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0196B1 - 전선 접속기구 - Google Patents

전선 접속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0196B1
KR100480196B1 KR10-2003-7000708A KR20037000708A KR100480196B1 KR 100480196 B1 KR100480196 B1 KR 100480196B1 KR 20037000708 A KR20037000708 A KR 20037000708A KR 100480196 B1 KR100480196 B1 KR 100480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button
housing
leaf spring
cas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0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0384A (ko
Inventor
미요시카즈아키
쿠마가이준이치로
야마다히사카즈
토미즈모토유키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20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0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0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01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28Spring-activating arrangements mounted on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spring housing
    • H01R4/48365Spring-activating arrangements mounted on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spring housing with integral release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08Modular block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하우징(10)과, 이 하우징 내에 수용된 도통 금구(20)와, 개략 V자 형상으로 굴곡되며 또한 편측 단부가 상기 도통 금구에 압접되는 판스프링(30)과, 상기 하우징에 축심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된 조작 버튼(40)으로 이루어지는 자기 잠금형의 전원 접속 커넥터로서, 조작 버튼(40)을 하우징(10) 내로 밀어 넣으면, 조작 버튼(40)의 조작부(43)가 판스프링(30)의 편측을 밀어 내리는 반면, 그 반력으로 상기 조작 버튼(40)의 상면이 상기 케이스(10)의 모서리부(11)로 밀려져서 로크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며 접촉 신뢰성이 높고, 조립 및 접속 작업이 용이한 소형의 전선 접속 커넥터.

Description

전선 접속기구{WIRE CONNECTOR}
본 발명은, 중계 커넥터, 자기 잠금 단자장치, 전선 접속 커넥터, 중계 터미널이라고 불리는 전선 접속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과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 1 과제)
종래에 전선 접속기구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 10-12294호 공보에 기재된 플러그 등을 구비하는 중계 커넥터가 있다.
즉, 베이스 하우징(5, 19)의 외주면에 해제 버튼(11, 25)을 각각 결합시킴으로써 오픈 상태를 유지하는 구조의 중계 커넥터이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예에서는, 베이스 하우징(5, 19)에 결합 받침부를 형성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그 구조가 복잡하게 될 뿐만 아니라 장치의 소형화가 곤란하다.
한편 일본 실공평 8-2924호 공보에도, 전선 접속기구의 일종으로서 자기 잠금 단자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즉, 잠금 스프링(2)의 잠금부(13)가 단자 금구(3)의 측면부(17)에 압접하고, 전선(Y)의 일단부를 끼워지지하여 유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예에 의하면, 장치의 소형화에 수반하여 스프링력이 작아져서, 소망하는 유지력을 얻을 수 없고, 접촉 신뢰성이 저하된다. 역으로, 상기 잠금 스프링(2)이 일률적으로 폭이 넓으면, 스프링 부분의 응력 분산을 할 수 없는다. 또한, 단자 금구(3)의 배면에 크게 노치를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노치 부분에 응력이 집중하고 강도가 현저하게 저하된다는 부적합이 있다.
또한 전술한 어떠한 종래예에 있어도 단자 금구(판스프링)와 조작 부품과의 위치 관계가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하우징을 기준으로 하여 단자 금구(판스프링) 및 조작 부품을 조립하고 있다. 이 때문에 하우징에 단자 금구(판스프링) 및 조작 부품을 높은 위치 결정 정밀도로 조립할 필요가 있어서, 조립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접촉 신뢰성이 높고, 조립이 용이한 소형의 전선 접속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종래의 기술과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 2 과제)
또한 전술한 일본 특공평 8-2924호에 기재된 자기 잠금 단자장치에서는, 평형(平型) 드라이버(D)로 조작 버튼(4)을 밀어 내려, 잠금 스프링(2)을 탄성 변형시켜서 전선(Y)을 접속한다.
그러나 전술한 자기 잠금 단자장치에서는, 전선(Y)을 접속하는 경우에 조작 버튼(4)으로 잠금 스프링(2)을 계속 누를 필요가 있어서, 작업성이 나뻤다. 또한 상기 잠금 스프링(2)은 절연 본체(1)에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전선(Y)을 접속할 수 있는 상태인지 여부의 명확한 판별이 곤란하였다.
전술한 문제점의 하나를 해결하는 것으로는, 전술한 일본 특개평 10-12294호 공보에 기재된 로크 기구를 구비한 중계 커넥터를 들 수 있다.
즉, 베이스 하우징(5, 19)에 해제 버튼(11, 25)의 일단부를 각각 밀어 넣어 결합시킴으로써, 베이스 하우징(5, 19)에 전선(31)을 삽입할 수 있는 오픈 상태를 유지하는 구조의 중계 커넥터이다.
그러나 전술한 중계 커넥터에서는, 베이스 하우징(5, 19)에 전선(31)을 삽입하여 전기 접속하는 경우, 해제 버튼(11, 25)의 일단부를 쥐고 베이스 하우징(5, 19)으로부터 인출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모든 조작을 동일한 공구로 처리할 수 없고, 해제 버튼(11, 25)을 인출하는 경우에는 다른 공구를 바꿀 필요가 있고, 작업 효율이 나뻤다.
또한, 상기 해제 버튼(11, 25)을 인출할 때에 있어서의 힘의 조절이 어려워서, 해제 버튼(11, 25)을 잘못하여 지나치게 당겨서 파괴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전선 탈착이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의 판별이 용이하고, 누름 조작만으로 전선을 탈착할 수 있어서 전선 접속의 작업 효율이 높고, 구성 부품 파괴의 우려가 없는 전선 접속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종래의 기술과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 3 과제)
또한, 다른 전선 접속기구, 예를 들면,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와 다수의 전기기구를 전선을 통하여 접속하는 중계 터미널로서는,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 3076679호에 개시되어 있는 인터페이스 단자대의 고정 구조가 있다. 이 인터페이스 단자대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와, 각종 센서 또는 다른 인터페이스 단자대를 배선 접속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인터페이스 단자대는, 한쪽측에 마련한 커넥터를 통하여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에 접속되어 있는 한편, 다른 측에 마련한 나사 단자로 이루어진 접속부를 통하여 센서나 모터 등의 입출력 기기에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등의 제어 장치가 소형화 함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 단자대도 마찬가지로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단자대인 중계 터미널은, 나사 단자와 단자 금구로 전선을 끼워지지, 고정하여 전기 접속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나사 단자의 나사 헤드부는 전선의 직경보다도 크기 때문에, 다수개의 전선을 접속하는 경우에 나사 단자를 이용하면, 접속부를 상기 나사 헤드부의 직경보다도 작게 하는 것이 곤란하다. 이 때문에, 상기 접속부를 고밀도로 밀집시킬 수 없어서, 중계 터미널의 바닥 면적을 작게 할 수 없었다.
또한, 나사 단자를 동일 평면상에 복수열 배치하는 경우, 열 수가 3열, 4열로 되어 오면, 중간에 위치하는 열의 전선을 도출할 수 없어서, 실용상 채용할 수 없었다. 이 때문에, 나사 단자를 다수열 마련하고자 하면, 동일 평면상에 배치할 수 없어서, 접속부의 열마다 단차를 마련할 필요가 있었다. 이 결과, 다수열의 접속부, 예를 들면, 열 수가 3열, 4열이면, 열 수에 비례하여 터미널의 높이 치수가 증가하여, 소형화 할 수 없었다.
또한, 하우징 내부의 단자 금구는, 일단이 프린트 기판에 직접 부착하게 되어 있음과 함께, 타단이 나사 단자와 나사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열마다 단차가 있으면, 높이 치수가 다른 단자 금구를 정돈하여 둘 필요가 있다. 이 결과, 복수열의 접속부, 예를 들면, 3열, 4열의 접속부를 형성하고자 하면, 높이 치수가 다른 단자 금구를 준비할 필요가 있어서, 생산, 관리하여야 할 부품의 종류가 증가하고, 비용 상승의 원인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부품 개수가 적고 저비용으로 다수개의 전선을 접속할 수 있는 소형의 전선 접속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전선 접속기구의 제 1 실시 형태인 전선 접속 커넥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구성 부품의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구성 부품을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과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
도 5는 도 1의 구성 부품을 전부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작동 상황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제 1 실시 형태에 전선을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제 1 실시 형태의 전선 접속 커넥터를 복수개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다른 전선 접속 커넥터와의 접속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와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
도 11은 프린트 기판과의 접속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2는 도 11과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
도 13은 굴곡된 판스프링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관한 전선 접속기구의 제 2 실시 형태인 전선 접속 커넥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5는 도 14에서 도시한 전선 접속 커넥터의 조작 상태를 도시하고, 도 15(A)는 조작 전의 정면도, 및 도 15(B)는 조작 후의 정면도.
도 16은 조립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16(A)는 1개의 전선 접속 커넥터에 관한 조립 상태을 도시하고, 도 16(B)는 복수개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관한 전선 접속기구의 제 3 실시 형태인 전선 접속 커넥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8은 도 17에서 도시한 구성 부품의 확대 사시도로서, 도 18(A)는 레버, 도 18(B)는 조작 버튼의 확대 사시도.
도 19는 도 18에서 도시한 조작 버튼 및 레버를 조립한 상해를 도시하고, 도 19(A)는 사시도, 및 도 19(B)는 정면도.
도 20은 도 17에서 도시한 전선 접속 커넥터의 조작 상태를 도시하고, 도 20(A)는 조작 전의 정면도, 및 도 20(B)는 조작 후의 정면도.
도 21은 도 20에서 도시한 전선 접속 커넥터를 도시하고, 도 21(A)는 조작 전의 사시도, 및 도 21(B)는 조작 후의 사시도.
도 22는 제 3 실시 형태에 관한 전선 접속기구인 전선 접속 커넥터를 복수개 조립한 상태를 도시하고, 도 22(A)는 조작 전의 사시도, 및 도 22(B)는 조작 후의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에 관한 전선 접속기구의 제 4 실시 형태인 전선 접속 커넥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4는 도 23에서 도시한 전선 접속 커넥터의 조작 상태를 도시하고, 도 24(A)는 조작 전의 사시도, 및 도 24(B)는 조작 후의 사시도.
도 25는 도 23에서 도시한 전선 접속 커넥터의 조작 상태를 도시하고, 도 25(A)는 조작 전의 정면도, 및 도 25(B)는 조작 후의 정면도.
도 26은 본 발명에 관한 전선 접속기구의 제 5 실시 형태인 전선 접속 커넥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7은 도 26에서 도시한 전선 접속 커넥터의 조작 전의 사시도.
도 28은 도 26에서 도시한 전선 접속 커넥터의 조작 후의 사시도.
도 29는 도 26에서 도시한 전선 접속 커넥터의 조작 전의 정면도.
도 30은 도 26에서 도시한 전선 접속 커넥터의 조작 후의 정면도.
도 31은 본 발명에 관한 전선 접속기구의 제 6 실시 형태인 중계 터미널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2는 본 발명에 관한 제 6 실시 형태의 중계 터미널을 도시한 평면도.
도 33은 본 발명에 관한 제 6 실시 형태의 중계 터미널을 도시한 저면도로서, 도 33(A)는 부착 전의 저면도, 도 33(B)는 부착 후의 저면도.
도 34는 본 발명에 관한 제 6 실시 형태의 중계 터미널을 도시한 우측면도.
도 35는 도 32의 V-V선 단면도.
도 36은 제 6 실시 형태의 접점 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7은 도 36의 구성 부품을 조립한 동작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8은 도 36의 구성 부품을 조립한 상태를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
도 39는 본 발명에 관한 제 6 실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0은 도 39와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
도 41은 도통 금구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2는 도통 금구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3은 도통 금구를 일체화 한 리드 프레임의 사시도.
도 44는 본 발명에 관한 전선 접속기구의 제 7 실시 형태인 중계 터미널을 도시한 평면도.
도 45는 도 44에서 도시한 중계 터미널의 사시도.
도 46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 형태에 관한 접속 유닛을 구성하는 부품의 확대 분해 사시도.
도 47은 제 7 실시 형태에 관한 접속 유닛을 구성하는 부품의 확대 사시도로서, 도 47(A)는 레버, 도 47(B)는 조작 버튼의 확대 사시도.
도 48은 도 47에서 도시한 조작 버튼 및 레버를 조립한 상태을 도시하고, 도 48(A)는 사시도 및 도 48(B)는 정면도.
도 49는 도 46에서 도시한 중계 터미널의 조작 상태를 도시하고, 도 49(A)는 조작 전의 정면도 및 도 49(B)는 조작 후의 정면도.
(제 1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관한 전선 접속기구는, 전술한 제 1 과제를 감안하여,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수납된 도통 금구와, 개략 V자 형상으로 굴곡되며 또한 편측 단부가 상기 도통 금구에 압접되는 판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에 축심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된 조작 버튼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작 버튼의 일단부를 하우징측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상기 조작 버튼의 타단부로 상기 판스프링의 편측 단부를 밀어 내려 탄성 변형시키고, 그 반력으로 상기 조작 버튼의 축부 상면을 고정 부품에 밀어붙여서 로크하는 한편, 상기 조작 버튼을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함으로써, 상기 판스프링의 일단부가 탄성 복귀되어, 상기 판스프링의 편측 단부와 상기 도통 금구로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한 전선을 끼워지지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전선 접속기구는, 코너부에 모서리부를 마련하여 형성한 개략 L자형의 오목한 곳을 갖는 상자형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오목한 곳에 수납 가능한 정면부를 가지며, 상단 테두리부에 절곡편을 형성한 도통 금구와, 개략 V자 형상으로 굴곡되며 또한 편측 단부가 상기 도통 금구의 절곡편의 하면에 압접되는 판스프링과, 상기 케이스에 축부를 옆쪽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축부의 하면 선단부가 조작부로서 상기 판스프링의 편측 상면을 가압 가능한 조작 버튼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작 버튼을 케이스 내로 눌러 넣으면, 그 조작부가 상기 판스프링의 편측을 밀어 내리는 반면, 그 반력으로 상기 조작 버튼의 축부 상면이 상기 케이스의 모서리부로 밀려져서 로크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따라서, 전술한 어떠한 발명에 의해서도, 종래예와 같이 케이스의 외측면에 결합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고, 구조가 간단하게 됨과 함께, 장치의 소형화가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전선 접속기구로서는, 코너부에 모서리부를 마련하여 형성한 개략 L자형의 오목한 곳을 갖는 상자형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오목한 곳에 수납 가능한 정면부를 가지며, 상단 테두리부에 절곡편을 형성한 도통 금구와, 개략 V자 형상으로 굴곡되며 또한 편측 단부가 상기 도통 금구의 절곡편의 하면에 압접되는 판스프링과, 상기 케이스에 축부를 옆쪽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축부의 하면 선단부가 조작부로서 상기 판스프링의 편측 상면을 가압 가능한 조작 버튼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판스프링의 굴곡부를 폭 넓게 함과 함께, 상기 도통 금구의 정면부에 상기 굴곡부를 끼워맞춤 가능한 감합구를 마련한 구성이라도 좋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굴곡부만이 폭 넓게 되어 있기 때문에, 도통 금구를 변형시키지 않고 소망하는 접촉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스프링력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폭 넓은 상기 굴곡부가 도통 금구의 감합구에 끼워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판스프링의 수납 공간을 절약할 수 있고,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전선 접속기구로서는, 양측 코너부에 모서리부를 각각 마련하여 형성한 역 T자형의 오목한 곳을 갖는 상자형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오목한 곳에 수납 가능한 정면부를 가지며, 그 상단 중앙 테두리부에 절곡편을 형성한 도통 금구와, 개략 V자 형상으로 굴곡되며 또한 편측 단부가 상기 도통 금구의 절곡편의 하면에 압접되는 한 쌍의 판스프링과, 상기 케이스에 축부를 옆쪽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축부의 하면 선단부가 조작부로서 상기 판스프링의 편측 상면을 가압 가능한 한 쌍의 조작 버튼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작 버튼을 케이스 내로 밀어 넣으면, 그 조작부가 상기 판스프링의 편측을 밀어 내리는 반면, 그 반력으로 상기 조작 버튼의 축부 상면이 상기 케이스의 모서리부로 밀려져서 로크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예와 같이 케이스의 외측면에 결합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고, 구조가 간단하게 됨과 함께, 장치의 소형화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케이스에 삽입한 2개의 전선을 서로 접속할 수 있고, 다른 접속 형태를 선택할 수 있어서 편리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전선 접속기구는, 양측 코너부에 모서리부를 각각 마련하여 형성한 역 T자형의 오목한 곳을 갖는 상자형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오목한 곳에 수납 가능한 정면부를 가지며, 그 상단 중앙 테두리부에 절곡편을 형성한 도통 금구와, 개략 V자 형상으로 굴곡되며 또한 편측 단부가 상기 도통 금구의 절곡편의 하면에 압접되는 한 쌍의 판스프링과, 상기 케이스에 축부를 옆쪽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축부의 하면 선단부가 조작부로서 상기 판스프링의 편측 상면을 가압 가능한 한 쌍의 조작 버튼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판스프링의 굴곡부를 폭 넓게 함과 함께, 상기 도통 금구의 정면부에 상기 굴곡부를 끼워맞춤 가능한 감합구를 마련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술한 효과에 더하여, 굴곡부만이 폭 넓게 되어 있기 때문에, 도통 금구를 변형시키지 않고 소망하는 접촉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스프링력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폭 넓은 상기 굴곡부가 도통 금구의 감합구에 끼워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판스프링의 수납 공간을 절약할 수 있고,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상기 전선 접속기구의 실시 형태는, 도통 금구에 걸림 갈고리부를 형성하는 한편, 조작 버튼의 축부에 상기 걸림 갈고리부에 걸림 가능한 홈부를 슬라이드 방향으로 마련한 구성이라도 좋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조작 버튼이 판스프링에 압접하지 않는 경우에도, 조작 버튼이 케이스로부터 탈락되는 일이 없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전선 접속기구의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케이스를 접합 일체화 하여 단자대를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케이스로부터 돌출되는 도통 금구의 단자를 감싸는 접속용 감합 받침부에, 다른 케이스로부터 돌출되는 도통 금구의 단자 받침부를 덮는 접속용 감합 돌기부를, 끼워맞추어 전기 접속하여도 좋다. 그리고, 프린트 기판에 실장한 단자를 감싸는 접속용 감합 받침부에, 케이스로부터 돌출되는 도통 금구의 단자 받침부를 덮는 접속용 감합 돌기부를, 끼워맞추어 전기 접속하여도 좋다.
전술한 어떠한 실시 형태라도, 전선끼리는 물론이고, 전선을 프린트 기판에 접속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어서 편리하게 된다.
(제 2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관한 전선 접속기구는, 전술한 제 2 과제를 감안하여, 하우징에 축심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된 조작 버튼의 일단부를 하우징측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상기 조작 버튼의 타단부로 상기 하우징에 내장하는 판스프링의 일단부를 탄성 변형시켜서 로크하는 한편, 상기 조작 버튼을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함으로써, 상기 판스프링의 일단부가 탄성 복귀되어, 상기 판스프링의 일단부와 상기 하우징에 내장하는 도통 금구로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한 전선을 끼워지지하는 전선 접속기구에 있어서, 상기 조작 버튼의 일단부 부근에 레버의 일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고, 상기 레버의 타단부를 하우징측으로 밀어 내림으로서, 지레의 원리로 상기 조작 버튼을 인출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전선 접속기구는, 하우징에 축심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된 조작 버튼의 일단부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함으로써, 상기 조작 버튼의 타단부로 상기 하우징에 내장하는 판스프링의 일단부를 탄성 변형시켜서 로크하는 한편, 상기 조작 버튼을 상기 하우징측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상기 판스프링의 일단부가 탄성 복귀되어, 상기 판스프링의 일단부와 상기 하우징에 내장하는 도통 금구로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한 전선을 끼워지지하는 전선 접속기구에 있어서, 상기 조작 버튼의 일단부 부근에 레버의 일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고, 상기 레버의 타단부를 하우징측으로 밀어 내림으로서, 지레의 원리로 상기 조작 버튼을 인출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전술한 어떠한 발명에서도, 조작 버튼 및 레버를 밀어 내린다는 동일 조작으로 전선을 탈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전선의 탈착을 동일한 공구로 처리할 수 있고, 바꿀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사용하기 편리하고 작업 효율이 높은 전선 접속기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조작 버튼의 인출은, 일단을 조작 버튼의 회전 가능하게 유지한 레버의 타단부를 밀어 내림으로서, 지레의 원리를 이용하여 행한다. 이 때문에, 조작 버튼의 인출 량에는 한계가 있고, 종래예와 같이 조작 버튼을 잘못하여 파괴한다는 우려는 없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전선 접속기구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조작 버튼의 위치에 대응하여 레버의 위치가 다르다. 이 때문에, 전선을 삽입할 수 있는지 아닌지 등의 상태를 레버의 위치에 의해 판별할 수 있어서, 보다 한층 작업성이 좋은 전선 접속기구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서, 상기 조작 버튼의 일단부의 단면에 개략 십자형의 조작용 오목부을 마련하여 두어도 좋고, 또한, 상기 레버의 타단부에 조작용 오목부을 마련하여 두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조작 버튼 및 레버의 일단부에 조작용 오목부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조작 공구의 위치 결정을 신속하며 또한 정확하게 행할 수 있고, 작업성이 보다 한층 향상된 전선 접속기구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전선 접속기구는, 하우징 내에 수납 가능한 정면부를 가지며, 상단 좌측 테두리부에 절곡편을 수평하게 형성함과 함께, 상기 절곡편보다도 한 단계 낮은 인접하는 위치에 위치 규제 설편(舌片)을 수평 방향으로 형성한 도통 금구와, 개략 V자 형상으로 굴곡됨과 함께, 상기 도통 금구에 부착되고 편측 단부가 상기 도통 금구의 절곡편의 하면에 압접되는 판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에 축심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된 조작 버튼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작 버튼의 일단부를 축심 방향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그 타단부가 상기 판스프링의 편측을 밀어 내리는 반면, 그 반력으로 상기 조작 버튼의 축부 상면이 상기 도통 금구의 위치 규제 설편으로 밀려져서 로크되는 한편, 상기 조작 버튼을 축심 방향으로 인출함으로써, 상기 판스프링의 일단부가 탄성 복귀되어, 상기 판스프링의 일단부와 상기 도통 금구의 상기 절곡편으로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한 전선을 끼워지지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예와 같이 케이스의 외측면에 결합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고, 하우징의 구조가 간단하게 됨과 함께, 장치의 소형화가 용이하게 된다. 특히, 도통 금구 단체로 조작 버튼을 유지하기 때문에, 케이스의 재료 선택이 용이하게 되고, 설계의 자유도가 넓어진다. 또한, 금속제 도통 금구와 조작 버튼으로 양자의 위치 관계가 정하여지기 때문에 조립 정밀도가 향상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전선 접속기구는, 하우징 내에 수납 가능한 정면부를 가지며, 상단 중앙 테두리부에 절곡편을 수평하게 형성함과 함께, 상기 절곡편보다도 한 단계 낮은 인접하는 양측에 위치 규제 설편을 수평 방향으로 각각 형성한 도통 금구와, 개략 V자 형상으로 굴곡됨과 함께 상기 도통 금구에 부착되어 편측 단부가 상기 도위 금구의 절곡편의 하면에 압접되는 한 쌍의 판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에 축심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한 한 쌍의 조작 버튼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작 버튼의 일단부를 축심 방향으로 밀어 넣음으로서, 그 타단부가 상기 판스프링의 편측을 밀어 내리는 반면, 그 반력으로 상기 조작 버튼의 축부 상면이 상기 도통 금구의 위치 규제 설편으로 밀려져서 로크되는 한편, 상기 조작 버튼을 축심 방향으로 인출함으로써, 상기 판스프링의 일단부가 탄성 복귀되어, 상기 판스프링의 일단부와 상기 도통 금구의 상기 절곡편으로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한 전선을 끼워지지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술한 효과에 더하여, 케이스에 삽입한 2개의 전선을 서로 접속할 수 있고, 다른 접속 형태를 선택할 수 있어서 편리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서는, 도통 금구에 걸림 갈고리부를 형성하는 한편, 조작 버튼의 축부에 상기 걸림 갈고리부에 걸림 가능한 홈부를 슬라이드 방향으로 마련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조작 버튼이 판스프링에 압접하지 않는 경우에도, 조작 버튼이 케이스로부터 탈락되는 일이 없다.
(제 3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관한 전선 접속기구는, 전술한 제 3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며 또한 외부 기기에 접속된 입출력선을 접속할 수 있는 커넥터와, 상기 하우징의 접속면과 개략 평행하게 배치되며 또한 상기 커넥터의 단자에 전기 접속된 프린트 기판과, 상기 하우징의 접속면에 배치됨과 함께 상기 프린트 기판을 통하여 상기 커넥터에 전기 접속되고 다수의 전기 기기의 입출력선에 각각 접속되는 다수의 접속 유닛을 구비한 전선 접속기구에 있어서, 상기 접속 유닛이, 상기 하우징의 동일 평면이 되는 접속면에 소정의 피치로 좌우로 병설하여 열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열의 전후로도 열을 형성하는 다수의 전선 삽입 구멍의 아래쪽에 각각 배치됨과 함께 상기 프린트 기판에 접속된 도통 금구와, 상기 전선 삽입 구멍의 아래쪽에 각각 배치되며 또한 상기 도통 금구에 부착된 유지 스프링부와, 상기 전선 삽입 구멍에 인접하는 위치에 각각 병설한 조작 버튼용 삽입 구멍에 축심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조작 버튼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의 접속면으로부터 상단부를 돌출한 상기 조작 버튼을 축심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유지 스프링부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전선 삽입 구멍으로부터 삽입한 전선의 유지 및 해제를 행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나사 단자를 사용하지 않고, 조작 버튼을 축심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서 전선을 접속하기 때문에, 전선을 밀집시켜서 접속할 수 있고, 바닥 면적이 작은 중계 터미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접속 유닛이 전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높이가 낮은 중계 터미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접속면과 프린트 기판과의 사이에 배치되는 도통 금구는 동일 높이 치수를 갖고 있으면 좋다. 이 때문에, 종래예와 같이 높이가 다른 도통 금구를 여러 종류 갖추어 둘 필요가 없고, 부품 관리가 용이하게 되기 때문에,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바닥 면적 및 높이 치수가 작은 소형이고 저가의 전선 접속기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전선 접속기구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며 또한 외부 기기에 접속된 입출력선을 접속할 수 있는 커넥터와, 상기 하우징의 접속면과 개략 평행하게 배치되며 또한 상기 커넥터의 단자에 전기 접속된 프린트 기판과, 상기 하우징의 접속면에 배치됨과 함께 상기 프린트 기판을 통하여 상기 커넥터에 전기 접속되고, 다수의 전기 기기의 입출력선에 각각 접속되는 다수의 접속 유닛을 구비한 전선 접속기구에 있어서, 상기 접속 유닛이, 상기 하우징의 동일 평면이 되는 접속면에 소정의 피치로 좌우로 병설하여 열을 형성하고, 또한, 가로방향으로 소정 치수를 어긋나게 하여 상기 열의 전후에 다른 열을 형성하는 다수의 전선 삽입 구멍의 아래쪽에 각각 배치됨과 함께, 상기 프린트 기판에 접속된 도통 금구와, 상기 전선 삽입 구멍의 아래쪽에 각각 배치되며 또한 상기 도통 금구에 부착된 유지 스프링부와, 상기 전선 삽입 구멍에 인접하는 위치에 각각 병설한 조작 버튼용 삽입 구멍에 축심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조작 버튼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의 접속면으로부터 상단부를 돌출하는 상기 조작 버튼을 축심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유지 스프링부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전선 삽입 구멍으로부터 삽입한 전선의 유지 및 해제를 행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술한 효과에 더하여, 전선 삽입 구멍이 소정의 피치만큼 어긋나 있다. 이 때문에, 유지한 전선이 조작 버튼에 서로 겹치는 일이 없고, 작업의 방해가 되지 않기 때문에, 작업성이 보다 한층 개선된 전선 접속기구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서는, 조작 버튼의 상단부에, 그 축부를 축심 방향으로 인출하도록 동작하는 레버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여 두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조작 버튼 및 레버를 밀어 넣는다는 동일 조작으로 전선을 탈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전선의 탈착을 동일한 공구로 처리할 수 있고, 바꿀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사용하기 편리하고 작업 효율이 높은 전선 접속기구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전선 접속기구의 제 1 실시 형태는,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략, 케이스(10)와 도통 금구(20)와 판스프링(30)과 조작 버튼(40)과 커버(50)로 구성되어 있는 전선 접속 커넥터(1)이다.
케이스(10)는 직육면체 형상의 상자체로서, 그 내부에 위치 규제용 모서리부(11)를 형성함으로써, 개략 L자 형상의 오목한 곳(12)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대향하는 측단면의 한쪽에 후술하는 단자를 끼워맞추는 노치부(13)를 갖는 한편, 대향하는 측단면의 다른쪽에 전선용 삽입 구멍(14) 및 조작 버튼용 삽입 구멍(15)을 마련하고 있다. 또한 케이스(10)는, 개방측 정면의 코너부에 위치 결정용 돌기부(16)를 돌설하고 있는 한편, 그 배면 코너부에 상기 돌기부(16)에 끼워 맞춤가능한 오목부(1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케이스(10)의 배면 코너부에 압입구멍(도시 생략)을 각각 마련하고, 상기 압입구멍에 상기 돌기부(16)를 밀어 넣음으로서 복수의 케이스(10)를 접합 일체화 하여도 좋다.
도통 금구(20)는, 상기 케이스(10)의 오목한 곳(12)에 끼워맞춤 가능한 형상을 갖는 정면부(21)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 정면부(21)의 좌단 테두리부로부터 단자(22)가 옆쪽으로 늘어나고 있음과 함께, 편측 우반분에 감합구(2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정면부(21)의 상단 테두리부중, 좌측 테두리부에는 상절곡편(24)을 형성하고 있음과 함께, 우측 테두리부에는 걸림 갈고리(25)가 잘려 세워져 있다. 상기 상절곡편(24)에는, 후술하는 전선(2)을 빠짐 방지하는 걸림 돌기(26)가 돌출 가공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정면부(21)의 하단 테두리부에는 하절곡편(27)이 형성되어 있다. 이 하절곡편(27)에는 위치 결정 구멍(28)이 형성되어 있다.
판스프링(30)은 개략 V자형으로 굴곡된 것으로, 그 굴곡부(31)는 폭이 넓으며 또한 상기 도통 금구(20)의 감합구(23)에 끼워맞춤 가능하다. 그리고, 판스프링(30)의 저면부(32)에는 상기 도통 금구(20)의 위치 결정 구멍(28)에 결합되는 위치 결정 돌기(33)가 돌출 가공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굴곡부(31)로부터 늘어나는 중계부(34)에는, 제 1 곡부(35), 제 2 곡부(36) 및 가압 설부(37)가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하절곡편(27)의 위치 결정 구멍(28)에 판스프링(30)의 위치 결정 돌기(33)를 감입하면, 판스프링(30)의 스프링력으로 가압 설부(37)가 상절곡편(24)의 하면에 압접되기 때문에, 판스프링(30)의 양단이 도통 금구(20)에 압접되어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도통 금구(20)는 상기 케이스(10)의 오목한 곳(12)에 끼워 맞추어 조립된다.
조작 버튼(40)은, 상기 케이스(10)의 삽입 구멍(15)에 삽입 가능한 축부(41)와, 이 축부(41)의 일단에 일체 형성되며 또한 상기 축부(41)의 삽입 위치를 규제하는 헤드부(42)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 버튼(40)은, 상기 축부(41)의 하면 선단을 조작부(43)로 함과 함께, 내향면의 상단 테두리부에 빠짐 방지용 단부(段部)(44)가 슬라이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10)의 삽입구(15)로부터 조작 버튼(40)의 축부(41)를 밀어 넣으면, 그 단부(44)가 도통 금구(20)의 걸림 갈고리(25)에 결합됨과 함께(도 4), 판스프링(30)의 중계부(34)에 달한 후, 제 1 곡부(35)에 맞닿는다. 이 때, 걸림 갈고리(25)에 의해 조작 버튼이 탈락되는 일은 없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버튼(40)을 밀어 넣으면, 굴곡부(31)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조작부(43)가 제 1 곡부(35)를 타고 넘어서 제 2 곡부(36)에 달함과 함께 헤드부(42)가 케이스(10)의 외측면에 맞닿아 위치 규제된다. 이 때문에, 가압 설부(37)가 밀려 내려지고, 가압 설부(37)와 도통 금구(20)의 상절곡편(24)과의 사이에 빈틈이 생긴다. 이 때, 판스프링(30)의 스프링력으로 조작부(43)가 압상되어, 케이스(10)의 모서리부(11)에 축부(41)의 상면이 압접되어 로크된다(도 6). 이 때문에, 조작 버튼(40)이 자유롭게 복귀되는 일은 없다. 계속해서, 케이스(10)의 삽입 구멍(14)으로부터 전선(2)을 삽입한 후, 조작 버튼(40)을 되돌리면, 판스프링(30)은 자기의 스프링력으로 복귀된다. 이 때문에, 도통 금구(20)의 상절곡편(24)과 판스프링(27)의 가압 설부(37)가 도선(2a)을 끼워지지하고 전기 접속한다(도 7). 또한, 조작 버튼(40)의 단부(44)가 도통 금구(20)의 걸림 갈고리(25)에 걸리기 때문에, 조작 버튼(40)이 탈락되는 일은 없다.
또한, 예를 들면, 4개의 전선을 서로 접속하는 경우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돌기부(16)를, 다른 케이스(1)의 배면에 형성한 오목부(17)에 끼워맞추어 4개의 케이스(10)를 접합 일체화 한다. 그리고, 케이스(10)의 개방면을 커버(50)로 피복함으로써 단자대를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8의 단자대에 감합 받침부(3)를 부착한다. 한편, 상기 단자(22)를 끼워지지하는 단자 받침부(도시 생략)를 구비한 도통 금구를 내장하는 전선 접속 커넥터(4)를 전술한 바와 같이 접합 일체화 함과 함께, 감합 돌기부(5)를 조립한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한 상기 감합 받침부(3)에 감합 돌기부(5)를 감입하여 접속하여도 좋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전선은 도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전선끼리를 서로 접속하는 경우에 한하지 않고,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선을 프린트 기판에 접속하는 경우에 적용하여도 좋다.
즉, 접합 일체화 한 4개의 전선 접속 커넥터(4)에 감합 돌기부(5)를 부착한다. 한편, 감합 받침부(3)로 유지한 4개의 단자(6)를 도시하지 않은 프린트 기판에 실장한다. 그리고, 상기 감합 받침부(3)에 상기 감합 돌기부(5)를 감입하여 접속 일체화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30)은 전술한 형상의 것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계부, 제 1 곡부, 및 제 2 곡부를 동일 경사면의 중계부(38)로 하여도 좋다. 또한,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중계부(38)에서 가압 설부(37)만을 구부려 세운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도 1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중계부(38)에 제 2 곡부 대신에 위치 결정 구멍(38a)을 마련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관한 전선 접속 커넥터(1)는,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전선을 개략 동일 축심에 접속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선 커넥터(1)는, 개략, 케이스(10)와 도통 금구(20)와 판스프링(30)과 조작 버튼(40)과 커버(50)로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10)는 직육면체 형상의 상자로서, 그 내부에 한 쌍의 위치 규제 모서리부(11, 11)를 형성함으로써, 역 T자형상의 오목한 곳(12)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대향하는 양측 단면에 전선용 삽입 구멍(14) 및 조작 버튼용 삽입 구멍(15)을 동일 축심상에 각각 마련하고 있다. 또한, 케이스(10)는, 개방측 정면의 코너부에 위치 결정용 돌기부(16)를 돌설하고 있는 한편, 그 배면 코너부에 상기 돌기부(16)에 끼워 맞춤 가능한 오목부(1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필요에 응하여, 케이스(10)의 배면 코너부에 압입구멍(도시 생략)을 각각 마련하고, 상기 압입구멍에 상기 돌기부(16)를 밀어 넣음으로써, 복수의 케이스(10)를 접합 일체화 하여도 좋다.
도통 금구(20)는, 상기 케이스(10)의 오목한 곳(12)에 끼워맞춤 가능한 형상을 갖는 정면부(21)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 정면부(21)의 양측에 한 쌍의 감합구(2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정면부(21)의 상단 테두리부중, 중앙 테두리부에는 상절곡편(24)을 형성하고 있음과 함께, 양측 테두리부에는 걸림 갈고리(25)가 각각 잘려 세워져 있다. 상기 상절곡편(24)에는, 후술하는 전선(2)을 빠짐 방지하는 한 쌍의 걸림 돌기(26)가 돌출 가공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정면부(21)의 하단 테두리부에는 하절곡편(27)이 형성되어 있다. 이 하절곡편(27)에는 한 쌍의 위치 결정 구멍(28)이 형성되어 있다.
판스프링(30)은 개략 V자형으로 굴곡된 것으로, 그 굴곡부(31)는 폭이 넓으며 또한 상기 도통 금구(20)의 감합구(23)에 끼워맞춤 가능하다. 그리고, 판스프링(30)의 저면부(32)에는 상기 도통 금구(20)의 위치 결정 구멍(28)에 결합되는 위치 결정 돌기(33)가 돌출 가공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굴곡부(31)로부터 늘어나는 중계부(34)에는, 제 1 곡부(35), 제 2 곡부(36) 및 가압 설부(37)가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하절곡편(27)의 위치 결정 구멍(28)에 판스프링(30)의 위치 결정 돌기(33)를 감입하면, 판스프링(30)의 스프링력으로 가압 설부(37)가 상절곡편(24)의 하면에 압접되기 때문에, 판스프링(30)의 양단이 도통 금구(20)에 압접되어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도통 금구(20)는 상기 케이스(10)의 오목한 곳(12)에 끼워맞추어 조립된다.
조작 버튼(40)은, 상기 케이스(10)의 삽입 구멍(15)에 삽입 가능한 축부(41)와, 이 축부(41)의 일단에 일체 형성되며 또한 상기 축부(41)의 삽입 위치를 규제하는 헤드부(42)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 버튼(40)은, 상기 축부(41)의 하면 선단을 조작부(43)로 함과 함께, 내향면의 상단 테두리부에 빠짐 방지용 단부(44)가 슬라이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1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의 삽입구(15)로부터 조작 버튼(40)의 축부(41)를 밀어 넣으면, 그 단부(44)가 도통 금구(20)의 걸림 갈고리(25)에 결합됨과 함께, 판스프링(30)의 중계부(34)에 달한 후, 제 1 곡부(35)에 맞닿는다. 이 때, 걸림 갈고리(25)에 의해 조작 버튼이 탈락되는 일은 없다.
또한, 도 1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버튼(40)을 밀어 넣으면, 굴곡부(31)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조작부(43)가 제 1 곡부(35)를 타고 넘어서 제 2 곡부(36)에 달함과 함께 헤드부(42)가 케이스(10)의 외측면에 맞닿아 위치 규제된다. 이 때문에, 가압 설부(37)가 밀려 내려져, 가압 설부(37)와 도통 금구(20)의 상절곡편(24)과의 사이에 빈틈이 생긴다. 이 때, 판스프링(30)의 스프링력으로 조작부(43)가 압상되고, 케이스(10)의 모서리부(11)에 축부(41)의 상면이 압접되어 로크된다. 이 때문에, 조작 버튼(40)이 자유롭게 복귀되는 일은 없다. 계속해서, 케이스(10)의 삽입 구멍(14)으로부터 전선(도시 생략)을 삽입한 후, 조작 버튼(40)을 되돌리면, 판스프링(30)은 자기의 스프링력으로 복귀된다. 이 때문에, 도통 금구(20)의 상절곡편(24)과 판스프링(27)의 가압 설부(37)가 도시하지 않은 도선을 끼워지지하고 전기 접속한다(도 15(A)). 또한, 조작 버튼(40)의 단부(44)가 도통 금구(20)의 걸림 갈고리(25)에 걸리기 때문에, 조작 버튼(40)이 탈락되는 일은 없다.
또한 예를 들면, 4개의 전선을 서로 접속하는 경우에는, 구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돌기부(16)를, 다른 케이스(1)의 배면에 형성한 오목부(17)에 끼워맞추어 4개의 케이스(10)를 접합 일체화 한다. 그리고, 케이스(10)의 개방면을 커버(50)로 피복함으로써, 단자대를 형성하여도 좋다.
제 2 실시 형태에 의하면, 한 쌍의 전선을 개략 동일 축심상에서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제 1 실시 형태와 다른 접속이 가능하게 되고, 용도가 넓어진다는 이점이 있다.
제 3 실시 형태는, 도 17 내지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략, 케이스(13)와 도통 금구(20)와 판스프링(30)과 조작 버튼(40)과 커버(50)와 레버(60)로 구성되어 있는 전선 접속 커넥터(1)에 적용한 경우이다.
케이스(10)는 직육면체 형상의 상자로서, 그 내부에 위치 규제용 모서리부(11)를 형성함으로써, 개략 L자 형상의 오목한 곳(12)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대향하는 측단면의 한쪽에 단자를 끼워맞추는 노치부(13)를 갖는 한편, 대향하는 측단면의 다른쪽에 전선용 삽입 구멍(14) 및 조작 버튼용 삽입 구멍(15)을 마련하고 있다. 또한, 케이스(10)는, 개방측 정면의 코너부에 위치 결정용 돌기부(16)를 돌설하고 있는 한편, 그 배면 코너부에 상기 돌기부(16)에 끼워맞춤 가능한 오목부(17)가 형성되어 있다.
도통 금구(20)는, 상기 케이스(10)의 오목한 곳(12)에 끼워맞춤 가능한 형상을 갖는 정면부(21)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 정면부(21)의 좌단 테두리부로부터 단자(22)가 옆쪽으로 늘어나 있음과 함께, 편측 우반분에 감합구(2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정면부(21)의 상단 테두리부중, 좌측 테두리부에는 상절곡편(24)을 형성함과 함께, 우측 테두리부에는 걸림 갈고리(25)가 잘려 세워져 있다. 상기 상절곡편(24)에는, 후술하는 전선을 빠짐 방지하는 걸림 돌기(26)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정면부(21)의 하단 테두리부에는 하절곡편(27)이 형성되어 있다. 이 하절곡편(27)에는 위치 결정 구멍(28)이 형성되어 있다.
판스프링(30)은 개략 V자형으로 굴곡된 것으로, 그 굴곡부(31)는 폭이 넓으며 또한 상기 도통 금구(20)의 감합구(23)에 끼워맞춤 가능하다. 그리고, 판스프링(30)의 저면부(32)에는 상기 도통 금구(20)의 위치 결정 구멍(28)에 결합되는 위치 결정 돌기(33)가 돌출 가공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굴곡부(31)로부터 늘어나는 중계부(34)에는, 제 1 곡부(35), 제 2 곡부(36) 및 가압 설부(37)가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하절곡편(27)의 위치 결정 구멍(28)에 판스프링(30)의 위치 결정 돌기(33)를 감입하면, 판스프링(30)의 스프링력으로 가압 설부(37)가 상절곡편(24)의 하면에 압접되기 때문에, 판스프링(30)의 양단이 도통 금구(20)에 압접되어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도통 금구(20)는 상기 케이스(10)의 오목한 곳(12)에 끼워 맞추어져 조립된다.
조작 버튼(40)은, 상기 케이스(10)의 삽입 구멍(15)에 삽입 가능한 축부(41)와, 이 축부(41)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또한 상기 축부(41)의 삽입 위치를 규제하는 헤드부(42)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 버튼(40)은, 상기 축부(41)의 하면 선단을 조작부(43)로 함과 함께, 내향면의 상단 테두리부에 빠짐 방지용 단부(44)가 슬라이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축부(41)는, 상기 헤드부(42) 부근의 대향면에 후술하는 레버(60)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한 쌍의 지지 돌기(45, 45)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헤드부(42)의 선단면에는 십자 형상의 조작용 오목부(4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작용 오목부(46)는 전술한 형상에 한하지 않고, 단순한 곧은 홈이라도 좋고, 단순한 원형 오목부라도 좋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10)의 삽입구(15)로부터 조작 버튼(40)의 축부(41)를 밀어 넣으면, 그 단부(44)가 도통 금구(20)의 걸림 갈고리(25)에 결합됨과 함께, 판스프링(30)의 중계부(34)에 달한 후, 제 1 곡부(35)에 맞닿는다. 이 때, 도통 금구(20)의 걸림 갈고리(25)가 단부(44)에 걸리게 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 버튼(40)이 탈락되는 일은 없다.
커버(50)는, 도 22(A), 2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의 개방면을 피복 가능한 평면 형상을 갖는 판형상체로서, 그 코너부에 상기 케스(10)의 위치 결정용 돌기부(16)에 끼워 맞춤 가능한 감합 구멍(51)이 형성되어 있다.
레버(60)는, 도 18(A), 도 19(A) 및 도 1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작 버튼을 끌어올리기 위한 부재로서, 한 쌍의 늘어난 암부(61, 61)에 상기 조작 버튼(40)의 지지 돌기(45)에 결합하는 축 구멍(62)을 마련하고 있다. 따라서 조작 버튼(40)의 지지 돌기(45, 45)에 레버(60)의 축 구멍(62)을 결합함으로써, 레버(60)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상기 레버(60)는, 상기 암부(61)의 기부(基部)로부터 조작 홈(63)을 늘어나게 함과 함께, 그 대향면에 회전 지점(64)을 배치하고 있다. 상기 회전 지점(64)의 양측에는 위치 규제용 테이퍼면(65, 66)이 소정의 각도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전기 접속 커넥터(1)의 사용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도 20(A), 20(B) 및 도 21(A), 2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버튼(40)의 헤드부(42)를 가압하면, 판스프링(30)의 굴곡부(31)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조작부(43)가 제 1 곡부(35)를 타고 넘어서 제 2 곡부(36)에 달한다. 한편, 레버(60)가 돌기(45)를 지점으로 하여 회전함과 함께, 그 테이퍼면(65)이 케이스(10)의 외측면에 압접되고, 조작 버튼(40)을 위치 규제한다. 이 때문에, 가압 설부(37)가 밀려 내려가고, 가압 설부(37)와 도통 금구(20)의 걸림 돌기(26)와의 사이에 빈틈이 생긴다. 이 때, 판스프링(30)의 스프링력으로 조작부(43)가 압상되고, 케이스(10)의 모서리부(11)에 축부(41)의 상면이 압접되어 로크된다(도 20(B)). 이 때문에, 조작 버튼(40)이 자연적으로 복귀되는 일은 없다.
계속해서, 케이스(10)의 삽입 구멍(14)으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전선을 삽입한 후, 레버(60)의 조작 홈(63)에 공구(도시 생략)를 위치 결정하여 밀어 넣으면, 지레의 원리에 의거하여, 회전 지점(64)을 지점으로 하여 레버(60)가 회전한다. 이 때문에, 조작 버튼(40)이 끌어올려지고, 판스프링(30)은 자기의 스프링력으로 복귀된다. 이 결과, 도통 금구(20)의 걸림 돌기(26)와 판스프링(27)의 가압 설부(37)가 전선을 끼워지지하고 전기 접속한다. 또한, 조작 버튼(40)의 단부(44)가 도통 금구(20)의 걸림 갈고리(25)에 걸리기 때문에, 조작 버튼(40)이 탈락되는 일은 없다.
또한, 예를 들면, 4개의 전선을 서로 접속하는 경우에는, 도 22(A), 2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돌기부(16)를, 다른 케이스(1)의 배면에 형성한 오목부(17)에 끼워맞추어 4개의 케이스(10)를 접합 일체화 한다. 그리고, 케이스(10)의 개방면을 커버(50)로 피복함으로써, 단자대를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전선은 도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 형태에 관한 전선 접속 커넥터(1)는, 도 23 내지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통 금구(20) 단체로 조작 버튼(40)을 지지하는 경우이다.
즉,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선 접속 커넥터(1)는, 개략, 도시하지 않은 케이스와 도통 금구(20)와 판스프링(30)과 조작 버튼(40)과 도시하지 않은 커버로 구성되어 있다.
도통 금구(20)는, 도시하지 않은 케이스의 오목한 곳에 끼워맞춤 가능한 형상을 갖는 정면부(21)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 정면부(21)의 우편측에 감합구(2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정면부(21)의 상단 테두리부중, 좌측 테두리부에는 상절곡편(24)을 형성하고 있음과 함께, 양측 테두리부에는 걸림 갈고리(25)가 각각 잘려 세워져 있다. 상기 상절곡편(24)에는, 도시하지 않은 전선을 빠짐 방지하는 걸림 돌기(26)가 돌출 가공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정면부(21)의 하단 테두리부에는 하절곡편(27)이 형성되어 있다. 이 하절곡편(27)에는 위치 결정 구멍(2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절곡편(7)의 우측 테두리부에는 기립편(29)이 형성되고, 그 상단 테두리부로부터 고저차가 있는 위치 규제 설편(29a, 29b)이 수평 방향으로 각각 늘어나 있다.
판스프링(30)은 개략 V자형으로 굴곡된 것으로, 그 굴곡부(31)는 폭이 넓으며 또한 상기 도통 금구(20)의 감합구(23)에 끼워맞춤 가능하다. 그리고, 판스프링(30)의 저면부(32)에는 상기 도통 금구(20)의 위치 결정 구멍(28)에 결합되는 위치 결정 돌기(33)가 돌출 가공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굴곡부(31)로부터 늘어나는 중계부(34)에는, 제 1 곡부(35), 제 2 곡부(36) 및 가압 설부(37)가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하절곡편(27)의 위치 결정 구멍(28)에 판스프링(30)의 위치 결정 돌기(33)를 감입하면, 판스프링(30)의 스프링력으로 가압 설부(37)가 상절곡편(24)의 하면에 압접되기 때문에, 판스프링(30)의 양단이 도통 금구(20)에 압접되어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도통 금구(20)는 도시하지 않은 케이스의 오목한 곳에 끼워맞추어 조립된다.
조작 버튼(40)은, 상기 케이스(10)의 삽입 구멍(15)에 삽입 가능한 축부(41)와, 이 축부(41)의 일단에 일체 형성되고, 또한 상기 축부(41)의 삽입 위치를 규제하는 헤드부(42)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 버튼(40)은, 상기 축부(41)의 하면 선단을 조작부(43)로 함과 함께, 내향면의 상단 테두리부에 빠짐 방지용 단부(44)가 슬라이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위치 규제 설편(29a, 29b)의 사이로부터 조작 버튼(40)의 축부(41)를 밀어 넣으면, 그 단부(44)가 도통 금구(20)의 걸림 갈고리(25)에 결합됨과 함께, 판스프링(30)의 중계부(34)에 달한 후, 제 1 곡부(35)에 맞닿는다. 이 때, 걸림 갈고리(25)에 의해 조작 버튼(40)이 탈락되는 일은 없다(25(A)).
또한, 도 2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버튼(40)을 밀어 넣으면, 굴곡부(31)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조작부(43)가 제 1 곡부(35)를 타고 넘어서 제 2 곡부(36)에 달함과 함께 헤드부(42)가 케이스(10)의 외측면에 맞닿아 위치 규제된다. 이 때문에, 가압 설부(37)가 밀려 내려지고, 가압 설부(37)와 도통 금구(20)의 상절곡부(24)와의 사이에 빈틈이 생긴다. 이 때, 판스프링(30)의 스프링력으로 조작부(43)가 압상되고, 위치 규제 설편(29a)의 테두리부에 축부(41)의 상면이 압접되어 로크된다. 이 때문에, 조작 버튼(40)이 자유롭게 복귀되는 일은 없다. 계속해서, 걸림 돌기(26)와 가압 설부(37)와의 사이에 도시하지 않은 전선을 삽입한 후, 조작 버튼(40)을 되돌리면, 판스프링(30)은 자기의 스프링력으로 복귀된다. 이 때문에, 도통 금구(20)의 상절곡편(24)과 판스프링(27)의 가압 설부(37)가 도시하지 않은 전선을 끼워지지하고 전기 접속한다. 또한, 조작 버튼(40)의 단부(44)가 도통 금구(20)의 걸림 갈고리(25)에 걸리기 때문에, 조작 버튼(40)이 탈락되는 일은 없다.
제4 실시 형태에 의하면, 도통 금구(20) 단체로 조작 버튼(40)을 지지하기 때문에, 케이스의 형상이 간단하게 됨과 함께, 케이스의 재료 선택이 용이하게 되고, 설계의 자유도가 넓어진다. 또한, 금속제 도통 금구와 조작 버튼으로 양자의 위치 관계가 정하여지기 때문에 조립 정밀도가 향상한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 형태는, 도 26 내지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전선을 개략 동일 축심에 접속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전선 접속 커넥터로서, 도통 금구(20) 단체로 조작 버튼(40)을 지지하는 경우이다.
즉,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선 접속 커넥터는, 개략, 도시하지 않은 케이스와 도통 금구(20)와 한 쌍의 판스프링(30)과 한 쌍의 조작 버튼(40)과 도시하지 않은 커버로 구성되어 있다.
도통 금구(20)는, 도시하지 않은 상기 케이스의 오목한 곳에 끼워맞춤 가능한 형상을 갖는 정면부(21)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 정면부(21)의 양측에 한 쌍의 감합구(2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정면부(21)의 상단 테두리부중, 중앙 테두리부에는 상절곡편(24)을 형성하고 있음과 함께, 양측 테두리부에는 걸림 갈고리(25)가 각각 잘려 세워져 있다. 상기 상절곡편(24)에는, 도시하지 않은 전선을 빠짐 방지하는 한 쌍의 걸림 돌기(26)가 돌출 가공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정면부(21)의 하단 테두리부에는 하절곡편(27)이 형성되어 있다. 이 하절곡편(27)에는 위치 결정 구멍(2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절곡편(7)의 양측 테두리부에는 기립편(29)이 형성되고, 그 상단 테두리부로부터 고저차가 있는 위치 규제 설편(29a, 29b)이 수평 방향으로 각각 늘어나 있다.
판스프링(30)은 개략 V자형으로 굴곡된 것으로, 그 굴곡부(31)는 폭이 넓으며 또한 상기 도통 금구(20)의 감합구(23)에 끼워 맞춤 가능하다. 그리고, 판스프링(30)의 저면부(32)에는 상기 도통 금구(20)의 위치 결정 구멍(28)에 결합되는 위치 결정 돌기(33)가 돌출 가공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굴곡부(31)로부터 늘어나는 중계부(34)에는, 제 1 곡부(35), 제 2 곡부(36) 및 가압 설부(37)가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하절골편(27)의 위치 결정 구멍(28)에 판스프링(30)의 위치 결정 돌기(33)를 감입하면, 판스프링(30)의 스프링력으로 가압 설부(37)가 상절곡편(24)의 하면에 압접되기 때문에, 판스프링(30)의 양단이 도통 금구(20)에 압접되어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도통 금구(20)는 도시하지 않은 케이스의 오목한 곳에 끼워맞추어져 조립된다.
조작 버튼(40)은, 상기 케이스(10)의 삽입 구멍(15)에 삽입 가능한 축부(41)와, 이 축부(41)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또한 상기 축부(41)의 삽입 위치를 규제하는 헤드부(42)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 버튼(40)은, 상기 축부(41)의 하면 선단을 조작부(43)로 함과 함께, 내향면의 상단 테두리부에 빠짐 방지용 단부(44)가 슬라이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위치 규제 설편(29a, 29b)의 사이로부터 조작 버튼(40)의 축부(41)를 밀어 넣으면, 그 단부(44)가 도통 금구(20)의 걸림 갈고리(25)에 결합됨과 함께, 판스프링(30)의 중계부(34)에 달한 후, 제 1 곡부(35)에 맞닿는다. 이 때, 걸림 갈고리(25)에 의해 조작 버튼(40)이 탈락되는 일은 없다(도 29).
또한,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버튼(40)을 밀어 넣으면, 굴곡부(31)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조작부(43)가 제 1 곡부(35)를 타고 넘어서 제 2 곡부(36)에 달함과 함께, 헤드부(42)가 케이스(10)의 외측면에 맞닿아 위치 규제된다. 이 때문에, 가압 설부(37)가 밀려 내려지고, 가압 설부(37)와 도통 금구(20)의 상절곡편(24)과의 사이에 빈틈이 생긴다. 이 때, 판스프링(30)의 스프링력으로 조작부(43)가 압상되고, 위치 규제 설편(29a)의 테두리부에 축부(41)의 상면이 압접되어 로크된다. 이 때문에, 조작 버튼(40)이 자유롭게 복귀되는 일은 없다. 계속해서, 걸림 돌기(26)와 가압 설부(37)와의 사이에 도시하지 않은 전선을 삽입한 후, 조작 버튼(40)을 되돌리면, 판스프링(30)은 자기의 스프링력으로 복귀된다. 이 때문에, 도통 금구(20)의 상절곡편(24)과 판스프링(27)의 가압 설부(37)가 도시하지 않은 전선을 끼워지지하고 전기 접속한다. 또한, 조작 버튼(40)의 단부(44)가 도통 금구(20)의 걸림 갈고리(25)에 걸리기 때문에, 조작 버튼(40)이 탈락되는 일은 없다.
제 5 실시 형태에 의하면, 한 쌍의 전선을 개략 동일 축심상에서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제 4 실시 형태와 다른 접속 형태로 되고, 용도가 넓어진다. 또한, 제 5 실시 형태에 의하면, 도통 금구(20) 단체로 조작 버튼(40)을 지지하기 때문에, 케이스의 형상이 간단하게 됨과 함께, 케이스의 재료 선택이 용이하게 되고, 설계의 자유도가 넓어진다. 또한, 금속제 도통 금구와 조작 버튼으로 양자의 위치 관계가 정하여지기 때문에 조립 정밀도가 향상한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전선 접속기구의 제 6 실시 형태는, 도 31 내지 도 4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00)에, 도통 금구(20), 판스프링(30) 및 조작 버튼(40)으로 이루어지는 접속 유닛을 복수 조립한 중계 터미널에 적용한 경우이다.
또한, 상기 도통 금구(20), 판스프링(30) 및 조작 버튼(40)은, 도 36, 도 37 및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형상 및 사용 방법은 전술한 제 1 실시 형태와 거의 같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케이스(101) 및 베이스(110)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 프린트 기판(120)을 수납함과 함께, 커넥터 받침구(130) 및 투명 커버(140)를 장착한 것이다.
상기 케이스(101)는, 그 상면 편측에 한 단계 높은 접속면(102)을 갖는 것과 함께, 나머지 편측에 후술하는 커넥터 받침구(130)를 삽통하는 긴 구멍(103)을 갖고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01)는, 그 양측에 형성한 측벽(104, 104)에 후술하는 투명 커버(140)를 지지하기 위한 개략 L자 형상의 가이드 홈(105) 및 걸림 구멍(106)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접속면(102)에는,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 유닛을 배치하기 위해, 한 쌍의 전선용 삽입 구멍(107), 조작 버튼용 삽입 구멍(108)(도 35) 및 오목부(109)가, 소정의 피치로 가로방향으로 병설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선용 삽입 구멍(107), 조작 버튼용 삽입 구멍(108) 및 오목부(109)가, 소정 치수만큼 어긋나서 오른쪽이 내려 가도록 전후로 5열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전선용 삽입 구멍(107)에 전선(도시 생략)을 삽입하여 전기 접속하여도, 인출한 전선이 어떠한 조작 버튼(40)에도 서로 겹치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전선을 접속하는 경우는 물론, 분리하는 경우에도 작업성은 저하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전선용 삽입 구멍(107)을 오른쪽이 내려가도록 할 뿐만 아니라, 왼쪽이 내려가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전선용 삽입 구멍(107)을 왼쪽이 내려가도록 하는 경우에는, 조작 버튼용 삽입 구멍(108) 및 오목부(109)를 전선용 삽입 구멍(107)의 좌측에 배치하여 두면, 전술한 바와 같이 작업성이 높은 중계 터미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전선용 삽입 구멍(107)은,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 개략 V자 형상이고, 그 아래쪽 개구부는 상기 조작 버튼용 삽입 구멍(108)측으로 편심되어 있음과 함께, 조작 버튼용 삽입 구멍(108)에 연통되어 있다.
상기 조작 버튼용 삽입 구멍(108)은, 그 접속면(102)측의 개구부가 조작 버튼(40)을 삽입 가능한 형상을 갖는 한편, 그 이면측 개구부(108a)가 상기 도통 금구(20)를 삽입 가능한 형상을 갖고 있다.
상기 오목부(109)는, 단자 번호를 명시하는 공간으로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제 7 실시 형태에서는 밀려 내려진 레버(60)을 위치 결정하기 위해서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케이스(101)에, 도통 금구(20), 판스프링(30) 및 조작 버튼(40)을 조립하는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도 4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드 프레임(150)에 연결부(151)를 통하여 소정의 피치로 접속한 도통 금구(20)를 위치 결정함과 함께, 상기 도통 금구(20)에 개략 V자 형상의 판스프링(30)을, 그 자신의 스프링력을 통하여 미리 각각 조립하여 둔다. 그리고, 도 41 및 도 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01)의 저면에 소정의 피치로 가로 일열로 병설한 조작 버튼용 삽입 구멍(108)의 이면측 개구부(108a)에 밀어 넣는다. 또한, 상기 리드 프레임(150)을 상하로 왕복 이동시켜, 연결부(151)를 피로파괴시켜서 절단한다. 이후,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여 복수의 도통 금구(20)를 케이스(101)에 동시에 장착한다.
계속해서, 상기 케이스(101)의 저면으로부터 돌출한 도통 금구(20)의 단자(22)를 프린트 기판(120)의 단자 구멍에 삽입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케이스(101)의 긴 구멍(103)에 조립한 커넥터 받침구(130)의 단자를 상기 프린트 기판(120)의 단자 구멍에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도통 금구(20)의 단자(22) 및 커넥터 받침구(130)의 단자를 프린트 기판(120)에 납땜한다.
상기 베이스(110)는, 상기 케이스(101)의 저면에 조립 가능한 평면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110)는,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저면의 편측 테두리부에 갈고리부(111)를 형성하고 있음과 함께, 그 대향하는 테두리부 중앙에 걸림 갈고리구(115)를 슬라이드 끼워맞추기 위한 가이드 홈(112)(도 33, 도 35)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홈(112)의 저면에는 한 쌍의 개략 V자 형상의 캠 홈(113, 114)이 평행하게 병설되어 있다(도 33).
상기 걸림 갈고리구(具)(115)는, 도 32 및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10)의 가이드 홈(11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맞출 수 있는 외주 형상을 갖는 테두리체이다. 그리고, 상기 걸림 갈고리구(115)는, 그 내부에 한 쌍의 탄성 갈고리부(116, 117)가 점대칭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도시하지 않은 가이드 레일에 걸리는 갈고리부(118)를 갖고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홈(112)에 상기 걸림 갈고리구(115)를 슬라이드시켜 끼워맞춤으로서, 상기 탄성 갈고리부(113, 114)의 선단부가 상기 가이드 홈(112)의 캠 홈(113, 114)에 각각 걸린게 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110)를 일체화 한 하우징(100)을 가이드 레일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상기 걸림 갈고리구(115)를 인출하여 로크 상태를 해재한 후, 상기 가이드 레일에 상기 베이스(110)의 갈고리부(111)를 결합한다. 계속해서, 상기 걸림 갈고리구(115)를 밀어 넣어 갈고리부(118)를 가이드 레일에 결합하고 로크함으로써, 슬라이드 가능하게 빠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1)에 베이스(110)를 끼워맞추어 고정하는 한편, 상기 케이스(101)의 접속면(102)에 마련한 조작 버튼용 삽입 구멍(108)에, 조작 버튼(40)을 밀어 넣어 조립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1)의 양측벽에 형성한 가이드 홈(105)에, 투명 커버(140)의 양측 단면에 형성한 한 쌍의 지지 돌기부(141)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투명 커버(14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상기 커버(140)의 양측 단면에는, 케이스(101)의 걸림 구멍(106)에 걸리는 돌기(142)가 형성되어 있다.
제 6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접속 유닛의 구성 부품을 배치하는 전선용 삽입 구멍(107) 및 조작 버튼용 삽입 구멍(108)이, 케이스(101)의 동일 평면상의 접속면(102)에 소정 피치로 전후 좌우에 다수 배치되어 있다. 특히, 앞열의 삽입 구멍(107)과 후열의 삽입 구멍(108)이 소정의 피치로 가로방향으로 어긋나 있기 때문에, 앞열의 삽입 구멍(107)에 삽입한 전선이 후열의 조작 버튼(40)에 서로 겹치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접속한 전선이 유지 보수에 방해가 되지 않고, 장치를 소형화 하여도, 작업성이 높은 중계 터미널을 얻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제 7 실시 형태는, 도 44 내지 도 4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제 6 실시 형태와 거의 동일 구조의 중계 터미널이다. 그리고, 제 7 실시 형태가 제 6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은, 도통 금구(20), 판스프링(30) 및 조작 버튼(40)으로 이루어지는 접속 유닛의 구성 부품중, 조작 버튼(40)이 레버(60)를 가지며 또한 그 단면에 십자 형상의 조작용 오목부(46)를 형성한 점이다.
특히, 제 7 실시 형태는 장치가 소형으로 되고, 배선의 밀집도가 높은 경우에, 조작 버튼(40)이 조작하기 어렵다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하나의 하우징에 다수의 조작 버튼(40)을 배치하는 경우에도, 레버(60)가 배선 작업을 방해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통 금구(20)는, 도 46 및 도 4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1)의 개구부(108a)로부터 삽입 가능한 형상을 갖는 정면부(21)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 정면부(21)의 좌단 테두리부로부터 단자(22)가 옆쪽으로 늘어나 있음과 함께, 편측 우반분에 감합구(2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정면부(21)의 상단 테두리부중, 좌측 테두리부에는 상절곡편(24)을 형성하고 있음과 함께, 우측 테두리부에는 걸림 갈고리(25)가 잘려 세워져 있다. 상기 상절곡편(24)에는, 후술하는 전선을 빠짐 방지하는 걸림 돌기(26)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정면부(21)의 하단 테두리부에는 하절곡편(27)이 형성되어 있다. 이 하절곡편(27)에는 위치 결정 구멍(28)이 형성되어 있다.
판스프링(30)은 개략 V자형으로 굴곡된 것으로, 그 굴곡부(31)는 폭이 넓으며 또한 상기 도통 금구(20)의 감합구(23)에 끼워맞춤 가능하다. 그리고, 판스프링(30)의 저면부(32)에는 상기 도통 금구(20)의 위치 결정 구멍(28)에 결합되는 위치 결정 돌기(33)가 돌출 가공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굴곡부(31)로부터 늘어나는 중계부(34)에는, 제 1 곡부(35), 제 2 곡부(36) 및 가압 설부(37)가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절곡편(27)의 위치 결정 구멍(28)에 판스프링(30)의 위치 결정 돌기(33)를 감입하면, 판스프링(30)의 스프링력으로 가압 설부(37)가 상절곡편(24)의 걸림 돌기(26)에 압접되기 때문에, 판스프링(30)의 양단이 도통 금구(20)에 압접되어 지지된다.
조작 버튼(40)은, 도 46 및 도 4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부(41)와 헤드부(42)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축부(41)는, 상기 조작 버튼용 삽입 구멍(108)의 접속면(102)측의 개구부에 삽입 가능한 단면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상기 헤드부(42)는, 상기 축부(41)의 삽입 위치를 규제하기 위해, 상기 축부(41)의 일단에 일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 버튼(40)은, 상기 축부(41)의 하면 선단을 조작부(43)로 함과 함께, 일측면의 상단 테두리부에 빠짐 방지용 단부(44)가 슬라이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축부(41)는, 상기 헤드부(42) 부근의 대향하는 측면에 후술하는 레버(6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 돌기(45, 45)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헤드부(42)의 선단면에는 십자 형상의 조작용 오목부(4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작용 오목부(46)는 전술한 형상에 한하지 않고, 단순한 곧은 홈이라도 좋고, 단순한 원형 오목부라도 좋다.
따라서 도 4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1)의 삽입구(108)로부터 조작 버튼(40)의 축부(41)를 밀어 넣으면, 그 단부(44)가 도통 금구(20)의 걸림 갈고리(25)에 결합됨과 함께, 판스프링(30)의 중계부(34)에 달한 후, 제 1 곡부(35)에 맞닿는다. 이 때, 도통 금구(20)의 걸림 갈고리(25)가 조작 버튼(40)의 단부(44)에 걸려져 있기 때문에, 조작 버튼(40)이 탈락되는 일은 없다.
레버(60)는, 도 46 내지 도 4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작 버튼(40)을 끌어올리기 위한 부재로서, 한 쌍의 늘어난 암부(61, 61)에 상기 조작 버튼(40)의 지지 돌기(45)에 결합하는 축 구멍(62)을 마련하고 있다. 따라서 조작 버튼(40)의 지지 돌기(45, 45)에 레버(60)의 축 구멍(62)을 결합함으로써, 레버(60)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상기 레버(60)는, 상기 암부(61)의 기부로부터 조작 홈(63)을 늘어나게 함과 함께, 상기 조작 홈(63)의 대향면에 회전 지점(64)을 배치하고 있다. 상기 회전 지점(64)의 양측에는 위치 규제용 테이퍼면(65, 66)이 소정의 각도로 형성되어 있다(도 48(B)).
다음에, 상기 중계 터미널의 사용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단, 설명의 편의상, 전선은 도시하지 않는다.
우선, 도 49(A)에 도시한 조작 버튼(40)의 헤드부(42)를 가압하면, 판스프링(30)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조작부(43)가 제 1 곡부(35)를 타고넘어 제 2 곡부(36)에 달한다(도 49(B)). 이와 동시에, 레버(60)가 돌기(45)를 회전 지점으로 하여 회전함과 함께, 그 테이퍼면(65)이 케이스(10)의 외측면에 압접되고, 조작 버튼(40)을 위치 규제한다. 이 때문에, 가압 설부(37)가 밀려 내려지고, 가압 설부(37)와 도통 금구(20)의 걸림 돌기(26)와의 사이에 빈틈이 생긴다. 이 때, 판스프링(30)의 스프링력으로 조작부(43)가 압상되고, 케이스(101)의 모서리부(101a)에 축부(41)의 상면이 압접되어 로크된다. 이 때문에, 조작 버튼(40)이 자연적으로 복귀되는 일은 없다.
계속해서, 케이스(101)의 삽입 구멍(107)으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전선을 삽입한 후, 레버(60)의 조작 홈(63)에 공구(도시 생략)를 위치 결정하여 밀어 넣으면, 지레의 원리에 의거하여, 회전 지점(64)을 지점으로 하여 레버(60)가 회전한다. 이 때문에, 조작 버튼(40)이 끌어올려지고, 판스프링(30)은 자기의 스프링력으로 복귀된다. 이 결과, 도통 금구(20)의 걸림 돌기(26)와 판스프링(30)의 가압 설부(37)가 전선을 끼워지지하고 전기 접속한다. 또한, 조작 버튼(40)의 단부(44)가 도통 금구(20)의 걸림 갈고리(25)에 걸리기 때문에, 조작 버튼(40)이 탈락되는 일은 없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조작 버튼(40) 및 레버(60)를 교대로 밀려 내려진다는 동일 작업을 행할 뿐으로 전선을 탈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전선의 탈착을 동일한 공구로 처리할 수 있고, 바꿀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사용하기 편리하고 작업 효율이 높은 중계 터미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조작 버튼(40)의 인출은, 조작 버튼(4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레버(60)의 일단부를 밀어 내림으로서, 지레의 원리를 이용하여 행한다. 이 때문에, 조작 버튼(40)의 인출 량에 한계가 있고, 조작 버튼(40)을 잘못하여 너무 인출하여 파괴한다는 사고는 생기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조작 버튼(40)의 위치에 대응하여 레버(60)의 위치가 다르다. 이 때문에, 전선을 삽입할 수 있는지 여부 등의 상태를 레버(60)의 위치에 의해 판별할 수 있고, 사용하기 편리한 중계 터미널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조작 버튼(40) 및 레버(60)의 일단부에 조작용 오목부(46)를 형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조작 공구의 위치 결정을 신속하며 또한 정확하게 행할 수 있고, 작업성이 보다 한층 높은 중계 터미널을 얻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전선 접속기구는, 전술한 실시 형태에 한하지 않고, 다른 중계 커넥터, 전선 접속 커넥터, 중계 터미널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9)

  1. 하우징과, 이 하우징 내에 수납된 도통 금구와, 개략 V자 형상으로 굴곡되며 또한 편측 단부가 상기 도통 금구에 압접되는 판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에 축심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된 조작 버튼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작 버튼의 일단부를 하우징측으로 밀어 넣음으로서, 상기 조작 버튼의 타단부로 상기 판스프링의 편측 단부를 밀어 내려 탄성 변형시키고, 그 반력으로 상기 조작 버튼의 축부 상면을 고정 부품으로 밀어붙여서 로크하는 한편, 상기 조작 버튼을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함으로써, 상기 판스프링의 일단부가 탄성 복귀되어, 상기 판스프링의 편측 단부와 상기 도통 금구로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한 전선을 끼워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접속기구.
  2. 코너부에 모서리부를 마련하여 형성한 개략 L자형의 오목한 곳을 갖는 상자형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오목한 곳에 수납 가능한 정면부를 가지며, 그 상단 테두리부에 절곡편을 형성한 도통 금구와, 개략 V자 형상으로 굴곡되며 또한 편측 단부가 상기 도통 금구의 절곡편의 하면에 압접되는 판스프링과, 상기 케이스에 축부를 옆쪽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축부의 하면 선단부가 조작부로서 상기 판스프링의 편측 상면을 가압 가능한 조작 버튼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작 버튼을 케이스 내로 밀어 넣으면, 그 조작부가 상기 판스프링의 편측을 밀어 내리는 반면, 그 반력으로 상기 조작 버튼의 축부 상면이 상기 케이스의 모서리부로 밀려져서 로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접속기구.
  3. 코너부에 모서리부를 마련하여 형성한 개략 L자형의 오목한 곳을 갖는 상자형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오목한 곳에 수납 가능한 정면부를 가지며, 그 상단 테두리부에 절곡편을 형성한 도통 금구와, 개략 V자 형상으로 굴곡되며 또한 편측 단부가 상기 도통 금구의 절곡편의 하면에 압접되는 판스프링과, 상기 케이스에 축부를 옆쪽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축부의 하면 선단부가 조작부로서 상기 판스프링의 편측 상면을 가압 가능한 조작 버튼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판스프링의 굴곡부를 폭 넓게 함과 함께, 상기 도통 금구의 정면부에 상기 굴곡부를 끼워맞춤 가능한 감합구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접속기구.
  4. 양측 코너부에 모서리부를 각각 마련하여 형성한 역 T자형의 오목한 곳을 갖는 상자형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오목한 곳에 수납 가능한 정면부를 가지며, 그 상단 중앙 테두리부에 절곡편을 형성한 도통 금구와, 개략 V자 형상으로 굴곡되며 또한 편측 단부가 상기 도통 금구의 절곡편의 하면에 압접되는 한 쌍의 판스프링과, 상기 케이스에 축부를 옆쪽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축부의 하면 선단부가 조작부로서 상기 판스프링의 편측 상면을 가압 가능한 한 쌍의 조작 버튼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작 버튼을 케이스 내로 밀어 넣으면, 그 조작부가 상기 판스프링의 편측을 밀어 내리는 반면, 그 반력으로 상기 조작 버튼의 축부 상면이 상기 케이스의 모서리부로 밀려져서 로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접속기구.
  5. 양측 코너부에 모서리부를 각각 마련하여 형성한 역 T자형의 오목한 곳을 갖는 상자형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오목한 곳에 수납 가능한 정면부를 가지며, 그 상단 중앙 테두리부에 절곡편을 형성한 도통 금구와, 개략 V자 형상으로 굴곡되며 또한 편측 단부가 상기 도통 금구의 절곡편의 하면에 압접되는 한 쌍의 판스프링과, 상기 케이스에 축부를 옆쪽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축부의 하면 선단부가 조작부로서 상기 판스프링의 편측 상면을 가압 가능한 한 쌍의 조작 버튼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판스프링의 굴곡부를 폭 넓게 함과 함께, 상기 도통 금구의 정면부에 상기 굴곡부를 끼워맞춤 가능한 감합구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접속기구.
  6. 제 2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통 금구에 걸림 갈고리부를 형성하는 한편, 조작 버튼의 축부에 상기 걸림 갈고리부에 걸림 가능한 홈부를 슬라이드 방향으로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접속기구.
  7. 제 2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케이스를 접합 일체화 하여 단자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접속기구.
  8. 제 2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스로부터 돌출되는 도통 금구의 단자를 감싸는 접속용 감합 받침부에, 다른 케이스로부터 돌출되는 도통 금구의 단자 받침부를 덮는 접속용 감합 돌기부를, 끼워맞추어 전기 접속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접속기구.
  9. 제 2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린트 기판에 실장한 단자를 감싸는 접속용 감합 받침부에, 케이스로부터 돌출되는 도통 금구의 단자 받침부를 덮는 접속용 감합 돌기부를, 끼워맞추어 전기 접속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접속기구.
  10. 하우징에 축심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된 조작 버튼의 일단부를 하우징측으로 밀어 넣음으로서, 상기 조작 버튼의 타단부로 상기 하우징에 내장하는 판스프링의 일단부를 탄성 변형시켜서 로크하는 한편, 상기 조작 버튼을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함으로써, 상기 판스프링의 일단부가 탄성 복귀되어, 상기 판스프링의 일단부와 상기 하우징에 내장하는 도통 금구로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한 전선을 끼워지지하는 전선 접속기구에 있어서,
    상기 조작 버튼의 일단부 부근에 레버의 일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레버의 타단부를 하우징측으로 밀어 내림으로서, 지레의 원리로 상기 조작 버튼을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접속기구.
  11. 하우징에 축심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된 조작 버튼의 일단부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함으로써, 상기 조작 버튼의 타단부로 상기 하우징에 내장하는 판스프링의 일단부를 탄성 변형시켜서 로크하는 한편, 상기 조작 버튼을 상기 하우징측으로 밀어 넣음으로서, 상기 판스프링의 일단부가 탄성 복귀되어, 상기 판스프링의 일단부와 상기 하우징에 내장하는 도통 금구로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한 전선을 끼워지지하는 전선 접속기구에 있어서,
    상기 조작 버튼의 일단부 부근에 레버의 일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레버의 타단부를 하우징측으로 밀어 내림으로서, 지레의 원리로 상기 조작 버튼을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접속기구.
  12.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조작 버튼의 일단부의 단면에 개략 십자형의 조작용 오목부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접속기구.
  13.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레버의 타단부에 조작용 오목부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접속기구.
  14. 하우징 내에 수납 가능한 정면부를 가지며, 상단 좌측 테두리부에 절곡편을 수평하게 형성함과 함께, 상기 절곡편보다도 한 단계 낮은 인접하는 위치에 위치 규제 설편을 수평 방향으로 형성한 도통 금구와, 개략 V자 형상으로 굴곡됨과 함께, 상기 도통 금구에 부착되고 편측 단부가 상기 도통 금구의 절곡편의 하면에 압접되는 판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에 축심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된 조작 버튼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작 버튼의 일단부를 축심 방향으로 밀어 넣음으로서, 그 타단부가 상기 판스프링의 편측을 밀어 내리는 반면, 그 반력으로 상기 조작 버튼의 축부 상면이 상기 도통 금구의 위치 규제 설편으로 밀려져서 로크되는 한편, 상기 조작 버튼을 축심 방향으로 인출함으로써, 상기 판스프링의 일단부가 탄성 복귀되어, 상기 판스프링의 일단부와 상기 도통 금구의 상기 절곡편으로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한 전선을 끼워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접속기구.
  15. 하우징 내에 수납 가능한 정면부를 가지며, 상단 중앙 테두리부에 절곡편을 수평하게 형성함과 함께, 상기 절곡편보다도 한 단계 낮은 인접하는 양측에 위치 규제 설편을 수평 방향으로 각각 형성한 도통 금구와, 개략 V자 형상으로 굴곡됨과 함께, 상기 도통 금구에 부착되고 편측 단부가 상기 도통 금구의 절곡편의 하면에 압접되는 한 쌍의 판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에 축심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한 한 쌍의 조작 버튼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작 버튼의 일단부를 축심 방향으로 밀어 넣음으로서, 그 타단부가 상기 판스프링의 편측을 밀어 내리는 반면, 그 반력으로 상기 조작 버튼의 축부 상면이 상기 도통 금구의 위치 규제 설편으로 밀려져서 로크되는 한편, 상기 조작 버튼을 축심 방향으로 인출함으로써, 상기 판스프링의 일단부가 탄성 복귀되어, 상기 판스프링의 일단부와 상기 도통 금구의 상기 절곡편으로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한 전선을 끼워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접속기구.
  16. 제 14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도통 금구에 걸림 갈고리부를 형성하는 한편, 조작 버튼의 축부에 상기 걸림 갈고리부에 걸림 가능한 홈부를 슬라이드 방향으로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접속기구.
  17.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고 또한 외부 기기에 접속된 입출력선을 접속할 수 있는 커넥터와, 상기 하우징의 접속면과 개략 평행하게 배치되고 또한 상기 커넥터의 단자에 전기 접속된 프린트 기판과, 상기 하우징의 접속면에 배치됨과 함께, 상기 프린트 기판을 통하여 상기 커넥터에 전기 접속되고, 다수의 전기 기기의 입출력선에 각각 접속된 다수의 접속 유닛을 구비한 전선 접속기구에 있어서,
    상기 접속 유닛이,
    상기 하우징의 동일 평면이 되는 접속면에 소정의 피치로 좌우로 병설하여 열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열의 전후에도 열을 형성하는 다수의 전선 삽입 구멍의 아래쪽에 각각 배치됨과 함께, 상기 프린트 기판에 접속된 도통 금구와,
    상기 전선 삽입 구멍의 아래쪽에 각각 배치되며 또한 상기 도통 금구에 부착되는 유지 스프링부와,
    상기 전선 삽입 구멍에 인접하는 위치에 각각 병설한 조작 버튼용 삽입 구멍에 축심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조작 버튼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의 접속면으로부터 상단부를 돌출하는 상기 조작 버튼을 축심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유지 스프링부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전선 삽입 구멍으로부터 삽입한 전선의 지지 및 해제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접속기구.
  18.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고 또한 외부 기기에 접속된 입출력선을 접속할 수 있는 커넥터와, 상기 하우징의 접속면과 개략 평행하게 배치되고 또한 상기 커넥터의 단자에 전기 접속된 프린트 기판과, 상기 하우징의 접속면에 배치됨과 함께, 상기 프린트 기판을 통하여 상기 커넥터에 전기 접속되고, 다수의 전기 기기의 입출력선에 각각 접속된 다수의 접속 유닛을 구비한 전선 접속기구에 있어서,
    상기 접속 유닛이,
    상기 하우징의 동일 평면이 되는 접속면에 소정의 피치로 좌우로 병설하여 열을 형성하고, 또한, 가로 방향으로 소정 치수를 어긋나게 하여 상기 열의 전후에 다른 열을 형성하는 다수의 전선 삽입 구멍의 아래쪽에 각각 배치됨과 함께, 상기 프린트 기판에 접속된 도통 금구와,
    상기 전선 삽입 구멍의 아래쪽에 각각 배치되며 또한 상기 도통 금구에 부착된 유지 스프링부와,
    상기 전선 삽입 구멍에 인접하는 위치에 각각 병설한 조작 버튼용 삽입 구멍에 축심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조작 버튼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의 접속면으로부터 상단부를 돌출하는 상기 조작 버튼을 축심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유지 스프링부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전선 삽입 구멍으로부터 삽입한 전선의 지지 및 해제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접속기구.
  19. 제 16항 또는 제 17항에 있어서,
    조작 버튼의 상단부에, 그 축부를 축심 방향으로 인출하도록 동작하는 레버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접속기구.
KR10-2003-7000708A 2000-08-04 2001-08-03 전선 접속기구 KR1004801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236910 2000-08-04
JP2000236910 2000-08-04
JP2001184355 2001-06-19
JPJP-P-2001-00184355 2001-06-19
JPJP-P-2001-00216632 2001-07-17
JP2001216632 2001-07-17
PCT/JP2001/006685 WO2002013319A1 (fr) 2000-08-04 2001-08-03 Connecteur de fi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0384A KR20030020384A (ko) 2003-03-08
KR100480196B1 true KR100480196B1 (ko) 2005-04-06

Family

ID=27344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0708A KR100480196B1 (ko) 2000-08-04 2001-08-03 전선 접속기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851967B2 (ko)
EP (1) EP1309036B1 (ko)
JP (1) JP4202125B2 (ko)
KR (1) KR100480196B1 (ko)
CN (1) CN1205697C (ko)
AT (1) ATE361557T1 (ko)
DE (1) DE60128235T2 (ko)
WO (1) WO200201331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217B1 (ko) 2013-01-17 2014-04-29 심윤국 전기 접속컨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전력 분배용 전기 접속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5821U1 (de) * 2002-04-12 2003-08-21 Weidmueller Interface Anschlußvorrichtung für Leiter
EP1353407B1 (de) 2002-04-12 2011-01-19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Anschlussvorrichtung für Leiter
DE10232256B4 (de) * 2002-07-17 2009-07-16 Phoenix Contact Gmbh & Co. Kg Klemmfedervorichtung für eine Federkraftklemme
DE10239273A1 (de) * 2002-08-22 2004-03-04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Federkraftklemmanschluß für einen elektrischen Leiter
DE20308863U1 (de) * 2003-06-06 2003-08-21 Ria Btr Prod Gmbh Anschlussklemme
US6935765B2 (en) * 2003-10-27 2005-08-30 Dong Guan Bright Yinhuey Lighting Co., Ltd. China Suspension lamp having quick connection function
ES2247929B1 (es) * 2004-06-10 2007-04-01 Simon, S.A. Mecanismo de embornado y desembornado rapido par dispositivos electricos.
ES2246169B2 (es) * 2004-07-28 2006-08-01 I Division Electrica, S.A. Borne de conexion bidireccional sin tornillos.
US8033479B2 (en) 2004-10-06 2011-10-11 Lawrence Kates Electronically-controlled register vent for zone heating and cooling
DE202004018757U1 (de) * 2004-12-04 2006-04-13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Vorrichtung zur elektrischen Überbrückung zweier Stromschienen
DE102004059017B4 (de) * 2004-12-08 2006-12-14 Phoenix Contact Gmbh & Co. Kg Kastenfederklemme mit einem an einer ersten Kastenwand angeordneten Klemmschenkel
DE102004062850B3 (de) * 2004-12-27 2006-06-14 Siemens Ag Anschlussvorrichtung
CA2542570A1 (en) * 2005-04-13 2006-10-13 Black & Decker Inc. Chop saw
JP4530282B2 (ja) * 2005-08-17 2010-08-25 Smk株式会社 ケーブル接続方法
JP4248537B2 (ja) * 2005-09-29 2009-04-0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ITMI20060373A1 (it) * 2006-03-02 2007-09-03 Ilme Spa Connettore elettrico multipolare con contatti a molla
DE102006014646B4 (de) 2006-03-28 2008-06-26 Phoenix Contact Gmbh & Co. Kg Anschlussklemme für Leiterplatten
US7431603B1 (en) 2006-12-01 2008-10-07 Ryan Joseph Szmidt Electrical wire connector
KR100726367B1 (ko) * 2006-12-22 2007-06-08 민웅기 전선 연결용 커넥터
KR100823341B1 (ko) * 2007-02-28 2008-04-2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하우징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어셈블리
DE102007036295B4 (de) * 2007-07-31 2009-10-08 Phoenix Contact Gmbh & Co. Kg Steckbare Printklemme
US7491098B1 (en) * 2007-10-10 2009-02-17 General Electric Company Screwless terminal for electrical leads
FR2929455B1 (fr) * 2008-03-28 2015-04-10 Schneider Electric Ind Sas Appareillage electrique avec dispositif amovible anti-deconnexion
JP5324123B2 (ja) * 2008-04-25 2013-10-23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プッシュ式コネクタ
EP2316150B1 (de) * 2008-08-27 2013-04-24 Phoenix Contact GmbH & Co. KG Elektrische Anschlussklemme
DE202008014469U1 (de) * 2008-10-31 2010-03-18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Anschlussklemme zum Anschluss von Leiterenden
US7785134B2 (en) * 2008-12-30 2010-08-31 General Electric Company Contact terminal for conductors
DE102009004513A1 (de) 2009-01-09 2010-07-22 Phoenix Contact Gmbh & Co. Kg Klemmfeder für eine Federkraftklemme
FR2943467A1 (fr) * 2009-03-23 2010-09-24 Bruno Paul Claude Marcoz Connecteur electrique
CN101562282B (zh) * 2009-05-19 2011-01-19 宁波高正电子有限公司 一种电连接器
DE202010008028U1 (de) * 2009-07-18 2010-12-30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Anschlussvorrichtung für Leiter
DE102010009804A1 (de) * 2010-03-01 2011-09-01 Phoenix Contact Gmbh & Co. Kg Elektrische Anschlussklemme
US8727611B2 (en) 2010-11-19 2014-05-20 Nest Labs, Inc.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sensors in thermostats
US9104211B2 (en) 2010-11-19 2015-08-11 Google Inc. Temperature controller with model-based time to target calculation and display
US9003816B2 (en) 2010-11-19 2015-04-14 Google Inc. HVAC controller with user-friendly installation features facilitating both do-it-yourself and professional installation scenarios
US9046898B2 (en) 2011-02-24 2015-06-02 Google Inc. Power-preserving communications architecture with long-polling persistent cloud channel for wireless network-connected thermostat
US9448567B2 (en) 2010-11-19 2016-09-20 Google Inc. Power management in single circuit HVAC systems and in multiple circuit HVAC systems
US9092039B2 (en) 2010-11-19 2015-07-28 Google Inc. HVAC controller with user-friendly installation features with wire insertion detection
US8944338B2 (en) 2011-02-24 2015-02-03 Google Inc. Thermostat with self-configuring connections to facilitate do-it-yourself installation
US8262405B1 (en) * 2011-03-15 2012-09-11 Avx Corporation Wire-to-wire connector
KR101241561B1 (ko) * 2011-07-06 2013-03-11 윤흥식 단자대
US8262422B1 (en) * 2011-07-28 2012-09-11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5942367B2 (ja) * 2011-09-08 2016-06-29 オムロン株式会社 導体接続器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中継ユニット
CN103890667B (zh) * 2011-10-21 2017-02-15 谷歌公司 用户友好、网络连接的学习型恒温器及相关系统和方法
CN202474257U (zh) * 2011-12-22 2012-10-03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弹性夹持件、接触轨组件及具有该组件的光伏组件接线盒
CN102832465B (zh) * 2012-08-21 2016-04-20 江门市创艺电器有限公司 一种led用一体式连接器
DE202012103314U1 (de) * 2012-08-30 2013-12-02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Anschlussvorrichtung für einen Leiter
US8708242B2 (en) 2012-09-21 2014-04-29 Nest Labs, Inc. Thermostat system with software-repurposable wiring terminals adaptable for HVAC systems of different ranges of complexity
US9208676B2 (en) 2013-03-14 2015-12-08 Google Inc. Devices, methods, and associated information processing for security in a smart-sensored home
US9520252B2 (en) 2012-09-21 2016-12-13 Google Inc. Adaptable hazard detector mounting plate
US20140113502A1 (en) 2012-09-28 2014-04-24 Phoenix Contact Development & Manufacturing, Inc. Connector Block with Spring-Loaded Electrical Terminal Assemblies
US8594850B1 (en) 2012-09-30 2013-11-26 Nest Labs, Inc. Updating control software on a network-connected HVAC controller
ITMI20121974A1 (it) 2012-11-20 2014-05-21 Ilme Spa Connettore elettrico multipolare perfezionato con contatti a molla
DE102013101410A1 (de) * 2013-02-13 2014-08-14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Federkraftklemmanschluss und Leiteranschlussklemme
DE102013004666A1 (de) * 2013-03-19 2014-09-25 Phoenix Contact Gmbh & Co. Kg Klemmenblockanordnung
DE102013103446A1 (de) * 2013-04-05 2014-10-09 Phoenix Contact Gmbh & Co. Kg Steckverbindungsvorrichtung
DE102013103658B4 (de) * 2013-04-11 2014-10-23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lemme
DE102013215143B4 (de) * 2013-07-04 2015-04-16 Robert Bosch Gmbh Klemmkontakt zur elektrischen Kontaktierung elektrischer Bauelemente
ITMI20131303A1 (it) * 2013-08-01 2015-02-02 Stelvio Kontek S P A Connettore elettrico e relativo dispositivo di azionamento
DE102013216472A1 (de) * 2013-08-20 2015-02-26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Würzburg Elektrische Kontaktanordnung für einen Elektromoto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FR3010839B1 (fr) * 2013-09-17 2017-04-21 Schneider Electric Ind Sas Dispositif de raccordement electrique d'au moins un conducteur dans une borne appartenant a un appareil electrique
DE102013110789B3 (de) * 2013-09-30 2014-12-04 Klaus Bruchmann Gmbh Adapter zum Kontaktieren von Sammelschienen
DE102013111574B4 (de) * 2013-10-21 2017-01-12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Federkraftklemmanschluss und Steckverbinder
US9343828B2 (en) * 2014-03-21 2016-05-17 Avx Corporation Push button power poke home connector
US9791839B2 (en) 2014-03-28 2017-10-17 Google Inc. User-relocatable self-learning environmental control device capable of adapting previous learnings to current location in controlled environment
US9581342B2 (en) 2014-03-28 2017-02-28 Google Inc. Mounting stand for multi-sensing environmental control device
US9568201B2 (en) 2014-03-28 2017-02-14 Google Inc.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retrofittable with multiple types of boiler-based heating systems
JP6350010B2 (ja) * 2014-06-20 2018-07-04 オムロン株式会社 接続機構部およびこれを用いた端子台
US9397416B2 (en) * 2014-08-22 2016-07-1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poke-in wire contacts
TWI544705B (zh) * 2014-09-05 2016-08-01 町洋企業股份有限公司 蝶形彈簧連接器
CN105811131B (zh) * 2014-12-29 2019-03-22 惠阳晋煜工业有限公司 电路连接器及其插接体
DE102015104268A1 (de) * 2015-03-23 2016-09-29 Eaton Electrical Ip Gmbh & Co. Kg Elektrisches Schaltgerät mit elektrischen Klemmanschlüssen
EP3116065B1 (en) * 2015-07-07 2019-08-28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Push-in clamp retainer, push-in clamp assembly and electric connector element
CN204966753U (zh) * 2015-07-31 2016-01-13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连接器和连接器组件
CN106486792B (zh) * 2015-08-25 2019-05-14 町洋企业股份有限公司 具扣合结构的端子座
US9466911B1 (en) * 2015-10-16 2016-10-11 Dinkle Enterprise Co., Ltd. Terminal base having fastening structure
CN105322310A (zh) * 2015-11-09 2016-02-10 上海友邦工业控制系统有限公司 一种触点弹簧片
DE102016101713A1 (de) * 2016-01-15 2017-07-20 Epcos Ag Halte- und Kontaktierungsvorrichtung
TWI589079B (zh) * 2016-02-05 2017-06-21 Terminal structure improved
DE102016004308A1 (de) * 2016-04-12 2017-10-12 E. Dold & Söhne KG Elektronikbaugruppen-Gehäuseset
KR101716635B1 (ko) * 2016-04-19 2017-03-15 최종하 전선 연결단자
DE102016111627A1 (de) * 2016-06-24 2017-12-28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lemme
LU93148B1 (de) * 2016-07-13 2018-01-23 Phoenix Contact Gmbh & Co Kg Intellectual Property Licenses & Standards Anschlussklemme
CN107768900B (zh) * 2016-08-23 2023-12-22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电连接器
JP2018056076A (ja) * 2016-09-30 2018-04-05 オムロン株式会社 端子台
CN106486823B (zh) * 2016-11-17 2018-12-14 町洋机电(中国)有限公司 嵌入型插拔式端子台
DE202017101148U1 (de) * 2017-03-01 2018-06-04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ontaktelement
GB201704781D0 (en) * 2017-03-26 2017-05-10 Dhanjal Avtarjeet Cable and multiwire connector
CN106816347B (zh) * 2017-03-27 2018-10-12 浙江中亿豪科技有限公司 一种组合式的断路器
DE102017109694B4 (de) * 2017-05-05 2022-10-06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Anschlussklemme
CN110663139B (zh) 2017-05-29 2021-01-22 Idec株式会社 连接装置
CN107171114A (zh) * 2017-06-27 2017-09-15 四川华丰企业集团有限公司 矩形连接器后基座
KR101803796B1 (ko) * 2017-07-28 2017-12-04 주식회사 위즈토리 전원전선 연결용 커넥터
KR102111746B1 (ko) * 2017-08-17 2020-06-08 (주)두남 접속 안정성이 우수한 접속유닛을 갖는 콘센트
US10014594B1 (en) 2017-09-07 2018-07-03 Dinkle Enterprise Co., Ltd. Terminal block assembly and wiring wrench thereof
EP3457498B1 (en) * 2017-09-18 2019-08-28 Dinkle Enterprise Co., Ltd. Terminal block assembly and wiring wrench thereof
DE102017121543A1 (de) * 2017-09-18 2019-03-21 Phoenix Contact Gmbh & Co. Kg Anschlusseinrichtung zum Anschließen einer elektrischen Leitung
EP3460917A1 (en) 2017-09-20 2019-03-27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onnector
CN109560436B (zh) * 2017-09-26 2024-02-02 安波福中央电气(上海)有限公司 电连接器
CN107799914B (zh) * 2017-10-12 2023-11-07 东莞市美金兴能源有限公司 一种线夹
KR101828818B1 (ko) * 2017-11-06 2018-02-14 주식회사 위즈토리 전선 연결용 커넥터
JP6597822B2 (ja) * 2018-03-23 2019-10-30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電気機器の接続構造
TWM567986U (zh) * 2018-04-27 2018-10-0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Terminal block
US10992175B2 (en) 2018-06-15 2021-04-27 Google Llc Communication circuit for 2-wire protocols between HVAC systems and smart-home devices
CN110391508A (zh) * 2018-06-21 2019-10-29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现场做线连接器
CN110797815A (zh) * 2018-08-03 2020-02-14 杭州鸿世电器有限公司 一种电路接通耦合器
TWI677149B (zh) * 2018-09-13 2019-11-11 進聯工業股份有限公司 連接器之改良結構
US20220052463A1 (en) * 2018-10-15 2022-02-17 Beijing Const Instrument Technology Inc. Crimp Terminal, Crimp Terminal Module, Terminal Box and Tester
DE102018126144A1 (de) 2018-10-22 2020-04-23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Elektrischer Verbinder zum Anschluss elektrischer Leiter an eine Leiterplatte
JP6843973B2 (ja) * 2018-11-07 2021-03-17 蘇州華旃航天電器有限公司 ケーブル迅速係止用の電気コネクタ
CN111193118B (zh) * 2018-11-15 2021-05-07 町洋企业股份有限公司 双接线连接器
CN109378598A (zh) * 2018-12-11 2019-02-22 朱品优 一种接线端子
NL2022303B1 (nl) * 2018-12-24 2020-07-21 Dilar B V Kabeldoos voor het elektrisch verbinden van elektriciteitskabels met elkaar
US10511108B1 (en) * 2019-01-07 2019-12-17 Dinkle Enterprise Co., Ltd. Dual-wire connector
DE102019103772A1 (de) * 2019-02-13 2020-08-13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Schutzleiteranschluss
DE102019104298A1 (de) * 2019-02-20 2020-08-20 Phoenix Contact Gmbh & Co. Kg Klemmanordnung sowie Anschlussklemme
US10658770B1 (en) * 2019-08-13 2020-05-19 Dinkle Enterprise Co., Ltd. Press and spring-back type terminal block
KR20210084146A (ko) 2019-12-27 2021-07-0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조립체
JPWO2022014526A1 (ko) 2020-07-17 2022-01-20
US11336037B1 (en) * 2020-12-29 2022-05-17 Dinkle Enterprise Co., Ltd. Terminal block structure
EP4037104A1 (en) * 2021-01-27 2022-08-03 Tyco Electronics France SAS Terminal block comprising a conductive bar with a lateral portion
DE102021103855A1 (de) * 2021-02-18 2022-08-18 Phoenix Contact Gmbh & Co. Kg Klemmfeder, Anschlussanordnung und Anschlussklemme
CN113054451A (zh) * 2021-03-18 2021-06-29 苏州新亚电通有限公司 一种具有锁线功能的小型接插式连接器
DE102021117060A1 (de) * 2021-07-02 2023-01-05 Harting Electric Stiftung & Co. Kg Elektrisches Kabelanschlusssystem
WO2023095687A1 (ja) * 2021-11-29 2023-06-01 Idec株式会社 接続機器および電子機器
DE102021132926A1 (de) * 2021-12-14 2023-06-15 Harting Electric Stiftung & Co. Kg Kontaktfederanordnung zur selbstverriegelnden Kontaktierung eines elektrischen Leiters
US11757214B2 (en) * 2022-01-28 2023-09-12 Dinkle Enterprise Co., Ltd. Terminal block with handle structure
US11749927B1 (en) * 2022-03-03 2023-09-05 Richard Goren Enterprises, Llc Quick install banana plug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62158B2 (de) * 1970-12-17 1979-04-05 Wago-Kontakttechnik Gmbh, 4950 Minden Schraubenlose Anschluß- oder Verbindungsklemme für elektrische Leiter
DE3514099C2 (de) * 1985-04-16 1994-11-17 Wago Verwaltungs Gmbh Verbindungsklemme für elektrische Leiter
US4759726A (en) * 1985-08-13 1988-07-26 Reed Devices, Inc. Screwless type electrical terminal block
JPH0747805Y2 (ja) * 1989-03-17 1995-11-01 株式会社新光製作所 プリント配線基板用端子装置
JPH0469871U (ko) * 1990-10-26 1992-06-19
JP2532977Y2 (ja) * 1991-08-01 1997-04-16 株式会社八光電機製作所 電線接続装置
JPH0743963Y2 (ja) * 1992-12-28 1995-10-09 株式会社八光電機製作所 モジュラージャック端子台
DE4323440A1 (de) * 1993-05-14 1995-02-02 Siemens Ag Elektronisches Gerät, insbesondere Automatisierungsgerät
GB9311559D0 (en) * 1993-06-04 1993-07-21 Amp Gmbh Spring clamp actuator
DE4413457C2 (de) * 1994-04-18 1996-03-28 Siemens Ag Anschlußeinheit eines Automatisierungssystems und hierzu korrespondierender Klemmenblock
JP3406381B2 (ja) 1994-06-20 2003-05-12 関東電化工業株式会社 フェライト系磁性粉末原料酸化物及びフェライト系磁性粉末の製造方法
DE29500614U1 (de) * 1995-01-04 1995-03-16 Wago Verwaltungs Gmbh Elektrische Klemme mit Betätigungsdrücker
JP3017433B2 (ja) * 1995-09-05 2000-03-06 株式会社八光電機製作所 端子装置
DE19541137A1 (de) * 1995-10-30 1997-05-07 Wago Verwaltungs Gmbh Elektr. Frontverdrahtungsklemme
JPH09245862A (ja) * 1996-03-12 1997-09-19 Sharp Corp 端子台
JP3357245B2 (ja) 1996-06-24 2002-12-16 サトーパーツ株式会社 プラグ、レセプタクル及びそれらを備える中継コネクタ
IT1283503B1 (it) * 1996-07-25 1998-04-21 Claber Spa Morsetto a leva per connettori elettrici
US6033268A (en) * 1997-04-30 2000-03-07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Modular I/O system with two-way connectors between units and a common lock for multiple plug-in modules
ES2216086T3 (es) * 1997-08-14 2004-10-16 PHOENIX CONTACT GMBH & CO. KG Borne electrico de fuerza elastica.
DE19753078C2 (de) * 1997-11-29 1999-09-30 Lumberg Karl Gmbh & Co Elektrische Anschlußklemme, insbesondere Anreihklemme
DE29807956U1 (de) * 1998-05-04 1999-07-08 Weco Wester Anschlußklemme mit Kniehebelbetätigung
JP2000048874A (ja) * 1998-07-30 2000-02-18 Osada:Kk 端子台
US6146187A (en) * 1998-11-25 2000-11-14 Supplie & Co. Import/Export, Inc. Screwless terminal block
FR2792778B1 (fr) * 1999-04-22 2001-05-18 Schneider Electric Sa Borne elastique d'appareil electrique
DE29915515U1 (de) * 1999-09-03 2001-02-01 Weidmueller Interface Federklemme zum Anschließen elektricher Leiter
DE29915512U1 (de) * 1999-09-03 2001-01-18 Weidmueller Interface Federklemme zum Anschließen elektrischer Leiter
DE29920231U1 (de) * 1999-11-17 2001-04-05 Weidmueller Interface Schraubenlose Anschlußklemme
JP4527242B2 (ja) * 2000-05-26 2010-08-18 Idec株式会社 接続装置
JP3435132B2 (ja) * 2000-08-23 2003-08-11 Smk株式会社 プラグ
US6257580B1 (en) * 2000-09-15 2001-07-10 Ben Brown Casino table game including cards and dice
FR2824960B1 (fr) * 2001-05-15 2003-08-15 Entrelec Dispositif de raccordement a poussoir
US6832938B2 (en) * 2002-12-13 2004-12-2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integral wire release memb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217B1 (ko) 2013-01-17 2014-04-29 심윤국 전기 접속컨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전력 분배용 전기 접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361557T1 (de) 2007-05-15
EP1309036A4 (en) 2005-05-04
US6851967B2 (en) 2005-02-08
EP1309036B1 (en) 2007-05-02
KR20030020384A (ko) 2003-03-08
JP4202125B2 (ja) 2008-12-24
US20040102078A1 (en) 2004-05-27
CN1444785A (zh) 2003-09-24
DE60128235T2 (de) 2007-12-27
CN1205697C (zh) 2005-06-08
EP1309036A1 (en) 2003-05-07
WO2002013319A1 (fr) 2002-02-14
DE60128235D1 (de) 2007-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0196B1 (ko) 전선 접속기구
US5772452A (en) Connector for a circuit board
JP3136252U (ja) コネクタ
KR20150110333A (ko) 커넥터
CN111247701B (zh) 电连接器
US9876297B2 (en) Connector
JP2017521821A (ja) 端子ホルダを備える電気コネクタ
US7008254B2 (en) Connector
JP2009164105A (ja) 第1コネクタ、第2コネクタ及び電気接続装置
JPH1174023A (ja)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の嵌合検知構造
EP1538706B1 (en) A connector fixing bracket
EP2053703A2 (en) Connector
US5562461A (en)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US20080299807A1 (en) Card connector
JP4968793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2007128875A (ja) 電気コネクタ
EP1530262A2 (en) Multiconnection device
JP3126066U (ja) レセプタクル型コネクタプラグ
KR102471869B1 (ko) 커넥터 및 커넥터의 제조 방법
US11522316B2 (en)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onnector
CN216903566U (zh) 按压组件及其连接器
JP3748787B2 (ja) 可動型コネクタ
JP3333932B2 (ja) コネクタ整列筐体
JP2022178896A (ja) 端子、電線コネクタ及び電線対基板コネクタ
JPS63257188A (ja) コネクタのロツク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