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1561A -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 Google Patents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1561A
KR20200011561A KR1020207002030A KR20207002030A KR20200011561A KR 20200011561 A KR20200011561 A KR 20200011561A KR 1020207002030 A KR1020207002030 A KR 1020207002030A KR 20207002030 A KR20207002030 A KR 20207002030A KR 20200011561 A KR20200011561 A KR 20200011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conductor layer
schottky
carrier concentration
layer
electron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2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1283B1 (ko
Inventor
마사루 다끼자와
아끼또 구라마따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무라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무라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무라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00011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1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1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1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367Substrates
    • H01L21/0237Materials
    • H01L21/02414Oxide semiconducting materials not being Group 12/16 materials, e.g. ternary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367Substrates
    • H01L21/02433Crystal orient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518Deposited layers
    • H01L21/02521Materials
    • H01L21/02565Oxide semiconducting materials not being Group 12/16 materials, e.g. ternary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518Deposited layers
    • H01L21/0257Doping during depositing
    • H01L21/02573Conductivity type
    • H01L21/02576N-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612Formation types
    • H01L21/02617Deposition types
    • H01L21/02631Physical deposition at reduced pressure, e.g. MBE, sputtering, evapo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4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crystalline structure, e.g. polycrystalline, cubic or particular orientation of crystalline planes
    • H01L29/045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crystalline structure, e.g. polycrystalline, cubic or particular orientation of crystalline planes by their particular orientation of crystalline pla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0603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co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s, e.g.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f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or for internal isolations regions
    • H01L29/0607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co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s, e.g.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f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or for internal isolations regions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 H01L29/0611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co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s, e.g.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f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or for internal isolations regions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for increasing or controlling the breakdown voltage of reverse biased devices
    • H01L29/0615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co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s, e.g.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f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or for internal isolations regions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for increasing or controlling the breakdown voltage of reverse biased devices by the doping profile or the shape or the arrangement of the PN junction, or with supplementary regions, e.g. junction termination extension [JTE]
    • H01L29/0619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co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s, e.g.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f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or for internal isolations regions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for increasing or controlling the breakdown voltage of reverse biased devices by the doping profile or the shape or the arrangement of the PN junction, or with supplementary regions, e.g. junction termination extension [JTE] with a supplementary region doped oppositely to or in rectifying contact with the semiconductor containing or contacting region, e.g. guard rings with PN or Schottky jun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0657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ody
    • H01L29/0661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ody specially adapted for altering the breakdown voltage by removing semiconductor material at, or in the neighbourhood of, a reverse biased junction, e.g. by bevelling, moat etching, depletion e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1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24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semiconductor materia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9/16, H01L29/18, H01L29/20, H01L29/2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1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2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element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of the groups H01L29/16, H01L29/18, H01L29/20, H01L29/22, H01L29/24, e.g. alloys
    • H01L29/267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element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of the groups H01L29/16, H01L29/18, H01L29/20, H01L29/22, H01L29/24, e.g. alloys in different semiconductor regions, e.g. heterojun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969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not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8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only by variation of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one or more of the electrodes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scillated or switched
    • H01L29/861Diodes
    • H01L29/872Schottky di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47Schottky barrier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역방향 내압을 크게 해도 순방향 전압의 증대, 오믹 전극층과의 콘택트 저항의 증대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를 제공한다.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1)는, n형의 도전성을 갖는 Ga2O3계 화합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n형 반도체층(3)과, n형 반도체층(3)에 대해 쇼트키 접촉하는 쇼트키 전극층(2)을 구비하고, n형 반도체층(3)에는, 쇼트키 전극층(2)에 쇼트키 접촉하는 전자 캐리어 농도가 비교적 낮은 n- 반도체층(31)과, n- 반도체층(31)보다도 높은 전자 캐리어 농도를 갖는 n+ 반도체층(32)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SCHOTTKY BARRIER DIODE}
본 발명은, 금속과 반도체를 쇼트키 접촉시켜 이루어지는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어, 인버터 회로 등에 사용되는 고내압 다이오드로서, SiC를 사용한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는, 같은 정도의 전류 용량의 PN 접합 다이오드와 비교하면, 일반적으로 순방향 전압(VF)이 작고, 역회복 시간(trr)도 짧아 스위칭 특성이 우수하다. 그러나, 고내압화와 고효율화의 요구는 강하여, 가일층의 고내압화와 순방향 전압의 저감이 요구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6-253521호 공보
일반적으로,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에 있어서는, 순방향 전압(VF)과, 역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했을 때의 역방향 내압(VRM)과는 트레이드 오프의 관계가 있다. 이것은, 역방향 내압(VRM)을 높게 하기 위해서는, 캐리어 농도를 낮게 할 필요가 있고, 캐리어 농도가 낮아지면, 전기 저항이 증대되어 순방향 전압(VF)이 커지기 때문이다. 또한, 캐리어 농도를 낮게 하면, 오믹 전극층과의 콘택트 저항이 증대되어 순방향 전압(VF)이 커지게 되는 과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역방향 내압을 크게 해도 순방향 전압의 증대, 오믹 전극층과의 콘택트 저항의 증대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의 [1]∼[4]에 기재된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를 제공한다.
[1] n형의 도전성을 갖는 Ga2O3계 화합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n형 반도체층과, 상기 n형 반도체층에 대해서 쇼트키 접촉하는 전극층을 구비하고, 상기 n형 반도체층에는, 상기 전극층에 쇼트키 접촉하는 제1 반도체층과, 상기 제1 반도체층보다도 높은 전자 캐리어 농도를 갖는 제2 반도체층이 형성되어 있는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2] 상기 제1 반도체층의 두께는, 역방향 내압에 대응하는 공핍층의 두께보다도 큰 상기 [1]에 기재된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3] 상기 제1 반도체층에 있어서의 전자 캐리어 농도가 1017-3보다도 낮은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4] 상기 제2 반도체층에 있어서의 전자 캐리어 농도가 1018-3보다도 높은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본 발명에 따르면, 역방향 내압을 크게 해도 순방향 전압의 증대 및 오믹 전극층과의 콘택트 저항의 증대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쇼트키 다이오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a는 반도체 재료로서 Si를 사용한 경우와 Ga2O3을 사용한 경우에 대해서, 역방향 내압을 100V로 설정한 경우, n- 반도체층 및 n+ 반도체의 전자 캐리어 농도, 저항률, 두께와 전압 강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비교표이다.
도 2b는 반도체 재료로서 SiC를 사용한 경우와 Ga2O3을 사용한 경우에 대해서, 역방향 내압을 600V로 설정한 경우, n- 반도체층 및 n+ 반도체의 전자 캐리어 농도, 저항률, 두께와 전압 강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비교표이다.
도 2c는 반도체 재료로서 SiC를 사용한 경우와 Ga2O3을 사용한 경우에 대해서, 역방향 내압을 1000V로 설정한 경우, n- 반도체층 및 n+ 반도체의 전자 캐리어 농도, 저항률, 두께와 전압 강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비교표이다.
도 2d는 반도체 재료로서 SiC를 사용한 경우와 Ga2O3을 사용한 경우에 대해서, 역방향 내압을 10000V로 설정한 경우, n- 반도체층 및 n+ 반도체의 전자 캐리어 농도, 저항률, 두께와 전압 강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비교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쇼트키 다이오드에 있어서의 에너지 밴드를 예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비교예에 관한 쇼트키 다이오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에 관한 쇼트키 다이오드 및 비교예에 관한 쇼트키 다이오드의 전압-전류 밀도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에 관한 쇼트키 다이오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A-A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제2 변형예에 관한 쇼트키 다이오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A-A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제3 변형예에 관한 쇼트키 다이오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A-A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이하, 「쇼트키 다이오드」라 함)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쇼트키 다이오드(1)의 단면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쇼트키 다이오드(1)는, n형의 도전성을 갖는 Ga2O3계 화합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n형 반도체층(3)과, n형 반도체층(3)의 제1 주표면(3a)에 쇼트키 접촉하는 쇼트키 전극층(2)과, n형 반도체층(3)의 제1 주표면(3a)과는 반대측의 제2 주표면(3b)에 오믹 접촉하는 오믹 전극층(4)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n형 반도체층(3)의 제1 주표면(3a) 측에는, 쇼트키 전극층(2)을 최하층에 포함하는 적층막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n형 반도체층(3)의 제2 주표면(3b) 측에는, 오믹 전극층(4)을 최하층에 포함하는 적층막을 형성해도 된다.
n형 반도체층(3)은 β-Ga2O3을 기본으로 하나, Cu, Ag, Zn, Cd, Al, In, Si, Ge 및 Sn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첨가한 Ga를 주성분으로 한 산화물로 구성해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AlxInyGa(1-x-y))2O3(단, 0≤x<1, 0≤y<1, 0≤x+y<1)으로 나타내어지는 갈륨 산화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n형 반도체층(3)은, 제1 반도체층으로서의 저전자 캐리어 농도의 n- 반도체층(31)과, 이 n- 반도체층(31)보다도 높은 전자 캐리어 농도를 갖는 제2 반도체층으로서의 고전자 캐리어 농도의 n+ 반도체층(32)을 구비하고 있다. 저전자 캐리어 농도의 n- 반도체층(31)은, n형 반도체층(3) 중 쇼트키 전극층(2)에 대해 쇼트키 접촉하는 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 n형 반도체층(3)은, 예를 들어, MBE(Molecular Beam Epitaxy)법에 의해, 진공조 내에 Ga 증기와 산소계 가스를 공급하여, β-Ga2O3 기판 상에 β-Ga2O3 단결정을 에피택셜 결정 성장시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저전자 캐리어 농도의 제어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Ga 원료의 순도는 6N 이상이 바람직하다. 이 β-Ga2O3 기판이 n+ 반도체층(32)에 해당하고, 그 위에 형성된 에피택셜 층이 n- 반도체층(31)에 해당한다.
β-Ga2O3 기판은, 예를 들어, EFG(Edge-defined Film-fed Growth)법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 이 경우, β-Ga2O3 기판의 전자 캐리어 농도(n+ 반도체층(32)의 전자 캐리어 농도)는, 기판 제작시에 발생하는 산소 결함이나 Si 등의 도펀트의 양에 의해 정해진다. 또한, 도펀트는 결정 성장 중의 도펀트의 도입량이 안정되어 있는 Si가 바람직하다. Si를 도펀트로 함으로써, 전자 캐리어 농도의 제어성이 높아진다. 또한, n- 반도체층(31)의 전자 캐리어 농도는, 예를 들어, 에피택셜 결정 성장 중에 있어서의 Si나 Sn 등의 IV족의 도펀트의 공급량 또는 산소 결함을 제어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또한, Ga와의 치환을 고려한 경우, 이온 반경이 가까운 Sn의 쪽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쇼트키 다이오드(1)에 있어서는, n- 반도체층(31)의 전자 캐리어 농도(Nd)가, 예를 들어, 1016-3이나, 이 전자 캐리어 농도(Nd)는 1018-3보다도 낮은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캐리어 농도(Nd)는, 1017-3보다도 낮은 값으로 설정하면 적합하다. 또한, n- 반도체층(31)은, 전자 캐리어 농도가 비교적 낮은 n- 층 및 이 n- 층과 n+ 반도체층(32)과의 사이의 전자 캐리어 농도를 갖는 n층에 의해 구성해도 된다. 이 n- 반도체층(31)의 전자 캐리어 농도(Nd)는, 쇼트키 다이오드(1)에 요구되는 역방향 내압(VRM)과, Ga2O3의 전계 파괴 강도(Em)에 기초하여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전계 파괴 강도(Em)는, Ga2O3에 고유한 값이며, 종래의 n형 반도체 재료로서 사용되는 Si나 SiC의 전계 파괴 강도와 비교하면, Ga2O3의 전계 파괴 강도(Em)의 쪽이 큰 것이 본 발명자들에 의해 확인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쇼트키 다이오드의 역방향 내압은, 전계 파괴 강도의 제곱에 비례하고, 전자 캐리어 농도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전계 파괴 강도가 커지면 전자 캐리어 농도가 같더라도 역방향 내압이 커진다. 또한, 같은 역방향 내압이면, 전계 파괴 강도가 커짐으로써, 전자 캐리어 농도를 높게 할 수 있다. 전자 캐리어 농도가 높아지면, 전기 저항이 작아져, 순방향 전압(VF)이 작아진다.
도 2a 내지 도 2d는, 반도체 재료로서 Si 또는 SiC를 사용한 경우와 Ga2O3을 사용한 경우에 대해서, n- 반도체층(에피택셜 층) 및 n+ 반도체층(기판)의 전자 캐리어 농도, 저항률, 두께와 전류 밀도를 200A/㎠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전압 강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비교표이며, 도 2a는 Si 및 Ga2O3을 사용하여 역방향 내압을 100V로 한 경우의 비교표, 도 2b는 SiC 및 Ga2O3을 사용하여 역방향 내압을 600V로 한 경우의 비교표, 도 2c는 SiC 및 Ga2O3을 사용하여 역방향 내압을 1000V(1㎸)로 한 경우의 비교표, 도 2d는 SiC 및 Ga2O3을 사용하여 역방향 내압을 10000V(10㎸)로 한 경우의 비교표이다.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역방향 내압을 100V로 설정한 경우, n- 반도체층의 전자 캐리어 농도 및 두께가, Si에서는 2.47×1015-3, 7.5㎛가 되는 것에 비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Ga2O3에서는, 8.29×1017-3, 0.402㎛가 된다. 이에 의해, n- 반도체층에 있어서의 전압 강하가, Si의 경우에는 0.1955V가 되는 것에 비해, Ga2O3의 경우에는 0.0005V가 된다. 이 결과, n- 반도체층 및 n+ 반도체층을 포함한 토탈 전압 강하가, Si의 경우에는 0.2226V, Ga2O3의 경우에는 0.0811V가 되어, 전압 강하를 약 64%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역방향 내압을 600V로 설정한 경우, n- 반도체층의 전자 캐리어 농도 및 두께가, SiC에서는 2.16×1016-3, 5.46㎛가 되는 것에 비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Ga2O3에서는 1.66×1017-3, 2.0㎛가 된다. 이에 의해, n- 반도체층에 있어서의 전압 강하가 SiC의 경우에는 0.0345V가 되는 것에 비해, Ga2O3의 경우에는 0.0107V가 된다. 이 결과, n- 반도체층 및 n+ 반도체층을 포함한 토탈 전압 강하가, SiC의 경우에는 0.0546V, Ga2O3의 경우에는 0.0376V가 되어, 전압 강하를 약 31%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도 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역방향 내압을 1000V로 설정한 경우, n- 반도체층의 전자 캐리어 농도 및 두께가, SiC에서는 1.30×1016-3, 9.1㎛가 되는 것에 비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Ga2O3에서는 9.95×1016-3, 3.3㎛가 된다. 이에 의해, n- 반도체층에 있어서의 전압 강하가, SiC의 경우에는 0.0914V가 되는 것에 비해, Ga2O3의 경우에는 0.0296V가 된다. 이 결과, n- 반도체층 및 n+ 반도체층을 포함한 토탈 전압 강하가, SiC의 경우에는 0.1115V, Ga2O3의 경우에는 0.0565V가 되어, 전압 강하를 약 49%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도 2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역방향 내압을 10000V로 설정한 경우, n- 반도체층의 전자 캐리어 농도 및 두께가, SiC에서는 1.30×1015-3, 90.9㎛가 되는 것에 비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Ga2O3에서는, 9.95×1015-3, 33.3㎛가 된다. 이에 의해, n- 반도체층에 있어서의 전압 강하가, SiC의 경우에는 8.1118V가 되는 것에 비해, Ga2O3의 경우에는 2.9449V가 된다. 이 결과, n- 반도체층 및 n+ 반도체층을 포함한 토탈 전압 강하가, SiC의 경우에는 8.1319V, Ga2O3의 경우에는 2.9718V가 되어, 전압 강하를 약 63% 저감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쇼트키 전극층(2)은, 예를 들어, EB(Electron Beam) 증착법, 진공 증착법 또는 스퍼터링법에 의해, n형 반도체층(3)(n- 반도체층(31))의 제1 주표면(3a)에 성막된다. 쇼트키 전극층(2)의 재료는, n- 반도체층(31)을 구성하는 Ga2O3에 대해 쇼트키 접촉가능한 금속이 선택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Pt가 쇼트키 전극층(2)으로서 n형 반도체층(3)에 성막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반도체와 금속 사이에서 정류 작용이 발생하는 쇼트키 접촉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반도체의 전자 친화력 χ과 전극이 되는 금속의 일함수(Φm)와의 관계가 χ<Φm이 아니면 안 된다. 이 관계를 만족하는 금속으로서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Pt 이외에 V, Mo, Ni, Pd 등이 있다.
오믹 전극층(4)은, n형 반도체층(3)(n+ 반도체층(32))의 제2 주표면(3b)에 진공 증착법 또는 스퍼터링 법에 의해 성막된다. 오믹 전극층(4)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Ti가 선택된다. 또한, Ga2O3의 전자 친화력(χ)보다도 일함수(Φm)가 작은 금속이면, 오믹 전극층(4)의 재료로서 다른 원소를 사용해도 된다.
도 3은 쇼트키 접촉 부분의 에너지 밴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여기서, q는 단전자의 전하, ΦBn은 쇼트키 장벽, Φd는 전위 장벽(내부전위)이다.
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n- 반도체층(31)의 두께(t)는, 역방향 내압 (VRM)의 역방향 전압을 인가한 경우의 공핍층 폭(W)에 대응하고, 공핍층 폭(W)보다도 크게 작성되어 있다. 단, 이상적으로는 공핍층 폭(W)과 n- 반도체층(31)의 두께(t)가 일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n- 반도체층(31)의 두께(t)가 공핍층 폭(W)보다도 크면, 그 만큼, n- 반도체층(31)에 있어서의 전기 저항이 커지기 때문이다.
여기서, 쇼트키 다이오드(1)의 공핍층 폭(W)은, 하기의 수학식 1로 나타낼 수 있는 바와 같이, n- 반도체층(31)의 전자 캐리어 농도(Nd)에 의존한다. 여기서,ε는 Ga2O3의 유전율이다. 즉, 상술한 역방향 내압(VRM) 및 전자 캐리어 농도(Nd)가 정해지면, 공핍층 폭(W)을 구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공핍층 폭(W)을 목표로 하여 저전자 캐리어 농도의 Ga2O3의 에피택셜 성장의 두께가 공핍층 폭(W) 이상이 되도록(t≥W), n- 반도체층(31)을 형성한다.
Figure pat00001
n+ 반도체층(32)의 전자 캐리어 농도는, 쇼트키 다이오드(1)에 요구되는 전기 저항(순방향 온저항) 또는 순방향 전압에 따라 필요한 농도로 설정된다(예를 들어, 1018-3보다도 높은 값). 또한, n+ 반도체층(32)의 전자 캐리어 농도는, n- 반도체층(31)의 전자 캐리어 농도보다도 10배 이상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n+ 반도체층(32)의 전자 캐리어 농도가 높은 쪽이, n형 반도체층(3) 전체의 전기 저항이 작아지기 때문이다.
(쇼트키 다이오드(1)의 동작)
쇼트키 다이오드(1)에 대해서 순방향(쇼트키 전극층(2) 측이 정(+)전위)으로 전압(V)을 가하면, 도 3에 나타내는 Φd가 (Φd-V)로 되어, n형 반도체층(3)으로부터 쇼트키 전극층(2)으로 이동하는 전자에 의한 전류가 증대한다. 이에 의해, 순방향 전류가 쇼트키 전극층(2)으로부터 오믹 전극층(4)으로 흐른다.
한편, 쇼트키 다이오드(1)에 대해서 역방향(쇼트키 전극층(2) 측이 부(-)전위)의 전압(V)을 가하면, Φd가 (Φd+V)로 되어, n형 반도체층(3)으로부터 쇼트키 전극층(2)으로 이동하는 전자에 의한 전류는 거의 제로로 된다. 또한, 전압(V)에 따라 공핍층이 n+ 반도체층(32)을 향해 확대된다. 단, n- 반도체층(31)의 두께(t)는, 상기의 수학식 1에 기초하여 구해지는 공핍층 폭(W)보다도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역방향 내압(VRM)의 역방향 전압을 인가하더라도, 공핍층이 n+ 반도체층(32)에 달하는 일은 없다.
(실시 형태의 작용 효과)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하기의 작용 효과가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쇼트키 다이오드(1)에서는, Ga2O3계 화합물을 n형 반도체층(3)의 재료로서 사용하였다. 이 Ga2O3계 화합물은, 전계 파괴 강도가 종래의 쇼트키 다이오드의 재료로서 사용되고 있었던 Si나 SiC에 비해 높기 때문에, 이들 종래의 재료를 사용한 경우보다도 역방향 내압을 높일 수 있다.
또한, n형 반도체층(3)을 저전자 캐리어 농도의 n- 반도체층(31)과 고전자 캐리어 농도의 n+ 반도체층(32)에 의해 구성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Ga2O3계 화합물은 전계 파괴 강도가 높기 때문에 역방향 내압을 높일 수 있으나, n형 반도체층(3)의 전체를 고전자 캐리어 농도로 한 경우에는, 역방향 내압이 전자 캐리어 농도에 반비례한다고 하는 관계로부터, 역방향 내압을 높이는 효과에 한계가 발생한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쇼트키 전극층(2)의 측에 n- 반도체층(31)을 형성했기 때문에, 역방향 내압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이 n- 반도체층(31)의 두께는, 역방향 내압(VRM)의 역방향 전압을 인가한 경우의 공핍층 폭(W)보다도 두껍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역방향 내압(VRM)의 역방향 전압을 인가하더라도 공핍층이 n+ 반도체층(32)에 달하는 일이 없다.
또한, n- 반도체층(31)의 전자 캐리어 농도를 1017-3보다도 낮은 범위로 설정하면, 1000V 이상의 역방향 내압(VRM)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n- 반도체층(31)의 전자 캐리어 농도를 1016-3보다도 낮은 범위로 설정하면, 10000V 이상의 역방향 내압(VRM)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n+ 반도체층(32)의 전자 캐리어 농도를 1018-3 이상으로 설정함으로써, n형 반도체층(3) 전체의 전기 저항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오믹 전극층(4)과의 콘택트 저항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쇼트키 다이오드(1)의 순방향 전압을 작게 할 수 있다.
실시예 1
다음에,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FZ(Floating Zone)법에 의해 제작한 두께 600㎛의 β-Ga2O3 기판을 n+ 반도체층(32)으로서 사용하였다. 이 β-Ga2O3 기판에는, 도펀트로서 Si를 도프하고, 전자 캐리어 농도를 1×1019-3으로 하였다. 또한, 기판의 면방위는 (010)으로 하였다. 기판의 면방위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100)면으로부터 50°이상 90°이하의 각도만큼 회전시킨 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010)면, (001)면, (―201)면, (101)면 및 (310)면이 존재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에피택셜 성장시킬 때에 기판으로부터의 재증발을 억제할 수 있어, 성장 속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기판 면방위를 (010)면으로부터 37.5°이하의 각도만큼 회전시킨 면이어도 된다. 이 경우 n+ 반도체층(32)과 n- 반도체층(31)과의 계면을 급격하게 할 수 있음과 함께, n- 반도체층(31)의 두께를 고정밀도로 제어할 수 있다.
n- 반도체층(31)은, 상기의 β-Ga2O3 기판(n+ 반도체층(32)) 상에 MBE법에 의해 두께 1.4㎛의 β-Ga2O3 단결정을 에피택셜 성장시켜 형성하였다. 도펀트로서는 Sn을 사용하고, 전자 캐리어 농도를 4×1016-3으로 하였다.
쇼트키 전극층(2)은, n- 반도체층(31)에 쇼트키 접촉하는 두께 30㎚의 Pt와, 이 Pt의 위에 형성된 두께 170㎚의 Au의 2층 구조로 하였다.
오믹 전극층(4)은, n+ 반도체층(32)에 오믹 접촉하는 두께 100㎚의 Ti와, 이 Ti의 위에 형성된 두께 100㎚의 Au의 2층 구조로 하였다.
(비교예)
도 4는, 비교예로서 나타내는 쇼트키 다이오드(10)의 단면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이 쇼트키 다이오드(10)는, EFG법에 의해 제작한 두께 400㎛의 β-Ga2O3 기판을 n- 반도체층(33)으로서 사용한 단층 구조이며, 이 n- 반도체층(33)의 한쪽의 주면(33a)에 쇼트키 전극층(2)을 형성하고, 다른 쪽의 주면(33b)에 오믹 전극층(4)을 형성하였다. 쇼트키 전극층(2) 및 오믹 전극층(4)의 구성은, 상기의 실시예와 공통의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n- 반도체층(33)은, 두께를 400㎛로 하고, 논도프 또한 질소 분위기 열처리를 행하지 않음으로써, 전자 캐리어 농도를 8×1016-3으로 하였다.
도 5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쇼트키 다이오드(1) 및 비교예에 관한 쇼트키 다이오드(10)의 전압-전류 밀도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쇼트키 다이오드(1)에서는, 정방향 전압을 인가한 때에 전류 밀도가 급격히 상승하는 것에 비해, 쇼트키 다이오드(10)에서는, 쇼트키 다이오드(1)와 비교하여 전류 밀도의 상승이 완만하게 되어 있다.
이것은, 쇼트키 다이오드(1)에 있어서, 반도체층(3)을 n- 반도체층(31) 및 n+ 반도체층(32)을 포함하는 복층 구조로 하고, n+ 반도체층(32)의 전기 저항을 낮춤으로써, 순방향 전압을 작게 할 수 있었던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오믹 전극(4)에 접촉하는 n+ 반도체층(32)의 전자 캐리어 농도를 높게 함으로써, 오믹 전극(4)과 반도체층(3)과의 사이의 접촉 저항이 낮아지는 것도, 순방향 전압을 작게 하는 것에 기여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쇼트키 다이오드의 변형예)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쇼트키 다이오드 구조의 3개의 변형예를 도 6a∼도 8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들의 변형예에 있어서, n- 반도체층(31) 및 n+ 반도체층(32)의 캐리어 농도 및 두께 등의 제원은, 상기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설정할 수 있다.
(변형예 1)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에 관한 쇼트키 다이오드(1A)를 나타내고, 도 6a는 평면도, 도 6b는 도 6a의 A-A 단면도이다.
쇼트키 다이오드(1A)는, 평면에서 보아 사각 형상이며, 그 중심부에 마찬가지로 사각 형상의 쇼트키 전극층(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쇼트키 다이오드(1A)는, n형 반도체층(3)을 구비하고, n형 반도체층(3)은 저전자 캐리어 농도의 n- 반도체층(31)과, 이 n- 반도체층(31)보다도 높은 전자 캐리어 농도를 갖는 고전자 캐리어 농도의 n+ 반도체층(32)을 구비하고 있다. 저전자 캐리어 농도의 n- 반도체층(31)은, n형 반도체층(3) 중 쇼트키 전극층(2)에 대해 쇼트키 접촉하는 측에 형성되어 있다. n+ 반도체층(32)의 n- 반도체층(31)과는 반대측의 면에는, 오믹 전극(4)이 형성되어 있다.
n- 반도체층(31)은, n+ 반도체층(32)과는 반대측에 형성된 평탄한 상면(31a)과, 상면(31a)의 외측 테두리로부터 n+ 반도체층(32)을 향해 퍼지듯 경사지게 형성된 측면(31b)을 갖는 메사 구조를 갖고 있다. 측면(31b)의 외측에는, 측면(31b)을 둘러싸듯이, 상면(31a)과 평행한 하면(31c)이 형성되어 있다. 쇼트키 전극층(2)은, 측면(31b)과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면(31a)에 형성되어 있다.
쇼트키 전극층(2)의 주연부로부터 하면(31c)의 측면(31b) 측의 일부까지의 사이의 영역에는, PV(패시베이션)막(6)이 형성되어 있다. 이 PV막(6)은, 쇼트키 전극층(2)의 주연부, 쇼트키 전극층(2)의 외측에 있어서의 n+ 반도체층(32)의 상면(31a), 측면(31b) 및 하면(31c)의 측면(31b) 측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쇼트키 다이오드(1A)에 따르면, n- 반도체층(31)의 메사 구조에 의한 전계 완화 효과에 의해, 쇼트키 전극층(2)의 단부에의 전계 집중이 완화되기 때문에, 쇼트키 전극층(2)의 단부에의 전계 집중에 의해 역방향 내압이 낮아지는 것이 억제된다.
(변형예 2)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제2 변형예에 관한 쇼트키 다이오드(1B)를 나타내고, 도 7a는 평면도, 도 7b는 도 7a의 A-A 단면도이다.
쇼트키 다이오드(1B)는, n- 반도체층(31)의 일부에 저항층(310)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 쇼트키 다이오드(1A)와 상이하고, 그 밖의 구성은 쇼트키 다이오드(1A)와 같다. 저항층(310)은, n- 반도체층(31)의 상면(31a) 측에 있어서의 쇼트키 전극층(2)의 주연부에 접하는 부분으로부터, 측면(31b)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이 저항층(310)은, n+ 반도체층(32) 상에 n- 반도체층(31)을 형성한 후, 예를 들어, 산소 분위기 중에서의 어닐 처리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저항층(310) 대신에, 이 영역을 P형 층으로 해도 된다.
이 쇼트키 다이오드(1B)에 따르면, n- 반도체층(31)의 메사 구조에 의한 전계 완화 효과에 더하여, 저항층(310) 또는 P형 층에 의한 전계 완화 효과에 의해, 쇼트키 전극층(2)의 단부에의 전계 집중이 더욱 완화되므로, 쇼트키 전극층(2)의 단부에의 전계 집중에 의해 역방향 내압이 낮아지는 것이 더욱 억제된다.
(변형예 3)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제3 변형예에 관한 쇼트키 다이오드(1C)를 나타내고, 도 8a는 평면도, 도 8b는 도 8a의 A-A 단면도이다.
쇼트키 다이오드(1C)는, 평면에서 보아 사각 형상이며, n- 반도체층(31)과 n+ 반도체층(32)을 포함하는 n형 반도체층(3)을 구비하고 있다. n- 반도체층(31)의 상면(31a)에는, 그 주연부에 PV막(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n- 반도체층(31)의 상면(31a)의 중심부에는, 쇼트키 전극층(2)이 형성되어 있다. 쇼트키 전극층(2)은, 그 주연부에 있어서의 일부의 영역이 PV막(6)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n- 반도체층(31)의 상면(31a) 측에 있어서의 쇼트키 전극층(2)과 PV막(6)과의 경계를 포함하는 영역에는, 저항층(31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저항층(310) 대신에, 이 영역을 P형 층을 포함하는 가드링 구조로 해도 된다. 또한, 저항층(310)과 PV막(6)에 대해서, 저항층(310)이 없는 PV막(6)만의 구조로 해도 된다.
n+ 반도체층(32)의 n- 반도체층(31)과는 반대측의 면에는, 오믹 전극(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쇼트키 다이오드(1C)에 따르면, PV막(6)의 위에 형성된 쇼트키 전극층(2)에 의한 필드 플레이트 효과에 의해, 쇼트키 전극층(2)의 단부에의 전계 집중이 완화되기 때문에, 쇼트키 전극층(2)의 단부에의 전계 집중에 의해 역방향 내압이 낮아지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저항층(310) 또는 P형 층을 형성한 경우에는, 그 전계 완화 효과에 의해, 쇼트키 전극층(2)의 단부에의 전계 집중이 더욱 완화되므로, 쇼트키 전극층(2)의 단부에의 전계 집중에 의해 역방향 내압이 낮아지는 것이 더욱 억제된다.
이상, 본 발명에 적합한 실시 형태를 복수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그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응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쇼트키 다이오드(1)는, 상기 실시 형태의 구성(종형) 이외에도, n형 반도체층(3)의 동일면 측에 쇼트키 전극층(2) 및 오믹 전극층(4)을 증착한 횡형이어도 된다.
역방향 내압을 크게 해도 순방향 전압의 증대 및 오믹 전극층과의 콘택트 저항의 증대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가 제공된다.
1, 1A, 1B, 1C : 쇼트키 다이오드
2 : 쇼트키 전극층
3 : n형 반도체층
3a : 제1 주표면
3b : 제2 주표면
4 : 오믹 전극층
5 : 보호 전극층
6 : PV막
31 : n- 반도체층
31a : 상면
31b : 측면
31c : 하면
32 : n+ 반도체층
33 : n- 반도체층
t : n- 반도체층의 두께
W : 공핍층 폭
ΦBn : 쇼트키 장벽
Φd : 전위 장벽
Φm : 금속의 일함수
χ : 전자 친화력

Claims (13)

  1.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에 있어서,
    n+형의 도전성의 Ga203계 기판; 및
    상기 Ga203계 기판의 주면 상의 n-형의 도전성의 Ga203계 에피택셜 층을 포함하고,
    상기 Ga203계 에피택셜 층은 역방향 내압(VRM)이 100V 내지 10000V로 설정될 때 0.402μm 내지 33.3μm의 두께를 갖도록 구성되는,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a203계 기판의 주면은 (100)면으로부터 50° 이상 90° 이하만큼 회전된 면인,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면은 (010)면, (001)면, (-201)면, (101)면, 또는 (310)면인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a203계 에피택셜 층은 쇼트키 전극층에 대해 쇼트키 접촉(Schottky-contact)하는 측에 형성되는,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a203계 에피택셜 층은 쇼트키 다이오드에 요구되는 역방향 내압과 Ga203의 전계 파괴 강도(electric field-breakdown strength)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전자 캐리어 농도를 갖는,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a203계 에피택셜 층의 표면에 접촉하는 전극을 더 포함하는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Ga203계 에피택셜 층은 Ga203계 단결정을 포함하고, 상기 Ga203계 에피택셜 층은, 상기 전극에 대해 쇼트키 접촉(Schottky-contact)하고, 쇼트키 다이오드에 요구되는 역방향 내압과 상기 Ga203계 에피택셜 층의 전계 파괴 강도에 기초한 전자 캐리어 농도를 갖는,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a203계 에피택셜 층의 두께는 전자 캐리어 농도로부터 도출되는 공핍층의 폭 이상인,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a203계 에피택셜 층의 전자 캐리어 농도가 1×1018/cm3 미만인,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a203계 에피택셜 층의 전자 캐리어 농도가 1×1017/cm3 미만인,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a203계 에피택셜 층의 전자 캐리어 농도가 1×1016/cm3 미만인,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a203계 에피택셜 층의 아래 측에 있는 n형 Ga203계 단결정을 포함하고 상기 Ga203계 에피택셜 층의 전자 캐리어 농도보다 큰 전자 캐리어 농도를 갖는 추가 반도체 층을 더 포함하는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반도체 층의 전자 캐리어 농도는 1×1018/cm3 보다 큰,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KR1020207002030A 2011-11-09 2012-11-08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KR1021912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45519 2011-11-09
JP2011245519A JP2013102081A (ja) 2011-11-09 2011-11-09 ショットキーバリアダイオード
PCT/JP2012/078983 WO2013069728A1 (ja) 2011-11-09 2012-11-08 ショットキーバリアダイオード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2358A Division KR102070847B1 (ko) 2011-11-09 2012-11-08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1561A true KR20200011561A (ko) 2020-02-03
KR102191283B1 KR102191283B1 (ko) 2020-12-15

Family

ID=4829009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2358A KR102070847B1 (ko) 2011-11-09 2012-11-08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KR1020147014887A KR102025449B1 (ko) 2011-11-09 2012-11-08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KR1020207002030A KR102191283B1 (ko) 2011-11-09 2012-11-08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2358A KR102070847B1 (ko) 2011-11-09 2012-11-08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KR1020147014887A KR102025449B1 (ko) 2011-11-09 2012-11-08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6) US9171967B2 (ko)
EP (1) EP2779242A4 (ko)
JP (1) JP2013102081A (ko)
KR (3) KR102070847B1 (ko)
CN (2) CN110233178A (ko)
TW (2) TWI627748B (ko)
WO (1) WO20130697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91910B2 (en) * 2013-08-19 2017-06-27 Idemitsu Kosan Co., Ltd. Oxide semiconductor substrate and schottky barrier diode
JP6283364B2 (ja) * 2013-08-19 2018-02-21 出光興産株式会社 酸化物半導体基板及びショットキーバリアダイオード
CN110804728A (zh) 2014-07-22 2020-02-18 株式会社Flosfia 结晶性半导体膜和板状体以及半导体装置
JP2016031953A (ja) 2014-07-25 2016-03-07 株式会社タムラ製作所 半導体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半導体基板、並びに結晶積層構造体
JP6260553B2 (ja) * 2015-02-27 2018-01-17 豊田合成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758569B2 (ja) * 2015-03-20 2020-09-23 株式会社タムラ製作所 高耐圧ショットキーバリアダイオード
JP2017045969A (ja) * 2015-08-28 2017-03-02 株式会社タムラ製作所 ショットキーバリアダイオード
JP6744523B2 (ja) * 2015-12-16 2020-08-19 株式会社タムラ製作所 半導体基板、並びにエピタキシャルウエハ及びその製造方法
TWI660505B (zh) 2015-12-18 2019-05-21 日商Flosfia股份有限公司 Semiconductor device
WO2017111174A1 (ja) 2015-12-25 2017-06-29 出光興産株式会社 積層体
US10340356B2 (en) 2015-12-25 2019-07-02 Idemitsu Kosan Co., Ltd. Laminated article
JP6975530B2 (ja) * 2015-12-25 2021-12-01 出光興産株式会社 半導体素子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機器
JP2017139293A (ja) * 2016-02-02 2017-08-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ダイオード
JP2017139289A (ja) 2016-02-02 2017-08-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ダイオード
JP7433611B2 (ja) * 2016-04-28 2024-02-20 株式会社タムラ製作所 トレンチmos型ショットキーダイオード
JP6845397B2 (ja) * 2016-04-28 2021-03-17 株式会社タムラ製作所 トレンチmos型ショットキーダイオード
JP6580267B2 (ja) * 2016-07-26 2019-09-25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2329576B1 (ko) * 2016-08-31 2021-11-19 가부시키가이샤 플로스피아 p형 산화물 반도체 및 그 제조 방법
JP6812758B2 (ja) 2016-11-09 2021-01-13 Tdk株式会社 ショットキーバリアダイオード及びこれを備える電子回路
JP7112099B2 (ja) * 2016-12-15 2022-08-03 グリフィス・ユニバーシティ 炭化シリコンショットキーダイオード
CN106935661B (zh) * 2017-01-23 2019-07-16 西安电子科技大学 垂直型肖特基二极管及其制作方法
CN106876484B (zh) * 2017-01-23 2019-10-11 西安电子科技大学 高击穿电压氧化镓肖特基二极管及其制作方法
JP6558385B2 (ja) * 2017-02-23 2019-08-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7116409B2 (ja) 2017-02-27 2022-08-10 株式会社タムラ製作所 トレンチmos型ショットキーダイオード
TWI641152B (zh) * 2017-03-24 2018-11-11 王中林 電壓增加而電阻值增加的電阻元件
JP6809334B2 (ja) * 2017-03-29 2021-01-06 Tdk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7008293B2 (ja) * 2017-04-27 2022-01-25 国立研究開発法人情報通信研究機構 Ga2O3系半導体素子
WO2019003861A1 (ja) * 2017-06-29 2019-01-03 三菱電機株式会社 酸化物半導体装置、および、酸化物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7037142B2 (ja) * 2017-08-10 2022-03-16 株式会社タムラ製作所 ダイオード
JP7147141B2 (ja) 2017-09-11 2022-10-05 Tdk株式会社 ショットキーバリアダイオード
CN108597985B (zh) * 2018-04-17 2020-12-22 中山大学 一种叠层结构
WO2020013244A1 (ja) * 2018-07-12 2020-01-16 株式会社Flosfia 半導体装置
KR102371319B1 (ko) 2019-04-16 2022-03-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 및 그의 제조 방법
CN110085681A (zh) * 2019-05-20 2019-08-02 中山大学 一种氧化镓基异质pn结二极管及其制备方法
KR102275146B1 (ko) * 2019-05-20 2021-07-08 파워큐브세미 (주) 쇼트키 다이오드 및 그의 제조방법
CN110265486B (zh) * 2019-06-20 2023-03-24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十三研究所 氧化镓sbd终端结构及制备方法
JPWO2021066137A1 (ko) * 2019-10-03 2021-04-08
JP7469201B2 (ja) 2020-09-18 2024-04-16 株式会社デンソー 半導体装置とその製造方法
JP7442428B2 (ja) 2020-12-11 2024-03-04 株式会社デンソー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WO2023073404A1 (en) 2021-10-27 2023-05-04 Silanna UV Technologies Pte Ltd Methods and systems for heating a wide bandgap substrate
US11522103B1 (en) 2021-11-10 2022-12-06 Silanna UV Technologies Pte Ltd Epitaxial oxide materials, structures, and devices
WO2023084274A1 (en) 2021-11-10 2023-05-19 Silanna UV Technologies Pte Ltd Epitaxial oxide materials, structures, and devices
CN118202476A (zh) 2021-11-10 2024-06-14 斯兰纳Uv科技有限公司 包括镁锗氧化物的超宽带隙半导体装置
WO2024005152A1 (ja) * 2022-06-29 2024-01-04 株式会社Flosfia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CN117954504A (zh) * 2022-10-19 2024-04-30 广州华瑞升阳投资有限公司 一种肖特基势垒二极管
CN116344626B (zh) * 2023-05-16 2024-06-18 重庆邮电大学 具有斜面终端的沟槽氧化镓异质结二极管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3205A (ja) * 1996-12-10 1998-06-26 Fuji Electric Co Ltd ショットキーバリアダイオード
JP2006253521A (ja) 2005-03-14 2006-09-21 Kansai Tlo Kk 半導体ダイオー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233406A (ja) * 2009-03-27 2010-10-14 Koha Co Ltd スイッチング制御装置及びショットキーダイオード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86753A (en) * 1994-11-11 1997-11-11 Murata Manufacturing Co., Ltd. Schottky barrier diode having a mesa structure
US6184563B1 (en) * 1998-07-27 2001-02-06 Ho-Yuan Yu Device structure for providing improved Schottky barrier rectifier
JP4100652B2 (ja) 1999-08-10 2008-06-11 富士電機デバイス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SiCショットキーダイオード
KR100348269B1 (ko) * 2000-03-22 2002-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루데니움 산화물을 이용한 쇼트키 콘택 방법
US20030015708A1 (en) 2001-07-23 2003-01-23 Primit Parikh Gallium nitride based diodes with low forward voltage and low reverse current operation
JP4630986B2 (ja) * 2003-02-24 2011-02-09 学校法人早稲田大学 β−Ga2O3系単結晶成長方法
CA2517024C (en) 2003-02-24 2009-12-01 Waseda University .beta.-ga2o3 single crystal growing method, thin-film single crystal growing method, ga2o3 light-emitting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4670034B2 (ja) * 2004-03-12 2011-04-13 学校法人早稲田大学 電極を備えたGa2O3系半導体層
JP2006100801A (ja) 2004-09-01 2006-04-13 Sumitomo Electric Ind Ltd エピタキシャル基板および半導体素子
TWI375994B (en) * 2004-09-01 2012-11-01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Epitaxial substrate and semiconductor element
JP5303819B2 (ja) * 2005-08-05 2013-10-02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052807B2 (ja) 2006-03-29 2012-10-17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電力変換装置
JP2008034572A (ja) 2006-07-28 2008-0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装置とその製造方法
JP2009200222A (ja) * 2008-02-21 2009-09-03 Nippon Light Metal Co Ltd 紫外線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JP4730422B2 (ja) 2008-10-24 2011-07-20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Iii族窒化物半導体電子デバイス、iii族窒化物半導体電子デバイスを作製する方法、及びiii族窒化物半導体エピタキシャルウエハ
JP2011176090A (ja) * 2010-02-24 2011-09-08 Nippon Light Metal Co Ltd 紫外線セ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3781948B (zh) * 2011-09-08 2017-11-17 株式会社田村制作所 晶体层叠结构体及其制造方法
CN110071170B (zh) * 2011-09-08 2022-10-11 株式会社田村制作所 晶体层叠结构体
JP5857337B2 (ja) * 2011-09-21 2016-02-10 並木精密宝石株式会社 酸化ガリウム基板とその製造方法
US9304396B2 (en) 2013-02-25 2016-04-05 Lam Research Corporation PECVD films for EUV lithograph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3205A (ja) * 1996-12-10 1998-06-26 Fuji Electric Co Ltd ショットキーバリアダイオード
JP2006253521A (ja) 2005-03-14 2006-09-21 Kansai Tlo Kk 半導体ダイオー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233406A (ja) * 2009-03-27 2010-10-14 Koha Co Ltd スイッチング制御装置及びショットキーダイオー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249A (ko) 2019-08-12
US9412882B2 (en) 2016-08-09
US20170162655A1 (en) 2017-06-08
CN110233178A (zh) 2019-09-13
US11264466B2 (en) 2022-03-01
CN103918082A (zh) 2014-07-09
TWI627748B (zh) 2018-06-21
KR20140095080A (ko) 2014-07-31
US20140332823A1 (en) 2014-11-13
WO2013069728A1 (ja) 2013-05-16
EP2779242A4 (en) 2015-03-25
EP2779242A1 (en) 2014-09-17
US20220149158A1 (en) 2022-05-12
US20200194560A1 (en) 2020-06-18
KR102025449B1 (ko) 2019-09-25
US9595586B2 (en) 2017-03-14
KR102191283B1 (ko) 2020-12-15
KR102070847B1 (ko) 2020-01-30
CN103918082B (zh) 2019-08-20
US9171967B2 (en) 2015-10-27
US10600874B2 (en) 2020-03-24
TW201703255A (zh) 2017-01-16
JP2013102081A (ja) 2013-05-23
US20160322467A1 (en) 2016-11-03
US20160043238A1 (en) 2016-02-11
TW201338155A (zh) 2013-09-16
TWI585973B (zh) 2017-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0847B1 (ko)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JP7037142B2 (ja) ダイオード
KR100917699B1 (ko) 3족 질화물계 다이오드
TWI508308B (zh) 具有雙金屬、部分凹陷電極之氮化鎵為基的肖特基二極體
KR102011762B1 (ko) 부분 리세스된 양극을 갖는 GaN계 쇼트키 다이오드
CN111279490A (zh) 肖特基势垒二极管
KR102552195B1 (ko) 반도체 장치
CN112544004A (zh) 氧化物半导体装置及其制造方法
JP2017045969A (ja) ショットキーバリアダイオード
KR20180097546A (ko) 반도체 소자 및 그것을 사용한 전기 기기
US20130126886A1 (en) Gan-based schottky barrier diode with algan surface layer
JP6673984B2 (ja) ショットキーバリアダイオード
JP6204436B2 (ja) ショットキーバリアダイオード
JP6367436B2 (ja) ショットキーバリアダイオード
JP7142047B2 (ja) ショットキーバリアダイオード
US20160013327A1 (en) Nitride semiconductor diode
KR101451257B1 (ko) 질화물 반도체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