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6731B1 -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6731B1
KR100526731B1 KR10-2002-0006535A KR20020006535A KR100526731B1 KR 100526731 B1 KR100526731 B1 KR 100526731B1 KR 20020006535 A KR20020006535 A KR 20020006535A KR 100526731 B1 KR100526731 B1 KR 100526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insulating film
channel region
drai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6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5388A (ko
Inventor
다나베히데오
시모무라시게오
오꾸라마고또
구리따마사아끼
기무라야스까즈
나까무라다까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20065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5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6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67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59Multistep manufacturing methods
    • H01L27/1288Multistep manufacturing methods employing particular masking sequences or specially adapted masks, e.g. half-tone mask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27Through-hole connection of the pixel electrode to the active element through an insulation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8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in which the switching element is a three-electrode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742Thin film unipolar transistors
    • H01L29/6675Amorphous silicon or polysilicon transistors
    • H01L29/66757Lateral single gate single channel transistors with non-inverted structure, i.e. the channel layer is formed before the g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 H01L29/7860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with supplementary region or layer in the thin film or in the insulated bulk substrate supporting it for controlling or increasing the safety of the device
    • H01L29/78618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with supplementary region or layer in the thin film or in the insulated bulk substrate supporting it for controlling or increasing the safety of the device characterised by the drain or the source properties, e.g. the doping structure, the composition, the sectional shape or the contact structure
    • H01L29/78621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with supplementary region or layer in the thin film or in the insulated bulk substrate supporting it for controlling or increasing the safety of the device characterised by the drain or the source properties, e.g. the doping structure, the composition, the sectional shape or the contact structure with LDD structure or an extension or an offset region or characterised by the doping profi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 H01L29/7860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with supplementary region or layer in the thin film or in the insulated bulk substrate supporting it for controlling or increasing the safety of the device
    • H01L29/78633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with supplementary region or layer in the thin film or in the insulated bulk substrate supporting it for controlling or increasing the safety of the device with a light shiel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4Drivers integrated on the active matrix substrat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구율의 향상을 도모하고, 박막 트랜지스터 주변의 단차의 억제를 도모한다. 절연성 기판에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되고, 이 박막 트랜지스터는 채널 영역, 이 채널 영역의 양측에 농도가 높은 불순물 도핑된 드레인 및 소스 영역, 드레인 영역과 채널 영역 사이 및 소스 영역과 채널 영역 사이 중 적어도 한쪽에 농도가 낮은 불순물 도핑된 LDD 영역을 갖는 폴리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반도체층과, 이 반도체층의 상면에 형성되고, 채널 영역, LDD 영역, 드레인 및 소스 영역에 걸쳐 각각 단계적으로 막 두께가 순차적으로 작아지는 절연막과, 상기 채널 영역 위에 상기 절연막을 경유하여 형성되는 게이트 전극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액티브 매트릭트형의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표시 장치의 대표적인 것으로서 알려진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여 배치되는 투명 기판 중 한쪽의 투명 기판의 액정측의 면에, x 방향으로 연장하여 y 방향으로 병설되는 게이트 신호선과, y 방향으로 연장되고 x 방향으로 병설되는 드레인 신호선이 형성되며, 이들 신호선에 따라 둘러싸인 각 영역을 화소 영역으로 한다.
각 화소 영역에는, 적어도, 한 측의 게이트 신호선으로부터의 주사 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박막 트랜지스터와, 이 박막 트랜지스터를 통해 한 측의 드레인 신호선으로부터의 영상 신호가 공급되는 화소 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화소 전극은 대향 전극 사이에 전계를 발생시키고, 이에 따라 액정의 투과율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로서, 소위 저온 폴리실리콘(p-Si)이라고 하는 반도체층을 이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박막 트랜지스터는 약 450℃ 이하의 저온 프로세스로 형성할 수 있 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 신호선에 주사 신호를 공급하는 주사 구동 회로, 및 드레인 신호선에 영상 신호를 공급하는 영상 구동 회로도 상기 한쪽의 기판 위에 형성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각 구동 회로는 다수의 상보형 MIS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며, 이들 MIS 트랜지스터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병행하여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박막 트랜지스터의 구성으로는, 예를 들면 특개평11-163366호 공보에 개시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구성의 박막 트랜지스터는 그 채널 영역과 이 채널 영역의 양측에 형성되는 드레인 및 소스 영역사이에 각각 소위 LDD(Lightly Doped Drain) 영역을 형성하고, 이들 각 LDD의 폭을 균일하게 하여 온 전류의 크기를 균일하게 한 것이다.
또, 이 LDD 영역은 드레인 및 소스 영역에 도핑되는 불순물보다도 농도가 낮은 불순물 도핑된 영역으로, 이 부분에서의 전계 집중을 완화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박막 트랜지스터는 그 채널 영역, LDD 영역, 드레인 및 소스 영역을 피복하는 절연막(게이트 절연막으로서 기능하는 것)의 막 두께를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컨택트 홀의 테이퍼면을 작게 할 수 없어 개구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없으며,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주변에 형성되는 단차때문에 층간 절연막의 피복성에 문제점이 생기는 등의 지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한 것으로, 그 목적은 개구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의 주변에 의한 문제점을 해소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 박막 트랜지스터의 형성시, 불순물의 이온 주입을 위한 전압을 저감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서 개시되는 발명 중에 대표적인 것의 개요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예를 들면 액정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여 배치되는 각 기판 중 적어도 한쪽의 기판에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되고, 이 박막 트랜지스터는 채널 영역, 이 채널 영역의 양측에 농도가 높은 불순물 도핑된 드레인 및 소스 영역, 드레인 영역과 채널 영역 사이 및 소스 영역과 채널 영역 사이 혹은 드레인 영역과 채널 영역의 사이 또는 소스 영역과 채널 영역 사이에 농도가 낮은 불순물 도핑된 LDD 영역을 갖는 폴리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반도체층과, 이 반도체층의 상면에 형성되고, 채널 영역, LDD 영역, 드레인 및 소스 영역 혹은 드레인 영역 또는 소스 영역에 이르러 각각 단계적으로 순차적으로 막 두께가 작아지는 절연막과, 상기 채널 영역 위에 상기 절연막을 통해 형성되는 게이트 전극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된 표시 장치에 있어서, 드레인 및 소스 영역 위의 절연막의 막 두께는 채널 영역 위의 절연막의 두께보다도 상당히 작게 형성된다.
이 때문에, 드레인 및 소스 전극용으로 형성되는 상기 절연막의 컨택트 홀은 그 내측면의 테이퍼에 차지하는 면적을 작게 할 수 있어, 각 전극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개구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그 절연막은 채널 영역으로부터 드레인 및 소스 영역에 이를 때까지 2단계로 단차를 분할시키고 있으며, 거의 매끄러운 경사면으로서 형성되어 단차에 기인하는 문제점이 해소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예를 들면 절연성 기판에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상기 기판측에 폴리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반도체층, 절연막, 도전층을 형성시키는 공정과, 상기 도전층을 채널 영역, LDD 영역 위에 잔존시키고, 잔존된 그 도전층을 마스크로 하여 고농도의 불순물을 이온 주입하는 공정과, 상기 도전층은 채널 영역 위에 잔존시키고, 잔존된 그 도전층을 마스크로 하여 저농도의 불순물을 이온 주입하는 공정을 거쳐 형성하고, 또한 채널 영역 위에 잔존시키는 도전층의 패턴화에 이용하는 레지스트막은 채널 영역 및 LDD 영역 위에 잔존시킨 도전층의 패턴화에 이용한 레지스트막 주변을 제거한 것을 이용함과 함께, 상기 도전막을 채널 영역 및 LDD 영역 위에, 또한 채널 영역 위에 잔존시킬 때에, 그것을 마스크로 하여 이 마스크로부터 노출된 상기 절연막의 표면을 약간 에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고농도의 불순물, 저농도의 불순물을 각각 이온 주입시에, 관통막이 되는 절연막의 막 두께는 채널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절연막보다도 작게 되어 있기 때문에, 그 이온 주입에 필요한 전압을 작게 할 수 있어, 그 절연막의 손상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1>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의 액정 표시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전체 구성도이다.
도 2에서, 우선 투명 기판 SUB1이 있으며, 이 투명 기판 SUB1은 액정을 사이에 두고 투명 기판 SUB2와 대향하여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투명 기판 SUB2는 투명 기판 SUB1보다도 약간 작은 면적으로 형성되는데, 예를 들면 도면 하측의 면에서 동일면이 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면 하측의 변을 제외한 다른 변의 주변부에서는 투명 기판 SUB2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이 존재한다.
이 영역에서의 투명 기판 SUB1의 액정측의 면에는 후술된 주사 구동 회로 V 및 영상 구동 회로 He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투명 기판 SUB1의 액정측의 면에는, 도면에서 x 방향으로 연장되어 y 방향으로 병설되는 게이트 신호선 GL이 형성되고, 그 일단(도면에서 좌측)은 상기 주사 구동 회로 V에 접속되고, 또한 도면에서 y 방향으로 연장되고 x 방향으로 병설되는 드레인 신호선 DL가 형성되고, 그 하나의 단부(도면에서 상측)는 상기 영상 구동 회로 He에 접속되어 있다.
각 게이트 신호선 GL과 각 드레인 신호선 DL로 둘러싸인 각 영역은 각각 화소 영역을 구성하고, 이 각 화소 영역에는 한 측의 게이트 신호선 GL로부터의 주사 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TFT와, 이 박막 트랜지스터 TFT를 통해 한 측의 드레인 신호선 DL로부터의 영상 신호가 공급되는 화소 전극 PX가 구비되어 있다.
이 화소 전극 PX는, 투명 기판 SUB2의 액정측의 면에 각 화소 영역에 공통으로 형성된 대향 전극 CT 사이에 전계를 생기게 하여, 그 전계에 의해 액정의 광 투과율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TFT는 그 반도체층이 예를 들면 소위 저온 폴리실리콘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주사 구동 회로 V 및 영상 구동 회로 He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TFT와 거의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트랜지스터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각 트랜지스터도 저온 폴리실리콘을 반도체층으로 함으로써,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TFT의 형성과 병행하여 형성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투명 기판 SUB1에 대한 투명 기판 SUB2의 고정은, 액정의 봉입재로서 기능하는 밀봉재 SL에 의해 처리되어 있다.
《화소의 구성》
도 3은, 상기 각 화소 영역 중에서 하나의 화소 영역에 대한 구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또한, 도 3의 I-I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를 도 1에 나타내고 있다.
투명 기판 SUB1의 액정측의 면에, 우선 폴리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반도체층 AS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반도체층 AS는 박막 트랜지스터 TFT를 구성하는 반도체층이 되고, 도 3에서는 예를 들면 L 자 형상의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다.
반도체층 AS는, 그 하나의 단부가 후술하는 게이트 신호선 GL과 드레인 신호선 DL로 둘러싸인 화소 영역 내에 위치지어지며, 또한 다른 하나의 단부는 드레인 신호선 DL과 중첩하도록 하여 형성되며, 각 단부는 비교적 면적이 크게 형성되어 컨택트부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반도체층 AS도 피복하여 투명 기판 SUB1의 표면에는 예를 들면 SiO2로 이루어지는 절연막 GI가 형성되어 있다(도 1 참조). 이 절연막 GI는 주로 박막 트랜지스터 TFT의 게이트 절연막으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게이트 절연막으로서 적당한 막 두께(약 100㎚)로 설정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절연막 GI의 표면에는 도면에서 x방향으로 연장되고 y방향으로 병설되는 게이트 신호선 GL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게이트 신호선 GL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TFT에 근접하는 부분에서 상기 반도체층 AS의 양단을 제외한 부분의 일부를 교차하여 걸치도록 하여 형성되는 연장부를 갖고, 이 연장부는 해당 반도체층 트랜지스터 TFT의 게이트 전극 GT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게이트 전극 GT(게이트 신호선 GL)의 재료로서, 이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Mo, Mo 합금(MoW, MoCr), Ti, Ti 합금(TW)이 이용된다.
또, 각 게이트 신호선 GL 사이에는 해당 게이트 신호선 GL과 평행하여 주행하는 용량 신호선 CL이 형성되어 있다. 이 용량 신호선 CL은 예를 들면 상기 게이트 신호선 GL의 형성시에 동시에 형성되도록 되어 있고, 따라서 그 게이트 신호선 GL과 동일한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게이트 신호선 GL, 용량 신호선 CL도 피복하여 투명 기판 SUB1의 표면에는, 예를 들면 SiO2로 이루어지는 제1 층간 절연막 LGI1가 형성되어 있다(도 1 참조).
이 제1 층간 절연막 GI1에는 컨택트 홀 CH1, CH2가 형성되고, 그 컨택트 홀 CH1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TFT의 소스 영역 SD1(후술하는 화소 전극 PX와 접속되는 측의 영역)의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형성되어 있고, 컨택트 홀 CH2는 드레인 영역 SD2(후술하는 드레인 신호선 DL과 접속되는 측의 영역)의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층간 절연막 LGI1의 상면에는 도면에서 y 방향으로 연장되고 x 방향으로 병설되는 드레인 신호선 DL이 형성되고, 이 드레인 신호선 DL은 상기 컨택트 홀 CH2의 부분에서 박막 트랜지스터 TFT의 드레인 전극 SD2와 접속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드레인 신호선 DL의 형성시에, 박막 트랜지스터 TFT의 소스 전극 SD1이 상기 컨택트 홀 CH1의 부분에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드레인 신호선 DL, 소스 전극 SD1도 피복하여 투명 기판 SUB1의 표면에는, 예를 들면 SiN으로 이루어지는 제2 층간 절연막 LGI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층간 절연막 LGI2에는 컨택트 홀 CH3이 형성되고, 그 컨택트 홀 CH3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의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층간 절연막 LGI2의 상면에는, 예를 들면 ITO(Induim-Tin-Oxide)로 이루어지는 화소 전극 PX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화소 전극 PX은 게이트 신호선 GL 및 드레인 신호선 DL에 근접하여 화소 영역의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게이트 전극 GT는 게이트 신호선 GL과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그러나, 게이트 신호선 GL을 게이트 전극 GT와 다른 재료로 형성하고, 이들을 전기적으로 접속시켜도 무방함은 물론이다.
《박막 트랜지스터 TFT》
도 1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TFT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도 3의 I-I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이 박막 트랜지스터 TFT에서는 반도체층 AS가 폴리실리콘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반도체층 AS는 게이트 전극 GT의 바로 아래에서 i형(진성; Intrinsic, 도전형 불순물로 도핑되어 있지 않음)의 층으로 이루어지며, 그 양측에서 각각 비교적 농도가 낮은 n형 불순물 도핑층, 또한 그 양측에서 각각 비교적 농도가 높은 n형 불순물 도핑층으로 형성되어 있다.
i 형의 반도체층 AS는 박막 트랜지스터 TFT의 채널 영역으로서 기능하고, 농도가 높은 n형 불순물 도핑층은 각각 드레인 영역(드레인 신호선 DL과 접속되는 측의 영역), 소스 영역(화소 전극 PX와 접속되는 측의 영역)으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농도가 낮은 n형 불순물 도핑층 AS0는 소위 드레인 애벌런치(avalanche) 핫 캐리어(DAHC)을 방지하는 층으로서 기능하며, LDD(Lightly Doped Drain) 영역이라고 한다. 이 LDD 영역에서 전계를 완화시켜 전류가 집중하는 것을 방지하여, 박막 트랜지스터 TFT로서의 신뢰성을 향상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상으로부터, 본 실시예에서는 불순물 도핑층 AS0의 채널 영역으로부터 드레인 영역까지, 또한 채널 영역으로부터 소스 영역까지의 각각의 폭(도면에서 L로 나타냄)은 동일하며, 또한 정밀한 값으로 설정된 것으로 되어 있다.
즉, 상기 폭 L이 길게 설정된 경우에는 반도체층 AS의 저항이 커지게 되며, 또한 작게 설정된 경우에는 전계의 집중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반도체층 AS를 피복하는 절연막 GI는 채널 영역의 바로 위에서 그 막 두께가 약 100㎚(바람직하게는 100㎚ 이하)로 형성되고, 농도가 낮은 n형 불순물 도핑층 AS0의 바로 위에서 그 막 두께가 90㎚이하로 형성되며, 드레인 영역 및 소스 영역의 바로 위에 그 막 두께가 80㎚ 이하, 바람직하게는 60㎚ 이하로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그 절연막 GI는 그 채널 영역의 바로 위, 농도가 낮은 n형 불순물 도핑층 AS0의 바로 위, 드레인 영역 및 소스 영역의 바로 위에 걸쳐 각각 단계적으로 막 두께가 순차적으로 작게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드레인 영역 및 소스 영역의 바로 위에서의 절연막 GI의 막 두께는 채널 영역의 바로 위에서의 절연막 GI의 막 두께보다도 20㎚ 이하,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얇게 형성된다.
이것은, 드레인 영역 및 소스 영역의 각각에 형성되는 전극 형성용 컨택트 홀 CH1, CH2의 내측면의 테이퍼가 차지하는 면적이 크게 되지 않는 것을 의미하며, 화소의 개구율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 효과는, 또한 절연막 GI에서 농도가 작은 n형 불순물 도핑층 AS0의 바로 위에서의 막 두께와 드레인 영역 및 소스 영역의 바로 위에서의 막 두께의 차이가 채널 영역의 바로 위에서의 막 두께와 농도가 낮은 n형 불순물 도핑층 AS0의 바로 위의 막 두께의 차보다도 크게 설정됨에 따라 현저해진다.
또한, 절연막 GI가 이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게이트 전극 GT의 근방에서의 단차가 두개로 분배되고, 각각의 단차가 작아지기 때문에, 층간 절연막 LGI1, LG12의 커버리지(coverage)가 양호해지는 효과도 발휘하게 된다.
또한, 이것은 층간 절연막 LGI1, LGI2를 비교적 평탄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이들 각 층간 절연막 LGI1, LGI2의 층 위에 형성되는 신호선 혹은 전극의 단차에 따른 단선 등을 회피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채널 영역의 바로 위에서의 절연막 GI의 막 두께를 100㎚ 이하, 농도가 작은 n형 불순물 도핑층 AS0의 바로 위에서의 절연막 GI의 막 두께를 90㎚ 이하, 드레인 영역 및 소스 영역의 바로 위에서의 절연막 GI의 막 두께를 60㎚ 이하로 했지만, 각각 80㎚이하, 70㎚이하, 40㎚이하로 형성하여도 무방함은 물론이다.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TFT의 제조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공정1. (도 4의 (a))
투명 기판 SUB1의 액정측 면에, 폴리실리콘(p-Si)로 이루어지는 반도체층 AS, 예를 들면 SiO2 등으로 이루어지는 절연막, 예를 들면 Cr 등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층을 순차적으로 적층시켜 형성한다.
여기서, 절연막은 게이트 절연막 GI, 금속층은 게이트 전극 GT로서 기능시키는 재료이다.
또한, 절연막은 그 층 두께가 비교적 두껍게 형성되는 것으로, 100㎚ 이하가 적당하다. 이 이유로는, 그 하층에 p-Si로 이루어지는 반도체층 AS가 형성되어, 단결정 실리콘과 같은 양질의 열 산화막을 형성할 수 없고, 저온 형성된 절연막을 형성해야하므로, 특성 상 막 두께를 얇게 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금속층의 표면에 예를 들면 도포에 의해 포토레지스트막 RE를 형성한다.
공정2. (도 4의 (b))
상기 포토레지스트막 RE를 포토마스크 MK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노광한다.
포토마스크 MK는 박막 트랜지스터 TFT의 채널 영역 및 그 양쪽 부분에 상당하는 영역에 차광막 mk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박막 트랜지스터 TFT의 채널 영역에 상당하는 차광막 mk0는 입사광을 완전히 차광하도록 구성되며, 그 양측에 상당하는 차광막 mk1에는 예를 들면 메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입사광의 일부를 차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이하, 이러한 노광을 편의상 하프 노광이라고도 칭함).
여기서, 차광막 mk1은 반도체층 AS에 형성되는 각 LDD 영역에 상당하는 부분으로 각 LDD 영역의 폭에 대응하는 폭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포토마스크 MK를 이용하여 노광시킨 포토레지스트막 RE를 현상함으로써, 그 포토레지스트막 RE는 박막 트랜지스터 TFT의 채널 영역 및 그 양측에 상당하는 영역에 잔존되며, 그 밖의 영역에서는 제거된다.
이 경우, 잔존된 포토레지스트막 RE는 그 채널 영역 위에서 막 두께가 두껍고, 그 채널 영역의 양측에 상당하는 영역 위에서 얇게 형성되게 된다.
공정3. (도 4의 (c))
잔존된 포토레지스트막 RE를 마스크로 하여 그 마스크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금속층을 선택적으로 에칭하고, 이에 따라 절연막 GI가 노출된다.
이 경우, 절연막 GI는 그 표면이 약간 에칭되며, 마스크 아래의 절연막 GI보다도 막 두께가 얇아진다.
또한, 상기 마스크를 잔존시켜 고농도의 n형 불순물의 이온 주입을 행한다. 이에 따라, 그 마스크의 형성 영역 이외에서 절연막 아래의 반도체층 AS에 고농도의 이온이 주입되어, 드레인 및 소스 영역이 형성된다.
이 경우, 이온 주입시의 이온의 관통막이 되는 절연막 GI는 그 막 두께가 100㎚ 이하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온 주입을 위한 가속 전압을 낮출 수 있다. 이에 따라 관통막으로서의 절연막 GI가 받는 손상을 낮게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후 공정의 활성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공정4. (도 4의 (d))
잔존된 포토레지스트막 RE를 애싱(ashing)에 의해 표면을 제거하여 일부 잔존시킨다. 즉, 지금까지 채널 영역 위에 잔존된 막 두께가 큰 포토레지스트막 RE를 잔존시키고, 그 양측에 형성된 막 두께가 작은 포토레지스트막 RE를 제거할 수 있을 때까지 그 애싱 공정을 계속하여 행한다.
공정5. (도 4의 (e))
잔존된 포토레지스트막 RE를 마스크로 하여, 이 마스크로부터 노출된 금속층을 에칭하고, 이에 따라 게이트 전극 GT가 형성됨과 함께, 채널 영역의 양측 위의 절연막 GI가 노출된다.
이 경우, 절연막 GI는 그 표면이 약간 에칭되고, 마스크 아래의 절연막 GI보다도 막 두께가 작아진다. 이 경우, 드레인 및 소스 영역 위의 절연막 GI도 마찬가지로 그 표면이 약간 에칭된다.
또한, 상기 마스크를 잔존시켜 저농도의 n형 불순물의 이온 주입을 행한다. 이에 따라, 그 마스크의 형성 영역 이외에서 절연막 아래의 반도체층에 저농도의 이온이 주입되어, LDD 영역이 형성된다.
이 경우, 이온 주입시의 이온의 관통막으로서 기능하는 절연막은 그 막 두께가 100㎚ 이하로 되기 때문에, 이온 주입을 위한 가속 전압을 낮출 수 있다. 이에 따라, 관통막으로서의 절연막이 받는 손상을 낮게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속 공정의 활성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 밖의 제조 방법≫
도 5는, 도 4에 나타낸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 5에서, 게이트 전극 GT로서 이용하는 금속층의 가공시에 사용하는 포토레지스트막 RE의 형성을 제외하고는, 도 4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상기 금속층은,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박막 트랜지스터 TFT의 채널 영역 및 그 양측의 부분 위에 잔존시키지만, 이 때의 마스크가 되는 포토레지스트막 RE는 막 두께가 균일한 것으로 하여 형성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잔존된 포토레지스트막 RE는, 그로부터 노출되는 금속층을 에칭하고, 고농도의 n형 불순물을 도핑함에 따라 드레인 및 소스 영역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이 포토레지스트막 RE를 마스크로 하여 그 마스크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금속막을 에칭한 후, 그 포토레지스트막 RE를 애싱한다.
이에 따라, 그 포토레지스트막 RE는 채널 영역 위에 잔존되며, 그 양측의 부분 위에서 제거되게 된다. 이 경우, 잔존된 포토레지스트막은 도 7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패턴으로 된다(이 패턴은 게이트 전극 GT의 패턴과 마찬가지임). 도 7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패턴은 상기 포토레지스트막의 애싱 전의 것이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 의해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 TFT의 게이트 전극 GT는 최종적으로 그 선단이 둥글게 형성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잔존된 포토레지스트막 RE는, 그로부터 노출되는 금속층을 에칭하고, 저농도의 n형 불순물을 도핑한다.
≪상보형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상술한 실시예에서의 박막 트랜지스터 TFT는 화소 영역에 형성되는 것에 대해 나타낸 것이다.
그러나,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액정 표시부 주변에 형성되는 주사 구동 회로 V 혹은 영상 구동 회로 He도 다수의 박막 트랜지스터 TFT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이들 박막 트랜지스터 TFT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각 구동 회로를 형성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TFT는 p 채널형과 n 채널형과의 상보(Complementary)형으로서 많이 이용되기 때문에, 그 제조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공정1. (도 6의 (a))
우선,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상보형의 각 박막 트랜지스터 TFT 중의 하나인 p형 박막 트랜지스터 TFT는 LDD 영역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게이트 전극 가공 후, 그것을 마스크로 하여 고농도 p형 불순물을 주입하여 형성한다.
이 경우, n형 박막 트랜지스터 TFT의 형성 영역은 기판 SUB1측으로부터 폴리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반도체층 AS, 절연막 GI, 금속층 GT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영역으로 되어 있다.
공정2. (도 6의 (b))
투명 기판 SUB1의 표면의 전역에 포토레지스트막 RE를 예를 들면 도포에 의해 형성한다.
공정 3. (도 6의 (c))
상기 포토레지스트막 RE를 포토 마스크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노광한다.
이 경우, p형 박막 트랜지스터 TFT의 형성 영역의 전역에는 포토레지스트막이 잔존하도록 전면적으로 차광되고, n형 박막 트랜지스터 TFT의 형성 영역에는 선택적으로 노광되도록 되어 있다.
n형 박막 트랜지스터 TFT의 형성 영역에서의 노광은 상술한 바와 같은 하프 노광으로서, 그 후 포토레지스트막 RE를 현상함으로써, 채널 영역 위의 포토레지스트막 RE는 그 막 두께가 두껍고, 그 채널 영역의 양측 부분 위의 막 두께는 얇게 형성되게 된다.
공정4. (도 6의 (d))
잔존된 포토레지스트막 RE를 마스크로 하여 그 마스크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금속층 GT을 선택적으로 에칭하고, 이에 따라 절연막 GI가 노출된다.
이 경우, 절연막 GI는 그 표면이 약간 에칭되어, 마스크 아래의 절연막보다도 막 두께가 작아진다.
공정5. (도 6의 (e))
또한, 상기 마스크를 잔존시켜 고농도의 n형 불순물의 이온 주입을 행한다. 이에 따라, 그 마스크의 형성 영역 이외에서 절연막 GI 아래의 반도체층에 고농도의 n형 불순물 이온이 주입되어, 드레인 및 소스 영역이 형성된다.
잔존된 포토레지스트막을 애싱 공정에 의해 표면을 제거하여 일부 잔존시킨다. 즉, 채널 영역 위에 잔존된 지금까지의 막 두께가 큰 포토레지스트막을 잔존시키고, 그 채널 영역의 양측 위에 잔존된 지금까지의 막 두께가 작은 포토레지스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때까지 그 애싱 공정을 계속하여 행한다.
잔존된 포토레지스트막을 마스크로 하여, 이 마스크로부터 노출된 금속층을 에칭하여 게이트 전극 GT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절연막 GI가 노출되고, 그 절연막 GI는 그 표면이 약간 에칭되어, 마스크 아래의 절연막 GI보다도 막 두께가 작아진다.
공정 6. (도 6의 (f))
또한, 상기 마스크를 잔존시켜 저농도의 n형 불순물의 이온 주입을 행한다. 이에 따라, 그 마스크의 형성 영역 이외에서 절연막 GI 아래의 반도체층 AS에 저농도의 p형 불순물이 주입된다.
≪박막 트랜지스터 TFT의 그 밖의 구조 및 형성 방법≫
상술한 각 박막 트랜지스터 TFT는 그 채널 영역을 사이에 두고 그 채널 영역의 양측에 LDD 영역이 형성된 것이다.
그러나, 이 LDD 영역은 전류가 유입되는 영역(예를 들면, 드레인 영역)측에 구성한 구조라도 무방함은 물론이다.
이 경우에도, 도 8에 나타낸 공정도로부터 알 수 있듯이, 게이트 전극의 가공시, 예를 들면 하프 노광을 이용함으로써 앞서 설명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9에서는, 상술한 TFT의 제조 공정에 후속하는 공정을 나타낸다. 채널 형상으로 잔존하는 레지스트를 제거한 후, 소스/드레인 영역 및 게이트 전극 위에 산화 실리콘 등으로 구성되는 층간 절연막을 형성한다. 특별히 제한하지 않았지만, 이 층간 절연막은 4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층간 절연막을 형성한 후, 처음에 드라이 에칭(이방성 에칭)을 행하여, 층간 절연막 도중까지의 깊이를 갖는 홀을 형성한다. 그 후, 웨트 에칭(등방성 에칭)을 행하여 상기 홀을 소스/드레인 영역까지 성장시켜 컨택트 홀을 형성한다. 그 때문에, 컨택트 홀의 윗 부분의 경사에 비하여 아래부분의 경사가 더 완만하게 된다. 그 후, 컨택트 홀에 금속 등의 도전물을 피착(Deposition) 등으로 충전함으로써 소스/드레인 영역과의 컨택트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소스/드레인 영역을 영상 신호선 혹은 화소 전극에 접속 가능해진다. 또한, 여기서는, 처음에 드라이 에칭을 행하고, 그 다음에 웨트 에칭을 행함으로써 컨택트 홀을 형성함에 따라, 웨트 에칭만으로 컨택트 홀을 형성하는 것보다도 컨택트 홀의 형성 영역을 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 영역에서는 개구율을 높일 수 있게 되어, 액정 표시 장치의 주변 영역 및 액정 표시 장치 이외의 표시 장치에서는 TFT의 집적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처음에 드라이 에칭으로 층간 절연막의 도중까지 홀을 형성한 것으로 했지만, 드라이 에칭에 의한 홀의 형성을 층간 절연막과 게이트 절연막 GI와의 경계 근방까지, 혹은 게이트 절연막 도중까지 행해도 된다. 즉, 컨택트 홀의 측면의 기울기는 층간 절연막과 게이트 절연막과의 경계 근방에서 변하게 된다. 드라이 에칭에 의한 홀 형성을 소스/드레인 영역의 근방까지 행함으로써, 더 컨택트 홀의 형성 영역을 좁힐 수 있지만, 드라이 에칭의 제어가 엄격해진다. 그 때문에, 컨택트 영역의 면적적 제약과 드라이 에칭의 정밀도를 가미하여, 드라이 에칭과 웨트 에칭과의 웨이트를 변경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도 10에서는, 컨택트 홀의 형성을 드라이 에칭만으로 행하는 구성이다. 이에따라, 도 9의 구성에 비해 컨택트 홀의 영역을 더 좁힐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드라이 에칭만으로 컨택트 홀을 형성한 경우, 폴리실리콘으로 형성된 소스/드레인 영역까지도 드라이 에칭에 의해 에칭된다. 그 때문에,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기 전에, 소스/드레인 영역 위의 게이트 절연막의 일부를 제거하고, 거기에 금속을 형성한다. 금속을 형성한 후,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고, 그 후 상기 금속이 형성된 영역의 층간 절연막을 드라이 에칭으로 제거한다. 이에 따라, 금속이 드라이 에칭의 블록층으로 되어, 소스/드레인 영역이 에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의 구성에서는, 상술한 일련의 공정 전에, 소스/드레인의 컨택트가 형성되는 곳에 금속막을 형성해 두는 것이다. 기판 위에 금속을 형성하고, 상기 금속막 상부에 폴리실리콘을 형성하여, 상술한 공정에 따라 소스/드레인 영역을 형성하고, 층간 절연막을 형성한다. 그 후, 층간 절연막과, 소스/드레인 영역 위의 게이트 절연막을 드라이 에칭으로 에칭한다. 이 때, 소스/드레인 영역의 폴리실리콘도 드라이 에칭에 의해 함께 에칭되어, 최종적으로는 층간 절연막과 게이트 절연막과 폴리실리콘에 홀이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컨택트 홀에 금속 등의 도전체를 충전함으로써, 소스/드레인 영역은 폴리실리콘 하층에 형성된 금속층을 통해 컨택트 홀의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앞서 도시한 도 10과 도 11의 구성에서는, 소스/드레인 영역의 상면 혹은 하면에 금속층을 형성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공정수가 증가한다. 그러나, 컨택트 홀을 드라이 에칭만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컨택트 영역을 더 좁힐 수 있다.
도 12는 소스/드레인의 컨택트 홀을 드라이 에칭만으로 형성하는 다른 실시 형태이다. 게이트 전극의 측면에 측벽을 형성함으로써 LDD 구조를 형성하고, 그 후, 소스/드레인 영역과 게이트 전극 위에 금속막과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고, 층간 절연막을 드라이 에칭으로 에칭함으로써 소스/드레인 영역과의 컨택트를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 소스/드레인 영역 위에는 에칭 스톱층인 금속막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소스/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폴리실리콘이 에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을 도 4에 나타낸 TFT의 제조 방법에 적용한 경우, 저농도의 이온을 주입하기 위해 채널 영역 이외의 게이트 전극을 에칭으로 제거할 때, 이미 고농도의 이온이 주입된 영역 위의 게이트 절연막까지도 제거한다. 그 후, 저농도의 이온을 주입한 후, 소스/드레인 영역과 게이트 전극 위에 금속막을 형성한다. 그 후, 전면에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고, 드라이 에칭으로 컨택트 홀을 형성한다. 이 구성의 경우, 소스/드레인 영역 위에는 금속막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드라이 에칭에 의해 소스/드레인 영역의 폴리실리콘까지 에칭되지는 않는다. 단, 이 구성의 경우, 게이트 전극과 소스/드레인 영역이 금속막에 의해 단락되지 않은 정도의 두께로 금속막을 퇴적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저농도의 이온을 주입할 때, 소스/드레인 영역 위에 관통막으로서 기능하는 게이트 절연막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저농도 이온 주입시, 폴리실리콘 내에 불순물까지 함께 도입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게이트 전극과 소스/드레인 영역이 단락되지 않은 구성이며, 또한 폴리실리콘으로의 불순물의 도입 가능성이 낮은 경우나 낮아도 되는 경우, 본 구성이라면, 공정이 간략화될 뿐만 아니라 컨택트 영역을 좁힐 수 있게 된다. 물론, 상술한 구성은 도 5, 도 6 및 도 8의 구성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6에서는 처음에 P형 TFT과 N형 TFT의 게이트 전극을 형성한 후, P형 TFT의 소스/드레인 영역을 형성하고, N형 TFT을 형성하는 공정을 나타내었지만, 이것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처음에 LDD 구조의 N형 TFT의 게이트 전극을 형성할 때에 P형 TFT의 게이트 전극을 동시에 형성하고, 그 후 주입에 의해 소스/드레인 영역이 형성된 N형 TFT 부분을 마스크하여 P형 TFT를 형성한 것이라도 상관없다. 이 경우, P형 TFT의 소스/드레인 영역을 이루는 영역에도 주입되게 되지만, N형 TFT의 형성 후 N형 TFT를 마스크하여 P형 TFT의 소스/드레인 영역에 붕소를 2배량 주입함으로써, P형 TFT를 실현할 수 있다. 여기서, N형 TFT와 P형 TFT를 형성하는 순서를 반대로 할 수 있지만, 인보다도 붕소가 많은 것이 활성화되기 쉽기 때문에, N형 TFT를 형성한 후에 P형 TFT를 형성하는 편이 낫다.
또한, 상기 하프 노광의 설명에서, 포토 마스크에 형성되는 차광막을 메쉬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스트라이프 형상의 차광막 등이라도 상관없으며, 완전히 노광되는 곳과 완전히 노광되지 않는 곳과의 중간 정도로 노광되는 곳을 형성할 수 있는 포토마스크라면, 어떤 구성이라도 상관없다.
또한, 상술한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공정에서, 소스/드레인 영역에 농도가 높은 이온 영역을 형성한 후에, 채널 형성 영역 위의 막 두께가 큰 레지스트를 잔존시켜 그 측면에 형성된 막 두께가 얇은 레지스트막을 애싱하는 것을 개시하였지만, 애싱 후에 이온을 주입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이온 주입에 의해 레지스트가 경화되기 전에 레지스트를 애싱하기 때문에, 레지스트 후퇴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도 5의 설명은, 도 5의 (b)의 상태에서 고농도의 이온을 주입하고, 그 후, 도 5의 (c)와 같이 레지스트를 TFT의 채널 영역의 폭이 되도록 애싱하고, 남은 레지스트를 마스크로 하여 금속막을 에칭하며, 도 5의 (d)와 같이 금속막을 에칭한 후에 저농도의 이온을 주입함에 따라, 보다 도면에 준거한 설명으로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설명에서도 고농도의 이온 주입와 채널 영역을 잔존시키는 레지스트의 애싱의 순서를 반대로 해도 된다.
이상, 본 명세서에서는, 한쪽 기판에 화소 전극이 형성되고, 다른 쪽의 기판에 대향 전극이 형성되는 구성을 갖는 일반적인 액정 표시 장치의 TFT에 기초하여 설명을 하였지만, 한쪽의 기판 위에 화소 전극과 대향 전극을 형성하여 기판에 평행한 방향으로 액정을 구동시키는 횡전계 방식(IPS)의 액정 표시 장치의 TFT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일렉트로 루미네센스를 사용한 유기 EL 표시 장치 등에서 사용하는 TFT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표시 장치에서, 표시 영역이 갖는 TFT와 표시 영역 주변의 주변 영역이 갖는 TFT 중 어느 한쪽의 TFT에만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주변 회로 영역을 상보형의 박막 트랜지스터로 구성하고, 화소 영역을 단일한 도전형의 박막 트랜지스터로 구성하는 표시 장치에 대하여 기재하였지만, 이것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주변 영역을 P형 혹은 N형의 한쪽만의 TFT로 구성하는 표시 장치라도 괜찮고, 혹은 표시 영역을 P형 및 N형의 도전형 TFT로 구성하는 표시 장치라도 괜찮다.
이상 설명한 것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표시 장치에 따르면, 개구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주변의 단차에의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박막 트랜지스터의 형성시의 불순물 이온 주입을 위한 전압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박막 트랜지스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도 3의 I-I 선을 따라 취하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화소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공정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공정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공정도.
도 7은 도 5에 나타낸 공정으로 제조한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의 패턴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공정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공정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공정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공정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공정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UB : 투명 기판
GL : 게이트 신호선
DL : 드레인 신호선
CL : 용량 신호선
TFT : 박막 트랜지스터
GT : 게이트 전극
SD1 : 소스 전극
SD2 : 드레인 전극
PX : 화소 전극
GI : 절연막
LGI1 : 제1 층간 절연막
LGI2 : 제2 층간 절연막
CH : 컨택트 홀
RE : 포토레지스트막

Claims (11)

  1. 기판에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채널 영역과, 상기 채널 영역의 양측에 농도가 높은 불순물이 도핑된 드레인 및 소스 영역과, 상기 드레인 영역과 상기 채널 영역 사이 및 상기 소스 영역과 상기 채널 영역 사이 혹은, 상기 드레인 영역과 상기 채널 영역 사이 또는 상기 소스 영역과 상기 채널 영역 사이에 농도가 낮은 불순물이 도핑된 LDD(Lightly Doped Drain) 영역을 갖는 폴리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반도체층과,
    상기 반도체층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채널 영역에 대응하는 막 두께가 상기 LDD 영역에 대응하는 막 두께보다도 두껍고, 상기 LDD 영역에 대응하는 막 두께가 상기 드레인 영역 및 소스 영역, 혹은 상기 드레인 영역 또는 소스 영역에 대응하는 막 두께보다도 두꺼우며, 상기 채널 영역, 상기 LDD 영역, 상기 드레인 및 소스 영역 혹은, 상기 드레인 또는 소스 영역에 걸쳐 각각 단계적으로 막 두께가 순차적으로 작아지는 절연막과,
    상기 채널 영역 위에 상기 절연막을 통해 형성되는 금속층으로 된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LDD 영역은 상기 농도가 높은 불순물을 도핑한 후, 상기 LDD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금속층을 제거한 후에, 상기 농도가 낮은 불순물을 도핑하여 형성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영역 및 상기 소스 영역 위의 상기 절연막은 그 막 두께가 8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DD 영역 위의 상기 절연막은 그 막 두께가 9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영역 위의 상기 절연막은 그 막 두께가 1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영역 및 상기 소스 영역 위의 상기 절연막의 막 두께는 상기 채널 영역 위의 상기 절연막의 막 두께보다도 20㎚ 이상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DD 영역의 바로 위에서의 상기 절연막의 막 두께와 상기 드레인 영역 및 상기 소스 영역의 바로 위에서의 상기 절연막의 막 두께의 차가, 상기 채널 영역의 바로 위에서의 상기 절연막의 막 두께와 상기 LDD 영역의 바로 위에서의 상기 절연막의 막 두께의 차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절연성 기판에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상기 기판측에 폴리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반도체층, 절연막, 금속층을 형성시키는 공정과,
    상기 금속층을 채널 영역, LDD 영역 위에 잔존시키고, 잔존된 상기 금속층을 마스크로 하여 고농도의 불순물을 이온 주입하는 공정과,
    상기 LDD 영역 상에 잔존된 상기 금속층을 제거하고, 상기 금속층은 채널 영역 위에 잔존시키고, 잔존된 상기 금속층을 마스크로 하여 저농도의 불순물을 이온 주입하는 공정을 거쳐 형성하고,
    또한, 상기 채널 영역 위에 잔존시키는 금속층의 패턴화에 이용하는 레지스트막은, 상기 채널 영역 및 상기 LDD 영역 위에 잔존시킨 금속층의 패턴화에 이용한 레지스트막의 주변을 제거한 것을 이용함과 함께,
    상기 금속층을 상기 채널 영역 및 상기 LDD 영역 위에, 다시 상기 채널 영역 위에 잔존시킬 때에, 상기 금속층을 마스크로 하여 이 마스크로부터 노출된 상기 절연막의 표면도 에칭함으로써, 상기 채널 영역에 대응하는 절연막의 두께가 상기 LDD 영역에 대응하는 절연막의 두께보다도 두껍고, 상기 LDD 영역에 대응하는 절연막의 두께가 상기 드레인 영역 및 소스 영역, 혹은 상기 드레인 영역 또는 소스 영역에 대응하는 절연막의 두께보다도 두껍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영역, 상기 LDD 영역 위에 잔존시키는 상기 레지스트막은, 상기 채널 영역 위에서 두껍게 형성되고, LDD 영역 위에 얇게 형성되며, 상기 채널 영역 위에 잔존시키는 상기 레지스트막은, 상기 채널 영역 및 상기 LDD 영역 위에 잔존시킨 상기 레지스트막을 애싱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02-0006535A 2001-02-06 2002-02-05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5267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29050 2001-02-06
JPJP-P-2001-00029050 2001-02-06
JP2002019751A JP4037117B2 (ja) 2001-02-06 2002-01-29 表示装置
JPJP-P-2002-00019751 2002-0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5388A KR20020065388A (ko) 2002-08-13
KR100526731B1 true KR100526731B1 (ko) 2005-11-09

Family

ID=26608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6535A KR100526731B1 (ko) 2001-02-06 2002-02-05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6624443B2 (ko)
JP (1) JP4037117B2 (ko)
KR (1) KR100526731B1 (ko)
CN (1) CN1185533C (ko)
TW (1) TW58342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94799B1 (en) * 1995-11-27 2001-09-2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US5940732A (en) 1995-11-27 1999-08-1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Method of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JPH10135475A (ja) * 1996-10-31 1998-05-22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作製方法
JP2003257662A (ja) * 2002-03-04 2003-09-12 Sanyo Electric Co Ltd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TW578308B (en) * 2003-01-09 2004-03-01 Au Optronics Corp Manufacturing method of thin film transistor
TWI222224B (en) * 2003-04-29 2004-10-11 Toppoly Optoelectronics Corp TFT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TWI222227B (en) * 2003-05-15 2004-10-11 Au Optronics Corp Method for forming LDD of semiconductor devices
US7511781B2 (en) * 2003-06-04 2009-03-31 Tpo Hong Kong Holding Limited Method for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7423343B2 (en) * 2003-08-05 2008-09-0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Wiring boar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0369266C (zh) * 2003-09-29 2008-02-13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控制薄膜晶体管及其制造方法与含其的电致发光显示装置
US7314785B2 (en) * 2003-10-24 2008-01-0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012718B1 (ko) * 2003-12-30 2011-02-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 제조방법
JP2005197618A (ja) 2004-01-09 2005-07-21 Nec Corp 薄膜トランジスタ、薄膜トランジスタの形成方法ならびに表示デバイス、電子機器
JP2005217368A (ja) * 2004-02-02 2005-08-11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薄膜トランジス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579188B1 (ko) 2004-02-12 2006-05-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엘디디 구조를 갖는 박막트랜지스터
CN100368912C (zh) * 2005-02-03 2008-02-13 广辉电子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的制造方法
CN100368911C (zh) * 2005-02-03 2008-02-13 广辉电子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
US7588970B2 (en) * 2005-06-10 2009-09-1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7258453A (ja) * 2006-03-23 2007-10-04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薄膜トランジス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70263B1 (ko) * 2006-05-03 2007-10-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박막트랜지스터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796609B1 (ko) * 2006-08-17 2008-01-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Cmos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KR100867921B1 (ko) * 2006-11-29 2008-11-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KR100811997B1 (ko) * 2006-12-04 2008-03-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박막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한평판표시장치
KR100836472B1 (ko) 2007-03-22 2008-06-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WO2012160800A1 (ja) * 2011-05-24 2012-11-29 シャープ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CN103762166A (zh) * 2011-12-31 2014-04-30 广东中显科技有限公司 精确对准的搭桥晶粒多晶硅薄膜晶体管的制造方法
CN103779206A (zh) * 2011-12-31 2014-05-07 广东中显科技有限公司 一种搭桥晶粒多晶硅薄膜晶体管及其制造方法
JP5827970B2 (ja) * 2013-03-25 2015-12-0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CN103178006B (zh) * 2013-03-29 2015-09-23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调整低温多晶硅晶体管阀值电压的方法
CN104240633B (zh) * 2013-06-07 2018-01-09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薄膜晶体管和有源矩阵有机发光二极管组件及其制造方法
CN104241390B (zh) * 2013-06-21 2017-02-08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薄膜晶体管和有源矩阵有机发光二极管组件及制造方法
CN104241389B (zh) 2013-06-21 2017-09-01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薄膜晶体管和有源矩阵有机发光二极管组件及制造方法
TWI653755B (zh) * 2013-09-12 2019-03-11 日商新力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其製造方法及電子機器
US9530808B2 (en) * 2013-09-12 2016-12-27 Boe Technology Group Co., Ltd. TFT array substrat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CN103531595B (zh) * 2013-10-31 2016-09-1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低温多晶硅薄膜晶体管阵列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TWI567452B (zh) * 2014-07-17 2017-01-21 群創光電股份有限公司 液晶顯示裝置及其元件基板
US9543335B2 (en) 2014-07-17 2017-01-10 Innolux Corporation Liquid-crystal display and element substrate thereof
CN104779168B (zh) * 2015-04-13 2018-01-12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用于制作薄膜晶体管的方法
CN105870199A (zh) * 2016-05-26 2016-08-17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薄膜晶体管、薄膜晶体管的制备方法及cmos器件
CN106711087A (zh) * 2016-12-26 2017-05-24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薄膜晶体管的制作方法
CN106847927A (zh) * 2017-01-23 2017-06-13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薄膜晶体管及其制作方法、液晶面板
CN107026178B (zh) * 2017-04-28 2019-03-1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KR20180137642A (ko) * 2017-06-16 2018-12-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0847739B2 (en) * 2017-09-21 2020-11-24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having larger openings on inner sides of anode electrodes in display region than on inner sides of anode electrodes in peripheral display region
CN107818948B (zh) * 2017-10-31 2020-04-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的制备方法
CN116247011B (zh) * 2023-05-10 2023-10-13 长鑫存储技术有限公司 半导体结构及其制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1018A (ja) * 1993-06-23 1995-05-19 Sanyo Electric Co Ltd 薄膜トランジス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236771A (ja) * 1996-03-22 1996-09-13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Mos型トランジスタ
KR19990039940A (ko) * 1997-11-15 1999-06-05 구자홍 박막트랜지스터 제조방법
KR20010001454A (ko) * 1999-06-04 2001-01-05 구본준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6751A (en) * 1982-04-13 1998-04-07 Seiko Epson Corporation Field effect transistor having thick source and drain regions
US5414442A (en) * 1991-06-14 1995-05-0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Electro-optical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JP2564725B2 (ja) * 1991-12-24 1996-12-18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Mos型トランジスタの作製方法
EP0589478B1 (en) * 1992-09-25 1999-11-17 Sony Corporatio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5279308A (en) 1993-02-19 1994-01-18 Graphic Controls Corporation Intrauterine pressure catheter system
US6190933B1 (en) * 1993-06-30 2001-02-2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Ultra-high resolution liquid crystal display on silicon-on-sapphire
JPH0836771A (ja) 1994-07-25 1996-02-06 Sony Corp 光学ピックアップ
US5977559A (en) * 1995-09-29 1999-11-0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Thin-film transistor having a catalyst element in its active regions
JP3274081B2 (ja) 1997-04-08 2002-04-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薄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AUPO777997A0 (en) * 1997-07-09 1997-07-31 Technosearch Pty. Limited Improvements in containers
JP3679567B2 (ja) * 1997-09-30 2005-08-03 三洋電機株式会社 薄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US6320204B1 (en) * 1997-12-25 2001-11-20 Seiko Epson Corporation Electro-optical device in which an extending portion of a channel region of a semiconductor layer is connected to a capacitor line and an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electro-optical device
JP2000111952A (ja) * 1998-10-07 2000-04-21 Sony Corp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用の駆動基板、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
CN1213390C (zh) * 1998-11-26 2005-08-03 精工爱普生株式会社 电光装置及其制造方法和电子装置
JP2000174282A (ja) * 1998-12-03 2000-06-23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半導体装置
US6395586B1 (en) * 1999-02-03 2002-05-28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fabricating high aperture ratio TFT's and devices formed
JP2001029050A (ja) 1999-07-22 2001-02-06 Asahi Denka Kogyo Kk 含水固形ルー用油脂組成物
JP2001196594A (ja) * 1999-08-31 2001-07-19 Fujitsu Ltd 薄膜トランジスタ、液晶表示用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US6384427B1 (en) * 1999-10-29 2002-05-0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Electronic device
US6646287B1 (en) * 1999-11-19 2003-11-1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with tapered gate and insulating film
KR100577410B1 (ko) * 1999-11-30 2006-05-08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엑스레이 영상 감지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6825488B2 (en) * 2000-01-26 2004-11-3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T410727B (de) * 2000-03-14 2003-07-25 Austria Mikrosysteme Int Verfahren zum unterbringen von sensoren in einem gehäuse
US7525165B2 (en) * 2000-04-17 2009-04-2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2019751A (ja) 2000-07-05 2002-01-23 Fuji Photo Film Co Ltd ラベル貼付装置
TW515104B (en) * 2000-11-06 2002-12-21 Semiconductor Energy Lab Electro-optical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W586141B (en) * 2001-01-19 2004-05-01 Semiconductor Energy Lab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6773944B2 (en) * 2001-11-07 2004-08-1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1018A (ja) * 1993-06-23 1995-05-19 Sanyo Electric Co Ltd 薄膜トランジス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236771A (ja) * 1996-03-22 1996-09-13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Mos型トランジスタ
KR19990039940A (ko) * 1997-11-15 1999-06-05 구자홍 박막트랜지스터 제조방법
KR20010001454A (ko) * 1999-06-04 2001-01-05 구본준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85533C (zh) 2005-01-19
US7388228B2 (en) 2008-06-17
JP4037117B2 (ja) 2008-01-23
US20020104992A1 (en) 2002-08-08
US20050242354A1 (en) 2005-11-03
TW583424B (en) 2004-04-11
US20030209709A1 (en) 2003-11-13
US6624443B2 (en) 2003-09-23
KR20020065388A (ko) 2002-08-13
CN1375735A (zh) 2002-10-23
US6936847B2 (en) 2005-08-30
JP2002313810A (ja) 2002-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6731B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131793B1 (ko) 폴리 실리콘형 박막트랜지스터 및 이를 갖는 박막트랜지스터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234892B1 (ko) 액정표시장치의 구조 및 그 제조방법
US8148726B2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040169812A1 (en) Thin film transistor array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panel
US8139176B2 (en) Display substrate,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isplay substrate and a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display substrate
US1040911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rray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059024B1 (ko) 표시 장치
KR100330165B1 (ko)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0928490B1 (ko) 액정표시패널 및 그 제조 방법
US20060286727A1 (en) Polycrystalline silico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100307457B1 (ko)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US7829395B2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JP4132937B2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075870A (ja) 平面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235421B1 (ko) 어레이 기판 및 그 제조방법
US20090218574A1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0908850B1 (ko) 구동회로 일체형 액정표시장치용 구동소자 및 스위칭소자의 제조방법
JP3647384B2 (ja) 薄膜半導体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表示パネル
KR101172015B1 (ko)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0267994B1 (ko) 액정표시장치의제조방법
KR20010009012A (ko) 액정표시장치의 박막트랜지스터측 판넬 및 그 형성방법
CN114203726A (zh) 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KR20050050881A (ko)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60040327A (ko)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