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8181B1 - 메쉬 영역을 갖는 보정 의복 - Google Patents

메쉬 영역을 갖는 보정 의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8181B1
KR102488181B1 KR1020207010555A KR20207010555A KR102488181B1 KR 102488181 B1 KR102488181 B1 KR 102488181B1 KR 1020207010555 A KR1020207010555 A KR 1020207010555A KR 20207010555 A KR20207010555 A KR 20207010555A KR 102488181 B1 KR102488181 B1 KR 102488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
region
pattern
knitted
outer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0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2942A (ko
Inventor
하인츠 알트만
카멜로 파딘
Original Assignee
에치비아이 브랜디드 어패럴 엔터프라이지즈,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치비아이 브랜디드 어패럴 엔터프라이지즈, 엘엘씨 filed Critical 에치비아이 브랜디드 어패럴 엔터프라이지즈,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00052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2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8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8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06Undershirts; Chemi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1/00Corsets or girdles
    • A41C1/06Corsets or girdles with brassie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18Blou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8Means for ventil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0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 D04B1/104Openwork fabric, e.g. pelerin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D04B1/18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elastic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46Upper torso garments, e.g. sweaters, shirts, leotar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20Air permeability;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500/00Materials for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500/10Knitte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10Knit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의 대상은, 특히 제1 단부 및 제1 단부에 대향하는 제2 단부를 구비한 몸체(110)를 포함하는 의복(100)으로 실시될 수 있다. 몸체는 착용자의 복부 부위의 일부를 가로질러 신장되도록 구성된 제1 편직 패턴 및 착용자의 흉부 부위의 일부를 가로질러 신장되도록 구성된 제2 편직 패턴을 구비한 전방 편물 영역(120A, 120B), 착용자 등의 일부 주위에서 신장되도록 구성된 제1 편직 패턴을 구비한 후방 편물 영역(130), 착용자의 왼쪽 옆구리 부위의 일부 주위에서 신장되도록 구성된, 제1 편직 패턴과 상이한 제3 편직 패턴(501)을 구비한 제1 측면 편물 영역(140A), 및 착용자의 오른쪽 옆구리 부위의 일부 주위에서 신장되도록 구성된 제3 편직 패턴을 구비한 제2 측면 편물 영역(140B)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메쉬 영역을 갖는 보정 의복
본 출원은 2017년 9월 14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가출원 제62/558,733호의 우선권 이익을 주장하며, 그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인용된다.
본 개시는 의복, 예를 들어 여성용 보정 속옷 또는 내의에 관한 것이다.
보정 의복은 바디 슈트(bodysuit), 웨이스트 신처(waist cincher) 및 셰이핑 탑(shaping top)과 같은 다수의 형태로 존재한다. 각각의 스타일은 착용감, 편안함, 지지력 및 체형 보정(shaping)의 상이한 조합을 제공한다. 평상시의 움직임이나 운동 활동 중, 착용자의 피부와 의복 사이에 축적될 수 있는 체열 및/또는 땀으로 인해 불편함이 초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문서는 의복, 예를 들어 여성용 보정 속옷 또는 내의에 대해 설명한다. 다양한 양태는 아래의 특징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거나 전혀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양태에서, 의복은 제1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에 대향하는 제2 단부를 구비한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착용자의 복부 부위의 일부를 가로질러 신장되도록 구성된 제1 편직 패턴, 착용자의 흉부 부위의 일부를 가로질러 신장되도록 구성된 제2 편직 패턴, 제1 외부 가장자리 및 제2 외부 가장자리를 구비한 전방 편물 영역, 상기 제1 편직 패턴, 제3 외부 가장자리 및 제4 외부 가장자리를 구비하며 착용자 등의 일부 주위에서 신장되도록 구성된 후방 편물 영역, 상기 제1 편직 패턴과 상이한 제3 편직 패턴을 구비하며 상기 전방 편물 영역의 제1 외부 가장자리와 상기 후방 편물 영역의 제3 외부 가장자리의 사이에서 연장되고 착용자의 왼쪽 옆구리 부위의 일부 및 착용자의 왼쪽 엉덩이의 측면 부분의 주위에서 신장되도록 구성된 제1 측면 편물 영역, 및 상기 제3 편직 패턴을 구비하며 상기 전방 편물 영역의 제2 외부 가장자리와 상기 후방 편물 영역의 제4 외부 가장자리의 사이에서 연장되고 착용자의 오른쪽 옆구리 부위의 일부 및 착용자의 오른쪽 엉덩이의 측면 부분 주위에서 신장되도록 구성된 제2 측면 편물 영역을 포함한다.
제2 양태에서, 제1 양태에 따라, 상기 전방 편물 영역, 제1 측면 편물 영역, 후방 편물 영역 및 제2 측면 편물 영역은 함께 원형으로 편직된 관상형 몸체로서 형성된다.
제3 양태에서, 제2 양태에 따라, 착용자의 흉부 부위는 착용자의 가슴을 포함한다.
제4 양태에서, 제1 양태 또는 제2 양태에 따라, 상기 제3 편직 패턴은 편물 메쉬 패턴이다.
제5 양태에서, 제4 양태에 따라, 상기 제3 편직 패턴을 구비한 영역은 평방 야드당 8.5 온스 미만의 중량을 갖는다.
제6 양태에서, 제4 양태 또는 제5 양태에 따라, 상기 제3 편직 패턴을 구비한 영역은 나일론 실을 이용한 플로트 플레이티드(float plated) 엘라스토머로 피복된 그라운드 얀(ground yarn)을 포함하는 탄성의 2x2 플로트(float) 편직 구조이다.
제7 양태에서, 제4 양태 내지 제6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제3 편직 패턴은 각기 일렬로 배치된 3개의 제1 개구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그룹을 포함하며, 상기 그룹은 상기 제1 개구보다 작은 복수 개의 제2 개구에 의해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2 편직 패턴을 갖는 영역은, 편물 메쉬의 긴장 완화 상태에서, 평방 인치당 약 300개의 상기 그룹을 포함한다.
제8 양태에서, 제1 양태 내지 제7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의복은 상기 몸체의 제2 단부에서 상기 전방 편물 영역, 제1 측면 편물 영역, 후방 편물 영역 및 제2 측면 편물 영역에 부착된 관상형 허리 밴드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9 양태에서, 제1 양태 내지 제8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제1 편직 패턴은 단일 또는 이중 저지(jersey) 편직 구조를 포함한다.
제10 양태에서, 제1 양태 내지 제9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제2 편직 패턴은 상기 제1 편직 패턴보다 높은 신장성 및 통기성을 갖지만 상기 제3 편직 패턴보다 낮은 신장성 및 통기성을 갖는 편물 메시 패턴이다.
제11 양태에서, 제1 양태 내지 제10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제1 편직 패턴이 상기 제2 편직 패턴과 동일하다.
제12 양태에서, 제1 양태 내지 제11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의복은 속옷이다.
제13 양태에서, 의복 제조 방법은 관상형 블랭크(blank)를 원형으로 편직하여 의복의 몸체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제1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에 대향하는 제2 단부를 구비한 상기 몸체는 착용자의 복부 부위의 일부를 가로질러 신장되도록 구성된 제1 편직 패턴 및 착용자의 흉부 부위의 일부를 가로질러 신장되도록 구성된 제2 편직 패턴을 구비하며, 제1 외부 가장자리 및 제2 외부 가장자리를 구비한 전방 편물 영역, 상기 제1 편직 패턴을 구비하며, 제3 외부 가장자리 및 제4 외부 가장자리를 구비하고, 착용자 등의 일부 주위에서 신장되도록 구성된 후방 편물 영역, 상기 제1 편직 패턴과 상이한 제3 편직 패턴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외부 가장자리와 제3 외부 가장자리의 사이에서 연장되고, 착용자의 왼쪽 옆구리 부위의 일부 및 착용자의 왼쪽 엉덩이의 측면 부분의 주위에서 신장되도록 구성된 제1 측면 편물 영역, 상기 제3 편직 패턴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외부 가장자리와 제4 외부 가장자리의 사이에서 연장되고 착용자의 오른쪽 옆구리 부위의 일부 및 착용자의 오른쪽 엉덩이의 측면 부분 주위에서 신장되도록 구성된 제2 측면 편물 영역을 포함하는 것인 단계, 상기 제1 측면 편물 영역, 전방 편물 영역의 제1 부분 및 후방 편물 영역의 제1 부분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단부 가까이에 제1 암 홀(arm hole)을 절개하는 단계, 상기 제2 측면 편물 영역, 전방 편물 영역의 제2 부분 및 후방 편물 영역의 제2 부분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단부 가까이에 제2 암 홀을 절개하는 단계, 상기 전방 편물 영역의 제3 부분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단부 가까이에 제1 넥 홀(neck hole) 부분을 절개하는 단계, 상기 후방 편물 영역의 제4 부분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단부 가까이에 제2 넥 홀 부분을 절개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부 가까이에서 상기 전방 편물 영역을 후방 편물 영역에 결합하여 제1 어깨 끈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부 가까이에서 상기 전방 편물 영역을 후방 편물 영역에 결합하여 제2 어깨 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4 양태에서, 제13 양태에 따라, 방법은 제3 편직 패턴을 편물 메쉬 패턴으로 편직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15 양태에서, 제14 양태에 따라, 상기 제3 편직 패턴을 구비한 영역은 평방 야드당 8.5 온스 미만의 중량을 갖는다.
제16 양태에서, 제14 양태 또는 제15 양태에 따라, 상기 제3 편직 패턴을 구비한 영역은 나일론 실을 이용한 플로트 플레이티드(float plated) 엘라스토머로 피복된 그라운드 얀을 포함하는 탄성의 2x2 플로트 편직 구조이다.
제17 양태에서, 제14 양태 내지 제16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제3 편직 패턴은 일렬로 배치된 3개의 제1 개구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그룹을 포함하며, 상기 그룹은 상기 제1 개구보다 작은 복수 개의 제2 개구에 의해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2 편직 패턴을 갖는 영역은, 편물 메쉬의 긴장 완화 상태에서, 평방 인치당 약 300개의 그룹을 포함한다.
제18 양태에서, 제13 양태 내지 제17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제1 편직 패턴은 단일 또는 이중 저지 편직 구조이다.
제19 양태에서, 제13 양태 내지 제18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제1 편직 패턴은 상기 제2 편직 패턴과 동일하다.
제20 양태에서, 제13 양태 내지 제19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제2 편직 패턴은 상기 제1 편직 패턴보다 높은 신장성 및 통기성을 갖지만 상기 제3 편직 패턴보다 낮은 신장성 및 통기성을 갖는 편물 메시 패턴이다.
여기에 설명된 시스템 및 기술은 아래의 장점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할 수 있다. 먼저, 시스템은 의복 착용자의 편안함을 증가시키기 위해 의복의 타겟 영역에서 의복에 추가적인 유연성 및 통기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의 세부 사항이 첨부 도면 및 아래의 설명에 제시되어 있다. 기타 특징 및 장점이 상세한 설명과 도면 및 청구범위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예시의 속옷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예시의 속옷의 후면도이다.
도 3은 예시의 속옷의 우측면도이다.
도 4는 예시의 속옷의 좌측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예시의 스티치 패턴을 구비한 예시의 편물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6은 의복을 제조하기 위한 예시의 공정의 흐름도이다.
본 개시는 보정 의복, 예를 들어, 몸통의 형태를 보정하며, 몸통을 지지하고, 몸통의 윤곽선을 잡아주기 위한 속옷(예를 들어, 보정 캐미솔)을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의복은 보정 의복의 특정 부분에 편물 메쉬를 포함하며, 편물 메쉬는 의복의 다른 영역에서와는 다른 탄성 및 통풍 특성을 갖는다.
도 1~도 4는 예시의 속옷(100)의 정면도(예를 들어, 전방에서 본), 후면도(예를 들어, 후방에서 본), 우측면도 및 좌측면도이다. 속옷(100)은 몸체(110)(예를 들어, 캐미솔 몸체), 허리 밴드(150), 및 한 쌍의 어깨 끈(112a, 112b)을 포함한다. 어깨 끈(112a, 112b)은 암 홀(114a), 암 홀(114b) 및 넥 홀(116)을 형성한다. 도 1~도 4가 예시의 속옷을 나타내지만, 의복이 또한 겉옷일 수도 있다.
도 1을 주로 참조하여 보면, 몸체(110)는 전방 편물 영역(120a) 및 전방 편물 영역(120b)을 포함하는 원형으로 편직된 의복이다. 전방 편물 영역(120a)은 착용시 실질적으로 착용자의 하부 몸통과 복부를 가로질러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전방 편물 영역(120b)은 착용시 실질적으로 착용자의 상부 몸통과 흉부(예를 들어, 브라 부위, 가슴)를 가로질러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이들 전방 편물 영역(120a, 120b)은 외부 가장자리(122a) 및 외부 가장자리(122b)를 공유한다.
경우에 따라, 의복을 원형으로 편직하면, 예를 들어, 의복의 상이한 영역들이 서로 이음매 없이 결합될 수 있는 무봉재 의복이 만들어진다. 경우에 따라, 착용자가 이러한 의복 착용시에, 전방 편물 영역(120a)은 체형 보정 압축 효과를 제공하도록 착용자의 복부 부위에 걸쳐 어느 정도 신장된다. 경우에 따라, 착용자가 이러한 의복 착용시에, 전방 편물 영역(120b)은 착용자의 가슴을 지지하도록 어느 정도 신장된다[예를 들어, 전방 편물 영역(120b)은 내장 브라로서 작용함]. 경우에 따라서는, 전방 편물 영역(120b)이 전방 편물 영역(120a)보다 고도의 신장성 및/또는 통기성을 갖춘 편직 패턴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주로 참조하여 보면, 몸체(110)는 또한, 외부 가장자리(132a) 및 외부 가장자리(132b)를 구비한 후방 편물 영역(130)을 포함한다. 의복(100)을 착용 시에, 후방 편물 영역(130)은 착용자 등의 일부를 덮거나 덮어싼다. 착용시, 전술한 영역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적어도 일반적으로 착용자의 체형에 맞춰지도록 신장되거나, 어떠한 영역도 신장되지 않는다.
어깨 끈(112a, 112b)은 전방 편물 영역(120b)과 후방 영역(130)의 일부를 포함한다. 어깨 끈(112a, 112b)은, 전방 편물 영역(120b)과 후방 영역(130) 및 암 홀(114a, 114b)에 대응하는 외부 가장자리(122a)와 외부 가장자리(122b)의 소정 영역을 트리밍(trimming)함으로써, 그리고 넥 홀(116)에 대응하는 전방 편물 영역(120b)과 후방 영역(130)의 소정 영역을 트리밍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전방 편물 영역(120b)의 나머지 트리밍 처리되지 않은 부분은 전방 끈 부분(121a) 및 전방 끈 부분(121b)을 형성한다. 후방 편물 영역(130)의 나머지 트리밍 처리되지 않은 부분은 후방 끈 부분(131a) 및 후방 끈 부분(131b)을 형성한다. 전방 끈 부분(121a)과 후방 끈 부분(131a)이 이음매(115a)에서 결합(예를 들어, 재봉)되어 어깨 끈(112a)을 형성한다. 전방 끈 부분(121b)과 후방 끈 부분(131b)이 이음매(115b)에서 결합(예를 들어, 재봉)되어 어깨 끈(112b)을 형성한다.
이제 도 3을 주로 참조하여 보면, 몸체(110)는 또한, 외부 가장자리(122a)와 외부 가장자리(132a)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측면 편물 영역(140b)을 포함한다. 측면 편물 영역(140b)은, 의복(100) 착용시에, 착용자의 오른쪽 엉덩이 일부와 착용자의 오른쪽 겨드랑이의 측면 부분을 덮도록(예를 들어, 덮어싸도록, 그 위에서 연장되도록, 또는 가로질러 신장되도록)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긴장 완화(예컨대, 비신장) 상태에서는, 측면 편물 영역(140b)의 폭이 약 1.6 인치이며 길이가 약 15 인치이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제3 편직 패턴으로 편직된 영역은 임의의 적절한 크기를 가질 수 있고 및/또는 의복(100)의 전체에 걸쳐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측면 편물 영역(140b)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일 수 있고, 측면 편물 영역(140b)의 종방향 길이를 따라 폭이 증가 및/또는 감소될 수 있고, 또는 일반적으로 착용자 몸통의 측면을 따라 다른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이제 도 4를 주로 참조하여 보면, 몸체(110)는 또한, 외부 가장자리(122b)와 외부 가장자리(132b)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측면 편물 영역(140a)을 포함한다. 측면 편물 영역(140a)은, 의복(100) 착용시에, 착용자의 왼쪽 엉덩이 일부와 착용자의 왼쪽 겨드랑이 부위의 측면 부분을 덮도록(예컨대, 덮어싸도록, 또는 가로질러 신장되도록)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긴장 완화(예컨대, 비신장) 상태에서는 측면 편물 영역(140a)의 폭이 약 1.6 인치이며 길이가 약 15 인치이다. 그러나, 측면 편물 영역(140a)이 도 3에 대하여 전술한 측면 편물 영역(140b)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측면 편물 영역(140a)이, 의복(100)의 좌측으로부터 의복(100)의 우측을 분리하는 평면에 대해 가로로 측면 편물 영역(140b)의 크기, 형상, 및/또는 위치를 반영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는, 측면 편물 영역(140a, 140b)이 서로 상이한 크기, 형상, 및/또는 위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이 의복의 좌측으로서 표시되어 있고 도 4가 의복의 우측으로서 표시되어 있지만, 의복의 측면 및 대응하는 설명이 반대로 될 수 있다.
본체(110)는 일반적으로, 관상형 직물 구조이다. 예를 들어, 전방 편물 영역(120a), 전방 편물 영역(120b), 측면 편물 영역(140a), 후방 편물 영역(130), 측면 편물 영역(140b) 및 허리 밴드(150)는 이음매 없이(예를 들어, 무봉재) 초기에 형성된 단일체형의 관상형 몸체로서 원형으로 편직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전술한 영역 중 하나 이상이 나머지와 별도로 편직되어 이웃 영역에 바느질된다.
전방 편물 영역(120b) 및 후방 편물 영역(130)은 제1 편직 패턴으로 편직된다. 측면 편물 영역(140a) 및 측면 편물 영역(140b)은 제1 편직 패턴과는 다른 제3 편직 패턴으로 편직된다. 전방 편물 영역(120a)은 제2 편직 패턴으로 편직되며; 그러나, 일부 실시예에서 전방 편물 영역이 제1 편직 패턴 또는 제3 편직 패턴으로 편직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편직 패턴은 평직(plain knit) 패턴, 예컨대 단일 또는 이중 저지 편직 구조일 수 있다. 제3 편직 패턴은 도 5a 및 도 5b의 설명에서 추가로 논의될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편직 패턴은 제1 편직 패턴보다 높은 신장량 및/또는 통기성을 갖춘 직물을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편직 패턴은 제3 편직 패턴보다 낮은 신장량 및 통기성을 갖춘 직물을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편직 패턴이 제2 편직 패턴과 동일할 수 있다.
도 5a는 예시의 스티치 패턴(501)을 갖는 편물 영역(500)의 확대도이다. 도 5b는 편물 영역(500)의 섹션(510)의 추가 확대도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티치 패턴(501)이 제3 편직 패턴[예컨대, 몸체(110)의 예시의 측면 편물 영역(140a, 140b)에 사용되는 패턴]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예시의 스티치 패턴(501)은 함께 편직시에 평방 야드 당 약 8.5 온스(예컨대, 대략 0.1859 g/in2) 미만의 중량을 갖는 옷감을 제공할 수 있는 실로 이루어진 편물 메쉬 패턴이다. 예컨대, 예시의 스티치 패턴(501)의 편물 메쉬는 평방 야드 당 6.5 온스 내지 평방 야드 당 8.5 온스의 중량을 갖는 직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스티치 패턴(501)은 평직 저지 직물과 비교하여 신장성이 약 1.5배 내지 약 2배 더 높고 및/또는 통기성(예컨대, 공기 흐름)이 적어도 약 30% 더 높은 특성을 나타내는 직물을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2 편직 패턴이 예시의 스티치 패턴(501)을 포함하는 일부 예에서는, 이러한 신장성 및 통기성에 의해 의복(100)의 착용자의 편안함과, 지지력 및 통기성이 증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티치 패턴(501)의 편물 메쉬는 원래의 신장되지 않은 상태의 길이보다 80%까지 더 신장될 수 있다.
도 5b를 주로 참조하여 보면, 스티치 패턴(501)은 탄성의 2x2 플로트 편직 패턴, 3x3 플로트 편직 패턴, 또는 기타 플로트 편직 패턴과 같은 플로트 편직 구조의 반복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스티치 패턴(501)은 실(예컨대, 나일론 실)을 이용한 플로트 플레이티드(float plated) 엘라스토머(예컨대, 스판덱스 및/또는 기타 엘라스토머)로 피복된 그라운드 얀의 조합체를 사용하여 편직된다. 스티치 패턴(501)은 그룹(520)과 같은 그룹의 집합체를 포함한다. 그룹(520)은 일렬로 배치된 3개의 개구, 예컨대 개구(530a, 530b, 530c)를 포함한다. 그룹은 개구(530a~530c)보다 작은 다른 개구, 예컨대 개구(540a, 540b, 540c)의 집합체에 의해 서로 이격된다. 스티치 패턴(501)을 갖는 영역은, 영역[예컨대, 측면 편물 영역(140a, 140b)의 편물 메쉬]의 긴장 완화 상태에서, 각기 3개의 개구를 갖는 그룹(520)과 같은 약 300개의 그룹(예를 들어, 530a 내지 530c와 같은 크기가 더 큰 개구를 약 900개 갖는 그룹)을 포함한다.
도 5a 및 도 5b는 실질적으로 신장 상태의 예시의 편물 영역(500) 및 예시의 스티치 패턴(501)을 보여준다. 예컨대, 개구(530a ~ 530c, 540a ~ 540c)는 직물의 거의 최대 신장시에 보이며; 그러나, 일반적으로 긴장 완화 상태에서는, 이들 개구(530a ~ 530c, 540a ~ 540c)를 육안으로 볼 수 없다. 플로트를 포함하는 편물 영역(500)의 스티치 패턴(501)은 전술한 바와 같이 편직 시에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패턴으로서 개구(530a ~ 530c, 540a ~ 540c)를 생성한다(예컨대, 직물이 편직 후에 개구를 생성하도록 천공되는 것은 아님).
다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측면 편물 영역(140a, 140b)은 제3 편직 패턴, 예컨대 전술한 예시의 스티치 패턴(501)을 포함한다. 도 3 및 도 4은 측면 편물 영역(140b, 140a)을 각각, 측면 편물 영역(140a, 140b)의 전체에 편물 메쉬 패턴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한다. 그러나, 측면 편물 영역(140a, 140b)의 편물 메쉬 패턴의 범위가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측면 편물 영역(140a, 140b)은, 측면 편물 영역(140a, 140b)의 일부에만 편물 메쉬 패턴을 포함할 수 있고, 측면 편물 영역(140a, 140b)의 다른 부분에서는 상이한 편직 구조(예컨대, 평직, 저지 편물, 교호 플로트 패턴, 또는 기타 편직 패턴)를 추가로 포함한다.
도 6은 의복을 제조하기 위한 예시의 공정(600)의 흐름도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공정(600)이 도 1 ~ 도 4의 속옷(100)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일 수 있다.
610에서, 관상형 블랭크가 원형으로 편직되어 의복의 몸체가 형성된다. 몸체는 제1 단부와 제1 단부에 대향하는 제2 단부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예시의 의복 몸체(110)는 원형으로 편직될 수 있고, 허리 단부(170a) 및 헤드 단부(170b)를 구비한다.
몸체(110)는, 착용자의 흉부 부위의 일부를 가로질러 신장되도록 구성된 제1 편직 패턴, 및 착용자의 복부 부위의 일부를 가로질러 신장되도록 구성된 제2 편직 패턴을 구비하며, 제1 외부 가장자리 및 제2 외부 가장자리를 구비한 전방 편물 영역을 포함한다. 예컨대, 예시의 전방 편물 영역(120a)은, 예시의 전방 편물 영역(120b) 및/또는 예시의 측면 편물 영역(140a, 140b)의 편직 패턴과 상이한 편직 패턴을 가질 수 있고, 전방 편물 영역(120a, 120b)은 외부 가장자리(122a, 122b)를 구비한다.
몸체(110)는 또한, 제1 편직 패턴, 제3 외부 가장자리, 제4 외부 가장자리를 구비한 후방 편물 영역을 포함하며, 후방 편물 영역은 착용자 등의 일부 주위에서 연장되거나 신장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예시의 후방 편물 영역(130)은 예시의 전방 편물 영역(120b) 및/또는 예시의 측면 편물 영역(140a, 140b)의 편직 패턴과 상이한 편직 패턴을 가질 수 있으며, 외부 가장자리(132a, 132b)를 구비한다.
몸체(110)는 또한, 제1 편직 패턴과 상이한 제3 편직 패턴을 구비하며 제1 외부 가장자리와 제3 외부 가장자리의 사이에서 연장되고 착용자의 왼쪽 엉덩이 일부와 착용자의 왼쪽 허벅지의 측면 부분 주위에서 연장되거나 신장되도록 구성된 제1 측면 편물 영역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예시의 측면 편물 영역(140a)은 외부 가장자리(122a)와 외부 가장자리(132a)의 사이에서 연장된다.
몸체(110)는 또한, 제2 편직 패턴을 구비하며 제2 외부 가장자리와 제4 외부 가장자리의 사이에서 연장되고 착용자의 오른쪽 엉덩이 일부와 착용자의 오른쪽 허벅지의 측면 부분 주위에서 연장되거나 신장되도록 구성된 제2 측면 편물 영역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예시의 측면 편물 영역(140b)은 외부 가장자리(122b)와 외부 가장자리(132b)의 사이에서 연장된다.
620에서, 제1 측면 편물 영역, 전방 편물 영역의 제1 부분 및 후방 편물 영역의 제1 부분을 관통하여 제1 단부 가까이에 제1 암 홀이 절개된다. 예를 들어, 헤드 단부(170b)에 가까운 예시의 측면 편물 영역(140a), 예시의 전방 편물 영역(120b) 및 예시의 후방 편물 영역(130)의 일부를 제거하도록 몸체(110)를 절개함으로써 암 홀(114a)이 형성될 수 있다.
630에서, 제2 측면 편물 영역, 전방 편물 영역의 제2 부분 및 후방 편물 영역의 제2 부분을 관통하여 제1 단부 가까이에 제2 암 홀이 절개된다. 예를 들어, 헤드 단부(170b)에 가까운 예시의 측면 편물 영역(140b), 예시의 전방 편물 영역(120b) 및 예시의 후방 편물 영역(130)의 일부를 제거하도록 몸체(110)를 절개함으로써 암 홀(114b)이 형성될 수 있다.
640에서, 전방 편물 영역의 제3 부분을 관통하여 제1 단부 가까이에 제1 넥 홀 부분이 절개된다. 예를 들어, 예시의 전방 편물 영역(120b)에서 넥 홀(116)의 전방 부분이 절개될 수 있다.
650에서, 후방 편물 영역의 제4 부분을 관통하여 제1 단부 가까이에 제2 넥 홀 부분이 절개된다. 예를 들어, 예시의 후방 편물 영역(130)에서 넥 홀(116)의 후방 부분이 절개될 수 있다.
660에서, 제1 단부 가까이에서 전방 편물 영역이 후방 편물 영역에 결합되어 제1 어깨 끈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넥 홀(116) 및 암 홀(114a)을 형성하도록 절개되지 않은 전방 편물 영역(120b) 및 후방 편물 영역(130)의 나머지 부분이 헤드 단부(170b) 부근의 자유 단부 부근에서 결합(예를 들어, 바느질, 접착, 접합)되어 어깨 끈(112a)을 형성할 수 있다.
670에서, 제1 단부 가까이에서 전방 편물 영역이 후방 편물 영역에 결합되어 제2 어깨 끈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넥 홀(116) 및 암 홀(114b)을 형성하도록 절개되지 않은 전방 편물 영역(120b) 및 후방 편물 영역(130)의 나머지 부분이 헤드 단부(170b) 부근의 자유 단부 부근에서 결합(예를 들어, 바느질, 접착, 접합)되어 어깨 끈(112b)을 형성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공정(600)은 또한, 제3 편직 패턴을 편물 메쉬 패턴으로 편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3 편직 패턴을 갖는 영역은 평방 야드당 8.5 온스 미만의 중량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 편물 영역들(140a, 140b)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예시의 스티치 패턴(501)으로 편직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3 편직 패턴을 갖는 영역은, 엘라스토머로 피복된 그라운드 얀을 포함하며 나일론 실로 플로팅 도금된, 탄성의 2x2 플로트 편직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3 편직 패턴은 신장시에 눈에 보이는 일렬로 배치된 3개의 제1 개구를 갖는 그룹의 집합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룹은 제1 개구보다 작은 복수 개의 제2 개구에 의해 서로 이격되고, 제3 편직 패턴을 갖는 영역은, 편물 메쉬의 긴장 완화 상태에서, 평방 인치당 약 300개의 그룹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예시의 스티치 패턴(501)은 일렬로 배치된 3개의 개구(530a ~ 530c)의 그룹(520)을 포함하며, 이러한 그룹은 개구(540a 내지 540c)와 같은 더 작은 개구에 의해 다른 그룹과 이격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2 편직 패턴은 제1 편직 패턴보다 높은 신장성과 통기성을 갖지만 제3 편직 패턴보다는 낮은 신장성과 통기성을 갖는 편물 메시 패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방 편물 영역(120b)은 전방 편물 영역(120a)보다 높은 신장성 및/또는 통기성을 가질 수 있지만, 측면 편물 영역(140a, 140b)보다 낮은 신장성 및/또는 통기성을 가질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2 편직 패턴과 제1 편직이 동일한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방 편물 영역(120a) 및 전방 편물 영역(120b)이 모두 동일한 스티치 패턴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스티치 패턴은 측면 편물 영역(140a, 140b)과 후방 편물 영역(130)에 사용되는 스티치 패턴과 상이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2 편직 패턴은 제3 편직 패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방 편물 영역(120a)이 측면 편물 영역(140a 또는 140b)과 동일한 스티치 패턴을 가질 수 있으며, 전방 편물 부분(120a) 및 후방 편물 부분(130)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스티치 패턴과 상이한 스티치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공정(600)은 또한, 관상형 블랭크를 원형으로 편직하여 의복의 관상형 허리 밴드를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관상형 허리 밴드를 몸체의 제1 단부에서 제1 전방 편물 영역, 제1 측면 편물 영역, 후방 편물 영역 및 제2 측면 편물 영역에 바느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시의 허리 밴드(150)는 원형으로 편직된 후 허리 단부(170a)에서 예시의 몸체(110)에 바느질될 수 있다.
몇몇 구현예가 위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긴 하지만, 기타 수정예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논리 흐름은 바람직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시된 특정 순서 또는 순차적인 순서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설명된 흐름으로부터 다른 단계가 제공될 수 있고, 또는 단계가 제거될 수 있고, 전술한 의복에 대해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되거나 제거될 수도 있다. 따라서, 기타 구현예는 아래의 청구범위 내에 있다.

Claims (30)

  1. 제1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에 대향하는 제2 단부를 구비한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착용자의 복부 부위의 일부를 가로질러 신장되도록 구성된 제1 편직 패턴, 착용자의 흉부 부위의 일부를 가로질러 신장되도록 구성된 제2 편직 패턴, 제1 외부 가장자리 및 제2 외부 가장자리를 구비한 전방 편물 영역;
    상기 제1 편직 패턴, 제3 외부 가장자리 및 제4 외부 가장자리를 구비하며, 착용자 등의 일부 주위에서 신장되도록 구성된 후방 편물 영역;
    상기 제1 편직 패턴과 상이한 제3 편직 패턴을 구비하며, 상기 전방 편물 영역의 제1 외부 가장자리와 상기 후방 편물 영역의 제3 외부 가장자리의 사이에서 연장되고, 착용자의 왼쪽 옆구리 부위의 일부 및 착용자의 왼쪽 엉덩이의 측면 부분의 주위에서 신장되도록 구성된 제1 측면 편물 영역으로서, 상기 제3 편직 패턴은 편물 메쉬 패턴이고, 상기 제2 편직 패턴은 상기 제1 편직 패턴보다 높은 신장성 및 통기성을 갖지만 상기 제3 편직 패턴보다 낮은 신장성 및 통기성을 갖는 편물 메시 패턴인 것인 제1 측면 편물 영역; 및
    상기 제3 편직 패턴을 구비하며, 상기 전방 편물 영역의 제2 외부 가장자리와 상기 후방 편물 영역의 제4 외부 가장자리의 사이에서 연장되고, 착용자의 오른쪽 옆구리 부위의 일부 및 착용자의 오른쪽 엉덩이의 측면 부분 주위에서 신장되도록 구성된 제2 측면 편물 영역을 포함하는 것인 의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편물 영역, 제1 측면 편물 영역, 후방 편물 영역 및 제2 측면 편물 영역은 함께 원형으로 편직된 관상형 몸체로서 형성되는 것인 의복.
  3. 제2항에 있어서, 착용자의 흉부 부위는 착용자의 가슴을 포함하는 것인 의복.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편직 패턴을 구비한 영역은 평방 야드당 8.5 온스 미만의 중량을 갖는 것인 의복.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편직 패턴을 구비한 영역은 나일론 실을 이용한 플로트 플레이티드(float plated) 엘라스토머로 피복된 그라운드 얀(ground yarn)을 포함하는 탄성의 2x2 플로트(float) 편직 구조인 것인 의복.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편직 패턴은 일렬로 배치된 3개의 제1 개구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그룹을 포함하며, 상기 그룹은 상기 제1 개구보다 작은 복수 개의 제2 개구에 의해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3 편직 패턴을 갖는 영역은, 편물 메쉬의 긴장 완화 상태에서, 평방 인치당 300개의 상기 그룹을 포함하는 것인 의복.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제2 단부에서 상기 전방 편물 영역, 제1 측면 편물 영역, 후방 편물 영역 및 제2 측면 편물 영역에 부착된 관상형 허리 밴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의복.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편직 패턴은 단일 또는 이중 저지(jersey) 편직 구조를 포함하는 것인 의복.
  9. 관상형 블랭크(blank)를 원형으로 편직하여 의복의 몸체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제1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에 대향하는 제2 단부를 구비한 상기 몸체는,
    착용자의 복부 부위의 일부를 가로질러 신장되도록 구성된 제1 편직 패턴 및 착용자의 흉부 부위의 일부를 가로질러 신장되도록 구성된 제2 편직 패턴을 구비하며, 제1 외부 가장자리 및 제2 외부 가장자리를 구비한 전방 편물 영역;
    상기 제1 편직 패턴을 구비하며, 제3 외부 가장자리 및 제4 외부 가장자리를 구비하고, 착용자 등의 일부 주위에서 신장되도록 구성된 후방 편물 영역;
    상기 제1 편직 패턴과 상이한 제3 편직 패턴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외부 가장자리와 제3 외부 가장자리의 사이에서 연장되고, 착용자의 왼쪽 옆구리 부위의 일부 및 착용자의 왼쪽 엉덩이의 측면 부분의 주위에서 신장되도록 구성된 제1 측면 편물 영역으로서, 상기 제3 편직 패턴은 편물 메쉬 패턴이고, 상기 제2 편직 패턴은 상기 제1 편직 패턴보다 높은 신장성 및 통기성을 갖지만 상기 제3 편직 패턴보다 낮은 신장성 및 통기성을 갖는 편물 메시 패턴인 것인 제1 측면 편물 영역; 및
    상기 제3 편직 패턴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외부 가장자리와 제4 외부 가장자리의 사이에서 연장되고, 착용자의 오른쪽 옆구리 부위의 일부 및 착용자의 오른쪽 엉덩이의 측면 부분 주위에서 신장되도록 구성된 제2 측면 편물 영역을 포함하는 것인 단계;
    상기 제1 측면 편물 영역, 전방 편물 영역의 제1 부분 및 후방 편물 영역의 제1 부분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단부 가까이에 제1 암 홀을 절개하는 단계;
    상기 제2 측면 편물 영역, 전방 편물 영역의 제2 부분 및 후방 편물 영역의 제2 부분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단부 가까이에 제2 암 홀을 절개하는 단계;
    상기 전방 편물 영역의 제3 부분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단부 가까이에 제1 넥 홀 부분을 절개하는 단계;
    상기 후방 편물 영역의 제4 부분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단부 가까이에 제2 넥 홀 부분을 절개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부 가까이에서 상기 전방 편물 영역을 후방 편물 영역에 결합하여 제1 어깨 끈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부 가까이에서 상기 전방 편물 영역을 후방 편물 영역에 결합하여 제2 어깨 끈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의복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편직 패턴을 구비한 영역은 평방 야드당 8.5 온스 미만의 중량을 갖는 것인 의복 제조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편직 패턴을 구비한 영역은, 나일론 실을 이용한 플로트 플레이티드(float plated) 엘라스토머로 피복된 그라운드 얀을 포함하는 탄성의 2x2 플로트 편직 구조인 것인 의복 제조 방법.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편직 패턴은 각기 일렬로 배치된 3개의 제1 개구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그룹을 포함하며, 상기 그룹은 상기 제1 개구보다 작은 복수 개의 제2 개구에 의해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3 편직 패턴을 갖는 영역은, 편물 메쉬의 긴장 완화 상태에서, 평방 인치당 300개의 그룹을 포함하는 것인 의복 제조 방법.
  13.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편직 패턴은 단일 또는 이중 저지 편직 구조인 것인 의복 제조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편직 패턴을 구비한 영역은, 나일론 실을 이용한 플로트 플레이티드(float plated) 엘라스토머로 피복된 그라운드 얀을 포함하는 탄성의 2x2 플로트 편직 구조인 것인 의복 제조 방법.
  15.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편직 패턴은 각기 일렬로 배치된 3개의 제1 개구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그룹을 포함하며, 상기 그룹은 상기 제1 개구보다 작은 복수 개의 제2 개구에 의해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2 편직 패턴을 갖는 영역은, 편물 메쉬의 긴장 완화 상태에서, 평방 인치당 300개의 그룹을 포함하는 것인 의복 제조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편직 패턴은 상기 제2 편직 패턴과 동일한 스티치 패턴을 가지는 것인 의복 제조 방법.
  1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편직 패턴을 구비한 영역은, 나일론 실을 이용한 플로트 플레이티드(float plated) 엘라스토머로 피복된 그라운드 얀을 포함하는 탄성의 2x2 플로트 편직 구조인 것인 의복.
  1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편직 패턴은 각기 일렬로 배치된 3개의 제1 개구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그룹을 포함하며, 상기 그룹은 상기 제1 개구보다 작은 복수 개의 제2 개구에 의해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2 편직 패턴을 갖는 영역은, 편물 메쉬의 긴장 완화 상태에서, 평방 인치당 300개의 그룹을 포함하는 것인 의복.
  1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편직 패턴은 각기 일렬로 배치된 3개의 제1 개구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그룹을 포함하며, 상기 그룹은 상기 제1 개구보다 작은 복수 개의 제2 개구에 의해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2 편직 패턴을 갖는 영역은, 편물 메쉬의 긴장 완화 상태에서, 평방 인치당 300개의 그룹을 포함하는 것인 의복.
  20. 제1항 내지 제6항 및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편직 패턴은 상기 제2 편직 패턴과 동일한 스티치 패턴을 가지는 것인 의복.
  21. 제1항 내지 제6항 및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속옷인 것인 의복.
  2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편직 패턴은 상기 제2 편직 패턴과 동일한 스티치 패턴을 가지는 것인 의복 제조 방법.
  23. 제1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에 대향하는 제2 단부를 구비한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착용자의 복부 부위의 일부를 가로질러 신장되도록 구성된 제1 편직 패턴, 착용자의 흉부 부위의 일부를 가로질러 신장되도록 구성된 제2 편직 패턴, 제1 외부 가장자리 및 제2 외부 가장자리를 구비한 전방 편물 영역;
    상기 제1 편직 패턴, 제3 외부 가장자리 및 제4 외부 가장자리를 구비하며, 착용자 등의 일부 주위에서 신장되도록 구성된 후방 편물 영역;
    상기 제1 편직 패턴과 상이한 제3 편직 패턴을 구비하며, 상기 전방 편물 영역의 제1 외부 가장자리와 상기 후방 편물 영역의 제3 외부 가장자리의 사이에서 연장되고, 착용자의 왼쪽 옆구리 부위의 일부 주위에서 신장되도록 구성된 제1 측면 편물 영역; 및
    상기 제3 편직 패턴을 구비하며, 상기 전방 편물 영역의 외부 가장자리와 상기 후방 편물 영역의 외부 가장자리의 사이에서 연장되고, 착용자의 오른쪽 옆구리 부위의 일부 주위에서 신장되도록 구성된 제2 측면 편물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 편물 영역에 형성되는 전방 끈 부분은 상기 제2 편직 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후방 편물 영역에 형성되는 후방 끈 부분은 상기 제1 편직 패턴을 구비하는 것인 의복.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편물 영역, 제1 측면 편물 영역, 후방 편물 영역 및 제2 측면 편물 영역은 함께 원형으로 편직된 관상형 몸체로서 형성되는 것인 의복.
  25.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편직 패턴은 편물 메시 패턴인 것 의복.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편직 패턴은 일렬로 배치된 3개의 제1 개구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그룹을 포함하며, 상기 그룹은 상기 제1 개구보다 작은 복수 개의 제2 개구에 의해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3 편직 패턴을 갖는 영역은, 편물 메쉬의 긴장 완화 상태에서, 평방 인치당 300개의 상기 그룹을 포함하는 것인 의복.
  27.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편직 패턴은 상기 제2 편직 패턴과 동일한 스티치 패턴을 가지는 것인 의복.
  28. 관상형 블랭크(blank)를 원형으로 편직하여 의복의 몸체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제1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에 대향하는 제2 단부를 구비한 상기 몸체는,
    착용자의 복부 부위의 일부를 가로질러 신장되도록 구성된 제1 편직 패턴 및 착용자의 흉부 부위의 일부를 가로질러 신장되도록 구성된 제2 편직 패턴을 구비하며, 제1 외부 가장자리 및 제2 외부 가장자리를 구비한 전방 편물 영역;
    상기 제1 편직 패턴을 구비하며, 제3 외부 가장자리 및 제4 외부 가장자리를 구비하고, 착용자 등의 일부 주위에서 신장되도록 구성된 후방 편물 영역;
    상기 제1 편직 패턴과 상이한 제3 편직 패턴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외부 가장자리와 제3 외부 가장자리의 사이에서 연장되고, 착용자의 왼쪽 옆구리 부위의 일부 주위에서 신장되도록 구성된 제1 측면 편물 영역; 및
    상기 제3 편직 패턴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외부 가장자리와 제4 외부 가장자리의 사이에서 연장되고, 착용자의 오른쪽 옆구리 부위의 일부 주위에서 신장되도록 구성된 제2 측면 편물 영역을 포함하는 것인 단계;
    상기 제1 측면 편물 영역, 전방 편물 영역의 제1 부분 및 후방 편물 영역의 제1 부분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단부 가까이에 제1 암 홀을 절개하는 단계;
    상기 제2 측면 편물 영역, 전방 편물 영역의 제2 부분 및 후방 편물 영역의 제2 부분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단부 가까이에 제2 암 홀을 절개하는 단계;
    상기 전방 편물 영역의 제3 부분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단부 가까이에 제1 넥 홀 부분을 절개하는 단계;
    상기 후방 편물 영역의 제4 부분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단부 가까이에 제2 넥 홀 부분을 절개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부 가까이에서 상기 전방 편물 영역을 후방 편물 영역에 결합하여 제1 어깨 끈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부 가까이에서 상기 전방 편물 영역을 후방 편물 영역에 결합하여 제2 어깨 끈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어깨 끈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어깨 끈을 형성하는 단계는, 각각 상기 전방 편물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2 편직 패턴을 구비하는 전방 끈 부분과 상기 후방 편물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편직 패턴을 구비하는 후방 끈 부분을 결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복 제조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편직 패턴을 편물 메쉬 패턴으로 편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복 제조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편직 패턴은 일렬로 배치된 3개의 제1 개구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그룹을 포함하며, 상기 그룹은 상기 제1 개구보다 작은 복수 개의 제2 개구에 의해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3 편직 패턴을 갖는 영역은, 편물 메쉬의 긴장 완화 상태에서, 평방 인치당 300개의 상기 그룹을 포함하는 것인 의복 제조 방법.
KR1020207010555A 2017-09-14 2018-09-13 메쉬 영역을 갖는 보정 의복 KR1024881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58733P 2017-09-14 2017-09-14
US62/558,733 2017-09-14
PCT/US2018/050899 WO2019055666A1 (en) 2017-09-14 2018-09-13 SCULPTING CLOTHES WITH MESH REG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2942A KR20200052942A (ko) 2020-05-15
KR102488181B1 true KR102488181B1 (ko) 2023-01-13

Family

ID=63714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0555A KR102488181B1 (ko) 2017-09-14 2018-09-13 메쉬 영역을 갖는 보정 의복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10400369B2 (ko)
EP (1) EP3681326B1 (ko)
JP (1) JP2020534449A (ko)
KR (1) KR102488181B1 (ko)
CN (1) CN111132571A (ko)
AU (1) AU2018331404B2 (ko)
BR (1) BR112020005124B1 (ko)
CA (1) CA3075855C (ko)
MX (1) MX2020002873A (ko)
WO (1) WO20190556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94593B2 (en) 2017-03-20 2019-05-21 Hbi Branded Apparel Enterprises, Llc Shapewear garment with mesh regions
MX2020002873A (es) 2017-09-14 2020-10-12 Hbi Branded Apparel Entpr Llc Prenda modeladora con regiones de malla.
USD926438S1 (en) * 2018-07-23 2021-08-03 Tewan Lowe Sport themed shirt
US20210145084A1 (en) * 2019-11-14 2021-05-20 Adidas Ag Garment with motion-supporting compression zones and body-shaping compression zones
US11871800B2 (en) 2019-12-20 2024-01-16 Maddox Holdings, Inc. Multi-tummy layer body shaper with variable density mesh
US11857011B2 (en) * 2019-12-20 2024-01-02 Maddox Holdings, Inc. Outerwear shapewear
US11457671B2 (en) * 2019-12-20 2022-10-04 Maddox Holdings Inc. Maternity undergarment for gentle support and shape enhancement
USD935134S1 (en) * 2020-01-10 2021-11-09 Robyn Rabin Exercise garment
USD959796S1 (en) * 2020-09-29 2022-08-09 Bio-Medical Research Limited Garment
USD984780S1 (en) * 2021-04-14 2023-05-02 Louis Garneau Sports Inc. Sports jerse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5608B2 (ja) 1993-09-01 2000-03-27 株式会社染野製作所 壁材留付装置
US20040045325A1 (en) * 2002-09-05 2004-03-11 Tefron Ltd. Tennis vest having knit-in ball pockets
JP2011256507A (ja) * 2010-06-11 2011-12-22 Charle Co Ltd 姿勢改善の効果が期待できるウエア
US20160015088A1 (en) 2014-07-16 2016-01-21 Destination Maternity Corporation Shaping garment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7975A (en) 1902-11-08 1903-09-01 Thomas F Trimble Drawers.
US2285012A (en) 1938-11-19 1942-06-02 Burkey Underwear Company Inc Elastic-belt garment and making same
US3526229A (en) 1968-08-05 1970-09-01 Ronald L Blair Undergarments
US3625029A (en) 1970-01-02 1971-12-07 Separates Ltd Girdle and method
US3946579A (en) * 1973-12-10 1976-03-30 Bear Brand Hosiery Co. One-piece panty and method of manufacture
JPS5122008U (ko) * 1974-08-05 1976-02-18
JPS62268803A (ja) * 1986-05-16 1987-11-21 東洋紡績株式会社 体型補整機能を有する衣料
US5611722A (en) 1995-02-03 1997-03-18 Alba-Waldensian, Inc. Panty having knit-in buttock lift and separation
US5689836A (en) 1994-08-22 1997-11-25 Mcdavid Knee Guard, Inc. Athletic protective undergarment
JP2898225B2 (ja) 1995-07-20 1999-05-31 キシ株式会社 体型補整機能裏地付き衣服
JP3025608U (ja) * 1995-09-22 1996-06-21 勝次 西口 シ−ムレスダイエットシャツ
US6041441A (en) 1998-05-20 2000-03-28 Counts; Paulette M. Athletic trousers
JP3058840U (ja) * 1998-11-02 1999-06-22 株式会社ワコール 子供用衣類
JP3105500B1 (ja) * 1999-08-02 2000-10-30 株式会社デサント スポーツ競技用アンダーシャツ
FR2805285B1 (fr) 2000-02-17 2002-05-17 Dim Sa Article de lingerie tricote de type "boxer"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US6276176B1 (en) 2000-04-06 2001-08-21 Sara T. Blakely Pantyhose under garment
US6401250B1 (en) 2001-01-24 2002-06-11 Mcnabb Mark J. Ventilated athletic support garment
EP1367161B1 (en) 2001-02-02 2009-06-24 Shima Seiki Mfg., Ltd Method of knitting rope-form patterns in tubular knitted fabric
JP2002294507A (ja) * 2001-03-30 2002-10-09 Mizuno Corp 減量用衣
US7024892B2 (en) 2002-04-19 2006-04-11 Sara T. Blakely Two-ply body-smoothing undergarment
WO2003099559A1 (en) 2002-05-24 2003-12-04 Michel Joyce Article of clothing with moisture absorbent portion
US6874337B2 (en) 2002-06-05 2005-04-05 Mizuno Corporation Underpant garment
US9700077B2 (en) * 2004-03-19 2017-07-11 Nike, Inc. Article of apparel with variable air permeability
JP4018682B2 (ja) * 2004-09-21 2007-12-05 株式会社アシックス スパッツ
GT200600424A (es) * 2006-03-09 2009-08-11 Prenda remodeladora de tejido graduado sin costuras
FR2899068B1 (fr) 2006-03-31 2008-07-04 Promiles Snc Ensemble pantalon, notamment pour la pratrique des sports de raquette
US7260961B1 (en) 2006-11-02 2007-08-28 Amanda Kennedy Circularly knit undergarment having knit-in support panels and derriere cup fullness
JP4024287B1 (ja) 2007-02-27 2007-12-19 株式会社エヌ・エル・シーコーポレーション 腰痛体操の効果が期待できるウエアー
EP2206441B1 (en) 2007-10-15 2016-12-07 ASICS Corporation Athletic wear
DE102011000398B3 (de) 2011-01-28 2012-04-26 Terrot Gmbh Strickware mit Lochstruktur,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Funktionstextilie
CN103243472B (zh) * 2012-02-13 2015-05-20 香港纺织及成衣研发中心有限公司 一种功能性衣服
US9232823B2 (en) * 2013-03-15 2016-01-12 Hbi Branded Apparel Enterprises, Llc Band for garment
MX364368B (es) 2014-05-07 2019-04-24 Hbi Branded Apparel Entpr Llc Ropa interior para hombres.
CN204812103U (zh) * 2015-08-10 2015-12-02 邓贵明 一种透气背心
US10925338B2 (en) 2017-03-01 2021-02-23 Nike, Inc. Knit garment with reduced seams
US10294593B2 (en) * 2017-03-20 2019-05-21 Hbi Branded Apparel Enterprises, Llc Shapewear garment with mesh regions
MX2020002873A (es) 2017-09-14 2020-10-12 Hbi Branded Apparel Entpr Llc Prenda modeladora con regiones de malla.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5608B2 (ja) 1993-09-01 2000-03-27 株式会社染野製作所 壁材留付装置
US20040045325A1 (en) * 2002-09-05 2004-03-11 Tefron Ltd. Tennis vest having knit-in ball pockets
JP2011256507A (ja) * 2010-06-11 2011-12-22 Charle Co Ltd 姿勢改善の効果が期待できるウエア
US20160015088A1 (en) 2014-07-16 2016-01-21 Destination Maternity Corporation Shaping gar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20002873A (es) 2020-10-12
CN111132571A (zh) 2020-05-08
US20190075853A1 (en) 2019-03-14
US20190343189A1 (en) 2019-11-14
AU2018331404B2 (en) 2023-01-19
BR112020005124B1 (pt) 2022-05-17
AU2018331404A1 (en) 2020-04-02
CA3075855C (en) 2023-06-06
JP2020534449A (ja) 2020-11-26
EP3681326B1 (en) 2024-04-24
WO2019055666A1 (en) 2019-03-21
BR112020005124A2 (pt) 2020-09-15
EP3681326A1 (en) 2020-07-22
CA3075855A1 (en) 2019-03-21
KR20200052942A (ko) 2020-05-15
US10400369B2 (en) 2019-09-03
US10883206B2 (en) 202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8181B1 (ko) 메쉬 영역을 갖는 보정 의복
US10829876B2 (en) Shapewear garment with mesh regions
CA2603733C (en) Back supporting brassiere and undergarments with reinforced zone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10278431B2 (en) Shapewear garments
US7395557B1 (en) Seamless upper body garment
CN110292215B (zh) 内裤及制作内裤的方法
ES2929786T3 (es) Moldeador del cuerpo de múltiples capas para la barriga con malla de densidad variable
EP3821736A1 (en) Garment with motion-supporting compression zones and body-shaping compression zones
JP2020534449A5 (ko)
US11896063B2 (en) Raw edge contouring gusset
US8574025B2 (en) Body slimmer
CN112351700A (zh) 年轻人端庄支撑服装
US9980524B2 (en) Woman's undergarment
US11026454B2 (en) Floating darts for shapewear
ES2364334T3 (es) Prenda de vestir.
JP3836039B2 (ja) 臀部被覆衣類
EP4215074A1 (en) Flexible lace underwear
CA3108529A1 (en) Shapewear garment
JP2019039085A (ja) 下半身用衣類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