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6594B1 - 대차 견인 장치 - Google Patents

대차 견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6594B1
KR910006594B1 KR1019860009691A KR860009691A KR910006594B1 KR 910006594 B1 KR910006594 B1 KR 910006594B1 KR 1019860009691 A KR1019860009691 A KR 1019860009691A KR 860009691 A KR860009691 A KR 860009691A KR 910006594 B1 KR910006594 B1 KR 910006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olley
engaging
frame
pin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9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8763A (ko
Inventor
테루오 스다
테츠조우 구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쯔바기모도 체인
우라베 도모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쯔바기모도 체인, 우라베 도모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쯔바기모도 체인
Publication of KR870008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8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6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5/00Conveyors comprising a cyclically-moving, e.g. reciprocating, carrier or impeller which is disengaged from the load during the return part of its movement
    • B65G25/04Conveyors comprising a cyclically-moving, e.g. reciprocating, carrier or impeller which is disengaged from the load during the return part of its movement the carrier or impeller having identical forward and return paths of movement, e.g. reciprocating conveyors
    • B65G25/06Conveyors comprising a cyclically-moving, e.g. reciprocating, carrier or impeller which is disengaged from the load during the return part of its movement the carrier or impeller having identical forward and return paths of movement, e.g. reciprocating conveyors having carriers, e.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 Reciprocating Convey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대차 견인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셔틀콘베이어를 포함한 이송장치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정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대차 구동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구동 프레임의 1실시예의 평면도.
제5도는 제4도의 5-5선 단면도.
제6도는 제5도의 6-6선 단면을 나타낸 측면도.
제7도는 제4도의 로드 지지구조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제8도는 본 발명의 구동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제9도는 제8도의 9-9선 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정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11-11선 단면도를 포함한 정면도.
제12도는 제10도의 12-12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1b : 레일 2a, 2b : 트래버어서(Traverser)
3 : 이송용 대차 3a : 빈 대차
4 : 이동적재 장치 5 : 전동구동장치
6 : 구동체인 7 : 스톱퍼
8 : 로울러 9 : 안내 로울러
10 : 레일 11, 11A : 구동 프레임
12 : 주행 로울러 13 : 로드
14 : 연결체 15 : 링크
16 : 래크 17 : 모우터
18 : 감속기 ι : 피치
19 : 프레임 본체 19a : 긴쪽방향부재
20 : 보스부재 21 : 로울러 축
22 : 끝단판 23 : 부쉬
24 : 와셔 25 : 멈춤판
26 : 지지판 27 : "U"자형 요홈부
28 : 축이음부재 29 : 플랜지
30 : 핀지지블록 31 : 로드
32 : 부쉬 33 : 완충 스프링
33A : 완충 스프링 34 : 너트
35 : 누름부재 36 : 안내레일
37 : 돌출부 38 : 부쉬
39 : 걸어맞춤 핀 40 : "U"자형 부재
41 : 에어 실린더 42 : "U"자형 연결부재
43 : 양측부 44 : 수직레일
45 : 걸림돌기 46 : 홈
47 : 공급 호우스 48 : 걸어맞춤부재
49, 49A : 평편한 면 50, 50A, 50B : 걸어맞춤 요홈부
53 : 지지틀 54 : 돌출부
55, 56 : 안내레일 57 : 로드
58 : 수평핀 59 : 미끄럼 동작로드
60 : 걸어맞춤 핀 60a : 2점 쇄선위치
61 : 링크 62 : 다리
63 : 링크 64 : 핀
65 : 브라켓트 66 : 에어 실린더
70 : 중간 프레임 71 : 종부재
72, 72a, 72b : 횡부재 73 : 레일부재
74 : 지지부재 75 : 키이
76 : 브라켓트 77 : 유압 완충 장치
78 : 로드 79 : 받침부재
80 : 고무 큐숀 81 : 축받이
82 : 축 83 : 보스부
84 : 로우터리 액츄터 85 : 체인 커플링
86 : 전자 밸브 87 : 콘트롤
88 : 걸어맞품판 89 : 보강판
90 : 경사면 91a, 91b : 걸어맞춤부재
V : 위치 92 : 경사면
93 : 사이렌서 C : 코일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제철소에서 길이가 긴 얇은 강판을 감은 코일을 이송하는 경우에, 콘베이어의 대차에 실은 이 코일을 앞에서 대기하게 하여 콘베이어에 접속하는 앞, 뒤 설비의 처리 능력의 언바란스를 흡수하여, 이로서 작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셔틀콘베이어의 대차 견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제철소에 있어서의 코일 이송용 콘베이어는 콘베이어체인에 직접 코일을 싣는 방식 및 코일을 실은 대차를 직접 체인으로 견인하는 방식이 있었다.
그러나, 어느 방식에 있어서도 체인과 함께 코일이 움직이기 때문에, 콘베이어 마지막 끝단에 코일이 있을때에는 운전이 불가능하게 되어서, 상류측의 기기를 정지시켜야 되며, 더구나 콘베이어로서 여러개의 코일을 동시에 이송하기 위하여서는 대단이 큰 구동력을 필요호 하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체인 구동방식은 일반적으로 체인의 늘어남이나 체인과 대차사이에 형성된 걸림 및 떨어짐 장치의 전,후 방향의 유동에 의하여 대차가 정지되는 정밀도가 떨어지는 문제도 있었다.
이 때문에 콘베이어 체인을 사용하지 않고, 이송통로의 일정피치마다 구동 프레임을 형성하여 상기 피치만큼 이송방향으로 동시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구성하고, 각 구동 프레임에 승강 가능한 걸어맞춤 핀을 형성하여, 이를 각 대차에 형성된 걸어맞춤 구멍에 선택적으로 걸어맞춤시키는 콘메이어도 제안되었지만 이 경우에는 클램프 장치에 대차를 고정하여 정지되는 정밀도를 수정한 후에 걸어맞춤 핀을 걸어맞춤 구멍에 삽입하기 때문에, 걸어맞춤 핀과 걸어맞춤 구멍과의 사이에는 수정된 대차의 정지되는 정밀도의 치수보다 큰 간격이 전,후에 생기도록 양쪽의 끼워 맞춤치수를 두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이고, 또한 대차의 정지 위치를 수정하는 클램프 장치를 형성하지 않을 때에는 구동 프레임이 정지되는 정밀도를 걸어맞춤 핀과 걸어맞춤 구멍과의 간격 이내에 설정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이것이 코스트가 높게되는 원인이 된다.
또한, 걸어맞춤 핀과 걸어맞춤 구멍과의 걸어맞춤에 의하여 대차를 견인하기 시작할때에, 큰 중량의 대차의 하중 때문에 구동 장치나 걸어맞춤 핀등에 큰 충격이 가하여지는 불합리한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구동 프레임 측의 걸어맞춤 핀의 이송대차쪽의 걸어맞춤 구멍과의 걸어맞춤 구조를 개량하여, 이것에 의하여 코스트가 높고 대차의 견인시에 발생하는 충격력을 제거한 대차견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왕복이동을 하는 구동 프레임에 형성된 걸어맞춤 핀이 이송용 대차와 걸림 및 떨어지게 하여 이송용 대차를 앞에서 대기하게 하는 셔틀 콘베이어의 걸어맞춤 핀과 이 걸어맞춤 핀을 탄성력 있게 늘려서 선택적으로 걸림 및 떨어지게 하는 작동 장치와를 완충장치를 개재하여 구동 프레임에 형성하고, 이송용 대차에 걸어맞춤 핀이 대차의 이송방향으로 미끄럼 접촉하는 평편한면과 평편한면에 이어지는 걸어맞춤 요흠부와를 형성한 것에 의하여 상기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이송용 대차가 셔틀 콘베이어의 이송통로에 반입된때에, 이 대차는 그 걸어맞춤 요홈부에 구동 프레임의 걸어맞춤 핀이 정확하게 대향하는 정확한 정지위치에 있을 필요가 없고, 비교적 전,후방향으로 긴 평편한 면에 걸어맞춤 핀이 들어맞는 범위의 정지 위치에 있으면 된다.
이 상태에서 구동 프레임이 후퇴하여, 정지하고, 걸어맞춤 요홈부와 걸어맞춤 핀의 정지 위치가 일치하지 않으면, 걸어맞춤 핀은 평편한 면에 탄성력 있게 접촉하여 정지하며, 다음에 구동 프레임이 전진하면, 걸어맞춤핀은 걸어맞춤 부재의 아래쪽 둘레를 미끄럼 이동하여 걸어맞춤 요홈부내에 진입하여서, 대차를 견인한다.
이 경우에 구동 프레임의 후퇴한 위치에 대차가 정지하여 있고, 따라 맞부딪치는 선행 대차가 없을 때에만 걸어맞춤 핀을 걸어맞춤위치로 회동시키면, 대차는 앞에서 대기하게 된다.
이송대차의 기동시에 있어서 큰대차 하중의 관성에 의한 충격력은 완충장치에 의하여 완화된다.
또한, 대차가 정지될때의 대차하중의 관성에 의한 충격력도 완충장치에 의하여 완화된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와,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인 셔틀 콘베이어를 사용한 이송장치를 나타내고, 이콘베이어는 평행하는 수평의 주행레일(1a)과 되돌아 오는 레일(1b)의 양쪽끝단이 트래버에서(Traverser)(2a),(2b)에 의하여 접속되어서 평면 형상의 순환 통로를 형성하고 있다.
레일(1a) 위를 주행하는 이송용 대차(3)에는 레일(1a)이 시작되는 끝단에 형성된 워킹빔(Walkingbeam)의 이동적재 장치(4)로부터 길이가 긴 얇은 강판을 감은 코일(c)이 적재되어, 전동구동장치(5)에 의하여 도면의 오른쪽방향으로 전진되게 한다.
트래버어서(2b)의 앞에서 코일(c)은 대차(3)로부터 내려지고, 빈 대차(3a)는 트래버어서(2b)에 의하여 레일(1b)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레일(1b)을 따라서 형성한 구동체인(6)은 대차(3)와의 사이에 형성된 걸어맞춤 장치에 의하여 트래버어서(2b) 위의 빈 대차(3a)를 되돌아 가게한다.
이 빈 대차(3a)는 스톱퍼(7)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걸어맞춤 장치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면 정지하고, 다시 트래버어서(2a)에 의하여 레일(1a)측으로 이동되어서 코일 이송용으로 사용된다.
제3도에서 대차(3)의 진행구동장치를 나타낸다.
대차(3)는 전,후 양쪽에 축받이된 로울러(8)가 레일(1a) 위에 얹혀져 있고, 또한, 안내로울러(9)가 레일(1a)의 내측에 접촉하여 레일(1a) 위를 좌,우로 흔들리는 일이 없이 주행한다.
레일(1a)의 아래방향에 이것과 평행하는 1쌍의 "H"형상의 빔으로된 레일(10)을 형성하고, 이것에 여러개의 구동 프레임(11)의 각각에 축받이된 주행로울러(12)를 끼워 넣어서 대차(3)의 바로 아래를 안내이동 하도록 구성하여, 이들의 구동 프레임(11)을 트레버어서(2a),(2b) 사이를 등간격으로 분할된 피치(ι)(제1도)를 갖고서 로드(13)에 의하여 서로 연결하여 1개의 연결체(14)를 형성한다.
연결체(14)의 앞부분 2개의 구동 프레임(11)을 링크(15)를 개재하여 래크(16)에 연결한다(제2도 및 제3도 참조).
래크(16)은 레일(10)의 아래방향에서 레일(10)과 평행하는 고정안내홈내에 수평 이동가능하게 안내지지되어 있고, 모우터(17)와 감속기(18)와를 갖는 구동장치(5)에 의하여 회전구동되는 도시 않은 피니언과 이 맞물림하여 피치(ι)보다 큰(ι)의 스트로우크(Stroke)를 갖고서 왕복 구동된다.
제1도의 a,b,c,…w는 대차(3)의 왕복이동 끝단의 정지위치를 나타낸다.
트래버어서(2a),(2b)의 중심선은 각각 a,w의 정지 위치에 일치되게 한다.
제4도 내지 제6도는 구동 프레임(11)을 상세하게 나타낸다.
구동 프레임(11)은 채널(Channel)부를 장방향의 틀로 용접하여된 프레임 본체(19)를 가지고, 그 아래부에 용접한 4개의 보스부재(20)에 로울러축(21)을 끼워넣어, 보스부재(20)의 내측면에 보울트로 고정한 끝단판(22)에 로울러축(21)을 보울트로 고정한다.
로울러축(21)의 외측 돌출부분에 부쉬(23)와 와셔(24)를 장착하여 플랜지부 주행 로울러(12)를 회동이 자유롭도록 끼우고, 로울러축(21)의 앞끝단에 보울트로 고정한 멈춤판(25)에 의하여 주행로울러(12)의 빠짐을 방지한다(제6도 참조).
프레임 본체(19)를 전,후 방향으로 거의 3등분하는 위치에 있어서 긴쪽 방향부재(19a)에 용접한 1쌍의 지지판(26)(제4, 제5도 및 제7도)의 "U"자형 요홈부(27)내에 축이음 부재(28)를 주위의 플랜지(29)를 갖고서 긴밀하게 끼워 넣어서, 플랜지(29)를 지지판(26)에 보울트로 고정한다.
프레임 본체(19)의 중앙에 위치하는 핀 지지블록(30)의 전,후에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드(31)를 나사로 고정하여, 로드(31)를 축이음부재(28)에 형성된 부쉬(32)를 관통하여 전,후에 돌출시키어, 이 돌출부분에 여러개의 접시형상 스프링을 교호로 반대방향으로 겹쳐서되는 완충 스프링(33)을 끼워 통하게 하고 이것을 너트(34)에 의하여 압축하여 적당한 예압을 가한다.
완충 스프링(33)을 사용하는 대신에 코일 스프링과, 에어 실린더 등의 다른 주지의 완충장치를 사용하여도 된다.
또한, 긴쪽방향부재(19a)의 상부에 보울트로 고정한 앵글형상의 누름부재(35)와, 이 긴쪽 방향부재(19a)의 내측면에 용접된 안내레일(36)에 의하여 핀 지지블록(30)의 양측돌출부(37)를 전,후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안내하여 끼워둔다(제6도 참조).
핀 지지블록(30)은 핀 지지블록(30)의 중심구멍내에 부쉬(38)를 개재하여 걸어맞춤 핀(39)을 에어실린더(41)로써 승강이 자유롭도록 안내지지하고 있다.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 지지블록(30)의 아래면에 "U"자형 부재(40)의 위 끝단을 용접하여, 걸어맞춤 핀(39)의 승강작동 장치로서 "U"자형부재(40)의 아래 부분에 붙임고정된 에어실린더(41)의 로드에 "U"자형 연결부재(42)를 붙임고정하고, 그 양측부(43)를 "U"자형부재(40)의 내측에 형성된 수직레일(44)에 의하여 안내하여, "U"자형 연결부재(42)의 양측 위끝단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돌출시킨 걸림돌기(45)를 걸어맞춤 핀(39)의 아래부분에 형성된 홈(46)내에 끼워 넣어서, 에어실린더(41)에 의하여 걸어맞춤 핀(39)을 승강시킨다.
에어실린더(41)로의 압축공기 공급호우스(47)는 도시 않은 변환밸브를 통하여 압축공기 공급탱크에 접속된다.
제5도 및 제6도에서 한편 이송용대차(3)의 전,후방에 튀어나오게 형성한 걸어맞춤부재(48)의 아래면에 하강 위치에 있는 걸어맞춤 핀(39)의 상측끝단보다 약간 높게 평편한면(49)를 형성하여, 그 앞부분에 상승위치에 있는 걸어맞춤 핀(39)이 넣어지는 걸어맞춤 요홈부(50)를 형성한다.
걸어맞춤 요홈부(50)는 앞,뒤면이 수직이며, 그 앞,뒤 폭의 치수는 걸어맞춤 핀(39)의 직경보다 충분히 크고, 평편한면(49)의 앞,뒤길이는 구동 프레임(11)이 후퇴한때에, 상승하는 걸어맞춤 핀(39)이 맞닿아 접촉하는 크기라면 좋다.
제5도에 있어서 화살표시와 같이 구동 프레임(11)이 전진하는 것에 있다고 하면, 후퇴하는 것에 있어서의 걸어맞춤 핀(39)은 전진하는 것의 위치보다 L-l만큼 후방의 일점쇄선위치에 있게된다.
다음에, 연결체(14)에 의하여 이송용 대차(3)를 레일(1a)위에 앞에서 대기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트래버어서(2a)에 의하여 빈 대차(3a)가 레일(1a)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연결체(14)가 후퇴하여 정지하면, 가장 후방부의 구동 프레임(11)의 걸어맞춤 핀(39)이 상승하여 빈 대차(3a)의 평편한면(49)에 에어실린더(41)의 공기 압력에 의하여 탄성력 있게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 연결체(14)가 스트로우크(L)만큼 전진하면, 이 전진중에 걸어맞춤 핀(39)의 상측 끝단은 평편한면(49)에 대하여 탄성력 있게 접촉되어 미끄러져서, 걸어맞춤 요홈부(50)내에 진입한다.
또한, 걸어맞춤 핀(39)이 전진하여 걸어맞춤 요홈부(50)의 전면에 맞닿으면, 대차(3)는 연결체(14)에 의하여 견인되어 제1도에서 위치(V)에 이동한다.
이어서 걸어맞춤 핀(39)이 에어실린더(41)의 작동에 의하여 하강하고, 연결체(14)는 (L)만큼 원위치로 후퇴한다.
(V) 위치에서 이동적재장치(4)에 의하여 코일(C)을 빈 대차(3a)위에 싣고나서, 걸어맞춤 핀(39)을 상승시키면, 걸어맞춤 핀(39)은 이 대차(3)의 평평한면(49)에 에어실린더(41)의 압력에 의하여 맞닿음 접촉한다.
이어서, 연결체(14)는 (L)만큼 전진하여 걸어맞춤 핀(39)이 평편한면(49)을 원활하게 걸어맞춤 요홈부(50)내에 넣어지게 하여서 그 전면에 걸어맞춤하는 대차(3)를 (ι)만큼 전진시킨다.
대차 시동시의 충격력은 완충 스프링(33)에 의하여 완화된다.
연결체(14)가 전진한도 가깝게 감속하면, 대차(3)는 남은 힘으로 이동하여, 걸어맞춤 요홈부(50)의 뒤면이 걸어맞춤 핀(39)에 닿아서 정지한다.
정지시의 충격력도 완충스프링(33)에 의하여 완화된다.
이렇게 하여 대차(3)는 거의 (ι)의 피치를 갖고서 움직이게 된다.
이로서, 구동 프레임(11)의 후퇴 한도 위치에 대차(3)가 정지하고 있고 또한 추돌하는 선행정지 대차(3)가 없는 것을 조건으로하여 걸어맞춤 핀(39)을 상승시키는 상기 변환밸브를 조작하여 에어실린더(41)를 작동시키면, 코일(C)을 실은 대차(3)를 레일(1a)에 피치(ι)를 갖고서 앞에서 대기하게 할 수가 있다.
가장 앞부분의 대차(3)로부터 코일(C)을 내리면, 빈 대차(3a)는 트래버어서(2b)로 이동되어서 레일(1b)측으로 가로로 이동되어, 뒤의 대차(3)는 (L)피치만큼 전진하게 된다.
되돌아 가는 레일(1b)의 외측에 형성된 구동체인(6)은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래버어서(2a),(2b)의 통로를 지나서 구동스프로켓(51)과 종동스프로켓(52)에 걸려져 있어, 체인로울러가 레일위에 지지되어서 수평으로 연속이동을 한다.
대차(3)와 구동체인(6)과의 사이에는 주지의 걸림 및 떨어짐 장치가 형성되어 있고, 예를 들면 구동체인(6)에 피버트 고정한 후크가 대차(3)측의 핀에 걸어맞춤하여 빈 대차(3a)를 연결 이동하여, 스톱퍼(7)에 상기 후크가 닿아서 기울어지면 상기 핀과의 걸어맞춤이 떨어져서 빈 대차(3a)는 정지한다.
제8도와, 제9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 프레임(11A)의 중앙부에 수납한 전,후방에 가늘고 긴 지지틀(53)의 양측 돌출부(54)를 구동 프레임(11A)의 양쪽 내측에 고정한 상,하의 안내레일(55),(56) 사이에 전,후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안내하도록 끼워두고, 지지틀(53)의 전,후방에 전,후 방향의 로드(57)를 고정하며, 이것을 앞의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판(26) 및 축이음 부재(28)와 같은 구조를 갖고서 지지하고, 또한, 완충 스프링(33A)을 너트(34A)에 의하여 압축하여 적당한 예압을 가한다.
지지틀(53)의 틀내에, 앞끝단을 수평핀(58)으로서 피버트 지지한 미끄럼 동작로드(59)를 형성하여, 그 후방 끝단의 상부에 걸어맞춤 핀(60)을 고정붙임하며, 이 후방끝단에 피버트 고정한 링크(61)와, 지지틀(53)의 양측에 고정한 다리(62)에 피버트 고정한 링크(63)와를 핀(64)으로서 연결하여, 지지틀(53)의 앞끝단 아래에 튀어나오게 형성한 브라켓트(65)에 앞끝단을 피버트 지지한 에어실린더(66)의 로드를 핀(64)으로서 링크(61),(63)와 연결한다.
에어실린더(66)가 도시의 신장위치에 있을때에, 링크(61),(63)는 수직의 직선형상을 하고, 미끄럼 동작로드(59)는 수평으로 되고, 걸어맞춤 핀(60)은 구동 프레임(11A)의 위방향에서 수직으로 돌출한다.
에어실린더(66)의 로드가 수축하면, 링크(61),(63)는 구부러져, 미끄럼 동작로드(59) 및 걸어맞춤 핀(60)은 아래 방향으로 기울어 진다.
대차(3)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평편한면(49A) 및 걸어맞춤 요홈부(50A)가 형성되어 있어, 구동 프레임(11A)이 후퇴할때에 에어실린더(66)의 로드는 수축위치에 있으며, 미끄럼 동작로드(59)는 아래방향으로 기울어져, 걸어맞춤 핀(60)은 2점 쇄선위치(60a)로 하강한다.
다음에 구동 프레임(11A)이 (L)만큼 후퇴하여, 후방의 대차(3)의 아래에 정지한다.
이어서 에어실린더(66)가 신장하면, 걸어맞춤 핀(60)은 (60b)의 위치로 상승하여, 평편한면(49A)에 누름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 연결체(14)가 전진하면, 걸어맞춤 핀(60)은 평편한면(49A)을 미끄러져 걸어맞춤 요홈부(50A)에 진입하여, 그 앞면에 걸어맞춤하여 대차(3)를 견인한다.
에어실린더(66)의 작동조건 및 스프링(33A)의 작용은 앞의 실시예에서와 같은 것이다.
제10도 내지 제12도는 제3실시예의 구동 프레임(11)을 상세하게 나타낸다.
구동 프레임(11)은 연결체(14)의 전길이를 통하는 좌,우 1쌍의 채널부로 되는 종부재(71)에 횡부재(72)를 고정 붙임하여 일체로 형성되고, 종부재(71)의 적당한 부분에 피버트 지지된 플랜지 부착의 로울러(12)가 레일(10)에 걸어맞춤되어 왕복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동 프레임(11)을 구획하는 전,후방의 횡부재(72a)(72b)사이에 있어서, 종부재(71)의 내측에 "L"형상단면의 레일부재(73)를 고정붙임하고, 이것에 중간 프레임(70)을 그 양측에 고정붙임된 지지부재(74)에 의하여 미끄럼 동작이 가능하게 메달아서, 레일부재(73)에 고정된 키이(75)에 의하여 중간 프레임(70)의 떠오름을 방지한다.
중간 프레임(70)의 후방 끝단은 횡부재(72b)에 브라켓트(76)를 개재하여 붙임 고정된 유압 완충장치(77)의 로드(78)가 내부에 형성된 스프링(도시않음)에 의하여 누름 접촉되어, 중간 프레임(70)의 앞끝단을 횡부재(72a)에 붙임고정된 받침부재(79)에 고무큐숀(80)을 개재하여 맞닿음 접촉시킨다.
중간 프레임(70)의 전방상부에 형성된 1쌍의 축받이(81)에 의하여 종방향의 축(82)을 축받이로 지지하고, 이것에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걸어맞춤 핀(39)의 보스부(83)를 키로 고정하여, 축(82)을 중간 프레임(70)위에 형성된 로우터리 액츄터(Rotary Actuator)(84)에 의하여 체임 커플링(85)를 개재하여 바로 세운 위치 및 수평위치로 선택적으로 회동시킨다.
로우터리 액츄터(84)에는 종부재(71)에 형성되어서 외부 압축공기 공급부에 가요관으로서 연결된 도시 않은 압력배관으로부터 전자밸브(86)와 스피이드 콘트롤(87)과 도시 않은 압력배관으로부터 전자밸브(86)와 스피이트 콘트롤(87)과 도시 않은 가요관 과를 통하여 압축공기가 공급된다.
걸어맞춤 핀(39)은 축(82)과 직각의 전,후방의 걸어맞춤판(88)과 그 사이를 연결하는 보강판(89)을 가지며, 걸어맞춤판(88)의 외측을 경사면(90)으로 형성한다.
한편, 이송용 대차(3)의 아래에 전,후방 1쌍의 걸어맞춤부재(91a),(91b)를 고정붙임하고, 그 수직 대향면 사이를 걸어맞춤 핀(39)이 걸려 넣어지는 걸어맞춤 요홈부(50B)로 하여, 이 대향면의 아래에 약 45도로 경사진 경사면(92)을 형성한다.
(93)은 사이렌서이다.
다음에 연결체(14)에 의하여 이송용 대차(3)를 레일(1a)위에 앞에서 대기하게 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 참조) 트래버어서(2a)에 의하여 빈 대차(3a)가 레일(1a)측으로 이송된 상태에서 연결체(14)가 (L)만큼 후퇴하여 정지하면, 가장 후방부의 구동 프레임(11)의 걸어맞춤 핀(39)이 수평위치에서 바로 세운 위치로 하여 회동된다.
이때에, 빈 대차(3a)의 정지위치가 정확하지 않아도 걸어맞춤 핀(39)은 걸어맞춤 요홈부(50B)보다 앞에서 정지위치에서 바로 세운 방향으로 회동시키므로서, 걸어맞춤 핀(39)은 걸어맞춤 요홈부(50B)보다 후방의 걸어맞춤부재(91b)의 하측 둘레부에 닿아서 정지한다.
다음에 연결체(14)가 피치(ι)보다 긴 거리(L)만큼 전진하면, 걸어맞춤 핀(39)은 상기 하측 둘레부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하여 걸어맞춤 요홈부(50B)내로 걸려넣어져, 걸어맞춤부재(91a)에 맞닿음하여 빈 대차(3a)를 위치(V)로 이동시킨다.
이어서, 걸어맞춤 핀(39)은 수평위치로 회동되고, 연결체(14)는 (L)만큼 후퇴한다.
(V)위치에서 이동적재 장치(4)에 의하여 빈 대차(3a)에 코일(C)을 싣고, 걸어맞춤 핀(39)를 바로 세운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걸어맞춤 핀(39)는 이 대차(3)의 걸어맞춤부재(91b)의 하측 둘레부에 누름 접촉된다.
이어서 연결체(14)가 (L)만큼 전진하면, 걸어맞춤 핀(39)은 걸어맞춤부재(91b)의 하측 둘레부를 미끄럼 이동하여 걸어맞춤 요홈부(50B)에 걸려 넣어져, 대차(3)를 (ι)만큼 전진시킨다.
대차 시동시의 충격력은 유압 완충 장치(77)의 압축에 의하여 완화되어, 전진중에 유압 완충 장치(77)내의 스프링에 의하여 중간 프레임(70)은 정규위치로 밀려되돌아 간다.
연결체(14)가 전진한도 가까이서 감속하면 대차(3)는 타성에 의하여 이동하고, 걸어맞춤부재(91b)가 걸어맞춤 핀(39)을 눌러서 중간 프레임(70)을 큐숀(80)에 부딪쳐 접촉되어 정지한다.
이리하여 대차(3)는 (ι)만큼 이동하게 된다.
상기 진행 동작으로 될때에 구동 프레임(11)의 후퇴한도위치에 대차(3)가 정지하고 있고 또한 이어서 추돌하는 앞의 정지 대차(3)가 없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걸어맞춤 핀(39)을 바로 세우도록 전자밸브(86)을 조작하여 로우터리 액츄터(84)를 작동시키면, 코일(C)를 실은 대차(3)를 레일(1a)위에 피치(ι)를 갖고서 앞에서 대기하게 할 수가 있다.
가장 앞부분의 대차(3)로부터 코일(C)를 내리면 빈 대차(3a)는 트래버어서(2b)로 이동되어서 레일(1b)측으로 가로 이송되어, 뒤의 대차(3)는 1피치만큼 전진하게 된다.
되돌아 가는 레일(1b)의 외측에 형성된 구동체인(6)은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래버어서(2a),(2b)의 통로를 넘어서 구동 스프로켓(51)과 종동스프로켓(52)로 걸려지고 체인 로울러가 레일위에 지지되어서 수평으로 연속이동을 한다.
대차(3)와 구동체인(6)과의 사이에는 주지의 걸림 및 떨어짐 장치가 형성되어 있고, 예를 들면 체인(6)에 피버트 착설된 후크가 대차(3)측의 핀에 걸어맞춤하여 빈 대차(3a)를 견인하고, 상기 후크가 스톱퍼(7)에 닿아서 기울어지면, 상기 핀과의 걸어맞춤이 풀려져서 빈 대차(3a)는 정지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을 갖으므로서, 구동 프레임측의 걸어맞춤 핀은 상승할때에 우선 대차측의 평편한면에 눌려 접촉하고, 구동 프레임의 전진에 의하여 걸어맞춤 요홈부내로 진입하여 대차를 견인하기 때문에, 걸어맞춤 핀과 걸어맞춤 요홈부와의 관계 치수에 각별히 정밀도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따라서 대차에서의 적재부와, 하역부와, 정지 작업부등에서 대차 정지위치 수정용이 클램프 장치와, 대차 정지위치 검출기 및 이들의 제어장치등이 일체 필요없게 되어 설비비용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걸어맞춤핀이 로우터리 액츄터에서 출몰하는 제3실시예의 방법에서는 전체 높이가 낮아지고, 부품수가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걸어맞춤 요홈부에 진입하여 견인을 개시 또는 정지할때의 대차 하중에 의한 충격력을 완화하여 이송을 원활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평편한면의 전,후치수의 범위내에서는 구동 프레임의 연결피치가 같지않아도, 또는 다르게 연결피치를 변환한 경우에도 대차의 진행이송이 가능하게 되고, 그러므로 구동 프레임의 왕복이동의 싸이클 타임을 단축하여 이송능률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평편한면을 걸어맞춤 요홈부의 전,후방에 형성하면 대차의 정,역회전 이송을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차 조립 공장에서 자동차보디의 이송용 및 그 다른 종류의 물품의 이송에 사용할 수가 있다.

Claims (2)

  1. 왕복이동을 하는 구동 프레임(11),(11A)에 형성된 걸어맞춤 핀(39),(60)이 이송용 대차(3)와 걸려지게 하고 떨어지게 하여 이송용 대차(3)를 앞에서 대기하게 하는 셔틀 콘베이어의 걸어맞춤 핀(39),(60)과 이 걸어맞춤 핀(39),(60)을 탄성력 있는 누르게 하여 선택적으로 걸리고 떨어지게 하는 작동장치(에어실린더(41))와를 완충 장치(완충 스프링(33))를 개재하여 구동 프레임(11),(11A)에 형성하여, 이송용 대차(3)에 걸어맞춤 핀(39),(60)에 대차(3) 이송 방향으로 미끄럼 접촉하는 평편한 면(49),(49A)과 평편한 면(49),(49A)에 계속되는 걸어맞춤 요홈부(50),(50A)와를 형성한 대차 견인 장치.
  2. 일정 피치로 연결되어서 이 피치보다 큰 일정거리만큼 왕복이동을 하는 여러개의 구동 프레임(11)이 상기 왕복이동 방향으로 안내 이동을 이송용 대차(3)와 선택적으로 걸리고 떨어지게 하여 이송용 대차(3)를 앞에서 대기하게 하는 셔틀 콘베이어의 각 구동 프레임(11)에 중간 프레임(70)을 전,후 이동 가능하게 안내 지지하고, 중간 프레임(70)에 상기 왕복이동 방향의 축(82)의 둘레에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한 걸어맞춤 핀(39)과 걸어맞춤 핀(39)을 이송용 대차(3)에 형성한 전,후 방향의 걸어맞춤 부재(91a),(91b)사이에 형성된 걸어맞춤 요홈부(50B)에 걸려 넣어지는 걸어맞춤 위치와 걸어맞춤 요홈부(50B) 외측으로 이탈하는 걸어맞춤이 않된 위치와의 사이에 선택 회동 시키는 로우터리 액츄터(84)와를 형성하여, 중간 프레임(70)의 적어도 후방 끝단과 구동 프레임(11)과의 사이에 유압 완충 장치(77)를 형성한 대차 견인 장치.
KR1019860009691A 1986-03-10 1986-11-17 대차 견인 장치 KR9100065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050346A JPS62211209A (ja) 1986-03-10 1986-03-10 台車牽引装置
JP50346 1986-03-10
JP???61-50346 1986-03-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8763A KR870008763A (ko) 1987-10-20
KR910006594B1 true KR910006594B1 (ko) 1991-08-29

Family

ID=12856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9691A KR910006594B1 (ko) 1986-03-10 1986-11-17 대차 견인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2211209A (ko)
KR (1) KR9100065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5910A (ja) * 2000-05-12 2001-11-13 Shigeru Co Ltd 保管システム
JP6681182B2 (ja) * 2015-12-04 2020-04-15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搬送装置、処理装置、および搬送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2211209A (ja) 1987-09-17
KR870008763A (ko) 1987-10-20
JPH0375453B2 (ko) 1991-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6282B1 (en) Transfer system
WO2022057815A1 (zh) 一种斜拉顶升换向式十六轮四向穿梭车
CN108996274B (zh) 一种矿槽移动除尘系统的连接结构及工作方法
KR910006594B1 (ko) 대차 견인 장치
US4972936A (en) Conveying system
CN213622018U (zh) 一种辊床输送线滑撬导偏横移装置
CN215158776U (zh) 一种横向移载机构
CN211544757U (zh) 一种垃圾转运站的换箱装置
CN110315484A (zh) 端梁拼装设备
JPH0350088Y2 (ko)
KR910004257B1 (ko) 코일 반송 장치
CN207890969U (zh) 一种专用移载小车自动升降装置
CN209974056U (zh) 搭载伸缩货叉的垂直输送设备
CN113320912A (zh) 蒸压釜用蒸养车的循环运输系统
CN210029001U (zh) 一种汽车涂装生产线地面链式输送系统
CN113753557A (zh) 一种槽钢码垛设备
JP2516301Y2 (ja) 複式トロリーコンベヤのエアー式緩衝装置
JPH08282834A (ja) パレット循環装置
CN219949521U (zh) 一种传送系统
CN112846586B (zh) 一种托盘输送定位机构
JP2005119777A (ja) 搬送物移載装置
CN110877796B (zh) 垃圾转运站的换箱装置
CN108296680A (zh) 一种零部件往复传送平台
CN220536941U (zh) 一种自动分板装置
CN218023504U (zh) 电动端拨挡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8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