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5407Y1 - 자동차용 도어의 인너핸들조립체(inner handle lock in a vehicle door)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도어의 인너핸들조립체(inner handle lock in a vehicle do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5407Y1
KR200175407Y1 KR2019970034800U KR19970034800U KR200175407Y1 KR 200175407 Y1 KR200175407 Y1 KR 200175407Y1 KR 2019970034800 U KR2019970034800 U KR 2019970034800U KR 19970034800 U KR19970034800 U KR 19970034800U KR 200175407 Y1 KR200175407 Y1 KR 2001754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assembly
case
inner handle
rotation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48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1303U (ko
Inventor
최광일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700348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5407Y1/ko
Publication of KR199900213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13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54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54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07Knob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2Inner door handles
    • E05B85/13Inner door handles with a locking knob forming part of the inside door handle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도어의 인너핸들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의 인너핸들조립체는 도어(1)의 내측에 조립되고,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조립공간(12, 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에는 조립공간(12, 14)들을 관통하도록 상면에서 저면으로 관통되는 회전중심축(16)이 설치되고, 상부 조립공간(12)의 내측 상면에는 회전중심축(16)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나란하게 보조 회전중심축(100)이 하방향으로 돌출된 케이스(10)와; 케이스(10)의 상부 조립공간(12)에 조립되고, 단부에는 래치 어세이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록킹로드(40)가 연결되며, 내측에는 보조 회전중심축(100)이 끼워지는 삽입구멍(210)이 형성되고, 이 삽입구멍(210)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외측에는 회전중심축(16)이 안내되는 가이드구멍(220)이 형성된 록킹버튼(200)과; 케이스(10)의 하부 조립공간(14)에 조립되고, 단부에는 래치 어세이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열림로드(42)가 연결되며, 회전중심축(16)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중심축(16)이 끼워져 관통되는 관통구멍(32)이 형성된 노브(30)로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도어의 인너핸들조립체(INNER HANDLE LOCK IN A VEHICLE DOOR)
본 고안은 자동차용 도어의 인너핸들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승객이 차를 타고 내리거나 화물을 적재할 때 사용하는 다수의 도어가 장착되어 있다. 도어의 종류에는 앞좌석의 승객이 주로 사용하는 프론트 도어와 뒷좌석의 승객이 주로 사용하는 리어 도어가 있으며, 차량에 따라서는 후방의 트렁크와 차 실내 부분을 동시에 개방하는 백 도어를 설치하거나 측면에 사이드 도어를 설치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도어는 힌지에 의해 차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어느 한도 이상으로 열리지 않도록 제한하는 도어 체커(door checker)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도어는 외측에 아웃 도어 핸들이 장착되고, 내측에 인너핸들이 장착되어 있으며, 아웃 도어핸들 또는 인너핸들을 당기게 되면, 래치 어세이의 록킹상태가 해제되고, 도어가 열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어의 내측에는 록킹버튼이 장착되어 록킹버튼을 누르게 되면, 래치 어세이가 작동하여 도어가 잠기게 되고, 인너핸들 또는 아웃 도어핸들을 당기더라도 도어는 열리지 않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아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1도 및 제2도를 참고하여 종래의 자동차용 도어의 인너핸들조립체를 설명한다.
제1도는 종래의 자동차용 도어의 인너핸들조립체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이다.
제1도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도어(1)의 내측에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조립공간(12, 14)이 형성된 케이스(10)가 고정적으로 조립되어 있으며, 케이스(10)으 ㅣ상부 조립공간(12)에는 록킹버튼(20)이 장착되어 있고, 케이스(10)의 하부 조립공간(14)에는 노브(30)가 장착되어 있다.
제2도를 참고하여 보면, 록킹버튼(20)과 노브(30)는 그 일측이 케이스(10)의 상면에서 저면으로 조립공간(12, 14)들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회저중심축(16)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노브(30)의 내측 단부에는 열림로드(42)가 연력되어 있으며, 록킹버튼(20)의 내측 단부에는 록킹로드(40)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록킹로드(40)와 열림로드(42)의 타단부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래치 어세이에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한편, 노브(30)에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이 장착되어 있으며, 이 스프링에 의해 노브(30)는 항상 초기의 위치로 복귀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탑승자가 노브(30)를 당기게 되면, 열림로드(42)가 당겨지면서 래치 어에시의 록킹상태가 해제되어 도어(1)가 열리게 된다. 그러나, 록킹버튼(20)을 누르게 되면, 록킹로드(40)가 당겨지면서 래치 어세이가 작동하여 도어(1)가 잠기게 되고, 노브(30)를 당기더라도 도어(1)는 열리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지닌 종래의 자동차용 도어의 인너핸들조립체는 록킹버튼(20)과 노브(30)가 전부 회전중심축(16)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작동방식이 제한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능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록킹버튼의 회전중심점을 변경시켜 작동방식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도록 구성된 자동차용 도어의 인너핸들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록킹버튼의 회전중심점을 종래에 비해 내측으로 이동시켜 록킹번튼의 변화된 작동방식에 필요한 충분한 회전스트로크를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자동차용 도어의 인너핸들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제1도는 종래의 자동차용 도어의 인너핸들조립체를 나타낸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의 인너핸들조립체를 나타낸 정면도.
제4도는 제3도의 B-B선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C-C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어 10 : 케이스
12 : 상부 조립공간 14 : 하부 조립공간
16 : 회전중심축 30 : 노브
32 : 관통구멍 40 : 록킹로드
42 : 열림로드 100 : 보조 회전중심축
200 : 록킹버튼 210 : 삽입구멍
220 : 가이드구멍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도어의 내측에 조립되고,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조립공간이 형서되어 있으며, 외측에는 조립공간들을 관통하도록 상면에서 저면으로 관통되는 회전중심축이 설치되고, 상부 조립공간의 내측 상면에는 회전중심축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나란하게 보조 회전중심축이 하방향으로 돌출된 케이스와, 케이스의 상부 조립공간에 조립되고, 단부에는 래치 어세이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록킹로드가 연결되며, 내측에는 보조 회전중심축이 끼워지는 삽입구멍이 형성되고, 이 삽입구멍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외측에는 회전중심축이 안내되는 가이드구멍이 형성된 록킹버튼과, 케이스의 하부 조립공간에 조립되고, 단부에는 래치 어에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열림로드가 연결되며,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중심축이 끼워져 관통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노브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도어의 인너핸들조립체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의 인너핸들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의 인너핸들조립체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제4도는 제3도의 B-B선 단면도이며, 제5도는 제4도의 C-C선 단면도이다.
제3도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도어(1)의 내측에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조립공간(12, 14)이 형성된 케이스(10)가 고정적으로 조립되어 있으며, 케이스(10)의 상부 조립공간(12)에는 록킹버튼(200)이 장착되어 있고, 케이스(10)의 하부 조립공간(14)에는 노브(30)가 장착되어 있다.
제4도를 참고하여 보면, 케이스(10)의 외측에는 조립공간(12, 14)들을 관통하도록 상면에서 저면으로 관통하는 회전중심축(16)이 설치되어 있고, 상부 조립공간(12)의 상면에는 회전중심축(16)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나란하게 보조 회전중심축(100)이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부 조립공간(12)에는 록킹버튼(200)이 보조 회전중심축(100)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조립되어 있으며, 따라서,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버튼(200)은 내측에 보조 회전중심축(100)이 끼워지는 삽입구멍(210)이 형성되어 있고, 이 삽입구멍(210)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외측에는 록킹버튼(200)이 보조 회전중심축(100)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회전중심축(16)과 간섭되지 않도록 회전중심축(16)이 관통되어 안내되는 원호모양의 가이드구멍(220)이 형서되어 있다.
다시 제4도를 참고하여 보면, 케이스(10)의 하부 조립공간(14)에 노브(30)가 회전중심축(16)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조립되어 있으며, 따라서, 노브(30)의 일측에는 회전중심축(16)이 끼워져 관통되는 관통구멍(3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노브(30)의 내측 단부에는 열림로드(42)가 연결되어 있으며, 록킹버튼(200)의 내측 단부에는 록킹로드(40)가 연력되어 있다. 그리고, 록킹로드(40)와 열림로드(42)의 타단부는 도시도어 있지는 않지만, 래치 어세이에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노브(30)에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이 장착되어 있으며, 이 스프링에 의해 노브(30)는 항상 초기의 위치로 복귀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의 인너핸들조립체는 탑승자가 노브(30)를 당기게 되면, 열림로드(42)가 당겨지면서 래치 어세이의 록킹상태가 해제되어 도어(1)가 열리게 된다. 그러나, 록킹버튼(200)을 누르게 되면, 록킹로드(40)가 당겨지면서 래치 어세이가 작동하여 도어(1)가 잠기게 되고, 노브(30)를 당기더라도 도어(1)는 열리지 않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인너핸들조립체는 노브(30)와 록킹버튼(200)의 회전중심점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즉, 노브(30)는 회전중심축(16)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고, 록킹버튼(200)은 보조 회전중심축(100)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기 때문에 작동방식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인너핸들조립체는 록킹버튼(200)의 회전중심점이 종래에 비해 내측으로 이동되어 있기 때문에 록킹버튼(200)의 회전스트로크가 넓어졌으며, 따라서, 록킹버튼(200)의 변화된 작동방식에 필요한 충분한 회전스트로크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의 인너핸들조립체는 노브와 록킹버튼의 회전중심점을 서로 다르게 하여 작동방식에 제약을 받지 않고 변화를 가져왔으며, 록킹버튼의 회전중심점이 종래에 비해 내측으로 이동되어 있기 때문에 록킹버튼의 변화된 작동방식에 필요한 충분한 회전스트로크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도어(1)의 내측에 조립되고,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조립공간(12, 14)형성되어 있으며, 외측에는 상기 조립공간(12, 14)들을 관통하도록 상면에서 저면으로 관통되는 회전중심축(16)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 조립공간(12)의 내측 상면에는 상기 회전중심축(16)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나란하게 보조 회전중심축(100)이 하방향으로 돌출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상부 조립공간(12)에 조립되고, 단부에는 래치 어세이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록킹로드(40)가 연력되며, 내측에는 상기 보조 회전중심축(100)이 끼워지는 삽입구멍(210)이 형성되고, 이 삽입구멍(210)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외측에는 상기 회전중심축(16)이 안내되는 가이드구멍(220)이 형성된 록킹버튼(200)과, 상기 케이스(10)의 하부 조립공간(14)에 조립되고, 단부에는 래치 어세이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열림로드(42)가 연결되며, 상기 회전중심축(16)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중심축(16)이 끼워져 관통되는 관통구멍(32)이 형성된 노브(30)로 이루어지 자동차용 도어의 인너핸들조립체.
KR2019970034800U 1997-11-29 1997-11-29 자동차용 도어의 인너핸들조립체(inner handle lock in a vehicle door) KR2001754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4800U KR200175407Y1 (ko) 1997-11-29 1997-11-29 자동차용 도어의 인너핸들조립체(inner handle lock in a vehicle do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4800U KR200175407Y1 (ko) 1997-11-29 1997-11-29 자동차용 도어의 인너핸들조립체(inner handle lock in a vehicle do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303U KR19990021303U (ko) 1999-06-25
KR200175407Y1 true KR200175407Y1 (ko) 2000-04-01

Family

ID=19515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4800U KR200175407Y1 (ko) 1997-11-29 1997-11-29 자동차용 도어의 인너핸들조립체(inner handle lock in a vehicle do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540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976B1 (ko) * 2005-09-05 2007-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도어 인사이드 핸들 및 안전록크노브 케이블의연결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976B1 (ko) * 2005-09-05 2007-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도어 인사이드 핸들 및 안전록크노브 케이블의연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303U (ko) 199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54536A (ko) 자동차용 도어의 아웃사이드핸들 조립체
KR100204959B1 (ko) 자동차용 도어 개폐 장치
US4822965A (en) Lid locking mechanism in automobile switch panel device
US20200262279A1 (en) Automobile door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US4534193A (en) Lock mechanism for the glovebox door of an automobile
KR200175407Y1 (ko) 자동차용 도어의 인너핸들조립체(inner handle lock in a vehicle door)
KR20050096697A (ko) 자동차용 트렁크리드 래치어셈블리
JP4170601B2 (ja) ロック装置
KR100431985B1 (ko) 차량의 운전석 도어잠금장치
KR100444089B1 (ko) 차량의 슬라이딩 사이드도어 잠금장치
KR100530399B1 (ko) 자동차용 도어 내부핸들 및 락킹노브 일체형 레버
US20050156436A1 (en) Trunk lid latch assembly for vehicle
KR200175405Y1 (ko) 자동차용 도어의 인너핸들조립체의 노브조립구조(arrangement for fixing knob of inner handle assembly in a vehicle door)
JPS5823876Y2 (ja) 自動車用車内開扉操作装置
JP2019010937A (ja) 両開きドアを有する車両用コンソール装置
KR100380449B1 (ko) 자동차의 도어용 잠금장치
JP3072041B2 (ja) 車両のドア構造
KR19990021318U (ko) 자동차용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
JPH0658030A (ja) 鉄道車輌用自動錠装置
KR100318069B1 (ko) 자동차용 도어 래치의 오작동 방지장치
KR200175572Y1 (ko) 궤적형 도어아웃사이드핸들
KR200160490Y1 (ko) 자동차용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 조립체
KR19990021353U (ko) 자동차용 도어의 인너핸들조립체의 로킹버튼 조립구조
KR0172215B1 (ko) 자동차용 도어 개폐 장치
KR0183245B1 (ko) 자동차의 도어 인사이드 핸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