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6248A -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한 프리프레그 및 적층판 - Google Patents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한 프리프레그 및 적층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6248A
KR20160006248A KR1020157036836A KR20157036836A KR20160006248A KR 20160006248 A KR20160006248 A KR 20160006248A KR 1020157036836 A KR1020157036836 A KR 1020157036836A KR 20157036836 A KR20157036836 A KR 20157036836A KR 20160006248 A KR20160006248 A KR 20160006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maleimide
compound
thermosetting resin
res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6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지 츠찌까와
마사노리 아끼야마
도모히꼬 고따께
Original Assignee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06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62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3Phosphorus bound to oxygen bound to oxygen and to carbon only
    • C08K5/5317Phosphonic compounds, e.g. R—P(:O)(OR')2
    • C08K5/5333Esters of phosphonic ac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9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epoxy res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4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curing agents used
    • C08G59/50Amines
    • C08G59/56Amines together with other cur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4Impregnating materials with prepolymers which can be polymerised in situ, e.g. manufacture of prepre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4Impregnating materials with prepolymers which can be polymerised in situ, e.g. manufacture of prepregs
    • C08J5/241Impregnating materials with prepolymers which can be polymerised in situ, e.g. manufacture of prepregs using inorganic fibres
    • C08J5/244Impregnating materials with prepolymers which can be polymerised in situ, e.g. manufacture of prepregs using inorganic fibres using glass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4Impregnating materials with prepolymers which can be polymerised in situ, e.g. manufacture of prepregs
    • C08J5/249Impregnating materials with prepolymers which can be polymerised in situ, e.g. manufacture of prepreg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used in the prepolymer mix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2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1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one nitrogen atom in the ring
    • C08K5/3415Five-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3Phosphorus bound to oxygen bound to oxygen and to carbon only
    • C08K5/5313Phosphinic compounds, e.g. R2=P(:O)O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08L63/04Epoxynovola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3/00Adhesives based on epoxy resin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3/00Adhesives based on epoxy resin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09J163/04Epoxynovola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08PCBs, i.e. printed circuit boar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epoxy resins;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epoxy resins;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08J2363/04Epoxynovolac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2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additives as essential feature of the adhesive lay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05K1/0313Organic insulating material
    • H05K1/0353Organic insulating material consisting of two or more materials, e.g. two or more polymers, polymer + filler, + reinforc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678Of met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Forming Nitrogen-Containing Linkages In General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Epoxy Res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2 치환 포스핀산의 금속염, (B) 분자 중에 N-치환 말레이미드기를 갖는 말레이미드 화합물, (C) 6-치환 구아나민 화합물 또는 디시안디아미드 및 (D) 1 분자 중에 적어도 2개의 에폭시기를 갖는 에폭시 수지를 함유하는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한 프리프레그 및 적층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기재에 함침 또는 도공하여 얻은 프리프레그, 및 상기 프리프레그를 적층 성형함으로써 제조한 적층판은 동박 접착성, 유리 전이 온도, 땜납 내열성, 흡습성, 난연성, 비유전율 및 유전 정접의 전부에 있어서 균형이 잡혀 있어, 전자 기기용 인쇄 배선판으로서 유용하다.

Description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한 프리프레그 및 적층판{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AND PREPREG AND LAMINATE BOTH MADE WITH THE SAME}
본 발명은 금속박 접착성, 내열성, 내습성, 난연성, 금속 부착 내열성 및 유전 특성(비유전율, 유전 정접)의 전부에 있어서 균형이 잡히고, 또한 독성이 낮아 안전성이나 작업 환경이 우수하여 전자 부품 등에 바람직하게 이용되는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한 프리프레그 및 적층판에 관한 것이다.
열경화성 수지는 그 특유한 가교 구조가 높은 내열성이나 치수 안정성을 발현하기 때문에, 전자 부품 등의 높은 신뢰성을 요구되는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특히 동장 적층판이나 층간 절연 재료에 있어서는, 최근의 고밀도화에 대한 요구에 따라, 미세 배선 형성을 위한 높은 동박 접착성이나, 드릴 또는 펀칭에 의해 구멍 뚫기 등의 가공을 할 때의 가공성도 요구된다.
또한, 최근의 환경 문제로부터 납 프리 땜납에 의한 전자 부품의 탑재나 할로겐 프리에 의한 난연화가 요구되고, 그 때문에 종래의 것보다도 높은 내열성 및 난연성이 요구된다. 또한, 제품의 안전성이나 작업 환경의 향상화를 위해 독성이 낮은 성분만으로 구성되어 독성 가스 등이 발생하지 않는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이 요망되고 있다.
비스말레이미드 화합물은 유전 특성, 난연성, 내열성이 우수한 열경화성 수지용의 경화제인데, 공지된 비스말레이미드 화합물은 에폭시 수지와의 경화 반응성을 갖지 않기 때문에, 에폭시 경화계의 열경화성 수지에 그대로 사용한 경우 내열성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유기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서 가열 혼련에 의해 비스말레이미드 화합물과 아미노페놀의 부가물을 제조하여 사용하는 열경화성 수지에 관한 사례(예를 들면,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참조)가 개시되어 있는데, 비스말레이미드 화합물과 아미노페놀의 부가물의 수율이 낮고, 이들을 동장 적층판이나 층간 절연 재료로서 사용하면 내열성이나 가공성 등이 부족하다.
또한, 열경화성 수지인 멜라민 수지나 구아나민 화합물은 접착성, 난연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지만 유기 용제에 대한 용해성이 부족하여, 독성이 높은 N,N-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의 질소 원자 함유 유기 용제를 다량으로 사용하지 않으면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가 곤란하거나, 또한 보존 안정성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들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한 동장 적층판이나 층간 절연 재료는 전자 부품 등을 제조할 때 도금액 등의 각종 약액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이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멜라민 수지나 구아나민 화합물을 사용한 열경화성 수지에 관한 많은 사례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3 내지 7 참조).
그러나, 이들은 멜라민 수지나 구아나민 화합물을 포름알데히드 등의 알데히드류를 이용하여 축합시킨 열경화성 수지로서, 유기 용제에 대한 용해성은 개량되어 있지만, 열 분해 온도가 낮아 독성의 분해 가스를 발생하기 때문에 작업 환경을 악화시키거나, 최근 요구되는 납 프리 땜납에 대한 내열성이나 구리 부착 내열성이 부족하다. 또한 미세한 가공 처리·배선 형성에 있어서, 동박 접착성이나 가요성, 인성이 부족하여, 회로 패턴이 단선이나 박리를 발생시키거나, 드릴이나 펀칭에 의해 구멍 뚫기 등의 가공을 할 때에 균열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생긴다.
또한, 메틸올화구아나민 수지에 관한 사례(예를 들면, 특허문헌 8 참조)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들도 상기한 바와 같이 내열성이나 접착성, 가공성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유기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서 제조되는 비스말레이미드 화합물과 아미노벤조산의 부가물, 벤조구아나민포름알데히드 축합물 등을 사용하는 열경화성 수지에 관한 사례(예를 들면, 특허문헌 9 참조)가 개시되어 있지만, 열 분해 온도가 낮아, 최근 요구되는 납 프리 땜납에 대한 내열성이나 구리 부착 내열성이 부족하다.
또한, 비할로겐계의 난연제로서 공지로 사용되는 인 함유 화합물로서, 적린, 트리페닐포스페이트 등의 가용성 인산에스테르 화합물, 인 함유 에폭시 수지 등의 반응성 인 함유 화합물 및 폴리인산암모늄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을 사용한 열경화성 수지는 현저히 유전 특성(비유전율, 유전 정접), 내열성, 내습성, 내전기 부식성 등이 저하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일본 특허 공고 (소)63-3489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6-3296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고 (소)62-4658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10-6794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167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02-25882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03-14547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고 (소)62-6105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고 (평)6-8342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현실을 감안하여 금속박 접착성, 내열성, 내습성, 난연성, 금속 부착 내열성, 비유전율 및 유전 정접의 전부에 있어서 균형이 잡힌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한 프리프레그 및 적층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2 치환 포스핀산의 금속염, 말레이미드 화합물, 6-치환 구아나민 화합물 또는 디시안디아미드, 및 에폭시 수지를 함유하는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이 상기 목적에 따르는 것으로서, 적층판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로서 유리하게 이용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지견에 기초하여 완성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프리프레그 및 적층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1. (A) 2 치환 포스핀산의 금속염, (B) 분자 중에 N-치환 말레이미드기를 갖는 말레이미드 화합물, (C)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는 6-치환 구아나민 화합물 또는 디시안디아미드 및 (D) 1 분자 중에 적어도 2개의 에폭시기를 갖는 에폭시 수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Figure pat00001
(식 중, R1은 페닐기, 메틸기, 알릴기, 비닐기, 부틸기, 메톡시기 또는 벤질옥시기를 나타냄)
2. B) 분자 중에 N-치환 말레이미드기를 갖는 말레이미드 화합물이, (b-1) 1 분자 중에 적어도 2개의 N-치환 말레이미드기를 갖는 말레이미드 화합물과, (b-2) 하기 화학식 2로 나타내는 산성 치환기를 갖는 아민 화합물과의 유기 용매 중에서의 반응 생성물인, 하기 화학식 3 또는 화학식 4로 나타내는 산성 치환기와 불포화 말레이미드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상기 1의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Figure pat00002
(식 중,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산기, 카르복시기 및 술폰산기로부터 선택되는 산성 치환기를 나타내고,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5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며, x는 1 내지 5의 정수이고, y는 0 내지 4의 정수이며, x와 y의 합은 5임)
Figure pat00003
(식 중, R2, R3, x 및 y는 화학식 2에서의 것과 동일한 것을 나타내고,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5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냄)
Figure pat00004
(식 중, R2, R3, x 및 y는 화학식 2에서의 것과 동일한 것을 나타내고,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5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며, A는 알킬렌기, 알킬리덴기, 에테르기, 술포닐기 또는 하기 화학식 5로 나타내는 기임)
Figure pat00005
3. 상기 1 또는 2의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기재에 함침 또는 도공한 후, B 스테이지화하여 얻어진 프리프레그.
4. 상기 3의 프리프레그를 적층 성형하여 얻어진 적층판.
5. 프리프레그의 적어도 한쪽에 금속박을 중첩한 후, 가열 가압 성형하여 얻어진 금속장 적층판인 상기 4의 적층판.
본 발명의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금속박 접착성, 내열성, 내습성, 난연성, 금속 부착 내열성, 비유전율 및 유전 정접의 전부에 있어서 균형이 잡힌 것이고, 또한 독성이 낮아 안전성이나 작업 환경도 우수한 것이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해 상기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우수한 성능을 갖는 프리프레그나 적층판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조예 2에서 얻어진 말레이미드 화합물 (B-2)의 용액을 GPC에 의해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프 차트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A) 2 치환 포스핀산의 금속염, (B) 분자 중에 N-치환 말레이미드기를 갖는 말레이미드 화합물, (C) 화학식 1로 나타내는 6-치환 구아나민 화합물 또는 디시안디아미드, 및 (D) 1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갖는 에폭시 수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우선, (A) 성분의 2 치환 포스핀산의 금속염은 하기의 화학식 6으로 표시할 수 있다.
Figure pat00006
(식 중, R7 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5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기이고; M은 Li, Na, K, Mg, Ca, Sr, Ba, Al, Ge, Sn, Sb, Bi, Zn, Ti, Zr, Mn, Fe 및 Ce로부터 선택되는 금속이고, r은 1 내지 9의 정수임)
이러한 2 치환 포스핀산의 금속염은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686호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업적으로 독일·클라리안트사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 이 2 치환 포스핀산의 금속염을 필수 성분으로 함으로써 우수한 난연성, 저유전 특성 및 내열내습성을 부여할 수 있다.
화학식 6의 금속 M으로서는, 화합물 중의 인 함유량을 많게 할 수 있는 점이나 내습성 면에서 Al 또는 Na가 바람직하고, 저유전 특성 면에서 Al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화학식 6의 R7 및 R8으로서는 화합물 중의 인 함유량을 많게 할 수 있는 점에서 탄소수 1 내지 5의 지방족 탄화수소기가 바람직하고, 메틸기, 에틸기 또는 프로필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B) 성분의 분자 중에 N-치환 말레이미드기를 갖는 말레이미드 화합물로서는, 1 분자 중에 1개의 N-치환 말레이미드기를 갖는 말레이미드 화합물로서, N-페닐말레이미드 및 N-히드록시페닐말레이미드를 들 수 있는데, 1 분자 중에 2개의 N-치환 말레이미드기를 갖는 말레이미드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1 분자 중에 2개의 N-치환 말레이미드기를 갖는 말레이미드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비스(4-말레이미드페닐)메탄, 폴리(말레이미드페닐)메탄, 비스(4-말레이미드페닐)에테르, 비스(4-말레이미드페닐)술폰, 3,3-디메틸-5,5-디에틸-4,4-디페닐메탄비스말레이미드, 4-메틸-1,3-페닐렌비스말레이미드, m-페닐렌비스말레이미드, 2,2-비스〔4-(4-말레이미드페녹시)페닐〕프로판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 반응율이 높고, 보다 고내열성화할 수 있는 비스(4-말레이미드페닐)메탄, m-페닐렌비스말레이미드 및 비스(4-말레이미드페닐)술폰이 바람직하고, 저렴하다는 점에서 m-페닐렌비스말레이미드 및 비스(4-말레이미드페닐)메탄이 보다 바람직하고, 용제에 대한 용해성 면에서 비스(4-말레이미드페닐)메탄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B) 성분으로서는 (b-1) 상기한 바와 같은 1 분자 중에 적어도 2개의 N-치환 말레이미드기를 갖는 말레이미드 화합물과, (b-2) 하기 화학식 2로 나타내는 산성 치환기를 갖는 아민 화합물을 유기 용매 중에서 반응시켜 제조된 산성 치환기와 불포화 말레이미드기를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7
(식 중,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산기, 카르복시기 및 술폰산기로부터 선택되는 산성 치환기를 나타내고,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5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며, x는 1 내지 5의 정수이고, y는 0 내지 4의 정수이며, x와 y의 합은 5임)
(b-2) 화학식 2로 나타내는 아민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m-아미노페놀, p-아미노페놀, o-아미노페놀, p-아미노벤조산, m-아미노벤조산, o-아미노벤조산, o-아미노벤젠술폰산, m-아미노벤젠술폰산, p-아미노벤젠술폰산, 3,5-디히드록시아닐린, 3,5-디카르복시아닐린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 용해성이나 합성의 수율 면에서 m-아미노페놀, p-아미노페놀, p-아미노벤조산, m-아미노벤조산 및 3,5-디히드록시아닐린이 바람직하고, 내열성 면에서 o-아미노페놀, m-아미노페놀 및 p-아미노페놀이 보다 바람직하고, 유전 특성 면에서 p-아미노페놀이 특히 바람직하다.
(b-1)의 말레이미드 화합물과 (b-2)의 아민 화합물의 사용량비는 (b-1)의 말레이미드 화합물의 말레이미드기 당량과 (b-2)의 아민 화합물의 -NH2기 환산의 당량과의 당량비가 다음 식:
1.0≤(말레이미드기 당량)/(-NH2기 환산의 당량)≤10.0
로 나타내는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당량비가 2.0 내지 10.0의 범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당량비를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용제에 대한 용해성이 부족하거나, 겔화를 일으키거나, 열경화성 수지의 내열성이 저하하지 않는다.
이 반응에서 사용되는 유기 용매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메틸셀로솔브, 부틸셀로솔브,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의 알코올계 용매,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계 용매,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의 에테르계 용매, 톨루엔, 크실렌, 메시틸렌 등의 방향족계 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등의 질소 함유 용매, 디메틸술폭시드 등의 황 함유 용매 등을 들 수 있으며,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유기 용매의 중에서, 용해성 면에서 시클로헥사논,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및 메틸셀로솔브가 바람직하고, 저독성인 점에서 시클로헥사논 및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가 보다 바람직하고, 휘발성이 높아 프리프레그의 제조 시에 잔용매로서 남기 어려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가 특히 바람직하다.
유기 용매의 사용량은 (b-1)의 말레이미드 화합물과 (b-2)의 아민 화합물의 총합계 100 질량부당 10 내지 1000 질량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0 내지 500 질량부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0 내지 500 질량부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유기 용매의 사용량을 10 질량부 이상으로 함으로써 용해성이 충분해지고, 1000 질량부 이하로 함으로써 반응 시간이 너무 길지 않게 된다.
반응 온도는 50 내지 20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내지 16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반응 시간은 0.1 내지 10 시간인 것이 바람직하고, 1 내지 8 시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반응에는 필요에 따라 임의로 반응 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반응 촉매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트리부틸아민 등의 아민류, 메틸이미다졸, 페닐이미다졸 등의 이미다졸류, 트리페닐포스핀 등의 인계 촉매 등을 들 수 있으며,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반응에 의해 예를 들면 (b-1)의 말레이미드 화합물로서 비스(4-말레이미드페닐) 화합물을 이용하여 (b-2)의 아민 화합물과 반응시킴으로써 하기 화학식 3 또는 화학식 4로 나타내는 산성 치환기와 불포화 말레이미드기를 갖는 화합물이 합성된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8
(식 중, R2, R3, x 및 y는 화학식 2에서의 것과 동일한 것을 나타내고,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5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냄)
<화학식 4>
Figure pat00009
(식 중, R2, R3, x 및 y는 화학식 2에서의 것과 동일한 것을 나타내고,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5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며, A는 알킬렌기, 알킬리덴기, 에테르기, 술포닐기 또는 하기 화학식 5로 나타내는 기임)
<화학식 5>
Figure pat00010
(C) 성분은 하기의 화학식 1로 나타내는 6-치환 구아나민 화합물 또는 디시안디아미드이다. 화학식 1로 나타내는 6-치환 구아나민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벤조구아나민이라고 칭해지는 2,4-디아미노-6-페닐-s-트리아진, 아세토구아나민이라고 칭해지는 2,4-디아미노-6-메틸-s-트리아진, 2,4-디아미노-6-비닐-s-트리아진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 반응율이 높고, 보다 고내열성화 및 저유전율화할 수 있는 벤조구아나민 및 2,4-디아미노-6-비닐-s-트리아진이 보다 바람직하고, 저렴하다는 점이나 용매에 대한 용해성 면에서 벤조구아나민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바니시의 보존 안정성이 우수하고, 고내열성화 및 저유전율화할 수 있고, 저렴하다는 점에서 디시안디아미드도 특히 바람직하다. 화학식 1로 나타내는 6-치환 구아나민 화합물 및 디시안디아미드를 병용하더라도 상관없다.
<화학식 1>
Figure pat00011
(식 중, R1은 페닐기, 메틸기, 알릴기, 비닐기, 부틸기, 메톡시기 또는 벤질옥시기를 나타냄)
(D) 성분은 1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갖는 에폭시 수지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비스페놀 A계, 비스페놀 F계, 비페닐계, 노볼락계, 다관능 페놀계, 나프탈렌계, 지환식계 및 알코올계 등의 글리시딜에테르, 글리시딜아민계 및 글리시딜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으며,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유전 특성, 내열성, 내습성 및 금속박 접착성 면에서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 디시클로펜타디엔형 에폭시 수지, 나프탈렌환 함유 에폭시 수지, 비페닐형 에폭시 수지, 비페닐아르알킬형 에폭시 수지, 페놀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및 크레졸노볼락형 에폭시 수지가 바람직하고, 유전 특성이나 높은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다는 점에서 디시클로펜타디엔형 에폭시 수지, 비페닐아르알킬형 에폭시 수지, 비페닐형 에폭시 수지 및 페놀노볼락형 에폭시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고, 내습내열성 면에서 페놀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및 디시클로펜타디엔형 에폭시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중의 (A) 성분의 함유량은 고형분 환산의 (B) 내지 (D) 성분의 질량의 총합계 100 질량부에 대하여 1 내지 99 질량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 내지 70 질량부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 내지 50 질량부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A) 성분의 함유량을 1 질량부 이상으로 함으로써, 난연성이 향상하고, 또한 98 질량부 이하로 함으로써, 내열성이나 접착성이 저하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중의 (B) 내지 (D) 성분의 함유량은 고형분 환산의 (B) 내지 (D) 성분의 질량의 총합계 100 질량부 중의 질량으로서 다음과 같이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 성분은 1 내지 98.9 질량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0 내지 98.9 질량부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내지 90 질량부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B) 성분의 함유량을 1 질량부 이상으로 함으로써, 난연성이나 접착성, 유전 특성이 향상하고, 또한 98.9 질량 이하로 함으로써 내열성이 저하하지 않는다.
(C) 성분은 0.1 내지 50 질량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5 내지 50 질량부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5 내지 30 질량부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C) 성분의 함유량을 0.1 질량부 이상으로 함으로써, 용해성이나 유전 특성이 향상하고, 또한 50 질량부 이하로 함으로써, 난연성이 저하하지 않는다.
(D) 성분은 1 내지 80 질량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 내지 70 질량부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내지 60 질량부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D) 성분의 함유량을 1 질량부 이상으로 함으로써, 내열성이나 난연성, 또한 프리프레그로서 사용할 때에 성형성이 향상하고, 또한 80 질량부 이하로 함으로써, 유전 특성이 저하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에는 (E) 성분으로서 에폭시 수지의 경화제나 경화 촉진제를 병용할 수도 있다. 에폭시 수지의 경화제의 예로서는 무수 말레산, 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등의 산 무수물, 디아미노디페닐메탄 등의 아민 화합물, 페놀노볼락, 크레졸노볼락 등의 페놀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에폭시 수지의 경화 촉진제의 예로서는, 이미다졸류 및 그의 유도체, 3급 아민류 및 제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내열성이 양호해지는 무수 말레산 공중합체가 바람직하고, 저유전율화할 수 있기 때문에 스티렌이나 에틸렌, 프로필렌, 이소부틸렌 등의 탄소 원자 및 수소 원자로부터 구성되는 중합성 단량체와 무수 말레산의 공중합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고, 용제에 대한 용해성이나 배합되는 수지와의 상용성 면에서, 스티렌과 무수 말레산, 또는 이소부틸렌과 무수 말레산의 공중합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E) 성분의 함유량은 고형분 환산의 (B) 내지 (D) 성분의 질량의 총합계 100 질량부에 대하여 0 내지 50 질량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 내지 40 질량부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 내지 30 질량부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E) 성분의 함유량을 50 질량부 이하로 함으로써, 성형성이나 접착성, 난연성이 저하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열경화성 수지에는 (F) 성분으로서 임의로 무기 충전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무기 충전제의 예로서는, 실리카, 마이커, 탈크, 유리의 단섬유 또는 미분말 및 중공 유리, 삼산화안티몬, 탄산칼슘, 석영 분말,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 유전 특성, 내열성, 난연성 면에서 실리카, 수산화알루미늄 및 수산화마그네슘이 바람직하고, 저렴하다는 점에서 실리카 및 수산화알루미늄이 보다 바람직하다.
(F) 성분의 함유량은 고형분 환산의 (B) 내지 (D) 성분의 질량의 총합계 100 질량부에 대하여 0 내지 300 질량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0 내지 200 질량부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내지 150 질량부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F) 성분의 함유량을 300 질량부 이하로 함으로써 성형성이나 접착성이 저하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에는 수지 조성물로서 열경화성의 성질을 손상시키지 않을 정도로, 임의로 공지된 열 가소성 수지, 엘라스토머, 난연제, 유기 충전제 등을 함유시킬 수 있다.
열 가소성 수지의 예로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 페녹시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크실렌 수지, 석유 수지, 실리콘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엘라스토머의 예로서는 폴리부타디엔,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에폭시 변성 폴리부타디엔,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부타디엔, 페놀 변성 폴리부타디엔, 카르복시 변성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등을 들 수 있다.
난연제의 예로서는, 브롬이나 염소를 함유하는 할로겐 함유계 난연제, 트리페닐포스페이트, 트리크레실포스페이트, 트리스디클로로프로필포스페이트, 포스파젠, 적린 등의 인계 난연제, 삼산화안티몬,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등의 무기물의 난연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난연제의 중에서 비할로겐계 난연제인 인계 난연제, 무기물의 난연제 등이 환경 상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인계 난연제와 수산화알루미늄 등의 무기물의 난연제를 병용하여 이용하는 것이 저렴하고, 난연성, 내열성 등의 다른 특성과의 양립 면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유기 충전제의 예로서는 실리콘파우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페닐렌에테르 등의 유기물 분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희석 용제로서 유기 용제를 임의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계 용제, 메틸셀로솔브 등의 알코올계 용제,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의 에테르계 용제, 톨루엔, 크실렌, 메시틸렌 등의 방향족계 용제 등을 들 수 있으며,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임의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광 중합 개시제, 형광 증백제 및 밀착성 향상제 등을 함유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벤조트리아졸계 등의 자외선 흡수제, 힌더드페놀계나 스티렌화 페놀 등의 산화 방지제, 벤조페논류, 벤질케탈류, 티오크산톤계 등의 광 중합 개시제, 스틸벤 유도체 등의 형광 증백제, 요소실란 등의 요소 화합물, 실란 커플링제 등의 밀착성 향상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리프레그는 본 발명의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기재에 함침 또는 도공한 후, B 스테이지화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기재에 함침 또는 도공한 후, 가열 등에 의해 반경화(B 스테이지화)시켜 본 발명의 프리프레그를 제조한다. 이하, 본 발명의 프리프레그에 대해서 상술한다.
본 발명의 프리프레그에 이용되는 기재에는 각종 전기 절연 재료용 적층판에 이용되고 있는 주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재질의 예로서는 E 유리, D 유리, S 유리 및 Q 유리 등의 무기물의 섬유, 폴리이미드,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등의 유기물의 섬유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기재는 예를 들면 직포, 부직포, 로빙, 촙드 스트랜드 매트 및 서피싱 매트 등의 형상을 갖는데, 재질 및 형상은 목적으로 하는 성형물의 용도나 성능에 따라 선택되고, 필요에 따라,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재질 및 형상을 조합할 수 있다.
기재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약 0.03 내지 0.5 mm의 것을 사용할 수가 있고, 실란 커플링제 등으로 표면 처리한 것 또는 기계적으로 개섬 처리를 실시한 것이 내열성이나 내습성, 가공성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에 대한 수지 조성물의 부착량이 건조 후의 프리프레그의 수지 함유율로 20 내지 90 질량%가 되도록 기재에 함침 또는 도공한 후, 통상, 100 내지 200℃의 온도에서 1 내지 30분 가열 건조하여 반경화(B 스테이지화)시켜 본 발명의 프리프레그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판은 본 발명의 프리프레그를 적층 성형하여 얻어지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프리프레그를 예를 들면 1 내지 20매 중첩하고, 그 한쪽면 또는 양면에 구리 및 알루미늄 등의 금속박을 배치한 구성으로 적층 성형한 것이다. 성형 조건은 예를 들면 전기 절연 재료용 적층판 및 다층판의 수법을 적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다단 프레스, 다단 진공 프레스, 연속 성형, 오토클레이브 성형기 등을 사용하고, 온도 100 내지 250℃, 압력 0.2 내지 10 MPa, 가열 시간 0.1 내지 5 시간의 범위에서 성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프리프레그와 내층용 배선판을 조합하고, 적층 성형하여 다층판을 제조할 수도 있다.
[실시예]
다음으로,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는데,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제한할만한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서 얻어진 동장 적층판은 이하의 방법으로 성능을 측정·평가하였다.
(1) 동박 접착성(동박 박리 강도)의 평가
동장 적층판을 구리 에칭액에 침지함으로써, 1 cm폭의 띠 부분을 남기고 동박을 제거한 평가 기판을 제조하고, 오토그래프〔시마즈 세이사꾸쇼(주) 제조 AG-100C〕를 이용하여 띠 부분의 박리 강도를 측정하였다.
(2) 유리 전이 온도(Tg)의 측정
동장 적층판을 구리 에칭액에 침지함으로써 동박을 제거한 각변 5 mm의 평가 기판을 제조하고, TMA 시험 장치〔듀퐁(주) 제조 TMA2940〕를 이용하여 평가 기판의 열팽창 특성을 관찰함으로써 평가하였다.
(3) 땜납 내열성의 평가
동장 적층판을 구리 에칭액에 침지함으로써 동박을 제거한 각변 5 cm의 평가 기판을 제조하고, 압력솥 시험 장치〔히라야마 세이사꾸쇼(주) 제조〕를 이용하여, 121℃, 0.2 MPa의 조건에 4 시간 방치하고, 이어서 온도 288℃의 땜납 욕에 20초 간 침지한 후, 평가 기판의 외관을 관찰함으로써 땜납 내열성을 평가하였다.
(4) 구리 부착 내열성(T-288)의 평가
동장 적층판으로부터 각변 5 mm의 평가 기판을 제조하고, TMA 시험 장치〔듀퐁(주) 제조 TMA2940〕를 이용하여, 288℃에서 평가 기판의 팽창이 발생하기까지의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평가하였다.
(5) 흡습성(흡수율)의 평가
동장 적층판을 구리 에칭액에 침지함으로써 동박을 제거한 평가 기판을 제조하고, 압력솥 시험 장치〔히라야마 세이사꾸쇼(주) 제조〕를 이용하여, 121℃, 0.2 MPa의 조건에 4 시간 방치한 후, 평가 기판의 흡수율을 측정하였다.
(6) 난연성의 평가
동장 적층판을 구리 에칭액에 침지함으로써 동박을 제거한 평가 기판으로부터 길이 127 mm, 폭 12.7 mm로 추출한 평가 기판을 제조하고, UL94의 시험법(V법)에 준하여 평가하였다.
(7) 비유전율 및 유전 정접의 측정
얻어진 동장 적층판을 구리 에칭액에 침지함으로써 동박을 제거한 평가 기판을 제조하고, 비유전율 측정 장치(휴렛·패커드(Hewllet·Packerd)사 제조, HP4291B)를 이용하여, 주파수 1 GHz에서의 비유전율 및 유전 정접을 측정하였다.
제조예 1: 말레이미드 화합물 (B-1)의 제조
온도계, 교반 장치, 환류 냉각관이 있는 수분 정량기가 있는 가열 및 냉각 가능한 용적 2 리터의 반응 용기에 비스(4-말레이미드페닐)메탄: 358.0 g, m-아미노페놀: 54.5 g 및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412.5 g을 넣고〔(말레이미드기 당량)/(-NH2기 환산의 당량)=4.0〕, 환류시키면서 5 시간 반응시켜 말레이미드 화합물 (B-1)의 용액을 얻었다.
제조예 2: 말레이미드 화합물 (B-2)의 제조
온도계, 교반 장치, 환류 냉각관이 있는 수분 정량기가 있는 가열 및 냉각 가능한 용적 2 리터의 반응 용기에 비스(4-말레이미드페닐)메탄: 358.0 g, p-아미노페놀: 54.5 g 및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412.5 g을 넣고〔(말레이미드기 당량)/(-NH2기 환산의 당량)=4.0〕, 환류시키면서 5 시간 반응시켜 말레이미드 화합물 (B-2)의 용액을 얻었다.
이 용액을 GPC(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의해 분석한 결과를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에 따르면, 용출 시간이 약 19분 부근에 출현하는 p-아미노페놀의 피크가 보이지 않고, 부가 반응물에서 유래되는 피크 (B) 및 (C)가 확인되었다. 여기서 피크 (A)는 합성 원료인 비스(4-말레이미드페닐)메탄이고, 피크 (B)는 하기의 화학식 7로 나타내는 반응 생성물이고, 피크 (C)는 하기의 화학식 8로 나타내는 부반응 생성물이다.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3
제조예 3: 말레이미드 화합물 (B-3)의 제조
온도계, 교반 장치, 환류 냉각관이 있는 수분 정량기가 있는 가열 및 냉각 가능한 용적 2 리터의 반응 용기에 비스(4-말레이미드페닐)메탄: 358.0 g, p-아미노벤조산: 27.4 g 및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385.4 g을 넣고〔(말레이미드기 당량)/(-NH2기 환산의 당량)=10.0〕, 140℃에서 5 시간 반응시켜 말레이미드 화합물 (B-3)의 용액을 얻었다.
제조예 4: 말레이미드 화합물 (B-4)의 제조
온도계, 교반 장치, 환류 냉각관이 있는 수분 정량기가 있는 가열 및 냉각 가능한 용적 1 리터의 반응 용기에 m-페닐렌비스말레이미드: 268.0 g, m-아미노페놀: 109.0 g 및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377.0 g을 넣고〔(말레이미드기 당량)/(-NH2기 환산의 당량)=2.0〕, 140℃에서 5 시간 반응시켜 말레이미드 화합물 (B-4)의 용액을 얻었다.
제조예 5: 말레이미드 화합물 (B-5)의 제조
온도계, 교반 장치, 환류 냉각관이 있는 수분 정량기가 있는 가열 및 냉각 가능한 용적 2 리터의 반응 용기에 3,3-디메틸-5,5-디에틸-4,4-디페닐메탄비스말레이미드: 442.0 g, p-아미노페놀: 54.5 g 및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496.5 g을 넣고〔(말레이미드기 당량)/(-NH2기 환산의 당량)=4.0〕, 환류시키면서 5 시간 반응시켜 말레이미드 화합물 (B-5)의 용액을 얻었다.
제조예 6: 말레이미드 화합물 (B-6)의 제조
온도계, 교반 장치, 환류 냉각관이 있는 수분 정량기가 있는 가열 및 냉각 가능한 용적 2 리터의 반응 용기에 3,3-디메틸-5,5-디에틸-4,4-디페닐메탄비스말레이미드: 442.0 g, o-아미노페놀: 54.5 g 및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496.5 g을 넣고〔(말레이미드기 당량)/(-NH2기 환산의 당량)=4.0〕, 환류시키면서 5 시간 반응시켜 말레이미드 화합물 (B-6)의 용액을 얻었다.
제조예 7: 말레이미드 화합물 (B-7)의 제조
온도계, 교반 장치, 환류 냉각관이 있는 수분 정량기가 있는 가열 및 냉각 가능한 용적 2 리터의 반응 용기에 비스(4-말레이미드페닐)술폰: 408.0 g, p-아미노페놀: 54.5 g 및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462.5 g을 넣고〔(말레이미드기 당량)/(-NH2기 환산의 당량)=4.0〕, 100℃에서 2 시간 반응시켜 말레이미드 화합물 (B-7)의 용액을 얻었다.
제조예 8: 말레이미드 화합물 (B-8)의 제조
온도계, 교반 장치, 환류 냉각관이 있는 수분 정량기가 있는 가열 및 냉각 가능한 용적 2 리터의 반응 용기에 비스(4-말레이미드페닐)에테르: 360.0 g, p-아미노페놀: 54.5 g 및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414.5 g을 넣고〔(말레이미드기 당량)/(-NH2기 환산의 당량)=4.0〕, 100℃에서 2 시간 반응시켜 말레이미드 화합물 (B-8)의 용액을 얻었다.
제조예 9: 말레이미드 화합물 (B-9)의 제조
온도계, 교반 장치, 환류 냉각관이 있는 수분 정량기가 있는 가열 및 냉각 가능한 용적 2 리터의 반응 용기에 2,2'-비스〔4-(4-말레이미드페녹시)페닐〕프로판: 570.0 g, p-아미노페놀: 54.5 g 및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624.5 g을 넣고〔(말레이미드기 당량)/(-NH2기 환산의 당량)=4.0〕, 120℃에서 2 시간 반응시켜 말레이미드 화합물 (B-9)의 용액을 얻었다.
제조예 10: 말레이미드 화합물 (B-10)의 제조
온도계, 교반 장치, 환류 냉각관이 있는 수분 정량기가 있는 가열 및 냉각 가능한 용적 2 리터의 반응 용기에 4-메틸-1,3-페닐렌비스말레이미드: 282.0 g, p-아미노페놀: 54.5 g 및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336.5 g을 넣고〔(말레이미드기 당량)/(-NH2기 환산의 당량)=4.0〕, 120℃에서 2 시간 반응시켜 말레이미드 화합물 (B-10)의 용액을 얻었다.
실시예 1 내지 20, 비교예 1 내지 8
(A) 성분의 2 치환 포스핀산의 금속염으로서, 메틸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클라리안트(주) 제조〕 또는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클라리안트(주) 제조〕, (B) 성분의 말레이미드 화합물로서, 비스(4-말레이미드페닐)메탄〔다이와 가세이 고교(주) 제조〕, 2,2'-비스[4-(4-말레이미드페녹시)페닐]프로판〔다이와 가세이 고교(주) 제조〕 또는 제조예 1 내지 10에서 얻어진 말레이미드 화합물 (B-1 내지 10), (C) 성분의 6-치환 구아나민 화합물로서, 벤조구아나민〔니혼쇼쿠바이(주) 제조〕, 아세토구아나민, 2,4-디아미노-6-비닐-s-트리아진 또는 디시안디아미드〔간토 가가꾸(주) 제조〕, (D) 성분의 에폭시 수지로서, 페놀노볼락형 에폭시 수지〔D-1: 다이닛본 잉크 가가꾸 고교(주) 제조, 상품명: 에피클론 N-770〕 또는 디시클로펜타디엔형 에폭시 수지〔D-2: 다이닛본 잉크 가가꾸 고교(주) 제조, 상품명: HP-7200H〕, (E) 성분의 에폭시 수지 경화제로서 스티렌과 무수 말레산의 공중합 수지〔E-1: 사토머(주) 제조, 상품명: SMA-EF-40〕 또는 이소부틸렌과 무수 말레산의 공중합 수지〔E-2: 구라레(주) 제조, 상품명: 이소반#600〕, (F) 성분의 무기 충전제로서 파쇄 실리카〔F-1: 후쿠시마 요우교(주) 제조, 상품명: F05-30, 평균 입경 10 ㎛〕 또는 수산화알루미늄〔F-2: 쇼와 덴꼬(주) 제조, 상품명: HD-360, 평균 입경 3 ㎛〕, 또한 희석 용제에 메틸에틸케톤을 사용하여 표 1 내지 표 4에 나타내는 배합 비율(질량부)로 혼합하여 수지분 65 질량%의 균일한 바니시를 얻었다.
또한, 비교예 4 내지 6에서는 (A) 성분의 2 치환 포스핀산의 금속염 대신에 적린〔닛본 가가꾸 고교사 제조, 상품명: 히시가드 TP-10F〕, 트리페닐포스페이트〔간토 가가꾸(주) 제조〕 또는 인산에스테르〔다이하찌 가가꾸사 제조, 상품명: PX-200〕을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바니시를 두께 0.2 mm의 E 유리 클로스(cloth)에 함침 도공하고, 160℃에서 10분 가열 건조하여 수지 함유량 55 질량%의 프리프레그를 얻었다.
이 프리프레그를 4매 중첩하고, 18 ㎛의 전해 동박을 상하로 배치하고, 압력2.45 MPa, 온도 185℃에서 90분간 프레스를 행하여 동장 적층판을 얻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동장 적층판을 이용하여, 동박 접착성(동박 박리 강도), 유리 전이 온도, 땜납 내열성, 흡습성(흡수율), 난연성, 비유전율(1 GHz), 유전 정접(1 GHz)에 대해서 상기 방법으로 측정·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내지 표 4 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14
Figure pat00015
Figure pat00016
Figure pat00017
표 1 내지 표 3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동박 접착성(동박 박리 강도), 유리 전이 온도(Tg), 땜납 내열성(T-288), 흡습성(흡수율), 난연성, 비유전율(1 GHz) 및 유전 정접(1 GHz)의 전부에 있어서 균형이 잡혀 있다.
한편, 표 4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교예에서는 동박 접착성, 유리 전이 온도, 땜납 내열성, 흡습성, 난연성, 비유전율 및 유전 정접의 모두에 균형이 잡힌 것이 없고, 어느 하나의 특성이 떨어져 있다.
본 발명의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기재에 함침, 또는 도공하여 얻은 프리프레그, 및 상기 프리프레그를 적층 성형함으로써 제조한 적층판은 동박 접착성, 유리 전이 온도, 땜납 내열성, 흡습성, 난연성, 비유전율 및 유전 정접의 전부에 있어서 균형이 잡혀 있어, 전자 기기용 인쇄 배선판으로서 유용하다.

Claims (5)

  1. (A) 2 치환 포스핀산의 금속염, (B) 분자 중에 N-치환 말레이미드기를 갖는 말레이미드 화합물, (C)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는 6-치환 구아나민 화합물 또는 디시안디아미드 및 (D) 1 분자 중에 적어도 2개의 에폭시기를 갖는 에폭시 수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18

    (식 중, R1은 페닐기, 메틸기, 알릴기, 비닐기, 부틸기, 메톡시기 또는 벤질옥시기를 나타냄)
  2. 제1항에 있어서, (B) 분자 중에 N-치환 말레이미드기를 갖는 말레이미드 화합물이, (b-1) 1 분자 중에 적어도 2개의 N-치환 말레이미드기를 갖는 말레이미드 화합물과, (b-2) 하기 화학식 2로 나타내는 산성 치환기를 갖는 아민 화합물과의 유기 용매 중에서의 반응 생성물인, 하기 화학식 3 또는 화학식 4로 나타내는 산성 치환기와 불포화 말레이미드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pat00019

    (식 중,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산기, 카르복시기 및 술폰산기로부터 선택되는 산성 치환기를 나타내고,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5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며, x는 1 내지 5의 정수이고, y는 0 내지 4의 정수이며, x와 y의 합은 5임)
    <화학식 3>
    Figure pat00020

    (식 중, R2, R3, x 및 y는 화학식 2에서의 것과 동일한 것을 나타내고,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5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냄)
    <화학식 4>
    Figure pat00021

    (식 중, R2, R3, x 및 y는 화학식 2에서의 것과 동일한 것을 나타내고,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5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며, A는 알킬렌기, 알킬리덴기, 에테르기, 술포닐기 또는 하기 화학식 5로 나타내는 기임)
    <화학식 5>
    Figure pat00022
  3.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기재에 함침 또는 도공한 후, B 스테이지화하여 얻어진 프리프레그.
  4. 제3항에 기재된 프리프레그를 적층 성형하여 얻어진 적층판.
  5. 제4항에 있어서, 프리프레그의 적어도 한쪽에 금속박을 중첩한 후, 가열 가압 성형하여 얻어진 금속장 적층판인 적층판.
KR1020157036836A 2007-12-25 2008-06-19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한 프리프레그 및 적층판 KR201600062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332857 2007-12-25
JP2007332857A JP2009155399A (ja) 2007-12-25 2007-12-25 熱硬化性樹脂組成物並びにこれを用いたプリプレグ及び積層板
PCT/JP2008/061256 WO2009081601A1 (ja) 2007-12-25 2008-06-19 熱硬化性樹脂組成物並びにこれを用いたプリプレグ及び積層板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3799A Division KR20100105839A (ko) 2007-12-25 2008-06-19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한 프리프레그 및 적층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6248A true KR20160006248A (ko) 2016-01-18

Family

ID=4080091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3799A KR20100105839A (ko) 2007-12-25 2008-06-19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한 프리프레그 및 적층판
KR1020157036836A KR20160006248A (ko) 2007-12-25 2008-06-19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한 프리프레그 및 적층판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3799A KR20100105839A (ko) 2007-12-25 2008-06-19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한 프리프레그 및 적층판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20100279129A1 (ko)
EP (1) EP2226349B1 (ko)
JP (1) JP2009155399A (ko)
KR (2) KR20100105839A (ko)
CN (2) CN101910241B (ko)
HK (1) HK1151548A1 (ko)
TW (2) TWI481652B (ko)
WO (1) WO200908160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81212B2 (en) 2017-03-28 2023-02-14 Showa Denko Materials Co., Ltd. Prepreg for coreless substrate, coreless substrate and semiconductor packag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5399A (ja) 2007-12-25 2009-07-16 Hitachi Chem Co Ltd 熱硬化性樹脂組成物並びにこれを用いたプリプレグ及び積層板
JP5407679B2 (ja) * 2009-09-04 2014-02-05 日立化成株式会社 熱硬化性絶縁樹脂組成物、並びにこれを用いた支持体付絶縁フィルム、プリプレグ、積層板及び多層プリント配線板
JP5407678B2 (ja) * 2009-09-04 2014-02-05 日立化成株式会社 熱硬化性絶縁樹脂組成物、並びにこれを用いた支持体付絶縁フィルム、プリプレグ、積層板及び多層プリント配線板
JP5540611B2 (ja) * 2009-09-04 2014-07-02 日立化成株式会社 熱硬化性絶縁樹脂組成物、並びにこれを用いた支持体付絶縁フィルム、プリプレグ、積層板及びプリント配線板
TWI555733B (zh) 2009-12-25 2016-11-01 日立化成股份有限公司 預浸體及積層板
US20130045650A1 (en) * 2010-03-02 2013-02-21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Resin composition, prepreg, and laminated sheet
US20120129414A1 (en) * 2010-11-24 2012-05-24 Chung-Hao Chang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and prepreg or laminate using the same
JP5772189B2 (ja) * 2011-04-27 2015-09-02 日立化成株式会社 熱硬化性樹脂組成物並びにこれを用いたプリプレグ、積層板及び配線板
JP5742957B2 (ja) * 2011-10-11 2015-07-01 日立化成株式会社 導体回路を有する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熱硬化性樹脂組成物
JP2016500732A (ja) * 2012-10-31 2016-01-14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硬化性組成物
JP5682664B2 (ja) * 2013-07-01 2015-03-11 日立化成株式会社 熱硬化性樹脂組成物並びにこれを用いたプリプレグ及び積層板
JP6311922B2 (ja) * 2014-03-06 2018-04-18 日立化成株式会社 熱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プリプレグ、積層板、並びにプリント配線板
KR101468005B1 (ko) * 2014-05-09 2014-12-03 주식회사 신아티앤씨 고내열성 난연 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6519307B2 (ja) * 2015-05-11 2019-05-29 日立化成株式会社 熱硬化性絶縁樹脂組成物、並びにそれを用いた支持体付絶縁フィルム、プリプレグ、積層板及び多層プリント配線板
WO2016194927A1 (ja) * 2015-06-02 2016-12-08 日立化成株式会社 熱硬化性樹脂組成物、プリプレグ、積層板及びプリント配線板
JP6676884B2 (ja) * 2015-06-02 2020-04-08 日立化成株式会社 熱硬化性樹脂組成物、プリプレグ、積層板及びプリント配線板
JP6701630B2 (ja) * 2015-06-02 2020-05-27 日立化成株式会社 熱硬化性樹脂組成物、プリプレグ、積層板及びプリント配線板
JP6635415B2 (ja) * 2015-06-30 2020-01-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硬化性組成物、プリプレグ、組成物付き金属箔、金属張積層板、及び配線板
JP6942718B2 (ja) * 2015-11-17 2021-09-29 ヘンケル アイピー アンド ホールディング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3次元シリコン貫通配線(tsv)パッケージ用のアンダーフィルフィルム用の樹脂組成物及びその調製に有用な組成物
JP6850539B2 (ja) * 2016-02-25 2021-03-31 藤森工業株式会社 電池外装用積層体、電池外装体及び電池
CN110982267B (zh) * 2016-12-07 2024-03-08 株式会社力森诺科 热固化性树脂组合物及其制造方法、预浸渍体、层叠板以及印制线路板
KR102117173B1 (ko) * 2016-12-07 2020-05-29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수지 바니시, 프리프레그, 적층판 및 프린트 배선판
CN110088153B (zh) * 2016-12-20 2021-03-30 Dic株式会社 组合物、固化物和层叠体
JP6992333B2 (ja) * 2017-09-06 2022-01-13 味の素株式会社 樹脂組成物
EP3704185A4 (en) * 2017-09-13 2021-08-04 Hexion Research Belgium SA EPOXY RESIN SYSTEMS
KR20210016389A (ko) * 2018-06-01 2021-02-15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수지 조성물, 프리프레그, 금속박 피복 적층판, 수지 시트, 및 프린트 배선판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6584A (ja) 1985-08-23 1987-02-28 Toshiba Corp 半導体レ−ザ装置
JPS6261051A (ja) 1985-09-10 1987-03-17 アグフア−ゲヴエルト・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熱現像法及びそれに適する画像受容シ−ト
JPS6334899A (ja) 1986-07-30 1988-02-15 Hitachi Medical Corp X線装置の高電圧制御用真空管のフイラメント加熱回路
JPH02258820A (ja) 1989-03-31 1990-10-19 Mitsui Toatsu Chem Inc 新規含フッ素グアナミン縮合物
JPH03145476A (ja) 1989-10-31 1991-06-20 Mitsui Toatsu Chem Inc 含フッ素アリーグアナミン縮合物
JPH0632969A (ja) 1992-07-14 1994-02-08 Toshiba Chem Corp 成形用耐熱性樹脂組成物
JPH1067942A (ja) 1996-04-26 1998-03-10 Asahi Chem Ind Co Ltd 熱可塑性樹脂用添加剤とその樹脂組成物
JP2001011672A (ja) 1999-04-28 2001-01-16 Nissha Printing Co Ltd マグネシウム合金塗装物と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6109A (en) * 1978-08-17 1980-04-01 Schenectady Chemicals, Inc. Phenolic resin-triazine modifier for alkyd resins
DE2963502D1 (en) * 1978-10-04 1982-09-30 Ciba Geigy Ag Aminoplast resin, its preparation and its use
JPS5856276B2 (ja) * 1980-03-31 1983-12-14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難燃耐熱性銅張り積層板の製造法
JPS5738851A (en) * 1980-08-15 1982-03-03 Toshiba Chem Corp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JPS62109817A (ja) * 1985-11-07 1987-05-21 Toshiba Chem Corp 熱硬化性樹脂組成物
JPH068342B2 (ja) 1985-12-04 1994-02-02 東芝ケミカル株式会社 成形用耐熱性樹脂組成物
JPH01287111A (ja) 1988-05-13 1989-11-17 Hitachi Ltd 含フッ素不飽和イミド系化合物を含む組成物
JPH0224324A (ja) * 1988-07-13 1990-01-26 Hitachi Ltd 組成物及びこの組成物から得られる重合体
JP3181987B2 (ja) 1992-06-25 2001-07-03 松下電工株式会社 三次元形状造形物の製造方法
DE19923619C2 (de) 1999-05-25 2001-08-23 Clariant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Dialkylphosphinsäuren und deren Salzen
JP2001261939A (ja) * 2000-03-21 2001-09-26 Sumitomo Bakelite Co Ltd 液状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
JP2002284963A (ja) * 2001-03-26 2002-10-03 Nippon Kayaku Co Ltd 難燃性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その用途
TWI278481B (en) * 2002-04-16 2007-04-11 Hitachi Chemical Co Ltd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prepreg and laminate using the same
DE10309805B4 (de) * 2003-03-05 2005-07-21 Clariant Gmbh Flammschutzmittel-Dispersion
DE10321297B4 (de) * 2003-05-13 2005-11-10 Clariant Gmbh Flammwidrige duroplastische Massen, ei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0359814A1 (de) * 2003-12-19 2005-07-28 Clariant Gmbh Dialkylphosphinsäure-Salze
KR100569759B1 (ko) * 2004-01-16 2006-04-11 주식회사 엘지화학 비할로겐계 난연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프리프레그및 적층판
JP2005248147A (ja) * 2004-02-04 2005-09-15 Hitachi Chem Co Ltd 熱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プリプレグ、金属張積層板、印刷配線板
US7931830B2 (en) * 2004-03-31 2011-04-26 Endicott Interconnect Technologies, Inc. Dielectric composition for use in circuitized substrates and circuitized substrate including same
DE102004023085A1 (de) * 2004-05-11 2005-12-15 Clariant Gmbh Dialkylphosphinsäure-Salze, ei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JP2006131743A (ja) * 2004-11-05 2006-05-25 Hitachi Chem Co Ltd 熱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プリプレグ、金属張積層板、プリント配線板
DE102005051611B4 (de) * 2004-11-05 2008-10-16 Hitachi Chemical Co., Ltd. Wärmehärtende Harzzusammensetz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Prepreg,einer metallbeschichteten, laminierten Platte und einer Platine mit gedruckter Schaltung unter Verwendung derselben
JP2006143850A (ja) * 2004-11-18 2006-06-08 Hitachi Chem Co Ltd 難燃性樹脂組成物、プリプレグ、金属張積層板
ATE518991T1 (de) * 2005-01-20 2011-08-15 Spig Schutzplanken Prod Gmbh Leitschwellenstrang zur fahrwegsbegrenzung
US7488766B2 (en) * 2005-10-06 2009-02-10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Polymer composition, method, and article
TWI274067B (en) * 2005-10-13 2007-02-21 Chang Chun Plastics Co Ltd Flame-retarding epoxy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no halogen
JP2007142140A (ja) * 2005-11-18 2007-06-07 Kisho Denki Kk Hdd用コイルassy
JP5028971B2 (ja) * 2005-12-13 2012-09-19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変性)グアナミン化合物溶液、熱硬化性樹脂組成物並びに、これを用いたプリプレグ及び積層板
JP4984647B2 (ja) * 2006-01-31 2012-07-25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樹脂組成物、プリプレグおよび金属張積層板
WO2007142140A1 (ja) * 2006-06-06 2007-12-13 Hitachi Chemical Company, Ltd. 酸性置換基と不飽和マレイミド基を有する硬化剤の製造法並びに熱硬化性樹脂組成物、プリプレグ及び積層板
JP5298462B2 (ja) 2006-06-06 2013-09-25 日立化成株式会社 酸性置換基と不飽和マレイミド基を有する硬化剤の製造法並びに熱硬化性樹脂組成物、プリプレグ及び積層板
JP2008133353A (ja) * 2006-11-28 2008-06-12 Hitachi Chem Co Ltd 熱硬化性樹脂組成物、この樹脂組成物を用いたプリプレグ及び積層板
JP5200488B2 (ja) 2007-10-24 2013-06-05 日立化成株式会社 多層プリント配線板用樹脂付き銅箔及びそれを用いて作製される多層プリント配線板
JP2009155399A (ja) 2007-12-25 2009-07-16 Hitachi Chem Co Ltd 熱硬化性樹脂組成物並びにこれを用いたプリプレグ及び積層板
JP5682664B2 (ja) * 2013-07-01 2015-03-11 日立化成株式会社 熱硬化性樹脂組成物並びにこれを用いたプリプレグ及び積層板
JP6940395B2 (ja) 2017-12-20 2021-09-2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健診結果出力装置とその作動方法および作動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6584A (ja) 1985-08-23 1987-02-28 Toshiba Corp 半導体レ−ザ装置
JPS6261051A (ja) 1985-09-10 1987-03-17 アグフア−ゲヴエルト・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熱現像法及びそれに適する画像受容シ−ト
JPS6334899A (ja) 1986-07-30 1988-02-15 Hitachi Medical Corp X線装置の高電圧制御用真空管のフイラメント加熱回路
JPH02258820A (ja) 1989-03-31 1990-10-19 Mitsui Toatsu Chem Inc 新規含フッ素グアナミン縮合物
JPH03145476A (ja) 1989-10-31 1991-06-20 Mitsui Toatsu Chem Inc 含フッ素アリーグアナミン縮合物
JPH0632969A (ja) 1992-07-14 1994-02-08 Toshiba Chem Corp 成形用耐熱性樹脂組成物
JPH1067942A (ja) 1996-04-26 1998-03-10 Asahi Chem Ind Co Ltd 熱可塑性樹脂用添加剤とその樹脂組成物
JP2001011672A (ja) 1999-04-28 2001-01-16 Nissha Printing Co Ltd マグネシウム合金塗装物とその製造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특허 공고 (평)6-8342호 공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81212B2 (en) 2017-03-28 2023-02-14 Showa Denko Materials Co., Ltd. Prepreg for coreless substrate, coreless substrate and semiconductor pack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81652B (zh) 2015-04-21
US20100279129A1 (en) 2010-11-04
JP2009155399A (ja) 2009-07-16
EP2226349B1 (en) 2014-01-15
KR20100105839A (ko) 2010-09-30
WO2009081601A1 (ja) 2009-07-02
CN102675598A (zh) 2012-09-19
TWI586731B (zh) 2017-06-11
TW200927808A (en) 2009-07-01
CN101910241A (zh) 2010-12-08
TW201510018A (zh) 2015-03-16
CN101910241B (zh) 2012-06-20
EP2226349A1 (en) 2010-09-08
US20170022353A1 (en) 2017-01-26
EP2226349A4 (en) 2012-11-21
US10604641B2 (en) 2020-03-31
HK1151548A1 (en) 2012-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4641B2 (en)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and prepreg and laminate both made with the same
KR101398731B1 (ko)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한 프리프레그 및 적층판
JP5320699B2 (ja) 熱硬化性樹脂組成物並びにこれを用いたプリプレグ及び積層板
KR101477304B1 (ko) 산성 치환기와 불포화 말레이미드기를 갖는 경화제의 제조 방법 및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프리프레그 및 적층판
JP5298462B2 (ja) 酸性置換基と不飽和マレイミド基を有する硬化剤の製造法並びに熱硬化性樹脂組成物、プリプレグ及び積層板
JP2011225883A (ja) 熱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プリプレグ及び積層板
JP5540494B2 (ja) 熱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プリプレグ,積層板及びプリント配線板
JP5772189B2 (ja) 熱硬化性樹脂組成物並びにこれを用いたプリプレグ、積層板及び配線板
JP5023877B2 (ja) 難燃性樹脂化合物、これを用いた熱硬化性樹脂組成物並びにプリプレグ及び積層板
JP2014034630A (ja) 熱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プリプレグ、積層板
JP5266685B2 (ja) 熱硬化性樹脂組成物並びにこれを用いたプリプレグ及び積層板
JP5028971B2 (ja) (変性)グアナミン化合物溶液、熱硬化性樹脂組成物並びに、これを用いたプリプレグ及び積層板
JP5682664B2 (ja) 熱硬化性樹脂組成物並びにこれを用いたプリプレグ及び積層板
JP6311922B2 (ja) 熱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プリプレグ、積層板、並びにプリント配線板
JP2017002124A (ja) 熱硬化性樹脂組成物、並びにそれを用いたプリプレグ、積層板及びプリント配線板
JP2013237844A (ja) 熱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プリプレグ、積層板
JP5381016B2 (ja) 熱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プリプレグ,積層板
JP4725347B2 (ja) リン含有グアナミン樹脂及び、これを用いた熱硬化性樹脂組成物並びに、これを用いたプリプレグ及び積層板
JP2014019773A (ja) 熱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プリプレグ、積層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350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822

Effective date: 2020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