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6947A - 제전성 조성물 - Google Patents

제전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6947A
KR20070046947A KR1020077006740A KR20077006740A KR20070046947A KR 20070046947 A KR20070046947 A KR 20070046947A KR 1020077006740 A KR1020077006740 A KR 1020077006740A KR 20077006740 A KR20077006740 A KR 20077006740A KR 20070046947 A KR20070046947 A KR 200700469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antistatic composition
antistatic
composition according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6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4081B1 (ko
Inventor
노리아끼 후지하나
요시하루 다쯔까미
마사끼 에노모또
이꾸오 오오꼬시
Original Assignee
산꼬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리켄 테크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111018A external-priority patent/JP456285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204541A external-priority patent/JP456287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204540A external-priority patent/JP4684395B2/ja
Application filed by 산꼬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리켄 테크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꼬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46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69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4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40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75Antista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08K5/098Metal salts of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24/00Synthetic resins or natural rubbers -- part of the class 520 series
    • Y10S524/91Antistatic compositions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및 이들의 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등의 각종 중합체, 및 금속 염류를 특정량 함유하는 제전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고, 바람직하게는 -{O(AO)n}-기 (A는 탄소수 2 내지 4의 알킬렌기이고, n은 1 내지 7의 정수를 나타냄)를 가지며, 모든 분자쇄 말단이 CH3기 및(또는) CH2기인 유기 화합물 등의 첨가 성분을 필요에 따라 배합한 제전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제전성 조성물, 엘라스토머

Description

제전성 조성물 {Antista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제전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 전도 물질이 블리드 아웃되기 어렵고, 전기 저항치, 성형성이 양호한 제전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용융 성형 가능한 성형 재료 분야에 널리 사용할 수 있으며, 미생물에 의한 분해가 가능한 제전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전성 조성물은 전자 전기의 부품 포장, 운반 관계의 용도를 비롯하여 고도의 제전 처리가 필요한 용도에 적합하다.
제전성 조성물은 산업계에서 널리 보급되어 여러가지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 제전성 조성물로는 예를 들면, 수지 및(또는) 엘라스토머에 카본 블랙과 같은 도전성 필러를 고충전시킨 조성물이 있는데, 이러한 조성물은 경제성이 우수하므로 산업계를 중심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계면활성제나 친수성 세그멘트를 구조 중에 갖는 대전 방지형 제전성 수지를 중합체 알로이화(polymer alloy)하여 이루어지는 대전 방지형 제전성 조성물도 널리 보급되어 있고, 여러가지 용도로 응용되고 있다.
최근, 제전성 고분자 재료는 IC 칩의 포장 관계에 보급되어 왔으며, 그 재료 도 범용 플라스틱으로부터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화되고 있다. 또한, 정밀기기나 이들을 포함하는 주변 기기의 제전 대책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사용되는 도전성 충전재도 카본 블랙 이외에, 탄소 섬유, 흑연, 금속 코팅 필러, 금속 섬유 등이 목적 및 기능에 따라서 폭넓게 구별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도전성 충전재에는 고분자의 기계 특성을 저감화시킨다거나, 성형성이 곤란하다는 등의 문제가 내재되어 있다.
특히, 유연성을 갖는 소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에 있어서는, 도전성 충전재를 첨가시키면 재료 특성인 유연성 (고무 탄성)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고, 경우에 따라서는 경시 변화에 의해 매우 취약해져서 신도가 극단적으로 저하되어 쉽게 파단되는 경우가 있었다.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는 고강도, 내마모성, 내유성, 내약품성 등의 우수한 특성을 갖고 있어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대표한다고 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는 유연성을 갖지만, 일반적으로 다른 엘라스토머에 비해 고경도이며, 공업 부재를 비롯한 자동차, 가전 관계에서부터 일용 잡화에까지 널리 이용되며, 특히 높은 경도가 요구되는 용도를 중심으로 사용되고 있다.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에 첨가하는 도전성 필러로는 일반적으로 카본 블랙이 사용되지만, 첨가된 카본 블랙이 특정한 상(相)에 편재됨으로써 고무 탄성이 실활되어 재료적으로 취약해지는 문제가 있거나, 가공 조건에 의해 도전성이 변동된다는 문제가 내재되어 있다. 또한, 카본 블랙의 첨가는 마모성 저하로부터 오는 도전 성능의 저하, 흑색으 로 한정되는 것에 의한 의장성 결핍 문제도 있었다.
도전성 필러를 사용하지 않고 제전성을 얻는 방법으로는 소위 저분자형 친수성 계면활성제를 첨가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알킬렌글리콜 공중합체 수지와 이온계 전해질과의 혼합체 등의 글리콜계 고분자 재료와 이온에 의한 개질 방법이 일본 특허 공개 (평)제2-284967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저분자형 친수성 계면활성제는 효과의 지속성, 내열성, 블리드 아웃, 고저항치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알킬렌글리콜 공중합체 수지와 이온계 전해질과의 혼합체는 알킬렌글리콜 공중합체 수지의 말단이 히드록실기를 갖기 때문에, 온도 및 습도에 의해 블리드 아웃이 발생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의 하드 세그멘트 결정 성분의 존재에 의해 첨가량이 한정되기 때문에, 조성물의 저항치가 만족스러운 수준이 되지 않는다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는 우수한 내마모성, 기계 강도를 지니고, 널리 응용되고 있으며, 도전성 충전재를 포함하는 도전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도 널리 보급되고 있다. 최근, 정밀기기의 보급과 동시에 더욱 높은 제전 기능이 요구되고 있으므로 종래의 대전 방지 수준만으로는 만족스럽지 못하였다.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에 카본 블랙으로 대표되는 도전성 충전재가 복합화된 것은 도전성이 우수하지만, 유연성, 가공성 저하를 초래할 뿐 아니라 내마모성 저하로부터 오는 도전성 물질의 탈락 등의 문제가 있고, 또한 흑색으로 한정되는 것에 의한 의장성 결여 문제가 있었다.
또한,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는 우수한 내마모성, 기계 강도를 지니고, 널리 응용되고 있고, 도전성 충전재를 포함하는 도전성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도 널리 보급되고 있다. 최근, 정밀기기의 보급과 동시에 더욱 높은 제전 기능을 요구하고 있어서 종래의 대전 방지 수준만으로는 만족할 수 없었다. 열가소성 폴리아미드계 수지, 카본 블랙으로 대표되는 도전성 충전재가 복합화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는 도전성이 우수하지만, 유연성, 가공성 저하를 초래할 뿐 아니라 내마모성 저하로부터 오는 도전성 물질의 탈락 등의 문제가 있고, 또한 흑색으로 한정되는 것에 의한 의장성 결여 문제가 있었다.
한편, 도전성 물질로서 소위 친수성 활성제를 사용한 것이나, 알킬렌 글리콜공중합체 수지계와 이온계 전해질과의 혼합체(일본 특허 공개 (평)제2-284967호 공보)등이 제안되어 있지만, 말단이 히드록실기를 갖기 때문에, 온도ㆍ습도에 따라 블리드 아웃이 생기기 쉽고, 표면 오염이나 효과의 지속성이 문제가 되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의 기술적 과제를 배경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전기 전도 물질의 블리드 아웃이 적고, 체적 고유 저항치, 성형성이 양호한 제전성 조성물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A)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D)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및 (H)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엘라스토머; 및 (B)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류 금속인 양이온, 및 이온 해리 가능한 음이온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금속염류를 함유하며, (A), (D), 및 (H)로부터 선택되 는 1종 이상의 엘라스토머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해 (B) 성분이 0.001 내지 3.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전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조성물은 (C) -{O(AO)n}-기 (A는 탄소수 2 내지 4의 알킬렌기이고, n은 1 내지 7의 정수를 나타냄)를 가지며, 모든 분자쇄 말단이 CH3기 및(또는) CH2기인 유기 화합물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A), (D), 및 (H)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엘라스토머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한 상기 (C) 성분의 비율은 0.1 내지 1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상기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B) 성분으로는 과염소산리튬,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리튬,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도리튬 및 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메탄리튬의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리튬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C) 성분으로는 비스[2-(2부톡시에톡시)에틸]아디페이트 또는 비스(2-부톡시에틸)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B) 성분과 (C) 성분과의 총량에 대한 (B) 성분의 비율은 0.1 내지 5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은 구성 성분을 용융 혼련하여 얻어지는 펠렛형 조성물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구성 성분을 건식 블렌드하여 얻어진 직접 성형 가능한 조성물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중합체 중 일부, (B) 및 (C) 성분, 및 필요 에 따라 다른 구성 성분을 용융 혼련하여 얻을 수 있는 펠렛형 배합물을 마스터 배치로 사용하고, 나머지 중합체 성분 등과 혼합하여 얻어지는 것일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조성물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이미 설명한 성분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의 조성물은 (A)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D)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및 (H)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엘라스토머; 및 (B)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류 금속인 양이온, 및 이온 해리 가능한 음이온으로 구성되어 있는 금속염류를 함유한 제전성 조성물이고, 바람직하게는 하기 (C) 성분을 함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A) 성분인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라 함은 하드 세그멘트인 폴리아미드 구속상과, 소프트 세그멘트로서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구조를 갖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총칭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PA) 구속상으로서 PA 12 성분을 사용한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는 라우로락탐, 디카르복실산 및 폴리에테르디올을 락탐 개환 촉매로서 물을 첨가하여 가압 가열하의 반응에서 카르복실텔레케릭 나일론 12 올리고머를 얻고, 다음에 폴리에테르디올과의 축합 반응에 의해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얻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폴리아미드 구속상으로는 이 외에도 PA 6 등도 사용할 수 있다.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는 상기 합성 방법에 의해 기본 구조적으로는 폴리에테르 블럭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럭 폴리아미드 엘라스토 머의 형태인 것이 된다. 여기에서, 상기 합성 방법에서 사용되는 디올의 종류 등에 의해서 여러가지 특성을 갖는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를 얻을 수 있다.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는 높은 고온 특성과 기계 특성, 내유성, 저온 특성 등이 우수하기 때문에, 기계 부품, 자동차 부품 등 외에도 스포츠 용품 관계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A) 성분의 유리 전이 온도 (Tg)는 바람직하게는 6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 이하이다. 60 ℃를 초과하면 충분한 제전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가공성, 특성을 개질할 목적으로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는 다른 수지와 중합체 알로이, 중합체 블렌드로서의 형태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사용되는 (B) 금속염류는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류 금속인 양이온, 및 이온 해리 가능한 음이온으로 구성되어 있는 화합물이다.
(B) 금속염류의 양이온이 되는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류 금속으로는 예를 들면, Li, Na, K, Mg, Ca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으로 바람직하게는 이온 반경이 작은 Li+, Na+, K+, 특히 바람직하게는 리튬 이온(Li+)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금속염류의 구성 요소인 이온 해리 가능한 음이온으로는 예를 들면, Cl-, Br-, F-, I-, NO3 -, SCN-, ClO4 -, CF3SO3 -, BF4 -, (CF3SO2)2N-, (CF3SO2)3C-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ClO4 -, CF3SO3 -, (CF3SO2)2N-, (CF3SO2)3C-이고, CF3SO3 -, (CF3SO2)2N-, (CF3SO2)3C-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양이온 및 음이온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는 금속염류는 수없이 많지만, 그 중에서도 과염소산리튬 LiClO4, 과염소산나트륨 NaClO4, 과염소산마그네슘 Mg(ClO4)2, 과염소산칼륨 KClO4,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리튬 Li(CF3SO3),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도리튬 LiㆍN(CF3SO2)2,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도칼륨 KㆍN(CF3SO2)2,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도나트륨 NaㆍN(CF3SO2)2, 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메탄리튬 LiㆍC(CF3SO2)3, 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메탄나트륨 NaㆍC(CF3SO2)3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과염소산리튬,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리튬,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도리튬 및 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메탄리튬이 더욱 바람직하다. 특히,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리튬,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도리튬, 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메탄리튬이 바람직하고, 이것을 소량 첨가하는 것만으로 고유 저항이 낮아지기 때문에, 상기 효과가 한층 더 발휘되게 된다. 단, 생분해성 제전성 조성물을 얻는 경우는, LiClO4, NaClO4, Mg(ClO4)2, KClO4, (CF3SO3)Li, (CF3SO2)2NLi, (CF3SO2)2NNa, (CF3SO2)3CLi, (CF3SO2)3CNa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이들 금속염류를 1종 이상 함유한다.
(B) 금속염류는 단독으로도 사용이 가능하지만, 금속염류의 해리 상태가 불충분하므로, 필요 이상의 첨가량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으며, 금속염에 따라서는 위험성이 높은 것도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하기 (C) 화합물에 미리 용해시킨 것을 사용하는 것이 양호하다.
용해 방법은 (B) 성분을 (C) 성분에 첨가하여, 상온 내지 가열 조건하(75 ℃ 이하)에서 교반하는 통상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B) 금속염류의 배합량은 (A)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해 0.001 내지 3.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2.4 중량부이다. 0.001 중량부 미만에서는 도전성이 불충분하다. 한편, 3.0 중량부를 초과하면 도전성은 변하지 않고, 물성, 열안정성이 저하된다.
또한, (B) 성분의 배합량은 하기 (C)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해 통상적으로는 0.1 내지 50 중량부이고, 1 내지 4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0.1 중량부 미만에서는 충분한 제전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한편, 50 중량부를 초과해도 제전 효과는 충분히 향상되지 않고, 반대로 결정화의 진행이나 재료의 열화 등을 초래하여 제전 효과는 저하된다.
본 발명의 (C) 성분은 -{O(AO)n}-기 (A는 탄소수 2 내지 4의 알킬렌기이고, n은 1 내지 7의 정수를 나타냄)를 가지며, 모든 분자쇄 말단이 CH3기 및(또는) CH2기인 유기 화합물이다. 상기 분자쇄 말단의 CH2기라 함은 이중 결합을 하고 있는 탄소 원자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C) 화합물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금속염의 용해성, 해리 안정성의 상승에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C) 성분은 예를 들면, 분지 지방족 알코올 1 몰에 탄소수 2 내지 4의 알킬렌옥시드를 1 내지 7 몰 부가하여 얻어지는 알코올과 2염기산을 원료로 일반적인 에스테르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알코올의 예로는 프로판올 1 몰에 에틸렌옥시드 1 내지 7 몰, 프로필렌옥시드 1 내지 4 몰 또는 부틸렌옥시드 1 내지 3 몰, 부탄올에 에틸렌옥시드 1 내지 6 몰 또는 프로필렌옥시드 1 내지 3 몰, 헥산올에 에틸렌옥시드 1 내지 2 몰, 펜탄올에 에틸렌옥시드 1 내지 5 몰, 프로필렌옥시드 1 내지 3 몰 또는 부틸렌옥시드 1 내지 2 몰, 옥탄올에 에틸렌옥시드 1 내지 5 몰, 프로필렌옥시드 1 내지 3 몰 또는 부틸렌옥시드 1 내지 3 몰, 노난올에 에틸렌옥시드 1 내지 4 몰, 프로필렌옥시드 1 내지 2 몰 또는 부틸렌옥시드 1 내지 2 몰을 각각 부가시킨 히드록실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화합물 중에서, 부탄올 1 몰에 에틸렌옥시드 2 몰을 부가시킨 2-(2-부톡시에톡시)에탄올, 부탄올 1 몰에 에틸렌옥시드 1 몰을 부가시킨 2-부톡시에탄올이 가공성과의 조절에 양호하다.
또한, 상기 이염기산으로는 아디프산, 세바크산, 프탈산, 숙신산 등의 카르복실산 및 이러한 카르복실산 무수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원료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C) 성분으로는, 말단에 히드록실기를 갖지 않는 알킬기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하는 아디프산 디부톡시에톡시에틸 (비스[2-(2부톡시에톡시)에틸]아디페이트), 또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비스(2-부톡시에틸)프탈레이트이다.
Figure 112007023226174-PAT00001
Figure 112007023226174-PAT00002
(C) 성분을 함유하는 경우, (C) 화합물의 첨가량은 (A)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해 0.1 내지 10 중량부가 바람직하고, 0.3 내지 8 중량부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0.1 중량부 미만에서는 충분한 도전성을 얻기가 어렵고, 한편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얻어지는 조성물의 점도가 현저하게 저하되어 드로우 다운(draw down) 등의 성형 가공성이 저하되고, 성형품의 치수 안정성이 나빠질 뿐 아니라 물리적 특성의 저하를 초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D)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및 상기 (B) 성분을 함유하는 제전성 조성물이고, 상기 (C) 성분을 함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D) 성분인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라 함은 분자내의 하드 세그멘트로서 폴리에스테르를, 소프트 세그멘트로서 유리 전이 온도(Tg)가 낮 은 폴리에테르 또는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한 멀티 블럭 공중합체이다. (D) 성분으로는 하드 세그멘트로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방향족계 결정성 폴리에스테르를, 소프트 세그멘트로서 폴리에테르를 사용한 폴리에스테르/폴리에테르형, 하드 세그멘트로서 방향족계 결정성 폴리에스테르를, 소프트 세그멘트로서 지방족계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한 폴리에스테르/폴리에스테르형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폴리에테르형은 예를 들면 테레프탈산디메틸, 1,4-부탄디올 및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 등을 출발 원료로 사용하여 에스테르 교환 반응, 중축합 반응에 의해서 합성되는 것이다. 또한, 폴리에스테르/폴리에테르형은 테레프탈산디메틸, 1,4-부탄디올 및 ε-카프로락톤 등을 출발 원료로 에스테르 교환 반응, 개환반응에 의해서도 합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D) 성분으로는 통상의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를 전부 사용할 수 있고,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상기 (C)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B) 성분의 함유량은 (C)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해 통상적으로는 0,1 내지 30 중량부이고, 1 내지 25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0.1 중량부 미만에서는 충분한 제전성을 얻을 수 없다. 한편, 30 중량부를 초과해도, 제전 효과는 향상되지 않고, 반대로 결정화의 진행이나 재료의 열화 등을 초래하여 제전 효과는 저하된다.
(C) 화합물의 첨가량은 (D)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해 0.1 내지 10 중량부가 바람직하고, 0.3 내지 8 중량부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0.1 중량부 미만이면, 충분한 도전성을 얻기가 어렵고, 한편,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얻어지는 조성물의 점도가 현저하게 저하되어 드로우 다운 등의 성형 가공성이 저하되고 성형품의 치수 안정성이 나빠질 뿐 아니라 물리적 특성의 저하를 초래한다.
(D) 성분으로서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를 사용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경도로는 ASTM D2240 준거 경도 D에서 통상적으로는 40 내지 70도이고, 50 내지 60도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조성물에 제3 성분으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PBT) 등의 폴리에스테르를 첨가한 경우, 경도가 70도 이상의 고경도인 것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H)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및 상기 (B) 성분을 함유하는 제전성 조성물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C) 성분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H)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라 함은 우레탄기를 갖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이고, 소프트 세그멘트로서 장쇄 글리콜과 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으로 얻어지는 폴리우레탄과, 하드 세그멘트로서 단쇄 글리콜과 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지는 폴리우레탄과의 직쇄상 멀티 블럭 공중합체이고, 필요에 따라서 가교제(쇄연장제)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장쇄 글리콜의 종류에 의한 일반적인 분류로는 폴리에테르계로서 폴리에틸렌옥시드, 폴리프로필렌옥시드,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고, 폴리에스테르계로서 폴리아디페이트, 폴리락톤, 폴리카르보네이트, 지방족계로서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단쇄 글리콜로는 에틸렌 글리콜,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과 같은 지방족 글리콜, 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과 같은 지환족 글리콜, 하이드로퀴논비스 (2-히드록시에틸)에테르와 같은 방향족 글리콜이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한편, 상기 이소시아네이트로는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MDI), 2,4'- & 2,6-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DI) 등이 사용된다.
또한, 상기 가교제 (쇄연장제)로는 3,3-디클로로-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MOCA) 등의 방향족 디아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H)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B) 금속염류의 함유량은 상기 (H)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해 0.001 내지 3.0 중량부이고, 0.01 내지 2.5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0.001 중량부 미만에서는 충분한 제전 효과를 얻을 수 없다. 한편, 3.0 중량부를 초과해도 제전 효과는 향상되지 않고, 반대로 결정화의 진행이나 재료의 열화 등을 초래하여 제전 효과는 저하된다.
상기 (C)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C) 화합물의 첨가량은 (H)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100 중량부에 대해 0.1 내지 10 중량부가 바람직하고, 0.3 내지 8 중량부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0.1 중량부 미만에서는 충분한 도전성을 얻기 어렵고, 한편,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얻어지는 조성물의 점도가 현저하게 저하되어 드로우 다운 등의 성형 가공성이 저하되고 성형품의 치수 안정성이 나빠질 뿐 아니라 물리적 특성의 저하를 초래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공통 사항
본 발명의 제전성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은 한, 안정 제, 착색제, 가소제, 분산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난연제, 안정제, 보강제, 윤활제, 발포제, 내후(광)제, 금속 가루 등의 첨가제를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전성 조성물이 생분해성을 갖는 경우, 임의로 첨가된 고분자 재료, 유기 첨가제는 생분해성 특성을 갖거나 자연계에 대해 무해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고분자로서는 미생물 유래 폴리에스테르,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락트산, 변성 전분, 폴리에스테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물질계 윤활제, 칼슘 등의 금속 염류 안정제, 글리콜계, 지방산계 왁스, 석유계 왁스 등도 첨가할 수 있다. 착색제로서 적산화철, 카본 블랙, 산화 티탄 등, 무기 충전재로서는 천연 광석 유래의 탄산칼슘, 활석, 운모, 규산칼슘, 실리카 등 외에도 황산바륨, 금속 가루 등의 특수한 충전재도 이용할 수 있다. 무기 충전재는 일반적으로 무해한 것이 대부분이고,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충전재 이외에, 천연 충전재로서 정제 펄프, 전분, 목분, 왕겨 등을 목적에 따라 혼합할 수 있고, 이들 유기, 무기, 천연 충전재는 생분해성 기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값비싼 생분해성 수지의 비용 절감에도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착색제는, 합성 수지의 착색제로서 사용되는 것이면 전부 사용가능하지만, 생분해를 목적으로 하는 용도로는, 생분해성 착색제, 또는 분해한 후 착색제만이 남았을 때 독성이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착색제로서는 식용 색소나 무기 안료을 들 수 있다. 식용 색소로서는 식용 적색 2호, 동 3호, 동 40호, 식용 황색 4호, 동 5호, 식용 녹색 3호, 식용 청색 1호, 동 2호 등의 알루미늄 레이크 안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한, 무기 안료로서는 산화 티탄, 적산화철, 군청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착색제는, 1종이라도 좋지만 통상 2종 이상을 조합하여 목적하는 색조로 조색할 수 있다.
이러한 착색제를 사용함으로써 각 색의 성형품이 얻어지고, 성형품의 식별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예비 혼합하고, 용융 혼련하여 통상의 2차 가공 원료 형태인 펠렛형 배합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펠렛 가공함으로써 각종 성분을 균일하게 예비 분산시키고, 고분자 특성으로서의 안정성을 얻을 수 있다.
펠렛형 배합물의 가공에 있어서 사용되는 예비 혼합기로서는 예비 분산, 분배, 확산 혼합을 목적으로 하는 블렌더가 사용된다. 블렌더의 대표예로서는 리본 블렌더, 헨쉘 믹서 (수퍼 믹서), 텀블러 믹서, 텀블 믹서, 에어 블렌더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예비 혼합기는, 충전되는 가소제나 부자재의 형태나 확산 레벨에 따라서 선정된다. 또한 예비 혼합기를 사용하지 않고, 각 배합물을 각각 다른 브라밴더 등의 정량 절출기나 정량 액체 첨가 장치를 사용하여, 용융 혼련기에 투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전성 조성물은 통상 열가소성 수지의 혼합ㆍ혼련에 사용되는 통상의 장치, 설비를 사용하여 문제 없이 제조할 수 있다. 압출기로서는 배출구 부착 단축, 2축 이(異)방향, 2축 동(同)방향 압출기가 바람직하다. 또한, 압출기 대신에 수퍼 믹서, 밴버리 믹서, 니더, 텀블러, 코니더 등의 혼련기를 사용할 수 있다.
용융 압출기로서는 일반적으로는 단축, 2축 압출기, 밴버리식, 롤식 등을 들 수 있다. 이들도 조성물의 형태나 목적, 생산성에 따라서 선정하고, 용융 혼련함으로써 펠렛형의 원료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배합물을 건식 블렌드하여 얻어지는 분말상으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펠렛형 배합물의 가공에서 사용되는 예비 혼합기를 사용하여, 건식 블렌드하고 분말상의 혼합물의 원료를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각종 중합체의 일부, (B) 및 (C) 성분, 및 필요에 따라서 다른 구성 성분을 용융 혼련하여 얻어지는 펠렛형 배합물을 마스터 배치로서 사용하고, 나머지 중합체 성분과 혼합하여 얻어지는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1 조성물을 제조할 때, (A) 성분의 일부, (B) 성분 및 (C) 성분을, 미리 용융 혼련하여 펠렛형 배합물을 얻은 후, 이것을 마스터 배치로서 나머지 (A) 성분과 혼합하여 목적하는 제1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모든 성형 방법에 적용할 수 있다. 즉, 성형할 때, 각 성형기로 용융하여 이형 압출을 포함하는 압출 성형, 사출 성형, 블로우 성형, 캘린더 성형, 진공 성형, 엠보싱 성형 등 각종 성형기에 의한 성형 가공이 가능하다. 대표적인 사출 성형, 압출 성형 등의 성형기는 통상 사용되는 일반적인 사양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전성 조성물에 있어서 조성물의 형태는 일반적으로는 펠렛형이지만, (C) 성분이 통상 액체인 것을 고려하여 예비 혼합기를 통과시키지 않고, 용융 혼련기에 직접 첨가하는 방법이라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사출 성형의 경우, 일반적인 사출 성형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펠렛형 배합물을 사용하면 성형품의 마무리가 양호하고, 물리적 성능도 안정된다.
본 발명의 제전성 조성물에 있어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성분을 사용할 경우는, 모든 성형 가공에 있어서 원료의 흡습에 주의가 필요하고, 예비 건조와 성형 중의 흡습 대책이 중요하다. 건조가 불충분하면 용융체가 발포하여 성형품의 외관, 기계 특성의 저하를 초래한다. 또한, 가수 분해에 의한 용융 점도의 저하로 인해 성형품의 외관을 손상시킬 우려도 있다.
성형 전에는 열풍식이나 진공식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서 예비 건조를 행하고, 또한 성형 중에는 호퍼 드라이어 등에 의해 흡습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전성 조성물은 그 우수한 특성을 활용하여 상술한 기계 부품, 자동차 부품, 스포츠 용품 관련, OA 기기, 가전 분야, 전기ㆍ전자 분야, 그 밖의 각종 부품, 패키지, 튜브, 피복 관련 등의 정전기 대책 관련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실시예 중에 부 및 %는 특별히 지정하지 않는 한 중량 기준이다.
실시예 1 내지 16, 비교예 1 및 2
실시예 및 비교예에 사용한 각종 성분은 이하와 같다.
(A) 성분;
엘프아토켐사 제조, 상품명 페박스 2533을 (A-1)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로서 사용하였다.
(B) 금속염류;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도리튬 LiㆍN(CF3SO2)2를 금속염 (B-1)로서 단독으로 사용하였다.
(B) 금속염류+ (C) 화합물 용액;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C-1) 아디프산디부톡시에톡시에틸 (비스[2-(2-부톡시에톡시)에틸]아디페이트)에, 금속염으로서 과염소산리튬(LiClO4)을 18 % 용해한 산코 가가꾸 고교(주) 제조의 상품명 「산코놀 0862-18」를 용액 [(B-2)+(C-1)](18)로서 사용하였다.
또한, (B-3) 알킬렌옥시드 화합물 CH3OCH2CH2OCH2CH2OH에, 금속염 (NaClO4)를 36 % 함유시킨 아끼지마 가가꾸 제조 MP 100을 용액 [(B-3)+(P)]로서 사용하였다.
또한, 비교예의 첨가제로서 (Q-1) 저분자형 친수성 계면활성제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 (리켄 비타민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상품명 「리케말 S-100」)을 사용하였다.
시험편의 제조
샘플 펠렛을 금형 클램핑 압력 80 ton/cm의 사출 성형기에 의해 시험편으로 성형하였다. 성형 조건은 실린더 온도=220 ℃, 금형 온도=30 ℃이었다.
시험편을 실온 23±2 ℃, 상대 습도 50 % 중에서 24 시간 조정한 후, 하기 물성의 측정을 행하였다.
인장 강도 및 신도
JIS K7311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체적 고유 저항치 (도전성)
SRIS 2301에 준하여,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폭 6×길이 6×두께 0.3 (cm)의 사출 성형 시험편을 사용하고, 전극으로서 플레이트의 양단에 도전성 도료를 폭 1 cm로 도포한 후, 양 전극 사이에서의 체적 저항치를 구하였다. 하기 표 중의 단위는 Ωㆍcm이다.
블리드의 평가
필름 게이트를 사용하여 폭 6 cm×길이 6 cm×두께 0.3 cm의 샘플 플레이트를 제조하고, 온도 40 ℃, 습도 90 %에 7 일간 방치하고, 그 기간의 상태를 하기의 평가기준에 의해 눈으로 확인 평가하였다.
◎: 블리드가 전혀 확인되지 않은 경우
○: 블리드가 아주 약간 확인되지만 사용상 문제 없는 수준인 경우
△: 블리드가 약간 확인되고, 사용상 약간 문제가 있는 경우
×: 블리드가 상당히 확인되고,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실시예 1 내지 9, 비교예 1>
표 1 또는 표 3의 배합 처방에 의하여, 예비 혼합기로 배합한 배합물을 펠렛 상으로 하여 제전성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조성물을 제조하여 평가하였다. 실시예 4 내지 6은, (C) 성분을 병용함으로써 위험성을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우수하고, 또한 체적 저항치를 낮게 조정할 수 있다.
혼련한 펠렛형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제전성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조성물을, 47 mm 동방향 2축 압출기에 의해 190 ℃에서 용융 혼합하여 다이로부터 압출된 스트랜드상의 용융 혼합물을 수조에서 냉각 처리하고, 커터를 통과시켜 제전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펠렛을 제조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낸다.
<실시예 10 내지 16, 비교예 2>
표 2 또는 표 3의 배합 처방에 의하여 건식 블렌드하여 직접 성형 가능한 제전성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조성물을 제조하여 평가하였다.
또, 건식 블렌드한 직접 성형 가능한 조성물은 (A) 내지 (C) 성분을 텀블러 믹서 내에서 배합ㆍ혼합ㆍ예비 건식 블렌드하여 직접 성형 가능한 제전성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낸다.
Figure 112007023226174-PAT00003
Figure 112007023226174-PAT00004
Figure 112007023226174-PAT00005
상기 표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모두 인장 강도, 신도 등의 물리적 성질이 손상되지 않고, 전기 전도 물질이 블리드하기 어렵고, 전기 저항치, 성형성이 양호한 것이었다. 한편, 표 3의 비교예 1 내지 2는 전기 전도 물질이 블리드 아웃하기 쉽고, 전기 저항치도 높기 때문에 본 발명의 목적으로는 적합하지 않았다.
실시예 37 내지 47, 비교예 8 내지 17
실시예 및 비교예에 사용한 각종 성분은 이하와 같다.
시료 제조 방법
(D) 성분:
(D-2): 도요보세끼(주) 제조, 폴리에테르/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상품명 펠프렌 P-40B, 경도 D=31)
(D-3): 도요보세끼(주) 제조, 폴리에테르/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상품명 펠프렌 P-280B, 경도 D=68)
(B-1):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도리튬 [(CF3SO2)2NLi]
[(B-1)+(C-1)] (20):
(C-1) 아디프산디부톡시에톡시에틸에, (B-1)를 20 % 용해한, 산코 가가꾸 고교(주) 제조, 상품명 「산코놀 0862-20R」을 사용하였다.
비교예로서 [(B-3)+(P)] 상기 아끼지마(주) 제조, 상품명 「MP 100」을 사용하였다.
또한 비교예로서 (Q-1) 상기 리켄 비타민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상품명 「리케말 S-100」 (저분자형 친수성 계면활성제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를 사용하였다.
도전성 충전재 (카본 블랙)로서, (R-3) 신니혼세이데쓰 가가꾸(주) 제조, 상품명 「니테론 #10」 (퍼니스 블랙)을 사용하였다.
시험편의 제조
금형 클램핑 압력 8O ton/cm2의 사출 성형기에 의해, 샘플 펠렛으로부터 시험편을 성형하였다. 성형 조건은 실린더 온도 220 ℃, 금형 온도 4O ℃이었다.
물성 측정
시험편을 실온 23±2 ℃, 상대 습도 50 % 중에서 24 시간 조정한 후, 하기 물성을 측정하였다.
표면 경도는 ASTM D2240에 따라 D 경도로 구하였다. 인장 강도 및 신도는 ASTM D638에 따라, 멜트플로우레이트는 ASTM D1238에 따라 230 ℃, 2,160 g으로 측정하였다.
체적 고유 저항치 (도전성)
SRIS 2301에 준하여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폭 6×길이 6×두께 0.3 (cm)의 사출 성형 시험편을 사용하여, 전극으로서 플레이트의 양끝에 도전성 도료를 폭 1 cm 도포한 후, 양 전극 사이에서의 체적 저항치를 구하였다. 하기 표 중의 단위는, Ωㆍcm이다.
착색성
유기 안료, 무기 안료 등을 사용하여 기본 색 (적색, 녹색, 황색, 백색 및 청색)의 착색이 가능한 것을 가(可)라 하였다.
<실시예 37 내지 47, 비교예 8 내지 17>
하기 표의 배합 처방에 의하여, 제전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조성물을 제조하고 평가하였다.
또한 용융 혼련하여 얻어지는 펠렛형의 조성물 (배합물)는, 상기 성분 및 그 밖의 성분을, 47 mm 동방향 2축 압출기에 의해 220 ℃에서 용융 혼합하여 다이로부터 나오는 스트랜드상의 용융 조성물을 수조에서 냉각 처리하고 커터를 통과시켜 제조하였다. 상기 비교예에 사용한 도전성 물질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배합물을 제조하였다.
또한, 건식 블렌드하여 얻어지는 직접 성형 가능한 제전성 조성물은 성분을 텀블러 믹서 안에서 배합ㆍ혼합ㆍ예비 건식 블렌드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비교예에 사용한 도전성 물질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제조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낸다.
Figure 112007023226174-PAT00006
Figure 112007023226174-PAT00007
Figure 112007023226174-PAT00008
Figure 112007023226174-PAT00009
Figure 112007023226174-PAT00010
*1) [(B-1)+(C-1)]는, 상기 상품명 「산코놀 0862-20 R」를 나타낸다.
*2) (B)는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도리튬을 나타내고, 괄호 안의 숫자는 상품명 「산코놀 0862-20R」에 포함되는 (B-1) 성분량을 나타낸다.
실시예 72 내지 79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각종 성분은 이하와 같다.
(H-1)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다이닛본 잉크 가가꾸 고교(주) 제조의 아디페이트계 폴리우레탄인 판덱스 T-1190을 사용하였다.
[(B-2)+(C-1)](20);
아디프산 디부톡시에톡시에틸에 금속염으로서 과염소산 리튬을 20 % 용해한 산꼬 가가꾸 고교(주) 제조의 상품명 "산코놀 0862-20"을 사용하였다.
또한, 실시예 75 및 79에서는 아끼시마 가가꾸(주) 제조의 MP100[(B-3)+(P)]을 사용하였다.
시험편의 제조
샘플 펠렛을 형조임 압력 80 ton/cm2의 사출 성형기에 의해 시험편을 성형하였다. 성형 조건은 실린더 온도 200 ℃, 금형 온도 40 ℃였다.
물성 측정은 시험편을 실온 23±2 ℃, 상대 습도 50 % 중에서 24시간 조정한 후, 하기 물성을 측정하였다.
인장 강도, 신도는 JIS K7311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체적 고유 저항치 (도전성)
SRIS 2301에 준하여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폭 6×길이 6×두께 0.3 (cm)의 사출 성형 시험편을 사용하고, 전극으로서 플레이트의 양단에 도전성 도료를 1 cm의 폭으로 도포한 후, 양 전극간의 체적 저항치를 구하였다. 하기 표 중의 단위는 Ωㆍcm이다.
<실시예 72 내지 79>
하기 표의 배합 처방에 기초하여 제전성 폴리우레판 엘라스토머 조성물을 제조하고 평가하였다.
또한, 건식 블렌드한 직접 성형이 가능한 조성물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및 아디프산 디부톡시에톡시에틸, 또한 금속염으로서 과염소산 리튬을 20 % 용해한 산꼬 가가꾸 고교(주) 제조의 상품명 "산코놀 0862-20"을 텀블러 믹서 내에서 배합ㆍ혼합ㆍ예비 건식 블렌드하여 직접 성형이 가능한 제전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또한, 혼련한 펠렛형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이 제전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조성물을 47 mm의 동방향 2축 압출기에 의해 190 ℃에서 용융 혼합하고, 다이에서 나온 스트랜드상의 수지 용융 혼합물을 수조에서 냉각 처리하고, 절단기를 통과시켜 제전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펠렛을 제조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7023226174-PAT00011
Figure 112007023226174-PAT00012
본 발명의 제전성 조성물은 전기 전도 물질의 블리드 아웃이 적고, 체적 고유 저항치, 성형성이 양호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전성 조성물은 예를 들면, 전자 기기 부품, 전자 재료 제조 기기, 사무 기기 부품, OA 분야, 가전 분야, 자동차 부품, 건축 자재, 바닥재, 타이어, 튜브, 호스류, 포장용 필름, 포장재, 실링재 등의 피복 관련, 특히 병원, 클린 룸 등에서 사용되는 캐스터의 피복 등, 장갑, 합성 피혁등, 높은 제전성을 필요로 하는 정전기 대책 관련 분야에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7)

  1. (A)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D)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및 (H)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엘라스토머; 및
    (B)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류 금속인 양이온, 및 이온 해리 가능한 음이온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금속염류를 함유하며,
    (A), (D), 및 (H)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엘라스토머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해 (B) 성분이 0.001 내지 3.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전성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C) -{O(AO)n}-기 (A는 탄소수 2 내지 4의 알킬렌기이고, n은 1 내지 7의 정수를 나타냄)를 가지며, 모든 분자쇄 말단이 CH3기 및(또는) CH2기인 유기 화합물을 추가로 함유하는 제전성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 (D), 및 (H)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엘라스토머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한 상기 (C) 성분의 비율이 0.1 내지 10 중량부인 제전성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 성분이 과염소산리튬,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리튬,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도리튬 및 트리스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메탄리튬의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리튬염인 제전성 조성물.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C) 성분이 비스[2-(2-부톡시에톡시)에틸]아디페이트 또는 비스(2-부톡시에틸)프탈레이트인 제전성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C) 성분이 비스[2-(2-부톡시에톡시)에틸]아디페이트 또는 비스(2-부톡시에틸)프탈레이트인 제전성 조성물.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B) 성분과 (C) 성분의 총량에 대한 (B) 성분의 비율이 0.1 내지 50 중량%인 제전성 조성물.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B) 성분과 (C) 성분의 총량에 대한 (B) 성분의 비율이 0.1 내지 50 중량%인 제전성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성 성분을 용융 혼련하여 얻어지는 펠렛형의 조성물인 제전성 조성물.
  10. 제4항에 있어서, 구성 성분을 용융 혼련하여 얻어지는 펠렛형의 조성물인 제전성 조성물.
  11. 제5항에 있어서, 구성 성분을 용융 혼련하여 얻어지는 펠렛형의 조성물인 제전성 조성물.
  12. 제6항에 있어서, 구성 성분을 용융 혼련하여 얻어지는 펠렛형의 조성물인 제전성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성 성분을 건식 블렌드하여 얻어지는 직접 성형이 가능한 조성물인 제전성 조성물.
  14. 제4항에 있어서, 구성 성분을 건식 블렌드하여 얻어지는 직접 성형이 가능한 조성물인 제전성 조성물.
  15. 제5항에 있어서, 구성 성분을 건식 블렌드하여 얻어지는 직접 성형이 가능한 조성물인 제전성 조성물.
  16. 제6항에 있어서, 구성 성분을 건식 블렌드하여 얻어지는 직접 성형이 가능한 조성물인 제전성 조성물.
  1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 (D), 및 (H)로부터 선 택되는 1종 이상의 엘라스토머 성분, 및 (B) 성분, 및 필요에 따라 (C) 성분을 적어도 포함하는 구성 성분을 용융 혼련하여 얻어지는 펠렛형 콤파운드를 마스터 배치로서 사용하며, 이를 상기 (A), (D), 및 (H)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엘라스토머 성분 및 그 외 첨가 성분과 추가 혼합하여 얻어지는 제전성 조성물.
KR1020077006740A 2000-04-12 2001-03-01 제전성 조성물 KR1007940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111018 2000-04-12
JP2000111018A JP4562852B2 (ja) 2000-04-12 2000-04-12 生分解性・制電性脂肪族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2000204541A JP4562872B2 (ja) 2000-07-06 2000-07-06 制電性ポリエステルエラストマー樹脂組成物
JP2000204539 2000-07-06
JPJP-P-2000-00204539 2000-07-06
JP2000204540A JP4684395B2 (ja) 2000-07-06 2000-07-06 制電性ポリウレタン樹脂組成物
JPJP-P-2000-00204541 2000-07-06
JPJP-P-2000-00204540 2000-07-06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3670A Division KR100722896B1 (ko) 2000-04-12 2001-03-01 제전성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6947A true KR20070046947A (ko) 2007-05-03
KR100794081B1 KR100794081B1 (ko) 2008-01-10

Family

ID=2748121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6740A KR100794081B1 (ko) 2000-04-12 2001-03-01 제전성 조성물
KR1020027013670A KR100722896B1 (ko) 2000-04-12 2001-03-01 제전성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3670A KR100722896B1 (ko) 2000-04-12 2001-03-01 제전성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7192538B2 (ko)
EP (1) EP1273629B1 (ko)
KR (2) KR100794081B1 (ko)
CN (1) CN100443546C (ko)
TW (2) TWI307706B (ko)
WO (1) WO200107935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607B1 (ko) * 2007-06-11 2013-08-07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제전성이 우수한 인공피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23448B2 (ja) * 2000-07-06 2013-01-23 リケンテクノス株式会社 制電性樹脂組成物
JP2002317114A (ja) * 2001-04-20 2002-10-31 Bando Chem Ind Ltd Oa機器用導電性部材
JP3942841B2 (ja) * 2001-04-20 2007-07-11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Oa機器用導電性部材
EP1842884A3 (en) * 2001-07-30 2010-11-24 Sanko Chemical Industry Co., Ltd. Antistatic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tion
DE10151486A1 (de) * 2001-10-18 2003-04-30 Cognis Deutschland Gmbh Verwendung von Zusammensetzung als innere Antistatika für thermoplastische Kunststoffe
US20030220436A1 (en) * 2002-01-22 2003-11-27 Gencer Mehmet A. Biodegradable polymers containing one or more inhibitors and methods for producing same
JP3421769B1 (ja) * 2002-04-02 2003-06-30 大八化学工業株式会社 エステル化合物、生分解性脂肪族系ポリエステル樹脂用可塑剤及び生分解性樹脂組成物
US7619037B2 (en) * 2003-06-18 2009-11-17 Sanyo Chemical Industries, Ltd. Transparent resin composition
US7790069B2 (en) * 2003-12-19 2010-09-07 Nec Corporation Flame-retardant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DE10361190A1 (de) * 2003-12-24 2005-07-28 Ticona Gmbh Verbundkörper,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dessen Verwendung
KR100607709B1 (ko) * 2004-03-08 2006-08-01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정전 분산능을 가지는 고분자 수지 및 고분자 수지혼합물의 제조방법
US20100311920A1 (en) * 2005-08-26 2010-12-09 Cid Centro De Investigacion Y Desarrollo Tecnologico Sa De Cv Using Reactive Block Copolymers as Chain Extenders and Surface Modifiers
KR100766703B1 (ko) * 2005-11-16 2007-10-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도성 가소제를 사용한 전도성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US7709069B2 (en) * 2005-12-14 2010-05-04 M & Q Packaging Corporation High temperature venting bags
CN100372906C (zh) * 2006-02-28 2008-03-05 黄晖 一种防静电包装材料
US20100311849A1 (en) * 2006-08-23 2010-12-09 Cid Centro De Investigacion Y Desarrollo Tecnologico Sa De Cv Using Reactive Block Copolymers as Chain Extenders and Surface Modifiers
CN101511926B (zh) * 2006-09-01 2012-06-06 西巴控股有限公司 抗静电组合物的制备方法
JP4873167B2 (ja) * 2006-09-22 2012-02-08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工業用大型延伸ロール形成用縮合反応硬化型シリコーンゴム組成物
WO2008041356A1 (fr) * 2006-10-03 2008-04-10 Techno Polymer Co., Ltd. Composition de résine thermoplastique et article moulé en résine
KR101218915B1 (ko) * 2007-01-23 2013-01-04 (주)엘지하우시스 고분자형 전도성 가소제를 사용한 전도성 바닥재 및 이의제조방법
US7781555B2 (en) * 2007-09-03 2010-08-24 Shin-Etsu Chemical Co., Ltd. Microcontact printing stamp
JP5456264B2 (ja) * 2008-03-04 2014-03-26 アロン化成株式会社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
JP4496262B2 (ja) * 2008-10-20 2010-07-07 三光化学工業株式会社 制電性組成物、それを用いた成形品、塗料、制電性被覆物、粘着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2203208B (zh) * 2008-11-14 2014-01-29 三菱综合材料株式会社 导电性二氧化硅溶胶组合物及使用该组合物的成型品
FR2941700B1 (fr) * 2009-02-02 2012-03-16 Arkema France Procede de synthese d'un alliage de copolymere a blocs presentant des proprietes antistatiques ameliorees.
CN101481555B (zh) * 2009-02-05 2010-12-01 南京工业大学 一种水性抗静电涂覆液组合物及其制备方法
EP2443190B1 (en) * 2009-06-15 2013-11-06 Basf Se Permanent antistatic additive composition
JP5582730B2 (ja) * 2009-06-16 2014-09-03 ユシロ化学工業株式会社 金属圧延油組成物
WO2011036109A1 (en) * 2009-09-23 2011-03-31 Basf Se Synergistic antistatic compositions
CN101948612B (zh) * 2010-10-18 2012-01-11 华润包装材料有限公司 一种抗静电聚酯及其制备方法
CN102061050B (zh) * 2010-12-02 2012-09-05 浙江三和塑料有限公司 一种可热塑加工全天候持久抗静电母料及抗静电复合材料
CN102634191A (zh) * 2012-05-15 2012-08-15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永久抗静电尼龙弹性体材料及其制备方法
JP2014070066A (ja) * 2012-10-02 2014-04-21 Sanko Kagaku Kogyo Kk 電子伝導性オリゴマー、その製造方法、該電子伝導性オリゴマーを含む塗料、制電性被覆物、および電子部材、並びに電子伝導性組成物
JP6238692B2 (ja) * 2012-12-07 2017-11-29 キヤノン株式会社 導電性ベルトおよび電子写真装置
WO2014198752A1 (de) * 2013-06-14 2014-12-18 Basf Se Beheizbare formkörper aus elektrisch leitfähigem thermoplastischem polyurethan
US20160015852A1 (en) * 2014-07-15 2016-01-21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mposite material
TWI596133B (zh) 2016-06-03 2017-08-2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聚酯彈性體
JP2018172625A (ja) * 2017-03-21 2018-11-08 三光化学工業株式会社 制電性組成物、その製造方法、成形品、制電性塗料、制電性被覆物および制電性粘着剤
CN109021300A (zh) * 2018-07-02 2018-12-18 芜湖航天特种电缆厂股份有限公司 电缆绝缘层抗寒助剂及其制备方法
CN108864977B (zh) * 2018-07-23 2020-12-01 昆山博益鑫成高分子材料有限公司 一种盖板玻璃制程或出货用pet保护膜及制备方法
KR102093565B1 (ko) * 2018-11-01 2020-03-25 김경웅 제전성을 극대화 한 수지조성물
CN110655794A (zh) * 2019-09-16 2020-01-07 北京化工大学 一种高硬度、高透明性聚醚酰胺永久型抗静电剂的制备方法
CN110922666A (zh) * 2019-12-12 2020-03-27 山东东宏管业股份有限公司 一种可染色永久抗静电阻燃聚烯烃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2408413B1 (ko) 2020-11-23 2022-06-13 에스케이씨하이테크앤마케팅(주)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호필름
CN112375325B (zh) * 2020-11-30 2022-08-09 天津金发新材料有限公司 一种hips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及应用
KR102583382B1 (ko) * 2020-11-30 2023-09-26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N113698638A (zh) * 2021-08-17 2021-11-26 北京工业大学 一种锂电池用固态聚电解质及其制备方法
CN113698707A (zh) * 2021-09-06 2021-11-26 东莞市利群榕兴高分子科技有限公司 一种抗静电epdm高分子材料、搓纸轴及其制备方法
CN114316582B (zh) * 2021-12-20 2023-10-03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抗静电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4678156B (zh) * 2022-01-24 2022-11-29 中国科学院兰州化学物理研究所 一种油溶性导电添加剂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550292A (ko) * 1966-11-01 1968-12-20
FR1574845A (ko) 1968-05-09 1969-07-18
GB1590472A (en) * 1976-08-31 1981-06-03 Nat Res Dev Polymeric materials
JPS5996142A (ja) 1982-11-24 1984-06-02 Mitsubishi Petrochem Co Ltd 導電性樹脂組成物
DE3502928A1 (de) * 1985-01-30 1986-07-31 Bayer Ag, 5090 Leverkusen Neue polysiliconblockcopolymere
JPS649258A (en) 1987-06-30 1989-01-12 Sekisui Chemical Co Ltd Flexible 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JPH0546033Y2 (ko) 1987-07-06 1993-12-01
US4806571A (en) * 1988-05-06 1989-02-21 The Dow Chemical Company Organic composition containing a fluoroalkyl sulfonic acid salt
US4872910A (en) * 1988-08-12 1989-10-10 Armstrong World Industries, Inc. Antistatic floor polish
JPH02255852A (ja) 1988-12-02 1990-10-16 Chisso Corp 帯電防止性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物
JP2710110B2 (ja) * 1989-03-17 1998-02-10 三建化工株式会社 耐熱性および帯電防止性の改良された可塑剤
JP2782454B2 (ja) 1989-04-27 1998-07-30 日本カーリット株式会社 安定化したペースト状導電性組成物
JPH07774B2 (ja) * 1991-11-20 1995-01-11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帯電防止剤
EP0555197A3 (en) 1992-01-29 1993-11-18 Monsanto Co Antistatic agent for thermoplastic polymers
CA2110587C (en) 1992-04-09 2000-03-07 Kiyoshi Kawakami Acrylic resin composition
JPH06200171A (ja) 1992-07-23 1994-07-19 Sumitomo Seika Chem Co Ltd 制電性にすぐれた樹脂組成物
JPH06201059A (ja) * 1992-12-29 1994-07-19 Dedo Suisen Kk 給水分配装置
JPH0733977A (ja) * 1993-07-23 1995-02-03 Bridgestone Corp 導電性ポリウレタンエラストマー
US5574101A (en) * 1993-12-07 1996-11-12 Asahi Kasei Kogyo Kabushiki Kaisha Acrylic resin composition
JPH0812755A (ja) * 1994-06-27 1996-01-16 Sanyo Chem Ind Ltd ポリエーテルエステルアミドおよび樹脂組成物
US5637631A (en) * 1994-11-17 1997-06-10 Mitsui Toatsu Chemicals, Inc. Preparation process of degradable polymer
JPH09151310A (ja) * 1995-08-30 1997-06-10 Shin Etsu Chem Co Ltd 生分解性を有するポリマー組成物および収縮フィルム
EP0789049A1 (de) * 1996-02-09 1997-08-13 Ciba SC Holding AG Antistatisch ausgerüstete Polymere
JPH09227743A (ja) 1996-02-23 1997-09-02 Sekisui Chem Co Ltd 透明な導電性樹脂組成物
JP3414580B2 (ja) 1996-03-27 2003-06-09 富士通株式会社 導電性プラスチック組成物および成形物
JP3797444B2 (ja) * 1996-05-24 2006-07-19 大日本インキ化学工業株式会社 乳酸系ポリエステル組成物及びその成形物
JPH10338779A (ja) * 1996-11-15 1998-12-22 Sumitomo Chem Co Ltd ゴム組成物及び加硫ゴム組成物
JP2002512597A (ja) * 1996-12-20 2002-04-23 アルザ コーポレイション 注射可能な貯留槽ゲル組成物およびこの組成物の製造方法
JPH10182988A (ja) 1996-12-26 1998-07-07 Sanken Kako Kk 帯電防止性重合体組成物
JPH10237223A (ja) * 1997-02-27 1998-09-08 Sumitomo Chem Co Ltd ゴム組成物及び加硫ゴム組成物
JPH1139945A (ja) 1997-07-18 1999-02-12 Shin Etsu Polymer Co Ltd 生分解導電性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生分解導電性キャリアテープ
EP0909785A3 (de) 1997-10-16 1999-08-25 Ciba SC Holding AG Antistatisch-ausgerüstete Polymere
JPH11124472A (ja) * 1997-10-24 1999-05-11 Sanken Kako Kk ゴム組成物及び加硫ゴム組成物
JPH11140233A (ja) * 1997-11-05 1999-05-25 Sumitomo Chem Co Ltd ゴム組成物及び加硫ゴム組成物
JPH11199773A (ja) * 1997-12-24 1999-07-27 E I Du Pont De Nemours & Co 帯電防止ポリマー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US6140405A (en) * 1998-09-21 2000-10-31 The B. F. Goodrich Company Salt-modified electrostatic dissipative polymers
JP3880750B2 (ja) * 1999-02-24 2007-02-14 三井化学株式会社 高分子固体電解質
JP2001059059A (ja) * 1999-08-23 2001-03-06 Koji Tani 樹脂組成物
DE10055742B4 (de) * 2000-11-10 2006-05-11 Schwarz Pharma Ag Neue Polyester,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aus den Polyestern hergestellte Depot-Arzneiform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607B1 (ko) * 2007-06-11 2013-08-07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제전성이 우수한 인공피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06879B (en) 2009-03-01
US20030183810A1 (en) 2003-10-02
US7192538B2 (en) 2007-03-20
TWI307706B (en) 2009-03-21
TW200808903A (en) 2008-02-16
KR20020091198A (ko) 2002-12-05
WO2001079354A1 (fr) 2001-10-25
KR100722896B1 (ko) 2007-05-30
EP1273629A4 (en) 2004-12-29
EP1273629A1 (en) 2003-01-08
US8501044B2 (en) 2013-08-06
KR100794081B1 (ko) 2008-01-10
EP1273629B1 (en) 2014-07-30
US20060208232A1 (en) 2006-09-21
CN1427873A (zh) 2003-07-02
CN100443546C (zh) 2008-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4081B1 (ko) 제전성 조성물
EP2345688A1 (en) Process for producing resin composition
CN101870823A (zh) 一种可完全生物降解材料填充母料及其制备方法
US5091457A (en) Polyethylene terephthalate molding compositions
JP2002309097A (ja) 制電性樹脂組成物
KR100758221B1 (ko) 생분해성 수지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해 제조된그물
JP4562872B2 (ja) 制電性ポリエステルエラストマー樹脂組成物
JP2002179898A (ja) 制電性ポリ乳酸系樹脂組成物
JP4151398B2 (ja) 縮合型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利用
JP4562852B2 (ja) 生分解性・制電性脂肪族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2005105052A (ja) 制電性樹脂組成物
JP4684395B2 (ja) 制電性ポリウレタン樹脂組成物
JP5351908B2 (ja) 制電性ポリウレタン樹脂組成物
JP2002097358A (ja) 生分解性木質脂肪族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とその製造方法
JP5364734B2 (ja) 制電性ポリウレタン樹脂組成物
KR100969930B1 (ko) 영구 대전 방지 수지 조성물
KR102164626B1 (ko) 착색성이 개선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JP2004043616A (ja) 制電性樹脂組成物
JP3930346B2 (ja) 制電性樹脂組成物
JP2004189903A (ja) 生分解性木質脂肪族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とその製造方法
WO2011001763A1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熱可塑性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成形品、携帯電話機用卓上ホルダー、携帯電話機の内部シャーシ部品、電子機器用筐体及び電子機器用内部部品
JP5578751B2 (ja) 制電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4451639B2 (ja) 制電性樹脂組成物
JP2004175952A (ja) 制電性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CN102015865A (zh) 颜色稳定的热塑性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