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3140A - 간염 c 바이러스 억제제 - Google Patents

간염 c 바이러스 억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3140A
KR20100093140A KR1020107017350A KR20107017350A KR20100093140A KR 20100093140 A KR20100093140 A KR 20100093140A KR 1020107017350 A KR1020107017350 A KR 1020107017350A KR 20107017350 A KR20107017350 A KR 20107017350A KR 20100093140 A KR20100093140 A KR 20100093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mmol
product
alkyl
prepa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7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앙동 알란 왕
리-쿠앙 선
싱-유엔 시트
니 신
폴 마이클 스콜라
피야세나 헤와와샘
앤드류 찰스 굳
얀 첸
제프리 알렌 캠벨
Original Assignee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큅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958435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0009314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큅 컴퍼니 filed Critical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큅 컴퍼니
Publication of KR20100093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314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6Tripept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8/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98/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8/04Orth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05Enzyme inhibi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4Immunostimu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07/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07/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07/16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soquinoline or hydrogenated isoquinoline ring systems
    • C07D217/2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soquinoline or hydrogenated isoquinoline ring system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nitrogen-containing ring
    • C07D217/24Oxy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3/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 C07D417/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4Orth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ring system both one or more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59/00, C07D463/00, C07D477/00 or C07D489/00
    • C07D49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ring system both one or more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59/00, C07D463/00, C07D477/00 or C07D489/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1/04Orth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4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5/06Dipeptides
    • C07K5/06008Di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 C07K5/06017Di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and aliphatic
    • C07K5/06034Di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and aliphatic the side chain containing 2 to 4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4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5/06Dipeptides
    • C07K5/06008Di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 C07K5/06017Di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and aliphatic
    • C07K5/06034Di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and aliphatic the side chain containing 2 to 4 carbon atoms
    • C07K5/06052Val-amino aci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4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5/08Tripeptides
    • C07K5/0802Tri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 C07K5/0804Tri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and aliphatic
    • C07K5/0808Tri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and aliphatic the side chain containing 2 to 4 carbon atoms, e.g. Val, Ile, Leu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4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5/08Tripeptides
    • C07K5/0827Tripeptides containing heteroatoms different from O, S, or 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Abstract

하기 화학식 I의 간염 C 바이러스 억제제를 개시한다:
<화학식 I>
Figure pat01497

상기 식에서, R1, R2, R3, R', B, Y 및 X는 명세서에 기재한다.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상기 화합물을 이용하여 HCV를 억제하는 방법도 또한 개시한다.

Description

간염 C 바이러스 억제제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항바이러스 화합물에 관한 것이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간염 C 바이러스 (HCV)로 코딩된 NS3 프로테아제의 기능화를 억제하는 화합물, 이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NS3 프로테아제의 기능화를 억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HCV는 세계적으로 1억 7천만명의 사람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 제1형으로 감염된 수의 대략 5배)이 감염된 것으로 추정되는 주요 인간 병원체이다. 이러한 HCV로 감염된 개인 중 실질적인 분율에서 경화증 및 간세포 암종을 비롯한 심각한 진행성 간 질환이 발전된다 [Lauer, G. M.; Walker, B. D. N. Engl. J. Med. (2001), 345, 41-52].
현재, 가장 효과적인 HCV 치료법은 40%의 환자에서 지속적인 효능을 야기하는 알파-인터페론 및 리바비린의 조합을 이용한다 [Poynard, T. et al. Lancet (1998), 352, 1426-1432]. 최근의 임상적 결과는 페길화된 알파-인터페론이 단일요법으로서 비개질된 알파-인터페론보다 우수함을 증명한다 [Zeuzem, S. et al. N. Engl. J. Med. (2000), 343, 1666-1672]. 그러나, 페길화된 알파-인터페론 및 리바비린의 조합을 비롯한 실험적 치료 섭생으로조차, 실질적인 분율의 환자에서 바이러스 부하를 지속적으로 감소시키지는 못했다. 따라서, HCV 감염의 치료를 위한 효과적인 치료제를 개발해야 할 분명하고 오래된 필요성이 존재한다.
HCV는 포지티브 가닥의 RNA 바이러스이다. 5' 미번역 영역에서의 광범위한 유사성 및 추정 아미노산 서열의 비교를 바탕으로, HCV를 플라비비리대(Flaviviridae) 족 중 별개의 속으로서 분류해 왔다. 플라비비리대 족의 모든 구성원은 단일의 비개입된 오픈 리딩 프레임의 번역을 통해 모든 공지된 바이러스-특이적 단백질을 코딩하는 포지티브 가닥의 RNA 게놈을 함유하는 비리온을 싸고 있다.
HCV 게놈 전반에 걸쳐 뉴클레오티드 및 코딩된 아미노산 서열 내에서 상당한 이종성이 발견되었다. 6개 이상의 주요 유전형이 특성화되어 있고, 50개 초과의 아형이 기재되어 있다. HCV의 주요 유전형은 세계적으로 그 분포가 상이하며, 병원체학 및 치료법에서 유전형의 가능한 효과에 대한 수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HCV의 유전자 이종성의 임상적인 유의성은 불명확한 채로 남아있다.
단일 가닥 HCV RNA 게놈은 길이가 대략 9500개의 뉴클레오티드이고, 약 3000개 아미노산의 하나의 커다란 다단백질을 코딩하는 단일 오픈 리딩 프레임 (ORF)을 보유한다. 감염된 세포에서, 상기 다단백질은 세포 및 바이러스 프로테아제에 의해 다수의 부위에서 절단되어 구조적 및 비-구조적 (NS) 단백질을 생산한다. HCV의 경우에, 성숙한 비-구조적 단백질 (NS2, NS3, NS4A, NS4B, NS5A 및 NS5B)의 발생은 2개의 바이러스 프로테아제에 의해 영향 받는다. 첫번째 프로테아제는 아직 충분히 특성화되지 않았지만 NS2-NS3 접합부를 절단하고; 두번째 프로테아제는 NS3의 N-말단 영역 내에 포함된 세린 프로테아제 (이하 NS3 프로테아제로 언급함)로서, NS3-NS4A 절단 부위에서는 시스로, 나머지 NS4A-NS4B, NS4B-NS5A, NS5A-NS5B 부위에 대해서는 트랜스로 NS3의 하류에 있는 그 후의 모든 절단을 매개한다. NS4A 단백질은 NS3 프로테아제에 대한 보조인자로서 작용하고, 아마도 NS3 및 다른 바이러스 레플리카제 성분의 막 국지화를 보조하면서 다수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보인다. NS4A와 NS3 단백질의 복합체 형성은 모든 부위에서 단백질분해 효율을 향상시키므로 프로세싱 사건에 필수적인 것으로 여겨진다. NS3 단백질은 또한 뉴클레오시드 트리포스파타제 및 RNA 헬리카제 활성을 발휘한다. NS5B는 HCV의 복제에 관여하는 RNA-의존적 RNA 폴리머라제이다.
HCV 복제를 억제하는 효능이 입증된 화합물 중에서, 선택적 HCV 세린 프로테아제 억제제로서의 펩티드 화합물이 미국 특허 제6,323,180호에 개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6,323,180호
문헌[Lauer, G. M.; Walker, B. D. N. Engl. J. Med. (2001), 345, 41-52] 문헌[Poynard, T. et al. Lancet (1998), 352, 1426-1432] 문헌[Zeuzem, S. et al. N. Engl. J. Med. (2000), 343, 1666-1672]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용매화물 또는 전구약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I>
Figure pat00001
상기 식에서,
(a) R1은 C1 -8 알킬, C3 -7 시클로알킬 또는 C4 -10 알킬시클로알킬이고;
(b) m은 1 또는 2이고;
(c) n은 1 또는 2이고;
(d) R2는 H, 각각 할로겐으로 임의 치환된 C1 -6 알킬, C2 -6 알케닐 또는 C3 -7 시클로알킬이고;
(e) R3은 할로, 시아노, 아미노, C1 -6 디알킬아미노, C6 -10 아릴, C7 -14 알킬아릴, C1 -6 알콕시, 카르복시, 히드록시, 아릴옥시, C7 -14 알킬아릴옥시, C2 -6 알킬에스테르, C8 -15 알킬아릴에스테르로 임의 치환된 C1 -8 알킬; C3 - l2 알케닐, C3 -7 시클로알킬 또는 C4 -10 알킬시클로알킬 (여기서, 시클로알킬 또는 알킬시클로알킬은 히드록시, C1-6 알킬, C2 -6 알케닐 또는 C1 -6 알콕시로 임의 치환됨)이거나; R3은 이것이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C2 -6 알케닐로 임의 치환된 C3 -7 시클로알킬기를 형성하고;
(f) Y는 H, 니트로로 치환된 페닐, 니트로로 치환된 피리딜, 또는 시아노, OH 또는 C3 -7 시클로알킬로 임의 치환된 C1 -6 알킬이고; 단, R4 또는 R5가 H이면, Y는 H이고;
(g) B는 H, C1 -6 알킬, R4-(C=O)-, R4O(C=O)-, R4-N(R5)-C(=O)-, R4-N(R5)-C(=S)-, R4SO2- 또는 R4-N(R5)-SO2-이고;
(h) R4는 (i) 페닐, 카르복실, C1 -6 알카노일, 1 내지 3개의 할로겐, 히드록시, -OC(O)C1-6 알킬, C1 -6 알콕시, C1 -6 알킬로 임의 치환된 아미노, 아미도 또는 (저급 알킬) 아미도로 임의 치환된 C1 -10 알킬; (ii) 각각 히드록시, 카르복실, (C1 -6 알콕시)카르보닐, C1 -6 알킬로 임의 치환된 아미노, 아미도 또는 (저급 알킬) 아미도로 임의 치환된 C3 -7 시클로알킬, C3 -7 시클로알콕시 또는 C4 -10 알킬시클로알킬; (iii) 각각 C1 -6 알킬, 할로겐, 니트로, 히드록시, 아미도, (저급 알킬) 아미도 또는 C1 -6 알킬로 임의 치환된 아미노로 임의 치환된 C6 -10 아릴 또는 C7 -16 아릴알킬; (iv) Het; (v) 비시클로(1.1.1)펜탄; 또는 (vi) -C(O)OC1-6 알킬, C2 -6 알케닐 또는 C2-6 알키닐이고;
(i) R5는 H; 1 내지 3개의 할로겐으로 임의 치환된 C1 -6 알킬; 또는 R4가 C1 -10 알킬인 경우에 한하여 C1 -6 알콕시이고;
(j) X는 0, S, SO, SO2, OCH2, CH2O 또는 NH이고;
(k) R'는 Het; 또는 Ra로 임의 치환된 C6 -10 아릴 또는 C7 -14 알킬아릴이고;
(l) Ra는 C1 -6 알킬, C3 -7 시클로알킬, C1 -6 알콕시, C3 -7 시클로알콕시, 할로-C1-6 알킬, CF3, 모노- 또는 디-할로-C1 -6 알콕시, 시아노, 할로, 티오알킬, 히드록시, 알카노일, N02, SH, 아미노, C1 -6 알킬아미노, 디(C1 -6) 알킬아미노, 디(C1 -6) 알킬아미드, 카르복실, (C1 -6) 카르복시에스테르, C1 -6 알킬술폰, C1 -6 알킬술폰아미드, 디(C1 -6) 알킬(알콕시)아민, C6 -10 아릴, C7 -14 알킬아릴 또는 5 내지 7-원 모노시클릭 헤테로사이클이며;
단, X-R'는 하기 화학식이 아니다:
Figure pat00002
.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용매화물 또는 전구약물 및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용매화물 또는 전구약물의 치료적 유효량, 및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HCV NS3 억제에 유용한 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추가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용매화물 또는 전구약물의 치료적 유효량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HCV로 감염된 환자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유효량을 환자에게 투여함으로써 HCV NS3 프로테아제를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해, HCV로 감염된 환자의 치료에 효과적일 수 있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개선된 약물을 제공하는 것이 이제는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예를 들어 NS4A 프로테아제와 배합하여 NS3 프로테아제의 기능화를 억제할 수 있는 펩티드 화합물을 제공한다.
본원에 사용된 입체화학적 정의 및 규정은 일반적으로 맥그루-힐 화학 용어 사전 [McGraw-Hill Dictionary of Chemical Terms, S. P. Parker, Ed., McGraw-Hill Book Company, New York (1984)] 및 유기 화합물의 입체화학 [Stereochemistry of Organic Compounds, Eliel, E. and Wilen, S.,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1994)]에 따른다. 다수의 유기 화합물은 광학적 활성 형태로 존재하여, 즉, 면-편광된 빛의 면을 회전시키는 능력을 갖는다. 광학적으로 활성인 화합물을 기재함에 있어서, 접두어 D 및 L 또는 R 및 S를 사용하여 그의 키랄 중심(들) 주위에 있는 분자의 절대 형상을 나타낸다. 접두어 d 및 l 또는 (+) 및 (-)를 이용하여 화합물에 의해 면-편광된 빛의 회전 표시를 나타내는데, (-) 또는 l은 화합물이 좌회전성임을 의미하고, (+) 또는 d는 화합물이 우회전성임을 의미한다. 주어진 화학 구조에 대해, 입체이성질체로 불리우는 상기 화합물들은 이들이 서로의 거울상인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한 쌍의 거울상 중 특정한 입체이성질체를 또한 거울이성질체(enantiomer)로서 언급할 수 있고, 이러한 이성질체의 혼합물을 종종 거울이성질체 혼합물로 부른다.
유기 라디칼, 예를 들어 탄화수소 및 치환된 탄화수소를 기재하기 위해 사용되는 명명법은 달리 구체적으로 규정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당업계에 공지된 표준 명명법을 따른다. 기의 조합, 예를 들어 알킬알콕시아민은 달리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는 한 모든 가능한 안정한 형상을 포함한다. 예시를 위해 특정한 라디칼 및 조합을 하기에 정의한다.
용어 "라세미체 혼합물" 및 "라세미체"는 광학 활성이 없는 2개의 거울이성질체 종의 동몰량 혼합물을 의미한다.
용어 "키랄"은 거울상 파트너의 비중복성(nonsuperimposability)의 성질을 갖는 분자를 의미하는 반면, 용어 "아키랄"은 그의 거울상 파트너에서 중복가능한 분자를 의미한다.
용어 "입체이성질체"는 동일한 화학 조성을 갖지만, 공간에서의 원자 또는 기의 배열 면에서 상이한 화합물을 의미한다.
용어 "부분입체이성질체"는 거울이성질체가 아닌 입체이성질체, 예를 들어 2개 이상의 키랄 중심을 갖고 그의 분자가 서로의 거울상이 아닌 입체이성질체를 의미한다. 부분입체이성질체는 상이한 물성, 예를 들어 융점, 비등점, 스펙트럼 성질 및 반응성을 갖는다.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은 전기영동 및 크로마토그래피와 같은 고분해능 분석 방법하에서 분리할 수 있다.
용어 "거울이성질체"는 서로 비중복성 거울상인, 한 화합물의 2개의 입체이성질체를 의미한다.
용어 "제약상 허용되는 염"은 염기성 또는 산성 잔기를 함유하는 화합물로부터 통상적인 화학 방법에 의해 합성된 비독성 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염은 물 또는 유기 용매 또는 그 둘의 혼합물 (일반적으로는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또는 아세토니트릴과 같은 비수성 매질이 바람직함) 중에서 상기 화합물의 유리 산 또는 염기 형태를 적절한 염기 또는 산의 화학양론적 양과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적합한 염의 목록은 문헌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8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990, p. 1445]에서 발견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유리 염기 또는 산의 형태로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의 형태로 유용하다. 모든 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용어 "치료적 유효량"은 유의한 환자 이득, 예를 들어 바이러스 부하의 지속적인 감소를 나타내기에 충분한 각 활성 성분의 총량을 의미한다. 상기 용어를 단독으로 투여하는 개별 활성 성분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그 성분 하나를 의미한다. 상기 용어를 배합물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배합하여 연속적으로 투여하든 동시에 투여하든 치료 효과를 야기시키는 활성 성분들의 합한 양을 의미한다.
용어 "본 발명의 화합물", 및 등가의 표현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제약상 허용되는 염 및 용매화물, 예를 들어 수화물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유사하게, 중간체에 대한 언급은 문맥상 허용되는 그의 염 및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에 대한 언급도 또한 화학식 II 및 III의 바람직한 화합물을 포함한다.
용어 "유도체"는 통상의 숙련된 화학자가 일상적이라 여기는 개질법으로 화학적으로 개질된 화합물, 예를 들어 산의 에스테르 또는 아미드, 보호기, 예를 들어 알콜 또는 티올에 대해 벤질기 및 아민에 대해 tert-부톡시카르보닐기를 의미한다.
용어 "용매화물"은 유기이든 무기이든 하나 이상의 용매 분자와 본 발명의 화합물의 물리적인 회합을 의미한다. 상기 물리적 회합은 수소 결합을 포함한다. 특정 예에서, 용매화물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용매 분자가 결정질 고체의 결정 격자에 혼입되는 경우에 단리될 수 있을 것이다. "용매화물"은 용액-상 및 단리가능한 용매화물 모두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용매화물로는 수화물, 에탄올레이트, 메탄올레이트 등이 포함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전구약물"은 화학적 또는 대사적으로 절단가능한 기를 보유하며, 가용매분해로 또는 생리적인 조건하에서 생체내 제약상 활성인 본 발명의 화합물이 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유도체를 의미한다. 화합물의 전구약물은 화합물의 관능기, 예를 들어 존재하는 경우 아미노, 히드록시 또는 카르복시기로 통상적인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구약물 유도체 형태는 종종 용해도 잇점, 조직 융화성 또는 포유동물 유기체에서의 지연 방출을 제공한다 (문헌 [Bundgard, H., Design of Prodrug, pp. 7-9, 21-24, Elsevier, Amsterdam 1985] 참조). 전구약물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산 유도체, 예를 들어 모체 산성 화합물과 적합한 알콜의 반응으로 제조된 에스테르 또는 모체 산 화합물과 적합한 아민의 반응으로 제조된 아미드를 포함한다.
용어 "환자"는 인간 및 다른 포유동물 모두를 포함한다.
용어 "제약 조성물"은 투여 방식의 특성 및 투여량 형태에 따라,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제약 담체, 즉, 보조제, 부형제 또는 비히클, 예를 들어 희석제, 보존제, 충전재, 유속 조절제, 붕해제, 습윤제, 유화제, 현탁화제, 감미제, 향미제, 방향제, 항균제, 항진균제, 윤활제 및 분산제와 함께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문헌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8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999)]에 나열된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어구 "제약상 허용되는"은 건전한 의학적 판단의 범위 내에 포함되며, 과도한 독성, 자극, 알레르기 반응 또는 합당한 위험/이득 비율을 갖는 다른 문제점 또는 합병증 없이 환자의 조직에 접촉하는 데 사용하기에 적합한 상기 화합물, 물질, 조성물 및(또는) 투여량 형태를 나타내기 위해 본원에 사용한다.
용어 "치료하는"은 (i) 질환, 장애 및(또는) 상태의 소인이 있을 수 있으나, 아직 이를 가지고 있다는 진단이 내려지지 않은 환자에서 질환, 장애 또는 상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함; (ii) 질환, 장애 또는 상태를 억제함, 즉, 그의 발전을 저지함; 및 (iii) 질환, 장애 또는 상태를 경감시킴, 즉, 질환, 장애 및(또는) 상태의 퇴보를 야기함을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치환된"은 달리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는 한 치환기가 결합된, 예를 들어 모노-, 디-, 트리- 또는 테트라-치환된 코어, 예를 들어 유기 라디칼에서 하나 내지 가능한 결합 부위의 최대수에서의 치환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할로"는 브로모, 클로로, 플루오로 또는 요오도로부터 선택된 할로겐 치환기를 의미한다. 용어 "할로알킬"은 하나 이상의 할로 치환기로 치환된 알킬기를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알킬"은 비고리형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치환기를 의미하고, 예를 들어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tert-부틸, 헥실, 1-메틸에틸, 1-메틸프로필, 2-메틸프로필, 1,1-디메틸에틸을 포함한다. 따라서, C1 -6 알킬은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보유하는 알킬기를 의미한다. 용어 "저급 알킬"은 1 내지 6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보유하는 알킬기를 의미한다. 용어 "알킬에스테르"는 에스테르기를 추가로 함유하는 알킬기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기술된 탄소수 범위, 예를 들어 C2 -6 알킬에스테르는 라디칼 내에 모든 탄소 원자를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알케닐"은 하나 이상의 이중 결합을 함유하는 알킬 라디칼, 예를 들어 에테닐 (비닐) 및 알킬을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알콕시"는 산소 원자에 부착된 지시된 수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기를 의미한다. 알콕시는 예를 들어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1-메틸에톡시, 부톡시 및 1,1-디메틸에톡시를 포함한다. 1,1-디메틸에톡시 라디칼은 당업계에서 tert-부톡시를 의미한다. 용어 "알콕시카르보닐"은 카르보닐기를 추가로 함유하는 알콕시기를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시클로알킬"은 지시된 수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시클로알킬 치환기를 의미하고, 예를 들어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및 스피로 시클릭기, 예를 들어 스피로시클로프로필 및 스피로시클로부틸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시클로알콕시"는 산소 원자에 연결된 시클로알킬기, 예를 들어 시클로부틸옥시 또는 시클로프로필옥시를 의미한다. 용어 "알킬시클로알킬"은 알킬기에 연결된 시클로알킬기를 의미한다. 기술된 탄소 수 범위는 달리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는 한 라디칼 내의 탄소의 총 수를 포함한다. 상기 C4 -10 알킬시클로알킬은 알킬기에 1 내지 7개의 탄소 원자 및 고리에 3 내지 9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시클로프로필메틸 또는 시클로헥실에틸이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아릴"은 페닐, 인다닐 또는 나프틸과 같은,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지시된 수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방향족 잔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C6 -10 아릴은 6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보유하는 방향족 부위를 의미하며, 이는 모노시클릭 또는 비시클릭 구조의 형태일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할로아릴"은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로 일, 이 또는 삼치환된 아릴을 의미한다. 용어 "알킬아릴", "아릴알킬" 및 "아랄알킬"은 하나 이상의 알킬기로 치환된 아릴기를 의미한다. 따라서, C7 -14 알킬아릴기는 모노시클릭 방향족의 경우 알킬기에 1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보유하거나, 융합된 방향족의 경우 알킬기에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보유할 수 있다. 아릴 라디칼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전형적인 치환기, 예를 들어 할로겐, 히드록시, 카르복시, 카르보닐, 니트로, 술포, 아미노, 시아노, 디알킬아미노, 할로알킬, CF3, 할로알콕시, 티오알킬, 알카노일, SH, 알킬아미노, 알킬아미드, 디알킬아미드, 카르복시에스테르, 알킬술폰, 알킬술폰아미드 및 알킬(알콕시)아민으로 치환된 것을 포함한다. 알킬아릴기의 예로는 벤질, 부틸페닐 및 1-나프틸메틸이 포함된다. 용어 "알킬아릴옥시" 및 "알킬아릴에스테르"는 각각 산소 원자 및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알킬아릴기를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카르복시알킬"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알킬기를 통해 연결된 카르복실기 (COOH)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부티르산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알카노일"은 지시된 수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직선 또는 분지형 1-옥소알킬 라디칼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포르밀, 아세틸, 1-옥소프로필 (프로피오닐), 2-메틸-1-옥소프로필, 1-옥소헥실 등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아미노 아르알킬"은 아르알킬기로 치환된 아미노기, 예를 들어 하기 아미노 아르알킬
Figure pat00003
을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알킬아미드"는 알킬로 단치환된 아미드, 예를 들어
Figure pat00004
를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카르복시알킬"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알킬기를 통해 연결된 카르복실기 (COOH)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부티르산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헤테로사이클"은 또한 "Het"로도 언급되며 7 내지 12-원 비시클릭 헤테로사이클 및 5 내지 7-원 모노시클릭 헤테로사이클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비시클릭 헤테로사이클은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된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며 헤테로사이클의 두 고리 모두 완전히 불포화된 7 내지 12-원 융합된 비시클릭 고리계 (두 고리 모두 인접한 쌍의 원자를 공유함)이다. 질소 및 황 헤테로원자 원자는 임의로 산화될 수 있다. 비시클릭 헤테로사이클은 하나 또는 두 고리에 헤테로원자를 함유할 수 있다. 비시클릭 헤테로사이클은 또한 고리 탄소 원자 중 임의의 원자에 치환기, 예를 들어 1 내지 3개의 치환기를 함유할 수 있다. 적합한 치환기의 예로는 C1 -6 알킬, C3 -7 시클로알킬, C1 -6 알콕시, C3-7 시클로알콕시, 할로-C1 -6 알킬, CF3, 모노- 또는 디-할로-C1 -6 알콕시, 시아노, 할로, 티오알킬, 히드록시, 알카노일, NO2, SH, 아미노, C1 -6 알킬아미노, 디(C1 -6) 알킬아미노, 디(C1 -6) 알킬아미드, 카르복실, (C1 -6) 카르복시에스테르, C1 -6 알킬술폰, C1 -6 알킬술폰아미드, C1 -6 알킬술폭시드, 디(C1 -6) 알킬(알콕시)아민, C6 -10 아릴, C7-14 알킬아릴, 및 5 내지 7-원 모노시클릭 헤테로사이클이 포함된다. 2개의 치환기가 비시클릭 헤테로사이클의 인접 탄소 원자에 부착된 경우, 이들은 연결되어 산소 및 질소로부터 선택된 2개 이하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고리, 예를 들어 5, 6 또는 7-원 고리계를 형성할 수 있다. 비시클릭 헤테로사이클은 고리 내 임의의 원자, 바람직하게는 탄소에서 그의 펜던트 기, 예를 들어 화학식 I에서의 X에 부착될 수 있다.
비시클릭 헤테로사이클의 예로는 하기 고리계가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Figure pat00005
.
바람직한 모노시클릭 헤테로사이클은 질소, 산소 및 황 (여기서, 황 및 질소 헤테로원자는 임의로 산화될 수 있음)으로부터 선택된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고리 내에 함유하는 5 내지 7-원 포화된, 부분적으로 포화된 또는 완전히 불포화된 고리계 (상기 완전히 불포화된 고리계 소집합은 본원에서 불포화 헤테로방향족으로 언급함)이다. 모노시클릭 헤테로사이클은 또한 임의의 고리 원자에 치환기, 예를 들어 1 내지 3개의 치환기를 함유할 수 있다. 적합한 치환기의 예로는 C1 -6 알킬, C3-7 시클로알킬, C1 -6 알콕시, C3 -7 시클로알콕시, 할로-C1 -6 알킬, CF3, 모노- 또는 디-할로-C1 -6 알콕시, 시아노, 할로, 티오알킬, 히드록시, 알카노일, NO2, SH, 아미노, C1 -6 알킬아미노, 디(C1 -6) 알킬아미노, 디(C1 -6) 알킬아미드, 카르복실, (C1 -6) 카르복시에스테르, C1 -6 알킬술폰, C1 -6 알킬술폭시드, C1 -6 알킬술폰아미드, 디(C1 -6) 알킬(알콕시)아민, C6 -10 아릴, C7 -14 알킬아릴 및 5 내지 7-원 모노시클릭 헤테로사이클이 포함된다. 모노시클릭 헤테로사이클은 고리 내 임의의 원자에서 그의 펜던트 기, 예를 들어 화학식 I에서의 X에 부착될 수 있다.
모노시클릭 헤테로사이클의 예로는 하기가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Figure pat00006
.
당업자는 본 발명의 화합물에 사용된 헤테로사이클이 안정해야 함을 인식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정한 화합물은 화합물의 분해 없이 당업자에게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여 합성, 단리 및 제제화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명명할 때 사용한, 본원에 사용된 명칭 "P1', P1, P2, P3 및 P4"는 천연의 펩티드 절단 기질의 결합에 대한 프로테아제 억제제 결합의 아미노산 잔기의 상대 위치를 표시한다. P1과 P1' 사이의 천연의 기질에서 절단이 일어나는데, 비프라임 위치는 펩티드 자연 절단 부위의 C-말단 끝에서 출발하여 N-말단을 향하여 연장된 아미노산을 지정하는 반면, 프라임 위치는 절단 부위 지정의 N-말단 끝으로부터 출발하여 C-말단을 향하여 연장된다. 예를 들면, P1'은 절단 부위의 C-말단의 우측 변으로부터 떨어진 첫번째 위치 (즉, N-말단 첫번째 위치)를 의미하는 반면, P1은 C-말단 절단 부위의 좌측 변으로부터 넘버링을 시작한다 (P2는 C-말단으로부터 두번째 위치 등) (문헌 [Berger A. & Schechter I., Transactions of Royal Society London series (1970), B257, 249-264] 참조).
따라서, 화학식 I의 화합물에서, 분자의 "P1' 내지 P4" 부분은 하기와 같이 표시된다:
Figure pat00007
본원에 사용된 용어 "1-아미노시클로프로필-카르복실산" (Acca)은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을 의미한다:
Figure pat00008
.
본원에 사용된 용어 "tert-부틸글리신"은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을 의미한다:
Figure pat00009
.
아미노산 또는 아미노산 유도체와 관련하여, 용어 "잔기"는 카르복시기의 히드록실 및 α-아미노산 기의 1개의 수소를 제거함으로써 상응하는 α-아미노산으로부터 유도된 라디칼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용어 Gln, Ala, Gly, Ile, Arg, Asp, Phe, Ser, Leu, Cys, Asn, Sar 및 Tyr은 각각 L-글루타민, L-알라닌, 글리신, L-이소류신, L-아르기닌, L-아스파르트산, L-페닐알라닌, L-세린, L-류신, L-시스테인, L-아스파라긴, 사르코신 및 L-티로신의 "잔기"를 나타낸다.
아미노산 또는 아미노산 잔기와 관련하여, 용어 "측쇄"는 α-아미노산의 α-탄소 원자에 부착된 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글리신에 대한 R-기 측쇄는 수소이고, 알라닌에 대해서는 메틸, 발린에 대해서는 이소프로필이다. α-아미노산의 구체적인 R-기 또는 측쇄에 대해서는 문헌 [A. L. Lehninger's text on Biochemistry] (4장)을 참조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용매화물 또는 전구약물의 구조를 갖는다:
<화학식 I>
Figure pat00010
상기 식에서,
(a) R1은 C1 -8 알킬, C3 -7 시클로알킬 또는 C4 -10 알킬시클로알킬이고;
(b) m은 1 또는 2이고;
(c) n은 1 또는 2이고;
(d) R2는 H, 각각 할로겐으로 임의 치환된 C1 -6 알킬, C2 -6 알케닐 또는 C3 -7 시클로알킬이고;
(e) R3은 할로, 시아노, 아미노, C1 -6 디알킬아미노, C6 -10 아릴, C7 -14 알킬아릴, C1 -6 알콕시, 카르복시, 히드록시, 아릴옥시, C7 -14 알킬아릴옥시, C2 -6 알킬에스테르, C8 -15 알킬아릴에스테르로 임의 치환된 C1 -8 알킬; C3 - l2 알케닐, C3 -7 시클로알킬 또는 C4 -10 알킬시클로알킬 (여기서, 시클로알킬 또는 알킬시클로알킬은 히드록시, C1-6 알킬, C2 -6 알케닐 또는 C1 -6 알콕시로 임의 치환됨)이거나; R3은 이것이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C2 -6 알케닐로 임의 치환된 C3 -7 시클로알킬기를 형성하고;
(f) Y는 H, 니트로로 치환된 페닐, 니트로로 치환된 피리딜, 또는 시아노, OH 또는 C3 -7 시클로알킬로 임의 치환된 C1 -6 알킬이고; 단, R4 또는 R5가 H이면, Y는 H이고;
(g) B는 H, C1 -6 알킬, R4-(C=O)-, R4O(C=O)-, R4-N(R5)-C(=O)-, R4-N(R5)-C(=S)-, R4SO2- 또는 R4-N(R5)-SO2-이고;
(h) R4는 (i) 페닐, 카르복실, C1 -6 알카노일, 1 내지 3개의 할로겐, 히드록시, -OC(O)C1-6 알킬, C1 -6 알콕시, C1 -6 알킬로 임의 치환된 아미노, 아미도 또는 (저급 알킬) 아미도로 임의 치환된 C1 -10 알킬; (ii) 각각 히드록시, 카르복실, (C1 -6 알콕시)카르보닐, C1 -6 알킬로 임의 치환된 아미노, 아미도 또는 (저급 알킬) 아미도로 임의 치환된 C3 -7 시클로알킬, C3 -7 시클로알콕시 또는 C4 -10 알킬시클로알킬; (iii) 각각 C1 -6 알킬, 할로겐, 니트로, 히드록시, 아미도, (저급 알킬) 아미도 또는 C1 -6 알킬로 임의 치환된 아미노로 임의 치환된 C6 -10 아릴 또는 C7 -16 아릴알킬; (iv) Het; (v) 비시클로(1.1.1)펜탄; 또는 (vi) -C(O)OC1-6 알킬, C2 -6 알케닐 또는 C2-6 알키닐이고;
(i) R5는 H; 1 내지 3개의 할로겐으로 임의 치환된 C1 -6 알킬; 또는 R4가 C1 -10 알킬인 경우에 한하여 C1 -6 알콕시이고;
(j) X는 0, S, SO, SO2, OCH2, CH2O 또는 NH이고;
(k) R'는 Het; 또는 Ra로 임의 치환된 C6 -10 아릴 또는 C7 -14 알킬아릴이고;
(l) Ra는 C1 -6 알킬, C3 -7 시클로알킬, C1 -6 알콕시, C3 -7 시클로알콕시, 할로-C1-6 알킬, CF3, 모노- 또는 디-할로-C1 -6 알콕시, 시아노, 할로, 티오알킬, 히드록시, 알카노일, N02, SH, 아미노, C1 -6 알킬아미노, 디(C1 -6) 알킬아미노, 디(C1 -6) 알킬아미드, 카르복실, (C1 -6) 카르복시에스테르, C1 -6 알킬술폰, C1 -6 알킬술폰아미드, 디(C1 -6) 알킬(알콕시)아민, C6 -10 아릴, C7 -14 알킬아릴 또는 5 내지 7-원 모노시클릭 헤테로사이클이며;
단, X-R'는 하기 화학식이 아니다:
Figure pat00011
.
바람직하게는, R2는 C2 -6 알케닐이고; R3은 C1 -6 알콕시로 임의 치환된 C1 -8 알킬 또는 C3 -7 시클로알킬이고; Y는 H이고; B는 R4-(C=O)-, R4O(C=O)- 또는 R4-N(R5)-C(=O)-이고; R4는 1 내지 3개의 할로겐 또는 C1 -6 알콕시로 임의 치환된 C1 -10 알킬; 또는 C3 -7 시클로알킬 또는 C4 -10 알킬시클로알킬이고; R5는 H이고; X는 O 또는 NH이고; R'는 Het이다.
각 군에서의 치환기는 개별적으로 선택되거나, 본 발명에 따른 안정한 화합물을 제공하는 임의의 조합으로 합쳐질 수 있다. 또한, 각 군에서의 하나 이상의 치환기는 충분한 이용가능한 결합 부위가 존재한다면 코어 기에서 치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기 Ra 치환기, C1 -6 알콕시, C6 아릴 및 5 내지 7-원 모노시클릭 헤테로사이클 각각은 비시클릭 헤테로사이클 R'상에서 치환될 수 있다.
바람직한 측면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I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용매화물 또는 전구약물의 구조를 갖는다:
<화학식 II>
Figure pat00012
상기 식에서,
(a) R1은 C3 -7 시클로알킬이고;
(b) R2는 C1 -6 알킬, C2 -6 알케닐 또는 C3 -7 시클로알킬이고;
(c) R3은 C6 아릴, C1 -6 알콕시, 카르복시, 히드록시, 아릴옥시, C7 -14 알킬아릴옥시, C2 -6 알킬에스테르, C8 -15 알킬아릴에스테르로 임의 치환된 C1 -8 알킬; C3 - l2 알케닐, C3 -7 시클로알킬 또는 C4 -10 알킬시클로알킬이고;
(d) Y는 H이고;
(e) B는 H, C1 -6 알킬, R4-(C=O)-, R4O(C=O)-, R4-N(R5)-C(=O)-, R4-N(R5)-C(=S)-, R4SO2- 또는 R4-N(R5)-SO2-이고;
(f) R4는 (i) 페닐, 카르복실, C1 -6 알카노일, 1 내지 3개의 할로겐, 히드록시, C1 -6 알콕시로 임의 치환된 C1 -10 알킬; (ii) C3 -7 시클로알킬, C3 -7 시클로알콕시 또는 C4 -10 알킬시클로알킬; 또는 (iii) 각각 C1 -6 알킬, 할로겐으로 임의 치환된 C6 -10 아릴 또는 C7 -16 아릴알킬이고;
(g) R5는 H 또는 1 내지 3개의 할로겐으로 임의 치환된 C1 -6 알킬이고;
(h) X는 0 또는 NH이고;
(i) R'는 Het; 또는 Ra로 임의 치환된 C6 -10 아릴이고;
(j) Ra는 C1 -6 알킬, C3 -7 시클로알킬, C1 -6 알콕시, 할로-C1 -6 알킬, 할로, 아미노, C6 아릴 또는 5 내지 7-원 모노시클릭 헤테로사이클이며;
단, Xa-R'는 하기 화학식이 아니다:
Figure pat00013
.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측면에서, R'는 비시클릭 헤테로사이클이다. 바람직하게는, 비시클릭 헤테로사이클은 고리 내에 1 또는 2개의 질소 원자 및 임의로 황 원자 또는 산소 원자를 함유한다. 바람직하게는, 헤테로사이클은 C1 -6 알킬, C1 -6 알콕시, 할로, C6 아릴 및 5 내지 7-원 모노시클릭 헤테로사이클 중 하나 이상으로 치환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R'은 1개의 질소 원자를 함유하며 C6 아릴 및 5 내지 7-원 모노시클릭 헤테로사이클 중 하나 이상 및 메톡시로 치환된 비시클릭 헤테로사이클이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측면에서, R'은 모노시클릭 헤테로사이클이다. 바람직하게는, 헤테로사이클은 고리 내에 1 또는 2개의 질소 원자 및 임의로 황 원자 또는 산소 원자를 함유한다. 바람직하게는, 헤테로사이클은 C1 -6 알킬, C1 -6 알콕시, 할로, C6 -10 아릴, C7 -14 알킬아릴 및 5 내지 7-원 모노시클릭 헤테로사이클 중 하나 이상으로 치환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R'은 1 또는 2개의 질소 원자를 함유하며 C6 아릴 및 5 내지 7-원 모노시클릭 헤테로사이클 중 하나 이상 및 메톡시로 치환된 모노시클릭 헤테로사이클이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측면에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II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용매화물 또는 전구약물의 구조를 갖는다:
<화학식 III>
Figure pat00014
상기 식에서,
(a) R1은 C3 -7 시클로알킬이고;
(b) R2는 C2 -6 알케닐이고;
(c) R3은 C1 -8 알킬이고;
(d) Y는 H이고;
(e) B는 R4O(C=O)- 또는 R4-N(R5)-C(=O)-이고;
(f) R4는 C1 -10 알킬이고;
(g) R5는 H이고;
(h) R'는 Ra로 임의 치환된 비시클릭 헤테로사이클이고;
(i) Ra는 C1 -6 알킬, C1 -6 알콕시, 할로, C6 아릴 또는 5 내지 7-원 모노시클릭 헤테로사이클이며;
단, O-R'는 하기 화학식이 아니다:
Figure pat00015
.
바람직하게는, R1은 시클로프로필 또는 시클로부틸이고, R2는 비닐이고, R3은 t-부틸이고, R4는 t-부틸이고, R'는 Ra로 임의 치환된 퀴놀린 또는 이소퀴놀린이다. 바람직하게는, Ra는 C1 -6 알콕시, C6 아릴 및 5 내지 7-원 모노시클릭 헤테로사이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측면에서, R1은 시클로프로필이고, R2는 비닐이고, R3은 t-부틸이고, R4는 t-부틸이고, R'는 C6 아릴 또는 5 내지 7-원 모노시클릭 헤테로사이클 중 하나 이상 및 C1 -6 알콕시로 치환된 이소퀴놀린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그의 염기성 잔기 때문에 제약상 허용되는 산을 부가하여 염을 형성할 수 있다. 산 부가 염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염화수소산, 브롬화수소산, 요오드화수소산, 황산, 인산을 비롯한,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제약상 허용되는 무기 산 또는 p-톨루엔술폰산, 메탄술폰산, 아세트산, 벤조산, 시트르산, 말론산, 푸마르산, 말레산, 옥살산, 숙신산, 술팜산 또는 타르타르산과 같은 유기 산으로부터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제약상 허용되는 염의 예로는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요오다이드, 술페이트, 포스페이트, 메탄술포네이트, 시트레이트, 아세테이트, 말로네이트, 푸마레이트, 술파메이트 및 타르트레이트가 포함된다.
아민기의 염은 아미노 질소가 적합한 유기 기, 예를 들어 알킬, 알케닐, 알키닐 또는 아르알킬 잔기를 운반하는 4급 암모늄 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산성 기로 치환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염기 부가를 통해 형성된 염으로서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염기 부가 염에는 무기 염기로부터 유도된 것이 포함되며,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 염 (예를 들어 나트륨 및 칼륨), 알칼리성 토금속 염 (예를 들어 칼슘 및 마그네슘), 알루미늄 염 및 암모늄 염이 포함된다. 또한, 적합한 염기 부가 염에는 생리적으로 허용되는 유기 염기, 예를 들어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모르폴린, 피리딘, 피페리딘, 피콜린, 디시클로헥실아민, N,N'-디벤질에틸렌디아민, 2-히드록시에틸아민, 비스-(2-히드록시에틸)아민, 트리-(2-히드록시에틸)아민, 프로카인, 디벤질피페리딘, N-벤질-β-페네틸아민, 데히드로아비에틸아민, N,N'-비스히드로아비에틸아민, 글루카민, N-메틸클루카민, 콜리딘, 퀴닌, 퀴놀린, 에틸렌디아민, 오르니틴, 콜린, N,N'-벤질페네틸아민, 클로로프로카인, 디에탄올아민, 디에틸아민, 피페라진, 트리스(히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 및 테트라메틸암모늄 히드록시드 및 염기성 아미노산, 예를 들어 리신, 아르기닌 및 N-메틸글루타민의 염이 포함된다. 상기 염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특정한 본 발명의 화합물 및 그의 염은 또한 물과의 용매화물, 예를 들어 수화물 또는 메탄올, 에탄올 또는 아세토니트릴과 같은 유기 용매와의 용매화물의 형태로 존재하여 각각 메탄올레이트, 에탄올레이트 또는 아세토니트릴레이트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각각의 용매화물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 또는 용매화물은 다형성을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임의의 이러한 다형적 형태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2개 이상의 키랄 중심을 함유한다. 예를 들어,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의 P1 시클로프로필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at00016
상기 식에서, C1 및 C2는 각각 시클로프로필 고리의 1 및 2 위치에서의 비대칭 탄소 원자를 나타낸다. 화합물의 다른 구획에서 다른 가능한 비대칭 중심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상기 2개의 비대칭 중심의 존재는 화합물이 부분입체이성질체의 라세미체 혼합물로서, 예를 들면 하기에 나타낸 바와 같이 R2의 형상이 아미드에 대해서 syn이거나 카르보닐에 대해서 syn인 부분입체이성질체의 라세미체 혼합물로서 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Figure pat00017
본 발명은 거울이성질체, 및 라세미체 혼합물과 같은 거울이성질체의 혼합물을 둘다 포함한다.
거울이성질체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 예를 들어 결정화, 기체-액체 또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거울이성질체-특이적 시약에 의한 1가지 거울이성질체의 선택적 반응에 의해 분리할 수 있는 부분입체이성질체 염을 형성함으로써 분해될 수 있다. 원하는 거울이성질체 형태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원하는 거울이성질체를 분리 기술에 의해 다른 화학적 실체로 전환시킨 후, 부가 단계가 요구됨을 인식할 것이다. 별법으로, 특이적 거울이성질체는 광학적 활성 시약, 기질, 촉매 또는 용매를 이용하여 비대칭 합성으로 합성하거나, 비대칭 변형에 의해 한 거울이성질체를 다른 거울이성질체로 전환함으로써 합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전구약물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에서 산성 기 펜던트 (존재하는 경우)로부터 유도된 단순 지방족 또는 방향족 에스테르가 바람직한 전구약물이다. 몇몇 경우에, 이중 에스테르 유형 전구약물, 예를 들어 (아실옥시)알킬 에스테르 또는 (알콕시카르보닐)옥시)알킬 에스테르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정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분리될 수 있는 여러가지 안정한 형상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체 장애 또는 고리 긴장 때문에 비대칭 단일 결합 주위의 제한된 회전으로 인한 비틀림 비대칭은 상이한 형태이성질체의 분리를 허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의 각각의 형태 이성질체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특정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쯔비터이온 형태로 존재할 수 있고,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의 각각의 쯔비터이온 형태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해, HCV로 감염된 환자의 치료에 효과적일 수 있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개선된 약물을 제공하는 것이 이제는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예를 들어 NS4A 프로테아제와 배합하여 NS3 프로테아제의 기능화를 억제할 수 있는 펩티드 화합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합성하기에 유용한 출발 물질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고, 쉽게 제조될 수 있거나 시판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6,323,180호 및 미국 특허 출원 20020111313 A1을 참고한다. 하기 기재된 방법은 예시의 목적으로 제공되며, 청구된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통상적 보호기를 이용하여 관능기를 보호한 후, 보호기를 제거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제공하는 이러한 화합물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거나 필요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기의 사용에 관한 세부사항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예를 들어 하기 반응식 I (여기서, CPG는 카르복실 보호기이고, APG는 아미노 보호기임)에 예시된 바와 같은 일반적 방법에 따라 합성할 수 있다.
<반응식 I>
Figure pat00018
요약하자면, P1, P2, 및 P3은 공지된 펩티드 커플링 기술로 연결될 수 있다. P1, P2, 및 P3 기는 최종 화합물이 본 발명의 펩티드에 해당하는 한 임의의 순서로 함께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3이 P2-P1에 연결될 수 있거나, P1이 P3-P2이 연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펩티드는 N-말단 잔기의 α-아미노기를 탈보호하고,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펩티드 연결을 통해 적합하게 N-보호된 다음 아미노산의 비보호된 카르복실기를 커플링함으로써 신장된다. 원하는 서열을 수득할 때까지 상기 탈보호 및 커플링 절차를 반복한다. 상기 커플링은 반응식 I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적 방식으로 구성 아미노산으로 수행할 수 있다.
2개의 아미노산들, 아미노산 및 펩티드 또는 2개의 펩티드 단편들 사이의 커플링은 표준 커플링 절차, 예를 들어 아지드 방법, 혼합된 탄산-카르복실산 무수물 (이소부틸 클로로포르메이트) 방법, 카르보디이미드 (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디이소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또는 수용성 카르보디이미드) 방법, 활성 에스테르 (ρ-니트로페닐 에스테르, N-히드록시숙신산 이미도 에스테르) 방법, 우드워드(Woodward) 시약 K-방법, 카르보닐디이미다졸 방법, 인 시약 또는 산화-환원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방법 중 몇몇 (특히 카르보디이미드 방법)은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또는 4-DMAP를 첨가함으로써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커플링 반응은 용액 (액체 상) 또는 고체 상에서 수행할 수 있다.
더욱 명백하게는, 커플링 단계는 연결 아미드 결합을 형성하기 위해 커플링제의 존재하에 한 반응물의 유리 카르복실과 다른 반응물의 유리 아미노기를 탈수 커플링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커플링제의 기재는 펩티드 화학에 대한 일반 교과서, 예를 들어 문헌 [M. Bodanszky, "Peptide Chemistry", 2nd rev ed., Springer-Verlag, Berlin, Germany, (1993)]에서 발견된다. 적합한 커플링제의 예는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존재하의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또는 N-에틸-N'-[(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이다. 실제적이고 유용한 커플링제는 시판되는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디메틸아미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그 자체 또는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또는 4-DMAP 존재하의 그것이다. 다른 실제적이고 유용한 커플링제는 시판되는 2-(1H-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이다. 또다른 실제적이고 유용한 커플링제는 시판되는 O-(7-아자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이다. 커플링 반응은 비활성 용매, 예를 들어 디클로로메탄, 아세토니트릴 또는 디메틸포름아미드 중에서 수행한다. 과량의 3급 아민, 예를 들어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N-메틸모르폴린, N-메틸피롤리딘 또는 4-DMAP를 첨가하여 반응 혼합물의 pH를 약 8로 유지시킨다. 반응 온도는 보통 0℃ 내지 50℃의 범위이고, 반응 시간은 보통 15분 내지 24시간의 범위이다.
일반적으로 구성 아미노산의 관능기를 커플링 반응 동안 보호하여 원치않는 결합의 형성을 피해야 한다. 사용할 수 있는 보호기는, 예를 들어, 문헌 [Greene,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Chemistry", John Wiley & Sons, New York (1981)] 및 ["The Peptides: Analysis, Synthesis, Biology", Vol. 3, Academic Press, New York (1981)]에 나열되어 있고, 이의 기재내용은 본원에 참고로서 혼입된다.
성장하는 펩티드 쇄에 커플링될 각 아미노산의 α-아미노기는 보호되어야만 한다 (APG).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보호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기의 예로는 1) 아실기, 예를 들어 포르밀, 트리플루오로아세틸, 프탈릴 및 ρ-톨루엔술포닐; 2) 방향족 카르바메이트기, 예를 들어 벤질옥시카르보닐 (Cbz 또는 Z) 및 치환된 벤질옥시카르보닐, 및 9-플루오레닐메틸옥시카르보닐 (Fmoc); 3) 지방족 카르바메이트기, 예를 들어 tert-부틸옥시카르보닐 (Boc), 에톡시카르보닐, 디이소프로필메톡시카르보닐, 및 알릴옥시카르보닐; 4) 시클릭 알킬 카르바메이트기, 예를 들어 시클로펜틸옥시카르보닐 및 아다만틸옥시카르보닐; 5) 알킬기, 예를 들어 트리페닐메틸 및 벤질; 6) 트리알킬실릴, 예를 들어 트리메틸실릴; 및 7) 티올 함유 기, 예를 들어 페닐티오카르보닐 및 디티아숙시노일이 포함된다. 바람직한 α-아미노 보호기는 Boc 또는 Fmoc 중 하나이다. 펩티드 합성을 위해 적합하게 보호된 다수의 아미노산 유도체는 시판되고 있다. 새로 첨가된 아미노산 잔기의 α-아미노 보호기는 다음 아미노산의 커플링 전에 절단된다. Boc 기를 사용하는 경우, 선택되는 방법은 무용매 또는 디클로로메탄 중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또는 디옥산 또는 에틸 아세테이트 중의 HCl이다. 그 후, 생성된 암모늄 염을 커플링하기 전 또는 동일 계내에서, 염기성 용액, 예를 들어 수성 완충액 또는 디클로로메탄 또는 아세토니트릴 또는 디메틸포름아미드 중의 3급 아민으로 중화시킨다. Fmoc 기를 사용하는 경우, 선택되는 시약은 디메틸포름아미드 중의 피페리딘 또는 치환된 피페리딘이나, 임의의 2급 아민을 사용할 수 있다. 탈보호는 0℃ 내지 실온 (rt 또는 RT)에서, 보통은 20 내지 22℃의 온도에서 수행한다.
측쇄 관능성을 갖는 아미노산 중 임의의 것은 펩티드를 제조하는 동안 상기 기재된 임의의 기를 이용하여 보호해야 한다. 당업자는 상기 측쇄 관능성에 대한 적절한 보호기의 선택 및 사용이 아미노산 및 펩티드 중 다른 보호기의 존재에 따라 달라짐을 인식할 것이다. 이러한 보호기의 선택은 상기 보호기가 α-아미노기의 탈보호 및 커플링 동안 제거되어야만 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예를 들어, Boc를 α-아미노 보호기로서 사용하는 경우, 하기 측쇄 보호기가 적합하다: p-톨루엔술포닐 (토실) 잔기를 사용하여 Lys 및 Arg과 같은 아미노산의 아미노 측쇄를 보호할 수 있고; 아세트아미도메틸, 벤질 (Bn) 또는 tert-부틸술포닐 잔기를 이용하여 시스테인의 측쇄를 함유하는 술피드를 보호할 수 있고; 벤실 (Bn) 에테르를 이용하여 세린, 트레오닌 또는 히드록시프롤린의 측쇄를 함유하는 히드록시를 보호할 수 있으며; 벤질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아스파르트산 및 글루탐산의 측쇄를 함유하는 카르복시를 보호할 수 있다.
α-아민 보호를 위해 Fmoc를 선택하는 경우, 보통 tert-부틸 기재의 보호기가 허용된다. 예를 들면, 리신 및 아르기닌에 대해서는 Boc를, 세린, 트레오닌 및 히드록시프롤린에 대해서는 tert-부틸 에테르를, 아스파르트산 및 글루탐산에 대해서는 tert-부틸 에스테르를 사용할 수 있다. 트리페닐메틸 (트리틸) 잔기를 사용하여 시스테인의 측쇄를 함유하는 술피드를 보호할 수 있다.
일단 펩티드의 신장이 완료되면, 보호기 모두를 제거한다. 액체 상 합성을 이용하는 경우, 보호기의 선택에 대해 기재된 어떠한 방식으로든 보호기를 제거한다. 상기 절차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조에서 하기 지침을 따를 수 있다. 예를 들어, R4-C(O)-, R4-S(O)2인 화합물을 형성하기 위해, 보호된 P3 또는 전체 펩티드 또는 펩티드 단편을 시판되거나 합성법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적절한 아실 클로라이드 또는 술포닐 클로라이드와 각각 커플링시킨다. R40-C(O)-인 화합물을 제조하는 경우, 보호된 P3 또는 전체 펩티드 또는 펩티드 단편을 시판되거나 합성법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적절한 클로로포르메이트와 커플링시킨다. Boc-유도체의 경우 (Boc)2O를 사용한다.
예를 들면:
Figure pat00019
.
시클로펜탄올을 포스겐으로 처리하여 상응하는 클로로포르메이트를 공급한다.
클로로포르메이트를 트리에틸아민과 같은 염기의 존재하에 원하는 NH2-트리펩티드로 처리하여 시클로펜틸카르바메이트를 수득한다.
R4-N(R5)-C(O)- 또는 R4-NH-C(S)-인 화합물을 제조하는 경우, 보호된 P3 또는 전체 펩티드 또는 펩티드 단편을 문헌 [SynLett. Feb 1995; (2); 142-144]에 기재된 바와 같이 포스겐, 이어서 아민으로 처리하거나, 시판되는 이소시아네이트 및 트리에틸아민과 같은 적합한 염기와 반응시킨다.
R4-N(R5)-S(O2)인 화합물을 제조하는 경우, 보호된 P3 또는 전체 펩티드 또는 펩티드 단편을 특허 [Ger. Offen. (1998), 84 pp.], DE 19802350 또는 WO 98/32748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새로 제조된 또는 시판되는 술파밀 클로라이드, 이어서 아민으로 처리한다.
보통 C-말단 잔기의 α-카르복실기를 절단될 수 있는 에스테르 (CPG)로서 보호하여 카르복실산을 수득한다. 사용할 수 있는 보호기로는: 1) 알킬 에스테르, 예를 들어 메틸, 트리메틸실릴에틸 및 t-부틸, 2) 아르알킬 에스테르, 예를 들어 벤질 및 치환된 벤질 또는 3) 온화한 염기 처리 또는 온화한 환원 수단에 의해 절단될 수 있는 에스테르, 예를 들어 트리클로로에틸 및 펜아실 에스테르가 포함된다.
생성된 α-카르복실산 (온화한 산, 온화한 염기 처리 또는 온화한 환원 수단으로 인해 절단되어 생성됨)을 CDI 또는 EDAC와 같은 펩티드 커플링제의 존재하에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4-DMAP) 및(또는) 1,8-디아자비시클로[5.4.0]운데스-7-엔 (DBU)과 같은 염기의 존재하에 R1SO2NH2 [암모니아 포화 테트라히드로푸란 용액 중 R1SO2Cl로 처리하여 제조함]와 커플링시켜 P1' 잔기를 혼입시켜 트리펩티드 P1'-P1-P2-P3-APG를 효과적으로 회합시킨다. 전형적으로는 상기 방법에서 P1' 커플링제 1 내지 5 당량을 사용한다.
또한, P3 보호기 APG를 제거하고, 상기 기재된 방법에 의해 B 잔기로 대체하고, 절단하여 얻은 생성된 α-카르복실산 (온화한 산, 온화한 염기 처리 또는 온화한 환원 수단에 의한 절단으로 야기됨)을 CDI 또는 EDAC와 같은 펩티드 커플링제의 존재하에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4-DMAP) 및(또는) 1,8-디아자비시클로[5.4.0]운데스-7-엔 (DBU)과 같은 염기의 존재하에 R1SO2NH2 [암모니아 포화 테트라히드로푸란 용액 중 R1SO2Cl로 처리하거나 본원에 기재된 별법의 방법으로 제조함]와 커플링시켜 P1' 잔기를 혼입시켜 트리펩티드 P1'-P1-P2-P3-B를 제조한다. 전형적으로는 상기 방법에서 P1' 커플링제 1 내지 5 당량을 사용한다.
하기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 및 2001년 11월 20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0/001,850호 및 미국 특허 제6,323,180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방법을 비롯한 다수의 방법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미국 특허 제6,323,180호 및 미국 특허 출원 제10/001,850호의 교시내용은 그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서 혼입된다.
또한, 반응식 II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이 트리펩티드 카르복실산 중간체 (1)과 P1' 술폰아미드의 커플링으로 제조되는 일반적 방법을 나타낸다 (하기에 나타낸 바와 같은 기 R6, R7, R8, R9, R10, R11은 헤테로시클릭 시스템의 치환기를 나타냄을 주지해야 함). 상기 커플링 반응은 카르복실산 (1)을 THF와 같은 용매 중에서 카르보닐 디이미다졸과 같은 커플링 시약으로 처리할 것을 요구하며, 이를 환류 가열한 후, 형성된 (1)의 유도체를 DBU와 같은 염기의 존재하에 THF 또는 메틸렌 클로라이드와 같은 용매 중에서 P1' 술폰아미드로 첨가할 수 있다.
<반응식 II>
Figure pat00020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별법의 방법을 반응식 III에 나타낸다. 여기서, P1' 술폰아미드 요소를 반응식 I에서 사용한 방법을 이용하여 P1 요소와 커플링시킨다. 그 후, 생성된 P1-P1' 잔기를 그의 아미노 말단에서 탈보호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예에서 Boc 보호기를 사용하나, 당업자는 상기 방법에서 수많은 적합한 아미노 보호기를 사용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디클로로에탄과 같은 용매 중에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과 같은 산을 이용하여 상기 Boc 보호기를 제거하여, 탈보호된 아민을 TFA 염으로서 수득할 수 있다. 상기 TFA 아민 염은 그 후의 커플링 반응에 직접 사용할 수 있거나, 별법의 TFA 아민 염으로서 먼저 HCl 아민 염으로 전환시킬 수 있고, 상기 HCl 아민 염을 반응식 III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커플링 반응에 사용한다. 디클로로메탄과 같은 용매 중에서 HATU와 같은 커플링 시약을 이용하여, 상기 HCl 아민 염 (3)과 카르복실 말단 P4-P3-P2 중간체의 커플링을 달성하여 화학식 I의 화합물 (4)을 수득할 수 있다.
<반응식 III>
Figure pat00021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별법의 방법을 반응식 IV에 나타낸다. 여기서, P1-P1' 말단 아민 (1)의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을 디이소프로필 아민과 같은 염기의 존재하에 메틸렌 클로라이드와 같은 용매 중에서 PyBOP와 같은 커플링제를 이용하여 P2 요소의 유리 카르복실기와 커플링시킨다. 생성된 P2-P1-P1' 중간체는 2 단계 방법으로 화학식 I의 화합물로 전환될 수 있는데, 여기서 제1 단계는 메틸렌 클로라이드와 같은 용매 중에서 TFA와 같은 산을 이용한 P2 아민 말단의 탈보호이다. 생성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염을 디이소프로필 아민과 같은 염기의 존재하에 PyBop와 같은 표준 커플링제를 이용하고, 메틸렌 클로라이드와 같은 용매를 이용하여 P4-P3 요소의 카르복실 말단과 커플링시켜 화학식 I의 화합물 (4)를 수득할 수 있다.
<반응식 IV>
Figure pat00022
상기 반응식에 사용된 P4-P3-P2 중간체는 일반적인 반응식 V에 나타낸 상기 방법의 추가 기재로 이전에 기재한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P4-P3 중간체 (1)의 유리 카르복실 말단을 P2 요소의 아미노 말단과 커플링시켜 P4-P3-P2 디펩티드 (2)를 수득할 수 있다. P4-P3-P2 중간체의 카르복실 말단을 에스테르기의 비누화로 탈보호시켜 P4-P3-P2를 유리 카르복실산 (3)으로서 수득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3)과 같은 중간체를 화학식 I의 화합물로 전환시킬 수 있다.
<반응식 V>
Figure pat00023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또한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다른 화학식 I의 화합물로 전환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의 예는 P4 위치에 Boc 기를 보유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 (1)이 P4 위치에 우레아 기를 보유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 (3)으로 전환되는 반응식 VI에 나타낸다. (1)에서 (3)으로의 전환은 2 단계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는데, 이 중 제1 단계는 (1)을 메틸렌 클로라이드와 같은 용매 중에서 TFA와 같은 산으로 처리하여 (1)을 아민 (2)로 전환하는 것이다. 생성된 아민 TFA 염을 염기 1 당량의 존재하에 이소시아네이트로 처리하여 P3 잔기가 우레아로 캡핑된 화학식 I의 화합물 (3)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주지한 바와 같이, 당업자는 P3 기가 아미드 또는 술폰아미드 또는 티오우레아 또는 술파미드로 캡핑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를 위한 출발 물질로서 중간체 (2)를 사용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는 아민으로부터 상기 P4 관능성을 형성하기 위한 표준 조건을 이용하여 달성할 수 있다.
<반응식 VI>
Figure pat00024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에서, P1' 말단은 상기 요약되고 하기에 더욱 상세하게 기재된 일반적 방법 중 하나를 이용하여 분자로 혼입된다. 몇몇 예에서, P1' 요소, 즉 시클로알킬- 또는 알킬 술폰아미드는 시판되거나, 상응하는 알킬- 또는 시클로알킬-술포닐 클로라이드로부터 상기 술포닐 클로라이드를 암모니아로 처리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별법으로, 상기 술폰아미드는 반응식 VII에 약술된 일반적 방법을 이용하여 합성할 수 있다. 여기서, 시판되는 3-클로로-프로필술포닐 클로라이드 (1)을 예를 들어 tert-부틸 아민으로 처리함으로써 적합한 보호된 술폰아미드로 전환시킨다. 이어서, 수득된 술폰아미드 (2)를 저온에서 THF와 같은 용매 중에서 부틸 리튬과 같은 염기 2 당량으로 처리함으로써 상응하는 시클로알킬술폰아미드로 전환시킨다. 생성된 시클로알킬술폰아미드를 산으로 처리하여 탈보호시켜 원하는 비보호된 시클로알킬술포아미드를 수득할 수 있다.
<반응식 VII>
Figure pat00025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P1 요소는 몇몇 경우에 시판되나, 다르게는 본원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합성되고, 그 후 본원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화학식 I의 화합물로 혼입된다. 치환된 P1 시클로프로필아미노산은 반응식 VIII에 약술된 일반적 방법에 따라 합성할 수 있다.
시판되는 또는 쉽게 합성되는 이민 (1)을 염기의 존재하에 1,4-디할로부텐 (2)로 처리하여 생성되는 이민 (3)을 제조하고 수득한다. 이어서, 3을 산 가수분해하여 카르복실기에 대해서 syn인 알릴 치환기를 보유하는 4를 주 생성물로서 수득한다. 4의 아민 부위를 Boc 기를 이용하여 보호시켜 완전히 보호된 아미노산 5를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중간체는 효소적 방법으로 분해될 수 있는 라세미체이고, 여기서 5의 에스테르 잔기가 프로테아제로 절단되어 상응하는 카르복실산을 제공한다. 임의의 특정 이론에 구속됨이 없이, 상기 반응은 중간체 라세미체의 동적 분해에 대해 거울이성질체 중 하나가 그것의 거울상보다 더 큰 속도로 반응한다는 점에서 선택적이라고 여겨진다. 본원에 인용된 예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로의 일체화를 위해 더욱 바람직한 입체이성질체는 (1R,2S) 입체화학을 갖는 5a이다. 효소의 존재하에서 상기 거울이성질체는 에스테르 절단을 경험하지 않으므로, 상기 거울이성질체 5a는 반응 혼합물로부터 회수된다. 그러나, (1S,2R) 입체화학을 갖는 덜 바람직한 거울이성질체인 5b는 에스테르 절단, 즉, 가수분해를 경험하므로 유리 산 6을 제공한다. 상기 반응의 완료시, 에스테르 5a를 일상적인 방법, 예를 들어 수성 추출법 또는 크로마토그래피로 산 생성물 6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반응식 VIII>
Figure pat00026
P2 중간체 및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하기 반응식에 나타낸다. 다수의 경우에, 반응은 중간체의 오직 하나의 위치에 대해서만 도시함을 주지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반응을 이용하여 상기 중간체 내의 다른 위치로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더욱이, 특정 예에서 제시된 상기 중간체, 반응 조건 및 방법은 다른 치환 패턴을 갖는 화합물에 널리 적용될 수 있다. 본원의 실시예는 하기 약술된 일반적 반응식을 따른다. 예를 들면 이소퀴놀린 핵을 일반적 반응식인 반응식 IX의 일부로서 나타내지만, 상기 경로는 퀴놀린 또는 피리딘과 같은 이소퀴놀린 요소에 대한 대체로서 별법의 헤테로사이클 치환기의 제조를 위한 실행가능한 방법을 나타내는 것와 같이, 일반적 예 및 특이적 예는 모두 비제한적이다.
<반응식 IX>
Figure pat00027
반응식 IX는 N-보호된 C4-히드록시프롤린 잔기를 헤테로사이클과 커플링시켜 중간체 (4)를 형성하고, 그 후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펩티드 신장의 방법으로 상기 중간체 (4)를 화학식 I의 화합물로 변경시킴을 나타낸다. 제1 단계, 즉, C4-히드록시 프롤린 기와 헤테로아릴 요소의 커플링에서, 염기를 사용함을 주지해야 한다. 당업자는 상기 커플링을 DMF 또는 DMSO 또는 THF와 같은 용매 중에서 칼륨 tert-부톡시드 또는 수소화나트륨과 같은 염기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이소퀴놀린 고리계로의 이러한 커플링은 C1 위치 (이소퀴놀린 고리계에 대한 넘버링은 반응식 IX의 중간체 2에 나타냄)에서 발생하고, 상기 방법에서 치환되는 클로로 기에 의해 지시된다. 상기 위치에서 별법의 이탈기, 예를 들어 반응식에 나타낸 바와 같은 플루오로를 사용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 상기 플루오로 중간체 (3)은 본원에 기재된 문헌의 방법을 이용하여 상응하는 클로로 화합물로부터 이용가능하다. 또한, 주어진 고리계에서 이탈기 (클로로 또는 플루오로)의 위치는 이탈기 (이 예에서는 플루오로)가 중간체 (2)의 이소퀴놀린 고리계의 C6 위치에 존재하는 반응식 X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화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
<반응식 X>
Figure pat00028
추가로, 반응식 IX 및 반응식 X의 (2)와 같은 중간체에서 고리 헤테로원자(들)의 위치는 또한 본원에 기재된 용어 헤테로사이클로 정의된 바와 같이 변화가능함을 주지해야 한다. 반응식 X에서, 중간체 (2)를 C4 히드록시 프롤린 유도체와 커플링시켜 P2 요소 (3)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C6-치환된 이소퀴놀린 유도체를 본원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화학식 I의 화합물로 전환시킬 수 있다.
방향족 및 헤테로방향족으로의 C4-히드록시프롤린의 커플링에 대해 상기 기재된 방법과 다른 방법을 하기 반응식 XI의 단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미쯔노부 반응으로 제시한다.
<반응식 XI>
Figure pat00029
상기 일반적 반응 반응식에서, C4-히드록시 프롤린 유도체를 퀴나졸린 고리계로 커플링시킨다. 상기 반응은 THF 또는 디옥산과 같은 비양성자성 용매 중에서 트리페닐포스핀 및 DEAD (디에틸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와 같은 시약을 사용하며, 상기 반응은 아릴 및 헤테로아릴 에테르의 형성을 위해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커플링 반응의 과정에서, C4-히드록시프롤린 유도체에서의 C4 키랄 중심의 입체화학은 역전되므로, C4 위치에서 (S) 입체화학을 갖는 C4-히드록시프롤린 유도체를 출발 물질로서 사용하는 것이 필요함을 주지한다 (반응식 XI에 나타낸 바와 같음). 미쯔노부 반응의 수많은 변법 및 개선법이 문헌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의 교시내용은 본원에 혼입됨을 주지해야 한다.
본원의 실시예의 소집합에서는, 이소퀴놀린을 최종 화합물로, 구체적으로는 상기 화합물의 P2 영역으로 혼입시킨다. 당업자는 이소퀴놀린의 합성을 위해 수많은 일반적인 방법들을 이용할 수 있을 인식할 것이다. 더욱이,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상기 이소퀴놀린은 본원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화학식 I의 최종 화합물로 쉽게 혼입시킬 수 있다. 이소퀴놀린의 합성에 대한 1가지 일반적 방법을 반응식 XII에 나타내며, 여기서 구조 (2)로서 일반적 형태로 나타낸 신남산 유도체는 4 단계 방법으로 1-클로로이소퀴놀린으로 전환된다.
<반응식 XII>
Figure pat00030
상기 클로로이소퀴놀린은 그 후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C4-히드록시프롤린 유도체로의 커플링 반응에 사용할 수 있다. 신남산의 클로로퀴놀린으로의 전환은 염기의 존재하에 신남산을 알킬클로로포르메이트로 처리함으로써 시작된다. 이어서, 반응식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생성된 무수물을 아지드화나트륨으로 처리하여 아실아지드 (3)을 형성한다. 카르복실산으로부터 아실아지드의 형성에 대해 별법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상기 카르복실산을 염기의 존재하에 메틸렌 클로라이드와 같은 비양성자성 용매 중에서 디페닐포스포릴아지드 (DPPA)로 처리할 수 있다. 반응 순서의 다음 단계에서는, 반응식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실아지드 (3)을 상응하는 이소퀴놀론 (4)로 전환시킨다. 상기 경우에, 아실아지드를 디페닐메탄과 같은 고비점 용매 중에서 대략 190℃의 온도로 가열한다. 상기 반응은 일반적이며, 상응하는 신남산 유도체로부터 치환된 이소퀴놀론을 보통 내지 우수한 수율로 수득한다. 상기 신남산 유도체는 시판되거나, 말론산 또는 그의 유도체와의 직접적 축합으로, 또한 위티그 반응을 이용하여 상응하는 벤즈알데히드 (1) 유도체로부터 수득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 반응식 XII의 중간체 이소퀴놀론 (4)을 옥시염화인으로 처리함으로써 상응하는 1-클로로이소퀴놀린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상기 반응은 일반적이며, 이소퀴놀론, 퀴놀론 또는 본원에 나타낸 바와 같은 추가의 헤테로사이클 중 임의의 것에 적용시켜, 히드록시가 상기 헤테로시클릭 고리계 중의 질소 원자와 접합되어 있는 경우, 히드록시 치환기를 상응하는 클로로 화합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소퀴놀린 고리계의 합성에 대한 별법의 방법은 포머란쯔-프릿취(Pomeranz-Fritsh) 방법이다. 상기 일반적 방법을 반응식 XIII에 약술한다. 상기 방법은 벤즈알데히드 유도체 (1)의 관능화된 이민 (2)으로의 전환으로 시작된다. 이어서, 상기 이민을 승온에서 산으로 처리하여 이소퀴놀린 고리계로 전환시킨다.
<반응식 XIII>
Figure pat00031
이러한 반응식 XIII의 이소퀴놀린 합성은 일반적이며, 상기 방법은 C8 위치에서 치환된 이소퀴놀린 중간체를 수득하는 데에 특히 유용함을 주지해야 한다 (반응식 XIII의 중간체 (3)에서, 이소퀴놀린 고리의 C8 위치는 치환기 R11로 치환됨을 주지함). 중간체 이소퀴놀린 (3)은 나타낸 바와 같은 2 단계 방법으로 상응하는 1-클로로퀴놀린 (5)로 전환시킬 수 있다. 상기 순서의 제1 단계는 디클로로메탄과 같은 비양성자성 용매 중에서 이소퀴놀린 (3)을 메타-클로로퍼벤조산으로 처리함으로써 이소퀴놀린 N-옥시드 (4)를 형성하는 것이다. 중간체 (4)를 환류 클로로포름 중에서 옥시염화인으로 처리하여 상응하는 1-클로로퀴놀린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상기 2 단계 방법은 일반적이며, 각각 상응하는 이소퀴놀린 및 퀴놀린으로부터 클로로이소퀴놀린 및 클로로퀴놀린을 수득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음을 주지한다.
이소퀴놀린 고리계의 합성을 위한 다른 방법을 반응식 XIV에 나타낸다. 상기 방법에서 오르토-알킬벤즈아미드 유도체 (1)를 저온에서 THF와 같은 용매 중에서 tert-부틸 리튬과 같은 강염기로 처리한다.
<반응식 XIV>
Figure pat00032
이어서, 상기 반응 혼합물에 니트릴 유도체를 첨가하는데, 이는 (1)의 탈양성자화로 유도된 음이온과 첨가 반응을 경험하여 (2)의 형성을 야기한다. 상기 반응은 일반적이며, 치환된 이소퀴놀린의 형성을 위해 이용할 수 있다. 반응식 XIV의 중간체 (2)를 본원에 기재된 방법으로 상응하는 1-클로로퀴놀린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소퀴놀린의 합성을 위한 부가적인 방법을 반응식 XV에 나타낸다. tert-부틸 리튬을 이용한 중간체 (1)의 탈양성자화를 하기 기재한다. 그러나, 본 방법에서 상기 중간체 음이온은 에스테르에 의해 트랩핑되어 하기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체 (2)의 형성을 야기한다. 그 후의 반응에서, 케톤 (2)를 승온에서 암모늄 아세테이트와 축합시켜 퀴놀론 (3)을 형성한다. 상기 반응은 일반적이며, 나중에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상응하는 1-클로로이소퀴놀린으로 전환될 수 있는 치환된 이소퀴놀론의 제조에 적용할 수 있다.
<반응식 XV>
Figure pat00033
이소퀴놀린의 제조를 위한 다른 부가적인 방법이 반응식 XVI에서 발견된다. 상기 방법의 제1 단계에서, (1)과 같은 오르토-알킬아릴이민 유도체를 탈양성자화 조건 (sec-부틸 리튬, THF)에 적용시키고, 웨인레브(Weinreb) 아미드와 같은 활성화된 카르복실산 유도체의 첨가로 생성된 음이온을 켄칭시킨다.
<반응식 XVI>
Figure pat00034
생성된 케토 이민 (2)를 승온에서의 암모늄 아세테이트와의 축합으로 상응하는 이소퀴놀린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일반적이며, 치환된 이소퀴놀린의 합성에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이소퀴놀린은 본원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상응하는 1-클로로퀴놀린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되고 화학식 I의 화합물로 혼입되는 헤테로사이클은 추가로 관능화시킬 수 있다. 상기 관능기를 화학식 I의 화합물로 혼입하기 전에 또는 후에 상기 헤테로사이클의 부가적인 관능화를 수행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하기 반응식은 이러한 지점을 예시한다. 예를 들어 반응식 XVII은 (1) (1 당량)을 실온에서 알콕시드가 유도되는 알콜 용매 중에서 나트륨 또는 칼륨 알콕시드 종으로 처리함으로써 1-클로로-6-플루오로-이소퀴놀린이 상응하는 1-클로로-6-알콕시-이소퀴놀린 종으로 전환됨을 나타낸다.
<반응식 XVII>
Figure pat00035
몇몇 경우에, 반응물을 가열하여 반응의 완료를 유발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클로로퀴놀린을 화학식 I의 화합물로 혼입시킬 수 있다. 또한, 반응식 VXII (2 당량)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학식 I의 화합물로 혼입시킨 후에 P2 헤테로시클릭 요소의 개질을 수행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화합물, 예를 들어 프탈라진 핵에 이탈기를 함유하는 (2 당량) 중의 (1)을 알콕시드가 유도되는 상응하는 알콜과 같은 용매 중에서 알콕시드와 같은 친핵체로 치환시킬 수 있다. 상기 반응 스캔은 실온에서 수행할 수 있으나, 몇몇 경우에는 반응물을 가열하여 반응의 완료를 유발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반응식 XVIII은 팔라듐 매개화된 커플링 반응을 이용함으로써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은 헤테로사이클을 개질시키기 위한 일반적인 예를 제공한다. 상기 고리가 예를 들어 반응식에 나타낸 바와 같은 클로라이드로 적합하게 활성화되거나 관능화된다면, 상기 커플링을 이용하여 고리계의 각 위치에서 헤테로사이클을 관능화할 수 있다. 상기 순서는 1-클로로이소퀴놀린 (1)과 함께 시작되고, 이때 메타클로로퍼벤조산으로 처리하여 상응하는 N-옥시드 (2)로 전환시킬 수 있다. 상기 중간체 (2)를 환류 클로로포름 중에서 옥시염화인으로 처리하여 상응하는 1,3-디클로로이소퀴놀린 (3)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반응식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체 (3)을 본원에 기재된 방법으로 N-Boc-4-히드록시프롤린과 커플링시켜 중간체 (5)를 수득할 수 있다. 중간체 (5)를 팔라듐 시약 및 염기의 존재하에, THF 또는 톨루엔 또는 DMF와 같은 용매 중에서 아릴 보론산과 스즈끼 커플링시켜 C3-아릴이소퀴놀린 중간체 (6)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헤테로아릴보론산을 상기 Pd 매개된 커플링 방법에 사용하여 C3-헤테로아릴이소퀴놀린을 수득할 수 있다. 중간체 (6)을 본원에 기재된 방법으로 화학식 I의 최종 화합물로 전환시킬 수 있다.
<반응식 XVIII>
Figure pat00036
헤테로아릴 시스템과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요소의 팔라듐 매개된 커플링은 또한 반응식 IXX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에서의 나중 합성 단계에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트리펩티드 아실술폰아미드 중간체 (1)을 헤테로아릴할로 부위의 알콕시드 치환에 대해 상기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1-클로로-3-브로모가소퀴놀린 (2)와 커플링시켜 중간체 (3)을 수득한다. (1) 및 (2)의 커플링은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란타늄 클로라이드와 같은 촉매의 존재하에 가장 효율적이다. 스즈끼 커플링 (방법 1: DMF와 같은 용매 중 탄산세슘과 같은 염기 및 팔라듐 테트라(트리페닐포스핀)과 같은 팔라듐 촉매의 존재하에 헤테로아릴 또는 아릴 보론산에 (3)을 적용시킴) 또는 스틸(Stille) 커플링 (방법 2: 톨루엔과 같은 용매 중 팔라듐 테트라(트리페닐포스핀)과 같은 팔라듐 촉매의 존재하에 헤테로아릴 또는 아릴 주석 유도체에 (3)을 적용시킴) 중 하나를 이용하여 중간체 (3)의 이소퀴놀린 고리계를 추가로 관능화시킬 수 있다.
<반응식 IXX>
Figure pat00037
또한, 팔라듐 반응을 이용하여 C4-아미노 프롤린 요소와 관능화된 헤테로사이클을 커플링시킬 수 있다. 반응식 XX는 톨루엔과 같은 용매 중에서 팔라듐 촉매 및 염기의 존재하에 관능화된 이소퀴놀린과 중간체 (1)의 커플링을 나타낸다. 본원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3)과 같은 중간체를 화학식 I의 화합물로 전환시킬 수 있다.
<반응식 XX>
Figure pat00038
[4+2] 고리화부가 반응을 이용하여 관능화된 이소퀴놀린 고리계를 제조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면, 벤진 전구체 (2)와의 고리화부가 반응에서 비닐 이소시아네이트 (1)을 사용하여 관능화된 이소퀴놀론 (3)을 수득한다 (반응식 XXI). 상기 이소퀴놀린을 본원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화학식 I의 화합물로 혼입시킬 수 있다.
<반응식 XXI>
Figure pat00039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용매화물 또는 전구약물, 및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은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용매화물 또는 전구약물의 치료적 유효량, 및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예를 들어 부형제 또는 비히클 희석제를 포함한다.
활성 성분, 즉, 화합물은 이러한 조성물 내에서 전형적으로 조성물의 0.1 중량% 내지 99.9 중량%로 포함되고, 종종 약 5 내지 95 중량%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은 경구로, 비경구로 또는 이식된 저장소를 통해 투여할 수 있다. 경구 투여 또는 주사에 의한 투여가 바람직하다. 몇몇 경우에, 제형의 pH를 제약상 허용되는 산, 염기 또는 완충액으로 조정하여 제형화된 화합물 또는 그의 전달 형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비경구는 피하, 피내, 정맥내, 근육내, 관절내, 활액내(intrasynovial), 복장내(intrasternal), 경막내 및 병변내 주사 또는 주입 기술을 포함한다.
제약 조성물은 예를 들어 멸균 주사용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으로서 멸균 주사용 제제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현탁액은 당업계에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적합한 분산제 또는 습윤제 및 현탁화제를 이용하여 제형화할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의 제조에 관한 세부사항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을 경구로 투여하는 경우, 이는 캡슐제, 정제 및 수성 현탁액 및 용액을 비롯한,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경구 허용되는 투여량 형태로 투여할 수 있다. 경구 사용을 위한 정제의 경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로는 락토스 및 옥수수 전분이 포함된다. 또한, 전형적으로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윤활제를 첨가한다. 캡슐제 형태로 경구 투여하는 경우, 유용한 희석제로는 락토스 및 건조된 옥수수 전분이 포함된다. 수성 현탁액을 경구로 투여하는 경우, 활성 성분을 유화제 및 현탁화제와 합한다. 원한다면, 특정 감미제 및(또는) 향미제 및(또는) 착색제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 기재된 조성물을 위한 다른 적합한 담체는 표준 제약 교과서, 예를 들어 문헌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 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enn., 1995]에서 발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의 적합한 전달 형태의 고안 및 제조에 관한 추가의 세부사항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HCV 매개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단일요법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1일 당 체중 1 kg 당 약 0.01 내지 약 1000 mg ("mg/kg")의 투여량 수준, 바람직하게는 1일 당 체중 1 kg 당 약 0.5 내지 약 250 mg이 전형적이다. 전형적으로는,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을 1일 약 1 내지 약 5회 또는 별법으로 연속 주입으로서 투여할 것이다. 이러한 투여는 만성 또는 급성 치료법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단일 투여량 형태를 제조하기 위해 담체 물질과 합해질 수 있는 활성 성분의 양은 치료되는 주체 및 특정한 투여 방식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당업자가 인식할 것과 같이, 상기 언급한 양보다 더 낮거나 높은 투여량이 요구될 수 있다. 임의의 특정 환자에 대한 구체적인 투여량 및 치료 섭생은 사용되는 구체적인 화합물의 활성, 연령, 체중, 일반적인 건강 상태, 성, 식이, 투여 시간, 배출율, 약물 배합, 감염의 중증도 및 과정, 환자의 감염 소인 및 치료하는 의사의 판단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에 의존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료는 펩티드 적정량보다 실질적으로 적은 소량으로 시작한다. 그 후, 그 상황하에서의 최적 효과에 도달할 때까지 투여량을 조금씩 증가시킨다. 일반적으로,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어떠한 해롭거나 유독한 부작용을 야기하지 않으면서 항바이러스 효과 결과를 얻게 될 농도 수준으로 투여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본 발명의 화합물 및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치료제 또는 예방제와의 배합물을 포함하는 경우, 화합물 및 부가 작용제 모두 보통 단일요법 섭생에서 정상적으로 투여되는 투여량의 약 10 내지 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80%의 투여량 수준으로 존재한다.
상기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용매화물 또는 전구약물을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제형화하는 경우, 생성된 조성물을 인간과 같은 포유동물에 생체내 투여하여 HCV NS3 프로테아제를 억제하거나 HCV 바이러스 감염을 치료 또는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치료는 면역조절제, 예를 들어 인터페론; 다른 항바이러스제, 예를 들어 리바비린, 아만타딘; 다른 HCV NS3 프로테아제 억제제; HCV 생 주기 내 다른 표적의 억제제, 예를 들어 헬리카제, 폴리머라제, 메탈로프로테아제 또는 내부 리보솜 진입 부위; 또는 이들의 조합을 비롯한,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작용제와 본 발명의 화합물을 공동으로 사용하여 달성할 수 있다. 부가 작용제를 본 발명의 화합물과 합하여 단일 투여량 형태를 생성할 수 있다. 별법으로, 상기 부가 작용제를 다수의 투여량 형태의 일부로서 포유동물에 별도로 투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치환기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을 투여함으로써 환자에서 HVC NS3 프로테아제 활성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방법은 환자에서 HCV NS3 프로테아제 활성을 감소시키는 데에 유용하다. 제약 조성물이 활성 성분으로서 본 발명의 화합물만을 포함하는 경우, 이러한 방법은 면역조절제, 항바이러스제, HCV 프로테아제 억제제 또는 HCV 생 주기내의 다른 표적 억제제, 예를 들어 헬리카제, 폴리머라제 또는 메탈로프로테아제로부터 선택된 작용제를 상기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부가 작용제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투여하기 전, 투여와 동시에 또는 투여한 후에 환자에게 투여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측면에서, 상기 방법은 환자에서 바이러스 복제를 억제하기 위해 유용하다. 이러한 방법은 HCV 질환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데에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을 실험실용 시약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화합물은 바이러스 복제 분석의 고안, 동물 분석 시스템의 확인 및 구조 생물학 연구를 위한 조사 도구를 제공하는 것에 도움이 되므로 HCV 질환 메커니즘의 지식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물질의 바이러스 오염을 치료하거나 예방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물질, 예를 들어 혈액, 조직, 수술 도구 및 의복, 실험실용 도구 및 의복, 및 혈액 수집물 또는 수혈 기구 및 물질과 접촉하게 되는 실험실의 또는 의료업의 개인 또는 환자의 바이러스 감염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 실시예 >
하기의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합성을 예시하며, 본 발명의 분야 또는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파악해서는 안된다. 방법들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변형법에 적용될 수 있으나, 이를 구체적으로 개시하지 않는다. 추가로, 다소 상이한 방식으로 동일한 화합물을 제조하는 변형법은 또한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용액 백분율은 달리 기술하지 않는 한 중량 대 부피 관계로 표현하고, 용액 비는 부피 대 부피 관계로 표현한다. 핵 자기 공명 (NMR) 스펙트럼은 브루커(Bruker) 300, 400 또는 500 MHz 분광계로 기록하였고; 화학적 이동 (δ)을 백만분의 일로 보고한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는 스틸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기술 [W. C. Still et al., J. Org. Chem., (1978), 43, 2923]에 따라 실리카겔 (SiO2)상에서 수행하였다.
모든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LC) 데이타는 SPD-lOAV UV-Vis 검출기를 이용하여 시마쯔(Shimadzu) LC-10AS 액체 크로마토그래프로 기록하였고, 질량 분석기 (MS) 데이타는 전자분무 방식 (ES+)으로 LC에 대한 마이크로매스 플랫폼(Micromass Platform)으로 결정하였다.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하기 실시예에서의 각 화합물은 하기 조건을 갖는 7가지 방법 중 하나를 이용하여 LC/MS로 분석하였다.
컬럼: (방법 A) - YMC ODS S7 C18 3.0 x 50 mm
(방법 B) - YMC ODS-A S7 C18 3.0 x 50 mm
(방법 C) - YMC S7 C18 3.0 x 50 mm
(방법 D) - YMC 엑스테라(Xterra) ODS S7 3.0 x 50 mm
(방법 E) - YMC 엑스테라 ODS S7 3.0 x 50 mm
(방법 F) - YMC ODS-A S7 C18 3.0 x 50 mm
(방법 G) - YMC C18 S5 4.6 x 50 mm]
구배: 100% 용매 A/0% 용매 B 내지 0% 용매 A/100% 용매 B
구배 시간: 2분 (A, B, D, F, G); 8분 (C, E)
유지 시간: 1분 (A, B, D, F, G); 2분 (C, E)
유속: 5 ㎖/분
검출기 파장: 220 nm
용매 A: 10% MeOH/90% H2O/0.1% TFA
용매 B: 10% H2O/90% MeOH/0.1% TFA.
특히 후술하는 예를 비롯하여 본 출원에 사용된 약어들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사용된 약어 중 몇몇은 하기와 같다:
rt 실온
Boc tert-부틸옥시카르보닐
DMSO 디메틸술폭시드
EtOAc 에틸 아세테이트
t-BuOK 칼륨 t-부톡시드
Et2O 디에틸 에테르
TBME tert-부틸메틸 에테르
THF 테트라히드로푸란
CDI 카르보닐디이미다졸
DBU 1,8-디아자비시클로[5.4.0]운데스-7-엔
TFA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NMM N-메틸모르폴린
HATU 0-7-아자벤조트리아졸-1-일
HBTU O-(1H-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HOBT N-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PyBrop 브로모-비스-피롤리딘-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DMF 디메틸포름아미드
MeOH 메탄올
EDTA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HRMS 고분해능 질량 분석기
DMAP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DIPEA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DCM 디클로로메탄
DCE 디클로로에탄
하기 실시예에 기재된 본 발명의 화합물 및 화학적 중간체는 하기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하기 예시 단락을 단락별로 표시하였음을 주지해야 한다. 상기 단락들의 제목은 단락 A 내지 K이다. 실시예 번호 및 화합물 번호는 본 출원의 전체 실시예 부분에서 전반적으로 연결되지 않으므로, 각 단락은 넘버링에서 "중단"을 표시하고 있다. 각 단락 내의 넘버링은 일반적으로 연결된다. 단락 L은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을 기재한다. 단락 M은 본원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는 추가의 화합물의 소집합을 기재한다.
단락 A:
중간체의 제조:
P1 중간체의 제조:
본 단락에 기재한 P1 중간체를 사용하여 본원에 기재된 방법으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었다.
I. P1 요소:
1. 라세미체 (1R,2S)/(1S,2R)-1-아미노-2- 비닐시클로프로판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의 제조
Figure pat00040
방법 A
단계 1
Figure pat00041
글리신 에틸 에스테르 히드로클로라이드 (303.8 g, 2.16 mol)를 tert-부틸메틸 에테르 (1.6 L) 중에 현탁시켰다. 벤즈알데히드 (231 g, 2.16 mol) 및 무수 황산나트륨 (154.6 g, 1.09 mol)을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빙수 조를 이용하여 0℃로 냉각시켰다. 트리에틸아민 (455 ㎖, 3.26 mol)을 30분에 걸쳐 적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48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이어서, 빙냉수 (1 L)의 첨가로 상기 반응물을 켄칭하고, 유기 층을 분리하였다. 수성 상을 tert-부틸메틸 에테르 (0.5 L)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 상을 포화 수성 NaHCO3 (1 L) 및 염수 (1 L)의 혼합물로 세척하였다. 상기 용액을 MgSO4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 농축하여 N-벤질 이민 생성물 392.4 g을 진한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고, 이를 다음 단계에 직접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42
단계 2
Figure pat00043
건조 톨루엔 (1.2 L) 중 리튬 tert-부톡시드 (84.06 g, 1.05 mol)의 현탁액에, 건조 톨루엔 (0.6 L) 중 글리신 에틸 에스테르의 N-벤질 이민 (100.4 g, 0.526 mol) 및 트랜스-1,4-디브로모-2-부텐 (107.0 g, 0.500 mol)의 혼합물을 60분에 걸쳐 적가하였다. 첨가를 완료한 후, 짙은 적색 혼합물을 물 (1 L) 및 tert-부틸메틸 에테르 (TBME, 1 L)의 첨가로 켄칭하였다. 수성 상을 분리하고, TBME (1 L)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합하고, 1 N HCl (1 L)을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 상을 분리하고 물 (0.8 L)로 추출하였다. 이어서, 수성 상을 합하고, 염 (700 g)으로 포화시키고, TBME (1 L)를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0℃로 냉각시켰다. 이어서, 10 N NaOH를 적가하여 교반된 혼합물을 pH = 14로 염기성화하고, 유기 층을 분리하고, 수성 상을 TBME (2 ×500 ㎖)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건조 (MgSO4)시키고 부피 1 L로 농축시켰다. 상기 유리 아민 용액에 BOC2O 또는 디-tert-부틸디카르보네이트 (131.0 g, 0.6 mol)를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4일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추가의 디-tert-부틸디카르보네이트 (50 g, 0.23 mol)를 반응물에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3시간 동안 환류시킨 후, 실온으로 밤새 냉각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MgSO4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 농축하여 조 물질 80 g을 수득하였다. 상기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SiO2 2.5 Kg, 1% 내지 2% MeOH/CH2Cl2로 용출시킴)로 정제하여 라세미체 N-Boc-(1R,2S)/(1S,2R)-1-아미노-2-비닐시클로프로판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57 g (53%)을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고, 이를 냉장고에 두어 고화시켰다:
Figure pat00044
단계 3: 라세미체 (1R,2S)/(1S,2R) 1-아미노-2-비닐시클로프로판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히드로클로라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45
N-Boc-(1R,2S)/(1S,2R)-1-아미노-2-비닐시클로프로판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9.39 g, 36.8 mmol)를 4 N HCl/디옥산 (90 ml, 360 mmol)에 용해시키고, 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을 농축시켜 (1R,2S)/(1S,2R)-1-아미노-2-비닐시클로프로판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정량적 수율 (7 g, 100%)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046
라세미체 N- Boc -1-아미노-2- 비닐시클로프로판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드로클로라이드의 제조를 위한 별법의 경로
Figure pat00047
-78℃에서 THF (450 ㎖) 중 칼륨 tert-부톡시드 (11.55 g, 102.9 mmol)의 용액에 THF (112 ㎖) 중 시판되는 글리신 에틸 에스테르의 N,N-디벤질 이민 (25.0 g, 93.53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로 가온하고, 40분 동안 교반한 후, -78℃로 다시 냉각시켰다. 상기 용액에 트랜스-1,4-디브로모-2-부텐 (20.0 g, 93.50 mmol)을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1시간 동안 0℃에서 교반하고, -78℃로 다시 냉각시켰다. 칼륨 tert-부톡시드 (11.55 g, 102.9 mmol)를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즉시 0℃로 가온하고, 1시간 더 교반한 후,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조 생성물을 Et2O (530 ㎖)에 취하고, 1 N HCl 수용액 (106 ㎖, 106 mmol)을 첨가하고, 생성된 이상(biphasic) 혼합물을 3.5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수성 층을 Et2O (2 ×)로 세척하고, NaHCO3 포화 수용액으로 염기성화하였다. 원하는 아민을 Et2O (3 ×)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 (MgSO4)시키고 진공하에 농축시켜 유리 아민을 수득하였다. 상기 물질을 디옥산 중 4 N HCl 용액 (100 ㎖, 400 mmol)으로 처리하고 농축시켜, 소량의 미확인된 방향족 불순물 (8%)이 존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절차 A로부터 수득한 물질과 동일한 (1R,2S)/(1S,2R)-1-아미노-2-비닐시클로프로판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히드로클로라이드를 갈색의 반고체 (5.3 g, 34%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N- Boc -(1R,2S)/(1S,2R)-1-아미노-2- 비닐시클로프로판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의 분해
Figure pat00048
분해 A
300 rpm로 교반되고 39℃에서 유지된 12 L 잭(jacked) 반응기에 놓아 둔 나트륨 포스페이트 완충액 (0.1 M, 4.25 L), pH 8)의 수용액에 알칼라제(Acalase) 2.4L (약 425 ㎖) (노보자임스 노쓰 아메리카 인크.(Novozymes North America Inc.)) 511 g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의 온도가 39℃에 도달했을 때, 물 중 50% NaOH를 첨가하여 pH를 8.0으로 조정하였다. 이어서, DMSO 850 ㎖ 중 라세미체 N-Boc-(1R,2S)/(1S,2R)-1-아미노-2-비닐시클로프로판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85 g)의 용액을 40분의 기간에 걸쳐 첨가한 후, 반응 온도를 40℃에서 24.5시간 동안 유지하고, 이 시간 중에 1.5시 및 19.5시의 시점에서 물 중 50% NaOH를 이용하여 상기 혼합물의 pH를 8.0으로 조정하였다. 24.5시간 후, 에스테르의 거울이성질체-과잉(enantio-excess)은 97.2%인 것으로 측정되었고, 반응물을 실온 (26℃)으로 냉각시키고 밤새 (16시간) 교반한 후에, 에스테르의 거울이성질체-과잉은 100%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어서, 50% NaOH로 반응 혼합물의 pH를 8.5로 조정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MTBE (2 ×2 L)로 추출하였다. 이어서, 합한 MTBE 추출물을 5% NaHCO3 (3 x 100 ㎖), 물 (3 x 100 ㎖)로 세척하고, 진공하에 증발시켜 거울이성질체적으로 순수한 N-Boc-(1R,2S)/-1-아미노-2-비닐시클로프로판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를 밝은 황색 고체 (42.55 g; 순도: 97% @ 210 nm, 산을 함유하지 않음; 100% 거울이성질체 과잉 ("ee"))으로서 수득하였다.
이어서, 상기 추출법으로 얻은 수성 층을 50% H2SO4로 pH 2로 산성화하고, MTBE (2 ×2 L)로 추출하였다. MTBE 추출물을 물 (3 x 100 ㎖)로 세척하고 증발시켜 산을 밝은 황색 고체 (42.74 g; 순도: 99% @ 210 nm, 에스테르를 함유하지 않음)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049
Figure pat00050
Figure pat00051
분해 B
24 웰 플레이트 (용량: 10 ml/웰)의 웰 중의 100 mM HepsㆍNa 완충액 (pH 8.5) 0.5 ㎖에, 사비나제(Savinase) 16.0L (바실러스 클라우시(Bacillus clausii)로부터 얻은 프로테아제) (노보자임스 노쓰 아메리카 인크.) 0.1 ㎖ 및 DMSO 0.1 ㎖ 중 라세미체 N-Boc-(1R,2S)/(1S,2R)-1-아미노-2-비닐시클로프로판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10 mg)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를 밀봉하고, 40℃에서 250 rpm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18시간 후, 하기와 같이 에스테르의 거울이성질체-과잉이 44.3%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반응 혼합물 0.1 ㎖를 제거하고, 에탄올 1 ㎖와 혼합하고; 원심분리 후, 상청액 10 ㎕를 키랄 HPLC로 분석하였다. 남아있는 반응 혼합물에 DMSO 0.1 ㎖를 첨가하고, 플레이트를 40℃에서 250 rpm에서 추가의 3일 동안 인큐베이션하고, 그 후 에탄올 4 ㎖를 웰에 첨가하였다. 원심분리 후, 상청액 10 ㎕를 키랄 HPLC로 분석하였고, 에스테르의 거울이성질체-과잉은 100%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분해 C
24 웰 플레이트 (용량: 10 ml/웰)의 웰 중의 100 mM HepsㆍNa 완충액 (pH 8.5) 0.5 ㎖에, 에스페라제(Esperase) 8.0L (바실러스 할로두란스(Bacillus halodurans)로부터 얻은 프로테아제) (노보자임스 노쓰 아메리카 인크.) 0.1 ㎖ 및 DMSO 0.1 ㎖ 중 라세미체 N-Boc-(1R,2S)/(1S,2R)-1-아미노-2-비닐시클로프로판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10 mg)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를 밀봉하고, 40℃에서 250 rpm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18시간 후, 하기와 같이 에스테르의 거울이성질체-과잉이 39.6%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반응 혼합물 0.1 ㎖를 제거하고, 에탄올 1 ㎖와 혼합하고; 원심분리 후, 상청액 10 ㎕를 키랄 HPLC로 분석하였다. 남아있는 반응 혼합물에 DMSO 0.1 ㎖를 첨가하고, 플레이트를 40℃에서 250 rpm에서 추가의 3일 동안 인큐베이션하고, 그 후 에탄올 4 ㎖를 웰에 첨가하였다. 원심분리 후, 상청액 10 ㎕를 키랄 HPLC로 분석하였고, 에스테르의 거울이성질체-과잉은 100%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하기 방식으로 샘플 분석을 수행하였다:
1) 샘플 제조: 반응 혼합물 약 0.5 ml를 EtOH 10 부피와 잘 혼합하였다. 원심분리 후, 상청액 10 ㎕를 HPLC 컬럼에 주사하였다.
2) 전환 결정:
컬럼: YMC ODS A, 4.6 x 50 mm, S-5 ㎛
용매: A, 물 중 1 mM HCl; B, MeCN
구배: 1분 동안 30% B; 0.5분 동안 30% 내지 45% B; 1.5분 동안 45% B; 0.5분 동안 45% 내지 30% B.
유속: 2 ml/분
UV 검출: 210 nm
체류 시간: 산, 1.2분; 에스테르, 2.8분
3) 에스테르에 대한 거울이성질체-과잉 결정:
컬럼: 키라셀(CHIRACEL) OD-RH, 4.6 x 150 mm, S-5 ㎛
이동상: MeCN/물 중 50 mM HClO4 (67/33)
유속: 0.75 ml/분.
UV 검출: 210 nm.
체류 시간:
산으로서 (1S,2R) 이성질체: 5.2분;
라세미체: 18.5분 및 20.0분;
에스테르로서 (1R,2S) 이성질체: 18.5분.
2. N- Boc -(1R,2S)-1-아미노-2- 시클로프로필시클로프로판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의 제조
Figure pat00052
에테르 (10 ㎖) 중 N-Boc-(1R,2S)-1-아미노-2-비닐시클로프로판 카르복실산 (255 mg, 1.0 mmol)의 용액을 팔라듐 아세테이트 (5 mg, 0.022 mmol)로 처리하였다. 오렌지색/적색 용액을 N2 분위기하에 두었다. 에테르 중 과량의 디아조메탄을 1시간의 기간에 걸쳐 적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질소 스트림을 이용하여 과량의 디아조메탄을 제거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회전 증발로 농축하여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10% EtOAc/헥산)로 N-Boc-(1R,2S)-1-아미노-2-시클로프로필시클로프로판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210 mg (78%)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LC-MS (체류 시간: 2.13; 구배 시간 3분, 엑스테라 MS C18 S7 3.0 x 50 mm 컬럼인 것을 제외하고는 방법 A와 유사함), MS m/e 270 (M++1).
3. 1- tert - 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 - 시클로프로판 - 카르복실산은 시판된다.
Figure pat00053
4. 1- 아미노시클로부탄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히드로클로라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54
1-아미노시클로부탄카르복실산 (100 mg, 0.869 mmol) (토크리스(Tocris))을 MeOH 10 ㎖ 중에 용해시키고, HCl 기체를 2시간 동안 버블링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8시간 동안 교반한 후, 진공하에 농축하여 황색 오일 144 mg을 수득하였다. 에테르 10 ㎖로 연화처리하여 표제 생성물 100 mg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055
5. 하기에 나타낸 라세미체 (1R,2R)/(1S,2S) 1-아미노-2- 에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의 제조
Figure pat00056
단계 1: 하기에 나타낸 2-에틸시클로프로판-1,1-디카르복실산 디-tert-부틸 에스테르의 제조
Figure pat00057
50% NaOH 수용액 (H2O 185 ㎖ 중 92.4 g) 중 벤질트리에틸암모늄 클로라이드 (21.0 g, 92.2 mmol)의 현탁액에 1,2-디브로모부탄 (30.0 g, 138.9 mmol) 및 디-tert-부틸말로네이트 (20.0 g, 92.5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격렬히 교반한 후, 얼음 및 물의 혼합물을 첨가하였다. 조 생성물을 CH2Cl2 (3 ×)로 추출하고, 물 (3 ×), 염수로 순차적으로 세척하고, 유기 추출물을 합하였다. 유기 층을 건조하고 (MgSO4),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하여 (100 g SiO2, 헥산 중 3% Et2O) 표제 생성물 (18.3 g, 67.8 mmol, 73% 수율)을 수득하고, 이를 다음 반응에 직접 사용하였다.
단계 2: 하기에 나타낸 라세미체 2-에틸시클로프로판-1,1-디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의 제조
Figure pat00058
0℃에서 건조 에테르 (500 ㎖) 중 칼륨 tert-부톡시드 (33.55 g, 299.0 mmol)의 현탁액에 단계 1의 생성물 (18.3 g, 67.8 mmol)을 첨가한 후, H2O (1.35 ㎖, 75.0 mmo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밤새 격렬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얼음 및 물의 혼합물에 붓고, 에테르 (3 ×)로 세척하였다. 수성 층을 0℃에서 10% 시트르산 수용액으로 산성화하고, EtOAc (3 ×)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물 (2 ×),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 (MgSO4)시키고 진공하에 농축하여 표제 생성물을 담황색 오일로서 (10 g, 46.8 mmol, 69% 수율) 수득하였다.
단계 3: 하기에 나타낸 (1R,2R)/(1S,2S) 2-에틸-1-(2-트리메틸실라닐에톡시카르보닐아미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의 제조
Figure pat00059
단계 2의 생성물 (10 g, 46.8 mmol) 및 건조 벤젠 (160 ㎖) 중 새로 활성화된 4Å 분자체 3 g의 현탁액에 Et3N (7.50 ㎖, 53.8 mmol) 및 DPPA (11 ㎖, 10.21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3.5시간 동안 환류시킨 후에 2-트리메틸실릴-에탄올 (13.5 ㎖, 94.2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밤새 환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여 Et2O로 희석시키고, 10% 시트르산 수용액, 물, 포화 수성 NaHCO3, 물 (2 ×), 염수 (2 ×)로 세척하여 건조 (MgSO4)시키고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CH2Cl2 120 ㎖ 중의 알드리치(Aldrich)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스캐빈저 수지 10 g으로 현탁시켜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고 여과하여 표제 생성물 (8 g, 24.3 mmol; 52%)을 옅은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060
단계 4: 하기에 나타낸 라세미체 (1R,2R)/(1S,2S) 1-아미노-2-에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의 제조
Figure pat00061
단계 3의 생성물 (3 g, 9 mmol)에 THF (9.3 ㎖, 9.3 mmol) 중 1.0 M TBAF 용액을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1.5시간 동안 환류 가열하여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에 EtOAc 500 ㎖로 희석하였다. 상기 용액을 물 (2 ×100 ㎖), 염수 (2 ×100 ㎖)를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세척하여 건조 (MgSO4)시키고 진공하에 농축시켜 표제 중간체를 수득하였다.
II . P1' 요소:
하기에 제조한 P1' 요소를 사용하여 본원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었다.
1. 시클로프로필술폰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62
단계 1: N-tert-부틸-(3-클로로)프로필술폰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63
tert-부틸아민 (3.0 mol, 315.3 ㎖)을 THF (2.5 L) 중에 용해시켰다. 상기 용액을 -20℃로 냉각시켰다. 3-클로로프로판술포닐 클로라이드 (1.5 mol, 182.4 ㎖)를 서서히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시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CH2Cl2 (2.0 L) 중에 용해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1 N HCl (1.0 L), 물 (1.0 L), 염수 (1.0 L)로 세척하고 Na2SO4상에서 건조시켰다. 이것을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시켜 약간 황색빛의 고체를 생성하였으며, 이것을 헥산으로부터 결정화시켜 상기 생성물을 백색 고체 (316.0 g, 99%)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064
단계 2: 시클로프로판술폰산 tert-부틸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65
THF (100 ㎖) 중 N-tert-부틸-(3-클로로)프로필술폰아미드 (2.14 g, 10.0 mmol)의 용액에 n-BuLi (헥산 중 2.5 M, 8.0 ㎖, 20.0 mmol)를 -78℃에서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1시간의 기간에 걸쳐 실온으로 가온시켰다. 휘발물질을 진공하에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EtOAC와 물 (200 ㎖, 200 ㎖) 사이에 분배시켰다. 분리된 유기 상을 염수로 세척하여 Na2SO4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여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헥산으로부터 재결정화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백색 고체 (1.0 g, 56%)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066
단계 3: 시클로프로필술폰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67
TFA (500 ㎖) 중 시클로프로판술폰산 tert-부틸아미드 (110.0 g, 0.62 mol)의 용액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휘발물질을 진공하에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EtOAC/헥산 (60 ㎖/240 ㎖)으로부터 재결정화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백색 고체 (68.5 g, 91%)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068
2. 시클로프로필 술폰아미드를 제조하기 위한 별법의 절차
Figure pat00069
0℃로 냉각시킨 THF 100 ㎖의 용액에 암모니아 기체를 포화될 때까지 버블링하였다. 상기 용액에 THF 50 ㎖ 중의 시클로프로필술포닐 클로라이드 (어레이 바이오파마(Array Biopharma)로부터 구입함) 5 g (28.45 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 상기 용액을 실온으로 밤새 가온하여 1일 더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용매 1 내지 2 ㎖가 남을 때까지 농축시키고, SiO2 플러그 30 g (30% 내지 60% EtOAc/헥산으로 용출시킴)에 적용시켜 시클로프로필 술폰아미드 3.45 g (100%)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070
3. 시클로부틸 술폰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71
-78℃로 냉각시킨 무수 디에틸 에테르 (Et2O) 30 ㎖ 중 시클로부틸 브로마이드 5.0 g (37.0 mmol)의 용액에 펜탄 중 1.7 M tert-부틸 리튬 44 ㎖ (74.8 mmol)을 첨가하고, 상기 용액을 1.5시간에 걸쳐 -35℃로 서서히 가온시켰다. 헥산 100 ㎖ 중의 새로 증류시킨 술푸릴 클로라이드 5.0 g (37.0 mmol) 용액을 -40℃로 냉각시킨 것에 상기 혼합물을 캐뉼라를 통해 서서히 주입하고 1시간에 걸쳐 0℃로 가온하여 진공하에 조심스럽게 농축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Et2O 중에 재용해하여 약간의 빙수로 1회 세척하여 건조 (MgSO4)시키고 조심스럽게 농축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THF 20 ㎖ 중에 재용해하여 THF 중 포화 NH3 500 ㎖에 적가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진공하에 조 황색 고체로 농축시키고, MeOH 1 내지 2 방울을 사용하여 헥산 중 최소량의 CH2Cl2로부터 재결정화하여 시클로부틸술폰아미드 1.90 g (38%)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072
4. 시클로펜틸 술폰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73
헥산 100 ㎖ 중의 새로 증류시킨 술푸릴 클로라이드 (알드리치로부터 구입함) 3.0 ㎖ (37.0 mmol) 용액을 -78℃로 냉각시킨 것에 에테르 중 2 M 시클로펜틸-마그네슘 클로라이드 18.5 ㎖ (37.0 mmol)의 용액을 적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1시간에 걸쳐 0℃로 가온한 후에 진공하에 조심스럽게 농축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Et2O (200 ㎖) 중에 재용해시켜 약간의 빙수 (200 ㎖)로 1회 세척하여 건조 (MgSO4)시키고 조심스럽게 농축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THF 35 ㎖ 중에 재용해시켜 THF 중 포화 NH3 500 ㎖에 적가하고 밤새 교반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진공하에 조 황색 고체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70% EtOAc-헥산을 용출액으로 사용하여 실리카겔 50 g을 통해 여과시킨 후에 상기 용액을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MeOH 1 내지 2 방울을 사용하여 헥산 중 최소량의 CH2Cl2로부터 재결정화하여 시클로펜틸술폰아미드 2.49 g (41%)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074
5. 시클로헥실 술폰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75
헥산 100 ㎖ 중의 새로 증류시킨 술푸릴 클로라이드 3.0 ㎖ (37.0 mmol) 용액을 -78℃로 냉각시킨 것에 에테르 중 2 M 시클로헥실마그네슘 클로라이드 (TCI 아메리카스(TCI Americas) 제품) 18.5 ㎖ (37.0 mmol)의 용액을 적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1시간에 걸쳐 0℃로 가온한 후에 진공하에 조심스럽게 농축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Et2O (200 ㎖) 중에 재용해하여 약간의 빙수 (200 ㎖)로 1회 세척하고, 건조 (MgSO4)시켜 조심스럽게 농축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THF 35 ㎖ 중에 재용해하고, THF 중 포화 NH3 500 ㎖에 적가하여 밤새 교반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진공하에 조 황색 고체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70% EtOAc-헥산을 용출액으로 사용하여 실리카겔 50 g을 통해 여과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MeOH 1 내지 2 방울을 사용하여 헥산 중 최소량의 CH2Cl2로부터 재결정화하여 시클로헥실-술폰아미드 1.66 g (30%)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076
6. 네오펜틸술폰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77
시클로헥실 술폰아미드의 제조 절차에 따라, 에테르 중 0.75 M 네오펜틸마그네슘 클로라이드 (알파(Alfa) 제품) 49 ㎖ (37 mmol)을 백색 고체로서의 네오펜틸술폰아미드 1.52 g (27%)으로 전환시켰다.
Figure pat00078
7. 시클로부틸카르비닐 -술폰아미드의 제조
아세톤 150 ㎖ 중 시클로부틸카르비닐 브로마이드 (알드리치 제품) 12.3 g (83 mmol) 및 요오드화나트륨 13.7 g (91 mmol)의 용액을 밤새 환류시킨 후에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무기 고체를 여과해내고, 아세톤 및 시클로프로필카르비닐 요오다이드 (8.41 g, 46%)를 각각 주변 조건 및 80℃의 150 torr에서 증류해냈다.
무수 디에틸 에테르 (Et2O) 30 ㎖ 중 시클로부틸 카르비닐 요오다이드 4.0 g (21.98 mmol)의 용액을 -78℃로 냉각시켜, 시클로헥산 중 1.3 M sec-부틸 리튬 17 ㎖ (21.98 mmol) 용액에 캐뉼라를 통해 주입하고, 상기 용액을 5분 동안 교반하였다. 헥산 110 ㎖ 중의 새로 증류시킨 술푸릴 클로라이드 3.0 g (21.98 mmol) 용액을 -78℃로 냉각시킨 것을 상기 혼합물에 캐뉼라를 통해 주입하고, 상기 혼합물을 1시간에 걸쳐 실온으로 가온한 후에 진공하에 조심스럽게 농축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Et2O 중에 재용해하여 약간의 빙수로 1회 세척하여 건조 (MgSO4)시키고 조심스럽게 농축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THF 30 ㎖ 중에 재용해하여 THF 중 포화 NH3 500 ㎖에 적가하고 밤새 교반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진공하에 조 황색 고체로 농축시키고, MeOH 1 내지 2 방울을 사용하여 헥산 중 최소량의 CH2Cl2로부터 재결정화하여 시클로부틸 카르비닐술폰아미드 1.39 g (42%)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079
8. 시클로프로필카르비닐 -술폰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80
시클로부틸카르비닐-술폰아미드 제조시에 이용한 절차에 따라, 시클로프로필카르비닐 술폰아미드를 시클로프로필카르비닐 브로마이드 (알드리치 제품)로부터 제조하였다 (또한 문헌 [JACS 1981, p.442-445] 참조).
Figure pat00081
III . 화학식 I의 화합물에 혼입시킬 P2 요소의 제조에 출발 물질로서 사용할 헤테로사이클
1. 이소퀴놀린
Figure pat00082
이소퀴놀린 (1) 및 그의 치환된 유사체는 상기 약술하고 본원에 상세하게 기재된 2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P2 요소에 혼입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P2 요소 (3)을 유사한 이소퀴놀린 유사체에 대해 본원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절차에 따라 화학식 I의 화합물로 전환시킬 수 있다.
2. 이속사졸피리딘 옥사졸피리딘 (1)
Figure pat00083
이속사졸 및 옥사졸 헤테로사이클 (1) 및 그의 유사체는 공지된 화학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으며, 단락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사한 이속사졸피리딘 중간체에 대하여 본원에 기재된 화학법을 이용하여 화학식 I의 화합물에 혼입할 수 있다.
단락 B:
단락 B에서는 하기의 조건을 LC/MS 분석에 이용하였다.
컬럼: 방법 A: YMC ODS-A C18 S7 (4.6 ×33 mm)
방법 B: YMC 엑스테라 ODS S7 (3.0 ×50 mm)
방법 C: 엑스테라 ms C18 (4.6 ×33 mm)
방법 D: YMC ODS-A C18 S3 (4.6 ×33 mm)
구배: 100% 용매 A/0% 용매 B 내지 0% 용매 A/100% 용매 B
구배 시간: 3분
유지 시간: 1분
유속: 5 ㎖/분
검출기 파장: 220 nm
용매: 용매 A - 10% MeOH/90% 물/0.1% TFA
용매 B - 90% MeOH/10% 물/0.1% TFA
하기의 조건을 정제용 HPLC 분리에 이용하였다.
컬럼: 페노메넥스-루나(Phenomenex-Luna) 30 ×100 mm, S5
구배: 60% 용매 A/40% 용매 B 내지 0% 용매 A/100% 용매 B
구배 시간: 15분
중단 시간: 20분
유속: 30 ㎖/분
검출기 파장: 220 nm
용매: 용매 A - 10% MeOH/90% 물/0.1% TFA
용매 B - 90% MeOH/ 10% 물/0.1% TFA
실시예 1: 화합물 1의 제조
Figure pat00084
단계 1:
피페리딘 (1 ㎖) 및 에탄올 (10 ㎖) 중 3,5-디메틸-4-니트로-이속사졸 (1.42 g, 10.0 mmol), 페닐아세트알데히드 (1.32 g, 11.0 mmol)의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환류 가열하였다. 주변 온도로 냉각시킨 후에, 침전된 생성물을 여과로써 수집하였다. 상기 케이크를 차가운 에탄올로 철저하게 세척하여 원하는 생성물 1.20 g (53%)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085
단계 2:
클로로포름 (10 ㎖) 중 3-메틸-5-페닐-이속사졸로[4,5-b]피리딘 4-옥시드 (1.00 g, 4.40 mmol) 및 POCl3 (2.71 g, 17.7 mmol)의 용액을 1시간 동안 환류 가열하였다. 주변 온도로 냉각시킨 후에, 최종 용액을 클로로포름 (50 ㎖)으로 희석하여 NaHCO3 (수성) (50 ㎖씩 2회) 및 염수로 세척하고, MgSO4상에서 건조시켜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4:1 헥산-EtOAc)으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 790 mg (73%)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086
Figure pat00087
단계 3:
CH2Cl2 (100 ㎖) 중 4-히드록시-피롤리딘-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HHyp-OMe HCl) (1.81 g, 10.0 mmol), HATU (5.70 g, 15.0 mmol) 및 N-BOC-t부틸-L-글리신 (2.42 g, 10.5 mmol)의 혼합물에 DIPEA (3.47 g, 31.0 mmol)를 0℃에서 첨가하였다. 주변 온도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형성된 용액을 CH2Cl2 (100 ㎖)로 희석하여 빙냉시킨 5% 시트르산 (수성)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5% 시트르산, 1 M NaOH, 염수를 각각 사용하여 세척하고, MgSO4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하에 증발시켜 원하는 생성물 3.55 g (99%)을 회백색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상기 생성물을 추가의 정제 없이 조 물질로서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88
단계 4:
THF (50 ㎖) 중 단계 3의 생성물 (3.55 g, 9.9 mmol), MeOH (50 ㎖) 및 LiOH 일수화물 (0.83 g, H2O 50 ㎖ 중 19.9 mmol)의 혼합물을 주변 온도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휘발물질을 진공하에 제거한 후에, 잔류물을 0.1 M NaOH (100 ㎖) 중에 용해시켰다. 상기 수용액을 에테르 (50 ㎖)로 세척하고 1 M HCl을 사용하여 pH = 4로 산성화시켰다. EtOAc (100 ㎖)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5% 시트르산 및 염수로 세척하여 MgSO4상에서 건조시키고 건조될 때까지 증발시켜, 원하는 생성물 3.20 g (95%)을 백색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상기 생성물을 추가의 정제 없이 조 물질로서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89
단계 5:
DMSO (30 ㎖) 중 단계 4의 생성물 (1.01 g, 2.93 mmol)의 용액에 칼륨 tert-부톡시드 (1.02 g, 9.08 mmol)를 첨가하였다. 형성된 용액을 주변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7-클로로-3-메틸-5-페닐-이속사졸로[4,5-b]피리딘 (0.75 g, 3.08 mmol)을 첨가하였다. 최종 용액을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빙수로 켄칭시키고, 1 M HCl을 사용하여 pH = 4로 산성화시켜 EtOAc (200 ㎖씩 2회)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여 MgSO4상에서 건조시켜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정제용 HPLC (60% B 내지 100% B, 15분 구배)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 305 mg (19%)을 옅은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090
Figure pat00091
단계 6a:
단락 A에 기재된 바와 같음.
단계 6b:
1(R)-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2(S)-비닐-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THF (7 ㎖) 중 단계 6a의 생성물 (3.28 g, 13.2 mmol) 및 메탄올 (7 ㎖)의 용액에 물 (14 ㎖) 중 LiOH (1.27 g, 53.0 mmol)의 현탁액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고 1 N NaOH (15 ㎖) 및 물 (20 ㎖)로 켄칭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EtOAc (20 ㎖)로 세척하고, 유기 상을 0.5 N NaOH 20 ㎖로 추출하였다. 합한 수성 상을 1 N HCl을 사용하여 pH = 4가 될 때까지 산성화시키고, EtOAc (3 ×40 ㎖)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수로 세척하여 건조 (MgSO4)시켜,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 (2.62 g, 87%)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092
단계 7:
THF (40 ㎖) 중 단계 6의 생성물 (2.62 g, 11.5 mmol) 및 CDI (2.43 g, 15.0 mmol)의 용액을 50분 동안 질소하에 환류 가열하였다. 상기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THF (10 ㎖) 중 시클로프로필술폰아미드 (1.82 g, 15.0 mmol)의 용액에 캐뉼라를 통해 옮겼다. 생성된 용액에 DBU (2.40 ㎖, 16.1 mmol)를 첨가하고, 20시간 동안 계속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1 N HCl을 사용하여 pH = 1로 켄칭시키고, THF를 진공하에 증발시켰다. 현탁액을 EtOAc (2 ×50 ㎖)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 추출물들을 건조 (Na2SO4)시켰다. 헥산-EtOAc (1:1)로부터의 재결정화를 통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2.4 g)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모액을 바이오티지(Biotage) 40S 컬럼 (DCM 중 9% 아세톤으로 용출시킴)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의 제2 배치(batch) (1.1 g)를 수득하였다. 2개 배치를 모두 합하였다 (전체 수율: 92%).
Figure pat00093
단계 8:
DCM (35 ㎖) 및 TFA (32 ㎖) 중 단계 7의 생성물 (3.5 g, 10.6 mmol)의 용액을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휘발물질을 진공하에 제거하여 잔류물을 디에틸 에테르 (20 ㎖) 중 1 N HCl 중에서 현탁시키고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상기 절차를 1회 반복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펜탄으로부터 연화처리하고 여과하여 표제 화합물을 흡습성 회백색 고체 (2.60 g, 92%)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094
단계 9:
DCM (2 ㎖) 중 단계 5의 생성물 (70 mg, 0.13 mmol), (1R,2S)-시클로프로판술폰산 (1-아미노-2-비닐-시클로프로판카르보닐)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단계 8의 생성물 (37 mg, 0.14 mmol) 및 HATU (72 mg, 0.19 mmol)의 빙냉시킨 혼합물에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50 mg, 0.39 mmol)을 첨가하였다. 형성된 용액을 주변 온도까지 12시간 동안 가온시키고 진공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정제용 HPLC (60% B 내지 100% B, 15분 구배)로 정제하여 화합물 1 52 mg (54%)을 회색빛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095
실시예 2: 화합물 2의 제조
Figure pat00096
단계 1:
2-아미노-6-메틸피리딘 (1.08 g, 10.0 mmol), 에틸 벤조일아세테이트 (2.30 g, 12.0 mmol) 및 폴리인산 (6.00 g, 61.2 mmol)의 혼합물을 5시간 동안 110℃로 가열하였다. 주변 온도로 냉각시킨 후, 상기 혼합물을 빙수 (20 ㎖)에 붓고 10 M NaOH를 사용하여 pH = 7로 중화시켰다. CHCl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상에서 건조시켜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1:1 헥산-EtOAc)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 510 mg (22%)을 옅은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097
단계 2:
용융된 디페닐 에테르 (5 ㎖) 중 6-메틸-2-페닐-피리도[1,2a]피리미딘-4-온 (489 mg, 2.07 mmol)의 용액을 5시간 동안 완만하게 환류 가열하였다. 주변 온도로 냉각시킨 후, 형성된 현탁액을 디에틸 에테르 (10 ㎖)로 희석하여 여과하였다. 상기 케이크를 디에틸 에테르로 철저하게 세척하여 원하는 생성물 450 mg (92%)을 갈색빛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체류 시간: 1.25분, 방법 B), MS m/z 237 (M++H).
단계 3:
POCl3 (10 ㎖) 중 7-메틸-2-페닐-1H-[1,8]나프티리딘-4-온 (450 mg, 1.91 mmol)의 현탁액을 3시간 동안 완만하게 환류 가열하였다. 진공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빙수 (20 ㎖)에 붓고 10 M NaOH를 사용하여 pH = 10으로 중화시켰다. CHCl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상에서 건조시켜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2:1 헥산-EtOAc)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 450 mg (92%)을 분홍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098
Figure pat00099
단계 4:
실시예 2, 단계 3의 4-클로로-7-메틸-2-페닐-[1,8]나프티리딘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1, 단계 5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로 제조하였다.
LC-MS (체류 시간: 1.55분, 방법 B), MS m/z 563 (M++H).
단계 5:
실시예 2, 단계 4의 생성물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화합물 2를 실시예 1, 단계 9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00
실시예 3: 화합물 3의 제조
Figure pat00101
단계 1:
CH2Cl2 (50 ㎖) 중 4-메톡시페네틸 알콜 (1.52 g, 10.0 mmol)의 용액에 0℃에서 데스-마르틴(Dess-Martin) 시약 (4.45 g, 10.5 mmol)을 한꺼번에 첨가하였다. 형성된 혼합물을 1시간 동안 주변 온도로 가온시켰다. 포화 Na2S2O3 (수성) 및 1 M NaOH, 염수를 각각 사용하여 세척하였다. MgSO4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 증발시켜, 원하는 알데히드 1.50 g (100%)을 점성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상기 생성물을 임의의 추가의 정제없이 조 물질로서 사용하였다.
단계 2:
피페리딘 (0.1 ㎖) 및 에탄올 (2 ㎖) 중 3,5-디메틸-4-니트로-이속사졸 (142 mg, 1.0 mmol), 실시예 3의 단계 1로부터의 4-메톡시페닐아세트알데히드 (180 mg, 1.1 mmol)의 용액을 12시간 동안 환류 가열하였다. 주변 온도로 냉각시킨 후에, 침전된 생성물을 여과로써 수집하였다. 상기 케이크를 차가운 에탄올로 철저하게 세척하여 원하는 생성물 130 mg (51%)을 회색빛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102
단계 3:
Figure pat00103
실시예 3, 단계 2의 생성물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1, 단계 2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04
단계 4:
Figure pat00105
실시예 3, 단계 3의 생성물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1, 단계 5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06
단계 5:
실시예 3, 단계 4의 생성물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화합물 3을 실시예 1, 단계 9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07
실시예 4: 화합물 4의 제조
Figure pat00108
단계 1:
Figure pat00109
4-플루오로페네틸 알콜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3, 단계 1 및 2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로 제조하였다.
LC-MS (체류 시간: 1.18분, 방법 B), MS m/z 245 (M++H).
단계 2:
Figure pat00110
실시예 4, 단계 1의 생성물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1, 단계 2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11
단계 3:
Figure pat00112
실시예 4, 단계 2의 생성물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1, 단계 5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로 제조하였다.
LC-MS (체류 시간: 1.91분, 방법 B), MS m/z 571 (M++H).
단계 4:
실시예 4, 단계 3의 생성물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화합물 4를 실시예 1, 단계 9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13
실시예 5: 화합물 5의 제조
Figure pat00114
단계 1:
Figure pat00115
3-메톡시-페네틸 알콜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3, 단계 1 및 2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로 제조하였다.
LC-MS (체류 시간: 1.03분, 방법 B), MS m/z 257 (M++H).
단계 2:
Figure pat00116
실시예 5, 단계 1의 생성물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1, 단계 2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17
단계 3:
Figure pat00118
실시예 5, 단계 2의 생성물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1, 단계 5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19
단계 4:
실시예 5, 단계 3의 생성물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화합물 5를 실시예 1, 단계 9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20
실시예 6: 화합물 6의 제조
Figure pat00121
단계 1:
Figure pat00122
2-메톡시-페네틸 알콜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3, 단계 1 및 2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로 제조하였다.
LC-MS (체류 시간: 1.10분, 방법 B), MS m/z 257 (M++H).
단계 2:
Figure pat00123
실시예 6, 단계 1의 생성물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1, 단계 2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24
단계 3:
Figure pat00125
실시예 6, 단계 2의 생성물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1, 단계 5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26
단계 4:
실시예 6, 단계 3의 생성물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화합물 6을 실시예 1, 단계 9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27
실시예 7: 화합물 7의 제조
Figure pat00128
단계 1:
Figure pat00129
2-클로로-퀴놀린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1, 단계 5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로 제조하였다.
LC-MS (체류 시간: 1.73분, 방법 B), MS m/z 472 (M++H).
단계 2:
실시예 7, 단계 1의 생성물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화합물 7을 실시예 1, 단계 9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30
실시예 8: 화합물 8의 제조
Figure pat00131
단계 1:
실시예 1에서 효소에 의한 분해 단계인 단계 6a을 생략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1, 단계 6b 내지 8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로 제조하였다.
LC-MS (체류 시간: 0.24분, 방법 B), MS m/z 231 (M++H).
Figure pat00132
단계 2:
CH2Cl2 (100 ㎖) 중 N-BOC-4-트랜스-히드록시-L-프롤린 (1.58 g, 6.83 mmol), 시클로프로판술폰산 (1-아미노-2-비닐-시클로프로판카르보닐)-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실시예 8, 단계 1) (2.00 g, 7.52 mmol) 및 HATU (3.89 g, 10.2 mmol)의 빙냉시킨 혼합물에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4.41 g, 34.2 mmol)을 첨가하였다. 형성된 용액을 주변 온도까지 12시간 동안 가온시켰다. EtOAc (200 ㎖)로 희석하여 5% H3PO4 및 염수로 세척하고, MgSO4상에서 건조시켜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2:1 내지 1:1 헥산-아세톤 구배)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 1.25 g (41%)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133
단계 3:
실시예 8, 단계 2의 생성물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1, 단계 8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로 제조하였다.
LC-MS (체류 시간: 1.02분, 방법 B), MS m/e 344 (M++H).
단계 4:
CH2Cl2 (100 ㎖) 중 N-BOC-4-트랜스-히드록시-L-프롤린 (1.58 g, 6.83 mmol), 시클로프로판술폰산 (1-아미노-2-비닐-시클로프로판카르보닐)-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실시예 8, 단계 3) (2.00 g, 7.52 mmol) 및 HATU (3.89 g, 10.2 mmol)의 빙냉시킨 혼합물에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4.41 g, 34.2 mmol)을 첨가하였다. 형성된 용액을 주변 온도까지 12시간 동안 가온시켰다. EtOAc (200 ㎖)로 희석하여 5% H3PO4 및 염수로 세척하고, MgSO4상에서 건조시켜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2:1 내지 1:1 헥산-아세톤 구배)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 1.25 g (41%)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134
Figure pat00135
단계 5:
DMSO (2 ㎖) 중 실시예 8, 단계 4의 생성물 (56 mg, 0.1 mmol)의 용액에 칼륨 tert-부톡시드 (49 mg, 0.44 mmol)를 첨가하였다. 형성된 용액을 주변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4-클로로-7-메틸-2-트리플루오로메틸-[1,8]나프티리딘 [P. Ferrarini et al, J Heterocyclic Chem, 1983, p1053] (30 mg, 0.12 mmol)을 첨가하였다. 최종 용액을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빙수로 켄칭시키고 1 M HCl을 사용하여 pH = 4로 산성화시켜, EtOAc (20 ㎖ ×2)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상에서 건조시켜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화합물 8을 분홍색 고체로서 16 mg (21%) 수득하였다.
Figure pat00136
실시예 9: 화합물 9의 제조
Figure pat00137
7-클로로-5-에틸-3-메틸-이속사졸로[4,5-b]피리딘 [R. Nesi et al, Synth Comm. 1992, 22(16), 2349]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화합물 9를 실시예 8, 단계 5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38
실시예 10: 화합물 10의 제조
Figure pat00139
7-클로로-5-페닐-3-메틸-이속사졸로[4,5-b]피리딘 (실시예 1, 단계 2)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화합물 10을 실시예 8, 단계 5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40
실시예 11: 화합물 11의 제조
Figure pat00141
단계 1:
아세톤 (80 ㎖) 중 3-메톡시 신남산 (11.04 g, 62 mmol) 및 트리에틸아민 (12.52 g, 124 mmol)의 용액에 에틸 클로로포르메이트 (대략 1.5 당량)를 0℃에서 적가하였다. 상기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수성 NaN3 (6.40 g, H2O 35 ㎖ 중 100 mmol)을 적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주변 온도에서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에 물 (100 ㎖)을 첨가하고, 휘발물질을 진공하에 제거하였다. 생성된 슬러리를 톨루엔 (3 ×50 ㎖)으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 층을 MgSO4상에서 건조시켰다. 디페닐메탄 (50 ㎖) 및 트리부틸아민 (30 ㎖)을 190℃에서 가열한 용액에 상기 건조된 용액을 적가하였다. 첨가함에 따라 톨루엔은 증류되어 버렸다. 첨가 완료 후, 반응 온도를 2시간 동안 210℃로 높였다. 냉각시킨 후에는 침전된 생성물을 여과로써 수집하고, 헥산 (2 ×50 ㎖)으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원하는 생성물을 백색 고체 (5.53 g, 51%)로서 수득하였다 [Nicolas Briet at el, Tetrahedron, 2002, 5761-5766].
LC-MS (체류 시간: 0.82분, 방법 B), MS m/z 176 (M++H).
단계 2:
POCl3 (10 ㎖) 중 6-메톡시-2H-이소퀴놀린-1-온 (5.0 g, 28.4 mmol)을 3시간 동안 완만하게 환류 가열하고 진공하에 증발시켰다 [Nicolas Briet at el, Tetrahedron, 2002, 5761-5766]. 잔류물을 빙수 (20 ㎖)에 붓고 10 M NaOH를 사용하여 pH = 10으로 중화시켰다. CHCl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상에서 건조시켜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1:1 헥산-EtOAc)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 4.41 g (80%)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142
Figure pat00143
단계 3:
DMSO (40 ㎖) 중 N-BOC-3-(R)-히드록시-L-프롤린 (892 mg, 3.89 mmol)의 용액에 주변 온도에서 칼륨 tert-부톡시드 (1.34 g, 12.0 mmol)를 한꺼번에 첨가하였다. 형성된 현탁액을 상기 온도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후에 10℃로 냉각시켰다. 1-클로로-6-메톡시-이소퀴놀린 (실시예 11, 단계 2) (785 mg, 4.05 mmol)을 고체로서 한꺼번에 첨가하고, 최종 혼합물을 주변 온도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빙냉시킨 5% 시트르산 (수성)으로 켄칭시키고 EtOAC (100 ㎖)로 추출하였다. 수성 상을 EtOAC로 다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5% 시트르산 (수성) 및 염수를 각각 사용하여 세척하여 MgSO4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건조될 때까지 진공하에 증발시켜 원하는 생성물 1.49 g (99%)을 회백색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상기 물질을 추가의 정제 없이 조 물질로서 다음 단계 반응에 사용하였다.
Figure pat00144
단계 4:
CH2Cl2 (50 ㎖) 중 실시예 11, 단계 3의 생성물 (1.49 g, 3.84 mmol), HATU (2.19 g, 5.76 mmol) 및 시클로프로판술폰산 (1-(R)-아미노-2-(S)-비닐-시클로프로판카르보닐)-아미드 HCl 염 (실시예 1, 단계 8) (1.12 g, 4.22 mmol)의 혼합물에 DIPEA (1.29 g, 11.5 mmol)를 0℃에서 첨가하였다. 주변 온도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형성된 용액을 CH2Cㅣ2 (50 ㎖)로 희석하고, 빙냉시킨 5% 시트르산 (수성)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5% 시트르산 (수성) 및 염수를 각각 사용하여 세척하고, MgSO4상에서 건조시켜 여과하였다. 여액을 건조될 때까지 진공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메탄올로부터 재결정화하여 원하는 생성물 1.60 g (70%)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145
단계 5:
CH2Cl2 (10 ㎖) 중 실시예 11, 단계 4의 생성물 (1.50 g, 2.50 mmol)의 빙냉시킨 용액에 TFA (10 ㎖)를 첨가하였다. 형성된 용액을 주변 온도로 2시간 동안 가온시켰다. 용매를 진공하에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에테르 중 1 M HCl로 연화처리하였다. 여과하고 에테르로 세척하여 원하는 생성물 1.43 g (99. 8%)을 흡습성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146
단계 6:
CH2Cl2 (50 ㎖) 중 실시예 11, 단계 5의 생성물 (1.49 g, 3.84 mmol), HATU (2.19 g, 5.76 mmol) 및 N-BOC-t-부틸-L-글리신 (1.12 g, 4.22 mmol)의 혼합물에 DIPEA (1.29 g, 11.5 mmol)를 0℃에서 첨가하였다. 주변 온도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형성된 용액을 CH2Cl2 (50 ㎖)로 희석하고, 빙냉시킨 5% 시트르산 (수성)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5% 시트르산 (수성) 및 염수를 각각 사용하여 세척하고, MgSO4상에서 건조시켜 여과하였다. 여액을 건조될 때까지 진공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정제용 HPLC (40% B 내지 100% B, 15분 구배 시간)로 정제하여 화합물 11을 백색 고체로서 1.60 g (70%) 수득하였다.
Figure pat00147
단계 7:
Figure pat00148
CH2Cl2 (5 ㎖) 중 화합물 11 (71 mg, 0.1 mmol)의 용액에 에테르 중 1 M HCl (0.2 ㎖, 0.2 mmol)을 -78℃에서 첨가하였다. 상기 온도에서 10분 동안 교반한 후에, 휘발물질을 가열조없이 진공하에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에테르로 연화처리하여 여과하고 에테르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화합물 11의 원하는 HCl 염 61 mg (85%)을 매우 미분된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149
단계 8:
25 ㎖ 2구 플라스크에 교반 막대, 격벽(septa) 및 N2 기체 어댑터(adapter)를 넣었다. 화합물 11 (99.7 mg, 0.140 mmol)을 칭량하여 반응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반응 플라스크를 퍼징(purging)하고, N2 대기하에 두었다. 상기 플라스크에 아세톤 850 ㎕를 첨가하여 투명한 용액을 수득하였다. H2O 50 ㎖ 중에 고체 KOH (502.8 mg, 8.97 mmol)를 용해시켜 제조한 179 M KOH 용액 (수성) 780 ㎕를 상기 용액에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KOH 첨가후에는 상기 용액이 약간 가온되었으나 여전히 투명했다. 투명한 용액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생성물을 용액으로부터 결정화시키고 여과로써 단리하였다. 상기 케이크를 차가운 아세톤으로 세척하여 원하는 생성물 42 mg (40% 수율)을 미분된 백색 침상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150
실시예 12: 화합물 12의 제조
Figure pat00151
N-BOC-L-발린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화합물 12를 실시예 11, 단계 6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52
실시예 13: 화합물 13의 제조
Figure pat00153
N-BOC-L-알로이소류신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화합물 13을 실시예 11, 단계 6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54
실시예 14: 화합물 14의 제조
Figure pat00155
단계 1:
EtOAc (10 ㎖) 중 화합물 11 (150 mg, 0.21 mmol) 및 펄만 촉매 (Pearlmann's catalyst) (Pd(OH)2, 15 mg)의 혼합물을 20분 동안 파르(Parr) 진탕기에서 10 psi H2하에 두었다.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화합물 14를 백색 고체로서 67 mg (45%) 수득하였다.
Figure pat00156
실시예 15: 화합물 15의 제조
Figure pat00157
화합물 14 제조시와 동일한 반응을 이용하되 체류 시간을 약간 더 길게 하여 화합물 15를 부산물로서 15% 수율로 단리하였다.
Figure pat00158
실시예 16: 화합물 16의 제조
Figure pat00159
Figure pat00160
단계 1:
DCM (5 ㎖) 중 화합물 11 (420 mg, 0.59 mmol)의 용액에 0℃에서 TFA (5 ㎖)를 첨가하였다. 상기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휘발물질을 진공하에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에테르 (5 ㎖) 중 1 M HCl로 연화처리하여 여과하고, 에테르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원하는 HCl 염 360 mg (89%)을 매우 미분된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체류 시간: 1.28분, 방법 B), MS m/z 614 (M++H).
단계 2:
DCM (1 ㎖) 중 실시예 16, 단계 1의 생성물 (39 mg, 0.06 mmol) 및 DIPEA (20 mg, 0.18 mmol)의 현탁액에 0℃에서 메틸 클로로포르메이트 (6.8 mg, 0.072 mmol)를 첨가하였다. 상기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휘발물질을 진공하에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화합물 16을 백색 결정으로서 21 mg (58%) 수득하였다.
Figure pat00161
실시예 17: 화합물 17의 제조
Figure pat00162
이소프로필 클로로포르메이트를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화합물 17을 실시예 16, 단계 2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63
실시예 18: 화합물 18의 제조
Figure pat00164
네오펜틸 클로로포르메이트를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화합물 18을 실시예 16, 단계 2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65
실시예 19: 화합물 19의 제조
Figure pat00166
(S)-3-푸라노클로로포르메이트 [J. Campbell, A. Good, WO 20020808]를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화합물 19를 실시예 16, 단계 2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67
실시예 20: 화합물 20의 제조
Figure pat00168
단계 1:
Figure pat00169
6-클로로-2H-이소퀴놀린-1-온 [Nicolas Briet at el, Tetrahedron, 2002, 5761-5766]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11, 단계 2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로 제조하였다.
LC-MS (체류 시간: 1.07분, 방법 B), MS m/z 180 (M++H).
단계 2:
Figure pat00170
실시예 20, 단계 1의 생성물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1, 단계 5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71
단계 3:
실시예 20, 단계 2의 생성물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화합물 20을 실시예 1, 단계 9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72
실시예 21: 화합물 21의 제조
Figure pat00173
단계 1:
CH2Cl2 (100 ㎖) 중 실시예 1, 단계 4의 생성물 (3.00 g, 8.72 mmol), HATU (4.97 g, 13.1 mmol) 및 실시예 1, 단계 8의 생성물 (2.55 g, 9.59 mmol)의 혼합물에 DIPEA (3.02 g, 27.0 mmol)를 0℃에서 첨가하였다. 주변 온도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형성된 용액을 CH2Cl2 (100 ㎖)로 희석하고, 빙냉시킨 5% 시트르산 (수성)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5% 시트르산 (수성) 및 염수를 각각 사용하여 세척하고, MgSO4상에서 건조시켜 여과하였다. 여액을 건조될 때까지 진공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쉬 컬럼 (1:1 헥산:아세톤)으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 3.64 g (75%)을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체류 시간: 1.41분, 방법 B), MS m/z 557 (M++H).
Figure pat00174
단계 2:
CH2Cl2 (100 ㎖) 중 6-브로모이소퀴놀린 (4.16 g, 20 mmol)의 빙냉시킨 용액에 mCPBA (9.38 g, 77% 순도, 42 mmol)를 고체로서 한꺼번에 첨가하였다. 주변 온도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CH2Cl2 (100 ㎖)로 희석하고 1 M NaOH (100 ㎖ ×2)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MgSO4상에서 건조시켜 여과하고 건조될 때까지 증발시켜 원하는 생성물 3.83 g (86%)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상기 물질을 추가의 정제 없이 조 물질로서 사용하였다.
LC-MS (체류 시간: 0.77분, 방법 B), MS m/z 224, 226 (M++H).
단계 3:
DMF (2 ㎖) 중 6-브로모-이소퀴놀린 2-옥시드 (88 mg, 0.2 mmol), 피라졸 (68 mg, 1.0 mmol), CuBr (57 mg, 0.4 mmol) 및 탄산세슘 (130 mg, 0.4 mmol)의 혼합물을 밀폐된 튜브에서 4시간 동안 140℃로 가열하였다. 여과 후에 여액을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 41 mg (98%)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175
단계 4:
6-피라졸-이소퀴놀린 2-옥시드를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11, 단계 2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로 회백색 고체로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76
단계 5:
DMSO (2 ㎖) 중 실시예 21, 단계 1의 생성물 (45 mg, 0.08 mmol)의 용액에 칼륨 tert-부톡시드 (41 mg, 0.37 mmol)를 첨가하였다. 형성된 용액을 주변 온도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후에 1-클로로-6-피라졸-1-일-이소퀴놀린 (17 mg, 0.07 mmol)을 첨가하였다. 최종 용액을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빙수로 켄칭시키고 1 M HCl을 사용하여 pH = 4로 산성화시켜 EtOAc (20 ㎖ ×2)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상에서 건조시켜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화합물 21을 분홍색 고체로서 10 mg (16%) 수득하였다.
Figure pat00177
실시예 22: 화합물 22의 제조
Figure pat00178
단계 1:
Figure pat00179
6-브로모-이소퀴놀린 2-옥시드를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11, 단계 2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로 회백색 고체로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80
단계 2:
1-클로로-6-브로모-이소퀴놀린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화합물 22를 실시예 21, 단계 5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로 백색 고체로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81
실시예 23: 화합물 23의 제조
단계 1:
Figure pat00182
1-클로로-이소퀴놀린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11, 단계 3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로 백색 고체로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83
단계 2:
Figure pat00184
실시예 23, 단계 1의 생성물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11, 단계 4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85
단계 3:
Figure pat00186
실시예 23, 단계 2의 생성물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11, 단계 5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로 제조하였다.
LC-MS (체류 시간: 1.16분, 방법 B), MS m/z 471 (M++H).
단계 4:
실시예 23, 단계 3의 생성물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화합물 23을 실시예 11, 단계 6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로 백색 고체로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87
실시예 24: 화합물 24의 제조
Figure pat00188
단계 1:
DMF (250 ㎖) 중 N-BOC-3-(R)-히드록시-L-프롤린 (6.22 g, 26.9 mmol)의 용액에 0℃에서 NaH (60%, 3.23 g, 80.8 mmol)를 여러회에 걸쳐 조금씩 첨가하였다. 형성된 현탁액을 상기 온도에서 30분 동안 교반시켰다. 1,3-디클로로-이소퀴놀린 (5.33 g, 26.9 mmol)을 고체로서 한꺼번에 첨가하고, 최종 혼합물을 주변 온도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빙냉시킨 5% 시트르산 (수성)으로 켄칭시켜 EtOAC (300 ㎖)로 추출하였다. 수성 상을 EtOAC로 다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5% 시트르산 (수성) 및 염수를 각각 사용하여 세척하고 MgSO4상에서 건조시켜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하에 건조될 때까지 증발시켜 4-(6-메톡시-이소퀴놀린-1-일옥시)-피롤리딘-1,2-디카르복실산 1-tert-부틸 에스테르 10.53 g (99.8%)을 회백색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상기 물질을 추가의 정제 없이 조 물질로서 다음 단계 반응에 사용하였다.
Figure pat00189
단계 2:
Figure pat00190
실시예 24, 단계 1의 생성물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11, 단계 4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91
단계 3:
Figure pat00192
실시예 24, 단계 2의 생성물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11, 단계 5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로 제조하였다.
LC-MS (체류 시간: 1.30분, 방법 B), MS m/z 505 (M++H).
단계 4:
실시예 24, 단계 3의 생성물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화합물 24를 실시예 11, 단계 6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로 백색 고체로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93
실시예 25: 화합물 25의 제조
Figure pat00194
단계 1:
THF (2 ㎖) 중 실시예 24, 단계 1의 생성물 (39 mg, 0.10 mmol), 페닐보론산 (14.6 mg, 0.12 mmol), 나트륨 tert-부톡시드 (38 mg, 0.40 mmol) 및 ((t-Bu)2POH)2PdCl2(POPd) (5 mg, 0.01 mmol)의 혼합물을 4시간 동안 환류 가열하였다. 냉각 후에, 형성된 혼합물을 5% 시트르산 (수용액)으로 켄칭하고 EtOAc (20 ㎖)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여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 36 mg (83%)을 회백색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195
단계 2:
실시예 25, 단계 1의 생성물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11, 단계 4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96
단계 3:
실시예 25, 단계 2의 생성물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11, 단계 5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로 백색 고체로서 제조하였다.
LC-MS (체류 시간: 1.55분, 방법 B), MS m/z 547 (M+ + H).
단계 4:
실시예 25, 단계 3의 생성물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화합물 25를 실시예 11, 단계 6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로 백색 고체로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97
실시예 26: 화합물 26의 제조
Figure pat00198
단계 1:
Figure pat00199
4-메톡시페닐보론산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25, 단계 1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200
단계 2:
Figure pat00201
실시예 26, 단계 1의 생성물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11, 단계 4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202
단계 3:
Figure pat00203
실시예 26, 단계 2의 생성물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11, 단계 5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백색 고체로서 제조하였다.
LC-MS (체류 시간: 1.53분, 방법 B), MS m/z 577 (M+ + H).
단계 4:
실시예 26, 단계 3의 생성물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화합물 26을 실시예 11, 단계 6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204
실시예 27: 화합물 27의 제조
Figure pat00205
단계 1:
Figure pat00206
4-피리딜보론산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25, 단계 1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207
단계 2:
Figure pat00208
실시예 27, 단계 1의 생성물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11, 단계 4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0209
단계 3:
Figure pat00210
실시예 27, 단계 2의 생성물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11, 단계 5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백색 고체로서 제조하였다.
LC-MS (체류 시간: 0.96분, 방법 B), MS m/z 548 (M+ + H).
단계 4:
실시예 27, 단계 3의 생성물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화합물 27을 실시예 11, 단계 6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211
실시예 28: 화합물 28의 제조
Figure pat00212
단계 1:
Figure pat00213
4-N,N-디메틸아미노-페닐보론산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25, 단계 1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LC-MS (체류 시간: 1.64분, 방법 B), MS m/z 478 (M+ + H).
단계 2:
Figure pat00214
실시예 28, 단계 1의 생성물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11, 단계 4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LC-MS (체류 시간: 1.70분, 방법 B), MS m/z 690 (M+ + H).
단계 3:
Figure pat00215
실시예 28, 단계 2의 생성물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11, 단계 5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백색 고체로서 제조하였다 .
LC-MS (체류 시간: 1.20분, 방법 B), MS m/z 590 (M+ + H).
단계 4:
실시예 28, 단계 3의 생성물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화합물 28을 실시예 11, 단계 6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216
실시예 29: 화합물 29의 제조
Figure pat00217
단계 1:
Figure pat00218
4-시아노-페닐보론산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25, 단계 1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LC-MS (체류 시간: 1.87분, 방법 B), MS m/z 460 (M+ + H).
단계 2:
Figure pat00219
실시예 29, 단계 1의 생성물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11, 단계 4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LC-MS (체류 시간: 1.88분, 방법 B), MS m/z 672 (M+ + H).
단계 3:
Figure pat00220
실시예 29, 단계 2의 생성물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11, 단계 5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백색 고체로서 제조하였다.
LC-MS (체류 시간: 1.41분, 방법 B), MS m/z 572 (M+ + H).
단계 4:
실시예 29, 단계 3의 생성물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화합물 29를 실시예 11, 단계 6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백색 고체로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221
실시예 30: 화합물 30의 제조
Figure pat00222
단계 1:
Figure pat00223
3-푸라노보론산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25, 단계 1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LC-MS (체류 시간: 1.85분, 방법 B), MS m/z 425 (M+ + H).
단계 2:
Figure pat00224
실시예 30, 단계 1의 생성물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11, 단계 4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LC-MS (체류 시간: 1.88분, 방법 B), MS m/z 637 (M+ + H).
단계 3:
Figure pat00225
실시예 30, 단계 2의 생성물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11, 단계 5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LC-MS (체류 시간: 1.38분, 방법 B), MS m/z 537 (M+ + H).
단계 4:
실시예 30, 단계 3의 생성물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화합물 30을 실시예 11, 단계 6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백색 고체로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226
실시예 31: 화합물 31의 제조
Figure pat00227
단계 1:
3-브로모-이소퀴놀린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21, 단계 2의 제조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백색 고체로서 제조하였다 (문헌 [Atkins et al, JOC, 1973, 400]).
Figure pat00228
단계 2:
3-브로모-이소퀴놀린 2-옥시드를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11, 단계 2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백색 고체로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229
단계 3:
3-브로모-1-클로로-이소퀴놀린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11, 단계 3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포체로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230
단계 4:
톨루엔 (1 ㎖) 중 2-트리부틸스탠나닐-피라진 (44 mg, 0.12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12 mg, 0.01 mmol) 및 실시예 31, 단계 3의 생성물 (44 mg, 0.1 mmol)의 혼합물을 3시간 동안 환류 가열하였다. 진공하에 휘발물질을 제거한 후에, 잔류물을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 35 mg (80%)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체류 시간: 1.77분, 방법 B), MS m/z 437 (M+ + H).
단계 5:
Figure pat00231
실시예 31, 단계 4의 생성물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11, 단계 4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LC-MS (체류 시간: 1.78분, 방법 B), MS m/z 649 (M+ + H).
단계 6:
Figure pat00232
실시예 31, 단계 5의 생성물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11, 단계 5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백색 고체로서 제조하였다.
LC-MS (체류 시간: 1.26분, 방법 B), MS m/z 549 (M+ + H).
단계 7:
실시예 31, 단계 6의 생성물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화합물 31을 실시예 11, 단계 6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233
실시예 32: 화합물 32의 제조
Figure pat00234
단계 1:
Figure pat00235
3-시아노-이소퀴놀린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인 2-옥시-이소퀴놀린-3-카르보니트릴을 실시예 21, 단계 2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백색 고체로서 제조하였다 .
Figure pat00236
단계 2:
Figure pat00237
3-시아노-이소퀴놀린 2-옥시드를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인 1-클로로-이소퀴놀린-3-카르보니트릴을 실시예 11, 단계 2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백색 고체로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238
단계 3:
Figure pat00239
1-클로로-이소퀴놀린-3-카르보니트릴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1, 단계 5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240
단계 4:
실시예 32, 단계 3의 생성물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화합물 32를 실시예 1, 단계 9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백색 고체로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241
실시예 33: 화합물 33의 제조
Figure pat00242
단계 1:
Figure pat00243
3-메틸-이소퀴놀린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인 3-메틸-이소퀴놀린 2-옥시드를 실시예 21, 단계 2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백색 고체로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244
단계 2:
Figure pat00245
3-메틸-이소퀴놀린 2-옥시드를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인 1-클로로-3-메틸-이소퀴놀린을 실시예 11, 단계 2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백색 고체로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246
단계 3:
Figure pat00247
1-클로로-3-메틸-이소퀴놀린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1, 단계 5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백색 고체로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248
단계 4:
실시예 33, 단계 3의 생성물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화합물 33을 실시예 1, 단계 9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백색 고체로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249
실시예 34: 화합물 34의 제조
Figure pat00250
단계 1:
3-시클로프로필-이소퀴놀린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인 3-시클로프로필-이소퀴놀린 2-옥시드를 실시예 21, 단계 2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백색 고체로서 제조하였다 (문헌 [L. Flippin, J. Muchowski, J. O. C, 1993, 2631-2632]).
LC-MS (체류 시간: 0.95분, 방법 B), MS m/z 186 (M+ + H).
단계 2:
Figure pat00252
3-시클로프로필-이소퀴놀린 2-옥시드를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인 1-클로로-3-시클로프로필-이소퀴놀린을 실시예 11, 단계 2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백색 고체로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253
단계 3:
Figure pat00254
1-클로로-3-시클로프로필-이소퀴놀린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1, 단계 5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백색 고체로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255
단계 4:
실시예 34, 단계 3의 생성물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화합물 34를 실시예 1, 단계 9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백색 고체로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256
실시예 35: 화합물 35의 제조
Figure pat00257
Figure pat00258
단계 1:
DMF (50 ㎖) 중 3-히드록시-이소퀴놀린 (725 mg, 5.0 mmol), 탄산세슘 (4.89 g, 15.0 mmol), MeI (781 mg, 5.5 mmol)의 혼합물을 주변 온도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EtOAc (200 ㎖)로 희석하여 여과하고, 물 (200 ㎖ ×2) 및 1 M NaOH (수용액), 염수 각각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MgSO4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여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 120 mg (15%)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259
단계 2:
3-메톡시-이소퀴놀린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인 3-메톡시-이소퀴놀린 2-옥시드를 실시예 21, 단계 2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백색 고체로서 제조하였다.
LC-MS (체류 시간: 0.83분, 방법 B), MS m/z 176 (M+ + H).
단계 3:
Figure pat00260
3-메톡시-이소퀴놀린 2-옥시드를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인 1-클로로-3-메톡시-이소퀴놀린을 실시예 11, 단계 2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백색 고체로서 제조하였다.
LC-MS (체류 시간: 1.62분, 방법 B), MS m/z 194 (M+ + H).
단계 4:
Figure pat00261
1-클로로-3-메톡시-이소퀴놀린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1, 단계 5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백색 고체로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262
단계 5:
실시예 35, 단계 4의 생성물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화합물 35를 실시예 1, 단계 9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백색 고체로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263
실시예 36: 화합물 36의 제조
Figure pat00264
단계 1:
4-메톡시-2-메틸-벤조산 (5.00 g, 30.1 mmol)과 티오닐 클로라이드 (20.0 g, 0.17 mol)의 혼합물을 30분 동안 환류 가열하였다. 휘발물질을 진공하에 제거하였다. 밤새 펌핑한 후에, 점성의 오일성 산 클로라이드를 어떠한 정제 없이 다음 반응에 조 물질로서 사용하였다.
CH2Cl2 (60 ㎖) 중 4-메톡시-2-메틸-벤조일 클로라이드 용액에 0℃에서 디에틸아민을 적가하였다. 형성된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주변 온도까지 2시간 동안 가온시켰다. 휘발물질을 진공하에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EtOAc (100 ㎖)로 연화처리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1 M HCl, 1 M NaOH 및 염수로 세척하고, MgSO4상에서 건조시켰다. 용매를 증발시켜 원하는 생성물 6.51 g (98%)을 점성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LC-MS (체류 시간: 1.20분, 방법 B), MS m/z 222 (M+ + H).
단계 2:
THF (2 ㎖) 중 N,N-디에틸-4-메톡시-2-메틸-벤즈아미드 (221 mg, 1.0 mmol) 용액에 -78℃에서 n-BuLi (헥산 중 2.5 M의 0.84 ㎖, 2.10 mmol)를 적가하였다. 형성된 오랜지색 용액을 상기 온도에서 30분 더 유지시킨 후에 벤조니트릴 (103 mg, 1.0 mmol)을 적가하였다. 최종 용액을 교반하면서 주변 온도까지 밤새 가온시켰다. 빙냉시킨 5% 시트르산으로 켄칭하였다.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 2:1 헥산-EtOAc (5 ㎖)로 연화처리하여 원하는 생성물 205 mg (82%)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265
단계 3:
6-메톡시-3-페닐-2H-이소퀴놀린-1-온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인 1-클로로-6-메톡시-3-페닐-이소퀴놀린을 실시예 11, 단계 2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백색 고체로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266
단계 4:
DMSO (5 ㎖) 중 실시예 21, 단계 1의 생성물 (320 mg, 0.57 mmol) 용액에 칼륨 tert-부톡시드 (321 mg, 2.87 mmol)를 첨가하였다. 형성된 용액을 주변 온도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후에 1-클로로-6-메톡시-3-페닐-이소퀴놀린 (실시예 36, 단계 3) (155 mg, 0.57 mmol)을 첨가하였다. 최종 용액을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빙수로 켄칭하고, 1M HCl로 pH = 4까지 산성화하고, EtOAc (20 ㎖ ×2)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여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정제용 HPLC (40% B 내지 100% B, 15분 구배)로 정제하여, 상기 화합물 36의 289 mg (64%)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267
실시예 37: 화합물 37의 제조
Figure pat00268
단계 1:
THF (15 ㎖) 중 N,N-디에틸-4-메톡시-2-메틸-벤즈아미드 (633 mg, 2.9 mmol) 용액에 -78℃에서 n-BuLi (헥산 중 2.5 M의 2.3 ㎖, 5.74 mmol)를 적가하였다. 형성된 적색 용액을 상기 온도에서 추가 30분 동안 유지한 후에, THF (5 ㎖) 중 티아졸-2-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문헌 [A. Medici et al, Tetrahedron Lett. 1983, p2901]) (450 mg, 2.9 mmol) 용액에 -78℃에서 캐뉼라를 통해 주입하였다. 최종 암녹색 용액을 교반하면서 상기 온도까지 2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포화 NH4Cl (수용액)로 켄칭하고 EtOAc (50 ㎖)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포화 NH4Cl (수용액) 및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2:1 EtOAc:헥산으로 용출하면서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 405 mg (45%)을 회백색 점성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269
단계 2:
N,N-디에틸-4-메톡시-2-(2-옥소-2-티아졸-2-일-에틸)-벤즈아미드 (405 mg, 1.22 mmol)과 NH4OAc (3.0 g, 38.9 mmol)의 혼합물을 140℃로 밀봉 튜브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용융된 용액을 빙수에 붓고 여과하여, 케이크를 물로 철저하게 세척하였다. 건조된 갈색빛 고체 (240 mg, 76%)을 추가의 정제 없이 조 물질로서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LC-MS (체류 시간: 1.24분, 방법 B), MS m/z 259 (M+ + H).
단계 3:
6-메톡시-3-티아졸-2-일-2H-이소퀴놀린-1-온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인 1-클로로-6-메톡시-3-티아졸-2-일-이소퀴놀린을 실시예 11, 단계 2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백색 고체로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270
단계 4:
1-클로로-6-메톡시-3-티아졸-2-일-이소퀴놀린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화합물 37을 실시예 36, 단계 4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271
실시예 38: 화합물 38의 제조
Figure pat00272
단계 1:
DMF (200 ㎖) 중 3-히드록시-이속사졸-5-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5.72 g, 0.04 mol), 메틸 요오다이드 (6.82 g, 0.044 mol) 및 탄산세슘 (39.1 g, 0.12 mol)의 혼합물을 주변 온도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EtOAc (1L)로 희석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물 (1L, X2), 1 M NaOH 및 염수 각각으로 세척하고 MgSO4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 증발시켜 원하는 생성물 4.80 g (76%)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여기서 얻어진 생성물을 추가의 정제 없이 조 물질로서 사용하였다.
Figure pat00273
단계 2:
Figure pat00274
3-메톡시-이속사졸-5-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를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인 N,N-디에틸-4-메톡시-2-[2-(3-메톡시-이속사졸-5-일)-2-옥소-에틸]-벤즈아미드를 실시예 37, 단계 1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LC-MS (체류 시간: 1.28분, 방법 B), MS m/z 347 (M+ + H).
단계 3:
Figure pat00275
N,N-디에틸-4-메톡시-2-[2-(3-메톡시-이속사졸-5-일)-2-옥소-에틸]-벤즈아미드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인 6-메톡시-3-(3-메톡시-이속사졸-5-일)-2H-이소퀴놀린-1-온을 실시예 37, 단계 2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276
단계 4:
Figure pat00277
6-메톡시-3-(3-메톡시-이속사졸-5-일)-2H-이소퀴놀린-1-온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인 1-클로로-6-메톡시-3-(3-메톡시-이속사졸-5-일)-이소퀴놀린을 실시예 11, 단계 2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백색 고체로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278
단계 5:
1-클로로-6-메톡시-3-(3-메톡시-이속사졸-5-일)-이소퀴놀린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화합물 38을 실시예 36, 단계 4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279
실시예 39: 화합물 39의 제조
Figure pat00280
단계 1:
Figure pat00281
5-메톡시-옥사졸-2-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를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인 N,N-디에틸-4-메톡시-2-[2-(5-메톡시-옥사졸-2-일)-2-옥소-에틸]-벤즈아미드를 실시예 37, 단계 1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LC-MS (체류 시간: 1.24분, 방법 B), MS m/z 347 (M+ + H).
단계 2:
Figure pat00282
N,N-디에틸-4-메톡시-2-[2-(5-메톡시-옥사졸-2-일)-2-옥소-에틸]-벤즈아미드를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인 6-메톡시-3-(5-메톡시-옥사졸-2-일)-2H-이소퀴놀린-1-온을 실시예 37, 단계 2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283
단계 3:
Figure pat00284
6-메톡시-3-(5-메톡시-옥사졸-2-일)-2H-이소퀴놀린-1-온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인 1-클로로-6-메톡시-3-(5-메톡시-옥사졸-2-일)-이소퀴놀린을 실시예 11, 단계 2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백색 고체로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285
단계 4:
1-클로로-6-메톡시-3-(3-메톡시-이속사졸-5-일)-이소퀴놀린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화합물 39를 실시예 36, 단계 4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286
실시예 40: 화합물 40의 제조
Figure pat00287
단계 1:
1-클로로-6-메톡시-이소퀴놀린 (실시예 11, 단계 2의 생성물)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인 1-클로로-6-메톡시-이소퀴놀린 2-옥시드를 실시예 21, 단계 2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288
단계 2:
1-클로로-6-메톡시-이소퀴놀린 2-옥시드를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인 1,3-디클로로-6-메톡시-이소퀴놀린을 실시예 11, 단계 2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289
단계 3:
1,3-디클로로-6-메톡시-이소퀴놀린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24, 단계 1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포체로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290
LC-MS (체류 시간: 1.79분, 방법 B), MS m/z 422 (M++H).
단계 4:
Figure pat00291
실시예 40, 단계 3의 생성물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11, 단계 4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LC-MS (체류 시간: 1.83분, 방법 B), MS m/z 635 (M++H).
단계 5:
Figure pat00292
실시예 40, 단계 4의 생성물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11, 단계 5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백색 고체로서 제조하였다. LC-MS (체류 시간: 1.36분, 방법 B), MS m/z 535 (M++H).
단계 6: 실시예 40, 단계 5의 생성물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화합물 40을 실시예 11, 단계 6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백색 고체로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293
실시예 41: 화합물 41의 제조
Figure pat00294
단계 1:
Figure pat00295
실시예 40, 단계 3의 생성물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30, 단계 1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LC-MS (체류 시간: 1.85분, 방법 B), MS m/z 455 (M++H).
단계 2:
Figure pat00296
실시예 41, 단계 1의 생성물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11, 단계 4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포체로서 제조하였다. LC-MS (체류 시간: 1.88분, 방법 B), MS m/z 667 (M++H).
단계 3:
Figure pat00297
실시예 41, 단계 2의 생성물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11, 단계 5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백색 고체로서 제조하였다. LC-MS (체류 시간: 1.38분, 방법 B), MS m/z 567 (M++H).
단계 4: 실시예 41, 단계 3의 생성물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화합물 41을 실시예 11, 단계 6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백색 고체로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298
실시예 42: 화합물 42의 제조
P2 요소를 위한 출발 물질로서 6-메톡시 신남산 대신에 6-에톡시 신남산을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화합물 42를 실시예 11의 화합물 11을 제조하는데 사용된 절차를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299
Figure pat00300
단락 C:
실시예 45: 화합물 45의 제조
Figure pat00301
Figure pat00302
단계 1: 중간 압력 플라스크 (켐글라스(Chemglass))에서 DMF (50 ㎖) 중 2-브로모-5-메톡시벤조산 (1.68 g, 7.27 mmol) 용액에 벤즈아미딘 (1.25 g, 8.00 mmol), K2CO3 (6.0 g, 43.6 mmol) 및 구리 분말 (336 mg, 1.45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시간 동안 180℃로 가열하였다. 구리 및 과량의 K2CO3을 진공 여과로 제거하고, MeOH로 세척하였다. 여액을 농축하고, 생성된 조물질을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SiO2, DCM 중 5% MeOH)로 정제하여 밝은 녹색 고체 (1.55 g, 84% 수율)를 수득하였다.
Figure pat00303
단계 2: THF (82 ㎖) 중 Boc-cis-히드록시프롤린-OMe (2.0 g, 8.15 mmol) 및 실시예 45, 단계 1로부터의 생성물 (2.26 g, 8.97 mmol)의 0℃ 슬러리에 Ph3P 및 디이소프로필 아조카르복실레이트 (1.98 g, 8.97 mmol)를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7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반응 혼합물을 EtOAc (100 ㎖)로 희석하고, H2O (50 ㎖)로 세척하였다. 수성 층을 분리하고, EtOAc (2 ×50 ㎖)로 역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하여 점성 오일을 수득하고, 이를 최소량의 EtOAc 중에 재용해시키고, 헥산을 첨가하여 대부분의 Ph3PO 부산물을 침전시켰다. Ph3PO를 진공 여과로 제거하고, 액체 여액을 농축시켰다. 생성된 점성 오일을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SiO2, 4:1 hex:EtOAc)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 생성물 (1.76 g, 45% 수율)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304
Figure pat00305
단계 3: 실시예 45, 단계 2로부터의 생성물 (760.0 mg, 1.59 mmol)을 DCM 중 50% TFA 중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농축하고, 생성된 갈색 점성 오일을 진공하에 밤새 건조하였다. 생성물을 다음 반응에서 직접 사용하였다.
단계 4: DCM (11 ㎖) 중 실시예 45, 단계 3으로부터의 갈색 점성 오일 생성물 (963 mg, 1.59 mmol) 및 DIPEA (1.23 g, 9.54 mmol)의 용액에 N-BOC L-tBuGly (440 mg, 1.90 mmole), HBTU (902 mg, 2.38 mmole) 및 HOBt (364 mg, 2.38 mmole)를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4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용매 및 과량의 DIPEA를 농축하고, 생성된 갈색 점성 오일을 플래쉬 컬럼 (SiO2, 4:1 hex:EtOAc)으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 (0.922 mg, 두 단계에 대해 98% 수율)를 수득하였다:
Figure pat00306
단계 5: THF (1O ㎖) 중 실시예 45, 단계 4 (409 mg, 0.69 mmol)로부터의 생성물의 용액에 1N NaOH (2 ㎖)를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9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반응물을 진한 HCl로 약 pH 5로 산성화시키고, DCM (3 x 50 ㎖)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MgSO4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하여 황색 고체 생성물 (370 mg, 92% 수율)을 수득하고, 이를 진공하에 건조한 후, 다음 반응에 직접 사용하였다:
Figure pat00307
Figure pat00308
단계 6: THF (20 ㎖) 및 DMSO (2 ㎖) 중 N-Boc-비닐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 (1R,2S/1S,2R 1:1 혼합물) (1.01 g, 4.46 mmol) 용액에 CDI (1.08 g, 6.69 mmol) 및 DMAP (817 mg, 6.69 mmol)를 첨가하였다. 7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이소프로필술폰아미드 (1.1 g, 8.92 mmol) 및 DBU (1.36 g, 8.92 mmol)로 처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를 농축하고,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SiO2, DCM 중 5% MeOH)로 정제하여, 갈색 점성 오일 (1.4 g, 98% 수율)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309
단계 7: 실시예 45, 단계 6 (113 mg, 0.34 mmol)으로부터의 생성물을 DCM (1O ㎖) 중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50% 용액으로 처리하고, 실온에서 1.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 및 과량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진공하에 제거하였다. 생성된 갈색 점성 오일을 진공하에 건조하고 (1.3 g, 99% 수율), 추가의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Figure pat00310
단계 8: DCM (5 ㎖) 중 실시예 45, 단계 5로부터의 생성물 (117 mg, 0.338 mmol)과 DIPEA (174 mg, 1.35 mmol)의 혼합물에 HBTU (128 mg, 0.338 mmole), HOBt (52 mg, 0.338 mmole) 및 실시예 45, 단계 7로부터의 생성물 (130 mg, 0.225 mmol)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상기 혼합물을 농축하고, 생성된 갈색 점성 오일을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SiO2, 1:3 hex:EtOAc에 이어 95:5 DCM:MeOH)로 정제하여 회백색 고체 생성물 (150 mg, 84% 수율)을 수득하였다. 최종 생성물인 화합물 45는 이성질체의 혼합물이다; 분자의 P1 비닐시클로프로필 부분에서 변화가 있음 (1R,2S/1S,2R 1:1 혼합물):
Figure pat00311
실시예 46: 화합물 46의 제조
Figure pat00312
하기의 변경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화합물 46을 실시예 45의 단계 1 내지 5 및 단계 8을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변경: 2-브로모-4,5-디메톡시벤조산 및 시클로프로필카르브아미딘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출발 물질로서 사용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313
데이타:
Figure pat00314
단계 2:
변경: 출발 물질로서 실시예 45, 단계 1로부터의 생성물 대신에 실시예 46, 단계 1로부터의 생성물을 사용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315
데이타:
Figure pat00316
단계 3 및 4: 출발 물질로서 실시예 45, 단계 2로부터의 생성물 대신에 실시예 46, 단계 2로부터의 생성물을 사용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317
데이타:
Figure pat00318
단계 5: 출발 물질로서 실시예 45, 단계 4로부터의 생성물 대신에 실시예 46, 단계 4로부터의 생성물을 사용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319
데이타:
Figure pat00320
단계 8: 출발 물질로서 실시예 45, 단계 5로부터의 생성물 대신에 실시예 46, 단계 5로부터의 생성물을 사용하였다. 최종 생성물인 화합물 46은 이성질체의 혼합물이다; 분자의 P1 비닐시클로프로필 부분에서 변화가 있음 (1R,2S/1S,2R 1:1 혼합물).
생성물:
Figure pat00321
데이타:
Figure pat00322
실시예 47: 화합물 47의 제조
Figure pat00323
화합물 47을 실시예 45의 화합물 45를 수득하기 위해 사용된 것과 유사한 단계를 따라 제조하였다. 출발 물질로서 사용된 오르토-브로모벤조산은 시클로프로판술폰산 (1R-아미노-2S-비닐-시클로프로판카르보닐)-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이었다. 화합물 47: MH+=761
실시예 48: 화합물 48의 제조
Figure pat00324
화합물 48은 하기의 변경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5의 단계 1 내지 5 및 단계 8을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변경: 아세트아미딘 히드로클로라이드 및 2-브로모-5-메톡시벤조산을 출발 물질로 사용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325
데이타:
Figure pat00326
단계 2:
변경: 출발 물질로서 실시예 45, 단계 1로부터의 생성물 대신에 실시예 48, 단계 1로부터의 생성물을 사용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327
데이타:
Figure pat00328
단계 3 및 4:
변경: 출발 물질로서 실시예 45, 단계 2로부터의 생성물 대신에 실시예 48, 단계 2로부터의 생성물을 사용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329
데이타:
Figure pat00330
단계 5:
변경: 출발 물질로서 실시예 45, 단계 4로부터의 생성물 대신에 실시예 48, 단계 4로부터의 생성물을 사용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331
데이타:
Figure pat00332
실시예 48: 화합물 48의 제조
Figure pat00333
단계 8: DCM (1 ㎖) 중 실시예 48, 단계 5로부터의 생성물 (45.8 mg, 0.089 mmol), 시클로프로판술폰산 (1R-아미노-2S-비닐-시클로프로판카르보닐)-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염 (21.0 mg, 0.089 mmol) 및 DIEA (34.5 mg, 0.267 mmol)의 용액에 HATU (44.0 mg, 0.116 mmol)를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밤새 교반한 후에, 반응 혼합물을 5% 수성 NaHCO3 (1 ㎖)으로 세척하였다. 수성 층을 2 ×2 ㎖ DCM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5% 수성 시트르산 (1 ㎖) 및 염수로 세척하고, MgSO4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하고 역상 정제용 HPLC로 정제하였다. 상기 정제 단계로 분자의 P3 tert-루이신 부분에서 N-BOC 보호기를 상실시켰다:
Figure pat00334
실시예 49: 화합물 49의 제조
Figure pat00335
실시예 46, 단계 5로부터의 생성물 및 시클로프로판술폰산 (1R-아미노-2S-비닐-시클로프로판카르보닐)-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을 출발 물질로서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 화합물 49를 화합물 48의 제조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정제용 HPLC로의 정제 단계로 분자의 P3 tert-루이신 부분에서 N-BOC 보호기를 상실시켰다:
Figure pat00336
실시예 50: 화합물 50의 제조
Figure pat00337
실시예 45, 단계 5로부터의 생성물 및 시클로프로판술폰산 (1R-아미노-2S-비닐-시클로프로판카르보닐)-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을 출발 물질로서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 화합물 50을 화합물 48의 제조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정제용 HPLC로의 정제 단계로 분자의 P3 tert-루이신 부분에서 N-BOC 보호기를 상실시켰다:
Figure pat00338
실시예 51: 화합물 51의 제조
Figure pat00339
화합물 51은 하기의 변경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5의 단계 1 내지 5 및 단계 8을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변경: 2-브로모-4,5-디메톡시벤조산 및 트리플루오로아미딘을 출발 물질로서 사용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340
데이타:
Figure pat00341
단계 2:
변경: 출발 물질로서 실시예 45, 단계 1로부터의 생성물 대신에 실시예 51, 단계 1로부터의 생성물을 사용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342
데이타:
Figure pat00343
단계 3 및 4:
변경: 출발 물질로서 실시예 45, 단계 2로부터의 생성물 대신에 실시예 51, 단계 2로부터의 생성물을 사용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344
데이타:
Figure pat00345
단계 5:
변경: 출발 물질로서 실시예 45, 단계 4로부터의 생성물 대신에 실시예 51, 단계 4로부터의 생성물을 사용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346
데이타:
Figure pat00347
단계 8:
변경: 출발 물질로서 실시예 45, 단계 5로부터의 생성물 대신에 실시예 51, 단계 5로부터의 생성물을 사용하였다. 최종 생성물인 화합물 51은 이성질체의 혼합물이다; 분자의 P1 비닐시클로프로필 부분에서 변화가 있음 (1R,2S/1S,2R 1:1 혼합물).
생성물:
Figure pat00348
데이타:
Figure pat00349
실시예 52: 화합물 52의 제조
Figure pat00350
실시예 51, 단계 5로부터의 생성물 및 시클로프로판술폰산 (1R-아미노-2S-비닐-시클로프로판카르보닐)-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을 출발 물질로서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 화합물 52는 화합물 48의 제조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정제용 HPLC로의 정제 단계로 분자의 P3 tert-루이신 부분에서 N-BOC 보호기를 상실시켰다:
Figure pat00351
실시예 53: 화합물 53의 제조
Figure pat00352
Figure pat00353
단계 1: DCM (17 ㎖) 중 (1R,2S/1S,2R 1:1 혼합물) 시클로프로판술폰산 (1-아미노-2-비닐-시클로프로판카르보닐)-아미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염 (626 mg, 1.82 mmol)의 용액에 DCM (17 ㎖) 중 DIEA (555 mg, 4.29 mmol), HATU (754 mg, 1.98 mmole) 및 (2S,4R)Fmoc-4-아미노-1-boc-피롤리딘-2-카르복실산 (747 mg, 1.65 mmol)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상기 혼합물을 1N HCl (1O ㎖) 및 5% 수성 NaHCO3 (4 ㎖)으로 세척하였다. 각각의 수성 층을 DCM (25 ㎖)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DCM을 MgSO4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생성된 갈색 점성 오일을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SiO2, 95:5 DCM:MeOH)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 (822 mg, 75% 수율)를 수득하였다.
Figure pat00354
단계 2: 실시예 53, 단계 1로부터의 생성물 (500 mg, 0.752 mmol)을 DCM (1O ㎖) 중 50% TFA로 처리하였다. 실온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생성된 갈색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여 갈색 고체 (489 mg, 84% 수율)를 수득하였다.
Figure pat00355
Figure pat00356
단계 3: DCM (4 ㎖) 중 실시예 53, 단계 2로부터의 생성물 (260 mg, 0.383 mmol)의 용액에 DIPEA (218 mg, 1.69 mmol), HATU (165 mg, 0.422 mmol) 및 N-BOC L-tBuGly (100 mg, 0.422 mmol)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반응 혼합물을 H2O (3 ㎖)로 희석하고, 1 N HCl로 pH가 1이 되도록 산성화하였다. 수성 층을 DCM (2 ×15 ㎖)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5% NaHCO3 (3 ㎖) 및 염수 (5 ㎖)로 세척하고, MgSO4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생성된 갈색 점성 오일을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SiO2, 95:5 DCM:MeOH)로 정제하여, 갈색 발포체성 고체 (281 mg, 94% 수율)를 수득하였다.
Figure pat00357
단계 4: 실시예 53, 단계 3으로부터의 생성물을 DMF (3.3 ㎖) 중 10% 피페리딘으로 처리하였다. 실온에서 14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용매를 제거하고, 생성된 갈색 점성 오일을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SiO2, 95:5 DCM:MeOH)로 정제하여 옅은 황색 고체로서 (31 mg) 최고 순도 Rf 1R,2S P1 부분입체이성질체를 단리하였다. 다른 이성질체를 혼합물 중에 단리하고 사용하지 않았다: LC-MS m/z (MH+) 556.
Figure pat00358
단계 5 및 6: DMF (2 ㎖) 중 실시예 53, 단계 4로부터의 생성물의 용액에 폴리비닐피리딘 (13 mg) 및 Fmoc-이소티오시아네이트를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4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반응 혼합물을 피페리딘 (172 mg, 2.02 mmol)으로 처리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추가로 6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이를 농축하고, 진공하에 밤새 건조하였다. 조질의 잔류물을 DMF (2 ㎖) 중에 재용해시키고, 2-브로모아세토페논으로 처리하고, 추가 14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고, 생성된 잔류물을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SiO2, 95:5 DCM:MeOH)로 정제하여 화합물 53을 밝은 황색 고체 (21.9 mg, 50%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359
화합물 55 내지 화합물 155를 위한 역상 정제용 HPLC 조건은 다음과 같다:
워터스(Waters) 엑스테라 정제용 MS C18 컬럼, 5 mm (이는 5 마이크론 입자 크기를 의미함), 30 mm x 100 mm
용매 A: 10% MeOH, 90% H2O, 10 mM NH40Ac
용매 B: 90% MeOH, 10% H2O, 10 mM NH40Ac
50 ㎖/분 유속
구배: 10분 동안 0%B에서 100%B, 100%B에서 4분 동안 유지
실시예 55: 화합물 55의 제조
Figure pat00360
단계 1: DCE (25 ㎖) 중 화합물 11 (1.5 g, 2.10 mmol)의 용액에 TFA (25 ㎖)를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5분 동안 교반한 후에,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켰다. 생성된 적색 점성 오일을 DCE (50 ㎖) 중에 재용해시키고, 재농축시켰다. 그 다음, DCM (15 ㎖) 중에 재용해시키고, Et2O (25 ㎖) 중 1N HCl의 용액으로 처리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을 0℃에서 냉장시키고, 진공 여과하고, Et2O로 세척하고, 진공 오븐에서 건조하여 단계 1의 생성물을 백색 고체 (1.4 g, 97%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361
단계 2: DCM (2 ㎖) 중 실시예 55의 단계 1로부터의 생성물 (70.0 mg, 0.108 mmol)과 DIEA (41.8 mg, 0.323 mmol)의 혼합물 용액에 아세트산 무수물 (33.0 mg, 0.323 mmol)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4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용매를 제거하고, 생성물을 역상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화합물 55 (39.1 mg, 14% 수율)를 수득하였다.
Figure pat00362
실시예 56: 화합물 56의 제조
Figure pat00363
화합물 56은 하기를 변경하여 화합물 55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변경: 시클로펜탄카르보닐 클로라이드를 출발 물질로서 사용하여 화합물 56 (18.0 mg, 24% 수율)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364
실시예 57: 화합물 57의 제조
Figure pat00365
화합물 57은 하기를 변경하여 화합물 55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변경: 2-에틸부티릴 클로라이드를 출발 물질로서 사용하여 화합물 57 (20.7 mg, 27% 수율)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366
실시예 58: 화합물 58의 제조
Figure pat00367
DCM (2 ㎖) 중 실시예 55의 단계 1로부터의 생성물 (70.0 mg, 0.108 mmol), DIEA (41.8 mg, 0.323 mmol) 및 시클로프로판아세트산 (16.2 mg, 0.162 mmol)의 혼합물 용액에 HATU (61.6 mg, 0.162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한 후에, 이를 5% 수성 NaHCO3 (1 ㎖)으로 세척하였다. 수성 층을 2 ×2 ㎖ DCM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5% 수성 시트르산 (2 ㎖) 및 염수로 세척하고, MgSO4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생성물을 역상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화합물 58 (21.9 mg, 29% 수율)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368
실시예 59: 화합물 59의 제조
Figure pat00369
화합물 59는 하기를 변경하여 화합물 58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변경: 메톡시아세트산을 출발 물질로서 사용하여 화합물 59 (23.5 mg, 32% 수율)를 수득하였다:
Figure pat00370
실시예 60: 화합물 60의 제조
Figure pat00371
화합물 60은 하기를 변경하여 화합물 58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변경: (+)-메톡시아세트산을 출발 물질로서 사용하여 화합물 60 (23.8 mg, 27% 수율)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372
실시예 61: 화합물 61의 제조
Figure pat00373
화합물 61은 하기를 변경하여 화합물 58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변경: (-)-메톡시아세트산을 출발 물질로서 사용하여 화합물 61 (26.4 mg, 30% 수율)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374
실시예 62: 화합물 62의 제조
Figure pat00375
화합물 62는 하기를 변경하여 화합물 58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변경: 비시클로[1.1.1]펜탄-2-카르복실산을 출발 물질로서 사용하여 화합물 62 (35.1 mg, 45% 수율)를 수득하였다:
Figure pat00376
실시예 63: 화합물 63의 제조
Figure pat00377
화합물 63은 하기를 변경하여 화합물 58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변경: 피라진-2-카르복실산을 출발 물질로서 사용하여 화합물 63 (42.3 mg, 54% 수율)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378
실시예 64: 화합물 64의 제조
Figure pat00379
DCM (2 mL) 중 실시예 55의 단계 1로부터의 생성물 (70.0 mg, 0.108 mmol) 및 DIEA (41.8 mg, 0.323 mmol)의 용액 혼합물에 벤질 클로로포르메이트 (55.1 mg, 0.323 mmol)를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4시간 동안 교반 이후, 용매를 제거하고 생성물을 역상 정제용 HPLC로써 정제하여 화합물 64 (26.9 mg, 31% 수율)를 수득하였다:
Figure pat00380
실시예 65: 화합물 65의 제조
Figure pat00381
화합물 65는 하기를 변경하여 화합물 64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변경: (+)-메틸 클로로포르메이트를 출발 물질로서 사용하여 화합물 65 (28.8 mg, 36% 수율)를 수득하였다:
Figure pat00382
실시예 66: 화합물 66의 제조
Figure pat00383
화합물 66은 하기를 변경하여 화합물 64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변경: (-)-메틸 클로로포르메이트를 출발 물질로서 사용하여 화합물 66 (26.9 mg, 31% 수율)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384
실시예 67: 화합물 67의 제조
Figure pat00385
화합물 67은 하기를 변경하여 화합물 64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변경: 디-tert-아밀 디카르보네이트를 출발 물질로서 사용하여 화합물 67 (35.3 mg, 41% 수율)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386
실시예 68: 화합물 68의 제조
Figure pat00387
화합물 68은 하기를 변경하여 화합물 64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변경: 2,2,2-트리클로로-1,1-디메틸 클로로포르메이트를 출발 물질로서 사용하여 화합물 68 (30.5 mg, 37% 수율)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388
실시예 69: 화합물 69의 제조
Figure pat00389
THF (2 mL) 중 실시예 55의 단계 1로부터의 생성물 (102 mg, 0.149 mmol) 및 DIEA (48.2 mg, 0.373 mmol)의 용액 혼합물에 N,N'-디숙신이미딜 카르보네이트 (57.1 mg, 0.223 mmol)를 첨가하였다. 15분 동안 80℃로 생성된 현탁액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였다. 이어서 실온에서 15분 동안 THF (1 mL) 중 1-메틸 시클로펜탄올 (149.2 mg, 1.49 mmol)의 0℃ 용액을 NaH (오일 중 60%, 59.6 mg, 1.49 mmol)로 처리함으로써 제조된 소듐 1-메틸 시클로펜톡사이드의 슬러리 용액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5분 동안 교반 이후, 상기 반응을 포화된 수성 암모늄 클로라이드 (3 mL)로 켄칭하고 EtOAc (10 mL)로 추출하였다. 이어서 유기 층을 셀라이트 히드로매트릭스 컬럼을 통과시키고, 농축하고 역상 정제용 HPLC로써 정제하여 화합물 69 (49.0 mg, 44%)를 수득하였다:
Figure pat00390
실시예 70: 화합물 70의 제조
Figure pat00391
화합물 70은 하기를 변경하여 화합물 69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변경: 시클로펜탄올을 출발 물질로서 사용하여 화합물 70 (85.1 mg, 40% 수율)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392
실시예 71: 화합물 71의 제조
Figure pat00393
화합물 71은 하기를 변경하여 화합물 69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변경: 시클로부탄올을 출발 물질로서 사용하여 화합물 71 (16.2 mg, 39% 수율)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394
실시예 72: 화합물 72의 제조
Figure pat00395
화합물 72는 하기를 변경하여 화합물 69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변경: 2-페닐-2-프로판올을 출발 물질로서 사용하여 화합물 72 (19.0 mg, 42% 수율)를 수득하였다:
Figure pat00396
실시예 73: 화합물 73의 제조
Figure pat00397
화합물 73은 하기를 변경하여 화합물 69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변경: 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디메틸 카르비놀을 출발 물질로서 사용하여 화합물 73 (22.1 mg, 45% 수율)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398
실시예 74: 화합물 74의 제조
Figure pat00399
DCM (2 mL) 중 실시예 55의 단계 1로부터의 생성물 (70.0 mg, 0.108 mmol) 및 DIEA (41.8 mg, 0.323 mmol)의 용액 혼합물에 t-부틸이소시아네이트 (32.0 mg, 0.323 mmol)를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밤새 교반 이후,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고 역-상 정제용 HPLC로써 정제하여 화합물 74 (42.3 mg, 55% 수율)를 수득하였다:
Figure pat00400
실시예 75: 화합물 75의 제조
Figure pat00401
화합물 75는 하기를 변경하여 화합물 74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변경: 시클로펜틸 이소시아네이트를 출발 물질로서 사용하여 화합물 75 (38.5 mg, 49%)를 수득하였다:
Figure pat00402
실시예 76: 화합물 76의 제조
Figure pat00403
THF (2 mL) 중 실시예 55의 단계 1로부터의 생성물 (70 mg, 0.102 mmol) 및 DIEA (33.0 mg, 0.255 mmol)의 용액 혼합물에 N,N'-디숙신이미딜 카르보네이트 (39.2 mg, 0.153 mmol)를 첨가하였다. 15분 동안 80℃로 생성된 현탁액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였다. 이어서 이것을 tert-아밀아민 (88.9 mg, 1.02 mmol)으로 처리하였다. 실온에서 15분 동안 교반 이후,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고 역상 정제용 HPLC로써 정제하여 화합물 76 (51 mg, 69%)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404
실시예 77: 화합물 77의 제조
Figure pat00405
화합물 77은 하기를 변경하여 화합물 76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변경: tert-부틸 메틸아민을 출발 물질로서 사용하여 화합물 77 (160.7 mg, 74% 수율)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406
실시예 78: 화합물 78의 제조
Figure pat00407
화합물 78은 하기를 변경하여 화합물 76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변경: N,O-디메틸히드록실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출발 물질로서 사용하여 화합물 78 (62.1 mg, 60% 수율)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408
실시예 79: 화합물 79의 제조
Figure pat00409
화합물 79는 하기를 변경하여 화합물 76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변경: 디에틸아민을 출발 물질로서 사용하여 화합물 79 (56.5 mg, 54% 수율)를 수득하였다:
Figure pat00410
실시예 80: 화합물 80의 제조
Figure pat00411
화합물 80은 하기를 변경하여 화합물 76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변경: 포화된 수성 암모늄 클로라이드를 출발 물질로서 사용하여 화합물 76 (12.2 mg, 32% 수율)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412
실시예 81: 화합물 81의 제조
Figure pat00413
화합물 81은 하기를 변경하여 화합물 76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변경: tert-옥틸아민을 출발 물질로서 사용하여 화합물 81 (16.1 mg, 48% 수율)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414
실시예 82: 화합물 82의 제조
Figure pat00415
화합물 82는 하기를 변경하여 화합물 76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변경: 1-(4-플루오로페닐)-2-메틸-2-프로필아민을 출발 물질로서 사용하여 화합물 82 (14.8 mg, 42% 수율)를 수득하였다:
Figure pat00416
실시예 83: 화합물 83의 제조
Figure pat00417
화합물 83은 하기를 변경하여 화합물 76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변경: 쿠밀아민을 출발 물질로서 사용하여 화합물 83 (64.6 mg, 57% 수율)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418
실시예 84: 화합물 84의 제조
Figure pat00419
실시예 11의 단계 5의 생성물 (77.0 mg, 0.136 mmol), DIEA (70.4 mg, 0.544 mmol) 및 HATU (77.5 mg, 0.204 mmol)의 용액에 Boc-MeIle-OH (43.4 mg, 0.177 mmol)를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4시간 동안 교반 이후, 반응 혼합물을 5% 수성 NaHC03 (1 mL)로 세척하였다. 수성 층을 2회 2 mL DCM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5% 수성 시트르산 (2 mL), 염수로 세척하고, MgS04상에서 건조하고, 농축하고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Si02, 97:3 DCM:MeOH)로써 정제하여 화합물 84 (68.4 mg, 69% 수율)를 수득하였다:
Figure pat00420
실시예 85: 화합물 85의 제조
Figure pat00421
화합물 85는 하기를 변경하여 화합물 84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변경: Boc-MeVal-OH를 출발 물질로서 사용하여 화합물 84 (72.1 mg, 74% 수율)를 수득하였다:
Figure pat00422
실시예 86: 화합물 86의 제조
Figure pat00423
화합물 86은 하기를 변경하여 화합물 84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변경: Boc-MeLeu-OH를 출발 물질로서 사용하여 화합물 85 (56.5 mg, 57% 수율)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424
실시예 87: 화합물 87의 제조
Figure pat00425
화합물 87은 하기를 변경하여 화합물 84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변경: Boc-MeNle-OH를 출발 물질로서 사용하여 화합물 87 (82.3 mg, 83% 수율)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426
실시예 88: 화합물 88의 제조
Figure pat00427
화합물 88은 하기를 변경하여 화합물 84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변경: Boc-N-Me-NVa-OH를 출발 물질로서 사용하여 화합물 88 (70.5 mg, 73% 수율)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428
실시예 89: 화합물 89의 제조
Figure pat00429
실시예 11의 단계 5로부터의 생성물 (66.0 mg, 0.123 mmol), DIEA (63.7 mg, 0.492 mmol) 및 HATU (70.0 mg, 0.184 mmol)의 용액에 2S-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히드록시-3-메틸-부티르산 (34.0 mg, 0.147 mmol)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4시간 동안 교반 이후, 반응 혼합물을 5% 수성 NaHC03 (1 mL)로 세척하였다. 수성 층을 2 mL DCM으로 2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5% 수성 시트르산 (2 mL), 염수로 세척하고, MgS04 상에서 건조하고, 농축하고 역상 정제용 HPLC로써 정제하여 화합물 89 (36.1 mg, 41% 수율)를 수득하였다:
Figure pat00430
실시예 91: 화합물 91의 제조
Figure pat00431
화합물 91은 하기를 변경하여 화합물 89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변경: Boc-L-Thr-OH를 출발 물질로서 사용하여 화합물 91 (80.5 mg, 66% 수율)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432
실시예 92: 화합물 92의 제조
Figure pat00433
화합물 92는 하기를 변경하여 화합물 89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변경: Boc-L-Thr(Me)-OH를 출발 물질로서 사용하여 화합물 92 (47.1 mg, 69% 수율)를 수득하였다:
Figure pat00434
실시예 93: 화합물 93의 제조
Figure pat00435
화합물 93은 하기를 변경하여 화합물 89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변경: Boc-L-Thr(tBu)-OH를 출발 물질로서 사용하여 화합물 93 (52.7 mg, 53% 수율)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436
실시예 94: 화합물 94의 제조
Figure pat00437
화합물 94는 하기를 변경하여 화합물 89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변경: Boc-(2S,3S)-2-아미노-3-메톡시부탄산을 출발 물질로서 사용하여 화합물 94 (150.2 mg, 80% 수율)를 수득하였다:
Figure pat00438
실시예 95: 화합물 95의 제조
Figure pat00439
단계 1:
DCM (150 mL) 중 H-allo-THr-OH (5.0 g, 41.98 mmol) 및 DIEA (10.9 g, 83.96 mmol)의 혼합물에 디-tert-부틸 디카르보네이트 (13.7 g, 62.97 mmol)를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4시간 동안 교반 이후, 반응 혼합물을 3회 100 mL DCM으로 세척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MgS04 상에서 건조하고 농축하였다. LC/MS는 대부분의 생성물이 H20 층에 머무름을 나타낸다. 이어서 수 층을 농축하였다. 생성물을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Si02, 90:10 DCM:MeOH)로써 정제하여 Boc-allo-THr-OH를 수득하였다; LC-MS (체류 시간: 0.727분), MS m/z 242 (MNa+).
단계 2:
실시예 11의 단계 5로부터의 생성물 (100.0 mg, 0.174 mmol), DIEA (67.6 mg, 0.522 mmol) 및 HATU (106.0 mg, 0.278 mmol)의 용액에 상기 단계 1로부터의 생성물 (57.3 mg, 0.262 mmol)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 이후, 반응 혼합물을 5% 수성 NaHC03 (1 mL)로 세척하였다. 수성 층을 2 mL DCM으로 2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5% 수성 시트르산 (2 mL), 염수로 세척하고, Mg04상에서 건조하고, 농축하고 역상 정제용 HPLC로써 정제하여 화합물 95 (39.1 mg, 32% 수율)를 수득하였다:
Figure pat00440
실시예 96: 화합물 96의 제조
Figure pat00441
화합물 96은 하기를 변경하여 화합물 95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변경:
단계 1:
(2S,3S)-2-아미노-3-에톡시부탄산 히드로클로라이드를 단계 1에서 출발 물질로서 사용하여 Boc-(2S,3S)-2-아미노-3-에톡시부탄산을 수득하였다; LC-MS (체류 시간: 1.067분), MS m/z 270 (M+Na+).
단계 2:
이어서 단계 1로부터의 생성물을 실시예 11의 단계 5로부터의 생성물과 동일한 방법으로 커플링하여 화합물 96 (55.3 mg, 44% 수율)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442
실시예 97: 화합물 97의 제조
Figure pat00443
화합물 97은 하기를 변경하여 화합물 95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변경:
단계 1:
H-allo-Thr(t-Bu)-OH를 단계 1에서 출발 물질로서 사용하여 Boc-(2S,3S)-2-아미노-3-에톡시부탄산을 수득하였다; LC-MS (체류 시간: 1.363분), MS m/z 298 (M+Na+).
단계 2:
이어서 단계 1로부터의 생성물을 실시예 11의 단계 5로부터의 생성물과 동일한 방법으로 커플링하여 화합물 97 (48.2 mg, 37% 수율)을 수득하였다: LC-MS (체류 시간: 1.820분), MS m/z 758 (MH+).
실시예 99: 화합물 99의 제조
Figure pat00444
화합물 99는 하기를 변경하여 실시예 55의 단계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변경: 화합물 84를 출발 물질로서 사용하여 화합물 99 (60.3 mg, 98% 수율)를 수득하였다:
Figure pat00445
실시예 100: 화합물 100의 제조
Figure pat00446
DCE (3 mL) 중 화합물 94 (0.600 g, 0.838 mmol)의 용액에 TFA (3 mL)를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5분 동안 교반 이후,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였다. 생성된 점성 오일을 DCE (5 mL)에 재-용해하고 재농축하였다. 이어서 이를 DCM (2 mL) 중에 재용해하고 Et20 (10 mL) 중 1N HCl의 용액으로 처리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을 0℃로 냉각하고, 진공 여과하고, Et20로 세척하고 진공 오븐에서 건조하여 백색 고체로서 비스-히드로클로라이드 염 (527.1 g, 91% 수율)을 생성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447
실시예 101: 화합물 101의 제조
Figure pat00448
THF (2 mL) 중 화합물 100 (80 mg, 0.116 mmol) 및 DIEA (31.5 mg, 0.244 mmol)의 용액 혼합물에 N,N'-디숙신이미딜 카르보네이트 (44.6 mg, 0.174 mmol)를 첨가하였다. 15분 동안 80℃로 생성된 현탁액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였다. 이어서 이를 tert-아밀아민 (84.8 mg, 1.16 mmol)으로 처리하였다. 실온에서 15분 동안 교반 이후,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고 역상 정제용 HPLC로써 정제하여 화합물 101 (65.1 mg, 79%)를 수득하였다:
Figure pat00449
실시예 102: 화합물 102의 제조
Figure pat00450
화합물 102는 하기를 변경하여 화합물 10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변경: tert-아밀아민을 출발 물질로서 사용하여 화합물 102 (62.5 mg, 74% 수율)를 수득하였다:
Figure pat00451
실시예 103: 화합물 103의 제조
Figure pat00452
화합물 103은 하기를 변경하여 화합물 10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변경: 시클로펜틸아민을 출발 물질로서 사용하여 화합물 103 (56.4 mg, 67% 수율)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453
실시예 104: 화합물 104의 제조
Figure pat00454
THF (2 mL) 중 화합물 100 (80 mg, 0.116 mmol) 및 DIEA (31.5 mg, 0.244 mmol)의 용액 혼합물에 N,N'-디숙신이미딜 카르보네이트 (44.6 mg, 0.174 mmol)를 첨가하였다. 15분 동안 80℃로 생성된 현탁액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였다. 이어서 실온에서 15분 동안 THF (1 mL) 중 시클로펜탄올 (110 mg, 1.28 mmol)의 0℃ 용액을 NaH (오일 중 60%, 46.4 mg, 1.16 mmol)로 처리하여 제조된 소듐 시클로펜톡사이드의 슬러리 용액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5분 동안 교반 이후, 상기 반응을 포화 수성 암모늄 클로라이드 (1 mL)로 켄칭하고 EtOAc (5 mL)로 추출하였다. 이어서 유기 층을 셀라이트 히드로매트릭스 컬럼을 통과시키고, 농축하고 역상 정제용 HPLC로써 정제하여 화합물 104 (38.2 mg, 45%)를 수득하였다:
Figure pat00455
실시예 105: 화합물 105의 제조
Figure pat00456
DCM (2 mL) 중 화합물 100 (80.0 mg, 0.116 mmol) 및 DIEA (31.5 mg, 0.244 mmol)의 용액 혼합물에 디-tert-아밀 디카르보네이트 (57.1 mg, 0.232 mmol)를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4시간 동안 교반 이후, 용매를 제거하고 생성물을 역상 정제용 HPLC로써 정제하여 화합물 105 (62.5 mg, 74% 수율)를 수득하였다:
Figure pat00457
실시예 106: 화합물 106의 제조
Figure pat00458
화합물 106은 하기를 변경하여 화합물 105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변경: 카르본산 피리딘-2-일 에스테르 2,2,2-트리플루오로-1,1-디메틸-에틸 에스테르를 출발 물질로서 사용하여 화합물 106 (58.1 mg, 65% 수율)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459
실시예 107: 화합물 107의 제조
Figure pat00460
실시예 25의 단계 3으로부터의 생성물 (100.0 mg, 0.116 mmol), DIEA (62.5 mg, 0.483 mmol) 및 HATU (92.0 mg, 0.242 mmol)의 용액에 Boc-allo-Thr-OH (43.5 mg, 0.177 mmol)를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 이후, 반응 혼합물을 5% 수성 NaHC03 (1 mL)로 세척하였다. 2회 2 mL DCM으로 수성 층을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5% 수성 시트르산 (1 mL), 염수로 세척하고, MgS04상에서 건조하고, 농축하고 역상 정제용 HPLC로써 정제하여 화합물 107 (62.5 mg, 52% 수율)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461
실시예 108: 화합물 108의 제조
Figure pat00462
화합물 108은 하기를 변경하여 화합물 107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변경: Boc-(2S,3S)-아미노-3-메톡시부탄산을 출발 물질로서 사용하여 화합물 108 (75.1 mg, 51% 수율)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463
실시예 109: 화합물 109의 제조
Figure pat00464
화합물 109는 하기를 변경하여 화합물 107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변경: Boc-(2S,3S)-아미노-3-에톡시부탄산을 출발 물질로서 사용하여 화합물 109 (57.2 mg, 47% 수율)를 수득하였다:
Figure pat00465
실시예 110: 화합물 110의 제조
Figure pat00466
화합물 110은 하기를 변경하여 화합물 89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변경: Boc-L-Thr(Bn)-OH를 출발 물질로서 사용하여 화합물 110 (49.8 mg, 48% 수율)을 수득하였다; LC-MS (체류 시간: 1.857분), MS m/z 792(MH+).
단락 D:
실시예 120: 화합물 120의 제조
Figure pat00467
Figure pat00468
단계 1:
DCM (50 mL) 및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50 mL) 중 화합물 23 (실시예 23 참조) (1.50 g, 2.19 mmol)의 용액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진공에서 혼합물을 점성 잔류물로 농축하고 이어서 1,2-디클로로에탄 중에 용해하고 다시 진공에서 농축하여 회색이 도는 백색의 유리질 고체 (정량적)로서 원하는 비스-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염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이 물질을 정제하지 않고 바로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단계 2:
1,2-디클로로에탄 (3 mL) 중 실시예 120, 단계 1로부터의 생성물 (118 mg, 0.146 mmol)의 용액에 p-톨릴 클로로포르메이트 (32.4 mg, 0.190 mmol)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94.5 mg, 0.731 mmol)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72시간 동안 반응물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pH = 4 완충 용액 (3 mL)으로 3회 세척하고 세척액을 1,2-디클로로에탄 (3 mL)으로 역-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합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이어서 조 생성물을 MeOH 중에 용해하고 역상 정제용 HPLC로써 정제하여 황색 유리질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 (화합물 120) (64.2 mg, 61.1% 수율)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469
실시예 121: 화합물 121의 제조
Figure pat00470
단계 2에서 p-톨릴 클로로포르메이트 대신에 페닐 클로로포르메이트를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0의 반응식 1에 따라 화합물 121를 제조하였다.
단계 2:
변경: 페닐 클로로포르메이트 30 mg (0.19 mmol)을 사용하여, 황색 유리질 고체로서 생성물 89.0 mg (50% 수율)을 수득하였다: MS m/z 704 (MH+).
실시예 122: 화합물 122의 제조
Figure pat00471
단계 2에서 p-톨릴 클로로포르메이트 대신에 4-플루오로페닐 클로로포르메이트를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0의 반응식 1에 따라 화합물 122를 제조하였다.
단계 2:
변경: 4-플루오로페닐 클로로포르메이트 33 mg (0.19 mmol)을 사용하여, 점성 황색 오일로서 생성물 83.1 mg (78.8% 수율)을 수득하였다: MS m/z 722 (MH+).
실시예 123: 화합물 123의 제조
Figure pat00472
단계 2에서 p-톨릴 클로로포르메이트 대신에 4-메톡시페닐 클로로포르메이트를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0의 반응식 1에 따라 화합물 123을 제조하였다.
단계 2:
변경: 4-메톡시페닐 클로로포르메이트 35 mg (0.19 mmol)을 사용하여, 황색 유리질 고체로서 생성물 70.2 mg (65.4% 수율)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473
실시예 124: 화합물 124의 제조
Figure pat00474
단계 2에서 p-톨릴 클로로포르메이트 대신에 클로로포름산 2-메톡시에틸 에스테르를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0의 반응식 1에 따라 화합물 124를 제조하였다.
단계 2:
변경: 클로로포름산 2-메톡시에틸 에스테르 26 mg (0.19 mmol)을 사용하여, 점성 황색 오일로서 생성물 87.4 mg (87.2% 수율)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475
실시예 125: 화합물 125의 제조
Figure pat00476
단계 2에서 p-톨릴 클로로포르메이트 대신에 네오펜틸 클로로포르메이트를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0의 반응식 1에 따라 화합물 125를 제조하였다.
단계 2:
변경: 네오펜틸 클로로포르메이트 29 mg (0.19 mmol)을 사용하여, 황색 유리질 고체로서 생성물 57.4 mg (56.2% 수율)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477
실시예 126: 화합물 126의 제조
Figure pat00478
단계 2에서 p-톨릴 클로로포르메이트 대신에 2-플루오로에틸 클로로포르메이트를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0의 반응식 1에 따라 화합물 126을 제조하였다.
단계 2:
변경: 2-플루오로에틸 클로로포르메이트 24 mg (0.19 mmol)을 사용하여, 황색 유리질 고체로서 생성물 58.9 mg (59.8% 수율)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479
실시예 127: 화합물 127의 제조
Figure pat00480
단계 2에서 p-톨릴 클로로포르메이트 대신에 2-메톡시페닐 클로로포르메이트를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0의 반응식 1에 따라 화합물 127을 제조하였다.
단계 2:
변경: 2-메톡시페닐 클로로포르메이트 35 mg (0.19 mmol)을 사용하여, 점성 황색 오일로서 생성물 97.6 mg (91.0% 수율)을 수득하였다: MS m/z 734 (MH+).
실시예 128: 화합물 128의 제조
Figure pat00481
단계 2에서 p-톨릴 클로로포르메이트 대신에 2-(-)-(lR)-메틸 클로로포르메이트를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0의 반응식 1에 따라 화합물 128을 제조하였다.
단계 2:
변경: 2-(-)-(lR)-메틸 클로로포르메이트 42 mg (0.19 mmol)을 사용하여, 백색 유리질 고체로서 생성물 69.1 mg (61.7% 수율)을 수득하였다: MS m/z 766 (MH+).
실시예 129: 화합물 129의 제조
Figure pat00482
단계 2에서 p-톨릴 클로로포르메이트 대신에 헥실 클로로포르메이트를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0의 반응식 1에 따라 화합물 129를 제조하였다.
단계 2:
변경: 헥실 클로로포르메이트 31 mg (0.19 mmol)을 사용하여, 황색 유리질 고체로서 생성물 66.7 mg (64.1% 수율)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483
실시예 130: 화합물 130의 제조
Figure pat00484
Figure pat00485
단계 1:
DCM (50 mL) 및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50 mL) 중 화합물 23 (실시예 23 참조) (1.50 g, 2.19 mmol)의 용액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진공에서 혼합물을 점성 잔류물로 농축하고 이어서 1,2-디클로로에탄 중에 용해하고 다시 진공에서 농축하여 회색이 도는 백색의 유리질 고체(정량적)로서 원하는 비스-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염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이 물질을 정제하지 않고 다음 단계에서 직접 사용하였다.
단계 2:
1,2-디클로로에탄 중 단계 1로부터의 생성물 (118 mg, 0.146 mmol), tert-부틸 아세트산 (22 mg, 0.19 mmol), HATU (72 mg, 0.19 mmol) 및 N-메틸모르폴린 (59 mg, 0.58 mmo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pH = 4 완충 용액 (3 mL)으로 3회 세척하고 세척액을 1,2-디클로로에탄 (3 mL)으로 역-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합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이어서 조 생성물을 MeOH 중에 용해하고 역상 정제용 HPLC로써 정제하여 연황색 유리질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 (화합물 130) (43.4 mg, 43.5% 수율)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486
실시예 131: 화합물 131의 제조
Figure pat00487
단계 2에서 tert-부틸 아세트산 대신에 메톡시아세트산을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30의 반응식 1에 따라 화합물 131을 제조하였다.
단계 2:
변경: 메톡시아세트산 17 mg (0.19 mmol)을 사용하여, 연황색 유리질 고체로서 생성물 49.9 mg (52.0% 수율)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488
실시예 132: 화합물 132의 제조
Figure pat00489
단계 2에서 tert-부틸 아세트산 대신에 메톡시프로피온산을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30의 반응식 1에 따라 화합물 132를 제조하였다.
단계 2:
변경: 메톡시프로피온산 20 mg (0.19 mmol)을 사용하여, 황색 유리질 고체로서 생성물 50.0 mg (51.1% 수율)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490
실시예 133: 화합물 133의 제조
Figure pat00491
단계 2에서 tert-부틸 아세트산 대신에 (S)-1,4-벤조디옥산-2-카르복실산을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30의 반응식 1에 따라 화합물 133을 제조하였다.
단계 2:
변경: (S)-1,4-벤조디옥산-2-카르복실산 35 mg (0.19 mmol)을 사용하여, 연황색 유리질 고체로서 생성물 54.0 mg (49.5% 수율)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492
실시예 134: 화합물 134의 제조
Figure pat00493
Figure pat00494
단계 1:
DMF (1.0 mL) 중 실시예 11, 단계 5로부터의 생성물 (100 mg, 0.172 mmol), N-
Figure pat00495
-tert-부톡시카르보닐-L-페닐글리신 (45.3 mg, 0.180 mmol), HATU (84.9 mg, 0.223 mmol), 및 N-메틸모르폴린 (87.0 mg, 0.859 mmo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역상 정제용 HPLC로 바로 정제하여 백색 분말로서 화합물 134 29.7 mg (23.6% 수율)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496
실시예 135: 화합물 135의 제조
Figure pat00497
단계 1에서 N-
Figure pat00498
-tert-부톡시카르보닐-L-페닐글리신 대신에 N-
Figure pat00499
-tert-부톡시카르보닐-에리트로-DL-β-메틸페닐알라닌을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34의 반응식 1에 따라 화합물 135를 제조하였다. N-
Figure pat00500
-tert-부톡시카르보닐-에리트로-DL-β-메틸페닐알라닌의 혼합물로부터 화합물 135를 제조하고 생성된 두 가지 부분입체이성질체를 역상 정제용 HPLC로 분리하였다. 상기 화합물은 정제용 HPLC 컬럼으로부터 먼저 용출된 단일 이성질체이다. 분자의 β-메틸 페닐알라닌 위에서 정확한 입체화학은 공지되어 있지 않다.
단계 1:
변경: N-
Figure pat00501
-tert-부톡시카르보닐-에리트로-DL-β-메틸페닐알라닌 50.4 mg (0.180 mmol)을 사용하여, 백색 분말로서 생성물 29.7 mg (22.7% 수율)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502
실시예 136: 화합물 136의 제조
Figure pat00503
단계 1에서 N-
Figure pat00504
-tert-부톡시카르보닐-L-페닐글리신 대신에 N-
Figure pat00505
-tert-부톡시카르보닐-에리트로-DL-β-메틸페닐알라닌을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34의 반응식 1에 따라 화합물 136을 제조하였다. N-tert-부톡시카르보닐-에리트로-DL-β-메틸페닐알라닌의 혼합물로부터 화합물 136을 제조하고 생성된 두 가지 부분입체이성질체를 역상 정제용 HPLC로 분리하였다. 상기 화합물은 정제용 HPLC 컬럼으로부터 두번째 용출된 단일 이성질체이다. 분자의 β-메틸 페닐알라닌 위에서 정확한 입체화학은 공지되어 있지 않다.
단계 1:
변경: N-
Figure pat00506
-tert-부톡시카르보닐-에리트로-DL-β-메틸페닐알라닌 50.4 mg (0.180 mmol)을 사용하여, 백색 분말로서 생성물 26.3 mg (20.1% 수율)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507
실시예 137: 화합물 137의 제조
Figure pat00508
Figure pat00509
단계 1:
DCM (3.0 mL) 중 실시예 11, 단계 5로부터의 생성물 (100 mg, 0.172 mmol), N-
Figure pat00510
-tert-부톡시카르보닐-L-아스파르트산-4-벤질 에스테르 (59.5 mg, 0.180 mmol), HATU (84.9 mg, 0.223 mmol), 및 N-메틸모르폴린 (87.0 mg, 0.859 mmo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pH = 4 완충 용액 (3 mL)으로 3회 세척하고 세척액을 DCM (3 mL)으로 역-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합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이어서 MeOH 중에 조 생성물을 용해하고 역상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약간 회색이 도는 백색 유리질 고체로서 화합물 137 (26.0 mg, 18.8% 수율)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511
실시예 138: 화합물 138의 제조
Figure pat00512
단계 1에서 N-
Figure pat00513
-tert-부톡시카르보닐-L-아스파르트산 4-벤질 에스테르 대신에 N-tert-부톡시카르보닐-L-아스파르트산 4-메틸 에스테르를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37의 반응식 1에 따라 화합물 138을 제조하였다.
단계 1:
변경: N-tert-부톡시카르보닐-L-아스파르트산 4-메틸 에스테르 45.5 mg (0.180 mmol)을 사용하여, 회색이 도는 백색 유리질 고체로서 생성물 93.5 mg (74.6% 수율)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514
실시예 139: 화합물 139의 제조
Figure pat00515
단계 1에서 N-
Figure pat00516
-tert-부톡시카르보닐-L-아스파르트산 4-벤질 에스테르 대신에 N-tert-부톡시카르보닐-L-아스파르트산 4-tert-부틸 에스테르를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37의 반응식 1에 따라 화합물 139를 제조하였다.
단계 1:
변경: N-tert-부톡시카르보닐-L-아스파르트산 4- tert-부틸 에스테르 52.2 mg (0.180 mmol)을 사용하여, 회색이 도는 백색 유리질 고체로서 생성물 125 mg (99.8% 수율)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517
실시예 140: 화합물 140의 제조
Figure pat00518
Figure pat00519
화합물 138 (50.0 mg, 0.0685 mmol)을 THF (1 mL), MeOH (1 mL), 1.0 M 수성 NaOH (0.137 mL, 0.137 mmol)의 혼합물에 용해하였다. 3시간 이후, 1.O M 수성 HCI (0.137 mL, 0.137 mmol)를 첨가하여 반응 혼합물을 중화시켰다. 조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하고, 이어서 pH = 4 완충 용액 (3 mL) 및 DCM (3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진탕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수성 층을 DCM (1 mL)으로 2회 추가 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합하고, 무수 MgS0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여 회색이 도는 백색 유리질 고체로서 화합물 140 48.0 mg (97.9% 수율)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520
실시예 141: 화합물 141의 제조
Figure pat00521
Figure pat00522
단계 1:
실시예 55, 단계 1의 생성물 (65 mg, 0.0947 mmol), N, N'-디숙신이미딜 카르보네이트 (41.0 mg, 0.142 mmol)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30.6 mg, 0.237 mmol)을 무수 THF (1 mL)와 합하고 생성된 현탁액을 15분 동안 마이크로파 반응기에서 80℃로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되면, 상기 조 혼합물을 다음 단계에 바로 사용하였다.
단계 2:
단계 1로부터의 조 반응 혼합물을 무수 THF (2 mL) 중 L-발린 메틸 에스테르 히드로클로라이드 (159 mg, 0.947 mmol)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122 mg, 0.947 mmol)의 혼합물로 처리하였다.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생성된 혼합물을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DCM (2 mL) 중에 잔류물을 취하고 pH = 4 완충 용액 (2 mL)으로 3회 세척하였다. 완충 세척액을 합하고 DCM (2 mL)으로 역-추출하였다. 합한 DCM 상을 진공에서 농축하고 생성된 잔류물을 MeOH 중에 용해하고 역상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백색 분말로서 화합물 141 38.1 mg (52.2% 수율)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523
실시예 142: 화합물 142의 제조
Figure pat00524
단계 2에서 L-발린 메틸 에스테르 히드로클로라이드 대신에 D-발린 메틸 에스테르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41의 반응식 1에 따라 화합물 142를 제조하였다.
단계 2:
변경: D-발린 메틸 에스테르 히드로클로라이드 159 mg (0.947 mmol)을 사용하여, 백색 분말로서 생성물 23.0 mg (31.5% 수율)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525
실시예 143: 화합물 143의 제조
Figure pat00526
단계 1에서 N-
Figure pat00527
- tert-부톡시카르보닐-L-아스파르트산 4-벤질 에스테르 대신에 N-tert-부톡시카르보닐-L-시클로헥실글리신을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37의 반응식 1에 따라 화합물 143을 제조하였다.
단계 1:
변경: N-tert-부톡시카르보닐-L-시클로헥실글리신 46.2 mg (0.180 mmol)을 사용하여, 백색 분말로서 생성물 93.9 mg (73.8% 수율)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528
실시예 144: 화합물 144의 제조
Figure pat00529
스케일이 증가하고 단계 2에서 L-발린 메틸 에스테르 히드로클로라이드 대신에 글리신 메틸 에스테르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41의 반응식 1에 따라 화합물 144를 제조하였다.
단계 1:
변경: 실시예 55, 단계 1의 생성물 100 mg (0.146 mmol); N, N'-디숙신이미딜 카르보네이트 62.2 mg (0.219 mmol),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47.0 mg (0.364 mmol)을 사용하였다.
단계 2:
변경: 글리신 메틸 에스테르 히드로클로라이드 183 mg (1.46 mmol),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188 mg (1.46 mmol)을 사용하여, 백색 분말로서 생성물 56.3 mg (52.9% 수율)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530
실시예 145: 화합물 145의 제조
Figure pat00531
스케일이 증가하고 단계 2에서 L-발린 메틸 에스테르 히드로클로라이드 대신에 L-알라닌 메틸 에스테르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41의 반응식 1에 따라 화합물 145를 제조하였다.
단계 1:
변경: 실시예 55, 단계 1의 생성물 100 mg (0.146 mmol); N, N'-디숙신이미딜 카르보네이트 62.2 mg (0.219 mmol),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47.0 mg (0.364 mmol)을 사용하였다.
단계 2:
변경: L-알라닌 메틸 에스테르 히드로클로라이드 203 mg (1.46 mmol),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188 mg (1.46 mmol)을 사용하여, 백색 분말로서 생성물 64.3 mg (59.3% 수율)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532
실시예 146: 화합물 146의 제조
Figure pat00533
스케일이 증가하고 단계 2에서 L-발린 메틸 에스테르 히드로클로라이드 대신에 L-tert-류신 메틸 에스테르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41의 반응식 1에 따라 화합물 146을 제조하였다.
단계 1:
변경: 실시예 55, 단계 1의 생성물 100 mg (0.146 mmol); N, N'-디숙신이미딜 카르보네이트 62.2 mg (0.219 mmol),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47.0 mg (0.364 mmol)을 사용하였다.
단계 2:
변경: L-tert-류신 메틸 에스테르 히드로클로라이드 265 mg (1.46 mmol),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188 mg (1.46 mmol)을 사용하여, 백색 분말로서 생성물 68.3 mg (59.6% 수율)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534
실시예 147: 화합물 147의 제조
Figure pat00535
스케일이 증가하고 단계 2에서 L-발린 메틸 에스테르 히드로클로라이드 대신에 L-히스티딘 메틸 에스테르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고 단계 2에서 사용된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의 양이 2배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41의 반응식 1에 따라 화합물 147을 제조하였다.
단계 1:
변경: 실시예 55, 단계 1의 생성물 100 mg (0.146 mmol); N, N'-디숙신이미딜 카르보네이트 62.2 mg (0.219 mmol),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47.0 mg (0.364 mmol)을 사용하였다.
단계 2:
변경: L-히스티딘 메틸 에스테르 히드로클로라이드 352 mg (1.46 mmol),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377 mg (2.91 mmol)을 사용하여, 백색 분말로서 생성물 51.0 mg (43.2% 수율)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536
실시예 148: 화합물 148의 제조
Figure pat00537
스케일이 증가하고 단계 2에서 L-발린 메틸 에스테르 히드로클로라이드 대신에 L-발린 에틸 에스테르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41의 반응식 1에 따라 화합물 148을 제조하였다.
단계 1:
변경: 실시예 55, 단계 1의 생성물 100 mg (0.146 mmol); N, N'-디숙신이미딜 카르보네이트 62.2 mg (0.219 mmol),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47.0 mg (0.364 mmol)을 사용하였다.
단계 2:
변경: L-발린 에틸 에스테르 히드로클로라이드 265 mg (1.46 mmol),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188 mg (1.46 mmol)을 사용하여, 백색 분말로서 생성물 69.2 mg (60.4% 수율)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538
실시예 149: 화합물 149의 제조
Figure pat00539
단계 1에서 N-
Figure pat00540
-tert-부톡시카르보닐-L-아스파르트산 4-벤질 에스테르 대신에 N-tert-부톡시카르보닐-L-시클로펜틸글리신 디시클로헥실아민 염을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37의 반응식 1에 따라 화합물 149를 제조하였다.
단계 1:
변경: N-tert-부톡시카르보닐-L-시클로펜틸글리신 디시클로헥실아민 염 76.2 mg (0.180 mmol)을 사용하여, 백색 분말로서 생성물 111 mg (89.3% 수율)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541
실시예 150: 화합물 150의 제조
Figure pat00542
스케일이 증가하고 단계 2에서 L-발린 메틸 에스테르 히드로클로라이드 대신에 L-발린 벤질 에스테르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41의 반응식 1에 따라 화합물 150을 제조하였다.
단계 1:
변경: 실시예 55, 단계 1의 생성물 100 mg (0.146 mmol); N, N'-디숙신이미딜 카르보네이트 62.2 mg (0.219 mmol),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47.0 mg (0.364 mmol)을 사용하였다.
단계 2:
변경: L-발린 벤질 에스테르 히드로클로라이드 356 mg (1.46 mmol),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188 mg (1.46 mmol)를 사용하여, 백색 분말로서 생성물 41.0 mg (33.2% 수율)을 수득하였다: MS m/z 848 (MH+).
실시예 151: 화합물 151의 제조
Figure pat00543
스케일이 증가하고 단계 2에서 L-발린 메틸 에스테르 히드로클로라이드 대신에 L-이소류신 메틸 에스테르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41의 반응식 1에 따라 화합물 151을 제조하였다.
단계 1:
변경: 실시예 55, 단계 1의 생성물 100 mg (0.146 mmol); N, N'-디숙신이미딜 카르보네이트 62.2 mg (0.219 mmol),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47.0 mg (0.364 mmol)을 사용하였다.
단계 2:
변경: L-이소류신 메틸 에스테르 히드로클로라이드 265 mg (1.46 mmol),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188 mg (1.46 mmol)을 사용하여, 백색 분말로서 생성물 75.5 mg (65.9% 수율)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544
실시예 152: 화합물 152의 제조
Figure pat00545
스케일이 증가하고 단계 2에서 L-발린 메틸 에스테르 히드로클로라이드 대신에 L-발린 tert-부틸 에스테르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41의 반응식 1에 따라 화합물 152를 제조하였다.
단계 1:
변경: 실시예 55, 단계 1의 생성물 100 mg (0.146 mmol); N, N'-디숙신이미딜 카르보네이트 62.2 mg (0.219 mmol),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47.0 mg (0.364 mmol)을 사용하였다.
단계 2:
변경: L-발린 tert-부틸 에스테르 히드로클로라이드 306 mg (1.46 mmol),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188 mg (1.46 mmol)을 사용하여, 백색 분말로서 생성물 93.5 mg (78.8% 수율)을 수득하였다: MS m/z 814 (MH+).
실시예 153: 화합물 153의 제조
Figure pat00546
스케일이 증가하고 단계 2에서 L-발린 메틸 에스테르 히드로클로라이드 대신에 (S)-(+)-1-메톡시-2-프로필아민을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41의 반응식 1에 따라 화합물 153을 제조하였다.
단계 1:
변경: 실시예 55, 단계 1의 생성물 100 mg (0.146 mmol); N, N'-디숙신이미딜 카르보네이트 62.2 mg (0.219 mmol),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47.0 mg (0.364 mmol)을 사용하였다.
단계 2:
변경: (S)-(+)-1-메톡시-2-프로필아민 130 mg (1.46 mmol),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188 mg (1.46 mmol)을 사용하여, 백색 분말로서 생성물 50.3 mg (47.3% 수율)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547
실시예 154: 화합물 154의 제조
Figure pat00548
스케일이 증가하고 단계 2에서 L-발린 메틸 에스테르 히드로클로라이드 대신에 N-메틸-L-발린 메틸 에스테르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41의 반응식 1에 따라 화합물 154를 제조하였다.
단계 1:
변경: 실시예 55, 단계 1의 생성물 100 mg (0.146 mmol); N, N'-디숙신이미딜 카르보네이트 62.2 mg (0.219 mmol),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47.0 mg (0.364 mmol)을 사용하였다.
단계 2:
변경: N-메틸-L-발린 메틸 에스테르 히드로클로라이드 265 mg (1.46 mmol) ,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188 mg (1.46 mmol)을 사용하여, 백색 분말로서 생성물 68.2 mg (59.5% 수율)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549
실시예 155: 화합물 155의 제조
Figure pat00550
Figure pat00551
단계 1:
무수 THF (2 mL) 중 실시예 55, 단계 1의 생성물 (100 mg, 0.146 mmol)의 용액에 카르본산 피리딘-2-일-에스테르-2,2,2-트리플루오로-1,1-디메틸-에틸 에스테르 (44.0 mg, 0.175 mmol) 및 N-메틸모르폴린 (59 mg, 0.58 mmol)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혼합물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하고 DCM (2 mL) 중 잔류물을 용해시켰다. 용액을 pH = 4 완충 용액 (3 mL)으로 3회 세척하고 세척액을 DCM (3 mL)으로 역-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합하고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이어서 MeOH 중에 조 생성물을 용해시키고 역상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백색 분말로서 화합물 155 (38.5 mg, 34.3% 수율)를 수득하였다:
Figure pat00552
단락 E:
단락 E를 위한 LC-MS 조건
"방법 A"는 3.0X50mm 엑스테라 @4분 구배 및 4 mL/min 흐름이다.
"방법 B"는 3.0X50mm 엑스테라 @3분 구배 및 4 mL/min 흐름이다.
"방법 C"는 4.6X50mm 엑스테라 @4분 구배 및 4 mL/min 흐름이다.
"방법 D"는 4.6X50mm 엑스테라 @3분 구배 및 4 mL/min 흐름이다.
실시예 180: 화합물 180의 제조
Figure pat00553
화합물 180 내지 183을 상기 도시된 일반 합성 반응식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개개의 반응을 세부적으로 다른 곳에서 상술하였다. THF [(알드리흐 케미칼스 (Aldrich Chemicals)로부터 입수한 대로] 중의 칼륨 tert-부톡시드가 DMF 중에서 더 편리한 처리 절차를 제공하는 제 1 알킬화 단계를 제외하고 알킬화 종료 후 대부분의 DMF 용매를 물로 세척 제거하였다.
Figure pat00554
그리하여 화합물 180: BOCNH-P3(L-tert-BuGly)-P2[(4R)-(2-트리플루오로메틸 퀴놀린-4-옥소)-S-프로린]-P1(lR,2S 비닐 Acca)-CONHSO2-시클로프로판을 백색 발포체로서 61% 수율로 수득하였다. LC/MS Rt-분 (MNa+) [방법 A]: 3.35 (774).
Figure pat00555
실시예 181: 화합물 181의 제조
Figure pat00556
BOCNH-P3(L-tert-BuGly)-P2[(4R)-(2,8-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 퀴놀린-4-옥소)-S-프로린]-Pl(lR,2S 비닐 아사)-CONHSO2-시클로프로판을 백색 발포체로서 52% 수율로 수득하였다. LC/MS Rt-분 (MNa+) [방법 A]: 3.60 (843).
Figure pat00557
실시예 182: 화합물 182의 제조
Figure pat00558
BOCNH-P3(L-tert-BuGly)-P2[(4R)-(2-트리플루오로메틸, 8-트리플루오로메톡시 퀴놀린-4-옥소)-S-프롤린]-Pl(lR,2S 비닐 Acca)-CONHSO2-시클로프로판을 백색 발포체로서 99% 수율로 수득하였다. LC/MS Rt-분 (MNa+) [방법 A]: 3.62 (858).
Figure pat00559
실시예 183: 화합물 183의 제조
Figure pat00560
BOCNH-P3(L-tert-BuGly)-P2[(4R)-(2-트리플루오로메틸, 8-클로로 퀴놀린-4-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NHS02-시클로프로판을 백색 발포체로서 64%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561
실시예 184: 트리펩티드 (화합물 184) 및 P2 * 로 알킬화하는 일반적인 절차
일반적인 반응식: 실시예 184 (화합물 184)의 제조
트리펩티드 성분의 제조 (실시예 184)는 커플링제로서 HATU를 사용한 순차적 아미드 커플링에 의해 달성하였다. 많은 표준 커플링제가 하기 반응식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고 이해된다.
Figure pat00562
중간체의 제조 (실시예 184a):
실온에서 화염 건조 플라스크 중의 HATU (820 mg, 2.2 mmol), 실시예 180a의 Boc-4R-히드록시프롤린 (417 mg, 1.8 mmol) 및 실시예 180c의 시클로프로판술폰산(1(R)-아미노-2(S)-비닐-시클로프로판카르보닐)-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염 (490 mg, 1.8 mmol)의 혼합물에 무수 CH2C12 (8 mL)를 가하였다. 혼합물을 무수 N2하에 유지한 후 -78℃로 냉각시켰다. 휘니그 염기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625 ㎕, 3.6 mmol)를 5분에 걸쳐 천천히 가하니 혼합물은 담오렌지색 현탁액으로 변하였다. 온도를 주변 온도로 승온시키면서 1시간 동안 계속 교반하였다. LC/MS는 원하는 생성물 184a로의 완전한 전환을 보여주었다. 조 혼합 반응물을 통상적으로 후처리하고, 물 (5 mL)로 3회 세척하고, 유기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5 mL)로 3회 추출하였다. 진공하에 유기 용매를 제거하여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물질을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중간체의 제조 (실시예 184b):
이전 단계로부터의 건조된 고체를 실온에서 9 mL의 CH2Cl2 중에 취하였다. 상기 용액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3 mL를 가하여 담황색 용액을 형성시켰다.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계속 교반하였다. LC/MS는 출발 물질 184a가 없음을 보여주며 이전 단계에서 HATU로부터 이월된 부산물에 대응하는 신호와 함께 원하는 생성물 184b의 신호가 주 신호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고체 잔류물을 추가 정제 없이 즉시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트리펩티드, 화합물 184의 제조:
Figure pat00563
BOCNH-P3(L-tert-BuGly)-P2[(4R)-히드록시-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NHSO2-시클로프로판 [노트북 46877-128]
이전 단계로부터의 조 생성물 (실시예 184b, 1.8 mmol)을 실온에서 CH2Cl2 (10 mL) 중 HATU (700 mg, 1.8 mmol) 및 BOC-L-tert-류신 (실시예 180f, 플루카 케미칼스 (Fluka Chemicals), 420 mg, 1.8 mmol)과 혼합하였다. 상기 현탁액을 휘니그 염기 (1 mL, 과량)로 처리하여 보다 묽은 오렌지색 현탁액을 형성시켰다. LC/MS는 화합물 184로의 일부 전환을 보여주었다. 실온에서 2일 동안 계속 교반한 후 원하는 생성물 184로의 완전한 전환이 관찰되었다. 조 반응 혼합물을 건조될 때까지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중에 취하였다. 대부분의 HATU 잔류물을 반 포화된, 새로 제조된 중탄산나트륨 용액으로 추출하여 제거하였다. 최종 미량의 HATU 잔류물 (1-히드록시 7-아자벤조트리아졸)을 탈이온수로 세척하여 제거하였다. 용매를 증발시켜 백색 발포체로서 원하는 생성물 990 mg (98%)을 수득하였다. 상기 물질은 추가 정제 없이 바로 퀴논 및 이소퀴놀린과 같은 친전자체로 후속 알킬화하는데 적합하다.
Figure pat00564
친전자체로 트리펩티드 (화합물 184)의 알킬화:
화염 건조된 25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2 mL 무수 DMF 중 화합물 184 (0.5-1.0 mmol), 치환된 4-클로로퀴놀린 (1.0 당량) 및 염화란타늄 (LaCl3 무수 비드, 알드리치 (Aldrich)에서 입수한 대로 사용, M.W. 245 g/mol; 1.0 당량. 주목: 상기 첨가제의 포함은 일부 경우, 특히 덜 반응적인 친전자체의 경우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친전자체가 음이온성 알킬화에 충분히 반응성인 경우 상기 시약은 때때로 생략될 수 있다)을 충전하였다. 이 무기염은 실온에서 DMF 중에 약간만 가용성이다. 혼합물을 질소하에 교반하면서 -78℃ (드라이 아이스/아세톤 조)로 냉각시켰다. 상기 냉각된 혼합물에 칼륨 tert-부톡시드의 THF 용액 (1.0 M, 알드리치에서 입수한 대로 사용, 5.5 당량)을 가하니, 혼합물의 색이 무색에서 담황색 또는 연녹색으로 변하였다. 이를 4-클로로퀴놀린 반응성에 따라 일정 기간 동안 -78℃에서 (-78℃에서 수시간 내지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상기 무기염은 또한 종료 시점에서 미세 에멀젼으로 변하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를 반 포화된 NH4Cl 수용액 (2 mL)으로 켄칭하였다. 유기 물질을 에틸 아세테이트 (10 mL)로 3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하고, 탈이온수 (10 mL)로 2회 세척하였다. 유기 분획을 증발시켜 LC/MS에 의해 측정되는 바와 같이 원하는 생성물이 풍부한 조 혼합물을 수득하였다. 원하는 생성물을 표준 분리 매개변수를 사용하는 정제용 HPLC (전형적으로: 3.0 X 50 mm 엑스테라 컬럼@4분 구배 및 4 mL/분 유속)로 단리하여 분석적으로 순수한 원하는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정확하게 동일한 방식으로 1-할로 이소퀴놀린 시리즈의 알킬화를 수행하였다.
실시예 185: 화합물 185의 제조
Figure pat00565
실시예 184에 기재된 일반적인 트리펩티드 알킬화 절차에 따라, BOCNH-P3(L-tert-BuGly)-P2[(4R)-(7-트리플루오로메틸 퀴놀린-4-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NHSO2-시클로프로판을 백색 발포체로서 50%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566
실시예 186: 화합물 186의 제조
Figure pat00567
실시예 184에 기재된 일반적인 트리펩티드 알킬화 절차에 따라, BOCNH-P3(L-tert-BuGly)-P2[(4R)-(8-트리플루오로메틸 퀴놀린-4-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NHS02-시클로프로판 (원하는 생성물)을 백색 발포체로서 50%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568
6-F, 6-에틸, 6-이소프로필 및 6-tert-부틸 이소퀴놀린 P2* 빌딩 블록을 위한 이소퀴놀린 중간체의 제조
일반적으로, 하기 실험에서 사용된 6-플루오로 및 6-알킬 이소퀴놀린을 하기 요약된 바와 같이 포머란쯔-프릿치 합성 (전형적인 절차: 문헌[Preparation of optically active 8,8-disubstituted 1,1-biisoquinoline, K.Hirao, R. Tsuchiya, Y. Yano, H. Tsue, Heterocycles 42(1) 1996, 415-422])을 통해 제조하였다. 생성물을 다른 곳에 기재된 N-옥시드 중간체를 통해 1-클로로 유도체로 전환시켰다.
일반적인 합성 반응식
Figure pat00569
시약 및 반응 조건: (a) 벤젠 중 환류, 물의 공비 제거; (b) 제1 단계: THF 중 에틸 클로로포르메이트, 트리메틸 포스파이트, 제2 단계: 클로로포름 중 티타늄 테트라클로라이드; (c) CH2Cl2 중 MCPBA; (d) 벤젠 중 POCl3
Figure pat00570
실시예 187: 화합물 187의 제조
Figure pat00571
BOCNH-P3(L-tert-BuGly)-P2[(4R)-(6-플루오로 이소퀴놀린-1-옥소)-S-프롤린]- P1(1R,2S 비닐 Acca)-CONHSO2-시클로프로판을 백색 발포체로서 12%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572
실시예 188: 화합물 188의 제조
Figure pat00573
상기 기재된 알킬화로 주 생성물로서 1-클로로이소퀴놀린을 수득하였다: BOCNH-P3(L-tert-BuGly)-P2[(4R)-(1-클로로 이소퀴놀린-6-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NHSO2-시클로프로판을 백색 발포체로서 40.2%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574
실시예 189: 화합물 189의 제조
Figure pat00575
BOCNH-P3(L-tert-BuGly)-P2[(4R)-(6-에틸 이소퀴놀린-1-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NHS02-시클로프로판을 4.6 mg의 황색 고체 중 백색 발포체로서 4.2%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576
실시예 190: 화합물 190의 제조
Figure pat00577
BOCNH-P3(L-tert-BuGly)-P2[(4R)-(6-이소프로필 이소퀴놀린-1-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NHSO2-시클로프로판을 백색 발포체로서 69%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578
실시예 191: 화합물 191의 제조
Figure pat00579
BOCNH-P3(L-tert-BuGly)-P2[(4R)-(6-tert-부틸 이소퀴놀린-1-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NHS02-시클로프로판을 백색 발포체로서 81%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580
6- 이소프로폭실 및 6- tert - 부톡실 이소퀴놀린 중간체의 제조:
일부 6-알콕시-1-클로로 이소퀴놀린을 6-플루오로-1-클로로이소퀴놀린을 칼륨 tert-부톡시드 (53%) 및 소듐 이소프로폭시드 (54%)과 같은 상응하는 알콕시드 금속 이온으로 직접적인 입소 치환하여 제조하였다.
일반적인 합성 반응식
Figure pat00581
R= tert-Bu, 이소-Pr와 같은 알콕시드 음이온
6-플루오로-1-클로로이소퀴놀린을 DMF 중 소듐 이소프로폭시드 및 칼륨 tert-부톡시드로 방향족 친핵성 치환하여 각각 상응하는 6-이소프로폭실 (54%):
Figure pat00582
및 6-tert-부톡실-1-클로로 이소퀴놀린 (55%):
Figure pat00583
을 수득하였다. 상기 6-알콕실-1-클로로 이소퀴놀린을 실시예 184에 기재된 트리펩티드로 알킬화하여 하기와 같은 원하는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92: 화합물 192의 제조
Figure pat00584
BOCNH-P3(L-tert-BuGly)-P2[(4R)-(6-이소프로폭시 이소퀴놀린-1-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NHSO2-시클로프로판을 백색 발포체로서 59%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585
실시예 193: 화합물 193의 제조
Figure pat00586
BOCNH-P3(L-tert-BuGly)-P2[(4R)-(6-tert-부톡시 이소퀴놀린-1-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NHS02-시클로프로판을 백색 발포체로서 39%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587
프탈라진 P2* 유도체의 제조:
일반적으로, 1-클로로프탈라진 및 1,4-디클로로프탈라진은 둘 다 순조롭게 알킬화되어 원하는 생성물이 수득된다. 그러나, 시판 1-클로로프탈라진 및 1,4-디클로로프탈라진은 일부 가수분해된 물질로 종종 오염된다. POCl3로 예비 처리한 후 즉시 알킬화하여 보다 일관된 결과를 수득하였다.
일반적인 합성 반응식
Figure pat00588
반응 조건: (a) DCE 중 POCl3; (b) 트리펩티드로 알킬화; (c) 이미다졸 (R= CH), 트리아졸 (R= N)의 소디오 유도체
실시예 194: 화합물 194의 제조
Figure pat00589
BOCNH-P3(L-tert-BuGly)-P2[(4R)-(프탈라진-1-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NHSO2-시클로프로판을 백색 발포체로서 41%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590
실시예 195: 화합물 195의 제조
Figure pat00591
BOCNH-P3(L-tert-BuGly)-P2[(4R)-(4-클로로 프탈라진-1-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NHS02-시클로프로판을 백색 발포체로서 23%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592
4-( 이미다조 -1-일) 프탈라진 및 4-(1,2,4- 트리아조 -1-일) 프탈라진 P2 * 유도체의 제조:
상기 생성물, 화합물 195, BOCNH-P3(L-tert-BuGly)-P2[(4R)-(4-클로로 프탈라진-1-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NHS02-시클로프로판을 이미다졸 및 트리아졸과 같은 전형적인 아졸의 음이온으로 치환하여 하기의 4-아졸 치환된 프탈라진 유도체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196: 화합물 196의 제조
상기 화합물은 55 내지 65℃에서 4-클로로 프탈라진 (화합물 195)을 DMF 중 이미다졸의 나트륨 염으로 치환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pat00593
BOCNH-P3(L-tert-BuGly)-P2[(4R)-(4-(이미다조-1-일)프탈라진-1-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NHSO2-시클로프로판을 백색 발포체로서 23%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594
치환 반응 동안, 소량의 de-BOC 부산물 (화합물 197)을 또한 단리하였다:
Figure pat00595
NH2-P3(L-tert-BuGly)-P2[(4R)-(4-(이미다조-1-일)프탈라진-1-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NHSO2-시클로프로판을 백색 발포체로서 17%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596
실시예 198: 화합물 198의 제조
상기 화합물은 55 내지 65℃에서 4-클로로 프탈라진 (화합물 195)을 DMF 중 1,2,4-트리아졸의 나트륨 염으로 치환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pat00597
BOCNH-P3(L-tert-BuGly)-P2[(4R)-(4-(1,2,4-트리아조-1-일)프탈라진-1-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NHSO2-시클로프로판을 백색 발포체로서 62%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598
4-히드록시 및 4-알콕시 프탈라진 P2 * 유도체의 제조
Figure pat00599
반응 조건: (a) 메톡시드, 에톡시드 및 이소프로폭시드와 같은 소듐 알콕시드
실시예 199: 화합물 199의 제조
Figure pat00600
4-클로로 프탈라진 (실시예 195)을 실온에서 무수 이소프로필 알코올에 용해시키고, 1.0 당량의 소듐 이소프록시드를 가하고, 생성된 현탁액을 환류시켰다. 원하는 생성물, 4.5 mg의 황색 고체를 20.0%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601
실시예 200: 화합물 200의 제조
유사하게, 4-에톡시 유도체를 제조하였다: BOCNH-P3(L-t-BuGly)-P2[(4R)-(4-에톡시프탈라진-1-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NHSO2 시클로프로판.
Figure pat00602
4.0 mg의 황색 고체를 16.0%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603
실시예 201: 화합물 201의 제조
Figure pat00604
BOCNH-P3(L-t-BuGly)-P2[(4R)-(4-메톡시프탈라진-1-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NHSO2-시클로프로판을 30.2%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605
실시예 202: 화합물 202의 제조
BOCNH-P3(L-tert-BuGly)-P2[(4R)-(4-클로로 프탈라진-1-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NHSO2-시클로프로판 (실시예 195)을 테트라졸의 나트륨 염으로 치환하여 주로 4-히드록시, 가수분해된 물질을 수득하는 시도를 하였다.
Figure pat00606
BOCNH-P3(L-t-BuGly)-P2[(4R)-4-히드록시프탈라진-1-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NHSO2-시클로프로판을 담크림색 고체로서 44.2%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607
알킬화 프로토콜을 통한 5,6- 이치환된 이소퀴놀린 P2 * 유도체의 제조
일반적인 합성 반응식
Figure pat00608
반응 조건: (a) THF 중 LDA; (b) (n-PrS)2와 같은 알킬 디술피드; (c) MeONa와 같은 소듐 알콕시드; (d) 티오펜 2-카르복스알데히드; (e) 벤젠 중 Mn02
실시예 203: 1- 클로로 -5- 프로필티오 -6- 플루오로 이소퀴놀린의 제조:
Figure pat00609
2 mL의 THF 중 1-클로로-6-플루오로 이소퀴놀린 (59 mg, 0.32 mmol)의 냉각된 (-78℃) 용액에 시클로헥산 중 LDA 용액 (1.5 Molar, 0.23 mL, 0.35 mmol)을 가하였다. 오렌지색 용액을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n-프로필 디술피드 (60 ㎕, 순수 물질, 과량)로 처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30 분에 걸쳐 실온으로 가온하였다. 이를 반 포화된 NH4Cl 용액으로 켄칭하고, 유기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LC-MS 분석은 주로 출발 물질과 함께 원하는 생성물로 약 50% 전환되었음을 나타내었다. 원하는 생성물을 헥산 중 5% 에테르로 용출하는 짧은 컬럼 (4 cm X 2 cm, 실리카 겔 유형-H)에 의해 정제하여 29 mg (36% 수율)의 원하는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610
상기 화합물을 실시예 184에 기재된 절차에 의해 트리펩티드로 알킬화시켜 하기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04: 화합물 204의 제조
일반적인 절차에 따라 하기 나타낸 BOCNH-P3(L-t-BuGly)-P2[(4R)-(1-클로로-5-프로필티오-이소퀴놀린-6-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NHSO2-시클로프로판 4.6 mg의 황색 고체를 3.2%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611
Figure pat00612
실시예 205: 5- 프로필티오 -6- 에톡시 이소퀴놀린 P2 * 유도체의 제조
Figure pat00613
하기 절차는 본원에 나타낸 시약을 바꿈으로써 다른 5-알킬티오-6-알콕시 이소퀴놀린에 동등하게 응용가능하다. -78℃, 질소하에서 2.0 mL THF 중 1-클로로-6-플루오로 이소퀴놀린 (88 mg, 0.48 mmol) 용액에 LDA (시클로헥산 중 1.5 Molar, 0.42 mL, 0.63 mmol)를 가하여 암갈색 용액을 형성시켰다. 순수 n-프로필 디술피드 (85 ㎕, 과량)를 도입한 후, -78℃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30분에 걸쳐 실온으로 가온하였다. 이를 반 포화된 NH4Cl 용액으로 켄칭하고, 유기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합하고, 진공하에 50 마이크론 (Hg)으로 건조시켰다. 조 생성물을 2 mL의 THF에 취하고, -78℃로 냉각시키고, 과량 칼륨 에톡시드 (60 mg)를 가하였다. 이소퀴놀린 중간체을 최종적으로 에테르-헥산 혼합물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 컬럼 (유형-H, Merck)으로 정제하여, 32.2 mg (24%)의 순수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는 체류-시간 (MH+)[방법 C]:3.77 (282)에서 1-클로로-5-프로필티오-6-에톡실 이소퀴놀린을 보여주었다.
Figure pat00614
일반적인 트리펩티드 알킬화 절차 (실시예 184)에 따라, 상기 1-클로로-5-프로필티오-6-에톡시 이소퀴놀린을 트리펩티드 (화합물 184)로 알킬화하여 40.7 mg (44.8%)의 하기에 기재된 원하는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06: 화합물 206의 제조
Figure pat00615
BOCNH-P3(L-t-BuGly)-P2[(4R)-(6-에톡시-5-프로필티오-이소퀴놀린-1-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NHSO2-시클로프로판.
Figure pat00616
실시예 207: 화합물 207의 제조
유사히게, 동일한 절차를 BOCNH-P3(L-t-BuGly)-P2[(4R)-(6-메톡시-5-메틸티오-이소퀴놀린-1-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NHSO2-시클로프로판에 적용하였다.
Figure pat00617
-78℃에서 2 mL 무수 THF에서 100 mg의 1-클로로-6-플루오로-이소퀴놀린 (0.55 mmole) 용액에 THF 중 LDA (1.3 당량)를 가하였다. 암갈색 용액이 형성되었고, 이어서 디술피드를 가하니 용액의 색은 녹색으로 변한 후, 담갈색으로 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 mL의 물 및 2 mL의 NH4Cl로 켄칭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용매를 진공하에 증발시키고, 생성된 잔류물을 조 생성물로서 사용하였다. LC/MS 체류시간 (MH+): 2.23 (228) [방법 B]. 조 물질을 -78℃에서 2 mL의 무수 THF 중에 재용해시키고, 1.3 당량의 KOMe를 가한 후,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104 mg을 79% 수율로 수득하였다. LC/MS 체류시간 (MH+): 2.04 (240) [방법 B]. 중간체, 1-클로로-5-메틸티오-6-메톡시 이소퀴놀린에 상기 기재된 트리펩티드 알킬화 프로토콜을 적용시켰다. 일반적인 절차에 따라, 70.0 mg의 황색 고체를 42.7%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618
실시예 208: 1- 클로로 -6- 메톡시 -이소퀴놀린-5-일-티오펜-2-일- 메타논의 제조
Figure pat00619
상기 기재된 1-클로로-6-플루오로 이소퀴놀린의 동일한 LDA 탈양성자화 프로토콜 (실시예 203의 제법)에 따라, 초기의 음이온을 2-티오펜카르복스알데히드으로 대신 켄칭하여, 1-클로로-6-플루오로 이소퀴놀린-5-일-티오펜-2-일-메탄올을 수득하였다. 상기 물질을 크로마토그래피 정제 후 49.6%의 전체 수율로 벤젠 중 Mn02를 사용하여 1-클로로-6-플루오로-이소퀴놀린-5-일-티오펜-2-일-메타논으로 산화시켰다.
Figure pat00620
불소 원자의 입소 친핵성 방향족 치환이 과량의 칼륨 메톡시드 용액에서 달성되어, 25-33%의 1,6-디메톡시-이소퀴놀린-5-일-티오펜-2-일-메타논과 함께 주로 1-클로로-6-메톡시-이소퀴놀린-5-일-티오펜-2-일-메타논을 수득하였다. 조 물질 (77 mg)을 추가 정제 없이 트리펩티드의 알킬화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실시예 209: 화합물 209의 제조
Figure pat00621
트리펩티드 알킬화 (실시예 184)의 일반적인 절차에 따라, 35.3 mg의 BOCNH-P3(L-t-BuGly)-P2[(4R)-6-메톡시-5-(티오펜-2-카르보닐)-이소퀴놀린-1-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NHSO2-시클로프로판을 담색 고체 (26.5%)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622
신남산 유도체에 의한 P2 * 의 제조. 하기에 기재된 일반적인 절차는 다른 곳에서 상세히 기재된다.
일반적인 합성 반응식
Figure pat00623
실시예 210: 화합물 210의 제조
10.0 g의 메타-톨릴-아크릴산 (61.7 mmole)을 50 mL의 벤젠에 현탁하고, 12.6 mL의 DPPA (0.95 당량)를 가한 후, 10.3 ml의 트리에틸아민 (1.2 당량)을 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휘발성 물질을 진공하에 제거하고, 메타-톨릴-아크릴로일 아지드를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프로 정제하여 11.5 g의 순수 화합물 (정량적)을 수득하였다. 100 mL의 디페닐메탄 중 상기 물질을 1시간에 걸쳐 200℃ 이하로 사전에 가열된 디페닐메탄 100 mL로 적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상기 온도에서 추가 4시간 유지시키고, 이어서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백색 침전물을 형성시키고, 이를 여과하였다. 고체를 헥산으로 3회 세척하고, 건조시켰다. 여액을 200 mL의 헥산으로 희석시키고, 용액을 밤새 방치하여 제2 현존량을 분리하였다. 물질을 합하여 4.2 g의 6-메틸-이소퀴놀린-1-올 (50%)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624
물질을 15 mL의 POCl3에 현탁하고, 3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진공하에 POCl3을 제거한 후, 잔류물을 EtOAc (1 L)와 냉각 수성 NaOH (1.ON 200 mL NaOH 및 20 mL 10.0N NaOH로 제조) 사이에 분배하고,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 층을 물 (2 x 200 mL), 염수 (200 mL)로 세척하고, MgS04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 농축하여 1-클로로-6-메틸-이소퀴놀린 (67.4%)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625
상기 기재된 프로토콜 (실시예 184)을 사용하여 트리펩티드로 1-클로로-6-메틸-이소퀴놀린을 최종 알킬화하였다.
Figure pat00626
BOCNH-P3(L-tert-BuGly)-P2[(4R)-(6-메틸 이소퀴놀린-1-옥소)-S-프롤린]-P1 (1R,2S 비닐 Acca)-CONHSO2-시클로프로판을 백색 발포체로서 18%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627
실시예 211: 화합물 211의 제조
Figure pat00628
상기 기재된 일반적인 절차에 따라, BOCNH-P3(L-t-BuGly)-P2[(4R)-(1,3-디옥사-7-아자-시클로펜타[α]나프탈렌-6-올)-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NHS02-시클로프로판 51.0 mg을 담색 고체 (64.9%)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629
5,6,7- 삼치환된 이소퀴놀린 P2 * 유도체의 제조:
Figure pat00630
반응 조건: (a) THF 중 LDA; (b) R=F인 경우 N-플루오로벤젠술폰이미드 (NFSI), 또는 R= SMe인 경우 디메틸 술피드 (MeS)2.
상기 제조된 5,6-메틸렌디옥시-1-클로로이소퀴놀린을 LDA와 같은 강염기의 존재하에 직접 탈양성자화하여 1-클로로 관능성에 간섭하지 않으면서 상응하는 7-음이온을 수득하였다. 7-음이온을 NFSI (N-플루오로벤젠술폰이미드) 및 디메틸술피드와 같은 친전자체로 켄칭하여 상응하는 7-치환된 이소퀴놀린 환계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212: 화합물 212의 제조
단계 1: 5,6-메틸렌디옥시-7-플루오로-1-클로로 이소퀴놀린의 제조.
-78℃, 질소하에서 4 mL의 THF 중 5,6-메틸렌디옥시-1-클로로 이소퀴놀린 (126 mg, 0.61 mmol) 용액에 시클로헥산 중 LDA 용액 (1.5 Molar, 0.65 mL, 0.98 mmol)을 가하였다. 담갈색 용액을 15분 동안 교반한 후 N-플루오로벤젠술폰이미드 (NFSI, 0.3 g, 1.5 당량)으로 처리하였다. 변하지 않은 출발 물질의 첨가로 TLC 분석은 새로운 점의 형성을 보여주었다. 수성 후처리 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여 유성 조 생성물을 수득하고,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52 mg (38%)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631
단계 2: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트리펩티드로 5,6-메틸렌디옥시-7-플루오로-1-클로로 이소퀴놀린을 알킬화 (실시예 184)하여 불소 치환의 결과로서 주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일반 절차에 따라 하기 나타낸 구조의 BOCNH-P3(L-t-BuGly)-P2[(4R)-(6-클로로-1,3-디옥사-7-아자-시클로펜타[α]나프탈렌-4-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NHSO2-시클로프로판 24.3 mg의 황색 고체를 수율 24.3%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632
Figure pat00633
실시예 213: 화합물 213의 제조
-78℃, 질소하에서 4 mL의 THF 중 5,6-메틸렌디옥시-1-클로로 이소퀴놀린 (84mg, 0.41 mmol) 용액에 시클로헥산 중 LDA 용액 (1.5 Molar, 0.60 mL, 0.9 mmol)에 가하였다. 담갈색 용액을 -78℃에서 15분 동안 교반한 후, 메틸 디술피드 (50 ㎕의 순수 시약, 1.4 당량)로 처리하였다. 변하지 않은 출발 물질의 첨가로 TLC 분석은 새로운 점의 형성을 보여주었다. 수성 후처리 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여 유성 조 생성물을 수득하고,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51 mg (49%)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634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트리펩티드로 5,6-메틸렌디옥시-7-메틸티오-1-클로로 이소퀴놀린을 알킬화 (실시예 184)하여 하기에 나타낸 원하는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일반적인 절차에 따라 BOCNH-P3(L-t-BuGly)-P2[(4R)-(4-메틸티오-1,3-디옥사-7-아자-시클로펜타[α]나프탈렌-6-일옥시)-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NHSO2-시클로프로판 59.6 mg의 황색 고체를 42.2%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635
Figure pat00636
3,4- 이치환된 이소퀴놀린 P2 * 유도체의 제조
실시예 215: 화합물 215의 제조
Figure pat00637
하기에 나타낸 BOCNH-P3(L-t-BuGly)-P2[(1R)-(2,3-디히드로-1H-4-아자-시클로펜타[α]나프탈렌-5-일옥시)-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NHSO2-시클로프로판을 하기 반응식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이소퀴놀린 성분 화합물 214의 일반적인 합성 반응식
Figure pat00638
주목:
하기에 인용된 기술에 의해 신규한 1-플루오로 P2*를 성공적으로 합성하였다:
Figure pat00639
실시예 214: 화합물의 214, 5- 클로로 -2,3- 디히드로 -1H-4- 아자 - 시클로펜타[α]나프탈렌, 및 실시예 215의 화합물 215의 제조
Figure pat00640
상기 인용된, (참고문헌 1) 리그비 (Rigby)의 방법에 따라 2,3-디히드로-1H-4-아자-시클로펜타[α]나프탈렌-5-올을 제조하였다. 다른 곳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POCl3을 사용하여, 화합물 214를 수율 59.8% (430 mg)로 합성하였다.
Figure pat00641
염화물은 충분히 반응성이어서 실시예 184의 절차에 따라 트리펩티드로 알킬화되어, 원하는 생성물 (화합물 215)을 수득하였다. 그러나, 염화물이 참고 문헌 2에 기재된 우찌보리 (Uchibori)의 방법에 의해 불화물로 교환되는 경우, 전체 수율은 2배가 될 수 있었다. 따라서, 17.0 mg의 화합물 215를 담색 황색 고체 (23.6%)로서 단리하였다.
Figure pat00642
3,4- 디히드로푸라닐 푸라닐 이소퀴놀린 P2 * 성분, 실시예 217 및 218의 제조
일반적인 합성 반응식
Figure pat00643
실시예 217의 화합물만 알킬화를 위해 1-플루오로 유도체로 전환시켰다. 실시예 218은 불화물 활성화 없이 직접 알킬화되기에 충분히 반응성이다.
실시예 217: 화합물 217, 5- 클로로 -2,3- 디히드로 -1-옥사-4- 아자 - 시클로펜타[α]나프탈렌 및 화합물 218, 5-클로로-1-옥사-4-아자-시클로펜타[α]나프탈렌의 제조
하기 참고 문헌에서 부분적으로 기재된 기술을 사용하여 합성하였다.
Figure pat00644
상기 인용된 절차 (참고 문헌 1 및 2)를 따르는 경우, 2,3-디히드로-1-옥사-4-아자-시클로펜타[α]나프탈렌-5-올 및 1-옥사-4-아자 시클로펜타[α]나프탈렌-5-올이 함께 생성되었다. 이들의 클로로 유도체로의 전환은 통상적으로 POCl3로 달성하였다: 조 히드록시 생성물 (약 2 g, 담황색 오일)을 15 mL의 POCl3으로 처리하고, 혼합물을 3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진공하에 POCl3의 제거 후, 잔류물을 15분 동안 EtOAc (1 L), 및 냉각 수성 NaOH (220 mL, 1.0N)와 교반하였다. 유기 층을 분리하고, 물 (2 x 200 mL), 염수 (200 mL)로 세척하고, MgS04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 농축시키고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픽 분리하여 담갈색 고체로서 300 mg의 실시예 217, 5-클로로-2,3-디히드로-1-옥사-4-아자-시클로펜타[α]나프탈렌 (13.2%) 및 100 mg의 실시예 218, 5-클로로-1-옥사-4-아자 시클로펜타[α]나프탈렌 (4.4%)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645
5- 플루오로 -2,3- 디히드로 -1-옥사-4- 아자 - 시클로펜타[α]나프탈렌 , 및 최종 P2 * 커플링 생성물의 제조
염화물/불화물 교환을 상기 인용된 방법 (참고 문헌 3)에 의해 달성하였다. 따라서 90 mg의 5-클로로-2,3-디히드로-1-옥사-4-아자-시클로펜타[α]나프탈렌 (실시예 217)을 1.5 mL의 Bu4PHF2 중에 현탁하고, 약 120℃로 2시간 동안 마이크로웨이브 (스미스 (Smith) 반응기)를 조사하였다. 수성 후처리 및 컬럼 정제 후, 22 mg의 불화물 생성물을 26.9% 수율로 수득하였다. LC/MS 체류시간 (분)(MH+): 1.91 (190) [방법 B]. 푸란 유도체 (실시예 218), 5-클로로-1-옥사-4-아자-시클로펜타[α]나프탈렌은 불화물 활성화 없이 트리펩티드로 직접 알킬화하기에 충분히 반응성이다.
실시예 219: 화합물 219의 제조
Figure pat00646
BOCNH-P3(L-t-BuGly)-P2[(4R)-(2,3-디히드로-1-옥사-4-아자-시클로펜타[α]나프탈렌-5-일옥시)-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NHSO2-시클로프로판. 일반적인 알킬화 절차에 따라, 22.0 mg의 황색 고체를 26.3%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647
실시예 220: 화합물 220의 제조
Figure pat00648
BOCNH-P3(L-t-BuGly)-P2[(4R)-(1-옥사-4-아자-시클로펜타[α]나프탈렌-5-일옥시)-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NHSO2-시클로프로판. 일반적인 알킬화 절차에 따라, 13.0 mg의 황색 고체를 수율 20%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649
3-할로 및 3- 헤테로아릴 4-알콕시 및 4-히드록시 이소퀴놀린 P2 * 유도체의 제조
일반적인 합성 반응식
Figure pat00650
반응 조건: (1) DMPU 중 MeOK; (2) 디클로로에탄 중 NBS; (3) CH2Cl2 중 MCPBA; (4) 디클로로에탄 중 POCl3; (5) CH2Cl2 중 BBr3; (6) CH2Cl2 중 SEM-클로라이드 및 휘니그 염기
일반적인 실험실 장치 및 시약을 사용한 신규하고 편리한 절차에 의해 이소퀴놀린 (실시예 222a)을 4-메톡시 4-브로모 이소퀴놀린으로부터 제조하였다. 위치선택적 NBS 브롬화로 3-브로모-4-메톡시 이소퀴놀린 (실시예 222b)을 양호한 수율로 수득하였다. MCPBA 산화를 평소대로 진행시켜 상응하는 N-옥시드 (실시예 222c)를 수득하고, 일반적인 POCl3 절차를 사용하여 1-클로로-3-브로모-4-메톡시 이소퀴놀린 (실시예 222d)으로 이성질화시켰다. 4-메톡시 이소퀴놀린을 트리펩티드로 알킬화하여 스틸 및 스즈끼 커플링에 적합한 상응하는 3-브로모-4-메톡시 P2* 유도체를 수득하였다. 별법으로 4-메톡시 이소퀴놀린을 BBr3으로 탈메틸화하여 4-히드록시-3-브로모-1-클로로 이소퀴놀린 (실시예 222e)을 수득하였다. 4-히드록시기를 SEM-클로라이드로 재보호하여 4-SEM 보호된 중간체 실시예 222를 수득하였다. 산, 또는 불화물 유도 탈보호 프로토콜에 의해 커플링이 달성되면, 4-히드록시 화합물을 재생하였다.
실시예 222d: 1- 클로로 -3- 브로모 -4- 메톡시 이소퀴놀린의 제조
단계 1:
200 mL의 디메틸-3,4,5,6-테트라히드로-2(1H)-피리미디논 (DMPU, Aldrich) 중 4-브로모 이소퀴놀린 (15 g, 73 mmol, 시판 물질) 용액에 고체 칼륨 메톡시드 (5.6 mg, 80 mmol)을 가하였다. 반응 용기를 105℃에서 20 분 동안 오일 조에 침지하였다. 혼합물의 색은 가온 후 초기의 담색에서 암녹갈색으로 급속히 변하였다. 반응 용기를 오일 조에서 제거하고, 물로 희석하고, 유기 잔류물을 에테르 분획으로 다중 추출에 의해 에테르 중에 분배시켰다. TLC 분석은 대략 동일한 크기의 2개의 새로운 점들 (용출액으로서 헥산 및 에틸 아세테이트의 1:1 v/v 혼합물)을 보여주었다. 이들을 순수한 헥산으로 용출되는 실리카-겔 (Merck, 유형-H) 컬럼 상에서 분리한 후, 이동 상으로 에테르를 점진적으로 가하였다. 용매의 증발 후, 원하는 생성물, 4-메톡시 이소퀴놀린 (4.1 mg, 35.3%)을 단리하였다. 다른 생성물을 또한 환원 부산물 이소퀴놀린으로서 단리하였다. 부산물의 종류를 원물질과 NMR 비교하여 확인하였다. 실시예 222a:
Figure pat00651
[주목: 상기 화합물을 문헌[Zoltewicz, John A.; Oestreich, Terence M.; Sale, Alan A,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1975), 97 (20), 5889-96 in a "Monel Bomb", and later by a"focused microwave" initiated procedure in Chemg, Yie-Jia, Tetrahedron (2002), 58(6), 1125-1129]으로 사전에 제조하였다. 본 절차는 고압 장치 및 예비 스케일 마이크로웨이브 장치 모두가 필요하지 않았다].
단계 2:
물질 (실시예 222a)을 NBS 브롬화하여 1,2-디클로로에탄 (DCE, 150 mL) 중 4- 메톡시 이소퀴놀린 (실시예 222a, 2.1 mg, 13.2 mmol)을 70℃에서 1시간 동안 N-브로모숙신이미드 (NBS, 1.5 mg, 8.4 mmol, 0.6X)로 처리한 후, 1.5 mg NBS를 제2 분획을 가하였다. 암갈색 혼합물을 1시간 더 교반한 후, 1.0 mg NBS를 제3 분획을 가하였다. 출발 물질이 존재하지 않을 때까지 브롬화를 LC-MS로 모니터링하였다. 조 혼합물을 건조될 때까지 증발시키고, 원하는 생성물을 우선 순수한 헥산으로 용출한 후, 에테르의 양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는 실리카-겔 (유형-H, Merck, 3 cm 직경, 1.5 cm 높이) 층 위에서 여과하였다. 원하는 생성물 (실시예 222b)을 유성 물질(1.7gm, 54%)로서 단리하였다.
Figure pat00652
[3-브로모-4- 메톡시 이소퀴놀린을 상이한 절차: 문헌[Finkentey, Christel; Langhals, Elke; Langhals, Heinz. Chemische Berichte (1983), 116(6), 2394-7]로 사전에 제조하였다. 생성물의 NMR은 기재된 것과 동일하였다].
단계 3:
NBS 브롬화로부터의 생성물을 실온에서 염화메틸렌에서 MCPBA 산화시켰다. MCPBA (1.80 mg, 77% 순도, 8.0 mmol)를 35 mL의 CH2Cl2 중 3-브로모-4-메톡시 이소퀴놀린 (실시예 222b, 1.65 mg, 6.9 mmol) 용액에 가하였다. 용액을 4시간 동안 교반하여 백색 현탁액을 형성시켰다. 중탄산나트륨 용액 (5%, 새로 제조, 20 mL)을 혼합물에 가하고, 유기 잔류물을 CH2Cl2 (10 X 25 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용매에서 다중 추출은 약간의 물 용액 N-옥시드 생성물을 회수하기에 필요하다. 용매의 증발 후 수득된 조 물질을 실리카-겔 여과로 더 정제하여 납 모양의 고체로서 1.36 mg (5.4 mmol, 78%)의 N-옥시드 (실시예 222c)를 수득하였다.
Figure pat00653
단계 4:
최종 N-옥시드 재배열은 다른 경우에 기재된 절차를 사용하여 통상적으로 POCl3 중에 이루어졌다. 실시예 222d의 수율은 본질적으로 정량적이었다.
Figure pat00654
실시예 223: 화합물 223의 제조
Figure pat00655
이전 단계에서 수득된 유리 염기 (실시예 222d)를 다른 경우에서 기재된 알킬화 프로토콜 (실시예 184)을 사용하여 트리펩티드 단편으로 알킬화하여 지백색 고체로서 79%의 원하는 생성물를 수득하였다.
Figure pat00656
실시예 224 및 225: 화합물 224 및 화합물 225의 제조
상기 기재된 1-클로로-3-브로모-4-메톡시 이소퀴놀린 (실시예 222d) 중 4-메톡시기를 하기 절차에 의해 α-트리메틸실릴 에톡시 메틸 (SEM) 부분으로 전환시켰다. 1-클로로-3-브로모-4-메톡시 이소퀴놀린 (실시예 222d)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BBr3 (최종 조정된 반응 농도는 0.2-0.3 Molar BBr3)을 사용하여 탈메틸화하였다. 상기 탈메틸화를 위해 고농도의 BBr3이 필수적이고, 효율적임이 발견되었다. 조 반응 혼합물을 무수 메탄올의 50 배로 희석한 후, 건조될 때까지 증발시켰다. 탈메틸화는 본질적으로 정량적이다.
Figure pat00657
4-히드록시-3-브로모-1-클로로 이소퀴놀린 (실시예 222e)을 2-(트리메틸실릴) 에톡시 메틸 클로라이드 (SEM-Cl)로 재보호하였다. 사전 제조된 조 유리 염기를 실온에서 40 마이크론 (Hg)으로 건조시킨 후, SEM-클로라이드로 재보호하였다. 0℃에서 염화메틸렌 (50 ml) 중 4-히드록시 화합물 (실시예 222e, 1.33 mg 5.2 mmol) 용액에 디이소프로필에틸 아민 (2 mL, 11.5 mmol) 및 SEM-클로라이드 (1.8 mL, 10 mmol)를 순차적으로 가하였다. 혼합물을 10분 동안 교반한 후, 새로 제조된 NaHC03 용액 (5%, 100 mL)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잔류물을 염화메틸렌 여러번 추출하고, 합한 유기 층을 20 mL 탈이온수로 역세척한 후, 진공하에 농축하였다. SEM 보는 본질적으로 정량적이다.
Figure pat00658
트리펩티드로 4-SEM 보호된 이소퀴놀린의 알킬화: 동일한 트리펩티드 알킬화 반응으로부터 화합물 224 및 화합물 225가 생성되었다. 정제용 HPLC 정제 동안 존재한 TFA의 결과로서 4-히드록시 화합물 (화합물 224)이 주로 생성되었다.
Figure pat00659
Figure pat00660
Figure pat00661
4H-[1,3] 디옥시노 [5,4-c]이소퀴놀린 P2 * 유도체의 제조
일반적인 합성 반응식
Figure pat00662
반응 조건: (1) DMPU 중 MeOK; (2) CH2Cl2 중 MCPBA; (3)DCE 중 POCl3; (4) CH2Cl2 중 BBr3; (5) 1,3-옥사지노[5,6-c]이소퀴놀린 및 연관된 화합물의 합성 절차에 의한 40% H2SO4 중 HCHO 용액. 참고 문헌[Miyoko Toyama and Hirotaka Otomasu, Chem. Pharm. Bull. 33(12), 5543-5546, 1985]; (6) 플루오로화 절차, 참고 문헌[Uchibori, Y.; Umeno, M.; Yoshiokai, H.; Heterocycles, 1992, 34(8), 1507-1510]
실시예 227: 화합물 227의 제조
Figure pat00663
1-클로로-4-히드록시 이소퀴놀린으로부터 시작하는 6-클로로-1,3-옥사지노[5,6-c]이소퀴놀린을 미요코 토야마 (Miyoko Toyama) 및 히로다까 오토마스 (Hirotaka Otomasu)의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출발 물질: 1-클로로-4-히드록시 이소퀴놀린 (실시예 226c)을 상기 기재된 합성 절차로 제조하였다. 4-메톡시 이소퀴놀린 (실시예 222a)의 MCPBA 산화를 통상적으로 수행하여 79.1%의 상응하는 N-옥시드 (실시예 226a)를 수득하였다. 상기 물질을 POCl3에서 1-클로로 유도체로 즉시 전환시켜 본질적으로 정량적인 수율로 염화물 (실시예 226b)을 수득하였다. 실온에서 조 BBr3 혼합물을 무수 메탄올로 처리한 후, 조 1-클로로-4-메톡시 이소퀴놀린을 실온에서 BBr3 중에서 탈메틸화시켜 상응하는 1-클로로-4-히드록시 이소퀴놀린 (실시예 226c)을 수득하고, 과량의 붕산염 잔류물을 제거하기 위해 증발시켰다. 미요코 토야마 및 히로다까 오토마스의 반응에 의해 4 단계에서 300 mg의 4-메톡시 이소퀴놀린으로부터 전체 수율 62.3%로 266 mg의 6-클로로-1,3-옥사지노[5,6-c]이소퀴놀린 (실시예 226d)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664
상기 염화물은 실시예 184의 알킬화 프로토콜하에 비반응성인 것으로 발견되었다. 상응하는 6-플루오로-1,3-옥사지노[5,6-c]이소퀴놀린 (실시예 226)을 앞서 인용된 문헌 [Uchibori, Y.; Umeno, M.; Yoshiokai, H.; heterocycles, 1992,34 (8),1507-1510]의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반응을 완료시키지 않고, 1:2.4 (Cl:F)의 비의 혼합물로서 조 반응 혼합물을 회수하였다. 추가 정제 없이, 염화물/불화물 혼합물을 실시예 184의 절차를 사용하여 트리펩티드로 알킬화하고 정제용 HPLC 정제하여 66 mg (50.0%)의 BOCNH-P3(L-t-BuGly)-P2[(4R)-(1,3-옥사지노[5,6-c]이소퀴놀린-6-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NHSO2-시클로프로판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665
스즈끼 및 스틸 커플링 반응을 통한 4- 메톡시 -3- 헤테로아릴 및 3- 아조일 이소퀴놀린 P2* 유도체의 제조
하기 기재된 커플링 기술은 실시예 223의 브로모 유도체의 일반적인 활동성을 보여준다. 유사한 프로토콜이 붕소 및 주석 이외에 커플링 시약 및 촉매의 다른 조합에 동등하게 적용 가능하다.
실시예 229: 화합물 229의 제조
하기에 기재된 스즈끼 커플링을 통한 BOCNH-P3(L-t-BuGly)-P2[(4R)-(3-푸란-3-일-4-메톡시-이소퀴놀린-1-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NHSO2-시클로프로판의 제조
Figure pat00666
22 mg (0.028 mmole)의 실시예 223 화합물을 1 ml의 DMF에 용해시키고, 9.4 mg의 시판 붕산 (3 당량), 3 mg의 촉매 (10% mmole) 및 18 mg의 탄산세슘을 가하였다. 혼합물을 2회 탈기하고, 이어서 110℃ 이하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최종 생성물을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13.6 mg의 황색 고체를 64.0%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667
실시예 230: 화합물 230의 제조
BOCNH-P3(L-t-BuGly)-P2[(4R)-(3-푸란-2-일-4-메톡시-이소퀴놀린-1-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NHSO2-시클로프로판을 하기에 나타낸 스틸 커플링 반응을 통해 합성하였다:
Figure pat00668
40 mg (0.05 mmole)의 실시예 223, 4 mg의 촉매 (5% mmole) 및 100 ㎕ (4 당량)의 시판 주석 시약을 1 mL의 톨루엔에 용해시키고, 혼합물을 2회 탈기하고, 이어서 밤새 90℃ 이하로 가열하였다. 정제용 HPLC 분리 후, 19.6 mg의 녹색 고체를 50.0%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669
실시예 231: 화합물 231의 제조
Figure pat00670
BOCNH-P3(L-t-BuGly)-P2[(4R)-(3-피라진-2-일-4-메톡시-이소퀴놀린-1-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NHS02-시클로프로판을 스틸 커플링 반응에 의해 7.1% 수율로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pat00671
실시예 232: 화합물 232의 제조
Figure pat00672
BOCNH-P3(L-t-BuGly)-P2[(4R)-(4-메톡시-3-티아졸-2-일-이소퀴놀린-1-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NHSO2-시클로프로판을 스틸 커플링 반응에 의해 32.2% 수율로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pat00673
실시예 233: 화합물 233의 제조
Figure pat00674
시판 4-클로로푸로 [3,2-c]피리딘으로 일반적인 트리펩티드 알킬화 절차에 따라, 5.7 mg의 황색 고체를 8.2%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675
실시예 235: 화합물 235의 제조
Figure pat00676
시판 4-클로로티에노[3,2-c]피리딘으로 일반적인 트리펩티드 알킬화 절차에 따라, 20.0 mg의 황색 고체를 28.1%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677
실시예 236: 화합물 236의 제조
Figure pat00678
시판 3,5-디클로로-1,2,4-티아디아졸로 일반적인 트리펩티드 알킬화 절차에 따라, 8.0 mg의 황색 고체를 11.9%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679
실시예 237: 화합물 237의 제조
시판 2-클로로퀴녹살린으로 일반적인 트리펩티드 알킬화 절차에 따라, 하기 나타낸 BOCNH-P3(L-t-BuGly)-P2[(4R)-(퀴녹살린-2-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NHSO2-시클로프로판 113.0 mg의 황색 고체를 19.2%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680
Figure pat00681
실시예 238: 화합물 238의 제조
시판 2-트리플루오로메틸-4-클로로-6-플루오로 퀴놀린으로 일반적인 트리펩티드 알킬화 절차에 따라, 하기 나타낸 BOCNH-P3(L-t-BuGly)-P2[(4R)-(2-트리플루오로-6-플루오로퀴놀린-4-옥소)-S-프롤린]- P1(1R,2S 비닐 Acca)-CONHSO2-시클로프로판 17.0 mg의 황색 고체를 23.2%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682
Figure pat00683
실시예 239: 화합물 239의 제조
시판 4-클로로-6-플루오로 퀴놀린으로 일반적인 트리펩티드 알킬화 절차에 따라, 하기 나타낸 BOCNH-P3(L-t-BuGly)-P2[(4R)-(6-플루오로퀴놀린-4-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NHS02-시클로프로판 26.0 mg의 황색 고체를 39.0%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684
Figure pat00685
F-치환에 기인한 소량의 부산물을 또한 동일한 반응물로부터 단리하고, 정제용 HPLC로 분리하였다.
실시예 240, 화합물 240의 단리
하기 나타낸 BOCNH-P3(L-t-BuGly)-P2[(4R)-(4-클로로퀴놀린-6-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NHSO2-시클로프로판 부산물을 8.0 mg의 황색 고체로서 11.7%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686

Figure pat00687
실시예 241: 화합물 241의 제조
시판 4-클로로-8-플루오로 퀴놀린으로 일반적인 트리펩티드 알킬화 절차에 따라, 하기 나타낸 BOCNH-P3(L-t-BuGly)-P2[(4R)-(8-플루오로퀴놀린-4-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NHSO2-시클로프로판 10.3 mg의 황색 고체를 14.7%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688
Figure pat00689
정제용 HPLC 정제 동안, 부산물을 또한 단리하였다. 염소 이탈기 대신 불소 원자의 치환 결과로서 4-클로로퀴놀린-8-옥소-퀴놀린 유도체가 형성되었다.
실시예 242, 화합물 242의 단리
하기 나타낸 BOCNH-P3(L-t-BuGly)-P2[(4R)-(4-클로로퀴놀린-8-옥소)-S-프롤린]-P1 (1R,2S 비닐 Acca)-CONHS02-시클로프로판 부산물을 9.0 mg의 황색 고체로서 13.2%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690
Figure pat00691
실시예 243: 화합물 243의 제조
하기 기재된 BOCNH-P3(L-t-BuGly)-P2[(4R)-(3-히드록시퀴녹살린-2-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NHSO2-시클로프로판을 제조한다.
Figure pat00692
시판 2,3-디클로로퀴녹살린으로 일반적인 트리펩티드 알킬화 절차를 따라, 단일 알킬화 생성물을 동시에 가수분해하여 8.0 mg의 담황색 고체를 11.4%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693
실시예 244: 화합물 244의 제조
Pd0 커플링 반응식 및 6-브로모-1-클로로 이소퀴놀린으로부터 시작하는 단계적 절차를 사용하여, BOCNH-P3(L-t-BuGly)-P2[(4R)-(6-카르복실산 디메틸아미드이소퀴놀린-1-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NHSO2-시클로프로판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0694
Figure pat00695
실시예 245: 화합물 245의 제조
Pd0 촉매반응된 스틸 (Stille) 커플링 제조 (실시예 230) 동안, 하기에 나타낸 BOCNH-P3(L-t-BuGly)-P2[(4R)-(3-클로로-4-메톡시이소퀴놀린-1-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NHSO2-시클로프로판으로서 확인되는 부산물을 부 생성물로서 단리하였다.
Figure pat00696
Figure pat00697
단락 F:
실시예 250: 화합물 250의 제조
Figure pat00698
Figure pat00699
단계 1:
벤젠 (100 mL) 중 3-페닐-부트-2-엔산 (16.2 g), 디페닐포스포릴 아지드 (27.5 g) 및 트리에틸아민 (10.1 g)의 용액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벤젠으로 세척하는 실리카 겔 플러그를 통해 여과하고, 농축한 후, 잔류물을 디페닐메탄 (80 mL) 중에 용해시키고, 3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고체를 벤젠으로 세척하는 플러그를 통해 수거하고, 건조시켜 고체로서 10 g (63%)의 원하는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700
단계 2:
POCl3 (50 mL) 중 4-메틸-2H-이소퀴놀린-1-온 (4.8 g)의 용액을 3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냉각 및 농축 후, 잔류물을 5N NaOH으로 염기화시키고, CH2Cl2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04로 건조시켰다. 농축 후, 헥산 중 5% 에틸 아세테이트로 바이오태지의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고체로서4.8 g (90%)의 원하는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701
단계 3:
DMSO (10 mL) 중 Boc-Hyp-OH (231 mg) 및 tert-BuOK (336 mg)의 용액을 0.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에 1-클로로-4-메틸-이소퀴놀린 (178 mg)을 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1일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 시트르산으로 켄칭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켰다. 농축하여 추가의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되는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 350 mg (94%)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702
단계 4:
CH2Cl2 (2 mL) 중 4-(4-메틸-이소퀴놀린-1-일옥시)-피롤리딘-1,2-디카르복실산1-tert-부틸 에스테르) (74 mg), 시클로프로판술폰산(1(R)-아미노-2(S)-비닐-시클로프로판카르보닐)-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59 mg), PyBOP (114 mg) 및 i-Pr2NEt (0.2 mL)의 용액을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중 5% MeOH로 바이오태지 (Biotage)의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프로 정제하여 105 mg (90%)의 원하는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703
단계 5:
CH2Cl2 (3 mL) 중 2-(1-시클로프로판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4-(4-메틸-이소퀴놀린-1-일옥시)-피롤리딘-1-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100 mg) 및 TFA (3 mL)의 용액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농축 후, 잔류물을 CH2Cl2 (2 mL) 중에 용해시키고, Boc-1-tert-류신 (40 mg), PyBOP (104 mg) 및 i-Pr2NEt (0.2 mL)를 가했다.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후처리 후,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고체로서 60 mg (52%)의 원하는 생성물 (화합물 250)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704
실시예 251: 화합물 251의 제조
Figure pat00705
단계 1에서 3-페닐-부트-2-엔산 대신에 3-메톡시-3-페닐-아크릴산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50의 반응식 1을 화합물 251를 제조하였다.
단계 1 :
변경: 15 g의 3-메톡시-3-페닐-아크릴산을 사용하여, 250 mg의 생성물을 2% 수율로 수득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706
Figure pat00707
단계 2:
변경: 200 mg의 4-메톡시-2H-이소퀴놀린-1-온을 사용하여, 150 mg의 생성물을 68% 수율로 수득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708
Figure pat00709
단계 3:
변경: 122 mg의 1-클로로-4-메톡시-이소퀴놀린을 사용하여, 218 mg의 생성물을 89% 수율로 수득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710
MS: (M+Na)+ 411.
단계 4:
변경: 194 mg의 4-(4-메톡시-이소퀴놀린-1-일옥시)-피롤리딘-1,2-디카르복실산 1-tert-부틸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298 mg의 생성물을 99% 수율로 수득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711
Figure pat00712
단계 5:
변경: 190 mg의 2-(1-시클로프로판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4-(4-메톡시-이소퀴놀린-1-일옥시)-피롤리딘-1-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270 mg의 생성물을 51% 수율로 수득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713
Figure pat00714
실시예 252: 화합물 252의 제조
Figure pat00715
단계 1에서 3-페닐-부트-2-엔산 대신에 2-메틸신남산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50의 반응식 1에 따라 화합물 252를 제조하였다.
단계 1:
변경: 20 g의 2-메틸신남산을 사용하여, 14.3 g의 생성물을 72% 수율로 수득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716
Figure pat00717
단계 2:
변경: 14.4 g의 5-메틸-2H-이소퀴놀린-1-온을 사용하여, 10.6 g의 생성물을 66% 수율로 수득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718
Figure pat00719
단계 3:
변경: 533 mg의 1-클로로-5-메틸-이소퀴놀린을 사용하여, 1,116 mg의 생성물을 100% 수율로 수득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720
데이타: MS: (M+H)+ 373.
단계 4:
변경: 372 mg의 4-(5-메틸-이소퀴놀린-1-일옥시)-피롤리딘-1,2-디카르복실산 1-tert-부틸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551 mg의 생성물을 94% 수율로 수득하였다.
생성물:
데이타: MS:(M+Na)+ 607.
단계 5:
변경: 551 mg의 2-(1-시클로프로판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4-(5-메틸-이소퀴놀린-1-일옥시)-피롤리딘-1-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274 mg의 생성물을 44% 수율로 수득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722
Figure pat00723
실시예 253: 화합물 253의 제조
Figure pat00724
단계 1에서 3-페닐-부트-2-엔산 대신에 2-메톡시 신남산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50의 반응식 1에 따라 화합물 253을 제조하였다.
단계 1:
변경: 10 g의 2-메톡시 신남산을 사용하여, 5.3 g의 생성물을 53% 수율로 수득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725
Figure pat00726
단계 2:
변경: 5.3 g의 5-메톡시-2H-이소퀴놀린-1-온을 사용하여, 5.38 g의 생성물을 92% 수율로 수득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727
Figure pat00728
단계 3:
변경: 581 mg의 1-클로로-5-메톡시-이소퀴놀린을 사용하여, 1,163 mg의 생성물을 100%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729
데이타: MS: (M+H)+ 389.
단계 4:
변경: 117 mg의 4-(5-메톡시-이소퀴놀린-1-일옥시)-피롤리딘-1,2디카르복실산 1-tert-부틸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180 mg의 생성물을 100% 수율로 수득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730
데이타: MS: (M+H)+ 601.
단계 5:
변경: 177 mg의 2-(1-시클로프로판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4-(5-메톡시-이소퀴놀린-1-일옥시)-피롤리딘-1-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63 mg의 생성물을 44% 수율로 수득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731
Figure pat00732
실시예 254: 화합물 254의 제조
Figure pat00733
단계 1에서 3-페닐-부트-2-엔산 대신에 2-클로로신남산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50의 반응식 1에 따라 화합물 254을 제조하였다.
단계 1:
변경: 25 g의 2-클로로신남산을 사용하여, 14.6 g의 생성물을 59%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734
Figure pat00735
단계 2:
변경: 14.2 g의 5-클로로-2H-이소퀴놀린-1-온을 사용하여, 8.28 g의 생성물을 53% 수율로 수득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736
Figure pat00737
단계 3:
변경: 594 mg의 1,5-디클로로-이소퀴놀린을 사용하여, 1,174 mg의 생성물을 100% 수율로 수득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738
데이타: MS:(M+H)+ 393.
단계 4:
개질:118 mg의 4-(5-클로로-이소퀴놀린-1-일옥시)-피롤리딘-1,2-디카르복실산 1-tert-부틸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154 mg의 생성물을 85%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739
데이타: MS: (M+H)+ 605.
단계 5:
변경: 150 mg의 2-(1-시클로프로판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4-(5-클로로-이소퀴놀린-1-일옥시)-피롤리딘-1-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91 mg의 생성물을 51%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740
Figure pat00741
실시예 255: 화합물 255의 제조
Figure pat00742
단계 1에서 3-페닐-부트-2-엔산 대신에 2-플루오로신남산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50의 반응식 1에 따라 화합물 255를 제조하였다.
단계 1:
변경: 16.6 g의 2-플루오로신남산을 사용하여, 8.55 g의 생성물을 51% 수율로 수득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743
Figure pat00744
단계 2:
변경: 8.4 g의 5-플루오로-2H-이소퀴놀린-1-온을 사용하여, 7.5 g의 생성물을 80% 수율로 수득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745
Figure pat00746
단계 3:
변경: 203 mg의 1-클로로-5-플루오로-이소퀴놀린을 사용하여, 384 mg의 생성물을 90% 수율로 수득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747
Figure pat00748
단계 4:
변경: 76 mg의 4-(5-플루오로-이소퀴놀린-1-일옥시)-피롤리딘-1,2-디카르복실산 1-tert-부틸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116 mg의 생성물을 99% 수율로 수득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749
단계 5:
변경: 110 mg의 2-(1-시클로프로판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4-(5-플루오로-이소퀴놀린-1-일옥시)-피롤리딘-1-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39 mg의 생성물을 30% 수율로 수득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750
Figure pat00751
실시예 256: 화합물 256의 제조
Figure pat00752
단계 1에서 3-페닐-부트-2-엔산 대신에 2-디플루오르메톡시신남산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50의 반응식 1에 따라 화합물 256을 제조하였다.
단계 1:
변경: 10.7 g의 2-디플루오르메톡시신남산을 사용하여, 2 g의 생성물을 18% 수율로 수득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753
Figure pat00754
단계 2:
변경: 300 mg의 5-디플루오로메톡시-2H-이소퀴놀린-1-온을 사용하여, 300 mg의 생성물을 92% 수율로 수득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755
Figure pat00756
단계 3:
변경: 230 mg의 1-클로로-5-디플루오로메톡시-이소퀴놀린을 사용하여, 360 mg의 생성물을 96% 수율로 수득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757
단계 4:
변경: 37 mg의 4-(5-히드록시-이소퀴놀린-1-일옥시)-피롤리딘-1,2-디카르복실산 1-tert-부틸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57 mg의 생성물을 99% 수율로 수득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758
단계 5:
변경: 57 mg의 2-(1-시클로프로판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4-(5-히드록시-이소퀴놀린-1-일옥시)-피롤리딘-1-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10 mg의 생성물을 15% 수율로 수득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759
Figure pat00760
실시예 257: 화합물 257의 제조
Figure pat00761
단계 1에서 3-페닐-부트-2-엔산 대신에 4-플루오로신남산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50의 반응식 1에 따라 화합물 257을 제조하였다.
단계 1:
변경: 16.6 g의 4-플루오로신남산을 사용하여, 8.2 g의 생성물을 49% 수율로 수득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762
Figure pat00763
단계 2:
변경: 8.15 g의 7-플루오로-2H-이소퀴놀린-1-온을 사용하여, 7.6 g의 생성물을 84% 수율로 수득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764
Figure pat00765
단계 3:
변경: 191 mg의 1-클로로-7-플루오로-이소퀴놀린을 사용하여, 350 mg의 생성물을 93% 수율로 수득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766
데이타: MS: (M+Na)+ 399.
단계 4:
변경: 75 mg의 4-(7-플루오로-이소퀴놀린-1-일옥시)-피롤리딘-1,2-디카르복실산 1-tert-부틸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100 mg의 생성물을 85% 수율로 수득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767
Figure pat00768
단계 5:
변경: 95 mg의 2-(1-시클로프로판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4-(7-플루오로-이소퀴놀린-1-일옥시)-피롤리딘-1-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55 mg의 생성물을 44% 수율로 수득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769
Figure pat00770
실시예 258: 화합물 258의 제조
Figure pat00771
단계 1에서 3-페닐-부트-2-엔산 대신에 4-클로로신남산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50의 반응식 1에 따라 화합물 258을 제조하였다.
단계 1:
변경: 9.13 g의 4-클로로신남산을 사용하여, 4 g의 생성물을 44% 수율로 수득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772
Figure pat00773
단계 2:
변경: 3.5 g의 7-클로로-2H-이소퀴놀린-1-온을 사용하여, 2.8 g의 생성물을 72% 수율로 수득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774
Figure pat00775
단계 3:
변경: 208 mg의 1,7-디클로로-이소퀴놀린을 사용하여, 350 mg의 생성물을 89% 수율로 수득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776
데이타: MS: (M+Na)+ 415.
단계 4:
변경: 79 mg의 4-(7-클로로-이소퀴놀린-1-일옥시)-피롤리딘-1,2-디카르복실산 1-tert-부틸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119 mg의 생성물을 99% 수율로 수득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777
Figure pat00778
단계 5:
변경: 115 mg의 2-(1-시클로프로판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4-(7-클로로-이소퀴놀린-1-일옥시)-피롤리딘-1-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36 mg의 생성물을 25% 수율로 수득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779
데이타: MS: (M+Na)+ 740.
실시예 259: 화합물 259의 제조
Figure pat00780
단계 1에서 3-페닐-부트-2-엔산 대신에 4-메틸신남산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50의 반응식 1에 따라 화합물 259를 제조하였다.
단계 1:
변경: 25 g의 4-메틸신남산을 사용하여, 15.3 g의 생성물을 62% 수율로 수득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781
Figure pat00782
단계 2:
변경: 15.3 g의 7-메틸-2H-이소퀴놀린-1-온을 사용하여, 5.15 g의 생성물을 30% 수율로 수득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783
Figure pat00784
단계 3:
변경: 205 mg의 1-클로로-7-메틸-이소퀴놀린을 사용하여, 350 mg의 생성물을 89% 수율로 수득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785
데이타: MS: (M+H)+ 373.
단계 4:
변경: 75 mg의 4-(7-메틸-이소퀴놀린-1-일옥시)-피롤리딘-1,2-디카르복실산 1-tert-부틸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107 mg의 생성물을 95% 수율로 수득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786
데이타: MS: (M+Na)+ 607.
단계 5:
변경: 107 mg의 2-(1-시클로프로판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4-(7-메틸-이소퀴놀린-1-일옥시)-피롤리딘-1-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53 mg의 생성물을 41% 수율로 수득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787
Figure pat00788
실시예 260: 화합물 260의 제조
Figure pat00789
화합물 260
단계 1에서 3-페닐-부트-2-엔산 대신에 4-메톡시신남산을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50의 반응식 1에 따라 화합물 260을 제조하였다.
단계 1:
변경: 4-메톡시신남산 33 g을 사용하여 생성물 7 g을 수득하였다 (33% 수율).
생성물:
Figure pat00790
Figure pat00791
단계 2:
변경: 7-메톡시-2H-이소퀴놀린-1-온 4 g을 사용하여 생성물 3 g을 수득하였다 (68% 수율).
생성물:
Figure pat00792
Figure pat00793
단계 3:
변경: 1-클로로-7-메톡시-이소퀴놀린 533 mg을 사용하여 생성물 1115 mg을 수득하였다 (100% 수율).
생성물:
Figure pat00794
단계 4:
변경: 4-(7-메톡시-이소퀴놀린-1-일옥시)-피롤리딘-1,2-디카르복실산 1-tert-부틸 에스테르 78 mg을 사용하여 생성물 108 mg을 수득하였다 (99% 수율).
생성물:
Figure pat00795
Figure pat00796
단계 5:
변경: 2-(1-시클로프로판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4-(7-메톡시-이소퀴놀린-1-일옥시)-피롤리딘-1-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100 mg을 사용하여 생성물 30 mg을 수득하였다 (25% 수율).
생성물:
Figure pat00797
Figure pat00798
실시예 261 및 262: 화합물 261 및 262의 제조
Figure pat00799
단계 1에서 3-페닐-부트-2-엔산 대신에 4-플루오로-3-메톡시신남산을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50의 반응식 1에 따라 화합물 261 및 262를 제조하였다.
단계 1:
변경: 4-플루오로-3-메톡시신남산 19.6 g을 사용하여 생성물 9.5 g을 수득하였다 (48% 수율).
생성물:
Figure pat00800
Figure pat00801
단계 2:
변경: 7-플루오로-6-메톡시-2H-이소퀴놀린-1-온 9 g을 사용하여 생성물 7 g 을 수득하였다 (70% 수율).
생성물:
Figure pat00802
Figure pat00803
단계 3:
변경: 1-클로로-7-플루오로-6-메톡시-이소퀴놀린 222 mg을 사용하여 생성물 406 mg을 수득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804
단계 4:
변경: 4-(7-플루오로-6-메톡시-이소퀴놀린-1-일옥시)-피롤리딘-1,2-디카르복실산 1-tert-부틸 에스테르와 4-(1-클로로-6-메톡시-이소퀴놀린-7-일옥시)-피롤리딘-1,2-디카르복실산 1-tert-부틸 에스테르의 혼합물 400 mg을 사용하여 생성물 700 mg을 수득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805
단계 5:
변경: 2-(1-시클로프로판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4-(7-플루오로-6-메톡시-이소퀴놀린-1-일옥시)-피롤리딘-1-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와 4-(1-클로로-6-메톡시-이소퀴놀린-7-일옥시)-2-(1-시클로프로판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피롤리딘-1-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의 혼합물 700 mg을 사용하여 화합물 261을 79 mg, 화합물 262를 80 mg 수득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806
Figure pat00807
Figure pat00808
실시예 263: 화합물 263의 제조
Figure pat00809
단계 1 및 단계 2를 제외하고는, 실시예 250의 반응식 1에 따라 화합물 263을 제조하였다.
단계 3:
변경: 1-클로로-8-메틸-이소퀴놀린 176 mg을 사용하여 생성물 370 mg을 수득하였다 (100% 수율).
생성물:
Figure pat00810
단계 4:
변경: 8-메틸-이소퀴놀린-1-일옥시)-피롤리딘-1,2-디카르복실산 1-tert-부틸 에스테르 149 mg을 사용하여 생성물 230 mg을 수득하였다 (99% 수율).
생성물:
Figure pat00811
Figure pat00812
단계 5:
변경: 2-(1-시클로프로판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4-(8-메틸-이소퀴놀린-1-일옥시)-피롤리딘-1-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220 mg을 사용하여 생성물 90 mg을 수득하였다 (35% 수율).
생성물:
Figure pat00813
Figure pat00814
실시예 264: 화합물 264의 제조
Figure pat00815
단계 1 및 단계 2를 제외하고는, 실시예 250의 반응식 1에 따라 화합물 264를 제조하였다.
단계 3:
변경: 1-클로로-8-메톡시-이소퀴놀린 203 mg을 사용하여 생성물 340 mg을 수득하였다 (85% 수율).
생성물:
Figure pat00816
Figure pat00817
단계 4:
변경: (8-메톡시-이소퀴놀린-1-일옥시)-피롤리딘-1,2-디카르복실산 1-tert-부틸 에스테르 78 mg을 사용하여 생성물 115 mg을 수득하였다 (96% 수율).
생성물:
Figure pat00818
단계 5:
변경: 2-(1-시클로프로판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4-(8-메톡시-이소퀴놀린-1-일옥시)-피롤리딘-1-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110 mg을 사용하여 생성물 45 mg을 수득하였다 (34% 수율).
생성물:
Figure pat00819
Figure pat00820
실시예 265 및 266: 화합물 265 및 266의 제조
Figure pat00821
단계 1에서 3-페닐-부트-2-엔산 대신에 3-(2,3-디히드로-벤조푸란-7-일)-아크릴산을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50의 반응식 1에 따라 화합물 265 및 266을 제조하였다.
단계 1:
변경: 3-(2,3-디히드로-벤조푸란-7-일)-아크릴산 3.8 g을 사용하여 생성물 2 g을 수득하였다 (53% 수율).
생성물:
Figure pat00822
Figure pat00823
단계 2:
변경: 2,3-디히드로-7H-푸로[2,3-f]이소퀴놀린-6-온 1.87 g을 사용하여 생성물 1.84 g을 수득하였다 (90% 수율).
생성물:
Figure pat00824
Figure pat00825
단계 3:
변경: 6-클로로-2,3-디히드로-푸로[2,3-f]이소퀴놀린 206 mg을 사용하여 생성물 혼합물 300 mg을 수득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826
단계 4:
변경: 단계 3의 생성물 혼합물 240 mg을 사용하여 생성물 혼합물 350 mg을 수득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827
단계 5:
변경: 단계 4의 생성물 혼합물 331 mg을 사용하여 화합물 265를 240 mg, 화합물 266을 24 mg 수득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828
Figure pat00829
Figure pat00830
실시예 267 및 268: 화합물 267 및 268의 제조
Figure pat00831
단계 1에서 3-페닐-부트-2-엔산 대신에 3-(2,3-디히드로-벤조푸란-4-일)-아크릴산을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50의 반응식 1에 따라 화합물 267 및 268을 제조하였다.
단계 1:
변경: 3-(2,3-디히드로-벤조푸란-4-일)-아크릴산 1.14 g을 사용하여 생성물 600 mg을 수득하였다 (52% 수율).
생성물:
Figure pat00832
Figure pat00833
단계 2:
변경: 1,7-디히드로-2H-푸로[3,2-f]이소퀴놀린-6-온 560 mg을 사용하여 생성물 380 mg을 수득하였다 (48% 수율).
생성물:
Figure pat00834
Figure pat00835
단계 3:
변경: 6-클로로-1,2-디히드로-푸로[3,2-f]이소퀴놀린 105 mg을 사용하여 생성물 혼합물 390 mg을 수득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836
단계 4:
변경: 단계 3의 생성물 혼합물 216 mg을 사용하여 생성물 혼합물 330 mg을 수득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837
단계 5:
변경: 단계 4의 생성물 혼합물 330 mg을 사용하여 화합물 267을 140 mg, 화합물 268을 25 mg 수득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838
Figure pat00839
Figure pat00840
실시예 269: 화합물 269의 제조
Figure pat00841
단계 1:
2-트리프루오르메톡시신남산 (11.6 g), 디페닐포스포릴아지드 (13.75 g) 및 벤젠 (50 mL) 중 트리에틸아민 (7.07 g)의 용액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벤젠으로 세척하는 실리카 겔 플러그를 통해 여과 및 농축 후, 잔류물을 디페닐메탄 (80 mL)에 용해시키고 3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벤젠으로 세척하는 플러그를 통해 고체를 수집하고 건조시켜 원하는 생성물 5.1 g (44%)을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842
단계 2:
POCl3 (50 mL) 중 5-트리플루오로메톡시-2H-이소퀴놀린-1-온 (4.58 g)의 용액을 3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냉각 및 농축시킨 후, 잔류물을 5 N NaOH로 염기화하고 CH2Cl2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농축 후, 헥산 중 5% 에틸 아세테이트로 바이오티지사 (Biotage)의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 4.347 g (88%)을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843
단계 3:
-78 ℃에서 DMF (1 mL) 중 {1-[2-(1-시클로프로판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4-히드록시-피롤리딘-1-카르보닐]-2,2-디메틸-프로필}-카르밤산 tert-부틸 에스테르 (56 mg), 1-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톡시-이소퀴놀린 (25 mg) 및 LaCl3 (25 mg)의 현탁물에 tert-BuOK (0.5 mL, THF 중 1 M)를 첨가하고 실온으로 가온하였다. 30분 동안 교반한 후, 반응물을 포화 NH4Cl 용액으로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농축 후,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여 원하는 화합물 269 35 mg (46%)을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844
실시예 270: 화합물 270의 제조
Figure pat00845
단계 1에서 2-트리프루오르메톡시신남산 대신에 2-트리플루오로메틸신남산을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69의 반응식 2에 따라 화합물 270을 제조하였다.
단계 1:
변경: 2-트리플루오로메틸신남산 10 g을 사용하여 생성물 5 g을 수득하였다 (50% 수율).
생성물:
Figure pat00846
Figure pat00847
단계 2:
변경: 5-트리플루오로메틸-2H-이소퀴놀린-1-온 4.4 g을 사용하여 생성물 3.5 g을 수득하였다 (73% 수율).
생성물:
Figure pat00848
Figure pat00849
단계 3:
변경: 1-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이소퀴놀린 46 mg 및 {1-[2-(1-시클로프로판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4-히드록시-피롤리딘-1-카르보닐]-2,2-디메틸-프로필}-카르밤산 tert-부틸 에스테르 111 mg을 사용하여 생성물 70 mg을 수득하였다 (47% 수율).
생성물:
Figure pat00850
Figure pat00851
실시예 271: 화합물 271의 제조
Figure pat00852
단계 1에서 2-트리프루오르메톡시신남산 대신에 2-클로로신남산을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69의 반응식 2에 따라 화합물 271을 제조하였다.
단계 1:
변경: 2-클로로신남산 7 g을 사용하여 생성물 5 g을 수득하였다 (71% 수율).
생성물:
Figure pat00853
Figure pat00854
단계 2:
변경: 5-모르폴린-4-일-2H-이소퀴놀린-1-온 2.2 g을 사용하여 생성물 2.1 g을 수득하였다 (87% 수율).
생성물:
Figure pat00855
Figure pat00856
단계 3:
변경: 1-클로로-5-모르폴린-4-일-이소퀴놀린 50 mg 및 {1-[2-(1-시클로프로판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4-히드록시-피롤리딘-1-카르보닐]-2,2-디메틸-프로필}-카르밤산 tert-부틸 에스테르 111 mg을 사용하여 생성물 40 mg을 수득하였다 (26% 수율).
생성물:
Figure pat00857
Figure pat00858
실시예 272: 화합물 272의 제조
Figure pat00859
단계 1에서 2-트리프루오르메톡시신남산 대신에 2,3-디메톡시신남산을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69의 반응식 2에 따라 화합물 272를 제조하였다.
단계 1:
변경: 2,3-디메톡시신남산 10.4 g을 사용하여 생성물 4.1 g을 수득하였다 (40% 수율).
생성물:
Figure pat00860
Figure pat00861
단계 2:
변경: 5,6-디메톡시-2H-이소퀴놀린-1-온 4.1 g을 사용하여 생성물 4.03 g을 수득하였다 (90% 수율).
생성물:
Figure pat00862
Figure pat00863
단계 3:
변경: 1-클로로-5,6-디메톡시-이소퀴놀린 22 mg 및 {1-[2-(1-시클로프로판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4-히드록시-피롤리딘-1-카르보닐]-2,2-디메틸-프로필}-카르밤산 tert-부틸 에스테르 56 mg을 사용하여 생성물 31 mg을 수득하였다 (42% 수율).
생성물:
Figure pat00864
Figure pat00865
실시예 273: 화합물 273의 제조
Figure pat00866
단계 1에서 2-트리프루오르메톡시신남산 대신에 4-클로로-3-메톡시신남산을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69의 반응식 2에 따라 화합물 273을 제조하였다.
단계 1:
변경: 4-클로로-3-메톡시신남산 2.5 g을 사용하여 생성물 1.2 g을 수득하였다 (48% 수율).
생성물:
Figure pat00867
Figure pat00868
단계 2:
변경: 7-클로로-6-메톡시-2H-이소퀴놀린-1-온 1.05 g을 사용하여 생성물 0.8 g을 수득하였다 (70% 수율).
생성물:
Figure pat00869
Figure pat00870
단계 3:
변경: 1,7-디클로로-6-메톡시-이소퀴놀린 44 mg 및 {1-[2-(1-시클로프로판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4-히드록시-피롤리딘-1-카르보닐]-2,2-디메틸-프로필}-카르밤산 tert-부틸 에스테르 113 mg을 사용하여 생성물 25 mg을 수득하였다 (17% 수율).
생성물:
Figure pat00871
Figure pat00872
실시예 274: 화합물 274의 제조
Figure pat00873
단계 1에서 2-트리프루오르메톡시신남산 대신에 2-플루오로-3-신남산을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69의 반응식 2에 따라 화합물 274를 제조하였다.
단계 1:
변경: 2-플루오로-3-신남산 3.92 g을 사용하여 생성물 2.4 g을 수득하였다 (61% 수율).
생성물:
Figure pat00874
Figure pat00875
단계 2:
변경: 5-플루오로-6-메톡시-2H-이소퀴놀린-1-온 1.93 g을 사용하여 생성물 1.688 g을 수득하였다 (80% 수율).
생성물:
Figure pat00876
Figure pat00877
단계 3:
변경: 1-클로로-5-플루오로-6-메톡시-이소퀴놀린 41 mg 및 {1-[2-(1-시클로프로판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4-히드록시-피롤리딘-1-카르보닐]-2,2-디메틸-프로필}-카르밤산 tert-부틸 에스테르 133 mg을 사용하여 생성물 70 mg을 수득하였다 (48% 수율).
생성물:
Figure pat00878
Figure pat00879
실시예 275: 화합물 275의 제조
Figure pat00880
단계 1에서 2-트리프루오르메톡시신남산 대신에 2-클로로-3-메톡시신남산을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69의 반응식 2에 따라 화합물 275를 제조하였다.
단계 1:
변경: 2-클로로-3-메톡시신남산 658 mg을 사용하여 생성물 360 mg을 수득하였다 (54% 수율).
생성물:
Figure pat00881
Figure pat00882
단계 2:
변경: 5-클로로-6-메톡시-2H-이소퀴놀린-1-온 350 mg을 사용하여 생성물 300 mg을 수득하였다 (80% 수율).
생성물:
Figure pat00883
Figure pat00884
단계 3:
변경: 1,5-디클로로-6-메톡시-이소퀴놀린 68 mg 및 {1-[2-(1-시클로프로판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4-히드록시-피롤리딘-1-카르보닐]-2,2-디메틸-프로필}-카르밤산 tert-부틸 에스테르 167 mg을 사용하여 생성물 130 mg을 수득하였다 (60% 수율).
생성물:
Figure pat00885
Figure pat00886
실시예 276: 화합물 276의 제조
Figure pat00887
단계 1에서 2-트리프루오르메톡시신남산 대신에 3-클로로-2-메톡시신남산을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69의 반응식 2에 따라 화합물 276을 제조하였다.
단계 1:
변경: 3-클로로-2-메톡시신남산 4.24 g을 사용하여 생성물 2.4 g을 수득하였다 (57% 수율).
생성물:
Figure pat00888
Figure pat00889
단계 2:
변경: 6-클로로-5-메톡시-2H-이소퀴놀린-1-온 2.09 g을 사용하여 생성물 1.9 g을 수득하였다 (83% 수율).
생성물:
Figure pat00890
Figure pat00891
단계 3:
변경: 1,6-디클로로-5-메톡시-이소퀴놀린 91 mg 및 {1-[2-(1-시클로프로판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4-히드록시-피롤리딘-1-카르보닐]-2,2-디메틸-프로필}-카르밤산 tert-부틸 에스테르 226 mg을 사용하여 생성물 114 mg을 수득하였다 (38% 수율).
생성물:
Figure pat00892
Figure pat00893
실시예 277: 화합물 277의 제조
Figure pat00894
단계 1에서 2-트리프루오르메톡시신남산 대신에 3-(4-클로로-페닐)-3-메톡시-아크릴산을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69의 반응식 2에 따라 화합물 277을 제조하였다.
단계 1:
변경: 3-(4-클로로-페닐)-3-메톡시-아크릴산 4.24 g을 사용하여 생성물 130 mg을 수득하였다 (3% 수율).
생성물:
Figure pat00895
Figure pat00896
단계 2:
변경: 7-클로로-4-메톡시-2H-이소퀴놀린-1-온 105 mg을 사용하여 생성물 60 mg을 수득하였다 (71% 수율).
생성물:
Figure pat00897
Figure pat00898
단계 3:
변경: 1,7-디클로로-4-메톡시-이소퀴놀린 46 mg 및 {1-[2-(1-시클로프로판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4-히드록시-피롤리딘-1-카르보닐]-2,2-디메틸-프로필}-카르밤산 tert-부틸 에스테르 113 mg을 사용하여 생성물 50 mg을 수득하였다 (31% 수율).
생성물:
Figure pat00899
Figure pat00900
실시예 278: 화합물 278의 제조
Figure pat00901
단계 1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69의 반응식 2에 따라 화합물 278을 제조하였다.
단계 1:
변경: MeCN (10 mL) 중 6-메톡시-2H-이소퀴놀린-1-온 (700 mg) 및 NCS (532 mg)의 용액을 3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여과하여 원하는 생성물 600 mg (72%)을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902
Figure pat00903
단계 2:
변경: 4-클로로-6-메톡시-2H-이소퀴놀린-1-온 500 mg을 사용하여 생성물 400 mg을 수득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904
Figure pat00905
단계 3:
변경: 1,4-디클로로-6-메톡시-이소퀴놀린 42 mg 및 {1-[2-(1-시클로프로판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4-히드록시-피롤리딘-1-카르보닐]-2,2-디메틸-프로필}-카르밤산 tert-부틸 에스테르 117 mg을 사용하여 생성물 70 mg을 수득하였다 (47% 수율).
생성물:
Figure pat00906
Figure pat00907
실시예 279: 화합물 279의 제조
Figure pat00908
단계 1에서 2-트리프루오르메톡시신남산 대신에 3-메톡시-3-(3-메톡시-페닐)-아크릴산을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69의 반응식 2에 따라 화합물 279를 제조하였다.
단계 1:
변경: 3-메톡시-3-(3-메톡시-페닐)-아크릴산 4.24 g을 사용하여 생성물 400 mg을 수득하였다 (10% 수율).
생성물:
Figure pat00909
단계 2:
변경: 4,6-디메톡시-2H-이소퀴놀린-1-온 400 mg을 사용하여 생성물 300 mg을 수득하였다 (69% 수율).
생성물:
Figure pat00910
Figure pat00911
단계 3:
변경: 1-클로로-4,6-디메톡시-이소퀴놀린 89 mg 및 {1-[2-(1-시클로프로판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4-히드록시-피롤리딘-1-카르보닐]-2,2-디메틸-프로필}-카르밤산 tert-부틸 에스테르 223 mg을 사용하여 생성물 160 mg을 수득하였다 (54% 수율).
생성물:
Figure pat00912
Figure pat00913
실시예 280: 화합물 280의 제조
Figure pat00914
단계 1에서 2-트리프루오르메톡시신남산 대신에 3-(3-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아크릴산을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69의 반응식 2에 따라 화합물 280을 제조하였다.
단계 1:
변경: 3-(3-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아크릴산 4.28 g을 사용하여 생성물 3.1 g을 수득하였다 (72% 수율).
생성물:
Figure pat00915
Figure pat00916
단계 2:
변경: 6-디플루오로메톡시-2H-이소퀴놀린-1-온 2 g을 사용하여 생성물 1.5 g을 수득하였다 (61% 수율).
생성물:
Figure pat00917
Figure pat00918
단계 3:
변경: 1-클로로-6-디플루오로메톡시-이소퀴놀린 46 mg 및 {1-[2-(1-시클로프로판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4-히드록시-피롤리딘-1-카르보닐]-2,2-디메틸-프로필}-카르밤산 tert-부틸 에스테르 113 mg을 사용하여 생성물 8 mg을 수득하였다 (5% 수율).
생성물:
Figure pat00919
Figure pat00920
실시예 281: 화합물 281의 제조
Figure pat00921
단계 1에서 2-트리프루오르메톡시신남산 대신에 3-클로로-3-페닐-아크릴산을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69의 반응식 2에 따라 화합물 281을 제조하였다.
단계 1:
변경: 3-클로로-3-페닐-아크릴산 11 g을 사용하여 생성물 3.1 g을 수득하였다 (29% 수율).
생성물:
Figure pat00922
Figure pat00923
단계 2:
변경: 4-클로로-2H-이소퀴놀린-1-온 3.1 g을 사용하여 생성물 2.3 g을 수득하였다 (66% 수율).
생성물:
Figure pat00924
Figure pat00925
단계 3:
변경: 1,4-디클로로-이소퀴놀린 20 mg 및 {1-[2-(1-시클로프로판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4-히드록시-피롤리딘-1-카르보닐]-2,2-디메틸-프로필}-카르밤산 tert-부틸 에스테르 56 mg을 사용하여 생성물 33 mg을 수득하였다 (30% 수율).
생성물:
Figure pat00926
Figure pat00927
실시예 282: 화합물 282의 제조
Figure pat00928
단계 1에서 2-트리프루오르메톡시신남산 대신에 3-클로로-3-페닐-아크릴산을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69의 반응식 2에 따라 화합물 282를 제조하였다.
단계 1:
변경: 3-클로로-3-페닐-아크릴산 20 g을 사용하여 생성물 2 g을 수득하였다 (8% 수율).
생성물:
Figure pat00929
Figure pat00930
단계 2:
변경: 6-트리플루오로메톡시-2H-이소퀴놀린-1-온 2 g을 사용하여 생성물 0.7 g을 수득하였다 (33% 수율).
생성물:
Figure pat00931
Figure pat00932
단계 3:
변경: 1-클로로-6-트리플루오로메톡시-이소퀴놀린 50 mg 및 {1-[2-(1-시클로프로판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4-히드록시-피롤리딘-1-카르보닐]-2,2-디메틸-프로필}-카르밤산 tert-부틸 에스테르 113 mg을 사용하여 생성물 42 mg을 수득하였다 (27% 수율).
생성물:
Figure pat00933
Figure pat00934
실시예 283: 화합물 283의 제조
Figure pat00935
단계 1에서 2-트리프루오르메톡시신남산 대신에 3-(4-플루오로-페닐)-3-메톡시-아크릴산을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69의 반응식 2에 따라 화합물 283을 제조하였다.
단계 1:
변경: 3-(4-플루오로-페닐)-3-메톡시-아크릴산 3.82 g을 사용하여 생성물 198 mg을 수득하였다 (5% 수율).
생성물:
Figure pat00936
Figure pat00937
단계 2:
변경: 7-플루오로-4-메톡시-2H-이소퀴놀린-1-온 193 mg을 사용하여 생성물 199 mg을 수득하였다 (94% 수율).
생성물:
Figure pat00938
Figure pat00939
단계 3:
변경: 1-클로로-7-플루오로-4-메톡시-이소퀴놀린 42 mg 및 {1-[2-(1-시클로프로판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4-히드록시-피롤리딘-1-카르보닐]-2,2-디메틸-프로필}-카르밤산 tert-부틸 에스테르 112 mg을 사용하여 생성물 40 mg을 수득하였다 (14% 수율).
생성물:
Figure pat00940
Figure pat00941
실시예 284: 화합물 284의 제조
Figure pat00942
단계 1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69의 반응식 2에 따라 화합물 284를 제조하였다.
단계 1:
변경: MeCN (10 mL) 중 7-메톡시-2H-이소퀴놀린-1-온 (876 mg) 및 NCS (665 mg)의 혼합물을 3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여과하여 원하는 생성물 500 mg (47%)을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943
Figure pat00944
단계 2:
변경: 4-클로로-7-메톡시-2H-이소퀴놀린-1-온 418 mg을 사용하여 생성물 410 mg을 수득하였다 (90% 수율).
생성물:
Figure pat00945
Figure pat00946
단계 3:
변경: 1,4-디클로로-7-메톡시-이소퀴놀린 42 mg 및 {1-[2-(1-시-시클로프로판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4-히드록시-피롤리딘-1-카르보닐]-2,2-디메틸-프로필}-카르밤산 tert-부틸 에스테르 117 mg을 사용하여 생성물 50 mg을 수득하였다 (33% 수율).
생성물:
Figure pat00947
Figure pat00948
실시예 285: 화합물 285의 제조
Figure pat00949
단계 1에서 2-디플루오르메톡시신남산 대신에 그것을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69의 반응식 2에 따라 화합물 285를 제조하였다.
단계 1 및 단계 2:
화합물 256을 참조한다.
단계 3:
변경: 1-클로로-5-디플루오로메톡시-이소퀴놀린 46 mg 및 {1-[2-(1-시클로프로판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4-히드록시-피롤리딘-1-카르보닐]-2,2-디메틸-프로필}-카르밤산 tert-부틸 에스테르 111 mg을 사용하여 생성물 40 mg을 수득하였다 (27% 수율).
생성물:
Figure pat00950
Figure pat00951
실시예 286: 화합물 286의 제조
Figure pat00952
단계 1에서 2-트리프루오르메톡시신남산 대신에 3-(2,3-디히드로-벤조[1,4]디옥신-5-일)-아크릴산을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69의 반응식 2에 따라 화합물 286을 제조하였다.
단계 1:
변경: 3-(2,3-디히드로-벤조[1,4]디옥신-5-일)-아크릴산 4.12 g을 사용하여 생성물 2.2 g을 수득하였다 (53% 수율).
생성물:
Figure pat00953
Figure pat00954
단계 2:
변경: 2,3-디히드로-7H-1,4-디옥사-7-아자-페난트렌-8-온 2.05 g을 사용하여 생성물 1.5 g을 수득하였다 (68% 수율).
생성물:
Figure pat00955
Figure pat00956
단계 3:
변경: 8-클로로-2,3-디히드로-1,4-디옥사-7-아자-페난트렌 88 mg 및 {1-[2-(1-시클로프로판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4-히드록시-피롤리딘-1-카르보닐]-2,2-디메틸-프로필}-카르밤산 tert-부틸 에스테르 223 mg을 사용하여 생성물 140 mg을 수득하였다 (47% 수율).
생성물:
Figure pat00957
Figure pat00958
실시예 287: 화합물 287의 제조
Figure pat00959
단계 1에서 2-트리프루오르메톡시신남산 대신에 3-(2,2-디플루오로-벤조[1,3]디옥솔-4-일)-아크릴산을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69의 반응식 2에 따라 화합물 287을 제조하였다.
단계 1:
변경: 3-(2,2-디플루오로-벤조[1,3]디옥솔-4-일)-아크릴산 4.56 g을 사용하여 생성물 2.2 g을 수득하였다 (55% 수율).
생성물:
Figure pat00960
Figure pat00961
단계 2:
변경: 2,2-디플루오로-7H-1,3-디옥사-7-아자-시클로펜타[a]나프탈렌-6-온 2.2 g을 사용하여 생성물 2.1 g을 수득하였다 (87% 수율).
생성물:
Figure pat00962
Figure pat00963
단계 3:
변경: 6-클로로-2,2-디플루오로-1,3-디옥사-7-아자-시클로펜타[a]나프탈렌 48 mg 및 {1-[2-(1-시클로프로판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4-히드록시-피롤리딘-1-카르보닐]-2,2-디메틸-프로필}-카르밤산 tert-부틸 에스테르 113 mg을 사용하여 생성물 40 mg을 수득하였다 (27% 수율).
생성물:
Figure pat00964
Figure pat00965
실시예 288: 화합물 288의 제조
Figure pat00966
단계 1에서 2-트리프루오르메톡시신남산 대신에 3-(2,2-디플루오로-벤조[1,3]디옥솔-5-일)-아크릴산을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69의 반응식 2에 따라 화합물 288을 제조하였다.
단계 1:
변경: 3-(2,2-디플루오로-벤조[1,3]디옥솔-5-일)-아크릴산 1 g을 사용하여 생성물 0.55 g을 수득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967
Figure pat00968
단계 2:
변경: 2,2-디플루오로-6H-[1,3]디옥솔로[4,5-g]이소퀴놀린-5-온 0.5 g을 사용하여 생성물 0.4 g을 수득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969
Figure pat00970
단계 3:
변경: 5-클로로-2,2-디플루오로-[1,3]디옥솔로[4,5-g]이소퀴놀린 48 mg 및 {1-[2-(1-시클로프로판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4-히드록시-피롤리딘-1-카르보닐]-2,2-디메틸-프로필}-카르밤산 tert-부틸 에스테르 112 mg을 사용하여 생성물 30 mg을 수득하였다.
생성물:
Figure pat00971
Figure pat00972
실시예 289: 화합물 289의 제조
Figure pat00973
Figure pat00974
에틸 아세테이트 (5 mL) 중 화합물 287 (15 mg) 및 Pt(S)/C (5%, 5 mg)의 현탁물을 10 psi에서 30분 동안 수소화시켰다. 여과 후, 농축시켜 정량적으로 화합물 289 15 mg을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975
실시예 290: 화합물 290의 제조
Figure pat00976
화합물 286 15 mg을 사용하여 실시예 289의 반응식 3에 따라 화합물 290 (15 mg, 100%)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0977
실시예 291: 화합물 291의 제조
Figure pat00978
화합물 251 28 mg을 사용하여 실시예 289의 반응식 3에 따라 화합물 291 (28 mg, 100%)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0979
실시예 292: 화합물 292의 제조
Figure pat00980
화합물 253 19 mg을 사용하여 실시예 289의 반응식 3에 따라 화합물 292 (16 mg, 84%)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93: 화합물 293의 제조
Figure pat00981
화합물 252 20 mg을 사용하여 실시예 289의 반응식 3에 따라 화합물 293 (7 mg, 35%)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0982
실시예 294: 화합물 294의 제조
Figure pat00983
화합물 254 18 mg을 사용하여 실시예 289의 반응식 3에 따라 화합물 294 (14 mg, 78%)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984
실시예 295: 화합물 295의 제조
Figure pat00985
화합물 270 30 mg을 사용하여 실시예 289의 반응식 3에 따라 화합물 295 (30 mg, 100%)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986
실시예 296: 화합물 296의 제조
Figure pat00987
화합물 259 20 mg을 사용하여 실시예 289의 반응식 3에 따라 화합물 296 (6.3 mg, 33%)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0988
실시예 297: 화합물 297의 제조
Figure pat00989
화합물 263 40 mg을 사용하여 실시예 289의 반응식 3에 따라 화합물 297 (40 mg, 100%)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0990
실시예 298: 화합물 298의 제조
Figure pat00991
화합물 261 29 mg을 사용하여 실시예 289의 반응식 3에 따라 화합물 298 (29 mg, 100%)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0992
실시예 299: 화합물 299의 제조
Figure pat00993
화합물 274 35 mg을 사용하여 실시예 289의 반응식 3에 따라 화합물 299 (34 mg, 97%)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994
실시예 300: 화합물 300의 제조
Figure pat00995
화합물 262 30 mg을 사용하여 실시예 289의 반응식 3에 따라 화합물 300 (30 mg, 100%)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0996
단락 G:
단락 G에 사용된 LC/MS 방법은 3분의 구배 및 1분 당 4 mL의 흐름에서의 4.6 × 50 mm 엑스테라 (Xterra)이다.
반응식 1: (일반 반응식)
Figure pat00997
반응식 2: (일반 반응식)
Figure pat00998
반응식 3: (일반 반응식)
Figure pat00999
반응식 4: (일반 반응식)
Figure pat01000
실시예 320: 화합물 320의 제조
Figure pat01001
상기 반응식 1 및 반응식 3에 따라 화합물 320을 제조하였다.
단계 1 (반응식 1):
Figure pat01002
-78 ℃에서 THF (15 mL) 중 N,N-디에틸-4-메톡시-2-메틸-벤즈아미드 (332 mg, 1.5 mmol)의 용액에 t-BuLi (펜탄 중 1.7 M 용액, 1.3 mL, 2.25 mmol)를 첨가하였다. 수득한 적색 용액을 -78 ℃에서 10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2-시아노피리딘 (156 mg, 1.5 mmol)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수득한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포화 NH4Cl 용액으로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2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건조 (MgSO4) 및 농축시켰다. 조 생성물을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여 TFA 염으로서 황색빛 고체를 수득하였다 (85 mg, 15% 수율).
Figure pat01003
단계 2 (반응식 3, 단계 1):
Figure pat01004
6-메톡시-3-피리딘-2-일-2H-이소퀴놀린-1-온 TFA 염 (85 mg, 0.232 mmol)을 POCl3 (3.0 mL) 환류 하에 2일 동안 가열하였다. 이어서, POCl3를 증류 제거하고 잔류물을 얼음으로 켄칭시켰다. 이어서, 10 N NaOH 용액으로 중화하고 갈색 고체를 순수한 생성물로서 수집하였다 (62 mg, 99% 수율).
단계 3 (반응식 3, 단계 2):
Figure pat01006
-78 ℃에서 DMF (1.5 mL) 중 {1-[2-(1-시클로프로판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4-히드록시-피롤리딘-1-카르보닐]-2,2-디메틸-프로필}-카르밤산 tert-부틸 에스테르 (82 mg, 0.148 mmol) 및 LaCl3 (36 mg, 0.148 mmol)의 용액에 칼륨 t-부톡시드 (THF 중 1.0 M 용액, 0.74 mL, 0.74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1-클로로-6-메톡시-3-피리딘-2-일-이소퀴놀린 (40 mg, 0.148 mmol)을 첨가하였다. 이를 실온으로 가온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이를 물로 켄칭시키고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여 생성물 (화합물 320)로서 회백색 고체를 수득하였다 (23 mg, 20% 수율).
Figure pat01007
실시예 321: 화합물 321의 제조
반응식 5:
Figure pat01008
디옥산을 환류시키면서 에틸 브로모피루베이트와 에틸 티오우레아를 축합시켜 정량적 수득율 중 HBr 염으로서 모노알킬아미노 티아졸을 수득하였다. 2-에틸아미노-티아졸-4-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를 DMF 중 EtI로 알킬화하여 2-디에틸아미노-티아졸-4-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를 수득하였다.
Figure pat01009
Figure pat01010
반응식 2의 단계 1에서 2-디에틸아미노-티아졸-4-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상기 반응식 2 및 반응식 3에 따라 화합물 321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1011
실시예 322: 화합물 322의 제조
Figure pat01012
반응식 2의 단계 1에서 2-디메틸아미노-티아졸-4-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대신에 2-디메틸아미노-티아졸-4-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에틸 티오우레아 및 요오드화에틸 대신에 메틸 티오우레아 및 요오드화메틸을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반응식 5에 따라 제조됨)를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21에 따라 화합물 322를 제조하였다.
Figure pat01013
실시예 323: 화합물 323의 제조
Figure pat01014
1-클로로-6-메톡시-3-피리딘-2-일-이소퀴놀린 대신에 3-클로로-6-메톡시-벤조[d]이속사졸을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24의 단계 3에 따라 화합물 323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1015
실시예 324: 화합물 324의 제조
Figure pat01016
1-클로로-6-메톡시-3-피리딘-2-일-이소퀴놀린 대신에 3-클로로-벤조[d]이소티아졸을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24의 단계 3에 따라 화합물 324를 제조하였다.
Figure pat01017
실시예 325: 화합물 325의 제조
Figure pat01018
상기 반응식 1 및 반응식 3에 따라 화합물 325를 제조하였다.
단계 1 (반응식 1):
Figure pat01019
-78℃에서 THF (15 mL) 중 N,N-디에틸-4-메톡시-2-메틸-벤즈아미드 (332 mg, 1.5 mmol)의 용액에 t-BuLi (펜탄 중 1.7 M 용액, 1.3 mL, 2.25 mmol)를 첨가하였다. 수득한 적색 용액을 -78℃에서 10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4-시아노피리딘 (164 mg, 1.575 mmol)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포화 NH4Cl 용액으로 켄칭시키고 황색 침전물을 순수한 생성물로서 수집하였다 (145 mg, 38% 수율).
Figure pat01020
단계 2 (반응식 3, 단계 1):
Figure pat01021
6-메톡시-3-피리딘-4-일-2H-이소퀴놀린-1-온 (134 mg, 0.531 mmol)을 POCl3 (6.0 mL) 환류 하에 5일 동안 가열하였다. 이어서, POCl3를 증류 제거하고 잔류물을 얼음으로 켄칭시켰다. 이어서, 이를 포화 NaHCO3 용액으로 중화하여 순수한 생성물로서 갈색 고체를 수집하였다 (125 mg, 87% 수율).
Figure pat01022
단계 3 (반응식 3, 단계 2):
Figure pat01023
-78 ℃에서 DMF (1.5 mL) 중 {1-[2-(1-시클로프로판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4-히드록시-피롤리딘-1-카르보닐]-2,2-디메틸-프로필}-카르밤산 tert-부틸 에스테르 (83.5 mg, 0.15 mmol) 및 LaCl3 (36.8 mg, 0.15 mmol)의 용액에 칼륨 t-부톡시드 (THF 중 1.0 M 용액, 0.75 mL, 0.75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1-클로로-6-메톡시-3-피리딘-4-일-이소퀴놀린 (40.6 mg, 0.15 mmol)을 첨가하였다. 이를 실온으로 가온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이를 물로 켄칭시키고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여 생성물 (화합물 325)로서 회백색 고체를 수득하였다 (1.6 mg, 1.3% 수율).
Figure pat01024
실시예 326: 화합물 326의 제조
Figure pat01025
상기 반응식 1 및 반응식 4에 따라 화합물 326을 제조하였다.
단계 1 (반응식 1):
Figure pat01026
-78 ℃에서 THF (15 mL) 중 N,N-디에틸-4-메톡시-2-메틸-벤즈아미드 (332 mg, 1.5 mmol)의 용액에 t-BuLi (펜탄 중 1.7 M 용액, 1.3 mL, 2.25 mmol)를 첨가하였다. 수득한 적색 용액을 -78 ℃에서 10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4-디메틸아미노 벤조니트릴 (219 mg, 1.5 mmol)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포화 NH4HCl 용액으로 켄칭시키고 황색 침전물을 수집하고 에테르로 연화처리하여 순수한 생성물로서 회백색 고체를 수득하였다 (247 mg, 56% 수율).
Figure pat01027
단계 2 (반응식 4, 단계 1):
Figure pat01028
3-(4-디메틸아미노-페닐)-6-메톡시-2H-이소퀴놀린-1-온 (245 mg, 0.83 mmol)을 POCl3 (10.0 mL) 환류 하에 2일 동안 가열하였다. 이어서, POCl3를 증류 제거하고 잔류물을 얼음으로 켄칭시켰다. 이어서, 이를 10 N NaOH 용액으로 중화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하고 건조 (MgSO4)시켰다. 용매를 증발시켜 생성물로서 오렌지색 고체를 수득하였다 (215 mg, 83% 수율).
Figure pat01029
단계 3 (반응식 4, 단계 2):
Figure pat01030
[4-(1-클로로-6-메톡시-이소퀴놀린-3-일)-페닐]-디메틸-아민 (110 mg, 0.35 mmol)과 테트라부틸 포스포늄 하이드로겐 디플루오라이드 (0.5 g)의 혼합물을 140 ℃에서 스미스 (Smith) 마이크로웨이브 반응기 내에서 20분 동안 가열하였다. 이어서, 물을 첨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물로 세척하고 건조 (MgSO4)시켰다. 용매를 증발시켜 생성물로서 갈색빛 고체를 수득하였다 (85 mg, 82% 수율).
Figure pat01031
단계 4 (반응식 4, 단계 3):
Figure pat01032
-78 ℃에서 DMF (2.0 mL) 중 {1-[2-(1-시클로프로판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4-히드록시-피롤리딘-1-카르보닐]-2,2-디메틸-프로필}-카르밤산 tert-부틸 에스테르 (111 mg, 0.2 mmol) 및 LaCl3 (49 mg, 0.2 mmol)의 용액에 칼륨 t-부톡시드 (THF 중 1.0 M 용액, 1.0 mL, 1.0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4-(1-플루오로-6-메톡시-이소퀴놀린-3-일)-페닐]-디메틸아민 (59 mg, 0.2 mmol)을 첨가하였다. 이를 실온으로 가온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이를 물로 켄칭시키고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여 생성물 (화합물 326)로서 황색빛 고체를 수득하였다 (17.5 mg, 11% 수율).
Figure pat01033
실시예 327: 화합물 327의 제조
Figure pat01034
상기 반응식 1 및 반응식 4에 따라 화합물 327을 제조하였다.
단계 1 (반응식 1):
Figure pat01035
-78 ℃에서 THF (15 mL) 중 N,N-디에틸-4-메톡시-2-메틸-벤즈아미드 (332 mg, 1.5 mmol)의 용액에 t-BuLi (펜탄 중 1.7 M 용액, 1.3 mL, 2.25 mmol)를 첨가하였다. 수득한 적색 용액을 -78 ℃에서 10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4-디에틸아미노 벤조니트릴 (261 mg, 1.5 mmol)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포화 NH4Cl 용액으로 켄칭시키고 황색 침전물을 순수한 생성물로서 수집하였다 (215 mg, 44% 수율).
Figure pat01036
단계 2 (반응식 4, 단계 1):
Figure pat01037
3-(4-디에틸아미노-페닐)-6-메톡시-2H-이소퀴놀린-1-온 (207 mg, 0.642 mmol)을 POCl3 (8.0 mL) 환류 하에 하루 동안 가열하였다. 이어서, POCl3를 증류 제거하고 잔류물을 얼음으로 켄칭시켰다. 이어서, 포화 NaHCO3 용액으로 중화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하고 건조 (MgSO4)시켰다. 용매를 증발시켜 생성물로서 갈색빛 고체를 수득하였다 (180 mg, 82% 수율).
Figure pat01038
단계 3 (반응식 4, 단계 2):
Figure pat01039
[4-(1-클로로-6-메톡시-이소퀴놀린-3-일)-페닐]-디에틸아민 (90 mg, 0.264 mmol)과 테트라부틸 포스포늄 하이드로겐 디플루오라이드 (0.5 g)의 혼합물을 140 ℃에서 스미스 마이크로웨이브 반응기 내에서 20분 동안 가열하였다. 이어서, 물을 첨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물로 세척하고 건조 (MgSO4)시켰다. 용매를 증발시켜 생성물로서 황색빛 오일을 수득하였다 (70 mg, 82% 수율).
Figure pat01040
단계 4 (반응식 4, 단계 3):
Figure pat01041
-78 ℃에서 DMF (2.0 mL) 중 {1-[2-(1-시클로프로판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4-히드록시-피롤리딘-1-카르보닐]-2,2-디메틸-프로필}-카르밤산 tert-부틸 에스테르 (100 mg, 0.18 mmol) 및 LaCl3 (66 mg, 0.27 mmol)의 용액에 칼륨 t-부톡시드 (THF 중 1.0 M 용액, 0.9 mL, 0.9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가열하고 이어서 [4-(1-플루오로-6-메톡시-이소퀴놀린-3-일)-페닐]-디에틸아민 (70 mg, 0.216 mmol)을 첨가하였다. 이를 실온으로 가온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이를 물로 켄칭시키고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여 생성물 (화합물 327)로서 백색 고체를 수득하였다 (18 mg, 12% 수율).
Figure pat01042
실시예 328: 화합물 328의 제조
Figure pat01043
상기 반응식 2 및 반응식 3에 따라 화합물 328을 제조하였다.
단계 1 (반응식 2, 단계 1):
Figure pat01044
-78 ℃에서 THF (15 mL) 중 N,N-디에틸-4-메톡시-2-메틸-벤즈아미드 (332 mg, 1.5 mmol)의 용액에 t-BuLi (펜탄 중 1.7 M 용액, 2.12 mL, 3.6 mmol)를 첨가하였다. 수득한 적색 용액을 -78 ℃에서 10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메틸 니코티네이트 (206 mg, 1.5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78 ℃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물을 포화 NH4Cl 용액으로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2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건조 (MgSO4) 및 농축시켰다. 조 생성물을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여 TFA 염으로서 진한 황색빛 오일을 수득하였다 (124 mg, 19% 수율).
Figure pat01045
단계 2 (반응식 2, 단계 2):
Figure pat01046
N,N-디에틸-4-메톡시-2-(2-옥소-2-피리딘-3-일-에틸)-벤즈아미드 (120 mg, 0.272 mmol)를 아세트산 암모늄 (1 g)과 함께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이어서, 이를 냉각시키고 물을 첨가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여 유기층을 분리하였다. 이어서, 이를 건조 (MgSO4) 및 농축시켜 생성물로서 갈색빛 고체를 수득하였다 (65 mg, 95% 수율).
Figure pat01047
단계 3 (반응식 3, 단계 1):
Figure pat01048
6-메톡시-3-피리딘-3-일-2H-이소퀴놀린-1-온 (65 mg, 0.258 mmol)을 POCl3 (2.5 mL) 환류 하에 7일 동안 가열하였다. 이어서, POCl3를 증류 제거하고 잔류물을 얼음으로 켄칭시켰다. 이어서, 이를 10 N NaOH 용액으로 중화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2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건조 (MgSO4) 및 농축시켜 생성물로서 황색 고체를 수득하였다 (27 mg, 39% 수율).
Figure pat01049
단계 4 (반응식 3, 단계 2):
Figure pat01050
-78 ℃에서 DMF (1.5 mL) 중 {1-[2-(1-시클로프로판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4-히드록시-피롤리딘-1-카르보닐]-2,2-디메틸-프로필}-카르밤산 tert-부틸 에스테르 (56 mg, 0.10 mmol) 및 LaCl3 (25 mg, 0.10 mmol)의 용액에 칼륨 t-부톡시드 (THF 중 1.0 M 용액, 0.5 mL, 0.5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1-클로로-6-메톡시-3-피리딘-3-일-이소퀴놀린 (27 mg, 0.10 mmol)을 첨가하였다. 이를 실온으로 가온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이를 물로 켄칭시키고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여 생성물 (화합물 328)로서 백색 고체를 수득하였다 (17 mg, 21% 수율).
Figure pat01051
실시예 329: 화합물 329의 제조
Figure pat01052
상기 반응식 2 및 반응식 4에 따라 화합물 329를 제조하였다.
단계 1 (반응식 2, 단계 1):
Figure pat01053
-78 ℃에서 THF (15 mL) 중 N,N-디에틸-4-메톡시-2-메틸-벤즈아미드 (332 mg, 1.5 mmol)의 용액에 t-BuLi (펜탄 중 1.7 M 용액, 2.2 mL, 3.75 mmol)를 첨가하였다. 수득한 적색 용액을 -78 ℃에서 10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N,N-디메틸안트라닐산 메틸 에스테르 (269 mg, 1.5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78 ℃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물을 포화 NH4Cl 용액으로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2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건조 (MgSO4) 및 농축시켰다. 조 생성물을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여 생성물로서 진한 황색빛 오일을 수득하였다 (256 mg, 46% 수율).
Figure pat01054
단계 2 (반응식 2, 단계 2):
Figure pat01055
2-[2-(2-디메틸아미노-페닐)-2-옥소-에틸]-N,N-디에틸-4-메톡시-벤즈아미드 (250 mg, 0.678 mmol)를 아세트산 암모늄 (1.5 g)과 함께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이어서, 이를 냉각하고 물을 첨가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여 유기층을 분리하였다. 이어서, 이를 건조 (MgSO4) 및 농축시켜 생성물로서 황색빛 고체를 수득하였다 (125 mg, 63% 수율).
Figure pat01056
단계 3 (반응식 4, 단계 1):
Figure pat01057
3-(2-디메틸아미노-페닐)-6-메톡시-2H-이소퀴놀린-1-온 (125 mg, 0.425 mmol)을 POCl3 (4.0 mL) 환류 하에 하루 동안 가열하였다. 이어서, POCl3를 증류 제거하고 잔류물을 얼음으로 켄칭시켰다. 이어서, 이를 10 N NaOH 용액으로 중화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하고 건조 (MgSO4)시켰다. 용매를 증발시켜 생성물로서 갈색빛 고체를 수득하였다 (82 mg, 62% 수율).
Figure pat01058
단계 4 (반응식 4, 단계 2):
Figure pat01059
[2-(1-클로로-6-메톡시-이소퀴놀린-3-일)-페닐]-디메틸-아민 (82 mg, 0.262 mmol)과 테트라부틸 포스포늄 하이드로겐 디플루오라이드 (1.0 g)의 혼합물을 140 ℃에서 스미스 마이크로웨이브 반응기 내에서 20분 동안 가열하였다. 이어서, 물을 첨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물로 세척하고 건조 (MgSO4)시켰다. 용매를 증발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고 이를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여 생성물로서 황색빛 오일을 수득하였다 (85 mg).
Figure pat01060
단계 5 (반응식 4, 단계 3):
Figure pat01061
-78 ℃에서 DMF (1.0 mL) 중 {1-[2-(1-시클로프로판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4-히드록시-피롤리딘-1-카르보닐]-2,2-디메틸-프로필}-카르밤산 tert-부틸 에스테르 (56 mg, 0.1 mmol) 및 LaCl3 (25 mg, 0.1 mmol)의 용액에 칼륨 t-부톡시드 (THF 중 1.0 M 용액, 0.5 mL, 0.5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2-(1-플루오로-6-메톡시-이소퀴놀린-3-일)-페닐]-디메틸-아민 (30 mg, 0.1 mmol)을 첨가하였다. 이를 실온으로 가온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이를 물로 켄칭시키고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여 생성물 (화합물 329)로서 백색 고체를 수득하였다 (4.0 mg, 5% 수율).
Figure pat01062
실시예 330: 화합물 330의 제조
Figure pat01063
상기 반응식 2 및 반응식 4에 따라 화합물 330을 제조하였다.
단계 1 (반응식 2, 단계 1):
Figure pat01064
-78 ℃에서 THF (15 mL) 중 N,N-디에틸-4-메톡시-2-메틸-벤즈아미드 (332 mg, 1.5 mmol)의 용액에 t-BuLi (펜탄 중 1.7 M 용액, 2.2 mL, 3.75 mmol)를 첨가하였다. 수득한 적색 용액을 -78 ℃에서 10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3-디메틸아미노)벤조산 메틸 에스테르 (269 mg, 1.5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78 ℃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물을 포화 NH4Cl 용액으로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2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건조 (MgSO4) 및 농축시켰다. 조 생성물을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여 TFA 염으로서 진한 황색빛 오일을 수득하였다 (245 mg, 33% 수율).
Figure pat01065
단계 2 (반응식 2, 단계 2):
Figure pat01066
2-[2-(3-디메틸아미노-페닐)-2-옥소-에틸]-N,N-디에틸-4-메톡시-벤즈아미드 (240 mg, 0.497 mmol)를 아세트산 암모늄 (2.0 g)과 함께 2.5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이어서, 이를 냉각하고 물을 첨가하였다. 순수한 생성물로서 갈색빛 고체를 수집하였다 (95 mg, 65% 수율).
Figure pat01067
단계 3 (반응식 4, 단계 1):
Figure pat01068
3-(3-디메틸아미노-페닐)-6-메톡시-2H-이소퀴놀린-1-온 (92 mg, 0.312 mmol)을 POCl3 (3.0 mL) 환류 하에 2일 동안 가열하였다. 이어서, POCl3를 증류 제거하고 잔류물을 얼음으로 켄칭시켰다. 이어서, 이를 포화 NaHCO3 용액으로 중화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하고 건조 (MgSO4)시켰다. 용매를 증발시켜 생성물로서 진한 갈색빛 오일을 수득하였다 (72 mg, 74% 수율).
Figure pat01069
단계 4 (반응식 4, 단계 2):
Figure pat01070
[3-(1-클로로-6-메톡시-이소퀴놀린-3-일)-페닐]-디메틸아민 (72 mg, 0.23 mmol)과 테트라부틸 포스포늄 하이드로겐 디플루오라이드 (0.5 g)의 혼합물을 140 ℃에서 스미스 마이크로웨이브 반응기 내에서 20분 동안 가열하였다. 이어서, 물을 첨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물로 세척하고 건조 (MgSO4)시켰다. 용매를 증발시켜 생성물로서 갈색빛 오일을 수득하였다 (58 mg, 85% 수율).
Figure pat01071
단계 5 (반응식 4, 단계 3):
Figure pat01072
-78 ℃에서 DMF (1.5 mL) 중 {1-[2-(1-시클로프로판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4-히드록시-피롤리딘-1-카르보닐]-2,2-디메틸-프로필}-카르밤산 tert-부틸 에스테르 (86 mg, 0.155 mmol) 및 LaCl3 (57 mg, 0.233 mmol)의 용액에 칼륨 t-부톡시드 (THF 중 1.0 M 용액, 0.5 mL, 0.5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3-(1-플루오로-6-메톡시-이소퀴놀린-3-일)-페닐]-디메틸아민 (55 mg, 0.185 mmol)을 첨가하였다. 이를 실온으로 가온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이를 물로 켄칭시키고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여 생성물 (화합물 330)로서 회백색 고체를 수득하였다 (8.0 mg, 6% 수율).
Figure pat01073
실시예 331: 화합물 331의 제조
Figure pat01074
본원에 기술된 방법에 의해 화합물 331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34: 화합물 334의 제조
Figure pat01075
화합물 334를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단계 1:
Figure pat01076
0 ℃에서 THF (15 mL) 중 Boc-cis-HYP-OMe (122.6 mg, 0.5 mmol)의 용액에 트리페닐포스핀 (196.7 mg, 0.75 mmol) 및 벤조[d]이속사졸-3-올 (81 mg, 0.6 mmol)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DEAD (0.118 mL, 0.75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여 진한 무색 오일을 수득하였다 (117 mg, 54% 수율).
Figure pat01077
이어서, 일부의 커플링 생성물 (85 mg, 0.235 mmol)을 디옥산 (1.5 mL) 중 4 N HCl에 용해시키고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켜 HCl 염으로서 황색빛 오일을 수득하였다 (85 mg, 100% 초과 수율).
Figure pat01078
단계 2:
Figure pat01079
CH3CN (10 mL) 중 4-(벤조[d]이속사졸-3-일옥시)-피롤리딘-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 (85 mg, 0.285 mmol)의 용액에 N-boc-L-t-류신 (99 mg, 0.427 mmol), DIEA (0.25 mL, 1.425 mmol) 및 커플링 시약 HOBt (65 mg, 0.427 mmol)와 HBTU (162 mg, 0.427 mmol)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이를 농축시키고 물로 세척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2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이어서, 정제용 HPLC 컬럼에 의해 정제하여 생성물로서 진한 무색 오일을 수득하였다 (63 mg, 46% 수율).
Figure pat01080
단계 3:
Figure pat01081
THF (3.5 mL) 중 4-(벤조[d]이속사졸-3-일옥시)-1-(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3-디메틸-부티릴)-피롤리딘-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63 mg, 0.132 mmol)의 용액에 메탄올 (2.0 mL)과 물 (0.5 mL)의 혼합물, 리튬 히드록시드 모노하이드레이트 (83 mg, 1.89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이를 1 N HCl 용액으로 pH = 3 내지 5로 산화하고 농축시켰다. 에틸 아세테이트 (2 × 30 mL)로 추출하여 유기층을 합하고 건조 (MgSO4)시켰다. 용매를 증발시켜 황색빛 오일을 수득하고 (61 mg, 100% 수율) 계속해서 수행하였다. CH3CN (8 mL) 중 상기 화합물 (61 mg, 0.132 mmol)의 용액에 (1R, 2S) (1-시클로프로판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밤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42 mg, 0.158 mmol), DIEA (0.115 mL, 0.66 mmol) 및 커플링 시약 HOBt (30 mg, 0.198 mmol)와 HBTU (75 mg, 0.198 mmol)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이를 농축시키고 물로 세척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2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이어서, 정제용 HPLC 컬럼에 의해 정제하여 최종 생성물 (화합물 334)로서 황색 필름을 수득하였다 (24 mg, 27% 수율).
Figure pat01082
실시예 335: 화합물 335의 제조
Figure pat01083
단계 1: (반응식 1, 단계 1)
CH3CN (10 mL) 중의 (2S,4R) 4-히드록시-피롤리딘-1,2-디카르복실산 1-tert-부틸 에스테르 (0.25 g, 1.08 mmol) 용액에 (1R,2S) (1-시클로프로판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밤산 히드로클로라이드(0.346 g, 1.30 mmol), DIEA (0.94 mL, 5.41 mmol) 및 커플링제 HOBt (0.248 g, 1.62 mmol) 및 HBTU (0.615 mg, 1.62 mmol)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이를 농축하고, 물로 세척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2 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하고, 농축하여 황색 오일을 수득하였다. 이를 정제용 HPLC 컬럼으로 정제하여 무색의 진한 오일을 수득하고, 이어서 디옥산 (5 mL) 중의 4 N HCl에 용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켜 생성물로서 백색 고체 (200 mg, 49% 수율)를 수득하여 이후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LC-MS (체류 시간: 0.647분), MS m/z 344 (MH+).
단계 2: (반응식 1, 단계 2)
CH3CN (10 mL) 중의 상기 화합물 (200 mg, 0.527 mmol) 용액에 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3-디메틸-부티르산 (0.15 g, 0.79 mmol), DIEA (0.46 mL, 2.63 mmol) 및 커플링제 HOBt (0.121 g, 0.79 mmol) 및 HBTU (0.30 g, 0.79 mmol)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이를 농축하고, 물로 세척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2 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하고, 농축하여 황색을 띠는 오일을 수득하였다. 이를 정제용 HPLC 컬럼으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를 최종 생성물 (중간체 2)로서 수득하였다 (145 mg, 54% 수율).
Figure pat01084
단계 3: (반응식 2)
THF (5 mL) 중의 2,4-디클로로피리미딘 (149 mg, 1 mmol) 용액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 팔라듐 (23 mg, 2 mol%) 및 THF 중의 페닐아연 브로마이드 (2.1 mL, 1.05 mmol) 0.5 M 용액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염화암모늄 포화 용액을 첨가하고, EtOAc로 2 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하고, 물로 세척하고, 건조하였다 (MgSO4). 용매를 증발시켜 황색 잔류물을 수득하고, 이를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2-클로로-4-페닐-피리미딘으로서 황색을 띠는 오일을 수득하여 이후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DMF (3 mL) 중의 중간체 2 (20 mg, 0.039 mmol)의 용액에 NaH (광유 중의 60% 분산액 3.9 mg, 0.0975 mmol)를 0℃에서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상기 제조된 2-클로로-4-페닐-피리미딘 (조 생성물로서 18 mg)을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물로 켄칭하고,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하였다 (MgSO4). 용매를 증발시켜 황색을 띠는 오일을 수득하고, 이어서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무색의 진한 오일을 최종 생성물 (화합물 335)로 TFA 염으로서 수득하였다 (5.5 mg, 18% 수율).
Figure pat01085
실시예 336: 화합물 336의 제조
Figure pat01086
단계 1:
THF (5 mL) 중의 2,4-디클로로피리미딘 (149 mg, 1 mmol) 용액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 팔라듐 (58 mg, 5 mol%) 및 THF 중의 2-피리디닐아연 브로마이드 (2.4 mL, 1.2 mmol) 0.5 M 용액을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5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염화암모늄 포화 용액을 첨가하고, EtOAc로 2 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하고, 물로 세척하고, 건조하였다 (MgSO4). 용매를 증발시켜 황색 잔류물을 수득하고, 이를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황색을 띠는 오일을 생성물로서 수득하였다 (11 mg, 3.6% 수율).
Figure pat01087
단계 2:
DMF (3 mL) 중의 실시예 335 (15 mg, 0.029 mmol)로부터의 중간체 2 용액에 , NaH (광유 중의 60% 분산액 1.75 mg, 0.0728 mmol)를 0℃에서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2-클로로-4-피리딘-2-일-피리미딘 (9.5 mg, 0.0311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물로 켄칭하고,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하였다 (MgSO4). 용매를 증발시켜 황색을 띠는 오일을 수득하고, 이어서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황색을 띠는 막을 최종 생성물 (화합물 336)로 TFA 염으로서 수득하였다 (3.5 mg, 15% 수율).
Figure pat01088
실시예 337: 화합물 337의 제조
Figure pat01089
단계 1:
DMF (5 mL) 중의 2,4-디클로로피리미딘 (149 mg, 1 mmol) 용액에 디클로로비스(트리페닐포스핀) 팔라듐(Ⅱ) (35 mg, 5 mol%) 및 2-(트리부틸스타닐)티오펜 (0.38 mL, 1.2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70℃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이어서 메탄올 (20 mL) 중의 KF 포화 용액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리카 겔 소량으로 농축하고, 잔류물을 여과지로 여과하고, EtOAc로 세척하였다. 이어서 여액을 농축하고, 잔류물을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회백색 고체를 생성물로서 수득하였다 (110 mg, 35% 수율).
Figure pat01090
단계 2:
DMF (3 mL) 중의 실시예 335 (20 mg, 0.039 mmol)의 중간체 2 용액에 NaH (광유 중의 60% 분산액 7.8 mg, 0.195 mmol)를 0℃에서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2-클로로-4-티오펜-2-일-피리미딘 (16.9 mg, 0.0544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물로 켄칭하고,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하였다 (MgSO4). 용매를 증발시켜 황색을 띠는 오일을 수득하고, 이어서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2 종의 생성물 (화합물 337 및 중간체 3)을 수득하였다.
화합물 337: (황색을 띠는 막, 3.0 mg, 11% 수율)
Figure pat01091
중간체 3: (10 mg, 35% 수율)
LC-MS (체류 시간: 1.477분), MS m/z 617 (MH+).
실시예 338: 화합물 338의 제조
Figure pat01092
CH3CN (5 mL) 중의 1-(2-아미노-3,3-디메틸-부티릴)-4-(4-티오펜-2-일-피리미딘-2-일옥시)-피롤리딘-2-카르복실산 (1-시클로프로판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아미드 (10 mg, 0.0137 mmol) 용액에 시클로프로필아세트산 (2.1 mg, 0.0205 mmol), DIEA (0.012 mL, 0.742 mmol) 및 커플링제 HOBt (3.1 g, 0.0205 mmol) 및 HBTU (7.8 mg, 0.0205 mmol)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이를 농축하고, 물로 세척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2 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하고, 농축하여 황색 오일을 수득하였다. 이를 정제용 HPLC 컬럼으로 정제하여 황색을 띠는 막을 TFA 염 (화합물 338)으로서 수득하였다 (4.6 mg, 41% 수율).
Figure pat01093
실시예 339: 화합물 339의 제조
Figure pat01094
실시예 337의 단계 1에서 2-(트리부틸스타닐)티오펜 대신 2-(트리부틸스타닐)푸란을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화합물 342를 실시예 337 및 실시예 338의 반응식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Figure pat01095
DMF (5 mL) 중의 2,4-디클로로피리미딘 (149 mg, 1 mmol) 용액에 디클로로 비스(트리페닐포스핀) 팔라듐(Ⅱ) (35 mg, 5 mol%) 및 2-(트리부틸스타닐)푸란 (0.35 mL, 1.1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70℃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이어서 메탄올 (20 mL) 중의 KF 포화 용액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리카 겔 소량으로 농축하고, 잔류물을 여과지로 여과하고, EtOAc로 세척하였다. 이어서 여액을 농축하고, 잔류물을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갈색을 띠는 고체를 생성물로서 수득하였다 (80 mg, 27% 수율).
Figure pat01096
단계 2:
Figure pat01097
DMF (3 mL) 중의 {1-[2-(1-시클로프로판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4-히드록시-피롤리딘-1-카르보닐]-2,2-디메틸-프로필}-카르밤산 메틸 에스테르 (20 mg, 0.039 mmol) 용액에 NaH (광유 중의 60% 분산액 7.8 mg, 0.195 mmol)를 0℃에서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2-클로로-4-티오펜-2-일-피리미딘 (16.0 mg, 0.0544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물로 켄칭하고,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하였다 (MgSO4). 용매를 증발시켜 황색을 띠는 오일을 수득하고, 이어서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탈boc된 커플링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3 mg, 11% 수율).
LC-MS (체류 시간: 1.420분), MS m/z 601 (MH+).
단계 3:
Figure pat01098
CH3CN (5 mL) 중의 1-(2-아미노-3,3-디메틸-부티릴)-4-(4-푸란-2-일-피리미딘-2-일옥시)-피롤리딘-2-카르복실산 (1-시클로프로판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아미드 (3 mg, 0.0042 mmol) 용액에 시클로프로필아세트산 (0.6 mg, 0.0063 mmol), DIEA (0.004 mL, 0.021 mmol) 및 커플링제 HOBt (1.0 g, 0.0063 mmol) 및 HBTU (2.4 mg, 0.0063 mmol)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이를 농축하고, 물로 세척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2 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하고, 농축하여 황색 오일을 수득하였다. 이를 정제용 HPLC 컬럼으로 정제하여 황색을 띠는 막을 TFA 염 (화합물 339)으로서 수득하였다 (1.0 mg, 30% 수율).
Figure pat01099
실시예 340: 화합물 340의 제조
Figure pat01100
단계 1:
DMF (5 mL) 중의 2,4-디클로로피리미딘 (149 mg, 1 mmol) 용액에 디클로로 비스(트리페닐포스핀) 팔라듐(Ⅱ) (35 mg, 5 mol%) 및 2-(트리부틸스타닐)티아졸 (412 mg, 1.1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80℃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이어서 메탄올 (20 mL) 중의 KF 포화 용액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리카 겔 소량으로 농축하고, 잔류물을 여과지로 여과하고, EtOAc로 세척하였다. 이어서 여액을 농축하고, 잔류물을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갈색을 띠는 고체를 생성물로서 수득하였다 (9 mg, 3% 수율).
LC-MS (체류 시간: 1.320분), MS m/z 198 (MH+).
단계 2:
DMF (3 mL) 중의 1-[2-(2-시클로프로필-아세틸아미노)-3,3-디메틸-부티릴]-4-히드록시-피롤리딘-2-카르복실산 (1-시클로프로판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아미드 (12.5 mg, 0.0232 mmol) 용액에 NaH (광유 중의 60% 분산액 3.7 mg, 0.0.0928 mmol)를 0℃에서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 실온으로 가온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2-클로로-4-티아졸-2-일-피리미딘 (9.0 mg, 0.0289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물로 켄칭하고,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하였다 (MgSO4). 용매를 증발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고, 이어서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를 최종 생성물 (화합물 340)로서 수득하였다 (2.8 mg, 17% 수율).
Figure pat01101
실시예 341: 화합물 341의 제조
Figure pat01102
Figure pat01103
단계 1 (반응식 1, 단계 1):
DMF (20 mL) 중의 Boc-HYP-OH (1.0 g, 4.324 mmol) 용액에 NaH (광유 중의 60% 분산액 0.38 g, 9.513 mmol)를 0℃에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2,4-디클로로피리미딘 (0.709 g, 0.0289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1 N HCl 용액으로 켄칭하고,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하였다 (MgSO4). 용매를 증발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고, 이어서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무색 오일을 생성물로서 수득하였다 (0.4 g, 27% 수율).
Figure pat01104
단계 2: (반응식 1, 단계 2)
CH3CN (20 mL) 중의 (2S,4R) 4-(2-클로로-피리미딘-4-일옥시)-피롤리딘-1,2-디카르복실산 1-tert-부틸 에스테르 (0.34 g, 0.99 mmol) 용액에 (1R,2S)/(1S,2R) (1-시클로프로판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밤산 (0.511 g, 1.48 mmol), DIEA (0.86 mL, 4.95 mmol) 및 커플링제 HOBt (0.226 g, 1.48 mmol) 및 HBTU (0.561 g, 1.48 mmol)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농축하고, 물로 세척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2 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하고, 농축하였다. 이어서 정제용 HPLC 컬럼으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 (중간체 4)를 수득하였다 (0.33 g, 41% 수율).
Figure pat01105
단계 3: (반응식 2, 단계 1)
CH2Cl2 (2.5 mL) 중의 중간체 4 (50 mg, 0.061 mmol) 용액에 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 (0.011 mL, 0.0915 mmol) 및 Et3N (0.021 mL, 0.153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고, 40℃에서 1 일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제거하고, 잔류물을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무색 오일을 수득하였다. 이어서 디옥산 (1 mL) 중의 4 N HCl에 용해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켜 무색 오일을 히드로클로라이드염으로서 수득하였다 (20 mg, 52% 수율).
LC-MS (체류 시간: 1.160분), MS m/z 553 (MH+).
단계 4: (반응식 2, 단계 2)
CH3CN (5 mL) 중의 4-[2-(3,4-디히드로-1H-이소퀴놀린-2-일)-피리미딘-4-일옥시]-피롤리딘-2-카르복실산 (1-시클로프로판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20 mg, 0.032 mmol) 용액에 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3-디메틸-부티르산 (9.1 mg, 0.048 mmol), DIEA (0.028 mL, 0.16 mmol) 및 커플링제 HOBt (7.3 mg, 0.048 mmol) 및 HBTU (18.2 mg, 0.048 mmol)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이를 농축하고, 물로 세척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2 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하고 농축하여 황색을 띠는 오일을 수득하였다. 정제용 HPLC 컬럼으로 정제하여 무색 오일을 TFA 염 (화합물 341)으로서 수득하였다 (16 mg, 60% 수율).
Figure pat01106
실시예 342: 화합물 342의 제조
Figure pat01107
반응식 2의 단계 1에서 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 대신 이소인돌린을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화합물 342를 실시예 341의 반응식 2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Figure pat01108
CH2Cl2 (2.5 mL) 중의 실시예 341의 중간체 4 (50 mg, 0.061 mmol) 용액에 이소인돌린 (0.013 mL, 0.115 mmol) 및 Et3N (0.026 mL, 0.19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 일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제거하고, 잔류물을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무색 오일을 수득하였다. 이어서 디옥산 (1 mL) 중의 4 N HCl에 용해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고, 정제용 HPLC로 다시 정제하여 황색을 띠는 고체를 TFA 염으로서 수득하였다 (8.5 mg, 14% 수율).
LC-MS (체류 시간: 1.860분), MS m/z 539 (MH+).
단계 2:
Figure pat01109
CH3CN (5 mL) 중의 4-[2-(1,3-디히드로-이소인돌-2-일)-피리미딘-4-일옥시]-피롤리딘-2-카르복실산 (1-시클로프로판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8.5 mg, 0.0104 mmol) 용액에 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3-디메틸-부티르산 (3.0 mg, 0.0156 mmol), DIEA (0.009 mL, 0.052 mmol) 및 커플링제 HOBt (2.4 mg, 0.0156 mmol) 및 HBTU (5.9 mg, 0.0156 mmol)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이를 농축하고, 물로 세척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2 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하고, 농축하여 황색을 띠는 오일을 수득하였다. 이를 정제용 HPLC 컬럼으로 정제하여 무색 오일을 TFA 염 (화합물 342)으로서 수득하였다 (3 mg, 35% 수율).
Figure pat01110
실시예 343: 화합물 343의 제조
Figure pat01111
반응식 2의 단계 1에서 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 대신 모르폴린을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화합물 342를 실시예 341의 반응식 2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Figure pat01112
CH2Cl2 (2.5 mL) 중의 실시예 341 (50 mg, 0.061 mmol)의 중간체 4 용액에 모르폴린 (0.008 mL, 0.0915 mmol) 및 Et3N (0.021 mL, 0.153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고, 40℃에서 1 일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제거하고, 잔류물을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무색 오일을 수득하였다. 이어서 디옥산 (1 mL) 중의 4 N HCl에 용해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켜 무색 오일을 히드로클로라이드염으로서 수득하였다 (12.6 mg, 36% 수율).
LC-MS (체류 시간: 0.810분), MS m/z 507 (MH+).
단계 2:
Figure pat01113
CH3CN (5 mL) 중의 4-(2-모르폴린-4-일-피리미딘-4-일옥시)-피롤리딘-2-카르복실산 (1-시클로프로판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12.6 mg, 0.0217 mmol) 용액에 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3-디메틸-부티르산 (6.2 mg, 0.0326 mmol), DIEA (0.019 mL, 0.1085 mmol) 및 커플링제 HOBt (5.0 mg, 0.0326 mmol) 및 HBTU (12.4 mg, 0.0326 mmol)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이를 농축하고, 물로 세척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2 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하고, 농축하여 황색을 띠는 오일을 수득하였다. 이를 정제용 HPLC 컬럼으로 정제하여 무색 오일을 TFA 염 (화합물 343)으로서 수득하였다 (7 mg, 41% 수율).
Figure pat01114
실시예 344: 화합물 344의 제조
Figure pat01115
Figure pat01116
단계 1: (반응식 1)
에탄올 (15 mL)과 THF (30 mL)의 혼합물 중의 4-p-톨릴술파닐카르보닐-피롤리딘-1,2-디카르복실산 1-tert-부틸 에스테르 2-메틸 에스테르 (3.0 g, 7.91 mmol) 용액에 나트륨 브로히드라이드 (0.6 g, 15.8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이를 농축하고, 1 N HCl 용액으로 세척하고, EtOAc로 3 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하고, NaHCO3 포화 용액으로 세척하고, 건조하였다 (MgSO4). 용매를 증발시켜 황색을 띠는 오일을 수득하고,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3:1 EtOAc:헥산)로 정제하여 무색 오일을 생성물 (중간체 5)로서 수득하였다 (1.77 g, 86% 수율).
Figure pat01117
단계 2: (반응식 2, 단계 1)
THF (10 mL) 중의 중간체 5 (80 mg, 0.309 mmol) 용액에 트리페닐포스핀 (121.4 mg, 0.463 mmol) 및 4-히드록시퀴놀린 (67.2 mg, 0.463 mmol)을 0℃에서 첨가하였다. 이어서 DEAD (80.6 mg, 0.463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2 일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무색 오일을 수득하였다. 이어서 디옥산 (3 mL) 중의 4 N HCl에 용해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켜 무색의 진한 오일을 비스 HCl 염으로서 수득하였다 (110 mg, 99% 수율).
Figure pat01118
단계 3: (반응식 2, 단계 2)
CH3CN (10 mL) 중의 4-(퀴놀린-4-일옥시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비스 히드로클로라이드염 (110 mg, 0.306 mmol) 용액에 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3-디메틸-부티르산 (87 mg, 0.46 mmol), DIEA (0.27 mL, 1.53 mmol) 및 커플링제 HOBt (70 mg, 0.46 mmol) 및 HBTU (174 mg, 0.46 mmol)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이를 농축하고, 물로 세척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2 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하고, 농축하여 황색을 띠는 오일을 수득하였다. 이를 정제용 HPLC 컬럼으로 정제하여 무색 오일을 TFA 염으로서 수득하였다 (105 mg, 60% 수율).
Figure pat01119
단계 4: (반응식 2, 단계 3)
THF (6 mL), 메탄올 (3.25 mL) 및 물 (1.0 mL) 혼합물 중의 1-(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3-디메틸-부티릴)-4-(퀴놀린-4-일옥시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100 mg, 0.175 mmol) 용액에 수산화리튬 1수화물 (110 mg, 2.62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1 N HCl 용액으로 pH를 3 내지 5로 산성화하고, 농축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3 x 40 mL)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합하고, 건조하였다 (MgSO4). 용매를 증발시켜 무색의 진한 오일을 수득하여 이후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25 mg, 32% 수율).
CH3CN (5 mL) 중의 상기 화합물 (25 mg, 0.056 mmol) 용액에 (1R,2S) (1-시클로프로판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밤산 히드로클로라이드 (22.5 mg, 0.085 mmol), DIEA (0.05 mL, 0.28 mmol) 및 커플링제 HOBt (12.9 mg, 0.085 mmol) 및 HBTU (32 mg, 0.085 mmol)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이를 농축하고, 물로 세척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2 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하고, 농축하여 황색 오일을 수득하였다. 이를 정제용 HPLC 컬럼으로 정제하여 무색의 진한 오일을 TFA 염 (화합물 344)으로서 수득하였다 (20 mg, 46% 수율).
Figure pat01120
실시예 345: 화합물 345의 제조
Figure pat01121
반응식 2의 단계 1에서 4-히드록시퀴놀린 대신 3-브로모페놀을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화합물 345를 실시예 344의 반응식 2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Figure pat01122
0℃의 THF (15 mL) 중의 실시예 344 (150 mg, 0.578 mmol)의 중간체 5 용액에 트리페닐포스핀 (228 mg, 0.868 mmol) 및 3-브로모페놀 (150 mg, 0.868 mmol)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DEAD (0.14 mL, 0.868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가온하고, 2 일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무색 오일을 생성물로서 수득하였다 (105 mg, 44% 수율).
LC-MS (체류 시간: 2.023분), MS m/z 436 (M+Na+).
단계 2:
Figure pat01123
4-(3-브로모-페녹시메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산 1-tert-부틸 에스테르 2-메틸 에스테르 (35 mg, 0.085 mmol)를 디옥산 (1.5 mL) 중의 4 N HCl에 용해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켜 무색의 진한 오일을 수득하였다. CH3CN (10 mL) 중의 상기 오일 용액에 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3-디메틸-부티르산 (21.9 mg, 0.1155 mmol), DIEA (0.067 mL, 0.385 mmol) 및 커플링제 HOBt (17.7 mg, 0.1155 mmol) 및 HBTU (43.8 mg, 0.1155 mmol)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이를 농축하고, 물로 세척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2 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하고, 농축하였다. 이어서 정제용 HPLC 컬럼으로 정제하여 무색 오일을 생성물로서 수득하였다 (20 mg, 49% 수율).
Figure pat01124
단계 3:
Figure pat01125
THF (1.5 mL), 메탄올 (0.8 mL) 및 물 (0.25 mL) 혼합물 중의 4-(3-브로모-페녹시메틸)-1-(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3-디메틸-부티릴)-피롤리딘-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17 mg, 0.035 mmol) 용액에 수산화리튬 1수화물 (22 mg, 0.525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 실온에서 3 일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1 N HCl 용액으로 pH를 3 내지 5로 산성화하고, 농축하였다. 이를 에틸 아세테이트 (2 x 20 mL)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합하고, 건조하였다 (MgSO4). 용매를 증발시켜 무색의 진한 오일을 수득하여 이후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15 mg, 91% 수율).
CH3CN (5 mL) 중의 상기 산 (15 mg, 0.0318 mmol) 용액에 (1R,2S) (1-시클로프로판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밤산 히드로클로라이드(12.7 mg, 0.0477 mmol), DIEA (0.028 mL, 0.159 mmol) 및 커플링제 HOBt (7.3 mg, 0.0477 mmol) 및 HBTU (18.1 mg, 0.0477 mmol)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이를 농축하고, 물로 세척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2 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하고, 농축하였다. 이어서 정제용 HPLC 컬럼으로 정제하여 무색의 진한 오일을 최종 생성물 (화합물 345)로서 수득하였다 (14 mg, 64% 수율).
Figure pat01126
실시예 346: 화합물 346의 제조
Figure pat01127
Figure pat01128
단계 1: (반응식 1, 단계 1)
0℃의 THF (15 mL) 중의 4-히드록시메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산 1-tert-부틸 에스테르 2-메틸 에스테르 (300 mg, 1.157 mmol) 용액에 트리페닐포스핀 (455 mg, 1.735 mmol) 및 5-브로모-피리딘-3-올 (문헌 [F. E. Ziegler et al., J. Am. Chem. Soc., (1973), 95, 7458]에 따라 제조) (302 mg, 1.735 mmol)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DEAD (0.273 mL, 1.735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2 일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황색을 띠는 오일을 수득하였다. 이어서 디옥산 (3.0 mL) 중의 4 N HCl 용액에 용해하고,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고, 이를 정제용 HPLC로 더 정제하여 황색을 띠는 오일을 TFA 염으로서 수득하였다 (70 mg, 11% 수율).
LC-MS (체류 시간: 0.890분), MS m/z 315 (MH+).
단계 2: (반응식 1, 단계 2)
CH3CN (10 mL) 중의 4-(5-브로모-피리딘-3-일옥시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70 mg, 0.129 mmol) 용액에 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3-디메틸-부티르산 (36.5 mg, 0.193 mmol), DIEA (0.135 mL, 0.744 mmol) 및 커플링제 HOBt (30 mg, 0.193 mmol) 및 HBTU (73 mg, 0.193 mmol)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이를 농축하고, 물로 세척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2 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하고, 농축하였다. 이어서 정제용 HPLC 컬럼으로 정제하여 무색 오일을 생성물로서 수득하였다 (80 mg, 100% 수율).
Figure pat01129
단계 3: (반응식 1, 단계 3)
THF (5.6 mL), 메탄올 (3 mL) 및 물 (1 mL) 혼합물 중의 4-(5-브로모-피리딘-3-일옥시메틸)-1-(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3-디메틸-부티릴)-피롤리딘-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80 mg, 0.133 mmol) 용액에 수산화리튬 1수화물 (84 mg, 2.0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 일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1 N HCl 용액으로 pH를 3 내지 5로 산성화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2 x 20 mL)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합하고, 건조하였다 (MgSO4). 용매를 증발시켜 무색의 진한 오일을 생성물 (중간체 6)로서 수득하였다 (50 mg, 80% 수율).
Figure pat01130
단계 4: (반응식 2)
CH3CN (5 mL) 중의 4-(5-브로모-피리딘-3-일옥시메틸)-1-(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3-디메틸-부티릴)-피롤리딘-2-카르복실산 (5 mg, 0.0106 mmol) 용액에 (1R,2S) (1-시클로프로판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밤산 히드로클로라이드 (4.2 mg, 0.0159 mmol), DIEA (0.009 mL, 0.053 mmol) 및 커플링제 HOBt (2.4 mg, 0.0159 mmol) 및 HBTU (6.0 mg, 0.0159 mmol)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이를 농축하고, 물로 세척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2 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하고, 농축하였다. 이어서 정제용 HPLC 컬럼으로 정제하여 무색의 진한 오일을 최종 생성물 (화합물 346)로서 수득하였다 (2 mg, 24% 수율).
Figure pat01131
실시예 347: 화합물 347의 제조
Figure pat01132
단계 1:
DMF (1 mL) 중의 실시예 346의 중간체 6 (16 mg, 0.0339 mmol) 용액에 3-티오펜보론산 (5.6 mg, 0.044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 팔라듐 (2.0 mg, 0.0017 mmol) 및 2 M Na2CO3 용액 (0.051 mL, 0.1017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10℃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이어서 여과하고, 메탄올로 세척하였다. 여액을 농축하고,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갈색을 띠는 오일을 생성물로서 수득하였다 (6 mg, 37% 수율).
Figure pat01133
단계 2:
CH3CN (5 mL) 중의 1-(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3-디메틸-부티릴)-4-(5-티오펜-3-일-피리딘-3-일옥시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6 mg, 0.0126 mmol) 용액에 (1R,2S) (1-시클로프로판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밤산 히드로클로라이드 (5.0 mg, 0.0189 mmol), DIEA (0.011 mL, 0.063 mmol) 및 커플링제 HOBt (2.9 mg, 0.0189 mmol) 및 HBTU (7.2 mg, 0.0189 mmol)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이를 농축하고, 물로 세척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2 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하고, 농축하였다. 이어서 정제용 HPLC 컬럼으로 정제하여 황색을 띠는 막을 TFA 염 (화합물 347)으로서 수득하였다 (2.2 mg, 22% 수율).
Figure pat01134
실시예 348: 화합물 348의 제조
Figure pat01135
Figure pat01136
단계 1: (반응식 1)
THF (90 mL), 메탄올 (50 mL) 및 물 (12 mL) 혼합물 중의 실시예 344로부터의 중간체 5 (700 mg, 2.7 mmol) 용액에 수산화리튬 1수화물 (1700 mg, 2.0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1 N HCl 용액으로 pH를 3 내지 5로 산성화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2 x 20 mL)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합하고, 건조하였다 (MgSO4). 용매를 증발시켜 무색의 진한 오일을 생성물 (중간체 7)로서 수득하였다 (0.58, 88% 수율).
Figure pat01137
단계 2: (반응식 2, 단계 1)
DMSO (10 mL) 중의 중간체 7 (270 mg, 1.1 mmol) 용액에 칼륨 t-부톡시드 (309 mg, 2.75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2-브로모-4-클로로-피리딘 (254 mg, 1.32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이를 물로 켄칭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였다. 수층을 분리하고, 1 N HCl 용액으로 pH를 3으로 산성화하였다. 이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2 회 추출하고, 유기층을 합하고, 건조하였다 (MgSO4). 용매를 증발시켜 오렌지색 오일을 수득하였다. 이어서 메탄올에 용해하고, HCl (기체)를 -78℃에서 2분 동안 버블링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켜 오렌지색 오일을 조 생성물로서 수득하여 이후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LC-MS (체류 시간: 0.65분), MS m/z 315 (MH+).
단계 3: (반응식 2, 단계 2)
CH3CN (20 mL) 중의 조 4-(2-브로모-피리딘-4-일옥시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용액에 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3-디메틸-부티르산 (312 mg, 1.65 mmol), DIEA (1.15 mL, 6.6 mmol) 및 커플링제 HOBt (252 mg, 1.65 mmol) 및 HBTU (626 mg, 1.65 mmol)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이를 농축하고, 물로 세척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2 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하고, 농축하였다. 이어서 정제용 HPLC 컬럼으로 정제하여 무색 오일을 생성물로서 수득하였다 (270 mg, 두 단계의 수율 41%).
Figure pat01138
단계 4: (반응식 2, 단계 3)
THF (18 mL), 메탄올 (10 mL) 및 물 (3.3 mL) 혼합물 중의 4-(2-브로모-피리딘-4-일옥시메틸)-1-(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3-디메틸-부티릴)-피롤리딘-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270 mg, 0.45 mmol) 용액에 수산화리튬 1수화물 (283 mg, 6.75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농축하고, 1 N HCl 용액으로 pH를 3 내지 5로 산성화하였다. 회백색 고체를 생성물 (중간체 8)로서 수득하였다 (180 mg, 85% 수율).
Figure pat01139
단계 5: (반응식 3)
CH3CN (5 mL) 중의 중간체 8 (10 mg, 0.0212 mmol) 용액에 (1R,2S) (1-시클로프로판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밤산 히드로클로라이드 (8.5 mg, 0.00318 mmol), DIEA (0.018 mL, 0.106 mmol) 및 커플링제 HOBt (4.9 mg, 0.0318 mmol) 및 HBTU (12.1 mg, 0.0318 mmol)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이를 농축하고, 물로 세척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2 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하고, 농축하였다. 이어서 정제용 HPLC 컬럼으로 정제하여 무색의 진한 오일을 최종 생성물 (화합물 348)로서 수득하였다 (9 mg, 53% 수율).
Figure pat01140
실시예 349: 화합물 349의 제조
Figure pat01141
단계 1에서 실시예 346의 중간체 6 대신 실시예 348의 중간체 8을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화합물 349를 실시예 37의 반응식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Figure pat01142
DMF (1 mL) 중의 중간체 8 (20 mg, 0.0423 mmol) 용액에 3-티오펜보론산 (7.0 mg, 0.055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 팔라듐 (2.4 mg, 0.00212 mmol) 및 2 M Na2CO3 용액 (0.063 mL, 0.127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10℃에서 30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이어서 이를 여과하고, 메탄올로 세척하였다. 여액을 농축하고,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갈색을 띠는 오일을 생성물로서 수득하였다 (10.5 mg, 42% 수율) (50177-165).
LC-MS (체류 시간: 1.690분), MS m/z 476 (MH+).
단계 2:
Figure pat01143
CH3CN (5 mL) 중의 1-(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3-디메틸-부티릴)-4-(2-티오펜-3-일-피리딘-4-일옥시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10 mg, 0.017 mmol) 용액에 (1R,2S) (1-시클로프로판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밤산 히드로클로라이드 (6.8 mg, 0.0254 mmol), DIEA (0.015 mL, 0.085 mmol) 및 커플링제 HOBt (3.9 mg, 0.0254 mmol) 및 HBTU (9.6 mg, 0.0254 mmol)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이를 농축하고, 물로 세척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2 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하하고, 농축하였다. 이어서 정제용 HPLC 컬럼으로 정제하여 갈색을 띠는 막을 TFA 염 (화합물 349)으로서 수득하였다 (2.2 mg, 16% 수율) (50177-172)
Figure pat01144
실시예 350: 화합물 350의 제조
Figure pat01145
단계 1:
DMF (2 mL) 중의 실시예 348의 중간체 8 (20 mg, 0.0423 mmol) 용액에 2-티오펜보론산 (7.0 mg, 0.055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 팔라듐 (2.4 mg, 0.00212 mmol) 및 수산화바륨 (40 mg, 0.127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스미스 (Smith) 마이크로웨이브 반응기에서 150℃로 110분 동안 가열하였다. 이어서 이를 여과하고, 메탄올로 세척하였다. 여액을 농축하고,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황색을 띠는 오일을 생성물로서 수득하였다 (5.0 mg, 20% 수율).
LC-MS (체류 시간: 2.137분), MS m/z 476 (MH+).
단계 2:
CH3CN (5 mL) 중의 상기 카르복실산 (5.0 mg, 0.0085 mmol) 용액에 (1R,2S) (1-시클로프로판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밤산 히드로클로라이드 (3.4 mg, 0.0127 mmol), DIEA (0.007 mL, 0.0424 mmol) 및 커플링제 HOBt (1.9 mg, 0.0127 mmol) 및 HBTU (4.8 mg, 0.0127 mmol)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이를 농축하고, 물로 세척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2 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하고, 농축하였다. 이어서 정제용 HPLC 컬럼으로 정제하여 황색을 띠는 오일을 TFA 염 (화합물 350)으로서 수득하였다 (2.6mg, 38% 수율)
Figure pat01146
실시예 351: 화합물 351의 제조
Figure pat01147
단계 1에서 2-티오펜보론산 대신 3-푸란보론산을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화합물 351을 실시예 350의 반응식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Figure pat01148
DMF (2 mL) 중의 실시예 348의 중간체 8 (20 mg, 0.0423 mmol) 용액에 3-푸란보론산 (6.2 mg, 0.055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 팔라듐 (2.4 mg, 0.00212 mmol) 및 수산화바륨 (40 mg, 0.127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스미스 마이크로웨이브 반응기에서 150℃로 30분 동안 가열하였다. 이어서 이를 여과하고, 메탄올로 세척하였다. 여액을 농축하고,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황색을 띠는 오일을 생성물로서 수득하였다 (12 mg, 49% 수율).
LC-MS (체류 시간: 1.937분), MS m/z 460 (MH+).
단계 2:
Figure pat01149
CH3CN (5 mL) 중의 상기 카르복실산 (5.0 mg, 0.0209 mmol) 용액에 (1R,2S) (1-시클로프로판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밤산 히드로클로라이드 (8.4 mg, 0.0314 mmol), DIEA (0.018 mL, 0.1046 mmol) 및 커플링제 HOBt (4.8 mg, 0.0314 mmol) 및 HBTU (11.9 mg, 0.0314 mmol)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이를 농축하고, 물로 세척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2 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하고, 농축하였다. 이어서 정제용 HPLC 컬럼으로 정제하여 황색을 띠는 오일을 TFA 염 (화합물 351)으로서 수득하였다 (4.0 mg, 24% 수율).
Figure pat01150
실시예 352: 화합물 352의 제조
Figure pat01151
반응식 2의 단계 1에서 2-브로모-4-클로로-피리딘 대신 2,6-디브로모피리딘을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화합물 352를 실시예 348의 반응식 2 및 반응식 3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반응식 2, 단계 1)
Figure pat01152
DMSO (10 mL) 중의 실시예 348의 중간체 7 (270 mg, 1.1 mmol) 용액에 칼륨 t-부톡시드 (309 mg, 2.75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2,6-디브로모피리딘 (313 mg, 1.32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물로 켄칭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였다. 수층을 분리하고, 1 N HCl 용액으로 pH를 3으로 산성화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로 2 회 추출하고, 유기층을 합하고, 건조하였다 (MgSO4). 용매를 증발시켜 오렌지색 오일을 수득하였다. 이어서 메탄올에 용해하고, HCl (기체)를 -78℃에서 2분 동안 버블링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켜 오랜지색 오일을 조 생성물로서 수득하여 이후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LC-MS (체류 시간: 1.480분), MS m/z 315 (MH+).
단계 2: (반응식 2, 단계 2)
Figure pat01153
CH3CN (20 mL) 중의 조 4-(6-브로모-피리딘-2-일옥시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용액에 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3디메틸-부티르산 (312 mg, 1.65 mmol), DIEA (1.15 mL, 6.6 mmol) 및 커플링제 HOBt (252 mg, 1.65 mmol) 및 HBTU (626 mg, 1.65 mmol)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이를 농축하고, 물로 세척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2 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하고, 농축하였다. 이어서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1:1 헥산:에틸 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무색 오일을 생성물로서 수득하였다 (340 mg, 두 단계의 수율 63%)
Figure pat01154
단계 3: (반응식 2, 단계 3)
Figure pat01155
THF (28 mL), 메탄올 (15 mL) 및 물 (5 mL) 혼합물 중의 4-(6-브로모-피리딘-2-일옥시메틸)-1-(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3-디메틸-부티릴)-피롤리딘-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330 mg, 0.679 mmol) 용액에 수산화리튬 1수화물 (427 mg, 10.18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울 실온에서 2 일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농축하고, 1 N HCl 용액으로 pH를 3 내지 5로 산성화하였다. 백색 고체를 생성물 (중간체 9)로서 수득하였다 (310 mg, 97% 수율).
Figure pat01156
단계 4: (반응식 3)
Figure pat01157
CH3CN (5 mL) 중의 중간체 9 (10 mg, 0.0212 mmol) 용액에 (1R,2S) (1-시클로프로판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밤산 히드로클로라이드 (8.5 mg, 0.00318 mmol), DIEA (0.018 mL, 0.106 mmol) 및 커플링제 HOBt (4.9 mg, 0.0318 mmol) 및 HBTU (12.1 mg, 0.0318 mmol)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이를 농축하고, 물로 세척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2 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하고, 농축하였다. 이어서 정제용 HPLC 컬럼으로 정제하여 황색을 띠는 막을 TFA 염 (화합물 352)으로서 수득하였다 (10.2 mg, 60% 수율).
Figure pat01158
실시예 353: 화합물 353의 제조
Figure pat01159
단계 1에서 실시예 346의 중간체 6 대신 실시예 352의 중간체 9를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화합물 353을 실시예 347의 반응식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Figure pat01160
DMF (1 mL) 중의 중간체 9 (25 mg, 0.053 mmol) 용액에 3-티오펜보론산 (8.8 mg, 0.0688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 팔라듐 (3.1 mg, 0.00265 mmol) 및 2 M Na2CO3 용액 (0.080 mL, 0.159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10℃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이어서 여과하고, 메탄올로 세척하였다. 여액을 농축하고,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갈색을 띠는 오일을 생성물로서 수득하였다 (15 mg, 48% 수율).
Figure pat01161
단계 2:
Figure pat01162
CH3CN (5 mL) 중의 1-(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3-디메틸-부티릴)-4-(6-티오펜-3-일-피리딘-2-일옥시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15 mg, 0.0254 mmol) 용액에 (1R,2S) (1-시클로프로판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밤산 히드로클로라이드(10.2 mg, 0.0382 mmol), DIEA (0.022 mL, 0.127 mmol) 및 커플링제 HOBt (5.8 mg, 0.0382 mmol) 및 HBTU (14.5 mg, 0.0382 mmol)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이를 농축하고, 물로 세척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2 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하고, 농축하였다. 이어서 정제용 HPLC 컬럼으로 정제하여 황색을 띠는 막을 TFA 염 (화합물 353)으로서 수득하였다 (6 mg, 29% 수율).
Figure pat01163
실시예 354: 화합물 354의 제조
Figure pat01164
단계 1에서 실시예 346의 중간체 6 대신 실시예 352의 중간체 9를, 3-티오펜보론산 대신 페닐 보론산을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화합물 354를 실시예 347의 반응식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Figure pat01165
DMF (1 mL) 중의 중간체 9 (20 mg, 0.0423 mmol) 용액에 페닐 보론산 (6.7 mg, 0.0688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 팔라듐 (2.4 mg, 0.00212 mmol) 및 Cs2C03 (41 mg, 0.127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1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여과하고, 메탄올로 세척하였다. 여액을 농축하고,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황색을 띠는 오일을 생성물로서 수득하였다 (12 mg, 49% 수율).
LC-MS (체류 시간: 2.733분), MS m/z 470 (MH+).
단계 2:
Figure pat01166
CH3CN (5 mL) 중의 1-(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3-디메틸-부티릴)-4-(6-페닐-피리딘-2-일옥시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12 mg, 0.0206 mmol) 용액에 (1R,2S) (1-시클로프로판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밤산 히드로클로라이드 (8.2 mg, 0.0308 mmol), DIEA (0.018 mL, 0.1028 mmol) 및 커플링제 HOBt (4.7 mg, 0.0308 mmol) 및 HBTU (11.7 mg, 0.0308 mmol)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이를 농축하고, 물로 세척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2 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하고, 농축하였다. 이어서 정제용 HPLC 컬럼으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를 TFA 염 (화합물 354)으로서 수득하였다 (1.5 mg, 9% 수율).
Figure pat01167
실시예 355: 화합물 355의 제조
Figure pat01168
단계 1에서 실시예 346의 중간체 6 대신 실시예 352의 중간체 9를, 3-티오펜보론산 대신 3-푸란 보론산을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화합물 354를 실시예 347의 반응식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Figure pat01169
DMF (1 mL) 중의 중간체 9 (20 mg, 0.0423 mmol) 용액에 3-푸란 보론산 (6.2 mg, 0.055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 팔라듐 (2.4 mg, 0.002115 mmol) 및 2 M Na2CO3 용액 (0.064 mL, 0.127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10℃에서 2 일 동안 가열하였다. 이어서 여과하고, 메탄올로 세척하였다. 여액을 농축하고,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황색을 띠는 오일을 생성물로서 수득하였다 (7.0 mg, 29% 수율).
단계 2:
Figure pat01170
CH3CN (5 mL) 중의 상기 카르복실산 (6.0 mg, 0.0109 mmol) 용액에 (1R,2S) (1-시클로프로판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밤산 히드로클로라이드 (4.4 mg, 0.0163 mmol), DIEA (0.0095 mL, 0.0544 mmol) 및 커플링제 HOBt (2.5 mg, 0.0163 mmol) 및 HBTU (6.2 mg, 0.0163 mmol)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이를 농축하고, 물로 세척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2 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하고, 농축하였다. 이어서 정제용 HPLC 컬럼으로 정제하여 황색을 띠는 막을 TFA 염 (화합물 355)으로서 수득하였다 (1.5 mg, 18% 수율).
Figure pat01171
실시예 356: 화합물 356의 제조
Figure pat01172
단계 1에서 실시예 348의 중간체 8 대신 실시예 352의 중간체 9를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화합물 356을 실시예 350의 반응식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1:
Figure pat01173
DMF (2 mL) 중의 중간체 9 (20 mg, 0.0423 mmol) 용액에 2-티오펜보론산 (7.0 mg, 0.055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 팔라듐 (2.4 mg, 0.00212 mmol) 및 수산화바륨 (40 mg, 0.127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스미스 마이크로웨이브 반응기에서 150℃로 30분 동안 가열하였다. 이어서 여과하고, 메탄올로 세척하였다. 여액을 농축하고,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갈색을 띠는 오일을 생성물로서 수득하였다 (13.0 mg, 52% 수율).
Figure pat01174
단계 2:
Figure pat01175
CH3CN (5 mL) 중의 1-(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3-디메틸-부티릴)-4-(6-티오펜-2-일-피리딘-2-일옥시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11.5 mg, 0.0195 mmol) 용액에 (1R,2S) (1-시클로프로판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밤산 히드로클로라이드 (7.8 mg, 0.0293 mmol), DIEA (0.017 mL, 0.0975 mmol) 및 커플링제 HOBt (4.5 mg, 0.0293 mmol) 및 HBTU (11.1 mg, 0.0293 mmol)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이를 농축하고, 물로 세척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2 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하고, 농축하였다. 이어서 정제용 HPLC 컬럼으로 정제하여 회백색 고체를 TFA 염 (화합물 356)으로서 수득하였다 (8.5 mg, 54% 수율).
Figure pat01176
실시예 357: 화합물 357의 제조
Figure pat01177
단계 1:
Figure pat01178
아세토니트릴 (15 mL) 중의 (2S,4R) Fmoc-4-아미노-1-boc-피롤리딘-2-카르복실산 (400 mg, 0.884 mmol) 용액에 피롤리딘 5 방울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 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이를 농축하고, 고진공에 두어 조 4-아미노-1-boc-피롤리딘-2-카르복실산을 수득하였다. 또다른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Pd2dba3 (40 mg, 5% mol) 및 라세미체-BINAP (56 mg, 10% mol) 용액을 탈기된 톨루엔 (8 mL) 중에서 질소하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1-클로로이소퀴놀린 (216 mg, 1.326 mmol) 및 나트륨 t-부톡시드 (340 mg, 3.536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4-아미노-1-boc-피롤리딘-2-카르복실산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시간 동안 환류 가열하였다. 물을 첨가하여 반응물을 켄칭하고, 수층을 분리하고,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어서 농축하고,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TFA 염으로서 커플링된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165 mg, 40% 수율).
Figure pat01179
단계 2:
Figure pat01180
CH3CN (10 mL) 중의 4-(이소퀴놀린-1-일아미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산 1-tert-부틸 에스테르 (115 mg, 0.244 mmol) 용액에 (1R,2S) (1-시클로프로판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밤산 히드로클로라이드 (97 mg, 0.366 mmol), DIEA (0.255 mL, 1.464 mmol) 및 커플링제 HOBt (56 mg, 0.366 mmol) 및 HBTU (139 mg, 0.366 mmol)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이를 농축하고, 물로 세척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2 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하고, 농축하여 황색 오일을 수득하였다. 정제용 HPLC 컬럼으로 정제하여 황색을 띠는 고체를 TFA 염으로서 수득하였다 (112 mg, 67% 수율).
Figure pat01181
단계 3:
Figure pat01182
2-(1-시클로프로판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4-(이소퀴놀린-1-일아미노)-피롤리딘-1-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31 mg, 0.0453 mmol)를 디옥산 (1.5 mL) 중의 4 N HCl에 용해하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켜 황색 오일을 비스 히드로클로라이드염으로서 수득하였다. CH3CN (5 mL) 중의 비스 히드로클로라이드염 용액에 N-boc-L-t-류신 (11.5 mg, 0.0498 mmol), DIEA (0.047 mL, 0.272 mmol) 및 커플링제 HOBt (10.4 mg, 0.068 mmol) 및 HBTU (25.8 mg, 0.068 mmol)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이를 농축하고, 물로 세척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2 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하고, 농축하여 황색을 띠는 오일을 수득하였다. 정제용 HPLC 컬럼으로 정제하여 회백색 고체를 최종 생성물 (화합물 357)로서 수득하였다 (9 mg, 29% 수율).
Figure pat01183
단락 H:
단락 H에 대한 LC-MS 조건
컬럼: (방법 A)-YMC ODS S7 C18 3.0 x 50 mm
(방법 B)-YMC ODS-A S7 C18 3.0 x 50 mm
(방법 C)-YMC S7 C18 3.0 x 50 mm
(방법 D)-YMC 엑스테라 ODS S7 3.0 x 50 mm
(방법 E)-YMC 엑스테라 ODS S7 3.0 x 50 mm
(방법 F)-YMC ODS-A S7 C18 3.0 x 50 mm
(방법 H)-엑스테라 S7 3.0 x 50 mm
(방법 I)-엑스테라 S7 C18 3.0 x 50 mm
(방법 G)-YMC C18 S5 4.6 x 50 mm
(방법 J)-엑스테라 ODS S7 3.0 x 50 mm
(방법 K)-YMC ODS-A S7 C18 3.0 x 50 mm
구배: 100% 용매 A/0% 용매 B 내지 0% 용매 A/100% 용매 B
구배 시간: 2분 (A, B, D, F, G, H, I); 8분 (C, E); 4분 (J); 3분 (K)
유지 시간: 1분 (A, B, D, F, G, H, I, J, K); 2분 (C, E)
유속: 5 mL/분 (A, B, C, D, E, F, G)
유속: 4 mL/분 (J, K)
검출 파장: 220 nm
용매 A: 10% MeOH/90% H2O/0.1% TFA
용매 B: 10% H2O/90% MeOH/0.1% TFA.
실시예 370: 화합물 370의 제조
Figure pat01184
단계 1:
CH3CN (70 mL) 중의 (1R,2S)/(1S,2R)-1-아미노-2-비닐시클로프로판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히드로클로라이드 (2.54 g, 12 mmol) 용액을 CH3CN (50 mL) 중의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9.5 mL, 67 mmol), [(4R)-(2-메톡시카르보닐-7-메톡실퀴놀린-4-옥소)-S-프롤린] (5.9 g, 13.2 mmol) 및 TBTU (3.89 g, 12.21 mmol) 용액으로 처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4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하였다. EtOAc에 용해된 잔류물을 NaHCO3 (수용액), 염수로 여러 차례 세척하고, 건조하고 (MgSO4),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바이오티지 (Biotage) 65 M 컬럼 (EtOAc/핵산: 45-100%)으로 정제하여 높은 Rf 입체 이성질체 (Boc-P2[(4R)-(2-메톡시카르보닐-7-메톡실퀴놀린-4-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 산 에틸 에스테르 2.0 g (52%)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1185
Figure pat01186
단계 2:
MeOH/THF (1/1, 13.2 mL)에 용해된 실시예 370, 단계 1의 높은 Rf 생성물 {Boc-P2[(4R)-(2-메톡시카르보닐-7-메톡실퀴놀린-4-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OEt} (3.16 g, 5.40 mmol)의 0℃ 용액을 수성 1.0 N NaOH (5.5 mL, 5.5 mmol)로 처리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고, AcOH를 첨가하여 중화하였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THF/CH2Cl2 (1/1,150 mL)에 재용해하고, 건조하고 (MgSO4), 진공에서 농축하여 다음 단계에서 바로 사용되는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LC-MS (체류 시간: 1.53 방법 D), MS m/z 570 (M++1).
단계 3:
THF (35 mL)에 용해된 실시예 370, 단계 2의 생성물 (5.4 mmol로 가정)의 0℃ 용액에 Et2O (80 mL) 중의 새로 제조된 CH2N2 (30 mmol) 용액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상기 온도에서 0.5시간 동안, 실온에서 18.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1시간 동안 반응 혼합물에 질소를 버블링한 후, 용액을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EtOAc (1 L)에 재용해된 잔류물을 NaHCO3 포화 수용액 (2 x 200 mL), 염수 (100 mL)로 세척하고, 건조하였다 (Mg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여 생성물 3.10 g (두 단계의 수율 97%)을 수득하였다: LC-MS (체류 시간: 3.06, 방법 J), MS m/z 594 (M++1).
단계 4:
THF (110 mL)에 용해된 실시예 370, 단계 3의 생성물 {Boc-P2[(4R)-(2-디아조아세틸-7-메톡실퀴놀린-4-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OEt} (3.03 g, 5.10 mmol)의 0℃ 용액에 48% HBr 2 m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고, EtOAc (500 mL)와 NaHCO3 포화 수용액 (100 mL) 사이에 분배시켰다. EtOAC 층을 분리하고, 건조하였다 (MgSO4). 용매를 제거하여 생성물 (3.12 g, 95%)을 수득하였다: LC-MS (체류 시간: 1.56 방법 D). MS m/z 648 (M++1), MS m/z 646 (M--1).
단계 5:
실시예 370, 단계 4의 생성물 {Boc-P2[(4R)-(2-브로모아세틸-7-메톡실퀴놀린-4-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OEt} (1.0 g, 1.54 mmol)를 이소프로필 알콜 (57 mL) 중의 이소프로필티오우레아 (0.365 g, 3.09 mmol)로 2 시간 동안 처리하고, 이어서 용매를 제거하였다. 수성 1.0 N HCl (30 mL) 및 EtOAC (200 mL)에 용해된 잔류물을 1.0 N NaOH (수용액)를 첨가하여 pH를 7로 조정하였다. 수층을 EtOAc (2 x 100 mL)로 추출하고, 합한 추출물을 건조하고 (MgSO4),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바이오티지 40+M 컬럼 (EtOAc-헥산: 30-100%)으로 정제하여 생성물 870 mg (84%)을 수득하여 다음 단계에서 바로 사용하였다.
단계 6:
실시예 370, 단계 5의 생성물 {Boc-P2{(4R)-[2-(2-이소프로필아미노티아졸-4-일)-7-메톡실퀴놀린-4-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OEt} (0.250 g, 0.375 mmol)를 4 N HCl/디옥산 (2.5 mL, 10 mmol)으로 2.5시간 동안 처리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에 DMF (3 mL) 중의 N-메틸모르폴린 (0.206 mL, 1.875 mmol), N-Boc-L-tert-류신 (0.117 g, 0.506 mmol) 및 HATU (0.192 g, 0.506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고, EtOAc와 pH 4.0 완충액 사이에 분배시켰다. EtOAc 층을 물, NaHCO3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건조하고 (MgSO4),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바이오티지 40 M 컬럼 (MeOH-CH2Cl2: 0-8%)으로 정제하여 생성물 0.289 g (99%)을 수득하였다: LC-MS (체류 시간: 2.53, 방법 K), MS m/z 779 (M++1).
단계 7:
THF (10.6 mL), CH3OH (2.6 mL) 및 H2O (5.3 mL) 중의 실시예 370, 단계 6의 생성물 {BOCNH-P3(L-t-BuGly)-{ [2-(2-이소프로필아미노티아졸-4-일)-7-메톡실퀴놀린-4-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OEt} (274 mg, 0.352 mmol)의 현탁액에 LiOH (0.068 g, 2.86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4시간 동안 교반하고, pH 6으로 조정하고, 진공에서 유기 용매를 제거하였다. 수성 잔류물을 pH 4로 산성화하고, CH2Cl2로 여러 차례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용매를 건조하고 (MgSO4), 진공에서 농축하여 원하는 생성물 255 mg (95%)을 수득하였다: LC-MS (체류 시간: 2.58, 방법 K), MS m/z 751 (M++1).
Figure pat01187
단계 8:
THF (2 mL) 중의 CDI (0.024 g, 0.15 mmol) 및 실시예 370, 단계 7의 생성물 {BOCNH-P3(L-t-BuGly)-{[2-(2-이소프로필아미노티아졸-4-일)-7-메톡실퀴놀린-4-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OH} (0.0683 g, 0.09 mmol)의 용액을 60분 동안 환류하고,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시클로프로판술폰아미드 (0.022 g. 0.18 mmol)를 첨가한 후, 순수한 DBU (0.027 mL, 0.18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밤새 교반하고, EtOAc에 희석하여 후처리하고, pH 4.0 완충액으로 세척하고, 건조하고 (MgSO4),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정제용 HPLC (0-100% 용매 B) 및 아날테크사 (Analtech) (20 X 40 cM)의 1000 μM 정제용 TLC 플레이트로 여러 차례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 (화합물 370) 0.0032 g (4%)을 담황색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체류 시간: 1.71, 방법 I) MS m/z 854 (M++1).
실시예 371: 화합물 371의 제조
Figure pat01188
단계 1:
0℃로 냉각된 THF (200 mL) 중의 N-Boc-cis-L-4-히드록시프롤린 메틸 에스테르 (10 g, 40.7 mmol) 및 7-클로로퀴놀린-4-올 (8.73 g, 49.0 mmol)의 현탁액에 PPh3 (12.82 g, 48.9 mmol) 및 DIAD (8.80 g, 42.13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밤새 서서히 실온으로 가온하고, 총 3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EtOAc (800 mL)에 용해하고, 1 N 수성 HCl, 5% 수성 K2CO3 (3 x 100 mL), 염수 (2 x 100 mL)로 세척하고, 건조하고 (MgSO4),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바이오티지 65 M (MeOH-CH2Cl2: 0-10%)으로 여러 차례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 총 10.57 g (68%)을 유리질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1189
단계 2:
0℃로 냉각된 MeOH (800 mL)에 용해된 실시예 371, 단계 1의 생성물 {BOC-N-P2[(4R)-(7-클로로퀴놀린-4-옥소)프롤린 메틸 에스테르} (10.57 g, 26.0 mmol) 용액에 1 N NaOH 수용액 (44.5 mL, 44.5 mmol)을 첨가하였다. 6 시간 후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밤새 교반하고, 1.0 N 수성 HCl을 사용하여 pH를 7로 조정하였다. 용액을 수층만 남을 때까지 농축하고, 6 N 수성 HCl을 사용하여 pH를 4로 조정하고, 혼합물을 EtOAc (3 x 500 mL)로 여러 차례 분배시켰다. 합한 유기층을 건조하고 (MgSO4), 농축하여 백색 고체로서 10.16 g (100%)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190
단계 3:
DMF (30 mL) 중의 실시예 371, 단계 2의 생성물 {Boc-4(R)-(7-클로로퀴놀린-4-옥소)프롤린} (5.11 g, 13 mmol), 비닐 Acca의 HCl 염 (부분입체이성질체의 1:1 혼합물로서 존재 (시클로프로필 카르복시에틸기가 비닐 잔기에 대해서 syn인 1R,2S/1S,2R) (3.48 g, 18.2 mmol) 및 NMM (7.1 mL, 65 mmol) 용액에 HATU (6.92 g, 18.2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3 일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EtOAc (180 mL)로 희석하고, pH 4.0 완충액 (3 x 100 mL)으로 분배시켰다. 유기층을 포화 수성 NaHCO3 (2 x 50 mL), 물 (2 x 50 mL) 및 염수 (2 x 50 mL)로 세척하였다. 유기 용액을 건조하고 (MgSO4),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바이오티지 40 M 컬럼 (EtOAc-헥산: 50% 내지 100%)으로 정제하여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로서 존재하는 생성물 2.88 g을 수득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바이오티지 65 M 컬럼 (MeOH-EtOAc: 0% 내지 9%)을 사용하여 부분적으로 분리하여 BOC-NH-P2[(4R)-(7-클로로퀴놀린-4-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 P1 잔기)-COOEt를 초기 용출된 높은 Rf 이성질체로서 수득하였다 (1.20 g, 17.4%).
Figure pat01191
잔류 물질 (~1.66 g, 24%)을 낮은 Rf이성질체가 매우 많은 분획물과 혼합하였다.
Figure pat01192
단계 4:
실시예 371, 단계 3의 생성물 {BOC-P2[(4R)-(7-클로로퀴놀린-4-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2Et} (0.65 g, 1.22 mmol)를 4 N HCl/디옥산 (4.5 ml, 18 mmol)에 용해하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고, 조 생성물을 다음 단계에서 바로 사용하였다: LC-MS (체류 시간: 0.94, 방법 A) LC-MS m/z 430 (M++1).
단계 5:
CH2Cl2 (15 mL) 중의 실시예 371, 단계 4의 생성물 {NH2-P2[(4R)-(7-클로로퀴놀린-4-옥소)-S-프롤린]-P1(1R,2S-비닐 Acca)-COOEt의 비스 HCl 염} (1.22 mmol), N-BOC-L-tert-류신 (BOC L-tBuGly) (0.34 g, 1.47 mmol), DIPEA (1.0 ml, 5.74 mmol), HOBT.H2O (0.22 g, 1.47 mmol)의 현탁액에 HBTU (0.56 g, 1.47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고, CH2Cl2 (50 mL)로 희석하고, pH 4.0 완충액 (2 x 20 mL), 포화 수성 NaHCO3 (50 mL), 염수 (50 mL)로 희석하고, 건조하고 (MgSO4),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바이오티지 40 M 컬럼 (EtOAc-헥산: 15% 내지 60%)으로 정제하여 생성물 607 mg (77%)을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1193
단계 6:
THF (14 mL), CH3OH (2 mL) 및 H2O (8 mL) 중의 실시예 371, 단계 5의 생성물 {BOCNH-P3(L-t-BuGly)-P2[(4R)-7-클로로퀴놀린-4-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02Et} (207 mg, 0.32 mmol)의 현탁액에 LiOH (62 mg, 2.60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 일 동안 교반하고, 중성 pH로 조정하고, 수층만 남을 때까지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얻어진 수성 잔류물을 1.0 N 수성 HCl을 첨가하여 pH 4.0으로 조정하고, 이어서 고체 NaCl로 포화하였다. 상기 수성 혼합물을 EtOAc (3 x 60 mL)로 여러 차례 추출하고, 합한 유기 용매를 건조하고 (Mg2SO4), 진공에서 농축하여 생성물 {BOCNH-P3(L-t-BuGly)-P2[(4R)-(7-클로로퀴놀린-4-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2H} 107 mg (54%)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1194
단계 7:
THF (4 mL) 중의 실시예 371, 단계 6의 트리펩티드산인 {BOCNH-P3(L-t-BuGly)-P2[(4R)-(7-클로로퀴놀린-4-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2H} (0.0453 g, 0.074 mmol) 용액에 CDI (17 mg, 0.10 mmol)를 첨가하고, 얻어진 용액을 45분 동안 환류하고, 실온으로 냉각되게 두었다. 시클로프로필술폰아미드 (0.013 g, 0.10 mmol)를 한번에 첨가하고, 순수한 DBU (0.015 mL, 0.10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18시간 동안 교반하고, EtOAc (200 mL)로 희석하고, pH 4.0 완충액 (3 x 30 mL), 물 (2 x 30 mL), 염수 (30 mL)로 세척하고, 건조하고 (MgSO4), 20 x 40 cM 1000□ 아날테크 PTLC 플레이트 (MeOH-CH2Cl2: 0 내지 2%) 1 개를 사용하여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 (화합물 371)을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0.040 g, 76%):
Figure pat01195
실시예 372: 화합물 372의 제조
Figure pat01196
Figure pat01197
단계 1:
CH3CN (50 mL)에 용해한 L-tert-류신 (2 g, 15.25 mmol) 용액에 TMSCN (7.06 mL, 56.41 mmol)을 첨가하고,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75℃에서 30분 동안 가열하였다. 시클로펜틸 클로로포르메이트 (2.83 g, 19.06 mmol)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80℃에서 밤새 가열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MeOH (40 mL)로 처리하고, 10분 동안 교반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pH 8.5로 조정하고, Et2O (2 x 200 mL)로 추출하였다. 수층을 pH 3으로 조정하고, CH2Cl2 (2 x 20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추출물을 건조하고 (MgSO4),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Et2O/헥산 최소량으로부터 재결정하여 생성물 3.48 g (94%)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198
단계 2:
CH2Cl2 (7 mL) 중의 실시예 371, 단계 4의 생성물 {P2[(4R)-7-클로로퀴놀린-4-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 COOEt의 HCl 염} (530.1 mg, 1.04 mmol), 실시예 372, 단계 1의 생성물 {(L)-2-시클로펜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3,3-디메틸-부티르산} (328 mg, 1.35 mmol), HOBT (146 mg, 1.08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755 mL, 4.32 mmol)의 용액에 HBTU (512 mg, 1.35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고, CH2Cl2와 pH 4.0 완충액 사이에 분배시켰다. CH2Cl2 층을 물, NaHCO3 포화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건조하고 (MgSO4),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바이오티지 40 M 컬럼 (EtOAc-헥산: 35-100%)으로 정제하여 생성물 640 mg (92%)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199
단계 3:
실시예 370, 단계 6의 생성물 대신 시클로펜톡시카르보닐-NH-P3(L-tert-BuGly)-P2[(4R)-(7-클로로퀴놀린-4-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OEt를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트리펩티드산을 실시예 370, 반응식 2의 단계 7에 따라 제조하였다.
변경: 실시예 372, 단계 2의 생성물 0.636 g (0.97 mmol) 사용, 0.424 g 수득 (69% 수율).
Figure pat01200
Figure pat01201
단계 4:
THF (2 mL) 중의 CDI (0.021 g, 0.13 mmol) 및 실시예 372, 단계 3의 생성물 {BOCNH-P3(L-t-BuGly)-P2[(4R)-7-클로로퀴놀린-4-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2H} (0.058 g, 0.09 mmol) 용액을 40분 동안 환류하고, 실온으로 냉각되게 두었다. 시클로프로판술폰아미드 0.016 g (0.13 mmol) 전부 및 이어서 순수한 DBU (0.019 mL, 0.13 mmol) 용액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밤새 교반하고, 이어서 EtOAc (100 mL)로 희석하고, pH 4.0 완충액 (2 x)으로 세척하고, 건조하고 (MgSO4), 농축하고, 아날테크사의 1000 μM 정제용 TLC 플레이트 (20 x 40 cM, CH2Cl2 중의 50% 내지 0% 내지 2% MeOH로 차례로 용출) 3 개로 정제하여 생성물 (화합물 372) 27.3 mg (40%)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202
실시예 373: 화합물 373의 제조
Figure pat01203
단계 1:
CH2Cl2 (100 mL)에 용해된 2-아미노-4-메톡실아세토페논 (4.45 g, 26.94 mmol)의 0℃ 용액을 시클로프로판카르보닐 클로라이드 (3.1 mL, 33.68 mmol),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19 mL, 107.8 mmol), DMAP (0.780 g, 6.4 mmol)로 처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CH2Cl2 (500 mL)에 용해된 잔류물을 수성 1 N HCl, 물, NaHCO3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건조하였다 (Mg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고체 잔류물을 EtOAc/헥산 (1/1)으로 처리하여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5.35 g, 85%):
Figure pat01204
단계 2:
tert-부탄올 (130 g) 중의 실시예 373, 단계 1 의 생성물 {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 (2-아세틸-5-메톡시-페닐)-아미드} (5.35 g, 22.72 mmol) 및 tert-BuOK (5.45 g, 48.6 mmol) 용액을 6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하고, 빙냉 완충액에 붓고, pH를 7로 조정하고, 여과하였다. 고체 수집물을 MeOH/Et2O로부터 재결정하여 생성물 (1 g, 20%)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205
단계 3:
THF (25 mL)에 용해된 N-Boc-L-3-히드록시프롤린 (1.06 g, 4.32 mmol) 및 트리페닐포스핀 (2.27 g, 8.64 mmol)의 0℃ 용액에 THF (25 mL) 중의 실시예 373, 단계 2의 생성물 {2-시클로프로필-7-메톡시-퀴놀린-4-올} (0.93 g, 4.32 mmol) 및 DEAD (1.50 g, 8.64 mmol) 용액을 30분에 걸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고,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바이오티지 40+M 컬럼 (EtOAc-헥산: 20-65%)으로 2 회 정제하여 생성물 1.74 g (90%)을 수득하였다: LC-MS (체류 시간: 2.56, 방법 J), MS m/z 443 (M++1).
단계 4:
THF (91 mL) 중의 실시예 373, 단계 3의 생성물 {Boc-(4R)-(2-시클로프로필-7-메톡시-퀴놀린-4-옥소)-S-프롤린 메틸 에스테르} (1.70 g, 3.86 mmol), CH3OH (18.2 mL) 및 H2O (27 mL)의 현탁액에 LiOH (0.73 g, 30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교반하고, pH를 6으로 조정하고, 유기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pH 4로 산성화하고, EtOAc (4 x 10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건조하고 (MgSO4), 진공에서 농축하여 생성물 1.64 g (100%)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206
단계 5:
실시예 373, 단계 4의 생성물 {Boc-P2{(4R)-[2-시클로프로필-7-메톡실퀴놀린-4-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OEt} (1.61 g, 2.79 mmol)을 HCl/디옥산 (15 mL; 60 mmol)에 용해하고,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고, 건조 THF와 공비 혼합하여 생성물 (1.58 g, 100%)을 수득하였다: LC-MS (체류 시간: 2.12, 방법 K), MS m/z 566 (M++1).
Figure pat01207
단계 6:
CH2Cl2 (13 mL) 중의 실시예 373, 단계 5의 생성물 {P2{(4R)-[2-시클로프로필-7-메톡실퀴놀린-4-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OEt의 비스 HCl염} (1.58 g, 2.79 mmol),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1.65 mL, 9.25 mmol), N-Boc-L-tert-류신 (0.775 g, 3.35 mmol), HOBT.H2O (0.515 g, 3.36 mmol)의 현탁액에 HBTU (1.28 g, 3.36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4시간 동안 교반하고, EtOAc와 pH 4.0 완충액 사이에 분배시켰다. EtOAc 층을 건조하고 (MgSO4),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바이오티지 40+M 컬럼 (EtOAc-헥산: 20-100%, 이어서 MeOH)으로 정제하고, 20 x 40 cM 1000□ 아날테크 PTLC 플레이트 (MeOH-CH2Cl2 2%)로 더 정제하여 생성물 1.4 g (63%)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208
단계 7:
THF (93 mL), CH3OH (23 mL) 및 H2O (45 mL) 중의 실시예 373, 단계 6의 생성물 Boc-NH-P3(L-tert-BuGly)-P2[(4R)-(2-시클로프로필-7-메톡실퀴놀린-4-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OEt (1.28 g, 1.89 mmol)의 현탁액에 LiOH (0.491 g, 20.4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 18.5시간 동안 교반하고, pH를 4로 조정하고, 진공에서 유기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EtOAc (5 x 10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용매를 건조하고 (MgSO4), 진공에서 농축하여 원하는 생성물 1.17 g (97%)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209
Figure pat01210
단계 8:
THF (2 mL) 중의 CDI (0.058 g, 0.344 mmol) 및 실시예 373, 단계 7의 생성물 {Boc-NH-P3(L-tert-BuGly)-P2[(4R)-(2-시클로프로필-7-메톡실퀴놀린-4-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OH} (0.160 g, 0.246 mmol) 용액을 60분 동안 환류하고, 실온으로 냉각되게 두었다. 시클로프로판술폰아미드 (0.041 g, 0.344 mmol) 및 이어서 순수한 DBU (0.051 mL, 0.344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24시간 동안 교반하고, 반응 혼합물을 pH 4.0 완충액과 EtOAc사이에 분배시켜 후처리하였다. 유기층을 건조하고 (MgSO4), 농축하고, 정제용 HPLC (0-100% 용매 B)로 정제하여 생성물 (화합물 373) 0.086 g (46%)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211
실시예 374: 화합물 374의 제조
Figure pat01212
단계 1:
CH3CN 800 mL 중의 m-아니시딘 (58 g, 471 mmol) 용액에 멜드럼산 (Meldrum's acid) (75 g, 518 mmol) 및 트리메틸포르메이트 (60 g, 565 mmol)를 첨가하였다. 불균일 혼합물을 2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MeOH (30 mL)를 첨가하고, 얻어진 침전물을 여과하고, MeOH 10-15 mL로 세척하였다. MeOH 첨가/여과 절차를 진한 모액으로 반복하였다. 얻어진 합한 고체를 건조하여 (-20 torr, 45℃, 밤새) 중간체 5-[(3-메톡시페닐-아미노)메틸렌]-2,2-디메틸-[1,3]디옥산-4,6-디온 117.6 g (90%)을 수득하였다.
단계 2:
250℃로 가열한 Ph2O (500 g) 용액에 5-[(3-메톡시페닐-아미노)메틸렌]-2,2-디메틸-[1,3]디옥산-4,6-디온 108.7 g (392 mmol)을 30분에 걸쳐 나누어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5분 동안 더 가열하고, 실온으로 냉각하고, 헥산 (800 mL)으로 희석하고, 얻어진 슬러리를 밤새 교반하였다. 헥산을 경사분리로 제거하고, 고체 잔류물을 MeOH 600 mL에 환류하며 용해하고, 실온으로 냉각하고, 얻어진 고체를 여과하고, 최소량의 CH2Cl2로 세척하였다. 유사한 재결정 절차를 한 후, 7-메톡시퀴놀린-4-올 총 20.73 g (30%)을 밝은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1213
단계 3:
0℃로 냉각된 THF (200 mL) 중의 N-Boc-cis-L-4-히드록시프롤린 메틸 에스테르 (12.24 g, 49.8 mmol) 및 PPh3 (26.14 g, 99.7 mmol) 용액에 THF 700 mL 중의 DEAD (17.36 g, 99.7 mmol) 및 7-메톡시퀴놀린-4-올 (8.73 g, 49.8 mmol) 용액을 45분에 걸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밤새 서서히 실온으로 가온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바이오티지 65 M 컬럼 (MeOH-EtOAc: 0-10%)으로 정제하여 생성물 12.78 g (64%)을 무색의 유리질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1214
단계 4:
5:1 THF/MeOH 600 mL 중의 실시예 374, 단계 3의 생성물 {BOC-N-P2[(4R)-(7-메톡시퀴놀린-4-옥소)프롤린 메틸 에스테르} (8.54 g, 21.2 mmol) 용액에 물 150 mL 중의 LiOH (4.0 g, 167 mmol) 용액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고, 6 N 수성 HCl를 사용하여 pH를 7로 조정하고, 수층만 남을 때까지 용액을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1 N 수성 HCl를 사용하여 pH를 4로 조정하고, NaCl을 첨가하여 혼합물을 포화시키고, 생성물이 수용성이므로 먼저 EtOAc로, 이어서 THF로 여러 차례 분배시켰다. 합한 유기층을 건조하고 (MgSO4), 농축하여 생성물 8.18 g (99%)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1215
단계 5:
CH2Cl2 150 mL 중의 실시예 374, 단계 4의 생성물 {Boc-4(R)-(7-메톡시퀴놀린-4-옥소)프롤린} (4.50 g, 11.60 mmol), 비닐 Acca (부분입체 이성질체 (시클로프로필 카르복시에틸기가 비닐 잔기에 대해서 syn인 1R,2S/1S,2R)의 1:1 혼합물로서 존재)의 HCl 염 2.66 g (13.9 mmol), DIPEA 10 mL (57.4 mmol), HOBT.H2O 2.13 g (13.9 mmol) 용액에 HBTU 5.27 g (13.9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였다. 용액을 CH2Cl2 200 mL로 희석하고, pH 4.0 완충액 (2 x 50 mL)으로 분배시켰다. 유기층을 포화 수성 NaHCO3 (2 x 50 mL), 물 (2 x 50 mL) 및 염수 (2 x 50 mL)로 세척하였다. 유기 용액을 건조하고 (MgSO4), 농축하고, 바이오티지 65 M 컬럼 (0-9% MeOH/EtOAc로 용출)을 사용하여 정제하여 BOC-NH-P2[(4R)-(7-메톡시퀴놀린-4-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 P1 잔기)-COOEt를 처음 용출된 이성질체로서 수득하고 (2.21 g, 총 36%), 이어서 낮은 Rf이성질체인 순수한 BOC-NH-P2[(4R)-(7-메톡시퀴놀린-4-옥소)-S-프롤린]-P1(1S,2R 비닐 Acca P1 잔기)-CO2Et 1.13 g (19%)를 수득하였다. 혼합된 분획물도 수득하였다. BOCN-P2[(4R)-(7-메톡시퀴놀린-4-옥소)-S-프롤린]-P1(1R,2S)-(비닐 Acca)-COOEt에 대한 데이터:
Figure pat01216
Figure pat01217
단계 6:
실시예 374, 단계 5의 생성물 {BOC-P2[(4R)-(7-메톡시퀴놀린-4-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OEt} (1.35 g, 2.90 mmol) 전부를 4 N HCl/디옥산 (15 ml, 60 mmol)에 용해하고, 실온에서 2.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하여 생성물 1.3 g (100%)을 황갈색 고체로서 수득하고, 이를 다음 단계에서 바로 사용하였다.
Figure pat01218
단계 7:
DMF (20 mL) 중의 실시예 374, 단계 6의 생성물 {NH2-P2[(4R)-(7-메톡시퀴놀린-4-옥소)-S-프롤린]-P1(1R,2S-비닐 Acca)-COOEt, 비스 HCl 염} (1.3 g, 2.61 mmol), N-BOC-L-tert-류신 (BOC L-tBuGly) (0.94 g, 4.25 mmol), NMM (1.7 ml, 15.5 mmol)의 현탁액에 HATU (1.55 g, 3.40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고, 75% EtOAc-THF (300 mL)로 희석하고, pH 4.0 완충액 (2 x 50 mL), 포화 수성 NaHCO3 (50 mL), 염수 (50 mL)로 세척하고, 건조하고 (MgSO4), 바이오티지 40 M 컬럼 (헥산 중의 15% 내지 100% EtOAc로 용출)으로 정제하여 생성물 {BOCNH-P3(L-t-BuGly)-P2[(4R)-(7-메톡시퀴놀린-4-옥소)-S-프롤린]-P1-CO2Et} 0.702 g (42%)을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1219
단계 8:
THF (50 mL), CH3OH (7 mL) 및 H2O (22 mL) 중의 실시예 374, 단계 7의 생성물 {BOCNH-P3(L-t-BuGly)-P2[(4R)-7-메톡시퀴놀린-4-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OEt} (702 mg, 1.1 mmol)의 현탁액에 LiOH (211 mg, 8.80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 일 동안 교반하고, 중성 pH로 산성화하고, 수층만 남을 때까지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얻어진 수성 잔류물을 1.0 N 수성 HCl을 첨가하여 pH를 4.0으로 산성화하고, 고형 NaCl로 포화하였다. 상기 수성 혼합물을 EtOAc 및 THF로 여러 차례 추출하고, 합한 유기 용매를 염수 (50 mL)로 세척하고, 건조하고 (MgSO4),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여 생성물 BOCNH-P3(L-t-BuGly)-P2[(4R)-(7-메톡시퀴놀린-4-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2H 631 mg (92%)을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1220
단계 9:
THF (2 mL) 중의 실시예 374, 단계 8의 트리펩티드산 (0.120 g, 0.195 mmol) 용액에 CDI (44.3 mg, 0.27 mmol)를 첨가하고, 얻어진 용액을 60분 동안 환류하고, 실온으로 냉각되게 두었다. 시클로부틸술폰아미드 (0.037 g, 0.273 mmol)를 한번에 첨가한 후, 순수한 DBU (0.041 mL, 0.273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24시간 동안 교반하고, 또다른 CDI 1 당량 및 시클로부틸술폰아미드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48시간 더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50% THF/EtOAc (200 mL)로 희석하고, 염수로 포화된 pH 4.0 완충액 (3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하고 (MgSO4),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50% THF-CH2Cl2 2 mL에 용해하고, EDAC 75 mg (0.39 mmol), 4-DMAP 48 mg (0.39 mmol), DBU 58 □L (0.39 mmol) 및 시클로부틸술폰아미드 53 mg (0.39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4 일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1000□ 아날테크 PTLC 플레이트 (20 x 40 cM, CH2Cl2 중의 2% MeOH로 용출) 1 개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인 화합물 374, BOCNH-P3(L-t-BuGly)-P2[(4R)-(7-메톡시퀴놀린-4-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NHSO2-시클로부탄 2 mg (2%)을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1221
실시예 375: 화합물 375의 제조
Figure pat01222
단계 1:
12% MeOH/TH 68 mL 중의 실시예 374, 단계 5의 생성물 {N-BOC-P2[(4R)-(7-메톡시퀴놀린-4-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2Et} 용액에 물 30 mL 중의 수산화리튬 218 mg (9.08 mmol)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6 N 수성 HCl을 첨가하여 pH를 중성으로 조정하고, 물만 남을 때까지 농축하고, 수성 1 N HCl를 사용하여 용액의 pH를 4로 조정하고, 이어서 50% THF-EtOAc (5 x 200-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건조하고 (MgSO4), 농축하여 생성물 {N-BOC-P2[(4R)-(7-메톡시퀴놀린-4-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2H} 752 mg (100%)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223
단계 2:
THF (4 mL) 중의 실시예 375, 단계 1의 생성물 {N-BOC-P2[(4R)-(7-메톡시퀴놀린-4-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2H} (3.995 g, 0.668 mmol)의 용액에 CDI (434 mg, 2.68 mmol)를 첨가하고, 60분 동안 환류하고,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시클로프로필술폰아미드 (406 mg, 3.35 mmol)를 한 번에 첨가한 후, 순수한 DBU (0.50 mL, 3.35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16시간 동안 교반하고, 50% THF-EtOAc (200 mL)로 희석하고, 염수로 포화된 pH 4.0 완충액 (2 x 40 mL)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건조하고 (MgSO4), 농축하고, 바이오티지 25 M 컬럼 (CH2Cl2 중의 MeOH 0% 내지 15%)으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 {N-BOC-P2[(4R)-(7-메톡시퀴놀린-4-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NHSO2시클로프로판} 217 mg (54%)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224
단계 3:
실시예 375, 단계 2의 생성물 {BOC-P2[(4R)-(7-메톡시퀴놀린-4-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NHSO2시클로프로판} (198 mg, 0.33 mmol) 전부를 4 N HCl/디옥산 (4 ml, 16 mmol)에 용해하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여 조 생성물을 황갈색 고체로서 수득하고, 이를 다음 반응에서 즉시 사용하였다.
단계 4:
실시예 375, 단계 3의 조 생성물 {HN-P2[(4R)-(7-메톡시퀴놀린-4-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NHSO2시클로프로판, 비스 HCl 염}을 디클로로메탄 10 mL에 현탁하였다. 상기 혼합물에 N-BOC-L-tert-류신 (BOC L-tBuGly) (120 mg, 0.52 mmol), HOAT (30 mg, 0.20 mmol), DIPEA (0.29 ml, 1.65 mmol) 및 HATU (160 mg, 0.43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교반하고, 50% EtOAc-THF (300 mL)로 희석하고, 염수로 포화된 pH 4.0 완충액 (3 x 5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하고 (MgSO4),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아이스코 (Isco) 35 g 컬럼 (CH2Cl2 중의 0% 내지 15% MeOH로 용출)으로 정제하여 생성물 (130.1 mg, 47%)을 후닝 염기염 (Hunning's base salt) (화합물 375)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1225
실시예 376: 화합물 376의 제조
Figure pat01226
단계 1:
화합물 375 (130 mg)를 EtOAc에 용해하고, pH 4 완충액, 염수로 1 회 이상 세척하고, 이어서 건조하였다 (MgSO4). 조 혼합물을 아날테크사의 1000□ PTLC 플레이트 (20 x 40 cm, CH2Cl2 중의 3% MeOH로 용출) 2 개로 정제하여 생성물 (화합물 376) 54 mg (트리펩티드산으로부터 23% 수율)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227
실시예 377: 화합물 377의 제조
Figure pat01228
단계 1:
디클로로메탄 20 mL에 현탁된 실시예 375, 단계 2의 생성물 {HN-P2[(4R)-(7-메톡시퀴놀린-4-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NHSO2시클로프로판의 비스 HCl 염} 총 1.0 mmol를 RSP 아미노 애시즈사 (Amino Acids)로부터 구입한 2-(S)-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8-노넨산, HOAT (82 mg, 0.60 mmol), DIPEA (0.74 ml, 5.0 mmol) 및 HATU (494 mg, 1.30 mmol)에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교반하고, CH2Cl2 대부분을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포화 pH 4.0 완충액 (150 mL)으로 희석하고, EtOAc (4 x 20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건조하고 (MgSO4),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바이오티지 40 M 컬럼 (CH2Cl2 중의 0% 내지 15% MeOH로 용출)으로 정제하여 생성물 (화합물 377) 574 mg (76%)을 수득하였다: LC-MS m/z 754 (체류 시간: 1.64, 방법 I).
실시예 378: 화합물 378의 제조
Figure pat01229
단계 1:
실시예 375, 단계 2의 생성물 {HN-P2[(4R)-(7-메톡시퀴놀린-4-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NHSO2시클로프로판의 비스 HCl 염} 총 0.34 mmol을 디클로로메탄 3 mL에 현탁하였다. 상기 혼합물에 N-BOC-L-발린 (L-Val) (120 mg, 0.55 mmol), HOAT (30 mg, 0.20 mmol), DIPEA (0.29 ml, 1.65 mmol) 및 HATU (160 mg, 0.43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교반하고, 포화 pH 4.0 완충액 (150 mL)으로 희석하고, EtOAc (3 x 20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하고 (MgSO4),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아이스코 35 g 컬럼 (CH2Cl2 중의 MeOH: 0% 내지 15%)으로 정제하였다. 상기 물질을 아날테크사의 δ PTLC 플레이트 (20 x 40 cm, CH2Cl2 중의 3% MeOH로 용출) 2 개로 더 정제하여 생성물 104.1 mg (44%)을 수득하였다 (화합물 378 ):
Figure pat01230
실시예 379: 화합물 379의 제조
Figure pat01231
단계 1:
피리딘 (150 mL)에 용해된 2-피콜산 (3.73 g, 30.3 mmol) 및 2-아미노-4-메톡시벤조페논 (5.0 g, 30.3 mmol)의 -30℃ 현탁액에 POCl3 (3.7 mL, 45.4 mmol)을 5분 동안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상기 온도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고,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빙수에 붓고, EtOAc (3 x)로 추출하였다. 합한 추출물을 건조하여 생성물 (7.67 g, 93%)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232
단계 2:
THF (50 mL) 중의 피리딘-2-카르복실산 (2-아세틸-5-메톡시-페닐)-아미드 (2.90 g, 10.7 mmol) 현탁액에 t-BuOK/THF (1 M, 24 mL, 24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70℃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빙수를 잔류물에 첨가하고, 수성 1.0 N HCl로 pH를 4.6으로 조정하고, 여과하였다. 고체 잔류물을 바이오티지 65 M 컬럼 (MeOH/CH2Cl2: 0-15%)으로 정제하여 생성물 (2.26 g, 84%)을 수득하였다: LC-MS (체류 시간: 1.19, 방법 D), MS m/z 253 (M++1).
단계 3:
POCl3 (92 mL) 중의 7-메톡시-2-피리딘-2-일-퀴놀린-4-올 (2.2 g, 8.71 mmol)의 혼합물을 3시간 동안 환류하고, 이어서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빙수를 잔류물에 첨가하고, 1.0 N NaOH로 pH를 10 초과로 조정하고, EtOAc (2 x)로 추출하였다. 합한 추출물을 물,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하고 (MgSO4), 용매를 제거하여 생성물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89%, 2.1 g):
Figure pat01233
단계 4:
DMSO (20 mL) 중의 N-Boc-4-히드록시프롤린 (1.6 g, 6.7 mmol) 용액에 t-BuOK (1.9 g, 16.8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5시간 동안 교반하고, 4-클로로-7-메톡시-2-피리딘-2-일-퀴놀린 (2.0 g, 7.4 mmol) 및 DMSO (10 m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38시간 동안 교반하고, 빙수로 희석하고, EtOAc/에테르 (1/4, 2 x)로 추출하였다. 수층을 pH 4로 조정하고, EtOAc/THF (5 x)로 추출하였다. 합한 추출물을 건조하고 (Na2SO4/Mg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잔류물 을 정제용 HPLC (0-80% 용매 B)로 정제하여 생성물 (1.6 g, 50%)을 수득하였다: LC-MS (체류 시간: 1.23, 방법 Ⅰ), MS m/z 466 (M++1).
단계 5:
HCl/디옥산 (4 M, 5 mL, 20 mmol) 중의 실시예 379, 단계 4의 생성물 {N-boc-(1R,2S)-1-아미노-2-비닐시클로프로판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0.21 g, 0.65 mmol) 용액을 3시간 동안 교반하고,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잔류물에 CH2Cl2 (10 mL),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4 mL, 3.23 mmol), HOBT (0.20 g, 1.35 mmol), Boc-(4R)-(2-시클로프로필-7-메톡시-퀴놀린-4-옥소)-S-프롤린 (0.20 g, 0.5 mmol) 및 HATU (0.415 g, 1.07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고, pH 4.0 완충액으로 희석하고, EtOAc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건조하고 (MgSO4), 용출액으로 MeOH/CH2Cl2 (0 내지 15%)를 사용하는 바이오티지 40 M 컬럼으로 정제하여 생성물 (204.7 mg, 70%)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234
단계 6:
4 M HCl/디옥산 (3.5 mL, 14 mmol) 중의 P2 Boc-(4R)-(7-메톡시-2-피리딘-2-일-퀴놀린-4-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NHSO2(1-시클로프로필메틸시클로프로판-1-일) (단계 5, 실시예 379) (203 mg, 0.3 mmol) 슬러리를 2시간 동안 교반하고,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잔류물에 CH2Cl2 (2 mL),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63 mL, 3.6 mmol), Boc-L-tert-류신 (83 mg, 0.36 mmol), HOAt (41 mg, 0.3 mmol) 및 HATU (148 mg, 0.39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7시간 동안 교반하고,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정제용 HPLC (35-85% 용매 B)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 (화합물 379) 25.1 mg (11%)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235
실시예 380: 화합물 380의 제조
Figure pat01236
단계 1:
단락 B의 실시예 11, 단계 3의 생성물과 P1(1R,2S 비닐 Acca)-COOEt의 아미노 말단을 커플링하여 본 실시예의 반응식 1의 출발 물질을 제조하였다. 4 M HCl/디옥산 (120 mL, 480 mmol) 중의 상기 커플링 생성물인 P2 Boc-(4R)-(6-메톡시-이소퀴놀린-1-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OEt (7.88 g, 14.99 mmol)의 슬러리를 2시간 동안 교반하고,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건조 디옥산과 공비 증류하였다. 잔류물에 DMF (75 mL), N-메틸모르폴린 (6.27 mL, 57.07 mmol), Boc-L-tert-류신 (5.20 g, 22.49 mmol) 및 HATU (8.53 g, 22.49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고, 반응 혼합물을 빙수에 부어 후처리하고, 수성 1.0 N HCl로 pH를 5로 조정하고, EtOAc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NaHCO3 (수용액),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하고 (MgSO4),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바이오티지 65 M 컬럼 (EtOAc-헥산: 5-100%)으로 정제하여 생성물 (8.07 g, 84%)을 수득하였다: 체류 시간: 1.88 방법 I) MS m/z 639 (M++1).
단계 2:
THF (250 mL), CH3OH (31 mL) 및 H2O (125 mL) 중의 실시에 384, 단계 1의 생성물 {Boc-NH-P3(L-tert-BuGly)-P2[(4R)-(6-메톡실-이소퀴놀린-1-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OEt} (4.0 g, 6.26 mmol)의 현탁액에 LiOH (2.4 g, 100.2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고, 이어서 1.0 N HCl로 pH를 7로 조정하였다. 유기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수성 잔류물을 pH 4로 산성화하고, EtOAc (2 x)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용매를 건조하고 (Na2SO4/MgSO4), 진공에서 농축하여 생성물 (3.79 g, 99%)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237
단계 3:
THF (2ml) 중의 CDI (0.052 g, 0.32 mmol) 및 실시예 384, 단계 2의 생성물 {BOCNH-P3(L-t-BuGly)-P2[(4R)-6-메톡시-이소퀴놀린-1-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2H} (0.130 g, 0.21 mmol) 용액을 60분 동안 환류하고, 실온으로 냉각되게 두었다. 시클로부탄술폰아미드 (0.043 g, 0.32 mmol)를 첨가한 후, 이어서 순수한 DBU (0.048 mL, 0.32 mmol) 용액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밤새 교반하고, 이어서 시린지 필터로 여과하고, 정제용 HPLC (30% to 100% 용매 B)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 0.1422 mg (92%)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238
Figure pat01239
단계 4:
실시예 380, 단계 3의 생성물 {(BOCNH-P3(L-t-BuGly)-P2-(4R)-(6-메톡시-이소퀴놀린-1-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NHSO2 시클로부틸} (0.196 mg, 0.27 mmol)을 HCl/디옥산 (5 mL; 20 mmol)에 용해하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여 표제 생성물 100% (0.1887 g)를 수득하고, 이를 다음 단계에서 바로 사용하였다.
단계 5:
CH2Cl2 (2 mL) 중의 실시예 380, 단계 4의 생성물 {NH2-P3(L-t-BuGly)-P2-(4R)-(6-메톡시-이소퀴놀린-1-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NHSO2 시클로부틸의 HCl 염} (0.037 g, 0.053 mmol)과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046 mL, 0.26 mmol)의 혼합물에 시클로펜틸 클로로포르메이트 (0.7 M, 0.151 mL, 0.069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고, 정제용 HPLC (30% 내지 100% 용매 B)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 (화합물 380) (0.0303 g, 77%)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240
실시예 381: 화합물 381의 제조
Figure pat01241
단계 1:
CH2Cl2 (2 mL) 중의 실시예 380의 단계 4의 생성물 {NH2-P3(L-t-BuGly)-P2-(4R)-(6-메톡시-이소퀴놀린-1-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NHSO2 시클로부틸의 HCl 염} (0.037 g, 0.053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046 mL, 0.26 mmol)의 혼합물에 신규-펜틸 클로로포르메이트 (0.012 mL, 0.069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밤새 교반한 다음 바로 정제용 HPLC (30%에서 100%로의 용매 B)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 (화합물 381) (0.0252 g, 64%)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242
실시예 382: 화합물 382의 제조
Figure pat01243
단계 1:
CH2Cl2 (2 mL) 중의 실시예 380의 단계 4의 생성물 {NH2-P3(L-t-BuGly)-P2-(4R)-(6-메톡시-이소퀴놀린-1-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NHSO2 시클로부틸의 HCl 염} (0.037 g, 0.053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046 mL, 0.26 mmol)의 혼합물에 디-t-아밀 디카르보네이트 (0.0169 g, 0.069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밤새 교반한 다음 바로 HPLC (30%에서 100%로의 용매 B)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 (화합물 382) (0.0175 g, 44%)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244
실시예 383: 화합물 383의 제조
Figure pat01245
단계 1:
CH2Cl2 (2 mL) 중의 실시예 380의 단계 4의 생성물 {NH2-P3(L-t-BuGly)-P2-(4R)-(6-메톡시-이소퀴놀린-1-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NHSO2 시클로부틸의 HCl 염} (0.037 g, 0.053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046 mL, 0.26 mmol)의 혼합물에 t-부틸-이소시아네이트 (0.008 mL, 0.069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밤새 교반한 다음 바로 정제용 HPLC (30%에서 100%로의 용매 B)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 (화합물 383) (0.024 g, 62%)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246
실시예 384: 화합물 384의 제조
Figure pat01247
Figure pat01248
단계 1:
THF (2 mL) 중의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031 mL, 0.018 mmol), N,N'-디숙신이미딜 카르보네이트 (0.0274 g, 0.107 mmol) 및 실시예 380의 단계 4의 생성물 {NH2-P3(L-t-BuGly)-P2-(4R)-(6-메톡시-이소퀴놀린-1-옥소)-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NHSO2 시클로부틸의 HCl 염} (0.050 g, 0.0714 mmol)의 현탁액을 80℃에서 15분 동안 초음파 처리하였다. KH (0.046 g, 1.14 mmol) 및 1-메틸시클로펜타놀 (0.079 mL, 0.714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분 동안 교반하고, 냉수로 희석시킴으로써 후처리하고, pH를 4로 조정하고, EtOAc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건조시키고 (MgSO4), 잔류물을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원하는 화합물 (화합물 384) (0.018 g, 33%)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249
실시예 385: 화합물 385의 제조
Figure pat01250
Figure pat01251
단계 1:
모르폴린 5 mL 중의 2-시아노메틸-4-메톡시-벤조산 메틸 에스테르 (1.9 g) 및 TsOH.H2O (0.15 g, mmol)의 현탁액을 4시간 동안 환류하고, 용매를 진공하에서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MeOH 몇 방울로 EtOAc/헥산으로부터 재결정화하여 생성물 (0.43 g, 17%)을 수득하였다: LC-MS 체류 시간: 1.07 (방법 H), MS m/z 266 (M++1).
단계 2:
POCl3 (20 mL) 중의 6-메톡시-3-모르폴린-4-일-이소퀴놀린-1-올 (0.298 g, 1.15 mmol)의 혼합물을 2시간 동안 환류하고, 용매를 진공하에서 제거하고, 냉수를 첨가하였다. 1.0 N NaOH를 첨가하여 pH를 >11로 조정하였다. 수성 층을 EtOAc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건조시키고 (MgSO4), 용매를 진공하에서 제거하여 생성물 (0.299 g, 94%)을 수득하였다: LC-MS 체류 시간: 1.68 (방법 H), MS m/z 279 (M++1)
단계 3:
1-클로로-6-메톡시-3-모르폴린-4-일-이소퀴놀린 (0.050 g, 0.18 mmol) 및 테트라부틸 포스포륨 히드로겐 디플로라이드 (0.8 g, 2.8 mmol) [Synlett 1992, (4), 345-6]의 혼합물을 마이크로웨이브로 140℃에서 10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EtOAc로 희석하고, 상부에 실리콘 겔 층을 갖는 ISCO 25 g 정제용 컬럼을 통해 여과하고, 용매를 제거하여 생성물 (0.037 mg, 77%)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252
단계 4:
THF (3 mL) 중의 1-플루오로-6-메톡시-3-모르폴린-4-일-이소퀴놀린 (0.037g, 0.14 mmol), LaCl3 (0.020 g, 0.8 mmol), t-BuOK (1M/THF, 0.32 mL, 0.32 mmol) 및 Boc-NH-P3(L-tert-BuGly)-P2[(4R)-4-히드록실-S-프롤린]-P1(1R,2S 비닐 Acca)-CONHSO2 시클로프로판 (0.045 g, 0.08 mmol)의 혼합물을 3일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시린지 필터를 통해 여과한 메탄올로 희석하고,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담황색 발포체로서 생성물 (0.0158 g, 24%)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253
실시예 386: 화합물 386의 제조
Figure pat01254
화합물 386을 본원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단락 I:
단락 I의 모든 화합물을 하기 조건을 갖는 LC/MS 방법론에 의해 분석하였다.
방법 A: 엑스테라 (Xterra) C18 S7 3.0 x 50 mm
구배: 100% 용매 A/0% 용매 B에서 0% 용매 A/100% 용매 B로
구배 시간: 3분
유지 시간: 1분
유속: 4mL/분
검출기 파장: 220 nm
용매 A: 10% MeOH/90% H2O/0.1% TFA
용매 B: 10% H2O/90% MeOH/0.1% TFA
실시예 410: 화합물 410의 제조
Figure pat01255
단계 1:
DMSO 중의 Boc-L-히드록시프롤린 (0.723 g, 3.13 mmol) 용액에 KOtBu (0.808 g, 7.2 mmol)를 질소 대기하에서 첨가하였다. 상기 현탁액을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고, 4-클로로-6-메틸-2-(트리플루오로메틸)퀴놀린 (0.916 g, 3.75 mmol)을 2회 분할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고, HCl (1N) 1.3 당량을 사용하여 반응물을 중화시켰다. pH 4.0의 완충 용액을 첨가하고, pH를 pH 4 내지 5로 조정하였다. 수성 층을 에틸 아세테이트 (3 x 25 mL)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 층을 염수 (20 mL)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켜 백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 (조 수율은 계산하지 않았음)을 수득하였다. 조 생성물을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LC/MS 체류 시간 (분) (MH+) : 2.48 (441.5) (방법 A).
단계 2:
THF (10 mL) 및 메탄올 (10 mL) 중의 단계 1로부터의 조 생성물 4-(6-메틸-2-트리플루오로메틸-퀴놀린-4-일옥시)-피롤리딘-1,2-디카르복실산 1-tert-부틸 에스테르 (추정치 3.13 mmol)의 용액을 0℃로 냉각시켰다. 상기 용액으로부터 기체가 더 이상 방출되지 않을 때까지, 헥산 중의 TMSCN2 2M (~ 1.3 당량)을 교반되는 용액에 질소 대기하에서 천천히 첨가하였다. 완전히 반응된 용액을 이어서 진공하에서 농축하고, 비오티지 (Biotage) 40 M 컬럼 (헥산 중의 에틸 아세테이트 10%-30%로 용출시킴)으로 정제하여 백색 발포체로서 순수한 표제 화합물 (976 mg, 단계 1 & 2를 거쳐 69%)을 수득하였다.
LC/MS 체류 시간 (분) (MH+) : 2.60 (477) (방법 A).
단계 3:
DCM (7mL) 및 TFA (6.62 mL) 중의 단계 2로부터의 생성물 (0.976 g, 2.15 mmol)의 용액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하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을 디에틸 에테르 (8 mL) 중의 1N HCl에 현탁시키고, 완만하게 교반하고, 진공하에서 농축하였다. 상기 절차를 반복하고, 생성된 생성물을 오일 펌프 상에 밤새 정치시켜 정량적 수율로 백색 고체를 수득하였다.
Figure pat01256
단계 4 :
단계 3으로부터의 생성물 (추정되는 정량적 수율, 2.746 mmol)을 DCM (20 mL) 중의 BOC-t-부틸-L-글리신 (0.635 g, 2.746 mmol) 용액에 질소 대기하에서 첨가하였다. 상기 단계에 이어서, HOBt (0.408 g, 3.02 mmol), DIPEA (3.35 mL, 19.2 mmol), 및 HBTU (1.56 g, 4.12 mmol)를 첨가하였다. 복숭아색 용액이 즉시 생성되었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부피를 증가시키기 위해 10 mL DCM을 완료된 반응에 첨가하고, 반응을 pH 4.00 완충 용액 (25 mL)으로 켄칭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1N HCl을 사용하여 pH 4.5로 산성화시키고, 수성 상을 DCM (3 x 20 mL)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pH 4.00 완충 용액 (20 mL), 포화 NaOH (25 mL), 및 염수 (20 mL)로 2회 세척하고, 이어서 MgSO4로 건조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진공하에서 농축하고, 비오티지 40 M 컬럼 (헥산 중의 에틸 아세테이트 10%-40%로 용출시킴)으로 정제하였다. 상기 정제를 수행하여 백색 고체로서 순수한 표제 화합물 (1.11 g, 89%)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257
단계 5:
LiOH (0.138 g, 5.78 mmol)를 가열하고 초음파 처리함으로써 물 (10 mL) 중에 용해시켰다. 상기 LiOH 용액 및 MeOH (10 mL)를 THF (10 mL) 중의 단계 4로부터의 순수한 물질 (1.09 g, 1.93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은 즉시 선명한 청색으로 바뀌었다. 상기 반응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1N HCl (5.78 mL, 5.78 mmol)로 산성화시켰다. 반응을 pH 4.00 완충 용액으로 켄칭시키고, pH를 1N 수성 NaOH를 사용하여 pH 4.5로 조정하였다. 수성 층을 EtOAc (3 x 25 mL)로 추출하고, 염수 (20 mL)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켰다. 여과한 용액을 진공하에서 농축하고, 진공 라인 상에 밤새 정치시켰다. 조 생성물 (957 mg, 90% 수율)을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LC/MS 체류 시간 (분) (MH+) : 2.51 (577) (방법 A).
단계 6:
단계 5로부터의 조 생성물 (60 mg, 0.11 mmol)을 DCM (5 mL) 중에 용해시키고, 시클로프로판술폰산 (1 (R)-아미노-2 (S)-비닐-시클로프로판카르보닐)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염 (실시예 1, 단계 8) (0.029 g, 0.11 mmol)을 첨가하였다. DIPEA (0.094 mL, 0.541 mmol), 및 이어서 HATU (0.0575, 0.151 mmol)를 질소 대기하에서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약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부피를 증가시키기 위해 10 mL DCM을 상기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을 pH 4.00 완충 용액 (10 mL)으로 켄칭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1N HCl을 사용하여 pH 4 내지 5로 산성화시키고, 수성 상을 DCM (3 x 20 mL)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pH 4.00 완충 용액 (10 mL) 및 염수 (10 mL)로 2회 세척하고, 이어서 MgSO4로 건조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진공하에서 농축하고, 비오티지 12 M 컬럼 (헥산 중의 아세톤 10%-40%로 용출시킴)으로 정제하였다. 상기 정제를 수행하여 백색 분말로서 화합물 410 (29 mg, 35%)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258
실시예 411: 화합물 411의 제조
Figure pat01259
단계 1:
THF (25 mL) 중의 Boc-L-히드록시프롤린 (2.00 g, 8.65 mmol) 용액에 NaH (0.795 g, 19.87 mmol)를 질소 대기하에서 첨가하였다. 상기 현탁액을 실온에서 15분 동안 교반하고, 4,6-디클로로피리미딘 (2.58 g, 17.30 mmol)을 2회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HCl (1N) 1.3 당량을 사용하여 상기 반응물을 중화시켰다. pH 4.0 완충 용액을 첨가하여 pH를 pH 4 내지 5로 조정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수성 상 (3 x 25 mL)을 추출하고, 유기 층을 염수 (20 mL)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켜 백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 (조 수율은 계산하지 않았음)을 수득하였다. 조 생성물을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LC/MS 체류 시간 (분) (MH+): 1.91 (366.2) (방법 A).
단계 2:
Figure pat01260
THF (40 mL) 및 메탄올 (40 mL) 중의 단계 1로부터의 조 생성물 (추정치 8.65 mmol)의 용액을 0℃로 냉각시켰다. 기체가 상기 용액으로부터 더 이상 방출되지 않을 때까지 헥산 (~ 1.3 당량) 중의 TMSCN2 2M을 교반되는 용액에 질소 대기하에서 천천히 첨가하였다. 완전히 반응시킨 용액을 이어서 진공하에서 농축하고, 비오티지 40 M 컬럼 (헥산 중의 에틸 아세테이트 20%-40%로 용출시킴)으로 정제하여 백색 발포체로서 표제 화합물 (497 mg, 단계 2a-2b를 거쳐 16%)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261
단계 3:
Figure pat01262
DCM (3 mL) 및 TFA (5.65 mL) 중의 단계 2로부터의 순수한 생성물의 용액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하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을 디에틸 에테르 (7.33 mL) 중의 1N HCl에 현탁시키고, 완만하게 교반하고, 진공하에서 농축하였다. 상기 절차를 반복하고, 생성된 생성물을 오일 펌프 상에 밤새 정치시켜 정량적 수율로 백색 고체를 수득하였다.
LC/MS 체류 시간 (분) (MH+): 0.55 (258.35) (방법 A).
단계 4 :
Figure pat01263
단계 3으로부터의 생성물 (추정되는 정량적 수율, 1.83 mmol)을 DCM (11 mL) 중의 BOC-t-부틸-L-글리신 (0.424 g, 1.83 mmol) 용액에 질소 대기하에서 첨가하였다. 상기 단계에 이어서, HOBt (0.272 g, 2.02 mmol), DIPEA (2.23 mL, 12.82 mmol), 및 HBTU (1.04 g, 2.75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부피를 증가시키기 위해 15 mL DCM을 상기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을 pH 4.00 완충 용액 (15 mL)으로 켄칭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1N HCl을 사용하여 pH 4.5로 산성화시키고, 수성 상을 DCM (3 x 20 mL)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pH 4.00 완충 용액 (20 mL), 포화 NaOH (25 mL), 염수 (20 mL)로 2회 세척하고, 이어서 MgSO4로 건조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진공하에서 농축하고, 비오티지 40S 컬럼 (헥산 중의 에틸 아세테이트 20%-50%로 용출시킴)으로 정제하였다. 상기 정제를 수행하여 백색 고체로서 순수한 표제 화합물 (454 mg, 53%)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264
단계 5:
Figure pat01265
LiOH (0.0141 g, 0.589 mmol)를 가열하고 초음파 처리함으로써 물 (7.5 mL) 중에 용해시켰다. 상기 LiOH 용액을 THF (7.5 mL) 중의 단계 4로부터의 순수한 물질 (252 mg, 0.535 mmol)의 용액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을 3시간 후에 완료하였다. 이를 pH 4.0 완충액으로 켄칭시키고, 1N HCl로 약 pH 4.5로 산성화시켰다. 수성 상을 EtOAc (3 x 25 mL)로 추출하고, 유기 상을 염수 (20 mL)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켰다. 여과한 용액을 진공하에서 농축하고, 진공 라인 상에 밤새 정치시켰다. 조 생성물 (231 mg, 95% 수율)을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Figure pat01266
단계 6:
Figure pat01267
단계 5로부터의 순수한 물질 (80 mg, 0.146 mmol), 및 페닐보론산 (0.0178 g, 0.146 mmol)을 DMF (2 mL) 중에 용매화시켰다. 상기 용액을 질소 대기하에 정치시키고, 2M 수성 Na2CO3 (0.146 mL, 0.292 mmol)를 첨가하였다. 5몰 퍼센트의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0) (8.44 mg, 0.0073 mmol)을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퍼스날 케미스트리 엠리스 옵티마이저 (Personal Chemistry Emrys Optimizer)를 이용하여 마이크로웨이브로 140℃에서 50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완료시 팔라듐 블랙이 침전되었다. 상기 혼합물을 1N HCl 1 당량으로 산성화시키고, 시린지를 통해 여과하고, MeOH를 사용하여 생성물을 추출하였다. 상기 생성물을 정제용 HPLC (컬럼 - 4 엑스테라 S5 30 x 75 mm, 용매 - 70% A/30% B-30% A/70% B (여기서, 용매 A는 10% MeOH, 90% H2O, 0.1% TFA이고, 용매 B는 90% MeOH, 10% H2O, 0.1% TFA임), 구배 시간 - 15분, 유지 시간 - 1분, 유속 - 40 mL/분, 순수한 생성물의 체류 시간 - 10.45 내지 11.37)로 정제하였다. 원하는 생성물을 함유한 분획물을 1N NaOH로 중화시키고, 약 4시간 동안 고속 진공기에 위치시켰다. 상기 분획물을 합하고, pH 4.0 완충액 (15 mL)을 첨가하였다. 1N HCl를 사용하여 pH를 pH 4 내지 5로 조정하고, 수성 층을 에틸 아세테이트 (3 x 2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염수 (15 mL)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하였다. 생성물을 건조시키기 위해 오일 펌프 상에 밤새 정치시켜 점성 오일 (37 mg, 50%)을 수득하였다.
LC/MS 체류 시간 (분) (MH+): 2.37 (499.3) (방법 A).
단계 7:
실시예 411, 단계 6으로부터의 생성물 (36.7 mg, 0.061 mmol)을 DCM (4 mL) 중에 용해시키고, 시클로프로판술폰산(1 (R)-아미노-2 (S)-비닐시클로프로판카르보닐)-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염 (실시예 1, 단계 8) (0.0164 g, 0.161 mmol)을 첨가하였다. DIPEA (0.0534 mL, 0.307 mmol), 및 이어서 HATU (0.0326, 0.0858 mmol)를 질소 대기하에서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부피를 증가시키기 위해 10 mL DCM을 상기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을 pH 4.00 완충 용액 (10 mL)으로 켄칭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1N HCl을 사용하여 pH 4 내지 5로 산성화시키고, 수성 상을 DCM (3 x 15 mL)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pH 4.00 완충 용액 (10 mL) 및 염수 (10 mL)로 2회 세척하고, 이어서 MgSO4로 건조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진공하에서 농축하고, 비오티지 12 M 컬럼 (헥산 중의 아세톤 20%-40%로 용출시킴)으로 정제하였다. 상기 정제를 수행하여 백색 분말로서 순수한 화합물 411 (7 mg, 15%)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268
실시예 412: 화합물 412의 제조
Figure pat01269
단계 1:
Figure pat01270
실시예 411, 단계 5로부터의 생성물 (80 mg, 0.146 mmol)을 DMF (2 mL) 중에 용매화시키고, 2-티오펜보론산 (0.028 g, 0.219 mmol)을 상기 용액에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질소 대기하에 정치시키고, 2M 수성 Na2CO3 (0.146 mL, 0.292 mmol) 및 5몰 퍼센트의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0) (8.44 mg, 0.0073 mmol)을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퍼스날 케미스트리 엠리스 옵티마이저를 이용하여 마이크로웨이브로 150℃에서 30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완료시 팔라듐 블랙이 침전되었다. 상기 혼합물을 1N HCl 1 당량으로 산성화시키고, 시린지를 통해 여과하고, MeOH를 사용하여 생성물을 추출하였다. 상기 생성물을 정제용 HPLC (컬럼 - 4 엑스테라 S5 30 x 75 mm, 용매 - 70% A/30% B-30% A/70% B (여기서, 용매 A는 10% MeOH, 90% H2O, 0.1% TFA이고, 용매 B는 90% MeOH, 10% H2O, 0.1% TFA임), 구배 시간 - 15분, 유지 시간 - 1분, 유속 - 40 mL/분, 순수한 생성물의 체류 시간 - 10.45 내지 11.37)로 정제하였다. 원하는 생성물을 함유한 분획물을 1N NaOH로 중화시키고, 약 4시간 동안 고속 진공기에 위치시켰다. 상기 분획물을 합하고, pH 4.0 완충액 (15 mL)을 첨가하였다. 1N HCl를 사용하여 pH를 pH 4 내지 5로 조정하고, 수성 층을 에틸 아세테이트 (3 x 2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염수 (15 mL)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하였다. 상기 생성물을 건조시키기 위해 오일 펌프 상에 밤새 정치시켜 오일성 액체 (37 mg, 50%)를 수득하였다.
LC/MS 체류 시간 (분) (MH+): 2.37 (499.3) (방법 A).
단계 2:
실시예 412, 단계 1으로부터의 생성물 (39 mg, 0.0773 mmol)을 DCM (4 mL) 중에 용해시키고, 시클로프로판술폰산(1 (R)-아미노-2 (S)-비닐시클로프로판카르보닐)-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염 (실시예 1, 단계 8) (0.0206 g, 0.0773 mmol)을 첨가하였다. DIPEA (0.015 mL, 0.387 mmol), 및 이어서 HATU (0.0411 g, 0.108 mmol)를 질소 대기하에서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부피를 증가시키기 위해 10 mL DCM을 상기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을 pH 4.00 완충 용액 (10 mL)으로 켄칭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1N HCl을 사용하여 pH 4 내지 5로 산성화시키고, 수성 상을 DCM (3 x 15 mL)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pH 4.00 완충 용액 (10 mL) 및 염수 (10 mL)로 2회 세척하고, 이어서 MgSO4로 건조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진공하에서 농축하고, 비오티지 12 M 컬럼 (헥산 중의 아세톤 20%-50%로 용출시킴)으로 정제하였다. 상기 정제를 수행하여 백색 분말로서 순수한 화합물 412 (4 mg, 7%)를 수득하였다.
Figure pat01271
실시예 413: 화합물 413의 제조
Figure pat01272
단계 1:
Figure pat01273
2-브로모-6-클로로피리딘 (3.0 g, 15.55 mmol) 및 페닐보론산 (1.896 g, 15.55 mmol)을 EtOH, 톨루엔 및 물 (2:1:1; 120 mL)의 혼합물 중에 용매화시켰다. 수성 1M Na2CO3 (15.55 mL, 31.10 mmol) 및 5몰 퍼센트의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0.896 g, 0.775 mmol)을 질소 대기하에서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90℃에서 1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물 (20 mL)을 첨가하여 상기 반응을 켄칭시키고, 수성 층을 디에틸 에테르 (4 x 25 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이어서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하였다. 조 혼합물을 비오티지 40S 컬럼 (헥산 중의 에틸 아세테이트 2%-10%로 용출시킴)으로 정제하여 순수한 표제 화합물 (1.45 g, 74%)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274
단계 2:
Figure pat01275
TFA (20 mL)를 단계 1에서 수득한 순수한 고체 (3.27 g, 17.24 mmol)에 첨가하였다. H2O2 (5.55 mL, 48.9 mmol)의 30% 용액을 교반되는 용액에 질소 대기하에서 천천히 적가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100℃에서 3시간 동안 환류 가열하고, H2O2 (2.27 mL, 25 mmol)의 추가 0.5 당량을 상기 용액에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100℃에서 2시간 동안 교반을 지속하였다. 플라스크를 실온으로 냉각시킨 다음, 상기 용액을 진공하에서 본래 부피의 약 절반으로 농축하였다. 물 (40 mL)을 첨가하여 상기 반응을 켄칭시키고, 수성 층을 에틸 아세테이트 (5 x 3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염수 (20 mL)로 1회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하였다. 조 생성물을 비오티지 40 M 컬럼 (헥산 중의 에틸 아세테이트 10%-75%로 용출시킴)으로 정제하여 담황색 액체 (0.81 g, 23%)를 수득하였다. 또한, 순수한 출발 물질 (1.895 g, 58%)을 추후 사용을 위해 회수하였다.
Figure pat01276
단계 3:
Figure pat01277
단계 2로부터의 정제된 생성물 (0.81 g, 3.94 mmol)을 SOCl2 (25 mL) 용액에 첨가하고, 6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완료를 촉진하기 위해 온도를 80℃로 상승시키고, 이를 추가 30분 동안 가열하였다. 상기 용액을 진공하에서 농축하고, 얼음으로 조심스럽게 켄칭시켰다. 플라스크를 빙조 중에 유지하면서 10N NaOH를 사용하여 pH를 pH 4 내지 5로 조정하였다. 수성 상을 에테르 (4 x 25 mL)로 추출하고, 유기 층을 염수 (20 mL)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하였다. 조 황색 액체를 비오티지 40S 컬럼 (헥산 중의 에틸 아세테이트 2%-10%)으로 정제하였다. 담황색, 점성 액체 (538 mg, 61%)를 수득하였다.
Figure pat01278
단계 4:
Figure pat01279
DMSO (4 ml) 중의 Boc-L-히드록시프롤린 (555 mg, 2.40 mmol)의 용액에 KOtBu (0.619 g, 5.52 mmol)를 질소 대기하에서 첨가하였다. 상기 현탁액을 실온에서 45분 동안 교반하고, 2,4-디클로로-6-페닐-피리딘 (단계 3에서 정제됨) (538 mg, 2.40 mmol)을 2회 분할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HCl (1N) 1.3 당량을 사용하여 반응물을 중화시켰다. pH 4.0의 완충 용액을 첨가하고, pH를 pH 4 내지 5로 조정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3 x 25 mL)를 사용하여 수성 상을 추출하고, 유기 상을 염수 (20 mL)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켜 백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 (조 수율 = 962 mg)을 수득하였다. 조 생성물을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LC/MS 체류 시간 (분) (MH+) : 2.55 (419.27) (방법 A).
단계 5:
Figure pat01280
THF (10 mL) 및 메탄올 (10 mL) 중의 단계 4로부터의 조 생성물 (추정치 2.4 mmol)의 용액을 0℃로 냉각시켰다. 상기 용액으로부터 기체가 더 이상 방출되지 않을 때까지, 헥산 중의 TMSCN2 2M (~ 1.3 당량)을 교반되는 용액에 질소 대기하에서 천천히 첨가하였다. 완전히 반응된 용액을 이어서 진공하에서 농축하고, 비오티지 25S 컬럼 (헥산 중의 에틸 아세테이트 10%-50%로 용출시킴)으로 정제하여 백색 발포체로서 순수한 표제 화합물 (503 mg, 단계 4d-4e를 거쳐 48%)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281
단계 6:
Figure pat01282
DCM (2.5 mL) 및 TFA (3.58 mL) 중의 단계 5로부터의 순수한 생성물의 용액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하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을 디에틸 에테르 (6 mL) 중의 1N HCl에 현탁시키고, 완만하게 교반하고, 진공하에서 농축하였다. 상기 절차를 반복하고, 생성된 생성물을 오일 펌프 상에 정치시켜 정량적 수율로 백색 고체를 수득하였다. 조 생성물을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단계 7:
Figure pat01283
단계 6으로부터의 생성물 (추정되는 정량적 수율, 1.83 mmol)을 DCM (11 mL) 중의 BOC-t-부틸-L-글리신 (0.424 g, 1.83 mmol)의 용액에 질소 대기하에서 첨가하였다. 상기 단계에 이어서, HOBt (0.272 g, 2.02 mmol), DIPEA (2.23 mL, 12.82 mmol), 및 HBTU (1.04 g, 2.75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부피를 증가시키기 위해 15 mL DCM을 상기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을 pH 4.00 완충 용액 (15 mL)으로 켄칭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1N HCl을 사용하여 pH 4.5로 산성화시키고, 수성 상을 DCM (3 x 20 mL)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pH 4.00 완충 용액 (20 mL), 포화 NaOH (25 mL), 및 염수 (20 mL)로 2회 세척하고, 이어서 MgSO4로 건조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진공하에서 농축하고, 비오티지 40S 컬럼 (헥산 중의 에틸 아세테이트 20%-50%로 용출시킴)으로 정제하였다. 상기 정제를 수행하여 백색 고체로서 순수한 표제 화합물 (454 mg, 53%)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284
단계 8:
Figure pat01285
LiOH (0.0233 g, 0.973 mmol)를 가열하고 초음파 처리함으로써 물 (10 mL) 중에 용해시켰다. 상기 LiOH 용액을 THF (10 mL) 중의 단계 7로부터의 순수한 물질 (483 mg, 0.885 mmol)의 용액에 첨가하자, 즉시 상기 혼합물은 연복숭아색으로 바뀌었다. 상기 반응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1N HCl (0.973 mL, 0.974 mmol)로 산성화시켰다. 반응을 pH 4.00 완충 용액으로 켄칭시키고, pH를 pH 4 내지 5로 조정하였다. 수성 층을 EtOAc (3 x 20 mL)로 추출하고, 염수 (15 mL)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켰다. 여과한 용액을 진공하에서 농축하고, 진공 라인 상에 밤새 정치시켰다. 조 생성물 (480 mg, >95% 수율)을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Figure pat01286
단계 9:
Figure pat01287
단계 8로부터의 디펩티드 (100 mg, 0.188 mmol) 및 2-티오펜보론산 (0.0481 g, 0.376 mmol)을 DMF (2 mL) 중에 용매화시켰다. 상기 용액을 질소 대기하에 정치시키고, 2M 수성 KF (0.282 mL, 0.376 mmol)을 첨가하였다. 5몰 퍼센트의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0) (0.011 mg, 0.0094 mmol)을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퍼스날 케미스트리 엠리스 옵티마이저를 이용하여 마이크로웨이브로 150℃에서 30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완료시 팔라듐 블랙이 침전되었다. 상기 혼합물을 1N HCl 1 당량으로 산성화시키고, 시린지를 통해 여과하고, MeOH를 사용하여 생성물을 추출하였다. 상기 생성물을 정제용 HPLC (컬럼 - 4 엑스테라 S5 30 x 75 mm, 용매 - 85% A/15% B-10% A/90% B (여기서, 용매 A는 10% MeOH, 90% H2O, 0.1% TFA이고, 용매 B는 90% MeOH, 10% H2O, 0.1% TFA임), 구배 시간 - 15분, 유지 시간 - 1분, 유속 - 40 mL/분, 순수한 생성물의 체류 시간 - 16.23)로 정제하였다. 원하는 생성물을 함유한 분획물을 1N NaOH로 중화시키고, 약 2시간 동안 고속 진공기에 위치시켰다. 상기 분획물을 합하고, pH 4.0 완충액 (15 mL)을 첨가하였다. 1N HCl를 사용하여 pH를 pH 4 내지 5로 조정하고, 수성 층을 에틸 아세테이트 (3 x 2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염수 (15 mL)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하였다. 상기 생성물을 건조시키기 위해 오일 펌프 상에 밤새 정치시켜 담황색 오일 (44 mg, 40%)을 수득하였다.
LC/MS 체류 시간 (분) (MH+): 2.7 (580.54) (방법 A).
단계 10:
실시예 413, 단계 9로부터의 생성물 (43 mg, 0.0742 mmol)을 DCM (2 mL) 중에 용해시키고, 시클로프로판술폰산 (1 (R)-아미노-2 (S)-비닐-시클로프로판카르보닐)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염 (실시예 1, 단계 8) (0.0198 g, 0.0742 mmol)을 첨가하였다. DIPEA (0.0646 mL, 0.371 mmol), 및 이어서 HATU (0.039 g, 0.0104 mmol)를 질소 대기하에서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실온에서 약 4.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부피를 증가시키기 위해 10 mL DCM을 상기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을 pH 4.00 완충 용액 (10 mL)으로 켄칭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1N HCl을 사용하여 pH 4 내지 5로 산성화시키고, 수성 상을 DCM (3 x 15 mL)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pH 4.00 완충 용액 (10 mL) 및 염수 (10 mL)로 2회 세척하고, 이어서 MgSO4로 건조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진공하에서 농축하고, 비오티지 12S 컬럼 (헥산 중의 아세톤 10%-50%로 용출시킴)으로 정제하였다. 상기 화합물을 단리하고, 정제용 HPLC (컬럼 - YMS ODS-A 20 x 50 mm s5, 용매 - 60% A/40% B-10% A/90% B (여기서, 용매 A는 10% MeOH, 90% H2O, 0.1% TFA이고, 용매 B는 90% MeOH, 10% H2O, 0.1% TFA임), 구배 시간 - 8분, 유지 시간 - 2분, 유속 - 25 mL/분, 순수한 생성물의 체류 시간 - 8.702)로 재정제하였다. 상기 정제를 수행하여 연오렌지색 오일로서 순수한 화합물 413 (22.3 mg, 38%)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288
실시예 414: 화합물 414의 제조
Figure pat01289
단계 1:
Figure pat01290
실시예 413, 단계 8로부터의 순수한 물질 (100 mg, 0.188 mmol) 및 4-메톡시페닐보론산 (0.0429 g, 0.282 mmol)을 DMF (2.5 mL) 중에 용매화시켰다. 상기 용액을 질소 대기하에 정치시키고, 2M 수성 Na2CO3 (0.188 mL, 0.376 mmol)를 첨가하였다. 5몰 퍼센트의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0) (0.011 mg, 0.0094 mmol)을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퍼스날 케미스트리 엠리스 옵티마이저를 이용하여 마이크로웨이브로 150℃에서 30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완료시 팔라듐 블랙이 침전되었다. 상기 혼합물을 1N HCl 1 당량으로 산성화시키고, 시린지를 통해 여과하고, MeOH를 사용하여 생성물을 추출하였다. 상기 생성물을 정제용 HPLC (컬럼 - 엑스테라 MS C18 5 um 30 x 50 mm, 용매 - 90% A/10% B-10% A/90% B (여기서, 용매 A는 10% MeOH, 90% H2O, 0.1% TFA이고, 용매 B는 90% MeOH, 10% H2O, 0.1% TFA임), 구배 시간 - 15분, 유지 시간 - 1분, 유속 - 45 mL/분, 순수한 생성물의 체류 시간 - 13.72)로 정제하였다. 원하는 생성물을 함유한 분획물을 1N NaOH로 중화시키고, 약 2시간 동안 고속 진공기에 위치시켰다. 상기 분획물을 합하고, pH 4.0 완충액 (15 mL)을 첨가하였다. 1N HCl를 사용하여 pH를 pH 4 내지 5로 조정하고, 수성 층을 에틸 아세테이트 (3 x 2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염수 (15 mL)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하였다. 상기 생성물을 건조시키기 위해 오일 펌프 상에 밤새 정치시켜 점성 오일 (44 mg, 50%)을 수득하였다.
LC/MS 체류 시간 (분) (MH+): 2.23 (604.61) (방법 A).
단계 2:
실시예 414, 단계 1로부터의 생성물 (43 mg, 0.0712 mmol)을 DCM (2 mL) 중에 용해시키고, 시클로프로판술폰산 (1 (R)-아미노-2 (S)-비닐-시클로프로판카르보닐)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염 (실시예 1, 단계 8) (0.01899 g, 0.0712 mmol)을 첨가하였다. DIPEA (0.062 mL, 0.356 mmol), 및 이어서 HATU (0.038 g, 0.0997 mmol)를 질소 대기하에서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실온에서 약 4.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부피를 증가시키기 위해 10 mL DCM을 상기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을 pH 4.00 완충 용액 (10 mL)으로 켄칭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1N HCl을 사용하여 pH 4 내지 5로 산성화시키고, 수성 상을 DCM (3 x 15 mL)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pH 4.00 완충 용액 (10 mL) 및 염수 (10 mL)로 2회 세척하고, 이어서 MgSO4로 건조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진공하에서 농축하고, 비오티지 12S 컬럼 (헥산 중의 아세톤 20%-50%로 용출시킴)으로 정제하였다. 상기 화합물을 단리하고, 정제용 HPLC (컬럼 - YMS ODS-A 20 x 50 mm s5, 용매 - 60% A/40% B-10% A/90% B (여기서, 용매 A는 10% MeOH, 90% H2O, 0.1% TFA이고, 용매 B는 90% MeOH, 10% H2O, 0.1% TFA임), 구배 시간 - 10분, 유지 시간 - 2분, 유속 - 25 mL/분, 순수한 생성물의 체류 시간 - 7.43 내지 8.24)로 재정제하였다. 상기 정제를 수행하여 연오렌지색 오일로서 순수한 화합물 414 (19.4 mg, 34%)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291
실시예 415: 화합물 415의 제조
Figure pat01292
단계 1:
Figure pat01293
실시예 413, 단계 8로부터의 디펩티드 (174 mg, 0.327 mmol) 및 페닐보론산 (0.06 g, 0.491 mmol)을 DMF (4 mL) 중에 용매화시켰다. 상기 용액을 질소 대기하에 정치시키고, 2M 수성 NaCO3 (0.33 mL, 0.654 mmol)을 첨가하였다. 5몰 퍼센트의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0) (0.019 mg, 0.0164 mmol)을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퍼스날 케미스트리 엠리스 옵티마이저를 이용하여 마이크로웨이브로 150℃에서 30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완료시 팔라듐 블랙이 침전되었다. 상기 혼합물을 1N HCl 1 당량으로 산성화시키고, 시린지를 통해 여과하고, MeOH를 사용하여 생성물을 추출하였다. 상기 생성물을 정제용 HPLC (컬럼 - 5 엑스테라 c-18 5 um 30 x 100 mm, 용매 - 80% A/20% B-0% A/100% B (여기서, 용매 A는 10% MeOH, 90% H2O, 0.1% TFA이고, 용매 B는 90% MeOH, 10% H2O, 0.1% TFA임), 구배 시간 - 20분, 유지 시간 - 1분, 유속 - 40 mL/분, 순수한 생성물의 체류 시간 - 11.28 내지 11.72)로 정제하였다. 원하는 생성물을 함유한 분획물을 1N NaOH로 중화시키고, 약 2시간 동안 고속 진공기에 위치시켰다. 상기 분획물을 합하고, pH 4.0 완충액 (15 mL)을 첨가하였다. 1N HCl를 사용하여 pH를 pH 4 내지 5로 조정하고, 수성 층을 에틸 아세테이트 (4 x 15 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염수 (15 mL)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하였다. 상기 생성물을 건조시키기 위해 오일 펌프 상에 밤새 정치시켰다 (31.5 mg, 17%).
LC/MS 체류 시간 (분) (MH+): 2.54 (574.37) (방법 A).
단계 2:
실시예 415, 단계 1로부터의 생성물 (31.5 mg, 0.055 mmol)을 DCM (3 mL) 중에 용해시키고, 시클로프로판술폰산 (1 (R)-아미노-2 (S)-비닐-시클로프로판카르보닐)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염 (실시예 1, 단계 8) (0.0147 g, 0.055 mmol)을 첨가하였다. DIPEA (0.048 mL, 0.275 mmol), 및 이어서 HATU (0.029 g, 0.077 mmol)를 질소 대기하에서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실온에서 약 3.5시간 동안 교반하고, 추가 0.3 당량의 시클로프로판술폰산 (1 (R)-아미노-2 (S)-비닐-시클로프로판카르보닐)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을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8시간 이상 동안 교반하였다. 부피를 증가시키기 위해 10 mL DCM을 상기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을 pH 4.00 완충 용액 (10 mL)으로 켄칭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1N HCl을 사용하여 pH 4 내지 5로 산성화시키고, 수성 상을 DCM (4 x 10 mL)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pH 4.00 완충 용액 (10 mL) 및 염수 (10 mL)로 2회 세척하고, 이어서 MgSO4로 건조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진공하에서 농축하고, 정제용 HPLC (컬럼 - YMS ODS-A 30 x 50 mm, 용매 - 80% A/20% B-10% A/90% B (여기서, 용매 A는 10% MeOH, 90% H2O, 0.1% TFA이고, 용매 B는 90% MeOH, 10% H2O, 0.1% TFA임), 구배 시간 - 20분, 유지 시간 - 3분, 유속 - 30 mL/분, 순수한 생성물의 체류 시간 - 19.6)로 정제하였다. 상기 정제로는 순수한 화합물이 수득되지 않아서 비오티지 12S 컬럼 (헥산 중의 아세톤 10%-50%으로 용출시킴)으로 재정제하였다. 상기 정제를 수행하여 연오렌지색 오일로서 순수한 표제 화합물 (22.3 mg, 38%)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294
단락 J:
단락 J에서 이용된 LC/MS 방법은 하기와 같다.:
컬럼: 방법 A: YMC ODS-A C18 S7 (4.6 x 33 mm)
방법 B: YMC 엑스테라 ODS S7 (3.0 x50 mm)
방법 C: 엑스테라 ms C18 (4.6 x33 mm)
방법 D: YMC ODS-A C18 S3 (4.6 x 33 mm)
구배: 100% 용매 A/0% 용매 B에서 0% 용매 A/100% 용매 B로
구배 시간: 3분
유지 시간: 1분
유속: 5 mL/분
검출기 파장: 220 nm.
용매: 용매 A: 10% MeOH/90% 물/0.1% TFA. 용매 B: 90% MeOH/10% 물/0.1% TFA.
실시예 420: 화합물 420의 제조
Figure pat01295
단계1 :
THF (150 mL) 중의 PPh3 (16.8 g, 63.9 mmol) 용액에 DEAD (10.1 mL, 63.9 mmol)를 적가하고, 상기 용액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THF (50 mL) 중의 Boc-시스-(L)-Hyp-OMe (10.5 g, 42.6 mmol) 용액, 이어서 5-브로모-피리딘-3-올 (문헌 [F.E. Ziegler et al., J. Am. Chem. Soc., (1973), 95, 7458]에 따라 제조됨) (8.90 g, 51.1 mmol)을 천천히 분할하여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45℃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용액을 진공하에서 농축하고, 잔류물을 디에틸 에테르 (200 mL)와 1N NaOH (50 mL) 사이에 분배시켰다. 유기 상을 건조시키고 (MgSO4), 에테르계 용액을 여과 후에 그의 부피의 절반으로 농축하였다.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다. 여액을 진공하에서 농축하고, 비오티지 65 M 컬럼 (헥산-EtOAc 2:1, 3:2, 1:1로 용출시킴)으로 정제하여 적색 오일로서 표제 화합물 (11.9 g, 69%)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296
단계 2:
단계 1로부터의 생성물 (2.34 g, 5.83 mmol)을 DCM (20 mL) 및 TFA (18 mL, 0.23 mol) 중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휘발 물질을 진공하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을 EtOAc와 물 사이에 분배시켰다. 유기 상을 1N HCl (25 mL)로 추출하고, 합한 수성 추출물을 포화 NaHCO3 (40 mL)로 중화시켰다. 수성 상을 EtOAc (2회)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MgSO4) 무색 오일로서 표제 화합물 (1.02 g, 58%, 유리 염기)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297
단계 3:
DCM (15 mL) 중의 단계 2의 생성물 (1.02 g, 3.39 mmol), N-BOC-L-tert- 류신 (862 mg, 3.73 mmol), 및 HOBt (458 mg, 3.39 mmol)의 현탁액에 DIPEA (2.36 mL, 13.6 mmol), 이어서 HBTU (1.61 g, 4.24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고, DCM 및 완충액 pH 4, 및 pH를 4 내지 5로 조정하기 위한 소정의 1N HCl로 켄칭시켰다. 유기 상을 완충액 pH 4, 포화 NaHCO3 (2회),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 (MgSO4). 비오티지 40 M 컬럼 (헥산-EtOAc 3:2, 1:1로 용출시킴)을 이용하여 정제함으로써 백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 (1.48 g, 85%)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298
단계 4:
톨루엔 (2 mL) 중의 단계 3의 생성물, Pd(PPh3)4 (6.6 mg, 0.00573 mmol), 2M 수성 Na2CO3 (0.191 mL, 0.381 mmol)의 혼합물에 메탄올 (0.1 mL) 중의 페닐 보론산 (29 mg, 0.24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상기 용액을 질소하에 85℃에서 6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에 상기 혼합물을 완충액 pH 4로 켄칭시키고, EtOAc (2 x 10 mL)로 추출하고, 건조시켰다 (Na2SO4). 비오티지 12 M 컬럼 (헥산-EtOAc 2:3으로 용출시킴)을 이용하여 정제함으로써 무색 오일로서 표제 화합물 (72 mg, 74%)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299
단계 5:
THF (2 mL) 및 메탄올 (2mL) 중의 단계 4로부터의 생성물 (150 mg, 0.293 mmol) 용액에 물 (2 mL) 중의 LiOH (14 mg, 0.59 mmol)를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pH가 중성이 될때까지 1N HCl로 켄칭시켰다. 유기 휘발 물질을 진공하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에 완충액 pH 4를 첨가하였다. 상기 생성물을 EtOAc (3 x 10 mL)로 추출하고, 염수/완충액 pH 4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MgSO4), 펜탄으로부터 연화처리한 후에 백색 고체로서 정량적 수율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300
단계 6:
DCM (2 mL) 중의 단계 5의 생성물 (93 mg, 0.19 mmol), 실시예 1, 단계 8로부터의 생성물 (50 mg, 0.19 mmol)의 현탁액에 DIPEA (0.163 mL, 0.935 mmol), 이어서 HBTU (92 mg, 0.243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고, DCM 및 완충액 pH 4, 및 pH를 4 내지 5로 조정하기 위한 소정의 1N HCl로 켄칭시켰다. 상기 층을 분리하고, 수성 상을 DCM (10 mL)로 추출하고, 건조시켰다 (Na2SO4). 비오티지 12 M 컬럼 (헥산-아세톤 20-60%로 용출시킴)을 이용하여 정제함으로써 백색 분말로서 표제 화합물 (65 mg, 49%)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301
실시예 421: 화합물 421의 제조
Figure pat01302
Figure pat01303
단계 1:
차가운 (-5℃) 48% HBr 수용액 (35 mL)에 4-클로로-피리딘-2-일아민 (4.18 g, 32.5 mmol; 문헌 [K.S. Gudmundsson et al; Synth. Commun. (1997), 27, 861]에 따라 제조됨)을 첨가하고, 이어서 브롬 (6.7 mL, 0.13 mol)을 천천히 첨가하였다. 20분 후에, 물 (40 mL) 중의 아질산나트륨 (8.63 g, 0.125 mol)을 동일 온도에서 첨가하고, 30분 동안 교반을 지속하였다. 상기 반응을 10N NaOH (약 40 mL)로 알칼리 pH로 조정하면서 빙냉하에서 켄칭시켰다. 상기 생성물을 EtOAc (2 x 100 mL)로 추출하고, 건조시켰다 (Na2SO4). 조 물질을 비오티지 40 M 컬럼 (헥산 중의 10% EtOAc로 용출시킴)을 이용하여 정제함으로써 정치시 고체화되는 무색 오일로서 표제 화합물 (2.50 g, 40%)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304
단계 2:
DMSO (30 mL) 중의 N-BOC-트랜스-L-Hyp-OH (3.22 g, 13.9 mmol)의 용액에 칼륨 tert.부톡시드 (3.90 g, 34.8 mmol)을 질소 대기하 실온에서 분할 첨가하였다. 1.5시간 후에, 단계 1의 생성물을 DMSO (5 mL) 중에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고, 물 (150 mL)로 켄칭시켰다. 상기 용액을 EtOAc (100 mL)로 세척하였다. 수성 상을 1N HCl로 pH 4로 산성화시켰다. 조 카르복실산을 EtOAc (3회)로 추출하고, 건조시켰다 (MgSO4). 갈색 고체로서의 잔류물을 THF (20 mL) 및 MeOH (20 mL) 중에 현탁시키고, 0℃로 냉각시켰다. 트리메틸실릴 디아조메탄 (헥산 중의 2M, 12 mL) 용액을 적가하고, 15분 후에 상기 용액을 진공하에서 농축하였다. 비오티지 40 M 컬럼 (헥산-EtOAc 2:1, 1:1로 용출시킴)을 이용하여 정제함으로써 회백색 분말로서 표제 화합물 (3.47 g, 62%)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305
단계 3:
단계 2의 생성물 (2.00 g, 4.98 mmol)을 디옥산 (10 mL) 중의 4N HCl 및 디에틸 에테르 (40 mL) 중의 1N HCl에 현탁시키고,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을 진공하에서 농축하고, 잔류물을 펜탄으로부터 연화처리하여 백색 분말로서 정량적 수율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체류 시간 (분) (MH+): 0.24 (301, 303) (방법 B).
단계 4:
DCM (25 mL) 중의 단계 3의 생성물 (추정치 4.98 mmol), N-시클로펜틸옥시카르보닐-L-tert-류신 (1.24 g, 5.10 mmol), 및 HOBt (673 mg, 4.98 mmol)의 현탁액에 DIPEA (4.34 mL, 24.9 mmol), 이어서 HBTU (2.36 g, 6.23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고, DCM 및 완충액 pH 4, 및 pH를 4로 조정하기 위한 10 mL 1N HCl로 켄칭시켰다. 수성 상을 DCM (2회)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포화 NaHCO3 (2회),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 (MgSO4). 비오티지 40 M 컬럼 (헥산-EtOAc 3:2, 1:1으로 용출시킴)을 이용하여 정제함으로써 백색 발포체로서 표제 화합물 (2.09 g, 80%)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306
단계 5:
THF (2 mL) 및 메탄올 (2 mL) 중의 단계 4의 생성물 (206 mg, 0.391 mmol)의 용액에 물 (2 mL) 중의 LiOH (28 mg, 1.2 mmol)를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pH가 중성이 될 때까지 1N HCl로 켄칭시켰다. 유기 휘발 물질을 진공하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에 완충액 pH 4를 첨가하였다. 생성물을 EtOAc (2 x 20 mL)로 추출하고, 건조시키고 (MgSO4), 백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 (196 mg, 100%)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307
단계 6:
실시예 421, 단계 5의 생성물로부터 출발하여, 상기 생성물 (체류 시간 20시간)을 실시예 420, 단계 4에 따라 20% 수율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1308
단계 7:
실시예 421, 단계 6의 생성물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420, 단계 6에 따라 화합물 421을 68% 수율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1309
실시예 422: 화합물 422의 제조
Figure pat01310
단계 1:
Figure pat01311
톨루엔 (2 mL) 중의 실시예 420, 단계 3의 생성물 (102 mg, 0.198 mmol) 및 Pd(PPh3)4 (23 mg, 0.0198 mmol)의 혼합물에 4-트리부틸스탄나닐-피리딘 (87 mg, 0.24 mmol)을 첨가하였다. 상기 용액을 질소하에 105℃에서 20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에, 상기 혼합물을 포화 NaHCO3로 켄칭시키고, EtOAc (2 x 10 mL)로 추출하고, 건조시켰다 (Na2SO4). 비오티지 12 M 컬럼 (구배 헥산-아세톤 20-60%으로 용출시킴)을 이용하여 정제함으로써 백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 (49 mg, 49%)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312
단계 2:
Figure pat01313
실시예 422, 단계 1로부터의 생성물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을 정량적 수율로 실시예 420, 단계 5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1314
단계 3:
실시예 422, 단계 2로부터의 생성물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화합물 422를 51% 수율로 실시예 420, 단계 6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1315
실시예 423: 화합물 423의 제조
Figure pat01316
단계 1:
Figure pat01317
THF (5 mL) 및 메탄올 (5 mL) 중의 실시예 420, 단계 3의 생성물 (1.00 g, 1.94 mmol)의 용액에 물 (5 mL) 중의 LiOH (140 mg, 5.83 mmol)를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pH가 중성이 될 때까지 1N HCl로 켄칭시켰다. 유기 휘발 물질을 진공하에서 제거하고, 완충액 pH 4를 첨가하고, 상기 생성물을 EtOAc (3 x 25 mL)로 추출하고, 건조시켜 (MgSO4), 백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 (1.0 g, 100%)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318
단계 2:
실시예 423, 단계 1 및 실시예 8, 단계 3의 생성물 (라세미체 P1, (1R, 2S) 및 (1S, 2R))로부터 출발하여, 화합물 423을 실시예 420, 단계 6에 따라 52% 수율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1319
실시예 424: 화합물 424의 제조
Figure pat01320
단계 1:
Figure pat01321
DMF (2 mL) 중의 실시예 423, 단계 1의 생성물 (91 mg, 0.18 mmol), Pd(PPh3)4 (10.5 mg, 0.0091 mmol), 및 3-푸릴 보론산 (25.4 mg, 0.227 mmol)의 용액에 2M 수성 Na2CO3 (0.273 mL, 0.546 mmol)를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질소하에 110℃에서 2.5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고체를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액을 진공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정제용 HPLC (구배 30-80% B)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 (64 mg, 72%)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322
단계 2:
실시예 424, 단계 1의 생성물로부터 출발하여, 화합물 424를 실시예 420, 단계 6에 따라 55% 수율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1323
실시예 425: 화합물 425의 제조
Figure pat01324
실시예 421, 단계 5의 생성물로부터 출발하여, 화합물 425를 실시예 421, 단계 7에 따라 45% 수율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1325
실시예 426: 화합물 426의 제조
Figure pat01326
단계 1:
Figure pat01327
3-푸라노보론산을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421, 단계 6에 따라 65% 수율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1328
단계 2:
실시예 426, 단계 1의 생성물로부터 출발하여, 화합물 426을 실시예 421, 단계 7에 따라 57% 수율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1329
실시예 427: 화합물 427의 제조
Figure pat01330
단계 1:
Figure pat01331
4-플루오로페닐보론산을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421, 단계 6에 따라 86% 수율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1332
단계 2:
실시예 427, 단계 1의 생성물로부터 출발하여, 화합물 427을 실시예 421, 단계 7에 따라 53% 수율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1333
실시예 428: 화합물 428의 제조
Figure pat01334
단계 1:
Figure pat01335
4-메톡시페닐보론산을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421, 단계 6에 따라 37% 수율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1336
단계 2:
실시예 428, 단계 1의 생성물로부터 출발하여, 화합물 428을 실시예 420, 단계 6에 따라 72% 수율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1337
실시예 429: 화합물 429의 제조
Figure pat01338
단계1 :
Figure pat01339
2-티오펜보론산을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421, 단계 6에 따라 22% 수율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1340
단계 2:
실시예 429, 단계 1의 생성물로부터 출발하여, 화합물 429를 실시예 420, 단계 6에 따라 57% 수율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1341
실시예 430: 화합물 430의 제조
Figure pat01342
단계 1:
Figure pat01343
3-티오펜보론산을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421, 단계 6에 따라 17% 수율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1344
단계 2:
실시예 430, 단계 1의 생성물로부터 출발하여, 화합물 430를 실시예 420, 단계 6에 따라 45% 수율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1345
실시예 431: 화합물 431의 제조
Figure pat01346
단계 1:
Figure pat01347
디옥산 (3 mL) 중의 실시예 421, 단계 5의 생성물 (100 mg, 0.195 mmol) 및 Pd(PPh3)4 (23 mg, 0.0195 mmol)의 혼합물에 2-트리부틸스탄닐티아졸 (95 mg, 0.254 mmol) 및 트리에틸아민 (82 μL, 0.585 mmol)을 첨가하였다. 상기 용액을 질소하에 95℃에서 5시간, 이어서 105℃에서 15시간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상기 혼합물을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정제용 HPLC (구배 30-80% B)로 정제하였다. 합한 분획물을 완충액 pH 4와 디클로로메탄 사이에 분배시켰다. 수성 상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 (MgSO4). 트리부틸스탄닐 잔류물로 상당히 오염된 표제 화합물 (31 mg)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1348
단계 2:
실시예 431, 단계 1의 생성물로부터 출발하여, 화합물 431을 실시예 420, 단계 6에 따라 41% 수율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1349
실시예 432: 화합물 432의 제조
Figure pat01350
단계 1:
Figure pat01351
디옥산 (3 mL) 중의 실시예 423, 단계 1의 생성물 (102 mg, 0.204 mmol) 및 Pd(PPh3)4 (24 mg, 0.0204 mmol)의 혼합물에 2-트리부틸스탄닐티아졸 (99 mg, 0.265 mmol) 및 트리에틸아민 (85 μL, 0.612 mmol)을 첨가하였다. 상기 용액을 질소하에 95℃에서 5시간, 이어서 105℃에서 15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상기 혼합물을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정제용 HPLC (구배 30-80% B)로 정제하였다. 합한 분획물을 농축 암모니아로 중화시키고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완충액 pH 4와 디클로로메탄 사이에 분배시켰다. 수성 상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 (MgSO4). 잔류물을 함유한 트리부틸스탄닐로 상당히 오염된 표제 화합물 (33 mg)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1352
단계 2:
실시예 432, 단계 1의 생성물로부터 출발하여, 화합물 432를 실시예 420, 단계 6에 따라 42% 수율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1353
실시예 433: 화합물 433의 제조
Figure pat01354
단계 1:
Figure pat01355
디옥산 (15 mL) 중의 실시예 420, 단계 3의 생성물 (1.00 g, 1.94 mmol) 및 Pd(PPh3)4 (112 mg, 0.097 mmol)의 혼합물에 트리부틸(1-에톡시비닐)주석 (876 mg, 2.43 mmol)을 첨가하였다. 상기 용액을 질소하에 105℃에서 6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상기 혼합물을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NaHCO3와 에틸 아세테이트 사이에 분배시켰다. 수성 상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 추출물을 5% 수성 KF 및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 (MgSO4). 비오티지 40 M 컬럼 (헥산-EtOAc 40-70%로 용출시킴)을 이용하여 정제함으로써 표제 화합물 (624 mg, 64%)을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1356
단계 2:
Figure pat01357
THF (3 mL) 및 물 (111 μL, 6.18 mmol) 중의 실시예 433, 단계 1의 생성물 (125 mg, 0.247)의 용액에 NBS (44 mg, 0.247 mmol)를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20분 동안 교반한 후, 상기 혼합물을 농축하고, 에틸 아세테이트와 염수 사이에 분배시켰다. 유기 상을 건조시켜 (MgSO4) 중간체 브로모메틸 케톤을 수득하였다. 상기 중간체를 DMF 중에 용해시키고, 티오아세트아미드 (24 mg, 0.321 mmol) 및 NaHCO3 (31 mg, 0.371 mmol)로 처리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하고, 포화 NaHCO3 중에 현탁시켰다. 상기 생성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x)로 추출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 (MgSO4). 비오티지 12 M 컬럼 (헥산-EtOAc 50-70%로 용출시킴)을 이용하여 정제함으로써 담색 오일로서 표제 화합물 (50 mg, 38%)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358
단계 3:
Figure pat01359
실시예 433, 단계 2의 생성물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420, 단계 5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1360
단계 4:
실시예 433, 단계 3의 생성물로부터 출발하여, 화합물 433을 실시예 420, 단계 6에 따라 46% 수율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1361
실시예 434: 화합물 434의 제조
Figure pat01362
단계 1:
Figure pat01363
DMF (6 mL) 중의 실시예 421, 단계 1의 생성물 (300 mg, 1.56 mmol) 및 Pd(PPh3)4 (90 mg, 0.078 mmol)의 용액에 1-메틸-2-(트리부틸스탄닐)-lH-피롤 (750 mg, 2.03 mmol) 및 트리에틸아민 (0.435 mL, 3.12 mmol)을 첨가하였다. 상기 용액을 질소하에 105℃에서 30분 동안 마이크로웨이브 오븐 (엠리스, 퍼스날 케미스트리)에서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상기 혼합물을 디에틸 에테르 및 5% 수성 KF로 희석하고, 여과하였다. 수성 상을 디에틸 에테르로 추출하였다 (2x). 합한 유기 추출물을 5% 수성 KF,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 (MgSO4). 비오티지 25S 컬럼 (구배 헥산-디에틸 에테르 0-5%로 용출시킴)을 이용하여 정제함으로써 무색 오일로서 표제 화합물 (169 mg, 56%)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364
단계 2:
Figure pat01365
실시예 434, 단계 1의 생성물로부터 출발하여,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421, 단계 2에 따라 39% 수율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1366
단계 3:
Figure pat01367
실시예 434, 단계 2의 생성물 (90 mg, 0.22 mmol)을 디클로로메탄 (1.5 mL) 및 TFA (1.0 mL, 9.0 mmol) 중에 용해시켰다. 상기 용액을 실온에서 45분 동안 교반하고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디에틸 에테르(5 mL) 중의 1N HCl로 처리하고 농축하였다. 표제 화합물을 담색 오일로서 정량적 수율로 수득하였다.
LC/MS 체류 시간 (분) (MH+) : 0.32 (302) (방법 B).
단계 4:
Figure pat01368
실시예 434, 단계 3의 생성물로부터 출발하여,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420, 단계 3에 따라 80% 수율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1369
단계 5:
Figure pat01370
THF (1 mL) 및 메탄올 (1 mL) 중의 실시예 434, 단계 4의 생성물 (92 mg, 0.179)의 용액에 물 (1 mL) 중의 LiOH (13 mg, 0.536 mmol)를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고, pH가 중성이 될 때까지 1N HCl로 켄칭시켰다. 유기 휘발 물질을 진공하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을 정제용 HPLC (구배 10-80% B)로 정제하였다. 합한 분획물을 농축 암모니아로 중화시키고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완충액 pH 4와 에틸 아세테이트 사이에 분배시켰다. 수성 상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 (MgSO4). 표제 화합물 (56 mg, 62%)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1371
단계 6:
실시예 434, 단계 5의 생성물로부터 출발하여, 화합물 434를 실시예 420, 단계 6에 따라 68% 수율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1372
실시예 435: 화합물 435의 제조
Figure pat01373
단계 1:
Figure pat01374
2,6-디브로모피리딘으로부터 출발하여, 상기 화합물을 실시예 421, 단계 2에 따라 74% 수율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1375
단계 2:
Figure pat01376
실시예 435, 단계 1로부터 출발하여, 상기 화합물을 실시예 420, 단계 2에 따라 정량적 수율로 제조하였다.
LC/MS 체류 시간 (분) (MH+) : 1.42 (301, 303) (방법 B).
단계 3:
Figure pat01377
실시예 435, 단계 2로부터 출발하여, 상기 화합물을 실시예 420, 단계 3에 따라 96% 수율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1378
단계 3:
Figure pat01379
실시예 435, 단계 2로부터 출발하여, 상기 화합물을 실시예 420, 단계 5에 따라 정량적 수율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1380
단계 4:
Figure pat01381
DMF (2 mL) 및 물 (0.025 mL) 중의 실시예 435, 단계 3의 생성물 (125 mg, 0.250), Pd(PPh3)4 (14.4 mg, 0.0125 mmol), 및 3-푸릴 보론산 (35 mg, 0.313 mmol)의 용액에 Cs2CO3 (244 mg, 0.750 mmol)를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질소하에 105℃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에, 고체를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액을 진공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정제용 HPLC (구배 30-100% B)로 정제하였다. 합한 분획물을 농축 암모니아로 중화시키고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완충액 pH 4와 디클로로메탄 사이에 분배시켰다. 수성 상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 (MgSO4). 표제 화합물 (90 mg, 76%)을 백색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1382
단계 5:
실시예 435, 단계 4의 생성물로부터 출발하여, 화합물 435를 실시예 420, 단계 6에 따라 57% 수율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1383
실시예 436: 화합물 436의 제조
Figure pat01384
단계 1:
Figure pat01385
페닐보론산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화합물을 실시예 435, 단계 4에 따라 73% 수율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1386
단계 2:
실시예 435, 단계 1의 생성물로부터 출발하여, 화합물 436을 실시예 420, 단계 6에 따라 66% 수율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1387
실시예 437: 화합물 437의 제조
Figure pat01388
단계 1:
Figure pat01389
디클로로메탄 (50 mL) 중의 2-브로모-6-메틸-피리딘 (7.65 g, 44.4 mmol)의 용액에 디클로로메탄 (100 mL) 중의 mCPBA (77%, 12.9 g, 57.7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상기 용액을 주변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고체 Na2CO3로 중화시키고, 물을 첨가하였다. 수성 상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2x). 합한 유기 분획물을 5% Na2S2O3, 5% Na2CO3,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 (MgSO4). 비오티지 40 M 컬럼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40-70%로 용출시킴)을 이용하여 정제함으로써 정치시 고체화되는 무색 오일로서 표제 화합물 (5.0 g, 60%)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390
단계 2:
Figure pat01391
DMF (20 mL) 중의 실시예 437, 단계 1의 생성물 (4.5 g, 24 mmol) 용액에 POBr3 (8.2 g, 29 mmol)를 분할 첨가하였다. 강한 발열 반응이 발생하였고, 침전물이 형성되었다. 상기 혼합물을 주변 온도에서 2시간 동안 정치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pH가 중성이 될 때까지 물 및 포화 NaHCO3로 켄칭시켰다. 수성 상을 디에틸 에테르로 추출하였다 (2x). 합한 유기 분획물을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 (MgSO4). 비오티지 40 M 컬럼 (헥산-디에틸 에테르 0-10%로 용출시킴)을 이용하여 정제함으로써 무색 오일로서 표제 화합물 (1.78 g, 30%)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392
단계 3:
Figure pat01393
실시예 437, 단계 1의 생성물로부터 출발하여,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421, 단계 2에 따라 46% 수율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1394
단계 4:
Figure pat01395
실시예 437, 단계 3의 생성물로부터 출발하여,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420, 단계 3에 따라 정량적 수율로 제조하였다.
단계 4 :
Figure pat01396
실시예 437, 단계 3의 생성물로부터 출발하여,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420, 단계 3에 따라 75% 수율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1397
단계 5:
Figure pat01398
실시예 437, 단계 4의 생성물로부터 출발하여,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420, 단계 5에 따라 정량적 수율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1399
단계 6:
Figure pat01400
DMF (2 mL) 중의 실시예 437, 단계 5의 생성물 (101 mg, 0.196), Pd(PPh3)4 (11.3 mg, 0.0098 mmol), 및 페닐 보론산 (34 mg, 0.275 mmol)의 용액에 2M 수성 Na2CO3 (0.294 mL, 0.588 mmol)를 첨가하였다. 튜브를 밀봉하고, 질소하에 150℃에서 15분 동안 마이크로웨이브 오븐 (엠리스, 퍼스날 케미스트리)에서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에, 상기 혼합물을 1N HCl (0.5 mL)로 산성화시켰다. 고체를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액을 진공하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정제용 HPLC (구배 20-80% B)로 정제하였다. 합한 분획물을 농축 암모니아로 중화시키고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완충액 pH 4와 에틸 아세테이트 사이에 분배시켰다. 수성 상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2x),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 (MgSO4). 표제 화합물 (115 mg, >100%)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1401
단계 7:
실시예 437, 단계 6의 생성물로부터 출발하여, 화합물 437을 실시예 420, 단계 6에 따라 31% 수율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1402
실시예 438: 화합물 438의 제조
Figure pat01403
단계 1:
Figure pat01404
2-티오펜보론산으로부터 출발하여, 상기 생성물을 실시예 437, 단계 6에 따라 정량적 수율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1405
단계 2:
실시예 438, 단계 1의 생성물로부터 출발하여, 화합물 438을 실시예 420, 단계 6에 따라 41% 수율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1406
단락 K:
실시예 450: 화합물 450의 제조
Figure pat01407
4-클로로-6-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퀴놀린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화합물 450을 실시예 8, 단계 5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1408
실시예 451: 화합물 451의 제조
Figure pat01409
Figure pat01410
단계 1:
토실레이트를 문헌 [Patchett, A.A.; Witkof, B. J. Am . Chem . Soc . 1957, 185-192]에 따라 제조하고, 추가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DMF (20 ml) 중의 NaH (76 mg, 1.90 mmol)의 슬러리에 1-티오나프톨 (0.29 mg, 1.80 mmol)을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토실레이트 (0.61 g, 1.80 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23℃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농축하고, 잔류물을 EtOAc/H2O 사이에 분배시켰다. 유기 추출물을 건조시키고 (MgSO4),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5% EtOAc/헥산에서 30% EtOAc/헥산으로)로 정제하여 황색 오일로서 생성물 261 mg (38%)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411
단계 2:
4-(나프탈렌-1-일술파닐)-피롤리딘-1,2-디카르복실산 1-tert-부틸 에스테르 2-메틸 에스테르 (0.38 g, 0.98 mmol) 및 4N HCl (1.0 ml)의 혼합물을 23℃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제거하고, 잔류물을 CH3CN (20 ml) 중에 용해시키고, 산 (0.37 g, 2.16 mmol), TBTU (0.23 g, 0.98 mmol) 및 DIPEA (0.37 g, 2.16 mmol)로 처리하고,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농축하고, 잔류물을 EtOAc 중에 용해시키고, 1N HCl, 포화 NaHCO3로 세척하고, 이어서 MgSO4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추가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Figure pat01412
단계 3:
THF/H2O (2:1) 중의 1-(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3-디메틸-부티릴)-4-(나프탈렌-1-일술파닐)-피롤리딘-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실시예 451, 단계 2) (0.49 g, 0.98 mmol)의 혼합물에 LiOH 수화물 (0.20 g, 4.9 mmol)을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12시간 교반하였다. 상기 용액을 농축하고, EtOAc로 세척하였다. 수성 층을 1N HCl로 산성화시키고, EtOAc로 추출하였다. 생성물은 제1 EtOAc 추출물 중에서 관찰되었다. 제1 유기 추출물을 MgSO4로 건조시키고, 황갈색 고체 328 mg (71%)로 농축하였다.
Figure pat01413
단계 4 :
CH3CN (10 mL) 및 DMF (2mL) 중의 산 (실시예 451, 단계 3) (0.32 g, 0.87 mmol)의 용액에 1(R)-2(S) 및 1-(S)-2(R) 1-아미노-2-비닐-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히드로클로라이드 (240 mg, 0.87 mmol)의 부분이성질체 혼합물 및 TBTU (201 mg, 0.87 mmol) 및 DIPEA (0.32 mL, 0.742 mmol)를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23℃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농축하고, 잔류물을 EtOAc와 물 사이에 분배시켰다. 유기 층을 분리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용출액으로서 30% EtOAc/헥산으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담황색 고체 240 mg (38%)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414
단계 5:
실시예 451, 단계 4의 생성물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산을 실시예 451, 단계 3에서의 THF/MeOH/H2O (4/2/1) 중의 LiOH를 사용하여 상기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pat01415
단계 6:
산 (실시예 451, 단계 5) (172 mg, 0.29 mmol), 메탄술폰아미드 (110 mg, 1.16 mmol), EDAC (110 mg, 0.58 mmol) 및 DMAP (71 mg, 0.58 mmol)의 혼합물을 THF (10 ml) 중에 용해시키고,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DBU (0.087 mL, 0.58 mmol)를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4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제거하고, 잔류물을 EtOAc 중에 용해시키고, 물 및 1N HCl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정제용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황갈색 고체로서 화합물 451 15 mg (8%)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416
실시예 452: 화합물 452의 제조
단계 1:
Figure pat01418
DMF (20 mL) 중의 NaH (76 mg, 1.90 mmol)의 슬러리에 2-티오나프톨 (0.29 g, 1.80 mmol)을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DMF (2 ml) 중의 토실레이트 (실시예 451, 단계 1) (0.61 g, 1.79 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23℃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농축하고, 이어서 EtOAc/H2O 사이에 분배시켰다. 유기 층을 포화 NaHCO3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MgSO4),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5% EtOAc/헥산, 이어서 30% EtOAc/헥산으로 크로마토크래피하여 투명한 오일로서 생성물 261 mg (38%)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419
단계 2:
Figure pat01420
디옥산 (1.49 ml, 2.69 mmol) 중의 4-(나프탈렌-2-일술파닐)-피롤리딘-1,2-디카르복실산 1-tert-부틸 에스테르 2-메틸 에스테르 (310 mg, 0.80 mmol) 및 4N HCl의 혼합물을 23℃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CH3CN (10 mL) 중에 용해시키고, N-Boc-t-부틸글리신 (196 mg, 0.85 mmol), TBTU (0.27 g, 0.85 mmol) 및 DIPEA (0.32 mL, 1.85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농축하고, 잔류물을 EtOAc 중에 용해시키고, 1N HCl, 포화 NaHCO3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농축하여 황색 오일로서 생성물 300 mg (90%)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421
단계 3:
Figure pat01422
4-(나프탈렌-2-일술파닐)-피롤리딘-1,2-디카르복실산 1-tert- 부틸 에스테르 2-메틸 에스테르 (0.48 g, 0.96 mmol)의 용액을 MeOH (20 mL) 중에 용해시키고, LiOH (0.2 g, 4.8 mmol)와 함께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용액을 농축하고, 산성화시키고,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MgSO4로 건조시켜 황색 고체 418 mg (91%)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423
단계 4:
Figure pat01424
MeOH (50 mL) 중의 1-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2-비닐-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4.3 g, 17.8 mmol)의 용액을 LiOH (0.84 g, 20.0 mmol) 및 물 (5 mL)로 처리하고, 상기 혼합물을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제거하고, 잔류물을 산성화시키고,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여 황색 오일로서 산 2.1 g (52%)을 수득하였다. 상기 산 (2.1 g, 9.25 mmol)을 THF 중에 용해시키고, CDI (7.25 g, 13.8 mmol)로 처리하고, 3시간 동안 환류 가열하고, 이어서 23℃로 냉각시켰다. 메탄술폰아미드 (1.76 g, 18.5 mmol), 이어서 DBU (2.77 ml, 18.5 mmol)를 첨가하고, 23℃에서 7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농축하고, 잔류물을 pH 4 (1N HCl)로 산성화시키고,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MgSO4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여 정치시 고체화되는 황색 오일 1.99 g (71%)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425
단계 5:
디옥산/4N HCl (2 ml) 중의 실시예 452, 단계 4의 생성물 용액을 2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CH3CN (5 mL) 중에 용해시키고, 상기 산(실시예 452, 단계 3) (120 mg, 0.25 mmol), TBTU (58 mg, 0.25 mmol) 및 DIPEA (0.06 ml, 0.35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제거하고, 잔류물을 EtOAc 중에 용해시키고, 1N HCl, 포화 NaHCO3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정제용 TLC (아날텍 (Analtech) 20X40 cM, 1000□ SiO2)로 정제하여 황갈색 고체로서 화합물 452 128 mg (70%)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426
실시예 453: 화합물 453의 제조
Figure pat01427
단계 1:
Figure pat01428
DCM (20 ml) 중의 실시예 452, 단계 3 (110 mg, 0.23 mmol), 3-클로로퍼벤조산 (121.6 mg, 0.57 mmol, 85% 과산), KHPO4 (0.13g, 0.94 mmol) 및 K2HPO4 (0.18 g, 1.05 mmol)를 23℃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용액을 DCM으로 희석하고, 물, 포화 NaHCO3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여 투명한 오일로서 생성물 110 mg (92%)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429
단계 2:
실시예 453, 단계 1 (110 mg, 0.212 mmol)의 생성물, 아민 (실시예 452, 단계 5a) (0.65 mg, 0.212 mmol), TBTU (48.5 mg, 0.21 mmol), 이어서 DIPEA (60.8 ml, 0.35 mmol)의 혼합물을 23℃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제거하고, 잔류물을 EtOAc 중에 용해시키고, 1N HCl, 포화 NaHCO3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정제용 TLC (10% MeOH/CH2Cl2로 용출시킴)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로서 화합물 453 25 mg (17%)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430
실시예 454: 화합물 454의 제조
Figure pat01431
단계 1:
Figure pat01432
THF (50 mL) 중의 수소화나트륨 (0.91 g, 22.7 mmol)의 슬러리에 N-BOC-트랜스-4(R)-히드록시-L-프롤린 (2.5 g, 10.8 mmol)을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23 ℃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2-클로로메틸나프탈렌 (1.9 g, 10.8 mmol)을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제거하고, 잔류물을 물 중으로 붓고, 헥산으로 세척하였다. 수성 층을 산성화시키고 (1N HCl), EtOAc로 추출하였다. EtOAc 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키고 (MgSO4), 농축하여 담황색 잔류물을 수득하였다. 오일을 1% 아세트산이 첨가된 1:1 EtOAc/헥산으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농후한 오일로서 원하는 생성물 1.56 g (39%)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433
단계 2:
Figure pat01434
CH3CN (50 mL) 중의 2-(1-에톡시카르보닐-2-비닐-시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4-(나프탈렌-2일-메톡시)-피롤리딘-1-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의 부분이성질체 (1R,2S/1S,2R, 여기서, 카르복실기는 비닐 잔류물에 대해서 syn임)의 1:1 혼합물의 HCl 염 (0.54 g, 1.3 mmol) [N-Boc 아민을 1N 디옥산 중의 HCl (4N)과 함께 교반하고, 이어서 용매를 진공하에서 제거하여 제조됨] 용액에 Boc-4(R)-(2-메틸나프틸)프롤린 (0.5 g, 1.3 mmol), TBTU (0.45 g, 1.4 mmol), 이어서 DIPEA (0.78 mL, 4.5 mmol)를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12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EtOAc/H2O 중에 용해시키고, 포화 NaHCO3, 포화 NaCl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MgSO4), 농축하여 부분이성질체 혼합물로서 생성물의 농후한 황색 오일 (0.6 g, 91%)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435
단계 3:
Figure pat01436
실시예 454, 단계 2의 생성물 (600 mg, 1.18 mmol) 용액을 디옥산 중의 HCl (4N, 3 mL, 11.8 mmol)과 함께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용매를 진공하에서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CH3CN (10 mL) 중에 용해시키고, Boc-L-t-Bu-Gly (0.42 g, 1.38 mmol), TBTU (0.27 g, 1.18 mmol), 이어서 DIPEA (0.71 mL, 4.1 mmol)로 처리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12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EtOAc/H2O 중에 용해시키고, 1N HCl, 포화 NaHCO3, 포화 NaCl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MgSO4), 농축하여 농후한 황색 오일을 수득하였다. 상기 생성물을 구배 용출 5% EtoAc/헥산 10% EtOAc/헥산, 및 최종 용출액으로서 30% EtOAc/헥산을 사용하는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부분이성질체 및 회전이성질체 혼합물로서 농후한 오일 (0.243 g, 33%)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437
단계 4 :
Figure pat01438
THF (15 mL), 및 H2O (2 mL) 중의 실시예 454, 단계 3의 생성물 (240 mg, 0.39 mmol)의 현탁액에 LiOH (82 mg, 1.95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2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오로지 수성 층만 남아 있을 때까지 진공하에서 농축하였다. 생성된 수성 잔류물을 1.0 N 수성 HCl을 첨가하여 pH 3.0으로 산성화시키고, EtOAc (2 x 80 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건조시키고 (MgSO4), 여과하고, 진공하에서 농축하여 황갈색 고체로서 생성물 (200 mg, 0.33 mmol, 85%)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439
단계 5:
THF (20 mL) 중의 실시예 454, 단계 4의 생성물 (190 mg, 0.32 mmol) 및 EDAC (122 mg, 0.64 mmol) 및 4-DMAP (78 mg, 0.64 mmol)의 용액에 시판되고 있는 메탄술폰아미드 (122 mg, 1.28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2일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DBU (95 μL, 0.64 mmol)를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24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EtOAc (80 mL)와 물 사이에 분배시키고, 1N HCl, 수성 NaHCO3 (2 x 30 mL)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MgSO4), 정제용 HPLC (65-90% MeOH/물/0.1% TFA)로 정제하여, BOC기가 제거된 생성물 및 물질의 혼합물 56 mg을 수득하였다. 상기 물질을 정제용 TLC (아날텍으로부터의 20X40cM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10% MeOH/CH2Cl2로 용출시킴)로 추가 정제하여 황갈색 고체로서 화합물 454 (12 mg, 6%)를 수득하였다.
Figure pat01440
실시예 470: 화합물 470의 제조
Figure pat01441
Figure pat01442
단계 1:
2.5 mL 테트라히드로푸란 중의 시판되고 있는 N-Boc-(4S)-(시스)-히드록시프롤린-OMe (200 mg, 0.82 mmol), 트리페닐포스핀 (320 mg, 1.22 mmol) 및 1-나프톨 (176 mg, 1.22 mmol)의 용액에 1.0 mL THF 중의 디에틸디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 (190 μL, 1.22 mmol) 용액을 10분에 걸쳐 적가하였다. 5.5일 동안 교반한 후, 반응물을 진공하에서 농축하였다. 조 황색 오일을 6-1 헥산-에틸 아세테이트로 용출시키는 20X40cM 정제용 TLC 플레이트 (아날텍 SiO2)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담황색 오일로서 원하는 생성물 (150 mg, 33%)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443
단계 2:
1.5 mL THF 및 0.5 mL 물 중의 Boc-(4R)-나프탈-1-옥소)-프로-OEt (150 mg, 0.40 mmol)의 교반된 용액에 수산화리튬 (10 mg)을 첨가하였다. 상기 용액을 실온에서 21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0.5N NaHCO3로 희석하였다. 상기 염기성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이어서 수성 층을 농축 HCl을 적가하여 pH 2로 산성화시켰다. 상기 산성화된 층을 이어서 다시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상기 제2 에틸 아세테이트 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이어서 진공하에서 농축하여 연분홍색 결정으로서 Boc-((4R)-나프탈-1-옥소)-프로-OH (147 mg, 100%)를 수득하였다.
Figure pat01444
단계 3:
2.8 mL 메틸렌 클로라이드 중의 Boc-((4R)-나프탈-1-옥소)-프로-OH (147 mg, 0.41 mmol) 및 라세미체 (1R/2S)/(1S/2R)-1-아미노-2-비닐시클로프로판 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히드로클로라이드 염 (79 mg, 0.41 mmol)의 용액에 DIPEA (250 μL, 1.44 mmol) 및 TBTU (158 mg, 0.49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질소하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40 mL 메틸렌 클로라이드로 희석하였다. 유기 층을 물, 1N NaHCO3, 1N HCl, 물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용액을 이어서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하였다. 정제용 TLC로 정제하여 회백색 고체로서 2개의 분리된 부분이성질체, 보다 높은 Rf 부분이성질체 A (P2[Boc(4R)-(나프탈-1-옥소)프롤린]- P1(1R, 2S 비닐 Acca)-OEt, 78 mg, 38%) 및 보다 낮은 Rf 부분이성질체 B (P2[Boc(4R)-(나프탈-1-옥소)프롤린]-P1(1S,2R 비닐 Acca)-OEt, 91 mg, 45%)를 수득하였다:
부분이성질체 A: P2[Boc(4R)-(나프탈-1-옥소)프롤린]-P1(1R, 2S 비닐 Acca)-OEt:
Figure pat01445
부분이성질체 B, 실시예 1OB: P2[Boc(4R)-(나프탈-1-옥소)프롤린]-P1(1S, 2R 비닐 Acca)-OEt:
Figure pat01446
Figure pat01447
단계 4:
P2[Boc(4R)-(나프탈-1-옥소)프롤린]-P1(1R, 2S 비닐 Acca)-OEt (A, 보다 높은 Rf) (78 mg, 0.16 mmol)의 용액에 디옥산 (2.0 mL) 중의 4N HCl를 첨가하고, 상기 용액을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진공하에서 농축하여 황색 오일로서 P2[(4R)-(나프탈-4-옥소)프롤린)]-P1(1R, 2S 비닐 Acca)-OEt의 HCl 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추가 정제없이 다음 단계에서 바로 사용하였다. 11 mL 아세토니트릴 중의 BOC L-tBuGly (73 mg, 0.32 mmol) 및 P2[(4R)-(나프탈-4-옥소)프롤린)]-P1(1R, 2S 비닐 Acca)-OEt의 HCl 염 (0.16 mmol)의 용액에 DIPEA (140 μL, 0.79 mmol) 및 HATU (132 mg, 0.35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질소하에서 17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100 mL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였다. 유기 층을 물, 1N NaHCO3, 1N HCl, 물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용액을 이어서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하여 담황색 오일성 필름으로서 표제 화합물 (92 mg, 96%)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448
단계 5:
750 mL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250 mL 물 중의 실시예 470, 단계 4의 생성물 (92 mg, 0.15 mmol)의 용액에 수산화리튬 (4 mg)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28.5시간 동안 교반하고, 통상적으로 후처리하고, 이어서 수산화리튬 (8 mg)을 2회 첨가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조건을 적용시켰다. 24시간 후에, 반응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하였다. 생성된 반고체를 3-1 헥산-에틸 아세테이트로 용출시키는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투명한 반고체로서 BocNH-P3(t-BuGly)-P2[(Boc(4R)-(나프탈-1-옥소)프롤린)]-P1(1R, 2S 비닐 Acca)-OH를 수득하였다.
Figure pat01449
단계 6:
3.7 mL 테트라히드로푸란 중의 BocNH-P3(t-BuGly)-P2[(Boc(4R)-(나프탈-1-옥소)프롤린)]-P1(1R,2S 비닐 Acca)-OH (실시예 470, 단계 5) (65 mg, 0.11 mmol)의 용액에 1,1'-카르보닐 디이미다졸 (22 mg, 0.135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30분 동안 환류하고, 이어서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이 시점에서, 메탄술폰아미드 (27 mg, 0.28 mmol) 및 DBU (34□L, 0.224 mmol)를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2일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추가의 DBU(10□L) 및 메탄술폰아미드 (9 mg)를 첨가하였다. 24시간 후에, 반응물을 50 mL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50 mL 0.25N HCl 및 50 mL 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용액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하였다. 조 물질을 정제용 TLC (3-2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으로 정제하여 백색 필름성 고체로서 화합물 470 (21 mg, 28%)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450
실시예 471: 화합물 471의 제조
Figure pat01451
Figure pat01452
단계 1:
P2[Boc(4R)-(나프탈-1-옥소)프롤린]-P1(1S, 2R 비닐 Acca)-OEt (실시예 470, 단계 3, 보다 낮은 Rf) (91 mg, 0.18 mmol)에 디옥산 (2.0 mL) 중의 4N HCl를 첨가하고, 상기 용액을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진공하에서 농축하여 황색 오일로서 P2[(4R)-(나프탈-1-옥소)프롤린)]-P1(1S,2R 비닐 Acca)-OEt의 HCl 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추가 정제없이 다음 단계에서 바로 사용하였다. 13 mL 아세토니트릴 중의 N-Boc-L-tert-류신-OH 또는 BOC L-tBuGly (85 mg, 0.37 mmol) 및 P2[(4R)-(나프탈-1-옥소)프롤린)]-P1(1S, 2R 비닐 Acca)-OEt의 HCl 염 (상기한 반응으로부터 수득한 생성물) (0.18 mmol)의 용액에 DIPEA (160 μL, 0.92 mmol) 및 HATU (154 mg, 0.41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질소하에서 17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100 mL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였다. 유기 층을 물, 1N NaHCO3, 1N HCl, 물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용액을 이어서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하여 투명한 필름으로 표제 화합물 (53 mg, 47%)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453
단계 2:
실시예 471, 단계 1의 생성물을 대신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생성물 (5 mg, 10%)을 실시예 470, 단계 5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1454
단계 3:
2.2 mL 테트라히드로푸란 중의 BocN-P3(L-t-BuGly)-P2[(Boc(4R)-(나프탈-1-옥소)프롤린)]-P1(1R,2S 비닐 Acca)-COOH (38 mg, 0.066 mmol) (실시예 471, 단계 2)의 용액에 1,1'-카르보닐 디이미다졸 (13 mg, 0.079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30분 동안 환류하고, 이어서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이 시점에서, 메탄술폰아미드 (16 mg, 0.16 mmol) 및 DBU (20 μL, 0.13 mmol)를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2일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추가의 DBU (10 μL) 및 메탄술폰아미드 (9 mg)를 첨가하였다. 24시간 후에, 반응물을 50 mL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50 mL 0.25N HCl 및 50 mL 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용액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하였다. 조 생성물을 아날텍으로부터의 20X40cM 정제용 TLC 플레이트 (용출액 3-2 에틸 아세테이트-헥산)를 이용하여 정제함으로써 백색 필름성 고체로서 화합물 471 (25 mg,58%)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1455
단락 L:
실시예 472: 생물학적 연구
재조합 HCV NS3 /4A 프로테아제 복합체 FRET 펩티드 분석
상기 시험관내 분석의 목적은 하기 기재된 바와 같은 BMS, H77C 또는 J416S 균주로부터 유도된 HCV NS3 프로테아제 복합체의 본 발명의 화합물에 의한 억제를 측정하는 것이다. 상기 분석은 본 발명의 화합물이 HCV 단백질분해 활성을 억제하는 데에 얼마나 효과적인지의 지표를 제시한다.
HCV-감염 환자로부터의 혈청을 닥터 티. 라이트(Dr. T. Wright), 샌프란시스코 병원으로부터 수득하였다. HCV 게놈 (BMS 균주)의 유전조작된 전장 cDNA (상보적 데옥시리보핵산) 주형은 혈청 RNA (리보핵산)의 역전사-PCR (RT-PCR)에 의해 수득된 DNA 단편으로부터 제조하고, 사용하는 프라이머는 다른 유전형 1a 균주 사이의 상동성을 바탕으로 선택하였다. 전체 게놈 서열을 결정하여, 시몬즈(Simmonds) 등의 분류법 (문헌 [P Simmonds, KA Rose, S Graham, SW Chan, F McOmish, BC Dow, EA Follett, PL Yap and H Marsden, J. Clin. Microbiol., 31 (6), 1493-1503 (1993)] 참조)에 따라 유전형 1a를 HCV 단리물로 할당하였다. 비구조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인 NS2-5B는 HCV 유전형 1a (H77C)와 97% 초과로 동일한 것으로, 유전형 1b (J4L6S)와 87%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감염성 클론인 H77C (1a 유전형) 및 J4L6S (1b 유전형)는 알. 퍼셀(R. Purcell) (NIH)로부터 수득하고, 서열은 진뱅크(Genbank)에 공개되었다 (AAB67036, 문헌 [Yanagi, M., Purcell, R. H., Emerson, S. U. and Bukh, J. Proc. Natl. Acad. Sci. U. S. A. 94 (16), 8738-8743 (1997)] 참조; AF054247, 문헌 [Yanagi, M., St Claire, M., Shapiro, M., Emerson, S. U., Purcell, R. H. and Bukh, J, Virology 244 (1), 161-172. (1998)] 참조).
재조합 NS3/4A 프로테아제 복합체의 생산을 위해 BMS, H77C 및 J4L6S 균주를 사용하였다. 상기 균주에 대한 재조합 HCV NS3/4A 프로테아제 복합체를 코딩하는 DNA (아미노산 1027 내지 1711)를 피. 갈리나리(P. Gallinari) 등에 의해 기재된 바와 같이 (문헌 [Gallinari P, Paolini C, Brennan D, Nardi C, Steinkuhler C, De Francesco R. Biochemistry. 38 (17): 5620-32, (1999)] 참조) 조작하였다. 요약하자면, 3-리신 가용화 꼬리를 NS4A 코딩 영역의 3'-말단에 첨가하였다. NS4A-NS4B 절단 부위 (아미노산 1711)의 P1 위치에서의 시스테인은 글리신으로 변화되어 리신 태그의 단백질분해 절단을 피하였다. 또한, 시스테인에서 세린으로의 돌연변이가 아미노산 위치 1454에서 PCR에 의해 도입되어 NS3 헬리카제 도메인에서의 자가분해 절단이 예방되었다. 변형 DNA 단편을 pET21b 박테리아 발현 벡터 (노바겐(Novagen))에서 클로닝하고, 피. 갈리나리 등에 의해 기재된 프로토콜 (문헌 [Gallinari P, Brennan D, Nardi C, Brunetti M, Tomei L, Steinkuhler C, De Francesco R., J Virol. 72 (8): 6758-69 (1998)] 참조)의 변형법에 따라 NS3/4A 복합체를 대장균(Escherichia . coli) 균주 BL21 (DE3) (인비트로겐(Invitrogen))에서 발현시켰다. 요약하자면, 20℃에서 22시간 동안 0.5 mM 이소프로필 β-D-1-티오갈락토피라노시드 (IPTG)로 NS3/4A 발현을 유도하였다. 전형적인 발효 (1OL)로 습윤한 세포 페이스트 대략 80 g을 수득하였다. 세포를 25 mM N-(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N'-(2-에탄 술폰산) (HEPES), pH 7.5, 20% 글리세롤, 500 mM 염화나트륨 (NaCl), 0.5% 트리톤-X100, 1 ug/㎖ 리소자임, 5 mM 염화마그네슘 (MgCl2), 1 ug/㎖ DnaseI, 5 mM β-메르캅토에탄올 (βME), 프로테아제 억제제 -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 (EDTA) 비함유물 (로셰(Roche))로 이루어진 용균 완충액 (10 mL/g)에 재현탁시키고, 균질화하고, 4℃에서 2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균질액을 초음파처리하고, 4℃에서 1시간 동안 235000 g에서 초원심분리로 투명하게 하였다. 이미다졸을 15 mM의 최종 농도로 상청액에 첨가하고, pH를 8.0으로 조정하였다. 조 단백질 추출물을 완충액 B (25 mM HEPES, pH 8.0, 20% 글리세롤, 500 mM NaCl, 0.5% 트리톤-X100, 15 mM 이미다졸, 5 mM βME)로 미리-평형화된 니켈-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 (Ni-NTA) 컬럼에 로딩하였다. 샘플을 1 mL/분의 유속으로 로딩하였다. 컬럼을 완충액 C (0.2% 트리톤-X100을 함유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완충액 B와 동일함) 15 컬럼 부피로 세척하였다. 단백질을 완충액 D (200 mM 이미다졸을 함유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완충액 C와 동일함) 5 컬럼 부피로 용출하였다.
NS3/4A 프로테아제 복합체-함유 분획을 풀링(pool)하고, 완충액 D (25 mM HEPES, pH 7.5, 20% 글리세롤, 300 mM NaCl, 0.2% 트리톤-X100, 10 mM βME)로 미리-평형화된 탈염 컬럼 수퍼덱스(Superdex)-S200에 로딩하였다. 샘플을 1 mL/분의 유속으로 로딩하였다. NS3/4A 프로테아제 복합체-함유 분획을 풀링하고, 대략 0.5 mg/ml로 농축시켰다. BMS, H77C 및 J4L6S 균주로부터 유도된 NS3/4A 프로테아제 복합체의 순도는 SDS-PAGE 및 질량 분광측정법 분석에 의해 90% 초과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효소를 -80℃에서 저장하고, 빙상에서 해동시키고, 희석한 후에 분석 완충액 중에서 사용하였다. NS3/4A 프로테아제 분석에 사용되는 기질은 문헌 [Taliani et al. in Anal. Biochem. 240 (2): 60-67 (1996)]에 기재된 RET S1 (공명 에너지 이동 뎁시펩티드 기질; 아나스펙, 인크.(AnaSpec, Inc.) cat # 22991) (FRET 펩티드)였다. 상기 펩티드의 서열은 절단 부위에 아미드 결합이 아닌 에스테르 연결이 존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NS4A/NS4B 천연 절단 부위를 대개 기본으로 하였다. 펩티드 기질을 본 발명의 화합물의 부재 또는 존재하에 재조합 NS3/4A 복합체 3개 중 1개와 함께 인큐베이션한 후, 시토플루오르 시리즈(Cytofluor Series) 4000을 이용하여 형광 반응 생성물을 실제 시간 내에 형성시켰다.
시약은 하기와 같았다: HEPES 및 글리세롤 (울트라퓨어(Ultrapure))은 깁코-비알엘(GIBCO-BRL)로부터 수득하였다. 디메틸 술폭시드 (DMSO)는 시그마(Sigma)로부터 수득하였다. 메르캅토에탄올은 바이오 라드(Bio Rad)로부터 수득하였다. 분석 완충액: 50 mM HEPES, pH 7.5; 0.15 M NaCl; 0.1% 트리톤; 15% 글리세롤; 10 mM βME. 기질: 2 μM 최종 농도 (-20℃에서 저장된 DMSO 중의 2 mM 원액으로부터 얻음). HCV NS3/4A 유형 1a (1b), 2-3 nM 최종 농도 (25 mM HEPES, pH 7.5, 20% 글리세롤, 300 mM NaCl, 0.2% 트리톤-X100, 10 mM βME 중 5 μM 원액으로부터 얻음).
팔콘(Falcon) 제조의 96-웰 폴리스티렌 흑색 플레이트에서 분석을 수행하였다. 각 웰은 분석 완충액 중의 25 ㎕ NS3/4A 프로테아제 복합체, 10% DMSO/분석 완충액 중의 본 발명의 화합물 50 ㎕ 및 분석 완충액 중의 25 ㎕ 기질을 함유하였다. 또한, 대조군 (화합물 없음)을 동일한 분석 플레이트상에서 제조하였다. 기질의 첨가로 효소 반응을 개시하기 전 1분 동안 효소 복합체를 화합물 또는 대조군 용액과 혼합하였다. 분석 플레이트를 시토플루오르 시리즈 4000 (퍼스펙티브 바이오시스템즈(Perspective Biosystems))을 이용하여 즉시 판독하였다. 기구를 세팅하여 25℃에서 340 nm의 방출 및 490 nm의 여기를 판독하였다. 반응은 일반적으로 대략 15분 동안 이어졌다.
억제율(%)은 하기 식으로 계산하였다:
100 - [(δFinh/δFcon) x 100]
여기서, δF는 곡선의 직선 범위 동안의 형광 변화이다. 비직선 곡선 조율(fit)을 억제-농도 데이타에 적용시키고, 엑셀 Xl-조율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식 y = A + ((B-A)/(1 + ((C/x)^D)))를 이용하여 50% 유효 농도 (IC50)를 계산하였다.
시험한 화합물 모두 10 μM 이하의 IC50을 가진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추가로, NS3/4A 복합체의 하나 이상의 유형에 대해 시험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유사한 억제 성질을 가진다는 것을 발견하였는데, 본 화합물은 1a 균주에 비해 1b 균주에 대해서 더욱 큰 효력이 있음이 균일하게 입증되었다.
특이성 분석
특이성 분석을 수행하여, 다른 세린 또는 시스테인 프로테아제와 비교한 HCV NS3/4A 프로테아제의 억제에서의 본 발명의 화합물의 선택성을 증명하였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특이성을 다양한 세린 프로테아제: 인간 백혈구 엘라스타제 (HLE), 돼지 췌장 엘라스타제 (PPE) 및 인간 췌장 키모트립신 및 1종의 시스테인 프로테아제: 인간 간 카텝신 B에 대해 결정하였다. 모든 경우에서, 이미 기재된 방법 (특허 WO 00/09543)을 세린 프로테아제 분석에 대해 약간 변경시켜 각 효소에 특이적인 비색계 p-니트로아닐린 (pNA) 기질을 이용하는 96-웰 플레이트 포맷 프로토콜로서 사용하였다. 모든 효소는 시그마로부터 구입한 반면, 기질은 바켐(Bachem)으로부터 구입하였다.
각 분석은 실온에서 2시간 효소-억제제를 예비-인큐베이션한 후, 기질을 첨가하고 스펙트라맥스 프로(Spectramax Pro)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에서 측정되는 바와 같이 약 30% 전환까지 가수분해하는 것을 포함하였다. 화합물 농도는 그들의 효력에 따라 100 내지 0.4 μM로 변화되었다.
각 분석에 대한 최종 조건은 하기와 같았다:
50 mM 트리스(히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 히드로클로라이드 (트리스-HCl) pH 8, 0.5 M 황산나트륨 (Na2SO4), 50 mM NaCl, O.1 mM EDTA, 3% DMSO, 0.01% 트윈-20: 및 133 μM succ-AAA-pNA 및 20 nM HNE 또는 8 nM PPE; 133 μM succ-AAV-pNA 및 15 nM HLE; 100 μM succ-AAPF-pNA 및 250 pM 키모트립신.
100 mM NaHP04 (인산수소나트륨) pH 6, O.1 mM EDTA, 3% DMSO, 1 mM TCEP (트리스(2-카르복시에틸)포스핀 히드로클로라이드), 0.01% 트윈-20, 30 μM Z-FR-pNA 및 5 nM 카텝신 B (사용 전 20 mM TCEP를 함유하는 완충액 중에서 활성화시킨 효소 원액).
하기 식을 이용하여 억제율 (%)을 계산하였다:
[1 - ((UVinh - UVblank)/(UVctl - UVblank))] x 100
비직선 곡선 조율을 억제-농도 데이타에 적용시키고, 엑셀 Xl-조율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50% 유효 농도 (IC50)를 계산하였다.
HCV 레플리콘 세포를 기준으로 한 분석
문헌 [Lohmann V, Korner F, Koch J, Herian U, Theilmann L, Bartenschlager R., Science 285 (5424): 110-3 (1999)]에 기재된 바와 같이 HCV 레플리콘 전체 세포 시스템을 확립하였다. 상기 시스템으로 인해 HCV RNA 복제에대한 본원의 HCV 프로테아제 화합물의 효과를 평가할 수 있었다. 요약하자면, 로만(Lohmann) 논문 (등록 번호: AJ238799)에 기재된 HCV 균주 1B 서열을 이용하여, 5' 내부 리보솜 진입 부위 (IRES), 네오마이신 내성 유전자, EMCV (뇌심근염 바이러스)-IRES 및 HCV 비구조 단백질, NS3-NS5B, 및 3' 비-번역 영역 (NTR)을 코딩하는 HCV cDNA를 발생시켰다. cDNA의 시험관내 전사체를 인간 간암 세포주, Huh7로 감염시켰다. HCV 레플리콘을 구조적으로 발현하는 세포에 대한 선별은 선별가능한 마커, 네오마이신 (G418)의 존재하에 달성하였다. 생성된 세포주를 시간에 따른 포지티브 및 네거티브 가닥 RNA 생산 및 단백질 생산에 대해 특성화하였다.
HCV 레플리콘을 구조적으로 발현하는 Huh7 세포를 10% 소 태아 혈청 (FCS) 및 1 mg/ml G418 (깁코-비알엘)을 함유하는 둘베코 변형 이글 배지 (DMEM)에서 성장시켰다. 세포를 이전 밤에 96-웰 조직-배양 멸균 플레이트에 시딩하였다 (1.5 x 104개의 세포/웰). 희석 플레이트에서 4% FCS, 1:100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1:100 L-글루타민 및 5% DMSO (분석에서는 0.5% DMSO 최종 농도)를 함유하는 DMEM에서 화합물 및 화합물이 없는 대조군을 제조하였다. 화합물/DMSO 혼합물을 세포에 첨가하고, 4일 동안 37℃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4일 후, 플레이트를 포스페이트-완충화된 식염수 (PBS) (150 ㎕ 3회)로 철저하게 헹구었다. 세포를 FRET 펩티드 (RET S 1, 시험관내 효소 분석에 대해 기재한 바와 같음)를 함유하는 용균 분석 시약 25 ㎕로 용균시켰다. 증류수로 1X로 희석된 5X 세포 루시퍼라제(Luciferase) 세포 배양 용균 시약 (프로메가(Promega) #E153A)으로부터 용균 분석 시약을 제조하고, NaCl을 최종 150 mM로 첨가하고, FRET 펩티드를 100% DMSO 중 2 mM 원액으로부터 최종 10 μM로 희석하였다. 이어서, 플레이트를 시토플루오르 4000 기구에 놓고, 이 기구를 340 nm 여기/490 방출, 21 주기 동안의 자동 방식으로 설정하고, 플레이트를 동력 방식으로 판독하였다. IC50 결정에 대해 기재한 바와 같이 EC50을 결정하였다.
제2 분석으로서, 레플리콘 FRET 분석으로부터 EC50 결정한 것을 정량 RNA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알니지(Rneasy) 키트 (퀴아겐(Qiagen))를 이용하여 세포를 용균시켰다. 정제된 총 RNA를 리보그린(RiboGreen)을 이용하여 정규화하고 [Jones LJ, Yue ST, Cheung CY, Singer VL, Anal. Chem., 265 (2): 368-74 (1998)], HCV RNA 발현의 상대적인 정량을 태크맨(Taqman) 절차 [Kolykhalov AA, Mihalik K, Feinstone SM, Rice CM, Journal of Virology 74,2046-2051 (2000)] 및 백금 정량 RT-PCR 써모스크립트(Thermoscript) 1-단계 키트 (인비트로겐 cat # 11731-015)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요약하자면, 5 ㎕ (≤1 ng)의 부피로 제조된 RNA를 하기를 함유하는 20 ㎕ 레디-믹스(Ready-Mix)에 첨가하였다: 1.25X 써모스크립트 반응 혼합물 (황산마그네슘 및 2-데옥시뉴클레오시드 5'-트리포스페이트 (dNTP)를 함유함), 3 mM dNTPs, 200 nM 순행 프라이머 (서열: 5'gggagagccatagtggtctgc-3'), 600 nM 역행 프라이머 (5'-cccaaatctccaggcattga-3'), 100 nM 프로브 (5'-6-FAM-cggaattgccaggacgaccgg-BHQ-1-3') (FAM: 플루오레세인-아미노헥실 아미다이트; BHQ: 블랙 홀 켄처), 1 μM 록스(Rox) 참고 염료 (인비트로겐 cat # 12223-012) 및 써모스크립트 플러스 백금 태그 폴리머라제 혼합물. 모든 프라이머를 ABI 프리즘 7700 소프트웨어로 고안하고, 바이오서치 테크놀로지스 (캘리포니아주 노바토)로부터 수득하였다. 기지 농도의 HCV RNA 전사체를 함유하는 샘플을 표준으로 진행하였다. 하기 순환 프로토콜 (50℃, 30분; 95℃, 5분; 95℃, 15초, 60℃, 1분의 40주기)을 이용하여, ABI 프리즘 7700 서열 검출기를 사용하여 퍼킨 엘머(Perkin Elmer) 매뉴얼에 기재된 바와 같이 HCV RNA 발현을 정량하였다.
생물학적 실시예
대표적인 본 발명의 화합물을 HCV 레플리콘 세포 분석 및(또는) 약술된 특이성 분석 중 몇몇 분석법으로 평가하였다. 예를 들어, 화합물 34는 효소 분석에서 NS3/4A BMS 균주에 대해 23 나노몰농도 (nM)의 IC50을 갖는 것을 발견하였다. 공개된 H77C (3 nM의 IC50) 및 J4L6S (2.9 nM의 IC50) 균주로 유사한 효력 값을 수득하였다. 레플리콘 분석에서 EC50 값은 166 nM였다.
특이성 분석에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 활성을 가짐을 발견하였다: HLE > 100 μM; PPE > 200 μM; 키모트립신 > 200 μM; 카텝신 B > 200 μM. 이 결과는 상기 화합물 족이 NS3 프로테아제에 대해 고도로 특이적이며, 이들 구성원 중 다수가 HCV 레플리콘 복제를 억제함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시험하여, 하기와 같은 범위의 활성을 가진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IC50 활성 범위 (NS3/4A BMS 균주): A는 10 내지 100 마이크로몰농도 (μM)이고; B는 1 내지 10 μM이고; C는 0.1 내지 1 μM이고; D는 O.1 μM 미만이다.
EC50 활성 범위 (시험한 화합물에 대해): A 10 내지 100 μM이고; B는 1 내지 10 μM이고; C는 0.1 내지 1 μM이고; D는 O.1 μM 미만이다.
표에 나타낸 특허 실시예 번호 및 특허 화합물 번호를 이용하여 화합물의 구조를 본원에서 찾을 수 있음을 주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10 μ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 μM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 nM 이하의 생물학적 활성 (EC50)을 갖는다.
<표 1>
Figure pat01456
Figure pat01457
Figure pat01458
Figure pat01459
Figure pat01460
Figure pat01461
Figure pat01462
Figure pat01463
Figure pat01464
Figure pat01465
Figure pat01466
Figure pat01467
Figure pat01468
Figure pat01469
Figure pat01470
Figure pat01471
Figure pat01472
Figure pat01473
Figure pat01474
Figure pat01475
Figure pat01476
Figure pat01477
Figure pat01478
Figure pat01479
Figure pat01480
Figure pat01481
Figure pat01482
Figure pat01483
Figure pat01484
Figure pat01485
Figure pat01486
Figure pat01487
Figure pat01488
Figure pat01489
단락 M:
하기 화합물은 본원, 구체적으로는 예시 단락의 단락 A 내지 K, 더욱 구체적으로는 단락 B, E, F 및 G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었다. 더욱이, 하기 나타낸 기 B, R3, R2 및 R1의 각각은 단락 A 내지 K 및 본원 어느곳에서나 예시되고 화학식 I로 지시된 임의의 기로 대체할 수 있음이 명백해질 것이다. 예를 들어, 표 2의 R3 기는 t-부틸기로서 나타냈으나, 당업자는 하기 인용된 기재사항의 각각에 대해 상기 기를 이소프로필기 또는 알콕시로 치환된 C1 -6 알킬로 대체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또는 하기 나타낸 B 기는 하기 인용된 기재사항의 각각에 대해 tert-부틸 우레아 잔기로 대체할 수 있을 것이다.
<표 2>
Figure pat01491
Figure pat01492
Figure pat01493
Figure pat01494

Claims (1)

  1.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전구약물:
    <화학식 I>
    Figure pat01495

    상기 식에서,
    (a) R1은 C1 -8 알킬, C3 -7 시클로알킬 또는 C4 -10 알킬시클로알킬이고;
    (b) m은 1 또는 2이고;
    (c) n은 1 또는 2이고;
    (d) R2는 H, 각각 할로겐으로 임의 치환된 C1 -6 알킬, C2 -6 알케닐 또는 C3 -7 시클로알킬이고;
    (e) R3은 할로, 시아노, 아미노, C1 -6 디알킬아미노, C6 -10 아릴, C7 -14 알킬아릴, C1 -6 알콕시, 카르복시, 히드록시, 아릴옥시, C7 -14 알킬아릴옥시, C2 -6 알킬에스테르, C8 -15 알킬아릴에스테르로 임의 치환된 C1 -8 알킬; C3 - l2 알케닐, C3 -7 시클로알킬 또는 C4 -10 알킬시클로알킬 (여기서, 시클로알킬 또는 알킬시클로알킬은 히드록시, C1-6 알킬, C2 -6 알케닐 또는 C1 -6 알콕시로 임의 치환됨)이거나; R3은 이것이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C2 -6 알케닐로 임의 치환된 C3 -7 시클로알킬기를 형성하고;
    (f) Y는 H, 니트로로 치환된 페닐, 니트로로 치환된 피리딜, 또는 시아노, OH 또는 C3 -7 시클로알킬로 임의 치환된 C1 -6 알킬이고; 단, R4 또는 R5가 H이면, Y는 H이고;
    (g) B는 H, C1 -6 알킬, R4-(C=O)-, R4O(C=O)-, R4-N(R5)-C(=O)-, R4-N(R5)-C(=S)-, R4SO2- 또는 R4-N(R5)-SO2-이고;
    (h) R4는 (i) 페닐, 카르복실, C1 -6 알카노일, 1 내지 3개의 할로겐, 히드록시, -OC(O)C1-6 알킬, C1 -6 알콕시, C1 -6 알킬로 임의 치환된 아미노, 아미도 또는 (저급 알킬) 아미도로 임의 치환된 C1 -10 알킬; (ii) 각각 히드록시, 카르복실, (C1 -6 알콕시)카르보닐, C1 -6 알킬로 임의 치환된 아미노, 아미도 또는 (저급 알킬) 아미도로 임의 치환된 C3 -7 시클로알킬, C3 -7 시클로알콕시 또는 C4 -10 알킬시클로알킬; (iii) 각각 C1 -6 알킬, 할로겐, 니트로, 히드록시, 아미도, (저급 알킬) 아미도 또는 C1 -6 알킬로 임의 치환된 아미노로 임의 치환된 C6 -10 아릴 또는 C7 -16 아릴알킬; (iv) Het; (v) 비시클로(1.1.1)펜탄; 또는 (vi) -C(O)OC1-6 알킬, C2 -6 알케닐 또는 C2-6 알키닐이고;
    (i) R5는 H; 1 내지 3개의 할로겐으로 임의 치환된 C1 -6 알킬; 또는 R4가 C1 -10 알킬인 경우에 한하여 C1 -6 알콕시이고;
    (j) X는 0, S, SO, SO2, OCH2, CH2O 또는 NH이고;
    (k) R'는 Het; 또는 Ra로 임의 치환된 C6 -10 아릴 또는 C7 -14 알킬아릴이고;
    (l) Ra는 C1 -6 알킬, C3 -7 시클로알킬, C1 -6 알콕시, C3 -7 시클로알콕시, 할로-C1-6 알킬, CF3, 모노- 또는 디-할로-C1 -6 알콕시, 시아노, 할로, 티오알킬, 히드록시, 알카노일, N02, SH, 아미노, C1 -6 알킬아미노, 디(C1 -6) 알킬아미노, 디(C1 -6) 알킬아미드, 카르복실, (C1 -6) 카르복시에스테르, C1 -6 알킬술폰, C1 -6 알킬술폰아미드, 디(C1 -6) 알킬(알콕시)아민, C6 -10 아릴, C7 -14 알킬아릴 또는 5 내지 7-원 모노시클릭 헤테로사이클이며;
    단, X-R'는 하기 화학식이 아니다:
    Figure pat01496
    .
KR1020107017350A 2002-05-20 2003-05-20 간염 c 바이러스 억제제 KR201000931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8205502P 2002-05-20 2002-05-20
US60/382,055 2002-05-20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8702A Division KR101005958B1 (ko) 2002-05-20 2003-05-20 간염 c 바이러스 억제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3140A true KR20100093140A (ko) 2010-08-24

Family

ID=2958435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7350A KR20100093140A (ko) 2002-05-20 2003-05-20 간염 c 바이러스 억제제
KR1020047018702A KR101005958B1 (ko) 2002-05-20 2003-05-20 간염 c 바이러스 억제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8702A KR101005958B1 (ko) 2002-05-20 2003-05-20 간염 c 바이러스 억제제

Country Status (34)

Country Link
US (9) US6995174B2 (ko)
EP (2) EP2340830A3 (ko)
JP (1) JP4312710B2 (ko)
KR (2) KR20100093140A (ko)
CN (3) CN1974596B (ko)
AR (3) AR040080A1 (ko)
AT (1) ATE506104T1 (ko)
AU (1) AU2003241510B2 (ko)
BR (1) BR0311132A (ko)
CA (1) CA2486308C (ko)
CO (1) CO5640083A2 (ko)
CY (1) CY1112108T1 (ko)
DE (1) DE60336807D1 (ko)
DK (1) DK1505963T3 (ko)
ES (1) ES2363131T3 (ko)
GE (1) GEP20063938B (ko)
HK (1) HK1070287A1 (ko)
HR (1) HRP20041085B1 (ko)
IL (1) IL164987A (ko)
IS (1) IS7530A (ko)
MX (1) MXPA04011440A (ko)
MY (1) MY140680A (ko)
NO (1) NO332427B1 (ko)
NZ (1) NZ536539A (ko)
PE (1) PE20040517A1 (ko)
PL (1) PL226561B1 (ko)
PT (1) PT1505963E (ko)
RS (1) RS52407B (ko)
RU (3) RU2298001C2 (ko)
SI (1) SI1505963T1 (ko)
TW (1) TWI306452B (ko)
UA (1) UA80973C2 (ko)
WO (1) WO2003099274A1 (ko)
ZA (1) ZA20040916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Y140680A (en) * 2002-05-20 2010-01-15 Bristol Myers Squibb Co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US20060199773A1 (en) * 2002-05-20 2006-09-07 Sausker Justin B Crystalline forms of (1R,2S)-N-[(1,1-dimethylethoxy)carbonyl]-3-methyl-L-valyl-(4R)-4-[(6-methoxy-1-isoquinolinyl)oxy]-L-prolyl-1-amino-N-(cyclopropylsulfonyl)-2-ethenyl-cyclopropanecarboxamide, monopotassium salt
EP1601685A1 (en) * 2003-03-05 2005-12-07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Hepatitis c inhibiting compounds
DE602004029866D1 (de) * 2003-03-05 2010-12-16 Boehringer Ingelheim Pharma Peptidanaloga mit inhibitorischer wirkung auf hepatitis c
ATE422895T1 (de) * 2003-04-16 2009-03-15 Bristol Myers Squibb Co Makrocyclische isochinolinpeptidinhibitoren des hepatitis-c-virus
US7176208B2 (en) 2003-04-18 2007-02-13 Enanta Pharmaceuticals, Inc. Quinoxalinyl macrocyclic hepatitis C serine protease inhibitors
PT1654261E (pt) 2003-05-21 2008-01-18 Boehringer Ingelheim Int Compostos inibidores da hepatite c
US7273851B2 (en) 2003-06-05 2007-09-25 Enanta Pharmaceuticals, Inc. Tri-peptide hepatitis C serine protease inhibitors
US7491794B2 (en) * 2003-10-14 2009-02-17 Intermune, Inc. Macrocyclic compounds as inhibitors of viral replication
US7132504B2 (en) 2003-11-12 2006-11-07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US7309708B2 (en) 2003-11-20 2007-12-18 Bir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US7135462B2 (en) * 2003-11-20 2006-11-14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CA2549851C (en) 2004-01-21 2012-09-11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Macrocyclic peptides active against the hepatitis c virus
AR048401A1 (es) 2004-01-30 2006-04-26 Medivir Ab Inhibidores de la serina-proteasa ns3 del vhc
SE0400199D0 (sv) * 2004-01-30 2004-01-30 Medivir Ab HCV Protease inhbitors
US7582770B2 (en) 2004-02-20 2009-09-01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Viral polymerase inhibitors
RU2006136084A (ru) * 2004-03-15 2008-04-27 БЕРИНГЕР ИНГЕЛЬХАЙМ ИНТЕРНАЦИОНАЛЬ ГмбХ (DE)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микроциклических соединений
BRPI0509467A (pt) * 2004-03-30 2007-09-11 Intermune Inc compostos macrocìclicos como inibidores de replicação viral
JP5156374B2 (ja) 2004-05-25 2013-03-06 ベーリンガー インゲルハイム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非環式hcvプロテアーゼインヒビターの調製方法
CA2556669C (en) * 2004-06-28 2012-05-01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Hepatitis c inhibitor peptide analogs
CN101022803B (zh) 2004-07-09 2011-11-23 药物合成技术公司 治疗化合物和治疗
AR050174A1 (es) 2004-07-16 2006-10-04 Gilead Sciences Inc Derivados de fosfonatos con actividad antiviral. composiciones farmaceuticas
UY29016A1 (es) 2004-07-20 2006-02-24 Boehringer Ingelheim Int Analogos de dipeptidos inhibidores de la hepatitis c
EP1771454B1 (en) * 2004-07-20 2011-06-15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Hepatitis c inhibitor peptide analogs
US7550559B2 (en) * 2004-08-27 2009-06-23 Schering Corporation Acylsulfonamide compounds as inhibitors of hepatitis C virus NS3 serine protease
ES2442678T3 (es) 2004-08-28 2014-02-12 Astrazeneca Ab Derivados de pirimidín sulfonamidas como moduladores del receptor de quimioquina
US7846915B2 (en) 2004-10-20 2010-12-07 Resverlogix Corporation Stilbenes and chalcone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s
US7323447B2 (en) 2005-02-08 2008-01-29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US7402596B2 (en) 2005-03-24 2008-07-22 Renovis, Inc. Bicycloheteroaryl compounds as P2X7 modulators and uses thereof
US7879797B2 (en) 2005-05-02 2011-02-01 Merck Sharp & Dohme Corp. HCV NS3 protease inhibitors
US7592336B2 (en) * 2005-05-10 2009-09-22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US7601686B2 (en) 2005-07-11 2009-10-13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TWI389908B (zh) 2005-07-14 2013-03-21 Gilead Sciences Inc 抗病毒化合物類
EP1910378B1 (en) * 2005-07-20 2012-06-20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Hepatitis c inhibitor peptide analogs
TWI387603B (zh) 2005-07-20 2013-03-01 Merck Sharp & Dohme Hcv ns3蛋白酶抑制劑
JP5249028B2 (ja) 2005-07-25 2013-07-31 インターミューン・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C型肝炎ウイルス複製の新規大環状阻害剤
PE20070211A1 (es) 2005-07-29 2007-05-12 Medivir Ab Compuestos macrociclicos como inhibidores del virus de hepatitis c
PE20070343A1 (es) 2005-07-29 2007-05-12 Medivir Ab Inhibidores macrociclicos del virus de la hepatitis c
TWI375670B (en) 2005-07-29 2012-11-01 Tibotec Pharm Ltd Macrocylic inhibitors of hepatitis c virus
ATE496042T1 (de) 2005-07-29 2011-02-15 Tibotec Pharm Ltd Makrocyclische inhibitoren des hepatitis-c-virus
AU2006275514B2 (en) 2005-07-29 2012-04-05 Resverlogix Corp.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omplex diseases and their delivery by insertable medical devices
KR20080036598A (ko) 2005-08-01 2008-04-28 머크 앤드 캄파니 인코포레이티드 Hcv ns3 프로테아제 억제제로서의 마크로사이클릭펩티드
EP1915378A4 (en) 2005-08-12 2009-07-22 Boehringer Ingelheim Int VIRUS POLYMERASE INHIBITORS
DE602006019323D1 (de) 2005-10-11 2011-02-10 Intermune Inc Verbindungen und verfahren zur inhibierung der replikation des hepatitis-c-virus
US7772183B2 (en) 2005-10-12 2010-08-10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US7741281B2 (en) 2005-11-03 2010-06-22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US7816348B2 (en) 2006-02-03 2010-10-19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Viral polymerase inhibitors
TWI464148B (zh) 2006-03-16 2014-12-11 Evotec Us Inc 作為p2x7調節劑之雙環雜芳基化合物與其用途
ES2543840T3 (es) * 2006-04-11 2015-08-24 Novartis Ag Inhibidores espirocíclicos del VHC/VIH y sus usos
GB0609492D0 (en) 2006-05-15 2006-06-21 Angeletti P Ist Richerche Bio Therapeutic agents
US7728148B2 (en) * 2006-06-06 2010-06-01 Enanta Pharmaceuticals, Inc. Acyclic oximyl hepatitis C protease inhibitors
US20080187516A1 (en) * 2006-06-06 2008-08-07 Ying Sun Acyclic oximyl hepatitis c protease inhibitors
GB0612423D0 (en) 2006-06-23 2006-08-02 Angeletti P Ist Richerche Bio Therapeutic agents
UY30437A1 (es) * 2006-06-26 2008-01-31 Enanta Pharm Inc Quinoxalinil macroceclicos inhibidores de serina proteasa del virus de la hepatitis c
KR20090024834A (ko) * 2006-07-05 2009-03-09 인터뮨, 인크. C형 간염 바이러스 복제의 신규 억제제
WO2008008776A2 (en) 2006-07-11 2008-01-17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EA017448B1 (ru) 2006-07-13 2012-12-28 Ачиллион Фармасьютикалз, Инк. 4-амино-4-оксобутаноиловые пептиды как ингибиторы вирусной репликации
US7635683B2 (en) * 2006-08-04 2009-12-22 Enanta Pharmaceuticals, Inc. Quinoxalinyl tripeptide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US20090035267A1 (en) * 2007-07-31 2009-02-05 Moore Joel D Acyclic, pyridazinone-derived hepatitis c serine protease inhibitors
US20090098085A1 (en) * 2006-08-11 2009-04-16 Ying Sun Tetrazolyl acyclic hepatitis c serine protease inhibitors
EP1886685A1 (en) 2006-08-11 2008-02-13 INSERM (Institut National de la Santé et de la Recherche Médicale) Methods, uses and compositions for modulating replication of hcv through the farnesoid x receptor (fxr) activation or inhibition
US7687459B2 (en) * 2006-08-11 2010-03-30 Enanta Pharmaceuticals, Inc. Arylalkoxyl hepatitis C virus protease inhibitors
US20080038225A1 (en) * 2006-08-11 2008-02-14 Ying Sun Triazolyl acyclic hepatitis c serine protease inhibitors
RU2009109355A (ru) 2006-08-17 2010-09-27 БЕРИНГЕР ИНГЕЛЬХАЙМ ИНТЕРНАЦИОНАЛЬ ГмбХ (DE) Ингибиторы вырусной полимеразы
US8138164B2 (en) 2006-10-24 2012-03-20 Merck Sharp & Dohme Corp. HCV NS3 protease inhibitors
WO2008051514A2 (en) 2006-10-24 2008-05-02 Merck & Co., Inc. Hcv ns3 protease inhibitors
AU2007309546A1 (en) 2006-10-24 2008-05-02 Istituto Di Ricerche Di Biologia Molecolare P. Angeletti S.P.A. HCV NS3 protease inhibitors
CN101568346B (zh) 2006-10-27 2015-11-25 默沙东公司 Hcv ns3蛋白酶抑制剂
CA2667031C (en) * 2006-10-27 2013-01-22 Merck & Co., Inc. Hcv ns3 protease inhibitors
US20080107623A1 (en) * 2006-11-01 2008-05-08 Bristol-Myers Squibb Company Inhibitors of Hepatitis C Virus
US20080107625A1 (en) * 2006-11-01 2008-05-08 Bristol-Myers Squibb Company Inhibitors of Hepatitis C Virus
US8343477B2 (en) 2006-11-01 2013-01-01 Bristol-Myers Squibb Company Inhibitors of hepatitis C virus
US20080108632A1 (en) * 2006-11-02 2008-05-08 Taigen Biotechnology Co., Ltd. Hcv protease inhibitors
US7772180B2 (en) 2006-11-09 2010-08-10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US7763584B2 (en) 2006-11-16 2010-07-27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WO2008070358A2 (en) * 2006-11-16 2008-06-12 Phenomix Corporation N-cyclopropyl-hydroxyproline-based tripeptidic hepatitis c serine protease inhibitors containing an isoindole, pyrrolopyridine, pyrrolopyrimidine or pyrrolopyrazine heterocycle in the side chain
US8003604B2 (en) 2006-11-16 2011-08-23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US7888464B2 (en) * 2006-11-16 2011-02-15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US9828597B2 (en) 2006-11-22 2017-11-28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Biofunctional materials
GB0625345D0 (en) 2006-12-20 2007-01-31 Angeletti P Ist Richerche Bio Therapeutic compounds
AU2007335962B2 (en) 2006-12-20 2012-09-06 Istituto Di Ricerche Di Biologia Molecolare P. Angeletti Spa Antiviral indoles
GB0625349D0 (en) 2006-12-20 2007-01-31 Angeletti P Ist Richerche Bio Therapeutic compounds
US8236950B2 (en) 2006-12-20 2012-08-07 Abbott Laboratories Anti-viral compounds
US20080161254A1 (en) * 2007-01-03 2008-07-03 Virobay, Inc. Hcv inhibitors
WO2008095058A1 (en) * 2007-02-01 2008-08-07 Taigen Biotechnology Co. Ltd. Hcv protease inhibitors
CN101641339B (zh) 2007-02-01 2013-07-17 雷斯韦洛吉克斯公司 用于预防和治疗心血管疾病的化合物
EP2118091B1 (en) 2007-02-08 2015-04-15 Janssen Sciences Ireland UC Pyrimidine substituted macrocyclic hcv inhibitors
EP2495249A1 (en) * 2007-02-26 2012-09-05 Achillion Pharmaceuticals, Inc. Tertiary amine substituted peptides useful as inhibitors of HCV replication
US20080317712A1 (en) * 2007-04-26 2008-12-25 Deqiang Niu Arylpiperidinyl and arylpyrrolidinyl tripeptide hepatitis c serine protease inhibitors
US20080267917A1 (en) * 2007-04-26 2008-10-30 Deqiang Niu N-functionalized amides as hepatitis c serine protease inhibitors
US8377872B2 (en) 2007-04-26 2013-02-19 Enanta Pharmaceuticals, Inc. Cyclic P3 tripeptide hepatitis C serine protease inhibitors
US7910587B2 (en) * 2007-04-26 2011-03-22 Enanta Pharmaceuticals, Inc. Quinoxalinyl dipeptide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US20080292587A1 (en) * 2007-04-26 2008-11-27 Ying Sun Oximyl dipeptide hepatitis c protease inhibitors
EP2177523A1 (en) * 2007-05-03 2010-04-21 Intermune, Inc. Novel macrocyclic inhibitors of hepatitis c virus replication
JP2010526834A (ja) * 2007-05-10 2010-08-05 インターミューン・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C型肝炎ウイルス複製の新規ペプチド阻害剤
US20090005387A1 (en) * 2007-06-26 2009-01-01 Deqiang Niu Quinoxalinyl macrocyclic hepatitis c virus serine protease inhibitors
AR067180A1 (es) * 2007-06-29 2009-09-30 Gilead Sciences Inc Compuestos antivirales
US8513186B2 (en) 2007-06-29 2013-08-20 Gilead Sciences, Inc. Antiviral compounds
EP2162431B1 (en) 2007-06-29 2017-06-07 Gilead Sciences, Inc. Antiviral compounds
EP2178885A1 (en) 2007-07-17 2010-04-28 Istituto Di Ricerche Di Biologia Molecolare P. Angeletti S.P.A. Macrocyclic indole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hepatitis c infections
WO2009010804A1 (en) 2007-07-19 2009-01-22 Istituto Di Ricerche Di Biologia Molecolare P. Angeletti S.P.A. Macrocyclic compounds as antiviral agents
US8242140B2 (en) 2007-08-03 2012-08-14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Viral polymerase inhibitors
CA2700383A1 (en) 2007-09-24 2009-04-02 Achillion Pharmaceuticals, Inc. Urea-containing peptides as inhibitors of viral replication
US8419332B2 (en) * 2007-10-19 2013-04-16 Atlas Bolt & Screw Company Llc Non-dimpling fastener
WO2009055335A2 (en) * 2007-10-25 2009-04-30 Taigen Biotechnology Co., Ltd. Hcv protease inhibitors
US8383583B2 (en) 2007-10-26 2013-02-26 Enanta Pharmaceuticals, Inc. Macrocyclic, pyridazinone-containing hepatitis C serine protease inhibitors
CL2008003384A1 (es) * 2007-11-14 2009-12-11 Enanta Pharm Inc Compuestos derivados de quinoxalina macrocíclica, inhibidores de serina proteasa; composicion farmaceutica que los comprende; y su uso en el tratamiento de la hepatitis c.
WO2009064955A1 (en) 2007-11-14 2009-05-22 Enanta Pharmaceuticals, Inc. Macrocyclic tetrazolyl hepatitis c serine protease inhibitors
WO2009070692A1 (en) * 2007-11-29 2009-06-04 Enanta Pharmaceuticals, Inc. C5-substituted, proline-derived, macrocyclic hepatitis c serine protease inhibitors
WO2009070689A1 (en) * 2007-11-29 2009-06-04 Enanta Pharmaceuticals, Inc. Bicyclic, c5-substituted proline derivatives as inhibitors of the hepatitis c virus ns3 protease
WO2009076173A2 (en) 2007-12-05 2009-06-18 Enanta Pharmaceuticals, Inc. Fluorinated tripeptide hcv serine protease inhibitors
US8361958B2 (en) * 2007-12-05 2013-01-29 Enanta Pharmaceuticals, Inc. Oximyl HCV serine protease inhibitors
CN101932242A (zh) 2007-12-05 2010-12-29 益安药业 喹喔啉基衍生物
WO2009079353A1 (en) 2007-12-14 2009-06-25 Enanta Pharmaceuticals, Inc. Triazole-containing macrocyclic hcv serine protease inhibitors
MX2010006518A (es) 2007-12-14 2010-08-10 Enanta Pharm Inc Inhibidores de serina proteasa de hepatitis c de oximil macrociclica.
US8476257B2 (en) 2007-12-19 2013-07-02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Viral polymerase inhibitors
CA2709535A1 (en) * 2007-12-21 2009-07-02 Avila Therapeutics, Inc. Hcv protease inhibitors and uses thereof
AU2013231052B2 (en) * 2007-12-21 2015-09-10 Bristol-Myers Squibb Holdings Ireland Unlimited Company Crystalline forms of n-(tert-butoxycarbonyl)-3-methyl-l-valyl-(4r)-4-((7-chloro-4-methoxy-1-isoquinolinyl)oxy)-n-((1r,2s)-1-((cyclopropylsulfonyl)carbamoyl)-2-vinylcyclopropyl)-l-prolinamide
US8309685B2 (en) 2007-12-21 2012-11-13 Celgene Avilomics Research, Inc. HCV protease inhibitors and uses thereof
WO2009082701A1 (en) 2007-12-21 2009-07-02 Avila Therapeutics, Inc. Hcv protease inhibitors and uses thereof
US8293705B2 (en) 2007-12-21 2012-10-23 Avila Therapeutics, Inc. HCV protease inhibitors and uses thereof
US8202996B2 (en) 2007-12-21 2012-06-19 Bristol-Myers Squibb Company Crystalline forms of N-(tert-butoxycarbonyl)-3-methyl-L-valyl-(4R)-4-((7-chloro-4-methoxy-1-isoquinolinyl)oxy)-N- ((1R,2S)-1-((cyclopropylsulfonyl)carbamoyl)-2-vinylcyclopropyl)-L-prolinamide
US8101567B2 (en) * 2008-01-24 2012-01-24 Enanta Pharmaceuticals, Inc. Heteroaryl-containing tripeptide HCV serine protease inhibitors
CN102036966A (zh) * 2008-01-24 2011-04-27 益安药业 作为hcv丝氨酸蛋白酶抑制剂的二氟化三肽
EP2250174B1 (en) 2008-02-04 2013-08-28 IDENIX Pharmaceuticals, Inc. Macrocyclic serine protease inhibitors
CN102015652A (zh) 2008-03-20 2011-04-13 益安药业 作为丙型肝炎病毒抑制剂的氟化大环化合物
SG175692A1 (en) * 2008-04-15 2011-11-28 Intermune Inc Novel macrocyclic inhibitors of hepatitis c virus replication
US8163921B2 (en) 2008-04-16 2012-04-24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CA2720850A1 (en) 2008-04-28 2009-11-05 Merck Sharp & Dohme Corp. Hcv ns3 protease inhibitors
US20090285773A1 (en) * 2008-05-15 2009-11-19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US20090285774A1 (en) * 2008-05-15 2009-11-19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CN101580535B (zh) * 2008-05-16 2012-10-03 太景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丙型肝炎病毒蛋白酶抑制剂
US7964560B2 (en) 2008-05-29 2011-06-21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JP5529120B2 (ja) 2008-05-29 2014-06-25 ブリストル−マイヤーズ スクイブ カンパニー C型肝炎ウイルス阻害剤
KR101629356B1 (ko) 2008-06-26 2016-06-13 리스버로직스 코퍼레이션 퀴나졸리논 유도체의 제조방법
TW201004632A (en) 2008-07-02 2010-02-01 Idenix Pharmaceuticals Inc Compound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viral infections
PL2310095T3 (pl) 2008-07-22 2013-03-29 Msd Italia Srl Makrocykliczne związki chinoksaliny jako inhibitory proteazy NS3 HCV
US8188137B2 (en) 2008-08-15 2012-05-29 Avila Therapeutics, Inc. HCV protease inhibitors and uses thereof
US8748650B2 (en) 2008-08-29 2014-06-10 Jsr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tion of N-carboxy amino acid anhydride and amino acid carbamate compound
US8207341B2 (en) * 2008-09-04 2012-06-26 Bristol-Myers Squibb Company Process or synthesizing substituted isoquinolines
UY32099A (es) 2008-09-11 2010-04-30 Enanta Pharm Inc Inhibidores macrocíclicos de serina proteasas de hepatitis c
US8044087B2 (en) 2008-09-29 2011-10-25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US8563505B2 (en) 2008-09-29 2013-10-22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US20100080770A1 (en) * 2008-09-29 2010-04-01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US8383094B2 (en) * 2008-10-01 2013-02-26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US20100272674A1 (en) * 2008-12-04 2010-10-28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SI2364309T1 (sl) * 2008-12-10 2015-03-31 Achillion Pharmaceuticals, Inc. Novi 4-amino-4-oksobutanoil peptidi kot inhibitorji virusne replikacije
CA2746265A1 (en) * 2008-12-10 2010-06-17 Achillion Pharmaceuticals, Inc. 4-amino-4-oxobutanoyl peptide cyclic analogues, inhibitors of viral replication
US8283310B2 (en) 2008-12-15 2012-10-09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EP2379579A1 (en) 2008-12-19 2011-10-26 Gilead Sciences, Inc. Hcv ns3 protease inhibitors
JP2012513397A (ja) 2008-12-22 2012-06-14 ギリアード サイエンシ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抗ウイルス化合物
SG172848A1 (en) 2009-01-07 2011-08-29 Scynexis Inc Cyclosporine derivative for use in the treatment of hcv and hiv infection
AU2010204106B2 (en) 2009-01-08 2014-05-08 Resverlogix Corp. Compound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
CA2751892A1 (en) 2009-01-15 2010-07-22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Benzo [c] phenanthridines as antimicrobial agents
US8102720B2 (en) * 2009-02-02 2012-01-2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of pulse generation
TWI438200B (zh) 2009-02-17 2014-05-21 必治妥美雅史谷比公司 C型肝炎病毒抑制劑
AR075584A1 (es) * 2009-02-27 2011-04-20 Intermune Inc COMPOSICIONES TERAPEUTICAS QUE COMPRENDEN beta-D-2'-DESOXI-2'-FLUORO-2'-C-METILCITIDINA Y UN DERIVADO DE ACIDO ISOINDOL CARBOXILICO Y SUS USOS. COMPUESTO.
JP5690286B2 (ja) 2009-03-04 2015-03-25 イデニク プハルマセウティカル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ホスホチオフェン及びホスホチアゾールhcvポリメラーゼ阻害剤
MX2021012876A (es) 2009-03-18 2022-06-23 Resverlogix Corp Nuevos agentes anti-inflamatorios.
US8796466B2 (en) 2009-03-30 2014-08-05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US8377962B2 (en) 2009-04-08 2013-02-19 Idenix Pharmaceuticals, Inc. Macrocyclic serine protease inhibitors
ES2821018T3 (es) 2009-04-22 2021-04-23 Resverlogix Corp Nuevos agentes antiinflamatorios
WO2010127307A1 (en) * 2009-04-30 2010-11-04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Antimicrobial agents
EP2429568B1 (en) 2009-05-13 2016-08-17 Enanta Pharmaceuticals, Inc. Macrocyclic compounds as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US8232246B2 (en) * 2009-06-30 2012-07-31 Abbott Laboratories Anti-viral compounds
WO2011014487A1 (en) 2009-07-30 2011-02-03 Merck Sharp & Dohme Corp. Hepatitis c virus ns3 protease inhibitors
AR077712A1 (es) 2009-08-05 2011-09-14 Idenix Pharmaceuticals Inc Inhibidores de serina proteasa macrociclica
US8389560B2 (en) 2009-09-15 2013-03-05 Taigen Biotechnology Co., Ltd. HCV protease inhibitors
CA2775697A1 (en) * 2009-09-28 2011-03-31 Intermune, Inc. Cyclic peptide inhibitors of hepatitis c virus replication
US8415374B2 (en) * 2009-10-12 2013-04-09 Bristol-Myers Squibb Company Combinations of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WO2011049908A2 (en) * 2009-10-19 2011-04-28 Enanta Pharmaceuticals, Inc. Bismacrokyclic compounds as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US20110269956A1 (en) 2009-11-11 2011-11-03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US20110274648A1 (en) 2009-11-11 2011-11-10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US20110281910A1 (en) 2009-11-12 2011-11-17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WO2011063076A1 (en) 2009-11-19 2011-05-26 Itherx Pharmaceuticals, Inc. Methods of treating hepatitis c virus with oxoacetamide compounds
US8377980B2 (en) 2009-12-16 2013-02-19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MY159958A (en) * 2009-12-18 2017-02-15 Idenix Pharmaceuticals Inc 5,5-fused arylene or heteroarylene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US8362020B2 (en) 2009-12-30 2013-01-29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US20110178107A1 (en) * 2010-01-20 2011-07-21 Taigen Biotechnology Co., Ltd. Hcv protease inhibitors
EP2552203B1 (en) 2010-04-01 2017-03-22 Idenix Pharmaceuticals LLC. Compound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viral infections
CA2810162A1 (en) 2010-06-09 2011-12-15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Antimicrobial agents
US9121016B2 (en) 2011-09-09 2015-09-01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Coatings containing polymer modified enzyme for stable self-cleaning of organic stains
US11015149B2 (en) 2010-06-21 2021-05-25 Toyota Motor Corporation Methods of facilitating removal of a fingerprint
US10988714B2 (en) 2010-06-21 2021-04-27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Methods of facilitating removal of a fingerprint from a substrate or a coating
US8796009B2 (en) 2010-06-21 2014-08-05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Clearcoat containing thermolysin-like protease from Bacillus stearothermophilus for cleaning of insect body stains
US9388370B2 (en) * 2010-06-21 2016-07-12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Thermolysin-like protease for cleaning insect body stains
WO2011163610A2 (en) 2010-06-25 2011-12-29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Antimicrobial agents
US20120196794A1 (en) * 2010-08-06 2012-08-02 Bristol-Myers Squibb Company Combinations of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PE20140015A1 (es) 2010-09-21 2014-02-16 Enanta Pharm Inc Inhibidores de las proteasas de serina del vhc derivados de prolinas macrociclicas
BR112013008148A2 (pt) 2010-09-24 2016-08-09 Bristol Myers Squibb Co "inibidores do vírus da hepatite c".
CA2815855C (en) 2010-11-01 2016-02-02 Rfs Pharma, Llc Novel specific hcv ns3 protease inhibitors
EP2651884A2 (en) * 2010-12-14 2013-10-23 Merck Sharp & Dohme Corp. Process and intermediates for preparing macrolactams
WO2012087833A1 (en) 2010-12-22 2012-06-28 Abbott Laboratories Hepatitis c inhibitors and uses thereof
MX2013007677A (es) 2010-12-30 2013-07-30 Abbvie Inc Inhibidores macrociclicos de serina proteasa de hepatitis.
AU2011352145A1 (en) 2010-12-30 2013-07-18 Abbvie Inc. Phenanthridine macrocyclic hepatitis C serine protease inhibitors
WO2012109398A1 (en) 2011-02-10 2012-08-16 Idenix Pharmaceuticals, Inc. Macrocyclic serine protease inhibitor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thereof, and their use for treating hcv infections
WO2012107589A1 (en) 2011-02-11 2012-08-16 INSERM (Institut National de la Santé et de la Recherche Médicale) Method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hcv infections
US20120252721A1 (en) 2011-03-31 2012-10-04 Idenix Pharmaceuticals, Inc. Methods for treating drug-resistant hepatitis c virus infection with a 5,5-fused arylene or heteroarylene hepatitis c virus inhibitor
EP2691409B1 (en) 2011-03-31 2018-02-21 Idenix Pharmaceuticals LLC. Compound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viral infections
US8957203B2 (en) 2011-05-05 2015-02-17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US10201584B1 (en) 2011-05-17 2019-02-12 Abbvie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HCV
WO2012166459A1 (en) * 2011-05-27 2012-12-06 Bristol-Myers Squibb Company Tripeptides incorporating deuterium as inhibitors of hepatitis c virus
MX349079B (es) * 2011-05-27 2017-07-07 Achillion Pharmaceuticals Inc Alifanos, ciclofanos, heterafanos, heterofanos, hetero-heterafanos y metalocenos sustituidos utiles para tratar infecciones por el vhc.
US8691757B2 (en) 2011-06-15 2014-04-08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CN102911254A (zh) * 2011-08-02 2013-02-06 上海唐润医药科技有限公司 Hcv蛋白酶抑制剂
US8951985B2 (en) 2011-09-12 2015-02-10 Idenix Pharmaceuticals, Inc. Compound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viral infections
EP2755983B1 (en) 2011-09-12 2017-03-15 Idenix Pharmaceuticals LLC. Substituted carbonyloxymethylphosphoramidate compound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viral infections
US8507460B2 (en) 2011-10-14 2013-08-13 Idenix Pharmaceuticals, Inc. Substituted 3′,5′-cyclic phosphates of purine nucleotide compound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viral infections
GB2515941A (en) 2011-10-21 2015-01-07 Abbvie Inc Methods for treating HCV comprising at least two direct acting antiviral agent, ribavirin but not interferon
US8492386B2 (en) 2011-10-21 2013-07-23 Abbvie Inc. Methods for treating HCV
EA201490836A1 (ru) 2011-10-21 2014-11-28 Эббви Инк. Комбинационное лечение (например, с abt-072 или abt-333) с помощью daa для применения при лечении hcv
US8466159B2 (en) 2011-10-21 2013-06-18 Abbvie Inc. Methods for treating HCV
PT2773354T (pt) 2011-11-01 2019-07-17 Resverlogix Corp Formulações orais de libertação imediata para quinazolinonas substituídas
EP2780026B1 (en) 2011-11-15 2019-10-23 Merck Sharp & Dohme Corp. Hcv ns3 protease inhibitors
EP2785184B1 (en) 2011-11-30 2020-06-10 Emory University Compositions comprising jak inhibitors and haart drugs for use in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hiv
MX355102B (es) 2012-01-11 2018-04-05 Abbvie Ireland Unlimited Co Procesos para hacer los inhibidores de la proteasa del hcv.
US9040479B2 (en) 2012-01-12 2015-05-26 Cocrystal Pharma, Inc. HCV NS3 protease inhibitors
WO2013106756A2 (en) 2012-01-13 2013-07-18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Antimicrobial agents
WO2013133927A1 (en) 2012-02-13 2013-09-12 Idenix Pharmaceuticals,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2'-c-methyl-guanosine, 5'-[2-[(3-hydroxy-2,2-dimethyl-1-oxopropyl)thio]ethyl n-(phenylmethyl)phosphoramidate]
AU2013229229B2 (en) 2012-03-07 2017-10-19 Institute Of Cancer Research: Royal Cancer Hospital (The) 3-aryl-5-substituted-isoquinolin-1-one compounds and their therapeutic use
US9475783B2 (en) 2012-03-21 2016-10-25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Antimicrobial agents
US20130302414A1 (en) 2012-05-07 2013-11-14 Bristol-Myers Squibb Company Solubilized capsule formulation of 1,1-dimethylethyl [(1s)-1-carbamoyl)pyrrolidin-1-yl]carbonyl}-2,2-dimethylpropyl]carbamate
JP2015516421A (ja) 2012-05-07 2015-06-11 ブリストル−マイヤーズ・スクイブ・ホールディングス・アイルランドBristol−Myers Squibb Holdings Ireland 1,1−ジメチルエチル[(1s)−1−{[(2s,4r)−4−(7−クロロ−4メトキシイソキノリン−1−イルオキシ)−2−({(1r,2s)−1−[(シクロプロピルスルホニル)カルバモイル]−2−エテニルシクロプロピル}カルバモイル)ピロリジン−1−イル]カルボニル}−2,2−ジメチルプロピル]カルバメートの経口固形製剤
US9296778B2 (en) 2012-05-22 2016-03-29 Idenix Pharmaceuticals, Inc. 3′,5′-cyclic phosphate prodrugs for HCV infection
EP2852604B1 (en) 2012-05-22 2017-04-12 Idenix Pharmaceuticals LLC 3',5'-cyclic phosphoramidate prodrugs for hcv infection
AU2013266393B2 (en) 2012-05-22 2017-09-28 Idenix Pharmaceuticals Llc D-amino acid compounds for liver disease
UA119315C2 (uk) 2012-07-03 2019-06-10 Гіліад Фармассет Елелсі Інгібітори вірусу гепатиту с
ES2773272T3 (es) * 2012-08-08 2020-07-10 Merck Patent Gmbh Derivados de (aza-)isoquinolinona
ES2674980T3 (es) 2012-10-08 2018-07-05 Idenix Pharmaceuticals Llc Análogos de 2'-cloro nucleósidos para infección por VHC
MX360452B (es) 2012-10-19 2018-11-01 Bristol Myers Squibb Co Inhibidores del virus de la hepatitis c.
EP2909223B1 (en) 2012-10-19 2017-03-22 Idenix Pharmaceuticals LLC Dinucleotide compounds for hcv infection
US10723754B2 (en) 2012-10-22 2020-07-28 Idenix Pharmaceuticals Llc 2′,4′-bridged nucleosides for HCV infection
US9643999B2 (en) 2012-11-02 2017-05-09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WO2014071007A1 (en) 2012-11-02 2014-05-08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US9598433B2 (en) 2012-11-02 2017-03-21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WO2014070974A1 (en) 2012-11-05 2014-05-08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US20140140951A1 (en) 2012-11-14 2014-05-22 Idenix Pharmaceuticals, Inc. D-Alanine Ester of Rp-Nucleoside Analog
WO2014078436A1 (en) 2012-11-14 2014-05-22 Idenix Pharmaceuticals, Inc. D-alanine ester of sp-nucleoside analog
CN103804208B (zh) * 2012-11-14 2016-06-08 重庆博腾制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丙肝药物中间体的制备方法
WO2014080291A2 (en) 2012-11-21 2014-05-30 Rvx Therapeutics Inc. Biaryl derivatives as bromodomain inhibitors
US9073878B2 (en) 2012-11-21 2015-07-07 Zenith Epigenetics Corp. Cyclic amines as bromodomain inhibitors
EP2935304A1 (en) 2012-12-19 2015-10-28 IDENIX Pharmaceuticals, Inc. 4'-fluoro nucleosides for the treatment of hcv
AU2013365926B9 (en) 2012-12-21 2019-01-17 Zenith Epigenetics Ltd. Novel heterocyclic compounds as bromodomain inhibitors
US9309275B2 (en) 2013-03-04 2016-04-12 Idenix Pharmaceuticals Llc 3′-deoxy nucleosides for the treatment of HCV
US9339541B2 (en) 2013-03-04 2016-05-17 Merck Sharp & Dohme Corp. Thiophosphate nucleosides for the treatment of HCV
WO2014137869A1 (en) 2013-03-07 2014-09-12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EA201591722A1 (ru) 2013-03-14 2016-02-29 Ачиллион Фармасьютикалз, Инк. Новые способы получения совапревира
US11484534B2 (en) 2013-03-14 2022-11-01 Abbvie Inc. Methods for treating HCV
WO2014145600A1 (en) 2013-03-15 2014-09-18 Achillion Pharmaceuticals, Inc. Ach-0142684 sodium salt polymorphs, composition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US9006423B2 (en) 2013-03-15 2015-04-14 Achillion Pharmaceuticals Inc. Process for making a 4-amino-4-oxobutanoyl peptide cyclic analogue, an inhibitor of viral replication, and intermediates thereof
KR20160005686A (ko) 2013-03-15 2016-01-15 아칠리온 파르마세우티칼스 인코포레이티드 소바프레비르 다형체들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4165542A1 (en) 2013-04-01 2014-10-09 Idenix Pharmaceuticals, Inc. 2',4'-fluoro nucleosides for the treatment of hcv
US10005779B2 (en) 2013-06-05 2018-06-26 Idenix Pharmaceuticals Llc 1′,4′-thio nucleosides for the treatment of HCV
EP3027636B1 (en) 2013-08-01 2022-01-05 Idenix Pharmaceuticals LLC D-amino acid phosphoramidate pronucleotides of halogeno pyrimidine compounds for liver disease
NO3044221T3 (ko) 2013-09-11 2018-07-21
US20160229866A1 (en) 2013-09-20 2016-08-11 Idenix Pharmaceuticals Inc.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WO2015061683A1 (en) 2013-10-25 2015-04-30 Idenix Pharmaceuticals, Inc. D-amino acid phosphoramidate and d-alanine thiophosphoramidate pronucleotides of nucleoside compounds useful for the treatment of hcv
EP3063165A1 (en) 2013-11-01 2016-09-07 Idenix Pharmaceuticals LLC D-alanine phosphoramidate pronucleotides of 2'-methyl 2'-fluoro guanosine nucleoside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hcv
US9458150B2 (en) 2013-11-08 2016-10-04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Antimicrobial agents
EP3074399A1 (en) 2013-11-27 2016-10-05 Idenix Pharmaceuticals LLC 2'-dichloro and 2'-fluoro-2'-chloro nucleoside analogues for hcv infection
WO2015095419A1 (en) 2013-12-18 2015-06-25 Idenix Pharmaceuticals, Inc. 4'-or nucleosides for the treatment of hcv
EP3089757A1 (en) 2014-01-03 2016-11-09 AbbVie Inc. Solid antiviral dosage forms
EP3114122A1 (en) 2014-03-05 2017-01-11 Idenix Pharmaceuticals LLC Solid forms of a flaviviridae virus inhibitor compound and salts thereof
WO2015134561A1 (en) 2014-03-05 2015-09-11 Idenix Pharmaceuticals,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a 5,5-fused heteroarylene flaviviridae inhibitor and their use for treating or preventing flaviviridae infection
WO2015134780A1 (en) 2014-03-05 2015-09-11 Idenix Pharmaceuticals, Inc. Solid prodrug forms of 2'-chloro-2'-methyl uridine for hcv
WO2015161137A1 (en) 2014-04-16 2015-10-22 Idenix Pharmaceuticals, Inc. 3'-substituted methyl or alkynyl nucleosides for the treatment of hcv
WO2015200305A1 (en) 2014-06-25 2015-12-30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US10111885B2 (en) 2015-03-13 2018-10-30 Resverlogix Corp. Compositions and therapeutic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complement-associated diseases
AU2016333987A1 (en) 2015-10-05 2018-05-10 Ny State Psychiatric Institute Activators of autophagic flux and phospholipase D and clearance of protein aggregates including tau and treatment of proteinopathies
US10513528B2 (en) 2016-02-25 2019-12-24 Taxis Pharmaceuticals, Inc. Synthetic processes and intermediates
CN109689063A (zh) 2016-04-28 2019-04-26 埃默里大学 含有炔烃的核苷酸和核苷治疗组合物及其相关用途
CN107641099A (zh) * 2016-07-20 2018-01-30 广东东阳光药业有限公司 取代的4‑羟基喹啉类化合物的制备方法
WO2018026877A1 (en) 2016-08-05 2018-02-08 Calitor Sciences, Llc Process for preparing substituted quinolin-4-ol compounds
US10774093B2 (en) 2017-03-30 2020-09-15 Taxis Pharmaceuticals, Inc. Synthetic processes and synthetic intermediates
US11472778B2 (en) * 2017-06-20 2022-10-18 University Of Massachusetts Hepatitis C virus NS3/4A protease inhibitors
CN110156684A (zh) * 2019-06-28 2019-08-23 珠海市柏瑞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去甲乌药碱及其药用盐的合成工艺
US20230218644A1 (en) 2020-04-16 2023-07-13 Som Innovation Biotech, S.A. Compounds for use in the treatment of viral infections by respiratory syndrome-related coronavirus
CN113402450B (zh) * 2021-01-13 2023-11-24 上海睿腾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2-溴-4-氯吡啶的纯化方法
WO2023239729A1 (en) 2022-06-08 2023-12-14 Xenon Pharmaceuticals Inc. Pyridinamine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potassium channel modulators

Family Cites Families (18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5001A (en) 1876-12-05 Improvement in measuring-faucets
JPS57123181A (en) 1981-01-23 1982-07-31 Mitsubishi Paper Mills Ltd Preparation of pyrazolo (1,5-a) pyridine derivative
EP0475255A3 (en) 1990-09-12 1993-04-14 F. Hoffmann-La Roche Ag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optically pure (s)-alpha-((tert-butylsulfonyl)methyl)hydro cinnamic acid
US5610054A (en) * 1992-05-14 1997-03-11 Ribozyme Pharmaceuticals, Inc. Enzymatic RNA molecule targeted against Hepatitis C virus
US5500208A (en) 1994-06-07 1996-03-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Oral compositions comprising a novel tripeptide
MY147327A (en) * 1995-06-29 2012-11-30 Novartis Ag Somatostatin peptides
GB9517022D0 (en) 1995-08-19 1995-10-25 Glaxo Group Ltd Medicaments
US5633388A (en) * 1996-03-29 1997-05-27 Viropharma Incorporated Compounds,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hepatitis C
AU2933797A (en) 1996-05-10 1997-12-05 Schering Corporation Synthetic inhibitors of hepatitis c virus ns3 protease
JP4080541B2 (ja) * 1996-10-18 2008-04-23 バーテックス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セリンプロテアーゼ、特にc型肝炎ウイルスns3プロテアーゼの阻害因子
GB9623908D0 (en) 1996-11-18 1997-01-08 Hoffmann La Roche Amino acid derivatives
PL334846A1 (en) 1997-01-23 2000-03-27 Hoffmann La Roche Sulphamidic inhibitors of metaloproteases
AU7127298A (en) 1997-04-14 1998-11-11 Emory University Serine protease inhibitors
GB9707659D0 (en) 1997-04-16 1997-06-04 Peptide Therapeutics Ltd Hepatitis C NS3 Protease inhibitors
ES2241157T3 (es) 1997-08-11 2005-10-16 Boehringer Ingelheim (Canada) Ltd. Peptidos inhibidores de la hepatitis c.
EP1012180B1 (en) 1997-08-11 2004-12-01 Boehringer Ingelheim (Canada) Ltd. Hepatitis c inhibitor peptide analogues
IT1299134B1 (it) 1998-02-02 2000-02-29 Angeletti P Ist Richerche Bio Procedimento per la produzione di peptidi con proprieta' inibitrici della proteasi ns3 del virus hcv, peptidi cosi' ottenibili e peptidi
ES2281170T3 (es) 1998-03-31 2007-09-16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Inhibidores de serina proteasas, particularmente proteasa ns3 del virus de la hepatitis c.
GB9812523D0 (en) 1998-06-10 1998-08-05 Angeletti P Ist Richerche Bio Peptide inhibitors of hepatitis c virus ns3 protease
US6492423B1 (en) 1998-07-27 2002-12-10 Istituto Di Ricerche Di Biologia Molecolare Pangeletti Spa Diketoacid-derivatives as inhibitors of polymerases
US6323180B1 (en) * 1998-08-10 2001-11-27 Boehringer Ingelheim (Canada) Ltd Hepatitis C inhibitor tri-peptides
AR022061A1 (es) * 1998-08-10 2002-09-04 Boehringer Ingelheim Ca Ltd Peptidos inhibidores de la hepatitis c, una composicion farmaceutica que los contiene, el uso de los mismos para preparar una composicion farmaceutica, el uso de un producto intermedio para la preparacion de estos peptidos y un procedimiento para la preparacion de un peptido analogo de los mismos.
CN1325309A (zh) 1998-08-21 2001-12-05 维洛药品公司 用于治疗或预防病毒感染和相关疾病的化合物、组合物和方法
AU751201B2 (en) 1998-09-04 2002-08-08 Viropharma Incorporated Methods for treating or preventing viral infections and associated diseases
AU751457B2 (en) 1998-09-25 2002-08-15 Viropharma Incorporated Methods for treating or preventing viral infections and associated diseases
UA74546C2 (en) 1999-04-06 2006-01-16 Boehringer Ingelheim Ca Ltd Macrocyclic peptides having activity relative to hepatitis c viru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us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EP1225899A2 (en) 1999-11-04 2002-07-31 Virochem Pharma Inc. Method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flaviviridae viral infection using nucleoside analogues
TR200103147T1 (tr) 1999-12-27 2002-06-21 Japan Tobacco Inc. Kaynaşık halkalı bileşikler ve bunların ilaç olarak kullanımı.
JP2004509066A (ja) 2000-05-10 2004-03-25 スミスクライン・ビーチャム・コーポレイション 新規抗感染症薬
EP1299498A1 (en) 2000-06-23 2003-04-09 General Electric Company Silicon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US6448281B1 (en) 2000-07-06 2002-09-10 Boehringer Ingelheim (Canada) Ltd. Viral polymerase inhibitors
GB0017676D0 (en) 2000-07-19 2000-09-06 Angeletti P Ist Richerche Bio Inhibitors of viral polymerase
US7012066B2 (en) 2000-07-21 2006-03-14 Schering Corporation Peptides as NS3-serine protease inhibitors of hepatitis C virus
US7244721B2 (en) 2000-07-21 2007-07-17 Schering Corporation Peptides as NS3-serine protease inhibitors of hepatitis C virus
PE20020506A1 (es) 2000-08-22 2002-07-09 Glaxo Group Ltd Derivados de pirazol fusionados como inhibidores de la proteina cinasa
HUP0500456A3 (en) * 2000-11-20 2012-05-02 Bristol Myers Squibb Co Hepatitis c tripeptide inhibitor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thereof and their use
JP2004525150A (ja) 2001-03-30 2004-08-19 スミスクライン ビーチャム コーポレーション 治療用化合物としてのピラゾロピリジン類の使用
US6867185B2 (en) 2001-12-20 2005-03-15 Bristol-Myers Squibb Company Inhibitors of hepatitis C virus
CA2369711A1 (en) 2002-01-30 2003-07-30 Boehringer Ingelheim (Canada) Ltd. Macrocyclic peptides active against the hepatitis c virus
CA2370396A1 (en) 2002-02-01 2003-08-01 Boehringer Ingelheim (Canada) Ltd. Hepatitis c inhibitor tri-peptides
US6642204B2 (en) * 2002-02-01 2003-11-04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Hepatitis C inhibitor tri-peptides
CA2369970A1 (en) * 2002-02-01 2003-08-01 Boehringer Ingelheim (Canada) Ltd. Hepatitis c inhibitor tri-peptides
US6828301B2 (en) 2002-02-07 2004-12-07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hepatitis C viral protease inhibitors
US20060199773A1 (en) * 2002-05-20 2006-09-07 Sausker Justin B Crystalline forms of (1R,2S)-N-[(1,1-dimethylethoxy)carbonyl]-3-methyl-L-valyl-(4R)-4-[(6-methoxy-1-isoquinolinyl)oxy]-L-prolyl-1-amino-N-(cyclopropylsulfonyl)-2-ethenyl-cyclopropanecarboxamide, monopotassium salt
ATE481106T1 (de) * 2002-05-20 2010-10-15 Bristol Myers Squibb Co Heterocyclische sulfonamid-hepatitis-c-virus- hemmer
ES2315568T3 (es) * 2002-05-20 2009-04-01 Bristol-Myers Squibb Company Inhibidores del virus de la hepatitis c basados en cicloalquilo p1' sustituido.
MY140680A (en) * 2002-05-20 2010-01-15 Bristol Myers Squibb Co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EP1506172B1 (en) * 2002-05-20 2011-03-30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US20040033959A1 (en) 2002-07-19 2004-02-19 Boehringer Ingelheim Pharmaceuticals,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hepatitis C viral protease inhibitors
US20050075279A1 (en) 2002-10-25 2005-04-07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Macrocyclic peptides active against the hepatitis C virus
KR20050065661A (ko) 2002-11-01 2005-06-29 비로파마 인코포레이티드 벤조푸란 화합물, 조성물 및 c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 및관련 질병의 치료 및 예방 방법
US7601709B2 (en) * 2003-02-07 2009-10-13 Enanta Pharmaceuticals, Inc. Macrocyclic hepatitis C serine protease inhibitors
KR100940619B1 (ko) 2003-02-07 2010-02-05 이난타 파마슈티칼스, 인코포레이티드 마크로사이클릭 씨형 간염 세린 단백효소 억제제
EP1601685A1 (en) 2003-03-05 2005-12-07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Hepatitis c inhibiting compounds
DE602004029866D1 (de) 2003-03-05 2010-12-16 Boehringer Ingelheim Pharma Peptidanaloga mit inhibitorischer wirkung auf hepatitis c
KR20050108420A (ko) 2003-04-02 2005-11-16 베링거 인겔하임 인터내셔날 게엠베하 C형 간염 바이러스 프로테아제 억제제를 위한 약제학적조성물
ATE422895T1 (de) 2003-04-16 2009-03-15 Bristol Myers Squibb Co Makrocyclische isochinolinpeptidinhibitoren des hepatitis-c-virus
PT1615613E (pt) 2003-04-18 2010-02-09 Enanta Pharm Inc Inibidores da serina protease da hepatite c macrocíclicos de quinoxalinilo
PT1654261E (pt) 2003-05-21 2008-01-18 Boehringer Ingelheim Int Compostos inibidores da hepatite c
WO2004113365A2 (en) 2003-06-05 2004-12-29 Enanta Pharmaceuticals, Inc. Hepatitis c serine protease tri-peptide inhibitors
US7125845B2 (en) 2003-07-03 2006-10-24 Enanta Pharmaceuticals, Inc. Aza-peptide macrocyclic hepatitis C serine protease inhibitors
DE602004031645D1 (de) 2003-09-22 2011-04-14 Boehringer Ingelheim Pharma Makrozyklische peptide mit wirkung gegen das hepatitis-c-virus
CA2541634A1 (en) 2003-10-10 2005-04-28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Inhibitors of serine proteases, particularly hcv ns3-ns4a protease
DK1680137T3 (da) 2003-10-14 2013-02-18 Hoffmann La Roche Makrocyklisk carboxylsyre- og acylsulfonamidforbindelse som inhibitor af HCV-replikation
US7132504B2 (en) * 2003-11-12 2006-11-07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US7135462B2 (en) 2003-11-20 2006-11-14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US7309708B2 (en) * 2003-11-20 2007-12-18 Bir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EP1689770A1 (en) 2003-11-20 2006-08-16 Schering Corporation Depeptidized inhibitors of hepatitis c virus ns3 protease
CA2549851C (en) 2004-01-21 2012-09-11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Macrocyclic peptides active against the hepatitis c virus
AR048401A1 (es) 2004-01-30 2006-04-26 Medivir Ab Inhibidores de la serina-proteasa ns3 del vhc
RU2006136084A (ru) 2004-03-15 2008-04-27 БЕРИНГЕР ИНГЕЛЬХАЙМ ИНТЕРНАЦИОНАЛЬ ГмбХ (DE)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микроциклических соединений
BRPI0509467A (pt) 2004-03-30 2007-09-11 Intermune Inc compostos macrocìclicos como inibidores de replicação viral
WO2006016930A2 (en) 2004-05-14 2006-02-16 Intermune, Inc. Methods for treating hcv infection
JP5156374B2 (ja) 2004-05-25 2013-03-06 ベーリンガー インゲルハイム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非環式hcvプロテアーゼインヒビターの調製方法
CA2556669C (en) 2004-06-28 2012-05-01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Hepatitis c inhibitor peptide analogs
US7868037B2 (en) 2004-07-14 2011-01-11 Ptc Therapeutics, Inc. Methods for treating hepatitis C
AR050174A1 (es) 2004-07-16 2006-10-04 Gilead Sciences Inc Derivados de fosfonatos con actividad antiviral. composiciones farmaceuticas
UY29016A1 (es) 2004-07-20 2006-02-24 Boehringer Ingelheim Int Analogos de dipeptidos inhibidores de la hepatitis c
EP1771454B1 (en) 2004-07-20 2011-06-15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Hepatitis c inhibitor peptide analogs
US7550559B2 (en) 2004-08-27 2009-06-23 Schering Corporation Acylsulfonamide compounds as inhibitors of hepatitis C virus NS3 serine protease
JP2008513454A (ja) 2004-09-17 2008-05-01 ベーリンガー インゲルハイム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大環状hcvプロテアーゼインヒビターの調製方法
WO2007001406A2 (en) 2004-10-05 2007-01-04 Chiron Corporation Aryl-containing macrocyclic compounds
CA2583152A1 (en) 2004-10-21 2006-04-27 Pfizer Inc. Inhibitors of hepatitis c virus protease, and compositions and treatments using the same
US7323447B2 (en) 2005-02-08 2008-01-29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CN101160317B (zh) 2005-03-08 2013-03-27 贝林格尔·英格海姆国际有限公司 制备大环化合物的方法
US7879797B2 (en) 2005-05-02 2011-02-01 Merck Sharp & Dohme Corp. HCV NS3 protease inhibitors
US7592336B2 (en) 2005-05-10 2009-09-22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US20060276404A1 (en) 2005-06-02 2006-12-07 Anima Ghosal Medicaments and methods combining a HCV protease inhibitor and an AKR competitor
US20070021351A1 (en) 2005-06-02 2007-01-25 Schering Corporation Liver/plasma concentration ratio for dosing hepatitis C virus protease inhibitor
US20070004635A1 (en) 2005-06-02 2007-01-04 Schering Corporation Method of treating interferon non-responders using HCV protease inhibitor
US20060287248A1 (en) 2005-06-02 2006-12-21 Schering Corporation Asymmetric dosing methods
NZ563365A (en) 2005-06-02 2011-02-25 Schering Corp Combination of HCV protease inhibitors with a surfactant
US20060281689A1 (en) 2005-06-02 2006-12-14 Schering Corporation Method for modulating activity of HCV protease through use of a novel HCV protease inhibitor to reduce duration of treatment period
WO2006130607A2 (en) 2005-06-02 2006-12-07 Schering Corporation Controlled-release formulation useful for treating disorders associated with hepatitis c virus
US20060276405A1 (en) 2005-06-02 2006-12-07 Schering Corporation Methods for treating hepatitis C
WO2006130554A2 (en) 2005-06-02 2006-12-07 Schering Corporation Methods of treating hepatitis c virus
US20060276406A1 (en) 2005-06-02 2006-12-07 Schering Corporation Methods of treating hepatitis C virus
US8119602B2 (en) 2005-06-02 2012-02-21 Schering Corporation Administration of HCV protease inhibitors in combination with food to improve bioavailability
US7601686B2 (en) 2005-07-11 2009-10-13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TWI389908B (zh) 2005-07-14 2013-03-21 Gilead Sciences Inc 抗病毒化合物類
TW200738742A (en) 2005-07-14 2007-10-16 Gilead Sciences Inc Antiviral compounds
TWI387603B (zh) 2005-07-20 2013-03-01 Merck Sharp & Dohme Hcv ns3蛋白酶抑制劑
EP1910378B1 (en) 2005-07-20 2012-06-20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Hepatitis c inhibitor peptide analogs
JP5249028B2 (ja) 2005-07-25 2013-07-31 インターミューン・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C型肝炎ウイルス複製の新規大環状阻害剤
TWI375670B (en) 2005-07-29 2012-11-01 Tibotec Pharm Ltd Macrocylic inhibitors of hepatitis c virus
CN101273042B (zh) 2005-07-29 2013-11-06 泰博特克药品有限公司 丙型肝炎病毒的大环抑制剂
PE20070343A1 (es) 2005-07-29 2007-05-12 Medivir Ab Inhibidores macrociclicos del virus de la hepatitis c
CN101273030B (zh) 2005-07-29 2012-07-18 泰博特克药品有限公司 丙型肝炎病毒的大环抑制剂
JO2768B1 (en) 2005-07-29 2014-03-15 تيبوتيك فارماسيوتيكالز ليمتد Large cyclic inhibitors of hepatitis C virus
TW200745061A (en) 2005-07-29 2007-12-16 Tibotec Pharm Ltd Macrocylic inhibitors of hepatitis C virus
RU2419619C2 (ru) 2005-07-29 2011-05-27 Медивир Аб Макроциклические ингибиторы вируса гепатита с
PE20070210A1 (es) 2005-07-29 2007-04-16 Tibotec Pharm Ltd Compuestos macrociclicos como inhibidores del virus de hepatitis c
ATE496042T1 (de) 2005-07-29 2011-02-15 Tibotec Pharm Ltd Makrocyclische inhibitoren des hepatitis-c-virus
MX2008001402A (es) 2005-07-29 2008-04-04 Tibotec Pharm Ltd Inhibidores macrociclicos del virus de la hepatitis c.
PE20070211A1 (es) 2005-07-29 2007-05-12 Medivir Ab Compuestos macrociclicos como inhibidores del virus de hepatitis c
JP2009503084A (ja) 2005-08-01 2009-01-29 フェノミックス コーポレーション C型肝炎セリンプロテアーゼ阻害剤およびその使用
KR20080036598A (ko) 2005-08-01 2008-04-28 머크 앤드 캄파니 인코포레이티드 Hcv ns3 프로테아제 억제제로서의 마크로사이클릭펩티드
AR055395A1 (es) 2005-08-26 2007-08-22 Vertex Pharma Compuestos inhibidores de la actividad de la serina proteasa ns3-ns4a del virus de la hepatitis c
DE602006019323D1 (de) 2005-10-11 2011-02-10 Intermune Inc Verbindungen und verfahren zur inhibierung der replikation des hepatitis-c-virus
US7772183B2 (en) 2005-10-12 2010-08-10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US7741281B2 (en) 2005-11-03 2010-06-22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WO2007082131A1 (en) 2006-01-09 2007-07-19 Bristol-Myers Squibb Company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hydroxy substituted heterocycles
WO2007106317A2 (en) 2006-03-03 2007-09-20 Schering Corporation Pharmaceutical combinations of hcv-protease and -ires inhibitors
GB0609492D0 (en) 2006-05-15 2006-06-21 Angeletti P Ist Richerche Bio Therapeutic agents
US8268776B2 (en) 2006-06-06 2012-09-18 Enanta Pharmaceuticals, Inc. Macrocylic oximyl hepatitis C protease inhibitors
US20070281884A1 (en) 2006-06-06 2007-12-06 Ying Sun Macrocyclic oximyl hepatitis C protease inhibitors
GB0612423D0 (en) 2006-06-23 2006-08-02 Angeletti P Ist Richerche Bio Therapeutic agents
UY30437A1 (es) 2006-06-26 2008-01-31 Enanta Pharm Inc Quinoxalinil macroceclicos inhibidores de serina proteasa del virus de la hepatitis c
KR20090024834A (ko) 2006-07-05 2009-03-09 인터뮨, 인크. C형 간염 바이러스 복제의 신규 억제제
WO2008008776A2 (en) 2006-07-11 2008-01-17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EA017448B1 (ru) 2006-07-13 2012-12-28 Ачиллион Фармасьютикалз, Инк. 4-амино-4-оксобутаноиловые пептиды как ингибиторы вирусной репликации
WO2008019289A2 (en) 2006-08-04 2008-02-14 Enanta Pharmaceuticals, Inc. Tetrazolyl macrocyclic hepatitis c serine protease inhibitors
US7635683B2 (en) 2006-08-04 2009-12-22 Enanta Pharmaceuticals, Inc. Quinoxalinyl tripeptide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WO2008019303A2 (en) 2006-08-04 2008-02-14 Enanta Pharmaceuticals, Inc. Pyridazinonyl macrocyclic hepatitis c serine protease inhibitors
US20090035267A1 (en) 2007-07-31 2009-02-05 Moore Joel D Acyclic, pyridazinone-derived hepatitis c serine protease inhibitors
US20090035268A1 (en) 2007-08-01 2009-02-05 Ying Sun Tetrazolyl acyclic hepatitis c serine protease inhibitors
US7687459B2 (en) * 2006-08-11 2010-03-30 Enanta Pharmaceuticals, Inc. Arylalkoxyl hepatitis C virus protease inhibitors
US7582605B2 (en) 2006-08-11 2009-09-01 Enanta Pharmaceuticals, Inc. Phosphorus-containing hepatitis C serine protease inhibitors
US20080038225A1 (en) 2006-08-11 2008-02-14 Ying Sun Triazolyl acyclic hepatitis c serine protease inhibitors
WO2008022006A2 (en) 2006-08-11 2008-02-21 Enanta Pharmaceuticals, Inc. Arylalkoxyl hepatitis c virus protease inhibitors
WO2008021960A2 (en) 2006-08-11 2008-02-21 Enanta Pharmaceuticals, Inc. Triazolyl macrocyclic hepatitis c serine protease inhibitors
US7605126B2 (en) 2006-08-11 2009-10-20 Enanta Pharmaceuticals, Inc. Acylaminoheteroaryl hepatitis C virus protease inhibitors
WO2008051514A2 (en) 2006-10-24 2008-05-02 Merck & Co., Inc. Hcv ns3 protease inhibitors
US8138164B2 (en) 2006-10-24 2012-03-20 Merck Sharp & Dohme Corp. HCV NS3 protease inhibitors
AU2007309546A1 (en) 2006-10-24 2008-05-02 Istituto Di Ricerche Di Biologia Molecolare P. Angeletti S.P.A. HCV NS3 protease inhibitors
CN101568346B (zh) 2006-10-27 2015-11-25 默沙东公司 Hcv ns3蛋白酶抑制剂
CA2667031C (en) 2006-10-27 2013-01-22 Merck & Co., Inc. Hcv ns3 protease inhibitors
US8343477B2 (en) 2006-11-01 2013-01-01 Bristol-Myers Squibb Company Inhibitors of hepatitis C virus
US20080107625A1 (en) 2006-11-01 2008-05-08 Bristol-Myers Squibb Company Inhibitors of Hepatitis C Virus
US20080107623A1 (en) 2006-11-01 2008-05-08 Bristol-Myers Squibb Company Inhibitors of Hepatitis C Virus
US20080108632A1 (en) 2006-11-02 2008-05-08 Taigen Biotechnology Co., Ltd. Hcv protease inhibitors
US7772180B2 (en) * 2006-11-09 2010-08-10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US7888464B2 (en) 2006-11-16 2011-02-15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US8003604B2 (en) 2006-11-16 2011-08-23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US7763584B2 (en) 2006-11-16 2010-07-27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WO2008070358A2 (en) 2006-11-16 2008-06-12 Phenomix Corporation N-cyclopropyl-hydroxyproline-based tripeptidic hepatitis c serine protease inhibitors containing an isoindole, pyrrolopyridine, pyrrolopyrimidine or pyrrolopyrazine heterocycle in the side chain
WO2008059046A1 (en) 2006-11-17 2008-05-22 Tibotec Pharmaceuticals Ltd. Macrocyclic inhibitors of hepatitis c virus
CN105037347B (zh) 2007-02-01 2018-06-01 泰博特克药品有限公司 Hcv巨环抑制剂的多晶形
PT2121674E (pt) 2007-02-01 2010-09-03 Tibotec Pharm Ltd Processos e intermediários para a preparação de um inibidor macrocíclico da protease do hcv
WO2008095058A1 (en) 2007-02-01 2008-08-07 Taigen Biotechnology Co. Ltd. Hcv protease inhibitors
EP2118091B1 (en) 2007-02-08 2015-04-15 Janssen Sciences Ireland UC Pyrimidine substituted macrocyclic hcv inhibitors
WO2008096001A1 (en) 2007-02-08 2008-08-14 Tibotec Pharmaceuticals Ltd. Hcv inhibiting macrocyclic phenylcarbamates
WO2008096002A1 (en) 2007-02-08 2008-08-14 Tibotec Pharmaceuticals Ltd. Hcv inhibiting macrocyclic phosphonates and amidophosphates
WO2008098368A1 (en) 2007-02-16 2008-08-21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Inhibitors of hepatitis c ns3 protease
AU2008217187A1 (en) 2007-02-20 2008-08-28 Novartis Ag Macrocyclic compounds as HCV NS3 protease inhibitors
EP2495249A1 (en) 2007-02-26 2012-09-05 Achillion Pharmaceuticals, Inc. Tertiary amine substituted peptides useful as inhibitors of HCV replication
AU2008240834B2 (en) 2007-04-24 2012-08-23 F. Hoffmann-La Roche Ag Process for HCV protease inhibitor intermediate
WO2008134395A1 (en) 2007-04-26 2008-11-06 Enanta Pharmaceuticals, Inc. Aza-peptide macrocyclic hepatitis c serine protease inhibitors
WO2008134397A1 (en) 2007-04-26 2008-11-06 Enanta Pharmaceuticals, Inc. Aza-tripeptide hepatitis c serine protease inhibitors
US20080279821A1 (en) 2007-04-26 2008-11-13 Deqiang Niu Arylpiperidinyl and arylpyrrolidinyl macrocyclic hepatitis c serine protease inhibitors
US20080292587A1 (en) 2007-04-26 2008-11-27 Ying Sun Oximyl dipeptide hepatitis c protease inhibitors
EP2177523A1 (en) 2007-05-03 2010-04-21 Intermune, Inc. Novel macrocyclic inhibitors of hepatitis c virus replication
JP2010526834A (ja) 2007-05-10 2010-08-05 インターミューン・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C型肝炎ウイルス複製の新規ペプチド阻害剤
US8513186B2 (en) 2007-06-29 2013-08-20 Gilead Sciences, Inc. Antiviral compounds
EP2162431B1 (en) * 2007-06-29 2017-06-07 Gilead Sciences, Inc. Antiviral compounds
WO2009010804A1 (en) 2007-07-19 2009-01-22 Istituto Di Ricerche Di Biologia Molecolare P. Angeletti S.P.A. Macrocyclic compounds as antiviral agents
WO2009014730A1 (en) 2007-07-26 2009-01-29 Idenix Pharmaceuticals, Inc. Macrocyclic serine protease inhibitors
US8202996B2 (en) * 2007-12-21 2012-06-19 Bristol-Myers Squibb Company Crystalline forms of N-(tert-butoxycarbonyl)-3-methyl-L-valyl-(4R)-4-((7-chloro-4-methoxy-1-isoquinolinyl)oxy)-N- ((1R,2S)-1-((cyclopropylsulfonyl)carbamoyl)-2-vinylcyclopropyl)-L-prolinamide
EP2250174B1 (en) * 2008-02-04 2013-08-28 IDENIX Pharmaceuticals, Inc. Macrocyclic serine protease inhibitors
US8163921B2 (en) * 2008-04-16 2012-04-24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PL2310095T3 (pl) * 2008-07-22 2013-03-29 Msd Italia Srl Makrocykliczne związki chinoksaliny jako inhibitory proteazy NS3 HCV
US8207341B2 (en) * 2008-09-04 2012-06-26 Bristol-Myers Squibb Company Process or synthesizing substituted isoquinoli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889871B2 (en) 2014-11-18
EP1505963A4 (en) 2008-12-24
RU2298001C2 (ru) 2007-04-27
HK1070287A1 (en) 2005-06-17
EP1505963A1 (en) 2005-02-16
US8507722B2 (en) 2013-08-13
US8299094B2 (en) 2012-10-30
PE20040517A1 (es) 2004-08-25
US6995174B2 (en) 2006-02-07
TW200403993A (en) 2004-03-16
EP1505963B1 (en) 2011-04-20
AR090649A2 (es) 2014-11-26
ATE506104T1 (de) 2011-05-15
US20120330019A1 (en) 2012-12-27
RS52407B (en) 2013-02-28
AU2003241510A1 (en) 2003-12-12
NO332427B1 (no) 2012-09-17
EP2340830A3 (en) 2011-12-28
DE60336807D1 (en) 2011-06-01
RU2315039C1 (ru) 2008-01-20
IL164987A (en) 2011-06-30
SI1505963T1 (sl) 2011-10-28
CN101024671A (zh) 2007-08-29
US7915291B2 (en) 2011-03-29
RU2004137480A (ru) 2005-08-10
RS100504A (en) 2007-02-05
RU2317303C1 (ru) 2008-02-20
US20110311482A1 (en) 2011-12-22
RU2315039C9 (ru) 2014-02-10
PL373411A1 (en) 2005-08-22
UA80973C2 (uk) 2007-11-26
US20040106559A1 (en) 2004-06-03
EP1505963B9 (en) 2011-09-21
KR101005958B1 (ko) 2011-01-05
AU2003241510B2 (en) 2006-11-02
CN101024671B (zh) 2010-08-18
TWI306452B (en) 2009-02-21
NZ536539A (en) 2007-02-23
GEP20063938B (en) 2006-10-10
US20060172950A1 (en) 2006-08-03
CA2486308A1 (en) 2003-12-04
US8710229B2 (en) 2014-04-29
NO20044807L (no) 2004-12-16
DK1505963T3 (da) 2011-08-08
ES2363131T3 (es) 2011-07-21
JP4312710B2 (ja) 2009-08-12
AR087051A2 (es) 2014-02-12
MXPA04011440A (es) 2005-02-14
CA2486308C (en) 2012-04-10
AR040080A1 (es) 2005-03-16
US9227940B2 (en) 2016-01-05
KR20040111656A (ko) 2004-12-31
US20150005342A1 (en) 2015-01-01
BR0311132A (pt) 2005-03-08
CN1668297A (zh) 2005-09-14
PL226561B1 (pl) 2017-08-31
US20140163231A1 (en) 2014-06-12
ZA200409162B (en) 2006-02-22
WO2003099274A1 (en) 2003-12-04
HRP20041085B1 (hr) 2014-01-31
MY140680A (en) 2010-01-15
CO5640083A2 (es) 2006-05-31
US20160067302A1 (en) 2016-03-10
IS7530A (is) 2004-11-16
US7449479B2 (en) 2008-11-11
EP2340830A2 (en) 2011-07-06
US20130267713A1 (en) 2013-10-10
CN1299677C (zh) 2007-02-14
CN1974596B (zh) 2010-07-28
US20090274656A1 (en) 2009-11-05
CY1112108T1 (el) 2015-11-04
US9636375B2 (en) 2017-05-02
HRP20041085A2 (en) 2005-08-31
JP2005533028A (ja) 2005-11-04
CN1974596A (zh) 2007-06-06
IL164987A0 (en) 2005-12-18
PT1505963E (pt) 2011-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5958B1 (ko) 간염 c 바이러스 억제제
JP4271148B2 (ja) 置換シクロアルキルp1’c型肝炎ウイルスインヒビター
JP4675331B2 (ja) C型肝炎ウイルスインヒビター
JP4688815B2 (ja) C型肝炎ウイルスインヒビター
JP4312711B2 (ja) ヘテロ環式スルホンアミドc型肝炎ウイルス阻害剤
AU2006233208B2 (en)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