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1740A - 반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반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1740A
KR20050091740A KR1020057011634A KR20057011634A KR20050091740A KR 20050091740 A KR20050091740 A KR 20050091740A KR 1020057011634 A KR1020057011634 A KR 1020057011634A KR 20057011634 A KR20057011634 A KR 20057011634A KR 20050091740 A KR20050091740 A KR 20050091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ance
conveying
vehicle
chain
spr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1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1226B1 (ko
Inventor
요시하루 이와이
마사노리 노나카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70669A external-priority patent/JP397724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70657A external-priority patent/JP384325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70635A external-priority patent/JP381457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70685A external-priority patent/JP387854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70642A external-priority patent/JP3814578B2/ja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91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1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1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12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35/06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a load-carrier moving along a path, e.g. a closed path, and adapted to be engaged by any one of a series of traction elements spaced along the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5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suspended load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6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means for presenting articles for removal at predetermined position or level
    • B65G1/065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means for presenting articles for removal at predetermined position or level with self propelled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35/08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trains of unconnected load-carriers, e.g. belt sections, movable in a path, e.g. a closed path, adapted to contact each other and to be propelled by means arranged to engage each load-carrier in tu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65G47/1407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 B65G47/14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by means of movement of at least the whole wall of the container
    • B65G47/1421Vibratory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60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conveyors of the suspended, e.g. trolley, type
    • B65G47/61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conveyors of the suspended, e.g. trolley, type for articles

Abstract

분할 가능한 수평 반송부(16a, 16b)는, 연결판(120)과 지주(22)에 의해서 연결되고, 수평 반송부(16a, 16b)의 각각의 레일(28)은 단차나 간극없이 접속된다. 연결 반송차(12)는, 수평 반송부(16a) 및 (16b)의 각각의 고리형상 체인(30)에 의해서, 체인 가압판(242)을 통해서 힘을 받아 반송된다. 체인 가압파(242) 중 최후부가 수평 반송부(16a)의 고리형상 체인(30)으로부터 이간될 때, 선두의 제1 반송차(200)의 체인 가압판(242)은 수평 반송부(16b)에 있어서의 고리형상 체인(30)에 도달하고 있고, 연결 반송차(12)는 연속적으로 반송된다.

Description

반송 시스템{CONVEYING SYSTEM}
본 발명은, 반송차에 의해서 워크를 반송하는 반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적용하는 현장의 레이아웃에 따라서 반송 거리를 증감할 수 있는 반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공장에서 워크를 가공하는 공정이 복수 있을 때, 각 공정에 대응한 가공 설비는 직선상으로 배치되는 경우가 많다. 이들의 가공 설비의 사이에서 워크의 수수(授受)를 행하기 위해서, 복수의 가공 설비에 따른 직선상의 반송로를 갖는 반송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직선상으로 워크를 반송하는 반송 시스템으로서는, 예를 들면, 컨베이어 시스템을 들 수 있다.
또, 복수의 컨베이어를 연결하여 반송로를 형성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소 55-66414호 공보). 이 기술에서는, 인접하는 컨베이어들에 오버랩부가 필요하고 구성이 복잡한 동시에, 반송을 행할 수 있는 것은 1방향만이다.
반송 시스템은, 적용되는 공장 내의 가공 설비의 레이아웃에 맞추어 개별로 설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것은, 종래의 반송 시스템에서의 반송 거리를 유연하게 설정 변경할 수 없는 것에 의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가공 설비의 레이아웃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반송 시스템을 신규로 설정하거나, 또는 기존의 반송 시스템을 개조할 필요가 있다.
복수의 컨베이어를 직렬로 배치함으로써 워크를 반송하는 경우에는, 컨베이어의 수를 증감하여 반송 거리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지만, 컨베이어와 컨베이어의 사이에서 워크를 중계하는 다른 장치가 필요하다. 또, 이 중계에 의해 반송 속도가 제한되는 동시에, 워크가 손상을 받을 우려가 있다.
또, 반송로에 리니어 모터를 연속적으로 배열하는 동시에 반송차에 자석을 설치하여, 리니어 모터 및 자석의 전자 흡인력을 이용하여 반송차를 반송한다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제2536799호 공보 참조).
그런데, 반송 시스템을 횡단하는 방향에 대해서는, 반송 시스템이 장해가 되고, 사람 또는 포크리프트 등의 왕래가 차단된다. 사람 또는 포크리프트 등은, 반송 시스템의 반대측으로 갈 필요가 있는 경우, 반송 시스템의 단부까지 가서, 이 단부를 돌아 소요의 목적지로 이동한다. 특히, 반송 시스템의 전체 길이가 긴 경우에는, 우회하는 거리도 길고, 공장 내에서의 사람 및 포크리프트 등의 이동 효율이 저하한다. 사람 및 포크리프트 등의 이동을 매끄럽게 행하기 위해서는, 반송 시스템의 일부를 높은 개소에 설치하고, 이 높은 개소의 아래를 사람 및 포크리프트 등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하면 된다.
반송 시스템의 일부를 높은 개소에 설정하기 위해서는, 높은 개소와 그 밖의 낮은 개소의 사이에서 워크의 수수를 행하기 위한 특별한 구성이 필요해진다. 예를 들면, 높은 개소와 낮은 개소를 연락하는 수직 반송용의 엘리베이터 구조가 필요해지고, 시스템의 구성이 복잡해지는 동시에, 워크의 수수라는 보조 공정이라고 해야 할 처리가 증가하여, 반송 속도가 저하한다는 사태가 야기된다.
이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워크의 반송 시스템에서, 낮은 개소와 높은 개소를 단차가 없는 경사로에 의해서 연결하여, 낮은 개소와 높은 개소의 사이의 반송을 연속적으로 행하도록 하면 된다. 이와 같이, 낮은 개소와 높은 개소의 사이의 반송을 연속적으로 행하는 기술로서, 예를 들면, 상기 일본국 특허 제2536799호 공보에 개시된 기술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 일본국 특허 제2536799호 공보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리니어 모터라는 특수한 액츄에이터가 필요하고, 반송 시스템이 복잡하고 또한 고가로 된다. 또, 리니어 모터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유통되는 부품이 지극히 적고, 메인터넌스(maintenance)상 불편하다.
또, 공장에서는, 워크의 반송이 끝난 반송차는 일단 역방향으로 되돌아간 후에 다음 워크의 반송을 계속하여 행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순방향으로의 반송과 역방향으로의 반송의 2개의 반송 수단이 필요하다.
통상, 이 2개의 반송 수단은 각각 독립한 개별의 반송 수단으로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2개의 반송 수단을 설치하기 위한 넓은 스페이스가 필요하다. 또, 1개의 반송 수단으로 순방향 및 역방향의 쌍방향 반송을 행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기어 구성이나, 복수의 모터가 필요하게 되어 있고, 간편한 쌍방향 구동 수단은 아직 제안되어 있지 않다.
자동차 등의 내연 기관을 구성하는 커넥팅 로드(1)는, 도 3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은 관통구멍(2)이 형성된 제1 단부(3)와, 큰 관통구멍(4)이 형성된 제2 단부(5)와, 제1 단부(3)와 제2 단부(5)를 연결하는 몸체부(6)를 갖는 장척물이다. 이 중, 제1 단부(3)의 작은 관통구멍(2)에는 상기 커넥팅 로드(1)를 피스톤에 연결하기 위한 핀이 통과되고, 또한 제2 단부(5)의 큰 관통구멍(4)에 크랭크 샤프트가 통과된다. 즉, 크랭크 샤프트와 피스톤은, 커넥팅 로드(1)를 통해서 연결된다.
그리고, 자동차가 운전될 때, 내연 기관에서는, 크랭크 샤프트가 회전함에 따라서 커넥팅 로드(1)가 변위하고, 이것에 추종하여 피스톤이 실린더 보어 내에서 변위한다.
이와 같은 작용을 행하는 커넥팅 로드(1)를 제작하는 과정에서는, 단부를 압궤하여 확장하는 압궤 가공이나, 확장된 단부에 대해서 작은 관통구멍(2)이나 큰 관통구멍(4)을 설치하는 천공 가공이 수행된다. 이 때, 성형품은, 예를 들면, 압궤 가공을 행하는 스테이션으로부터 천공 가공을 행하는 스테이션까지, 벨트 컨베이어 등에 직접 실어서 반송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성형품을 벨트 컨베이어 상에 직접 싣는 경우, 성형품을 기세좋게 실어 버리면, 그 때의 충격에 의해서 상기 성형품에 손상이 생길 우려가 있는 것이 지적되어 있다.
또, 예를 들면, 천공 가공을 행할 때에는, 벨트 컨베이어 상에 실린 성형품을 수수 장치로 그립하여 천공 가공 장치까지 이송하지만, 성형품이 벨트 컨베이어상에서 랜덤인 방향을 향하고 있고, 또한, 성형품의 일단면이 벨트 컨베이어에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수수 장치가 성형품을 그립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수수 장치가 성형품에서의 소정의 개소를 그립할 수 없는 경우, 작은 관통구멍(2)이나 큰 관통구멍(4)을 소정의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즉, 벨트 컨베이어로 성형품을 반송하는 경우, 작은 관통구멍(2)이나 큰 관통구멍(4)을 정밀도 좋게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현재화(顯在化)되고 있다.
그래서, 성형품을 지그에 탑재하고, 이 지그를 기립시켜 벨트 컨베이어 상을 이동시킴으로써 성형품을 반송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지그가 넘어질 우려가 있다.
그리고, 장척인 워크를 기립시킨 상태에서 반송 라인을 따라서 반송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하는 문헌은, 현재까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또, 고속으로 이동해 온 반송차를 급격히 정지시키면, 반송차에 충격이 가해지기 때문에 짐이 무너지거나, 워크가 파손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회피하기 위해서, 반송차를 가능한 한 완만하게 정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반송차의 속도를 제어하는 속도 제어 기구나, 정지 제어 기구가 여러가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속도 제어 기구에 관한 문헌으로서는 일본국 특개소 56-50860호 공보, 일본국 특개평 9-263238호 공보가 예시되고, 한편, 정지 제어 기구에 관한 문헌으로서는 일본국 특공소 58-41250호 공보가 예시된다. 이들은, 반송차를 완만하게 정지시키기 위해서, 상기 반송자를 감속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예를 들면, 상기 일본국 특개평 9-263238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체인에 설치된 롤러를 통해서 반송차를 이동 개시 또는 정지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반송차의 이동 방향은 직선 방향으로 한정되고, 방향을 전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 종래 기술에서는, 체인이 설치되어 있는 거리 이상으로 반송차를 이동시킬 수 없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반송차의 속도 제어 기구 내지 정지 제어 기구는, 한정된 범위 내를 이동하는 반송차를 정지하기 위한 것으로, 방향을 반전시키는 것이 가능한 반송부를 주행하는 반송차를 정지시킬 수는 없다.
또한, 이 경우, 반송차를 신속하게 재주행시킬 수 없기 때문에, 워크를 반송하는 데에 장시간을 요하고, 결국, 워크의 반송 효율이 낮다는 문제점이 현재화되고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반송 시스템의 일부 생략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반송 시스템의 일부 생략 평면도이다.
도 3은, 반송 시스템의 중심선에서 본 수평 반송부와 경사 반송부의 접합 부분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4는, 수평 반송부의 일단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베어링 박스, 종동 베벨 기어, 종동 스프로켓 및 그 주변의 평면 단면도이다.
도 6은, 모터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수평 반송부의 일단부의 일부 생략 단면 사시도이다.
도 8은, 수평 반송부에서의 도 4에 도시하는 부분에 대한 타단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2개의 수평 반송부의 단부와, 2개의 연결판과, 지주를 도시하는 일부 생략 사시도이다.
도 10은, 수평 반송부의 일부 및 경사 반송부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 11은, 수평 반송부와 경사 반송부의 접합 부분의 평면 개략 단면도이다.
도 12는, 방향 전환부의 주요부 개략 사시 설명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하는 방향 전환부의 개략 종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ⅩIII-XIII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5는, 방향 전환부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레일, 수평부 상부 가이드, 수평부 하부 가이드 및 제1 반송차의 일부 단면 정면도이다.
도 17은, 반송 시스템의 중심선의 위치에서 본 제1 반송차의 일부 단면 측면도이다.
도 18은, 제1 반송차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제1 반송차의 구동력 전달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반송 시스템의 중심선의 위치에서 본 제2 반송차의 일부 단면 측면도이다.
도 21은, 반송 시스템의 중심선의 위치에서 본 제4 반송차의 일부 단면 측면도이다.
도 22는, 제4 반송차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제4 반송차의 구동력 전달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4는, 반송 시스템의 중심선에서 본 2개의 수평 반송부의 접합 부분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25는, 연결 반송차를 이송하기 위한 반송 라인의 주요부 개략 구성 설명도이다.
도 26은, 연결 반송차에서의 유지 기구의 전체 개략 사시도이다.
도 27은, 연결 반송차에서의 유지 기구의 전체 개략 정면도이다.
도 28은, 홀드 기구를 구성하는 래크·피니언 기구를 도시하는 제1 반송차(200)의 주요부 확대 절결도이다.
도 29는, 로크 기구를 구성하는 훅이 걸림 부재에 걸어 맞춰진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 측면도이다.
도 30은, 연결 반송차의 유지 기구에서의 클램프 기구 및 홀드 기구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전체 개략 정면도이다.
도 31은, 도 28의 래크·피니언 기구의 작용에 의해서 외측 가동판과 내측 가동판이 서로 이간된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 절결도이다.
도 32는, 도 2의 ⅩⅩⅩⅠⅠ-ⅩⅩⅩⅠⅠ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33은, 도 1의 주요부 확대 설명도이다.
도 34는, 연결 반송차의 정지 기구의 개략 전체 사시도이다.
도 35는, 도 34에 도시하는 정지 기구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36은, 제1 반송차의 상부 롤러가 진입로로 진입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7은, 훅의 훅부가 제1 반송차의 스토퍼의 단면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8은, 커넥팅 로드의 개략 전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적용하는 현장의 레이아웃을 따라서 반송 거리의 설정 변경이 가능하고, 또한, 반송차와 이 반송차에 쌓여진 워크를 매끄럽게 반송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반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평 반송부와 경사 반송부의 사이에서 워크를 수수할 필요가 없고, 반송차가 연속적으로 통과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간편한 구조의 반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단독의 구동원과 간편한 동력 전달 기구에 의해서, 반송차를 순방향 및 역방향의 쌍방향으로 반송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반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은, 반송차의 주행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반송부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반송차에 충격을 주지 않고 감속·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한 반송차 정지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종류의 워크를 상처를 입히지 않고 확실하게 반송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소형이며 간소한 구성의 반송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송 시스템은, 워크를 쌓는 반송차와, 상기 반송차가 반송되는 반송부를 구비하는 반송 시스템으로서, 상기 반송차는, 수동부를 갖고, 상기 반송부는, 유닛마다 분할 가능하며, 상기 유닛은, 상기 반송차를 안내하는 레일과, 상기 레일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상기 수동부를 통해서 상기 반송차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갖고, 상기 수동부 중 최후부가 상기 구동부의 이동 범위로부터 이간될 때, 상기 수동부 중 적어도 최전부가 인접하는 상기 유닛의 상기 구동부에 중계되어, 상기 반송차는 연속적으로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반송부가 유닛마다 분할 가능하면, 적용하는 현장의 레이아웃을 따라서 반송 거리의 설정 변경이 가능하다. 또, 반송차의 수동부는, 구동부 사이에서 확실하게 중계된다. 따라서, 레일들을 단차나 간극없이 접속함으로써 반송차 및 워크를 매끄럽게 통과시킬 수 있다. 또한, 유닛마다 분할 및 접속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유닛을 제조하는 공장 내에서의 조립 및 품질 관리가 가능해져, 가동 테스트 후의 출하가 되므로, 유닛을 설치하는 현장에서의 설치 공사의 시간 단축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유닛은, 2개의 상기 레일과, 2개의 상기 레일에 각각 대응하는 2개의 상기 구동부를 포함하고, 2개의 상기 레일은 평행하게 설정되며, 2개의 상기 구동부는, 상기 반송차를 반송하는 방향이 서로 역방향이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1개의 반송 시스템으로 순방향과 역방향의 반송을 행할 수 있고, 스페이스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 유닛은, 상기 반송차를 직선적으로 반송하는 수평 반송부와, 상기 반송차를 상승 경사 및/또는 하강 경사로 반송하는 경사 반송부와, 상기 반송차의 반송 방향을 전환시키는 방향 전환부의 3종류의 유닛이고, 이 중의 복수 종류의 유닛을 조합하여 이용하면 된다.
수평 반송부의 수를 증감함으로써 반송 거리를 조정할 수 있고, 또, 방향 전환부를 설치함으로써 반송차를 순환 반송시킬 수 있다. 또한, 경사 반송부를 설치함으로써 장해물을 우회하는 경로의 설정이나, 횡단 통로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스프로켓을 통해서 순환 구동되는 고리형상 체인이고, 상기 수동부는, 상기 고리형상 체인에 맞물리는 수동 스프로켓, 또는, 상기 고리형상 체인의 롤러를 가압하는 가압판으로 하면, 반송 시스템을 범용의 부품에 의해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레일은, 반송 방향으로 장척으로 연장되는 판형상이고, 상기 반송차는, 상기 레일의 옆쪽을 이동하는 동시에, 상기 레일의 측면측에 워크를 적재하면, 반송 시스템의 옆측면으로부터 워크의 수수를 행할 수 있다.
또, 상기 반송부는, 상기 반송차를 대략 수평 방향으로 반송하는 복수의 수평 반송부와, 2개의 수평 반송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경사 반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 반송부는, 일단의 근방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부의 작용에 의해서 회전하는 경사 반송 구동 스프로켓과, 타단의 근방에 배치되어, 회전 자유로운 경사 반송 종동 스프로켓과, 상기 경사 반송 구동 스프로켓 및 상기 경사 반송 종동 스프로켓에 맞물려 순환 구동되는 경사 반송 고리형상 체인과, 상기 경사 반송 고리형상 체인 중 상기 반송차에 구동력을 부여하는 상측 부분과, 이 상측 부분의 반대 방향으로 인도되는 하측 부분의 쌍방을 각각 아래에서 지지하여 위로 볼록한 형상으로 설정하는 경사부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반송차는, 반송 방향의 선두 근방의 위치에, 상기 경사 반송 고리형상 체인과 맞물리는 경사 반송용의 수동 스프로켓을 가지며, 상기 수평 반송부에서 송출된 후, 상기 수동 스프로켓과 상기 경사 반송 고리형상 체인이 맞물려, 상기 경사부 가이드의 형상을 따라서, 상기 경사 반송 고리형상 체인에 의해서 반송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경사부 가이드에 지지된 경사 반송 체인에 반송차의 수동 스프로켓을 맞물리게 함으로써, 수평 반송부와 경사 반송부의 사이에서 워크를 수수할 필요가 없고, 반송차를 연속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 또, 간편한 구조의 반송 시스템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경사 반송부에서는, 반송차는, 경사부 가이드를 따라서 위로 볼록한 산형의 경로를 반송된다. 이 경사 반송부의 하면에 형성되는 공간은, 사람 또는 포크리프트 등이 통과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반송차는, 전후 방향으로 적어도 2량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반송차의 상호간은, 상하로 요동 가능 또는 탄성 변형 가능한 연결부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반송차의 수에 따라서 워크의 적재수를 증감할 수 있고, 또, 수평 반송부와 경사 반송부의 사이, 및 경사 반송부에서의 경사각이 변화하는 개소를 매끄럽게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 반송부는, 일단의 근방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부의 작용에 의해서 회전하는 수평 반송 구동 스프로켓과, 타단의 근방에 배치되어, 회전 자유로운 수평 반송 종동 스프로켓과, 상기 수평 반송 구동 스프로켓 및 상기 수평 반송 종동 스프로켓에 맞물려 순환 구동되고, 또한, 폭 방향에서 상기 경사 반송 고리형상 체인과 배치 위치가 다른 수평 반송 고리형상 체인을 가지며, 상기 반송차는, 후단 근방의 위치에,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는 상기 수평 반송 고리형상 체인의 상부에 위치하는 송출용의 수동 스프로켓을 갖고, 이 수동 스프로켓은, 상기 반송차의 이동에 따라, 상기 수평 반송부에 설치된 송출 캠판에 의해서 밀어 내려져, 상기 수평 반송 고리형상 체인과 맞물리면 된다. 이와 같이, 수동 스프로켓을 수평 반송 고리형상 체인에 맞물리게 함으로써, 반송차를 자중에 저항하여 경사 반송부의 오르막 경사부로 밀어 올릴 수 있다.
상기 수동 스프로켓은, 최후미의 반송차에 설치되어, 상기 송출 캠판으로부터 가압력을 직접 받는 수압부와, 상기 수압부에 연계하여 압축 가능한 탄성체를 통해서 밀어 내려지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수압부 및 탄성체를 통해서 수동 스프로켓을 밀어 내리도록 하면, 수동 스프로켓과 수평 반송 고리형상 체인의 위상이 불일치한 경우에도, 수동 스프로켓의 톱니가 수평 반송 고리형상 체인의 체인 롤러를 무리하게 가압하지 않고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반송차는, 후단 근방의 위치에,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는 상기 경사 반송 고리형상 체인의 상부에 위치하는 강하용의 수동 스프로켓을 갖고, 이 수동 스프로켓은, 상기 반송차의 이동에 따라, 상기 경사 반송부에서의 내리막 경사부에 설치된 강하 캠판에 의해서 밀어 내려지고, 상기 경사 반송 고리형상 체인과 맞물리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경사 반송부에서의 내리막 경사부에서 반송차가 경사를 따라서 강하할 때, 강하 스프로켓을 경사 반송 고리형상 체인에 맞물리게 한다. 이것에 의해, 수동 스프로켓이 경사 반송 고리형상 체인으로부터 이간된 후에도, 경사 반송부의 내리막 경사부에서 반송차의 자중에 의한 미끄러 떨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수동 스프로켓은, 최후미의 반송차에 설치되고, 상기 강하 캠판으로부터 가압력을 직접 받는 수압부와, 상기 수압부에 연계하여 압축 가능한 탄성체를 통해서 밀어 내려지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수압부 및 탄성체를 통해서 강하 스프로켓을 밀어 내리도록 하면, 강하 스프로켓과 경사 반송 고리형상 체인의 위상이 불일치한 경우에도, 강하 스프로켓의 톱니가 경사 반송 고리형상 체인의 체인 롤러를 무리하게 가압하지 않고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송출 스프로켓 및 상기 강하 스프로켓은, 단일한 차량에서의 후단 근방의 위치에 설치해도 된다.
또, 회전 구동원의 작용에 의해서 회전하는 구동 기어와, 상기 구동 기어와 맞물려, 상기 구동 기어의 회전이 전달되어 회전하는 제1 종동 기어와, 상기 구동 기어와 맞물려, 상기 구동 기어의 회전이 전달되어, 상기 제1 종동 기어에 대해서 반대로 회전하는 제2 종동 기어와, 상기 제1 종동 기어의 회전축인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종동 기어의 회전축인 제2 회전축과, 상기 제1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서 순환 구동하는 제1 순환 구동부와, 상기 제2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제1 순환 구동부와 반대로 순환 구동하는 제2 순환 구동부와, 상기 제1 순환 구동부 및/또는 상기 제2 순환 구동부에 의해서 반송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동 기어에 의해서, 제1 종동 기어 및 제2 종동 기어를 각각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1 종동 기어 및 제2 종동 기어에 의해서 구동되는 제1 순환 구동부와 제2 순환 구동부를 서로 역방향으로 순환시켜, 이것에 의해서 반송차를 순방향과 역방향의 쌍방향으로 반송시킬 수 있다. 또, 구동원은 1개이고, 기어는 구동 기어, 제1 종동 기어 및 제2 종동 기어의 3개로 충분하기 때문에 간편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구동 기어, 상기 제1 종동 기어 및 상기 제2 종동 기어는, 각각 베벨 기어이고, 상기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2 회전축의 축심은, 동일 축 상에 설정되고, 또한, 상기 구동 기어의 축심과 직교시키면 된다.
베벨 기어를 이용함으로써, 큰 구동력을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고, 또, 상기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2 회전축의 축심을 동일 축 상에 설정함으로써, 제1 순환 구동부와 제2 순환 구동부를 좌우 대칭의 배치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종동 기어와 상기 제2 종동 기어의 사이에, 상기 제1 회전축의 일단을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제1 내측 베어링과, 상기 제2 회전축의 일단을 지지하는 제2 내측 베어링을 갖고, 상기 제1 종동 기어와 상기 제2 종동 기어가 대향하는 면의 각각 반대측에, 상기 제1 회전축의 일단을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제1 외측 베어링과, 상기 제2 회전축의 일단을 지지하는 제2 외측 베어링을 가지면 된다.
제1 내측 베어링 및 제2 내측 베어링을 설치함으로써, 제1 종동 기어와 상기 제2 종동 기어의 사이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 제1 회전축 및 제2 회전축은, 각각 양단이 베어링에 의해서 축 지지되기 때문에, 안정하고 또한 매끄럽게 회전할 수 있어, 큰 부하에도 견딜 수 있다.
또, 상기 제1 순환 구동부는, 상기 제1 회전축에 설치된 제1 구동 스프로켓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제2 순환 구동부는, 상기 제2 회전축에 설치된 제2 구동 스프로켓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제1 순환 구동부 및 상기 제2 순환 구동부는, 각각 고리형상 체인이고, 회전 자유로운 종동 스프로켓을 통해서 순환 구동하도록 하면, 반송 시스템을 염가로 또한 범용의 부품에 의해서 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반송차는, 워크를 유지하는 유지 기구와, 상기 유지 기구를 구성하는 유지 부재를 가동시키는 유지 부재 가동 기구와, 상기 유지 부재를, 이 유지 부재가 상기 유지 부재 가동 기구의 작용에 의해서 가동되는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체와, 상기 유지 기구 및 상기 유지 부재 가동 기구를 지지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부착되어 상기 레일에 걸어 맞춰지는 롤러를 갖고, 상기 유지 부재 가동 기구는, 상기 레일의 근방에 설치된 구동 기구의 작용에 의해서 상기 유지 부재를 가동시키고, 또한 상기 레일을 따라서 안내되면서 변위하도록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워크가 유지된 상태로 반송된다. 이 때문에, 벨트 컨베이어 등에 워크를 실을 필요가 없다. 워크가 벨트 컨베이어에 충돌하지 않기 때문에, 워크가 손상되는 일이 없다.
또, 이와 같이 구성된 반송 시스템에서는, 워크가 소정의 위치에 탑재되어 반송된다. 따라서, 다음 스테이션에서는, 소정의 수수 장치가 워크의 소정 부위를 확실하게 그립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수수 장치는 항상 동일한 동작을 행하면 된다. 이 때문에, 복잡한 동작을 행하는 수수 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설비 투자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유지 기구를 가동시키는 유지 부재 가동 기구를, 반송 라인에 설치된 구동 기구에 의해서 구동하고 있기 때문에, 구동 기구를 반송차 자체에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것에 의해, 반송차를 간편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탄성체의 탄성력이라는 비교적 작은 힘으로 워크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상기 반송차로부터 워크를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고, 반송차로부터의 워크의 취출이 용이하다.
상기 유지 부재 가동 기구의 작용에 의해서 가동되는 클램퍼를 갖는 클램프 기구와, 적어도 1장의 가동판을 포함하는 1조의 판 부재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워크에서의 상기 클램프 기구에 의해서 그립되는 개소와는 다른 개소를 1조의 상기 판 부재로 유지하는 홀드 기구를 상기 유지 기구로서 갖고, 상기 클램퍼 및 상기 가동판은, 상기 유지 부재 가동 기구의 작용에 의해서 변위하여 상기 워크를 유지 또는 해방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2종의 유지 기구를 설치함으로써, 워크를 보다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동 기구의 작용에 의해서 상기 유지 부재 가동 기구가 상기 유지 부재를 가동할 때, 상기 레일의 근방에 설치된 제1 로크 기구의 훅이 걸리는 걸림 부재가 상기 본체에 부착되어 있으면 된다. 이것에 의해 반송차가 위치 결정되기 때문에, 워크를 반송차의 소정의 위치에 확실하게 탑재할 수 있다.
또, 상기 워크의 단부를 삽입하여 상기 단부를 지지하는 포켓부를 가지면 된다. 이 포켓부에 워크의 단부가 삽입되기 때문에, 이 워크가 반송차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켓부, 상기 클램프 기구, 상기 홀드 기구가 하방으로부터 이 순서로 상기 본체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워크가 장척물이어도, 이 워크를 기립시킨 상태로 반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반송차의 가로방향이나 깊이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고, 이 반송차를 소형의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장척인 워크로서는, 내연 기관을 구성하는 커넥팅 로드를 예시할 수 있다. 커넥팅 로드에는, 최종적으로 커넥팅 로드의 형상이 되도록 가공이 행해지는 성형품이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또, 워크를 적재하여 반송하기 위한 반송차를 정지하는 반송차 정지 기구를 갖고, 상기 반송차 정지 기구는, 상기 반송차에 설치된 정지 걸림 부재와, 상기 반송차의 반송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일단부가 축에 고정된 몸체부를 갖는 제1 아암 부재 및 제2 아암 부재와, 상기 제1 아암 부재와 상기 제2 아암 부재를 서로 접근 또는 이간시키기 위한 변위 기구와, 상기 제1 아암 부재와 상기 제2 아암 부재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정지 걸림 부재가 진입하는 동시에, 상기 정지 걸림 부재의 진행 방향을 따라서 간격이 협소해진 폭협부(幅狹部)와, 상기 폭협부에 비해서 폭이 넓은 폭광부(幅廣部)를 갖는 진입로를 구비하여, 상기 폭협부에서 상기 제1 아암 부재 및 상기 제2 아암 부재가 상기 정지 걸림 부재에 슬라이딩함에 따라서 상기 반송차를 감속시켜, 상기 정지 걸림 부재가 상기 제1 아암 부재 및 상기 제2 아암 부재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폭협부를 확장시킨 후에 상기 폭광부로 진입한 상기 반송차를, 상기 제1 아암 부재와 상기 제2 아암 부재에서 상기 정지 걸림 부재를 걸어 맞춤으로써 정지하도록 해도 된다.
즉, 반송차에 설치된 정지 걸림 부재가 2개의 아암 부재의 간격을 넓힌다. 이것에 따라서 주행해 온 반송차의 운동 에너지가 감쇠하기 때문에, 상기 반송차가 감속한다. 감속한 반송차의 정지 걸림부는, 최종적으로, 제1 아암 부재와 상기 제2 아암 부재에서 걸려 반송차가 정지한다.
이와 같이, 반송차의 운동 에너지를 감쇠시킨 후에 이 반송차를 정지시키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반송차에 충격을 주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워크가 반송차로부터 탈락하거나, 손상되거나 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 반송차 정지 기구는, 반송차의 주행 방향을 변환시키는 것과 같은 방향 전환부를 갖는 반송부이어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반송차 정지 기구를 설치함에 따라서 반송차의 주행 방향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이 반송차 정지 기구로 반송차를 정지시킬 때, 반송차의 주행 구동원을 정지시킬 필요는 특별히 없다. 따라서, 반송차를 신속하게 재주행시킬 수 있기 때문에, 워크를 효율적으로 반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지 걸림 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가 상기 제1 아암 부재 및 상기 제2 아암 부재에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이것에 의해, 반송차를 확실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또, 정지한 상기 반송차를 위치 결정 고정하기 위한 제2 로크 기구를 더 가지면 된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상기 반송차에 대해서 워크를 수수하는 것과 같은 경우, 반송차가 요동하지 않기 때문에, 워크를 확실하게 반송차에 탑재할 수 있는 동시에, 워크가 탈락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로크기구를 구성하는 스토퍼 걸어 맞춤 부재는, 상기 반송차에 설치된 스토퍼에 걸어 맞추도록 하면 된다.
정지 걸림 부재는, 상기 정지 걸림 부재가 회전 가능한 원주체이면 된다. 이 경우, 상기 정지 걸림 부재가 회전 동작하면서 제1 아암 부재 및 제2 아암 부재에 미끄럼 접촉하기 때문에, 상기 정지 걸림 부재가 마모되기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반송차를 장기간에 걸쳐 확실하게 감속·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정지 걸림 부재는, 상기 반송차를 1방향으로 지향하여 반송하는 제1 반송부와, 상기 1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상기 반송차를 반송하는 제2 반송부의 사이에 개재된 방향 전환부에서 안내되는 피안내 부재를 겸할 수 있다.
제1 반송부의 적합한 예로서는 왕로부를 들 수 있고, 한편, 제2 반송부의 적합한 예로서는, 왕로부와는 역방향으로 반송차를 안내하는 귀로부를 들 수 있다. 정지 걸림 부재는, 왕로부와 귀로부를 연결하는 방향 전환부에 안내되는 피안내 부재를 겸하면 된다. 이 경우, 반송차는 회전 동작한다.
상기 정지 걸림 부재는, 반송차 1량에 대해서 2개 설치하도록 하면 된다. 이것에 의해, 정지 걸림 부재가 방향 전환부를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반송차가 방향 전환부에서 확실하게 회전 동작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반송 시스템에 대해서 적합한 실시 형태를 들어, 첨부의 도 1∼도 3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반송 시스템(10)은, 워크를 반송하는 것이 가능한 연결 반송차(12)와, 연결 반송차(12)를 반송하는 동시에 반송로를 형성하는 반송부(14)를 갖는다.
이 중, 우선 반송부(14)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송부(14)는, 도 2의 상방에서 연결 반송차(12)를 우측 방향(이하, 화살표 B방향이라고도 한다)으로 반송하고, 도 2의 아래쪽에서 연결 반송차(12)를 좌측 방향(이하, 화살표 A방향이라고도 한다)으로 이송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 반송부(14)는, 좌우의 단부에서 연결 반송차(12)의 이송 방향을 전환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연결 반송차(12)는, 복수대가 동시에 반송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2의 아래쪽에서 연결 반송차(12)를 화살표 A방향으로 반송하는 부분을 귀로부로 하고, 상방에서 연결 반송차(12)를 화살표 B방향으로 반송하는 부분을 귀로부로 한다.
반송부(14)에서, 연결 반송차(12)를 화살표 B방향으로 반송하는 기구와 화살표 A방향으로 반송하는 기구는, 기본적으로 동일 기구이기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경우, 연결 반송차(12)를 화살표 B방향으로 반송하는 기구에 대해서 설명하고, 연결 반송차(12)를 화살표 A방향으로 반송하는 기능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2에서의 상하 방향을 폭 방향으로 한다. 또한, 반송 시스템(10)의 중심선(C)에 가까운 측을 내측으로 하고, 중심선(C)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을 외측으로 한다.
도 1로 되돌아가서, 반송부(14)는, 연결 반송차(12)를 대략 수평한 왼쪽 화살표 B방향으로 반송하는 복수의 수평 반송부(유닛)(16)와, 수평 반송부(16)의 사이를 연결하는 경사 반송부(유닛)(18)와, 연결 반송차(12)의 반송 방향(이하, 간단히 반송 방향이라고 한다)을 전환시키는 방향 전환부(유닛)(20)와, 수평 반송부(16), 경사 반송부(18), 방향 반전부(방향 전환부)(20)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주(22)와, 수평 반송부(16), 경사 반송부(18), 방향 반전부(20)의 거의 전면을 덮는 커버(24)를 갖는다. 수평 반송부(16)와 경사 반송부(18)는 연결판(120)(도 3 참조)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다.
또, 반송부(14)는, 연결 반송차(12)를 정지시키는 정지 기구(2010)(반송차 정지 기구, 도 32 참조)를 갖고, 이 정지 기구(2010)의 근방에는, 연결 반송차(12)에 대해서 워크의 수수가 행해지는 스테이션(26)이 설치되어 있다. 커버(24)는, 스테이션(26)의 전면(前面) 부분이 개구되어 있고, 이 개구부를 통해서 연결 반송차(12)와 스테이션(26)의 워크의 수수가 행해진다. 스테이션(26)은, 워크의 가공을 행하는 가공 기계(도시하지 않음)와 연계하여, 미가공의 워크(또는 성형품이라고도 한다)를 가공 기계에 건네주는 동시에 가공 후의 워크를 연결 반송차(12)에 장착한다.
다음에, 수평 반송부(16)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평 반송부(16)는, 연결 반송차(12)를 지지하는 동시에 연결 반송차(12)를 반송되는 방향(화살표 B방향)으로 안내하는 레일(28)과, 연결 반송차(12)를 화살표 B방향으로 반송하는 수평 반송용의 고리형상 체인(순환 구동부)(30)과, 상기 고리형상 체인(30)의 구동원으로서의 모터(32)를 갖는다. 모터(32)는, 연결 반송차(12)를 화살표 A방향으로 반송하는 수평 반송용의 고리형상 체인(순환 구동부)(33)과 제2 구동 스프로켓(37)(도 7 참조)의 구동원을 겸한다. 모터(32) 및 후술한 모터(164, 165)는 감속기를 내장하고 있고 충분한 토크를 발생한다.
또한, 도 3에서는 커버(24)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또, 도 3은, 도 2에서의 중심선(C)의 위치에서 본 측면을 도시하고 있다. 후술하는 도 9, 도 10, 도 17, 도 20, 도 21, 도 24 및 도 33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레일(28)은, 폭(d)(도 16 참조), 높이(h)(도 17 참조)의 긴 판형상이고 수평 반송부(16)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다. 레일(28)의 상면 및 하면은 수평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 수평 반송부(16)는, 모터(32)에 연결된 구동 베벨 기어(구동 기어)(94)(도 6 참조)와, 이 구동 베벨 기어(94)의 작용에 의해서 고리형상 체인(30)을 순환 구동하는 제1 구동 스프로켓(수평 반송 구동 스프로켓)(36)과, 고리형상 체인(30)의 순환 구동에 대응하여 종동 회전하는 종동 스프로켓(수평 반송 종동 스프로켓)(38)을 구비하는 베벨 기어 기구(34)를 갖는다. 중심선(C)(도 2 참조)의 위치에서 본 경우, 제1 구동 스프로켓(36)은 고리형상 체인(30)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고리형상 체인(30)은 레일(28)의 약간 내측에 배치되고, 고리형상 체인(30)과 레일(28)은, 폭 방향에서 평행하다(도 11 참조).
모터(32)의 회전축은 연직으로 설정되어 있고, 이 모터(32)의 회전축의 회전은, 베벨 기어 기구(34)에 의해서 회전축이 90° 변환되어 연직면 상에서의 회전이 된다. 따라서 제1 구동 스프로켓(36) 및 종동 스프로켓(38)은 연직면 상에서 회전한다. 제1 구동 스프로켓(36)과 종동 스프로켓(38)은, 동일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수평 반송부(16)는, 고리형상 체인(30) 중 연결 반송차(12)에 구동력을 부여하는 상측 부분에서 고리형상 체인(30)의 체인 롤러(30a)(도 11 참조)를 아래에서 지지하는 수평부 상부 가이드(40)와, 하측 부분에서 고리형상 체인(30)의 체인 롤러(30a)를 아래에서 지지하는 수평부 하부 가이드(42)를 갖는다. 수평부 상부 가이드(40) 및 수평부 하부 가이드(42)와 레일(28)은, 지지 부재(44)(도 16 참조)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수평부 상부 가이드(40)는, 제1 구동 스프로켓(36)과 종동 스프로켓(38)의 사이의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 고리형상 체인(30)을 지지하고 있고, 고리형상 체인(30)의 상측 부분은 수평으로 유지된다.
수평부 하부 가이드(42)는, 제1 구동 스프로켓(36)과 종동 스프로켓(38)의 사이에서, 제1 구동 스프로켓(36)에 가까운 소정 구간을 제외한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 고리형상 체인(30)을 지지하고 있다. 제1 구동 스프로켓(36)과 수평부 하부 가이드(42)의 사이에는, 3개의 작은 스프로켓(46, 48, 50), 링크(52) 및 나사 기구(54)로 이루어지는 텐션(tension) 기구(55)가 설치되어 있다. 이 텐션 기구는, 나사 기구(54)의 조정에 의해 고리형상 체인(30)의 느슨함 또는 장력을 조정 가능하다.
또한, 화살표 A방향으로의 반송에 사용되는 체인(33)은, 고리형상 체인(30)과 좌우 대칭의 동일 구조로 되어 있고, 수평부 상부 가이드(40) 및 수평부 하부 가이드(42)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다.
복수의 수평 반송부(16)는, 기본적으로 동일 구조이지만, 경사 반송부(18)와 접속되는 부분에는, 단부를 기준으로 하여, 반송 방향의 약간 역측으로 캠판(송출 캠판)(56)이 설치되어 있다. 캠판(56)은, 반송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캠판(56)의 하면은, 반송 방향을 향해서 아래로 경사져 변위하도록 연장되는 경사면(56a)과, 경사면(56a)으로부터 연속되어 있고 레일(28)과 평행한 평행면(56b)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에, 수평 반송부(16)의 양단부의 구성에 대해서 도 4∼도 9를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수평 반송부(16)에서, 제1 구동 스프로켓(36) 및 제2 구동 스프로켓(37)이 설치되어 있는 측인 일단부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측의 레일(28)이 2개의 중간판(60 및 62)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다. 중간판(60)은, 상하방향 및 좌우의 폭 방향으로 볼록한 십자형상이고, 양측면이 레일(28)과 볼트(61)로 체결되어 있다. 중간판(62)은, 평판형상이고, 중간판(60)보다 단부에 가까운 측에 설치되어 있다. 중간판(62)의 양측면은 레일(28)에 각각 볼트(61)로 체결된다. 중간판(60 및 62)의 각각의 하면은, 크로스 플레이트(64)로 연결되어 있다. 크로스 플레이트(64)의 상면에는, 베어링 박스(66)가 용접되어 있다. 베어링 박스(66) 내에는 2개의 베어링이 설치되어 있고, 이들의 베어링에 의해서 2개의 제1 회전축(68) 및 제2 회전축(70)이 각각 개별로 축 지지되어 있다. 제1 회전축(68) 및 제2 회전축(70)은 동일선 상에 설정되어 있고, 베어링 박스(66)로부터 좌우로 연장되어 있다.
제1 회전축(68) 및 제2 회전축(70)에는, 베어링 박스(66)를 사이에 끼워 대향하는 제1 종동 베벨 기어(제1 종동 기어)(72) 및 제2 종동 베벨 기어(제2 종동 기어)(74)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종동 베벨 기어(72) 및 제2 종동 베벨 기어(74)는 동일 형상이고, 톱니를 갖는 측이 각각 내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제1 회전축(68) 및 제2 회전축(70)에는, 제1 종동 베벨 기어(72) 및 제2 종동 베벨 기어(74)의 각각 외측에 제1 구동 스프로켓(36) 및 제2 구동 스프로켓(37)이 설치되어 있다. 크로스 플레이트(64)의 하면에는, 베어링 박스(66) 내로 통하는 그리스 니플(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제1 구동 스프로켓(36) 및 제1 종동 베벨 기어(72)는, 키(75a)에 의해서 제1 회전축(68)에 고정되어 있다. 동일하게, 제2 구동 스프로켓(37) 및 제2 종동 베벨 기어(74)는, 키(75b)에 의해서 제2 회전축(70)에 고정되어 있다.
좌우의 레일(28)에는 각각 구멍(76)이 설치되고, 이 구멍(76)에 삽입되는 베어링(제1 외측 베어링)(78) 및 베어링(제2 외측 베어링)(79)에 의해서 제1 회전축(68) 및 제2 회전축(70)의 단부가 축 지지된다. 베어링(78, 79)의 외측은, 고정 부재(80)에 의해서 레일(28)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 부재(80)에는, 후술하는 스토퍼(238)가 통과하는 홈(80a)이 설치되어 있다.
중간판(60 및 62)의 상면에는, 모터 유닛(82)(도 6 참조)이 배치된다. 또한, 도 4 및 후술한 도 8에서는, 고리형상 체인(30, 33), 수평부 상부 가이드(40) 및 수평부 하부 가이드(42) 등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또, 방향 반전부(20)(도 1 및 도 2 참조)의 단부도 도 4에 도시하는 구조와 동일 구조로 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터 유닛(82)은, 모터(32)를 포함하고, 이 모터(32)의 회전 구동력을 제1 종동 베벨 기어(72) 및 제2 종동 베벨 기어(74)로 전달하기 위한 유닛이다.
모터 유닛(82)은, 하방의 접속판(84)이 중간판(60 및 62)(도 4 참조)의 상면과 접속된다. 접속판(84)의 중앙부에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원통 커버(86)가 설치되고 있고, 이 원통 커버(86)의 상하 양단에는 베어링(88 및 90)이 설치되어 있다.
이 2개의 베어링(88 및 90)에 의해서 연장축(92)이 축 지지되어 있고, 이 연장축(92)의 하단에서, 접속판(84)보다 하방에는 구동 베벨 기어(94)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 베벨 기어(94)는, 톱니를 갖는 측이 하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연장축(92)의 상단은 커플링(96)을 통해서 모터(32)의 회전축과 접속되어 있다. 커플링(96)은, 상자형 커버(98)로 덮여져 있고, 이 상자형 커버(98)는 모터(32)를 지지하고 있다. 접속판(84)의 상면, 원통 커버(86)의 측면 및 상자형 커버(98)의 하면은, 2장의 보강판(100)에 의해서 보강되어 있다.
모터(32)와 구동 베벨 기어(94)의 사이를 연장축(92)으로 접속함으로써, 상자형 커버(98) 및 모터(32)는 레일(28)의 상면의 높이보다 약간 상방에 위치하게 되어, 연결 반송차(12)가 통과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속판(84)을 중간판(60, 62)의 각각의 상면에 걸쳐 볼트(61)에 의해 체결시키면, 구동 베벨 기어(94)의 좌우 양측 부분이, 각각 제1 종동 베벨 기어(72)의 상부 및 제2 종동 베벨 기어(74)의 상부와 맞물린다.
모터(32)의 작용에 의해서, 연장축(92)이 상면에서 볼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1 종동 베벨 기어(72)는 도 7에서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 제2 종동 베벨 기어(74)는 도 7에서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 구동 스프로켓(36)은 제1 종동 베벨 기어(72)와 일체적으로 회전하여, 고리형상 체인(30)을 상방에서 당겨, 하방으로부터 송출한다. 제2 구동 스프로켓(37)은 제2 종동 베벨 기어(74)와 일체적으로 회전하여, 체인(33)을 하방에서 당겨, 상방으로부터 송출한다.
이와 같이 하여, 2개의 고리형상 체인(30 및 33)은 각각 반대 방향으로 순환 구동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연결 반송차(12)를 역방향으로 반송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반송차(12)를 역방향으로 반송한다는 목적을 위해서는, 베벨 기어 기구(34)에 의해 구동되는 순환 구동부는, 고리형상 체인(30 및 33) 이외에도, 와이어나 벨트 등을 이용해도 된다.
다음에, 수평 반송부(16)에서, 종동 스프로켓(38)이 설치되어 있는 측인 일단부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측의 레일(28)이 2개의 중간판(102 및 104)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다. 중간판(102)은, 상하 방향의 높이가 종동 스프로켓(38)의 직경보다 작은 판형상이다. 중간판(104)은, 하면의 좌우단에 절결이 있는 대략 평판형상이고, 중간판(102)보다 단부에 가까운 측에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레일(28)에서, 중간판(102 및 104)이 접속되는 개소의 대략 중간에는, 구멍(106)이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구멍(106)에는, 지지축(108)의 양단부가 삽입된다. 지지축(108)의 양단부는, 직경이 약간 가는 단차부(110)를 갖고, 이 단차부(110)에는 각각 베어링(112)이 끼워진다. 베어링(112)의 외주에는, 종동 스프로켓(38)이 고정 링(114)에 의해서 걸려 있다. 단차부(110)에서, 베어링(112)과 레일(28)의 사이에는, 원통 스페이서(116)가 설치되어 있고, 베어링(112)의 위치가 설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2개의 종동 스프로켓(38)은 각각 회전 자유롭고, 고리형상 체인(30 및 33)을 안내할 수 있다. 또, 중간판(102)의 높이는 종동 스프로켓(38)의 직경보다 작기 때문에, 고리형상 체인(30, 33)과 중간판(102)이 간섭하지 않는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수평 반송부(16)(이하, 좌측을 수평 반송부(16a)로 하고, 우측을 수평 반송부(16b)로 하여 구별한다)는, 2개의 연결판(120) 및 지주(22)에 의해서 연결된다. 즉, 지주(22)의 최상부에는, 좌우로 돌출되는 지지판(22a)이 설치되어 있고, 이 지지판(22a)의 일단부와 수평 반송부(16a)의 중간판(62)의 하면이 볼트(61)로 체결된다. 또, 지지판(22a)의 타단부와 수평 반송부(16b)의 중간판(104)의 하면이 볼트(61)로 체결된다.
또한, 수평 반송부(16a)의 레일(28)과 수평 반송부(16b)의 레일(28)은, 서로의 단면을 접촉시킨 상태로, 내측면에 연결판(120)을 닿게 하여, 연결판(120)에 설치된 나사구멍을 이용하여 볼트(61)로 체결된다. 또, 볼트(61) 대신에 일부에 위치 결정핀(61a)을 이용하여 연결을 행하면, 연결판(120)과 레일(28)의 위치 결정을 보다 정확하게 행할 수 있고, 레일(28)들을 정확하게 접합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레일(28)의 접속부에서, 상면이 단차나 간극이 없는 연속면이 되어, 연결 반송차(12)가 매끄럽게 통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수평 반송부(16a, 16b)는, 2개의 연결판(120) 및 지주(22)에 의해서 연결된다. 이 때의 작업은 기본적으로 볼트(61)의 체결 및 위치 결정 핀(61a)의 삽입만이고, 간편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또, 모터(32), 고리형상 체인(30, 33), 모터 유닛(82) 등을 분리할 필요가 없으며, 수평 반송부(16)를 1개의 유닛으로서 취급할 수 있다.
다음에, 경사 반송부(18)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도 3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사 반송부(18)는, 일부를 제외하고 좌우 대칭의 위로 볼록한 산(山)형이고, 경사 반송부(18)의 중앙부의 아래에는 사람 또는 포크리프트 등이 왕래하는 것이 가능한 높이가 확보된다.
경사 반송부(18)는, 연결 반송차(12)를 지지하는 동시에 연결 반송차(12)의 반송되는 방향을 안내하는 레일(160)과, 연결 반송차(12)를 반송하는 경사 반송용의 고리형상 체인(구동부)(162)과, 이 고리형상 체인(162)의 구동원으로서의 모터(164)를 갖는다. 이 모터(164)는, 화살표 B방향의 반송용으로 경사 반송용의 고리형상 체인(162)의 전용의 구동원이고, 화살표 A방향의 반송용으로 경사 반송용의 고리형상 체인(163)(도 11 참조)의 구동원으로서는 다른 모터(165)가 사용된다. 즉, 모터(164)와 고리형상 체인(162)의 연결 개소, 및 모터(165)와 고리형상 체인(163)의 연결 개소는 각각 도 7에 도시하는 베벨 기어 기구(34)와 유사한 구조이고, 제1 종동 베벨 기어(72) 또는 제2 종동 베벨 기어(74)에 상당하는 베벨 기어 중 어느 하나가 생략된 구조로 되어 있다.
레일(160)은, 수평 반송부(16)에서의 레일(28)과 동일 폭(d)(도 16 참조) 및 높이(h)(도 17 참조)로 설정되어 있다. 레일(28)과 레일(160)은, 연결판(120)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이 연결판(120)은, 수평 반송부(16)들을 연결하는 연결판(120)(도 9 참조)과 동일 부재이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폭 방향에서 고리형상 체인(30)과 고리형상 체인(162)의 위치가 다르고, 고리형상 체인(162)은 고리형상 체인(30)보다 폭(w) 내측으로 설정되어 있다.
도 10으로 되돌아가서, 레일(160) 중, 오르막 경사의 경사 도입부(160a)는, 중앙을 향해서 상승 경사인 비교적 작은 원호형상이고, 수평 반송부(16)의 레일(28)의 단부와 연속되도록 접속되어 있다. 레일(160)의 중앙부(160b)는, 위로 볼록한 비교적 큰 원호형상이다. 경사 도입부(160a)와 중앙부(160b)는, 경사값이 일정하고 오르막 경사의 일정 경사부(160c)에서 접속되어 있다. 레일(160)은 좌우 대칭의 형상이고, 중앙부(160b)는, 경사값이 일정하고 내리막 경사의 일정 경사부(160d)와 접속되어 있다. 일정 경사부(160d)는, 비교적 작은 원호형상의 경사 도입부(160e)와 접속되어 있다. 경사 도입부(160a 및 160e)는 동일 형상이고, 일정 경사부(160c 및 160d)는 동일 형상이다.
경사 반송부(18)는, 모터(164)에 연결된 구동 베벨 기어와, 이 구동 베벨 기어의 작용에 의해서 고리형상 체인(162)을 순환 구동하는 구동 스프로켓(경사 반송 구동 스프로켓)(170)과, 고리형상 체인(162)의 순환 구동에 대응하여 종동 회전하는 종동 스프로켓(경사 반송 종동 스프로켓)(172)을 갖는다. 중심선(C)(도 2 참조)의 위치에서 본 경우, 구동 스프로켓(170)은 고리형상 체인(162)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연결 반송차(12)를 화살표 B방향으로 반송한다. 구동 스프로켓(170)은 경사 도입부(160e)와 일정 경사부(160d)의 접속 부분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종동 스프로켓(172)은 경사 도입부(160a)와 일정 경사부(160c)의 접속 부분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모터(164)의 회전축은 반송 방향에 대해서 수직으로 설정되어 있고, 이 모터(164)의 회전축의 회전은, 회전축이 90°로 변환되어, 연직면 상에서의 회전이 된다. 따라서 구동 스프로켓(170) 및 종동 스프로켓(172)은 연직면 상에서 회전한다.
또한, 경사 반송부(18)는, 고리형상 체인(162)의 상측 부분의 체인 롤러(162a)(도 11 참조)를 아래에서 지지하는 경사부 상부 가이드(경사부 가이드)(174)와, 고리형상 체인(162)의 하측 부분의 체인 롤러(162a)를 아래에서 지지하는 경사부 하부 가이드(경사부 가이드)(176)를 갖는다.
경사부 상부 가이드(174) 및 경사부 하부 가이드(176)는, 각각 레일(160)의 상면 및 하면을 거의 따른 형상이고, 고리형상 체인(162)은, 경사부 상부 가이드(174) 및 경사부 하부 가이드(176)에 안내되어 산형으로 순환 동작한다.
종동 스프로켓(172)에서의 고리형상 체인(162)을 송출하는 송출부(172a)는, 레일(160)의 상면 높이보다 약간 하면측에 위치하고 있고, 레일(160)의 거의 상면을 따라서 진입하는 가로톱니 스프로켓(246)(후술한다)이 매끄럽게 도입된다.
종동 스프로켓(172)의 축심의 위치는, 텐션 기구(178)에 의해서 이동 조정이 가능하고, 고리형상 체인(162)의 느슨함 또는 장력을 조정할 수 있다.
경사 반송부(18)에서의 내리막 경사부에는, 캠판(강하 캠판)(180)이 설치되어 있다. 캠판(180)은, 반송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캠판(180)의 하면은, 반송 방향을 향해서 아래로 경사져 변위하도록 연장되는 경사면(180a)과, 경사면(180a)으로부터 연속되어 있고 레일(160)과 평행한 평행면(180b)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1 및 도 10에 도시하는 캠판(181)은, 캠판(180)과 동일 형상의 것으로, 연결 반송차(12)의 화살표 A방향으로의 반송시에 사용된다.
또, 수평 반송부(16)와 경사 반송부(18)의 접속은, 수평 반송부(16)들의 접속(도 9 참조)과 동일하게 행해진다. 즉, 수평 반송부(16)의 레일(28)과 경사 반송부(18)의 레일(160)을 연결판(120)(도 3 참조)으로 접속하고, 또한 지주(22)에 의해서 아래에서 고정하여 지지하면 된다.
또한, 수평 반송부(16)와 방향 반전부(20)(도 1 및 도 2 참조)의 접속, 및, 방향 반전부(20)와 경사 반송부(18)의 접속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방향 반전부(2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방향 반전부(20)는, 회전축(370)과, 나사(372a, 372b)를 통해서 상기 회전축(370)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370)이 회전 동작함에 따라서 회전하는 제1 디스크 부재(374) 및 제2 디스크 부재(376)를 갖고, 이들 제1 디스크 부재(374) 및 제2 디스크 부재(376)의 옆쪽 둘레벽부에는, O링(378)(도 13 참조)이 장착되어 있다.
이 방향 반전부(20)에는, 왕로용 체인(330) 및 귀로용 체인(332)이 배치되어 있고, 이들은, 도 1에 도시하는 모터(32b)의 작용에 의해서, 수평 반송부(16)에서의 고리형상 체인(30 및 33)과 동일하게 둘레 회전 동작한다. 연결 반송차(12)는, 체인(33)으로부터 왕로용 체인(330)으로 이동하도록 반송되어, 방향 반전부(20)로 진입한다. 또 방향 반전부(20)에서 방향을 반전한 연결 반송차(12)는, 귀로용 체인(332)으로부터 고리형상 체인(30)으로 이동하도록 반송된다.
여기에서, 방향 반전부(20)에는, 연결 반송차(12)를 수평 반송부(16)로부터 제1 디스크 부재(374) 및 제2 디스크 부재(376)로, 또는, 제1 디스크 부재(374) 및 제2 디스크 부재(376)로부터 수평 반송부(16)로 반송하기 위한 보조 주행 기구(390)가 배치되어 있다.
이 보조 주행 기구(390)는, 왕로용 체인(330)이 감겨진 반전부 제1 종동 스프로켓(392)과, 귀로용 체인(332)이 감겨진 반전부 제2 종동 스프로켓(394)과, 이들 반전부 제1 종동 스프로켓(392) 및 반전부 제2 종동 스프로켓(394)에 연동하여 회전 동작하는 작은 스프로켓(396)과, 상기 회전축(370)에 끼워 맞춰진 큰 스프로켓(398)과, 작은 스프로켓(396)과 큰 스프로켓(398)에 걸쳐진 체인(400)을 갖는다. 이 체인(400)은, 텐셔너(tensioner)로서의 기어(418)에 의해서 장력의 조정이 가능하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방향 반전부(20) 및 보조 주행 기구(390)는, 지주(22) 상에 설치된 마운트 베이스(402)에 장착되어 있다. 이 마운트 베이스(402)에는, 상기 작은 스프로켓(396)이 장착된 회전축(404)이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축이 고정되어 있다.
도 12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축(404)의 선단부에는, 반전부 주(主) 베벨 기어(406)가 끼워 맞춰져 있다. 이 반전부 주 베벨 기어(406)는, 반전부 종(從) 베벨 기어(408)에 맞물려 있다.
반전부 종 베벨 기어(408)에는 관통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이 관통구멍에는, 그 일단부가 돌출되도록 축 부재(410)가 통과되어 있다. 반전부 제2 종동 스프로켓(394)은, 이 돌출한 일단부에 끼워 맞춰져 있고, 한편, 축 부재(410)의 타단부에는, 상기 반전부 제1 종동 스프로켓(392)이 끼워 맞춰져 있다. 따라서, 모터(32b)의 작용에 의해서 방향 반전부(20)의 구동 스프로켓(36b)(도 1 참조)이 회전 동작하였을 때, 왕로용 체인(330)(도 12 및 도 14 참조)이 둘레 회전 동작하는 것에 추종하여 반전부 제1 종동 스프로켓(392)이 회전 동작하면, 반전부 주 베벨 기어(406) 및 반전부 종 베벨 기어(408)가 회전 동작하여, 최종적으로, 반전부 제2 종동 스프로켓(394), 회전축(404) 및 작은 스프로켓(396)이 회전 동작한다.
이것에 따라서 회전축(370)에 끼워 맞춰진 큰 스프로켓(398)이 회전 동작하여, 제1 디스크 부재(374) 및 제2 디스크 부재(376)가 회전 동작한다.
또한, 도 12에서는, 보조 주행 기구(390)를 노출하여 나타내고 있지만, 실제로는, 이 보조 주행 기구(390)는 상기 커버(24)에 의해서 둘러싸여 있다.
도 12 및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디스크 부재(374)의 주위에는, 이 제1 디스크 부재(374)와 함께 상부 롤러(232)를 사이에 끼워 지지하기 위한 제1 안내 부재(412)가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안내 부재(412)의 만곡부는, 상부 롤러(232)가 진입 가능한 간격으로 제1 디스크 부재(374)의 옆쪽 둘레벽부로부터 이간하여 이 옆쪽 둘레벽부를 둘러싸고 있다. 또, 제1 안내 부재(412)의 장척인 직선부의 내측에는, 왕로용의 제2 안내 부재(414)와, 귀로용의 제3 안내 부재(416)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제1∼제3 안내 부재(412, 414, 416)는, 마운트 베이스(402)(도 13 및 도 14 참조)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은, 제2 디스크 부재(376)의 주위에서도 동일하고, 따라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연결 반송차(12)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 반송차(12)는, 반송 방향에서 순차로 4개의 반송차, 요컨대, 제1 반송차(200), 제2 반송차(202), 제3 반송차(204) 및 제4 반송차(206)와, 제1∼제4 반송차(200, 202, 204, 206)의 각각의 사이를 연결하는 3개의 연결 바(연결부)(208)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연결 반송차(12)를 복수의 반송차로서 구성함으로써, 반송차의 수에 따라서 워크의 적재수를 늘릴 수 있다. 반송차의 수는, 워크의 적재수에 따라서 적당히 증감해도 된다.
도 16∼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반송차(200)는, 기본 부분인 베이스 플레이트(210)와, 이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외측에 설치되어, 커넥팅 로드(1) 등의 워크를 착탈하는 착탈 기구부(214)와, 레일(28)(또는 레일(160))의 상면에 접촉하면서 반송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2개의 상부 롤러(216)와, 2개의 상부 롤러(216)의 각각의 연직 하방(수평 반송시)에 설치되어, 레일(160)의 하면에 접촉하면서 반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2개의 하부 롤러(218)를 갖는다. 이 중, 우선, 제1 반송차(200)의 기본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고, 착탈 기구부(214)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1 반송차(200)는, 베이스 플레이트(210)에 언더 플레이트(1052) 및 업퍼 플레이트(1054)가 연결됨으로써 구성된 본체(1056)를 갖는다. 이 중, 베이스 플레이트(210)는, 메인부(1058)와, 이 메인부(1058)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굴곡된 하부 수평부(1060) 및 상부 수평부(1062)를 갖는다.
또, 언더 플레이트(1052)는, 연직 하방으로 늘어진 하부 설편(舌片)(1064), 이 하부 설편(1064)에 대해서 수직으로 굴곡하는 동시에 상기 메인면에 지향하여 연장되는 수평부(1066), 이 수평부(1066)로부터 수직으로 상승된 상부 설편(1068)을 갖고, 한편, 업퍼 플레이트(1054)는, 바닥부(1070), 이 바닥부(1070)로부터 수직으로 상승된 후부 수직 단부(1072) 및 전부 수직 단부(1073)를 갖는다.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210)에서의 메인부(1058)의 일단면에는, 언더 플레이트(1052)의 상부 설편(1068)과 업퍼 플레이트(1054)의 후부 수직 단부(1072)가 연결되어 있다.
2개의 상부 롤러(216)는, 베이스 플레이트(210)에서의 비교적 상방의 부분으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전방축(220) 및 후방축(222)(도 19 참조)에 각각 축 지지되어 있다. 2개의 하부 롤러(218)는, 베이스 플레이트(210)에서의 비교적 하방의 부분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2개의 하방축(224)에 각각 축 지지되어 있다.
또, 제1 반송차(200)는, 고리형상 체인(30) 및 고리형상 체인(162)으로부터 구동력을 받는 구동력 전달부(226)와, 최전부에 설치되는 충돌 완충재(228)와, 후단부에 설치되어, 연결 바(208)와 접속되는 조인트(230)를 갖는다.
구동력 전달부(226)는, 상부 롤러(216)와 함께 전방축(220) 및 후방축(222)에 축 지지되어 있다. 조인트(230)는, 연결 바(208)를 좌우 및 상하의 임의의 방향으로 요동 가능한 볼 조인트(또는 유니버설 조인트 등)이다. 조인트(230)는, 예를 들면, 상하 좌우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체를 이용해도 된다. 이 조인트(230)에 의해, 제1∼제4 반송차(200, 202, 204, 206)는, 경사 반송부(18)에서의 상하 방향의 비스듬한 이동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방향 반전부(20)의 수평면에서의 회동(回動) 동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반송차(200)는, 스테이션(26)에서의 브레이크 조작 및 방향 반전부(20)에서의 방향 반전 조작에서 이용되는 2개의 상부 롤러(232)가 설치되어 있다. 상부 롤러(232)의 연직 하방에는 2개의 하부 롤러(234)가 설치되고, 이 하부 롤러(234)는 방향 반전부(20)에서의 방향 반전 조작에서 이용된다.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내측면에는, 스테이션(26)의 정지 기구(2010)로 이용되는 스토퍼(238)(도 34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력 전달부(226)는, 2장의 평행한 가로로 긴 플레이트(240a, 240b)가 상면판(240c)으로 연접된 프레임체(240)와, 가로로 긴 플레이트(240a 및 240b)의 간극에 아래에서 끼워 맞춰진 체인 감압판(수동부)(242)과, 프레임체(240)에 대해서 체인 가압판(242)을 하방으로 밀어 내리는 2개의 스프링(244)과, 프레임체(240)의 내측(도 19에서의 앞쪽)에 접하여 설치되는 가로톱니 스프로켓(수동 스프로켓)(246)을 갖는다.
체인 가압판(242)의 하면은, 전후 양측이 원호형상으로 되어 있고, 전면 및 후면과 연속된 매끄러운 면으로 되어 있다. 체인 가압판(242)의 상면에는, 폭 방향으로 횡단하는 2개의 U자홈(242a)이 형성되어 있고, 이 2개의 U자홈(242a)에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전방축(220) 및 후방축(222)이 끼워진다. 또, 2개의 U자홈(242a)의 사이에는 2개의 바닥이 있는 구멍(242b)이 설치되어 있다. 2개의 구멍(242b)의 각각의 직경은 스프링(244)의 직경보다 약간 크다. 2개의 구멍(242b)의 깊이는 스프링(244)의 자연 길이(외력이 없는 상태에서의 길이를 말한다)보다 얕다. 체인 가압판(242)의 측면에서의 거의 중앙에는, 폭 방향으로 횡단하는 약간 세로로 길이가 긴 구멍(242c)이 설치되어 있다. 체인 가압판(242)의 폭은, 고리형상 체인(30)의 체인 롤러(30a)의 폭(d)(도 16 참조)보다 약간 좁은 폭으로 설정되어 있다.
프레임체(240)의 2개의 가로로 긴 플레이트(240a, 240b)에는, 전방축(220)이 끼워 맞춰지는 구멍(240d)과, 후방축(222)이 끼워 맞춰지는 구멍(240e)이 설치되어 있다. 또, 2개의 가로로 긴 플레이트(240a, 240b)에서의 거의 중앙에는, 빠짐 고정 핀(248)이 고정되는 작은 구멍(240f)이 설치되어 있다. 빠짐 고정 핀(248)은, 2개의 작은 구멍(240f)과, 그 사이에 배치되는 체인 가압판(242)의 긴 구멍(242c)에 끼워 맞춰지고, 체인 가압판(242)은, 긴 구멍(242c)과 빠짐 고정 핀(248)의 각각의 세로방향에서의 치수차에 따라서 상하 이동이 가능해진다.
2개의 가로로 긴 플레이트(240a 및 240b) 중, 내측(도 19에서의 앞쪽)의 가로로 긴 플레이트(240a)의 측면에서, 작은 구멍(240f)과 구멍(240d)의 사이에는, 고정 핀(250)이 끼워 맞춰지는 작은 구멍(240g)이 설치되어 있다.
가로톱니 스프로켓(246)의 측면에서의 약간 전방부에는 전방축(220)이 끼워 맞춰지는 구멍(246a)이 설치되고, 약간 후방부에는 고정 핀(250)이 끼워 맞춰지는 작은 구멍(246b)이 설치되어 있다.
구동력 전달부(226)를 조립할 때에는, 우선, 체인 가압판(242)의 2개의 구멍(242b)에 각각 스프링(244)을 삽입한다. 다음에, 작은 구멍(240f)과 긴 구멍(242c)의 위치가 맞춰지도록, 체인 가압판(242)을 프레임체(240)에 끼운다. 이 때, 스프링(244)의 상면이 프레임체(240)의 상면판의 하면에 접촉하기 때문에, 스프링(244)을 압축시키면서 체인 가압판(242)을 프레임체(240)에 끼운다. 체인 가압판(242)을 프레임체(240)에 끼운 후, 스프링(244)을 압축시킨 채로, 빠짐 고정 핀(248)을 작은 구멍(240f) 및 긴 구멍(242c)에 통과시킨다. 빠짐 고정 핀(248)과 작은 구멍(240f)은 압입되어 고정된다. 체인 가압판(242)과 프레임체(240)를 끼워 맞추는 힘을 개방하면, 체인 가압판(242)은, 스프링(244)의 탄성력에 의해서 프레임체(240)에 대해서 하방으로 밀어 내려지고, 긴 구멍(242c)과 빠짐 고정 핀(248)의 세로 방향의 치수차에 따라서 하방으로 변위한다. 이 때, 구멍(240d, 240e)의 위치와 U자홈(242a)의 위치가 정합되어 있다.
다음에, 전방축(220) 및 후방축(222)에 각각 상부 롤러(216)와 스페이서(252)를 끼워 맞춘 후, 프레임체(240)의 구멍(240d, 240e) 및 체인 가압판(242)의 U자홈(242a)을 끼워 맞춘다. 전방축(220)에는, 또한 가로톱니 스프로켓(246)의 구멍(246a)을 끼워 맞춘다. 또, 가로톱니 스프로켓(246)의 작은 구멍(246b)과 가로로 긴 플레이트(240a)의 작은 구멍(240f)이 맞춰져 형성되는 구멍에 고정 핀(250)을 압입한다.
이어서, 2개의 볼트(254)를 전방축(220) 및 후방축(222)의 각각의 선단에 설치된 나사 구멍(220a, 222a)에 나사 결합시켜 고정한다.
구동력 전달부(226)는 이와 같이 하여 조립되고, 베이스 플레이트(210)로부터 연장되는 전방축(220) 및 후방축(222)에 고정된다. 또한, 구동력 전달부(226)에서의 가로톱니 스프로켓(246)과 체인 가압판(242)의 폭은, 폭(w)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 폭(w)은, 고리형상 체인(30)과 고리형상 체인(162)의 폭 방향에서의 배치차의 폭(w)(도 11 및 도 18 참조)과 같다.
연결 반송차(12)를 수평 반송부(16)에 부착하면, 구동력 전달부(226)에서의 체인 가압판(242)의 하면은 고리형상 체인(30)의 체인 롤러(30a)에 접촉한다. 스프링(244)은 약간 압축되어, 체인 가압판(242)과 수평부 상부 가이드(40)에 의해 고리형상 체인(30)의 체인 롤러(30a)를 끼워 넣는다. 고리형상 체인(30)이 순환 구동되면, 체인 롤러(30a)는 수평부 상부 가이드(40)의 상면을 굴러간다. 체인 가압판(242)은 체인 롤러(30a)의 상면으로부터 힘을 받아, 소위, 롤러의 원리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하여 연결 반송차(12)는 반송되게 된다. 이 때, 수평부 상부 가이드(40)의 상면을 기준으로 하면, 고리형상 체인(30)의 속도는 체인 롤러(30a)의 반경에 대응하고, 체인 가압판(242)의 속도는 체인 롤러(30a)의 직경에 대응한다. 따라서, 반경과 직경의 비로부터, 체인 가압판(242)의 속도, 요컨대 연결 반송차(12)의 속도는, 고리형상 체인(30)의 속도의 2배가 된다.
또, 경사 반송부(18)에서는, 가로톱니 스프로켓(246)과 고리형상 체인(162)이 맞물림으로써 연결 반송차(12)는, 고리형상 체인(162)에 의해서 반송된다.
또한, 수평 반송부(16) 및 경사 반송부(18)의 양쪽에서, 상부 롤러(216)와 하부 롤러(218)에 의해 레일(28)(또는 레일(160))을 끼워 넣고 있기 때문에, 연결 반송차(12)는, 레일(28)(또는 레일(160))에 확실하게 유지된다.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반송차(202) 및 제3 반송차(204)는, 제1 반송차(200)와 거의 동일한 구조이고, 제1 반송차(200)와 비교하여, 충돌 완충재(228) 및 가로톱니 스프로켓(246)이 존재하지 않은 점 및 스토퍼(238)가 없는 점에서 다르다. 제2 반송차(202) 및 제3 반송차(204)의 선두 부분에는, 충돌 완충재(228) 대신에 조인트(23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조인트(230)는, 후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과 동일하고, 연결 바(208)와 접속되어 있다. 제1 반송차(200)와 동일 구조의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1 및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4 반송차(206)는, 제1 반송차(200)와 거의 동일한 구조이다. 제4 반송차(206)는, 충돌 완충재(228)가 후방에 설치되어 있는 것, 조인트(230)가 전방에 설치되어 있는 것, 구동력 전달부(226) 대신에 구동력 전달부(256)가 설치되어 있는 것 및 스토퍼(238)가 없다는 것에 있어서 제1 반송차(200)와 다르다. 제1 반송차(200)와 동일 구조의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제4 반송차(206)에 설치되는 구동력 전달부(256)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력 전달부(256)는, 전방이 약간 두꺼운 가로로 긴 플레이트(258)와, 가로로 긴 플레이트(258)의 내측(도 23에서의 앞쪽)에 설치되어, 전방축(220)에 축 지지되는 요동판(260)과, 가로로 긴 플레이트(258)에 대해서 요동판(260)을 상방으로 가압하는 스프링(262)과, 요동판(260)의 후방에 설치된 구멍(260a)에 끼워 맞춰지는 축(264)과, 이 축(264)에 의해서 요동판(260)과 함께 축 지지되는 작은 프레임체(266)와, 요동판(260)에 대해서 작은 프레임체(266)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2개의 스프링(탄성체)(268)과, 상기 캠판(56 또는 180)(도 1 참조)에 의해서 하방으로 가압되는 롤러(수압부)(270)를 갖는다.
가로로 긴 플레이트(258)에는, 전방축(220)이 끼워 맞춰지는 구멍(258a)과,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후방축(223)이 끼워 맞춰지는 구멍(258b)이 설치되어 있다. 후방축(223)은, 제1 반송차(200)에서의 후방축(222)(도 19 참조)에 상당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후방축(222)보다 짧다. 구멍(258b)은 직경이 약간 큰 내측의 부분과 그 외측의 직경이 약간 작은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직경 방향의 단차를 갖는다. 또, 가로로 긴 플레이트(258)에서의 상면 거의 중앙에는, 바닥이 있는 구멍(258c)이 설치되어 있다. 구멍(258c)의 직경은 스프링(262)의 직경보다 약간 크고, 구멍(258c)의 깊이는 스프링(262)의 자연 길이보다 얕다.
요동판(260)에는, 비교적 전방에 전방축(220)이 끼워 맞춰지는 구멍(260b)이 설치되고, 비교적 후방에 축(264)이 끼워 맞춰지는 구멍(260a)이 설치되어 있다. 구멍(260a)보다 약간 전방의 하면에는, 폭 방향으로 횡단하는 형상의 오목부(260c)가 설치되고, 오목부(260c)의 하면에는 천장면을 갖는 2개의 구멍(260d)이 설치되어 있다. 2개의 구멍(260d)에는 각각 스프링(268)이 삽입된다. 2개의 구멍(260d)의 각각의 직경은 스프링(268)의 직경보다 약간 크고, 2개의 구멍(260d)의 각각의 깊이는 스프링(268)의 자연 길이보다 얕다. 요동판(260)의 상면 거의 중앙에는, 가로로 긴 플레이트(258)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작은 플레이트(274)가 2개의 나사(275)에 의해서 부착된다.
작은 프레임체(266)는, 전체 길이 중 중앙보다 전방이 위쪽 방향으로 약간 긴 2개의 측판(266a)과, 2개의 측판(266a)의 하부에서의 전방 약 절반의 부분을 연접하는 바닥판(266b)과, 바닥판(266b)의 하면 내측(도 23에서의 앞쪽)에 설치되는 가로톱니 스프로켓(수동 스프로켓)(266c)과, 바닥판(266b)의 하면 외측에 설치되는 가로톱니 스프로켓(수동 스프로켓)(266d)을 갖는다. 2개의 측판(266a)은 서로 평행하게 설정되어 있다. 가로톱니 스프로켓(266c 및 266d)은 서로 평행하게 설정되어 있고, 가로톱니 스프로켓(266c)과 가로톱니 스프로켓(266d)의 폭은, 폭(w)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 폭(w)은, 고리형상 체인(30)과 고리형상 체인(162)의 폭 방향에서의 배치차의 폭(w)(도 11 참조)과 같다. 가로톱니 스프로켓(266d)은 고리형상 체인(30)과 맞물리는 형상이고, 가로톱니 스프로켓(266c)은 고리형상 체인(162)과 맞물리는 형상이다.
2개의 측판(266a)에서의 중앙보다 전방에서, 위쪽 방향으로 약간 긴 개소에는, 2개의 고정 핀(276)이 각각 압입되는 2개의 작은 구멍(266e)이 설치되어 있다. 고정 핀(276)은, 요동판(260)과 작은 프레임체(266)가 조합된 상태로 압입되고, 요동판(260)의 상면을 통해서 2개의 측판(266a)을 연접하도록 설정된다.
구동력 전달부(256)를 조립할 때에는, 우선, 전방축(220) 및 후방축(223)에 각각 상부 롤러(216)와 스페이서(277)를 끼워 맞춘 후, 가로로 긴 플레이트(258)의 구멍(258a, 258b)을 끼워 맞춘다. 볼트(278)를 후방축(223)의 선단에 설치된 나사구멍(223a)에 나사 결합시켜서 고정한다. 볼트(278)의 헤드부는, 구멍(258b) 중 직경이 비교적 큰 부분에 들어가기 때문에, 볼트(278)의 헤드부가 가로로 긴 플레이트(258)의 측면으로 돌출하지 않는다. 이 볼트(278)에는 육각구멍이 있는 볼트 등을 이용하면 된다.
다음에, 요동판(260)의 2개의 구멍(260d)에 스프링(268)를 각각 삽입한 후, 작은 프레임체(266)의 바닥판(266b)을 오목부(260c)에 끼워 넣는다. 이 때, 스프링(268)의 하면이 작은 프레임체(266)의 바닥판(266b)의 상면에 접촉하기 때문에, 스프링(268)을 압축시키면서 작은 프레임체(266)를 요동판(260)에 끼워 넣는다. 작은 프레임체(266)를 요동판(260)에 끼운 후, 스프링(268)을 압축시킨 채로 고정 핀(276)을 작은 구멍(266e)에 통과시켜 압입한다. 고정 핀(276)은, 요동판(260)의 상면을 통해서 2개의 측판(266a)을 연접하도록 설정된다.
이어서, 스프링(268)을 압축시킨 채로, 요동판(260)의 구멍(260a)과 작은 프레임체(266)의 구멍(266f)을 맞추어, 구멍(260a)과 구멍(266f)이 나란히 형성되는 구멍에 축(264)을 끼워 맞춘다. 이 때, 축(264)에는 미리 롤러(270)를 끼워 맞춰 두고, 롤러(270)가 작은 프레임체(266)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한다.
작은 프레임체(266)와 요동판(260)을 끼워 맞추는 힘을 개방하면, 작은 프레임체(266)는, 스프링(268)의 탄성력에 의해서 요동판(260)에 대해서 하방으로 밀어 내려지고, 고정 핀(276)이 요동판(260)의 상면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축(264)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한다.
또한, 나사(275)에 의해서 작은 플레이트(274)를 요동판(260)의 상면에 부착하는 동시에 가로로 긴 플레이트(258)의 구멍(258c)에 스프링(262)을 삽입한 후, 요동판(260)의 구멍(260b)에 전방축(220)을 삽입한다. 작은 플레이트(274)의 하면은, 스프링(262)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가로로 긴 플레이트(258)와 요동판(260)은 비평행하게 되어, 요동판(260)은 후방을 향해서 약간 오르막 경사로 설정된다.
다음에, 볼트(280)를 전방축(220)의 선단에 설치된 나사 구멍(220a)에 나사 결합시켜서 고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구동력 전달부(256)는 조립되고, 베이스 플레이트(210)로부터 연장되는 전방축(220) 및 후방축(223)에 고정된다.
연결 반송차(12)를 반송부(14)에 부착하면, 수평의 반송시에 있어서는, 구동력 전달부(256)는 고리형상 체인(30)과 접촉하지 않고, 따라서 구동력도 받지 않는다. 요컨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롤러(270)가 캠판(56 또는 180)에 의해서 가압되어 있지 않은 경우, 구동력 전달부(256)를 갖는 제4 반송차(206)는, 스스로 가동하지 않고 제3 반송차(204)에 의해서 연결 바(208)를 통해서 견인되게 된다.
다음에, 제1∼제4 반송차(200, 202, 204, 206)의 착탈 기구부(214)에 대해서, 도 16, 및 도 25∼도 3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5에서, 스테이션(26)에서의 지주(1022)들의 사이에는, 에어 실린더(1024, 1024)가 배치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 에어 실린더(1024)는, 연결 반송차(12)에 성형품을 탑재할 때에 구동된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에어 실린더(1024)를 구성하는 로드(1026)의 상단 대직경부(1028)에는, 그 일부를 절결함으로써, 하방을 향함에 따라서, 이 상단 대직경부(1028)의 직경 방향 내측에 지향하여 경사하는 경사부(1030)가 설치되어 있다. 또, 실린더 튜브(1032)의 상단면에는, 돌기부(1034)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에어 실린더(1024)에는, 제1 로크(lock) 기구(1036)가 병설되어 있다. 이 제1 로크 기구(1036)는, 돌출 상단부가 설치된 훅(hook)(1038)과, 상기 로드(1026)의 상단 대직경부(1028)에 설치된 경사부(1030)를 따라서 미끄러져 이동하는 베어링 롤러(1040)를 갖는다.
훅(1038)에는 관통구멍이 설치되고 있고, 이 관통구멍에는, 볼트(1042)가 통과되어 있다. 이 볼트(1042)는, 상기 돌기부(1034)의 나사구멍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또, 볼트(1042)의 몸체부는 스프링(1044)에 통과되어 있고, 이 스프링(1044)의 일단은 훅(1038)에 착석하는 한편, 타단은 볼트(1042)의 헤드부 하단면에 접촉되어 있다.
베어링 롤러(1040)는, 훅(1038)에 부착된 지지 부재(1046)에 회전 가능하게 축이 고정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베어링 롤러(1040)가 경사부(1030)를 따라서 미끄러져 이동함에 따라서, 스프링(1044)의 작용에 의해서 훅(1038)이 비스듬히 이동한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반송차(200)(도 16 참조)는, 베이스 플레이트(210)에 언더 플레이트(1052) 및 업퍼 플레이트(1054)가 연결됨으로써 구성된 본체(1056)를 갖고, 베이스 플레이트(210)는, 메인부(1058)와, 이 메인부(1058)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굴곡된 하부 수평부(1060) 및 상부 수평부(1062)를 갖는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이 대략 L자형상인 상기 걸림 부재(1074)는, 상기 훅(1038)의 상단 돌출부에 지향하여 연장되는 수평 걸림부(1082)와, 이 수평 걸림부(1082)로부터 수직으로 상승된 벽부(1084)를 갖는다. 이 걸림 부재(1074)는, 도시하지 않은 볼트가 언더 플레이트(1052)의 하부 설편(1064)을 관통하여 상기 벽부(1804)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하부 설편(1064)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1 포켓부(1076a) 및 제2 포켓부(1076b)는, 하단부가 예각인 예각판이 4장 경사진 상태로 하부 설편(1064)에 부착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또, 언더 플레이트(1052)의 수평부(1066)에는, 제1 로드(1086)가 통과되어 있다. 이 제1 로드(1086)의 상단부는, 업퍼 플레이트(1054)의 바닥부(1070)를 관통하고 있다. 이 제1 로드(1086)의 몸체부에는 대직경부(1088)가 설치되어 있고, 이 대직경부(1088)보다도 하방의 몸체부에는, 이 몸체부의 일부를 절결함으로써 오목부(1090)가 형성되어 있다.
몸체부에서, 대직경부(1088)보다도 상방은, 스프링(1092)에 의해서 둘러싸여 있다. 즉, 스프링(1092)은, 대직경부(1088)와 바닥부(1070)의 하단면으로 유지되어 있고, 대직경부(1088)를 바닥부(1070)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항상 가압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1 로드(1086)는, 도 16 및 도 26∼도 27에서의 하방으로 항상 가압되어 있다.
언더 플레이트(1052)의 수평부(1066)에는, 제1 클램프 기구(1078a)를 구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1094)가 연결되어 있고, 이 베이스 플레이트(1094)에는, 2개의 클램퍼(1096a, 1096b)가 회동 자유롭게 축이 고정되어 있다. 이 중, 외측에 배치된 클램퍼(1096a)에는 아암 부재(1098)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고, 구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아암 부재(1098)의 타단부는, 상기 제1 로드(1086)의 오목부(1090) 내에 수용되어 있다. 각 클램퍼(1096a, 1096b)는, 갈고리 형상이다.
양 클램퍼(1096a, 1096b)의 기단부에는 톱니형상부(도시하지 않음)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양 톱니형상부들은 서로 맞물려 있다. 한 쪽의 톱니형부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는 경우, 남은 한 쪽의 톱니형부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언더 플레이트(1052)의 수평부(1066)로부터 업퍼 플레이트(1054)의 바닥부(1070)에 걸쳐서는, 대략 중앙부에, 제2 로드(1100)가 통과되어 있다. 이 제2 로드(1100)의 몸체부에도 대직경부(1102)가 설치되고 있고, 이 대직경부(1102)에는, 그 일부를 절결함으로써 오목부(110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로드(1086) 및 제2 로드(1100)의 하단부는, 에어 실린더(1024)를 구성하는 상기 로드(1026)의 상단 대직경부(1028)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제1 홀드 기구(1080a)는, 외측 가동판(1106) 및 내측 가동판(1108)을 갖는다. 이들 외측 가동판(1106) 및 내측 가동판(1108)에는, 볼트(1110, 1112)에 의해서 가압 로드(1114, 1116)가 각각 고정되어 있고,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가압 로드(1114, 1116)에는 톱니부(1117a, 1117b)가 설치되어 있다. 이 톱니부(1117a, 1117b)는, 피니언(1118)에 맞물려 있다. 즉, 가압 로드(1114, 1116)는, 래크·피니언 기구(1119)를 통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고, 이 래크·피니언 기구(1119)의 작용에 의해서 서로 연동한다. 이것에 추종하여, 외측 가동판(1106), 내측 가동판(1108)이 서로 접근 또는 이간 동작한다.
외측 가동판(1106) 및 내측 가동판(1108)에는, 관통구멍(1120, 1122)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도 26 참조). 외측 가동판(1106), 내측 가동판(1108)이 서로 가장 접근한 위치가 될 때, 가압 로드(1114)가 내측 가동판(1108)의 관통구멍(1122)으로부터 돌출되는 동시에, 가압 로드(1116)가 외측 가동판(1106)의 관통구멍(1120)으로부터 돌출된다.
또한, 내측 가동판(1108)에는, 절삭부(1124)가 설치되어 있다. 또, 본체(1056)를 구성하는 업퍼 플레이트(1054)의 전부(前部) 수직 단부(1073)에는, 커넥팅 로드(1)의 제2 단부(5)에 접촉 지지하여 상기 제2 단부(5)를 위치 결정하는 제2 단부 위치 결정 부재(1126)가 설치되어 있다.
제2 클램프 기구(1078b)는 제1 클램프 기구(1078a)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2 홀드 기구(1080b)는 제1 홀드 기구(1080a)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2 클램프 기구(1078b)에 대해서, 제1 클램프 기구(1078a)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2 로드(1100)의 오목부(1104)에는, 대략 L자형상의 제1 L자형 아암 부재(1128a) 및 제2 L자형 아암 부재(1128b)의 일단부가 수용 유지되어 있다. 이들 제1 L자형 아암 부재(1128a) 및 제2 L자형 아암 부재(1128b)의 각 굴곡부는 핀(1129a, 1129b)으로 회동 자유롭게 축이 고정되어 있고, 따라서, 상기 제1 L자형 아암 부재(1128a) 및 제2 L자형 아암 부재(1128b)는, 굴곡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다.
제1 L자형 아암 부재(1128a)의 타단부는, 제1 홀드 기구(1080a)의 가압 로드(1114)의 내측 단부에 접촉되어 있고, 한편, 제2 L자형 아암 부재(1128b)의 타단부는, 제2 홀드 기구(1080b)의 가압 로드(1114)의 내측 단부에 접촉되어 있다.
또, 도 26 및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외측 가동판(1106, 1106)에는, 도시하지 않은 핀에 의해서 각 내측 가동판(1108, 1108)에 고정된 가이드 바(1130a)가 통과되어 있다. 그리고, 각 내측 가동판(1108, 1108)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핀의 헤드부에는 커버 부재(1132, 1132)가 각각 끼워져 장착되어 있고, 이들의 커버 부재(1132, 1132)는 스프링(1134)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이 스프링(1134)의 각 단부는, 양 내측 가동판(1108, 1108)에 각각 접촉되어 있다. 한편, 각 내측 가동판(1108, 1108)에는, 핀(1137)(도 26 참조)에 의해서 각 외측 가동판(1106, 1106)에 고정된 가이드 바(1130b)가 통과된다.
다음에, 연결 반송차(12)를 스테이션(26)에서 정지시키는 정지 기구(2010)에 대해서, 도 32∼도 3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2∼도 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정지 기구(2010)는, 연결 반송차(12)에 설치된 상기 상부 롤러(232) 외에, 제1 아암 부재(2100) 및 제2 아암 부재(2102)와, 탄성 부재로서의 스프링(2104)과, 변위 기구로서의 에어 실린더(2106)와, 제2 로크 기구(2108)를 갖고, 제1 아암 부재(2100)와 제2 아암 부재(2102)가 소정 간격으로 이간함으로써, 양 아암 부재(2100, 2102)의 사이에 상기 상부 롤러(232)가 진입하는 진입로(211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반송차(200)에 설치된 상기 스토퍼(238)는, 상기 제2 로크 기구(2108)를 구성한다. 상기 제2 로크 기구(2108)는, 상기의 제1 로크 기구(1036)(도 30 참조)와는 구성이 다르다.
이하, 귀로측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또, 설명의 편의상, 왕로용 및 귀로용의 각 레일(28)을 각각 레일(28a) 및 레일(28b)로 나타내어 구별한다.
제1 아암 부재(2100) 및 제2 아암 부재(2102)는, 왕로용의 레일(28a) 및 귀로용의 레일(28b)에 연결된 제1 지지판(2112) 및 제2 지지판(2114)의 수평부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양 지지판(2112, 2114)은, 레일(28a)로부터 귀로용의 레일(28a)에 걸쳐진 중간판(2116)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아암 부재(2100) 및 제2 아암 부재(2102)의 일단부는, 볼트(2118a, 2118b)를 통해서 제1 지지판(2112)의 수평부에 축이 고정되어 있다(도 34 참조). 한편, 제2 지지판(2114)의 수평부에는 긴 구멍(2119a, 2119b)이 설치되어 있고, 이 긴 구멍(2119a, 2119b)을 통과된 볼트(2120a, 2120b)는, 제1 아암 부재(2100) 및 제2 아암 부재(2102)의 몸체부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도 3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아암 부재(2100)의 몸체부에서, 제2 아암 부재(2102)를 향한 면에는 오목부(2122)가 형성되어 있고, 동일하게, 제2 아암 부재(2102)의 몸체부에서의 제1 아암 부재(2100)를 향한 면에도 오목부(2124)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제1 아암 부재(2100) 및 제2 아암 부재(2102)의 선단부들의 간격은, 상부 롤러(232)의 직경에 비해서 작게 설정되어 있다.
제1 아암 부재(2100)와 제2 아암 부재(2102)가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상부 롤러(232)가 진입을 개시하는 폭협부(2126)와, 이 폭협부(2126)에 비해서 폭이 넓은 폭광부(2128)가 진입로(2110)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부 롤러(232)를 지지하는 지지부(2130)가 제1 아암 부재(2100) 및 제2 아암 부재(2102)의 선단부에 설치된다. 또한, 제1 아암 부재(2100)의 선단부에는, 제2 아암 부재(2102)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지향하여 설편(2132)이 돌출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1 아암 부재(2100)와 제2 아암 부재(2102)가 가장 접근한 위치에 있는 경우, 폭협부(2126)의 간격은, 상부 롤러(232)의 진행 방향을 따라서 서서히 협소화하고 있다. 그리고, 폭협부(2126)의 대략 중앙부에서는, 이 폭협부(2126)의 간격은, 상부 롤러(232)의 직경에 비해서 작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 때, 폭광부(2128)의 간격은, 상부 롤러(232)의 직경과 대략 동등하다.
제1 아암 부재(2100) 및 제2 아암 부재(2102)의 각 몸체부에서, 제1 지지판(2112)과 제2 지지판(2114)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위에는, 제1 스토퍼 기둥형상 부재(2134) 및 제2 스토퍼 기둥형상 부재(2136)가 각각 접합되어 있다. 이 중, 제1 스토퍼 기둥형상 부재(2134)에 설치된 볼트 구멍에는, 스토퍼 볼트(2138)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스프링(2104)의 각 단부는, 상기 볼트(2120a, 2120b)에 각각 걸려져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아암 부재(2100)와 제2 아암 부재(2102)는, 스프링(2104)이 수축되는 방향, 요컨대, 상기 볼트(2118a, 2118b)를 지지점으로 하여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항상 가압된다. 또한, 제1 스토퍼 기둥형상 부재(2134)와 제2 스토퍼 기둥형상 부재(2136)의 이간 거리, 즉, 진입로(2110)의 간격은, 스토퍼 볼트(2138)의 헤드부 선단면이 제2 스토퍼 기둥형상 부재(2136)에 접촉됨으로써 확보된다.
에어 실린더(2106)의 실린더 튜브(2140)는, 볼트(2141)를 통해서 상기 설편(2132) 상에 위치 결정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 에어 실린더(2106)의 피스톤 로드(2142)의 선단면은, 볼트(2143)를 통해서 제2 아암 부재(2102)의 선단부에 위치 결정 고정된 피스톤 로드 베어링 부재(2144)의 일측면에 접촉되어 있다.
상기 제2 로크 기구(2108)는, 연결 반송차(12)에 설치된 상기 스토퍼(238)(도 34 참조)의 외에, 레일(28a)(도 32 참조)에 부착된 실린더(2150)(도 34 참조)와, 훅(2152)과, 이 훅(2152)을 지지하는 훅 지지 부재(2154)를 갖는다. 이 중, 실린더(2150)의 피스톤 로드(2156)에는 사각기둥형상의 기둥형상 부재(2158)가 연결되어 있고, 이 기둥형상 부재(2158)의 선단부에는, 절결홈(2160)이 설치되어 있다. 또, 기둥형상 부재(2158)에는, 절결홈(2160)에 연통되는 긴 구멍(216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결홈(2160)에 삽입된 훅(2152)의 일단부는, 긴 구멍(2162)에 삽입된 축 부재(2164)에 의해서 기둥형상 부재(2158)에 연결되어 있다. 또, 이 훅(2152)의 몸체부는, 훅 지지 부재(2154)의 길이방향 측벽부에 설치된 절결홈(2166) 내에 삽입되고, 또한 연결축(2168)에 의해서 훅 지지 부재(2154)에 연결되어 있다.
이 훅(2152)은, 피스톤 로드(2156)의 진퇴 동작에 따라 비스듬히 이동하여, 제1 반송차(200)에 설치된 상기 스토퍼(238)에 걸려진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되는 반송 시스템(10)에서의 각 부의 동작, 작용에 대해서 순서대로 설명한다. 우선, 연결 반송차(12)가 수평 반송부(16a)로부터 수평 반송부(16b)로 이동되는 순서에 대해서 도 2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수평 반송부(16)의 모터(32) 및 경사 반송부(18)의 모터(164)는, 소정 속도로 회전하고 있고, 이들의 모터(32) 및 모터(164)의 작용에 의해서, 고리형상 체인(30)은 고리형상으로 구동된다. 중심선(C)(도 2 참조)의 위치에서 본 경우, 고리형상 체인(30) 및 고리형상 체인(162)은 시계 방향으로 고리형상으로 구동된다.
연결 반송차(12)가 수평 반송부(16a)에 존재할 때, 연결 반송차(12) 중 제1∼제3 반송차(200, 202, 204)가 갖는 체인 가압판(242)의 하면은, 스프링(244)에 의해서 체인 롤러(30a)를 가압하고 있다(도 16 참조). 고리형상 체인(30)의 체인 롤러(30a)는, 수평부 상부 가이드(40)의 상면을 굴러가기 때문에, 체인 가압판(242)은, 롤러의 원리에 의해서 수평 방향으로 반송된다. 결과적으로, 제1∼제3 반송차(200, 202, 204)는 화살표 B방향으로 반송되고, 연결 바(208)에 의해서 제3 반송차(204)에 연결된 제4 반송차(206)는 견인된다.
이 때, 체인 가압판(242)은, 고리형상 체인(30)의 피치, 요컨대, 체인 롤러(30a) 사이의 상호 거리와 비교하여 충분히 길기 때문에, 체인 가압판(242)의 하면은, 항상 복수의 체인 롤러(30a)와 접하고 있고, 체인 롤러(30a)와 동기하는 진동이 발생하기 어렵다. 또, 체인 가압판(242)의 하면은 반송 방향의 전단부가 원호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체인 롤러(30a)는, 체인 가압판(242)과 수평부 상부 가이드(40)의 간극에 대해서 매끄럽게 도입된다.
다음에, 연결 반송차(12)의 선두부, 요컨대 제1 반송차(200)가 수평 반송부(16a)의 단부까지 반송되어, 고리형상 체인(30)으로부터 이간된다. 이 때, 제2 반송차(202) 및 제3 반송차(204)의 체인 가압판(242)은, 고리형상 체인(30)과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연결 반송차(12)는 반송이 계속된다.
제1 반송차(200)는, 레일(28)을 따라서 반송이 계속되고, 수평 반송부(16a)로부터 수평 반송부(16b)로 이동한다. 이 때, 수평 반송부(16a 및 16b)의 각각의 레일(28)의 접합 부분은, 상면이 단차나 간극이 없는 매끄러운 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반송차(200)는 매끄럽게 통과할 수 있고, 또한 연결 반송차(12)의 반송 속도가 저하하지 않는다.
이어서, 제2 반송차(202)가 수평 반송부(16a)로부터 수평 반송부(16b)로 이동한다. 이 때, 체인 가압판(242)을 갖는 반송차 중 최후미의 제4 반송차(206)가 수평 반송부(16a)의 단부에 도달하고, 고리형상 체인(30)으로부터 이간한다. 따라서, 제3 반송차(206)에 대해서, 수평 반송부(16a)로부터 힘이 공급되지 않지만, 이 때, 제1 반송차(200) 및 제2 반송차(202)의 체인 가압판(242)은, 수평 반송부(16b)의 고리형상 체인(30)과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연결 반송차(12)는 반송이 계속된다.
이 후, 제3 반송차(204) 및 제4 반송차(206)도 수평 반송부(16b)로 이동되어, 수평 반송부(16b) 상을 연결 반송차(12)가 반송된다.
연결 반송차(12)가 화살표 B방향으로 반송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연결 반송차(12)가 화살표 A방향(도 2 참조)으로 반송되는 경우도 동일하다. 요컨대, 도 24에서, 연결 반송차(12)의 방향, 및 고리형상 체인(30)의 회전 방향이 각각 반대라고 하면, 화살표 B방향으로의 반송과 동일하게, 연결 반송차(12)가 화살표 A방향으로 매끄럽게 반송되는 것이 이해된다.
또한, 연결 반송차(12)가 수평 반송부(16a)로부터 수평 반송부(16b)로 이동될 때, 워크의 착탈이나 수수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은 물론이다.
다음에, 연결 반송차(12)가, 2개의 수평 반송부(16)의 사이에 배치된 경사 반송부(18)를 통과하는 순서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연결 반송차(12)의 선두부, 요컨대 제1 반송차(200)가 경사 반송부(18)에 접근하면, 제4 반송차(206)의 롤러(270)는, 캠판(56)의 단부 하면인 경사면(56a)에 접촉한다. 롤러(270)는, 연결 반송차(12)의 반송에 따라 경사면(56a)을 따라서 밀어 내려져, 평행면(56b)에 도달하여 밀어 내려진 양이 일정하게 유지된다(도 12 참조).
롤러(270)는, 캠판(56)으로부터 가압력을 받음으로써, 구동력 전달부(256)(도 13 참조)의 스프링(262)을 압축하게 되어, 요동판(260)을 전방축(220)을 중심으로 요동 회전시켜서 밀어 내린다.
요동판(260)이 밀어 내려짐으로써, 작은 프레임체(266)도 동시에 밀어 내려지고, 작은 프레임체(266)의 하면에 설치된 가로톱니 스프로켓(266d)이 고리형상 체인(30)에 맞물린다.
그런데 이 때, 가로톱니 스프로켓(266d)과 고리형상 체인(30)의 톱니의 위상이 일치하고 있다고는 한정하지 않는다. 가로톱니 스프로켓(266d)과 고리형상 체인(30)의 톱니의 위상이 불일치한 경우, 가로톱니 스프로켓(266d)은, 고리형상 체인(30)에 대해서 거의 수직으로 접근하기 때문에, 가로톱니 스프로켓(266d)의 톱니의 정상부가 고리형상 체인(30)의 체인 롤러(30a) 상에 실리게 된다. 이 경우, 스프링(268)이 압축되기 때문에, 가로톱니 스프로켓(266d)의 톱니가 체인 롤러(30a)를 무리하게 가압하지 않고, 가로톱니 스프로켓(266d), 체인 롤러(30a) 및 캠판(56) 등이 파손되지 않는다.
작은 프레임체(266)가 밀어 내려진 당초, 가로톱니 스프로켓(266d)과 고리형상 체인(30)의 톱니의 위상이 불일치하고 가로톱니 스프로켓(266d)이 체인 롤러(30a)의 위에 실린 경우에는, 그 후, 연결 반송차(12)의 반송에 따라 자연적으로 위상이 일치하여 가로톱니 스프로켓(266d)이 고리형상 체인(30)에 맞물린다.
이어서, 제1 반송차(200)는, 구동 스프로켓(36)의 옆을 통과하여, 제1 반송차(200)의 체인 가압판(242)은 고리형상 체인(30)으로부터 이간된다. 따라서, 제1 반송차(200)는 구동력을 받지 않게 되어, 연결 바(208)에 의해서 제2 반송차(202)로부터 밀어 내어져 반송을 계속한다. 이 후, 제2 반송차(202) 및 제3 반송차(204)도 순차적으로, 고리형상 체인(30)으로부터 이간되어, 제4 반송차(206)에 의해서 밀어 내어진다.
이 시점에서, 제4 반송차(206)의 가로톱니 스프로켓(266d)은 고리형상 체인(30)과 맞물려 있기 때문에, 제4 반송차(206)는 고리형상 체인(30)으로부터 구동력을 받아, 제1∼제3 반송차(200, 202, 204)를 밀어 내어 반송한다.
제1∼제3 반송차(200, 202, 204)는, 경사 도입부(160a)를 따라서 상승을 개시한다. 이 때, 연결 반송차(12)는, 자중에 역행하게 되지만, 제4 반송차(206)의 가로톱니 스프로켓(266d)과 고리형상 체인(30)이 맞물림으로써, 연결 반송차(12)는 확실하게 경사 도입부(160a)를 상승할 수 있다. 또, 이 때, 제1∼제4 반송차(200, 202, 204, 206)는 각각 상하로 요동 가능한 조인트(230)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 반송차(12)는 경사 도입부(160a)를 따라서 매끄럽게 반송된다.
또한, 제1 반송차(200)는, 경사 도입부(160a)로부터 일정 경사부(160c)로 이동한다. 이 때, 종동 스프로켓(172)의 송출부(172a)(도 3 참조)는, 레일(160)의 상면보다 약간 하면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제1 반송차(200)의 가로톱니 스프로켓(246)은, 고리형상 체인(162)에 대해서 비스듬히 접근하여 맞물린다. 가로톱니 스프로켓(246)은, 고리형상 체인(162)에 비스듬히 접근하기 때문에, 서로의 위상은 자동적으로 정합하여, 가로톱니 스프로켓(246)과 고리형상 체인(162)은 확실하게 맞물릴 수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로톱니 스프로켓(246)과 고리형상 체인(162)이 맞물릴 때(또는 그 단시간 후), 제4 반송차(206)의 롤러(270)는, 캠판(56)의 단부를 통과하고, 롤러(270)는 캠판(56)으로부터 이간된다. 롤러(270), 요동판(260) 및 작은 프레임체(266)는 캠판(56)으로부터 받고 있었던 가압력으로부터 개방되어, 스프링(262)의 가압력에 의해서 상방으로 복귀한다. 이것에 의해, 가로톱니 스프로켓(266d)은 고리형상 체인(30)으로부터 이간된다.
가로톱니 스프로켓(266d)과 고리형상 체인(30)이 이간된 후, 가로톱니 스프로켓(246)이 고리형상 체인(162)에 의해서 끌어 올려진다. 따라서, 제2∼제4 반송차(202, 204, 206)는 제1 반송차(200)에 의해서 견인된다.
이 때, 연결 반송차(12)는 상부 롤러(216) 및 하부 롤러(218)에 의해서 레일(160)에 확실하게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일정 경사부(160c)가 급경사이어도 연결 반송차(12)의 반송이 가능하다. 요컨대, 가로톱니 스프로켓(246), 고리형상 체인(162), 연결 바(208) 등이 충분한 강도를 갖는 동시에 모터(164)가 충분한 구동력을 갖는 경우, 일정 경사부(160c)를 수평면에 대해서 직각인 방향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후, 연결 반송차(12)는, 오르막 경사의 일정 경사부(160c) 및 중앙부(160b)를 통해서, 내리막 경사의 일정 경사부(160d)로 들어간다. 내리막 경사의 일정 경사부(160d)에서는, 가로톱니 스프로켓(246)과 고리형상 체인(162)이 맞물려 있기 때문에, 연결 반송차(12)의 자중에 의한 미끄러 떨어짐이 방지된다.
다음에, 제1 반송차(200)가 내리막 경사의 일정 경사부(160d)와 경사 도입부(160e)의 접합부, 요컨대, 경사부 상부 가이드(174)의 단부에 도달하기 이전에, 제4 반송차(206)의 롤러(270)는, 캠판(180)의 단부, 요컨대 경사면(180a)에 접촉한다.
연결 반송차(12)의 진행에 따라, 롤러(270)는, 캠판(180)의 경사면(180a) 및 평행면(180b)에 의해서 밀어 내려진다. 이 때의 동작은, 전술한 동작, 요컨대 롤러(270)가 캠판(56)에 의해서 밀어 내려지는 동작과 동일하다. 롤러(270)가 밀어 내려지면, 가로톱니 스프로켓(266c)은, 고리형상 체인(162)과 맞물린다. 이 때, 가로톱니 스프로켓(266c)과 고리형상 체인(162)의 위상이 불일치한 경우, 스프링(268)이 압축되기 때문에, 가로톱니 스프로켓(266c)의 톱니가 체인 롤러(162a)(도 5 참조)를 무리하게 가압하지 않고, 가로톱니 스프로켓(266c), 체인 롤러(162a) 및 캠판(180) 등이 파손되지 않는다. 이 경우, 연결 반송차(12)의 반송에 따라 자연적으로 위상이 일치한 가로톱니 스프로켓(266c)이 고리형상 체인(162)에 맞물린다.
이어서, 제1 반송차(200)는, 구동 스프로켓(170)의 옆을 통과하여, 내리막 경사의 경사 도입부(160e)의 개소로 들어간다. 이 때, 제1 반송차(200)의 가로톱니 스프로켓(246)은 고리형상 체인(162)으로부터 이간된다. 이 때, 제4 반송차(206)의 가로톱니 스프로켓(266c)이 고리형상 체인(162)과 맞물려 있기 때문에, 연결 반송차(12)의 미끄러 떨어짐이 방지된다.
또한, 모터(164)의 기어 감속부(도시하지 않음)에, 일방향 클러치를 설치함으로써, 불의의 전원 차단시에도 연결 반송차(12)의 미끄러 떨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 반송차(12)는, 경사 반송부(18)를 빠져나와, 그 전에 접속되는 수평 반송부(16)로 진입한다. 이 수평 반송부(16)에서, 제1 반송차(200)는, 수평부 상부 가이드(40)의 개소로 들어가고, 고리형상 체인(30)의 체인 롤러(30a)(도 5 참조)는, 수평부 상부 가이드(40)와 제1 반송차(200)의 체인 가압판(242)에 의해서 사이에 끼워진다. 체인 가압판(242)의 하면 전방은 원호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고리형상 체인(30)이 매끄럽게 도입된다. 이 후, 제1 반송차(200)는, 고리형상 체인(30)으로부터 힘을 받아 반송된다. 이윽고, 제2 반송차(202)의 체인 가압판(242)도 수평부 상부 가이드(40)에 도달하고, 제2 반송차(202)도 고리형상 체인(30)에 의해서 반송의 힘을 받는다.
다음에, 제4 반송차(206)의 롤러(270)는, 캠판(180)의 단부를 통과하고, 롤러(270)는 캠판(180)으로부터 이간된다. 롤러(270), 요동판(260) 및 작은 프레임체(266)는 캠판(180)으로부터 받고 있었던 가압력으로부터 개방되어, 스프링(262)(도 11 참조)의 가압력에 의해서 상방으로 복귀된다. 이것에 의해, 가로톱니 스프로켓(266c)은 고리형상 체인(162)로부터 이간된다. 제4 반송차(206)는, 자중에 의해서 미끄러 떨어지려고 하지만, 이 때, 적어도 제1 반송차(200)의 체인 가압판(242)이 고리형상 체인(30)을 가압하고 있기 때문에, 이 마찰력에 의해서 연결 반송차(12)가 지지된다. 따라서, 연결 반송차(12)는 불필요하게 증속되지 않는다.
이 후, 연결 반송차(12)는 제4 반송차(206)까지 포함시켜, 모두가 수평 반송부(16)로 들어가고, 연결 반송차(12)는, 제1∼제3 반송차(200, 202, 204)의 체인 가압판(242)으로부터 받는 힘에 의해서 반송을 계속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반송 시스템(10)에 의하면, 경사부 상부 가이드(174)에 지지된 고리형상 체인(162)에 제1 반송차(200)의 가로톱니 스프로켓(246)을 맞물리게 함으로써, 수평 반송부(16)와 경사 반송부(18)의 사이를 연결 반송차(12)가 연속적으로 통과하는 것이 가능하다. 수평 반송부(16)와 경사 반송부(18)의 사이에서, 워크의 착탈 처리 등은 불필요하다. 또, 이 때, 제4 반송차(206)의 가로톱니 스프로켓(266d)을 고리형상 체인(30)에 맞물리게 하면서 반송함으로써, 연결 반송차(12)의 전방부를 경사 반송부(18)의 오르막 경사부로 확실하게 밀어 올릴 수 있다.
경사 반송부(18)에서의 내리막 경사부에서, 가로톱니 스프로켓(246)이 고리형상 체인(162)으로부터 이간된 후에도, 제4 반송차(206)의 가로톱니 스프로켓(266c)이 고리형상 체인(162)에 맞물려 있기 때문에, 연결 반송차(12)가 미끄러 떨어지지 않는다.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경사 반송부(18)에서의 레일(160)은, 중앙부가 위로 볼록한 원호형상으로서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중앙부에 수평의 구간을 설치해도 된다. 경사 반송부(18)는, 오르막 경사나 내리막 경사 중 어느 하나의 경사만의 형상, 또는 이들의 경사와 수평부를 조합한 형상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반송 시스템(10)에 의하면, 수평 반송부(16a)에서, 제3 반송차(204)가 고리형상 체인(30)의 이동 범위의 종단에까지 도달하였을 때, 적어도 제1 반송차(200)의 체인 가압판(242)은, 인접하는 수평 반송부(16b)에 중계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 반송차(12)는 연속적으로 반송된다.
또, 연결 반송차(12)가, 수평 반송부(16)로부터 경사 반송부(18)로 이동할 때에는, 제4 반송차(206)의 가로톱니 스프로켓(266d)이 고리형상 체인(30)에 맞물림으로써 밀어 내어지고, 제1 반송차(200)의 가로톱니 스프로켓(246)이 고리형상 체인(162)에 맞물림으로써 반송이 계속된다.
또한, 연결 반송차(12)가 경사 반송부(18)로부터 수평 반송부(16)로 이동할 때에는, 제4 반송차(206)의 가로톱니 스프로켓(266c)이 고리형상 체인(162)에 맞물림으로써 미끄러 떨어짐이 방지되는 동시에, 제1 반송차(200)의 체인 가압판(242)이 고리형상 체인(30)에 접촉함으로써 반송이 계속된다.
또, 상부 롤러(216)와 하부 롤러(218)가 레일(28 또는 160)의 단면을 따라서 회전하기 때문에, 연결 반송차(12)는 안정적이며 연속적으로 반송된다.
또, 수평 반송부(16), 경사 반송부(18)는 유닛마다 분할 가능하기 때문에, 가공 기계의 레이아웃에 따라서 수평 반송부(16), 경사 반송부(18)의 수를 증감하여 반송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수평 반송부(16), 경사 반송부(18) 및 방향 반전부(20)는, 각각 유닛으로서 분할 및 접속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 및 관리상에서 편리한 동시에, 고장시 등에 있어서의 유닛마다의 교환이 용이하다.
또한, 유닛을 제조하는 공장 내에서의 조립 및 품질 관리가 가능해져, 가동 테스트 후의 출하가 되기 때문에, 유닛을 부착하는 현장에서의 부착 공사의 시간 단축이 가능하다.
수평 반송부(16)의 상호간에서의 접속 및 분리는, 연결판(120), 지주(22) 및 볼트(61)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이 때, 모터, 수평 반송 고리형상 체인 등을 분리하거나, 가공 등의 처리는 불필요하다. 또, 수평 반송부(16), 경사 반송부(18) 및 방향 반전부(20)의 각각의 상호 접속 및 분리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행할 수 있다. 수평 반송부(16)의 길이는, 예를 들면, 2m 정도로 하면 적합하다.
수평 반송부(16)는, 평행하게 설정되는 2개의 레일(28)(요컨대, 레일(28a, 28b))과, 각각의 레일(28)에 대응하는 2개의 고리형상 체인(30, 33)을 구비하고 있고, 이들의 2개의 고리형상 체인(30, 33)은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연결 반송차(12)를 순방향 및 역방향의 2방향으로 반송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순방향(왕로 방향)으로 워크의 반송을 종료한 연결 반송차(12)는, 역방향(귀로 방향)으로 되돌아가는 경우가 많지만, 수평 반송부(16)에서는, 1개의 유닛으로 순방향 및 역방향의 반송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스페이스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경사 반송부(18)에서도 동일하게, 순방향 및 역방향의 반송을 행할 수 있다.
레일(28 및 160)은, 반송 방향으로 장척인 판형상이고, 연결 반송차(12)는, 레일(28 및 160)의 옆쪽을 이동하는 동시에, 레일(28 및 160)의 반대측에 워크를 적재하기 때문에, 스테이션(26) 등에 있어서, 워크를 측면으로부터 착탈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복수의 수평 반송부(16)에서의 각 모터(32)는, 각각 동일 속도로 회전하고 있는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각 모터(32)는 각각 다른 속도로 회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연결 반송차(12)의 체인 가압판(242)과 체인 롤러(30a)가 다소 슬리핑(slipping)하면서 수평 반송부(16)들의 접속 개소를 통과할 수 있다.
또한, 경사 반송부(18)는 위로 볼록한 산형이기 때문에, 경사 반송부(18)의 중앙 하부에는 공간이 설치되고, 사람 또는 포크리프트 등이 통과 가능하다.
다음에, 모터(32)에 의해서 고리형상 체인(30 및 33)이 순환 회전하는 작용에 대해서 도 5,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수평 반송부(16)의 모터(32)는 소정 속도로 회전하고 있고, 이 구동력은 커플링(96) 및 연장축(92)(도 6 참조)을 통해서 구동 베벨 기어(94)에 전달된다. 구동 베벨 기어(94)는 상면에서 볼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 종동 베벨 기어(72) 및 제2 종동 베벨 기어(74)는 각각 구동 베벨 기어(94)에 맞물려 있고, 구동 베벨 기어(94)의 회전이 전달되어 종동 회전한다. 제1 종동 베벨 기어(72)는 상부가 도 5의 화살표 B방향으로 밀어 내어지고, 제2 종동 베벨 기어(74)는 상부가 도 5의 화살표 A방향으로 밀어 내어진다. 결과적으로, 제1 종동 베벨 기어(72)는 도 7에서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종동 베벨 기어(74)는 도 7에서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 종동 베벨 기어(72)는, 제1 회전축(68)을 축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제1 회전축(68)에 고정된 제1 구동 스프로켓(36)도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고리형상 체인(30)을 상방에서 당겨, 하방으로부터 송출한다. 따라서, 고리형상 체인(30)은, 수평부 상부 가이드(40)의 위를 도 7에서의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한다.
또, 제2 종동 베벨 기어(74)는, 제2 회전축(70)을 축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제2 회전축(70)에 고정된 제2 구동 스프로켓(37)도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체인(33)을 하방에서 당겨, 상방으로부터 송출한다. 따라서, 체인(33)은, 수평부 상부 가이드(40)의 위를 도 7에서의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 회전축(68)은 양단을 베어링(78)과 베어링(제1 내측 베어링)(67a)에 의해서 축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또한 매끄럽게 회전할 수 있는 동시에 큰 부하에 견딜 수 있다. 동일하게, 제2 회전축(70)은 양단을 베어링(79)과 베어링(제2 내측 베어링)(67b)에 의해서 축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또한 매끄럽게 회전할 수 있는 동시에 큰 부하에 견딜 수 있다.
또, 베어링(67a 및 67b)은, 베어링 박스(66)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취급하기 쉽고, 또한 제1 종동 베벨 기어(72)와 제2 종동 베벨 기어(74)의 사이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베어링(78 및 79)은, 고정 부재(80)를 이용하여 레일(28)의 외측으로부터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제1 구동 스프로켓(36)과 제2 구동 스프로켓(37)의 사이에는, 제1 종동 베벨 기어(72), 제2 종동 베벨 기어(74), 베어링 박스(66) 및 구동 베벨 기어(94)가 존재할 뿐이며, 제1 구동 스프로켓(36)과 제2 구동 스프로켓(37)의 간격을 작게 설정할 수 있다. 요컨대, 고리형상 체인(30)과 체인(33)의 간격이 작아져, 수평 반송부(16)의 폭을 좁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회전축(68)과 제2 회전축(70)은 축심이 동일 축 상에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1 구동 스프로켓(36)과 제2 구동 스프로켓(37)에 대해서도 축심이 동일 축 상에 설정된다. 한편, 대응하는 2개의 종동 스프로켓(38)(도 7 참조)도 공통의 지지축(108)에 축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고리형상 체인(30)과 체인(33)은, 반송 거리가 같고, 또한 좌우 대조의 배치가 된다. 이와 같은 배치에 의해, 수평 반송부(16)를 1개의 유닛으로서 구성하기 쉽고, 또, 수평 반송부(16)들의 접합 및 분리가 용이하다.
구동 베벨 기어(94) 및 모터(32)는, 제1 회전축(68) 및 제2 회전축(70)의 축심과 직교하는 선 상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 회전축(68) 및 제2 회전축(70)의 치수를 자유롭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이와 같은 배치에 의해 모터(32)가 제1 회전축(68) 및 제2 회전축(70)의 축심 방향으로 돌출하지 않고, 레일(28)의 측면을 연결 반송차(12)가 통과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모터(32)의 작용에 의해서 회전하는 구동 베벨 기어(94)와, 이 구동 베벨 기어(94)의 회전이 전달되어 회전하는 제1 종동 베벨 기어(72) 및 제2 종동 베벨 기어(74)를 구비하고 있고, 제1 종동 베벨 기어(72)와 제2 종동 베벨 기어(74)를 각각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종동 베벨 기어(72)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제1 구동 스프로켓(36) 및 제2 종동 베벨 기어(74)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제2 구동 스프로켓(37)에 의해서 고리형상 체인(30 및 33)을 수평부 상부 가이드(40) 상에서 각각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고리형상 체인(30 및 33)에 의해서 연결 반송차(12)를 순방향과 역방향의 2방향으로 반송할 수 있다.
또, 연결 반송차(12)는 한 쌍의 레일(28 또는 160)의 외측 측방을 반송되기 때문에, 연직 방향으로 장해물이 없다. 따라서, 커넥팅 로드(1) 등의 장척의 워크를 반송하는 경우, 이 워크를 기립시킨 상태로 반송할 수 있고, 워크가 반송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 돌출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비교적 장척인 워크를 반송할 수 있다.
또, 구동 베벨 기어(94)의 배치 개소는, 제1 종동 베벨 기어(72) 및 제2 종동 베벨 기어(74)의 상부에 한정되지 않고, 측방 또는 하방으로 설정해도 된다. 구동 베벨 기어(94), 제1 종동 베벨 기어(72) 및 제2 종동 베벨 기어(74)는, 스파이럴 베벨 기어, 헬리컬 베벨 기어 등 임의의 베벨 기어이어도 된다. 제1 종동 베벨 기어(72) 및 제2 종동 베벨 기어(74)는, 구동 베벨 기어(94)의 회전 방향을 변환하는 구성이면 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페이스 기어 또는 크라운 기어 등을 이용해도 된다.
각 베어링류는, 롤링 베어링에 한정되지 않고 플레인 베어링을 이용해도 된다.
다음에, 방향 반전부(20)의 작용에 대해서 도 12∼도 1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 도 12,도 15에서의 화살표 A방향으로 주행해 온 연결 반송차(12)가, 방향 반전부(20)에 의해서 화살표 B방향으로 반전하는 경우를 예로 한다.
모터(32b) 및 구동 스프로켓(36b)의 작용에 의해서 왕로 체인(330) 및 귀로 체인(332)이 둘레 회전 동작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방향 반전부(20)의 왕로 체인(330) 및 귀로 체인(332)은 둘레 회전 동작하고 있다.
또한, 왕로 체인(330)이 방향 반전부(20)(도 12 참조)에 배치된 반전부 제1 종동 스프로켓(392)에 감겨져 있기 때문에, 이 반전부 제1 종동 스프로켓(392), 반전부 제2 종동 스프로켓(394), 회전축(404)도 회전 동작하고 있고, 이것에 따라서 회전 동작하는 작은 스프로켓(396) 및 큰 스프로켓(398)에 걸쳐진 체인(400)의 작용에 의해서, 회전축(370), 제1 디스크 부재(374) 및 제2 디스크 부재(376)도 회전 동작하고 있다. 즉, 보조 주행 기구(390)도 가동 상태에 있고, 또한 제1 디스크 부재(374) 및 제2 디스크 부재(376)는, 연결 반송차(12)가 방향 반전부(20)에 도달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상관없이, 회전 동작을 항상 계속하여 행하고 있다.
연결 반송차(12)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부 롤러(216) 및 하부 롤러(218)로 왕로용의 레일(28a)을 유지하고 있고, 또한 둘레 회전 동작하는 왕로 체인(330)을 체인 가압판(242)(도 17 참조)이 가압하고 있다. 이 때문에, 연결 반송차(12)는, 왕로용 레일(28a)에 안내되면서, 왕로 체인(330)의 작용에 의해서 도 12에서의 화살표 A방향으로 진행한다.
연결 반송차(12)가 방향 반전부(20)까지 주행한 경우, 제1 반송차(200)의 체인 가압판(242)은, 수평 반송부(16)의 체인(33)으로부터, 방향 반전부(20)의 왕로 체인(330)으로 바꿔 실어진다. 그 후, 연결 반송차(12)는, 방향 반전부(20)의 왕로 체인(330)의 작용에 의해서 주행한다.
방향 반전부(20)에서는, 상기 연결 반송차(12)를 구성하는 제1 반송차(200)의 하부 롤러(234), 상부 롤러(232)가 제1 안내 부재(412, 412)와 제2 안내 부재(414, 414)의 사이로 각각 진입한다. 연결 반송차(12)가 더 진행하면, 제1 반송차(200)의 하루 롤러(234) 및 상부 롤러(232)는, 제1 안내 부재(412, 412)의 만곡부와, 제1 디스크 부재(374) 또는 제2 디스크 부재(376)에 의해서 유지된다.
하부 롤러(234) 및 상부 롤러(232)는, 상기 O링(378)과의 마찰력에 의해서, 도 13 및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디스크 부재(374) 또는 제2 디스크 부재(376)에 동반되면서 이동한다. 최종적으로, 제1 반송차(200)의 하부 롤러(234), 상부 롤러(232)는, 제1 안내 부재(412, 412)와 제3 안내 부재(416, 416)의 사이로 진입한다(도 15 참조).
제4 반송차(206)의 체인 가압판(242)이 왕로 체인(330)으로부터 이탈되는 동시에 상부 롤러(216) 및 하부 롤러(218)가 레일(28a)에서 이탈되는 한편, 제1 반송차(200)의 상부 롤러(216) 및 하부 롤러(218)가 레일(28b)에 끼워 맞춰진다. 그리고, 제1 반송차(200)에 준하여, 제2∼제4 반송차(202, 204, 206)가 제1 디스크 부재(374) 또는 제2 디스크 부재(376)에 동반되면서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이것에 의해, 제1 반송차(200)는, 회전하는 제4 반송차(206)로 밀어 내어져 레일(28b)에 안내되면서 이동한다. 최종적으로, 제4 반송차(206)의 상부 롤러(216) 및 하부 롤러(218)가 레일(28b)에 끼워 맞춰지고, 또한 체인 가압판(242)이 귀로 체인(332)을 가압하여, 연결 반송차(12)의 회전 동작이 종료한다.
연결 반송차(12)는, 방향 반전부(20)의 귀로 체인(332)으로부터 수평 반송부(16)의 고리형상 체인(30)으로 옮겨 실어지고, 이후, 수평 반송부(16)의 고리형상 체인(30)의 작용에 의해서, 도 12에서의 화살표 B방향으로 지향하여 레일(28) 상을 주행한다. 즉, 연결 반송차(12)는, 레일(28a)에 안내되어 도 12에서의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한 후, 방향 반전부(20)에서 방향이 180°전환되어, 레일(28b)에 안내되면서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하부 롤러(234), 상부 롤러(232)의 형상을 원주체로 하였기 때문에, 방향 반전부(20)로 제1∼제4 반송차(200, 202, 204)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 하부 롤러(234), 상부 롤러(232)의 개수가 각각 2개이기 때문에, 연결 반송차(12)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이 1개인 경우에 비해서 커진다. 한편, 3개 이상이면, 3개째의 하부 롤러(234) 및 상부 롤러(232)가, 제1 안내 부재(412)와 제1 디스크 부재(374), 제2 디스크 부재(376)의 사이로 진입하는 것이 곤란해져, 그 결과, 연결 반송차(12)의 회전 동작이 곤란해진다.
요컨대, 상부 롤러(232), 하부 롤러(234)의 수를 2개로 함으로써, 연결 반송차(12)를 확실하고 또한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 방향 반전부(20)는, 이 방향 반전부(20)의 왕로 체인(330) 및 귀로 체인(332)을 둘레 회전 동작하는 모터(32b)의 작용에 의해서 가동시킬 수 있다. 즉, 방향 반전부(20)를 가동시키기 위한 구동 수단을, 왕로 체인(330) 및 귀로 체인(332)의 구동 수단과 별도로 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방향 반전부(20)의 구성을 간소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반송차(12)가 레일(28a) 및 왕로 체인(330)으로부터 이탈될 때, 회전 동작할 때, 레일(28b) 및 귀로 체인(332)에 의해서 주행 개시할 때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도, 연결 반송차(12)에 충격이 가해지지 않는다. 즉, 방향 반전부(20)를 설치하여 연결 반송차(12)를 회전 동작시키는 경우에도, 연결 반송차(12)에 충격을 주지 않고 왕로 체인(330)으로부터 귀로 체인(332)으로 옮겨 실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커넥팅 로드(1)가 연결 반송차(12)로부터 탈락되는 것이나, 손상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다음에, 워크인 커넥팅 로드(1)가 연결 반송차(12)에 대해서 착탈되고, 이 연결 반송차(12)에 의해서 반송되는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커넥팅 로드(1)를 탑재하는 스테이션(26)까지 연결 반송차(12)가 변위하였을 때, 이 연결 반송차(12)는, 후술하는 정지 기구(2010)의 작용에 의해서 소정의 위치에 정지한다.
그 후, 에어 실린더(1024)의 로드(1026)가 상승 동작한다. 이 때, 베어링 롤러(1040)가 로드(1026)의 상단 대직경부(1028)의 경사부(1030)에 접촉하면서 미끄러져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베어링 롤러(1040)는, 상단 대직경부(1028)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지향하여 변위한다. 이것에 추종하여 훅(1038)이 비스듬히 이동하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훅(1038)의 돌출 상단부가 걸림 부재(1074)의 수평 걸림부(1082)에 걸어 맞춰진다. 이것에 의해, 연결 반송차(12)가 위치 결정된다.
또, 로드(1026)의 상단 대직경부(1028)에 가압됨으로써, 제1 로드(1086) 및 제2 로드(1100)가 상승한다. 이것에 추종하여, 제1 클램프 기구(1078a)에서의 제1 로드(1086)의 오목부(1090) 내에 수용된 아암 부재(1098)의 일단부가 상승함으로써, 클램퍼(1096a)가 외측으로 지향하여 비스듬히 이동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클램퍼(1096a) 및 클램퍼(1096b)에 설치된 톱니형상부가 서로 맞물려 있기 때문에, 클램퍼(1096a)가 외측으로 개방되는 동시에 클램퍼(1096b)도 외측으로 지향하여 비스듬히 이동하고, 그 결과,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램퍼(1096a, 1096b)가 개방 상태가 된다.
이상의 동작이 행해질 때에는, 스프링(1092)이 압축된다.
한 쪽의 제2 로드(1100)에서도, 오목부(1104) 내에 수용된 제1 L자형 아암 부재(1128a)의 일단부가 상승하고, 그 결과, 이 제1 L자형 아암 부재(1128a)는, 굴곡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한다. 이 때문에, 가압 로드(1114)가 제1 L자형 아암 부재(1128a)의 타단부에서 가압되어 변위하고, 최종적으로, 상기 가압 로드(1114)가 연결된 외측 가동판이 제2 로드(1100)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에 지향하여 변위한다. 이 때, 가압 로드(1114) 및 가압 로드(1116)의 각 톱니부(1117a, 1117b)가 피니언(1118)과 맞물려 있기 때문에, 도 3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압 로드(1116)는, 래크·피니언 기구(1119)의 작용에 의해서, 가압 로드(1114)와 역방향으로 지향하여 변위한다. 이것에 의해, 가압 로드(1116)가 연결된 내측 가동판이 제2 로드(1100)측으로 지향하여 변위한다.
즉, 외측 가동판(1106)과 내측 가동판(1108)은, 가이드 바(1130a, 1130b)에 안내되면서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변위한다. 요컨대, 제1 홀드 기구(1080a)가 개방 상태가 된다(도 30 참조). 또한, 외측 가동판(1106)과 내측 가동판(1108)이 서로 가장 이간된 위치가 될 때에는, 가이드 바(1130a)가 외측 가동판(1106)으로부터 이탈되는 동시에, 가이드 바(1130b)가 내측 가동판(1108)로부터 이탈된다.
제2 클램프 기구(1078b) 및 제2 홀드기구(1080b)에서도 이상의 동작이 행해지고, 따라서, 스프링(1134)은, 2장의 내측 가동판(1108, 1108)에 의해서 압축된다.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수수 장치(예를 들면, 로봇 등)에 그립된 2개의 커넥팅 로드(1)가 제1 홀드 기구(1080a) 및 제2 홀드 기구(1080b)의 전방으로부터 각각 삽입된다. 커넥팅 로드(1)의 직경이 작은 제1 단부(3)는, 제1 포켓부(1076a) 또는 제2 포켓부(1076b)에 삽입되어 유지된다.
그 후, 에어 실린더(1024)의 로드(1026)가 하강 동작하면, 제1 로드(1086) 및 제2 로드(1100)가 에어 실린더(1024)의 가압력으로부터 해방되어, 제2 로드(1100)가 하강하는 동시에 스프링(1092, 1092)이 신장된다. 이 때에 스프링(1092, 1092)이 제1 로드(1086, 1086)를 각각 가압함에 따라, 상기 제1 로드(1086, 1086)가 하강 동작한다.
이 결과, 아암 부재(1098)가 하강 동작하기 때문에, 서로 맞물린 톱니형상부의 작용에 의해서, 제1 클램프 기구(1078a)의 클램퍼(1096a, 1096b)가 내측으로 지향하여 동시에 비스듬히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커넥팅 로드(1)의 몸체부(6)가 클램퍼(1096a, 1096b)에 그립된다. 클램퍼(1096a, 1096b)는, 갈고리 형상이기 때문에, 커넥팅 로드(1)를 확실하게 그립하여,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클램프 기구(1078b)에서도 동일하다.
한편, 제1 L자형 아암 부재(1128a) 및 제2 L자형 아암 부재(1128b)의 각 일단부가 각각 하강하여 이들 제1 L자형 아암 부재(1128a) 및 제2 L자형 아암 부재(1128b)가 회동하기 때문에, 가압 로드(1114, 1114)가 제1 L자형 아암 부재(1128a) 또는 제2 L자형 아암 부재(1128b)의 가압력으로부터 해방된다. 이 가압력이 스프링(1134)의 탄성력에 비해서 작아지면, 이 스프링(1134)이 신장되어 내측 가동판(1108, 1108)을 가압한다. 이것에 의해, 내측 가동판(1108, 1108)이 외측 가동판(1106, 1106)에 지향하여 변위하는 동시에, 래크·피니언 기구(1119)의 작용에 의해서 외측 가동판(1106, 1106)이 내측 가동판(1108, 1108)에 지향하여 변위한다.
즉, 외측 가동판(1106, 1106)과 내측 가동판(1108, 1108)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변위하고, 최종적으로, 커넥팅 로드(1)의 직경이 큰 제2 단부(5)를 양측에서 유지한다.
요컨대,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커넥팅 로드(1)는, 제1 단부(3)가 제1 포켓부(1076a) 또는 제2 포켓부(1076b)에 삽입 유지되고, 또한 몸체부(6)가 제1 클램프 기구(1078a) 또는 제2 클램프 기구(1078b)에 그립되며, 또한, 제2 단부(5)가 제1 홀드 기구(1080a) 또는 제2 홀드 기구(1080b)에 유지되어, 기립한 상태로 연결 반송차(12)에 탑재된다. 이와 같이, 장척인 커넥팅 로드(1)를 기립시켜 탑재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연결 반송차(12)의 가로 방향 내지 깊이 방향의 각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결국, 상기 연결 반송차(12)를 소형인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또, 제1 클램프 기구(1078a) 및 제2 클램프 기구(1078b)의 개폐 조작과, 제1 홀드 기구(1080a) 및 제2 홀드 기구(1080b)의 유지·해방 조작은, 스테이션(26)에 설치된 에어 실린더(1024)에 의해서만 행해진다. 이 때문에, 연결 반송차(12)에 유압 기기나 공압 기기, 전기 기기를 장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연결 반송차(12) 및 반송 시스템(10)의 구성을 간소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연결 반송차(12)에 커넥팅 로드(1)를 탑재하기 때문에, 상기 커넥팅 로드(1)에 충격을 주는 경우도 없다. 이 때문에, 커넥팅 로드(1)의 손상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커넥팅 로드(1)가 제1 포켓부(1076a) 또는 제2 포켓부(1076b)로 지지되기 때문에, 연결 반송차(12)로부터 커넥팅 로드(1)가 탈락하는 것을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에어 실린더(1024)의 로드(1026)가 하강 동작하면, 베어링 롤러(1040)는, 상기 로드(1026)의 상단 대직경부(1028)의 경사부(1030)를 따라서 회전 동작함으로써, 상단 대직경부(1028)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지향하여 변위한다. 이 때, 훅(1038)이 스프링(1044)으로 가압됨으로써 비스듬히 이동하여, 그 결과, 훅(1038)의 돌출 상단부가 걸림 부재(1074)의 수평 걸림부(1082)로부터 이탈된다(도 15 참조). 이것에 의해, 연결 반송차(12)가 제1 로크 기구(1036)로부터 해방된다.
또한, 정지 기구(2010)로부터 연결 반송차(12)가 해방된다.
이 사이, 모터(32, 32b, 164, 165)는 정지되지 않고 회전 구동되고 있고, 따라서, 정지 기구(2010)로부터 해방된 연결 반송차(12)는, 둘레 회전 동작하는 고리형상 체인(30)의 작용에 의해서, 레일(28)에 안내되면서 재차 변위하기 시작한다. 이것에 의해, 커넥팅 로드(1)가 다음의 공정을 행하는 스테이션(26)까지 반송된다.
다음의 스테이션(26)에서는, 반송되어 온 커넥팅 로드(1)가 수수 장치에 그립되어 연결 반송차(12)로부터 취출된다. 이 때, 커넥팅 로드(1)가 제2 단부(5)를 상방으로 하여 기립하고 있기 때문에, 수수 장치는, 상기 커넥팅 로드(1)를 용이하게 그립할 수 있다.
또, 제1 포켓부(1076a) 및 제2 포켓부(1076b)에서는 제1 단부(3)가 느슨하게 삽입되어 있을 뿐이며, 제1 클램프 기구(1078a) 및 제2 클램프 기구(1078b)와 제1 홀드 기구(1080a) 및 제2 홀드 기구(1080b)에서는, 스프링(1092, 1134)의 탄성력이라는 비교적 작은 힘으로 그립 내지 유지하고 있을 뿐이기 때문에, 수수 장치는 연결 반송차(12)로부터 커넥팅 로드(1)를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다.
또한, 커넥팅 로드(1)가 제1 포켓부(1076a) 및 제2 포켓부(1076b)에 의해서 위치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수수 장치가 그립할 때의 동작을 매회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간소한 구성의 수수 장치이어도 충분히 대응 가능해지므로, 복잡한 동작을 하는 수수 장치가 불필요하고, 설비 투자를 저감할 수 있다.
여기에서, 치수가 다른 커넥팅 로드(1)를 반송하는 경우, 클램퍼(1096a, 1096b), 외측 가동판(1106, 1106) 및 내측 가동판(1108, 1108)은, 커넥팅 로드(1)가 그립 내지 양측에서 유지될 때까지 변위한다. 요컨대, 이 연결 반송차(12)는, 여러가지의 치수의 커넥팅 로드(1)를 탑재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연결 반송차(12)의 치수 및 형상을 커넥팅 로드(1)를 따라서 개조할 필요가 없다.
연결 반송차(12)로부터 이탈된 커넥팅 로드(1)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나사산을 설치하는 나사 가공 등이 행해진 후,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연결 반송차(12)로 다음의 공정을 행하는 스테이션(26)까지 반송되어, 커넥팅 로드(1)가 최종 제품으로서 얻어지도록 가공이 행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워크로서 동일 치수의 커넥팅 로드(1)를 예시하였지만, 치수가 서로 다른 커넥팅 로드(1)를 반송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작은 치수의 워크를 유지하는 클램프 기구의 외측 가동판(1106)과 내측 가동판(1108)은 스프링(1134) 가압에 의해서 닫혀지고, 한편, 홀드 기구의 각 클램퍼(1096a, 1096b)는 스프링(1092)의 가압에 의해서 닫혀진다. 물론, 이 경우, 제1 클램프 기구(1078a)와 제2 클램프 기구(1078b)에서의 외측 가동판(1106)과 내측 가동판(1108), 및 제1 홀드 기구(1080a)와 제2 홀드 기구(1080b)에서의 각 클램퍼(1096a, 1096b)의 각 폐지(閉止) 위치가 다르다.
또, 클램프 기구와 홀드 기구를 함께 장착할 필요는 특별히 없고,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구가 존재하면 된다.
또한, 제1 홀드 기구(1080a) 및 제2 홀드 기구(1080b)를 외측 가동판(1106), 내측 가동판(1108)으로 구성하도록 하고 있지만, 어느 하나를 고정판으로 하도록 해도 된다.
또, 반송되는 워크가 커넥팅 로드(1)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다음에, 레일(28b)에 안내되어 주행하는 연결 반송차(12)가 스테이션(26)에 이르렀을 때, 상기 정지 기구(2010)의 작용에 의해서 연결 반송차(12)가 감속·정지되는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2에서의 화살표 A방향으로 주행해 온 연결 반송차(12)가, 방향 반전부(20)에 의해서 화살표 B방향으로 반전하여 주행하는 도중에 정지 기구(2010)의 작용에 의해서 정지하는 경우를 예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정지 기구(2010)를 구성하는 진입로(2110)는, 폭협부(2126)와 폭광부(2128)를 갖는다. 스테이션(26) 근방에 도달한 제1200의 상부 롤러(232)는, 우선, 폭협부(2126)로 진입한다.
여기에서, 폭협부(2126)의 간격은, 연결 반송차(12)의 진행 방향(도 2에서의 화살표 B방향)을 향함에 따라서 서서히 작아지게 되어 있다(도 35 참조). 따라서, 상부 롤러(232)의 옆쪽 둘레벽부는, 제1 아암 부재(2100) 및 제2 아암 부재(2102)의 각 몸체부에 접촉한다. 이것에 따라서 연결 반송차(12)가 비교적 작은 힘으로 지지됨으로써, 상기 연결 반송차(12)가 감속한다.
도 3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 반송차(12)가 더 진행함에 따라서, 선행하는 상부 롤러(232)는, 폭협부(2126)의 간격을 넓힌다. 즉, 상부 롤러(232)가 스프링(2104) 및 에어 실린더(2106)의 피스톤 로드(2142)를 함께 신장시켜, 이것에 의해 상부 롤러(232)가 폭협부(2126)를 통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 연결 반송차(12)의 운동 에너지는, 선행하는 상부 롤러(232)가 스프링(2104)과 피스톤 로드(2142)를 신장시키는 일로 변환된다. 이 때문에, 연결 반송차(12)의 운동 에너지가 감쇠하여, 그 결과, 연결 반송차(12)가 더욱 감속한다.
이어서, 후방의 상부 롤러(232)도 동일하게, 스프링(2104), 및 에어 실린더(2106)의 피스톤 로드(2142)를 함께 신장시켜 폭협부(2126)의 간격을 넓힌다. 이것에 의해, 연결 반송차(12)의 운동 에너지가 더욱 감쇠하기 때문에, 연결 반송차(12)의 속도가 더욱 작아진다.
감속된 연결 반송차(12)의 상부 롤러(232, 232)는, 모두 폭광부(2128)로 진입한다. 그리고, 제1 아암 부재(2100) 및 제2 아암 부재(2102)의 지지부(2130)에 의해서 선행하는 상부 롤러(232)가 지지됨으로써, 연결 반송차(12)가 완전히 정지된다.
즉, 2개의 상부롤러(232, 232)에 제1 아암 부재(2100) 및 제2 아암 부재(2102)를 벌려, 이것에 따라서, 연결 반송차(12)의 운동 에너지를 단계적으로 흡수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연결 반송차(12)를 완만하게 감속·정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연결 반송차(12)가 정지할 때에 충격이 발생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반송차(12)에 탑재된 커넥팅 로드(1)가 탈락되는 것이나 손상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롤러(232)가 진입로(2110)로 진입하여 연결 반송차(12)가 정지할 때까지의 사이, 상부 롤러(232)는 회전하면서 제1 아암 부재(2100) 및 제2 아암 부재(2102)로 미끄럼 접촉한다. 이 때문에, 상부 롤러(232)는, 회전하지 않는 단순한 원주체인 경우에 비해서 마모하기 어렵다. 따라서, 장기간에 걸쳐 연결 반송차(12)를 확실하게 감속·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모터(32, 32b, 164, 165)의 회전 속도를 높여 연결 반송차(12)의 속도를 높인 경우, 탄성력이 큰(단단한) 스프링(2104)을 사용하거나, 에어 실린더(2106)로서 피스톤 로드(2142)의 동작력이 큰 것을 사용하거나 함으로써, 연결 반송차(12)의 속도에 따라서 감속·정지를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지 기구(2010)에 의하면, 상기 연결 반송차(12)를 용이하게 감속·정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연결 반송차(12)의 반송 범위가 제한되는 경우도 없다.
연결 반송차(12)가 정지하면, 제2 로크 기구(2108)(도 34 참조)에 의해서 제1 반송차(200)가 위치 결정 고정된다. 즉, 실린더(2150)가 구동되어 피스톤 로드(2156)가 후퇴 동작함에 따라, 훅(2152)이 연결축을 지지점으로 하여 제1 반송차(200)에 지향하여 비스듬히 이동하는 동작을 행한다. 최종적으로, 훅(2152)의 훅부는, 도 3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반송차(200)의 스토퍼(238)의 단면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제1 반송차(200)가 지지되어, 결국, 연결 반송차(12)가 위치 결정 고정된다.
이 때,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로크 기구(1036)(도 33 참조)가 구동되어, 걸림 부재(1074)가 훅(1038)에 걸린다(도 33 및 도 26 참조). 이것에 의해, 연결 반송차(12)가 보다 확실하게 위치 결정 고정된다.
정지 및 위치 결정 고정된 연결 반송차(12)에 대해서는, 커넥팅 로드(1)의 수수가 행해진다. 요컨대, 상기한 바와 같이, 스테이션(26)에 베치된 에어 실린더(1024)의 작용에 의해서, 연결 반송차(12)의 제1 클램프 기구(1078a), 제2 클램프 기구(1078b), 제1 홀드 기구(2062a) 및 제2 홀드 기구(2062b)가 가동된다. 즉, 클램퍼(1096a, 1096b)가 개방되는 동시에, 상기 래크·피니언 기구가 구동되는 것에 추종하여 외측 가동판(1106)과 내측 가동판(1108)이 서로 이간된다.
이것에 의해 커넥팅 로드(1)가 연결 반송차(12)로부터 해방되어, 소정의 수수 장치가 정면측에서 커넥팅 로드(1)를 그립하여 가공 장치까지 이송하는 한편, 가공이 행해진 커넥팅 로드(1)를 연결 반송차(12)로 되돌려 보낸다.
그 후, 상기 에어 실린더(1024)의 작용에 의해서, 클램퍼(1096a, 1096b)가 닫혀지는 동시에, 상기 래크·피니언 기구가 다시 구동되어 외측 가동판(1106)과 내측 가동판(1108)이 서로 접근한다. 즉, 새로운 커넥팅 로드(1)가 기립된 상태로 연결 반송차(12)의 제1 클램프 기구(1078a), 제2 클램프 기구(1078b), 제1 홀드 기구(2062a) 및 제2 홀드 기구(2062b)에 의해서 그립된다. 또한, 커넥팅 로드(1)의 하단부는, 제1 포켓부(1076a) 및 제2 포켓부(1076b)에 의해서 각각 지지된다.
이상의 동작이 종료하면, 우선, 실린더(2150)(도 34 참조)의 피스톤 로드(2156)가 전진 동작함에 따라서, 훅(2152)이 제1 반송차(200)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비스듬히 이동하는 동작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 제1 반송차(200)가 제2 로크 기구(2108)로부터 해방된다.
다음에, 에어 실린더(2106)가 구동되어, 피스톤 로드(2142)가 전진 동작하여 피스톤 로드 베어링 부재(2144)가 가압된다. 그 결과, 제1 아암 부재(2100)와 제2 아암 부재(2102)가 서로 이간되어, 진입로(2110)의 간격이 상부 롤러(232)의 직경에 비해서 커진다. 이것에 의해, 연결 반송차(12)가 정지 기구(2010)로부터 해방된다.
이 사이, 모터(32)의 회전 동작, 요컨대, 고리형상 체인(30)의 둘레 회전 동작은, 정지되지 않고 속행되고 있다. 따라서, 정지 기구(2010)로부터 해방된 연결 반송차(12)는, 바로 주행을 재개한다.
즉, 연결 반송차(12)의 주행 구동원인 모터(32) 및 고리형상 체인(30)을 정지하지 않고, 연결 반송차(12)를 정지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정지 기구(2010)로부터 해방된 연결 반송차(12)를 신속하게 재주행시킬 수 있기 때문에, 커넥팅 로드(1)를 효율적으로 반송할 수 있다.
최후미의 제4 반송차(206)가 진입로(2110)로부터 이탈되면, 에어 실린더(2106)의 피스톤 로드(2142)가 후퇴 동작한다. 그 후, 제1 아암 부재(2100) 및 제2 아암 부재(2102)(도 35 참조)는, 스프링(2104)의 가압에 의해서, 볼트(2118a, 2118b)를 지지점으로 하여 서로 접근한다. 이 때, 스토퍼 볼트(2138)의 헤드부 단면이 제2 스토퍼 기둥형상 부재(2136)에 접촉하고, 진입로(2110)가 소정의 간격으로 재차 형성된다.
레일(28b)에 안내되어 도 2에서의 화살표 B방향으로 재주행을 개시한 연결 반송차(12)는, 다음의 스테이션(26)에서 상기와 동일하게 감속·정지되어, 커넥팅 로드(1)의 수수가 행해진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방향 전환부로서, 연결 반송차(12)의 주행 방향을 180°변환하는 방향 전환부(20)를 예시하였지만, 특별히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주행 방향을 90°변환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상부 롤러(232) 및 하부 롤러(234)의 개수를 1개로 하면, 방향 변환이 용이하게 진행된다.
반송 시스템(10)에서의 각 기구는, 모터(32), 모터(164), 제1 구동 스프로켓(36), 구동 스프로켓(170), 종동 스프로켓(38), 종동 스프로켓(172), 고리형상 체인(30), 고리형상 체인(162) 등의 염가이고 또한 범용의 부품에 의해서 구성할 수 있다.
연결 반송차(12)에서의 동작 부품은, 상부 롤러(216), 하부 롤러(218), 롤러(270), 스프링(262), 스프링(268) 등 다른 부분으로부터 힘을 받는 수동(受動)의 부품만이기 때문에, 모터, 실린더 등의 액츄에이터 및 이들의 액츄에이터에 접속되는 배관, 배선이 불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반송 시스템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Claims (27)

  1. 워크(1)를 쌓은 반송차(12)와,
    상기 반송차(12)가 반송되는 반송부(16, 18)를 구비하는 반송 시스템(10)에 있어서,
    상기 반송차(12)는, 수동(受動)부를 갖고,
    상기 반송부(16, 18)는, 유닛마다 분할 가능하며,
    상기 유닛은, 상기 반송차(12)를 안내하는 레일(28)과,
    상기 레일(28)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상기 수동부를 통해서 상기 반송차(12)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갖고,
    상기 수동부 중 최후부가 상기 구동부의 이동 범위로부터 이간될 때, 상기 수동부 중 적어도 최전부가 인접하는 상기 유닛의 상기 구동부에 중계되고, 상기 반송차(12)는 연속적으로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은, 2개의 상기 레일(28)과,
    2개의 상기 레일(28)에 각각 대응하는 2개의 상기 구동부를 포함하고,
    2개의 상기 레일(28)은 평행하게 설정되며,
    2개의 상기 구동부는, 상기 반송차(12)를 반송하는 방향이 서로 역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은, 상기 반송차(12)를 직선적으로 반송하는 수평 반송부(16)와,
    상기 반송차(12)를 상승 경사 및/또는 하강 경사로 반송하는 경사 반송부(18)와,
    상기 반송차(12)의 반송 방향을 전환시키는 방향 전환부(20)의 3종류의 유닛이며, 이 중의 복수 종류의 유닛을 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스프로켓(36)을 통해서 순환 구동되는 고리형상 체인(30)이고,
    상기 수동부는, 상기 고리형상 체인(30)에 맞물리는 수동 스프로켓(246, 266c, 266d), 또는, 상기 고리형상 체인(30)의 롤러(30a)를 가압하는 가압판(24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28)은, 반송 방향으로 장척(長尺)으로 연장되는 판형상이고,
    상기 반송차(12)는, 상기 레일(28)의 옆쪽을 이동하는 동시에, 상기 레일(28)의 측면측에 워크(1)를 적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부(16, 18)는, 상기 반송차(12)를 대략 수평 방향으로 반송하는 복수의 수평 반송부(16)와,
    2개의 수평 반송부(16)의 사이를 연결하는 경사 반송부(18)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 반송부(18)는, 일단의 근방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부의 작용에 의해서 회전하는 경사 반송 구동 스프로켓(170)과,
    타단의 근방에 배치되어, 회전 자유로운 경사 반송 종동 스프로켓(172)과,
    상기 경사 반송 구동 스프로켓(170) 및 상기 경사 반송 종동 스프로켓(172)에 맞물려 순환 구동되는 경사 반송 고리형상 체인(162)과,
    상기 경사 반송 고리형상 체인(162) 중 상기 반송차(12)에 구동력을 부여하는 상측 부분과, 이 상측 부분의 반대 방향으로 인도되는 하측 부분의 쌍방을 각각 아래에서 지지하여 위로 볼록한 형상으로 설정하는 경사부 가이드(176)를 포함하고,
    상기 반송차(12)는,
    반송 방향의 선두 근방의 위치에, 상기 경사 반송 고리형상 체인(162)과 맞물리는 경사 반송용의 수동 스프로켓(246)을 가지며,
    상기 수평 반송부(16)로부터 송출된 후, 상기 수동 스프로켓(246)과 상기 경사 반송 고리형상 체인(162)이 맞물려, 상기 경사부 가이드(176)의 형상을 따라서, 상기 경사 반송 고리형상 체인(162)에 의해서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차(12)는, 전후 방향으로 적어도 2량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반송차(12)의 상호간은, 상하로 요동 가능 또는 탄성 변형 가능한 연결부(208)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반송부(16)는, 일단의 근방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부의 작용에 의해 회전하는 수평 반송 구동 스프로켓(36)과,
    타단의 근방에 배치되어, 회전 자유로운 수평 반송 종동 스프로켓(38)과,
    상기 수평 반송 구동 스프로켓(36) 및 상기 수평 반송 종동 스프로켓(38)에 맞물려 순환 구동되고, 또한, 폭 방향에서 상기 경사 반송 고리형상 체인(162)과 배치 위치가 다른 수평 반송 고리형상 체인(30)을 갖고,
    상기 반송차(12)는,
    후단 근방의 위치에,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는 상기 수평 반송 고리형상 체인(30)의 상부에 위치하는 송출용의 수동 스프로켓(266d)을 갖고,
    상기 수동 스프로켓(266d)은, 상기 반송차(12)의 이동에 따라, 상기 수평 반송부(16)에 설치된 송출 캠판(56)에 의해서 밀어 내려져, 상기 수평 반송 고리형상 체인(30)과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스프로켓(266d)은, 상기 송출 캠판(56)으로부터 가압력을 직접적으로 받는 수압(受壓)부(270)와,
    상기 수압부(270)에 연계하여 압축 가능한 탄성체(268)를 통해서 밀어 내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차(12)는,
    후단 근방의 위치에,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는 상기 경사 반송 고리형상 체인(162)의 상부에 위치하는 강하용의 수동 스프로켓(266c)을 갖고,
    상기 수동 스프로켓(266c)은, 상기 반송차(12)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경사 반송부(18)에서의 내리막 경사부에 설치된 강하 캠판(180)에 의해서 밀어 내려져, 상기 경사 반송 고리형상 체인(162)과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스프로켓(266c)은, 상기 강하 캠판(180)으로부터 가압력을 직접적으로 받는 수압부(270)와,
    상기 수압부(270)에 연계하여 압축 가능한 탄성체(268)를 통해서 밀어 내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회전 구동원의 작용에 의해서 회전하는 구동 기어(94)와,
    상기 구동 기어(94)와 맞물려, 상기 구동 기어(94)의 회전이 전달되어 회전하는 제1 종동 기어(72)와,
    상기 구동 기어(94)와 맞물려, 상기 구동 기어(94)의 회전이 전달되어, 상기 제1 종동 기어(72)에 대해서 반대로 회전하는 제2 종동 기어(74)와,
    상기 제1 종동 기어(72)의 회전축인 제1 회전축(68)과,
    상기 제2 종동 기어(74)의 회전축인 제2 회전축(70)과,
    상기 제1 회전축(68)의 회전에 따라서 순환 구동하는 제1 순환 구동부(30)와,
    상기 제2 회전축(70)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제1 순환 구동부(30)와 반대로 순환 구동하는 제2 순환 구동부(33)와,
    상기 제1 순환 구동부(30) 및/또는 상기 제2 순환 구동부(33)에 의해서 반송되는 반송차(1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어(94), 상기 제1 종동 기어(72) 및 상기 제2 종동 기어(74)는, 각각 베벨 기어이고,
    상기 제1 회전축(68) 및 상기 제2 회전축(70)의 축심은, 동일 축 상에 설정되며, 또한, 상기 구동 기어(94)의 축심과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종동 기어(72)와 상기 제2 종동 기어(74)의 사이에, 상기 제1 회전축(68)의 일단을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제1 내측 베어링(67a)과, 상기 제2 회전축(70)의 일단을 지지하는 제2 내측 베어링(67b)을 갖고,
    상기 제1 종동 기어(72)와 상기 제2 종동 기어(74)가 대향하는 면의 각각 반대측에, 상기 제1 회전축(68)의 일단을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제1 외측 베어링(78)과, 상기 제2 회전축(70)의 일단을 지지하는 제2 외측 베어링(78)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시스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순환 구동부(162)는, 상기 제1 회전축(68)에 설치된 제1 구동 스프로켓(36)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제2 순환 구동부(162)는, 상기 제2 회전축(70)에 설치된 제2 구동 스프로켓(37)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제1 순환 구동부(162) 및 상기 제2 순환 구동부(162)는, 각각 고리형상 체인(30)이고, 회전 자유로운 종동 스프로켓(38)을 통해서 순환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차(12)는,
    워크(1)를 유지하는 유지 기구와,
    상기 유지 기구를 구성하는 유지 부재를 가동시키는 유지 부재 가동 기구(86, 98, 100, 128a, 128b)와,
    상기 유지 부재를, 상기 유지 부재가 상기 유지 부재 가동 기구(86, 98, 100, 128a, 128b)의 작용에 의해서 가동되는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체(1092, 1134)와,
    상기 유지 기구 및 상기 유지 부재 가동 기구(86, 98, 100, 128a, 128b)를 지지하는 본체(1056)와,
    상기 본체(1056)에 부착되어 상기 레일(28)에 끼워 맞춰지는 롤러(216, 218)를 갖고,
    상기 유지 부재 가동 기구(86, 98, 100, 128a, 128b)는, 상기 레일(28)의 근방에 설치된 구동 기구(1024)의 작용에 의해서 상기 유지 부재를 가동시키며,
    또한 상기 레일(28)을 따라서 안내되면서 변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 가동 기구의 작용에 의해서 가동되는 클램퍼(1096a, 1096b)를 갖는 클램프 기구(1078a, 1078b)와,
    적어도 1장의 가동판(1106, 1108)을 포함하는 1조의 판 부재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워크(1)에서의 상기 클램프 기구(1078a, 1078b)에 의해서 그립되는 개소와는 다른 개소를 1조의 상기 판 부재로 유지하는 홀드 기구(1080a, 1080b)를 상기 유지 기구로서 갖고,
    상기 클램퍼(1096a, 1096b) 및 상기 가동판(1106, 1108)은, 상기 유지 부재 가동 기구의 작용에 의해서 변위하여 상기 워크(1)를 유지 또는 해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시스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의 작용에 의해서 상기 유지 부재 가동 기구가 상기 유지 부재를 가동할 때, 상기 레일(28)의 근방에 설치된 제1 로크 기구(1036)의 훅(1038)이 걸리는 걸림 부재(1074)가 상기 본체(1056)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시스템.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워크(1)의 단부를 삽입하여 상기 단부를 지지하는 포켓부(1076a, 1076b)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부(1076a, 1076b), 상기 클램프 기구, 상기 홀드 기구(1080a, 1080b)가 하방으로부터 이 순서로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워크(1)로서의 장척물을 기립시킨 상태로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워크(1)인 장척물로서, 내연 기관을 구성하는 커넥팅 로드를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시스템.
  22. 제1항에 있어서,
    워크(1)를 적재하여 반송하기 위한 반송차(12)를 정지하는 반송차 정지 기구(2010)를 갖고,
    상기 반송차 정지 기구는,
    상기 반송차(12)에 설치된 정지 걸림 부재(232)와,
    상기 반송차(12)의 반송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일단부가 축이 고정된 몸체부를 갖는 제1 아암 부재(2100) 및 제2 아암 부재(2102)와,
    상기 제1 아암 부재(2100)와 상기 제2 아암 부재(2102)를 서로 접근 또는 이간시키기 위한 변위 기구(2106)와,
    상기 제1 아암 부재(2100)와 상기 제2 아암 부재(2102)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정지 걸림 부재(232)가 진입되는 동시에, 상기 정지 걸림 부재(232)의 진행 방향을 따라서 간격이 협소해진 폭협부(2126)와, 상기 폭협부(2126)에 비해서 폭이 넓은 폭광부(2128)를 갖는 진입로(2110)를 구비하고,
    상기 폭협부(2126)에서 상기 제1 아암 부재(2100) 및 상기 제2 아암 부재(2102)가 상기 정지 걸림 부재(232)에 슬라이딩함에 따라서 상기 반송차(12)를 감속시켜,
    상기 정지 걸림 부재(232)가 상기 제1 아암 부재(2100) 및 상기 제2 아암 부재(2102)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폭협부(2126)를 확장시킨 후에 상기 폭광부(2128)로 진입한 상기 반송차(12)를, 상기 제1 아암 부재(2100)와 상기 제2 아암 부재(2102)로 상기 정지 걸림 부재(232)를 거는 것에 의해서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걸림 부재(232)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2130)가 상기 제1 아암 부재(2100) 및 상기 제2 아암 부재(2102)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시스템.
  24. 제22항에 있어서,
    정지한 상기 반송차(12)를 위치 결정 고정하기 위한 제2 로크 기구(2108)를 더 갖고, 상기 제2 로크 기구(2108)를 구성하는 스토퍼 걸어 맞춤 부재(2152)는, 상기 반송차(12)에 설치된 스토퍼(238)에 걸어 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시스템.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걸림 부재(232)가 회전 가능한 원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시스템.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걸림 부재(232)는, 상기 반송차(12)를 1방향으로 지향하여 반송하는 제1 반송부와, 상기 1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상기 반송차(12)를 반송하는 제2 반송부의 사이에 개재된 방향 전환부(20)에서 안내되는 피안내 부재를 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시스템.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걸림 부재(232)는, 상기 반송차(12) 1량당 2개 설치되고, 상기 제1 반송부로서의 왕로부와, 상기 왕로부와는 역방향으로 상기 반송차(12)를 안내하는 상기 제2 반송부로서의 귀로부를 연결하는 상기 방향 전환부(20)에 안내되는 피안내 부재를 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시스템.
KR1020057011634A 2002-12-20 2003-12-19 반송 시스템 KR1007412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70669A JP3977243B2 (ja) 2002-12-20 2002-12-20 搬送システム
JP2002370657A JP3843254B2 (ja) 2002-12-20 2002-12-20 搬送車停止機構
JP2002370635A JP3814577B2 (ja) 2002-12-20 2002-12-20 搬送車
JPJP-P-2002-00370642 2002-12-20
JP2002370685A JP3878548B2 (ja) 2002-12-20 2002-12-20 搬送システム
JPJP-P-2002-00370685 2002-12-20
JPJP-P-2002-00370657 2002-12-20
JPJP-P-2002-00370635 2002-12-20
JPJP-P-2002-00370669 2002-12-20
JP2002370642A JP3814578B2 (ja) 2002-12-20 2002-12-20 搬送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1740A true KR20050091740A (ko) 2005-09-15
KR100741226B1 KR100741226B1 (ko) 2007-07-19

Family

ID=32686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1634A KR100741226B1 (ko) 2002-12-20 2003-12-19 반송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255220B2 (ko)
KR (1) KR100741226B1 (ko)
GB (1) GB2411385B (ko)
WO (1) WO200405668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327B1 (ko) * 2005-12-13 2007-12-18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반송 레일 유닛 및 반송 기구 유닛용 접속 기구
KR100831763B1 (ko) * 2008-02-15 2008-05-23 주식회사 우정티.알.비. 컨베어벨트 그루빙 머시인
KR200445254Y1 (ko) * 2008-05-19 2009-07-14 장경진 순환레일을 이용한 빵 및 과자류 자연냉각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19922A1 (de) * 2004-04-21 2004-11-18 Bär, Ralf, Dipl.-Ing. Fördersystem für Werkstücke oder Gegenstände
WO2009057761A1 (ja) * 2007-10-31 2009-05-07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搬送用自走車及びその停止制御方法
DE102009044141A1 (de) * 2009-09-30 2011-04-14 Maurer Söhne Gmbh & Co. Kg Transportsystem
EP2390205B1 (de) 2010-05-28 2013-08-28 Güdel Automation Gmbh Modulare Fördervorrichtung
CN102601132B (zh) * 2012-03-23 2014-07-23 二重集团(德阳)重型装备股份有限公司 带卷移送装置
CH710023A1 (de) * 2014-08-27 2016-02-29 Ferag Ag Förderanlage für den Transport von Gegenständen, insbesondere Waren, entlang einer vorgegebenen Strecke.
US9376091B2 (en) * 2014-11-06 2016-06-28 G. Thomas Ennis Conveyor system
CN105947559A (zh) * 2016-06-22 2016-09-21 宁波圣瑞思工业自动化有限公司 一种吊挂输送系统
CN106081227B (zh) * 2016-08-29 2018-09-14 如皋市包装食品机械有限公司 一种高速送糖机械手
CN110573415B (zh) * 2017-04-11 2022-07-08 Ebz 系统技术有限责任公司 用于自动化生产线的输送机构、用于输送机构的构件承载滑架以及用于运行输送机构的方法
US10781049B2 (en) * 2017-06-26 2020-09-22 David Christensen Magnetic material handler
DE202017106670U1 (de) * 2017-11-03 2019-02-05 Dematic Logistics Gmbh Kettenglied, Förderkette und Fördervorrichtung
CN107826737A (zh) * 2017-11-17 2018-03-23 中车洛阳机车有限公司 一种机车制动盘组件上下料自动抓取机械手
CN107857073B (zh) * 2017-11-22 2023-06-13 江苏金陵体育器材股份有限公司 用于分区输送的柔性输送装置
CN107843603B (zh) * 2017-12-11 2024-04-16 苏州精濑光电有限公司 一种玻璃基板靠位机构
CN110230077A (zh) * 2018-03-06 2019-09-13 江苏丹源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电解金属锰阴极板自动进槽机及其操作方法
CN108971819A (zh) * 2018-09-25 2018-12-11 三峡昌耀管廊建设有限公司 一种钢筋网连续自动排焊机
CN109229685A (zh) * 2018-10-22 2019-01-18 湖南达嘉智能包装设备有限公司 一种贴标入托一体机
CN109230388A (zh) * 2018-10-22 2019-01-18 惠州市万顺桔企业管理服务有限公司 壳体输送装置及其自动化装配设备
CN109131993A (zh) * 2018-10-26 2019-01-04 惠州市万顺桔企业管理服务有限公司 药瓶运输中转装置及其自动化生产设备
CN109850477B (zh) * 2018-12-28 2024-02-13 内蒙古索利得设备有限公司 一种黄芪自动搓揉装置
CN110040444A (zh) * 2019-05-15 2019-07-23 乳山市双兴机床制造有限公司 步进式输送料道
CN110255161B (zh) * 2019-05-22 2020-11-03 江苏大学 一种气雾罐罐体与通用底座自动扶梯式分离装置
CN111216228A (zh) * 2019-11-25 2020-06-02 通号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管廊预制场的总平面布置方法
US11827249B2 (en) 2021-12-01 2023-11-28 Cooley Enterprises, LLC Clean energy integrated transportation system using a hydro system
US11565884B1 (en) 2021-12-01 2023-01-31 Cooley Enterprises, LLC Clean energy integrated transportation system using a track and cable
US11390470B1 (en) * 2021-12-01 2022-07-19 Cooley Enterprises, LLC Clean energy integrated transportation system
CN114903300B (zh) * 2022-05-10 2024-03-08 南京山景科技有限公司 一种实验室智能试剂管理柜用托盘小车
CN114955421B (zh) * 2022-05-20 2023-03-14 山东农业大学 网格式吊挂运输系统及控制方法
CN114664717B (zh) * 2022-05-26 2022-09-13 四川熙隆半导体科技有限公司 一种kbl半导体器件引脚组装设备
CN115892842B (zh) * 2023-01-04 2023-06-30 中建材智能自动化研究院有限公司 一种可以消除翻转不稳定的上摆开合辊道
CN116141384B (zh) * 2023-04-14 2023-09-29 唐山数派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工业机器人操作测试工程工作台

Family Cites Families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063965B1 (ko) * 1969-10-14 1973-10-19 Tissmetal Lionel Dupont
US3948186A (en) * 1971-09-13 1976-04-06 Jervis B. Webb Company Overhead power and free conveyor system
JPS4890387A (ko) 1972-03-06 1973-11-26
JPS5315274B2 (ko) * 1973-12-10 1978-05-23
CA1013665A (en) 1974-01-02 1977-07-12 Hooker Chemicals And Plastics Corp. Evaporation apparatus
JPS51142288A (en) 1975-04-30 1976-12-07 Koden Electronics Co Ltd Direction indicator
JPS5263747A (en) 1975-11-20 1977-05-26 Fujitsu Ltd Light detector for optical encoder
JPS5290886A (en) 1976-01-27 1977-07-30 Riyuuichi Tamura Pipe shearing device
DE2621411B2 (de) * 1976-05-14 1978-12-21 Psb Gmbh Foerderanlagen Und Lagertechnik, 6780 Pirmasens Mitnehmereinrichtung für Schleppkreisförderer mit Nebenkreisen
JPS5817097B2 (ja) 1977-05-30 1983-04-05 日東精工株式会社 チエ−ン式パレット移送装置におけるパレット停止及び発進装置
JPS5566414A (en) 1978-11-10 1980-05-19 Kawasaki Steel Corp Device for controlling transferring position in conveyor device having junction portion
US4256221A (en) * 1979-09-26 1981-03-17 Rwc, Inc. Workpiece assembly machinery
JPS5650860A (en) 1979-09-30 1981-05-08 Koei Sangyo Transporting truck provided with speed controller
JPS56141240A (en) 1980-03-31 1981-11-04 Toshiba Corp Paper feeder
JPS5734333A (en) 1980-08-08 1982-02-24 Hitachi Ltd Proximity system double face exposure device
US4354435A (en) * 1980-12-23 1982-10-19 Nakanishi Metal Works Co., Ltd. Apparatus for transferring carriers at discontinuous portion of power line for power-and-free trolley conveyor
JPS5841250A (ja) 1981-09-01 1983-03-10 Aisin Seiki Co Ltd スタ−リング機関の出力制御装置
JPS5873466A (ja) 1981-10-28 1983-05-0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ワ−ク搬送装置
JPS58136553A (ja) * 1982-02-10 1983-08-13 中西金属工業株式会社 パワ−・アンド・フリ−・コンベヤにおけるパワ−・ライン断続部のキヤリヤ移送装置
JPS60219157A (ja) 1984-04-13 1985-11-01 株式会社ダイフク 台車式搬送装置
JPS6134518A (ja) 1984-07-26 1986-02-18 Fuji Photo Film Co Ltd 光ビ−ム走査装置
JPS61109861A (ja) 1984-11-01 1986-05-28 株式会社大林組 滑動型枠装置のヨ−ク間隔調節装置
JPS61215158A (ja) * 1985-03-19 1986-09-24 株式会社 京都製作所 物品搬送台の搬送方法
US4771700A (en) * 1985-07-23 1988-09-20 Nakanishi Metal Works Co., Ltd. Power-and-free conveyor
JPS6238765A (ja) 1985-08-14 1987-02-19 Kobe Steel Ltd ア−ク偏向制御用電磁プロ−ブ
JPS62135668A (ja) 1985-12-06 1987-06-18 Nippon Denso Co Ltd 点火プラグのくすぶり防止装置
JPS62135668U (ko) * 1986-02-20 1987-08-26
US4711343A (en) * 1986-05-19 1987-12-08 Dixon Automatic Tool, Inc. Power-and-free conveyor apparatus for handling pallet-supported workpieces
US4934515A (en) * 1988-08-16 1990-06-19 Litton Industrial Automation Systems, Inc. Endless accumulating conveyor
US4880101A (en) * 1988-09-16 1989-11-14 The Boeing Company Piece locating system for painting or the like
JP2744970B2 (ja) 1988-09-19 1998-04-28 株式会社 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磁気記録媒体
JP2703952B2 (ja) 1988-10-27 1998-01-26 株式会社東芝 電話機
JPH03232622A (ja) 1990-02-02 1991-10-16 Sanshin:Kk パレットの停止位置決め装置
JP2536799B2 (ja) 1991-06-14 1996-09-18 鹿島建設株式会社 軌条走行リニア式懸垂搬送装置の逆走防止装置
JPH05262416A (ja) 1992-03-17 1993-10-12 Mitsubishi Heavy Ind Ltd リネン搬送コンベヤ
JPH0780541B2 (ja) 1993-05-19 1995-08-30 大和輸送機器株式会社 ベースコンベヤシステムにおける走行装置
JP3418877B2 (ja) 1993-06-02 2003-06-23 光洋サーモシステム株式会社 倍速コンベヤおよびこれを備えた連続処理装置
JP3211500B2 (ja) 1993-07-23 2001-09-25 澁谷工業株式会社 クランプ式容器搬送装置
JP2822157B2 (ja) 1994-11-01 1998-11-11 花王株式会社 物品保持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DE19504457A1 (de) * 1995-02-10 1996-08-14 Bosch Gmbh Robert Modulare Fließfertigungsanlage
US5660114A (en) * 1995-05-10 1997-08-26 Seagate Technology, Inc. Transport system for thin film sputtering system
CA2183918A1 (en) * 1995-09-01 1997-03-02 Kenneth B. Lingo Accumulating conveyor with latchable pallets
DE19608133C2 (de) 1996-03-02 2002-07-11 Koenig & Bauer Ag Fördervorrichtung
JPH09263238A (ja) 1996-03-27 1997-10-07 Nippon Yusoki Co Ltd 台車の加減速機構
US5669309A (en) * 1996-04-17 1997-09-23 General Motors Corporation Accumulating conveyor system
JP3309059B2 (ja) 1997-03-18 2002-07-29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物品搬送装置のキャリッジ連結装置
JPH1159851A (ja) 1997-08-27 1999-03-02 Toyota Auto Body Co Ltd フリーフローコンベヤ
DE19925836C2 (de) * 1999-06-07 2002-11-07 Eisenmann Kg Maschbau Schleppförderer
US6382396B1 (en) * 1999-12-08 2002-05-07 Harcon Engineering Inc. Accumulating conveyor
US6464066B2 (en) * 2000-04-04 2002-10-15 Inno-Veyor, Inc. Conveyor assembly with pallet coupling
JP3899232B2 (ja) 2000-12-26 2007-03-28 マルヤス機械株式会社 ベルトコンベア
JP2002358563A (ja) 2001-06-04 2002-12-13 Kubota Corp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WO2003010075A1 (fr) * 2001-07-24 2003-02-06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Dispositif transporteur d'ouvrages
ITTO20011223A1 (it) * 2001-12-27 2003-06-27 Cpm Spa Sistema trasportatore integrato per la movimentazione di carichi,in particolare di veicoli lungo una linea di produzione.
US6827200B1 (en) * 2002-02-01 2004-12-07 Arthur B. Rhodes Multi-speed variable spacing conveyor system
US6679185B2 (en) * 2002-02-27 2004-01-20 Automatic Systems, Inc. Adjustable shock absorbing tow ba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327B1 (ko) * 2005-12-13 2007-12-18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반송 레일 유닛 및 반송 기구 유닛용 접속 기구
KR100831763B1 (ko) * 2008-02-15 2008-05-23 주식회사 우정티.알.비. 컨베어벨트 그루빙 머시인
KR200445254Y1 (ko) * 2008-05-19 2009-07-14 장경진 순환레일을 이용한 빵 및 과자류 자연냉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411385B (en) 2006-03-29
GB2411385A (en) 2005-08-31
GB0512303D0 (en) 2005-07-27
WO2004056681A1 (ja) 2004-07-08
US20060060450A1 (en) 2006-03-23
KR100741226B1 (ko) 2007-07-19
US7255220B2 (en) 2007-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1226B1 (ko) 반송 시스템
US4723356A (en) Weighty object mounting systems
CA2958522C (en) Conveying equipment with utilization of conveying traveling body
WO2006137317A1 (ja) 搬送用走行体の配送設備
US20030196566A1 (en) Transfer system using movable bodies
CN100372747C (zh) 传送系统
CN108313083B (zh) 货运动车智能装载系统及智能货运动车
EP0841997A1 (en) Drawing process and machine
DE2760020C2 (ko)
US4890723A (en) Plate type chip conveyor
KR0175172B1 (ko) 트랜스퍼 프레스
US4850476A (en) Suspended cylindrical belt conveyor system
US4917233A (en) Table conveyor
FI85904B (fi) Hopmonteringsmaskin foer olika delar av ett beslagelement.
US6997304B2 (en) Accumulating conveyor
CN109264436A (zh) 一种输送带箱体合并装置及装箱系统
JP3878548B2 (ja) 搬送システム
CN212221486U (zh) 一种用于长通道转向输送的链式传送系统
JP3234779B2 (ja) 形材の噛合せ搬送方法
JP4118066B2 (ja) 移動体使用の搬送設備
JP3758604B2 (ja) 可動体使用の搬送設備
CN217837226U (zh) 一种循环输送机构
KR910006594B1 (ko) 대차 견인 장치
JP3977243B2 (ja) 搬送システム
JP3925010B2 (ja) 移動体使用の搬送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