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3565B1 - 제전성을 극대화 한 수지조성물 - Google Patents

제전성을 극대화 한 수지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3565B1
KR102093565B1 KR1020180133020A KR20180133020A KR102093565B1 KR 102093565 B1 KR102093565 B1 KR 102093565B1 KR 1020180133020 A KR1020180133020 A KR 1020180133020A KR 20180133020 A KR20180133020 A KR 20180133020A KR 102093565 B1 KR102093565 B1 KR 102093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ixture
parts
resin composition
antist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3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웅
도대용
도성록
Original Assignee
김경웅
도대용
도성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웅, 도대용, 도성록 filed Critical 김경웅
Priority to KR1020180133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35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3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3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1Carbon nano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6Haloge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4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25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containing polyether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1Nanostructured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7Additives being an antistatic ag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써, 제전성이 좋은 성분의 혼합과 가공 및 압출을 이용하여 제전성이 극대화 된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써, 제전성과 제전성의 지속성 및 내열성이 뛰어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되 체적 저항률이 10의 4승 ~ 10의 8승 Ω·㎝ 이고, 수분이 접촉되어도 상기한 제전성이 유지되며, 내열성과 투명성 및 성형성이 뛰어난 제전성을 극대화 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제전성을 극대화 한 수지조성물{Resin composition maximizing antistatic property}
본 발명은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써, 제전성이 좋은 성분의 혼합과 가공 및 압출을 이용하여 제전성이 극대화 된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우선,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정밀전자부품, 예를 들면, 반도체 웨이퍼, 반도체 소자 및 집적회로 등은, 약간의 대전으로 기능이 손상될(소위, 정전 파괴.)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이들의 운반용 트레이, 포장 자재, 수납 보관구 및 외장 부재 등에 이용하는 재료는, 체적 저항치가 10의 9승∼10의 10승 Ω·cm인 것이 요구된다.
또 상기 포장 자재에는,
자주 적어도 내용물의 존재를 시인할 수 있을 정도의 투명성(헤이즈치로 50% 이하), 바람직하게는 육안으로 제품 검사를 행하거나, 내용물에 첨부되어 있는 식별 마크 등을 확인하거나 할 수 있을 정도의 투명성(헤이즈치로 15% 이하)이 요구된다.
또한 정밀전자부품의 제조 시에 있어서의 건조 공정 등에서 가해지는 열; 정밀전자부품이 내장된 물품을 제조할 때의 건조 공정 등에서 가해지는 열; 정밀전자기기(정밀전자부품이 내장된 물품), 예를 들면, 음향기기, 정보통신기기 등의 차재용 기기의 수송, 보관 및 실사용 시의 환경 온도; 및 상기 기기의 동작 시에 발생하는 열;에 견딜 수 있는 것이 필요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적어도 온도 80℃에 견디는 것이 요구된다.
열가소성 수지는 뛰어난 여러 특성을 갖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전기 절연성이 높은 재료임에도 불구하고, 정밀전자부품에 관한 분야에서도 이것을 사용하기 위해, 그 체적 저항치를 10의 9승∼10의 10승 Ω·cm로 하기 위한 기술이 수많이 제안되어, 실용에도 제공되고 있다.
상기 기술로는, 예를 들면, 열가소성 수지와; 알킬술폰산염 및 알킬벤젠술폰산염 등의 이온성 계면활성제, 특히 알킬(아릴)술폰산염계의 계면활성제와의 수지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기술은, 저분자량의 계면활성제를 성형품의 표면에 배어 나오게 함으로써 전기 저항치를 낮추는 것이기 때문에, 표면의 계면활성제가 닦아내지거나, 세정되거나 함으로써 제전성이 저하(전기 저항치가 상승)된다는 문제나 아웃 가스가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 기술로는, 예를 들면, 제전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예를 들면,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줄기(幹) 폴리머가 폴리아미드, 가지(枝) 폴리머가 폴리알킬렌에테르와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와의 블록 폴리머로 구성되는 그래프트 폴리머, 특정의 폴리아미드이미드 엘라스토머, 및 특정의 폴리에틸렌글리콜, 특정의 비(非)힌더드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특정의 지방족 연쇄 연장제 글리콜의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기술에서는, 충분한 제전성을 얻기 위해 제전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를 다량으로 배합할 필요가 있다. 또 그 내열성이나 투명성은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또 이들 제전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에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열화/저분자량화를 촉진하는 성질이 있고,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와 이들 제전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와의 수지 조성물은, 예를 들면 사출 성형품에 버나 싱크마크 등의 성형 불량이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또, 상기 제전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로서 폴리에테르에스테르(예를 들면, 특정 분자량의 폴리(알킬렌옥시드)글리콜, 탄소 원자수 2∼8의 글리콜 및 탄소 원자수 4∼20의 다가 카르본산 등을 축합하여 얻어지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 탄소수 4∼20의 방향족 디카르본산 등, 특정 분자량의 폴리(알킬렌옥시드)글리콜 및 탄
소수 4∼10의 글리콜을 중축합하여 얻어지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 특정 술폰산염기로 치환된 방향족 디카르본산을 특정량 함유하는 탄소수 6∼20의 방향족 디카르본산, 특정 분자량의 폴리(알킬렌옥시드)글리콜 및 탄소수 2∼10의 글리콜을 중축합하여 얻어지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및 탄소수 4∼20의 방향족디카르본산 등, 특정 분자량의 폴리(알킬렌옥시드)글리콜 및 탄소수 4∼10의 글리콜을 중축합하여 얻어지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를 이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단독으로는 제전성이 충분하지 않다.
그래서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병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지만, 이들 기술에서는, 수세나 닦아냄에 의한 제전성의 저하나, 아웃 가스 발생의 문제가 있다.
이로 인해 베이스 수지로서, 용융 상태로부터의 결정화 반시간(半時間)이 적어도 5분인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베이스 수지가 이와 같은 특성인 것에서는, 내열성이 높은 것으로는 되지 않는다.
제전성, 특히 제전성의 지속성, 내열성 및 투명성이 뛰어나고, 또한 아웃 가스의 문제가 없는 제전성 수지 조성물은 아직 제안되어 있지 않다.
이에 종래에는 등록번호 제10-0199417호의 '제전성 폴리에스터 수지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폴리에스터 사'와, 등록번호 제10-0722896호의 '제전성 조성물'과, 등록번호 제10-1084977호의 '나노카본액 조성물, 나노카본 수지 조성물, 나노카본 고형체, 나노카본 수지체 및 이들의 제조방법'과, 공개번호 제10-2017-0122201호의 '카본 나노튜브 분산액 및 도전성 필름의 제조방법 및 공개번호 제10-2018-0037214호의 '제전성 수지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지만, 상기한 문제점에 대해서는 여전히 개선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해낸 것으로써, 제전성과 제전성의 지속성 및 내열성이 뛰어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되 체적 저항률이 10의 4승 ~ 10의 8승 Ω·㎝ 이고, 수분이 접촉되어도 상기한 제전성이 유지되며, 내열성과 투명성 및 성형성이 뛰어난 제전성을 극대화 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해낸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제전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나일론과 유리섬유가 혼합된 제 1혼합물과, MWNT(Multi-Walled Nano Tube. 이하 '다층나노튜브'라함.)와 산화방지제가 혼합된 제 2혼합물 및 분산제가 혼합된 최종혼합물을 가공, 압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전성을 극대화 한 수지조성물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제전성을 극대화 한 수지조성물에 따르면, 수지 조성물의 체적 저항률이 10의 4승 ~ 10의 8승 Ω·㎝ 이고, 그로 인해 제전성과 제전성의 지속성 및 내열성이 뛰어나며, 수분이 접촉되어도 상기한 제전성이 유지되고, 내열성과 투명성 및 성형성이 뛰어나 다양한 수지제품을 성형할 수 있으며, 아웃 가스에 대한 문제도 없는 등 효과가 큰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수지조성물의 혼합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인 수지조성물의 혼합에 대한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 도 1, 도 2를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인 수지조성물(10)은 제전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나일론 50 ~ 70 중량부와, 유리섬유 15 ~ 35 중량부가 혼합된 제 1혼합물(100)과, MWNT(Multi-Walled Nano Tube. 이하 '다층나노튜브'라함.)다층나노튜브 2 ~ 4(0.1g/㎖) 중량부와, 산화방지제 0.2 중량부가 혼합된 제 2혼합물(200) 및 분산제 1 ~ 5 중량부가 혼합된 최종혼합물(600)을 가공, 압출하여 완성된다.
상기 최종혼합물(600)을 가공 시에는 가공온도 240 ~ 260℃로 설정한다.
상기 제 1혼합물(100)에는 친수성 폴리머 20 ~ 49 중량부와, 열가소성수지 1 ~ 9 중량부 및 폴리알킬렌글리콜 0.1 ~ 0.3 중량부가 혼합된 제 3혼합물(300)이 포함된다.
상기 제 2혼합물(200)에는 불포화 카르복실산 화합물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스티렌계수지 8 ~ 20 중량부와,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수지 10 ~ 15 중량부와,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를 친수성 단량체로 하는 화합물 3 ~ 7 중량부 및 플루오르 화합물 0.3 ~ 0.5중량부가 혼합된 제 4혼합물(400)이 포함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삭제
삭제
본 발명인 수지조성물(10)은 제 1혼합물(100)과 제 2혼합물(200) 및 분산제(500)가 혼합된 최종혼합물(600)을 가공, 압출하여 완성된다.
제 1혼합물(100)은 나일론 50 ~ 70 중량부와, 유리섬유 15 ~ 35 중량부가 혼합된다.
상기 제 1혼합물(100)에는 제 3혼합물(300)이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제 3혼합물(300)은 친수성 폴리머 20 ~ 49 중량부와, 열가소성수지 1 ~ 9 중량부 및 폴리알킬렌글리콜 0.1 ~ 0.3 중량부가 혼합된 것이다.
상기 제 1혼합물(100)과 제 3혼합물(300)은 전체중량 1 : 1로 혼합되거나 또는 1 : 0.9 ~ 1 : 0.6 으로 혼합된다.
제 2혼합물(200)은 MWNT(Multi-Walled Nano Tube. 이하 '다층나노튜브'라함.)다층나노튜브 2 ~ 4(0.1g/㎖) 중량부와, 산화방지제 0.2 중량부가 혼합된다.
상기 제 2혼합물(200)에는 제 4혼합물(400)이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제 4혼합물(400)은 불포화 카르복실산 화합물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스티렌계수지 8 ~ 20 중량부와,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수지 10 ~ 15 중량부와,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를 친수성 단량체로 하는 화합물 3 ~ 7 중량부 및 플루오르 화합물 0.3 ~ 0.5 중량부가 혼합된 것이다.
상기 제 2혼합물(200)과 제 4혼합물(400)은 전체중량 1 : 1로 혼합되거나 또는 1 : 0.5 ~ 1 : 0.1 로 혼합된다.
분산제(500)는 1 ~ 5 중량부를 사용한다.
상기한 제 1혼합물(100), 제 2혼합물(200) 및 분산제(500)가 혼합된 최종혼합물(600)은 가공장치를 이용하여 가공한 후, 압출기를 이용하여 압출하여 본 발명인 수지조성물이 완성된다.
상기 최종혼합물(600)을 가공 시에는 가공온도를 240 ~ 260℃로 설정하여 가공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대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실시 예 1]
제 1혼합물(100)인 나일론과 유리섬유를 일정 중량으로 준비한 후, 혼합한다.
제 2혼합물(200)인 다층나노튜브와 산화방지제를 일정 중량으로 준비한 후 혼합한다.
분산제(500)를 일정 중량 준비한다.
상기 제 1혼합물(100)과 제 2혼합물(200) 및 분산제를 혼합하여 최종혼합물(600)을 완성한다.
상기 최종혼합물(600)을 가공장치에 투입 후, 온도 240 ~ 260℃로 설정하여 가공한다.
삭제
삭제
가공 완료 후, 압출기를 통해 압출하여 수지조성물(10)을 완성한다.
상기 압출기는 일반 압출기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이중압출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실시 예 2]
제 1혼합물(100)인 나일론과 유리섬유를 일정 중량으로 준비한 후, 혼합한다.
제 2혼합물(200)인 다층나노튜브와 산화방지제를 일정 중량으로 준비한 후 혼합한다.
제 3혼합물(300)인 친수성 폴리머와, 열가소성수지 및 폴리알킬렌글리콜을 일정 중량으로 준비한 후, 혼합한다.
제 4혼합물(400)인 불포화 카르복실산 화합물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스티렌계수지와, 폴리에테르에스테르와,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를 친수성 단량체로 하는 화합물 및 플루오르 화합물을 일정 중량으로 준비한 후, 혼합한다.
분산제(500)를 일정 중량 준비한다.
상기 제 1혼합물(100)에 제 3혼합물(300)을 혼합한다.
이때, 제 1혼합물(100)과 제 3혼합물(300)의 혼합 비율은 1 : 1 또는 1 : 0.9 ~ 0.6 으로 한다.
상기 제 2혼합물(200)에 제 4혼합물(400)을 혼합한다.
이때, 제 2혼합물(200)과 제 4혼합물(400)의 혼합 비율은 1 : 1 또는 1 : 0.5 ~ 0.1 로 한다.
상기 제 1혼합물(100), 제 3혼합물(300)을 혼합한 혼합물과 제 2혼합물(200), 제 4혼합물(400)을 혼합한 혼합물 및 분산제를 혼합하여 최종혼합물(600)을 완성한다.
삭제
삭제
상기 최종혼합물(600)을 가공장치에 투입 후, 온도 240 ~ 260℃로 설정하여 가공한다.
가공 완료 후, 압출기를 통해 압출하여 수지조성물(10)을 완성한다.
상기 압출기는 일반 압출기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이중압출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아래의 표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성분 중에서 MWNT(다층나노튜브)의 중량에 따른 제전성, 인장강도, 굴곡탄성률 및 신율을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18108475547-pat00001
상기 표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사용자가 사용하려는 제전성을 위해 그에 필요한 다층나노튜브의 중량을 다양하게 적용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지 조성물의 체적 저항률이 10의 4승 ~ 10의 8승 Ω·㎝ 이고, 그로 인해 제전성과 제전성의 지속성 및 내열성이 뛰어나며, 수분이 접촉되어도 상기한 제전성이 유지되고, 내열성과 투명성 및 성형성이 뛰어나 다양한 수지제품을 성형할 수 있으며, 아웃 가스에 대한 문제도 없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0 : 수지조성물
100 : 제 1혼합물
200 : 제 2혼합물
300 : 제 3혼합물
400 : 제 4혼합물
500 : 분산제
600 : 최종혼합물

Claims (5)

  1. 제전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나일론 50 ~ 70 중량부와, 유리섬유 15 ~ 35 중량부가 혼합된 제 1혼합물(100)과,
    MWNT(Multi-Walled Nano Tube. 이하 '다층나노튜브'라함.)다층나노튜브 2 ~ 4(0.1g/㎖) 중량부와, 산화방지제 0.2 중량부가 혼합된 제 2혼합물(200) 및
    분산제(500) 1 ~ 5 중량부가 혼합된 최종혼합물(600)을 가공, 압출하되,
    상기 제 2혼합물(200)에는 불포화 카르복실산 화합물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스티렌계수지 8 ~ 20 중량부와,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수지 10 ~ 15 중량부와,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를 친수성 단량체로 하는 화합물 3 ~ 7 중량부 및 플루오르 화합물 0.3 ~ 0.5중량부가 혼합된 제 4혼합물(400)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전성을 극대화 한 수지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혼합물(600)을 가공 시에는 가공온도 240 ~ 260℃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전성을 극대화 한 수지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혼합물(100)에는 친수성 폴리머 20 ~ 49 중량부와, 열가소성수지 1 ~ 9 중량부 및 폴리알킬렌글리콜 0.1 ~ 0.3 중량부가 혼합된 제 3혼합물(300)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전성을 극대화 한 수지조성물.

  4. 삭제
  5. 삭제
KR1020180133020A 2018-11-01 2018-11-01 제전성을 극대화 한 수지조성물 KR102093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020A KR102093565B1 (ko) 2018-11-01 2018-11-01 제전성을 극대화 한 수지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020A KR102093565B1 (ko) 2018-11-01 2018-11-01 제전성을 극대화 한 수지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3565B1 true KR102093565B1 (ko) 2020-03-25

Family

ID=70001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3020A KR102093565B1 (ko) 2018-11-01 2018-11-01 제전성을 극대화 한 수지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35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0363B1 (ko) * 2022-04-01 2022-08-09 주식회사 정화엔지니어링 조류 퇴치가 가능한 송배전용 보호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1198A (ko) * 2000-04-12 2002-12-05 산꼬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전성 조성물
KR20110089441A (ko) * 2008-12-26 2011-08-08 아르끄마 프랑스 Pekk 복합 섬유,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JP2014043509A (ja) * 2012-08-27 2014-03-13 Sumitomo Seika Chem Co Ltd ポリアミド樹脂水性分散液の製造方法
KR20160026805A (ko) * 2014-08-29 2016-03-09 주식회사 엘지화학 기계적 물성이 개선된 복합재 및 이를 함유하는 성형품
KR20170122201A (ko) * 2015-02-25 2017-11-03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카본 나노튜브 분산액 및 도전성 필름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1198A (ko) * 2000-04-12 2002-12-05 산꼬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전성 조성물
KR20110089441A (ko) * 2008-12-26 2011-08-08 아르끄마 프랑스 Pekk 복합 섬유,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JP2014043509A (ja) * 2012-08-27 2014-03-13 Sumitomo Seika Chem Co Ltd ポリアミド樹脂水性分散液の製造方法
KR20160026805A (ko) * 2014-08-29 2016-03-09 주식회사 엘지화학 기계적 물성이 개선된 복합재 및 이를 함유하는 성형품
KR20170122201A (ko) * 2015-02-25 2017-11-03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카본 나노튜브 분산액 및 도전성 필름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0363B1 (ko) * 2022-04-01 2022-08-09 주식회사 정화엔지니어링 조류 퇴치가 가능한 송배전용 보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500765B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heat-resistant tray for IC
JP4004214B2 (ja) 帯電防止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
KR100551921B1 (ko) 수지 조성물 및 반송용 야구
KR102046880B1 (ko) 대전방지용 탄소 복합재, 성형품 및 그 제조방법
EP2589637A1 (en) Antistatic agent and antistatic resin composition
JP2010518217A (ja) 油の影響に対し改善された耐性を有する可撓性熱可塑性組成物と該組成物の使用
KR102093565B1 (ko) 제전성을 극대화 한 수지조성물
EP0572911A1 (en) Liquid crystal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WO2008075776A1 (ja) 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組成物
KR20180003460A (ko) 폴리에스테르 다층필름
JP2002080737A (ja) 導電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導電性樹脂成形体
KR100957694B1 (ko) 투명성이 우수한 생분해성 대전방지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JP2006312741A (ja) Icトレイ及びその組成物
DE102019110401A1 (de) Harzzusammensetzung und harzformgegenstand
Jung et al. Facile preparation of thermoplastic elastomer with high service temperature from dry selective curing of compatibilized EPDM/polyamide-12 blends
CN1330681A (zh) 具有抗静电性能和高透明性的共聚多酯
KR20180037214A (ko) 제전성 수지 조성물
JP5901893B2 (ja) 導電剤および導電性樹脂組成物
CN101058662B (zh) 具有优良抗静电性能的abs树脂组合物及生产方法
KR101382784B1 (ko) 우수한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가지는 생분해성 대전방지 다층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044172B1 (ko) 내충격성 및 내열성이 강화된 생분해성 다층시트의 제조방법
KR101950118B1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CN109661438B (zh) 树脂组合物和树脂成型体
JP2006298993A (ja) 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組成物
KR20160103860A (ko) 전도성 시트 제조용 고분자 복합재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