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6812A - 재사용 가능한 미세 먼지 항균 마스크 - Google Patents

재사용 가능한 미세 먼지 항균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6812A
KR20200136812A KR1020200031593A KR20200031593A KR20200136812A KR 20200136812 A KR20200136812 A KR 20200136812A KR 1020200031593 A KR1020200031593 A KR 1020200031593A KR 20200031593 A KR20200031593 A KR 20200031593A KR 20200136812 A KR20200136812 A KR 202001368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fine dust
sealing member
fabric
knitted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1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1708B1 (ko
Inventor
김장환
Original Assignee
(주)엘에스케이화인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6183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094480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에스케이화인텍스 filed Critical (주)엘에스케이화인텍스
Priority to KR1020200031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1708B1/ko
Publication of KR20200136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6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1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1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92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with antimicrobial ag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44Donning faciliti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10Knitted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먼지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세 먼지 항균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마스크는 마스크부, 상기 마스크부의 내면의 상단에 고정된 밀폐 부재, 및 상기 마스크부 내면과 얼굴 사이에 위치하는 미세 먼지 필터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해서 필요에 따라 미세먼지 마스크와 일반용 마스크로 사용될 수 있는 새로운 마스크가 제공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마스크는 밀폐 부재가 부착되어, 콧잔등과 얼굴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마스크 내부에서 미세먼지 필터지가 호흡에 따라 이동하면서 숨을 들이마실 경우 코와 입에 밀착되어 먼지가 필터링 되지 않고 호흡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마스크는 반면 숨을 내쉴 경우에는 마스크 내면에 밀착되어 이산화탄소의 배출이 용이하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마스크는 내피만 분리한 후 교환하여 사용하게 되므로 1회 사용 후 전체를 버리게 되는 기존의 미세먼지 마스크에 비해서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재사용 가능한 미세 먼지 항균 마스크{Reusable antibacterial mask for fine dust}
본 발명은 미세먼지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세 먼지 항균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미세 먼지의 발생이 늘어나면서 미세먼지를 필터링할 수 있는 고성능 필터 마스크들이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미세 먼지 마스크들은 미세먼지가 통과하기 어려운 작은 기공들이 미세먼지를 걸러내고 공기를 투과시키는 방식으로 먼지를 필터링한다.
미세 먼지 마스크는 얼굴과 마스크 사이의 틈새로 미세 먼지들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안면 밀착성이 강화된다.
마스크의 안면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서, 콧대 부위에 안면 굴곡에 따라서 변형되는 얇은 금속편을 부착하고, 탄성이 강한 밴드를 사용하여 머리에 잡아당겨 고정하는 방식들이 사용된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들은 필터링 효과는 높이지만 호흡 곤란을 야기할 수 있다. 특히, 초미세 먼지를 필터링하기 위해서 매우 작은 기공을 가지는 마스크는, 사용자의 호흡을 통해서 방출되는 이산화탄소가 마스크를 통해서 배출되지 않고, 다시 호흡하게 되는 문제를 야기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이유로 일부 전문가들은 미세 먼지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더 위험하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또한, 미세 먼지 마스크는 환경적인 문제를 야기한다. 미세 먼지 마스크는 사용 후 대부분의 기공이 미세먼지로 막히게 되므로, 재사용하지 못하고 일회용으로 사용된 후 버려진다.
한편, 미세 먼지 마스크는 필터링 기능이 강조되어 얇은 부직포로 이루어져 천으로 이루어진 일반 마스크와 달리 방한성이 떨어지고, 착용 후 얼굴 밀착을 위해 당겨진 마스크 착용 줄로 인해서 얼굴에 자국이 남는 문제들이 있으며, 또한, 디자인적인 미감이 낮기 때문에, 미세 먼지가 없지만 마스크가 필요한 날, 예를 들어, 황사나 꽃가루가 많은 날이나, 추운 날에는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미세먼지 필터링 기능을 가지면서 재사용이 가능한 새로운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미세먼지 필터링 기능을 가지면서 재사용이 가능하고 디자인적인 미감이 우수한 새로운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미세먼지 농도가 낮을 경우에는 일반 마스크로 사용할 수 있고, 미세먼지 농도가 높을 경우에는 미세 먼지 마스크로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미세먼지 농도가 낮을 경우에는 일반 마스크로 사용할 수 있고, 미세먼지 농도가 높을 경우에는 미세 먼지 마스크로 사용이 가능한 새로운 마스크를 제공한 항균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마스크,
상기 마스크의 내면의 상단에 고정된 밀폐 부재, 및
상기 마스크 내면과 얼굴 사이에 위치하는 미세 먼지 필터지를 포함하는 미세 먼지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사용자 코와 입을 커버하며 호흡에 따라서 공기가 투과하는 마스크부와, 마스크를 귀에 걸어 착용할 수 있도록 마스크 양측에 결합된 고리일 수 있으며, 상기 마스크의 밀착도를 높일 수 있는 탄성형 밴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사용자의 호흡에 의한 수분과 분비물이 마스크에 묻어서 세균이 증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항균성 마스크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항균성 마스크는 항균성 섬유로 편직된 원단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항균성 편직 원단은 본 출원인에게 허여된 대한민국 특허 10-1925070호, '우수한 착용감과 전기전도성 및 항균성을 가지는 친환경 박막 마스크 팩 및 그 제조 방법'이나, 대한민국 특허 10-1925063호, '우수한 착용감과 전기전도성 및 항균성을 가지는 박막 마스크 팩 및 그 제조 방법. 대한민국 특허 10-1866418호, '전기전도성 및 항균성을 가지는 마스크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팩'에서 개시된 항균성 편직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항균성 편직 원단은 구리 성분을 포함하는 전기 전도성 섬유를 구리 성분을 포함하는 비전도성 섬유와, 면 섬유와, 텐셀 섬유와, 폴리에스터 섬유와, 스판덱스 섬유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섬유와 함께 편직, 바람직하게는 교편직, 더욱 바람직하게는 줄무늬로 교편직한 편직 원단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줄무늬로 교편직된 편직원단은 구리 성분을 포함하는 전기 전도성 섬유와 구리 성분을 포함하는 비전도성 섬유는 줄무늬 형태로 편직된 교편직물일 수 있으며, 이러한 교편직물은 본 출원인에게 허여된 특허 제1925070호, 대한민국 특허 제1925063호, 대한민국 특허 제1866418호에서 공지된 편직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항균성 마스크는 사용자의 호흡과 분비물이 마스크 양면에서 얼굴에 접촉하는 부위에 침착되므로, 고가의 항균성 원단의 사용으로 인한 가격상승을 방지하고, 박막 항균성 원단의 형상 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겉면에는 비향균성 원단이 사용되고, 내면에는 항균성 원단이 사용되는 이중직 마스크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비항균성 원단과 항균성 원단을 이중으로 편직한 이중직 편직 마스크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방한 특성을 높일 수 있도록, 통상의 외면과 항균성 내면 사이가 공기층을 가지는 삼중직 마스크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삼중직 마스크는 상부 편직물과, 항균성 원단을 이용한 하부 편직물과, 수직 편직물을 이용하여 편직한 삼중직 편직 마스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삼중직 편직 마스크는 상부 편직물; 구리 성분을 포함하는 전기 전도성 섬유와 구리 성분을 포함하는 비전도성 섬유를 포함하는 하부 편직물; 모노 필라멘트사 섬유를 포함하는 수직 편직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있어서, 상기 삼중직 편직 항균 마스크는 여기서 참고문헌으로 도입되어 통합되고, 본 발명자에 의해서 출원된 10-2019-0003694호를 통해서 참조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밀폐 부재는 마스크를 착용시 얼굴의 굴곡으로 인해서 마스크에 완전히 밀착되지 못하여 발생하는 틈새를 메워주기 위해서, 마스크 내측에 부착되는 부재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밀폐 부재는 코와 얼굴 사이의 공간에 마스크가 밀착되도록 삽입되어 사용자에 의해서 구부러져 고정되는 기존의 얇은 금속편 부재가 가지는 금속의 이질감과, 잦은 굴곡으로 인한 파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비금속성 부재, 바람직하게는 접촉감이 우수한 직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직물형 밀폐부재는 콧대에 접촉하는 콧대 접촉 부위와 콧대 접촉 부위에서 양측으로 대칭되게 연장되어, 콧대에서 눈밑으로 이어지는 콧잔등에 접촉하는 콧잔등 접촉 부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직물형 밀폐 부재는 마스크 접촉면은 마스크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평탄면을 이루고, 얼굴 접촉면은 밀폐성을 높일 수 있도록 콧대 접촉 부위는 얇게 형성되고, 양측의 콧잔등 접촉부위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직물형 밀폐 부재는 재봉질에 의해서 마스크 내측에 고정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마스크와 직물형 밀폐 부재 사이에 벌어지는 틈새를 형성하여, 필터지의 일부가 틈새에 삽착될 수 있도록, 일부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미세 먼지 필터지는 미세먼지를 필터링할 수 있는 필터지이며, 바람직하게는 KF 8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KF 85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KF 90 이상의 필터지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에 있어서, 필터지는 KF-94, KF-96, KF-98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미세 먼지 필터지는 마스크의 내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3차원 형태의 필터지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마스크의 내측 형상에 상응하는 3차원 형태의 필터지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미세 먼지 필터지는 사용 후 버리는 1회용 필터지일 수 있다.
이론적으로 한정된 것은 아니지만, 상기 미세먼지 필터지는 마스크와 얼굴 사이에 위치하면서 사용자가 숨을 들이마실 경우, 공기의 움직임에 따라서 얼굴에 밀착되어 미세먼지의 흡입을 방지하게 되며, 사용자가 숨을 내쉴 경우 공기의 움직임에 따라서 얼굴에서 탈착되어, 공기를 손쉽게 배출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미세 먼지 필터지는 호흡에 의해서 안면에 밀착과 탈착을 반복하면서도, 밀착과 탈착의 반복 과정에서 미세 먼지 필터지가 고정되지 않고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부만을 고정하여, 고정되지 않은 부분들이 호흡에 따라 밀착과 탈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있어서, 상기 미세 먼지 필터지는 호흡에 의해서 안면에 밀착과 탈착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고정되지 않고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일부를 고정하되, 사용 후 쉽게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도록, 미세 먼지 필터지의 일부를 밀폐 부재와 마스크 사이의 틈새에 삽착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 있어서,
마스크, 상기 마스크의 내면에 일부가 고정되고, 비고정부가 얼굴에 밀착 및 탈착되도록 호흡에 따라서 움직이는 미세 먼지 필터지를 포함하는 미세 먼지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른 일 측면에 있어서,
마스크 내면의 상단에 비금속형 밀폐 부재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편직'이라는 단어는 환편기에서 원단을 짜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며, 편직 원단은 니트 형태로 짜져서 적어도 10% 이상,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늘어난 후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는 원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전기 전도성'이라는 단어는 섬유가 전기가 통할 수 있는 범위의 전도성을 가지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항균성'이라는 단어는 하나 이상의 세균의 성장을 50% 이상 저해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세균의 성장을 90 %이상 저해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리 성분을 포함하는 전기 전도성 섬유'는 구리 성분을 포함하며, 전도성을 가지는 섬유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리 성분을 포함하는 비전도성 섬유'는 구리 성분을 포함하는 전기 전도성 섬유와는 별도로 전기 전도성이 없이 항균성을 가지는 섬유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면'은 마스크를 착용시 얼굴에 접촉하는 면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해서 필요에 따라 미세먼지 마스크와 일반용 마스크로 사용될 수 있는 새로운 마스크가 제공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마스크는 밀폐 부재가 부착되어, 콧잔등과 얼굴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마스크 내부에서 미세먼지 필터지가 호흡에 따라 이동하면서 숨을 들이마실 경우 코와 입에 밀착되어 먼지가 필터링 되지 않고 호흡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마스크는 반면 숨을 내쉴 경우에는 마스크 내면에 밀착되어 이산화탄소의 배출이 용이하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마스크는 내피만 분리한 후 교환하여 사용하게 되므로 1회 사용후 전체를 버리게 되는 기존의 미세먼지 마스크에 비해서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미세먼지 마스크의 외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미세먼지 마스크의 내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미세 먼지 마스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미세 먼지 마스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미세먼지 마스크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임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 먼지 마스크(10)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부(100)와 상기 마스크부(100)의 내면의 상단에 고정된 밀폐 부재(200), 및 상기 마스크부 내면과 얼굴 사이에 위치하는 미세 먼지 필터지(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마스크부(100)는 얼굴 윤곽에 따라서 중심부가 돌출되고, 좌우 대칭인 형태를 가지며, 양 측단에는 마스크(100)를 귀에 걸 수 있는 고리부(110)가 형성된 마스크이다.
상기 마스크부(100)는 양면 환편기를 이용해서 삼중직으로 고리부(110)와 함께 편직되었다.
외면에 해당되는 상부 편직물을 위해서 폴리에스터과 나일론 및 스판덱스 피더를 공급하고, 얼굴에 직접 접촉하는 내면에 해당되는 하부 편직물을 위해서는 구리 성분을 포함하는 전도성 섬유와, 구리 성분을 포함하는 비전도성 섬유와, 나일론 66과 스판덱스 피더를 공급하고, 수직 편직물을 위해서 폴리에스터 모노필라멘트사와 구리성분을 포함하는 비전도성 섬유 피더를 제공하였다. 양면 환편기는 4~20cm 범위의 루프장, 80~150 범위의 피더, 18~30 게이지 조건에서 동작되었으며, 상부 편직물과 하부 편직물은 약 2mm 이격되었다.
구리성분을 포함하는 전도성 섬유는 공지된 방법(대한민국 특허 제10-1866418호, 10-1925070호 따라서 제조되었으며, 약 70 데니어의 나일론 섬유를 반응조에 적제 후 욕비 1:15~20으로 맞추고 탈유제 3~5g/L를 60℃에서 40분 동안 처리하여 탈유제에 의해 생성된 부유물질을 수세하며, 반응조에 레불린산 2~3% o.w.f,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0.1~0.5% o.w.f, 폴리에틸렌글리콜 0.1~0.3% o.w.f, 티오황산나트륨 8~10% o.w.f, EDTA 0.2% o.w.f, 황산구리 10~20% o.w.f를 투입 후 10분간 정도 교반 후 pH는 4 내지 5 범위이면서 60℃까지 1℃/min로 승온하여 60℃에서 60분 동안 반응시킨 후 차인산나트륨 0.3% o.w.f를 투입 후 60℃에서 20분 동안 환원 석출시키고, pH 7까지 미반응 물질을 제거하고, pH 7에서 수산화마그네슘 0.3% o.w.f를 투입해서 40℃에서 20분 동안 처리하여 잔류 황을 제거하여 제조하였다.
구리를 포함하는 비전도성 섬유는 코오롱의 글로텍 섬유를 사용하였으며, 폴리에스터 원사는 50 데니어를 사용하였으며, 스판덱스는 30데니어의 가는 원사를 사용하였다.
상부 편직물을 위해서 제공된 피더들에서 선염된 폴리에스터는 75D, 나일론은 50D, 스판덱스는 20 D의 굵기를 가지며, 하부 편직물을 위해서 제공된 피더들에서 구리 성분을 포함하는 전도성 섬유는 70D, 구리성분을 포함하는 비전도성 섬유는 70D, 나일론 70D, 스판덱스 20 D의 굵기를 가지며, 수직 편직물을 위해서 제공된 피더들에서 폴리에스터 모노필라멘트사는 40D, 구리성분을 포함하는 비전도성 섬유는 70D의 굵기를 가진다.
상부 편직물은 폴리에스터 15중량%, 나일론이 10 중량%, 스판덱스가 5 중량%로 이루어지며, 하부 편직물은 구리 성분을 포함하는 전도성 섬유는 5 중량%, 구리성분을 포함하는 비전도성 섬유는 15 중량%, 나일론 20 중량%, 스판덱스 5 중량%로 이루어지며, 수직 편직물은 모노필라멘트사 20 중량%, 구리 성분을 포함하는 비전도성 섬유는 5 중량%로 이루어진다.
마스크부(100)의 내면의 상단에 고정된 밀폐 부재(200)는 마스크를 착용시 얼굴의 굴곡으로 인해서 마스크에 완전히 밀착되지 못하여 발생하는 틈새를 메워주기 위해서, 마스크 내측에 부착되는 섬유로 이루어진 부재이다.
상기 밀폐 부재(200)는 밀폐부재는 콧대에 접촉하는 콧대 접촉 부위(210)와 콧대 접촉 부위(210)에서 양측으로 대칭되게 연장되어, 콧대에서 눈밑으로 이어지는 콧잔등에 접촉하는 콧잔등 접촉 부위(220)로 이루어진다. 밀폐 부재(200)는 마스크부(100)와 접촉하는 면은 마스크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평탄면을 이루고, 얼굴과 접촉하는 면은 굴곡면을 이룬다.
콧대 접촉 부위(210)는 얇게 형성되고, 양측의 콧잔등 접촉부위(220)는 두껍게 형성되어 돌출되며, 고리부(110)를 귀에 걸어 마스크를 착용시 압착되면서 콧잔등에 밀착되어, 마스크와의 이격 부분을 메워주게 된다.
밀폐 부재(200)는 재봉질(230)에 의해서 마스크 내측에 상단 중앙부가 고정되어, 밀폐 부재(200)의 다른 부분은 고정되지 않게 되어, 마스크부(100)의 내면과 밀폐 부재(200) 사이에 미세먼지 필터지(300)가 삽착되어 고정될 수 있는 틈새를 형성한다.
미세먼지 필터지(300)는 10마이크로미터 이하의 미세먼지, 또는 2.5 마이크로미터의 이하의 초미세먼지를 필터링할 수 있는 KF 94를 사용하였다. 미세먼지 필터지(300)는 마스크부(100)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얼굴 윤곽에 따라서 중심부가 돌출되고, 좌우 대칭인 3차원 형태를 가진다. 미세먼지 필터지(300)는 귀에 걸리 위한 별도의 고리나 마스크 내면에 접착 또는 부착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 없이도 고정된다.
상단의 중심부가 마스크부(100)의 내면과 밀폐 부재(200) 사이의 틈새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미세먼지 필터지(300)는 마스크의 착용시 마스크부(100)와 밀폐부재(200)가 사용자의 안면에 압착되면서, 양자 사이에 끼어있는 미세먼지 필터지(300)를 압착하여 흘러내리지 않고 고정시킨다.
미세 먼지 필터지(300)는 교환하여 사용한다. 교환은 마스크(10)를 벗은 후 상단이 고정된 밀폐부재(200)를 들어올려 미세먼지 필터지(300)를 제거하고,마스크부(100)의 내면과 밀폐 부재(200) 사이의 틈새에 새로운 미세먼지 필터지를 끼워셔 삽입한후 밀폐부재(200)를 내려놓은 후, 마스크(10)를 다시 착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부(100)의 내면과 밀폐 부재(200) 사이의 틈새에 끼워져서 상단이 고정된 미세먼지 필터지(300)는 고정되지 않은 하단부가 사용자의 안면과 마스크부(100)의 내측 사이에서 호흡에 따라 이동한다.
사용자가 숨을 들여 마실 때는 공기를 따라서 사용자의 안면에 가깝게 접근하고 얼굴에 밀착된 필터지(300')은 미세먼지가 틈새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숨을 내뱉을 때는 공기를 따라서 마스크부(100)의 내면에 가깝게 접근하여 밀착되며, 호흡에 포함된 이산화탄소가 벌어진 틈새를 통해서 쉽게 배출된다.
10: 미세먼지 마스크
100: 마스크부
110: 걸이부
200: 밀폐 부재
300: 미세먼지 필터지

Claims (20)

  1. 마스크부,
    상기 마스크부의 내면의 상단에 고정된 밀폐 부재, 및
    상기 마스크부 내면과 얼굴 사이에 위치하는 미세 먼지 필터지
    를 포함하는 미세 먼지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는 비금속성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먼지 마스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는 직물형 밀폐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마스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형 밀폐부재는 콧대에 접촉하는 콧대 접촉 부위와 콧대 접촉 부위에서 양측으로 대칭되게 연장되어, 콧대에서 눈밑으로 이어지는 콧잔등에 접촉하는 콧잔등 접촉 부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마스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콧대 접촉 부위는 얇게 형성되고, 양측의 콧잔등 접촉부위는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마스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형 밀폐 부재는 재봉질에 의해서 마스크 내측에 상부가 고정되고, 하부는 고정되는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마스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먼지 필터지는 마스크의 내측 형상에 상응하는 3차원 형태의 필터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마스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먼지 필터지는 1회용 필터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마스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먼지 필터지는 마스크부 내면 및/또는 필터 부재에 부분적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마스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 필터지는 마스크부 내면과 필터 부재의 사이에 상단 일부가 삽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마스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부는 항균성 마스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마스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성 마스크부는 내면에만 항균성 원단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마스크.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성 마스크부는 구리 성분을 포함하는 전기 전도성 섬유를 구리 성분을 포함하는 비전도성 섬유와, 면 섬유와, 텐셀 섬유와, 폴리에스터 섬유와, 스판덱스 섬유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섬유와 함께 교편직한 편직 원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마스크.
  14.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성 마스크부는 비항균성 상부 편직물과, 항균성 원단을 이용한 하부 편직물과, 수직 편직물로 이루어지는 삼중직 편직 마스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마스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삼중직 편직 마스크는 상부 편직물; 구리 성분을 포함하는 전기 전도성 섬유와 구리 성분을 포함하는 비전도성 섬유를 포함하는 하부 편직물; 모노 필라멘트사 섬유를 포함하는 수직 편직물;로 이루어진 미세먼지 마스크.
  16. 마스크부, 및
    상기 마스크부의 내면에 일부가 고정되고, 고정되지 않는 부분은 호흡에 따라서 움직이는 미세 먼지 필터지
    를 포함하는 미세 먼지 마스크.
  17. 마스크 내면의 상단에 콧잔등과 안면사이를 밀폐하기 위한 비금속형 밀폐 부재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비금속형 밀폐부재는 콧대에 접촉하는 콧대 접촉 부위와 콧대 접촉 부위에서 양측으로 대칭되게 연장되어, 콧대에서 눈밑으로 이어지는 콧잔등에 접촉하는 콧잔등 접촉 부위로 이루어진 직물형 밀폐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형 밀폐부재는 콧대 접촉 부위는 얇고 콧잔등 접촉부위는 두껍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비항균성 상부 편직물과, 항균성 원단을 이용한 하부 편직물과, 수직 편직물로 이루어지는 삼중직 편직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KR1020200031593A 2019-05-27 2020-03-13 재사용 가능한 미세 먼지 항균 마스크 KR102351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593A KR102351708B1 (ko) 2019-05-27 2020-03-13 재사용 가능한 미세 먼지 항균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835A KR102094480B1 (ko) 2019-05-27 2019-05-27 재사용 가능한 미세 먼지 항균 마스크
KR1020200031593A KR102351708B1 (ko) 2019-05-27 2020-03-13 재사용 가능한 미세 먼지 항균 마스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1835A Division KR102094480B1 (ko) 2019-05-27 2019-05-27 재사용 가능한 미세 먼지 항균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6812A true KR20200136812A (ko) 2020-12-08
KR102351708B1 KR102351708B1 (ko) 2022-01-14

Family

ID=79342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1593A KR102351708B1 (ko) 2019-05-27 2020-03-13 재사용 가능한 미세 먼지 항균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170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8057B1 (ko) * 2021-01-20 2021-06-22 이우종 항균성능을 가지는 나노메탈 마스크
KR102312624B1 (ko) * 2020-05-19 2021-10-14 (주)신일섬유 위생 마스크
KR102312629B1 (ko) * 2020-05-19 2021-10-14 (주)신일섬유 위생 마스크
KR102312623B1 (ko) * 2020-05-19 2021-10-14 (주)신일섬유 위생 마스크
KR20210150044A (ko) * 2020-06-03 2021-12-10 (주)신일섬유 위생 마스크
KR102375018B1 (ko) * 2021-09-15 2022-03-17 주식회사 포유컴퍼니 공기청정기용 패브릭필터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6887A (ko) * 2001-10-31 2005-04-20 아사히 가세이 셍이 가부시키가이샤 다층 구조를 갖는 탄성 편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70025501A (ko) * 2005-09-02 2007-03-08 조현철 소취 및 항균 기능을 갖는 마스크
KR20100128619A (ko) * 2009-05-28 2010-12-08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은사 메쉬 및 이를 이용한 항균마스크
KR101265786B1 (ko) * 2011-06-14 2013-05-20 주식회사 나루씨이엠 김서림 방지용 마스크
CN203692609U (zh) * 2014-01-26 2014-07-09 云南白药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雾霾防护口罩
KR101552331B1 (ko) * 2015-06-11 2015-09-11 이삼준 입김차단용 마스크
KR20180005073A (ko) * 2016-07-05 2018-01-15 박혜정 필터 교체형 마스크
KR101841465B1 (ko) * 2017-08-24 2018-05-14 장민경 기능성 마스크
KR101866418B1 (ko) * 2017-12-22 2018-07-04 (주)엘에스케이화인텍스 전기전도성 및 항균성을 가지는 마스크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팩
CN109310166A (zh) * 2016-06-30 2019-02-05 株式会社科莱尔 口罩、呼吸负荷型口罩以及口罩盒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6887A (ko) * 2001-10-31 2005-04-20 아사히 가세이 셍이 가부시키가이샤 다층 구조를 갖는 탄성 편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70025501A (ko) * 2005-09-02 2007-03-08 조현철 소취 및 항균 기능을 갖는 마스크
KR20100128619A (ko) * 2009-05-28 2010-12-08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은사 메쉬 및 이를 이용한 항균마스크
KR101265786B1 (ko) * 2011-06-14 2013-05-20 주식회사 나루씨이엠 김서림 방지용 마스크
CN203692609U (zh) * 2014-01-26 2014-07-09 云南白药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雾霾防护口罩
KR101552331B1 (ko) * 2015-06-11 2015-09-11 이삼준 입김차단용 마스크
CN109310166A (zh) * 2016-06-30 2019-02-05 株式会社科莱尔 口罩、呼吸负荷型口罩以及口罩盒
KR20180005073A (ko) * 2016-07-05 2018-01-15 박혜정 필터 교체형 마스크
KR101841465B1 (ko) * 2017-08-24 2018-05-14 장민경 기능성 마스크
KR101866418B1 (ko) * 2017-12-22 2018-07-04 (주)엘에스케이화인텍스 전기전도성 및 항균성을 가지는 마스크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팩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2624B1 (ko) * 2020-05-19 2021-10-14 (주)신일섬유 위생 마스크
KR102312629B1 (ko) * 2020-05-19 2021-10-14 (주)신일섬유 위생 마스크
KR102312623B1 (ko) * 2020-05-19 2021-10-14 (주)신일섬유 위생 마스크
KR20210150044A (ko) * 2020-06-03 2021-12-10 (주)신일섬유 위생 마스크
KR102268057B1 (ko) * 2021-01-20 2021-06-22 이우종 항균성능을 가지는 나노메탈 마스크
KR102375018B1 (ko) * 2021-09-15 2022-03-17 주식회사 포유컴퍼니 공기청정기용 패브릭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1708B1 (ko) 2022-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4480B1 (ko) 재사용 가능한 미세 먼지 항균 마스크
KR102351708B1 (ko) 재사용 가능한 미세 먼지 항균 마스크
WO2021162165A1 (ko) 살균 및 탈취 기능을 갖는 마스크
KR20200008642A (ko) 필터구간의 이송구조를 갖는 마스크
CN111227383A (zh) 一种透明口罩
CN211298526U (zh) 一种防镜片雾气的口罩
CN212345386U (zh) 一种呼吸内科用防护口罩
JP3230429U (ja) マスク用セパレータ及びマスク
CN213404967U (zh) 一次性医用护目外科口罩
CN214283441U (zh) 一种硬质口罩结构
CN210611091U (zh) 一种石墨烯口罩
CN215531831U (zh) 一种具有口罩片更换结构的新型口罩
CN217337509U (zh) 一种高效防护型亲肤口罩
CN111513391A (zh) 一种防护口罩及加工工艺
TWM592771U (zh) 立體口罩結構
CN212629936U (zh) 一种口罩
CN212971738U (zh) 一种改进的可重复使用口罩
CN218164344U (zh) 一种气阻力低的纳米级熔喷布环保口罩
CN213639751U (zh) 一次性使用医用口罩
CN213523941U (zh) 一体针织口罩
CN211861892U (zh) 一种具有横向拉伸力的防护口罩
CN214340260U (zh) 具有防护功能的布口罩
CN215189550U (zh) 一种贴合脸部具有透气功能的医用防护口罩
CN211960986U (zh) 一种高过滤低阻力防雾霾口罩
CN212065782U (zh) 一种新型透明口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