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2196Y1 - 자동차 도어의 잠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의 잠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2196Y1
KR970002196Y1 KR2019940012984U KR19940012984U KR970002196Y1 KR 970002196 Y1 KR970002196 Y1 KR 970002196Y1 KR 2019940012984 U KR2019940012984 U KR 2019940012984U KR 19940012984 U KR19940012984 U KR 19940012984U KR 970002196 Y1 KR970002196 Y1 KR 9700021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lever
door
lock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29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1974U (ko
Inventor
이충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산
이충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산, 이충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산
Priority to KR20199400129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2196Y1/ko
Publication of KR9600019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9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21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1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8Mounting of individual lock elements in the lock, e.g. 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자동차 도어의 잠김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을 배면에서 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일부 분해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멀티기능 스위치장치를 분해한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 걸림편의 회전에 따른 다른 부품들과의 연관작동관계를 나타낸 단면구성도서,
(a)잠금구와의 결합전 상태도.
(b)걸림편이 도어 프레임에 고정설치된 걸림구에 의해 회전하여 걸림레버와 1차 걸림이 이루어진 상태도.
(c)도어가 완전히 닫혀 걸림편이 걸림레버에 완전히 걸려 고정된 상태도.
제5도는 본 고안 자동안전잠금장치(Power Actuator)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구성도.
제6도는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잠금구 10 : 걸림편
16 : 하우징 20 : 스프링실
22 : 코일스프링 24 : 지지돌기
26, 106 : 기어 30, 62, 66 : 작동홈
38 : 걸림레버 40, 64, 86 : 걸림돌기
42 : 연동레버 46, 50 : 걸리부
48 : 외부 열림레버 52, 88 : 작동돌기
54 : 회전축 56 : 잠금레버
58 : 장공 60 : 키실린더레버
68 : 측부 70 : 내부 잠금레버
72 : 작동편 74 : 걸림홈
80 : 열림레버 94 : 어린이보호용 안전잠금레버
98 : 멀티기능 스위치장치 100 : 자동안전잠금장치(Power Actuator)
104 : 작동구 108 : 아암
112, 114, 116 : 구정단자 118 : 보조작동구
120 : 고정단자 136 : 동력원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어가 개폐됨에 따라 작동되는 각종 기능들과 설치위치에 따른 적절한 안전잠금장치들을 기본적인 작동을 하게 되는 걸림편의 걸림상태에 따라 연계적인 작동이 가능토록 하나의 장치로 조밀하게 조립화하고 또한 걸림편이 걸림편의 회전방향을 따라 설치된 코일스프링에 의해 탄력작동토록 하므로써 오작동의 방지와 강한 체결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한 자동차 도어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도어에는 도어의 개폐정도에 따라 작동되도록 도어 자체등과 실내등 및 키부자등과 같이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여러가지 기능들과 각종 작동레버 그리고 차종의 고급화에 따른 자동안전잠금장치(Power Actuator)와 어린이용 안전잠금레버 등 여러가지의 기능들이 선택적으로 설치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도어의 개폐와 연관되어 작동되는 모든 기능들은 도어의 닫힘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잠금구의 걸림편과 연계적인 작동이 이루어져야만 제기능을 다히게 된다.
왜냐하면 도어의 닫힘에 의해 도어 프레임에 고정설치된 거리림구가 잠금구의 결합홈에 삽입되어 걸림구의 걸림봉이 탄력설치된 걸림편의 회전시켜 주므로서 다단식으로 닫힘이 이루어지고 닫힘정도에 따라 그에 적절한 각종 등과 키부자음이 자동되어야 하고 또한 도어가 완전히 닫힌 후에야 각종 잠금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러한 많은 기능들이 거의 대부분 기능별로 별도로 부품화 되어 설치되므로 설치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됨은 물론 작업공수가 많고 잠금구의 걸림편과 연계적인 작동을 기대할 수 없어 오작동의 발생우려가 있다.
그리고 상기의 문제점이 해결된다 하더라도 중요한 역활을 하게 되는 걸림편의 작동을 종래와 같이 와이어 로프방식에 의존할 경우에는 스프링의 내구성과 복원력이 약해 이 또한 오작동의 발생우려가 있고 이 상태에서 비포장길의 주행이나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잠금이 쉽게 해지되므로 탑승자나 주위 차량들에게 치명적인 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잠금구의 상부에 멀티기능 스위치장치가 부설된 자동안전잠금장치(Power Actuator)를 일체로 연결고정하여 자동안전잠금장치의 아암은 잠금레버의 일측과 연결하고 멀티기능 스위치장치 의 작동구는 잠금구의 걸림편과 서로 치합되게 하여 작동구에 고정된 가동단자가 걸림편의 회전정도 즉 걸림구와의 걸림이나 분리에 의한 도어의 개폐정도에 따라 작동구의 회전반경 내에 형성된 여러개의 고정단자와 접하여 고정잔자와 연결된 각종 등이나 키부자가 발생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자동안전잠금장치와 연결된 잠금레버는 잠금구 아래의 회전축에 유설되며 잠금레버의 타측에는 프레임 측부에 유설된 내측 잠금레버가 연결된다.
또한 잠금레버의 회전축에는 잠금레버 이외에도 내측 열림레버와 연계적인 작동이 가능토록 된 외측 열림레버 그리고 키실린더레버와 함께 유설되며 잠금레버는 키실린더레버와 내측 잠금레버에 의해 작동이 규제된다.
즉 운전자가 차량의 외부에서 키실린더레버를 작동시켜 주게 되면 키실린더레버의 부체꼴 홈에 위치한 잠금레버 돌리가 키실린더레버의 해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잠금레버아 연결된 연동레버의 걸림부가 외측 열림레버의 대향걸림부로 부터 비켜 나게 되므로 외부로부터의 열림이 방지된다.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한 상태에서도 잠금레버의 타측에 연결설치된 내측 잠금레버를 조작해 주게 되면 잠금레버가 일측으로 회전하여 연동레버의 걸림부가 외측 열림레버의 대향걸림부로부터 비켜 아게 되므로 외부로 부터의 열림이 방지된다.
또 잠금장치가 차량의 뒷도어에 설치될 경우에는 프레임의 측부에 어린이보호용 안전잠금레버를 연결하여 레버의 돌기가 측부와 내부 열림레버 사이의 홈에 끼워지게 하면 내부 열림레버를 통한 열림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잠금구의 걸림편이 도어가 개폐됨에 따라 도어 프레임이 고정설치된 걸림구와의 결합이 이루어지거나 분리됨에 따라 도어에 설치되는 각종 기능들이 연계적인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앞뒤 설치위치에 따른 다른 기능의 장치가 설치가능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동차 도어 프레임에 고정설치되는 걸림구(2)가 도어(4)의 일측에 고정설치된 잠금구(6)의 결합홈(8)에 삽입되면 잠금구(6)의 걸림편(10)에 의해 도어(4)가 닫히고 이 상태에서 도어 내, 외측에 설치된 개폐용 핸들(12)(14)의 작동에 의해 도어(4)가 열리며 또한 도어(4)가 개폐됨에 따라 각종 등이나 키부자음이 발생되도록 한 통상의 자동차도어의 잠금장치에 있어서 걸림편(10)의 후면 후우징(16)에 지지축(18)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걸림편(10)의 회전방향을 따라 스프링실(20)을 형성하여 코일로 된 스프링(22)을 끼워 설치하고 걸림편(10)의 후면으로 돌출된 지지돌기(24)가 스프링실(20)의 일측에 삽입되게 하여 걸림편(10)이 스프링(22)에 의해 일측으로 상기 탄력설치되게 하고 걸림핀(10)의 상부에는 기어(26)를 형성하여 기어(26)가 하우징(16)과 프레임(28) 사이에 형성된 작동홈(30)을 통하여 상부 외측으로 일부 돌출되게 하였다.
다단식 걸림부(32)(34)가 형성된 걸림편(10)의 저부에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36)에 탄력설치된 걸림레버(38)의 걸림돌기(40)와 접하게 하였으며 걸림레버(38)의 타측에는 연동레버(42)를 핀(44)으로 연결하여 연동레버(42)의 저부 걸림부(46)가 외부 열림레버(48)의 작동방향으로 형성된 걸림부(50)와 마주보게 하고 연동레버(42)의 일측에 돌출형성된 작동돌기(52)는 회전축(54)에 유설된 잠금레버(56)의 상부 장공(58)에 끼워지게 하여 잠금레버(56)의 작동에 따라 연동레버(42)의 저부 걸림부(46)가 외부 열림레버(48)의 걸림부(50)로 부터 비켜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잠금레버(56)와 함께 회전축(54)에 유설된 키실린더레버(60)의 부채꼴형 작동홈(62)에는 잠금레버(56)로 부터 돌출형성된 걸림돌기(64)가 끼워지게 하고 잠금레버(56)의 일측에 형성된 작동홈(66)에는 프레임(28)의 측부(68)에 유설된 내부 잠금레버(70)의 작동편(72)이 끼워지게 하여 키실린더레버(60)와 내부 잠금레버(70)를 작동시켜 주게 되면 잠금레버(56)가 회전축(54)을 중심으로 일정거리 회전작동되도록 하였다.
잠금레버(56)의 일측 상부에 형성된 다단식 걸림홈(74)에는 하우징(16)에 탄설된 스프링(76)의 절곡 걸림부(78)가 끼워져 잠금레버(56)가 제한적으로 정열회전되게 한다.
프레임(28)의 측부(68)에 유설된 내부 열림레버(80)는 핀(82)을 중심으로 상부에는 레버 연결부(84)가 형성되고 중앙부 후면으로 돌출형성된 걸림돌기(86)는 외부 열림레버(48)의 작동돌기(88)와 접하게 하여 서로 연계적인 작동이 이루어지게 한다.
측부(68)의 내측 아래에 형성된 연결공(90)에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후면에 걸림돌기(92)가 형성된 어린이보호용 안전잠금레버(94)를 연결하여 안전감금레버(94)를 회전시켜 줌에 따라 걸림돌기(92)가 측부(68)의 걸림턱과 내부 열림레버(80)의 열림방향으로 형성된 걸림턱 사이의 삽입홈(96)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잠금후(6)의 상부에는 멀티기능 스위치장치(98)가 부설된 자동안전잠금장치(Power Actuator)(100)를 결합하여 잠금구(6)와 나사(102)로 고정하여 주르모서 멀티기능 스위치장치(98)의 작동구(104)에 형성된 기어(106)가 잠금구(6)의 상부로 일부 돌출된 걸림편(10)의 기어(26)와 서로 치합되게 하고 자동안전잠금장치(100)의 아암(108)은 잠금레버(56)의 타측에 형성된 결합홈(110)에 끼워져 연결되게 하였다.
멀티기능 스위치장치(98)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구(104)의 회전반경 내에 형성된 지지부(111)의 내측 바닥면에 수개의 고정단자(112)(114)(116)를 적절한 위치로 배열형성하고 보조작동구(118)의 후면 아래에는 고정단자(112)(114)(116)와 접하도록 된 가동단자(120)를 연결고정하여 보조작동구(118)의 상부 결합돌기(122)가 바닥면의 회전 중심홈(124)에 끼워지게 한 상태로 지지카바(126)를 결합해 주므로서 보조작동구(118)가 회전가능케 하고 보조작동구(118)의 회전 중심부에 형성된 지지카바(126)의 결합공(128)을 통하여는 걸림편(103)과 치합되는 작동구(104)의 연결부(130)를 끼워 연결부(130)의 외면에 형성된 수개의 걸림돌기가 보조작동구(118)의 걸림홈(132)에 삽입되어 작동구(104)와 보조작동구(118)가 일체로 회전되게 한다음 외측에 보조카바(134)를 접착고정하였다.
자동안전잠금장치(Power Actuator)(100)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원(136)의 구동기어(138)와 크고 작은 여러개의 평기어(140)(142)(144)를 통하여 작동홈(146)을 따라 상하 작동가능토록 설치된 아암(108)의 잭(148)가 치합되어 동력원(136)이 정역회전함에 따라 잠금레버(56)와 연결된 아암(108)이 상하 작동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150)은 잠금장치
(152)는 시트벨트용 감지작동구
(154)는 멀티기능 쉬위치단자
(156)은 자동안전잠금장치의 전원공급용 접속단자
(158)은 접지단자
(160)은 걸림구(2)의 걸림봉
(166)은 어린이용 안전잠금레버(94)의 작동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잠금구(6)의 결합홈(8)이 도어 프레임(도시않됨)에 고정설치되는 걸림구(2)의 걸림봉(160)과 마주할 수 있도록 종래와 같이 자동차도어(4)에 설치고정되며 잠금구(6)의 내측 열림레버(80)와 외측 열림레버(48)는 각각 도어(4)의 내, 외측에 설치된 핸들(12)(14)과 연결대로 연결되어 도어(4)의 내, 외측에서 도어(4)를 개폐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운전자가 도어(4)의 내, 외측에서 도어(4)를 밀거나 당겨주게 되면 도어 프레임에 고정설치된 걸림구(2)의 걸림봉(160)에 의해 잠금구(6)의 걸림편(10)이 지지축(18)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걸림레버(48)에 의해 도어(4)가 닫히게 되고 도어(4)의 내, 외측에 설치된 핸들(12)(14)을 작동시켜 걸림편(10)의 다단식 걸림부(32)(34)로 부터 걸림레버(38)의 걸림돌기(40)가 이탈되게 하면 도어(4)가 열리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 걸림편(10)은 걸림편(10)의 회전방향을 따라 탄력설치된 코일 스프링(22)에 의해 일방향으로 상시 탄력지지되므로 걸림구(2)와의 닫힘작동시 걸림편(10)이 회전하게 되면 스프링(22)이 하우징(16)의 스프링실(20)내에서 오므라들고 걸림편(10)이 걸릴레버(38)의 돌기(40)로부터 이탈되게 스프링(22)의 반발력에 의해 걸림편(10)이 복귀하게 된다.
운전자가 자동차의 내, 외측에서 각각 도어(4)를 닫은 후에는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하게 되는데 자동차의 외부에서는 도어(4)의 키실린더(도시않됨)를 작동시켜 주게 되면 키실린더와 연결대로 연결되는 키실린더레버(60)의 자곧홈(62) 내에 위치한 걸림돌기(64)에 의해 잠금레버(56)를 같은 방향으로 일정거리 회전시게 주게 되면 제4도(c)에서와 같이 일측이 잠금레버(56)의 장공(58)에 끼워 결합된 연동레버(42)는 럴림레버(42)와의 연결축(44)을 중심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연동레버(42)의 하부 걸림부(46)가 외측 열림레버(48)의 걸림부(50)로 부터 비켜 위치하여 외부에서 외부 열림레버(48)의 핸들(164)을 작동시키더라도 도어(4)의 열림이 방지되는 수동잠금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각 도어(4)에 설치되는 자동안전잠금장치(Power Actuator)(100)의 동력원(136)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한 뒤 그 접점을 도어(4)의 키실린더에 전기적으로 연결설치하여 주게 되면 키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동력원(136)이 정역회전하여 동력원(136)과 연결된 아암(108)을 상하 작동시켜 주게 되므로 이 또한 아암(108)과 연결된 잠금레버(56)를 회전축(54)을 중심으로 일정거리 정역회전시켜 연동레버(42)의 걸림부(46)가 외측 열림레버(48)의 걸림부(50)와 마주하게 하거나 또는 비켜 위치케 하여 도어(4)의 열림이 방지되는 자동 잠금이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운전자가 차량의 내부에 탑승완료한 경우에는 인위적인 조작에 의해 내부 잠금레버(70)를 작동시켜 주게 되면 내측 잠금레버(70)의 작동편(72)이 잠금레버(56)의 일측을 시계방향으로 일정거리만큼 회전시켜 연동레버(42)의 걸림부(46)가 외부 얼리림레버(48)의 걸림부(50)로부터 비켜 위치케 하므로서 외부로부터의 잠금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와 같은 수동조작 이외에도 콘트롤박스(도시않됨)의 프로그램에 의해 차량의 탑승이 완료되고 도어의 닫힘이나 안전밸트의 착용여부 등 차량운행에 대한 모든 동작이 완료되면 이를 감지하여 자동안전잠금장치(Power Actuator)(100)를 작동시켜 자동안전잠금장치(100)의 아암(108)에 의해 잠금레버(56)를 일정거리만큼 회전시켜 주도록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차량의 각 도어에 설치되는 잠금장치(150) 중 주로 어린이들이 탑승하게 되는 뒷 도어용 잠금장치(150)에는 제2도에서와 같이 프레임(28)의 측부 연결공(90)에 어린이보호용 안전잠금레버(94)를 연결설치하여 안전잠금레버(94)의 작동편(166)이 도어(4)의 은밀한 곳에 위치케 하여 어린이의 탑승시 운전자가 안전잠금레버(94)의 작동편(166)을 잡고 회전시켜 안전잠금레버(94)의 상부 후면으로 돌출형성된 걸림돌기(94)가 측부(68)의 걸림턱과 내부 열림레버(80)의 걸림턱 사이의 삽입홈(96)에 끼워 위치케 하면 내부 열림레버(80)가 열림방향으로는 회전이 불가능하게 하므로 어린이들이 자칫 내부열림레버(80)의 핸들(12)을 조작하게 되더라도 도어(4)는 열리지 않게 된다.
잠금구(6)의 상부에 연결설치된 멀티기능 스위치장치(98)는 걸림편(10)이 회전함에 따라 걸림편(10)의 기어(26)와 치합된 멀티기능 스위치장치(98)의 작동구(104)에 의해 작동구(104)와 연결된 보조작동구(118)의 후면가동단자(120)가 함께 회전하여 가동단자(120)의 회전반경 내에 적절한 위치로 고정형성된 수개의 고정단자(112)(114)(116)에 전원을 연결 또는 차단시켜 고정단자(112)(114)(116)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차량 내부에 각종 등이나 키부자등을 작동시켜 주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모든 작동의 기본이 되는 걸림편(10)을 바인딩 스프링방식에 의해 탄력설치되게 하므로서 스프링(22)의 내구성과 체결력이 강해 오작동을 방지하고 또한 걸림레버(38)와 연결되는 잠금레버(56)의 양측에는 각각 잠금구(6) 상부에 연결설치된 자동안전잠금장치(Power Actuator)(100)의 아암(108)과 내측 잠금레버(70)가 연결되게 하고 잠금레버(56)의 회전축(54)에는 외측 열림레버(48)와 키실린더레버(60)를 함께 유설하여 걸림편(10)의 작동에 따라 연계적인 작동이 가능토록 하고 그 외에도 걸림편(10)과 치합된 멀티기능 스위치장치(98)의 작동구(104)가 회전함에 따라 작동구(104)의 회전반경 내에 적절한 위치로 고정형성된 여러개의 고정단자(112)(114)(116)에 전원에 연결되어 각종 등이나 키부자등이 작동되게 하고 차량의 뒷 도어용 잠금장치에는 어린이용 안전잠금레버(94)를 부설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등 자동차 도어(4)의 개폐에 따른 모든 작동과 각종 잠금장치들이 일체로 조밀하게 설치되어 걸림편(10)에 의한 연계적인 작동이 가능토록 하므로서 도어(4)의 닫힘과 잠금시 오작동이 방지되고 설치공간과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는 등의 많은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자동차 도어 프레임의 걸림구(2)와 대향되게 도어(4)에 설치고정된 잠금구(6)의 걸림편(10)에 의해 도어(4)가 닫혀 고정되고 도어의 내, 외측에 설치된 열림레버(12)(14)을 작동시켜 주게 되면 걸림편(10)이 걸림레버(38)로부터 이탈되어 걸림이 해지되며 도어(4)의 개폐정도에 따라 실내의 각종 등이나 키부자음이 작동되도록 한 통상 자동차 도어 잠김장치에 있어서, 잠금부(6)의 상부에 멀티기능 스위치장치(98)가 부설된 자동안전잠금장치(Power Actuator)(100)를 연결설치하여 멀티기능 스위치장치(98)의 작동구(104)는 걸림편(10)과 서로 치합되게 하고 자동안전잠금장치(100)는 걸림레버(38)와 연동레버(42)로 연결설치된 잠금레버(56)의 타측과 연결되며 잠금레버(56)의 회전축(54)에는 잠금레버(56)의 돌기(64)와 결합된 키실린더레버(60), 그리고 프레임(28)의 측부(68)에 유설된 내부 열림레버(80)와 연계적인 작동이 가능토록 된 외부 열림레버(48)가 각각 설치되며 연동레버(42)는 잠금레버(56)의 회전작동에 따라 저부 걸림부(46)가 외부 열림레버(48)의 걸림부(50)와 마주하거나 또는 비켜 위치케 하여서 된 자동차 도어 잠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걸림편(10)의 외전방향을 따라 형성된 하우징(16)의 스프링실(20)에 코일 스프링(22)을 끼워 스프링(22)의 일측이 걸림편(10)과 연결되도록 하여서 된 자동차도어 잠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멀티기능 스위치장치(98)으 작동구(104)는 가동단자(120)가 고정설치된 보조 작동구(118)와 일체로 회전되게 하고 가동당자(120)와 접하게 되는 지지부(111)의 바닥면에는 차량의 각종 등이나 키부자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수개의 고정단자(112)(114)(116)를 적절한 위치로 형성하여서 된 자동차 도어 잠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28)의 측부(68)에 어린이용 안전잠금레버(94)를 회전가능케 연결하여 상부 후면으로 돌출형성된 걸림돌기(92)가 측부(68)와 내부 열림레버(80) 사이에 형성된 삽입홈(96)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한 자동차 도어 잠김장치.
KR2019940012984U 1994-06-02 1994-06-02 자동차 도어의 잠김장치 KR9700021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2984U KR970002196Y1 (ko) 1994-06-02 1994-06-02 자동차 도어의 잠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2984U KR970002196Y1 (ko) 1994-06-02 1994-06-02 자동차 도어의 잠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974U KR960001974U (ko) 1996-01-19
KR970002196Y1 true KR970002196Y1 (ko) 1997-03-20

Family

ID=19384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2984U KR970002196Y1 (ko) 1994-06-02 1994-06-02 자동차 도어의 잠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219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974U (ko) 1996-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0945B2 (en) Door lock system
EP1621705B1 (en) Automotive door latch device
US5678869A (en) Switch for detecting full-latch condition in vehicle door latch device
JP4272061B2 (ja) 自動車のドア用のモジュラーロックおよびこのロックを備えたドア
US7232161B2 (en) Latch device for vehicle tailgate
KR19990067695A (ko) 자동차 도어의 자물쇠 액츄에이터
JP7192426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KR970002196Y1 (ko) 자동차 도어의 잠김장치
GB2276416A (en) Locking device for trunk lids
KR100303367B1 (ko) 자동차용 도어래치 어셈블리
JP4282525B2 (ja) ドアロック装置
JPH0214612Y2 (ko)
GB2283782A (en) Locking device for trunk lids
KR100336468B1 (ko) 자동차용 도어의 이중 잠금 장치
JP7377064B2 (ja) ドアラッチ装置
KR0140681Y1 (ko) 자동차의 후드록 래치 구조
JP7271849B2 (ja) ドアラッチ装置
CN113728364B (zh) 用于机动车的电子的钥匙系统
KR100623386B1 (ko) 차량용 래치조립체의 램프 스위치 구조
JP3887152B2 (ja) ドアロック装置
JP2612791B2 (ja) 車両用オートクロージャー
KR20040039724A (ko) 전기식과 기계식이 일체화된 트렁크 리드 래치
KR200338407Y1 (ko) 자동차용 트렁크 도어래치
KR101022692B1 (ko) 자동차의 퓨즈 박스 리드 잠금구조
KR100320870B1 (ko) 자동차용 트렁크 리드 래칫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