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1은 본 발명의 입체 구조체의 루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3층 구조체의 루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라셀(Russell) 구조체의 루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탄성사용 실 공급 장치의 외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탄성사용 실 공급 장치의 홀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탄성사용 실 공급 장치의 홀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입체 구조체의 단면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3층 구조체의 단면 사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층 구조를 갖는 탄성 편물은 도 1 및 도 7의 (16,17) 및 도 2 및 도 8의 (18,19)로 표시되는 앞면과 뒷면의 기초편물이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두 기초편물을 결합하는 도 1의 (3), 도 2의 (6)으로 표시되는 결합사가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의 나사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두 기초편물을 결합하는 결합사가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의 나사임에 따라, 결합된 다층 구조를 갖는 탄성 편물에 경사 및 위사 방향의 신장에 대하여 신도가 제약받지 않고 양호한 신축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의 나사 섬도는 17 내지 3000 dtex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러한 바람직한 양태의 탄성 편물은 이하에 기술하는 3가지 구조로 이루어진다.
제1의 바람직한 구조로서는, 도 1에 그 루프 구조도가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앞면과 뒷면의 독립된 기초편물이 두 개의 침상을 갖는 환편기의 각각의 침상에 의해 독립되어 형성된다. 이 두 기초편물이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의 나사만으로 결합되어 있는데, 이 경우 결합사는 적어도 한쪽의 기초편물과 터크 루프로 결합되어 있다. 결합사의 공급 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앞뒤 두 장의 기초편물 사이에 공극을 가진 입체 구조가 형성된다. 도 1의 (3)으로 표시되는 상기 결합사는 앞면과 뒷면의 기초편물 중 스티치 밀도가 더 성긴 쪽에 대하여 25% 이상의 스티치와 결합하고, 상기 앞면 또는 뒷면의 독립된 환편물 중 루프 길이가 더 짧은 쪽의 루프 길이에 대한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결합사의 루프 길이의 비가 0.6 내지 2.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은 기초편물의 루프 길이에 대한 결합사의 루프 길이의 비를 비교적 크게 함으로써, 앞뒤 두 장의 기초편물이 도 7의 (3)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에 의해 공극을 갖는 입체 구조를 형성하도록 결합되기 때문이다. 이 비(T)가 0.6 미만이 되면, 얻어지는 입체 편물의 압축성, 회복성 및 편성 특성 면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양호한 촉감을 갖는 입체 편물을 얻는 데 있어서, 상기 비(T)는 2.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2.3을 초과하면 앞면 및 뒷면 편물로부터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 나사가 돌출되어 편물의 품위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 나사에 의한 기초편물의 결합은 앞뒤 기초편물 중 적어도 한쪽 편물과 터크 편성에 의해 행해지는데, 결합수는 앞면과 뒷면 기초편물 중 스티치 밀도가 더 성긴 쪽에 대하여 25% 이상의 스티치와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하는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의 나사 섬도는 입체 형상 유지성, 압축에 대한 회복성이나, 반복 피로에 의한 변형에 대한 내성 등의 면에서 33 내지 3000 dtex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70 내지 2000 dtex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33 dtex 미만의 섬도에서는 본 발명의 입체 구조의 탄성 편물이 약한 전단력 하에서도 입체 형상을 유지할 수 없게 되고, 압축에 대한 회복성도 만족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3000 dtex를 초과할 정도로 섬도가 굵어지면 탄성 편물 자체의 중량이 커져 의류 등에는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 나사의 파단 신도는 400% 내지 1100%인 것이 바람직하며, 염색 가공시의 예비세팅 등의 건열 처리 온도는 190℃ 부근으로서 신축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 나사에 의한 기초편물의 결합 방법은 한쪽을 터크 루프로, 다른쪽을 니트 루프로 결합할 수도 있지만,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 나사가 앞뒤 편물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결합하며, 기초편물이 얇아지고, 우수한 신장 회복성을 가지며, 촉감이 양호하고, 형태 안정성 및 표면 품위가 우수한 신축성 편물을 얻기 위해서는 두 기초편물 모두 터크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앞면과 뒷면의 기초편물을 결합하는 결합사에 비탄성 섬유가 포함되면, 압축성이나 압축 회복성 및 촉감이 악화된다.
결합사로서 사용하는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 나사의 편성 방법은 한정되지 않지만, 양호하게 얇게 하고, 신축 회복성을 얻기 위해서는 기초편물의 스티치수에 대한 결합 비율이 50%인 지그재그 결합이, 앞뒤 기초편물 사이에 적절한 공극을 유지하고 입체 형상 유지도 우수하여 바람직하다. 또한, 두 기초편물 모두 터크 결합하고, 앞면 편물 조직에 대한 결합수와 뒷면 편물 조직에 대한 결합수를 동일하게 하는 것이 탄성 편물의 앞뒤 기초편물 표면이 편평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입체 구조를 갖는"이란, 앞뒤 두 장의 기초편물이 실질적으로 비접촉 상태에 있고,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의 나사가 기둥상으로 앞뒤 두 장의 기초편물을 지지하며, 이 두 장의 기초편물 사이에 공극을 유지한 상태를 말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입체 구조를 갖는 탄성 편물의 제조 방법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편기로서는 통상의 2열 침상을 갖는, 이른바 더블 니트 환편기를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실 공급구가 다수개 있고, 동시에 복수 가닥의 실을 공급할 수 있는 피더(feeder)가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기의 게이지는 사용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통상 18 내지 40 게이지의 편기가 사용된다. 상기 게이지의 더블 니트 환편기 외에도, 예를 들면 42 게이지의 편기를 사용하여 1 가닥마다 바늘을 빼서 21 게이지 상당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18 게이지보다 성긴 게이지의 환편기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그 경우에는 18 게이지보다 성긴 베드는 다이얼 베드(dial bed)나 실린더 베드(sylinder bed) 중 어느 하나로 하고, 다른 한쪽은 18 게이지 이상인 것이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치밀하고, 경량인 편물을 얻기 위해 바람직하다.
앞면과 뒷면의 편물에 사용되는 도 1의 (1,2) 및 도 2의 (4,5)로 표시되는 실의 굵기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총 섬도 22 내지 1220 dtex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34 내지 310 dtex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단사의 섬도는 0.1 내지 610 dtex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1 내지 100 dtex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앞면과 뒷면의 기초편물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환편기의 하나의 침상에 의해 형성되는 편조직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평편(plain knitting)의 기본 조직, 터크편, 부편(float knitting), 하프 카디건편(half cardigan stitch), 레이스편, 첨사편 등의 변화 조직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제2의 바람직한 구조는, 도 2의 그 루프 구조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한 제1의 구조와 편조직은 동일하지만, 상기 결합사가 앞면과 뒷면의 기초편물 중 스티치 밀도가 더 성긴 쪽에 대하여 25% 이상의 스티치와 결합하고, 상기 앞면 또는 뒷면의 독립된 환편물 중 루프 길이가 더 짧은 쪽의 루프 길이에 대한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결합사의 루프 길이의 비가 0.2 내지 0.6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환편 구조로 이루어지는 기초편물의 루프 길이에 대한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결합사의 루프 길이의 비가 비교적 작고, 앞뒤 두 장의 기초편물은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에 의해 3층 구조가 되도록 접합된다. 이 경우, 사용하는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의 나사 섬도는 신축성, 편물 표면 품위 등의 점에서 17 내지 1500 dtex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22 내지 640 dtex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 나사의 파단 신도는 400% 내지 1100%인 것이 바람직하며, 염색 가공시의 예비세팅 등의 건열 처리 온도는 190℃ 부근으로서 신축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결합사로서의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 나사의 루프 길이와, 앞뒤 위편물 중 루프 길이가 더 짧은 쪽의 루프 길이에 대한 비, 구체적으로는 한쪽면을 구성하는 실린더 스티치의 루프 길이 또는 다른쪽 면을 구성하는 다이얼 스티치의 루프 길이 중 짧은 쪽의 루프 길이에 대한 루프 길이 비는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6,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5이다.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 나사의 루프 길이 비가 0.2 미만에서는 편물 중의 탄성 섬유의 신장률이 높아지고, 편성시 실끊김이나 옷감 표면 품위의 저하가 발생하며, 편물의 단면으로부터 탄성 섬유가 빠지기 쉬워져 의복으로서 착용 및 신장을 반복하면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루프 길이 비가 0.6을 초과하면 앞뒤 편물을 서로 밀착시킬 수 없고, 얇은 느낌이 저하되며, 옷감 중의 탄성 섬유의 신장률이 저하되기 때문에 신장 회복성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말하는 루프 길이 비란, 일정폭의 편물로부터 디니트(deknit)하여 취출한, 1 코스분의 기초편물을 구성하는 실의 길이 L-g에 대한, 결합사의 릴랙스 상태에서의 길이 L-c의 비(L-c/L-g)를 말한다.
본 구조에 있어서,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 나사에 의한 기초편물의 결합은, 앞뒤 기초편물 중 적어도 한쪽 편물과 터크 편성에 의해 행해지는데, 결합수는 앞면과 뒷면 기초편물 중 스티치 밀도가 더 성긴 쪽에 대하여 25% 이상의 스티치와 결합되어 있다. 양호한 얇은 느낌과 신축 회복성을 얻기 위해서는 기초편물의 스티치수에 대한 결합 비율이 50%인 지그재그 결합이 우수하고 바람직하다. 또한, 결합사의 앞뒤 기초편물로의 결합은 양면 모두 터크 결합하고, 앞면 편물에 대한 결합수와 뒷면 편물에 대한 결합수를 동일하게 하는 것이 편평한 탄성 편물의 외관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제3의 바람직한 구조는 앞면과 뒷면의 독립된 편물을 결합하여 구성된 다층 경편물로서, 상기 2층의 기초편물이 경편 구조로 이루어지고, 이 기초편물이 17 내지 3000 dtex의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 나사만으로 결합되어 구성되며, 이 결합사가 앞면과 뒷면 기초편물 중 스티치 밀도가 더 성긴 쪽에 대하여 25% 이상의 스티치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를 갖는 탄성 경편물이다.
본 발명의 탄성 경편물의 일례를 도 3에 나타낸다. 이 탄성 경편물은 2열 침상을 갖는 경편기로 편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층 구조를 갖는 탄성 경편물의 앞뒤 두 장의 편물 (7,8)은 경편 구조로서, 쇄편, 1×1 트리코편(tricot stitch), 코드편, 메쉬편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앞면 편물과 뒷면 편물에 바늘을 뽑아 조합시킨 것 등일 수도 있다. 이 편물을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의 나사 (9)만으로 연결하여 본 발명의 탄성 경편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 나사에 의한 기초편물의 결합은 니트 루프 결합일 수도 있고, 터크 루프 결합일 수도 있지만, 앞뒤 기초편물을 접합시킨 형상의 3층 경편 구조에서는 전자의 결합이 바람직하고, 앞뒤 기초편물 사이에 공극을 갖게 한 입체 구조에서는 니트 루프 결합, 터크 루프 결합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결합수는 앞면과 뒷면 편물 중 스티치 밀도가 더 성긴 쪽에 대하여 25% 이상의 스티치와 결합하고, 50% 이상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하는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의 나사 섬도는 입체 형상 유지성, 압축에 대한 회복성이나 반복 피로에 의한 변형에 대한 내성 등의 점에서 33 내지 3000 dtex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70 내지 2000 dtex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33 dtex 미만에서는 본 발명의 입체 구조의 탄성 편물이 약한 전단력 하에서도 입체 형상을 유지할 수 없게 되고, 압축에 대한 회복성도 만족스럽지 않다. 또한, 3000 dtex를 초과할 정도로 섬도가 굵어지면 탄성 편물 자체의 중량이 커져 의류 등에는 사용할 수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술한 3가지 구조의 다층 구조를 갖는 탄성 편물을 더욱 고도로 하여 목적을 만족시키기 위해, 앞뒤 편물 중 적어도 한쪽 편물은 탄성 복합사를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탄성 복합사란,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와 비탄성사가 여러가지 방법으로 복합된 실로서,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를 코어로 하고 폴리아미드 장섬유를 쉬쓰로 하여 피복 가공된 복합사나,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를 코어로 하고 그 주위를 면 등의 단섬유로 둘러싼 방적사로 한 코어 방적사 등을 들 수 있다.
앞뒤 기초편물 중 적어도 한쪽에 탄성 복합사를 함유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다층 탄성 편물에 신축성을 부여할 수 있다. 결합사에 의해 편물 폭방향의 신축성이 보완되고, 편물 길이 방향으로도 신축성을 부여할 수 있어, 경위 2축 방향으로 양호한 신축성을 가진 다층 구조의 탄성 편물이 된다. 기초편물의 스티치를 탄성사의 신장 회복력에 의해 작게 치밀화함으로써 연결사와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안정한 다층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초편물 전체가 탄성사로 고밀도화되면 연결사 밀도도 상승하며, 입체 구조를 갖는 탄성 기초편물에서는 편물과 연결사의 결합각이 수직에 근접하여 결과적으로 압축 반발성과 회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탄성 복합사는 앞뒤 두 장의 기초편물 중 어느 한쪽에 편성되어 있으면 상술한 효과는 얻을 수 있지만, 두 편물 모두에 편성되면 앞뒤 편물의 균형이 향상되어 편물 귀부나 단부가 말아 올라가는, 이른바 커얼 등의 현상을 해소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 복합사는 그 자체로 기초편물을 형성할 수도 있고, 별도의 비탄성사와 가지런히 하여 스티치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비탄성사와 교대로 편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층 구조를 갖는 탄성 편물에 있어서, 앞면과 뒷면의 두 기초편물 모두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를 나사 상태로 함유하고, 이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의 나사와 비탄성사가 가지런한 상태에서 스티치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탄성 복합사를 함유하는 탄성 편물과 마찬가지로 다층 탄성 편물에 신축성을 부여할 수 있다. 결합사에 의해 편물 폭방향의 신축성이 보완되고, 편물 길이 방향으로도 신축성을 부여할 수 있어, 경위 2축 방향으로 양호한 신축성을 가진 다층 구조의 탄성 편물이 된다. 기초편물의 스티치를 탄성사의 신장 회복력에 의해 작게 치밀화함으로써 결합사의 밀도가 증가되고, 기초편물 (16,17)과 결합사 (3)의 교차 각도(결합각)가 90°에 근접하기 때문에, 입체 구조를 갖는 탄성 편물의 압축 반발성과 회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결합사로서 폴리우레탄 탄성사의 나사를 사용함으로써, 입체 구조 중간에 위치하는 결합부의 섬유 충전 밀도가 저하되어 공간이 확장된다. 즉, 폴리우레탄 탄성사의 나사는 몇 가닥의 단사가 융착된 형태로 모노필라멘트화되어 있기 때문에 결합부의 공극 중 공간이 크다. 반면, 폴리우레탄 탄성사를 코어로 하고 단일 또는 다수의 비탄성 섬유로 피복한 복합 탄성사는 그 자체가 두꺼워지거나, 폴리우레탄 탄성사의 신축에 따라 피복 섬유가 연결부에서 팽창되어, 그 결과 공극 중의 공간은 좁아진다. 결합사로서 폴리우레탄 탄성사의 나사를 사용함으로써, 편물 전체의 통기성이 대폭적으로 개선되고,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폴리우레탄 탄성사의 나사를 연결사로서 사용함으로써, 연결부에서 연결사들끼리의 접촉 면적이 작아지기 때문에 열전도성이 낮아지고, 또한 공기층을 많이 포함하기 때문에 편물 전체의 보온성이 향상된다.
여기서 말하는 폴리우레탄 탄성사의 나사란, 방사 원액이 한군데 이상의 방사구로부터 방사통 내로 압출되고, 예를 들면 집속되어 각 단사의 접촉 부위에서 융착되어 외관이 모노필라멘트 상태로 권취된 실을 말하며, 이 나사에 비탄성 섬유 멀티필라멘트 등을 피복한 피복 탄성사나, 면 등의 단섬유로 권취한 코어 스판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앞뒤 두 장의 기초편물에 함유되는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도 1의 (20) 및 (21) 및 도 2의 (22) 및 (23)으로 표시되되, 단 도면 중 (21) 및 (23)은 비탄성사에 가려 보이지 않음)는 동일한 편물 중의 비탄성사에 대하여 중량비로 2% 이상 60% 이하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4% 이상 2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의 함유율이 작아짐에 따라 편물 전체의 스트레치 성능이 감소된다. 탄성사의 함유율이 2% 미만에서는 탄성사의 양이 적기 때문에 편물 전체의 스트레치 성능이 감소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충분한 신축 성능을 편물 전체에 부여하기 어렵고, 60%를 초과하면 편물 밀도가 높아져 단위면적 당 중량이 지나치게 높아져 통기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탄성사의 함유율을 4% 이상 20% 이하로 하면 신축성이 있고, 부드러우며, 적절한 장력과 드레이프성이 있는 최적의 편물을 얻을 수 있다.
기초편물에서의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의 나사에 의한 스티치 형성이 연속되어 있으면 나사로 평편 조직이 형성되지만, 이 경우에는 스티치의 접점에서 나사들끼리 루프 결절상으로 접촉하고, 이 기초편물을 정련 염색 마무리 가공시의 세팅 처리 또는 염색 처리에서 열융착하여, 가령 기초편물이 평편이나 쇄편으로 편성되어 있어도 옷감단으로부터의 스티치가 디니트되는, 이른바 런(run)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결합사와 기초편물의 결절 부위에서 결합사와 편물의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의 나사가 접촉하고, 이 상태에서 동일하게 정련 염색 마무리되면 건열 세팅이나 염색시의 습열 처리로 상기 접촉부가 열융착된다. 이 경우, 편물 전체에 왜곡이나 응력이 가해져도 조직이 어긋나지 않고 안정된 편물이 된다. 3층 구조를 갖는 탄성 환편물에서는 폴리우레탄의 반발성이 편물 전체에 빠르게 전해져 편물의 순간 회복력이 증가한다. 입체 구조를 갖는 탄성 환편물에서는 입체 구조의 두께 방향의 압축에 대하여 회복력이 증가하여 전단력에 대해서도 앞뒤 기초편물에서 기초편물과 결합사의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가 융착되기 때문에 변형에 견디고,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편물을 봉제하여 의복으로 했을 경우, 종래에는 편물의 단을 재봉틀 등으로 꿰맬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편물에서는 기초편물의 폴리우레탄 섬유와 결합사가 융착되어 있기 때문에 분리된 상태에서 의복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앞뒤 두 장의 기초편물 모두 폴리우레탄 탄성사의 나사를 편성해 둘 필요가 있다. 또한, 착용시의 편물의 신축에 의해 꿰맨 자리로부터 결합사가 빠지기 쉽다는 문제에 대해서도, 기초편물에는 폴리우레탄 탄성사의 나사를 편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두 편물에 편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앞뒤 두 장의 편물에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의 나사가 편성됨으로써 3층 구조를 갖는 탄성 환편물과 입체 구조를 갖는 탄성 환편물에 많은 이점을 제공한다. 여기서, 비탄성의 열융착사 또는 폴리에스테르 등의 열가소성 합성 섬유가 입체 구조체 중에서 열융착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편물 전체가 딱딱하고, 굽힘 강성이 커져 사람이 착용하거나, 피부가 닿는 곳에서 사용하기에 거의 불가능하다. 그러나,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들끼리 융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접착점은 고정되지만, 실 자체가 신축되기 때문에 편물 전체적으로는 신축성이 있고, 부드러우며, 적절한 장력과 드레이프성이 있는 편물이 되는 것이다.
이어서, 앞뒤 기초편물 중 한쪽만이 나사인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와 비탄성사가 가지런히 정리된 상태로 스티치가 형성되고,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의 나사로 두 기초편물이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앞뒤 편물간의 신축 힘이 다르고,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를 포함하는 편물의 신축 힘이 다른쪽 기초편물보다 커지기 때문에, 신축 힘이 보다 큰 기초편물을 내측으로 하여 옷감 커얼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어 실용적인 탄성 편물은 얻을 수 없다. 특히, 이 결점은 입체 구조의 탄성 환편물에서도 생기는데, 특히 3층 구조의 탄성 환편물에서 현저하다. 따라서, 한쪽 기초편물 중에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의 나사를 편성하는 경우, 편물 신축 힘의 불균형을 완화시키기 위해 결합사의 섬도를 기초편물의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의 섬도보다 굵게 할 필요가 생긴다. 본 발명자들은 이 문제에 예의 몰두하여 기초편물 중의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의 섬도(D-g)에 대한, 결합되는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의 섬도(D-c)의 비(D-c/D-g)가 2 이상이면 옷감 커얼이 경감되고, 3 이상이면 더욱 바람직하며, 실용가능한 3층 구조의 탄성 환편물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입체 구조를 갖는 탄성 환편물과 탄성 경편물의 압축 성능과 압축 회복 성능은 탄성 편물의 두께와 결합사 (3)에 사용된 탄성사의 섬도에 의해 변화된다. 즉, 결합사 (3)에 사용되는 탄성사의 섬도가 클수록 압축 성능과 압축 회복 성능은 향상되며, 한편 탄성 편물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압축 성능과 압축 회복 성능은 저하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기초편물의 임의의 1 ㎠의 면적 내에 결합되어 있는 결합사 (3)의 총 섬도(D)(dtex)와 그 면적 부분의 편물의 두께(T)(mm)의 비가 5×103 ≤ D/T ≤ 5×105의 조건을 충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5×103 > D/T인 경우, 압축 성능과 압축 회복 성능의 충분한 향상을 도모하지 못할 우려가 있고, D/T > 5×105인 경우, 압축 저항과 편물 전체의 굽힘 강성이 커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람이 몸 주변에서 사용하는 데 곤란을 수반하는 경우가 있다.
입체 구조를 갖는 탄성 환편물의 경우, 결합사는 기초편물의 스티치와 터크편으로 결합되어 있다. 입체 구조를 갖는 탄성 경편물의 경우, 결합사는 편물의 스티치와 니트편 및(또는) 터크편으로 결합되어 있다. 앞뒤 두 장의 기초편물의 임의의 부위에서의 1 ㎠ 내에 있는 스티치 중 연결사와 결합되어 있는 스티치의 비율 (R)은 25% 이상이 바람직하다. 스티치의 비율(R)이 25% 미만이면, 연결사의 가닥수가 적어져 충분한 압축 반발성과 회복률을 얻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사용하는 연결사의 섬도를 굵게 함으로써 압축 반발성과 회복률은 개선되지만, 기초편물 표면에 연결에 의한 요철이 생겨 옷감 표면의 평면성이 손상되는 경우가 있다.
모든 스티치에서 연결사와 기초편물이 결합되어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임의의 코스마다 기초편물의 스티치에 연결사가 연결되는 패턴이 상이하다. 예를 들면, 임의의 한 코스에서 기초편물을 1 스티치 건너뛰면서 홀수번째 스티치에서 연결사와 연결시키고, 다음 코스에서는 기초편물을 1 스티치 건너뛰면서 짝수번째 스티치에서 연결사와 연결시키면 기초편물 표면이 균일해지고, 압축 반발성과 회복률이 편물 부위별로 균일해져 바람직하다. 편성 코스마다 연결부의 위상을 바꾸어 이를 반복함으로써 양호한 편물을 얻을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자들은 사람의 동작에 의한 피부 신장에 따른 옷감의 신장 특성에 대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경사 및 위사 방향의 각각의 신도가 3.5 N/㎝의 하중하에서 80 내지 150%, 9.8 N/㎝의 하중하에서 100 내지 200%이고, 하기 수학식 1 및 2로 표시되는 경사 및 위사 방향의 신도 비 (A) 및 신도 비 (B)가 모두 0.8 내지 1.2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의 범위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다층 구조를 갖는 탄성 편물을 발견하였다.
신도 비 (A) = 3.5 N/㎝ 하중하에서의 경사 방향의 신도(%) ÷ 위사 방향의 신도(%)
신도 비 (B) = 9.8 N/㎝ 하중하에서의 경사 방향의 신도(%) ÷ 위사 방향의 신도(%)
즉, 본 발명자들은 사람의 신장 방향의 움직임에 따라 옷감을 신장시켰을 때의 신장 방향의 응력과 인체 주변 방향에서의 옷감 응력이 착용감에 크게 영향을 미치며, 편물의 경사 및 위사 방향 모두 소정의 신장을 갖는 경우, 운동 순응성이나 착탈성이 우수하고, 착용에 쾌적한 탄성 편물을 얻을 수 있으며, 옷감의 불필요한 신장을 억제함으로써 옷감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에 도달하였다.
상술한 신도란, 일축 고정 이축 신장 시험기(STRIP BIAIAL TENSILTESTER KES-G2-SB1, 카토 테크사 제조제)에 의해 측정한 값을 말한다. 이 옷감의 한쪽 방향을 구속하고 다른쪽 방향의 옷감 신도를 측정함으로써, 실용에 입각한 신도 측정이 가능해진다. 또한, 종래의 신도 측정법은 신장 방향만을 고정하고, 다른쪽 방향은 구속하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그립 사이의 중앙부에서 옷감폭이 변화되어 착용시 직물 폭 방향을 포함하는 2 방향의 응력 변화를 측정할 수 없다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3.5 N/㎝의 하중은 사람이 직물을 입었을 때 직물을 잡아당길 수 있는 평균적인 힘에 상당한다. 사람 주변 방향에서의 소프트 힘 또는 하드 힘의 감각은 상품 컨셉이나 개인 기호에 따라 상이하지만, 3.5 N/㎝의 하중하에서의 탄성 편물의 경사 방향의 신도가 80% 미만에서는 일반적으로 옷감의 신도가 부족하여 착탈에 여분의 힘이 필요해진다. 한편, 위사 방향의 신도가 80% 미만에서는 구부리는 동작으로 사람의 신장 방향에서의 피부 신도가 최대 50%가 되기 때문에 버팀감이 생기고, 거들로서 착용했을 경우에는 허리 라인이나 대퇴부의 옷단부가 틀어진다는 불쾌감이 생긴다. 또한, 탄성 편물의 경사 및 위사 방향의 각각의 신도가 3.5 N/㎝의 하중하에서 200%를 초과하면, 탄성사의 신축 피로가 커져 내구성이 저하되고, 옷감의 강도가 저하된다.
또한 9.8 N/㎝의 하중은 옷감의 다 늘어난 신도에 상당하며, 소비자에 의해 옷감이 찢어지는 사고가 발생하는 힘에 상당한다. 이러한 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다 늘어난 신도를 200% 이하로 억제하여 옷감의 조면화를 피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보면 9.8 N/㎝ 하중하의 신도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게 되지만, 착탈시의 쾌적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9.8 N/㎝ 하중하에서 100% 이상의 신도가 필요하다. 신도 비가 0.80 이하이면 위사 방향의 신도가 경사 방향의 신도와 비교하여 크고, 신도 균형이 1.200 이상이면 경사 방향의 신도가 위사 방향의 신도와 비교하여 크기 때문에 쾌적한 착용감을 얻기 어렵다는 것을 알았다.
바람직하게는, 두 기초편물 모두가 결합사 (6)에 터크 조직으로 결합된 것이 안정성이 우수하여 절단했을 때 귀부가 말아 올라가는 컬링 현상이 없다. 또한, 종래 편물은 경사, 위사 방향으로 힘이 다른 것만 얻을 수 있었지만, 본 발명의 터크 조직으로 편성함으로써 코스 방향으로만의 힘의 증가가 가능해져 신도 및 힘의 경위비를 0.8 내지 1.2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로서,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는 물론 폴리에테르 에스테르계 탄성 섬유도 포함된다.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로서는, 예를 들면 건식 방사 또는 용융 방사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중합체나 방사 방법은 한정되지 않는다. 섬유의 섬도는 통상 17 내지 3000 dtex,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620 dtex이다. 파단 신도는 400% 내지 1200%이면 신축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염색 가공시의 예비세팅 공정에서의 통상의 처리 온도인 180℃ 부근에서 신축성이 손상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로서, 예를 들면 공중합 폴리알킬렌 에테르 디올, 주로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지는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관능성 디아민으로부터 얻어지는 폴리우레탄을 포함하고, 폴리우레탄에서의 우레탄 부분의 수평균 분자량이 6000 내지 9500이며, 우레아 부분의 수평균 분자량이 650 내지 950으로서, 300% 모듈러스가 0.20 g/dtex 이하인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를 들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 입체 편물의 앞면과 뒷면의 기초편물을 구성하는 비탄성사는 필라멘트사 및 방적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필라멘트사로서 비스코스 레이온, 큐프라 레이온, 아세테이트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 아크릴 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및 염화비닐 섬유 등의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섬유의 형태로서는 가공되지 않은 원사, 가연 가공사, 선염사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이들의 복합사일 수도 있다. 방적사로서는 면, 양모, 삼 등의 천연 섬유, 비스코스 레이온, 큐프라 레이온, 아세테이트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아크릴 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및 염화비닐 섬유 등의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단섬유를 사용한 것이 바람직하며, 이들은 단사 또는 혼방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앞면과 뒷면의 기초편물을 구성하는 데 사용하는 실의 총 섬도는 22 내지 1220 dtex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33 내지 310 dtex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단사의 섬도는 0.1 내지 310 dtex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0.2 내지 20 dtex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층 구조를 갖는 탄성 편물은 열성형 가공이 용이하다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열성형에 의해 오목부 및(또는) 볼록부가 형성 및 고정된 다층 구조의 탄성 편물은 앞면 또는 뒷면 기초편물에 탄성 섬유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앞면과 뒷면 기초편물 모두에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편물 중의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의 혼합률은 한정되지 않지만, 5 내지 60 중량%가 바람직하다. 앞면 또는 뒷면에 탄성 섬유를 포함하는 편물은 성형 가공성이 향상되고, 성형 후의 신축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외압에 의해 변형되더라도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기 쉽다는 특징을 갖는다. 탄성 섬유로서는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가 바람직하며, 결합사에 사용하는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층 구조를 갖는 탄성 편물은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로 탄성 편물의 골격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의 열고정 성능에 의해 요철의 부형 가공이 용이하고, 부형 후의 요철 형상이 견고하게 남는다. 이 특징은 특히 앞뒤 두 장의 기초편물 사이에 공극을 갖는 입체 구조의 탄성 편물에 현저하며, 입체 구조를 갖는 탄성 편물은 그 강성에 의해 요철 형상 유지성이 매우 높고 양호하다. 물론, 기초편물을 형성하는 비탄성사도 열가소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섬유나, 비교적 저융점의 폴리프로필렌 섬유 등이 바람직하다. 이들 열적 성질이 다른 비탄성사로 앞뒤 편물을 별개로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부형 가공시의 온도와 시간에 의해 뒷면은 수지와 같이 경화하고, 앞면은 사람 피부가 닿아도 쾌적한 소프트 촉감인 편물을 얻을 수 있다.
다층 구조의 탄성 편물의 생지(gray fabric)는 열어 전처리를 실시한 후, 염색 공정을 거쳐 수지 가공을 포함시킨 마무리 세팅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 구조의 탄성 편물은 열성형 가공에 의해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형성하여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성형 가공 방법은 한정되지 않는다. 과열판을 사용하면 형태 고정성이 우수하고, 외력이 가해져 움푹 패이더라도 원래의 형태로 복원하는 복원력이 우수한 탄성 편물을 얻을 수 있다.
과열판을 사용하는 열성형 가공으로서, 예를 들면 앞면을 원하는 오목형의 암틀 몰드 상에 설치하고, 이어서, 뒷면으로부터 볼록형 숫틀 몰드에 의해 눌러 미리 고온으로 가열한 암틀 몰드와 암틀 몰드보다 저온으로 가열한 숫틀 몰드에 의해 양층부를 가열 성형한다. 이 때의 암틀 몰드와 숫틀 몰드의 간격은 필요로 하는 형태 고정 두께로 분리하여 가열 가압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의 가열 성형 온도, 가열 성형 시간, 가열 성형 간격 등은 원하는 형태에 맞추어 적절하게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입체 구조 편물은 용적 유지 계수가 0.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6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용적 유지 계수는, 열성형용 금형의 성형 용적을 A로 하고 열성형 가공된 입체 구조 편물의 성형 용적을 B라고 했을 때, B/A로 산출된다. 열성형 형태의 용적 유지 계수가 0.5 미만이면, 성형 가공 후의 편물의 형태 유지가 불충분하다. 이러한 입체 편물을 이용하여 성형체를 얻기 위해서는 열성형 가공시의 편물 신장률을 보다 크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실 끊김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등, 공정성이 저하되기 쉬워진다.
예를 들면, 입체 구조 편물을 경사 30 ㎝, 위사 30 ㎝의 시료편을 채취하여 중심부로 헬멧상의 숫틀, 암틀 몰드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몰드 가공된 상태로 헬멧의 중심재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입체 구조를 갖는 헬멧 쿠션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경사 20 ㎝, 위사 45 ㎝의 시료편을 채취하여 브래지어 컵 몰드 가공을 실시하여 필요로 하는 부분만을 남기고, 주변을 오버록 재봉틀로 봉제함으로써 스포츠용 브래지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입체 구조 편물은 앞면과 뒷면의 편물이 독립되어 있기 때문에, 앞면과 뒷면의 사용 소재 조합을 바꿈으로써 원하는 편물을 얻을 수 있다. 앞면의 편물과 뒷면의 편물이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연결사를 사용하여 터크 편성되어 있으면, 그 편물은 서포터 등에 사용했을 경우 외력이 가해졌을 때의 충격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층 구조의 탄성 편물은 열성형 가공을 실시하여 원하는 입체 구조체의 한 부품으로 한 후, 다른 소재(예를 들면, 직물, 편물, 가죽, 염화비닐의 시트 등)와 봉제 등에 의해 접합하여 원하는 형상으로 마무리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플로키(flocky) 가공을 행하여 한쪽면 또는 양면을 기모 가공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층 구조를 갖는 탄성 편물은 기초편물에 복수의 비탄성사를 사용한 자카드편 등에 의해 편물에 의장 모양을 부여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입체 구조를 갖는 탄성 환편물 및 탄성 경편물에서 앞뒤 두 장의 기초편물 일부가 접촉 상태로 결합됨으로써 입체 부위와 선상 또는 면상의 3층 구조 부위가 형성되어, 그 결과 편물 전체에 요철이 있는 입체적인 모양을 줄 수도 있다.
기초편물 표면에 입체적인 모양을 주기 위해서는 임의의 부위에서 연결사의 실 공급량을 적게 하여 앞뒤 두 장의 기초편물을 실질적으로 접촉 결합시키거나, 두 장의 기초편물 사이의 거리(두께)를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장의 기초편물을 형성하는 비탄성사로 다른 한쪽의 편물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탄성 편물은 입체 구조를 갖는 탄성 환편물, 3층 구조를 갖는 탄성 환편물, 및 이들이 복합된 상술한 입체 부위와 선상 또는 면상의 3층 구조 부위가 형성되어, 그 결과 편물 전체에 요철이 있는 입체적인 모양이 부여된 본 발명의 탄성 편물은 일부가 열려지지 않고 일부가 원통형 상태로 봉제된 솔기없는 성형 의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의복 부위별로 필요시되는 기능을 구현화할 수 있다. 즉, 자전거 사이클용 팬츠를 예로 들면, 새들(saddle)에 해당하는 부위는 입체적으로 편성하고, 허리 주변은 비교적 힘이 강한 3층 구조의 탄성 환편물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탄성사를 함유하는 편물을 편성하는 편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환편기로 2개 이상의 탄성사 패키지를 1 대의 실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할 때, 2종 이상의 상이한 공급 속도로 탄성사 나사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환편물의 편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편물을 편성하는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 나사의 공급 속도(V-g)와 앞뒤 편물을 결합하는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 나사의 공급 속도(V-c)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를 갖는 탄성 편물의 제조 방법을 발견하고, 이것을 구현화하는 장치를 발명하였다. 1 대의 환편기 상에 장착된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의 나사 스풀로부터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를 편성 바늘로 공급하는 적극 이송 방법에 있어서, 나사를 2종 이상의 상이한 공급 속도로 송출함으로써, 종래에는 불가능했던 여러가지 편물, 특히 다층 구조를 갖는 탄성 환편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앞뒤 기초편물을 결합하는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 나사를, 연신 배율을 2배 이하로 제어하여 공급함으로써, 앞뒤 두 장의 편물을 접합시킨 상태의 3층 구조 편물로부터, 두 기초편물 사이에 공극을 갖는 입체 구조의 탄성 환편물을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다층 탄성 환편물을 제조할 때 필요한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의 나사를 송출하는 장치를 고안하였다. 종래, 일본 특허 공고 (평)4-9222호 공보에 제안되어 있는 공급 장치는 본체(홀더) 좌우로 연장된 한 쌍의 지지 롤을 갖고 있으며, 편기와 연동된 톱니가 있는 테이프로 구동되어 홀더에 부착된 한 쌍의 지지-구동 롤 상에서 복수의 탄성사 패키지를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 장치는 편기와 연동된 톱니가 있는 테이프가 하나인 경우,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의 실 공급량은 모두 동일하게 되어 버린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톱니가 있는 테이프의 수를 늘려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의 실 공급량을 변경하는 방법을 발안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 1 대의 공급 장치로 4 개의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의 패키지를 장착하기 때문에, 공급량의 변경은 4 개의 단위가 되어 자유도가 적다는 문제를 안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톱니가 있는 테이프 하나로 구동하더라도 1 대의 실 공급 장치로 탄성 섬유 패키지로부터 상이한 실 공급 속도로 안정되게 공급할 수 있는 장치를 고안하였다. 구체적으로, 홀더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치즈(cheese) 지지-구동 롤러가 상기 홀더로부터 상반된 방향으로 돌출하여 배치되고, 이 치즈 지지-구동 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한 쌍의 치즈 지지-구동 롤러의 표면 속도가 상기 홀더의 상반되는 방향에서 달라지도록 외경이 상이한 치즈 지지-구동 롤러를 구비하고(거나), 또는 상반된 방향의 한 쌍의 치즈 지지-구동 롤러를 변속으로 구동시키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 장치이다. 한 쌍의 치즈 지지-구동 롤러는 원통심에 삽입 구멍을 가지며 고정을 위한 부품을 갖고 있어, 착탈 가능하게 구동축에 고정된다. 또한, 이 실 공급 장치는 동일한 속도의 표면 속도로 회전하는 한 쌍의 치즈 지지-구동 롤러보다 고속의 표면 속도로 회전하는 별도의 예비 연신 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2종류의 탄성사를 상이한 속도로 공급할 필요가 있는 탄성 편물을 편성하기 위한 탄성사 공급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이제까지의 탄성 나사를 교대로 편성한 편물의 대표적인 예로서 평편물이 있는데, 이것은 비탄성사에 탄성사를 가지런히 하여 첨사 편성한 것이다. 또한, 별도의 예로서 리브 편물이 있는데, 이 경우에도 탄성사는 다이얼 바늘로 평편물을 형성하였다. 이들은 모두 탄성사 조직이 1종류이며, 통상의 편기도 1계통의 탄성사 실 공급 장치로 대응할 수 있어 문제는 없었다. 본 발명자들은 상이한 실 공급 속도가 필요한 신규 조직의 발명과 함께 상이한 속도의 공급이 가능한 장치 및 방법을 모두 발명하였다.
즉, 본 발명의 탄성사 실 공급 장치는 주로 환편기 주위에 동심으로 부착되고, 치즈 형상으로 권취된 탄성 섬유의 나사를 일정한 속도로 풀고, 연신 제어하면서 편기에 공급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으로 장치 외관을 도 4에 나타내어 설명한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실 공급 장치의 홀더 (15) 내부를 측면에서 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 공급 장치의 정면도이다.
실 공급 장치는 홀더 (15)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패키지 지지-구동 롤러(11-a 및 11-b)가 상기 홀더 (15)로부터 상반된 방향으로 돌출되어 배치되고, 이 패키지 지지-구동 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 수단으로서 톱니가 있는 벨트 (13) 및 구동 전달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치즈 지지-구동 롤러의 표면 속도가 상기 홀더의 상반되는 방향에서 상이해지도록 패키지 지지-구동 롤러 (11-a)와 (11-b)는 외경이 상이하다. 한 쌍의 지지-구동 롤러는 원통심에 삽입 구멍을 가지며, 구동축에 지지 롤러를 고정할 수 있는 구조이고, 상이한 실 공급 속도비를 위해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또한, 한 쌍의 패키지 지지-구동 롤러 (11-a) 또는 (11-b)보다 고속의 표면 속도로 회전하는 예비 연신 롤러 (12-a)와 (12-b), 및 탄성사가 풀어진 후 연신 제어되는 위치인 패키지 지지-구동 롤러 (11-a)와 예비 연신 롤러 (12-a) 사이에 실 끊김 감지기 (14)를 구비하고 있다. 패키지 지지-구동 롤러의 직경은 1 ㎝ 내지 10 ㎝이고, 실 공급 속도가 높은 롤러의 회전 속도는 실 공급 속도가 낮은 롤러의 회전 속도의 10배일 수 있다. 또한, 예비연신 롤러 (12-a) 또는 (12-b)는 적어도 대응하는 치즈 지지-구동 롤러 (11-a) 또는 (11-b)보다 1.2배 이상 2.0배 이하로 더 빠른 표면 속도로 회전한다. 또한, (10-a), (10-b)는 폴리우레탄계 탄성사의 나사를 종이관에 권취한 패키지이다.
본 발명의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즉, 일본 특허 공고 (평)4-9222호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탄성 공급 장치를 이용한 경우에는 실 공급 속도가 일정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다층 구조 편물을 편성하기 위한 조건에서와 같이 상이한 속도로 탄성사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구동 계통을 증설하기 위한 비용과 장치 설치 공간이 필요하였다. 또한, 탄성사는 작기는 하지만 점착성을 갖고 있어 고속 해사나, 저드래프트 해사에 대하여 종종 해사 불능 문제를 발생시켰다. 본 장치는 전자의 문제에 대해서는 저비용으로, 후자의 문제에 대해서는 예비 연신 롤러를 설치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물성은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한다.
(1) 단위면적 당 중량
JIS-L-1018의 ㎡ 당 중량 시험 방법에 준하여 측정한다.
(2) 두께
카토 테크(주) 제조의 KES-EB3 압축 시험기를 사용한다. 시료를 각각 면적 2 ㎠의 원형 표면을 갖는 구리판 사이(압축 속도 0.02 mm/초)에 끼우고, 압축력 Pm 0.5 g/㎠로서 시료의 두께를 5군데 측정하여 그 평균치를 구한다.
(3) 압축률과 회복률
JIS-L-1018에 준하여 측정한다. 입체 편물을 2 ㎝×2 ㎝의 크기로 재단하고, 이것을 측정대 위에 1장 얹어 상부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4 ㎠의 면적에 최초 하중 20 cN을 가했을 때의 두께 A를 측정한다. 이어서, 4 ㎠의 면적에 하중 300 cN을 가하여 1 분 후의 두께 B를 측정한 후, 하중을 제거하여 1 분간 방치하고, 최초 하중을 다시 가했을 때의 두께 C를 측정한다. 이 측정을 3회 행하고, 하기 수학식에 따라 압축률과 회복률을 계산하여 그 평균치를 구한다.
압축률(%) = {(A - B)/A}×100
회복률(%) = {(C - B)/(A - B)}×100
(4) 통기성
카토 테크(주) 제조의 KES-F8-AP1 통기성 시험기를 사용하여 통기 저항을 5회 측정하고 평균치를 구한다.
(5) 옷감의 촉감
5명의 모니터에 의한 관능 테스트 결과를 바탕으로 판단한다.
(6) 신장률과 신장 회복률
편물을 2.5 ㎝×15 ㎝의 크기로 재단하고, 정속 신장 시험기(텐실론(Tensilon), 도요 볼드윈사(Toyo Baldwin Co., Ltd.) 제조)로 파지 길이 10 ㎝, 신장 속도 100%/분으로 최대 하중 9.8 N/㎝까지의 신장과 회복을 행했을 때의 신장 회복 곡선을 제조한다. 이 곡선으로부터 하중 9.8 N/㎝에서의 신장률을 해독한다. 또한, 신도 비는 하기 수학식으로부터 구한다.
<수학식 1>
신도 비 (A) = 3.5 N/㎝ 하중하에서의 경사 방향의 신도(%) ÷ 위사 방향의 신도(%)
<수학식 2>
신도 비 (B) = 9.8 N/㎝ 하중하에서의 경사 방향의 신도(%) ÷ 위사 방향의 신도(%)
신장 회복률은 9.8 N/㎝ 하중하에서의 신장량(c) 및 회복시 하중이 0이 될 때의 신장량(d)로부터 하기 수학식에 의해 구한다.
신장 회복률(%) = (c - d)×100/c
(7) 탄성 섬유 인발 저항력
편물을 탄성 섬유의 방향을 경사 방향으로 하여 길이 7.5 ㎝, 폭 2.5 ㎝의 크기로 절단한다. 이어서, 경사 방향의 1/3까지 폭 방향 중앙부의 탄성 섬유 1 가닥의 양 옆을 절단하여 편물로부터 탄성 섬유를 취출한다. 이어서, 이 탄성 섬유의 옷감 중 2.5 ㎝ 되는 곳에서 탄성 섬유를 가위로 절단하여 측정편을 제조하고, 이하의 측정 조건으로 측정한다.
(측정 조건) 정속 신장 시험기(텐실론 도요 볼드윈사 제조)로 편물 부분과 탄성 섬유를 각각 파지하고, 신장 속도 30 ㎝/분으로 탄성 섬유를 인발한다. 이 때의 저항력을 기록하여 인발 응력 피크의 평균치를 구한다.
(8) 용적 유지 계수
편물의 성형 용적은 열가소성 필름(건열 80 내지 100℃에서 연화하는 합성 수지 필름)을 성형 후의 편물 표면에 얹고, 건열풍(드라이어를 연화 온도)으로 편물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에 따라 동일 형상으로 유지시킨 후, 냉풍으로 열가소성 필름을 고정시킨다. 편물의 요철부 형상을 그대로 유지시킨 열가소성 필름에 물을 유입하여 용적을 측정한다.
성형에 사용하는 금형의 용적을 열성형 용적으로 한다. 성형 후의 편물 용적을 측정하여 용적 유지 계수를 하기 수학식으로 산출한다.
용적 유지 계수 = (성형 가공 후의 편물이 유지하는 성형 용적)/(열성형 용적)
<실시예 1>
입체 편물의 앞면 편물과 뒷면 편물에 사용하는 실로서 84 dtex 및 30 필라멘트의 폴리에스테르 가연 가공사(테크노파인(Technofine, 등록상표), 아사히 가세이(주) 제조)를 사용하여 평편 조직으로 편물을 형성하였다. 앞뒤 편물을 결합하는 실로서 155 dtex의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 나사(로이카(Roica, 등록상표), 아사히 가세이(주) 제조)를 사용하였다.
28 게이지, 30 인치 직경, 60구의 인터락 양면 환편기(후꾸하라 세끼(주) 제조, 기종 타입 V-LEC6)에 의해 모든 니들로 결합 편성을 행하고, 장치 패턴 사이의 거리를 4 mm로 하여 환편물을 얻었다. 이 때의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 나사의 루프 길이는 800 ㎝이고, 앞면과 뒷면을 구성하는 편물의 루프 길이는 827 ㎝이며, 그 결과 루프 길이 비(T)는 1.0이었다.
얻어진 환편 생지를 열어 액류 염색기로 80℃에서 30분 동안 정련하고, 예비세트로서 텐터 마무리기로 폭방향으로 5% 폭을 내면서 온도 190℃에서 60초 동안 열처리하였다. 이어서, 고압 액류 염색기를 이용하여 130℃에서 60분 동안 염색을 행하였다. 마무리 세트로서 텐터 마무리기를 이용하여 폭방향으로 3% 폭을 내면서 170℃에서 45초 동안 열처리하여 염색된 편물을 얻었다. 이 때의 편성 내용과 편물 특성을 하기 표 1 및 2에 나타내었다.
얻어진 입체 편물은 두께 2.65 mm, 압축률 60%, 회복률 92.0%, 통기성 0.45이고, 촉감이 양호한 입체 편물이었다. 이 입체 편물은 구두 등의 안창 재료나 생활 자재의 베드 패트(bed pat) 등에 매우 적합한 것이었다.
<실시예 2>
입체 편물의 앞면 편물과 뒷면 편물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편성하였다. 앞뒤 편물을 결합하는 실로서 310 dtex의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 나사(로이카(등록상표), 아사히 가세이(주) 제조)를 사용하였다. 이 때의 결합 편성은 모든 니들로 행하였다. 얻어진 편물에 실시예 1과 동일한 처리를 실시하였다. 이 때의 편성 내용과 편물 특성을 표 1 및 2에 나타내었다.
얻어진 입체 편물은 두께 3.12 mm, 압축률 55%, 회복률 99.4%, 통기성 0.41이고, 촉감이 양호한 것이었다. 이 입체 편물은 구두 등의 안창 재료나 생활 자재의 베드 패트 등에 매우 적합한 것이었다.
<실시예 3>
결합 편성 조건으로서 1/2의 니들로 결합시킨 것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편성하였다. 이 때의 편성 내용과 편물 특성을 표 1 및 2에 나타내었다.
얻어진 입체 편물은 두께 3.00 mm, 압축률 60%, 회복률 97.4%, 통기성 0.55이고, 촉감이 양호한 것이었다. 이 입체 편물은 구두 등의 안창 재료나 생활 자재의 베드 패트 등에 매우 적합한 것이었다.
<실시예 4>
결합 편성 조건으로서 1/4의 니들로 결합시킨 것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편성하였다. 이 때의 편성 내용과 편물 특성을 표 1 및 2에 나타내었다. 얻어진 입체 편물은 두께 2.85 mm, 압축률 71%, 회복률 91.6%, 통기성 0.62이고, 촉감이 양호한 것이었다. 이 입체 편물은 구두 등의 안창 재료나 생활 자재의 베드 패트 등에 매우 적합한 것이었다.
<실시예 5>
입체 편물의 앞면 편물에 사용하는 실로서 면방적사 40번을 사용하고, 뒷면에 사용하는 실로서 167 dtex 및 48 필라멘트의 폴리에스테르 가연 가공사(테크노파인(등록상표), 아사히 가세이(주) 제조)를 사용하여 평편 조직으로 양면의 편물을 형성시켰다. 앞뒤 편물을 결합시키는 실로서 310 dtex의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 나사(로이카(등록상표), 아사히 가세이(주) 제조)를 사용하고, 모든 니들로 결합 편성을 행하였다.
22 게이지, 30 인치 직경, 36구의 인터락 양면 환편기(마이어 시(Mayer Cie Co., Ltd.) 제조, 기종 타입 OVJ-36)를 사용하고, 장치 패턴 사이의 거리를 5 mm로 하여 환편물을 편성하였다. 이 때의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 나사의 루프 길이는 2160 ㎝이고, 앞면과 뒷면을 구성하는 편물의 루프 길이는 1063 ㎝이며, 그 결과 루프 길이 비(T)는 2.0이었다. 이 환편물에 실시예 1과 동일한 마무리 가공을 실시하여 본 발명의 입체 편물을 얻었다. 이 때의 편성 내용과 편물 특성을 표 1 및 2에 나타내었다.
얻어진 입체 편물은 두께 3.35 mm, 압축률 65%, 회복률 99.0%, 통기성 1.18이고, 촉감이 양호한 것이었다. 이 입체 편물은 구두 등의 안창 재료나 생활 자재의 베드 패트 등에 매우 적합한 것이었다.
<실시예 6>
입체 편물의 앞면 편물과 뒷면 편물을 실시예 5와 동일하게 편성하였다. 앞뒤 편물을 결합하는 실로서 34 dtex의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 나사(로이카(등록상표), 아사히 가세이(주) 제조)를 사용하였다. 얻어진 환편물은 실시예 5와 동일하게 처리하였다. 이 때의 편성 내용과 편물 특성을 표 1 및 2에 나타내었다.
얻어진 입체 편물은 두께 2.23 mm, 압축률 72%, 회복률 86.2%, 통기성 0.45이고, 촉감이 양호한 것이었다. 이 입체 편물은 구두 등의 안창 재료나 생활 자재의 베드 패트 등에 매우 적합한 것이었다.
<비교예 1>
입체 편물의 앞면 편물과 뒷면 편물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편성하였다. 앞뒤 편물을 결합하는 실로서 155 dtex의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 나사(로이카(등록상표), 아사히 가세이(주) 제조)와 83 dtex 및 24 필라멘트의 폴리에스테르 코어-쉬쓰형의 열융착사(벨 커플(Bell Couple, 등록상표), 가네보 고센(주) 제조)를 사용하였다. 탄성 섬유를 2.5 배로 신장하면서 열융착사 멀티필라멘트와 가지런히 하여 이하의 조건으로 교락(compounding) 가공하고, 이어서, 이하의 합연기를 사용하여 설정 가연수 600 회/m로 연사 방향 Z로 합연하여 합연사를 제조하였다.
<교락 가공> 인터레이서; (도레이 프래시죤(주) 제조, PC-220 타입)
공기압; 2.0 KG/㎠G
<합연> 연사기; 이타리(Itarly) 연사기(구보따(주) 제조, TKT 타입)
얻어진 합연사로 앞뒤 편물을 모든 니들로 결합하여 환편물을 편성하고, 얻어진 환편물에 실시예 1과 동일한 처리 가공을 행하였다. 이 때의 편성 내용과 편물 특성을 표 1 및 2에 나타내었다.
얻어진 환편물은 두께 1.87 mm, 압축률 5%, 회복률 82.0%, 통기성 1.33이었다. 이 입체 편물은 압축성이 부족하고, 촉감 등의 면에서 입체감이 없는 딱딱한 것으로, 생활 자재의 베드 패트 등에는 적합하지 않은 것이었다.
<비교예 2>
입체 편물의 앞면 편물과 뒷면 편물을 실시예 5와 동일하게 편성하였다. 앞뒤 편물을 결합하는 실로서 15 dtex의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 나사(로이카(등록상표), 아사히 가세이(주) 제조)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5와 동일하게 하여 입체 편물을 편성하였다. 이 때의 편성 내용과 편물 특성을 표 1 및 2에 나타내었다.
얻어진 환편물은 두께 1.95 mm, 압축률 80%, 회복률 45%, 통기성 0.23이고, 압축 회복성, 촉감 등의 면에서 생활 자재의 베드 패트 등에는 적합하지 않은 것이었다.
<실시예 7>
28 게이지, 30 인치 직경, 60구의 인터락 양면 환편기(후꾸하라 세끼사 제조, 기종 타입 V-LEC6)를 사용하여 3층 구조를 갖는 신축성 환편물을 편성하였다. 편기의 장치 패턴 사이의 거리는 1 mm로 설정하였다.
탄성 환편물의 앞면 편물과 뒷면 편물에 사용하는 실로서 56 dtex 및 30 필라멘트의 폴리에스테르 가연 가공사(테크노파인(아사히 가세이사 제조, 등록상표, 이하 동일))와 22 dtex의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 나사(로이카(아사히 가세이사 제조, 등록상표, 이하 동일))를 사용하여 평편 조직(통칭 베어 위브(bare weaves))으로 편물을 형성하고, 앞뒤 편물을 결합하는 결합사로서 155 dtex의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 나사 (로이카)를 사용하여 앞뒤 1 바늘 교대의 총 바늘수 1/2로 터크 연결하였다.
이 때의 결합사로서의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 나사의 편기 한둘레의 루프 길이는 190 ㎝ (A)이고, 한쪽면과 다른쪽면을 구성하는 편물의 폴리에스테르 가연 가공사의 루프 길이는 850 ㎝ (B)로서, 결합사의 루프 길이 비(A/B)는 0.22였다.
얻어진 환편 생지를 열어 액류 염색기에서 80℃에서 30분 동안 정련하고, 예비세트로서 텐터 마무리기를 이용하여 폭방향으로 5% 폭을 내면서 온도 190℃에서 60초 동안 열처리하였다. 이어서, 고압 액류 염색기를 이용하여 130℃에서 60분 동안 염색하였다. 마무리 세트로서 텐터 마무리기를 이용하여 폭방향으로 3% 폭을 내면서 170℃에서 45초 동안 열처리하여 염색된 편물을 얻었다. 이 때의 편성 내용과 편물 특성을 하기 표 3 및 4에 나타내었다.
얻어진 탄성 환편물은 앞뒤 편물이 접합된 3층 구조를 갖고 있었으며, 두께가 0.58 mm이고, 신장률이 세로 130%, 가로 158%이고, 신장 회복률이 세로 91%, 가로 93%이고, 탄성 섬유 인발 응력이 80 g이고, 촉감이 양호한 것이었다.
이 탄성 환편물은 편물 단에서 런이 발생하지 않고, 단면의 봉제가 불필요하며, 여성용 거들로서 피트(fit)감과 보형 기능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8>
탄성 환편물의 앞면 편물과 뒷면 편물을 결합하는 실로서 44 dtex의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 나사(로이카)를 사용하고, 모든 니들로 결합 편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과 동일한 편성 조건으로 편성하고 실시예 7과 동일한 처리를 행하여 3층 구조의 탄성 환편물을 얻었다.
얻어진 탄성 환편물은 두께가 0.55 mm이고, 신장률이 세로 133%, 가로 181%이고, 신장 회복률이 세로 92%, 가로 93%이고, 탄성 섬유 인발 응력이 50 g 이상이고, 촉감이 양호한 것이었다.
이 탄성 환편물은 편물 단에서 런이 발생하지 않고, 단면의 봉제가 불필요하며, 여성용 거들로서 피트감과 보형 기능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9>
결합 편성 조건으로서 앞뒤 기초편물을 1/2의 니들로 결합시킨 것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8과 동일하게 하여 탄성 환편물을 얻었다. 얻어진 3층 구조의 탄성 환편물은 두께가 0.55 mm이고, 신장률이 세로 135%, 가로 183%이고, 신장 회복률이 세로 91%, 가로 93%이고, 탄성 섬유 인발 응력이 50 g 이상이고, 촉감이 양호한 것이었다.
이 탄성 환편물은 편물 단에서 런이 발생하지 않고, 단면의 봉제가 불필요하며, 여성용 거들로서 피트감과 보형 기능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10>
결합 편성 조건으로서 앞뒤 기초편물을 1/4의 니들로 결합시킨 것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동일하게 하여 탄성 환편물을 얻었다.
얻어진 탄성 환편물은 두께가 0.55 mm이고, 신장률이 세로 137%, 가로 185%이고, 신장 회복률이 세로 91%, 가로 92%이고, 탄성 섬유 인발 응력이 50 g 이상이고, 촉감이 양호한 것이었다.
이 탄성 환편물은 편물 단에서 런이 발생하지 않고, 단면의 봉제가 불필요하며, 봉제시의 취급성이 양호하고, 여성용 거들로서 피트감과 보형 기능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11>
18 게이지, 30 인치 직경, 36구의 환편기(마이어 시 제조, 기종 타입 OVJ-36)를 사용하여 환편물을 편성하였다.
탄성 환편물의 앞면 편물에 사용하는 실로서 면방적사 40번과 22 dtex의 폴리우레탄 탄성사(로이카(등록상표), 아사히 가세이(주) 제조)를 코어로 하여 34 dtex/12 필라멘트의 나일론 가공사를 피복한 탄성사를 가지런히 하여 사용하였다. 뒷면에 사용하는 실로서 167 dtex 및 48 필라멘트의 폴리에스테르 가연 가공사(테크노파인)를 사용하여 평편 조직으로 각각의 면의 편물을 형성시키고, 이 앞뒤 편물을 결합시키는 결합사로서 1422 dtex의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 나사(로이카)를 사용하여 총 바늘수 1/2로 터크 편성을 행하였다.
이 때의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 나사의 루프 길이는 190 ㎝이고, 한쪽면과 다른쪽면을 구성하는 편물의 루프 길이는 모두 950 ㎝로서, 루프 길이 비는 0.20이었다.
얻어진 신축성 편물은 두께가 0.78 mm이고, 신장률이 세로 80%, 가로 100%이고, 신장 회복률이 세로 92%, 가로 93%이고, 탄성 섬유 인발 응력이 80 g 이상이고, 촉감이 양호한 것이었지만, 편물의 커얼이 발생하였다.
이 신축성 편물은 편물 단에서 런이 발생하기 때문에 단면을 봉제하였다. 봉제시의 취급성이 양호하고, 여성용 거들로서 피트감과 보형 기능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12>
실시예 11의 편기를 리브 개팅(rib gatting)으로 변경하고, 제1, 제3 실 공급구는 다이얼 평편 및 실린더 1/2 바늘 터크 조직으로 설정하고, 제2, 제4 실 공급구는 실린더 평편 및 다이얼 1/2 바늘 터크 조직으로 설정하며, 실린더측에서 앞면에 사용하는 실로서 면방적사 40번, 다이얼측에서 뒷면에 사용하는 실로서 167 dtex 및 48 필라멘트의 폴리에스테르 가연 가공사(테크노파인)를 사용하여 평편 조직부를 편성할 때, 앞뒤 편물의 결합사로서 34 dtex의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 나사(로이카)를 각 실 공급구에서 평편부를 편성함과 동시에 마주하는 바늘열에서 1 가닥 교대로 터크 편성이 가능하게 한 복합 실 공급을 행하였다. 즉, 연결사는 편면 니트, 대응면 터크의 탄성사 연결이었다. 그 외에는 실시예 5와 동일하게 하여 신축성 편물을 얻었다.
얻어진 신축성 편물은 두께가 0.74 mm이고, 신장률이 세로 80%, 가로 130%이고, 신장 회복률이 세로 93%, 가로 92%이고, 탄성 섬유 인발 응력이 50 g 이상이고, 촉감이 양호한 것이었다.
이 신축성 편물은 편물 단에서 런이 발생하기 때문에 단면을 봉제하였다. 봉제시의 취급성이 양호하고, 여성용 거들로서 피트감과 보형 기능이 우수한 것이었다.
<비교예 3>
18 게이지, 30 인치 직경, 36구의 환편기(마이어 시 제조, 기종 타입 OVJ-36)을 사용하여 환편물을 편성하였다.
신축성 편물의 앞면 편물에 사용하는 실로서 면방적사 40번을 사용하고, 뒷면에 사용하는 실로서 167 dtex 및 48 필라멘트의 폴리에스테르 가연 가공사(테크노파인)를 사용하였고, 편주머니 조직(half-bag weave)의 편물을 편성할 때, 1422 dtex의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 나사(로이카)를 1/2의 실 공급구에서 인레이 삽입 편성하였다.
이 때의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 나사의 루프 길이는 190 ㎝이고, 한쪽면과 다른쪽면을 구성하는 편물의 루프 길이는 모두 760 ㎝로서, 루프 길이 비는 0.25였다.
얻어진 신축성 편물은 두께가 0.80 mm이고, 신장률이 세로 45%, 가로 100%이고, 신장 회복률이 세로 60%, 가로 75%, 인발 응력 40 g이었다. 이 신축성 편물은 신장률이 부족하고, 봉제시의 탄성 섬유가 빠지기 쉬워 취급성이 좋지 못하였다.
<비교예 4>
신축성 편물의 앞면 편물과 뒷면 편물을 실시예 7과 동일하게 편성하였다. 앞뒤 편물을 결합하는 실로서 155 dtex의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 나사(로이카)와 44 dtex 및 34 필라멘트의 폴리아미드 멀티필라멘트(레오나(Leona))를 사용하였고, 탄성 섬유를 2.5 배로 신장하면서 폴리아미드 멀티필라멘트와 가지런히 하여 이하의 조건으로 교락 가공하였다. 이어서, 이하의 합연기를 이용하여 설정 가연수 600 회/m로 가연 방향 Z로 합연하여 합연사를 제조하였다.
<교락 가공> 인터레이서: (도레이 프래시죤사 제조, PC-220 타입)
공기압: 2.0 KG/㎠G
<합연> 연사기: 이타리 연사기(구보따사 제조, TKT 타입)
얻어진 합연사를 앞뒤 편물을 결합하는 실로서 사용하여 결합수의 1/2로 터크 편성하여 환편물을 편성하였다.
얻어진 신축성 편물은 두께가 0.60 mm이고, 신장률이 세로 100% 가로 120%이고, 신장 회복률이 세로 75%, 가로 60%이고, 탄성 섬유 인발 응력이 100 g이고, 외관상 요철이 있었다.
이 신축성 편물은 결합사가 표면에 나와 미관이 좋지 못하고, 신축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여성용 거들로서는 부적합하였다.
<비교예 5>
실시예 12에서와 같이 앞뒤 편물을 결합하는 실로서 11 dtex의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 나사(로이카)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와 동일하게 하여 신축성 편물을 얻었다.
얻어진 편물은 두께가 0.75 mm, 세로 신장률 40%, 가로 신장률 87%, 세로 신장 회복률 89%, 가로 신장 회복률 75%로서 신축성이 부족한 것이었다.
<실시예 13>
입체 편물의 앞면 편물과 뒷면 편물에 사용하는 실로서 84 dtex 및 30 필라멘트의 폴리에스테르 가연 가공사(테크노파인(등록상표), 아사히 가세이(주) 제조)와 22 dtex의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 나사(로이카(등록상표), 아사히 가세이(주) 제조)를 사용하여 이들 2 가닥을 가지런히 하여 평편 조직으로 편물을 형성하였다. 앞뒤 편물을 결합하는 연결사로서 155 dtex의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 나사 (로이카(등록상표), 아사히 가세이(주) 제조)를 사용하였다.
28 게이지, 30 인치 직경, 60구의 인터락 양면 환편기(후꾸하라 세끼(주) 제조, 기종 타입 V-LEC6)로 편성하고, 편기의 장치 패턴 사이의 거리를 4.0 mm로 하여 환편물을 얻었다.
얻어진 환편 생지를 열어 액류 염색기로 80℃에서 30분 동안 정련하고, 예비세트로서 텐터 마무리기로 폭방향으로 5% 폭을 내면서 190℃에서 60초 동안 열처리하였다. 이어서, 고압 액류 염색기를 이용하여 130℃에서 60분 동안 염색하였다. 마무리 세트로서 텐터 마무리기를 이용하여 폭방향으로 3% 폭을 내면서 170℃에서 45초 동안 열처리하여 염색된 편물을 얻었다. 얻어진 편물에 건열 190℃로 승온한 용적 300 ㎤의 열성형용 금형을 이용하여 45 초간 열성형 가공을 행하였다. 이 때의 편성 내용과 편물 특성을 하기 표 5 및 6에 나타내었다.
얻어진 입체 구조 편물은 단위면적 당 중량 350 g/㎡, 두께 2.2 mm, 열성형 가공 후의 옷감의 용적 210 ㎤, 용적 유지 계수 0.7이었다. 이 입체 구조 편물은 형태 고정성, 및 외력에 의해 움푹 패이더라도 원래의 모양으로 복원하는 복원력이 우수하여 성형하여 사용되는 구두 재료, 브래지어컵 재료, 수영복 및 바디 슈트(body suit), 형태가 유지 고정되는 어깨 패트, 코르셋, 모자 등 외에 수납 케이스의 내형재, 외형재 등에 매우 적합한 것이었다.
<실시예 14>
실시예 13과 동일하게 입체 편물의 앞면 편물과 뒷면 편물에 사용하는 실로서 84 dtex 및 30 필라멘트의 폴리에스테르 가연 가공사(테크노파인(등록상표), 아사히 가세이(주) 제조)와 22 dtex의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 나사((저온 고세팅 타입사) 로이카 BX(등록상표), 아사히 가세이(주) 제조)를 사용하여 이들 2 가닥을 가지런히 하여 평편 조직으로 편물을 형성하였다. 앞뒤 편물을 결합하는 실로서 155 dtex의 합성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 나사 (로이카(등록상표), 아사히 가세이(주) 제조)를 사용하였다.
얻어진 편물은 실시예 13과 동일한 처리를 실시하였다.
얻어진 입체 편물은 단위면적 당 중량 400 g/㎡, 두께 2.5 mm, 열성형 가공 후의 옷감의 용적 270 ㎤, 용적 유지 계수 0.9였다. 이 입체 구조 편물은 형태 고정성, 및 외력에 의해 움푹 패이더라도 원래 모양으로 복원하는 복원력이 우수하여 성형되어 사용되는 구두 재료, 브래지어컵 재료, 수영복 및 바디 슈트, 형태가 유지 고정되는 어깨 패트, 코르셋, 모자 등 외에 수납 케이스의 내형재, 외형재 등에 매우 적합한 것이었다.
<실시예 15>
입체 편물의 앞면 편물과 뒷면 편물에 사용하는 실로서 84 dtex 및 30 필라멘트의 폴리에스테르 가연 가공사(테크노파인(등록상표), 아사히 가세이(주) 제조)와 22 dtex의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 나사(로이카(등록상표), 아사히 가세이(주) 제조)를 사용하여 이들 2 가닥을 가지런히 하여 평편 조직으로 편물을 형성하였다. 앞뒤 편물을 결합하는 실로서 78 dtex의 폴리우레탄계 탄성 섬유 나사(로이카(등록상표), 아사히 가세이(주) 제조)를 사용하였다. 그 외에는 실시예 13과 동일하게 편성하여 처리하였다.
얻어진 입체 구조 편물은 단위면적 당 중량 230 g/㎡, 두께 2.1 mm, 열성형 가공 후의 옷감의 용적 240 ㎤, 용적 유지 계수 0.8이었다. 이 입체 구조 편물은 형태 고정성, 및 외력에 의해 움푹 패이더라도 원래의 모양으로 복원하는 복원력이 우수하여 성형되어 사용되는 구두 재료, 브래지어컵 재료, 수영복 및 바디 슈트, 형태가 유지 고정되는 어깨 패트, 코르셋, 모자 등 외에 수납 케이스의 내형재, 외형재 등에 매우 적합한 것이었다.
<비교예 6>
입체 편물의 앞면 편물과 뒷면 편물에 사용하는 실로서 84 dtex 및 30필라멘트의 폴리에스테르 가연 가공사(테크노파인(등록상표), 아사히 가세이(주) 제조)를 평편 조직으로 하여 편물을 형성하였다. 앞뒤 편물을 결합하는 실로서 84 dtex 및 30 필라멘트의 폴리에스테르 가연 가공사(테크노파인(등록상표), 아사히 가세이(주) 제조)를 사용하였다. 그 외에는 실시예 13과 동일하게 편성하여 처리하였다.
얻어진 편물은 단위면적 당 중량 250 g/㎡, 두께 1.8 mm, 열성형 가공 후의 옷감의 용적 120 ㎤, 용적 유지 계수 0.4이고, 형태 유지성이 없어(형태가 고정되어 있지 않음) 생활 자재 등에는 부적합하였다.
<실시예 16>
입체 편물의 앞면과 뒷면 편물을 결합하는 연결사로서 155 dtex의 폴리우레탄 탄성사(로이카(등록상표), 아사히 가세이(주) 제조)를 나사 상태로 단독으로 사용하였다. 뒷면 기초편물에는 84 dtex/30 필라멘트의 폴리에스테르 가연 가공사(테크노파인(등록상표), 아사히 가세이(주) 제조)와 22 dtex의 폴리우레탄 탄성사 (로이카(등록상표), 아사히 가세이(주) 제조)의 나사를 가지런히 하여 평편 조직으로 하여 편물을 형성시켰다. 앞면 기초편물에는 78 dtex/34 필라멘트의 나일론의 가연 가공사와 22 dtex의 폴리우레탄 탄성사를 가지런히 하여 뒷면의 편물 형성과 동일하게 하여 형성시켰다.
편기로서 28 게이지, 30 인치 직경, 60구의 더블 환편기 (기종 타입 V-LEC6, 후꾸하라 세끼(주) 제조)를 사용하였다. 편기의 다이얼 바늘과 실린더 바늘의 치구(tooth space)를 4 mm로 설정하였다. 제1 실 공급구로부터 앞면 기초편물을 형성하는 비탄성 나일론 가연 가공사를 편기 1 회전 당 공급 길이(루프 길이) 827 ㎝로 실린더 바늘에 공급하고, 제2 실 공급구로부터 뒷면 기초편물을 형성하는 비탄성 폴리에스테르의 가연 가공사를 동일한 편기 1 회전 당 공급 길이(루프 길이) 827 ㎝로 다이얼 바늘에 공급하였다.
기초편물을 형성하는 주재료에 가지런히 할 폴리우레탄 탄성사를 나사 상태로 패키지로부터 적극적으로 송출하는 장치를 사용하였다. 편기의 제1 실 공급구 및 제2 실 공급구로부터 편기 1 회전 당 410 ㎝의 공급 길이(이 때, 폴리우레탄 탄성사의 편성시 연신 배율은 2.0 배임)로 편성 바늘에 공급하여 첨사 편성함으로써, 각각 앞뒤 기초편물을 형성하였다. 제3 실 공급구로부터 연결사를 양면 터크 조직으로 편기 1 회전 당 공급 길이 800 ㎝로 다이얼 및 실린더 바늘 모두의 쇼트 버트 바늘 (short butt needle)에 공급하고, 제1 실 공급구와 제2 실 공급구로 형성된 편물을 터크 스티치로 결합하였다. 제4 실 공급구와 제5 실 공급구는 각각 제1 실 공급구와 제2 실 공급구를 반복하고, 제6 실 공급구에서는 제3 실 공급구와 마찬가지로 폴리우레탄 탄성사를 다이얼 및 실린더 바늘의 롱 버트 바늘(long butt needle)에 공급하였다.
이것을 하나의 완전 조직으로 하여 60구의 실 공급구로 편성하였다. 연결사를 코스마다 교대로 쇼트 버트 바늘과 롱 버트 바늘로 양면 터크 조직으로 편성했기 때문에 연결사가 결합되어 있는 기초편물의 스티치 비율은 50%가 되고, 연결 부위가 코스마다 위상의 어긋남을 반복하는 구조였다.
얻어진 환편 생지를 열어 액류 염색기로 80℃에서 30분 동안 정련하고, 예비세트로서 텐터 마무리기로 폭방향으로 5% 폭을 내면서 온도 190℃에서 60초 동안 열처리한 후, 고압 액류 염색기로 100℃에서 60분 동안 나일론면을 산성 염료를 사용하여 염색하였다. 마무리 세트로서 텐터 마무리기로 폭방향으로 3% 폭을 내면서 170℃에서 45초 동안 열처리하여 염색된 편물을 얻었다.
얻어진 입체 편물은 두께 1.8 mm, 편성 밀도 25.5 코스/㎝×14.6 웨일(wale)/㎝, ㎠ 당 총 연결 가닥수 373 가닥, ㎠ 당 연결사의 총 dtex 57,780 dtex이고, D/T가 32,100이었다. 이 탄성 편물의 압축률은 54%, 회복률은 100%로서, 충분한 압축 성능을 갖고 있었다. 통기 저항은 0.24 kPa, -s/m이고, 편물 경위 양방향 모두 신축성이 풍부하며 뒷면과 앞면에서 완전한 리버시블 편물이 되었다.
<실시예 17>
기초편물을 결합하는 연결사용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로서 78 dtex의 폴리우레탄 탄성사(로이카(등록상표), 아사히 가세이(주) 제조)를 나사 상태로 단독으로 사용하고, 앞뒤 기초편물에는 84 dtex/30 필라멘트의 폴리에스테르 원사(테크노파인(등록상표), 아사히 가세이(주) 제조)와 22 dtex의 폴리우레탄 탄성사(로이카(등록상표), 아사히 가세이(주) 제조)를 나사 상태로 사용하였다. 편기로는, 5개의 가이드 바를 구비한 18 게이지의 더블 라셀 경편기(칼 마이어사 제조)로 장치 패턴 사이의 거리가 4 mm로 설정된 것을 사용하였다. 기초편물의 폴리에스테르 원사와 폴리우레탄 탄성사를 제1 가이드 바와 제2 가이드 바로부터 앞 바늘에만 공급하여 더블 1×1 트리코 조직을 편성하였다. 제4 가이드 바와 제5 가이드 바로부터 동일하게 2종의 실을 뒷 바늘에만 공급하여 하프 조직을 편성하였다. 제3 가이드 바로부터 연결사로서 폴리우레탄 탄성사의 나사를 풀 셋트로 앞 바늘과 뒷 바늘 모두에 교대로 공급하고, 니트 루프를 편성하여 기초편물에 연결하였다. 얻어진 경편 생지를 연속 정련기에서 80℃에서 30분 동안 정련하고, 예비세트로서 텐터 마무리기로 폭방향으로 5% 폭을 내면서 온도 190℃에서 60초 동안 열처리한 후, 고압 액류 염색기로 130℃에서 60분 동안 염색하였다. 마무리 세트로서 텐터 마무리기로 폭방향으로 3% 폭을 내면서 170℃에서 45초 동안 열처리하여 염색된 편물을 얻었다.
얻어진 탄성 편물은 두께 2.5 mm, 편성 밀도 23.6 코스/㎝×11.8 웨일/㎝, ㎠ 당 총 연결 가닥수 558 가닥, ㎠ 당 연결사의 총 dtex 43,524 dtex이고, D/T가 17,410이었다.
이 탄성 편물의 압축률은 69%, 회복률은 99.4%로서, 충분한 압축 성능을 갖고 있었다. 통기 저항은 0.33으로 양호하고, 편물 경위 두 방향 모두 신축성이 풍부한 편물이 되었다. 얻어진 탄성 편물을 사람 얼굴 모양 요철이 있는 알루미늄제 금형을 사용하여 건열 180℃에서 30 초간 성형했더니 사람 얼굴 모양이 부여된 아이 마스크(eye mask)로서 최적인 편물이 되었다.
<실시예 18>
실시예 16과 동일한 편기를 사용하여, 뒷면 기초편물에는 탄성사를 사용하지 않고, 앞면 기초편물에 22 dtex의 폴리우레탄 탄성사(로이카(등록상표), 아사히 가세이(주) 제조)를 코어로 34 dtex/12 필라멘트의 나일론 가공사를 피복한 탄성사를 사용하였다. 그 외에는 실시예 16과 동일하게 하여 상기 탄성 섬유를 비탄성 섬유 2 가닥 중 1 가닥의 비율로 가지런히 하여 평편 조직으로 편물을 형성시켰다.
얻어진 탄성 편물은 두께 2.0 mm, 편성 밀도 18 코스/㎝×11 웨일/㎝, 연결사 총 가닥수 198 가닥이고, D/T가 17,050이었다. 이 탄성 편물의 압축률은 69%, 회복률은 99.9%로서 충분한 압축 성능을 갖고 있었다. 편물 경위 두 방향 모두 신축성이 풍부하여 구두나 부츠의 상부 재료로서 최적인 편물이 되었다.
<실시예 19>
바늘 선별에 의한 자카드 패턴화 기구를 구비한 22G의 더블 환편기를 사용하여, 실린더측에 78 dtex/34 필라멘트의 나일론 가연 가공사와 84 dtex/30 필라멘트의 폴리에스테르 생사를 공급하고, 꽃모양의 2색 자카드를 편성함과 동시에 44 dtex의 폴리우레탄 탄성사(로이카(등록상표), 아사히 가세이(주) 제조)를 나사 상태로 첨사하여 앞면의 기초편물을 형성하였다.
다이얼 바늘에 폴리에스테르 84 dtex/30 필라멘트의 생사를 공급하여 평편을 편성함과 동시에, 44 dtex의 폴리우레탄 탄성사(로이카(등록상표), 아사히 가세이(주) 제조)를 나사 상태로 첨사하여 뒷면의 기초편물을 형성하였다. 연결사에 310 dtex의 폴리우레탄 탄성사(로이카(등록상표), 아사히 가세이(주) 제조)를 실시예 16과 동일하게 하여 쇼트 버트 바늘과 롱 버트 바늘로 교대로 양면 터크 편성하여 앞뒤 두 장의 기초편물을 결합하였다.
얻어진 환편 생지를 열어 액류 염색기로 80℃에서 30분 동안 정련하고, 예비세트로서 텐터 마무리기로 폭방향으로 5% 폭을 내면서 온도 190℃에서 60초 동안 열처리한 후, 고압 액류 염색기로 100℃에서 60분 동안 나일론면을 산성 염료를 사용하여 염색하였다. 마무리 세트로서 텐터 마무리기로 폭방향으로 3% 폭을 내면서 170℃에서 45초 동안 열처리하여 염색된 편물을 얻었다.
얻어진 편물은 두께 5 mm, 편성 밀도 28 코스/㎝×15 웨일/㎝, 연결사 총 가닥수 420 가닥이고, D/T가 26,040이었다. 이 탄성 편물의 압축률은 50%, 회복률은 100%로서, 충분한 압축 성능을 갖고 있었다. 편물의 경위 두 방향 모두 신축성이 풍부하고, 표면에 폴리에스테르로 편성된 스티치가 하얗게 남아 꽃모양을 갖는 보온 수영복에 최적인 탄성 편물이 되었다.
<실시예 20>
실시예 17에서 사용한 더블 라셀 경편기에 의해 동일한 실 사용으로 본 발명의 탄성 편물을 편성함에 있어서, 실시예 17과 동일하게 80 코스 편성을 행하고, 그 다음의 10 코스는 제2 가이드 바의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앞 바늘과 뒷 바늘 모두에서 니트 루프로 형성하고, 그 동안 연결사는 기초편물과의 연결을 피하여 두 장의 편물 사이에 떠있는(float) 실 상태로 삽입하였다.
이어서, 원래의 편조직으로 돌아가 80 코스를 편성하는 것을 반복하였다. 얻어진 탄성 편물은 입체 부위가 편물의 경사 방향으로 3 ㎝마다 구획된 보더상(border-type)의 요철을 형성할 수 있었다. 이 탄성 편물은 오목부를 갖기 때문에 편물 전체가 구부러지기 쉬워 인체에 감아 사용하는 서포터 등에 최적이었다.
<비교예 7>
실시예 16과 동일한 편기를 사용하고, 실시예 16과 동일한 조직과 조건으로 편물을 편성하였다. 이 때, 기초편물의 실 사용은 실시예 16과 동일하며, 결합사에는 167 dtex/48 필라멘트의 폴리에스테르 가연 가공사를 사용하였다. 얻어진 편물을 실시예 16과 동일한 공정과 조건으로 염색 마무리하였다.
이 편물은 두께 2.2 mm, 편성 밀도 25.5 코스/㎝×14.6 웨일/㎝, ㎠ 당 총 연결 가닥수 373 가닥, ㎠ 당 연결사의 총 dtex 62,291 dtex이고, D/T가 22,246이었다.
이 편물의 압축률은 62%, 회복률은 68.8%이고, 통기 저항은 0.64 kPa, -s/m였다. 편물의 경위 두 방향 모두 신축성이 풍부하기는 하지만, 두께 방향의 압축시 탄력성이 떨어지고, 압축 회복도 불충분하여 회복까지 시간이 걸리고 영구 왜곡이 편물 표면에 길게 남았다. 또한, 연결부는 섬유가 충전되어 있고, 통기성은 본 발명의 탄성 편물과 비교하여 떨어졌다. 또한, 이 편물은 로프(rope) 상태로 염색되었기 때문에 마무리 세트 후에도 로프 무늬가 편물 표면에 남았다. 이 편물을 인체에 감았을 때 인체의 곡선을 따라 편물 내측으로 꺾여 주름이 발생하고, 이 주름은 원래의 상태로 편물을 되돌린 후에도 사라지지 않았다.
<비교예 8>
실시예 16과 동일한 편기를 사용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직과 조건으로 편물을 편성하였다. 이 때, 앞뒤 기초편물 모두에 폴리우레탄 탄성사는 사용하지 않고, 연결사에 155 dtex 폴리우레탄 탄성사를 코어로, 167 dtex/16 필라멘트의 폴리에스테르 코어-쉬쓰형의 열융착사를 권취한 피복 탄성사를 사용하였다. 이 때의 탄성사의 피복 드래프트비를 2.5 배로 하고, 피복사의 연사 개수를 300 회/m로 하였다. 연결사는 피복 탄성사이기 때문에, 공지된 폴리우레탄 탄성사를 나사 상태로 편성한 경우 사용하는 적극 송출 장치를 사용하지 않았다.
그 외에는 실시예 16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물을 편성하고, 염색 마무리 가공도 동일하게 행하였다. 얻어진 편물은 두께 1.4 mm, 편성 밀도 14 코스/㎝× 11.5 웨일/㎝, ㎠ 당 총 연결 가닥수 161 가닥, ㎠ 당 연결사의 총 dtex 24,955 dtex이고, D/T가 17,825였다. 이 탄성 편물의 압축률은 58%, 회복률은 72.0%이고, 통기 저항은 0.14 kPa, -s/m이었다.
이 편물은 통기 저항이 낮기는 하지만, 두께 방향의 압축 회복성이 나쁘고, 압축에 의한 소성 변형이 생겨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편물은 아니었다. 또한, 연결사가 염색 가공시 열융착되어 연결사와 기초편물의 결합은 양호했지만, 열융착 부분이 딱딱하고, 편물 전체의 촉감도 딱딱하며, 잘 구부려지지 않아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사람이 착용하거나 피부가 닿는 곳에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한 편물이었다. 또한, 비교예 16과 동일하게 편물 굽힘에 대하여 내측 기초편물에 주름이 생긴다는 결점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