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6646B1 - 자동차에서 전자 로킹 시스템 및/또는 도어, 플랩등과같이 형성된 로킹 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에서 전자 로킹 시스템 및/또는 도어, 플랩등과같이 형성된 로킹 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6646B1
KR100566646B1 KR1020027004374A KR20027004374A KR100566646B1 KR 100566646 B1 KR100566646 B1 KR 100566646B1 KR 1020027004374 A KR1020027004374 A KR 1020027004374A KR 20027004374 A KR20027004374 A KR 20027004374A KR 100566646 B1 KR100566646 B1 KR 100566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support
door
handle
coup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4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9606A (ko
Inventor
라인홀트 마토퍼
Original Assignee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020059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9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6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6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4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 E05B85/16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a longitudinal grip part being pivoted at one en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grip par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76Detection of handle operation; Detection of a user approaching a handle; Electrical switching actions performed by door 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6Mounting of handles, e.g. to the wing or to the loc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1Mechanica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ands-free locking or unlocking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자동차에서 전자 로킹 시스템 및/또는 도어(40)나 플랩 내에 장착된 로킹 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로킹 시스템 또는 로킹 부재는 도어 외부측(41)에 설치된 핸들(10)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핸들(10)은 지지 돌출부(11)에 의해 도어(40)에 고정된다. 이러한 고정은 회전 이동식일 수 있다. 공지된 도어 핸들에서 상기 핸들 내에 제공된 전자 시스템을 전자 제어 시스템에 접촉시키기 위해 도어 핸들(10)의 지지 돌출부(11)에 설치된 플러그-인 커플링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장치의 제조를 간소화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 돌출부(11)에는 전자 커플링 부재(31)가 회전 이동식으로 설치되고, 도어측 지지(20)에는 회전 가능하게 및/또는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전기 카운터 커플링 부재(32)가 설치된다. 이러한 처리에 의해, 전기 플러그-인 커플링(30)의 커플링 부재(31, 32)는 이미 제 1 조립 단계에서 도어 핸들(10)의 지지 돌출부(11)의 삽입과 동시에 도어 개구 내로 커플링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에서 전자 로킹 시스템 및/또는 도어, 플랩등과 같이 형성된 로킹 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 {DEVICE FOR ACTUATING AN ELECTRONIC LOCKING SYSTEM AND/OR A LOCK INTEGRATED IN A DOOR, A FLAP OR THE LIKE, ESPECIALLY IN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언급된 방식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어 외측에 배치된 핸들은 통상적으로 2개의 돌출부(projection)를 가지며, 상기 2개의 돌출부는 도어 내에 제공된 개구를 관통해서 도어 패널(door panel)의 후방 측면으로부터 돌출한다. 이 경우 하나의 돌출부는 도어 후측에 고정 연결된 지지 블록에 핸들을 회전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지지부(bearing)를 가지며, 이를 위해 상기 지지부는 이에 대항하는 카운터 지지부(counter bearing)를 갖는다. 따라서, 제 1 돌출부는 핸들의 지지 돌출부로서 사용된다.
핸들의 제 2 돌출부는 우선 도어에 핸들을 더욱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용된다. 또한 제 2 돌출부는, 핸들의 작동시 도어 내측에서 로킹 부재와 상호작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작동 돌출부에 의해 로킹 부재는 핸들의 작동 후에 작동될 수 있다. 상기 핸들의 조립은 도어 외측으로부터 이루어지며, 상기 도어 외측에서 지지 돌출부 및 작동 돌출부는 한편으로는 지지 블록의 영역에,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로킹 부재의 영역에 수용될 때까지 도어 내에 제공된 개별 개구를 통과하게 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조립 이동시 도어 개구를 통과하는 핸들의 정해진 이동 순서가 요구된다.
독일 특허 공보 제 DE 196 33 894 A1호에 공지된 전술한 방식의 장치에서 핸들의 내부 챔버에는 전기 라인에 의해 지지 돌출부의 단부에 설치된 전기 커플링에 연결되는 전자 부품들이 제공된다. 도어 핸들이 조립된 상태일 경우 상기 전기 커플링은 전기 카운터 커플링 부재 및 상기 카운터 커플링 부재에 접속된 전기 제어 라인에 의해 자동차측 전기 제어 시스템에 연결된다. 공지된 도어 핸들에서 핸들측 지지부는 전기 커플링 부재의 인접부에 있는 지지 돌출부에 설치된다. 상기 DE 196 33 894 A1호에 따른 핸들의 조립시 지지 돌출부 내에 존재하는 전기 커플링 부재는 이미 도어에 설치된 지지 부재에 존재하는 전기 카운터 커플링 부재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DE 196 33 894 A1에 제시된 대상은 제조 기술상으로 볼 때 비교적 복잡하고 특수한 카운터 커플링 부재가 사용되어야만 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단점들을 피할 수 있도록 형성된, 청구항 1의 전제부에 언급된 방식의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1의 특징부에 제시된 특징들에 의해 달성되며, 상기 특징들은 하기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중요성은, 전기 커플링 부재가 도어 핸들의 지지 돌출부에 회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도어에 도어 핸들이 조립될 때 전기 커플링 부재 내로 삽입되어야만 하는 전기 카운터 커플링 부재도 마찬가지로 도어에 존재하는 지지 부재의 프레임 부분에 적어도 회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는 데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기 커플링 부재는 도어에 도어 핸들이 조립되기 시작할 때 출발 위치에서 지지 돌출부에 해체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음으로써, 상기 전기 커플링 부재는 전기 카운터 커플링 부재 내부로 삽입될 때 더 이상 회전되지 않는다.
상기 전기 카운터 커플링 부재는 일체로 형성된 수단을 가지며, 상기 수단은 조립 출발 위치에서 전기 카운터 커플링 부재가 회전하는 것을 막는다. 이는 예컨대 상기 전기 카운터 커플링 부재의 개구 영역 내에 존재하는 노우즈(nose)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제조 기술상으로 볼 때 비교적 간단하게 제조될 수 있다. 보통의 도어 핸들 또는 상기 도어 핸들에 설치된 커플링 부재와 비교해 볼 때 단지 하나의 베어링 만이 도어 핸들의 지지 돌출부에 제공되어야만 한다. 커플링 부재는 단지 한 지지부의 주변으로만 확대되는 통상의 전기 커플링 부재일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사용된 카운터 커플링 부재는 단지 통상의 종래 카운터 커플링 부재의 변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 플러그-인 커플링은 조립된 상태에서 양 전기 커플링 부재가 핸들의 회전 이동시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없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전기 플러그-인 접촉부가 마모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전기 플러그-인 커플링과 도어에 제공된 핸들을 동시에 간단히 조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기 카운터 커플링 부재는 이중 드래그 베어링을 형성하는 피벗 레버(pivot lever)에 의해 지지 부재에 설치된다. 상기 베어링 중 하나가 바람직하게는 한 위치에서 로킹될 수 있음으로써, 이 위치에서는 베어링 중 하나 만이 회전 이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어에 도어 핸들이 조립될 때 전기 커플링 부재가 전기 카운터 커플링 부재 내로 간단히 삽입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장점 및 조치는 종속항, 하기 명세서 및 도면에 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면에 도시된다.
도 1은 핸들의 제 1 조립 위치를 볼 수 있는, 자동차의 도어에 고정된 장치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일점 쇄선으로 표시된 사각형 II을 따라 절단된 단면의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 2 조립 위치를 볼 수 있는, 도 1에 상응하는 개략적인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 3 조립 위치를 볼 수 있는, 도 1에 상응하는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 4 조립 위치를 볼 수 있는, 도 1에 상응하는 개략적인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 5 조립 위치를 볼 수 있는, 도 1에 상응하는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최종 조립 위치를 볼 수 있는, 도 1에 상응하는 개략적인 종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VIII-VIII를 따라 절단된 단면의 개략도이며,
도 9는 도 2의 IX-IX를 따라 절단된 단면의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 그리고 도 9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 1 조립 위치가 도시된다. 도어(40)의 내부면(42)에는 지지 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 부재는 하나 또는 다수의 나사(29)에 의해 위치에 맞게 도어 패널에 고정된다. 상기 도어(40)에는 다수의 개구(44, 45, 46)가 제공되는데, 상기 개구(44, 45, 46)는 도어 핸들(10)의 조립시와 조립 후에 상기 도어 핸들(10)의 전방 돌출부 및 후방 돌출부(11, 12)에 의해 관통된다.
상기 도어 핸들(10)은 로킹 시스템 등과 같은 전자 제어 시스템과 상호작용하는 전자 부품들이 존재하는 핸들 내부(19)를 갖는다. 상기 도어 핸들(10)의 전방 단부에서 지지 돌출부로서 형성된 돌출부(11)는 도어 핸들(10)과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 돌출부(11)에는 지지부(51)가 존재하는데, 상기 지지부(51)는 도어 핸들(10)이 조립된 상태일 때 지지 부재(20)의 카운터 지지부(52)와 상호작용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 부재(20)는 지지 블록(21)을 가지며, 상기 지지 블록(21)에는 카운터 지지부(52)가 배치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도어 핸들은 조립된 상태에서 지지부(51, 52) 내에 회전 이동식으로 고정된다. 또한 지지 돌출부(11)에는 전기 플러그-인 커플링(30)의 커플링 부재(31)가 배치된다. 상기 전기 커플링 부재(31)는 피벗 베어링(pivot bearing)(71)(도 8 참조)에 의해 지지 돌출부(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피벗 베어링(71)은 지지 돌출부(11) 내에 존재하는 베어링 홀(17) 및 전기 커플링 부재(31)에 존재하는 회전 베어링 축(36)(rotary bearing axle)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 베어링 축(36)은 U자형 지지 돌출부(35)에 의해 전기 커플링 부재(31)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전기 커플링 부재는 맞물림 지점(37)(engagement point)을 가지며, 상기 맞물림 지점(37) 내로 지지 돌출부(11)의 고정 수단(13)이 삽입될 수 있다. 도 1, 도 2, 그리고 도 9에는 도어 핸들(10)의 제 1 조립 위치가 도시되며, 상기 제 1 조립 위치에서 전기 커플링 부재(31)는 고정 위치(77)에 존재하게 된다.
상기 전기 커플링 부재(31)는 접속 라인(18)에 의해 핸들 내부(19)에 있는 전자 부품들에 전기 접속된다.
상기 지지 부재(20)에는 2개의 고정 브리지(20')가 배치되며, 상기 고정 브리지(20')에는 전기 플러그-인 커플링(30)의 카운터 커플링 부재(32)가 회전 이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지지 부재(20)의 고정 브리지(20')에 제공된 카운터 전기 커플링 부재(32)의 상세한 구조 및 배치는 도 2 및 도 8에 도시된다. 도어 핸들(10)의 지지 돌출부(11)가 도어 개구(44)를 통해 도어(40)를 통과하게 될 때 상기 도어 개구(44)의 양 측면에 있는 지지 부재(20)에는 핸들의 진행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고정 브리지(20')가 지지 부재(20)의 연장부로서 형성된다. 상기 고정 브리지(20')에는 각각 베어링 아이(bearing eye)(28) 및 상기 베어링 아이(28)에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 슬롯(27)이 제공된다. 상기 베어링 아이(28)는 피벗 레버(22)에 제공된 베어링 핀(24)을 회전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피벗 레버(22)에 제공된 베어링 핀(24)의 후방부는 슬라이딩 블록(26)으로서 형성된다. 슬라이딩 블록(26)을 갖는 베어링 핀(24)은 2개의 위치(75 및 76)(각각 도 3, 도 5 참조)를 갖는다. 상기 베어링 핀(24)이 제 1 위치(75)에 있을 때에는 가이드 슬롯(27) 내에 제공된 슬라이딩 블록(26)은 고정 브리지(20')에 존재한다. 이때 베어링 아이(28) 및 베어링 핀(24)로 형성된 베어링(73)의 회전 이동은 불가능하다. 한편, 상기 베어링 아이(28) 내에 제공된 베어링 핀(24)이 제 2 위치(76)에 있을 때에는 상기 슬라이딩 블록(26)이 가이드 슬롯(27)으로부터 밖으로 빼내져서, 베어링 핀(24)이 완전히 베어링 아이(28) 내에 존재하게 됨으로써 상기 베어링 아이(28) 내에서 회전 이동된다. 상기 베어링(73)은 이제 회전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피벗 레버(22)의 제 2 피벗 레버측에 베어링 아이(23)가 배치되며, 상기 베어링 아이(23) 내에 전기 카운터 커플링 부재(32)의 베어링 핀(39)이 삽입된다. 상기 베어링 핀(39) 및 베어링 아이(23)는 베어링(74)을 형성하며, 상기 베어링(74)에는 카운터 전기 커플링 부재(32)가 회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베어링(73 및 74)은 피벗 레버(22)와 함께 정해진 이중 피벗 베어링(72)을 형성한다. 상기 카운터 커플링 부재(32)에는 공급 및 제어 라인(38)이 배치되며, 상기 라인(38)에 의해 카운터 커플링 부재(32)가 전기 제어 시스템에 접속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조립은 다수의 이동 순서에 의해 실행된다. 도 1에는 조립의 제 1 이동 순서가 도시된다. 도어 핸들(10)은 우선 화살표(53)의 방향으로 지지 돌출부(11)에 의해 도어 개구(44) 내로 삽입되며, 전기 커플링 부재(31)는 화살표(60)의 방향으로 카운터 커플링 부재(32) 내로 삽입된다. 상기 베어링(74)은 이러한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가이드 슬롯(27) 내에 존재하는 슬라이딩 블록(26)에 의해 저지된다.
도 3에는 제 1 조립 단계 이후에 도달된 위치가 도시된다. 전기 커플링 부재(31) 및 전기 카운터 커플링(32)은 함께 전기 플러그-인 커플링(30)을 형성하며, 상기 플러그-인 커플링(30) 내에서 서로 맞물리는 핀 접촉부(33) 및 부싱 콘택(34)(bushing contact)에 의한 접촉이 달성된다. 여기서, 양 커플링 부재(31, 32)는 커플링 수단(31') 및 카운터 커플링 수단(32')에 의해 서로에 대해 고정된다. 이러한 결합은 수리를 위해 다시 풀어질 수 있다.
도 3에는 도어 핸들(10)의 부가의 조립 방향이 도시된다. 화살표(54)에 따른 회전 이동에 상응하여 도어 핸들(10)의 돌출부/작동 돌출부(12)가 도어(40)의 외부면(41)으로부터 도어 개구(45) 내로 회전하면서 삽입된다. 여기서, 베어링(71)은 회전 방향(54')으로 이동되고, 고정 수단(13)은 화살표 방향(54'')으로 전기 커플링 부재(31)의 맞물림 지점(37)으로부터 풀어진다. 전기 커플링 부재(31) 및 전기 플러그-인 커플링(30)은 이제 릴리스 위치(78)에 존재하게 된다.
조립 이동이 끝날 때 도어 핸들(10)의 작동 돌출부(12)의 전방 단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개구(45)의 바로 뒤에 위치하게 된다. 이 위치로부터 도어 핸들(10)은 회전 화살표 방향(55)을 따라 계속 회전 이동된다. 여기서, 지지 돌출부(11)의 후방에 있는 면(14)은 지지 부재(20)의 스토퍼(50)에 놓이고 토글 레버(toggle lever)의 토글이 된다. 여기서, 지지 돌출부(11)는 화살표 방향(55'')으로 스토퍼(50)에서 회전 이동된다. 이러한 회전 이동으로 인해 베어링 핀(24) 및 상기 베어링 핀(24)의 슬라이딩 블록(26)에 대해서 가로 방향 이동(55')이 실행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 블록(26)은 가이드 슬롯(27)으로부터 빼내진다.
도 5에는 조립 이동(55) 후에 도어 핸들(10)이 도어(40)에 도달했을 때의 위치가 도시된다. 상기 도면에서는 베어링 핀(24)이 이제 전체적으로 베어링 아이(28) 내에 위치하게 되고 이런 방식으로 마찬가지로 회전 이동된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도 5에는 도어 핸들(10)의 부가의 조립 이동이 도시된다. 또한 화살표(56)에 따라 도어 핸들(10)이 이동되면서 도어 내로 삽입된다. 여기서, 베어링(71)에서 회전 방향(56'')에 따른 회전이 이루어진다. 베어링(73)의 회전은 화살표(56')에 따라 이루어진다. 피벗 레버(22)의 편심률에 상응하여 상기 피벗 레버(22)의 제 2 지지부는 베어링 아이(23)와 함께 상부로 이동된다. 상기 베어링(74)은 베어링(73)의 동작을 보상한다.
도 6에도 조립 이동(56)의 최종 위치가 도시된다. 핸들은 이제 도어(40)에 놓인다.
도어 핸들(10)은 이제 조립 이동(54)에 상응하여 도어(40)의 함몰부(43)(depression)를 따라 화살표 방향(57)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베어링(73)이 회전(57')이 야기된다. 피벗 레버(22)의 편심률에 상응하여 상기 피벗 레버(22)의 제 2 지지부는 베어링 아이(23)와 함께 하부로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베어링(71, 74)에서 재차 회전 과정이 진행된다. 최종 조립 이동이 끝날 때 베어링 아이(15)는 카운터 베어링(25)의 주변을 돌아서, 상기 카운터 베어링(25)을 둘러싼다. 도어 핸들(10)의 작동 돌출부(12)는 로킹 부재(16)의 뒤로 이동되며, 상기 로킹 부재(16)에 의해, 즉 도어 핸들(10)에 의해 로킹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핸들(10)을 더욱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이제 원통형 타워(61) 및 로킹 실린더(62)가 도어 개구(46) 내로 삽입됨으로써, 도어 핸들(10)이 조립 이동(57)의 반대 방향으로 후진되는 일은 더 이상 나타날 수 없다.
여기서도 원통형 타워(61) 및 로킹 실린더(62) 대신, 예컨대 더이상 기계적 위치 이동을 필요로 하지 않는 완전 자동 로킹 시스템에서와 같이 차단 캡(blind cap)이 삽입될 수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시된 제어 부재(63)에 의해 로킹 시스템/로킹 부재는 로킹 실린더(62)의 작동에 의해 고정되거나 풀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시된 실시예에만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오히려 다른 실시예가 고려될 수도 있다. 따라서, 예컨대 이중 피벗 베어링(72) 대신 고정 브리지(20')에 가이드 슬롯도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슬롯에는 전기 카운터 커플링 부재(32)가 직접 설치될 수 있다(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이와 마찬가지로 전기 카운터 커플링 부재(32)에는 작동 돌출부(12)의 방향으로 노우즈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노우즈는 전기 커플링 부재의 삽입시 전기 카운터 커플링 부재(32)를 위치에 맞게 고정시킨다(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슬라이딩 블록(26) 및 가이드 슬롯(27) 대신 베어링을 고정시키기 위한 다른 수단이 제공될 수도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핸들 11: 돌출부/지지 돌출부
12: 돌출부/작동 돌출부 13: 고정 수단
14: 11의 후방 면 15: 11의 베어링 아이
16: 로킹 부재 17: 11에 있는 베어링 홀
18: 31을 위한 접속 라인 19: 핸들 내부
20: 지지 부재 20': 고정 브리지
21: 지지 블록 22: 피벗 레버
23: 22내에 있는 베어링 아이 24: 22상에 있는 베어링 핀
25: 15에 대한 카운터 베어링 26: 22상에 있는 슬라이딩 블록
27: 가이드 슬롯 28: 20'내에 있는 베어링 아이
29: 20내에 있는 나사 30: 전기 플러그-인 커플링
31: 30의 전기 커플링 부재 31': 커플링 수단
32: 30의 전기 카운터 커플링 부재 32': 카운터 커플링 수단
33: 32내에 있는 핀 접촉부 34: 31내에 있는 부싱 콘택
35: U자형 지지 돌출부 36: 35의 회전 베어링 축
37: 13을 위한 맞물림 지점
38: 32를 위한 공급 및 제어 라인 39: 32상에 있는 베어링 핀
40: 도어, 도어 패널 41: 40의 외부면
42: 40의 내부면 43: 40에 있는 함몰부
44: 11을 위한 제 1 도어 개구 45: 12를 위한 제 2 도어 개구
46: 61을 위한 제 3 도어 개구 50: 스토퍼
51: 11상에 있는 지지부
52: 21, 20상에 있는 카운터 지지부 53: 삽입 화살표(조립 동작)
54: 회전 화살표(조립 동작) 54': 회전 방향, 베어링(71)
54": 13의 릴리스 동작 55: 회전 화살표(조립 동작)
55': 26의 수축 동작 55": 50상에서의 회전 동작
56: 화살표(조립 동작) 56': 회전 방향, 베어링(73)
56": 회전 방향, 베어링(71)
57: 마지막 푸시 동작 단계(조립 동작)
57': 베어링(73)상에서의 회전 동작
60: 31이 32 내부로 삽입되는 방향을 지시하기 위한 화살표
61: 원통형 타워 62: 61의 로킹 실린더
63: 62의 제어 부재 71: 피벗 베어링
72: 이중 피벗 베어링 73, 74: 베어링
75: 베어링 핀(24)의 제 1 위치 76: 베어링 핀(24)의 제 2 위치
77: 전기 커플링 부재(31)의 고정 위치
78: 전기 커플링 부재(31)의 릴리스 위치

Claims (10)

  1. 도어(40) 내에 제공된 개구(44)를 관통하고 도어 내측(42)에서 돌출하며 지지 돌출부(11)로서 사용되면서 지지부(51)를 갖는 돌출부(11)를 포함하도록 형성된, 도어 외측(41)에 배치된 핸들(10), 그리고 핸들측 지지부(51)에 대한 카운터 지지부(52)를 갖는 지지 블록(21)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도어 내측(42)에 배치된 지지 부재(20)를 가지며,
    상기 핸들(10)은 핸들 내부 챔버(19)를 가지며, 상기 핸들 내부 챔버(19)에는 라인(18, 38) 및 전기 플러그-인 커플링(30)에 의해 전기 제어 시스템에 연결된 전기 수단 또는 전자 수단이 배치되며, 상기 전기 플러그-인 커플링(30)의 커플링 부재(31)는 상기 핸들(10)의 지지 돌출부(11)에 설치되며,
    상기 핸들(10)은 지지 돌출부(11)에 의해 도어 외측(41)으로부터 돌출하여 외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
    자동차의 전자 로킹 시스템 또는 도어(40), 플랩 등과 같이 형성된 로킹 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핸들(10)에 배치된 전기 커플링 부재(31)는 피벗 베어링(71)에 의해 상기 핸들(10)의 지지 돌출부(11)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 부재(20)에 배치된, 전기 플러그-인 커플링(30)의 전기 카운터 커플링 부재(32)는 상기 지지 부재(20)에 회전 가능하게 또는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전자 로킹 시스템 또는 로킹 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20)에 할당된 카운터 커플링 부재(32)는 상기 피벗 베어링(71)에 의해 상기 지지 부재(20)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전자 로킹 시스템 또는 로킹 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20)에 할당된 카운터 커플링 부재(32)는 이중 피벗 베어링(72)에 의해 상기 지지 부재(20)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전자 로킹 시스템 또는 로킹 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20)에 할당된 카운터 커플링 부재(32)는 가이드 슬롯(27)에 의해 상기 지지 부재(20)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전자 로킹 시스템 또는 로킹 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
  5. 제 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돌출부(11)에는 상기 전기 커플링 부재(31)의 맞물림 위치(37)에 해체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 수단(13)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전자 로킹 시스템 또는 로킹 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피벗 베어링(72)은 2개의 베어링(73, 74)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전자 로킹 시스템 또는 로킹 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베어링(73, 74)은 피벗 레버(22)에 의해 상호 커플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전자 로킹 시스템 또는 로킹 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 레버(22)의 절반부에 베어링 아이(23)가 배치되며, 상기 베어링 아이(23) 내에는 상기 전기 카운터 커플링(32)의 베어링 핀(39)이 제공되며 이로 인해 제 1 피벗 베어링(74)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 부재(20) 쪽으로 향한 측면에서 상기 피벗 레버(22)의 서로 마주놓인 절반부에 베어링 핀(24)이 설치되며, 상기 베어링 핀(24)의 일부는 슬라이딩 블록(26)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 부재(20)의 고정 브리지(20')에는 베어링 아이(28)가 설치되며, 상기 베어링 아이(28) 내부로 가이드 슬롯(27)이 한 측면으로부터 개방되며,
    상기 베어링 핀(24)의 제 1 위치(75)에서 상기 가이드 슬롯(27) 내에 블록(26)이 배치되고 상기 베어링 핀(24)의 나머지 부분은 상기 베어링 아이(28) 내에 배치되며, 상기 베어링 핀(24)은 제 2 위치(76)에서 상기 슬라이딩 블록(26)과 함께 상기 베어링 아이(28)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전자 로킹 시스템 또는 로킹 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 베어링(71)은 상기 지지 돌출부(11)에 설치된 베어링 홀(17) 및 상기 전기 커플링 부재(31)의 하단부에 설치된 회전 베어링 축(36)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전자 로킹 시스템 또는 로킹 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13)은 상기 전기 커플링 부재(31)의 제 1 고정 위치(77)에서 상기 전기 커플링 부재(31)의 맞물림 위치(37)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 수단(13)은 제 2 릴리스 위치(78)에서 상기 전기 커플링 부재(31)가 릴리스되면서 상기 전기 커플링 부재(31)의 맞물림 위치(37)로부터 릴리스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전자 로킹 시스템 또는 로킹 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
KR1020027004374A 1999-10-05 2000-10-02 자동차에서 전자 로킹 시스템 및/또는 도어, 플랩등과같이 형성된 로킹 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 KR1005666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47977A DE19947977C1 (de) 1999-10-05 1999-10-05 Vorrichtung zur Betätigung eines elektronischen Schließsystems und/oder eines in einer Tür, einer Klappe od. dgl. eingebauten Schlosses, insbesondere bei einem Fahrzeug
DE19947977.1 1999-10-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9606A KR20020059606A (ko) 2002-07-13
KR100566646B1 true KR100566646B1 (ko) 2006-03-31

Family

ID=7924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4374A KR100566646B1 (ko) 1999-10-05 2000-10-02 자동차에서 전자 로킹 시스템 및/또는 도어, 플랩등과같이 형성된 로킹 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910303B1 (ko)
EP (1) EP1218612B1 (ko)
KR (1) KR100566646B1 (ko)
AU (1) AU7911500A (ko)
DE (2) DE19947977C1 (ko)
ES (1) ES2244479T3 (ko)
WO (1) WO200102557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718B1 (ko) * 2009-11-30 2011-05-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2중 파워락 잠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61370A1 (de) * 1999-12-17 2001-07-05 Bosch Gmbh Robert Türaußengriffanordnung für eine Kraftfahrzeugtür, Kraftfahrzeugtür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s Türaußengriffs
DE10062042B4 (de) * 2000-12-13 2004-11-04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orrichtung zur Betätigung eines elektronischen Schließsystems und/oder eines in einer Tür, einer Klappe oder dergl. eingebauten Schlosses, insbesondere bei einem Fahrzeug
EP1408187B1 (de) * 2001-03-01 2006-11-29 DaimlerChrysler AG Vorrichtung zur Betätigung eines Verschlusses von Türen, Klappen od. dgl., insbesondere an Fahrzeugen
DE10121432A1 (de) * 2001-05-02 2002-11-07 Kiekert Ag Türgriffeinheit
DE10151862A1 (de) * 2001-10-24 2003-05-15 Huf Huelsbeck & Fuerst Gmbh Vorrichtung zur Betätigung eines Verschlusses von Türen oder Klappen, insbesondere an Fahrzeugen
DE10300766A1 (de) * 2003-01-11 2004-07-22 Hella Kg Hueck & Co.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Türschloss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sowie eine durch ein derartiges Verfahren hergestellte Türschlossvorrichtung
DE10354169B4 (de) * 2003-11-19 2015-03-05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Signalverbindung zur Verbindung von Leitungen einer Handhabe und eines Trägerteils einer Türgriffeinheit
JP4487562B2 (ja) * 2003-12-22 2010-06-2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ハンドル装置
EP1766165B1 (de) * 2004-07-10 2019-11-06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orrichtung zur betätigung eines in einer tür, einer klappe od. dgl. eingebauten schlosses, insbesondere bei einem fahrzeug
FR2878278B1 (fr) * 2004-11-24 2008-08-01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Poignee d'ouvrant de vehicule automobile
DE102005020207A1 (de) * 2005-04-28 2006-11-09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Halterungsvorrichtung für eine elektrische Steckkupplung
JP4656579B2 (ja) * 2006-03-29 2011-03-23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接続構造及びクランプ部材
JP4835324B2 (ja) * 2006-08-25 2011-12-1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DE102007027845A1 (de) * 2007-06-13 2008-12-18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orrichtung zum Betätigen eines Verschlusses eines beweglichen Teils
DE102007027848A1 (de) * 2007-06-13 2008-12-18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orrichtung zum Betätigen eines Verschlusses eines beweglichen Teils
DE102009020247B4 (de) * 2009-05-07 2021-09-09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Betätigungsvorrichtung einer Klappe eines Kraftfahrzeugs
IT1395117B1 (it) * 2009-07-29 2012-09-05 Valeo Spa Procedimento di assemblaggio di una maniglia in una porta di un autoveicolo e relativa maniglia di porta
JP5407652B2 (ja) * 2009-08-18 2014-02-0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JP6399291B2 (ja) * 2014-07-30 2018-10-0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DE102019004914A1 (de) * 2019-07-12 2020-08-27 Daimler Ag Türgriffanordnung für eine Kraftfahrzeugtür eines Kraftfahrzeugs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Türgriffanordnung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07911B4 (de) * 1995-03-07 2004-04-29 Kiekert Ag Betätigungseinrichtung für das Türschloß einer Kraftfahrzeugtür
US5904002A (en) * 1996-05-31 1999-05-18 Lear Corporation Motor vehicle door module
DE19633894C2 (de) * 1996-08-22 1999-12-23 Huf Huelsbeck & Fuerst Gmbh Vorrichtung zur Betätigung eines in einer Tür, einer Klappe o. dgl. eingebauten Schlosses, insbesondere bei einem Fahrzeug
DE19720253A1 (de) * 1997-05-15 1998-11-19 Valeo Gmbh & Co Schliessyst Kg Befestigungseinrichtung für Türgriffe
DE19813316A1 (de) * 1998-03-26 1999-10-07 Huf Huelsbeck & Fuerst Gmbh Betätigungsvorrichtung für ein Türschloß mit klappbeweglichem Griff, insbesondere für ein Fahrzeugschloß
US6241294B1 (en) * 1999-08-04 2001-06-05 Adac Plastics, Inc. Motor vehicle door handle assembly
US6530251B1 (en) * 1999-11-18 2003-03-11 Strattec Security Corporation Modular vehicle door lock and latch system and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718B1 (ko) * 2009-11-30 2011-05-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2중 파워락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244479T3 (es) 2005-12-16
EP1218612A1 (de) 2002-07-03
DE19947977C1 (de) 2001-05-03
AU7911500A (en) 2001-05-10
US6910303B1 (en) 2005-06-28
DE50010934D1 (de) 2005-09-15
WO2001025575A1 (de) 2001-04-12
EP1218612B1 (de) 2005-08-10
KR20020059606A (ko) 2002-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6646B1 (ko) 자동차에서 전자 로킹 시스템 및/또는 도어, 플랩등과같이 형성된 로킹 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
US4452058A (en) Latch, in particular for an automobile vehicle door
JP5260360B2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KR19990054536A (ko) 자동차용 도어의 아웃사이드핸들 조립체
CA2617687A1 (en) Assembling method of electric steering lock device
KR100204959B1 (ko) 자동차용 도어 개폐 장치
JP5260358B2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WO2016084786A1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CN211524444U (zh) 安装在车门的内面板中的电动儿童锁系统及其车辆
KR100655715B1 (ko) 차량용 잠금장치
KR20030021836A (ko) 자동차용 도어래치의 데드록킹 작동 구조
JP4584719B2 (ja) 自動車用盗難防止装置
CN111344468B (zh) 机动车锁
GB2054726A (en) Actuator for a lever for locking an automobile lock
EP0558211B1 (en) Door latch and lock assembly
KR100899008B1 (ko) 도어 잠금장치용 래치부
KR100336468B1 (ko) 자동차용 도어의 이중 잠금 장치
KR0158143B1 (ko) 자동차 도어의 도어래치 록킹 방지장치
US11767688B2 (en) Door latch device
KR100431985B1 (ko) 차량의 운전석 도어잠금장치
KR100526813B1 (ko) 자동차용 벨크랭크
KR970002196Y1 (ko) 자동차 도어의 잠김장치
JP3750031B2 (ja) ドアロック装置
KR100247543B1 (ko) 도난방지용 자동차 도어의 잠금장치
KR200327506Y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