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9272A - 강유전성 메모리 회로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강유전성 메모리 회로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9272A
KR20030059272A KR10-2003-7007038A KR20037007038A KR20030059272A KR 20030059272 A KR20030059272 A KR 20030059272A KR 20037007038 A KR20037007038 A KR 20037007038A KR 20030059272 A KR20030059272 A KR 200300592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roelectric
thin film
memory circuit
contact layer
ferroelectric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7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4612B1 (ko
Inventor
닉클라스 요한슨
리춘 첸
Original Assignee
띤 필름 일렉트로닉스 에이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띤 필름 일렉트로닉스 에이에스에이 filed Critical 띤 필름 일렉트로닉스 에이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030059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9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4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46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10/00Nanotechnology for information processing, storage or transmission, e.g. quantum computing or single electron log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8/00Passive two-terminal components without a potential-jump or surface barrier for integrated circuits; Details thereof;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8/40Capacitors
    • H01L28/55Capacitors with a dielectric comprising a perovskite structur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8/00Passive two-terminal components without a potential-jump or surface barrier for integrated circuits; Details thereof;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8/40Capacitors
    • H01L28/60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53/00Ferroelectric RAM [FeRAM] devices comprising ferroelectric memory capacit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10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 H10K85/111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comprising aromatic, heteroaromatic, or aryl chains, e.g. polyaniline, polyphenylene or polyphenylene vinylene
    • H10K85/113Hetero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sulfur or selene, e.g. polythiophene
    • H10K85/1135Polyethylene dioxythiophene [PEDOT]; Derivatives thereof

Abstract

강유전성 메모리 회로(C)는 강유전성 중합체 박막(F) 형태의 강유전성 메모리 셀 및 대향 표면에서 상기 강유전성 메모리 셀(F)과 접촉하는 제 1 및 제 2 전극(E1;E2)을 포함하여, 상기 셀의 분극 상태가 상기 전극(E1;E2)에 적절한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설정되고, 스위칭되거나 검출될 수 있도록 한다. 전극(E1;E2)중 적어도 한 전극은 적어도 하나의 접촉 층(P1;P2)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촉 층(P1;P2)은 메모리 셀(C)과 접촉하는 전도성 중합체를 포함하며, 금속막의 제 2 층(M1;M2)은 상기 전도성 중합체(P1;P2)와 선택적으로 접촉함으로써, 상기 전극(E1;E2)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이 전도성 중합체 접촉 층(P1;P2)만을 포함하거나, 전도성 중합체 접촉 층(P1;P2) 및 금속 막 층(M1;M2)의 조합을 포함한다. 이 종류의 강유전성 메모리 회로 제조 방법은 전도성 중합체 박막의 제 1 접촉 층을 기판 상에 증착하는 단계, 강유전성 중합체 박막을 상기 제 1 접촉 층 상에 증착하는 단계 및 제 2 접촉 층을 상기 강유전성 중합체 박막의 상부에 증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강유전성 메모리 회로 및 그 제조 방법 {A FERROELECTRIC MEMORY CIRCUIT AND METHOD FOR ITS FABRICATION}
강유전성 박막(0.1 μm 내지 1 μm) 및 초박막(0.1 μm 이하)은 종래 기술에 널리 공지된 쌍안정 메모리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박막 형태의 강유전성 중합체를 사용하면 분극 스위칭이 저 전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완전히 집적된 장치가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광범위하게 사용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강유전성 중합체, 즉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트리플루오로에틸렌(PVDF-TFE)의 분극 동작의 두께 의존성에 대한 조사는 두께가 감소됨에 따라 스위칭 필드가 증가하고 분극 레벨이 감소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두께가 100nm 이하로 감소될때 분극 레벨의 상당한 급강하가 관측된다는 것을 부가적으로 보여준다. PVDF-TFE 중합체 막에서, 분극 동작은 막 내의 미세결정(crystallite) 크기 및 결정화도(crystallinity)에 직접 관련된다. 박막에서, 막이 통상적으로 스핀-코팅에 의해 증착되는 견성의 금속 기판이 기판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결정화 방향을 결정하는 이질적인 핵형성 (hegerogeneous nucleation)에 기인하여 결정화 공정을 억제-할 수 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인접한 미세결정은 막에서 높은 탄성 에너지를 발생시키며 미세결정의 부가적인 성장을 방지하여 금속 기판 및 박막 사이에서 인터페이스 영역을 생성하는 큰 방향 오정합을 가질 수 있다. 다른 한편, 최근의 실험적인 결과는 높은 결정화도가 금속 기판으로조차도 달성되는 것을 나타내서, 현재, 실제 메커니즘이 다소 불분명해진다. 인터페이스는 박막 두께의 상당한 부분의 두께를 가지며, 이는 더 낮은 분극 레벨 및 더 높은 강압적인 필드를 초래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로 인하여, 금속 층과 접촉하는 박막은 더 낮은 분극 레벨 및 더 높은 스위칭 필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강유전성 중합체 박막 형태의 강유전성 메모리 셀 및 이의 대향 표면에서 강유전성 메모리 셀과 각각 접촉함으로써, 셀의 분극 상태가 전극에 적절한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설정되고, 스위치되며 검출될 수 있는 제 1 및 제 2 전극을 포함하는 강유전성 메모리 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 종류의 강유전성 메모리 회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메모리 회로는 절연 기판 상에 제공된다.
본 발명은 메모리 회로 내의 강유전성 중합체 박막의 분극 및 스위칭 공정을 취급한다. 이와같은 회로는 쌍안정 강유전성 메모리 장치를 구현하는데 사용된다.
특히, 본 발명은 이 종류의 회로에서 강유전성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트리플루오로에틸렌) 중합체 박막 및 초박막의 성능을 개선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박막 내의 메모리 셀은 전계에 의해서 두 개의 분극 상태 사이에서 스위칭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강유전성 메모리 셀을 도시한 도면.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강유전성 메모리 셀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강유전성 메모리 셀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강유전성 메모리 셀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강유전성 메모리 셀의 제 4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e는 본 발명에 따른 강유전성 메모리 셀의 제 5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종래 기술에 공지된 바와 같은 강유전성 메모리 장치이지만,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회로를 갖는 강유전성 메모리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4a는 도 3의 라인 X-X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4b는 도 3의 메모리 장치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다른 메모리 회로의 상세도.
도 5는 종래 기술의 메모리 회로 및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회로로 각각 달성된 히스테리시스 루프의 비교도.
도 6은 종래 기술의 메모리 회로의 피로 동작과 비교된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회로의 피로 동작을 도시한 도면.
그러므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강유전성 메모리 회로의 종래 기술의 상술된 단점을 제거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메모리 재료로서 강유전성 중합체 박막을 갖는 강유전성 메모리 회로에서 분극 및 스위칭 동작을 개선시키는 것이다.
상기 목적 뿐만 아니라, 부가적인 특성 및 장점은 적어도 하나의 전극이 메모리 셀을 접촉시키는 전도성 중합체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층을 포함하고 전도성 중합체를 접촉시키는 금속막의 제 2 층을 선택적으로 포함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극이 전도성 중합체 접촉 층 또는 전도성 중합체 접촉 층 및 금속 막 층의 조합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강유전성 메모리 회로로 구현된다.
전국중 단지 하나가 전도성 중합체 접촉 층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강유전성 메모리 회로의 정점 실시예에서, 다른 전극은 단일 금속 막층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강유전성 중합체 박막은 1 μm 이하의 두께를 가지며 전도성 중합체는 20 nm 및 100 nm 사이의 두께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강유전성 메모리 셀은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PVDF), 임의의 공중합체를 갖는 폴리비닐리덴, 공중합체 또는 PVDF-트리플루오로에틸렌 (PVDF-TFE)중 어느 하나를 기재로 한 삼원공중합체(ter-polymer), 홀수의 나일론, 임의의 공중합체를 갖는 홀수의 나일론, 시노중합체(cynopolymer) 및 임의의 공중합체를 갖는 시노중합체중 하나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를 포함한다. 이점에 대하여, 접촉 층의 전도성 중합체는 도핑된 폴리피롤(PPy), 폴리피롤(PPy)의 도핑된 유도체, 도핑된 폴리아닐린, 폴리아닐린의 도핑된 유도체, 도핑된 폴리티오펜 및 폴리티오펜의 도핑된 유도체중 하나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접촉 층의 전도 중합체는 다음 중합체, 즉 도핑된 폴리피롤 (PPy), 폴리피롤(PPY)의 도핑된 유도체, 도핑된 폴리아닐린, 폴리아닐린의 도핑된 유도체, 도핑된 폴리티오펜 및 폴리티오펜의 도핑된 유도체중 하나로부터 선택된다.
금속 막 층의 금속이 다음, 즉 알루미늄, 플래티늄, 티타늄 및 구리중 하나로부터 선택된다.
유용하게 본 발명에 따른 강유전성 메모리 회로는 유사한 회로의 매트릭스-어드레스 가능한 어레이로 메모리 회로를 형성하고, 메모리 회로의 메모리 셀이 강유전성 중합체의 글로벌 층(global layer) 내의 일부를 형성하며, 제 1 및 제 2 전극은 제 1 및 제 2 전극 수단의 일부를 각각 형성하고, 각각의 전극 수단은 다수의 병렬의 스트립과 같은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전극 수단의 전극은 그들 사이의 샌드위치에서 강유전성 중합체 박막 글로벌 층을 갖는 제 1 전극 수단의 전극에 바람직하게는 직교 각도로 배향되어, 강유전성 메모리 셀이 제 1 전극 수단의 전극 및 제 2 전극 수단의 전극 각각의 교차점에서 강유전성 중합체 박막 내에 형성됨으로써, 메모리 셀을 갖는 강유전성 중합체 박막 및 전극 수단에 의해 형성된 어레이가 집적된 수동 매트릭스-어드레스 가능한 강유전성 메모리 장치를 형성하도록 하며, 여기서 기록 및 판독 동작은 위한 각각의 메모리 셀의 어드레싱은 구동, 제어 및 검출용의 외부 회로와의 적절한 접속으로 전극 수단의 전극을 통하여 발생된다.
상술된 목적 뿐만 아니라, 부가적인 특성 및 장점은 본 발명에 따른 강유전성 메모리 회로의 제조 방법으로 구현되며, 상기 방법은 기판 상에 전도성 중합체의 접촉 층을 증착하는 단계, 강유전성 중합체 박막을 상기 접촉 층 상에 증착하는 단계, 제 2 접촉 층을 상기 강유전성 중합체 박막의 상부에 증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제 1 접촉 층이 증착되기 이전에 기판 상에 금속 막층을 증착하고 그 이후에 제 1 접촉 층을 증착하는 것이 유용하게 고려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스핀 코팅에 의해 전도성 중합체 박막을 증착하고 스핀 코딩에 의해서 제 1 접촉 층 상에 강유전성 중합체 박막을 유사하게 증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 1 접촉 층 및/또는 강유전성 중합체 박막은 각각의 증착 단계 이후에 대략 140℃의 온도로 어닐링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도성 중합체 박막의 제 2 접촉 층은 강유전성 중합체 박막의 상부에 증착된다. 이 점에 대하여, 제 2 접촉 층을 증착하기 이전에 강유전성 중합체 박막을 어닐링하지 않고 제 2 접촉 층을 140℃의 온도로 어닐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금속 막 층은 제 2 접촉 층의 상부에 증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과 관련된 전형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이하에 보다 상세한 설명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 메모리 회로를 출발점으로 해서, 본 발명의 메모리 회로의 다양한 실시예가 서술될 것이다. 종래 기술 메모리 회로에 대한 단면을 도시한 도 1에서, 강유전성 박막 중합체의 층(F)은 제 1 및 제 2 전극 (E1, E2) 사이에서 샌드위치된다. 전극은 금속 막(M1, M2)으로서 제공되며, 전극의금속은 동일하지만, 반드시 동일한 필요는 없다는 것이 이해되어야만 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회로(C)의 제 1 실시예는 도 1의 종래 기술 메모리 회로와 유사하지만, 하부 전극(E1)에서 금속 막(M1)이 전도성 중합체의 박막(P1)으로 교체되는 반면, 상부 전극(E2)은 금속 막 전극으로서 유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회로(C)의 제 2 실시예는 도 2b에 도시되며, 여기서 두 개의 전극(E1, E2)은 두 가지 경우에 동일하거나 상이한 전도성 중합체일 수 있는 전도성 중합체의 박막(P1, P2)으로 구현된다.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회로(C)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하며 여기서 제 1 전극(E1)은 강유전성 중합체(F)를 인터페이스하는 접촉 층으로서 전도성 중합체 박막(P1)을 포함한다. 전도성 중합체 박막(P1) 상에 금속 막(M1)이 제공되어서 이 경우에, 제 1 전극(E1)이 두 개의 층(M1, P1)에 의해 형성된 합성물이다. 제 2 전극 (E2)은 제 1 실시예의 전극과 유사하며, 메모리 재료, 즉 적합한 메모리 셀을 구성하는 강유전성 박막 중합체(F)를 인터페이싱하는 금속 막(M2)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셀의 제 4 실시예가 도 2d에 도시되며 이것은 제 2 전극(E2)이 전도성 중합체 박막(P2)의 접촉 층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2c의 실시예와 상이하다.
최종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회로의 제 5 실시예가 도 2e에 도시되며, 여기서 두 전극(E1, E2)은 각각의 금속 막(M1, M2) 및 상기 금속 막(M1, M2) 사이의 접촉 층으로서 제공되며 적절한 메모리 셀의 강유전성 박막 중합체(F)와 인터페이싱하는 박막 전도성 중합체(P1, P2)로 이루어진 합성물이다.
통상적으로,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메모리 셀은 도 3에 도시된 종류의 수동의 매트릭스-어드레스 가능한 강유전성 메모리 장치 내에 메모리 셀로서 사용되며, 여기서 메모리 재료, 즉 강유전성 박막은 글로벌 층(G)으로서 제공된다. 그러나, 층(G)을 갖는 수동 매트릭스 강유전성 메모리 장치는 또한 도 2a-2e의 임의의 메모리 회로 실시에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메모리 장치는 글로벌 층(G) 내에 제공되며 메모리 회로(C) 내의 메모리 재료로서 사용되는 강유전성 박막 중합체를 포함한다. 더구나, 메모리 장치는 강유전성 박막 중합체의 글로벌 층(G)과 인터페이스하는 스트림과 같은 평행한 하부 전극(E1) 형태의 제 1 전극 수단을 포함한다. 유사한 전극(E2)의 제 2 전극 수단은 강유전성 박막 중합체의 상부에 제공되지만, 스트립과 같은 평행 전극(E2)은 제 1 전극 수단의 전극(E1)과 바람직하게 수직 각도로 배향된다. 도 4a는 도 3의 X-X를 다라 취해진 도 3의 수동의 매트릭스-어드레스 가능한 메모리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강유전성 메모리 장치는 메모리 셀 내의 메모리 재료로서 사용된 강유전성 중합체 박막의 글로벌 층(G)의 부분(F)과 인터페이스하는 전도성중합체(P1)의 접촉 층 및 금속 막(M1)의 합성물 하부 전극(E1)을 가지고 있는 도 2c 또는 2d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응하는 메모리 회로(C)를 가지고 있다.
도 3 및 도 4a에 도시된 메모리 장치에서, 제 2 전극 수단의 전극(E2)의 제 1 전극 수단의 전극(E1)과의 중첩 교차는 도 3 및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사이의 강유전성 중합체 박막의 부피에서 메모리 셀(F)을 형성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회로(C)는 메모리 회로의 전극(E1, E2) 뿐만 아니라, 이의 메모리 재료(F)가 모두 도 3의 강유전성 메모리 장치 내에 전체적으로 제공된 바와 같이 메모리 재료(F) 및 전극(E1, E2)의 각각의 규정할 수 있는 부분을 형성할지라도, 도 3,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유전성 메모리 재료(F) 및 전극(E1, E2)을 갖는 일부의 완전한 메모리 어레이를 형성한다.
도 4b는 도 3 또는 도 4a 중 하나에서 강조된 바와 같이, 수동의 매트릭스-어드레스 가능한 강유전성 메모리 장치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메모리 회로(C)를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의 메모리 회로(C)가 도 2c의 실시예 또는 도 2d의 실시예중 하나에 대응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즉, 하부 전극(E1)은 금속 막 (M1) 및 전도성 중합체(P1)의 접촉층을 포함한다. 상부 전극(E2)은 금속 막(M2) 또는 전도성 중합체(P2)중 하나일 수 있다. 물론, 도 3 및 도 4a에서 도시된 매트릭스-어드레스 가능한 메모리 장치에서 도 2a-2e에 도시된 임의의 실시예를 사용하는것을 배제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은 일반적인 용어로 논의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회로(C)는 전도성 중합체로 커버되는 기판 상에 강유전성 중합체 박막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양상에 따라서, 전도 폴리티오핀과 같은 부드러운 전도성 중합체가 금속화된 기판, 예를 들어, 플래티늄 또는 알루미늄으로 커버된 실리콘 웨이퍼 상에 증착된다. 그리고 나서, 두께가 20 nm 내지 1 μm인 예를 들어,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트리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PVDF-TFE)의 강유전성 중합체 박막이 예를 들어 스핀-코팅에 의해 기판 상에 증착된다. 전도성 중합체는 하부 전극으로 사용되며, 이것은 예를 들어 Al, Pt, Au 등등과 같은 금속의 통상적으로 사용된 금속 전극을 대체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공될때, 전도성 중합체 전극은 금속 전극 상의 대응하는 박막에 비하여, 강유전성 중합체 박막에서의 결정화도를 증가시키고, 그 결과 분극 레벨을 증가시키며 스위칭 필드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간주된다.
본 발명의 메모리 셀에서 전극으로서 전도성 중합체를 도입하는 것은 필름 견성(stiffness)을 감소시키는(즉, 필름의 결정화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며 인터페이스 전기 배리어를 변경시키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중합체들간의 위상 분리는 자신의 인터페이스 근처의 결정 영역을 감소시킨다. 이 특성은 하부 전극을 형성하기 위해 기판 상에 전도성 중합체 막을 우선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에서 사용된다. 강유전성 박막 및 전도성 중합체 막은 양호한 위상 분리를 가지며, 이것은 그 후의 어닐링 공정 동안 강유전성 박막의 비-결정화된 영역을 감소시킬 것이다. 금속에 비하여 전도 공중합체에서의 전하 전도 메커니즘이 상이하기 때문에, 전극 및 강유전성 중합체 막 사이의 인터페이스 배리어는 실제로 실험에서 관측된 바와 같이 강유전성 중합체 막의 분극 레벨 및 스위칭 속도 둘 모두가 증가하도록 하지만, 스위칭 필드는 감소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변경된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전도성 중합체는 도핑된 폴리피롤(PPy) 및 이의 도핑된 유도체, 도핑된 폴리아닐린 및 이의 도핑된 유도체, 및 도핑된 폴리디오펜 및 이의 도핑된 유도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강유전성 중합체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PVDF) 및 트리플루오에틸렌(PVRF-TFE)을 갖는 이의 공중합체, 공중합체 또는 PVDF-TFE중 하나를 기재로 한 삼원공중합체, 홀수 나일론 또는 시노공중합체와 같은 다른 강유전성 중합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전도성 중합체 전극을 사용하면 Al, Pt, Au 등등과 같은 박막 인터페이싱 전극 금속에 비하여 PVDF-TFE 공중합체 박막의 결정화도가 증가된다. 분극 히스테리시스 루프는 전도성 중합체 전극 상에 제공된 PVDF-TFE 공중합체 박막이 이하에 논의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동일한 인가 전계 하에서, 예를 들어, 티타늄의 금속 전극에 의해 제공된 분극 레벨보다 더 높은 분극 레벨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전도성 중합체로 커버된 평면 기판 상에 강유전성 중합체 박막 및 초박막을 제조하는 것은 다음 예에서 서술될 것이다.
본 발명의 서술된 실시예는 설명을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예들은 명세서 또는 청구항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않된다.
예 1
이 예에서, PEDOT(폴리(3,4-에틸렌 다이옥시디오펜))라 불리는 전도성 중합체는 박막을 갖는 메모리 회로에서 강유전성 중합체의 전극중 하나로서 사용될 것이다. PEDOT 막은 화학적인 중합화, 전기화학적 중합화 또는 PEDOT-PSS(여기서 PSS는폴리스틸렌 술포네이트임)를 함유하는 미리 제조된 용액의 스핀-코팅 이 둘중 하나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PEDOT 막을 생성하는 화학적인 방법이 사용된다. 이와같은 막을 준비하는 용액은 베이트론 M(3,4-에틸렌 다이옥시디오펜 EDOT) 및 베이트론 C(n-부탄올 내의 철 톨루엔 술포네이트 용액, 40%) 사이의 혼합물이며, 이들 둘 모두는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하다. 베이트론 C 및 베이트론 M 사이의 비는 표준 혼합물 용액에서 6이다. EDOT의 PEDOT로의 중합화는 두 용액을 혼합한 15분 정도 이후에 나타난다.
전도 PEDOT 중합체는 이 실시예에서 금속화된 Si 웨이퍼 상에 스핀-코팅된다. 그리고 나서, 중합화를 위하여 막은 고열(100℃) 판 상에 1 내지 2 분동안 놓여진다. 다음에, 임의의 비-중합화된 EDOT 및 철 용액(ferric solution)을 제거하기 위하여 용액 세척 공정이 수행된다. 이소프로판올 및 이온 해제된 물이 이 공정에서 교호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전도성 PEDOT 막의 상부에, 이 경우에 80 nm의 두께인 강유전체 박막이 스핀 코팅- 기술에 의해서 증착되며, 그 다음에 145℃에서 10분동안 어닐링 공정이 수행된다. 티타늄의 상부 전극은 증발에 의해서 강유전체 막에 도포된다. 이 경우에, 강유전체 막은 75/25 공중합체 PVDF-TFE이다.
도 5는 상술된 예 1에 따라 진행된 강유전성 중합체 박막에 대한 히스테리시스 루프(1)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나서, 메모리 회로(C)는 PEDOT 전도성 중합체의 하부 전극(E1)을 가지고 있고 상부 전극(E2)으로서 티타늄을 가지고 있다.
예 2
전도성 중합체, 이 경우에 폴리피롤은 기판이 중합체의 용액에 담겨지는 공지된 공정에서 (Pt 또는 Al로 커버된 실리콘 웨이퍼와 같은) 금속화된 기판 상에 증착된다. 이 예에 따라서, 기판은 증착 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저 농도 중합체 용액 내에 담겨진다. 일반적으로, 기판은 실온에서 대략 3분 내지 30분동안 중합 용매 내에 담겨진다. 다-단계 담금 공정(multi-step dipping process)이 사용되어 희망하는 두께를 달성하도록 한다. 상기 예에서, 비록 그 두께가 전체 담금 시간을 변경시킴으로써 20 nm 내지 100 nm의 범위 내에서 변화될 수 있을지라도, 폴리피롤 층에 대해 30 nm의 최종적인 두께가 사용된다. 그리고 나서, 상술된 단계는 증착 절차 단계보다 앞서며, 여기서 전도성 중합체 층은 강유전성 중합체 박막 층으로 스핀-코팅된다.
본 실시예에서, 200000 주위의 평균 분자 무게를 갖는 VDF/FTE의 75/25 및 68/32 몰 내용 비(molar content ratio)의 임의의 PVDF-TFE 공중합체가 박막 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막은 그 후에 140℃온도로 2 시간 동안 가열되고 실온으로 천천히 냉각된다.
예 3
전도성 중합체 층은 베이트론 P 용액으로부터 스핀 코팅에 의하여 금속화된 기판(즉 플래티늄, 티타늄 또는 알루미늄 막으로 커버된 실리콘 웨이퍼) 또는 강유전성 박막의 상부 상에 증착된다. 상업적인 베이트론 P는 콜로이드 안정기의 역할을 하는 폴리스틸렌 술폰산(PSS)의 존재시 PEDOT의 수성 용액이다. 임의의 상기 금속 막 및 강유전성 막의 양호하지 않은 습윤 특성(wetting property)으로 인하여, 일정 양의 계면활성제(surfactant)가 PEDOT-PSS 막 형성을 균일하고 부드럽게 하기 위하여 베이트론 P 내에 부가되어야만 한다. 스핀 코팅 이후에, 100℃에서 2-10 분동안의 열 처리가 필요하다. 이 공정은 PEDOT/PSS의 전도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강유전성 중합체를 용해하기 위하여 적절한 용매가 사용된다. 단지 요건은 이 용매가 실온에서 PEDOT-PSS를 용해하거나 팽창시키지 않도록 하며 강유전성 박막 및 PEDOT-PSS 막 사이의 가능한 확산 공정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DEC에서의 강유전성 중합체의 농도는 3%이다. 90 nm 두께의 강유전성 막을 얻기 위하여, 3800 rpm의 스핀 속도가 사용된다.
제 2 PEDOT-PSS 전도성 중합체 층이 강유전성 중합체 막의 상부에 형성된다. 이 제 2 전도성 층의 상부에 티타늄의 전극이 증착된다. 이것은 전도성 중합체의 상부에 150 nm 두께의 티타늄 막을 증발시킴으로써 행해진다. 활성 영역은 쉐도우 마스크(shadow mask)에 의해 규정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다른 메모리 회로로 얻을 수 있는 히스테리시스 루프를 도시한 것이다. 이 메모리 회로(C)는 본질적으로 도 2a 및 예 1의 메모리 회로(C)의실시예에 대응한다. 하부 전극(E1)에 대하여, 전도성 중합체(P1)는 C-PEDOT, 즉 철 톨루엔 술포네이트로 도핑된 폴리디오펜이다. 이것은 PEDOT-PSS보다 높은 전도성을 갖는 것으로 추정된다. 상부 전극(E2)은 티타늄 금속막으로 제조된다. 루프 (1)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회로(C)의 히스테리시스 루프이지만, 루프(2)는 둘 모두가 티타늄으로 제조된 상부 및 하부 전극(E1;E2)을 갖는 종래 기술의 메모리 회로(C)의 히스테리시스 루프이다.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회로(C)는 히스테리시스 루프로부터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메모리 회로보다 훨씬 더 높은 분극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회로(C)의 스위칭 분극()은 종래 기술의 메모리 회로의 스위칭 분극()보다 상당히 작다. 그러나, 강유전성 중합체 박막의 두께가 예상된 것보다 다소 더 크기 때문에 강제 전압(Vc)이 본 발명의 메모리 회로에 대하여 다소 더 높다는 것을 주의하여야만 한다. 그러나, 도 5에서 비교된 히스테리시스 루프는 전도 폴리며, 이 경우에 C-PEDOT를 갖는 하부 전극을 사용하는 것이 메모리 재료로서 적절하게 사용된 강유전체 박막 중합체의 분극을 개선시킨다는 것은 나타낸다.
도 6은 실온에서 종래 기술의 메모리 회로의 피로(fatigue)와 본 발명에 다른 메모리 회로(C)의 피로를 비교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회로가 분극 뿐만 아니라, 피로 동작이 훨씬 개선된 것을 나타내며,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회로 및 종래 기술의 메모리 회로 사이의 차이는 106이상의 피로 사이클까지 감지할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금속 기판이 강유전체 중합체 박막에 대해 금속 기판을 사용함으로써 발생되는 인접한 미세결정들간의 방향 오정합에 기인하여 강유전체 박막 및 초박막에 높은 탄성 에너지를 부과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이로 인해, 초박막 PVDF-TFE에서 결정화도가 낮아진다. 결과적으로, 이 종류의 초박막 PVDF-TFE 공중합체는 더 낮은 잔류 분극 레벨 및 더 높은 스위칭 분극을 나타낸다. 게다가, 금속 전극 및 강유전성 중합체 막 사이의 인터페이스 배리어는 스위칭 분극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0.05 내지 1 μm의 두께를 갖는 PVDF-TFE 막은 강유전성 특성을 특징으로 한다. 상이한 전계 하에서의 스위칭 속도가 측정된다. 실험적인 결과는 전도성 중합체 전극을 사용하여, 결정화도 및 분극 레벨이 강유전성 중합체 막의 모듈러스(modulus)와의 탄성 모듈러스의 정합으로 인하여 증가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것은 전도성 중합체 전극이 강유전성 박막 장치에서 적절하게 기능을 한다는 것을 분명하게 나타내는 것이다. 더구나, 전극-중합체 인터페이스의 변경이 또한 분극 레벨 및 스위칭 속도 둘 모두를 증가시키도록 하는 인터페이스 배리어의 변경을 유용하게 한다는 것을 가정하는 것이 적합하다. 더 중요하게도, 동일한 실험 조건하에서 금속 전극을 갖는 강유전성 중합체 박막에 대한 대응하는 결과와 비교하여 분극 레벨은 더 높고 강압적인 필드 및 전압이 더 낮다.

Claims (17)

  1. 강유전성 중합체 박막(F) 형태의 강유전성 메모리 셀 및 대향 표면에서 각각 상기 강유전성 메모리 셀(F)과 접촉하는 제 1 및 제 2 전극(E1;E2)을 포함하여, 상기 셀의 분극 상태가 상기 전극(E1;E2)에 적절한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설정되고, 스위칭되거나 검출될 수 있는 강유전성 메모리 회로(C)로서,
    전극(E1;E2)중 적어도 한 전극은 적어도 하나의 접촉 층(P1;P2)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촉 층(P1;P2)은 상기 메모리 셀(C)과 접촉하는 전도성 중합체를 포함하며, 금속막의 제 2 층(M1;M2)은 상기 전도성 중합체(P1;P2)와 선택적으로 접촉함으로써, 상기 전극(E1;E2)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이 전도성 중합체 접촉 층(P1;P2)만을 포함하거나, 전도성 중합체 접촉 층(P1;P2) 및 금속 막 층(M1;M2)의 조합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성 메모리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E1;E2)중 단지 한 전극만이 전도성 중합체 접촉 층(P1;P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성 메모리 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유전성 중합체 박막(F)은 1 μm 이하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성 메모리 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중합체는 20 nm 내지 100 nm 사이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성 메모리 회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유전성 메모리 셀(F)은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임의의 공중합체를 갖는 폴리비닐리덴, 공중합체 또는 PVDF-트리플루오로에틸렌(PVDF-TFE)중 하나를 기재로 한 삼원공중합체, 홀수 나일론, 임의의 공중합체를 갖는 홀수 나일론, 시노중합체 및 임의의 공중합체를 갖는 시노중합체중 하나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성 메모리 회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층(P)의 전도성 중합체는 도핑된 폴리피롤 (PPy), 폴리피롤(PPy)의 도핑된 유도체, 도핑된 폴리아닐린, 폴리아닐린의 도핑된 유도체, 도핑된 폴리디오펜 및 폴리디오펜의 도핑된 유도체중 하나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성 메모리 회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층(P)의 전도성 중합체는 다음 중합체, 즉 도핑된 폴리피롤(PPy), 폴리피롤(PPY)의 도핑된 유도체, 도핑된 폴리아닐린, 폴리아닐린의 도핑된 유도체, 도핑된 폴리디오펜 및 폴리디오펜의 도핑된 유도체중 하나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성 메모리 회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막 층(M)의 금속은 알루미늄, 플래티늄, 티타늄 및 구리중 하나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성 메모리 회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유전성 메모리 회로(C)는 유사한 회로의 매트릭스-어드레스 가능한 어레이에 메모리 회로를 형성하고, 상기 메모리 회로(C)의 메모리 셀(F)은 강유전성 중합체 박막의 글로벌 층(G)의 일부를 형성하며, 제 1 및 제 2 전극(E1;E2)은 제 1 및 제 2 전극 수단의 일부를 각각 형성하고, 각각의 전극 수단은 다수의 평행한 스트립 형상 전극(E1;E2)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전극 수단의 전극(E2)은 그들 사이의 샌드위치에 강유전성 중합체 박막 글로벌 층(G)을 갖는 제 1 전극 수단의 전극(E1)에 , 바람직하게는 직교 각도로 배향되어, 강유전성 메모리 셀(F)이 제 1 전극 수단의 전극(E1) 및 제 2 전극 수단의 전극(E2) 각각의 교차점에서 강유전성 중합체 박막 내에 형성됨으로써, 메모리 셀(F)을 갖는 강유전성 중합체 박막 및 전극 수단에 의해 형성된 어레이가 집적화된 수동 매트릭스-어드레스 가능한 강유전성 메모리 장치를 형성하며, 여기서 기록 및 판독 동작은 위한 각각의 메모리 셀(F)의 어드레싱은 구동, 제어 및 검출용의 외부 회로와의 적절한 접속으로 전극 수단의 전극(E1;E2)을 통하여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성 메모리 유닛.
  10. 상기 메모리 회로(C)는 강유전성 중합체 박막 형태의 강유전성 메모리 셀(F) 및 대향 표면에서 상기 강유전성 메모리 셀(F)과 각각 접촉하는 제 1 및 제 2 전극 (E1;E2)을 포함하여, 셀의 분극 상태가 상기 전극(E1;E2)에 적절한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설정되고, 스위칭되거나 검출될 수 있으며, 상기 메모리 회로(C)는 절연 기판(S) 상에 제공되는 강유전성 메모리 회로(C)의 제조 방법으로서,
    전도성 중합체 박막의 제 1 접촉 층을 상기 기판 상에 증착하는 단계;
    강유전성 중합체 박막을 상기 제 1 접촉 층에 증착하는 단계; 및
    제 2 접촉 층을 상기 강유전성 중합체 박막의 상부에 증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성 메모리 회로 제조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촉 층이 증착되기 이전에 금속 막 층을 상기 기판 상에 증착하는 단계 및 그 이후에 상기 제 1 금속 층을 증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성 메모리 회로 제조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전도성 중합체 박막을 스핀 코팅에 의해 증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성 메모리 회로 제조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강유전성 중합체 박막을 스핀 코팅에 의하여 상기 제 1 접촉 층 상에 증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성 메모리 회로 제조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촉 층 및/또는 상기 강유전성 중합체 박막을 상기 각각의 증착 단계 이후에 대략 140℃의 온도로 어닐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성 메모리 회로 제조 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강유전성 중합체 박막의 상부에 전도성 중합체 박막의 제 2 전도층을 증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성 메모리 회로 제조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촉 층을 증착하기 이전에 상기 강유전성 중합체 박막을 어닐링하지 않고 제 2 접촉 층을 대략 140℃의 온도로 어닐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성 메모리 회로 제조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촉 층의 상부에 금속 막 층을 증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성 메모리 회로 제조 방법.
KR10-2003-7007038A 2000-11-27 2001-11-27 강유전성 메모리 회로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5046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O20005980 2000-11-27
NO20005980A NO20005980L (no) 2000-11-27 2000-11-27 Ferroelektrisk minnekrets og fremgangsmåte ved dens fremstilling
PCT/NO2001/000473 WO2002043071A1 (en) 2000-11-27 2001-11-27 A ferroelectric memory circuit and method for its fabr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9272A true KR20030059272A (ko) 2003-07-07
KR100504612B1 KR100504612B1 (ko) 2005-08-01

Family

ID=19911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7038A KR100504612B1 (ko) 2000-11-27 2001-11-27 강유전성 메모리 회로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6734478B2 (ko)
EP (1) EP1346367B1 (ko)
JP (1) JP2004515055A (ko)
KR (1) KR100504612B1 (ko)
CN (1) CN100342453C (ko)
AT (1) ATE290713T1 (ko)
AU (2) AU2316502A (ko)
CA (1) CA2429887C (ko)
DE (1) DE60109325T2 (ko)
ES (1) ES2236361T3 (ko)
HK (1) HK1063688A1 (ko)
NO (1) NO20005980L (ko)
RU (1) RU2259605C2 (ko)
WO (1) WO200204307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463B1 (ko) * 2004-09-27 2009-11-03 인텔 코포레이션 중합체 전극을 포함하는 강유전성 중합체 메모리 디바이스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966302B1 (ko) * 2005-11-15 2010-06-28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메모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03986B1 (en) 1998-07-29 2001-10-16 Silicon Light Machines Method of and apparatus for sealing an hermetic lid to a semiconductor die
DE60220912T2 (de) * 2001-05-07 2008-02-28 Advanced Micro Devices, Inc., Sunnyvale Speichervorrichtung mit einem sich selbst einbauenden polyme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CN1276518C (zh) 2001-05-07 2006-09-20 先进微装置公司 使用复合分子材料的浮置栅极存储装置
AU2002340793A1 (en) 2001-05-07 2002-11-18 Coatue Corporation Molecular memory device
WO2002091494A1 (en) 2001-05-07 2002-11-14 Advanced Micro Devices, Inc. Switch element having memeory effect
US6747781B2 (en) 2001-06-25 2004-06-08 Silicon Light Machines, Inc. Method, apparatus, and diffuser for reducing laser speckle
US6756620B2 (en) * 2001-06-29 2004-06-29 Intel Corporation Low-voltage and interface damage-free polymer memory device
US6624457B2 (en) 2001-07-20 2003-09-23 Intel Corporation Stepped structure for a multi-rank, stacked polyme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6806526B2 (en) 2001-08-13 2004-10-19 Advanced Micro Devices, Inc. Memory device
DE60130586T2 (de) 2001-08-13 2008-06-19 Advanced Micro Devices, Inc., Sunnyvale Speicherzelle
US6768157B2 (en) 2001-08-13 2004-07-27 Advanced Micro Devices, Inc. Memory device
US6829092B2 (en) * 2001-08-15 2004-12-07 Silicon Light Machines, Inc. Blazed grating light valve
DE10156470B4 (de) * 2001-11-16 2006-06-08 Infineon Technologies Ag RF-ID-Etikett mit einer Halbleiteranordnung mit Transistoren auf Basis organischer Halbleiter und nichtflüchtiger Schreib-Lese-Speicherzellen
NO20015735D0 (no) * 2001-11-23 2001-11-23 Thin Film Electronics Asa Barrierelag
US6878980B2 (en) 2001-11-23 2005-04-12 Hans Gude Gudesen Ferroelectric or electret memory circuit
US6800238B1 (en) * 2002-01-15 2004-10-05 Silicon Light Machines, Inc. Method for domain patterning in low coercive field ferroelectrics
NO315399B1 (no) * 2002-03-01 2003-08-25 Thin Film Electronics Asa Minnecelle
NO316637B1 (no) * 2002-03-25 2004-03-15 Thin Film Electronics Asa Volumetrisk datalagringsapparat
US6767751B2 (en) 2002-05-28 2004-07-27 Silicon Light Machines, Inc. Integrated driver process flow
US6839479B2 (en) 2002-05-29 2005-01-04 Silicon Light Machines Corporation Optical switch
NO322192B1 (no) * 2002-06-18 2006-08-28 Thin Film Electronics Asa Fremgangsmate til fremstilling av elektrodelag av ferroelektriske minneceller i en ferroelektrisk minneinnretning, samt ferroelektrisk minneinnretning
US6829258B1 (en) 2002-06-26 2004-12-07 Silicon Light Machines, Inc. Rapidly tunable external cavity laser
US6813059B2 (en) 2002-06-28 2004-11-02 Silicon Light Machines, Inc. Reduced formation of asperities in contact micro-structures
CN1521565A (zh) 2002-12-20 2004-08-18 ϣ 电子器件的制造
US6890813B2 (en) * 2003-01-06 2005-05-10 Intel Corporation Polymer film metalization
DE10303316A1 (de) * 2003-01-28 2004-08-12 Forschungszentrum Jülich GmbH Schneller remanenter Speicher
ATE476739T1 (de) * 2003-01-29 2010-08-15 Polyic Gmbh & Co Kg Organisches speicherbauelement
US7046420B1 (en) 2003-02-28 2006-05-16 Silicon Light Machines Corporation MEM micro-structur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6829077B1 (en) 2003-02-28 2004-12-07 Silicon Light Machines, Inc. Diffractive light modulator with dynamically rotatable diffraction plane
US6930340B2 (en) * 2003-03-03 2005-08-16 Seiko Epson Corporation Memory cell array including ferroelectric capacitors, method for making the same, and ferroelectric memory device
US6656763B1 (en) * 2003-03-10 2003-12-02 Advanced Micro Devices, Inc. Spin on polymers for organic memory devices
US7259039B2 (en) * 2003-07-09 2007-08-21 Spansion Llc Memory device and methods of using and making the device
WO2005064705A1 (en) * 2003-12-22 2005-07-1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Increasing the wettability of polymer solutions to be deposited on hydrophobic ferroelecric polymerb layers
US20050139879A1 (en) * 2003-12-24 2005-06-30 Diana Daniel C. Ion implanting conductive electrodes of polymer memories
NO321555B1 (no) * 2004-03-26 2006-05-29 Thin Film Electronics Asa Organisk elektronisk innretning og fremgangsmate til fremstilling av en slik innretning
KR100626912B1 (ko) 2004-04-23 2006-09-2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불휘발성 강유전체 수직 전극 셀과 수직 전극 셀을 이용한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수직 전극 셀 제조방법
US20060000493A1 (en) * 2004-06-30 2006-01-05 Steger Richard M Chemical-mechanical post-etch removal of photoresist in polymer memory fabrication
US7045897B2 (en) * 2004-07-28 2006-05-16 Endicott Interconnect Technologies, Inc. Electrical assembly with internal memory circuitized substrate having electronic components positioned thereon, method of making same, and information handling system utilizing same
US7253502B2 (en) * 2004-07-28 2007-08-07 Endicott Interconnect Technologies, Inc. Circuitized substrate with internal organic memory device, electrical assembly utilizing same, and information handling system utilizing same
KR20060070716A (ko) * 2004-12-21 2006-06-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기 메모리 소자 및 제조 방법
NO322202B1 (no) * 2004-12-30 2006-08-28 Thin Film Electronics Asa Fremgangsmate i fremstillingen av en elektronisk innretning
NO324809B1 (no) * 2005-05-10 2007-12-10 Thin Film Electronics Asa Fremgangsmate til dannelse av ferroelektriske tynnfilmer, bruk av fremgangsmaten og et minne med et minnemateriale av ferroelektrisk oligomer
US20080128682A1 (en) * 2005-05-11 2008-06-05 University Of Seoul Foundation Of Industry- Academic Cooperation Ferrodielectric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NO324539B1 (no) * 2005-06-14 2007-11-19 Thin Film Electronics Asa Fremgangsmate i fabrikasjonen av en ferroelektrisk minneinnretning
US20070003695A1 (en) * 2005-06-30 2007-01-04 Alexander Tregub Method of manufacturing a polymer memory device
WO2007058436A1 (en) * 2005-11-15 2007-05-24 Iferro Co., Ltd. Memory device
US20070126001A1 (en) * 2005-12-05 2007-06-07 Sung-Yool Choi Organic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GB2433646A (en) 2005-12-14 2007-06-27 Seiko Epson Corp Printing ferroelectric devices
EP1798732A1 (en) * 2005-12-15 2007-06-20 Agfa-Gevaert Ferroelectric passive memory cell,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US7706165B2 (en) 2005-12-20 2010-04-27 Agfa-Gevaert Nv Ferroelectric passive memory cell,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JP2007184462A (ja) * 2006-01-10 2007-07-19 Agfa Gevaert Nv 強誘電性記憶素子、その素子を含むデバイス及びその製法
GB2436893A (en) * 2006-03-31 2007-10-10 Seiko Epson Corp Inkjet printing of cross point passive matrix devices
EP1995736A1 (en) 2007-05-22 2008-11-26 Rijksuniversiteit Groningen Ferro-electric device and modulatable injection barrier
CN101359665B (zh) * 2007-07-30 2011-12-28 徐海生 铁电随机存取芯片
KR20090059811A (ko) * 2007-12-07 2009-06-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기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SG157267A1 (en) * 2008-05-29 2009-12-29 Sony Corp Ferroelectric memory device
KR101201673B1 (ko) * 2008-07-01 2012-11-15 한국과학기술원 수동 매트릭스-어드레스 가능한 메모리 장치
EP2192636A1 (en) * 2008-11-26 2010-06-02 Rijksuniversiteit Groningen Modulatable light-emitting diode
US9476026B2 (en) * 2009-03-12 2016-10-25 New Jersey Institute Of Technology Method of tissue repair using a piezoelectric scaffold
KR20110062904A (ko) * 2009-12-04 2011-06-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저항형 메모리 장치 및 그 형성 방법
US9412705B2 (en) * 2011-06-27 2016-08-09 Thin Film Electronics Asa Short circuit reduction in a ferroelectric memory cell comprising a stack of layers arranged on a flexible substrate
US8994014B2 (en) * 2012-06-06 2015-03-31 Saudi Basic Industries Corporation Ferroelectric devices, interconnect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CN104704565B (zh) * 2012-10-09 2017-04-19 沙特基础工业公司 由单一聚合物材料制成的电阻式存储装置
FR3004854B1 (fr) 2013-04-19 2015-04-17 Arkema France Dispositif de memoire ferroelectrique
CN103762217B (zh) * 2014-01-26 2016-05-04 江苏巨邦环境工程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铁电存储器的制造方法
KR101872632B1 (ko) 2014-06-09 2018-08-02 사빅 글로벌 테크놀러지스 비.브이. 펄스 전자기 복사선을 이용한 박막 유기 강유전 물질의 제조방법
WO2016039830A1 (en) * 2014-09-12 2016-03-17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Use of ambient-robust solution processing for preparing nanoscale organic ferroelectric films
US9735004B2 (en) * 2015-08-05 2017-08-15 Thin Film Electronics Asa PVDF-TrFE co-polymer having improved ferroelectric properties, methods of making a PVDF-TrFE co-polymer having improved ferroelectric properties and methods of changing the end group of a PVDF-TrFE co-polymer
KR102599612B1 (ko) * 2019-06-27 2023-11-08 브이메모리 주식회사 전기장을 이용한 전류 경로 제어 방법 및 전자 소자
EP3993072A1 (en) * 2020-10-27 2022-05-04 Nederlandse Organisatie voor toegepast- natuurwetenschappelijk Onderzoek TNO Large-area printed piezoelectrics with high frequency respons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57581A (ja) * 1984-06-04 1985-12-1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高感度圧電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S62198176A (ja) * 1986-02-26 1987-09-01 Mitsubishi Petrochem Co Ltd 透明高分子圧電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S6320883A (ja) * 1986-07-14 1988-01-28 Fujikura Ltd 圧電フイ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3104386A (ja) * 1986-10-20 1988-05-09 Onkyo Corp 高分子圧電素子
JPH02158173A (ja) * 1988-12-12 1990-06-18 Seiko Epson Corp 記憶装置
DE3925970A1 (de) 1989-08-05 1991-02-07 Hoechst Ag Elektrisch leitfaehige polymere und ihre verwendung als orientierungsschicht in fluessigkristall-schalt- und -anzeigeelementen
JPH03126275A (ja) * 1989-10-12 1991-05-29 Seiko Epson Corp 非線形2端子素子
JPH05232516A (ja) * 1991-03-15 1993-09-10 Seiko Epson Corp アクティブデバイス及びその製造方法
US5356500A (en) * 1992-03-20 1994-10-18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Piezoelectric laminate films and processes for their manufacture
JP2808380B2 (ja) 1992-04-17 1998-10-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空間光変調素子の駆動方法
JPH0764107A (ja) * 1993-08-30 1995-03-10 Sharp Corp 非線形素子基板の製造方法
EP1271669A3 (en) * 1994-09-06 2005-01-2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Electroluminescent device comprising a transparent structured electrode layer made from a conductive polymer
DE19640239A1 (de) * 1996-09-30 1998-04-02 Siemens Ag Speicherzelle mit Polymerkondensator
US6025618A (en) * 1996-11-12 2000-02-15 Chen; Zhi Quan Two-parts ferroelectric RAM
US6545384B1 (en) * 1997-02-07 2003-04-08 Sri International Electroactive polymer devices
NO972803D0 (no) * 1997-06-17 1997-06-17 Opticom As Elektrisk adresserbar logisk innretning, fremgangsmåte til elektrisk adressering av samme og anvendelse av innretning og fremgangsmåte
US6072716A (en) * 1999-04-14 2000-06-06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emory structur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JP3956190B2 (ja) * 2000-01-28 2007-08-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強誘電体キャパシタアレイ及び強誘電体メモリの製造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463B1 (ko) * 2004-09-27 2009-11-03 인텔 코포레이션 중합체 전극을 포함하는 강유전성 중합체 메모리 디바이스및 이의 제조 방법
US8129767B2 (en) 2004-09-27 2012-03-06 Intel Corporation Ferroelectric polymer memory module
KR100966302B1 (ko) * 2005-11-15 2010-06-28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메모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429887A1 (en) 2002-05-30
RU2259605C2 (ru) 2005-08-27
DE60109325D1 (de) 2005-04-14
AU2316502A (en) 2002-06-03
KR100504612B1 (ko) 2005-08-01
CA2429887C (en) 2005-03-29
JP2004515055A (ja) 2004-05-20
CN1488148A (zh) 2004-04-07
NO20005980D0 (no) 2000-11-27
US20030056078A1 (en) 2003-03-20
NO20005980L (no) 2002-05-28
HK1063688A1 (en) 2005-01-07
ES2236361T3 (es) 2005-07-16
WO2002043071A1 (en) 2002-05-30
EP1346367B1 (en) 2005-03-09
ATE290713T1 (de) 2005-03-15
AU2002223165B2 (en) 2005-02-17
EP1346367A1 (en) 2003-09-24
CN100342453C (zh) 2007-10-10
US6734478B2 (en) 2004-05-11
DE60109325T2 (de) 2006-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4612B1 (ko) 강유전성 메모리 회로 및 그의 제조 방법
AU2002223165A1 (en) A ferroelectric memory circuit and method for its fabrication
Xu et al. Ferroelectric and switching behavior of poly (vinylidene fluoride-trifluoroethylene) copolymer ultrathin films with polypyrrole interface
Bernstein et al. Fatigue of ferroelectric PbZr x Ti y O 3 capacitors with Ru and RuO x electrodes
US6878980B2 (en) Ferroelectric or electret memory circuit
CA2464082C (en) A ferroelectric or electret memory circuit
JPH10270654A (ja) 半導体記憶装置
US20090039341A1 (en) Method for the Manufacturing of a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Device and Memory Device Thus Obtained
Xu et al. Domain stabilization effect of interlayer on ferroelectric poly (vinylidene fluoride-trifluoroethylene) copolymer ultrathin film
JP2007523469A (ja) 有機両極性半導体を使用する不揮発性強誘電体薄膜デバイス及びそのようなデバイスを処理するための方法
EP1648040B1 (en) Thin-layer chemical transistors and their manufacture
KR102652757B1 (ko) 변동 저저항 라인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이의 동작 방법
EP3226271B1 (en) Electrochemical device
TW200531083A (en) Use of ferroelectric materials as dielectricum in electronic devices
KR100540698B1 (ko) 개선된 절연막 구조를 갖는 유기물 트랜지스터
NO319548B1 (no) Ferroelektrisk minnekrets og fremgangsmate ved dens fremstilling
KR101075620B1 (ko) P(S-r-MMA)를 삽입층으로 사용하는 강유전성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572854B1 (ko) 광반응성 유기고분자 게이트 절연막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유기박막 트랜지스터
RU210435U1 (ru) САМОСОВМЕЩЕННЫЙ СЕГНЕТОЭЛЕКТРИЧЕСКИЙ КОНДЕНСАТОР С ЭЛЕКТРОДАМИ ИЗ LaNiO3
JP2023523425A (ja) 電子素子及び電子素子制御方法
CN112382719A (zh) 提升铁电隧穿结性能的器件结构及其制备方法
NO317912B1 (no) Ferroelektrisk eller elektret minnekr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