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8903A - 원통형 붕대 - Google Patents

원통형 붕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8903A
KR20190008903A KR1020187036373A KR20187036373A KR20190008903A KR 20190008903 A KR20190008903 A KR 20190008903A KR 1020187036373 A KR1020187036373 A KR 1020187036373A KR 20187036373 A KR20187036373 A KR 20187036373A KR 20190008903 A KR20190008903 A KR 20190008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
cylindrical
knitting
human body
n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6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4983B1 (ko
Inventor
도시야 사사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토레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토레스테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토레스테크
Publication of KR20190008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8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4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4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6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 A61F13/08Elastic stockings; for contracting aneurisms
    • A61F13/00021
    • A61F13/0003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102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dres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1034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a property
    • A61F13/01038Flexibility, stretchability or elasticity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0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 D04B1/104Openwork fabric, e.g. pelerin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0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 D04B1/108Gussets, e.g. pouches or heel or toe por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D04B1/18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elastic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25Elongated tubular articles of small diameter, e.g. coverings or reinforcements for cables or hos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6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stocking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6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stockings
    • D04B1/265Surgical stock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093Wound bandages tubular
    • A61F2013/00097Wound bandages tubular net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238Wound bandages characterised by way of knitting or weav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272Wound bandages protection of the body or arti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28Wound bandages applying of mechanical pressure; passive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463Plasters use haemostatic
    • A61F2013/00468Plasters use haemostatic applying local pressur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1Surface features
    • D10B2403/011Dissimilar front and back faces
    • D10B2403/0114Dissimilar front and back faces with one or more yarns appearing predominantly on one face, e.g. plated or paralleled yarn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2Cross-sectional featur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3Shape features
    • D10B2403/033Three dimensional fabric, e.g. forming or comprising cavities in or protrusions from the basic planar configuration, or deviations from the cylindrical shape as generally imposed by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333Three dimensional fabric, e.g. forming or comprising cavities in or protrusions from the basic planar configuration, or deviations from the cylindrical shape as generally imposed by the fabric forming process with tubular portions of variable diameter or distinct axial orientatio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9/00Medical; Hygiene
    • D10B2509/0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D10B2509/028Elastic support stockings or elastic band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인체의 단면의 치수형상의 변화에 대응하여 고정성을 높일 수 있고, 높은 순환 촉진효과를 얻는 것.
원통형 붕대(1)는, 웨일측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의 코수의 증감 변화에 의해 인체 주위길이 정보(m1, m2, m3,…)의 인체의 단면 길이 변화에 대응시켜, 착용 부위에 접촉시키는 내면측을, 뜨개질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하는 오목부(=뜨개코가 외면측에서 볼록모양으로 나타나고, 내면측에서 오목모양으로 나타나는 외측 볼록부(42)) 및 볼록부(=뜨개코가 외면측에서 오목모양으로 나타나고, 내면측에서 볼록모양으로 나타나는 내측 볼록부(41))가 교호로 병렬하여 고리모양의 주위 방향으로 요철이 연속하는 횡단면 요철모양으로 형성했다.

Description

원통형 붕대
본 발명은, 인체 일부를 압박 가능하게 하는 착용구로서, 원통형의 하지용 지지대, 슬리브, 양말, 타이츠, 팔꿈치용 지지대, 손, 손목용 지지대 등으로 외부로부터 압박력을 가하는 붕대 등에 사용되는 원통형 붕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맥 순환 장해나 림프 부종 등의 질환의 예방, 치료에 호적한 원통형 붕대에 관한 것이다.
의료 분야에 있어서, 하지 등의 정맥류, 정맥 혈전증인 정맥 순환 장해나 림프 부종 등의 질환의 예방이나 치료에, 환부 영역에 착용하여 당해 영역에 압박을 가하는 붕대모양의 압박 부재나, 길이방향으로 단계적으로 압박력이 약해지도록 설계되어 있는 탄성 스타킹 등을 사용한 압박법이 유효하다고 한다. 특히, 림프 부종의 질환에서는 치료에 유효한 약제나 외과적 수술이 없고, 현재는, 그 요양이 주로 압박법이라고 한 이학적 요법에 의존하고 있다. 또한, 림프 부종이란, 림프절이나 림프관이 어떠한 원인에 의해 압박, 협착, 폐색되었기 때문에 림프가 막혀, 조직, 세포 사이에 수분(단백질이나 림프구 등이 포함됨)이 과잉으로 모인 상태를 말한다.
감는 타입의 붕대모양 압박 부재에 의하면, 착용자의 착용 부위에 겹쳐 감는 것에 의해 착용자를 선택하지 않고, 착용자의 착용 부위의 형상에 대응한 압박을 가능하게 하지만, 전문적인 기술력 없이는, 환부 상태에 따라 환부 영역에 적절한 압박력을 조절할 수 없다. 부적절한 압력을 가하면, 오히려 역효과가 생겨 증상이 악화할 가능성도 있다. 이 때문에, 숙련자나 의사·간호사에게 맡기지 않고 적절히 착용하는 것은 곤란하다.
이에 대해, 원통형으로 형성된 압박 부재, 예를 들면, 미리 단계적으로, 하지용이라면 발목부로부터 대퇴부측을 향해, 착압(着壓)이 약해지도록 설계된 탄성 스타킹이나, 슬리브, 원통형 붕대 등에 의하면, 숙련자가 아니어도 흘러내림 없는 착용이 가능하고, 압박력의 조절이 필요하지 않는다.
그러나, 종래의 의료용 탄성 스타킹 등에서는, 특히 하지용으로서 원통형 니트(編地)의 일부를 불룩하게 하여(둥그스름하게 하여) 뒤꿈치 형상에 대응시킨 것이 존재하는 것도, 착용했을 때, 발목 근방에서, 특히, 발의 복사뼈로부터 발등부에 걸쳐 느슨해짐이 생겨 발등부 측에서는 주름이 발생하고, 경우에 따라서, 그 가로주름의 단락(切目)이 피부에 침투함으로써 착압의 집중에 의해 순환이 저해되거나, 그 한편으로, 림프액이 막히기 쉬운 복사뼈 부근(특히, 복사뼈 뒷부분)에서는 생지(生地)가 들떠서 착압이 약하기도 하고, 적절한 압박이 이루어지지 않아 착압이 안정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착압이 약해지는 복사뼈 부근의 압박을 균등하게 하기 위해서 그 환부를 발포수지(스펀지) 등의 완충재로 덮고, 그 위에 탄성 스타킹 등을 착용함으로써, 복사뼈 부근의 착압을 높이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서, 종래의 환편기(丸編機)에 의한 뜨개질(編成)에서는, 뜨개질 실의 장력이나 뜨개코 높이, 뜨개코 밀도, 루프의 지름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 형상에 변형을 줄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바늘코의 수를 변경할 수 없어, 소정의 바늘코의 수로 뜨개폭이 일정한 뜨개질로 되기 때문에, 그러한 특성상, 치수형상의 표현에 한계가 있어, 발목 주위의 치수형상에 고정시키는 것은 어렵다.
즉, 원원통형의 뜨개바늘을 구비한 통편기에 의해 환편 뜨개질을 행하는 경우, 예를 들면 뒤꿈치부를 가지는 하지용에서는, 우선, 뜨개바늘을 일정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모든 편침(編針)을 편물작업(編立)에 관여시키는 것에 의해 원통형으로 다리부를 짜고, 계속해서, 뜨개바늘을 일정 각도 범위의 왕복 회동운동으로 변경하고 일부 편침을 편물작업에 관여시키는 것에 의해 뒤꿈치부의 편물작업을 행하고, 재차 뜨개바늘을 일정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모든 편침을 편물작업에 관여시키는 것에 의해 원통형으로 발부의 편물작업을 행하여, 뜨개질된다.
이와 같은 환편에 의한 뜨개질에서는, 편물작업에 관여시키는 편침수, 뜨개폭이 일정하게 결정되어 둘레지름이 소정 범위로 한정되어 버림으로써, 통의 지름이 일정하고, 필연적으로 다리부와 발부가 접속되는 다리부 하단과 발부 상단은 동일한 뜨개폭으로 주위길이가 일정 범위로 정해지고, 또, 뒤꿈치부의 크기도 소정의 범위로 결정되기 때문에, 발목의 치수형상에 대응한 최적인 지름의 설계가 곤란하다. 또, 발목측에서 뜨개질의 밀도를 높여 도목을 좁히는 것(度詰)에 의해 작은 지름(徑小)으로 하면 통기성이 나빠 땀이 나고 화끈거리기 쉽고, 착용이 곤란하다는 문제도 있다.
이에 더하여, 예를 들면, 다리부로부터 짜기 시작한 경우에서는 뒤꿈치부를 뜨개질할 때 뜨개바늘의 회동 각도를 순차 감소시킨 후, 다시 뜨개바늘의 회동 각도를 순차 증가시켜 편물작업이 행해지고, 그 후, 발부의 뜨개질로 계속된다. 이때, 뒤꿈치부의 뜨개질에 있어서 뜨개폭을 순차 감소시키고, 그 다음에 뜨개폭을 순차 증대시키는 부분적인 되돌아뜨기(引返編)가 이용됨으로써, 뒤꿈치부에는 뜨개폭의 감소 영역과 증대 영역의 뜨개코의 증감의 접합 경계에 고어 라인이 형성되므로, 그곳에 주름이 생기기 쉽고, 니트의 늘림(stretch)도 방해 받는다.
따라서, 환편에 의한 뜨개질에서는, 니트가 발목 정면의 발등측은 느슨해지기 쉬운 반면 발목 배면의 뒤꿈치측에서는 니트가 옥죄어져 땅기는 경향이 있고, 발뒤꿈치부의 굴곡 형상에도 균일한 착압을 얻는 것이 곤란하다. 또, 종래의 환편의 탄성 스타킹에서는, 발목 정면에 주름이 생기면 착압이 집중하는데다, 발목 영역에서는 뜨개코 밀도를 높이고 있기 때문에, 통기성이 나빠, 땀이 나고 화끈거리기 쉬움으로써, 특히 나일론제의 것에서는 알레르기 반응이나 습진을 일으킬 가능성도 있었다.
그런데, 착압에 관해, 특허문헌 1에는, 착용에 의해 피부와 접하는 내측에 파일편(pile stitch)에 의한 파일 등의 볼록부를, 하퇴부(下腿部) 앞측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이간하여 배치하고, 또 하퇴부 뒤측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하여 부분적인 착압부를 마련함으로써, 그 착압부에 의한 가압 작용에 의해 자극과 마사지 효과를 얻어 부어오름이나 피로감을 해소하고자 하는 하지 피복재가 개시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나 특허문헌 3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니들 베드를 앞뒤에 마련한 횡편기(橫編機)에서도, 뒤꿈치부를 가지는 양말 등의 뜨개질이 가능하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6-219805호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평9-296343호 국제공개공보 WO2008/078623호
그렇지만, 특허문헌 1에서는, 가압 작용에 대해서는 다리부만으로 되고 복사뼈를 포함한 발 부위는 고려되어 있지 않고, 또, 부분적인 착압부의 배치도 다리부의 정면측과 배면측에서 상위시키고, 압 밸런스가 균일하지 않은 것으로 인해, 그 작용 효과는 부분적이며, 착용시에 위화감을 일으킬 가능성도 있다.
또, 특허문헌 2나 특허문헌 3에서 개시되어 있는 양말은, 통상, 생활용의 일반적인 양말인 것이 상정되고, 생활용의 일반적인 양말에서는, 발목 부위의 정면측에서 굴곡을 반복하는 것이나 착탈성을 고려하여 일그러짐을 마련한 설계로 되고, 발의 복사뼈부 부근의 굴곡 형상에도 대응하여 균일한 압박력을 주는 발상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인체 단면의 치수형상의 변화에 대응하여 고정성을 높일 수 있고, 높은 순환 촉진효과를 얻을 수 있는 하지용 지지대 등의 원통형 붕대의 제공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1 발명의 원통형 붕대는, 웨일측의 1고리모양(루프)의 뜨개코의 열의 코수의 변화에 의해, 착용 대상인 인체의 단면 변화에 대응하여 주위길이를 변화시킨 원통형 붕대로서, 상기 인체의 착용 부위에 접촉시키는 내면측을, 뜨개질에 의해 길이방향에 직각인 둘레 방향으로 오목부 및 볼록부가 교호(交互)로 병렬하여 요철이 연속된 단면 요철모양으로 형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웨일측이란, 뜨개코를 형성하는 실이 연속하여 니트의 가로 방향(x방향)으로 늘어선 루프의 열이며, 실을 루프모양으로 짜서 니트의 세로 방향(y방향)으로 늘어선 코스측과 구별된다.
또, 상기 니트의 뜨개질에 사용하는 실로서는, 예를 들면, 방적사, 필라멘트사, 모노필라멘트사, 벌키얀(嵩高絲), 중공사, 피복사, 코어얀사, 복합사, 편평사, 이형 단면사, 스플릿사, 칠사(漆絲)의 실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실의 원재료로서는, 화학 재료로 형성되는 실, 금속으로 형성되는 실, 식물로 형성되는 실, 그들 2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연사(撚絲) 등의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인체의 단면 변화에 대응하여, 뜨개코를 형성하는 실이 연속한 웨일측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의 코수의 변화에 의해 주위길이를 변화시킨 것은, 1고리모양(루프)의 뜨개코의 열의 코수로 원통형의 주위길이(웨일측의 길이)를 조정하여, 인체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수직 단면의 주위길이의 변화에 대응한 것이다.
또, 상기 뜨개질에 의해 둘레 방향으로 오목부 및 볼록부가 연속한 단면 요철모양은, 원통형 붕대의 내면측에서 오목모양으로 나타나는 뜨개코로 형성된 오목부 및 볼록모양으로 나타나는 뜨개코로 형성된 볼록부가 웨일측의 1고리모양(루프)의 뜨개코의 열로 형성되는 고리모양(원통형)의 둘레 방향에서 연속하고, 원통형 붕대의 횡단면 형상이 내면측에서 요철 형상(물결 형상)을 보이는 것을 의미하고, 예를 들면, 리브짜기(고무짜기), 턱짜기(tuck stitch) 등의 뜨개질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청구항 2 발명의 원통형 붕대는, 청구항 1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및 상기 볼록부가 길이방향(코스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하는 것이다.
청구항 3 발명의 원통형 붕대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인체의 착용 부위에 접촉시키는 내면측보다도, 그의 이면인 외면측에서 둘레 방향의 고리모양의 장력을 크게 한 것이다.
청구항 4 발명의 원통형 붕대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인체의 착용 부위에 접촉시키는 내면측에 나타나는 볼록부와 오목부에서 둘레 방향의 고리모양의 장력을 상위시킨 것이다.
청구항 5 발명의 원통형 붕대는, 웨일측의 1고리모양(루프)의 뜨개코의 열의 코수의 변화에 의해, 착용 대상인 인체의 단면 변화에 대응하여 주위길이를 변화시킨 원통형 붕대로서, 니트의 표리에서 오목부 및 볼록부가 교호로 병렬하여 단면 외형이 길이방향에 직각인 둘레 방향으로 요철이 연속하는 요철모양을 보이고, 상기 인체의 착용 부위에 접촉시키는 내면측에서는 오목모양으로 나타나고, 그의 이면의 외면측에서는 볼록모양으로 나타나는 뜨개코로 형성되는 외측 볼록부보다도, 착용 부위에 접촉시키는 내면측에서는 볼록모양으로 나타나고, 그의 이면의 외면측에서는 오목모양으로 나타나는 뜨개코로 형성되는 내측 볼록부에 있어서, 그의 단면 외형이 곡선모양에 근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웨일측이란, 뜨개코를 형성하는 실이 연속하여 니트의 가로 방향(x방향)으로 늘어선 루프의 열이며, 실을 루프모양으로 짜서 니트의 세로 방향(y방향)으로 늘어선 코스측과 구별된다.
또, 상기 니트의 뜨개질에 사용하는 실로서는, 예를 들면, 방적사, 필라멘트사, 모노필라멘트사, 벌키얀, 중공사, 피복사, 코어얀사, 복합사, 편평사, 이형 단면사, 스플릿사, 칠사 등의 실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실의 원재료로서는, 화학 재료로 형성되는 실, 금속으로 형성되는 실, 식물로 형성되는 실, 그들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연사의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인체의 단면 변화에 대응하여, 뜨개코를 형성하는 실이 연속한 웨일측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의 코수의 변화에 의해 주위길이를 변화시킨 것은, 1고리모양(루프)의 뜨개코의 열의 코수로 원통형의 주위길이(웨일측의 길이)를 조정하여, 인체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수직 단면의 주위길이의 변화에 대응한 것이다.
또, 상기 뜨개질에 의해 둘레 방향으로 오목부 및 볼록부가 연속한 단면 요철모양은, 웨일측의 1고리모양(루프)의 뜨개코의 열로 형성되는 고리모양(원통형)의 둘레 방향에서 오목부 및 볼록부가 연속하고, 원통형 붕대의 횡단면 형상이 표리에서 요철 형상(물결 형상)을 보이는 것을 의미하고, 예를 들면, 리브짜기(고무짜기), 턱짜기 등의 뜨개질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 상기 외측 볼록부보다도 내측 볼록부에 있어서 그의 단면 외형이 곡선에 근사란, 원통형 붕대의 횡단면에 있어서, 외면측에서 볼록모양으로 나타나는 뜨개코로 형성된 외측 볼록부와의 비교에서, 그의 외측 볼록부보다도, 인체의 착용 부위에 접촉시키는 내면측에서 볼록모양으로 나타나는 뜨개코로 형성된 내측 볼록부 쪽이 둥그스름함을 띠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청구항 6 발명의 원통형 붕대는, 청구항 5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외측 볼록부 및 상기 내측 볼록부가 길이방향(코스측)으로 연속하여 연장하는 것이다.
청구항 7 발명의 원통형 붕대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의 구성에 있어서, 니트의 두께가 외력을 가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2㎜∼15㎜의 범위 내, 바람직하게는, 5㎜∼15㎜의 범위 내인 것이다.
청구항 8 발명의 원통형 붕대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인체의 발 관절 둘레에 착용했을 때, 발뒤꿈치 측의 바깥복사뼈(외과)부 주위의 기단부에 있어서의 착압이 3mmHg∼70mmHg, 바람직하게는 15mmHg∼50mmHg, 보다 바람직하게는 20mmHg∼45mmHg의 범위 내인 것이다.
여기서, 상기 착압은, 5개의 발가락 양말용 디스플레이 남성용((주)텐켄소우이(TENKENSOUI, Co.,Ltd.) 51-196-10-2)의 발본(足型)(왼발)에 착용하여, 에어팩식 접촉압 측정기((주)에이엠아이·테크노제(AMI TECHNO, Inc.), AMI3037-SB-SET)에 의해 측정한 것이다.
또, 상기 발뒤꿈치측의 바깥 복사뼈부 주위의 기단부의 착압은, 발의 바깥복사뼈(외과)부의 뒤꿈치측의 후방으로서, 융기되어 있는 바깥복사뼈(외과)부의 아래쪽 부분에 상당하는 대략 평탄 부분에서의 측정이다.
또한, 상기 수치 범위는, 엄격한 것을 요구하는 것은 아니며, 측정 정밀도 등에 의한 여러 퍼센트(數割)의 오차를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청구항 9 발명의 원통형 붕대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인체의 발 관절 둘레에 착용했을 때, 발뒤꿈치측의 바깥복사뼈(외과)부 주위의 기단부와 발등부의 착압 차가 40% 이하, 바람직하게는 3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인 것이다.
여기서, 상기 착압은, 5개의 발가락 양말용 디스플레이 남성용((주)텐켄소우이 51-196-10-2)의 발본(왼발)에 착용하여, 에어팩식 접촉압 측정기((주)에이엠아이·테크노제, AMI3037-SB-SET)에 의해 측정한 것이다.
또, 상기 발뒤꿈치측의 바깥 복사뼈부 주위의 기단부의 착압은, 발의 바깥복사뼈(외과)부의 뒤꿈치측의 후방으로서, 융기되어 있는 바깥복사뼈(외과)부의 아래쪽 부분에 상당하는 대략 평탄 부분에서의 측정이다.
또, 발등부의 착압은, 발목측의 정면 중앙부로서, 족저궁(plantar arch)의 정점 바로 위에 상당하는 부분에서의 측정이다.
또한, 상기 수치 범위는, 엄격한 것을 요구하는 것은 아니며, 측정 정밀도 등에 의한 여러 퍼센트의 오차를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청구항 10 발명의 원통형 붕대는, 제1 원통형 니트와 그것에 연속하는 제2 원통형 니트와의 연결(connection)에 있어서, 제1 원통형 니트의 제2 원통형 니트에 연결되는 최단부(最端部)의 웨일측의 고리모양 지름보다도, 제2 원통형 니트의 제1 원통형 니트에 연결되는 최단부의 웨일측의 고리모양 지름 쪽이 커서 큰 지름(徑大)으로 되고, 상기 제1 원통형 니트와 제2 원통형 니트의 연결 부분의 지름 차이를, 제1 원통형 니트와 제2 원통형 니트 사이에서 실을 루프모양으로 짠 코스측의 코수를 증대하여 뜨개질되는 접속 니트에 의해 연결할 수 있고, 상기 제1 원통형 니트의 상기 제2 원통형 니트의 좌우 대칭선을 따라 웨일측의 고리모양(원통형)의 주위길이가 절반이 되도록 고리모양의 내면을 상대측의 내면에 접촉하는 겹쳐접기로 한 절첩(fold)한 상태에서, 제1 원통형 니트와 제2 원통형 니트와 접속 니트와의 경계부로부터 상기 제1 원통형 니트에 상기 제2 원통형 니트가 연속하는 측의 상기 좌우 대칭선으로 향하는 가상 수선의 거리폭(a)과, 상기 경계부로부터 상기 접속 니트측의 상기 좌우 대칭선으로 향하는 가상 수선의 거리폭(b)의 관계를, 6:4≤a:b≤9:1의 범위 내로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웨일측이란, 뜨개코를 형성하는 실이 연속하여 니트의 가로 방향(x방향)으로 늘어선 루프의 열이며, 상기 코스측은, 실을 루프모양으로 짜서 니트의 세로 방향(y방향)으로 늘어선 루프의 행이다.
상기 니트의 뜨개질에 사용하는 실로서는, 예를 들면, 방적사, 필라멘트사, 모노필라멘트사, 벌키얀, 중공사, 피복사, 코어얀사, 복합사, 편평사, 이형 단면사, 스플릿사, 칠사 등의 실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실의 원재료로서는, 화학 재료로 형성되는 실, 금속으로 형성되는 실, 식물로 형성되는 실, 그들 2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연사의 사용이 가능하다. 또, 짜는법은, 리브짜기(rib stitch), 메쉬짜기(net stitch), 무늬짜기(pattern sticth) 등의 저지짜기(天竺編), 스트레치저지(stretch jersey), 베어저지짜기(bare jersey stitch), 펄짜기(purl stitch)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제1 원통형 니트나 제2 원통형 니트에 있어서는, 리브짜기를 베이스 조직으로 함으로써, 순환 촉진효과를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좌우 대칭선이란, 상기 제1 원통형 니트 및 상기 제2 원통형 니트에 있어서 웨일측의 1고리모양(루프)의 뜨개코의 열로 형성되는 고리모양(원통형)의 주위길이가 절반이 되도록 니트가 좌우 대상인 위치 관계로 분할했을 때의 가상선이며, 상기 겹쳐접기로 한 절첩한 상태에서의 제1 원통형 니트와 제2 원통형 니트와 접속 니트와의 관계는, 외력이 가해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제1 원통형 니트와 제2 원통형 니트와 접속 니트와의 경계부로부터 상기 제1 원통형 니트에 상기 제2 원통형 니트가 연속하는 측의 상기 좌우 대칭선으로 향하는 가상 수선의 거리폭(a)과, 상기 경계부로부터 상기 접속 니트측의 상기 좌우 대칭선으로 향하는 가상 수선의 거리폭(b)의 비가, 6:4≤a:b≤9:1의 범위 내인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 원통형 니트의 제2 원통형 니트 및 접속 니트에 연결될 때의 1고리모양(루프)의 뜨개코의 열로 형성되는 고리모양(원통형)의 지름보다도, 상기 제2 원통형 니트의 제1 원통형 니트 및 접속 니트에 연결될 때의 1고리모양(루프)의 뜨개코의 열로 형성되는 고리모양(원통형)의 지름이 큰 지름이란, 즉, 제1 원통형 니트의 제2 원통형 니트 및 접속 니트에 연결되는 최단부의 웨일측의 고리모양의 주위길이, 뜨개폭보다도, 제2 원통형 니트의 제1 원통형 니트 및 접속 니트에 연결되는 최단부의 웨일측의 고리모양의 주위길이, 뜨개폭이 큰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수치 범위는, 엄격한 것을 요구하는 것은 아니며, 편사(編絲)의 종류, 짜는법 등에 의한 여러 퍼센트의 오차를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청구항 11 발명의 원통형 붕대는, 청구항 10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1 원통형 니트의 제2 원통형 니트 및 접속 니트에 연결되는 최단부의 웨일측의 1고리모양(루프)의 뜨개코의 열로 형성되는 고리모양(원통형)의 주위길이, 뜨개폭의 10%∼40%의 범위 내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20%∼40%의 범위 내에 대해서, 또, 상기 제2 원통형 니트의 제1 원통형 니트 및 접속 니트에 연결되는 최단부의 웨일측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로 형성되는 고리모양의 주위길이, 뜨개폭의 10%∼40%의 범위 내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20%∼40%의 범위 내에 대해서, 상기 접속 니트가 연결되고, 상기 제1 원통형 니트와 제2 원통형 니트 사이에 상기 접속 니트가 개재되어 상기 접속 니트의 상기 제1 원통형 니트에의 접속 거리보다도 상기 제2 원통형 니트에의 접속 거리가 크게 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치 범위는, 엄격한 것을 요구하는 것은 아니며, 편사의 종류, 짜는법 등에 의한 여러 퍼센트의 오차를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청구항 12 발명의 원통형 붕대는,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1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1 원통형 니트와 상기 제2 원통형 니트의 횡단면의 두께가 외력을 가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2㎜∼15㎜의 범위 내인 것이다.
청구항 13 발명의 원통형 붕대는,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항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인체의 발 관절 둘레에 착용했을 때, 발뒤꿈치측의 바깥복사뼈(외과)부 주위의 기단부에 있어서의 착압이 3mmHg∼70mmHg, 바람직하게는 15mmHg∼50mmHg, 보다 바람직하게는 20mmHg∼45mmHg의 범위 내인 것이다.
여기서, 상기 착압은, 5개의 발가락 양말용 디스플레이 남성용((주)텐켄소우이 51-196-10-2)의 발본(왼발)에 착용하여, 에어팩식 접촉압 측정기((주)에이엠아이·테크노제, AMI3037-SB-SET)에 의해 측정한 것이다.
또, 상기 발뒤꿈치측의 바깥 복사뼈부 주위의 기단부의 착압은, 발의 바깥복사뼈(외과)부의 뒤꿈치측의 후방으로서, 융기되어 있는 바깥복사뼈(외과)부의 아래쪽 부분에 상당하는 대략 평탄 부분에서의 측정이다.
또한, 상기 수치 범위는, 엄격한 것을 요구하는 것은 아니며, 측정 정밀도 등에 의한 여러 퍼센트의 오차를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청구항 14 발명의 원통형 붕대는,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항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인체의 발 관절 둘레에 착용했을 때, 발뒤꿈치측의 바깥복사뼈(외과)부 주위의 기단부와 발등부의 착압 차가 40% 이하, 바람직하게는 3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인 것이다.
여기서, 상기 착압은, 5개의 발가락 양말용 디스플레이 남성용((주)텐켄소우이 51-196-10-2)의 발본(왼발)에 착용하여, 에어팩식 접촉압 측정기((주)에이엠아이·테크노제, AMI3037-SB-SET)에 의해 측정한 것이다.
또, 상기 발뒤꿈치측의 바깥 복사뼈부 주위의 기단부의 착압은, 발의 바깥복사뼈(외과)부의 뒤꿈치측의 후방으로서, 융기되어 있는 바깥복사뼈(외과)부의 아래쪽 부분에 상당하는 대략 평탄 부분에서의 측정이다.
또, 발등부의 착압은, 발목측의 정면 중앙부로서, 족저궁의 정점 바로 위에 상당하는 부분에서의 측정이다.
또한, 상기 수치 범위는, 엄격한 것을 요구하는 것은 아니며, 측정 정밀도 등에 의한 여러 퍼센트의 오차를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청구항 1 발명의 원통형 붕대에 의하면, 인체의 단면의 변화에 대응하여 길이방향에서 웨일측의 고리모양 뜨개코의 열의 코수를 가변하는 것에 의해, 인체의 길이에 대한 단면의 치수형상의 상위에 대응시킨 것이다. 인체의 단면의 변화에 대응하여 뜨개코수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치수형상의 표현 자유도가 높고, 주위길이를 자유자재로 할 수 있어, 인체의 단면의 치수형상에 대응한 최적인 지름의 설계가 용이하다. 따라서, 예를 들면, 단면의 치수형상의 변화가 큰 발 관절 둘레에 대해서도 고정성을 높일 수 있고, 니트의 과부족에 의한 느슨해짐이나 주름의 발생, 옥죔(tightness)을 방지하여, 복사뼈 주변의 오목부에 대해서도 니트를 밀착시켜 착압 분포를 균일하게 하고, 착압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 코수의 변화에 의해 고리모양의 길이(주위길이)를 조정하고 있음으로써, 임의의 루프의 지름의 설정에 의해 충분한 신장성이 얻어져, 침투나 그에 따른 착압의 집중, 통기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착탈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착용 부위에 접촉시키는 내면측이, 뜨개질에 의해 오목부 및 볼록부가 교호로 병렬하여 고리모양(원통형)의 둘레 방향으로 요철이 연속하는 단면 요철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시에 그 요철에 의해 착용자의 길이방향에 직각인 둘레 방향에서 착압 차가 생김으로써, 림프액의 흐름이 촉진되고, 순환 촉진효과가 높아진다. 또, 밸런스가 좋은 압박력을 받아 위화감이 없다.
이렇게 하여, 인체의 단면의 치수형상의 변화에 대응하여 고정성을 높일 수 있는데다, 착용 부위에 고정시키는 니트가 둘레 방향에서 요철이 연속하는 단면 요철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순환 촉진효과를 높일 수 있고, 높은 순환 촉진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2 발명의 원통형 붕대에 의하면, 상기 오목부 및 볼록부는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하고 있음으로써, 착압의 강약이 림프액이 흐르는 방향을 따르게 되기 때문에, 청구항 1에 기재된 효과에 더하여, 림프액의 흐름을 더욱더 촉진시켜, 순환 촉진효과를 높일 수 있다.
청구항 3 발명의 원통형 붕대에 의하면, 상기 착용 부위에 접촉시키는 내면측보다도, 그의 이면인 외면측의 고리모양의 장력이 크게 되어 있는 것으로 인해, 착용 부위에 접촉시키는 내면측에 형성된 볼록부의 두께 방향의 부피를 증대시켜 곡률을 갖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효과에 더하여, 볼록부에 의한 착용 부위에의 밀착성을 높여 압박력(가압력), 착압을 높일 수 있다.
청구항 4 발명의 원통형 붕대에 의하면, 상기 착용 부위에 접촉시키는 내면측에 나타나는 볼록부와 오목부에서 고리모양의 장력을 상위시킨 것으로 인해, 장력의 상위에 의해, 착용 부위에 접촉시키는 내면측에 형성된 볼록부의 두께 방향의 부피를 증대시켜 곡률을 갖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효과에 더하여, 또, 볼록부에 의한 착용 부위에의 밀착성을 높여 압박력(가압력), 착압을 높일 수 있다.
청구항 5 발명의 원통형 붕대에 의하면, 인체의 단면의 변화에 대응하여 길이방향으로 웨일측의 고리모양 뜨개코의 열의 코수를 가변하는 것에 의해, 인체의 길이에 대한 단면의 치수형상의 상위에 대응시킨 것이다. 인체의 단면의 변화에 대응하여 뜨개코수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치수형상의 표현 자유도가 높고, 주위길이를 자유자재로 할 수 있고, 인체의 단면의 치수형상에 대응한 최적인 지름의 설계가 용이하다. 따라서, 예를 들면, 단면의 치수형상의 변화가 큰 발 관절 둘레에 대해서도 고정성을 높일 수 있고, 니트의 과부족에 의한 느슨해짐이나 주름의 발생, 옥죔을 방지하여, 복사뼈 주변의 오목부에 대해서도 니트를 밀착시켜 착압 분포를 균일하게 하고, 착압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 코수의 변화에 의해 고리모양의 길이(주위길이)를 조정하고 있음으로써, 임의의 루프의 지름의 설정에 의해 충분한 신장성이 얻어지고, 침투나 그에 따른 착압의 집중, 통기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착탈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니트의 표리에서 오목부 및 볼록부가 교호로 병렬하여 횡단면이 둘레 방향에서 요철이 연속하는 요철모양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착용시에 그 요철에 의해 착용자의 길이방향에 직각인 둘레 방향에서 착압 차가 생김으로써 림프액의 흐름이 촉진되어, 순환 촉진효과가 높아진다. 또, 밸런스가 좋은 압박력을 받아 위화감이 없다.
또, 착용 부위에 접촉시키는 내면측에서는 오목모양으로 나타나고, 그의 이면의 외면측에서는 볼록모양으로 나타나는 뜨개코의 외측 볼록부보다도, 착용 부위에 접촉시키는 내면측에서는 볼록모양으로 나타나고, 그의 이면의 외면측에서는 오목모양으로 나타나는 뜨개코의 내측 볼록부에 있어서, 그의 횡단면 외형이 곡선에 근사함으로써, 볼록부에 의한 착용 부위에의 밀착성을 높여 압박력(가압력), 착압을 높일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인체의 단면의 치수형상의 변화에 대응하여 고정성을 높일 수 있는데다, 착용 부위에 고정시키는 니트가 둘레 방향에서 요철이 연속하는 단면 요철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순환 촉진효과를 높일 수 있고, 높은 순환 촉진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6 발명의 원통형 붕대에 의하면, 상기 외측 볼록부 및 내측 볼록부는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하고 있음으로써, 착압의 강약이 림프액이 흐르는 방향을 따르게 되기 때문에, 청구항 5에 기재된 효과에 더하여, 림프액의 흐름을 더욱더 촉진시켜, 순환 촉진효과를 높일 수 있다.
청구항 7 발명의 원통형 붕대는, 그 니트의 횡단면의 단면 두께가 2㎜∼15㎜의 범위 내이기 때문에,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효과에 더하여, 니트에 주름이 생기기 어렵고, 특히, 착용시에 굴곡 등의 움직임이 있는 부위(예를 들면 발등측)에서도 주름이 생기기 어렵고, 주름의 침투에 의한 착압의 집중이나 지혈대(tourniquet) 작용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8 발명의 원통형 붕대에 의하면, 상기 인체의 발 관절 둘레에 착용했을 때, 발뒤꿈치측의 바깥 복사뼈부 주위의 기단부에 있어서의 착압이 3mmHg∼70mmHg의 범위 내이다.
여기서, 착압이 3mmHg 미만이면, 순환 촉진효과가 얻어지지 않고, 70mmHg를 넘으면 오히려 순환 촉진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원통형 붕대에 의하면, 인체의 발 관절 둘레에서 니트의 주름의 발생이나 옥죔(땅김)을 억제하여 니트를 밀착시켜, 고정시킬 수 있음으로써, 종래 착압이 가해지기 어렵다고 되어 있던 복사뼈 주위, 특히 발뒤꿈치측의 복사뼈부 주위의 기단부에 있어서도 착압이 15mmHg 이상인 높은 고정성, 압박력을 가능하게 하여 높은 순환 촉진효과가 얻어진다. 순환 촉진효과의 관점으로부터 보면, 발뒤꿈치측의 복사뼈부 주위의 기단부에 있어서 착압이 15mmHg 이상인 높은 고정성, 압박력의 실현에 의해, 높은 순환 촉진이 얻어지지만, 착용자의 착용 부위(환부) 상태에 따라서는, 높은 착압에 의해, 예를 들면, 피부의 손상, 피부 열상, 스킨·티어(Skin Tear)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3mmHg∼70mmHg의 범위 내이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효과에 더하여, 피부의 손상, 피부 열상, 스킨·티어(Skin Tear)를 초래할 우려가 적고, 하지에 있어서 순환 촉진효과가 얻어진다. 바람직하게는, 15mmHg∼50mmHg의 범위 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20mmHg∼45mmHg의 범위 내이면, 착용감도 양호하고, 보다 높은 순환 촉진효과가 얻어지며, 발 관절 둘레, 특히, 림프액이 고이기 쉬운 복사뼈부나 발목 배면의 부종에 대한 경감효과도 높아진다.
청구항 9 발명의 원통형 붕대는, 상기 인체의 발 관절 둘레에 착용했을 때, 발뒤꿈치측의 바깥 복사뼈부 주위의 기단부와 발등부의 착압 차가 40% 이하인 것이다.
본 발명의 원통형 붕대에 의하면, 상기 인체의 발 관절 둘레에서 니트의 주름의 발생이나 옥죔(땅김)을 억제하여 니트를 밀착시켜, 고정시킬 수 있음으로써, 종래 착압이 가해지기 어렵다고 되어 있던 복사뼈 주위, 특히 발뒤꿈치측의 복사뼈부 주위의 기단부에 있어서도, 착압이 15mmHg 이상인 높은 고정성, 압박력을 가능하게 하여, 발등측과의 착압 차를 40% 이하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뒤꿈치측의 복사뼈부 주위의 기단부와 발등부의 착압 차가 40% 이하이며, 림프액이 고이기 쉬운 복사뼈부 주위에 있어서도 높은 착압이 가해지고, 발 관절 둘레에 있어서 착압 분포가 안정되고 착압의 집중이 방지되어 균일한 착압 분포로 됨으로써,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효과에 더하여, 하지에 있어서 높은 순환 촉진효과가 얻어지고, 발 관절 둘레, 특히, 림프액이 고이기 쉬운 복사뼈부나 발목 배면의 부종에 대한 경감효과도 높아진다. 바람직하게는, 발뒤꿈치측의 바깥 복사뼈부 주위의 기단부와 발등부의 착압 차가 3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면, 착압의 안정성이 높고, 보다 높은 순환 촉진효과가 얻어진다.
청구항 10 발명의 원통형 붕대에 의하면, 제1 원통형 니트의 제2 원통형 니트에 연결되는 최단부의 웨일측의 고리모양 지름(주위길이)보다도, 상기 제2 원통형 니트의 상기 제1 원통형 니트에 연결되는 단부의 웨일측의 고리모양 지름(주위길이) 쪽이 크고, 접속 니트에 의해 제1 원통형 니트와 제2 원통형 니트 사이에서 코스측의 코수를 증대하여 제1 원통형 니트와 제2 원통형 니트를 연결하고 있음으로써, 접속 니트에 있어서 곡률을 갖게 하고, 착용에 의해 예를 들면, 발 관절 둘레를 덮었을 때, 불룩함이 있는 뒤꿈치의 형상에 고정하여 뒤꿈치측에서의 옥죔이 방지된다. 그리고, 제1 원통형 니트와 제2 원통형 니트의 연결 부분에 있어서 제1 원통형 니트보다도 제2 원통형 니트가 큰 지름으로 되어 제1 원통형 니트와 제2 원통형 니트에서 지름의 변화를 갖게 하고 있음으로써, 제1 원통형 니트와 제2 원통형 니트를 연결하는 접속 니트에 있어서 뒤꿈치의 불룩함에 맞추어 충분히 큰 곡률을 갖게 할 수 있고, 착용시에 있어서 뒤꿈치측의 옥죔을 적게 할 수 있다. 또, 제1 원통형 니트와 제2 원통형 니트의 연결에 있어서 제1 원통형 니트보다도 제2 원통형 니트가 큰 지름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지름의 선택폭을 갖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발 관절 둘레 등의 단면 변화가 큰 치수형상에 맞춘 최적인 지름의 설계가 가능하고, 착용시에 발등측에서의 느슨해짐이나 주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또, 뒤꿈치측에서 무리한 장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원통형 니트의 제2 원통형 니트의 좌우 대칭선에서 절첩한 상태에서, 제1 원통형 니트와 제2 원통형 니트와 접속 니트와의 경계부로부터 제1 원통형 니트에 제2 원통형 니트가 연속하는 측의 좌우 대칭선으로 향하는 가상 수선의 거리폭(a)과, 상기 경계부로부터 접속 니트측의 좌우 대칭선으로 향하는 가상 수선의 거리폭(b)의 비가, 6:4≤a:b≤9:1의 범위 내이기 때문에, 제1 원통형 니트와 제2 원통형 니트 사이에서 곡률을 갖게 한 접속 니트가 아니라, 둥그스름함(불룩함)을 갖지 않는 제1 원통형 니트와 제2 원통형 니트가 복사뼈 주변의 요철 형상을 덮게 된다.
이렇게 하여, 착용시에 발등측에서의 느슨해짐이나 주름의 발생이 억제되고, 또, 뒤꿈치측에서의 옥죔이 방지됨으로써, 제1 원통형 니트와 제2 원통형 니트에 의해 복사뼈 주변의 오목 부분에 대해서도 들뜨는 일없이 복사뼈 주위에 밀착시킬 수 있어, 발 관절 둘레에 균일한 압박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즉, 단면의 치수형상의 변화가 큰 발 관절 둘레 등의 착용 부위에의 고정성을 높여 착압을 안정시킬 수 있음으로써, 높은 순환 촉진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11 발명의 원통형 붕대에 의하면, 상기 제1 원통형 니트의 상기 제2 원통형 니트 및 상기 접속 니트에 연결되는 최단부의 웨일측의 고리모양의 주위길이의 10%∼40%의 범위 내에 대해서, 또, 상기 제2 원통형 니트의 상기 제1 원통형 니트 및 상기 접속 니트에 연결되는 최단부의 웨일측의 고리모양의 주위길이의 10%∼40%의 범위 내에 대해서, 상기 접속 니트가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인해, 청구항 10에 기재된 효과에 더하여, 착용에 의해 예를 들면, 발 관절 둘레를 덮었을 때, 제1 원통형 니트와 제2 원통형 니트의 뒤꿈치측으로의 옥죔을 적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복사뼈 부근의 요철 등의 단면 변화가 큰 치수형상을 덮는 제1 원통형 니트와 제2 원통형 니트의 긴장에 의한 들뜸이 방지되고, 복사뼈 부근 등의 단면 변화가 큰 치수형상에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다.
청구항 12 발명의 원통형 붕대는, 상기 제1 원통형 니트와 상기 제2 원통형편의 두께가 2㎜∼15㎜의 범위 내이기 때문에,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1에 기재된 효과에 더하여, 니트에 주름이 생기기 어렵고, 특히, 착용시에 굴곡 등의 움직임이 있는 부위(예를 들면 발등측)에서도 주름이 생기기 어렵고, 주름의 침투에 의한 착압의 집중이나 지혈대 작용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3 발명의 원통형 붕대에 의하면, 상기 인체의 발 관절 둘레에 착용했을 때, 발뒤꿈치측의 복사뼈부 주위의 기단부에 있어서의 착압이 3mmHg∼70mmHg의 범위 내이다.
여기서, 착압이 3mmHg 미만이면, 순환 촉진효과가 얻어지지 않고, 70mmHg를 넘으면 오히려 순환 촉진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원통형 붕대에 의하면, 상기 인체의 발 관절 둘레에서 니트의 주름의 발생이나 옥죔(땅김)을 억제하여 니트를 밀착시켜, 고정시킬 수 있음으로써, 종래 착압이 가해지기 어려운 복사뼈 주위, 특히 발뒤꿈치측의 복사뼈부 주위의 기단부에 있어서도 착압이 15mmHg 이상인 높은 고정성, 압박력을 가능하게 하여 높은 순환 촉진효과가 얻어진다. 순환 촉진효과의 관점으로부터 보면, 발뒤꿈치측의 복사뼈부 주위의 기단부에 있어서 착압이 15mmHg 이상인 높은 고정성, 압박력의 실현에 의해, 높은 순환 촉진이 얻어지지만, 착용자의 착용 부위(환부)의 상태에 따라서는, 높은 착압에 의해, 예를 들면, 피부의 손상, 피부 열상, 스킨·티어(Skin Tear)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3mmHg∼70mmHg의 범위 내이면,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효과에 더하여, 피부의 손상, 피부 열상, 스킨·티어(Skin Tear)를 초래할 우려가 적고, 순환 촉진효과가 얻어진다. 바람직하게는, 15mmHg∼50mmHg의 범위 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20mmHg∼45mmHg의 범위 내이면, 착용감도 양호하고, 보다 높은 순환 촉진효과가 얻어지고, 발 관절 둘레, 특히, 림프액이 고이기 쉬운 복사뼈부나 발목 배면의 부종에 대한 경감효과도 높아진다.
청구항 14 발명의 원통형 붕대는, 상기 인체의 발 관절 둘레에 착용했을 때, 발뒤꿈치측의 복사뼈부 주위의 기단부와 발등부의 착압 차가 40% 이하인 것이다.
본 발명의 원통형 붕대에 의하면, 상기 인체의 발 관절 둘레에서 니트의 주름의 발생이나 옥죔(땅김)을 억제하여 니트를 밀착시켜, 고정시킬 수 있음으로써, 종래 착압이 가해지기 어려운 복사뼈 주위, 특히 발뒤꿈치측의 복사뼈부 주위의 기단부에 있어서도, 착압이 15mmHg 이상인 높은 고정성, 압박력을 가능하게 하고, 발등측과의 착압 차를 40% 이하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뒤꿈치측의 복사뼈부 주위의 기단부와 발등부의 착압 차가 40% 이하이며, 림프액이 고이기 쉬운 복사뼈부 주위에 있어서도 높은 착압이 가해지고, 발 관절 둘레에 있어서 착압 분포가 안정되고 착압의 집중이 방지되어 균일한 착압 분포로 됨으로써,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효과에 더하여, 하지에 있어서 높은 순환 촉진효과가 얻어지고, 발 관절 둘레, 특히, 림프액이 고이기 쉬운 복사뼈부나 발목 배면의 부종에 대한 경감효과도 높아진다. 바람직하게는, 발뒤꿈치측의 복사뼈부 주위의 기단부와 발등부의 착압 차가 3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면, 착압의 안정성이 높고, 보다 높은 순환 촉진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의 (a)∼(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계된 원통형 붕대의 형상을 결정하는 인체의 치수측정(採寸)을 행하는 치수측정 리스트의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계된 원통형 붕대를, 착용시에 발등측 및 다리의 정강이측인 쪽을 정면측으로 하고, 그 반대측 발의 장딴지 측을 배면측으로 했을 때, 그 좌우 측면측을 대향시켜 겹쳐접기로 한 절첩 상태로 하여 측면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계된 원통형 붕대의 도 2의 (A)에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도이며, 도 3의 (a)는 실시물의 사진, 도 3의 (b)는 도 2의 (A)에 나타내는 주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계된 원통형 붕대의 도 2의 (B)에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며, 도 4의 (a)는, 외부로부터 힘을 가하지 않고 원통형 붕대의 외면측(표면측)과 내면측(이면측)의 뜨개질 상태를 나타낸 실시물의 사진, 도 4의 (b)는, 외부로부터 소정의 힘을 가해 웨일 방향(둘레 방향)으로 잡아늘인 상태에서, 원통형 붕대의 외면측(표면측)과 내면측(이면측)의 뜨개질 상태를 나타낸 실시물의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계된 원통형 붕대의 도 2의 (C)에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며, 도 5의 (a)는, 외부로부터 힘을 가하지 않고 원통형 붕대의 외면측(표면측)과 내면측(이면측)의 뜨개질 상태를 나타낸 실시물의 사진, 도 5의 (b)는, 외부로부터 소정의 힘을 가해 웨일 방향(둘레 방향)으로 잡아늘인 상태에서, 원통형 붕대의 외면측(표면측)과 내면측(이면측)의 뜨개질 상태를 나타낸 실시물의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계된 원통형 붕대를, 착용시에 발등측 및 다리의 정강이측인 쪽을 정면측으로 하고, 그 반대측 발의 장딴지 측을 배면측으로 했을 때, 정면측과 배면측을 대향시켜 겹쳐접기로 한 절첩 상태로 하여 정면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계된 원통형 붕대를, 착용시에 발등측 및 다리의 정강이측인 쪽을 정면측으로 하고, 그 반대측 발의 장딴지 측을 배면측으로 했을 때, 정면측과 배면측을 대향시켜 겹쳐접기로 한 절첩 상태로 하여 배면측으로부터 본 평면도(배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계된 원통형 붕대의 도 7의 (D)에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도이며, 도 8의 (a)는 실시물의 사진, 도 8의 (b)는 도 7의 (C)에 나타내는 주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계된 원통형 붕대를 구성하는 제1 원통형 니트 및 제2 원통형 니트(20)의 요철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계된 원통형 붕대를 구성하는 제1 원통형 니트 및 제2 원통형 니트의 뜨개질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며, 도 10의 (a)는 뜨개질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니트의 주요부 확대도이며, 도 10의 (b)는 뜨개질 코스를 나타내는 뜨개질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형태의 원통형 붕대의 실시예에 관계된 제1 원통형 니트 및 제2 원통형 니트의 뜨개질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뜨개질 코스를 나타내는 뜨개질 모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계된 원통형 붕대의 접속 니트의 개략적인 뜨개질 기본 동작을 나타내는 뜨개질 코스도이다.
도 13의 (a)∼(f)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계된 원통형 붕대를 구성하는 제1 원통형 니트 및 제2 원통형 니트의 뜨개질 구조의 다른 뜨개질 코스예를 나타내는 뜨개질 모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계된 원통형 붕대를 인체의 발본에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며, 도 14의 (a)는 발부의 발등측 및 측면측으로부터 본 실시물의 사진이며, 도 14의 (b)는 발부의 뒤꿈치측으로부터 본 실시물의 사진이다.
도 15는, 착압의 측정 부위인 측정점 e(발뒤꿈치측의 안복사뼈(내과) 주위의 기단부)를 인체의 발본에 있어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6은, 착압의 측정 부위인 측정점 f(발뒤꿈치측의 바깥복사뼈 주위의 기단부)를 인체의 발본에 있어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7은, 착압의 측정 부위인 측정점 g(발등부)를 인체의 발본에 있어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8은, 착압의 측정 부위인 측정점 h(발의 발목 하단 측면부)를 인체의 발본에 있어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9는, 착압의 측정 부위인 측정점 i(발의 장딴지부)를 인체의 발본에 있어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시하는 동일 기호 및 동일 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하는 기능 부분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그 중복되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형태]
우선,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계된 원통형 붕대의 구성에 대해서, 주로, 도 1∼도 9,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원통형 붕대의 착용 대상을 인체의 하지(다리부 및 발부)로 한 사례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원통형 붕대(1)는, 길이방향의 양단이 개구된 원통형 니트이며, 인체의 하지의 길이방향으로 착용하는 하지용 지지대(롱 지지대)로서, 착용에 의해 발끝(爪先)을 제외한 발부로부터 다리부의 대퇴부까지를 덮는 것이다. 원통형 붕대(1)로서의 하지용 지지대는, 양다리를 한쌍으로 해서 이용되는 일도 있고, 오른쪽다리 또는 왼쪽다리의 어느 한쪽에만 착용되는 경우도 있으며, 오른쪽다리, 왼쪽다리 구별없이 사용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의 원통형 붕대(1)는, 인체의 다리부측을 덮는 제1 원통형 니트(10)와, 제1 원통형 니트(10)에 연속하고 인체의 발부측을 덮는 제2 원통형 니트(20)와, 인체의 발부의 뒤꿈치 형상에 대응하여 제1 원통형 니트(10)와 제2 원통형 니트(20) 사이를 연결하여 인체의 발부의 뒤꿈치부측을 덮는 접속 니트(30)를 가진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원통형 붕대(1)의 제1 원통형 니트(10) 및 그것에 연속하는 제2 원통형 니트(20)는, 인체에 착용되는 길이방향의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와,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에 대한 수직 단면의 길이의 인체 주위길이 정보(m1, m2, m3, …)를 이용하여 뜨개질된다.
여기서,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의 위치는, 예를 들면, 하기의 표 1 및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치수측정하는 치수의 위치로서 결정되어 있다. 따라서, 용도(예를 들면, 림프 부종 또는 하지 정맥류 등의 치료·예방용 등)에 의해, 또는, 원통형 붕대(1)의 종류(지지대, 슬리브, 스타킹, 장갑, 내의 등)나 외부로부터 압박력을 가하는 팔부, 다리부, 머리부, 발부, 손부, 손목부 등의 원통형 붕대(1)의 착용 부위에 따라서, 치수측정하는 위치가 결정되며, 그 위치의 둘레를 측정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의 위치를 특정하고, 특정된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의 위치에 있어서의 수직 단면의 길이의 치수를 측정한다. 인체의 길이방향의 위치, 즉,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와 위치가 변화하면, 그것에 대응하여 인체 주위길이 정보(m1, m2, m3, …)가 다리 또는 팔 등의 굵기의 주위길이로서 대응한다.
또한, 통상,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는, 신체의 형상의 변화가 있는 부분, 또는 그 전후에 측정점이 설정된다.
착용 대상을 발끝을 제외한 발부로부터 다리부의 대퇴부로 하는 본 실시형태의 원통형 붕대(1)(하지용 지지대)에 있어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리부의 대퇴부 죽지(base)에 가까운 위치(L1)로부터 발부의 새끼발가락(소지) 죽지 위치(L10)까지의 치수측정을 행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원통형 붕대(1)의 착용 대상을 인체의 다리부 및 발부의 일부로 해서 그것의 치수측정을 행한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 L9, L10)의 관계(측정점)를 나타낸 것이다.
 또, 표 1은, 본 실시형태의 제1 원통형 니트(10) 및 제2 원통형 니트(20)의 뜨개질에 이용한 실시물로서, 인체의 다리길이(가랑이 아래 길이(股下) 치수) 및 발끝(발가락부)을 제외한 발길이로서의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 L9, L10)의 위치에 대한 수직 단면의 길이의 인체 주위길이 정보(m1, m2, m3, …m9, m10)의 관계의 측정값이다. 단, 표 1의 수치는 인체의 단면의 주위길이의 측정값이며, 신장(elasticity)과 직접적으로는 관계가 없다.
[표 1]
Figure pct00001
 
만약을 위해, 표 1의 실시물의 수치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체의 둔부(히프부)의 불룩함이 끝나는 위치 a점으로부터 5㎝ 아래의 위치(L1)의 단면(둘레)의 주위길이인 인체 주위길이 정보(m1), 즉, 인체 위치 정보(L1)에 대한 수직 단면 길이의 인체 주위길이 정보(m1)가 52㎝인 것을 나타낸다.
또, 위치 a점과 무릎의 굴곡부의 위치(L3)와의 중간 위치(L2)의 단면의 주위길이인 인체 주위길이 정보(m2), 즉, 인체 위치 정보(L2)에 대한 수직 단면 길이의 인체 주위길이 정보(m2)가 47㎝인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무릎의 굴곡부의 위치(L3)의 단면의 주위길이인 인체 주위길이 정보(m3), 즉, 인체 위치 정보(L3)에 대한 수직 단면 길이의 인체 주위길이 정보(m3)가 36㎝인 것을 나타낸다.
비골두(fibular head)의 위치(L4)의 단면의 주위길이인 인체 주위길이 정보(m4), 즉, 인체 위치 정보(L4)에 대한 수직 단면 길이의 인체 주위길이 정보(m4)가 34㎝인 것을 나타낸다.
장딴지의 제일 굵은 위치(L5)의 단면의 주위길이인 인체 주위길이 정보(m5), 즉, 인체 위치 정보(L5)에 대한 수직 단면 길이의 인체 주위길이 정보(m5)가 35㎝인 것을 나타낸다.
장딴지의 시작 위치(L6)의 단면의 주위길이인 인체 주위길이 정보(m6), 즉, 인체 위치 정보(L6)에 대한 수직 단면 길이의 인체 주위길이 정보(m6)가 28㎝인 것을 나타낸다.
발목의 제일 가는 위치(L7)의 단면의 주위길이인 인체 주위길이 정보(m7), 즉, 인체 위치 정보(L7)에 대한 수직 단면 길이의 인체 주위길이 정보(m7)가 22㎝인 것을 나타낸다.
발등으로부터 뒤꿈치 위치(L8)의 단면의 주위길이인 인체 주위길이 정보(m8), 즉, 인체 위치 정보(L8)에 대한 수직 단면 길이의 인체 주위길이 정보(m8)가 30㎝인 것을 나타낸다.
족저궁 위치(L9)의 단면의 주위길이인 인체 주위길이 정보(m9), 즉, 인체 위치 정보(L9)에 대한 수직 단면 길이의 인체 주위길이 정보(m9)가 22㎝인 것을 나타낸다.
새끼발가락(소지) 죽지 위치(L10)를 통과하는 단면의 주위길이인 인체 주위길이 정보(m10), 즉, 인체 위치 정보(L10)에 대한 수직 단면의 길이의 인체 주위길이 정보(m10)가 22㎝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표 1의 실시물의 수치는, 하지의 림프 부종 환자의 치수측정 데이터이다. mm 단위의 치수 정보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해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와, 실이 가로 방향으로 연속하는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 이하 『웨일측』의 1유닛 길이를 결정하는 인체 주위길이 정보(m1, m2, m3, …)의 관계를 취득하고 있다. 여기서, 니트의 세로 방향으로 늘어선 루프행을 코스측, 가로 방향으로 늘어선 루프열을 웨일측이라고 부른다. 즉, 코스측, 웨일측이란, 뜨개코를 세로 방향(X-Y축의 Y축 방향)으로 센 경우를 코스, 코스 방향에 직각인 방향의 가로 방향(X-Y축의 X축 방향)이 웨일(게이지) 침수(針數)이며, 니트의 세로 방향(y방향)으로 늘어선 루프행, 즉, 실이 루프모양(고리모양)으로 짜여지는 세로 방향의 뜨개코를 코스로 하고, 니트의 가로 방향(x방향)으로 늘어선 루프의 열, 즉, 실이 가로 방향으로 연속하는 뜨개코를 웨일로 하여 구별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원통형 붕대(1)는, 제1 원통형 니트(10) 및 제2 원통형 니트(20)에 있어서 모두,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에 대한 수직 단면에 있어서의 주위길이의 인체 주위길이 정보(m1, m2, m3, …)를 이용하여,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 등의 위치(인체의 부위)에 대응한 소정의 영률(young's modulus)로 되도록 계산한 계산 결과에 의해 웨일측의 뜨개코의 열의 코수(루프수, 침수=바늘코의 수)를 산출하여, 그것에 근사하는 코수로 설정된다.
즉,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에 대한 수직 단면에 있어서의 주위길이의 인체 주위길이 정보(m1, m2, m3, …)의 각 인체 주위길이 정보끼리의 사이의 둘레길이 변화(둘레길이 차)가 웨일측의 뜨개코의 열의 코수의 차로서 표현된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는, 착용 부위, 용도 등에 의해 결정되면, 당해 위치에서 수직 단면에 있어서의 주위길이의 인체 주위길이 정보(m1, m2, m3, …)를, 제1 원통형 니트(10) 및 제2 원통형 니트(20)에 있어서의 웨일측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의 길이를 설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측정한다.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와 인체 주위길이 정보(m1, m2, m3, …)는, 의료 기관 등으로부터 제공되는 경우도 있고, 최초에, 인체 주위길이 정보(m1, m2, m3, …)는, 인체의 각 부의 치수(cm, mm) 정보이며, 착용 대상인 인체 일부의 길이방향의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와, 그것에 대한 수직 단면에 있어서의 주위길이의 인체 주위길이 정보(m1, m2, m3, …)를 이용하여 원통형 붕대(1)가 치수측정된다.
즉, 인체의 길이방향의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에 대한 수직 단면의 인체 주위길이 정보(m1, m2, m3, …)는 인체의 원래치수로서 치수측정되지만, 이 상태에서는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에 대한 수직 단면의 주위의 길이를 의미하는 것이다.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는, 원통형 붕대(1)의 위치에 대한 기준이며, 인체 주위길이 정보(m1, m2, m3, …)가 앞으로 설정하려고 하는 웨일측의 뜨개코의 열의 뜨개코수를 산출하는 기준으로 하는 주위길이 정보이며, 이 사이에 정보의 가공은 하고 있지 않다.
그리고, 인체 주위길이 정보(m1, m2, m3, …)를 얻은 후, 그 정보로부터,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의 위치에 대응한 소정의 영률로 되도록 계산한 계산 결과에 의해 코수를 산출한다. 이 계산 결과는 코수를 산출하지만, 그 코수 이하의 단위는 사사오입해도 좋으며, 잘라 버려도, 잘라 올려도 좋다. 이 잘라 버림, 잘라 올림, 사사오입의 선택은, 편사의 물성 및 원통형 붕대(1)의 용도의 특성 등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의 위치에 대응한 소정의 영률은, 사용하는 실의 물성, 뜨개질 방법, 루프의 지름(도목) 등을 고려하여 설정된다..
그리고,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의 위치에 의해 영률을 결정하고, 인체 주위길이 정보(m1, m2, m3, …)에 기초하여 계산한 계산 결과에 의해 산출된 코수에 근사하는 바늘코의 수로 웨일측의 1고리모양(루프)의 뜨개코의 열이 설정된다.
또한, 영률(E)은, 예를 들면, 웨일측의 뜨개코의 단면적(실의 물성)을 S,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단면적(실의 물성) S에 가해지는 힘을 F, 원래의 길이 P가 ΔP 신장했을 때,
E=(F/S)/(ΔP/P)
로 나타내진다.
여기서, 웨일측의 뜨개코의 단면적 S는 실의 물성, 짜는법 등으로 결정되며, 또, 웨일측의 뜨개코의 단면적(방적사의 물성) S에 가해지는 힘 F는,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의 위치에 따라서 설정된다. 웨일측의 뜨개코의 단면적(방적사의 물성) S에 가해지는 힘 F를, 항상 어느 쪽의 장소에서나 일정 값으로 하고 싶은 경우에는 F/S는 고정값으로 되고 정수로 된다. 이 경우,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 상호의 유닛 사이에서 영률을 일정하게 하여 인체의 길이방향의 특정 부위에만 외력이 가해지는 일이 없고, 착용시에 길이방향에서 균일한 압박력을 받아 위화감이 생기지 않는다. 한편, 웨일측의 뜨개코의 단면적(방적사의 물성) S에 가해지는 힘 F를,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의 위치 변화에 따라서 변화시켜도 좋고, 부위에 따라서 외력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착용시에 발목측으로부터 대퇴부측을 향해 서서히 압박력, 착압을 저하시키는 설계에 의해, 순환 촉진효과를 증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하여, 영률을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의 위치에 대응한 소정값으로 하여, 인체 주위길이 정보(m1, m2, m3, …)의 단면 변화(주위길이 변화)에 따라서 웨일측의 뜨개코수를 산출할 수 있으며, 인체 일부의 길이방향의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에 대한 수직 단면의 인체 주위길이 정보(m1, m2, m3, …)로부터 산출한 웨일측은, 코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된다. 즉,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의 위치에 대응한 소정의 영률로 되도록 계산한 웨일측의 뜨개코의 열의 코수가 설정되고, 인체 주위길이 정보(m1, m2, m3, …)가 이 시점에서 웨일측의 코수로서 치환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원통형 붕대(1)의 제1 원통형 니트(10)와 제2 원통형 니트(20)에 있어서는, 착용 대상인 인체 일부의 길이방향의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와, 그에 대한 수직 단면의 주위길이의 인체 주위길이 정보(m1, m2, m3, …)를 이용하여 뜨개질되고, 웨일측의 고리모양 뜨개코의 열이, 인체 주위길이 정보(m1, m2, m3, …)로부터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의 위치에 대응한 소정의 영률로 되도록 계산한 계산 결과로 되도록 근사하는 코수로 설정되어 뜨개질된다. 즉, 인체 주위길이 정보(m1, m2, m3, …)의 변화는, 뜨개코의 코수로서 표현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리길이 및 발길이로서의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와 위치가 변화하면, 인체 주위길이 정보(m1, m2, m3, …)가 변화하지만, 제1 원통형 니트(10)와 제2 원통형 니트(20)에 있어서, 인체에 착용되는 부위의 단면 변화에 수반하여 코수의 변화로 대응한다. 다시 말해, 인체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코수의 가변에 의해 고리모양의 길이(웨일측의 길이)가 변화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형태의 원통형 붕대(1)의 제1 원통형 니트(10)와 제2 원통형 니트(20)에서는,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에 대응한 인체 주위길이 정보(m1, m2, m3, …)에 기초하여,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의 위치에 대응한 소정의 영률로 되도록 계산한 계산 결과에 근사하는 코수에 의해 웨일측의 고리모양의 코수를 특정하고, 코수, 뜨개폭을 변경시켜 전체길이의 형상을 결정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원통형 붕대(1)에 있어서는, 코수의 변화에 의해 주위길이를 변화시킴으로써, 압박력의 조절도 가능하고, 길이방향으로 착용 부위의 인체의 단면이 변화해도 소정의 압박을 가능하게 하고,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의 위치나 인체의 단면 변화에 따라서 원하는 압박력의 조절이 용이하다.
또한, 압박력은, 코수의 변화에 의해 조절 가능한 것 외에, 루프의 지름(도목), 짜는법, 실의 물성 등의 조절(영률의 설정)에 의해 변화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길이방향에서 압박력을 일정하게 해도 좋으며, 압박력을 변화시켜도 좋다.
또, 실을 루프모양으로 짠 코스측의 뜨개코수는, 실의 물성값, 짜는법, 도목 등에 의해,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의 상호간의 길이에 기초하여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발등과 뒤꿈치 주위의 인체 주위길이 정보(m8)로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체의 다리부와 발부의 경계가 되는 발목 영역에서는 뒤꿈치나 복사뼈에 의해 단면 주위의 변화가 크고, 특히, 정맥 순환 장해나 림프 부종 등의 환자에서는 국부적으로 발목 영역의 주위길이가 커지거나, 단면 주위의 변화가 커지거나 한다. 다시 말해, 다리부의 발목 위치의 인체 위치 정보(L7)에 대응한 인체 주위길이 정보(m7)로부터 발부의 족저궁 위치의 인체 위치 정보(L9)에 대응한 인체 주위길이 정보(m9)에 걸쳐서 단면의 주위길이의 변화가 커진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의 원통형 붕대(1)에서는, 제1 원통형 니트(10) 및 제2 원통형 니트(20)에 있어서, 코수의 변화에 의해 웨일측의 길이(주위길이)를 변화시키지만,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 L6, L7)에 대한 수직 단면의 주위길이의 인체 주위길이 정보(m1, m2, m3, …, m6, m7)로부터,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의 위치에 대응한 소정의 영률로 되도록 계산한 계산 결과에 근사하는 바늘코의 수를 웨일측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로서 설정하여 제1 원통형 니트(10)를 뜨개질하고, 또, 인체 위치 정보(L9, L10)에 대한 수직 단면의 주위길이의 인체 주위길이 정보(m9, m10)로부터,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의 위치에 대응한 소정의 영률로 되도록 계산한 계산 결과에 근사하는 바늘코의 수를 웨일측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로서 설정하여 제2 원통형 니트(20)를 뜨개질했다.
그리고, 그 사이의 제1 원통형 니트(10)와 제2 원통형 니트(20)가 연결되는 제1 원통형 니트(10)의 단부와 제2 원통형 니트(20)의 단부에 있어서, 제1 원통형 니트(10)의 최단부(하단부)의 웨일측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의 코수보다도, 제2 원통형 니트(20)의 단부(상단부)의 웨일측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의 코수를 늘려서, 제1 원통형 니트(10)의 최하단의 뜨개폭(l1)보다도, 이 제1 원통형 니트(10)의 하단에 연속되는 제2 원통형 니트(20)의 최상단의 뜨개폭(l2) 쪽을 크게 했다(도 12 참조).
다시 말해, 코수의 변화에 의해, 제1 원통형 니트(10)의 하단의 웨일측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로 형성되는 고리모양 지름(주위길이)보다도, 이 제1 원통형 니트(10)의 하단으로부터 연속되는 제2 원통형 니트(20)의 상단의 웨일측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로 형성되는 고리모양 지름(주위길이) 쪽을 크게 하고, 큰 지름으로 했다(도 12 참조).
또, 제1 원통형 니트(10)의 최단부(하단부)의 웨일측의 고리모양 뜨개코의 열의 일부와, 제1 원통형 니트(10)의 최단부(하단부)보다도 큰 지름인 제2 원통형 니트(20)의 최단부(상단부)의 웨일측의 고리모양 뜨개코의 열의 일부 사이에서, 실을 루프모양으로 짜는 코스측의 코수를 증대시켜 접속 니트(30)를 형성하고, 제1 원통형 니트(10)의 최단부(하단부)의 웨일측의 고리모양의 일부와, 그것보다도 큰 지름인 제2 원통형 니트(20)의 최단부(상단부)의 웨일측의 고리모양의 일부를 접속 니트(30)로 연결했다.
덧붙여서, 다리부와 발부의 경계가 되는 발목 영역의 코스측의 연결에 있어서, 제1 원통형 니트(10)로부터 제2 원통형 니트(20)에 걸친 접속을 웨일측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의 코수의 증대를 한 번에 많게 하여 급격한 각도로 연결한 경우, 다시 말해, 짧은 코스폭으로 코수를 증대시킨 경우, 인체의 다리부 및 발부의 착용 대상에 착용했을 때 발목 배면측에 단차에 의한 들뜸이 생기거나 뒤꿈치의 굴곡부에서 무리한 장력이 생기거나 하고, 인체의 발부의 복사뼈 부분의 요철의 오목 부분에 대해서도 니트가 들뜨는 일없이 접촉, 밀착시켜 적절한 압박력을 가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한편, 웨일측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의 코수의 증대를 서서히 행하여 완만한 경사로 해도, 그 사이의 코스폭이 길어지고, 착용했을 때 발 관절 둘레에 있어서 적절한 통지름(筒徑)으로 되지 않음으로써, 일그러짐이나 주름이 생기거나, 주름의 침투에 의한 착압 집중이 생기거나 한다.
이것에 대해, 본 실시형태의 원통형 붕대(1)에 있어서는, 제1 원통형 니트(10)의 일부에 대해서 직접 제2 원통형 니트(20)의 일부를 연속하여 형성하고, 제1 원통형 니트(10)의 최단부(하단부)의 웨일측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의 일부에 제2 원통형 니트(20)의 최단부(상단부)의 웨일측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의 일부를 연결한 한편, 나머지의 제1 원통형 니트(10)의 최단부(하단부)의 웨일측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의 일부와 제2 원통형 니트(20)의 웨일측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의 일부를 접속 니트(30)로 연결하고, 제1 원통형 니트(10)의 하단의 웨일측의 고리모양 지름(주위길이)과 제2 원통형 니트(20)의 상단의 웨일측의 고리모양 지름(주위길이)과의 차이를 접속 니트(30)로 흡수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발목 배면측에 들뜸이 생기거나 뒤꿈치의 굴곡부에서 긴장이 생기거나 하는 것이 방지되며, 또, 주름이나 느슨해짐이 방지되어, 발 관절 둘레에의 고정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발등과 뒤꿈치 주위의 인체 주위길이 정보(m8)를 이용하여, 인체 위치 정보(L8, L9, L10)에 대한 수직 단면의 주위길이의 인체 주위길이 정보(m8, m9, m10)로부터, 인체 위치 정보(L8, L9, L10, …)의 위치에 대응한 소정의 영률로 되도록 계산한 계산 결과에 근사하는 바늘코의 수를 웨일측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로서 설정하여 제2 원통형 니트(20)를 뜨개질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1 원통형 니트(10)의 인체 주위길이 정보(m7)에 대응하는 유닛의 웨일측의 고리모양 뜨개코의 열의 일부와 제2 원통형 니트(20)의 인체 주위길이 정보(m8)에 대응하는 유닛의 웨일측의 고리모양 뜨개코의 열의 일부가 접속 니트(30)로 연결된다. 이것에 의해도, 웨일측의 고리모양 뜨개코의 열의 뜨개코수 인체 주위길이 정보(m8, m9, m10)로부터 인체 위치 정보(L8, L9, L10, …)의 위치에 대응한 소정의 영률로 되도록 계산한 계산 결과에 근사하는 코수로 설정됨으로써, 제1 원통형 니트(10)의 인체 주위길이 정보(m7)에 대응시킨 유닛 단부의 웨일측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과 제2 원통형 니트(20)의 인체 주위길이 정보(m8)에 대응시킨 유닛 단부의 웨일측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에서는 코수가 다르고, 다리부와 발부의 경계가 되는 발목 영역의 인체 위치 정보(L7)에 대응한 사람 주위길이 정보(m7)로부터 인체 위치 정보(L8)에 대응한 인체 주위길이 정보(m8)에 걸쳐서 코수 증대하게 된다. 다시 말해, 제1 원통형 니트(10)의 최하단의 뜨개폭(l1)보다도, 이 제1 원통형 니트(10)의 하단에 연속되는 제2 원통형 니트(20)의 최상단의 뜨개폭(l2) 쪽이 크고, 제1 원통형 니트(10)의 하단의 웨일측의 고리모양 지름(주위길이)보다도, 이 제1 원통형 니트(10)의 하단에 연속되는 제2 원통형 니트(20)의 상단의 웨일측의 고리모양 지름(주위길이) 쪽이 큰 지름으로 뜨개질되게 된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형태의 제1 원통형 니트(10) 및 제2 원통형 니트(20)에서는,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 L9, L10)에 대한 인체 주위길이 정보(m1, m2, m3, …m9, m10)의 변화가 뜨개코수의 가변에 의해 표현된다.
그리고,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 L6, L7)와 그에 대한 인체 주위길이 정보(m1, m2, m3, …, m6, m7)를 이용하여 뜨개질되는 제1 원통형 니트(10)는 주로 다리부측에 착용되게 되고, 인체의 다리의 길이방향의 대퇴부측으로부터 발목측을 향해 차례로 인체 주위길이 정보(m1, m2, m3, …, m6, m7)의 수치가 감소하는 경우에는, 그것에 수반하여 뜨개코수 감소된다. 이때,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 L6, L7)의 상호간에서는, 뜨개코수의 차이가 단계적으로 서서히 축소되도록 설정되어, 뜨개질된다. 이것에 의해 안정된 착압이 얻어지고, 착용감도 좋다.
한편, 인체 위치 정보((L8,) L9, L10)와 그것에 대한 인체 주위길이 정보((m8,) m9, m10)를 이용하여 뜨개질되는 제2 원통형 니트(20)는 주로 발부측에 착용되게 되고, 인체의 발의 길이방향의 발목으로부터 발끝측을 향해 순서대로 인체 주위길이 정보((m8,) m9, m10)의 수치가 작아지는 경우에는, 그것에 수반하여 뜨개코수 감소된다. 이때, 인체 위치 정보(L8, L9, L10)의 상호간에서는, 뜨개코수의 차이가 단계적으로 서서히 축소되도록 설정되어, 뜨개질된다. 이것에 의해 안정된 착압이 얻어지고, 착용감도 좋다.
또한, 원통형 붕대(1)의 상하 방향(길이방향)의 단부의 개구측에서는 인접하는 유닛의 영향이 적고, 삽착(揷着) 및 탈착(脫着)에 의한 저항을 받기 쉬운 것으로 인해, 사용에 의한 피로(fatigue) 등의 탄성 저하를 고려하여 코수를 결정하는 경우도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원통형 붕대(1)에서는, 제1 원통형 니트(10)와 제2 원통형 니트(20) 사이에서, 실을 루프모양으로 짜는 코스측의 코수를 증대시켜 접속 니트(30)가 뜨개질된다. 그리고, 접속 니트(30)는, 제1 원통형 니트(10)의 최단부(하단부)의 웨일측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의 주위길이의 40% 이하에 대해서, 또, 제2 원통형 니트(20)의 최단부(상단부)의 웨일측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의 주위길이의 40% 이하에 대해서 연결된다. 이때, 제1 원통형 니트(10)의 최단부(하단부)의 웨일측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에 연결되는 접속 니트(30)의 접속 거리보다도, 제2 원통형 니트(20)의 최단부(상단부)의 웨일측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에 연결되는 접속 니트(30)의 접속 거리 쪽이 커진다.
바람직하게는, 제1 원통형 니트(10)의 최단부(하단부)의 웨일측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의 뜨개폭의 일부를 사용한 10% 이상, 40% 이하의 범위 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40% 이하의 범위 내에 대해서, 또, 제2 원통형 니트(20)의 최단부(상단부)의 웨일측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의 뜨개폭의 일부를 사용한 10% 이상, 40% 이하의 범위 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40% 이하의 범위 내에 대해서 접속 니트(30)를 연결하고, 제1 원통형 니트(10)와 제2 원통형 니트(20) 사이에 접속 니트(30)를 개재시켜, 접속 니트(30)에 의해 제1 원통형 니트(10)와 제2 원통형 니트(20) 사이에 일정 각도를 부여한다.
그리고, 원통형 붕대(1)의 착용시에 있어서 인체의 배측으로부터 본 방향을 정면, 인체의 등 측으로부터 본 방향을 배면으로 하고, 그 정면 및 배면에 대한 인체의 측면측으로부터 본 방향을 측면으로 했을 때, 본 실시형태의 원통형 붕대(1)는, 왼쪽 측면과 오른쪽 측면의 니트가 대칭 형상이며, 정면시(도 6) 또는 배면시(도 7)에서 좌우 대칭으로 되어 있지만,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면측의 좌우 대칭선(d1)(도 6의 정면시에서는 중심선(d1)으로서 나타난다) 및 배면측의 좌우 대칭선(d2)(도 7의 배면시에서는 중심선(d2)로서 나타난다)으로 웨일측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로 형성되는 고리모양의 주위길이가 절반이 되도록 고리모양의 내면을 상대측의 내면에 접촉하는 겹쳐접기로 하여 절첩했을 때, 제1 원통형 니트(10)와 제2 원통형 니트(20)와 접속 니트(30)와의 경계부(P)로부터 정면측의 좌우 대칭선(d1)으로 향하는 가상 수선(c1)(도 3에 있어서 경계부(P)로부터 제1 원통형 니트(10)와 제2 원통형 니트(20)의 외형 단가장자리(端緣)로 향하는 수선(c1))의 거리폭(a)과, 경계부(P)로부터 배면측의 좌우 대칭선(d2)으로 향하는 가상 수선(c2)(도 3에 있어서 경계부(P)로부터 접속 니트(30)의 외형 단가장자리로 향하는 수선(c2))의 거리폭(b)의 비가, 6:4≤a:b≤9:1의 범위 내로 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 거리폭의 관계는, 외부로부터 힘을 가하지 않는 상태에서의 거리폭의 측정이다. 또, 이때의 가상 수선(c1, c2)은 제1 원통형 니트(10)의 길이방향을 수직으로 했을 때의 이 수직 방향에 직각인 것으로 된다.
다른 각도로부터 보아, 도 7 및 도 8의 배면시에 있어서, 상기 좌우 대칭선(d2)을 중심선으로 하여 웨일측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로 형성되는 고리모양의 주위길이가 절반이 되도록 고리모양의 내면을 상대측의 내면에 접촉하는 겹쳐접기로 한 절첩한 상태에서는, 제1 원통형 니트(10)와 제2 원통형 니트(20)와 접속 니트(30)의 양측의 경계부(P1)와 경계부(P2)를 잇는 가상선의 거리폭을 (w1)로 하고, 또, 그 가상선을 제1 원통형 니트(10)와 제2 원통형 니트(20)의 외형 단가장자리까지 똑바로 연장시켰을 때의 가상선의 거리폭을 (w2)로 했을 때, 거리폭(w2)과 거리폭(w1)의 관계가, 거리폭(w2) 100%에 대해서, 거리폭(w1)이 10%∼90%의 범위 내, 바람직하게는, 20∼80%의 범위 내,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30∼70%의 범위 내로 된다. 또한, 이 거리폭 관계도, 외부로부터 힘을 가하지 않는 상태에서의 거리폭의 측정이다.
즉, 웨일측의 고리모양의 주위길이를 절반으로 하는 좌우 대칭선(d1, d2)을 중심선으로 하여 고리모양의 내면을 상대측의 내면에 접촉하는 겹쳐접기로 한 절첩한 상태에서, 제1 원통형 니트(10)와 제2 원통형 니트(20)와 접속 니트(30)와의 경계부(P1), 경계부(P2)끼리를 잇는 가상선을 똑바로 연장시켰을 때의 제1 원통형 니트(10) 및 제2 원통형 니트(20)의 바깥가장자리(外緣) 사이의 거리폭(w2)을 100%로 했을 때, 제1 원통형 니트(10)와 제2 원통형 니트(20)와 접속 니트(30)와의 경계부(P1), 경계부(P2)끼리의 거리폭(w1)은 10%∼90%의 범위 내, 바람직하게는, 20∼80%의 범위 내,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30%∼70%의 범위 내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원통형 붕대(1)에 있어서는, 제1 원통형 니트(10)의 최단부(하단부)의 웨일측의 고리모양의 주위길이의 40% 이하, 또, 제2 원통형 니트(20)의 최단부(상단부)의 웨일측의 고리모양의 주위길이의 40% 이하에 대해서, 제1 원통형 니트(10)와 제2 원통형 니트(20) 사이에서, 실을 루프모양으로 짜는 코스측의 코수를 증대시켜 접속 니트(30)로 연결하고, 정면측의 좌우 대칭선(d1) 및 배면측의 좌우 대칭선(d2)을 따라 웨일측의 고리모양의 주위길이가 절반이 되도록 고리모양의 내면을 상대측의 내면에 접촉하는 겹쳐접기로 한 절첩한 상태에서, 제1 원통형 니트(10)와 제2 원통형 니트(20)와 접속 니트(30)와의 경계부(P)로부터 정면측의 좌우 대칭선(d1)으로 향하는 가상 수선(c1)의 거리폭(a)과, 경계부(P)로부터 배면측의 좌우 대칭선(d2)으로 향하는 가상 수선(c2)의 거리폭(b)의 관계를, 6:4≤a:b≤9:1의 범위 내(a/b가 6/4∼9/1의 범위 내)로 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제1 원통형 니트(10)와 제2 원통형 니트(20) 사이에서 코스측의 코수를 증대시켜 접속 니트(30)를 형성하고, 제1 원통형 니트(10)의 최단부(하단부)의 웨일측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로 형성되는 고리모양의 주위길이의 40% 이하, 또, 제2 원통형 니트(20)의 최단부(상단부)의 웨일측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로 형성되는 고리모양의 주위길이의 40% 이하에서 접속 니트(30)를 연결하는 것에 의해, 원통형 붕대(1)에 있어서 접속 니트(30)에서 곡률을 갖게 하여 뒤꿈치에 대응한 입체적인 뜨개질로 되고, 접속 니트(30)가 주위의 제1 원통형 니트(10) 및 제2 원통형 니트(20)보다도 곡률을 갖고 둥그스름함이 부여되며, 착용했을 때 뒤꿈치 형상에 고정한다. 또, 발 관절 둘레에 대해서 적절한 통지름으로 되어 느슨해짐이 생기기 어렵고, 또, 뒤꿈치측에서 옥죔에 의한 땅김이 방지됨으로써, 복사뼈 주위(특히 복사뼈 뒷부분)에서의 니트의 들뜸이 방지되고, 착압의 저하를 방지한다.
또, 인체의 뒤꿈치 형상에 대응시킨 접속 니트(30)를 경계로, 접속 니트(30)의 상측에 접속하고 착용시에 다리부측을 덮게 되는 제1 원통형 니트(10)의 접속 니트(30) 및 제2 원통형 니트(20)에 연결되는 최단부(하단부)의 웨일측의 고리모양 지름보다도, 접속 니트(30)의 하측에 접속하고 착용시에 발부측을 덮게 되는 제2 원통형 니트(20)의 접속 니트(30) 및 제1 원통형 니트(10)에 연결되는 최단부(상단부)의 웨일측의 고리모양 지름 쪽을 크게 하고 있음으로써, 뒤꿈치의 불룩한 형상에 대응하여, 뒤꿈치측에서 무리한 장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니트의 복사뼈 주위로의 밀착성을 높인다.
그리고, 접속 니트(30)의 제1 원통형 니트(10) 및 제2 원통형 니트(20)에의 접속 관계를, 좌우 대칭선(d1, d2)을 따라 웨일측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로 형성되는 고리모양의 주위길이가 절반이 되도록 고리모양의 내면을 상대측의 내면에 접촉하는 겹쳐접기로 한 절첩한 상태에서, 제1 원통형 니트(10)와 제2 원통형 니트(20)와 접속 니트(30)와의 경계부(P)로부터 정면측의 좌우 대칭선(d1)으로 향하는 가상 수선(c1)의 거리폭(a)과, 경계부(P)로부터 배면측의 좌우 대칭선(d2)으로 향하는 가상 수선(c2)의 거리폭(b)의 비가, 6:4≤a:b≤9:1의 범위 내로 하는 것에 의해, 제1 원통형 니트(10)와 제2 원통형 니트(20)와 접속 니트(30)의 경계부(P)가 정면측보다도 배면측에 위치하고, 도 14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착용시에 복사뼈 부근의 굴곡 형상을, 곡률을 가진 접속 니트(30)가 아니라, 소정의 영률로 한 제1 원통형 니트(10)와 제2 원통형 니트(20)로 덮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원통형 붕대(1)에 의하면, 착용시에 뒤꿈치측에서의 옥죔이나, 발등측에서의 느슨해짐이나 주름 발생이 억제되며, 또, 제1 원통형 니트(10)와 제2 원통형 니트(20)가 복사뼈 부근의 요철을 덮게 되기 때문에, 복사뼈 주위의 오목부에서의 니트의 들뜸이 방지되어, 복사뼈 부근의 굴곡부에 고정시켜 밀착하고, 발 관절 둘레의 착압 분포가 균일화되어, 안정된 착압이 얻어진다.
특히, 접속 니트(30)를 제1 원통형 니트(10)의 제2 원통형 니트(20)에 연결되는 최단부(하단부)의 뜨개폭(l1)의 일부인 10% 이상, 40% 이하에 대해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40% 이하의 범위 내, 또, 제2 원통형 니트(20)의 제1 원통형 니트(10)에 연결되는 최단부(상단부)의 뜨개폭(l2)의 일부의 10% 이상, 4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40% 이하의 범위 내에 대해서 연결하는 것에 의해, 착용시에 제1 원통형 니트(10)와 제2 원통형 니트(20)의 뒤꿈치측으로의 옥죔에 의한 긴장이 생기기 어렵고, 인체의 발의 복사뼈 부근의 굴곡부의 오목 부분에 대해서도 제1 원통형 니트(10) 및 제2 원통형 니트(20)의 들뜸이 적어 복사뼈부분의 굴곡 형상에의 고정성, 밀착성이 향상하며, 보다 안정된 착압이 얻어진다.
또, 후술하는 도 1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원통형 니트(10)와 제2 원통형 니트(20)를 접속하는 본 실시형태의 접속 니트(30)의 뜨개질에 있어서, 뜨개폭(되돌아가기(引返) 폭)의 증감을 행하거나, 되돌아가기 폭의 위치에 따른 변화를 시키거나 하는 것에 의해, 다시 말해, 실을 루프모양으로 짠 코스측의 코수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곡률의 변화를 보다 크게 하여, 뒤꿈치의 굴곡 형상을 따라 고정시킬 수 있고, 제1 원통형 니트(10) 및 제2 원통형 니트(20)의 뒤꿈치측으로의 옥죔이 적어진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원통형 붕대(1)는, 적어도 제1 원통형 니트(10) 및 제2 원통형 니트(20)의 베이스 조직을 리브짜기(고무짜기), 턱짜기 등에 의해, 예를 들면 베이스사(바탕사(地絲)(A)로 겉뜨기(表目)와 안뜨기(裏目)를 교호로 짜는 리브짜기에 의해 둘레 방향(웨일측)으로 요철을 교호로 연속시키고, 또, 길이방향(상하 방향, 코스측)에서 겉뜨기와 안뜨기를 각각 연속시켜 통일시킨 뜨개질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 제1 원통형 니트(10) 및 제2 원통형 니트(20)의 외면측 및 내면측, 즉, 표리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하는 오목부 및 볼록부가 교호로 병렬하고,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횡단면 형상이 둘레 방향으로 요철이 연속하는 요철모양(물결형상)을 보인다. 이때, 볼록모양으로 나타나는 뜨개코의 이면이 오목모양으로 나타나고, 오목모양으로 나타나는 뜨개코의 이면이 볼록모양으로 나타나게 된다. 다시 말해, 외면측에서 볼록모양으로 나타나는 뜨개코는 내측면에서 오목모양으로 나타나고, 또, 외면측에서 오목모양으로 나타나는 뜨개코는, 내면측에서 볼록모양으로 나타나게 된다.
여기서, 착용자의 착용 부위에 닿는 내면측에서 볼록모양으로 나타나고, 그의 이면인 외면측에서는 오목모양으로 나타나는 뜨개코를 내측 볼록부(41)로 하고, 또, 착용 부위에 닿는 내면측에서는 오목모양으로 나타나고, 그의 이면인 외면측에서는 볼록모양으로 나타나는 뜨개코를 외측 볼록부(42)로 했을 때, 내측 볼록부(41)와 외측 볼록부(42)는 서로 인접하여 둘레 방향(웨일측)으로 교호로 배치되어 있다. 다시 말해, 착용자의 피부에 닿는 내면측에 있어서는, 내측 볼록부(41)가 외측 볼록부(42)를 개재하여 둘레 방향(웨일측)으로 복수개가 병렬적으로, 또한, 길이방향(코스측)으로 연속하여 연장하여 배열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형태의 원통형 붕대(1)에 의하면, 착용자의 피부에 닿는 내면측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하고, 둘레 방향으로 복수열 병렬한 내측 볼록부(41)에 의해, 착용자의 피부에 강한 압박을 가능하게 하여, 고리모양으로 작용하는 둘레 방향의 압박력(고정 압력)을 변화시키고, 또한, 길이방향으로 압박력을 연속시키고 있음으로써, 다시 말해, 압박력의 분포에 있어서 고리모양으로 균형있게 강약이 부가되고, 또한, 상하 방향으로 흐르는 림프액, 정맥의 흐름을 따르는 형태로 길이방향으로 연속하고 있음으로써, 정맥, 림프액의 흐름을 촉진시킬 수 있고(림프액을 정맥에 촉진적으로 순환할 수 있고), 순환 촉진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마사지 효과에 의해 인체의 피부를 유연하게 하고 조직 비후(肥厚)를 경감하고, 근육을 풀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니트의 내면측의 요철 형상에 의해 면의 변화가 있음으로써, 인체의 단면 주위의 변화가 있는 굴곡 부분(예를 들면, 발 관절 둘레의 뒤꿈치 부근)의 형상에 대응하여 니트가 밀착해서 고정하기 쉬워진다.
또, 본 실시형태의 원통형 붕대(1)에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사(A)를 리브짜기 등 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요철의 베이스 조직에 대해, 소정 간격의 코스(단)에서 베이스사(A)보다도 탄성(신축성)이 높은 탄성사(B)를 짜서 삽입했다. 구체적으로는, 탄성사(B)는, 베이스사(A)를 리브짜기하여 뜨개질되는 리브짜기 베이스 조직의 외측 볼록부(42)를 형성하는 뜨개코에 대해서는 니팅(knitting)을 행하고, 즉, 루프를 휘감고, 내측 볼록부(41)를 형성하는 뜨개코에 대해서는 미싱 및/또는 터킹(tucking)(도 10, 도 11에서는 미싱에 의한 뜨개질을 예시)을 행하고, 니팅과, 미싱 및/또는 터킹을 교호로 반복하는 뜨개질을 행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원통형 붕대(1)에 있어서는, 탄성사(B)는, 리브짜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요철의 베이스 조직의 외측 볼록부(42)를 형성하는 뜨개코(겉짜기(表編))에 대해서는 니팅을 행하고, 즉, 루프를 휘감고, 내측 볼록부(41)를 형성하는 뜨개코(안짜기(裏編))에 대해서는 미싱 및/또는 터킹을 행한 것에 의해,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착용자의 피부에 닿는 내면측에서는 탄성사(B)의 표출(노출)이 적고, 특히, 내면측에서는 내측 볼록부(41)에 탄성사(B)가 표출하는 일없이, 탄성사(B)의 착용자의 피부에의 접촉이 피해지고, 탄성사(B)의 소재, 신축, 마찰 등에 의한 피부에의 자극이 억제되어, 피부에 닿는 느낌(肌當)이나 촉감(肌觸)이 좋은 것으로 되며, 탄성사(B)에 의한 알레르기나 습진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제1 원통형 니트(10) 및 제2 원통형 니트(20)에 있어서 길이방향(코스측)으로 연속하여 연장하는 요철의 리브 조직에 대해서 탄성사(B)를 교편(交編)한 것에 의해, 웨일측 및 코스측의 신장성, 신축성이 높아지고, 또, 장력이 커져 압박력(고정력)이 향상한다.
특히, 제1 원통형 니트(10) 및 제2 원통형 니트(20)에서는, 베이스 조직이 베이스사(A)에 의한 리브짜기로 되어 원통형(고리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탄성사(B)가 그 베이스사(A)의 리브짜기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조직의 외측 볼록부(42)를 구성하는 뜨개코에 대해서 니팅하고, 또, 내측 볼록부(41)를 구성하는 뜨개코에 대해서 미싱 및/또는 터킹을 행하여 소정 간격의 코스에서 삽입되고 있음으로써, 장력이 고리모양으로 작용하고, 고리모양(웨일측)의 장력이 내면측에 비해 외면측에서 높아지며, 그것에 의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착용자의 착용 부위에 닿는 내면측에 있어서 볼록모양으로 나타나는 내측 볼록부(41)가, 외면측에 있어서 볼록모양으로 나타나는 외측 볼록부(42)보다도 최대두께만이 커져 부피가 증대하고, 곡률을 갖고 그의 단면 외형이 곡선에 근사하며, 횡단면이 대략 반원형의 둥그스름함을 띤 형상에 가까워진다.
이에 더하여, 베이스사(A)에 의한 리브짜기 베이스 조직에 대해서 탄성사(B)를 니팅과 미싱 및/또는 터킹을 교호로 반복하여 삽입하고 있음으로써, 둘레 방향(웨일측)에서 장력의 변화가 생기며, 특히, 탄성사(B)를, 베이스 조직의 내면측에서 오목모양으로 나타나는 외측 볼록부(42)를 구성하는 뜨개코에 대해서는 니팅하고, 또, 내면측에서 볼록모양으로 나타나는 내측 볼록부(41)를 구성하는 뜨개코에 대해서는 미싱 및/또는 터킹하고 있음으로써, 외면측에 있어서 볼록모양으로 나타나는 외측 볼록부(42)에 비해 내면측에 있어서 볼록모양으로 나타나는 내측 볼록부(41)의 두께나 부피를 더욱더 증대시켜 곡률을 갖게 하고, 내면측에서 볼록모양으로 나타나는 뜨개코와 오목모양으로 나타나는 뜨개코의 요철의 구별을 두드러지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원통형 붕대(1)에서는, 제1 원통형 니트(10) 및 제2 원통형 니트(20)에 있어서, 인체의 착용 부위에 닿는 내면측에서 길이방향(코스측)으로 연속하여 연장하는 볼록모양의 내측 볼록부(41) 및 오목모양의 외측 볼록부(42)를 형성하고, 또,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하는 요철 조직에 대해서 탄성사(B)를 삽입하여 원통형(고리모양)으로 뜨개질하고 있다. 특히, 탄성사(B)를 베이스사(A)의 리브짜기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조직의 외측 볼록부(42)를 구성하는 뜨개코에 대해서 니팅하고, 또, 내측 볼록부(41)를 구성하는 뜨개코에 대해서 미싱 및/또는 터킹을 행하여 교편시키고 있다. 이렇게 하여, 장력(죄는 힘(締付力))을 고리모양으로 높이고, 착용 부위에 닿는 내면측보다도 그의 이면인 외면측의 장력을 크게 하며, 또, 둘레 방향(웨일측)에서 장력의 크기를 변화시키고 있음으로써, 착용 부위에 접촉시키는 내면측에서 볼록모양으로 나타나는 내측 볼록부(41)와 내면측에서 오목모양으로 나타나는 외측 볼록부(42)에서 장력이 상위하고, 착용자의 피부에 닿는 내면측에 형성된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하는 내측 볼록부(41)의 최대두께나 부피를 크게 하여, 곡률을 갖게 할 수 있으며, 내측 볼록부(41)의 두께 방향의 완충성(탄력성, 쿠션성)을 높여 착용 부위에의 밀착성을 높이고, 높은 압박력(가압력), 착압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리브짜기 등에 의한 요철의 베이스 조직을 구성하는 베이스사(A)로서는, 예를 들면, 면사, 나일론사, 폴리에스테르사, 레이온사, 견아크릴사, 견사, 마사, 면아크릴 혼방사, 마아크릴 혼방사, 모사, 모아크릴 혼방사 등의 모혼방사(毛混絲)나, 소수성의 합성섬유를 친수기로 블록 공중합하거나 표면을 다공질한 흡습성사나, 원적외선을 발생하는 세라믹사, 폴리우레탄이나 고무 등의 탄성사 등을 들 수 있다. 실의 종류나 가닥수(本數)나 번수(番手)에 한정되는 일 없이, 각종 실이 사용 가능하며, 복수개 조합해서 묶어도 좋다.
또, 탄성사(B)로서는, 베이스사(A)보다 탄성력이 높은 것으로,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이나 고무 등의 실이 사용된다. 폴리우레탄이나 스판텍스 등의 탄성이 높은 실을 코어사(芯絲)로 하고, 그 주위에 다른 실을 감은 소위 커버드 얀, 커버 링사 등이라도 좋고, 복수개 조합해도 좋다.
또한, 짜는법에 강도, 탄력을 갖게 하는 것이지만, 끊어지기 어려운 비교적 인장 강도 등의 기계적 강도가 높은 것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특히, 예를 들면, 500∼2000데니어의 굵은 편사로 뜨개질하는 것에 의해, 원통형 붕대(1)는 단단하고 두꺼운 것으로 되며, 착용시에 주름이 생기기 어렵고, 느슨해짐이나 가로주름을 방지하여 높은 순환 촉진효과가 얻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원통형 붕대(1)의 제1 원통형 니트(10) 및 제2 원통형 니트(20)의 횡단면의 두께를 2㎜∼15㎜, 보다 바람직하게는, 5㎜∼15㎜의 범위 내로 하는 것에 의해, 원통형 붕대(1)의 착용시에 니트에 주름이 생기기 어렵고, 착용 부위에의 고정성도 높고, 착용했을 때 느슨해짐이나 가로주름이 방지되어 높은 순환 촉진효과가 얻어진다. 특히, 착용시에 굴곡 등의 움직임이 있는 부위(예를 들면 발등측)에서도 주름이 생기기 어렵고, 주름의 침투에 의한 착압의 집중이나 지혈대 작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두께가 2㎜∼15㎜, 보다 바람직하게는, 5㎜∼15㎜의 범위 내는, 외력을 가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의 니트의 두께(횡단면의 두께)의 측정이다.
또한, 리브짜기 조직은, 소정 주기로 겉뜨기(겉짜기)와 안뜨기(안짜기)를 교호로 짜고, 급사(給絲) 방향으로 연속한 웨일측(루프의 가로 열)이 겉뜨기와 안뜨기를 교호로 배열한 구조를 보이는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급사 방향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연속한 코스측(루프의 세로 행)에 겉뜨기 또는 안뜨기가 각각 연속하도록 해서 뜨개질된다.
또, 접속 니트(30)에 대해서도 리브짜기 조직으로 해도 좋으며, 제1 원통형 니트(10)나 제2 원통형 니트(20)와는 다른 짜는법, 예를 들면, 저지짜기 등의 평짜기, 펄짜기, 양면짜기 등으로 뜨개질해도 좋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의 원통형 붕대(1)에 있어서는, 제1 원통형 니트(10)가 제2 원통형 니트(20) 및 접속 니트(30)에 연결되는 측과는 반대측 단부로서, 착용시에 인간의 심장에 가까운 방향측에, 제1 원통형 니트(10)로부터 코스측으로 코수를 늘려 고리모양의 보조 고정부(50)가 형성되어 있다.
최상부에 있는 보조 고정부(50)는, 인체 일부(발부 및 다리부)가 삽입되는 원통형 붕대(1)의 착용입구(履口)로 되고, 원통형 붕대(1)가 제멋대로 이동하는 일이 없고, 미끄러져 내려가는 것(slide down)을 방지하여 그 위치를 보존유지할 정도의 탄성력을 유지하고 있으면 좋다. 예를 들면 리브짜기에 의해 소정의 탄성력을 확보하도록 해도 좋으며, 제1 원통형 니트(10)나 제2 원통형 니트(2)와 마찬가지로, 고무 등의 탄성이 높은 탄성사(B)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텐션을 높여도 좋다.
또한, 이 보조 고정부(50)를, 인접하는 제1 원통형 니트(10)의 유닛(상단부)보다도 영률을 높게 하여, 탄성이 적은 니트로 구성한 경우에는, 제1 원통형 니트(10)의 상단부에 닿는 대퇴부의 탄성이 커지지 않고, 반대로 저하하기 때문에, 인체 일부에 대해서 침투가 적어, 붉어지거나, 가려움이 방지되고, 착용감이나 사용감이 좋아진다. 즉, 제1 원통형 니트(10)에 갑자기 단부를 생기게 하면, 영률이 인접하는 유닛의 영향을 받지 않고, 몇 배의 탄성력이 직접 대퇴부에 가해질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하면, 개인차에 따라, 혈액 순환을 나쁘게 하게 되거나, 제1 원통형 니트(10)의 단부에 닿는 대퇴부가 죄어짐으로써, 붉어지거나, 가려워지거나 할 가능성이 있지만, 제1 원통형 니트(10)의 최상부에 탄성이 적은 니트로 이루어지는 보조 고정부(50)를 마련함으로써 그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 착압의 집중에 의한 순환의 저해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제1 원통형 니트(10)의 단부에 인접하는 유닛 이후의 보조 고정부(50)의 영률을 순차 변화하도록 하거나, 또, 이중으로 접어 구부려도 탄성이 크게 변화하지 않게 하거나 하는 것에 의해, 혈액의 순환을 나쁘게 하지 않기 때문에, 제1 원통형 니트(10)의 단부에 닿는 대퇴부의 탄성이 커지지 않고, 반대로 저하함으로써, 붉어지거나, 가렵거나 하는 염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착압의 집중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제1 원통형 니트(10) 및 제2 원통형 니트(20)에 보조 고정부(50)를 포함해서, 그들 전체를 착용 대상인 인체 일부의 길이방향의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와,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에 대한 수직 단면의 주위길이인 인체 주위길이 정보(m1, m2, m3, …)를 이용한 뜨개질로 하여, 인체의 길이방향의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에 대한 수직 단면의 주위길이의 인체 주위길이 정보(m1, m2, m3, …)를, 인체 위치 정보(L8, L9, L10, …)의 위치에 대응한 소정의 영률로 되도록 계산한 계산 결과에 근사하는 코수로 설정해도 좋다.
또,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 원통형 붕대(1)의 보조 고정부(50)측과는 반대측의 최하단부측에 있어서, 편사의 자유단부를 구속할 수 있는 풀림 방지(fray-stopping)를 복수 고리모양으로 실시하여, 임의의 개소에서 자유롭게 절단하게 하여, 사용하는 사람의 발길이에 따라서 제2 원통형 니트(20)의 길이 치수를 조절 가능하게 해도 좋다.
즉, 제2 원통형 니트(20)에 있어서 제1 원통형 니트(10)측과는 반대측의 단부측에, 풀림 방지를 복수 고리모양으로 배설(配設)하고, 당해 풀림 방지 기능에 의해 자유롭게 절단하게 하고, 풀림 방지에 의해 실의 자유 단부를 구속하여 풀림이 생기는 일이 없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원통형 붕대(1)의 제조중에, 공급하는 편사에 대해서, 합성 수지계의 접착제를 주입하여 실에 도포하는 것에 의해 풀림 방지를 실시하고, 그 풀림 방지를 복수 고리모양으로 배설하는 것에 의해, 임의의 개소에서 절단해도 풀림의 확대가 방지되고, 그 풀림 방지 기능에 의해 자유롭게 절단하게 하여, 제2 원통형 니트(20)의 길이 치수를 조절할 수 있다. 풀림 방지는 한 겹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두겹이라도 좋으며,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특히, 풀림 방지로서 착색한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절단 개소의 지시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제2 원통형 니트(20)의 최하단은, 착색한 접착제가 도포된 실에 의해 뜨개질된 풀림 방지에서 절단된 것이다.
이와 같이 풀림 방지를 복수 고리모양으로 배설하여, 자유롭게 절단하게 함으로써, 예를 들면, 압박력을 토대로 규격을 작성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신체에 따라서 길이 사이즈를 변경할 수 있고, 사용자에 대해서는 사용할 때의 중요한 요인(factor)인 압박력을 토대로 선택할 수 있고, 착용 부위의 길이에 맞추어 절단하면 좋은 것으로 인해, 사용자에게 특별한 지식을 준비시킬 필요가 없다. 그리고, 풀림 방지가 이루어져 있음으로써 부분적 절단에 의해 기계적 강도가 저하하는 일도 없다.
또,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원통형 붕대(1)의 보조 고정부(50) 측과는 반대측의 최단부에 있어서, 코를 하나씩 빼는(伏目) 뜨개질에 의해 풀림 방지를 행해도 좋다.
다음에, 이와 같은 구성의 본 실시형태에 관계된 원통형 붕대(1)의 뜨개질의 상세에 대해서, 주로, 뜨개질 패턴을 나타낸 도 10∼도 13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원통형 붕대(1)는, 예를 들면, 적어도 전후 한쌍의 대치하는 니들 베드를 구비한 횡편기(橫編機)를 이용하여 뜨개질할 수 있다. 특히, 주식회사시마세이키 제작소(Shima Seiki Mfg.,Ltd.)제의 니트 횡편기의 홀가먼트 편기(홀가먼트는 주식회사 시마세이키 제작소의 등록상표. 예를 들면, 주식회사 시마세이키 제작소 제조의 홀가먼트 횡편기 MACH2X, MACH2S, SWG 등)의 사용에 의해, 주회(周回) 뜨개질을 행함으로써, 무봉제로 원통형으로 뜨개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전후 한쌍의 대치하는 니들 베드를 구비한 홀가먼트 횡편기를 사용하여, 원통형 붕대(1)를 무봉제로 원통형으로 뜨개질한 사례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전후 한쌍의 침상(針床)을 가지고, 전후 침상이 상대적으로 래킹 가능하게 구성된 횡편기, 보다 상세하게는, 게이지에 2개의 편침을 각각 접동(摺動) 가능하게 삽착(揷着)한 니들 베드를 가지고, 각 니들 베드의 상면을 접동 주행하는 캐리지에서 각 편침이 진퇴 접동 조작됨과 함께, 전후의 니들 베드가 상대적으로 이동(래킹) 가능하게 된 구조의 횡편기를 이용하여 뜨개질을 행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전후 한 쌍의 대치하는 니들 베드를 구비한 횡편기를 이용한 뜨개질에 의해, 본 실시형태의 원통형 붕대(1)는, 원통형 붕대(1)를 인체의 하지에 착용했을 때 다리의 무릎측이나 발등측을 정면측으로 하고, 다리의 장딴지측이나 발뒤꿈치측을 배면측으로 했을 때, 정면측 및 배면측에 대해 측면인 왼쪽 또는 오른쪽 측면의 뜨개질 패턴이, 그것과 대향하는 오른쪽 또는 왼쪽 측면의 뜨개질 패턴과 똑같아지도록 전후 침상 위의 바늘에 전개되고, 좌우의 대향하는 측면의 니트 형상이 대략 동일 형상으로 뜨개질된다. 다시 말해, 도 2의 측면시에 있어서, 정면측 단가장자리의 좌우 대칭선(d1) 및 배면측 단가장자리의 좌우 대칭선(d2)의 위치가 급사 방향의 반전 개소에 위치하여 전후 침상 위의 뜨개질 영역의 좌우 양단의 바늘로 뜨개질되도록 침상 위의 바늘에 전개되어 주회 뜨개질을 행함으로써, 정면측 단가장자리의 좌우 대칭선(d1) 및 배면측 단가장자리의 좌우 대칭선(d2)의 위치에 있어서, 좌우 측면의 니트가 양단에서 연속한 원통형으로 뜨개질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계된 원통형 붕대(1)의 뜨개질에 대해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원통형 붕대(1)의 제1 원통형 니트(10) 및 제2 원통형 니트(20)에 있어서는, 상대적으로 탄성이 작은 베이스사(A)에 의한 리브짜기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조직에 상대적으로 탄성이 큰 탄성사(B)를 교편시켜 뜨개질되어 있다.
리브짜기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조직의 뜨개질은, 착용했을 때 니트 표면측(외면측)에 겉뜨기로서 나타나는 뜨개코를 전침상의 바늘에 계지(係止)시키고, 안뜨기로서 나타나는 뜨개코를 대향하는 후침상으로 옮긴 후, 전후의 니들 헤드의 바늘에 걸쳐 편사를 지그재그로 공급하여 왼쪽 또는 오른쪽 측면(상기 정면측 및 배면측에 대한 측면측)의 니트가 되는 어느 한쪽의 니트의 코스 뜨개질을 행하고, 그 코스 뜨개질 후에 안뜨기 형성을 위해서 후침상으로 옮겨져 있던 뜨개코를 원래의 전침상으로 옮겨 되돌려놓도록 해서 왼쪽 또는 오른쪽 측면인 편방(片方)의 측면 니트의 전부를 전침상에 계지(부속)시킨다. 그리고 계속되는 다른쪽의 오른쪽 또는 왼쪽 측면의 니트를 코스 뜨개질할 때는, 착용했을 때 니트 표면측(외면측)에 겉뜨기로서 나타나는 뜨개코는 그대로 후침상의 바늘에 계지시키고, 안뜨기로서 나타나는 뜨개코를 대향하는 전침상으로 옮긴 후, 전후의 니들 헤드의 바늘에 걸쳐서 편사를 지그재그로 편사를 공급하여 니트의 코스 뜨개질을 행하고, 그 코스 뜨개질 후에 안뜨기 형성을 위해서 전침상으로 옮겨져 있던 뜨개코를 원래의 후침상으로 옮겨 되돌려놓도록 해서 오른쪽 또는 왼쪽 측면인 편방의 측면 니트의 전부를 후침상에 계지(부속)시킨다. 이때, 주회모양으로 급사됨으로써 왼쪽 측면의 니트와 오른쪽 측면의 니트로 원통형으로 되고, 겉짜기와 안짜기가 교호로 배설된 리브짜기 조직이 뜨개질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원통형 니트(10) 및 제2 원통형 니트(20)의 베이스 조직을, 탄성이 작은 베이스사(A)에 의해 웨일측에 겉뜨기와 안뜨기가 3×3인 리브짜기 뜨개질로 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이 작은 베이스사(A)에 의해 뜨개질되는 웨일측에 3×3의 리브짜기 조직에 대해서 1코스(1단) 걸러(마다) 탄성이 큰 탄성사(B)를 겉뜨기(겉짜기), 다시 말해, 니트에 있어서 외면측에서 볼록모양으로 나타나고 내면측에서 오목모양으로 나타나는 외측 볼록부(42)를 구성하는 뜨개코에 대해서 니팅하고, 한편, 안뜨기(안짜기), 다시 말해, 니트에 있어서 외면측에서 오목모양으로 나타나고 내면측에서 볼록모양으로 나타나는 내측 볼록부(41)를 구성하는 뜨개코에 대해서 미싱하는 것에 의해, 웨일측에 니팅과 미싱의 교호 반복으로 3×3의 리브짜기 조직으로 교편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탄성이 작은 베이스사(A)보다도 탄성이 큰 탄성사(B) 쪽이 실의 굵기가 작고(실이 가늘고), 외부로부터 힘을 가하고 있지 않은 통상 상태에서는, 도 4의 (a)나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형 붕대(1)의 내면측에서 탄성사(B)의 표출이 거의 없고, 외부로부터 힘을 가한 상태의 도 4의 (b)나 도 5의 (b)에서도, 원통형 붕대(1)의 내면측에서 내측 볼록부(41)에서는 탄성사(B)가 표출하지 않고, 외측 볼록부(42)에서도 탄성사(B)의 표출이 적고, 탄성사(B)가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기 어려운 것으로 되어 있다. 도 4나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외면측(표면측)으로부터 보면, 내측 볼록부(41)에 있어서는 탄성이 작은 베이스사(A)에 탄성이 큰 탄성사(B)가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의 원통형 붕대(1)에 있어서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 볼록부(42)를 구성하는 3코의 정가운데 코를 그것에 인접하는 왼쪽 또는 오른쪽 코에 대해서 코옮기기(겹침)를 행하고, 상세하게는, 코스 방향에서 차례로 왼쪽코 또는 오른쪽코와 교호로 코옮기기를 행하는 메쉬모양 뜨개질에 의해,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멍(43)을 마련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제1 원통형 니트(10) 및 제2 원통형 니트(20)의 니트에 있어서 외면측에서 볼록모양으로 나타나고 내면측에서 오목모양으로 나타나는 외측 볼록부(42)에서는, 외면측에서 오목모양으로 나타나고 내면측에서 볼록모양으로 나타나는 내측 볼록부(41)에 비해 니트 밀도를 저하시켜, 구멍(43)의 형성에 의해 통기성을 높이고 있다.
특히, 베이스사(A)로 면사 등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도 통기성이 좋고, 촉감, 피부에 닿는 느낌이 우수하며, 또, 착용 부위에의 완충성이 높고, 높은 밀착성이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 통기를 좋게 하기 위한 구멍(43)은 턱 등에 의해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실시예의 원통형 붕대(1)에서는, 제1 원통형 니트(10)와 제2 원통형 니트(20)를 연결하는 접속 니트(30)는, 베이스사(A)에 의해 평짜기(저지짜기) 뜨개질되어 있다.
또, 최상부의 보조 고정부(50)는, 자루짜기(袋編, braid over braid) 뜨개질되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원통형 니트(10)나 제2 원통형 니트(20)와 마찬가지로, 베이스사(A)에 의한 베이스 조직에 탄성사(B)를 교편하고 있다. 또한, 탄성사(B)의 삽입은 외면측(겉측)만으로 되어 사용자의 피부에 닿는 내면측에서는 탄성사(B)가 표출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 최상단부측(자루짜기의 처음 뜨는 측)에서는 탄성사(B)가 삽입되지 않아, 탄성 변형을 줄이고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원통형 붕대(1)에 대해서, 보조 고정부(50), 제1 원통형 니트(10)측부터 짜기 시작하는 사례로 설명하면, 처음에, 탄성이 작은 베이스사(A)에 의한 평짜기 조직을 자루짜기 뜨개질하고, 그곳에 소정 코스로 탄성이 큰 탄성사(B)를 교편시키고, 소정 코스를 원통형으로 짜서 보조 고정부(50)의 뜨개질을 행하고, 계속해서, 3×3의 리브가 뜨개질되도록 뜨개코의 옮겨나누기(移分)를 행하고, 제1 원통형 니트(10)의 뜨개질을 행한다.
본 실시예의 제1 원통형 니트(10)에서는, 표 1에 나타낸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L6, L7)에 대한 수직 단면의 주위길이의 인체 주위길이 정보(m1, m2, m3, …m6, m7)로부터, 베이스사(A)로 이루어지는 루프의 지름을 일정하게 하고,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L6, L7)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영률을 토대로 계산한 계산 결과에 근사하는 코수의 산정에 의해 웨일측의 고리모양을 형성하는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이 되는 바늘코의 수가 특정되고, 인체 위치 정보(L1), 인체 위치 정보(L2), 인체 위치 정보(L3), … 인체 위치 정보(L6), 인체 위치 정보(L7)의 순으로 뜨개질된다.
이때, 표 1에서 인체 주위길이 정보(m1)로부터 인체 주위길이 정보(m7)를 향해 차례로, 주위길이가 짧아지고 지름이 축소되고 있는 것에 수반하여, 차례로 바늘코의 수를 줄이는 코수줄이기(減目)에 의해 뜨개폭을 짧게 하고 통지름을 감소하여 뜨개질이 행해진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제1 원통형 니트(10)에 있어서는, 이와 같이 인체 위치 정보(L1)로부터 차례로, 인체 위치 정보(L2), 인체 위치 정보(L3)…인체 위치 정보(L7)에 대응하는 뜨개질을 행하고, 인체 위치 정보(L7)에 대한 주위길이의 인체 주위길이 정보(m7)에 대응하여 소정의 통지름까지 코수줄이기를 행하고, 하부의 단부까지 소정의 뜨개코수로 감소시킨다.
본 실시예의 제1 원통형 니트(10)에서는,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이 작은 베이스사(A)를 이용한 3×3의 리브짜기로 하는 베이스 조직에 탄성사(B)를 1코스마다 삽입해서 교편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사(B)가, 베이스사(A)를 이용한 3×3의 리브짜기로 하는 베이스 조직에 있어서 외면측(겉측)에서 볼록모양으로 나타나는 겉뜨기 3코(웨일측)로 이루어지는 외측 볼록부(42)를 형성하는 니팅 부분에 대해서 니팅을 행하고, 니트의 내면측에서 오목모양으로 나타나는 안뜨기 3코(웨일측)로 이루어지는 내측 볼록부(41)를 형성하는 니팅 부분에 대해서 미싱하는, 니팅과 미싱의 소정의 교호 반복에 의해 베이스사(A)에 의한 3×3의 리브짜기로 교편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외면측에 볼록모양으로 나타나는 외측 볼록부(42)를 구성하는 겉뜨기 3코(웨일측)의 정가운데 코를 인접하는 오른쪽코 또는 왼쪽코로 코옮기기(코스 방향에서 오른쪽코 또는 왼쪽코의 교호로 코옮기기)하는 뜨개질이 행해진다.
상세한 순서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사(A)의 급사에 의해 3×3으로 리브짜기한 리브짜기 코스에 계속하여, 베이스사(A)로부터 탄성사(B)로 전환하고, 탄성사(B)의 급사에 의해 상기 리브짜기한 웨일측의 겉뜨기 3코를 니팅한 편침에는 탄성사(B)의 니팅을 행하고, 한편으로 웨일측의 안뜨기 3코를 니팅한 편침에는 미싱하는 탄성사 짜기 코스를 행한다. 그리고, 다시 베이스사(A)로 전환하고, 베이스사(A)의 급사에 의해, 탄성사 짜기 코스에서 탄성사(B)를 니팅한 편침에는 베이스사(A)를 니팅하고, 상기 미싱한 부분의 편침에도 베이스사(A)를 니팅시켜 3×3의 리브짜기를 행한 후, 다시 탄성사 짜기 코스를 뜨개질한다.
또, 이와 같은 리브짜기 코스와 탄성사 짜기 코스를 교호로 적당히 반복하는 동안에, 리브짜기 코스와 탄성사 짜기 코스가 교호로 소정 횟수 주회 뜨개질된 곳에서, 외면측에서 볼록모양으로 나타나는 외측 볼록부(42)를 구성하는 3코(웨일측)의 정가운데 코를 인접하는 왼쪽 또는 오른쪽의 어느 하나의 코로 코옮기기를 행하고, 또, 다시 리브짜기 코스와 탄성사 짜기 코스가 교호로 소정 횟수 주회 뜨개질된 곳에서, 외측 볼록부(42)를 구성하는 3코(웨일측)의 정가운데 코를 전회(前回)의 코옮기기와는 반대측의 오른쪽 또는 왼쪽의 어느쪽인가의 코로 코옮기기를 행하는 뜨개질을 행한다.
이들의 반복에 의해 본 실시예의 제1 원통형 니트(10)가 뜨개질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탄성이 작은 베이스사(A)에 의한 리브짜기 조직에 탄성이 큰 탄성사(B)를 교편시키면서 코스측에 연속시키는 동안, 표 1에 나타낸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 L6, L7)에 대한 수직 단면의 길이의 인체 주위길이 정보(m1, m2, m3, … m6, m7)에 대응하여 통지름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웨일측의 코수를 감소시키는 코수줄이기 뜨개질이 행해진다. 줄이기 뜨개질은, 안줄이기 또는 바깥줄이기 모두 좋다. 물론, 탄성이 작은 베이스사(A)로 이루어지는 리브짜기 조직의 코수줄이기에 대응하여 탄성사(B)가 교편된다.
또한, 도 2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원통형 붕대(1)의 제1 원통형 니트(10)에 있어서는, 착용시에 정면측(좌우 대칭선(d1)측)인 쪽에서의 코수줄이기에 의해 니트의 웨일측의 루프수를 감소시키고, 인체 주위길이 정보(m1, m2, m3, … m6, m7)나, 영률에 대응하여 통지름을 감소시키고 있다. 코수줄이기 뜨개질은, 예를 들면, 베이스 조직의 리브의 겉뜨기 또는 안뜨기의 1코를 인접하는 겉뜨기 또는 안뜨기에 겹치고(코옮기기), 경우에 따라서는 니트를 옮겨서 한군데로 모으는 것에 의해 행해지고, 코수줄이기 뜨개질을 적당히 반복하고, 코스 방향으로 소정의 도처(隋所)에서 코수줄이기되는 것에 의해, 인체 주위길이 정보(m1, m2, m3, … m6, m7)나, 영률에 대응한 통지름으로 된다. 인체 주위길이 정보(m1, m2, m3, … m6, m7)에 기초하는 웨일측의 바늘코의 수의 저감을 1∼2코 단위(원통형 전체에서 2∼4코 단위), 즉, 1∼2개의 뜨개코((바늘코) 단위(원통형 전체에서 2∼4개 단위)로 서서히 행하는 것에 의해 윤곽 형상이 단차가 없는 연속하는 매끄러운 선모양으로 되어 단차에 의한 주름 등이 눈에 띄는 일없이, 다리의 윤곽 형상에 따른 고정성 및 안정된 착압이 얻어진다. 또, 착용감도 좋다. 그러나,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 웨일측의 바늘코의 수의 저감을 수효 단위로 하여 급한 각도의 접속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착용시에 정면측인 측에서 코수줄이기(안 줄이기 또는 바깥줄이기)가 행해지고 있다. 다시 말해, 도 2의 측면시에서 지면 왼쪽 방향의 정면측 단부(좌우 대칭선(d1)측)에 있어서 코수줄이기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때문에, 도 6의 정면시에서 착용시에 정면측인 부분에서는, 그 중심선측(좌우 대칭선(d1)측)을 향해 코스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하는 외측 볼록부(42)를 형성하는 뜨개코 및 내측 볼록부(41)를 형성하는 뜨개코가 수속(收束)되어 있다. 한편,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면측에서는, 각 외측 볼록부(42) 및 각 내측 볼록부(41)가 평행하게 코스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하고 있음으로써, 림프액, 정맥의 흐름을 따라 높은 순환 촉진효과가 얻어진다. 또, 뜨개질시에 있어서 급사 방향을 반전시키는 개소(전후 침상의 좌우 단부)의 직선모양의 코면이 좌우 대칭선(d1, d2) 위로 되며, 착용시에 정면측 및 배면측의 중심선 위에 나타남으로써, 외관성도 좋고, 복사뼈측에 급사 방향의 반전 개소가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제1 원통형 니트(10) 및 제2 원통형 니트(20)의 복사뼈 주위로의 밀착성을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배면측이나, 정면측과 배면측 사이의 중앙측에서 코수줄이기를 행해도 좋다. 특히, 침상의 좌우 어느쪽인가의 단부측에서 코수의 증감을 행하는 뜨개질 방법에서는 니트의 일그러짐이 생기기 어려운 것으로 된다.
계속해서, 이와 같이 인체 위치 정보(L1)측으로부터 차례로, 인체 위치 정보(L2), 인체 위치 정보(L3), … 인체 위치 정보(L7)측을 향해 소정의 통지름까지 코수줄이기되어 뜨개코수를 감소시킨 제1 원통형 니트(10)에 대해, 제1 원통형 니트(10)가 속하는 소정의 전후 침상의 좌우 방향 쪽측(方側)(착용시에 배면측인 쪽)의 편침에 편사를 전침상과 후침상에 교호로 C자 모양으로 반전시키면서 공급하여 되돌아가기 뜨개질을 행하고, 접속 니트(30)의 뜨개코 코스를 뜨개질한다. 그 사이, 나머지 제1 원통형 니트(10)의 일부가 계지하는 편침은 휴지 상태를 유지하고 되돌아가기의 코스 뜨개질을 행하지 않는다. 이때, 휴지하는 편침은 제1 원통형 니트(10)의 최종 코스의 웨일측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이 속하는(계지하는) 침상의 60% 이상으로 된다. 즉, 제1 원통형 니트(10)의 최종 코스의 웨일측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이 속하는 침상의 40% 이하의 편침에만 편사가 급사되고 되돌아가기의 코스 뜨개질이 이루어진다. 또한, 여기에서는, 접속 니트(30)의 뜨개질은 저지짜기로 했다(도 3 및 도 8 참조).
여기서, 본 실시예의 원통형 붕대(1)에서는, 예를 들면, 뜨개질 과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뜨개질 코스인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원통형 니트(10)의 최종 코스의 웨일측의 뜨개코의 열이 속하는(계지하는) 전후 침상의 편침 가운데, 좌우 방향 쪽측 일단부(착용시에 배면측인 쪽)의 편침을 사용하고, 그곳으로부터, 제1 원통형 니트(10)의 최종 뜨개코의 열이 계지하고 있지 않은 편침을 차례로 이용함과 아울러, 제1 원통형 니트(10)의 최종 코스의 뜨개코의 열이 속하는(계지하는) 상기의 쪽측 일단부로부터 전후 침상에 있어서 내측의 편침을 차례로 이용하고, 서서히 되돌아가기 폭을 늘려 뜨개폭(웨일측의 코수)을 늘리고, 침상을 따르는 왕복 방향의 급사로 전침상과 후침상에 교호로 C자 모양으로 반전시키면서, 되돌아가기 뜨개질을 행하고 있다. 즉, 전침상과 후침상에서 C자 모양으로 교호로 반전시키면서 코스 뜨개질을 증대시킬 때, 각 침상에 있어서 사용하는 편침을 웨일측의 양단에서 늘려, 코수늘리기를 행하고 있다.
그리고, 소정의 뜨개폭에 도달한 후는, 사용하는 편침을 전후 침상에 있어서 내측으로부터 외측(도 12의 지면에서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차례로 이동시키고, 또, 제1 원통형 니트(10)의 최종 뜨개코의 열이 계지하고 있지 않은 편침을 차례로 이용하여, 되돌아가기 폭을 외측(배면측)으로 옮기고, 또한, 서서히 뜨개폭(웨일측의 코수)을 감소시키고, 전침상과 후침상에 교호로 C자 모양으로 반전시키면서 되돌아가기 뜨개질을 행하고 있다. 즉, 전침상과 후침상에서 C자 모양으로 교호로 반전시키면서 코스 뜨개질을 증대시킬 때, 되돌아가기 폭의 감소를 행하고, 웨일측의 코수줄이기를 행하고 있다. 또한, 이때, 앞의 코스마다 웨일측의 뜨개코의 열의 코수의 증대보다도 큰 비율로 코스마다의 웨일측의 뜨개코의 열의 코수 줄이기가 행해진다.
예를 들면, 제1 원통형 니트(10)의 최종 뜨개코의 열이 속해서(계지해서), 그곳에 접속 니트(30)가 연결되는 편침수 10개에 대해, 최종적으로는, 접속 니트(30)가 속하는 편침수를 25개로 증대시키도록 한다. 이때, 접속 니트(30)의 뜨개질은, 예를 들면, 도 1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원통형 니트(10)의 최종 뜨개코의 열이 속하는(계지하는) 소정의 전후 침상의 웨일측의 일단부(배면측)의 침수 2개째부터 개시하고, 제1 원통형 니트(10)의 최종 뜨개코의 열이 계지하고 있지 않은 편침을 순차 이용하여 코수늘리기를 행함과 함께, 되돌아가기의 양단부에서 순차 제1 원통형 니트(10)의 최종 뜨개코의 열이 계지하고 있는 침상의 내측의 편침을 이용하여, 코수늘리기를 행하고 제1 원통형 니트의 최종 코스의 뜨개코의 열에 접속시켜, 전후 침상의 침수 각 20개째로 될 때까지 순차 C자 모양의 되돌아가기 뜨개질을 코수늘리기하면서 행한다. 계속해서, 웨일측의 전후 침상의 각 침수를 20개째로 한 곳에서, 이번에는, 사용하는 침상의 편침을 외측으로 순차 이동시키고, 또, 제1 원통형 니트(10)의 최종 뜨개코의 열이 계지하고 있지 않은 편침을 순차 이용하고, 전후 침상의 침수 각 2개째로 될 때까지 순차 C자 모양의 되돌아가기 뜨개질을 코수줄이기하면서 행한다. 여기에서는, 최초의 코스마다의 코수늘리기 단위보다 코수줄이기 단위를 많게 하고 있다.
또한, 바늘코의 수의 증감 또는 저감은 1∼2단위(원통형 전체로 2∼4단위), 즉, 1∼2개의 뜨개코((바늘코) 단위(원통형 전체로 2∼4개 단위)로 서서히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예에서는, 접속 니트(30)에서 고어라인(꿰매어 이음선)이 형성되는 일이 없고, 또, 제1 원통형 니트(10)의 최종열의 뜨개코가 속하는 전후 침상의 최단부(배면측의 일단부)의 편침에서의 니팅 회수를 많게 하여, 제1 원통형 니트(10)의 최종열이 속하는 웨일측의 최단부(배면측의 일단부)의 뜨개코에 접속하는 코스측의 코수를 가장 크게 하고 있으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시에서, 접속 니트(30)는 경계부(P)를 중심으로 한 부채꼴의 대략 원호 형상을 보이고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바늘코의 수의 증감이나 되돌아가기 폭의 이동은, 전후 양쪽 침상의 편침에서 똑같이 통일하고 있으며, 좌우 측면의 니트는 좌우 대칭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2에서는, 착용시에 인체의 다리 정강이측 및 발등측을 정면으로 했을 때, 그 정면에 대해서 오른쪽 측면측의 니트의 뜨개질 기본 동작(뜨개폭의 변화)만을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전후 양쪽 침상의 편침을 사용한 되돌아가기 뜨개질에 의한 접속 니트(30)의 뜨개질에서는, 전침상 또는 후침상의 어느 한쪽 침상의 편침만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사용 가능한 침수 한정되어 루프수 부족할 일도 없으며, 접속 니트(30)의 치수형상의 표현 자유도를 높게 할 수 있고, 발뒤꿈치의 입체 형상에 따라서 니트의 면적이나 내부의 공간을 넓게 형성할 수 있어, 니트의 부족에 의한 착용시 뒤꿈치측에서의 땅김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되돌리는 단부간의 위치나 폭을 변화시켜, 제1 원통형 니트(10)의 최종열이 속하는 최단부(배면측의 일단부)의 뜨개코에 접속하는 코스측의 코수 가장 커지도록 뜨개질하는 것에 의해, 다시 말해, 실을 루프모양으로 짠(니팅시킨) 코스측의 코수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곡률을 변화시켜, 발뒤꿈치의 입체 형상에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왕복하는 뜨개코의 열을, 되돌리는 뜨개폭이나 위치가 변화하도록 뜨개질하므로, 뒤꿈치를 덮는 불룩함과, 둥그스름함의 형상을 조정할 수 있다. 또, 뒤꿈치의 불룩함이 가장 커지는 부분에서의 공간을 넓게 형성할 수 있어, 여유가 있고, 뒤꿈치측에서 무리한 장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접속 니트(30)에 고어 라인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외형도 좋고, 또한, 고어 라인에 의한 니트의 신장 방해나 주름이 생기는 일도 없다. 따라서, 뒤꿈치 형상에의 고정성이 높아지고, 뒤꿈치측에서의 긴장이 방지되어, 제1 원통형 니트(10) 및 제2 원통형 니트(20)의 복사뼈 주위로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다. 또, 횡편기에 의한 뜨개질시에, 니트에 무리한 힘을 가하는 일도 없으므로, 니트의 일그러짐을 적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접속 니트(30)의 뜨개질의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뜨개폭을 일정하게 해도 좋으며, 웨일측의 코수를 증대하는 뜨개질로 해도 좋다.
특히, 제1 원통형 니트(10)의 뜨개질 마지막인 최종 코스의 웨일측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로 형성되는 고리모양의 주위길이의 40% 이하, 바람직하게는 제1 원통형 니트(10)의 최종 코스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이 속하는 침상의 편침을 사용하여, 그 침수의 10%∼40%,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20%∼40%의 범위 내를 이용하고, 그곳에, 접속 니트(30)가 접속되며, 또, 제2 원통형 니트(20)의 뜨개질 시작 코스의 웨일측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로 형성되는 고리모양의 주위길이의 40% 이하, 바람직하게는 10%∼40%,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20%∼40%의 범위 내의 웨일측의 코수에 대응한 침상의 편침에 접속 니트(30)가 속하는 것에 의해, 접속 니트(30)가 제1 원통형 니트(10)에 있어서 제2 원통형 니트(20)에 연결되는 최단부(하단부)의 뜨개폭의 40%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4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40% 이하의 범위 내에 대해서, 또, 제2 원통형 니트(20)의 제1 원통형 니트(10)에 연결되는 최단부(상단부)의 뜨개폭의 일부의 4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40%의 범위 내,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20%∼40%의 범위 내에 대해서 연결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원통형 붕대(1)의 착용시에 뒤꿈치측에서 무리한 장력이 가해지기 어렵고, 복사뼈 주위에서의 제1 원통형 니트(10) 및 제2 원통형 니트(20)의 들뜸이 방지되어 뒤꿈치 주위로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제1 원통형 니트(10)의 최종 코스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이 속하는 침상을 사용하는 일없이, 당해 최종 코스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이 속해 있지 않은(계지하고 있지 않은) 편침을 사용하여, 그곳으로부터 웨일측의 코수를 서서히 증대시키는 것에 의해, 접속 니트(30)를 뜨개질해도 좋다. 또, 접속 니트(30)에 있어서, 바늘코의 수의 증감이나 되돌아가기 위치의 이동을, 전후 양쪽 침상의 편침에서 변경시켜 좌우 측면의 니트를 비대칭형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해서 접속 니트(30)를 뜨개질한 후는, 접속 니트(30)를 뜨개질하는 동안에 휴지 상태에 있던 전후 침상 위의 제1 원통형 니트(10)의 뜨개코가 속하는(계지하는) 편침과, 접속 니트(30)의 뜨개코의 열의 뜨개코가 속하는(계지하는) 편침을 사용해서, 다시 편사를 주회모양(周回狀)으로 공급하여 제2 원통형 니트(20)의 뜨개질을 행한다.
제1 원통형 니트(10)의 최종열의 뜨개코가 속해 있는(계지하고 있는) 편침을 사용한 뜨개질에 의해, 제1 원통형 니트(10)에 제2 원통형 붕대(20)가 연속하여 연결될 수 있음과 아울러, 접속 니트(30)의 최종열의 뜨개코가 속해 있는 편침을 사용한 뜨개질에 의해 접속 니트(30)에 대해서도 제2 원통형 붕대(20)가 연속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원통형 니트(10)의 접속 니트(30) 및 제2 원통형 니트(20)에 연결되는 최단부(하단부)의 웨일측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의 코수에 대해, 제2 원통형 니트(20)의 접속 니트(30) 및 제2 원통형 니트(20)에 연결되는 최단부(상단부)의 웨일측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의 코수, 10∼40%의 범위 내, 바람직하게는, 20∼30%의 범위 내로 증대되고 있다. 즉, 제1 원통형 니트(10)의 접속 니트(30) 및 제2 원통형 니트(20)에 연결되는 최단부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로 형성되는 고리모양 지름에 대해, 제2 원통형 니트(20)의 접속 니트(30) 및 제2 원통형 니트(20)에 연결되는 최단부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로 형성되는 고리모양 지름이 1.1∼1.4배의 범위 내, 바람직하게는, 1.2∼1.3배의 범위 내로 지름확대(擴徑)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원통형 니트(20)에서는, 인체 위치 정보((L8,) L9, L10)에 대한 수직 단면의 주위길이의 인체 주위길이 정보((m8,) m9, m10)로부터, 베이스 조직인 리브짜기 조직에 있어서 베이스사(A)로 이루어지는 루프의 지름을 일정하게 하고, 인체 위치 정보((L8,) L9, L10)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영률을 토대로 계산한 계산 결과에 근사하는 코수의 산정에 의해 웨일측의 고리모양을 형성하는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이 되는 바늘코의 수가 특정되어, 단면의 치수형상 변화에 맞추어 코수의 조정이 행해지고(인체 위치 정보(L8),) 인체 위치 정보(L9), 인체 위치 정보(L10)의 순으로 뜨개질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속 니트(30)측으로부터 인체 주위길이 정보(m9), 인체 주위길이 정보(m10)측을 향해 바늘코의 수를 줄이는 코수줄이기(안줄이기 또는 바깥줄이기)에 의해 뜨개폭을 짧게 하고 통지름을 감소하여 뜨개질이 행해진다.
제2 원통형 니트(20)에 있어서도, 제1 원통형 니트(10)와 똑같이, 탄성이 작은 베이스사(A)를 이용한 3×3의 리브짜기로 하는 베이스 조직에 탄성사(B)를 1코스마다 교편하여, 뜨개질된다.
또한, 도 2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원통형 붕대(1)의 제2 원통형 니트(20)에 있어서는, 착용시에 발바닥측(좌우 대칭선(d2)측)인 쪽에서의 코수줄이기에 의해 니트의 코스의 루프수를 서서히 감소시킴으로써, 통지름을 감소시키고 있다. 여기에서도, 코수줄이기 뜨개질은, 예를 들면, 베이스 조직의 리브의 겉뜨기 또는 안뜨기의 1코를 인접하는 겉뜨기 또는 안뜨기에 겹치고, 경우에 따라서는 니트를 옮겨서 한군데로 모으는 것에 의해 행해지고, 코수줄이기 뜨개질을 적당히 반복하고, 코스 방향으로 소정의 도처에서 코수줄이기가 됨에 의해, 인체 주위길이 정보((m8,) m9, m10)에 대응한 통지름으로 된다. 그리고, 웨일측의 바늘코의 수의 저감을 1∼2단위(원통형 전체로 2∼4단위), 즉, 1∼2개의 뜨개코((바늘코) 단위(원통형 전체로 2∼4개 단위)로 서서히 행하는 것에 의해 윤곽 형상이 단차가 없는 연속하는 매끄러운 선모양으로 되어 단차에 의한 주름이 눈에 띄는 일도 없고, 다리의 윤곽 형상에 따른 고정성이 얻어진다. 그러나,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 바늘코의 수의 저감을 여러단위로 단계적으로 행하고, 급격한 각도의 접속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착용시에 발바닥측인 측에서 코수줄이기( 안줄이기 또는 바깥줄이기)가 행해지고, 다시 말해, 도 2의 측면시에서 지면 오른쪽 방향의 배면측 단부(좌우 대칭선(d2)측)에 있어서 코수줄이기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때문에, 도 7의 배면시에서 착용시에 발바닥측인 부분에서는, 그 중심선(좌우 대칭선(d2)측)을 향해 길이방향(코스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하는 외측 볼록부(42)를 형성하는 뜨개코 및 내측 볼록부(41)를 형성하는 뜨개코가 수습(收束)되어 있다. 한편, 착용시에 발등측인 정면측에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외측 볼록부(42) 및 각 내측 볼록부(41)가 평행하게 길이방향(코스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하고 있음으로써, 발의 발끝으로부터의 림프, 정맥의 높은 순환 촉진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착용시에 발등측인 정면측, 정면측과 배면측 사이의 중앙측에서 코수줄이기를 행해도 좋다. 특히, 침상의 좌우 어느쪽으로부터의 단부측에서 코수의 증감을 행하는 뜨개질 방법에서는 니트의 일그러짐이 생기기 어려운 것으로 된다.
덧붙여서, 상기 실시예의 뜨개질에 있어서는, 제1 원통형 니트(10)로부터 접속 니트(30), 접속 니트(30)로부터 제2 원통형 니트(20)로 뜨개질을 행할 때 급사 위치가 변경하는 전환이 행해지고, 접속 니트(30)의 단부에서 실이 절단된다. 실의 절단에 의해 즉시 기계적 강도가 저하하는 것은 아니지만, 절단된 실의 풀림을 방지하는 처리, 묶는다든지, 합성 접착제로 접착시키는 등과 같은 방법에 의해, 소정의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이와 같이 해서 뜨개질된 상기 실시예의 원통형 붕대(1)를 인체의 발본에 착용하고, 발 관절 둘레의 착압을 측정했다.
이때의 원통형 붕대(1)의 소재는, 제1 원통형 니트(10) 및 제2 원통형 니트(20)를 구성하는 베이스사(A)에 면사 20/2×5개, 탄성사(B)에 폴리우레탄의 코어사(260데니어)의 주위에 폴리에스테르의 실(75데니어)을 감은 더블 커버링사×2개를 사용하고, 또, 접속 니트(30)를 구성하는 실(A)에 면사 20/2×2개를 사용했다.
착압 측정기에는, 에어팩식 접촉압 측정기((주)에이엠아이·테크노(AMI TECHNO, Inc.)제, AMI3037-SB-SET)를 이용했다. 구체적인 측정 방법은, φ=20㎜의 에어팩을 이용하고, 실온 25±1℃, 습도 49±2%의 환경하에서, 착압 측정기의 에어팩을 발본의 각 측정 부위(도 15∼도 19)에 붙이고, 그 위에 원통형 붕대(1)를 착용하고, 원통형 붕대(1)가 착용된 발본을 접지한 상태(뒤꿈치부는 접지하지 않고 발끝의 발바닥만을 접지한 직립위치에서 계측, 즉, 에어팩이 가압되었을 때의 압력을 접촉압계로 측정했다. 여기에서는, 1분 후의 계측값을 기록하고, 계측은 5회의 착용 조작을 행하며, 그 5회의 측정 데이터 평균값을 산출하여 표 2에 나타냈다.
착압의 측정은, 도 15∼도 19에 나타낸 5개소에서 행했다. 즉, 측정점 e(에어팩의 중심의 배치 위치)로서 발뒤꿈치측의 안복사뼈(내과) 주위의 기단(평탄)부(발본의 발목 단부로부터의 거리가 9.8㎝), 측정점 f로서 발뒤꿈치측의 바깥복사뼈(외과) 주위의 기단부(발본의 발목 단부로부터의 거리가 9.5㎝), 측정점 g로서 발등측 위쪽(정면 중앙)부(발본의 발목 단부로부터의 길이 거리가 8.5㎝), 측정점 h로서 발목의 측면 내측부(발본의 다리 장딴지측 단부로부터의 거리가 32.5㎝), 측정점 i로서 하퇴부의 장딴지(배면 중앙)부(발의 다리 장딴지측 단부로부터의 거리가 1.5㎝)의 각 측정 부위에서 착압을 측정했다.
또한, 발뒤꿈치측의 바깥 복사뼈부 주위의 기단부(측정점 f)의 착압은, 발의 바깥복사뼈(외과)부의 뒤꿈치측의 후방으로서, 융기되어 있는 바깥복사뼈(외과)부의 아래쪽 부분에 상당하는 대략 평탄 부분에서의 측정이다.
또, 발등부(측정점 g)의 착압은, 발목측의 정면 중앙부로서, 족저궁의 정점 바로 위에 상당하는 부분에서의 측정이다.
측정점 e, f, g의 측정에는, 5개의 발가락 양말용 디스플레이 남성용((주)텐켄소우이 51-196-10-2)의 발본(왼발)을 이용했다. 또한, 이 발본의 사이즈는, 도 1에 나타낸 인체 위치 정보(L7)의 위치에 상당하는 발목 주위길이가 24㎝, 인체 위치 정보(L8)의 위치에 상당하는 발등과 뒤꿈치의 주위길이가 22㎝, 인체 위치 정보(L9)의 위치에 상당하는 족저궁 부분의 주위길이가 24.5㎝, 인체 위치 정보(L10)의 위치에 상당하는 발뒤꿈치(足趾) 죽지의 주위길이가 30.5㎝이다.
또, 측정점 h, i의 측정에는, 5개의 발가락 양말용 디스플레이 여성용 하이양말용((주)텐켄소우이 51-196-10-2)의 발본(왼발)을 이용했다. 또한, 이 발본의 사이즈는, 도 1에 나타낸 인체 위치 정보(L7)의 위치에 상당하는 발목 주위길이가 22.5㎝, 인체 위치 정보(L5)의 위치에 상당하는 장딴지의 제일 굵은 위치의 주위길이가 34㎝이다.
또, 비교를 위해, 시판되는 림프 부종용의 탄성 스타킹(종래품)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해서 착압을 측정하고, 원통형 붕대(1)와 비교했다.
이들의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표 2]
Figure pct00002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의 원통형 붕대(1)에 의하면, 각 측정 부위에 있어서, 하지의 림프 부종 등의 치료(순환 촉진효과)에 적합한 착압(10∼46mmHg 정도)이 얻어졌다.
특히, 종래품의 비교예에서는, 뒤꿈치측의 복사뼈 주위(측정점 e, 측정점 f)의 착압이, 발등부(측정점 g)의 착압의 절반 정도이며, 뒤꿈치측의 복사뼈 기단부(측정점 e, 측정점 f)와 발등부(측정점 g)와의 착압 차가 50%(8∼11mmHg) 정도 있었다. 또, 발목부(측정점 h)의 착압에 대해서, 발등부(측정점 g)의 착압은 75% 정도, 뒤꿈치측의 복사뼈 기단부(측정점 e, 측정점 f)의 착압은 불과 40%∼50% 정도였다.
이것에 대해, 실시예의 원통형 붕대(1)에서는, 뒤꿈치측의 복사뼈 기단부(측정점 e, 측정점 f)와 발등부(측정점 g)의 착압이 동등하고, 그 착압 차는 불과 5%(1mmHg)였다. 또, 뒤꿈치측의 복사뼈 기단부(측정점 e, 측정점 f) 및 발등부(측정점 g)의 착압은, 발목부(측정점 h)의 착압과 동등 이상이었다.
이와 같이, 상기 실시예의 원통형 붕대(1)에 의하면, 발등측에서의 주름의 발생이 방지되어 착압의 집중이 방지되고, 또, 뒤꿈치측에서의 옥죔이 방지되어, 복사뼈 주위에도 니트가 밀착하고, 니트가 발 관절 둘레에 고정함으로써, 복사뼈 주위의 착압을 높일 수 있고, 발등측과 복사뼈 주위(뒤꿈치측의 복사뼈 기단부)의 착압 차가 거의 없고, 착압 분포가 안정되어 균일하게 된다. 또, 발등측으로부터 복사뼈 주위에 걸친 착압과 발목부의 착압 차도 적게 할 수 있고, 발등측으로부터 복사뼈 주위에 걸쳐 발목부와 동등 이상으로 착압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하지에 있어서 높은 순환 촉진효과가 얻어지고, 특히 복사뼈부나 발목 배면의 부종이나 조직 비후에 대한 경감효과도 높아진다. 또, 림프액이 고이기 쉬운 뒤꿈치부의 복사뼈 주위(뒤꿈치측의 복사뼈 기단부), 발목 배면측에 있어서도 높은 착압을 발현할 수 있음으로써, 발 관절 둘레에 있어서 원통형 붕대(1)의 내면측에 형성된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하는 요철(외측 볼록부(42) 및 내측 볼록부(41))의 착압의 강약에 의한 순환 촉진효과 및 림프의 흐름을 따른 순환 촉진효과가 한층 높아진다.
다음에, 원통형 붕대(1)의 착압과 순환 촉진 등의 개선 효과, 착용감과의 관계 평가를 행했다.
즉, 주위길이가 다른 원통형 붕대(1)(제1 원통형 니트(10) 및 제2 원통형 니트(20)를 구성하는 베이스사(A)에 면사 20/2×5개, 탄성사(B)에 폴리우레탄의 코어사(260데니어) 주위에 폴리에스테르의 실(75데니어)을 감은 더블 커버링사×2개를 사용하고, 또, 접속 니트(30)를 구성하는 실(A)에 면사 20/2×2개를 사용)를 여러종류 준비하고, 발본의 발 관절 둘레에 착용시켰을 때의 착압 측정을 행하고, 또, 원통형 붕대(1)를 실제로 림프 부종 환자(30명)에게 착용하여 모니터요원(tester) 앙케이트를 실시하고, 착압과의 관계로 평가했다.
여기서, 착압은, 실시예의 원통형 붕대(1)를 인체의 발본, 즉, 상술한 5개의 발가락 양말용 디스플레이 남성용((주)텐켄소우이 51-196-10-2)의 발본(왼발)에 착용하여 측정을 행한 것이다. 착압은 인체의 착용 부위의 요철이나 탄력 등에 의해 영향을 받기 쉬운 것으로 인해, 여기에서는 인체의 발본 모형에 착용했을 때의 착압으로 평가를 행했다.
착압의 평가는, 뒤꿈치측의 바깥복사뼈 기단부(측정점 f)의 착압(hhmg)을 기준으로 해서 행했다.
또한, 착압 측정기 및 측정 방법은, 상술과 마찬가지로 했다.
그리고, 실시예의 원통형 붕대(1)를 실제로 하지의 림프 부종의 환자(30명)에게 착용, 구체적으로는, 경도(輕度)∼중증(重度)의 임의의 림프 부종 환자를 모니터요원으로 하여, 하퇴부에 원통형 붕대(1)를 1일 6시간∼12시간 정도로 1주간∼2주간 정도 착용시켜, 착용 후의 하지의 부종 개선(경감) 효과와 착용시의 죄는 느낌(締付感), 압박감을 묻고, 착압과의 관계로 평가했다. 부종 개선(경감) 효과에 대해서는, 착용전과 비교하여 부종의 개선(경감) 효과가 높았던 것을 ◎, 부종의 개선(경감) 효과에 효과적이었던 것을 ○, 부종의 개선(경감) 효과가 약간이었던 것을 △로 했다. 죄는 느낌, 압박감에 대해서는, 죄는 느낌, 압박감이 거의 느껴지지 않았던 것을 ◎, 죄는 느낌, 압박감을 약간 느끼지만 일상생활에서 위화감이 생기지 않았던 것을 ○, 죄는 느낌, 압박감이 강하고, 일상생활에서 위화감을 일으키거나, 피부 트러블(땀이 나고 화끈거림(sweaty) 등)이 생기거나 한 것을 △로 했다.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표 3]
Figure pct00003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형 붕대(1)를 발 관절 둘레에 착용했을 때 뒤꿈치측의 바깥복사뼈 기단부(측정점 f)의 착압이 15mmHg 이상이면, 부종이 효과적으로 경감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뒤꿈치측의 바깥복사뼈 기단부(측정점 f)의 착압이 20mmHg 이상 있으면, 높은 부종의 개선 효과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착압이 55mmHg 이상에서는 환자의 정도에 따라서는 효과가 적어지는 일도 있었다.
또, 원통형 붕대(1)를 발 관절 둘레에 착용했을 때 뒤꿈치측의 바깥복사뼈 기단부(측정점 f)의 착압이 50mmHg 이하이면, 죄는 느낌이나 압박감이 적고, 착용의 위화감도 적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뒤꿈치측의 바깥복사뼈 기단부(측정점 f)의 착압이 45mmHg 이하이면, 죄는 느낌이나 압박감이 거의 느껴지지 않고, 착용감이 양호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으로부터, 원통형 붕대(1)를 발 관절 둘레에 착용했을 때 뒤꿈치측의 바깥복사뼈 기단부(측정점 f)의 착압이 15mmHg∼50mmHg의 범위 내이면, 부종이 효과적으로 경감되고, 또, 죄는 느낌이나 압박감이 적고, 착용의 위화감도 거의 없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뒤꿈치측의 바깥복사뼈 기단부(측정점 f)의 착압이 20mmHg∼45mmHg의 범위 내이면, 부종의 높은 개선 효과가 얻어지고, 또, 죄는 느낌이나 압박감이 거의 없고, 착용감이 양호하다.
또한, 평가에 이용한 주위길이가 다른 여러종류의 원통형 붕대(1)는 어느것이나, 발등부와 복사뼈 주위의 뒤꿈치측의 바깥복사뼈 기단부의 착압 차가 20% 이하(5mmHg 이하)였다.
그런데, 상기 실시예의 원통형 붕대(1)에 있어서는,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상호간에서 베이스사(A)에 의해 뜨개질되는 루프의 지름(스티치의 높이)을 일정하게 하고, 또, 탄성사(B)에 의해 뜨개질되는 루프의 지름을 일정하게 하고, 다시 말해, 베이스사(A) 또는 탄성사(B)로 이루어지는 단일의 실에 의해 형성되는 루프의 지름을 일정하게 통일하고 있다. 또한, 여기서의 단일의 실로 형성되는 루프의 지름을 일정이란, 특정의 1루프를 형성하는 1가닥의 실이 동일하면 그 루프의 지름은 모두 똑같아지는 것을 의미하고, 니트를 구성하는 실은 1종류가 아니어도, 여러종류의 실을 사용 가능하며, 실의 종류, 굵기 등에 의해 루프의 지름은 변화하지만, 동일한 실이면 그 루프의 지름은 모두 똑같아진다. 또, 단일의 실은, 반드시 1종의 실인 것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 종류가 조합된 것이어도 좋다.
또, 베이스사(A)로 이루어지는 3(겉뜨기)×3(안뜨기)의 리브짜기 조직에 대해서, 1코스마다, 그 겉뜨기의 외측 볼록부(42)를 구성하는 뜨개코에 탄성사(B)를 니팅시키고, 안뜨기의 내측 볼록부(41)를 구성하는 뜨개코로 미싱 및/또는 터킹하는 뜨개질을 행하고 있다.
그리고,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 상호간에서 코스측 및 웨일측의 침수로 이루어지는 뜨개코 밀도 및 영률을 일정하게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착용시에 사용자는 항상, 제1 원통형 니트(10)와 제2 원통형 니트(20)의 전체로부터 균일한 압박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인체의 길이방향의 특정 부위에만 외력이 가해지는 일이 없어, 위화감이 생기지 않는다. 길이방향에서 착용 부위의 인체의 단면이 변화해도 균일한 압박을 가능하게 하여, 착압 분포를 균일화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코수나 루프의 지름을 변화시키거나, 베이스사(A)의 짜는법을 변화시키거나, 탄성사(B)의 삽입 위치나 짜는법을 변화시키거나 하는 것 등에 의해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의 위치에 따라서 영률이나 뜨개코 밀도를 변화시키고, 길이방향에서 외력을 변화시켜, 압박력, 착압 분포에 변화를 갖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원통형 붕대(1)의 착용 대상을 하지로 한 경우, 착용시에 인체의 심장에 가까워지는 측을 향해 단계적으로 순차 착압을 감소시키는 설계에 의해, 순환 촉진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원통형 니트(10) 및 제2 원통형 니트(20)의 리브 조직의 구성을 3×3(겉뜨기가 웨일측에 3코, 안뜨기가 웨일측에 3코 교호로 반복된다)으로 하는 설명이었지만,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겉뜨기와 안뜨기의 뜨개코 주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3의 (a)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1(겉뜨기)×1(안뜨기)의 리브짜기 조직으로 하고, 그 겉뜨기의 외측 볼록부(42)를 구성하는 뜨개코에 탄성사(B)를 니팅시키고, 안뜨기의 내측 볼록부(41)를 구성하는 뜨개코를 미싱 및/또는 터킹하는 뜨개질로 해도 좋으며, 도 13의 (b)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겉뜨기)×2(안뜨기)의 리브짜기 조직, 도 13의 (d)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8(겉뜨기)×8(안뜨기)의 리브짜기 조직 등으로 해서, 마찬가지로 그들의 겉뜨기의 외측 볼록부(42)를 구성하는 뜨개코에 탄성사(B)를 니팅시키고, 안뜨기의 내측 볼록부(41)를 구성하는 뜨개코를 미싱 및/또는 터킹하는 뜨개질로 해도 좋다.
또, 도 3의 (c)에서 나타내는 2(겉뜨기)×3(안뜨기)의 리브짜기 조직과 같이, 겉뜨기와 안뜨기의 코수, 즉, 외측 볼록부(42)를 구성하는 코수와 내측 볼록부(41)를 구성하는 코수를 달리해도 좋으며, 또, 도 3의 (e)나 도 3의 (f)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겉뜨기와 안뜨기의 코수를 각각 웨일측에서 주기적으로 혹은 변칙적으로 변화시켜도 좋다. 이 경우에서도 마찬가지로 탄성사(B)를 겉뜨기의 외측 볼록부(42)를 구성하는 뜨개코에 니팅하고, 안뜨기의 내측 볼록부(41)를 구성하는 뜨개코에 미싱 및/또는 터킹하는 뜨개질로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원통형 붕대(1)의 내면측에서 오목모양으로 나타나고 외면측에서 볼록모양으로 나타나 길이방향(코스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하는 외측 볼록부(42)를 구성하는 코수나, 내면측에서 볼록모양으로 나타나고 외면측에서 오목모양으로 나타나 길이방향(코스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하는 내측 볼록부(41)를 구성하는 코수는 각각 웨일측의 고리모양에 있어서 동일 수 아니어도 좋고, 변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탄성사(B)가, 베이스사(A)에 의한 리브짜기 등의 베이스 조직에 대해서, 1코스 걸러(마다) 삽입(교편)되고 있었지만,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탄성사(B)의 삽입은 그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2코스마다, 3코스마다 등이어도 좋으며, 코스 방향에서 변칙적으로 삽입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착용자의 피부에의 탄성사(B)의 접촉을 적게 하기 위해서, 탄성사(B)는 베이스사(A)에 의한 리브짜기 등의 베이스 조직의 겉뜨기의 외측 볼록부(42)를 구성하는 뜨개코에 니팅하고, 펄짜기의 내측 볼록부(41)를 구성하는 뜨개코에 미싱하는 뜨개질이었지만,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탄성사(B)의 삽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미싱 부분을 터킹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 미싱과 터킹을 둘다 병용해도 좋다. 니팅과, 미싱 및/또는 터킹으로 한 뜨개질 이외이더라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외측 볼록부(42)와 내측 볼록부(41)가 길이방향(코스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하는 것으로 했지만,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외측 볼록부(42)와 내측 볼록부(41)가 격자모양으로 배치되는 뜨개질로 해서, 길이방향(코스 방향)으로 불연속이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도 착용 부위에 닿는 내면에 있어서, 오목부(외측 볼록부(42))와 볼록부(내측 볼록부(41))가 교호로 병렬되고, 고리모양의 주위(웨일측)에서 요철이 연속하는 단면 요철모양(물결모양)으로 되고, 착용자의 길이방향에 직각인 둘레 방향에서 착압에 강약이 생김으로써, 림프액, 정맥의 흐름이 촉진되고, 높은 순환 촉진효과가 얻어진다. 또, 리브짜기로 한정되는 일없이, 예를 들면, 멍석짜기(鹿子編), 와플짜기(waffle stitch) 등의 뜨개질에 의해 요철을 형성해도 좋다.
이에 더해,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베이스사(A)에 의해 구성되는 리브짜기의 베이스 조직에 탄성사(B)를 삽입함으로써, 리브짜기 뜨개질에 의한 탄성 변형에 더하여 탄성사(B)의 삽입에 의해 장력을 증대시켜, 높은 압박력, 신축성을 가능하게 하지만,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탄성사(B)의 교편을 생략하고, 리브짜기의 베이스 조직을 형성하는 베이스사(A)에 탄력성이 높은 실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압박력, 신축성을 높이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원통형 니트(10)측부터 짜기 시작하는 사례로 설명을 했지만,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그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2 원통형 니트(20)측부터 짜기 시작하고, 제2 원통형 니트(20), 접속 니트(30), 제1 원통형 니트(10), 보조 고정부(50)의 순으로 뜨개질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제2 원통형 니트(20)는, 접속 니트(30) 측을 향해 코수늘리기(코수 증가)에 의해 웨일측의 코수를 증대하는 뜨개질이 행해지고, 그것에 계속되는 접속 니트(30)의 뜨개질에서는, 되돌아가기 폭을 변화시키고, 코수늘리기, 코수줄이기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계속되는 제1 원통형 니트(10)의 뜨개질에 있어서는, 인체 위치 정보(L7)측으로부터 인체 위치 정보(L1)측을 향해 코수늘리기(코수 증가)에 의해 웨일측의 코수를 증대하는 뜨개질이 행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원통형 붕대(1)에서는, 제1 원통형 니트(10)와 그것에 연속하는 제2 원통형 니트(20)에 있어서,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소정의 영률로 되도록 인체 주위길이 정보(m1, m2, m3, …)를 토대로 코수를 산출하여 웨일측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이 되는 바늘코의 수를 특정하고 있으며, 코수(뜨개코수)의 증감에 의해 하지 등의 인체의 단면의 치수형상의 변화에 대응시키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원통형 붕대(1)에 있어서는, 횡편기 등을 사용한 평짜기 뜨개질에 의해, 하지 등의 인체의 단면의 외주 치수에 기초하여, 인체의 단면의 변화에 대응하여 웨일측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의 뜨개코수를 변화시키고 있다.
이렇게 해서 뜨개코의 루프수(침수=바늘코의 수)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한 그 뜨개폭, 둘레지름의 굵기를 변화시킴으로써, 하지 등의 인체의 윤곽을 따르는 형상의 가변 단면을 가지고, 방향성(지향성)을 갖게 하고 있으며, 뜨개코수의 증감에 의해 인체의 길이에 대한 단면의 치수형상의 상위에 대응시키며, 또, 임의의 압박력의 부가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치수형상의 표현 자유도가 높고, 주위길이를 자유자재로 할 수 있으며, 인체의 단면의 치수형상에 대응한 최적한 지름의 설계나 압박력의 설정이 용이하다. 특히, 종래의 환편기에 의한 탄성 스타킹에서는 착압이 가해지기 어렵다고 되어 있던 발 관절 둘레의 치수형상에 맞춘 원통형의 지름의 설정이 가능해진다.
이것으로부터, 예를 들면, 발 관절 둘레에 착용한 경우, 여분의 니트에 의한 착용시의 발등측에서의 느슨해짐이나 주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가로주름에 의한 착압의 집중도 방지된다. 또, 착용했을 때, 여분의 니트에 의해 생기는 발등측의 느슨해짐, 주름에 의한 위화감을 일으키게 하는 일이 없고, 발등측의 느슨해짐, 주름에 의해 발생하는 위치 어긋남도 방지할 수 있다. 또, 뒤꿈치측에서의 니트의 부족에 의한 옥죔이나 여분의 니트에 의한 느슨해짐, 주름의 발생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발 관절 둘레에 있어서 느슨해짐이나 주름의 발생이 방지됨으로써, 느슨해짐이나 주름을 펴기 위해서 길이방향으로 잡아늘인 착용 형태에 의한 복사뼈로부터 배면의 뒤꿈치측에 있어서의 니트의 들뜸이 방지되고, 복사뼈로부터 배면의 뒤꿈치측에 있어서도 니트를 밀착할 수 있어, 높은 압박력, 착압을 가할 수 있다. 또, 복사뼈 부근에서도 착압을 높일 수 있음으로써, 복사뼈 뒷부의 조직 비후를 경감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실시형태의 원통형 붕대(1)는, 제1 원통형 니트(10)의 최단부(하단부)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의 바늘코의 수, 뜨개폭(l1)보다도, 제2 원통형 니트(20)의 최단부(상단부)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의 바늘코의 수, 뜨개폭(l2)을 크게 하고, 다시 말해, 제1 원통형 니트(10)의 제2 원통형 니트(20)에 계속되는 웨일측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최종열)로 형성되는 고리모양의 지름(주위길이)보다도, 제1 원통형 니트(10)로부터 접속되는 제2 원통형 니트(20)의 웨일측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최초의 열)로 형성되는 고리모양 지름(주위길이) 쪽을 크게 하고, 제1 원통형 니트(10)와 제2 원통형 니트(20) 사이에서 실을 루프모양으로 짜는 코스측의 코수를 증대하여 접속 니트(30)를 형성하고, 또 접속 니트(30)에서 뜨개폭이나 침상 위의 급사의 되돌아가기 위치를 변화시켜 코스측의 코수의 변화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가장 불룩함이 커지는 발뒤꿈치의 윤곽 형상에 대응하여 원통형의 공간을 불룩하게 할 수 있고, 발뒤꿈치의 윤곽 형상에 가까운 입체적인 형상으로 되며, 착용시에 뒤꿈치측에서 단차, 주름이 생기는 일도 없으며, 또, 뒤꿈치측에서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것에 의한 옥죔이 방지된다. 이렇게 하여, 제1 원통형 니트(10)와 제2 원통형 니트(20) 사이를 곡률을 갖게 한 접속 니트(30)에 의해 연결하고 있다.
특히, 접속 니트(30)의 제1 원통형 니트(10) 및 제2 원통형 니트(20)의 연결에 있어서, 정면측의 좌우 대칭선(d1) 및 배면측의 좌우 대칭선(d2)을 따라 웨일측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이 절반이 되도록 고리모양의 내면을 상대측의 내면에 접촉하는 겹쳐접기로 한 절첩한 상태에서, 제1 원통형 니트(10)와 제2 원통형 니트(20)와 접속 니트(30)와의 경계부(P)로부터 정면측의 좌우 대칭선(d1)으로 향하는 가상 수선(c1)의 거리폭(a)과, 경계부(P)로부터 배면측의 좌우 대칭선(d2)으로 향하는 가상 수선(c2)의 거리폭(b)의 비를, 6:4≤a:b≤9:1의 범위 내로 하는 것에 의해, 곡률을 갖게 한 접속 니트(30)가 아니라, 단면의 윤곽 형상이 대략 원 형상이고 길이방향에 곡률을 갖지 않고 균일한 압박이 가능한 제1 원통형 니트(10) 및 제2 원통형 니트(20)가 원통형 붕대(1)의 착용시에 발등부측으로부터 복사뼈 주위를 덮게 되기 때문에, 착용시에 복사뼈 주위의 굴곡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곡률을 갖게 한 접속 니트(30)의 형성에 의해 착용시에 뒤꿈치측에서의 잡아당김(引張)이 방지됨으로써, 복사뼈 주위의 굴곡의 오목부를 덮는 제1 원통형 니트(10) 및 제2 원통형 니트(20)의 들뜸이 방지되고, 복사뼈 주위의 윤곽 형상에 추종하여 제1 원통형 니트(10) 및 제2 원통형 니트(20)를 밀착시키고 균일한 압박을 가능하게 한다(도 14 참조).
바람직하게는, 제1 원통형 니트(10)의 제2 원통형 니트(20) 및 접속 니트(30)에 연결되는 최단부의 웨일측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로 형성되는 고리모양의 주위길이의 10%∼40%의 범위 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20∼40%의 범위 내에 대해서, 또, 제2 원통형 니트(20)의 제1 원통형 니트(10) 및 접속 니트(30)에 연결되는 최단부의 웨일측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로 형성되는 고리모양의 주위길이의 10%∼40%의 범위 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20%∼40%의 범위 내에 대해서, 접속 니트(30)를 연결함으로써, 원통형 붕대(1)의 착용에 의해 발 관절 둘레를 덮었을 때, 제1 원통형 니트(10)와 제2 원통형 니트(20)가 뒤꿈치측으로 옥죄어져서 땅기는 것이 한층 방지되고, 신었을 때의 감촉이 좋고 갑갑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복사뼈 주위의 요철을 덮는 제1 원통형 니트(10)와 제2 원통형 니트(20)의 긴장에 의한 들뜸이 방지되어, 복사뼈 주위에 굴곡 형상에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원통형 붕대(1)에 있어서는, 제1 원통형 니트(10) 및 제2 원통형 니트(20)에 있어서, 베이스 조직을 리브짜기 등에 의해 뜨개질한 것에 의해, 인체의 착용 부위에 닿는 내면측에서, 길이방향(코스측)으로 연속하여 연장하는 오목부(=내면측에서 뜨개코가 오목모양으로 나타나는 외측 볼록부(42)) 및 볼록부(=내면측에서 뜨개코가 볼록모양으로 나타나는 내측 볼록부(41))가 교호로 병렬하여 고리모양의 둘레 방향(웨일측)으로 요철이 연속하는 횡단면 요철모양(물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인해, 착용시에 그 요철에 의해 인체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직각인 둘레 방향에서 밀착성이 변화하여 착압에 강약이 생기고, 또, 그 요철이 길이방향(코스측)으로 연속하여 연장하고 있음으로써 착압의 강약이 림프액이 흐르는 방향을 따르게 되기 때문에, 림프액의 흐름이 촉진되어, 순환 촉진효과가 높아진다. 또, 강약 밸런스가 좋은 압박력을 받기 때문에 위화감도 없다.
이에 더하여, 니트의 내면측의 요철 형상에 의해 면의 변화가 있음으로써, 인체의 단면 주위의 변화가 있는 굴곡 부분의 형상에 대응하여 니트가 밀착해서 고정하기 쉽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탄성사(B)가 베이스사(A)에 의한 리브짜기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조직의 외측 볼록부(42)를 구성하는 뜨개코에 대해서 니팅하고, 또, 내측 볼록부(41)를 구성하는 뜨개코에 대해서 미싱 및/또는 터킹을 행하여 소정 간격의 코스에서 삽입되고 있는 것에 의해, 착용 부위에 닿는 내면측보다도, 그의 이면인 외면측에서 고리모양의 장력이 크게 되어 있다. 이때문에, 원통형 붕대(1)의 내면측에 있어서, 볼록부(=내면측에서 코가 볼록모양으로 나타나는 내측 볼록부(41))와 오목부(=내면측에서 뜨개코가 오목모양으로 나타나는 외측 볼록부(42))의 구별이 두드러지고, 착용 부위에 닿는 원통형 붕대(1)의 내면측에 형성된 길이방향(코스측)으로 연속하여 연장하는 내측 볼록부(41)가 곡률을 갖고 두께 방향으로 부피가 증대하며, 완충성(탄력성, 쿠션성)을 높여 착용 부위에의 니트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베이스사(A)의 리브짜기 조직에 대해서, 니팅과 미싱 및/또는 터킹에 의해 탄성사(B)를 교편시키고 있는 것에 의해, 착용 부위에 닿는 내면측에 나타나는 볼록부(=내면측에서 뜨개코가 볼록모양으로 나타나는 내측 볼록부(41))와 오목부(=내면측에서 뜨개코가 오목모양으로 나타나는 외측 볼록부(42))에서 장력의 상위가 생기고, 특히, 탄성사(B)가 베이스사(A)에 의한 리브짜기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조직의 외측 볼록부(42)를 구성하는 뜨개코에 대해서 니팅하고, 또, 내측 볼록부(41)를 구성하는 뜨개코에 대해서 미싱 및/또는 터킹을 행하고 있기 때문에, 그것에 의해도, 원통형 붕대(1)의 내면측에 있어서, 볼록부(=내면측에서 뜨개코가 볼록모양으로 나타나는 내측 볼록부(41))와 오목부(=내면측에서 뜨개코가 오목모양으로 나타나는 외측 볼록부(42))의 구별이 두드러지고, 착용 부위에 접촉시키는 내면측에 형성된 길이방향(코스측)으로 연속하여 연장하는 내측 볼록부(41)가 곡률을 갖고 두께 방향으로 부피가 증대하며, 완충성(탄력성, 쿠션성)을 높여 착용 부위에의 니트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원통형 붕대(1)에 의하면, 내측 볼록부(41)에 의한 밀착성을 높여, 압박력(가압력)을 높일 수 있고, 높은 순환 촉진효과가 얻어진다.
이와 같이 해서, 본 실시형태의 원통형 붕대(1)에 의하면, 예를 들면, 발 관절 둘레에 착용한 경우, 느슨해짐의 발생이나 가로주름에 의한 착압의 집중을 방지하고, 또, 뒤꿈치측에서의 긴장을 방지하여, 다리의 복사뼈 주위에의 니트의 밀착성을 높이고, 니트가 발 관절 둘레에 고정함으로써, 발등측 위쪽과 복사뼈 주위의 착압 차가 거의 없고, 발 관절 둘레의 착압 분포를 안정되게 균일화할 수 있고, 높은 순환 촉진효과를 얻어, 림프 부종 등의 부종의 경감, 개선, 예방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 피곤함이나 부어오름의 경감, 개선 효과에도 유효하다. 또, 코수의 가변에 의해 인체의 착용 부위에 대응한 통지름, 압박력의 설정이 용이하게 가능하며, 착용 부위에 고정시킬 수 있음으로써, 니트의 과부족에 의해 생기는 마찰 등에 의한 통증이나 피부의 손상, 피부 열상, 스킨·티어(Skin Tear) 등도 방지할 수 있다. 또, 착압 집중에 의한 지혈대 작용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원통형 붕대(1)는, 이와 같이 탄성사(B)가 베이스사(A)의 리브짜기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조직의 외측 볼록부(42)를 구성하는 뜨개코에 대해서 니팅하고, 또, 내측 볼록부(41)를 구성하는 뜨개코에 대해서 미싱 및/또는 터킹을 행하여 삽입되어 있음으로써, 원통형 붕대(1)의 내면측에서 탄성사(B)의 표출이 적고 탄성사(B)가 착용자의 피부에 닿기 어렵기 때문에, 착용감 및 사용감이 좋다. 베이스 조직을 구성하는 베이스사(A)에 면사 등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도, 흡수성이나 피부에 닿는 느낌, 촉감 등이 좋고, 착용감 및 사용감이 향상하여, 땀이 나고 화끈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코수의 설정 등에 의해 루프의 지름(도목, 뜨개코의 크기), 뜨개코 밀도 등을 임의로 할 수 있기 때문에 통기 대책도 매우 안전하다.
특히, 상기 실시예의 원통형 붕대(1)에 있어서는, 외측 볼록부(42)에 있어서 임의의 루프를 인접하는 바늘로 코옮기기하는(겹치는) 것에 의해 메쉬모양(메쉬조)으로 해서 구멍(43)을 마련하고 있음으로써, 높은 통기성도 확보된다(도 4 참조).
이에 더하여, 코수의 설정 등에 의해, 나아가서는 베이스사(A), 탄성사(B)의 탄성이나, 탄성사(B)의 삽입의 뜨는법, 루프(뜨개코)의 지름 등에 의해, 임의의 압박력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 리브짜기 등에 의해 길이방향(코스측)으로 연속하여 연장하는 오목부(=내면측에서 뜨개코가 오목모양으로 나타나는 외측 볼록부(42)) 및 볼록부(=내면측에서 뜨개코가 볼록모양으로 나타나는 내측 볼록부(41))가 고리모양의 주위(웨일측)에서 교호로 병렬하고, 특히, 상기 실시예에서는, 겉뜨기와 안뜨기를 웨일측에서 교호로 배열하고, 표리에서 웨일측의 뜨개코의 뜨개질의 변화를 갖게 하고 있음으로써, 니트가 주름으로 되기 어렵고(주름이 생기기 어렵고), 착용 부위로의 밀착성을 높여 착압을 안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림프액이 고이기 쉬운 복사뼈(내과, 외과) 주위로의 니트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음으로써, 복사뼈 주위의 림프액의 흐름을 촉진할 수 있어, 복사뼈 근변의 부종의 개선 효과가 높아진다. 이에 더하여, 제1 원통형 니트(10) 및 제2 원통형 니트(20)의 내면측을 고리모양의 둘레 방향(웨일측)으로 요철 연속하는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착압의 강약에 의해 더욱더 림프액의 흐름을 촉진시켜, 높은 순환 촉진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요철이 길이방향(코스측)으로 연속하여 연장하는 형상으로 함으로써, 림프액, 정맥의 흐름을 따르기 때문에, 림프액, 정맥의 흐름을 촉진하는 효과가 높아진다. 또한, 상기 실시예와 같이, 원통형 붕대(1)를 인체의 발가락 죽지 부분까지 덮는 길이로 설정한 경우에는, 인체의 발가락 죽지 부분으로부터 심장 방향을 향해서 림프의 흐름을 촉진시킬 수 있어, 보다 높은 순환 촉진효과가 얻어지고, 발가락 죽지 부근의 부종의 개선 효과도 높아진다. 또, 발목측으로부터 대퇴부측을 향해 단계적으로 착압이 낮아지도록, 예를 들면, 발목의 착압이 10∼70mmHg의 범위 내, 하퇴 영역에서 5∼35mmHg의 범위 내, 대퇴 영역에서 3∼20mmHg의 범위 내에서 설정함으로써, 순환 촉진효과를 보다 높이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실시형태의 원통형 붕대(1)에 의하면, 제1 원통형 니트(10) 및 제2 원통형 니트(20)에 있어서,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에 대응하는 주위길이의 인체 주위길이 정보(m1, m2, m3, …)를 토대로, 인체의 단면의 변화에 대응하여 바늘코의 수를 변화시키고, 이때,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에 대응시킨 소정의 영률로 되도록 해서 계산한 계산 결과에 근사하는 바늘코의 수로 설정하며, 웨일측의 뜨개코의 열의 인체 주위길이의 길이를 코수, 영률로 특정하는 것에 의해, 인체의 위치에 따라서 소정의 압박력을 받을 수 있어 높은 순환 촉진효과가 얻어진다. 즉, 코수, 영률에 의해,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에 대응한 압박력의 부여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원통형 붕대(1)에 있어서는, 제1 원통형 니트(10) 및 그것에 연속하는 제2 원통형 니트(20)가, 인체의 단면의 변화에 대응하여 고리모양의 뜨개코수를 가변하는 것이기 때문에, 개인의 증상례(症例)에 맞춘 오더메이드형 압박력의 부여가 가능해진다. 물론, 규격품인 스탠다드를 작성하는 것도 사용자의 데이터 및 국민의 평균 체형으로부터 산출함으로써 용이해진다. 특히, 코수에 의해 주위길이를 변화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부위에 따른 압박력의 변화를 용이하게 가능하게 하며, 정맥류나 림프 부종 등으로 인체의 단면 변형이 중증인 환자에 대해서도, 특정 부위에 원하는 압박력을 가할 수 있어, 순환 촉진효과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정맥류나 림프 부종 등에 의한 중증의 변형에 대해서도 코수의 변화에 의해 대응할 수 있고, 고정시켜, 압박할 수 있을 수 있음으로써, 니트의 과부족, 니트의 들뜸에 의해 생기는 마찰 등에 의한 통증이나 피부의 손상, 피부 열상, 스킨·티어(Skin Tear) 등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정맥류나 림프 부종 등의 치료에 사용되어 온 종래의 탄성 스타킹 등의 시판품은, 외국인 사양이며, 일본인의 체형에는 부적합하다는 문제점도 국내 규격을 채용하는 것에 의해 해소할 수 있으며, 일본인의 사이즈에 맞는 사양으로 할 수 있다. 물론, 각자의 체형에 맞춘 오리지널 상품으로 할 수도 있다.
또, 생지의 물성을 측정하고, 또한, 루프의 지름 등을 결정하여 영률을 구하면, 압박력을 받는 착용자의 착압 분포를 원하는 값으로 안정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의 원통형 붕대(1)에 의하면, 하지용 지지대로서, 발끝을 제외한 발부측으로부터 발목의 위치, 장딴지의 하부 위치, 장딴지의 상부 위치, 정강이, 무릎의 하부 위치, 무릎의 상부 위치로서 착용하고, 베이스사(A)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조직에 있어서 겉뜨기와 안뜨기를 교호로 짜서 요철을 형성하는 리브짜기(고무) 등에 의한 짜는법에 의해 탄성 변형을 높게 하며, 그 베이스 조직에 탄성사(B)를 짜는 것에 의해 압박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코수의 설정에 의해 3∼70mmHg의 범위 내의 착압이 얻어진다.
또, 본 실시형태의 원통형 붕대(1)의 착용은 인체 일부의 길이방향이나 그것에 직각인 통지름 방향으로 탄성에 저항하여 착용하면 좋기 때문에,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임의의 압력을 인체 일부의 길이방향에 가하면, 필요에 따라서 그 직각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면, 무리없이 착탈할 수 있어, 착탈이 자유로우며, 취급 및 휴대의 편리성이 우수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제1 원통형 니트(10) 및 제2 원통형 니트(20)에 있어서는, 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의 웨일측의 영률(E)은, 실을 루프모양으로 짠 코스측의 영률(E0)과 비교하면, E≤E0으로 설정되어 있다. 웨일측의 고리모양 뜨개코의 열의 영률(E)과, 코스측의 영률(E0)이 동일하면, 양쪽의 신장이 똑같아지고, 또, E>E0으로 되면 인체에 착용하는 방향측으로 잡아당기기 쉽지만, 인체의 다리 등을 넣는 원통형의 지름의 확대 방향으로 잡아당기기 어려워진다. 반대로, E<E0으로 되면, 인체의 다리 등을 넣는 원통형의 지름의 확대 방향으로 잡아당기기 쉽고, 잡아당김이 신장으로 되어 변화하며, 삽입하는 경우의 저항이 적어 취급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웨일측의 고리모양 뜨개코의 열의 영률(E)보다도, 코스측의 영률(E0) 쪽이 크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원통형 붕대(1)에 외력을 가해서 착용하거나, 이탈시키거나 할 때, 인체에 착용하는 방향의 탄성 변형이 적기 때문에, 인체에 착용하여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측으로 잡아당기기 쉬워지고, 인체에 착용하는 방향의 가압력으로 임의의 이동이 자유자재로 된다. 즉, 원통형 붕대(1)에 외력을 가하여 착용하거나, 이탈시키거나 할 때, 인체에 착용하는 방향의 탄성 변형이 적어서 이동시키려고 하는 방향으로는 신장이 적더라도, 인체에 착용하는 방향의 가압력으로 임의의 이동이 자유자재로 되어, 인체의 길이방향의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에 대한 수직 단면의 인체 주위길이 정보(m1, m2, m3, …)의 웨일측의 영률(E)에 의해, 삽입하는 경우의 저항이 정해지므로, 익숙치 않은 사람이라도 착용하기 쉽다. 그러나,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E>E0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더하여, 본 실시형태의 원통형 붕대(1)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또, 제1 원통형 니트(10) 및 제2 원통형 니트(20)의 베이스 조직이 리브짜기 등으로 구성되며, 또 그곳에 탄성사(B)를 삽입하고 있음으로써 탄성 변형을 크게 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운동에 의해 착용이 풀리기 어렵고, 착용하고 있는 위치가 이동하기 어렵다.
그리고, 무봉제 니트 횡편기의 사용에 의해 무봉제의 원통형으로 뜨개질한 경우에는, 꿰맨 자리가 없음으로써 피부에의 스트레스를 경감할 수 있고, 세탁에 의한 형태망가짐(型崩)이 생기기 어려운 것으로 된다. 또, 봉제에 의한 꿰맨 자리가 없음으로써 장력이 분산되고, 웨일측의 신축성이나 압박력도 보다 균일한 것으로 된다. 이에 더하여, 무봉제인 것에 의해 편사의 단부의 전체 관리도 용이하다.
또, 종래의 원형 편기로 뜨개질된 탄성 스타킹에서는 발목측에서 루프의 지름을 작게 하여 뜨개코 밀도를 높이거나(도목을 좁히거나), 탄성사의 장력을 높이거나 하는 것에 의해 다른 부분보다 높은 착압이 가해지도록 하고 있음으로써, 착용시, 이 부분에 발목보다도 둘레지름이 큰 뒤꿈치를 가지는 발부를 통과시키는데 강한 힘을 필요로 하며, 특히 발가락의 힘이 약한 고령자나 여성에게 있어 착용이 몹시 곤란했다. 또, 발등측에서 주름이 발생하기 쉬운 것도 있어서 뜨개코 밀도가 높은 곳에서는 통기성이 나쁘고, 특히 니트가 나일론제인 것에서는 피부에 알레르기 반응이 나오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에 대해, 본 실시형태의 원통형 붕대(1)를 구성하는 제1 원통형 니트(10)와 제2 원통형 니트(20)가, 인체의 단면 변화에 대응하여, 또,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에 대응시킨 소정의 영률로 되도록 해서 계산한 결과에 근사하는 바늘코의 수로 웨일측의 코수를 특정해서, 코수에 의해 주위길이를 변화시키고 있는 것에 의해, 임의의 루프지름으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원통형 니트(10)와 제2 원통형 니트(20)로부터의 소정의 압박력을 사용자가 받을 수 있는 한편으로, 발가락의 힘이 약한 고령자나 여성이라도 임의의 압력을 인체 일부의 길이방향, 필요에 따라서 그 직각 방향에 가하면, 약한 힘으로도 무리없이 간단하게 착탈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착탈시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일도 없기 때문에, 내구성도 좋다.
특히, 상기 실시예에서는, 뜨개코의 뜨개폭 방향을 원통형의 지름 방향에 일치시키고 있지만, 베이스사(A)로 구성되는 리브짜기의 베이스 조직에 탄성사(B)를 교편하고 있음으로써, 인체의 길이방향 및 그 길이방향에 대한 직각 방향으로 신장이 좋고, 특히, 상기 실시예에서는, 탄성사(B)의 교편이 리브짜기의 베이스 조직의 일부에 대해서 미싱해서 행해지고 있음으로써, 인체의 길이방향에 대한 직각 방향의 신장이 높고, 니트의 신장 여유(allowance)를 크게 할 수 있어, 착탈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장력을 약하게 해도, 충분한 보존유지력을 가지고, 착용감을 양호하게 함과 함께, 약한 장력에서도 높은 신축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 탄성사(B)를 외측 볼록부(42)에 니팅시키고 있음으로써, 웨일측의 신축성도 풍부하고, 또, 탄성사(B)가 만일 절단되어도 장력 저하의 영향이 적다. 물론, 탄성사(A)를 터킹시키는 것도 높은 신축성을 낼 수 있다.
그리고, 인체의 길이방향으로 단면이 변화해도, 코수의 변화로 대응하고, 착용시에 발등측에서 주름이 생기기 어렵고 착압의 집중도 없는 데다가, 면 소재로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통기성도 좋아서 땀이 나고 화끈거리는 것이 방지된다. 또, 통기성이 좋음으로써 땀의 기화열이 결과적으로, 순환 촉진효과가 되는 것도 기대할 수 있다. 특히, 주름으로 되기 어려운 다소 두꺼운 면 소재의 사용에 의해, 예를 들면, 착압이 3∼70mmHg 이상인 압박력이 얻어지고, 그것에서도, 삽착, 탈착이 용이하다. 게다가, 반복적인 세탁을 해도 형태 망가짐 등이 생기지 않는다.
이렇게 하여, 순환 촉진효과와 통기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통지름의 변화를 코수로 표현하고 있음으로써, 디자인을 뜨개질에 의해 부여하는 경우에서도 디자인에 미치는 영향도 적은 것으로 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원통형 붕대(1)에 의하면, 착용 부위에 닿는 내면측이 길이방향(코스측)으로 연속하여 연장하는 오목부(=외측 볼록부(42)) 및 볼록부(=내측 볼록부(41))가 교호로 병렬하여 고리모양의 주위(웨일측)에 요철이 연속하는 횡단면 요철모양(물결 형상)으로 형성된 제1 원통형 니트(10) 및 제2 원통형 니트(20)에 의해, 착용시에 발등측으로부터 복사뼈 주위가 덮임으로써, 림프액이 막히기(고이기) 쉬운 복사뼈 주위에 있어서도 내면측에 내측 볼록부(41)를 마련한 제1 원통형 니트(10) 및 제2 원통형 니트(20)를 밀착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높은 순환 촉진효과가 얻어진다.
특히, 원통형 붕대(1)를 발 관절 둘레에 착용했을 때, 상술한 측정 조건에 의한 측정으로, 종래의 탄성 스타킹에서는 착압이 가해지기 어렵다고 되어 있던, 발뒤꿈치측의 복사뼈 주위의 기단부에 있어서도 15mmHg 이상의 착압을 발현시킬 수 있고, 발등부와 발뒤꿈치측의 복사뼈 주위의 기단부와의 착압 차가 5mmHg 이하, 바람직하게는, 3mmHg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mmHg 이하로 되고, 발등부와 발뒤꿈치측의 복사뼈 주위의 기단부와의 착압 분포의 차가 40% 이하, 바람직하게는 3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로 되며, 차가 단면 변화가 큰 발 관절 둘레에서도 니트가 고정하여 밀착하고, 균일한 압박을 가능하게 하여, 높은 순환 촉진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착압이 높으면 순환 촉진효과를 높일 수 있지만, 착용자의 착용 부위(환부)의 상태에 따라서는, 높은 착압에 의해, 예를 들면, 피부의 손상, 피부 열상, 스킨·티어(Skin Tear)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자들의 실험 연구에 따르면, 착압이 3mmHg 미만이면, 순환 촉진효과가 얻어지지 않고, 70mmHg를 넘으면 오히려 순환 촉진을 저해할 우려가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발뒤꿈치측의 복사뼈 주위의 기단부에 있어서 3mmHg∼70mmHg의 범위 내, 바람직하게는, 5mmHg∼60mmHg의 범위 내이면, 피부의 손상, 피부 열상, 스킨·티어(Skin Tear)를 초래할 우려가 적고, 순환 촉진효과가 얻어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5mmHg∼50mmHg의 범위 내이면,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20∼45mmHg의 범위 내이면, 높은 순환 촉진효과가 얻어지고, 착용감도 양호하다.
또, 원통형 붕대(1)의 내면측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하는 요철(외측 볼록부(42) 및 내측 볼록부(41))의 착압의 강약에 의한 순환 촉진효과 및 림프의 흐름을 따른 순환 촉진효과로, 낮은 착압에서도 높은 순환 촉진효과가 얻어진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원통형 붕대(1)는, 정맥성(정맥류, 심부 정맥 혈전증, 정맥 혈전 후유증, 폐혈전 색전증 등), 림프성(발육 형성 부전·림프절 숙청·림프관염 등), 염증성(각종 염증 등), 알레르기성(약제, 식물, 벌레물림 등에 기인하는 것), 혈관 신경성(퀸케의 부종 등), 폐용성(장기에 걸친 와병생활 상태, 마비 등), 외상·일반적 수술의 후유증 등에 의한 광범위에 걸친 질환의 국부성 부종 등의 치료나 예방에 효과적이며, 사지의 림프 부종 등의 치료나 요망에 사용되는 탄성 스타킹, 탄성 슬리브, 탄성 붕대 등의 총칭인 탄성 착의로서 사용 가능하다. 덧붙여서, 현재, 일본의 업계 자주(自主) 기준으로 30mmHg 이상의 압박력이 가해지는 것을 탄성 착의로서 취급하고 있다.
또한, 정맥류의 치료, 심부 정맥 혈전증, 폐혈전 색전증의 치료·예방 및 림프 부종의 치료·예방에 효과적인 탄성 스타킹, 탄성 슬리브, 탄성 붕대 등의 탄성 착의는 의사의 착용 지시서에 의해 요양비 적용인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원통형 붕대(1)는, 인체 일부를 압박하는 압박법에서 사용되는 전체에 신축성 있는 포백(布帛)으로 이루어지는 붕대, 지지대, 슬리브, 스타킹, 내의 등의 압박용 착용구로서, 또, 심리스 성형 붕대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림프 부종 치료용의 지지대 또는 하지 정맥류의 지지대에도 사용할 수 있는 의료구로서 다루어지는 경우도 있고, 또는, 팔, 다리, 머리부, 발부, 손목부, 손부 등의 외부로부터 압박력을 가하는 원통형 붕대로서 사용되는 경우도 있으며, 사지 몸통(體幹)의 필요 개소에 압박력을 주고 사지 몸통의 부종, 정맥류 등을 개선, 예방하기 위해서 등으로 사용 가능한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원통형 붕대(1)는, 환자의 부종 부위에 맞추어, 여러 종류 필요한 경우가 있다.
또, 림프 부종 치료용의 지지대 또는 정맥류의 지지대 등의 의료구로서의 사용에 한정되지 않고, 붕대, 지지대, 슬리브, 스타킹, 내의, 양말, 장갑 등의 압박용 착용구로서도 사용 가능하며, 일상생활이나 운동시의 피곤함이나 부어오름 예방 또는 경감에도 높은 효과가 얻어진다. 특히, 원통형 붕대(1)의 내면측에 형성된 요철에 의해 착압에 강약이 생김으로써 혈행 촉진효과를 높여, 피곤함이나 부어오름의 예방, 경감효과를 높일 수 있다.
물론, 압박용이 아니라 일상생활 등에 사용되는 붕대, 지지대, 슬리브, 스타킹, 내의, 양말, 장갑, 장갑 등의 착용구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에 더하여, 본 실시형태의 원통형 붕대(1)에 의하면, 높은 밀착성이 얻어짐으로써, 특히 편사를 면 소재로 하는 것에 의해 통기성, 촉감이나 피부에 닿는 느낌, 쿠션성도 좋기 때문에, 공지의 탄성 스타킹 등의 압박 부재를 착용할 때 그 내측(보다 피부에 가까운 쪽)에 착용되는 완충재로서도 유효하다. 본 실시형태의 원통형 붕대(1)를 인체의 길이방향의 일부에 착용한 후에, 또 공지의 탄성 스타킹 등의 압박 부재를 착용하는 것에 의해, 공지의 탄성 스타킹 등의 압박 부재의 순환 촉진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다. 특히, 편사를 면 소재로 하는 것에 의해, 통증이나 피부의 손상, 피부 열상, 스킨·티어(Skin Tear) 등의 예방이나 보호 효과도 높은 것으로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원통형 붕대(1)는, 하지용 지지대로서 발끝을 제외한 발부측으로부터 발부의 대퇴부까지를 덮는 것이지만, 본 발명의 원통형 붕대(1)는, 발등부나 발바닥부로부터 발목까지를 덮는 형태로 해도 좋으며, 발등부나 발바닥부로부터 무릎 아래까지 덮는 형태로 해도 좋으며, 발등부나 발바닥부로부터 허리부까지 덮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 발의 발끝을 덮는 형태로 해도 좋다. 예를 들면, 뜨개코의 증감을 행하고, 코를 하나씩 빼는 처리에 의해 단부를 개구해서 제2 원통형 니트(20)의 하단측을 양말 등과 같은 원호모양, 5개의 발가락 등으로 뜨개질하는 것에 의해, 발의 발끝을 피복할 수 있다. 또, 하지에 한정되지 않고, 팔, 손, 손목 등을 착용 부위로 하여 그곳을 덮는 것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팔에 착용하는 경우이더라도, 접속 니트(30)에 의해 팔꿈치머리의 굴곡부에 고정시킬 수 있고, 원통형 붕대(1)를 팔꿈치 관절 주위에 밀착시켜 높은 순환 촉진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실시형태의 원통형 붕대(1)에서는, 착용 대상을 다리부 및 발부로 하고 있음으로써, 뒤꿈치의 형상에 대응시키기 위해서, 다리의 길이로서의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 L6, L7)와, 그에 대한 수직 단면의 주위길이의 인체 주위길이 정보(m1, m2, m3, … m6, m7)로부터 제1 원통형 니트(10)를 뜨개질하고, 발의 길이로서의 인체 위치 정보((L8,) L9, L10)와, 그에 대한 수직 단면의 주위길이의 인체 주위길이 정보((m8,) m9, m10)로부터 제2 원통형 니트(20)를 뜨개질하고, 그리고, 이 인체 위치 정보(L7)로부터 인체 위치 정보(L9) 사이에서, 착용시에 뒤꿈치에 대응시키기 위해서 실을 루프모양으로 짜는 코스수를 증대하여 접속 니트(30)에 의해 제1 원통형 니트(10)와 제2 원통형 니트(20)를 연결하고 있으며, 접속 니트(30)에 있어서 뒤꿈치의 불룩함에 맞추어 곡률을 갖게 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원통형 붕대(1)의 용도, 착용 부위(예를 들면, 팔, 다리부, 머리부, 발부, 손부) 등에 의해, 제1 원통형 니트(10)와 제2 원통형 니트(20)의 구별 없이, 그리고, 곡률을 갖게 한 접속 니트(30)를 마련하는 일없이, 다시 말해, 상기의 반복적인 되돌아가기 뜨개질로의 전환을 행하는 일없이 길이방향에 있어서 주회 뜨개질을 연속시켜, 원하는 압박력을 주고 싶은 전체에서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에 대한 수직 단면에 있어서의 주위길이의 인체 주위길이 정보(m1, m2, m3, …)로부터, 인체 주위길이 정보(L1, L2, L3, …)에 대응한 소정의 영률로 되도록 계산한 계산 결과에 근사하는 바늘코의 수에 의해 웨일측의 고리모양 뜨개코의 열의 코수를 설정한 원통형 붕대(1)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말해, 전체 형상이 길이방향으로 직선 모양으로 연속하는 형상의 원통형 붕대(1)로 해도 좋다.
이상 설명해 온 바와 같이, 상기 실시형태의 원통형 붕대(1)는, 제1 원통형 니트(10)와 그것에 연속하는 제2 원통형 니트(20)가, 착용 대상인 인체 일부의 길이방향으로서 특정하는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와,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에 대한 수직 단면에 있어서의 주위길이의 인체 주위길이 정보(m1, m2, m3, …)를 이용하여 뜨개질되고, 베이스 조직에 있어서, 인체의 길이방향의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에 대한 수직 단면의 주위길이인 인체 주위길이 정보(m1, m2, m3, …)를 웨일측의 뜨개코의 열의 코수로 해서 짜고, 특히, 인체 주위길이 정보(m1, m2, m3, …)를, 인체 주위길이 정보(m1, m2, m3, …)에 대응한 소정의 영률로 되도록 해서 계산한 계산 결과로 되도록 근사하는 코수로 설정해서, 가로짜기(橫編)한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실시형태의 원통형 붕대(1)는, 제1 원통형 니트(10)와 그것에 연속하는 제2 원통형 니트(20)가, 착용 대상인 인체 일부의 길이방향으로서 특정하는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와,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에 대한 수직 단면에 있어서의 주위길이의 인체 주위길이 정보(m1, m2, m3, …)를 이용하여 뜨개질되고, 인체 주위길이 정보(m1, m2, m3, …)에 대응한 소정의 영률로 되도록 계산하며, 그 계산 결과에 근사하는 바늘코의 수로, 뜨개코를 형성하는 실이 연속하는 웨일측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로 형성된 고리모양의 코수 설정되며, 웨일측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의 코수의 증감 변화에 의해 인체 주위길이 정보(m1, m2, m3, …)의 인체의 단면 길이 변화에 대응하여 인체 일부의 길이방향으로 착용되는 원통형 붕대(1)로서, 착용 부위에 접촉시키는 내면측을, 뜨개질에 의해 길이방향(코스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하는 오목부(=뜨개코가 외면측에서 볼록모양으로 나타나고, 내면측에서 오목모양으로 나타나는 외측 볼록부(42)) 및 볼록부(=뜨개코가 외면측에서 오목모양으로 나타나고, 내면측에서 볼록모양으로 나타나는 내측 볼록부(41))가 교호로 병렬하여 고리모양의 주위 방향(웨일측)으로 요철이 연속하는 횡단면 요철모양으로 형성한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실시형태의 원통형 붕대(1)는, 웨일측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의 코수의 변화에 의해, 착용 대상인 인체 일부의 길이방향의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에 대한 수직 단면에 있어서의 주위길이의 인체 주위길이 정보(m1, m2, m3, …)에 근거하는 인체의 단면 변화에 대응하여 주위길이를 변화시키고, 인체의 착용 부위에 접촉시키는 내면측을, 뜨개질에 의해 오목부 및 볼록부가 교호로 병렬하여 길이방향에 직각인 둘레 방향으로 요철이 연속하는 단면 요철모양으로 형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인체 주위길이 정보(m1, m2, m3, …)는,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에 대한 수직 단면의 주위의 길이이며, 인체의 단면 길이(주위길이)의 변화 정보로서 웨일측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의 길이를 결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뜨개코를 형성하는 실이 연속하는 웨일측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의 코수의 변화에 의해 인체 주위길이 정보(m1, m2, m3, …)의 인체의 단면 변화에 대응이란,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의 위치에 대응한 소정의 영률로 되도록, 웨일측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의 코수로 주위길이를 조정해서 인체의 단면의 길이(주위길이)의 변화에 대응한 것이다. 즉,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에 대응한 소정의 영률로 되도록 계산하고, 그 결과에 근사하는 코수로 길이를 조정한 것이다.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의 위치에 대응한 소정의 영률로 되도록 계산하고, 그 결과에 근사하는 바늘코의 수에 의해 웨일측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로 형성된 고리모양의 코수 설정되는 것으로 인해, 코를 형성하는 실이 연속하는 웨일측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의 코수의 증감 변화에 의해 인체 주위길이 정보(m1, m2, m3, …)의 인체의 단면 길이 변화에 대응한다.
다시 말해,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에 대한 수직 단면의 인체 주위길이 정보(m1, m2, m3, …)의 변화를, 소정의 영률로 되도록, 코수로 길이를 조정한다.
여기서, 웨일측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로 형성된 고리모양의 코수의 설정은,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 등의 위치(인체의 부위)에 대응한 소정의 영률로 되도록 하기 위하여, 근사하는 코수로 설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계산 결과는 코수를 산출하지만, 그 코수 이하의 단위는 사사오입해도 좋으며, 잘라 버려도, 잘라 올려도 좋다. 잘라 버림, 잘라 올림, 사사오입의 선택은, 실의 물성 및 짜는법 및 신체의 사용 개소의 특성에 따라서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인체 주위길이 정보(m1, m2, m3, …)를 근사하는 코수로 나타낼(근사 표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근사하는 것은 코수의 1 이내의 오차로 된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형태의 원통형 붕대(1)는, 횡편기 등을 사용한 가로짜기 뜨개질되고, 제1 원통형 니트(10)와 그것에 연속하는 제2 원통형 니트(20)가, 인체의 단면의 변화에 대응하여 길이방향으로 웨일측의 고리모양 뜨개코의 열의 코수를 가변하는 것에 의해, 인체의 길이에 대한 단면의 치수형상의 상위에 대응시킨 것이다. 인체의 단면의 변화에 대응하여 뜨개코수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치수형상의 표현 자유도가 높고, 주위길이를 자유자재로 할 수 있어, 인체의 단면의 치수형상에 대응한 최적인 지름의 설계가 용이하다. 또, 코수에 따라 원하는 압박력의 설정이 용이하다.
따라서, 예를 들면, 단면의 치수형상의 변화가 큰 발 관절 둘레에 대해서도 고정성을 높일 수 있고, 니트의 과부족에 의한 느슨해짐이나 주름의 발생, 옥죔을 방지하여, 배면 뒤꿈치측, 특히 복사뼈 부근의 오목부에 대해서도 니트를 밀착시켜 착압 분포를 균일하게 하고, 착압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 국소적인 부종 등에 의한 굴곡(요철)에 대응해서, 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코수에 따라 주위길이를 변화시키고 원하는 압박력의 설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기 때문에, 임의의 루프지름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고,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착용도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 무봉제의 홀가먼트식 횡편기에 의한 원통형 뜨개질에 한정되지 않고, 봉제에 의해 원통형으로 형성해도 좋고, 컴퓨터 제어식, 수동식, 기계편물, 손뜨개 등은 불문한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원통형 붕대(1)의 제1 원통형 니트(10)와 제2 원통형 니트(20)는, 착용 부위에 접촉시키는 내면측을,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하는 오목부(=뜨개코가 외면측에서 볼록모양으로 나타나고, 내면측에서 오목모양으로 나타나는 외측 볼록부(42)) 및 볼록부(=뜨개코가 외면측에서 오목모양으로 나타나고, 내면측에서 볼록모양으로 나타나는 내측 볼록부(41))가 교호로 병렬하여 고리모양의 주위 방향으로 요철이 연속하는 횡단면 요철모양으로 형성한 것으로 인해, 착용시에 그 요철에 의해 착용자의 길이방향에 직각인 둘레 방향에서 착압에 강약이 생기고 부분적인 압박력(가압 작용)에 의해, 림프액의 흐름이 촉진되고, 순환 촉진효과가 높아진다. 특히, 그 요철이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하고 있음으로써, 착압의 강약이 림프액이 흐르는 방향을 따르게 되기 때문에, 림프액의 흐름이 한층 더 촉진되고, 순환 촉진효과가 높아진다. 또, 밸런스가 좋은 압박력을 받아 위화감이 없다. 이에 더하여, 니트의 내면측의 요철 형상에 의해 면의 변화가 있음으로써, 인체의 단면 주위의 변화가 있는 굴곡 부분의 형상에 대응하여 니트가 밀착해서 고정하기 쉽다.
이렇게 하여, 인체의 단면의 치수형상의 변화에 대응하여 고정성을 높일 수 있는데다, 착용 부위에 고정시키는 니트가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하는 오목부 및 볼록부가 교호로 병렬하여 고리모양의 주위 방향에서 요철이 연속하는 횡단면 요철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순환 촉진효과를 높일 수 있고, 높은 순환 촉진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원통형 붕대(1)는, 탄성사(B)를 베이스사(A)의 리브짜기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조직의 외측 볼록부(42)를 구성하는 뜨개코에 대해서 니팅하고, 또, 내측 볼록부(41)를 구성하는 뜨개코에 대해서 미싱 또는 터킹을 행하여 소정 간격의 코스에서 삽입되고 있는 것에 의해, 착용 부위에 닿는 내면측보다도, 그의 이면인 외면측의 고리모양의 장력이 크게 되어 있다. 즉, 착용 부위에 접촉시키는 내면측보다도, 그의 이면인 외면측의 고리모양의 장력을 크게 한 발명으로서 파악할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해, 볼록부(=뜨개코가 내면측에서 볼록모양으로 나타나고, 외면측에서 오목모양으로 나타나는 내측 볼록부(41))와 오목부(=뜨개코가 내면측에서 오목모양으로 나타나고, 외면측에서 볼록모양으로 나타나는 외측 볼록부(42))의 구별이 두드러져, 착용 부위에 닿는 내면측에 형성된 내측 볼록부(41)가 곡률을 갖고 두께 방향으로 부피가 증대한다. 이것으로부터, 내측 볼록부(41)에 의한 착용 부위에의 밀착성을 높여 압박력(가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원통형 붕대(1)는, 베이스사(A)의 리브짜기 조직에 대해서, 니팅과 미싱 또는 터킹에 의해 탄성사(B)를 교편시키고 있는 것에 의해, 고리모양의 주위 방향으로 장력의 변화가 생겨, 착용 부위에 접촉시키는 내면측의 볼록부(=뜨개코가 내면측에서 볼록모양으로 나타나고, 외면측에서 오목모양으로 나타나는 내측 볼록부(41))와 오목부(=뜨개코가 내면측에서 오목모양으로 나타나고, 외면측에서 볼록모양으로 나타나는 외측 볼록부(42))에서 장력이 상위하다. 즉, 착용 부위에 접촉시키는 내측에 나타나는 볼록부와 오목부에서 장력을 상위시킨 발명으로서 파악할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해, 볼록부(=뜨개코가 내면측에서 볼록모양으로 나타나고, 외면측에서 오목모양으로 나타나는 내측 볼록부(41))와 오목부(=뜨개코가 내면측에서 오목모양으로 나타나고, 외면측에서 볼록모양으로 나타나는 외측 볼록부(42))의 구분이 두드러져, 착용 부위에 접촉시키는 내측에 형성된 내측 볼록부(41)가 곡률을 갖고 두께 방향으로 부피가 증대한다. 따라서, 내측 볼록부(41)에 의한 착용 부위에의 밀착성을 높여 압박력(가압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원통형 붕대(1)는, 제1 원통형 니트(10) 및 제2 원통형 니트(20)의 베이스 조직이 리브짜기로 뜨개질되고, 니트의 표리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하는 외측 볼록부(42)와 내측 볼록부(41)로 이루어지는 오목부 및 볼록부가 교호로 병렬하여 횡단면 외형이 고리모양의 둘레 방향으로 요철이 연속하는 요철모양을 보이고, 착용 부위에 접촉시키는 내면측에 있어서 볼록모양으로 나타나는 뜨개코의 이면이 외면측에 있어서 오목모양으로 나타나고, 착용 부위에 접촉시키는 내면측에 있어서 오목모양으로 나타나는 뜨개코의 이면이 외면측에 있어서 볼록모양으로 나타나고, 착용 부위에 접촉시키는 내면측에서는 볼록모양으로 나타나고 그의 이면의 외면측에서는 오목모양으로 나타나는 뜨개코를 내측 볼록부(41)로 하고, 착용 부위에 접촉시키는 내면측에서는 오목모양으로 나타나고 그의 이면의 외면측에서는 오목모양으로 나타나는 뜨개코를 외측 볼록부(42)로 했을 때, 외측 볼록부(42)보다도 내측 볼록부(41)의 단면 외형이 곡선에 근사하는 발명으로서 파악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실시형태의 원통형 붕대(1)는, 제1 원통형 니트(10)와 그것에 연속하는 제2 원통형 니트(20)가, 착용 대상인 인체 일부의 길이방향으로서 특정하는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와, 인체 위치 정보(L1, L2, L3, …)에 대한 수직 단면에 있어서의 주위길이의 인체 주위길이 정보(m1, m2, m3, …)를 이용하여 뜨개질되어 이루어지고, 인체 주위길이 정보(m1, m2, m3, …)에 대응한 소정의 영률로 되도록 계산하고, 그 결과에 근사하는 바늘코의 수에 의해 웨일측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로 형성된 고리모양의 코수 설정되며, 웨일측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의 코수의 증감 변화에 의해 인체 주위길이 정보(m1, m2, m3, …)의 인체의 단면 길이 변화에 대응하여 인체 일부의 길이방향으로 착용되는 원통형 붕대(1)로서, 니트의 표리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하는 오목부 및 볼록부가 교호로 병렬하여 횡단면 외형이 고리모양의 주위 방향으로 요철이 연속하는 요철모양을 보이고, 착용 부위에 접촉시키는 내면측에 있어서 볼록모양으로 나타나는 뜨개코의 이면이 외면측에 있어서 오목모양으로 나타나고, 착용 부위에 접촉시키는 내면측에 있어서 오목모양으로 나타나는 뜨개코의 이면이 외면측에 있어서 볼록모양으로 나타나고, 착용 부위에 접촉시키는 내면측에서는 볼록모양으로 나타나고, 그의 이면의 외면측에서는 오목모양으로 나타나는 뜨개코를 내측 볼록부(41)로 하고, 착용 부위에 접촉시키는 내면측에서는 오목모양으로 나타나고, 그의 이면의 외면측에서는 볼록모양으로 나타나는 뜨개코를 외측 볼록부(42)로 했을 때, 외측 볼록부(42)보다도 내측 볼록부(41)에서 그의 횡단면 형상이 곡선에 근사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원통형 붕대(1)는, 제1 원통형 니트(10)와 그것에 연속하는 제2 원통형 니트(20)가, 인체의 단면의 변화에 대응하여 길이방향으로 웨일측의 고리모양 뜨개코의 열의 코수를 가변하는 것에 의해, 인체의 길이에 대한 단면의 치수형상의 상위에 대응시킨 것이다. 인체의 단면의 변화에 대응하여 뜨개코수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치수형상의 표현 자유도가 높고, 주위길이를 자유자재로 할 수 있어, 인체의 단면의 치수형상에 대응한 최적인 지름의 설계가 용이하다. 또, 코수, 영률에 의해 원하는 압박력의 설정이 용이하다. 예를 들면 발부에 착용하는 경우에서도, 단면의 치수형상의 변화가 큰 발 관절 둘레에 대해서도 고정성을 높일 수 있고, 니트의 과부족에 의한 느슨해짐이나 주름의 발생, 옥죔을 방지해서, 복사뼈 주위의 오목부에 대해서도 니트를 밀착시켜 착압 분포를 균일하게 하고, 착압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 국소적인 부종 등에 의한 요철에 대응해서 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코수 주위길이를 변화시켜, 원하는 압박력의 설정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임의의 루프지름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고,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착용도 용이하다.
그리고, 뜨개질에 의해 니트의 표리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하는 외측 볼록부(42)와 내측 볼록부(41)로 이루어지는 오목부 및 볼록부가 교호로 병렬하여 횡단면 외형이 둘레 방향으로 요철이 연속하는 요철모양으로 형성한 것으로 인해, 착용시에 그 요철에 의해 착용자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직각인 둘레 방향에서 부분적인 높은 압박력(가압 작용)의 발생에 의해 착압에 강약이 생김으로써, 림프액의 흐름이 촉진되어, 순환 촉진효과가 높아진다. 특히, 그 요철이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하고 있음으로써, 착압의 강약이 림프액이 흐르는 방향을 따르게 되기 때문에, 림프액의 흐름이 한층 더 촉진되어, 순환 촉진효과가 높아진다. 또, 밸런스가 좋은 압박력을 받아 위화감이 없다.
이에 더하여, 탄성사(B)가 베이스사(A)의 리브짜기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조직의 외측 볼록부(42)를 구성하는 뜨개코에 대해서 니팅하고, 또, 내측 볼록부(41)를 구성하는 뜨개코에 대해서 미싱 또는 터킹을 행하여 소정 간격의 코스에서 삽입되고 있는 것에 의해, 외측 볼록부(42)보다도 내측 볼록부(41)가 만곡해서 만곡도가 크고, 호상(孤狀)의 곡선에 근사하는 것이다. 따라서, 내측 볼록부(41)의 완충성(탄력성, 쿠션성)이 높고, 내측 볼록부(41)에 의한 착용 부위에의 밀착성을 높여 압박력(가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니트의 내면측의 요철 형상에 의해 면의 변화가 있음으로써, 인체의 단면 주위의 변화가 있는 굴곡 부분의 형상에 대응하여 니트가 밀착해서 고정하기 쉽다.
이렇게 하여, 인체의 단면의 치수형상의 변화에 대응하여 고정성을 높일 수 있는데다, 착용 부위에 고정시키는 니트가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하는 오목부 및 볼록부가 교호로 병렬하여 고리모양의 주위에서 요철이 연속하는 횡단면 요철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순환 촉진효과를 높일 수 있고, 높은 순환 촉진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원통형 붕대(1)는, 제1 원통형 니트(10)와, 제1 원통형 니트(10)에 연속해서 형성한 제2 원통형 니트(20)와, 제1 원통형 니트(10)와 제2 원통형 니트(20) 사이에서 실을 루프모양으로 짜는 코스측의 코수를 증대해서 제1 원통형 니트(10)와 제2 원통형 니트(20)를 연결하는 접속 니트(30)를 구비하고, 제1 원통형 니트(10)의 제2 원통형 니트(20) 및 접속 니트(30)에 연결되는 최단부의 웨일측의 고리모양 지름보다도, 제2 원통형 니트(20)의 제1 원통형 니트(10) 및 접속 니트(30)에 연결되는 최단부의 웨일측의 고리모양 지름이 큰 지름으로 되고, 접속 니트(30)의 제1 원통형 니트(10) 및 제2 원통형 니트(20)와의 연결에 있어서, 정면측의 좌우 대칭선(d1) 및 배면측의 좌우 대칭선(d2)에서 웨일측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이 절반이 되도록 고리모양의 내면을 상대측의 내면에 접촉하는 겹쳐접기로 한 절첩한 상태에서, 제1 원통형 니트(10)와 제2 원통형 니트(20)와 접속 니트(30)와의 경계부(P)로부터 제1 원통형 니트(10)에 제2 원통형 니트(20)가 연속하는 측인 정면측의 좌우 대칭선(d1)으로 향하는 가상 수선(c1)의 거리폭(a)과, 경계부(P)로부터 접속 니트(30)측인 배면측의 좌우 대칭선(d2)으로 향하는 가상 수선(c2)의 거리폭(b)과의 비가, 6:4≤a:b≤9:1의 범위 내인 것이다.
상기 실시형태의 원통형 붕대(1)는, 제1 원통형 니트(10)의 제2 원통형 니트(20)에 연결되는 최단부(하단부)의 웨일측의 1고리모양 지름(주위길이)보다도, 제2 원통형 니트(20)의 제1 원통형 니트(10)에 연결되는 최단부(상단부)의 웨일측의 1고리모양 지름(주위길이) 쪽이 크고, 큰 지름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원통형 니트(10) 및 제2 원통형 니트(20)가 코수의 변화에 의해 주위길이를 변화시키는 것인 것으로 인해, 코수의 변화에 의해 제1 원통형 니트(10)의 제2 원통형 니트(20) 및 접속편(30)에 연결될 때의 지름보다도, 제2 원통형 니트(20)의 제1 원통형 니트(10) 및 접속 니트(30)에 연결될 때의 지름이 큰 지름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루프지름, 짜는법, 장력 등에 의해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실시형태의 원통형 붕대(1)에서는, 이 제1 원통형 니트(10)와 제2 원통형 니트(20)의 연결에 있어서, 제1 원통형 니트(10)로부터 제2 원통형 니트(20)로 지름(주위길이)이 확대되는 동안에 실을 루프모양으로 짜는 코스수를 증대해서 접속 니트(30)에 의해 제1 원통형 니트(10)와 제2 원통형 니트(20)를 연결하고 있다.
특히, 정면측의 좌우 대칭선(d1) 및 배면측의 좌우 대칭선(d2)을 따라 웨일측의 고리모양의 주위길이가 절반이 되도록 고리모양의 내면을 상대측의 내면에 접촉하는 겹쳐접기로 한 절첩했을 때, 제1 원통형 니트(10)와 제2 원통형 니트(20)와 접속 니트(30)와의 경계부(P)로부터 제1 원통형 니트(10)에 제2 원통형 니트(20)가 연속하는 측인 정면측의 좌우 대칭선(d1)으로 향하는 가상 수선(c1)의 거리폭(a)과, 경계부(P)로부터 접속 니트(30)측인 배면측의 좌우 대칭선(d2)으로 향하는 가상 수선(c2)의 거리폭(b)의 비가, 6:4≤a:b≤9:1의 범위 내로 되도록, 접속 니트(30)가 제1 원통형 니트(10) 및 제2 원통형 니트(20)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실시형태의 원통형 붕대(1)에 의하면, 제1 원통형 니트(10)의 제2 원통형 니트(20)에 연결되는 최단부의 웨일측의 고리모양 지름(주위길이)보다도, 제2 원통형 니트(20)의 제1 원통형 니트(10)에 연결되는 최단부의 웨일측의 고리모양 지름(주위길이) 쪽이 큰 지름이고, 접속 니트(30)에 의해 제1 원통형 니트(10)와 제2 원통형 니트(20) 사이에서 코스수를 증대해서 제1 원통형 니트(10)와 제2 원통형 니트(20)를 연결하고 있음으로써, 접속 니트(30)에 있어서 곡률을 갖게 하고, 착용에 의해 발 관절 둘레를 덮었을 때, 발목 배면측에 주름이 생기는 일도 없고, 또, 뒤꿈치측에서의 옥죔이 방지되어, 뒤꿈치의 윤곽 형상에 고정한다. 그리고, 제1 원통형 니트(10)와 제2 원통형 니트(20)의 연결 부분에서, 제1 원통형 니트(10)보다도 제2 원통형 니트(20)가 큰 지름으로 되어 제1 원통형 니트(10)와 제2 원통형 니트(20)에서 지름의 변화를 갖게 하고 있음으로써, 제1 원통형 니트(10)와 제2 원통형 니트(20)를 연결하는 접속 니트(30)에 있어서 뒤꿈치의 불룩함에 맞추어 충분히 큰 곡률을 갖게 할 수 있고, 착용시에 있어서 뒤꿈치측에서의 옥죔을 줄일 수 있다. 또, 제1 원통형 니트(10)와 제2 원통형 니트(20)의 연결에 있어서 제1 원통형 니트(10)보다도 제2 원통형 니트(20)가 큰 지름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지름의 선택폭을 갖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발 관절 둘레의 치수형상에 맞춘 최적인 지름의 설계, 선택이 가능하고, 니트의 남음에 의한 발등측에서의 느슨해짐이나 주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가로주름의 침투에 의한 순환의 저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 니트의 부족에 의한 뒤꿈치측에서의 긴장도 방지된다.
그리고, 정면측의 좌우 대칭선(d1) 및 배면측의 좌우 대칭선(d2)을 따라 웨일측의 고리모양의 주위길이가 절반이 되도록 고리모양의 내면을 상대측의 내면에 접촉하는 겹쳐접기로 한 절첩 상태에서, 제1 원통형 니트(10)와 제2 원통형 니트(20)와 접속 니트(30)와의 경계부(P)로부터 제1 원통형 니트(10)에 제2 원통형 니트(20)가 연속하는 측인 정면측의 좌우 대칭선(d1)으로 향하는 가상 수선(c1)의 거리폭(a)과, 경계부(P)로부터 접속 니트(30)측인 배면측의 좌우 대칭선(d2)으로 향하는 가상 수선(c2)의 거리폭(b)의 비가, 6:4≤a:b≤9:1의 범위 내이기 때문에, 제1 원통형 니트(10)와 제2 원통형 니트(20) 사이에서 실을 루프모양으로 짠 코스측의 코수를 증대시켜 곡률을 갖게 한 접속 니트(30)가 아니라, 소정의 영률로 설정되어 균일한 압박력을 가하는 제1 원통형 니트(10)와 제2 원통형 니트(20)가 복사뼈(내과, 외과) 주위를 덮게 된다.
이렇게 하여, 착용시에 발등측에서의 느슨해짐이나 주름의 발생이 억제되고, 또, 뒤꿈치측에서의 옥죔이 방지되며, 그리고, 둥그스름함(불룩함)을 갖지 않는 제1 원통형 니트(10)와 제2 원통형 니트(20)가 복사뼈 주위의 요철을 덮게 되기 때문에, 복사뼈 주위의 오목부에서의 니트의 들뜸이 방지되어, 복사뼈 주위의 굴곡부에 고정시켜 밀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복사뼈 부근의 배면측의 오목 부분에 대해서도 밀착시킬 수 있고, 착압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 국소적인 부종 등에 의한 요철에 대응해서, 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뒤꿈치부, 복사뼈부, 발목 하단과 발등의 경계부 등의 굴곡부를 가지고 단면의 치수형상의 변화가 큰 발 관절 둘레에서도 고정성을 높여 착압 분포를 균일하게 하고, 착압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접속 니트(30)의 제1 원통형 니트(10)와 제2 원통형 니트(20)에의 연결이, 제1 원통형 니트(10)의 제2 원통형 니트(20) 및 접속 니트(30)에 연결되는 최단부의 웨일측의 고리모양의 주위길이의 20%∼40%의 범위 내에 대해서, 또, 제2 원통형 니트(20)의 제1 원통형 니트(10) 및 접속 니트(30)에 연결되는 최단부의 웨일측의 고리모양의 주위길이의 20%∼40%의 범위 내인 것에 의해, 착용에 의해 발 관절 둘레를 덮었을 때, 제1 원통형 니트(10)와 제2 원통형 니트(20)가 뒤꿈치측으로 옥죄어져서 땅기는 것에 의한 무리한 장력이 생기는 긴장이 방지되며, 또, 느슨해짐이 생기는 일도 없으며, 복사뼈 주위의 요철에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형태 1의 원통형 붕대(1)에 의하면, 예를 들면, 발 관절 둘레에 착용했을 때, 착용 부위에 접촉시키는 내면측을, 뜨개질에 의해 실을 루프모양으로 짠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하는 오목부(=뜨개코가 외면측에서 볼록모양으로 나타나고, 내면측에서 오목모양으로 나타나는 외측 볼록부(42)) 및 볼록부(=뜨개코가 외면측에서 오목모양으로 나타나고, 내면측에서 볼록모양으로 나타나는 내측 볼록부(41))가 교호로 병렬하여 고리모양의 주위에서 요철이 연속하는 횡단면 요철모양으로 형성한 제1 원통형 니트(10)와 제2 원통형 니트(20)에 의해, 발등측으로부터 복사뼈 주위를 덮고 복사뼈 부근의 굴곡부, 특히 배면측에 있어서도 밀착시킬 수 있음으로써, 높은 순환 촉진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착용시에, 복사뼈 부근의 굴곡부에 대해서 제1 원통형 니트(10)와 제2 원통형 니트(20)를 밀착할 수 있음으로써 착압을 높여 순환 촉진효과를 높일 수 있는데다, 복사뼈 부근의 굴곡부에 밀착시키는 제1 원통형 니트(10)와 제2 원통형 니트(20)의 내면측이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하는 오목부(=뜨개코가 외면측에서 볼록모양으로 나타나고, 내면측에서 오목모양으로 나타나는 외측 볼록부(42)) 및 볼록부(=뜨개코가 외면측에서 오목모양으로 나타나고, 내면측에서 볼록모양으로 나타나는 내측 볼록부(41))가 교호로 병렬하여 고리모양의 주위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림프액이 막히기(고이기) 쉬운 복사뼈 주위의 림프의 흐름을 촉진시킬 수 있고, 순환 촉진효과를 더욱더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원통형 붕대(1)를 인체의 하지에 착용하는 하지용 지지대에 적용한 사례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원통형 붕대(1)의 적용은 발부, 다리부에 한정되지 않고, 팔부, 손목부, 손부 등의 사지 몸통 및 머리부 등에 착용하는 붕대, 지지대, 슬리브(탄성 슬리브), 장갑(탄성 장갑) 등으로 해도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손목, 손부에의 착용 부재로서, 제1 원통형 니트(10)와 제2 원통형 니트(20)의 연결 부분에 있어서의 고리모양 지름의 상위 부분에 절입(cutting)이나 분할에 의해 구멍을 형성하고, 그곳에 손부의 엄지를 삽입하고, 제1 원통형 니트(10)로 주로 손부측을, 제2 원통형 니트(20)로 손목측을 덮는 착용으로 해서, 손의 단면 변화에 대응하여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1: 원통형 붕대
10: 제1 원통형 니트
20: 제2 원통형 니트
30: 접속 니트
41: 내측 볼록부
42: 외측 볼록부
L1, L2, L3,…: 인체 위치 정보
P: 제1 원통형 니트와 제2 원통형 니트와 접속 니트의 경계부
c1, c2: 가상 수선
d1, d2: 좌우 대칭선
A: 베이스사
B: 탄성사

Claims (14)

  1. 착용 대상인 인체의 일부 단면의 변화에 대응하여, 뜨개코를 형성하는 실이 연속한 웨일측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의 코수의 변화에 의해 주위길이를 변화시키고, 상기 인체 일부의 길이방향으로 착용되는 원통형 붕대로서,
    상기 인체의 착용 부위에 접촉시키는 내면측을, 뜨개질에 의해 둘레 방향으로 오목부 및 볼록부가 교호로 연속한 단면 요철모양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붕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및 상기 볼록부는, 상기 둘레 방향에 직각인 길이방향으로 연속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붕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의 착용 부위에 접촉시키는 내면측보다도 그의 이면인 외면측에서 둘레 방향의 고리모양의 장력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붕대.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의 착용 부위에 접촉시키는 내면측에 나타나는 볼록부 및 오목부에서는 둘레 방향의 고리모양의 장력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붕대.
  5. 착용 대상인 인체의 일부 단면의 변화에 대응하여, 뜨개코를 형성하는 실이 연속한 웨일측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의 코수의 변화에 의해 주위길이를 변화시키고, 상기 인체 일부의 길이방향으로 착용되는 원통형 붕대로서,
    뜨개질에 의해 니트의 표리에서 둘레 방향으로 오목부 및 볼록부가 교호로 연속한 단면 요철모양으로 형성하고, 상기 인체의 착용 부위에 접촉시키는 내면측에서 볼록모양으로 나타나는 뜨개코의 이면이 외면측에서 오목모양으로 나타나고, 상기 인체의 착용 부위에 접촉시키는 내면측에서 오목모양으로 나타나는 뜨개코의 이면이 외면측에서 볼록모양으로 나타나고,
    상기 인체의 착용 부위에 접촉시키는 내면측에서는 볼록모양으로 나타나고, 그의 이면의 외면측에서는 오목모양으로 나타나는 뜨개코를 내측 볼록부로 하고, 상기 인체의 착용 부위에 접촉시키는 내면측에서는 오목모양으로 나타나고, 그의 이면의 외면측에서는 볼록모양으로 나타나는 뜨개코를 외측 볼록부로 했을 때, 상기 외측 볼록부보다 상기 내측 볼록부에서 그의 단면 외형이 곡선에 가까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붕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볼록부 및 상기 내측 볼록부가 상기 둘레 방향에 직각인 길이방향으로 연속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붕대.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니트의 두께가 2mm∼15mm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붕대.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의 발 관절 둘레에 착용했을 때, 발뒤꿈치측의 바깥 복사뼈부 주위의 기단부에서의 착압이 3mmHg∼70mmHg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붕대.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의 발 관절 둘레에 착용했을 때, 발뒤꿈치측의 바깥 복사뼈부 주위의 기단부와 발등부의 착압 차가 4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붕대.
  10. 제1 원통형 니트와,
    상기 제1 원통형 니트에 연속하여 형성한 제2 원통형 니트와,
    제1 원통형 니트와 제2 원통형 니트 사이에서 실을 루프모양으로 짠 코스측의 증대된 코수로 제1 원통형 니트와 제2 원통형 니트를 연결한 접속 니트
    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원통형 니트의 상기 제2 원통형 니트 및 상기 접속 니트에 연결된 최단부에 있어서의 뜨개코를 형성하는 실이 연속한 웨일측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로 형성된 고리모양 지름보다, 상기 제2 원통형 니트의 제1 원통형 니트 및 접속 니트에 연결되는 최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웨일측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로 형성된 고리모양 지름이 크고,
    상기 제1 원통형 니트 및 상기 제2 원통형 니트의 좌우 대칭선에서 상기 고리모양의 내면을 상대측의 내면에 접촉하는 겹쳐접기로 한 절첩한 상태에서, 상기 고리모양의 주위길이를 절반으로 한 제1 원통형 니트와 제2 원통형 니트와 접속 니트와의 경계부로부터 상기 제1 원통형 니트에 상기 제2 원통형 니트가 연속하는 측의 상기 좌우 대칭선으로 향하는 가상 수선의 거리폭(a)과, 상기 경계부로부터 상기 접속 니트측의 상기 좌우 대칭선으로 향하는 가상 수선의 거리폭(b)의 비가, 6:4≤a:b≤9:1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붕대.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니트가 상기 제1 원통형 니트와 상기 제2 원통형 니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원통형 니트의 제2 원통형 니트 및 접속 니트에 연결된 최단부에 있어서의 웨일측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로 형성된 고리모양의 주위길이의 10%∼40%의 범위 내에 대해서, 또, 상기 제2 원통형 니트의 제1 원통형 니트 및 접속 니트에 연결된 최단부에 있어서의 웨일측의 1고리모양의 뜨개코의 열로 형성된 고리모양의 주위길이의 10%∼40%의 범위 내에 대해서, 상기 접속 니트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붕대.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원통형 니트와 상기 제2 원통형 니트의 두께가 2mm∼15mm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붕대.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의 발 관절 둘레에 착용했을 때, 발뒤꿈치측의 바깥 복사뼈부 주위의 기단부에서의 착압이 3mmHg∼70mmHg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붕대.
  14.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의 발 관절 둘레에 착용했을 때, 발뒤꿈치측의 바깥 복사뼈부 주위의 기단부와 발등부의 착압 차가 4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붕대.
KR1020187036373A 2016-05-19 2017-02-27 원통형 붕대 KR1021849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00360 2016-05-19
JP2016100360A JP6052753B1 (ja) 2016-05-19 2016-05-19 筒状包帯
PCT/JP2017/007279 WO2017199520A1 (ja) 2016-05-19 2017-02-27 筒状包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8903A true KR20190008903A (ko) 2019-01-25
KR102184983B1 KR102184983B1 (ko) 2020-12-01

Family

ID=57582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6373A KR102184983B1 (ko) 2016-05-19 2017-02-27 원통형 붕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900152B2 (ko)
EP (2) EP3459510B1 (ko)
JP (1) JP6052753B1 (ko)
KR (1) KR102184983B1 (ko)
CN (2) CN108697536B (ko)
WO (1) WO201719952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5071B1 (ko) * 2021-04-02 2021-07-08 (주)위보코리아 압박밴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S61527B1 (sr) * 2015-03-27 2021-04-29 Trere Innovation S R L Odevni predmet sa elastičnim umecima proizveden korišćenjem mašina za kružno pletenje
JP6052753B1 (ja) 2016-05-19 2016-12-27 株式会社トレステック 筒状包帯
GB2565525B (en) * 2017-06-08 2019-11-06 Zhang Tingting Expandable knitted fabric
EP3473760A1 (de) * 2017-10-23 2019-04-24 medi GmbH & Co. KG Gestrickteil
CN107928878B (zh) * 2017-12-20 2023-05-02 苏州大学 一种压缩袜及其编织方法
US10851482B2 (en) * 2018-01-19 2020-12-01 Nke, Inc. Protected float
DE202018102766U1 (de) * 2018-05-17 2019-08-21 Julius Zorn Gmbh Nahtloser Kompressionsartikel
EP3572570B1 (de) * 2018-05-23 2022-05-18 BSN-Jobst GmbH Kompressionsartikel
US20200308738A1 (en) * 2019-03-29 2020-10-01 Elastic Therapy, LLC Knitted anti-slip article
JP6765691B1 (ja) 2019-04-09 2020-10-07 株式会社トレステック 筒状包帯
MX2021012497A (es) 2019-04-12 2021-11-12 Essity Hygiene & Health Ab Metodo para producir una tela tejida de doble capa.
ES2936620T3 (es) * 2019-08-14 2023-03-21 Dim France Sas Calcetería de compresión y su método de fabricación
EP3878351B1 (en) * 2020-03-09 2024-06-05 medi GmbH & Co. KG Computer-implemented method, determination system, computer program and electronically readable storage medium for determining production values for producing a custom-tailored knitted garment
EP3954817A1 (de) * 2020-08-11 2022-02-16 medi GmbH & Co. KG Beinbekleidungsstück
CN113151959B (zh) * 2021-04-30 2022-12-06 福建华峰新材料有限公司 一种具有松紧效果的压缩布料及其生产方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6343A (ja) 1996-05-08 1997-11-18 Shima Seiki Mfg Ltd 無縫製ソックスの編成方法
KR20000016657A (ko) * 1996-06-14 2000-03-25 고베 아르노 하지내의 순환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그리고 특히 정맥 궤양 후에 다리를 고정하기 위한 부츠 형상의 압박 오띠시스
JP2006219805A (ja) 2005-01-12 2006-08-24 Kobayashi Pharmaceut Co Ltd 下肢被覆材
WO2008078623A1 (ja) 2006-12-22 2008-07-03 Shima Seiki Mfg., Ltd. 靴下踵部の編成方法
JP2011087938A (ja) * 2009-10-21 2011-05-06 Hermann Christiansen 身体の一部を圧迫する製品に用いられる生地、並びに、この生地により形成される医療用包帯材及び衣料品
JP2011115571A (ja) * 2009-11-02 2011-06-16 Gunze Ltd 医療用ストッキング
KR20120113226A (ko) * 2010-01-22 2012-10-12 이이다쿠쓰시타 가부시키가이샤 다리 관절 서포터
KR20140046881A (ko) * 2012-10-11 2014-04-21 (주)삼원 무릎용 압박붕대
JP2016077331A (ja) * 2014-10-10 2016-05-16 株式会社トレステック 弾性筒状包帯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83581A (en) * 1928-11-12 1932-10-18 Cole Bernard Thornton Knitting machine
DE808744C (de) 1948-10-30 1951-07-19 Wilhelmine Stork Geb Nissel Gummistrumpf
US3290904A (en) * 1964-04-17 1966-12-13 Camp And Mcinnes Inc Compressive hos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3386270A (en) * 1966-04-18 1968-06-04 Alamance Ind Inc Man's support sock and method of forming same
US3889494A (en) * 1970-11-23 1975-06-17 Kendall & Co Stocking with compensated knee pressure
US4027667A (en) * 1975-07-03 1977-06-07 The Kendall Company Therapeutic stocking
US4172456A (en) * 1976-07-02 1979-10-30 Zens Hosiery Mgf. Co., Inc. Anti-embolism stocking
US4180065A (en) * 1978-01-23 1979-12-25 Bear Brand Hosiery Co. Anti-embolism stocking
US4397161A (en) * 1981-09-04 1983-08-09 Wigwam Mills, Inc. Sock with a compressive support foot
US4502301A (en) * 1982-09-29 1985-03-05 Rampon Products, Inc. Support stocking product or the like
JPH0956744A (ja) * 1995-08-29 1997-03-04 Okahashi Kutsushita Kk サポーター
FR2749754B1 (fr) * 1996-06-14 1998-12-11 Innothera Topic Int Orthese compressive a usage unique, notamment pour la contention d'une jambe a la suite d'un ulcere veineux
IT1292522B1 (it) * 1997-06-13 1999-02-08 S S I Sport Socks Internationa Calza terapeutica con parti di maglia differenti per filato ed elasticita'
CN1203765A (zh) * 1997-06-13 1999-01-06 S·S·I·运动袜国际有限公司 因纱线和弹性不同而具有不同的编织部分的治疗袜
FR2780637B1 (fr) * 1998-07-06 2000-09-22 Innothera Topic Int Orthese compressive du type bas ou collant de contention
GB0126554D0 (en) * 2001-11-06 2002-01-02 Univ Manchester Pressure garment
JP2004027459A (ja) * 2002-06-24 2004-01-29 Tetsuo Hasegawa 筒状編地とその編成方法
FR2852509B1 (fr) * 2003-03-19 2005-07-01 Thuasne Article chaussant de contention, du type bas-cuisse ou collant, notamment pour homme
EP1703813A1 (en) * 2003-12-30 2006-09-27 Chang Min Jeong A functional compression socks
US7007517B2 (en) * 2004-08-02 2006-03-07 Menzies—Southern Hosiery Mills, Inc. Knit sock
JP2006200063A (ja) * 2005-01-19 2006-08-03 Gunze Ltd ストッキング類
JP2006200112A (ja) 2005-06-03 2006-08-03 Gunze Ltd ストッキング類
JP2007239151A (ja) * 2006-03-10 2007-09-20 Alcare Co Ltd 靴下又は筒状の下肢用サポーター
JP2007332469A (ja) * 2006-06-12 2007-12-27 Alcare Co Ltd 靴下又は筒状の下肢用サポーター
DE102006032223A1 (de) * 2006-07-07 2007-07-12 Paul Hartmann Ag Kompressions- oder Stützstrumpf
US7562541B2 (en) * 2006-12-01 2009-07-21 Albahealth, LLC Therapeutic stocking
US7775069B1 (en) * 2006-12-01 2010-08-17 Albahealth, LLC Therapeutic stocking
DE102008003124B4 (de) * 2008-01-02 2019-02-21 Ofa Bamberg Gmbh Bekleidungsstück, Kompressionsstrumpf oder Bandage mit einstellbarer Kompression
BRPI0914117B8 (pt) * 2008-07-08 2021-06-22 Knit Rite Inc meias de compressão gradiente tricotadas utilizando fios de núcleo dilatado
DE202008014202U1 (de) * 2008-10-24 2009-01-15 X-Technology Swiss Gmbh Kompressionskleidung
DE102008064447B3 (de) 2008-12-22 2010-08-12 Kunert Fashion Gmbh & Co. Kg Beinbekleidungsstück aus Maschenware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FR2995525B1 (fr) * 2012-09-19 2014-10-10 Thuasne Procede de fabrication d'un article tubulaire de compression et article ainsi obtenu.
US9777413B2 (en) * 2013-08-13 2017-10-03 Robert H. Messier Compression knitted article
CN103564666B (zh) * 2013-11-15 2015-06-10 加宝利服装有限公司 一种压力袜、一种压力袜织造工艺和一种无缝圆袜机
JP6025004B2 (ja) 2015-01-05 2016-11-16 株式会社トレステック 弾性筒状包帯
JP6052753B1 (ja) 2016-05-19 2016-12-27 株式会社トレステック 筒状包帯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6343A (ja) 1996-05-08 1997-11-18 Shima Seiki Mfg Ltd 無縫製ソックスの編成方法
KR20000016657A (ko) * 1996-06-14 2000-03-25 고베 아르노 하지내의 순환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그리고 특히 정맥 궤양 후에 다리를 고정하기 위한 부츠 형상의 압박 오띠시스
JP2006219805A (ja) 2005-01-12 2006-08-24 Kobayashi Pharmaceut Co Ltd 下肢被覆材
WO2008078623A1 (ja) 2006-12-22 2008-07-03 Shima Seiki Mfg., Ltd. 靴下踵部の編成方法
JP2011087938A (ja) * 2009-10-21 2011-05-06 Hermann Christiansen 身体の一部を圧迫する製品に用いられる生地、並びに、この生地により形成される医療用包帯材及び衣料品
JP2011115571A (ja) * 2009-11-02 2011-06-16 Gunze Ltd 医療用ストッキング
KR20120113226A (ko) * 2010-01-22 2012-10-12 이이다쿠쓰시타 가부시키가이샤 다리 관절 서포터
KR20140046881A (ko) * 2012-10-11 2014-04-21 (주)삼원 무릎용 압박붕대
JP2016077331A (ja) * 2014-10-10 2016-05-16 株式会社トレステック 弾性筒状包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5071B1 (ko) * 2021-04-02 2021-07-08 (주)위보코리아 압박밴드
KR20220137509A (ko) * 2021-04-02 2022-10-12 (주)위보코리아 혈류량 개선을 위한 코튼 압박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697536B (zh) 2022-04-26
US10900152B2 (en) 2021-01-26
EP3459510B1 (en) 2022-06-29
JP6052753B1 (ja) 2016-12-27
US20180353345A1 (en) 2018-12-13
CN114504433B (zh) 2023-03-07
EP3459510A4 (en) 2020-10-21
CN108697536A (zh) 2018-10-23
WO2017199520A1 (ja) 2017-11-23
CN114504433A (zh) 2022-05-17
KR102184983B1 (ko) 2020-12-01
EP4011342A1 (en) 2022-06-15
EP3459510A1 (en) 2019-03-27
JP2017205328A (ja) 2017-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4983B1 (ko) 원통형 붕대
TWI586288B (zh) Leg support belt
CN101980676B (zh) 一种更易穿着的弹性静脉压迫矫形器
US8603019B1 (en) Joint compression wrap
US7775069B1 (en) Therapeutic stocking
JP2022528456A (ja) ニット滑り止め品
EP3721842B1 (en) Cylindrical bandage
JP2002013005A (ja) ハイソックス
CN110662439B (zh) 压力袜
JP2002317308A (ja) 産前妊婦用ガードルまたはショーツ
JP5737773B1 (ja) 弾性筒状包帯
JP6115977B1 (ja) 筒状包帯
JP2013083014A (ja) 手足の浮腫緩和用保持具
JP6025004B2 (ja) 弾性筒状包帯
RU210517U1 (ru) Изделия компрессионные для нижних конечностей
EP4273311A1 (en) Compression garment
JP5092176B2 (ja) 靴下
JP3227835U (ja) 靴下
JPH1143805A (ja) パンティストッキング
JPS5812801Y2 (ja) 医療用弾性くつ下
JP3193866U (ja) 5本指靴下
JP2021155860A (ja) ボトム衣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