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6020B1 - 성형체, 그 제조 방법, 전자 디바이스용 부재 및 전자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성형체, 그 제조 방법, 전자 디바이스용 부재 및 전자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6020B1
KR101476020B1 KR1020127024929A KR20127024929A KR101476020B1 KR 101476020 B1 KR101476020 B1 KR 101476020B1 KR 1020127024929 A KR1020127024929 A KR 1020127024929A KR 20127024929 A KR20127024929 A KR 20127024929A KR 101476020 B1 KR101476020 B1 KR 101476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y mineral
layer
group
polysilazane compound
polysilaz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4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7471A (ko
Inventor
와타루 이와야
다케시 곤도
Original Assignee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27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7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6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6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16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in which all the silicon atoms are connected by linkages other than oxy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8Forming gas barrier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12Chemical modification
    • C08J7/16Chemical modification with polymerisable compounds
    • C08J7/18Chemical modification with polymerisable compounds using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46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16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in which all the silicon atoms are connected by linkages other than oxy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48Ion implan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6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in which all the silicon atoms are connected by linkages other than oxygen atoms
    • C08G77/62Nitr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8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83/16Characterised by the use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in which all the silicon atoms are connected by linkages other than oxy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8Additives improving gas barrier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Treatments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실라잔 화합물과 점토 광물을 함유하는 층으로 이루어지고, 40 ℃, 상대 습도 90 % 분위기 하에서의 수증기 투과율이, 6.0 g/㎡/day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체, 그 제조 방법, 이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전자 디바이스용 부재, 및 이 전자 디바이스용 부재를 구비하는 전자 디바이스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스 배리어성, 투명성 및 내절곡성이 우수한 성형체, 그 제조 방법, 이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전자 디바이스용 부재 등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성형체, 그 제조 방법, 전자 디바이스용 부재 및 전자 디바이스 {MOLDED OBJECT, PROCESS FOR PRODUCING SAME, MEMBER FOR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성형체, 그 제조 방법, 이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전자 디바이스용 부재, 및 이 전자 디바이스용 부재를 구비하는 전자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 플라스틱 필름 등의 고분자 성형체는, 저가격이며 가공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원하는 기능을 부여하여 여러 가지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식품이나 의약품의 포장용 필름에는, 단백질이나 유지 등의 산화나 변질을 억제하여 맛이나 선도를 유지하기 때문에, 수증기나 산소의 투과를 방지하는 가스 배리어성의 플라스틱 필름이 이용되고 있다.
또, 최근, 액정 디스플레이나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EL) 디스플레이 등의 디스플레이에는, 박형화, 경량화, 플렉시블화 등을 실현하기 위해서, 전극을 갖는 기판으로서, 유리판 대신에 투명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플라스틱 필름은, 유리판에 비해 수증기나 산소 등을 투과하기 쉽고, 디스플레이 내부의 소자의 열화를 일으키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문헌 1 에는, 투명 플라스틱 필름에 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지는 투명 가스 배리어층을 적층시킨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 문헌에 기재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은, 투명 플라스틱 필름 표면에, 증착법, 이온 플레이팅법, 스퍼터법 등에 의해, 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지는 투명 가스 배리어층을 적층한 것이기 때문에, 그 기판을 둥글게 하거나 절곡하거나 하면, 가스 배리어층에 크랙이 발생하여 가스 배리어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특허문헌 2 에는, 플라스틱 필름과, 그 플라스틱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폴리오르가노실세스키옥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층을 적층시켜 이루어지는 가스 배리어성 적층체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산소, 수증기 등의 가스 배리어성을 얻기 위해서는, 추가로 무기 화합물층을 적층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공정이 번잡하거나 비용이 들거나, 독성을 갖는 가스를 사용할 위험성이 있거나 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3 에는,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폴리실라잔막을 형성하고, 그 폴리실라잔막에 플라스마 처리를 실시하여 가스 배리어성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가스 배리어층의 두께를 미크론 오더로 하지 않으면 충분한 가스 배리어 성능을 낼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33890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12330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237588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가스 배리어성, 투명성 및 내절곡성이 우수한 성형체, 그 제조 방법, 이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전자 디바이스용 부재, 및 이 전자 디바이스용 부재를 구비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폴리실라잔 화합물과 점토 광물을 함유하는 층을 표면부에 갖는 성형물의, 상기 폴리실라잔 화합물과 점토 광물을 함유하는 층에, 이온을 주입함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성형체를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의 제 1 에 의하면, 하기 (1) ∼ (6) 의 성형체가 제공된다.
(1) 폴리실라잔 화합물과 점토 광물을 함유하는 층으로 이루어지고, 40 ℃, 상대 습도 90 % 분위기 하에서의 수증기 투과율이, 6.0 g/㎡/day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체.
(2) 폴리실라잔 화합물과 점토 광물을 함유하는 층에 이온이 주입되어 얻어지는 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에 기재된 성형체.
(3) 상기 이온이, 수소, 질소, 산소, 아르곤, 헬륨, 네온, 제논, 크립톤, 규소 화합물 및 탄화수소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가스가 이온화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에 기재된 성형체.
(4) 상기 폴리실라잔 화합물과 점토 광물을 함유하는 층에, 플라스마 이온 주입에 의해 이온이 주입되어 얻어지는 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또는 (3) 에 기재된 성형체.
(5) 상기 폴리실라잔 화합물이 퍼하이드로폴리실라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또는 (2) 에 기재된 성형체.
(6) 상기 폴리실라잔 화합물과 점토 광물을 함유하는 층 중의 점토 광물의 함유량이, 폴리실라잔 화합물과 점토 광물의 합계량을 100 질량% 로 하여 0.01 질량% ∼ 10 질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또는 (2) 에 기재된 성형체.
본 발명의 제 2 에 의하면, 하기 (7) ∼ (10) 의 성형체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7) 폴리실라잔 화합물과 점토 광물을 함유하는 층을 표면부에 갖는 성형물의, 상기 폴리실라잔 화합물과 점토 광물을 함유하는 층의 표면부에, 이온을 주입하는 공정을 갖는 (2) 에 기재된 성형체의 제조 방법.
(8) 폴리실라잔 화합물과 점토 광물을 함유하는 표면부를 갖는 성형물의, 상기 폴리실라잔 화합물과 점토 광물을 함유하는 층의 표면부에, 수소, 질소, 산소, 아르곤, 헬륨, 제논, 네온, 크립톤, 규소 화합물 및 탄화수소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가스를 이온 주입하는 공정을 갖는 (7) 에 기재된 성형체의 제조 방법.
(9) 상기 이온 주입하는 공정이, 플라스마 이온 주입하는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7) 또는 (8) 에 기재된 성형체의 제조 방법.
(10) 폴리실라잔 화합물과 점토 광물을 함유하는 층을 표면부에 갖는 장척상의 성형물을 일정 방향으로 반송하면서, 상기 폴리실라잔 화합물과 점토 광물을 함유하는 층에 이온을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에 기재된 성형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제 3 에 의하면, 하기 (11) 의 전자 디바이스용 부재가 제공된다.
(11) (1) 또는 (2) 에 기재된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전자 디바이스용 부재.
본 발명의 제 4 에 의하면, 하기 (12) 의 전자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12) (11) 에 기재된 전자 디바이스용 부재를 구비하는 전자 디바이스.
본 발명의 성형체는, 우수한 가스 배리어성, 투명성 및 내절곡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성형체는, 플렉시블한 디스플레이나 태양 전지 등의 전자 디바이스용 부재 (예를 들어 태양 전지 백시트) 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우수한 가스 배리어성, 투명성, 내절곡성을 갖는 본 발명의 성형체를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 가스 배리어막으로서 무기막이 성막된 성형체에 비하여,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대면적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 디바이스용 부재는, 우수한 가스 배리어성, 투명성 및 내절곡성을 갖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태양 전지 등의 전자 디바이스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사용하는 플라스마 이온 주입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사용하는 플라스마 이온 주입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1) 성형체, 2) 성형체의 제조 방법, 그리고, 3) 전자 디바이스용 부재 및 전자 디바이스로 항목 분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1) 성형체
본 발명의 성형체는, 폴리실라잔 화합물과 점토 광물을 함유하는 층 (이하, 「점토 광물 등 함유층」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으로 이루어지고, 40 ℃, 상대 습도 90 % 분위기 하에서의 수증기 투과율이, 6.0 g/㎡/day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폴리실라잔 화합물은, 분자 내에 -Si-N- 결합 (실라잔 결합) 을 포함하는 반복 단위를 갖는 고분자 화합물이다. 구체적으로는, 식 (1)
[화학식 1]
Figure 112012077299540-pct00001

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를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또, 사용하는 폴리실라잔 화합물의 수평균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00 ∼ 50,0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 (1) 중, n 은 임의의 자연수를 나타낸다.
Rx, Ry, Rz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무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알킬기, 무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시클로알킬기, 무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알케닐기, 무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아릴기 또는 알킬실릴기 등의 비가수 분해성기를 나타낸다.
상기 무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알킬기의 알킬기로는,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sec-부틸기, t-부틸기, n-펜틸기, 이소펜틸기, 네오펜틸기, n-헥실기, n-헵틸기, n-옥틸기 등의 탄소수 1 ∼ 10 의 알킬기를 들 수 있다.
무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시클로알킬기의 시클로알킬기로는, 시클로부틸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시클로헵틸기 등의 탄소수 3 ∼ 10 의 시클로알킬기를 들 수 있다.
무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알케닐기의 알케닐기로는, 예를 들어, 비닐기, 1-프로페닐기, 2-프로페닐기, 1-부테닐기, 2-부테닐기, 3-부테닐기 등의 탄소수 2 ∼ 10 의 알케닐기를 들 수 있다.
상기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및 알케닐기의 치환기로는,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등의 할로겐 원자;하이드록실기;티올기;에폭시기;글리시독시기;(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페닐기, 4-메틸페닐기, 4-클로로페닐기 등의 무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아릴기;등을 들 수 있다.
무치환 또는 치환기를 갖는 아릴기의 아릴기로는, 예를 들어, 페닐기, 1-나프틸기, 2-나프틸기 등의 탄소수 6 ∼ 10 의 아릴기를 들 수 있다.
상기 아릴기의 치환기로는,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등의 할로겐 원자;메틸기, 에틸기 등의 탄소수 1 ∼ 6 의 알킬기;메톡시기, 에톡시기 등의 탄소수 1 ∼ 6 의 알콕시기;니트로기;시아노기;하이드록실기;티올기;에폭시기;글리시독시기;(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페닐기, 4-메틸페닐기, 4-클로로페닐기 등의 무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아릴기;등을 들 수 있다.
알킬실릴기로는, 트리메틸실릴기, 트리에틸실릴기, 트리이소프로필실릴기, 트리t-부틸실릴기, 메틸디에틸실릴기, 디메틸실릴기, 디에틸실릴기, 메틸실릴기, 에틸실릴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Rx, Ry, Rz 로는, 수소 원자,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또는 페닐기가 바람직하고, 수소 원자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식 (1) 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를 갖는 폴리실라잔 화합물로는, Rx, Ry, Rz 가 모두 수소 원자인 무기 폴리실라잔, Rx, Ry, Rz 의 적어도 1 개가 수소 원자가 아닌 유기 폴리실라잔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무기 폴리실라잔으로는, 하기 식
[화학식 2]
Figure 112012077299540-pct00002

(식 중, a 는 임의의 자연수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를 갖는 직사슬형 구조를 갖고, 690 ∼ 2000 의 분자량을 갖고, 1 분자 중에 3 ∼ 10 개의 SiH3 기를 갖는 퍼하이드로폴리실라잔 (일본 특허공보 소63-16325호), 식 (A)
[화학식 3]
Figure 112012077299540-pct00003

[식 중, b, c 는 임의의 자연수를 나타내고, Y1 은, 수소 원자 또는 식 (B)
[화학식 4]
Figure 112012077299540-pct00004

(식 중, d 는 임의의 자연수를 나타내고, * 는 결합 위치를 나타내고, Y2 는 수소 원자, 또는 상기 (B) 로 나타내는 기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기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를 갖는, 직사슬형 구조와 분기 구조를 갖는 퍼하이드로폴리실라잔, 식 (C)
[화학식 5]
Figure 112012077299540-pct00005

로 나타내는 퍼하이드로폴리실라잔 구조를 갖는, 분자 내에, 직사슬형 구조, 분기 구조 및 고리형 구조를 갖는 퍼하이드로폴리실라잔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폴리실라잔으로는,
(i) -(Rx'SiHNH)- (Rx' 는, 무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알킬기, 무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시클로알킬기, 무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알케닐기, 무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아릴기, 또는 알킬실릴기를 나타낸다. 이하의 Rx' 도 동일하다) 를 반복 단위로 하고, 주로 중합도가 3 ∼ 5 인 고리형 구조를 갖는 것,
(ii) -(Rx'SiHNRz')- (Rz' 는, 무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알킬기, 무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시클로알킬기, 무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알케닐기, 무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아릴기, 또는 알킬실릴기를 나타낸다) 를 반복 단위로 하고, 주로 중합도가 3 ∼ 5 인 고리형 구조를 갖는 것,
(iii) -(Rx'Ry'SiNH)- (Ry'는, 무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알킬기, 무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시클로알킬기, 무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알케닐기, 무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아릴기, 또는 알킬실릴기를 나타낸다) 를 반복 단위로 하고, 주로 중합도가 3 ∼ 5 인 고리형 구조를 갖는 것,
(iv)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구조를 분자 내에 갖는 폴리오르가노(하이드로)실라잔,
[화학식 6]
Figure 112012077299540-pct00006

(v) 하기 식
[화학식 7]
Figure 112012077299540-pct00007

[Rx', Ry' 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고, e, f 는 임의의 자연수를 나타내며, Y3 은, 수소 원자 또는 식 (E)
[화학식 8]
Figure 112012077299540-pct00008

(식 중, g 는 임의의 자연수를 나타내고, * 는 결합 위치를 나타내며, Y4 는 수소 원자, 또는 상기 (E) 로 나타내는 기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기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반복 구조를 갖는 폴리실라잔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폴리실라잔은,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기 식 (2) 로 나타내는 무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할로게노실란 화합물과 2 급 아민의 반응 생성물에, 암모니아 또는 1 급 아민을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화학식 9]
R1 4 - mSiZm (2)
식 (2) 중, m 은 2 또는 3 을 나타내고, X 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고, R1 은, 전술한, Rx, Ry, Rz, Rx', Ry', Rz'중 어느 것의 치환기를 나타낸다)
사용하는 2 급 아민, 암모니아 및 1 급 아민은, 목적으로 하는 폴리실라잔 화합물의 구조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폴리실라잔 화합물로서 폴리실라잔 변성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폴리실라잔 변성물로는, 예를 들어, 금속 원자 (그 금속 원자는 가교를 이루고 있어도 된다) 를 함유하는 폴리메탈로실라잔, 반복 단위가 [(SiH2)g(NH)h)] 및 [(SiH2)iO] (식 중, g, h, i 는 각각 독립적으로, 1, 2 또는 3 이다) 로 나타내는 폴리실록사잔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2-195024호), 폴리실라잔에 붕소 화합물을 반응시켜 제조하는 폴리보로실라잔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2-84437호), 폴리실라잔과 메탈알콕시드를 반응시켜 제조하는 폴리메탈로실라잔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3-81122호 등), 무기 실라잔 고중합체나 개질 폴리실라잔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1-138108호 등), 폴리실라잔에 유기 성분을 도입한 공중합 실라잔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2-175726호 등), 폴리실라잔에 세라믹스화를 촉진시키기 위한 촉매적 화합물을 부가 또는 첨가한 저온 세라믹스화 폴리실라잔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238827호 등),
규소 알콕시드 부가 폴리실라잔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238827호), 글리시돌 부가 폴리실라잔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122852호), 아세틸아세토나토 착물 부가 폴리실라잔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306329호), 금속 카르복실산염 부가 폴리실라잔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299118호 등),
상기 폴리실라잔 또는 그 변성물에, 아민류 및/또는 산류를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폴리실라잔 조성물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31333호), 퍼하이드로폴리실라잔에 메탄올 등의 알코올 혹은 헥사메틸디실라잔을 말단 N 원자에 부가하여 얻어지는 변성 폴리실라잔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34582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4-63833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실라잔 화합물로는, 입수 용이성, 및 우수한 가스 배리어성을 갖는다는 관점에서, Rx, Ry, Rz 가 모두 수소 원자인 퍼하이드로폴리실라잔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폴리실라잔 화합물은, 유리 코팅재 등으로서 시판되고 있는 시판품을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점토 광물 등 함유층은, 폴리실라잔 화합물에 추가로, 점토 광물의 적어도 1 종을 함유한다. 점토 광물을 배합함으로써, 내절곡성이 우수하고, 투명성이 양호한 가스 배리어성 성형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점토 광물은, 점토를 구성하는 광물이고, 주성분은 층상 규산염 광물이다. 점토 광물은, 층상의 소판 (小板) 으로 이루어지고, 소판은, 갤러리 (소판끼리를 결합하는 여러가지 이온을 함유하는, 각 소판의 평행층 사이의 공간) 로 격리되어 있다.
각 소판의 크기는, 두께가, 통상 3 ∼ 3000 Å 이고, 평면 방향의 길이가 통상 0.01 ∼ 100 ㎛ 이다. 또, 애스펙트비는, 통상 10 ∼ 10000 이다.
점토 광물로는, 몬모릴로나이트, 사포나이트, 베이델라이트, 논트로나이트, 헥토라이트, 스티분사이트 등의 스멕타이트계 점토 광물;버미큘라이트;할로이사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우수한 가스 배리어성을 갖는 성형체 가 얻어지는 관점에서, 스멕타이트계 점토 광물이 바람직하고, 몬모릴로나이트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은, 1 종 단독으로, 혹은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점토 광물로서 시판품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시판품으로는, 예를 들어, 유기화 몬모릴로나이트 Southern Clay Products 사 제조, CLOISITE (등록 상표) 10A (소판의 두께:약 0.001 ㎛ (10 Å), 평면 방향 길이:약 0.15 ∼ 약 0.20 ㎛), 산요 무역 주식회사 제조, Dellite67G (소판의 두께:약 0.001 ㎛ (10 Å), 평면 방향 길이:약 1 ㎛) 등을 들 수 있다.
점토 광물 등 함유층 중의, 폴리실라잔 화합물과 점토 광물의 합계 함유량은, 우수한 가스 배리어성 등을 갖는다는 관점에서, 50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70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점토 광물 등 함유층 중의, 점토 광물의 함유량은, 폴리실라잔 화합물과 점토 광물의 합계량을 100 질량% 로 하여, 0.01 질량% ∼ 10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 질량% ∼ 5.0 질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 질량% ∼ 1.0 질량%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점토 광물 등 함유층은, 폴리실라잔 화합물 및 점토 광물 외에,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다른 성분으로는, 다른 고분자, 경화제, 노화 방지제, 광 안정제, 난연제, 충전제, 안료, 레벨링제, 소포제, 대전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pH 조정제, 분산제, 표면 개질제, 가소제, 건조 촉진제, 흐름 정지제 등을 들 수 있다.
점토 광물 등 함유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특별히 제약은 없고, 예를 들어, 폴리실라잔 화합물의 적어도 1 종, 점토 광물의 적어도 1 종, 원하는 바에 따라 다른 성분, 및 용제 등을 함유하는 층 형성용 용액을, 적당한 기재층 위에 도포하고, 얻어진 도막을 적당히 건조시켜 형성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사용하는 용제로는, 폴리실라잔과 점토 광물의 양방을 안정적으로 용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자일렌, 톨루엔, 부틸카르비톨아세테이트, 아세트산n-부틸, 아세트산에틸 등의 에스테르류;셀로솔브, 셀로솔브아세테이트 등의 글리콜에테르류;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류;등을 들 수 있다.
용제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폴리실라잔 화합물 등의 용해도나 용제의 증발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2 종류 이상의 용제를 혼합해도 된다. 용제의 사용량 (비율) 은, 코팅 방법, 사용하는 폴리실라잔 화합물 등의 종류 등에 따라 다르기도 하지만, 층 형성용 용액의, 통상 1 ∼ 99 질량%, 바람직하게는 5 ∼ 60 질량% 이다.
도공 장치로는, 스핀 코터, 나이프 코터, 그라비아 코터 등의 공지된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얻어진 도막의 건조, 성형체의 가스 배리어성 향상을 위해, 도막을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은 80 ∼ 150 ℃ 에서, 수십 초 내지 수십 분 실시한다.
이와 같은 가열에 의해, 폴리실라잔 화합물은 가교, 축합, 경우에 따라서는 산화, 가수분해하여 경화하여, 세라믹스상을 형성한다. 그리고, Si-N 결합 혹은 Si-O 결합을 주체로 하는 세라믹스상과 점토 광물상이 미세한 구조 레벨로 복합화된 치밀한 막을 얻을 수 있다.
형성되는 점토 광물 등 함유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 20 ㎚ ∼ 100 ㎛, 바람직하게는 30 ∼ 5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200 ㎚ 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점토 광물 등 함유층의 두께가 나노 오더여도, 충분한 가스 배리어 성능을 갖는 성형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성형체에 있어서, 폴리실라잔 화합물과 점토 광물을 함유하는 층에 이온이 주입되어 얻어지는 층 (이하, 「이온 주입층」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온 주입층은, 점토 광물 등 함유층 중에 이온이 주입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면 특별히 제약은 없다.
주입되는 이온으로는, 아르곤, 헬륨, 네온, 크립톤, 제논 등의 희가스, 플루오로카본, 수소, 질소, 산소, 이산화탄소, 염소, 불소, 황, 규소 화합물, 탄화수소 등의 이온;금, 은, 구리, 백금, 니켈, 팔라듐, 크롬, 티탄, 몰리브덴, 니오브, 탄탈, 텅스텐, 알루미늄 등의 도전성의 금속의 이온;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보다 간편하게 주입할 수 있고, 특히 우수한 가스 배리어성과 투명성을 갖는 이온 주입층이 얻어지는 점에서, 수소, 질소, 산소, 아르곤, 헬륨, 네온, 제논, 크립톤, 규소 화합물, 및 탄화수소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이온이 바람직하다.
규소 화합물로는, 실란 (SiH4) 또는 유기 규소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유기 규소 화합물로는, 테트라메톡시실란, 테트라에톡시실란, 테트라n-프로폭시실란, 테트라이소프로폭시실란, 테트라n-부톡시실란, 테트라t-부톡시실란 등의 테트라알콕시실란;
디메틸디메톡시실란, 디메틸디에톡시실란, 디에틸디메톡시실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에틸트리메톡시실란,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의 무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알킬알콕시실란;
디페닐디메톡시실란, 페닐트리에톡시실란 등의 아릴알콕시실란;
헥사메틸디실록산 (HMDSO) 등의 디실록산;
비스(디메틸아미노)디메틸실란, 비스(디메틸아미노)메틸비닐실란, 비스(에틸아미노)디메틸실란, 디에틸아미노트리메틸실란, 디메틸아미노디메틸실란, 테트라키스디메틸아미노실란, 트리스(디메틸아미노)실란 등의 아미노실란;
헥사메틸디실라잔, 헥사메틸시클로트리실라잔, 헵타메틸디실라잔, 노나메틸트리실라잔,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라잔, 테트라메틸디실라잔 등의 실라잔;
테트라이소시아네이트실란 등의 시아네이트실란;
트리에톡시플루오로실란 등의 할로게노실란;
디알릴디메틸실란, 알릴트리메틸실란 등의 알케닐실란;
디-t-부틸실란, 1,3-디실라부탄, 비스(트리메틸실릴)메탄, 트리메틸실란, 테트라메틸실란, 트리스(트리메틸실릴)메탄, 트리스(트리메틸실릴)실란, 벤질트리메틸실란 등의 무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알킬실란;
비스(트리메틸실릴)아세틸렌, 트리메틸실릴아세틸렌, 1-(트리메틸실릴)-1-프로핀 등의 실릴알킨;
1,4-비스트리메틸실릴-1,3-부타디인, 시클로펜타디에닐트리메틸실란 등의 실릴알켄;
페닐디메틸실란, 페닐트리메틸실란 등의 아릴알킬실란;
프로파르길트리메틸실란 등의 알키닐알킬실란;
비닐트리메틸실란 등의 알케닐알킬실란;
헥사메틸디실란 등의 디실란;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테트라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헥사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등의 실록산;
N,O-비스(트리메틸실릴)아세트아미드;
비스(트리메틸실릴)카르보디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탄화수소로는, 메탄, 에탄, 프로판, 부탄, 펜탄, 헥산 등의 알칸;에틸렌, 프로필렌, 부텐, 펜텐 등의 알켄;펜타디엔, 부타디엔 등의 알카디엔;아세틸렌, 메틸아세틸렌 등의 알킨;벤젠, 톨루엔, 자일렌, 인덴, 나프탈렌, 페난트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시클로프로판, 시클로헥산 등의 시클로알칸;시클로펜텐, 시클로헥센 등의 시클로알켄;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이온은, 1 종 단독으로, 혹은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온의 주입량은, 형성되는 성형체의 사용 목적 (필요한 가스 배리어성, 투명성 등) 등에 알맞게 적절히 결정하면 된다.
이온을 주입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점토 광물 등 함유층 (이하, 「이온을 주입하는 층」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을 형성한 후, 이 층에 이온을 주입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온을 주입하는 방법으로는, 전계에 의해 가속된 이온 (이온 빔) 을 조사하는 방법, 플라스마 중의 이온을 주입하는 방법 (플라스마 이온 주입법)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간편하게 우수한 가스 배리어성 등을 갖는 성형체가 얻어지는 점에서, 후자의 플라스마 이온 주입법이 바람직하다.
플라스마 이온 주입법은, 예를 들어, 플라스마 생성 가스를 함유하는 분위기 하에서 플라스마를 발생시켜, 이온을 주입하는 층에 부 (負) 의 고전압 펄스를 인가함으로써, 그 플라스마 중의 이온 (양이온) 을, 이온을 주입하는 층의 표면부에 주입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온 주입층이 형성되는 부분의 두께는, 이온의 종류나 인가 전압, 처리 시간 등의 주입 조건에 따라 제어할 수 있고, 이온을 주입하는 층의 두께, 성형체의 사용 목적 등에 따라 결정하면 되는데, 통상, 10 ∼ 1000 ㎚ 이다.
이온이 주입되었던 것은, X 선 광 전자 분광 분석 (XPS) 을 이용하여 표면으로부터 10 ㎚ 부근의 원소 분석 측정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성형체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필름상, 시트상, 직육면체상, 다각 기둥상, 통형상 등을 들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용 부재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필름상, 시트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필름의 두께는, 목적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의 용도에 따라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성형체는, 폴리실라잔 화합물과 점토 광물을 함유하는 층 혹은 이온 주입층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또 다른 층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 다른 층은 단층이어도 되고, 동종 또는 이종의 2 층 이상이어도 된다.
다른 층으로는, 기재층, 무기 화합물층, 충격 흡수층, 도전체층, 프라이머층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성형체가 다른 층을 포함하는 적층체인 경우, 각 층의 적층 순서는 어떠한 것이어도 된다. 또, 폴리실라잔 화합물과 점토 광물을 함유하는 층 혹은 이온 주입층의 배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것 등의 이유로부터, 폴리실라잔 화합물과 점토 광물을 함유하는 층 혹은 이온 주입층을 표면에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실라잔 화합물과 점토 광물을 함유하는 층 혹은 이온 주입층은, 다른 층의 편면에만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다른 층의 양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성형체가 적층체인 경우, 적층체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목적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의 용도에 따라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기재층)
기재층의 소재는, 성형체의 목적에 합치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페닐렌에테르,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 폴리페닐렌술파이드, 폴리아릴레이트, 점토 광물, 시클로올레핀계 폴리머, 방향족계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투명성이 우수하고, 범용성이 있는 점에서,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또는 시클로올레핀계 폴리머가 바람직하고, 폴리에스테르 또는 시클로올레핀계 폴리머가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아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아미드로는, 전체 방향족 폴리아미드,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시클로올레핀계 폴리머로는, 노르보르넨계 중합체, 단고리의 고리형 올레핀계 중합체, 고리형 공액 디엔계 중합체, 비닐 지환식 탄화수소 중합체, 및 이들의 수소화물을 들 수 있다. 그 구체예로는, 아펠 (미츠이 화학사 제조의 에틸렌-시클로올레핀 공중합체), 아톤 (JSR 사 제조의 노르보르넨계 중합체), 제오노아 (닛폰 제온사 제조의 노르보르넨계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무기 화합물층)
무기 화합물층은, 무기 화합물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층이다. 무기 화합물층을 구성하는 무기 화합물로는, 일반적으로 진공 성막 가능하고, 가스 배리어성을 갖는 것, 예를 들어 무기 산화물, 무기 질화물, 무기 탄화물, 무기 황화물, 이들의 복합체인 무기 산화질화물, 무기 산화탄화물, 무기 질화탄화물, 무기 산화질화탄화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들 중에서도, 무기 산화물, 무기 질화물, 무기 산화질화물이 바람직하다.
무기 산화물로는, 일반식 MOx 로 나타내는 금속 산화물을 들 수 있다.
식 중, M 은 금속 원소를 나타낸다. x 는 M 에 의해 각각 범위가 상이하고, 예를 들어, M 이 규소 (Si) 이면 0.1 ∼ 2.0, 알루미늄 (Al) 이면 0.1 ∼ 1.5, 마그네슘 (Mg) 이면 0.1 ∼ 1.0, 칼슘 (Ca) 이면 0.1 ∼ 1.0, 칼륨 (K) 이면 0.1 ∼ 0.5, 주석 (Sn) 이면 0.1 ∼ 2.0, 나트륨 (Na) 이면 0.1 ∼ 0.5, 붕소 (B) 이면 0.1 ∼ 1.5, 티탄 (Ti) 이면 0.1 ∼ 2.0, 납 (Pb) 이면 0.1 ∼ 1.0, 지르코늄 (Zr) 이면 0.1 ∼ 2.0, 이트륨 (Y) 이면, 0.1 ∼ 1.5 의 범위의 값이다.
이들 중에서도, 투명성 등이 우수한 점에서, M 이 규소인 규소산화물, 알루미늄인 알루미늄산화물, 티탄인 티탄산화물이 바람직하고, 규소산화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x 의 값으로는, M 이 규소이면 1.0 ∼ 2.0 이, 알루미늄이면 0.5 ∼ 1.5 가, 티탄이면 1.3 ∼ 2.0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 질화물로는, 일반식 MNy 로 나타내는 금속 질화물을 들 수 있다.
식 중, M 은 금속 원소를 나타낸다. y 는 M 에 따라 각각 범위가 상이하고, M 이 규소 (Si) 이면 y = 0.1 ∼ 1.3, 알루미늄 (Al) 이면 y = 0.1 ∼ 1.1, 티탄 (Ti) 이면 y = 0.1 ∼ 1.3, 주석 (Sn) 이면 y = 0.1 ∼ 1.3 의 범위의 값이다.
이들 중에서도, 투명성 등이 우수한 점에서, M 이 규소인 규소질화물, 알루미늄인 알루미늄질화물, 티탄인 티탄질화물, 주석인 주석질화물이 바람직하고, 규소질화물 (SiN) 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y 의 값으로는, M 이 규소이면 y = 0.5 ∼ 1.3, 알루미늄이면 y = 0.3 ∼ 1.0, 티탄이면 y = 0.5 ∼ 1.3, 주석이면 y = 0.5 ∼ 1.3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 산화질화물로는, 일반식 MOxNy 로 나타내는 금속 산화질화물을 들 수 있다.
식 중, M 은 금속 원소를 나타낸다. x 및 y 의 값은, M 에 의해 각각 범위가 상이하다. 즉, x, y 는, 예를 들어, M 이 규소 (Si) 이면 x = 1.0 ∼ 2.0, y = 0.1 ∼ 1.3, 알루미늄 (Al) 이면 x = 0.5 ∼ 1.0, y = 0.1 ∼ 1.0, 마그네슘 (Mg) 이면 x = 0.1 ∼ 1.0, y = 0.1 ∼ 0.6, 칼슘 (Ca) 이면 x = 0.1 ∼ 1.0, y = 0.1 ∼ 0.5, 칼륨 (K) 이면 x = 0.1 ∼ 0.5, y = 0.1 ∼ 0.2, 주석 (Sn) 이면 x = 0.1 ∼ 2.0, y = 0.1 ∼ 1.3, 나트륨 (Na) 이면 x = 0.1 ∼ 0.5, y = 0.1 ∼ 0.2, 붕소 (B) 이면 x = 0.1 ∼ 1.0, y = 0.1 ∼ 0.5, 티탄 (Ti) 이면 x = 0.1 ∼ 2.0, y = 0.1 ∼ 1.3, 납 (Pb) 이면 x = 0.1 ∼ 1.0, y = 0.1 ∼ 0.5, 지르코늄 (Zr) 이면 x = 0.1 ∼ 2.0, y = 0.1 ∼ 1.0, 이트륨 (Y) 이면 x = 0.1 ∼ 1.5, y = 0.1 ∼ 1.0 의 범위의 값이다.
이들 중에서도, 투명성 등이 우수한 점에서, M 이 규소인 규소산화질화물, 알루미늄인 알루미늄산화질화물, 티탄인 티탄산화질화물이 바람직하고, 규소산화질화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x 및 y 의 값으로는, M 이 규소이면 x = 1.0 ∼ 2.0, y = 0.1 ∼ 1.3, 알루미늄이면 x = 0.5 ∼ 1.0, y = 0.1 ∼ 1.0, 티탄이면 x = 1.0 ∼ 2.0, y = 0.1 ∼ 1.3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금속 산화물, 금속 질화물 및 금속 산화질화물에는, 2 종류 이상의 금속이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무기 화합물층의 형성 방법으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어, 증착법, 스퍼터링법, 이온 플레이팅법, 열 CVD 법, 플라스마 CVD 법, 다이나믹 이온 믹싱법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간편하게 가스 배리어성이 우수한 적층체가 얻어지는 점에서, 마그네트론 스퍼터링법이 바람직하다.
무기 화합물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가스 배리어성이 얻어지는 관점에서, 10 ∼ 100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 500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 ∼ 200 ㎚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충격 흡수층)
충격 흡수층은, 상기 무기 화합물층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에, 균열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충격 흡수층을 형성하는 소재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올레핀계 수지, 고무계 재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고무계 재료가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수지로는, 주성분으로서,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독 중합체, 2 종 이상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위를 함유하는 공중합체, 및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와 다른 관능성 단량체의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을 함유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메트)아크릴산」은,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의미이다 (이하 동일).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로는, 에스테르 부분의 탄소수가 1 ∼ 20 인 (메트)아크릴산이 바람직하고, 에스테르 부분의 탄소수가 4 ∼ 10 인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로는, (메트)아크릴산부틸, (메트)아크릴산펜틸, (메트)아크릴산헥실, (메트)아크릴산헵틸, (메트)아크릴산옥틸, (메트)아크릴산2-에틸헥실, (메트)아크릴산노닐, (메트)아크릴산데실 등을 들 수 있다.
관능성 단량체로는, (메트)아크릴산하이드록시에틸 등의 하이드록실기 함유 단량체, (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의 아미드기 함유 단량체, (메트)아크릴산 등의 카르복실산기 함유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는, 예를 들어, 용액 중합법, 유화 중합법, 현탁 중합법 등의 공지된 중합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또한, (공)중합체는,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의미이다 (이하, 동일).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는, 가교제와 혼합하고, 적어도 일부에 가교체를 형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가교제로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나트 등, 혹은 그들의 애덕트체 등의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에틸렌글리콜글리시딜에테르 등의 에폭시계 가교제;헥사[1-(2-메틸)-아지리디닐]트리포스파트리아진 등의 아지리딘계 가교제;알루미늄킬레이트 등의 킬레이트계 가교제;등을 들 수 있다.
가교제의 사용량은,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의 고형분 100 질량부에 대해 통상 0.01 ∼ 10 질량부, 바람직하게는 0.05 ∼ 5 질량부이다. 가교제는 1 종 단독으로, 혹은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실리콘계 수지로는, 디메틸실록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고무계 재료로는, 이소프렌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폴리이소부틸렌 고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고무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충격 흡수층에는, 각종 첨가제, 예를 들어, 산화 방지제, 점착 부여제, 가소제, 자외선 흡수제, 착색제, 대전 방지제 등의 다른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충격 흡수층을 형성하는 소재는, 점착제, 코트제, 봉지제 등으로서 시판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고, 특히, 아크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등의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충격 흡수층의 형성 방법으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어, 상기 폴리오르가노실록산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층의 형성 방법과 마찬가지로, 상기 충격 흡수층을 형성하는 소재 (점착제 등) 및 원하는 바에 따라, 용제 등의 다른 성분을 함유하는 충격 흡수층 형성 용액을, 적층시켜야 할 층 상에 도포하고, 얻어진 도막을 건조시켜, 필요에 따라 가열하거나 하여 형성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 별도, 박리 기재 상에 충격 흡수층을 성막하여, 얻어진 막을, 적층시켜야 할 층 상에 전사하여 적층시켜도 된다.
충격 흡수층의 두께는, 통상 1 ∼ 100 ㎛, 바람직하게는 5 ∼ 50 ㎛ 이다.
(도전체층)
도전체층을 구성하는 재료로는, 금속, 합금, 금속 산화물, 전기 전도성 화합물,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안티몬을 도프한 산화주석 (ATO);불소를 도프한 산화주석 (FTO);산화주석, 산화아연, 산화인듐, 산화인듐주석 (ITO), 산화아연인듐 (IZO) 등의 도전성 금속 산화물;금, 은, 크롬, 니켈 등의 금속;이들 금속과 도전성 금속 산화물의 혼합물;요오드화구리, 황화구리 등의 무기 도전성 물질;폴리아닐린, 폴리티오펜, 폴리피롤 등의 유기 도전성 재료;등을 들 수 있다. 도전체층은, 이들 재료로 이루어지는 층이 복수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체여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투명성 면에서, 도전성 금속 산화물이 바람직하고, ITO 가 특히 바람직하다.
도전체층의 형성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증착법, 스퍼터링법, 이온 플레이팅법, 열 CVD 법, 플라스마 CVD 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간편하게 도전체층을 형성할 수 있는 점에서, 스퍼터링법이 바람직하다.
스퍼터링법은, 진공조 내에 방전 가스 (아르곤 등) 를 도입하고, 타깃과 기판 사이에 고주파 전압 혹은 직류 전압을 가하여 방전 가스를 플라스마화하고, 그 플라스마를 타깃에 충돌시킴으로써 타깃 재료를 날려, 기판에 부착시켜 박막을 얻는 방법이다. 타깃으로는, 상기 도전체층을 형성하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사용된다.
도전체층의 두께는 그 용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통상 10 ㎚ ∼ 50 ㎛, 바람직하게는 20 ㎚ ∼ 20 ㎛ 이다.
얻어지는 도전체층의 표면 저항율은, 통상 1000Ω/□ 이하이다.
형성된 도전체층에는, 필요에 따라 패터닝을 실시해도 된다. 패터닝하는 방법으로는, 포토리소그래피 등에 의한 화학적 에칭, 레이저 등을 사용한 물리적 에칭 등, 마스크를 사용한 진공 증착법이나 스퍼터링법, 리프트 오프법, 인쇄법 등을 들 수 있다.
(프라이머층)
프라이머층은, 기재층과 폴리실라잔 화합물과 점토 광물을 함유하는 층 혹은 이온 주입층의 층간 밀착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층간 밀착성 및 표면 평활성이 매우 우수한 가스 배리어성 필름을 얻을 수 있다.
프라이머층을 구성하는 재료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규소 함유 화합물;광 중합성 모노머 및/또는 광 중합성 프리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광 중합성 화합물, 및 적어도 가시광역의 광으로 라디칼을 발생시키는 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광 중합성 조성물;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특히 폴리아크릴폴리올, 폴리에스테르폴리올, 폴리에테르폴리올 등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2 액 경화형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비닐부티랄계 수지, 니트로셀룰로오스계 수지 등의 수지류;알킬티타네이트;에틸렌이민;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재료는 1 종 단독으로, 혹은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프라이머층은, 프라이머층을 구성하는 재료를 적당한 용제에 용해 또는 분산시켜 이루어지는 프라이머층 형성용 용액을, 기재층의 편면 또는 양면에 도포하고, 얻어진 도막을 건조시켜, 원하는 바에 따라 가열하는 것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프라이머층 형성용 용액을 기재층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통상적인 습식 코팅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딥핑법, 롤 코트, 그라비아 코트, 나이프 코트, 에어 나이프 코트, 롤 나이프 코트, 다이코트, 스크린 인쇄법, 스프레이 코트, 그라비아 오프셋법 등을 들 수 있다.
프라이머층 형성용 용액의 도막을 건조시키는 방법으로는, 열풍 건조, 열롤 건조, 적외선 조사 등, 종래 공지된 건조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프라이머층의 두께는, 통상 10 ∼ 1000 ㎚ 이다.
또, 얻어진 프라이머층에, 후술하는 이온 주입층에 이온 주입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온 주입을 실시해도 된다. 프라이머층에도 이온 주입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보다 우수한 가스 배리어성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성형체는, 40 ℃, 상대 습도 90 % 분위기 하에서의 수증기 투과율이 6.0 g/㎡/day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수증기 투과율은, 1.0 g/㎡/day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7 g/㎡/day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4 g/㎡/day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수증기 투과율은, 공지된 가스 투과율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성형체는, 또한, 우수한 투명성을 갖고, 또, 그 형상이 필름상 또는 시트상 (이하, 「필름상」이라고 한다) 인 경우, 내절곡성이 우수하고, 또한 절곡 등을 실시해도 가스 배리어성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성형체가 우수한 투명성을 가지고 있는 것은, 본 발명의 성형체의 전광선 투과율이 높은 점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전광선 투과율은 파장 550 ㎚ 에 있어서의 투과율이며, 86 % 이상이 바람직하다. 성형체의 전광선 투과율은, 공지된 전광선 투과율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성형체가 내절곡성이 우수하여, 절곡 등을 실시해도 가스 배리어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은, 필름상의 성형체를 두 개로 절곡하여 압력을 가하고, 다시 폈을 때에 절곡된 부분이 열화되지 않고, 수증기 투과율도 거의 저하되지 않은 점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성형체는, 하기 식
[수학식 1]
(수증기 투과 상승률) = (절곡 후의 수증기 투과율)/(절곡 전의 수증기 투과율) × 100
으로 산출되는 수증기 투과 상승률이, 6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20 %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필름상의 성형체는, 동일한 두께의 무기막과 비교하여, 절곡 후도 가스 배리어성을 유지하는 것이 우수하다.
2) 성형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성형체의 제조 방법은, 점토 광물 등 함유층을 표면부에 갖는 성형물의, 상기 점토 광물 등 함유층에, 이온을 주입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성형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점토 광물 등 함유층을 표면부에 갖는 장척상의 성형물을 일정 방향으로 반송하면서, 점토 광물 등 함유층에 이온을 주입시켜 성형체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제조 방법에 의하면, 예를 들어, 장척상의 성형물을 권출 롤로부터 권출하고, 그것을 일정 방향으로 반송하면서 이온을 주입하여, 권취 롤로 권취할 수 있으므로, 이온이 주입된 성형체를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장척상의 성형물의 형상은 필름상이고, 점토 광물 등 함유층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점토 광물 등 함유층을 표면부에 갖는, 다른 층을 포함하는 적층체여도 된다.
성형물의 두께는, 권출, 권취 및 반송의 조작성의 관점에서, 1 ㎛ ∼ 500 ㎛ 가 바람직하고, 5 ㎛ ∼ 300 ㎛ 가 보다 바람직하다.
점토 광물 등 함유층에, 이온을 주입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 중에서도, 플라스마 이온 주입법에 의해 상기 층의 표면부에 이온 주입층을 형성하는 방법이 특히 바람직하다.
플라스마 이온 주입법은, 플라스마 중에 노출된 점토 광물 등 함유층을 표면에 갖는 성형물에, 부의 고전압 펄스를 인가함으로써, 플라스마 중의 이온을 상기 층의 표면부에 주입하여 이온 주입층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플라스마 이온 주입법으로는, (A) 외부 전계를 이용하여 발생시킨 플라스마 중에 존재하는 이온을, 상기 층의 표면부에 주입하는 방법, 또는 (B) 외부 전계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층에 인가하는 부의 고전압 펄스에 의한 전계에서만 발생시킨 플라스마 중에 존재하는 이온을, 상기 층의 표면부에 주입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상기 (A) 방법에 있어서는, 이온 주입할 때의 압력 (플라스마 이온 주입시의 압력) 을 0.01 ∼ 1 Pa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라스마 이온 주입시의 압력이 이와 같은 범위에 있을 때, 간편하게 또한 효율적으로, 가스 배리어성 등이 우수한 균일한 이온 주입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B) 방법은, 감압도를 높게 할 필요가 없고, 처리 조작이 간편하여, 처리 시간도 대폭 단축할 수 있다. 또, 상기 층 전체에 걸쳐서 균일하게 처리할 수 있고, 부의 고전압 펄스 인가시에 플라스마 중의 이온을 고에너지로 층의 표면부에 연속적으로 주입할 수 있다. 또한, radio frequency (고주파, 이하, 「RF」라고 약기) 나, 마이크로파 등의 고주파 전력원 등의 특별한 다른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고, 층에 부의 고전압 펄스를 인가하는 것만으로, 층의 표면부에 양질의 이온 주입층을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A) 및 (B) 의 어느 방법에 있어서도, 부의 고전압 펄스를 인가할 때, 즉 이온 주입할 때의 펄스 폭은, 1 ∼ 15 μsec 인 것이 바람직하다. 펄스 폭이 이와 같은 범위에 있을 때, 투명하고 균일한 이온 주입층을 보다 간편하게 또한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 플라스마를 발생시킬 때의 인가 전압은, 바람직하게는 -1 kV ∼ -50 kV, 보다 바람직하게는 -1 kV ∼ -30 kV, 특히 바람직하게는 -5 kV ∼ -20 kV 이다. 인가 전압이 -1 kV 보다 큰 값으로 이온 주입을 실시하면, 이온 주입량 (도스량) 이 불충분해져, 원하는 성능이 얻어지지 않는다. 한편, -50 kV 보다 작은 값으로 이온 주입을 실시하면, 이온 주입시에 성형체가 대전하고, 또 성형체에 대한 착색 등의 문제가 생겨 바람직하지 않다.
플라스마 이온을 생성하는 원료 가스로는, 상기 1) 성형체의 항에서 예시한 것과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층의 표면부에 플라스마 중의 이온을 주입할 때에는, 플라스마 이온 주입 장치를 사용한다.
플라스마 이온 주입 장치로는, 구체적으로는, (α) 이온 주입하는 층에 부의 고전압 펄스를 인가하는 피드스루에 고주파 전력을 중첩하여 이온 주입하는 층의 주위를 균등하게 플라스마로 둘러싸고, 플라스마 중의 이온을 유인, 주입, 충돌, 퇴적시키는 장치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26887호), (β) 챔버 내에 안테나를 설치하고, 고주파 전력을 부여하여 플라스마를 발생시켜 이온 주입하는 층 주위에 플라스마가 도달 후, 이온 주입하는 층에 정 (正) 과 부의 펄스를 교대로 인가함으로써, 정의 펄스로 플라스마 중의 전자를 유인 충돌시켜 이온 주입하는 층을 가열하고, 펄스 상수를 제어하여 온도 제어를 실시하면서, 부의 펄스를 인가하여 플라스마 중의 이온을 유인, 주입시키는 장치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56013호), (γ) 마이크로파 등의 고주파 전력원 등의 외부 전계를 이용하여 플라스마를 발생시키고, 고 전압 펄스를 인가하여 플라스마 중의 이온을 유인, 주입시키는 플라스마 이온 주입 장치, (δ) 외부 전계를 사용하지 않고 고전압 펄스의 인가에 의해 발생하는 전계에서만 발생하는 플라스마 중의 이온을 주입하는 플라스마 이온 주입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처리 조작이 간편하고, 처리 시간도 대폭 단축할 수 있고, 연속 사용에 적합한 점에서, (γ) 또는 (δ) 의 플라스마 이온 주입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 (γ) 및 (δ) 의 플라스마 이온 주입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상기 (γ) 의 플라스마 이온 주입 장치를 구비하는 연속적 플라스마 이온 주입 장치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 에 있어서, 1a 는 점토 광물 등 함유층을 표면부에 갖는 장척 필름상의 성형물 (이하, 「필름」이라고 한다), 11a 는 챔버, 20a 는 터보 분자 펌프, 3a 는 이온 주입되기 전의 필름 (1a) 을 송출하는 권출 롤, 5a 는 이온 주입된 필름 (성형체) (1a) 을 롤상으로 권취하는 권취 롤, 2a 는 고전압 인가 회전 캔, 6a 는 필름의 송출 롤, 10a 는 가스 도입구, 7a 는 고전압 펄스 전원, 4 는 플라스마 방전용 전극 (외부 전계) 이다. 도 1(b) 는, 상기 고전압 인가 회전 캔 (2a) 의 사시도이고, 15 는 고전압 도입 단자 (피드스루) 이다.
사용하는 이온 주입하는 층을 표면부에 갖는 장척상의 필름 (1a) 은, 기재층 상에, 점토 광물 등 함유층을 형성한 필름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연속적 플라스마 이온 주입 장치에 있어서는, 필름 (1a) 은, 챔버 (11a) 내에 있어서, 권출 롤 (3a) 로부터 도 1 중 화살표 X 방향으로 반송되고, 고전압 인가 회전 캔 (2a) 을 통과하여, 권취 롤 (5a) 에 권취된다. 필름 (1a) 의 권취 방법이나, 필름 (1a) 을 반송하는 방법 등은 특별히 제약은 없지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고전압 인가 회전 캔 (2a) 을 일정 속도로 회전시킴으로써, 필름 (1a) 의 반송을 실시하고 있다. 또, 고전압 인가 회전 캔 (2a) 의 회전은, 고전압 도입 단자 (15) 의 중심축 (13) 을 모터에 의해 회전시킴으로써 실시된다.
고전압 도입 단자 (15), 및 필름 (1a) 이 접촉하는 복수의 송출용 롤 (6a) 등은 절연체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어, 알루미나의 표면을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등의 수지로 피복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고전압 인가 회전 캔 (2a) 은 도체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로 형성할 수 있다.
필름 (1a) 의 반송 속도는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필름 (1a) 이 권출 롤 (3a) 로부터 반송되어 권취 롤 (5a) 에 권취될 동안 필름 (1a) 의 표면부 (점토 광물 등 함유층) 에 이온 주입되어, 원하는 이온 주입층이 형성될 만큼의 시간이 확보되는 속도이면, 특별히 제약되지 않는다. 필름의 권취 속도 (반송 속도) 는, 인가 전압, 장치 규모 등에 따라 다르기도 하지만, 통상 0.1 ∼ 3 m/min, 바람직하게는 0.2 ∼ 2.5 m/min 이다.
먼저, 챔버 (11a) 내를 로터리 펌프에 접속된 터보 분자 펌프 (20a) 에 의해 배기하여 감압으로 한다. 감압도는, 통상 1 × 10-4 Pa ∼ 1 × 100 Pa, 바람직하게는 1 × 10-3 Pa ∼ 1 × 10-2 Pa 이다.
다음으로, 가스 도입구 (10a) 에서 챔버 (11a) 내로, 이온 주입용의 가스 (이하, 「이온 주입용 가스」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를 도입하여, 챔버 (11a) 내를 감압 이온 주입용 가스 분위기로 한다. 또한, 이온 주입용 가스는 플라스마 생성 가스이기도 하다.
이어서, 플라스마 방전용 전극 (4) (외부 전계) 에 의해 플라스마를 발생시킨다. 플라스마를 발생시키는 방법으로는, 마이크로파나 RF 등의 고주파 전력원 등에 의한 공지된 방법을 들 수 있다.
한편, 고전압 도입 단자 (15) 를 통하여 고전압 인가 회전 캔 (2a) 에 접속되어 있는 고전압 펄스 전원 (7a) 에 의해, 부의 고전압 펄스 (9a) 가 인가된다. 고전압 인가 회전 캔 (2a) 에 부의 고전압 펄스가 인가되면, 플라스마 중의 이온이 유인되고, 고전압 인가 회전 캔 (2a) 주위의 필름의 표면에 주입되어 (도 1(a) 중, 화살표 Y), 필름상의 성형체 (1b) 가 얻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온 주입할 때의 압력 (챔버 (11a) 내의 플라스마 가스의 압력) 은 0.01 ∼ 1 Pa 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온 주입할 때의 펄스폭은 1 ∼ 15 μsec 인 것이 바람직하고, 고전압 인가 회전 캔 (2a) 에 부의 고전압을 인가할 때의 인가 전압은 -1 kV ∼ -50 kV 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2 에 나타내는 연속적 플라스마 이온 주입 장치를 사용하여, 점토 광물 등 함유층을 표면부에 갖는 필름의, 상기 점토 광물 등 함유층에 이온 주입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2 에 나타내는 장치는, 상기 (δ) 의 플라스마 이온 주입 장치를 구비한다. 이 플라스마 이온 주입 장치는, 외부 전계 (즉, 도 1 에 있어서의 플라스마 방전용 전극 (4)) 를 사용하지 않고 고전압 펄스에 의한 전계에서만 플라스마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도 2 에 나타내는 연속적 플라스마 이온 주입 장치에 있어서는, 필름 (필름상의 성형물) (1c) 은, 상기 도 1 의 장치와 마찬가지로, 고전압 인가 회전 캔 (2b) 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권출 롤 (3b) 로부터 도 2 중 화살표 X 방향으로 반송되어 권취 롤 (5b) 에 권취된다.
도 2 에 나타내는 연속적 플라스마 이온 주입 장치에서는, 상기 필름의 점토 광물 등 함유층의 표면부에 대한 이온 주입은 다음과 같이 실시된다.
먼저, 도 1 에 나타내는 플라스마 이온 주입 장치와 동일하게 하여 챔버 (11b) 내에 필름 (1c) 을 설치하고, 챔버 (11b) 내를 로터리 펌프에 접속되어 있는 터보 분자 펌프 (20b) 에 의해 배기하여 감압으로 한다. 거기에, 가스 도입구 (10b) 로부터 챔버 (11b) 내에, 이온 주입용 가스를 도입하여, 챔버 (11b) 내를 감압 이온 주입용 가스 분위기로 한다.
이온 주입할 때의 압력 (챔버 (11b) 내의 플라스마 가스의 압력) 은, 10 Pa 이하, 바람직하게는 0.01 ∼ 5 Pa,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1 Pa 이다.
다음으로, 필름 (1c) 을, 도 2 중 X 의 방향으로 반송시키면서, 고전압 도입 단자 (도시 생략) 를 통하여 고전압 인가 회전 캔 (2b) 에 접속되어 있는 고전압 펄스 전원 (7b) 으로부터 고전압 펄스 (9b) 를 인가한다.
고전압 인가 회전 캔 (2b) 에 부의 고전압이 인가되면, 고전압 인가 회전 캔 (2b) 주위의 필름 (1c) 을 따라 플라스마가 발생하고, 그 플라스마 중의 이온이 유인되어, 고전압 인가 회전 캔 (2b) 주위의 성형체 필름 (1c) 의 표면에 주입된다 (도 2 중, 화살표 Y). 필름 (1c) 의 점토 광물 등 함유층의 표면부에 이온이 주입되면, 필름 표면부에 이온 주입층이 형성되어, 필름상의 성형체 (1d) 가 얻어진다.
고전압 인가 회전 캔 (2b) 에 부의 고전압을 인가할 때의 인가 전압, 펄스폭 및 이온 주입할 때의 압력은, 도 1 에 나타내는 연속적 플라스마 이온 주입 장치의 경우와 동일하다.
도 2 에 나타내는 플라스마 이온 주입 장치에서는, 플라스마를 발생시키는 플라스마 발생 수단을 고전압 펄스 전원에 의해 겸용하고 있기 때문에, RF 나 마이크로파 등의 고주파 전력원 등의 특별한 다른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고, 부의 고전압 펄스를 인가하는 것만으로, 플라스마를 발생시켜, 필름의 점토 광물 등 함유층의 표면부에 플라스마 중의 이온을 주입하여, 이온 주입층을 연속적으로 형성하여, 필름의 표면부에 이온 주입층이 형성된 성형체를 양산할 수 있다.
3) 전자 디바이스용 부재 및 전자 디바이스
본 발명의 전자 디바이스용 부재는, 본 발명의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자 디바이스용 부재는, 우수한 가스 배리어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수증기 등의 가스에 의한 소자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 광의 투과성이 높기 때문에, 액정 디스플레이, EL 디스플레이 등의 디스플레이 부재;태양 전지용 백시트;등으로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자 디바이스는, 본 발명의 전자 디바이스용 부재를 구비한다. 구체예로는,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무기 EL 디스플레이, 전자 페이퍼, 태양 전지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 디바이스는, 본 발명의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전자 디바이스용 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우수한 가스 배리어성, 투명성 및 내절곡성을 갖는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한 플라스마 이온 주입 장치, 수증기 투과율 측정 장치와 측정 조건, 전광선 투과율 측정 장치, 및 절곡 시험의 방법은 이하와 같다. 또한, 사용한 플라스마 이온 주입 장치는 외부 전계를 이용하여 이온 주입하는 장치이다.
(플라스마 이온 주입 장치)
RF 전원:니혼 전자사 제조, 형 (型) 번호 「RF」56000
고전압 펄스 전원:쿠리타 제작소사 제조, 「PV-3-HSHV-0835」
(수증기 투과율의 측정)
가스 투과율 측정 장치:수증기 투과율이 0.01 g/㎡/day 이상일 때, LYSSY 사 제조, 「L89-500」을 이용하고, 수증기 투과율이 0.01 g/㎡/day 미만일 때, TECHNOLOX 사 제조, 「deltaperm」을 사용하였다.
측정은 상대 습도 90 %, 40 ℃ 의 조건 하에서 실시하였다.
(전광선 투과율의 측정)
전광선 투과율 측정 장치:시마즈 제작소사 제조, 「UV-3101PC」를 사용하여, 파장 550 ㎚ 의 전광선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절곡 시험)
얻어진 성형체의 이온 주입면 (비교예 1 은 퍼하이드로폴리실라잔 등을 함유하는 층측, 비교예 2 는 질화규소막측) 을 외측으로 하고, 중앙 부분에서 절반으로 절곡하여 라미네이터 (후지 플라스틱사 제조, 「LAMIPACKER LPC1502」) 의 2 개의 롤 사이를, 라미네이트 속도 5 m/min, 온도 23 ℃ 의 조건으로 통과시킨 후, 절곡한 부분을 현미경으로 관찰 (100 배) 하여 크랙 발생의 유무를 관찰하였다. 크랙의 발생이 관찰되지 않은 경우를 「없음」, 크랙의 발생이 관찰된 경우를 「있음」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수증기 투과율 (절곡 후의 수증기 투과율) 을 측정하여, 하기 식에 의해 수증기 투과 상승률을 계산하였다.
[수학식 2]
(수증기 투과 상승률) = (절곡 후의 수증기 투과율)/(절곡 전의 수증기 투과율) × 100
(실시예 1)
기재층으로서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미츠비시 수지사 제조, 「PET38T-100」, 두께 38 ㎛, 이하, 「PET 필름」이라고 한다) 에, 폴리실라잔 화합물로서의 퍼하이드로폴리실라잔을 주성분으로 하는 코팅제 (클라리언트 재팬사 제조, 「아크아미카 NL110-20」) 와, 점토 광물 (산요 무역 주식회사 제조, Dellite67G) 이 분산된 0.2 질량% 자일렌 용액의 혼합액을, 건조 후의 도막의 두께가 150 ㎚ 가 되는 양 도포하고, 120 ℃ 에서 2 분간 가열하여, PET 필름 상에 퍼하이드로폴리실라잔과 점토 광물을 함유하는 층을 형성하였다. 점토 광물의 첨가량은 전체 고형분 (폴리실라잔 화합물과 점토 광물의 합계량) 을 100 질량% 로 하여, 0.1 질량% [점토 광물:퍼하이드로폴리실라잔 = 0.1:99.9 (질량비)] 로 했다.
다음으로, 상기 퍼하이드로폴리실라잔과 점토 광물을 함유하는 층의 표면에, 도 1 에 나타내는 플라스마 이온 주입 장치를 이용하여, 아르곤 (Ar) 을 이하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플라스마 이온 주입하여 성형체 1 을 제조하였다.
〈플라스마 이온 주입의 조건〉
·플라스마 생성 가스:아르곤
·가스 유량:100 sccm
·Duty 비:0.5 %
·반복 주파수:1000 Hz
·인가 전압:-5 kV
·RF 전원:주파수 13.56 MHz, 인가 전력 1000 W
·챔버 내압:0.2 Pa
·펄스 폭:5 μsec
·처리 시간 (이온 주입 시간):5 분간
·반송 속도:0.2 m/min
(실시예 2)
실시예 1 에 있어서, 점토 광물의 첨가량을, 전체 고형분의 0.1 질량% 가 아니고 1 질량% [점토 광물:퍼하이드로폴리실라잔 = 1:99 (질량비)]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성형체 2 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 에 있어서, 점토 광물의 첨가량을, 전체 고형분의 0.1 질량% 가 아니고 10 질량% [점토 광물:퍼하이드로폴리실라잔 = 10:90 (질량비)]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성형체 3 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이온 주입을 실시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성형체를 제조하였다. 즉, PET 필름 위에 퍼하이드로폴리실라잔과 점토 광물을 함유하는 층을 형성하고, 이것을 성형체 4 로 하였다.
(비교예 2)
PET 필름에, 스퍼터링법에 의해 두께 60 ㎚ 의 질화 규소 (SiN) 의 막을 형성하여, 성형체 5 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PET 필름 위에 퍼하이드로폴리실라잔과 점토 광물을 함유하는 층을 형성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성형체를 제조하였다. 즉, PET 필름의 표면에 아르곤 (Ar) 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건에서 플라스마 이온 주입하여 성형체 6 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실시예 1 에 있어서, 점토 광물을 사용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성형체 7 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 3, 비교예 3, 4 에서 얻어진 성형체 1 ∼ 3, 6, 7 에 대해, XPS (알박파이사 제조) 를 이용하여, 표면으로부터 깊이 10 ㎚ 부근의 원소 분석 측정을 실시함으로써, 이온이 주입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 ∼ 3, 비교예 1 ∼ 4 에서 얻어진 성형체 1 ∼ 7 에 대해, 수증기 투과율 및 전광선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하기 표 1 에 나타낸다.
또, 성형체 1 ∼ 7 에 대해, 절곡 시험을 실시하여, 크랙의 발생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또한, 절곡 시험 후의 수증기 투과율을 측정하여, 수증기 투과 상승률을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Figure 112012077299540-pct00009
표 1 로부터, 실시예 1 ∼ 3 의 성형체 1 ∼ 3 은, 수증기 투과율이 작고, 전광선 투과율이 높은 점에서, 높은 가스 배리어성을 갖고, 투명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절곡 시험 후에 있어서 크랙의 발생이 확인되지 않고, 수증기 투과 상승률도 600 % 이하이며, 내절곡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1, 3 의 성형체 4, 6 은, 수증기 투과율이 높고, 가스 배리어성이 열등하였다. 비교예 2, 4 의 성형체 5, 7 은, 절곡 시험 후에 수증기 투과 상승률이 크고, 비교예 2 의 성형체 5 는, 크랙도 발생하여 내절곡성이 열등하였다.
1a, 1c … 필름상의 성형물
1b, 1d … 필름상의 성형체
2a, 2b … 회전 캔
3a, 3b … 권출 롤
4 … 플라스마 방전용 전극
5a, 5b … 권취 롤
6a, 6b … 송출용 롤
7a, 7b … 펄스 전원
9a, 9b … 고전압 펄스
10a, 10b … 가스 도입구
11a, 11b … 챔버
13 … 중심축
15 … 고전압 도입 단자
20a, 20b … 터보 분자 펌프

Claims (12)

  1. 폴리실라잔 화합물과 점토 광물을 함유하는 층에 이온이 주입되어 얻어지는 층을 갖고, 40 ℃, 상대 습도 90 % 분위기 하에서의 수증기 투과율이 6.0 g/㎡/day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이, 수소, 질소, 산소, 아르곤, 헬륨, 네온, 제논, 크립톤, 규소 화합물 및 탄화수소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가스가 이온화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라잔 화합물과 점토 광물을 함유하는 층에, 플라스마 이온 주입법에 의해 이온이 주입되어 얻어지는 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라잔 화합물이 퍼하이드로폴리실라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라잔 화합물과 점토 광물을 함유하는 층 중의 점토 광물의 함유량이, 폴리실라잔 화합물과 점토 광물의 합계량을 100 질량% 로 하여 0.01 질량% ∼ 10 질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체.
  6. 폴리실라잔 화합물과 점토 광물을 함유하는 층을 표면부에 갖는 성형물의, 상기 폴리실라잔 화합물과 점토 광물을 함유하는 층의 표면부에, 이온을 주입하는 공정을 갖는 제 1 항에 따른 성형체의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폴리실라잔 화합물과 점토 광물을 함유하는 층을 표면부에 갖는 성형물의, 상기 폴리실라잔 화합물과 점토 광물을 함유하는 층의 표면부에, 수소, 질소, 산소, 아르곤, 헬륨, 제논, 네온, 크립톤, 규소 화합물 및 탄화수소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가스를 이온 주입하는 공정을 갖는 성형체의 제조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주입하는 공정이, 플라스마 이온 주입하는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체의 제조 방법.
  9. 폴리실라잔 화합물과 점토 광물을 함유하는 층을 표면부에 갖는 장척상의 성형물을 일정 방향으로 반송하면서, 상기 폴리실라잔 화합물과 점토 광물을 함유하는 층에 이온을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에 따른 성형체의 제조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전자 디바이스용 부재.
  11. 제 10 항에 기재된 전자 디바이스용 부재를 구비하는 전자 디바이스.
  12. 삭제
KR1020127024929A 2010-03-31 2011-03-28 성형체, 그 제조 방법, 전자 디바이스용 부재 및 전자 디바이스 KR1014760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84227 2010-03-31
JP2010084227A JP5697230B2 (ja) 2010-03-31 2010-03-31 成形体、その製造方法、電子デバイス用部材及び電子デバイス
PCT/JP2011/057610 WO2011125602A1 (ja) 2010-03-31 2011-03-28 成形体、その製造方法、電子デバイス用部材及び電子デバイ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7471A KR20130027471A (ko) 2013-03-15
KR101476020B1 true KR101476020B1 (ko) 2014-12-23

Family

ID=44762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4929A KR101476020B1 (ko) 2010-03-31 2011-03-28 성형체, 그 제조 방법, 전자 디바이스용 부재 및 전자 디바이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540519B2 (ko)
EP (1) EP2554602B1 (ko)
JP (1) JP5697230B2 (ko)
KR (1) KR101476020B1 (ko)
CN (1) CN102834466B (ko)
TW (1) TWI478966B (ko)
WO (1) WO20111256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49344B2 (ja) 2011-09-08 2015-07-15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変性ポリシラザンフィルム、および、ガスバリア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5339655B1 (ja) * 2012-01-20 2013-11-13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ガスバリアフィルムおよびガスバリアフィルムの製造方法
US9577211B2 (en) 2012-02-21 2017-02-21 Lintec Corporation Organic electronic e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rganic electronic element
TWI626163B (zh) * 2012-03-06 2018-06-11 Lintec Corp 氣體阻隔薄膜層積體、黏合薄膜以及電子元件
FR3015507B1 (fr) * 2013-12-20 2016-12-30 Seb Sa Compositions aqueuses pour primaires de revetements antiadhesifs et leur procede de prepar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687A (ja) * 1995-03-31 1997-01-14 Tonen Corp SiO2系セラミックス被覆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9287006A (ja) * 2008-05-01 2009-12-10 Jgc Catalysts & Chemicals Ltd シリカ系被膜形成用塗布液、低誘電率シリカ系被膜の形成方法および該方法から得られる低誘電率シリカ系被膜
WO2010024378A1 (ja) * 2008-08-29 2010-03-04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酸化ケイ素薄膜または酸窒化ケイ素化合物薄膜の製造方法およびこの方法で得られる薄膜

Family Cites Families (1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5903A (ja) 1983-12-29 1985-08-01 Toa Nenryo Kogyo Kk 無機ポリシラザン及びその合成方法
JPS62220330A (ja) 1986-03-24 1987-09-28 東洋メタライジング株式会社 帯電防止性ガスバリアフイルム
JP2507714B2 (ja) 1986-09-24 1996-06-19 東然株式会社 新規ポリチタノシラザン及びその製造方法
US4842941A (en) 1987-04-06 1989-06-27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for forming abrasion-resistant polycarbonate article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produced thereby
JP2613787B2 (ja) 1987-08-13 1997-05-28 財団法人石油産業活性化センター 無機シラザン高重合体、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用途
JP2760555B2 (ja) 1988-03-24 1998-06-04 東燃株式会社 ポリボロシラザン及びその製造方法
JP2700233B2 (ja) 1988-12-26 1998-01-19 財団法人石油産業活性化センター 共重合シラザンおよびその製造法
JPH02195024A (ja) 1989-01-20 1990-08-01 Zeller Corp 自在継手の可撓性内部密封部材
JP3042537B2 (ja) 1990-06-30 2000-05-15 東燃株式会社 改質ポリシラザン及びその製造方法
US5143747A (en) 1991-02-12 1992-09-01 Hughes Aircraft Company Die improved tooling for metal working
JP3283276B2 (ja) 1991-12-04 2002-05-20 東燃ゼネラル石油株式会社 改質ポリシラザン及びその製造方法
JPH05185568A (ja) 1992-01-14 1993-07-27 Diafoil Co Ltd 液晶表示パネル用フィルム
JPH05238827A (ja) 1992-02-26 1993-09-17 Tonen Corp 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及びコーティング方法
EP0578046B1 (en) 1992-07-10 1996-11-06 Asahi Glass Company Ltd. Transparent conductive film, and target and material for vapor deposition to be used for its production
JPH0664105A (ja) 1992-08-12 1994-03-08 Mitsui Toatsu Chem Inc ガスバリヤー性透明導電性積層体
JP3453805B2 (ja) 1992-09-11 2003-10-06 旭硝子株式会社 透明導電膜
JPH06122852A (ja) 1992-10-09 1994-05-06 Tonen Corp 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及びコーティング方法
FR2701256B1 (fr) * 1993-02-08 1995-04-28 Europ Propulsion Procédé d'obtention d'un matériau céramique à base de Sialon par réduction d'un précurseur aluminosilicaté et application à la formation de revêtement céramique sur un substrat réfractaire.
JP3307471B2 (ja) 1993-02-24 2002-07-24 東燃ゼネラル石油株式会社 セラミック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及びコーティング方法
JP3385060B2 (ja) 1993-04-20 2003-03-10 東燃ゼネラル石油株式会社 珪素−窒素−酸素−(炭素)−金属系セラミックス被覆膜の形成方法
JP3414488B2 (ja) 1994-04-28 2003-06-09 東燃ゼネラル石油株式会社 透明な有機/無機ハイブリッド膜の製造方法
JPH0845452A (ja) 1994-08-01 1996-02-16 Takamisawa Denki Seisakusho:Kk イオンバランス測定装置およびその測定方法
JP3515255B2 (ja) 1994-12-20 2004-04-05 株式会社東芝 透明導電性基板、透明導電性基板の製造方法および表示装置
US5907382A (en) 1994-12-20 1999-05-25 Kabushiki Kaisha Toshiba Transparent conductive substrate and display apparatus
JP3484550B2 (ja) 1994-12-22 2004-01-0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レトルト包装用フィルム
JP3489269B2 (ja) 1995-04-28 2004-01-19 東洋製罐株式会社 ガス遮断性透明包装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070828B2 (ja) 1995-07-13 2008-04-02 Azエレクトロニック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シリカ質セラミックス形成用組成物、同セラミックスの形成方法及び同セラミックス膜
JP3562065B2 (ja) 1995-10-30 2004-09-08 日新電機株式会社 高ガスバリア性高分子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US5965629A (en) 1996-04-19 1999-10-12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Process for modifying surfaces of materials, and materials having surfaces modified thereby
KR100516316B1 (ko) * 1996-05-15 2005-09-23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디바이스 제조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 제조 방법
DE69813523T2 (de) 1997-02-14 2003-11-13 Mitsubishi Chem Corp Polyalkoxysiloxanverbindungen,verfahren zur herstellung und diese verbindungen enthaltende beschichtungszusammensetzungen
JP4144042B2 (ja) 1997-03-06 2008-09-03 東洋製罐株式会社 ガス遮断性プラスチック包材とその製造方法
JP4019334B2 (ja) 1997-03-07 2007-12-12 東レ株式会社 ガスバリア用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3951348B2 (ja) 1997-03-14 2007-08-01 東洋製罐株式会社 ガス遮断性及びフレキシビリティーに優れた積層体
US6194328B1 (en) 1998-12-09 2001-02-27 Advanced Micro Devices, Inc. H2 diffusion barrier formation by nitrogen incorporation in oxide layer
JP3484094B2 (ja) 1999-02-26 2004-01-06 グンゼ株式会社 シリカ被覆プラスティック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4205241B2 (ja) * 1999-03-04 2009-01-07 住友化学株式会社 積層体
US20060017162A1 (en) 1999-03-12 2006-01-26 Shoji Seta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US6849923B2 (en) 1999-03-12 2005-02-01 Kabushiki Kaisha Toshiba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JP4270632B2 (ja) 1999-03-12 2009-06-03 株式会社東芝 ドライエッチングを用いた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0340166A (ja) 1999-05-27 2000-12-08 Sony Corp 成膜方法及び成膜物
JP2000338901A (ja) 1999-06-01 2000-1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基板の製造方法
JP3555928B2 (ja) 1999-07-12 2004-08-18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表面改質方法及び表面改質装置
DE19940858A1 (de) 1999-08-27 2001-03-01 Basf Coatings Ag Sol-Gel-Überzug für einschichtige oder mehrschichtige Lackierungen
JP2001119051A (ja) 1999-10-19 2001-04-27 Dainippon Printing Co Ltd 太陽電池モジュ−ル用裏面保護シ−ト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太陽電池モジュ−ル
JP3517749B2 (ja) 1999-11-26 2004-04-12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表面改質装置
JP2001207259A (ja) 2000-01-25 2001-07-31 Natl Inst Of Advanced Industrial Science & Technology Meti 表面改質方法及び表面改質装置
JP2001220509A (ja) 2000-02-07 2001-08-14 Shin Etsu Chem Co Ltd 硬化性組成物
US6416817B1 (en) * 2000-03-03 2002-07-09 Dow Corning Sa Barrier coatings having bis-silanes
JP2002018246A (ja) 2000-07-07 2002-01-22 Sony Corp バリア膜
JP5291275B2 (ja) 2000-07-27 2013-09-18 有限会社コンタミネーション・コントロール・サービス コーティング膜が施された部材及びコーティング膜の製造方法
US6665033B2 (en) 2000-11-30 2003-12-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forming alignment layer by ion beam surface modification
TW570876B (en) 2001-05-11 2004-01-11 Toyo Seikan Kaisha Ltd Silicon oxide film
GB0113751D0 (en) 2001-06-06 2001-07-25 Dow Corning Surface treatment
JP4669631B2 (ja) 2001-06-18 2011-04-13 矢崎総業株式会社 印刷回路及びフレキシブル配線のパターンニング方法
JP2003118029A (ja) 2001-10-16 2003-04-23 Asahi Glass Co Ltd ガスバリヤ性有機基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2003154596A (ja) 2001-11-22 2003-05-27 Nitto Denko Corp 透明ガスバリア性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透明導電性電極基材、表示素子、太陽電池又は面状発光体
US20030228475A1 (en) 2002-04-18 2003-12-11 Minoru Komada Barrier film and laminated material, container for wrapping and image display medium u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barrier film
JP2003347570A (ja) 2002-05-27 2003-12-05 Mitsubishi Plastics Ind Ltd 太陽電池用裏面保護シート
US7449246B2 (en) 2004-06-30 2008-11-11 General Electric Company Barrier coatings
US7015640B2 (en) 2002-09-11 2006-03-21 General Electric Company Diffusion barrier coatings having graded compositions and devices incorporating the same
JP2004107541A (ja) 2002-09-19 2004-04-08 Fuji Photo Film Co Ltd 有機変性層状珪酸塩を含有する重合体組成物、フィルム、ガスバリア性フィルム、並びにそれらを用いた基板及び画像表示素子
JP4185341B2 (ja) 2002-09-25 2008-11-26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多層バリア膜構造、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パネル及び製造方法
US7288311B2 (en) 2003-02-10 2007-10-30 Dai Nippon Printing Co., Ltd. Barrier film
JP2004322489A (ja) 2003-04-25 2004-11-18 Pioneer Electronic Corp ガスバリア基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352966A (ja) 2003-05-28 2004-12-16 Dengiken:Kk 電気・電子絶縁シート
JP2005088431A (ja) 2003-09-18 2005-04-07 Dainippon Printing Co Ltd バリア性フィルム
US7635525B2 (en) 2003-09-30 2009-12-22 Fujifilm Corporation Gas barrier laminate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05104025A (ja) 2003-09-30 2005-04-21 Fuji Photo Film Co Ltd ガスバリア性積層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素子
JP2005119160A (ja) 2003-10-17 2005-05-12 Dainippon Printing Co Ltd ガスバリア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119155A (ja) 2003-10-17 2005-05-12 Dainippon Printing Co Ltd ガスバリア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5042064A1 (en) 2003-10-31 2005-05-12 Ventracor Limited Improved blood pump comprising polymeric components
JP4531380B2 (ja) 2003-12-15 2010-08-2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ガスバリア性シート
US7875347B2 (en) * 2003-12-29 2011-01-25 General Electric Company Composite coatings for groundwall insulation,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and articles derived therefrom
DE102004004177B4 (de) 2004-01-28 2006-03-02 AxynTeC Dünnschichttechnik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dünner Schichten sowie dessen Verwendung
JP4852822B2 (ja) 2004-02-17 2012-01-1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バリア性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積層材
JP4494824B2 (ja) 2004-02-24 2010-06-30 株式会社クラレ 表示装置用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6052376A (ja) 2004-02-27 2006-02-23 Lintec Corp 高分子成形体の製造方法、高分子成形体およびその製造装置
CN1946874A (zh) 2004-03-09 2007-04-11 埃克阿泰克有限责任公司 用于非平面基材的等离子体涂覆体系
KR101173713B1 (ko) 2004-04-28 2012-08-13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적층체, 발광 소자 및 그의 사용
EP1749860A4 (en) 2004-05-14 2009-12-23 Dow Corning Toray Co Ltd FREE FILMS MANUFACTURED FROM ORGANOPOLYSILOXANE RESINS, THEIR PRODUCTION PROCESS AND LAMINATED FILMS
US20050287307A1 (en) 2004-06-23 2005-12-29 Varian Semiconductor Equipment Associates, Inc. Etch and deposition control for plasma implantation
US20090110892A1 (en) 2004-06-30 2009-04-30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a graded barrier coating
JP2006035737A (ja) 2004-07-29 2006-02-09 Teijin Ltd ディスプレイ用に適したガスバリア性高分子積層フィルム
CA2575885A1 (en) 2004-08-03 2006-02-16 Chemetall Gmbh Method for protecting a metal surface by means of a corrosion-inhibiting coating
JP2006070238A (ja) 2004-08-05 2006-03-16 Lintec Corp 高分子フィルムの連続的表面改質方法、連続的表面改質装置および表面部にイオン注入層が形成された高分子フィルム
JP2006123307A (ja) 2004-10-28 2006-05-18 Dainippon Printing Co Ltd ガスバリア性積層体
JP2006123306A (ja) 2004-10-28 2006-05-18 Dainippon Printing Co Ltd ガスバリア性積層体
WO2006063388A1 (en) 2004-12-13 2006-06-22 University Of South Australia Craze resistant plastic article and method of production
JP2006192858A (ja) 2005-01-17 2006-07-27 Dainippon Printing Co Ltd バリア性フィルム
US7906217B2 (en) 2005-02-22 2011-03-15 Toyo Seikan Kaisha, Ltd. Vapor deposited film by plasma CVD method
JP4624152B2 (ja) 2005-03-24 2011-02-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ガスバリア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素子
JP2007022075A (ja) * 2005-06-14 2007-02-01 Asahi Kasei Corp 層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042616A (ja) * 2005-06-29 2007-02-15 Asahi Kasei Corp 発光素子及び表示デバイス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US7341766B2 (en) 2005-07-29 2008-03-11 Dai Nippon Printing Co., Ltd. Gas barrier clear film, and display substrate and display using the same
JP2007065644A (ja) * 2005-08-03 2007-03-15 Asahi Kasei Corp ディスプレイ用基板及びディスプレイ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JPWO2007040039A1 (ja) 2005-09-30 2009-04-16 東レ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封止フィルム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WO2007044181A2 (en) 2005-10-05 2007-04-19 Dow Corning Corporation Coated substrates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JP2007237588A (ja) 2006-03-09 2007-09-20 Kyodo Printing Co Ltd ガスバリア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283726A (ja) 2006-04-20 2007-11-01 Bridgestone Corp 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015500A (ja) * 2006-06-09 2008-01-24 Fujifilm Corp 偏光板用保護フィルム
JP4725735B2 (ja) 2006-08-25 2011-07-13 Jsr株式会社 ガスバリア用シリカ膜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4830733B2 (ja) 2006-09-07 2011-12-07 凸版印刷株式会社 ガスバリア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174792A (ja) 2007-01-18 2008-07-31 Plasma Ion Assist Co Ltd フッ素系合成樹脂の親水化改質方法及びその物品
US20100003483A1 (en) 2007-02-05 2010-01-07 Kazuhiro Fukuda Transparent gas barrier film
EP2123446A4 (en) 2007-02-06 2012-04-11 Konica Minolta Holdings Inc TRANSPARENT GASPERR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A TRANSLUCENT GASPERRFILM
JP2008204683A (ja) 2007-02-19 2008-09-04 Toppan Printing Co Ltd 透明導電性フィルム
JP2008235165A (ja) 2007-03-23 2008-10-02 Konica Minolta Holdings Inc 透明導電膜を有するロール状樹脂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4917942B2 (ja) 2007-03-30 2012-04-18 リンテック株式会社 高平滑ガスバリア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917943B2 (ja) 2007-03-30 2012-04-18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ガスバリア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4978297B2 (ja) 2007-04-25 2012-07-18 凸版印刷株式会社 透明導電性ガスバリアフィルム
US8101288B2 (en) 2007-06-11 2012-01-24 Fujifilm Corporation Gas barrier film and organic device using the same
JP2009110897A (ja) 2007-11-01 2009-05-21 Toray Ind Inc 透明導電性フィルム
JP4969479B2 (ja) 2008-02-20 2012-07-04 尾池工業株式会社 透明導電膜付基板の製造方法
US8956731B2 (en) 2008-02-27 2015-02-17 Dai Nippon Printing Co., Ltd. Gas barrier sheet
KR101445878B1 (ko) 2008-04-04 2014-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보호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봉지 재료
JP2009252574A (ja) 2008-04-08 2009-10-29 Toyota Industries Corp El装置
WO2010002182A2 (en) 2008-06-30 2010-01-07 Kolon Industries, Inc. Plastic substrate and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02159395B (zh) 2008-08-19 2014-09-10 琳得科株式会社 成型制品、其制备方法、电子设备构件以及电子设备
WO2010067857A1 (ja) 2008-12-12 2010-06-17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積層体、その製造方法、電子デバイス部材および電子デバイス
JP5566130B2 (ja) 2009-02-26 2014-08-06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吐出ヘッドの製造方法
TWI461292B (zh) 2009-03-17 2014-11-21 Lintec Corp A molded body,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 electronic device member, and an electronic device
TWI522404B (zh) 2009-03-26 2016-02-21 Lintec Corp A molded body,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 electronic device element, and an electronic device
EP2433980B1 (en) 2009-05-22 2019-07-10 LINTEC Corporation Molded object, process for producing same, member for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JP5704611B2 (ja) 2009-05-22 2015-04-22 リンテック株式会社 成形体、その製造方法、電子デバイス用部材及び電子デバイス
JP5612277B2 (ja) 2009-06-16 2014-10-22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ガスバリア性フィルム及び電子デバイス用部材
JP5404915B2 (ja) 2010-03-31 2014-02-05 リンテック株式会社 透明導電性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透明導電性フィルムを用いた電子デバイス
WO2012032907A1 (ja) 2010-09-07 2012-03-15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シート、及び電子デバイス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687A (ja) * 1995-03-31 1997-01-14 Tonen Corp SiO2系セラミックス被覆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9287006A (ja) * 2008-05-01 2009-12-10 Jgc Catalysts & Chemicals Ltd シリカ系被膜形成用塗布液、低誘電率シリカ系被膜の形成方法および該方法から得られる低誘電率シリカ系被膜
WO2010024378A1 (ja) * 2008-08-29 2010-03-04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酸化ケイ素薄膜または酸窒化ケイ素化合物薄膜の製造方法およびこの方法で得られる薄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213907A (ja) 2011-10-27
CN102834466A (zh) 2012-12-19
EP2554602B1 (en) 2015-01-14
US9540519B2 (en) 2017-01-10
TWI478966B (zh) 2015-04-01
CN102834466B (zh) 2014-10-22
EP2554602A1 (en) 2013-02-06
EP2554602A4 (en) 2013-10-02
KR20130027471A (ko) 2013-03-15
WO2011125602A1 (ja) 2011-10-13
TW201204772A (en) 2012-02-01
US20130068136A1 (en) 2013-03-21
JP5697230B2 (ja) 2015-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9551B1 (ko) 성형체, 그 제조 방법, 전자 디바이스용 부재 및 전자 디바이스
KR101489552B1 (ko) 성형체, 그 제조 방법, 전자 디바이스용 부재, 및 전자 디바이스
KR101464094B1 (ko) 투명 도전성 필름, 그 제조 방법, 전자 디바이스용 부재 및 전자 디바이스
KR101943665B1 (ko) 성형체, 그 제조 방법, 전자 디바이스용 부재 및 전자 디바이스
KR101474090B1 (ko) 성형체, 그 제조 방법, 전자 디바이스용 부재 및 전자 디바이스
KR101476020B1 (ko) 성형체, 그 제조 방법, 전자 디바이스용 부재 및 전자 디바이스
JP2011000718A (ja) ガスバリア性フィルム及び電子デバイス用部材
KR101515771B1 (ko) 성형체, 그 제조 방법, 전자 디바이스용 부재 및 전자 디바이스
KR101825930B1 (ko) 성형체, 그 제조 방법, 전자 디바이스용 부재 및 전자 디바이스
KR101442371B1 (ko) 성형체, 그 제조 방법, 전자 디바이스용 부재 및 전자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