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7016A - p-터페닐 화합물 혼합물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사진용감광체 - Google Patents

p-터페닐 화합물 혼합물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사진용감광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7016A
KR20080087016A KR1020087018432A KR20087018432A KR20080087016A KR 20080087016 A KR20080087016 A KR 20080087016A KR 1020087018432 A KR1020087018432 A KR 1020087018432A KR 20087018432 A KR20087018432 A KR 20087018432A KR 20080087016 A KR20080087016 A KR 200800870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phenyl
compound
terphenyl compound
formula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8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7008B1 (ko
Inventor
신야 나가이
아쯔시 다께스에
마꼬또 고이께
가쯔미 아베
다께히로 나까지마
Original Assignee
호도가야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도가야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호도가야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87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7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7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7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11/00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 C07C211/43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the carbon skeleton
    • C07C211/54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th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two or three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0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 C07C209/04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by substitution of functional groups by amino groups
    • C07C209/06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by substitution of functional groups by amino groups by substitution of halogen atoms
    • C07C209/1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by substitution of functional groups by amino groups by substitution of halogen atoms with formation of amin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r from amines having nitrogen atom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6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hotoconductive material being organic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6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hotoconductive material being organic
    • G03G5/0601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G03G5/0612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G03G5/0614Amines
    • G03G5/06142Amines arylamine
    • G03G5/06144Amines arylamine diamine
    • G03G5/061446Amines arylamine diamine terphenyl-diamin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6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hotoconductive material being organic
    • G03G5/0601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G03G5/0618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nd nitroge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6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hotoconductive material being organic
    • G03G5/0664Dyes
    • G03G5/0696Phthalocyani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hotoreceptors In Electrophotograph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 용제에 대한 용해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감광체 특성에 있어서 문제가 되는 크래킹 현상을 개선하고, 고감도, 고내구성을 갖는 전자 사진용 감광체를 실현할 수 있는 전하 수송제로서 유용한 p-터페닐 화합물 혼합물, 및 상기 화합물 혼합물을 이용한 전자 사진용 감광체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2종의 대칭형 p-터페닐 화합물과 이들 화합물 쌍방의 치환기군을 겸비한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비대칭형 p-터페닐 화합물을 포함하는 p-터페닐 화합물 혼합물, 및 상기 화합물 혼합물을 함유하는 전자 사진용 감광체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53810065-PCT00038
<화학식 2>
Figure 112008053810065-PCT00039
<화학식 3>
Figure 112008053810065-PCT00040
전자 사진용 감광체, p-터페닐 화합물 혼합물

Description

p-터페닐 화합물 혼합물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사진용 감광체{p-TERPHENYL COMPOUND MIXTURE AND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S MADE B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기 용제에 대한 용해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용해성 부족에 의해 생기는 크래킹 현상이 개선되고, 전자 사진용 감광체에 이용되는 전하 수송제로서 유용한 p-터페닐 화합물 혼합물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사진용 감광체에 관한 것이다.
전자 사진 방식이란, 일반적으로 광도전성 재료를 이용한 감광체의 표면에 암소(暗所)에서, 예를 들면 코로나 방전에 의해 대전시키고, 여기에 노광을 행하고, 노광부의 전하를 선택적으로 산일시켜 정전 잠상을 얻고, 이에 대하여 토너를 이용하여 현상한 후 종이 등에 전사, 정착하여 화상을 얻는 화상 형성 방법의 일종이다. 종래, 전자 사진용 감광체에는 셀레늄, 산화아연, 황화카드뮴, 규소 등의 무기계 광 도전성 물질이 널리 이용되어 왔다. 이들 무기 물질은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는 동시에 다양한 결점도 갖고 있었다. 예를 들면, 셀레늄은 제조하는 조건이 어렵고, 열이나 기계적 충격으로 결정화되기 쉽다는 결점이 있고, 산화아연이나 황화카드뮴은 내습성이나 기계적 강도에 문제가 있고, 또한 증감제로서 첨가된 색소에 의해 대전이나 노광의 열화가 발생하여, 내구성이 부족하다는 등의 결점이 있다. 규소도 제조하는 조건이 어렵고, 자극성이 강한 가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비용이 비싸고, 습도에 민감하기 때문에 취급에 주의를 요한다. 또한, 셀레늄이나 황화카드뮴에는 독성의 문제도 있다.
이들 무기 감광체가 갖는 결점을 개선한 다양한 유기 화합물을 이용한 유기 감광체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유기 감광체에는 전하 발생제와 전하 수송제를 결착 수지 내에 분산시킨 단층형 감광체와, 전하 발생층과 전하 수송층으로 기능 분리된 적층형 감광체가 있다. 기능 분리형 유기 감광체는 각각의 재료의 선택의 폭이 넓고, 조합에 의해 임의의 성능을 갖는 감광체를 비교적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점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전하 발생제로는, 예를 들면 아조 화합물, 비스아조 화합물, 트리스아조 화합물, 테트라키스아조 화합물, 티아피릴륨염, 스쿠아릴륨염, 아즐레늄염, 시아닌 색소, 페릴렌 화합물, 무금속 또는 금속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다환 퀴논 화합물, 티오인디고계 화합물, 또는 퀴나크리돈계 화합물 등, 많은 유기 안료나 색소가 제안되어 실용에 제공되고 있다.
전하 수송제로는, 예를 들면 옥사디아졸 화합물(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옥사졸 화합물(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피라졸린 화합물(예를 들면, 특허 문헌 3 참조), 히드라존 화합물(예를 들면, 특허 문헌 4 내지 7 참조), 디아민 화합물(예를 들면, 특허 문헌 8 참조), 스틸벤 화합물(예를 들면, 특허 문헌 9 내지 11 참조), 부타디엔 화합물(예를 들면, 특허 문헌 12 참조) 등이 있다. 이들 전하 수송제를 이용한 유기 감광체는 우수한 특성을 갖고, 실용화되어 있는 것이 있지만, 전자 사진 방식의 감광체에 요구되는 여러 특성을 충분히 만족시키는 것은 아직 얻어지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또한, 감도 등의 여러 특성은 좋지만, 수지와의 상용성이나 용제에 대한 용해성이 나쁘기 때문에 실용화되지 않은 것도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고 (소)34-005466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소)56-123544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고 (소)52-041880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 특허 공고 (소)55-042380호 공보
특허 문헌 5: 일본 특허 공고 (소)61-040104호 공보
특허 문헌 6: 일본 특허 공고 (소)62-035673호 공보
특허 문헌 7: 일본 특허 공고 (소)63-035976호 공보
특허 문헌 8: 일본 특허 공고 (소)58-032372호 공보
특허 문헌 9: 일본 특허 공고 (소)63-018738호 공보
특허 문헌 10: 일본 특허 공고 (소)63-019867호 공보
특허 문헌 11: 일본 특허 공고 (평)3-039306호 공보
특허 문헌 12: 일본 특허 공개 (소)62-030255호 공보
과거에 출원된 특허 문헌 중에서 p-터페닐 화합물을 전자 사진용 감광체의 용도로서 이용하고 있는 것이 몇 개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3 내지 14 참조). 특허 문헌 13에서는 p-터페닐 화합물 등의 개시 화합물이 예시되어 있지만, 이는 적층형 감광체의 전하 발생층 중에 함유시킴으로써 내구성 및 감도 등의 전자 사진 특성의 개선을 도모한 방법이다. 또한, 특허 문헌 14에 개시되어 있는 p-터페닐 화합물의 용해성은 우수하지만, 내구성 등의 여러 특성이 충분하지 않다.
유기 감광체에 이용하는 전하 수송제에는 감도를 비롯한 감광체로서의 전기 특성을 만족시킬 뿐만 아니라, 빛이나 오존, 전기적 부하에 견디는 화학적 안정성과 반복 사용이나 장기간 사용에 의해서도 감도가 저하되지 않는 안정성이나 내구성이 요구된다. 또한, 유기 감광체를 제조할 때에는 용제에 대한 높고 안정된 용해성이 필요하다. 그러나, 우수한 용해성을 갖고, 안정성이나 내구성이 우수하고, 만족할만한 화합물은 발견되지 않았다.
특허 문헌 13: 일본 특허 공개 (소)61-129648호 공보
특허 문헌 14: 일본 특허 공고 (평)6-073018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의 목적은 유기 용제에 대한 용해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감광체 특성에 있어서 문제가 되는 크래킹 현상을 개선하고, 고감도, 고내구성을 갖는 전자 사진용 감광체를 실현할 수 있는 전하 수송제로서 유용한 p-터페닐 화합물 혼합물, 및 상기 화합물 혼합물을 이용한 전자 사진용 감광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2종의 대칭형 p-터페닐 화합물과 이들 화합물 쌍방의 치환기군을 겸비한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비대칭형 p-터페닐 화합물을 포함하는 p-터페닐 화합물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8053810065-PCT00001
Figure 112008053810065-PCT00002
Figure 112008053810065-PCT00003
(식 중, R1, R2, R3, R4, R5, R6, R7 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알킬기, 알콕시기, 아르알킬기, 할로겐 원자, 이치환 아미노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를 나타내고, R1과 R2, R3과 R4, R5와 R6, R7과 R8은 공동으로 환을 형성할 수 있 되, 단, 치환기군 R5, R6, R7 및 R8과 치환기군 R1, R2, R3 및 R4는 치환기 또는 치환 위치가 1개 이상 다른 것임)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2종의 대칭형 p-터페닐 화합물과 이들 화합물 쌍방의 치환기군을 겸비하는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비대칭형 p-터페닐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자 사진용 감광체용 p-터페닐 화합물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전성 지지체 상에 상기 p-터페닐 화합물 혼합물을 함유하는 층을 갖는 전자 사진용 감광체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p-터페닐 화합물 혼합물에 따르면, 유기 용제에 대한 용해성이 향상되고, 크래킹 현상이 개선되고, 드리프트 이동도가 우수하고, 감광체 특성을 만족시켜 고감도, 고내구성을 갖는 전자 사진용 감광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기능 분리형 전자 사진용 감광체의 층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2는 기능 분리형 전자 사진용 감광체의 층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3은 전하 발생층과 도전성 지지체 사이에 언더 코팅층을 설치한 기능 분리형 전자 사진용 감광체의 층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4는 전하 수송층과 도전성 지지체 사이에 언더 코팅층을 설치하고, 전하 발생층 상에 보호층을 설치한 기능 분리형 전자 사진용 감광체의 층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5는 전하 발생층과 도전성 지지체 사이에 언더 코팅층을 설치하고, 전하 수송층에 보호층을 설치한 기능 분리형 전자 사진용 감광체의 층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6은 단층형 전자 사진용 감광체의 층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7은 감광층과 도전성 지지체 사이에 언더 코팅층을 설치한 단층형 전자 사진용 감광체의 층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8은 합성 실시예 1의 IR 스펙트럼이다.
도 9는 합성 실시예 2의 IR 스펙트럼이다.
도 10은 합성 실시예 3의 IR 스펙트럼이다.
부호의 설명
1: 도전성 지지체
2: 전하 발생층
3: 전하 수송층
4: 감광층
5: 언더 코팅층
6: 전하 수송 물질 함유층
7: 전하 발생 물질
8: 보호층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 및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2종의 대칭형 p-터페닐 화합물과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비대칭형 p-터페닐 화합물을 포함하는 p-터페닐 화합물 혼합물은 하기 화학식 4 및 화학식 5로 표시되는 2종의 디페닐아민 화합물과 4,4''-디요오도-p-터페닐로부터 울만 반응 등의 1 단계의 반응에 의해 합성할 수 있다.
Figure 112008053810065-PCT00004
Figure 112008053810065-PCT00005
(식 중, R1, R2, R3, R4, R5, R6, R7 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알킬기, 알콕시기, 아르알킬기, 할로겐 원자, 이치환 아미노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를 나타내고, R1과 R2, R3과 R4, R5와 R6, R7과 R8은 공동으로 환을 형성할 수 있되, 단, 치환기군 R5, R6, R7 및 R8과 치환기군 R1, R2, R3 및 R4는 치환기 또는 치환 위치가 1개 이상 다른 것임)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대칭형 p-터페닐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서 다음과 같은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단, 본 발명은 이들 화합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합물 No.1
Figure 112008053810065-PCT00006
화합물 No.2
Figure 112008053810065-PCT00007
화합물 No.3
Figure 112008053810065-PCT00008
화합물 No.4
Figure 112008053810065-PCT00009
화합물 No.5
Figure 112008053810065-PCT00010
화합물 No.6
Figure 112008053810065-PCT00011
화합물 No.7
Figure 112008053810065-PCT00012
화합물 No.8
Figure 112008053810065-PCT00013
화합물 No.9
Figure 112008053810065-PCT00014
화합물 No.10
Figure 112008053810065-PCT00015
화합물 No.11
Figure 112008053810065-PCT00016
화합물 No.12
Figure 112008053810065-PCT00017
화합물 No.13
Figure 112008053810065-PCT00018
화합물 No.14
Figure 112008053810065-PCT00019
화합물 No.15
Figure 112008053810065-PCT00020
화합물 No.16
Figure 112008053810065-PCT00021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비대칭형 p-터페닐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서 다음과 같은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단, 본 발명은 이들 화합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합물 No.17
Figure 112008053810065-PCT00022
화합물 No.18
Figure 112008053810065-PCT00023
화합물 No.19
Figure 112008053810065-PCT00024
화합물 No.20
Figure 112008053810065-PCT00025
본 발명의 p-터페닐 화합물 혼합물에 있어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p-터페닐 화합물의 함유율은 50 내지 8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p-터페닐 화합물의 함유율이 60 내지 70 질량%인 p-터페닐 화합물 혼합물이다. 또한, 본 발명의 p-터페닐 화합물 혼합물에 있어서,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p-터페닐 화합물의 함유율은 2 내지 48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자 사진용 감광체는 상기 화학식 1, 화학식 2 및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p-터페닐 화합물(단, 식 중, 치환기군 R5, R6, R7 및 R8과 치환기군 R1, R2, R3 및 R4는 치환기 또는 치환 위치가 1개 이상 다른 것임)을 포함하는 p-터페닐 화합물 혼합물을 함유한다. 또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p-터페닐 화합물의 함유율이 50 내지 8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함유율이 60 내지 7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감광층의 형태는 다양한 것이 존재하고, 본 발명의 전자 사진용 감광체의 감광층은 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대표예로서 도 1 내지 도 7에 이들 감광체를 나타내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도전성 지지체 (1) 상에 전하 발생 물질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전하 발생층 (2)와 전하 수송 물질 및 결착 수지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전하 수송층 (3)의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감광층 (4)를 설치한다. 이 때, 도 3,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광층 (4)는 도전성 지지체 상에 설치한 전하를 조정하기 위한 언더 코팅층 (5)를 개재하여 설치할 수도 있고, 최외층으로서 보호층 (8)을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전하 발생 물질 (7)을 전하 수송 물질과 결착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층 (6) 중에 용해 또는 분산시켜 이루어지는 감광층 (4)를 도전성 지지체 (1) 상에 직접, 또는 언더 코팅층 (5)를 개재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예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감광체는 통상법에 따라서 제조된다. 예를 들면, 상술한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p-터페닐 화합물을 포함하는 p-터페닐 화합물 혼합물을 결착 수지와 함께 용제 중에 용해시키고, 전하 발생 물질, 필요에 따라서 증감 색소, 전자 수송성 화합물, 전자 흡인성 화합물 또는 가소제, 안료, 기타 첨가제를 첨가하여 제조되는 도포액을 도전성 지지체 상에 도포, 건조하여 수 ㎛ 내지 수십 ㎛의 두께의 감광층을 형성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전하 발생층과 전하 수송층의 2층으로 이루어지는 감광층의 경우에는 전하 발생층 위에 본 발명의 p-터페닐 화합물 혼합물을 함유하는 전하 수송층을 적층하거나, 또는 이러한 전하 수송층 위에 전하 발생층을 형성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되는 감광체에는 필요에 따라 언더 코팅층, 접착층, 중간층, 보호층을 설치할 수 있다.
도포액 제조용 용제로는, 테트라히드로푸란, 1,4-디옥산, 메틸에틸케톤, 시클로헥사논, 아세토니트릴, N,N-디메틸포름아미드, 아세트산에틸 등의 극성 유기 용제, 톨루엔, 크실렌과 같은 방향족 유기 용제나 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과 같은 염소계 탄화수소 용제 등을 들 수 있다. 상술한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p-터페닐 화합물을 포함하는 p-터페닐 화합물 혼합물과 결착 수지에 대하여 용해성이 높은 용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증감 색소로는, 예를 들면 메틸 바이올렛, 브릴리안트 그린, 크리스탈 바이올렛, 애시드 바이올렛과 같은 트리아릴메탄 염료, 로다민 B, 에오신 S, 로즈 벵갈과 같은 크산텐 염료, 메틸렌 블루와 같은 티아진 염료, 벤조피릴륨염과 같은 피릴륨 염료나 티아피릴륨 염료, 또는 시아닌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p-터페닐 화합물을 포함하는 p-터페닐 화합물 혼합물과 전하 이동 착체를 형성하는 전자 흡인성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클로라닐, 2,3-디클로로-1,4-나프토퀴논, 1-니트로안트라퀴논, 2-클로로안트라퀴논, 페난트렌퀴논 등의 퀴논류, 4-니트로벤즈알데히드 등의 알데히드류, 9-벤조일안트라센, 인단디온, 3,5-디니트로벤조페논, 2,4,7-트리니트로플루오레논, 2,4,5,7-테트라니트로플루오레논 등의 케톤류, 무수 프탈산, 4-클로로나프탈산 무수물 등의 산 무수물, 테트라시아노에틸렌, 테레프탈랄말레노니트릴, 9-안트릴메틸리덴말레노니트릴 등의 시아노 화합물, 3-벤잘프탈리드, 3-(α-시아노-p-니트로벤잘)-4,5,6,7-테트라클로로프탈리드 등의 프탈리드류를 들 수 있다.
결착 수지로는, 스티렌, 아세트산비닐, 염화비닐, 아크릴산 에스테르, 메타 크릴산 에스테르, 부타디엔 등의 비닐 화합물의 중합체 및 공중합체, 폴리비닐아세탈,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페닐렌옥시드, 폴리우레탄,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페녹시 수지, 규소 수지, 에폭시 수지 등, 상술한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p-터페닐 화합물을 포함하는 p-터페닐 화합물 혼합물과 상용성이 있는 각종 수지를 들 수 있다. 결착 수지의 사용량은 통상, 상술한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p-터페닐 화합물을 포함하는 p-터페닐 화합물 혼합물에 대하여 0.4 내지 10 질량 배,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질량 배의 범위이다.
또한, 본 발명의 감광층에는 성막성, 가요성,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목적으로 공지된 가소제를 함유할 수 있다. 가소제로는, 예를 들면 프탈산 에스테르, 인산 에스테르, 염소화 파라핀, 메틸나프탈렌, 에폭시 화합물, 염소화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감광층이 형성되는 도전성 지지체로는 주지의 전자 사진용 감광체에 사용되고 있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스테인레스, 구리, 아연, 바나듐, 몰리브덴, 크롬, 티탄, 니켈, 인듐, 금이나 백금 등의 금속 드럼, 시트 또는 이들 금속의 라미네이트물, 증착물, 또는 금속 분말, 카본 블랙, 요오드화 구리, 고분자 전해질 등의 도전성 물질을 적당한 결합제와 함께 도포하여 도전 처리한 플라스틱 필름, 플라스틱 드럼, 종이, 종이관, 또는 도전성 물질을 함유시킴으로써 도전성을 부여한 플라스틱 필름이나 플라스틱 드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중의 부는 질량부를 나타낸다.
실시예 1
[합성 실시예 1](화합물 No.1, No.18 및 No.9를 포함하는 p-터페닐 화합물 혼합물의 합성)
4-메틸디페닐아민 16.86 g(92 mmol), 디페닐아민 3.89 g(23 mmol), 4,4''-디요오도-p-터페닐 24.1 g(50 mmol), 무수 탄산칼륨 17.25 g(125 mmol), 구리 분말 0.32 g(5 mmol), 아황산수소나트륨 0.52 g(5 mmol), 술포란 10 ml를 혼합하고, 질소 가스를 도입하면서 220 내지 225℃까지 가열하여 6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크실렌 90 ml 및 톨루엔 150 ml로 반응 생성물을 추출하고, 용해되지 않은 부분을 여과 분별 제거한 후, 여액을 농축 건조하였다. 얻어진 고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담체; 실리카 겔, 용리액; 톨루엔:헥산=1:4)에 의해 정제하여, 4,4'-비스(4-메틸디페닐아미노)-p-터페닐(화합물 No.1), 4-(4-메틸디페닐아미노)-4'-디페닐아미노-p-터페닐(화합물 No.18) 및 4,4'-비스(디페닐아미노)-p-터페닐(화합물 No.9)을 포함하는 p-터페닐 화합물 혼합물을 화합물 No.1:화합물 No.18:화합물 No.9=65.8:30.5:3.4(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피크 면적비)의 혼합비로 25.78 g(수율; 87.8%, 융점; 157.2 내지 159.2℃) 얻었다.
화합물의 동정(identification)은 개개의 화합물에 대하여 단독 합성을 실시하고,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유지 시간의 비교에 의해 행하였다. 화합물의 동정 및 혼합비를 측정하기 위한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의 측정 조건은 이 하와 같다. 컬럼: ODS계 컬럼, 용리액: 테트라히드로푸란/메탄올=1/10(v/v), 측정 파장: 254 ㎚.
단독 합성한 것의 동정은 원소 분석에 의해 행하였고, 각각 목적물임을 확인하였다. 원소 분석치는 이하와 같다. 화합물 No.1; 탄소: 89.13%(89.15%), 수소: 6.15%(6.12%), 질소: 4.72%(4.73%), 화합물 No.18; 탄소: 89.15%(89.24%), 수소: 5.98%(5.92%), 질소: 4.87%(4.84%), 화합물 No.9; 탄소: 89.24%(89.33%), 수소: 5.76%(5.71%), 질소: 5.00%(4.96%)(계산치를 괄호 내에 나타냄). 도 8에 합성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화합물 No.1, No.18 및 No.9를 포함하는 p-터페닐 화합물 혼합물의 I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실시예 2
[합성 실시예 2](화합물 No.1, No.17 및 No.4를 포함하는 p-터페닐 화합물 혼합물의 합성)
4-메틸디페닐아민 16.86 g(92 mmol), 2,4-디메틸디페닐아민 4.53 g(23 mmol), 4,4''-디요오도-p-터페닐 24.1 g(50 mmol), 무수 탄산칼륨 17.25 g(125 mmol), 구리 분말 0.32 g(5 mmol), 아황산수소나트륨 0.52 g(5 mmol), 술포란 10 ml를 혼합하고, 질소 가스를 도입하면서 220 내지 225℃까지 가열하여 6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크실렌 90 ml 및 톨루엔 150 ml로 반응 생성물을 추출하고, 용해되지 않은 부분을 여과 분별 제거한 후, 여액을 농축 건조하였다. 얻어진 고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담체; 실리카 겔, 용리액; 톨루엔:헥산=1:4)에 의해 정제하여, 4,4'-비스(4-메틸디페닐아미노)-p-터페닐(화합물 No.1), 4-(4-메틸디페 닐아미노)-4'-(2,4-디메틸디페닐아미노)-p-터페닐(화합물 No.17) 및 4,4'-비스(2,4-디메틸디페닐아미노)-p-터페닐(화합물 No.4)을 포함하는 p-터페닐 화합물 혼합물을 화합물 No.1:화합물 No.17:화합물 No.4=69.0:27.2:2.9(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피크 면적비)의 혼합비로 26.65 g(수율; 89.1%, 융점; 174.1 내지 177.0℃) 얻었다.
화합물의 동정은 개개의 화합물에 대하여 단독 합성을 실시하고,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유지 시간의 비교에 의해 행하였다. 합성 실시예 1에 기재된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측정 조건에 의해 화합물의 동정 및 혼합비를 측정하였다.
단독 합성한 것의 동정은 원소 분석에 의해 행하였고, 각각 목적물임을 확인하였다. 원소 분석치는 이하와 같다. 화합물 No.1; 탄소: 89.13%(89.15%), 수소: 6.15%(6.12%), 질소: 4.72%(4.73%), 화합물 No.17; 탄소: 89.13%(89.07%), 수소: 6.41%(6.31%), 질소: 4.46%(4.62%), 화합물 No.4; 탄소: 89.04%(88.99%), 수소: 6.41%(6.49%), 질소: 4.55%(4.51%)(계산치를 괄호 안에 나타냄). 도 9에 합성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화합물 No.1, No.17 및 No.4를 포함하는 p-터페닐 화합물 혼합물의 I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실시예 3
[합성 실시예 3](화합물 No.1, No.19 및 No.6을 포함하는 p-터페닐 화합물 혼합물의 합성)
4-메틸디페닐아민 16.86 g(92 mmol), 4,4'-디메틸디페닐아민 4.53 g(23 mmol), 4,4''-디요오도-p-터페닐 24.1 g(50 mmol), 무수 탄산칼륨 17.25 g(125 mmol), 구리 분말 0.32 g(5 mmol), 아황산수소나트륨 0.52 g(5 mmol), 술포란 10 ml를 혼합하고, 질소 가스를 도입하면서 220 내지 225℃까지 가열하여 6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크실렌 90 ml 및 톨루엔 150 ml로 반응 생성물을 추출하고, 용해되지 않은 부분을 여과 분별 제거한 후, 여액을 농축 건조하였다. 얻어진 고형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담체; 실리카 겔, 용리액; 톨루엔:헥산=1:4)에 의해 정제하여, 4,4'-비스(4-메틸디페닐아미노)-p-터페닐(화합물 No.1), 4-(4-메틸디페닐아미노)-4'-(4,4'-디메틸디페닐아미노)-p-터페닐(화합물 No.19) 및 4,4'-비스(4,4'-디메틸디페닐아미노)-p-터페닐(화합물 No.6)을 포함하는 p-터페닐 화합물 혼합물을 화합물 No.1:화합물 No.19:화합물 No.6=64.5:31.4:3.6(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피크 면적비)의 혼합비로 24.68 g(수율; 82.5%, 융점; 172.6 내지 173.8℃) 얻었다.
화합물의 동정은 개개의 화합물에 대하여 단독 합성을 실시하고,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유지 시간의 비교에 의해 행하였다. 합성 실시예 1에 기재된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측정 조건에 의해 화합물의 동정 및 혼합비를 측정하였다.
단독 합성한 것의 동정은 원소 분석에 의해 행하였고, 각각 목적물임을 확인하였다. 원소 분석치는 이하와 같다. 화합물 No.1; 탄소: 89.13%(89.15%), 수소: 6.15%(6.12%), 질소: 4.72%(4.73%), 화합물 No.19; 탄소: 89.15%(89.07%), 수소: 6.42%(6.31%), 질소: 4.43%(4.62%), 화합물 No.6; 탄소: 89.02 %(88.99%), 수소: 6.51%(6.49%), 질소: 4.47%(4.51%)(계산치를 괄호 안에 나타냄). 도 10에 합성 실시예 3에서 제조한 화합물 No.1, No.19 및 No.6을 포함하는 p-터페닐 화합물 혼합물의 IR 스펙트럼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유기 용제에 대한 용해도]
합성 실시예 1 내지 3의 p-터페닐 화합물 혼합물 및 단독 합성한 p-터페닐 화합물(화합물 No.1, No.4, No.6 및 No.9)의 25℃에서의 테트라히드로푸란에 대한 용해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용해도의 단위는 %(중량/부피)로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53810065-PCT00026
본 발명의 p-터페닐 화합물 혼합물과 단독 합성한 p-터페닐 화합물의 용해도를 비교하면, p-터페닐 화합물 혼합물에서는 단독 합성한 p-터페닐 화합물의 2 내지 38배의 용해도를 나타내어 용해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감광체 실시예 1]
알코올 가용성 폴리아미드(아밀란 CM-4000,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1부를 메탄올 13부에 용해시켰다. 여기에 산화티탄(타이페큐 CR-EL, 이시하라 산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5부를 가하고, 페인트 쉐이커로 8 시간 분산하고, 언더 코팅층용 도포액을 제조한 후, 알루미늄 증착 PET 필름의 알루미늄면 위에 와이어 바를 이용하여 도포하고, 60℃에서 1 시간 건조하여 두께 1 ㎛의 언더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전하 발생제로서 Cu-Kα의 X선 회절 스펙트럼에서의 회절각 2θ±0.2°가 9.6, 24.1, 27.2에 강한 피크를 갖는 티타닐프탈로시아닌(전하 발생제 No.1)
Figure 112008053810065-PCT00027
1.5부를 폴리비닐부티랄 수지(에스렉 BL-S, 세키스이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의 3% 시클로헥사논 용액 50부에 가하고, 초음파 분산기로 1 시간 분산하였다. 얻어진 분산액을 상기 언더 코팅층 상에 와이어 바를 이용하여 도포한 후, 상압하에 110℃에서 1 시간 건조하여 막 두께 0.6 ㎛의 전하 발생층을 형성하였다.
한편, 전하 수송제로서 합성 실시예 1에서 합성한 p-터페닐 화합물 혼합물 1.5부를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유피론 Z, 미쯔비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의 12.2% 테트라히드로푸란 용액 15.33부에 가하고, 초음파를 걸어 p-터페닐 화합물 혼합물을 완전히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상기 전하 발생층 상에 와이어 바로 도포하고, 상압하에 110℃에서 30분간 건조하여 막 두께 20 ㎛의 전하 수송층을 형성하여 감광체 No.1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감광체 실시예 2 내지 3]
감광체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전하 수송제를 합성 실시예 2 내지 3에서 합성한 p-터페닐 화합물 혼합물로 바꾸고, 그 이외에는 감광체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감광체 No.2 내지 3을 제조하였다.
[감광체 비교예 1]
감광체 실시예 1에서 이용한 전하 수송제를 화합물 No.1의 단독 합성한 p-터페닐 화합물로 바꾸고, 그 이외에는 감광체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감광체 No.4를 제조하였다.
[감광체 비교예 2]
감광체 실시예 1에서 이용한 전하 수송제를 화합물 No.4의 단독 합성한 p-터페닐 화합물로 바꾸고, 그 이외에는 감광체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감광체 No.5를 제조하였다.
[감광체 비교예 3]
감광체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전하 수송제를 화합물 No.6의 단독 합성한 p-터페닐 화합물로 바꾸고, 그 이외에는 감광체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감광체 No.6을 제조하였다. 그러나, 화합물 No.6의 단독 합성한 p-터페닐 화합물은 용해되지 않았기 때문에 감광체로서의 평가는 할 수 없었다.
[감광체 비교예 4]
감광체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전하 수송제를 화합물 No.9의 단독 합성한 p-터페닐 화합물로 바꾸고, 그 이외에는 감광체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감광체 No.7을 제조하였다. 그러나, 화합물 No.9의 단독 합성한 p-터페닐 화합물은 용해되지 않았기 때문에 감광체로서의 평가는 할 수 없었다.
실시예 7
감광체 실시예 1 내지 3, 감광체 비교예 1 내지 4의 감광체에 대하여 정전 복사지 시험 장치(상품명 "EPA-8300A")를 이용하여 전자 사진 특성 평가를 행하였다. 우선, 감광체를 암소에서 -6.5 kV의 코로나 방전을 행하고, 이 때의 대전 전위 V0을 측정하였다. 이어서 1.0 μW/cm2의 780 ㎚ 단색광으로 노광하고, 반감 노광량 E1/2(μJ/cm2), 5초간 노광 후의 잔류 전위 Vr(-V)를 구하였다. 또한, 감광층의 크래킹 촉진 시험으로서, 상기와 같이 제조한 감광체의 표면에 지유(指油)를 부착시키고, 상온 상압하에서 24 시간 방치하고, 감광층에 크래킹이 발생했는지를 관찰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53810065-PCT00028
실시예 8
[감광체 실시예 4]
전하 발생제로서 Cu-Kα의 X선 회절 스펙트럼에서의 회절각 2θ±0.2°가 7.5, 10.3, 12.6, 22.5, 24.3, 25.4, 28.6에 강한 피크를 갖는 티타닐프탈로시아닌(전하 발생제 No.2) 1.5부를 폴리비닐부티랄 수지(에스렉 BL-S, 세키스이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의 3% 시클로헥사논 용액 50부에 가하고, 초음파 분산기로 1 시간 분산하였다. 얻어진 분산액을 도전성 지지체인 알루미늄 증착 PET 필름의 알루미늄면 상에 와이어 바를 이용하여 도포한 후, 상압하에 110℃에서 1 시간 건조하여 막 두께 0.2 ㎛의 전하 발생층을 형성하였다.
한편, 전하 수송제로서 합성 실시예 1에서 합성한 p-터페닐 화합물 혼합물 1.0부를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유피론 Z, 미쯔비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의 12.2% 테트라히드로푸란 용액 10.22부에 가하고, 초음파를 걸어 p-터페닐 화합물 혼합물을 완전히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상기 전하 발생층 상에 와이어 바로 도포하고, 상압하에 110℃에서 30분간 건조하여 막 두께 10 ㎛의 전하 수송층을 형성하고, 추가로 전하 수송층 상에 반투명 금 전극을 증착하여 감광체 No.8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감광체 실시예 5 내지 6]
감광체 실시예 4에서 이용한 전하 수송제를 합성 실시예 2 내지 3에서 합성한 p-터페닐 화합물 혼합물로 바꾸고, 그 이외에는 감광체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감광체 No.9 내지 10을 제조하였다.
[감광체 비교예 5 내지 6]
감광체 실시예 4에서 이용한 전하 수송제를 화합물 No.1 또는 No.4의 단독 합성한 p-터페닐 화합물로 바꾸고, 그 이외에는 감광체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감광체 No.11 내지 12를 제조하였다.
[감광체 비교예 7 내지 8]
감광체 실시예 4에서 이용한 전하 수송제를 화합물 No.6 또는 No.9의 단독 합성한 p-터페닐 화합물로 바꾸고, 그 이외에는 감광체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감광체 No.13 내지 14를 제조하였다. 그러나, 화합물 No.6 또는 No.9의 단독 합성한 p-터페닐 화합물은 용해되지 않았기 때문에 감광체로서의 평가는 할 수 없었다.
실시예 10
[드리프트 이동도의 측정]
감광체 실시예 4 내지 6 및 감광체 비교예 5 내지 8에서 제조한 감광체에 대하여 드리프트 이동도를 측정하였다. 측정은 비행시간(Time-of-flight)법으로 행하였고, 2×105(V/cm)로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53810065-PCT00029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p-터페닐 화합물 혼합물은 유기 용제에 대한 용해성이 개선되어, 상기 화합물 혼합물을 이용함으로써 크래킹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드리프트 이동도가 우수하고, 감광체 특성을 만족시켜 고감도, 고내구성을 갖는 전자 사진용 감광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특정 실시 양태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나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분명하다.
본 출원은 2006년 1월 25일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일본 특허 출원 제2006-016623호)에 기초하는 것으로, 그 내용은 본원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p-터페닐 화합물 혼합물은 유기 용제에 대한 용해성이 개선되고, 크래킹 현상을 방지하고, 감광체 특성을 만족시켜 고감도, 고내구성을 갖는 전자 사진용 감광체를 실현할 수 있는 전하 수송제로서 유용하다.

Claims (11)

  1. 하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2종의 대칭형 p-터페닐 화합물과 이들 화합물 쌍방의 치환기군을 겸비한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비대칭형 p-터페닐 화합물을 포함하는 p-터페닐 화합물 혼합물.
    <화학식 1>
    Figure 112008053810065-PCT00030
    <화학식 2>
    Figure 112008053810065-PCT00031
    <화학식 3>
    Figure 112008053810065-PCT00032
    (식 중, R1, R2, R3, R4, R5, R6, R7 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알킬기, 알콕시기, 아르알킬기, 할로겐 원자, 이치환 아미노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를 나타내고, R1과 R2, R3과 R4, R5와 R6, R7과 R8은 공동으로 환을 형성할 수 있되, 단, 치환기군 R5, R6, R7 및 R8과 치환기군 R1, R2, R3 및 R4는 치환기 또는 치환 위치가 1개 이상 다른 것임)
  2.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p-터페닐 화합물의 함유율이 50 내지 80 질량%인 p-터페닐 화합물 혼합물.
  3. 하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2종의 대칭형 p-터페닐 화합물과 이들 화합물 쌍방의 치환기군을 겸비한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비대칭형 p-터페닐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자 사진용 감광체용 p-터페닐 화합물 혼합물.
    <화학식 1>
    Figure 112008053810065-PCT00033
    <화학식 2>
    Figure 112008053810065-PCT00034
    <화학식 3>
    Figure 112008053810065-PCT00035
    (식 중, R1, R2, R3, R4, R5, R6, R7 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알킬기, 알콕시기, 아르알킬기, 할로겐 원자, 이치환 아미노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를 나타내고, R1과 R2, R3과 R4, R5와 R6, R7과 R8은 공동으로 환을 형성할 수 있되, 단, 치환기군 R5, R6, R7 및 R8과 치환기군 R1, R2, R3 및 R4는 치환기 또는 치환 위치가 1개 이상 다른 것임)
  4. 제3항에 있어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p-터페닐 화합물의 함유율이 50 내지 80 질량%인, 전자 사진용 감광체용 p-터페닐 화합물 혼합물.
  5. 제1항에 기재된 p-터페닐 화합물 혼합물을 함유하는 층을 가진 전자 사진용 감광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p-터페닐 화합물 혼합물에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p-터페닐 화합물의 함유율이 50 내지 80 질량%인 전자 사진용 감광체.
  7. 하기 화학식 4 및 화학식 5로 표시되는 2종의 디페닐아민 화합물과 4,4''-디요오도-p-터페닐로부터 1 단계의 반응에 의해 제1항에 기재된 p-터페닐 화합물 혼합물을 얻는 제조 방법.
    <화학식 4>
    Figure 112008053810065-PCT00036
    <화학식 5>
    Figure 112008053810065-PCT00037
    (식 중, R1, R2, R3, R4, R5, R6, R7 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알킬기, 알콕시기, 아르알킬기, 할로겐 원자, 이치환 아미노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를 나타내고, R1과 R2, R3과 R4, R5와 R6, R7과 R8은 공동으로 환을 형성할 수 있되, 단, 치환기군 R5, R6, R7 및 R8과 치환기군 R1, R2, R3 및 R4는 치환기 또는 치환 위치가 1개 이상 다른 것임)
  8. 제1항에 기재된 p-터페닐 화합물 혼합물을 사용하여 전자 사진용 감광체의 크래킹을 방지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p-터페닐 화합물 혼합물에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p-터페닐 화합물의 함유율이 50 내지 80 질량%인 전자 사진용 감광체의 크래킹을 방지하는 방법.
  10. 제1항에 기재된 p-터페닐 화합물 혼합물을 사용하여 유기 용제에 대한 용해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전자 사진용 감광체의 크래킹을 방지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p-터페닐 화합물 혼합물에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p-터페닐 화합물의 함유율이 50 내지 80 질량%인, 유기 용제에 대한 용해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전자 사진용 감광체의 크래킹을 방지하는 방법.
KR1020087018432A 2006-01-25 2007-01-24 p-터페닐 화합물 혼합물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사진용감광체 KR1012770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16623 2006-01-25
JPJP-P-2006-00016623 2006-01-25
PCT/JP2007/051103 WO2007086439A1 (ja) 2006-01-25 2007-01-24 p-ターフェニル化合物混合物及び該化合物混合物を用いた電子写真用感光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7016A true KR20080087016A (ko) 2008-09-29
KR101277008B1 KR101277008B1 (ko) 2013-06-24

Family

ID=38309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8432A KR101277008B1 (ko) 2006-01-25 2007-01-24 p-터페닐 화합물 혼합물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사진용감광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8486594B2 (ko)
EP (1) EP1995234B1 (ko)
JP (2) JP5209325B2 (ko)
KR (1) KR101277008B1 (ko)
CN (1) CN101370769B (ko)
TW (1) TWI388539B (ko)
WO (1) WO20070864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115970A1 (ja) 2004-05-25 2005-12-08 Hodogaya Chemical Co., Ltd. p-ターフェニル化合物および該化合物を用いた電子写真用感光体
WO2007063989A1 (ja) * 2005-12-02 2007-06-07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電子写真感光体、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8158436A (ja) * 2006-12-26 2008-07-10 Fujifilm Finechemicals Co Ltd 電子写真感光体、電子写真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9169023A (ja) * 2008-01-15 2009-07-30 Mitsubishi Chemicals Corp 電子写真感光体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234341B2 (ja) * 2008-09-16 2013-07-10 株式会社リコー ジスチリルベンゼン化合物混合物及び該化合物混合物を用いた電子写真感光体
US8586776B2 (en) * 2009-11-05 2013-11-19 Fibrostatin, S.L. GPBP inhibition using Q2 peptidomimetics
US8993203B2 (en) * 2012-02-10 2015-03-31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9029053B2 (en) * 2012-02-10 2015-05-12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DE102012005215B3 (de) * 2012-03-15 2013-04-11 Novaled Ag Aromatische Amin-Terphenyl-Verbindungen und Verwendung derselben in organischen halbleitenden Bauelementen
DE102012007795B3 (de) * 2012-04-20 2013-02-21 Novaled Ag Aromatische Amin-Terphenyl-Verbindungen und Verwendung derselben in organischen halbleitenden Bauelementen
TW201341347A (zh) 2012-03-15 2013-10-16 Novaled Ag 芳香胺三聯苯化合物及其在有機半導體元件中的應用
US20160131985A1 (en) * 2014-11-11 2016-05-12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member,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JP6055497B2 (ja) * 2015-02-02 2016-12-2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電子写真感光体の製造方法、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CN110914235B (zh) * 2017-07-21 2022-12-09 京瓷办公信息系统株式会社 三联苯化合物、电子照相感光体和三联苯化合物制造方法
JP7230522B2 (ja) * 2019-01-18 2023-03-0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7211098B2 (ja) * 2019-01-18 2023-01-2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0118707A (ja) * 2019-01-18 2020-08-0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7286976B2 (ja) * 2019-01-18 2023-06-0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CN112415111B (zh) * 2020-11-12 2022-02-15 郑州原理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4-甲基-n-苯基苯胺及邻氯苯甲酸杂质的检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1880B2 (ko) 1972-07-11 1977-10-20
US4123269A (en) 1977-09-29 1978-10-31 Xerox Corporation Electrostatographic photosensitive device comprising hole injecting and hole transport layers
US4150987A (en) 1977-10-17 1979-04-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ydrazone containing charge transport element and photoconductive process of using same
JPS54150128A (en) 1978-05-17 1979-11-26 Mitsubishi Chem Ind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member
US4273846A (en) 1979-11-23 1981-06-16 Xerox Corporation Imaging member having a charge transport layer of a terphenyl diamine and a polycarbonate resin
JPS56123544A (en) 1980-03-03 1981-09-28 Hitachi Ltd Composite type electrophotographic plate and electrophotographic method using it
JPS57101844A (en) 1980-12-17 1982-06-24 Canon Inc Electrophotographic receptor
JPS57148750A (en) 1981-03-11 1982-09-14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Electrophotographic receptor
JPS5865440A (ja) 1981-09-18 1983-04-19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電子写真感光体
JPS58198043A (ja) 1982-05-14 1983-11-17 Ricoh Co Ltd 電子写真用感光体
JPS5962861A (ja) 1982-07-08 1984-04-10 Dainippon Ink & Chem Inc 電子写真用感光体
JPS61129648A (ja) 1984-11-29 1986-06-17 Canon Inc 積層型電子写真感光体
JPS6230255A (ja) 1985-07-31 1987-02-09 Minolta Camera Co Ltd 電子写真感光体
JPH0673018B2 (ja) 1986-02-24 1994-09-14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
JPH05224439A (ja) * 1992-02-12 1993-09-03 Fuji Electric Co Ltd 電子写真用感光体
JPH0673018A (ja) 1992-08-27 1994-03-15 Shikoku Chem Corp 4(5)−シアノイミダゾール化合物の合成方法
WO1995009147A1 (fr) 1993-09-29 1995-04-06 Idemitsu Kosan Co., Ltd. Element electroluminescent organique et derive d'arylenediamine
JPH07324059A (ja) 1993-10-13 1995-12-12 Mita Ind Co Ltd ベンジジン誘導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写真感光体
JP4364130B2 (ja) * 1996-12-28 2009-11-11 Tdk株式会社 有機el素子
JP4790932B2 (ja) * 2000-06-30 2011-10-12 ゼロッ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電子写真画像形成部材
JP4032213B2 (ja) 2001-03-14 2008-01-16 三菱化学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用アリールアミン組成物および当該組成物を使用した電子写真感光体
JP4135411B2 (ja) * 2002-06-26 2008-08-20 三菱化学株式会社 非対称1,4−フェニレンジアミン誘導体、及びこれを用いた有機電界発光素子
US6787277B2 (en) * 2002-10-08 2004-09-07 Xerox Corporation Imaging members
JP2004262761A (ja) * 2003-01-16 2004-09-24 Idemitsu Kosan Co Ltd 芳香族アミン誘導体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WO2005115970A1 (ja) * 2004-05-25 2005-12-08 Hodogaya Chemical Co., Ltd. p-ターフェニル化合物および該化合物を用いた電子写真用感光体
EP1768199A4 (en) * 2004-07-14 2009-01-21 Idemitsu Kosan Co AROMATIC AMINE DERIVATIVE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WHERE THIS IS USED
CN101065711B (zh) * 2004-11-24 2010-11-24 保土谷化学工业株式会社 电子照相感光体
JP2006285119A (ja) 2005-04-05 2006-10-19 Mitsubishi Chemicals Corp 電子写真感光体、電子写真感光体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016623A (ja) 2005-09-14 2006-01-19 Sumitomo Bakelite Co Ltd 接着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半導体パッケージまたは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パッケージまたは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95234A4 (en) 2012-07-18
CN101370769B (zh) 2015-04-01
CN101370769A (zh) 2009-02-18
EP1995234A1 (en) 2008-11-26
JP5545897B2 (ja) 2014-07-09
US20090053633A1 (en) 2009-02-26
JP5209325B2 (ja) 2013-06-12
US8486594B2 (en) 2013-07-16
WO2007086439A1 (ja) 2007-08-02
EP1995234B1 (en) 2016-01-06
US20130280652A1 (en) 2013-10-24
JPWO2007086439A1 (ja) 2009-06-18
TWI388539B (zh) 2013-03-11
TW200738593A (en) 2007-10-16
US8673792B2 (en) 2014-03-18
KR101277008B1 (ko) 2013-06-24
JP2013067624A (ja) 201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7008B1 (ko) p-터페닐 화합물 혼합물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사진용감광체
KR101151998B1 (ko) p?터페닐 화합물 및 이 화합물을 이용한 전자 사진용감광체
JP4157283B2 (ja) アリールアミン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写真感光体
JP3748348B2 (ja) 電子写真感光体
JPH10148951A (ja) 電子写真用感光体
JPH10260540A (ja) 電子写真用感光体
JPH04356052A (ja) 電子写真用感光体
JPH09138512A (ja) 電子写真感光体
JP2988055B2 (ja) 電子写真用感光体
JP3722269B2 (ja) 電子写真用感光体
JP2000066420A (ja) 電子写真感光体
JP3748347B2 (ja) 電子写真感光体
JP3225714B2 (ja) 電子写真用感光体
JP4506182B2 (ja) アリールアミン系化合物、該化合物を用いた正孔輸送材料および電子写真感光体
JP2000047405A (ja) 電子写真感光体
JP3567586B2 (ja) 電子写真用感光体
JP2998280B2 (ja) 電子写真用感光体
JP3412338B2 (ja) 電子写真用感光体
JPH0644159B2 (ja) 電子写真用感光体
JPH10123733A (ja) 電子写真感光体
JP2008275779A (ja) 電子写真感光体と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およびトリアリールアミンダイマー化合物とその製造方法
JPH05113679A (ja) 電子写真用感光体
JP2000075518A (ja) 電子写真用感光体
JPH03116152A (ja) 電子写真用感光体
JPH06103398B2 (ja) 電子写真感光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