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8325B1 - 콘택트 프로브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콘택트 프로브 및 그 제조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8325B1
KR100808325B1 KR1020010030662A KR20010030662A KR100808325B1 KR 100808325 B1 KR100808325 B1 KR 100808325B1 KR 1020010030662 A KR1020010030662 A KR 1020010030662A KR 20010030662 A KR20010030662 A KR 20010030662A KR 100808325 B1 KR100808325 B1 KR 100808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contact probe
plunger
lead wire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0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10168A (ko
Inventor
하가쯔요시
오쿠무라카쯔야
하야사카노브오
시바타히데키
마쯔나가노리아끼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110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0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8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83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16Elastic
    • G01R1/06722Spring-load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16Elasti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33Geometry asp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33Geometry aspects
    • G01R1/06738Geometry aspects related to tip por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 Testing Or Measuring Of Semiconductors Or The Like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기판이나 액정표시장치 등의 전기검사를 행하기 위한 콘택트 프로브에 있어서 좁은 피치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보다 미세한 콘택트 프로브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 것이며, 그 해결수단에 있어서, 콘택트프로브는, 석판인쇄공정과 도금공정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작되며, 피검사 회로에 접촉시키기 위한 플런저부(1)과, 스프링부(2)와, 리드선 접속부(3)이 일정한 평면형상에 대해서 상기 평면형상에 수직인 판두께 방향으로 균일하게 두께를 지닌 입체형상이 되도록 일체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프링부(2)와 평행으로 가인드부(6)도 일체 형성되어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스프링부(2)의 단위형상마다 스토퍼부(7)도 포함하는 형상으로 일체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콘택트 프로브 및 그 제조방법{CONTACT PROB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반도체 기판이나 액정표시장치 등의 전기검사를 행하기 위한 콘택트 프로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기판이나 액정표시장치 등에 형성된 회로의 검사는, 일반적으로, 다수의 콘택트 프로브를 구비한 검사장치를 사용해서 행하여지고 있다. 이 콘택트프로브의 1개 1개의 구조로서는, 종래는, 예를 들면, 일본국 실개평 6-22964호 공보나 동 실개평 6-22965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있었다. 그 구조를 도 18에 표시한다. 도 18에 표시한 콘택트 프로브(100)은, 소켓(104)의 내부에 배럴(103)이 배치되어 있고, 배럴(103)의 다시 내부에, 코일 스프링을 사용한 스프링(102)가 배치되어 있다. 피검사 회로에 접촉시키기 위한 플런저(101)은, 스프링(102)에 의해서 배럴(103)의 끝에서 돌출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이런 구조에서는, 플런저(101), 스프링(102), 배럴(103), 소켓(104)는, 각각 독립된 부품이다. 따라서, 조립할 때에는, 플런저(101) 및 스프링(102)를, 스프링(102)가 플런저(101)에 대해서 외부방향으로 가압하도록, 배럴(103)에 삽입하고, 이 배럴(103)을 소켓(104)에 삽입함으로써 행하여진다.
최근, 검사대상이 되는 회로의 더 한층의 고밀도화, 미세화에 의해, 1대의 검사장치당 보다 많은 콘택트 프로브가 고밀도로 탑재되도록 되어왔다. 그 결과, 예를 들면, 복수의 콘택트 프로브를 0.1㎜ 이하의 좁은 피치에 의해 배열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도 18을 참조해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의 콘택트 프로브(100)에서는, 플런저(101), 스프링(102), 배럴(103), 소켓(104)라는 개개의 부품으로 조립하는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콘택트 프로브의 미세화에 수반해서, 개개의 부품도 미세화되기 때문에, 조립이 곤란한 것으로 되어가고 있었다. 또, 종래, 개개의 부품은 기계가공되어서 제작되고 있었기 때문에, 콘택트 프로브의 미세화가 진행함에 따라서, 개개의 부품도 미세화하고, 개개의 부품의 기계가공이 곤란한 것으로 되어가고 있었다. 특히, 기계가공에 의한 부품의 경우, 0.1㎜ 이하의 피치에 의해 배열하고자 하면, 각 부품자체의 두께가 방해가 되어서, 배열이 불가능하였다.
한편, 1대의 검사장치에 수많은 콘택트 프로브를 탑재하고자 할 때에, 종래는, 콘택트 프로브의 개개의 부품을 기계가공하고 있었기 때문에, 콘택트 프로브의 수의 증가에 비례해서 부품가공 코스트도 증대하고, 사회의 요청에 충분히 호응하지 못하는 것으로 되어 있었다.
또, 회로동작의 고속화와 좁은 피치화에 의해, 콘택트 프로브끼리의 크로스토크 노이즈가 증대하고, 이 노이즈의 존재에 의해서, 검출감도가 저하하기 때문에, 문제로 되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더 한층의 좁은 피치화에 대응하기 위해, 보다 미세한 콘택트 프로브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그와 같은 미세한 구조에 있어서도, 크로스토크노이즈를 방지할 수 있는 실드기능을 가진 콘택트 프로브를 제공하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거한 콘택트 프로브는, 피검사 회로에 접촉시키기 위한 플런저부와, 한쪽끝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부를 지지하는 스프링부와, 상기 스프링부의 다른끝을 리드선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리드선 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플런저부와 상기 스프링부와 상기 리드선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런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개개의 부품마다의 가공의 시간이 불필요하게 되고, 조립의 시간도 불필요하기 때문에, 콘택트 프로브의 미세화나 많은 개수화에 대응하기 쉽게 된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런저부와 상기 스프링부와 상기 리드선 접속부가, 일정한 평면형상에 대해서 상기 평면형상에 수직인 두께방향으로 균일하게 두께를 가지게 한 입체형상이 되도록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가령 미세한 구조라 해도 일정한 마스크를 사용한 석판인쇄와 도금을 조합시킨 제조방법으로 일체적인 것으로 해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프링부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스프링부를 일정한 자세로 유지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부와 상기 스프링부와 상기 리드선 접속부와 상기 안내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콘택트 프로브의 사용 상황에 따라서, 가이드부를 필요로 하는 경우일지라도, 가이드부의 조립의 시간을 생략할 수 있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런저부와 상기 스프링부와 상기 리드선 접속부와 상기 가이드부가, 일정한 평면형상에 대해서 상기 평면형상에 수직인 두께방향으로 균일하게 두께를 가지게 한 입체형상이 되도록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가령 미세한 구조라 해도 일정한 마스크를 사용한 석판인쇄와 도금을 조합시킨 제조방법으로 일체적인 것으로 해서, 가이드부도 포함해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내벽이 절연체로 피복된 도전체를 포함하는 통형상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통형상부재는 상기 스프링부의 바깥쪽을 포위하고 있고, 상기 플런저부는, 상기 통형상부재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통형상부재가 가이드부의 역할을 다할 수 있다. 또, 통형상부재가 도전체를 포함하므로, 스프링부를 통형상부재에 의해서 실드하고, 크로스토크 노이즈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드선 접속부와 상기 통형상 부재가 상호고정되어 있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사용중에 통형상부재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프링부가,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 단위형상을 복수회 반복해서 접속한 형상을 포함한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마스크의 패턴이 간결하게 되고, 각 부위에 의해서 스프링 정수가 균일한 스프링부로 할 수 있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프링부가, 상기 단위형상마다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스프링부의 길이방향의 탄성변형이 일정 이상으로 되었을 때에 상기 단위형상을 구성하는 판스프링에 맞닿게 되어 탄성변형이 보다 커지는 것을 방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스프링이 탄성한도를 초과해서 소성(塑性)변형을 일으키고, 사용불능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런저부가, 꼭대기부와, 상기 꼭대기부를 사이에 두는 사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면부끼리가 이루는 각도가 90˚이하이고, 상기 꼭대기부의 횡단면의 곡율반경이 5㎛ 이하이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피검사 회로의 표면에 형성된 자연산화막 등의 절연물을 깨뜨리기 쉬어지고, 보다 확실하게 전기적 접촉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런저부의 상기 꼭대기부를 포함하는 일부 또는 전체의 표면이, 상기 플런저부의 내부의 재질보다 체적저항율이 작은 재질로 피복 되었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플런저부를 피검사 회로에 접촉시켰을 때의 전기적 접촉저항을 작게 할 수 있고, 안정된 전기적 접촉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의거한 콘택트 프로브의 제조방법은, 피검사 회로에 접촉시키기위한 플런저부와, 한쪽끝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부를 지지하는 스프링부와, 상기 스프링부의 다른끝을 리드선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리드선 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플런저부와 상기 스프링부와 상기 리드선 접속부가, 일정한 평면형상에 대해서 상기 평면형상에 수직인 두께 방향으로 균일하게 두께를 가지게 한 입체형상이 되도록 일체화 형성된, 콘택트 프로브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도전성을 가진 기판위에 레지스트막을 형성하는 레지스트형성공정과, 상기 레지스트막에 대해서, 일체부 마스크를 사용해서 노광을 행하는 노광공정과, 상기 레지스트막 중의 상기 석판인쇄공정에 있어서 노광한 부분을 제거하는 제 1레지스트제거 공정과, 상기 레지스트막 중의 상기 제 1레지스트 제거공정에 있어서 제거한 부분을 금속에 의해 메우는 도금공정과, 상기 레지스트막의 잔존부분을 제거하는 제 2레지스트 제거공정과, 상기 기판을 제거하는 기판제거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일체부 마스크로서, 상기 콘택트 프로브를 상기 두께 방향으로 투영한 형상의 마스크를 사용한다.
상기 제조방법을 채용함으로써, 플런저부와 스프링부와 리드선 접속부가 일체로 된 콘택트 프로브를 용이하게 제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콘택트 프로브의 미세화, 복잡화에도 대응할 수 있고, 조립작업도 불필요하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콘택트 프로브로서, 상기 스프링부와 평행으로 배치되고, 상기 스프링부를 일정한 자세로 유지하는 가이드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제조방법을 채용함으로써, 플런저부와 스프링부와 리드선 접속부와 가이드부가 일체로 된 콘택트 프로브를 용이하게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콘택트 프로브의 미세화, 복잡화에도 대응할 수 있고, 조립의 작업도 불필요하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을 참조해서,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콘택트 프로브(5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콘택트 프로브(50)은 피검사 회로에 접촉시키기 위한 플런저부(1)과, 스프링부(2)와, 리드선 접속부(3)을 구비하고 있다. 스프링부(2)는, 그 한쪽끝에 있어서 플런저부(1)을 지지하고 있고, 다른 끝은, 리드선 접속부(3)과 접속되어 있다. 리드선 접속부(3)은, 스프링부(2)의 끝을 리드선(도시생략)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이 구조는, 도전성의 재료로부터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이며, 도 1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일정한 평면형상에 대해서 상기 평면형상에 수직인 두께방향으로 균일하게 두께를 가지게 한 입체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어느 개소에 있어서도 두께는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한, 더욱 확실하게 다짐하기 위해 두께방향이란, 도 1에 있어서 좌하에서부터 우상에 걸친 방향이다.
도 1에 표시한 콘택트 프로브(50)의 예에서는, 스프링부(2)는, 판스프링이 각각 단위형상으로서의 링을 구성하고, 그 링이 복수반복해서 접속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2∼도 7을 참조해서, 콘택트 프로브(50)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도전성의 기판(21)의 표면에 레지스트막(22)를 형성한다(도시생략). 기판(21)로서는, Ti를 스퍼터한 Si기판을 사용한다. 단, 알루미늄기판 등, 다른 도전성기판이어도 된다.
도 2에 표시한 일체부 마스크(30)을 사용해서, 도 3에 표시한 바와 같이, 레지스트막(22)의 표면에 X선(23)을 조사한다. 여기서는, X선 석판인쇄를 사용한 방법을 따라서 설명하나, X선 석판인쇄 대신에 UV(자외선)석판인쇄를 사용해도 된다. 어떻든, 현상 후, 노광개소(24)의 레지스트를 제거한다. 그 결과, 도 4에 표시한 바와 같이 오목한 부분(25)가 형성된다.
도 5에 표시한 바와 같이, 도금을 행하고, 오목한 부분(25)를 금속층(26)으로 메운다. 금속층(26)의 재질로서는, 니켈이나, Ni-Co, Ni-W, Ni-Mn 등의 니켈계 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이외에, 팔라듐(Pd), 로듐(Rh) 또는 루테늄(Ru) 등을 사용해도 된다.
산소 플라즈마에 의한 어싱 또는 재조사 후의 현상에 의해서 기판(21)위에 잔류하고 있던 레지스트막(22)를 제거한다. 그 결과, 도 6에 표시한 구조로 된다, 수산화칼륨(KOH)에 의해서 기판(21)의 부분을 용해해서 금속층(26)의 부분만을 인출한다. 그 결과, 도 7에 표시한 것같이 콘택트프로브(50)이 얻어진다. 즉, 이것이, 도 1에 표시한 콘택트 프로브(50)이다.
또, 플런저부(1)의 전기적 접촉저항을 작게하기 위하여 플런저부의 전체표면 또는 플런저부(1)의 선단부근의 표면을 금(Au) 또는 로듐(Rh) 등에 의해 도금해도 된다.
도 8을 참조해서, 콘택트 프로브(50)을 사용해서, 피검사 기판(64)의 표면에 형성된 피검사 회로(65)의 검사를 행하는 구체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검사장치의 절연기판(61)에는, 피검사 회로(65)의 배열피치에 맞추어서, 복수의 가이드 구멍 (62)가 형성되어 있다. 각 가이드 구멍(62)의 내부에는, 각각 콘택트 프로브(50)이 배치되고, 각 콘택트 프로브(50)의 선단은 절연기판(61)의 피검사 기판(64)에 대향하는 쪽의 면에서 돌출하고 있다. 절연기판(61)의 피검사 기판(64)와 반대쪽의 면에 있어서는, 리드선으로서, 예를 들면 가요성 프린트회로(FPC)(63) 등을 배치하고, 각 콘택트 프로브(50)의 리드선 접속부(3)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검사장치를 사용해서, 피검사 회로(65)의 검사를 행하였다.
상술한 콘택트 프로브는, 도 1을 참조해서 설명한 바와 같은 일정한 평면형상에 대해서 상기 평면형상에 수직인 두께 방향으로 균일하게 두께를 가지게 한 입체형상이므로, 가령 미세한 구조라 하더라도 상술한 바와 같은 석판인쇄와 도금을 조합한 제조방법에 의해 일체적인 것으로 해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 제조방법에서는, 개개의 부품을 기계가공하거나, 조립하거나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콘택트 프로브로서의 미세화, 복잡화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다.
상술한 콘택트 프로브(50)에 있어서는, 플런저부(1)이 스프링부(2)의 선단에 지지되어 있으며, 스프링부(2)가 판스프링의 단위형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플런저부(1)에 대해서, 콘택트 프로브(50)의 길이방향(도 1에 있어서의 상하방향)에 가압하는 힘이나 충격력이 가해지면, 스프링부(2)가 전체로서 탄성변형하고, 그 에너지를 흡수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콘택트 프로브와 마찬가지로, 탄성변형의 스트로크를 충분히 길게 확보하면서, 종래보다 콘택트 프로브 전체의 폭은 작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트로크를 0.05㎜ 이상으로 해서 폭을 0.1㎜ 이하로 할 수 있다.
또, 그와 같은 미세한 구조이면서, 스프링 정수의 불균일은 충분히 낮은 것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프링 정수의 범위는, 0.1N/㎜∼10N/㎜인 것으로 해서, 스프링 정수의 불균일은, UV 석판인쇄의 경우, ±35% 이내이며, X선 석판인쇄의 경우의 경우, ±10% 이내로 할 수 있다. X선 석판인쇄의 경우의 쪽이 불균일이 작게 되어 있는 것은, X선의 쪽이 파장이 짧기 때문에, 석판인쇄에 있어서의 분해능이 뛰어나 있어, 판스프링의 두께를 정밀도 좋게 제작되기 때문이다.
또한, 플런저부의 전체표면 또는 플런저부의 선단부근의 표면을 금(Au) 또는 로듐(Rh) 등, 플런저부의 내부의 재질보다 체적저항율이 작은 재질로 피복하는 것으로하면, 플런저부를 피검사 회로에 접촉시켰을 때의 전기적 접촉저항을 작게 할수 있어, 안정된 전기적 접촉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콘택트 프로브의 형상은, 도 1에 표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에 표시한 콘택트 프로브(50)의 플런저부(1) 주변을 확대한 것을 도 9a에 표시한다. 플런저부의 형상은, 피검사 회로의 형상, 성질에 따라서, 도 9b에 표시한 바와 같은, 플런저부(1a)이어도 되고, 도 9c에 표시한 바와 같은 플런저부(1b)이어도 된다.
도 9a에 표시한 플런저부(1a)의 확대된 사시도를 도 10a에 표시한다. 플런저부(1a)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있다. 즉, 1변이 꼭대기부(4)와, 이 꼭대기부 (4)를 사이에 두는 2개의 면인 사면부(5)를 포함하고 있다. 이 플런저부(1a)의 형상의 횡단면도는, 도 10b에 표시되게 된다. 즉, 도 10b 중에 표시한 바와 같이, 사면부(5)끼리가 이루는 각도가 90°이하이며, 꼭대기부(4)의 횡단면의 곡율반경은 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피검사 회로의 표면에 형성된 자연산화막 등의 절연막을 깨뜨리기 쉬우며, 보다 확실하게 전기적 접촉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스프링부에 대해서도, 도 1과 마찬가지로,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 단위형상을 복수회 반복해서 접속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나, 구체적 형상으로서는, 도 1에 표시한 이외의 형상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1에 표시한 콘택트 프로브(51)이 가지는것 같이, 파형의 스프링부(2a)이어도 된다. 스프링부(2a)의 경우는, 판스프링으로 구성되는 S자형의 부분을 단위형상으로 간주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2)
도 12를 참조해서,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콘택트 프로브(52)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콘택트 프로브(52)는, 피검사 회로에 접촉시키기 위한 플런저부(1)과, 스프링부(2)와, 리드선 접속부(3)과, 가이드부(6)을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부(6)이 부가된 점 이외의 구성요건은,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 도 1을 참조해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가이드부(6)도, 다른 부분과 함께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 제조방법에 비해서, 일체부 마스크로서, 도 2에 표시한 일체부 마스크(30)의 대신에, 도 13에 표시한 일체부 마스크(31)을 사용한다는 점 만이 상이하다. 다른 공정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도 8을 참조해서 설명한 사용예에서는, 콘택트 프로브(50)을 절연기판(61)의 가이드구멍(62)의 내부에 배치해서 사용했기 때문에, 가이드부(6)은 필요없었으나, 다른 사용법에 있어서는 스프링부(2)의 좌굴(buckling)을 막고, 스프링부(2)를 일정한 자세로 유지하기 위한 무엇인가의 가이드가 필요하게 된다. 도 1에 표시한 콘택트 프로브(50)의 경우는, 가이드부를 이후에 장착할 필요가 있었으나, 도 12에 표시한 콘택트 프로브(52)의 경우는, 가이드부(6)도 일체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가이드부를 장착할 필요가 없고, 조립의 노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이후에 조립하는 경우와 달라, 일체부 마스크(31)을 설계하는 시점에서 정확히 설계를 행하여 두기만 하면, 확실하게 소망의 위치관계에서 가이드부(6)이 형성된 것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부(6)을 형성하는 경우, 스프링부의 형상은, 도 12에 표시한 콘택트 프로브(52)의 스프링부(2)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4에 표시한 콘택트 프로브(53)이 가지는것같이 스프링부(2a)이어도 된다.
도 12에 표시한 콘택트 프로브(52)의 스프링부(2)의 각 단위 형상마다 스토퍼부(7)을 형성해서, 도 15에 표시한 콘택트 프로브(54)와 같은 구성으로 해도 된다. 스토퍼부(7)이란, 필요이상으로 스프링이 휘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스프링이 탄성한도를 초과해서 소성변형을 발생하고, 사용불능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토퍼부의 형상은 스토퍼부(7)에 한정되지 않으며, 달리 예를 들면, 도 16에 표시한 콘택트 프로브(55)가 가지는 것 같이 스토퍼부(7a)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스토퍼부의 형상이 다소 변화하더라도, 일체부 마스크의 패턴 형상을 변경하는 것 만으로 대응할 수 있고,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은 석판인쇄와 도금을 사용한 제조방법으로 일체화 형성할 수 있는 것에는 변함이 없다.
(실시의 형태 3)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콘택트 프로브(56)은, 일체형성되는 부분의 형상은, 도 1에 표시한 콘택트 프로브(50)과 동일하나, 도 17a에 표시한 바와 같이, 그 일체형성되는 부분을 통형상부재(8)의 내부쪽에 삽입하고, 도 17b에 표시한 바와 같이, 플런저부(1)이 통형상부재(8)의 반대쪽의 끝에서 돌출하도록 하고 있다. 단, 통형상부재(8)은, 기본적으로는, 내벽이 절연체로 피복된 도전체로 이루어진다. 또, 리드선 접속부(3)과 통형상부재(8)과의 맞겹치는 개소인 고정부(9)에 있어서, 리드선 접속부(3)과 통형상부재(8)을, 서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런저부(1)이 통형상부재(8)의 끝에서 돌출하고 있기 때문에, 플런저부(1)을 피검사 회로에 접촉시켜서 검사를 행하는 것은 종래대로 가능한 한편, 스프링부(2)가 통형상부재(8)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 가이드부를 형성하지 않아도, 통형상 부재(8)이 스프링부(2)의 자세를 유지하는 가이드부의 역할을 다한다. 또, 통형상부재(8)은, 기본적으로 도전체로 이루어지므로, 스프링부(2)를 실드하는 역할도 다한다. 한편, 통형상부재(8)은, 도전체로 이루어지나, 내벽이 절연체로 피복되어 있기 때문에, 스프링부(2)에 접촉되어도, 스프링부(2)에 흐르는 전류를 단락시키는 일은 없다. 또,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하게 되는 작용·효과도 가진다.
본 실시의 형태의 구체적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의 형태 1에 있어서 설명한 제조방법에 의해, 폭 0.056㎜의 콘택트 프로브(50)을 제작했다. 한편, 외경 1.2㎜, 내경 0.08㎜의 놋쇠 또 스테인레스제의 파이프로서, 안쪽을 절연체, 예를 들면 테플론 또는 파리렌에 의해 코팅한 것을 통형상부재(8)로서, 준비했다. 단, 통형상부재(8)은, 이와 같은 파이프의 대신에, 유리, 또는, 테플론, 듀라콘 등의 수지제의 파이프로서, 외부쪽을 금속으로 코팅한 것이라도 된다. 또한, 통형상부재(8)은, 원통에 한정되지 않으며, 단면이 원 이외의 형상이라도 된다.
도 17a, 도 17b에 표시한 바와 같이, 콘택트 프로브(50)을, 통형상부재(8)의 안쪽에 삽입하고, 고정부(9)에 있어서 접착 또는 코오킹에 의해서 고정했다.
또, 리드선 접속부(3)과 통형상부재(8)의 각각으로부터 전극을 인출하고(도시생략), 통형상부재(8)을 그랜드함으로써, 스프링부(2)는, 통형상부재(8)에 의해서 실드되는 구성이 되기 때문에, 통상은 크로스토크 노이즈가 문제로 되는 수 GHZ정도의 고주파에서의 측정이 가능하게 되었다.
피검사 회로에 접촉시킬때에, 플런저부(1)뿐만 아니라, 통형상부재(8)도 동일한 회로에 접촉할 때까지 콘택트 프로브(56)을 밀어넣어서, 플런저부(1)과 통형상부재(8)의 사이에 일정이상의 전위차가 있는 서로 다른 전위를 인가하였다. 콘택트 프로브(56)이 밀어 넣고 있기 때문에, 플런저부(1)과 통형상부재(8)이 확실하게 회로에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일정이상의 전위차를 인가하면, 회로표면의 산화피막에 절연파괴가 일어나고, 전류가 흐른다. 이 작용에 의해서, 회로표면의 산화피막이 파괴될 수 있고, 양호한 전기적 도통을 얻을 수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석판인쇄와 도금을 사용한 공정에서, 콘택트 프로브를 일체적 물질로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개개의 부품마다 가공시간이 불필요하게 되며, 조립시간도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콘택트 프로브의 미세화나 많은 개수화에 대응하기 쉽게 된다. 또, 통형상부재를 형성함으로써, 스프링부를 실드하고, 크로스토크 노이즈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거한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콘택트 프로브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거한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콘택트 프로브의 제조방법에 사용하는 일체된 부분의 마스크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거한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콘택트 프로브의 제조방법의 제 1공정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거한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콘택트 프로브의 제조방법의 제 2공정의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거한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콘택트 프로브의 제조방법의 제 3의 공정의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거한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콘택트 프로브의 제조방법의 제 4의 공정의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거한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콘택트 프로브의 제조방법의 제 5의 공정의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거한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콘택트 프로브의 사용상황의 설명도.
도 9a∼도 9c는, 본 발명에 의거한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콘택트 프로브의 플런저부의 확대 평면도.
도 10a는, 본 발명에 의거한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콘택트 프로브의 플런저부의 확대사시도이며, 도 10b는 마찬가지로 횡단면형상의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거한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콘택트 프로브의 다른예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거한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의 콘택트 프로브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거한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의 콘택트 프로브의 제조방법에 사용하는 일체부분 마스크의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거한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의 콘택트 프로브의 다른예의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거한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의 콘택트 프로브의 또 다른 예의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의거한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의 콘택트 프로브의 또 다른 예의 사시도.
도 17a는, 본 발명에 의거한 실시의 형태 3에 있어서의 콘택트 프로브의 조립방법의 설명도이며, 도 17b는, 마찬가지로 완성품의 사시도.
도 18은, 종래기술에 의거한 콘택트 프로브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a, 1b: 플런저 2, 2a: 스프링부
3: 리드선 접속부 4: 정상부
5: 사면부 6: 가이드부
7, 7a: 스토퍼부 8: 통형상부재
9: 고정부 21: 기판
22: 레지스트막 23: X선
25: 오목한 부분 26: 금속층
30, 31: 일체부분 마스크 50, 51, 52, 53, 54, 55, 56, 100: 콘택트 프로브
61: 절연기판 62: 안내구멍
63: 가요성 프린트 회로 64: 피검사 기판
65: 피검사 회로 101: 플런저
102: 스프링 103: 배럴
104: 소켓

Claims (12)

  1. 피검사 회로에 접촉시키기 위한 플런저부(1)와,
    한쪽끝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부(1)을 지지하는 스프링부(2)와,
    상기 스프링부(2)의 다른 끝을 리드선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리드선 접속부(3)을 구비하고,
    상기 플런저부(1)과 상기 스프링부(2)와 상기 리드선 접속부(3)이 일체적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부(2)와 평행으로 배치되고, 상기 스프링부(2)를 일정한 자세로 유지하는 가이드부(6)을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부(1)과 상기 스프링부(2)와 상기 리드선 접속부(3)과 상기 가이드부(6)이 일체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프로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부(1)과 상기 스프링부(2)와 상기 리드선 접속부(3)이, 일정한 평면형상에 대해서 상기 평면형상에 수직인 두께 방향으로 균일하게 두께를 가지게 한 입체형상이 되도록 일체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프로브.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부(1)과 상기 스프링부(2)와 상기 리드선 접속부(3)과 상기 가이드부(6)이, 일정한 평면형상에 대해서 상기 평면형상에 수직인 두께 방향으로 균일하게 두께를 가지게 한 입체형상이 되도록 일체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프로브.
  5. 제 1항에 있어서, 내벽이 절연체로 피복된 도전체를 포함하는 통형상부재(8)을 구비하고, 상기 통형상부재(8)은 상기 스프링부(2)의 외부쪽을 포위하고 있고, 상기 플런저부(1)은, 상기 통형상부재(8)로 부터 돌출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프로브.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선 접속부(3)과 상기 통형상부재(8)이 서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프로브.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2)가 ,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 단위형상을 복수회 반복해서 접속한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프로브.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2)가, 상기 단위형상마다 스토퍼부(7)을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부(7)은, 상기 스프링부(2)의 길이방향의 탄성변형이 일정이상으로 되었을 때에 상기 단위형상을 구성하는 판스프링에 맞닿아서 탄성변형이 보다 크게되는 것을 막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프로브.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부(1)이, 꼭대기 부분(4)와, 상기 꼭대기부분(4)를 사이에 두는 사면부(5)를 포함하고, 상기 사면부(5)끼리가 이루는 각도 90°이하이고, 상기 꼭대기부(4)의 횡단면의 곡율반경이 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프로브.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부(1)의 상기 꼭대기부(4)를 포함하는 일부 또는 전체의 표면이, 상기 플런저부(1)의 내부의 재질보다 체적저항율이 작은 재질로 피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프로브.
  11. 피검사 회로(65)에 접촉시키기 위한 플런저부(1)과,
    한쪽끝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부(1)을 지지하는 스프링부(2)와,
    상기 스프링부(2)의 다른끝을 리드선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리드선 접속부(3)을 구비하고,
    상기 플런저부(1)과 상기 스프링부(2)와 상기 리드선 접속부(3)이, 일정한 평면형상에 대해서 상기 평면형상에 수직인 두께 방향으로 균일하게 두께를 가지게 한 입체형상이 되도록 일체적으로 형성된, 콘택트 프로브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도전성을 가진 기판(21)위에 레지스트막(22)를 형성하는 레지스트 형성공정과,
    상기 레지스트막(22)에 대해서, 일체부 마스크(30)을 사용해서 노광을 행하는 노광공정과,
    상기 레지스트막(22) 중의 상기 석판인쇄 공정에 있어서 노광된 부분을 제거하는 제 1레지스트 제거공정과,
    상기 레지스트막(22) 중의 상기 제 1레지스트 제거공정에 있어서 제거한 부분을 금속으로 메우는 도금공정과,
    상기 레지스트막(22)의 잔존부분을 제거하는 제 2레지스트 제거공정과,
    상기 기판(21)을 제거하는 기판제거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일체부 마스크(30)으로서, 상기 콘택트 프로브를 상기 두께 방향으로 투영한 형상의 마스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프로브의 제조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프로브로서, 상기 스프링부(2)와 평행으로 배치되고, 상기 스프링부(2)를 일정한 자세로 유지하는 가이드부(6)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프로브의 제조방법.
KR1020010030662A 2000-06-01 2001-06-01 콘택트 프로브 및 그 제조방법 KR1008083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64407 2000-06-01
JP2000164407A JP3773396B2 (ja) 2000-06-01 2000-06-01 コンタクトプローブおよ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0168A KR20010110168A (ko) 2001-12-12
KR100808325B1 true KR100808325B1 (ko) 2008-02-27

Family

ID=18668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0662A KR100808325B1 (ko) 2000-06-01 2001-06-01 콘택트 프로브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20020000821A1 (ko)
EP (1) EP1160576B1 (ko)
JP (1) JP3773396B2 (ko)
KR (1) KR100808325B1 (ko)
DE (1) DE60133791T2 (ko)
HK (1) HK1040431A1 (ko)
TW (1) TW54841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36468B2 (en) * 1997-04-08 2008-02-26 X2Y Attenuators, Llc Arrangement for energy conditioning
US9054094B2 (en) 1997-04-08 2015-06-09 X2Y Attenuators, Llc Energy conditioning circuit arrangement for integrated circuit
US7321485B2 (en) 1997-04-08 2008-01-22 X2Y Attenuators, Llc Arrangement for energy conditioning
US7274549B2 (en) * 2000-12-15 2007-09-25 X2Y Attenuators, Llc Energy pathway arrangements for energy conditioning
US6603646B2 (en) * 1997-04-08 2003-08-05 X2Y Attenuators, Llc Multi-functional energy conditioner
US7301748B2 (en) 1997-04-08 2007-11-27 Anthony Anthony A Universal energy conditioning interposer with circuit architecture
CN1481603A (zh) * 2000-10-17 2004-03-10 X2Y˥�������޹�˾ 屏蔽汞齐和被屏蔽的能量路径及用于单个或多个带公共参考节点电路的其它元件
US7193831B2 (en) * 2000-10-17 2007-03-20 X2Y Attenuators, Llc Energy pathway arrangement
JP4030871B2 (ja) * 2000-12-12 2008-01-09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電気自動車の操舵機構
CN1228638C (zh) * 2001-04-13 2005-11-23 住友电气工业株式会社 接触探针
CN100392408C (zh) 2001-12-25 2008-06-04 住友电气工业株式会社 接触探头
JP2004152536A (ja) * 2002-10-29 2004-05-27 Otax Co Ltd 電子部品用ソケット
US7180718B2 (en) * 2003-01-31 2007-02-20 X2Y Attenuators, Llc Shielded energy conditioner
JP3745744B2 (ja) 2003-04-16 2006-02-15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金属構造体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方法により製造した金属構造体
EP1698033A4 (en) 2003-12-22 2010-07-21 X2Y Attenuators Llc INTERNAL SHIELDED ENERGY PREPARATION
US6855010B1 (en) * 2004-01-26 2005-02-15 Chuan Yi Precision Industry Co., Ltd. Terminal for electric connector for communication apparatus
US9476911B2 (en) 2004-05-21 2016-10-25 Microprobe, Inc. Probes with high current carrying capability and laser machining methods
JP2006064676A (ja) * 2004-08-30 2006-03-09 Tokyo Electron Ltd プローブ針、プローブ針の製造方法および三次元立体構造の製造方法
US20060079102A1 (en) * 2004-10-13 2006-04-13 The Ludlow Company Lp Cable terminal with flexible contacts
KR100585561B1 (ko) * 2004-10-26 2006-06-07 주식회사 파이컴 수직형 전기적 접촉체 및 그 제조방법
JP2006132982A (ja) * 2004-11-02 2006-05-25 Tokyo Electron Ltd プローブ
JP4700353B2 (ja) * 2005-01-13 2011-06-15 山一電機株式会社 プローブエレメントの製造方法
JP2008537843A (ja) 2005-03-01 2008-09-25 エックストゥーワイ アテニュエイターズ,エルエルシー 内部で重なり合った調整器
US7817397B2 (en) 2005-03-01 2010-10-19 X2Y Attenuators, Llc Energy conditioner with tied through electrodes
JP2006242685A (ja) * 2005-03-02 2006-09-14 Fuchigami Micro:Kk コンタクトプローブカード
JP2006242774A (ja) * 2005-03-03 2006-09-14 Tokyo Electron Ltd プローブ及びプローブカード
JP4649248B2 (ja) * 2005-03-22 2011-03-09 山一電機株式会社 プローブユニット
JP4884753B2 (ja) 2005-11-22 2012-02-29 日本発條株式会社 導電性接触子ユニットおよび導電性接触子
JP4907191B2 (ja) 2006-02-17 2012-03-28 日本発條株式会社 導電性接触子ユニット
JP5095604B2 (ja) 2006-03-03 2012-12-12 日本発條株式会社 導電性接触子ユニット
WO2007102401A1 (ja) 2006-03-03 2007-09-13 Nhk Spring Co., Ltd. 導電性接触子ユニット
KR101390426B1 (ko) 2006-03-07 2014-04-30 엑스2와이 어테뉴에이터스, 엘.엘.씨 에너지 컨디셔너 구조물들
JP4842733B2 (ja) 2006-08-18 2011-12-21 日本発條株式会社 導電性接触子および導電性接触子ユニット
KR100864185B1 (ko) * 2007-01-31 2008-10-17 한국기계연구원 가변강성 기능을 가진 수직형 미세 접촉 프로브
JP2008275488A (ja) * 2007-04-28 2008-11-13 Sankei Engineering:Kk 導電接触ピンおよびピン保持具、電気部品検査装置ならびに電気部品の製造方法
JP2009002845A (ja) * 2007-06-22 2009-01-08 Micronics Japan Co Ltd 接触子及び接続装置
US20090144970A1 (en) * 2007-12-06 2009-06-11 Winmems Technologies Holdings Co., Ltd. Fabricating an array of mems parts on a substrate
US7811849B2 (en) * 2008-01-30 2010-10-12 Winmems Technologies Co., Ltd. Placing a MEMS part on an application platform using a guide mask
KR100984876B1 (ko) * 2008-05-08 2010-10-04 한국기계연구원 가변강성 기능을 가진 수직형 미세 접촉 프로브
US8089294B2 (en) * 2008-08-05 2012-01-03 WinMENS Technologies Co., Ltd. MEMS probe fabrication on a reusable substrate for probe card application
US7737714B2 (en) * 2008-11-05 2010-06-15 Winmems Technologies Holdings Co., Ltd. Probe assembly arrangement
US7928751B2 (en) * 2009-02-18 2011-04-19 Winmems Technologies Holdings Co., Ltd. MEMS interconnection pins fabrication on a reusable substrate for probe card application
JP2010243411A (ja) * 2009-04-08 2010-10-28 Japan Electronic Materials Corp 垂直型プローブ
JP2010276579A (ja) * 2009-06-01 2010-12-09 Koyo Technos:Kk 電気接触子およびそれを備える検査治具
JP5903888B2 (ja) * 2010-03-15 2016-04-13 日本電産リード株式会社 接続端子及び検査用治具
JPWO2011122068A1 (ja) * 2010-03-30 2013-07-0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コンタクトプローブ、コンタクトプローブ連結体およびこれらの製造方法
TW201135239A (en) * 2010-04-02 2011-10-16 Pleader Yamaichi Co Ltd High-frequency vertical elastic probe structure
JP5036892B2 (ja) * 2010-05-10 2012-09-26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コンタクトプローブ
KR101149758B1 (ko) * 2010-06-30 2012-07-11 리노공업주식회사 프로브
TW201231977A (en) * 2011-01-20 2012-08-01 Pleader Yamaichi Co Ltd Structure of high-frequency vertical spring plate probe card
US8829937B2 (en) * 2011-01-27 2014-09-09 Formfactor, Inc. Fine pitch guided vertical probe array having enclosed probe flexures
KR20130010311A (ko) * 2011-07-18 2013-01-28 주식회사 코리아 인스트루먼트 수직형 프로브 카드
JP2013072658A (ja) 2011-09-26 2013-04-22 Sumitomo Electric Ind Ltd コンタクトプローブの製造方法
JP5699899B2 (ja) * 2011-10-14 2015-04-15 オムロン株式会社 接触子
JP5687172B2 (ja) * 2011-11-01 2015-03-18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テスト治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耐圧測定方法
TW201533449A (zh) * 2014-02-24 2015-09-01 Mpi Corp 具有彈簧套筒式探針之探針裝置
WO2016156003A1 (en) * 2015-03-31 2016-10-06 Technoprobe S.P.A. Vertical contact probe and corresponding testing head with vertical contact probes, particularly for high frequency applications
DE102015004151B4 (de) * 2015-03-31 2022-01-27 Feinmetall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Federkontaktstift-Anordnung mit mehreren Federkontaktstiften
JP1558740S (ko) * 2015-11-12 2016-09-12
JP1558199S (ko) * 2015-11-12 2016-09-12
JP1558200S (ko) * 2015-11-12 2016-09-12
KR101813006B1 (ko) * 2016-01-04 2017-12-28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반도체 테스트용 콘택터
KR20170119469A (ko) * 2016-04-19 2017-10-27 장용일 전기 단자 테스트용 메쉬형 컨택 핀
JP2018197714A (ja) * 2017-05-24 2018-12-13 山一電機株式会社 Mems型プローブ、及び、これを使用した電気検査用装置
KR102080592B1 (ko) * 2018-12-19 2020-04-20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S-타입 탄성편을 이용하여 3개의 플런저 상호 간의 콘택 특성이 개선되는 데스트 핀
KR102519285B1 (ko) * 2021-02-22 2023-04-17 (주)포인트엔지니어링 전기 전도성 접촉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38834B1 (ko) * 2021-04-15 2023-06-02 (주)위드멤스 프로브 핀
TWI833186B (zh) * 2022-03-29 2024-02-21 大陸商迪科特測試科技(蘇州)有限公司 探針及其彈性結構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3877A (en) * 1986-08-19 1988-09-27 Feinmetall Gmbh Contactor for an electronic tester
JPH0629625A (ja) * 1992-07-07 1994-02-0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垂直共振器型双安定半導体レーザ
US5513430A (en) * 1994-08-19 1996-05-07 Motorola, Inc. Method for manufacturing a probe
US5667410A (en) * 1995-11-21 1997-09-16 Everett Charles Technologies, Inc. One-piece compliant probe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711110U1 (ko) * 1986-08-19 1987-12-17 Feinmetall Gmbh, 7033 Herrenberg, De
DE3643305A1 (de) * 1986-12-18 1988-06-30 Feinmetall Gmbh Kontaktelement fuer pruefadapter
US5148810A (en) 1990-02-12 1992-09-22 Acuson Corporation Variable origin-variable angle acoustic scanning method and apparatus
US5015947A (en) 1990-03-19 1991-05-14 Tektronix, Inc. Low capacitance probe tip
DE4029829A1 (de) 1990-09-20 1992-04-02 Dornier Medizintechnik Dreidimensionale darstellung von ultraschall-bildern
EP0629867B1 (en) 1993-06-16 1999-01-27 Nitto Denko Corporation Probe structure
JPH0727789A (ja) 1993-07-09 1995-01-31 Nitto Denko Corp 回路配線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977783A (en) 1994-10-28 1999-11-02 Nitto Denko Corporation Multilayer probe for measuring electrical characteristics
JP2706432B2 (ja) 1995-07-24 1998-01-28 日東工業株式会社 電子写真装置用定着ベルト及び定着装置
JPH09279365A (ja) 1996-04-11 1997-10-28 Mitsubishi Materials Corp 微細構造部品を製造する方法
JPH10303258A (ja) 1997-04-22 1998-11-13 Sumitomo Electric Ind Ltd 電子、電気回路の検査装置
JPH1144708A (ja) 1997-07-24 1999-02-16 Mitsubishi Materials Corp コンタクトプローブ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458684B2 (ja) 1997-11-28 2003-10-20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コンタクトプローブ
JPH11191453A (ja) 1997-12-25 1999-07-13 Oputonikusu Seimitsu:Kk 端子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1269587A (ja) 1998-03-24 1999-10-05 Toru Yamazaki 電解析出法による合金及びそれを用いた マイクロアレイコネクター
JP3281601B2 (ja) 1998-05-26 2002-05-13 武田産業株式会社 プロ−ブ針およびスプリングプロ−ブ用バネの製造方法
SG75186A1 (en) 1998-11-30 2000-09-19 Advantest Corp Method for producing contact structures
US5989994A (en) 1998-12-29 1999-11-23 Advantest Corp. Method for producing contact structures
JP2001013166A (ja) 1999-06-28 2001-01-19 Toshiba Corp 半導体装置評価用プローブ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NL1012695C2 (nl) * 1999-07-23 2001-01-24 Berg Electronics Mfg Contactelement,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daarvan en connector die hetzelfde omvat.
JP2001342591A (ja) 2000-03-27 2001-12-14 Takayasu Mochizuki 高強度合金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高強度合金を被覆してなる金属とその高強度合金を用いたマイクロ構造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3877A (en) * 1986-08-19 1988-09-27 Feinmetall Gmbh Contactor for an electronic tester
JPH0629625A (ja) * 1992-07-07 1994-02-0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垂直共振器型双安定半導体レーザ
US5513430A (en) * 1994-08-19 1996-05-07 Motorola, Inc. Method for manufacturing a probe
US5667410A (en) * 1995-11-21 1997-09-16 Everett Charles Technologies, Inc. One-piece compliant prob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210063A1 (en) 2003-11-13
EP1160576A3 (en) 2003-07-23
JP2001343397A (ja) 2001-12-14
JP3773396B2 (ja) 2006-05-10
DE60133791D1 (de) 2008-06-12
EP1160576B1 (en) 2008-04-30
TW548410B (en) 2003-08-21
US20020000821A1 (en) 2002-01-03
EP1160576A2 (en) 2001-12-05
HK1040431A1 (en) 2002-06-07
DE60133791T2 (de) 2009-06-25
KR20010110168A (ko) 2001-12-12
US6784680B2 (en) 2004-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8325B1 (ko) 콘택트 프로브 및 그 제조방법
JP5751222B2 (ja) 接続端子及び接続治具
TW469671B (en) Contact structure formed by microfabrication process
US7663387B2 (en) Test socket
JP5103566B2 (ja) 電気接触子およびそれを備える検査冶具
JP2008180689A (ja) 検査探針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検査用ソケット
CN102183680B (zh) 连接装置
TW201411135A (zh) 檢查用治具及接觸子
JP5070956B2 (ja) 基板検査用接触子及び基板検査用治具
JP2013257299A (ja) コンタクトプローブ、プローブカード及び電子部品の検査方法
KR20050059417A (ko) 소용돌이 단자와 그 제조방법
JP2003307525A (ja) コンタクトプローブ
JP4421550B2 (ja) プローブ及びプローブカード
CN101750525A (zh) 测试插座的制作方法及其所使用的弹性测试探针
TW200532209A (en) Multi-signal single beam probe
JP2004138592A (ja) スプリングコンタクトおよびスプリングプローブ
JP3703794B2 (ja) プローブおよびプローブカード
JP3965634B2 (ja) 基板検査用接触子
KR20050040716A (ko) 콘택트의 제조방법,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콘택트 및 그콘택트를 구비하는 검사장치 또는 전자기기
CN216013941U (zh) 芯片、芯片组件、安装壳及成像盒
JP3346279B2 (ja) コンタクトプローブおよびそれを備えたプローブ装置並びにコンタクトプローブの製造方法
US20220178968A1 (en) Contact terminal, inspection jig, and inspection device
JPH11352151A (ja) コンタクトプローブおよびそれを備えたプローブ装置並びにコンタクトプローブの製造方法
JPWO2007116963A1 (ja) 基板検査用接触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276120A (ja) プローブ、及びプローブ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