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7515A - 미끄럼방지 조직포의 편성방법 - Google Patents

미끄럼방지 조직포의 편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7515A
KR20040047515A KR1020030016181A KR20030016181A KR20040047515A KR 20040047515 A KR20040047515 A KR 20040047515A KR 1020030016181 A KR1020030016181 A KR 1020030016181A KR 20030016181 A KR20030016181 A KR 20030016181A KR 20040047515 A KR20040047515 A KR 20040047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ssue
knitting
knitted
fabric
eng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6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5945B1 (ko
Inventor
안도구니히로
안도히로시
다나카즈네요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챠일드
가부시키가이샤 도메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챠일드, 가부시키가이샤 도메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챠일드
Publication of KR20040047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7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5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59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4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1/00Corsets or girdles
    • A41C1/06Corsets or girdles with brassie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2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article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 Glove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끄럼방지 조직포의 편성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몸매보정용 속옷 등의 의복, 구두의 안창 등의 신변용품, 또한 테니스 라켓, 골프 클럽 등의 그립에 최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한쪽 면은 감촉이 좋지만, 타면은, 폴리우레탄·필라멘트로 편성되는 표층조직부에 의해 미끄럼방지에 우수하고, 신축성, 통기성을 발휘한다.
합성섬유사 및/또는 천연섬유사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조직부 편성용 종사(4)에 의해 편성되는 베이스 조직부(2)와, 폴리우레탄·필라멘트, 또는 합성섬유사에 고무를 디핑하거나, 코팅하든지, 고무끈 단체로 이루어지는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5)(5A,5B)에 의해 베이스 조직부에 대하여 표면측에 원하는 웰, 원하는 코스의 코스잡기에 따라 종편되어, 원하는 편물코조직 무늬(G1,G2,G3)를 이루는 표층조직부(3)를 구비한 조직포(1)가 편성된다.

Description

미끄럼방지 조직포의 편성방법{METHOD FOR KNITTING ANTISLIP TEXTURE FABRIC}
본 발명은 미끄럼방지 조직포의 편성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속옷, 몸매보정용 속옷 등의 의복, 또, 모자, 구두의 안창, 방석, 시트 등의 신변용품, 나아가서는, 테니스 라켓, 골프 클럽 등의 스포츠용품의 그립에 최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조직포의 표리 어느 쪽인가 한쪽 면은, 촉감이 좋은데, 조직포의 어느 쪽인가 타면은, 폴리우레탄·필라멘트 등으로 편성되는 표층조직부가 노출됨으로써 미끄럼방지성이 우수하고, 또, 촉감, 매끄러움, 보들보들함, 광택 등의 감촉이 양호하고, 게다가 신축성, 회복성, 내구성, 강도, 통기성, 보온성도 양호하게 발휘되는 것이다.
종래, 특히 여성이 체형을 단정히 하기 위해 몸매보정용 속옷이 있다. 이 몸매보정용 속옷에는, 예를 들면, 가슴에서부터 몸통 둘레에 착용하는 브래지어나하지에 착용하는 거들이 있고, 브래지어와 거들을 일체로 한 것으로는 보디 슈트가 있었다.
그리고, 브래지어는, 컵부의 하부 둘레 가장자리나 어깨 끈에, 또 거들은, 웨이스트의 개구부 둘레 가장자리, 복부, 힙 부의 하부 가장자리, 양다리를 삽입하는 레그 홀의 양다리의 연결부분에 위치하는 옷자락 등에, 나아가서는 보디 슈트에서는 브래지어부의 컵부의 하부 둘레 가장자리나 어깨 끈에, 또 거들부에서는, 웨이스트의 개구부 둘레 가장자리, 복부, 힙부의 하부 가장자리, 양다리를 삽입하는 레그 홀의 양다리의 연결부분에 위치하는 옷자락 등의 인체에 접하는 각 정용(整容)부에 각각 고무, 접착제 등의 점착체를 도포함으로써 피부와의 밀착성을 도모하고, 밀려 올라가거나 밀려 내려가는 등의 벗어남을 방지하여, 미끄럼방지 기능을 발휘하도록 한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또, 몸매보정용 속옷을 제작하는데에 사용하는 조직포는, 예를 들면 복부, 웨이스트부 등의 군살을 죄고, 바스트·업이나 힙·업 등, 피착자의 체형을 보정하고, 게다가, 착용후에 갑갑하게 되지 않고 운동기능을 발휘하게 하기 위해 신축포가 사용된다.
이 신축포로서, 예를 들면 합성섬유사나 천연섬유사에 폴리우레탄사를 짜넣은 편물조직의 조직포가 있다. 이 편물조직의 조직포에 사용되는 폴리우레탄사는, 신축성을 발휘하는 이외, 촉감 등의 감촉을 가지고, 강도를 발휘하며, 나아가서는 염료의 부착성이 좋고, 염색을 용이하게 하여 세탁에 의한 색빠짐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폴리우레탄사의 표면에 다른 섬유사를 감은 커버링사를 사용하여 조직포를편성하고 있었다.
(특허문헌 1)
일본 실개평 6-76305호 공보(1-7페이지, 도 1-도 10)
그렇지만, 특허문헌 1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특히 여성이 체형을 단정히 하기 위해 착용하는 예를 들면 브래지어, 거들, 보디 슈트 등의 몸매보정용 속옷의 인체에 밀접하는 정용부에 고무 등의 점착체를 도포함으로써 피부와의 밀착성을 도모하고, 밀려 올라가거나 밀려 내려가는 등의 벗어남을 방지하도록 한 것은, 특히 여름철 등의 고온하에서 사용자가 땀 등을 흘리면, 습해짐에 의해 가려움이 생기게 한다. 또, 점착체가 고온도에 의해 연화되거나, 장시간의 사용이나 세탁을 반복하여 행함으로써 품질이 열화되어서 몸매보정용 속옷의 정용부로부터 탈락하여, 벗어남 방지 기능이 손상된다. 게다가, 몸매보정용 속옷의 정용부 개소에의 점착체의 도포작업을 필요로 하므로, 제품의 제작공정이 증대하고, 제작효율이 낮았다.
또, 고무 등의 점착체에 의한 죄는 힘에 의해 압박감을 느끼거나, 피부에 압박 흔적을 남기거나 하였다.
게다가, 조직포 자체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착용시에 위화감을 느끼거나, 스커트, 바지 등 겉옷위에 라인이 눈에 띄어, 볼품없게 된다. 또, 단위 면적당의 중량도 꽤 큰 것으로 되어 있었다.
또, 몸매보정용 속옷 등을 제작하기 위해 폴리우레탄사의 표면에 다른 섬유사를 감은 커버링사를 사용하여 편성되는 상기 종래의 신축포는, 신축성, 촉감 등의 감촉, 염색을 용이하게 하는 등에 중점을 두고 개발이 이루어져 있는 관점에서 조직포의 표면측 또는 이면측에 그다지 폴리우레탄사가 노정되지 않고 조직포의 내부에 폴리우레탄사가 둘러싸이는 배려가 행해져서 편입되고 있었다.
따라서 종래, 폴리우레탄사의 미끄럼방지 기능에 착안하여 개발이 이루어진 편물조직포는 지금까지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불편함을 해결하고, 특히 표면에 아무런 가공을 시행하지 않은 폴리우레탄·필라멘트를 사용하여 조직포의 표면측에 적극적으로 노정(露呈)되도록 짜여진 1장의 조직포이면서, 1면은 촉감, 매끄러움, 보들보들함, 광택 등의 생지소재의 본래의 감촉을 발휘하고, 적어도 표면측의 타면은 폴리우레탄·필라멘트 등에 의한 미끄럼방지 기능을 확실하게 발휘하고, 또 통기성, 신축성, 고정성이 우수하고, 회복력, 강도, 내구성은 뛰어나고, 게다가, 조직포로서 두께가 얇고, 경량이고, 특히, 속옷, 몸매보정용 속옷 등의 의복, 또, 모자, 구두의 안창, 방석, 시트 등의 신변용품, 나아가서는, 테니스 라켓, 골프 클럽 등의 스포츠 용품의 그립에 최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속옷, 몸매보정용 속옷에 적용한 경우에는, 여름철 등의 고온하에서 습해짐이나 혈액순환 불량에 의한 가려움을 발생시키지 않고, 게다가 점착체를 단지 조직포에 도포하는 것과는 달리 연화하지 않고 장시간의 사용이나 세탁을 반복하여 행해도 품질이 열화되거나, 미끄럼방지재가 탈락하지 않고, 또, 착용시에 죄는 힘에 의한 압박감은 없고, 피부에 흔적을 생기게 하지 않고, 게다가 도포작업이 필요없게 되어, 제품의 제작공정을 간략화하고 제작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제작 코스트가 염가인 미끄럼방지조직포의 편성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미끄럼방지 조직포의 편성방법의 제 1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조직도이다.
도 2는 그 사시도이다.
도 3은 그 편물코조직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동일하게 본 발명의 미끄럼방지 조직포의 편성방법의 제 2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조직도이다.
도 5는 동일하게 본 발명의 미끄럼방지 조직포의 편성방법의 제 3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조직도이다.
(부호의 설명)
1: 조직포
2: 베이스 조직부
3: 표층조직부
4: 베이스 조직부 편성용 종사
5: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
5A: 제 1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
5B: 제 2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
G1: 편물코조직 무늬
G2: 편물코조직 무늬
G3: 편물코조직 무늬
X: 웰 방향
Y: 코스방향
T: 두께 방향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합성섬유사 및/또는 천연섬유사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조직부 편성용 종사(縱絲)에 의해 편성되는 베이스 조직부와, 폴리우레탄·필라멘트, 또는 합성섬유사에 고무를 디핑하거나, 코팅하든지, 또는 고무끈 단체로 이루어지는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에 의해 상기 베이스 조직부에 대하여 표면측에 원하는 웰, 원하는 코스로 편성되고, 원하는 편물코조직 무늬를 나타내는 표층조직부를 구비한 조직포가 편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는 수단을 채용했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합성섬유사 및/또는 천연섬유사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조직부 편성용 종사에 의해 편성되는 베이스 조직부와, 폴리우레탄·필라멘트, 또는 합성섬유사에 고무를 디핑하거나, 코팅하든지, 또는 고무끈 단체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2종류 이상의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의 일방이 타방에 대하여 상기 베이스 조직부의 표면측에 원하는 웰, 원하는 코스로 종편(縱編)되고, 원하는 편물코조직 무늬를 이루는 표층조직부를 구비한 조직포가 편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는 수단을 채용했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합성섬유사 및/또는 천연섬유사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조직부 편성용 종사에 의해 편성되는 베이스 조직부와, 폴리우레탄·필라멘트, 또는 합성섬유사에 고무를 디핑하거나, 코팅하든지, 또는 고무끈 단체로 이루어지는 2종류의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가 상기 베이스 조직부의 표면측에 원하는 웰, 원하는 코스로 종편되어, 원하는 망목조직무늬를 이루는 표층조직부를 구비한 조직포가 편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는 수단을 채용했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2, 또는 3에서, 상기 표층조직부는, 웰 방향으로 배삭(配索)되는 제 1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와, 제 2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를 조합해서 편입되고, 제 1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는, 편물코조직 무늬의 표면측에서 상기 베이스 조직부 및 제 2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의 원하는 편물코에 편입되고, 제 2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는, 이면측과 표면측과 중간부에 배삭되어 상기 베이스 조직부 및 제 1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의 원하는 편물코에 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는 수단을 채용했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2,3, 또는 4에서,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는, 웰방향으로 배열되는 원하는 수의 바디마다 배삭되어 제각기 코스방향으로 배삭되는 원하는 갯수가 조합됨으로써 원하는 편물코조직 무늬가 편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는 수단을 채용했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2,3,4, 또는 5에서,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는, 웰 방향으로 배열되는 원하는 수의 바디마다 배열되는 2개 1조이며, 이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에 의해 편입되는 아틀라스 모양을 조합하여 전체형상이 대략 마름모형인 편물코조직 무늬를 편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는 수단을 채용했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2,3,4, 또는 5에서,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는, 웰 방향으로 배열되는 원하는 수의 바디마다 배열되는 2개 1조이며, 이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에 의해 편입되는 하프·네트 모양을 조합하여 전체 형상이 2개의 대략 5각형을 표리관계로 하여 조합한 편물코조직 무늬를 편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는 수단을 채용했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2,3,4, 또는 5에서,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는, 웰 방향으로 배열되는 원하는 수의 바디마다 배열되는 2개 1조이며, 이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에 의해 편입되는 파워·네트 모양을 조합하여 전체형상이 대략 육각형인 편물코조직 무늬를 편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는 수단을 채용했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2, 3, 4, 또는 5에서,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는, 웰 방향으로 배열되는 원하는 수의 바디마다 배열되는 2개 1조이며, 이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에 의해 덴비 모양의 편물코조직 무늬를 편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는 수단을 채용했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2, 3, 4, 5, 6, 7, 8, 또는 9에서, 2종류의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가 조직포의 편물코조직 무늬를 형성하는 포의 다리부, 또는 그 다리부가 교차하고 집속되어 베이스 조직포의 표면측에 노정되어 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는 수단을 채용했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2, 3, 4, 5, 6, 7, 8, 9, 또는 10에서, 2종류의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가 조직포의 편물코조직 무늬를 포함하는 편물코개소에 집속되어 베이스 조직포의 표면측에 노정되어 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는 수단을 채용했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2, 3, 4, 5, 6, 7, 8, 9, 10, 또는 11에서, 베이스 조직부 편성용 종사와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에 의해 편직되는 조직포의 베이스 조직부 편성용 종사에 대한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의 혼율이, 50∼8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는 수단을 채용했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2, 3, 4, 5, 6, 7, 8, 9, 10, 11, 또는 12에서, 베이스 조직부 편성용 종사의 사 직경이 33∼167(DT)인데 대해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의 사 직경이, 44∼620(DT)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는 수단을 채용했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1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2, 3, 4, 5, 6, 7, 8, 9, 10, 11, 12, 또는 13에서, 베이스 조직부 편성용 종사와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가 단위면적당 중량 200∼800g/m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는 수단을 채용했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구체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미끄럼방지 조직포의 편성방법의 제 1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조직도, 도 2는 동일하게 사시도, 도 3은 동일하게 편물코조직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동일하게 본 발명의 미끄럼방지 조직포의 편성방법의 제 2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조직도, 도 5는 동일하게 본 발명의 미끄럼방지 조직포의 편성방법의 제 3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조직도이다.
1은 조직포이고, 이 조직포(1)는 베이스 조직부 편성용 종사(4)에 의해 편성되는 베이스 조직부(2)와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5)에 의해 편성되는 표층조직부(3)를 구비하고, 상기 표층조직부(3)는, 상기 베이스 조직부(2)에 대하여 표면측에 원하는 웰, 원하는 코스로 종편기를 사용하고 종편된다.
이 종편기로서는, 예를 들면 칼 마이어 사제(독일)의 RSE4N-3K의 고정 침상 형식의 종편기가 사용된다.
상기 베이스 조직부 편성용 종사(4)는, 합성섬유사,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 직경이 33∼168(DT)인 폴리에스테르 섬유사가 사용되지만, 이 베이스 조직부 편성용 종사(4)로서는, 상술의 폴리에스테르 섬유사에 한정되지 않고, 그 밖의 합성수지 섬유사,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섬유사, 폴리에틸렌 섬유사, 폴리프로필렌 섬유사, 폴리비닐알콜 섬유사, 폴리아크릴 섬유사, 폴리염화비닐 섬유사, 및/또는 천연섬유사가 사용된다. 이 천연섬유사는, 예를 들면 면, 마, 견, 양모 등이 있고, 이것은 예시이며, 천연섬유사와 상기 합성섬유사중 1 또는 2종의 어느 하나가 혼합되어, 방사된 편사를 사용해도 좋다.
상기 표층조직부(3)는, 적어도 2종류 이상의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5,5···),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 도 2의 웰 방향(X)으로 배삭되는 제 1 후기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5A)와, 제 2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5B)를 사용하여 일방의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5A)가 타방의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5B)에 대하여 상기 베이스 조직부(2)의 표면측에 원하는 웰, 원하는 코스에 따라 조합하여 편입되고, 종편된다.
또, 상기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5)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 직경이44∼620(DT)인 폴리우레탄·필라멘트가 사용되는데, 이 범위는 대표적인 예시이다. 또,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5)는, 상술의 폴리우레탄·필라멘트외에 상술과 같은 합성섬유사에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 등의 고무를 디핑한 것이나 또는, 고무를 코팅한 것을 사용하든지, 나아가서는, 고무끈 단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명세서에서, 표층조직부(3)를 편성하기 위한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5)가 2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은, 예를 들면 제 1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5A)와, 제 2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5B)의 각각의 사 직경이 굵은지 또는 가는지의 상이, 또, 제 1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5A)와, 제 2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5B)의 재질이 경하고 연함이 상이한 재료에 의해 형성된 것을 사용하든지, 또는 각각 신축도가 상이한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사용하든지, 또 인장, 굽힘, 압축 등의 강도가 각각 다른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사용하든지, 나아가서는 상호 짜는 방식이 상이한 등, 표층조직부(3)의 편성시에 상호 상대측과는 다른 요소를 구비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제 1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5A)는, 편물코조직 무늬(G1)의 표면측에 상기 베이스 조직부(2) 및 제 2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5B)의 원하는 편물코(M)에 편입되고, 또, 제 2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5B)는, 이면측과 표면측과 중간부에 배삭되어 상기 베이스 조직부(2) 및 제 1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5A)의 원하는 편물코(M)에 편입된다.
또,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5)는, 도 1,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웰 방향(X)(열방향)에 원하는 게이지로 배열되는 원하는 수의 바디마다 배삭되어 각각에짜는 방식이 설정되는 원하는 갯수가 조합됨으로써 원하는 편물코조직 무늬(G1)가 편성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웰 방향(X)(열방향)으로 배열되는 4개의 바디마다 배삭되는 동종으로 하고 또한 2개 1조의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5A,5B)에 의해, 도 1, 도 2의 상상선으로 그린 둘레(A)내에 도시하는 베이스 조직부 편성용 종사(4)로 편성되는 4코스 아틀라스의 베이스 조직부(2)의 표면에, 도 1, 도 2의 둘레(B,B')내에 상상선으로 그린 바와 같이 6코스 아틀라스의 아틀라스 모양을 조합하여 편성하는 전체가 마름모형을 이루는 편물코조직 무늬(G1)로 형성된다. 또, 도 1 및 도 2중에 M1은 닫힌(閉) 편물코, 또 M2는 열린(開) 편물코이다.
더욱이 본 실시형태의 미끄럼방지 조직포의 편성방법을 더욱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우선, 베이스 조직부(2)는, 도 1의 둘레(A)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닫힌 편물코(M1)에서 출발하여 웰 방향(X)에 좌측으로 1코스정도 열린 편물코(M2)를 개재시켜 편입되고, 웰 방향(X)으로 좌측으로 1코스 더 진행하여 3코스째가 닫힌 편물코(M1)로 하여 편입된다. 그리고 나서, 웰 방향(X)에 우측으로 1코스정도 열린 편물코(M2)를 개재시켜 편입되고, 둘레(A)내의 1사이클이 완료된다.
이렇게 하여, 둘레(A)내의 1사이클을 연속해서 베이스 조직부(2)의 베이스 조직부 편성용 종사(4)는, 표층조직부(3)의 제 1 베이스 조직부 편성용 종사(5A)와, 제 2 베이스 조직부 편성용 종사(5B)에 연속하여 짜여짐으로써 베이스 조직부(2)는 편성된다.
제 1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5A)는, 예를 들면 도 1의 둘레(B)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닫힌 편물코(M1)에서 출발하여 웰 방향(X)에 우측으로 2코스정도 열린 편물코(M2,M2)를 개재시켜 편입되고, 웰 방향(X)에 우측으로 1코스 더 진행하여 4코스째가 닫힌 편물코(M1)로 하여 편입된다. 그리고 나서, 웰 방향(X)에 좌측으로 2코스정도 열린 편물코(M2,M2)를 개재시켜 편입되고, 둘레(B)내의 1사이클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둘레(B)내의 1사이클을 종으로 연속하여 베이스 조직부(2)의 베이스 조직부 편성용 종사(4)와 표층조직부(3)의 제 2 베이스 조직부 편성용 종사(5B)에 대해 연속하여 편입된다.
또, 제 2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5B)는, 예를 들면 도 1의 둘레(B')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닫힌 편물코(M1)에서 출발하여 웰 방향(X)을 좌측으로 2코스정도 열린 편물코(M2,M2)를 개재시켜 편입되고, 또한 웰 방향(X)을 좌측으로 1코스 진행하여 4코스째가 닫힌 편물코(M1)로 하여 편입된다. 그리고 나서, 웰 방향(X)를 우측으로 2코스정도 진행하여 열린 편물코(M2,M2)를 개재시켜 편입되고, 둘레(B')내의 1사이클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둘레(B')내의 1사이클을 연속하여 베이스 조직부(2)의 베이스 조직부 편성용 종사(4)와 표층조직부(3)의 제 1 베이스 조직부 편성용 종사(5A)에 대해 연속하여 종방향으로 편입된다.
이렇게 하여, 상술과 같이, 제 1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5A)와, 제 2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5B)에 의해 6코스 아틀라스의 아틀라스 모양을 조합하여 편성하는 전체가 마름모형을 이루는 편물코조직 무늬(G1)가 형성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 편성되는 베이스 조직부 편성용 종사(4)와 표층조직부편성용 종사(5)는, 단위면적당 중량이 200∼800g/m2이다.
이 편물코(M)의 단위면적당 무게의 수치범위는, 조직포(1) 자체의 용도에 맞추어서 통기성, 발한성, 보온성, 신축성, 고정성, 회복성, 강도, 내구성 등을 고려하여 제 1, 제 2 표층조직포(5A,5B)에 의한 미끄럼방지 기능이 충분히 발휘되도록 선정된다.
또, 베이스 조직부 편성용 종사(4)와 표층조직부 편층용 종사(5)에 의해 짜지는 조직포(1)의 베이스 조직부 편성용 종사(4)에 대한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5)의 혼율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50∼80 중량% 포함된다. 게다가, 상술과 같이, 베이스 조직부 편성용 종사(4)의 사 직경이 33∼167(DT)인데 대해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5)의 사 직경이, 44∼620(DT)이다.
이와 같이,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5)의 사 직경을, 페이스 조직부 편성용 종사(4)의 사 직경보다도 두껍게 한 것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1매의 조직포(1)의 1면(예를 들면 이면측)은, 생지 본래의 감촉, 예를 들면 촉감, 매끄러움, 보들보들함, 광택 등을 발휘하는 동시에, 두께가 얇고 경량이고, 충분한 강도를 갖지만, 이 조직포(1)의 타면(예를 들면 표면측)은, 웰 방향(X)(열방향)에 배열되는 원하는 수의 바디마다 배삭되어 제각기 편입되는 동종으로 하여 2개, 즉 2종류의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5A,5B)의 조합에 의해 편성되는 원하는 편물코조직 무늬(G1), 예를 들면 도 1, 도 2의 상상선으로 그려진 둘레(B,B')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6코스 아틀라스로 편성되는 전체 형상이 마름모형의 편물코조직 무늬(G1)에 의해 웰방향(X) 및 코스방향(Y)으로의 어느 방향으로도 미끄럼방지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는 조직포(1)를 편성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베이스 조직부 편성용 종사(4)와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5)에 의해 짜지는 조직포(1)의 베이스 조직부 편성용 종사(4)에 대한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5)의 혼율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70∼80 중량% 포함되므로, 1장의 조직포(1)이고, 두께가 얇고 경량이라도, 일면이 베이스 조직부(2)로 이루어지고, 타면은 충분한 미끄럼방지 기능을 발휘하는 표층조직부(3)가 편성된 조직포(1)가 얻어진다.
그리고, 폴리우레탄·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제 1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5A)와, 제 2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5B)에 의해 베이스 조직부(2)의 1면(예를 들면 표면측)에 노정되어 편입되는 도 1, 도 2,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체가 마름모형을 이루는 아틀라스 모양의 편물코조직 무늬(G1) 중에서 미끄럼방지 기능을 발휘하는 개소는, 예를 들면 제 1에는 망목조직 무늬(G1)를 형성하는 망목(M)의 루프 부분은 물론, 오히려 표층조직부(3)의 표면측에 긴 선분으로 배향되어 선형상으로 노정되는 다리부(F)를 들 수 있다.
또, 미끄럼방지 기능을 유효하게 발휘하는 편물코조직 무늬(G1)중에서의 제 2는, 아틀라스 모양으로서 전체가 마름모를 이루는 편물코조직 무늬(G1)에서의 마름모형 서로가 연속하는 개소, 즉, 폴리우레탄·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제 1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5A)와, 제 2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5B)에 의해 조직포(1)로서 편성되는 편물코(M)의 다리부(F,F)가 교차함으로써 표층조직부(3)의 표면측에 노정되는 도 1의 둘레(P1)에 도시하는 개소는, 제 1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5A)와, 제 2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5B)와의 단위 면적당의 노정밀도가 높아지므로, 미끄럼방지 기능이 충분히 발휘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베이스 조직부 편성용 종사(4)는, 상술과 같이 폴리에스테르 섬유사를 사용하여 베이스 조직부(2)를 편성하고 있는데, 이것은 대표적인 예시이고, 이것에 한하지 않고, 그 밖에 예를 들면 합성수지섬유사,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섬유사, 폴리에틸렌 섬유사, 폴리프로필렌 섬유사, 폴리비닐알콜 섬유사, 폴리아크릴 섬유사, 폴리염화비닐 섬유사, 및/또는 예를 들면 면, 마, 견, 양모 등 천연섬유사를 사용하여 베이스용 조직부(2)를 편성하도록 해도 좋다.
또, 표층조직부(3)는, 상술과 같이 웰 방향(X)으로 배삭되는 제 1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5A)와, 제 2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5B)를 조합하여 편입된다. 이 중, 제 1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5A)는, 편물코조직 무늬(G1)의 표면측에서 상기 베이스 조직부(2) 및 제 2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5B)의 원하는 편물코(M)에 편입되고, 게다가, 제 2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5B)는, 이면측과 표면측 중간부에 배삭되어 상기 베이스 조직부(2) 및 제 1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5A)의 원하는 편물코(M)에 편입되므로, 표층조직부(3)는 웰 방향(X), 코스방향(Y), 나아가서는 두께 방향(T)으로의 3차원 망목구조로 편성된다(도 3 참조).
이렇게 하여, 조직포(1)로서는 폴리우레탄·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제 1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5A)와 제 2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5B)가 표면측에 나타나기 때문에, 조직포(1) 자체는 신축성이 풍부하고, 회복성도 우수하다. 게다가, 조직포(1)를 장시간의 사용이나 반복해서 세탁을 행한 경우에도 폴리우레탄·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제 1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5A)와 제 2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5B)가, 신축성을 발휘하는 것과 베이스 조직부(2)가 인장, 굽힘, 압축 등의 강도를 발휘하므로, 변형이나 형태붕괴가 없고, 내구성이 우수하다.
이와 같이, 표층조직부(3)는 웰 방향(X), 코스방향(Y), 나아가서는 두께 방향(T)에의 2층의 3차원 망목구조로 편성되므로, 조직포(1) 자체는, 통기성, 발한성, 보온성도 우수하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조직포(1)를 예를 들면 특히 여성이 체형을 단정히 하기 위해 사용하는 예를 들면 브래지어의 컵부의 하부 가장자리와, 측면과, 어깨끈, 또 거들의 웨이스트 개구부, 복부, 힙부의 하부 가장자리, 양다리를 삽입하는 레그 홀의 양다리의 연결부분에 위치하는 옷자락부, 또 보디 슈트에서는, 브래지어부의 컵부의 하부 둘레, 측면, 어깨끈, 또 거들부에서는 복부, 힙부의 하부 가장자리, 양다리를 삽입하는 레그 홀이나 양다리를 삽입하는 양다리의 연결부분에 위치하는 옷자락부, 나아가서는, 카미솔에서는, 브래지어의 좌우 컵부의 하부 둘레, 그 컵부의 좌우의 측면, 어깨끈, 웨이스트부의 하부 가장자리 등의 몸매보정용 속옷과 같이 인체에 밀접하는 정용부에 사용하면, 사용자가 운동하는데에 따라서 신축성, 회복성이 풍부하고, 또 조직포의 표면측에 드러나는 제 1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5A)와, 제 2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5B)에 의한 미끄럼방지 기능에 의해 몸매보정용 속옷의 부주의로 인한 벗어남이나 걷어 올려짐이 사라지고, 통기성, 발한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특히 여름철 등의 고온하에서 사용자가 땀 등을 흘리는 경우에도, 습해짐에 의해 가려움을 생기게 하지 않는다. 그리고, 고무 등의 점착체를 도포함으로써 피부와의 밀착성을 도모한다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종래의 고안과는 달리 점착체가 고온도에 의해 연화하거나, 게다가, 조직포(1)는 신축성이 퐁부하고, 회복성이 우수하므로, 장시간의 사용이나 세탁을 반복하여 행함으로써 품질이 열화해서 몸매보정용 속옷이 정용부로부터 탈락하여, 벗어남 방지기능이 손상되는 일은 없고, 게다가, 몸매보정용 속옷의 정용부 개소에의 점착체의 도포작업이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제품의 제작공정이 증대하지 않고, 제작효율은 향상한다.
또, 본 실시형태의 조직포(1)는, 인체에 고정시켜서 착용하는 예를 들면 상술의 거들 외에, 예를 들면 스패츠, 스포츠용 타이즈 등의 가랑이부를 갖는 하반신용 의류의 웨이스트 부분의 이면이나 레그 홀의 양 넓적다리의 연결부분의 이면에 장착하도록 사용하면, 미끄럼방지 수단으로서 고무테이프 등을 장착하는 것과는 달리, 고무테이프의 죄는 힘에 의해 압박감을 느끼거나, 피부에 고무테이프가 죄어들어 흔적이 남는 일이 없고, 습해짐이나 혈액순환 불량에 의한 가려움을 생기게 하지 않는다. 게다가, 고무데이프를 덮어 감추기 위한 가장자리 되접음 처리나 봉제작업이 불필요하게 되어, 제품의 제작공정이 증대하지 않고, 제작효율이 높아지는 동시에 고무테이프의 장착 개소의 두께가 두꺼워져서 착용시에 위화감을 느끼거나, 또, 스커트, 바지 등의 겉옷위에 고무테이프의 부설개소의 라인이 눈에 띄어, 보기 흉하게 되는 일이 없고 여름철 등의 고온하에도 습해짐이 생기지 않아, 가려움을 느끼지 않는다.
또,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베이스 조직부(2)의 표면측에 편입되는 표층조직부(3)의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5)는, 웰 방향(X)에 배열되는 원하는 수의 바디마다 배열되는 폴리우레탄·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2종류의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5A,5B)로 이루어지는 2개 1조인 점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이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5A,5B)에 의해 편입되는 하프·네트 모양을 조합하여 전체형상이 2개의 대략 5각형을 표리관계로 하여 조합한 편물코조직 무늬(G2)를 편성하는 구성이다.
즉, 제 1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5A)는, 예를 들면 도 4의 둘레(C)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닫힌 편물코(M1)에서 출발하여 웰 방향(X)을 좌측으로 1코스 진행하고, 뒤이어 좌측으로 1코스로 되돌아오고, 다시 한번 우측으로 2웰로 진행하고, 각각 열린 편물코(M1,M1,M1)가 편입되고 3코스 진행한다. 그 후, 좌측으로 1웰, 1코스, 또, 우측으로 1웰, 1코스정도 진행하여 열린 편물코(M1,M1)가 편입되고, 둘레(C)내의 1사이클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둘레(C)내의 1사이클을 세로로 연속하여 베이스 조직부(2)와 표층조직부(3)의 베이스 조직부 편성용 종사(4)와 제 2 베이스 조직부 편성용 종사(5B)에 연속하여 편입된다.
또, 제 2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5B)는, 예를 들면 도 4의 둘레(C')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닫힌 편물코(M1)에서 출발하여 웰 방향(X)을 우측으로 1코스 진행하고, 뒤이어 우측으로 1코스 되돌아오고, 다시 한번 좌측으로 2웰로 진행하여 닫힌 편물코(M1,M1,M1)가 편입되고 3코스 진행한다. 그 후, 우측으로 1웰, 1코스, 더욱, 좌측으로 1웰, 1코스만큼 진행하고, 닫힌 편물코(M1,M1)가 편입되어, 둘레(C')내의 1사이클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둘레(C')내의 1사이클을 연속하여베이스 조직부(2)의 베이스 조직부 편성용 종사(4)와 표층조직부(3)의 제 1 베이스 조직부 편성용 종사(5A)에 연속하고 편입된다.
그리고, 상술과 같이, 제 1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5A)와, 제 2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5B)에 의해 6코스 하프·네트의 전체형상이 2개의 대략 5각형을 표리 관계로 하여 조합한 편물코조직 무늬(G2)를 편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 편성되는 1장의 조직포(1)의 1면(예를 들면 이면측)은, 생지 본래의 감촉, 예를 들면 촉감, 매끄러움, 보들보들함, 광택 등을 발휘하는 동시에, 두께가 얇고 경량이고, 충분한 강도를 갖지만, 이 조직포(1)의 타면(예를 들면 표면측)은, 웰 방향(X)(열방향)에 배열되는 원하는 수의 바디마다 배삭되어 제각기 코스잡기가 이루어지는 동종으로 하여 2개의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5A,5B)의 조합에 의해 편성되는 원하는 편물코조직 무늬(G2), 예를 들면 도 4의 상상선으로 그려진 둘레(C,C')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6코스 하프·네트로 편성되는 전체 형상이 2개의 대략 5각형을 표리관계로 하여 조합한 편물코조직 무늬(G2)에 의해 웰 방향(X) 및 코스방향(Y)으로의 어느 방향에도 미끄럼방지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는 조직포(1)가 편성되는 이외는,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작용이다.
또,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베이스 조직부(2)의 표면측에 편입되는 표층조직부(3)의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5)는, 웰 방향(X)으로 배열되는 원하는 수의 바디마다 배열되는 폴리우레탄·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2종류의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5A,5B)로 이루어지는 2개 1조인 점은 상기 제 1 실시형태, 제 2 실시형태와동일한 구성이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5A,5B)에 의해 편입되는 파워·네트 모양을 조합하여 전체 형상이 대략 육각형인 편물코조직 무늬(G3)를 편성하는 구성이다.
즉, 제 1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5A)는, 예를 들면 도 5의 상상선으로 도시하는 둘레(D)내와 같이, 닫힌 편물코(M1)에서 출발하여 웰 방향(X)을 우측으로 1코스만큼 진행하여 열린 편물코(M2)가 편입된다. 뒤이어 1코스분 종으로 진행하여, 닫힌 편물코(M1)를 편성한다. 그 후, 웰 방향(X)을 우측으로 1코스 진행하여, 닫힌 편물코(M1)를 편성하고, 그리고 나서 웰 방향(X)을 좌측으로 1코스 진행하여, 열린 편물코(M2)를 편성하고, 1코스분 종으로 더 진행하여, 닫힌 편물코(M1)를 편성하고, 둘레(D)내의 1사이클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둘레(D)내의 1사이클을 연속하여 베이스 조직부(2)의 베이스 조직부 편성용 종사(4)와 표층조직부(3)의 제 2 베이스 조직부 편성용 종사(5B)에 연속하여 편입된다.
또, 제 2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5B)는, 예를 들면 도 5의 둘레(D')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닫힌 편물코(M1)에서 출발하여 웰 방향(X)을 좌측으로 1코스만큼 진행하여, 열린 편물코(M2)가 편입된다. 뒤이어 1코스분 종으로 진행하여, 닫힌 편물코(M1)를 편성한다. 그 후, 웰 방향(X)을 우측으로 1코스 진행하여, 닫힌 편물코(M1)를 편성하고, 그리고 나서 웰 방향(X)을 우측으로 1코스 진행하여, 열린 편물코(M2)를 편성하고, 1코스분 종으로 더 진행하여, 닫힌 편물코(M1)를 편성하여, 둘레(D')내의 1사이클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둘레(D')내의 1사이클을 연속하여 베이스 조직부(2)의 베이스 조직부 편성용 종사(4)와 표층조직부(3)의 제 1베이스 조직부 편성용 종사(5A)에 연속하여 편입된다.
이렇게 하여, 상술과 같이, 제 1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5A)와, 제 2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5B)에 의해 6코스 파워·네트의 전체형상이 대략 육각형의 편물코조직 무늬(G3)가 편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편성되는 1장의 조직포(1)도 상기 제 1 실시형태,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1면은, 생지 본래의 감촉, 예를 들면 촉감, 매끄러움, 보들보들함, 광택 등을 발휘하는 동시에, 두께가 얇고 경량이고, 충분한 강도를 갖지만, 이 조직포(1)의 타면, 즉 표면측은, 웰 방향(X)(열방향)으로 배열되는 원하는 수의 바디마다 배삭되어 제각기 코스잡기가 이루어지는 동종으로 하여 2개의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5A,5B)의 조합에 의해 편성되는 원하는 편물코조직 무늬(G3), 예를 들면 도 5의 상상선으로 그려진 둘레(D,D')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6코스 파워·네트로 편성되는 전체형상이 대략 육각형인 편물코조직도무늬(G3)에 의해 웰 방향(X) 및 코스방향(Y)으로의 어느 방향으로도 미끄럼방지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는 조직포(1)가 편성되는 이외, 상기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작용이다.
또, 상기 제 1 실시형태, 제 2 실시형태, 제 3 실시형태에서, 조직포(1)의 표면측의 1면에만 표층조직부(2)의 편물코조직 무늬(G1,G2,G3)를 편성하는 경우를 대표적으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하는 일 없이 예를 들면 조직포(1)의 이면측의 타면만, 나아가서는 표면측 및 이면측의 양면에 표층조직부(2)의 편물코조직 무늬(G1,G2,G3)를 형성해도 좋다.
또, 상기 제 1 실시형태, 제 2 실시형태, 제 3 실시형태에서,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5)는, 사 직경이 44∼620(DT)의 폴리우레탄·필라멘트가 사용되는데, 이것은 대표적인 예시이고, 사 직경의 증감변경은 자유롭다.
또, 사용되는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5)는, 본 실시형태와 같이 폴리우레탄·필라멘트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합성섬유사에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 등의 고무를 디핑한 것이나 또는, 고무를 코팅한 것을 사용하거나, 나아가서는, 고무끈 단체를 사용하여 표층조직부(3)를 편성할 수도 있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조직포(1)는, 상기 설명과 같이 몸매보정용 속옷에 사용하는 경우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코트, 상의 등의 겉옷, 속옷, 생리용 팬티 등의 이너웨어, 나이트웨어, 바지, 파자마, 수영복 등의 의복; 모자, 구두의 안창, 슬리퍼, 방석, 방석 커버, 시트, 장갑 등의 신변용품; 테니스 라켓, 골프 클럽, 배트 등의 스포츠용품의 그립의 미끄럼방지로서 유효하게 사용할 수도 있어, 용도는 광범위하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 베이스 조직부(2)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베이스 조직부 편성용 종사(4)는, 상술의 폴리에스테르 섬유사를 사용하고 베이스용 조직부(2)를 편성하고 있는데, 이것은 대표적인 예시이고, 이것에 한하지 않고, 그 밖에 예를 들면 합성수지섬유사,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섬유사, 폴리에틸렌 섬유사, 폴리프로필렌 섬유사, 폴리비닐알콜 섬유사, 폴리아크릴 섬유사, 폴리염화비닐 섬유사, 및/또는 예를 들면 면, 마, 견, 양모 등 천연섬유사를 사용하여 베이스 조직부(2)를 편성하도록 해도 좋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 표층조직부(3)를 편성하기 위한 상기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5)는, 사 직경이 44∼620(DT)인 2개의 폴리우레탄·필라멘트를 조합하여 사용되는 아틀라스편, 하프·네트편, 파워·네트편에 의해 편성되는 편물코조직 무늬(G1,G2,G3)에 의해 미끄럼방지 기능을 유효하게 발휘하는 경우를 대표적인 예시로서 설명했지만, 실의 두께, 실의 갯수의 증감변경은 자유롭고, 표층조직부(3)에 편성하기 위한 조직도안도 도시하는 도안에 한하지 않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덴비 모양(지그재그 모양), 그 밖의 조직도안이라도 좋고, 나아가서는 짜는 방법은 상기 각 실시형태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종평편, 세로 고무 편, 트리 코넥트편, 메시편, 트리스킨편, 트리코트편, 수자편, 또는 그것들을 조합한 종편이라도 좋고, 요컨대 베이스 조직부(2)의 한쪽 면에 원하는 복수개의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5)를 사용하여 2층 망목구조인 표층조직부(3)를 형성하도록 하는 경우도 본 발명의 적용범위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이상과 같이, 합성섬유사 및/또는 천연섬유사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조직부 편성용 종사에 의해 편성되는 베이스 조직부와, 폴리우레탄·필라멘트, 또는 합성섬유사에 고무를 디핑하거나, 코팅하든지, 또는 고무끈 단체로 이루어지는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에 의해 상기 베이스 조직부에 대하여 표면측에 원하는 웰, 원하는 코스로 종편되고, 원하는 편물코조직 무늬를 이루는 표층조직부를 구비한 조직포가 편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합성섬유사 및/또는 천연섬유사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조직부 편성용 종사에 의해 편성되는 베이스 조직부와, 폴리우레탄·필라멘트, 또는 합성섬유사에 고무를 디핑하거나, 코팅하든지, 또는 고무끈 단체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2종류 이상의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의 일방이 타방에 대하여 상기 베이스 조직부의 표면측에 원하는 웰, 원하는 코스로 종편되고, 원하는 편물코조직 무늬를 이루는 표층조직부를 구비한 조직포가 편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합성섬유사 및/또는 천연섬유사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조직부 편성용 종사에 의해 편성되는 베이스 조직부와, 폴리우레탄·필라멘트, 또는 합성섬유사에 고무를 디핑하거나, 코팅하든지, 또는 고무끈 단체로 이루어지는 2종류의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가 상기 베이스 조직부의 표면측에 원하는 웰, 원하는 코스로 종편되고, 원하는 편물코조직 무늬를 이루는 표층조직부를 구비한 조직포가 편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2, 또는 3에서, 상기 표층조직부는, 웰 방향으로 배삭되는 제 1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와, 제 2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를 조합하여 편입되고, 제 1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는, 편물코조직 무늬의 표면측에서 상기 베이스 조직부 및 제 2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의 원하는 편물코에 편입되고, 제 2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는, 이면측과 표면측과의 중간부에 배삭되어 상기 베이스 조직부 및 제 1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의 원하는 편물코에 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1면은 생지 소재의 본래의 감촉을 발휘하고, 타면은 미끄럼방지 기능을 확실하게 발휘하고, 또 통기성, 신축성, 고정성이 우수하고, 회복력, 내구성도 뛰어나다.
따라서 특히, 속옷, 몸매보정용 속옷 등의 의복, 또, 모자, 구두의 안창, 방석, 시트 등의 신변용품, 나아가서는, 테니스 라켓, 골프 클럽 등의 스포츠용품의 그립에 최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속옷, 몸매보정용 속옷에 적용한 경우에는, 여름철 등의 고온하에 습해짐이나 혈액순환 불량에 의한 가려움을 발생시키지 않고, 게다가 점착체를 단지 조직포에 도포하는 것과는 달리 연화하는 일 없이 장시간의 사용이나 세탁을 반복하여 행해도 품질이 열화하거나, 미끄럼방지재가 탈락하지 않고, 또, 고무끈 등과는 달리 착용시에 죄는 힘에 의한 압박감은 없고, 피부에 죄어드는 흔적을 생기게 하지 않고, 게다가 도포작업이 불필요하게 되어, 제품의 제작공정을 간략화하여 제작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염가로 입수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2,3, 또는 4에서,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는, 웰 방향으로 배열되는 원하는 수의 바디마다 배삭되어 제각기 코스방향으로 배삭되는 원하는 갯수가 조합됨으로써 원하는 편물코조직 무늬가 편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2,3,4, 또는 5에서,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는, 웰 방향으로 배열되는 원하는 수의 바디마다 배열된 2개 1조이며, 이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에 의해 편입되는 아틀라스 모양을 조합하여 전체 형상이 대략 마름모형상인 편물코조직 무늬를 편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2,3,4, 또는 5에서,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는, 웰 방향으로 배열되는 원하는 수의 바디마다 배열되는 2개 1조이며, 이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에 의해 편입되는 하프·네트 모양을 조합하여 전체 형상이 2개의 대략 5각형을 표리관계로 하여 조합한 편물코조직 무늬를 편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 본 발명의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2,3,4, 또는 5에서,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는, 웰 방향으로 배열되는 원하는 수의 바디마다 배열되는 2개 1조이며, 이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에 의해 편입되는 파워·네트 모양을 조합하여 전체형상이 대략 육각형인 조직도안을 편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 본 발명의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2,3,4, 또는 5에서,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는, 웰 방향으로 배열되는 원하는 수의 바디마다 배열되는 2개 1조이며, 이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에 의해 덴비 모양의 조직도안을 편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조직포의 1면에 미끄럼방지 기능을 확실하게 발휘하는 표층조직부를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편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2, 3, 4, 5, 6, 7, 8, 또는 9에서, 2종류의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가 조직포의 편물코조직 무늬를 형성하는 편물코의 다리부, 또는 그 다리부가 교차하여 집속되어서 베이스 조직포의 표면측에 노정되어 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 본 발명의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2, 3, 4, 5, 6, 7, 8, 9, 또는 10에서, 2종류의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가 조직포의 편물코조직 무늬를 포함하는 편물코개소에 집속되어서 베이스 조직포의 표면측에 노정되어 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조직포의 1면에 편성되는 표층조직부의 미끄럼방지 기능은 우수한 것으로 된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2, 3, 4, 5, 6, 7, 8, 9, 10, 또는 11에서, 베이스 조직부 편성용 종사와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에 의해 편직되는 조직포의 베이스 조직부 편성용 종사에 대한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의혼율이, 50∼8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1장의 조직포로서 경량이면서도 강도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2, 3, 4, 5, 6, 7, 8, 9, 10, 11, 또는 12에서, 베이스 조직부 편성용 종사의 사 직경이 33∼167(DT)인데 대해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의 사 직경이, 44∼620(DT)인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1장의 조직포(1)라도, 1면(이면측)은 베이스 조직부(2)에 의해 생지 본래의 감촉을 발휘하고, 또, 단일의 1장의 조직포의 타면(표면측)에 편성된 폴리우레탄사로 이루어지는 원하는 편물코조직 무늬의 표층조직부에 의해 미끄럼방지 기능이 확실하게 발휘된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1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2, 3, 4, 5, 6, 7, 8, 9, 10, 11, 12, 또는 13에서, 베이스 조직부 편성용 종사와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가 단위면적당 중량 200∼800g/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1장의 조직포이지만 일면은 베이스 조직부로 이루어지고, 타면은 표층조직부로 이루어진 강도가 있는 편물코가 막힌 조직포가 형성된다.

Claims (14)

  1. 합성섬유사 및/또는 천연섬유사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조직부 편성용 종사에 의해 편성되는 베이스 조직부와, 폴리우레탄·필라멘트, 또는 합성섬유사에 고무를 디핑하거나, 코팅하든지, 또는 고무끈 단체로 이루어지는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에 의해 상기 베이스 조직부에 대하여 표면측에 원하는 웰, 원하는 코스로 종편되어, 원하는 편물코조직 무늬를 이루는 표층조직부를 구비한 조직포가 편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 조직포의 편성방법.
  2. 합성섬유사 및/또는 천연섬유사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조직부 편성용 종사에 의해 편성되는 베이스 조직부와, 폴리우레탄·필라멘트, 또는 합성섬유사에 고무를 디핑하거나, 코팅하든지, 또는 고무끈 단체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2종류 이상의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의 일방이 타방에 대하여 상기 베이스 조직부의 표면측에 원하는 웰, 원하는 코스로 종편되어, 원하는 편물코조직 무늬를 이루는 표층조직부를 구비한 조직포가 편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 조직포의 편성방법.
  3. 합성섬유사 및/또는 천연섬유사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조직부 편성용 종사에 의해 편성되는 베이스 조직부와, 폴리우레탄·필라멘트, 또는 합성섬유사에 고무를 디핑하거나, 코팅하든지, 또는 고무끈 단체로 이루어지는 2종류의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가 상기 베이스 조직부의 표면측에 원하는 웰, 원하는 코스로 종편되어, 원하는 편물코조직 무늬를 이루는 표층조직부를 구비한 조직포가 편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 조직포의 편성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층조직부는, 웰 방향으로 배삭되는 제 1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와, 제 2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를 조합하여 편입되고, 제 1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는, 편물코조직 무늬의 표면측에서 상기 베이스 조직부 및 제 2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의 원하는 편물코에 편입되고, 제 2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는, 이면측과 표면측과 중간부에 배삭되어 상기 베이스 조직부 및 제 1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의 원하는 편물코에 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 조직포의 편성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는, 웰 방향으로 배열되는 원하는 수의 바디마다 배삭되어 제각기 코스방향으로 배삭되는 원하는 갯수가 조합됨으로써 원하는 편물코조직 무늬가 편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 조직포의 편성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는, 웰 방향으로 배열되는 원하는 수의 바디마다 배열되는 2개 1조이며, 이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에 의해 편입되는 아틀라스 모양을 조합하여 전체형상이 대략 마름모형인 편물코조직 무늬를 편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 조직포의 편성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는, 웰 방향으로 배열되는 원하는 수의 바디마다 배열되는 2개 1조이며, 이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에 의해 편입되는 하프·네트 모양을 조합하여 전체형상이 2개의 대략 5각형을 표리관계로 하여 조합한 편물코조직 무늬를 편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 조직포의 편성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는, 웰 방향으로 배열되는 원하는 수의 바디마다 배열되는 2개 1조이며, 이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에 의해 편입되는 파워·네트 모양을 조합하여 전체 형상이 대략 육각형인 편물코 조직무늬를 편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 조직포의 편성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는, 웰 방향으로 배열되는 원하는 수의 바디마다 배열되는 2개 1조이며, 이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에 의해 덴비 모양의 편물코조직 무늬를 편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 조직포의 편성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종류의 표층조직부 편성용종사가 조직포의 편물코조직 무늬를 형성하는 편물코의 다리부, 또는 이 다리부가 교차하여 집속되어서 베이스 조직포의 표면측에 노정되어 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 조직포의 편성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종류의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가 조직포의 편물코조직 무늬를 포함하는 편물코개소에 집속되어 베이스 조직포의 표면측에 노정되어 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 조직포의 편성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이스 조직부 편성용 종사와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에 의해 편직되는 조직포의 베이스 조직부 편성용 종사에 대한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의 혼율이, 50∼8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 조직포의 편성방법.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이스 조직부 편성용 종사의 사 직경이 33∼167(DT)인데 대해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의 사 직경이, 44∼620(D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 조직포의 편성방법.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이스 조직부 편성용 종사와 표층조직부 편성용 종사가 단위면적당 중량 200∼800g/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 조직포의 편성방법.
KR10-2003-0016181A 2002-11-27 2003-03-14 미끄럼방지 조직포의 편성방법 KR1004859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43679 2002-11-27
JP2002343679A JP4143692B2 (ja) 2002-11-27 2002-11-27 滑り止め組織布の編成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7515A true KR20040047515A (ko) 2004-06-05
KR100485945B1 KR100485945B1 (ko) 2005-04-28

Family

ID=32705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6181A KR100485945B1 (ko) 2002-11-27 2003-03-14 미끄럼방지 조직포의 편성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143692B2 (ko)
KR (1) KR100485945B1 (ko)
TW (1) TWI26829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246U (ko) * 2019-04-05 2020-10-14 김미희주 그립감이 향상된 골프장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4167B1 (ko) * 2006-10-17 2009-02-17 정재균 망사 직물
JP4882679B2 (ja) * 2006-11-08 2012-02-22 東レ株式会社 経編地
JP5683353B2 (ja) * 2011-03-30 2015-03-11 セーレン株式会社 トリコット編地
KR102150236B1 (ko) * 2020-05-27 2020-08-31 장민지 방호복용 원단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246U (ko) * 2019-04-05 2020-10-14 김미희주 그립감이 향상된 골프장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143692B2 (ja) 2008-09-03
JP2004176214A (ja) 2004-06-24
TWI268295B (en) 2006-12-11
KR100485945B1 (ko) 2005-04-28
TW200408744A (en) 2004-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09644B (zh) 具有预配置压缩区段和一体式结构图案的训练紧身衣
JP4004471B2 (ja) 多層構造を有する弾性編地及びその製造方法
ES2927390T3 (es) Mezclilla y otras prendas de vestir de compresión y procedimientos para formar las mismas
US20200260805A1 (en) Maternity Leggings
CN108670518B (zh) 孕妇腰腹支撑带
TW201703662A (zh) 具有預先配置加壓區與整合結構圖案的復原緊身褲
US10480109B2 (en) Method of forming a unitary knit article using flat-knit construction
JP2007031849A (ja) 身体用積層シート
JPWO2019124525A1 (ja) ボトム衣料
KR100485945B1 (ko) 미끄럼방지 조직포의 편성방법
JP2006028648A (ja) 衣料
JP4606689B2 (ja) 装身用成形体
KR100585982B1 (ko) 파운데이션 언더웨어
JP4053859B2 (ja) 滑り止め組織布
JP3686541B2 (ja) 装身用成形体
JP2004076209A (ja) 衣料
JP2017106146A (ja) 繊維製品
US20170164662A1 (en) Seamless postpartum garment
JP2011157634A (ja) 織編物とその織編物を含む衣料品
JP4328695B2 (ja) インナー・ウェア
JP5081282B2 (ja) ファンデーション等の衣料
JP2014015684A (ja) 筒状経編物からなる衣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9108638A (ja) 経編地
EP3556236B1 (en) Garment with higher coefficient of friction when stretched
TWI787727B (zh) 下半身衣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