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8837B1 - 플랩도어용 도어래치조립체의 구조 - Google Patents

플랩도어용 도어래치조립체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8837B1
KR100448837B1 KR10-2002-0066957A KR20020066957A KR100448837B1 KR 100448837 B1 KR100448837 B1 KR 100448837B1 KR 20020066957 A KR20020066957 A KR 20020066957A KR 100448837 B1 KR100448837 B1 KR 100448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atch
lever
flap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6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8086A (ko
Inventor
진준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6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8837B1/ko
Publication of KR20040038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8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8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88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22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luggage compartments at the side of the vehicle, e.g. of buses or camper v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Luggage compartment lids for buse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랩도어용 도어래치조립체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도어스트라이커(10)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개구홈(21a)이 형성되면서 플랩도어(1)의 내측패널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래치하우징(21)과, 이 래치하우징(21)의 양측면을 관통하는 래치핀(2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래치(23)와, 상기 래치하우징(21)의 양측면을 관통하는 고정핀(24a) 및 유동핀(24b)을 매개로 상기 도어래치(23)의 테두리면과 접촉가능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도어래치(23)의 회동을 제어하는 레치회동제어수단(24)으로 구성되는 플랩도어용 도어래치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래치하우징(21)의 일측부에는 도어래치(23)와 더불어 도어스트라이커(10)를 구속하는 안전잠금레버(26)가 더 설치되는데, 상기 안전잠금레버(26)는 래치하우징(21)을 관통하는 힌지핀(27)과 이 힌지핀(27)의 외주면에 감겨지면서 양단이 래치하우징(21)과 안전잠금레버(26)에 각각 고정되는 토션스프링(28)에 의해 탄력적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져, 플랩도어(1)의 밀폐시 도어스트라이커(10)가 도어래치(23)와 안전잠금레버(26)에 의해 이중구속됨으로써, 상기 도어래치(23)에 강한 힘의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도어스트라이커(10)와 도어래치(23)의 구속상태가 해제되지 못하게 되며, 이에 따라 원하지 않는 플랩도어(1)의 개방이 예방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플랩도어용 도어래치조립체의 구조{structure of door latch assembly for flap door}
본 발명은 플랩도어용 도어래치조립체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중잠금장치의 기능을 갖도록 구성하여 외부의 충격하중에 의해 잠금상태가 스스로 해제되는 것을 예방하고 아울러 원하지 않는 플랩도어의 개방을 예방할 수 있도록 된 플랩도어용 도어래치조립체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와 같이 다수의 승객을 탑승시키도록 된 차량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수화물류를 적재하기 위한 별도의 적재공간(S)이 실내공간의 하측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한 화물적재공간(S)은 사이드프레임(도시않됨)에 힌지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작동되는 플랩도어(1)에 의해 개폐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플랩도어(1)는 차체측프레임에 설치되는 도어스트라이커와, 이 도어스트라이커와 대향되도록 상기 플랩도어(1)에 설치되는 도어래치조립체에 의해 잠금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본 명세서에서는 플랩도어(1)에 설치되는 도어래치조립체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즉, 종래에 사용되는 도어래치조립체(20)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랩도어(1)가 개폐될 때 차체측프레임에 설치되는 도어스트라이커(10)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일측부에 개구홈(21a)이 형성되는 래치하우징(21)과, 이 래치하우징(21)내에 위치되면서 래치하우징(21)의 양측면을 관통하는 래치핀(2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래치(23)와, 이 도어래치(23)의 상측에서 일단이도어래치(23)와 접촉되도록 설치되면서 플랩도어(1)가 개폐될 때 상기 도어래치(23)의 회동을 제어하도록 하는 레치회동제어수단(24)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도어스트라이커(10)는 그 외형이 보통 유(∪)자 모양으로 형성되면서 화물의 적재공간(S)을 형성하는 차체측프레임에 다수개의 스크류(도시않됨)를 매개로 나사체결되어 설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래치하우징(21)은 단면이 대략 디귿자(ㄷ)의 모양으로 형성되면서 플랩도어(1)의 내측패널에 스크류를 매개로 나사체결되어 설치되는데, 개구홈(21a)이 형성된 전면부가 도어스트라이커(10)와 대향되도록 설치되게 된다.
또한, 상기 레치회동제어수단(24)은 래치하우징(21)내에서 도어래치(23)의 상측으로 배치되면서 상하단부가 각각 래치하우징(21)을 관통하는 고정핀(24a) 및 유동핀(24b)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회동제어브라켓트(24c)와, 이 회동제어브라켓트(24c)에 감겨져서 일단은 상기 고정핀(24a)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회동제어브라켓트(24c)의 하단부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압축스프링(24d)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회동제어브라켓트(24c)에는 타원모양의 안내구멍(24c-1)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이 안내구멍(24c-1)으로 상기 고정핀(24a)이 관통되면서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동핀(24b)은 래치하우징(21)에 형성된 원호모양의 슬릿(21b)을 관통하여 설치되는데, 상기 유동핀(24b)의 전체길이는 래치하우징(21)의 양측면을 연결하는 전체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슬릿(21b)을 관통하여 설치된 유동핀(24b)의 양단은 상기 래치하우징(21)의 양측부로 돌출되지 않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회동제어브라켓트(24c)의 하단부를 관통하는 유동핀(24b)은 상기 도어래치(23)의 외곽 테두리면과 항상 접촉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회동제어브라켓트(24c)는 도어래치(23)가 래치핀(22)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래치하우징(21)의 상하방향으로 탄성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개방되어 있는 플랩도어(1)를 밀폐시키기 위해 작업자가 플랩도어(1)를 차체쪽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래치하우징(21)의 개구홈(21a)쪽으로 도어스트라이커(10)가 삽입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도어래치(23)는 상기 도어스트라이커(10)의 선단부와 접촉되면서 래치핀(22)을 중심으로 도 3에 도시된 화살표 R의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도어스트라이커(10)를 구속함으로써 도어플랩(1)을 닫힌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플랩도어(1)의 밀폐작동시 도어래치(23)가 화살표 R의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될 때 상기 회동제어브라켓트(24c)는 전체적으로 래치하우징(21)의 상측으로 탄성이동을 하게 되고, 또한 상기 도어래치(23)가 완전히 회동되어 도어스트라이커(10)를 구속할 때 상기 회동제어브라켓트(24c)는 레치회동제어수단(24)을 구성하는 압축스프링(24d)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도어스트라이커(10)를 구속하는 방향으로 도어래치(23)에 힘을 가하게 된다.
한편, 밀폐된 플랩도어(1)를 개방시키고자 작업자가 플랩도어(1)를 당겨주게되면 도어스트라이커(10)가 래치하우징(21)의 개구홈(21a)으로부터 빠져나오면서 도어래치(23)를 도 3에 도시된 화살표 R의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도어스트라이커(10)의 구속상태가 해제되면서 상기 플랩도어(1)는 차체로부터 개방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플랩도어(1)는 플랩도어(1)의 밀폐상태가 도어스트라이커(10)를 구속하는 도어래치(23)의 구속력에만 의존하고 있는 상태이고, 또한 상기 도어래치(23)의 구속력은 레치회동제어수단(24)을 구성하는 압축스프링(24d)의 탄성복원력에만 의존하는 상태이므로, 상기 압축스프링(24d)의 힘을 이기는 외력이 상기 도어래치(23)에 작용하게 될 경우 원하지 않는 플랩도어(1)의 개방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와 같은 플랩도어(1)의 개방은 차량의 주행시 대형교통사고를 일으키게 되는 문제점으로 작용하게 되었다.
여컨대, 화물적재공간(S)에 적재된 화물이 차량의 주행중 유동되면서 밀폐된 플랩도어(1)를 강하게 타격할 때 이 외력의 힘이 상기 압축스프링(24d)의 힘을 이기게 되면, 도어스트라이커(10)가 래치하우징(21)의 개구홈(21a)으로부터 빠져나오면서 도어래치(23)를 일방향으로 회동시켜 플랩도어(1)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밀폐되어 있던 플랩도어(1)가 강제적으로 개방됨으로써 주행중 교통사고의 원인이 되었던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플랩도어의 밀폐상태를 구속하는 도어래치에 압축스프링의 힘을 이기는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도어스트라이커와 도어래치의 구속상태가 강제적인 힘에 의해 해제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원하지 않는 플랩도어의 개방을 예방하고 이로 인해 유발되는 교통사고도 미리 예방할 수 있도록 된 플랩도어용 도어래치조립체의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어스트라이커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개구홈이 형성되면서 플랩도어의 내측패널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래치하우징과, 이 래치하우징의 양측면을 관통하는 래치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래치와, 상기 래치하우징의 양측면을 관통하는 고정핀 및 유동핀을 매개로 상기 도어래치의 테두리면과 접촉가능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도어래치의 회동을 제어하는 레치회동제어수단으로 구성되는 플랩도어용 도어래치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래치하우징의 일측부에는 도어래치와 더불어 도어스트라이커를 구속하는 안전잠금레버가 더 설치되는데, 상기 안전잠금레버는 래치하우징을 관통하는 힌지핀과 이 힌지핀의 외주면에 감겨지면서 양단이 래치하우징과 안전잠금레버에 각각 고정되는 토션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버스에 장착된 플랩도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와 도 3은 종래의 도어래치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종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안전잠금레버를 구비한 도어래치조립체의 사시도 및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플랩도어 10 - 도어스트라이커
20 - 도어래치조립체 21 - 래치하우징
21a - 개구홈 21c - 걸림턱
22 - 래치핀 23 - 도어래치
24 - 레치회동제어수단 26 - 안전잠금레버
26a - 레버플랜지부 26b - 레버후크부
26b-1 - 바깥쪽 테두리면 26b-2 - 안쪽면
26c - 레버돌기부 26d - 레버손잡이부
27 - 힌지핀 28 - 토션스프링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안전잠금레버를 구비한 도어래치조립체의 사시도 및 종단면도로서, 종래구조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래치조립체는 차체측프레임에 설치되는 도어스트라이커와 함께 플랩도어의 개폐시 잠금장치의 수단으로써 사용된다.
즉, 버스와 같이 다수의 승객을 탑승시키도록 된 차량에는 도 1을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각종 수화물류를 적재하기 위한 별도의 적재공간(S)이 실내공간의 하측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한 화물적재공간(S)은 사이드프레임(도시않됨)에 힌지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작동되는 플랩도어(1)에 의해 개폐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플랩도어(1)는 차체측프레임에 설치되는 도어스트라이커와, 이 도어스트라이커와 대향되도록 상기 플랩도어(1)에 설치되는 도어래치조립체에 의해 잠금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상기한 도어스트라이커(10)는 그 외형이 보통 유(∪)자 모양으로 형성되면서 화물의 적재공간(S)을 형성하는 차체측프레임에 다수개의 스크류(도시않됨)를 매개로 나사체결되어 설치된다.(도 6에 도시됨)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도어래치조립체(2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랩도어(1)가 개폐될 때 차체측프레임에 설치되는 도어스트라이커(10)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일측부에 개구홈(21a)이 형성되는 래치하우징(21)과, 이 래치하우징(21)내에 위치되면서 래치하우징(21)의 양측면을 관통하는 래치핀(2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래치(23)와, 이 도어래치(23)의 상측에서 일단이 도어래치(23)와 접촉되도록 설치되면서 플랩도어(1)가 개폐될 때 상기 도어래치(23)의 회동을 제어하도록 하는 레치회동제어수단(24)과, 상기 래치하우징(21)의 일측부에 탄력적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플랩도어(1)가 밀폐될 때 상기 도어래치(23)와 더불어 도어스트라이커(10)를 함께 구속하는 안전잠금레버(26)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래치하우징(21)은 단면이 대략 디귿자(ㄷ)의 모양으로 형성되면서 플랩도어(1)의 내측패널에 스크류를 매개로 나사체결되어 설치되는데,개구홈(21a)이 형성된 전면부가 도어스트라이커(10)와 대향되도록 설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레치회동제어수단(24)은 래치하우징(21)내에서 도어래치(23)의 상측으로 배치되면서 상하단부가 각각 래치하우징(21)을 관통하는 고정핀(24a) 및 유동핀(24b)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회동제어브라켓트(24c)와, 이 회동제어브라켓트(24c)에 감겨져서 일단은 상기 고정핀(24a)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회동제어브라켓트(24c)의 하단부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압축스프링(24d)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회동제어브라켓트(24c)에는 타원모양의 안내구멍(24c-1)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이 안내구멍(24c-1)으로 상기 고정핀(24a)이 관통되면서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동핀(24b)은 래치하우징(21)에 형성된 원호모양의 슬릿(21b)을 관통하여 설치되는데, 상기 유동핀(24b)의 전체길이는 래치하우징(21)의 양측면을 연결하는 전체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슬릿(21b)을 관통하여 설치된 유동핀(24b)의 양단은 상기 래치하우징(21)의 양측부로 돌출되지 않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회동제어브라켓트(24c)의 하단부를 관통하는 유동핀(24b)은 상기 도어래치(23)의 외곽 테두리면과 항상 접촉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회동제어브라켓트(24c)는 도어래치(23)가 래치핀(22)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래치하우징(21)의 상하방향으로 탄성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래치하우징(21)의 일측부에 설치되는 안전잠금레버(26)는 래치하우징(21)을 관통하는 힌지핀(27)과 이 힌지핀(27)의 외주면에 감겨지면서 양단이 래치하우징(21)과 안전잠금레버(26)에 각각 고정되는 토션스프링(28)에 의해 탄력적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안전잠금레버(26)가 설치되는 래치하우징(21)의 일측면 선단부에는 상기 안전잠금레버(26)의 일방향 회전을 제어하는 걸림턱(21c)이 래치하우징(21)의 측면 외측으로 다수번 절곡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걸림턱(21c)은 후술하는 레버후크부(26b)의 선단이 래치하우징(21)에 형성된 개구홈(21a)을 상하방향으로 가로지르면서 완전히 밀폐시키지 못하도록 안전잠금레버(26)의 일방향 회전을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안전잠금레버(26)는 힌지핀(27)이 관통결합되는 레버플랜지부(26a)와, 상기 래치하우징(21)에 형성된 개구홈(21a)의 입구를 부분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게 절곡형성되는 레버후크부(26b)와, 회동방향에 따라 상기 걸림턱(21c)과 선택적으로 접촉가능하게 돌출형성되는 레버돌기부(26c)와, 상기 개구홈(21a)을 완전 개방시키기 위해 레버후크부(26b)를 일방향으로 강제회전시키도록 하는 레버손잡이부(26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레버후크부(26b)의 바깥쪽 테두리면(26b-1)은 도어스트라이커(10)의 원활한 진입을 위해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레버후크부(26b)의 안쪽면(26b-2)은 외력에 의한 도어스트라이커(10)의 강제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개구홈(21a)을 상하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평면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레버후크부(26b)의 바깥쪽 테두리면(26b-1)은 플랩도어(1)가 밀폐될 때 도어스트라이커(10)의 선단이 래치하우징(21)에 형성된 개구홈(21a)으로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개구홈(21a)방향으로 휘어지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후크부(26b)의 안쪽면(26b-2)은 도어스트라이커(10)가 래치하우징(21)에 형성된 개구홈(21a)으로 삽입되어 도어래치(23)에 의해 구속된 상태 즉 플랩도어(1)가 완전히 밀폐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후크부(26b)를 이용해 개구홈(21a)을 개방시키지 않는 한 외력에 의해 상기 도어스트라이커(10)가 래치하우징(2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개구홈(21a)을 상하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평면으로 형성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라 안전잠금레버(26)가 구비된 도어래치조립체(20)의 작동과정에 대해 도 4 내지 도 6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작업자가 개방되어 있는 플랩도어(1)를 밀폐시키기 위해 플랩도어(1)를 차체쪽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먼저 안전잠금레버(26)를 구성하는 레버후크부(26b)의 바깥쪽 테두리면(26b-1)이 도어스트라이커(10)의 선단부와 접촉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레버후크부(26b)는 플랩도어(1)가 밀폐되려는 힘에 의해 힌지핀(27)을 중심으로 하여 도 5에 도시된 화살표 M의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을 하면서 래치하우징(21)의 개구홈(21a) 입구를 개방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도어스트라이커(10)는 개구홈(21a)으로 삽입되면서 도어래치(23)와 접촉을 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도어래치(23)는 래치핀(22)을 중심으로 도 6에 도시된 화살표 R의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도어스트라이커(10)를 구속함으로써 도어플랩(1)을 닫힌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플랩도어(1)의 밀폐시 래치하우징(21)의 개구홈(21a) 입구를 개방시키도록 일방향으로 회동된 레버후크부(26b)는 상기 도어스트라이커(10)가 개구홈(21a)으로 완전히 삽입될 때 토션스프링(28)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반대방향 즉 도 5에 도시된 화살표 M의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복귀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안전잠금레버(26)의 레버후크부(26b)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스트라이커(10)의 전면을 구속하여 도어스트라이커(10)가 개구홈(21a)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플랩도어(1)의 밀폐작동시 도어래치(23)가 화살표 R의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될 때 상기 회동제어브라켓트(24c)는 전체적으로 래치하우징(21)의 상측으로 탄성이동을 하게 되고, 또한 상기 도어래치(23)가 완전히 회동되어 도어스트라이커(10)를 구속할 때 상기 회동제어브라켓트(24c)는 레치회동제어수단(24)을 구성하는 압축스프링(24d)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도어스트라이커(10)를 구속하는 방향으로 도어래치(23)에 힘을 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도어스트라이커(10)가 개구홈(21a)으로 삽입되면서 도어래치(23)에 의해 구속될 때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잠금레버(26)의 레버후크부(26b)가 도어스트라이커(10)를 이중구속하게 되면, 상기 도어래치(23)에 압축스프링(24d)의 힘을 이기는 외력이 작용하게 되더라도 상기 도어스트라이커(10)와 도어래치(23)의 구속상태가 강제적인 외력의 힘에 의해 해제되지 못하게 되며, 이에 따라 원하지 않는 플랩도어(1)의 개방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한편, 밀폐된 플랩도어(1)를 개방시키고자 할 때에는 작업자가 플랩도어(1)의 안쪽공간으로 손을 넣어 안전잠금레버(26)를 구성하는 레버손잡이부(26d)를 작업자의 방향으로 잡아당겨 주게 되면, 상기 안전잠금레버(26)의 레버후크부(26b)가 힌지핀(27)을 중심으로 하여 도 5에 도시된 화살표 M의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을 하면서 래치하우징(21)의 개구홈(21a) 입구를 개방시키게 된다.
이상태에서, 작업자가 플랩도어(1)를 당겨주게 되면 도어스트라이커(10)가 래치하우징(21)의 개구홈(21a)으로부터 빠져나오면서 도어래치(23)를 도 6에 도시된 화살표 R의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며, 이로 인해 도어스트라이커(10)가 도어래치(23) 및 레버후크부(26b)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면서 구속상태가 해제됨으로써, 상기 플랩도어(1)의 개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플랩도어(1)에 사용되는 도어래치조립체(20)를 제작할 때 래치하우징(21)의 측면으로 안전잠금레버(26)를 함께 구성하게 되면, 도어스트라이커(10)가 플랩도어(1)의 밀폐시 도어래치(23)와 안전잠금레버(26)에 의해 이중구속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도어래치(23)에 강한 힘의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도어스트라이커(10)와 도어래치(23)의 구속상태가 강제적인 외력의 힘에 의해 해제되지 못하게 됨으로써, 원하지 않는 플랩도어(1)의 개방을 미리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차량의 주행중 원하지 않는 플랩도어(1)의 개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이로 인해 야기되던 교통사고도 미리 에방할 수 있는 잇점도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래치조립체를 구성하는 래치하우징의 측면에 안전잠금레버가 함께 구성되어져, 플랩도어의 밀폐시 도어스트라이커가 도어래치와 안전잠금레버에 의해 이중구속됨으로써, 상기 도어래치에 강한힘의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도어스트라이커와 도어래치의 구속상태가 해제되지 못하게 되며, 이에 따라 원하지 않는 플랩도어의 개방이 예방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5)

  1. 도어스트라이커(10)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개구홈(21a)이 형성되면서 플랩도어(1)의 내측패널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래치하우징(21)과, 이 래치하우징(21)의 양측면을 관통하는 래치핀(2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래치(23)와, 상기 래치하우징(21)의 양측면을 관통하는 고정핀(24a) 및 유동핀(24b)을 매개로 상기 도어래치(23)의 테두리면과 접촉가능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도어래치(23)의 회동을 제어하는 레치회동제어수단(24)으로 구성되는 플랩도어용 도어래치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래치하우징(21)의 일측부에는 도어래치(23)와 더불어 도어스트라이커(10)를 구속하는 안전잠금레버(26)가 더 설치되는데, 상기 안전잠금레버(26)는 래치하우징(21)을 관통하는 힌지핀(27)과 이 힌지핀(27)의 외주면에 감겨지면서 양단이 래치하우징(21)과 안전잠금레버(26)에 각각 고정되는 토션스프링(28)에 의해 탄력적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도어용 도어래치조립체의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잠금레버(26)가 설치되는 래치하우징(21)의 일측면 선단부에는 상기 안전잠금레버(26)의 일방향 회전을 제어하는 걸림턱(21c)이 래치하우징(21)의 측면 외측으로 다수번 절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도어용 도어래치조립체의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잠금레버(26)는 힌지핀(27)이 관통결합되는 레버플랜지부(26a)와, 상기 래치하우징(21)에 형성된 개구홈(21a)의 입구를 부분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게 절곡형성되는 레버후크부(26b)와, 회동방향에 따라 상기 걸림턱(21c)과 선택적으로 접촉가능하게 돌출형성되는 레버돌기부(26c)와, 상기 개구홈(21a)을 완전 개방시키기 위해 레버후크부(26b)를 일방향으로 강제회전시키도록 하는 레버손잡이부(26d)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도어용 도어래치조립체의 구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21c)은 레버후크부(26b)의 선단이 래치하우징(21)에 형성된 개구홈(21a)을 상하방향으로 가로지르면서 완전히 밀폐시키지 못하도록 안전잠금레버(26)의 일방향 회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도어용 도어래치조립체의 구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후크부(26b)의 바깥쪽 테두리면(26b-1)은 도어스트라이커(10)의 원활한 진입을 위해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레버후크부(26b)의 안쪽면(26b-2)은 외력에 의한 도어스트라이커(10)의 강제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개구홈(21a)을 상하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평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도어용 도어래치조립체의 구조.
KR10-2002-0066957A 2002-10-31 2002-10-31 플랩도어용 도어래치조립체의 구조 KR100448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6957A KR100448837B1 (ko) 2002-10-31 2002-10-31 플랩도어용 도어래치조립체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6957A KR100448837B1 (ko) 2002-10-31 2002-10-31 플랩도어용 도어래치조립체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8086A KR20040038086A (ko) 2004-05-08
KR100448837B1 true KR100448837B1 (ko) 2004-09-16

Family

ID=37336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6957A KR100448837B1 (ko) 2002-10-31 2002-10-31 플랩도어용 도어래치조립체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88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718B1 (ko) 2009-11-30 2011-05-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2중 파워락 잠금장치
KR200458427Y1 (ko) * 2009-12-09 2012-02-20 대우버스(주) 자동차의 도어 이중 잠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147B1 (ko) * 2011-05-26 2013-06-05 주식회사 광명전기 태양전지판넬을 이용한 전원 공급장치가 장착된 자전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718B1 (ko) 2009-11-30 2011-05-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2중 파워락 잠금장치
KR200458427Y1 (ko) * 2009-12-09 2012-02-20 대우버스(주) 자동차의 도어 이중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8086A (ko) 2004-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9444B2 (en) Handle apparatus
KR19990054536A (ko) 자동차용 도어의 아웃사이드핸들 조립체
EP3575521A1 (en) Vehicle door latch device
KR100448837B1 (ko) 플랩도어용 도어래치조립체의 구조
US20200399938A1 (en) Locking Device Having No Restriction on Order of Opening or Closing Door
KR100336690B1 (ko)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록킹장치
KR102634391B1 (ko) 슬라이딩 도어의 일체형 도어 래치 어셈블리
KR100428392B1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유동 방지구조
KR101360337B1 (ko)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장치
KR100716819B1 (ko) 화물차의 사이드게이트 개폐장치
KR200314672Y1 (ko) 래치 모듈
KR100494426B1 (ko)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의 글라스 파손 방지구조
KR100405606B1 (ko) 자동차의 도어 개폐장치
KR100836114B1 (ko)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홀드 오픈 룩 어셈블리
KR100448059B1 (ko) 충돌 사고 시의 도어 잠김 방지장치
KR200214917Y1 (ko) 차량용 플랩도어 잠금장치
KR100412234B1 (ko) 자동차의 도어 잠금장치
KR0138850Y1 (ko) 버스 플랩도어의 록킹장치
KR930005355Y1 (ko) 버스 적재함 2중 록킹장치
KR0114860Y1 (ko) 자동차의 도어 록킹장치
KR19990032166U (ko) 자동차용 트렁크 리드 열림량 조절장치
KR19990011119U (ko) 화물차용 리어 게이트 록킹장치
KR0118543Y1 (ko) 자동차용 뒷문의 잠금장치
KR100892498B1 (ko) 자동차의 도어 래치 록 방지구조
KR20040031476A (ko) 화물차량의 적재함 잠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