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2891B1 -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식 보도의 핸드레일 표면에 보호용필름을 인가하고 제거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식 보도의 핸드레일 표면에 보호용필름을 인가하고 제거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2891B1
KR100552891B1 KR1020017010571A KR20017010571A KR100552891B1 KR 100552891 B1 KR100552891 B1 KR 100552891B1 KR 1020017010571 A KR1020017010571 A KR 1020017010571A KR 20017010571 A KR20017010571 A KR 20017010571A KR 100552891 B1 KR100552891 B1 KR 100552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handrail
delete delete
layer
flexibl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0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1082A (ko
Inventor
맥레오드존
버그로날드엘.
Original Assignee
볼 로날드 에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295753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55289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볼 로날드 에이치. filed Critical 볼 로날드 에이치.
Publication of KR20020021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1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2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2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22Balustrades
    • B66B23/24Hand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 B29C63/04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by folding, winding, bending or the like
    • B29C63/044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by folding, winding, bending or the like continuous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2Driving gear
    • B66B23/04Driving gear for hand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1/00Accessories for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e.g. for sterilising or cleaning
    • B66B31/02Accessories for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e.g. for sterilising or cleaning for hand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09Articles shaped in a closed loop, e.g. conveyor bel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3Material designed to be responsive to temperature, light, mois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851Intermediate layer is 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 Y10T428/24868Translucent outer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3Coating layer not in excess of 5 mils thick or equivalent
    • Y10T428/264Up to 3 mils
    • Y10T428/2651 mil or l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필름, 및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식 보도의 핸드레일에 필름을 인가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필름은 단일층 또는 이중층 필름일 수 있다. 프린트물, 예컨대 광고물이 필름에 또는 필름들 사이에 인가될 수 있다. 필름을 인가하기 위한 장치 및 관련되는 방법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되며; 하나 이상의 로울러들이 필름을 핸드레일에 대해 압착시킨 상태에서, 핸드레일의 이동에 따라 필름이 풀어내어진다.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 필름, 광고물

Description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식 보도의 핸드레일 표면에 보호용 필름을 인가하고 제거하기 위한 방법{Method of Applying and Removing a Protective Film to the Surface of a Handrail of an Escalator or Moving Walkway}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식 보도의 핸드레일에 관한 것이고, 특히 광고물 또는 다른 가시적인 자료를 임의적으로 포함하는 보호용 필름을 핸드레일의 표면에 인가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광고자들은 광고를 게재할 수 있는 새로운 장소를 계속해서 찾고 있다. 얼마전부터 다양한 형태의 대량 수송 수단 등이 절호의 광고 기회를 제공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대량 수송 시스템들이 필연적으로 상당수의 잠재적인 고객을 제공하는 반면, 다수의 사람들에 대해 적당한 광고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위치되는 광고물들의 개수는 비교적 작다. 대량 수송 수단을 이용하여 이동하는 데에는 대개 시간이 꽤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이러한 대량 수송 시스템들의 이용자들은 광고물을 보고 읽을 수 있는 충분한 정도의 시간을 가지며, 따라서, 이와 같은 대량 수송 수단을 이용한 광고는 여러가지 사업에 특히 유용할 수 있다. 이러한 사정은 예로부터 인식되어왔던 바, 광고자들은 광고물을 게재할 수 있는 다양한 장소들을 물색하여 왔다.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식 보도는 대부분의 대량 수송 시스템들의 공통적인 구성요소로서 인식되고 있으며 예컨대 사무실용 빌딩, 쇼핑몰, 대형 상점 등과 같은 보행자의 통행이 빈번한 수많은 다른 장소들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한 이동은 예컨대 지하철을 이용한 이동에 비해 비교적 빠르지만, 에스컬레이터 탑승자도 당연히 잠재적인 광고 대상으로서 간주된다. 에스컬레이터를 탑승하는 시간은 비교적 짧지만, 에스컬레이터 탑승자가 광고물을 인식하여 읽을 만한 시간은 충분하게 주어진다. 또한, 에스컬레이터를 탑승하고 있는 사람이 책 또는 신문을 읽는 것과 같은 다른 어떤 행동을 취하는 것은 실제로 어렵다.
광고자들은 오랫동안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왔고, 이에 따라 에스컬레이터에서 다양한 광고 패널들을 접하는 것이 더 이상 어색한 것으로 인식되지는 않게 되었다. 그러므로, 포스터 광고가 에스컬레이터 샤프트의 벽에 붙여져 있는 것을 통상적으로 볼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방향 및 하방향 에스컬레이터들의 분리식 난간들상의 소형 패널들에 더욱 작은 포스터형 광고물들을 게재하기에까지 이르게 되었다. 이 경우, 통상적으로, 광고물들은 양 측면상에 위치되어 상방향 및 하방향 모두의 에스컬레이터들상에 있는 탑승자들에게 적당한 광고내용을 전달한다.
재치있는 광고자들은 에스컬레이터들상에서 광고를 제공하는 다른 방법들을 모색하였다. 이에 따라, 광고물이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상에 위치될 수 있다는 점이 부각되었다.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은 통상적으로는 사용되지 않는 표면이기 때문에, 이러한 광고방법은 상당히 매력적이고 유용한 것이다. 특정의 물체를 잡는 것에 관하건데, 에스컬레이터 탑승자는 본능적으로 그 자신을 올바른 자세로 유 지시키기 위해 첫번째로 핸드레일을 본다. 이 것은, 핸드레일이 대개 각각의 사용자 또는 탑승자에 의해 최소한 얼핏이라도 보여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예컨대 공지된 회사 로고 및 다른 광고물들과 같은 간단한 광고가 핸드레일에 효과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공개된 일본국 출원 제 57-130883 호를 참조하면,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되는 개개의 전사도안들 또는 스티커들을 제공하는 방안이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스티커들은 특정 종류의 접착제와 제 1 필름, 및 상기 제 1 필름의 후면에 인가되는 프린트 잉크를 포함한다.
이러한 광고 방안에 있어서 발생되는 문제점은 각각의 스티커들 또는 전사도안들이 개개적으로 그리고 불연속적으로 핸드레일상에 위치되어야 한다는 점에 있다. 이것은 어렵고 시간이 많이 소모되며, 정확하고 균일한 정렬을 위해 상당한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개개의 스티커는 스치기 쉬운 복수의 연부들을 가져서 떨어지기 쉽다. 다시 말하면, 핸드레일 구동 기구의 요소들이 스티커의 전방 및 후방 연부들을 스치고 지나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동 기구에 의해 접착성 스티커가 우발적으로 제거되어 구동 기구내에서 말리게 되면, 매우 바람직하지 않은 현상이 초래된다. 부가적으로, 이러한 연부들 및 전사도안물의 측 연부들은 사용자에 의해 정상적으로 보여질 수 있는 바, 에스컬레이터의 수많은 사용자들 또는 탑승자들중 일부가 고의로 또는 무의식적으로 상기 연부들을 뜯어내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에 따라, 스티커는 제거되거나 또는 구동 기구내에서 우발적으로 뭉치거나 말리기 쉽다.
캐나다 특허 제 1,304,035 호 및 대응되는 미합중국 특허 제 5,020,256호(Andrew B. French)를 참조하면,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을 이용한 다른 광고방식이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광고방식은 비교적 복잡한 구조를 수반하며,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 구조물의 전체적인 재설계를 필요로 한다. 핸드레일에는 특정 종류의 슬로트 등이 형성되고 투명 커버가 제공된다. 광고물은 상기 투명 커버와 핸드레일의 메인 본체 사이에 위치된다. 이론적인 면에 있어서, 이러한 광고 방식은 상기 일본국 출원에서 발생되는 결점들중 특정의 것을 극복하지만, 불행하게도,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구조적인 요구사항들을 전체적으로 만족시키지 못한다. 핸드레일은 상당한 정도의 응력 및 변형에 처하여지고, 구조적인 고려사항들을 무시한 상태에서 핸드레일 횡간 단면의 실제적인 부분들을 간단하게 제거할 수는 없게 된다.
예컨대, 투명 커버는 구동 기구에 따라 상당한 정도의 인장 및/또는 압축 응력에 처하여지는데, 이러한 문제의 해결책은 제시되지 않고 있다. 필연적으로, 이러한 방식의 광고는 광고물을 게재할 경우 각각의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완전한 교체를 필요로 한다.
프랑스공화국 특허 제 2,728,377 호를 참조하면, 상점 계산대 컨베이어들에 사용되는 비닐 필름이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비닐 필름은 광고물을 포함하고 고객이 계산대를 지남에 따라 고객에게 광고를 제공한다.
다른 고려사항은 수많은 상황들에 있어서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에 특정 형태의 보호 커버를 간단하게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는 데에 있는 바, 이러한 사항은 개괄적으로 상기한 선행기술의 어떠한 것에 의해서도 해결되지 않고 있다. 첫번째로, 많은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들은 일정기간이 경과된 후에 무디고 마모된 외관을 가질 수 있다. 부가적으로,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들의 표면상에 는, 구동 기구 또는 사용자들의 작위에 기인하여, 흠집들 또는 변색부들이 생성될 수 있다. 예컨대, 고급 호텔, 리조트 등과 같은 특정의 환경에서는,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이 만족스러운 외관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핸드레일의 표면을 리피니싱(refinishing)하는 것은 실용적이지 못하다. 그러므로, 핸드레일에 새로운 외관 또는 피니시를 제공할 수 있는 특정 종류의 필름을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에 인가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된다.
따라서, 현장에서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에 정상적으로 인가될 수 있는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된다. 그러한 필름은 핸드레일에 새로운 리피니싱된 외관을 제공하는 기능 및 메시지들 또는 로고들을 광고하는 기능중 하나 또는 모두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름은 에스컬레이터의 정상적인 작동에 대한 방해를 최소화하면서 정상적으로 그리고 간단히 인가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사항은 핸드레일들의 제거 또는 교체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달성될 수 있어야 한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구동 기구내에서의 우발적인 제거 또는 뭉침을 촉발시킬 수 있는 연부들 등의 생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커버링이 충분한 정도로 연속성을 띠어야 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또한, 이러한 사항은 사용자들이 표면 피니시 또는 커버링을 제거할 수 있는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본 발명은 핸드레일의 표면에 연속적이고 제거가능한 필름을 제공하는 기술적 사상에 기초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면에 따라, 핸드레일에 인가되는 가요성 필름이 제공된다. 상기 핸드레일은 이동식 보도나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과 같은 이동식 핸드레일, 또는 계단통(stairwell)에서 관찰되는 바와 같은 고정식 핸드레일일 수 있다. 상기 필름은 그 하면상에 위치되는 제 1 접착제층을 갖는 제 1 필름층을 구비한다. 상기 필름은 제 2 필름층을 제 1 필름층의 상면에 접합시키는 제 2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름은 길고, 즉, 핸드레일에 장착되기에 적합하도록 대체로 연속성을 띠거나 균일한 폭을 갖는다. 상기 필름은 임의적으로 상기 제 1 층의 상면에 위치되는 인쇄물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름과 동일한 폭의 박리 시트층이 상기 제 1 접착제층을 보호하기 위해 임의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층들은 바람직하게는 0.076 mm(3 밀(mil))의 두께를 갖는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되며, 상기 접착제층들은 0.025 mm(1 밀)의 두께를 갖는 아크릴계 접착제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 2 면에 따라, 본 발명의 상기 제 1 면에 따른 가요성 필름과 조합되는 긴 핸드레일이 제공된다. 핸드레일이 이동식 핸드레일인 경우에, 상기 필름의 단부 부분들은 맞댐 조인트를 형성하도록 서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필름은 핸드레일의 둘레에서 연장될 수 있고 핸드레일 쇼울더(shoulder)의 일부를 덮을 수 있다. 고정식 핸드레일에 대해서는, 필름의 단부들은 사용자에게 정상적으로 보이지 않도록 핸드레일의 단부들 둘레에 간단하게 덧씌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면에 따라, 핸드레일에 인가되는 가요성 필름이 제공되며: 상기 가요성 필름은, 제 1 필름층, 및 상기 가요성 필름을 핸드레일에 고착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필름층의 하면상에 위치되는 제 1 접착제층을 구비하고; 핸드레일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면서 길고, 선택된 핸드레일에 맞추어지도록 절단될 수 있다. 상기 가요성 필름은, 이동하는 핸드레일 및 연관되는 구동 기구로부터 불순물들을 수집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 면에 따라, 이동하는 핸드레일에 접착성 필름을 인가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고: 상기 장치는, 장치를 난간에 장착시키기 위한 장착 수단, 필름의 제 1 롤을 장착시키기 위한 제 1 스핀들 수단, 및 필름이 핸드레일에 고착되도록 필름에 압력을 인가하기 위한 압축 수단을 구비하고; 사용시, 핸드레일이 장치를 통과하여 구동될 수 있게 되어, 압력을 인가하기 위한 상기 압축 수단이 필름을 핸드레일에 고착시키는 상태에서, 필름이 상기 제 1 롤로부터 풀려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되는 접착제는 박리 시트를 필요로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상기 필름은 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는 수많은 접착 테이프들과 동일한 방식으로 풀려질 수 있다. 접착제의 특성이 박리 시트를 필요로하는 경우에는, 장치는 제 2 스핀들 수단을 구비할 수 있고, 박리 시트를 권취시키기 위한 제 2 롤은 사용시 상기 제 2 스핀들 수단상에 장착되며, 구동 수단은 상기 제 1 및 제 2 스핀들 수단들 사이에 위치된다. 그리고나서, 상기 제 1 스핀들로부터 필름이 풀려지므로써,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제 2 스핀들을 구동하고, 상기 제 2 스핀들은 롤로부터 풀려지는 필름으로부터 분리되는 박리 시트를 권취시킨다. 상기 구동 수단은 기어 트레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어 트레인은, 상기 제 2 스핀들 수단이 상기 박리 시트를 권취시키기 위해 요청되는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항상 구동되도록 하는, 제 1 스핀들과 제 2 스핀들 사이의 속도비를 갖는다. 그리고나서, 상기 장치는, 장력의 증가에 기인하여 박리 시트가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두 개의 스핀들 수단들중의 하나 이상에 제공되는 클러치 수단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박리 시트가 균일한 장력하에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필름을 인가하기 위한 실제 적용시 메인 바디로서 작용하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스핀들들은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상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는 요동 아암에 부착될 수 있다. 메인 로울러가 압력을 인가하기 위한 수단내에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본체에 관하여 선회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로울러는 스프링에 의해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상면에 대해 압압될 수 있다.
조절 수단은 피벗 및 슬라이딩 연결부들을 구비할 수 있다.
압력을 인가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압축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 기구는, 핸드레일의 중심선에 대응되는, 상기 압력 인가 수단의 중심선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장착되는 복수의 로울러들을 포함한다. 상기 로울러들은 압축 기구의 전방 단부(핸드레일의 전방향 이동에 대응하는 전방 단부)로부터 상기 로울러 수단의 후방 단부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로울러 수단의 후방 단부의 쌍을 이루는 로울러들은 장치의 중심선에 근접하여 장착되고, 연속적인 쌍들을 이루는 로울러들은 점진적으로 멀어지도록 장착된다. 이동식 핸드레일이 상기 압축 기구를 통과함에 따라, 상기 필름은 핸드레일의 외면 둘레에 점진적으로 덧씌워진다.
본 발명의 제 5 면에 따라, 이동하는 핸드레일로부터 접착성 필름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장치는, 장치를 난간에 장착시키기 위한 장착 수단; 권취용 롤을 장착시키기 위한 제 1 스핀들 수단; 장치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는 구동 실린더; 핸드레일이 이동될 때 구동 입력을 수납하기 위해 상기 구동 실린더를 핸드레일에 대해 압착시키는 수단; 및 상기 제 1 스핀들 수단상에 장착되는 권취용 롤을 구동시켜 핸드레일로부터 필름을 권취시키기 위해 상기 구동 실린더를 상기 제 1 스핀들 수단에 연결시키는 전송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6 면에 따라, 이동하는 핸드레일에 가요성 필름을 인가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1) 제 1 필름층 및 제 1 필름층의 하면상에 위치되는 제 1 접착제층을 구비하고 대체로 길고 핸드레일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는 필름을 제공하는 단계; (2) 상기 필름의 제 1 단부를 핸드레일의 표면에 정렬시켜 고착시키는 단계; (3) 필름이 핸드레일에 연속적으로 그리고 점진적으로 고착되도록 필름에 관하여 핸드레일을 구동시키는 단계; 및 (4) 필름의 전체 폭이 핸드레일의 표면에 균일하게 그리고 매끄럽게 고착되도록 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법은 롤상에 필름을 제공하고 핸드레일에 근접하여 스핀들상에 상기 롤을 장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나서, 로울러가 핸드레일의 표면에 인가되어 상기 필름을 핸드레일에 대해 압착시킬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또한 핸드레일의 외면 둘레에서 더욱 격리되도록 장착되는 쌍을 이루는 로울러들에 의해 핸드레일의 립(lips) 둘레에 필름을 점진적으로 덧씌우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또한 본 발명의 제 3 면에 따른 장치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7 면에 따라, 난간에 관하여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핸드레일상에 인가되는 접착성 필름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1) 구동 실린더 및 권취용 롤을 위한 스핀들을 포함하는 장치를 난간에 장착시키는 단계; (2) 상기 스핀들상에 권취용 롤을 장착시키고 상기 구동 실린더를 핸드레일의 표면에 대해 압착시키는 단계; (3) 접착성 필름의 단부 부분을 수동적으로 분리시키고 상기 단부 부분을 상기 권취용 롤에 계합시키는 단계; (4) 핸드레일을 구동시켜 상기 구동 실린더에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하고 순차적으로 권취용 롤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접착성 필름이 권취되도록 하는 단계; 및 (5) 핸드레일로부터 전체 접착성 필름이 제거된 후에, 핸드레일을 정지시키고 권취된 접착성 필름을 갖는 상기 롤을 상기 장치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8 면에 따라, 난간에 관하여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핸드레일의, 상기 난간에 통합되는, 구동 기구로부터 불순물들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1) 제 1 필름층 및 상기 필름을 핸드레일에 고착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필름층의 하면상에 위치되는 제 1 접착제층을 구비하고 상기 핸드레일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며 길고 이동하는 핸드레일 및 연관되는 구동 기구로부터 불순물들을 수집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필름을 핸드레일에 장착시키는 단계; (2) 상기 필름이 상기 구동 기구를 통과하도록 상기 핸드레일을 구동시켜 불순물들이 상기 필름에 의해 적출되도록 하는 단계; 및 (3) 일정한 시간이 경과된 후에, 핸드레일을 정지시키고 핸드레일로부터 필름을 제거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름은 그 폭이 핸드레일의 폭에 따라 선택된다는 점에서 핸드레일에 대응되는 폭을 갖지만, 그 실제 폭은 핸드레일의 폭보다 대체로 작게 되어 핸드레일을 부분적으로만 덮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기로 한다.
도 1은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에 필름을 인가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장치를 다른 위치들에서 본 측면도;
도 3a 및 도 3b는 택일적인 장착 배열체들을 나타내는, 핸드레일의 길이를 따라 취한 정면도;
도 4는 도 3a의 장치가 에스컬레이터 난간에서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에 대한 필름의 인가중 필름 및 박리 시트의 이동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필름 또는 박리 시트용 롤을 장착시키기 위한 스핀들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단면도;
도 7a, 도 7b 및 도 7c는 필름 및 박리 시트의 이동 경로들과 핸드레일 둘레에 대한 필름의 덧씌움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8a 및 도 8b는 압축 기구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9a 내지 도 9f는 압축용 로울러들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압축 기구를 관통한 단면도;
도 10은 트로프형 압축 기구의 반편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측면도;
도 11a 내지 도 11f는 압축 기구 로울러들의 격설적인 장착 상태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정렬을 위한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핸드레일로부터 필름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가 핸드레일상에서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a, 도 15b 및 도 15c는 도 14의 필름 제거용 장치의 일부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외측으로부터의 사시도, 측면도 및 도 14와 유사한 사시도;
도 16은 도 14 및 도 15의 장치를 관통한 단면도;
도 17a 내지 도 17d는 핸드레일용 필름에 대한 천공 패턴의 예들을 나타내는 평면도.
먼저 도 1 및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도면부호 10으로 나타낸다. 장치(10)는 중공의 정방형 횡간단면을 갖는 메인 지지 부재(12)를 포함한다. 메인 지지 부재(12)는, 그 하단부에서, 180˚회전된 T자의 형상을 취한다. 메인 지지 부재(12)는 다른 길이를 갖는 두 개의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14)들 을 포함한다. 각각의 부분(14)의 하단부에는 흡인 컵(16)이 장착된다. 필요한 경우, 상기 장치를 핸드레일에 관하여 요구되는 위치에 배치시키기 위해, 상기 지지 부재(12)는 측방향으로 옵셋될 수 있다(도 3a 및 도 3b 참조).
제 1 크로스 부재(19)에 연결되는 피벗 연결부(18)가 지지 부재(12)의 상단부에 제공된다. 상기 피벗 연결부(18)는 부재들(12, 19)에 고정되는 중첩 플랜지들 및 이러한 플랜지들을 함께 고정시키기 위해 조절가능하게 되는 볼트와 너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크로스 부재(19)상에는 슬라이딩식 스위블 조인트(20)가 장착되고, 슬라이딩식 스위블 조인트(20)는 제 1 크로스 부재(19)를 따라 슬라이딩가능한 브래킷을 포함한다. 나사 부재(21)는 상기 브래킷이 크로스 부재(19)에 관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스위블 조인트(20)의 브래킷의 바닥 단부는 제 2 크로스 부재(23)에 연결되는 제 2 피벗 연결부(22)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제 2 피벗 연결부(22)도 볼트 및 너트 배열체에 의해 체결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부재(24)는 제 2 크로스 부재(23)의 일단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기구들(12, 19, 23 및 24), 상기 피벗 연결부들(18 및 22), 및 상기 슬라이딩식 스위블 조인트(20)의 전체 배열체는,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을 따라서, 즉, 도 3a 및 도 3b의 평면내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24)의 하단부에 대한 요구되는 자유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에 상술하는) 본 발명의 실제적인 인가기(applicator)가 부재(24)의 하단부에 장착됨에 따라, 상기 전체 배열체는 상 기 인가기로 하여금 핸드레일에 관하여 요구되는 위치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상기 피벗 연결부들(18, 22)은 수직 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조절은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24)의 하단부의 특정의 측방향 또는 수평방향 이동을 필연적으로 유발한다. 상기 크로스 부재(19)를 따른 슬라이딩 조인트는 상기 수평방향 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 및 도 3a에는, 크로스 부재들(19, 23)이 대체로 대향되는 방향에서 연장되는 자유단부들을 갖는 하나의 장착 배열체를 도시한다. 택일적인 장착 배열체에 있어서, 상기 수직방향으로 배향되는 부재들(12, 24)은 서로 근접하여 배치되고, 크로스 부재들의 자유 단부들은 부재들(12, 24)로부터 이격되는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대체로, 상기 장치는 항상 난간(198)의 내측면상에 장착되며, 종종, 상기 난간은 도달가능한 외면을 제공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므로,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양 배열체들이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식 보도의 양 측면들상의 두 개의 핸드레일들에 대해 요청될 수 있다.
상기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24)의 하단부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에 관하여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32)에 연결되고,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32)는 필름을 인가하기 위한 실제적인 인가기의 메인 본체를 형성한다.
부재(32)의 후방 단부는 L형 브래킷(34)에 고정된다. 다른 크로스 부재들(36, 37)은,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의 그 중간 부분 및 전방 단부에 서,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된다. 돌출 러그(38)는 상기 크로스 부재들(36 및 37) 사이에서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32)상에 장착되어 상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L형 브래킷(34)은 수평방향 요소(40)를 포함한다. 후방 로울러(41)는 수평방향 요소(40)의 후방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러그들(41a)상에 장착된다. 한 쌍의 평행하게 격설되는 측방향 부재들 및 이들을 결합시키는 크로스 부재가 요소(40)의 전방 단부로부터 상방향으로 그리고 전방으로 돌출되는 두 개의 소형 러그들(44)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된다. 로울러(46)는 프레임(42)의 측방향 부재들의 자유 단부들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1, 2a 및 2b를 참조하면, 프레임(42) 및 그러므로 로울러(46)를 하방으로 압압하기 위해, 상기 L형 브래킷(34)의 수직방향 요소(50)에 장착되는 스프링 기구(48)가 제공된다. 상기 스프링 기구(48)는 나선형 코일 스프링(48a)(도 1 참조), 플런저(52), 및 상부와 하부의 디스크들(49a 및 49b)을 포함한다. 상기 플런저(52)는 그 하단부에서 프레임(42)으로부터의 측방향 돌출부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나선형 코일 스프링의 하단부는 상기 하부 디스크(49b)에 접지되고, 스프링(48a)의 상단부는 상부 디스크(49a)에 접지된다. 상기 하부 디스크(49b)는 플런저(52)에 고정적으로 장착되며, 상부 디스크(49a)는 플런저(52)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된다. 상부 디스크(49a)는 또한 수직방향으로 지향되는 크랭크 부재(54)에 선회가능하게 부착된다. 크랭크 부재(54)는 크랭크샤프트(도시안됨)를 경유하여 수직방향 요소(50)의 대향되는 측면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지향되는 핸들(56)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크랭크샤프트는 요소(50)의 구멍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핸들(56)이 수평방향으로 위치되어 후방을 가리킬 때(도 2b 참조), 상기 크랭크 부재(54)는 하방을 가리키면서 스프링(48a)을 압축시킨다. 스프링(48a)이 압축되면 프레임(42)이 하방으로 압압된다. 핸들(56)은 래칫(58)에 의해 적소에 유지된다. 상기 래칫이 이완되고 핸들(56)이 전방향을 가리키는 수평위치로 회전되면, 상기 크랭크 부재(54)는 상방향을 가리키게 되어, 스프링의 압축을 해제시킨다(도 2a 참조). 상기 래칫(58)은 수직방향 요소(50)내에서 개구부내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어, 핸들을 이완시키기 위해 핸들(56)로부터 멀어지도록 변위될 수 있다.
요동 아암(60)은 돌출 러그(38)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며, 이하에 상술하는 바와 같은 이유로 상기 요동 아암(60)을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32)로부터 격리시키기 위한 스페이서 요소(62)를 포함한다. 요동 아암(60)은 조인트(61)를 경유하여 고정적으로 부착되는 두 개의 격리 부재들(60a 및 60b)을 구비할 수 있다. 요동 아암(60)은 간단한 체결 기구(63)에 위해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수평방향 위치로 체결될 수 있다. 체결 기구(63)는 간단한 L형 부재이며, 이러한 L형 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32)상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L형 부재의 다른 단부는 요동 아암(60)의 바닥 부분에 접지되어 상기 요동 아암(60)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요동 아암(60)은 상기 체결 기구(63)를 요동 아암(6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선회시킴으로써 그 체결이 해제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스핀들들(64, 66)은 요동 아암(6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스핀들(66)의 세부는 도 6a 및 도 6b와 관련하여 이하에 상술하기로 한다.
제 1 스핀들(64)은 구동 기어(68)에 고정되고, 제 2 스핀들(66)은 종동 기어(70)에 고정된다. 아이들러 기어(72)는 요동 아암(6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구동 및 종동 기어들(68, 70)과 맞물린다. 상기 구동 기어(68)는 상기 종동 기어(70)보다 대체로 크게되어, 상기 제 2 스핀들(66)이 상기 제 1 스핀들(64)보다 빠른 속도로 구동되도록 한다.
스핀들들(64, 66) 및 로울러(46)의 배열체는 핸드레일의 상부 표면에 접착제 필름을 인가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필름이 핸드레일의 측연부들을 따라 균일하게 그리고 핸드레일의 하면에 최소한 부분적으로 인가되도록 하기 위해, 가압 기구(90)가 제공된다. 가압 기구(90)는 제 1 및 제 2 반편들(92a, 92b)을 갖는 트로프형 부재(92)를 구비한다. 요소 반편들(92a, 92b)의 각각은 얕은 슬로트들 또는 슬리이브들을 형성하기 위해 조합되는 요소들(94)을 포함한다. 요소들(94)에 의해 형성되는 슬리이브들에 계합되는 연부 부분들을 제공하기 위해, 180°회전된 T자의 형상을 취하는 지지 부재(96)가 각각의 크로스 부재들(36, 37)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된다. 이에 따라, 트로프형 요소 반편들(92a, 92b)이 측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도록 그리고 다른 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되도록 장착된다.
도 1, 8a 및 8b에 가장 명확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중심 기구(100)는 상기 트로프형 요소 반편들(92a, 92b)에 선회가능하게 각각 장착되는 제 1 아암(101) 및 제 2 아암(102)을 구비한다. 상기 제 2 아암(102)은 둔각을 형성하 고 두 개의 대체로 평행한 측방향 부재들로 형성된다. 제 2 아암(102)의 자유 단부(104)는 작동 핸들을 제공한다. 제 1 아암(101)은 대체로 둔각의 중심에서 상기 제 2 아암(102)에 선회가능하게 부착된다. 핸들(104)이 공지된 방식으로 상승되어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32)를 향하여 선회되면, 상기 트로프형 요소들(92a, 92b)이 상기 반전된 T형 부재(96)를 따라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도 8b 참조). 상기 핸들 단부(104)가 도 8a에 도시한 위치로 변위되면, 상기 트로프형 요소 반편들(92a, 29b)은 도시한 위치를 향하여 서로 당겨진다. 상기 제 1 아암(101)은 도 8a 및 8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너트(105) 및 볼트(105a)의 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너트(105)는 상기 제 1 아암(101)을 짧게 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제 1 아암(101)이 짧아지면, 상기 트로프형 요소 반편들(92a, 92b)이 서로 근접되도록 당겨져서 폐쇄위치에 유지된다. 이에 따라, 다른 크기들을 갖는 핸드레일들에 대응한 트로프 폭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도 1, 도 9a 내지 도 9f, 도 10, 및 도 11a 내지 도 11f를 참조하면, 일련의 로울러들(110, 111, 112, 113, 114 및 115)이 각각의 요소 반편들(92a, 92b)의 내부에서 로울러 장착용 기구들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로울러들(110 내지 115)은, 로울러들(110)이 장치의 중심선 및 핸드레일의 중심선에 비교적 근접되도록, 장착된다. 로울러들(110)은 위치(110a)에서 상기 요소 반편들(92a, 92b)의 후방을 향하여 장착된다(도 10 참조). 상기 다른 로울러들(111, 112, 113, 114 및 115)은, 핸드레일 둘레에 필름을 점차적으로 덧씌우기 위해, 상기 중심선으로부터 점진적으로 멀어지도록 그리고 위치들(111a, 112a, 113a, 114a 및 115a)에서 기구 의 전방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근접되도록 배치된다. 로울러 장착용 기구(212)(도 11a, 11d 참조)상에서 총괄적으로 210으로서 도시한 로울러들(110 내지 113)은 프레임(214)상에 장착된다. 상기 프레임(214)은 두 개의 측방향 부재들(216) 및 세 개의 크로스 부재들(218, 220 및 222)을 구비한다. 상기 로울러(210)는 상기 크로스 부재(218)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프레임(214)은 로울러 기구의 베이스(226)로부터 연장되는 두 개의 러그들(224)상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된다. 나선형 비틀림 스프링(228)은 크로스 부재(222)상에 장착된다. 스프링의 일단부는 베이스(226)에 대해 압축되고 다른 단부는 크로스 부재(220)에 대해 압축된다. 스프링(228)은 그러므로 프레임(214) 및 로울러(210)를 핸드레일(200)을 향하여 내측으로 압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베이스(226)는 각각의 트로프형 요소 반편들(92a, 92b)에 장착된다.
주로 도 11b, 도 11c, 도 11e 및 도 11f를 참조하면, 로울러들(114 및 115)은 특정의 예외를 가지고 로울러 장착용 기구들내에 유사하게 장착된다. 첫번째로, 로울러들(114 및 115)은 로울러들(110 내지 113)보다 작은 직경들을 갖는다. 또한, 로울러들(114 및 115)은 스페이싱 요소(230)에 의해 상기 스프링(228)으로부터 측방향으로 격설된다. 이러한 두 가지 차이점들은, 상기 로울러들로 하여금 공간이 마련되는 핸드레일의 쇼울더에 대해 필름을 압착시키도록 하기 위해 설계된 것이다.
도 2, 도 9e, 도 9f 및 도 10에 가장 명확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트로프형 요소 반편들(92a, 92b)은 전방향 연장부(116)를 포함한다. 각각의 연장부(116)들에는 브래킷들(118 및 119)이 장착된다. 로울러들(114)은 제 1 브래킷들(118)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로울러들(115)은 제 2 브래킷들(119)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스핀들(66)용의 클러치 기구 및 양 스핀들(64, 66)을 위한 마찰 장착 기구의 세부들을 도시한다. 각각의 스핀들(64, 66)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핀들 본체(120)를 포함하고, 각각의 스핀들 본체(120)는 각각의 기어(68, 70)에 부착된다. 그러나, 스핀들(66)만은 클러치 기구를 아울러 포함한다.
스핀들(66)의 스핀들 본체(120)는 샤프트(124)상에 장착되는 내부의 관형 베어링(122)을 포함한다. 상기 샤프트(124)는 확대된 헤드(126)를 갖는다. 나선형 코일 스프링(128)은 상기 확대된 헤드(126)와 상기 베어링(122)의 단부에 접지되는 와셔(130) 사이에 장착된다. 상기 코일 스프링(128)은 샤프트(124)상에 장착되는 기어(70)에 대해 상기 스핀들 본체(120)를 압착시킨다.
상기 샤프트(124)는 요동 아암(60)내에서 베어링 구멍(134)을 관통하여 연장되며, 와셔들(136)은 요동 아암(60)의 양 측면들상에 제공된다. 상기 와셔들(136)은 상기 샤프트(124)에 고정되거나 상기 샤프트(124)와 일체로 된다.
스핀들 본체(120)의 내부에는, 돌출 레버 단부 또는 작동 부분(140)을 포함하는 레버(138)가 위치된다. 상기 레버(138)는 지점 142에서 선회가능하게 장착되고, 스프링(144)은 상기 레버를 반경방향 외측으로 압압한다. 베어링 돌출부들(146)은 상기 관형 스핀들 본체(120)내의 개구부들을 관통하여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사용시,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름으로부터의 박리 시트를 권취하기 위한 롤(150)을 장착시키기 위해, 레버 단부(140)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압축되고 이에 따라 돌출부들(146)이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롤(150)은 스핀들(66)상에서 슬라이딩된다. 롤(150)이 적소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138)는 놓아질 수 있다. 그리고나서, 상기 스프링(144)이 롤(150)의 내면에 대해 상기 베어링 돌출부들(146)을 압착시키기 위해 작용하여 상기 슬리이브를 확실하게 장착시킨다. 토크는 슬리이브(150)와 스핀들 본체(120) 사이에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128) 및 스핀들(66)의 관련되는 요소들의 배열체는 관형 스핀들 본체(120) 및 샤프트(124) 사이의 토크 전달을 제한하기 위한 클러치로서 작용한다. 특히, 상기 두 개의 스핀들들(64, 66) 사이에 요청되는 구동비는, 두 개의 스핀들들상의 롤들의 크기가 변화됨에 따라, 변화된다. 항상 완전히 정확한 구동비를 유지하는 것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구동 및 종동 기어들(68, 70) 사이의 구동비는, 최소한 제 2 스핀들(66)이 스핀들(66)상의 롤들의 모든 유효 크기들(유효 크기는 그에 권취되는 재료를 포함하는 특정 순간에서의 롤의 직경임)에 대해 요청되는 속도보다 약간 빠른 속도로 구동되도록, 결정된다. 그리고나서, 특정의 초과되는 속도는 스핀들(66)내의 클러치 기구에 의해 효과적으로 소산된다. 사용시에는, 이에 따라 박리 시트를 권취시키도록 일정한 토크가 유지될 수 있다.
이하, 도 4, 도 5, 도 7, 도 8, 도 12 및 도 13을 참조로하여, 바람직한 필 름 형상 및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첫번째로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의 횡간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러한 횡간 단면은 핸드레일의 종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에서 도시된다. 상기 필름은 도면부호 160으로 도시하며, 그 하면상에 제 1 접착제층(164)을 갖는 제 1 필름층(162)을 구비한다. 상기 필름을 인가될 때까지 보호하기 위해 그리고 상기 필름이 슬리이브(150)상에 권취되도록 하기 위해, 박리 시트(166)가 공지된 방식으로 제공된다.
상기 제 1 층(162)의 상면상에는, 도면부호 168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물이 제공된다. 상기 인쇄물은 텍스트, 로고, 이미지 등일 수 있으며, 종종 반복되는 패턴을 구비할 수 있다.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인쇄물은 다른 층들의 두께에 현저한 영향을 미치지 않기 위해 무시해도 좋은 정도의 두께를 갖는다. 상기 인쇄물(168)은 상기 제 1 필름층(162)의 상면상에 직접적으로 인쇄된다.
인쇄물(168)을 인가하고나서, 각각의 제 2 접착제층(172)을 갖는 제 2 필름층(170)이 상기 제 1 시트의 상면에 인가되어 상기 인쇄물(168)을 두 개의 필름층들(162, 170) 사이에 샌드위치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인쇄물을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각각의 필름층(162, 170)은 바람직하게는 0.076 mm(3 밀)의 두께를 갖는 폴리우레탄 필름으로 구성된다. 상기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투명한 압력감응식 아크릴 접착제로 코팅되는 고 광택의 투명한 가요성 필름이다. 상기 필름들에는 바람직하게는 이면 라이너들이 제공된다. 그러므로, 일단 제 1 필름층(162)의 상면이 인쇄되면, 이면 라이너 또는 박리 시트가 제거된 후에, 그 연관되는 접착제(172)를 갖는 상기 제 2 필름층(170)이 상기 제 1 필름층(162)의 상면에 인가되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조합된 필름(160)을 형성하게 된다.
공급되는 필름의 두께는 공통적으로 수 피트(feet)로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필름은 특별한 핸드레일 용도에 따라 여러가지 폭을 갖도록 절단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필름층들(162, 170)은 모두 투명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특정 용도의 경우에는, 상기 제 2 필름층(170)을 채색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제 2 필름층(170)은 무늬가 없는 균일한 색상을 가져서 광고물 또는 회사 로고에 대해 적당한 배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색상은 특별한 제품 또는 제조회사와 연관되는 색상일 수 있다. 부가적으로, 요구되는 경우, 상기 제 1 필름층(162)은 특정의 착색부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면은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식 보도용 핸드레일을 단순히 보호하기 위한 필름의 사용과 관련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필름(160)은 단일층을 갖는다. 그러한 용도를 위해, 상기 제 2 필름층(170) 및 그 접착제(172)는 생략될 수 있다. 완전함을 위해, 생각할 수 있는 바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용도들에 있어서, 특정의 인쇄물이 상기 제 1 필름층(162)의 상면에 여전히 제공될 수 있지만, 그러한 인쇄물은 보호되지 않으며 핸드레일 구동 기구를 관통한 통과중 지나치게 마모되거나 흠집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정렬 기구를 나타내는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정렬 기구는 근본적으로 다섯 개의 부재로된 평행사변형 기구를 구비한다. 상기 기구(180)는 한 쌍의 횡방향 요소들(184)에 선회가능하게 부착되는 한 쌍의 측방향 요소들(182)을 구비한다. 중앙 요소(186)는 상기 측방향 요소들(182)에 평행하게 종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횡방향 요소들(184)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된다. 인장 스프링들(188)은 생략될 수 있다. 스프링들(188)이 생략되면, 유니트를 손으로 유지시키기가 쉽게 되며 중심 요소(186) 및 횡방향 요소들(184)의 단부들 사이에 장착되는 기구의 중심을 유지하기 위해 요청되는 폐쇄 장력을 제공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인장 스프링들(188)은 측방향 요소들(182)을 함께 압압하도록 작용하여, 요소들(182, 184)에 의해 형성되는 평행사변형을 전복시킨다.
상기 중심 요소(186)상에는 레이저와 같은 광원(190)이 장착된다. 상기 레이저(190)는 상기 중심 요소(186)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는 브래킷(192)내에 장착된다.
요소들(182, 184) 사이의 피벗 연결부들은 피벗 핀들에 의해 형성되고, 이러한 피벗 핀들중의 하나를 도면부호 194로 도시한다. 각각의 피벗 핀(194)에는, 각각의 측방향 요소(182)의 하방에서, 원통형 칼라(196)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장비의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첫번째로, 필름이 핸드레일에 인가되기 전에, 핸드레일이 적당한 준비상태에 있어야 한다. 일정기간에 걸친 사용후에 대부분의 핸드레일들에는 먼지 및 기름 때가 형성되어 접착성 필름의 적당한 고착을 방해하게 된다.
따라서, 핸드레일은 첫번째로, 바람직하게는 모든 먼지 및 기름 때를 제거하 기 위한 EH-101 용매 혼합물인, 용매로 세척된다. EH-101 용매 혼합물은 에틸 아세테이트, 나프타, 톨루엔 및 벤젠으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작동자들은 고무 장갑들을 착용하고 적당한 도포기들을 사용하여야 한다.
핸드레일은 그리고나서 필름의 인가를 방해하는 홈 및 결함들의 존재 여부에 대해 검사된다. 깊은 홈이 존재되면, 핸드레일은 필름이 인가되기 전에 교체되어야 한다.
특정의 깊은 얼룩들 또는 흠집들은 문지름 패드 및 EH-101 용매 혼합물을 이용하여 제거되어야 한다.
상기 핸드레일은 핸드레일의 노출된 연장부를 첫번째로 세척하므로써 청결화되고,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식 보도의 양 핸드레일들은 동시에 세척된다. 각각의 연장부는 차이나 마커(china marker)로 마킹된다. 에스컬레이터의 구동 기구가 그리고나서 사용되어 에스컬레이터 및 그 핸드레일을 마킹된 그리고 세척된 구역들의 단부로 얼마간 이동시키며 핸드레일들의 다른 연신부들을 노출시키게 된다. 이러한 절차는 에스컬레이터의 양 핸드레일들의 전체 길이부가 세척될 때까지 반복된다.
일단 세척이 완료되면, 핸드레일은 실런트로 코팅되어 필름과 핸드레일 사이의 접착제 접합부를 약간 감소시킨다. 이에 따라, 인가된 필름이 정상적으로 박리될 수 있게 된다. 적당한 실런트는 대체로 박막으로서 특정화되는 바대로 인가된다. 실런트 막은 매끄럽고 광택이 있는 피니시로 닦여진다. 다시, 에스컬레이터의 두 개의 측면들상의 핸드레일들은 동시에 처리될 수 있다. 상기 핸드레일들은 시일된 구역을 나타내기 위해 차이나 마커로 마킹되며, 그리고나서 에스컬레이터 구동 기구를 이용하여 얼마간 이동되며, 이러한 과정은 양 핸드레일들이 처리되고 시일링될 때까지 반복된다.
에스컬레이터용 필름을 제공하기 위해, 필름의 두 개의 매칭되는 롤들이 각각의 핸드레일을 위해 제공된다. 상기 핸드레일들은 별도로 인가되는 필름을 갖는다. 이론적으로는, 양 필름들을 동시에 인가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 것은 대체로 실용적이지 못하다. 필름의 인가를 주의깊게 감시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이 밝혀졌으며, 때때로 조절등이 요청된다. 두 개의 필름들을 동시에 감시하는 것은 어렵게 된다.
에스컬레이터를 위해, 작동자에게는 필름의 두 개의 매칭되는 롤이 각각의 핸드레일을 위해 제공되며; 도면에서 상기 핸드레일은 도면부호 200으로 도시하고 그 난간은 198로 도시한다. 필름의 롤들은 도면부호 174로 도시한다. 첫번째로, 작동자는 정확한 롤(174)들이 특정 영역 또는 에스컬레이터를 위해 제공되었는 가를 확인하여야 한다. 롤들의 권취 형상도 점검되어야 한다. 통상적으로는, 대부분의 광고물은 상방향 및 하방향 에스컬레이터들의 각각에 대해 하나의 방향에서 관찰되어야 하고 적당한 방위에서 인가되어야 한다.
장치(10)는 그리고나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난간(198)에 장착되고, 지지 부재(12)가 부착되며, 크로스 부재 및 부착되는 부분품들은 제거된다. 상기 장치(10)는 바람직하게는 하방향 에스컬레이터 유니트들의 경우에 에스컬레이터의 상면상에 장착되고 상방향 에스컬레이터 유니트들의 경우에는 에스컬레이터의 하면상에 장착된다. 방해물들이 상기 위치들에서의 장착을 방해하는 상황에서 설치를 행하는 경우에는, 핸드레일의 직선형 경사 부분상의 단부들로부터 이격되도록 장치(10)를 부착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상기 진공 컵들(16)은 공지된 방식으로 펌핑되므로써 난간에 확실하게 장착된다. 상기 지지 부재(12)가 확실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장치 또는 인가기의 잔여부는 요구되는 바에 따라 도 3a 또는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위블 조인트(20)를 상기 제 1 크로스 부재(19)상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장착된다.
상기 요동 아암은 상기 체결 기구(63)와 함께 후퇴위치로 상승된다. 필름용 롤(174)이 그리고나서 상기 제 1 스핀들(64)상에 장착된다. 상기 필름용 롤은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리고 이하에 상술하는 바와 같이 장착된다.
장치(10)는, 상기 트로프형 가압 기구(90)가 개방 형상으로 유지되는 상태에서(도 8b 참조) 상기 난간(198)상에 장착된다. 각각의 가압 기구(90)는 그리고나서 폐쇄된다. 상기 피벗 연결부들(18, 22) 및 슬라이딩식 스위블 조인트(20)가 요청되는 바에 따라 헐거워진 상태에서, 장치의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 위치가 조절된다. 상기 후방 로울러(41) 및 로울러들(110 내지 115)은, 상기 장치가 상기 핸드레일에 관하여 정확하게 배치되는 것을 보장한다. 필요한 경우, 상기 너트 및 볼트 조립체(105, 105a)가 조절된다. 상기 장치가 적당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피벗 연결부들(18, 22) 및 상기 슬라이딩식 스위블 조인트(20)가 체결될 수 있다. 최종적인 각도 조절은 기포 수준기(bubble level)를 이용하므로써 달성된다.
그리고나서는 정렬 및 틈새들이 점검되어야 한다. 정렬은 도 13에 도시한 기구를 이용하여 점검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상기 박리 시트(166)의 중심 라인이 측정되고 자(ruler)와 펜으로 마킹되거나, 또는 상기 박리 시트에 초기인쇄된 중심선이 제공될 수 있다. 첫번째로, 정렬 기구(180)의 측방향 요소들(182)이 파지되고 측방향으로 변위되며, 상기 기구(180)는 상기 핸드레일(200)상으로 끼워진다. 상기 측방향 요소들(182)이 그리고나서 이완되며, 이에 따라, 상기 스프링들(188)은 상기 기구(180)를 핸드레일(200)의 측면들에 대해 부드럽게 접지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레이저(190)가 핸드레일의 중심과 자동적으로 정렬된다. 레이저(190)의 각도상 위치는 필요한 경우 조절될 수 있다.
중심선 마킹에 관한 레이저 비임의 위치는 롤(174)이 적당하게 정렬되었는 가를 나타낸다. 필요한 경우, 스핀들 레버(140)를 누름으로써 상기 마킹 및 레이저가 일치될 때까지 상기 스핀들 장력 및 슬라이딩 롤(174)을 이완시킴으로써 롤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레이저 가이드는 그리고나서 핸드레일로부터 제거된다.
요동 아암(60)은 체결 기구(63)를 이용하여 적소에 체결되며, 가압 기구(90)는 개방된다. 상기 로울러(46)는 핸들(56)을 전방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도 2a에 도시한 후퇴된 위치에 유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크랭크 부재(54)는 상방향을 가리키게 되며 로울러(46)는 핸드레일의 상부로 상승된다. 롤(174)이 적소에 위치된 상태에서, 필름의 단부(160a)는 후퇴된 로울러(46)의 둘레로 공급되고 개방된 압축 기구(70)를 관통하여 수동적으로 당겨져서 핸드레일의 길이를 따라 지향된다. 필름의 후방 단부는, 박리 시트(166)의 대응되는 길이가 박리된 후에, 핸드 레일의 측면들 둘레로 덧씌워진다. 이러한 지점에서의 고착은 주름부들 및 에어 포켓을 생성한다. 상기 가압 기구(90)는 그리고나서 폐쇄되며 필름(160)으로부터 박리되는 박리 시트(166)는 롤(174)의 둘레 및 상부로 지향되어 테이프에 의해 권취 롤(178)에 고정된다. 상기 롤(178)은 스핀들(66)상에 장착된다. 상기 크랭크는 래킷(58)으로부터 분리되어 180°회전되고, 상기 크랭크 기구(54)는 이제 크랭크샤프트에 관하여 하방향으로 지향하게 되며, 상기 로울러(46)는 스프링에 의해 압축되어 핸드레일(200)(도 2b 참조)과 접촉된다. 상기 요동 아암(60)은 그리고나서 체결이 해제되며, 상기 롤(174)은 로울러(46)에 대해 접지되어 로울러(46)를 추종한다. 상기 요동 아암(60)의 중량은 필름의 인가중 필름에 인가되는 힘에 부가된다.
필름(160)이 일단 핸드레일(200)에 접촉되면, 상기 필름(160)은 짧은 거리만큼 이동되며, 이에 따라 상방향 이동거리가 설정되며 중심 정렬이 이루어지게 된다. 필름의 연부들은 핸드레일 쇼울더들상에서 균일하고 대칭적이어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롤(174)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단부(160a)에 근접한 필름의 선두 부분은 그리고나서 도 7c에 도시한 형상으로 핸드레일(200)의 둘레에 수동적으로 덧씌워지며, 이에 따라 어떠한 특정의 기포도 필름 아래에 형성되지 않고 잔류되지 않는다. 상기 가압 기구(90)는 그리고나서 폐쇄되며, 에스컬레이터는 얼마간 이동되어 약 5 피트의 시험적인 스트립을 연장시킴으로써 어떠한 특정의 기포 또는 주름부들도 형성되지 않도록 한다. 롤(46)에 의해 인가되는 압력은 플런저(52)상의 스프링(48a)아래로 너트(도시안됨)를 회전시킴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가압 기구(90)내의 롤 압력은 압축 기구의 두 개의 반편들의 폐쇄 정도를 변화시키는 상기 볼트(105a)를 회전시킴으로써 조절된다.
상기 장치가 적당한 틈새를 가지고 적당하게 중심잡힌 상태로 유지되고 필름(160)이 주름, 기포 등이 없이 균일하게 인가되면, 상기 에스컬레이터는 핸드레일의 전체길이 둘레로 필름을 연장시키기 위해 작동될 수 있다.
작동자는 필름의 단부(160a)가 장치(10)를 향하여 이동되는 가를 감시한다. 손에 의해 눌려진 단부(160a)는 로울러(41)의 하면으로 통과되고, 이에 따라, 상기 필름은 상기 핸드레일상으로 적당한 정도로 압축된다. 상기 단부(160a)가 일단 기구로 복귀되면, 필름의 일부분은 약 30.5 cm(12 인치)만큼 상기 단부(160a)와 중첩된다.
이 때, 상기 요동 아암(60)이 상승되며, 로울러(46)상의 압력은 핸들(56)을 누름으로써 해제된다. 상기 가압 기구(90)는 개방된다. 필름은 절단된다. 나사 부재(21)은 헐거워져서 상기 지지 부재(12)로부터의 장치(10)의 상부 부분의 제거를 허용한다. 상기 진공 컵(16)들을 갖는 상기 지지 부재(12)는 그리고나서 별도로 제거된다.
그리고나서 여분의 필름을 7.6 내지 10.2 cm(3 내지 4 인치) 정도 당김으로써 맞댐 중첩부가 형성된다. 상기 맞댐 중첩부는 90°의 각도로 깨끗하게 트리밍된다. 그리고나서, 상기 맞댐 중첩부는 손에 의해 매끄럽게 다듬어져서 어떠한 기포 또는 주름부도 존재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맞댐 중첩부는, 로울러들 및 상기 핸드레일에 접촉되는 다른 구동 요소들의 자연적인 작용이 필름의 단부를 상승시키기보다는 상기 맞댐 조인트를 매끄럽게 하도록, 마련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필름(160)이 광고물을 포함하는 경우에, 에스컬레이터가 예정된 기간동 안 특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사실,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에 대한 광고료는 시간 베이스로 결정된다.
특정 광고 시간이 종료되면, 필름을 교체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그러므로 기존 필름은 제거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에스컬레이터는 핸드레일상에서 노출되는 필름 접합부에서 정지된다(각각의 핸드레일로부터 필름이 별도로 박리되어야 한다). 필름의 단부는 박리되어 핸드레일에 마지막으로 인가된 단부를 노출시킨다. 상기 단부도 그리고나서 박리될 수 있다. 필름이 청결하게 박리되었으면, 에스컬레이터가 가동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에스컬레이터의 상부 또는 하부에 직립된 상태에서 스트립이 연속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필름(160)이 핸드레일(200)상에 특정의 잔류물을 남기게 되면, 청결화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핸드레일(200)을 더욱 천천히 진행시키면서 스트립을 주의깊게 박리시키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에스컬레이터를 턴오프시키고 작은 계단들에서 낮은 각도로부터 시작하여 필름을 립 구역으로부터 상부면을 향하여 박리하여 점차적으로 진행하면서 접착제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된다.
핸드레일상에 잔류되는 특정의 접착제는 제거되어야 한다. 접착제를 제거하기 위해, EH-101 용매 혼합물, 아세톤, 오일 플로(Oil Flo)나 리프트오프(Liftoff) 또는 다른 적당한 용매가 제조회사의 지시내용에 따라 사용되어야 한다.
이전에 인가되었던 필름을 갖는 핸드레일의 경우에 있어서 조차도, 상기한 바와 같이 세척되고 시일링되어야 한다.
도 14,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핸드레일로부터 필름을 박리 또는 제거하기 위한 장치를 도면부호 210으로서 도시한다. 여기서, 이동식 보도 등의 난간(212)도 일예로서 도시되며, 핸드레일(214)은 횡간 단면도로 도시한다.
상기 장치(210)는 한 쌍의 흡인 컵들(216)을 가지며, 상기 흡인 컵들(216)은 선행 실시예의 흡인 컵들(16)에 대응된다. 지지 아암(218)은 상기 지지 부재(12)에 대응하여 상기 흡인 컵(216)으로부터 연장되도록 제공된다. 종방향 부재(220)는 대체로 L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지지 아암(218)에 장착된다. 상기 부재(220)는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부 부분(222)을 가져서 전체적으로 L자의 형상을 마련한다.
상기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222)에는 요크(224)가 선회가능하게 장착된다. 핀(226)은 상기 요크(224)의 측방향 아암들(228) 사이에서 연장되고, 구동 드럼 또는 실린더(230)는 상기 샤프트(226)상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제 1 구동 기어(232)는 샹기 샤프트(226)에 고정적으로 장착된다. 제 1 클러치 플레이트(234)는 압축 플레이트(236)에 부착되며, 상기 압축 플레이트(236)는 상기 샤프트(226)상에 슬라이딩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샤프트(226)와 함께 회전되도록 하기 위해 스플라인 등이 제공된다. 제 2 클러치 플레이트(235)는 상기 구동 드럼(230)에 고정된다. 스프링(238)은 상기 두 개의 클러치 플레이트들(234, 236)을 함께 압축시키기 위해 제공되어 하나의 아암(228)과 압축 플레이트(236) 사이에서 작용한다.
따라서, 사용시, 상기 구동 드럼(230)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하는 바와 같 이, 상기 회전 드럼은 상기 두 개의 클러치 플레이트들(234, 236)을 관통하여 구동력을 상기 샤프트(226)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제 1 구동 기어(232)가 구동된다.
요동 아암(240)은 상기 샤프트(226)상에 자유롭게 선회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아이들러 기어(242)는 상기 요동 아암(240)의 중간부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된다. 다른 샤프트(244)는 상기 요동 아암(240)의 다른 단부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된다.
제 2 구동 기어(246) 및 연관되는 제 1 스핀들(247)은 함께 그리고 상기 샤프트(244)에 고정된다.
필요한 압력들을 유지하기 위해, 압압 스프링들을 갖는 삽통식 샤프트들이 도면부호 248 및 249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공된다. 상기 샤프트(248)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220) 및 요크(224)의 측방향 아암(228)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 2 삽통식 샤프트(249)는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220)와 상기 요동 아암(240)의 사이에서 선회가능하게 연장되어 (이하에 상술하는 바와 같이) 권취용 롤을 핸드레일에 대해 압착된 상태로 유지시킨다.
사용시에는, 상기 장치(210)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된다. 상기 장치(210)는, 상기 구동 로울러(230)가 진공 클램프들(216) 및 지지 아암(218)의 적당한 조절에 의해 핸드레일(214)의 상면에 대해 압착된 상태에서, 장착된다. 권취용 롤(250)은, 토크 또는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상기 스핀들(247)상에 장착된다. 핸드레일은 그리고나서 화살표 252의 방향에서 구동되어 드럼(230)을 회전시킨다. 상기 구동 기어들(232 및 246)은, 상기 권취용 로울(250)의 표면이 상기 핸드레일(214)보다 큰 속도로 이동되도록, 크기가 결정된다. 이하에 상술하는 바와 같이, 필름은 롤(250)상에 연속적으로 권취되어, 상기 표면 속도 또는 원주방향 속도가 일정한 각속도에 대해 증가되도록 한다. 상기 클러치 플레이트들(234, 235)에 의해 형성되는 클러치 기구는, 상기한 바와 같은 장치와 연관되는 한, 속도 차이를 보상하도록 그리고 권취용 롤(250)상에 일정한 토크가 유지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필름(254)이 핸드레일상에 존재되는 상태에서, 필름의 자유 단부(256)는 첫번째로 핸드레일로부터 수동적으로 분리되어 롤(250)의 둘레에 충분한 정도로 권취되므로써 롤(250)에 고정된다.
따라서, 핸드레일(214)이 도면부호 252로 도시한 방향에서 구동되면, 장치(210)의 기구는 필름(254)을 연속적으로 제거하여 롤(250)상에 권취시킨다. 이러한 권취작업은 전체 필름이 제거될 때까지 계속된다. 이 때, 상기 장치(210)는 그리고나서 이동식 보도 또는 에스컬레이터의 대향되는 측면상의 필름을 공지된 방식으로 제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상기 장치를 에스컬레이터들 및 이동식 핸드레일들의 양 측면들에 장착시키도록, 상기 지지 아암(218)이 구성된다는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12.7 cm(5 인치) 넓이의 필름에 대해, 요청되는 박리 강도 또는 하중은 155뉴톤(35 파운드)인 것이 밝혀졌다. 이 것은 상당한 정도의 하중이며, 특별히 비교적 낮은 장력 레벨로 세팅된 상태에서 특정의 경우에는 핸드레일 구동 기구의 미끄러짐이 유발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항들에 있어서는, 상기 구동 기구(230)에 예컨대 전동기와 같은 별도의 동력원이 제공되어 필름 제거중 장치(210) 및 핸드레일 모두의 적당한 구동을 보장할 수 있다. 택일적으로, 상기 구동 기구(230)는 생략될 수 있으며 별도의 구동부가 상기 스핀들(248)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210)는 전기한 바 있는 장치(10)와 일체화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 부재(12) 및 지지 아암(218)은 서로 일체화될 수 있고, 적당한 개수의 흡인 컵들(16, 216)이 제공될 수 있다. 조합된 장치를 위해, 두 개의 흡인 컵들이 충분할 수도 있고 또는 두 개보다 많은 흡인 컵들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그리고나서, 상기 장치(10)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32) 및 상기 박리용 또는 제거용 장치(210)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220)는 서로 일체화되어 일체화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조합된 장치는 하나의 필름의 벗겨냄 또는 제거 및 오래된 필름을 교체시키기 위한 새로운 필름의 장착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명확하게는, 이러한 사항들은, 필름을 벗겨내는 작업에 의해, 접착제 등의 바람직하지 않은 흔적을 남기지 않으면서, 핸드레일이 충분히 청결한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에만 허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조합된 장치에 있어서는, 기존의 필름을 제거하고 새로운 필름을 설치하기 위해 요청되는 증가된 하중에 기인하여, 핸드레일의 우발적인 정지 문제가 매우 심각하게 제기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동기 등과는 독립된 특정의 별도의 구동부를 상기 장비를 구동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17a 내지 도 17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필름내에 통합되기 위한 천공 패턴의 예들을 나타낸다. 상기 필름에 비교적 강한 접착제를 제공하는 방안이 당 업계에 공지되어 있지만, 차후에 상술되는 바와 같이, 이 경우, 문제점이 제기될 수 있는 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천공부들이 제공된다. 접착제가 적당하게 작용할 때에는, 필름이 적소에 유지되며 제거되지 않으며 구동 기구와 뭉치지 않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러가지 이유로, 필름의 연부 또는 단부 또는 필름의 다른 부분들이 하나 또는 다른 이유들로 인해 분리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서 제안된 필름은 현저한 강도를 가지며 사실 12.7 cm(5인치) 폭에 대해 1,110 뉴톤(250 파운드)의 파괴 강도를 갖는 다는 것이 밝혀졌다. 필름의 연부가 분리되면, 필름의 연부는 핸드레일의 구동 또는 안내 기구와 뭉치게 된다. 생각할 수 있는 바로는, 필름의 단부는 안내 로울러의 둘레에 덧씌워지며 점진적으로 필름의 전체 길이를 제거하여 로울러상에 권취되도록 하고; 마찬가지로, 전체 길이가 제거되기 전에 상기 기구에 끼이게 된다. 어느 경우에나, 이러한 현상은 매우 바람직스럽지 않게 되며, 심각한 정도의 유지상 문제점을 일으킨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본 발명은 비교적 기술 숙련도가 낮은 개인 또는 최소한 에스컬레이터 또는 핸드레일 구동 기구에 관한 특정의 상세한 지식이 없는 개인에 의해 작동되도록 의도된다. 이러한 개인은 구동 또는 안내 기구의 일부 주변에서의 필름의 뭉침을 해결하기 위한 특별한 기술을 가질 필요는 없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천공부들에 의해 필름을 약화시키는 방안이 본 발명에 따라 강구된다. 특정의 연부가 자유롭게 되어 구동 기구 등의 일부에 고착되면, 상기 필름이 라인들 또는 천공부들에서 격리되는 필름에 의해 필름의 작은 부분이 핸드레일로부터 분리된다. 이 때, 필름의 작은 부분이 분리되고 핸드레일의 작동을 방해하지 않아야 한다. 필름을 검사할 때 또는 필름을 교체시킬 때, 필름의 하나 이상의 부분들이 분리되며 이러한 부분들이 구동 기구의 보이지 않는 부분들에 부착되는 바, 이러한 사항은 차후의 자격을 갖춘 보수팀에 의한 검사를 받아야만 알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필름의 12.7 cm(5 인치) 폭에 대한 박리 강도는 약 155 뉴톤(35 파운드)인 것으로 밝혀졌다. 필름의 강도를 대체로 200 뉴톤(45 파운드)으로 약화시키기 위한 천공부들을 제공하는 방안이 본 발명에 따라 강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름이 핸드레일로부터 박리되도록 하기 위해 충분한 여백부가 제공되고, 동시에 필름의 강도가 1,110 뉴톤(250 파운드)의 본래 강도로부터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특정의 초과적인 그리고 원하여지지 않는 하중이 구동 및 안내 기구의 특정의 부분들에 인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7a, 17b를 참조하면, 택일적인 천공 패턴들을 상세하게 도시한다. 특정의 적당한 천공 형상도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천공부들의 배열체가 필름상에 위치되는 광고물에 따라 형상화되거나 그리고 심지어는 광고물의 일부로서 통합될 수 있고; 한편으로는 상기 천공부들은 통상적인 사용자에게 크게 보여질 수 있도록 의도된다.

도 17a 내지 도 17d에는 핸드레일의 단순화된 도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모든 도면에서 핸드레일의 종축은 상기 모든 도면들에 있어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다. 천공 패턴이 적당한 간격, 예컨대, 매 30.5 cm(12인치)의 간격을 두고 반복된다.
먼저 도 17a를 살펴보면, 도면 부호 260으로 표시한 필름에 대각선 방향 천공라인(262)이 제공된다. 또한, 도 17a에는 측면 여백부(264)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은 원래 간단히 설명하자면 충분한 필름 강도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필름 연부에 천공되지 않은 구역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실제로는 그 반대 상황인 것으로 밝혀졌는데, 필름의 강도를 적합한 수준으로 낮추기 위해 전체 폭에 걸쳐 뚜렷한 천공을 가져야만 했다. 이러한 연유로 천공되지 않은 측면 여백부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가 상정된다.
슬릿의 길이와 슬릿간의 간극은 변화될 수 있으며, 하기 표가 그 예를 제시하고 있다.
슬릿 길이(인치/㎜) 슬릿 간극(인치/㎜)
1.3/0.05 5.1/0.2
1.3/0.05 10.2/0.4
1.3/0.05 20.3/0.8
0.6/0.025 20.3/0.8
도 17b는 도 17a에 도시된 예를 약간 변형시킨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에서, 슬릿은 길이 방향이며, 슬릿 또는 천공들이 정렬된 선은 45°대각선이다. 슬릿의 길이는 5.1 mm(0.2 인치)이며, 5.1 mm(0.2 인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또다른 변형예가 도 17c에 도시되어 있다. 모든 핸드레일의 종방향에 대해 방향을 바꾸어가며 45°로 진행되는 여러 선분으로 구성된 천공라인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표에 제시된 슬릿 길이 및 슬릿 간극을 이러한 구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7c는 또한 모든 천공 구조를 갖는 사용될 수 있는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즉, 측면 여백을 형성하는 종방향으로 연장된 천공선(270) 두줄이 제공되어 있다. 측면 여백부는 1.6 mm(0.0625인치)로 비교적 작지만, 크기를 다르게 할 수 있으며, 더욱 크게 예컨대, 6.35 mm(0.25 인치) 이상으로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측면 여백부는 사용중에 핸드레일의 상면을 덮는 필름의 일부가 이들 종방향으로 연장된 천공선(270)에 의해 핸드레일의 립 하면 둘레를 감싸는 필름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17d는 간단한 천공 라인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천공 라인이 필름을 가로질러 수직으로 연장된 직선(272)에 배치되어 있다. 슬릿 길이와 슬릿 간극을 상기 표로부터 취할 수 있다.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천공 라인(270)은 임의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름은 두께가 0.076 mm(3 밀)인 폴리우레탄 2 층으로 제조되는 것이 이상적이다. 필름의 하층은 두께가 0.053 mm(2 밀)이고, 상층은 0.076 mm(3 밀)일 수 있으며, 또는 두층의 두께가 모두 0.053 mm(2 밀)일 수도 있다. 필름의 전체 파단 강도를 줄여 안전성을 위해 파단 강도를 적절한 수준으로 낮추는데 요구되는 천공 수준을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면은 핸드레일 상에 장착되는 가요성 필름을 제공하여 세정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광고 등을 제공하기 보다는 필름의 표면 상에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식 보도의 숨겨지고 포장되는 기구를 통해 진행될 때 세정 기능을 제공하는 코팅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해, 필름은 두 개의 층을 가질 필요는 없다. 도 12의 구조를 살펴보면, 층들(168, 170)과 임의적으로는 층(172)이 본 발명의 정신을 최소한도로 간결화하는 차원에서 생략될 수 있고, 단지 (상술한 것과는 다른 특성들을 갖는)층(162), 접착층(164) 및 박리 시트(166)가 필요하게 된다.
예컨대, 일 실시예에서는, 필름의 상면에 층(172)과 유사하지만 선택된 접착 특성을 가지며 에스컬레이터 기구로부터 잔털, 먼지, 등을 집어내도록 의도된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필름은 상기한 바와 같이 핸드레일에 장착되고, 핸드레일은 일정 기간 동안 작업한다. 이어서, 필름을 제거하여 필름 상에 거두어진 잔털, 먼지 등을 함께 제거한다. 다른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 예컨대, 필름에 핸드레일 기구내부의 표면으로부터 오일, 그리스 등을 흡수하는 다공성 또는 흡수성 구조물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단일층(162)에 이러한 특징을 도입하거나 접착제층(172)으로 필름(162)에 부착된 분리층을 제공하여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시도를 행함에 있어서 고유한 문제점은 많은 에스컬레이터의 구동 기구가 핸드레일 상에 강한 핀치 하중을 가하며, 이는 흡수된 오일, 그리스 및 기타 유체를 짜낼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면, 많은 에스컬레이터가 소위 선형 구동을 이용하는데, 이는 본질적으로 적절한 구동을 제공하는데 높은 핀치 하중을 요구한다.
설치를 위해, 흡수층은 비교적 단단한 물질로 이루어진 종방향으로 연장된 리브 등이 구비된 개방형 다공성 흡수성 물질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리브는 흡수성 재료로 채워질 수 있으며, 다공성 물질의 과도한 압축을 방지하기 위해 롤러의 핀치 하중을 전가하여 흡수된 유체 등이 배출는 것을 방지한다.
또다른 가능한 대안은 다층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예컨대, 바닥 또는 메인 필름의 양면에 접착제를 제공하여 한쪽면이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에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쪽의 접착제는 처음부터 흡수층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필름은 처음에는 흡수층이 오일, 기타 유체 등을 집어내도록 진행한다. 충분한 시간이 지난후, 이 흡수층을 따로 떼어내어 접착층이 노출된 상태로 필름만을 남겨둔다. 이어서, 필름을 구동 기구를 통하여 통과시켜 노출된 접착층이 먼지, 잔털 등을 집어내게 한다. 이어서, 필름을 에스컬레이터로부터 제거하여 퇴적된 먼지, 잔털 등을 제거한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접착제 필름은 하이팔론(Hypalon) 고무 핸드레일에만 붙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이팔론은 듀폰에서 제조한 클로로술폰화 고무이며, UV 특성이 강화되어 있고 채색 가능하다. 고가의 재료이지만 유색 핸드레일이 요구되는 경우 흔히 선택된다.
대부분의 핸드레일은 SBR(스티렌 부타디엔 고무)로 제조되는데, 상기 물질이 대부분의 용도에 맞는 충분한 특성을 갖고 있으며, 저렴하기 때문이다. SBR은 흑색만이 가능하다. 접착제 필름은 처음에는 끈적이다가 SBR로부터 걸러지는 항산화제 성분 때문에 수시간이 아니라면, 수일 내에 탈착될 것이다.
따라서, 바람직한 접착제의 경우, 대부분의 에스컬레이터 부위는 필름을 도 포하기 전에 하이팔론으로의 핸드레일 교체/업그레이드가 필요하다. SBR 핸드레일에 적절히 결합된 적합한 접착제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하였으나, 이하의 청구의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핸드레일 둘레에 필름이 160회 감기는 정도를 조정할 수 있으며, 핸드레일 윤곽 및 설치 사양에 따라 좌우될 것이다. 필름이 감길 경우, 핸드레일 립 둘레가 큰 것이 유리한데 이는 필름의 연부가 사용자로부터 멀리 떨어지고 어떤 연유에서든지 간에 상기를 떼어내고자하는 사람이 쉽게 접근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한편, 필름이 립 둘레 전체에 감긴 경우에는, 핸드레일이 말단 롤러 등을 이동할 때 부딪칠 수 있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이들 두 변수 사이에 절충안이 필요하다.
보다 일반적인 관점에서, 본원에 기재된 필름은 일반적인 계단에 사용되는 고정식 핸드레일에 사용될 수 있다.

Claims (76)

  1. 삭제
  2. 핸드레일(200)에 인가되는 가요성 필름이며,
    핸드레일(200)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며 길고 핸드레일(200)에 맞도록 절단될 수 있으며,
    상기 필름은 제1 필름층(162)을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필름을 핸드레일 상에 제거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상기 제1 필름층(162)의 하면 상의 제 1 접착제층(164), 제2 필름층(170), 및 제2 필름층(170)의 하면을 제1 필름층(162)의 상면에 결합시키는 제2 접착제층(17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필름층(162)에 인쇄물(168)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필름.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핸드레일에 인가되는 가요성 필름이며,
    제1 필름층(162)과, 필름의 하면 상의 제1 접착제층(164)을 포함하고,
    핸드레일(200)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며 길고, 핸드레일의 쇼울더의 적어도 일부의 주위로 연장되며, 선택된 핸드레일(200)에 맞도록 절단될 수 있고,
    핸드레일의 미감을 변화시키거나 핸드레일(200)의 외관을 보호하거나 사용되는 핸드레일(200)의 외관을 개선할 수 있고,
    상기 제1 접착제층은 상기 필름의 제거를 허용하고 상기 가요성 필름은 핸드레일의 치수를 크게 변경시키지 않아서, 핸드레일이 가요성 필름없이 사용될 수 있고 가요성 필름이 다른 가요성 필름으로 교체될 수 있고,
    상기 필름의 하면 상의 인쇄물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접착제층은 상기 인쇄물의 아래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필름.
  19. 긴 핸드레일과, 핸드레일에 접착되는 가요성 필름의 조합체이며,
    상기 가요성 필름은 제1 필름층(162)과, 제1 필름층(162)을 핸드레일(200)에 결합시키는 제1 필름층(162)과 핸드레일(200) 사이의 제1 접착제층(164)을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필름은 핸드레일(200)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고, 핸드레일의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연속되며, 핸드레일의 쇼울더의 적어도 일부의 주위로 연장되고, 상기 제1 필름층의 상면 또는 하면에 인쇄물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접착제층은 상기 가요성 필름의 제거를 허용하고, 상기 가요성 필름은 핸드레일의 치수를 크게 변경시키지 않으며,
    사용시 상기 긴 핸드레일은 가요성 필름과 함께 또는 가요성 필름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가요성 필름은 다른 가요성 필름으로 교체될 수 있는 조합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필름은 핸드레일 쇼울더의 주위로 연장되어 핸드레일의 립을 덮는 조합체.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필름은 제2 필름층(170)과, 제2 필름층을 상기 제1 필름층(162)의 상면에 결합시키는 제2 접착제층(172)을 포함하는 조합체.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름층(162)과 제2 접착제층(172) 사이에서 제1 필름층(162)의 상면에 위치하는 인쇄물(168)을 포함하는 조합체.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물(168)은 필름의 길이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되는 패턴을 포함하는 조합체.
  24. 제19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름층은 무늬가 없는 색상과 반복되는 패턴 중 하나를 갖는 조합체.
  25. 제19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각각의 층(162, 170)은 약 0.076 mm(3 밀)의 두께를 갖는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조합체.
  26. 제19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레일(200)은 사용시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식 보도에서 구동되는 핸드레일의 연속적인 루프를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필름은 접합 조인트를 형성하도록 서로 중첩되는 단부를 포함하는 조합체.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필름은 핸드레일의 외면 주위로 연장되고 핸드레일의 립을 부분적으로 덮는 조합체.
  28. 제19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레일(200)은 움직이지 않는 고정식 핸드레일을 포함하는 조합체.
  29. 제19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상시 필름의 파열 및 필름 일부분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필름 약화 수단을 포함하는 조합체.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약화 수단은 천공 라인들(262, 266, 268, 270, 272)을 포함하는 조합체.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 라인들(262, 266, 268)은 경사진 각도로 필름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조합체.
  32. 제3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 천공 라인(270)과, 일정한 간격으로 종방향 측면 천공 라인 사이에서 연장되는 횡방향 천공 라인을 포함하는 조합체.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57. 삭제
  58. 삭제
  59. 삭제
  60. 삭제
  61. 삭제
  62. 삭제
  63. 삭제
  64. 삭제
  65. 삭제
  66. 삭제
  67. 삭제
  68. 삭제
  69. 삭제
  70. 삭제
  7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필름과 대체로 동일한 폭을 갖고, 제1 접착층(164)을 보호하는 긴 박리 시트(166)를 포함하는 가요성 필름.
  72. 삭제
  7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핸드레일 쇼울더의 주위로 연장되어 핸드레일의 립을 덮는 가요성 필름.
  74. 삭제
  75.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제2 필름층(170)과, 제2 필름층을 상기 제1 필름층(162)의 상면에 결합시키는 제2 접착제층(172)을 포함하는 가요성 필름.
  76.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름층(162)이 무늬가 없는 색상 및 반복되는 패턴 중 하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필름.
KR1020017010571A 1999-02-19 2000-02-18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식 보도의 핸드레일 표면에 보호용필름을 인가하고 제거하기 위한 방법 KR1005528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252,784 US6682806B1 (en) 1999-02-19 1999-02-19 Method of applying a protective film, optionally including advertising or other visible material, to the surface of a handrail for an escalator or moving walkway
US09/252,784 1999-02-19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6818A Division KR100604283B1 (ko) 1999-02-19 2000-02-18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식 보도의 핸드레일 표면에 보호용필름을 인가하고 제거하기 위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1082A KR20020021082A (ko) 2002-03-18
KR100552891B1 true KR100552891B1 (ko) 2006-02-22

Family

ID=2295753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0571A KR100552891B1 (ko) 1999-02-19 2000-02-18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식 보도의 핸드레일 표면에 보호용필름을 인가하고 제거하기 위한 방법
KR1020057016818A KR100604283B1 (ko) 1999-02-19 2000-02-18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식 보도의 핸드레일 표면에 보호용필름을 인가하고 제거하기 위한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6818A KR100604283B1 (ko) 1999-02-19 2000-02-18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식 보도의 핸드레일 표면에 보호용필름을 인가하고 제거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3) US6682806B1 (ko)
EP (1) EP1152971B1 (ko)
JP (4) JP2002537200A (ko)
KR (2) KR100552891B1 (ko)
CN (1) CN1268535C (ko)
AT (1) ATE275090T1 (ko)
AU (1) AU2787500A (ko)
CA (2) CA2265028C (ko)
DE (1) DE60013405T2 (ko)
ES (1) ES2226783T3 (ko)
HK (1) HK1044928B (ko)
TW (1) TW498047B (ko)
WO (1) WO20000489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47843A1 (en) * 1999-02-19 2004-12-09 Mcleod John Method of applying a protective film, optionally including advertising or other visible material, to the surface of a handrail for an escalator or moving walkway
US7278528B2 (en) * 1999-02-19 2007-10-09 Ronald H. Ball Method of and apparatus for applying a film optionally including advertising or other visible material, to the surface of a handrail for an escalator or moving walkway
US6682806B1 (en) * 1999-02-19 2004-01-27 Ronald H. Ball Method of applying a protective film, optionally including advertising or other visible material, to the surface of a handrail for an escalator or moving walkway
US7108905B2 (en) * 2000-02-22 2006-09-19 Ronald H. Ball Protective film for the surface of a handrail for an escalator or moving walkway
AU2002234826A1 (en) * 2001-02-27 2002-09-12 Navandra Adiah Naidu Advertising
US20030159250A1 (en) * 2001-06-04 2003-08-28 Ruana Bruce M. Releasably attachable grip
JP4195324B2 (ja) * 2003-04-18 2008-12-10 直 齊數 自動シール貼り装置
JP2004331288A (ja) * 2003-05-06 2004-11-25 Sunao Saisuu 移動手すり用印刷シール
DE10323167B4 (de) * 2003-05-22 2005-06-30 Kone Corp. Verfahren zum Einfärben der seitlichen Randbereiche von Stufen oder Paletten einer Personenförderanlage
US6808586B1 (en) 2003-06-10 2004-10-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licator for and method of applying a sheet material to a substrate
US20050081598A1 (en) * 2003-10-17 2005-04-21 Bruno Tongiani Method and apparatus for calibrating seal force testing devices
US7182117B2 (en) * 2003-10-31 2007-02-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applying an adhesive film to a surface of a structure
JP2007223678A (ja) * 2004-03-23 2007-09-06 Sanwa Seiki:Kk 手摺の処理装置
JP2005280852A (ja) * 2004-03-26 2005-10-13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移動手摺部材再生製造装置および移動手摺部材再生製造方法
FR2868732B1 (fr) * 2004-04-09 2006-12-01 Spirale Signalitique Sarl Procede et dispositif de revetement de la bande d'un transporteur
JP5258169B2 (ja) * 2005-05-09 2013-08-07 インベンテイオ・アクテイエンゲゼルシヤフト エスカレータまたは動く歩道のための新規タイプのハンドレール、およびこのようなハンドレールを備えたエスカレータまたは動く歩道
JP4851734B2 (ja) * 2005-06-13 2012-01-11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エスカレータ又は動く歩道の手すりベルト用マーキングフィルム
US20070107828A1 (en) * 2005-11-16 2007-05-17 Huber Engineered Woods L.L.C. Tape pressure roller with patterned surface for tape applicator
DE102005058111A1 (de) * 2005-12-05 2007-06-14 Hartmann, Martina Mehrschichtiger Aufbau und Rolltreppenhandlauf
US20070125475A1 (en) * 2005-12-05 2007-06-07 Huber Engineered Woods Llc Handheld tape applicator and components thereof, and their methods of use
JP2007269927A (ja) * 2006-03-30 2007-10-18 Lintec Corp 高光沢粘着シート
JP2007269928A (ja) * 2006-03-30 2007-10-18 Lintec Corp 高光沢粘着シート
US20080283179A1 (en) * 2007-05-18 2008-11-20 John Richard Sink Device and Method for Printing Labels
CN101909791B (zh) * 2007-11-09 2013-01-09 Ehc加拿大股份公司 具有阻挡涂层的膜以及制造和应用该膜的方法
US20090208738A1 (en) * 2008-02-20 2009-08-20 Robert Anton Patterson Film Composition
US20090208736A1 (en) * 2008-02-20 2009-08-20 Robert Anton Patterson Sized Films
JP5139834B2 (ja) * 2008-02-22 2013-02-06 有限会社ビステック エスカレータ用ガイドローラの清掃用フィルム
JP2011105491A (ja) * 2009-11-19 2011-06-02 Nao Saisu シール貼り付け方法及びエスカレータ手摺被覆物
CN101767480B (zh) * 2009-12-29 2013-05-22 大连橡胶塑料机械股份有限公司 刷式电梯扶手自动贴合机
US7854313B1 (en) 2010-03-12 2010-12-21 Jonathan Gotsche Escalator handrail sanitizer
ITPD20110257A1 (it) * 2011-08-02 2013-02-03 Andrea Lissandrin Dispositivo per la disinfezione e igienizzazione dei corrimano scorrevoli
JP2013203483A (ja) * 2012-03-27 2013-10-07 Mitsubishi Electric Corp 乗客コンベア用移動手摺の補修装置および補修方法
US10618779B2 (en) 2014-09-17 2020-04-14 Thomsen's Mfg. LLC Systems and methods for handrail cleaning
US10287134B2 (en) * 2014-09-17 2019-05-14 Thomsen's Manufacturing, Llc Systems and methods for handrail cleaning
US9856115B2 (en) 2015-06-20 2018-01-02 Christian E Thomsen Systems and methods for handrail cleaning
CN104528507B (zh) * 2014-12-26 2016-11-02 广东省特种设备检测研究院珠海检测院 自动扶梯综合检测方法
CN107265276B (zh) * 2017-07-17 2018-07-27 中山市丰申电器有限公司 一种电梯扶手清洁消毒装置
JP1618099S (ko) * 2018-02-14 2018-11-12
US10807327B2 (en) * 2018-05-23 2020-10-20 The Boeing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attaching to a surface and applying a calibrated load
WO2020092770A1 (en) * 2018-11-01 2020-05-07 Entrotech,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ication of polymeric film and laminates to surfaces of articles
CN110613402B (zh) * 2019-09-28 2021-04-20 绍兴市览海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清洁扶手功能的楼梯清扫装置
US11407616B2 (en) 2020-01-24 2022-08-09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belt surface protection for installation
CN111747281A (zh) * 2020-07-15 2020-10-09 程咸兵 一种自动扶梯的扶手消毒装置
CN112693664B (zh) * 2021-02-03 2022-04-22 深圳市汇凌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触摸屏贴合设备
CN112938735B (zh) * 2021-03-19 2022-08-16 义乌市高洋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扶梯扶手消毒设备
CN114161716B (zh) * 2021-12-03 2023-06-27 安徽鲲鹏装备模具制造有限公司 一种骨架角度可调的汽车内饰件对线工装
WO2024069677A1 (ja) * 2022-09-26 2024-04-04 三菱電機ビ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乗客コンベア芯出し治具、及びレール芯出し検査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0256A (en) * 1987-05-21 1991-06-04 French Andrew B Escalator advertising
JPH07206352A (ja) * 1994-01-20 1995-08-08 Akemasa Yoneda ハンドレール
KR20020001754A (ko) * 1999-03-09 2002-01-09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불소 함유 박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25687A (ko) 1971-08-06 1973-04-03
JPS5522949B2 (ko) 1972-02-19 1980-06-19
FI64078C (fi) 1979-03-29 1983-10-10 Lohjan Paperi Oy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en haeftplastprodukt
JPS57112369A (en) 1980-12-29 1982-07-13 Suntory Ltd Intermediate of mugineic acids and its preparation
JPS57130883A (en) * 1981-02-07 1982-08-13 Nippon Hakuyo Kiki Kaihatsu Kyokai Bridge structure of ship
JPS60178882A (ja) 1984-02-27 1985-09-12 Riken Vitamin Co Ltd ビタミンe可溶化粉末組成物
JPS6159274A (ja) 1984-08-31 1986-03-26 Fujitsu Ltd 両面素子実装プリント板へのプロ−ビイング方法
JPS61111264A (ja) 1984-10-31 1986-05-29 Mitsubishi Heavy Ind Ltd テ−プ貼り装置
JPS62157876A (ja) 1985-12-28 1987-07-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ク−タ
JPH0615230B2 (ja) 1986-02-07 1994-03-02 日本ペイント株式会社 多色被覆方法
JPS62189147A (ja) 1986-02-17 1987-08-18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エスカレ−タハンドレ−ル用化粧ゴム製造装置
FR2610751A1 (fr) 1987-02-06 1988-08-12 Abouaf Alain Escalator utilise comme support publicitaire
JPH0241932A (ja) 1988-07-29 1990-02-13 Iseki & Co Ltd 乗用型走行車体
JP2816560B2 (ja) 1989-04-28 1998-10-27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外装用金属調フィルム
JPH0671975B2 (ja) 1989-05-02 1994-09-14 株式会社田島鐵工所 紙管に両面接着テープを貼付する方法
US5160009A (en) * 1989-05-08 1992-11-03 Hitachi, Ltd. Passenger conveyor and moving handrail for passenger convey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2664775B2 (ja) 1989-06-15 1997-10-22 キヤノン株式会社 半導体レーザ駆動装置
JPH0366887A (ja) 1989-08-04 1991-03-22 Iida Tsusho Kk 建物用シャッタの表面または壁面等の面装飾方法
JPH0386383A (ja) 1989-08-30 1991-04-11 Origin Electric Co Ltd コンデンサ形スポット溶接機
JP2567969B2 (ja) * 1990-03-20 1996-12-25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サービス 乗客コンベア用デザインハンドレール
US5048823A (en) * 1990-08-27 1991-09-17 Bean John A Balance board
JPH04129962A (ja) 1990-09-18 1992-04-30 Fuji Tekkosho:Kk 巻取機における巻芯管への粘着テープ貼り付け方法及びその装置
AU653006B2 (en) * 1991-02-28 1994-09-15 Sekisui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Coating sheet and method of making molded product using said sheet
JPH0546857A (ja) 1991-08-20 1993-02-26 Fuji Electric Co Ltd 自動販売機
JPH05306087A (ja) 1992-04-30 1993-11-19 Motoki Sawaki エスカレーターのハンドレール
JP3141311B2 (ja) 1992-09-30 2001-03-05 ソマール株式会社 表示物
JPH06206684A (ja) 1992-10-19 1994-07-26 Kingo Asayama 乗客コンベアの表示装置
JPH07101659A (ja) 1993-10-04 1995-04-18 Bisutetsuku:Kk エスカレ−タの手摺ベルト
JP2505704B2 (ja) 1993-10-29 1996-06-12 正一 森 搬送装置
DE69502306T2 (de) 1994-02-15 1999-04-15 Owens Illinois Labels Inc Mehrschichtiges Etikett
US5587218A (en) * 1994-05-18 1996-12-24 Betz; Richard T. Surface covering
JPH07330271A (ja) 1994-06-11 1995-12-19 Kingo Asayama 乗客コンベアの表示装置
GB2293478A (en) * 1994-09-26 1996-03-27 Qin Gang Escalator advertising
FR2728377A1 (fr) 1994-12-19 1996-06-21 David Schwartz Plaque publicitaire en vinyle souple, imprimee, et son procede de pose
JPH08248883A (ja) 1995-03-06 1996-09-27 Tomono Insatsusho:Kk ステッカー
JPH08286614A (ja) 1995-04-14 1996-11-01 Kawasaki Tokushu Insatsu:Kk 表示装置
AU1418597A (en) 1995-12-20 1997-07-14 Eastman Chemical Company Synthetic laminate structure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5743064A (en) * 1995-12-28 1998-04-28 Inpro Corporation (Ipc) Protective wall rail having decorative vinyl strip
JPH1059672A (ja) 1996-08-23 1998-03-03 Hirokazu Dezuki 移動手すりによる情報提供法
JP3246871B2 (ja) * 1996-09-06 2002-01-15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乗客コンベアの欄干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H10147489A (ja) 1996-11-18 1998-06-02 Mitsubishi Electric Corp マンコンベアの移動手摺及びその製造方法
JP2893000B2 (ja) * 1997-01-21 1999-05-17 翼システム株式会社 広告スペース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3395570B2 (ja) * 1997-05-09 2003-04-14 日立電線株式会社 文字、模様付ハンドレ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3689532B2 (ja) 1997-06-09 2005-08-31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乗客コンベアの移動手摺清掃装置
DE29811446U1 (de) 1997-12-05 1998-10-01 Novratidis Theofilos Griffbandeinrichtung einer Rolltreppe
JP2000021201A (ja) 1998-07-02 2000-01-21 Nitto Denko Corp 手摺り貼着用テ−プ
JP2000103585A (ja) 1998-09-28 2000-04-11 Ryoichi Fukae エスカレータのハンドレール
US6682806B1 (en) * 1999-02-19 2004-01-27 Ronald H. Ball Method of applying a protective film, optionally including advertising or other visible material, to the surface of a handrail for an escalator or moving walkwa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0256A (en) * 1987-05-21 1991-06-04 French Andrew B Escalator advertising
JPH07206352A (ja) * 1994-01-20 1995-08-08 Akemasa Yoneda ハンドレール
KR20020001754A (ko) * 1999-03-09 2002-01-09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불소 함유 박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682806B1 (en) 2004-01-27
JP2004352508A (ja) 2004-12-16
CA2265028A1 (en) 2000-08-19
WO2000048935A1 (en) 2000-08-24
HK1044928B (zh) 2007-03-09
JP2004137077A (ja) 2004-05-13
JP2008189477A (ja) 2008-08-21
JP2002537200A (ja) 2002-11-05
US6450228B1 (en) 2002-09-17
DE60013405T2 (de) 2005-09-01
CN1268535C (zh) 2006-08-09
DE60013405D1 (de) 2004-10-07
ATE275090T1 (de) 2004-09-15
CA2265028C (en) 2004-06-01
AU2787500A (en) 2000-09-04
JP3645893B2 (ja) 2005-05-11
KR100604283B1 (ko) 2006-07-25
CN1346330A (zh) 2002-04-24
US7041195B2 (en) 2006-05-09
US20020182415A1 (en) 2002-12-05
EP1152971B1 (en) 2004-09-01
EP1152971A1 (en) 2001-11-14
KR20050094902A (ko) 2005-09-28
ES2226783T3 (es) 2005-04-01
KR20020021082A (ko) 2002-03-18
TW498047B (en) 2002-08-11
HK1044928A1 (en) 2002-11-08
CA2377641C (en) 2003-04-29
CA2377641A1 (en) 2000-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2891B1 (ko)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식 보도의 핸드레일 표면에 보호용필름을 인가하고 제거하기 위한 방법
JP5155248B2 (ja) 粘着フィルムを移動ハンドレールに貼付する装置
US7951254B2 (en) Method of applying advertising to the surface of a moving handrail
US718211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pplying an adhesive film to a surface of a structure
US7108905B2 (en) Protective film for the surface of a handrail for an escalator or moving walkway
CA2389130C (en) Film for applying to escalator handrails
JP2004123269A (ja) 連続シート貼着装置
JP2004123253A (ja) エスカレータハンドレール用連続シート貼付剥離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る剥離装置
JP2005035190A (ja) フィルム貼付装置およびフィルム貼付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