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6690B1 -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6690B1
KR100336690B1 KR1019990056722A KR19990056722A KR100336690B1 KR 100336690 B1 KR100336690 B1 KR 100336690B1 KR 1019990056722 A KR1019990056722 A KR 1019990056722A KR 19990056722 A KR19990056722 A KR 19990056722A KR 100336690 B1 KR100336690 B1 KR 100336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ilgate
locking
lever
latch
o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6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5507A (ko
Inventor
추진수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90056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6690B1/ko
Priority to AU39358/00A priority patent/AU732940B1/en
Priority to JP2000171944A priority patent/JP3438095B2/ja
Priority to DE2000128648 priority patent/DE10028648B4/de
Priority to US09/611,613 priority patent/US6431618B1/en
Publication of KR20010055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5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6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66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2/00Closure fasteners
    • Y10S292/03Automobile multiple door latch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2/00Closure fasteners
    • Y10S292/29End gate faste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1043Swinging
    • Y10T292/1044Multiple head
    • Y10T292/1045Operating means
    • Y10T292/1047Cl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키록을 이용하여 테일게이트를 록킹하면 동시에 글래스 래치를 언록킹 시키는 오픈 레버를 회동되지 못하도록 간섭함으로써, 테일게이트 래치의 록킹과 글래스 래치의 록킹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록킹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록킹장치{Locking device of tail gate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키록을 이용하여 테일게이트를 록킹하면 동시에 글래스 래치를 언록킹 시키는 오픈 레버를 회동되지 못하도록 간섭함으로써, 테일게이트 래치의 록킹과 글래스 래치의 록킹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록킹장치는 키록을 언록킹 상태로 작동하면 테일게이트 래치를 언록킹시켜 테일게이트를 개방할 수 있고, 키록을 록킹 상태로 작동하면 테일게이트 래치를 록킹시킨다.
첨부한 도 5은 종래의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의 록킹장치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써, 키록(80)을 언록킹 상태로 작동하면 베이스(100)에 장착된 록킹장치의 기구적인 작동에 의해 테일게이트 래치(10)를 언록킹시켜 손잡이(94)를 이용하여 테일게이트(99)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키록(80)을 록킹 상태로 작동하면 베이스(100)에 장착된 록킹장치의 기구적인 작동에 의해 테일게이트 래치(10)를 록킹시켜 테일게이트(99)를 개방할 수 없다.
한편, 최근에는 테일게이트(99)의 글래스(98)를 개폐할 수 있는 자동차가 대두되고 있으며, 이러한 글래스(98)는 테일게이트(99)를 록킹시킨 상태에서는 개방되지 않는 장치가 필요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록킹장치는 단지 테일게이트 래치(10)의 록킹/언록킹만을 제어하고 글래스(98)의 록킹/언록킹은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키록을 이용하여 테일게이트를 록킹하면 동시에 글래스 래치를 언록킹 시키는 오픈 레버를 회동되지 못하도록 간섭함으로써, 테일게이트 래치의 록킹과 글래스 래치의 록킹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록킹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록킹장치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록킹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 단면도
도 5은 종래의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의 록킹장치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테일게이트 래치 20 : 글래스 래치
31,32,33 : 장착부 34,35,36 : 장착공
40 : 체결부 42,44 : 돌출면
50 : 핀 60 : 록킹레버
62 : 체결 플랜지 64,66 : 체결공
67 : 테일게이트 래치 록킹로드 68 : 간섭편
69 : 록킹로드 70 : 오픈레버
72 : 지지 플랜지 74 : 간섭편
76 : 체결공 78 : 글래스 래치 록킹로드
80 : 키록 90 : 글래스 오픈핸들
91,92 : 리미트 플랜지 93 : 힌지부
94 : 손잡이 98 : 글래스
99 : 테일게이트 100 : 베이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록킹장치는 테일게이트(99)에 장착공(34)(35)(36)을 통하여 볼트로 장착되는 세개의 장착부(31)(32)(33)가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고 중앙 일단에 체결부(40)가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며 하부 일단에 상/하로 리미트 플랜지(91)(92)가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베이스(100)와, 키록(80)과 테일게이트 래치(10)에 각각 록킹로드(69)와 테일게이트 래치 록킹로드(67)가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100)와 핀(50) 결합되며 상단에는 간섭편(68)이 절곡 형성된 록킹레버(60)와, 상기 베이스(100)의 체결부(40)에 핀(50) 결합되며 일단은 글래스 래치(20)와 연결되고 타단은 글래스 오픈핸들(90)과 결합되며 상기 회동되는 록킹레버(60)의 간섭편(68)과 간섭하는 간섭편(74)이 하단에 절곡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글래스 오픈핸들(90)의 작동에 의해 작동되는 오픈레버(7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록킹레버(60)와 핀(50) 결합되는 베이스(100) 부위는 상기 록킹레버(60)의 회동시 마찰력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돌출면(4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픈레버(70)와 핀(50) 결합되는 체결부(40) 부위는 상기 오픈레버(70)의 회동시 마찰력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돌출면(4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픈레버(70)는 테일게이트(99) 록킹시에 글래스 래치(20)를 언록킹할 수 없도록 록킹레버(60)의 간섭편(68)이 상기 오픈레버(70)의 간섭편(74)아래로 면접되어 간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록킹장치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록킹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B-B'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100)는 상단 좌/우측과 하단에 절곡 형성된 장착부(31)(32)(33)에 형성된 장착공(34)(35)(36)을 통하여 볼트(미도시됨)로 테일 게이트(99)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100)의 중앙에는 외측으로 체결부(40)가 절곡 형성되고 하부에는 록킹레버(60)의 회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하로 두개의 리미트 플랜지(91)(92)이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40)는 글래스(98)를 힌지부(93)를 중심으로 개방할 수 있는 글래스 오픈핸들(90)의 작동에 의해 회동되어 글래스 래치(20)를 록킹/언록킹할 수 있는 오픈레버(70)가 핀(50)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체결부(40)의 핀(50) 결합되는 부위는 오픈레버(70)의 회동시 마찰력을 저감하기 위하여 돌출면(42)이 형성된다.
상기 오픈레버(70)의 일단에 형성된 체경공(76)에는 글래스 래치(20)와 연결된 글래스 래치 록킹로드(78)가 연결되고, 타단에는 지지 플랜지(72)가 절곡 형성되어 글래스 오픈핸들(90)의 상단과 면접한다.
특히, 상기 오픈레버(70)의 하단에는 간섭편(74)이 절곡 형성되어 후술하는록킹레버(60)에 의해 테일게이트 래치(10) 록킹시 상기 록킹레버(60) 상단에 절곡 형성된 간섭편(68)의 간섭으로 인하여 오픈레버(70)가 회동되지 못하도록 간섭하여 글래스 래치(20)의 언록킹을 제한한다.
한편, 베이스(100)의 하부에는 록킹레버(60)가 핀(50)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100)의 핀(50) 결합되는 부위는 록킹레버(60)의 회동시 마찰력을 저감하기 위하여 돌출면(44)이 형성된다.
상기 록킹레버(60)의 일단에는 체결 플랜지(62)가 절곡 형성되고 상기 체결 플랜지(62)에 형성된 체결공(64)을 통하여 키록(80)과 연결된 록킹로드(69)가 연결되며, 타단에 형성된 체결공(66)을 통하여 테일게이트 래치(10)와 연결된 테일게이트 래치 록킹로드(67)가 연결된다.
특히, 상기 록킹레버 상단에는 간섭편(68)이 절곡 형성되어 테일게이트(99) 록킹시 상기 오픈레버(70)의 하단에 절곡 형성된 간섭편(74)과 간섭하여 상기 오픈레버(70)가 회동하지 못하도록 제한함으로써 글래스 래치(20)의 언록킹을 제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키록(80)을 이용하여 테일게이트 래치(10)를 언록킹하면 테일게이트(99)를 개방할 수 있고, 글래스 오픈핸들(90)을 작동하여 오픈레버(70)를 회동함으로써 글래스 래치(20)를 언록킹하여 글래스(98)를 힌지부(93)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방할 수 있다.
또한, 키록(80)을 이용하여 테일게이트 래치(10)를 록킹하면 테일게이트(99)를 개방할 수 없고, 상기 록킹레버(60)의 상단에 절곡 형성된 간섭편(68)이 오픈레버(70) 하단에 절곡 형성된 간섭편(74)과 면접하여 오픈레버(70)의 회동을 간섭하므로 오픈레버(70)가 회동하지 못하여 글래스 래치(20)를 언록킹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키록(80)을 이용하여 테일게이트 래치(10)를 록킹하면 동시에 오픈레버(70)의 회동을 간섭하여 글래스 래치(20)가 언록킹되는 것을 제한하므로 키록(80)을 이용하여 테일게이트(99)와 글래스(98)를 동시에 록킹/언록킹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록킹장치에 의하면 키록을 이용하여 테일게이트를 록킹하면 동시에 글래스 래치를 언록킹 시키는 오픈 레버를 회동되지 못하도록 간섭함으로써, 테일게이트 래치의 록킹과 글래스 래치의 록킹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테일게이트(99)에 장착공(34)(35)(36)을 통하여 볼트로 장착되는 세개의 장착부(31)(32)(33)가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고 중앙 일단에 체결부(40)가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며 하부 일단에 상/하로 리미트 플랜지(91)(92)가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베이스(100)와,
    키록(80)과 테일게이트 래치(10)에 각각 록킹로드(69)와 테일게이트 래치 록킹로드(67)가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100)와 핀(50) 결합되며 상단에는 간섭편(68)이 절곡 형성된 록킹레버(60)와,
    상기 베이스(100)의 체결부(40)에 핀(50) 결합되며 일단은 글래스 래치(20)와 연결되고 타단은 글래스 오픈핸들(90)과 결합되며 상기 회동되는 록킹레버(60)의 간섭편(68)과 간섭하는 간섭편(74)이 하단에 절곡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글래스 오픈핸들(90)의 작동에 의해 작동되는 오픈레버(7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록킹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레버(60)와 핀(50) 결합되는 베이스(100) 부위는 상기 록킹레버(60)의 회동시 마찰력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돌출면(4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록킹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픈레버(70)와 핀(50) 결합되는 체결부(40) 부위는 상기 오픈레버(70)의 회동시 마찰력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돌출면(4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록킹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픈레버(70)는 테일게이트(99) 록킹시에 글래스 래치(20)를 언록킹할 수 없도록 록킹레버(60)의 간섭편(68)이 상기 오픈레버(70)의 간섭편(74) 아래로 면접되어 간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록킹장치.
KR1019990056722A 1999-12-10 1999-12-10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록킹장치 KR100336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6722A KR100336690B1 (ko) 1999-12-10 1999-12-10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록킹장치
AU39358/00A AU732940B1 (en) 1999-12-10 2000-06-07 Locking device of tailgate for vehicle
JP2000171944A JP3438095B2 (ja) 1999-12-10 2000-06-08 自動車用のテールゲートロッキング装置
DE2000128648 DE10028648B4 (de) 1999-12-10 2000-06-09 Verriegelungsvorrichtung einer Fahrzeugheckklappe
US09/611,613 US6431618B1 (en) 1999-12-10 2000-07-07 Locking device of tailgate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6722A KR100336690B1 (ko) 1999-12-10 1999-12-10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록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5507A KR20010055507A (ko) 2001-07-04
KR100336690B1 true KR100336690B1 (ko) 2002-05-13

Family

ID=19625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6722A KR100336690B1 (ko) 1999-12-10 1999-12-10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록킹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431618B1 (ko)
JP (1) JP3438095B2 (ko)
KR (1) KR100336690B1 (ko)
AU (1) AU732940B1 (ko)
DE (1) DE10028648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4717B1 (ko) * 2001-07-13 2003-05-2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테일게이트 록시스템
DE60214565T2 (de) * 2002-11-08 2007-09-13 Kia Motors Corporation Steuerungsvorrichtung einer Schloss und Riegel Kupplungsstruktur für Fahrzeugheckklappenverschlusssystem
KR100466239B1 (ko) * 2002-12-11 2005-0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일체형의 테일게이트 및 플립업 글래스 연결구조
EP1635018A1 (en) * 2004-09-08 2006-03-15 ArvinMeritor Light Vehicle Systems (UK) Ltd Latch Release Mechanism
KR100729530B1 (ko) * 2006-06-13 2007-06-18 평화정공 주식회사 키 어셈블리 일체형 차량용 백도어 래치
US10604975B2 (en) * 2017-02-02 2020-03-31 Kiekert Ag Reversible activation unit for alternate impingement of two separate motor vehicle functional elements
US11643864B2 (en) 2018-01-23 2023-05-09 Pella Corporation Screen edge retention and screen rethreading features for a hidden screen assembly and a fenestration assembly
US11242700B2 (en) * 2018-03-01 2022-02-08 Honda Patents & Technologies North America Truck tailgate lock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45043A (en) * 1970-09-16 1972-02-29 Gen Motors Corp Movement sequencing means
US4157844A (en) * 1977-11-28 1979-06-12 General Motors Corporation Tailgate lock and control assembly
US5292374A (en) * 1988-11-15 1994-03-08 Maschinenfabrik Andritz Actiengesellschft Process and plant for pickling stainless steel strip
JPH0826707B2 (ja) * 1989-02-22 1996-03-13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US5598690A (en) * 1995-08-07 1997-02-04 New Holland North America, Inc. Tailgate latching apparatus for a round baler
DE29607104U1 (de) * 1996-01-16 1997-05-22 Scharwaechter Gmbh Co Kg Heckklappenanlenkung für Kraftfahrzeuge
JP3147332B2 (ja) * 1996-10-25 2001-03-19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ハッチ付車両バックドアのラッチ装置
JP3164524B2 (ja) * 1996-12-27 2001-05-08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車両後部の上部扉と下部扉のロック装置
DE19746931C1 (de) * 1997-10-23 1999-06-10 Ulrich Sommer Fahrzeugachsaufhängung mit Lenkern
DE19747211C2 (de) * 1997-10-25 2000-02-17 Bosch Gmbh Robert Kleine motorische Antriebseinrichtung für ein bewegliches Funktionselement in einem Kraftfahrzeug
US6186215B1 (en) * 1999-03-26 2001-02-13 Window Bright Corporation Multi-positional rolling window scre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5507A (ko) 2001-07-04
DE10028648B4 (de) 2005-03-31
DE10028648A1 (de) 2001-06-21
JP3438095B2 (ja) 2003-08-18
AU732940B1 (en) 2001-05-03
JP2001164811A (ja) 2001-06-19
US6431618B1 (en) 2002-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5084B1 (ko) 자동차용 도어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
KR19990054536A (ko) 자동차용 도어의 아웃사이드핸들 조립체
US5987943A (en) Lockable endgate for a pickup truck
US6685240B2 (en) Rotary paddle handle assembly
KR100204959B1 (ko) 자동차용 도어 개폐 장치
KR100336690B1 (ko)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록킹장치
JP3722251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KR100384717B1 (ko) 차량의 테일게이트 록시스템
KR0114860Y1 (ko) 자동차의 도어 록킹장치
KR100318069B1 (ko) 자동차용 도어 래치의 오작동 방지장치
KR100323437B1 (ko) 차량용 세프티 노브 어셈블리
KR200175407Y1 (ko) 자동차용 도어의 인너핸들조립체(inner handle lock in a vehicle door)
KR100380499B1 (ko) 도난 방지용 도어로크 장치
JPH0450779Y2 (ko)
KR200275249Y1 (ko) 차량의 테일게이트용 잠금장치
KR100530399B1 (ko) 자동차용 도어 내부핸들 및 락킹노브 일체형 레버
JP2530873Y2 (ja) トランクリッドキーの取付構造
KR0158147B1 (ko) 자동차용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
JP2581277Y2 (ja) 盗難防止用パネルカバー
JP2551973Y2 (ja) 自動車の開閉部材施錠装置
KR0140492Y1 (ko) 자동차용 도어 록
KR100341890B1 (ko) 차량용리어도어의링크로드설치구조
KR200162541Y1 (ko) 하드톱차량의 도어 어셈블리용 인사이드핸들의 핸들레버
KR970005083Y1 (ko) 자동차의 도난방지용 도어록 장치
KR200140946Y1 (ko) 도난 방지 기능을 갖는 차량용 도어 록 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