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3630B1 - 전기적으로작동가능한선회작동기와이를갖춘측면거울 - Google Patents

전기적으로작동가능한선회작동기와이를갖춘측면거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3630B1
KR100363630B1 KR10-1998-0709200A KR19980709200A KR100363630B1 KR 100363630 B1 KR100363630 B1 KR 100363630B1 KR 19980709200 A KR19980709200 A KR 19980709200A KR 100363630 B1 KR100363630 B1 KR 100363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g actuator
groove
mirror
protrusion
ann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9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1049A (ko
Inventor
괘란 번드 오에스터홀트
아드리아누스 요하네스 마리아 브롬
스테판 프리츠 브루워
알베르투스 반 잰턴
Original Assignee
이쿠 홀딩 몬트포트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쿠 홀딩 몬트포트 비.브이. filed Critical 이쿠 홀딩 몬트포트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000011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1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3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36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7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for retracting the mirror arrangements to a non-use position alongside the vehi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8/00Supports
    • Y10S248/90Movable or disengageable on impact or overload

Abstract

본 발명은 측면거울의 거울하우징(3)을 선회시키는 전기적으로 작동가능한 선회 작동기(10)에 관한 것으로, 상기 거울하우징(3)은 수동으로 임의의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보내어지며, 이 선회 작동기(10)에 의해 자동으로 임의의 위치에서 통상의 조작위치로 보내어질 수 있는데, 상기 선회 작동기(10)가 복잡하지 않은 구조로 되어서 비교적 간단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고, 함께 연동되는 홈들과 돌출부들의 장치를 구비하여 상기 거울하우징(3)의 극단의 위치들을 구획한다.

Description

전기적으로 작동가능한 선회 작동기와 이를 갖춘 측면거울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거울이 장착되어 있다. 이측면거울은 그 안에 거울판이 설치된 그릇형상의 거울하우징을 구비하는데, 사용하는 동안은 자동차의 길이방향에 대체로 직각을 이루고 있어서, 운전자가 그 자동차의 옆과 뒤에 위치되는 도로영역을 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거울하우징은 자동차의 옆면으로부터 특정한 거리 이상으로 투영하는데, 예컨대 좁은 공간에 주차하는 경우와 같이 특별한 경우에는 그 투영거리를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거울하우징은 대부분의 경우에 대체로 수직하게 향하고 있는 선회축 주위를 자동차에 대해 선회할 수 있고, 거울하우징의 끝은 상기 선회축에 대해서 뒤쪽으로 회전하는 동작을 통해 차체에 인접하게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동작을 이하에서는 "접는다"라고 하며, 이에 따라 도달한 위치를 "접은 위치"라 하고, 이 접은 위치에서 정상조작위치(이하 "펼친 위치"라 한다)로의 역선회하는 동작을 "펼친다"라고 할 것이다.
이러한 선회 가능성은 안전이라는 측면을 고려하여야 하는데, 자동차 바깥쪽의 장애물이 상기 거울하우징과 접촉하는 경우, 이 거울하우징은 자동와 거울 및 사람일 수도 있는 장애물 모두에 대한 손상이 방지되거나 적어도 감소되도록 구부러져야 한다. 안전을 위해 종종 법률로써 규정되는 바와 같이 거울하우징이 앞쪽으로 상당한 선회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동작을 "젖힌다"라고 하며, 이에 따라 도달한 위치를 "젖혀진 위치"라 하고, 이 젖혀진 위치에서 정상조작위치로의 역선회하는 동작을 "복귀한다"라고 할 것이다.
상기한 선회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거울하우징은 자동차에 고정되는 거울기저부 또는 거울기초부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선회동작들은외력의 영향하에서 수행될 수 있는데, 이를 "수동조작"이라 할 것이다. 한편, 조정 편의성이라는 관점에서, 상기 측면거울은 자동차의 운전자가 예컨대 단추를 누름으로써 전기적으로 조정될 수 있는 선회 작동기 또는 선회 기구를 추가로 구비하여, 접는 동작과 펼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 선회 작동기는 거울하우징과 거울기저부에 연결된 전기모터와 전동장치를 구비하는데, 전기모터의 기동을 통해 접는 동작과 펼치는 동작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외력이 작용하는 동안 상기 전기모터 및 /또는 전동장치에 손상을 주지 않고 모든 선회동작들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전술한 특성을 갖는 선회 작동기는 이제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으며, 예컨대 그 한 예가 독일 특허출원 제4,023,375 호에 게재되어 있다. 이 공지된 구조에서는 2개의 홈이 구동기어의 하우징부에 동심적으로 구비되어 있는데, 제1 홈은 제 2 홈 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다. 제1 홈과 동일한 길이를 갖는 제3 홈이 제1 홈의 정반대편에 구비되며, 거울기저부는 보다 긴 길이의 제2 홈과 맞물리는 정지캠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거울기저부에 대해 거울하우징의 선회동작이 수행될 때, 정지캠은 제2 홈을 통해 움직이는데, 이 제2 홈의 끝들은 정지캠용 정지부를 형성함에 따라 측면거울의 극단의 접은 위치와 극단의 젖혀진 위치를 구획한다. 상기 거울기저부는 정상상태하에서 이 거울기저부에 대해 고정된 오목부들과 맞물리는 돌출부들에 의해 거울기저부를 중심축에 연결하는 캠디스크를 추가로 구비한다. 이 캠디스크는 구동기어의 하우징부의 제1 홈 및 제3 홈들과 각각 맞물리는 2개의 정지캠을 구비한다. 정상상태하에서는 이들 2개의 정지캠은 접은 위치와 펼친 위치 사이의 선회동작 동안 하우징부의 제1 홈과 제3 홈을 통해 움직인다. 제3 홈의 한 끝이 그 안에서 주행하는 정지캠용 정지부를 형성하는 것처럼 제1 홈의 한 끝은 그 안에서 주행하는 정지캠용 정지부를 형성하는데, 이 끝은 측면거울의 펼친 위치를 구획한다.
따라서, 상기 특허공보에 게재된 구조는 다소 복잡하며 비교적 많은 부품들이 필요하다.
한편, 펼친 위치로부터 젖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상기 캠디스크와 거울기저부 사이의 연결이 해제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캠디스크의 돌출부가 오목부를 벗어나게 되므로, 젖혀진 위치에서 정상조작위치로 거울하우징을 복귀시키는 것이 수동으로 수행되어야 하는데, 이는 단점으로 간주된다. 만약 젖혀진 위치에서 전기모터가 기동되면, 상기 선회 작동기는 임의의 조건하에서 젖혀진 위치에 대응하지 않는 "정상"위치에 도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공지된 구조의 결점은 홈들을 갖춘 부품들이 비대칭이어서, 따라서 공지의 선회 작동기가 단지 좌측거울이나 우측거울용으로 사용될 수 있을 뿐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와 같은 구조의 경우에는 좌측거울과 우측거울용으로 2개의 서로 다른 선회 작동기들이 제공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싸다.
본 발명은 전기적으로 작동가능한 선회 작동기와 이를 갖춘 측면거울(Wing Mirror)에 관한 것이다.
선회 작동기는 서로에 대해 회전하도록 장착된 2개의 작동부를 구비한다. 또한, 전기적으로 작동가능한 선회 작동기는 이 작동부들을 서로에 대해 회전시키는 전동장치와 전기모터를 구비한다. 이러한 선회 작동기는 두 구조적인 부재들을 서로에 대해 회전 또는 선회시키고자 하는 용도로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나의 작동부가 상기 구조적 부재들 중 하나에 고정되고, 다른 작동부가 구조적 부재들 중 나머지 하나에 고정되고, 상기 작동부들이 서로에 대해 전기적으로 또는 비전기적으로 작동되어 회전하게 될 때, 상기 구조적인 부재들은 작동부들의 회전축과 일치하는 회전축 또는 선회축 주위를 서로에 대해 회전 또는 선회하게 된다.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회전"과 "선회"라는 용어는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 둔다.
이러한 상기 선회 작동기는, 예컨대 자동차의 측면거울에도 사용될 수 있는 바, 본 발명은 이러한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 아래에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측면거울을 갖춘 자동차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측면거울을 갖춘 자동차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2a는 조작위치이고 도 2b는 접은 위치이며 도 2c는 젖혀진 위치에서의 평면도,
도 3은 분해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선회 작동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주요 부품들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장착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선회 작동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5a는 거울기저부의 사시도,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거울기저부의 평면도,
도 6a는 위에서 바라본 프레임의 사시도,
도 6b는 밑에서 바라본 도 6a에 도시된 프레임의 사시도,
도 6c는 도 6a에 도시된 프레임의 저면도,
도 7a와 도 7b는 도 5a와 도 5c에 각각 대응되는 거울기저부의 변형을 도시한 사시도와 평면도,
도 7c와 도 7d는 도 6b와 도 6c에 각각 대응되는 프레임의 변형을 도시한 사시도와 저면도,
도 8a와 도 8b는 도 5a와 도 5c에 각각 대응되는 거울기저부의 다른 변형을 도시한 사시도와 평면도,
도 8c와 도 8d는 도 6b와 도 6c에 각각 대응되는 프레임의 다른 변형을 도시한 사시도와 저면도,
도 9a와 도 9b는 감지수단의 위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선회 작동기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특히 대체로 단순화된 구조를 갖춘 훨씬 향상된 조정 편의성을 갖는 선회 작동기를 제공하여 제조비용을 비교적 저감시키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중요한 목적은 공지의 선회 작동기에 비해 부품의 수가 감소되어진 선회 작동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다른 본 발명의 중요한 목적은 변경 없이 좌측거울과 우측거울 모두에 사용될 수 있는 선회 작동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생산자가 두 형태의 선회 작동기를 구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생산비용의 감소가 성취된다.
또, 본 발명의 중요한 목적은 전기모터에 의해 젖힘 동작으로부터 복귀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선회 작동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특성을 갖는 선회 작동기를 구비하는 측면거울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하, 상기한 목적들을 구현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기의 실시예가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자동차(1)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자동차(1)에는 대략 수평하게 연장된 지지부(2)가 고정되어 있고, 이 지지부(2)에는 대략 수직으로 연장된 선회축(4) 주위를 선회할 수 있는 거울하우징(3)이 장착된다. 도 2a 내지 도 2c에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거울하우징(3)은 대체로 그릇형상인데, 그릇의 바닥쪽이 앞쪽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거울판(5)이 대체로 수직평면을 따라 이 거울하우징(3)에 설치되는데, 거울판(5)은선회점(6) 주위를 거울하우징(3)에 대해 선회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거울조종기구가 거울하우징(3)에 설치되는데, 이 선회 작동기는 2개의 서로 직각인 축들, 즉 수직축과 수평축에 대한 선회동작을 통해 거울판(5)의 위치를 맞추도록 되어 있다. 이 거울조정기구의 특성과 구조는 본 발명의 주제를 구성하지 않으며 또한 본 발명을 이해하기 위해 당업자가 이 조정기구에 관한 지식을 필요로 하는 것도 아니므로 더 이상 자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다만, 공지된 거울조정기구가 사용될 수 있다는 자체를 인지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도 1을 참조하면, 거울하우징(3)에는 선회 작동기(10)가 설치되어 있고, 거울기저부인 제1 선회부(11)가 지지부(2)상에 장착되어 있으며, 제2 선회부(12)가 거울하우징(3)상에 장착되어 있다. 제1 및 제2 선회부들(11,12)은 거울하우징(3)과 선회 작동기(10)가 지지부(2)상에 장착될 때 선회축(4)과 맞추어진 회전축(14) 주위를 서로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2a 내지 도 2c는 우측거울에 대한 도면으로서, 거울하우징(3)을 갖춘 자동차의 일부의 평면도이다. 정상적으로 사용하는 동안 거울하우징(3)은 조작위치(도 2a 참조)에 있게 되는데, 이 경우에는 거울판(5)이 자동차(1)의 측면에 대체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다. 이 정상조작위치를 "펼친 위치"라고 한다.
도 2b는 거울판(5)이 자동차(1)에 면하는 위치(접은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는데, 거울하우징(3)은 정상조작위치로부터 선회축(4)에 대해서 뒤쪽으로선회하는 동작(접음)을 통해 상기한 접은 위치로 보내어질 수 있고, 이 접은 위치로부터 선회축(4)에 대해서 앞쪽으로의 선회하는 동작(펼침)을 통해 정상조작위치로 되돌려 보내어질 수 있다. 거울하우징(3)이 자동차(1)에 접촉할 수 있을 때까지 접히게 될 가능성을 방지하는 수단들을 구비할 필요가 있는데, 아래에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접힘을 제한하는 이러한 수단들은 극단의 접은 위치를 구획하게 되는 바, 이하에서는 조작위치와 극단의 접은 위치 사이에서의 거울하우징(3)의 위치를 접음 중간위치라 한다.
도 2c는 거울판(5)이 자동차(1)로부터 멀리 면하는 위치(젖혀진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거울하우징(3)은 선회축(4)에 대해서 앞쪽으로의 선회동작(젖힘)을 통해 정상조작위치에서 상기 젖혀진 위치로 보내어질 수 있고, 이 젖혀진 위치로부터 선회축(4)에 대해서 뒤쪽으로 선회하는 동작(복귀)을 통해 정상조작위치로 되돌려 보내어질 수 있다. 거울하우징(3)이 자동차(1)에 접촉할 수 있을 때까지 젖혀질 가능성을 방지하는 수단들을 구비할 필요가 있는데, 아래에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젖힘을 제한하는 이러한 수단들은 극단의 젖혀진 위치를 구획하게 되는 바, 이하에서는 조작위치와 극단의 젖혀진 위치 사이에서의 거울하우징(3)의 위치들을 젖힘 중간위치라고 한다.
상기 접는 동작은 운전자에 의해 의식적으로 수행되는 한편, 젖힘동작은 일반적으로 운전자에 의해 무의식적으로 수행된다. 접는 동작과 젖힘 동작 모두는 예컨대 보행자가 지나가면서 또는 자동차가 주행하는 동안 거울하우징이 장애물에 부딪쳐서 우연히 일어날 수도 있다. 따라서, 선회 작동기(10)는 외력(예컨대 수동조작과 같은)의 영향하에서 젖힘과 복귀동작 뿐만 아니라 접음과 펼침동작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더불어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선회 작동기(10)는 정상조작위치(도 2a)로 되돌리는 수단들을 구비하여 펼침동작 또는 복귀동작이 수동으로 또는 전기적으로 수행되는지에 상관없이 확실히 복귀된다.
선회 작동기(10)는 전기모터와 전동장치를 추가로 구비하는데, 단순화를 위해 도 1 내지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전동장치는 선회부들(11,12)에 연결되어서, 전기모터가 기동되면 선회부들(11,12)이 서로에 대해 회전하여 전기모터의 구동축의 회전방향에 의해 결정되는 방향으로 거울하우징(3)이 자동차(1)에 대해 선회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접는 동작과 펼치는 동작 및 복귀동작이 전기모터의 작동을 통해 이격된 위치에서 수행될 수 있는데, 젖힘 동작을 전기적으로 수행할 필요는 없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선회 작동기(10)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조를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선회 작동기(10)의 주요 부품들을 분해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장착된 상태에서의 선회 작동기 (10)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울기저부(11)인 제 1선회부는 일반적으로 중공의 원통형상이며, 주축(101)이라 하는 비교적 좁은 상부(101)와 기저플랜지(102)라 부르는 비교적 넓은 바닥부를 갖추고 있다. 도 5a는 거울기저부(11)의 더욱 상세한 사시도이고, 도 5b는 이의 평면도이다. 기저플랜지(102)는 지지부(2)상에 예컨대 나사와 같이 공지된 수단에 의해 장착된다. 그러나,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플랜지(102)는 지지부(2)의 대응 오목부들에 끼워 맞춰지는 방사상의 볼록부(110)(도면에는 3개가 도시됨)를 구비하여 끼워맞춤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그 결과 지지부(2)상에 기저플랜지(102)를 장착하는 것이 비교적 간단하게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2)인 제2 선회부는 주축(101)이 관통하는 원형 개구부(202)를 구비한 대체로 편평한 바닥판(201)을 갖는다. 원형 개구부(202)는 환형상의 프레임부(203)에 의해 구획되고, 그 바닥면은 기저플랜지(102)의 상부면에 놓여진다. 프레임(12)은 예컨대 나사와 같은 임의의 적당한 수단들에 의해 거울하우징(3)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는데, 이는 단순화를 위해 별도로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6a는 위에서 바라본 프레임(12)의 더욱 상세한 사시도이고, 도 6b는 밑에서 바라본 프레임(12)의 더욱 상세한 사시도이며, 도 6c는 프레임(12)의 저면도이다.
접는 동작(선회동작)을 전기적으로 작동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선회 작동기(10)는 프레임(12)상에 장착된 전기모터(20;도 4 참조)를 추가로 구비하는데, 이 전기모터의 구동축(20')이 전동장치(21)를 매개로 하여 주축(101)에 연결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동장치(21)는 워엄휠(23)을 구동시키는 워엄(22)과, 제2 워엄휠(25)을 구동시키면서 상기 워엄휠(23)에 동축으로 설치된 제2 워엄(24)을 구비한다. 전동장치(21)의 부품들은 프레임(12)에 베어링으로 장착되는데, 이를 위해 사용되는 프레임(12)의 베어링 수단들이 도 6a에 나타나 있다. 실제로, 제 2워엄(24)에 의해 각각 구동되는 2개의 제2 워엄휠(25)이 존재하며, 각각의 제2 워엄휠(25)은 환형상의 연결 기어휠(26)과 맞물린다. 환형상의 연결 기어휠(26)은 주축(101)과 동축으로 설치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주축(101)에 대해 회전에 있어서고정되는 삽입물인 마찰링(27)과 함께 환형상의 프레임부(203)의 상부면에 놓여진다. 연결 기어휠(26)은 그 자체로 주축(101)에 대해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으나, 짝힘을 제한하는 맞물림연결을 매개로 주축(101)에 연결되고,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선회 작동기(10)는 환형상의 연결부재(30)를 추가로 구비하는데, 이 연결부재(30)는 주축(101)에 대해 회전에 있어서는 고정되나 주축(101)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도시된 실시예에서 주축(101)은 그 원통형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방사상으로 돌출된 손가락 형상부(103)들과 그리고 인접한 손가락 형상부(103)들 사이에 형성된 키이홈 영역(104)들을 구비하는 한편, 환형상의 연결부재(30)는 키이홈 영역(104)들에 끼워 맞춰지는 방사상으로 내부를 향해 형성된 돌기부(31)를 구비한다. 연결 기어휠(26)의 상부면의 홈형상부(28)에 맞춰지는, 예컨대 3개의 돌출부(32)들이 환형상의 연결부재(30)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환형상의 연결부재(30)의 방사상으로 내부를 향해 형성된 돌기부(31)는 환형상의 연결부재(30)의 상부면상에서 축방향으로, 즉 연결 기어휠(2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이들 연장된 돌기부(31)의 축방향의 상부끝은 연결링(33)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환형상의 연결부재(30)의 내부를 향해 형성된 돌기부(31)는 비교적 긴 축방향 길이를 통해 주축(101)의 키이홈 영역(104)들과 접촉되므로, 환형상의 연결부재(30)는 보다 안정된 방식으로 주축(101)에 대해 위치된다. 명확히 하기 위해서, 도 3의 좌측에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환형상의 연결부재(3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환형상의 연결부재(30) 위에 나선형 스프링부재(40)가 설치된다. 스프링 부재(40)의 상부끝은 주축(101)에 고정되는 지지링(41)에 대해서 놓이는 반면, 스프링부재(40)의 바닥면은 환형상의 연결부재(30)의 상부면을 눌러서 환형상의 연결부재(30)가 연결 기어휠(26)을 가압하게 되는데, 이는 차례로 바닥판(201)의 환형상의 프레임부(203)를 가압하고, 이 환형상의 프레임부(203)는 차례로 기저플랜지(102)를 누르게 된다.
정상조작 동안 상기 환형상의 연결부재(30)의 돌출부(32)는 연결 기어휠(26)의 홈형상부(28)와 맞물려서, 연결 기어휠(26)은 거울기저부(11)에 대해 회전에 있어서 고정된다. 그러면, 전기모터(20)가 기동되는 경우, 전동장치(21)의 제2 워엄휠(25)의 각각은 거울기저부(11)에 대해 고정된 연결 기어휠(26) 주위의 궤도를 따르도록 힘이 가해진다. 이들 제2 워엄휠(25)은 거울하우징(3)이 고정된 프레임(12)에 베어링으로 장착되기 때문에, 거울하우징(3)은 지지부(2)에 대해 선회동작을 수행하도록 힘이 가해진다. 어떤 이유로든 프레임(12)의 동작이 정지되면 전기모터(20)를 통한 전류의 세기가 증가하는데, 공지되어 여기서는 더 이상 설명할 필요가 없는 전류감지수단들에 의해 감지되어 상기 전기모터(20)를 정지시키도록 되어 있다.
프레임(12)이 전기모터(20)의 회전을 매개로 거울기저부(11)에 대해 회전될 수 있지만, 역회전은 전동장치(21)가 자동으로 잠겨지는 특성 때문에 불가능하다.따라서, 프레임(12), 즉 거울하우징(3)에 외력이 가해지면 프레임(12)은 전동장치(21)에 의해서 거울기저부(11)에 대해 확실하게 정지되므로, 정상상태하에서 거울하우징(3)은, 예컨대 주행중의 세찬 바람과 같은 "통상"의 외력에 의해 선회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으로는, 이에 반대로 어떤 경우에는 수동으로 외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거울하우징(3)을 선회시킬 필요가 있다. 더욱이 안전이라는 관점에서 특정 세기 이상의 힘이 가해질 때 거울하우징(3)은 구부러지도록 일반적으로 법률에 의해 규정되기조차 한다. 이러한 구부러짐은 상기 선회 작동기(10)의 장점이 되는데, 이는 선회 작동기가 파손될 수 있는 몹시 큰 힘이 가해지는 동안 선회 작동기상의 부하가 커지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분리조작은 전동장치(21)와 주축(101) 사이에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환형상의 연결부재(30)의 돌출부(32)와 그리고 이 돌출부와 맞춰지는 연결 기어휠(26)의 홈형상부(28)들은 측면이 경사져 있으며, 소정 크기 이상의 특수한 접선력(모멘트;짝힘)이 가해질 때 환형상의 연결부재(30)의 돌출부(32)는 연결 기어휠(26)의 맞춰지는 홈형상부(28)들로부터 밀려 나가게 되고, 환형상의 연결부재(30)는 축방향의 위쪽으로 눌려지며 따라서 스프링부재(40)가 압축되도록 크기가 설정된다. 이때 연결 기어휠(26)과 거울기저부(11) 사이의 연결이 해제되어 프레임(12)과, 전기모터(20), 전동장치(21) 및, 연결 기어휠(26)을 갖춘 거울하우징(3)이 거울기저부(11)에 대해 전체로서 자유로이 회전될 수 있는 한편, 환형상의 연결부재(30)는 거울기저부(11)에 대해 회전에 있어서 고정된 채로 남아 있게 된다.
상기한 소정 크기의 힘은 전기모터(20)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최대 짝힘 보다 크게 되도록 선택되나, 수동으로 선회시키는 동안 너무 큰 부하가 전동장치(21)와 전기모터(20)에 가해질 정도로 높지는 않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마찰링(27)이 주축(101)에 대해 회전에 있어서 고정되는데, 이를 위해 마찰링(27)은 주축(101)의 키이홈 영역(104)들에 맞춰지는 방사상으로 내부를 항해 형성된 돌설부(29)를 구비한다. 따라서, 선회 작동기(10)는 비교적 높은 저항하에서 외력에 의해 선회되는데, 이는 이러한 선회동작 동안 마찰링(27)의 상부면과 바닥면 모두가 각각 연결 기어휠(26)과 환형상의 프레임부(203)에 대해 마찰의 부하가 걸리기 때문이다. 이 효과는 또한 예컨대 주행중의 세찬 바람에 대하여 큰 안정성을 제공하게 된다.
자동차의 지지부(2)에 대한 거울하우징(3)의 선회동작 동안, 환형상의 프레임부(203)의 바닥면은 기저플랜지(102)의 상부면을 지나 미끄럼 이동된다. 본 발명의 중요한 태양에 따라 도 5a, 도 5b, 도 6b 및, 도 6c를 참조로 하여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기저플랜지(102)와 환형상의 프레임부(203)는 펼친 위치를 구획하고 접는 동작을 제한하며 그리고 젖힘 동작을 제한하는 수단들을 구비한다. 따라서, 접는 동작을 제한하는 수단들이 극단의 접은 위치를 구획하지만, 측면거울과 같은 응용구조에서는 기저플랜지(102)와 환형상의 프레임부(203) 사이에 구획된 본 발명에 따른 접는 동작을 제한하는 수단들 보다 급하게 작용하는 접는 동작을 제한하는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데, 이 경우 이들 추가적인 접는 동작을 제한하는 수단들은 사실상 극단의 접은 위치를 구획하게 된다. 젖힘 동작을 제한하는 수단들에 대하여 상응하는 결과가 적용된다. 한편, 공간의 부족으로 작동기(10)의 외부에 상기한 추가적인 접는 동작을 제한하는 수단들을 구비하기를 원하지 않거나 또는 구비할 수조차 없을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은 본질적으로 상기한 모든 제한들을 제공하는 선회 작동기를 제공한다.
도 5a와 도 5b는 다른 링의 내부에 한 링이 놓여져 있는 여러 링들, 예컨대 2개의 내부링(151)과 외부링(152)으로 세분되어진 환형상의 상부면(150)을 갖춘 기저플랜지(102)를 도시하고 있다. 내부링(151)은 동일한 각도(α)로 오목하게 설계되어 다소 경사진 끝벽들(154,155)을 갖는 원호형상의 제1 홈(153)을 형성한다. 이 원호현상의 제1 홈(153)의 정반대편에 외부링(152)이 동일한 각도(α)로 오목하게 설계되어 역시 다소 경사진 끝벽들(157,158)을 갖는 원호형상의 제2 홈(156)을 형성한다. 원호형상의 제1 홈(153)의 정반대편에는 내부링(151)이 소정의 각도(β)로 돋우어 오르게 설계되어 다소 경사진 측면(160,161)을 갖는 축방향으로 향하는 제 1 돌출부(159)를 형성하는데, 이 제1 돌출부(159)의 중심의 각도상의 위치가 원호형상의 제2 홈(156)의 중심의 각도상의 위치와 대응한다. 유사하게, 제1 돌출부(159)의 방사상으로 반대편에 외부링(152)이 동일한 각도(β)로 돋우어 오르게 설계되어 다소 경사진 측면(163,164)을 갖는 축방향으로 향하는 제2 돌출부(162)를 형성하는데, 이 제2 돌출부(162)의 중심의 각도상의 위치가 원호형상의 제1 홈(153)의 중심의 각도상의 위치와 대응한다.
도 6b와 도 6c는 기저플랜지(102)의 상부면(150)과 유사하게 다른 링의 내부에 한 링이 놓여져 있는 링들, 예컨대 2개의 내부링(251)과 외부링(252)으로 세분되어진 환형상의 바닥면(250)을 갖는 환형상의 프레임부(203)를 도시하고 있다. 내부링(251)은 소정의 각도(α)와 동일한 각도로 오목하게 설계되어 있어 다소 경사진 끝벽들(254,255)을 갖는 원호형상의 제3 홈(253)을 형성한다. 이 원호현상의 제3 홈(253)의 정반대편에 외부링(252)이 동일한 각도(α)로 오목하게 설계되어 역시 다소 경사진 끝벽들(257,258)을 갖는 원호형상의 제4 홈(256)을 형성한다. 원호형상의 제3 홈(253)의 정반대편에는 내부링(251)이 동일한 각도(β)로 돋우어 오르게 설계되어 다소 경사진 측면(260,261)을 갖는 축방향으로 향하는 제3 돌출부(259)를 형성하는데, 이 제3 돌출부(259)의 중심의 각도상의 위치는 원호형상의 제4 홈(256)의 중심의 각도상의 위치와 대응한다. 유사하게, 외부링(252)이 제3 돌출부(259)의 방사상으로 반대편에 동일한 각도(β)로 돋우어 오르게 설계되어 다소 경사진 측면(263,264)을 가지며 축방향을 향하는 제4 돌출부(262)를 형성하는데, 이 제4 돌출부(262)의 중심의 각도상의 위치가 원호형상의 제3 홈(153)의 중심의 각도상의 위치와 대응한다.
이들 홈과 돌출부의 크기는 선회 작동기(10)가 장착된 상태에서 제 1, 제 2, 제3 및, 제4 돌출부들(159,162,259,262)이 각각 제3, 제4, 제1 및, 제2 홈들(253,256,153,156)에 끼워 맞춰지면서, 환형상의 프레임부(203)의 바닥면(250)이 기저프레임(102)의 상부면(150)상에 놓이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중요한 장점은 변경할 필요 없이 좌측 측면거울용과 우측 측면거울용 양쪽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좌측 측면거울로 사용되는 경우 정상조작위치(펼친 위치)는 각각 제1, 제2, 제3 및, 제4 홈들(153,156,253,256)의 경사진 끝벽들(154,157,254,257)에 의해 정의된다. 선회 작동기(10)가 펼친 위치에 있다면, 제3, 제4, 제1 및, 제2 돌출부들(259,262,159,162)의 측면들(261,264,161,164)은 각각 제1, 제2, 제3 및, 제4 홈들(153,156,253,256)의 경사진 끝벽들(154,157,254,257)과 접촉한다. 접는 동작 동안, 제3, 제4, 제1 및, 제2 돌출부들(259,262,159,162)은 그들의 다른 경사진 측면들(260,263,160, 163)이 제1, 제2, 제3 및, 제4 홈들(153,156,253,256)의 다른 경사진 끝벽들(155,158,255,258)과 각각 접촉할 때까지 제1, 제2, 제3 및, 제4 홈(153, 156,253,256)들을 통하여 이동하여서, 좌측 거울의 극단의 접은 위치가 구획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거울은 선회 작동기가 극단의 접은 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는 외부 정지부들을 구비할 수 있다.
우측 측면거울로 사용되는 경우, 정상조작위치(펼친 위치)는 각각 제1, 제 2, 제3 및, 제4 홈들(153,156,253,256)의 경사진 끝벽들(155,158,255,258)에 의해 정의된다. 선회 작동기(10)가 펼친 위치에 있다면, 제3, 제4, 제1 및, 제2 돌출부들(259,262,159,162)의 측면들(260,263,160,163)은 각각 제1, 제2, 제3 및, 제4 홈들(153,156,253,256)의 경사진 끝벽들(155,158,255,258)과 접촉한다. 접는 동작 동안 제3, 제4, 제1 및, 제2 돌출부(259,262,159, 162)들은 그들의 다른 경사진 측면들(261,264,161,164)이 제1, 제2, 제3 및, 제4 홈들(153,156,253,256)의 다른 경사진 끝벽들(154,157,254,257)과 각각 접촉할 때까지 제1, 제2, 제3 및, 제4 홈들(153,156,253,256)을 통해 이동하여서, 우측 거울의 극단의 접은 위치가 구획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거울은 선회 작동기가 극단의 접은 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는 외부 정지부들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러므로, 좌측 거울용과 우측 거울용 모두에서, 돌출부와 홈들에 의해 구획된 바와 같이 펼친 위치와 접은 위치 사이의 최대 각거리(접는 동작의 자유도)는 α-β와 같은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 값은 약 80˚이다.
이제, 좌측 거울로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 전기모터(20)가 기동될 때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선회 작동기(10)의 조작에 대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는데, 이 거울은 사실상 극단의 접은 위치나 극단의 젖혀진 위치를 구획하는 추가적인 정지수단을 구비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전술한 바를 참조하면,우측 거울로 사용하는 경우 그 조작이 대칭으로 된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므로, 이러한 사용을 위한 조작은 별도로 다시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설명에 있어서, 각각의 경우는 펼친 위치로부터 시작되고, 따라서 제3, 제4, 제1 및, 제2 돌출부들(259,262,159,162)의 측면들(261,264,161,164)이 각각 제1, 제2, 제3 및, 제4 홈들(153,156,253,256)들 경사진 끝벽들(154,157 ,254,257)과 접촉하고 있다.
전기력
조정단추를 조작함으로써 운전자가 접는 동작에 상응하는 방향으로 전기모터(20)를 기동시킬 때, 상기 전동장치(21)의 제2 워엄휠(25)이 반시계방향으로 연결 기어휠(26) 주위에서 회전하면서 프레임(12)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그리고 제3, 제4, 제1 및, 제2 돌출부들(259,262,159,162)은 그들의 다른 경사진 측면들(260, 263,160,163)이 제1, 제2, 제3 및, 제4 홈들(153,156,253,256)의 다른 경사진 끝벽들(155,158,255,258)과 각각 접촉할 때까지 제1, 제2, 제3 및, 제4 홈들(153,156,253,256)을 거쳐 이동한다. 따라서, 반력이 선회동작에 가해져 전기모터(20)를 통한 전류의 세기가 전술한 바와 같이 전기모터(20)를 껐을 때 증가하고, 접는 동작이 끝나게 된다.
거울하우징(3)을 펼친 위치로 다시 선회시키는 것이 필요할 때에는, 운전자가 조정단추를 조작하여 반대방향으로 전기모터(20)를 기동시킨다. 그 결과, 제3, 제4, 제1 및, 제2 돌출부들(259,262,159,162)의 측면들(261,264,161,164)이 제1, 제2, 제3 및, 제4 홈들(153,156,253,256)의 경사진 끝벽들(154,157,254,257)과 각각 접촉할 때까지 상기 전술한 과정을 반대방향으로 되풀이하고, 반력이 다시 선회동작에 가해지는데, 이는 전기모터(20)로 극복될 수 없어서 펼치는 동작이 끝난다.
상기 선회동작 동안, 연결 기어휠(26)은 주축(101)과 이에 따른 마찰링(27)에 대해 정지된 채로 있게 되므로, 전기모터(20)에 의해 극복될 마찰량이 외력의 경우보다는 적어야 한다.
외부 기계력
비교적 큰 뒤쪽으로의 힘이 펼친 위치의 거울하우징(3)에 외부적으로 가해질 때, 상기 환형상의 연결부재(30)는 축방향으로 멀리 밀려 나가게 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 기어휠(26)이 전동장치(21)와 전기모터(2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주축(101)으로부터 분리된다. 거울하우징(3)의 접는 동작 동안, 연결 기어휠(26)은프레임(12)에 대해 고정된 채로 있게 되고, 환형상의 연결부재(30)는 주축(101)에 대해 고정된 채로 남아 있게 된다. 제3, 제4, 제1 및, 제2 돌출부들(259,262 ,159,162)은 그들의 다른 경사진 측면들(260,263,160,163)이 제1, 제2, 제3 및, 제4 홈들(153,156,253,256)의 다른 경사진 끝벽들(155,158,255,258)과 각각 접촉할 때까지 제1, 제2, 제3 및, 제4 홈들(153,156,253,256)들을 거쳐 최대한으로 이동한다.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거울하우징은 차후에 도달하게 될 접는 동작의 중간위치에 있게 되는데, 이는 최대 극단의 접은 위치로 된다. 따라서, 거울하우징(3)이 접는 동작을 하기 위해 필요한 외력(짝힘)은 주로 마찰력에 의해 결정되는 반면, 거울하우징(3)이 펼친 위치를 이탈하기 위해 필요한 외력(짝힘)은 환형상의 연결부재(30)를 축방향으로 멀리 밀어내기 위해 필요한 힘만큼 증가된 마찰력과 동일하게 된다.
상기 거울하우징(3)은 수동의 펼치는 동작을 통해 접은 위치 또는 임의의 접는 동작의 중간위치로부터 펼친 위치로 되돌려 보내지므로, 필요한 외력(짝힘)은 주로 마찰력에 의해 다시 결정된다. 상기 거울하우징(3)의 펼치는 동작 동안 연결 기어휠(26)은 프레임(12)에 대해 고정된 채로 있게 되고, 환형상의 연결부재(30)는 주축(101)에 대해 고정된 채로 남아 있게 되며, 제3, 제4, 제1 및, 제2 돌출부들(259,262,159,162)은 펼친 위치에서 그들의 측면들(261,264,161,164)이 제1, 제2, 제3 및, 제4 홈들(153,156,253,256)의 경사진 끝벽들(154,157,254,257)과 각각 접촉할 때까지 제1, 제2, 제3 및, 제4 홈들(153,156,253,256)을 거쳐 이동하는데, 이때 추가적인 선회에 필요한 힘이 대체로 증가하여서 운전자가 동작이 방해를 받고 있음을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펼친 위치는 반복적으로 확실하게 구획되며 운전자는 펼친 위치에 도달했음을 확실히 알게 된다.
상기 거울하우징(3)이 외력에 의해 펼친 위치에서 접은 위치 또는 임의의 접는 동작의 중간위치로 보내어지면, 환형상의 연결부재(30)의 돌출부(32)들은 수동의 펼치는 동작이 수행될 때 다시 연결 기어휠(26)의 홈형상부(28) 안으로 밀어 넣어지는데, 펼친 위치에 도달하면 사용자에 의해 인지(청각과 느낌으로)될 수 있는 짤까닥하는 소리가 나게 된다.
또한, 상기 거울하우징(3)은 전기모터(20)의 기동을 통해 수동으로 도달된 임의의 접는 동작의 중간위치로부터 펼친 위치로 되돌려 보내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전기모터(20)는 접기 위해 필요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기동된다. 이에 따라 연결 기어휠(26)은 이 연결 기어휠(26)의 홈형상부(28)가 환형상의 연결부재(30)의 돌출부(32)와 일직선 정렬될 때까지 먼저 회전되는데, 이때 환형상의 연결부재(30)의 돌출부(32)는 연결 기어휠(26)의 홈형상부(28) 안으로 다시 밀어 넣어진다. 이후에, 연결 기어휠(26)이 다시 주축(101)에 연결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전기모터(20)가 회전하여 거울하우징(3)이 펼쳐진다.
상기 거울하우징(3)이 수동으로 도달된 임의의 접는 동작의 중간위치에 있을 때, 전기모터(20)가 접기 위해 필요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기동되면 어떤 해도 끼치지 않으면서 거울하우징(3)이 간단히 접은 위치에 도달하고 통상의 방식으로 이로부터 펼친 위치로 되돌려 보내어질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비교적 큰 앞쪽으로의 힘이 거울하우징(3)에 외부적으로 가해질 때, 환형상의 연결부재(30)는 축방향으로 멀리 밀려 나가게 되어 주축(101)으로부터 연결 기어휠(26)이 분리된다. 더구나 제3, 제4, 제1 및, 제2 돌출부들(259,262,159,162)의 측면들(261,264,161,164)과 제1, 제2, 제3 및, 제4홈들(153,156,253,256)들의 끝벽들(154,157,254,257)의 경사진 위치 때문에, 제3, 제4, 제1 및, 제2 돌출부들(259,262,159,162)은 제1, 제2, 제3 및, 제4 홈들(153,156,253,256)로부터 밀려 나가게 되어서, 제3, 제4, 제1 및, 제2 돌출부들(259,262,159,162)의 축방향 크기(높이)와 동일한 길이로 설치된 거울하우징(3)을 갖춘 전체 프레임(12)의 축방향 이동을 수반하게 된다. 다음으로, 이제 비교적 작은 힘을 필요로 하는 젖힘 동작 동안, 연결 기어휠(26)은 프레임(12)에 대해 고정된 채로 있게 되고, 환형상의 연결부재(30)는 주축(101)에 대해 고정된 채로 남아 있게 되다. 제1과 제2 돌출부들(159,162)은 환형상의 프레임부(203)의 바닥면(250)의 각각의 내부링(251)과 외부링(252)을 가로질러 미끄럼 이동하는 반면, 제3과 제4 돌출부들(259,262)은 기저플랜지(102)의 상부면(150)의 각각의 내부링(151)과 외부링(152)을 가로질러 미끄럼 이동한다.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거울하우징은 차후에 도달하는 젖힘 동작의 중간위치에 있게 되는데, 이는 밖으로의 극단의 젖혀진 위치이면서 제3과 제4 돌출부들(259,262)의 경사진 측면들(261,264)이 제1과 제2 돌출부들(159,162)의 경사진 측면(161,164)과 각각 접할 때 도달되는 위치이다.
이들 돌출부들과 홈들에 의해 구획되는 펼친 위치와 극단의 젖혀진 위치 사이(젖힘 동작의 자유도)의 최대 각거리는 (360˚-α-β)/2 와 같게 되고,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100˚이상이 되는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α는 약 115˚이고 β는 약 35˚이다.
각각의 젖힘 동작의 중간위치에서(그리고, 극단의 젖혀진 위치에서), 상기돌출부들(159,162,259,262)은 기저부(11)에 대해 일직선상에 있지 않은 프레임(12)을 위한 4개의 지지점을 형성하여 안정된 상태가 확보된다. 원한다면, 그 내부에 홈들과 돌출부들이 형성된 상태에서 다른 링의 내부에 한 링이 놓여져 있는 링들의 수를 증가시켜 지지점들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d는 링들의 수가 3개인 전술한 선회 작동기의 변형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d에서 동일하거나 비교되는 부품들에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며, 도 5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3 링이 전술된 2개의 링들 외부에 부가된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 제3 링은 전술된 2개의 링들 내부나 또는 이 링들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참조부호 170으로 표시된 기저플랜지(102)의 환형상의 상부면(150)의 제3 링은 각도의 크기가 α인 원호형상의 제5 홈(171)과 그리고 이와 정반대편에 각도의 크기가 β인 축방향으로 형성된 제5 돌출부(172)를 구비한다. 원호형상의 제5 홈(171)은 다소 경사진 끝벽들(173,174)을 구비하며, 축방향으로 형성된 제5 돌출부(172)는 다소 경사진 측면들(175,176)을 구비한다. 제5 돌출부(172)의 중심의 각도상의 위치는 제1 돌출부(159)의 중심의 각도상의 위치에 대해 약 90˚정도 이동되어 있다. 유사하게, 환형상의 프레임부(203)의 환형상의 바닥면(250)은 각도의 크기가 α인 원호형상의 제6 홈(271)과 그리고 이와 정반대편에 각도의 크기가 β인 축방향으로 형성된 제6 돌출부(272)를 그 내부에 갖추고 있는 제3 링(270)을 구비하고 있다. 원호형상의 제6 홈(271)은 다소 경사진 끝벽들(273,274)을 구비하며, 축방향으로 형성된 제6 돌출부(272)는 다소 경사진 측면(175,176)들을 구비한다. 제6 돌출부(272)의 중심의 각도상의 위치는 제3 돌출부(259)의 중심의 각도상의 위치에 대해 약 90˚정도 이동되어 있다.
상기 거울하우징(3)을 펼친 위치에서 앞쪽으로 이탈시키기 위해 필요한 힘(짝힘)은 이 거울하우징(3)을 펼친 위치에서 뒤쪽으로 이탈시키기 위해 필요한 힘(짝힘) 보다 크다. 결국, 양쪽의 경우에서 연결 기어휠(26)은 주축(101)으로부터 분리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 스프링부재(40)가 환형상의 연결부재(30)의 돌출부(32)의 축방향 크기(높이)와 동일한 길이만큼 눌려지는 한편, 더구나 앞쪽으로의 선회동작 동안 전체 프레임(12)은 제3과, 제4 , 제1 및, 제2 돌출부(259,262,159,162)들의 축방향 크기(높이)와 동일한 길이만큼 주축(101)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스프링부재(40)가 이 경우에 추가로 눌려져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극단의 젖혀진 위치는 제3과 제4 돌출부들(259,262)의 경사진 측면들(261,264)이 제1과 제2 돌출부들(159,162)의 경사진 측면들(161,164)과 각각 접할 때 도달되는 위치이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들의 설계구조 때문에, 원리적으로 상기 돌출부들은 추가적인 선회동작을 할 수 있는데, 이는 전체 프레임(12)이 돌출부(159,162,259,262)들의 높이와 동일한 길이만큼 주축(101)에 대해 훨씬 더 상승되고, 스프링부재(40)가 훨씬 더 눌려져서 더욱 힘을 필요로 하게 될 것이다. 상기 선회 작동기(10)는 프레임(12)의 이러한 추가적인 축방향 이동을 방지하는 정지수단들을 구비할 수 있는 바, 가능한 실시예에서 스프링부재(40) 자체가 그 감은 선들이 서로 접촉하여 본질적인 정지부재로 작용하나 일반적으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다른 가능한 실시예에서, 환형상의 연결부재(30)의 축방향 크기는 그의 추가적인 축방향 이동이 지지링(41)에 의해 저지되도록 선택된다.
또한, 추가적인 회전이 직접 방해받도록 돌출부들(159,162,259,262)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한 예가 도 8a 내지 도 8d에 도시되어 있는 바, 도 5와 도 6에서와 동일하거나 비교되는 부품들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한다. 제1 돌출부(159)의 다음에 대체로 곧은 끝면들(182,183)을 갖춘 제 1정지캠(181)이 위치된다. 이 제 1정지캠(181)의 접선길이는 제1 돌출부(159)의 접선길이와 대체로 동일하거나 또는 제1 돌출부(159)의 접선길이보다 다소 길어질 수 있는데, 각 돌출부의 접선길이는 돌출부의 절반높이에서의 접선길이로 정의된다. 유사하게, 각 홈의 접선길이는 홈의 절반깊이에서의 접선길이로 정의된다. 제3 홈(253)은 제1 돌출부(159)와 제1 정지캠(181)의 결합을 수용하도록 충분한 방사상의 길이(폭)를 가진다. 방사상의 방향(폭 방향)으로 제3 홈(253)은 두 부분으로 나뉘어지는데, 내부 홈부(253')에는 돌출부(159)가 위치되고 외부 홈부(253")에는 정지캠(181)이 위치된다. 이 외부 홈부(253")는 내부 홈부(253') 보다 긴 접선길이를 갖고, 대체로 축방향으로 형성된 끝면들을 구비한다. 이에 준용하여, 동일한 적용이 제2 와 제3 및 제4 돌출부들과 제1과 제2 및 제4 홈들에 대하여 이루어진다.
극단의 접은 위치와 펼친 위치에서, 각 정지캠은 그 끝부분과의 접촉 없이 결합되는 홈부의 연장된 부분에 도달한다. 그 후, 선회 작동기의 작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데, 특히 펼친 위치에서 앞쪽으로 힘이 가해지는 동안 결합된 홈들의 경사진 끝면들과 함께 돌출부들의 경사진 측면들 사이의 협동 때문에 젖힘동작이 변화없이 수행된다. 극단의 젖혀진 위치에 도달하면 정지캠의 축방향으로형성된 측면들이 서로에 대해 부딪쳐서 추가적인 선회가 불가능하게 된다.
상기 거울하우징(3)은 수동의 복귀동작을 통해 임의의 젖힘동작의 중간위치로부터 펼친 위치로 되돌려 보내질 수 있는데, 필요한 외력(짝힘)은 주로 마찰력에 의해 다시 결정된다. 상기 거울하우징(3)의 복귀동작 동안, 연결 기어휠(26)은 프레임(12)에 대해 고정된 채로 있게 되고, 환형상의 연결부재(30)는 주축(101)에 대해 고정된 채로 있게 된다. 제3, 제4, 제1 및, 제2 돌출부들(259,262,159,162)은 펼친 위치에서 그들이 제1, 제2, 제3 및, 제4 홈들(153,156,253,256)로 밀어 넣어질 때까지 각각 링들(151,152,251,252) 위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환형상의 연결부재(30)의 돌출부(32)들이 다시 연결 기어휠(26)의 홈형상부(28) 안으로 밀어 넣어지고, 운전자에 의해 인지(청각과 느낌으로)될 수 있는 짤까닥하는 소리가 나게 되는 한편, 이때 추가적인 선회에 필요한 힘이 대체로 증가하여서 운전자는 동작이 방해받는 것을 인지할 수 있으며, 이 모든 것으로 운전자는 펼친 위치에 도달했음을 알게 된다.
또한, 상기 거울하우징(3)은 전기모터(20)의 기동을 통해 임의의 접는 동작의 중간위치로부터 펼친 위치로 다시 되돌려 보내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전기모터(20)는 접는 동작과 같은 방향으로 기동된다. 먼저, 연결 기어휠(26)은 이 연결 기어휠(26)의 홈형상부(28)가 환형상의 연결부재(30)의 돌출부(32)와 일직선 정렬될 때까지 거울하우징(3)과 거울기저부(11)에 대해 회전한다. 그 후, 이들 돌출부(32)는 연결 기어휠(26)의 홈형상부(28)와 맞물려서, 연결 기어휠(26)이 주축(101)에 연결된다. 이후에, 연결 기어휠(26)은 주축(101)에 대해 회전에 있어서고정되고, 프레임(12)은 거울하우징(3)과 함께 펼친 위치(복귀동작)로 선회된다. 상기 돌출부(159,162,259, 262)들이 홈(253,256,153,156)들에 도달할 때, 프레임(12)은 거울하우징(3)과 함께 다시 축방향 아래쪽으로 밀려 나가는데, 전기모터(20)는 큰 반력을 일으키지 않고, 선회동작(접는 동작)이 극단의 접은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된다. 그 후, 전기모터(20)의 회전방향이 반대로 되고(펼치는 동작), 펼친 위치에 도달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전기모터(20)는 작동을 멈춘다.
상기 거울하우징(3)이 수동으로 도달된 임의의 젖힘 동작의 중간위치에 있을 때 전기모터(20)가 펼치기 위해 필요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기동되면 어떤 해도 끼치지 않으면서 거울하우징(3)이 간단히 젖혀진 위치에 도달하고 통상의 방식으로 이로부터 접은 위치로 되돌려 보내어질 수 있다.
정상상태하에서는, 상기 선회 작동기가 전기적으로 작동되어서, 단지 펼친 위치나 극단의 접은 위치에만 있을 수 있다. 상기 선회 작동기가 수동으로 특정한 위치로 보내어지면 그 위치는 젖혀진 위치나 접은 위치일 수 있다. 따라서, 선회 작동기를 임의의 중간위치에서 펼친 위치로 보낼 필요가 있으면 선회 작동기용 제어장치를 채택하여 먼저 별도로 선회 작동기를 접은 위치로 보내고, 이로부터 펼친 위치로 보내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별도의 과정은 단지 선회 작동기가 외력의 작용으로 도달된 위치에 있으면 필요하므로, 선회 작동기가 외력의 작용으로 도달된 위치에 있는지를 감지하고 이에 기초하여 상기한 별도의 과정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모터용 제어장치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신호를 공급하는 감지수단이 적용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감지수단을 구비하는 바, 본 발명에 따른 감지수단은 간단하며 직접적인 구조를 장점으로 하며 임의의 먼지와 이물질에 대해서 적절히 보호된다. 이들 감지수단의 실시예는 작동로드(302)를 갖춘 마이크로 스위치(301)를 구비한다. 마이크로 스위치(301)는 도 9a의 밑에서 바라본 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플랜지(102)에 설치된다. 기저플랜지(102)에는 축방향으로 형성된 통로가 키이홈 영역(104) 중 하나를 갖춘 선상에 구비된다. 상기 작동로드(302)는 도 9b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개구부를 관통하여 연장되며, 마찰링(27)과 연결 기어휠(26)을 지나서 상기 키이홈 영역(104)으로 일정 거리 이상으로 연장되는데, 이를 위해 마찰링(27)은 도 3에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키이홈 영역(104)들의 수보다 적은 돌설부(29)를 갖추고 있다. 상기 작동로드(302)의 상부끝은 환형상의 연결부재(30)의 돌기부(31)의 바닥면에 대해 접하게 된다.
정상조작상태하에서, 상기 환형상의 연결부재(30)의 바닥면의 돌출부(32)는 연결 기어휠(26)의 홈형상부(28)로 하강된다. 이 상태에서 환형상의 연결부재(30)는 작동로드(302)를 가압하며, 마이크로 스위치(301)는 제1 전환상태(개방 또는 폐쇄)로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외력의 영향하에서 선회하는 동안 환형상의 연결부재(30)가 상승되어서, 마이크로 스위치(301)가 작동로드(302)를 매개로 하여 제2 전환상태(폐쇄 또는 개방)로 전환된다. 도시되지 않은 선들을 매개로 하여, 당해분야의 숙련공들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 스위치(301)의 접촉부는 모터용 제어부재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장치(21)는, 설명되고 도시된 실시예와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지만 도시된 실시예가 내구성 때문에 바람직한 한편, 모두 연결 기어휠(26)과 맞물리며 제1 워엄휠(23)상에 동축상으로 형성된 워엄(24)에 의해 구동되는 2개의 워엄휠(25)의 사용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결합에서 연결 기어휠(26)이 제2 워엄휠(25)의 경사진 톱니에 상응하는 경사진 톱니를 갖추면 유리하다.
삽입물인 마찰링(27)을 갖춘 프레임(12)의 환형상의 프레임부(203)의 상부에 바로 또는 선택적으로 연결 기어휠(26)을 위치시키고, 전동장치(21)의 제2 워엄휠(25)과 이 워엄휠(25)을 구동시키는 제2 워엄(24)을 연결 기어휠(26)의 평면에 위치시킴으로써, 선회 작동기(10)는 약간 끝과 끝이 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회 작동기(10)는 최소의 부품들로 전술한 기능들을 제공하는 바, 이들 부품은 그 위에 돌출부들 및/또는 홈형상부들 또는 홈들이 형성된 상태에서 예컨대 플라스틱으로 일체로 제조될 수 있어서 제조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조립비용의 절감은 대칭으로, 즉 바닥면 뿐만 아니라 상부면에 홈형상부(28)를 갖춘 연결 기어휠(26)을 제조함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
극단의 접은 위치와 펼친 위치를 구획하는 돌출부와 홈들은 단지 한 방향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전기적인 선회동작 동안 결코 위치결정 반력을 극복할 수 없으므로, 전기모터(20)와 전동장치(21)가 특별히 강할 필요가 없어서 비교적 저렴하게 될 수 있다.
청구범위에 기술되어 있는 발명의 개념이나 방위적인 범주로부터 벗어남 없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도시된 실시예가 수정되거나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 예컨대 연결 기어휠은 돌출부를 구비하는 반면에, 환형상의 연결부재는 이에 상응하는 홈형상부를 구비할 수 있고, 주축에 대한 환형상의 연결부재의 회전에 있어서의 고정은 다른 수단들, 예컨대 키이홈 영역의 형태와는 다른 형태를 선택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더구나, 대칭성 때문에 바람직하긴 하지만, 프레임(12)과 기저플랜지(102)의 홈들과 돌출부들은 엄밀히 서로 정반대편에 있을 필요가 없는데, 당해분야의 숙련공들은 홈의 상대변위가 이 홈에 맞춰지는 돌출부의 상응하는 상대변위를 필요로 함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역순서의 조립도 가능한데, 주축을 갖춘 거울기저부가 거울하우징에 설치되는 한편, 프레임이 자동차에 장착된 지지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링에 하나의 돌출부와 하나의 홈이 결합되나, 각각의 링에 2개의 돌출부와 2개의 홈이 결합될 수도 있는데, 각각의 링에서 90˚마다 돌출부-홈-돌출부-홈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대체로 단순화된 구조를 갖추어 부품의 수가 감소되면서, 전기모터와 전동장치에 의해 훨씬 향상된 조정 편의성을 갖는 한편, 변경 없이 좌측거울과 우측거울 모두에 사용될 수 있는 선회 작동기를 제공하여 제조비용을 비교적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11)

  1. 전기적으로 작동가능한 선회 작동기(10)로서,
    주축(101)과 대체로 환형상의 상부면(150)을 갖춘 기저플랜지(102)를 구비한 거울기저부(11);
    대체로 환형상의 바닥면(250)을 갖춘 환형상의 프레임부(203)가 주축(101) 주위로 연장되고 기저플랜지(102)의 위에 놓이는 프레임(12);
    상기 프레임(12)의 환형상의 프레임부(203) 위에서 주축(101) 주위로 설치되면서, 선택적으로 삽입물인 마찰링(27)을 갖춘 대체로 환형상의 연결 기어휠(26);
    상기 연결 기어휠(26)의 상부면상에 설치되는 대체로 환형상의 연결부재(30);
    상기 환형상의 연결부재(30)의 바닥면과 연결 기어휠(26)의 상부면 사이에 짝힘을 제한하는 물림연결을 제공하는 수단들(28,32);
    상기 주축(101)에 대해 환형상의 연결부재(30)의 회전에 있어서의 고정과 축방향 자유도를 제공하는 수단들(31,103,104);
    상기 환형상의 연결부재의 상부면에서 축방향의 아래쪽으로 압축력을 가하는 수단(40);
    전기모터(20);
    상기 전기모터(20)의 구동축(20')과 연결 기어휠(26) 사이에 연결된 전동장치(21); 및
    상기 거울기저부(11)와 프레임(12) 사이에 구획되어 단일 방향으로 작동하고 짝힘을 제한하면서, 상기 선회 작동기(10)의 펼친 위치와 극단의 접은 위치 및 극단의 젖혀진 위치를 정의하는 정지수단으로서, 상기 거울기저부(11)의 환형상의 상부면(150)의 내부링(151)에 형성되고 경사진 끝면들(154,155)을 갖춘 원호형상의 제1 홈(153)과, 상기 상부면(150)의 외부링(152)에 형성되고 경사진 끝면들(157,158)을 갖춘 원호형상의 제2 홈(156)과, 상기 환형상의 프레임부(203)의 환형상의 바닥면(250)의 내부링에 형성되고 경사진 끝면들(254,255)을 갖춘 원호형상의 제3 홈(253) 및, 상기 바닥면(250)의 외부링(252)에 형성되고 경사진 끝면들(257,258)을 갖춘 원호형상의 제4 홈(256)을 구비하되, 상기 홈들은 서로 동일한 각도의 크기(α)를 가지며, 또한 상기 상부면(150)의 내부링(151) 위에 형성되고 경사진 측면들(160,161)을 갖춘 제1 돌출부(159)와, 상기 상부면(150)의 외부링(152) 위에 형성되고 경사진 측면들(163,164)을 갖춘 제2 돌출부(162)와, 상기 바닥면(250)의 내부링(251) 위에 형성되고 경사진 끝면들(260,261)을 갖춘 제3 돌출부(259) 및, 상기 바닥면(250)의 외부링(252) 위에 형성되고 경사진 측면들(263,264)을 갖춘 제4 돌출부(262)를 구비하되, 상기 제1 돌출부(159)는 제3 홈(253)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돌출부(162)는 제4 홈(256)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3 돌출부(259)는 제1 홈(153)으로 연장되고, 제4 돌출부(262)는 제2 홈(156)으로 연장되며, 상기 돌출부들이 서로 동일한 각도의 크기(β)를 갖도록 형성된 정지수단들을 구비하는 전기적으로 작동가능한 선회 작동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플랜지(102)와 주축(101)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으로 작동가능한 선회 작동기.
  3. 제1 항 또는 제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장치(21)는 워엄(24)에 의해 구동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워엄휠(25)을 구비하며, 상기 워엄휠(25)은 프레임(12)상에 베어링으로 장착되고 연결 기어휠(26)과 맞물리며 상기 워엄(24)의 피치에 상응하는 경사진 톱니를 가지며, 상기 연결기어휠(26)은 상기 워엄휠(25)의 경사진 톱니에 상응하는 경사진 톱니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으로 작동가능한 선회 작동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장치(21)는 연결기어휠(26)에 평행으로 연결되는 2개의 워엄휠(25)을 구비하며, 상기 2개의 워엄휠(25)은 일직선상에 위치되고 일체로 형성된 2개의 워엄(24)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으로 작동가능한 선회 작동기.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플랜지(102)가 자동차(1)에 고정된 지지부(2)의 상응하는 오목부에 끼워맞춤부를 형성하도록 된 방사상의 3개의 볼록부(11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으로 작동가능한 선회 작동기.
  6.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의 크기(α)가 약 115˚이고, 각도의 크기(β)는 약 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으로 작동가능한 선회 작동기.
  7.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링(27)은 연결 기어휠(26)과 환형상의 프레임부(203) 사이에 설치되고, 주축(101)에 대해 회전방향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으로 작동가능한 선회 작동기.
  8.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59)의 다음에 대체로 축방향으로 형성된 측면들(182,183)을 갖춘 정지캠(181)이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159)와 결합되는 홈(253)이 경사진 끝면(254,255)을 갖춘 내부 홈부(253')과 축방향으로 형성된 끝면들을 갖춘 외부 홈부(253")로 나뉘어지되, 상기 외부 홈부(253")의 접선길이가 내부 홈부(253')의 접선길이 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으로 작동가능한 선회 작동기.
  9. 제1 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 작동기가 외력의 작용에 의해 도달되는 위치에 있는지를 감지하도록 감지수단(300)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으로 작동가능한 선회 작동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300)들이 기저플랜지(102)의 개구부를 관통하여 연장되며 그 끝이 환형상의 연결부재(30)와 협동하는 작동로드(302)에 의해 작동되는 마이크로 스위치(30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으로 작동가능한 선회 작동기.
  11. 축(4) 주위를 선회하도록 지지부(2)에 장착되는 거울하우징(3)에 설치되는 측면거울을 구비하는 자동차로서, 제1 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선회 작동기(10)가 거울하우징(3)을 선회시키도록 제공되는 측면거울을 구비하는 자동차.
KR10-1998-0709200A 1996-05-15 1997-05-14 전기적으로작동가능한선회작동기와이를갖춘측면거울 KR1003636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1003144A NL1003144C2 (nl) 1996-05-15 1996-05-15 Elektrisch bedienbare scharnieractuator, en buitenspiegel met elektrisch bedienbaar scharniermechanisme.
NL1003144 1996-05-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049A KR20000011049A (ko) 2000-02-25
KR100363630B1 true KR100363630B1 (ko) 2003-04-10

Family

ID=19762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9200A KR100363630B1 (ko) 1996-05-15 1997-05-14 전기적으로작동가능한선회작동기와이를갖춘측면거울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130514A (ko)
EP (1) EP0898522B1 (ko)
JP (1) JP3151529B2 (ko)
KR (1) KR100363630B1 (ko)
AT (2) ATE198724T1 (ko)
AU (1) AU710167B2 (ko)
BR (1) BR9709002A (ko)
CA (1) CA2254859C (ko)
DE (1) DE69703929T2 (ko)
ES (1) ES2155251T3 (ko)
NL (1) NL1003144C2 (ko)
TW (1) TW389730B (ko)
WO (1) WO199704314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671B1 (ko) * 2006-05-12 2014-01-23 엠씨아이 (미러 컨트롤스 인터내셔널) 네덜란드 비.브이. 힌지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18689C2 (nl) * 2001-08-02 2003-02-04 Iku Holding Montfoort Bv Behuizing voor een spiegelactuator.
NL1010513C2 (nl) 1998-11-09 2000-05-10 Iku Holding Montfoort Bv Elektrisch gestuurde spiegel voor een motorvoertuig.
AUPP809399A0 (en) * 1999-01-11 1999-02-04 Britax Rainsfords Pty Ltd A mirror rotation mechanism
DE19906150A1 (de) * 1999-02-10 2000-09-07 Magna Reflex Holding Gmbh Fahrzeugaußenspiegel und Verfahren zu dessen Steuerung
US6572250B1 (en) * 1999-03-15 2003-06-03 Britax Wingard Limited Exterior mirror having an attachment member including an approach light
US7040770B1 (en) * 1999-10-19 2006-05-09 Schefenacker Vision Systems Australia Pty Ltd. Exterior mirror
DE19953484C2 (de) * 1999-11-06 2002-03-07 Oechsler Ag Ausrastbarer Schwenkantrieb
DE10006913B4 (de) * 2000-02-16 2005-12-22 Bühler Motor GmbH Außenrückblickspiegel für ein Kraftfahrzeug
DE10006914A1 (de) * 2000-02-16 2001-08-30 Buhler Motor Gmbh Stellantrieb für einen Kfz-Außenrückblickspiegel
DE10009579B4 (de) * 2000-02-29 2006-02-23 Bühler Motor GmbH Außenrückblickspiegel für ein Kraftfahrzeug
DE10031330B4 (de) * 2000-07-03 2005-10-06 Donnelly Hohe Gmbh & Co. Kg Schwenkbarer Außenspiegel für ein Kraftfahrzeug
US6257731B1 (en) * 2000-08-17 2001-07-10 Jaeil Engineering Co., Ltd. Connections device of actuator for side mirrors of automobile
NL1016915C2 (nl) 2000-12-19 2002-06-21 Iku Holding Montfoort Bv Scharnieractuator.
JP3964627B2 (ja) * 2001-03-19 2007-08-2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ドアミラー装置
EP1243472B1 (en) * 2001-03-19 2006-06-28 Kabushiki Kaisha Tokai-Rika-Denki-Seisakusho Mirror device for vehicle
KR100897446B1 (ko) * 2001-03-26 2009-05-14 쉐프네커 비젼 시스템즈 오스트레일리아 프로프라이어터리 리미티드 자기로딩형의 피벗과 단부정지부를 갖는 차량용 외부미러
US7172298B2 (en) * 2001-04-27 2007-02-06 Schefenacker Vision Systems Australia Pty Ltd Power fold mechanism for vehicle mirrors
JP4633299B2 (ja) * 2001-07-12 2011-02-16 株式会社村上開明堂 減速機及び該減速機を備える電動格納式ドアミラー
NL1018687C2 (nl) * 2001-08-02 2003-02-04 Iku Holding Montfoort Bv Scharnierconstructie en scharnieractuator, in het bijzonder voor een buitenspiegel van een motorvoertuig.
NL1019258C2 (nl) * 2001-10-30 2003-05-02 Iku Holding Montfoort Bv Bevestigingsconstructie, in het bijzonder voor een buitenspiegel van een motorvoertuig.
US7070287B2 (en) * 2002-04-23 2006-07-04 Magna Donnelly Mirrors North America L.L.C. Vehicular mirror system with at least one of power-fold and power-extend functionality
JP2004009806A (ja) * 2002-06-04 2004-01-15 Ichikoh Ind Ltd 車両用アウターミラー
JP4020710B2 (ja) * 2002-06-25 2007-12-12 株式会社ミツバ ドアミラーセットプレート
FR2845052B1 (fr) * 2002-08-06 2005-06-24 Fico Mirrors Ensemble pour la liaison articulee d'un miroir retroviseur
NL1021382C2 (nl) * 2002-09-03 2004-03-05 Iku Holding Montfoort Bv Electromotorschakeling met beveiliging tegen overbelasting.
JP4122993B2 (ja) * 2003-02-04 2008-07-23 市光工業株式会社 電動格納式ドアミラー
US7303297B1 (en) 2003-02-27 2007-12-04 Magna Donnelly Mirrors North America L.L.C. Vehicular mirror with improved bearing fit
JP2005008141A (ja) * 2003-05-27 2005-01-13 Ichikoh Ind Ltd 車両用ミラー装置
TWI232187B (en) * 2003-06-28 2005-05-11 Chaw Khong Co Ltd Electrical operable pivoting back-mirror device
JP2005199820A (ja) * 2004-01-14 2005-07-28 Ichikoh Ind Ltd 車両用ミラー装置
NL1025434C2 (nl) * 2004-02-06 2005-08-09 Iku Holding Montfoort Bv Scharnieractuator en werkwijze voor het ten opzichte van elkaar verstellen van twee delen van een scharnieractuator.
NL1026014C2 (nl) * 2004-04-23 2005-10-25 Iku Holding Montfoort Bv Scharnieractuator alsmede werkwijze voor het ten opzichte van elkaar verstellen van twee delen van een scharnieractuator.
NL1025433C2 (nl) * 2004-02-06 2005-08-09 Iku Holding Montfoort Bv Scharnieractuator en werkwijze voor het ten opzichte van elkaar verstellen van twee delen van een scharnieractuator.
DE602005003927T2 (de) * 2004-02-06 2008-12-18 Eaton Automotive B.V. Gelenkstellglied und verfahren zur einstellung von zwei teilen eines gelenks eines gelenkstellglieds bezüglich einander
NL1025437C2 (nl) * 2004-02-06 2005-08-09 Iku Holding Montfoort Bv Scharnieractuator.
WO2005079535A2 (en) * 2004-02-18 2005-09-01 Schefenacker Vision Systems Usa Inc. Wear-proof détente for folding mirrors
NL1026002C2 (nl) * 2004-04-22 2005-10-25 Iku Holding Montfoort Bv Scharnieractuator, in het bijzonder voor een buitenspiegeleenheid.
US7354165B1 (en) * 2004-10-20 2008-04-08 Magna Donnelly Mirrors North America, Llc Vehicle mirror system with control rise detent assembly
JP4807213B2 (ja) 2006-10-04 2011-11-02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JP2008087706A (ja) * 2006-10-04 2008-04-17 Ichikoh Ind Ltd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US8152124B2 (en) * 2007-04-30 2012-04-10 Lang-Mekra North America, Llc Adjustable support arm for a vehicle exterior rearview mirror assembly
JP4985276B2 (ja) * 2007-09-27 2012-07-25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AU2008203505B2 (en) * 2008-08-05 2011-06-09 Smr Patents S.A.R.L. Vehicle mirror power fold mechanism
CN102414731B (zh) * 2009-04-23 2014-01-2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带画面角度调整机构的影像显示装置
JP2011194925A (ja) * 2010-03-17 2011-10-06 Ichikoh Ind Ltd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JP5552854B2 (ja) * 2010-03-17 2014-07-16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NL2006301C2 (nl) * 2010-10-06 2012-04-11 Mci Mirror Controls Int Nl Bv Verstelmechanisme.
EP2439106B1 (en) * 2010-10-08 2012-12-05 SMR Patents S.à.r.l. Power fold mechanism
US8336845B1 (en) * 2011-07-13 2012-12-25 Lang-Mekra North America, Llc Pivoting detent joint for a vehicle mirror assembly
EP2548770B1 (de) * 2011-07-21 2014-01-15 Magna Auteca AG Antriebsanordnung fpür einen aussenrückspiegel eines Fahrzeugs
US9758100B2 (en) * 2013-05-23 2017-09-12 Fico Mirrors, S.A. Folding rearview mirror for motor vehicles
JP6113638B2 (ja) * 2013-12-09 2017-04-1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ミラー装置
GB2530350A (en) * 2014-10-31 2016-03-23 Daimler Ag Method for testing a mirror device of a vehicle, in particular a passenger vehicle
DE102015205923B3 (de) 2015-04-01 2016-06-09 Magna Auteca Ag Abklappantrieb sowie Außenspiegel zum Abklappen
DE102016202042A1 (de) 2015-07-16 2017-01-19 Magna Mirrors Holding Gmbh Rückspiegelanordnung mit automatischer Abklappfunktion sowie Verfahren
NL2015676B1 (nl) * 2015-10-28 2017-05-29 MCI (Mirror Controls International) Netherlands B V Verstelinstrument voor een buitenzichteenheid voor een voertuig.
DE202015106118U1 (de) * 2015-11-12 2015-11-30 SMR Patents S.à.r.l. Rückblickelement-Klappvorrichtung
NL2015897B1 (nl) * 2015-12-02 2017-06-28 MCI (Mirror Controls International) Netherlands B V Bevestigingsconstructie, in het bijzonder voor een buitenzichteenheid van een motorvoertuig.
JP6827870B2 (ja) * 2017-03-31 2021-02-10 株式会社村上開明堂 車両用電動格納式視認装置の電動格納ユニット
NL2018838B1 (nl) * 2017-05-03 2018-11-14 Mci Mirror Controls Int Netherlands B V Verstelinstrument en werkwijze
WO2018215599A1 (en) * 2017-05-24 2018-11-29 Smr Patents Sarl Pivot joint system and rear view device therewith
EP3412509B1 (en) * 2017-06-07 2020-01-08 Fico Mirrors S.A. Actuator mechanism for a fold rear-view mirror assembly
CN111032434B (zh) * 2017-08-17 2023-09-01 麦格纳镜片美国有限公司 用于外部镜的电动折叠致动器
NL2019778B1 (nl) * 2017-10-20 2019-04-29 Mci Mirror Controls Int Netherlands B V Bevestigingsconstructie, in het bijzonder voor een buitenzichteenheid van een motorvoertuig
EP3552883A1 (en) * 2018-04-12 2019-10-16 Continental Automotive GmbH Camera mounting device for a digital mirror system
NL2020820B1 (nl) * 2018-04-24 2019-10-31 Mci Mirror Controls Int Netherlands B V Verstelinstrument, in het bijzonder voor het verstellen van een buitenzichteenheid van een voertuig
ES2781124B2 (es) * 2019-02-26 2021-02-25 Compania Levantina De Reductores S L Mecanismo de rotacion de espejo retrovisor exterior para vehiculos y espejo retrovisor que lo incluye
ES2781125B2 (es) * 2019-02-26 2021-02-25 Compania Levantina De Reductores S L Conjunto de fijacion de la estructura de montaje de espejo retrovisor exterior para vehiculos y espejo retrovisor que lo incluye
NL2023038B1 (nl) * 2019-04-30 2020-11-23 Mci Mirror Controls Int Netherlands B V Verstelinstrument
US11691568B2 (en) * 2019-08-16 2023-07-04 Ficosa North America Corporation Articulating visual aid winglet
DE102021201586B4 (de) 2020-02-20 2023-08-03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Fahrzeugaußenrückspiegelanordnung
DE102021103622A1 (de) * 2020-03-13 2021-09-16 Magna Closures Inc. Dreh-getriebeanordnung zur vergrösserung des hartanschlag-motorweges
US11628772B2 (en) * 2020-10-28 2023-04-18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Powerfold actuator for exterior mirror
CN112622768B (zh) * 2020-11-09 2022-03-22 宁波精成车业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外后视镜的电动折叠装置
KR102492750B1 (ko) * 2022-07-15 2023-01-27 에스디아이테크 주식회사 작동마찰 방지구조를 갖는 차량용 사이드미러 폴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36347A (ja) * 1988-11-16 1990-05-24 Daito Press Kogyo Kk 自動車用後視鏡の支持アーム操作装置
JP2827272B2 (ja) * 1989-05-01 1998-11-25 市光工業株式会社 電動格納式ドアミラー
WO1991003390A1 (en) * 1989-08-31 1991-03-21 Ichikoh Industries, Ltd. Electrically retractable door mirror
US4981349A (en) * 1989-09-01 1991-01-01 Kabushiki Kaisha Matsuyama Seisakusho Rearview mirror assembly for automobiles including positioning means with a recess surface extending uniformly horizontally
JP2584198Y2 (ja) * 1991-03-27 1998-10-30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車両用ミラーの駆動力断接機構
JPH04136949U (ja) * 1991-06-17 1992-12-21 株式会社村上開明堂 可倒式ドアミラー
JP2604693Y2 (ja) * 1992-09-16 2000-05-22 株式会社村上開明堂 電動格納式ドアミラー
JP2593794Y2 (ja) * 1993-03-24 1999-04-12 株式会社村上開明堂 電動格納式ドアミラー
DE4327388A1 (de) * 1993-08-14 1995-02-16 Bosch Gmbh Robert Kraftfahrzeug-Außenrückspiegel
EP0644084B1 (en) * 1993-09-03 1998-05-20 Ichikoh Industries Limited Rearview mirror system for vehicles
DE4337750A1 (de) * 1993-11-05 1995-05-11 Bosch Gmbh Robert Kraftfahrzeug-Außenrückspiegel
US5734517A (en) * 1993-12-15 1998-03-31 Poong Jeong Ind. Co., Ltd. Device for regulating motor-driven foldable rear view mirror of automobile
NL9400163A (nl) * 1994-02-02 1995-09-01 Iku Holding Montfoort Bv Bewegingsactuator.
JP3180552B2 (ja) * 1994-03-30 2001-06-25 市光工業株式会社 電動格納式ドアーミラー及びそのスイッチ装置及びそのスイッチ回路
JPH07291033A (ja) * 1994-04-25 1995-11-07 Molten Corp 自動車用ドアミラー
JP3208994B2 (ja) * 1994-06-09 2001-09-17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後写鏡装置の駆動装置
DE4427410C5 (de) * 1994-08-03 2010-02-18 Reitter & Schefenacker Gmbh & Co. Kg Außenrückblickspiegel für Kraftfahrzeuge
FR2723897B1 (fr) * 1994-08-25 1998-04-10 Murakami Kaimeido Kk Reducteur de vitesse pour un retroviseur rabattable a commande electrique.
JP3008334U (ja) * 1994-08-25 1995-03-14 株式会社村上開明堂 電動格納式ドアミラーの減速機構
DE19521432C2 (de) * 1995-06-15 1999-07-01 Hohe Gmbh & Co Kg Fahrzeugaußenspiegel mit motorisch schwenkbarem Spiegelkopf
KR100198321B1 (ko) * 1995-09-22 1999-06-15 모치마루 마모루 차량용 후시경의 위치결정장치
DE29518655U1 (de) * 1995-11-23 1996-01-11 Reitter & Schefenacker Gmbh Außenrückblickspiegel für Fahrzeuge, vorzugsweise Kraftfahrzeuge
DE19833514B4 (de) * 1997-07-30 2005-04-28 Buhler Motor Gmbh Antrieb zum Abklappen eines Kraftfahrzeugrückblickspiegel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671B1 (ko) * 2006-05-12 2014-01-23 엠씨아이 (미러 컨트롤스 인터내셔널) 네덜란드 비.브이. 힌지구조
KR101398371B1 (ko) 2006-05-12 2014-05-22 엠씨아이 (미러 컨트롤스 인터내셔널) 네덜란드 비.브이. 힌지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10167B2 (en) 1999-09-16
ATE198724T1 (de) 2001-02-15
TW389730B (en) 2000-05-11
DE69703929D1 (de) 2001-02-22
WO1997043144A1 (en) 1997-11-20
NL1003144C2 (nl) 1997-11-18
AT4127U1 (de) 2001-02-26
DE69703929T2 (de) 2001-08-30
EP0898522A1 (en) 1999-03-03
BR9709002A (pt) 1999-08-03
CA2254859A1 (en) 1997-11-20
AU2714397A (en) 1997-12-05
JP3151529B2 (ja) 2001-04-03
KR20000011049A (ko) 2000-02-25
EP0898522B1 (en) 2001-01-17
JP2000503938A (ja) 2000-04-04
US6130514A (en) 2000-10-10
ES2155251T3 (es) 2001-05-01
CA2254859C (en) 2001-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3630B1 (ko) 전기적으로작동가능한선회작동기와이를갖춘측면거울
KR100363629B1 (ko) 이동액튜에이터
KR101230073B1 (ko) 힌지 액추에이터 및 힌지 액추에이터의 두 파트를 서로에대해 조절하는 방법
JP2593794Y2 (ja) 電動格納式ドアミラー
JPH10119793A (ja) 自動車ステアリングコラムユニット
JP2008087706A (ja)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US6981774B2 (en) Vehicle rear view mirror assembly
US20050000058A1 (en) Hinge construction and hinge actuator, in particular for a wing mirror of a motor vehicle
JPH07182950A (ja) 乗物の座席のための回転作用スイッチ組立体
US5062312A (en) Actuator
JP4481153B2 (ja) 車両用ドアミラー装置
EP0614783B1 (en) Mirror angle adjusting device for rearview mirrors
EP1349748A1 (en) Hinge actuator for wing mirror of motor vehicle
KR100563805B1 (ko) 회전식 등 스위치
JPH0373501B2 (ko)
JPH0671888B2 (ja) 伸縮及びチルト可能な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JP3866823B2 (ja) 車両用外部バックミラー
KR100283003B1 (ko) 전동식 백미러용 스위치 구조
JPS62134348A (ja) 自動車用電動式ドア−ミラ−
JPH02290754A (ja) 電動格納式ドアミラー
KR100477556B1 (ko) 자동차 외부미러의 폴딩 유니트
JP2547375Y2 (ja) 可倒式車両用ミラー
MXPA98009498A (es) Accionador de pivoteo operable electricamente, y espejo de ala que tiene un mecanismo de pivoteo electricamente operable
JPH08119037A (ja) 電動格納式ドアーミラー
JP2582083Y2 (ja) 電動ミラ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