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7509A - 혈류량 개선을 위한 코튼 압박밴드 - Google Patents

혈류량 개선을 위한 코튼 압박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7509A
KR20220137509A KR1020210086962A KR20210086962A KR20220137509A KR 20220137509 A KR20220137509 A KR 20220137509A KR 1020210086962 A KR1020210086962 A KR 1020210086962A KR 20210086962 A KR20210086962 A KR 20210086962A KR 20220137509 A KR20220137509 A KR 202201375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winding
elastic
elastic yarn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6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0929B1 (ko
Inventor
김종현
Original Assignee
(주)위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위보코리아 filed Critical (주)위보코리아
Priority to KR1020210086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0929B1/ko
Publication of KR20220137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7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0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0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6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 A61F13/08Elastic stockings; for contracting aneurism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3Hosiery with intermediate sections of different elastic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04Non-adhesive dressings
    • A61F13/00034Non-adhesive dressings characterized by a property
    • A61F13/00038Flexibility, stretchability or elasticity
    • A61F13/0103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238Wound bandages characterised by way of knitting or weav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28Wound bandages applying of mechanical pressure; passive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463Plasters use haemostatic
    • A61F2013/00468Plasters use haemostatic applying local pressure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자의 다리 둘레를 따라 감겨지게 배치되는 제 1 탄성사(10); 상기 제 1 탄성사에 감겨지는 제 2 탄성사(20); 상기 제 1 탄성사에 감겨지는 천연사(30); 상기 제 1 탄성사(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제 1 탄성사(10)에 감겨진 상기 제 2 탄성사(10)의 목 부분에 감겨져 상기 제 2 탄성사(10)를 고정하는 제 1 꼬임사(40); 상기 제 1 탄성사(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제 1 탄성사(10)에 감겨진 상기 천연사(30)의 목 부분에 감겨져 상기 천연사(30)를 고정하는 제 2 꼬임사(50);를 포함하고, 상기 천연사, 제 1 탄성사 및 제 2 탄성사는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되, 상기 제 2 탄성사(20)는 상기 제 1 탄성사(10)를 기준으로 착용자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천연사(30)는 상기 제 1 탄성사(10)를 기준으로 착용자의 내측에 배치되어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되며, 상기 제 2 탄성사(20)는, 주기적으로 상기 제 1 탄성사(10)를 한 바퀴씩 감도록 배치된 제 1 탄성와인딩(21) 및 제 2 탄성와인딩(23); 상기 제 1 탄성와인딩(21) 및 제 2 탄성와인딩(23)을 연결하는 탄성연결부(22);를 포함하고, 상기 천연사(30)는 주기적으로 상기 제 1 탄성사(10)를 한 바퀴씩 감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제 1 비탄성와인딩(31) 및 제 2 비탄성와인딩(33); 상기 제 1 비탄성와인딩(31) 및 제 2 비탄성와인딩(33)을 연결하는 비탄성연결부(32);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탄성와인딩(21)은, 상기 제 1 탄성사(1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 1 어퍼와인딩(21a); 및 상기 제 1 탄성사(10)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 1 로어와인딩(21b);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탄성와인딩(23)은, 상기 제 1 탄성사(1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 2 어퍼와인딩(23a); 및 상기 제 1 탄성사(10)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 2 로어와인딩(23b);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비탄성와인딩(31)은, 상기 제 1 탄성사(1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 1 어퍼와인딩(31a); 및 상기 제 1 탄성사(10)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 1 로어와인딩(31b);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비탄성와인딩(33)은 상기 제 1 탄성사(1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 2 어퍼와인딩(33a); 및 상기 제 1 탄성사(10)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 2 로어와인딩(33b);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탄성사(10)를 중심으로 상기 제 1 비탄성와인딩(31), 제 1 탄성와인딩(21), 제 2 비탄성와인딩(33) 및 제 2 탄성와인딩(23)가 지그재그 형태로 서로 맞물려 배치되고, 상기 제 1 탄성사(10)에 감겨진 상기 제 1 비탄성와인딩(31) 및 제 1 탄성와인딩(21)의 방향이 서로 반대이고, 상기 제 1 탄성사(10)에 감겨진 상기 제 2 비탄성와인딩(33) 및 제 2 탄성와인딩(23)의 방향이 서로 반대이고, 상기 제 1 꼬임사(40)는 상기 제 2 탄성사(20)의 제 1 어퍼와인딩(21a) 및 제 1 로어와인딩(21b)을 감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1 꼬임사(40)는 제 2 탄성사(20)의 제 2 어퍼와인딩(23a) 및 제 1 로어와인딩(23b)을 감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2 꼬임사(50)는 상기 천연사(30)의 제 1 어퍼와인딩(31a) 및 제 1 로어와인딩(31b)을 감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2 꼬임사(50)는 천연사(30)의 제 2 어퍼와인딩(33a) 및 제 1 로어와인딩(33b)을 감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은 발바닥에서 무릎 측으로 갈수록 점진적 또는 단계적으로 직물의 밀도가 저감되기 때문에, 착용자의 혈류량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혈류량 개선을 위한 코튼 압박밴드{Cotton compression band for improving blood flow}
본 발명은 혈류량 개선을 위한 코튼 압박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말은 크게 두 가지의 기능을 갖고 있는데, 하나는 발을 따뜻하게 하기 위한 보온기능과, 다른 하나는 발에서 발생되는 수분 즉 땀을 흡수하기 위한 수분 흡수기능을 갖도록 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양말의 경우, 양말이 흘러 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측에 밴드를 배치하고, 상측에 배치된 밴드로 인해 착용자의 종아리 또는 허벅지가 국지적으로 조여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양말은 발에서 발생되는 수분을 흡수하고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나, 부종환자나 장시간 서서 근무하는 근로자들의 혈류를 제한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하지정맥류를 앓고 있는 사용자의 경우, 어느 정도의 압박이 발목과 발바닥 및 발등에 가해져야 하는데, 소재의 한계성 및 편직 기술의 한계성으로 인해 단순히 발을 감싸는 기능만을 수행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양말은 압박을 위해 고탄성의 합성수지 재질의 원사가 사용되는데, 합성수지 재질이 피부에 직접 접촉되는 문제로 인해 피부트러블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46573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71214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81570호
본 발명은 발바닥에서 무릎 측으로 갈수록 압박이 저감되는 혈류량 개선을 위한 코튼 압박밴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고탄성을 제공하되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되는 부분이 면 재질인 혈류량 개선을 위한 코튼 압박밴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착용자의 다리 둘레를 따라 감겨지게 배치되는 제 1 탄성사(10); 상기 제 1 탄성사에 감겨지는 제 2 탄성사(20); 상기 제 1 탄성사에 감겨지는 천연사(30); 상기 제 1 탄성사(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제 1 탄성사(10)에 감겨진 상기 제 2 탄성사(10)의 목 부분에 감겨져 상기 제 2 탄성사(10)를 고정하는 제 1 꼬임사(40); 상기 제 1 탄성사(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제 1 탄성사(10)에 감겨진 상기 천연사(30)의 목 부분에 감겨져 상기 천연사(30)를 고정하는 제 2 꼬임사(50);를 포함하고, 상기 천연사, 제 1 탄성사 및 제 2 탄성사는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되, 상기 제 2 탄성사(20)는 상기 제 1 탄성사(10)를 기준으로 착용자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천연사(30)는 상기 제 1 탄성사(10)를 기준으로 착용자의 내측에 배치되어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되며, 상기 제 2 탄성사(20)는, 주기적으로 상기 제 1 탄성사(10)를 한 바퀴씩 감도록 배치된 제 1 탄성와인딩(21) 및 제 2 탄성와인딩(23); 상기 제 1 탄성와인딩(21) 및 제 2 탄성와인딩(23)을 연결하는 탄성연결부(22);를 포함하고, 상기 천연사(30)는 주기적으로 상기 제 1 탄성사(10)를 한 바퀴씩 감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제 1 비탄성와인딩(31) 및 제 2 비탄성와인딩(33); 상기 제 1 비탄성와인딩(31) 및 제 2 비탄성와인딩(33)을 연결하는 비탄성연결부(32);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탄성와인딩(21)은, 상기 제 1 탄성사(1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 1 어퍼와인딩(21a); 및 상기 제 1 탄성사(10)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 1 로어와인딩(21b);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탄성와인딩(23)은, 상기 제 1 탄성사(1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 2 어퍼와인딩(23a); 및 상기 제 1 탄성사(10)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 2 로어와인딩(23b);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비탄성와인딩(31)은, 상기 제 1 탄성사(1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 1 어퍼와인딩(31a); 및 상기 제 1 탄성사(10)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 1 로어와인딩(31b);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비탄성와인딩(33)은 상기 제 1 탄성사(1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 2 어퍼와인딩(33a); 및 상기 제 1 탄성사(10)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 2 로어와인딩(33b);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탄성사(10)를 중심으로 상기 제 1 비탄성와인딩(31), 제 1 탄성와인딩(21), 제 2 비탄성와인딩(33) 및 제 2 탄성와인딩(23)가 지그재그 형태로 서로 맞물려 배치되고, 상기 제 1 탄성사(10)에 감겨진 상기 제 1 비탄성와인딩(31) 및 제 1 탄성와인딩(21)의 방향이 서로 반대이고, 상기 제 1 탄성사(10)에 감겨진 상기 제 2 비탄성와인딩(33) 및 제 2 탄성와인딩(23)의 방향이 서로 반대이고, 상기 제 1 꼬임사(40)는 상기 제 2 탄성사(20)의 제 1 어퍼와인딩(21a) 및 제 1 로어와인딩(21b)을 감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1 꼬임사(40)는 제 2 탄성사(20)의 제 2 어퍼와인딩(23a) 및 제 1 로어와인딩(23b)을 감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2 꼬임사(50)는 상기 천연사(30)의 제 1 어퍼와인딩(31a) 및 제 1 로어와인딩(31b)을 감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2 꼬임사(50)는 천연사(30)의 제 2 어퍼와인딩(33a) 및 제 1 로어와인딩(33b)을 감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천연사는 면(cotton), 마(linen), 모(wool), 견(silk)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면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탄성사는 합성 섬유사로는 텐셀(TENCELL) 섬유사, 레이온 섬유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사, 폴리에틸렌 섬유사, 폴리프로필렌 섬유사, 탄소 섬유사, 붕소 섬유사 등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사용되는 탄성사는 스판덱스(폴리우레탄) 섬유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스판덱스 섬유는 커버사(coved yarn) 가공 또는 코어 방적사(core-spun yarn) 가공사 또는 베어사(bare yarn)로써 가공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압박 밴드는 전체 압박밴드에 사용되는 섬유 중 면(cotton)의 함량이 30 내지 50%(w/w) 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30% 이상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 본 발명은 발바닥에서 무릎 측으로 갈수록 점진적 또는 단계적으로 직물의 밀도가 저감되기 때문에, 착용자의 혈류량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되는 천연사가 양말의 가장 안쪽에 배치되고,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1 탄성사 및 제 2 탄성사가 천연사의 외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착용자의 피부트러블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천연사, 제 1 탄성사 및 제 2 탄성사로 구성된 수평레이어가 착용자의 다리를 나선형으로 감아 배치되기 때문에, 외측에 배치되는 제 1 탄성사 및 제 2 탄성사가 착용자의 다리 외측에서 다리 안쪽으로 탄성력을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외측에서 안쪽으로는 수평레이어를 통해 탄성력을 제공하고, 길이방향으로는 꼬임사가 탄성력을 제공하기 때문에, 착용자에게 필요한 탄성력을 비대칭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양말의 길이방향으로는 탄성력이 낮은 제 1 꼬임사 및 제 2 꼬임사가 탄성력을 제공하기 때문에, 양말의 길이가 과도하게 줄어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은 제 1 탄성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 1 비탄성와인딩, 제 1 탄성와인딩, 제 2 비탄성와인딩 및 제 2 탄성와인딩가 교대로 배치되기 때문에, 제 1 탄성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 2 탄성사의 밀도를 조절하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일곱째, 본 발명은 기존 압박 밴드가 10%(w/w) 미만의 면 함량을 가지는 것에 대비하여, 30%(w/w) 이상의 극히 높은 면 함량을 가지면서도 충분한 압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압박밴드의 착용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압박밴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압박밴드의 직조구조가 도시된 평면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압박밴드의 착용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압박밴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압박밴드의 직조구조가 도시된 평면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압박밴드는 착용자의 하체를 압박하여 혈류 흐름을 월활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압박밴드는 양말 형태로 제작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압박밴드를 사용하여 스타킹, 카프슬리브, 암슬리브, 복대 등과 같은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압박밴드는 착용자의 발바닥 및 발목을 포함하여 무릎 측으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압박밴드는 발바닥에서 무릎 측으로 갈수록 압력이 단계적 또는 점진적으로 감소하고, 이를 통해 착용자의 혈행을 개선시킨다. 상기 압박밴드는 대퇴부를 감싸도록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압박밴드는 무릎에서 발바닥 측으로 갈수록 착용자의 피부에 가하는 압력이 단계적 또는 점진적으로 증가하게 구성된다.
상기 압박밴드는 같은 종류의 직물을 직조하여 제작된다. 상기 압박밴드는 동일한 직물을 사용하지만, 압력이 단계적 또는 점진적으로 가변되도록 직조된다.
상기 압박밴드는 동일한 직물 패턴들을 박음질하지 않고, 연속된 형태로 제작하는 특징이 있다.
2개의 패턴을 박음질을 통해 연결될 경우, 박음질 부분의 압력이 인접한 2개의 패턴과 상이하고, 이로 인해 압박밴드에서 제공하는 압력변화가 불균일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압박밴드는 동일한 직물구조로 연속해서 제작하되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직물구조의 밀도를 저감시켜 착용자에게 제공하는 압력이 단계적 또는 점진적으로 작아지게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압박밴드의 직물구조는, 착용자의 다리 둘레를 따라 감겨지게 배치되는 제 1 탄성사(10)와, 상기 제 1 탄성사(10)를 기준으로 외측(착용자 바깥쪽)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탄성사(10)에 감겨지는 제 2 탄성사(20)와, 상기 제 1 탄성사(10)를 기준으로 내측(착용자 측)에 배치되어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되고, 상기 제 1 탄성사(10)에 감겨지는 천연사(30)와, 상기 제 1 탄성사(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제 1 탄성사(10)에 감겨진 상기 제 2 탄성사(20)의 목 부분에 감겨져 상기 제 2 탄성사(20)를 고정하는 제 1 꼬임사(40)와, 상기 제 1 탄성사(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제 1 탄성사(10)에 감겨진 상기 천연사(30)의 목 부분에 감겨져 상기 천연사(30)를 고정하는 제 2 꼬임사(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천연사(30)는 면이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천연사(30)가 사용자의 피부와 직접 접촉되고, 상기 제 1 탄성사(10) 및 제 2 탄성사(20)는 피부와의 접촉이 제한된다.
상기 천연사(30)가 가장 안쪽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탄성사(20)가 가장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탄성사(10)가 상기 천연사(30) 및 제 2 탄성사(20) 사이에 배치된다.
즉, 상기 제 1 탄성사(10), 제 2 탄성사(20) 및 천연사(30)는 수평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고, 상기 천연사(30)가 가장 안쪽에 배치되어 피부에 접촉됨으로써 사용자의 피부트러블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 1 탄성사(10), 제 2 탄성사(20) 및 천연사(30)는 착용자의 다리 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감기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탄성사(10), 제 2 탄성사(20) 및 천연사(30)는 끊기지 않고 연속되게 배치되기 때문에, 재봉이 요구되지 않는다.
상기 제 1 탄성사(10) 및 제 2 탄성사(20)는 직조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신됨으로써 탄성력을 제공한다.
수평방향 중 내외측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되는 경우, 제 1 탄성사(10), 제 2 탄성사(20) 및 천연사(30)가 서로 이격되면서 늘어날 수 있다.
수평방향 중 길이방향으로 외력이 작용되는 경우, 제 1 탄성사(10) 및 제 2 탄성사(20)가 길이방향으로 늘어나고, 상기 천연사(30)는 면이 갖는 약간의 탄성과 느슨하게 처진 길이에 따라 착용자 다리의 둘레 방향으로 늘어날 수 있다.
내외측을 기준으로 잘 늘어나지 않는 천연사(30)가 안쪽에 배치되고 잘 늘어나는 제 1 탄성사(10) 및 제 2 탄성사(20)가 바깥쪽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제 1 탄성사(10) 및 제 2 탄성사(20)의 탄성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고, 상기 천연사(30)의 연신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 1 탄성사(10)는 접히거나 굴곡을 형성하지 않고 착용자의 다리를 나선형으로 감싸게 배치된다.
상기 제 2 탄성사(20)는 주기적으로 상기 제 1 탄성사(10)를 한 바퀴씩 감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와인딩(21)(23)과, 상기 와인딩(21)(23)들을 연결하는 탄성연결부(22)를 포함한다.
구분을 위해 복수개의 와인딩을 제 1 탄성와인딩(21) 및 제 2 탄성와인딩(23)라 정의하고, 상기 탄성연결부(22)가 상기 제 1 탄성와인딩(21) 및 제 2 탄성와인딩(23)을 연결한다.
상기 제 1 탄성와인딩(21), 탄성연결부(22) 및 제 2 탄성와인딩(23)은 1줄의 제 2 탄성사(20)를 통해 형성된다.
상기 제 2 탄성사(20)는 상기 제 1 탄성사(1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반복적으로 감아서 제 1 탄성와인딩(21), 탄성연결부(22) 및 제 2 탄성와인딩(23)을 형성시킨다.
*즉, 상기 제 1 탄성와인딩(21) 및 제 2 탄성와인딩(23)은 같은 방향으로 상기 제 1 탄성사(10)를 감는다.
그래서 상기 제 1 탄성와인딩(21) 및 제 2 탄성와인딩(23)은 상기 제 1 탄성사(10)의 상측에 배치되는 부분과 상기 제 1 탄성사(10)의 하측에 배치되는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구분이 필요할 경우 상기 제 1 탄성사(1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 1 탄성와인딩(21)을 제 1 어퍼와인딩(21a)이라 정의하고, 하측에 배치되는 제 1 탄성와인딩(21)을 제 1 로어와인딩(21b)이라 정의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1 탄성사(1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 2 탄성와인딩(23)을 제 2 어퍼와인딩(23a)이라 정의하고, 하측에 배치되는 제 2 탄성와인딩(23)을 제 2 로어와인딩(23b)이라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연결부(22)는 상기 제 1 로어와인딩(21b)과 상기 제 2 어퍼와인딩(23a)을 연결한다. 이를 확장하면 상기 탄성연결부(22)는 인접한 2개의 와인딩들에서 로어와인딩과 어퍼와인딩을 연결한다.
한편, 상기 천연사(30)는 상기 제 2 탄성사(20)와 동일한 형태이되, 상기 제 1 탄성사(10)를 기준으로 반대편에 배치된다.
상기 천연사(30)는 주기적으로 상기 제 1 탄성사(10)를 한 바퀴씩 감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와인딩(31)(33)과, 상기 와인딩(31)(33)들을 연결하는 비탄성연결부(32)를 포함한다.
구분을 위해 복수개의 상기 천연사 와인딩을 제 1 비탄성와인딩(31) 및 제 2 비탄성와인딩(33)라 정의하고, 상기 비탄성연결부(32)가 상기 제 1 비탄성와인딩(31) 및 제 2 비탄성와인딩(23)을 연결한다.
상기 제 1 비탄성와인딩(31), 비탄성연결부(32) 및 제 2 비탄성와인딩(33)은 1줄의 천연사(30)를 통해 형성된다.
상기 천연사(30)는 상기 제 1 탄성사(1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반복적으로 감아서 제 1 비탄성와인딩(31), 비탄성연결부(32) 및 제 2 비탄성와인딩(33)을 형성시킨다.
즉, 상기 제 1 비탄성와인딩(31) 및 제 2 비탄성와인딩(33)은 같은 방향으로 상기 천연사(30)를 감는다.
그래서 상기 제 1 비탄성와인딩(31) 및 제 2 비탄성와인딩(33)은 상기 제 1 탄성사(10)의 상측에 배치되는 부분과 상기 제 1 탄성사(10)의 하측에 배치되는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구분이 필요할 경우 상기 제 1 탄성사(1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 1 비탄성와인딩(31)을 제 1 어퍼와인딩(31a)이라 정의하고, 하측에 배치되는 제 1 비탄성와인딩(31)을 제 1 로어와인딩(31b)이라 정의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1 탄성사(1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 2 비탄성와인딩(33)을 제 2 어퍼와인딩(33a)이라 정의하고, 하측에 배치되는 제 2 비탄성와인딩(33)을 제 2 로어와인딩(33b)이라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비탄성연결부(32)는 상기 제 1 로어와인딩(31b)과 상기 제 2 어퍼와인딩(33a)을 연결한다. 이를 확장하면 상기 비탄성연결부(32)는 인접한 2개의 와인딩들에서 로어와인딩과 어퍼와인딩을 연결한다.
상기 제 1 탄성와인딩(21) 및 제 2 탄성와인딩(23)과, 상기 제 1 비탄성와인딩(31) 및 제 2 비탄성와인딩(33)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 1 탄성와인딩(21) 및 제 2 탄성와인딩(23)과, 상기 제 1 비탄성와인딩(31) 및 제 2 비탄성와인딩(33)은 교대로 배치된다.
제 1 비탄성와인딩(31), 제 1 탄성와인딩(21), 제 2 비탄성와인딩(33) 및 제 2 탄성와인딩(23)가 지그재그 형태로 서로 맞물려 배치됨으로써 직물이 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직물의 수평방향 탄성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직물의 수평방향 탄성이 증가되어야 착용자에게 압력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직물의 수직방향 탄성이 증가하게 되면 양말의 길이를 수축시키는 방향으로 압력이 제공되기 때문에, 착용 시 양말이 벗겨지거나 말리게 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비탄성와인딩(31) 및 제 2 비탄성와인딩(33) 사이에 상기 제 1 탄성와인딩(21)이 배치되고, 상기 제 1 탄성와인딩(21) 및 제 2 탄성와인딩(23) 사이에 상기 제 1 비탄성와인딩(31)이 배치된다.
상기 제 1 탄성와인딩(21)의 내측에 상기 비탄성연결부(32)가 배치되어 상기 제 1 탄성와인딩(21)이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것을 차단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탄성와인딩(23)의 내측에도 상기 비탄성연결부(32)가 배치되어 상기 제 1 탄성와인딩(21)이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제 1 비탄성와인딩(31)의 외측에 상기 탄성연결부(22)가 배치되고, 상기 제 2 비탄성와인딩(33)의 외측에도 상기 탄성연결부(22)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탄성사(10)는 일렬로 배치되기 때문에, 단위면적당 상기 제 1 비탄성와인딩(31), 제 1 탄성와인딩(21), 제 2 비탄성와인딩(33) 및 제 2 탄성와인딩(23)의 부피 또는 중량이 직물의 탄성량에 직접적으로 연관된다.
특히 단위면적당 상기 제 1 탄성와인딩(21), 탄성연결부(22) 및 제 2 탄성와인딩(23)의 밀도를 변화시킴으로써 별도의 직물을 이어붙이지 않아도 상기 직물의 탄력을 단계적 또는 점진적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압박밴드는 발바닥에서 발목까지의 직물밀도를 100%라 할 때, 착용자의 무릎에서의 직물밀도를 40%로 형성시키고, 그 중간의 직물밀도를 점진적 또는 단계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상기 압박밴드는 직물밀도 100%일 때 25 내지 40mmHg의 압력을 제공할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30mmHg의 압력을 제공하도록 직조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분을 위해, 압박밴드를 3등분하고, 발바닥에 가까운 1/3을 제 1 압력부(101)라 하고, 무릎에 가까운 1/3을 제 3 압력부(103)라 하고, 그 사이를 제 2 압력부(102)라 한다.
상기 제 1 압력부(101)의 직물밀도를 100%라 할 때, 상기 제 2 압력부(102)의 직물밀도는 70% 일 수 있고, 제 3 압력부(103)의 직물밀도는 40%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3단계로 압박밴드의 탄성을 구분하지만 본 실시예와 달리 더 세분화시키거나 점진적으로 탄성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압박밴드의 발바닥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탄성이 줄어들도록 직물의 밀도를 조절한다.
상기 제 1 압력부(101)에서 제 1 탄성사(10), 제 2 탄성사(20) 및 천연사(30)가 가장 촘촘하게 배열되고, 상기 제 3 압력부(103)에서 제 1 탄성사(10), 제 2 탄성사(20) 및 천연사(30)가 가장 성기게 배열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압박밴드는 1줄의 제 1 탄성사(10)를 따라 제 2 탄성사(20) 및 천연사(30)가 연속적으로 감겨 배치되기 때문에, 제 2 탄성사(20) 및 천연사(30)의 직조 간격을 조절하여 탄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 1 탄성사(10), 제 2 탄성사(20) 및 천연사(30)가 나선형으로 연속되게 배치되기 때문에, 봉제 등의 별도의 작업이 필요치 않는 장점이 있다.
나선형으로 배열된 제 1 탄성사(10), 제 2 탄성사(20) 및 천연사(30)를 수평레이어(70)라 정의한다. 상기 수평레이어는 실질적으로 연속된 형태이다.
상기 수평레이어(70)는 수직방향으로 층층이 적층되고, 상기 제 1 꼬임사(40) 및 제 2 꼬임사(50)가 상기 수평레이어(70)를 수직방향으로 직조한다.
상기 제 1 꼬임사(40)는 제 1 탄성사(10)에 감겨진 상기 제 2 탄성사(20)의 목 부분을 감아 고정시키고, 상기 제 2 꼬임사(50)는 상기 제 1 탄성사(10)에 감겨진 천연사(30)의 목 부분을 감아 고정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꼬임사(40)는 상기 제 1 탄성사(10)를 기준으로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꼬임사(50)는 상기 제 1 탄성사(10)를 기준으로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꼬임사(40)는 제 2 탄성사(20)의 제 1 어퍼와인딩(21a) 및 제 1 로어와인딩(21b)을 감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 1 꼬임사(40)는 제 2 탄성사(20)의 제 2 어퍼와인딩(23a) 및 제 1 로어와인딩(23b)을 감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꼬임사(40)는 상측에 배치된 수평레이어(70)의 천연사(30)의 목부분을 감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 2 꼬임사(50)는 상기 천연사(30)의 제 1 어퍼와인딩(31a) 및 제 1 로어와인딩(31b)을 감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 2 꼬임사(50)는 천연사(30)의 제 2 어퍼와인딩(33a) 및 제 1 로어와인딩(33b)을 감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꼬임사(50)는 하측에 배치된 수평레이어(70)의 천연사(30)의 목부분을 감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꼬임사(40) 및 제 2 꼬임사(50)는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수평레이어(70)들을 상하 방향으로 편직하여 연결시킨다.
상기 제 1 꼬임사(40) 및 제 2 꼬임사(50)는 탄성재질의 합성수지일 수 있다. 상기 압박밴드가 길이 방향으로 당겨질 때, 상기 제 1 꼬임사(40) 및 제 2 꼬임사(50)가 재질의 탄성에 의해 늘어날 수 있다.
상기 제 1 꼬임사(40) 및 제 2 꼬임사(50)는 상기 제 1 탄성사(10) 및 제 2 탄성사(20) 보다 작은 탄성력을 갖도록 제작된다.
상기 제 1 꼬임사(40)는 상기 비탄성와인딩(31)(33)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와인딩(21)(23)들의 목 부분을 올가미 형태로 감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 1 꼬임사(40)가 목 부분을 올가미 형태로 동그랗게 감은 방향과 상기 탄성와인딩들(21)(23)들이 제 1 탄성사(10)를 동그랗게 감은 방향이 같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 2 꼬임사(50)는 상기 탄성와인딩(21)(23)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비탄성와인딩(31)(33)들의 목 부분을 올가미 형태로 감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 2 꼬임사(50)가 목 부분을 올가미 형태로 동그랗게 감은 방향과 상기 비탄성와인딩들(31)(33)들이 제 1 탄성사(10)를 동그랗게 감은 방향이 같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1: 제 1 압력부 102: 제 2 압력부 103: 제 3 압력부
10: 제 1 탄성사 20: 제 2 탄성사 30: 천연사
40: 제 1 꼬임사 50: 제 2 꼬임사 70: 수평레이어

Claims (1)

  1. 착용자의 다리 둘레를 따라 감겨지게 배치되는 제 1 탄성사(10);
    상기 제 1 탄성사에 감겨지는 제 2 탄성사(20); 및
    상기 제 1 탄성사에 감겨지는 천연사(30);
    상기 제 1 탄성사(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제 1 탄성사(10)에 감겨진 상기 제 2 탄성사(10)의 목 부분에 감겨져 상기 제 2 탄성사(10)를 고정하는 제 1 꼬임사(40);
    상기 제 1 탄성사(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제 1 탄성사(10)에 감겨진 상기 천연사(30)의 목 부분에 감겨져 상기 천연사(30)를 고정하는 제 2 꼬임사(50);를 포함하고,
    상기 천연사, 제 1 탄성사 및 제 2 탄성사는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되,
    상기 제 2 탄성사(20)는 상기 제 1 탄성사(10)를 기준으로 착용자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천연사(30)는 상기 제 1 탄성사(10)를 기준으로 착용자의 내측에 배치되어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되며,
    상기 제 2 탄성사(20)는,
    주기적으로 상기 제 1 탄성사(10)를 한 바퀴씩 감도록 배치된 제 1 탄성와인딩(21) 및 제 2 탄성와인딩(23); 상기 제 1 탄성와인딩(21) 및 제 2 탄성와인딩(23)을 연결하는 탄성연결부(22);를 포함하고,
    상기 천연사(30)는 주기적으로 상기 제 1 탄성사(10)를 한 바퀴씩 감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제 1 비탄성와인딩(31) 및 제 2 비탄성와인딩(33);
    상기 제 1 비탄성와인딩(31) 및 제 2 비탄성와인딩(33)을 연결하는 비탄성연결부(32);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탄성와인딩(21)은,
    상기 제 1 탄성사(1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 1 어퍼와인딩(21a); 및 상기 제 1 탄성사(10)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 1 로어와인딩(21b);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탄성와인딩(23)은,
    상기 제 1 탄성사(1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 2 어퍼와인딩(23a); 및 상기 제 1 탄성사(10)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 2 로어와인딩(23b);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비탄성와인딩(31)은,
    상기 제 1 탄성사(1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 1 어퍼와인딩(31a); 및 상기 제 1 탄성사(10)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 1 로어와인딩(31b);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비탄성와인딩(33)은
    상기 제 1 탄성사(1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 2 어퍼와인딩(33a); 및 상기 제 1 탄성사(10)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 2 로어와인딩(33b);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탄성사(10)를 중심으로 상기 제 1 비탄성와인딩(31), 제 1 탄성와인딩(21), 제 2 비탄성와인딩(33) 및 제 2 탄성와인딩(23)가 지그재그 형태로 서로 맞물려 배치되고,
    상기 제 1 탄성사(10)에 감겨진 상기 제 1 비탄성와인딩(31) 및 제 1 탄성와인딩(21)의 방향이 서로 반대이고,
    상기 제 1 탄성사(10)에 감겨진 상기 제 2 비탄성와인딩(33) 및 제 2 탄성와인딩(23)의 방향이 서로 반대이고,
    상기 제 1 꼬임사(40)는 상기 제 2 탄성사(20)의 제 1 어퍼와인딩(21a) 및 제 1 로어와인딩(21b)을 감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1 꼬임사(40)는 제 2 탄성사(20)의 제 2 어퍼와인딩(23a) 및 제 1 로어와인딩(23b)을 감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2 꼬임사(50)는 상기 천연사(30)의 제 1 어퍼와인딩(31a) 및 제 1 로어와인딩(31b)을 감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2 꼬임사(50)는 천연사(30)의 제 2 어퍼와인딩(33a) 및 제 1 로어와인딩(33b)을 감도록 배치되는 혈류량 개선을 위한 코튼 압박밴드.
KR1020210086962A 2021-04-02 2021-07-02 혈류량 개선을 위한 코튼 압박밴드 KR102470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962A KR102470929B1 (ko) 2021-04-02 2021-07-02 혈류량 개선을 위한 코튼 압박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563A KR102275071B1 (ko) 2021-04-02 2021-04-02 압박밴드
KR1020210086962A KR102470929B1 (ko) 2021-04-02 2021-07-02 혈류량 개선을 위한 코튼 압박밴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3563A Division KR102275071B1 (ko) 2021-04-02 2021-04-02 압박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7509A true KR20220137509A (ko) 2022-10-12
KR102470929B1 KR102470929B1 (ko) 2022-11-28

Family

ID=7689323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3563A KR102275071B1 (ko) 2021-04-02 2021-04-02 압박밴드
KR1020210086962A KR102470929B1 (ko) 2021-04-02 2021-07-02 혈류량 개선을 위한 코튼 압박밴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3563A KR102275071B1 (ko) 2021-04-02 2021-04-02 압박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75071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1214Y1 (ko) 2001-12-28 2002-04-10 정창민 기능성 압박 양말
KR200346573Y1 (ko) 2003-06-21 2004-04-03 정창민 기능성 압박 양말
KR20050036887A (ko) * 2001-10-31 2005-04-20 아사히 가세이 셍이 가부시키가이샤 다층 구조를 갖는 탄성 편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410497Y1 (ko) * 2005-12-23 2006-03-07 김태순 실크 스타킹의 실크혼합사
KR20120014647A (ko) * 2010-08-10 2012-02-20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당뇨병 환자용 양말
KR200481570Y1 (ko) 2016-04-05 2016-10-17 (주)라쉬반코리아 태피스트리 자카드 직조법을 이용한 기능성 양말
WO2017011849A1 (en) * 2015-07-20 2017-01-26 Bernard Rowe A method of knitting a compression bandage, a compression bandage and a knitting machine for manufacturing a compression bandage
KR20190008903A (ko) * 2016-05-19 2019-01-25 가부시키가이샤 토레스테크 원통형 붕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85379B2 (ja) * 2009-11-02 2015-09-30 グンゼ株式会社 医療用ストッキン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6887A (ko) * 2001-10-31 2005-04-20 아사히 가세이 셍이 가부시키가이샤 다층 구조를 갖는 탄성 편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271214Y1 (ko) 2001-12-28 2002-04-10 정창민 기능성 압박 양말
KR200346573Y1 (ko) 2003-06-21 2004-04-03 정창민 기능성 압박 양말
KR200410497Y1 (ko) * 2005-12-23 2006-03-07 김태순 실크 스타킹의 실크혼합사
KR20120014647A (ko) * 2010-08-10 2012-02-20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당뇨병 환자용 양말
WO2017011849A1 (en) * 2015-07-20 2017-01-26 Bernard Rowe A method of knitting a compression bandage, a compression bandage and a knitting machine for manufacturing a compression bandage
KR200481570Y1 (ko) 2016-04-05 2016-10-17 (주)라쉬반코리아 태피스트리 자카드 직조법을 이용한 기능성 양말
KR20190008903A (ko) * 2016-05-19 2019-01-25 가부시키가이샤 토레스테크 원통형 붕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0929B1 (ko) 2022-11-28
KR102275071B1 (ko) 202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97536B (zh) 筒状绷带
US7441419B1 (en) Therapeutic compression and cushion sock and method of making
TWI586288B (zh) Leg support belt
ES2637191T3 (es) Prenda de vestir tejida circularmente
TWI533814B (zh) Elbow support belt
JP5165122B2 (ja) フートウェア
RU2571045C2 (ru) Компрессионное кругловязаное изделие для наложения вокруг содержащей сустав конечности
US6550289B1 (en) Double-layer sock having inverted, side-by-side toe closure seams
TWI549616B (zh) Foot joint support belt
US8603019B1 (en) Joint compression wrap
JP2006312789A (ja) テーピング効果を有するニット製肌着、靴下、ふくらはぎサポータ、スパッツ及びタイツ類
US2574737A (en) Elastic stocking and the like
KR102275071B1 (ko) 압박밴드
US2120665A (en) Elastic fabric
JP7449999B2 (ja) 人に対して圧縮力を加える衣類
RU2732437C2 (ru) Текстильный ортез с бортиком
KR102544788B1 (ko) 발목 압박양말
JP5320412B2 (ja) 足関節サポーター
JP7474444B2 (ja) サポーター
JP2018123435A (ja) 靴下
JP3211919U (ja) 靴下
JP5250051B2 (ja) 膝関節サポーター
JP2020165056A (ja) サポーターおよびその編成方法
JP3180304U (ja) レッグウォーマー及びソックス
CN111083920A (zh) 运动袜或运动绑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