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9530B1 - 키 어셈블리 일체형 차량용 백도어 래치 - Google Patents

키 어셈블리 일체형 차량용 백도어 래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9530B1
KR100729530B1 KR1020060052792A KR20060052792A KR100729530B1 KR 100729530 B1 KR100729530 B1 KR 100729530B1 KR 1020060052792 A KR1020060052792 A KR 1020060052792A KR 20060052792 A KR20060052792 A KR 20060052792A KR 100729530 B1 KR100729530 B1 KR 100729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key
latch
assembly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2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현
Original Assignee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2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95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9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9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18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ot lids or rear luggag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8Mounting of individual lock elements in the lock, e.g. 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레저용 차량 등의 후미에 설치되는 백도어의 시해정을 주관하는 백도어 래치에 있어서, 래치 어셈블리와 키 어셈블리가 키 플레이트에 의해 고형화된 단일 구조체를 이루어서, 조립성과 내구성 및 도난 방지성이 향상된 키 어셈블리 일체형의 차량용 백도어 래치가 제공된다.
백도어 래치, 키어셈블리, 래치어셈블리, 키플레이트, 단품화, 커넥션 레버, 락 레버, 키 레버

Description

키 어셈블리 일체형 차량용 백도어 래치{AUTOMOBILE BACK DOOR LATCH INCLUDING KEY ASSEMBLY}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키 어셈블리 일체형 차량용 백도어 래치의 전체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로, 도 1a는 정면 구성도이고, 도 1b는 배면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키 어셈블리 일체형 차량용 백도어 래치를 구현함에 있어, 연결부재에 의한 락 레버와 키 레버간의 핀 결속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조립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키어셈블리 일체형 차량용 백도어 래치에 있어, 키 레버의 절환에 의한 락 레버 및 커넥션 레버의 순차적인 절환상태를 보여주는 것으로, 도 3a는 락상태, 도 3b는 언락 상태를 각각 보여주는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백도어 래치 10. 래치 어셈블리
11. 래치바디 12. 백플레이트
12a. 직교편 13. 릴리즈 레버
14. 커넥션 레버 15. 락 레버
15a. 연결핀 15a-a, 15a-b. 견착단
20. 키 어셈블리 21. 키 실린더
22. 키 레버 22a. 연결핀
22a-a. 탄성 견착단 30. 키 플레이트
40. 연결부재 41. 선형 리브
42. 핀홀 42a, 42b. 절개부
43. 핀홀
본 발명은 차량용 백도어 래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레저용 차량 등의 후미에 설치되는 백도어의 시해정을 주관하는 백도어 래치에 있어서, 래치 어셈블리와 키 어셈블리가 키 플레이트에 의해 고형화된 단일 구조체를 이루어서, 조립성과 내구성 및 도난 방지성이 향상된 키 어셈블리 일체형의 차량용 백도어 래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승합차나 레저용 차량의 후미에 설치되는 백도어에는, 전용의 시해정 장치인 백도어 래치가 설치된다.
그런데 종래 백도어 래치는, 차체에 고정된 스트라이커를 래치기어를 통해 구속하도록 구성된 래치 어셈블리와; 상기 래치 어셈블리의 락 레버를 절환시키는 키 어셈블리가 별개로 구성되고 이격 설치되어, 봉상의 연결부재인 키로드를 통해 상호 결속된 형태로 되어 있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래치 어셈블리와 키 어셈블리를 별개로 구성하게 되면, 자동차의 조립공정에서 조립이 이원화된 단계로 이루어짐에 따라 조립성이 현저히 떨어지고, 또 상기 래치 어셈블리와 키 어셈블리가 설계 치수대로 정위치에 설치되지 아니하면, 상기 래치 어셈블리와 키 어셈블리를 연결하고 있는 연결부재의 휨 등과 같은 변형이 발생하여, 내구성의 약화와 오작동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연결부재의 변형은, 운반과정이나 조립과정 중에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인 키로드는 비교적 길이가 길고 또 국부적으로 급격히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타인이 취구를 통해 상기 키로드의 절곡부를 견착하여 조작하게 되면, 락 레버가 임의적으로 절환되어서 해정이 이루어지므로, 보안상 취약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래치 어셈블리와 키 어셈블리를 키 플레이트를 통해 결속시켜 고형화된 단일 구조체를 이룩함으로써, 자동차 조립공정에서의 조립성과 내구성 및 보안성이 향상된 키 어셈블리 일체형 차량용 백도어 래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키 어셈블리 일체형 차량용 백도어 래치는,
차체에 고정된 스트라이커를 구속/해제하는 래치기어와 상기 래치기어의 상태를 제어하는 파울 레버가 설치된 래치바디의 상부에 상기 래치바디의 상부를 커버하는 수평편과 직교편을 포함한 절곡형 백플레이트가 적층 설치되고,
상기 래치바디와 백플레이트 사이에는 내·외부 손잡이 유닛을 통해 외력을 전달받아 파울 레버를 연동시키는 릴리즈 레버 및 정역 절환을 통해 상기 릴리즈 레버와 파울 레버간의 연동/비연동 상태를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커넥션 레버가 각각 축 설치되며,
상기 커넥션 레버의 일단에는, 상기 백플레이트의 직교편에 축 설치된 락 레버의 일단이 편심지게 링크 결속되어서, 상기 락 레버의 좌우 절환에 의해 커넥션 레버가 정역 절환되어 릴리즈 레버와 파울 레버간의 연동/비연동이 설정되도록 구성된 차량용 백도어 래치에 있어서,
상기 락 레버가 축 설치된 백플레이트의 직교편에 키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키 플레이트에는 키실린더와 키 레버로 이루어진 키 어셈블리가 단일 구조체를 이루도록 설치되며,
상기 락 레버 편심단과 키 레버의 편심단 사이에 연결부재가 배설되고, 이 연결부재의 단부가 락 레버의 편심단 및 키 어셈블리의 편심단에 핀구조로 각각 결속되어, 키 실린더의 조작에 의한 키 레버의 좌우 절환에 의해, 락 레버의 절환에 의한 커넥션 레버의 좌우 절환이 이루어짐으로써, 릴리즈 레버와 파울 레버간의 연동 또는 비연동이 택일적으로 설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한편,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중앙부에 만곡지게 돌출된 리브가 형성된 판상 몸체로 이루어지며, 상단과 하단에는 핀홀이 각각 형성되어서 키 레버의 편심단에 형성된 연결핀 및 락 레버의 편심단에 형성된 연결핀과의 핀 결속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판상 연결부재의 하단에 형성된 핀홀은, 양편에 절개부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이와 결속되는 락 레버의 연결핀은, 선단 양편에 상기 절개부를 통해 진입되는 견착단이 마련된 구조로 이루어져, 판상 연결부재의 하단에 형성된 핀홀 외측이, 절개부를 통해 진입된 견착단에 견착되어 상호 간의 결속이 이루어지며,
상기 판상 연결부재의 상단에 형성된 핀홀은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이와 결속되는 키 레버의 연결핀은, 외주에 미늘형의 탄성 견착단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핀홀 외측이 미늘형의 탄성 견착단에 견착되어 상호간의 결속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키 어셈블리 일체형 차량용 백도어 래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키어셈블리 일체형 차량용 백도어 래치의 전체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로, 도 1a는 정면 구성도이고, 도 1b는 배면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키어셈블리 일체형 차량용 백도어 래치를 구현함에 있어, 연결부재에 의한 락 레버와 키 레버간의 핀 결속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조립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키 어셈블리 일체형 차량용 백도어 래치에 있어, 키 레버의 절환에 의한 락 레버 및 커넥션 레버의 순차적인 절환상태를 보여주는 것으로, 도 3a는 락상태, 도 3b는 언락 상태를 각각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키어셈블리 일체형 차량용 백도어 래치(1)는, 도 1a 및 도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래치기어(미도시)와 상기 래치기어의 상태를 구속하는 파울 레버(미도시) 등이 설치되어 차체에 고정된 스트라이커(미도시)를 구속/해제하는 기능을 하는 래치바디(11)와, 상기 래치바디(11)의 상부를 커버하는 수평편과 상기 수평편에 직교하는 수직편(12a)을 포함하여 구성된 절곡형의 백플레이트(12)의 사이에, 내·외부 손잡이 유닛(미도시)을 통해 외력을 전달받아 파울 레버를 연동시키는 릴리즈 레버(13)와, 정역 절환에 의해 상기 릴리즈 레버(13)와 파울 레버간의 연동/비연동 상태를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커넥션 레버(14)가 축(S1) 설치되고, 이 커넥션 레버(14)의 일단에는, 상기 백플레이트(12)의 직교편(12a)에 축(S2) 설치된 락 레버(15)의 일단이 편심지게 링크 결속되어서, 락 레버(15)의 좌우 절환에 의해 커넥션 레버(14)가 절환되어 릴리즈 레버(13)와 파울 레버간의 연동(언락) 또는 비연동(락)이 택일적으로 설정되도록 구성된 형태의 래치 어셈블리(1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커넥션 레버(14)의 절환에 의한 파울 레버와 릴리즈 레버(13)의 연동 또는 비연동 작용은, 통상 커넥션 레버의 타단에 설치된 록링크 결합돌기 의 변위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를 포함한 래치바디 내부의 구조와 작용 등은 예컨대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303367호(자동차 도어래치 어셈블리) 공보에 기재된 구조 등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상의 요부를 형성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의 도시를 생략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구조의 래치 어셈블리(10)를 구현함에 있어, 상기 락 레버(15)가 축(S2) 설치된 백플레이트(12)의 직교편(12a)에, 별도의 키 플레이트(30)를 연장하여 설치하고, 이 키 플레이트(30)에 키 실린더(21)와 키 레버(22)를 포함하는 키 어셈블리(20)를 설치하여, 래치 어셈블리(10)와 키 어셈블리(20)가 키 플레이트(30)에 의해 고형화된 단일 구조체를 이루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렇게 래치 어셈블리(10)와 키 어셈블리(20)를 단품화된 형태로 구성하게 되면, 자동차 조립공정에서 래치 어셈블리(10)와 키 어셈블리(20)의 설치가 일원화되게 되므로,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고, 조립과정이나 사용과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연결부재의 변형이 예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일 구조체를 이룬 래치 어셈블리(10)의 락 레버(15)의 편심단과 키 어셈블리(20)의 키 레버(22) 편심단 사이에는, 락 레버(15)의 편심단과 키 레버의 편심단에 형성된 연결핀(15a, 22a)을 통해 핀구조로 결속되는 연결부재(40)가 배설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연결부재(40)는, 중앙부에 만곡지게 돌출된 선형의 리브(41)가 형성된 판상몸체로 이루어져, 상기 선형의 리브(41)에 의해 자체적으로 안정된 강성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40)의 양단에는 정형화된 형상의 핀홀(42, 43)이 각각 형성되어서, 키 레버(22)의 편심단에 형성된 연결핀(22a)과 락 레버(15)의 편심단에 형성된 연결핀(15a)과의 핀결속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재를 통한 락 레버와 키 레버간의 핀 결속구조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도 2를 보면, 상기 연결부재(40)의 하단에 형성된 핀홀(42)은, 양편에 절개부(42a, 42b)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이에 삽입되어 결속되는 락 레버(15)의 연결핀(15a)은, 선단 양편에 상기 절개부(42a, 42b)를 통해 진입되는 견착단(15a-a, 15a-b)이 마련된 구조로 이루어져, 도 2의 (가)와 (나)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결부재(40)의 하단에 형성된 핀홀(42) 외측이, 절개부(42a, 42b)를 통해 진입된 견착단(15a-a, 15a-b)에 견착됨으로써, 상호간의 안정된 핀결속 상태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40)의 상단에 형성된 핀홀(43)은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이에 삽입되어 결속되는 키 레버(22)의 연결핀(22a)은, 외주에 미늘형의 탄성 견착단(22a-a)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도 2의 (나)와 (다)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결부재(40)의 상단에 형성된 핀홀(43) 외측이 미늘형의 탄성 견착단(22a-a)에 견착되어 상호간의 안정된 핀결속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키 어셈블리(20)와 래치 어셈블리(10)가 일체화되게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백도어 래치(1)는, 도 3a 및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키 실린더(21)의 조작에 의한 키 레버(22)의 좌우 절환에 의해, 락 레버(15) 및 커넥션 레 버(14)의 절환이 이루어져 락/언락 상태가 택일적으로 설정되어, 릴리즈 레버(13)와 파울 레버(미도시) 간이 연동 또는 비연동하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키 플레이트를 통해 래치 어셈블리와 키어셈블리가 고형화된 단일 구조체를 이룬, 차량용 백도어 래치를 제안하고 있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백도어 래치는, 종래 래치 어셈블리와 키 어셈블리가 이원화되게 구성된 차량용 백도어 래치에 대비하면, 자동차 조립공정에서 조립이 일원화되게 이루어지므로 조립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가지고, 또 조립과정이나 운송과정 중에 연결부재의 변형이 발생되지 아니하는 이점을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키 레버의 편심단과 락 레버의 편심단을 각각 링크구조로 결속하고 있는 연결부재는, 선형의 리브가 돌출되게 형성된 판상몸체로 이루어져 자체적으로 안정된 강성을 가지며, 또 양단과 이와 결속되는 키 레버의 편심단 및 락 레버의 편심단에는 각각 간소화된 구조의 핀홀과 연결핀이 형성되어 있어서, 별도 연결부재를 마련하지 아니하고도 안정된 핀결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그리고 종래 국부적으로 급격하게 절곡된 부위를 가진 연결부재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는 국부적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지 아니한 관계로, 취구를 통한 무단 조작이 어려워서, 향상된 보안성을 가진다.

Claims (2)

  1. 차체에 고정된 스트라이커를 구속/해제하는 래치기어와 상기 래치기어의 상태를 제어하는 파울 레버가 설치된 래치바디의 상부에 상기 래치바디의 상부를 커버하는 수평편과 직교편을 포함한 절곡형 백플레이트가 적층 설치되고,
    상기 래치바디와 백플레이트 사이에는 내·외부 손잡이 유닛을 통해 외력을 전달받아 파울 레버를 연동시키는 릴리즈 레버 및 정역 절환을 통해 상기 릴리즈 레버와 파울 레버간의 연동/비연동 상태를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커넥션 레버가 각각 축 설치되며,
    상기 커넥션 레버의 일단에는, 상기 백플레이트의 직교편에 축 설치된 락 레버의 일단이 편심지게 링크 결속되어서, 상기 락 레버의 좌우 절환에 의해 커넥션 레버가 정역 절환되어 릴리즈 레버와 파울 레버간의 연동/비연동이 설정되도록 구성된 차량용 백도어 래치에 있어서,
    상기 락 레버가 축 설치된 백플레이트의 직교편에 키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키 플레이트에는 키실린더와 키 레버로 이루어진 키 어셈블리가 단일 구조체를 이루도록 설치되며,
    상기 락 레버 편심단과 키 레버의 편심단 사이에 연결부재가 배설되고, 이 연결부재의 단부가 락 레버의 편심단 및 키 어셈블리의 편심단에 핀구조로 각각 결속되어, 키 실린더의 조작에 의한 키 레버의 좌우 절환에 의해, 락 레버의 절환에 의한 커넥션 레버의 좌우 절환이 이루어짐으로써, 릴리즈 레버와 파울 레버간의 연 동 또는 비연동이 택일적으로 설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어셈블리 일체형 차량용 백도어 래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중앙부에 만곡지게 돌출된 리브가 형성된 판상 몸체로 이루어지며, 상단과 하단에는 핀홀이 각각 형성되어서 키 레버의 편심단에 형성된 연결핀 및 락 레버의 편심단에 형성된 연결핀과의 핀 결속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판상 연결부재의 하단에 형성된 핀홀은, 양편에 절개부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이와 결속되는 락 레버의 연결핀은, 선단 양편에 상기 절개부를 통해 진입되는 견착단이 마련된 구조로 이루어져, 판상 연결부재의 하단에 형성된 핀홀 외측이, 절개부를 통해 진입된 견착단에 견착되어 상호 간의 결속이 이루어지며,
    상기 판상 연결부재의 상단에 형성된 핀홀은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이와 결속되는 키 레버의 연결핀은, 외주에 미늘형의 탄성 견착단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핀홀 외측이 미늘형의 탄성 견착단에 견착되어 상호간의 결속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어셈블리 일체형 차량용 백도어 래치.
KR1020060052792A 2006-06-13 2006-06-13 키 어셈블리 일체형 차량용 백도어 래치 KR100729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2792A KR100729530B1 (ko) 2006-06-13 2006-06-13 키 어셈블리 일체형 차량용 백도어 래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2792A KR100729530B1 (ko) 2006-06-13 2006-06-13 키 어셈블리 일체형 차량용 백도어 래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9530B1 true KR100729530B1 (ko) 2007-06-18

Family

ID=38372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2792A KR100729530B1 (ko) 2006-06-13 2006-06-13 키 어셈블리 일체형 차량용 백도어 래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953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7982A (en) * 1987-07-13 1989-01-20 Ohi Seisakusho Co Ltd Switchgear of door for vertical open-close type car
JPH0761235A (ja) * 1993-08-31 1995-03-07 Suzuki Motor Corp 自動車のバックドア
KR20000021757A (ko) * 1998-09-30 2000-04-25 김태구 차량의 테일 게이트 및 테일 게이트 글라스 록/언록 장치
KR20010055507A (ko) * 1999-12-10 2001-07-04 이계안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록킹장치
KR20040050962A (ko) * 2002-12-11 2004-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일체형의 테일게이트 및 플립업 글래스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7982A (en) * 1987-07-13 1989-01-20 Ohi Seisakusho Co Ltd Switchgear of door for vertical open-close type car
JPH0761235A (ja) * 1993-08-31 1995-03-07 Suzuki Motor Corp 自動車のバックドア
KR20000021757A (ko) * 1998-09-30 2000-04-25 김태구 차량의 테일 게이트 및 테일 게이트 글라스 록/언록 장치
KR20010055507A (ko) * 1999-12-10 2001-07-04 이계안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록킹장치
KR20040050962A (ko) * 2002-12-11 2004-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일체형의 테일게이트 및 플립업 글래스 연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97391B (zh) 用于车辆的门的表面齐平的把手设备
JP3583985B2 (ja) 車両ドアラッチ装置
US7513133B2 (en) Padlock device for the shaft of two-wheeled vehicles
CN101646585B (zh) 转向锁定装置
US20120260701A1 (en) Steering locking device
EP1529907A3 (en) Padlock with two separate and independent locking systems
CN104204387A (zh) 用于例如引擎盖的封闭板的双拉闩锁
WO2009049588A3 (de) Verstärktes kraftfahrzeugschloss
JP2014505617A (ja) 座席の折り畳み式背もたれ用ロック装置
KR100729530B1 (ko) 키 어셈블리 일체형 차량용 백도어 래치
JP6002085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3831391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US6539757B2 (en) E-series skid steer lock
KR100604611B1 (ko) 프리휠형 락레버를 구비한 자동차용 도어 잠금장치
US20090241613A1 (en) Direct connecting type door latch device for automobile
KR100444662B1 (ko)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의 핀결합 연계형 래치 구조
KR100729532B1 (ko) 락노브 일체형 차량용 백도어 래치
CN104245439B (zh) 转向锁定装置
JP3909428B2 (ja) 車輌用ドアロック装置
WO2005025971A1 (ja) 車両用前後連動錠
KR100376296B1 (ko) 자동차의 글러브 박스 개방구조
JP2535970Y2 (ja) ロック装置
JP3462447B2 (ja) 車両ドアのシリンダ錠取付構造
JPS6012740Y2 (ja) バン型自動車のドア−開閉確認装置
JP2009101980A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