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5982B1 - 파운데이션 언더웨어 - Google Patents

파운데이션 언더웨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5982B1
KR100585982B1 KR1020040011778A KR20040011778A KR100585982B1 KR 100585982 B1 KR100585982 B1 KR 100585982B1 KR 1020040011778 A KR1020040011778 A KR 1020040011778A KR 20040011778 A KR20040011778 A KR 20040011778A KR 100585982 B1 KR100585982 B1 KR 100585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wear
slip
fabric
slip fabric
found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1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1356A (ko
Inventor
유리코 히구치
Original Assignee
유리코 히구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리코 히구치 filed Critical 유리코 히구치
Publication of KR20050031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1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5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5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7/00Selection of special materials for underwea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1/00Corsets or girdles
    • A41C1/06Corsets or girdles with brassie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언더웨어 보디(1)의 소정 위치에 여러개의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을 제공한 파운데이션 언더웨어에 관한 것이다. 각각의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은 합성 수지 섬유 및/또는 천연 섬유로 제조된 기재 직물 편사(7)로 편성한 기재 직물 부분(8) 및 소정 웰 및 소정 코스에 의하여 신축성 및 미끄러짐-방지 특성을 갖는 미끄러짐-방지 직물 편사(9)를 수직으로 편성함으로써 기재 직물 부분(8)의 한면 위에 형성시킨 미끄러짐-방지 직물 부분(10)을 포함한다.
언더웨어

Description

파운데이션 언더웨어{FOUNDATION UNDERWEAR}
도 1은 별도로 형성된 브래지어를 유방 부분의 함몰부에 부착시킨 상태인, 본 발명 제1 구체예의 보디 수트 형태의 파운데이션 언더웨어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브래지어를 보디 수트의 함몰부에서 떼어낸 상태인 유사한 보디 수트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보디 수트의 배면도이다.
도 4는 제1 구체예에 사용된 브래지어의 일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브래지어의 배면도이다.
도 6은 제1 구체예에 사용된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의 일례를 도시한 편성 구조의 도면이다.
도 7은 언더웨어 보디에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을 맞추는 방식의 일례를 도시한 확대 정면도이다.
도 8은 연신시킨 상태의 도 7의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을 도시한 확대 정면도이다.
도 9는 변형 보디 수트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보디 수트의 배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 제2 구체예의 캐미솔 형태의 언더웨어 보디를 도시한 정면 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캐미솔의 배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 제3 구체예의 웨이스트 니퍼 형태인 언더웨어 보디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웨이스트 니퍼의 배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 제4 구체예의 거들 형태의 언더웨어 보디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거들의 배면도이다.
본 발명은 통기성이 우수하고, 답답하고 가려운 느낌이 없으며, 의도하지 않는 전위를 방지하여 미끄러짐-방지 성능을 확보할 수 있고, 용이하게 입고 벗을 수 있으면서 또한 가벼우면서 쾌적한 꼭 맞는 느낌으로 착용할 수 있는 파운데이션 언더웨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여성의 체형을 보정하기 위한 언더웨어로서 여러 유형의 파운데이션 언더웨어가 있었다. 이러한 파운데이션 언더웨어는 유방 부분에서 허리까지의 신체 부위에 착용하는 브래지어, 허리에서 허벅지까지의 신체 부위에 착용하는 거들 및 브래지어와 거들을 하나로 통합한 보디 수트를 포함한다.
종래에는 고무와 같은 점착성 물질, 접착제는 이를테면 브래지어의 경우에는 어깨끈 또는 컵 부분의 하단, 거들의 경우에는 허리 개구부의 둘레 가장자리, 복부 및 엉덩이 부분의 하단 및 양 다리를 삽입하기 위한 다리 개구의 하단과 같이 사람의 신체에 접촉하는 체형 보정 부위에 적용하는 것이 통상적이었다. 보디 수트의 경우, 점착성 물질은 브래지어 부분에서 어깨끈 또는 컵 부위의 하단에 적용되고, 거들 부분에서는 허리 개구부의 둘레 가장자리, 복부 및 엉덩이 부분의 하단 및 양 다리를 삽입하기 위한 다리 개구의 하단에 적용되었다. 이러한 방식으로, 언더웨어가 피부와 꼭 맞게 할 수 있고, 언더웨어가 위로 미끄러지거나 아래로 미끄러지는 것과 같은 전위를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유방과 엉덩이를 치켜 세울 수 있다.
또, 사람의 신체에 맞추어 착용하는 거들, 스패츠, 스포츠용 타이즈와 같이 가랑이 부분이 있는 유형의 하반신용 언더웨어에서, 허리 부분의 내면 및 양 다리의 사타구니 위치에 있는 다리 개구의 가장자리에 고무 테이프를 붙임으로써 언더웨어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종래 공지된 바이다. 이러한 유형의 언더웨어는 일본 실용신안 모델 임시 공개 공보 제6-76305호 및 등록된 일본 실용신안 공개 공보 제3063342호에 기재되었다.
그러나, 일본 실용신안 모델 임시 공개 공보 제6-76305호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피부와 꼭 맞는 느낌을 개선시키고 위로 또는 아래로 미끄러지는 것과 같은 전위를 방지하기 위하여 고무와 같은 점착성 물질을 보정 부위에 적용시킨 브래지어, 거들, 보디 수트와 같은 파운데이션 언더웨어는 사용자가 특히 여름에 고온하에서 땀을 흘릴 경우 공기가 통하지 않아 사용자가 가려움을 느낄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게다가, 점착성 물질은 고온에서 용융되기 쉬우므로, 장시간 사용과 반복 세탁으로 제품의 질이 떨어져 전위 방지 기능이 손실됨으로써 보정 부분으로부터 언더웨어가 흘러내린다. 또한, 파운데이션 언더웨어의 보정 부분에 점착성 물질을 적용하는 작업을 요하므로, 제조 단계가 증가되고 생산성이 저하되었다.
또한, 등록된 일본 실용신안 공보제3063342호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피부와 꼭 맞는 느낌을 개선시키고 위로 또는 아래로 미끄러지는 것과 같은 전위를 방지하기 위하여 고무 테이프를 허리 부분의 내면 또는 다리 개구의 가장자리에 붙이고 사람 신체에 맞도록 착용하는 거들, 스패츠, 스포츠용 타이즈와 같이 가랑이 부분이 있는 유형의 하반신용 언더웨어는, 고무 테이프의 조이는 힘으로 인하여 압박감이 발생할 수 있고 고무 테이프의 두께가 피부 상에 무겁게 느껴질 수 있고, 착용시 불쾌감을 느낄 수 있으며 스커트, 바지 등과 같은 겉옷의 외부로 언더웨어의 라인이 보이므로 외관이 나빠질 수 있다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선행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였고, 본 발명의 목적은 통기성, 가요성 및 맞춤성이 우수하고 회복력 및 지속력이 뛰어나며 여름등 고온하에서 혈액 순환이 양호하지 못하고 통기성이 좋지 않아 발생하는 가려움을 유발하지 않을 파운데이션 언더웨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단순히 직물에 적용하는 점착성 물질과는 달리 본 파운데이션 언더웨어는 용융되지 않아 장시간 사용 및 반복 세탁 후에도 품질이 저하되지 않을 것이고 미끄러짐-방지 부재의 강하를 유발하지 않을 것이다. 또, 고무줄과 달리, 사용자는 본 언더웨어 착용시 조임력으로 인한 압박감이 없고 피부에 압박 자국이 형성되지 않을 것이다. 게다가, 적용 작업을 요하지 않으므로 제품의 제조 단계가 단순화되어 생산성은 증대되는 반면 생산 비용은 절감될 것이다.
본 발명은 언더웨어 보디의 소정 위치에 여러개의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이 제공되어 있는 파운데이션 언더웨어를 제공하는데, 상기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은 합성 수지 섬유 및/또는 천연 섬유로 제조된 기재 직물 편사로 편성한 기재 직물 부분 및 소정 웰 및 소정 코스에 의하여 신축성 및 미끄러짐-방지 특성을 갖는 미끄러짐-방지 직물 편사를 수직으로 편성함으로써 기재 직물 부분의 한면 위에 형성시킨 미끄러짐-방지 직물 부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의 특징에서, 언더웨어 보디는 브래지어 부분이 일체형으로 제조되어 있는 보디 수트 및, 앞면의 유방 부분에 별도로 형성된 브래지어의 컵 부위를 수용하기 위한 함몰부가 있는 보디 수트 중 어느 것이고, 언더웨어 보디 뒷면의 등 부분 및 엉덩이 부분, 팔 아래 사이드 부분 및 허리 둘레 부분을 비롯한 적어도 소정 부분의 각각의 내면에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이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3의 특징에서, 언더웨어 보디는 브래지어 부분이 일체형으로 제조되어 있는 캐미솔 또는 웨이스트 니퍼 및, 앞면의 유방 부분에 별도로 형성된 브래지어의 컵 부위를 수용하기 위한 함몰부가 있는 캐미솔 또는 웨이스트 니퍼 중 어느 것이고, 언더웨어 보디 뒷면의 등 부분 및 엉덩이 부분, 팔 아래 사이드 부분 및 허리 둘레 부분을 비롯한 적어도 소정 부분의 각각의 내면에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이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4의 특징에서, 언더웨어 보디는 브래지어 및 언더웨어 보디에 합체되는 브래지어 부분을 포함하는데, 유방용 컵 부위가 부착되는 유방 지지 부재 또는 컵 부재를 분리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한 포켓 부분 및 사이드 부분의 적어도 소정 부분의 각 내면에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이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5의 특징에서, 언더웨어 보디는 다리 개구가 있는 팬츠형 거들 및 언더웨어 보디의 허벅지 부분에 양 다리를 삽입하기 위한 튜브형 부분이 있는 거들을 포함하는데, 허리 둘레, 복부, 엉덩이 부분, 복부로부터 엉덩이 부분까지의 부분 및 다리 개구 또는 튜브형 부분의 하단의 적어도 소정 부분의 각 내면에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이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6의 특징에서,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은 세로 방향으로 긴 세장 리본형으로 형성되고 신축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제7의 특징에서, 세장 리본형으로 형성된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은 간격을 두고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여러개의 줄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8의 특징에서, 세장 리본형으로 형성된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은 지그재그식으로 번갈아 대각선 방향으로 봉제하여 고정된다.
본 발명의 제9의 특징에서, 각각의 기재 직물 편사는 22∼56데시텍스을 갖는 비탄성사이고, 미끄러짐-방지 직물 편사는 44∼470데시텍스을 갖는 탄성사이다.
본 발명의 제10의 특징에서, 기재 직물 편사에 대한 미끄러짐-방지 직물 편사의 혼합비는 50∼80 중량%이다.
본 발명의 제11의 특징에서, 각각의 기재 직물 편사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 알콜, 폴리아크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와 같은 합성 수지 섬유 및/또는 면, 플랙스, 실크, 울과 같은 천연 섬유 중 1종 또는 2종을 조합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2의 특징에서, 각각의 미끄러짐-방지 직물 편사는 폴리우레탄 필라멘트,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로 침지시키거나 피복시킨 합성 수지 섬유 및 고무줄 자체 중 어느 것으로 형성된다.
이제,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체예를 기술하고자 한다.
도 1∼8은 본 발명 제1 구체예의 보디 수트형 파운데이션 언더웨어이고, 도 9 및 10은 보디 수트의 변형이다.
제1 구체예에서, 언더웨어 보디(1)는 팬츠형 거들 부분(1A) 및 이의 상부 부분으로서 거들 부분(1A)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실질적으로 튜브형인 복부 조임 부분(1B)을 포함하는 보디 수트(A)에 적용된다. 보디 수트(A)의 거들 부분(1A) 및 복부 조임 부분(1B)은 형태 및 크기에 따라 신체의 각 부분에 맞게 미리 자른, 통기성, 수분 흡수성, 보온성, 가요성을 갖는 신축성 또는 비신축성 직물의 여러 부품 조각을 봉제 또는 기타 고정 수단에 의하여 합체시켜 형성한다.
언더웨어 보디로서 보디 수트(A)는 앞면(4) 유방 부분에 별도로 형성된 브래지어(B)의 좌우 컵 부분(3,3)을 수용하기 위한 함몰부(2,2)가 제공되어 있다. 도 1 및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반원형인 두 함몰부(2)는 앞에서 볼 때 산 모양으로 되어 있고 실질적으로 유방 부분의 중앙에 제공되는 격리 부재(2a)의 양 측면에 형성된다. 그러나, 함몰부(2,2)는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는 다르게,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격리 부재(2a)를 생략하고 함몰부(2,2)를 실질적으로 U-형으로 형성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보디 수트(A)의 거들 부분(1A)의 가랑이(5)는 한쌍의 스냅, 후크, 단추 및 단추 구멍, 한쌍의 잠금 루프를 비롯한 고정 테이프와 같은 적절한 고정 부재(5a)를 사용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분리형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보디 수트(A)를 용이하게 입고 벗을 수 있다.
여러개의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을 언더웨어 보디(1)의 내면에 배치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은 합성 섬유 및/또는 천연 섬유의 기재 직물 편사(7)로 편성한 기재 직물 부분, 및 웰 방향(U)의 소정 웰 및 코스 방향(T)의 소정 코스에 의하여 연신성 및 미끄러짐-방지 특성을 갖는 미끄러짐-방지 직물 편사(9)를 수직으로 편성함으로써 기재 직물 부분(8)의 한 면 위에 형성시킨 미끄러짐-방지 직물 부분(10)을 포함한다. 예시된 구체예에서, 기재 직물 부분(8)은 웰 방향(U)(열 방향)으로 배치된 4개의 리드 상에 동일한 종류의 한 쌍의 기재 직물 편사(7,7)를 놓음으로써 편성한 점선(P)으로 감싼 4개 코스로 된 아틀라스 패턴을 가진다. 이 기재 직물 부분(8)의 표면 위에, 미끄러짐-방지 직물 부분(10)의 단위 입방체 당 노출 밀도가 높고, 각각 점선 Q,Q'로 감싼 6개 코스의 아틀라스 패턴 G1 및 G2를 조합하여 편성한 일반적으로 마름모형인 편성 패턴이 형성된다. 도 6에서 M1은 폐쇄 스티치, M2는 개방 스티치이다.
기재 직물 편사(7)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 알콜, 폴리아크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와 같은 합성 수지 섬유 및/또는 면, 플랙스, 실크, 울과 같은 천연 섬유 중 1종 또는 2종을 조합하여 형성된다.
미끄러짐-방지 직물 편사(9)는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필라멘트,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와 같은 고무로 침지시키거나 피복시킨 합성 수지 섬유 및 고무줄 자체로 형성되며, 미끄러짐-방지 특성 및 연신성을 가진다.
이 구체예의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에서, 기재 직물 편사(7)는 22∼56데시텍스을 갖는 비탄성사이고, 미끄러짐-방지 직물 편사는 44∼470데시텍스을 갖는 탄성사이다. 기재 직물 편사(7)에 대한 미끄러짐-방지 직물 편사(9)의 혼합비는 50∼80 중량%이다.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 방향(I)으로 긴 세장 형태이다. 이 구체예에서, 언더웨어 보디(1)로서 보디 수트(A)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뒷면(11)의 등 부분(12) 및 엉덩이 부분(13)과 같은 소정 부분의 각 내면에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이 제공되고,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추가로 앞면(4)의 유방 부분에 형성된 함몰부(2)의 상단, 양 팔 아래의 사이드 부분(14) 및 허리 둘레(15)의 각 내면에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이 제공된다. 함몰부(2)에 합체될 브래지어(B)에도 적어도 소정 부분, 예를 들어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방용 컵 부분(3,3)이 부착되는 좌우 지지 부재(16,16), 컵 부재(17,17)를 분리형으로 포함하는 포켓 부분(18,18), 양 사이드 부분(19,19) 및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지지 밴드(20)의 각 내면에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이 제공된다.
이 경우, 너비가 수 밀리미터내지 수 센티미터(예를 들어, 5 mm 내지 2 cm)인 리본형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k의 간격을 두고 실질적으로 평행하여 세로 방향(I)으로 연신성이 있는 여러개의 줄(예를 들어, 본 구체예에서는 3줄)로 제공된다. 이 구체예에서,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은 도 1,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디 수트(A)에서는 측방향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지어(B)에서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러나,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은 목적에 따라 임의의 너비로 임의의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을 것이고 모양도 용이하게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간격 k는 예를 들어, 5 mm 내지 2 cm와 같이 수 밀리미터 내지 수 센티미터 범위이나 이 간격 k는 임의로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도 7 및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디 수트(A) 및 브래지어(B)의 소정 부위의 내면에 이들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을 지그재그식으로 번갈아 대각선 방향으로 고정시킴으로써,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의 연신성이 폭 방향(W)이 아니라 세로 방향(I)으로 발휘될 것이다.
구체적으로,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 자체는 언더웨어 보디에 지그재그식으로 번갈아 대각선 방향으로 봉제될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 방향(I)으로 연신 및 수축될지라도,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을 언더웨어 보디(1)에 고정시키는 봉제실(21)은 연신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폭 방향(W)인 봉제점 a 및 b, b 및 c, c 및 d, d 및 e... 간의 영역은 연신되지 않을 것이나, 세로 방향(I)인 봉제점 a 및 c, c및 e, b 및 d, d 및 f...간의 영역은 각각 도 8의 화살표 방향으로 연신될 것이다.
제1 구체예에서, 사용자의 등을 굽히는 동작에 따라 보디 수트(A)가 연신 및 수축할 경우, 미끄러짐-방지 기능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디 수트(A)의 등 부분(12) 및 엉덩이 부분(13) 상에 배치된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에 의하여 발휘될 것이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을 양 팔 아래의 사이드 부분(14,14) 및 허리 둘레 부분(15)에 배치할 경우,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의 연신성은 세로 방향(I)으로 미치므로 사용자의 옆구리 지방이 조여지면서 체형이 보정될 것이다. 또한, 도 9 및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변형된 보디 수트(A) 예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이 보디 수트(A)의 앞면(4)의 복부(22) 및 뒷면(11)의 등 부분(23) 상에 간격 k를 두고 옆으로 3줄로 옆으로 배치될 경우, 사용자의 복부 및 등 부분의 지방이 조여짐으로써 체형을 보정할 수 있다. 동시에,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의 연신성은 신체 해당 부분의 굽히고 비트는 동작에 따라 발휘될 것이고 보디 수트(A)가 미끄러져 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보디 수트(A)의 유방 부분에 형성된 함몰부(2,2)에 합체되는 브래지어(B)에서, 여러 줄(예를 들어, 본 구체예에서는 3줄)의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을 소정 영역, 예를 들어, 유방용 컵 부분(3,3)이 부착되는 좌우 유방 지지 부재(16,16) 또는 유방 곡선에 따라 유방을 감쌀 수 있도록 컵 부재(17,17)를 분리형으로 포함시키기 위한 포켓 부분(18,18) 및 양 사이드 부분(19,19)의 각 내면에 간격 k를 두고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수직으로 배치할 경우, 이들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은 세로 방향(I)로 연신될 수 있다. 따라서,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의 세로 방향(I)으로의 연신성은 유방 지지 부재(16,16) 또는 포켓 부분(18,18) 상에 수직으로 발휘되어 유방을 중앙 및 상방으로 밀어 올리게 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방을 들어 올려 체형을 보정할 수 있다. 동시에, 브래지어(B)의 사이드 부분(19,19)의 내면에 배치되는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의 세로 방향(I) 연신성으로 인하여 팔 아래 사이드 부분의 지방이 조여져 체형이 보정될 수 있다. 또,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의 연신성은 해당 신체 부분의 굽히거나 비트는 동작에 따라 발휘될 것이므로, 브래지어(B)가 미끄러져 내려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원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은 합성 수지 섬유 및/또는 천연 섬유 기재 직물 편사(7)로 편성된 기재 직물 부분(8) 및 웰 방향(U)의 소정 웰 및 코스 방향(T)의 소정 코스에 의하여 연신성 및 미끄러짐-방지 특성을 갖는 미끄러짐-방지 직물 편사(9)를 기재 직물 부분(8)의 한 면에 수직으로 편성함으로써 형성된 미끄러짐-방지 직물 부분(10)을 포함한다. 세장 리본형의 3줄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은 소정 위치, 즉, 도 1,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옆으로 간격 k를 두고 보디 수트(A)의 뒷면(11)의 등 부분(12) 및 엉덩이 부분(13), 양 팔 아래 사이드 부분(14) 및 허리 둘레 부분(15)의 각 내면에 배치된다. 따라서, 등 부분(12) 상에 옆으로 배치된 3줄의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은 사용자가 등을 구부리는 동작에 따라 세로 방향(I)으로 연신 및 수축되어 믿을 수 있는 미끄러짐-방지 작용이 얻어지고, 동시에 엉덩이 부분(13) 상에 옆으로 배치된 3줄의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은 세로 방향(I)으로 연신 및 수축되어 미끄러짐-방지 작용 및 힙업 효과가 얻어진다.
양 팔 아래 사이드 부분(14) 및 허리 둘레 부분(15)에 배치된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은 세로 방향(I)으로 연신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양 팔 아래 사이드 부분(14), 허리 부분 및 복부의 지방이 조여져 체형이 보정될 수 있다. 또한,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의 연신성은 해당 신체 부분의 구부림 또는 비틈 동작에 따라 발휘되므로, 믿을 수 있는 미끄러짐-방지 성능을 확보할 수 있고, 착용시 보디 수트(A)의 전위를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미끄러짐-방지 직물 부분(10)의 미끄러짐-방지 직물 편사(9,9)는 폴리우레탄 필라멘트, 합성 고무 또는 천연 고무와 같은 고무로 피복시킨 침지 합성 성유로 형성되고, 미끄러짐-방지 특성 및 연신성을 가진다. 이들 미끄러짐-방지 직물 편사(9,9)는 웰 방향(U)의 소정 웰 및 코스 방향(T)의 소정 코스에 의하여 수직으로 편성되어 기재 직물 부분(8)의 한 면에 편성 패턴 G1 및 G2를 형성한다. 따라서, 미끄러짐-방지 직물 편사(9,9)는 충분한 미끄러짐-방지 성능 및 연신성을 발휘할 것이다.
아울러,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디 수트(A) 및 브래지어(B)에 지그재그식으로 번갈아 대각선 방향으로 봉제되므로, 폭 방향(W)인 봉제점 a 및 b, b 및 c, c 및 d, d 및 e...간의 영역은 연신되지 않으나, 세로 방향(I)인 봉제점 a 및 c, c 및 e, b 및 d, d 및 f...간의 영역은 각각 도 8의 화살표 방향으로 연신될 것이다. 따라서, 믿을 수 있는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의 연신성을 얻을 수 있다.
더 나아가, 여러 줄, 예를 들어, 3줄의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이 간격 k를 두고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수직으로 배치되므로, 사용자가 보디 수트(A) 작용시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의 연신력이 분산된다. 따라서, 과도한 조임력 또는 압박감이 사용자 신체의 한 점에 집중되는 일 없이, 3줄의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의 연신력이 균일하게 사용자 신체에 가해진다. 따라서, 혈액 순환이 촉진되고, 평행으로 배치된 3줄의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에 의한 마사지 효과에 의하여 신체가 효과적으로 자극되며, 지방 연소가 고효율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디 수트(A)의 유방 부분에 형성된 함몰부(2)에 합체되는 브래지어(B)에도, 소정 위치, 예를 들어, 유방용 컵 부분(3,3)이 부착되는 좌우 유방 지지 부재(16,16) 또는 유방 곡선에 따라 유방을 감쌀 수 있도록 컵 부재(17,17)를 분리형으로 포함시키기 위한 포켓 부분(18,18)의 각 내면에 여러줄(예를 들어, 본 구체예에서는 3줄)의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을 간격 k를 두고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수직으로 배치한다. 따라서, 이들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에 의하여 미끄러짐-방지 성능이 얻어질 수 있다. 동시에, 세로 방향(I)으로 연신될 수 있는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은 유방을 중앙 및 상방으로 밀어 올린다. 게다가, 여러줄, 예를 들어, 3줄의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은 간격 k를 두고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므로,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의 연신력이 분산되고, 지나친 조임력 또는 압박감이 사용자 신체의 한 점에 집중되지 않고 혈액 순환이 촉진되며 평행으로 배치된 3줄의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에 의한 마사지 효과에 의하여 신체가 효과적으로 자극되므로 지방의 연소 효율이 증대될 것이다.
또한, 세로 방향(I)으로 연신될 수 있는 3줄의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이 브래지어(B)의 사이드 부분(19,19)의 내면에도 간격 k를 두고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므로, 양 팔 아래 사이드 부분의 지방이 조여져 체형이 보정될 수 있다. 동시에,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은 해당 부위의 구부리고 비트는 동작에 따라 연신 및 수축하여 미끄러짐-방지 성능이 얻어질 것이고 브래지어(B)는 의도하지 않는 전위가 방지될 수 있다.
또, 본 구체예의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에서, 기재 직물 편사(7)는 22∼56데시텍스을 갖는 비탄성사이고, 미끄러짐-방지 직물 편사(9)는 44∼470데시텍스을 갖는 탄성사이다. 기재 직물 편사(7)에 대한 미끄러짐-방지 직물 편사(9)의 혼합비는 50∼80 중량%이다. 미끄러짐-방지 직물 편사(9)의 직경은 기재 직물 편사(7)의 직경보다 크도록 제조된다.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의 한면은 기재 직물 부분(8)의 한 면 위에 미끄러짐-방지 직물 편사(9)에 의하여 형성된 편성 패턴 G1 및 G2로 인하여 충분한 미끄러짐-방지 특성을 가지나,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의 다른 면은 촉감, 부드러움, 가용성, 광택 등과 같은 직물 조각 자체의 특성을 유지한다.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은 통기성, 발한력이 우수하고, 답답함 또는 가려움이 없고, 가벼우며 인장력, 압축, 구부림 등에 의하여 야기될 수 있는 변형이 없으면서 충분한 강도를 유지한다.
본 구체예의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을 언더웨어 보디(1)에 사용할 경우, 완성된 상태의 언더웨어 보디(1) 자체는 가벼워질 것이나 보온성을 유지하고 신체에 꼭 맞게 쾌적하게 착용할 수 있다. 또한, 언더웨어 보디(1)의 아우트라인이 겉옷의 외부로 불거져 나오지 않아 산뜻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1 및 12에는, 본 발명 제2 구체예를 기재하고자 한다.
이 구체예에서, 언더웨어 보디(1)는 앞면(4)의 유방 부분에 별도로 형성된 브래지어(B)의 좌우 컵 부분(3,3)을 수용하기 위한 함몰부(2)가 마련되어 있는 캐미솔(C)로 응용된다.
제1 구체예에서는 거들 부분(1A)이 보디 부분(1B)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나, 제2 구체예의 캐미솔(C)에는 거들 부분(1A)이 제공되어 있지 않다. 여러줄(이 구체예에서는 3줄)의 세장 리본형으로 형성된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 k를 두고 캐미솔(C)의 소정 위치, 즉 뒷면(11)의 등 부분(12), 양 팔 아래 사이드 부분(14) 등의 각 내면 상에 배치된다. 제1 구체예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은 합성 수지 섬유 및/또는 천연 섬유의 기재 직물 편사(7)로 편성된 기재 직물 부분(8) 및 웰 방향(U)의 소정 웰 및 코스 방향(T)의 소정 코스에 의하여 연신성 및 미끄러짐-방지 특성을 갖는 미끄러짐-방지 직물 편사(9)를 수직으로 편성함으로써 직물 기재 부분(8)의 한 면 위에 형성된 미끄러짐-방지 직물 부분(10)을 포함한다. 따라서, 등 부분(12) 상에 옆으로 배치된 3줄의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은 사용자의 등의 굽힘 동작에 따라 세로 방향(I)으로 연신 및 수축됨으로써 믿을 만한 미끄러짐-방지 성능이 얻어질 것이다. 또, 양 팔 아래 사이드 부분(14)에 배치된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이 세로 방향(I)으로 연신 및 수축되어 사용자의 옆구리 지방을 조임으로써 체형이 보정될 것이다. 동시에, 신체 해당 부분의 구부리고 비트는 동작에 따라,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은 연신성을 발휘할 것이고 믿을 만한 미끄러짐-방지 성능이 얻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구체예에서와 동일한 작용을 얻을 수 있고, 나아가 착용시 캐미솔(C)의 전위가 방지될 수 있다.
도 13 및 14에는 본 발명의 제3의 구체예룰 기재하고자 한다. 이 구체예에서, 언더웨어 보디(1)는 사용자의 복부 주위를 둘러싼 웨이스트 니퍼(D)로 응용된다.
제3 구체예에서는 또, 여러줄(이 구체예에서는 3줄)의 세장 리본형으로 형성된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 k를 두고 웨이스트 니퍼(D)의 소정 위치, 즉 뒷면(11)의 등 부분(12), 양 팔 아래 사이드 부분(14) 등의 각 내면 상에 배치된다. 제1 및 제2 구체예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은 합성 수지 섬유 및/또는 천연 섬유의 기재 직물 편사(7)로 편성된 기재 직물 부분(8) 및 웰 방향(U)의 소정 웰 및 코스 방향(T)의 소정 코스에 의하여 연신성 및 미끄러짐-방지 특성을 갖는 미끄러짐-방지 직물 편사(9)를 수직으로 편성함으로써 직물 기재 부분(8)의 한 면 위에 형성된 미끄러짐-방지 직물 부분(10)을 포함한다. 따라서, 등 부분(12) 상에 옆으로 배치된 3줄의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은 사용자의 등의 굽힘 동작에 따라 세로 방향(I)으로 연신 및 수축되어 믿을 만한 미끄러짐-방지 성능이 얻어질 것이다. 또, 양 팔 아래 사이드 부분(14)에 배치된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도 세로 방향(I)으로 연신 및 수축되어 사용자의 옆구리 지방을 조임으로써 체형이 보정될 것이다. 동시에, 신체 해당 부분의 구부림 및 비틈 동작에 따라,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은 연신 및 수축함으로써 믿을 만한 미끄러짐-방지 성능이 얻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구체예에서와 동일한 작용을 얻을 수 있고, 나아가 착용시 웨이스트 니퍼(D)의 전위가 방지될 수 있다.
도 15 및 16에는 본 발명의 제4 구체예를 기재하고자 한다.
이 제4 구체예에서, 언더웨어 보디(1)는 언더웨어 보디(1)의 허벅지 부분에 다리를 삽입하기 위한 좌우의 튜브형 부분(40,40)이 제공되어 있는 거들(E)로 응용된다.
이 제4 구체예에서는, 여러줄(이 구체예에서는 3줄)의 세장 리본형으로 형성된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은 도 15 및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 k를 두고 거들(E)의 소정 위치, 즉 앞면(4)의 하단 부분(41)으로부터 뒷면(11)의 엉덩이 부분(13)에 이르는 영역 및 튜브형 부분(40,40)의 하단의 각 내면 상에 배치된다. 상기한 구체예들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은 합성 수지 섬유 및/또는 천연 섬유의 기재 직물 편사(7)로 편성된 기재 직물 부분(8) 및 웰 방향(U)의 소정 웰 및 코스 방향(T)의 소정 코스에 의하여 연신성 및 미끄러짐-방지 특성을 갖는 미끄러짐-방지 직물 편사(9)를 수직으로 편성함으로써 직물 기재 부분(8)의 한 면 위에 형성된 미끄러짐-방지 직물 부분(10)을 포함한다. 따라서, 3줄의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은 세로 방향(I)으로 연신 및 수축됨으로써 사용자의 복부 및 엉덩이 부분의 지방을 조이므로 체형이 보정될 것이다. 동시에, 믿을 만한 미끄러짐-방지 성능이 얻어질 수 있고, 거들(E)의 전위가 방지될 수 있다.
이 제4 구체예에서,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은 앞면(4)의 하단 부분(41)으로부터 뒷면(11)의 엉덩이 부분(13)에 이르는 영역 및 튜브형 부분(40,40)의 하단의 각 내면 상에 배치되나, 배치 위치는 이들 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은 예를 들어, 허리 둘레 영역(15) 상에도 배치되어 허리의 지방을 조이고 체형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체예의 거들(E)에는 가랑이 부분(5)에 망사 재료(42)가 제공되거나, 앞면(4)의 튜브형 부분(40,40)의 시작 부분에 홈이 형성되고 이를 망사 재료(42')로 커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앞의 구체예들에서와 동일한 작용에 더하여 통기성이 증대되고 답답함이 방지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체예에서 언더웨어 보디(1)는 앞면(4)의 유방 부분에 별도로 제조한 브래지어(B)의 좌우 컵 부분(3,3)을 수용하기 위한 함몰부(2)를 갖는 보디 수트(A)이다. 도 11 및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구체예에서 언더웨어 보디(1)는 앞면(4)의 유방 부분에 별도로 형성된 브래지어(B)의 좌우 컵 부분(3,3)을 수용하기 위한 함몰부(2)를 갖는 캐미솔(C)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 구체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언더웨어 보디(1)는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각각 브래지어 부분이 일체형으로 합체되어 있는 보디 수트 및 캐미솔일 수 있을 것이다.
도 15 및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구체예에서 언더웨어 보디(1)는 언더웨어 보디 자체의 허벅지 부분에 양 다리를 삽입하기 위한 좌우 튜브형 부분(40,40)이 제공되어 있는 거들(E)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구체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언더웨어 보디(1)는 복부로부터 엉덩이 부분에 걸친 영역 및/또는 다리 개구의 가장자리의 각 내면 위에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이 제공되어 있는, 다리 개구가 있는 팬츠형 거들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3줄의 긴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을 상기한 구체예들에 배치할지라도,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6)의 형태, 배치 위치수, 배치 방향 등은 임의로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통기성, 가용성 및 맞춤성이 우수하고, 회복력 및 지속성이 뛰어나며, 여름 등 고온 하에 혈액 순환 및 통기가 안되어 가려움을 유발하지 않을 파운데이션 언더웨어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언더웨어는 용융되지 않을 것이고 장기간 사용 또는 반복 세탁후 품질이 떨어지지 않을 것이며 미끄러짐-방지 부재의 강하를 유발하지 않을 것이다. 또, 사용자는 언더웨어 착용시 조임력으로 인한 압박감이 없을 것이고 피부에 압박 자국이 생기지 않을 것이다. 나아가, 적용 작업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제품 제조 단계가 간소화되어 생산성이 증대될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실시예를 통하여 완전히 기재되었으나 본 발명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변화 및 변형이 가능함에 유의하여야 한다.

Claims (12)

  1. 언더웨어 보디의 소정 위치에 여러개의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이 제공되어 있는 파운데이션 언더웨어로서, 상기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은 합성 섬유사 및/또는 천연 섬유사의 기재 직물 형성용 사로 형성된 기재 직물 부분의 한쪽 면위에 웰 및 코스를 조절하여 제조된 연신성 및 미끄러짐-방지 특성을 갖는 미끄러짐-방지 직물 형성용 사를 수직으로 형성시킨 미끄러짐-방지 직물 부분을 포함하는 것인 파운데이션 언더웨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웨어 보디는 브래지어 부분이 일체형으로 합체되어 있는 보디 수트 및, 앞면의 유방 부분에 별도로 형성된 브래지어의 컵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함몰부를 갖는 보디 수트 중 어느 것이고, 상기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은 언더웨어 보디의 뒷면에 있는 등 부분 및 엉덩이 부분, 양 팔 아래 사이드 부분 및 허리 둘레 부분의 각 내면 상에 배치되는 것인 파운데이션 언더웨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웨어 보디는 브래지어 부분이 일체형으로 합체되어 있는 캐미솔 또는 웨이스트 니퍼 및, 앞면의 유방 부분에 별도로 형성된 브래지어의 컵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함몰부를 갖는 캐미솔 또는 웨이스트 니퍼 중 어느 것이고, 상기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은 언더웨어 보디의 뒷면에 있는 등 부분, 양 팔 아래 사이드 부분 및 허리 둘레 부분의 각 내면 상에 배치되는 것인 파운데이션 언더웨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웨어 보디는 브래지어 및 언더웨어 보디 자체에 합체되어 있는 브래지어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은 유방용 컵 부분이 부착되어 있는 유방 지지 부재 또는 컵 부재를 분리 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한 포켓 부분 및 사이드 부의 각 내면 상에 배치되는 것인 파운데이션 언더웨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웨어 보디는 다리 개구가 있는 팬츠형 거들 및 언더웨어 보디의 허벅지 부분에 양 다리를 삽입하기 위한 튜브형 부분이 있는 거들을 포함하고, 상기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은 허리 둘레 부분, 복부, 엉덩이 부분, 복부로부터 엉덩이 부분까지의 부분 및 다리 개구 또는 튜브형 부분의 하단의 각 내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파운데이션 언더웨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은 세로 방향으로 긴 세장 리본형으로 형성되고 연신성을 갖는 것인 파운데이션 언더웨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 리본형으로 형성된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은 간격을 두고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여러개의 줄로 배치되는 것인 파운데이션 언더웨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 리본형으로 형성된 미끄러짐-방지 직물 조각은 대각선 방향으로 번갈아 봉제함으로써 고정되는 것인 파운데이션 언더웨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기재 직물 형성용사는 22∼56 데시텍스의 비탄성사이고, 상기 각각의 미끄러짐-방지 직물 형성용사는 44∼470 데시텍스의 탄성사인 것인 파운데이션 언더웨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직물 형성용사에 대한 상기 미끄러짐-방지 직물 형성용사의 혼합비는 50∼80 중량%인 것인 파운데이션 언더웨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기재 직물 형성용사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 알콜, 폴리아크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와 같은 합성 섬유사 및/또는 면, 플랙스, 실크, 울과 같은 천연 섬유사 중 1종 또는 2종을 조합하여 형성되는 것인 파운데이션 언더웨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미끄러짐-방지 직물 형성용사는 폴리우레탄 필라멘트,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로 침지시키거나 피복시킨 합성 수지 섬유 및 고무줄 자체 중 어느 것으로 형성되는 것인 파운데이션 언더웨어.
KR1020040011778A 2003-09-29 2004-02-23 파운데이션 언더웨어 KR1005859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36963 2003-09-29
JP2003336963A JP2005105427A (ja) 2003-09-29 2003-09-29 ファンデーション下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1356A KR20050031356A (ko) 2005-04-06
KR100585982B1 true KR100585982B1 (ko) 2006-06-07

Family

ID=34532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1778A KR100585982B1 (ko) 2003-09-29 2004-02-23 파운데이션 언더웨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5105427A (ko)
KR (1) KR100585982B1 (ko)
CN (1) CN1263407C (ko)
TW (1) TWI28138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083B1 (ko) 2007-05-10 2007-10-18 임호택 고무를 이용한 체형 보정용 속옷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를이용한 체형 보정용 속옷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937B1 (ko) * 2005-06-09 2007-01-02 캡원주식회사 프리사이즈 모자
JP2008115508A (ja) * 2006-11-08 2008-05-22 Toray Ind Inc 水着用生地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水着
CN103040151A (zh) * 2012-12-25 2013-04-17 吴江杰盛纺织品整理厂 新型美观情趣内衣
CN103404971A (zh) * 2013-07-15 2013-11-27 大连桑扶兰实业有限公司 可加强腰腹收束力的束裤
TW201519803A (zh) * 2013-11-25 2015-06-01 Eclat Textile Co Ltd 無袖衣物
KR200483968Y1 (ko) * 2015-07-08 2017-07-14 오희택 기능성 보정속옷
CN105167292A (zh) * 2015-10-30 2015-12-23 北京三件客科技有限公司 人体体围3d测量专用紧身衣
CN108936856A (zh) * 2018-09-12 2018-12-07 红豆集团(无锡)纺织品有限公司 保暖塑形连体裤
KR102164894B1 (ko) * 2020-01-20 2020-10-20 주식회사 비이엠코리아 항균 및 소취 기능성 보정 내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8702A (ja) * 1994-03-25 1995-10-17 Wacoal Corp 女性用下着
JPH07268704A (ja) * 1994-03-23 1995-10-17 Hiroyuki Namikata ファンデーション
KR200248731Y1 (ko) * 2001-07-05 2001-11-16 조미순 여성용 파운데이션 내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49110A (en) * 1964-02-19 1966-05-03 Beautiful Bryans Inc Combination supporting garment and hosiery
JPH0754242Y2 (ja) * 1990-05-21 1995-12-18 ユニチカ株式会社 靴 下
JP2588768Y2 (ja) * 1993-04-12 1999-01-13 株式会社 ダッチェス 整容のための婦人用下着
EP1219804A3 (en) * 1995-01-17 2008-03-26 Hitachi Ltd. Air flow rate control apparatus
JP3063342U (ja) * 1999-04-23 1999-10-29 株式会社ワコール 下半身用衣類
JP3540710B2 (ja) * 2000-04-07 2004-07-07 井上リボン工業株式会社 伸縮性テープおよび下着
JP2002115102A (ja) * 2000-10-13 2002-04-19 Wacoal Corp ずれ防止部改良衣料
JP3077907U (ja) * 2000-11-24 2001-06-12 吉田産業株式会社 すべり止め用細幅編地およびこれを用いた衣類
JP3079233U (ja) * 2000-12-27 2001-08-10 クロス工業株式会社 滑り止め機能付きブラジャー
JP2002212801A (ja) * 2000-12-28 2002-07-31 Cloth Kogyo Kk 滑り止めショーツ
JP2002249911A (ja) * 2001-02-23 2002-09-06 Gunze Ltd 滑り止めテープ状生地およびこれを用いた衣類
JP4053859B2 (ja) * 2002-09-30 2008-02-27 株式会社チャイルド 滑り止め組織布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8704A (ja) * 1994-03-23 1995-10-17 Hiroyuki Namikata ファンデーション
JPH07268702A (ja) * 1994-03-25 1995-10-17 Wacoal Corp 女性用下着
KR200248731Y1 (ko) * 2001-07-05 2001-11-16 조미순 여성용 파운데이션 내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083B1 (ko) 2007-05-10 2007-10-18 임호택 고무를 이용한 체형 보정용 속옷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를이용한 체형 보정용 속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63407C (zh) 2006-07-12
TW200511946A (en) 2005-04-01
TWI281381B (en) 2007-05-21
JP2005105427A (ja) 2005-04-21
CN1602769A (zh) 2005-04-06
KR20050031356A (ko) 2005-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59094B2 (en) Training tight with preconfigured compression zones and integrated structure patterns
CN105247126B (zh) 用于服装的带子
CN108670518B (zh) 孕妇腰腹支撑带
KR102488181B1 (ko) 메쉬 영역을 갖는 보정 의복
EP3838036B1 (en) Multi-tummy layer body shaper with variable density mesh
AU2014318434B2 (en) Crossover maternity panel
KR100585982B1 (ko) 파운데이션 언더웨어
KR101540906B1 (ko) 임산부용 압박스타킹
TW201929706A (zh) 下半身衣料
JP3889773B2 (ja) 弾性編み生地及び該弾性編み生地を用いた下着
KR100485945B1 (ko) 미끄럼방지 조직포의 편성방법
JP3215401B1 (ja) 被 服
JP2007009345A (ja) 体型補整機能を具備する下着類
ES2364334T3 (es) Prenda de vestir.
JP4053859B2 (ja) 滑り止め組織布
WO2022265114A1 (ja) ボトム衣料
CN219578310U (zh) 一种弹性棉质针织裤袜
CN219182838U (zh) 一种抗菌型连体丝袜
CN211091949U (zh) 一种有弹性的牛仔裤
CN210407112U (zh) 一种健美瘦身用的高腰针织三角裤
KR200430472Y1 (ko) 청바지
JP7055938B2 (ja) ショーツ
WO2021153686A1 (ja) ボトム衣料
JP2008088597A (ja) バンドおよび該バンドを備えた衣類
JP2004323996A (ja) 弾性編み生地及び該弾性編み生地を用いた下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