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5888B1 -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5888B1
KR101055888B1 KR1020097014407A KR20097014407A KR101055888B1 KR 101055888 B1 KR101055888 B1 KR 101055888B1 KR 1020097014407 A KR1020097014407 A KR 1020097014407A KR 20097014407 A KR20097014407 A KR 20097014407A KR 101055888 B1 KR101055888 B1 KR 101055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artridge
guide
contact
gui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4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0378A (ko
Inventor
노부하루 호시
도시유끼 가라까마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90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0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5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5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 G03G21/1853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the process cartridge being mounted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54Locks and means for positioning or align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 G03G2221/1684Frame structures using extractable subframes, e.g. on rails or hing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 G03G2221/1884Projections on process cartridge for guiding mounting thereof in main mach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한 카트리지이며, 이러한 장치 본체는 본체 가이드와, 본체 가이드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규제 수단과, 본체 접촉부를 구비하며, 이러한 카트리지는 프레임과, 본체 가이드에 의해 가이드되도록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고 카트리지를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하는 중, 규제 수단에 접촉해서 장착 방향 하류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는 피가이드부와, 본체 접촉부에 접촉해서 이동됨으로써 규제 수단에 작용하여 상기 피가이드부가 하류측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허용 위치로 규제 수단을 이동시키도록 프레임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이동 부재를 구비한 카트리지를 제공한다.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카트리지, 이동 부재, 규제 수단, 피가이드부

Description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한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자 사진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채용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와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에 작용하도록 배열된 프로세스 수단이 유닛으로서 일체적으로 합체되어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되는 시스템이 채용된다. 또한, 일본 특허출원 공개 평05-303242호에서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하는 경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피가이드부가 본체 가이드에 의해 가이드되어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위치 결정부로 안내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종래,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할 때의 조작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본체 가이드 부재는 피가이드부가 매끄럽게 가이드되도록 형상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본체 가이드 부재의 형상에 의해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소형화가 영향을 받는 경우들이 있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카트리지를 착탈시의 작동성이 향상되고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소형화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와 카트리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고, 본체 가이드와, 상기 본체 가이드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제공된 규제 수단과, 본체 접촉부를 갖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한 카트리지이며,
프레임과,
상기 본체 가이드에 의해 가이드되도록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하는 중에 상기 규제 수단에 접촉해서 장착 방향 하류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는 피가이드부와,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며, 상기 규제 수단에 작용하도록 이동되게 상기 본체 접촉부에 접촉하여, 상기 피가이드부가 접촉하는 상기 규제 수단이 상기 피가이드부가 상기 장착 방향 하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허용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카트리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카트리지가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이며,
(i) 본체 가이드와,
(ii) 상기 본체 가이드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규제 수단과,
(iii) 본체 접촉부와,
(iv) 상기 카트리지를 제거 가능하게 장착하는 장착부를 포함하는 프레임과,
(v) 상기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반송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는,
프레임과,
상기 본체 가이드에 가이드되도록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하는 중, 상기 규제 수단에 접촉해서 장착 방향 하류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는 피가이드부와,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규제 수단에 작용하도록 이동되게 상기 본체 접촉부에 접촉하여 상기 피가이드부는 접촉하는 상기 규제 수단을 상기 피가이드부가 상기 장착 방향 하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허용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예시적인 실시예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 전체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종 방향 우측의 가이드 홈 근 방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종 방향 좌측의 가이드 홈 근방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할 때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 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제1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와 프로세스 카트리지 사이의 가이드부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1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할 때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1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피접촉부에 접촉한 상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1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피접촉부의 후퇴 기구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13은 제1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이동 부재가 해제 부재에 접촉하는 상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1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이동 부재가 해제 부재에 접촉하는 상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5는 제1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이동 부재가 해제 부재에 접촉하는 상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6은 제1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피접촉부의 후퇴 기구의 동작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7은 제1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피접촉부의 후퇴 기구의 동작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8은 제1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피접촉부가 후퇴된 상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9는 제1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 완료한 상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0은 제1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로부터 인출하는 경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1은 제2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측면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2는 제2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와 프로세스 카트리지 사이의 가이드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3은 제3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4는 제3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 우측의 가이드 홈 근방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제3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6은 제3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 좌측의 가이드 홈 근방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27은 제3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본체에 장착할 때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8은 제3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본체에 장착할 때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9는 제3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본체에 장착할 때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0은 제3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본체에 장착할 때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1은 제3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본체에 장착할 때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2는 제3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본체에 장착할 때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3은 제3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본체에 장착할 때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 광학계
2 : 기록 매체
3a : 급지부(카세트)
3b : 픽업 롤러
3d : 배출 롤러
3f1 : 반송 가이드
3f2 : 반송 가이드
4 : 전사 롤러
5 : 정착 수단
5a : 구동 롤러
5b : 히터
5c : 지지체
5d : 정착 회전체
6 : 배출부
7 : 감광 드럼
7b :단부면 커플링
8 : 대전 롤러
9b : 노광 개구
10 : 현상 유닛
10a : 토너 수용부
10c : 고정 자석
10d : 현상 롤러
10e : 현상 블레이드
11 : 클리닝 부재
11a : 클리닝 블레이드
11c : 제거 토너 수용부
11d : 클리닝 프레임
11e : 제1 피가이드부
11f : 제2 피가이드부
11f1 : 폭
14, 15 : 이동 부재
18c : 베어링 부재
25, 225 : 피접촉부
225a : 차폐부
225b : 경사면
26, 226 : 해제 부재
27, 227 : 비틀림 코일 스프링
28 : 후퇴 레버
29 : 아암 부재
30 : 구동 전달 부재
31 : 결합 핀
A : 화상 형성 장치 본체
B : 카트리지
Ga : 가이드 홈
Gb : 가이드 홈
Gc : 가이드 홈
Gc1 : 상류측 가이드부
Gc2 : 하류측 가이드부
Gc3 : 장착부
Gc4 : 제1 굴곡부
Gd : 가이드 홈
Gd1 : 상류측 가이드부
Gd2 : 하류측 가이드부
Gd3 : 접촉부
Gd4 : 제2 굴곡부
Ge : 가이드부
Ge1 : 본체 접촉부
[실시예 1]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제1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종 방향은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사실상 직교하는 방향 또는 감광 드럼의 회전 축 방향)이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좌우는 프로세스 카 트리지를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좌측 또는 우측이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면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방에 위치된 면이며, 하면은 이러한 상태에서 하방에 위치된 면이다.
우선,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착탈식으로 장착될 수 있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대해 도 1 및 도 2를 참조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도 1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착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전체 구성)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이하, "장치 본체"라고 함, A)에서, 화상 정보에 따른 정보 광은 광학 유닛으로서의 광학계(1)로부터 드럼 형상의 전자 사진 감광 부재(이하, "감광 드럼"이라 함, 7)로 조사된다. 이에 의해, 감광 드럼(7)에는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이러한 정전 잠상은 현상제(이하, "토너"라고 함)로 현상되어 토너 화상을 형성한다. 이후, 토너 화상의 형성과 동기하여, 기록 매체(기록지, OHP 시트, 천 등, 2)가 급지부(카세트, 3a)로부터 급송되고, 픽업 롤러(3b)에 압접하는 압접 부재(3c)와 픽업 롤러(3b)에 의해 1매씩 분리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이하, 카트리지라고 함, B)의 감광 드럼(7)에 형성된 토너 화상은 전사 유닛으로 작동하는 전사 롤러(4)에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반송 가이드(3f1)를 따라 반송된 기록 매체(2)에, 전사된다. 또한, 토너 화상이 전사된 기록 매체(2)는 반송 가이드(3f2)를 따라 정착 수단(5)으로 반송된다. 정착 수단(5)은 히터(5b)를 내장한 튜브형 시트로 구성된 정착 회전체(5d)와 구동 롤러(5a)를 포함하며, 지지체(5c)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후, 정착 수단(5)은 통과되는 기록 매체(2)에 열과 압력을 인가해서 전사 토너 화상을 정착한다. 전사된 토너 화상이 정착된 기록 매체(2)는 배출 롤러(3d)에 의해 반송되고, 반전 및 반송 경로를 통해 배출부(6)로 배출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반송 수단(3)이 픽업 롤러(3b), 압접 부재(3c), 배출 롤러(3d) 등으로 구성되나, 이것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구성)
카트리지(B)는 감광 드럼(7)과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프로세스 수단으로는, 예를 들어, 감광 드럼(7)을 대전시키는 대전 수단, 감광 드럼(7)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유닛, 감광 드럼(7)에 잔류하는 토너를 세척하기 위한 클리닝 부재 등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B)에서는, 감광층을 갖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인 감광 드럼(7)이 회전 구동되고, 대전 수단인 대전 롤러(8)에 전압을 인가해서 감광 드럼(7)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한다. 이렇게 대전된 상태의 감광 드럼(7)은 노광 개구(9b)를 통해 광학계(1)로부터의 화상 정보에 기초한 정보 광(광 화상)에 노광된다. 이후, 감광 드럼(7)의 표면에 정전 잠상이 형성되고, 이러한 정전 잠상이 현상 유닛(10)에 의해 현상되도록 구성된다.
현상 유닛(10)에서는, 토너 수용부(10a) 내의 토너는 회전 가능한 공급 부 재(10b)에 의해 공급된다. 이후, 고정 자석(10c)을 내장한 현상 회전체(현상제 담지체)인 현상 롤러(10d)가 회전되고, 현상 블레이드(10e)에 의해 마찰 대전 전하가 인가된 토너층이 현상 롤러(10d)의 표면에 형성된다. 또한, 현상 롤러(10d)가 정전 잠상에 기초하여 감광 드럼(7)으로 토너를 전사시킴으로써, 토너 화상을 형성하여 잠상을 가시화한다.
이후, 전사 롤러(4)에 상기 토너 화상과 반대 극성의 전압을 인가하여 기록 매체(2)에 토너 화상을 전사한다. 이러한 전사 후에, 감광 드럼(7)에 잔류한 토너는 클리닝 부재(11)에 배치된 클리닝 블레이드(11a)에 의해 긁어 떨어뜨려지며, 스쿠핑 시트(scooping sheet)(11b)로 제거된 토너 수용부(11c)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로부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착탈하는 구성)
전술한 바와 같이, 조립된 카트리지(B)를 장치 본체(A)에 장착하는 장착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5는 카트리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4 및 도 6은 각각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종 방향에서의 우측 및 좌측의 가이드 홈 근방의 사시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트리지(B)의 종 방향에서의 우측의 클리닝 프레임(11d)에 부착된 베어링 부재(18c)에는 제1 피가이드부(18c1)와 제2 피가이드부(18c2)가 설치된다. 제1 피가이드부(18c1)는 감광 드럼(7)의 회전축과 동축으로 돌출하게 형성된 원통 형상이다. 또한, 제2 피가이드부(18c2)는 감광 드럼(7)의 회전축에 대하여 카트리지(B)의 자세를 결정하기 위한 회전 멈춤부이다. 또한, 제 2 피가이드부(18c2)의 종 방향 단부에는 제2 피가이드부(18c2)의 종 방향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 부재(14)가 설치된다.
또한, 제1 피가이드부(18c1) 및 제2 피가이드부(18c2)는 종 방향에서 현상 유닛(10)의 외측에 위치된다. 또한, 장치 본체(A)로부터 구동력을 받는 단부면 커플링(7b)은 종 방향에서 베어링 부재(18c)의 내측에 배치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A)에는, 카트리지(B)의 제1 피가이드부(18c1)와 제2 피가이드부(18c2)를 화상 형성 위치[장착부(Ga3, Gc3)]로 가이드하기 위하여, 제1 본체 가이드인 제1 가이드 홈(Ga)과, 제2 본체 가이드인 제2 가이드 홈(Gb)이 형성된다. 가이드 홈(Ga, Gb)은 카트리지(B)의 장착 방향 하류측(내부로)을 향하여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의 경사면[상류측 가이드면(Ga1, Gb1)]을 포함한다. 또한, 가이드 홈(Ga, Gb)은 장착 방향 하류측(내부로)을 향하여 상이한 각도의 경사면[하류측 가이드면(Ga2, Gb2)]을 더 포함한다. 즉, 제1 가이드 홈(Ga)은 제1 굴곡부(Ga4)를 포함하며, 제2 가이드 홈(Gb)은 제2 굴곡부(Gb4)를 포함한다. 또한, 가이드 홈(Ga, Gb)이 상이한 각도의 두 개의 경사면을 갖는 목적은 장치 본체(A)를 소형화하기 위해 장치 본체(A) 내에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를 작게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학 수단(1)이 상류측 가이드면(Gb1)의 아래에 배치되어, 장치 본체(A)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 방향 타단부측(좌측)에는 감광 드럼(7)과 동축으로 설치된 원통형 제1 피가이드부(11e)와, 장착 시에 카트리지(B)의 자세 를 결정하기 위한 제2 피가이드부(11f)가 형성된다. 제1 피가이드부(11e)와 제2 피가이드부(11f)는 클리닝 프레임(11d)의 구성품이다. 또한, 일단부측과 마찬가지로, 제2 피가이드부(11f)의 종 방향 단부에는 제2 피가이드부(11f)와 동축으로 이동(회전) 가능한 이동 부재(15)가 설치된다. 또한, 제1 피가이드부(11e)와 제2 피가이드부(11f)는 종 방향으로 현상 유닛(10)의 외측에 위치된다. 또한, 제1 피가이드부(11e)는 종 방향으로 클리닝 프레임(11d)의 일단부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다. 또한, 제2 피가이드부(11f)는 종 방향으로 클리닝 프레임(11d)의 타단부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 본체(A)에는, 베어링 부재(18c) 측에서 결정된 카트리지(B)의 자세를 착탈시 종 방향 타단부 측에서와 마찬가지로 유지하도록 형성된 제2 본체 가이드인 제2 가이드 홈(Gd)과 제1 본체 가이드인 제1 가이드 홈(Gc)이 설치된다. 종 방향 우측의 가이드 구성과 마찬가지로, 가이드 홈(Gc, Gd)는 카트리지(B)의 장착 방향 하류측(내부)을 향하여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의 경사면[상류측 가이드부(Gc1, Gd1)]을 포함한다. 또한, 가이드 홈(Gc, Gd)은 장착 방향 하류측(내부)을 향하여 상이한 각도의 경사면[하류측 가이드부(Gc2, Gd2)]을 포함한다. 즉, 제1 가이드 홈(Gc)은 제1 굴곡부(Gc4)를 포함하며, 제2 가이드 홈(Gd)은 제2 굴곡부(Gd4)를 포함한다.
이제, 카트리지(B)의 장치 본체(A)에 대한 착탈 구성을 설명한다. 또한, 이러한 착탈 구성에서는, 장치 본체(A)의 가이드 홈(Gc, Gd)과 가이드 홈(Ga, Gb) 및 제1 피가이드부(18c1, 11e)와 제2 피가이드부(18c2, 11f) 및 카트리지(B)의 이동 부재(14, 15)는 각각 유사 구성이다. 따라서, 여기서, 카트리지(B)를 장치 본 체(A)에 장착하는 방향에서 본 경우의 좌측 구성을 설명한다.
도 7 및 도 10은 카트리지(B)의 장치 본체(A)에의 장착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카트리지(B)의 장치 본체(A)에의 장착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가이드 홈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장치 본체(A)의 규제 수단(100)의 구성 부재인 피접촉 부재(25)에 카트리지(B)가 접촉한 상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2는 장치 본체(A)의 규제 수단(100)의 기구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우선, 도7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홈(Gc, Gd)이 노출되도록 장치 본체(A)의 개폐 도어(20)가 개방된다. 제1 피가이드부(11e)는 가이드 홈(Gc) 중, 장치를 향하는 전방이 어느 정도 굴곡된 제1 가이드면(Gc1)에 위치되고, 제2 피가이드부(11f)는 가이드 홈(Gd)에 삽입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의 내측으로 밀려 들어간다.
여기서, 규제 수단(100)은 피접촉 부재(25), 해제 부재(26), 나선형 비틀림 코일 스프링(27), 후퇴 레버(28), 아암 부재(29), 결합 핀(31)을 포함한다. 제1 피가이드부(11e)의 제1 굴곡부(Gc4) 근방에는 피접촉 부재(25)가 설치된다. 여기서, 피접촉 부재(25)를 설명한다. 도 8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접촉 부재(25)는 카트리지의 종 방향으로 활주가 가능하도록 장치 본체(A)에 지지된다. 또한, 피접촉 부재(25)는 결합 핀(31)에 의해 후퇴 레버(28)에 연결된다. 이후, 후퇴 레버(28)가 축(28a)에 대하여 회전됨으로써, 상세하게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피접촉 부재(25)가 카트리지의 종 방향으로 활주 방식으로 이동한다. 통상, 피접 촉 부재(25)는 제1 피가이드부(11e)가 장착 방향 하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 위치에 있게 되도록 가이드 홈(Gc)으로 돌출한다.
한편, 피접촉 부재(25)의 근방에는 해제 부재(26)가 설치된다. 해제 부재(26)는 회전 중심(26a)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나선형 비틀림 코일 스프링(27)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편향된다. 또한, 해제 부재(26)는 카트리지 종 방향으로 경사진 피접촉부(26c)를 포함한다.
이제, 카트리지(B)를 장치 본체(A)에 장착하는 동작을 도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이동 부재(15)가 해제 부재(26)에 접촉한 상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4와 도 15는 이동 부재(15)가 해제 부재(26)에 작용한 상태의 개략적인 단면도와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또한, 도 16과 도 17은 장치 본체(A)의 피접촉 부재(25)의 후퇴 기구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와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8은 장치 본체(A)의 피접촉 부재(25)가 허용 위치에서 후퇴된 상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피가이드부(11e)는 제1 가이드면(Gc1)에 위치되고 제2 피가이드부(11f)는 가이드 홈(Gd)에 삽입되어, 카트리지(B)는 장치 본체(A)의 내측에 장착된다.
제1 피가이드부(11e)가 피접촉 부재(25)에 접촉함으로써,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에 장착되는 중, 카트리지(B)가 일시 정지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사용자는 제1 굴곡부(Gc4) 근방에 카트리지(B)의 제1 피가 이드부(11e)를 중심으로 카트리지(B)의 자세를 조정할 수 있다. 이후, 카트리지(B)의 자세가 가이드 형상을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즉, 제1 피가이드부(11e)가 피접촉 부재(25)에 접촉함으로써, 사용자는 카트리지(B)가 장착부(Ga3, Gc3)에 장착되어 있지 않음을 인지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카트리지(B)가 장착 방향 하류측으로 더 압박됨으로써, 카트리지(B)는 장착부(Ga3, Gc3)에 확실하게 장착된다. 본체 가이드가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굴곡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동작하도록 하는 구성은 카트리지(B)를 장치 본체(A)에 확실하게 장착시키는데 유효한 수단이 된다.
도 8과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부(Ge)는 가이드 홈(Gd)의 종 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가이드부(Ge)는 이동 부재(15)의 제2 피접촉부(15d)와 종 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가이드부(Ge)에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제2 본체 접촉부(Ge1)가 설치된다. 카트리지(B)가 장착될 수 있는 자세가 조정되는 경우, 이동 부재(15)의 제2 피접촉부(15d)는 가이드부(Ge)에 설치된 제2 본체 접촉부(Ge1)에 접촉하여 회전한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피가이드부(11e)를 중심으로 카트리지(B)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이동 부재(15)는 회전 중심(15a)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따라서, 이동 부재(15)의 제1 피접촉부(15b)가 제2 가이드 홈(Gd)의 하류측 가이드부(Gd2)에 접촉한다.
이후, 도 14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피가이드부(11e)를 중심로 카트리지(B)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카트리지(B)의 제2 피가이드 부(11f)가 장치 본체(A)의 가이드 홈(Gd)의 하류측 가이드부(Gd2)에 접촉한 상태가 되어서, 카트리지(B)가 장착 방향 하류측(내부)으로 장착될 수 있는 자세가 된다. 이때, 이동 부재(15)는 제1 피접촉부(15b)가 하류측 가이드부(Gd2)에 접촉하는 동안, 회전 중심(15a)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로써, 이동 부재(15)의 작용부(15c)가 해제 부재(26)의 접촉부(26b)에 접촉하고, 해제 부재(26)가 회전 중심(26a)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 16과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제 부재(26)가 화살표 R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피접촉부(26c)가 후퇴 레버(28)의 접촉부(28b)에 접촉한다. 후퇴 레버(28)의 접촉부(28b)는 해제 부재(26)의 피접촉부(26c)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고, 후퇴 레버(28)는 축(28a)을 중심으로(화살표 S 방향으로) 회전한다. 후퇴 레버(28)의 회전에 따라, 결합 핀(31)을 통해 후퇴 레버(28)와 결합되는 피접촉 부재(25)는 링크 기구에 의해 카트리지의 종 방향 외부로 활주 방식에 의해(화살표 T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로써, 장착된 제1 피가이드부(11e)의 궤적으로부터 피접촉 부재(25)가 후퇴한다(도 17, 도 18). 즉, 제1 피가이드부(11e)가 장착 방향 하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허용 위치로 피접촉 부재(25)가 이동된다.
결국, 제1 피가이드부(11e)는 가이드 홈(Gc)의 하류측 가이드부(Gc2)로(도 17의 화살표 V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동시에 카트리지(B)는 제2 피가이드부(11f)가 가이드(Gd)의 하류측 가이드부(Gd2)를 따라 내부로 더 이동될 수 있는 자세를 취한다. 따라서, 카트리지(B)의 제1 피가이드부(11e)는 가이드 홈(Gc)의 하류측 가이드부(Gc2)로 이동하고, 제2 피가이드부(11f)는 가이드(Gd)의 하류측 가 이드부(Gd2)로 이동하여, 카트리지(B)는 장치 본체(A)의 장착 방향 하류측(내측)으로 더 이동된다. 결국, 제1 피가이드부(11e)는 가이드(Gc)의 원호형 장착부(Gc3)에 접촉하고, 제2 피가이드부(11f)도 가이드(Gd)의 접촉부(Gd3)에 접촉하여, 장착이 완료된다(도 19 참조). 제2 피가이드부(11f)가 가이드(Gd)의 접촉부(Gd3)로 이동하는 동안, 카트리지의 제2 피가이드부(11f)와 이동 부재(15)의 제1 접촉부(15b)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하류측 가이드부(Gd2)에 접촉한다. 또한, 이동 부재(15)의 작용부(15c)가 해제 부재(26)의 접촉부(26b)에 접촉하면서 이동함으로써, 피접촉 부재(25)가 제1 가이드 홈(Gc)으로부터 후퇴된 상태로 유지된다.
카트리지(B)가 장착부[Gc3(Ga3)]로 이동하면, 이동 부재(15)의 작용부(15c)는 해제 부재(26)의 접촉부(26b)로부터 이격된다. 그리고, 해제 부재(26)는 나선 비틀림 코일 스프링(27)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압박되어, 피접촉 부재(25)는 다시 카트리지 종 방향 내측으로 활주 이동하여, 가이드 홈(Gc)을 막은 상태, 즉 규제 위치로 복귀된다.
또한, 종 방향 타단부(삽입 방향에서 우측)도 전술한 것과 동일한 구성이다. 제1 피가이드부(18c1)는 가이드(Ga)의 장착부(Ga3)에 접촉하고, 제2 피가이드부(18c2)는 가이드(Gb)의 접촉부(Gb3)에 접촉한다(도 4 참조). 이러한 장착 완료 상태에서, 전사 롤러(4)와 감광 드럼(7)은 접촉 상태(도 1 참조)가 된다.
다음에, 장치 본체(A)의 배출 개구(6)를 구성하는 개폐 도어(20)를 폐쇄하면, 장치 본체(A)의 구동 전달 부재(30)는 카트리지(B)측으로 이동한 뒤, 단부면 커플링(7b)에 끼워져서, 장치 본체(A)로부터 카트리지(B)로 회전 구동력이 전달 가 능하다.
이제, 카트리지(B)를 장치 본체(A)로부터 인출할 때의 동작을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20은 카트리지를 장치 본체(A)로부터 인출할 때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트리지(B)를 장치 본체(A)로부터 인출하면, 이동 부재(15)의 제2 피접촉부(15d)가 아암 부재(29)에 접촉한다. 여기서, 아암 부재(29)는 일단부에 회전 중심(29a)을 가져서 장치 본체(A)와 피봇 가능하게 결합하고, 타단부측에는 결합 구멍(29b)을 가져서 해제 부재(26)의 결합 돌기부(26d)와 피봇 가능하게 결합한다. 이동 부재(15)의 제2 피접촉부(15d)가 아암 부재(29)에 접촉하면, 아암 부재(29)는 회전 중심(29a)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아암 부재(29)가 회전하면, 해제 부재(26)는 회전 중심(26a)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후퇴 레버(28)는 해제 부재(26)의 피접촉부(26c)와 접촉해서, 피접촉부(26c)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고, 후퇴 레버(28)는 축(28a)을 중심으로 카 트리지의 종 방향으로 회전한다. 후퇴 레버(28)의 회전 이동에 따라, 피접촉 부재(25)는 링크 기구에 의해 카트리지의 종 방향에서 외측으로 활주 이동한다. 그리고, 피가이드부(11e)가 피접촉 부재(25)에 도달하기 전에, 피접촉 부재(25)는 제1 피가이드부(11e)의 장착 궤적으로부터 다시 후퇴해서 허용 위치로 이동한다. 피가이드부(11e)가 피접촉 부재(25)를 통과할 때까지, 카트리지의 제2 피가이드부(11f) 및 이동 부재(15)의 제1 접촉부(15b)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하류측 가이드부(Gd2) 상에서 접촉한다. 또한, 이동 부재(15)의 작용부(15c)가 해제 부 재(26)의 접촉부(26b)에 접촉하면서 이동하므로, 피접촉 부재(25)의 후퇴 상태가 유지된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B)는 장치 본체(A)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또한, 피가이드부(11e)가 피접촉 부재(25)를 통과한 후, 이동 부재(15)의 작용부(15c)는 해제 부재(26)로부터 이격되고, 해제 부재(26)는 나선 비틀림 코일 스프링(27)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압박된다. 즉, 피접촉 부재(25)는 활주 이동하여 다시 가이드 홈(Gc)을 막는 규제 위치로 복귀된다.
[제2 실시예]
이제,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21은 카트리지의 측면을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다. 도 22는 카트리지와 화상 형성 장치 본체 사이의 가이드부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제1 실시예에서는 카트리지(B)의 클리닝 프레임(11d)으로부터 종 방향 외측에 제2 피가이드부(11f)가 설치되었지만, 이동 부재(15)가 제2 피가이드부를 겸할 수도 있다.
즉,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B)가 가이드되도록 원통형 피가이드부(15e)는 이동 부재(15)의 회전 중심(15a)과 동축으로 형성되고, 장치 본체(A)의 제2 본체 가이드인 가이드 홈(Gd)에 결합되어, 구성된다. 또한, 종 방향 반대측의 제2 피가이드부도 동일한 구성으로 한다.
원통형 피가이드부(15e)가 이동 부재(15)에 설치되어, 제2 피가이드부로서도 기능하는 방식으로 인해, 카트리지(B)는 종 방향에서 더 소형화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의하면, 카트리지는 화상 형 성 장치 본체의 가이드 홈에 걸리지 않고 한정된 장착 궤적으로 카트리지는 이동 가능하여, 카트리지의 자세는 매끄럽게 조정 및 제어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의 양호한 조작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장치 본체(A)는 굴곡부를 갖는 가이드 홈 구성이므로, 장치 본체(A) 내의 미사용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장치 본체(A)에서, 카트리지(B)의 자세를 제어 가능하다는 점으로 인해, 카트리지(B)의 장착 궤적 근방에서의 장치 본체(A)와의 간극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장치 본체(A)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구성에서, 카트리지(B) 및 장치 본체(A)의 가이드 구성은 대칭인 것으로 설명했다. 그러나, 상기 구성이 일단부측에만 제공되는, 타단부에는 감광 드럼(7)과 동축인 제1의 피가이드부만이 제공되더라도,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카트리지(B)를 장치 본체(A)에 장착할 때, 제1 굴곡부(Ga4)에서, 카트리지(B)의 자세는 제1 피가이드부(11e)를 중심으로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B)가 장착 궤적을 따르기 쉽도록 카트리지(B)의 자세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카트리지(B)의 양호한 장착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장치 본체(A)가 굴곡부를 갖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기 때문에, 장치 본체(A) 내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장치 본체(A) 내에서 카트리지(B)의 자세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카트리지(B)의 장착 궤적 근방에서 장치 본체(A)와의 간극을 작게 할 수 있어, 장치 본체(A)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제3 실시예]
이제, 본 발명에 관한 제3 실시예를 도 23 내지 도 3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내부의 구성은 제1 실시예와 같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치 본체로의 착탈 구성)
프로세스 카트리지(B, 이하, 카트리지라고 함)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A)에 장착하는 장착 구성에 대해서 도 23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카트리지(B)의 클리닝 프레임(11d)에는 베어링 부재(18c)가 부착된다. 그리고, 베어링 부재(18c)에는, 장치 본체(A)로의 장착 가이드로서 감광 드럼(7)의 회전축과 동축으로 형성된 원통형 제1 피가이드부(18c1)와, 회전 멈춤부로서의 제2 피가이드부(18c2)가 설치된다. 제2 피가이드부(18c2)는 감광 드럼(7)의 상기 축 주위에서의 카트리지(B)의 자세를 결정한다.
또한, 제2 피가이드부(18c2)의 종 방향 단부에는 제2 피가이드부(18c2)의 종 방향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 부재(14)가 있다. 또한, 제1 피가이드부(18c1) 및 제2 피가이드부(18c2)는 현상 유닛(10)의 종 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또한, 장치 본체(A)로부터 구동력을 받는 단부면 커플링(7b)은 종 방향으로 베어링 부재(18c)의 내측에 배치된다.
장치 본체(A)에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위치인 장착부(Ga3, Gc3)까지 카트리지(B)의 제1 피가이드부(18c1)와 제2 피가이드부(18c2)를 안내하기 위한 제1 본체 가이드인 가이드 홈(Ga)과 제2 본체 가이드인 가이드 홈(Gb)이 형성된다. 가이드 홈(Ga, Gb)은 카트리지(B)의 장착 방향 하류측(내부)으로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향하는 경사면[상류측 가이드부(Ga1, Gb1)]을 갖는다. 또한, 가이드 홈(Ga, Gb)은 장착 방향에서 하류측(내부)을 향해 상이한 각도의 경사면[하류측 가이드부(Ga2, Gb2)]을 갖는다. 즉, 가이드 홈(Ga)은 제1 굴곡부(Ga4)를 갖고, 가이드 홈(Gb)은 제2 굴곡부(Gb4)를 갖는다. 또한, 가이드 홈(Ga, Gb)이 상기 상이한 각도의 두 개의 경사면을 갖는 목적은 화상 형성 장치를 소형화시키기 위해, 화상 형성 장치 내의 데드 스페이스를 작게 하는 것이다.
한편,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 방향 타단부측에는, 감광 드럼(7)과 동축으로 설치된 원통형 제1 피가이드부(11e)와 장착시에 카트리지(B)의 자세를 결정하기 위한 제2 피가이드부(11f)가 형성된다. 제1 및 제2 피가이드부(11e, 11f)는 클리닝 프레임(11d)의 일부이다. 또한, 타단부에서와 마찬가지로, 제2 피가이드부(11f)의 종 방향 단부에는 이동 부재(15)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제1 피가이드부(11e) 및 제2 피가이드부(11f)는 종 방향에서 현상 유닛(10)의 외측에 위치된다.
또한, 장치 본체(A)에는,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 부재(18c)측에서 결정되는 카트리지(B)의 착탈시의 자세를 종 방향 타단부측에서도 마찬가지로 유지하도록 형성된 가이드 홈(Gc, Gd)이 설치된다. 우측의 가이드 구성과 마찬가지로, 가이드 홈(Gc, Gd)은 카트리지(B)의 장착 방향에서 하류측(내부)을 향하여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향하는 경사면[상류측 가이드부(Gc1, Gd1)]을 갖는다. 또 한, 가이드 홈(Gc, Gd)은 장착 방향에서 하류측(내부)을 향해서 상이한 각도의 경사면[하류측 가이드부(Gc2, Gd2)]을 갖는다.
이제, 도 27 내지 도 31을 참조해서 카트리지(B)의 장치 본체(A)로의 착탈 구성을 설명한다. 또한, 본 착탈 구성에서, 장치 본체(A)의 가이드부(Ga, Gb, Gc, Gd)와, 카트리지(B)의 제1 피가이드부(18c1, 11e), 제2 피가이드부(18c2, 11f) 및 이동 부재(14, 15)는 각각 유사한 구성이다. 따라서, 장치 본체(A)로의 카트리지(B)의 삽입 방향에서의 좌측 구성을 설명한다.
우선, 도 27 및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본체(A)의 개폐 도어(20)가 개방되고, 가이드 홈(Gc, Gd)이 노출된다. 가이드 홈(Gc)의 장착 방향 상류측으로 소정량 굴곡한 제1 가이드면(Gc1)에는 제1 피가이드부(11e)가 위치되고, 가이드 홈(Gd)의 상류측 가이드부(Gd1)에는 제2 피가이드부(11f)가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의 내측에 장착된다.
이어서,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규제 수단(200)은 차폐 부재(225)와, 해제 레버(226)와, 압축 스프링(227)과, 해제 레버(226)를 압박하는 스프링(228)을 포함한다. 제1 피가이드부(11e)는 제1 굴곡부(Gc4)의 근방에서 차폐 부재(225)에 접촉한다. 여기서, 차폐 부재(225)에 대해서 설명한다. 차폐 부재(225)는 상하 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지지되고, 압축 스프링(227)에 의해 하방으로 압박된다.
한편, 차폐 부재(225)에 하방에는 회전 중심(226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스프링(228)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압박되는 해제 레버(226)가 설치된다. 해 제 레버(226)의 차폐 부재 접촉부(226b)는 차폐 부재(225)를 상방으로 압박한다. 또한, 해제 레버(226)의 압박력은 차폐 부재(225)의 압박력보다도 크고, 통상 차폐 부재(225)의 차폐부(225a)는 가이드 홈(Gc)을 막는 규제 위치에 위치된다.
제1 피가이드부(11e)가 차폐 부재(225)에 접촉함으로써,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에 장착되는 중에 카트리지(B)는 일시 정지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제1 굴곡부(Gc4) 근방에서 카트리지(B)의 제1 피가이드부(11e)를 중심으로 카트리지(B)의 자세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카트리지(B)는 장치 본체(A)에 확실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 30 내지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가이드부(Gd)의 종 방향 외측에는 이동 부재(15)를 안내하는 가이드부(Ge)가 있다. 또한, 카트리지(B)가 장착 가능한 자세가 되었을 때, 이동 부재(15)의 제1 접촉부(15a)는 가이드부(Ge)에 설치된 돌기(Ge1)(본체 접촉부)에 접촉한다. 이후, 이동 부재(15)는 회전 중심(15b)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동 부재(15)의 작용부(15c)는 해제 레버(226)에 접촉한다.
그리고, 해제 레버(226)는 회전 중심(226a)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차폐 부재(225)는 스프링(227)의 압박력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여, 차폐 부재(225)의 차폐부(225a)가 제1 피가이드부(11e)의 장착 궤적으로부터 후퇴하는 허용 위치로 차폐 부재(225)를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제1 피가이드부(11e)는 가이드 홈(Gc)의 하류측 가이드부(Gc2)로 이동 가능하다. 동시에, 카트리지(B)는 장착 가능한 자세를 취하므로, 제2 피가이드부(11f)도 가이드(Gd)의 하류측 가이드 부(Gd2)로 이동되어, 최종적으로 제1 피가이드부(11e)는 가이드(Gc)의 장착부(Gc3)에 접촉한다. 또한, 제2 피가이드부(11f)도 가이드(Gd)의 접촉부(Gd3)에 접촉하여 장착이 완료된다.(도 32 참조)
또한, 종 방향 타단부(삽입 방향에서의 우측)도 상기 구성과 동일하여, 제1 피가이드부(18c1)는 가이드(Ga)의 장착부(Ga3)에 접촉하고, 제2 피가이드부(18c2)는 가이드(Gb)의 접촉부(Gb3)에 접촉한다[장착부(Ga3) 및 접촉부(Gb3)에 대해서는 도 24 참조]. 이러한 장착 완료 상태에서, 전사 롤러(4)와 감광 드럼(7)은 접촉 상태가 된다.
계속해서, 장치 본체(A)의 배출 개구(6)를 구성하는 개폐 도어(20)가 폐쇄되면, 장치 본체(A)의 비틀리고 사실상 오목 삼각 형상의 구동 전달 부재(30)가 카트리지(B)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구동 전달 부재(30)는 카트리지(B)의 단부면 커플링(7b)과 끼워 맞춤되어, 장치 본체(A)로부터 카트리지(B)로 회전 구동력이 전달된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B)가 화상 형성 장치(A)로부터 인출될 때, 제1 피가이드부(11e)는 차폐 부재(225)의 경사면(225b)을 하향으로 밀어 내리고, 가이드 홈(Gc)을 통과한다. 또한, 동시에 제2 피가이드부(11f)도 가이드부(Gd)를 통과하고, 결과적으로 카트리지(B)는 장치 본체(A)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B)가 제한된 장착 궤적을 쉽게 따를 수 있도록 카트리지(B)의 자세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B)의 양호한 조작성 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장치 본체(A)는 굴곡부를 갖는 가이드 홈을 구비하기 때문에, 화상 형성 장치 본체(A) 내의 미사용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B)의 자세가 장치 본체(A) 내에서 제어 가능하기 때문에, 카트리지(B)의 장착 궤적 근방에서 장치 본체(A)와의 간극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장치 본체(A)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구성에서, 카트리지(B) 및 장치 본체(A)의 가이드 구성은 대칭인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 구성이 일단부측에만 설치되고 타단부에는 감광 드럼(7)과 동축의 제1의 피가이드부만이 구비되더라도,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제4 실시예]
전술한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에서는, 감광 드럼 및 프로세스 수단을 갖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사용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전자 사진 감광 부재가 설치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하고, 전자 사진 감광 부재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유닛을 포함하는 현상 카트리지도 좋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가 소형화될 수 있고, 또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로부터 카트리지가 착탈되는 경우에도 우수한 조작성이 얻어질 수 있다.
본 출원은 본원 명세서 전반에 걸쳐 참조하는 2006년 12월 13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6-336008호와, 2007년 11월 26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 2007-304501호를 우선권 주장한다.
본 발명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카트리지를 착탈 시의 작동성이 향상되고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소형화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와 카트리지를 제공한다.

Claims (15)

  1.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고, 상류측 가이드, 상기 상류측 가이드의 각도와는 상이한 각도로 경사진 하류측 가이드 및 상기 하류측 가이드가 상기 상류측 가이드와 교차하는 굴곡부를 갖는 본체 가이드와, 상기 본체 가이드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상기 굴곡부 부근에 제공된 규제 수단과, 본체 접촉부를 갖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한 카트리지이며,
    프레임과,
    상기 본체 가이드에 의해 가이드되도록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하는 중에 상기 규제 수단에 접촉해서 장착 방향 하류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는 피가이드부와,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이동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피가이드부가 규제 수단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 상류측이 상기 피가이드부를 중심으로 하여 하방으로 회전되고,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규제 수단에 작용하도록 이동되게 상기 본체 접촉부에 접촉하여, 상기 피가이드부가 접촉하는 상기 규제 수단을 상기 피가이드부가 상기 장착 방향 하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허용 위치로 이동시키는,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장치 본체에 구비된 제2 본체 가이드에 의해 가이드되고, 상기 이동 부재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피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제2 본체 가이드에 접촉하도록 이동되게 상기 본체 접촉부에 접촉한 뒤 상기 규제 수단에 작용하는, 카트리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장치 본체에 구비된 제2 본체 가이드에 의해 가이드되는 제2 피가이드부인, 카트리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는 회전 중심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본체 접촉부에 접촉되는 피접촉부와 상기 규제 수단에 작용하는 작용부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피가이드부가 상기 규제 수단에 접촉한 후 상기 본체 접촉부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카트리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와,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에 작용하도록 배치된 프로세스 수단을 포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인, 카트리지.
  8.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카트리지가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이며,
    (i) 상류측 가이드, 상기 상류측 가이드의 각도와는 상이한 각도로 경사진 하류측 가이드 및 상기 하류측 가이드가 상기 상류측 가이드와 교차하는 굴곡부를 갖는 본체 가이드와,
    (ii) 상기 본체 가이드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상기 굴곡부 부근에 구비된 규제 수단과,
    (iii) 본체 접촉부와,
    (iv) 상기 카트리지를 제거 가능하게 장착하는 장착부를 포함하는 프레임과,
    (v) 상기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반송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는,
    프레임과,
    상기 본체 가이드에 가이드되도록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하는 중, 상기 규제 수단에 접촉해서 장착 방향 하류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는 피가이드부와,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이동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피가이드부가 규제 수단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 상류측이 상기 피가이드부를 중심으로 하여 하방으로 회전되고,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규제 수단에 작용하도록 이동되게 상기 본체 접촉부에 접촉하여, 상기 피가이드부가 접촉하는 상기 규제 수단을 상기 피가이드부가 상기 장착 방향 하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허용 위치로 이동시키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에 구비된 제2 피가이드부를 가이드하는 제2 본체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본체 가이드는 굴곡된 제2 굴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접촉부는 상기 제2 굴곡부의 근방에 구비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 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수단은 상기 피가이드부가 접촉하는 피접촉 부재와, 상기 피접촉 부재를 상기 허용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이동 부재와 접촉하여 이동되는 해제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피가이드부가 피접촉 부재에 접촉할 때, 상기 피접촉 부재는 상기 피가이드부가 상기 장착 방향 하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상기 본체 가이드 내로 돌출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착부에서 제거될 때, 상기 피접촉 부재를 상기 허용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해제 부재는 이동 부재와 접촉하여 이동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수단은 상기 해제 부재와 결합되는 아암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착부로부터 제거될 때, 상기 피접촉 부재를 상기 허용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해제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아암 부재는 상기 이동 부재와 접촉하여 이동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1020097014407A 2006-12-13 2007-12-05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1010558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36008 2006-12-13
JPJP-P-2006-336008 2006-12-13
JPJP-P-2007-304501 2007-11-26
JP2007304501A JP4667444B2 (ja) 2006-12-13 2007-11-26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PCT/JP2007/073895 WO2008072644A1 (en) 2006-12-13 2007-12-05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0378A KR20090090378A (ko) 2009-08-25
KR101055888B1 true KR101055888B1 (ko) 2011-08-09

Family

ID=39234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4407A KR101055888B1 (ko) 2006-12-13 2007-12-05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912404B2 (ko)
EP (1) EP2076820B1 (ko)
JP (1) JP4667444B2 (ko)
KR (1) KR101055888B1 (ko)
CN (2) CN101529343B (ko)
RU (1) RU2408912C1 (ko)
WO (1) WO20080726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68957B2 (ja) * 2008-03-31 2012-07-04 キヤノン株式会社 枠体ユニット、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並びに、枠体ユニット、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
CN101694567B (zh) * 2009-09-30 2012-07-25 珠海赛纳打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图像形成装置的处理盒安装机构
JP5729988B2 (ja) * 2009-12-15 2015-06-03 キヤノン株式会社 帯電部材、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装置
JP4846062B1 (ja) 2010-08-20 2011-12-28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CN102955414B (zh) * 2011-08-25 2015-11-25 株式会社理光 图像形成装置及应用于该图像形成装置的感光体盒
JP2013122489A (ja) 2011-11-09 2013-06-20 Canon Inc カートリッジ及びユニット
CN107678261B (zh) 2011-11-09 2020-10-23 佳能株式会社 盒和成像装置
JP5928879B2 (ja) 2012-03-30 2016-06-0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982961B2 (ja) 2012-03-30 2016-08-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895668B2 (ja) 2012-03-30 2016-03-3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049376B2 (ja) * 2012-09-25 2016-12-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本体、及びカートリッジの誤挿入防止システム
JP6075843B2 (ja) * 2012-09-25 2017-02-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本体、及びカートリッジの誤挿入防止システム
JP6075842B2 (ja) * 2012-09-25 2017-02-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本体、及びカートリッジの誤挿入防止システム
EP2901217B1 (en) 2012-09-25 2022-04-2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system
JP6057651B2 (ja) 2012-10-01 2017-01-1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
US9152083B2 (en) * 2013-10-09 2015-10-06 Lexmark International, Inc. Carriage assembly for toner cartridge loading and latching
JP6351324B2 (ja) * 2014-03-24 2018-07-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の本体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6137025B2 (ja) 2014-03-31 2017-05-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610870B2 (ja) * 2014-12-17 2019-11-2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6380298B2 (ja) * 2015-08-26 2018-08-2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10156825B2 (en) 2016-02-29 2018-12-18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apparatus with independently rotatable members supporting a developing frame body,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N108227436B (zh) * 2016-12-09 2021-08-13 京瓷办公信息系统株式会社 调色剂容器以及图像形成装置
JP6855284B2 (ja) 2017-03-03 2021-04-07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10444665B2 (en) * 2017-10-03 2019-10-1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EP3674814A3 (en) 2018-12-28 2020-10-2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pparatus body thereof
JP2022097154A (ja) * 2020-12-18 2022-06-3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9567A (ja) * 1998-09-11 2000-03-31 Canon Inc シャッタ部材、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3328A (en) 1990-04-27 1997-04-22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system on which process cartridge is mountable
US5828928A (en) 1990-04-27 1998-10-27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mountable in an image forming system and a method for assembling a cleaning device
US5294960A (en) 1990-11-06 1994-03-15 Canon Kabushiki Kaisha Detachable two-frame process cartridge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5682579A (en) 1990-11-06 1997-10-28 Canon Kabushiki Kaisha Detachable two-frame process cartridge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3278198B2 (ja) 1991-06-28 2002-04-3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前記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を着脱可能な画像形成装置
US5585895A (en) 1991-12-19 1996-12-17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device and process cartridge with it
JP3168064B2 (ja) * 1992-04-20 2001-05-21 キヤノン株式会社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クリーニング装置を有する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クリーニング装置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EP0586041B1 (en) 1992-09-04 1997-03-19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such process cartridge
JP3285392B2 (ja) 1992-09-04 2002-05-2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DE69326169T2 (de) 1992-09-04 2000-04-06 Canon Kk Prozesskartusche und Bilderzeugungsgerät
JP3259985B2 (ja) 1992-09-04 2002-02-2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6408142B1 (en) 1992-09-04 2002-06-18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P0586044B1 (en) * 1992-09-04 1997-03-26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method for assembling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3268162B2 (ja) 1995-04-28 2002-03-2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774488B2 (ja) 1995-04-28 2006-05-1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154642B2 (ja) 1995-04-28 2001-04-09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トナー現像枠体とクリーニング枠体の結合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H0916056A (ja) 1995-06-30 1997-01-17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372719B2 (ja) 1995-07-11 2003-02-0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492109B2 (ja) 1996-09-26 2004-02-0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382474B2 (ja) 1996-09-30 2003-03-0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クリーニングローラの組み込み方法
JP3472108B2 (ja) 1997-10-01 2003-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1143226A (ja) 1997-11-11 1999-05-2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現像装置
JP3530752B2 (ja) 1998-10-09 2004-05-24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現像剤供給容器及び測定部品
JP3530751B2 (ja) 1998-10-09 2004-05-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859627B2 (en) 1998-12-28 2005-02-22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develop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ing unit frame
JP2000194248A (ja) 1998-12-28 2000-07-14 Canon Inc プロセスカ―トリッジ及び帯電ユニット及び現像ユニット
JP3679645B2 (ja) 1999-03-29 2005-08-0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347686B2 (ja) * 1999-04-02 2002-11-20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押込み機構
JP3943772B2 (ja) 1999-08-06 2007-07-1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1051490A (ja) 1999-08-06 2001-02-23 Canon Inc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1255786A (ja) 2000-01-07 2001-09-21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250294B2 (ja) 2000-02-16 2009-04-08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720671B2 (ja) 2000-04-06 2005-11-30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1290355A (ja) 2000-04-06 2001-10-19 Canon Inc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2072824A (ja) 2000-08-25 2002-03-12 Canon Inc 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461330B2 (ja) 2000-08-25 2003-10-27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システム、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メモリー部材
JP2002139904A (ja) 2000-10-31 2002-05-17 Canon Inc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2196647A (ja) 2000-12-22 2002-07-12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2258720A (ja) 2001-03-05 2002-09-11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697168B2 (ja) 2001-03-09 2005-09-2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2268513A (ja) 2001-03-09 2002-09-20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631156B2 (ja) 2001-03-16 2005-03-23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890227B2 (ja) 2001-12-21 2007-03-0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手段移動機構、帯電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658372B2 (ja) * 2002-02-22 2005-06-0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用の離間保持部材
JP3809402B2 (ja) 2002-05-17 2006-08-16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703450B2 (ja) 2002-10-22 2005-10-0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970161B2 (ja) 2002-11-08 2007-09-0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JP3747195B2 (ja) 2002-11-20 2006-02-2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4205950A (ja) 2002-12-26 2004-07-22 Canon Inc クリーニング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970217B2 (ja) 2003-08-29 2007-09-05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378221B2 (ja) 2003-10-08 2009-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673795B2 (ja) 2003-10-24 2005-07-20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086766B2 (ja) 2003-11-28 2008-05-1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組立方法
JP4455124B2 (ja) * 2004-03-31 2010-04-2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970279B2 (ja) 2004-07-30 2007-09-0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9567A (ja) * 1998-09-11 2000-03-31 Canon Inc シャッタ部材、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72644A1 (en) 2008-06-19
JP4667444B2 (ja) 2011-04-13
EP2076820A1 (en) 2009-07-08
US20080145095A1 (en) 2008-06-19
JP2008170964A (ja) 2008-07-24
US7912404B2 (en) 2011-03-22
CN101529343B (zh) 2011-07-13
RU2408912C1 (ru) 2011-01-10
KR20090090378A (ko) 2009-08-25
CN102103355A (zh) 2011-06-22
CN101529343A (zh) 2009-09-09
EP2076820B1 (en) 2017-07-26
CN102103355B (zh) 2013-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5888B1 (ko)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EP1298502B1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detachable process cartridge
JP4018517B2 (ja) 部品
JPH05303242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前記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を装着可能な画像形成装置
JP2003195726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701313B2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980756B2 (en) Process cartridg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mounting system
US1018065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ably detaching a developing unit on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3703450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7179475B2 (ja) 着脱ユニットセット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CN108919623B (zh) 图像形成设备
JP2000298383A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6787381B2 (ja) 画像形成装置
CN106200333B (zh) 图像形成设备
JP3628869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シャッター機構、これを用いる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
JP2000347549A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6887789B2 (ja) 画像形成装置
US1028906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main casing, first cartridge and second cartridge
JP2002091266A (ja)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6267320A (ja) 画像形成装置
JPH1184986A (ja) 現像マガジン、画像形成装置、現像マガジン支持方法
JP2005055629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