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5249Y1 - 차량의 테일게이트용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테일게이트용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5249Y1
KR200275249Y1 KR2020020002958U KR20020002958U KR200275249Y1 KR 200275249 Y1 KR200275249 Y1 KR 200275249Y1 KR 2020020002958 U KR2020020002958 U KR 2020020002958U KR 20020002958 U KR20020002958 U KR 20020002958U KR 200275249 Y1 KR200275249 Y1 KR 2002752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handle
locking
spring
locking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29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태
하준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 디 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 디 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 디 에스
Priority to KR20200200029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52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52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5249Y1/ko

Lin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테일게이트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다단계로 절곡된 지지 브라켓(30)과, 테일게이트의 외측에 설치된 핸들에 의해 작동하기 위한 핸들레버(40)와, 상기 핸들레버(40)에 리턴탄성을 부여하기 위한 핸들레버 스프링(50)과, 키이 실린더 및 엑츄에이터(M)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되기 위한 록킹레버(60)와, 상기 록킹레버(60)가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록킹레버 스프링(70)과, 상기 핸들레버(40) 및 록킹레버(60)에 의해 작동되어 래치(16)를 괘정하는 디턴트 레버(14)를 해정시키기 위한 언래칭 레버(80)로 구성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키이 실린더 및 엑츄에이터(M)에 의해 잠금위치 또는 열림위치로 작동하는 록킹레버(60)가 디턴트 레버(14)를 해정시키는 언래칭 레버(80)를 선택적으로 디턴트 레버(14)에 간섭되도록 함으로서, 테일게이트 잠금장치를 키이 실린더를 이용하여 잠금/해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엑츄에이터(M)를 이용하여 원격적으로 잠금/해제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외부의 침입을 방지하고, 충격에 의한 열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핸들레버(40)를 리턴시키는 핸들레버 스프링(50)이 비틀림 스프링으로 구성됨으로서 작동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차량의 테일게이트용 잠금장치{locking equipment for tail gate of an automobile}
본 고안은 차량의 테일게이트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테일게이트용 잠금장치가 키이와 엑츄에이터에 의한 잠김/해제 기능을 갖도록 구성된 테일게이트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테일게이트용 잠금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에 고정되는 하우징(1)과, 상기 하우징(1)의 일측에 결합되는 커버부재(2)와, 상기 커버부재(2)에 결합되는 지지 브라켓(3)과, 상기 지지 브라켓(3)의 일측에 중간부가 회동가능하게 축으로 설치되고 상단부는 핸들과 기구적으로 연결되는 언래칭 레버(5)로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구조의 잠금장치는 하우징(1) 내부의 래치(도시되지 않음)가 스트라이커(도시되지 않음)를 구속한 괘정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은 핸들을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언래칭 레버(5)가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그 하단부가 상기 래치의 괘정상태를 유지시키는 디턴트 레버(도시되지 않음)를 일측으로 회동시켜 상기 래치의괘정상태를 해제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잠금장치는 차량의 내부에서 잠금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수단이 제공되지 않았기 때문에 외부에서 핸들을 이용하여 테일게이트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었고, 이로 인하여 도난의 위험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차량의 주행중에 잠금장치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에 상기 언래칭 레버(5)가 충격에 의해 해정부재를 일측으로 회동시켜 잠금상태가 해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언래칭 레버를 리턴시키기 위한 탄성수단으로 코일 스프링이 제시된 구조의 잠금장치가 제공되었으나, 이 경우에는 언래칭 레버의 리턴시 코일 스프링의 떨림으로 인하여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테일게이트 잠금장치를 키이 실린더를 이용하여 잠금/해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엑츄에이터를 이용하여 잠금/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여 외부의 침입을 방지하고, 충격에 의한 열림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잠금장치의 작동중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테일게이트용 잠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테일게이트용 잠금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테일게이트용 잠금장치를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
도 4a,4b는 도 2에 도시된 테일게이트용 잠금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면도로, 4a는 잠금 상태에서 핸들레버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4b는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 핸들레버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테일게이트용 잠금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래치 하우징 12 : 커버부재
14 : 디턴트 레버 16 : 래치
30 : 지지 브라켓 32 : 하부 작동홈
34 : 하부 설치단 36 : 상부 작동홈
38 : 상부 설치단 40 : 핸들레버
42 : 축 44 : 하부 회전제한돌기
46 : 핸들 연결단 48 : 작동단
50 : 핸들레버 스프링 60 : 록킹레버
62 : 상부 회전제한돌기 64 : 수동용 연결공
66 : 자동용 연결공 70 : 록킹레버 스프링
80 : 언래칭 레버 82 : 장공
M : 엑츄에이터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은 스트라이커를 괘해정시키기 위한 래치 및 상기 래치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한 디턴트 레버가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래치 하우징과, 상기 래치와 디턴트 레버가 커버되도록 상기 래치 하우징에 결합되는 커버부재로 이루어진 차량의 테일게이트용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하단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부로 다중 절곡되어 하부 작동홈을 구비한 하부 설치단과 상부 작동홈을 구비한 상부 설치단이 각각 형성된 지지 브라켓; 상기 하부 설치단에 축으로 회동되도록 설치되고, 일측에는 상기 하부 작동홈에 위치하도록 하부 회전제한돌기가 절곡 형성되며, 타측에는 핸들과 연결되는 핸들 연결단이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작동단이 형성된 핸들레버; 상기 축에 설치되어 상기 핸들레버에 리턴탄성을 부여하기 위한 핸들레버 스프링; 상기 상부 설치단에 축설되고, 타측에 상기 상부 작동홈에 위치하도록 상부 회전제한돌기가 절곡 형성되며, 키이에 의해 작동되도록 키이 실린더와 연결되기 위한 수동용 연결공과 전기적으로 작동되도록 엑츄에이터와 연결되기 위한 자동용 연결공이 각각 형성된 록킹레버; 일단이 상기 상부 설치단에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록킹레버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록킹레버가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을 발생시키기 위한 록킹레버 스프링; 및 하단부가 상기 디턴트 레버에 선택적으로 간섭되어 상기 디턴트 레버를 작동시키도록 일단이 상기 록킹레버의 일측에 직하방으로 축설되고, 중간부에 형성되는 장공에는 상기 작동단이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언래칭 레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용 잠금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핸들레버 스프링과 록킹레버 스프링은 비틀림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잠금장치는 차체에 설치되는 래치 하우징(10)과, 상기 래치 하우징(10)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16), 상기 래치(16)를 괘정시키기 위한 디턴트 레버(14)와, 상기 래치(16)와 디턴트 레버(14)를 커버하도록 상기 하우징(10)에 결합되는 커버부재(12)를 구비한다.
상기 래치(16)는 탄성 스프링에 의해 리턴 탄성을 갖게 되고, 상기 디턴트 레버(14)도 탄성 스프링에 의해 리턴 탄성을 갖게 된다. 이러한 래치(16)가 스트라이커를 구속했을 때 상기 디턴트 레버(14)는 상기 래치(16)에 간섭되어 래치(16)가 원상태로 회전하지 않게 구속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잠금장치의 커버부재(12)의 상면에는 지지 브라켓(30)의 하단부가 고정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지지 브라켓(30)은 후술할 핸들레버(40)와 록킹레버(60)와 언래칭 레버(80) 등이 설치되기 위한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 형식으로 단이지게 절곡되어 하부 설치단(34)과 상부 설치단(38)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하부 설치단(34)의 일측에는 원호형의 하부 작동홈(32)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작동홈(32)에 반대 방향의 상부 설치단(38)에는 원호형의 상부 작동홈(36)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 브라켓(30)의 하부 설치단(34) 일측면 중앙에는 핸들레버(40)가축(42)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핸들레버(40)의 일측에는 상기 하부 작동홈(32)에 위치하도록 하부 회전제한돌기(44)가 절곡되어 형성되는데, 이러한 하부 회전제한돌기(44)가 하부 작동홈(32)에 삽입되는 것은 상기 핸들레버(40)가 상기 하부 작동홈(32)이 허용하는 범위, 즉 설정된 각도내에서만 회동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핸들레버(40)의 타측, 즉 상기 하부 작동홈(32)의 반대 방향에는 테일게이트의 외측에 설치되는 핸들과 기구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핸들 연결단(46)이 형성되고, 핸들레버(40)의 하단부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단(48)이 수평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축(42)에는 핸들레버 스프링(50)이 설치되는데, 이 핸들레버 스프링(50)은 그 일단이 상기 핸들 연결단(46)에 지지되고, 타단은 지지 브라켓(30)에 지지된다. 이때, 상기 핸들레버 스프링(5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틀림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핸들레버(50)의 리턴시 스프링의 작동소음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핸들레버 스프링(50)에 의해 상기 핸들레버(40)는 상기 축(42)을 중심으로 상기 핸들 연결단(46)이 상부를 향하도록 리턴 탄성을 핸들레버(40)에 부여하게 된다.
상기 지지 브라켓(30)의 상부 설치단(38)에는 록킹레버(60)가 회동가능하게 축으로 설치되는데, 이러한 록킹레버(60)의 하부 일측에는 후술할 언래칭 레버(80)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기 위한 설치단이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설치단의 반대 방향에는 상기 상부 작동홈(36)에 위치되는 상부 회전제한돌기(62)가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 회전제한돌기(62)가 상기 상부 작동홈(36)에 삽입되면 상기 록킹레버(60)는 상기 상부 작동홈(36) 내부에서만, 즉 제한된 각도내에서만 회동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록킹레버(60)에는 키이 실린더와 기구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수동용 연결공(64)과 엑츄에이터(M)와 기구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자동용 연결공(66)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지지 브라켓(30)에 축설된다. 이러한 수동용 연결공(64)과 자동용 연결공(66)은 상기 키이 실린더 및 엑츄에이터(M)과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키이 실린더 및 엑츄에이터(M)에 의해 상기 축을 중심으로 상부 작동홈(36)이 허용하는 작동 각도내에서 회동되다.
상기와 같은 록킹레버(60)는 록킹레버 스프링(70)에 의해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상기 록킹레버 스프링(70)은 전술한 핸들레버 스프링(50)과 동일하게 비트림 스프링으로 형성되어 그 일단이 상기 록킹레버(60)의 상부 일측으로 돌출된 돌출단에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 설치단(38)에 설치됨으로서 상기 록킹레버(60)는 회동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시 설명하면, 상기 록킹레버 스프링(70)은 그 양단이 상기 록킹레버(60)와 상부 설치단(38)에 각각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록킹레버(60)가 회동을 할 때, 그 축을 중심으로 어느 한계점을 지나기 전에는 회동전 상태를 유지하도록 록킹레버(60)에 탄성을 부여하게 되나, 어느 한계점을 지나게 되면 회동후 상태를 유지하도록 록킹레버(60)에 탄성을 부여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록킹레버(60)의 하부 일측에는 언래칭 레버(80)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축설된다. 이러한 언래칭 레버(80)는 하단부가 상기 디턴트 레버(14)에 선택적으로 간섭되어 디턴트 레버(14)를 해정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언래칭 레버(80)의 상단부는 상기 록킹레버(60)의 일측(상부 회전제한돌기(62)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설치단에 회전가능하게 축으로 결합되고, 이러한 언래칭 레버(80)의 중간부에는 장공(82)이 형성되어 상기 핸들레버(40)의 작동단(48)이 유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언래칭 레버(80)는 상기 록킹레버(60)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핸들레버(40)에 의해 그 상단부의 축을 중심으로 설정된 각도내에서 회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킹레버(60)가 키이 실린더 또는 엑츄에이터(M)의 작동에 의해 잠금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차량의 외부에서 상기 핸들레버(40)를 작동시키더라도 상기 언래칭 레버(80)는 상기 디턴트 레버(14)를 해정시키지 못한다.
즉, 상기 키이 실린더 또는 엑츄에이터(M)가 작동하여 상기 록킹레버(60)를 그 회전축을 중심으로 도 4a에 도시된 화살표(A1)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록킹레버(60)는 록킹레버 스프링(70)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상부 회전제한돌기(62)는 상기 상부 작동홈(36)이 허용하는범위내에서만 회전하게 됨으로 상기 록킹레버(60)는 설정된 위치까지만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록킹레버(60)가 그 회전축을 중심으로 화살표(A1)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언래칭 레버(80)는 상부로 이동하게 되어 그 하단부가 상기 디턴트 레버(14)에 간섭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차량의 외부에서 핸들을 조작하여 상기 핸들레버(40)를 회동시키고, 이로 인하여 상기 작동단(48)이 상기 언래칭 레버(80)를 그 회전축을 중심으로 설정된 각도내에서 회동시키더라도 상기 언래칭 레버(80)가 상부로 이동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핸들레버(40)를 회동시키더라도 상기 언래칭 레버(80)의 하단부는 상기 디턴트 레버(14)에 간섭되지 않게 되어 디턴트 레버(14)를 해정시키지 못한다.
또한, 상기 언래칭 레버(80)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언래칭 레버(80)의 하단부와 디턴트 레버(14)가 이격된 상태임으로 충격에 의한 열림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록킹레버(60)가 언래칭 레버(80)를 디턴트 레버(14)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부로 이동시켜 핸들레버(40)로는 잠금상태의 래치(16)를 해정시키지 못하게 됨으로, 외부침입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록킹레버(60)를 엑츄에이터(M)로 작동시키게 되면 원격으로 잠금장치를 잠금상태 또는 열림상태로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킹레버(60)가 키이 실린더 또는 엑츄에이터(M)에 의해 열림상태, 즉 도 4b에 도시된 화살표(A2)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는 상기 언래칭 레버(80)가 하부로 이동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차량의 외부에서 핸들을 조작하여 상기 핸들레버(4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핸들레버(40)는 상기 하부 회전제한돌기(44)가 허용하는 범위내에서 축(42)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상기 핸들레버(40)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 상기 언래칭 레버(80) 그 중간부에 형성된 장공(82)에 상기 작동단(48)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핸들레버(40)의 회전에 의해 그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단부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16)를 괘정하고 있는 디턴트 레버(14)를 일측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상기 디턴트 레버(14)가 언래칭 레버(80)에 의해 일측으로 회동되면 상기 래치(16)의 괘정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래치(16)에 구속되어 있던 스트라이커가 이동가능하게 되어 테일게이트가 열릴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핸들레버(40)는 상기 핸들레버 스프링(50)에 의해 원상태로 리턴되는데, 상기 핸들레버 스프링(50)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틀림 스프링으로 구성됨으로 인하여 작동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즉, 차량 외측의 핸들을 조작하여 핸들레버(40)를 회동시킬 경우에 핸들레버(40)가 원상태로 리턴되더라도 코일 스프링과는 달리 작동소음을 발생하지 않게 되어, 잠금장치의 소음이 최소화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기 록킹레버(60)를 잠금위치로 작동시킴으로서, 테일게이트를 외부에서 핸들을 이용하여 개방할 수 없게 되는 것이고, 엑츄에이터(M)를 사용하게 되면 원격으로 록킹레버(60)를 열림 또는 잠금위치로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한 차량의 테일게이트 잠금장치는 키이 실린더 및 엑츄에이터에 의해 잠금위치 또는 열림위치로 작동하는 록킹레버가 디턴트 레버를 해정시키는 언래칭 레버를 선택적으로 디턴트 레버에 간섭되도록 함으로서, 테일게이트 잠금장치를 키이 실린더를 이용하여 잠금/해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엑츄에이터를 이용하여 원격적으로 잠금/해제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외부의 침입을 방지하고, 충격에 의한 열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핸들레버를 리턴시키는 핸들레버 스프링이 비틀림 스프링으로 구성됨으로서 작동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2)

  1. 스트라이커를 괘해정시키기 위한 래치 및 상기 래치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한 디턴트 레버가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래치 하우징과, 상기 래치와 디턴트 레버가 커버되도록 상기 래치 하우징에 결합되는 커버부재로 이루어진 차량의 테일게이트용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12)의 하단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부로 다중 절곡되어 하부 작동홈(32)을 구비한 하부 설치단(34)과 상부 작동홈(36)을 구비한 상부 설치단(38)이 각각 형성된 지지 브라켓(30);
    상기 하부 설치단(34)에 축(42)으로 회동되도록 설치되고, 일측에는 상기 하부 작동홈(32)에 위치하도록 하부 회전제한돌기(44)가 절곡 형성되며, 타측에는 핸들과 연결되는 핸들 연결단(46)이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작동단(48)이 형성된 핸들레버(40);
    상기 축(42)에 설치되어 상기 핸들레버(40)에 복원탄성을 부여하기 위한 핸들레버 스프링(50);
    상기 상부 설치단(38)에 축설되고, 타측에 상기 상부 작동홈(36)에 위치하도록 상부 회전제한돌기(62)가 절곡 형성되며, 상부에는 키이에 의해 작동되도록 키이 실린더와 연결되기 위한 수동용 연결공(64)과 전기적으로 작동되도록 엑츄에이터(M)와 연결되기 위한 자동용 연결공(66)이 각각 형성된 록킹레버(60);
    일단이 상기 상부 설치단(38)에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록킹레버(60)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록킹레버(60)가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을 발생시키기 위한 록킹레버 스프링(70); 및
    하단부가 상기 디턴트 레버(14)에 선택적으로 간섭되어 상기 디턴트 레버를 시키도록 일단이 상기 록킹레버(60)의 일측에 직하방으로 축설되고, 중간부에 형성되는 장공(82)에는 상기 작동단(48)이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언래칭 레버(8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용 잠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레버 스프링(50)과 록킹레버 스프링(70)은 비틀림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용 잠금장치.
KR2020020002958U 2002-01-30 2002-01-30 차량의 테일게이트용 잠금장치 KR2002752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958U KR200275249Y1 (ko) 2002-01-30 2002-01-30 차량의 테일게이트용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958U KR200275249Y1 (ko) 2002-01-30 2002-01-30 차량의 테일게이트용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5249Y1 true KR200275249Y1 (ko) 2002-05-16

Family

ID=73073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2958U KR200275249Y1 (ko) 2002-01-30 2002-01-30 차량의 테일게이트용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524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798B1 (ko) 2006-06-13 2007-12-21 평화정공 주식회사 키 직결식 차량용 테일게이트 래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798B1 (ko) 2006-06-13 2007-12-21 평화정공 주식회사 키 직결식 차량용 테일게이트 래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58929B2 (ja) 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
JP5219143B2 (ja)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US6371538B1 (en) Vehicle door latch device with block type anti-theft mechanism
US6679532B2 (en) Vehicle door latch device
US6607222B2 (en) Vehicle door latch device with one-motion door opening mechanism and antitheft mechanism
KR19990054536A (ko) 자동차용 도어의 아웃사이드핸들 조립체
KR20050100410A (ko) 자동차용 도어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
KR20130024908A (ko) 차량 록킹 장치
KR101209680B1 (ko) 백업레버를 갖는 자동차용 도어래치
US20050206173A1 (en) Tailgate latch structure of vehicle
KR200275249Y1 (ko) 차량의 테일게이트용 잠금장치
KR100336690B1 (ko)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록킹장치
CN115075663A (zh) 用于进入门的防盗贯通棘爪
JP4498703B2 (ja) 開閉体のラッチ装置
JP4085302B2 (ja) ドアロック装置
KR101024990B1 (ko) 트렁크리드의 래치장치
KR100655521B1 (ko) 자동차용 후드래치의 잠금장치
KR200272779Y1 (ko)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열림구조
KR200351071Y1 (ko) 중장비 차량의 도어 잠금장치
KR200377616Y1 (ko) 자동차용 후드래치의 잠금장치
KR100318069B1 (ko) 자동차용 도어 래치의 오작동 방지장치
KR100851734B1 (ko) 차량의 후드 래치 장치
KR0140681Y1 (ko) 자동차의 후드록 래치 구조
JP3670538B2 (ja) 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
JP3708190B2 (ja) シリンダ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