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3758B1 - 2 축 배향 필름 - Google Patents

2 축 배향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3758B1
KR101153758B1 KR1020067017318A KR20067017318A KR101153758B1 KR 101153758 B1 KR101153758 B1 KR 101153758B1 KR 1020067017318 A KR1020067017318 A KR 1020067017318A KR 20067017318 A KR20067017318 A KR 20067017318A KR 101153758 B1 KR101153758 B1 KR 101153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ayer
biaxially oriented
weight
lamin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7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1155A (ko
Inventor
데츠오 요시다
가츠유키 하시모토
이에야스 고바야시
신지 무로
다케시 이시다
Original Assignee
데이진 듀폰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021049A external-priority patent/JP422091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021045A external-priority patent/JP477868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46244A external-priority patent/JP4220933B2/ja
Application filed by 데이진 듀폰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이진 듀폰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01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1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3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37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romatic vinyl (co)polymers,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e.g. denser near its faces
    • B32B5/142Variation across the area of the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4/00Thermoplastic elastome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04Di-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8Oriented bi-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Yield strength; Tensile str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02Amorph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32B2307/734Dimensional s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16Capaci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Product with molecular orient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4Polymeric or resinous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3Coating layer not in excess of 5 mils thick or equival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3Coating layer not in excess of 5 mils thick or equivalent
    • Y10T428/264Up to 3 m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3Coating layer not in excess of 5 mils thick or equivalent
    • Y10T428/264Up to 3 mils
    • Y10T428/2651 mil or l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of base or subst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8Monolayer with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9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including synthetic resin or polymer layer or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678Of met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678Of metal
    • Y10T428/31681Next to polyester, polyamide or polyimide [e.g., alkyd, glue, or nylon,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678Of metal
    • Y10T428/31692Next to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 Y10T428/31797Next to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09Next to secon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38Polymer of monoethylenically unsaturated hydrocarb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Magnetic Record Carrier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습도 변화에 대한 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박육의 2 축 배향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자기 기록 매체 및 필름 콘덴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a) 와 230~280℃ 의 융점을 가지는 폴리올레핀 (b) 으로 이루어지는 단층 또는 적층의 2 축 배향 필름으로서, 그 폴리올레핀 (b) 이 차지하는 비율이, 필름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60 중량% 의 범위에 있고, 필름 두께가 1~10㎛ 의 범위에 있는 2 축 배향 필름이다.
배향 필름, 자기 기록 매체, 필름 콘덴서

Description

2 축 배향 필름 {BIAXIALLY ORIENTED FILM}
본 발명은 습도 변화에 대한 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박육(薄肉)의 2 축 배향 필름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우수한 내(耐)전압 특성을 겸비한 박육의 2 축 배향 필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자기 기록 매체, 필름 콘덴서의 베이스 필름으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2 축 배향 필름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우수한 열 특성 및 기계 특성을 가지므로 자기 기록 매체, 콘덴서, 플렉시블 기판, 광학 부재, 식품 포장, 장식용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자기 기록 매체, 특히 데이터 스토리지용 자기 기록 매체에 있어서, 테이프의 고용량화, 고밀도화에 수반하여 베이스 필름에 대한 특성 요구도 엄격해지고 있다. QIC, DLT, 또한 고용량의 슈퍼-DLT, LTO 와 같은, 리니어 트랙 방식을 채용하는 데이터 스토리지용 자기 기록 매체에서는, 테이프의 고용량화를 실현하기 위해서, 트랙 피치를 매우 좁게 하고 있다. 그 때문에 테이프 폭 방향의 치수 변화가 일어나면, 트랙 어긋남을 일으켜, 에러가 발생한다는 문제를 안고 있다. 이들의 치수 변화에는, 온습도(溫濕度) 변화에 의한 것과, 고장력 하에서 고온 고습 상태에서 반복 주행시켰을 때에 생기는 폭 방향의 시간 경과에 따른 수축에 의한 것이 있다. 이 치수 변화가 크면 트랙 어긋남을 일으켜, 전자(電磁) 변환시의 에러가 발생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필름이 연속 제막(製膜)될 때의 진행 방향을, 제막 방향, 연속 제막 방향, 종 방향, 길이 방향 또는 MD 방향이라고 칭하고, 제막 방향으로 직교하는 면내 방향을 횡 방향 또는 폭 방향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치수 변화를 해결하기 위해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212787호에는, 종 방향의 영률 (EM), 횡 방향의 영률 (ET), 양 영률의 비 (ET/EM) 가 특정 범위로 규정되고, 종 방향의 수축율, 종 방향의 온도 팽창율 (αt), 그리고 종 방향의 습도 팽창 계수 (αh) 가 규정된 2 축 배향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또, 국제 공개 제99/29488호 팜플렛에는, 횡 방향의 열 팽창 계수 αt (×10-6/℃), 횡 방향의 습도 팽창 계수 αh (×10-6/% RH) 및 종 방향으로 하중을 부하하였을 때 그 하중에 대한 횡 방향의 수축율 P (ppm/g) 를 특정한 범위로 한 2 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국제 공개 제00/76749호 팜플렛에는, 종 방향으로 가중을 부가하여 방치하였을 때의 폭 방향의 치수 변화, 횡 방향의 열팽창 계수 αt (×10-6/℃), 횡 방향의 습도 팽창 계수 αh (×10-6/% RH) 및 종 방향으로 하중을 부하하였을 때 그 하중에 대한 횡 방향의 수축율 P (ppm/g) 를 특정한 범위로 한 2 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공보에서 제안되어 있는 방법은, 연신 조건이나 그 후의 열 (熱)고정 처리 조건을 특정한 범위로 함으로써 달성하는 것이고, 예를 들어, 종 방향으로 가중을 걸었을 때의 폭 방향의 시간 경과에 따른 수축은, 베이스 필름의 종 방향 영률을 크게 함으로써 개선할 수 있지만, 한편으로는 폴리머 특성과 제막성의 면에서, 종 방향의 영률을 크게 하면 할수록, 횡 방향의 영률의 상한은 작아지고, 결과적으로, 온습도 변화에 의한 치수 변화가 커져 버리는 등, 근본적인 해결에는 이르고 있지 않았다.
또, 콘덴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알루미늄박 등의 금속 박막을 중첩하여, 권회(卷回) 또는 적층시키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고 있다. 최근, 전기 또는 전자 회로의 소형화의 요구에 수반하여, 필름 콘덴서에 대해서도 소형화나 실장화가 진행되고 있고, 전기 특성에 추가하여 더욱 내열성이 요구되어져 왔다. 또, 자동차 용도에 있어서는, 운전실 내에서의 사용뿐만 아니라, 엔진 룸 내에까지 사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고, 전기 특성에 추가하여, 보다 고온 고습 하에서의 치수 안정성에 적합한 필름 콘덴서가 요구되고 있다.
그래서, 콘덴서용 필름의 내열성을 해결하는 목적에서,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필름을 사용한 방법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173855호에 개시되어 있고, 그 전기 특성을 개량하는 목적에서 결정 상태, 극한 점도 등을 제어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극성 폴리머이므로, 추가적인 전기 특성의 개량에는 한계가 있었다.
한편, 전기 특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로서,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계 중 합체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계 중합체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비교하여 제막이 어렵고, 또 얻어진 필름도 찢어지기 쉬우므로, 콘덴서 제조시의 핸들링성의 개량이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과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를 함유하는 필름이, 국제 공개 제97/32223호 팜플렛에서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필름은 반사율이나 투과율 등의 광학 특성을 제어하는 광학 재료로, 실질적으로 1 축 배향 필름이었다.
또,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176329호 등에,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공동 (空洞) 발현제로서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을 배합한,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제안되어 있고, 연신 온도에서의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의 변형의 어려움이 공동 발현에 영향을 주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필름의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 공동이 각종 특성에 주는 영향이 커지기 때문에, 얇은 필름 두께가 요구되는 용도에 있어서, 그들 용도에 필요한 각종 특성, 예를 들어 영률 등의 기계 특성이나 내전압 특성이 저하되는 것이 우려된다.
또,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과 폴리에스테르가 적층된 필름으로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48008호에는,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층의 비율이 70% 이상인 적층 필름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326467호에 있어서,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층과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으로 이루어지는 층이 교대로 11 층 이상 적층된 다층 적층 필름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필름은 층간의 굴 절률 차에 기인하는 광 간섭에 의해, 특정 파장의 광을 선택 반사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습도 변화에 대한 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박육의 2 축 배향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내전압 특성을 겸비한 박육의 2 축 배향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기 기록 매체, 필름 콘덴서의 베이스 필름으로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2 축 배향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와 230~280℃ 의 융점을 갖는 폴리올레핀을 특정의 비율로 사용한 단층 또는 적층의 2 축 배향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박육이어도 역학적 특성을 유지하면서, 습도 변화에 대한 치수 변화를 축소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a) 와 230~280℃ 의 융점을 가지는 폴리올레핀 (b) 으로 이루어지는 단층 또는 적층의 2 축 배향 필름으로서,
그 폴리올레핀 (b) 이 차지하는 비율이, 필름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60 중량% 의 범위에 있고, 필름 두께가 1~10㎛ 의 범위에 있는 2 축 배향 필름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2 축 배향 필름을 사용한 자기 기록 매체 및 필름 콘덴서를 포함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2 축 배향 필름은, 박육이면서, 습도 변화에 대한 치수 변화가 소정의 범위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2 축 배향 필름은, 자기 기록 매체의 베이스 필름으로서 매우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자기 기록 매체는, 트랙 어긋남을 일으키기 어렵고, 고밀도 고용량화가 우수하기 때문에, 특히 데이터 스토리지용 자기 기록 매체로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2 축 배향 필름은, 습도 변화에 대한 치수 변화가 소정의 범위에 있고, 또한 우수한 내전압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2 축 배향 필름은, 필름 콘덴서의 베이스 필름으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필름 콘덴서는, 박육이고, 내전압 특성이 우수하여, 소형화나 내열성을 요하는 전기?전자 기기용 및 자동차 부품용 필름 콘덴서로서 바람직하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2 축 배향 필름)
본 발명의 2 축 배향 필름은 단층 필름 또는 적층 필름이고,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구성이 예시된다. 본 발명의 2 축 배향 필름은,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a) 와 230~280℃ 의 융점을 가지는 폴리올레핀 (b) 으로 이루어지고, 그 폴리올레핀 (b) 이 차지하는 비율이, 필름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60 중량% 의 범위에 있는 것이 필요하다. 폴리올레핀 (b) 의 함유량이 하한을 만족시키지 않는 경우, 습도 변화에 대한 치수 안정성의 향상이 충분하지 않다. 또 폴리올레핀 (b) 의 함유량이 상한을 초과하면, 얻어지는 2 축 배향 필름이, 역학적 특성이 부족한 것이 된다. 바람직한 폴리올레핀 (b) 의 비율은, 3~5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50 중량%, 또한 5~50 중량%, 특히 5~30 중량% 이다. 폴리올레핀 (b) 의 비율이 하한을 만족시키지 않는 경우, 습도 변화에 대한 치수 안정성의 향상이 충분하지 않은 것에 더하여, 내전압 특성이 충분히 개량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 폴리올레핀 (b) 의 비율이 50 중량% 를 초과하는 경우, 연신 제막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2 축 배향 필름은, 필름 두께가 1~10㎛ 의 범위에 있는 것이 필요하고, 바람직하게는, 2~10㎛, 더욱 바람직하게는 2~7㎛, 특히 바람직하게는 3~7㎛ 이다. 이 두께가 상한을 초과하면, 필름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워지고, 예를 들어 자기 기록 매체에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카세트에 넣는 테이프 길이가 짧아져, 충분한 자기 기록 용량이 얻어지지 않는다. 또 콘덴서에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콘덴서의 소형화가 어려워진다. 한편, 하한 미만에서는 필름 두께가 얇으므로, 필름 제막시에 필름 파단이 다발(多發)하거나, 또 필름의 권취성이 불량해지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a))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a) 는, 디올과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의 중축합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머이다. 이러한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으로서, 예를 들어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4,4'-디페닐디카르복실산을 들 수 있고, 또 디올로서,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1,4-부탄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1,6-헥산디올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역학 특성 및 내열성의 관점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가 바람직하고, 특히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단독이어도 되고, 다른 폴리에스테르와의 공중합체, 2 종 이상의 폴리에스테르와의 혼합체의 어느 것이어도 상관없지만, 역학 특성 및 내열성의 관점에서는, 단독인 편이 바람직하다. 공중합체 또는 혼합체에 있어서의 다른 성분은, 반복 구조 단위의 몰 수를 기준으로 하여 10 몰% 이하, 더욱이 5 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공중합 성분으로는, 디에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폴리알킬렌글리콜 등의 디올 성분, 아디프산, 세바신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 등의 디카르복실산 성분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고유 점도는, o-클로로페놀 중, 35℃ 에 있어서, 0.4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40~0.8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고유 점도가 0.4 미만에서는 필름 제막시에 절단이 다발하거나 성형 가공 후의 제품의 강도가 부족한 경우가 있다. 한편 고유 점도가 0.8 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중합시의 생산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융점은, 200~3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40~300℃, 특히 바람직하게는 260~290℃ 이다. 융점이 하한을 만족시키지 않으면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내열성이 불충분한 경우가 있다. 또 융점이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폴리올레핀 (b) 과 혼합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유전율은, 23℃, 1MHz 의 조건에 있어서 2.7~3.4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전율은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고유한 특성이다.
(폴리올레핀 (b))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올레핀 (이하, 폴리올레핀 (b) 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은, 230~280℃ 의 융점을 가지는 폴리올레핀이다. 이러한 폴리올레핀으로서, 폴리-3-메틸부텐-1, 폴리-4-메틸펜텐-1, 폴리비닐-t-부탄, 1,4-트랜스-폴리-2,3-디메틸부타디엔, 폴리비닐시클로헥산, 폴리스티렌, 폴리메틸스티렌, 폴리디메틸스티렌, 폴리부틸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내열성 및 역학 특성의 면에서 신디오택틱 구조를 가지는 스티렌계 중합체 (이하, 신디오택틱 스티렌계 중합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신디오택틱 스티렌계 중합체는, 입체 화학 구조가 신디오택틱 구조를 가지는 폴리스티렌이고, 핵 자기 공명법 (13C-NMR 법) 에 의해 측정되는 택티시티가, 다이어드 (구성 단위가 2 개) 에서 75% 이상, 바람직하게는 85% 이상, 펜타드 (구성 단위가 5 개) 에서 30%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이다.
이러한 신디오택틱 스티렌계 중합체로는, 폴리스티렌, 폴리(알킬스티렌) 으로서, 폴리(메틸스티렌), 폴리(에틸스티렌), 폴리(프로필스티렌), 폴리(부틸스티렌), 폴리(페닐스티렌) 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폴리스티렌, 폴리(p-메틸스티렌), 폴리(m-메틸스티렌), 폴리(p-터셔리부틸스티렌) 이 바람직하게 예시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신디오택틱 스티렌계 중합체는, 단독이어도 되고, 2 종 이상 병용해도 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신디오택틱 스티렌계 중합체는, 중합 평균 분자량이 10,000 이상, 더욱이 50,0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 평균 분자량이 하한을 만족시키지 않는 경우, 내열성이나 기계 특성이 불충분하다. 한편, 중합 평균 분자량의 상한은 500,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제막성이 부족해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올레핀의 융점은, 바람직하게는 240~275℃ 이다. 융점이 하한을 만족시키지 않으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a) 와의 혼합이 어렵고, 또 얻어지는 2 축 배향 필름의 내열성이 불충분한 경우가 있다. 또 융점이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도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와의 혼합이 어려워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올레핀은, 유전율이 23℃, 1MHz 의 조건에 있어서 3.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2~2.9 의 범위이다. 유전율이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2 축 배향 필름의 내전압 특성이 충분하게 개량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 유전율이 하한을 만족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폴리올레핀의 가공성이 부족해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올레핀은, 유전 손실이 0.001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유전 손실은, 23℃, 1MHz 의 조건에 있어서의 유전 정접 (tanδ) 으로 표시된다. 유전 손실이 0.001 이상인 경우, 절연성이 저하되고, 얻어지는 2 축 배향 필름의 내전압 특성이 충분하게 개량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단층 필름)
본 발명의 2 축 배향 필름은, 바람직한 태양으로서 단층 필름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단층 필름은,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a) 와 폴리올레핀 (b) 의 혼합물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 로부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단층 필름에 있어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a) 와 폴리올레핀 (b) 의 비율은, 필름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 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a) 가 40~98 중량%, 폴리올레핀 (b) 이 2~60 중량% 이다.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a) 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45~97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0~97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0~95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70~95 중량%이다.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의 함유량이 하한을 만족시키지 않는 경우, 얻어지는 2 축 배향 필름이 역학적 특성이 부족한 것이 된다. 또, 50 중량% 를 만족시키지 않는 경우, 연신 제막이 충분하게 개량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한편,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의 함유량이 상한을 초과하면, 습도 변화에 대한 치수 안정성의 향상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고, 또 내전압 특성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또,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 에 있어서, 폴리올레핀 (b) 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3~5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5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5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5~30 중량% 이다. 폴리올레핀 (b) 의 함유량이 하한을 만족시키지 않는 경우, 습도 변화에 대한 치수 안정성의 향상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고, 또 내전압 특성이 충분하게 개량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한편, 폴리올레핀 (b) 의 함유량이 상한을 초과하면, 얻어지는 2 축 배향 필름이 역학적 특성이 부족한 것이 되는 경우가 있다. 또, 50 중량% 를 초과하는 경우, 연신 제막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적층 필름)
(2 축 배향 필름 (X))
본 발명의 2 축 배향 필름은, 바람직한 태양으로서 적층 필름을 들 수 있다. 이러한 2 축 배향 필름은,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a) 와 폴리올레핀 (b) 의 혼합물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 로부터 형성되는 필름층 A 와, 그 적어도 편면에 적층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a) 로 이루어지는 필름층 B 로 구성되는 2 축 배향 필름 (X) 인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층 A 는, 필름층 A 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 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a) 와 폴리올레핀 (b) 의 비율이 이하의 범위에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 은,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a) 가 5~95 중량%, 바람직하게는 7~93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9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50~90 중량%, 폴리올레핀 (b) 이 5~95 중량%, 바람직하게는 7~93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9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0~50 중량% 의 범위이다.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 에 있어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a) 의 함유량이 상한을 초과하거나, 폴리올레핀 (b) 의 함유량이 하한을 하회하면, 목적으로 하는 습도 변화에 대한 치수 안정성 향상 효과가 부족하다. 한편,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a) 의 함유량이 하한을 하회하거나, 폴리올레핀 (b) 의 함유량이 상한을 초과하면, 얻어지는 2 축 배향 적층 필름이, 역학적 특성이 부족한 것이 된다.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a) 의 함유량이 50 중량% 를 초과하는 경우, 특히 우수한 제막성이 얻어지고, 또 필름층 B 와의 접착성이 높아진다.
또, 필름층 A 의 두께는, 적층 필름의 두께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5~95%, 더욱 바람직하게는 7~93%, 특히 바람직하게는 10~90% 의 범위이다. 필름층 A 의 두께가 하한을 하회하면, 습도 변화에 대한 치수 안정성 향상 효과가 부족하고, 한편, 필름층 A 의 두께가 상한을 초과하면, 얻어지는 2 축 배향 필름이, 역학적 특성이 부족한 것이 된다.
필름층 B 는, 실질적으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a) 로 이루어지는 필름층이면 되고,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열가소성 수지,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b) 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필름층 B 에 있어서의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a) 의 함유량은, 필름층 B 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5 중량% 이상이다.
2 축 배향 필름 (X) 에 있어서의 폴리올레핀 (b) 의 존재량은, 적층 필름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60 중량%, 바람직하게는 3~5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5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5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5~30 중량% 의 범위이다. 폴리올레핀 (b) 의 존재량이 하한을 하회하면, 목적으로 하는 습도 변화에 대한 치수 안정성 향상 효과가 부족해지는 경우가 있고, 또 내전압 특성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한편, 폴리올레핀 (b) 의 존재량이 상한을 초과하면, 얻어지는 2 축 배향 필름이 역학적 특성이 부족한 것이 되는 경우가 있다. 또, 50 중량% 를 초과하는 경우, 연신 제막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2 축 배향 필름 (X) 은, 바람직한 층 구성으로서, i) 필름층 A 의 편면에 필름층 B 가 적층된 2 층 구성, ⅱ) 필름층 A 의 양면에 필름층 B 가 적층된 3 층 구성, ⅲ) 필름층 A 와 필름층 B 가 전체 층 수로 적어도 4 층 적층된 다층 구성이 예시된다. ⅱ) 의 3 층 구성인 경우, 내컬성이 더욱 개량된다. 또, ⅲ) 의 다층 구성인 경우, 이질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층의 적층이어도, 층간의 박리 등에 의한 공정의 악화를 발생시키지 않고 제막할 수 있다. ⅲ) 의 다층 구성인 경우, 바람직한 전체 층 수는, 8 층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6 층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32 층 이상이고,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공정의 번잡화를 방지하는 관점에서 500 층 정도, 바람직하게는 250 층이다. 여기에서, 필름층 A 와 필름층 B 는, 바람직하게는 교대로 적층되고,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층이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ⅲ) 의 다층 구성인 경우, 필름층 A 의 1 층 당 두께는, 0.02~1.5㎛, 또한 0.04~1.0㎛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한편 필름층 B 의 1 층 당 두께는 0.02~1.5㎛, 더욱 0.04~1.0㎛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층 A 또는 필름층 B 의 1 층 당 두께가 하한을 하회하면, 매우 많은 층을 적층시킬 필요가 있어, 공정이 번잡화되기 쉽다. 한편, 필름층 A 또는 필름층 B 의 1 층 당 두께가 상한을 초과하면, 층간의 박리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들 두께는, 적층 필름을 두께 방향으로 마이크로톰 등으로 절단하여 초박편으로 하고, 그것을 투과형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2 축 배향 필름 (Y))
적층 필름의 다른 바람직한 태양으로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a) 로 이루어지는 필름층 B 와, 그 적어도 편면에 적층된 폴리올레핀 (b) 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층 C 로 구성되는 2 축 배향 필름 (Y) 인 것이 바람직하다.
2 축 배향 필름 (Y) 에 있어서, 필름층 B 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a) 로 이루어지고,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수지를 혼합 또는 공중합한 것이어도 된다. 필름층 B 에 있어서의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a) 의 함유량은, 필름층 B 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5 중량% 이상이다.
2 축 배향 필름 (Y) 에 있어서, 필름층 C 는, 폴리올레핀 (b) 으로 이루어지고,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수지를 혼합 또는 공중합한 것이어도 된다. 필름층 C 에 있어서의 폴리올레핀 (b) 의 함유량은, 필름층 C 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5 중량% 이상이다.
2 축 배향 필름 (Y) 에 있어서의 폴리올레핀 (b) 의 존재량은, 적층 필름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60 중량%, 바람직하게는 3~5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5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5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5~30 중량% 의 범위이다. 폴리올레핀 (b) 의 존재량이 하한을 하회하면, 목적으로 하는 습도 변화에 대한 치수 안정성 향상 효과가 부족해지는 경우가 있고, 또 내전압 특성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한편, 폴리올레핀 (b) 의 존재량이 상한을 초과하면, 얻어지는 2 축 배향 필름이 역학적 특성이 부족한 것이 되는 경우가 있다. 또, 50 중량% 를 초과하는 경우, 연신 제막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2 축 배향 필름 (Y) 은, 바람직한 층 구성으로서, i) 필름층 C 의 편면에 필름층 B 가 적층된 2 층 구성, ⅱ) 필름층 C 의 양면에 필름층 B 가 적층된 3 층 구성, ⅲ) 필름층 C 와 필름층 B 가 전체 층 수로 적어도 4 층 적층된 다층 구성이 예시된다. ⅱ) 의 3 층 구성인 경우, 내컬성이 더욱 개량된다. 또, ⅲ) 의 다층 구성인 경우, 이질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층의 적층이어도, 층간의 박리 등에 의한 공정의 악화를 발생시키지 않고 제막할 수 있다. ⅲ) 의 다층 구성인 경우, 바람직한 전체 층 수는, 8 층 이상, 또한 16 층 이상, 특히 32 층 이상이고,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공정의 번잡화를 방지하는 관점에서 500 층 정도, 바람직하게는 250 층이다. 여기에서, 필름층 B 와 필름층 C 는, 바람직하게는 교대로 적층되고,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층이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ⅲ) 의 다층 구성인 경우, 필름층 B 의 1 층 당 두께는, 0.02~1.5㎛, 또한 0.04~1.0㎛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한편 필름층 C 의 1 층 당 두께는 0.02~1.5㎛, 또한 0.04~1.0㎛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층 B 또는 필름층 C 의 1 층 당 두께가 하한을 하회하면, 매우 많은 층을 적층시킬 필요가 있어, 공정이 번잡화되기 쉽다. 한편, 필름층 B 또는 필름층 C 의 1 층 당 두께가 상한을 초과하면, 층간의 박리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들 두께는, 적층 필름을 두께 방향으로 마이크로톰 등으로 절단하여 초박편으로 하고, 그것을 투과형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2 축 배향 필름은,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기술한 단층 필름, 적층 필름을 들 수 있고, 또 적층 필름의 구체적인 예로서 2 축 배향 필름 (X), 2 축 배향 필름 (Y) 을 들 수 있으며, 용도에 따라 추가로 필요하게 되는 특성에 적합한 층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층 구성 중에서도, 층 박리의 관점에서는, 단층 필름 또는 2 축 배향 필름 (X) 이 바람직하다. 특히, 단층 필름인 경우, 혼합물인 것에 의해, 폴리올레핀 (b) 에 의한 우수한 습도 변화에 대한 치수 안정성과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a) 에 의한 우수한 역학 특성과 제막성을 발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층 필름인 경우, 폴리올레핀 (b) 의 배합량이 적어도 폴리올레핀 (b) 과 동등한 내전압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 2 축 배향 필름 (X) 중에서도, 2 층 구성인 경우는 추가로 필름층 B 가 적층됨으로써,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a) 에 의한 우수한 역학 특성과 제막성이 발현하기 쉬워진다. 또 내컬성의 면에서, 2 축 배향 필름 (X) 의 3 층 구성이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필름층의 분산 상태)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 또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 로 이루어지는 필름층은,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a) 와 폴리올레핀 (b) 의 혼합물에 의해 형성되고, 폴리올레핀 (b) 이 도상(島狀)으로 분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도상의 분산 형상」 이란, 구상, 타원상, 봉상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MD 방향으로 인장된 봉상의 분산 형상이 많이 관찰되고, MD 방향의 평균 길이가 2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평균 길이는, 얻어진 필름의 MD 방향으로 평행한 두께 단면을 광학 현미경 (Nikon 사 제조 OPTPHOT-2) 을 사용하여 200 배로 관찰하고, 100 개의 올레핀 (b) 으로 이루어지는 분산상(相) 의 MD 방향의 길이를 측정하여 평균 길이를 구하였다.
MD 방향의 평균 길이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평균 길이가 상한을 초과하면, 필름의 연신 공정에 있어서 파단되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다. 또 필름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서 분산상의 크기의 영향이 현저해지고, 필름의 연신 공정에 있어서 파단되기 쉬워진다.
MD 방향의 평균 길이를 20㎛ 이하로 하는 방법으로서, 혼련 방법에 의한 물리적 방법이나, 상용화제 등의 화학적 방법을 들 수 있다. 기존의 장치로 대응할 수 있으므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 또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 에 상용화제를 추가로 함유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용화제란, 통상의 상용화제의 정의에 추가하여, 폴리올레핀 (b) 으로 이루어지는 분산상의 사이즈를 작게 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포함한다. 그러한 기능을 가지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a) 와 폴리올레핀 (b) 의 중간의 용해성 파라미터 (이하, SP 치라 약기하는 경우가 있다) 를 가지는 열가소성 비정성(非晶性) 수지 (d) 를 들 수 있다.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a) 및 폴리올레핀 (b) 의 SP 치는, 사용하는 수지의 종류 및 공중합 성분에 의해 정해지는 것이다. 일례를 들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a) 중,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Fedor 법에 의해 산출된 SP 치 (이하, Fedor 법이라 약기한다) 가 23.6 (MJ/㎥)0. 5 이고,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는 24.8 (MJ/㎥)0.5(Fedor 법), 또 폴리올레핀 (b) 중, 폴리스티렌은 20.7(MJ/㎥)0.5(Fedor 법) 이다.
열가소성 비정성 수지 (d) 는, 예를 들어 아크릴산 공중합 폴리올레핀, 비닐옥사졸린 공중합 폴리올레핀계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그 공중합체 중, 올레핀 성분을 구성하는 단량체는, 스티렌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그 공중합체 중, 아크릴산 성분을 구성하는 단량체로서,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가 예시된다. 열가소성 비정성 수지 (d) 는, 상용화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추가로 에폭시기가 도입되어 있어도 된다.
열가소성 비정성 수지 (d) 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 또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 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1~10 중량% 의 범위에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비정성 수지 (d) 의 함유량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0.2~5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3~3 중량% 이다. 함유량이 하한을 만족시키지 않는 경우, 상용화제로서의 효과가 발현되지 않기 때문에, 폴리올레핀 (b) 의 평균 길이가 원하는 범위가 되지 않고, 제막성이 양화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한편, 함유량이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가교 반응에 의한 겔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 또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 로 이루어지는 필름층은, 보이드를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보이드란, 매트릭스상을 형성하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a) 와 도상 (島相) 을 형성하는 폴리올레핀 (b) 의 계면에 생기는 공동(空洞)을 가리킨다. 보이드는, 폴리올레핀 (b) 의 평균 길이를 구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광학 현미경 (Nikon 사 제조 OPTPHOT-2) 을 사용하여 200 배로 관찰하여 구할 수 있다. 또, 「보이드를 갖지 않는다」 란, 상기 기술한 광학 현미경에 의한 관찰에 있어서, 100 개의 올레핀 (b) 으로 이루어지는 분산상 중, 분산상의 주위에 보이드가 관찰되는 분산상 수가 10 개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 개 이하인 상태를 가리킨다.
보이드가 존재하면, 필름의 연신 공정에 있어서 필름이 파단되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다. 또, 필름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 보이드의 부분이 결함이 되어, 역학적 특성이 저하되거나 내전압 특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보이드를 갖지 않기 위해서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a) 의 유리 전이점 (T g) 보다 낮은 Tg 를 가지는 폴리올레핀 (b) 을 선택하고, 또한 필름의 연신 온도가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a) 의 T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폴리올레핀 중에서도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에 가까운 상용성 파라미터를 가지는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용화제를 함유시킴으로써 보이드를 없애는 것도 가능하다.
(불활성 입자)
본 발명의 2 축 배향 필름은, 필름 중에 불활성 입자, 예를 들어, 주기율표 제 ⅡA, 제 ⅡB, 제 ⅣA, 제 ⅣB 의 원소를 함유하는 무기 입자 (예를 들어, 카올린, 알루미나, 산화티탄, 탄산칼슘, 이산화규소 등), 가교 실리콘 수지, 가교 폴리스티렌, 가교 아크릴 수지 입자 등과 같은 내열성이 높은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미립자 등을 함유시킬 수 있다.
불활성 입자를 함유시키는 경우, 불활성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은, 0.001~5㎛ 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필름 전체 중량에 대해서 0.01~10 중량% 의 범위에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기 기록 매체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불활성 입자의 바람직한 평균 입자 직경 및 함유량은, 단층 필름 또는 적층 필름에 의해, 이하와 같이 예시된다.
즉, 단층 필름을 자기 기록 매체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불활성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0.01~1.0㎛, 더욱 바람직하게는 0.03~0.8㎛ 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05~0.6㎛ 이다. 또 불활성 입자의 함유량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 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0.01~1.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3~0.8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05~0.5 중량% 이다. 또, 필름 중에 함유시키는 불활성 입자는 단성분계여도 되고 다성분계여도 되지만, 테이프의 전자 변환 특성과 필름의 권취성의 양립으로부터, 2 성분계 또는, 그 이상의 다성분계의 불활성 입자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 표면의 표면 조도 (WRa) 의 조정은, 불활성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이나 첨가량을 상기의 범위로부터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실시하면 된다.
적층 필름으로서 2 축 배향 필름 (X) 또는 2 축 배향 필름 (Y) 을 자기 기록 매체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불활성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0.01~0.8㎛,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0.6㎛ 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03~0.4㎛ 이다. 또, 불활성 입자의 함유량은, 평탄면측 표면은, 불활성 입자를 함유시키지 않거나, 함유시켜도 평탄면측 표면을 형성하는 필름층의 중량에 대해서, 겨우 0.5 중량%, 바람직하게는 0.4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중량% 이다. 한편, 조면(粗面)측 표면은, 그 표면을 형성하는 필름층의 중량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0.01~1.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3~0.8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05~0.6 중량% 의 불활성 입자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층 이상의 적층 구성인 경우, 조면측 표면을 형성하는 필름층과 동일한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층은, 조면측 표면층과 동일한 불활성 입자를 함유해도 된다. 또, 필름 중에 함유시키는 불활성 입자는 단성분계여도 되고 다성분계여도 되지만, 특히 비자성층측의 폴리머에는, 테이프의 전자 변환 특성과 필름의 권취성의 양립으로부터, 2 성분계 또는, 그 이상의 다성분계의 불활성 입자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 표면의 표면 조도 (WRa) 의 조정은, 불활성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 첨가량을 상기의 범위로부터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실시하면 된다. 또, 단층 필름인 경우, 일방의 표면과 타방의 표면의 조도를 용이하게 바꿀 수 없지만, 적층 필름이면, 일방의 표면과 타방의 표면의 조도를 용이하게 바꿀 수 있고, 전자 변환 특성과 필름의 주행성을 양립시키기 쉬운 이점이 있다.
(첨가제)
본 발명에 있어서의 2 축 배향 필름은, 필요에 따라서 소량의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대전 방지제, 광 안정제, 열 안정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2 축 배향 필름은, 인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인 화합물로는, 열안정제로서 작용하는 인 화합물이면 특별히 종류는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인산, 메틸포스페이트나 에틸포스페이트계와 같은 인산 에스테르, 아인산 및 아인산에스테르가 예시되고, 이러한 인 화합물 중에서도 트리에틸포스포노아세테이트를 특히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인 화합물의 바람직한 함유량은, 인 화합물 중의 인 원소의 폴리에스테르 전체 디카르복실산 성분에 대한 몰 농도로서, 20~300ppm, 또한 30~250ppm, 특히 50~200ppm 이다. 인 화합물의 함유량이 하한 미만에서는, 에스테르 교환 반응 촉매가 완전하게 실활되지 않아 열안정성이 나쁘고, 역학적 특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인 화합물의 함유량이 상한을 초과하면, 열 안정성이 나쁘고, 역학적 특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폭 방향의 습도 팽창 계수)
본 발명의 2 축 배향 필름은, 필름의 폭 방향의 습도 팽창 계수 αh 가 0.1×10-6~13×10-6/% RH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한 αh 는, 0.5×10-6~11×10-6/% RH, 특히 바람직하게는, 0.5×10-6~10×10-6/% RH 의 범위이다.
αh 를 하한보다 작게 하기 위해서는, 과도하게 폴리올레핀 (b) 을 존재시키거나 하게되어, 제막성이 저하되고, 또 역학적 특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상한을 초과하면, 습도 변화에 의해 필름이 연장되어 버리고, 자기 기록 매체에 사용하였을 때에 트랙 어긋남 등을 야기하는 경우가 있고, 또 필름 콘덴서에 사용하였을 때에 자동차의 엔진 룸과 같은 고습도의 환경이 요구되는 용도에서 콘덴서 특성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이러한 αh 는, 측정 방향의 영률을 연신에 의해 향상시키고, 또한 폴리올레핀을 혼재시킴으로써 달성된다. 폭 방향이 미(未)연신의 경우, 폭 방향의 영률이 낮기 때문에, 폴리올레핀이 혼재하고 있어도 상기 기술한 범위의 습도 팽창 계수는 얻을 수 없다.
(폭 방향의 온도 팽창 계수)
본 발명의 2 축 배향 필름은, 필름의 폭 방향의 온도 팽창 계수 αt 가 -10×10-6~+15×10-6/℃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αt 는, -8×10-6~+10×10-6/℃, 특히 -5×10-6~+5×10-6/℃ 의 범위이다. αt 가, 하한보다 작으면 수축해 버리고, 한편 상한을 초과하면, 온도 변화에 의해 필름이 연장되어 버려, 자기 기록 매체에 사용하였을 때에는 트랙 어긋남 등을 야기하는 경우가 있다. 또, 온도 팽창 계수 αt 가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콘덴서에 사용하면 자동차의 엔진 룸과 같은 고온의 환경이 요구되는 용도에서 콘덴서 특성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이러한 αt 는, 측정 방향의 영률을 연신에 의해 향상시키고, 또한 폴리올레핀의 존재량을 상기 기술한 상한 이하로 함으로써 달성된다. 폭 방향이 미연신의 경우, 폭 방향의 영률이 낮기 때문에, 폴리올레핀이 혼재하고 있어도 상기 기술한 범위의 온도 팽창 계수는 얻을 수 없다.
(영률)
본 발명의 2 축 배향 필름은, 필름의 제막 방향 (MD 방향) 및 폭 방향 (이하, 횡 방향 또는 TD 방향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의 영률이 모두 5GPa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어느 일방이라도 영률이 하한보다 작으면, 습도 변화에 의한 치수 변화가 작아도 자기 기록 매체로 하였을 때에 관련되는 부하에 견디지 못하거나, 온습도 변화로 변형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또, 제막 방향과 폭 방향의 영률의 합은, 겨우 22GPa 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막 방향의 영률과 폭 방향의 영률의 합이, 상한을 초과하면, 필름 제막시, 연신 배율이 과도하게 높아지고, 필름 파단이 다발하며, 제품 수율이 현저하게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바람직한 제막 방향과 폭 방향의 영률의 합의 상한은, 20GPa 이하, 또한 18GPa 이하이다.
그런데, 리니어 트랙 방식의 자기 테이프용으로 제공하는 경우, 제막 방향의 연장을 작게 하는 관점으로부터는, 제막 방향의 영률이 폭 방향의 영률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영률은, 제막 방향의 영률이 폭 방향의 영률보다 크고, 제막 방향의 영률이 6GPa 이상, 7GPa 이상, 특히 8GPa 이상이며, 폭 방향의 영률이, 5GPa 이상, 나아가서는 6GPa 이상, 특히 7GPa 이상이다. 또, 폭 방향의 연장을 매우 작게하는 관점에서는, 폭 방향의 영률이 제막 방향의 영률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영률은, 폭 방향의 영률이 제막 방향의 영률보다 크고, 폭 방향의 영률이 7GPa 이상, 8GPa 이상, 특히 9GPa 이상이고, 제막 방향의 영률이, 5GPa 이상, 나아가서는 6GPa 이상, 특히 7GPa 이상이다. 또한, 제막 방향과 폭 방향의 연장을 모두 작게하는 관점에서는, 제막 방향의 영률과 폭 방향의 영률의 차이가 2GPa 이하, 특히 1GPa 이하이고, 제막 방향의 영률이 6GPa 이상, 7GPa 이상, 특히 8GPa 이상이며, 폭 방향의 영률이, 6GPa 이상, 나아가서는 7GPa 이상, 특히 8GPa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 파괴 전압)
본 발명의 2 축 배향 필름은, 절연 파괴 전압이 400V/㎛ 를 초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 파괴 전압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410V/㎛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60V/㎛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470V/㎛ 이상이다. 절연 파괴 전압이 하한 이하이면, 콘덴서에 사용하였을 때의 전기 특성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여기에서, 절연 파괴 전압은, JIS C2151 에 기재된 평판 전극법에 준거하여, 도쿄 정전 주식회사 제조, 장치명 ITS-6003 을 사용하여 160V/s 의 직류 전류로 측정한 값이다.
(내열 온도)
본 발명의 2 축 배향 필름은, 내열 온도가 1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내열 온도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115℃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20℃ 이상이다. 내열 온도가 하한 미만이면, 콘덴서에 사용하였을 때의 내열성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여기에서, 내열 온도는 IEC 60216 의 온도 지수에 준거하고, 절연 파괴 전압의 반감기의 시간과 온도의 관계를 아레니우스 플롯하여, 20000 시간에 견딜 수 있는 온도로 정의되는 것이다.
(도막층)
본 발명의 2 축 배향 필름은, 최외층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도막층 (이하, 도포층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을 가져도 된다. 이러한 도막층은, 바인더 수지 및 용매로 이루어지는 코팅 도제(塗劑)를 2 축 배향 필름에 도포함으로써 얻어진다. 바인더 수지로는,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의 각종 수지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아미드, 폴리올레핀, 폴리염화비닐, 폴리(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및 폴리스티렌, 그리고 이들의 공중합체나 혼합체를 들 수 있다. 이들의 바인더 수지 중에서도,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게 예시된다. 용매로는, 예를 들어 톨루엔, 아세트산에틸, 메틸에틸케톤 등의 유기 용매 및 혼합물을 들 수 있고, 또한 물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도막층은, 도막을 형성하는 성분으로서, 추가로 가교제, 계면 활성제 및 불활성 입자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계면 활성제로는 폴리알킬렌옥사이드가 예시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도막층은, 상기 성분 이외에 멜라민 수지 등의 타 수지, 연질 중합체, 필러, 열 안정제, 내후 안정제, 노화 방지제, 라벨링제, 대전 방지제, 슬립제, 안티 블로킹제, 방담제, 염료, 안료, 천연유, 합성유, 왁스, 유화제, 경화제 및 난연제 등을 추가로 함유해도 되고, 그 배합 비율은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막층을 2 축 배향 필름에 적층시키는 방법은, 2 축 연신된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도제를 도포하여 건조시키는 방법, 연신 가능한 필름에 도제를 도포한 후, 건조, 연신하고, 필요에 따라서 열 처리하는 방법 중 어떠한 것이어도 된다. 여기에서, 연신 가능한 필름이란, 미연신 필름, 1 축 연신 필름 또는 2 축 연신 필름이고, 이들 중에서도 필름 압출 방향 (종 방향) 으로 1 축 연신된 종 연신 필름이 특히 바람직하게 예시된다.
또, 필름에 도제를 도포하는 경우, 청결한 분위기에서의 도포, 즉 필름 제막공정에서의 도포가 바람직하고, 도막의 필름에 대한 밀착성이 향상된다. 통상의 도공 공정, 즉 2 축 연신 후, 열 고정한 필름에 대하여, 그 필름의 제조 공정과 절리한 공정에서 도포하는 경우, 티끌, 먼지 등을 끌어들이기 쉬워진다.
필름에 도제를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공지된 임의의 도포 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롤 코트법, 그라비아 코트법, 롤 브러쉬법, 스프레이 코트법, 에어 나이프 코트법, 함침법 및 커텐 코트법을 단독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표면층)
본 발명의 2 축 배향 필름은, 적어도 일방의 면에, 다른 기능을 부여하는 목적에서 추가로 타층이 적층된 적층체여도 된다.
예를 들어, 자기 기록 매체에 사용되는 경우, 자성층측을 보다 평탄한 표면으로 하기 위해서, 실질적으로 불활성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을, 본 발명의 2 축 배향 필름의 자성층측 표면에 적층하여도 된다. 또, 주행면 (비자성층) 측을 보다 주행성이 우수한 표면으로 하기 위해서, 함유시키는 불활성 입자를 비교적 크게 하거나, 양을 많게 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을, 본 발명의 2 축 배향 필름의 비자성층측 표면에 적층하여도 된다. 이러한 적층 필름은, 자기 기록 매체로 하였을 때에, 전자 변환 특성과 필름의 권취성을 양립시키는 것이 용이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필름 콘덴서에 사용되는 경우, 예를 들어, 셀프 힐링성을 더욱 개선하는 목적에서, 2 축 배향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산소 원자 함유 화합물을 함유하는 층 D 를 추가로 가져도 된다. X 선 광전자 분광법에 의해 측정한, 그 표면의 탄소 원자에 대한 산소 원자의 비율은, 10% 이상, 나아가서는 1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산소 원자/탄소 원자) 비가 하한을 만족시키지 않으면 전압 부하시의 셀프 힐링성이 불량해지는 경우가 있다. 산소 원자 함유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 Si02 를 들 수 있다. 셀룰로오스의 경우는, 상기의 도막층의 바인더 성분 중, 5~50 중량% 의 범위에서 셀룰로오스를 함유시켜 도포하는 방법에 의해 적층할 수 있다. SiO2 의 경우는 진공 증착, 이온 플레이팅 또는 스퍼터링 중 어느 한 방법에 의해 적층할 수 있다.
또, 산소 원자 함유 화합물을 함유하는 층 D 의 두께는, 필름 전체 두께에 대해서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30% 보다 두꺼운 경우에는, 정전 용량이나 유전 정접의 온도, 주파수 특성 등의 전기 특성이 불량해지는 경우가 있다. 두께의 하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005㎛ 보다 얇아지면 셀프 힐링성의 개량 효과가 얻어지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표면 조도 WRa)
본 발명의 2 축 배향 필름은, 사용하는 용도에 따라서, 용도에 적합한 표면 조도 WRa (중심면 평균 조도) 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자기 기록 매체에 사용되는 경우, 2 축 배향 필름의 일방의 표면 조도 WRa (중심면 평균 조도) 는, 1~10nm, 나아가서는 2~10nm, 특히 2~8n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표면 조도 WRa 가 10nm 보다 크면, 자성층의 표면이 거칠어지고, 만족할 수 있는 전자 변환 특성을 얻어지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이 표면 조도 WRa 가 1nm 미만이면, 표면이 지나치게 평탄하게 되기 때문에, 패스 롤 또는 캘린더에서의 슬라이딩이 나빠지고, 주름이 발생하며, 자성층을 잘 도포할 수 없게 되거나, 또 캘린더를 걸 수 없게 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또, 타방의 표면 조도 WRa 는, 상기 WRa 와 동일하게 해도 되고, 상기 WRa보다 크게, 5~20nm, 나아가서는 6~15nm, 특히 8~12nm 로 해도 된다. 이 타방의 표면 조도 WRa 가 상한보다 크면, 주행면측 표면의 요철이 자성층면측 표면에 전사하여, 자성층측의 표면이 거칠어져, 만족할 수 있는 전자 변환 특성이 얻어지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이 표면 조도 WRa 가 하한 미만이면, 표면이 지나치게 평탄하게 되어, 패스 롤 또는 캘린더에서의 슬라이딩이 나빠지고, 주름이 발생하며, 자기층을 잘 도포할 수 없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2 축 배향 적층 필름인 경우, 2 개의 표면을 상이한 표면 형태로 하는 것은, 전자 변환 특성과 주행성의 조정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들 표면 조도 WRa 는, 필름 중에 불활성 입자를 함유시킴으로써, 또는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는 표면 처리, 예를 들어 도제의 코팅 처리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또, 필름 콘덴서에 사용되는 경우, 2 축 배향 필름의 표면 조도 WRa (중심면 평균 조도) 는, 1~150nm, 나아가서는 10~120nm, 특히 30~100n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표면 조도 WRa 가 상한보다 크면, 콘덴서로 가공하였을 때, 필름의 돌기가 지나치게 커서 필름간에 개재하는 공기에 의해 유전 특성이 불안정화되거나 돌기에 의해 절연 파괴 전압이 저하되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다. 한편, 표면 조도 WRa 가 하한 미만에서는, 필름이 지나치게 평탄해서, 금속 증착 공정, 필름 권회 공정에서의 작업성, 콘덴서 열 처리 공정, 프레스 공정에서의 변형, 필름간의 밀착 등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그 결과, 콘덴서 용량의 편차가 커지는 경우가 있다.
(제막 방법)
본 발명의 2 축 배향 필름은, 이하의 방법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2 축 배향 필름은, 단층 필름인 경우, 상기 기술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a) 와 폴리올레핀 (b) 을 원료로 하고, 이것을 용융 상태에서 시트 형상으로 압출한 후, 텐터법, 인플레이션법 등 공지된 제막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a) 와 폴리올레핀 (b) 을 소정량 혼합하여, 건조시킨 후, 300℃ 로 가열된 압출기에 공급하여, T 다이에서 시트 형상으로 성형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의 융점 (Tm:℃) 내지 (Tm+70)℃ 의 온도에서 압출하고, 급냉 고화시켜 미연신 필름으로 하고, 다시 그 미연신 필름을 1 축 방향 (종 방향 또는 횡 방향) 으로 (Tg-10)~(Tg+70)℃ 의 온도에서 소정의 배율로 연신하고, 이어서 상기 연신 방향과 직각 방향 (1 단이 종 방향인 경우에는 2 단은 횡 방향이 된다) 으로 Tg~(Tg+70)℃ 의 온도에서 소정의 배율로 연신하고, 다시 열 처리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그 때, 연신 배율, 연신 온도, 열 처리 조건 등은 상기 필름의 특성으로부터 선택, 결정된다. 면적 연신 배율은 6~35 배가 바람직하고, 콘덴서용인 경우는 6~25 배, 나아가서는 7~16 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자기 기록 매체용인 경우, 15~35 배, 나아가서는 20~30 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고정 온도는 190~250℃ 의 범위 내에서, 또 처리 시간은 1~60 초의 범위 내에서 결정하면 된다. 특히, 내열성이 필요하게 되는 경우, 고온 조건 하에서의 치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210~240℃ 의 범위에서 열고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열고정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얻어진 2 축 배향 필름의 200℃ 에 있어서의 열 수축율을 ?3.5~3.5%, 보다 바람직하게는 -3~3%, 특히 바람직하게는 0~3% 로 할 수 있다. 열 수축율이 이들 범위에 있음으로써, 콘덴서로 가공하였을 때에 필름에 구김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또, 열 수축율을 억제하기 위해서, 추가로 오프라인 공정에 있어서 150~220℃ 에서 1~60 초간 열 처리한 후, 50~80℃ 의 온도 분위기 하에서 서냉(徐冷)하는 어닐 처리를 행해도 상관없다.
이러한 축차 2 축 연신법 외에, 동시 2 축 연신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축차 2 축 연신법에 있어서 종 방향, 횡 방향의 연신 회수는 1 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종-횡 연신을 수회의 연신 처리에 의해 실시할 수 있고, 그 회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자기 기록 용도인 경우, 더욱 기계 특성을 올리고 싶은 경우에는, 열고정 처리 전의 상기 2 축 연신 필름에 대하여, (Tg+20)~(Tg+70)℃ 의 온도에서 열 처리하고, 다시 열 처리 온도보다 10~40℃ 높은 온도에서 종 방향 또는 횡 방향으로 연신하고, 계속해서 다시 이 연신 온도에서 20~50℃ 높은 온도에서 횡 방향 또는 종 방향으로 연신하고, 종 방향의 종합 연신 배율을 3.0~7.0 배, 횡 방향의 종합 연신 배율을 3.0~6.0 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층 또는 3 층의 적층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 공압출법에 의한 방법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층을 구성하는 원료를 용융 상태에서 공압출법에 의해 다이 내에서 적층하고 나서 시트 형상으로 압출하거나, 또는 2 종 이상의 용융 폴리에스테르를 다이로부터 압출한 후에 적층하고, 급냉 고화시켜 적층 미연신 필름으로 하고, 이어서 단층 필름인 경우와 동일한 방법, 조건에서 2 축 연신, 열 처리를 실시하여 적층 2 축 배향 필름으로 한다.
4 층 이상의 적층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326467호의 단락 0028 에서 제안된 것과 같은 피드 블록을 사용한 동시 다층 압출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즉, 필름층 B 를 구성하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a) 와, 필름층 A 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 또는 필름층 C 를 구성하는 폴리올레핀 (b) 을, 건조시킨 후, 300℃ 정도로 가열된 압출기에 공급하고, 피드 블록을 사용하여, 예를 들어 각 용융물을 교대로 적층하고, 다이에 전개하고 압출하여 적층 미연신 필름으로 하고, 이어서 단층 필름인 경우와 동일한 방법, 조건에서 2 축 연신, 열 처리를 실시하여 적층 2 축 배향 필름으로 한다.
또, 도포층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기술한 미연신 필름 또는 1 축 연신 필름의 편면 또는 양면에 원하는 도포액을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기 기록 매체)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상기 2 축 배향 필름을 베이스 필름으로 하고, 그 편면 상에 자성층을 가지는 자기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자기 기록 매체로는, 상기 본 발명의 2 축 배향 필름을 베이스 필름으로 하고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QIC 나 DLT 나아가서는 고용량 타입인 S-DLT나 LTO 등의 리니어 트랙 방식의 데이터 스토리지 테이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필름이 온습도 변화에 의한 치수 변화가 매우 작기 때문에, 테이프의 고용량화를 확보하기 위해서 트랙 피치를 좁게 해도 트랙 어긋남을 일으키기 어려운 고밀도 고용량에 바람직한 자기 기록 매체가 된다.
(필름 콘덴서)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상기 2 축 배향 필름을 베이스 필름으로 하고, 그 적어도 편면 상에 금속층을 가지는 필름 콘덴서가 제공된다. 금속층의 재질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어 알루미늄, 아연, 니켈, 크롬, 주석, 구리 및 이들의 합금을 들 수 있다. 또, 셀프 힐링성을 개량하기 위해서 산소 원자 함유 화합물을 함유하는 층 D 를 형성하는 경우, 필름 콘덴서의 구성은, 베이스 필름/층 D/금속층, 층 D/베이스 필름/금속층이 예시된다.
필름 콘덴서로는, 상기 본 발명의 2 축 배향 필름을 베이스 필름으로 하고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소형화가 요구되는 전기?전자 용도, 자동차 용도의 운전실 내?내열성과 내습성이 요구되는 엔진 필름 내 등에 있어서의 전기 기기에 사용된다. 또한, 베이스 필름이 온도?습도 변화에 의한 치수 변화가 매우 작고, 또한 내열성 및 절연 파괴 전압으로 표시되는 내전압 특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보다 필름 콘덴서의 소형화가 가능해지고, 또 고온 고습도 하에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각 특성치 그리고 평가법은 하기의 방법에 의해 측정, 평가하였다. 또, 실시예에 있어서의 부 및 % 는, 각각 중량부 및 중량% 를 의미한다.
(1) 융점, 유리 전이점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a) 또는 폴리올레핀 (b) 10mg 를, 측정용의 알루미늄 제 팬에 봉입하고, TA instruments 사 제조 시차 열량계 DSC2920 를 사용하여 25℃에서 300℃ 까지 20℃/min 의 승온 속도로 측정하고, 각각의 융점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a) 의 융점: Tma, 폴리올레핀 (b) 의 융점: Tmb) 및 유리 전이점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a) 의 유리 전이점: Tga, 폴리올레핀 (b) 의 유리 전이점: Tg b) 을 구하였다.
(2) 불활성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
시마즈 제작소 제조 CP-50 형 센트리퓨걸 파티클 사이즈 애널라이저 (Centrifugal Particle Size Analyzer) 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얻어지는 원심 침강 곡선을 기초로 산출하는 각 입자의 입자 직경과 그 존재량의 누적 곡선으로부터, 50 매스 퍼센트 (mass percent) 에 상당하는 입자 직경을 판독하고, 이 값을 상기 평균 입자 직경으로 한다.
(3) 습도 팽창 계수 (αh)
필름 샘플을 폭 방향이 측정 방향이 되도록 길이 15mm, 폭 5mm 로 잘라내고, 신쿠우 리코(주) 제조 TMA3000 에 세팅하고, 30℃ 의 분위기 하에서, 질소 분위기 하로부터, 습도 30% RH, 및 습도 70% RH 로 일정하게 유지하고, 그 때의 샘플의 길이를 측정하여, 다음 식 (1) 로 습도 팽창 계수를 산출한다. 또한, 측정 방향이 시료의 길이 방향이고, 10 개의 시료에 대하여 실시하여, 그 평균치를 αh 로 하였다.
αh = (L70-L30)/(L30×ΔH)???( 1 )
여기에서, L30 : 30% RH 일 때의 샘플 길이 (mm)
L70 : 70% RH 일 때의 샘플 길이 (mm)
ΔH : 40 (=70-30)% RH 이다.
(4) 온도 팽창 계수 (αt)
필름 샘플을 폭 방향이 측정 방향이 되도록 길이 15mm, 폭 5mm 로 잘라내고, 신쿠우 리코(주) 제조 TMA3000 에 세팅하고, 질소 분위기 하 (0% RH), 60℃ 에서 30 분전 처리하여, 그 후 실온까지 강온시킨다. 그 후 25℃ 에서 70℃ 까지 2℃/min 으로 승온시키고, 각 온도에서의 샘플 길이를 측정하여, 다음 식 (2) 로부 터 온도 팽창 계수 (αt) 를 산출한다. 또한, 측정 방향이 시료의 길이 방향이고, 10 회 측정하여, 그 평균치를 사용하였다.
αt = {(L60-L40)/(L40×ΔT)}+0.5×10-6??(2)
여기에서, L40 : 40℃ 일 때의 샘플 길이 (mm)
L60 : 60℃ 일 때의 샘플 길이 (mm)
ΔT : 20(=60-40)℃
0.5×10-6 : 석영 유리의 온도 팽창 계수이다.
(5) 영률
필름을 시료 폭 10mm, 길이 15cm 로 잘라내고, 척간 100mm 로 하여 인장 속도 10mm/min, 차트 속도 500mm/min 로 인스트론 타입의 만능 인장 시험 장치로 인장하고, 얻어지는 하중-연장 곡선의 입상부의 접선으로부터 영률을 계산한다.
또한, 측정 방향이 시료의 길이 방향이고, 영률은 10 회 측정하여, 그 평균치를 사용하였다.
(6) 표면 조도 (WRa)
WYKO 사 제조 비접촉식 삼차원 조도계 (NT-2000) 를 사용하여 측정 배율 25 배, 측정 면적 246.6㎛×187.5㎛ (0.0462㎟) 의 조건에서, 그 조도계에 내장된 표면 해석 소프트에 의해, 중심면 평균 조도 (WRa) 를 다음 식 (3) 으로 구한다. 또한, 측정은, 10 회 반복하여, 그들의 평균치를 사용하였다.
Figure 112006061517875-pct00001
여기에서, Zjk 는 측정 방향 (246.6㎛), 그것과 직교하는 방향 (187.5㎛) 을 각각 M 분할, N 분할하였을 때의 각 방향의 j 번째 , k 번째의 위치에 있어서의 3 차원 조도 차트 상의 높이이다.
(7) 각 층의 두께
적층 필름을 3 각형으로 잘라내고, 포매(包埋) 캡슐에 고정시킨 후, 에폭시 수지로 포매한다. 마이크로톰 (ULTRACUT-S) 으로, 제막 방향과 두께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컷하여, 두께 50nm 박막 절편으로 한다.
그리고, 투과형 전자 현미경을 사용하여, 가속 전압 1000kv 에서 관찰하고, 배율 1 만배~10 만배로 촬영하여, 사진으로부터 각 층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8) 올레핀 (b) 의 분산성, 보이드
필름 샘플의 MD 방향에 평행한 두께 단면을 광학 현미경 (Nikon 사 제조 OPTPHOT-2) 을 사용하여 200 배로 관찰하고, 100 개의 올레핀 (b) 으로 이루어지는 분산상의 MD 방향의 길이를 측정하여 평균 길이를 구하였다.
또, 그 때의 올레핀 (b) 으로 이루어지는 분산상 주위의 보이드를 관찰하고, 100 개의 올레핀 (b) 으로 이루어지는 분산상 중, 보이드가 발생한 분산상의 수를 구하여, 하기 기준에 의해 판정하였다.
○ : 보이드를 가지는 분산상이 10 개 이하.
× : 보이드를 가지는 분산상이 10 개를 초과한다.
(9) 내열성
필름 샘플을 사용하고, IEC 60216 의 온도 지수에 준거하며, 절연 파괴 전압의 반감기의 시간과 온도의 관계를 아레니우스 플롯하여, 20000 시간에 견딜 수 있는 온도를 구하였다.
(10) 유전율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고, JIS C2151 에 준거하여 23℃, 1MHz 에 있어서의 유전율을 측정하였다.
(11) 유전 손실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고, JIS C2151 에 준거하여 23℃, 1MHz 에 있어서의 유전 손실을 측정하였다.
(12) 절연 파괴 전압
필름 샘플을 사용하고, JIS C2151 에 기재된 평판 전극법에 준거하여, 도쿄 세이덴 주식회사 제조 ITS-6003 을 사용하여, 직류 전류 160V/s 에 의해 절연 파괴 전압을 측정하였다.
(13) 필름 컬성
필름 샘플을 사용하고, 종 30mm×횡 200㎜ 및 종 200mm×횡 30mm 로, 각각 샘플링하여 평판으로 자연 방치한 상태에서 하기 기준에 의해 육안으로 판정하였다.
○ : 거의 컬을 볼 수 없다.
△ : 약간 컬을 볼 수 있다.
× : 현저하게 컬된다.
(14) 내박리성
샘플 필름의 편면에 커터 나이프에 의해 2mm 간격으로 종횡 각 6 개의 칼집을 내어, 25 개의 바둑판 눈금을 만들었다. 그리고, 샘플 필름의 양면에 24mm 폭의 점착 테이프 (니치반사 제조, 상품명 : 셀로테이프 (등록 상표)) 를 부착하고, 바둑판 눈금이 있는 측의 점착 테이프를 180 도의 박리 각도로 급격하게 떼어낸 후, 박리면을 관찰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 박리된 면적이 없고, 층간의 밀착성이 양호
△ : 박리 면적이 20% 미만이고, 층간의 밀착성이 불량
× : 박리 면적이 20% 이상이고, 층간의 밀착성이 매우 불량
(15) 제막성
제막시의 상황을 관찰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랭크 분류한다.
◎ : 제막한 후에 절단 등의 문제가 없고, 12 시간 이상의 연속 제막이 가능.
○ : 제막 가능한 조건이 좁게 한정되지만, 장척의 롤의 채취는 가능.
× : 연속 제막성이 떨어지고, 극히 단시간에만 제막 가능.
(16) 트랙 어긋남
휴렛 팩커드사 제조, LT01 의 드라이브를 사용하여, 10℃, 10% RH 의 온습도 하에서 기록한 후 30℃, 80% RH 의 온습도 하에서 재생하여, 온습도 변화에 의한 자기 테이프의 자기 헤드에 대한 트랙 어긋남 폭을 측정하였다.
이들 어긋남 폭의 절대치가 적을수록 양호한 것을 나타낸다.
(17) 콘덴서의 내습성
휴렛 팩커드사 제조, 4192A LF IMPEDANCE ANALYZER 를 사용하여, 60℃, 95 % RH 의 온습도 하에서 100V(DC) 의 전압을 인가하고, 500 시간 에이징하여, 콘덴서에서의 정전 용량 변화율을 측정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여기에서, 정전 용량 변화율은, △C/C(%) 로 표시되고, C 는 에이징 전의 정전 용량, △C 는 에이징 후의 정전 용량으로부터 에이징 전의 정전 용량을 뺀 값의 절대치이다.
○ : △C/C(%) 가 5 이하이다.
× : △C/C(%) 가 5 를 초과한다.
<비교예 1 >
나프탈렌-2,6-디카르복실산디메틸 및 에틸렌글리콜을 아세트산망간의 존재 하,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실시한 후, 트리에틸포스포노아세테이트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3산화안티몬을 첨가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중축합시켜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수지 (고유 점도 (오르토클로로페놀, 35℃) 0.62, 이하 PEN 이라고 약기한다) 를 얻었다. 본 수지 중의 각 원소의 농도를 원자 흡광법에 의해 측정한 결과, Mn=50ppm, Sb=300ppm, P=50ppm 이었다. 또한, PEN 중에는, 중합 단계에서, 수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미리 평균 입자 직경 0.5㎛ 의 실리콘 입자를 0.02 중량%, 평균 입자 직경 0.1 ㎛ 의 실리카 입자를 0.3 중량% 첨가하였다.
얻어진 PEN 을 180℃ 에서 6 시간 건조시킨 후, 300℃ 로 가열된 압출기에 공급하고, T 형 압출 다이를 사용하여 압출하고, 표면 마무리 0.3S, 표면 온도 60℃ 로 유지한 캐스팅 드럼 상에서 급냉 고화시켜, 미연신 필름을 얻었다. 이 미연신 필름을 75℃ 에서 예열하고, 추가로 저속, 고속의 롤간에서 14mm 상방으로부터 830℃ 의 표면 온도의 적외선 히터로 가열하여 필름의 제막 방향으로 5.1 배로 연신하고, 급냉시켜, 계속해서 스텐터에 공급하고, 125℃ 에서 횡 방향으로 4.8 배 연신하였다. 추가로 이어서 240℃ 에서 10 초간 열고정한 후, 120℃ 에서 횡 방향으로 1.0 % 이완 처리를 하여, 두께 4.5㎛ 의 2 축 배향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영률은 종 방향 8GPa, 횡 방향 6.5GPa 이었다.
한편, 하기에 나타내는 조성물을 볼 밀에 넣고, 16 시간 혼련, 분산시킨 후,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바이엘사 제조의 데스 모듈 L) 5 중량부를 첨가하고, 1 시간 고속 전단 분산하여 자성(磁性) 도료로 하였다.
자성 도료의 조성:
침상(針狀) Fe 입자 100 중량부
염화비닐-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15 중량부
(세키스이 화학 제조 에스렉 7A)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5 중량부
산화 크롬 5 중량부
카본 블랙 5 중량부
레시틴 2 중량부
지방산 에스테르 1 중량부
톨루엔 50 중량부
메틸에틸케톤 50 중량부
시클로헥사논 50 중량부
이 자성 도료를 상기 기술한 PEN 필름의 편면에 도포 두께 0.5㎛ 가 되도록 도포하고, 이어서 2,500 가우스의 직류 자장 중에서 배향 처리를 실시하고, 100℃ 에서 가열 건조시킨 후, 슈퍼 캘린더 처리 (선압 2,000N/cm , 온도 80℃) 를 실시하여, 권취하였다. 이 권취한 롤을 55℃ 의 오븐 중에 3 일간 방치하였다.
추가로 PEN 필름의 타방의 면에, 하기 조성의 백코트층 도료를 두께 1㎛ 로 도포하고, 건조시키고, 추가로 12.65㎜ (=1/2인치) 로 재단하여, 자기 테이프를 얻었다.
백코트층 도료의 조성:
카본 블랙 100 중량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60 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18 중량부
(닛폰 폴리우레탄 공업사 제조 콜로네이트 L)
실리콘 오일 0.5 중량부
메틸에틸케톤 250 중량부
톨루엔 50 중량부
얻어진 2 축 배향 필름 및 자기 테이프의 특성을 표 1, 표 5 에 나타낸다.
<실시예 1>
비교예 1 의 PEN 을, PEN 90 중량% 와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 (이데미츠 석유 화학 주식회사 제조, 그레이드 ; 130ZC) 10 중량% 를 균일하게 블랜드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1) 로 변경하고, 연신 배율을 변경하여, 종 방향의 영률 8GPa, 횡 방향의 영률 6.5GPa, 두께 4.5㎛ 의 2 축 배향 필름을 얻었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1) 중에는, PEN 의 중합 단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1) 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미리 평균 입자 직경 0.5㎛ 의 실리콘 입자를 0.02 중량%, 평균 입자 직경 0.1㎛ 의 실리카 입자를 0.3 중량% 첨가해 두었다.
얻어진 2 축 배향 필름에, 비교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여, 자기 테이프를 작성하였다.
얻어진 2 축 배향 필름 및 자기 테이프의 특성을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1) 의 대신에,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 (이데미츠 석유 화학 주식회사 제조, 그레이드 ; 130ZC) 의 함유량을 10 중량% 에서 30 중량% 로 변경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2) 을 사용하고, 또한 연신 배율을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였다.
얻어진 2 축 배향 필름 및 자기 테이프의 특성을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3>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1) 의 대신에,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 (이데미츠 석 유 화학 주식회사 제조, 그레이드 ; 130ZC) 의 함유량을 10 중량% 에서 50 중량% 로 변경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3) 을 사용하고, 또한 연신 배율을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였다.
얻어진 2 축 배향 필름 및 자기 테이프의 특성을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4>
연신 배율을 변경하여, 종 방향의 영률 8GPa, 횡 방향의 영률 8GPa, 두께 4.5㎛ 의 2 축 배향 필름을 얻은 것 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였다.
얻어진 2 축 배향 필름 및 자기 테이프의 특성을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5>
연신 배율을 변경하여, 종 방향의 영률 5.5GPa, 횡 방향의 영률 12GPa, 두께 4.5㎛ 의 2 축 배향 필름을 얻은 것 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였다.
얻어진 2 축 배향 필름 및 자기 테이프의 특성을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6>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1) 의 대신에, PEN 의 함유량을 90 중량% 에서 89 중량% 로 변경하고, 상용화제로서 에폭시기 함유 아크릴산 공중합 폴리스티렌 (토아 합성 주식회사 제조, 아르폰 UG-4070, SP 치 21.5 (Fedor 법)) 을 1 중량% 첨가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4) 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였다. 또한 PEN 의 SP 치는 24.8 (Fedor 법),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의 SP 치는 20.7 (Fedor 법) 이었다.
얻어진 2 축 배향 필름 및 자기 테이프의 특성을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7>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2) 의 대신에, PEN 의 함유량을 70 중량% 에서 69 중량% 로 변경하고, 상용화제로서 옥사졸린기 함유 폴리스티렌 (닛폰 쇼쿠바이 주식회사 제조, 에포크로스 RPS-1005, SP 치 22.2 (Fedor 법)) 을 1 중량% 첨가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5) 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였다. 또한 PEN 의 SP 치는 24.8 (Fedor 법),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의 SP 치는 20.7 (Fedor 법) 이었다.
얻어진 2 축 배향 필름 및 자기 테이프의 특성을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2>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1) 의 대신에,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 (이데미츠 석유 화학 주식회사 제조, 그레이드 ; 130ZC) 의 함유량을 10 중량% 에서 70 중량% 로 변경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6) 을 사용하고, 또한 연신 배율을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였다.
얻어진 2 축 배향 필름 및 자기 테이프의 특성을 표 1 에 나타낸다.
Figure 112006061517875-pct00002
<실시예 8>
나프탈렌-2,6-디카르복실산디메틸 및 에틸렌글리콜을 아세트산망간의 존재하,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실시한 후, 트리에틸포스포노아세테이트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3산화안티몬을 첨가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중축합시켜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수지 (PEN) 를 얻었다. 본 수지 중의 각 원소의 농도를 원자 흡광법에 의해 측정한 결과, Mn=50ppm, Sb=300ppm, P=50ppm 이었다.
얻어진 PEN (고유 점도 0.62) 90 중량% 와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 (이데미츠 석유 화학 주식회사 제조, 그레이드 ; 130ZC) 10 중량% 를 균일하게 블랜드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7) 을 180℃ 에서 6 시간 건조시킨 후, 300℃ 로 가열된 압출기에 공급하고, 290℃ 의 다이스로부터 시트 형상으로 성형하였다. 추가로, 이 시트를 표면 온도 60℃ 의 냉각 드럼에서 냉각 고화시킨 미연신 필름을 140℃ 로 가열한 롤군으로 인도하고, 길이 방향 (종 방향) 으로 3.6 배로 연신한 후, 60℃ 의 롤군에서 냉각시켰다.
계속해서, 종연신한 필름의 양단을 클립으로 유지하면서 텐터로 인도하고, 횡 연신 최고 온도가 150℃ 로 가열된 분위기 중에서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 (횡 방향) 으로 4.0 배로 연신하였다. 그 후 텐터 내에서, 220℃ 에서 5 초간 열 고정을 실시하고, 추가로 200℃ 에서 1% 열 이완을 실시한 후, 균일하게 제냉(除冷)하고, 실온까지 냉각하여, 5㎛ 두께의 2 축 배향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영률은 종 방향 6.0GPa, 횡 방향 6.5GPa 이었다.
얻어진 2 축 배향 필름의 편면에 알루미늄을 500Å 진공 증착하고, 4.5mm 폭의 테이프 형상으로 권취 릴로 하였다. 얻어진 릴을 겹쳐서 권회하여, 권회체를 얻은 후, 150℃, 1MPa 에서 5 분간 프레스 하여, 양 단면에 메탈리콘을 용사하여 외부 전극으로 하고, 메탈리콘에 리드선을 용접하여 권회형 필름 콘덴서를 작성하였다.
사용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a), 폴리올레핀 (b) 의 특성 및 얻어진 2 축 배향 필름 그리고 콘덴서의 특성을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9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7) 의 대신에,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 (이데미츠 석유 화학 주식회사 제조, 그레이드 ; 130ZC) 의 함유량을 10 중량% 에서 30 중량% 로 변경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8) 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8 과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였다.
얻어진 2 축 배향 필름 및 필름 콘덴서의 특성을 표 2 에 나타낸다.
<참고예>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7) 의 대신에, PEN 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PET) 로 변경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9) 을 사용하고, 170℃ 에서 3 시간 건조시킨 후, 280℃ 로 가열된 압출기에 공급하고, 290℃ 의 다이스에서 시트 형상으로 성형하였다. 추가로 이 시트를 표면 온도 20℃ 의 냉각 드럼에서 냉각 고화시킨 미연신 필름을 90℃ 로 가열한 롤군으로 인도하고, 길이 방향 (종 방향) 으로 3.6 배로 연신한 후, 20℃ 의 롤군에서 냉각시켰다.
계속해서, 종 연신한 필름의 양 단을 클립으로 유지하면서 텐터로 인도하고, 횡연신 최고 온도가 120℃ 로 가열된 분위기 중에서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 (횡 방향) 으로 4.0 배로 연신하였다. 그 후 텐터 내에서, 220℃ 에서 5 초간 열 고정을 실시하고, 추가로 200℃ 에서 1% 열 이완을 실시한 후, 균일하게 제냉하고, 실온까지 냉각하여, 5㎛ 두께의 2 축 배향 필름을 얻었다.
사용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a), 폴리올레핀 (b) 의 특성 및 얻어진 2 축 배향 필름 그리고 필름 콘덴서의 특성을 표 2 에 나타낸다.
<비교예 3>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7) 의 대신에, PEN 을 100 중량% 사용하고,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을 사용하지 않았던 것 외에는, 실시예 8 과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였다.
얻어진 2 축 배향 필름 및 필름 콘덴서의 특성을 표 2 에 나타낸다.
<비교예 4>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9) 의 대신에, PET 를 100 중량% 사용하고,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을 사용하지 않았던 것 외에는, 참고예와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였다.
얻어진 2 축 배향 필름 및 필름 콘덴서의 특성을 표 2 에 나타낸다.
<비교예 5>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7) 의 대신에,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 (이데미츠 석유 화학 주식회사 제조, 그레이드 ; 130ZC) 의 함유량을 10 중량% 에서 90 중량% 로 변경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10) 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8 과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였다.
얻어진 2 축 배향 필름 및 필름 콘덴서의 특성을 표 2 에 나타낸다.
Figure 112011083649613-pct00010
<실시예 11>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7) 의 대신에, PEN 의 함유량을 90 중량% 에서 89 중량% 로 변경하고, 상용화제로서 옥사졸린기 함유 폴리스티렌 (닛폰 쇼쿠바이 주식회사 제조, 에포크로스 RPS-1005, SP 치 22.2 (Fedor 법)) 을 1 중량% 첨가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11) 을 사용하고, 또한 필름 두께를 5.0㎛ 에서 3.0㎛ 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8 과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였다. 또한, PEN 의 SP 치는 24.8 (Fedor 법),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의 SP 치는 20.7 (Fedor 법) 이었다.
얻어진 2 축 배향 필름의 특성을 표 3 에 나타낸다.
<실시예 12>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11) 의 대신에, PEN 의 함유량을 89 중량% 에서 79 중량% 로 변경하고,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 (이데미츠 석유 화학 주식회사 제조, 그레이드 ; 130ZC) 의 함유량을 10 중량% 에서 20 중량% 로 변경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12) 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1 과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였다.
얻어진 2 축 배향 필름의 특성을 표 3 에 나타낸다.
<실시예 13>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11) 의 대신에,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의 종류를 메틸스티렌 10 몰% 공중합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으로 변경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c13) 을 사용하고, 또 1 축 연신 후의 필름의 편면에, D 층으로서 하기 조성의 수용성 도액을 연신 건조시킨 후의 두께가 20nm 가 되도록 도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 과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였다.
(도포층의 조성)
바인더 수지 A : 이소프탈산 공중합 PEN 50wt%
바인더 수지 B :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닛폰 소다 (주) HPC-SL) 40 중량%
계면 활성제 : 알킬노닐페닐에테르 10 중량%
얻어진 2 축 배향 필름의 특성을 표 3 에 나타낸다.
또, 얻어진 필름 샘플의 편면에 두께 600Å 의 알루미늄을 증착시킨 필름 적층체를, 한 변 1cm 의 정사각형으로 자르고, 2 매 겹쳐서 추가로 1 변 2㎝ 의 고무판에 끼우고, 2kg 의 하중을 가했다. 이 상태에서, 필름 적층체에 전압을 인가하여 절연 파괴를 발생시킨 결과, 셀프 힐링성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14>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12) 의 대신에, PEN 의 함유량을 79 중량% 에서 80 중량% 로 변경하고, 상용화제의 함유량을 1 중량% 에서 0 중량% 로 변경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13) 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2 와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였다.
3.0㎛ 두께의 2 축 배향 필름을 얻는 것을 시도하였지만, 제조시에 매우 파단이 많이 발생하였다.
<비교예 6>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11) 의 대신에, PEN 의 함유량을 89 중량% 에서 100 중량% 로 변경하고,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 및 상용화제를 사용하지 않았던 것 외에는 실시예 11 과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였다.
얻어진 2 축 배향 필름의 특성을 표 3 에 나타낸다.
Figure 112006061517875-pct00004
<실시예 15>
나프탈렌-2,6-디카르복실산디메틸 및 에틸렌글리콜을 아세트산망간의 존재하,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실시한 후, 트리에틸포스포노아세테이트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3산화안티몬을 첨가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중축합시켜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수지 (a) (이하, PEN (a) 이라고 약기한다) 를 얻었다. PEN (a) 중의 각 원소의 농도를 원자 흡광법에 의해 측정한 결과, Mn=50ppm, Sb=300ppm, P=50ppm 이었다.
얻어진 PEN (a) (고유 점도 오르토클로로페놀, 35℃) 0.62) 25 중량% 와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 (b) (이데미츠 석유 화학 주식회사 제조, 그레이드 : 130ZC) 75 중량% 를 균일하게 블랜드하여 얻어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1), PEN (a) 을, 각각 180℃ 에서 6 시간 건조시킨 후, 300℃ 로 가열된 압출기에 공급하고, 멀티 매니홀드형 공압출 다이를 사용하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1) 이 필름층 A, PEN (a) 이 필름층 B 가 되도록 다이 내에서 적층하여 압출하고, 표면 마무리 0.3 S, 표면 온도 60℃ 로 유지한 캐스팅 드럼 상에서 급냉 고화시켜, 미연신 필름을 얻었다. 또한, 필름층 A 가, 캐스팅 드럼과 접하도록 압출하고, 필름층 B 를 구성하는 PEN 에는, 중합 단계에서, 그 층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미리 평균 입자 직경 0.3㎛ 의 실리카 입자를 0.15 중량%, 평균 입자 직경 0.1㎛ 의 실리카 입자를 0.1 중량% 첨가하고, 또 필름층 A 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1) 에는, 중합 단계에서, 그 층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미리 평균 입자 직경 0.1㎛ 의 실리카 입자를 0.1 중량% 첨가하였다.
이 미연신 필름을, 연신 배율을 변경한 것 외에는, 비교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여, 2 축 배향 적층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영률은 종 방향 8GPa, 횡 방향 6.5GPa 였다. 또한, 적층 필름 중의 필름층 A 와 필름층 B 의 두께는, 토출량에 의해 조정하여, 필름층 A 가 4㎛, 필름층 B 가 2㎛ 이었다.
얻어진 2 축 배향 적층 필름에, 비교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여, 자기 테이프를 얻었다.
또한, 자성 도료는, 2 축 배향 적층 필름의 필름층 A 의 표면에, 백코트층 도료는, 2 축 배향 적층 필름의 필름층 B 의 표면에 형성하였다.
또한, 폴리올레핀이 차지하는 비율 (중량%) 은, PEN 필름의 비중 1.36g/㎤,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 필름의 비중 1.04g/㎤ 로부터 구하였다.
얻어진 2 축 배향 적층 필름 및 자기 테이프의 특성을 표 4 에 나타낸다.
<실시예 16>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1) 의 대신에,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 (이데미츠 석유 화학 주식회사 제조, 그레이드 ; 130ZC) 의 함유량을 75 중량% 에서 10 중량% 로 변경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2) 을 사용하고, 연신 배율을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15 와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였다.
얻어진 2 축 배향 적층 필름 및 자기 테이프의 특성을 표 4 에 나타낸다.
<실시예 17~19>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1) 의 대신에,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 (이데미츠 석유 화학 주식회사 제조, 그레이드 ; 130ZC) 의 함유량을 75 중량% 에서 30 중량% 로 변경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3) 을 사용하고, 연신 배율을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15 와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였다.
얻어진 2 축 배향 적층 필름 및 자기 테이프의 특성을 표 4 에 나타낸다.
<실시예 20>
필름층 B 를 구성하는 PEN 에, 중합 단계에서 미리 평균 입자 직경 0.1㎛ 의 실리카 입자를 0.1 중량% 첨가하고, 또 필름층 A 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1) 의 대신에, PEN (a) 의 함유량을 25 중량% 에서 24 중량% 로 변경하고, 상용화제로서 옥사졸린기 함유 폴리스티렌 (닛폰 쇼쿠바이 주식회사 제조, 에포크로스 RPS-1005) 를 1 중량% 첨가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4) 을 사용하고, 또 중합 단계에서, 미리 평균 입자 직경 0.3㎛ 의 실리카 입자를 0.15 중량%, 평균 입자 직경 0.1㎛ 의 실리카 입자를 0.1 중량% 첨가한 것 외에는, 실시예 15 와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였다.
또한, 자성 도료는, 2 축 배향 적층 필름의 필름층 B 의 표면에, 백코트층 도료는, 2 축 배향 적층 필름의 필름층 A 의 표면에 형성하였다.
얻어진 2 축 배향 적층 필름 및 자기 테이프의 특성을 표 4 에 나타낸다.
<실시예 21>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4) 의 대신에,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 (이데미츠 석유 화학 주식회사 제조, 그레이드 ; 130ZC) 의 함유량을 75 중량% 에서 10 중량%로 변경하고, 상용화제의 종류를 에폭시기 함유 아크릴산 공중합 폴리스티렌 (토아 합성 주식회사 제조, 아르폰 UG-4070) 으로 변경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5) 을 사용하고, 연신 배율을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20 과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였다.
얻어진 2 축 배향 적층 필름 및 자기 테이프의 특성을 표 4 에 나타낸다.
<실시예 22>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4) 의 대신에,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 (이데미츠 석유 화학 주식회사 제조, 그레이드 ; 130ZC) 의 함유량을 75 중량% 에서 30 중량%로 변경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6) 을 사용하고, 연신 배율을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20 과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였다.
얻어진 2 축 배향 적층 필름 및 자기 테이프의 특성을 표 4 에 나타낸다.
<실시예 23>
필름층 A/필름층 B 의 2 층 구성을 대신하여, 필름층 B/필름층 A/필름층 B 의 3 층 구성을 사용하고, 2 축 연신 후의 각 필름층 두께를 1.0㎛/4.0㎛/1.0㎛ 로 각각 변경하고, 연신 배율을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22 와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였다.
얻어진 2 축 배향 적층 필름 및 자기 테이프의 특성을 표 5 에 나타낸다.
<비교예 7>
PEN (a) 의 대신에,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1) 의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 (이데미츠 석유 화학 주식회사 제조, 그레이드 ; 130ZC) 의 함유량을 75 중량% 에서 70 중량% 로 변경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7) 을 사용한 것 외에는 비교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였다.
얻어진 2 축 배향 필름 및 자기 테이프의 특성을 표 5 에 나타낸다.
<비교예 8>
실시예 23 에서 얻어진 미연신 필름을 필름의 제막 방향으로 5.1 배로 연신을 하고, 제막 방향으로만 연신된 1 축 배향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1 축 배향 필름의 특성을 표 5 에 나타낸다.
Figure 112006061517875-pct00005
Figure 112006061517875-pct00006
<비교예 9>
2 축 연신 후의 필름 두께를 4.5㎛ 에서 6.0㎛ 로 변경한 것 외에는 비교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였다.
얻어진 2 축 배향 필름 및 자기 테이프의 특성을 표 6 및 표 7 에 나타낸다.
<실시예 24>
평균 입자 직경 0.5㎛ 실리콘 입자를 0.02wt% 및 평균 입자 직경 0.1㎛ 의 실리카 입자를 0.3wt% 첨가한, 고유 점도 (오르토클로로페놀, 35℃) 0.62, 융점 (Tm) 269℃ 의 160℃ 에서 5 시간 건조시킨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수지 (PEN)를 필름층 B 의 수지로서 조제하였다. 또, 평균 입자 직경 0.5㎛ 실리콘 입자를 0.02wt% 및 평균 입자 직경 0.1㎛ 의 실리카 입자를 0.3wt% 첨가한, 고유 점도 (오르토클로로페놀, 35℃) 0.62, 융점 (Tm) 269℃ 의 160℃ 에서 5 시간 건조시킨 PEN 과 100℃ 에서 3 시간 건조시킨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 (B ; 이데미츠 석유 화학 주식회사 제조, 그레이드 : 130ZC) 의 중량비 50 : 50 의 혼합물인, 평균 입자 직경 0.5㎛ 실리콘 입자를 0.02wt% 및 평균 입자 직경 0.1㎛ 의 실리카 입자를 0.3wt% 첨가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8) 을 필름층 A 의 수지로서 조제하였다. 이들 필름층 A 및 B 의 폴리머를 압출기에 공급하여 용융하고, 필름층 B 의 폴리머를 25 층, 필름층 A 의 폴리머를 24 층으로 분기시킨 후, A 층과 B 층이 교대로 적층하는 다층 피드 블록 장치를 사용하여 합류시키고, 그 적층 상태를 유지한 채로 다이로 인도하고, 캐스팅 드럼 상에 캐스트하여 A 층과 B 층이 상호 적층된 총 수 49 층의 적층 미연신 시트를 작성하였다. 이 때, B 층과 A 층의 폴리머의 압출량비가 8 : 2 가 되도록 조정하고, 또한 양 표면층이 B 층이 되도록 적층시켰다. 또한, 다이로부터 압출된 적층 미연신 시트는, 표면 마무리 0.3S, 표면 온도 60℃ 로 유지한 캐스팅 드럼 상에서 급냉 고화시켜, 미연신 필름이 되었다.
이 적층 미연신 필름을, 연신 배율을 변경한 것 외에는, 비교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여, 종 방향의 영률이 8GPa, 횡 방향의 영률이 6.5GPa 인 2 축 배향 적층 필름을 얻었다. 또한, 적층 필름 중의 필름층 A 와 필름층 B 의 두께는, 토출량에 의해 조정하고, 필름층 B 는, 한 층 당 두께가 0.192㎛ 로 합계가 4.8㎛ 이고, 필름층 A 는 한 층 당 두께가 0.050㎛ 로, 필름층 A 의 두께의 합계가 1.2㎛ 이었다.
그리고, 비교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여, 자기 기록 매체를 얻었다.
또한, 폴리올레핀이 차지하는 비율 (중량%) 은, PEN 필름의 비중 1.36g/㎤,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 필름의 비중 1.04g/㎤ 로부터 구하였다.
얻어진 2 축 배향 적층 필름과 자기 테이프의 특성을 표 6 에 나타낸다.
<실시예 25>
실시예 24 에 있어서, 필름층 A 및 필름층 B 의 수지에 함유되는 불활성 입자를, 평균 입자 직경 0.1㎛ 의 실리카 입자 0.1 중량% 로 변경하고,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8) 을, PEN 과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의 중량비가 40 : 60 의 혼합물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9) 로 변경하고, 또한 연신 배율 및 각 층의 토출량을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24 와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여, 종 방향의 영률이 8GPa, 횡 방향의 영률이 6.5GPa, 필름층 B 의 한 층 당 두께가 0.168㎛, 필름층 B 의 두께의 합계가 4.2㎛, 필름층 A 의 한 층 당 두께가 0.075㎛, 필름층 A 의 두께의 합계가 1.8㎛ 의 2 축 배향 적층 필름을 얻었다.
그리고, 비교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여, 자기 기록 매체를 얻었다.
얻어진 2 축 배향 적층 필름과 자기 테이프의 특성을 표 6 에 나타낸다.
<실시예 26>
실시예 24 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8) 을, PEN 과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 (B) 의 중량비가 60 : 40 의 혼합물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10) 로 변경하고, 또한 연신 배율 및 각 층의 토출량을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24 와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여, 종 방향의 영률이 8GPa, 횡 방향의 영률이 6.5GPa, 필름층 B 의 한 층 당 두께가 0.120㎛, 필름층 B 의 두께의 합계가 3.0㎛, 필름층 A 의 한 층 당 두께가 0.125㎛, 필름층 A 의 두께의 합계가 3.0㎛ 의 2 축 배향 적층 필름을 얻었다.
그리고, 비교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여, 자기 기록 매체를 얻었다.
얻어진 2 축 배향 적층 필름과 자기 테이프의 특성을 표 6 에 나타낸다.
<실시예 27>
실시예 24 에 있어서, 연신 배율 및 각 층의 토출량, 층 수를 필름층 B 층이 9 층, 필름층 A 가 8 층으로 양단에 필름층 B 가 배치되도록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24 와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여, 종 방향의 영률이 8GPa, 횡 방향의 영률이 6.5GPa, 필름층 B 의 한 층 당 두께가 0.333㎛, 필름층 B 의 두께의 합계가 3.0㎛,필름층 A 의 한 층 당 두께가 0.375㎛, 필름층 A 의 두께의 합계가 3.0㎛ 인 2 축 배향 적층 필름을 얻었다.
그리고, 비교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여, 자기 기록 매체를 얻었다.
얻어진 2 축 배향 적층 필름과 자기 테이프의 특성을 표 6 에 나타낸다.
<실시예 28>
실시예 24 에 있어서, 연신 배율 및 각 층의 토출량, 층 수를 필름층 B 가 49 층, 필름층 A 가 48 층으로 양단에 필름층 B 가 배치되도록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24 와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여, 종 방향의 영률이 8GPa, 횡 방향의 영률이 6.5GPa, 필름층 B 의 한 층 당 두께가 0.037㎛, 필름층 B 의 두께의 합계가 1.8㎛, 필름층 A 의 한 층 당 두께가 0.088㎛ , 필름층 A 의 두께의 합계가 4.2㎛ 인 2 축 배향 적층 필름을 얻었다.
그리고, 비교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여, 자기 기록 매체를 얻었다.
얻어진 2 축 배향 적층 필름과 자기 테이프의 특성을 표 6 에 나타낸다.
<실시예 29>
실시예 26 에 있어서, 연신 배율 및 각 층의 토출량을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24 와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여, 종 방향의 영률이 8GPa, 횡 방향의 영률이 8 GPa 인 2 축 배향 적층 필름을 얻었다.
그리고, 비교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여, 자기 기록 매체를 얻었다.
얻어진 2 축 배향 적층 필름과 자기 테이프의 특성을 표 6 에 나타낸다.
<실시예 30>
실시예 26 에 있어서, 연신 배율 및 각 층의 토출량을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24 와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여, 종 방향의 영률이 5.5GPa, 횡 방향의 영률이 12GPa 의 2 축 배향 적층 필름을 얻었다.
그리고, 비교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여, 자기 기록 매체를 얻었다.
얻어진 2 축 배향 적층 필름과 자기 테이프의 특성을 표 6 에 나타낸다.
<비교예 10>
실시예 24 에 있어서, 필름층 A 및 필름층 B 의 수지에 함유되는 불활성 입자를, 평균 입자 직경 1.2㎛ 의 실리콘 입자 0.02 중량% 및 평균 입자 직경 0.1㎛ 의 실리카 입자 0.4 중량% 로 변경하고, 열가소성 수지 (c'8) 를,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 (b)만으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11) 로 변경하고, 또한 연신 배율 및 각 층의 토출량을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24 와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여, 종 방향의 영률이 8GPa, 횡 방향의 영률이 6.5GPa, 필름층 B 의 한 층 당 두께가 0.072㎛, 필름층 B 의 두께의 합계가 1.8㎛, 필름층 A 의 한 층 당 두께가 0.175㎛, 필름층 A 의 두께의 합계가 4.2㎛ 의 2 축 배향 적층 필름을 얻었다.
그리고, 비교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여, 자기 기록 매체를 얻었다.
얻어진 2 축 배향 적층 필름과 자기 테이프의 특성을 표 6 에 나타낸다.
Figure 112006061517875-pct00007
<실시예 31>
평균 입자 직경 0.5㎛ 실리콘 입자를 0.02wt% 및 평균 입자 직경 0.1㎛ 의 실리카 입자를 0.3wt% 첨가한, 고유 점도 (오르토클로로페놀, 35℃) 0.62, 융점 (Tm) 269℃ 의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수지 (PEN) 를 필름 B 의 수지로서 조제하였다. 또 평균 입자 직경 0.5㎛ 실리콘 입자를 0.02wt% 및 평균 입자 직경 0.1㎛ 의 실리카 입자를 0.3wt% 첨가한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 (이데미츠 석유 화학 주식회사 제조, 그레이드 : 130ZC) 을 필름층 C 의 수지로서 조제하였다. 필름층 B 의 폴리머를 160℃ 에서 3 시간, 필름층 C 의 폴리머를 100℃ 에서 3 시간 건조시킨 후, 압출기에 공급하여 용융하고, 필름층 B 의 폴리머를 25 층, 필름층 C 의 폴리머를 24 층에 분기시킨 후, B 층과 C 층이 교대로 적층하는 다층 피드 블록 장치를 사용하여 합류시키고, 그 적층 상태를 유지한 채로 다이로 인도하고, 캐스팅 드럼 상에 캐스트하여 B 층과 C 층이 교대로 적층된 총 수 49 층의 적층 미연신 시트를 작성하였다. 이 때, B 층과 C 층의 폴리머의 압출량비가 9 : 1 이 되도록 조정하고, 또한 양표면층이 B 층이 되도록 적층시켰다. 또한, 다이로부터 압출된 적층 미연신 시트는, 표면 마무리 0.3S, 표면 온도 60℃ 로 유지한 캐스팅 드럼 상에서 급냉 고화시켜, 미연신 필름이 되었다.
이 적층 미연신 필름을, 연신 배율을 변경한 것 외에는, 비교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여, 종 방향의 영률이 8GPa, 횡 방향의 영률이 6.5GPa 의 2 축 배향 적층 필름을 얻었다. 또한, 적층 필름 중의 필름층 B 와 필름층 C 의 두께는, 토출량에 의해 조정하고, 필름층 B 는, 한 층 당 두께가 0.216㎛ 로 합계가 5.4㎛ 이고, 필름층 C 는, 한 층 당 두께가 0.025㎛ 로 합계가 0.6㎛ 이었다.
그리고, 비교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여, 자기 기록 매체를 얻었다.
또한, 폴리올레핀이 차지하는 비율 (중량%) 은, PEN 필름의 비중 1.36g/㎤,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 필름의 비중 1.04g/㎤ 로부터 구하였다.
얻어진 2 축 배향 적층 필름과 자기 테이프의 특성을 표 7 에 나타낸다.
<실시예 32>
실시예 31 에 있어서, 필름층 B 및 필름층 C 의 수지에 함유되는 불활성 입자를, 평균 입자 직경 0.1㎛ 의 실리카 입자 0.1 중량% 로 변경하고, 또한 연신 배율 및 각 층의 토출량을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31 과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여, 종 방향의 영률이 8GPa, 횡 방향의 영률이 6.5GPa, 필름층 B 의 한 층 당 두께가 0.168㎛, 필름층 B 의 두께의 합계가 4.2㎛, 필름층 C 의 한 층 당 두께가 0.075㎛, 필름층 B 의 두께의 합계가 1.8㎛ 의 2 축 배향 적층 필름을 얻었다.
그리고, 비교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여, 자기 기록 매체를 얻었다.
얻어진 2 축 배향 적층 필름과 자기 테이프의 특성을 표 7 에 나타낸다.
<실시예 33>
실시예 31 에 있어서, 연신 배율 및 각 층의 토출량을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31 과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여, 종 방향의 영률이 8GPa, 횡 방향의 영률이 6.5GPa, 필름층 B 의 한 층 당 두께가 0.120㎛, 필름층 B 의 두께의 합계가 3.0㎛, 필름층 C 의 한 층 당 두께가 0.125㎛, 필름층 B 의 두께의 합계가 3.0㎛ 의 2 축 배향 적층 필름을 얻었다.
그리고, 비교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여, 자기 기록 매체를 얻었다.
얻어진 2 축 배향 적층 필름과 자기 테이프의 특성을 표 7 에 나타낸다.
<실시예 34>
실시예 31 에 있어서, 연신 배율 및 각 층의 토출량, 층 수를 필름층 B 가 9층, 필름층 C 가 8 층으로 양단에 필름층 B 가 배치되도록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31 과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여, 종 방향의 영률이 8GPa, 횡 방향의 영률이 6.5GPa, 필름층 B 의 한 층 당 두께가 0.533㎛, 필름층 B 의 두께의 합계가 4.8㎛, 필름층 C 의 한 층 당 두께가 0.15㎛, 필름층 C 의 두께의 합계가 1.2㎛ 의 2 축 배향 적층 필름을 얻었다.
그리고, 비교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여, 자기 기록 매체를 얻었다.
얻어진 2 축 배향 적층 필름과 자기 테이프의 특성을 표 7 에 나타낸다.
<실시예 35>
실시예 31 에 있어서, 연신 배율 및 각 층의 토출량, 층 수를 필름층 B 층이 49 층, 필름층 C 가 48 층으로 양단에 필름층 B 가 배치되도록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31 과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여, 종 방향의 영률이 8GPa, 횡 방향의 영률이 6.5GPa, 필름층 B 의 한 층 당 두께가 0.073㎛, 필름층 B 의 두께의 합계가 3.6㎛, 필름층 C 의 한 층 당 두께가 0.050㎛, 필름층 C 의 두께의 합계가 2.4㎛ 의 2 축 배향 적층 필름을 얻었다.
그리고, 비교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여, 자기 기록 매체를 얻었다.
얻어진 2 축 배향 적층 필름과 자기 테이프의 특성을 표 7 에 나타낸다.
<실시예 36>
연신 배율 및 각 층의 토출량을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32 와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여, 종 방향의 영률이 8GPa, 횡 방향의 영률이 8GPa 의 2 축 배향 적층 필름을 얻었다.
그리고, 비교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여, 자기 기록 매체를 얻었다.
얻어진 2 축 배향 적층 필름과 자기 테이프의 특성을 표 7 에 나타낸다.
<실시예 37>
연신 배율 및 각 층의 토출량을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32 와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여, 종 방향의 영률이 5.5GPa, 횡 방향의 영률이 12GPa 의 2 축 배향 적층 필름을 얻었다.
그리고, 비교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여, 자기 기록 매체를 얻었다.
얻어진 2 축 배향 적층 필름과 자기 테이프의 특성을 표 7 에 나타낸다.
<비교예 11>
실시예 31 에 있어서, 필름층 B 의 수지에 함유되는 불활성 입자를, 평균 입자 직경 1.2㎛ 의 실리콘 입자 0.02 중량% 및 평균 입자 직경 0.1㎛ 의 실리카 입자 0.4 중량% 로 변경하고, 또한 연신 배율 및 각 층의 토출량을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31과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여, 종 방향의 영률이 8GPa, 횡 방향의 영률이 6.5GPa, 필름층 B 의 한 층 당 두께가 0.072㎛, 필름층 B 의 두께의 합계가 1.8㎛, 필름층 C 의 한 층 당 두께가 0.175㎛, 필름층 C 의 두께의 합계가 4.2㎛ 의 2 축 배향 적층 필름을 얻었다.
그리고, 비교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여, 자기 기록 매체를 얻었다.
얻어진 2 축 배향 적층 필름과 자기 테이프의 특성을 표 7 에 나타낸다.
Figure 112006061517875-pct00008
<실시예 38>
불활성 입자로서 평균 입자 직경 0.3㎛ 의 구상(球狀) 실리카를 0.1 중량% 로 변경한 것 외에는 비교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수지 (PEN) 를 얻었다. 얻어진 PEN (고유 점도 0.62) 을, 180℃ 에서 6 시간 건조시킨 후, 300℃ 로 가열된 압출기에 공급하였다. 한편, 폴리올레핀 (b) 으로서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 (이데미츠 화학 주식회사 제조, 그레이드 ; 130ZC) 을 280℃ 로 가열된 타방의 압출기에 공급하고, 각각 용융한 상태에서, 다이 내부에 있어서 PEN 층 B 와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층 C 를 교대로 B/C/B…B/C/B 로 표시되는 49 층에 적층하고, 이러한 적층 구조를 유지한 상태에서 다이스에서 시트 형상으로 성형하였다. 추가로 이 시트를 표면 온도 60℃ 의 냉각 드럼에서 냉각 고화시킨 미연신 필름을 140℃ 로 가열한 롤군으로 인도하고, 길이 방향 (종 방향) 으로 3.6 배로 연신한 후, 60℃ 의 롤군에서 냉각시켰다.
계속해서, 종 연신한 필름의 양단을 클립으로 유지하면서 텐터로 인도하고, 횡 연신 최고 온도가 150℃ 로 가열된 분위기 중에서 길이 방향으로 수직인 방향 (횡 방향) 으로 4.0 배로 연신하였다. 그 후 텐터 내에서, 220℃ 에서 5 초간 열 고정을 실시하고, 추가로 200℃ 에서 1% 열 이완을 실시한 후, 균일하게 제냉하고, 실온까지 냉각하여, 5㎛ 두께의 2 축 배향 적층 필름을 얻었다. 또한, 각 층의 평균 두께는 0.1㎛ 이었다.
폴리올레핀이 차지하는 비율 (중량%) 은, PEN 필름의 비중 1.36g/㎤,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 필름의 비중 1.04g/㎤ 로부터 구한다.
사용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a) 및 폴리올레핀 (b) 의 특성 및 얻어진 2 축 배향 적층 필름의 특성을 표 8 에 나타낸다.
<실시예 39>
적층 구조를, 49 층으로부터 B/C/B/C/B 로 표시되는 5 층 구조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38 과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여, 5㎛ 두께의 2 축 배향 적층 필름을 얻었다. 또한, 각 층의 평균 두께는 1㎛ 이었다.
얻어진 2 축 배향 적층 필름의 특성을 표 8 에 나타낸다.
<실시예 40>
PEN 층 B 와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층 C 의 적층 구성을 49 층에서 B/C 로 표시되는 2 층으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38 과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여, 5㎛ 두께의 2 축 배향 필름을 얻었다. 또한, 각 층의 평균 두께는, B 층은 3㎛, C 층은 2㎛ 이었다.
얻어진 2 축 배향 필름의 특성을 표 8 에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필름은, 내열성, 절연 파괴 전압은 만족하지만, 컬이 발생하고, 필름에 층간 박리가 보였다.
<비교예 12>
적층 구성을 PEN 층 B 의 1 층으로 변경하고,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층 C 를 적층하지 않은 것 외에는, 실시예 38 과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여, 5㎛ 두께의 2 축 배향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2 축 배향 필름의 특성을 표 8 에 나타낸다.
<비교예 13>
비교예 12 의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수지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변경하고, 170℃ 에서 3 시간 건조시킨 후, 280℃ 로 가열된 압출기에 공급하고, 290℃ 의 다이스에서 시트 형상으로 성형하였다. 추가로 이 시트를 표면 온도 20℃ 의 냉각 드럼으로 냉각 고화시킨 미연신 필름을 90℃ 로 가열한 롤군으로 인도하고, 길이 방향 (종 방향) 으로 3.6 배로 연신한 후, 20℃ 의 롤군에서 냉각시켰다.
계속해서, 종연신한 필름의 양단을 클립으로 유지하면서 텐터로 인도하고, 횡 연신 최고 온도가 120℃ 로 가열된 분위기 중에서 길이 방향으로 수직인 방향 (횡 방향) 으로 4.0 배로 연신하였다. 그 후 텐터 내에서 220℃ 에서 5 초간 열고정을 실시하고, 추가로 200℃ 에서 1% 열 이완을 실시한 후, 균일하게 제냉하여,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5㎛ 두께의 2 축 배향 필름을 얻었다.
사용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a) 의 특성 및 얻어진 2 축 배향 필름의 특성을 표 8 에 나타낸다.
Figure 112006061517875-pct00009

Claims (24)

  1.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a) 와 230~280℃ 의 융점을 가지는 신디오택틱 스티렌계 중합체 (b) 로 이루어지는 단층 또는 적층의 2 축 배향 필름으로서,
    그 신디오택틱 스티렌계 중합체 (b) 가 차지하는 비율이 필름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60 중량% 의 범위에 있고, 필름 두께가 1~10㎛ 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축 배향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2 축 배향 필름이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a) 와 신디오택틱 스티렌계 중합체 (b) 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 로 이루어지는 단층 필름인 2 축 배향 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2 축 배향 필름이 적층 필름으로서, 그 적어도 1 층이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a) 와 신디오택틱 스티렌계 중합체 (b) 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 로 이루어지는 필름층 A 이고, 그 적어도 편면에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a) 로 이루어지는 필름층 B 가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2 축 배향 필름.
  4. 제 3 항에 있어서,
    필름층 A 가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a) 5~95 중량% 와 신디오택틱 스티렌계 중합체 (b) 5~95 중량% 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 로 이루어지고, 또한, 그 필름층 A 의 두께가 적층 필름의 두께에 대해서, 5~95% 의 범위인 2 축 배향 필름.
  5. 제 1 항에 있어서,
    2 축 배향 필름이 적층 필름으로서, 그 적어도 1 층이 신디오택틱 스티렌계 중합체 (b) 로 이루어지는 필름층 C 이고, 그 적어도 편면에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a) 로 이루어지는 필름층 B 가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2 축 배향 필름.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신디오택틱 스티렌계 중합체 (b) 가 유전율 3.0 미만, 유전 손실 0.001 미만의 적어도 어느 1 개의 특성을 가지는 2 축 배향 필름.
  8. 삭제
  9.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 로 이루어지는 필름층 중의 신디오택틱 스티렌계 중합체 (b) 가 도상(島狀)으로 분산되어 있고, 또한 그 MD 방향의 평균 길이가 20㎛ 이하인 2 축 배향 필름.
  10. 제 9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 이 추가로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a) 와 신디오택틱 스티렌계 중합체 (b) 의 중간의 용해성 파라미터를 가지는 열가소성 비정성(非晶性) 수지 (d) 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1~10 중량% 함유하는 2 축 배향 필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비정성 수지 (d) 가 아크릴산 공중합 폴리올레핀 또는 비닐옥사졸린 공중합 폴리올레핀계 수지인 2 축 배향 필름.
  12. 제 3 항에 있어서,
    필름층 A 의 양면에 필름층 B 가 적층된 3 층으로 이루어지는 2 축 배향 필름.
  13. 제 3 항에 있어서,
    필름층 A 와 필름층 B 가 전체 층 수로 적어도 4 층 적층된 2 축 배향 필름.
  14. 제 5 항에 있어서,
    필름층 C 의 양면에 필름층 B 가 적층된 3 층으로 이루어지는 2 축 배향 필름.
  15. 제 5 항에 있어서,
    필름층 C 와 필름층 B 가 전체 층 수로 적어도 4 층 적층된 2 축 배향 필름.
  16. 제 1 항에 있어서,
    필름의 폭 방향의 습도 팽창 계수가 0.1×10-6~13×10-6%/RH% 의 범위에 있는 2 축 배향 필름.
  17. 제 1 항에 있어서,
    필름의 폭 방향의 온도 팽창 계수가 -5×10-6~15×10-6%/℃ 의 범위에 있는 2 축 배향 필름.
  18. 제 1 항에 있어서,
    필름의 MD 방향 및 폭 방향의 영률이 모두 5GPa 이상이고, 또한 양자의 합계가 22GPa 이하인 2 축 배향 필름.
  19. 제 1 항 또는 제 16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기 기록 매체의 베이스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2 축 배향 필름.
  20. 제 1 항 또는 제 16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2 축 배향 필름과, 그 편면에 형성된 자성(磁性)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 매체.
  21. 제 1 항에 있어서,
    절연 파괴 전압이 400V/㎛ 를 초과하고, 또한 내열 온도가 110℃ 이상인 2 축 배향 필름.
  22. 제 1 항, 제 16 항 또는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름 콘덴서의 베이스 필름으로 사용하는 2 축 배향 필름.
  23. 제 1 항, 제 16 항 또는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2 축 배향 필름과, 그 적어도 편면에 형성된 산소 원자 함유 화합물을 함유하는 층 D 로 이루어지고, 또한 필름 전체 두께에 대한 층 D 의 두께가 30% 이하이고, X 선 광 전자 분광법에 의해 측정한, 층 D 표면에 있어서의 산소 원자/탄소 원자 비가 1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콘덴서.
  24. 제 1 항, 제 16 항 또는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2 축 배향 필름과, 그 적어도 편면에 형성된 금속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콘덴서.
KR1020067017318A 2004-01-29 2005-01-28 2 축 배향 필름 KR1011537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21049 2004-01-29
JP2004021049A JP4220910B2 (ja) 2004-01-29 2004-01-29 コンデンサー用2軸延伸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れからなるフィルムコンデンサー
JP2004021045A JP4778683B2 (ja) 2004-01-29 2004-01-29 2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れからなるフィルムコンデンサー
JPJP-P-2004-00021045 2004-01-29
JPJP-P-2004-00146247 2004-05-17
JP2004146245 2004-05-17
JPJP-P-2004-00146244 2004-05-17
JPJP-P-2004-00146245 2004-05-17
JP2004146247 2004-05-17
JP2004146244A JP4220933B2 (ja) 2004-05-17 2004-05-17 二軸配向積層フィルムおよび磁気記録媒体
PCT/JP2005/001639 WO2005073318A1 (ja) 2004-01-29 2005-01-28 二軸配向フィ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1155A KR20070001155A (ko) 2007-01-03
KR101153758B1 true KR101153758B1 (ko) 2012-06-13

Family

ID=34831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7318A KR101153758B1 (ko) 2004-01-29 2005-01-28 2 축 배향 필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067105B2 (ko)
EP (1) EP1712592B1 (ko)
KR (1) KR101153758B1 (ko)
DE (1) DE602005017008D1 (ko)
TW (1) TW200538507A (ko)
WO (1) WO20050733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005017008D1 (de) * 2004-01-29 2009-11-19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Biaxial orientierte folie
JP5027406B2 (ja) * 2005-12-01 2012-09-19 帝人株式会社 改質ポリエチレンナフタレート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EP1983512A4 (en) * 2006-02-09 2009-02-25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AND MEGNETIC RECORDING TAPE
ATE551705T1 (de) * 2007-06-21 2012-04-15 Teijin Ltd Isolierfolie
US20090045544A1 (en) * 2007-08-14 2009-02-19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for manufacturing ultra-thin polymeric films
WO2009053470A1 (en) * 2007-10-24 2009-04-30 Queen Mary And Westfield College, University Of London Conductive polymer composite
EP2264087B1 (en) * 2008-03-26 2014-08-13 Teijin Limited Film for reinforcing electrolyte membrane of solid polymer fuel cell
EP2108673A1 (en) 2008-04-11 2009-10-14 DuPont Teijin Films U.S. Limited Partnership Plastic film having a high breakdown voltage
US8722761B2 (en) 2008-04-30 2014-05-1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lastic surfaces having improved surface characteristics
ES2393595T3 (es) * 2008-04-30 2012-12-26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uperficies de plástico con características de superficie mejoradas
JP5614746B2 (ja) * 2009-03-06 2014-10-29 国立大学法人群馬大学 超高分子量ポリエチレン製フィルムの製造方法
US8609264B2 (en) * 2009-05-15 2013-12-17 Toray Industries, Inc.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and magnetic recording medium
JP2012046734A (ja) * 2010-07-30 2012-03-08 Fujifilm Corp ポリエステルシートの製造方法、並びに、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
WO2013001269A1 (en) 2011-06-30 2013-01-03 Dupont Teijin Films U.S. Limited Partnership Dimensionally stable multi-layer polyester films
CN102744941A (zh) * 2012-07-25 2012-10-24 江苏双星彩塑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超薄抗静电型电容器用pet薄膜及其制备方法
WO2015125928A1 (ja) * 2014-02-21 2015-08-27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内蔵キャパシタ層形成用銅張積層板、多層プリント配線板及び多層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WO2016063840A1 (ja) * 2014-10-20 2016-04-28 東レ株式会社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EP3291265A4 (en) * 2015-04-30 2018-12-19 Oji Holdings Corporation Film for capacitor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DE102017114647A1 (de) * 2017-06-30 2019-01-03 Brückner Maschinenbau GmbH & Co. KG Biaxial verstreckte Kunststofffolie für Folienkondensatoren, insbesondere für Hochtemperaturkondensatoren
US11037592B2 (en) * 2017-12-07 2021-06-15 Toyobo Co., Ltd. Resin film with controlled youngs modulus
EP4320635A2 (en) * 2021-04-07 2024-02-14 Kemet Electronics Corporation Overmolded film capacit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377A (ja) * 1997-06-27 1999-01-19 Toyobo Co Ltd 微細空洞含有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2000230065A (ja) * 1998-12-08 2000-08-22 Toyobo Co Ltd 空洞含有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US6287680B1 (en) * 1998-12-08 2001-09-11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Porous polyester film

Family Cites Families (6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5322A (ja) * 1983-04-20 1984-11-06 Toray Ind Inc 磁気デイスク
GB8512688D0 (en) * 1985-05-20 1985-06-26 Ici Plc Polymeric film
US5166238A (en) 1986-09-22 1992-11-24 Idemitsu Kosan Co., Ltd. Styrene-based resin composition
JPH0690785B2 (ja) 1986-05-06 1994-11-14 帝人株式会社 磁気記録媒体用ベ−スフイルム
JP2828982B2 (ja) 1988-01-14 1998-11-25 出光興産株式会社 フィルム,シートまたはテー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093768A (en) * 1987-09-14 2000-07-25 Idemitsu Kosan Co., Ltd. Syndiotactic styrene resin, thermoplastic resin and rubber
US4824629A (en) * 1988-02-04 1989-04-25 The Dow Chemical Company Process for preparing an oriented crystalline syndiotactic vinylaromatic polymer
US5004649A (en) * 1988-04-13 1991-04-02 Idemitsu Kosan Co., Ltd. Resin laminates and a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US5145950A (en) * 1988-08-31 1992-09-08 Idemitsu Kosan Co., Ltd. Method of storing food or plant materials by wrapping with a stretched syndiotactic polystyrene film
US5089353A (en) * 1988-10-14 1992-02-18 Kuraray Co., Ltd. Multi-layer material having gas barrier properties
JP2812971B2 (ja) * 1989-01-24 1998-10-22 出光興産株式会社 押出成形用材料及び成形品の製造方法
US5270353A (en) * 1989-02-10 1993-12-14 Idemitsu Kosan Co., Ltd. Resin composition
JPH063267B2 (ja) * 1989-07-27 1994-01-12 テルモ株式会社 多方活栓
JP2885432B2 (ja) 1989-08-31 1999-04-26 出光興産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EP0440817B1 (en) * 1989-08-31 1996-07-10 Idemitsu Kosan Company Limited Magnetic recording medium
JP2866673B2 (ja) 1989-08-31 1999-03-08 出光興産株式会社 磁気記録媒体
JP2996472B2 (ja) * 1989-10-09 1999-12-27 出光興産株式会社 電気絶縁用フィルム及びコンデンサ
US5188930A (en) * 1989-10-18 1993-02-23 Idemitsu Kosan Co., Ltd. Photographic film of syndiotactic styrene polymer
JP2866751B2 (ja) * 1991-01-10 1999-03-08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積層体及び粘着テープ
JP3056575B2 (ja) 1992-02-06 2000-06-26 帝人株式会社 ポリエチレン―2,6―ナフタレートフィルム
JP3534421B2 (ja) * 1992-03-30 2004-06-07 出光興産株式会社 スチレン系樹脂積層体及びその成形体
JP3456544B2 (ja) * 1993-11-19 2003-10-14 出光興産株式会社 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
JPH07320975A (ja) * 1994-05-26 1995-12-08 Toray Ind Inc コンデンサー用ポリエチレンナフタレートフィルム
JP3300165B2 (ja) 1994-06-27 2002-07-08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微細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839741A (ja) 1994-08-02 1996-02-13 Toyobo Co Ltd 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コンデンサ
JPH0848008A (ja) * 1994-08-04 1996-02-20 Toyobo Co Ltd 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コンデンサ
JPH08129247A (ja) 1994-11-01 1996-05-21 Konica Corp ハロゲン化銀写真感光材料用支持体
US6004664A (en) * 1994-11-02 1999-12-21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Film having fine voids and manufacture thereof
JPH08157615A (ja) * 1994-12-02 1996-06-18 Idemitsu Petrochem Co Ltd ポリスチレン系延伸フィルム及びポリスチレン系延伸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H08157614A (ja) * 1994-12-02 1996-06-18 Idemitsu Petrochem Co Ltd ポリスチレン系延伸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写真用フィルム,製版用フィルム,ohp用フィルム
KR100370450B1 (ko) * 1994-12-07 2003-04-08 이데미쓰세끼유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스티렌계수지조성물및폴리스티렌계연신막
US5773125A (en) * 1994-12-20 1998-06-30 Fuji Photo Film Co., Ltd. Syndiotactic styrenic polymer film,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the same and photographic material
JPH08176329A (ja) 1994-12-22 1996-07-09 Toyobo Co Ltd 空洞含有ポリエステル系樹脂フィルムまたはシート
JPH08222477A (ja) * 1995-02-09 1996-08-30 Toray Ind Inc コンデンサー用ポリエチレンナフタレートフィルム
KR100390695B1 (ko) * 1995-05-29 2004-06-16 도요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신디오택틱 구조를 갖는 배향성 폴리스티렌계 필름
US5525667A (en) * 1995-08-02 1996-06-11 Tenneco Plastics, Inc. Polymer orientation
JP3405863B2 (ja) 1995-08-11 2003-05-12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易引裂き性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590705B1 (en) 1996-02-29 2003-07-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ptical film with co-continuous phases
JPH1011734A (ja) * 1996-06-27 1998-01-16 Fuji Photo Film Co Ltd 磁気記録媒体
SG76565A1 (en) 1997-10-14 2000-11-21 Toray Industries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s and their production methods
JP3812178B2 (ja) 1997-11-18 2006-08-23 東レ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EP0982115B1 (en) 1997-12-11 2003-09-10 Teijin Limited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for magnetic recording media
JPH11315153A (ja) 1998-02-12 1999-11-16 Toray Ind Inc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1322970A (ja) 1998-05-19 1999-11-26 Mitsubishi Kagaku Polyester Film Kk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0000946A (ja) 1998-06-15 2000-01-07 Mitsubishi Polyester Film Copp 二軸配向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0006351A (ja) 1998-06-24 2000-01-11 Sumitomo Chem Co Ltd 積層フィルム、並びに、磁気記録媒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390025B2 (ja) 1998-08-03 2009-12-24 東レ株式会社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0173855A (ja) 1998-12-10 2000-06-23 Mitsubishi Polyester Film Copp コンデンサー用ポリエチレン−2,6−ナフタレートフィルム
JP3678607B2 (ja) 1999-05-24 2005-08-03 帝人株式会社 多層積層延伸フィルム
DE60015062T2 (de) 1999-06-14 2006-03-09 Teijin Ltd. Biaxial orientierte polyesterfolie und magnetisches aufzeichnungsmedium
JP2001034931A (ja) 1999-07-21 2001-02-09 Mitsubishi Polyester Film Copp 磁気記録媒体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1044746A (ja) * 1999-07-30 2001-02-16 Toshiba Corp 衛星通信アンテナ装置
JP3752410B2 (ja) * 1999-12-24 2006-03-08 帝人株式会社 多層積層延伸フィルム
JP2002141246A (ja) 2000-10-31 2002-05-17 Toray Ind Inc コンデンサ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フィルムコンデンサ
DE60137456D1 (en) * 2000-11-27 2009-03-05 Teijin Ltd Lexionsfolie
WO2002045959A1 (fr) 2000-12-05 2002-06-13 Teijin Limited Film polyester a couches oriente bi-axialement et support d'enregistrement magnetique
KR100825249B1 (ko) * 2000-12-11 2008-04-25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법
JP4951156B2 (ja) 2001-05-21 2012-06-13 三菱樹脂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WO2003017259A1 (fr) * 2001-08-15 2003-02-27 Hitachi Maxell, Ltd. Bande magnetique et cartouche de bande magnetique
JP2003213108A (ja) 2002-01-29 2003-07-30 Idemitsu Petrochem Co Ltd ポリエステル系樹脂組成物及びそのフィルム
US6866949B2 (en) * 2002-03-08 2005-03-15 Dai Nippon Printing Co., Ltd. Substrate film, gas barrier film, and display using the same
JP2003334905A (ja) * 2002-05-17 2003-11-25 Toyobo Co Ltd 易接着シンジオタクチックポリスチレン系延伸フィルム
JP2004002515A (ja) 2002-05-31 2004-01-08 Mitsubishi Chemicals Corp ポリエステル樹脂、二軸延伸フィルム及びこれよりなるコンデンサー用絶縁フィルム
EP1640152B1 (en) * 2003-06-04 2018-12-05 Toray Industries, Inc. Multilayer film and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DE602005017008D1 (de) * 2004-01-29 2009-11-19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Biaxial orientierte foli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377A (ja) * 1997-06-27 1999-01-19 Toyobo Co Ltd 微細空洞含有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2000230065A (ja) * 1998-12-08 2000-08-22 Toyobo Co Ltd 空洞含有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US6287680B1 (en) * 1998-12-08 2001-09-11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Porous polyester fil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067105B2 (en) 2011-11-29
US20120040208A1 (en) 2012-02-16
WO2005073318A1 (ja) 2005-08-11
KR20070001155A (ko) 2007-01-03
TW200538507A (en) 2005-12-01
TWI354003B (ko) 2011-12-11
EP1712592B1 (en) 2009-10-07
EP1712592A1 (en) 2006-10-18
DE602005017008D1 (de) 2009-11-19
US20070281186A1 (en) 2007-12-06
EP1712592A4 (en) 2008-03-26
US8367199B2 (en) 2013-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3758B1 (ko) 2 축 배향 필름
JP4723296B2 (ja) フィルムコンデンサー用二軸配向フィルムおよびそれからなるフィルムコンデンサー
CN100473691C (zh) 双轴取向膜
WO2001047711A1 (fr) Film multicouches, film polarisant a reflexion, et demi-miroir
KR101545371B1 (ko) 2 축 배향 적층 필름
JP2970001B2 (ja) 磁気テープ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4805608B2 (ja) 二軸配向積層フィルムおよび磁気記録媒体
JP4907903B2 (ja) 二軸配向フィルム、二軸配向積層フィルムおよび磁気記録媒体
JP2002160339A (ja) 多層積層延伸フィルム
JP5763456B2 (ja) 二軸配向フィルム
EP0950682A1 (en) Biaxially oriented film
JP4624850B2 (ja) 二軸配向積層フィルムおよび磁気記録媒体
JP4220933B2 (ja) 二軸配向積層フィルムおよび磁気記録媒体
KR101011290B1 (ko)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JP5739220B2 (ja) 二軸配向フィルム
WO1994013475A1 (en) Biaxially oriented copolyester/polyolefin bi- or trilayer film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2011243240A (ja) 二軸配向積層フィルム
JP5226597B2 (ja) 二軸配向積層フィルム
JP5193705B2 (ja) 二軸配向積層フィルム
JP2010030116A (ja) 二軸配向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磁気記録媒体
JP2004188621A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0204177A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3251777A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0001390A (ja) 二軸配向フィルム
JPH0848008A (ja) 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コンデ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