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9441A - Pekk 복합 섬유,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Pekk 복합 섬유,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9441A
KR20110089441A KR1020117014671A KR20117014671A KR20110089441A KR 20110089441 A KR20110089441 A KR 20110089441A KR 1020117014671 A KR1020117014671 A KR 1020117014671A KR 20117014671 A KR20117014671 A KR 20117014671A KR 20110089441 A KR20110089441 A KR 201100894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s
composite
nanotubes
composite fiber
pek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4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리스띠앙 콜레뜨
필리쁘 풀랭
Original Assignee
아르끄마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르끄마 프랑스 filed Critical 아르끄마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110089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9441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6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ethers
    • D01F6/665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ethers from polyetherketones, e.g. PEEK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09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for making electroconductive or anti-static fil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2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combinations of reinforcements, e.g. non-specified reinforcements, fibrous reinforcing inserts and fillers, e.g. particulate fillers, incorporated in matrix material, forming one or more layers and with or without non-reinforced or non-filled layers
    • B29C70/021Combinations of fibrous reinforcement and non-fibrous material
    • B29C70/025Combinations of fibrous reinforcement and non-fibrous material with particular fill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88Cooling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leaving the spinnerette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1Yarns or threads with antistatic, conductive or radiation-shield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3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6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with oxides, hydroxides or mixed oxides; with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48Oxides or hydroxides of chromium, molybdenum or tungsten; Chromates; Dichromates; Molybdates; Tungstat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7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carbon or compounds thereof
    • D06M11/74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carbon or compounds thereof with carbon or graphite; with carbides; with graphitic acids or their sal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77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silicon or compound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8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boron or compounds thereof, e.g. borid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6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thers
    • D10B2331/061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thers polyetherketones, polyetheretherketones, e.g. PEEK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6Physical properties antistatic; conducti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29Bicomponent, conjugate, composite or collateral fibers or filaments [i.e., coextruded sheath-core or side-by-side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벽 나노튜브, 특히 탄소 다중벽 나노튜브가 분산되는 폴리에테르케톤케톤 (PEKK)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중합체 매트릭스를 함유하는 복합 섬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복합 섬유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PEKK 복합 섬유,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PEKK COMPOSITE FIBRE,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다중벽 나노튜브, 특히 탄소 나노튜브가 분산되어 있는 폴리에테르케톤케톤 (PEKK)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중합체 매트릭스로 이루어진 복합 섬유, 특히 전도성 복합 섬유에 관한 것이다. 이는 또한 상기 복합 섬유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전류가 흐르는 것을 허용하고, 줄 효과 (Joule effect)를 통해 열을 생성할 수 있는 전도성 섬유는, 의복, 커버, 차량용 의자 또는 보호용 라이닝 (lining)(예를 들어 연료 탱크를 냉기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 등의 가열되는 패브릭의 제조를 위해 사용된다.
전도성 섬유는 또한 가열 효과 (heating effect)가 요구되지 않는, 예를 들어 이의 정전기방지 특성을 위해 사용되는 적용물에서, 특히 항공 또는 자동차 부품의 제조에서 또는 예를 들어 마찰로부터 생기는 전하, 특히 열가소성 파이프를 통해 흐르는 유체에서 유도되는 전하를 소산시키는 전자 장치의 전자기 차폐용으로 유용하다.
선행 기술에서 공지되어 있는 전도성 섬유는 하기를 포함한다:
- 금속 와이어, 이는 무겁고 산화되기 쉬운 결점을 가짐;
- 본질적으로 전도성 중합체의 섬유, 이는 산화 및 또한 중합체를 화학적으로 분해 (예를 들어 가교)시키고/시키거나 특정 온도 초과에서 그 기계적 특성을 손상시킬 수 있는 줄 효과에 의해 방출되는 열에 민감한 한에 있어서는 매우 내세정성 (washing-resistant)이 아니고, 매우 안정하지 않음;
- 전도성 입자를 표면에 침적시킴으로써 전도성으로 만들어진 중합체의 섬유, 예컨대 은 도금된 섬유, 이 때 코팅은 마찰 및 마모에 의해 분해되기 쉬움; 및
- 탄소 또는 금속 기재의 전도성 입자로 충전된 중합체의 섬유.
후자의 전도성 섬유 종류에서, 탄소 나노튜브에 의해 강화된 중합체 매트릭스, 예컨대 출원인의 특허 US-6 331 265 에 기재된 것을 언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특허에는 각종 중합체 매트릭스, 특히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또는 PEEK) 기재, 바람직하게 폴리올레핀 기재의 중합체 매트릭스가 개시되어 있고, 이는 섬유의 기계적 특성을 최적화하는 공정을 따라 탄소 나노튜브에 의해 강화되고, 전기 전도 특성은 특히 추구되지 않는다.
최근, 출원인은, 다른 유형의 폴리에테르케톤, 즉 폴리에테르케톤케톤 (또는 PEKK), 및 다중벽 나노튜브, 특히 탄소 나노튜브 기재의 특정 복합소재가 양호한 기계적 특성 (특히 영률 (Young’s modulus) 및 파괴 강도)뿐만 아니라 매우 양호한 열 안정성과 연합된 전기 전도 특성을 가질 수 있고, 이로써 화학적으로 이에 손해를 입혀 이의 외관 및/또는 기계적 특성을 실질적으로 손상시키는 줄 효과에 의해 방출되는 열 없이 높은 전류 밀도를 통과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들 복합소재는 또한 양호한 용융 방적 역량을 가진다. 상기 조합의 특성들은,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가열되는 패브릭 또는 다른 전도성 재료, 특히 높은 열적 및/또는 기계적 응력을 받는 정전기방지성 재료를 제조하기 위한 전도성 섬유의 제조용으로 복합소재를 매우 적합하게 한다. 이들 복합소재는 또한 생물의학 적용물에서, 특히 봉합사의 제조에서 사용하는 것을 예견가능하게 하는 생체적합성을 나타낸다.
명백히, 특허 출원 WO 2005/081781 에는 PEEK 또는 PEKK 등의 중합체, 및 탄소 나노튜브 기재의 복합소재를 제조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이들 복합소재는 전자 부품의 포장 또는 전지용 양극판의 제조용으로 계획된 성형품을 제조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 출원은 복합소재로부터 섬유를 제조하는 것을 예상하지 않았다.
유사하게, Oxford Performance Materials Inc 사는 상표명 OXXPEKK®로 온도-안정성 PEKK의 각종 등급물을 판매하고, 이들 중 일부 (OXPEEK®-IG 및 OXPEEK®-MG 등급물 230C 및 240C)는 유리 섬유 또는 탄소 섬유에 의해 강화된다. 그러나, 이들 복합소재는 본 발명 내에서 섬유로 변환될 수 없다. 이는, 탄소 섬유의 직경 (대략 5 내지 10 μm)으로 인해, 이들이 복합 섬유에 균일하게 분산되기 어려워서 복합 섬유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적돌기의 오리피스 또는 필터를 차단하기 쉬운 단점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나의 주제는 다중벽 나노튜브, 특히 탄소 기재의 나노튜브가 분산되어 있는, 폴리에테르케톤케톤 (PEKK)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중합체 매트릭스로 이루어진 복합 섬유, 특히 전도성 복합 섬유이다.
용어 "복합 섬유"는 본 발명에서 직경이 100 nm 내지 300 μm, 바람직하게 1 내지 100 μm 및 더욱 바람직하게 2 내지 50 μm 인 스트랜드로 이루어진 섬유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용어 "PEKK" 는 상기 설명에서 하기 일반식 (A)를 충족시키는 단량체
Figure pct00001
,
{이 때, Ph 는 1,4-페닐렌 기를 나타냄 (이 경우 -CO-Ph-CO- 단위는 테레프탈릴 (T) 기를 나타냄)} 및/또는 식 (I)의 단량체 {이 때, Ph 는 1-3-페닐렌 기를 나타냄 (이 경우에 -CO-Ph-CO- 단위는 이소프탈릴 (I) 기를 나타냄)}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 이들로 이루어진 중합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페닐 기는 C1 ~ C8 알킬 기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중합체는 상기한 단량체의 조합물을 포함하고, 유리하게는 이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경우에, (T)/(I) 몰 비는 80/20 내지 20/80, 바람직하게 60/40 내지 50/50 (한계 포함)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PEKK 는 결정질, 반결정질 또는 비결정질일 수 있다. 그러나, PEKK 로부터 형성되는 복합 섬유의 축을 따라서 중합체 사슬의 더욱 바람직한 방향을 결정하고, 따라서 이들 복합 섬유의 보다 양호한 기계적 특성을 수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비결정질 PEKK 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PEKK 의 유리 전이 온도 (Tg)가 150 내지 170℃ (한계 포함)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의 융점은 존재하는 경우, 예를 들어 280 내지 400℃, 바람직하게 300 내지 370℃ (한계 포함)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PEKK 는 특히 상표명 OXPEKK®-SP, OXPEKK®-C 및 OXPEKK®-C-E 로 Oxford Performance Materials 사에서 입수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주제는 원소주기율표의 IIIa, IVa 또는 Va 족의 화학적 원소 하나 이상의 다중벽 나노튜브가 분산되어 있는 주로 폴리아릴에테르케톤 (PAEK), 특히 비결정질 폴리아릴에테르케톤 (PAEK)을 함유하는 중합체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복합 섬유이다.
PEKK 또는 PAEK 와는 별도로,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중합체 매트릭스는 또한 특히 가소제, 산화방지제, 광 안정화제, 안료 또는 염료, 충격 개질제, 정전기방지제, 발화 지연제, 윤활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고, 단 이들 첨가제는 전도성 섬유의 생산품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변형으로서 또는 추가로, 중합체 매트릭스는 PEKK 와 상용가능하거나 또는 사용가능하게 만들어진 하나 이상의 다른 열가소성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섬유의 두번째 구성분은 다중벽 나노튜브의 분산물이고, 이는 유리하게는 주기율표 IIIa, IVa 및 Va 족의 원소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원소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다중벽 나노튜브는 붕소, 탄소, 질소, 인, 규소 또는 텅스텐에 기재되는 것일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탄소, 탄소 나이트라이드, 붕소 나이트라이드, 붕소 카르바이드, 붕소 포스파이드, 인 나이트라이드 또는 탄소 보로나이트라이드, 그밖에 규소 또는 텅스텐을 함유하거나 또는 예를 들어 이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중벽 나노튜브를 이용하는 것의 이점은 특히 이들을 가공하기 보다 용이하게 하고, 매트릭스와 상용가능하게 하는 표면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 이들이 표면의 변경 이후 단일벽 나노튜브와 다르게 이들의 전도성을 유지한다는 사실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다중벽 탄소 나노튜브 (또는 CNT)가 사용된다. 이들은 미소섬유 축을 따른 방향의 여러 흑연 관형 벽을 각각 포함하는 공동 (hollow) 흑연 탄소 미소섬유이다. 다수의 벽들을 가진 다중벽 나노튜브는 CVD (화학 기상 증착 (Chemical Vapor Deposition)) 공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다중벽 나노튜브는 예를 들어 3 내지 15개의 시트 및 더욱 바람직하게 3 내지 10개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다중벽 나노튜브는 평균 직경이 3 내지 100 nm, 더욱 바람직하게 4 내지 50 nm 및 더욱 더 바람직하게 4 내지 30 nm 의 범위이고, 유리하게는 길이가 0.1 내지 10 μm 이다. 이들의 길이/직경 비는 바람직하게 10 초과, 통상적으로 100 초과 또는 심지어 1000 초과이다. 따라서 다중벽 나노튜브는 보다 길고 직경이 보다 큰 탄소 섬유와 상이하고, 따라서 다중벽 나노튜브보다 통상적인 열가소성 압출 기술에 제공되는 것이 덜 만족스럽다.
이들의 비표면적은 예를 들어 다중벽 나노튜브의 경우 100 내지 500 m2/g (한계 포함), 일반적으로 100 내지 300 m2/g 이다. 이들의 벌크 밀도는 특히 0.05 내지 0.5 g/cm3 (한계 포함) 및 더욱 바람직하게 0.1 내지 0.2 g/cm3 (한계 포함)일 수 있다.
미가공의 다중벽 탄소 나노튜브의 하나의 예는 특히 Arkema France 사에서 상표명 Graphistrength® C100 으로 시판된다.
이들 다중벽 나노튜브는, 본 발명에 따른 공정으로 가공되기 전에 정제 및/또는 처리 (예를 들어 산화) 및/또는 분쇄 및/또는 관능화될 수 있다.
다중벽 나노튜브의 분쇄는 특히 볼 (ball) 분쇄기, 망치 분쇄기, 그린딩 (grinding) 분쇄기, 칼 분쇄기, 기체-젯트 (gas-jet) 충격 분쇄기 또는 다중벽 나노튜브의 얽혀져 있는 네트워크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임의 다른 분쇄 시스템 등의 장치에서 공지된 가공 기술을 사용하여 저온 또는 고온으로 실시될 수 있다. 상기 분쇄 단계가 기체-젯트 충격 분쇄 기술을 사용하여 특히 공기-젯트 (air-jet) 충격 분쇄기에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가공 또는 분쇄 다중벽 나노튜브는, 황산 용액으로 세정하여 이로부터 제조 과정에서의 임의 잔여 광물 및 금속성 불순물을 벗겨내는 것에 의해 정제될 수 있다. 다중벽 나노튜브/황산의 중량비는 특히 1/2 내지 1/3 (한계 포함)일 수 있다. 정제 작업은 또한 90 내지 120℃ 범위의 온도에서, 예를 들어 5 내지 10 시간 동안 실시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상기 작업 이후에, 정제된 다중벽 나노튜브를 물로 헹구고 이들을 건조시키는 단계가 실시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다중벽 나노튜브의 산화는 이를 0.5 내지 15중량% 의 NaOCl 및 바람직하게 1 내지 10중량% 의 NaOCl 를 함유한 나트륨 히포클로라이트 용액과, 예를 들어 1/0.1 내지 1/1 범위의 다중벽 나노튜브/나트륨 히포클로라이트 중량비로 접촉시켜 실시된다. 유리하게는, 산화는 60℃ 미만의 온도 및 바람직하게 실온에서 몇 분 내지 24 시간 범위의 시간 동안 실시된다. 유리하게는, 이러한 산화 작업 이후에 산화된 다중벽 나노튜브를 여과 및/또는 원심분리, 세정 및 건조하는 단계가 실시될 수 있다.
다중벽 나노튜브의 관능화는 다중벽 나노튜브의 표면에 비닐 단량체 등의 반응성 엔티티 (entity)를 그래프트 (graft)시켜 실시될 수 있다. 다중벽 나노튜브의 구성분 재료는, 그 표면에 산소 함유 기를 제거하도록 의도된 900℃ 초과의 열처리를 무수 및 산소 없는 매질에서 수행한 후 라디칼 중합 개시제로서 사용된다.
금속성 촉매 잔기를 제거하기 위해, 다중벽 나노튜브를 적어도 1000℃, 예를 들어 1200℃의 온도에서 열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임의로 그린딩된 미가공 다중벽 나노튜브, 즉 의도적으로 산화, 정제 또는 관능화되지 않고, 다른 화학 처리를 받지 않는 다중벽 나노튜브가 특히 사용된다.
다중벽 나노튜브가 처리 (화학 또는 풀림 (annealing) 처리)를 받는지 아닌지 여부는 섬유-강화된 열가소성 중합체의 최종 용도에 의존한다 .
다중벽 나노튜브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섬유의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0중량%, 및 바람직하게 1 내지 10중량% 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제는 또한 하기로 이루어진 순차적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기재된 PEKK-기재의 복합 섬유의 제조 방법이다:
(a) 다중벽 나노튜브를, 임의로는 중합체 매트릭스의 부분 중의 마스터배치 형태로, 중합체 매트릭스 전체 또는 나머지 부분에 분산시켜 복합 배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b) 상기 복합 배합물을 섬유로 변환시키는 단계.
다중벽 나노튜브를 PEKK 에 배합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단계 (a)는 임의 기구로 실시될 수 있다. 다중벽 나노튜브 및 열가소성 중합체는 2축 압출기 또는 코-니더 (co-kneader) 등의 표준 장치를 사용하여 혼합함으로써 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압출기를 따라 상이한 시점에서 또는 동시에 도입될 수 있다. 상기 과정에서, 중합체 과립 또는 분말은 전형적으로 다중벽 나노튜브와 용융-배합된다.
변형으로서, 다중벽 나노튜브는 용매에 용해된 열가소성 중합체에 임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분산될 수 있다. 상기 경우에, 분산은 분산 시스템 (예컨대 초음파 또는 회전자/고정자 시스템)을 이용하거나 또는 그밖에 특정 분산제의 도움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유리한 구현예에 따라 개선될 수 있다.
분산제는 특히 가소제, 특히 고리화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혼합물, 예컨대 Cyclics Corporation 에 의해 시판되는 수지 CBT® 100 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변형으로서, 분산제는 하나 이상의 방향족 고리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단량체 및 하나 이상의 음이온성 친수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예컨대 문헌 FR-2 766 106 에 기재된 공중합체일 수 있고, 분산제/다중벽 나노튜브 중량비는 바람직하게 0.6/1 내지 1.9/1 범위 내일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분산제는 비닐 피롤리돈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일 수 있고, 다중벽 나노튜브/분산제 중량비는 이러한 경우에 바람직하게 0.1 내지 2 미만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분산제는 또한 양친매성 (amphiphilic) 특징을 가진 합성 또는 천연 분자 또는 마크로분자, 예컨대 분산 매질 및 다중벽 나노튜브 둘다에 대해 친화성을 가진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단계 (a)에서 사용되는 다중벽 나노튜브는 중합체 매트릭스의 부분을 가진 마스터배치 형태이고, 단계 (a)에서 나머지 중합체 매트릭스 및 가소제, 예컨대 Cyclics Corporation 에 의해 시판되는 수지 CBT® 100 으로 희석되고, 이의 농도는 다중벽 나노튜브 함량에 의존할 것이다. 상기 구현예에서, 다중벽 나노튜브는 마스터배치의 중량에 대해 3% 내지 30중량%, 바람직하게 5% 내지 20중량% 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매트릭스의 선택은 바람직하게 분말 형태의 비결정질 PEKK 이고, 배합은 유리하게는 L/D 비 11 내지 15 로 BUSS 코-니더를 사용하여 실시된다.
본 발명의 두번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비결정질 PEKK, 다중벽 나노튜브 및 가소제로 이루어진 마스터배치는 PEKK, PEEK 또는 임의로 섬유 (탄소 또는 유리 섬유) 또는 심지어 다른 광물 충전제를 함유하는 임의 다른 결정질 PAEK 기재의 제형으로 사용될 것이다.
단계 (a)에서 생성된 복합 배합물은 이후 단계 (b)에서 섬유로 변환된다. 이들 섬유는 유리하게는 용융 방적 공정을 사용하여, 바람직하게 이들을 작은-직경 다이를 갖춘 압출기에 통과시켜 형성될 수 있다. 다중벽 나노튜브의 구조를 보존하기 위해 비활성 분위기에서 상기 단계를 실시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섬유는 용매 기재의 공정을 사용하여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정은 또한 PEKK 의 유리 전이 온도 (Tg) 초과 및 바람직하게 그의 융점 (존재하는 경우) 미만의 온도에서 생성된 섬유를 드로잉 (drawing)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추가적 단계 (c)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참고로 삽입된 특허 US-6 331 265 에 기재된 이러한 단계는 다중벽 나노튜브 및 중합체를 섬유 축을 따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향하게 하여, 섬유의 기계적 특성, 특히 이의 인장 탄성율 (영률) 및 이의 점착력 (tenacity) (파괴 강도)을 개선할 수 있게 한다. 드로잉 후 섬유의 길이 대 드로잉 전 섬유의 길이의 비로 정의되는 드로우 비 (draw ratio)는 1 내지 20, 바람직하게 1 내지 10 (한계 포함)일 수 있다. 드로잉은 단지 1번, 또는 여러번 실시될 수 있고, 각 드로잉 작업 사이에 섬유를 그대로 두어 약간 느슨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드로잉 단계는 바람직하게 섬유를 상이한 속도로 회전하는 연속적 롤 (roll)에 통과시켜 실시되고, 롤에서 섬유는 감겨올려지는 것보다 느린 속도로 회전하면서 풀리게 된다. 목적하는 드로잉 온도를 달성하기 위해, 섬유를 롤 사이에 위치한 오븐을 통과하게 하거나 또는 가열된 롤을 사용하거나 또는 이 두 기술을 조합할 수 있다. 이 드로잉 단계는 비결정질 PEKK 를 사용하여 촉진된다.
이러한 드로잉 단계는 섬유를 통합하고 높은 분획 강도를 달성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공정을 따라 수득된 복합 섬유는 본질적으로 전도성이고, 즉 이는 실온에서 가능하게는 105 ohms.cm 미만의 저항성을 가짐에도, 이의 전기 전도성은 열처리에 의해 추가로 개선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이들 복합 섬유는 이의 기계적 특성 또는 이의 외관의 실질적 손상 없이 높은 전류 밀도를 견딜 수 있는데, 그 이유는 한편으로 PEKK 의 양호한 열 안정성 그리고 다른 한편, 열을 소산시키는 다중벽 나노튜브의 역량 때문이다.
본 발명의 주제는 또한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 섬유의 제조 방법이다:
(a) 원소주기율표 IIIa, IVa 또는 Va 족의 화학적 원소 하나 이상의 다중벽 나노튜브를 주로 폴리아릴에테르케톤 (PAEK)을 함유한 열가소성 매트릭스에 분산시키는 단계;
(b) 생성된 배합물을 변환시켜 섬유를 형성하는 단계; 및
(c) 임의적으로는, 생성된 섬유를 드로잉하는 단계.
상기 기재된 유리한 특성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섬유는 로켓 또는 항공기의 노즈콘, 날개 또는 기체; 연안의 가요성 파이프 보강재; 차체 또는 엔진 섀시 부품; 정전기방지성 포장물 및 직물, 특히 사일로 (silo)의 보호용 정전기방지성 포장물 및 직물; 전자기 차폐 장치, 특히 전자 부품의 보호용 전자기 차폐 장치; 가열되는 패브릭 (fabric); 전도성 케이블; 센서, 특히 기계적 변형 또는 응력 센서; 또는 봉합사 또는 카테터와 같은 생물의학 장치의 제조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주제는 특히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복합 섬유 (PEKK 또는 PAEK 기재)를 함유하는 구조 복합 부품이다.
이들 복합 부품의 제조는 일반적으로 섬유를 중합체 매트릭스에 함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각종 공정을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이 함침 단계는 그자체로 특히 사용되는 매트릭스의 물리적 형태 (분말 또는 비교적 액체 형태)에 의존하는 각종 기술을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이 섬유는 바람직하게 유동층 함침 공정을 사용하여 함침될 수 있고, 이 때 중합체 매트릭스는 분말 상태로 존재한다. 섬유 자체는 그대로 또는 이를 이중방향의 네트워크의 섬유로 이루어진 패브릭으로 직조 (weave)하는 단계 이후에 함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또는 열경화성 중합체에 도입될 수 있다.
이들 부분적으로 완성된 제품은 이후 목적하는 복합 부품의 제조에서 사용된다. 동일하거나 상이한 조성의 각종 프리프레그 패브릭은 시트 또는 라미네이트를 형성하기 위해 적층되거나, 변형으로서, 열성형 공정 처리될 수 있다. 모든 경우에서, 완성된 부품의 제조는 예를 들어 국지적으로 가열하여 섬유가 서로 단단히 고정되어 있는 영역을 만드는, 중합체 매트릭스를 통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변형으로서, 함침 매트릭스로부터 필름을, 특히 압출 또는 광내기 공정에 의해 제조할 수 있고 (상기 필름의 두께는 예를 들어 약 100 μm 임), 이후 필름을 두 섬유 매트 사이에 위치시키고 이 집합을 이후 고온 압착시켜 섬유를 함침시키고, 복합소재를 제조할 수 있다.
이들 공정에서, 함침 매트릭스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또는 열경화성 중합체 또는 이들의 배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합체 매트릭스 자체는 하나 이상의 충전제 또는 섬유를 함유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섬유는 그들 자체로 또는 다른 섬유와 함께 직조 또는 편성 (knit)될 수 있거나, 또는 펠트 또는 부직 재료의 제조를 위해 그들 자체로 또는 다른 섬유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들 다른 섬유를 구성하는 재료의 예는 비제한적으로 하기를 포함한다:
- 특히 폴리아미드, 예컨대 나일론-6 (PA-6), 나일론-11 (PA-11), 나일론-12 (PA-12), 나일론-6,6 (PA-6,6), 나일론-4,6 (PA-4,6), 나일론-6,10 (PA-6,10) 또는 나일론-6,12 (PA-6,12); 폴리아미드/폴리에테르 블록 공중합체 (Pebax®),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스테르, 예컨대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 및 Du Pont 의 상표명 Hytrel®으로 시판되는 폴리에스테르 기재의 드로잉된 중합체 섬유;
- 탄소 섬유;
- 유리 섬유, 특히 E-유리, R-유리 또는 S2 유리 섬유;
- 아라미드 (Kevlar®) 섬유;
- 붕소 섬유;
- 실리카 섬유;
- 천연 섬유, 예컨대 아마, 대마, 사이잘, 면사 또는 울 섬유; 및
- 이의 혼합물, 예컨대 유리, 탄소 및 아라미드 섬유의 혼합물.
실시예 1:
Oxford Performance Material 의 OXPEKK®-SP 등급물의 PEKK (96 wt%), 및 Arkema 의 Graphistrength® 다중벽 탄소 나노튜브 (3 wt%) 및 가소제 CBT® 100(1 wt%)를 공급 호퍼를 통해 380℃로 가열된 2축 압출기 (L/D = 40)에 도입하였다. 다이로부터 수득된 압출된 로드 (rod)를 물 탱크 내에서 냉각시킨 후 과립화하고 건조시켰다.
실시예 2:
실시예 1 에서 수득되는 과립을 390℃로 가열되고, 0.5 mm 홀 (hole)을 가진 다이를 갖춘 1축 압출기 (L/D = 16)에 도입하였다. 수득되는 섬유를, 최종 직경이 100 μm 에서 안정화되게 하는 방식으로 드로잉 리그 (rig) 상에서 드로잉시켰고, 이들을 공기 중 냉각시킨 후 적합한 장치를 사용하여 릴 (reel)에서 감아올렸다.

Claims (12)

  1. 다중벽 나노튜브가 분산되어 있는 폴리에테르케톤케톤 (PEKK)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중합체 매트릭스로 이루어진 복합 섬유, 특히 전도성 복합 섬유.
  2. 제 1 항에 있어서, 다중벽 나노튜브가 탄소, 탄소 나이트라이드, 붕소 나이트라이드, 붕소 카르바이드, 붕소 포스파이드, 인 나이트라이드, 탄소 보로나이트라이드, 규소 또는 텅스텐을 함유하고, 특히 이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섬유.
  3. 제 2 항에 있어서, 다중벽 나노튜브가 다중벽 탄소 나노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섬유.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중벽 나노튜브가 섬유의 중량에 대해 0.1 내지 50중량%, 및 바람직하게 1 내지 10중량%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섬유.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PEKK 가 비결정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섬유.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PEKK 의 유리 전이 온도 (Tg)가 150 내지 170℃ (한계 포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섬유.
  7. 로켓 또는 항공기의 노즈콘, 날개 또는 기체; 연안의 가요성 파이프 보강재; 차체 또는 엔진 섀시 부품; 정전기방지성 포장물 및 직물; 전자기 차폐 장치, 특히 전자 부품의 보호용 전자기 차폐 장치; 가열되는 패브릭 (fabric); 전도성 케이블; 센서, 특히 기계적 변형 또는 응력 센서; 또는 봉합사 또는 카테터와 같은 생물의학 장치의 제조를 위한,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합 섬유의 용도.
  8. 하기로 이루어진 순차적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합 섬유의 제조 방법:
    (a) 다중벽 나노튜브를, 임의로는 중합체 매트릭스의 부분 중의 마스터배치 형태로, 중합체 매트릭스 전체 또는 나머지 부분에 분산시켜 복합 배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b) 바람직하게 용융 방적 공정을 사용하여, 상기 복합 배합물을 섬유로 변환시키는 단계.
  9. 제 8 항에 있어서, 생성된 섬유를 PEKK 의 유리 전이 온도 초과 및 바람직하게 이의 융점 미만의 온도에서 드로잉 (drawing)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추가적 단계 (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원소주기율표 IIIa, IVa 또는 Va 족의 화학적 원소 하나 이상의 다중벽 나노튜브가 분산되어 있는, 주로 폴리아릴에테르케톤 (PAEK), 특히 비결정질 폴리아릴에테르케톤 (PAEK)을 함유하는 중합체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복합 섬유.
  11.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 섬유의 제조 방법:
    (a) 원소주기율표 IIIa, IVa 또는 Va 족의 화학적 원소 하나 이상의 다중벽 나노튜브를 주로 폴리아릴에테르케톤 (PAEK)을 함유한 열가소성 매트릭스에 분산시키는 단계;
    (b) 생성된 배합물을 변환시켜 섬유를 형성하는 단계; 및
    (c) 임의적으로는, 생성된 섬유를 드로잉하는 단계.
  12.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합 섬유를 함유하는 구조 복합 부품.
KR1020117014671A 2008-12-26 2009-12-22 Pekk 복합 섬유,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KR201100894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859090 2008-12-26
FR0859090A FR2940659B1 (fr) 2008-12-26 2008-12-26 Fibre composite a base de pekk, son procede de fabrication et ses utilisati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9441A true KR20110089441A (ko) 2011-08-08

Family

ID=41021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4671A KR20110089441A (ko) 2008-12-26 2009-12-22 Pekk 복합 섬유,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10311811A1 (ko)
EP (1) EP2370619B1 (ko)
JP (1) JP5485293B2 (ko)
KR (1) KR20110089441A (ko)
CN (1) CN102333910A (ko)
FR (1) FR2940659B1 (ko)
WO (1) WO201007297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565B1 (ko) * 2018-11-01 2020-03-25 김경웅 제전성을 극대화 한 수지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91749B1 (en) * 2009-02-02 2018-03-28 Arkema Inc. High performance fibers
ES2578752T3 (es) 2009-02-05 2016-08-01 Arkema Inc. Fibras aprestadas con poliétercetonacetonas
CN102361898B (zh) * 2009-03-20 2014-09-24 阿科玛股份有限公司 聚醚酮酮非织造垫
FR2975708B1 (fr) 2011-05-23 2014-07-18 Arkema France Fibres composites conductrices comprenant des charges conductrices carbonees et un polymere conducteur
EP3683253A1 (en) * 2011-05-27 2020-07-22 Arkema Inc. Films and membranes of poly(aryl ketones) and methods of casting the same from solution
FR2992321B1 (fr) 2012-06-22 2015-06-05 Arkema France Procede de fabrication d'un materiau fibreux pre-impregne de polymere thermoplastique.
CN104718170A (zh) 2012-09-04 2015-06-17 Ocv智识资本有限责任公司 碳强化的增强纤维在含水或非水介质内的分散
CN106433020B (zh) * 2016-09-12 2018-11-23 中国科学院兰州化学物理研究所 一种二元环保聚醚醚酮基刹车片材料及其制备方法
CN110249083B (zh) 2016-11-08 2022-07-22 帝人芳纶有限公司 制造聚醚酮酮纤维的方法
US11970653B2 (en) 2018-01-12 2024-04-30 Gharda Chemicals Limited Polymeric blend composite and a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US11104085B2 (en) * 2018-11-20 2021-08-31 The Boeing Company Composite laminate structure having a cellular core formed using a continuous compression molding process
WO2020157550A1 (en) * 2019-01-29 2020-08-06 Gharda Chemicals Limited Polymeric blend composite and a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50409A (ja) * 1988-03-29 1989-10-05 Unitika Ltd ポリエーテルケトンモノフイラメントとその製造法
US4996287A (en) * 1988-12-13 1991-02-26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hermoformable polyaryletherketone sheet
FR2766106B1 (fr) 1997-07-18 2001-09-07 Coatex Sa Utilisation d'un copolymere a structure tensio-active comme agent dispersant et/ou d'aide au broyage
EP1054036A1 (en) * 1999-05-18 2000-11-22 Fina Research S.A. Reinforced polymers
ATE355323T1 (de) * 1999-12-07 2006-03-15 Univ Rice William M Orientierte nanofaser eingebunden in einer polymermatrix
DE10116391A1 (de) * 2001-03-28 2002-10-10 Fuma Tech Gmbh Sulfoniertes Polyetherketonketon
WO2002079606A1 (en) * 2001-03-29 2002-10-10 Greene, Tweed Of Deleware, Inc. Method for producing sealing and anti-extrusion components for use in downhole tools and components produced thereby
US8999200B2 (en) * 2002-07-23 2015-04-07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Conductive thermoplastic composites and methods of making
JP2007516314A (ja) * 2003-05-22 2007-06-21 ザイベックス コーポレーション ナノコンポジットおよびナノコンポジットに関する方法
US7309727B2 (en) * 2003-09-29 2007-12-18 General Electric Company Conductive thermoplastic compositions, methods of manufacture and articles derived from such compositions
US20050070658A1 (en) * 2003-09-30 2005-03-31 Soumyadeb Ghosh Electrically conductive compositions,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and articles derived from such compositions
US20050170177A1 (en) * 2004-01-29 2005-08-04 Crawford Julian S. Conductive filament
US20050186378A1 (en) * 2004-02-23 2005-08-25 Bhatt Sanjiv M. Compositions comprising carbon nanotubes and articles formed therefrom
US8652391B2 (en) * 2005-02-03 2014-02-18 Entegris, Inc. Method of forming substrate carriers and articles from compositions comprising carbon nanotubes
US20060183841A1 (en) * 2005-02-11 2006-08-17 Ashish Aneja Thermally stabl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s,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and articles comprising the same
JP2006342471A (ja) * 2005-06-10 2006-12-21 Teijin Techno Products Ltd 導電性芳香族ポリアミド繊維
US20060280938A1 (en) * 2005-06-10 2006-12-14 Atkinson Paul M Thermoplastic long fiber composites,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and articles derived thererom
CN101278080B (zh) * 2005-09-28 2012-04-04 东丽株式会社 聚酯纤维及使用了该聚酯纤维的纤维制品
JP4892910B2 (ja) * 2005-09-29 2012-03-07 東レ株式会社 導電性繊維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繊維製品
US20070149629A1 (en) * 2005-12-22 2007-06-28 Michael Stephen Donovan Expanded and expandable high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polymers
US20080139065A1 (en) * 2006-12-11 2008-06-12 Jayantha Amarasekera Intrinsically conductive thermoplastic composition and compounding processing for making conductive fib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565B1 (ko) * 2018-11-01 2020-03-25 김경웅 제전성을 극대화 한 수지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72975A1 (fr) 2010-07-01
EP2370619B1 (fr) 2018-01-31
CN102333910A (zh) 2012-01-25
FR2940659A1 (fr) 2010-07-02
JP2012514136A (ja) 2012-06-21
EP2370619A1 (fr) 2011-10-05
US20110311811A1 (en) 2011-12-22
JP5485293B2 (ja) 2014-05-07
FR2940659B1 (fr) 2011-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89441A (ko) Pekk 복합 섬유,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US20110017957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conductive composite fibres with a high proportion of nanotubes
US20120077403A1 (en) Multilayer conductive fib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by coextrusion
TWI591233B (zh) Method for producing carbon fiber coating sizing agent, carbon fiber coating sizing agent, method for producing carbon fiber 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and carbon fiber 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JP5254328B2 (ja) グラフト化フッ素ポリマーを含む複合ポリマーマトリクスを連続繊維に含浸させる方法
KR20100023902A (ko) 열가소성 중합체를 함유하는 복합체 중합체 매트릭스로의 연속 섬유 함침 방법
TW201120274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multilayer conductive fibre by coating-coagulation
CN106794601A (zh) 混合长纤维热塑性复合材料
JPH0687122A (ja) 長繊維強化熱可塑性ポリマー成形体の製造法
EP2391749B1 (en) High performance fibers
CA1262789A (en) Surface treated metallic filaments
JP5471338B2 (ja) 炭素長繊維強化ポリアミド複合材料
WO2012160288A1 (fr) Fibres composites conductrices comprenant des charges conductrices carbonees et un polymere conducteur
Kausar Effect of Sol-gel Coating on Microscopic, Thermal and Water Absorption Behavior of Aramid/Nylon 6/6/Nanodiamond-based Fibers
Singha et al. Hybrid Thermoplastic and Thermosetting Composites
LI et al. Fabrication of a Stretchable, Elastic and Electrically Conductive Nanocomposite by High-Shear Proces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