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5718B1 - 2중 파워락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2중 파워락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5718B1
KR101035718B1 KR1020090116976A KR20090116976A KR101035718B1 KR 101035718 B1 KR101035718 B1 KR 101035718B1 KR 1020090116976 A KR1020090116976 A KR 1020090116976A KR 20090116976 A KR20090116976 A KR 20090116976A KR 101035718 B1 KR101035718 B1 KR 101035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ock
lock
stopper
gear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6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호
남경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6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57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5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5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22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luggage compartments at the side of the vehicle, e.g. of buses or camper v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Abstract

본 발명은 2중 파워락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버스에 설치되는 플랩도어의 2중 잠금장치와 운전석내 중앙잠금장치에서 구동 가능한 파워락을 통합하여, 플랩도어의 불완전 잠금시 파워락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플랩도어가 완전히 잠기도록 하는 2중 파워락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2중 파워락 잠금장치 {Dual Powerlock Locking Apparatus}
본 발명은 2중 파워락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버스에 설치되는 플랩도어의 2중 잠금장치에 운전석내 중앙잠금장치에서 구동 가능한 파워락을 결합하여, 플랩도어의 불완전 잠금시 파워락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플랩도어가 완전히 잠기도록 하는 2중 파워락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에 설치되는 대형 화물용 화물실은 승객이 탑승하는 승객실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화물실의 입구는 버스의 측면에 형성되어 통상적으로 플랩도어(flap door)를 이용하여 화물실의 입구를 막아 적재된 화물을 보호하고 있다. 상기 플랩도어는 또한, 버스의 엔진룸 내의 엔진등의 기타 부품들을 점검하기 용이하도록 엔진룸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1에는 상기와 같이 버스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종래의 플랩도어와 그 내부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플랩도어(100)의 내부에는 상기 플랩도어(100)가 열리지 않도록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잠금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잠금장치와 로드(rod)를 통하여 연결된 손잡이부가 상기 플랩도어(100)의 외부에 형성 됨으로써 사용자가 차량의 플랩도어(100)를 쉽게 개폐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잠금장치는 통상적으로 단일 잠금장치 또는 2중 잠금장치가 널리 사용된다. 이중 2중 잠금장치는 상기 플랩도어(100)가 닫힐 때 2단계에 걸쳐 잠기도록 함으로써, 플랩도어(100)가 불완전하게 닫힐 경우 주행중 열림에 따른 위험 상황을 방지하고 있다.
도 2는 종래의 2중 잠금장치를 상세하게 나타내고 있으며, 도 3은 종래의 2중 잠금장치의 래치를 나타내고, 도 4는 종래의 2중 잠금장치가 잠기는 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2중 잠금장치의 래치(1)는 1단 잠금포인트와 2단 잠금포인트가 형성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플랩도어의 잠금장치가 열린 초기상태에서 플랩도어가 닫히면, 상기 래치(1)가 회전한다.
상기와 같은 래치(1)의 회전에 의하여 스토퍼(3)는 상기 래치(1)의 1단 잠금포인트에 결합되고, 최종적으로 1단 잠금포인트를 지나 2단 잠금포인트에 완전히 결합된다. 이때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플랩도어의 손잡이가 구동되면 로드를 통하여 연결된 레버(2)가 작동하고, 상기 레버(2)에 의하여 상기 스토퍼(3)가 아래로 내려감에 따라 상기 2단 잠금포인트와의 결합이 해제되며 잠금상태가 풀리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2중 잠금장치의 경우는 플랩도어가 불완전하게 닫힐 경우 1단 잠금포인트에 결합된 상태가 되어 플랩도어가 열리지는 않지만 차량의 주행시 차체에 가해지는 진동 및 충격에 의하여 상기 잠금상 태가 헤제될 가능성이 존재하여 주행 안정성을 심각하게 떨어뜨릴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1단 잠금상태에서는 상기 플랩도어가 불완전하게 닫힌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우천시 화물실 또는 엔진룸의 수밀 능력을 크게 저하시키고 빗물에 의한 화물 오염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2중 잠금장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와이어 케이블 타입(wire cable type) 잠금장치가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와이어 케이블 타입 잠금장치는 센서에 의하여 도어의 불완전 닫힘을 센싱하고 와이어 케이블을 통하여 2중 잠금 상태로 잠그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와이어 케이블 타입 잠금장치는 래치부를 강제로 회전시킴으로써 2중 잠금 상태로 잠그는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와이어 케이블 사용으로 인하여 단일 방향으로만 힘이 전달되기 때문에 잠금상태의 해제를 위하여 별도의 장치가 더 필요한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 케이블 타입 잠금장치는 실제 차량에 적용 시 각기 다른 차종의 환경조건이 상이하기 때문에 용이하게 적용하기 어려우며, 제조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 및 승객의 편의와 안전을 위하여 상용차에 적합한 2중 잠금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플랩도어의 2단 잠금장치와 파워락을 함께 적용함으로써, 플랩도어가 불완전하게 닫혀 2단 잠금장치에 불완전하게 잠겼을 때, 운전석 내의 중앙잠금장치로부터 구동되는 파워락에 의하여 상기 장금장치를 완전히 잠기도록 하는 2중 파워락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되는 플랩도어의 잠금장치에 있어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직각을 이루어 결합되는 레버암을 포함하는 센터브라켓;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센터브라켓의 몸체부에 관통 결합되고, 1단 락포인트, 2단 락포인트 및 파워락포인트를 형성한 래치부, 및 걸림홈을 형성한 걸림홈형성부를 포함하는 래치기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센터브라켓의 몸체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래치기어의 파워락포인트에 맞물려 상기 래치부를 회전시키고 고정시키는 파워락돌기를 형성한 파워락기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센터브라켓의 몸체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잠금돌기 및 구동돌기를 포함하고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센터브라켓에 결합되는 스토퍼; 및 차량에 설치되는 파워락 및 플랩도어의 손잡이와 연동하고, 상기 센터브라켓의 레버암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파워락기어를 회전시키는 파워락 구동돌기, 및 상기 스토퍼를 회전시키는 스토퍼구동돌기를 포함 하는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의 잠금돌기는 상기 래치기어의 1단 락포인트 및 2단 락포인트중 어느 하나와 맞물려 상기 래치부를 회전 및 고정시키고, 상기 스토퍼의 구동돌기는 상기 스토퍼구동돌기와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구동돌기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토퍼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래치기어는 일측에 형성된 제1스프링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일측에 형성된 제2스프링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스프링고정부와 상기 제2스프링고정부에 양단이 결합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워락 구동돌기와 상기 스토퍼구동돌기는 그 사이에 상기 레버와 센터브라켓의 결합부가 위치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레버의 회전에따라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워락기어는 상기 파워락 구동돌기가 용이하게 맞물려서 힘을 가할 수 있도록 형성된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파워락 잠금장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플랩도어의 2중 잠금장치가 불완전 잠금상태가 되더라도 운전석에서 제어되는 파워락에 의하여 완전히 잠기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파워락에 의하여 플랩도어가 불완전 잠김상태로 주행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으므로 제품 내구도 및 주행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운전석 내의 중앙잠금장치를 통하여 2단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우천시에도 수밀능력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중앙잠금장치를 통하여 운전석에서 플랩도어의 2단 잠금상태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2중 파워락 잠금장치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2중 파워락 잠금장치는 센터브라켓(10), 래치기어(20), 파워락기어(30), 스토퍼(40), 레버(50) 및 스프링(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센터브라켓(10)은 후술할 래치기어(20), 파워락기어(30), 스토퍼(40) 및 레버(50)를 플랩도어의 내부에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상게 센터브라켓(10)은 소정의 형상을 가지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부(11)와 상기 몸체부(11)의 일측에 수직을 이루며 형성되고 후술할 레버(50)가 결합되는 레버암(12) 및 후술할 래치기어(20)에 형성된 걸림홈에 마주보도록 형성됨으로써, 차량의 내부에 형성되어 본 발명의 2중 파워락 잠금장치가 고정되도록 형성된 걸림부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고정시키는 보조암(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센터브라켓(10)은 상기 래치기어(20), 파워락기어(30), 스토퍼(40) 및 레버(5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홀을 형성한다.
래치기어(20)는 상기 센터브라켓(10)의 몸체부(11)에 형성된 홀에 회전 가능 하도록 관통결합된다. 상기 래치기어(20)는 상기 센터브라켓(10)의 몸체부(11)의 일측면에 위치하는 래치부(21)와 상기 센터브라켓(10)의 타측면에 위치하는 걸림홈형성부(22)로 이루어진다.
상기 래치기어(20)의 일단에 형성된 래치부(21)는 후술할 스토퍼(40)가 걸리는 1단 락포인트 및 2단 락포인트와 후술할 파워락기어(30)가 걸리는 파워락포인트, 그리고 상기 스프링(60)부의 일단이 고정될 수 있는 제1스프링(60)고정부가 형성된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래치기어(20)의 타단에 형성된 걸림홈형성부(22)는 본 발명의 2중 파워락 잠금장치와 맞물림에 따라 플랩도어를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과 결합할 수 있도록 걸림홈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래치부(21)의 두께는 후술할 파워락기어(30)와 스토퍼(40)의 두께를 더한 두께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파워락기어(30)와 스토퍼(40)와 함께 동작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상기 래치기어(20)를 나타낸 측면도로써, 상기 래치기어(20)에 형성된 1단 락포인트 및 2단 락포인트 그리고 파워락포인트를 상세하게 나타낸다.
상기 래치기어(20)는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센터브라켓(10)의 몸체부(11)에 결합되며, 본 발명의 2중 파워락 잠금장치가 적용된 플랩도어의 열림 및 닫힘에 의하여 회전하거나, 후술할 스프링(60)부에 의하여 소정구간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파워락기어(30)는 후술할 레버(50)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래치기어(20)를 강제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래치기어(20)가 완전히 잠기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 기 파워락기어(30)는 상기 센터브라켓(10)의 몸체부(11)의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파워락기어(30)는 상기 래치기어(20)에 형성된 파워락포인트에 걸리도록 형성된 파워락돌기(31)와 후술할 레버(50)부의 파워락 구동돌기(52)가 걸리도록 형성된 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스토퍼(40)는 상기 몸체부(11)의 일측면에 형성된 상기 파워락기어(30)의 상면에 형성된다. 즉, 상기 스토퍼(40)와 상기 센터브라켓(10)은 그 사이에 상기 파워락기어(30)를 배치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토퍼(40)는 상기 센터브라켓(10)과 상기 파워락기어(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40)는 상기 래치기어(20)에 형성된 1단 락포인트 및 2단 락포인트에 걸려서 고정되도록 하는 잠금돌기(41)를 형성하고, 후술할 레버(50)에 형성된 스토퍼구동돌기(51)와 맞물림에 따라 상기 스토퍼를 회전하도록 하는 구동돌기(4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40)는 그 일측에 상기 제1스프링(60)고정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된 제2스프링(60)고정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제1스프링(60)고정부와 상기 제2스프링(60)고정부를 통하여 스프링(60)을 연결함으로써, 스프링(60)에 의하여 발생되는 인장력에 의하여 상기 스토퍼(40)와 상기 래치기어(20)에 힘이 가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레버(50)는 본 발명의 2중 파워락 잠금장치가 적용될 플랩도어의 손잡이와 연결된 로드에 의하여 상기 손잡이의 구동에 따라 상기 래치기어(20)와 상기 스토퍼(40)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레버(50)는 운전석내 중앙잠금장치를 통하여 제어되는 예를 들어, 모터와 같은 파워락과 로드를 통하여 연결됨으로써, 중앙잠금장치에 의하여 움직임이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중앙잠금장치에 의하여 제어되는 파워락에 의하여 상기 레버(50)를 조작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레버(50)는 상기 센터브라켓(10)의 레버암(12)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레버(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40)에 형성된 구동돌기(42)와 맞물림에 따라 상기 스토퍼(40)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는 기능을 하는 스토퍼구동돌기(51)가 형성된다. 따라서, 플랩도어에 형성된 손잡이의 구동에 의하여 레버(50)가 회전하고, 레버(50)에 형성된 스토퍼구동돌기(51)가 상기 스토퍼(40)의 구동돌기(42)를 통하여 상기 스토퍼(40)를 회전 시키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레버(50)는 파워락의 작동에 의하여 파워락기어(3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파워락 구동돌기(52)가 형성된다. 상기 파워락 구동돌기(52)는 파워락에 의하여 상기 레버(50)가 회전하면 상기 파워락기어(30)에 형성된 홈에 걸려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상기 파워락기어(30)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스프링(60)은 공지의 코일스프링(60)으로서, 상기 래치기어(20)에 형성된 제 1 스프링(60)고정부와 상기 스토퍼(40)에 형성된 제 2 스프링(60)고정부에 양 끝단이 결합된다. 상기 스프링(60)은 힘이 가해짐에 따라 늘어날 경우 그 양단에 인장력을 방생시키도록 배치된다.
도 7a 내지 도 7c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2중 파워락 잠금장치의 닫힘 및 열림 동작을 나타낸다.
먼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2중 파워락 잠금장치는 플랩도어가 열린상태에서 닫히게 되면, 플랩도어가 닫히는 압력에 의하여 상기 래치기어(20)의 걸림홈형성부(22)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상기 래치기어(20) 전체가 A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와 같은 래치기어(20)의 회전에 따라, 도 7b과 같이 의하여 상기 래치기어(20)의 래치부(21)에 형성된 1단 락포인트에 상기 스토퍼(40)의 잠금돌기(41)가 걸리게 되어 1단 잠금상태가 된다.
상기 플랩도어가 완전히 닫히게 되면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적으로 상기 스토퍼(40)에 형성된 잠금돌기(41)와 상기 래치기어(20)의 래치부(21)에 형성된 2단 락포인트가 결합하여 완전 잠금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완전 잠금 상태에서 플랩도어를 열기 위하여 상기 플랩도어의 손잡이 또는 파워락이 동작되면, 상기 레버(50)는 도시된 방향 B로 움직이고, 상기 레버(50)의 고정축에 의하여 상기 스토퍼구동돌기(51)가 C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상기 스토퍼구동돌기(51)의 움직임은 결과적으로 스토퍼(40)에 형성된 구동 돌기(42)를 움직임으로써, 상기 스토퍼(40)를 D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스토퍼(40)가 D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래치부(21)와 상기 스토퍼(40)에 의한 완전 잠금 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래치기어(20)는 E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잠김상태가 풀린다. 이때, 상기 스토퍼(40)의 회전에 의하여 늘어나있는 상기 스프링(60)의 인장력에 의하여 상기 래치기어(20)는 용이하게 E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8a 내지 8c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2중 파워락 잠금장치의 파워락 동작을 나타낸다.
도 8a는 플랩도어가 불완전하게 잠김에 따라 상기 스토퍼(40)의 잠금돌기(41)가 상기 래치기어(20)의 1단 락포인트에 걸린 1단잠금 상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1단잠금 상태를 완전하게 잠기도록 하기 위하여, 운전석 내의 중앙잠금장치에 의한 파워락이 동작하면 상기 레버(50)는 F방향으로 움직인다. 상기와 같은 레버(50)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레버(50)에 형성된 파워락 구동돌기(52)가 G방향으로 움직이고 상기 파워락 구동돌기(52)는 최종적으로 상기 파워락기어(30)를 H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와 같이 파워락기어(30)가 회전하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워락기어(30)에 형성된 파워락돌기(31)가 상기 래치기어(20)에 형성된 파워락포인트에 걸리고, 이 상태에서 소정구간 상기 레버(50)가 F방향으로 더 움직이면 상기 파워락기어(30)는 상기 래치기어(20)를 I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스토퍼구동돌기(51)와 상기 스토퍼(40)에 형성된 구동돌기(42)의 결합은 상기 레버(50)의 회전에 의하여 해제되었으나, 상기 파워락기어(30)를 통하여 회전하는 상기 래치기어(20)의 하중이 I방향으로 전달되며 또한, 스프링(60)에 의한 인장력이 작용하므로, 스토퍼(40)가 고정될 수 있다.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워락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레버(50)가 최대한 F방향으로 움직이면 이에따라 상기 파워락기어(30)도 H방향으로 최대한 회전하고, 상기 래치기어(20)를 I방향으로 최대한 회전시키도록 함으로써, 상기 래치기어(20)의 2단 락포인트와 스토퍼(40)의 잠금돌기(41)를 결합시킨다. 따라서, 파워락의 구동에 의하여 본 발명의 2중 파워락 잠금장치를 2단잠금 상태로 만들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2중 파워락 잠금장치의 열림상태에서 파워락이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2중 파워락 잠금장치의 열림상태에서 파워락이 동작하여 상기 레버(50)가 J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파워락기어(30)가 K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상기 파워락기어(30)의 파워락돌기(31)가 상기 래치기어(20)에 형성된 파워락포인트에 결합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래치기어(20)는 L방향이 아닌 M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2중 파워락 잠금장치의 열림상태에서는 파워락에 의하여 잠금상태가 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하여 실수로 파워락이 활성화된 후 플랩도어가 닫힐 경우에도 본 발명의 2중 파워락 잠금장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2중 파워락 잠금장치의 파워락 잠금시와 파워락 해제시 상태를 비교하여 나타낸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워락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레버(50)가 N방향으로 이동하면 파워락기어(30)가 O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완전 잠금상태가 될 경우 상기 파워락기어(30)는 상기 래치기어(20)의 파워락포인트와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래치기어(20)가 더이상 P 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그러나,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워락이 해제되면, 레버(50)가 원 상태로 돌아오게 되며 상기 파워락기어(30)에 O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이 더이상 없어지기 때문에 상기 래치기어(20)는 P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잠금상태에 따른 상기 래치기어(20)의 회전에 의하여 늘어나있는 상기 스프링(60)에 의하여 Q방향으로 인장력이 발생하고, 이에따라 상기 래치기어(20)는 P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상기 파워락 기어에 의하여 플랩도어의 열림 및 닫힘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래치기어(20)와 파워락기어(30)를 자세하게 나타낸 측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파워락기어(3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래치기어(20)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파워락기어(30)의 회전력이 상기 래치기어(20)에 효율적으로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파워락기어(30)의 회전에 따라 움직이는 래치기어(20)가 최대 회전모멘트 구간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래치기어(20)와 상기 파워락기어(30)를 형성함으로써, 효율적으로 파워락에의한 움직임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2중 파워락 잠금장치를 구성하는 레버(50), 파워락기어(30), 스토퍼(40)를 상세하게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레버(50)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파워락기어(30)와 상기 스토퍼(40)가 각각 개별적으로 회전운동을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50)가 R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레버(50)가 결합된 중심축에 의하여 상기 스토퍼구동돌기(51)는 S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따라, 상기 스토퍼(40)에 형성된 구동돌기(42)는 S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 레버(50)의 회전에 따라 파워락 구동돌기(52)도 함께 S방향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상기 상기 파워락 구동돌기(52)는 상기 파워락기어(30)에는 힘을 가하지 않는다.
반대로, 상기 레버(50)가 T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레버(50)가 결합된 중심축에 의하여 상기 파워락 구동돌기(52)는 U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따라, 상기 파워락기어(30)를 U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레버(5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토퍼(40) 멈춤돌기도 함께 U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상기 스토퍼(40) 멈춤돌기는 상기 스토퍼(40)에 형성된 멈춤돌기에는 힘을 가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상기 레버(50)의 회전 방향에 따라 각기 다른 구성요소를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2중 파워락 잠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특정한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플랩도어와 그 내부를 나타낸다.
도 2는 종래의 2중 잠금장치를 상세하게 나타낸다.
도 3은 종래의 2중 잠금장치의 래치를 나타낸다.
도 4는 종래의 2중 잠금장치가 잠기는 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2중 파워락 잠금장치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래치기어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2중 파워락 잠금장치의 닫힘 및 열림 동작을 나타낸다.
도 8a 내지 8c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2중 파워락 잠금장치의 파워락 동작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2중 파워락 잠금장치의 열림상태에서 파워락이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2중 파워락 잠금장치의 파워락 잠금시와 파워락 해제시 상태를 비교하여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래치기어와 파워락기어를 자세하게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2중 파워락 잠금장치를 구성하는 레버, 파워락기어, 스토퍼를 상세하게 나타낸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 종래의 래치 2: 종래의 레버
3: 종래의 스토퍼
10: 센터브라켓 11: 몸체부
12: 레버암 13: 보조암
20: 래치기어 21: 래치부
22: 걸림홈형성부 30: 파워락기어
31: 파워락돌기 40: 스토퍼
41: 잠금돌기 42: 구동돌기
50: 레버 51: 스토퍼구동돌기
52: 파워락 구동돌기 60: 스프링

Claims (4)

  1. 차량에 설치되는 플랩도어의 잠금장치에 있어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몸체부(11) 및 상기 몸체부(11)의 일측에 직각을 이루어 결합되는 레버암(12)을 포함하는 센터브라켓(10);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센터브라켓(10)의 몸체부(11)에 관통 결합되고, 1단 락포인트, 2단 락포인트 및 파워락포인트를 형성한 래치부(21), 및 걸림홈을 형성한 걸림홈형성부(22)를 포함하는 래치기어(20);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센터브라켓(10)의 몸체부(11)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래치기어(20)의 파워락포인트에 맞물려 상기 래치부(21)를 회전시키고 고정시키는 파워락돌기(31)를 형성한 파워락기어(30);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센터브라켓(10)의 몸체부(11)의 일측에 결합되고, 잠금돌기(41) 및 구동돌기(42)를 포함하고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센터브라켓(10)에 결합되는 스토퍼(40); 및
    차량에 설치되는 파워락 및 플랩도어의 손잡이와 연동하고, 상기 센터브라켓(10)의 레버암(12)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파워락기어(30)를 회전시키는 파워락 구동돌기(52), 및 상기 스토퍼(40)를 회전시키는 스토퍼구동돌기(51)를 포함하는 레버(50)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40)의 잠금돌기(41)는 상기 래치기어(20)의 1단 락포인트 및 2단 락포인트중 어느 하나와 맞물려 상기 래치부(21)를 회전시키고 고정시키고,
    상기 스토퍼(40)의 구동돌기(42)는 상기 스토퍼구동돌기(51)와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구동돌기(51)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토퍼(40)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파워락 잠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기어(20)는 일측에 형성된 제1스프링(60)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40)는 일측에 형성된 제2스프링(60)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스프링(60)고정부와 상기 제2스프링(60)고정부에 양단이 결합되는 스프링(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파워락 잠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락 구동돌기(52)와 상기 스토퍼구동돌기(51)는 그 사이에 상기 레버(50)와 센터브라켓(10)의 결합부가 위치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레버(50)의 회전에따라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파워락 잠금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락기어(30)는 상기 파워락 구동돌기(52)가 용이하게 맞물려서 힘을 가할 수 있도록 형성된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파워락 잠금장치.
KR1020090116976A 2009-11-30 2009-11-30 2중 파워락 잠금장치 KR101035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976A KR101035718B1 (ko) 2009-11-30 2009-11-30 2중 파워락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976A KR101035718B1 (ko) 2009-11-30 2009-11-30 2중 파워락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5718B1 true KR101035718B1 (ko) 2011-05-19

Family

ID=44366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6976A KR101035718B1 (ko) 2009-11-30 2009-11-30 2중 파워락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571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8130A (ja) * 1993-03-31 1994-10-11 Nissan Shatai Co Ltd 車両のスライドドア操作装置
KR970023872U (ko) * 1995-11-09 1997-06-20 버스의 플랩 도어 록킹장치
KR100448837B1 (ko) 2002-10-31 2004-09-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플랩도어용 도어래치조립체의 구조
KR100566646B1 (ko) * 1999-10-05 2006-03-31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자동차에서 전자 로킹 시스템 및/또는 도어, 플랩등과같이 형성된 로킹 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8130A (ja) * 1993-03-31 1994-10-11 Nissan Shatai Co Ltd 車両のスライドドア操作装置
KR970023872U (ko) * 1995-11-09 1997-06-20 버스의 플랩 도어 록킹장치
KR100566646B1 (ko) * 1999-10-05 2006-03-31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자동차에서 전자 로킹 시스템 및/또는 도어, 플랩등과같이 형성된 로킹 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
KR100448837B1 (ko) 2002-10-31 2004-09-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플랩도어용 도어래치조립체의 구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0566646 B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20464B2 (en) Tailgate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vehicle
US11136795B2 (en) Latch apparatus of tailgate for vehicle
JP6789725B2 (ja) 車両用シンチングラッチ組立体
KR101795252B1 (ko) 차량용 트렁크 래치 모듈
US10214945B2 (en) Door latch assembly for motor vehicles
US20010013236A1 (en) Lock for a vehicle rear door or a rear hatch provided with a window wiper
JP6980966B2 (ja) 自動車ドア用ロック
KR20170119280A (ko) 차량용 트렁크 래치 모듈
JP2006009559A (ja) 自動車のドアラッチ
CN114080484B (zh) 机动车门锁
KR101272988B1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래치 기어의 해제 구조
KR101035718B1 (ko) 2중 파워락 잠금장치
JP2021095832A (ja) トランクラッチ非常時開放構造
KR100303367B1 (ko) 자동차용 도어래치 어셈블리
JP4382473B2 (ja) 自動車用ドアラッチのラッチ解除装置
JP2002295096A (ja) 車両用ドアラッチ操作装置
JP4922202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KR20150106003A (ko) 차량 도어 록
KR102634391B1 (ko) 슬라이딩 도어의 일체형 도어 래치 어셈블리
JP4468745B2 (ja) ドアロックシステム
KR100410854B1 (ko) 자동차용 후드래치의 2단 잠김구조
CN215907653U (zh) 车门操作装置
JP2000054708A (ja) ドアロック操作装置
WO2021002073A1 (ja) 開扉装置
CN115961843A (zh) 车辆的门把手控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