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0118B1 -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 Google Patents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0118B1
KR101950118B1 KR1020170180638A KR20170180638A KR101950118B1 KR 101950118 B1 KR101950118 B1 KR 101950118B1 KR 1020170180638 A KR1020170180638 A KR 1020170180638A KR 20170180638 A KR20170180638 A KR 20170180638A KR 101950118 B1 KR101950118 B1 KR 101950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amide resin
resin composition
polyamide
weight
repea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0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경태
홍상현
Original Assignee
롯데첨단소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첨단소재(주) filed Critical 롯데첨단소재(주)
Priority to KR1020170180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01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0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01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0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26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3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from aromatic diamines and aromatic dicarboxylic acids with both amino and carboxylic groups aromatically b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amid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말단 카르복실기의 농도가 30 내지 70 μeq/g이고, 말단 아민기의 농도가 180 내지 260 μeq/g이며, 상기 말단 카르복실기 및 말단 아민기의 농도비가 1 : 3 내지 1 : 8인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 30 내지 65 중량%;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 1 내지 35 중량%; 및 유리 섬유 30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장기 내열 안정성, 전기 절연성 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POLYAMIDE RESIN COMPOSITION AND ARTICL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장기 내열 안정성, 전기 절연성 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폴리프탈아미드(polyphthalamide) 수지 등의 폴리아미드 수지는 내열성, 내마모성, 내약품성, 성형성 등이 우수하여, 전기 부품, 전자 부품, 자동차 부품 등의 폭 넓은 분야에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폴리아미드 수지를 하이브리드 자동차(HEV) 및 전기 자동차(EV)용 소재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기 절연성 확보가 필요하며, 장기 내열 특성을 동시에 구현하여야 한다. 그러나, 장기 내열 특성을 위하여, 수지 조성물에 통상의 장기 내열성 향상 첨가제를 추가할 경우, 전기적 특성의 저하가 수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 없이, 장기 내열 안정성, 전기 절연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85106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장기 내열 안정성, 전기 절연성 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성형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말단 카르복실기의 농도가 30 내지 70 μeq/g이고, 말단 아민기의 농도가 180 내지 260 μeq/g이며, 상기 말단 카르복실기 및 말단 아민기의 농도비가 1 : 3 내지 1 : 8인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 30 내지 65 중량%;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 1 내지 35 중량%; 및 유리 섬유 30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및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7129631509-pat00001
[화학식 2]
Figure 112017129631509-pat00002
[화학식 3]
Figure 112017129631509-pat00003
상기 화학식 1 및 2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6의 탄화수소기 또는 할로겐 원자이고, n1 및 n2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55 내지 75 몰%,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20 내지 30 몰% 및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5 내지 15 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는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11, 폴리아미드 12, 폴리아미드 46, 폴리아미드 66, 및 폴리아미드 610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 및 상기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의 중량비는 1 : 0.1 내지 1 : 1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하기 식 1에 따른 인장강도 유지율이 80% 이상일 수 있다:
[식 1]
인장강도 유지율(%) = TS1 / TS0 × 100
상기 식 1에서, TS0는 ASTM D638에 따라 측정한 3.2 mm 두께 시편의 초기 인장강도이고, TS1은 상기 시편을 200℃ 오븐에 넣고 500시간 동안 유지한 후, ASTM D638에 따라 측정한 인장강도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고저항률계로 측정한 100 mm × 100 mm × 1 mm 시편의 체적 저항 값이 5 × 1013 내지 9 × 1015 Ω·c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성형품은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다.
본 발명은 장기 내열 안정성, 전기 절연성 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A)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 (B)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 및 (C) 유리 섬유;를 포함한다.
(A)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
본 발명의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는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와 함께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장기 내열 안정성, 전기 절연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는 적정법으로 측정한 말단 카르복실기의 농도가 30 내지 70 μeq/g, 예를 들면 45 내지 55 μeq/g일 수 있고, 말단 아민기의 농도가 180 내지 260 μeq/g, 예를 들면 190 내지 245 μeq/g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장기 내열 안정성, 전기 절연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는 상기 말단 카르복실산기 및 말단 아민기의 농도비가 1 : 3 내지 1 : 8, 예를 들면 1 : 3.5 내지 1 : 7.5일 수 있다. 상기 농도비가 1 : 3 미만일 경우, 가공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1 : 8을 초과할 경우, 장기 내열 안정성, 고온 가공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는 서로 다른 3종의 디카르복실산 단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및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7129631509-pat00004
[화학식 2]
Figure 112017129631509-pat00005
[화학식 3]
Figure 112017129631509-pat00006
상기 화학식 1 및 2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6의 탄화수소기 또는 할로겐 원자이고, n1 및 n2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는 R1으로 페닐기가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테레프탈산 또는 이의 알킬 에스테르; R2로 페닐기가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테레프탈산 또는 이의 알킬 에스테르; 아디프산(adipic acid) 또는 이의 알킬 에스테르; 및 1,6-헥산디아민을 공지된 중합방법에 따라 반응시켜 제조한 것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는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 100 몰% 중 55 내지 75 몰%, 예를 들면 60 내지 70 몰%로 포함될 수 있고,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는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 100 몰% 중 20 내지 30 몰%, 예를 들면 22 내지 28 몰%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는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 100 몰% 중 5 내지 15 몰%, 예를 들면 8 내지 12 몰%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장기 내열 안정성, 전기 절연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는 진한 황산 용액(98%)에 0.5 g/dL의 농도로 녹인 후, 25℃에서 우베로드(Ubbelohde) 점도계로 측정한 고유점도[η]가 0.75 내지 0.95 dL/g, 예를 들면 0.8 내지 0.9 dL/g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 내열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는 전체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100 중량% 중 30 내지 65 중량%, 예를 들면 35 내지 6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의 함량이 30 중량% 미만일 경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장기 내열 안정성, 전기 절연성, 강성, 내열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65 중량%를 초과할 경우, 장기 내열 안정성, 전기 절연성, 가공성, 외관 특성, 내충격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B)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는 상기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와 함께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장기 내열 안정성, 전기 절연성, 내충격성, 가공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통상의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는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11, 폴리아미드 12, 폴리아미드 46, 폴리아미드 66, 및 폴리아미드 610, 이들의 조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는 진한 황산 용액(96%)에 0.5 g/dL의 농도로 녹인 후, 25℃에서 우베로드(Ubbelohde) 점도계로 측정한 상대점도[ηrel]가 2 내지 3, 예를 들면 2.3 내지 2.8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 내충격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는 전체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100 중량% 중 1 내지 35 중량%, 예를 들면 5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일 경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장기 내열 안정성, 전기 절연성, 외관, 내충격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35 중량%를 초과할 경우, 장기 내열 안정성, 전기 절연성, 내열성, 강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 및 상기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의 중량비는 1 : 0.1 내지 1 : 1, 예를 들면 1 : 0.1 내지 1 : 0.7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장기 내열 안정성, 전기 절연성, 가공성, 내충격성 등이 더 우수할 수 있다.
(C) 유리 섬유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유리 섬유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강성, 내충격성, 내열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통상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유리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유리 섬유는 섬유형, 입자형, 로드형, 침상형, 플레이크형, 무정형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원형 및/또는 직사각형 단면의 섬유형 유리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기계적 물성 측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원형 단면의 유리 섬유는 단면 직경이 5 내지 20 ㎛, 가공 전 길이가 2 내지 20 mm일 수 있고, 상기 직사각형 단면의 유리섬유는 단면의 종횡비가 1.5 내지 10이고, 가공 전 길이가 2 내지 20 mm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강성, 가공성 등이 향상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유리 섬유는 전체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100 중량% 중 30 내지 40 중량%, 예를 들면 32 내지 38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리 섬유의 함량이 30 중량% 미만일 경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강성, 내열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40 중량%를 초과할 경우, 전기 절연성, 가공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 통상적인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는 난연제, 산화방지제, 활제, 이형제, 핵제, 대전방지제, 안정제, 착색제, 이들의 혼합물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첨가제 사용 시, 그 함량은 전체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100 중량% 중, 20 중량%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상기 구성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270 내지 320℃, 예를 들면 280 내지 310℃에서 용융 압출한 펠렛 형태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하기 식 1에 따른 인장강도 유지율이 80% 이상, 예를 들면 80 내지 95%일 수 있다:
[식 1]
인장강도 유지율(%) = TS1 / TS0 × 100
상기 식 1에서, TS0는 ASTM D638에 따라 측정한 3.2 mm 두께 시편의 초기 인장강도이고, TS1은 상기 시편을 200℃ 오븐에 넣고 500시간 동안 유지한 후, ASTM D638에 따라 측정한 인장강도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고저항률계(Hiresta-UP MCP-HT450)로 측정한 100 mm × 100 mm × 1 mm 시편의 체적 저항 값이 5 × 1013 내지 9 × 1015 Ω·cm, 예를 들면 5 × 1013 내지 5 × 1014 Ω·cm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품은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 이중 사출 성형, 블로우 성형, 압출 성형, 열 성형 등의 공지된 성형 방법으로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성형품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성형품은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이 적용되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성형품은 장기 내열 안정성, 전기 절연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우수하므로, 이러한 물성이 요구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HEV) 및 전기 자동차(EV)용 소재 등으로 특히 유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각 성분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A)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
(A1) 폴리아미드 6T/6I/66(제조사: Evonik Industries, 제품명: M1100, 6T:6I:66(몰비)=66:24:10 , 고유점도[η]: 0.85 dL/g, 말단 카르복실기 농도: 50 μeq/g, 말단 아민기 농도: 215 μeq/g, 농도비(말단 카르복실기:말단 아민기): 1 : 4.3)를 사용하였다.
(A2) 폴리아미드 6T/66(제조사: Solvay, 제품명: A6000, 6T:66(몰비)=55:44, 고유점도[η]: 0.95 dL/g, 말단 카르복실기 농도: 46 μeq/g, 말단 아민기 농도: 100 μeq/g, 농도비: 1 : 2.2)를 사용하였다.
(A3) 폴리아미드 6T/6I(제조사: Mitsui Chemicals, 제품명: A3000, 고유점도[η]: 0.85 dL/g, 말단 카르복실기 농도: 148 μeq/g, 말단 아민기 농도: 44 μeq/g, 농도비: 1 : 0.3)를 사용하였다.
(B)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아미드 6(제조사: KP Chemtech, 제품명: EN-300, 상대점도[ηrel]: 2.5)를 사용하였다.
(C) 유리 섬유
유리 섬유(제조사: Nippon Electric Glass, 제품명: ECS-30T-717H)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4
하기 표 1의 조성 및 함량에 따라, 상기 구성 성분을 혼합한 후, L/D=40, 직경 45 mm인 이축(twin screw type) 압출기에 투입하고, 바렐 온도 300℃ 조건에서 용융 및 압출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펠렛은 100℃에서 6 내지 8시간 동안 제습 건조한 후, 실린더 온도 320℃, 금형 온도 80℃ 조건의 사출기에서 사출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편에 대하여 하기의 방법으로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물성 평가 방법
(1) 인장강도 유지율(단위: %): 하기 식 1에 따라서, 인장강도 유지율을 산출하였다.
[식 1]
인장강도 유지율(%) = TS1 / TS0 × 100
상기 식 1에서, TS0는 ASTM D638에 따라 측정한 3.2 mm 두께 시편의 초기 인장강도이고, TS1은 상기 시편을 200℃ 오븐에 넣고 500시간 동안 유지한 후, ASTM D638에 따라 측정한 인장강도이다.
(2) 체적 저항(단위: Ω·cm): 고저항률계(제조사: Mitsubishi Chemical Analytech, 모델명: Hiresta-UP MCP-HT450(UR-100 probe 사용))를 사용하여, 100 mm × 100 mm × 1 mm 시편의 체적 저항 값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3 4
(A1) (중량%) 58.3 45.4 39 - - 64.5 25
(A2) (중량%) - - - 45.4 - - -
(A3) (중량%) - - - - 45.4 - -
(B) (중량%) 6.7 19.6 26 19.6 19.6 0.5 40
(C) (중량%) 35 35 35 35 35 35 35
인장강도 유지율(%) 81 90 94 75 72 73 70
체적 저항(Ω·cm) 5×1014 1×1014 8×1013 3×1013 7×1012 1×1013 5×1012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실시예 1 내지 3)은 장기 내열 안정성(인장강도 유지율), 전기 절연성(체적 저항) 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 대신에 말단 카르복실기 및/또는 말단 아민기의 농도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폴리아미드 6T/66 및 폴리아미드 6T/6I를 사용한 비교예 1 및 2의 경우, 장기 내열 안정성, 전기 절연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고,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 및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의 함량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비교예 3 및 4의 경우도, 장기 내열 안정성, 전기 절연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으며, 특히, 비교예 3의 경우, 블리스터(blister) 발생에 의한 외관 불량도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8)

  1. 말단 카르복실기의 농도가 30 내지 70 μeq/g이고, 말단 아민기의 농도가 180 내지 260 μeq/g이며, 상기 말단 카르복실기 및 말단 아민기의 농도비가 1 : 3 내지 1 : 8인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 30 내지 65 중량%;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 1 내지 35 중량%; 및
    유리 섬유 30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며,
    고저항률계로 측정한 100 mm × 100 mm × 1 mm 시편의 체적 저항 값이 5 × 1013 내지 9 × 1015 Ω·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및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7129631509-pat00007

    [화학식 2]
    Figure 112017129631509-pat00008

    [화학식 3]
    Figure 112017129631509-pat00009

    상기 화학식 1 및 2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6의 탄화수소기 또는 할로겐 원자이고, n1 및 n2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이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55 내지 75 몰%,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20 내지 30 몰% 및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5 내지 15 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는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11, 폴리아미드 12, 폴리아미드 46, 폴리아미드 66, 및 폴리아미드 610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 및 상기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의 중량비는 1 : 0.1 내지 1 :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하기 식 1에 따른 인장강도 유지율이 8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식 1]
    인장강도 유지율(%) = TS1 / TS0 × 100
    상기 식 1에서, TS0는 ASTM D638에 따라 측정한 3.2 mm 두께 시편의 초기 인장강도이고, TS1은 상기 시편을 200℃ 오븐에 넣고 500시간 동안 유지한 후, ASTM D638에 따라 측정한 인장강도이다.
  7. 삭제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KR1020170180638A 2017-12-27 2017-12-27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1950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638A KR101950118B1 (ko) 2017-12-27 2017-12-27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638A KR101950118B1 (ko) 2017-12-27 2017-12-27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0118B1 true KR101950118B1 (ko) 2019-02-19

Family

ID=65528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0638A KR101950118B1 (ko) 2017-12-27 2017-12-27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01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42232A1 (ko) * 2019-05-31 2020-12-03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6739A (ko) * 2012-12-28 2014-07-08 제일모직주식회사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성형품
KR20170003927A (ko) * 2014-05-05 2017-01-10 사빅 글로벌 테크놀러지스 비.브이. 보강된 폴리프탈아미드/폴리(페닐렌 에테르) 조성물
KR20170099297A (ko) * 2016-02-23 2017-08-31 롯데첨단소재(주)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1792338B1 (ko) * 2015-08-28 2017-11-01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6739A (ko) * 2012-12-28 2014-07-08 제일모직주식회사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성형품
KR20170003927A (ko) * 2014-05-05 2017-01-10 사빅 글로벌 테크놀러지스 비.브이. 보강된 폴리프탈아미드/폴리(페닐렌 에테르) 조성물
KR101792338B1 (ko) * 2015-08-28 2017-11-01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170099297A (ko) * 2016-02-23 2017-08-31 롯데첨단소재(주)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42232A1 (ko) * 2019-05-31 2020-12-03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6278B1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539709B1 (ko) 고강도 폴리페닐렌설파이드/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블렌드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40418B1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1257698B1 (ko) 전도성 폴리아미드 복합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연료 수송 튜브
KR20170099297A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20170007336A (ko) 비정질 폴리아미드 및/또는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향상되고 균일한 전기 전도성을 갖는 폴리아미드 조성물
KR102012061B1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20110108976A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1950118B1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CN111117231A (zh) 一种不含卤素的耐热空气长期老化的聚酰胺56组合物及其应用
KR101823736B1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2204087B1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US20160280885A1 (en) Resin composition and resin molded article
KR101863421B1 (ko) 비할로겐 난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US9725584B2 (en) Resin composition and resin molded article
KR101748243B1 (ko) 유동성과 표면 광택이 우수한 비할로겐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KR102292133B1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20220161985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958576B1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US9771433B1 (en) Resin composition, resin molded article, and method of preparing resin composition
KR101756514B1 (ko)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JPS61188457A (ja) 薄肉成形品用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JP7510504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熱可塑性樹脂組成物の導電性発現方法
KR102679183B1 (ko) 재생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210052323A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