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9008B1 - 도어 잠금장치용 래치부 - Google Patents

도어 잠금장치용 래치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9008B1
KR100899008B1 KR1020070085409A KR20070085409A KR100899008B1 KR 100899008 B1 KR100899008 B1 KR 100899008B1 KR 1020070085409 A KR1020070085409 A KR 1020070085409A KR 20070085409 A KR20070085409 A KR 20070085409A KR 100899008 B1 KR100899008 B1 KR 100899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link
base plate
release
latch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5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0820A (ko
Inventor
이명현
Original Assignee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5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9008B1/ko
Publication of KR20090020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0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9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9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05B85/24Bolts rotating about an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8Mounting of individual lock elements in the lock, e.g. 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잠금장치용 래치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파울 사이에 상기 파울을 역방향으로 간섭하는 해제링크 또는 해제레버를 마련하여, 파울의 역방향 회전이 간편하게 구현되도록 한 도어 잠금장치용 래치부에 관한 것이다.
도어 잠금장치, 전동식 해정구조, 해제링크, 해제레버, 래치기어, 파울

Description

도어 잠금장치용 래치부{Latch module for Door lock device}
본 발명은 도어 잠금장치용 래치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파울 사이에 상기 파울을 역방향으로 간섭하는 해제링크 또는 해제레버를 마련하여, 파울의 역방향 회전이 간편하게 구현되도록 한 도어 잠금장치용 래치부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차량의 후미를 개방하는 테일 게이트 등, 차량의 도어에는 도어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도어의 시건 및 해정을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잠금장치의 해정은, 일반적으로 핸들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최근 테일 게이트 등지에는 전동식 도어 잠금장치가 마련되어, 래치기어를 통해 차체에 고정된 스트라이커의 구속 및 해정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스위치나 리모컨의 조작에 의해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도어 잠금장치가 속속 개발되어 차량에 적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 전동식 도어 잠금장치에는 일반적으로 래치기어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잠김모터와; 래치기어를 구속하고 있는 파울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개방모터가 각각 마련된 소위, 투모터 타입의 엑츄에이터가 마련되어, 전동식 해정작용이 이루어져 왔다.
즉, 종래 도어 잠금장치에는 래치기어와 근접된 위치에서 파울을 간편하게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해정구조가 제공되지 아니하여, 래치기어 잠김부와 파울 래치부를 가진 투모터 타입의 엑츄에이터를 마련하여야 하였다.
상기 투모터 타입의 엑츄에이터는, 한 쌍의 모터를 사용하고 또 그에 따른 연동구조를 개별적으로 설치하여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해져 생산에 따른 부대비용이 증대되는 단점을 가지게 되고, 또 부피가 비대해져 설치에 따른 제약이 뒤따르는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당 분야에서는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이 가능하며, 구조의 간소화와 작동 안정성이 확보된 새로운 형태의 전동식 도어 잠금장치용 래치부가 요구되고 있다.
상기한 요구에 의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베이스 플레이트와 파울 사이에 상기 파울을 역방향으로 간섭하는 해제링크 또는 해제레버를 마련하여, 파울의 역방향 회전이 간편하게 구현되도록 한 도어 잠금장치용 래치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용 래치부는,
개구부(111)가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축(121)을 통해 설치된 래치기어(12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축(131)을 통해 설치되어 래치기어(120)의 회전을 구속하는 파울(130)을 포함하여 구성된 도어 잠금장치용 래치부에 있어서,
상기 파울과 베이스 플레이트(110) 사이에는, 제 1 링크부재(141)와 제 2 링크부재(142)의 타단이 힌지(144)를 통해 상호 결속된 해제링크(140)가 마련되고, 상기 해제링크(140)를 구성하는 제 1 링크부재(141)의 일단은 래치기어(120)를 구속하는 파울(130)의 편심부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축(141a)을 통해 설치되고, 상기 제 2 링크부재(142)의 일단은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축(142a)을 통해 설치되어서,
상기 해제링크(140)를 구성하는 제 1 링크부재(141), 또는 제 2 링크부재(142)에 외력을 가해 외측으로 회전시키면 래치기어(120)를 구속한 파울(130)의 역방향 회전이 이루어져, 파울(130)에 의한 래치기어(120)의 구속이 해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또 다른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도어 잠금장치용 래치부는, 개구부(111)가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축(121)을 통해 설치된 래치기어(12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축(131)을 통해 설치되어, 래치기어(120)의 회전을 구속하는 파울(130)을 포함하여 구성된 도어 잠금장치용 래치부에 있어서,
상기 래치기어(120)를 구속하는 파울(130)의 편심부에 링크핀(132)이 형성되고, 이 링크핀(132)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축(151)을 통해 설치된 해제레버(150)가 견착되어, 상기 해제레버(150)를 외측으로 회전시키면 래치기어(120)를 구속하는 파울(130)은 역회전이 이루어져, 해제레버(150)의 외측 회전에 의해 파울(130)에 의한 래치기어(120)의 구속이 해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도어 잠금장치용 래치부들을 구현함에 있어, 상기 해제링크(140)를 구성하는 제 1 링크부재(141) 또는 제 2 링크부재(142)에 절곡단(143)을 돌출되게 형성하여, 상기 절곡단(143)을 통해 외측 회전에 따른 작용력이 제공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며, 또 상기 래치기어(120)에는 걸림턱(122)을 돌출되게 형성하여, 상기 걸림턱(122)을 통해 래치기어(120)가 외력을 인가받아 정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베이스 플레이트와 파울 사이에 해제링크 또는 해제레버를 마련하여, 파울의 간편한 역방향 회전이 구현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래치부가 도어 잠금장치에 적용되고, 이 도어 잠금장치에 상기 해제링크 또는 해제레버에 외력을 가해 해제링크 또는 해제레버를 외측으로 회전시키는 엑츄에이터를 마련하게 되면, 파울의 역방향 회전이 안정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도어 잠금장치용 래치부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도어 잠금장치용 래치부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도어 잠금장치용 래치부의 해정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a)잠김 해제과정을, (b)는 잠김과정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또 다른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도어 잠금장치용 래치부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도어 잠금장치용 래치부의 해정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a)잠김 해제과정을, (b)는 잠김과정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용 래치부(100, 100')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개구부(111)가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탄력적으로 축(121)을 통해 회전구조로 설치된 래치기어(120);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탄력적으로 축(131)을 통해 회전구조로 설치되어 래치기어(120)의 회전을 구속하는 파울(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래치기어(120)를 구속하는 파울(130)과 베이스 플레이트(110) 사이에 한 쌍의 링크부재(141, 142)로 이루어진 해제링크(140)를 마련하여, 상기 해제링크(140)의 연동에 의해 래치기어(120)를 구속하고 있는 파울(130)의 역방향 회전이 구현되도록 함으로써, 잠금 해제가 신속히 구현되도록 한 도어 잠금장치용 래치부(100)를 제공하고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을 보면 상기 해제링크(140)를 구성하는 제 1 링크부재(141)의 일단은 파울(141a)의 편심부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축(141a)을 통해 설치되고, 제 2 링크부재(142)의 단부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축(142a)을 통해 설치된다.
그리고, 상호 대향하는 제 1 링크부재(141)와 제 2 링크부재(142)의 타단은 힌지(144) 결속상태를 이루며, 상기 래치기어(120)와 인접하게 위치된 제 2 링크부재(142)에는 절곡단(143)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2 (a)와 같이 엑츄에이터(미도시) 등을 통해 절곡단(143)에 작용력을 제공하여 상기 해제링크(140)의 절곡단(143)을 외측으로 회전시키면, 링크 연동에 의해 파울(130)의 역방향 회전이 이루어져 파울(130)에 의한 래치기어(120)의 구속이 해제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용 래치부(100)는, 파울(130)에 직접 외력을 가하지 아니하고 래치기어(120)와 근접하여 위치된 해제링크(140)의 절곡단(143)을 외측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잠금을 해제하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래치기어(120)에 걸림턱(122)을 돌출되게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도 2(b)와 같이 래치기어(120)의 걸림턱(122)을 견착하여 래치기어(12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차체에 고정된 스트라이커(S)는 래치기어(120)에 구속되어서 도어의 잠김이 구현된다. 이때, 상기 걸림턱(122)은 엑츄에이터(미도시) 등을 통해 외력을 인가받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또 다른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도어 잠금장치용 래치부(100')는, 도 3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와 같이 한 쌍의 링크부재로 이루어진 해제링크를 마련하지 아니하고, 파울(130)을 회전시키는 단일 레버구조를 파울(130)과 베이스 플레이트(110) 사이에 마련하여 래치기어(120)의 해제를 위한 파울(130)의 역방향 회전이 보다 간편하게 구현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래치기어(120)를 구속하는 파울(130)에 링크핀(132)을 편심지게 형성하는 한편, 이 링크핀(132)에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축(151)을 통해 설치된 해제레버(150)를 견착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엑츄에이터(미도시) 등을 통해 상기 해제레버(150)를 외측으로 회전시키면 래치기어(120)를 구속하고 있는 파울(130)은 링크핀(132)을 통해 회전력을 인가받아 역방향으로 회전되어서, 파울(130)에 의한 래치기어(120)의 구속이 해제된다.
도면을 보면 상기 해제레버(150)에는 상기 해제링크와 마찬가지로 절곡단(152)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파울(130)에 형성된 링크핀(132)과 접단하는 해제레버(150)의 타단(152)은 내측으로 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파울(130)에 설치된 링크핀(132)은 해제레버(150) 타단의 외측 경사면을 따라 외측으로 자연스럽게 이송되어, 파울(130)의 역방향 회전을 구현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용 래치부도, 상기한 래치부와 마찬가지로 래치기어(130)에는 링크핀(132)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도 3(a)와 같이 래치기어(120)의 걸림턱(122)을 견착하여 래치기어(12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차체에 고정된 스트라이커(S)는 래치기어(120)에 구속되어서, 잠김이 구현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도어 잠금장치용 래치부(100, 100')에는, 정방향 구동시 래치기어(120)의 걸림턱(122)을 견착하여 잠김상태를 구현하고, 역방향 구동시 축 방향으로 이송되어 파울(130)과 연동되게 설치된 해제링크(140) 또는 해제레버(150)를 외측으로 간섭하여 잠김을 해제하도록 구성된 전동식 엑츄에이터(미도시)가 마련되어, 전동식 해정작용을 도모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도어 잠금장치용 래치부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도어 잠금장치용 래치부의 해정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a)잠김 해제과정을, (b)는 잠김과정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또 다른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도어 잠금장치용 래치부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도어 잠금장치용 래치부의 해정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a)잠김 해제과정을, (b)는 잠김과정을 보여주는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100'. 도어 잠금장치용 래치부
110. 베이스 플레이트 111. 개구부
120. 래치기어 121. 축
122. 걸림턱
130. 파울 131. 축
132. 링크핀
140. 해제링크
141. 제 1 링크부재 141a. 축
142. 제 2 링크부재 142a. 축
143. 절곡단 144. 힌지
150. 해제레버
151. 축 152. 끝단
153. 절곡단

Claims (5)

  1. 개구부(111)가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축(121)을 통해 설치된 래치기어(12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축(131)을 통해 설치되어 래치기어(120)의 회전을 구속하는 파울(130)을 포함하여 구성된 도어 잠금장치용 래치부에 있어서,
    상기 파울과 베이스 플레이트(110) 사이에는, 제 1 링크부재(141)와 제 2 링크부재(142)의 타단이 힌지(144)를 통해 상호 결속된 해제링크(140)가 마련되고, 상기 해제링크(140)를 구성하는 제 1 링크부재(141)의 일단은 래치기어(120)를 구속하는 파울(130)의 편심부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축(141a)을 통해 설치되고, 상기 제 2 링크부재(142)의 일단은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축(142a)을 통해 설치되어서,
    상기 해제링크(140)를 구성하는 제 1 링크부재(141), 또는 제 2 링크부재(142)에 외력을 가해 외측으로 회전시키면 래치기어(120)를 구속한 파울(130)의 역방향 회전이 이루어져, 파울(130)에 의한 래치기어(120)의 구속이 해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용 래치부(100).
  2. 개구부(111)가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축(121)을 통해 설치된 래치기어(12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축(131)을 통해 설치되어, 래치기어(120)의 회전을 구속하는 파울(130)을 포함하여 구성된 도어 잠금장치용 래치부에 있어서,
    상기 래치기어(120)를 구속하는 파울(130)의 편심부에 링크핀(132)이 형성되고, 이 링크핀(132)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축(151)을 통해 설치된 해제레버(150)가 견착되어, 상기 해제레버(150)를 외측으로 회전시키면 래치기어(120)를 구속하는 파울(130)은 역회전이 이루어져, 해제레버(150)의 외측 회전에 의해 파울(130)에 의한 래치기어(120)의 구속이 해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용 래치부(100').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링크(140)를 구성하는 제 1 링크부재(141), 또는 제 2 링크부재(142)에는 절곡단(143)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해제링크(140)는 절곡단(143)을 통해 외측 절환에 요구되는 작용력을 제공받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용 래치부.(100)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기어(120)에는 걸림턱(122)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122)을 통해 래치기어(120)는 외력을 제공받아 정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용 래치부(100, 100').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파울(130)에 형성된 링크핀(132)과 접단하는 해제레버(150)의 타단(152)은 내측으로 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파울(130)에 설치된 링크핀(132)과 해제레버(150)의 타단(152) 외측 경사면과의 간섭에 의해 파울(130)의 역방향 회전이 구현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용 래치부(100')
KR1020070085409A 2007-08-24 2007-08-24 도어 잠금장치용 래치부 KR100899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5409A KR100899008B1 (ko) 2007-08-24 2007-08-24 도어 잠금장치용 래치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5409A KR100899008B1 (ko) 2007-08-24 2007-08-24 도어 잠금장치용 래치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0820A KR20090020820A (ko) 2009-02-27
KR100899008B1 true KR100899008B1 (ko) 2009-05-21

Family

ID=40688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5409A KR100899008B1 (ko) 2007-08-24 2007-08-24 도어 잠금장치용 래치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90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6565B1 (ko) * 2011-12-13 2017-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도어래치장치
KR102196246B1 (ko) * 2019-08-16 2020-12-29 평화정공(주) 인터럽팅 기능을 갖는 차량용 래치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6455U (ko) * 1996-12-28 1998-09-25 양재신 자동차 트렁크 리드 록킹장치
KR200332018Y1 (ko) * 2003-07-28 2003-11-03 평화정공 주식회사 완충 댐퍼가 구비된 자동차용 후드 래치
KR20040049469A (ko) * 2002-12-06 2004-06-12 원철희 테이블 겸용 프레임을 갖는 가스레인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6455U (ko) * 1996-12-28 1998-09-25 양재신 자동차 트렁크 리드 록킹장치
KR20040049469A (ko) * 2002-12-06 2004-06-12 원철희 테이블 겸용 프레임을 갖는 가스레인지
KR200332018Y1 (ko) * 2003-07-28 2003-11-03 평화정공 주식회사 완충 댐퍼가 구비된 자동차용 후드 래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0820A (ko) 2009-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6646B1 (ko) 자동차에서 전자 로킹 시스템 및/또는 도어, 플랩등과같이 형성된 로킹 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
KR20170119280A (ko) 차량용 트렁크 래치 모듈
KR101662518B1 (ko) 테일게이트의 랫치 구조
KR100891504B1 (ko) 일방향 클러치 구조가 마련된 전동식 도어 잠금장치
KR20210046908A (ko) 슬라이딩 도어의 홀드 오픈 락 장치
KR100899008B1 (ko) 도어 잠금장치용 래치부
KR101273515B1 (ko) 자동차 트렁크 리드 랫치 어셈블리
KR20140096188A (ko) 자동차용 도어 개폐장치
JP2022538316A (ja) 自動車ドア用ロック
KR100767969B1 (ko) 테일 게이트 또는 트렁크에 설치되는 래치구조
JP2009197404A (ja) 車両用ハンドル装置
KR101587816B1 (ko) 안티-잼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도어래치
US20220251886A1 (en) Door latch device and actuator
JP7044079B2 (ja) 車両用ドア開閉装置
JP2010095988A (ja) 車両用ストライカ機構
KR102633868B1 (ko) 차량용 전동식 도어 래치
KR100891503B1 (ko) 일방향 클러치 구조가 적용된 도어 잠금장치용 전동식엑츄에이터
JP2021055493A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KR101338854B1 (ko) 테일게이트의 씬칭 래치 어셈블리
WO2012132081A1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4221642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3909427B2 (ja) 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
JP2005139793A (ja) リンク装置及び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KR102219164B1 (ko) 테일 게이트와 트렁크에 적용되는 래치
KR100439967B1 (ko)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의 록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