 차량 상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부로서의 단면 감소부(16)로 되어 있다.
제1 멤버 부재(10)와 제2 리어 크로스 멤버(4)의 결합 부분은 상기 제1 멤버 부재(10)의 연결측의 플랜지부(13)로 되어 있다. 이 플랜지부(13)는 제2 리어 크로스 멤버(4)에 대하여 용접됨으로써 고정되어 있다.
제2 멤버 부재(11)는 제1 멤버 부재(10)의 약 1/3 혹은 1/2 정도의 크기로 되어, 상기 제1 멤버 부재(10)의 차량 후방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제2 멤버 부재(11)는 평판 금속을 소정 형상으로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멤버 부재(10)의 플랜지부(13)에 중첩되어 용접됨으로써 일체화되어 있다.
이 제2 멤버 부재(11)와 제1 멤버 부재(10)에는 스페어 타이어 행거의 일단부를 걸기 위한 훅(도시하지 않음)의 관통 구멍(17, 18)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멤버 부재(10)에 형성된 관통 구멍(18)은 제2 멤버 부재(11)에 형성된 관통 구멍(17)보다도 큰 구멍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큰 관통 구멍(18)이 형성됨으로써, 이 부위의 강성이 약해져 상기 관통 구멍(18)이 입력 하중에 의해 변형될 때의 촉진부가 된다.
「차량 후방부 변형 동작 설명」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 차체의 후방부 구조에 있어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후방으로부터 충돌 대상물(19)이 차량 전방을 향하여 입력 하중(F)으로 전체 충돌한 경우, 제1 리어 사이드 멤버(1) 및 제2 리어 사이드 멤버(2)에 설치된 익스텐션 멤버(6, 7)와, 이들 사이에 설치된 리어 센터 멤버(5) 각각에 입력 하중(F)이 입력된다. 전체 충돌은 제1 리어 사이드 멤버(1)와 제2 리어 사이드 멤버(2)와 리어 센터 멤버(5) 모두에 충돌 대상물(19)이 충돌하는 것으로 한다. 익스텐션 멤버(6, 7)는 그 입력 하중(F)에 의해 변형된다. 또한, 리어 센터 멤버(5)는 입력 하중(F)에 입력에 의해 최초로 제1 취약부인 2개소의 비드부(14, 15)가 변형의 기점이 되어 압괴(좌굴)되기 시작한다.
그리고, 이 비드부(14) 및 비드부(15)의 압괴가 계기가 되어 제2 멤버 부재(11)가 설치된 후단부 부위가 변형되어 간다. 그 후, 제2 취약부가 되는 단면 감소부(16)가 변형된다. 이 단면 감소부(16)는 제2 리어 크로스 멤버(4)와의 결합 부분을 향하여 차량 상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부로 되어 있기 때문에 리어 플로어 패널(20)을 차량 상방으로 밀어올린 것처럼 변형된다. 그 때문에, 스페어 타이어(8)의 후방부는 차량 상방으로 들어 올려져, 스페어 타이어 유지 부재(9)와 접촉하는 개소를 지지점으로 하여, 상대적으로 스페어 타이어(8)의 전방부는 차량 하방으로 끌어 내려진다. 이에 의해, 스페어 타이어(8)가 그 전방 상부에 설치된 캐니스터(21)에 간섭하여 이것을 차량 전방으로 밀어내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스페어 타이어(8) 및 캐니스터(21)가 이들 전방에 배치된 연료 탱크(22)를 눌러 변형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취약부와 제2 취약부가 변형의 계기가 되어 리어 센터 멤버(5)가 변형됨으로써 상기 충돌 대상물(19)에 의한 충격 에너지가 이 리어 센터 멤버(5)에 의해 흡수된다. 이 리어 센터 멤버(5)가 변형되어 에너지 흡수되어 약해진 입력 하중(F)은 제2 리어 크로스 멤버(4)를 통하여 그 양단부에 설치된 제1 리어 사이드 멤버(1)와 제2 리어 사이드 멤버(2)로 전달된다. 입력 하중(F)은 제1 리어 크로스 멤버(3)로 연결된 제1 리어 사이드 멤버(1)와 제2 리어 사이드 멤버(2)의 고강성 부위에 의해 감쇠된다.
오프셋 충돌의 경우에는, 제1 리어 사이드 멤버(1)와 제2 리어 사이드 멤버(2) 사이에 이들 멤버와 평행하게 리어 센터 멤버(5)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어느 한 쪽의 리어 사이드 멤버(1, 2)와 리어 센터 멤버(5)에 입력 하중(F)이 작용하게 된다. 그 때문에, 한 쪽의 리어 사이드 멤버(1, 2)만으로 입력 하중(F)을 받는 일이 없기 때문에, 리어 사이드 멤버(1, 2)가 차폭 방향 내측으로 구부러져 충격 에너지를 흡수할 수 없는 문제를 없앨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리어 사이드 멤버(1)와 제2 리어 사이드 멤버(2) 사이에 이들 리어 사이드 멤버와 대략 평행하게 리어 센터 멤버(5)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오프셋 충돌이어도 어느 한 쪽의 리어 사이드 멤버(1, 2)와 리어 센터 멤버(5)에 입력 하중이 작용하므로 충격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리어 센터 멤버(5)에 차량 후방으로부터의 입력 하중(F)에 의해 변형되는 취약부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차량 후방으로부터 하중이 입력되었을 때는 이 취약부를 계기로 하여 리어 센터 멤버(5)가 변형되어 충격 에너지를 충분히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리어 센터 멤버(5)가 변형되고 나서 입력 하중(F)을 제2 리어 크로스 멤버(4)를 통하여 좌우의 제1 리어 사이드 멤버(1)와 제2 리어 사이드 멤버(2)로 전달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리어 센터 멤버(5)에 의해 에너지 흡수되어 작아진 입력 하중(F)을 양 리어 사이드 멤버(1, 2)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입력 하중(F)에 의해 최초로 변형되는 제1 취약부와, 이 제1 취약부 후에 변형되는 제2 취약부로 취약부를 구성했으므로, 단계적으로 충격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동시에, 확실하게 리어 센터 멤버(5)를 변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취약부를 리어 센터 멤버(5)의 일부에 형성한 2개소의 비드부(14, 15)로 했으므로 간단한 구조로 취약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2 취약부를 제2 리어 크로스 멤버(4)와의 결합부에 근접함에 따라 그 단면이 감소되는 단면 감소부(16)로 했으므로 제2 취약부를 효율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단면 감소부(16)를 차량 후방으로부터 결합 부분을 향하여 차량 상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부로 했으므로, 입력 하중(F)에 의해 리어 플로어 패널(20)을 차량 상방으로 밀어올린 것처럼 변형시켜, 스페어 타이어(8) 및 캐니스터(21)를 차량 전방 하방으로 밀어 붙여 연료 탱크(22)가 변형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리어 센터 멤버(5)는 취약부가 변형되어 리어 플로어 패널(20)을 차량 상방으로 밀어올리므로, 차량 하면에 설치된 캐니스터(21)나 연료 탱크(22) 등의 부품을 충돌 시에 보호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적용한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제한되는 일은 없다.
예를 들어, 리어 센터 멤버(5)에 설치한 단면 감소부(16)의 전단부를, 제2 리어 크로스 멤버(4)의 상면이 아니라 하면(4a)에 고정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리어 센터 멤버(5)의 변형에 의한 충격 에너지의 흡수량을 크게 할 수 있다.
1 : 제1 리어 사이드 멤버
2 : 제2 리어 사이드 멤버
3 : 제1 리어 크로스 멤버
4 : 제2 리어 크로스 멤버
5 : 리어 센터 멤버
6, 7 : 익스텐션 멤버
8 : 스페어 타이어
10 : 제1 멤버 부재(리어 센터 멤버)
11 : 제2 멤버 부재(리어 센터 멤버)
14 : 비드부(제1 취약부)
15 : 비드부(제1 취약부)
16 : 단면 감소부(제2 취약부)
20 : 리어 플로어 패널
21 : 캐니스터
22 : 연료 탱크

Claims (7)

  1. 차량 차체의 제1 측면에 배치되고 차량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 리어 사이드 멤버 및 차량 차체의 제2 측면에 배치되고 차량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 리어 사이드 멤버와,
    상기 제1 리어 사이드 멤버 및 상기 제2 리어 사이드 멤버의 후단부에 각각 설치된 익스텐션 멤버와,
    상기 제1 리어 사이드 멤버에 결합된 제1 단부 및 상기 제2 리어 사이드 멤버에 결합된 제2 단부를 가진 리어 크로스 멤버와,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제2 단부 사이에서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와 결합하는 결합 부분을 가지는 리어 센터 멤버를 포함하는 차량 차체의 후방부 구조이며,
    상기 리어 센터 멤버는,
    상기 제1 리어 사이드 멤버 및 상기 제2 리어 사이드 멤버와 평행하게 직선형으로 차량 후방으로 연장하고,
    차량 후방으로부터 차량 전방으로 입력 하중이 인가될 때 변형되는 취약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어 센터 멤버의 차량 후방부로부터 상기 결합 부분에 근접할수록 차량 상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부를 포함하고,
    입력 하중이 차량 후방으로부터 상기 리어 센터 멤버에 인가되어 상기 리어 센터 멤버의 취약부가 변형될 때 리어 플로어 패널에 지지된 스페어 타이어의 차량 후방부가 차량 상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스페어 타이어의 차량 전방부가 차량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리어 센터 멤버의 경사부가 상기 리어 플로어 패널을 밀어올리는, 차량 차체의 후방부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약부는 입력 하중에 의해 최초로 변형되는 제1 취약부와, 상기 제1 취약부보다도 차량의 전방측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 취약부 변형 후에 변형되는 제2 취약부를 포함하는, 차량 차체의 후방부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취약부는 볼록부를 포함하는, 차량 차체의 후방부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센터 멤버는 하부면 및 상기 하부면을 부분적으로 감싸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볼록부는 상기 하부면에 형성된 제1 볼록부와 상기 측벽에 형성된 제2 볼록부를 포함하는, 차량 차체의 후방부 구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취약부는, 상기 결합 부분의 후방이며 상기 제1 취약부의 전방에 위치한 시작부로부터 상기 결합 부분에 근접함에 따라 상기 리어 센터 멤버의 단면이 감소하는 단면 감소부를 포함하는, 차량 차체의 후방부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약부는 상기 리어 센터 멤버의 일부에 위치한 볼록부로 형성된, 차량 차체의 후방부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약부는 상기 리어 센터 멤버의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와의 결합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리어 센터 멤버의 차량 후방부로부터 상기 결합 부분에 근접할수록 상기 리어 센터 멤버의 단면이 감소하는 단면 감소부로 형성되는, 차량 차체의 후방부 구조.
KR1020110020881A 2008-05-09 2011-03-09 자동차 차체의 후방부 구조 KR1011454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23423 2008-05-09
JPJP-P-2008-123423 2008-05-09
JPJP-P-2009-033710 2009-02-17
JP2009033710A JP5417878B2 (ja) 2008-05-09 2009-02-17 自動車車体の後部構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9983A Division KR20090117644A (ko) 2008-05-09 2009-05-08 자동차 차체의 후방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3827A KR20110033827A (ko) 2011-03-31
KR101145480B1 true KR101145480B1 (ko) 2012-05-15

Family

ID=4075665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9983A KR20090117644A (ko) 2008-05-09 2009-05-08 자동차 차체의 후방부 구조
KR1020110020881A KR101145480B1 (ko) 2008-05-09 2011-03-09 자동차 차체의 후방부 구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9983A KR20090117644A (ko) 2008-05-09 2009-05-08 자동차 차체의 후방부 구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657364B2 (ko)
EP (1) EP2116445B1 (ko)
JP (1) JP5417878B2 (ko)
KR (2) KR20090117644A (ko)
CN (1) CN101574980B (ko)
AT (1) ATE505390T1 (ko)
DE (1) DE602009001039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09842B2 (ja) * 2009-12-25 2014-06-04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後部車体構造
CN102465659B (zh) * 2010-11-12 2015-06-24 皇田工业股份有限公司 拉帘的边条钩挂装置
BR112014031099A2 (pt) * 2012-06-15 2017-06-27 Honda Motor Co Ltd estrutura de parte posterior de corpo de veículo
FR2997373A1 (fr) * 2012-10-29 2014-05-02 Renault Sa Procede de fabrication d'un plancher arriere de vehicule automobile et plancher arriere realise par un tel procede
CN103847794B (zh) * 2012-12-03 2015-12-23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架后部结构
US8857898B1 (en) * 2013-08-09 2014-10-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pare-tire collision management system
CN104369770A (zh) * 2013-08-17 2015-02-25 江苏卡威汽车工业集团有限公司 一种后地板车架
JP6252560B2 (ja) * 2015-07-27 2017-12-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後部構造
FR3060507B1 (fr) * 2016-12-16 2019-01-25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Structure arriere de vehicule automobile comprenant un renfort pour les collisions a l'arriere
JP6575917B2 (ja) 2017-07-06 2019-09-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後部構造
US10202028B1 (en) * 2017-08-09 2019-02-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Traction Battery Sub-Frame Assembly
JP6624526B2 (ja) * 2018-02-15 2019-12-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構造
WO2019198753A1 (ja) * 2018-04-11 2019-10-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車体構造
JP7156991B2 (ja) * 2019-03-29 2022-10-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サブフレーム構造
US11117619B2 (en) 2019-09-09 2021-09-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frame assembl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5455A (ja) 1999-03-08 2000-09-19 Mitsubishi Motors Corp 車体構造
JP2002274194A (ja) 2001-03-15 2002-09-25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のパワーユニット配置構造
JP2002321642A (ja) 2001-04-25 2002-11-05 Fuji Heavy Ind Ltd 自動車の後部車体構造
JP2007131259A (ja) 2005-11-14 2007-05-31 Suzuki Motor Corp 車両の下部構造

Family Cites Families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95688A (en) * 1935-11-06 1940-04-02 Windberger Othmar Motor vehicle
US2823068A (en) * 1954-10-05 1958-02-11 Walker Brooks Vehicle spare tire mounting
US3595335A (en) * 1969-09-25 1971-07-27 Budd Co Front end vehicle body structure
US3848886A (en) * 1972-10-05 1974-11-19 Ford Motor Co Body support and impact absorbing frame system for a motor vehicle
US3870341A (en) * 1973-08-29 1975-03-11 Dwen R Younger Straddle trailer hitch
US3912295A (en) * 1974-03-04 1975-10-14 Budd Co Crash energy-attenuating means for a vehicle frame construction
FR2317152A1 (fr) * 1975-07-07 1977-02-04 Peugeot Dispositif de rangement d'une roue de secours sur un vehicule automobile
JPS57172882A (en) * 1981-04-15 1982-10-23 Nissan Motor Co Ltd Spare tire loading device
US4514008A (en) * 1981-06-05 1985-04-30 Toyota Jidosha Kogyo Kabushiki Kaisha Vehicle body floor construction of motor vehicle
US5018780A (en) * 1985-10-01 1991-05-28 Mazda Motor Corporation Vehicle lower body structure
US4958870A (en) * 1988-09-30 1990-09-25 Bernie Carter Combination bumper and tire storage compartment with tire lock mechanism
JPH077265Y2 (ja) 1989-02-17 1995-02-22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衝撃吸収構造
JP2839658B2 (ja) * 1989-07-03 1998-12-16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後部車体構造
JPH0353384U (ko) * 1989-09-30 1991-05-23
JP2991311B2 (ja) * 1991-03-30 1999-12-20 マツダ株式会社 車体後部構造
US5419609A (en) * 1993-01-07 1995-05-30 Ford Motor Company Energy isolation apparatus for an automotive vehicle
JPH077265A (ja) 1993-06-15 1995-01-10 Dainippon Toryo Co Ltd 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法
CA2136134C (en) * 1994-04-25 1999-07-27 James E. Borchelt Light weight steel auto body construction
US5429388A (en) * 1994-05-09 1995-07-04 Ford Motor Company Angular and frontal energy absorbing vehicle frame structure
JP3434069B2 (ja) * 1995-02-17 2003-08-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後部構造
US5788322A (en) * 1995-12-13 1998-08-04 Dr. Ing. H.C.F. Porsche Ag Body structure for a rear carriage of a convertible
JP3738508B2 (ja) * 1996-12-13 2006-01-2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体の前部フレーム構造
US5853195A (en) * 1997-01-16 1998-12-29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Front rail assembly for a vehicle
US5860687A (en) * 1997-12-19 1999-01-19 Chrysler Corporation Vehicle spare tire storage system having stiffening plate
DE19913532B4 (de) 1998-03-26 2006-01-26 Wagon Automotive Gmbh Kraftfahrzeugkarosserie sowie Versteifungsrahmen für eine Kraftfahrzeugkarosserie
DE19829432C2 (de) 1998-07-01 2003-07-17 Daimler Chrysler Ag Bodenstruktur für eine selbsttragende Rohbaukarosserie eines Kraftfahrzeugs
US6389670B2 (en) * 1999-10-29 2002-05-21 Accubuilt, Inc. Vehicle with full size spare tire conversion and lifting mechanism
JP3828329B2 (ja) * 2000-02-18 2006-10-0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車体構造
US6293587B1 (en) * 2000-03-17 2001-09-25 Dana Corporation Vehicle body and frame assembly including energy absorbing structure
JP4593014B2 (ja) * 2001-06-05 2010-12-08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後部車体構造
JP3574091B2 (ja) * 2001-06-12 2004-10-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後部車体構造
JP4010817B2 (ja) * 2002-01-30 2007-11-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車体フレーム構造
JP4168812B2 (ja) * 2003-04-07 2008-10-22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車体後部の結合構造
US6830287B1 (en) * 2003-07-24 2004-12-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ear rail neutralizing member
DE102004008435B4 (de) 2004-02-19 2008-11-13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Im Bereich der Crashbox verstärkter Querträger
US7389860B2 (en) * 2004-03-29 2008-06-24 The Texas A&M University System Energy absorbing device having notches and pre-bent sections
JP4251562B2 (ja) 2004-07-20 2009-04-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バンパビーム
JP2006082742A (ja) * 2004-09-17 2006-03-30 Suzuki Motor Corp 後部車体構造
JP4771677B2 (ja) 2004-09-21 2011-09-14 スズキ株式会社 自動車の車体後部構造
US7699346B2 (en) * 2005-03-23 2010-04-20 Chrysler Group Llc Force redistributing system for a vehicle in the event of a rear impact
JP2007038839A (ja) * 2005-08-03 2007-02-15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後部車体構造
JP4404036B2 (ja) * 2005-09-21 2010-01-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後部構造
JP4752453B2 (ja) * 2005-10-27 2011-08-1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スペアタイヤ収納構造
JP4654917B2 (ja) * 2006-01-12 2011-03-2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体後部構造
JP4478654B2 (ja) * 2006-02-13 2010-06-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フロア構造
JP4813251B2 (ja) * 2006-05-12 2011-11-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サブフレームおよびサブフレームの製造方法
JP5001608B2 (ja) * 2006-09-04 2012-08-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後部車体構造
JP4301271B2 (ja) * 2006-09-12 2009-07-2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車体構造
US7731257B2 (en) * 2006-09-22 2010-06-08 Ford Global Technologies Collision management system for compartment-mounted automotive spare tire
JP5032853B2 (ja) * 2007-01-19 2012-09-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後部構造
JP4917958B2 (ja) * 2007-05-08 2012-04-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後部構造
US7784858B2 (en) * 2007-06-22 2010-08-31 Honda Motor Co., Ltd. Rear vehicle body structure
US7527327B2 (en) * 2007-09-18 2009-05-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ear vehicle subassembly having a towing hitch member
JP4572241B2 (ja) * 2008-01-31 2010-11-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後部車体構造
JP5257610B2 (ja) * 2009-03-10 2013-08-07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の衝突検知構造
US8292356B2 (en) * 2009-03-17 2012-10-23 Mazda Motor Corporation Lower vehicle-body structure of veh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5455A (ja) 1999-03-08 2000-09-19 Mitsubishi Motors Corp 車体構造
JP2002274194A (ja) 2001-03-15 2002-09-25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のパワーユニット配置構造
JP2002321642A (ja) 2001-04-25 2002-11-05 Fuji Heavy Ind Ltd 自動車の後部車体構造
JP2007131259A (ja) 2005-11-14 2007-05-31 Suzuki Motor Corp 車両の下部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278384A1 (en) 2009-11-12
CN101574980B (zh) 2012-12-26
JP2009292460A (ja) 2009-12-17
EP2116445A2 (en) 2009-11-11
DE602009001039D1 (de) 2011-05-26
CN101574980A (zh) 2009-11-11
US8657364B2 (en) 2014-02-25
KR20110033827A (ko) 2011-03-31
KR20090117644A (ko) 2009-11-12
ATE505390T1 (de) 2011-04-15
EP2116445A3 (en) 2009-11-18
JP5417878B2 (ja) 2014-02-19
EP2116445B1 (en) 2011-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5480B1 (ko) 자동차 차체의 후방부 구조
US7540559B2 (en) Rear structure of vehicle body
JP4752453B2 (ja) スペアタイヤ収納構造
JP5493897B2 (ja) 車体後部の下部構造
US8651564B2 (en) Polygonal cross-sectional frame, and rear vehicle body structure
JP5428802B2 (ja) 車体後部の下部構造
JP5842747B2 (ja) 車両後部構造
JP4593014B2 (ja) 自動車の後部車体構造
US20190375457A1 (en) Vehicle rear structure
JP2005335619A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JP5630615B2 (ja) 車両の車体構造
CN109641623A (zh) 车身构造
WO2020137102A1 (ja) 車両の前部構造
CN115610524A (zh) 车身后部结构
JP2006213093A (ja) 自動車の車体前部構造
JP2014040209A (ja) 車両の車体下部構造
CN115610523A (zh) 车身后部结构
JP2009035233A (ja) 車体構造
JP2008189232A (ja) 車両前部構造
JP2874411B2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用スプリングの支持構造
JP2007131040A (ja) 車両の後部車体構造
JP6925761B2 (ja) 車両前部構造
JP3141915B2 (ja) 車両のスペアタイヤパン構造
JP7246836B2 (ja) 車両前部構造
JPH01309881A (ja) 車両の前部車体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